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준준 준 준준 준준 준 준준 1. 준준 준 준준 2. 준준 2.1 Flow Chart 2.2 준준준준 2.3 준준준준 2.4 준준준준 2.5 준준준준 2.6 준준 2.7 준준준준준준 2.8 준준준준 준준 2.9 준준준준준 준준 2.10 준준준준 2.11 준준준준 준 준준 2.12 준준준준준준 준 준준 2.13 준준준준 2.14 준준준 준준준 준준 2.15 준준준 준준준준 준준 2.16 준준준준 준준준준준준 3. 준준준준 3.1 준준준 준 준준준준 3.2 준준준준 준준준 GIS ( 준준준 / 준준준 ) 3.3 준준준준준 준준준 준준준 준준 준준준준준준 준준준준준준준준 준준 3.4 준준준준 준준준 준준준 준준준 준준준준 ( 준준준 ) Check List

05준설및매립

  • Upload
    180081

  • View
    50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jhkgv

Citation preview

Page 1: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

준설 및 매립

1 개 요 및 특 징

2 시 공

21 Flow Chart

22 심 천 측 량

23 토 질 조 사

24 수 질 조 사

25 저 질 조 사

26 탐 사

27 오 염 방 지 대 책

28 작 업 선 의 선 정

29 시 공 방 법 의 선 정

210 시 공 계 획

211 준 설 준 비 및 굴 진

212 준 설 수 심 확 인 및 측 량

213 매 립 개 요

214 양 질 의 준 설 토 매 립

215 준 설 토 물 량 산 출 방 법

216 준 설 토 의 표 층 처 리 방 법

3 참 고 사 항

31 문 제 점 및 해 결 방 안

32 전 자 계 측 장 치 와 GIS ( 신 기 술 신 공 법 )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 연 약 지 반 의 표 층 자 연 건 조 처 리 공 법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 기 술 )

ㆍ Check List

준설 및 매립

준설 및 매립

준설 및 매립공

1 개 요 및 특 징

준 설 의 개 요

작업선의 선정에는 토질 토량 수심 해상조건 공기 등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입수

가능한 것 중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

조건중 토질이 작업능률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

준설공사의 조사는 기상 해상 및 지리적 지형적인 조건을 파악

조사에는 토질조사 수질조사 저질조사 탐사 등을 조사

오염방지에 대한 조사 및 대책도 강구

준 설 의 큰 흐 름 및 특 징

135

조사 및 측량조사 및 측량

준설선 선정준설선 선정

토사준설 및 쇄암준설토사준설 및 쇄암준설

bull준설공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항 bull사전조사 및 측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준설

공사 전반에 걸친 계획들이 이루어짐

bull준설공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항 bull사전조사 및 측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준설

공사 전반에 걸친 계획들이 이루어짐

bull토질에 따른 준설선의 선정이 가장 중요 bull현장에 알맞은 시공방법을 선정함에 있어서

현장상황을 정확히 파악 bull준설방법은 토질 및 현장상황에 알맞은 방법을

선정

bull토질에 따른 준설선의 선정이 가장 중요 bull현장에 알맞은 시공방법을 선정함에 있어서

현장상황을 정확히 파악 bull준설방법은 토질 및 현장상황에 알맞은 방법을

선정

bull토사준설선은 대량의 준설이나 매립에 적합 bull쇄암은 최근 대형화로 준설능력이 강화되고

있음

bull토사준설선은 대량의 준설이나 매립에 적합 bull쇄암은 최근 대형화로 준설능력이 강화되고

있음

매립공등 토공매립공등 토공 bull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직접투입 bull그래브선 버켓선 등에 의하여 준설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 투입

bull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직접투입 bull그래브선 버켓선 등에 의하여 준설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 투입

준설 및 매립공

관 련 표 준

토목공사 표준시방서 항만공사 표준시방서

설계도면 건설공사 품질관리 및 규격관리 실무편람

건설공사 조사 및 시험규정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KS 규격

- KS V3982 준설선용 일반시브

- KS B6451 셔블형 굴착기의 구조 성능 기준

- KS F2302 흙의 입도시험방법

- KS F2307 흙의 표준관입시험방법

- KS F2324 흙의 공학적분류방법

투 입 장 비 및 인 원

장비

- 펌프준설선 예인선 양묘선 작업선 백호 도저 트럭 바지선

인원

- 항해사 기관장 용접사 갑판장 중기원 선원 측량사

235

준설 및 매립공

2 시 공

21 Flow Chart

335

심천측량심천측량조사 및 측량수심측량리드측량 음파 등

토질조사토질조사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

수질조사수질조사 채수 수심표층 해면하 05m중층 수심의 12하층 해저면상 10m 수심측량

저질조사저질조사

준설토의 조사폐기물 처리 위해 오염물질조사

탐사탐사 해저기층 음파탐사기뢰 폭탄 등 탐사

오염방지대책오염방지대책 오탁방지막

참고자료

항만공사표준시방 2 장 7 장항만 및 어항전문공사시방서 5 장

준설 및 매립공

435

토질에 따른 적용선토질에 따른 적용선준설선 선정그래브선 호퍼선 펌프선등

작업선의 선정작업선의 선정 토질 현장상황에 맞는 준설선 선정

시공방법의 선정시공방법의 선정 토사장 등의 조건에 따라 시공방법 선정

시공계획시공계획토사준설과쇄암준설 현지조사 부지 주변 조사

시방서 설계도 파악선단구성 투기계획안전관리 계획 및 재해예방 대책현지조사 부지주변 조사준설선의 위치 및 심도 확인

준설준비 및 굴진준설준비 및 굴진준설 위치 확인 (GPS 사용 )준설파이프 설치 ( 해상 침설 육상파이프 )스파드와 앵커를 이동하며 굴진

준설시행준설시행

매립매립

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

준설완료 수심측량준설완료 수심측량

작업종료작업종료

YES

YES

시공자확인

NO

감리검측

NO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펌프선 그래브선 버켓선에 의한 해상투입덤프트럭을 이용한 육상투입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준설 및 매립공

22 심천측량

일 반 사 항

심천측량은 공사발주를 위한 사전측량 시공중의 관리 측량 준공확인측량 공공개시를

위한

수로부와의 공동측량등 4 가지로 분류

측량 시작전 반드시 측심기계를 점검

매일 측량을 시작할때 종료시 및 작업도중에 벨트 팬등을 조정 교환한 시각을 기술

그 시각의 측심지역에서 바체크에 의해 측심치를 체크할 필요가 있음

측량범위는 필요구역보다 경사부분등을 고려해 외부까지 할 필요가 있음

측 량 간격 은 측 량 의 목 적 소요 정 도 사 용 기 계 해 저 의 기 복 상 태 등 을 감 안 해 서

대체로 10sim20m 정도로 함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음향 측심기에 의한 경우가 많고 연속적인 기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해저의 상황을 섬세하게 측심할 경우는 송수파기의 소자수를 많게 해서 미측 심폭을

좁게 할 것

천해부 및 구조물 앞면의 측량은 리드 스태프 등으로 함

해 상 위 치

시공자는 측량선의 유도 및 해상위치결정에 대하여는 특별시방서의 정하는 바에 따름

해상측위 기기는 다음의 표의 성능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

lt 해상측위에 사용되는 주요기기gt

구 분 성 능

전파 측위기

광파 측위기

트랜시트

육 분 의

3 간 분도기

측위정도30 plusmn(3sim4ppm)XD

측위정도10 plusmn1ppm)XD

최소읽기20 초독

1 분독

1 분독

측 심 기 기

시 공 자 는 음 향 측 심 기 에 의 해 측 심 을 행 하 는 것 을 원칙으 로 하 며 사 용 하 는 음 향

측심기는 아래표에 표시하는 성능 이상의 것이어야 함

lt 음향측심기의 성능( 수심 100m 이하)gt

항 목 성 능

가정음 속도 1500msec

535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

준설 및 매립

준설 및 매립공

1 개 요 및 특 징

준 설 의 개 요

작업선의 선정에는 토질 토량 수심 해상조건 공기 등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입수

가능한 것 중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

조건중 토질이 작업능률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

준설공사의 조사는 기상 해상 및 지리적 지형적인 조건을 파악

조사에는 토질조사 수질조사 저질조사 탐사 등을 조사

오염방지에 대한 조사 및 대책도 강구

준 설 의 큰 흐 름 및 특 징

135

조사 및 측량조사 및 측량

준설선 선정준설선 선정

토사준설 및 쇄암준설토사준설 및 쇄암준설

bull준설공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항 bull사전조사 및 측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준설

공사 전반에 걸친 계획들이 이루어짐

bull준설공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항 bull사전조사 및 측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준설

공사 전반에 걸친 계획들이 이루어짐

bull토질에 따른 준설선의 선정이 가장 중요 bull현장에 알맞은 시공방법을 선정함에 있어서

현장상황을 정확히 파악 bull준설방법은 토질 및 현장상황에 알맞은 방법을

선정

bull토질에 따른 준설선의 선정이 가장 중요 bull현장에 알맞은 시공방법을 선정함에 있어서

현장상황을 정확히 파악 bull준설방법은 토질 및 현장상황에 알맞은 방법을

선정

bull토사준설선은 대량의 준설이나 매립에 적합 bull쇄암은 최근 대형화로 준설능력이 강화되고

있음

bull토사준설선은 대량의 준설이나 매립에 적합 bull쇄암은 최근 대형화로 준설능력이 강화되고

있음

매립공등 토공매립공등 토공 bull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직접투입 bull그래브선 버켓선 등에 의하여 준설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 투입

bull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직접투입 bull그래브선 버켓선 등에 의하여 준설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 투입

준설 및 매립공

관 련 표 준

토목공사 표준시방서 항만공사 표준시방서

설계도면 건설공사 품질관리 및 규격관리 실무편람

건설공사 조사 및 시험규정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KS 규격

- KS V3982 준설선용 일반시브

- KS B6451 셔블형 굴착기의 구조 성능 기준

- KS F2302 흙의 입도시험방법

- KS F2307 흙의 표준관입시험방법

- KS F2324 흙의 공학적분류방법

투 입 장 비 및 인 원

장비

- 펌프준설선 예인선 양묘선 작업선 백호 도저 트럭 바지선

인원

- 항해사 기관장 용접사 갑판장 중기원 선원 측량사

235

준설 및 매립공

2 시 공

21 Flow Chart

335

심천측량심천측량조사 및 측량수심측량리드측량 음파 등

토질조사토질조사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

수질조사수질조사 채수 수심표층 해면하 05m중층 수심의 12하층 해저면상 10m 수심측량

저질조사저질조사

준설토의 조사폐기물 처리 위해 오염물질조사

탐사탐사 해저기층 음파탐사기뢰 폭탄 등 탐사

오염방지대책오염방지대책 오탁방지막

참고자료

항만공사표준시방 2 장 7 장항만 및 어항전문공사시방서 5 장

준설 및 매립공

435

토질에 따른 적용선토질에 따른 적용선준설선 선정그래브선 호퍼선 펌프선등

작업선의 선정작업선의 선정 토질 현장상황에 맞는 준설선 선정

시공방법의 선정시공방법의 선정 토사장 등의 조건에 따라 시공방법 선정

시공계획시공계획토사준설과쇄암준설 현지조사 부지 주변 조사

시방서 설계도 파악선단구성 투기계획안전관리 계획 및 재해예방 대책현지조사 부지주변 조사준설선의 위치 및 심도 확인

준설준비 및 굴진준설준비 및 굴진준설 위치 확인 (GPS 사용 )준설파이프 설치 ( 해상 침설 육상파이프 )스파드와 앵커를 이동하며 굴진

준설시행준설시행

매립매립

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

준설완료 수심측량준설완료 수심측량

작업종료작업종료

YES

YES

시공자확인

NO

감리검측

NO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펌프선 그래브선 버켓선에 의한 해상투입덤프트럭을 이용한 육상투입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준설 및 매립공

22 심천측량

일 반 사 항

심천측량은 공사발주를 위한 사전측량 시공중의 관리 측량 준공확인측량 공공개시를

위한

수로부와의 공동측량등 4 가지로 분류

측량 시작전 반드시 측심기계를 점검

매일 측량을 시작할때 종료시 및 작업도중에 벨트 팬등을 조정 교환한 시각을 기술

그 시각의 측심지역에서 바체크에 의해 측심치를 체크할 필요가 있음

측량범위는 필요구역보다 경사부분등을 고려해 외부까지 할 필요가 있음

측 량 간격 은 측 량 의 목 적 소요 정 도 사 용 기 계 해 저 의 기 복 상 태 등 을 감 안 해 서

대체로 10sim20m 정도로 함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음향 측심기에 의한 경우가 많고 연속적인 기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해저의 상황을 섬세하게 측심할 경우는 송수파기의 소자수를 많게 해서 미측 심폭을

좁게 할 것

천해부 및 구조물 앞면의 측량은 리드 스태프 등으로 함

해 상 위 치

시공자는 측량선의 유도 및 해상위치결정에 대하여는 특별시방서의 정하는 바에 따름

해상측위 기기는 다음의 표의 성능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

lt 해상측위에 사용되는 주요기기gt

구 분 성 능

전파 측위기

광파 측위기

트랜시트

육 분 의

3 간 분도기

측위정도30 plusmn(3sim4ppm)XD

측위정도10 plusmn1ppm)XD

최소읽기20 초독

1 분독

1 분독

측 심 기 기

시 공 자 는 음 향 측 심 기 에 의 해 측 심 을 행 하 는 것 을 원칙으 로 하 며 사 용 하 는 음 향

측심기는 아래표에 표시하는 성능 이상의 것이어야 함

lt 음향측심기의 성능( 수심 100m 이하)gt

항 목 성 능

가정음 속도 1500msec

535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1 개 요 및 특 징

준 설 의 개 요

작업선의 선정에는 토질 토량 수심 해상조건 공기 등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입수

가능한 것 중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

조건중 토질이 작업능률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

준설공사의 조사는 기상 해상 및 지리적 지형적인 조건을 파악

조사에는 토질조사 수질조사 저질조사 탐사 등을 조사

오염방지에 대한 조사 및 대책도 강구

준 설 의 큰 흐 름 및 특 징

135

조사 및 측량조사 및 측량

준설선 선정준설선 선정

토사준설 및 쇄암준설토사준설 및 쇄암준설

bull준설공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항 bull사전조사 및 측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준설

공사 전반에 걸친 계획들이 이루어짐

bull준설공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항 bull사전조사 및 측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준설

공사 전반에 걸친 계획들이 이루어짐

bull토질에 따른 준설선의 선정이 가장 중요 bull현장에 알맞은 시공방법을 선정함에 있어서

현장상황을 정확히 파악 bull준설방법은 토질 및 현장상황에 알맞은 방법을

선정

bull토질에 따른 준설선의 선정이 가장 중요 bull현장에 알맞은 시공방법을 선정함에 있어서

현장상황을 정확히 파악 bull준설방법은 토질 및 현장상황에 알맞은 방법을

선정

bull토사준설선은 대량의 준설이나 매립에 적합 bull쇄암은 최근 대형화로 준설능력이 강화되고

있음

bull토사준설선은 대량의 준설이나 매립에 적합 bull쇄암은 최근 대형화로 준설능력이 강화되고

있음

매립공등 토공매립공등 토공 bull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직접투입 bull그래브선 버켓선 등에 의하여 준설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 투입

bull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직접투입 bull그래브선 버켓선 등에 의하여 준설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 투입

준설 및 매립공

관 련 표 준

토목공사 표준시방서 항만공사 표준시방서

설계도면 건설공사 품질관리 및 규격관리 실무편람

건설공사 조사 및 시험규정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KS 규격

- KS V3982 준설선용 일반시브

- KS B6451 셔블형 굴착기의 구조 성능 기준

- KS F2302 흙의 입도시험방법

- KS F2307 흙의 표준관입시험방법

- KS F2324 흙의 공학적분류방법

투 입 장 비 및 인 원

장비

- 펌프준설선 예인선 양묘선 작업선 백호 도저 트럭 바지선

인원

- 항해사 기관장 용접사 갑판장 중기원 선원 측량사

235

준설 및 매립공

2 시 공

21 Flow Chart

335

심천측량심천측량조사 및 측량수심측량리드측량 음파 등

토질조사토질조사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

수질조사수질조사 채수 수심표층 해면하 05m중층 수심의 12하층 해저면상 10m 수심측량

저질조사저질조사

준설토의 조사폐기물 처리 위해 오염물질조사

탐사탐사 해저기층 음파탐사기뢰 폭탄 등 탐사

오염방지대책오염방지대책 오탁방지막

참고자료

항만공사표준시방 2 장 7 장항만 및 어항전문공사시방서 5 장

준설 및 매립공

435

토질에 따른 적용선토질에 따른 적용선준설선 선정그래브선 호퍼선 펌프선등

작업선의 선정작업선의 선정 토질 현장상황에 맞는 준설선 선정

시공방법의 선정시공방법의 선정 토사장 등의 조건에 따라 시공방법 선정

시공계획시공계획토사준설과쇄암준설 현지조사 부지 주변 조사

시방서 설계도 파악선단구성 투기계획안전관리 계획 및 재해예방 대책현지조사 부지주변 조사준설선의 위치 및 심도 확인

준설준비 및 굴진준설준비 및 굴진준설 위치 확인 (GPS 사용 )준설파이프 설치 ( 해상 침설 육상파이프 )스파드와 앵커를 이동하며 굴진

준설시행준설시행

매립매립

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

준설완료 수심측량준설완료 수심측량

작업종료작업종료

YES

YES

시공자확인

NO

감리검측

NO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펌프선 그래브선 버켓선에 의한 해상투입덤프트럭을 이용한 육상투입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준설 및 매립공

22 심천측량

일 반 사 항

심천측량은 공사발주를 위한 사전측량 시공중의 관리 측량 준공확인측량 공공개시를

위한

수로부와의 공동측량등 4 가지로 분류

측량 시작전 반드시 측심기계를 점검

매일 측량을 시작할때 종료시 및 작업도중에 벨트 팬등을 조정 교환한 시각을 기술

그 시각의 측심지역에서 바체크에 의해 측심치를 체크할 필요가 있음

측량범위는 필요구역보다 경사부분등을 고려해 외부까지 할 필요가 있음

측 량 간격 은 측 량 의 목 적 소요 정 도 사 용 기 계 해 저 의 기 복 상 태 등 을 감 안 해 서

대체로 10sim20m 정도로 함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음향 측심기에 의한 경우가 많고 연속적인 기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해저의 상황을 섬세하게 측심할 경우는 송수파기의 소자수를 많게 해서 미측 심폭을

좁게 할 것

천해부 및 구조물 앞면의 측량은 리드 스태프 등으로 함

해 상 위 치

시공자는 측량선의 유도 및 해상위치결정에 대하여는 특별시방서의 정하는 바에 따름

해상측위 기기는 다음의 표의 성능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

lt 해상측위에 사용되는 주요기기gt

구 분 성 능

전파 측위기

광파 측위기

트랜시트

육 분 의

3 간 분도기

측위정도30 plusmn(3sim4ppm)XD

측위정도10 plusmn1ppm)XD

최소읽기20 초독

1 분독

1 분독

측 심 기 기

시 공 자 는 음 향 측 심 기 에 의 해 측 심 을 행 하 는 것 을 원칙으 로 하 며 사 용 하 는 음 향

측심기는 아래표에 표시하는 성능 이상의 것이어야 함

lt 음향측심기의 성능( 수심 100m 이하)gt

항 목 성 능

가정음 속도 1500msec

535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관 련 표 준

토목공사 표준시방서 항만공사 표준시방서

설계도면 건설공사 품질관리 및 규격관리 실무편람

건설공사 조사 및 시험규정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KS 규격

- KS V3982 준설선용 일반시브

- KS B6451 셔블형 굴착기의 구조 성능 기준

- KS F2302 흙의 입도시험방법

- KS F2307 흙의 표준관입시험방법

- KS F2324 흙의 공학적분류방법

투 입 장 비 및 인 원

장비

- 펌프준설선 예인선 양묘선 작업선 백호 도저 트럭 바지선

인원

- 항해사 기관장 용접사 갑판장 중기원 선원 측량사

235

준설 및 매립공

2 시 공

21 Flow Chart

335

심천측량심천측량조사 및 측량수심측량리드측량 음파 등

토질조사토질조사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

수질조사수질조사 채수 수심표층 해면하 05m중층 수심의 12하층 해저면상 10m 수심측량

저질조사저질조사

준설토의 조사폐기물 처리 위해 오염물질조사

탐사탐사 해저기층 음파탐사기뢰 폭탄 등 탐사

오염방지대책오염방지대책 오탁방지막

참고자료

항만공사표준시방 2 장 7 장항만 및 어항전문공사시방서 5 장

준설 및 매립공

435

토질에 따른 적용선토질에 따른 적용선준설선 선정그래브선 호퍼선 펌프선등

작업선의 선정작업선의 선정 토질 현장상황에 맞는 준설선 선정

시공방법의 선정시공방법의 선정 토사장 등의 조건에 따라 시공방법 선정

시공계획시공계획토사준설과쇄암준설 현지조사 부지 주변 조사

시방서 설계도 파악선단구성 투기계획안전관리 계획 및 재해예방 대책현지조사 부지주변 조사준설선의 위치 및 심도 확인

준설준비 및 굴진준설준비 및 굴진준설 위치 확인 (GPS 사용 )준설파이프 설치 ( 해상 침설 육상파이프 )스파드와 앵커를 이동하며 굴진

준설시행준설시행

매립매립

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

준설완료 수심측량준설완료 수심측량

작업종료작업종료

YES

YES

시공자확인

NO

감리검측

NO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펌프선 그래브선 버켓선에 의한 해상투입덤프트럭을 이용한 육상투입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준설 및 매립공

22 심천측량

일 반 사 항

심천측량은 공사발주를 위한 사전측량 시공중의 관리 측량 준공확인측량 공공개시를

위한

수로부와의 공동측량등 4 가지로 분류

측량 시작전 반드시 측심기계를 점검

매일 측량을 시작할때 종료시 및 작업도중에 벨트 팬등을 조정 교환한 시각을 기술

그 시각의 측심지역에서 바체크에 의해 측심치를 체크할 필요가 있음

측량범위는 필요구역보다 경사부분등을 고려해 외부까지 할 필요가 있음

측 량 간격 은 측 량 의 목 적 소요 정 도 사 용 기 계 해 저 의 기 복 상 태 등 을 감 안 해 서

대체로 10sim20m 정도로 함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음향 측심기에 의한 경우가 많고 연속적인 기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해저의 상황을 섬세하게 측심할 경우는 송수파기의 소자수를 많게 해서 미측 심폭을

좁게 할 것

천해부 및 구조물 앞면의 측량은 리드 스태프 등으로 함

해 상 위 치

시공자는 측량선의 유도 및 해상위치결정에 대하여는 특별시방서의 정하는 바에 따름

해상측위 기기는 다음의 표의 성능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

lt 해상측위에 사용되는 주요기기gt

구 분 성 능

전파 측위기

광파 측위기

트랜시트

육 분 의

3 간 분도기

측위정도30 plusmn(3sim4ppm)XD

측위정도10 plusmn1ppm)XD

최소읽기20 초독

1 분독

1 분독

측 심 기 기

시 공 자 는 음 향 측 심 기 에 의 해 측 심 을 행 하 는 것 을 원칙으 로 하 며 사 용 하 는 음 향

측심기는 아래표에 표시하는 성능 이상의 것이어야 함

lt 음향측심기의 성능( 수심 100m 이하)gt

항 목 성 능

가정음 속도 1500msec

535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5: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2 시 공

21 Flow Chart

335

심천측량심천측량조사 및 측량수심측량리드측량 음파 등

토질조사토질조사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

수질조사수질조사 채수 수심표층 해면하 05m중층 수심의 12하층 해저면상 10m 수심측량

저질조사저질조사

준설토의 조사폐기물 처리 위해 오염물질조사

탐사탐사 해저기층 음파탐사기뢰 폭탄 등 탐사

오염방지대책오염방지대책 오탁방지막

참고자료

항만공사표준시방 2 장 7 장항만 및 어항전문공사시방서 5 장

준설 및 매립공

435

토질에 따른 적용선토질에 따른 적용선준설선 선정그래브선 호퍼선 펌프선등

작업선의 선정작업선의 선정 토질 현장상황에 맞는 준설선 선정

시공방법의 선정시공방법의 선정 토사장 등의 조건에 따라 시공방법 선정

시공계획시공계획토사준설과쇄암준설 현지조사 부지 주변 조사

시방서 설계도 파악선단구성 투기계획안전관리 계획 및 재해예방 대책현지조사 부지주변 조사준설선의 위치 및 심도 확인

준설준비 및 굴진준설준비 및 굴진준설 위치 확인 (GPS 사용 )준설파이프 설치 ( 해상 침설 육상파이프 )스파드와 앵커를 이동하며 굴진

준설시행준설시행

매립매립

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

준설완료 수심측량준설완료 수심측량

작업종료작업종료

YES

YES

시공자확인

NO

감리검측

NO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펌프선 그래브선 버켓선에 의한 해상투입덤프트럭을 이용한 육상투입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준설 및 매립공

22 심천측량

일 반 사 항

심천측량은 공사발주를 위한 사전측량 시공중의 관리 측량 준공확인측량 공공개시를

위한

수로부와의 공동측량등 4 가지로 분류

측량 시작전 반드시 측심기계를 점검

매일 측량을 시작할때 종료시 및 작업도중에 벨트 팬등을 조정 교환한 시각을 기술

그 시각의 측심지역에서 바체크에 의해 측심치를 체크할 필요가 있음

측량범위는 필요구역보다 경사부분등을 고려해 외부까지 할 필요가 있음

측 량 간격 은 측 량 의 목 적 소요 정 도 사 용 기 계 해 저 의 기 복 상 태 등 을 감 안 해 서

대체로 10sim20m 정도로 함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음향 측심기에 의한 경우가 많고 연속적인 기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해저의 상황을 섬세하게 측심할 경우는 송수파기의 소자수를 많게 해서 미측 심폭을

좁게 할 것

천해부 및 구조물 앞면의 측량은 리드 스태프 등으로 함

해 상 위 치

시공자는 측량선의 유도 및 해상위치결정에 대하여는 특별시방서의 정하는 바에 따름

해상측위 기기는 다음의 표의 성능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

lt 해상측위에 사용되는 주요기기gt

구 분 성 능

전파 측위기

광파 측위기

트랜시트

육 분 의

3 간 분도기

측위정도30 plusmn(3sim4ppm)XD

측위정도10 plusmn1ppm)XD

최소읽기20 초독

1 분독

1 분독

측 심 기 기

시 공 자 는 음 향 측 심 기 에 의 해 측 심 을 행 하 는 것 을 원칙으 로 하 며 사 용 하 는 음 향

측심기는 아래표에 표시하는 성능 이상의 것이어야 함

lt 음향측심기의 성능( 수심 100m 이하)gt

항 목 성 능

가정음 속도 1500msec

535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6: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435

토질에 따른 적용선토질에 따른 적용선준설선 선정그래브선 호퍼선 펌프선등

작업선의 선정작업선의 선정 토질 현장상황에 맞는 준설선 선정

시공방법의 선정시공방법의 선정 토사장 등의 조건에 따라 시공방법 선정

시공계획시공계획토사준설과쇄암준설 현지조사 부지 주변 조사

시방서 설계도 파악선단구성 투기계획안전관리 계획 및 재해예방 대책현지조사 부지주변 조사준설선의 위치 및 심도 확인

준설준비 및 굴진준설준비 및 굴진준설 위치 확인 (GPS 사용 )준설파이프 설치 ( 해상 침설 육상파이프 )스파드와 앵커를 이동하며 굴진

준설시행준설시행

매립매립

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준설완료후 준설수심확인

준설완료 수심측량준설완료 수심측량

작업종료작업종료

YES

YES

시공자확인

NO

감리검측

NO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펌프선 그래브선 버켓선에 의한 해상투입덤프트럭을 이용한 육상투입

계획수심까지 준설수심측량으로 검사

준설 및 매립공

22 심천측량

일 반 사 항

심천측량은 공사발주를 위한 사전측량 시공중의 관리 측량 준공확인측량 공공개시를

위한

수로부와의 공동측량등 4 가지로 분류

측량 시작전 반드시 측심기계를 점검

매일 측량을 시작할때 종료시 및 작업도중에 벨트 팬등을 조정 교환한 시각을 기술

그 시각의 측심지역에서 바체크에 의해 측심치를 체크할 필요가 있음

측량범위는 필요구역보다 경사부분등을 고려해 외부까지 할 필요가 있음

측 량 간격 은 측 량 의 목 적 소요 정 도 사 용 기 계 해 저 의 기 복 상 태 등 을 감 안 해 서

대체로 10sim20m 정도로 함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음향 측심기에 의한 경우가 많고 연속적인 기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해저의 상황을 섬세하게 측심할 경우는 송수파기의 소자수를 많게 해서 미측 심폭을

좁게 할 것

천해부 및 구조물 앞면의 측량은 리드 스태프 등으로 함

해 상 위 치

시공자는 측량선의 유도 및 해상위치결정에 대하여는 특별시방서의 정하는 바에 따름

해상측위 기기는 다음의 표의 성능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

lt 해상측위에 사용되는 주요기기gt

구 분 성 능

전파 측위기

광파 측위기

트랜시트

육 분 의

3 간 분도기

측위정도30 plusmn(3sim4ppm)XD

측위정도10 plusmn1ppm)XD

최소읽기20 초독

1 분독

1 분독

측 심 기 기

시 공 자 는 음 향 측 심 기 에 의 해 측 심 을 행 하 는 것 을 원칙으 로 하 며 사 용 하 는 음 향

측심기는 아래표에 표시하는 성능 이상의 것이어야 함

lt 음향측심기의 성능( 수심 100m 이하)gt

항 목 성 능

가정음 속도 1500msec

535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7: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22 심천측량

일 반 사 항

심천측량은 공사발주를 위한 사전측량 시공중의 관리 측량 준공확인측량 공공개시를

위한

수로부와의 공동측량등 4 가지로 분류

측량 시작전 반드시 측심기계를 점검

매일 측량을 시작할때 종료시 및 작업도중에 벨트 팬등을 조정 교환한 시각을 기술

그 시각의 측심지역에서 바체크에 의해 측심치를 체크할 필요가 있음

측량범위는 필요구역보다 경사부분등을 고려해 외부까지 할 필요가 있음

측 량 간격 은 측 량 의 목 적 소요 정 도 사 용 기 계 해 저 의 기 복 상 태 등 을 감 안 해 서

대체로 10sim20m 정도로 함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음향 측심기에 의한 경우가 많고 연속적인 기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해저의 상황을 섬세하게 측심할 경우는 송수파기의 소자수를 많게 해서 미측 심폭을

좁게 할 것

천해부 및 구조물 앞면의 측량은 리드 스태프 등으로 함

해 상 위 치

시공자는 측량선의 유도 및 해상위치결정에 대하여는 특별시방서의 정하는 바에 따름

해상측위 기기는 다음의 표의 성능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

lt 해상측위에 사용되는 주요기기gt

구 분 성 능

전파 측위기

광파 측위기

트랜시트

육 분 의

3 간 분도기

측위정도30 plusmn(3sim4ppm)XD

측위정도10 plusmn1ppm)XD

최소읽기20 초독

1 분독

1 분독

측 심 기 기

시 공 자 는 음 향 측 심 기 에 의 해 측 심 을 행 하 는 것 을 원칙으 로 하 며 사 용 하 는 음 향

측심기는 아래표에 표시하는 성능 이상의 것이어야 함

lt 음향측심기의 성능( 수심 100m 이하)gt

항 목 성 능

가정음 속도 1500msec

535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8: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발진 주파수

송수파기의 지향각

기록지 속도

최소눈금

기록정도

90 -230

반감반각 8deg 이하

20 min 이상

02m 이하

plusmn(01 + 수심times10 - 3)m

23 토질조사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방법을 검토할 경우에는 토사의 성질이 준설공사의 공기나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사전에 조사할 것

준 설 공 사 의 토 질 조 사 로 서 는 입 도 분석 비 중 시 험 표 준 관 입 시 험 으 로 거의 필 요 한 자 료 를

얻을 수 있음

공사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등에 이용함

토사의 N 치 실트질 세사 함유율 등을 조사

lt 토질조사( 진흙채취)gt

24 수질조사

일 반 사 항

수질조사는 해수오염의 원인이 백그라운드 또는 준설에 의한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사전조사와 준설기간중 조사가 필요

유 의 사 항

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9: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시공자는 다음에 제시되는 수심에서 채수해야 함

해 역 의 특 성 및 작 업 조 건 상 그 지 점 에 서 채 수 가 곤 란 한 경 우 의 채 수 수 심 은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 표층해면하 05m

- 중층수심의 12

- 하층해저면상 10m

시공자는 시료를 관계법령에 규정된 양( 量) 을 채수하여 채수지점 수심 측정 년월일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채취후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

25 저질조사

일 반 사 항

준 설된 해 저 토 사 를 버릴 경우에 는 준 설 토 사 가 법 률「해 양 오 염 및 해 상 재 해 방 지 에

관한법률」에 규정된 유해한 토사인지 확인

준설에 앞서 소정의 검정시험을 해서 유해물질의 농도등을 확인

시 공 자 는 수 질 오 염 공 정 시 험 방 법( 환 경 부 고 시 제91 호-85 호) 의 토 양 편( 土 壤 篇) 을

기준하여 1) 항에 제시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되 시험항목이 없을 때에는

필요시 전처리를 하여 해수편( 海水篇) 을 기준으로 시험함

시 험 방 법 이 복 수 인 경 우 특 별 시 방 서 에 규 정 된 방 법 을 사 용 하 되 사 전 에 감 독 자 의

승인을 받을 것

26 탐사

일 반 사 항

준설 작업 중에 해저 밑에 매몰되어있는 기뢰나 폭탄등이 있는지를 파악할 것

기뢰등 위험물이 잔존한다고 추정되는 해역에서는 준설에 앞서 공사구역의 기뢰 등의

탐사를

하여 준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할 것

탐사에는 자기탐사 잠수탐사가 있음

잠수탐사는 자기탐사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자기반응을 나타내는 이상점이 있을 경우

실시

준 설 등 을 실 시 할 경우 흙두께가 4m 정 도 이 상 인 경우에 대 해 서 는 자 기 탐 사 의 유효

탐사 두께가 4m 정도이므로 층별로 자기탐사 및 잠수탐사를 실시

735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0: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a) 예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b) 자항방식에 의한 자기탐사 (c)

잠수탐사

27 오염방지대책

일 반 사 항

준설공사의 시공계획을 세울 때 오염방지 대책을 세울 것

준설구역이 어장에 가까울 경우 작업중의 오염에 의한 어장등에 끼칠 영향이 문제가

있으므로 사전에 어장 등으로서의 이용상의 실태 준설토질 조류 등을 조사

공법을 검토하고 오염방지에 노력

835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1: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lt 오탁방지막gt lt Oil 흡착포gt

28 작업선의 선정

토 질 에 따 른 적 용 선

토질적용선종 비고

분류 상태

토사

연질 N=10 미만

중질 P N=10~20

경질 N=20~30

최경

질 B G D 쇄 N=30 이상

자갈섞인토사연질 N=30정도 미만

경질 N=30정도 이상

암반

연질 D 쇄 발D 로 준설

가능한것

경질D 로

준설불가능한것

B 버켓준설선 G 그래브 준설선 D 디퍼준설선 P 펌프준설선 쇄 쇄암선 발 발파

주의 N=15 이상일 경우 펌프준설선의 효율이 떨어짐

기 종 별 준 설 조 건

기 종

버켓선 디퍼선 그래브선 펌프선 쇄암선

준설능력 보통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준설단가 보통 고가 보통 저가 고가

935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2: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토운선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준설 후

굴곡보통 크다 크다 크다 크다

최대토질조건 연암 연암 보통토사 보통토사 경암

작업점유수면 크다 작다 작다 작다 작다

건조비 보통 고가 보통 보통 고가

판정

사토거리가

먼 곳에

유리

경질토사에

유리

협소한 장소의

연질토사에

적합

연질 사질

토사에

접합

암반용

일 반 준 설 에 서 의 준 설 선 의 종 류

준설

선구분 특징 적성토질 비고

펌프

자항식호 퍼 를 보 유 한

대형선이 많음진흙질토사 사질토사

드래그석션

무아드석션등이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커 터 부 착 펌 프 선

일반펌프선으로

80sim10000ps 급의

것이 있음

진 흙 질 시 질 토 에

적합

굳 은 토 사 에 도

사용됨

일반적으로

관 송 배 사 를 하 지 만

바 지 로 딩 시 스 템

바지언로더등도 고려

커 터 레 스 펌 프 선

특 수 한 것 으 로 커 터 가

없 고 진 흙 포 함 율 은

많 지 만 펌 프 의

성 능 과 는 미 묘 한

관계가 있음

진 흙 질 이 나 사 질 토 에

적합

ldquo

( 이젝터준설등)

버켓

자항식

일 반 적 으 로 는 40sim70

개 의 버 켓 을 지 니 고

있 음 버 켓 용 량 은

05sim08 되 는 것 이

많음

토 사 또 는 자 갈 이

혼 합 되 고 양 이

많 을 경 우 에 적 합

경 토 반 이 라 도 비 교 적

부 드 러 운 것 에

대처할 수 있음

비항식

(

연속식)

소형으로는 버켓이 03

되는 것이 많음

그래

브식 자항식

호 퍼 를 지 니 고 몇

대 의 그 래 브 을

가진것도 있음

토 사 나 자 갈 혼 합

토 사 에 적 합 하 다

바 닥 굴 착 등

국 소 적 인 준 설 에

그 래 브 은 토 질 에

따 라 다 음 의 3 가 지

종류로 사용

1 연토용 비항식 그 래 브 은 1sim2 의

1035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3: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것 이 많 았 으 나

최 근 에 는 20 를

넘는것도 있음적합 프레이트그래브

2 연경토용 하프타인

그래브

디퍼

식비항식

디 퍼 의 용 량 은 2sim5

가 보 통 이 지 만 대 형 은

8 나 되는것도 있음

일 반 준 설 중 에 서 는

가 장 단 단 한 지 반 에

적합

기타

대 선 에 육 상 굴 삭 기 를

설 치 한 것 으 로

스 레 퍼 나 그 외 의

것이 있음

29 시공방법의 선정

일 반 적 인 준 설 공 법

준설토취장의 토질이 매립토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토 및 실트분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준설토 입도 개량공법 선택이 필요하며 양질의 토사를 현지에서 선별하여 채취가

가능한

경우라도 배송거리가 과다한 경우에는 거리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준설이 가능한 공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 설 방 법 공법 특성 비 고

직접준설방법 개량

중계펌프방법 장거리

2 중 준설방법 개량 장거리

Barge Overflowing 방법 개량 장거리

싸이클론 방법 개량

토운선 운반 방법 장거리

자항식 호퍼 준설선 방법 장거리

1135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4: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직 접 준 설 방 법

직접준설방법에는 매립방법에 따라 직접매립방법과 통제매립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 매 립 방 법 은 선 별 된 토 취 장 의 준 설 토 를 배 송 하 여 매 립 시 외 곽 의 가 호 안 내 에

배사관에서 배출된 매립토로 직접매립하는 방법이다

배 출된 토 사 는 140 ~ 150 정 도 의 완경사 로 형 성 되 며 준 설 수 와 같이 부 유된

세립토는 여수로

부근에 집중되기도 하며 예기치 않은 곳에 실트 포켓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통 제 매 립 방 법 은 배 송 된 준 설 토 로 매 립 할 때 격 리 된 지 역 에 통 제 를 실 시 하 여

배 출 시 킴 으 로 써 입 경 이 작 은 세 립 토 를 별 도 로 분 리 하 여 유 출 이 가 능 하 게 하 여

매립토량의 개량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중 계 펌 프 방 법

육 상 부 또는 해 상 부 에 설 치된 중 계 펌 프 로 가압하 는 방 법 으 로 준 설 토 의 배송거리 가

준설선의 적정 배송거리보다 먼 경우 거리 극복을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12000 HP 급 대 형 준 설 선 에 3000 ~ 4000 급 중 계 펌 프 로 가압할 시 약 15 ~

20km 의 추가거리 극복이 가능하며 5 ~ 6km 이상 거리에서 준설물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중 준 설 방 법

대 형 준 설 선 대 신 중 형 준 설 선 2 척이 소요 되 며 1 차 준 설 을 받기 위 한 Pit 를

호안 부근의 해상에 가호안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Pit 에서의 준설토 개량이 가능하며 이 때 해양오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Pit 는 가급적 깊게 하여 준설선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1235

준설토취장 Booster 매립지준설배송 가압배송

준설토취장 해상부 Pit 매립지1차준설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5: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Barge Overflowing 방 법

Barge내 투 입 된 준 설 토 사 중 세 립 분 을 Barge가 넘 칠 때 유 출 되 도 록 하 여

입도개량이 가능한 공법으로 작은 Barge일수록 효과가 양호하며 개량방법으로 효과가

양호하지만 월류된 세립토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준설비가 고가이다

가 급 적 유 실 률 을 크 게 하 기 위 한 방 법 이 므 로 Barge나 Pit 에 서 의 유 실 률 등 을

산정하기는 매우 힘들다

싸 이 클 론 방 법

매 립 지 에 준 설 토 를 배 출 할 때 원 심 력 을 이 용 하 여 조 립 토 와 세 립 토 를 분 리 하 여

조립토만 매립하고 세립토는 별도 지정된 곳에 투기가 가능한 공법이다

싸이클론은 시 공 경험 상 분 리효과 는 양 호 하였지 만 암석 토괴 쓰레기 등 의 잡물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고 급속한 마모로 용접수리나 부품교체 등이 매우 빈번하며

토출구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싸이클론에 의 한 선별매 립 은 경험 상 소규모의 매 립 지 조 성 에 는 유 용 하겠지 만 대 규모

준설매립시에는 싸이클론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에 문제점이 많다

토 운 선 운 반 방 법

펌프선 또는 대형 그래브선을 사용하여 준설하는 방법으로 펌프선의 경우는 Barge

Overflowing 방법과 유사하여 토사유실이 많다

운반거리에 제한이 없으며 매립지 운송은 덤프 운반 또는 해상에 설치된 Pit 로부터

2 차 준설이 가능하다

덤프 운반시 매립지에서 토질확인 및 규정에 맞는 다짐을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335

호안접안

준설

준설토취장

해상 Pit 매립지준설

Barge

세립토

Barge 운송

2차준설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6: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자 항 식 호 퍼 준 설 선 방 법

대용량 호퍼를 갖는 준설선으로 준설과 토운선 역할을 겸비할 수 있어 운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준설이 가능하다

국내 준설업체 보유 준설선의 호퍼 용량은 9200에 달하며 호안까지의 접근성만

용이하게 확보된다면 대규모 매립에도 적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작 업 조 건 에 따 른 시 공 방 식 의 조 합

조건시공방법 시공방식

사토장준설구역 운반수단 가치장소 시공방법 운반수단

1

중 계 펌 프

( 부 스터 )

의 연 결 이

가 능 한

수 역

펌 프 선중 계 선 및

배 사 관- - -

2

앞바다에

버 리 는

것 이

불리 한

경우

드 래 그석

션선

드 래 그석션

수 중 가 치

장 (

포켓 )

펌 프 선 배 사 관

3토 운 선 이

토 사 장 에

저 양 정 펌

프토 운 선 -

1435

준설토취장

토운선 덤프운반 매립지양하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7: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진 입 할 수

없을 경우

4

주 로 버 켓

계 의

준 설 선

육 상

레크레머

선 또는

바 지언로

더선

벨 트콘베

배 사 관

5

육 상 스톡을

요 구 할

경우

펌 프 선 배 사 관

육 상 가 치

장 (

스톡야

드 )

버 켓 호 일

엑스 커 버

이터

크 로러콘

베어

시 프타블

콘베어 등

벨 트콘베

시 프타

블콘베

스타카

크 로러

콘베어

스 프레

더등

투기장이 있는 경우 rarr 펌프선을 이용해서 매립지에 투기( 보통6km 이내에 투기장

마련)

투기장이 없는 경우 rarr 호퍼선 이용 외해에 투기

펌프선은 수심 25m 까지 작업가능( 펌프선의 용량에 따라 달라짐)

펌프선

양정 펌프선

1535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8: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드래그 선

그래브선

버켓선

디퍼선

1635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19: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210 시공계획

시 방 서 의 파 악

공사에 대한 지시사항 수심측량 공사시공기준 및 검사 준설선단의 작업한계 확인

환경대책의 지시사항 소음 진동 수질오염 비산분진방지대책

설 계 도 의 파 악

설계도에 기재된 기준점 확인

기초 굴착부의 형상 및 치수

준설구역의 수심 및 토질확인

기초저면 계획고 확인

준설토의 성질과 토질별 수량확인

현 지 조 사

주변지역의 파랑 강우 안개 바람 등 해상자료 수집하여 검토

준설토 투기장의 수심 및 면적 거리 확인

준설구역내에 매설물 또는 위험물에 대한 조사

준설구역 사토구역 및 운반경로의 해저지형조사

부 지 주 변 의 조 사

부근 선박교통 상황

인접주민의 상황( 소음 진동 오염 분진 등으로 인한 인접주민의 반응)

주변지역의 항로나 박지 어업구역 등 확인

도로상황( 운반경로 교통량 차량높이 중량규제)

악천우시 선박대피 구역 확인

투 기 계 획

투기장 조성

- 준설구역과 투기장과의 거리를 측정 비교하고 투기장 측량 및 투기계획에 따라

그 라 브 준 설 선 을 투 입 조 성 계 획 보 고 및 승 인 된 계 획 에 준 하 며 향 후 투 기 작 업

수행시 문제점이 발생치 않고 안전항행이 이루어지도록 항로 및 투기장을 조성할

준설토 투기

1735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0: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 준 설 토 투 기 는 매 립 과 병행 하 며 매 립 토 의 정 지 작 업 을 계 획 고+ 여 성 고 에 맞추어

실시

- 매 립 토 의 정 지 가 완 료된 후 배 수 구 와 접 하 는 구 역 은 20cm 배 후 는 30cm 의

산토를 포설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함( 현장여건에 따라 반영)

안 전 관 리 계 획 및 재 해 예 방 계 획

안전관리의 목적

- 안전시공을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법규와 공사안전 기준에

적합하게 관리를 하여 항만공사 준설 및 매립에 대한 안전관리계확을 수립할 것

작업전 후 안전관리

- 해상작업원은 전원 구명의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 후 작업에 임할 것

- 준 설 작 업 전 준 설 선 및 부속선 단 의 장 비 운 전 상태 체 인 와 이 어 루 프 앵 커 및

Buoy 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착수 할 것

- 배송관의 굴곡부 조인트가 수압 파랑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 할

- 침 설 관 및 해 상 관 에 는 해 상 위 험 표 지 판 과 야 간 식 별 용 점 멸 등 을 설 치 하 여

선박이나 주변공사장비 어선등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 침설관의 설치시에는 필히 공기밸브(Air Valve) 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 준 설 작 업 시 준 설 선 단 과 의 연 락 체 계 를 원 활 히 하 여 각 종 작 업 지 시 의 처 리 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

- 준설작업중에는 타선박의 접근을 통제하고 준설구역내의 장애물 존재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신속히 제거한 후 작업을 시행할 것

- 준설작업중 배송관 토출구 주변의 접근을 금할 것

- 원 지 반 및 매 립 표 면 침 하 판 의 설 치 후 접 근금지 표 지 를 설 치 하 고 야광페인 트 로

표시하여 장비 및 인원의 접근을 금할 것

재해 대책

- 크레인 작업일 경우 풍속이 30 ms 이상시 이상유무 점검후 작업재개

- 강 풍 폭 우 등 과 같 은 악 천 후 시 에 는 작 업 을 중 시 특 히 고 소 작 업 에 서 강 풍 이

불경우 위험한 부재나 공구류가 날아가지 않도록 적재할 것

준 설 선 의 위 치 및 심 도 확 인

준설작업 위치 측량

- 준 설 구 역 에 서 육 안 식 별 이 용 이 한 육 상 에 기 준 점 측 량 을 하 여 기 준Pole 을

설치하여 작업 중 육분의에 의한 준설위치 및 수시 광파기에 의한 위치 확인하며

준설선내에 GPS 설치 작업

1835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1: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준설깊이의 확인

- 준설작업 중 또는 준설후의 깊이 측정은 기준면으로부터 수면높이를 양수표 또는

조위표로부터 구하여 수심을 확인

211 준설준비 및 굴진

여 굴

준 설 의 굴 적( 掘跡) 은 기복이 있 으 며 시 공 수 심 토 질 의 경연( 硬軟) 정 도 해 상 조 건

측량 및 운전상의 오차정도에 따라 다름

소정의 단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계 도서에 나타낸 준설심도 및 폭에 여유를 두는

것을 여굴이라함

저면여굴 두께는 06sim10m 경사면 여굴폭은 50m 정도

준설단면에서의 계획폭 계획수심 여굴두께 경사면 여굴폭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lt 준설단면gt

lt 준설공사시 저면 여굴과 여굴폭의 한계gt( 아래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시공수심에 따른 두께 (m)

1935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2: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0 ~ 55 55 ~ 90 90 ~

점성토

사질토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05

06

05

07

06

10

자갈 및

역질토사그래브 준설선 05 05 05

암 반여굴두께는 05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에 의하여 별도로 규정

여 쇄 ( 余 碎 )

쇄 암 선 으 로 암 을 파 쇄 한 후 에 계 획 수 심 까 지 준 설 하 려 면 암 파 쇄 에 서 도 여 유 있 게

파쇄되어야 하며 이를 여쇄라 함

여 쇄 는 토 질 과 시 공 방 법 에 따 라 차 이 가 있 으 나 일 반 적 으 로 다 음 표 를 적 용 하 여

준설량으로 계상

토사 및 자갈섞인 토사 여굴 + 02m

암반 여굴 + 04m

붕 괴 와 구 배

준설경사면은 토질조건을 주체로 해상조건에 대한 안정도 고려해서 표준구배를 결정

준설직후의 경사구배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자연의 안정구배가 됨

연 약 한 토 질 인 경우에 는 경사 면 의 구 배 가 너무 급하 면 경사 면 붕괴가 생기든가

원형붕괴 등 파괴에 대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

lt 토질에 따른 경사면 구배gt

토 질경사면 구배

분 류 N값 상 태

점토질토사

4 미만 연질흙 130sim150

4sim8 미만 연질 120sim130

8sim20 미만 중질 115sim120

20sim40 미만 경질 110sim115

사질토사 10 미만 연질 120sim130

10sim30 미만 중질 115sim120

2035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3: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30sim50 미만 경질 110sim115

lt 준설 공사 시 준설 비탈면의 여유 폭gt( 아래 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

토 질 선 종 수평거리 여유폭(m)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40

점토질계

토사

사토질계

토사

펌프 준설선

비키트 준설선60

암 반여굴 두께는 20m 로 함 단 이에 따르기 곤란한 경우는

시험굴착 또는 보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정함

한쪽 여유 폭은 본 표의 수치의 12 이다

lt 준설공사의 검측항목과 허용범위( 아래의 표에서 규정한 값 이내이어야 함)gt

공종검측

항목측정방법 측정밀도

측정단

위허용범위

준설

(

토사)

(

암반)

수심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의

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0

(-) 규정하지

않음

비탈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검측방법에

의함

측선간격은

10m 또는

항만어항공사

전문시방서에

의함

10cm

(+) 10

(-) 규정하지

않음

준 설 선 의 종 류

그래브 준설선

- 경량Bucket(2 급) 이토 실트 모래층의 준설

- 중량 Bucket(4~8급) 다져진 모래 경점층의 준설

- 초중량 Bucket(125 25급) 사력층 부식암 연암의 준설

2135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4: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lt 그래브 준설선 제원표( 예)gt

선 종 해상종합장비 (GRAB 준설선)

진수년월일 1991 5

총 톤 수 253 ton

선체크기 3168L135B30D

붐의길이 22m

Bucket Bucket 105 ton 6

오렌지 Bucket 5

제어로프 속도 48mmin

전회전식

기중기 능력

작업반경 91sim198m

붐사용각도 30degsim80deg

상승속도 89sim101mmin

하강속도 28sim33mmin

선회속도 16rpm

최대준설깊이 22m

직권하중 20ton

최대전격하중 746 ton

lt 준설 작업순서gt 예(1rarr2rarr3rarr4)

버켓(Bucket) 준설선

- 여 러 개 의 버 켓 을 연 결 부 착 한 버 키 트 라 인 을 선 체 에 장 치 하 고 버 켓 라 인 을

회전시켜 토사를 연속적으로 굴착하는 준설장비

자항펌프 준설선

- 자 항 펌 프 선 은 자 항 을 하 면 서 준 설 을 하 는 드 래 그 형 과 그 자 리 에 세 워 놓 고

준설을 하는 무어드 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음

비항펌프준설선

- 비항펌프준설선은 준설위치에 스퍼드를 내리고 스윙용 앵커를 고정시킨후 선단부에

캇터 가 달린 레더 를 준 설 토 사 위 에 내려 캇터 를 회전 시 켜 토 사 를 물 과 함 께

펌프로 흡인하여 배토관을 통하여 투기장에 준설토를 투기함

2235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5: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디퍼 준설선

- 단 단 한 토 질 이 나 암 반 을 파 쇄 한 후 준 설 을 하 기 위 하 여 선 단 부 에 디퍼 버 켓 을

장착한 붐을 준설위치에 내려 퍼올리는 방식으로 준설을 하는 장비

쇄암선

- 수 중 암 반 을 파 쇄 하 기 위 한 준 설 장 비 로 쇄 암 선 을 사 용 하 고 있 으 며 쇄 암 방 법 에

따라 중추식 충격식이 있고 주로 중추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중추식은 10t~40t 의 쇄암봉을 달아 자연 낙하방식으로 낙추시켜 암을 파쇄하는

방법

- 충격식은 충격해머를 암파쇄 위치에서 연속 충격방식으로 암을 파쇄하는 공법

준 설 능 력

작업일수 24일 월 적용

준설능력 f=10(N=4 이하)

lt 쇄암준설선gt lt 펌프준설선gt lt 그래브준설선gt

굴 진

굴 진 작 업 은 전 진 방 향 으 로 타 설 되 는 2 개 의 스 윙 앵 커 와 배 끝 2 개 의 스 파 드 를

교체하면서 함

펌 프 준 설 선 은 전 진 에 있 어 서 는 2 개 의 스 파 드 의 움직임으 로 소정 의 작 업 위 치 를

유지하면서 굴진 할 수 있음

굴진은 스파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임

앵 커 에 의 한 방 법 은 크 리 스 마 스 트 리 방 식 이 라 고 말 하 며 해 저 의 굴 곡 이 심 하 고

스 파 드 가 닿 지 않 을 경 우 또 는 연 암( 軟 巖) 등 으 로 스 파 드 가 관 입 되 지 않 거 나

파랑상태가심해서 스파드에 의한 작업이 곤란할 경우등에 사용함

효 율 적 인 작 업 에 는 스 윙 앵 커 의 타 체( 打 替) 간 격 과 스 윙 폭 에 따 른 준 설 구 역 의

구획할당이 중요

2 개의 스파드를 번갈아 타설하면서 선체가 전진

선 체 가 전 진 하 면 서 스윙앵 커 의 위 치 가 작 업 에 있 어 서 적당했던 방 향 에 서 빗나 가 게

되어 스윙에무리가 발생

효율 적 인 작 업 을 위 해 미 리 진 행 방 향 으 로 다른 앵 커 를 투 입 해 놓고 전 의 앵 커 와

2335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6: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바꿔서 연결

lt 펌프 준설선 마력수에 대한 스윙폭의 표준gt

펌프선 마력수 스윙폭

1000ps

2000ps

4000ps

8000ps

45sim65m

60sim80m

80sim100m

100sim120m

lt(a) 스파드 방식gt lt(b) 크리스마스 트리방식gt

유 의 사 항

준설작업에는 항해선박을 경계할 것

항 해 안 전 을 위 해 준 설 선 에 신 호 등 을 설 치 하 고 앵 커 에 부 위 를 설 치 하 여 신 호 등 과

깃발을 설치

와이어나 앵커에 토운선 앵커선 등과의 충돌사고를 주의

야간에는 작업표지 등이나 정박 등을 반드시 켜놓아야 함

2435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7: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확 인

준 설 구 역 에 대 한 준 설 확 인 은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실 작 업 위 치 가 일 치 하 는 지 시 공 된

구역의 수심 폭 비탈경사 등 설계와 같이 시공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함

구조물 전면 및 쇄암된 수심의 확인 부유토가 잔류한 준설구역에의 확인 자연매몰

이 나 하 구 항 의 유 사( 流砂) 에 대 한 확 인 과 물 량 조 사 는 감독자 와 협의 하 고 필 요 시

특별시방서의 규정에 따름

수 심 측 량

준 설 구 역 의 수 심 측 량 은 음 향 측 심 기(Echo Sounder) 를 이 용 하 고 협 소 하 거 나 얕 아

측량선의 운항이 어렵거나 부유토가 침전 또는 잔류 매몰된 연약한 지반에서는 레드

(Lead) 방법에 의하거나 병용하여야 함

수 심 도 작 성

수심측량 결과를 일정한 방안에 맞추어 수심도를 작성하여야 함

허 용 범 위

수심(+) 0

(-)특별시방서의 규정하는 바에 따름

준 설 깊 이 는 항 상 조 위 를 환 산 하 여 확 인 할 것

준설선에서 양수표가 보이지 않거나 양수표를 준설선 인근에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일정시간마다 양수표 관측자와 연락하여 조위를 확인하여야 함

준 설 깊 이의 확 인 은 음 향 측 심 기 와 DGPS 로 하 되

간 격 은 공 사 감 독 자 와 협 의 하 여 결 정

2535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8: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213 매립개요

사 전 준 비

매립 예정지의 토질 기상 해상조건을 파악

매립토사의 조달방법을 강구함

매립공법의 검토

매립호안의 설계

공유수면 매립법등에 관한 제반수속

오염에 대한 대책수립

매립토량의 산정

준 설 및 매 립

l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및 매립gt

2635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29: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lt 준설파이프 해상운송 상세도gt

펌프선에 의한 준설 매립 소요자재 및 장비 예

- 해 상 Pump Dredger 해 상 Pipe(710~900mm) Sleeve(고 무 Joint)

Pontoon(3~6m)

- 육상 습지 Dozer Back-Hoe Dump-Truck 등

해저 토사를 매립지로 운반 투입하는 방법에는

1) 펌프선으로 준설한 토사를 배사관으로 매립지로운반 직접투입하는 방법

- 펌프선에 의한 배사관 매립방식은 공사비가 저렴함으로 대규모 토목공사에 주로

이용

2) 그래브선 디퍼선 버켓선 현측적재식 펌프선등에 의하여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적재 운반하여 언로더선에 의해 투입하는 방법

- 배사관은 주선과 지선으로 배치 주선은 매립완료시까지 이동하지 않은 것 지선은

매립

진척에 맞추어 설치

토사의 실트 점토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수를 둘 것

여수의 여수토는 충분한 검토후 결정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근어장의 피해가 우려됨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오탁수 발생을 최소화시킴

lt 준설선과 준설파이프gt lt 펌프준설선의 토출구gt

매 립 후 매 립 에 따 른 기 존지 반 의 강 도 및 매 립 지 반 에 대 한 강 도 및 다짐 정 도 를

계측함( 설계다짐강도 70~95)

2735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0: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매 립 후 의 지 반 안 정 화 를 위 하 여 연 약 지 반 처 리 공 법 에 서 의 여 러 방 법 들 을 이 용 하 여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매립전후로 주변의 수질검사를 시행하여 오염여부를 확인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준설토로 준설매립을 실시하는 경우 준설토취장의 입경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여 양질의

토사를 준설할 수 있도록 토취장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불량 토 사 가 표 토 로 두껍게 형 성된 곳의 하 부 양 질 토 사 는 준 설 토 로 이 용 하 는 것 은

곤란하다

양질의 매립재료를 매립하기 위한 가호안 및 여수로 등에 대한 축제 및 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하다면 오염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립재료의 특성

준설토( 실트 점토) 준설토( 모래) 산 토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운 반 비 용 및

투기비용절감

기초 및 항로준설토를

이 용 하 므 로 사 토 장

불필요

준설토의 확보가 용이

토취장 선정으로 인한

허 가 가 상 대 적 으 로

간단함

사 업 지 구 부 근 에 서

재료

획 득 이 가 능 할 경 우

비용

절 감 및 항 로 준 설

사토장

불필요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불필요

매립토사 개량 불필

환경오염을 최소화

양호한 매립토사를

선정할 수 있음

28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1: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지 반 개 량

불필요

준설토 투기를 위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원 지 반 및 준 설 토 의

지반

개량 필요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준 설 토 투 기 를 위 한

가호안

축조가 필요

사 업 지 구 근 처 에 서

다량의

모래를 구하기 어려움

환 경 오 염 방 지 를 위 한

처리

시설필요

토취장 토사중 점토

질은 매립토로 부적

합 하 므 로 사 토 해 야

암 석 이 채 취 되 면

파쇄

기초 및 항로준설시

매립지 조성 필요

토 취 장 개 발 시

미원제기

항로 준설량을 단지부에

매립함

부 근 에 서 준 설 가 능 한

모래

량만큼 매립함

총 매 립 량 중

준설매립량

을 제외한 양 만큼을

토로 매립함

미국 공병대(USAE) 에서 추천한 제방의 성토재료

재 료 투수계수 USCS( 통일분류법)

불투수성

재료

30cmyr ① 점토질 흙을 포함한 불투수성 재료(CH or CL)

② 점 토 질 모 래 또 는

점토질 자갈(SC or GC)

2935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2: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③ 고소성 실트(MH)

④ 점토질 실트(CL-ML)

반투수성

재료

30~300cm

yr

① 실트질 흙을 포함한 반투수성 재료(ML)

② 실트질 모래 또는 실트질 자갈(SM or GM)

투수성 재료 gt300cmyr

① 점 착 력 이 없 는 모 래 와 자 갈 길 흙 을 포 함 한

투수성 재료

(SP SW GP GW)

② 200체 통과량 lt 5 미만

여러가지 흙의 대표적인 투수계수

투수계수(cm

sec)

G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섞인 자갈 25 times10-2

G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섞인 자갈 50 times10-2

GM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질 자갈 50 times10-7

GC 입도분포가 나쁜 점토질 자갈 50 times10-8

S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질 모래 50 times10-4

S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섞인 모래 50 times10-4

SM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래 25 times10-5

SM-SC 실트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실트 섞인 모레 10 times10-6

SC 점토질 모래 입도 분포가 나쁜 점토 썩인 모래 25 times10-7

ML 무기질 실트와 점토질 실트 50 times10-6

ML-CL 실트와 점토가 섞인 혼합물 25 times10-7

CL 소성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무기절 점토 50 times10-8

CH 소성도가 높은 무기질 점토 50 times10-8

비 교 Civil Engineering reference Manual (MR Lindeburg)

3035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3: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최 적 변 화 비 에 의 한 준 설 물 량 산 정

체적 변화비는 반드시 실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침강- 자중 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지반공학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합리적이나 반드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요구되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매립설계토량 ( )=

유 보 율 개 념 에 근 거 한 준 설 물 량 산 정

현 장 에 서 펌 프 준 설 매 립 시 유 보 율 은 퇴 적 토 사 의 입 경 여 수 토 의 위 치 높 이

배출구로부터의

거리 매 립 면 적 매 립 고 시 공 방 법 등 에 따 라 많은 차이 가 있거나 불합 리 한 점 이

많으며

지반공학 이론에 입각한 토질실험적 방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합리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준설 매립 시공 물량( 준설물량)( )=

건설부 품셈에 근거한 토질별 유보율 범위

토질별 유보율 비고

점토 및 점토질

실트lt70

유실율 준설된 토사가 부유되어 계획된

매 립 지 외 부 로 일 부 가 유 출 되 는

량을 의미

유보율 준설된 토사가 계획된 매립지에

퇴적된 준설 물량을 의미

모래질 및 모래질

실트70 ~ 95

자 갈 95 ~ 100

토질별 유보율 ( 한국지반공학회 1999)

3135

준설매립시공물량(준설물량)체적변화비

매립 설계 토량()(1-건조 수축율)times(1-자체 침하율)

유보율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4: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토 질 유보율() 유실율()

점토 및 점토질 실트 70 이하 30

모래질 실트 70 ~ 95 (평균 825) 5 ~ 30 ( 평균 175)

자 갈 95 ~ 100 ( 평균 975) 0 ~ 10 ( 평균 25)

준설 토질의 입경별 유실률

입경 범위 (mm) 유 실 률 () 비 고

12 이상 없음

12 ~ 06 5 ~ 8

06 ~ 03 10 ~ 15

03 ~ 015 20 ~ 27

015 ~ 0075 30 ~ 35

0075이하 30 ~ 100

국내 준설물량 산정 시공사례

지 역 유 실 률 () 비 고

월 미 도 없음

제 2 선 거 5 ~ 8

송 현 동 10 ~ 15

소한동1 23 공구 20 ~ 27

방 사 제 30 ~ 35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자 연 건 조 방 식

토제를 소분할하여 준설초기나 종료시 철저한 배수관리가 이루어질 경우와 많은 소요공기가

주어질 때만이 가능한 공법이다

준설토의 증발로 인한 고결 최대두께

제안자 추천한 최대두께 특기사항

3235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5: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m)

Johnson (1997) 10 적용할 수 없음

Brown Thompson 03증 발 이 나 배 수 관 리 가 이 루 어 질 때

값임

drsquo Angremond 10 2 년 이상 소요 예상됨

US Army Engineer

District

(1974)

03

일 시 적 으 로 1 차 준 설 과 2 차

준 설 이 병행 되 고 시 험 실 에 서 재 현된

값임

Bishop Vaughn

(1972)01 다소 불합리한 고결 두께임

Sand Spreading 방 법

준 설 토 매 립 지 내 에 준 설 스 프 레 딩 파 이 프 를 설 치 하 여 일 정 한 두 께 의 모 래 층 을

형성시키므로 전단강도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자 연 건 조 방식을 택 하 면 많은 공 기소요 가 예 상 되 는 반 면 에 준 설 토 표 면 부 에 입 도 가

좋은 모래 를 사 용 하 여 배 수 층 을 형 성 하 면 하 향 침 투 가 발생하 여 유효응력 의 증가 로

이어지고

건설기계의 주행성이 확보되어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데 보다 더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TM(Progressive Trench Method)

초연약지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지시키는 공법으로 표층에 체계적인 트렌치망을

형 성 하 여 표 면 에 건 조 층 을 형 성 하 고 트 렌 치 의 깊 이 와 간 격 을 조 절 하 여 건 조 층 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이다

해 사 나 육 상 토 를 사 용 하 지 않 고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을 시 행 하 고 매 립 된

초 연 약 지 반 상 을 중 장 비 가 작 업 할 수 있 는 수 준 으 로 최 단 기간내에 최소의 공 사 비 로

표층을 건조처리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공법이며

대규모 준설매립 공사나 기타고함수비의 초연약지반의 표층건조처리에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자연건조방식과 PTM 공법의 비교

구 분 자연건조방식 적용 PTM 공법 적용

공법 개요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여

표 층 을 자 연 건 조 상 태 로

방치하는 방법

해 성 점 토 만 으 로 준 설 매 립 하 고 표 층 에

Progressive Trench 를 시 공 하 여 표 면

건조층 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3335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6: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활용범위

적용가능성

항 로 준 설 시 발 생 하 는

해 성 점 토 의 투 기 장 으 로

이 용 시 에 적 용 되 는 방 법 으 로

공 사 기 간 이 충 분 한 경 우 에

적용가능

현 장 주 변 에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렵 고

공기가 촉박한 경우에 적용

공사 기간 장기간 소요 비교적 단기간 소요

공사비 저가의공사비 소요 비교적 저가의 공사비 소요

기타

공 사 비 는 저 렴 하 나

준 설 매 립 지 반 의 안 정 을

위 해 서 는 장 기 간 의 시 간 이

필요

해 사 의 구 득 이 어 려 운 현 장 에 서

비 교 적 단 기 간 의 공 기 로 매 립 지 반 을

안정화시킬 수 공법

화 학 적 처 리 공 법

준 설 토 상 부 에 염 분 을 갖 는 해 수 가 존 재 할 경 우 에 CaO( 또 는 Quicklime) 와

Calcium Carbide(CaC2) 의 첨 가 에 의 한 체 적 감 소 및 전 단 강 도 를 증 가 시 키 거 나

준설토를 인위적으로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택할 경우 현장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극복해야 할 사항이다

열 처 리 방 법

준설토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직경 20cm 의 시추공내에 46 의 온도를

10 일 동안 유지한다면 준설토의 함수비와 압축성을 감소시키고 게다가 전단강도와

투 수 성 을 증가 시 킬 수 있 는 방 법 으 로 써 고 도 의 기 술 을 요 하 는 공 법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준설토의 초기전단강도가 이 공법을 채택할 경우 10 ~ 20 배 이상

증가 되 고 표 층 15cm 정 도 의 고 결효과 를 기 대 할 수 있다는 적 용 사례가 보고 되 고

있다

3435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7: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준 설 토 의 배 수 방 법 에 따 른 장 점 및 단 점

공 법 장 점 단 점

중력배수

1 저렴한 공사비

2 준 설 지 역 의 사 질 토 또 는

자연건

조상태의 투수지반에서 활용

3 다짐공법과 병행사용 가능

4 준설토의 필터재 역할

5 표면건조 및 식생과 병행가능

1 투 수 층 재 료 확 보 문 제

발생 가능

2 하 부 투 수 층 설 치 에 따 른

투기장

용적 감소 효과

3 효 율 적 인 집 수 관 배 치 가

필요

침투압밀

1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

2 중력배수에 비하여 준설매립층

내 의 유 효 응 력 이 2 배 증 가 를

기대

3 준 설 토 가 수 중 상 태 에 서

압밀촉진

1 하부 배수층 설치요구

2 담수를 위한 높은 제방고

3 표면건조 및 식생이 제한

4 파 도 에 의 한 제 방 침 식 이

우려되고

문제발생

진공배수

1 준 설 매 립 층 내 의 높 은

유효응력에

의한 압밀촉진이 기대

2 타 공법과 병행실시 가능

1 고가의 관리 비용이 요구

2 진 공 누 출 에 의 한 문 제 가

발생할

가능성

3535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8: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3 참 고 사 항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 탁 수 발 생

해사준설로 인한 오탁수 발생으로 인한 인근어장의 피해 우려

- 오탁방지막 이용

- 매립지역에 Pond 를 형성하여 침전조로 활용 rarr 오탁수 발생 최소화

준 설 선 의 모 터 파 손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N 치가 약간 높은 지역을 무리하게 준설하는 경우

펌프준설선으로 준설시 예상치 못한 암이 나타나는 경우

- 유압식 펌 프 의 경우는 무 리 하 게 작 업 을 하 면 모터가 파손되므로 토 질 에 따 라

무리한 작업금지

- 전력식 펌프는 무리한 작업을 하게 되면 전력이 끊어지므로 펌프의 파손을 막을

수 있음

lt 파손된 펌프gt

준 설 파 이 프 의 이 동

준설파이프는 해상관 침설관 육상관으로 구분됨

침 설 관 과 육 상 관 은 고 정 되 어 있 으 므 로 지 정 된 경 로 를 벗 어 나 이 동 하 는 경 우 가

없지 만 해 상 관 의 경우는 부 함 위 에 놓여 있 어 해 상 에 부 유 되 어 있 으므로 해 상 조 건 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 함

- 펌 프 준 설 선 옆 에 앵 커 를 들 어 올 려 위 치 를 바 꾸 어 주 는 앵 커 보 트 를 이 용 해

준설파이프를 밀어서 위치를 확보하기도 함

3635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39: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악 천 후( 폭 풍 주 의 보 폭 풍 경 보 태 풍) 로 인 한

준 설 선 피 항 시

준설선 선미의 해상관을 본선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 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 동 시 킴( 조 류 와 풍 향 을 측 면 에 서 받 지

않도록 조치)

준설선의 양현 Swing 앵커를 양묘선으로 회수하여 앵커 거치대에 올리고 Spud 를

올림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피항지로 이동

유 의 사 항

침 설 관 설 치 시 선 박 이 항 행 하 는 이 하 의 수 심 에 안 전 하 게 부 설 하 고 준 설 작 업 중

침설관의 절단 혹은 누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침설관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Y 관을 사용 2 열로 부설하여 교대로 사용

해 상 관 은 파 랑 에 의 한 파 단 및 이 상 외 력 에 의 한 연 결 곡 부 의 절 단 이 없 도 록

설 치 하 고 주 변 구 조 물( 케이슨 상 치 등) 과 의 충돌이 없도록 설 치 시 충 분 한 안 전

거리를 확보

육 상 관 은 투 기 장 까 지 가 장 단거리 에 배 치 토록 하 고 호 안 이 나 도 로 기타 지 장 물 의

통 과 시 안 전 하 게 횡단 할 수 있 도록 하 고 장 비 통 행 구 역 에 는 1m 이 상 피복두께를

유지

부 두 배 면 매 립 의 육 상 관 은 투 기 방 향 을 수 시 로 조 정 하 여 여 수 토 측 에 세 립 자 나

연니토의 침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시 배송관 의 파손 및 누출 현 상 발견시 는 즉시 작 업 을 중 단 하 고 즉각 교 체 가

가능하도록 여유분을 상시 준비

주 배송관의 설치시 부두 구조물 및 호안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최소

30m 전진하여 배치토록 함

준설 착수후 일정구간의 매립이 완료되면 불도저 및 백호등을 투입 준설토 투기와

병행하여 1 차 정지공을 시행

준설 굴착 사면구배는 12 를 사전에 형성토록 하여 향후 조류속에 의한 사면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준 설 토 정 지 작 업 을 위 한 말목 의 설 치 시 최소 30 이 상 근 입깊이 를 유 지 하 도록

하 여 말목 이 기울어 지 지 않도록 하 고 설 치간격 을 일 정 하 게(30m) 유 지 하 여 확 인 이

쉽도록 함

정지 계획고 Level 측량시 말목에 정확히 표시하고 붉은색 리본을 묶어 장비(Dozer)

기사 및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3735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0: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Dozer 를 이용한 정지 작업시 정지 계획고를 표시한 말목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정지 Level 을 수시로 확인

매 립 토 고 를 사 전 확 인 하 여 성 토 및 절 토 량 에 따 라 장 비 의 적 정 운 반거리 내에 서

정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정지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Level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를 재확인

일 정 구 간 정 지 작 업 이 완 료 되 면 매 립 표 면 침 하 판 및 경 계 말 뚝 을 설 치 하 고 주 위 에

경고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주기적으로 계측관리를 실시하여 성과를 기록

유지

정 지 작 업 은 계 획 된 순 서 에 의 해 진 행 하 며 포 장 구 간 과 비 포 장 구 간 의 경 계 는 차 후

후속공 종 의 착 수 시 터파 기 작 업 이 이 루 어 지 게 되므로 비포장 구간으 로 10m ~ 15m

이동하여 단차를(70 ) 를 완만하게 하여 정지작업을 실시

정지장비(Dozer) 의 전 후면에는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하고 관리자는

수시로 작업상태를 확인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본 공 법 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에 의 한 준 설 위 치 정 보

조위를 보정한 실시간 수심정보 GIS(Geographies Information System) 준설 지형정보

준 설 작 업 관 리 시 스 템 에 관 한 것 으 로 보 다 경 제 적 이 고 효 율 적 인 준 설 을 위 하 여

컴퓨터와 결합한 실시간(Real Time) 그라브 준설작업 관리 System

본 공 법 의 장 점

공기를 단축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킴

작업공정 관리가 쉬움

좌표계와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할 수 있음

Flow Chart

3835

공사시작공사시작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전자해도 입력측량자료 입력

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준설선과 준설방법결정

GPS 기지국 설치GPS 기지국 설치

준설순서 결정준설순서 결정

GPS 이동국 설치GPS 이동국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DAS1 DAS2 심도계 (DAS3)자이로콤파스 모니터 분배기ㅣ 설치

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계측기 활성화 및 위치확인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1: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3935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2: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신 기 술 의 범 위

준설선 위치측정 및 준설점 위치측정기술

- DGPS 를 응용 하 여 기 상 조 건 작 업 지 역 의 지 리 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 시간

정 확 한 위 치 를 측 정 하 는 DGPS 와 자 이 로콤파 스 가 결 합된 준 설 선 위 치 측 정 기 술

이에 크레인 선회각을 더하여 버켓 및 쇄암의 위치를 측정하는 준설점 위치 측정

기술임

실시간 조위를 보정한 준설수심 측정기술

- 준 설 선 크 레 인 와 이 어 드 럼 에 광 센 서 를 부 착 버 켓 또 는 쇄 암 이 승 하 강 과

동 시 에 바 켓 또 는 쇄 암 위 치 에 대 한 수 심 이 자 동 으 로 측 정 되 어 측 정 된 수 심 에

조위를 보정하여 실시간 준설수심을 측정하는 기술임

4035

피항피항

NONO

NONO

YESYES

기상상태양호기상상태양호NO

NO

버켓 및 쇄암작업버켓 및 쇄암작업

YESYES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현위치 크레인 회전각내작업 완료여부

YESYES

전체공정완료여부

전체공정완료여부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설선 유도준설선 유도

준공검사준공검사

공사종료공사종료

NONO

지적 위치 재이동지적 위치 재이동

YESYES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3: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준설작업 통합관리 기술

- 시 각 적 표 현 기 술( 전 자 해 도 GIS 툴) 을 적 용 하 여 준 설 작 업 계 획 에 서 준 공 시 까 지

실시간 준설 정보를 관련 작업자에게 제공됨과 함께 기록 보관하여 준설 작업의

정확성 효율성 경제성 구현

33 배 수 로 망 의 단 계 적 조 성 을 통 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 신기술

신공법)

공 법 소 개

Progressive Trenching Method(PTM) 를 이 용 하 는 표 층 건 조 처 리 공 법 은 초 연 약 지 반

표층의 배수와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법

표층에 체계적인 Trench 망을 형성하여 표면에 건조층(Crust) 을 형성하고 Trench 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건조층의 두께를 늘려가는 공법

본 공 법 의 장 점

소정의 지반강도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음

자연방치 상태보다 2 배 이상의 공기를 단축

Trench 성형용 장비 및 배수펌프 비용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최소의 인원

(12명) 으로 시공이 가능

Flow Chart

4135

토제시공토제시공

Trench망 형성(PTM)

Trench망 형성(PTM)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배수로형성수평배수재 설치

준설매립준설매립

지반보강매트 포설지반보강매트 포설

지반조사지반조사

준설물량 Ponding-Depth 여유고를 고려한 높이준설토의 침강시간과 유로 채널화 방지를 고려한 면적

침강특성과 상황 계측토출구와 여수토 운용

표층고화처리하여 배수로 형성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수평배수재 설치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표층 지반강도의 증가에 따른 단계별 Trench망 형성

방치기간 경과 후 고인장 Mat 포설 ( 현장여건에 따라 생략 가능 )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매립지반 특성과 침하특성 파악

잔류침하량을 고려한 복토 및 지반개량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4: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34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이 용 한 고 심 도 준 설 공 법

( 신기술)

공 법 소 개

하수차집관거 활차( 대차) 준설 공법에 사용되는 혼기젯트 펌프로 수면아래의 퇴적토를

진공 흡입식으로 준설하는 공법을 국내에 정착시켰음

하 수 처 리 사 업 소 내 의 소 화 조 와 같 이 고 심 도 의 퇴 적 토 준 설 방 법 에 혼 기 젯 트 펌 프 를

응용할 수 있는 방법

혼 기 젯 트 펌 프 의 노즐관경을 개 선 하 여 MJP내의 압력 을 상승시켜 고 심 도 의 퇴적 토

준설이 가능

강 제 탈 수 로 준 설 토 의 함 수 비 를 줄 여 임 시 야 적 시 발 생 되 는 침 출 수 에 의 한 2 차

환경오염을 방지

준 설 토 의 함 수 비 가 15 를 유 지 하므로 임시 야 적 장 에 서 의 자 연 건 조 시간 단축으 로

공사기간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준설 즉시 매립지로 반출이 가능

7m 이상의 퇴적토 준설에 효과적이며 작업시 발생되는 2 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고 심 도 퇴 적 물 준 설 방 법

장비 및 시설물

장비명 용 도 비 고

A 크레인차량 ldquoFrdquo 지지 및 장비운반

B 엔진(150HP) ldquoCrdquo 젯트펌프 구동용 엔진

C 젯트 펌프 고압수 발생용(130kg)

D 덤프트럭 강제탈수장치 운반 및 야적

4235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5: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E 강제 탈수 장치 준설토 수집 및 수분탈수E1 상부 여과층

E2 하부 여과층

F 유체유송rdquo Vrdquo 타입퇴적토 준설 및 탈수장치

압력유지흡입작용

G 유체유송rdquo Grdquo 타입 강제 탈수용 진공작업

H1

H2고압호스

rdquoV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rdquoGrdquo타입에 고압수 공급

I1

I2

I3

I4

토출호스

퇴적토 이송

자연배수

탈수수분이송

고압수 및 탈수 수분 배수

진공에 의한

강제탈수

J 소화조 또는 침사지

K 하수관로

Flow Chart

4335

고압호스연결고압호스연결

토출호스연결토출호스연결

배 수배 수

탈 수탈 수

젯트펌프 (C) 유체유송 ldquo Vrdquo 타입 (F) 및 ldquo Grdquo 타입 (G) 에 고압호스 ( 고압수공급용 H1 H2) 를 연결

ldquoVrdquo타입 (F) 강제탈수장치 (E) 및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 (G) 에 토출호스 (I1I2 I3 I4) 를 연결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을 준설장소 (J) 에 크레인으로 지지하고 젯트펌프 (C) 를 가동하면 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수는 H1 을 통하여 유체유송 rdquo Vrdquo타입 (F)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퇴적토를 흡입 준설함

준설토는 토출호스 (I1) 을 통하여 강제탈수장치 (E) 로 이송되며 이때 이송된 수분은 하부여과층 (E2) 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며 만수시 상부여과층 (E1) 을 통하여 자연배수 시킴

복토 및 지반개량복토 및 지반개량

강제 탈수장치 (E) 에 준설토 및 수분이 채워지면 젯트펌프(C) 의 고압수를 H1 에서 H2 로 바꾸어 유체유송 ldquo Grdquo타입(G) 으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ldquo Grdquo 타입 (G) 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하부여과층 (E2) 에 있는 수분을 강제 탈수함

강제탈수후 토출호스 (I1 I2 I3) 를 제거후 덤프트럭 (D) 을 이용하여 야적장에 준설토를 야적시킴

준 설준 설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6: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Check List

N

o

검토항목 점검기준 양호 불

비고

준설공사 시공계획서

1 과업의 개요 및 범위는 적합한가

2

기초자료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기상

해상

3현장조사 계획은 적절한가

수심측량조사

4 시공장비 구성은 적절한가

5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은 적절한가

6 준설토 투기계획은 적절한가

7 안전관리계획은 적절한가

8 환경영향 저감대책은 적절한가

4435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7: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9 작업의 통제계획은 적절한가

1

0

세 부 공 정 표 는 적 절 하 게

작성되었는가

1

1

재 해 예 방 대 책 은 수 립 되 었 는 가 (

악천후로 인한 준설선 피항시)

준 설 선 선 미 의 해 상 관 을 본 선 과

분리시켜 앵커를 설치했는가

분 리 시 킨 해 상 관 의 부 함 과

해 상 관 이 조 류 및 파 도 에 밀리 지

않 도 록 해 상 관 계 류 앵 커 를

견 고 하 게 고 정 시 키 거 나 혹 은

이동시켰는가

준 설 선 의 양 현 Swing 앵 커 를

양 묘 선 으 로 회 수 하 여 앵 커

거 치 대 에 올 리 고 Spud 를

올렸는가

사전조사

1

풍 향 풍 속 등 준 설 작 업 에 영 향 을

줄 수 있 는 일 기 예 보 를 관 리 하 고

있는가

2

시 공 전 에 파 고 특 성 예 측 시 공 중

파 랑 예 보 청 취 등 해 상 조 사 를

실시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4 절

3지 형 및 지 리 적 여 건 을

조사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4 수심측량조사를 실시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1 절

5 투기장 조사는 실시하였는가

준설선선정 및 선단구성

1 토질조건을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2

장3 절

2준 설 기 간 및 준 설 토 량 을

감안하였는가

3 기 상 해 상 및 지 리 적 여 건 을 항만공사표

4535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8: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감안하였는가준시방서2

장4 절

4 준설심도를 고려하였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1 절

5사 토 방 법 과 투 기 장 여 건 은

감안하였는가

6준 설 선 과 부 속 설 비 확 보 의 어 려 움 은

없는가

7대 체 시 설 및 수 리 시 설 은

확보하였는가

시공 플랜트

1 시공플랜트의 규모는 적절한가

2 투입장비는 승인을 받았는가

3 해 상 및 항 행 규 칙 의 제 반 사 항 을

이행하는가

4 운행장비에 경고등은 설치하였는가

5 장 비 고 장 시 대 비 하 여 예 비 품 을

구비하였는가

준설시공

1준설위치는 작업중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2준 설 시 기 는 감 리 자 와 협 의 하 여

시행하는가 ( 매몰 및 사면 붕괴)

3준 설 구 역 밖 의 구 간 에 서 준 설 하 고

있지 않은가

4

최 종 터 파 기 시 준 설 사 면 의 안 정 을

확 인 하 여 계 속 시 행 여 부 를

결정하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3

장2 절

5기 초 준 설 구 간 내 의 부 유 토( 잔 류 토) 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처리하는가

6준 설 구 역 바닥에 매몰토 사 가 잔류 하 고

있지는 않은가

7 심도초과준설은 하지 않는가

8 비 탈 경 사 는 설 계 도 면 과 근 사 하 게 설계도면

4635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49: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시공하고 있는가

준설토 투기

1준 설 토 및 굴 착 토 는 지 정 된

투기장으로 반출하는가

2운 반 도 중 누 출 이 없 도 록

주의하는가

3투 기 장 또 는 매 립 구 역 내 쓰 레 기 는

제거하였는가

4제 체 내 부 좌 우 투 기 토 고 저 차 가

되도록 투기하는가

5호 안 의 안 정 에 문 제 가 없 는 지

수시로 확인하고 있는가

여수토 시공

1여 수 토 설 치 위 치 는 설 계 도 면 과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2여 수 토 위 치 변 경 이 필 요 시

감리단과 협의하는가

3 여수토의 규모는 적절한가

4여 수 토 기 능 저 하 가 없 도 록 수 시 로

유지보수하는가

5

여수토를 통해 혼탁수 및 오탁수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항만공사표

준시방서12

준설구역 위치 검사

1

준설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는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2부 표 설 치 위 치 는 준 설 범 위

이내인가

항만어항공

사전문시방

서5 장

3

준설선내에서 준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였는가

준설완료검측

1 수심측량방법은 적절한가 음파탐사법

2 검 사 결 과 사 주 나 돌 출 부 기 타

소 요 심 도 미 달 이 나 타 나 지 는

4735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
Page 50: 05준설및매립

준설 및 매립공

않는가

3준 설 위 치 는 설 계 도 면 상 의 위 치 와

일치하는가

설계도면

4준 설 구 역 의 수 심 폭 비 탈 경 사 는

설계도면과 같이 시공되었는가

설계도면

5매 몰 량 이 있 을 시 이 를

제거하였는가

6측 량 선 의 진 입 이 어 려 운 구 간 은

타 측정방법을 강구하였는가

7수 심 측 량 시 측 량 선 의 항 적 을

측량하고 있는가

8수 심 측 량 은 시 각 별로 신 호 에 따 라

시행하고 있는가

9 측심기록은 조위 보정을 하였는가

1

0

수 심 측 량 의 축 척 과 간 격 은

적절한가

1

1측심정도는 적절한가

d= 수심(cm)

1

2수심도는 적절하게 작성되었는가

1

3시공정도는 허용범위이내인가

바닥

외측2m

내측03m

여수토 설치완료 검측

1 여수토 설치위치는 적절한가

2 여수토 규모는 적절한가

3 혼탁수 월류방지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 유지관리 대책은 수립되었는가

4835

  • 1 개요 및 특징
  • 2 시공
    • 21 Flow Chart
    • 22 심천측량
    • 23 토질조사
    • 24 수질조사
    • 25 저질조사
    • 26 탐사
    • 27 오염방지대책
    • 28 작업선의 선정
    • 29 시공방법의 선정
    • 210 시공계획
    • 211 준설준비 및 굴진
    • 212 준설수심확인 및 측량
    • 213 매립개요
    • 214 양질의 준설토 매립
    • 215 준설토의 물량 산정 방법
    • 216 준설토의 표층처리 방법
      • 3 참고사항
        • 31 문제점 및 해결방안
        • 32 전자계측 장치와 GIS (신기술신공법)
        • 33 배수로망의 단계적 조성을 통한 초연약지반의 표층자연건조처리 공법 (신기술신공법)
        • 34 혼기젯트 펌프를 이용한 고심도 준설공법 (신기술)
          • Check List
            •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