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154 제1편 삶의 터전 1. 식물상과 식생 1) 지형 금산군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을 살펴 보기 위해서는 우선 금산군의 지형을 언 급해야 한다. 자연식생은 대부분 인위 적인 교란이 적은 산지나 하천변 지역에 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금산군의 평균 해발고도는 약 250m로 충남의 평균 해 발고도보다 2.5배나 높아, 금산은 충남 에서 산악지역이 가장 많은 군이라고 할 수 있다. 금산군의 동쪽으로는 금산군 에서 가장 높은 추부면의 서대산(904m) 이 위치하고 있고, 그밖에 제원면의 천 앙산(502m)과 국사봉(667m), 부리면의 성주산(624m)과 양각산(568.3m)이 위 치하고 있어 충북과 경계를 이루고 있 다. 서쪽으로는 남이면의 서대봉(759m), 진산면의 오대산(569m)과 대둔산(878m) 이 전북 완주군과 충남 논산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쪽으로는 부리면의 기봉 (537m)과 갈선산(456m), 수로봉(505m), 남일면의 덕기봉과 갈미봉(495m), 선봉 등이 전북 무주군, 진안군과 경계를 이루고, 북쪽으로는 복수면의 안평산(470m), 추부면의 만인산(537m), 지봉산(464m) 등이 대전광역시 그리고 충북 옥천군과 경 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산의 능선을 사이에 두고 금산분지에 밖으로 통하는 길 목에는 크고 작은 고개들이 무수히 많다. 제6절 식물상 <그림 36> 금산군 주변의 산지 서대산 천태산 715m 904m 제1권 생명의 고향 미래의 땅

1) 지형 - geumsan.go.kr108종류였으며, 단자엽식물아강은 9과 46속 60종 13변종으로 총 73종류(전체의 18.2%)였다. 1991년 조사된 서대산의 소산식물목록(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54제

    1편 삶

    의 터

    1. 식물상과 식생

    1) 지형

    금산군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을 살펴

    보기 위해서는 우선 금산군의 지형을 언

    급해야 한다. 자연식생은 대부분 인위

    적인 교란이 적은 산지나 하천변 지역에

    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금산군의 평균

    해발고도는 약 250m로 충남의 평균 해

    발고도보다 2.5배나 높아, 금산은 충남

    에서 산악지역이 가장 많은 군이라고 할

    수 있다. 금산군의 동쪽으로는 금산군

    에서 가장 높은 추부면의 서대산(904m)

    이 위치하고 있고, 그밖에 제원면의 천

    앙산(502m)과 국사봉(667m), 부리면의

    성주산(624m)과 양각산(568.3m)이 위

    치하고 있어 충북과 경계를 이루고 있

    다. 서쪽으로는 남이면의 서대봉(759m), 진산면의 오대산(569m)과 대둔산(878m)

    이 전북 완주군과 충남 논산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쪽으로는 부리면의 기봉

    (537m)과 갈선산(456m), 수로봉(505m), 남일면의 덕기봉과 갈미봉(495m), 선봉

    등이 전북 무주군, 진안군과 경계를 이루고, 북쪽으로는 복수면의 안평산(470m),

    추부면의 만인산(537m), 지봉산(464m) 등이 대전광역시 그리고 충북 옥천군과 경

    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산의 능선을 사이에 두고 금산분지에 밖으로 통하는 길

    목에는 크고 작은 고개들이 무수히 많다.

    제6절 식물상

    금산군 주변의 산지

    충청

    충서대산

    천태산

    715m

    904m청

    도 금 산 군

    제1권 생명의 고향 미래의 땅

  • 제1장

    자연

    환경

    155

    하천으로 통하는 길목으로는 옥천으로 가는 서화천, 영동으로 가는 천내리의 천

    내강, 서대전으로 흐르는 유등천, 논산시로 통하는 벌곡천, 남이면 건천리를 지나

    완주군으로 흐르는 장산천이 금산군의 5대 하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중 금강 지류

    를 형성하고 있는 천내강은 수량이 풍부하여 가히 금강의 젖줄이라 일컬을 만하며,

    오늘날 금산지역에 발달해 있는 분지들은 거의가 천내강이 합류하는 봉황천을 끼

    고 형성된 것들이다. 천내강의 가장 큰 지류인 봉황천은 총 길이 45㎞로써 그 유역

    에는 제원면, 군북면, 금성면, 남일면, 남이면, 금산읍이 포함되어 있고, 나뭇가지

    모양으로 여러개의 지류가 뻗어 광대한 침식분지를 형성, 금산의 3대 곡창지대인

    제원분지와 금성분지를 이루고 있다.

    2) 식물상

    조사지역인 금산군은 한국의 자연식생역 중 냉온대 삼림대 남부에 해당되며, 낙

    엽활엽수림이 특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산지역은 한반도 식물상에 근거

    한 지역구분에 의하면 남부아구의 북부지역에 속한다(이 와 임, 1978).

    금산군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서대산은 금산군의 북부에 위치하며, 정상을 중심

    으로 북동에서 남서로 가파른 능선이 길게 연결되어 북으로는 재말재에, 남서로는

    민재에 다다른다. 주능선의 동쪽으로는 상곡천이 흐르고, 정상과 연결되는 깊은 계

    곡들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곡계곡 저지대에는 사찰 공사와 조경수 식재로 산림

    이 일부 훼손되었다. 정상의 서사면에는 마을과 사찰이 위치해 있으며, 그 위쪽 개

    덕사에서 시작되는 작은 계곡은 가파른 편이나 등산로가 잘 발달되어 있다. 북쪽의

    금천동에서 시작되는 계곡은 깊고 수림이 울창하며, 북서쪽의 성덕리에서 시작되

    는 코스는 유원지를 따라 등산로가 정상까지 발달되어 있다. 남쪽의 안보광리에서

    시작되는 사면은 경사가 심하다.

    3) 식물구계 지리학적 위치

    식물 구계상으로 금산은 한국 및 남일본구계구의 중간지역에 위치한다. 한국 및

    남일본구계구는 기온차에 의하여 난대, 온대 및 한대(고산대)로 대별되며, 식생은

    지역에 따라 상록활엽교목대, 낙엽교목대, 침엽교목대, 관목대, 초원대로 구분되

    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할 때 한국에는 3대 자연식생역, 즉 난온

    대 삼림대, 냉온대 삼림대(남부, 중부, 북부) 및 아고산대 삼림대가 나타나는데, 금

    산군 지역은 이중 냉온대 삼림대 남부(Cool temperate forest, south zone)에 해당

  • 156제

    1편 삶

    의 터

    되며 낙엽활엽수림이 특징적으로 형성된다(강 등, 1988; Yim and Kira, 1975).

    한반도 식물상의 지역구분은 Nakai(1919, 1935)에 의해 5구역의 식물구로 구분

    된 바 있으며, 오(1977)는 지역별 식물상 자료를 근거로 식물의 분포유형을 7가지

    로 제안하였다. 또한 이와 임(1978)은 이들의 구계를 다소 수정하여 식생분포를 구

    분할 수 있는 표징종을 근거로 8개의 아구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견해에 의거할 때,

    본 금산군 지역은 남부아구의 북부지역(이 와 임, 1978)에 해당된다.

    4) 서대산의 일반 식물상

    지금까지 밝혀진 서대산의 소산식물의 종 수는 94과 257속 334종 1아종 58변종

    9품종으로 총 402종류로 나타났다. 이를 분류군별로 정리하면 석송강이 1과 1속 2

    종, 속새강이 1과 1속 1종, 고사리강이 7과 10속 12종 2변종, 나자식물강이 3과 4

    속 5종이었으며, 피자식물강 중 쌍자엽식물아강이 73과 195속 254종 1아종 43변

    종 9품종으로 총 307종류(전체의 76.4%), 그 중 이판화군이 50과 116속 168종 1아

    종 22변종 8품종으로 총 199종류, 합판화군이 23과 79속 86종 21변종 1품종으로 총

    108종류였으며, 단자엽식물아강은 9과 46속 60종 13변종으로 총 73종류(전체의

    18.2%)였다.

    1991년 조사된 서대산의 소산식물목록(나, 1991) 중 2002년 조사에서 새로이 생

    육이 확인된 종류는 고사리삼과(고사리삼), 넉줄고사리과(넉줄고사리), 면마과(만

    주우드풀, 비늘고사리, 참새발고사리, 새발고사리, 가는잎개고사리), 버드나무과

    (능수버들, 눈갯버들), 자작나무과(참개암나무), 마디풀과(개대황, 참소리쟁이, 닭

    의덩굴, 큰개여뀌), 비름과(털비름), 석류풀과(석류풀), 석죽과(개미자리, 대나물,

    덩굴별꽃, 털장구채, 끈끈이대나물), 미나리아재비과(큰꽃으아리, 외대으아리, 노

    루귀, 꿩의바람꽃, 연잎꿩의다리, 흰그늘돌쩌귀), 방기과(새모래덩굴), 현호색과

    (금낭화, 왜현호색, 산괴불주머니), 십자화과(유채, 개갓냉이, 속속이풀, 재쑥), 돌

    나물과(난장이바위솔), 범의귀과(물참대), 장미과(죽단화, 딱지꽃, 산짚신나물, 개

    살구, 복사나무, 올벚나무, 털개벚, 이스라지, 팥배나무), 콩과(땅비수리, 둥근매듭

    풀, 얼치기완두, 광릉갈퀴, 붉은토끼풀, 선토끼풀), 괭이밥과(큰괭이밥, 선괭이밥),

    원지과(애기풀), 대극과(사람주나무, 개감수), 감탕나무과(대팻집나무), 노박덩굴

    과(버들회나무, 좁은잎참빗살나무, 좀참빗살나무), 제비꽃과(잔털제비꽃, 고깔제

    비꽃, 금강제비꽃, 알록제비꽃), 두릅나무과(오갈피), 산형과(고본, 신감채), 노루

    발과(매화노루발), 박주가리과(민백이꽃), 지치과(꽃바지, 반디지치, 참꽃마리, 덩

    굴꽃마리), 현삼과(물꽈리아재비, 주름잎, 큰꼬리풀, 선개불알풀), 꼭두서니과(큰

  • 제1장

    자연

    환경

    157

    꼭두서니, 갈퀴덩굴, 네잎갈퀴, 개갈퀴), 국화과(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과꽃, 덤불

    쑥, 한련초, 미국가막사리, 가야산은분취, 버들분취, 산비장이, 쇠채, 쇠서나물, 흰

    민들레), 벼과(쇠풀, 오리새, 호밀풀, 왕바랭이, 개억새, 도랭이피, 큰꾸러미풀, 물

    뚝새, 수강아지풀, 큰기름새, 잔디), 사초과(청사초, 흰꼬리사초, 산비늘사초, 넓은

    잎그늘사초, 참방동사니), 천남성과(천남성), 백합과(일월비비추, 윤판나물, 왕원

    추리, 용둥굴레, 산둥굴레, 민청가시덩굴), 마과(도꼬로마), 붓꽃과(금붓꽃), 난초

    과(금난초, 은대난초, 개불알꽃, 제비난)에 해당하는 123종류였다.

    서대산 지역의 소산식물 중 설악산 이북에서 생육하면서 좀처럼 발견하기 어렵

    다고 알려진 연잎꿩의다리가 상곡천과 만나는 590봉우리 북서사면 저지대 주변에

    10여개체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로써 이의 남한계선에 대한 재고와 더

    불어 남부지방 여러 곳에서의 자생지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나머지 특이

    할 만한 식물로 한국특산식물로 알려진 할미밀망, 금강제비꽃, 개나리, 고려엉겅

    퀴, 가야산은분취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대산은 북동에서 남서로 길게 연결된 긴 능선을 중심으로 북사면과 남사면의

    식생이 다소 차이가 났다. 북사면은 다소 습하고 어두운 생육환경을 유지하는 반

    면, 남사면은 주로 암석대로서 비교적 건조하고 식생이 빈약한 편이다. 따라서 연

    잎꿩의다리, 땅비수리, 금강제비꽃 등은 북사면에서 주로 관찰되고, 머위, 양지꽃,

    꽃다지 등은 남사면에서 관찰되는 특징을 보인다.

    5) 서대산 지역의 특정 식물종

    서대산 지역과 인근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특정식물종은 47종류였다.

    이들 중 5등급 종은 연잎꿩의다리, 천마 등 2종이었고, 3등급 종은 개살구, 땅비수

    리(파리채), 단풍나무, 금강제비꽃, 광릉골무꽃, 고려엉겅퀴, 가야산은분취 등 7종

    이었다. 2등급 종은 난장이바위솔, 돌양지꽃, 큰괭이밥, 노랑제비꽃, 고본, 큰앵초,

    붉은병꽃나무, 말나리, 개불알꽃 등 9종이었으며, 1등급종은 홀아비꽃대, 쥐방울덩

    굴, 개대황, 큰꽃으아리, 외대으아리, 꿩의바람꽃, 금낭화, 왜현호색, 올벚나무, 산

    돌배, 산조팝나무, 백선, 회양목, 대팻집나무, 버들회나무, 좁은잎참빗살나무, 좀

    참빗살나무, 오갈피, 정금나무, 반지지치, 덩굴꽃마리, 자난초, 올괴불나무, 초롱

    꽃, 뻐꾹채, 일월비비추, 금붓꽃, 제비난, 금난초 등 29종이었다.

    특정식물종의 조사결과는 서대산에서 전체 47종의 83.0%에 해당하는 39종이 생

    육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주변 지역에서 보다 세밀한 식물상 조사가 이루어진

    다면, 좀 더 많은 특정식물종이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158제

    1편 삶

    의 터

    6) 서대산의 식생

    금산 서대산의 현존식생은 다양한 종조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개덕사 부근(고도

    350m)으로부터 현장에서 기재한 식물은 리기다소나무, 조록싸리, 청미래덩굴, 기

    름새, 구절초, 참취, 고사리, 대사초, 오이풀, 진달래, 병꽃나무, 억새, 졸참나무,

    개미취, 그늘사초, 마타리, 조팝나무, 신갈나무, 큰가치수영, 세잎양지꽃, 개옻나

    무, 감나무, 노루오줌, 미역취, 산초나무, 쇠물푸레, 국수나무, 철쭉꽃, 개암나무,

    댕댕이덩굴, 밤나무, 꿩의다리, 산벚나무, 엉겅퀴, 비목나무, 꽃며느리밥풀, 솜나

    물, 꿀풀, 선밀나물, 땅비싸리, 뚝깔, 생강나무, 산박하, 털중나리, 각시둥굴레, 노

    루발, 수리취, 마, 솔붓꽃, 골등골나물, 새머루, 회잎나무, 담쟁이덩굴, 산딸기, 작

    살나무, 광대싸리, 아까시나무, 사방오리, 고깔제비꽃, 산거울, 청가시덩굴, 지리

    대사초, 구실사리, 노간주나무, 원추리, 새, 바위손, 선밀나물, 넉줄고사리, 물오리

    나무, 가을강아지풀, 서울제비꽃, 매화말발도리 등이다.

    고도 380m 부근 북동쪽에 암벽식생이 발달되어 있는데 산조팝나무의 빈도가 높

    고 아교목은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며 피도는 10%내외, 관목은 쇠물푸레, 노

    간주나무, 진달래이고 초본층은 새, 구실사리가 40%를 보이고, 지의류가 20% 정

    도였다. 인접군락은 소나무와 신갈나무, 졸참나무, 혼효림으로 조사되었다. 고도

    380m 지점에서부터는 상수리나무, 당단풍, 졸참나무, 참느릅나무, 가을강아지풀,

    갈참나무, 매듭풀, 잔디, 바위채송화, 좀닭의장풀, 매화말발도리, 미국가막사리,

    떡갈나무, 삽주, 정금나무, 대팻집나무, 둥굴레, 비비추, 맑은대쑥이 분포하고 신

    갈나무의 빈도가 높다. 신갈나무의 평균수고 4m, 흉고직경 3~5㎝ 정도이다.

    고도 420m에는 수고 6m 내외의 소나무가 주로 우점하고 신갈나무, 쇠물푸레,

    정금나무, 진달래 등이 자라고 있다. 토양은 자갈이 많은 담적갈색 사양토이고, 팥

    배나무, 도라지, 애기원추리, 멍석딸기, 칡, 붉나무, 난티잎개암나무, 주름조개풀,

    큰기름새, 털개억새, 원추리, 굴피나무, 산조팝나무, 서어나무, 광대싸리, 큰잎산

    꿩의다리, 길마가지나무, 참개암나무, 산박하, 신감채, 참나물, 민둥갈퀴, 계요등,

    하늘말나리, 다래, 노린재나무, 고깔제비꽃, 질경이, 담쟁이덩굴, 함박꽃나무, 대

    나물, 가는장구채, 금강제비꽃, 머루, 비목나무, 벌등골나물, 은난초, 신감채, 참빗

    살나무, 산수국, 속단, 세신, 큰애기나리, 대극, 계요등, 용둥굴레, 비목, 진범, 고

    추나무, 파리풀 등이 자라고 있다.

    570m지점으로부터 산을 오르면서 도꼬로마, 마, 개다래, 넓은잎외잎쑥, 제비쑥,

    산쑥, 산짚신나물, 홀아비꽃대, 쪽동백나무, 비짜루, 바디나물, 단풍취, 철쭉꽃이

    나 있고, 620m에는 소나무 (DBH 25cm 1주, 20cm 3주, 10cm 10주)가 모여 나고, 고

  • 제1장

    자연

    환경

    159

    로쇠나무도 몇 그루 분포한다.

    660m 북서방향인 곳에 소나무가 DBH 22~25㎝를 비롯한 중경목, 소경목이 고르

    게 사이사이에 분포하고 있다. 어린 나무들은 신갈나무가 많은 것으로 보아 소나무

    숲이 신갈나무에 의하여 교체되고 있는 천이의 과정으로 판단된다. 임상은 지리대

    사초가 우점하고 초본층 피도는 약 10%, 임상식생은 빈약하다. 은방울꽃, 분취, 미

    역줄나무가 분포하고 있다.

    680m 지점의 식물은 뚝갈, 산박하, 이고들빼기, 참나물, 산앵도나무, 태백제비

    꽃, 미역줄나무, 노랑제비꽃, 산거울, 그늘사초 등이 주로 조사되었고, 800m 주변

    은 노랑제비꽃, 다릅나무, 참취, 서어나무 등이 빈약한 생장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830m 서북사면에 천남성, 오리방풀, 더덕, 여로, 돌양지꽃이 분포하고 있고,

    840m까지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곳이 많고 산의 위쪽으로 올라 갈수록 소나무는

    적어지는데 계속적으로 혼효림을 이룬다. 활엽수:침엽수의 비율은 약 9:1정도다.

    바위는 군데군데 있지만 소규모이여서 암상 식생은 찾아볼 수 없고 바위 곳곳에

    새, 기린초, 돌양지꽃, 그늘사초 등이 바위에 나고, 바위틈에 매화말발도리가 끼여

    있다.

    산의 정상 가까이 900m에는 애기원추리, 숲개별꽃, 금강제비꽃이 드물게 나고

    생육상태도 빈약하고 왜소하다. 904m정상에는 큰뱀무, 긴산꼬리풀, 개머루, 층층

    이꽃, 기린초, 딱지꽃, 자주강아지풀, 비노리, 질경이, 개망초, 제비쑥, 망초, 쑥,

    병꽃나무, 참싸리, 억새, 버드쟁이나물, 물푸레나무, 산딸기, 돼지풀, 화살나무, 떡

    갈나무, 쇠물푸레, 조록싸리, 새, 가을강아지풀, 산짚신나물, 멍석딸기, 정상으로

    부터 산을 내려가면서 조사된 식물은 패랭이꽃, 그령, 송장풀, 고려엉겅퀴, 여로,

    고삼, 산벚나무, 며느리밑씻개, 닭의덩굴, 쉽싸리, 왕머루, 조밥나물, 마타리, 박주

    가리, 참빗살나무, 장구채, 메꽃, 으름, 어수리 물봉선, 노랑갈퀴, 나비나물, 파리

    풀, 진범, 딱총나무, 오미자, 덩굴개별꽃, 졸방제비꽃, 용수염, 꼭두서니, 참나물,

    토현삼, 주름조개풀, 황매화, 좀깨잎나무, 고광나무, 개미자리, 어수리, 까마중, 논

    뚝외풀, 박주가리과 하수호 (白), 애기천마 (서대산 당굴대), 까치깨, 향유, 쥐털이슬,

    세잎쥐손이, 바위말발도리, 산괴불주머니, 이삭여뀌, 쐐기풀, 익모초, 쐐기풀군락지

    (850m지점)가 있고, 벌깨덩굴, 퉁둥굴레, 자주솜대, 털노박덩굴, 노랑물봉선, 황고

    사리, 투구꽃, 박쥐나무, 그늘골무꽃, 비짜루, 매화노루발이 분포하고 있다.

    400m지점이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리기다소나무 식재림이 넓은 면적을 점유

    하고, 신나무, 곰의말채, 흰꽃여뀌, 닭의장풀, 나도송이풀, 환삼덩굴, 도깨비바늘,

    마, 도둑놈의갈고리, 향유, 개여뀌, 느티나무 등을 볼 수 있다.

  • 160제

    1편 삶

    의 터

    7) 서대산의 주요 식물군락

    (1)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군락구분종은 소나무(Pinus densiflora)이며, 소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서

    분포하는 상록침엽수로서 예로부터 한국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목본 중 하나이

    다. 양수로서 환경요인에 비교적 잘 적응하지만 낙엽활엽수와 혼효림을 조성하는

    경우 일조량의 요구가 많은 소나무가 경쟁에 불리하므로 천이에서 극상림을 차지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조사지역의 소나무군락은 대체적으로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의 사면 상부와

    능선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우점하는 곳이 많다. 군락구조의 특징은 상층부에

    소나무가 절대 우점하며, 굴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이 가끔 섞여나고 소나

    무의 수고는 12~16m 범위이며 식

    피율은 80~90%로 높고 흉고직경

    은 20~30㎝ 정도이지만 그보다

    크거나 작은 개체가 많아서 다양

    한 상태이다. 소나무군락의 아교

    목층은 졸참나무, 쇠물푸레, 노간

    주나무 등이 수고 약 6m이고, 관

    목층은 빈약하고 초본층의 피도는

    15~25%로 조사되었다.

    (2)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의 구분종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이며, 신갈나무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 삼림을 형성하는 수종으로서 중부지역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와 산

    악 정상부의 표징종이며 (Yim, 1997), 최대 온량지수 (WI) 46~90℃의 범위를 갖는

    다 (길 등, 1999).

    서대산의 신갈나무군락은 표고 510m~830m에 분포하며 이웃은 소나무군락이

    다. 천태산의 경우는 370m지점과 680m의 동북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마니산의 신

    갈나무군락은 460m~620m의 분포범위를 갖고 굴참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과 인

    접하고 있다. 533고지에는 산정 가까운 510m 부근에서 신갈나무군락을 찾아볼 수

    있는데 떡갈나무, 소나무와 섞여서 난다. 군락의 구조적 특징은 상층부인 교목층이

    신갈나무에 의하여 우점되어 있고, 수고는 16~19m, 흉고직경은 11~24㎝의 범위

    소나무군락 전경

  • 제1장

    자연

    환경

    161

    로 다양하다. 아교목층은 물푸레나무, 팥배나

    무, 신갈나무, 개옻나무, 쪽동백나무, 쇠물푸

    레, 까치박달, 당단풍 등이 자라고 있고, 관목

    층에는 작살나무, 쇠물푸레, 노린재나무, 개옻

    나무, 팥배나무, 당단풍, 병꽃나무, 청미래덩

    굴 등이 비교적 무성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초

    본층의 식물은 생강나무, 비목나무, 작살나무,

    둥굴레, 담쟁이덩굴, 청가시덩굴, 광대싸리,

    왕머루, 산박하, 그늘사초, 산고사리, 삽주, 단

    풍마, 고깔제비꽃 등 종류가 다양하다.

    (3) 굴참나무 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굴참나무 군락은 전북 진안군, 완주군과 접하는 남이면, 충남 논산시과 접하는

    진산면의 산록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굴참나무는 수광량이 많고 토양이 건조하

    며 토심이 얕은 남사면과 암석이 있는 곳에 발달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

    다. 본 군락의 교목층은 수고가 7~15m 이고,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피나무, 소나

    무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아교목층은 굴참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물푸레

    나무, 굴피나무, 신갈나무가, 관목층에는 굴참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노린재

    나무, 작살나무, 생강나무, 광대싸리, 조록싸리, 두릅나무 등이, 그리고 초본층에

    는 생강나무, 조록싸리, 닭의장풀, 큰기름새, 선밀나물, 우산나물, 맑은대쑥, 고사

    리, 삽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록싸리, 쪽동백나무, 생강나무가 많이 출현한다는 것은 삼림이 교란된 후 2차

    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주로 건조하거나 가파르고 토양이 얕은 곳에 분포

    되어 있으므로 현재의 상태를 방치

    하여 일반의 관심이 없게 되면 본

    군락은 지형적 극상 또는 토양적

    극상으로 진행되리라 여겨진다.

    더욱이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에 굴

    참나무의 어린 치수가 많이 나타

    나고 있으므로 후계수(successor

    tree)로서 이어지리라 생각된다.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 162제

    1편 삶

    의 터

    (4) 졸참나무 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복수면에는 대부분의 지역에 졸참나무 군락이 분포되어 있었으나, 기타의 군락

    에는 일부 지역에만 졸참나무가 분포되어 있다. 본 군락은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으로 교목층에 굴참나무와 서어나무가 혼생하는 지역도 있었다. 아교목층에

    는 당단풍, 쪽동백나무, 쇠물푸레, 졸참나무, 회나무, 음나무, 벚나무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관목층에는 작살나무, 생강나무, 조록싸리, 국수나무, 노랜재나무, 진

    달래, 구릿대 등이 많았고, 초본층에는 단풍취, 둥굴레, 지리대사초, 고사리, 생강

    나무 등이 많았다. 교목층의 높이는 14∼15m 이고, 아교목층은 7∼8m 이었다. 임

    (1997)에 의하면 졸참나무는 WI (온량지수, warmth index) 40∼122의 온도대에 분

    포한다고 하며 산악의 대부분의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 지역에 분포한다고 한다.

    따라서 이 지역에 졸참나무 군락이 형성된 것은 의심할 바가 없다.

    (5) 소나무-굴참나무 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금산군 남이면, 진산면, 부리면에는 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혼합된 삼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목층은 소나무, 굴참나무가 우점한다. 아교목층은 마가목, 떡

    갈나무, 굴참나무, 노간주나무, 관목층에는 진달래, 떡갈나무가, 초본층에는 삽주,

    새, 산거울, 노루발풀, 기름새, 억새 들의 산현빈도가 높다. 본 군락이 형성되어 있

    는 지역은 토심이 얕고 건조한 곳이 대부분이다.

    (6)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금산군 진산면과 복수면에는 비교적 넓은 지역에 걸쳐서 분포하고 있으나, 군북

    면에는 소규모의 군락이 분포하고 있을 뿐이다. 교목층의 수고는 12m 전후이고, 아

    교목층에는 졸참나무, 떡갈나무, 때죽나무 등이, 관목층에는 참싸리, 진달래, 신갈

    나무, 떡갈나무의 출현빈도가 높다. 초본층에는 산거울, 새, 억새, 고사리, 애기나

    리, 개암나무 등이 주로 생육하고 있다.

    (7)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accutissima community)

    복수면, 남이면과 진산면에는 본 군락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 군락은 마을과 인

    접한 야산에 주로 발달하고 있다. 교목층에는 소나무와 상수리나무로 구성되어 있

    고, 아교목층은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밤나무가, 관목층에는 진달래,

    졸참나무, 소나무, 상수리나무의 출현빈도가 높다. 그리고 초본층에는 고사리, 억

    162

  • 제1장

    자연

    환경

    163

    새, 산거울, 기름새, 고비, 개옻나무의 출현빈도가 높다.

    (8)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 층층나무과)

    계곡(溪谷)에서 자라는 낙엽교목(落葉喬木)으로서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

    (樹皮)는 얕게 세로로 홈이 져서 터지며, 가지는 계단상(階段狀)으로 윤생(輪生)하

    여 수평으로 퍼지고 붉은 빛이 돈다. 가지가 층층으로 퍼져있기 때문에 층층나무라

    고 한다. 잎은 호생(互生)하며 넓은 난형(卵形) 또는 타원상(橢圓狀)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漸尖頭)이며 원저(圓底)이고 길이 5∼12cm, 너비 3∼8cm로 표면은 녹색이

    며, 어릴 때 복모(伏毛)가 약간 있고 뒷면은 백색으로 잔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측맥(側脈)은 5~8쌍이며 엽병(葉柄)은 길이 3∼5cm로서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화서(花序)는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5∼12cm로서 털

    이 있거나 없고 화경(花梗)은 길이 1∼3cm 이다.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잎은

    넓은 피침형(披針形)으로서 꽃받침통과 더불어 겉에 털이 있으며, 수술대는 길이

    5mm이고 꽃밥은 정자형(丁字形)으로 달린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6∼7mm로 9월

    에 벽흑색(碧黑色)으로 익는다.

    2. 보호수 현황

    보호수란 수령 100년 이상의 노목(老木), 거목(巨木), 희귀목(稀貴木) 중 고사 및

    전설이 담긴 수목으로 특별히 보호 또는 증식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나무로, 보

    호수의 지정권자는 시, 도지사 또는 지방산림관리청장이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7조 규정에 따라서 지정하고 해제하게 되어 있다.

    층층나무 원경 층층나무의 꽃

  • 164제

    1편 삶

    의 터

    시장과 군수는 보호수의 수세를 유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호수의 지정권자는 보호수 관리인으로 소유자, 리, 동 주민 또는 인근지역의 자

    연보호단체를 지정할 수 있으며, 책임관리자는 읍, 면, 동장이 된다. 또한 보호수의

    표지판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천재지변 등으로 인한 피해로 지정 목적이 상실

    되었을 경우, 군사시설, 철도, 도로, 관개수로, 항만 등 공용 또는 공공용 시설의 용

    지로 사용하기 위해 지정해제가 불가피한 경우, 발전, 통신, 방송시설 설치를 위해

    필요한 경우 지정을 해제할 수 있다.금산군 내에 분포하는 보호수는 총 95 지소에

    119 그루에 달하며 가장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나무는 느티나무가 92개체로 전체

    의 77%를 차지하였다. 이밖에 팽나무, 버드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돌배나무, 배

    롱나무, 모과나무, 산돌배나무, 왕버들 등이 있었다[표 26].

    [표 26] 금산군 내에 분포하고 있는 노거수 목록

    No. 지정번호 지정일자 수종 본수(주)수령(년)

    수고(m)

    흉고직경(cm)

    소재지

    1 8-3-4-15 1982.11.01 팽나무 1 250 23 380 부리면 평촌리 17-32 8-3-8-23 1982.11.01 느티나무 1 250 25 280 진산면 읍내리 561-33 8-3-8-24 1982.11.01 느티나무 1 250 26 425 진산면 만악리 800-14 8-3-8-25 1982.11.01 느티나무 1 250 18 460 진산면 부암리 74-15 8-3-9-30 1992.02.15 느티나무 1 250 30 250 복수면 용진리 806 8-3-10-26 1982.11.01 팽나무 1 200 18 413 추부면 비례리 3877 8-3-1-1-494 1995.02.01 팽나무 1 150 23 100 금산읍 양지리8 8-3-5-5-26 1982.11.01 팽나무 3 150 20 370 군북면 천을리 1629 8-3-5-8-29 1982.11.01 팽나무 3 150 18 242 군북면 내부리 17210 8-3-8-1-502 1995.06.01 느티나무 1 120 12 75 진산면 묵산리 5211 8-3-7-21 1982.11.01 느티나무 2 250 30 666 남이면 대양리 99212 8-3-7-22 1982.11.01 느티나무 6 250 23 410 남이면 성곡리 18413 8-3-7-388 1982.11.01 느티나무 2 200 20 100 남이면 하금리 492-314 8-3-7-389 1982.11.01 느티나무 1 200 20 120 남이면 하금리 62-415 8-3-6-2-31 1982.11.01 느티나무 1 150 20 320 남일면 황풍리 36916 8-3-6-6-33 1982.11.01 느티나무 2 250 20 240 남일면 신정리 99217 8-3-7-6-34 1982.11.01 느티나무 1 150 20 510 남이면 흑암리 63218 8-3-7-3-35 198211.01 느티나무 1 120 18 330 남이면 건천리 119 8-3-7-1-495 1995.11.01 느티나무 1 100 20 80 남이면 하금리 385-320 8-3-7-21-501 1995.11.01 느티나무 1 150 20 120 남이면 대양리 70221 8-3-5-16 1982.11.01 느티나무 1 200 18 320 군북면 두두리 836-122 8-3-4-17 1982.11.01 느티나무 1 200 18 312 군북면 상곡리 83123 8-3-6-18 1982.11.01 느티나무 3 200 18 380 남일면 황풍리 99224 8-3-6-19 1982.11.01 느티나무 1 250 20 420 남일면 마장리 53725 8-3-6-20 1982.11.01 느티나무 3 200 18 340 남일면 상동리 71326 8-3-4-1-499 1995.06.01 느티나무 1 100 15 80 부리면 어재리 820

    164

  • 제1장

    자연

    환경

    165

    27 8-3-5-5-27 1982.11.01 느티나무 2 120 18 296 군북면 천을리 32628 8-3-5-7-28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3 466 군북면 조정리 1329 8-3-5-10-30 1982.11.01 느티나무 1 250 15 470 군북면 호티리 122-130 8-3-6-1-500 1995.06.01 느티나무 1 120 15 100 남일면 신천리 136-131 8-3-376 1995.01.01 느티나무 1 300 14 169 제원면 동곡리32 8-3-377 1985.01.01 느티나무 1 350 20 120 남이면 구석리 84633 8-3-378 1995.01.01 느티나무 1 300 34 184 복수면 목소리 12834 8-3-33 1982.11.01 느티나무 1 350 20 530 추부면 장대리 28735 8-3-34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0 390 추부면 성당리 659-136 8-3-35 1997.05.16 느티나무 1 400 20 600 추부면 추정리 335-137 8-3-4-14 1982.11.01 느티나무 1 250 23 450 부리면 평촌리 17-338 8-3-3-4-22 1982.11.01 느티나무 1 400 20 522 제원면 명곡리 78439 8-3-3-6-24 1982.11.01 느티나무 1 150 18 242 제원면 동곡리 64440 8-3-3-5-497 1995.06.01 느티나무 1 120 10 130 제원면 구억리 165-341 8-3-32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5 580 복수면 다복리 33042 8-3-3-12 1982.11.01 느티나무 1 250 20 382 제원면 금성리 313-343 8-3-2-392 1995.06.01 느티나무 1 200 23 160 복수면 구례리 59144 8-3-2-393 1995.06.01 느티나무 1 250 27 175 복수면 신대리 678 45 8-3-2-394 1995.06.01 느티나무 2 200 24 153 복수면 지량리 309-146 8-3-2-395 1995.06.01 느티나무 1 200 32 115 복수면 용진리 102-147 8-3-2-2-504 1995.11.01 느티나무 1 100 19 92 복수면 목소리 52748 8-3-2-3-505 1995.11.01 느티나무 1 100 20 96 복수면 구례리 61349 8-3-2-4-506 1995.11.01 느티나무 1 120 21 114 복수면 구례리 258-150 8-3-2-391 1995.06.01 느티나무 1 250 26 200 복수면 목소리 51151 8-3-2-11 1982.11.01 느티나무 1 200 25 566 금성면 마수리 267-152 8-3-10-27 1982.11.01 느티나무 1 250 25 450 추부면 요광리 5153 8-3-10-28 1982.11.01 느티나무 1 250 23 410 추부면 요광리 51454 8-3-10-29 1982.11.01 느티나무 1 200 25 460 추부면 요광리 58755 8-3-1-4-16 1982.11.01 느티나무 1 150 20 260 금산읍 상리 30656 8-3-2-2-18 1982.11.01 느티나무 1 120 20 302 금성면 양전리 744-157 8-3-2-1-496 1995.12.01 느티나무 1 110 25 100 금성면 화림리 81958 8-3-2-1-503 1995.06.01 느티나무 1 120 21 136 복수면 수영리 6559 8-3-10-1-507 1995.11.01 느티나무 1 150 18 160 추부면 요광리 24760 8-3-10-4-38 1982.11.01 느티나무 1 250 15 250 추부면 비례리 35261 8-6 1982.11.01 느티나무 2 540 35 940 복수면 백암리 51862 8-3-23 1982.11.01 느티나무 1 300 18 280 남일면 신정리63 8-3-25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5 542 남이면 상금리 46164 8-3-26 1982.11.01 느티나무 4 300 36 640 남이면 역평리 432-165 8-3-27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5 540 남이면 흑암리 46366 8-3-28 1982.11.01 느티나무 1 300 30 602 남이면 성곡리 76067 8-3-29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6 590 진산면 행정리 168 8-3-30 1982.11.01 느티나무 1 350 18 360 진산면 묵산리 69 8-3-31 1982.11.01 느티나무 1 320 26 520 복수면 곡남리 55870 8-3-10-1-37 1982.11.01 느티나무 1 350 16 600 추부면 마전리 287

  • 166제

    1편 삶

    의 터

    71 8-3-9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5 470 금산읍 계진리 129-272 8-3-15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5 484 금성면 화림리 61573 8-3-17 1982.11.01 느티나무 2 300 23 342 제원면 명곡리 50874 8-3-18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3 342 제원면 동곡리 75 8-3-19 1982.11.01 느티나무 1 350 20 532 제원면 길곡리 68576 8-3-20 1982.11.01 느티나무 1 350 20 402 제원면 금성리 77 8-3-21 1982.11.01 느티나무 1 300 20 328 군북면 두두리 78 8-3-22 1982.11.01 느티나무 1 400 26 820 남일면 초현리 79 8-3-4-13 1982.11.01 모과나무 1 200 9 305 부리면 현내리 11680 8-3-4-1-498 1995.06.01 돌배나무 1 100 20 60 부리면 양곡리 46781 8-7 1982.11.01 은행나무 1 800 25 650 추부면 신평리 545-182 8-3-373 1994.08.01 산돌배 1 400 20 252 군북면 보광리 83 8-3-366 1986.10.28 산돌배 1 400 14 192 진산면 묵산리 87-1384 8-3-7-3-480 1982.11.01 소나무 1 250 10 280 남이면 건천리 8785 8-3-2-9-19 1982.11.01 버드나무 1 130 23 416 금성면 의총리 107-186 8-3-5-2-25 1982.11.01 은행나무 1 200 18 276 군북면 보광리 48387 8-3-6-2-32 1982.11.01 버드나무 1 150 20 395 남일면 황풍리 36988 8-3-6-6-34 1993.06.01 배롱나무 1 150 10 30 남일면 신정리 4089 84 (천연기념물) 1962.12.03 은행나무 1 1,000 20 1,240 추부면 요광리 329-890 365 (천연기념물) 1990.08.02 은행나무 1 1,000 40 1,040 남이면 석동리 70991 8-3-16 1982.11.01 버드나무 2 300 25 582 금성면 하신리 539-192 8-3-2-390 1995.06.01 왕버들 1 200 20 130 복수면 수영리 73893 8-3-1-2-15 1982.11.01 버드나무 1 500 18 402 금산읍 신대리 30694 8-3-2-2-17 1982.11.01 버드나무 2 120 20 300 금성면 양전리 49595 8-3-2-11-21 1982.11.01 버드나무 1 100 20 362 금성면 대암리 405

    *자료 :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

    집필 : 문형태(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천연기념물 84호 천연기념물 365호

    166

  • 제1장

    자연

    환경

    167

    참 고 문 헌

    길봉섭·김영식·김창환, 2002, 『옥천, 금산지역의 식생』,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보고서.

    오병훈·최혁재, 2002, 『서대산과 인근 지역의 식물상』,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보고서.

    이우철, 1996b,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도서출판아카데미서적.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환경청, 1989, 『현존식생도』, 충청남도.

    Kim, J. U. and Y. J. Yim, 1988,『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or.J.Bot, 31(1).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 Inc.

    Phillips, E. A, 1959,『Method of vegetation study. A Holt-Dryden Book』, Patterns within species.

    Yim, Y.J, 1977,『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