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20 1. 문학의 성격 ‘묏버들 갈것거’는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는 애틋한 정서를 표현한 조선 시대의 시조이다. 소통 활동 으로서의 문학의 특성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선정 취지 ‘묏버들 갈것거’는 임에게 바치는 지순한 사랑을 묏버들로 구상화시켜, 비록 몸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임에게 바치는 순정은 묏버들처럼 항상 임의 곁에 있겠다는, 그러면서도 임은 자기 이외의 여인에게 한눈을 팔지 말라는 부탁이 깃들어 있는 연정가이다. 이 작품은 작가 홍랑이 연인인 최경창에게 자신의 마음을 담아 보낸 시조로,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의 특성을 이해하 기에 적합한 제재이다. 이 작품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문학의 생산과 수용 이 인간의 소통 활동의 하나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작품 연구 •갈래: 정형시, 평시조, 단시조 •연대: 조선 선조 때 •성격: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이별가, 연정가 •제재: 묏버들 •주제: 임에게 보내는 사랑 •특징 - 상징법과 도치법이 사용됨. - 화자의 강한 당부가 들어 있음. - 청순가련하고 섬세한 여인의 이미지가 드러남. - 자연물에 의탁하여 임에 대한 지순한 사랑을 노래함. •구성 - 초장: 묏버들을 임에게 보냄. - 중장: 창밖에 심어 두고 보기를 소망함. - 종장: 자신을 잊지 말기를 당부함. 핵심 정리 1. ‘묏버들’의상징적의미 ‘묏버들 갈것거 보내노라 님의손’는산버들을고운것으로만골라꺾 임에게 보낸다는 뜻으로, 여기서‘묏버들’은 임을 그리워하는 화자의 분신 이며, 화자의 사랑을 나타내 보이는 징표이다. 2. 참신한 발상 - ‘자시窓(창) 밧긔 ~ 날인가도 너기쇼셔.’ ‘자시窓(창) 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 밤비예 새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는 임이 주무시는 창밖에 버들을 심어 두고, 밤비에 새잎이 나 거든 그것을 화자 자신인 것처럼 여겨 바라보아 달라는 내용으로, 여기에는 봄비에 새로 돋아난 버들잎을 보는 반가움처럼 자신을 잊지 말고 생각해 달 라는 화자의 간절한 호소가 깃들어 있다. 임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마음을 비유를 통해 솔직하고 참신하게 나타내고 있다. 3. 여류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 여류 시조는 작자가 대부분 기녀들이었다. 비록 천민에 속하는 계급이 었지만, 그들의 교양은 선비들에 견주어 어느 면에서도 손색이 없었다. 이들 의 시조는 여성만이 지닌 섬세한 감정으로 진실하면서도 절실하게 사랑을 노 래한 까닭에 더욱 감동적이다. 특히 재도지기(載道之器`: 도덕적 가치를 담는 그릇)의 역할을 했던 사대부들의 시조와는 달리 여성 특유의 우아한 정서를 전달하고 있으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적 언어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들 작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시조에 얽힌 일화가 많이 전하고 있어 그들의 면모를 읽을 수 있다. 묏버들 •임에게 바치는 지순한 사랑의 상징 •이별의 정표

(008~033)169Ⅰ-1(1)OK 2011.11.25 7:15 PM 페이지2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1]문학의개념 21 묏버들갈 À것거 보내노라님의손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 0 1. 문학의 성격

‘묏버들 갈 것거’는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는 애틋한 정서를 표현한 조선 시대의 시조이다. 소통 활동

으로서의 문학의 특성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선정취지

‘묏버들 갈 것거’는 임에게 바치는 지순한 사랑을 묏버들로 구상화시켜,

비록 몸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임에게 바치는 순정은 묏버들처럼 항상 임의

곁에 있겠다는, 그러면서도 임은 자기 이외의 여인에게 한눈을 팔지 말라는

부탁이 깃들어 있는 연정가이다. 이 작품은 작가 홍랑이 연인인 최경창에게

자신의 마음을 담아 보낸 시조로,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의 특성을 이해하

기에 적합한 제재이다. 이 작품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문학의 생산과 수용

이인간의소통활동의하나임을이해하게될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정형시, 평시조, 단시조

•연대: 조선 선조때

•성격: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이별가, 연정가

•제재: 묏버들

•주제: 임에게보내는사랑

•특징

- 상징법과도치법이사용됨.

- 화자의강한당부가들어있음.

- 청순가련하고섬세한여인의이미지가드러남.

- 자연물에의탁하여임에대한지순한사랑을노래함.

•구성

- 초장: 묏버들을임에게보냄.

- 중장: 창밖에심어두고보기를소망함.

- 종장: 자신을잊지말기를당부함.

핵심정리

1. ‘묏버들’의상징적의미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는 산버들을 고운 것으로만 골라 꺾

어 임에게 보낸다는 뜻으로, 여기서‘묏버들’은 임을 그리워하는 화자의 분신

이며, 화자의사랑을나타내보이는징표이다.

2. 참신한발상 - ‘자시 窓(창) 밧긔~ 날인가도너기쇼셔.’

‘자시 窓(창) 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 밤비예 새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는 임이 주무시는 창밖에 그 버들을 심어 두고, 밤비에 새잎이 나

거든 그것을 화자 자신인 것처럼 여겨 바라보아 달라는 내용으로, 여기에는

봄비에 새로 돋아난 버들잎을 보는 반가움처럼 자신을 잊지 말고 생각해 달

라는 화자의 간절한 호소가 깃들어 있다. 임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마음을

비유를통해솔직하고참신하게나타내고있다.

3. 여류시조의문학사적의의

여류 시조는 그 작자가 대부분 기녀들이었다. 비록 천민에 속하는 계급이

었지만, 그들의 교양은 선비들에 견주어 어느 면에서도 손색이 없었다. 이들

의 시조는 여성만이지닌 섬세한 감정으로 진실하면서도 절실하게 사랑을 노

래한 까닭에 더욱 감동적이다. 특히 재도지기(載道之器:̀ 도덕적 가치를 담는

그릇)의 역할을 했던 사대부들의 시조와는 달리 여성 특유의 우아한 정서를

전달하고 있으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적 언어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들

작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시조에 얽힌 일화가 많이 전하고 있어

그들의면모를읽을수있다.

묏버들•임에게바치는지순한사랑의상징

•이별의정표

(008~033)169Ⅰ-1(1)OK 2011.11.25 7:15 PM 페이지20 mac02 T

2 1[1] 문학의 개념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자시■

窓(창) 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밤비예 새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

“청구영언(靑丘永言)”

홍랑(洪娘, ?~?)

조선 선조 때의 기녀로 고죽(孤

竹) 최경창이 북평사로 경성에 주

재할 때 가까이 사귀었다. 이듬해

최경창이 서울로 돌아가게 되자 쌍

성까지 따라와 작별하면서 최경창

을 위해‘묏버들 갈 것거’를 지었

다고 한다.

02 묏버들갈 것거 홍랑

■갈 것거 골라 꺾어.

■님의손 님에게.

■자시 주무시는.

이 작품은 임에 대한 그리움과 순정이 짙게 배어 있는 시조이다. 화자는 자신의 분신(分身)이라고도 할 수 있는‘묏버

들’을 임에게 보냄으로써 비록 몸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강한 생명력을 가진 묏버들처럼 항상 임의 곁에 있겠다는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순수한 고유어를 유려하게 구사하였으며, 묏버들에서 새 잎이 나면 자신을 생각해 달라고 당부한 참신한

발상이 돋보인다.

홍랑은 1573년(선조 6) 가을, 함경도 경성에 북평사로 온 최경창을 만나 사랑을 키운다. 이듬해 봄 홍랑은 서울로 부

임하는 최경창과 작별한 후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함관령에서 시조‘묏버들 갈 것거’를 읊었다고 한다. 소식이 끊긴 채

2년이 지나고 최경창이 병을 얻어 몇 달간 누워 있다는 소식을 들은 홍랑은 그날로 길을 떠나 7일 만에 서울에 도착해

최경창을 간호한다. 그러나 당시 인순 왕후가 죽어 국상(國喪) 중이었으므로 이 일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고 결

국 최경창은 관직이 삭탈된다. 어쩔 수 없이 홍랑은 귀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최경창은‘송별’이란 제목으로 다음과 같

은 한시를 지어 주었다고 한다. ‘말없이 마주 보며 그윽한 난초 드리오니 / 오늘 떠나고 나면 언제 돌아오랴. / 함관령의

옛 노래 다시 불러 무엇하리. / 지금까지도 비구름에 청산이 어둡나니.’

참고| 기녀 홍랑과 문인 최경창의 사랑

묏버들을임에게보냄.

창밖에심어두고보기를소망함.

자신을잊지말기를당부함.

맥락읽기 Q&A

① 이 시의 화자는 누구인가? ⇡

‘나’(임과이별하는사람)

② 시적대상은누구인가? ⇡임

③ 시적 상황은 어떠한가? ⇡ 사

랑하는임과이별하는상황

④ 화자가 바라는 것은? ⇡ 임이

묏버들을 가져가 창밖에 심어 두

고 새잎이 나면 그것을 자기인 것

처럼 여겨 바라보아 주기를 바라

고있다.

⑤ 화자의 정서는 어떠한가? ⇡

이별의 슬픔에 잠겨 있지만 다시

만날 날을 기다리겠다는 의지를

느끼게한다.

현대어풀이

산에있는버들가지를골라꺾어보내오니임에게

주무시는방의창문밖에심어두고보시옵소서.

(행여) 밤비에새잎이나면 (마치) 나를 본것처럼여기소서.

갈래정리_̀̀시조(ppt), 기생 홍랑의지독한사랑(hwp) 활용

산버들. 이별의정표로‘순정’을비유한말

도치법 - 묏버들을보내는뜻이강조됨.

창밖에

묏버들처럼항상임의곁에있겠다는, 그러면서도임은나이외의

여인에게한눈을팔지말라는부탁이깃들어있음.

참고|기녀시조의특징

기녀 시조는 상실의 상황에서 노래한다는 점에서 동시대의 시조 담당층인 사대부 시조와 비교된다. 사대부들의 시

조가 흔히 관념적 표출에 그치는 데 반해, 기녀들의 시조는 숨김없이 서정을 표출하였다. 또한 그들의 시조는 우리말

의아름다움을잘살려시적언어로발전시켰다는점에서도그특징을살펴볼수있다. 한편 기녀시조는이별이제재

라는 점에서 고려 속요와 상통하는데, 고려 속요가 이별의 순간을 노래한다면 기녀 시조는 이미 벌어진 이별의 상황

을 노래한다. 시적 화자의 의식면에 있어서도 고려 속요가 임과의 관계를 수직적으로 보고 있다면 기녀 시조는 수평

적 관계로 보고 있다. 또, 발화의 차이에서도 고려 속요는 이별의 순간에 발화하는 것으로 직접적이고 절박한 발화가

이루어지는 반면, 기녀 시조는 이미 지나간 과거이므로 자아를 성찰하고 더불어 스스로에게 묻고 답하며 간접적으로

발화한다. - 김병국외, 제7차“문학”교과서(한국교육미디어)

(008~033)169Ⅰ-1(1)OK 2011.11.25 7:16 PM 페이지21 mac02 T

2 2 1. 문학의 성격

2 문학이 인간의 소통 활동의 하나라는 관점에서‘묏버들 갈 것거’를 이해해 보자.

깊게이해하기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작가는 독자를 염두에 두고 작품을 통해 현실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드러내고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를 형상화

한다. 또한 독자는 작품에 대한 창조적이고 비판적인 수용 활동을 통해 독자적인 가치를 형성한다. 작품의 의미

는 독자를 통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작품은 작가와 독자가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해 주는 매개물이

며, 문학 활동은 작가와 독자의 상호 작용을 통해 완전한 의미와 가치를 갖게 되는 가치 지향적인 실천 행위라

고 할 수 있다.

(1) 이 시조의화자와청자는누구인가?

(2) 이 시조의작가가독자에게전달하고자한, 가치있는내용은무엇인가?

(3) 이시조를읽고특히애틋하고절실하게느끼게될독자는어떤사람일지말해보자.

1 ‘묏버들 갈 것거’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조의화자는어떤상황에처해있는지파악해보자.

(2) 이 시조의 화자가‘묏버들’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한 마음은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말해보자.

다가서기

화자 청자

작품

독자작가

예시답|사랑하는임과이별하면서묏버들을꺾어임에게이별의정표로주고있다.

예시 답|화자는‘묏버들’을 통해 상대방에게 지순한 사랑의 마음을 전달하고 있으며, 아울러 묏버들을 화자 자신인

것처럼여겨자신을잊지말고생각해달라고호소하고있다.

이끌기|1-(1) 시적 상황

이란 시에서 내용이 진행

되는 상황을 말한다. 이

시조에서 화자가 묏버들

을 꺾어 임에게 주는 이

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

도록한다.

예시답|화자는임을떠나보내는여인이고, 청자는사랑하는여인을남겨두고떠나는남자이다.

예시 답|임과 비록몸은 멀리 떨어지지만 강한생명력을 가진묏버들처럼 마음만은 항상 임의곁에 있겠다는, 임에

대한지순한사랑

예시답|이시조의화자처럼사랑하는사람과헤어지는경험을한사람

이끌기|2-(2) 작가는 자

신이 가치 있다고 판단한

내용을 언어로 표현하고,

독자는 그것을 이해하고

감상하여 자신에게 유익

하게 받아들인다. 이 점

에서‘작가 - 작품 - 독

자’는 소통 관계를 형성

함에 유의하여 이 작품에

서 작가가 지향하는 가치

는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

게한다.

작품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008~033)169Ⅰ-1(1)OK 2011.11.25 7:16 PM 페이지22 mac02 T

2 3[1] 문학의 개념

4 만일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멀리 떨어져야 한다면, 내 마음을 무엇에 담아 보낼지 생

각해 보고, 그 이유를 말해 보자.

3 다음은 정몽주가 쓴 시조이다. 당시의 독자들이 이 시조를 어떻게 받아들였을지 다음

과 같이 생각해 보자.

넓게생각하기

이 몸이 주거주거 一百蕃(일백 번) 고쳐 주거,

白骨(백골)이 塵土(진토) 되여 넉시라도 잇고 업고,

님 向(향) 一片丹心(일편단심)이야 가 줄이 이시랴.

작품의 시대적 배경 이 작품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 교체가 이루어지던 역사적 전환기에 쓰였다.

조선 왕조를 건립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던 이방원

이 정몽주의 속마음을 떠보려고‘하여가(何如歌)’를

불러 회유하자 이에 대한 답문으로 부른 시조로, 일

명‘단심가(丹心歌)’라 불린다.

반응독자

고려 왕조를 지키려는 사람들

조선 왕조를 세우려는 사람들

■상징물:

■이유:

선죽교 정몽주가 이방원의 일파에게 피살된 곳

•고려 왕조에 대한 충성심이 대단하고, 권력 앞에서도 자신의 지조를 끝까

지지킨점이높이평가할만하군.

•세상의 변화를 따르지 않고 망해 가는 나라에 충성을 바치다니 어리석은

사람이군.

•고려 왕조에 충성을 바치는 것은 훌륭하나 조선의 건국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사람이군.

예시답|

예시답|

내이름을수놓은손수건

손수건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내가

옆에있는듯이여겨달라부탁하고싶다.

이끌기|3 작가가 자신

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내용을 작품 속에 형상화

하듯이 독자도 자신의 가

치 기준에 따라 작품을

받아들인다. 그러므로 독

자는 작품에서 지향하는

가치가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와 일치하면 그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것

이고 그렇지 않으면 부정

적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

이다. 이 시조가 씌어진

당시의 상황에 유의하여

각 독자들이 자신의 입장

과 상황에 따라 어떤 반

응을 보였을지 생각해 보

도록지도한다.

*`이방원의‘하여가’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

들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

진들그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누리리라.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작품연구

•갈래: 평시조

•연대: 고려 말

•성격: 의지적, 단심가

•표현: 반복법, 점층법

•제재: 변함없는지조, 절개

•주제: 일편단심, 충성심

다시, 거듭

죽은사람의몸이썩고남은뼈

티끌과흙

고려에대한충성심

있거나없거나

*

정몽주가추구하는가치

이방원이추구하는가치

(008~033)169Ⅰ-1(1)OK 2011.11.25 7:16 PM 페이지23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