152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평가 - 양성 및 맞춤과정을 중심으로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평가 - KEAD · y "-() 0 f/ 0123 0h i 01239+,*klmnop q9ir*sd g #6tjuvwx !>yz9#(*g01[\o ]^>o 4em_j `a[*sd gop 0123 å#j 4567$æ ^Ú* sd g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정책연구 2013-11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가 실려 있습니다.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평가- 양성 및 맞춤과정을 중심으로 -

    남용현․이석원

  •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남용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책임연구원)

    ․공동연구자 : 이석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자문위원(가나다순)

    심성지 (경일대학교 교수)

    정연택 (충남대학교 교수)

  • 머리말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에 대한 체계적인 직업훈련은 1990년 장애인고용

    촉진 등에 관한 법률 (현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이 제정되어 한국

    장애인고용공단(이하 공단)이 설립되고, 이후 공단이 일산 직업전문학교(현 일산

    직업능력개발원)를 인수 운영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공단은 2000년에 대전과 부산, 2002년에는 전남과 대구에 직업능력개

    발원을 설립하여 권역별 기본인프라를 구축하였고, 2004년에는 직업훈련 체제

    개편을 통해 종합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화된 기관으로서의 기

    능과 역할을 대폭 강화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공단은 직업훈련에 대한 장애

    인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수요와 장애인 고용을 희망하는 사업주의 수요를 충

    족시키기 위하여 기존에 운영해오던 기능훈련 중심의 양성과정 이외에 ‘장애

    유형별 특성화훈련’과 ‘맞춤훈련’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노력을 통해 공단은 그동안 장애인 직업훈련 분야에서 양적

    질적으로 큰 성과를 이루어냈으나, 장애인의 낮은 훈련참가율, 장애인 당사자

    나 사업주의 수요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어려움, 직업훈련의 기반 부족,

    고객의 낮은 만족도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 직업훈련사업에 대한 사업평가를 통

    해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직업훈련사업의 향후 개선방향과 방안들

    을 제시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장애인 직업훈련사업을 개선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를 기대합니다.

    2013년 11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원장 권 기 돈

  • i

    목 차

    Abstract ································································································· 1

    연구요약 ································································································ 3

    제1장 서론 ··························································································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7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10

    제3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3

    제2장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개요 ······································· 15

    제1절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체계 ····················································· 15

    1. 사업의 근거 및 발전과정 ································································ 15

    2.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기관 및 실적 ··································· 18

    3. 직업능력개발원 기능훈련 현황 ························································ 20

    제2절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 ································································· 29

    1. 특성화훈련 개요 ·············································································· 29

    2. 특성화훈련 운영체계 ······································································· 30

    3. 특성화훈련 주요 내용 ····································································· 32

    4. 특성화훈련 실적 ·············································································· 34

    제3절 맞춤훈련 ······················································································· 35

    1. 맞춤훈련 개요 ················································································· 35

  • ii

    2. 맞춤훈련 운영체계 ··········································································· 37

    3. 맞춤훈련 절차 ················································································· 38

    4. 맞춤훈련 실적 ················································································· 40

    제3장 평가방법 ·················································································· 43

    제1절 평가의 기본 틀 ············································································· 43

    1. 사업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 43

    2. 사업평가의 기본방향 ······································································· 45

    제2절 사업 평가체계 및 측정방법 ·························································· 52

    1. 평가의 대상 및 범위 ······································································· 52

    2. 평가체계 ·························································································· 52

    3. 측정방법 및 분석자료 ····································································· 54

    제4장 평가결과 ·················································································· 57

    제1절 계획단계 ······················································································· 57

    1. 적절성 ······························································································ 57

    2. 형평성 ······························································································ 61

    제2절 집행단계 ······················································································· 66

    1. 효율성 ······························································································ 66

    제3절 성과단계 ······················································································· 80

    1. 효과성 ······························································································ 80

    2. 실증분석 ·························································································· 92

    제4절 환류단계 ······················································································ 110

    1. 효용성 ···························································································· 110

    2. 지속가능성 ····················································································· 115

  • iii

    제5장 종합평가 및 제언 ·································································· 119

    제1절 종합평가 ······················································································ 119

    제2절 정책제언 ······················································································ 121

    1. 중증 중심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서비스 제공 확대 ························· 121

    2. 양성과정 및 맞춤과정의 내실화 ···················································· 123

    3. 장애인 직업훈련생 정원의 확대 ···················································· 126

    4. 시각 청각장애인 및 청소년장애인 전용 훈련기관 설치 및 운영 ·· 127

    5.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성과 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 필요 ··········· 129

    6. 직업능력개발원 운영의 내실화 ······················································ 130

    7.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원의 시설 및 장비 개선 ······························· 132

    참고문헌 ···························································································· 135

  • iv

    표목차

    〈표 2-1〉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연혁 ··················································· 18

    〈표 2-2〉장애인 직업훈련 실시기관 현황 ·························································· 19

    〈표 2-3〉장애인 직업훈련 실시기관별 지원 현황 ·············································· 20

    〈표 2-4〉직업능력개발원별 훈련분야 ································································· 26

    〈표 2-5〉직업능력개발원별 훈련실적 ································································· 27

    〈표 2-6〉직업능력개발원 기능훈련 현황 ··························································· 28

    〈표 2-7〉특성화훈련 장애유형별 지원 사항 ······················································ 31

    〈표 2-8〉직업능력개발원 특성화훈련 현황 ························································ 35

    〈표 2-9〉직업능력개발원 맞춤훈련 현황 ··························································· 40

    〈표 2-10〉맞춤훈련 직종 및 훈련과정 ······························································· 41

    〈표 3-1〉Dunn의 평가기준 및 평가내용 ··························································· 46

    〈표 3-2〉재정사업 심층평가제도 평가기준 및 평가내용 ··································· 47

    〈표 3-3〉ILO 권고 평가기준 및 평가내용 ························································· 48

    〈표 3-4〉장애인고용 관련 사업 평가기준 및 평가내용 ····································· 51

    〈표 3-5〉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평가기준별 평가내용 및 평가지표 ················ 53

    〈표 3-6〉평가지표별 측정수단과 자료 ······························································· 55

    〈표 4-1〉전국의 장애인 훈련희망인원 ······························································· 60

    〈표 4-2〉직업훈련 필요 여부 및 참여가능 여부 ··············································· 60

    〈표 4-3〉‘적절성’ 세부 평가지표 평가 결과 ······················································ 61

    〈표 4-4〉전체 수료생 성별 서비스 수혜율 ························································ 62

    〈표 4-5〉훈련종류별 수료생 성별 서비스 수혜율 ·············································· 62

    〈표 4-6〉전체 수료생 장애정도별 서비스 수혜율 ·············································· 63

    〈표 4-7〉훈련종류별 수료생 장애정도별 서비스 수혜율 ··································· 64

    〈표 4-8〉전체 수료생 장애유형별 서비스 수혜율 및 훈련수요 ························· 64

  • v

    〈표 4-9〉‘형평성’ 세부 평가지표 평가 결과 ······················································ 66

    〈표 4-10〉직업능력개발원 인력 현황 ································································· 76

    〈표 4-11〉연도별 예산액 및 집행비율 ······························································· 78

    〈표 4-12〉선발평가 합격자 현황 ······································································· 79

    〈표 4-13〉‘효율성’ 평가 결과 ············································································ 80

    〈표 4-14〉전체 수료생 취업률 ··········································································· 81

    〈표 4-15〉훈련분야별 수료생 취업률 ································································· 82

    〈표 4-16〉중증장애인 수료생 취업률 ································································· 82

    〈표 4-17〉훈련분야별 중증장애인 수료생 취업률 ·············································· 82

    〈표 4-18〉전체 여성장애인 수료생 취업률 ························································ 83

    〈표 4-19〉훈련분야별 여성장애인 수료생 취업률 ·············································· 83

    〈표 4-20〉고용의무기업체 취업 현황 ································································· 84

    〈표 4-21〉훈련분야별 고용의무기업체 취업 현황 ·············································· 84

    〈표 4-22〉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 현황 ········································ 85

    〈표 4-23〉훈련분야별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 현황 ····················· 85

    〈표 4-24〉수료생 임금수준 현황 ······································································· 86

    〈표 4-25〉전체 수료생 고용유지율 ···································································· 87

    〈표 4-26〉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의 만족도 점수 ·············································· 88

    〈표 4-27〉훈련생의 교육·훈련 분야 만족도 ······················································· 89

    〈표 4-28〉훈련생의 기타 분야 만족도 ······························································· 89

    〈표 4-29〉훈련생의 기타 품질 만족도 ······························································· 90

    〈표 4-30〉‘효과성’ 평가 결과 ············································································ 91

    〈표 4-31〉양성과정과 맞춤과정 수료생의 일반적 특성 ··································· 101

    〈표 4-32〉성과분석의 주요 변수 ······································································ 102

    〈표 4-33〉훈련유형이 취업 성공여부에 미치는 효과 ······································· 103

    〈표 4-34〉훈련유형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효과 ·············································· 106

    〈표 4-35〉훈련유형이 중증 경증장애인 고용의 질에 미치는 효과 ·················· 107

  • vi

    〈표 4-36〉훈련유형이 고용유지에 미치는 효과 ··············································· 109

    〈표 4-37〉훈련유형이 중증 경증장애인의 고용유지에 미치는 효과 ················ 110

    〈표 4-38〉직업훈련 수요 대비 서비스 제공 비율 ············································ 111

    〈표 4-39〉연도별 선발평가 대상인원 추이 ······················································ 112

    〈표 4-40〉직업능력개발원 수료생의 직업훈련분야 고객만족도 ······················· 113

    〈표 4-41〉직업능력개발원 수료생의 직업훈련 영역별 품질 만족도 ················ 114

    〈표 4-42〉‘효용성’ 평가 결과 ··········································································· 114

    〈표 4-43〉이용자의 사업 지속 필요성 의사 ···················································· 115

    〈표 4-44〉이용자의 사업 추천 의사 ································································· 116

    〈표 4-45〉‘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 118

    〈표 5-1〉종합평가 결과 ···················································································· 120

  • vii

    그림목차

    〔그림 2-1〕직업능력개발원의 훈련 종류 ··························································· 21

    〔그림 2-2〕직업능력개발원의 훈련생 모집 및 훈련 절차 ································· 25

    〔그림 2-3〕맞춤훈련 체계도 ·············································································· 38

    〔그림 2-4〕맞춤훈련 절차 ·················································································· 39

    〔그림 4-1〕제4차 장애인 고용촉진 5개년 계획의 비전과 목표 ························· 58

    〔그림 4-2〕2010년 KEAD 경영 전략 체계 ························································ 67

    〔그림 4-3〕2011년 KEAD 경영 전략 체계 ························································ 71

    〔그림 4-4〕2012년 KEAD 경영 전략 체계 ························································ 73

    〔그림 4-5〕취업 성과변수 분석과 선택편의 ······················································ 94

    〔그림 4-6〕취업 후 성과변수 분석과 선택편의 ················································· 95

    〔그림 5-1〕독일의 장애인 직업훈련체계 ·························································· 122

  • 1

    Abstract

    Evaluation on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Nam, Yonghyeon

    (Senior Research Fellow,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EAD)

    Lee, Suk-Won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guid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Four

    steps were set for the evaluation and the criteria were created; (1) the

    relevance and the equity for planning, (2) the efficiency for implementation,

    (3) the effectiveness for performance, (4) the utility and the sustainability

    for feedback. The detailed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criteria were

    cre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s. For the measurements of the

    indicators, we used interviews and site visits, DB data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using 'propensity score weighted least squares'(PSWL).

    After the total evaluation, we concluded that the program has

    implemented with decent relevance, equity,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and partial insufficiency on the efficiency and utility. The suggestion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Key words : program evaluation, vocational training program, propensity

    score weighted least squares(PSWL), disabled, KEAD

  • 2

  • 3

    연구요약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에 대한 본격적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이전 직업훈련

    기본법 에 중고령자 및 신체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의 중요성이 명시되고 한

    국산업인력공단이 1991년 3월 일산의 장애인전용 직업전문학교를 운영하기 시

    작하면서 부터이다. 1990년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어 한

    국장애인고용공단이 설립되고, 이후 공단이 1992년 일산 직업전문학교를 인수

    운영하면서 장애인 직업훈련 지원체계의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공단은 2000년 대전 및 부산 직업전문학교, 2002년 전남 및 대구 직업전

    문학교를 설립하여 권역별 기본인프라를 구축하였다. 2004년에는 직업훈련 체

    제개편을 통해 종합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화된 기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대폭 강화하였다.

    한편 공단은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장애인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수요와 장

    애인 고용을 희망하는 사업주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존에 운영해오던

    기능훈련 중심의 양성과정 이외에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과 ‘맞춤훈련’을 도

    입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일반 기능훈련은 물론 ‘특성화훈련’과 ‘맞

    춤훈련’을 통해 상당한 성과를 이루어내기도 했지만, 장애인의 낮은 훈련참가

    율이나 장애인 당사자와 사업주의 수요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 또

    는 특성화훈련의 기반 부족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기도 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가운데 2010

    년~2012년 기간의 양성과정과 맞춤과정의 훈련사업에 대해 정량적 및 정성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사업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이 사업의 적절성, 형평성, 효

    율성, 효과성 및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업평가를 통해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여 사업 본래의 목적인 장애인의 고용 창출과 직업 안정을 도

  • 4

    모할 수 있도록 이 사업의 향후 개선방향과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양성과정‘과 ’맞춤과정’의 운영 이후 성과

    를 살펴보았고, 이어 ‘양성과정‘과 ’맞춤과정’을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주된 문

    제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양성과정‘과 ’맞춤과정’ 운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향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사업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업평가의 기본방향과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는데,

    먼저 사업의 계획단계에서는 적절성(정책목표 부합 여부)과 형평성(접근가능

    성)을 선정하였다. 집행단계에서는 효율성(집행단계별 현안과 문제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성과단계에서는 효과성(목표 달성 기여 여부)을, 환류단계에서는

    효용성(사회적 수요 충족 정도)과 지속가능성(수요의 미래 지속 여부)을 주요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공단의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하는 양성과정과 맞춤과정을 대상으로 각

    평가단계별로 세부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측정을 위해 문헌연구와

    현장방문을 실시하였고, 사업실적 등 DB자료를 이용한 계량분석 등의 측정방

    법들을 이용하여 사업을 평가하였다. 평가지표는 기존의 관련 연구결과를 토

    대로 공단의 사업 담당자들과의 협의 과정을 거쳐 선정하였고, 이때 ‘재정사

    업 자율평가’의 평가지표들과 연동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측정방법은 평가지표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여 활용하였

    으며, 주요 방법으로는 예산, 사업계획, 실적현황 등에 대한 자료분석, 실무자

    에 대한 면접, 사업수행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 실질적인 효과성 분석을 위한

    계량분석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먼저 계획단계의 적절성과 관련하여 직업능력개발훈

    련 사업이 직업훈련을 통하여 장애인의 고용창출과 고용유지라는 정책목표 달

    성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으며, 직업훈련을 받기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수가 상

    당히 많음을 볼 때 이 사업의 수요층은 충분히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전

    체적인 사업의 적절성 측면에서는 이 사업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5

    계획단계의 형평성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성(性)별 서비스 수혜율’에서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일부 문제는 보여지나, ‘장애유형별 서비스

    수혜율’이나 ‘장애정도별 서비스 수혜율’에서 상대적으로 직업훈련이 어려운

    장애유형이나 중증장애인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집행단계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우선 사업부서의 계획 수립은 매해 이루어

    지고 있지만 예산이나 목표의 설정이나 배분이 합리적인 수요조사 등에 기반

    하지 않아 향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투입인력에 대해서는 훈련

    생 및 수료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훈련교사의 수는 거의 정체되고 있는 근원

    적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모니터링체계나 사후관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사업의 경우 세부 평가내용에서 부문별로 ‘양호’,

    ‘미흡’ 및 ‘일부 미흡’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어 전체적으로 ‘일부 미흡’으로 판

    단하였다.

    성과단계의 효과성의 세부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 결과, 나타난 지표를 토대

    로 판단할 경우 취업률, 고용의무기업체 취업비율, 임금수준 고용유지는 ‘양호’

    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만족도는 ‘일부 미흡’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는

    ‘양호’로 판단하였다.

    환류단계 효용성의 세부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수요 대비 수료

    생의 비율’ 평가지표는 ‘미흡’, ‘이용자의 증가 추이’ 평가지표는 ‘양호’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용자의 욕구 충족률’은 연도별로 증감이 있지만 ‘일부 미흡’

    으로 판단하여 전체적으로는 ‘일부 미흡’으로 판단하였다.

    환류단계의 지속가능성의 세부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 결과, 이용자의 사업

    지속 필요성에 대한 의사는 ‘일부 미흡’, 이용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에

    대한 추천의사는 ‘양호’, ‘중기 사업 및 예산 계획 반영 여부’는 ‘양호’한 것으

    로 판단하여 전체적으로는 ‘양호’로 판단하였다.

    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한 정책적 제언으로는 중증 중심의 직업능력개발훈

  • 6

    련 서비스 제공 확대, 양성과정 및 맞춤과정의 내실화, 장애인 직업훈련 정원

    의 확대, 시각 청각장애인 및 청소년장애인 전용 훈련기관 설치 및 운영, 직업

    능력개발훈련 사업의 성과 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 직업능력개발원 운영의

    내실화,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원의 시설 및 장비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 7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애인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직업과 관련된 지식과 기능, 기술, 태도

    등을 교육함으로써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수준까지 장애인의 행동변화를 유

    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직업능력개발 과정을 통해 장애인은 자신의 직

    업능력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으며 훈련과정의 성취를 통해 특정 직업목

    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지속적인 동기를 얻을 수 있다(강위영 외, 2009).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에 대한 본격적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이전 직업훈련

    기본법 에 중고령자 및 신체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의 중요성이 명시되고 한

    국산업인력공단이 1991년 3월 일산의 장애인전용 직업전문학교를 운영하기 시

    작하면서 부터이다. 1990년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어 한

    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하 공단)이 설립되고, 이후

    공단이 1992년 일산 직업전문학교를 인수 운영하면서 장애인 직업훈련 지원체

    계의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지기 시작하였다.

    공단은 직업전문학교를 통한 직업훈련의 확대와 더불어 1996년부터는 공공

    민간훈련기관, 특수학교 전공과 및 적응훈련기관을 장애인 훈련기관으로 지정

    하여 훈련비를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2000년에는 비(非)지정기관에 대해서도

    장애인이 참가하는 훈련과정에 대해서 훈련비를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 8

    이후 공단은 2000년 대전 및 부산 직업전문학교, 2002년 전남 및 대구 직업

    전문학교를 설립하여 권역별 기본인프라를 구축하였다. 2004년에는 직업훈련 체

    제개편을 통해 종합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화된 기관으로서의 기

    능과 역할을 대폭 강화하였다. 2005년에는 기존의 ‘직업전문학교’ 명칭을 ‘직업

    능력개발센터’로 변경하였다. 2008년에는 그동안 공단이 수행하던 직업적응훈련

    사업을 보건복지부로 이관하였으며, 특수학교 전공과 지원사업은 당시 교육과학

    기술부의 직업교육에 대한 사업전환으로 인해 2010년부터 지원이 중단되었다.

    2010년에는 ‘직업능력개발센터’ 명칭이 ‘직업능력개발원’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공단은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장애인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수요와 장

    애인 고용을 희망하는 사업주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존에 운영해오던

    기능훈련 중심의 양성과정 이외에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이하 ‘특성화훈련’)

    과 ‘맞춤훈련’을 도입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2005년부터 실시되기 시작한 ‘특성화훈련’은 노동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

    는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운영되는 전문화된 직업능력개

    발훈련을 의미한다(공단 직업능력개발원운영 업무처리규칙 제3조제5호, 2013).

    ‘특성화훈련’은 장애인 훈련생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직

    업교육훈련을 실시함으로써 훈련생 자신만의 강점을 개발시켜주고 있으며, 직

    장 내에서 필요한 예절교육, 정보화 교육, 개인역량 강화훈련을 제공하고 있

    다. 또한 훈련생들이 수업을 듣는 데 불편함이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시각, 청각, 정신, 뇌병변 및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특성화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맞춤훈련’이란 기업의 실제 훈련수요에 맞게 훈련생을 모집하고, 직업능력

    개발원과 사업주 또는 사업주단체가 훈련직종 수준 방법 등에 관한 사항에 대

    하여 약정을 체결하여 훈련을 실시하고, 약정기업체가 수료생을 우선 채용하

    는 훈련을 의미한다(공단 직업능력개발원운영 업무처리규칙 제3조제4호,

    2013). ‘맞춤훈련’은 주문식 훈련과 유사한 형태로 교과과정 설계부터 훈련생

  • 9

    선발 및 훈련, 취업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기업체와 연계하여 진행하게 되

    며 실제 직무수행과 밀접한 훈련을 실시하므로 수료생의 현장 적응력이 높아

    기업과 장애인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맞춤훈련’은 2002년 처음 도

    입(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었고, 이후 공단 산하 5개 직업능력개발원으

    로 확대되어 기업의 수요에 적합한 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훈련방식으로 장애

    인 직업훈련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후 장애인을 위한 공단 훈련시설의 기본 인프라가 확충 개편되면서 장애

    인이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크게 증가하여 2012년 기준 공단의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훈련과정에 참여한 장애인은 모두 3,440명으로 나

    타났다(공단, 2013a). 이는 2010년 기준 2,961명과 비교하면 16.2% 증가한 수치

    이다. 공단의 타 훈련기관 지원을 통한 훈련인원은 2012년 기준 1,663명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2년 기준 공단의 맞춤훈련 수료인원은 839명으로 나타났으

    며, 이 가운데 취업인원은 814명으로 97%의 취업률을 보이고 있다. 같은 시점

    기준 특성화훈련의 경우 수료인원은 339명, 이 중 취업인원은 293명, 취업률은

    86.4%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고자 하는 장

    애인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낮은 장애인의 훈련참가율, 장애인 당사자는

    물론 장애인을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의 수요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지역별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능력별 개별화훈

    련과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의 기반 부족, 고객의 낮은 만족도 및 그동안 이

    루어진 훈련체계 개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직업능력개발훈련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에 대해 정량

    적 및 정성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사업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이 사업의 적절

    성, 형평성, 효율성, 효과성 및 효용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업평가를 통해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여 사업 본래의 목적인 장애인의 고용 창출과

  • 10

    직업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이 사업의 향후 개선방향과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제2절 선행연구 검토

    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과 관련된 주요 연

    구로는 이성규(2004), 신인수, 유완식(2005), 이석원(2005), 황아윤(2006), 유완

    식, 이정주(2006), 국회예산정책처(2008), 이국주, 김현종(2008), 유완식, 임수정,

    심진예(2011)의 연구 등이 있다.

    이성규(2004)의 연구는 노동부(현재 고용노동부)와 공단이 주도하는 직업훈

    련사업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장애인 직업훈련시설 수료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훈련시설 유형, 훈련직종, 훈련기간이 직업훈련사

    업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훈련수료 후 취업 가능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훈련시설로 나타나 훈련 생산성보다 훈련시설의 취

    업 노하우와 훈련생 관리가 취업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장

    애인 직업훈련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과 교육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공공, 민간, 보건복지부 산하 훈련시설의 기능을 재정립하여 훈련시설

    간 직업훈련 효과의 격차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지역별로 훈련사업을

    특성화시키고, 장애인고용촉진기금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실적에 따른 지원

    차등화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신인수, 유완식(2005)의 연구는 공단 직업능력개발센터(현 직업능력개발원)

    의 직업훈련 이수자에 대한 경제활동 실태조사를 통해 훈련 이수자의 경제활

    동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직업훈련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유형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 장애인 개별 특성에 맞는 직업훈련 서비

    스 제공, 취업알선을 위한 공단 내 네트워크 강화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11

    이석원(2005)은 공단에서 실시하거나 공단이 지원한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

    련의 효과성 분석을 통해 직업훈련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장애인 집단의 고용

    확률은 평균 62.68%인데 반해 직업훈련에 참여한 집단은 고용확률이 평균

    78.36%로 훈련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고용될 확률이 15.68%p 더 높음을 주장하

    였다. 또한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 사업은 비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 사업에

    비하여 고용촉진 효과의 크기가 상당히 클 뿐만 아니라 그 차이의 유의미성도

    일정한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검증하였다.

    황아윤(2006)의 연구는 2004년 말 이루어진 공단 직업능력개발센터의 개편

    이후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직업능력개발

    센터 수료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센터 개편 이후 수료생의 취업가능성과

    정규직 취업확률 등이 높아졌음을 실증분석 하였다.

    국회예산정책처(2008)의 연구에서는 장애인 직업훈련이 참여자의 고용의 질

    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 장애인 직업훈련 형태 및 장애정도별로 훈련의 효

    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당시 정부의 장애인 직업훈련사업은 경증장애인

    위주로 설계되어 중증장애인의 훈련과 고용에 미치는 효과가 저조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훈련 참여에서 고용에 이르는 직업훈련의 전 과정에서 장애

    인을 위한 인프라나 중증장애인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이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이국주, 김현종(2008)의 연구는 공단 센터 수료생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통

    해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에 대한 훈련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취업가능

    성은 특성화훈련을 받은 대상자가 일반훈련을 받은 대상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유형별로는 정신장애가 취업가능성이 가장 높고 이어 청각, 뇌

    병변, 시각장애 순으로 분석되었다. 임금효과 관련하여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

    을 받고 취업에 성공한 장애인이 특성화훈련을 받지 않고 일반훈련을 받은 대

    상자에 비해 임금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이국주 외는

    각 센터별로 특성화훈련 운영에 있어서 장애유형별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

    요하고, 특성화훈련 목표 배정 시 일률적인 인원 배분보다는 장애유형별 특성

  • 12

    을 고려해야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특성화훈련은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을 통

    해 종합적으로 접근해야하며, 장애유형 특성화훈련 확대 시 사전 준비과정과

    담당자에 대한 전문훈련이 선행된 이후 확대시행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한선 외(2010)의 연구는 공단에서 실시하는 맞춤훈련의 성과를 분석하고

    맞춤훈련에 필요한 훈련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공단 고용정보관리 시스템 학사관리 DB자료를 활용하여

    맞춤훈련이 취업률, 임금, 고용지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맞

    춤훈련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맞춤훈련 운영방안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 맞춤훈련 수료생이 일반훈련 수료생보다 취업가능성과 임금이

    더 높고, 퇴사위험도는 낮음을 주장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맞춤훈련

    의 발전을 위해서는 실적위주의 운영에서 벗어날 필요성이 있으며, 맞춤훈련

    의 내실화와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며, 약정 기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등

    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유완식 외(2011)의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훈련에 대한 실태조사와 수요조사

    를 통해 공단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바람직한 향후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조

    사 결과 공단에서 직업훈련을 받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에 대한 진입장벽이 매

    우 높고, 장애인이 희망하는 훈련과정이 다양하게 개설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장애인 훈련수요 추정 결과 2010년 기준 15세 이상 미취업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등록장애인 152만명 중 직업훈련을 희망하는 장애인

    을 5만1천명(3.4%)으로 추정하고, 이 가운데 훈련시장에 참가할 수 있는 유효

    수요자는 8,851명(17.2%)으로, 나머지 4만3천명은 추가적인 훈련지원이 없으면

    훈련시장 진입이 어려운 잠재수요자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유완식 등은 연구

    결과를 통해 훈련규모의 확대, 수요자 중심의 훈련체계로 전환, 직업전훈련과

    직업훈련의 이원화된 훈련체계 구축, 다양한 훈련과정 운영체계 구축, 훈련취

    약계층에 대한 특성화훈련 내실화 및 확대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13

    제3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공단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가운데 양성과정(일반훈련,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과 맞춤과정에 대해 사업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

    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과정‘과 ’맞춤과정’의 운영 이후 그 성과는 어떠한가?

    둘째, ‘양성과정‘과 ’맞춤과정’을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주된 문제점은 무

    엇인가?

    셋째, ‘양성과정‘과 ’맞춤과정’ 운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향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공단 직업능력개발원의 양성과정(일반훈련,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과 맞춤

    과정(맞춤훈련)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김호진, 연명모(2012a,

    2012b, 2012c)의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틀을 활용하였다. 김호진 등의 연구에서

    는 공단에서 수행하는 사업에 대한 평가를 위해 장애인고용 관련 사업평가의

    기본방향과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는데, 먼저 사업의 계획단계에서는 적절성(정

    책목표 부합 여부)과 형평성(접근가능성)을 선정하였다. 집행단계에서는 효율

    성(집행단계별 현안과 문제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성과단계에서는 효과성(목

    표 달성 기여 여부)을, 환류단계에서는 효용성(사회적 수요 충족 정도)과 지속

    가능성(수요의 미래 지속 여부)을 주요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공단의 양성과정과 맞춤과정을 대상으로 각 평가단계별로

    세부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측정을 위해 문헌연구, 현장방문과 인

    터뷰, 사업실적 등 DB자료를 이용한 계량분석 등의 측정방법들을 이용하여

    사업을 평가하였다. 평가지표는 기존의 관련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단의 사업

    담당자들과의 협의 과정을 거쳐 선정하였으며, 이때 ‘재정사업 자율평가’의 평

  • 14

    가지표들과 연동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측정방법은 평가

    지표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여 활용하였으며, 주요 방법

    으로는 예산, 사업계획, 실적현황 등에 대한 자료분석, 실무자에 대한 심층면

    접, 사업수행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 실질적인 효과성 분석을 위한 계량분석방

    법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3장 평가방법에 자

    세히 기술하였다.

    연구내용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장애인 직

    업능력개발훈련 사업의 개요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특히 공단 산하 5개

    직업능력개발원의 훈련사업의 개요 및 추진실적을 살펴보고 양성과정과 맞춤

    과정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 수행을 위한 평가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제4장에서는 평과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평가결과를 종

    합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훈련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 15

    ① 직업능력개발훈련은 근로자 개인의 희망 적성 능력에 맞게 근로자의 생애에 걸

    쳐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②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민간의 자율과 창의성이 존중되도록 하여야 하며, 노사의 참

    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제 2 장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개요

    제1절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체계

    1. 사업의 근거 및 발전과정

    우리나라의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은 근로자의 생애에 걸친 직업능력개

    발을 촉진 지원하고,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기능 인력을 양성하며,

    산학협력 등에 관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근로자의 고용촉진, 고용안정 및 사

    회 경제적 지위 향상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사회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

    이 법률에 따르면 ‘직업능력개발훈련’이란 근로자에게 직업에 필요한 직무

    수행능력을 습득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을 의미하고(제2조제1호), ’

    직업능력개발사업‘이란 직업능력개발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 매체의 개발

    및 직업능력개발에 관한 조사 연구 등을 하는 사업을 의미한다(제2조제2호).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은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기본원칙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규정하고 있다(제3조).

  • 16

    ③ 직업능력개발훈련은 근로자의 성별, 연령, 신체적 조건, 고용형태, 신앙 또는 사

    회적 신분 등에 따라 차별하여 실시되어서는 아니 되며, 모든 근로자에게 균등

    한 기회가 보장되도록 하여야 한다.

    ④ 고령자 장애인,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에 따른 수급권자, 국가유공자, 제대군인

    및 전역예정자, 여성근로자, 중소기업의 근로자, 제조업의 생산직 종사 근로자,

    일용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기간제 근로자, 파견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중요시되어야 한다.

    ⑤ 직업능력개발훈련은 교육 관계법에 따른 학교교육 및 산업현장과 긴밀하게 연계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7년 직업훈련법 이 제정된 이래 직업훈련제도는 주로

    정부의 주도하에 시행되어 왔으며, 산업발전에 필요한 양질의 기능 인력을 공

    급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여 왔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서면서 국내외의 사회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이에 따른 직업훈련의 환경변화는 직업훈련체제

    개편의 필요성을 증가시켰다(고혜원 외, 2012). 고학력화와 고령화라는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양성훈련 대상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실업자, 비진학자, 중

    고령자, 장애인, 저소득계층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훈련의 수요는

    증가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 경제개방으로 인한 경쟁의 격화, 산업구조의 고도

    화, 생산기술의 급속한 변화 등으로 인해 재직근로자의 향상훈련에 대한 필요

    성이 증가하였다. 당시에 이러한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그간의 정부주도적

    이며 획일적인 직업훈련체제를 수요자 중심의 자율적인 직업훈련제도로 전환

    함으로써 직업훈련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김

    주섭, 이병희, 박성재, 2004).

    2007년 수립된 ‘제1차 평생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1)에서는 ‘보편적 권리로서

    의 직업능력개발’이 중점 추진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는 직업능력개발에서 배

    제되기 쉬운 취약계층에 대한 직업능력개발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

    1) ‘제1차 평생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에서는 직업능력개발과 관련하여 권리가 강화될 필요

    가 있는 주요 정책대상으로 비정규직 및 영세자영업자, 경력단절 여성, 근로소외 장애인

    등이 설정되었다.

  • 17

    되었다. 2007년의 ‘제1차 평생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에서는 보편적 권리로서의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한 대상인 근로빈곤층으로서 비정규직 및 영세자영업자,

    경력단절 여성, 근로소외 장애인 등을 설정하였다. 이후 비정규직 등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재직자계좌제의 확대나 취약계층 특성화훈련 등의 실업자계좌

    제로의 전환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도 개인의 선택을 강조하는 훈련이 운영되

    기 시작하였으나, 직업능력개발에서의 형평성 측면에서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2) 특히 장애인을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필요성이 이후 강하게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의 근거는 장애인고용촉

    진 및 직업재활법 이다. 장애인 직업훈련의 목적은 직업훈련을 희망하는 장애

    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직업능력개발 및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질 높은

    고용 창출과 직업안정을 도모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법 제

    12조는 고용노동부장관으로 하여금 장애인이 그 희망적성·능력 등에 맞는 직

    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애인에게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도

    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고용노동부장관은 장애인의 직업능력 개발·향상을 위

    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또는 훈련 과정을 설치·운영하거나 하려는 자에게

    필요한 비용(훈련비를 포함)을 융자·지원할 수 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에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는 장애인에게 훈련수당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

    다. 또한 법 제71조에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기금’으로 직업적응훈련,

    직업훈련, 취업알선, 장애인에 대한 직업적응훈련, 직업훈련을 행하는 자 및

    그 장애인에 대한 훈련비 훈련수당지급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

    2)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되는 우리나라 직업능력개발의 문제점은 크게 다음과 같이 지적되

    고 있다. 첫째, 외형상으로는 선진국 수준의 제도 틀을 갖추고 있으나, 실제로는 적용대

    상임에도 가입되지 못하는 사각지대와 미적용대상인 제도적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존

    재하고 있으며, 둘째, 영세 근로자나 영세 자영업자 등에 대한 생애 직업능력개발을 통

    한 더 나은 고용으로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미흡하고, 셋째, 더 나은 직장(일

    자리)으로의 이동을 위한 취약계층 대상의 생애별 체계적 훈련 등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고용보험평가센터, 2012; 방하남, 2012).

  • 18

    다.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세부기준은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에서 규

    정한 기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아래의 표는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제정을 통해 공단이 설립되

    고, 1992년 일산 직업전문학교를 운영하기 시작한 이후 직업능력개발훈련 사

    업의 주요 연혁을 정리한 표이다.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연혁

    연도 주요 연혁

    1992 일산직업전문학교 인수(한국산업인력공단) 및 운영

    1996 공공훈련기관, 민간훈련기관, 특수학교 전공과 지원 시작

    1997제1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계획(‘98~’02)에 5개 권역별 공공장애인직업훈

    련기관 확충 계획 발표(12월)

    2000 대전직업전문학교, 부산직업전문학교 개원

    2002 전남직업전문학교, 대구직업전문학교 개원

    2004기능훈련 중심에서 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능력개발센터로 명칭 변경

    기업 연계 맞춤훈련 실시

    2005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 실시(시각, 청각, 뇌병변, 정신장애 등 4개 유형)

    2008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 확대(지적장애 추가, 센터별 2개 유형)

    2009 파견훈련장 운영

    2010 직업능력개발원으로 명칭 변경

    2012 5개 장애유형에 대한 특성화훈련을 5개 직업능력개발원으로 확대

    2013 중증장애인의 훈련 진입기회 제공을 위한 ‘직업훈련준비과정’ 운영

    2.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기관 및 실적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기관은 직업훈련 시설 중 중증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과 장애인 직업재활실시기관

    중 근로를 희망하는 장애인에게 필요한 기술의 습득·향상을 위한 직업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으로, 공단에 제출된 운영신청서 및 훈련계획서를 심사

  • 19

    후 훈련기관을 선정하여 직업능력개발 지원비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훈련은 아래의 처럼 공단의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하는 장애인전용훈련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사업비

    지원에 의한 공공훈련, 민간훈련 그리고 개별적 직업능력개발지원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장애인 직업훈련 실시기관 현황(2012년 12월말 기준)

    구분 기 관 명

    총계 65개 기관

    공단소계 5개 기관

    5개 직업능력개발원(일산, 대구, 대전, 부산, 전남)

    공공

    직업

    훈련

    기관

    소계 34개 기관

    34개

    기관

    ○ 학교법인 한국폴리텍

    - 한국폴리텍Ⅰ(서울정수․성남․서울강서·제주 캠퍼스)

    - 한국폴리텍Ⅱ(인천·남인천․화성 캠퍼스)

    - 한국폴리텍Ⅲ(춘천․강릉·원주 캠퍼스)

    - 한국폴리텍Ⅳ(대전․청주․아산․홍성․충주 캠퍼스)

    - 한국폴리텍Ⅴ(광주․김제․목포·익산․순천 캠퍼스)

    - 한국폴리텍Ⅵ(대구․구미·달성․포항․영주 캠퍼스)

    - 한국폴리텍Ⅶ(창원․울산․부산․부산․진주 캠퍼스)

    - 특성화대학(여자 섬유패션 항공 바이오 대학)

    민간

    직업

    훈련

    기관

    소계 26개 기관

    경영기술개발원, 경일직업능력개발원, 금정직업전문학교, 남강직업전문학교, 대

    신정보통신직업전문학교, 대전정보직업교육원, 대화직업전문학교, 비젼직업전

    문학교, 삼척요리제과제빵직업전문학교, 서울정보직업전문학교, 속초직업전문학

    교, 쌍용직업전문학교, 영남인재교육원, 영남직업능력개발원, 영진직업전문학교,

    디자인교육직업능력개발원, 울산직업능력개발원, 인천직업 능력교육원, 한국미

    용예술직업전문학교,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한국 조리사관직업전문학교, 한국

    직업전문학교, 혜림직업전문학교, 효성직업전문학교, 새길직업전문학교, KNT직

    업전문학교

    자료 :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3d)

  • 20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간 장애인과 관련하여 공공훈련기관, 민간훈련

    기관 및 개별적 직업능력개발 지원의 현황은 과 같다.

    장애인 직업훈련 실시기관별 지원 현황(단위 : 백만원, 명, %)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공공훈련기관 지원

    지원액 114 121 82

    훈련인원 396 399 349

    수료인원 183 159 174

    조기취업 5 0 13

    취업총계 128 107 128

    취업률 68.1 67.3 68.4

    민간훈련기관 지원

    지원액 2,613 2,643 2,607

    훈련인원 806 934 1,003

    수료인원 519 361 481

    조기취업 32 51 40

    취업총계 272 227 280

    취업률 49.4 55.1 53.7

    개별적 직업능력개발 지원

    지원액 303 308 228

    훈련인원 398 433 311

    수료인원 339 338 266

    조기취업 11 13 13

    취업총계 86 96 93

    취업률 24.6 27.4 33.3

    주 : 훈련인원은 훈련중인원+수료인원+조기취업인원(‘07년부터 훈련인원에 조기취업 포함)

    취업률은 취업인원(조기취업 포함)/수료인원(조기취업 포함)×100

    취업률은 해당년도 수료자 중 취업자의 비중으로 ‘06년도부터 조기취업자를 취업률에 반영

    자료 :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3d)

    3. 직업능력개발원 기능훈련 현황

    현재 공단의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훈련과정은 [그림 2-1]처럼

  • 21

    ① 다른 법령에 의하여 훈련비용을 지원받고 있는 사람

    ② 입학 당시 고등학교 또는 대학 이상의 학교에 재 휴학 중인 사람. 다만, 대학생(대

    크게 ‘양성과정‘, ’맞춤과정’, ‘향상과정’ 및 ‘특별과정’으로 구분되며, ‘양성과정’

    은 다시 ‘기능훈련’과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으로 구분된다.

    [그림 2-1] 직업능력개발원의 훈련 종류

    기능훈련양성과정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

    맞춤과정 기업체 맞춤훈련

    향상과정 재직근로자 능력 향상훈련

    특별과정 정부 공공부문 훈련

    양성과정의 ‘기능훈련’은 직업능력개발원의 표준 훈련커리큘럼을 기초로 하

    여 훈련을 진행하는 일반적인 훈련방식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장애인직업

    능력개발훈련 지원규정’에 기초하여 공단의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되고 있

    는 직업훈련 가운데 기능훈련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양성과정’의 장애유형

    별 특성화훈련과 ‘맞춤과정’의 맞춤훈련에 대해서는 제2절과 제3절에 기술하

    였다.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대상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령

    제3조에 해당하는 자로서 15세 이상의 장애인 중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희망하

    거나 필요로 하는 자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 사항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장애인은 훈련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으며, 다만, 제3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은 맞춤훈련, 사이버훈련, 특별과정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 22

    ① 다른 법령에 의하여 훈련비용을 지원받고 있는 사람

    ② 훈련 중 취업 및 치료 등의 사유로 중도탈락이 예정되어 있는 사람

    ③ 입학 당시 고등학교 또는 대학 이상의 학교에 재 휴학 중인 사람. 다만, 대학생

    (대학원생 포함)의 경우 훈련개시일 현재 졸업예정자 및 야간대학(방송통신대 포

    함), 야간대학원, 사이버 대학에 재학 중인 사람은 해당하지 아니하며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의 경우 학교장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인정

    ④ 맞춤훈련 모집 공고일 현재 타 사업체와 맞춤훈련을 수행중인 능력개발원 재학생

    학원생 포함)의 경우 훈련개시일 현재 졸업예정자 및 야간대학(방송통신대 포함),

    야간대학원, 사이버 대학에 재학 중인 사람은 해당하지 아니하며 고등학교 졸업예

    정자의 경우 학교장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인정

    ③ 양성과정을 수료하거나 중도탈락한 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④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규정 에 따라 공단의 지원을 받고 수료한 후 1

    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사람

    ⑤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규정 에 의한 직업훈련을 지원받던 중 정당한

    사유 없이 중도탈락한 후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사람

    ⑥ 양성과정 수료생은 수료 후 3년이 경과해야 동일 훈련직종으로 입학할 수 있음

    한편 맞춤훈련의 대상은 공단의 ‘직업능력개발원운영 업무처리규칙’ 제52조

    에 따라 15세 이상의 구직등록 장애인으로서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채용조건

    및 직무에 적합한 자로 하고 있다. 그러나 맞춤훈련 대상 관련하여 다음 사항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애인은 맞춤훈련 대상에서 제외하며, 맞춤훈

    련기간은 사업주의 희망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하되 1년 이내로 하고 있다.

    훈련생 모집과 관련하여 직업훈련실시기관의 장은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

    련 지원규정’에 따른 훈련대상자 중에서 훈련생을 선발하되 연중 수시모집을

    원칙으로 하며, 업무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하여 별도 모집 기간을 두고 적정

    한 평가를 통해 훈련 대상자를 선발할 수 있다. 직업능력개발원은 선발평가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심의를 거쳐 합격자를 선발하여야 한다. 선발평가 합격

    유효기간은 최종 평가 종료일로부터 6개월까지 이며, 평가를 실시한 능력개발

    원 이외의 공단의 다른 직업능력개발원 입학 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응

  • 23

    시분야가 달라질 경우 분야평가에 한해 재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

    여 해당 응시분야의 최종 합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입학은 연중 수시입학

    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학생이 입학하면 즉시 직종을 선정하고 개인별 훈련계획을 수립하여야 하

    며 개인별 훈련계획 수립 시 훈련 내용은 직종별 세부훈련기준을 따르되, 학

    생의 개별특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교과내용을 추가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학

    생의 현장적응력을 높이고 취업으로의 연계를 위하여 개인별 훈련계획에 따른

    계획시수의 100분의 30 이내에서 현장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개인별 훈련계획에 따른 계획시수의 100분의 80 이상을 이수한 경우 직업

    능력개발원의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수료처리 할 수 있다. 다만, 맞춤훈련의

    경우 맞춤훈련 기간 종료 시 별도의 수료 심의 없이 맞춤훈련 결과보고로 수

    료처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항에도 불구하고 1개월 및 시행시수 140시

    간이상 이수한 재학생이 취업이 확정되어 취업확인서를 제출하는 경우 운영위

    원회 심의를 생략하고 수료처리를 할 수 있다.

    훈련 주관부서와 직업지원처의 취업연계 주관 부서에서는 수료예정자를 대상

    으로 취업상담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를 공단 장애인고용업무시스템에 기록해야

    하는데, 취업상담 내용에는 전공분야 및 학습 달성 정도, 취업희망직종, 임금수

    준 등 취업조건, 그밖에 취업 관련 희망사항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직업능력개발원의 원장은 공단의 지사장과 긴밀히 협조하여 직업능력개발

    훈련을 이수한 자가 빠른 시일에 취업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직업지원

    처의 취업연계 주관 부서는 훈련 주관 부서와 협력하여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

    에게 취업 알선을 실시하여야 한다. 취업알선 시 알선하고자 하는 기업체의

    개요, 근로조건, 직무내용 등을 설명해 주어야 하며 취업알선을 통해 훈련생의

    취업이 확정된 경우 해당 훈련 주관 부서 또는 직업지원처의 취업연계 주관

    부서는 구인업체로부터 취업확인서를 받아 장애인고용업무시스템에 구직상담

    및 취업알선 사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직업지원처의 취업연계 주관 부서는 학

  • 24

    생의 취업확정 내용을 해당 지사에 통보하여야 한다.

    수료생의 산업현장 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취업 후 적응지도를 실시하고 있

    으며 그 결과를 차기년도 훈련과정에 반영하는 등 훈련효과 제고를 위해 적극

    노력하도록 하고 있다. 취업 후 적응지도는 직장 적응상태 및 직무 만족도, 임

    금 등 근로조건 만족도, 작업환경 및 근무여건, 취업자에 대한 사업주의 평가,

    그밖에 취업자의 애로사항 등을 포함하여 실시하고 있다.

    양성과정 수료생에 대하여 수료일로부터 2년간 사후지원을 실시하고, 맞춤

    과정 수료생에 대해서는 수료 후 3개월간 사후지원을 실시하되 취업자에게는

    분기별 1회 이상의 적응지도를, 미취업자에게는 분기별 3회 이상의 구직상담

    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장애인고용업무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한다. 다만, 사이

    버훈련의 경우 수료생의 안정적인 직업생활 정착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적응

    지도 기간 및 횟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훈련 주관 부서는 수료생 중 미

    취업자의 미취업 사유 및 내역을 직업지원처의 취업연계 주관 부서에 통보하

    여야 한다. 훈련 주관 부서는 수료생의 비취업사유가 발생할 경우, 비취업사유

    서를 직업지원처의 취업연계 주관 부서에 제출하여야 한다. 직업지원처의 취

    업연계 주관 부서는 미취업자와 비취업자에게 수료 후 지속적인 서비스가 제

    공되도록 지사와 연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공단 직업능력개발원의 훈련생 모집 및 훈련 절차는 [그림 2-2]에 정리하였다.

  • 25

    [그림 2-2] 직업능력개발원의 훈련생 모집 및 훈련 절차

    자료 :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2a)

    양성과정의 훈련기간은 1개월 및 표준시수 140시간 이상 2년 이내로 하며,

    특별과정의 훈련기간은 지역과 직업능력개발원의 특성에 따라 원장이 정할 수

    있다. 훈련직종은 장애인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거나 향상시키기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직종이어야 하며 훈련직종 및 교과과정은 공단의 직종별 세부훈련기

    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으며 산업기술 변화를 반영하여 3년마다 공단의 직종별

    세부훈련기준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 및 은 공단의 5개 직업능력개발원의 훈련분야

    와 훈련실적을 정리한 것이다.

  • 26

    직업능력개발원별 훈련분야

    구분

    훈련분야 훈련직종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제도 - -

    전자 전자기기 전자제어설계 전기전자조립 LED조명기기

    정보기술 소프트웨어개발 소프트웨어품질관리 - -

    디자인 웹콘텐츠디자인 제품응용모델링 - -

    실무작업 제조기술 - - -

    일산

    귀금속공예 귀금속가공 왁스모델링 주얼리캐드 -

    인쇄출판미디어 전자출판 - - -

    IT융합 디지털하이브리드 - - -

    기타직종 웹표준개발 네일아트 텔레마케팅관리사 -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제도 기계제도 -

    전자 전자기기 전기전자조립 전자제어설계 전자회로CAD

    부산

    정보기술 정보관리 소프트웨어개발 - -

    디자인 비주얼디자인 웹콘텐츠디자인 - -

    실무작업 제조기술 - - -

    건축 건축설계 실내건축 - -

    외식 외식응용바리스타 외식응용제과제빵 - -

    시스템제어 시스템제어 - -

    대구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제도 - -

    전자 전자기기 - -

    정보기술 정보관리 소프트웨어개발 스마트폰앱개발 -

    디자인 웹콘텐츠 디자인 비주얼디자인 - -

    실무작업 제조기술 - - -

    의상 양장 한복 패션디자인 패션메이킹

    대전

    기타직종 경영회계 텔레마케팅관리사 웹표준개발 웹콜마케터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제도 - -

    전자 전자기기 전기전자조립 전자제어설계 전자회로CAD

    정보기술 정보관리 소프트웨어개발 - -

    디자인 비주얼디자인 웹콘텐츠디자인 그래픽아트 웍 -

    실무작업 제조기술 제품조립 - -

    전남

    외식 외식응용제과제빵 베이킹마스터 -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 컴퓨터응용기계제도 금형-설계 -

    전자 전자기기 - - -

    정보기술 정보관리 소프트웨어개발 정보기술응용 -

    디자인 비주얼디자인 웹콘텐츠디자인 스마트그래픽 -

    실무작업 제조기술 - - -

    자료 :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3d)

  • 27

    구분기능훈련, 맞춤훈련 및 특성화훈련

    기능훈련 맞춤훈련 특성화훈련 합계

    2012년

    일산 110 270 93 473

    부산 96 174 79 349

    대구 84 156 70 310

    대전 54 127 48 229

    전남 54 112 49 215

    합계 398 839 339 1,576

    2011년

    일산 70 233 18 321

    부산 39 143 21 203

    대구 27 149 15 191

    대전 29 122 22 173

    전남 19 103 25 147

    합계 184 750 101 1,035

    2010년

    일산 71 233 41 345

    부산 51 157 27 235

    대구 26 142 36 204

    대전 26 138 17 181

    전남 25 107 29 161

    합계 199 777 150 1,126

    직업능력개발원별 훈련실적(2012년 기준, 단위 : 명)

    주 :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은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 공통적으로 실시하고 있음

    직업능력개발원의 신규직종은 연도별로 다름

    자료 :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3d)

  • 28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합계 483 539 398

    일산

    소계 185 172 110

    기계분야 21 23 18

    전자분야 52 31 19

    디자인분야 24 34 14

    공예분야 18 24 17

    인쇄매체분야 26 32 22

    의상분야 - - -

    정보기술분야 44 28 14

    기타분야 - - 6

    부산

    소계 90 111 96

    기계분야 19 15 15

    전자분야 18 25 19

    외식산업분야 14 27 17

    건축분야 8 8 7

    디자인분야 31 8 11

    인쇄매체분야 - - -

    정보기술분야 - 28 27

    신규직종운영 - - -

    대구

    소계 82 90 84

    전자분야 20 22 16

    정보기술분야 15 18 15

    의상분야 15 20 13

    디자인분야 16 14 19

    기계분야 16 16 18

    기타분야 - - 3

    신규직종 - -

    대전소계 66 91 54

    정보기술분야 22 32 13

    직업능력개발원 기능훈련 현황(단위 : 명)

  • 29

    전자분야 24 23 9

    공예분야 - - -

    디자인분야 13 14 10

    외식산업분야 7 14 10

    기계분야 - 8 10

    기타분야 - - 2

    신규직종 - - -

    전남

    소계 60 75 54

    기계분야 25 17 11

    정보기술분야 14 25 18

    디자인분야 15 19 16

    애니메이션분야 6 2 -

    전자분야 - 12 9

    텔레마케팅분야 - - -

    신규직종운영 - - -

    주 : 수료인원 기준

    자료 :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3d)

    제2절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

    1. 특성화훈련 개요

    2005년부터 실시되기 시작한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이하 ‘특성화훈련’)은

    노동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운

    영되는 전문화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의미한다(공단 직업능력개발원운영 업무

    처리규칙 제3조제5호).

    ‘특성화훈련’은 장애인훈련생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함으로써 훈련생 자신만의 강점을 개발시켜주고 있으며,

  • 30

    직장 내에서 필요한 예절교육, 정보화 교육, 개인 역량 강화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훈련생들이 수업을 듣는 데 불편함이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훈련

    을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시각, 청각, 정신, 뇌병변

    및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특성화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특성화훈련’을 도입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공단은 2004년 11월 ‘공단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을 위한 체제개편을 단행하였다. 기존의 ’장애인 직업전문

    학교‘ 명칭을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로 변경하고 기능인력 양성 중심의 훈

    련기관에서 복합서비스 제공으로 기능을 전환하였다. 센터로의 체제개편에서

    중증장애인에 대한 집중적인 직업훈련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

    됨에 따라 ‘특성화훈련’ 도입 운영을 통해 중증장애인에 대한 차별화된 직업

    훈련을 실시하여 취업 제고 및 고용안정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후 5개 센터별로 특성화된 장애유형 전담반을 구성하고 특화팀을 운영하

    기 시작하였고 5개 센터의 역량을 고려하여 5개 장애유형을 특화분야로 선정

    하였다. 특성화훈련 대상 장애유형 관련하여 취업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

    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장애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시각장애는

    일산과 대구센터, 청각장애는 대전센터, 정신장애는 부산센터, 뇌병변장애는

    전남센터에 설치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05년 미국 로체스터공과대학

    청각특화단과대학(NTID)의 청각 특성화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청각장애인의

    고등교육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일산센터에 청각특화를 추가로 지정하였다.

    현재 5개 직업능력개발원별로 주(主) 장애유형을 두어, 해당 장애유형 특성화

    훈련의 중심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는데 시각장애는 대구, 청각장애는 일

    산, 정신장애는 부산, 뇌병변장애는 전남, 지적(자폐)장애는 대전 직업능력개발

    원을 지정하고 있다.

    2. 특성화훈련 운영체계

    특성화훈련의 대상자는 장애인복지법 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장애분류

  • 31

    기준에 따라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장애, 뇌병변장애, 지적장애(자폐성장애

    포함)로 등록된 중증장애인이다. 지체장애인 중 장애원인이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증과 기타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추정되는 경우, 전문의의 확인

    (진단서, 소견서 등)을 통해 뇌병변 특성화훈련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정

    신장애 특성화훈련의 경우, 정신보건 관련 기관(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낮병원 등) 사례관리자의 추천을 받은 자로 대상자를 제한할 수 있다.

    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매년 1월 중에 자체 특성화훈련 세부운영계획을 수

    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특성화훈련 교과편성은 연간 직업능력개발 실시계획

    상의 훈련시간편성을 따르되, 특성화훈련생에 대해 과 같은 지원프로

    그램을 추가하여 편성할 수 있다.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의 조기 정착을 위하

    여 장애유형별로 균형 있게 훈련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는데 특성화훈련 운영

    시 1개 장애유형에 대한 서비스 비율은 전체 특성화훈련 인원의 최대 60% 이

    내에서 운영해야 한다.

    특성화훈련 장애유형별 지원 사항

    구분 청각 시각 뇌병변 정신 지적(자폐)

    공통

    사항

    - 양성훈련지원프로그램 지원

    - 보조공학기기 지원(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서비스 포함)

    훈련

    환경

    개선

    게시판,

    알림시설,

    속기서비스 등

    점자교재,

    전자교재 등-

    학생 개별

    사례관리

    실시

    -

    프로

    그램

    농문화

    정체성,

    의사소통기술

    훈련 등

    이동훈련,

    저시력

    재활훈련 등

    운동능력 및

    작업기능

    강화훈련,

    인지재활

    훈련 등

    약물관리,

    증상관리,

    개인신상관리,

    미술치료,

    음악치료 등

    위생관리

    금전관리

    대인관계기술

    훈련 등

    지원

    인력

    전담 수화

    통역사 배치- -

    정신보건 관련

    기관과 연계-

    주: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3c)

  • 32

    특성화훈련생 선발평가는 ‘입학선발평가 매뉴얼’을 기초로 실시하며, 특성화

    훈련 장애유형에 해당하는 입학생에게는 특성화훈련의 운영취지 운영방법 특

    성에 대하여 사전에 안내하여야 하며, 희망자에 한하여 장애유형별 특성화훈

    련을 실시한다. 특성화훈련은 직종별 세부훈련집에 준한 훈련직종에 양성훈련

    지원프로그램 또는 특성화훈련 장애유형별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개인별 훈련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한다. 특성화훈련은 전용반 운영을 원칙으로 하나, 운영

    효율성을 고려하여 통합반을 운영할 수 있다. 다만, 직업능력개발원별 주 장애

    유형에 대해서는 1개 이상의 훈련직종을 전용반으로 운영하여 장애유형별 특

    성화훈련의 중심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3. 특성화훈련 주요 내용

    공단의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장애유형별 특성화훈

    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시각 특성화훈련

    정보소외계층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기

    획사무, 웹접근성 교육, 시각 보조공학기기 운용 등을 교육하여, 권익 및 정보

    전달 조력자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사무요원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훈련 수료 후 웹 접근성 업체 및 SI업체(정보 시스템의 개발에 관

    하여 상담하고 그에 따라 설계, 개발, 운용, 보수, 관리 등 일체 업무를 담당하

    는 정보통신기업), 고객상담 직무와 관련된 기관의 사무요원, 보조공학 및 정

    보화 강사를 할 수도 있다. 온라인 상담원(예약·발권), 병원 코디네이터, 방송

    안내원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입학이 가능

    한 훈련생은 시각장애 1~3급이다.

  • 33

    나. 청각 특성화훈련

    청각장애인에게 적합한 교육훈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