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 1 -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 1 -

Page 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3

I. 경기교육의 방향 ····················································································· 3

II. 경기도 교육과정의 특성 ······································································ 7

III.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창의지성역량 ·············································· 13

Ⅵ. 경기도 교육과정 운영 ····································································· 43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 ·············· 55

I. 교육과정 편성 ․ 운영의 기저 ···························································· 57

II.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 59

III. 학교 교육과정 지원 ·········································································· 87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93

I.교과 ·········································································································· 95 1. 국어과 ································································································· 97 2. 도덕과 ······························································································ 109

3. 사회과 ······························································································ 125 4. 역사과 ······························································································ 143 5. 수학과 ······························································································ 153

6. 과학과 ······························································································ 171 7. 실과(기술․ 가정) ··········································································· 193 8. 체육과 ······························································································ 207

9. 음악과 ······························································································ 217 10. 미술과 ···························································································· 229 11. 영어과 ···························································································· 241

12. 제2외국어과 ················································································· 253 13. 한문과 ···························································································· 263 14. 정보과 ···························································································· 271

15. 진로와 직업과 ·············································································· 281 16. 보건과 ···························································································· 295 17. 환경과 녹색성장과 ······································································ 309

18. 농생명 산업 계열 전문교과 ······················································ 319 19. 공업 계열 전문교과 ·································································· 337 20. 상업 정보 계열 전문교과 ·························································· 351

II. 창의적 체험활동 ··············································································· 367

부록 ······························································································385

Page 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Page 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3 -

Ⅰ. 경기교육의 방향

1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창의지성교육

미래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기르기 위해 창의성과 역량 신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은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만연

한 학벌주의는 교육을 입시중심, 점수중심으로 흐르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학교교

육은 단편적인 지식암기 능력을 강조하고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함양을 제약하고 있다. 경기교육은 우리나라 교육현실이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와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 학생들이 미래를 살아갈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경기혁신교육’이

라는 이름으로 교육에 대한 본질적이고 체계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해왔다. 또한 경

기도뿐 아니라 한국 공교육의 전체, 그리고 보다 넓게 세계 교육을 품는 혁신 교육 운동으

로서의 경기교육을 지향해왔다.

이러한 경기혁신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패러다임이 전면적

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는 교과서 속에 담겨

있는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여 정확하게 기억할 줄 아는 사람이 아니라 기존의 지식을 바탕

으로 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인재이다. 이런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 내

용과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도가 바로 ‘창의지성교육’이다.

창의지성교육은 ‘지성교육의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 목표인 창의성을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창의성’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학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창의성이

창의지성교육의 목표가 되기 위해서는 창의성의 개념을 보다 분명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 경

기도교육청에서는 시대적 상황과 여러 학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창의성을 다음의 네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첫째, 창의성은 세계의 이치(본질이나 법칙, 혹은 의미나 맥락)를 꿰뚫어 보는 통찰력이나

상상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능력은 경험의 세계에서는 의미나 맥락, 법칙성을 발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험을 넘어서는 세계에 대해서도 그 본질을 깨닫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창의성은 독창적인 능력, 즉 의미 있고 새로운 문제발견 및 해결능력을 뜻하기도 한

다. 이는 자신의 생활 속에서 만나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 원인에 대해

깊이 탐색하고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능력으로, 자신의 삶, 사회, 세계의 발전을

위한 기획능력, 창조적 생산을 지향하는 문화적 능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셋째, 민주적 시민가치 및 덕성, 책무성, 그리고 리더십을 기르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교육과 배움 그 자체가 사회적 과정의 산물이고, 사회의 발전을 위해 시민들의 기본 자질

Page 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4 -

을 육성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리고 새롭고 독창적인 발견이 반드시 사회적으로 옳은 것

은 아닐 수도 있다. 아인슈타인의 연구 성과가 핵폭탄을 만들었고 인간 배아에 대한 연구

가 인간 존엄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등 역사적으로 새로운 연구 성과가 사회

적 가치를 훼손하는 사례는 무수히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창의성 개념

에 민주적 시민가치 및 책무성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서의 ‘지성교육’은 한마디로 비판적 사고활동을 자극

하는 교육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인류 사회의 지적 성과를 기초로 하여 ‘읽기-사고-쓰기-

발표-토론-사고 재정립’으로 이어지는 사고 훈련을 거쳐 자기의 생각을 만들어 가는 교육

방법이다.

교육의 방법으로서 비판적 사고활동을 특별히 강조하는 이유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세

계의 이치나 의미, 그리고 삶의 본질이나 맥락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경

험적 세계와 비경험적 세계 모두에 관계되는 보편적 인식을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

런 보편적 인식은 발전시키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실험의 학문, 경험의 학문이라고

알려져 있는 과학, 특히 그중에서 ‘이론물리학’이 주는 시사점을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이론

물리학의 세계에는 스티븐 호킹과 같은 천체물리학자도 있지만,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나 아인

슈타인 같은 작은 세계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물리학자도 있다. 무한대와 무한소의 세계가

연구 대상인 셈인데, 이 두 개의 세계는 실험이나 경험만으로 그 질서를 알아낼 수 없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 세계들을 과학자들이 실험도 하지 않고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 기

본적인 것은 동일한 연구 분야의 뿌리 깊은 연구 성과의 축적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정

작 중요한 것은 그 축적된 연구업적들을 뛰어넘는 새로운 발견을 가능하게 한 특별한 상상

력, 혹은 통찰력이 작동했다는 것이다. 이 통찰력을 스피노자는 ‘직관’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이 직관은 또 하나의 과학적 인식 방법으로 수많은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깊은 철학

적 사고(비판적, 분석적 사고)가 뒷받침 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창의지성교육은 인류사회의 다양한 지적 성과(고전, 현대 명저, 문화적 소양, 경험과 체험

등)를 텍스트로 하여 비판적인 사고 과정을 거쳐 자기 생각을 만들어가는 교육을 의미하며,

이렇게 형성한 지식이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 책무성, 리더십을 발휘하

는 지성인을 기르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2 경기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Page 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이러한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국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가.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라.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경기도교육청은 국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의 핵심 가치를

보다 종합적인 관점으로 체계화하고 구체화하여 다음과 같은 역량을 갖춘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민주시민’을 육성하고자 한다.

배움의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갖춘 사람

자신의 삶을 바람직하게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기관리능력을 갖춘 사람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발견하고 협력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

다양한 삶의 가치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갖춘 사람

다양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타인과 적절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

타인과 협력적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대인관계능력을 갖춘 사람

사회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다하는 민주시민의식을 갖춘 사람

3 학교의 역할

경기도교육청은 창의지성교육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민주시민을 육성하고자

한다.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교는 경기혁신교육의 기본 정신을 공유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경기혁신교육의 기본 정신은 창의성, 공공성,

역동성, 민주성, 국제성이다.

창의성은 기술, 지식, 가치를 새롭게 발견해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세상을 풍요롭고 유익하게

가꾸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학교는 창의적 인재 육성에 대한 개인적인 가치와

사회적인 가치를 동시에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공공성은 누구에게나 골고루 기회를 주고, 성공 가능성의 길을 열어주는 교육을 말한다.

모든 학생들이 공교육을 통해 차별 없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역동성은 모든 학생의 서로 다른 능력을 인정하고 자기분야에서 더 높게 성취하는 수월성

교육을 의미한다.

민주성은 공동체적 삶에서 참여와 소통을 통해 민주적 원리를 체득해야 함을 반영한

Page 1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6 -

것이다. 교육 현장의 의사 결정과 운영을 민주화하고, 학생의 인권과 교권, 그리고 학부모의

참여권을 보장하여 함께 교육하는 ‘참여협육 실현’을 추구하는 교육이다. 이를 통해 교육공동체

모두 성장하며 교육 발전에 참여할 수 있다.

국제성은 평화와 공존의 가치를 지닌 유능한 국제적 인재 육성을 염두에 둔 철학이다.

학생들이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타자와 공존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키워서 국제적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기혁신교육의 기본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학교가 제공하는 교육은 다음과 같은

요건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인류 사회가 성취한 다양한 지적 자산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세계와 삶에 대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배움의 내용이 삶과 연관되고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사람과 조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이 사회와 문화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고, 협력을 통한 집단지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풍부한 맥락과 실제적 상황이 반영된 수업을 통해 진정한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고

그 속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발휘하며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민주시민 가치를 실천하고, 평화와 공존의 가치를 수용하고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기혁신교육이 구현하고자 하는 행복한 학교는 다음과 같은 모습이어야 한다.

학생의 흥미에 기초한 배움이 일어나는 진정한 삶의 공간이 되어야 하고, 창의지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중요성을 공유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책무성과 주인의식 및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위협적이지 않

고 안전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도전을 자극하고 실패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이 삶의 과정이 되도록 해야 한다.

교육 구성원 모두가 끊임없이 소통하고 학교운영에 자율과 책임 의식을 갖고 참여하

여 교육 활동을 창의적으로 기획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민주적

인 공동의 삶의 장이 되어야 한다.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지닌 상대방과의 차이를 인정하여 이를 통합하고자 하는 의욕

과 통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작은 변화에 대해 격려하고 다양한 경험을 학습에 적극 활용하여 참여자

모두의 기여를 통해 지식이 형성되고 확장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Page 1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7 -

Ⅱ. 경기도 교육과정의 특성

1 경기도 교육과정의 특징

경기도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경기혁신교육의 지향점인 ‘창의지성

교육’ 실현을 위한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이다. 이 교육과정은 공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평화적이고 건설적인 학교 문화를 창달하여, 성찰적 지성을 통해 창의성을 키우는 학생, 스

스로 자신의 미래를 개척해가는 능력을 갖고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 소통과 협력으

로 인류 평화에 기여하는 학생을 기르는 것을 지향한다. 또한 국가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재

해석, 재구성하고 경기 교육의 기본 가치를 반영하여 경기도교육감이 제시한 것으로 지방

교육자치 기관으로서의 위상에 걸맞은 창의적인 교육과정 기획과 운영을 위한 것이다.

이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창의지성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학력의 본질에 중점을 둔 교육과정이다.

학생의 역량 계발에 중점을 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다.

교육공동체에게 진정한 배움이 일어나도록 배움중심수업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이다.

교과의 교과 내 수직적 통합과 교과 간 수평적 통합,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유기적

통합 운영을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2 경기도 교육과정의 성격

가. 교사에 의해 적극적으로 재해석 되는 교육과정1)

1)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각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각이 있다. 하나는 교육과정을 ‘고정된 것’으로 보는 것

이고, 다른 하나는 교육과정이란 ‘만들어가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교과 교육과정의 측면

1)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서명석, 2011)’에서 발췌하여 재구성하였음

Page 1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8 -

에서 보자면, 교육과정을 고정된 것으로 보는 것은 “교육과정은 곧 교과서이다.”라는 관점

과 통하고, 만들어 가는 것으로 보는 것은 “교육과정은 교실에서 실현되는 것이다.”라는

관점과 통한다.

우리나라는 그간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를 견고하게 유지해 왔다. 교육과정은

언제나 전문가들에 의해 연구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등)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하면 교사들은 교실 속에서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여 전달

하기만 하면 되었다(허숙, 2009). 이로 인해 교사는 더욱 ‘교육과정에-대하여-무관심한-교사

(curriculum-proof teacher)’로 전락하였다(서명석, 2011).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사는 주어진 교육과정을 있는 그대로 가르칠 수는 없다. 교육과정이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나 맥락에 부합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고

려해 정부도 제6차교육과정(1992~1997)에서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를추진하여, 교육과

정 편성․운영이 ‘국가 → 지역 → 학교’의 획일적, 지시적, 일방적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위학교 ⇔ 지역 ⇔ 국가’의 상호 보완적인 흐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교육과

학기술부, 2010). 특히, 제7차교육과정(1997~2009) 이후부터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강조하

여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결정권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2) 교육공동체에 의한 교육과정의 재구성․재해석

“교육과정은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본다면, 교사는 주어

진 교과 교육과정을 자신의 교실 상황에 맞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교과서는 말

그대로 텍스트일 뿐이다. 교사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교육 내용과 수준이 적

절한가를 교사의 전문적인 시각으로 판단하여 그것을 조정하거나 새로운 교재를 사용할 수

도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런 일련의 활동을 교육과정 재구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허영주

(2011)는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또는 지역수준 교육과정, 그리고

학교수준 교육과정을 자신만의 교육과정으로 구성해 가는 모든 과정을 포함하며, 일반적으

로 교수ㆍ학습지도안을 작성하고 이를 실제로 가르치는 활동을 모두 지칭한다.”고 정의하였

고, 성열관과 이민정(2009)은 “재구성은 교사가 스스로 전문성에 기초해 주어진 교육과정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교육계획 및 교과서를 재조직화, 수정, 보완, 통합하는 등

의 활동을 말한다.”고 하였다.

교육과정 재구성 유형을 김평국(2005)은 소극적 재구성과 다소 적극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소극적 수준의 재구성 유형에는 전개 순서 변경, 내용 추가, 내용 축약, 내용 생

략, 내용 대체 등을, 다소 적극적인 유형으로는 타 교과와의 통합을 들고 있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개념적 모호성과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만들

어가는 교육과정을 지지하는 학자도 있다. 서명석(2011)은 현장 교사들을 인터뷰한 결과와

Page 1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9 -

여러 학자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이는 결국 ‘교과서의 재구성’에 지

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교육과정 재구성은 주어진 교육과정을 학급 수준에서 교사가

조정과 조율의 과정을 거쳐 다시 구성하는 것, 다시 말해 ‘교육과정이란 이미 구성되어진

것’이라는 관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니 만큼 이것 역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등치시키는

말일 수 있다는 것이다.

서명석(2011)은 교육과정을 실제 수업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재해석하여 적용할 것을권장

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이미 주어진 것이 아니라 교사의 해석에 의해 그 의미가 달라지고 그

가치가 구현되는 것이며, 교사는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과 그 패키지(교과서와 교

사용 지도서), 시․도 수준의 교육과정, 지역교육청의 장학자료 등 모든 교육과정 관련 문

서들을 바탕으로 하여 교실에서 자신만의 ‘교실 수준 교육과정’ 또는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때 교육과정은 위에서 전해주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교사가 교실에서 자주적이고 능동적으로 주어진 상황과 처한 맥락에 따라 새롭게 창조하는

‘무엇’으로 자리 잡게 되며 따라서 교육과정은 ‘재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에 의해 교실

에서 ‘구현’되는 것이라는 표현이 더 맞다는 것이다.

교육과정이 현재를 발판으로 하여 학생들의 미래를 설계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지식이 고정 불변의 진리가 아니듯이 교육과정 역시 더 이상 고정되고 불변하는 것으로 보

기는 어렵다. 교사는 전문적인 시각으로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 교육 목표,

내용 체계, 성취 수준을 분석하고 국가 및 경기도교육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

법에 대해 재해석하여 자신만의 교육과정으로 실현해 갈 필요가 있다.

나. 창의지성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

경기도 교육과정은 창의지성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창의지성교육은 인류 사회의 다양한 지식기반을 텍스트로 하는 비판적 사고 활동을 통해

창의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비판적 사고를 함양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로는 다음의

네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가장 핵심적 텍스트는 인류의 지적 전통이다. 여기에는 20세기 전반기 위대한 자유

교육학자인 로버트 허친스(Robert Maynard Hutchins)가 말한 ‘세계의 명저(The Great

Books)’와 같은 문학, 역사, 철학,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고전과 현대명저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고전 동화와 철학 동화, 그리고 아이들의 다양한 지혜를 일깨워줄 수 있는 책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세대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큐멘터리와 같은 영상물도 좋은 교

육적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창의지성교육은 협소한 지식 영역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문화적 소양의 영역으로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은 다양한 예술작품과 조우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감상하고,

이것을 기초로 새롭게 자기를 표현하는 창조적 작업을 해보아야 한다. 이런 과정은 학생들

Page 1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0 -

에게 내재해 있는 다양한 잠재력을 발견해 내고 이를 보다 잘 길러낼 수 있는, 다수의

수월성 교육을 위한 방안이기도 하다.

셋째, 다양한 지적 내용을 텍스트로 한 지성교육은 경험 및 체험 활동과 결합됨으로써 보

다 현실적이고 풍부한 내용을 획득할 수 있다. 의미와 맥락이 충분히 고려된 체험 활동은

학생들의 추상적 사고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배우는 교육 내용을 자신의

삶과 연관시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네 번째 텍스트는 사회적 실천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지식 및 예술교육, 체험 교육을

하면서, 궁극적으로 그 자신이 사회적 존재이며 사회 속에서 성장하고 미래 사회를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자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사회 생활의 다양한 측면과 접

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는 배움이 교과서와 교실에만 머무르지 않음을 의

미한다. 학생들은 배운 내용을 봉사, 인턴십, 시민 활동 등 다양한 사회적 실천으로 연결해

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타인에 대한 배려심과 인권 감수성을 기를 수 있다. 무엇보

다 사회 속에서 자신의 책무성에 대한 심화된 인식을 통해 성숙된 민주시민의식을 기를 수

있다.

경기도 교육과정은 이런 텍스트들을 재료로 학생들이 읽기 - 사고 - 쓰기 - 발표 - 토론 -

사고재정립 등 일련의 비판적 활동을 통해 세계의 이치를 파악하는 통찰력, 문제발견 및

해결 능력, 문화-예술적 창조력, 그리고 시민적 품성과 리더십을 키울 수 있게 하는 교육과

정이다.

다. 참된 학력(학력의 본질)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1) 참된 학력이란?

학력(學力)에 대해서 표준국어대사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교육을 통하여 얻은

지식이나 기술 따위의 능력. 교과 내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응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능력을 이른다(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이는 학력의 개념이 학습이나 훈련을 통해

습득하게 된 단순한 지적 능력을 넘어서, 교과 내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이를 바탕으

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능력, 즉 ‘창의성을 신장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창의성에 대한 최근 연구는 창의성의 요소로 인지적 요소와 정의적 요소를 동시에 제시

하고 있다. 특히, 어번(K .K Urban)은 창의성과 관련하여 여섯 가지 ‘개인 특성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개인 특성 요소에는 인지적 요소와 정의적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인지적 요소로는 확산적 사고와 행동, 일반적 지식과 사고 기반, 특정 영역에서의

지식 기반과 기술이, 정의적 요소로는 성격 특성인 집중과 과제집착력, 개방성과 모호성에

대한 인내심 그리고 동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조연순 외, 2008). 경기도교육청에서도

창의성의 개념을 통찰력, 상상력과 같은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민주적 시민가치와 책무성,

리더십과 같은 정의적 영역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

Page 1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11 -

학력의 개념은 이제 단순한 지적 능력인 지식, 기능뿐만 아니라 고등정신능력인 분석력, 비

판력, 판단력, 종합력과 정의적 능력인 호기심, 성취욕구, 도전의식, 책임, 태도 등을 포함하

는 총체적 영역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일본의 후쿠다 세이지 교수는 '핀란드 교육의 성공’이

라는 책에서 앞으로 변화될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모든 학생들이 새로운 학력을

익힐 수 있도록 “인간의 폭넓은 정신활동을 포괄한 역량을 키우는 것이 교육 목표가 되어

야 한다.”고 말하며 지식을 익히는 데 한정됐던 전통적인 학력관을 부정하고 ‘왜 배워야 하

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부터 다시 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 교육

은 표준화, 규격화된 교과서와 이를 바탕으로 한 수업, 평가체제로 인해 고등정신능력과 정

의적 능력의 계발을 소홀히 해왔다. 결국 ‘창의성 신장’이 지난 수십 년간 교육의 중요한

목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정의적 능력에 대한 소홀은

학교 인성교육의 부실을 초래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제 학교는 교육의 가장 본질

적인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창의성과 인성교육을 위해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

을 만들 것이 아니라 학생의 참된 학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변화를 시도할 필요

가 있다.

2) 참된 학력을 기르는 배움중심수업

창의지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배움중심수업은 첫 번째, 지식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하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이것은 ‘지식은 완성된 것, 고정되고 불변하는 것’이라는 생각

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은 현재 우리의 수준에서 이해하고 파악하는

정도를 반영할 뿐이다. 그 증거는 우리가 그동안 진리라고 배워왔던 수많은 사실들이 오류

를 드러내고 사라져간 사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멀리 천동설의 오류에서부터 최근의 특

수상대성이론의 위기까지 이러한 사례들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며, 이는 지

식의 속성과 한계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이라는 것이 끊임없이 창조되고

형성되는, 그래서 인간의 인식 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사실에 기반할 때 배움중심

수업은 참된 학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두 번째, 배움중심수업은 학생들이 어떤 내용을 배우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지식을

탐구해나가는가를 배우는 것이 중심이 되는 수업이다. 지식이 우리가 이해하는 수준의 범

위에서 파악되는 것이라면 학생들은 그 인식의 수준을 확대해나가는 끊임없는 훈련 속에서

자신만의 사고를 확립해나가는데, 이것이 배움이다.

학생들에게 참된 배움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은 단순한 수업 기술이나 훌륭한 교재만으로

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수업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이를 확인하는 평가가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일관성을 가질 때, 이것이 참된 학력을 기르는 배움중심수업이 될 수 있다.

세 번째, 배움중심수업은 수업방법이나 모델이 아닌 교육활동의 관점이자 지향이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자발성을 기초로 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의 의미를 충분히 살리되

Page 1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2 -

교사와 학생이 끊임없이 교류하고 소통하면서 함께 지식을 창조하고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

존재해야 하는 수업이다. 배움중심수업 과정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과 성장이 자연스럽

게 이루어지도록 지켜보고 지원하는 역할을 넘어서 학습자의 학습과 성장의 과정에 함께

관계하면서 교사 자신의 학습과 성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험을 추구한다. 또한 학생들

은 학생-학생, 교사-학생 간의 활발한 소통과 토론이 이루어지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지

식을 형성해가는 창조의 과정을 경험하며, 자기 생각을 만들고 서로 다른 자기 생각을 나

누기도 한다.

3) 참된 학력을 기르기 위한 평가

그동안 우리나라의 평가 방법은 정해진 답을 찾는 선다형, 단답형 중심의 일제고사(전체 학

생이 동일한 시험문항으로 치르는 시험)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학생들의 지식과 기능, 이해력은 높으나 고등정신능력(분석력, 비판

력, 판단력, 종합력 등)과 정의적 능력(호기심, 흥미, 성취욕구, 가치나 태도 등)이 낮다 둘

째, 평가 내용이 국어, 영어, 수학 등의 주요 교과 지식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교과

역량이나 교과 외의 역량에 대해서는 중요하고 의미 있게 평가하지 않는다. 셋째, 학력의

개념이 단순히 교과 성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왜곡되어 있어 시험지로 평가할 수 없는 정의

적 능력이나 학생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의 평가는 등한

시되고 있다. 넷째, 평가의 목적이 분류나 서열화만을 위한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런 평가 방법은 고도의 지식정보화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기획력과 과정, 논리가 중시된다. 이를 위해서는 평가 패러다임이 서열화를

위한 목적에서 피드백을 위한 목적으로, 양적 평가 체제에서 질적 평가 체제로, 결과 중심에

서 과정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 특히, 평가가 주어진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보다 깊고

넓은 자기생각 만들기, 참된 학력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논술형 평가,

구술 평가, 보고서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이 적극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일제고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교사별 평가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교사별

평가란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가 자신이 담당하는 학급을 자신이 지도한 내용으로 자신이

출제한 문항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교사별 평가는 교사에게는 창의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학생의 수업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교육 유발 요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Page 1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13 -

Ⅲ.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창의지성역량

1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해

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이란?

역량(competency)이란조직의 특유한 강점을말한다. 이 용어는 원래 직업교육이나 훈

련 분야, 혹은 성인 교육 분야에서 논의되어 온 것으로, 숙달하고자 하는 직무나 업무를 성

공적으로 수행해 내는 것과 관련된 개념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역량에 관한 논의는 영국

을 비롯한 여러 영어권 국가에서 학교 교육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역량중심 교

육(competency-based education), 역량중심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2), 역량중심

교육평가(competency-based assessment) 등의 등장은 이러한관심을 반영한다. 더구나 1979

년에 시작된 OECD 지원의 프로젝트와 그 결과물은역량을 직업 분야가 아닌 인간 전

체의 삶과 관련하여 논의함으로써 역량의 문제가 우리의 전체적인 삶의 질과 관련하여 중

요하다는 점을 전 세계적으로 인식시켜 주었으며, 이에 대한 학교교육의 관심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었다(소경희, 2007).

역량은 드러난 부분과 감추어진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Spencer(1993;

소경희, 2007 재인용)에 의하면 역량에는 5가지 유형이 있다. 동기(motives), 특질

(traits), 자아개념(self-concept), 지식(knowledge), 기술(skill)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 동기란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가장 근원적인 요인이며, 특질이란 신체적 특징과

더불어 상황이나 정보에 대한 일관된 반응을 말한다. 자아개념은 개인의 태도, 가치 혹은

자아상을 말하며, 지식은 특정 내용 영역에 있어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기술은 특정한 물리적․정신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역량의 구조를 빙산에 비유하여 그림으로 나타내 보면 〔그림 1〕과 같다.

2) 초기 저작에서 소경희(2007)는역량을competency로,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competency-based curr

iculum로 표현하였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역량을competence로,역량기반 교육과정을 competenc

e-based curriculum으로 사용하고 있다. 박민정, 손민호 등 많은 연구자들도 후자의 견해를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어, 본문에서도 후자의 견해를 따르기로 한다.

Page 1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4 -

〔그림 1〕심층역량과 표면역량3)

지금까지 논의된 역량의 일반적인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은 단순히 지식이나 기능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라기보다는 과제 수행 맥락에

따라 적합한 자원을 가동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둘째, 역량은 절차화된 지식이나 기능의

반복적 재생 능력이 아니라 효과적 과제 수행을 위해 사용 가능한 자원들을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는 능력, 즉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 전략, 태도 등을 재조정하고 다양한 방

식으로 조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셋째, 역량은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적합

한 자원을 제대로 활용했는지 등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함의하는 능력 개념이다. 즉 역량

은 과학적 지식이나 원리적 지식을 자동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이 아니라 반성적 성찰 과정

을 통해 실천적 상황에 적합한 지식과 기능을 가동시키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가는 능

력을 의미한다(박민정, 2009). 넷째, 특히 본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역량은 핵심역량(key

competence)으로서,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

라기보다는 초․중등학교 교육을 통해 누구나가 길러야 할 기본적이고 보편적이며 공통적

인 능력을 의미한다.

이상의논의를 비추어볼 때 역량기반 교육과정(competence-based curriculum)이란

미래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또는 핵심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하도록 개발되거나 설계된

교육과정(이광우외 4인, 2009)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교과 내용 지식의 습득을 넘어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거나, 구체적인 문제해결 과정에서

3) Spencer & Spencer(1993) p. 11,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

(compen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p. 5에서 재인용.

Page 1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15 -

자신이 갖고 있는 자원을 동원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돕는 교육과정이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지식과 행위,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 학문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의 통합을 근본적으로 지향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박민정, 2009).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는 길러야 할 학생의 역량이 교과 내용과 대등하게 교육과정

의 구성 요소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모든 학습 경험은 학생의 역량 계

발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야 함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총론

뿐 만 아니라 각론에서도 역량은 교육과정의 주요 구성 요소로 설정되어 있기를 기대한다.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각 교과의 특성에 따라 교과의 내용과 학생의 역량을 상이한 방식

으로 관련시킬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지만, 내용 지식과 함께 계발되어야 할 학생의 역량

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여 내용 지식과 역량이 서로 유기적인 관련 속에서 가르쳐지도록 해

야 한다.

둘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기존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에 변화를 요구한다. 이 변화에는

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학습 경험의 제공, 문제해결을 위해 학습자 자신만의 독특

한 지식․기능을 활용하도록 돕는 교수방법 제공, 학습자의 학습전략이나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다양한 평가방식의 활용 등이 포함된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육의 책무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것은 제공된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습득해야 할 능력들을 제대로 획득하였는지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평가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성취의 질을 관리할 것을 강조한다. 즉, 학습자가 무엇을 얼마나

학습했고, 그러한 학습의 결과로 무엇을 할 수 있게 되었는가를 나타내는학습력(學習力)을

중심으로 교육의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 구축을 강조한다.

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

1) 역량기반 교육의 기원 및 대두 배경

19세기 말까지의 미국의 교육과정이론은 전통적으로 정신도야론에 기반을 둔 인문적

성격을 가진 교과 중심의 기억, 추론, 의지, 상상 등과 같은 정신능력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89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문적 성격의 교과만이 정신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새로운 산업사회에의 요구에도 적절하지 않다는 점이 제기되고 다양한 배경의 비전

통적인 학생들이 중등학교에 대량 유입된 결과 교육과정 개혁이 교육의 주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Kliebard, 2004; Grant, 1979). 이에 진보주의 교육과정 개혁 움직임으로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엄밀한 측정을 통해 각 개인에게 적합한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제공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행정적 진보주의(Tyack, 1974)와 중등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필수

과목은 교과가 아니라 모든 개인에게 요구되는 공통적인 사회적 필요와 활동 측면에서

고려된 것으로 모든 학생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듀이적인 입장을 취하는 교육 실천적

진보주의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진보주의 교육과정 개혁 움직임은 학교 교육과정을

Page 2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6 -

사회의 실제적 역할과 관련하여 설계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역량기반 교육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21세기 사회변화와 맞물리면서 다시 대두된 역량기반 교육은 20세기

초반에 진행된 역량기반 교육의 다양한 갈래를 종합하면서 당시에 지적된 역량기반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도 포함하고 있다(Grant, 1979). 오늘날의 역량기반 교육은

우리의 삶의 많은 영역에서 역량의 부재에 대한 관심으로 새롭게 등장한 것이며 이는 20

세기 초반의 진보주의에서 전개된 개혁에서 그 역사적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최근의 역량

기반 담론을 보면 1996년 UNESCO의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는 「Learning : The

Treasure Within」보고서를 통해 평생학습 통해 우리들 속에 감추어진 재능을 계속하여

계발해야 한다고 역설하며 21세기를 지탱하는 교육의 4대 기둥으로서 세계화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더불어 살기 위한 학습, 알기 위한 학습, 행동하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을 제시하고 있다. 또 2003년 OECD에서는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적인 삶과 사회 발전을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그러한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제도적 지원 체계 및 장치에

대해 논의하면서 국가적 맥락에서 핵심역량을 선정하여 재개념화 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려는 움직임이 전개되고 있다.

<OECD가 제시하는 핵심역량의 구조>(홍원표, 2011)

그리고 2004년 EU는 평생학습을 위한 8가지 핵심역량(Key Competences for lifelong

learning)으로 ① 모국어로 의사소통하기 ② 외국어로 의사소통하기 ③ 수학적 역량 및 기초

과학기술 역량 ④ 디지털 역량 ⑤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⑥ 대인관계적, 다문화적, 사회적

역량 및 시민 역량 ⑦ 기업가 정신 ⑧ 문화적 의식과 표현 등을 제시하였다.

2004년 한국교육개발원은 생애능력 육성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질 관리 방안(유

현숙외, 2004)에서 10개의 학습 영역으로 ① 읽기, 듣기와 관점 ② 쓰기와 말하기 ③

Page 2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17 -

예술과 문학 ④ 수학적 적용 ⑤ 탐구 ⑥ 과학적 적용 ⑦ 사람과 문화 ⑧ 의사결정 ⑨ 자원

관리 ⑩ 세계의 언어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주도로 학생들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데 OECD나 EU에 비해 제시하는 역량의 종류가 많고 더 구체적인 것이 특징이다.

2) 역량기반 교육과 창의지성교육

그리스 로마 시대의 자유교육은 르네상스 시대에 고전적 의미의 교양교육인 인문학

(humanitas)으로 이어졌다. 현대적 의미의 교양교육은 1945년하버드대학에서 '자유사회에

서의 교양교육'(the Liberal Education on Free Society)이라는 보고서에 의해일반교육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로부터 일반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은 모든 자유사회의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 전통적인 인문학(문학·어학·철학·미술·역사) 분야를 넘어서 자연과학·

사회과학에까지 확대되었다.

전통적인자유교육을위한 수단이 되는 자유학과(liberal arts)는 ‘arts’라는 이름이시사하고 있

듯이, 만들거나 산출하거나 구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전통적인 자유학과는 이러한 학과를 주

로 사변적 혹은 이론적 측면에서 규정해 왔다. 이는 이론적 철학적 지식이 알려는 욕망 이

외의 다른 욕망과는 무관하다는 점에서 다른 모든 지식의 형식보다 더 자유로울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자유학과는 또한 실제적 기능과 용도도 가지고 있다. 예

컨대 7자유학과의 3학에 해당하는 ‘문법’은 문장과 문단을 만들고, ‘수사학’은 표현을 정돈

하며, ‘논리학’은 정의와 논의를 만드는 것과 관련된다.

역량기반 교육에서 강조하는 의사소통, 분석, 문제해결 등과 같은 일반적 역량 또한 7자

유학과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학생들이 역량을 발휘할 때 그들은 단순히 행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이 만들거나 산출하거나 구성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일반적인 역량도 ‘arts’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전통적인 언어적 학과(3학: 문법, 수사학,

논리학)는 우리가 언어적 상징을 사용할 때 분석하기, 사고하기, 쓰기, 말하기, 결정하기

등을 통해 실천되며, 수학적 학과(4과: 대수, 기하, 천문, 음악)는 수학적 상징을 사용할 때

세기, 측정하기, 추론하기, 증명하기 등을 통해 실천된다. 이 점에서 전통적인 자유학과인

언어적 수학적 학과는 의사소통, 분석, 문제해결 등과 같은 일반적 역량으로 새롭게 거듭났

다고 할 수 있다(Ewens, 1979; 소경희, 2009 재인용).

창의지성교육 역시 이런 자유교육으로부터 이어지는 교양교육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만

큼 역량기반 교육과도 연관된다.

다.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1)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표방하는 대부분의 국가의 경우 학교 교육과정은 미래 세대의 핵심

Page 2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8 -

역량을 키워주는 방향으로 재구조화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대체로 4~10개의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그 내용은 국가 간 상당한 중복이 있다. 즉,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건강하고 통합적인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과 더불어 학습을 위해 필요한

사고력과 인지적 역량 및 문제해결력을 포함하고 있고 변화하는 시대적 조건에 대응하기

위하여 많은 나라들에서 정보기술의 활용과 국제적 소양 등을 강조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총론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핵심역량의 필요성과

의의, 내용을 교육과정 편제 이전에 제시함으로써, 핵심역량이 교과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각국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역량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각국 교육과정에 포함된 핵심역량의 내용>

국 가 교육과정에 포함된 핵심역량의 내용

영국의 6가지 핵

심 기능

1) 의사소통 2) 수의 응용 3) 정보 기술 4) 타인과의 협력

5) 학습과 수행의 향상 6) 문제 해결

독일 브레멘의 행

동 역량1) 개인적 역량 2) 사회적 역량 3) 방법적 역량 4) 기초 학습 역량

대만의 10가지

핵심역량

1) 자기 이해와 잠재능력의 추구 2) 감상과 표현 창의력

3) 진로 개발과 평생 학습 4) 의사표현 소통과 공유

5) 존중 배려 팀 작업 6) 문화적 소양과 국제이해

7) 기획 조직실천 8) 정보기술의 활용

9) 적극적 탐구와 공부 10) 독립적 사고와 문제해결

캐나다 퀘벡의

범교과적 역량

1) 지적 역량 2) 방법론적 역량

3) 개인적 사회적 역량 4) 의사소통 관련 역량

뉴질랜드의

5가지 핵심역량

1) 사고력 2) 언어와 상징 텍스트의 활용

3) 자기관리 4) 타인과 관계 맺기 5) 참여와 기여

호주 빅토리아의

8가지 역량

신체적․개인적․사회적 학습1) 건강과 체육교육 2) 대인관계의 발달

3) 개인적 학습 4) 시민의식

간 학문적 학습5) 의사소통 6) 디자인 창의력과 기술

7) 정보통신 기술 8) 사고력

호주 뉴사우스웨

일즈의 5가지 핵

심역량

1) 정보의 수집, 분석, 조직 능력 2) 정보와 아이디어의 교환 능력

3) 활동의 계획 및 조직 능력 4) 조직에서 함께 일하는 능력

5) 문제해결력

2) 역량기반 교육과정 학교 적용 사례4)

○ 뉴질랜드 웰링턴여자중고등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뉴질랜드의 웰링턴여자중고등학교는 2007년에 발표한 국가 교육과정의 5가지 핵심역량

(사고력, 언어와 상징, 텍스트의 활용, 타인과 관계 맺기, 참여와 기여)을 학교 현장에

4) 외국의 학교 사례는 홍원표(2011)의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의 일부분을 발췌한 것임.

Page 2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19 -

핵심역량

사고력

- 자신의 의견을 형성하도록 격려하기

타인과 관계 맺기

- 다른 사람의 작품을 평가하기 위한 건설적인

실현할 수 있도록 9~10학년, 11~13학년으로 나누어 2권의 교육과정 안내서를 제공하였다.

2권의 교육과정 안내서의 첫 페이지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5가지 핵심역량을 소개하고,

학교의 교육목적이 학생들의 5가지의 핵심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

학교의 교사들은 내용중심(content-based), 사실위주(fact-based)의 수업으로는 21세기를

살아갈 학습자들을 길러낼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출발점으로 보고,

구체적인 활동(hands-on activities), 실험, 토론, 발표 등 다양한 능력을 요구하는 수업

방법을 활성화하기로 동의하고 이를 어떻게 수업에 적용할 것인지를 고민하며,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방안을 교사들 사이의 오랜 토론과 협의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학습

부진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는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평가하는 방법을 고안했으며,

과학 교사들은 교과 협의를 통해 과학 수업을 실험과 발표 위주로 전면 개혁하기로 하였다.

미술 선생님들은 미술 교육과정이 5가지 핵심역량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수업 계획서에

구체적으로 밝히기도 하였다.

<미술교과 수업계획서>

Visual arts department(시각 예술 부문) - Junior Unit Plan(중학교 단원 계획)

단원제목 :

추상조각수준 : 4

학년 :

9(중3)분야 : 조각 수업시간:18~20차시

도달목표 학습목적

학생들은 여러 재료들의 사용을 통해 각 요소별

지식을 적용하면서 작품 창작의 여러 방법들을

탐색하고 이를 사용할 것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촉각의/유연한/2차와 3차원적인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자신감을 얻을 것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동기와 관찰 및 상상력에

대한 반응으로 시각적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되짚어 볼 것이다.

◦ 학생들은 그들의 아이디어에 대해 주인의식을

갖게 될 것이고, 문제해결을 통하여 그 결과

물을 좀 더 세련되게 만들 것이다.

◦ 학생들은 좀 더 융통성을 발휘하는 것을

배우게될것이며, 자신들의 여러 경험에 적절히

반응하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작품에서 의미가

전달되고 해석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고 설명

할 것이다.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생각과 학급전시를 통하여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작품 주제에 대해 개인적인

해석을 보여줄 것이다.

학생들은 과거와 현재의 문화로부터 나온 작품

(조각품과 이미지)의 의도를 조사할 것이다.

학생들은 추상적인 개념과 추상적인 조각의 형태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예술의 형식을 가치 있게

여기게 될 것이다.

Page 2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0 -

- 정해진 과정에 상반되게 진행하도록 격려하기

- 경계를 뛰어 넘기 위해 여러 제약들과 협상

하기

비판하기

- 소재와 재료의 사용을 협상하기

언어와 상징, 텍스트의 활용

- 다양한 기술들에 관한 경험

- 그들의 예술작품을 정의하기 위하여 추상적

이고 규정적인 말을 사용하기

- 2차원적인 선을 사용해서 3차원적인 형태로

전환하기

- 제작중인 작품에 주석을 달므로써 설명적인

언어를 적용하기

참여와 기여하기

- 동료들 앞에서 설명하고 보여주기

- 그들의 예술작품-개개의 결과물에 대해 주인

의식 갖기

자기 관리

- 학생들이 실수로부터 학습하는 것을 가능케 해주기

- 힘들지만 성취 가능한 상황 만들기- 기준과 기한을 설정하기

-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러한 일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복잡한 방법들에 대해 규정하기

○ 호주 크로머 초등학교의 역량중심 수업

초등학교 3학년영어 수업장면의 경우 수업주제는 이야기 만들기(Writing a Narrative)

이고, 학습 목표는 학생들이 이야기를 구성하고 자신들이 인형극을 준비하여 공연을 하는

것이었다. 수업이 전개되는 과정은 2-3주 전에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야기의 제목과 배경,

시작 상황, 갈등 상황, 해결 상황 순으로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법과 인형극 전반에 대해 안내해

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들은 자체적으로 3∼4명씩 팀을 만들고 어떤 주제를 선정

할지, 어떤 이야기 구성을 만들지, 주요 인물은 누구로 하고 갈등 상황은 어떻게 연출할

것인지를 공동으로 협의하고 또 학생들은 컴퓨터를 사용해 배경화면, 대본, 음악을 만들고

소품 준비, 공연 연습하기 등 모두 팀 활동을 통해 준비하여 수업 시간에 팀별 발표를 한다.

공연이 끝나면 바로 교사는 학생들과 짧은 토론의 시간을 갖는데 공연 팀과는 주요 줄거리

라인과 메시지가 무엇인지와 관객이 되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이러한 의도가 잘 전달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하여 교사는 시작 상황은 무엇이었고 갈등 상황은 어떻게 해소

되었는지를 전체 학생들과 확인하는 한편 각 팀의 공연 가운데 목소리, 표정, 소품, 배경화면

등 좋았던 점과 개선해야할 점을 알려주고 있었다. 이 수업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조직하는 능력, 정보와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능력, 활동을 계획하고 조직하는 능력, 조직

안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하는 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핵심역량을 자연스럽게 기르고 있다.

○ 캐나다 퀘백주 클리어포인트 초등학교의 핵심역량 평가

이 학교에서 인상 깊은 것은 학업성취도 평가 문제지이다. 교육과정의 성패가 어떤 방식의

Page 2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21 -

평가지가 제공될 수 있느냐의 여부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역량을 시험으로

평가할 수 있느냐’는 문제는 확실히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둘러싼 주요 논쟁거리이다.

이 학교 5학년 학생들이 치르는 ‘문제해결력’ 평가지는 단 한 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

다. ‘세계 여행을 하려는데 가장 좋은 경로를 만들어 보라’는 것이다. 이 평가지는 총 4장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계지도에 방문할 주요 도시가 표시되어 있고, 각 도시에서 하루를

머물기 위해 얼마가 필요한지 표로 제시했다. ‘비행기는 8시간 이상 날 수 없다.’ ‘대륙을

건널 경우 비행 요금이 더 비싸다.’ ‘총 여행 거리는 3만 5000km이하여야 한다.’ 등 다양한

제한 조건도 있다. 학생들은 자신이 세운 여행 계획을 다른 학생들에게 발표하여야 하며

이 도시를 왜 방문해야 하는지도 설명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도의 거리를

실제 거리로 바꿀 수 있는 능력, 정확한 계산 능력과 더불어 각 대륙과 국가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필요하다.

라.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과 교육과의 관계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기존의 교과 교육과정을 완전히

폐지하는 경우가 없다는 외국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존의 교육과

정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전통적인 교과 교육에 대한 반작용으

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등장하게 되었지만 이는 교과 지식의 양이 기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탈 맥락적인 단순 지식이나 정보의 전달만으로는 교과 학습의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 범교과적 학습이나 통합 교육과정, 주제 중심 학습 등이었다. 영국은

‘범교과적 차원(cross curriculum dimensions)’, 캐나다 퀘벡은 ‘범교과 역량’, 호주나

뉴질랜드는 ‘범교과적 접근’, 혹은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역량 중심으로 교과 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주목할 점은 이것이 교과 지식을 가르치지 말라는

의미가 아니라 교과 지식을 가르치되 그 동기와 이유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핵심역량의

계발과 교과 교육의 연계 방식은 초등학교에서는 기존의 교과 교육을 재구조화하여 적극적

으로 핵심역량의 계발을 반영하는 것이고, 중등학교 특히 고등학교에서는 비교과 활동들이

핵심역량 계발의 주요 통로로 활용되고 있다. 다양한 방식 중 어떤 경우에는 역량 자체가

하나의 독립적인 교과로 개발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기존의

교과 교육을 부인하기보다 그것을 넘어서려는 노력을 통해 실현되고 있었다.

마.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수업방법 및 학생 평가

교육과정의 변화는 교사들의 수업과 평가를 통해 나타난다. 외국 사례의 학교에서는 모

든 국가에서 교사들이 단편적인 정보나 지식의 전달,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전달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탐구학습, 발표학습, 팀 과제, 토론 등과 같은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수업

Page 2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2 -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런 수업 방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적절한 방식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 방법 자체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방법과 더불어 학습 내용이 적절히 조화를 이룰 때 학생들이 균형 잡힌 역량 계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통적 학문중심 교육과정 속에서 브루너의 탐구학습 이론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그에 합당한 평가

방법을 요구한다. 평가가 전체 교육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히 중요하며 사실상 교육과

정의 성패가 어떤 방식의 평가가 제공될 수 있느냐의 여부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런 맥락에서 역량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학생들의 다

양한 학습 경험과 역량, 잠재력을 평가하는 적합한 평가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할 때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퀘벡의 경우 100% 수행평가 체제를

적용하고 있었고, 호주의 경우는 내신 성적과 시험 성적을 50%씩 반영하는 졸업 자격제도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역랑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다보니 학생들의 장단점을 깊이 파악

하게 되고 학교생활기록부에 써주는 내용이 많아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진학지도에 성공하고

있는 학교의 사례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2 창의지성교육과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교육은 ‘지성교육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창의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비판적(반성적, 성찰적)인 사고활동(critical thinking)을 통해 지식을

소화하고 스스로 높은 차원의 지혜와 지성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의 계발이

필요하며 이것을 ‘창의지성역량’이라고 정의하였다(경기도교육청, 2011).

창의지성 해설자료에 따르면, 창의성의 핵심요소 중 통찰력과 상상력은 사고-인식영역으로,

협력적 문제발견 해결력(기획능력), 건설적 생산능력, 문화적 창조력을 삶과 문화영역으로,

민주적 시민가치와 책무성, 리더십 등은 사회생활영역으로 재분류되며, 이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학력의 개념이기도 하다.

창의지성역량은 이러한 창의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것이 ‘실제로 존재 가능한 내용인가?’,

‘실제로 평가 가능한 내용인가?’의 관점에서 개인의 사고-인식 영역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관리능력으로, 삶과 문화영역에서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문화적 소양능력으로, 사

회생활영역에서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민주시민 의식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창의지성역량’들은 각 영역별로 보다 세분화된 하위의 기능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창의지성교육의 핵심이 비판적 사고력의 증진이므로 이 역량들은 단편적, 분절적으로

계발되는 것이 아니며 종합적으로 지성 및 사고력의 성장과 연계해서 달성되어야 한다.

‘창의지성역량’은 OECD의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안하는 핵심역량이나 여러 나라들의

Page 2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23 -

연번 창의지성역량 세부역량

1 자기주도 학습능력

ㆍ배움의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반성적 능력

ㆍ자기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지니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2 자기관리능력

ㆍ자기의 삶을 기획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행동을 절제하고 생활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

ㆍ자신의 생활을 바람직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관리

할 수 있는 능력

3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ㆍ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스스로 또는 동료와 함께 발견

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4 문화적 소양능력ㆍ문화․예술을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향유하며 창조하는 능력

ㆍ다양한 삶의 가치와 문화를 편견 없이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

5 의사소통능력ㆍ다양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

6 대인관계능력ㆍ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협력적

발전을 이루는 능력

7 민주시민 의식

ㆍ평화적 태도를 길러 개인과 세계의 행복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능력

ㆍ사회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다하고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ㆍ사회에 대한 책무성을 인식하고 발휘할 수 있는 능력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는 핵심역량과 비교하여 그 영역에 있어서는 얼핏 유사하다. 그러나

‘창의지성역량’은 총체적 성격을 지닌다. 즉, 독립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갖는 ‘창의적 인재’를

기르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역량이다. 반면, OECD에서 제시한 미래핵심역량 등은 제시된

역량이 분절적이고 단편적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경기도교육청이 제시한 창의지성역량과

차이가 있다(경기도교육청, 2011).

3 창의지성역량

가. 창의지성역량

Page 2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4 -

나. 창의지성역량 선정 과정

경기도 학생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추출하기 위해 경기도교육청에서는 여섯 차례의 교

원 워크숍과 협의회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창의성의 개념을 달성 가능한 목표(역량)로

재개념화 하여 8개의 핵심역량을 추출하였고 이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등 학교가 위치한 지역과 학교규모를 고려

하여 경기도내 초 중 고등학교 교사, 학생, 학부모 2,562명을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1)

미래사회 변화의 특성 및 진단 2)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적절성에 대해 조사하

였다.

구분학교급별 전체응답

초 중 고 기타 N 비율

학생733

(61.0%)

430

(36.0%)

32

(3.0%)3 1,198 46.76%

학부모242

(60%)

147

(35%)

26

(6%)1 416 16.23%

교사532

(56%)

339

(36%)

69

(7%)

8

(1%)948 37.01%

계 1,507 916 127 12 2,562 100

설문조사 결과, 미래사회 변화에 대해서 학생은 과학 기술의 가속(96.5%), 다원주의사회

(96.5%), 네트워크사회(95%)가될것이라고 보았고, 학부모는평생학습사회(97.8%), 다원주의

사회(97.8%), 네트워크사회(96.3%)로, 교사는평생학습사회(98%), 과학 기술의 가속(98%),

네트워크사회(97%)로 변화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렇게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에

대해서학생은자기관리능력(97%), 대인관계능력(97%),협력적문제발견․해결력(96%)이필요하

다고보았고, 학부모는 자기관리능력(99%), 민주시민 의식(99%), 문화적소양능력(98%)이,

교사는 민주시민 의식(99%), 의사소통능력(99%), 자기관리능력(98%)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교육청에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대인관계능력, 협력

적 문제발견․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능력, 문화적 소양능력, 민주시민 의식 7가

지를 창의지성역량으로 정하였다.

다. 창의지성역량 해설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지성역량에 대한 해설은 보편적인 면을 반영한 것으로, 학교는

이 해설을 참고로 각 역량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을 보다 풍부하게 재해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Page 2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25 -

1) 자기주도 학습능력

가) 개념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여 적합한 전략을 선택, 실행한 후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과 활동

이다. 이 개념에는 학습자가 자율적인 존재가 되기를 기대하며, 다양한 경험이 학습의 중요한

자원이 되고, 학습자의 내재적 학습동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 포함되어 있다.

나) 필요성

많은 전문가들은 미래사회가 지식과 정보의 첨단화, 교육기회의 확대로 인하여 학교교육을

넘어서는 평생학습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금의 초․중등학교 학생들은(심지어

대학을 졸업한 후에도)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만을 가지고 평생의 직업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사회를 맞이할 것이다. 그래서 초․중등학교 시기의 학습자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삶의 모든 장면에서 학습할 수 있고, 스스로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고 끊임

없이 사회변화에 참여할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갖추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사교육의 과도한 확산으로 인해 타율적인 학습자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의 학생들이 자율적 학습자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일상적인 삶을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실천하고 평가하는

능력은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핵심적인 역량이기 때문이다.

2) 자기관리능력

가) 개념

자기관리능력은 자신에 대한 인식 및 자기 개발 능력, 그리고 그에 대한 태도를 의미한다.

이 능력은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 강·약점 등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이를 여러

가지로 표현 할 수 있는 능력, 미래의 성공을 위해 계획을 세우고 매진 할 수 있는 기획력,

자기 스스로 행동을 절제하고 생활을 관리 할 수 있는 능력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개념에는

초․중등 학생으로서 갖춰야 할 실천적 생활능력이 포함된다.

나) 필요성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을 어떤 모습으로,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갈 것인가는 바로 자신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

활동을 통해 의도적이든 무의도적이든 자기관리능력을 습득하게 된다. 즉, 교수ㆍ학습 활동,

교우관계, 학교 내외의 일상생활을 통해서 자신의 능력 범위와 한계를 깨닫게 되고, 구성원과의

관계를 유지하려면 스스로 절제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무엇보다

학습자들에게 가정 및 학교생활이 원활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신체적․정신적으로 자신을

Page 3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6 -

적절한 수준에서 통제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는 점과 상황에 따른 의사결정 그리고 그로

인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감당해야 한다는 사실을 납득시키는 일은 중요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미래를 제대로 일구어 나가기 위해 유년의 삶에서부터 올바른 자기관리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3)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가) 개념

문제발견․해결력은 문제 상황에서 도달해야 하는 목표 상태의 차이를 인식하고 그 차이를

유발하는 장애 요인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이는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이

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줄 기술이나 전략과 관계된 능력이다. 협력적 문제

발견․해결력은 이러한 과정에 특히 동료와의 공감과 교류, 공동 전략의 아이디어를 중요시

한다. 이 개념에는 옳고 그름을 지적으로 따져 물으며, 사회문제나 현상의 문제점을 발견한

후 대안을 제시하며, 상황에 따라 동료와 협력하여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포함

되어 있다.

나) 필요성

미래 사회는 현재보다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문제와 갈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시대에는 기존의 상식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제대로 인식하는 일이

중요해질 것이다.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소가 무엇인가를

인식하고, 이것의 해결을 위해 긍정적인 의사결정과 판단을 해야 한다. 특히 학습자들이 자

신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견하고, 상황에 적합한 해결 방안을 설계하

여 다양한 매체와 정보 수집, 동료와의 협력을 통해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

을 갖추도록 학교 교육 프로그램이 재구조화 될 필요가 있다.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지성인

의 덕목 중 한 가지는 세심한 관찰력을 통해 사실 또는 진실이 증명된 과정을 조망하고 이를

자신의 언어로 재진술할 수 있는 비판적 인식 능력이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통해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합리적 판단력도 요구된다. 학습자들은 이같은

고등 사고력을 통해 개인이 추구하는 삶의 질이 향상되고 사회가 통합 발전하는 데 기여하

게 될 것이다.

4) 문화적 소양능력

가) 개념

문화적 소양능력이란 다양한 문화․예술적 경험과 체험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력과 감수성을 길러 감성적 지성, 심미 능력, 창작 능력을 포괄하는 능력이다. 이 개념에는

동서양 및 고금의 문화와 예술뿐만 아니라 다문화의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도 포함된다.

  나) 필요성

Page 3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27 -

미래 사회는 한편으로 감성의 시대, 스토리의 시대, 지식창조의 시대로 대변된다. 이러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은 자문화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고, 국제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바른 인성을 갖춘

세계인이다. 초․중등학습자들을 이러한 세계인으로 기르기 위해서는 학교가 동서고금의

예술과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심미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힘,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주는 일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또한 최근 세계화의 흐름은 타문화에 대해 개방성과 유연성을 강조하면서도 자국 문

화의 정체성 확립을 중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애호하는 과

정을 통해 개인의 행복, 사회의 품격 유지, 그리고 국가의 문화 경쟁력의 근간을 마련할 수 있

도록 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위대한 문화․예술작품과 조우하고, 심층적․체계적 감상을 경

험하여, 자기표현의 창조적 작업 과정을 밟아 궁극적으로 문화적 감수성과 잠재성을 발휘

할 수 있다면 개개인의 문화 소양능력은 극대화 될 것이다.

5) 의사소통능력

가) 개념

의사소통능력이란 자신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타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타인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개념에는 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순한 언어적 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이보다 고차원적인 상황

에서의 언어기술 사용 능력, 그래프와 도표를 포함한 수학적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상대방의 의견, 생각, 감정 등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정서적 능력 등이 포함된다.

나) 필요성

의사소통능력이 필요한 까닭은 좁게는 문해(文解)능력으로서 읽기, 쓰기, 셈하기와 같은

기초학습능력을 갖추기 위해서이고, 넓게는 대인(對人)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이다. 이 능력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언어로 표현하고, 타인의 생각과 의견을 경청하며,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활동이 필수적이다. 아무리 위대한 사상적 기반을 갖고 논리적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도 이를 정확히 전달하는 능력이 없다면 구성원 간의 갈등은 증폭되고

해결해야 할 문제는 심화될 것이다. 미래 사회가 세계화와 다원화로 인한 가치 충돌 사태가

빈번해 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러한 갈등을 조정하면서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는 일은

학습자 개개인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이 능력은 언어사용을

위한 인지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서적, 가치적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 표현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고 그 뜻을 헤아리려는 태도, 비언어적 표현에 함의된 의미를 파악하려는 노력 등은

학교 교육에서 반드시 길러주어야 할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3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8 -

6) 대인관계능력

가) 개념

대인관계능력이란 타인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함으로써 다른 사람과 효과적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 능력을 갖춘 사람은 근본적으로 조직과 집단 내의

협력적 발전을 지향하며, 타인과 관계 맺기 및 상호작용을 통해 집단의 특정 목표를 달성

하는 것에 능숙하다. 또한 리더십을 구사할 수 있으며, 심지어 갈등이 유발되었을 때에는

구성원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문제 사태를 잘 마무리 한다.

  나) 필요성

대인관계능력은 세계화, 네트워크화, 다원주의 사회로 예견되는 미래사회에서 개인 간의

단절을 막고 상호 소통하는 인간관계 형성을 위해 매우 필요한 능력이다. 특히 미래사회는

순응형, 점수형 인재보다 유연한 사고와 팀워크를 갖춘 전인적·적극적 인간을 선호한다.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관용을 베풀 줄 알며 때에 따라서는 협상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학교 교육 역시 학습자들이 타인과 관계를 맺어 상부상조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일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개인 간 갈등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소집단 또는 학급 전체의 토론 활동 참여 기회를 자주 부여하여, 갈등문제를

타인과 함께 해결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합리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체득하도록 해야 할 것

이다. 학습자들이 이러한 과정을 일상적인 교실 수업에서 경험함으로써 갈등을 조정․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면 미래의 직업세계에서 맡은바 역할에 충실한 성공적인 사회인

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7) 민주시민 의식

가) 개념

민주시민 의식이란 민주사회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다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가치관을 의미한다. 이 개념에는 민주사회에 대한

책임감, 상호의존적인 세계에서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능력, 민족과 인류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하는 능력, 열린 가치관, 집단 구성원으로서 적절

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사람들을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위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등이 포함된다.

  나) 필요성

미래사회는 세계화가 가속화됨으로써 다원화, 다문화, 다양한 사고방식과 가치가 공존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하여 세대간, 계층간, 종교간, 민족간, 국가간 등 다양한 상황에서 갈등이

증폭될 가능성이 많다. 세계평화, 평등, 인권, 자유, 정의 등과 같은 전통적 가치가 미래 사

Page 3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29 -

회에서도 그대로 리더십 가치로 존중받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회의적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어려움이 예상될수록 초․중등학습자들은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과

미래사회의 핵심가치(책임감, 사회기부, 공동선의 추구, 열린 가치관 등)들을 공유하고 삶의

지표로 삼아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자국의 시민으로서만이 아니라 세계 시민으로서의 의식도

필요하다.

라. 창의지성역량의 계발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 총체적 학교 교육활동을 통해 계발

되어야 한다. 학교는 모든 교육활동에서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일관성을 갖고 지도해야 한다.

각 교과에서는 교과 교육 목표에서 창의지성역량의 요소를 추출하여 체계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교수ㆍ학습 방법을 창의지성역량 계발에 초점을 맞춰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즉, 창의지성역량은 교과에 따라 필수 학습 요소가 될 수도 있고, 필수 학습 요소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계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능력’에서 중요시되는 바른 언

어를 사용하는 능력,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능력 등은 국어 교과에서는 학생

들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학습 요소이다. 또 ‘의사소통능력’은 과학 교과에서는 필수적

학습 요소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길러질 수 있다. 특정 학습요소를 학습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고 실험의 결과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서로 토론하는 과

정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교사는 수업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주

요 학습 목표를 설정할 때, 또는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구안할 때

단위 수업을 통해 증진시킬 수 있는 창의지성역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수행평

가’의 중요 요소로 반영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기타 학교 교육활동을 설계할 경우 창의지성역량은 활동의 주요

목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각종 체험활동이 교육목표와 유리된 채 활동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총체적 삶의 맥락 속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에서는 교육활동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이 활동을 통해 증진시키고자 하는 창의지성역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은 특정 교과목이나 교육활동을 통해 단시간 내에 길러질 수 없다.

이는 직·간접 체험과 이를 바탕으로 한 반성적 사고훈련을 거쳐 점진적으로 발전한다. 경기도

교육청은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창의지성역량이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계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초, 중등학교를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운영하고자 한다.

초등 중등

1단계 2단계 3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초1~초2 초3~초4 초5~초6 중1~중2 중3~고1 고2~고3

창의지성 교육과정 창의형 진학․진로과정

Page 3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0 -

4 학생 발달 단계에 따른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학생의 발달이란 연령 증가에 따라 일어나는 신체, 행동, 인지, 정서 및 성격상에 나타는

여러 변화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전적 요인에 의한 변화와 경험이나 학습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학생 발달은 학교 교육목표 설정,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에 있어서 기초 자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에 있어서도 발달 단계에 따른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제시한 단계 단계별 발달특성은 심리학적 이론에 기초하였지만 대부분은 현장에서

직접 관찰한 경기도 학생들의 일반적인 발달특성이며, 개개인의 발달 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가. 초1∼초2

1) 발달 특성

가) 신체적 발달 특성

- 신체발달의 불균형이 나타나고, 몸에 비해 머리가 큰 단계라 무게 중심이 위에 있어

잘 넘어지고 자기방어를 잘하지 못한다.

- 운동 기능의 발달로 장난이 심해지고 주의력과 인내력이 약해 제재를 가하지 않으면

계속 운동을 즐기므로 쉽게 피로를 느낀다.

- 손과 발의 협응력이 좋아져 큰 공을 가지고 놀기 좋아하나 소근육 발달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손의 힘이 약해 작은 글씨, 많은 글씨는 무리가 있고 줄넘기와 가위질에

어려움을 보인다.

나) 인지적 발달 특성

-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고 전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판단력이 약하다.

- 논리적 사고력이 미약하고 도덕적 의식이 부족하여 사실과 상상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고 거짓말을 잘한다.

- 상상력과 창조적 표현 능력이 발달하여 자기 나름대로 색다른 표현방법을 쓰기도

하지만, 모방을 좋아하기도 한다.

- 크기와 방향감각(왼, 오른, 동서남북)이 불확실하지만 공간 지각력이 조금씩 형성되어

마을 정도의 공간을 이해할 수 있다.

- 집중력이 생기나 선별적이고 개인차가 있다.

- 시간관념이 막연하고 현재 중심적이며 가역적 사고 능력 발달이 미흡하다.

Page 3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31 -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자기주도 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3R‘s) 기르기

․학습준비 스스로 하기

․바른 학습태도 익히기

자기관리능력

․기본적인 생활습관 및 태도 형성하기

․규칙적인 생활하기

․자기를 보호할 수 있는 힘 기르기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주변 사물과 현상에 대해 호기심 갖고 탐구하기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 찾아보기

문화적 소양능력․다양한 문화예술 체험하기

․보고 듣고 느낀 점 표현하기

다) 정서적 발달 특성

- 정서가 격정적이고 매우 극적이며 종종 성급함을 보인다. 때로는 언어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

- 감정 위주로 행동하며 집단의식이 거의 없다.

- 자신에 대한 과장된 인식 혹은 비판적 인식으로 인해 자신이 행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이행하려 하고, 상당한 정도의 자기 통제를 할 줄 알게 됨에 따라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기 시작한다.

- 교사의 인정을 받으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심부름하기를 좋아하고 자기 혼자서 칭찬

받는 것을 좋아하고 대체로 성인의 기분 변화에 민감하다.

- 선악의 판단은 어른의 판단을 기준으로 생각하고 교사를 절대적 권위자로 생각한다.

-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 서툴기 때문에 작은 신체접촉도 참지 못하여 싸우는

경우가 생긴다.

라) 사회적 발달 특성

- 행동은 개인적인 성향이지만 사회의 요구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시작하여 규칙의

내면화가 중요한 과제가 된다.

- 남의 잘못에 대해 비난은 하지만 다른 사람의 비난을 수용하는 데는 주저하고 경쟁심이

강하여 잘 싸우나 곧 풀어진다.

- 관심의 대상이 가족에서 또래로 바뀌고, 사적인 관계를 맺고 싶어 한다.

- 자기 조절력이 발달하면서 규칙을 왜 지켜야하는지 이유도 알고, 규칙을 지키면서

쾌감을 느낀다.

- 놀이 집단의 규모가 확대되며, 간단하고 협동적이고 조직적인 놀이를 즐긴다.

2)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Page 3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2 -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의사소통능력

․타인의 말을 경청․이해․반응하기

․바른 언어 사용하기

․나의 생각과 감정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대인관계능력

․타인에 대한 배려와 관용의 능력 기르기

․타인과 관계형성 능력 기르기

․협동심 기르기

민주시민 의식

․규칙과 질서 배우기

․따돌림, 폭력 등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배우기

․함께 생활하는 방법 배우기

․나와 다른 사람 이해하고 존중하기

나. 초3∼초4

1) 발달 특성

가) 신체적 발달 특성

- 대체로 대근육을 활용한 실외 활동을 좋아하고 정확성, 치밀성이 어느 정도 생기게

되어 손끝 운동을 잘 하게 된다.

- 비만아가 늘고 신장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신체발달이 빠른 아동인 경우 2차

성징이 나타나 초경을 경험하기도 하고 성장통을 앓는 남자 아이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 남자 아이들은 활발하게 움직이는 운동을 즐겨하고, 여자 아이들은 움직이는 것을

귀찮게 생각하고 싫어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나) 인지적 발달 특성

- 기초적인 논리적 사고단계가 시작되는 시기이며 구체적 조작 과정을 머릿속에서

할 수 있는 초보적 시기로서 새로운 지식, 개념을 배우고자 하는 열의가 생긴다.

- 시공간에 대한 구별이 존재함을 인식하기는 하나 지리적 공간 개념은 부족하다.

학교와 자주 다니는 곳 몇 곳을 제외하고는 공간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지 못 한다.

- 자기중심성이 조금씩 해소되면서 문제 해결력, 창조적 사고가 발달한다.

- 현실 세계에 대한 관심이높아지고 가공의 세계와 현실 세계에 대한 구별을 확실히 한다.

- 비판적 사고가 형성되고, 자율적인 도덕성을 일부 습득하게 되어 머릿속의 도덕적

기준과 현실의 모습에서 차이를 인식하게 된다.

- 수리력, 추리력이 현저히 발달하고, 어휘력이 풍부해지고 말하기 능력이 신장된다.

다) 정서적 발달 특성

- 끊임없이 자신이 한 일이나 능력 등을 남들에게 설명하고 인정받기를 원한다. 친구들

사이에서는 아직 상대 입장에서 생각하고 바라보는 힘이 부족해서 자주 다툰다.

Page 3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33 -

- 자기정체성이 생기기 시작하고 자신의 행동결과에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이해하는 능력이 생기면서 발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 또래 집단 형성이 뚜렷하여 소외감을 느끼는 아동이 많아지고, 급우에게 열등감을

갖고 시기하는 마음이 생긴다.

- 아직은 자기중심적이고 스스로의 행동이 불완전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는 높은 도덕적

잣대를 대기도 한다.

- 성역할에 대한 관심이 여자 아이들 중심으로 높아지기 시작하고 이성에 호기심을 갖게

되면서 남녀 차이를 느끼기 시작한다.

라) 사회적 발달 특성

- 모둠원끼리 역할을 나누고 협력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미약하나마 질서 의식이 싹튼다.

-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어른들이나 다른 아동을 칭찬

할 수 있게 되고 애정을 주고받을 수 있다.

- 사회의 여러 현상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고 나름대로 판단해 비판하는 의식도 생긴다.

- 또래 집단이 강해져 밀착된 관계를 만들고 지켜 가려고 하면서 친구 관계가 소유의

형태로 밀착되고 그 안에서 깊게 교류한다.

- 교사의 권위는 인정하지만, 부모의 권위에는 반항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독립성을

키워나간다.

2)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자기주도 학습능력

․지속적으로 학습을 계획․관리․실행하는 능력기르기

․학교생활에 최선을 다하기

․독서의 즐거움 경험하기

자기관리능력

․여가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함양하기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기

․합리적인 소비 생활과 경제관념 형성하기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정보 수집 및 분석능력 기르기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 인식 및 활용능력 기르기

․이유나 근거를 제시하는 능력 기르기

문화적 소양능력

․다른 집단과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

․세계 모든 나라들이 지구촌으로 통합되는 국제적 경험 이해하기

․상호 의존과 신뢰하기

의사소통능력

․집단토론에 참여하기

․글에 대한 비판적 분석하기

․유려하게 글쓰기

․외국어 활용능력 기르기

Page 3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4 -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대인관계능력

․타인과 관계형성 능력 기르기

․인간 중심 사상 이해하기

․협동심 기르기

민주시민 의식

․규칙과 질서의 필요성을 알고 지키기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

․타인배제, 인권침해, 폭력 등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체득하기

․공동체 안에서 살기 위해 갖추어야할 덕목 깨닫기

․민주적 과정에 의거한 행동규범 수용하기

다. 초5~초6

1) 발달 특성

가) 신체적 발달 특성

- 여자 아이들은 생리를 시작하고 남자 아이들은 변성기가 오는 등 대부분 2차 성징이

나타난다.

- 남자 아이들의 신체 발달이 현저히 빨라지나, 여전히 여자 아이들이 남자 아이들에

비해 키와 몸무게에서 앞선다.

- 남녀의 운동 능력 차이가 두드러진다.

나) 인지적 발달 특성

- 옳고 그름에 대한 분별력이 거의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고 자기 주장에 대한 적절한

근거를 들 줄 안다.

- 공부에 대한 부담을 많이 갖게 되며,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에 집중하는 아이들이

늘어난다.

- 고학년이 되어 교과내용이 어려워지면서 학력 차이가 뚜렷해지고, 몇몇 과목은 아예

포기하는 아이들이 늘어난다.

- 도덕성의 이해는 어른 수준에 가까워지지만 도덕적 실천력은 미약한 상태이다.

다) 정서적 발달 특성

- 자존심이 강해지고 모르는 것을 물어 볼 용기가 부족해서 수업 중에도 질문이 잘 나

오지 않는다.

-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보이고, 진지하고 순수하여 올바른 것에 대한 정의감이 높다.

- 사춘기에 들어서면 아이들은 감정 조절을 잘하지 못하여 작은 일에도 벌컥 화를

내곤 한다.

- 자신이 잘하는 점을 친구들 앞에서 당당하게 자랑하는 한편, 자신이 잘하지 못하는

Page 3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35 -

면이 있더라도 기죽지 않는 등 자기 자신에 대해 강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 급격한 신체적 변화를 겪으며 어린 아이의 수준은 벗어났지만 청소년처럼 깊이 있는

사고를 하기엔 아직 부족한 나이임에도 어른 대접을 받고 싶어 한다.

라) 사회적 발달 특성

- 또래관계에서 정치적인 모습이 두드러지고 여자 아이들은 배타적인 소집단을 만들어

행동하며, 또래 문화에 속하지 않는 아이가 등장한다.

- 서열을 매기며 상하 관계를 중요시 하는 경향이 생긴다.

2)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신만의 꿈과 목표를 설정하기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기

․학교생활에 최선을 다하기

․경험의 토양을 쌓기

․다양한 독서체험하기

자기관리능력

․자기감정을 조절하여 말하기

․자아 정체성 확립하기

․합리적인 소비 생활과 경제관념 형성하기

․여가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함양하기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기

․지속적으로 학습을 계획․관리․실천하는 능력 기르기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정보 수집 및 분석능력 기르기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 인식 및 활용능력 기르기

․이유나 근거를 제시하는 능력 기르기

문화적 소양능력

․다른 집단과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

․모국과 다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기

․세계 모든 나라들이 지구촌으로 통합되는 국제적 경험 이해하기

․상호 의존과 신뢰하기

의사소통능력

․타인의 말을 경청․이해․반응하기

․집단토론에 참여하기

․텍스트 읽기 및 비판적 성찰하기

․글에 대한 비판적 분석하기

․외국어 활용능력 기르기

대인관계능력

․타인에 대한 배려와 관용의 능력 기르기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기르기

․인간 중심 사상 이해하기

․협동심 기르기

민주시민 의식

․타인배제, 인권침해, 폭력 등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체득하기

․인권의 의미와 중요성 이해하기

․민주적 과정에 의거한 행동규범 지키기

Page 4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6 -

라. 중1~중2

1) 발달 특성

가) 신체적 발달 특성

- 신체의 내부 및 외부기관이 매우 빠른 속도로 불균형하게 성장한다.

- 신체적 성숙이 매우 빠른 시기이나 여학생의 성숙도가 남학생에 비하여 더욱 빠르다.

- 신장과 체중의 성장률에 개인차가 있다.

- 넘치는 에너지와 열정을 발산하려는 욕구가 강하여 신체 활동이 왕성하다.

- 성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되어 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때로는 충동적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나) 인지적 발달 특성

- 현실 지향적 사고의 특성을 보이며, 혼자만의 공부에 몰두하는 경향이 강하다.

- 입시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상급학교에의 진학이 학교에 다니는 이유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다.

- 인지적인 측면에서의 발달이 급격히 진행되며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실생활과 관련

짓는 능력이 발달한다.

- 학습 성취동기가 높은 학생과 학업으로부터 도피하려는 학생이 명확히 구분되기

시작한다.

다) 정서적 발달 특성

- 정서적으로 혼돈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불안감이 높아지게 된다.

- 깊게 생각하지 않고 쉽게 결론을 내려 미성숙한 판단을 하는 경향이 많다.

- 너무나 많은 개인적인 문제들에 대한 대답을 찾고 있으나 겉으로는 내색하지 않는다.

- 자기 표현과 주장이 강하고, 자아정체의식이 뚜렷하지 않은 과도기적 상태에 있기

때문에 때로는 기성세대에 반항하기도 하고, 심한 좌절감을 맛보기도 한다.

- 사회에서의 자기 위치와 역할이 분명하지 않은 데서 자칫 소외감을 느끼기도 한다.

-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는 것을 싫어하고, 학습에 있어서 단순한 암기를 지루해 한다.

- 타인의 고통에 둔감하여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고통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라) 사회적 발달 특성

- 유머를 잘 써 어려운 상황들을 종종 쉽게 만들며 놀리기를 좋아한다.

- 새로운 경험에 대한 동경이 있어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 하며, 자기 자신들만의 결정을

추구하기도 한다.

Page 4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37 -

- 가정에 대한 충성심보다는 우상화된 영웅에게 충성하는 경향이 있다.

- 공감과 타인을 배려하는 것에 대한 교육적 경험이 부족하여 협동심과 공동체 의식이

다소 약한 편이다.

2)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자기주도 학습능력

․진학 및 진로와 직업 탐색하고 준비하기

․지적 활동에 몰입하거나 원인 탐색하기

․학습의 기본 능력 구비하기

․자발적인 학습 진단과 목표설정을 통한 동기 갖기

․부모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할 수 있는 능력 키우기

․정보화 사회에 대처하기 위한 정보 매체 활용 능력 키우기

자기관리능력

․ 자아정체성 형성하기

․ 성공 경험을 통해 자아 존중감 형성하기

․ 절제와 인내심 기르기

․ 확장된 세계관 형성하기

․ 스포츠 기술 개발 및 건강 증진시키기

․ 교과나 예술분야에 1 특기․적성 키우기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해결방법 모색하기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 찾아보기

․주어진 여러 문제를 비교할 수 있는 능력 키우기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기르기

․유연한 태도로 비판하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 기르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능력 기르기

문화적 소양능력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발전시키려는 태도 형성하기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애호하는 태도 기르기

․문학 및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능력 키우기

․다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관용적으로 포용할 줄 아는 능력 기르기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개념 익히기

․예술적 심미안 기르기

의사소통능력

․상황에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 체득하기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소통하기

․자기감정 조절하여 말하기

․다양한 자료해석 능력 익히기

․자신의 생각을 바르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주의깊게 경청하기

대인관계능력

․타인과의 상호 협동심 배양하기

․사회적 협력 기능 함양하기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하기

․타인을 존중하는 마음 갖기

․나 전달법의 대화능력 기르기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는 마음 갖기

Page 4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8 -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민주시민 의식

․ 민주적 학급 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하기

․ 정직한 마음으로 민주적인 행위를 실천에 옮기기

․ 관용과 이해의 마음 갖기

․ 자유에 따른 책임감 기르기

․ 사회 정의의 개념 익히기

․ 수용과 신뢰의 마음으로 민주적 태도를 갖기

마. 중3~고1

1) 발달 특성

가) 신체적 발달 특성

-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신체적으로 더 발달하여 비교적 발달된 자기 모습을 정립한다.

- 남학생은 여전히 신체의 내부 및 외부기관이 매우 빠른 속도로 불균형하게 성장한다.

- 성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되어 이성 친구에 대한 호기심을 넘어 직접 사귀기 위해

시도한다.

나) 인지적 발달 특성

- 철학적인 체계를 내세워 자기주장을 펼쳐 나가며, 끊임없이 부정하는 태도는 사색하는

방식을 명확하게 해주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아를 발견해 나간다.

- 다른 사람과 구분되는 개성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 욕구는 있으나 자아와 개성을 발견

하는데 있어 소극적이다.

- 인지적인 측면에서의 발달이 급격히 진행되며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실생활과 관련

짓는 능력이 발달한다.

다) 정서적 발달 특성

- 활기에 차 있거나 행복해 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여 좌절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생활상을 보여 준다.

- 자신의 용모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는가에 따라 타인에 대한 행동이 달라진다.

- 여학생은 정서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더욱 민감하고, 쉽게 상처를 입거나

좋아하게 된다.

라) 사회적 발달 특성

- 예의가 바르지만 일반적으로 감정 표출에 있어서는 세련미가 부족한 경향이 있다.

- 자아에 대한 절대적 존재감이 부족하여 또래집단에다 기반을 구축하려 든다.

- 공감과 타인을 배려하는 것에 대한 교육적 경험이 부족하나 협동하는 능력과 공동체

의식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Page 4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39 -

-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우정과 대인관계에 더욱 관심을 쏟는 편이며, 사물보다는 사람

들에게 더욱 관심을 갖는다.

2)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자기주도 학습능력

․진로 설계를 한 후 진학 결정하기

․학습 플래너를 작성하여 실천하기

․자기가 아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한 학습하기

․혼자 하는 학습에서 공동체가 함께 고민하고 배우는 학습 방법 익히기

․단순한 암기로 단기 기억력을 높이기보다는 복습과 예습을 습관화하여

장기 기억력을 높이는 학습하기

․ 자기 노력에 대한 스스로의 보상을 통해 지속적인 학습력 키우기

자기관리능력

․자신의 생각대로 자유로이 실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자아 찾기

․실수나 잘못된 행동에 지나친 반응 삼가기

․자신의 진로 계획을 작성해 보고 현실적인 진학 탐구해 보기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을 자신의 의지로 구분하여 지키기

․스포츠나 예술 분야의 취미활동을 통해 스트레스 관리하기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 발견하기

․문제에 대해 논리적인 문제해결 방법 제시하기

․다양한 정보 획득 방법을 익혀 문제해결의 융통성 갖기

․혼자만이 아닌 주변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문화적 소양능력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공연에 대한 정보 찾고 체험하기

․문학 및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융합적인 태도로 사고력 키우기

․다른 나라의 문화를 그 나라의 사람 시각에서 이해하기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과 사귀면서 다양한 문화 체험하기

․외국문화원 탐방을 통해 다양한 문화 이해하기

의사소통능력

․자신의 생각에 반대되는 의견 수렴하기

․자신의 감정을 좀 더 세련되고 자연스럽게 표출하기

․다각적인 측면에서 생각하고 다양한 표현 방법 익히기

․타협과 공감을 통해 타인 설득하기

대인관계능력

․적극적인 경청의 기술을 익혀 공감하기

․긍정적인 언어 사용을 통해 타인에게 신뢰감 형성하기

․나보다는 타인을 먼저 배려하기 위한 행동 익히기

․나와는 다른 사람들을 인정하고 포용하기

․존중과 나눔을 실천하여 상대방을 배려하고 있다는 믿음 주기

민주시민 의식

․ 봉사활동을 통해 타인 존중하기

․ 롤 모델 찾기를 통해 가치관 확고하게 하기

․ 정정당당하게 규칙을 지키고, 규칙을 적용함에 있어 일관성 갖기

․ 수용과 신뢰의 마음으로 공동체 규칙 만들기

Page 4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40 -

바. 고2~고3

1) 발달 특성

가) 신체적 발달 특성

- 어른에 가까운 신장의 확대는 긍정적인 반응으로 이어지기도 하나, 신장의 확대와

근육발달 간의 시간적 격차로 인한 불균형적이고 어색한 모습은 부정적인 반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내면적인 것보다 외적인 신체부분, 즉 키의 크고 작음이나 비만, 얼굴모양, 체격과

미모 등에 가장 많은 관심을 나타낸다.

- 감정, 신체 그리고 정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 세포 사이의 연계가 불안전하다.

나) 인지적 발달 특성

-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고, 합리성과 논리성이 발달하여 가설, 연역적 인지구조를 갖게

되며,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 선택이 가능해진다.

- 삶의 의미를 생각하고 사회적인 규범과 가치관을 이해하며, 예술 작품이 상징하는

것을 알게 된다.

- 미래의 자신이 나아갈 사회에 대한 생각을 시작하며 새로운 인지능력에 의해 새로운

이상향의 개념을 갖게 된다.

- 인지 발달 수준이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게 되지만, 적절한 교육이나 자극을 받지 못하면

이전 단계인 구체적 조작기 단계에 머무는 경우도 많다.

다) 정서적 발달 특성

- 자아 정체감을 바르게 형성한 청소년은 삶의 목표가 뚜렷하고 자신감을 갖는다.

- 자신이 독특한 존재로 인식되어지길 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인 발달,

친구들과의 우정, 다른 사람의 관계 등을 탐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활동과 행사에

참여하기를 원한다.

- 정서를 표현하는 능력이 세분화되고 성숙하며 감정이 풍부하고 감상적인 면을 보인다.

-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하고 감정의 변화가 심하며, 감정 표현이 격화되고 욕구

불만이 되어 행동의 균형을 잃기도 한다.

라) 사회적 발달 특성

- 자주성이 강해져 간섭받기 싫어하고 가족보다 친구들에게 친근감과 동질감을 느낀다.

- 어른들의 지시를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 하려 하면서 기성세대와

갈등하지만,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독립성이 발달한다.

- 이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크고 집단생활을 통한 건전한 교제를 경험한다. 

Page 4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41 -

- 또래에게서 반사회적 행동 등을 배우기도 하고 자기 집단 외의 또래에 대해서는

거부하는 배타성을 가지게 된다.

- 감독하는 사람이 아예 없는 상태에서 과업을 수행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는 기술이 비교적 잘 발달되고 친구와의 우정이 비교적

오랫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마) 진로 발달 특성

- 자신의 존재 가치와 역할을 깨달아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며 자신에 대하여 고민하는

과정에서 앞으로의 직업과 진로에 대한 탐색의 기회를 갖게 된다.

- 직업의 세계에서 성공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직업의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자격이나 능력 요건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다.

- 진로문제에서 자신의 적합성 여부, 교육조건, 선택가능성 등에 초점을 두면서 대안을

점차적으로 줄여간다.

- 직업발달 단계에서 탐색기 중 잠정기로 욕구, 흥미, 능력, 가치, 직업적 기회 등을

고려하기 시작한다.

- 잠정적인 진로를 선택하고 그것을 환상, 토의, 일, 기타 경험을 통해 시행해 본다.

2)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자기주도 학습능력

․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고 준비하기

․ 진로 선택을 위한 목표를 정립하기

․ 일생을 살아갈 지침이 될 가치를 획득하기

․ 자기의 능력과 적성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히 파악하기

․ 학습계획 및 목표 수립 능력 및 목표 달성 실행 능력 기르기

자기관리능력

․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하기

․ 성적충동이나 감정을 통제하기

․ 부모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하기

․ 체력과 체능을 증진시키는 건강한 습관을 기르기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바른 이해와 지식 갖기

․ 일생을 살아갈 지침이 될 가치를 획득하기

․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기르기

문화적 소양능력

․ 외국문화 및 국제관계에 대한 이해 넓히기

․ 문학 및 예술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 기르기

․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보존,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지식 갖기

Page 4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42 -

창의지성역량 창의지성역량 계발의 주안점

의사소통능력

․ 문법과 격식에 맞는 언어소통능력 기르기

․ 합리적이고 타당한 자기 의견 제시하기

․ 논리적인 표현능력 기르기

대인관계능력

․ 웃어른에 대해 공경하는 태도를 기르기

․ 좋은 친구를 선택하여 우정을 두터이 하기

․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받아들이고 수행하기

․ 타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동료집단과 잘 어울리기

․ 바람직한 이성교제에 대한 바른 태도를 발전시키기

민주시민 의식

․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기본적 지식 갖추기

․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행동을 책임 있게 수행하기

․ 외국문화 및 국제관계에 대한 이해 넓히기

․ 사회질서를 지키고 공익을 존중하기

․ 건전한 국가관 확립하기

Page 4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43 -

Ⅳ. 경기도 교육과정의 운영

경기도 교육과정은 초․중등 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살펴 재구성하고, 창의성을 성장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풍부하게 한 교육과정이다. 이 교육

과정은 경기교육의 지향점인 창의지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에 중점을

두며, 창의지성 교육과정과 창의형 진학․진로교육과정으로 구성된다. 창의지성역량을

기반으로 한 고등 사고 능력은 단시간 내에 길러질 수 없으며 직ㆍ간접 체험과 이를 바탕

으로 한 반성적 사고 훈련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한다. 따라서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창의

지성역량의 계발을 위해서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간 초, 중, 고 학교급을

연계하여 ‘창의지성 교육과정’으로,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을 ‘창의형 진학·진로과정’으로

운영한다.

경기교육의 지향점 창의지성교육

창의지성역량

·사고-인식영역 :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관리능력

·삶과 문화영역 : 협력적 문제발견 해결능력, 문화적 소양능력

·사회생활영역 :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민주시민 의식

교육과정 운영

창의형 진학·진로과정

(고2~고3;2년)

․진로 집중 과정의 점진적 분화 및 과정별 학습

영역, 수준의 차별적 설계 제시

․과제 지향형 프로젝트 학습

창의지성 교육과정

(초1~고1;10년)

(중등:중1~고1;4년)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

(인문과학, 자연과학, 철학, 예술 등)

․교과별 창의지성 프로그램

․융합 창의지성 프로그램(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STEAM 등)

<경기도형 교육과정 개념도>

Page 4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44 -

1 창의지성 교육과정

가. 창의지성 교육과정이란?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을 학교급을 연계하여 창의지성 교육과정으

로 운영한다. 창의지성 교육과정은 창의지성역량 계발을 목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내용에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 등을 추가하여 내용을 풍부하게 하였으며,

교과별 창의지성 프로그램, 융합 창의지성 프로그램 등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 방법을

도입하였다.

창의지성역량은 단시간 내에 계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 점진적인 노력을 통해

계발 가능하다. 따라서 창의지성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운영한다.

초등 중등

1단계 2단계 3단계 1단계 2단계

초1~초2 초3~초4 초5~초6 중1~중2 중3~고1

각 단계별로 집중해서 계발하고자 하는 창의지성역량의 주안점을 설정하고 이것을 지속적

으로 강조하여 학생들의 생활 속에서 체화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학교

에서는 각 단계 내에서 담임교사의 연계, 교과 담당교사의 연계 등 일관성과 지속성 있는

교육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나. 창의지성 프로그램

1)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

가) 개념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은 자발적․비판적 사고와 협력적 태도로 인류의 지적․문화적

유산과 세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경험하여, 통찰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교육 프로그램

이다. 창의지성교육이 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해질 필요가

있다.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은 이를 위해 개발한 것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내용

(텍스트)은 핵심적 지성교육으로서 인류의 지적 전통과 확대된 지성교육으로서의 문화적

소양, 경험과 체험, 사회적 실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나) 프로그램의 구성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은 철학, 예술,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4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철학은 나와 주변 세계에 대하여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는 자성적 사고과정으로서,

Page 4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45 -

윤리학, 사회․정치,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형이상학 및 인식론의 부분적 도입을 주 내용

으로 하였다.

예술은 예술인 및 예술작품을 통해 다양하고 구체적 간접경험으로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과정으로서 실기와 감상, 인문 교양으로서의 예술교육을 담고 있다.

사회과학은 제반 사회적 현상을 가져온 원인에 대한 객관적 사고를 통해 민주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공동체와 개인, 자유와 평등, 국가와 사회, 시장과 기업, 성장과

분배 등을 주된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자연과학은 과학지식의 생성과정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 과정으로서, 과학이론, 과학사 및

과학철학, 비형식 과학교육 등으로 학습 내용을 확장하였다.

다) 적용 대상 및 방법

(1) 적용 대상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은 모든 학년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나 초등학교는

초등학교의 경우 5~6학년에서 적용 가능하며, 중․고등학교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 학습 방법 등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며,

학생의 발달 정도와 수준을 고려하여 적용할 것을 권장한다.

(2) 적용 방법

기초교양 프로그램은 학년 단위, 학급 단위, 동아리 활동 단위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학교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4분야를 모두 지도할 수도 있고, 1개 분야 혹은 몇 개의

주제를 떼어서 지도할 수도 있다.

이 프로그램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 지도가 가능하도록 포괄적인 학습 주제

선정하여 교과 간 통합과 학생의 흥미와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프로그램의 분야 및 주제, 학습 내용과 관련된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및 관련 교과에서, 또는 교과와 연계된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2) 융합 창의지성 프로그램

가) 개념 및 필요성

융합 창의지성 프로그램은 특별한 교육 내용이나 방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과 내, 교과 간,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서로 융합하여 운영하는 교

육과정을 말한다.

창의지성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지성역량은 단편적, 분절적으로 계발되는 것이 아니며,

종합적으로 지성 및 사고력의 성장과 연계되어 달성되어야 한다. 특히, ‘통찰’이나 ‘직관’은

어떤 여건이나 상황 속에서 전체를 전반적으로 꿰뚫어 볼 수 있는 조망능력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것으로, 분과적인 단편적 요소로는 기르기 힘들다. 또한 ‘지성’이란 지식의 맥락성,

연결성, 관계성을 강조하는 것에 그 바탕이 있으며, 실제 삶과의 연결된 유의미한 배움은

Page 5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46 -

통해 실생활과 통합된 살아있는 지식을 의미한다.

창의지성교육의 개념과 그에 따른 창의지성역량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총체성’이라는 성격은

학교 교육과정 및 수업이 분절적, 분과 학문적으로 운영될 것이 아니라 총체적, 융합 학문적

으로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나) 운영 방법

융합 창의지정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주체에 따라 학생중심 또는 교사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융합하는 방식에 따라 주제중심(Theme-Based), 과업 중심

(Task-Based), 문제중심(Problem-Based)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할 수 있다.

융합 창의지성 프로그램의 운영은 1) 여러 교과의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 하나의 교육과정

으로 융합, 재구성하여 학습하는 방법, 2) 특정 주제를 학습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여러 교과가

해당 교과의 학습 요소 중 주제와 관련 있는 요소를 추출하여 각 교과 시간에 집중하여

학습하는 방법, 3) 체험활동과 교과를 융합하여, 체험 속에서 관련 교과의 학습 요소를 학습

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운영하되, 학생 실태, 학교의 준비도

등 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실시할 것을 권장한다.

융합 창의지성 프로그램의 설계는 학습자 환경, 학교 환경에 따라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할 것을 권장한다.

단계 과정 주요 내용 및 방법

1단계 교사의 자기관점 세우기

·창의지성교육 및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자기관점

세우기

·교육목표에 분석

·융합의 필요성 및 효율성 검토

2단계 운영 방식 결정·학생 흥미 중심, 교사 중심

·주제 중심, 과업 중심, 문제중심

3단계 프로그램 내용 결정·잠정적 과제 선정

·융합 단위 결정

4단계 수업 계획 작성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

·연관된 교과 분석

·동학년(연관된 교과) 교사와 협의, 조정

5단계 확정된 프로그램 실행

·팀티칭을 통합 교과 간 융합 수업

·특정 주제 학습 기간을 설정하여 관련 교과에서

동일한 주제에 대해 수업

·교과와 체험학습을 융합한 수업 등

6단계 자기 반성·목표 및 실행 과정에 대한 반성

·학생의 학습 태도 및 결과에 대한 만족도

Page 5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47 -

3) 교과별 창의지성 프로그램

가) 개념

교과별 창의지성 프로그램은 교과 교육에서 창의지성교육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

록, 교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수업에서 이것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

로그램은 각 교과가 튼튼한 기초교육의 토대 위에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지성역

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교과 교육과정의 운영(교과 교육과정 설계 → 수업 → 평가) 방

법을 안내한 것이며, 이 교육과정의 3부(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에서 구체적으

로 제시되어 있다.

창의지성교육이 지향하는 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중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별 성취기준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

평가 방안을 구안한다. 특히, 각 교과에 창의지성교육의 내용(인류사회의 지적 전통, 문화적소

양, 경험과 체험, 사회적 실천)이 포함되도록 교육 내용을 재구성한다. 둘째, 각 교과를 분과적

으로 지도할 것이 아니라 타 학문과 융합되어 통섭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과 방법

을 구안한다. 셋째, 교수․학습 과정 속에서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진정한 배움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창의지성역량이 계발될 수 있도록 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구안한다.

나) 운영

교과별 창의지성 프로그램의 운영 체계를 요약하면 다음 표와 같다. 이 교과별 창의지성

프로그램 체계도는 전체 교과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기본 틀이 될 수도 있고, 단위 수업을

설계하는 기본 틀이 될 수도 있다.

<교과별 창의지성 프로그램 체계도>

Page 5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48 -

(1) 의도된 학습성과

‘의도된 학습성과’는 교과 또는 단위 수업에서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술한 것으로 교과 교육 목표, 수업 목표와 유사한 개념이다. 이는 교과 교육과정 또는 단위

수업을 운영한 후 학생들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지식 및 기능 습득, 태도 변화 등의 학습 성

과를 의미하며, 교과별 성취기준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의도된 학습성과’는 ‘의도된 이해’와 ‘의도된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도된 이해’는 학습

성과 중 교과 내용 지식과 유사한 개념이나, 단순한 교과 내용 지식의 습득을 넘어서 지식의

개념과 생성 원리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의미한다. 교사는 교과 교육과정이나 단위 수업

을 설계 시 학생들이 학습의 결과로 얻게 되는 지식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그 지식이 생

성된 배경과 생성 원리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의도된 이해’를 진술하는 방법은 수업 목표처럼 반드시 행동 용어로 진술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중학교 수학과 인수분해 단원의 성취수준은 “인수분해의 뜻을 알고, 인수분해를 할

수 있다.”로 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의도된 이해’는 첫째, 다항식을 인수분해 해야 하는 이유

와 유용성에 대해 이해한다. 둘째,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다항식을 인수분해 할 수 있다. 셋째,

타 교과에서 다항식의 인수분해와 유사한 분야를 찾아 그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인수분해가 응용되고 있는 다양한 사례를 알아본다.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의도된 기능’은 수업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성취하리라 기대하는 것으로, 학생들이 몸으로

익혀야 하는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태도, 가치관 형성 등 총체적으로 습득되는 역량을 의미한

다. 이는 학습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는 것으로 잠재적 교육과정과 유

사한 개념이긴 하나 교사의 의지가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될 필요가 있다는 의미에서 ‘의도된

기능’이라 표현하였다. 예를 들면, 토론식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

현할 수 있는 말하기 역량,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듣기 역량 등 의사소통역량, 민주시민 의

식과 같은 역량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형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협력적으로 문

제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는 역량, 대인관계능력과 같은 역량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

다.

(2) 교수․학습 방법의 구안

교사는 수업을 설계할 때, 내용 목표로서 ‘의도된 이해’와 방법 목표로서 ‘의도된 기능’을 동

시에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즉, 학생들이 교과의 성취기준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어

떤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학습하도록 할 것인지를 동시에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

다는 것이다.

우선 학생들이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조직할 필요가 있다. 즉, 성

취기준을 분석하여 어떤 내용을 어느 정도 수준에서 다룰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교과서를 기준으로 학습 내용을 정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교

과서는 학습 목표 성취를 위한 하나의 텍스트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의도된 이해’는 학생들

이 단순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서 그 지식이 생성된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Page 5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49 -

교과서뿐 만 아니라 여러 가지 텍스트들을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창의지성교육을 위

해서 교과서 이외의 텍스트로 창의지성교육 텍스트(인류의 지적 전통이 녹아있는 고전, 현대의

명저, 문화적 소양, 경험과 체험, 사회적 실천)와 창의지성 기초교양 프로그램,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수업 상황에서는 이런 다양한 텍스트들 중 어떤 내용을 선정하여 어떤 순서로 학생들에게

제공할까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것이 ‘학습 내용의 유목화 및 계열화’이다. 학습 목표 성

취를 위해 어떤 텍스트들을 어느 범위에서,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제시할 것인가가 ‘학습 내용의

유목화’이며, 어떤 순서로 제공할 것인가가 ‘학습 내용의 계열화’이다.

학습 내용의 선정과 더불어 교사는 어떤 수업 방법으로 학생들이 이것을 학습하도록 할 것

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성취하게 되는 ‘의도된 기능’

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고민이 ‘일반적 교수 전략’이다. 어떤 수업 방법을 적용

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학습 환경은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수업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력을

끊임없이 자극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수업을 이끌어 갈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수학에서 ‘물체의 측정’에 대해 학습할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단원에

서 학생들 성취해야 할 성취 기준은 “양의 크기를 비교하고 시간, 길이, 들이, 무게, 각도를 알

고 측정할 수 있다.”이다. 이 성취기준 중 이번 수업에서 교사는 ‘의도된 이해’로 “오차의 개념

과 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한다.”로 설정하였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토론식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 수업 설계에서 교사가 설정한 ‘의도된 기능’은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소양능력’ 등의 신장이다.

교사는 학생들을 6명씩 그룹으로 편성하여 모둠별 토론이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구축하였고, 모둠별로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서로 다른 눈금이 새겨진 6개의

자를 준비하였다. 이들 자 중에는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기 위해 학생들이 처음 접하는 ‘버어

니어 캘리퍼스’ 같은 고성능 자도 포함되어 있다.

수업의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로 주어진 물체의 길이를 측정해

보도록 하고 서로 다른 자를 가지고 있는 학생을 지목하여 자신이 잰 길이를 말하도록 한다.

서로 다른 자로 물체의 길이를 잰 만큼 학생들은 저마다 다른 값을 이야기할 것이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학생들 사이에서 같은 물체의 길이를 쟀는데 왜 서로 다른 값이 나왔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 것이고 그 이유에 대한 이야기들이 오갈 것이며 자연스럽게 자의 눈금이 서로 다르

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교사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같은 물건이더라도 서로 다른 눈금을 가진 자로 측정

하면 다른 값으로 읽듯이, 동일한 사건이더라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면 서로 다르게 이해할

수도 있음을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수업 목표로 삼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교

사는 같은 사건을 상반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텍스트를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읽게 한 다

음 학생들에게 왜 서로 다르게 생각하게 되었는지, 자신은 어떻게 생각하는 지를 발표해 보도

록 할 수도 있다.

Page 5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50 -

(3) 준거의 설정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에게 배움이 일어나도록 수업을 설계한다면 자칫 수업이 혼란한 상황

으로 빠져들 수 있다. 앞의 수업 사례에서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사이에 여러 가지 토론이

발생한다면 교실 상황은 매우 혼란스러울 것이다. 이런 혼란 속에서 교사는 최초에 생각했던

수업 목표에 집중해야 한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준거’이다. 준거는 교과 교육과정 또는 단위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성취기준과 유사한 개념이다. 성취기준이 학습의 결과로 학생들이 성취

하기를 기대하는 교과 내용 지식에 초점을 둔 것이라면, ‘준거’는 교과 내용 지식이 교과 전체

의 맥락이나 학생들의 삶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에 초점을 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

서 준거의 진술은 ‘무엇을 할 수 있다.’ 보다는 ‘왜 해야 하는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2009 개정 교육과정 수학과의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 분수와 소수의

의미를 이해한다.” 그런데 미국 NCTM에서는 같은 내용에 대한 성취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하고 있다. ‘양적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비와 비율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이처럼 준거는 실

생활의 맥락에서 현재 배우고 있는 교과 내용의 의미를 학생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할 필

요가 있다.

(4) 평가

창의지성교육에서의 평가는 학생들이 학습의 결과로 성취하게 되는 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

역에 대한 평가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의 결과로 얻게 되는 단순 지식뿐만 아니

라 분석력, 종합력 등 고등 정신 능력, 교과에 대한 흥미, 가치 등의 정의적 영역을 포함하여

‘자기 생각 만들기’에 대한 평가가 포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의도된 이해’는 지필 평가, ‘의도된 기능’은 수행 평가의 중요 요소가

될 수 있다. 지필 평가로는 학생이 수업을 통해 만들어 낸 자기 생각을, 수행 평가로는 수업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증진시킬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는 중요 요소가

될 뿐이지 반드시 이렇게 평가하라는 것은 아니다. 학생의 생각은 지필 평가 뿐만 아니라 구

술 평가 등 수행 평가의 형식으로 평가할 수 도 있으며, 학생이 성취한 역량은 지필 평가로도

충분히 평가가 가능하다.

교사는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를 활용하여 학생의 지적․정의적 영역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안목과 평가 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2 창의형 진학ㆍ진로과정

가. 창의형 진학ㆍ진로과정이란?

‘창의형 진학·진로과정’은 ‘창의지성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이 총체적 삶의

맥락 속에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능과 적성을 전문적으로

Page 5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1 -

성장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이를 위해 일반 고등학교에서는 인문사회/자연과학 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학생들의 진로에 따라 과정을 점진적으로 분화, 발전시키고, 각 과정별로 학

습할 영역, 수준 등을 학습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적으로 설계하여 제시한다. 또한 직업

교육 위탁과정, 예체능 등 특수한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에 대해 진로 및 전공과 관련된 공

공성 있는 외부기관 위탁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한다.

전문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배워야 할 교육 내용을 과제 중심으로 재구조

화하고 전문교과와 보통교과를 융합한 과제 지향형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도입하여 지식

중심의 기술교육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술을 창조할 수 있는, 미래 산업수요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진로 교육의 방향을 보면 1) 직

업세계에 대한 이해 교육의 강화 2) 직업기초능력 습득의 단계적 심화지도 3) 직업교육 훈

련의 질 제고를 중심으로 평생사회의 구축 지향 4)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교수ㆍ학습 프로

그램 개발 5) 선 취업 후 진학 체제 구축으로 분야별 전문직업인 양성 교육이 필요하다.

나. 창의형 진학ㆍ진로과정의 운영 방향

창의형 진학․진로과정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창의형 진학․진

로과정을 위해서 학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필요가 있다.

첫째, 진학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실질적인 진로 선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특성화하여야 한다.

둘째,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교육청과 학교는 소수 학생이 선택하는 교과목의

개설, 새로운 선택과목의 신성 등 학생의 진로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대학, 산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교육과정 운영으로 대학 및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특히 특성화 고등학교에

서는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현장 위주의 교육과정 편성으로 직접 경험을 통한 학과 및

직업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Page 5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5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

Page 5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5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55 -

경기도교육청 고시 제2012-36호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경기도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2년 9월 12일

경 기 도 교 육 감

부 칙

1. 이 교육과정은 학교 급별, 학년별로 다음과 같이 시행합니다.

가. 2013년 3월 1일 : 초등학교 1, 2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영어)

나. 2014년3월1일 :초등학교3, 4학년, 중학교2학년, 고등학교1학년, 고등학교2학년(영어)

다. 2015년3월1일 :초등학교5, 6학년, 중학교3학년, 고등학교2학년, 고등학교3학년(영어)

라. 2016년 3월 1일 : 고등학교 3학년

단,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의 필수 이수는 2012학년도 1학년부터 적용합니다.

2. 중․고등학교 학생의 학기당 이수 과목 수 8과목 이내 편성은 여건이 허용되는 학교의

경우 2012년 2학기부터 체육, 예술(음악/미술) 과목의 경우 8개 이내에서 제외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3. 중학교에서의「학교스포츠클럽」활동은 2012년 2학기부터 1~3학년에서 시행합니다.

Page 6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6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57 -

Ⅰ.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기저

1 성격 및 특징

가. 이 지침은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2011.08.09.) 제2012-3호(2012.03.21.), 제2012-14호(2012.07.09.)및지방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제20조 제6항에 따라 경기도교육감이 지역 교육청과 학교에 제시한

것이다.

나. 이 지침은 경기도 초, 중, 고등학교 및 이에 준하는 학교에서 편성ㆍ운영하여야 할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공통적이며 일반적인 기준과 내용을 경기도교육청의 교육 시

책과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상세화한 것이다.

다. 학교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이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 여건에 맞게 학교 교육과

정을 편성ㆍ운영하여야 한다.

라. 이 교육과정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1)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

이다.

(2)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3) 교육청과 학교, 교원ㆍ학생ㆍ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이다.

(4) 학교 교육 체제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5)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2 구성 방침

이 지침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경기도 교육의 지향점인 창의

지성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도 교육청 수준의 지침으로서, 그 구성 방침은 다음과 같다.

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나.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공통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

년까지의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성한다.

다. 경기교육의 지향점인 창의지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Page 6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58 -

1학년까지 10년을 학교급을 연계하여 ‘창의지성 교육과정’으로, 고등학교 2학년부터

3학년까지 2년을 ‘창의형 진학ㆍ진로과정’으로 운영한다.

라.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경직성을 탈피하고, 학년 간 상호 연계와 협력을 통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학년군을 설정한다.

마. 공통 교육과정의 교과는 교육 목적상의 근접성, 학문 탐구 대상 또는 방법상의 인

접성, 생활 양식에서의 연관성 등을 고려하여 교과군으로 재분류한다.

바. 선택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기초영역 학습 강화와 진로 및 적성 등을 감안한 적정

학습이 가능하도록 4개의 교과 영역으로 구분하고, 필수 이수 단위를 제시한다.

사. 학기당 이수 교과목 수 축소를 통한 학습부담의 적정화와 의미 있는 학습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집중이수를 확대한다.

아. 배려와 나눔의 실천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운영한다.

자. 교원, 교육 행정가, 교육과정 전문가, 학생, 학부모 및 지역 사회의 다양한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다.

차.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범위 안에서 지역 특성과 학교별 여건에 맞는 다양하고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도록 단위 학교의 자율성을 확대한다.

카. 학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하여 교육과정 평가 체제를 확립하고, 자율성 확대에 따른

학교의 책무성을 제고한다.

타. 모든 교육 활동을 통해 인성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Page 6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59 -

Ⅱ.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1 초등학교

가. 초등학교 교육목표

초등학교의 교육은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 습관

형성, 바른 인성의 함양에 중점을 둔다.

(1) 풍부한 학습 경험을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일의 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한다.

(2) 학습과 생활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이를 새롭게 경

험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운다.

(3) 우리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올바른 태도를 기른다.

(4)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며 타인과 공감하고 협동하는 태도, 배려하는

마음을 기른다.

나. 편제와 시간배당

(1) 편제

(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으로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①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한다. 다만, 초등학교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한다.

②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2) 시간 배당 기준

구분 1~2학년 3~4학년 5~6학년

(군)

국어 국 어448

수 학256

바른 생활 128

슬기로운 생활 192

즐거운 생활 384

408 408

사회/도덕 272 272

수학 272 272

과학/실과 204 340

체육 204 204

예술(음악/미술) 272 272

영어 136 204

창의적 체험활동 272 204 204

학년군별 총 수업 시간 수 1,680 1,972 2,176

Page 6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60 -

①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②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③ 학년군별 총 수업 시간 수는 2년 간의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④ 실과의 수업 시간은 5~6학년 과학/실과의 수업 시수에만 포함된 것이다.

다.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중점

(1) 학교는 1학년 학생들의 입학 초기 적응 교육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를 활용

하여 자율적으로 입학 초기 적응 프로그램 등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2) 학교는 모든 교육 활동을 통해 학생의 인성과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 한다.

(3) 각 교과의 기초적, 기본적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학습되도록 계획하고, 정확한 국

어사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특히 기초적 국어사용 능력과 수리력

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4) 학교의 특성, 학생ㆍ교사ㆍ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과

(군)별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운영할 수 있다. 단, 예술(음악/미술),

체육 교과(군)의 수업 시수는 감축하지 아니한다.

(5) 학교의 여건과 교과(군)별 특성을 고려하여 학년, 학기별로 집중 이수를 통해 학기당

이수 교과 수를 감축하여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6) 정보통신활용교육, 보건교육, 한자교육 등은 관련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7) 전입 학생이 특정 교과목을 이수하지 못할 경우, 지역교육청과 학교에서는 ‘보충

학습 과정’ 등을 통해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보충 학습 과정’에

대한 세부 사항은 별도의 계획에 의한다.

(8) 학년을 달리하는 학생을 병합하여 복식 학급을 편성 운영하는 경우에는 교육 내용의

학년별 순서를 조정하거나 공통 주제를 중심으로 교재를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9) 학교는 학생이 학년군별로 이수해야 할 학년별, 학기별 교과목을 편성하여 안내한다.

(10) 예술(음악/미술)은 음악과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 운영한다.

2 중학교

가. 중학교 교육목표

중학교의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과 일상 생활에 필요한

Page 6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61 -

기본 능력과 바른 인성, 다원적인 가치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에

중점을 둔다.

(1) 심신의 건강하고 조화로운 발달을 토대로 바른 인성을 기르고,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익혀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한다.

(2)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른다.

(3)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4) 타인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능력, 배려하는 마음,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나.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

(1) 편제

(가) 중학교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으로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①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ㆍ가정, 체육, 예술

(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한다. 선택은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독

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보건,

진로와 직업 등 선택 과목으로 한다.

②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2) 시간 배당 기준

구 분 1~3학년

교과(군)

국어 442

사회(역사 포함)/도덕 510

수학 374

과학/기술ㆍ가정 646

체육 272

예술(음악/미술) 272

영어 340

선택 204

창의적 체험활동 306

총 수업 시간 수 3,366

①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5분을 원칙으로,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②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3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③ 총 수업시간 수는 3년간의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Page 6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62 -

다.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중점

(1) 학교는 학생들이 이수해야 할 3년 간의 교과목을 학년별, 학기별로 편성하여 안내

한다.

(2) 교과(군)의 이수 시기와 수업 시수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3) 학교의 특성, 학생ㆍ교사ㆍ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과

(군)별 수업 시수를 20% 범위 내에서 증감하여 운영할 수 있다. 단, 체육, 예술

(음악/미술) 과목은 기준 수업 시수를 감축하여 편성할 수 없다.

(4)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생의 학기당 이수 교과목 수를 8개 이내로 편성하도록

한다. 단, 교양과목의 성격을 갖는 환경, 보건, 진로와 직업, 체육, 예술(음악/미

술) 과목은 8과목 이내에서 제외하여 편성할 수 있다.

(5) 학생의 신체 발달과 건강 증진을 위하여 체육 교과는 가급적 전체 학기에 걸쳐 편성ㆍ

운영한다.

(6) 예술(음악/미술)은 음악과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ㆍ운영한다.

(7) 선택과목을 개설할 경우, 학교는 2개 이상의 과목을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한다.

(8) 학교는 필요한 경우 새로운 선택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새로운 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관련 서류를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 교육감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가) 제출서류 : [부록2]의 서식1

(나) 제출기한 : 시행 전 학년도 8월 31일

(9) 학교는 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탐색과 선택을 돕기 위해 진로 교육을 강화한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한다.

(10) 전입 학생이 특정 교과목을 이수하지 못할 경우, ‘보충 학습 과정’ 등을 통해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보충 학습 과정’에 대한 세부 사항은 별도의

계획에 의한다.

(11)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에 의거, 학교 교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

되도록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특히 고등학교 입학전형 이후의 교육과정 운영

계획을 학년도 연간 교육과정 운영 계획에 사전 반영하여 학교 교육과정이 부적

정하게 운영되는 사례가 없도록 유의한다.

(12) 특성화 중학교 및 자율학교는 이 지침에 준하여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되 학교의

설립 목적 및 특성에 따른 교육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자율권을 부여한다.

(가) 예술, 체육, 국제 관련 특성화 중학교는 선택과목으로 전공관련 교과목을 신설할 수

있다.

(나) 소년원 특성화 중학교는 소년원의 특수성과 실정에 알맞도록 이 지침과 다르게

Page 6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63 -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초ㆍ중등교육법 제61조, 초ㆍ중등교육법 시행

령 제76조, 제105조 및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8-160호).

(다) 자율학교는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무학년제, 수업 연한 감축 및 교과

교실제 운영, 블록타임제 실시 등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방법 개선을 위하여 노

력한다.

(13) 학교는 학생들의 건강한 심신 발달을 위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편성․운영한다.

(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활동’으로 편성한다.

(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학년별 연간 34~68시간(총 136시간) 운영하며, 매 학

기 편성하도록 한다.

(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시간은 교과(군)별 시수의 20% 범위 내에서 감축하거

나,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를 순증하여 확보한다. 다만, 여건이 어려운 학교의 경

우 68시간 범위 내에서 기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확보할 수 있다.

(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종목과 내용은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하여 학교가 정하되,

다양한 종목을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한다.

3 고등학교

가. 고등학교 교육목표

고등학교 교육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개척

능력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1) 성숙한 자아의식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익혀 진로를 개척하며 평

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도를 갖춘다.

(2) 학습과 생활에서 새로운 이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익힌다.

(3) 우리의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4) 국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더불어 살아가며 협동하는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나.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

(1) 편제

(가)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나) 교과는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한다.

① 보통 교과는 기본 과목과 일반 과목, 심화 과목으로 구분한다. 보통 교과 영역은

기초, 탐구, 체육ㆍ예술, 생활ㆍ교양으로 구성하며, 교과(군)는 국어, 수학, 영어,

Page 6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64 -

사회(역사/도덕 포함),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기술ㆍ가정/제2외국어/한문/

교양으로 한다.

② 전문 교과는 농생명 산업, 공업, 상업 정보, 수산ㆍ해운, 가사ㆍ실업에 관한 교과로

한다.

(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2) 단위 배당 기준

<표 1>

구분 교과 영역 교과(군)필수 이수 단위

학교자율과정교과(군) 교과 영역

(군)

기초

국어15

(10)45

(30)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

수학15

(10)

영어15

(10)

탐구

사회

(역사/도덕 포함)

15

(10) 35

(20)과학

15

(10)

(군)

체육ㆍ예술

체육10

(5) 20

(10)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

예술

(음악/미술)

10

(5)

생활ㆍ교양

기술ㆍ가정/

제2외국어/

한문/

교양

16

(12)

16

(12)

소 계 116(72) 64

창의적 체험활동 24(408시간)총 이수 단위 204

① 1단위는 50분을 기준으로 하여 17회를 이수하는 수업량이다.

② 1시간의 수업은 5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

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③ 필수이수단위의 교과(군) 및 교과 영역 단위 수는 해당 교과(군) 및 교과 영역의

‘최소 이수 단위’를 가리킨다.

④ 필수 이수 단위의 ( )안의숫자는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 목적 고등학교 및 체육ㆍ예술

등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인정받은 학교가 이수할 것을 권장한다.

⑤ 창의적 체험활동의 단위는 최소 이수 단위이며 ( )안의 숫자는 이수 단위를 이수

시간 수로 환산한 것이다.

⑥ 총 이수 단위 수는 고등학교 3년간 이수해야 할 ‘최소 이수 단위’를 가리킨다.

Page 6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65 -

(3) 보통 교과

<표 2>

교과

영역교과(군)

과목

기본 일반 심화

기초

국어국어Ⅰ, 국어Ⅱ,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문학, 고전

수학기초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미적분Ⅰ, 미적분Ⅱ, 기하와벡터

고급수학Ⅰ

고급수학Ⅱ

영어기초

영어

실용영어Ⅰ, 실용영어Ⅱ,

실용영어회화,실용영어독해와작문,

영어Ⅰ, 영어Ⅱ, 영어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심화영어, 심화 영어 회화Ⅰ,

심화영어회화Ⅱ,심화영어독해Ⅰ,

심화영어 독해Ⅱ, 심화영어작문

탐구

사회

(역사/도덕

포함)

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ㆍ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국제 정치, 국제 경제

국제관계와 국제 기구, 세계문제,

비교문화, 사회 과학 방법론,

한국의사회와문화,국제법,지역이해,

인류의 미래 사회, 과제연구

과학

과학, 물리Ⅰ, 물리Ⅱ, 화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Ⅰ, 생명과학Ⅱ,

지구 과학Ⅰ, 지구 과학Ⅱ

고급물리, 물리 실험, 고급화학,

화학 실험, 고급 생명 과학,

생명 과학 실험, 고급지구 과학,

지구 과학 실험, 환경 과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정보 과학,

과제연구

체육

예술

체육운동과건강 생활, 스포츠문화,

스포츠 과학

스포츠개론, 체육과진로 탐구,

육상운동, 체조 운동, 수상 운동,

개인 및 대인운동, 단체 운동,

체력운동,투기운동,빙상및설상운동,

표현및창작운동,스포츠경기체력,

스포츠경기기술,스포츠경기실습,

코칭론, 스포츠경영ㆍ행정,

체육 전공 실기, 전공 지도 실습

예술

(음악/

미술)

예술

음악과 생활, 음악과 진로

미술창작, 미술 문화

음악이론, 음악사, 시창ㆍ청음,

음악 전공 실기, 합창ㆍ합주,

공연실습, 음악과매체, 교양실기

Page 7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66 -

교과

영역교과(군)

과목

기본 일반 심화

체육

예술

예술

(음악

/

미술)

예술

음악과 생활, 음악과 진로

미술창작, 미술 문화

드로잉,미술이론,미술사,평면조형,

입체조형,디자인ㆍ공예,영상미술,

미술 전공 실기

무용의 이해, 기초 한국 무용,

기초 발레, 기초 현 대무용,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무용 감상과 비평, 안무

문학개론, 문장론, 고전문학감상,

현대 문학 감상, 시 창작 입문,

소설창작입문,문예창작전공실기

연극의 이해, 연기, 무대 기술,

연극제작실습, 연극감상과비평,

영화의이해,영화기술,영화창작과표현,

영화제작실습,영화감상과비평

사진의이해, 기초촬영, 중급촬영,

암실실기,사진편집,디지털사진촬영,

디지털사진표현기법,사진감상과비평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제외국어/

한문/

교양

기술ㆍ가정

독일어Ⅰ, 독일어Ⅱ

프랑스어Ⅰ, 프랑스어Ⅱ,

스페인어Ⅰ, 스페인어Ⅱ,

중국어Ⅰ, 중국어Ⅱ,

농업생명과학,공학기술,가정과학,

경영 일반, 해양 과학, 정보

독일어 회화Ⅰ, 독일어 회화Ⅱ,

독일어 독해Ⅰ, 독일어 독해Ⅱ,

독일어 작문, 독일어권 문화

프랑스어회화Ⅰ,프랑스어회화Ⅱ,

프랑스어독해Ⅰ,프랑스어독해Ⅱ,

프랑스어작문, 프랑스어권문화

스페인어회화Ⅰ,스페인어회화Ⅱ,

스페인어독해Ⅰ,스페인어독해Ⅱ,

스페인어작문, 스페인어권문화

중국어 회화Ⅰ, 중국어 회화Ⅱ,

중국어 독해Ⅰ, 중국어 독해Ⅱ,

중국어 작문, 중국 문화

Page 7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67 -

교과

영역교과(군)

과목

기본 일반 심화

생활

교양

기술가정/

제외국어/

한문/

교양

일본어Ⅰ, 일본어Ⅱ,

러시아어Ⅰ, 러시아어Ⅱ,

아랍어Ⅰ, 아랍어Ⅱ

베트남어Ⅰ, 베트남어Ⅱ

일본어 회화Ⅰ, 일본어 회화Ⅱ,

일본어 독해Ⅰ, 일본어 독해Ⅱ,

일본어 작문, 일본 문화

러시아어회화Ⅰ, 러시아어회화Ⅱ,

러시아어독해Ⅰ, 러시아어독해Ⅱ,

러시아어 작문, 러시아 문화

아랍어 회화Ⅰ, 아랍어 회화Ⅱ,

아랍어 독해Ⅰ, 아랍어 독해Ⅱ,

아랍어 작문, 아랍 문화

베트남어회화Ⅰ,베트남어회화Ⅱ,

베트남어독해Ⅰ,베트남어독해Ⅱ,

베트남어 작문, 베트남 문화

한문Ⅰ, 한문Ⅱ

철학, 논리학, 심리학,교육학,

종교학,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과 녹색성장, 실용 경제

① 일반 과목의 기본 단위 수는 5단위이며, 각 과목별로 1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이 가능하며, 가능한 한 한 학기에 이수하도록 한다. 단, 생활ㆍ교양 교과 영

역의 교양 교과(군)에 속하는 과목의 경우 3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할 수

있다.

② 기본 과목의 기본 단위는 5단위이며, 각 과목별로 1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이

가능하다.

③ 심화 과목의 이수 단위는 4단위 이상, 8단위 이하로 한다.

④ 위 표에 제시된 과목 중 사회(역사/도덕포함) 교과(군)의 ‘한국사’는 반드시 이

수한다.

⑤ 예술계열 고등학교 이외의 고등학교에서 예술(음악/미술)은 음악과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ㆍ운영한다.

Page 7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68 -

(4) 전문 교과

<표 3>

교과 과 목 기준 학과

농생명산업

농업 이해

생명 공학 기술

작물 생산 기술

원예 기술

대 가축 관리

조경

농촌과 농지 개발

농업 기계 공작

식품 위생

농산물 유통 관리

관광 농업

농업 기초 기술

농업 영어

원예

원예 전문 생산

반려 동물 관리

조경 설계

농업토목제도ㆍ설계

농업기계운전ㆍ작업

농산 식품 가공

농산물 유통 실무

성공적인직업생활*

농업 정보 관리

친환경 농업

생활 원예

동물 자원

숲과 인간

조경 시공 관리

농업토목시공ㆍ측량

농업 기계 정비

축산ㆍ수산식품가공

환경 보전

농업 경영

재배

생산 자재

중소 가축 관리

산림 자원 기술

농업과 물

농업 기계

식품 과학

농산물 유통

환경 관리

식물자원과

동물자원과

산림자원과

조경과

농업토목과

농업기계과

식품가공과

농산물유통정보과

환경ㆍ관광농업과

생명공학기술과

공업

공업 일반

전문 제도

기계 공작법

공작 기계

전자 기계 회로

로봇 제작

주조

전력 설비

전자 회로

정보 통신

프로그래밍

토목 설계

공업 일반

전문 제도

기계 공작법

공작 기계

전자 기계 회로

로봇 제작

주조

전력 설비

전자 회로

정보 통신

기초 제도

기계 일반

유체 기계

산업 설비

전자 기계 공작

재료 일반

금속 처리

전기ㆍ전자 측정

전자 기기

통신 시스템

디지털 논리 회로

토목 재료ㆍ시공

기초 제도

기계 일반

유체 기계

산업 설비

전자 기계 공작

재료 일반

금속 처리

전기ㆍ전자 측정

전자 기기

통신 시스템

정보기술과 활용

전기와 생활

공기 조화 설비

금형 제작

전자 기계 제어

금속 제조

전기 회로

전기 응용

전자ㆍ전산 응용

컴퓨터 구조

측량

수리ㆍ토질

정보기술과 활용

전기와 생활

공기 조화 설비

금형 제작

전자 기계 제어

금속 제조

전기 회로

전기 응용

전자ㆍ전산 응용

컴퓨터 구조

공업 영어

기계 구조와 기능

기계 기초 공작

전자 기계 이론

로봇 기초

재료 가공

전기 기기

자동화 설비

통신 일반

시스템프로그래밍

역학

지적 전산

공업 영어

기계 구조와 기능

기계 기초 공작

전자 기계 이론

로봇 기초

재료 가공

전기 기기

자동화 설비

통신 일반

시스템프로그래밍

기계과

전자 기계과

금속 재료과

전기과

전자과

통신과

컴퓨터응용과

토목과

건축과

디자인과

화학공업과

환경공업과

기계과

전자 기계과

금속 재료과

전기과

전자과

통신과

컴퓨터응용과

토목과

건축과

디자인과

Page 7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69 -

교과 과 목 기준 학과

공업

프로그래밍

토목 설계

지적 실무

건축 목공

색채 관리

시각 디자인

제조 화학

세라믹원리ㆍ공정

식품 공업 기술

염색ㆍ가공

제판 실제

자동차 섀시

선박 이론

항공기 기체

인간과 환경

컴퓨터 게임 기획

애니메이션 제작

방송 시스템

디지털 논리 회로

토목 재료ㆍ시공

공간 정보

건축 구조체 시공

조형

컴퓨터 그래픽

분석 화학

스마트 세라믹

섬유 재료

인쇄의 이해

사진

자동차전기ㆍ전자제어

선박 구조

항공기 기관

수질 관리

컴퓨터게임프로그래밍

만화 창작

측량

수리ㆍ토질

건축 구조

건축 마감 시공

제품 디자인

공업 화학

파인 세라믹

발효 공업

방적ㆍ방사

인쇄 재료

디지털 인쇄

건설기계구조ㆍ정비

선박 건조

항공기 장비

대기ㆍ소음 방지

컴퓨터게임그래픽

영화ㆍ방송 제작

역학

지적 전산

건축 계획

디자인 일반

공예

단위조작ㆍ공정제어

세라믹 재료

식품 분석

제포ㆍ봉제

아날로그 인쇄

자동차 기관

자동차 차체 수리

항공기 일반

항공기 전자 장치

폐기물 처리

만화ㆍ애니메이션기초

촬영ㆍ조명

화학공업과

환경공업과

세라믹과

식품공업과

섬유과

인쇄과

자동차과

조선과

항공과

컴퓨터게임과

만화ㆍ애니메이션과

영상제작과

상업 정보

상업 경제

기업자원통합관리

회계정보처리시스템

자료 구조

상업 디자인 일반

전자 상거래 일반

웹 프로그래밍

창업 일반

회계 원리

재무 회계

글로벌 경영

모바일 콘텐츠

상업 디자인 실무

전자 상거래 실무

금융 일반

컴퓨터 일반

마케팅

원가 관리 회계

비즈니스 영어

프로그래밍 실무

유통 관리

미디어콘텐츠일반

금융 실무

기업과 경영

세무 회계

국제 상무

사무 관리 실무

물류 관리

미디어콘텐츠실무

커뮤니케이션실무

경영정보과

회계정보과

무역정보과

유통정보과

정보처리과

콘텐츠개발과

전자상거래과

상업디자인과

관광경영과

금융정보과

Page 7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70 -

교과 과 목 기준 학과

수산

해운

수산 일반

수산 생물

양식 생물 질병

냉동 일반

선박 보조 기계

항해

선화 운송

생선회 실무

해양 플랜트 일반

해사 일반

수산 경영 일반

수산 가공

냉동 공조 기기

선박 전기ㆍ전자

선박 운용

전자 통신 기초

해양 레저ㆍ관광

해양의 이해

해양 생산 기술

수산물 유통

냉동 공조 실무

기계 설계ㆍ공작

해사 법규

전자 통신 기기

해양 물류 일반

수산ㆍ해운산업기초

수산 양식

해양 오염ㆍ방제

열기관

잠수 기술

해사 영어

전자 통신 운용

해양 정보 관리

수산양식과

자영수산과

수산식품과

해양환경과

냉동공조과

동력기계과

항해과

전자통신과

해양레저산업과

항만물류과

해양정보과

가사

실업

인간 발달

한국 조리

의복 재료ㆍ관리

자수와 편물

디스플레이

아동 생활 지도

관광 외식ㆍ조리

간호의 기초

노인 생활 지원

공중 보건

생활서비스산업의이해

동양 조리

패션 디자인

주거

보육원리와보육교사

관광 일반

관광 영어

보건 간호

헤어 미용

식품과 영양

서양 조리

한국 의복 구성

실내 디자인

보육과정

관광 경영 실무

관광 일본어

기초간호임상실무

피부 미용

급식 관리

제과ㆍ제빵

서양 의복 구성

가구 디자인

놀이 지도

관광 서비스 실무

관광 중국어

복지서비스의기초

메이크업

조리과

의상과

실내디자인과

유아교육과

관광과

간호과

복지서비스과

미용과

① 전문 교육을 주로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다음 과목을 필수로 이수한다.

㉮ 농생명 산업 계열 : 농업 이해, 농업 기초 기술

㉯ 공업 계열 : 공업 일반, 기초 제도

㉰ 상업 정보 계열 : 상업 경제, 회계 원리

㉱ 수산ㆍ해운계열 : 해양의 이해, 수산ㆍ해운 산업 기초

㉲ 가사ㆍ실업계열 : 인간 발달,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② 농생명 산업에 관한 교과의 ‘성공적인 직업 생활*’은 계열 공통 선택 과목으로

이수한다.

③ 전문 교과의 각 과목에 대한 이수 단위는 4단위 이상으로 한다.

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중점

(1) 공통 지침

(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총이수 단위는 204단위이며교과(군) 180단위, 창의적 체험

Page 7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71 -

활동 24단위(408시간)로 나누어 편성한다.

(나) 교과의 이수 시기와 단위는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다)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생의 학기당 이수 과목 수를 8개 이내로 편성하도록

한다. 단,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교양과목(생활과 철학,

생활과 논리, 생활과 심리, 생활과 교육, 생활과 종교, 생활 경제, 안전과 건강,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과 녹색 성장) 및 특성화고등학교(전문계고), 특수목적

고등학교(예술고, 체육고)의 실기ㆍ실습 위주 과목, 체육, 예술(음악/미술) 과목은

8개 이내에서 제외하여 편성할 수 있으나, 이수단위 합계에는 포함된다. 마이스터

고는 별도의 훈령에 따른다.

(라) 학생의 신체적 발달과 건강증진을 위하여 체육교과는 가급적 4학기 이상 편성ㆍ

운영한다.

(마) 선택 과목 중에서 위계성을 갖는 과목의 경우 계열적 학습이 되도록 편성한다. 단,

학교의 실정 및 학생의 요구, 과목의 성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바) 선택 과목은 학교의 실정과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편성하되, 학교는 필요에

따라 이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과목 외에 새로운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새로운 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관련 서류를 다음과 같이 제출

하여 교육감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① 제출서류 : [부록2]의 서식 1

② 제출기한 : 시행 전 학년도 8월 31일

(사) 일정 규모 이상의 학생이 이 교육과정의 편제에 있는 특정 선택 과목의 개설을

요청할 경우, 학교는 이를 개설해야 한다.

(아) 학교에서 개설하지 않은 선택 과목 이수를 희망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그 과목을

개설한 다른 학교에서의 이수를 인정하도록 한다.

(자) 학교 및 학생의 필요에 따라 지역 사회의 학습장에서 행하는 학습을 이수 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관련 서류를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 교육감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① 제출서류 : [부록2]의 서식 3

② 제출기한 : 시행 전 학년도 8월 31일

(차) 학교는 필요에 따라 대학과목 선이수제의 과목을 개설할 수 있고, 국제적으로 공

인받은 교육과정과 과목을 선택 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육감의 사

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카) 학교는 필요에 따라 교과의 총 이수 단위를 증배 운영할 수 있다. 단, 특성화 고

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는 전문 교과에서,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 제

90조 제1항의 제5호내지 제7호에 해당하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는 보통 교과의 심화

과목에 한하여 증배 운영할 수 있다.

Page 7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72 -

(타) 학교는 학생이 3년간 이수해야 할 학년별, 학기별 과목을 편성하여 안내해야 한다.

(파)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에 의거, 학교 교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도록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 등 입시 이후의 교육

과정 운영 계획을 학년도 연간 교육과정 운영 계획에 사전 반영하여 학교 교육

과정이 부적정하게 운영되는 사례가 없도록 유의한다.

(2) 일반 고등학교(자율고등학교 자율학교 포함)

(가) 교과(군)의 이수 단위 180단위 중 필수 이수 단위는 116단위 이상으로 한다. 다만,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 제91조의3, 제91조의4에 의한 자율 고등학교 및 초ㆍ중등

교육법시행령 제105조에 의한 자율학교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편성하여 운

영할 수 있다.

①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는 필수 이수 단위의 경우 총 이수 단위는 72단위 이상으로

할 수 있다(자율형 공립고등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 제6조 제1항).

②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는 필수 이수 단위의 50% 이상을 충족하여 운영할 수 있다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제5조).

③ 자율학교로 지정된 고등학교의 경우 필수 단위의 총 이수 단위는 72단위 이상으로

편성할 수 있다(자율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 제5조 제1항).

(나)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 제76조2의 제1항과 제4항에서 규정하는 일반 고등학교와

자율 고등학교에서는 보통 교과의 기본 과목, 일반 과목, 심화 과목을 중심으로

개설한다.

(다) 학생의 진로 과정을 고려하여 교과(군)별 최소 필수 이수 단위 수로 편성할 수

있으나, 교과 영역별로 제시된 단위 수를 편성ㆍ운영하여야 한다. 다만, 초ㆍ중등교

육법시행령 제91조의3, 제91조의4에 의한 자율 고등학교 및 초ㆍ중등교육법시행

령 제105조에 의한 자율학교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①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는 체육ㆍ예술 교과를 제외한 교과(군)은 필수 이수 단위의

50%범위 내에서 증ㆍ감 운영할 수 있다(자율형 공립고등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 제6조 제1항).

② 자율형 공립고등학교의 과목별 이수 단위는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자율형

공립고등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 제6조 제2항).

③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는 교과 영역별, 교과(군)별 필수 이수 단위의 제한이 없으며,

과목별 이수 단위도 학교가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제5조).

④ 자율학교로 지정된 고등학교의 과목별 이수단위는 5단위를 원칙으로 하되, 과목

별로 3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ㆍ운영할 수 있다(자율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 제5조 제3항).

Page 7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73 -

(라) 일반 고등학교에서 체육, 음악, 미술 등의 과정을 개설하거나 자율 학교로 지정된

학교의 경우 교과(군) 최소 이수 단위인 72단위로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마) 학교는 학생의 요구 및 흥미, 적성 등을 고려하여 진로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는

진로 집중 과정을 편성ㆍ운영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교는 이 지침에 제시하는

‘학교자율과정’에서 진로 집중 과정과 관련된 과목의 심화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성ㆍ운영한다.

(바) 과학, 수학, 사회, 영어, 예술, 체육 등 교과를 중심으로 중점 학교를 운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학교자율과정의 50% 이상을 관련 교과목으로 편성할 수 있다.

(사) 체육, 음악, 미술 등의 과정을 개설하는 학교의 경우, 필요에 따라 지역 내 중점

학교 및 지역 사회 학습장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아) 일반 고등학교에서 직업에 관한 과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기도교육

청 일반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 계획에 따른다.

(자) 학교에서 제2외국어 과목을 개설할 경우, 2개 이상의 과목을 동시에 개설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3) 특성화 고등학교 및 특수 목적 고등학교

(가) 교과(군)의 이수 단위 180단위 중 보통 교과 필수 이수 단위는 72단위 이상으로

편성하며,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는 전문 교과의 과목을,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 제90조 제1항의 제5호 내지 제7호에 해당하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는 보통 교과의 심화 과목을 80단위 이상 편성한다.

(나) 전문 교과의 기초가 되는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할 경우, 이를 해당 보통 교과의

이수로 간주할 수 있다.

(다) 내용이 유사하거나 관련되는 보통 교과의 과목과 전문 교과의 과목은 교체하여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라) 농생명 산업, 공업, 상업정보, 수산ㆍ해운, 가사ㆍ실업 계열의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이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① 전문 교과는 필요한 경우 다른 계열의 전문 과목을 선택하여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② 학과별 필수 과목은 필요한 경우 학교장이 정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계열을

운영하는 경우, 해당 학과가 속한 계열의 필수 과목을 이수한다.

③ 교육과정 내용과 관련이 있는 현장 실습을 운영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다양한

형태로 운영할 수 있으나,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 현장 실습은 교육과정 이수 단위에 포함하며, 3개년 간 최소 2단위(1단위는

17시간) 이상 최대 68단위 범위 내에서 이수 시기 및 단위를 학교장이 정하여

시행한다.

Page 7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74 -

㉯ 현장 실습은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하나의 독립된 교과로 편성ㆍ운영하거나,

전문 교과 일부에 포함시켜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 전문 교과 학습 내용 중 일부를 현장 실습으로 대체하여 운영하는 경우

직업교육훈련촉진법 및 동법시행령에 의거 실시한다.

㉱ 학교장은 현장 실습에 따른 수업 결손 예방에 힘쓰며, 졸업 학기 수업을 조기

종료하지 않도록 한다.

(마) 국제 계열 고등학교는 전공 관련 보통 교과의 심화 과목과 영어 및 제2외국어

교과의 심화 과목에서 80단위 이상 이수하되, 전공 관련 보통 교과에서 50% 이

상 편성한다.

(바) 외국어 계열 고등학교에서는 보통 교과 심화 과목 총 이수 단위의 60% 이상을

전공 외국어로 하고, 전공 외국어 포함 2개 외국어로 보통 교과 심화 과목을 편

성해야 한다.

(사)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제90조 제1항제10호의 학교(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는

산업계의 수요를 교육에 직접 반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이 지침의 총론과

다르게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특수목적고등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 제19조 제2항).

(아) 이 지침에 명시되지 아니한 계열의 교육과정은 유사 계열의 교육과정에 준한다.

부득이 새로운 계열의 설치 및 그에 따른 교육과정을 편성할 경우와 학교의 실

정에 따라 새로운 과목을 설정하여 운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육감의 사전 승인

을 받아야 한다.

4 학교 급별 공통 사항

가. 수업 일수 및 시간의 운영

(1) 학교의 수업일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학교의 장이 정한다. 다만, 학교의

장은 천재지변, 연구학교의 운영 또는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 제105조에 따른 자

율학교의 운영 등 교육과정의 운영상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의 10분의

1의 범위에서 수업일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음 학년도 개시 30일 전까지

관할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가) 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ㆍ고등기술학교 및 특수학교(유치부를 제외한다)

① 주 5일 수업을 실시하지 아니하는 경우: 매 학년 220일 이상

② 주 5일 수업을 월 2회 실시하는 경우: 매 학년 205일 이상

③ 주 5일 수업을 전면 실시하는 경우: 매 학년 190일 이상

(나) 공민학교 및 고등공민학교: 매 학년 170일 이상

Page 7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75 -

(2) 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의 장은 제(1)항 제(가)호 ②목 또는 ③목

의 기준에 따라 주 5일 수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수업일수를 정하려면 초ㆍ중등교

육법 제31조제1항에 따른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 또는 자문을 거쳐야 한다.

(3) 학교의 학기는 매 학년도를 두 학기로 나누되, 제1학기는 3월 1일부터 학교의 수업

일수ㆍ휴업일 및 교육과정 운영을 고려하여 학교의 장이 정한 날까지, 제2학기는 제

1학기 종료일 다음 날부터 다음 해 2월 말일까지로 한다. 다만 초ㆍ중등교육법 제61

조 제1항에 따라 교육과정 운영의 특례를 적용받는 학교는 이를 달리할 수 있다.

(4) 학교는 연간 시간 배당 기준을 근거로 지역 및 학교 실정에 맞게 연간, 학기 간, 주

간 및 1일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5) 연간 수업 시간 수는 계절, 학교의 실정, 학생의 실태, 교육 여건 등에 알맞게 학기

별, 월별, 주별로 적절히 배정하여 편성한다.

(6) 학교는 수업일수와 수업시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결ㆍ보강 계획을 수립하여 수업

결손을 예방하도록 한다.

(7) 주간 및 1일의 시간 배당은 요일 및 교과(군) 간의 균형을 유지하되,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성과 내용에 따라 시간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일반사항

(1) 학교는 이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 실정에 알맞은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한다

(초등학교ㆍ중학교는 지역 교육청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관한 장학자료를

참고한다).

(2) 학교는 모든 교육 활동이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년도 시작

전에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한다.

(3)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을 바탕으로 학년 및 교과목별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다. 학년 및 교과목별 교육과정 편성은 경기교육의 지향점인 창의지

성교육이 반영되도록 편성하여 운영한다.

(4) 학교 교육과정은 모든 교원이 전문성을 발휘하여 참여하는 민주적인 절차와 과정

을 거쳐 편성ㆍ운영한다.

(5) 교육과정의 합리적 편성과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교원, 교육과정(교과 교육) 전문

가, 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학교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6) 학교 교육과정위원회는 학교장의 교육과정 운영 및 의사 결정에 관한 자문의 역할

을 담당하며, 실질적인 운영이 되도록 한다.

(7)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함에 있어서는 교원의 조직, 학생의 실태, 학부모의

요구, 지역 사회의 실정 및 교육 시설ㆍ설비 등 교육 여건과 환경이 충분히 반영

되도록 노력한다.

(8) 학교는 동학년 모임, 교과별 모임, 현장 연구, 자체 연수 등을 통해서 교사들의

Page 8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76 -

교육 활동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창의지성교육을 위해 창의적 교육과

정 설계, 배움중심수업, 평가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9) 학교가 종교 과목을 개설할 때에는 종교 이외의 과목을 포함, 복수로 과목을 편성

하여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10) 심신 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 학급을 설치, 운영하는 경우, 학생의 장애 정도와 능

력을 고려하여 이 교육과정을 조정ㆍ운영하거나, 특수학교 교육과정 및 교수ㆍ학

습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11) 학습부진아, 장애를 가진 학생, 귀국 학생, 다문화 가정 자녀 등이 학교에서 충

실한 학습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특별한 배려와 지원을 하도록 한다.

(12) 교육 활동 전반을 통하여 남녀의 역할에 관한 편견을 가지지 않도록 지도한다.

(13) 범교과 학습 주제는 관련되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어지도록 하고 지역 사회 및 가정과의 연계 지도에도 힘쓴다.

민주 시민 교육, 인성 교육, 환경 교육, 경제 교육, 에너지 교육, 근로 정신 함양 교육, 보건

교육, 안전 교육, 성 교육, 소비자 교육, 진로 교육, 통일 교육, 한국 정체성 교육, 국제 이해

교육, 해양 교육, 정보화 및 정보 윤리 교육, 청렴ㆍ반부패 교육, 물 보호 교육, 지속 가능

발전 교육, 양성 평등 교육, 장애인 이해 교육, 인권 교육, 안전ㆍ재해 대비 교육, 저출산ㆍ

고령 사회 대비 교육, 여가 활용 교육, 호국ㆍ보훈 교육, 효도ㆍ경로ㆍ전통 윤리 교육, 아동

ㆍ청소년 보호 교육, 다문화 교육, 문화 예술 교육, 농업ㆍ농촌 이해 교육, 지적 재산권 교육,

미디어 교육, 의사소통ㆍ토론 중심 교육, 논술 교육, 한국 문화사 교육, 한자 교육, 녹색 교육,

독도 교육, 한국의 민주화운동(4.19혁명, 5.18민주화 운동 등) 등

(14) 학교에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사회 현안에 대해 학생들의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계기 교육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기 교육 지침에 따른다.

(15) 교과용 도서 이외의 교수ㆍ학습 자료는 교육청이나 학교에서 개발한 것 등을 사

용할 수 있다.

(16)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교실제 운영을 활

성화한다.

(17) 실험ㆍ실습이나 실기 지도에 있어서는 시설 및 기계ㆍ기구, 약품 사용의 안전에

유의하도록 한다.

(18)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바탕으로 방과 후 학교 또는 방학 중 프로그램을

개설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원칙으로 한다.

(19) 다문화 학생을 위한 특별 학급을 설치 운영하는 경우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능력

을 고려하여 이 교육과정을 조정 운영하거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ㆍ학습 자

료를 활용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과정은 학교의 특성, 학생 교사 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주당 10시간 내외에서 운영할 수 있다.

(20) 학생이 건전한 생활 태도와 행동 양식을 갖추어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학교 교

Page 8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77 -

육과정 전반을 통해 지도한다.

(21) 학생의 건전한 학교 생활을 위해 가정 및 지역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22) 학교는 평화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가) 평화교육은 평화능력 신장과 평화감수성 교육을 통해 개인, 사회, 국가, 세계,

자연과 조화롭고 가치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민주시민을 양성하고, 더 나

아가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다.

(나) 평화교육의 영역은 인권존중, 민주주의 가치 실현, 양성평등, 다문화존중, 지속

가능한 발전, 생태ㆍ환경운동, 양극화 해소, 차별 없애기, 비폭력, 국제협력, 평

화ㆍ통일지향 등 평화의 정신과 가치를 이해하고 지키기 위한 내용을 포괄한다.

(다) 학교는 평화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교육 공동체의 폭넓은 인식 제고 및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평화교육의 환경을 조성하고 평화교육 실천 여

건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라) 학교는 평화능력 신장을 위해 노력한다. 평화능력이란 평화가치의 선택에 대한

믿음과 신념으로 평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마) 학교는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평화 관련 계기교육 등을 통해 학생들이 학교와

생활 속에서 평화적인 삶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편성ㆍ운영

(1) 각 교과의 기초적, 기본적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학습되도록 계획하고, 이를 일관

성 있고 지속성 있게 지도한다.

(2) 각 교과목별 학습 목표를 모든 학생이 성취하도록 지도하고, 능력에 알맞은 성취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학습의 기회와 방법을 제공하며, 이를 위한 계획적인 배려와

지도를 하여 학습결손이 누적되거나 학습 의욕이 저하되지 않도록 노력한다.

(3) 학교는 각 교과별 학습 내용에 고전, 현대의 명저, 문화 예술, 경험이나 체험,

사회적 실천 등 창의지성교육의 텍스트가 포함되도록 교육과정의 내용을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재구성하도록 노력한다.

(4) 학교는 각 교과에서 모든 학생이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철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술 등 인문학적 기초 교양 교육을 위해 노력한다.

(5) 학교는 각 교과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끊임없는 질문과 토론을 통해 함께 지식을

창조하고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 될 수 있도록 독서․토론․논술 교육이 활성화 되도록

노력한다.

(6) 학교는 수업의 과정에서 협력적이 배움과 나눔이 일어나도록 노력한다. 배움은 자기

생각을 만드는 과정이고, 나눔을 서로 다른 자기 생각 나누기다.

(7) 각 교과의 수업은 학생의 창의성을 길러가는 과정, 서로의 갈등을 조정하고, 협력하는

Page 8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78 -

방법을 배워 학생이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 과정이 되도록 노력한다.

(8) 학교는 학생의 능력과 적성,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 한다. 특히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에서는 수준별 수업을 권장한다.

(9) 수준별 수업 운영을 위한 학습 집단은 학교의 여건이나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으며, 학습 결손을 보충할 수 있도록 ‘특별 보충 수업’을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가) 수준별 수업을 위한 학습 집단은 학교의 여건이나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다. 단, 학급을 우열반으로 편성하거나 수준별 수업 집단을 연중으로

고정시켜 운영할 수는 없다.

(나)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교과는 진단 평가, 형성 평가, 총괄 평가 등을 활용하여

수업 집단을 편성하되 학생의 희망을 고려하여야 하며, 집단의 재편성 시기는 학교

실정에 맞게 정한다.

(다) 수준별 수업을 위한 교수ㆍ학습 자료는 교과용 도서를 학생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

하여 사용하되, 학교별 교과협의회 등에서 자체 개발한 자료나 교육청 또는 연

구기관 등에서 보급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라) 특별 보충 수업의 편성ㆍ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은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10) 교과 수업은 탐구적인 활동을 통하여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새로운 사태에

적용하는 기회를 많이 가지게 한다. 특히 여러 가지 자료를 활용한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지도록 하는 데 힘쓰며, 교과 수업을 통해 학생의 창의지성역량이 계발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11) 개별적인 학습 활동과 더불어 소집단 공동 학습 활동을 중시하여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많이 가지게 한다.

(12) 각 교과 활동에서는 학습의 개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발표ㆍ토의 활동과 실험,

관찰, 조사, 실측, 수집, 노작, 견학 등의 직접 체험 활동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유의한다.

(13) 교과(군)별 수업 시수를 20% 범위 내에서 증감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가) 특정 교과(군)의 수업 시수를 20% 감축한다면 감축한 분량을 다른 교과에서 증배

하여 총 수업 시간 수를 유지해야 한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수업 시수의 감축

없이 증배하여 운영할 수 있다.

(나) 교과(군) 수업 시수를 증감할 때에는 교과협의회 등을 통해 교과 교육 내용을

재구성한다.

(다) 교과 교육 내용의 재구성은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실시하도록 한다.

① 증배의 경우,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보충ㆍ심화하기 위해 교과별로 다양한

주제를 실천 중심으로 운영한다.

Page 8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79 -

② 감축의 경우, 교과 교육과정의 어느 한 부분을 생략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운영하도록 한다.

(14)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실질적 체험학습이 되도록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연계ㆍ협력해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15)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 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계획적으로 활용한다.

(16) 창의적 체험활동에 배당된 시간 수는 학생의 요구와 학교의 실정에 기초하여 융통성

있게 배정하여 운영할 수 있으나,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가)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년별로 활동 영역 및 내용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나, 특정 영역이 제외되지 않도록 한다.

(나)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교의 필요에 따라 기준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할 수는 있으나, 기준 시간 이하로 감축할 수 없다.

(다) 창의적 체험활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관련 교과 및 범교과 학습과

통합하여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라) 창의적 체험활동은 활동의 내용, 조직 단위, 장소, 시설 등 규모와 여건을

고려하여 정일제, 격주제, 전일제, 집중제 등과 같이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다.

(마)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동 집단은 각 영역의 특성, 학교의 여건과 활동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 전체, 학년, 학급, 소집단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17)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과 및 학생의 진로, 삶의 맥락과 연관되어 유의미한

체험학습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운영한다.

(18)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배열은 반드시 학습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예시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 지역의 특수성, 계절 및 학교의

실정과 학생의 요구, 교사의 필요에 따라 각 교과목의 학년별 목표에 대한 지도

내용의 순서와 비중, 방법 등을 조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라. 평가 활동

(1)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적합성, 타당성, 효과성을 자체 평가하여 문제

점과 개선점을 추출하고, 다음 학년도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그 결과를 반영한다.

(가)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는 학생의 성장 모습에 대한 평가, 교직원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적절성, 교육 과정 중심의 교원 조직과 운영 등 모든 측면을 대상으로

한다.

(나) 평가의 참여자는 교육과정 전문가, 교직원, 학생, 학부모 등으로 하여 다양한 시각

에서 평가되도록 한다.

Page 8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80 -

(2)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가 활동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 평가는 모든 학생들이 교육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교육의 과정으로

실시한다.

(나) 학교는 다양한 평가 도구와 방법으로 성취도를 평가하여 학생의 목표 도달도를

확인하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다) 교과의 평가는 주어진 답을 찾는 선택형, 단답형 평가 보다는, 보다 깊고 넓게 자

기 생각을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서술형이나 논술형 평가를 실시하고, 수

행 평가의 비중을 늘려서 교과별 특성에 적합한 평가를 실시하도록 한다.

(라) 교과의 평가는 학교의 여건, 과목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교사별 평가를 실시

하도록 노력한다. 교사별 평가란 같은 과목이더라도 담당교사에 따라 평가문항을

달리하는 평가를 말한다.

(마) 실험ㆍ실습의 평가는 교과목의 성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

하여 실시한다.

(바) 정의적, 기능적, 창의적인 면이 특히 중시되는 교과의 평가는 타당한 평정 기준과

척도에 의거하여 실시한다.

(사) 학교와 교사는 학교에서 가르친 내용과 기능을 평가하도록 한다. 학생이 학교에서

배울 기회를 마련해 주지 않고, 학교 밖의 교육 수단을 통해서 익힐 수 밖에 없는

내용과 기능은 평가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아)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평가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과 특성을 감안하여 평가의

주안점을 학교에서 작성, 활용한다.

마. 기타 사항

(1) 조기 진급 및 조기 졸업

(가) 학교는 특수 재능아의 재능에 알맞은 학습 기회와 속진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기 진급 또는 조기 졸업제를 실시할 수 있다(초ㆍ중등교육법 제27조,

동법시행령 제53조).

(나) 조기 진급 및 졸업에 관한 제도를 시행하고자 하는 학교장은 관련 규정과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시행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조기

진급 및 조기 졸업에 관한 규정).

(다) 조기 진급 및 졸업에 관한 제도를 시행할 경우, 학교장은 조기 이수에 필요한

심화 학습 프로그램 및 별도의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한다.

(라) 교과목별 조기 이수에 의하여 조기 진급 또는 조기 졸업을 한 자는 당해 학교

해당 학년의 모든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한다.

Page 8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81 -

(마) 조기 이수 대상자의 개별 교과목에 관한 조기 이수 여부의 인정은 학교의

교과목별 ‘이수인정평가위원회’가 실시하는 교과목별 이수 인정 평가에 의하여

학교장이 결정한다.

(바) 교과목별 ‘이수인정평가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학칙으로 정한다.

(2) 영재교육

(가) 영재교육은 교육기본법 제12조, 19조, 영재교육진흥법 및 동법시행령에 따른다.

(나) 지적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특수학문 적성, 예술 등에서 성취도나 잠재력이

뛰어나 정규 교육과정과는 다른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생에게 영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다) 영재교육 대상자는 학부모와 학생의 희망에 의해 담당 교사 및 학교장이 추천한

잠재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단계 선발과정을 거쳐 선발한다.

(라) 영재교육은 학교, 지역 공동 및 지역교육청 단위로 학습 집단을 편성하여 운영

할 수 있다.

(3)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가) 특수교육대상자 교육은 초ㆍ중등교육법 제55조 내지 제59조, 장애인 등에 대한 특

수교육법 제20조 및 경기도교육청 특수교육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에 따른다.

(나) 특수교육대상자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 제15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에

따라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진단ㆍ평가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육감

(초, 중학교는 교육장)이 경기도 특수교육운영위원회(초, 중학교는 시ㆍ군 구 특

수교육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결정한다.

(다) 각급학교의 장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별화 교육지원팀을 구성하고 매 학기마다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개별화 교육

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라) 일반학급, 특수학급 등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의 편제와 교육과정 시간 배당은

해당 학교 학년의 편제와 교육과정을 따르되,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조정

할 수 있다.

(마) 치료지원 및 보행훈련, 심리ㆍ행동적응훈련 등 특정한 장애유형의 특수교육대상자에게

필요한 활동은 개별화 교육계획에 따라 교과시간에 병행 지원하거나,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해 제공할 수 있다.

(바) 특수교육대상자가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위한 기초적인 생활방법을 익히고 장애를

극복하여 일반인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알게 하기 위한 다양한 직업교육, 사회

적응 훈련, 현장 체험 학습을 계획하고 실시한다.

Page 8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82 -

(사) 특수교육대상자의 평가는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특수

교육대상자의 장애유형 및 장애특성에 따라 학업성적관리위원회에서 평가 방법을

조정할 수 있다.

(4) 학습 부진 학생 교육

(가) 학습 부진 학생 교육은 초ㆍ중등교육법 제28조, 동법시행령 제54조에 따른다.

(나) 교과목별 최소 성취 기준에 미달한 학습 부진 학생에 대해서는 학교장 책임 하에

기초 학력 책임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다) 대상자의 선정은 표준화된 평가 도구 자료를 활용하여 담임 교사, 교과 담당 교사

의 의견을 토대로 학부모와 협의하여 학교장이 결정한다.

(라) 학습 부진 학생에 대한 지도는 학습 부진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그에 알맞은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지도하며, 개인별 지도 결과를 누가 기록하여 활용한다.

(마) 학습 부진 학생 지도 계획을 수립할 때는 기초 학력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각 학년별, 교과목별로 최소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의 도달

및 구제 확인을 위해 정기 또는 수시로 평가한다.

(5) 귀국 학생, 외국인 학생, 북한 이탈 주민의 자녀,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가) 귀국 학생, 외국인 학생, 북한 이탈 주민의 자녀,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입학,

전학 및 편입학은 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 제89조의2에 따른다.

(나) 귀국 학생, 외국인 학생, 북한 이탈 주민의 자녀, 다문화 가정 자녀 등이 조기에

국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생과 학부모가 희망할 경우,

교육감이 지정하여 설치한 특별 학급이 있는 학교에 입학, 전입학 또는 편입학

할 수 있다.

(다) 학교는 귀국 학생이 경험한 언어 및 문화적 배경 등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현행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각각의 능력에 맞는 개별화 지도

프로그램 또는 모국어의 조기 습득 등을 위한 별도의 적응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할 수 있다.

(라) 귀국 학생이 외국 생활을 통해 습득한 언어적, 문화적 지식을 유지ㆍ신장시키기

위하여 학습 교재를 개발하여 활용하거나 학생의 능력에 알맞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할 수 있다.

(6) 정보 통신 기술 교육

(가) 정보 통신 기술 교육은 학교의 실정, 학생의 능력과 수준, 교과와의 관련 등을

고려하여 학년별, 학기별 하위 단계와 영역을 설정하여 운영한다.

Page 8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83 -

(나) 경기도 청소년 인터넷 윤리 헌장을 실천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강화한다.

(다) 학생의 ‘정보 소양 인증’ 취득을 장려하고 정보 활용 능력 함양을 위해 정보화

경시 대회, 학생 개인 홈페이지 경연 대회 등의 행사 교육을 활성화한다.

(라) 각 교과 수업 시간에 정보 통신 교수 매체를 적극 활용하고, 사이버 학습 체제

구축에 힘쓴다.

(마) 정보 통신 기술 관련 교과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학교의 실정에 따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할 수 있다.

(바) 학교는 자체 교육 정보화 지수를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교사, 학생의 정보 통신

활용 능력을 높이도록 노력한다.

(사) ICT 활용 교육을 확대하여 정보 통신 기술을 생활 전반에 걸쳐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킨다.

(7) 현장 체험 학습

(가) 학교장은 교육상 필요한 경우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교외 체험 학습을 허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교외 체험 학습은 학칙이 정하는 범위 안에서 수업으로

인정할 수 있다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 제48조제5항).

(나) 체험 학습은 학생들의 추상적 사고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관련

교과의 내용, 학생의 삶과 의미와 맥락이 연관될 수 있도록 실시한다.

(다) 체험 학습 프로그램 내용은 직접적 실험, 사회적 체험, 직ㆍ간접적 체험 등으로

하며, 이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한다.

(라) 체험 학습은 도ㆍ농 간 교류 학습, 체험 학습의 날 운영, 가족 행사 및 지역

사회 행사 참가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마) 학교는 현장 체험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현장 체험 학습에 관한

사전 교육 및 결과 보고서 작성에 대한 지도를 실시한다.

(8) 독서ㆍ토론ㆍ논술 교육

(가) 독서ㆍ토론ㆍ논술 교육은 읽기-사고-쓰기-발표-토론-사고재정립 등으로 이어지는

비판적 사고활동을 통해 학생의 창의성이 계발될 수 있도록 실시한다.

(나) 독서ㆍ토론ㆍ논술 교육은 인류의 지적 전통인 문학, 역사, 철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 현대의 명저 등 학생의 다양한 지혜를 일깨워

주는 책들을 텍스트로 할 것을 권장한다.

(다) 학교는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독서ㆍ토론ㆍ논술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할 수 있다.

Page 8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84 -

(라) 토론ㆍ논술 지도가 가능한 교과에 토론ㆍ논술 관련 학습요소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마) 학교는 독서ㆍ토론ㆍ논술 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연차적으로 확보하며, 확보된

자료는 가급적 전산화하여 원활하게 활용되도록 한다.

(9) 고등학교의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가) 고등학교에서 당해 학교의 교육적 여건으로 개설이 어려운 교과목을 학교,

학생의 교육적 필요에 의해 타 학교 또는 지역사회의 공공성 있는 사회 교육

기관과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학교는 학교 간,

학교와 기관 간 다음 사항이 포함된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①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과목의 범위와 이수 단위

②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과목의 운영 시기 및 내용

③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과목의 지도 교사

④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과목의 평가 방법

⑤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필요한 재정 문제

⑥ 기타 학생 지도에 관한 사항

(나)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관한 사항은 학교 교육과정위원회 및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학교장이 결정하도록 한다.

(다) 위 (가)의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교 간 또는 학교와 기관 간 공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관한 협약을 맺어야 한다.

(라) 공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을 통해 학생이 이수할 수 있는 단위 수는 최대

36단위로 한다.

(10) 녹색 교육

(가) 학교는 녹색 성장에 대한 개념 이해 및 실천에 대한 사항을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지도한다.

(나)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발전 마인드를 지닌 글로벌 녹색

시민 및 녹색 인재 양성을 위한 통합적 교육을 실시하며, ‘환경과 녹색 성장’

과목 선택을 권장한다.

(다) 에너지ㆍ자원 절약 및 재활용 교육 등 체험 위주의 생활경제 교육을 실시하되,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한다.

(라) 각종 매체 및 시청각 자료, 교과용 도서 보완자료 등을 활용하여 저탄소 녹색

성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Page 8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85 -

(11) 인권 교육

(가) 인권 교육은 경기도 학생인권 조례에 의거 「헌법」 제31조, 「유엔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교육기본법」 제12조 및 제13조, 「초ㆍ중등교육법」

제18조의4에 근거하여 학생의 인권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학교의 설립자 및 경영자, 학교장, 교직원 등은 학생의 인권을 존중하고 학생의

인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다) 인권 교육을 통해 학생이 인권을 학습하고, 스스로의 인권을 보호하며, 교사 등

타인의 인권을 존중하도록 한다.

(12) 독도 교육

(가) 학교는 독도 관련 교육을 범교과 학습 주제로 교과, 창의적 체험 활동 등을

통하여 지도한다.

(나) 독도 교육을 강화하여 우리 국민의 독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제고 및 주변

국가들의 역사 왜곡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역사 의식을 함양한다.

(다) 독도의 자연 환경이나, 자원, 가치, 역사적 의의 등의 학습 활동은 자기

주도적이고 탐구적인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라) ‘우리 땅 독도’ 입체 동영상, 전자 도서, 애니메이션, 인터넷 검색, 시사 자료 등

독도 교육 관련 자료나 정보를 학생의 특성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지도한다.

(13) 고등학교의 원격 교육을 통한 교과목 이수

(가) 고등학교는 학교의 교육 여건 상 개설이 어려운 교과목에 대해서는 인터넷을

통한 원격 수업을 통해 해당 교과목을 이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자문과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다음 사항이 포함된

원격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① 원격 교육 개설 교과목의 범위와 이수 단위

② 원격 교육 개설 교과목의 운영 시기 및 내용

③ 원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운영에 관한 사항

④ 원격 교육 편성ㆍ운영 교과목의 지도 교사

⑤ 원격 교육 편성ㆍ운영 교과목의 평가 방법

⑥ 원격 교육 출석 수업 및 출결 사항 처리 방법

⑦ 원격 교육 운영에 필요한 재정 문제

⑧ 기타 원격 교육 교과목 이수에 관한 사항

Page 9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86 -

(나) 원격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생이 이수할 수 있는 단위 수는 학기당 8단위

이내로 한다.

(다) 학교에서 수립한 원격 교육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은 교육감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14) 교과용 도서의 개발ㆍ인정ㆍ활용

(가)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교과목에 대하여 인정도서를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학교장, 저작자, 발행자 또는 저작자와 발행자가 공동으로 해당

도서를 사용하려는 학기가 시작되는 날의 6개월 전까지 교육감에게 인정도서의

인정을 신청하여야 한다. 다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교육과정의 개정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인정도서의 인정신청기한을 달리 정하여 공고할

수 있다(교과용 도서 사용에 관한 규정 제14조 제1항).

(나)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교과목 외의 교과목에 대하여 인정도서를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학교장이 해당 교과목의 교원자격을 가진 교원 중에서 지정

또는 위촉하는 3명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되는 학교인정도서추천위원회 및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기가 시작되는 날의 3개월 전까지 교육감에게

인정을 신청할 수 있다. 다만, 공립·사립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경우에는

교육장을 거쳐 인정을 신청하여야 한다 (교과용 도서 사용에 관한 규정 제14조

제3항).

Page 9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87 -

Ⅲ. 학교 교육과정 지원

1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원

가. 국가 수준의 지원 사항

이 교육과정의 원활한 편성ㆍ운영을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는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지원한다.

(1) 시ㆍ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원 활동과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활동이

상호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ㆍ재정적 지원을 한다.

(2) 이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는 주기적으로 학업 성취도 평가,

학교와 교육 기관 평가,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관한 평가를 실시한다.

(가)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과별, 학년(군)별 학생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는 교육과정의 적절성 확보와 그 개선에 활용한다.

(나)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과 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원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와 관련 교육청에 대한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다) 교육과정 편성ㆍ운영과 지원 체제의 적절성과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3) 국가 수준에서는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정신을 구현한 평가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서 학교 현장에 제공해 주어야 한다.

(가) 교과별로 ‘평가 기준’을 개발, 보급하여 학교가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나) 교과별 평가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 절차, 도구 등을 개발하여

학교에 제공한다.

나. 도교육청 수준의 지원 사항

이 지침의 원활한 편성ㆍ운영을 위하여 도교육청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원한다.

(1)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에 관한 조사 연구와 자문 기능을 담당할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이 위원회에는 교원, 교육 행정가, 교육학 전문가, 교과 교육 전문가,

학부모, 지역 사회인사, 산업체 인사 등이 참여할 수 있다.

Page 9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88 -

(2)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개선을 위한 연구학교를 운영하고, 수업 개선을 위한 연구

교사를 두어 교과별 연구회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3) 학년군, 교과군 도입을 통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자율 편성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컨설팅 등 지원 기구를 조직하여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각종 자료를 연구, 개발하여 보급한다.

(4) 교원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능력 향상과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지도 능력 제고를 위하여 각급 학교 교원에 대한 연수 계획을 수립, 시행한다.

(5) 각급 학교가 새 학년도 시작에 앞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자료를 개발ㆍ보급하고, 교원의 전보를 적기에 시행한다.

(6)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을 위한 교육 시설, 설비, 자료 등의 정비 확충에

필요한 행ㆍ재정적인 지원을 한다.

(7) 학교가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연계ㆍ협력해서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관내 학교가 활용 가능한 ‘지역 자원목록’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등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8) 수준별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하며, 학습 결손을 보충할 수 있도록

‘특별 보충 수업’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행ㆍ재정적인 지원을 한다.

(9) 개별학교의 희망과 여건을 반영하여 지역 내 학교 간 개설할 집중과정을 조정하고,

그 편성ㆍ운영을 지원한다. 특히, 소수 학생이 지망하는 집중과정을 개설할 학교를

지정하고, 원활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을 한다.

(10) 특정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이는 학생과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 기회를마련하고 지원한다.

(11) 귀국자 및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 경험의 특성과 배경을 고려하여 이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한다.

(12) 전ㆍ입학, 귀국 등에 따라 공통 교과를 이수하지 못한 학생들이 해당 교과를

이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해 주고, 학생들이 지역 사회의 공공성

있는 사회 교육 시설을 통해 이수한 과정을 인정해 주는 방안을 마련한다.

(13) 지역 사회와 학교의 여건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학교에서 돌볼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하고, 이에 대해 교육청은 특별한 배려와 지원을 하도록 한다.

(14)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교과목을 설치, 운영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교육청은

관련 지침을 학교에 제시해 주고, 학교로 하여금 필요한 사전 절차를 밟도록

지원한다.

(15) 복식 학급 운영 등 소규모 학교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서

교원의 배치, 학생의 교육받을 기회의 확충 등에 필요한 행ㆍ재정적인 지원을

한다.

Page 9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89 -

(16) 학교 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을 위하여 학생의 배정, 교원의 순회 및 수급, 학교

간 시설과 설비의 공동 활용, 자료의 공동 개발 활용에 관하여 학교 간 및 인접

교육청 간의 협조 체제를 구축한다.

(17) 학생의 교육활동에 필요한 교과용 도서의 인정, 개발, 보급을 위해 노력한다.

(18)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는 개설 전공과 유사한 산업체와

협력하여 특성화된 교육과정과 실습과목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으며, 학생의

현장 실습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행ㆍ재정적 지원을 한다.

(19) 학교에 대한 교육과정 운영 지원 실태와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효과적인 교육과정의 운영과 개선 및 질 관리에

필요한 적절한 지원을 한다.

(20)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대한 질 관리 및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체제의

적절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업 성취도 평가,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평가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다. 지역교육청 수준의 지원 사항

이 지침의 원활한 편성ㆍ운영을 위하여 지역교육청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원한다.

(1) 지역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교원, 교육 행정가, 교육학 전문가,

교과 교육 전문가, 학부모, 지역 사회 인사 등이 참여한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2) 이 지침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수성, 교육의 실태, 학생ㆍ교원ㆍ학부모ㆍ지역

사회의 요구와 필요 등을 반영한 교육 중점 활동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된 실천

중심 장학 자료를 작성한다.

(3) 지역별 교원의 연수, 교원(강사)의 원활한 배치 및 교류, 학생의 배정, 시설과

설비의 공동 활용, 자료의 공동 개발ㆍ보급, 지역 사회 자원 인사의 활용 방안을

마련한다.

(4) 교원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능력 향상과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지도 능력 제고를 위하여 교과별 연구회 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5) 단위학교 교육과정 자율 편성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컨설팅 등 지원 기구를 조직하여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각종

자료를 개발ㆍ보급한다..

(6) 학교가 지역 사회의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연계ㆍ협력하여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을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지역 자원 목록’

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등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Page 9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90 -

(7) 재취학, 전ㆍ입학, 귀국 등에 따라 교과를 이수하지 못한 학생들이 해당 교과를

이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한다.

(8) 학교가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교과목을 설치, 운영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학교로 하여금 필요한 사전 절차를 거치도록 지원한다.

(9)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효과적인 교육과정의

운영과 개선 및 질 관리에 필요한 적절한 지원을 한다.

2 특수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가.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준하는 학교의 교육과정은 이 지침에 따라 편성ㆍ운영한다. 단, 이

지침과 다르게 편성ㆍ운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육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나. 국가가 설립 운영하는 학교의 교육과정은 이 지침을 참고하여 학교장이 편성한다.

다. 근로 청소년을 위한 특별 학급 및 산업체 부설 학교, 기타 특수한 학교는 이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의 실정과 학생의 특성에 알맞은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교육감의

승인을 얻어 운영하되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1) 근로청소년을 위한 특별 학급 및 산업체 부설 학교에서는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에

준하여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되, 총 이수 시간(단위)은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시간(단위) 배당 기준의 2/3 이상이어야 한다.

(2) 각종학교의 수업 연한 및 수업일수는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의 수업 연한 및 수업

일수에 준하여 학칙으로 정한다(각종학교의 관한 규칙 제4조).

(3) 각종학교의 교육과정은 이 지침의 범위 안에서 학칙으로 정한다(각종학교에 관한

규칙 제5조).

(4) 대안학교는 수업 연한을 3년으로 하며, 수업 일수는 매 학년 180일 이상으로 한다

(대안학교의 설립ㆍ운영에 관한 규정 제8조).

(5)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은 대안학교의 장이 학칙으로 정한다. 다만, 교과 중에서 국어

및 사회(역사를 포함) 교과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한 교육과정상 수업시간 수의

100분의 50 이상을 운영하여야 한다(대안학교의 설립ㆍ운영에 관한 규정 제9조).

(6) 대안학교의 교과용 도서는 국정 도서, 검정 도서 또는 인정 도서를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자체 개발한 도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해당 도서를 학교에

갖추어 두어야 한다(위 규정 제10조).

라. 야간 수업을 하는 학교의 교육과정은 이 교육과정을 따르되, 다만 단위 수업 시간을

40분으로 단축하여 운영할 수 있다.

마. 방송 통신 고등학교는 이 지침에 제시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따르되, 교육감의 승인을

Page 9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2부.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91 -

얻어 이 지침의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을 다음과 같이 조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1) 편제와 단위 배당 기준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하되, 162단위 이상 이수하도록 한다.

(2) 교육은 방송 통신에 의한 수업, 출석 수업 및 첨삭 지도의 방법에 의한 수업으로 한다.

(3) 학교 출석 수업 일수는 연간 20일 이상으로 한다.

바. 특성화 학교, 자율학교 등 법령에 의거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이 부여되는

학교의 경우에는 학교의 설립 목적 및 특성에 따른 교육이 가능하도록 해당 법령이

정한 범위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자율권을 부여한다. 특히, 특성화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은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1) 특성화 중학교는 학교의 설립 목적 및 특성에 맞는 전공 관련 교과를 선택교과로

개설할 수 있다.

(2) 특성화 중학교에서 전공 관련 교과를 선택교과로 개설할 경우 선택교과(군) 기준수업

시수의 20% 범위를 초과하여 편성할 수 있다. 단, 교과(군)별 수업 시수의 감축은

기준수업시수의 20%를 초과할 수 없다.

(3) 체육관련 특성화 중학교는 체육교과와 체육에 관한 선택교과 시수의 합계가 주당

4시간 이상인 경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편성하지 않을 수 있다.

사. 교육과정의 연구 등을 위해 새로운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자 하는

학교는,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이 교육과정의 기준과는 다르게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Page 9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9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Page 9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9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Ⅰ. 교과

참 고

1. 각 교과 교육과정에 소개된 ‘타 교과와의 연관관계’는 교사용 참고자료입니다.

각 교과 담당교사는 관련 단원과 연계되는 타 교과의 학습 주제를 보다 적극

적으로 발굴하여 교과 간 통합을 추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2. 각 교과 교육과정에 소개된 ‘읽기 및 영상자료’는 교사용 참고자료를 예시한 것

입니다. 각 단원의 학습 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학생용 학습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Page 10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10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97 -

국어과

1 국어과 핵심역량

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능력

1) 개념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능력’은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의사소통의 상황에서, 상황과 맥락에 맞게 의사를 표현하고,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여 상대방의 의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의사소통능력은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의 신장이라는 국어 교육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이 되는 역량이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한

다는 것은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언어생활뿐만 아니라 공식적이고 집단적인 언어생활에까지

확대하여, 국어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은 물론, 정서적, 가치적 측면을 고려한 창의적이고

풍부한 언어생활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특성

국어 교과를 통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킨다는 것은 학습자가 직면하는

모든 상황 속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적절한 언어로 표현할 뿐 아니라 타인의 생각과 의견을

경청하여 끊임없이 사고를 재정립하며 성장하는 것과 관계가 깊다. 국어 교과에서는 다양한 담

화 상황에 필요한 담화 내용 선정, 조직, 표현 및 전달의 방법을 습득하도록 구조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문법과 격식에 맞는 언어소통능력과 합리적이고 타당한 의견 제시능력, 논리적인 표

현능력, 나아가 타인의 마음과 욕구를 이해하며 소통할 수 있는 정서적 측면 및 비언어적 표현

능력까지 증진시킬수 있게 하는 것이 이 역량의 주요 특성이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능력’은 국어활동의 맥락을 고려하여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

로 사용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

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올바른 의사소통능력의 사용은 다양한 표현 수단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을갖게 할 것이며, 이

는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실천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것이다.

대립적 상황의 주제에 대해 토의,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을 이끌어 내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수많은 문제 상황을 합리적으로 해결

함으로써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타인

Page 10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98 -

과 의견, 생각, 감정 등을 교류하며공감하고 배려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대인관

계능력을 키우고 민주시민 의식을 습득하여 성숙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생활에서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목적에맞게

말하고, 독자와 목적을 고려하여글을 쓰는풍부한 학습 경험을 갖게 한다.

나) 타인과의 소통을 통한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타인의 말이나 이야기를 귀 기

울여 듣기, 글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며 읽기 등의 활동을 하도록 한다.

다) 맥락을 고려하여 국어를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타인과 공감하며 당면한 문제

를 창의적으로 해결해나가는 방법임을 인지하도록 지도한다.

나.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

1) 개념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이란 다양한 국어 자료를 읽고 그 속에 나타나 있는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능력, 언어를 매체로 하는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해 문화를 향유하는

능력, 그리고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적절한 언어로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나아가 문학

적으로 창작할 수 있는 표현 능력을 길러 문화적 감수성과 소양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 이는 앞

서 제시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능력’의 기반 위에 국어의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을 도

모한다는 측면에서 학습의 의의가 있다.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은 함양한다는

것은 읽기 자료와 문학 작품에 나타난 표면적․내면적 의미를 파악하여 텍스트가 표현하고자 하

는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다양한 목적과 의도로 글을 쓰는 창작 활동을 통해 풍성하고 수준

높은 국어 문화 형성에 이바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국어 교과를 통해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을 신장시킨다는 것은 국어과에서 다

루는 다양한 텍스트를 활용하는 점과 관계가 깊다. 국어 교과에서 다루는 텍스트 속에는 정보

전달, 설득, 사회적 상호 작용, 정서 표현과 같은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 교과에서는 텍스트의 목적, 형식과 특성에 유의하며 텍스트의 내용을 학습자의 삶과 관련

짓고 능동적으로 의미를 형성하도록 구조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문화 및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예술작품을 깊이 있게 수용하며, 전통 문화의 체득을 넘어선창의적 문화 발전에

기여하게 하는 것이 이 역량의 주요 특성이다.

Page 10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99 -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은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 등을 경험하면서 문화 예술

에 대한 이해력과감수성을 키우고 자신의 삶의 가치와의 연관성을 음미해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여기서의 텍스트는 활자를 포함한 서적뿐만 아니라 각종 매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텍스트를 접하고 비평, 감상하는 과정을 통해 융합적인 태도와 사고력을 키울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다른 사람들과 원만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문화예술을 체험하

면서길러진심미적, 정서적소양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정서 등을 표현해 보는

활동을 통해 창의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문화 전반에 대한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인식하고 자긍심을 키울

수 있으며 이는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는 창조적 언어생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불어 다양한

국가나 사회의 문화를 접하면서 다른 문화가 갖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국

제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로 삼게 된다면 문화

적 소양능력은 그범위가 진정한 다문화 이해까지 확대될수 있을 것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각 단원의 학습에 있어서 다양한 텍스트로 제공되는 문화를 이해하고 사용된 의도를 언

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나) 다양한 텍스트인 도서 매체, 인터넷 매체, 영화 매체, 핸드폰 매체 등의 문화적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학습에 적절히 활용한다.

다) 문화에서 보이는 상황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적절하게 재구조화하고 표현하는 경험

을 갖도록 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계성

가. 공통교육과정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초등

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중요하거나 인상 깊은 내용을 메모하며

듣기•도덕-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는 삶

•회의의 절차와 방법을 알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도덕-법과 규칙의 준수, 대화와 갈등해결

•창의적체험활동-자율 활동(자치활동)

•토론의 절차와 방법을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도덕-감정의 조절과 표현

•사회-이동과 소통하기

•매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발표하기•실과-멀티미디어 자료 만들기와 이용

•창의적 체험활동-정보통신 활용 수업

•언어 예절에 맞게 대화하기•도덕-친구간의 우정과 예절, 이웃 간의

도리와 예절, 인터넷 예절

Page 10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00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초등

학교

국어

읽기

•읽기 과정에서 지식과 경험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며 글 읽기

•도덕-정보사회에서의 올바른 생활

•사회-우리 이웃 나라의 환경과 생활 모습

•문맥을 고려하여 낱말의 의미를 파악하며

글 읽기

•도덕-참된 아름다움

•사회-사회변화와 우리 생활

•다양한 읽을거리를 스스로 찾아 읽기•사회-다양한 삶의 모습들

•실과-진로탐색과 진로설계

•자신의 독서습관 점검하기•사회-이동과 소통하기

•미술-감상

•여러 가지 독서 방법이 있음을 알고 이를

적용하기

•사회-정보화, 세계화 속의 우리, 다양한 삶의

모습들

•도덕-자긍심과 자기 계발

초등

학교

국어

쓰기

•읽는 이를 고려하여 자신의 마음을 표현

하는 글쓰기

•도덕-감사하는 생활, 감정의 조절과 표현

•창체-동아리활동(문화예술활동)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실과-멀티미디어 자료 만들기와 이용

•미술-표현

•쓰기의 과정을 이해하기 •도덕-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는 삶

•과정에 따라 글쓰기•사회-정보화, 세계화 속의 우리

•창체-동아리활동(문화예술활동)

문법

•다양한 고유어 익히기 •바른생활-전통문화

•낱말과 낱말의 의미관계 알기 •즐거운생활-이웃생활 표현

•표준어와 방언의 효과적인 사용 •사회-우리지역 다른 지역

문학

•재미있거나 감동적인 부분에 유의하며

작품 이해•도덕-감사하는 생활

•작품을 듣거나 읽거나 보고 느낀점 다양

한 방식으로 표현•미술-체험

•작품에서 말하고 있는 사람의 관점 이해 •도덕-자연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작품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 •음악-창의적인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중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상호 작용과 관계 형성•사회-개인과 사회 생활

•기술가정-가족 관계와 의사소통

•듣기 말하기의 윤리•도덕-타인 존중의 태도

•사회-정치 과정과 시민 참여

읽기

•글의 유형•음악-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한문-문장의 구조, 문장의 유형

•읽기의 본질과 특성•영어-문자 언어 활동

•한문-풀이하기, 이해하기, 감상하기

Page 10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01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중학교

국어

쓰기

•쓰기의 윤리•도덕-사이버윤리와예절

•기술가정-정보 통신 기술체험과 문제 해결 활동

•쓰기와 맥락•정보-정보의 윤리적 활용

•도덕-청소년 문화와 윤리

•쓰기의 생활화•음악-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기술가정-진로 탐색과 생애 설계

문법

•국어 의식과 국어 사랑

•한문-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사용하기

•역사-민족 말살 정책에 맞선 민족 문화 수호

운동

•국어 생활의 점검과

문제 해결

•지리-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정보-정보의 표현과 관리

문학

•문학의 가치와 중요성•사회-문화의 이해와 창조•사회-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작품 비평과 소통•미술-미술 비평•역사-민족문화의 발달

나. 선택 교육과정(고등학교)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국어Ⅰ

화법•대화 원리의 이해

•바람직한 의사소통문화

•한국사-조선 유교사회의 성립과 변화

•정보-정보과학과 정보윤리

•실용영어-의사소통활동

독서•독서 상황과 독서의 방법

•자율적 독서의 생활화

•한문Ⅰ-독해(이해)

•영어독해와 작문-언어재료

작문•정보의 선정과 내용 조직

•바람직한 글쓰기 습관

•한국사-일제강점과 민족운동의 전개

•실용영어-의사소통활동

문법•음운과 어휘 지식의 활용

•올바른 국어 사용의 생활화

•미술문화-미술과 언어

•한문Ⅰ, 한문Ⅱ-한문지식

문학•작가의 개성 작품 감상

•문학과 사회적 소통

•한문Ⅱ-문화

•음악과 생활- 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국어Ⅱ

화법•발표와 토론의 이해

•매체 자료의 활용

•미술창작-매체와 표현

•음악과생활-음악적 표현과 소통

독서•독서와 문제해결

•매체자료의 분석과 비판적 태도

•세계지리-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미술(영상미술)-매체

작문•작문맥락의 이해

•매체의 특성과 글쓰기의 원리

•사회문화-일상생활과 사회제도

•영어독해와 작문-언어재료

문법•한글의 가치와 국어사랑

•문장과 담화의 이해

•미술문화-미술의 감상(판단과 활용)

•한문Ⅰ, 한문Ⅱ-한문지식

문학•문학 활동과 비평적 태도

•한국 문학의 전승과 흐름•세계지리-갈등과 공존의 세계

Page 10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02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화법과

작문

정보전달

•상황 분석과 내용 조직

•정보해석과 매체활용

•정보 전달의 표현전략

•물리Ⅰ-정보와 통신

•정보-정보의 표현과 관리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

•의사소통과 자아 인식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자기표현의 전략과 태도

•미술창작-주제와 발상

•음악과 생활-음악적 표현과 소통

독서와

문법

독서의

본질과

언어의 본질

•독서의 본질

•언어의 본질

•역사-우리 역사의 형성과 발전

•기술의 세계-일과 직업의 세계

글의 구조와

독서의

방법

•글의 구성 원리

•독서의 방법

•현대생활과 윤리-인간 중심주의와 생태 중심주의

•지구와 우주-천체의 운동

문학

한국문학의 범위와 생산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음악과 생활-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영상미술-이해(매체), 표현(영화)

문학과 삶•문학과 삶의 다양성

•문학과 자아

•생활과 윤리- 문화와 윤리

•윤리와 사상-동양과 한국윤리 사상

고전

고전의

가치와 탐구

•고전의 본질과 가치

•고전의 재해석 및 수용

•음악사-서양음악사

•미술창작-주제와 발상

고전에 대한

태도

•고전을 통한 소통과 이해확장

•고전의 지혜와 삶의 성찰

•윤리와 사상-동양과 한국윤리사상

•한국사-조선유교의 성립과 변화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방법

1)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각 영역이 유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

록 계획한다.

2) 주변 사물과 현상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탐구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를 인식하고 활

용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3) 타인의 말을 경청하여 이해하고, 그것에 반응하는 과정을 통해 나의 생각과 감정을 자연

스럽게 표현하며,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방법을 체득하여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

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4) 다양한 종류의 글, 매체 등을 접하고 다룸으로써 국어에 대한 학습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하도록 지도한다.

Page 10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03 -

5)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거나 생산하면서 인간의 다양

한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고, 위대한 문학 작품과 조우하고 자기표

현의 창조적 작업 과정을 밟아 문학적 감수성과 잠재성을 발휘하여 문화적 소양

능력을 극대화 하도록 한다.

6) 교육내용과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토의․토론 수업, 협동학습,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CPS), 탐구․발견학습, 역할놀이, 시나리오 수업, 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교수ㆍ학

습 방법을 강구하되,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창의적인 학습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7)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8)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을 이해하고, 국어과 핵심역량인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

사소통능력과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의 기초를 키워 주도록 하며 학습자

가 교수ㆍ학습 상황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의 언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경험을

가지면서 유능한 국어 사용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지도한다.

9) 교사와 학생이 끊임없이 질문과 토론을 통해 함께 지식을 창조하고 형성해 나가는 과정

이 존재하는 수업이 되도록 지도한다.

10) 학생 개인의 학습 능력과 수준, 적성, 희망 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여 배움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지도한다.

11) 국어과에서 의도하는 학습 목표에 적합한 교육내용은 선정되도록 하며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향상에 필요한 교육 내용이 타교과와유기적으로관련될수 있도록 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1) 인류의 지적 유산인 명저(고전을 비롯한 각 분야의 저작물), 다양한 매체와 글을 접함으

로써 자신의 인생을 구상화 하고 실현하기 위한 밑거름을 마련하며, 국어과에서 배운 내

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일과 직업의 세계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자질을 가지도록 지도

한다.

2)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과, 한국어문학부, 커뮤니케이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언어학과,

국어교육과 등의 국어과 관련 전공에 대한 학과별 진로와 취업기회를 안내하고, 각 분야

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국어과와 관련된 직업기초능력으로는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문제해결능

력, 정보능력, 대인관계능력 등이 있으며 교수ㆍ학습 과정 설계 시에 이와 관련된 내용

들이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4) 국어과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학습을 할 수 있도

록 내용을 구안하고, 이러한 교수ㆍ학습 활동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미래의 진로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10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04 -

다. 관련된 읽기 자료

1)공통교육과정

구분 영 역 내 용 읽기 자료

초등

학교

국어

듣기

말하기

•중요하거나 인상 깊은 내용을

메모하며 듣기

•어린이를 위한 경청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어린이 메모 습관

•회의의 절차와 방법을 알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똑소리 나는 말하기 학교

•마법 햄스터 코코와 신비의 발표 발하기

기법

•토론의 절차와 방법을 알고 적

극적으로 참여하기•토론하는 교실

•매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발표하기•파워포인트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언어 예절에 맞게 대화하기 •나, 오늘 말하기 어떻게 해

읽기

•읽기 과정에서 지식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글 읽기•십대를 위한 재미있는 어휘교과서

•문맥을 고려하여 낱말의 의미

를 파악하며 글 읽기•독서몰입의 비밀

•다양한 읽을거리를 스스로 찾아

읽기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신화

•손에서 손으로 전하는 고전문학

•자신의 독서습관 점검하기. •자기주도 과목별 창의 독서법

•여러 가지 독서 방법이 있음을

알고 이를 적용하기•공부의 달인이 되는 읽기 전략

쓰기

•읽는 이를 고려하여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글쓰기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

•생각이 통하는 논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살아있는 글쓰기

•쓰기의 과정을 이해하기 •글쓰기 걱정 뚝•과정에 따라 글쓰기 •어린이를 위한 글쓰기 습관

문법

•한글의 자음자와 모음자 •말씨 글씨

•문장부호의 이름과 쓰임 •마법의 문장 부호

•소리를 혼동하기 쉬운 낱말 •글짓기는 가나다

•예사말과 높임말 •아드님, 진지 드세요

•여러 가지 뜻을 지니는 낱말 •천하무적 말벗사전

•한자어, 외래어, 고유어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문장의 호응 •행복한 글쓰기 초등학교

문학

•반복되는 말의 재미 •저학년 동시집

•재미있는 내용의 표현 활동 •전래동화

•시낭송 •우리나라 좋은 동시

•생생한 느낀 그대로 •콧구멍이 벌렁벌렁

•넓은 세상 많은 이야기 •세상을 잘 알게 도와주는 기행문

•문학의 즐거움 •아낌없이 주는 나무

•상상의 날개 •장발장

Page 10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05 -

구분 영 역 내 용 읽기 자료

중학교

국어

듣기․말하기

•상호 작용과 관계 형성

•듣기 말하기의 윤리

•나, 오늘 말하기 어떻게 해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읽기•글의 유형

•읽기의 본질과 특성

•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

•국어교과서 작품읽기 중1,중2,중3

•소설이 묻고 과학이 답하다

쓰기

•쓰기의 윤리

•쓰기와 맥락

•쓰기의 생활화

•우리글 바로 쓰기 1-3

•제목은 뭐로 하지?

문법•국어 의식과 국어 사랑

•국어 생활의 점검과 문제 해결

•우리말 필살기

•친절한 국어문법

문학•문학의 가치와 중요성

•작품 비평과 소통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국어선생님의 시 배달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1-4

2) 선택교육과정-고등학교

구분 영 역 내 용 읽기 자료

국어Ⅰ

화법•대화 원리의 이해

•바람직한 의사소통문화

•인문학 콘서트

•의사소통의 기법

독서•독서 상황과 독서의 방법

•자율적 독서의 생활화

•키워드로 읽는 매체언어

•생산적 책읽기

작문•정보의 선정과 내용 조직

•바람직한 글쓰기 습관

•경계에서 춤추다

•나를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

문법•음운과 어휘 지식의 활용

•올바른 국어 사용의 생활화

•우리말 오류사전

•국어사랑은 나라사랑

문학•작가의 개성 작품 감상

•문학과 사회적 소통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문학적 사유로 본 사회

국어Ⅱ

화법•발표와 토론의 이해

•매체 자료의 활용

•중딩 고딩을 위한 대중매체 읽고쓰고 생각하기

독서•독서와 문제해결

•매체자료의 분석과 비판적태도

•국어시간에 논리읽기

•대중매체 시대의 예술

작문•작문맥락의 이해

•매체의 특성과 글쓰기의 원리

•희한한 수업

•사고와 논술

문법•한글의 가치와 국어사랑

•문장과 담화의 이해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담화의 놀이들

문학•문학 활동과 비평적 태도

•한국 문학의 전승과 흐름

•청소년, 책의 숲에서 길을 찾다

•문학교과서 작품 읽기

Page 11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06 -

구분 영 역 내 용 읽기 자료

화법과작문

정보전달•정보해석과 매체활용

•정보 전달의 표현전략

•미디어의 이해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자기표현과

사회적상호 작용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자기표현의 전략과 태도

•결정적 순간의 대화

•글쓰기의 전략

독서와문법

독서의본질과

언어의 본질

•독서의 본질•언어의 본질

•민족과학의 뿌리를 찾아서

글의 구조와

독서의 방법•글의 구성 원리•독서의 방법

•천변풍경

•사람아 아 사람아

문학

한국문학의

범위와 생산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한국문학강의

문학과 삶•문학과 삶의 다양성•문학과 자아

•문학의 숲을 거닐다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고전

고전의

가치와 탐구

•고전의 본질과 가치

•고전의 재해석 및 수용•고전 시가의 모든 것

고전에 대한

태도

•고전을 통한 소통과 이해확장

•고전의 지혜와 삶의 성찰

•고전혁명

•3분 고전

국어 학습 관련 사이트

1.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2. 우리말 배움터 http://urimal.cs.pusan.ac.kr/urimal_new

3. 교실 밖 교사 커뮤니티 http://eduict.org/

4. 우리말 나들이 http://www.imbc.com/broad/tv/culture/hangul/

5. 바른말 고운말 http://www.kbs.co.kr/1tv/sisa/goodword/

6. 우리말 겨루기 http://www.kbs.co.kr/1tv/sisa/woorimal/

7. 한국 교육미디어 교육의 중심 FOR ME http://www.forme.or.kr/nieweb/

8. 함께하는 NIE 논술 ‘아하 한겨레’ http://www.ahahan.co.kr/

9. 지식채널e http://ebs.co.kr

10. 책 읽어주는 라디오 http://ebs.co.kr

11. 창의․인성 교육넷 http://www.crezone.net

12. 사이버 문학광장 문장 http://www.munjang.or.kr/

13. 시 콘서트 http://home.ebs.co.kr/story/index.html

14. 순우리말 사전 http://home.ebs.co.kr/story/index.html

15. 문학사랑 e http://home.ebs.co.kr/munhak/index.html

16. TV로 보는 원작동화 http://home.ebs.co.kr/munhak/index.html

17. MBC 100분 토론 http://www.imbc.com/broad/tv/culture/toron

18. 생방송 심야토론 http://www.kbs.co.kr/1tv/sisa/toron

19. SBS 시사토론 http://tv.sbs.co.kr/opinion

20. 한국독서지도연구회 http://www.readingclinic.or.kr

21. 어린이도서연구회 http://www.childbook.org

22. 한글학회 http://www.hangeul.or.kr

23 국어 문화 운동본부 http://www.barunmal.com

24. 독서도우미 http://www.bookhelper.net

25. 글나라 http://www.gulnara.net

Page 11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07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국어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 요소와 성취 기준을 근거로 평가하되, 문법과 격식에 맞

는 언어소통능력과 합리적이고 타당한 의견 제시 능력, 논리적인 표현능력과 문학적 창

작표현 능력, 비평과 감상과정을 통한 융합적인 태도, 문화적 감수성과 심미적 및 정서

적 소양 능력,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 정서적 측면 및 비언어적 표현능력까지 종

합적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2) 듣기․말하기 영역의 평가 목표는 듣기․ 말하기 과정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설정하되,

듣기에서는 사실적ㆍ추론적ㆍ비판적 듣기 능력과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 변화에 중

점을 두고, 말하기에서는 말할 내용의 생성 및 조직, 정확하고 효과적인 표현과 전달,

상대를 배려하는 태도에 중점을 두어 설정한다.

3) 읽기 영역의 평가 목표는 내용 확인, 추론, 평가와 감상, 점검과 조정 등에 중점을 두어

설정한다.

4) 쓰기 영역의 평가 목표는 쓰기의 목적, 독자, 주제에 맞게 글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쓰

는 능력, 의사소통능력,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에 중점을 두어 설정한다.

5) 문법 영역의 평가 목표는 문법 지식의 이해와 탐구 및 적용 중심으로 설정하되, 문법 지

식의 단순한 암기가 아닌 국어의 구조와 문법의 작동 원리를 파악하고 생활 속에 적용,

실천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어 설정한다. 어휘와 어법 관련 평가 목표는 개별 단어의 발

음, 표기, 뜻에 대한 정확한 이해, 의사소통 상황에서 어휘 사용의 적절성, 창의적인 어

휘 사용 능력, 올바른 어법에 따른 문장 구사 능력에 중점을 두어 설정한다.

6) 문학영역의평가 목표는 문학 지식에 대한 이해, 문학작품의 수용과 생산 능력, 문화적

소양능력에 중점을두어설정한다.

7) 평가 상황, 평가 방법, 평가 기준을 학습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평가가 상황에 맞는 적절

한 의사소통능력,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 창의적 국어 사용능력과 언어

발달을 적극적으로 도울 수 있게 하되, 과정과 결과를 모두중시하도록 한다.

8) 국어사용의 실제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평가 상황을 설정하고, 영역을 통합하여 평가하도

록 한다.

9) 지필평가 중심의 평가를 지양하고 고등정신 능력과 창의지성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창

의․서술형평가와 논술형 평가, 성장 참조형 평가의 비중을 늘려 실시하도록 한다.

10) 평가 내용은 성취 기준을 지식, 기능, 맥락의 측면에서 구체화하고 있는 내용 요소와

담화나 글을 결합하여 각영역의 학습 내용에서균형있게선정하되, 학습자의 발달수

준을 고려한다.

Page 11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08 -

11)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능력뿐만 아니라 교육 자료, 평가 도구, 배움 중심의 교수ㆍ

학습 방법과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지식,

기능, 태도 등을 균형 있게 평가한다.

나. 평가 방법

1) 영역의 특성, 평가 목표, 평가 내용, 평가 상황을 고려하여 지필평가, 연구 보고서법, 자

료철(포트폴리오), 면접법, 구술 평가, 토론법, 관찰법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절하

게 활용한다.

2) 학습 참여의 적극성, 의사소통능력, 창의성, 문화적 소양능력, 비판적 사고력 등의 국어

학습능력과 창의 지성 학습 과정을 평가하는 수행평가의 반영을 높이고, 학생의 능력 변

화과정과 성장 정도에관심을 가지는 성장 참조형수행평가의 적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3) 논술형 평가 시 어떤문제 상황에 대한 자기의 생각을논리적으로 표현하게 하여 창의적

인 언어 사고력과 논리적 표현 능력과 비판력 등을 평가한다. 이러한 논술형 평가에는

교사의 첨삭지도와 방향 제시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4) 서술형 평가 시 상황과 맥락, 다양한 텍스트에 대한 이해 및 파악을 평가하며 융합적이

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구술평가 시 문법과 격식에 맞는 언어소통능력, 합리적이고 타당한 의견 제시 능력 등에

대한 관찰평가, 상호 평가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말하는 태도, 비언어적 표현능력 등

을 총체적으로 평가한다.

6) 교사의 학생 평가 외에 학생의 자기 평가,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 평가를 적극적으로 적

용함으로써 국어교육 평가를 유의미한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활용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 수준,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소양능력, 국어사용 능력의 발

달 정도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는 배움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 평가도구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

로 활용하고 나아가 교사의 배움 중심 교수․학습방법 개선의 환류 자료로 활용한다.

3) 평가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성취 수준 이외에 교수․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요인을

분석하여 학습자, 교사, 학부모, 교육 관련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창의적인 국어사

용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활용하되, 평가 결과 보고 체계를 구체화 다양화한다.

Page 11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09 -

도덕과

1 윤리과 핵심역량

가. 자율적인 도덕적 판단 능력

1) 개념

자율적인 도덕적 판단능력이란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스스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자율적인 도덕적 판단 능력을 지닌다는 것은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와 가정, 학교, 사회, 국

가․민족공동체, 지구공동체, 자연 및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

다는 것이다. 즉,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도덕적 판단 능력을 바탕으로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인간의 삶에 있어서 도덕적 가치ㆍ규범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도덕적 문제들을 탐

구하는 태도를 지닌다는 것은 ‘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 더 나은 삶의 방식을 확보할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도덕적 문제 상황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인 도덕적 판단 능력을 바탕으로 현명한 선

택을 하기 위해 도덕적 판단력과 가치 선택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방법을 활

용한다. 학습자는 도덕적 판단과 실천 능력을 토대로 보다 바람직한 윤리관과 사회 사상적

시각을 정립하여 바람직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나.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

1) 개념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이란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타인의 사고나 느낌, 행

동 또는 시각에 대해 생각함으로써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으며, 역지사지의

태도로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능력이다.

Page 11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10 -

2) 역량의 주요 특성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은 정보화ㆍ대중화ㆍ다원화로 대표되는 현대 사회에서

생겨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타인에 대한

이해는 자기중심적사고의 오류에서 벗어나는 바탕이 되고,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는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타인들과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을 바

탕으로 우리는 자신의 행위나 다른 사람의 행위가 정당화 될 수 있는 근거를 생각할 수 있

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윤리적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바람직한 능력

과 태도를 지닐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을 기르는 것은 ‘대인관계능력’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인간 소외 현상을 비롯한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조화로운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은 인간이 사회 속에서 타인과 조화롭게 어울려 살아가기

위한 중요한 역량이므로 이러한 능력이 다른 사람과의 직, 간접적인 관계와 체험 속에서 형성

될 수 있는 협동학습, 프로젝트형 접근법 등의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통해 지도한다.

다. 공동선 구현을 위한 실천 의지

1) 개념

‘공동선 구현을 위한 실천의지란 민주적 도덕 공동체 실현을 위해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다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공동선 구현을 위한 실천 의지’에는 민주사회에 대한 책임감, 상호의존적인 세계에서 효과

적으로 기능하는 능력, 민족과 인류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 능력, 열린 가치관으로 세

계를 이해하는 능력, 집단 구성원으로서 적절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며

사람들을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위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등이 포함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공동선 구현을 위한 실천 의지’를 함양하는 것은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을 배양하며, 다원적 가치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해 가는 것이므

로 ‘민주시민 의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개인은 단독으로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존재함을 이해하고 그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의

무를 충실히 이행하려는 실천 의지를 지닐 수 있다.

Page 11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11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초등학교

도덕적

주체로서의나

•소중한 나•국어 – 읽기 과정에서 지식과 경험을 적

극적으로 활용하며 글 읽기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는 삶

•국어 – 중요하거나 인상 깊은 내용을 메

모하며 듣기

•성실한 생활 •사회 – 사회변화와 우리생활

•반성하는 삶•국어 – 다양한 매체를 활용 하여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감정의조절과 표현•국어 – 토론의 절차와 방법을 알고 적극

적으로 참여하기

•자기행동에대한책임감 •사회 – 민주주의와 주민자치

•자긍심과 자기 계발•국어 – 여러 가지 독서 방법이 있음을

알고 이를 적용하기

•절제하는 생활 •사회 - 경제 위기의 극복과 성장

우리ㆍ타인과의

관계

•화목한 가정 •실과 – 나와 가정생활

•친구 간의 우정과예절 •국어 - 나누는 즐거움

•감사하는 생활 •국어 - 마음을 전해요

•이웃간의 도리와예절•국어 – 언어 예절에 맞게 대화하기

•일반사회 –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우리ㆍ타인과의

관계

•인터넷 예절 •실과 - 인터넷과 정보

•서로 돕는 생활 •국어 - 주고 받는 마음

•정보 사회에서의 올

바른 생활

•국어 – 읽기 과정에서 지식과 경험을 적

극적으로 활용하며 글 읽기사회 – 정보

화, 세계화 속의 우리

•웃어른 공경과 예절 •국어 – 언어 예절에 맞게 대화하기

•배려하고 봉사하는 삶 •국어 - 함께하는 마음

•대화와 갈등 해결

•사회 - 지역 개발과 합리적 의사 결정

•국어 - 생각과 판단

•국어 - 의견을 나누어요.

4) 학습과의 관련성

공동선 구현을 위한 실천 의지를 기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신을 둘러싼 다양한 도덕ㆍ

윤리 문제를 현대적 상황에 맞추어 해석하고 적용하여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을 구안하고 적용하도록 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의 관련성

Page 11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12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초등학교

사회ㆍ국가ㆍ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공공장소에서의 질서

와 규칙

•국어 – 토의를 통해서 일상생활의 문제

를 해결하려는 태도 지니기

•나라에 대한 사랑과

긍지

•한국사 –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

민족 운동

•통일의 필요성과 통

일 노력•한국사 – 대한민국의 발전과 오늘의 우리

•다문화 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삶

•한국사 – 세계와 활발하게 교류한 고려

•사회 – 다양한 삶의 모습들

•인권 존중과 보호 •일반사회 –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법과 규칙의 준수•국어 – 회의의 절차와 방법을 알고 능동

적으로 참여하기

•공동체 의식과 시민

의 역할•사회 – 우리나라의 민주정치

•공정한 행동 •체육 - 네트형 경쟁

•우리가 추구하는 통

일의 모습•사회 – 우리 사회의 과제와 문화의 발전

•지구촌 시대의 인류애 •사회 - 세계 속의 우리 경제

자연ㆍ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생명의 소중함•체육 - 자연에서의 여가생활

•실과 -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자연 사랑과 환경 보호 •사회 - 환경을 생각하는 국토 가꾸기

•참된 아름다움•국어 – 문맥을 고려하여 낱

•말의 의미를 파악하며 글 읽기

•사랑과 자비 •사회 –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국토

Page 11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13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중학교

도덕적

주체로서의나

•도덕의 의미 •국어 – 듣기, 말하기의 윤리

•삶의 목적과 도덕•보건 – 건강의 기본 개념과 기본 영향

요인

•도덕적 성찰 •보건 – 청소년기 성장 발달과 건강의 조화

•도덕적 실천 •체육 - 실천의지력

•인간존재의 특성•체육 - 배려와 존중

•국어 - 공감과 배려

•자율과 도덕 •보건– 청소년기 성장 발달과건강의 조화

•도덕적 자아상 •사회 – 개인과 사회생활

•공부와 진로 •기술ㆍ가정 - 진로탐색과 생애설계

•도덕적 탐구 •국어 - 추론

우리

타인과의

관계

•가정생활과 도덕

•체육 - 배려와 존중

•국어 - 공감과 배려

•보건 – 정서와 정신 건강

•친구관계와 도덕•체육 - 배려와 존중

•국어 - 공감과 배려

•사이버윤리와예절•체육 - 배려와 존중

•국어 - 공감과 배려

•이웃에 대한 배려와

상호협동

•체육 - 배려와 존중

•국어 - 공감과 배려

•타인 존중의 태도

•체육 - 배려와 존중

•체육 - 자기 존중

•국어 - 공감과 배려

•미술 - 지각, 소통

•평화적 해결과 폭

력 예방•사회 -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청소년문화와윤리

•사회 - 문화의 이해와 창조

•체육 - 청소년 여가의 이해 일상적 여가

활동계획 및 실천

•국어 – 쓰기와 맥락

사회․국가․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인간존엄성과인권•사회 - 인권보장과 헌법

•보건 –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권리와 책임

•문화의 다양성과

도덕

•사회 - 문화의 이해와 창조,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분단배경과 통일

의 필요성•지리 - 통일한국과 세계시민의 역할

•바람직한 통일의

모습

•지리 - 통일한국과 세계시민의 역할

•역사 - 대한민국의 발전

Page 11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14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중학교

사회․국가․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사회정의와 도덕 •사회 - 인권보장과 헌법

•개인의 도덕적 삶

과 국가의 관계•사회 - 개인과 사회생활

•국가 구성원으로서

바람직한 자세•사회 - 개인과 사회생활

•세계화 시대의 우

리의 과제•체육 - 다문화 존중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환경 친화적인 삶•지리 -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기술․가정 -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삶의소중함과도덕 •보건 – 정서와 정신 건강

•과학 기술과 도덕 •과학 - 과학과 인류문명

•문화와 도덕•사회 - 문화의 이해와 창조

•체육 - 다문화 존중

•마음의 평화와

도덕적 삶•보건 – 정서와 정신 건강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

•역사 – 현대 세계의 전개

•사회 – 현대 사회와 사회문제, 통일한국

과 세계시민의 역할

윤리와

사상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의

의의

•인간의 삶과 윤리

사상•국어Ⅰ - 공감적 듣기와 문제 해결

•이상 사회의 구현과

사회 사상•정보 – 정보과학과 정보사회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에 대한 탐구

•국어Ⅱ - 비판적 듣기와 평가

•고전 - 고전을 통한 소통과 이해의 확장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의 흐름과

특징

•문학 – 문학과 삶의 다양성

•고전 – 고전을 통한 소통과 이해 확장

•유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세계사 - 보편 종교의 출현 과 전파

•동아시아사 -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성리학

•한국사 -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유교 사상의 특징 •한국사 –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한국 유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한국사 –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불교사상의연원과

전개

•세계사 - 보편 종교의 출현과 전파 동아

시아사-불교

•한국사 - 고려의 사상적 특징

Page 11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15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윤리와

사상

동양과 한국윤리 사상

•불교 사상의 특징 •한국사 –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한국사 –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도가ㆍ도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한국사 –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도가ㆍ도교 사상의

특징및 한국 전통

사상과의융합

•한국사 –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한국 고유 사상의

특징과 의의•한국사 –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서양 윤리사상

•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과 특징•법과 정치 – 민주 정치와 법

•상대주의 윤리와

보편주의 윤리•사회ㆍ문화 – 개인과 사회구조

•이상주의 윤리와

현실주의 윤리•세계사 – 문명의 성립과 통일 제국

•쾌락주의 윤리와

금욕주의 윤리•세계사 – 문명의 성립과 통일 제국

•그리스도교 윤리 •세계사 - 보편 종교의 출현과 전파

•경험주의와 이성

주의•사회ㆍ문화 –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사회ㆍ문화 – 개인과 사회구조

•의무론적 윤리와

칸트주의•사회ㆍ문화 – 개인과 사회구조

•실용주의 윤리와

실존주의 윤리•사회ㆍ문화 – 개인과 사회구조

•현대의 덕 윤리와

배려 윤리•사회ㆍ문화 – 사회 계층과 불평등

윤리와

사상사회 사상

•개인과 자율 •법과 정치 – 민주 정치와 법

•공동체와 연대

•법과 정치 – 국제 사회의 법과 정치

•세계 지리 – 갈등과 공존의 세계

•사회 – 공정성과 삶의 질

•국가와 윤리 •법과 정치 – 국제 사회의 법과 정치

•민주주의 사회에

서의 윤리•세계 지리 – 갈등과 공존의 세계

•사회 정의•사회ㆍ문화 - 사회 계층과 불평등

•사회 – 공정성과 삶의 질•자본주의사회에서의

윤리

•세계사 - 자본주의 발달과

•산업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변화

•사회주의 사상의

윤리적 함의•경제 - 시장 실패, 정부 개입, 정부 실패

Page 12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1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고등학교

생활과윤리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

•현대 생활과 응용윤리의 필요성

•사회ㆍ문화 –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윤리 문제의 탐구와실천

•고전 - 고전을 통한 소통과 이해의 확장

•윤리 문제에 대한다양한 접근

•세계 지리 – 갈등과 공존의 세계

생명ㆍ성ㆍ가족

윤리

•삶과 죽음의 윤리 •보건 – 문화와 건강

•생명 과학과 윤리•화학Ⅱ - 인류 복지와 화학•생명 과학Ⅰ-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성과 사랑의 윤리•기술ㆍ가정 - 사랑과 결혼•보건 – 성과 건강

•가족 관계의 윤리 •기술ㆍ가정 - 부모됨과 자녀 돌봄•친구ㆍ이웃 관계의윤리

•화법과 작문 –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작용

과학 기술ㆍ환경

ㆍ정보 윤리

•과학 기술과 윤리 •과학 -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인간과자연의관계•생명 과학Ⅰ - 생물의 다양성과 환경•지구 과학Ⅰ- 위기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윤리적 고려

•한국 지리 - 기후 환경의 변화•한국 지리 - 환경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

전 인간과 환경-환경 보전 정책

•정보 사회와 윤리

•과학 - 정보통신과 신소재•물리Ⅰ - 정보와 통신•한국 지리 - 생산과 소비 공간의 변화•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 생활 서비스

산업 정보원과 정보 윤리•정보기술과활용- 정보통신윤리와정보보호

사회 윤리와

직업 윤리

•사회의 도덕성과사회 윤리

•사회ㆍ문화 – 일상 생활과 사회 제도

•사회 정의와 정의로운 사회

•사회ㆍ문화 - 사회 계층과 불평등

•인권 존중과 공정한 사회

•한국사 –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직업의 의의와 직업 생활의 윤리적 책임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 직업 윤리

생활과

윤리

문화와 윤리

•미적 가치와윤리적가치

•미술 문화 - 미와 미술의 다양한 가치 판

단 기준 이해하기•종교와 윤리 •사회ㆍ문화 - 종교 제도, 종교의 기능

•의식주의 윤리적

문제

•기술ㆍ가정 - 배려와 나눔의 의식주 생활

•세계 지리 -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다문화사회의윤리•세계 지리 -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사회ㆍ문화 - 문화 상대주의, 다문화 사회

평화와 윤리

•민족통합의윤리적과제

•한국사 - 북한의 실상과 통일 노력

•한국 지리 - 국토 통일의 당위성

•지구촌의 윤리적

상황과 과제

•세계 지리 - 갈등과 공존의 세계

•사회ㆍ문화 - 지속가능한 사회

•동아시아사 - 갈등과 화해

Page 12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17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ㆍ학습 방법

1) 학생들이 도덕 수업 및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과 삶에서 경험하는 도덕문제를 상호

관련지어 학습 할 수 있도록 한다.

2) 교사가 학생들의 동일시 대상임을 고려하여 일상적인 언어 사고방식 태도 행동 등에

유의하여 학생들에게 도덕적 모범이 되도록 한다.

3) 가정 및 지역 공동체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도덕적 실천을 강화함으로써 도덕과 교육

의 실효성을 제고하도록 한다.

4) 체험 학습을 위한 도덕실(예절실), 교과 교실 등 적절한 교육 여건을 조성한다.

5)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신장시키는 읽기 자료는 고전, 명저뿐만 아니라 시사물,

영화, 만화 등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도록 한다.

6) 도덕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자율적인 도덕적 판단력 및 가치 선택 능력을 신장시

키기 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여러 도덕 문제들을 교과서의

내용과 관련지어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하게 유도한다.

7) 학생들의 도덕적 탐구 활동 및 자율적인 판단의 경험을 촉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

제 상황을 제시하고, 그것에 부합하는 타당한 방법을 활용하며, 풍부한 자료와 다양

한 매체를 적용한다.

8) 학생들의 발달 특성, 수업에서 도달하고자하는 목표와 학습내용, 수업상황, 물리적

환경, 학습자료, 영상자료 등 교수ㆍ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려하여 강의,

토론, 논술, ICT활용, 협동학습, 봉사학습, 역할놀이, 실천ㆍ체험 등 다양한 방법을

융통성 있게 적용한다.

9) 도덕적 문제 상황 속에서 기존의 윤리 이론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려는 태도보다는 학

습자들이 개인과 공동체의 진정한 행복을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른 판단과 태

도, 행동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 그 바탕이 되는 윤리 이론, 도덕 원리, 도덕 규칙

등을 스스로 추론하고 구성해 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10) 창의적 체험 활동, 봉사 활동, 현장 체험 학습, 교내 행사, 학교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상호 작용 등을 도덕과 수업에 적절히 관련시킴으로써, 학생들

이 도덕규범을 내면화하고 도덕적 실천 성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 지도

1) 도덕과와 관련된 직업 기초 능력으로는 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민주시민 의식 등이 있다. 이 기초 능력의 성취를 위한 창의적 교수ㆍ학습 방법의

구안과 적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2) 도덕과와 연계되는 대학의 전공은 철학과, 윤리교육과, 유학관련학부, 동양 및 서양

관련 학부 등이 있다. 특히, 취업 후 실제 업무 적응 능력 및 인간 관계 능력에 있

Page 12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18 -

어 각 기업의 인사 담당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소개한다. 그 외 동ㆍ서

양 전문가 및 교직, 전문연구가 등으로 활동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학교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소중한 나 명심보감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

는 삶어린이를 위한 좋은 습관

성실한 생활 아름다운 가치 사전

반성하는 삶채근담

프로는 강물처럼

감정의 조절과 표현 어린이를 위한 약속

자기행동에 대한 책임감 발레리나 강수진 이야기

자긍심과 자기 계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절제하는 생활 내가 살아온 날들

우리ㆍ타인과의

관계

화목한 가정사자소학, 우리 아빠,

우리 형/ 우리 엄마/ 돼지

친구 간의 우정과 예절 우리는 친구

감사하는 생활 감사의 힘

이웃 간의 도리와 예절 배려

인터넷 예절 사이버키즈와 정보윤리

서로 돕는 생활 누구나 도움이 필요해요

우리ㆍ타인과의

관계

서로 돕는 생활 누구나 도움이 필요해요

정보 사회에서의 올바른

생활사이버키즈와 정보윤리

웃어른 공경과 예절 소학

배려하고 봉사하는 삶아낌없이 주는 나무

알베르트 슈바이쳐

대화와 갈등 해결 TV 동화 행복한 세상

사회ㆍ국가ㆍ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공공장소에서의 질서와

규칙공중도덕

Page 12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19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학교

사회ㆍ국가ㆍ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나라에 대한 사랑과긍지 안네의 일기, 백범 일지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노력

통일교육원

(http://www.uniedu.go.kr)

다문화 사회에서의 바

람직한 삶완득이

인권 존중과 보호 마틴 루터 킹

법과 규칙의 준수 세계의 법교육

공동체 의식과 시민의

역할피터 히스토리아

공정한 행동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우리가 추구하는 통일

의 모습

통일교육원

(http://www.uniedu.go.kr)

지구촌 시대의 인류애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자연ㆍ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생명의 소중함 나무가 아파요

자연 사랑과 환경 보호 한스 요나스가 들려주는 환경이야기

참된 아름다움강아지똥

괭이 부리말 아이들

사랑과 자비 무소유, 용서

중학교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도덕의 의미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삶의 목적과 도덕 행복론, 죽음의 수용소에서

도덕적 성찰 큰바위 얼굴

도덕적 실천 맹자, 성학십도

인간존재의 특성 사람됨의 뜻-철학적 인간학

자율과 도덕명심보감

도대체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도덕적 자아상 해동소학, 오륜행실도

공부와 진로 논어

도덕적 탐구 걸리버 여행기

우리 타인과의

관계

가정생활과 도덕 심청전,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친구관계와 도덕 사랑의 기술, 향연

사이버 윤리와 예절인터넷에서 누리는 자유, 인터넷을 지

키는 배려이웃에 대한 배려와

상호협동타자성의 철학

타인 존중의 태도 어린왕자

평화적 해결과 폭력예방

현대 국제 정치의 이해,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콜19년간의평화수업

청소년 문화와 윤리 청소년 문화 연구

Page 12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20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사회․국가․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인간 존엄성과 인권 사람이 곧 하늘이다

문화의 다양성과 도덕

분단배경과 통일의

필요성통일 문제의 이해

바람직한 통일의 모습 통일 문제의 이해

사회정의와 도덕목민심서, 정의론

시민불복종

개인의 도덕적 삶과

국가의 관계

국가 구성원으로서

바람직한 자세국가

세계화 시대의 우리의

과제

서유견문

세계가 만일 백명의 마을이라면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환경 친화적인 삶 도덕경

삶의 소중함과 도덕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과학 기술과 도덕소유냐, 존재냐

과학혁명

문화와 도덕 덧없는 인간과 예술

마음의평화와 도덕적 삶 용서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 유토피아

윤리

사상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의

의의

인간의 삶과 윤리 사상

현대에 있어서 삶의 의미,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인간 이해

이상 사회의 구현과사회 사상 이데올로기의 시대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에 대한 탐구 유토피아, 국가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의 흐름과 특징

동양의 인간 이해,

유교와 불교

동양 사상과 한국 사상

유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논어, 맹자

유교 사상의 특징대학, 중용

유교 사상의 문제

한국 유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전통의 현대적 의의

성학십도, 성학집요

율곡전서, 맹자요의

조선 유학의 개념들

한국 철학 사상사

Page 12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21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윤리

사상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불교 사상의 연원과전개 불교의 이해

불교 사상의 특징 불교의 이해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불교의 이해

도가ㆍ도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도덕경

도가ㆍ도교 사상의

특징 및 한국 전통

사상과의 융합

장자

노장의 철학 사상

한국 고유 사상의

특징과 의의새한국사

서양 윤리

사상

서양 윤리 사상의흐름과 특징

윤리학

서양 윤리 사상사

상대주의 윤리와보편주의 윤리 국가, 변론

이상주의 윤리와현실주의 윤리 니코마코스 윤리학

쾌락주의 윤리와금욕주의 윤리 윤리학

그리스도교 윤리고백록, 신학대전

기독교 윤리사

경험주의와 이성주의인성론, 방법서설

지성 개선론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론,

의무론적 윤리와

칸트주의

도덕 형이상학 정초,

실천 이성 비판

실용주의 윤리와

실존주의 윤리서양철학사

현대의 덕 윤리와 배려

윤리덕의 상실

사회 사상

개인과 자율 자유론

공동체와 연대 개방 사회의 사회 윤리

국가와 윤리 민주 시민 교육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윤리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의 본질과 미래

사회 정의 정의론, 정의란 무엇인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윤리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글로벌화와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

사회주의 사상의윤리적 함의 자본론

Page 12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22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생활

윤리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현대 윤리학 입문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윤리학과 윤리 교육

생명ㆍ성ㆍ가족

윤리

삶과 죽음의 윤리청년 발달의 이해

노인 혁명

생명 과학과 윤리 생명윤리와 윤리교육

성과 사랑의 윤리 사랑의 기술

가족 관계의 윤리

도전받는 가정 공동체

한국 가족 및 친족 제도의 이해

형제관계

형제라는 이름의 타인

친구ㆍ이웃 관계의

윤리나와 너

과학

기술ㆍ환경

ㆍ정보 윤리

과학 기술과 윤리과학 기술의 철학적 이해,

이성의 시련

인간과 자연의 관계

한국의 생태 사상

환경 윤리

지속 가능한 사회

환경 문제에 대한

윤리적 고려

지구촌 생태계 위기와 환경 윤리 교육

환경 윤리의 이론과 전망,

정보 사회와 윤리

코드 2.0:사이버 공간의 법 이론,

데이터 스모그

사이버 공간의사회 심리학

사회 윤리와

직업 윤리

사회의 도덕성과 사회

윤리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정의론

사회 정의와 정의로운

사회정의란 무엇인가

인권 존중과 공정한

사회개방 사회의 사회 윤리

직업의 의의와 직업

생활의 윤리적 책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현대 사회와 직업윤리

Page 12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23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생활

윤리

문화와 윤리

미적 가치와 윤리적

가치

문화 : 열두 이야기

미디어 윤리

현대 예술을 보는 눈

예술, 인문학과 통하다

종교와 윤리종교란 무엇인가

인간과 종교

의식주의 윤리적 문제 식량전쟁

다문화 사회의 윤리 세계 윤리 구상, 관용론

평화와 윤리

민족 통합의 윤리적

과제

칸트와 동북아시아 평화:세계화, 민족주의, 그리고 영구 평화론

지구촌의 윤리적

상황과 과제

세계 시민주의:이방인들의 세계를 위한

윤리학

지속 가능한 사회

제3의 길

문명의 충돌

담장 너머 지구촌 보기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도덕성 발달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되,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덕성의 인지적․정

의적 측면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다.

2) 도덕과 평가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을 통해 변화된 학생들의 도덕적 특성을 포괄적으

로 측정하여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을 돕고 교육 내용과 교수ㆍ학습 방법의 개선에

기여하여야 한다.

나. 평가 방법

1) 선택형과 서술형을 포함한 지필 평가, 행동 관찰, 자기 보고, 구술ㆍ논술평가 포트

폴리오, 토론 및 발표에 대한 평가 상호 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도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특히 논술 평가를 위해서는 도덕과의 특성이 드러나는

논술 문항과 객관적인 채점 기준을 제작한다.

Page 12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24 -

2) 논술형 평가를 활용할 때는 단편적인 지식이나 하나의 정답만을 요구하기 보다는 학

생들이 생각한 바를 논리적으로 조직하여 표현하는 능력과 학습 내용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고차적 학습 결과를 측정하도록 한다.

3) 문항을 제작하면서 동시에 채점 기준을 만들되, 도덕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덕적

지식, 도덕적 민감성, 도덕적 문제의 창의적 해결 방안 모색, 도덕적 실천 의지 등

이 포함되도록 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평가 결과는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판단하는 것과 아울러 학생들의 정신적 성장 및 학습

진전 상황을 기록하여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과 인성 발달을 촉진시키는 데 활용하며, 교사

자신의 교수 방법 개선에도 활용한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과목의 교육

내용, 수업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개선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Page 12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25 -

사회과

1 사회과 핵심역량

가. 사회 현상의 종합적인 탐구를 통한 합리적 문제해결능력

1) 개념

복잡 다양한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탐구하여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합리적으

로 해결하는 능력은 사회과를 통해 함양할 수 있는 광범위한 지적능력이다. 합리적으로 문제

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의사결정력 등

이 역동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학습자의 경험에 의해 쉽게 풀기 어려운 일상생활의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문제의 원인을

파악한 후, 가설(해결방안에 대한 잠정적 결론)을 설정한다. 그리고 자료 수집을 통해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합리적으로 결정하여 그 결정에 기초한 사회적 행동을 실천하고, 행동의 결

과를 평가한다.

문제 상황 인식 원인의 명료화 가설 설정

자료 수집대안 제시 및 평가행동 및 결과의 평가

정보수집․활용능력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 결정력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학습자가 직면한 문제 상황을 탐구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 협력

적 문제발견 및 해결능력과 관계가 깊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갈등을 조정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이 신장된다.

Page 13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26 -

4) 학습과의 관련성

학습자 스스로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시사 자료와 학교 및

지역 사회 실정에 적합한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자는 문제 사태에 대해 공감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여러 가지 대안과 가능성을 탐색하

는 활발한 상호작용 속에서 높은 수준의 사고와 사회적 참여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나. 사회적 맥락에서 정보를 이해, 공유할 수 있는 개방적 의사소통능력

1) 개념

‘사회적 맥락에서 정보를 이해, 공유할 수 있는 개방적 의사소통능력’이란 학습자가 사회 현

상과 사회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타인 및 외부세계와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하고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다. 이는 개인의 지적 능력과 특성에만 의존하여

정보를 이해하고 공유하는 일방적인 의사소통능력과 구별된다.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형성

되는 사회적 맥락에서 정보를 이해하고 공유하는 쌍방향의 의사소통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사회적 맥락에서 정보를 이해, 공유할 수 있는 개방적 의사소통능력’은 지식을 형성하는 기

초능력과 학습의 과정에서 나눔과 협동을 실천하는 정서적 능력을 포함한다. 기초능력은 사

회 현상과 관련된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읽기 듣기․쓰기 말하기

능력이며, 정서적 능력은 사회 현상과 사회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의 의견

을 공유할 수 있는 경청과 수용의 개방적 자세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상황이 어떻게 흘러가

고, 타인의 생각은 어떠하며, 자신이 어떠한 반응을 해야 하는가를 고려하게 된다.

인지적

측면

(기초

능력)

사회 현상과 관련된

정보를 이해하기⇔ 사회 현상과 관련된

정보를 표현하기 ➡사회

현상

관련

지식

재구성

(읽기 듣기․쓰기 말하기)

가치․

정서적

측면

타인의 생각, 외부 세계와의 경험을 존중하고 수용하기

(경청하기, 존중하기)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사회적 맥락에서 정보를 이해, 공유할 수 있는 개방적 의사소통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 의

사소통능력과 관계가 깊다. 또한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타인의 감정, 느낌을 이해하게

되므로 대인관계 역량과도 관련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갈등 상황을 인지하고, 해결하는 과정

Page 13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27 -

에서 선악의 기준보다는 미추의 기준과 공동선을 추구하게 되고, 인류의 축적된 지적 소양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문화적 소양과 문제의 발견을 통한 해결 역량, 민주시민 의식 등

이 신장될 것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학습자들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회 현상을 탐구하고 의미를 파악하여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는 통계, 지도, 도표, 사진 등의 자료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이를 토대

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활동적이고 표현적인 배움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

고 학생-학생, 학생-교사간 적극적인 대화와 경험이 통합되는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명료화하며 타인을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협동적 배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 스스로의 행동에 책임질 수 있는 사회적 실천 및 참여 능력

1) 개념

‘스스로의 행동에 책임질 수 있는 사회적 실천 및 참여 능력’이란 학생이 사회 현상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체의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여 주체적으로

일을 해내는 능력이다. 학생들은 사회적 실천 및 참여 능력을 기르는 과정에서 의사 결정자

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인식하게 되고 민주적 절차를 습득하여 자기 통제와 공동체 의식을 기

르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실천하게 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학습자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과 원리를 습득하고, 이를 통해 개인적ㆍ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켜 공동체 생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고 사회적 행동

으로 실천하게 된다.

사회적 지식과

원리 습득➡

개인적ㆍ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

공동체 생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

배양

➡사회적 행동으로

실천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사회적 실천 및 참여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학생은 자기 자신의 특성을 인식하게 되고 스스

로의 행동에 책임질 수 있게 되어 자기관리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 또한 타인을 이해하고 존

중하며 조화롭게 일해야 함을 배워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참

여의 경험을 통해 인권존중, 협동심, 권리, 책임 의식, 배려, 소통 등의 민주시민 의식을 함양

할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Page 13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28 -

학생들에게 시민단체의 활동을 소개하고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활동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지역사회단체와 학교활동을 연계한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예를

들어 청소년 유해환경 감시단, 문화재 지킴이, 청소년 의회, 학생 자치 법정 등)을 제시하여

실제적인 참여를 경험해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초등학교

3~4학년

지리

•우리가 살아가는 곳•과학-날씨와 우리 생활(날씨에 따른 사람들의

생활 변화)

•이동과 소통하기 •국어-일의 원인과 결과를 생각하며 듣고 말하기

•사람들이 모이는 곳 •국어-면담의 방법을 알고 효율적으로 면담하기

•달라지는 생활 모습•미술-미술의 시대적, 지역적 특징을 알아보고

문화적 전통을 이해하기

•우리 지역, 다른 지역•수학-확률과 통계(그래프와 표를 이용하여 특성

알기)

•도시의 발달과 주민 생활 •과학-생물과 환경(환경오염의 원인과 사례)

•촌락의 형성과 주민 생활•국어-토의를 통해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지니기

일반

사회

•경제 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국어-글쓴이가 제시한 의견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다양한 삶의 모습들•도덕-사회·국가·지구 공동체와의 관계(다문화

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삶)

•민주주의와 주민 자치•국어-회의의 절차나 방법을 알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지역 사회의 발전•국어-토의를 통해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지니기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실과-나와 가정생활(가족구성원의 역할분담)

•도덕-우리․타인과의 관계

Page 13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29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초등학교

5~6학년

지리

•살기 좋은 우리국토•국어[읽기]-글이나 매체에 제시된 다양한 자료의

효과와 적절성 평가하며 읽기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국토•과학-생물과 환경•실과-생활 속의 동식물

•우리 이웃 나라의 환경과

생활모습

•도덕-대화와 갈등 해결

•미술-미술의 지역적 특징 알아보고 문화적 전통

이해하기•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과

생활모습

•국어[문학]-세계 여러 나라와 관련된 다양한

읽을거리 찾아 읽기

일반

사회

•우리 경제의 성장•국어[쓰기]-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

표현하기

•우리나라의 민주정치

•도덕-인권 존중과 보호, 법과규칙의준수, 공동체

의식과 시민의 역할(시민의 의무)

•국어[듣기 말하기]-주장이 다른 상대와 협상을

통해 문제해결하기

•우리 사회의 과제와 문화의

발전

•도덕-우리가추구하는 통일의 모습, 지구촌시대의

인류애, 대화와 갈등 해결

•국어[듣기 말하기]-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 조정하고 토의하기

•정보화, 세계화 속의 우리•실과-생활과 정보•도덕-정보사회에서의 올바른 생활(저작권 존중)

중학교 지리

•내가 사는 세계 •과학-지구계와 지권의 변화•인간 거주에 유리한 지역 •과학-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극한 지역에서의 생활 •과학-지구계와 지권의 변화•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과학-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열과 우리 생활•자연 재해와 인간 생활 •도덕-환경 친화적인 삶, 과학 기술과 도덕•인구 변화와 인구 문제 •가정-변화하는 가족과 건강 가정•도시 발달과 도시 문제 •환경과 녹색성장-산업화 및 도시화와 환경 변화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도덕-문화적 다양성과 도덕•역사-지역세계의 형성과 발전•미술-체험: 소통(시각문화에 반영된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을 이해하기), 감상: 미술사(다양한 문화권

미술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기)•글로벌 경제와 지역 변화 •역사-전통사회의 발전과 변모•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환경과 녹색 성장-환경과 환경 보존

•자원의 개발과 이용•과학-수권의 구성과 순환, 일과 에너지 전환•기술․가정-에너지와 수송 기술•환경과 녹색성장-자원과 에너지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도덕-환경친화적인 삶

•기술․가정-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환경과 녹색 성장-환경과 환경 보존, 지구 환경과

기후변화, 지속 가능한 사회와녹색 성장•우리나라의 영토 •역사-대한민국의 발전

•통일한국과 세계시민의 역할

•국어-공감과 배려•도덕-분단 배경과 통일의 필요성, 바람직한 통일의

모습, 세계화 시대의 우리의 과제•역사-대한민국의 발전

Page 13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30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중학교일반

사회

•개인과 사회생활•국어-설득하는 말, 친교 및 정서 표현의 말

•도덕-우리․타인과의 관계

•문화의 이해와 창조•역사-세계 여러 지역의 문명의 형성과 발전

•도덕-문화의 다양성과 도덕

•사회의 변동과 발전 •기술-정보통신기술의 세계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 •역사-그리스 폴리스, 산업사회와 국민 국가의형성(프랑스 혁명, 미국 독립 전쟁)

•정치 과정과 시민 참여 •역사-자유주의와 민족주의, 국민국가 체제의 성립

•경제 생활의 이해•역사-자본주의의 확대와 국지적인 갈등

•기술-기술과 발명

•시장 경제의 이해•도덕-환경 친화적인 삶

•환경과 녹색성장-인간 활동과 환경의 변화

•일상 생활과 법 •기술․가정-청소년의 자기 관리

•인권 보장과 법•도덕-인간 존엄성과 인권

•역사-산업 사회와 국민 국가의 형성

•헌법과 국가 기관•역사-조선의 성립과 발전, 산업사회와 국민 국가의

형성

•국민 경제와 경제 성장 •수학-함수와 그래프

•국제 경제와 세계화 •역사-전통사회의 발전과 변모

•국제 사회와 국제 정치•국어-상호작용과 관계형성

•역사-현대 세계의 전개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국어-문학의 가치와 중요성

•도덕-사회 정의와 도덕

•과학-과학과 인류 문명

고등학교

사회

•사회를 바라보는 창

•과학-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기술 가정-미래 기술과 사회

•시민윤리-인간과 자연의 관계, 과학기술과 윤리

•공정성과 삶의 질

•시민윤리-사회 정의와 정의로운 사회

•미술-미술과 통합

•음악-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합리적 선택과 삶

•기술·가정-저출산․고령 사회와 가족

•시민윤리-소비문화와 윤리적 소비

•미술문화-미술과 직업

•환경 변화와 인간 •생활과 윤리-과학 기술 환경 정보윤리

•미래를 바라보는 창

•기술-미래 기술과 사회

•사회 문화-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진로와 직업-미래사회와 직업세계의 변화

한국

지리•국토 인식과 국토 통일

•한국사-국제질서의 변동과 근대국가수립운동

•독서와 문법- 독서의 실제와 국어자료의 탐구

•생활과 윤리-평화와 윤리

Page 13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31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고등학교

한국

지리

•지형 환경과 생태계

•화학Ⅰ-화학의 언어

•지구과학Ⅰ-소중한 지구, 생동하는 지구

•환경과 녹색성장-환경과 인류의 삶

•기후 환경의 변화

•생명과학Ⅰ-자연 속의 인간

•지구과학Ⅰ-위기의 지구

•환경과 녹색성장-기후변화의 이해와 대응

•거주 공간의 변화•수학Ⅰ-도형의 방정식

•확률과 통계-통계

한국

지리

•생산과 소비 공간의 변화

•과학-과학과 문명

•물리Ⅰ-에너지

•환경과 녹색성장-자원과 에너지

•지역 조사와 지리 정보처리

•과학-과학과 문명

•사회 문화-사회 문화 현상의 탐구

•환경과 녹색성장-환경 프로젝트

•다양한 우리 국토 •문학-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

•생활과 윤리-문화와 윤리

•기술 가정-저출산 고령 사회와 가족

•환경과 녹색성장-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사회

세계

지리

•세계화와 지역 이해

•물리Ⅰ-시공간과 우주

•수학Ⅰ-도형의 방정식

•세계사-지역세계의 재편과 성장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생명과학Ⅰ-자연 속의 인간

•지구과학Ⅰ-소중한 지구, 생동하는 지구

•환경과 녹색성장-기후변화의 이해와 대응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다양성

•동아시아사-동아시아세계의 성립

•세계사-문명의 성립과 통일제국

•사회 문화-문화와 사회, 일상생활과 사회제도

•변화하는 세계의 인구와도시

•수학Ⅰ-도형의 방정식

•사회 문화-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경제 활동의 세계화

•세계사-지역세계의 통합과 세계적 교역망

•경제-경제생활과 경제문제의 이해

•환경과 녹색성장-자원과 에너지

•갈등과 공존의 세계

•경제-세계시장과 한국경제

•법과 정치-국제사회의 법과 정치

•환경과 녹색성장-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사회

경제

•경제 생활과 경제 문제의이해

•생활과 윤리-인간 중심주의와 생태 중심주의

•윤리와 사상-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기술 가정-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결정 •생활과 윤리-기업가 근로자 윤리

•시장과 경제 활동•세계사-중세 유럽 세계의 성장과 쇠퇴

•세계사-근대 국민 국가의 형성

•국민 경제의 이해•세계사-양차 세계 대전

•세계사-산업화와 근대 시민 사회의 발전

Page 13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32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고등학교

경제•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동아시아사-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세계지리-세계의 무역활동, 세계 경제환경의

변화

•세계사-문명과 제국의 교류와 갈등

•경제 생활과 금융 •기술 가정-자립적인 노후생활

법과

정치

•민주 정치와 법•윤리와 사상-사회주의 사상의 윤리적 함의

•미술-시대별 미술사

•민주 정치의 과정과 참여 •윤리와 사상-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윤리

•헌법의 기본원리

•국어Ⅰ[화법]-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 비판적

듣기와 평가

•화법과 작문-정보해석과 매체활용

법과

정치

•개인 생활과 법

•윤리와 사상-정치적 의무의 도덕적 근거,

개인과 자율

•화법과 작문-논증 원리와 논리적 오류

•사회 생활과 법 •화법과 작문-상황분석과 내용 조직

•국제 사회의 법과 정치

•윤리와 사상-지구촌의 윤리적 상황과 과제

•동아시아사-오늘날의 동아시아

•음악과 생활-지구촌 사회의 음악

사회

문화

•사회 문화 현상의 탐구•세계사-유럽의 근대 과학과 사상의 발달

•생활과 윤리-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개인과 사회 구조•생활과 윤리-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세계사-산업화와 근대 시민 사회의 발전

•문화와 사회

•한국지리-기후 특성과 주민 생활

•동아시아사-인구이동과 문화의 교류

•생활과 윤리-지구촌의 윤리적 상황과 과제

•사회 계층과 불평등

•세계사-동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한계

•한국지리-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생활과 윤리-사회 복지 문제와 윤리

•일상 생활과 사회 제도

•생활과 윤리-결혼과 가족의 윤리, 매체와

윤리, 종교생활과 윤리

•기술 가정-가족 소비 생활 문화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동아시아사-서구 문물의 수용과 사회 변화

•생활과 윤리-정보 통신 기술과 윤리

•과학-에너지 문제와 미래

Page 13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33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ㆍ학습방법

1) 고전(명저)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즉 ‘고전’을 바탕으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통한 지식의 창출

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2) 학습자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다양한 사회 현상을 소개하여 종합적인 탐구를 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나아가 비판적으로 문제의 원인을 명료화하고 가설 설정 및 검증을

통하여 합리적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도록 체계적으로 지도한다.

3) 일상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사회 탐구와 가치

탐구를 통해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판단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지식은 문제해결

또는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수단)로서의 성격임을 지도한다.

4)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갈등을 조정하는 대인관계능력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이에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며 생각하기’ 시간을 두어 문제를 공

유하고 조정한다.

5) 학습자가 사회생활의 기초 능력을 기르고 흥미와 관심을 넓힐 수 있는 시사 자료나

지역 자료를 제공한다.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하여 창의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구

체적인 실제 사례를 탐구상황으로 설정하여 활용한다.

6) 사회적 기본개념을 학습하며 이들을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맥락에서 탐구하도록 안내

한다. 또한 학습 주제와 관련된 읽을거리를 제공하거나 타 교과와 연관된 주제를 함

께 다룸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참여를 높인다.

7) 민주 시민으로서 참여 의식과 협동심 등을 함양하는 토론 및 토의 중심의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8) 공간의 환경과 현상에 초점을 두는 공간적 사고를 분석적 접근으로 개념화하도록 안

내한다. 공간적 사고를 학습하기 위한 도구에는 지도, 지리정보체계, 원격탐사 등이

있다. 교사는 이러한 자료들을 학습자들이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수업목적에 맞

게 재구성할 수 있다

9) 공간현상을 탐구하고, 공간현상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는 수업은 현장답사를 실시

한다. 이때 답사는 구조적이고, 체계적이며, 교육적인 계획에 의거하여 지도와 활동

중심의 답사로 삶의 터전으로서의 공간이해를 위한 답사가 되도록 한다.

10) 현장답사가 어려운 경우에는 야외조사방법들을 다양한 교수매체를 통해 교실로 가

지고 올 수도 있다. 학습자의 예비답사와 조사를 통해 준비된 자료들과 교사가 제시

하는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의 자료를 보면서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되도록 한다.

Page 13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34 -

나. 진로와의 연계 지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진로지도는 현대 사회의 특성과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일과

직업에 대한 정보 탐색, 미래 사회에 대한 전망을 통한 일과 직업 세계의 예측, 지속적인 진

로 개발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바람직한 근로자의

권리 및 건강한 직업의식을 지녀 성숙한 민주 시민으로서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

다.

1) 초등학교 사회과에서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를 이해하고, 사회적 환경 속에서 규

정지어지는 일과 직업의 의미와 중요성을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2) 중학교 사회과에서는 여러 가지 과학적 방법에 의해 자아를 탐색하며 타인과의 의사

소통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자아개념이 형성되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사

회 변동과 다양한 직업세계를 연계하여 합리적인 진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

도한다.

3) 고등학교 사회과에서는 성숙한 자아의식과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미

래 사회에 대한 전망을 통하여 일과 직업 세계의 변화에 대한 관심과 능동적인 태도

를 가지도록 지도한다. 특히 건강한 직업윤리, 근로자의 권리, 직업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과 역할갈등 등을 수업과 연계시켜 지도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대학 전공

학과와 직업 선택을 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4) 사회과 관련 전공인 정치(외교)학, 경제학, 경영학, 사회학, 행정학, 문화인류학, 법

학 분야 및 지리학, GIS전공 등에 대한 학과별 진로와 취업기회에 대해 안내하고,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

학교

3~4학년

지리

•우리가 살아가는 곳 •내가 사는 곳은 바로 여기

•이동과 소통하기 •내 꿈은 비행기 조종사

•사람들이 모이는 곳 •한이네 동네 시장 이야기

•달라지는 생활 모습•조상의 슬기가 담긴 이야기

•굴렁쇠랑 쇠총이랑 신명나는 옛날 놀이

•우리 지역, 다른 지역 •그래서 이런 지명이 생겼대요

•도시의 발달과 주민 생활 •가르쳐주세요! 환경오염에 대해서

•캘빈 환경오염은 어디에서 시작되니?

•북적북적 도시, 조용한 촌락

•60억 인구•촌락의 형성과 주민 생활

Page 13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35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

학교

3~4학년

일반

사회

•경제 생활과 바람직한 선택•어린이 경제 원론

•어린이를 위한 경제이야기

•다양한 삶의 모습들•다문화 이웃이 직접 들려주는 다문화 전래동화

•그림책을 통한 다문화 반편견 교육

•민주주의와 주민 자치•정정당당 해치의 그렇지 정치

•정정당당 선거

•지역 사회의 발전 •세상에서 제일 쉬운 일 자원봉사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우리가 바꿀 수 있어

•둥글둥글 지구촌 인권이야기

•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

초등

학교

5~6학년

지리

•살기 좋은 우리국토

•우리나라 좋은 나라

•우리나라 지도책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우리나라 지리 이야기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국토

•지구촌 환경 이야기

•환경이 욱신욱신

•재미있는 환경 이야기

•우리 이웃 나라의 환경과생활모습

•중국, 일본, 러시아 관련 도서

•먼나라 이웃나라[중국, 일본, 러시아 편]

•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과생활모습

•초등학생이 읽어야할 세계 지리

•아하! 세계엔 이런 나라가 있군요.

일반

사회

•우리 경제의 성장 •착한 설탕 사오너라

•우리나라의 민주정치

•내가 처음 만난 대한민국 헌법

•둥굴둥글 지구촌 인권이야기

•민주시민을 키우는 어린이 정치

•우리 사회의 과제와 문화의발전 •민주화 현장:민주주의의 외침이 서려 있는 곳

•정보화, 세계화 속의 우리 •어린이 저작권 교실

Page 14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36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지리

•내가 사는 세계•살아있는 지리 교과서 1, 2•페미니즘과 지리학

•인간 거주에 유리한 지역 •지명의 지리학

•극한 지역에서의 생활•녹색의 상상력•과학공화국 지구법정 6:남극과 북극

•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앵글 속 지리학

•자연 재해와 인간생활•대륙과 대양의 기원 •탄소배출권•지구사용설명서 •물의 미래

•인구 변화와 인구문제•인구론•에이지붐 시대: 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도시 발달과 도시 문제 •중심지이론-남부독일의 중심지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어미 잃은 새끼 고양이들•둥글둥글 지구촌 문화 이야기

•글로벌 경제와 지역 변화•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아야 할 교양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마을 생태가 답이다•대한민국 지역브랜드•대한민국 생태관광지 10선•꾸리찌바 에필로그

•자원의 개발과 이용•자원 전쟁 •지리 블로그•에너지 세계 일주

•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태양이 없는 땅•과학 일시정지•우리가 지구를 착한 별로 만들거야

•우리나라의 영토•독도를 부탁해 •여기는 독도•우리나라 영토이야기•반크, 역사 바로 찾기4

•통일한국과 세계시민의 역할

•얘들아 DMZ에서 공을 차자•동에 번쩍 서에 번쩍 시리즈

일반

사회

•개인과 사회생활•남성적인 것-여성적인 것•세부족사회의 성과 기질

•문화의 이해와 창조•인간과 문명의 연구•세계 문화지리

•사회의 변동과 발전 •세계화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국가론 •군주론•사회계약론

•정치 과정과 시민 참여•똘레랑스•세계시민

•경제 생활의 이해•국부론•자본론

•시장 경제의 이해•허생전•공유지의 비극

•일상 생활과 법•우리 사회를 움직인 판결•독수리 오남매 법률가를 만나다

•인권 보장과 법•청소년 인권 수첩•인권은 대학가서 누리라고요

•헌법과 국가 기관•청소년 정치 수첩•김구 전태일 박종철이 들려주는 현대사 이야기

Page 14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37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일반사회

•국민 경제와 경제 성장•마시얼의 27일간 경제탐험•청소년을 위한 만만한 경제학•경제학 이야기

•국제 경제와 세계화•경제학 멘토링•청소년을 위한 세계경제원론•둥글둥글 지구촌 경제 이야기

•국제 사회와 국제 정치•세계 분쟁 지도•청년 반크, 세계를 품다•지구촌 곳곳에 너의 손길이 필요해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오래된 미래 •미래에서 온 편지•쉬는 시간에 읽는 세계화

고등학교

사회

•사회를 바라보는 창

•인간과 자연환경 •자아놀이공원•통계와 사회 •통계의 분석과 오류•한국의 인구와 가족•저출산고령사회와 삶의 질•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 계발서

•공정성과 삶의 질

•간디 •차이와 차별•마틴 루터킹 •계층과 사회통합•인종갈등의 시대 •다문화 사회의 이해•문화 인류학의 이해

•합리적 선택과 삶

•소비학 •고령화와 복지•생애재무설계 •창업과 고용•미래의 유망한 직업 •여가와 문화•신용관리와 소비생활

•환경변화와 인간•지식채널e 1~7 •오래된 미래•미래의 물결 •나쁜 사마리아인들

•미래를 바라보는 창•미래 시민 개념 사전 •슬럼, 지구를 덮다•새인문학 사전 •지식채널e 1~7•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한국지리

•국토 인식과 국토 통일•청소년을 위한 택리지•2020 부의 전쟁 in Asia

•지형 환경과 생태계

•한국의 자연지리•한국 지형산책•앵글 속의 지리학•지리여행•나무야 나무야•연어, 연어이야기•남기고 싶은 지리 사진들•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

•기후 환경의 변화 •일상에서 지리를 만나다

•거주 공간의 변화 •지리 세상을 날다

•생산과 소비 공간의 변화•지리로 보는 세상•그래프 지리탐구

•지역 조사와 지리정보 처리 •지형도 읽기

•다양한 우리 국토•답사여행의 길잡이•곽재구의 포구기행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 •침묵의 봄

Page 14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38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고등

학교

세계

지리

경제

•세계화와 지역 이해•모자이크 세계지리

•살아있는 지리교과서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영화 속 지형이야기

•지구의 미래로 떠난 여행

•나를 부르는 숲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맥나이트의 자연지리학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

•개념과 지역중심으로 풀어쓴 세계지리

•경관으로 이해하는 미국

•빌브라이슨의 발칙한 유럽산책

•빌브라이슨의 아프리카다이어리

•빌브라이슨의 대단한 호주여행기

•지리교사들 남미와 만나다

•지리교사들 미국 서부를 가다

•미노의 컬러풀 아프리카

•동부유럽에서 보헤미안을 만나다•변화하는 세계의 인구와

도시•현대 인문지리 세계를 펼쳐놓다

•경제활동의 세계화•나는 세계일주로 경제를 배웠다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

•갈등과 공존의 세계

•변화하는 세계의 아틀라스

•이야기 지구촌 시사

•앨바스트로의 똥으로 만든 나라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경제 생활과 경제 문제의

이해

•넛지 :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

•이야기로 배우는 경제공부

•청소년 경제 수첩

•경제학 콘서트 •자장면 경제학

•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

결정

•청소년 경제사전

•청소년 경제학 교실

•17살 돈의 가치를 알아야 할 나이

•시장과 경제 활동

•경제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경제 지식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나쁜 사마리아인들

•만화로 떠나는 경제 여행

•국민 경제의 이해

•어려울수록 금융지식에 빠져라

•프린스턴 이코노믹스

•청소년을 위한 세계 경제사

•유쾌한 팝콘 경제학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31가지 테마가 있는 경제 여행

•청소년 경제 수첩 •생각하는 사회 교과서

•경제 생활과 금융•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17살 돈의 가치를 알아야 할 나이

Page 14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39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고등

학교

법과

정치

•민주 정치와 법

•우리나라 민주정치의 전개

•그리스 민주정의 탄생과 발전

•현대 정치학 •정치학의 이해

•세계인권사상사 •민주주의와 법의 지배

•군주론 •사회계약론

•민주 정치의 과정과 참여

•미국 선거 이야기 •정치과정론

•선거와 정당 •한국의 정당

•대통령제&내각제

•헌법의 기본원리

•대한민국 헌법 •인권의 대전환

•우리나라 헌법이야기 •역사속의 사법부

•한국 국회와 정치과정 •한국국회의현실과이상

•개인 생활과 법

•재미있는 법 이야기 •민법의 이해

•저작권과 법 •생활법률

•나홀로 소송

•사회 생활과 법•형법의 이해 •상식보다 쉬운 법률

•청소년의 법과 생활 •한국인의 법과 생활

•국제 사회의 법과 정치•세계정치론 •현대 국제법

•국제정치과정 •국제문제의 이해

사회

문화

•사회ㆍ문화 현상의 탐구

•헤겔 & 마르크스 •생각을 디자인하라

•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개인과 사회 구조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줄까?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청소년을 위한 세계 경제사

•문화와 사회

•생각하는 사회 교과서

•김현구교수의 일본이야기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사회 계층과 불평등

•다르게 사는 사람들 •세상을 보는 눈

•한국의 교양을 읽는다 •세상을 향해 어퍼컷

•청소년 경제 사전

•일상 생활과 사회 제도

•늙어가는 대한민국 •이야기 종교학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지식의 바다에서 헤엄치기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10년 후 세상 •아줌마들의 과학수다

•지식의 바다에서 헤엄치기

•한국의 교양을 읽는다

Page 14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40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사회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 요소와 성취 기준을 근거로 평가하되, 단순한 사실이

나 단편적 지식의 암기보다는 기본 개념이나 원리의 이해, 지식 및 정보의 획득 과정

과 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가치의 내면화와 태도, 신념의 형성 정도, 자발적인 참

여와 실천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2) 인간 행위와 사회 환경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이해와 수용, 사회적 합의가 높은 가치

의 탐색, 사회의 기본 가치에 대한 이해와 존중, 사회과의 기본지식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학습자의 흥미, 관심, 학습 동기와 습관 등에 대한 평가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3) 각종 사회 문제에 관한 시사 자료 또는 각종 정보 매체의 활용, 정보의 수집, 비교,

분석, 종합, 평가, 적용하는 능력 등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4) 정해진 답을 찾는 객관식, 단답형의 일제고사에서 벗어나 기획력과 과정, 논리를 중

시하는 서술형․논술형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 평가 방법

1) 지필 평가 외에 면접, 체크리스트, 토론, 논술, 관찰, 활동보고서, 포트폴리오 등을

통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2) 논술형 평가 시 사회 현상과 문제 등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얼마나 잘

표현 할 수 있는가와 문제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해결하는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다. 이러한 논술형 평가에는 교사의 첨삭지도와 방향 제시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3) 구술평가 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찰 평가, 상호평가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자

신의 의견을 발표하도록 하여 말하는 태도, 주장의 명료성, 논증의 정확성, 질문에

대한 답변내용의 적절성 등을 총체적으로 평가한다.

4) 수행평가 시 각종 사회문제에 관한 시사 자료나 지역 자료 및 사회과학 관련 독서,

체험활동, 사회적 실천 등 학습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준비과정에 대해 평가하고,

발표와 토론, 그리고 사고의 성장 등 지성적 과정에 대한 학생별 장단점과 특징을 파

악해야 한다.

5) 시사 자료, 동영상, 그림, 통계 자료, 지도, 역사적 사료 등의 일부를 보거나 읽게 한

다음, 이들이 다루는 주제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글쓰기 등 보고서로 평

가할 수도 있다.

Page 14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41 -

다. 평가의 활용

1) 핵심역량 중 합리적인 문제해결력에 대한 평가 시에는 사회 현상에 관한 기초적 지식

과 개념․원리의 이해, 개인적․사회적 문제 인식 능력 및 해결책 제시 능력 등을 종

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2) 핵심역량 중 개방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평가 시에는 사회 현상과 관련된 언어, 기

호, 상징, 도표, 그래프 등 다양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 아이디어를 표현

하는 능력, 다른 사람과 관계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갈등을 조정, 관리

하는 능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3) 핵심역량 중 사회적 실천 및 참여 능력 평가 시에는 수업에서 배운 지식과 사고 능력

등이 실제의 사회생활에 사회적 행위로 직접 연결되는 과정에 대한 평가와 자발적인

참여 태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4) 사회 현상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체와 관련된 의사 결정 과정을 비롯한

모든 사회 과정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느냐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져야

한다.

5) 사회 현상과 문제에 대한 가치관, 관심, 흥미, 자신감, 인권존중, 관용과 타협의 정

신, 사회 정의의 실현, 공동체 의식, 참여와 책임의식 등 민주적 가치와 태도 등의

정의적 영역과 행동발달의 측면까지 포괄하는 전인적 차원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평가 결과는 가정과 연계하여 학생의 사회과 핵심역량 향상 자료 및 학생 진로 지도

자료로 활용하며 나아가 교사의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환류 자료로 활용한다.

7) 평가 결과는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수업 방법을 반성하며 개선할 점을

찾아서 교수ㆍ학습 과정 및 교수ㆍ학습 자료, 평가 도구를 수정, 보완하는 자료로 활

용하고,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도록 한다.

Page 14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14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43 -

역사과

1 역사과 핵심역량

가. 우리 문화와 세계 문화 이해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

1) 개념

우리 문화와 세계 문화 이해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은 역사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각 문화가

갖는 특수성과 보편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역사 속의 생활양식과

그 시대적인 의미, 교류를 통한 지역세계의 발전을 인식하여 자문화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인물사, 향토사, 시대사를 통하여 우리 고유 문화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의 특징을 파악한다.

그리고 지역세계가 다양한 교류를 통해 발전되어 왔다는 점을 인식함으로써 다양한 세계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태도를 기른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우리 문화와 세계 문화의 이해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 문화적 소양능력

과 관련이 깊다.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동서양 및 고금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

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 동시에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

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자세를갖게 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학생 스스로 세계의 역사발전과정을 탐구함으로써 우리 문화와 세계 문화의 지역적인 특수성

과 보편성을 찾아낼 수 있게 한다. 현장 체험 학습, 토론학습, 협동학습 등을 통하여 끊임없이

Page 14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44 -

교류하며 발전하여 온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지구촌이 하나라

는 인식을 갖고 함께 살아가는 자세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역사적 상황에서의 문제 인식 및 해결능력

1) 개념

역사적 상황에서의 문제 인식 및 해결능력은 역사적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를 인식하고 종합적

으로 판단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각 시대 상황을 통찰하여 비판적으

로검토․해석하며, 일련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자기 나름의 판단을 내리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를 통해 학생들은앞으로의 문제 상황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대내외적인 역사적 갈등 상황을 인식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사건의 연속성을 발견하고 미래지

향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역사적 상황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사회 문제나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창의지성역량 중 협력적 문제발

견․해결력과 관련이 깊다. 이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오늘날 급격하게 변화하는 국제 정세와

주변 국가의 역사 분쟁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를 파악하여 해결할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사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당시 역사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사료학

습, 역사신문 제작, 역할극, 모의재판 등의 학습으로 다양하고 비판적인 역사적 사고력을 키운다.

이를 통해 과거의 역사적 상황을 현재의 상황과 연결하여 역사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Page 14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45 -

2 내용 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초등학교

5학년한국사

•우리 역사의 시작과 발전

•국어(읽기)-광개토대왕의 전기문을 읽고고구려 역사 이해하기

•국어(말하기,듣기,쓰기)-선덕왕에 대한이야기 듣고 신라의 역사 이해하기

•세계와 활발하게 교류한 고려 •도덕-다양한 문화를 통해 문화의 발전사알아보기(고려문화를 중심으로)

•유교 문화가 발달한 조선

•국어(읽기)-조선신분제도의 특징을 이해하기

•사회-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명절과기념일 알아보기(조선시대 문화 엿보기)

•사회-사회변화와 우리생활을 이해(조선의 전통적 성 역할 알아보기)

•조선 사회의 새로운 움직임

•미술-조선시대 미술문화를 통해 문화재를이해하고 문화재 사랑하기

•도덕-다산 정약용선생의 가르침(실학엿보기)

•국어(읽기)-조선시대의 실학자 정약용에대하여 친구들과 이야기 해보기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민족 운동 •도덕-나라를 되찾기 위한 인물들의 노력

•대한민국의 발전과 오늘의 우리•도덕-통일과정을 통한 민족사를 알아

보고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 재외동포들의 노력 엿보기

중학교

역사

(상)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진로와 직업-고고학자 및 역사학자와관련한 진로 탐색

•과학-지구의 역사, 빙하기, 후빙기의해수면, 인류의 진화

•사회-한반도 내 지형 및 지역 기후와철기 시대 여러 나라의 풍습과의 관련

•삼국의 성립과 발전 •미술-고구려, 백제, 신라 미술의 특징•도덕-불교와 유교의 수용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미술-석굴암, 불국사 등으로 살펴보는통일 신라의 미술

•도덕-남북국 시대론과 관련한 현재의분단 상황 인식

역사

(상)

•고려의 성립과 변천 •미술-고려 청자, 불화 등으로 살펴보는귀족 문화

•조선의 성립과 발전•사회-대한민국의 5국가기관과 조선 시

대 중앙통치 기구의 비교•도덕-성리학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

•조선 사회의 변동

•국어-한글 소설과 사설 시조 등으로살펴보는 조선 사회의 변동

•미술-민화, 풍속화 등으로 살펴보는 조선 사회의 변동

•통일 제국의 등장 •도덕-다양한 종교의 성립 과정과 도덕과 종교의 관계

Page 15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4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중학교

역사

(상)

•고려의 성립과 변천•미술-고려 청자, 불화 등으로 살펴보는귀족 문화

•조선의 성립과 발전•사회-대한민국의 5국가기관과 조선 시대

중앙통치 기구의 비교•도덕-성리학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

•조선 사회의 변동

•국어-한글 소설과 사설 시조 등으로살펴보는 조선 사회의 변동

•미술-민화, 풍속화 등으로 살펴보는 조선사회의 변동

•통일 제국의 등장•도덕-다양한 종교의 성립 과정과 도덕과종교의관계

•지역세계의 형성과 발전

•사회-건조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생활 양식

•사회-각 지역 세계가 문화적 다양성을형성하게 된 역사적 배경

•전통사회의 발전과 변모•사회-글로벌 경제와 지역변화, 절대왕정

시기의 보호무역과 비교

역사

(하)

•근대 국가 수립 운동과 국권 수호 운동

•사회-조선 후기 근대화 과정에서의 문화전파, 융합

•민족 운동의 전개 •국어-문학작품으로 살펴보는 민족운동

•대한민국의 발전

•도덕-통일의 필요성 및 바람직한 통일의모습

•사회-대한민국의 지리적 위치와 통일의필요성, 대한민국의 정치형태

•산업 사회와 국민 국가의 형성 •사회-헌법과 인권보장

•아시아․아프리카 세계의 변화와 민족 운동

•도덕-국가의 역할•사회-세계 각 지역에 유럽 문화가 전파되고 융합되는 과정

•과학-진화론과 유전

•현대 세계의 전개 •사회-국제사회와 국제정치

고등학교 한국사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지리-지리적 특징을 통한 영토 이해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미술-미술작품을 통한 귀족 문화 이해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윤리-동양사상을 통한 조선 사회 이해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수립 운동

•정치-민주주의, 산업혁명을 통한 근대국가 발전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국어-문학을 통한 일제 시대 이해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변화

•정치-20세기 국제 관계를 통한 현대사회이해

Page 15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47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국가 수준의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핵심 개념과 지식을 창의지성교육의 방법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어떤 배움이일어나도록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2) 인류 사회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왜 오늘날과 같은 상태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해 문제

의식을 가짐으로써현실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역사 교재에 서술된 내용과 그 준거가 되는 역사적 자료(사료․그림․역사유적 등)를 비

교․분석하면서 ‘읽기-생각하기-쓰기-발표-토론-생각의 재정립’으로 이어지는 비판적 사

고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을 설계한다.

4) 역사 에세이, 시론, 역사 다큐멘터리, 시사 프로그램 등 현재 사회의 역사적 맥락에 대

한 통찰력을 자극할 수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 본인이 역사의 주체이자 사회적 인격

체로서 책임감을갖고 인류 사회의 공동선을 추구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5) 같은 사건이라 할지라도 관점과 시대, 장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사례

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태도, 역사적 통찰력을 함양하

도록 한다.

6) 역사적 상황에 대한 해석은 정확한 논거 및 사료 제시를 전제로 한다면 늘 열려있음을

알게 함으로써, 역사 지식은 고정된 것이 아님을 인식시키고 역사적 문제나 현상에 새롭

게 접근함으로써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7) 세계사의 전개 과정 속에 축적된 우리 사회의 역사적 경험을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비판

적으로 성찰하고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8) 우리나라를 비롯하여오늘날 세계를 구성하는 각 민족․국가가 독자적인 역사 발전 속에

서 이룩한 다양한 문화적 성취에는 각각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사례를 조사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9) 각 민족․국가가 성취한 문화의 공통성과 상관성을 탐구하여 인류 사회의 보편성과 인간

사회의 본질을 파악하고, 상호 발전과 평화를 위해 학생 자신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고민하도록 지도한다.

10) 오늘날 각 지역 세계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특징을 도출하고, 인류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의 역사적 배경과 상호관련성을파악하여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지도한다.

11) 각 시대의 상황을 종합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제기되는 핵심 질문과 과제

를 취사선택하여 과제와 수업이 면밀하게 연계되도록 하면서 문제 중심 학습(PBL), 프

로젝트 학습 등 문제 발견 및 해결 능력, 학생 간의 협력 역량이 필요한 학습 방안들

을 적극 활용한다.

Page 15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48 -

12) 역사 해석 차원에서 논쟁이 될 만한 주제를 선택하여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분석을

심화하거나 모둠 내, 모둠 간, 학급 전체의 토론 기회를 부여하여 동료로부터의 도움,

문제제기, 피드백 등을 유도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1) 학생들이 역사과의 핵심역량을 기르는 과정에서 역사과와 연계된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2) 전문적인 역사 지식을 활용하는 진로 분야로는 일반적으로 교육, 문화재, 여행 분야 등

이 있다.

3) 오늘날 방송․출판․예술 등의 문화 산업 분야에서는 역사 지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므로, 학생들이 역사를 창의적으로 해석하여 문화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4) 멀티미디어 기술을 매개로 전통적 학술․문화 자원을 현대적 지식정보 자원으로 가공하

는 능력이 전통문화의 현대화․국제화 및 학생 개인의 진로 개척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게 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

학교

5학년

한국사

•우리 역사의 시작과 발전

•관련도서-경기도:도읍지를 감싸 안은

역사의 땅, 으랏차차 삼국유사, 교과서

와 함께 읽는 우리 고구려사, 한국사

편지1, 행복한 한국사 초등학교

•세계와 활발하게 교류한 고려•관련도서-한국사편지2, 초등저학년을

위한 처음 한국사

•유교 문화가 발달한 조선

•관련도서-호기심 우리역사 탐험

•드라마 - SBS 뿌리깊은나무

•뮤지컬 - 대장금

•조선 사회의 새로운 움직임•관련도서-한국사편지3

•드라마 - MBC 동이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 민

족 운동

•관련도서-한국사편지4, 초등학생이 가장

궁금해하는 옛날 사람들의 신통방통

생활사

•뮤지컬 - 명성황후

•대한민국의 발전과 오늘의 우리

•관련도서-한국사편지5,우리역사 seoul

우리지리

•영화 - 태극기 휘날리며, 고지전

Page 15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49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역사

(상)•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다큐멘터리- KBS 역사스페셜, 역사

추적(17세 가야소녀는 왜 순장당했

나), EBS 다큐프라임 (한반도 최초의

인류 전곡리 사람들, 갑골문자의 비밀

황하문명)

역사

(상)

•삼국의 성립과 발전

•다큐멘터리- KBS 역사스페셜 (장수왕의

승부수, 진흥왕 순수비 무엇을 새겼는

가), 한국사전 (을파소), 역사추적(광

개토대왕 호우 왜 경주에 묻혔나)

•영화- 황산벌

•드라마- MBC선덕여왕, SBS 연개소문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다큐멘터리- KBS역사스페셜(안압지는

신라의 생활사 박물관이었다, 발해 고

구려를 꿈꾸다)

•고려의 성립과 변천

•다큐멘터리- KBS역사스페셜(800년

전의 타임캡슐), 한국사 전(서희, 김윤

후), KBS역사추적 (최대 고려 불화,

수월관음도의 특별한 귀환)

•드라마- MBC 신돈, 무신

•조선의 성립과 발전

•다큐멘터리- KBS역사스페셜(조광조

그의 개혁은 실패했나, 세종 조선을

업그레이드하다), 한국사 전(이순신,

곽재우, 세종대왕)

•드라마- KBS 대왕세종

•조선 사회의 변동

•관련도서- 허생전, 양반전, 열하일기

•다큐멘터리- KBS역사스페셜, 한국사

전(영조, 정조),

•드라마- MBC 이산

•통일 제국의 등장

•다큐멘터리- EBS시간나침반(그리스),

세계사 강좌, 히스토리채널(로마의 흔

적), SBS 지중해대탐험

•영화- ‘글래디에이터’

•지역세계의 형성과 발전

•다큐멘터리- 세계사 강좌(봉건사회의

성립과 장원제), 역사 기행 SBS 걸어

서 세계 속으로, 히스토리채널- 마녀

사냥’

•영화 ‘기사 윌리엄’

•전통사회의 발전과 변모

•다큐멘터리- 세계사 강좌(신항로개척),

SBS 걸어서 세계 속으로, 역사 기행

(마젤란의 유산, 필리핀), 다큐프라임

(신들의 땅 앙코르)

Page 15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50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역사

(하)

•근대 국가 수립 운동과 국권 수호

운동

•다큐멘터리- EBS 다큐프라임(개항과

전쟁)

•민족 운동의 전개

•다큐멘터리- KBS역사스페셜(헤이그특

사, 이준 20일 간의 외교기록), 한국

사 전(독립협회장 이완용 그는 왜 매

국노가 되었나)

•드라마- MBC 절정, KBS 자유인 이

회영

•대한민국의 발전

•다큐멘터리- KBS역사스페셜, 한국사

전 (이승만)

•영화- 화려한 휴가, 태극기 휘날리며

•산업 사회와 국민 국가의 형성

•다큐멘터리- 세계사 강좌(산업혁명),

•영화- ‘모던타임즈’, ‘레미제라블’ ‘아미

스타드’

•아시아․아프리카 세계의 변화와

민족 운동

•다큐멘터리- 세계사 강좌 (제국주의에

저항하라), 히스토리채널, 지식채널e

(이상한 쇼)

•현대 세계의 전개

•다큐멘터리- EBS시간나침반, 세계사

강좌, 히스토리채널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고등

학교한국사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BBC ‘The Life Of Buddha'

(2001) 다큐멘터리, 역사스페셜,

EBS 다큐프라임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역사스페셜, 한국사전, EBS 다큐프

라임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역사스페셜, 한국사전, EBS 다큐프

라임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

립 운동

•뮤지컬 명성황후, 한국사전, EBS 다

큐프라임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EBS 한국독립운동사, 한국사전

•조정래의 ‘아리랑’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영화- ‘화려한 휴가’, ‘고지전’,

•다큐멘터리- ‘이제는 말할 수 있다.’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및 역사과 창의지성교육의 핵심역량을 고려하여 우리문

화와 세계문화의 이해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 및 역사적 갈등 상황에서 문제를 인식하

Page 15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51 -

고 해결하는 능력이얼마나 성장했는가에 주안점을 두고 평가한다.

2) 교사의 학생 평가권을 최대한 존중하고, 교수ㆍ학습에서 사용한 과업의 형태와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과평가가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3) 평가의 목적과 종류,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과제와 적절한 난이도의 문항

을 통하여 평가하되 단편적인 지식이나 능력보다 학습자들의 창의적․비판적 사고 활용

능력을측정할 수 있는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4) 역사적 사고력과 역사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학생들이 역사적 이해에 대한 인식의 수준을

확대해 나가면서 자신만의 사고를 확립해 나가는 훈련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활용한다.

5) 서술형 및 논술형을 포괄하는 주관식 문항을 적절히 배합하여 평가 문항을 제작하되 타

당도․신뢰도․객관도 등의 평가 문항 요건을 준수한다.

나. 평가 방법

1) 우리문화와 세계문화의 이해를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 및 역사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하

여 양적 평가보다 질적 평가와 과정 중심 평가를 계획한다. 이를 위해 관찰, 면접, 구

술, 논술, 포트폴리오, 체크리스트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역사에 대한 학생의 관심, 동

기, 의욕을 유발할 수 있도록평가하여야 한다.

2) 수행평가는 역사적 문제 상황에서 학생 상호간에 일어나는 소통과 협력을 통한 지식의

상승 작용 및 교사와 학생간의 지식의 창조와 형성 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

계한다. 집중이수 교육과정의 경우, 소논문 쓰기와 같은 프로젝트 학습 등을 활용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3) 서술형 평가는 역사적 사실의 이해 및 적용에 대한 내용을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확산

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설계한다.

4) 논술형 평가는 학생들이 역사적 사건에 대한 문제 인식을 갖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

로 표현하게 하여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과 비판력, 창의력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설계한

다. 그리고 평가 후에는 교사의첨삭지도와 방향 제시 등이 따라야 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결과는 학생이 문화적소양능력 및 역사적 사고력의 현재 수준을 가늠해보고 앞으로

의 발전 가능성을 알아보는 지표로 삼을 수 있도록 한다.

2) 교사는 문화적 소양능력 및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학생들의 배움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

피는 도구로 평가 결과를 활용한다. 또한 교사도 평가 결과를 배움의 기회로 활용하도록

한다.

Page 15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15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53 -

수학과

1 수학과 핵심역량

가. 상황에 따른 수학적 문제해결능력

1) 개념

‘상황에 따른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은 생활 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 현상에서 만나는 문제를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관찰, 분석, 조직, 해석하여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수학적 개념과 원리 학습을 바탕으로 수학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 가를 발견

함으로써 수학이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고, 더 나아가 학습자 스

스로가 생활 속에 내재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 수학 학습의 시작이며 목표라고 할 수 있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학생들은 다양한 문제 상황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찾아내어 규칙성을

발견하고, 그림․표․그래프․부호․단어 등 수학적 도구를 이용해 문제를 구조화하고 형식

화 한다. 그리고 기존에 습득한 수학적 개념과 원리들을 연관 지어 해결 전략을 고안하고 문

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문제 상황에 응용함으로써 일반화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점차로 주어진 문제를 잘 구조화 할 수 있

게 되고, 수학적 개념, 구조, 아이디어 등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하면서 문제해결에 성공한다.

이런 경험이 지속되면 수학적 문제해결력이 신장 되고, 더 나아가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다양

한 문제 상황 속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수학적 지식을 현실에 능숙하게 응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역량은 생활 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현상에서 파악된 문제들을 수학적으로 해결하는 능

력을 기르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상황에 따른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 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 자기주

도 학습능력과 관련이 있다.

수학교수ㆍ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문제 상황의 발견,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활용한 형식화,

스스로 해결하고 입증하는 과정을 내면화하게 되고, 이렇게 신장된 상황적 문제해결능력은

창의지성역량인 합리적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이

와 같은 역량은 학생들이 추구하는 삶의 목표를 설정ㆍ기획하고 실행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Page 15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54 -

작용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강의하는 것이 아니라 다

양한 문제들을 학생들이 스스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법, 문제해결학습법, 협

력학습법 등의 수업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

생활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현상 속에서 수학 교과서 개념과 연계된 소재들을 찾아 학습 자

료로 제공하고, 수학적 개념과 원리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경험을 통해

알게 한다. 또, 교수ㆍ학습 내용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수

학을 배우는 목적, 용도, 단서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수학언어의 내면화를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능력

1) 개념

‘수학언어의 내면화를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이란 생활 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현상 속

에서 파악된 문제들을 수학적 언어(수학용어와 기호 등)로 내면화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의견

을 주고받는 능력이다.

문제 속에 포함된 수학적 상황이나 내용 등에 대해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 속에서

이해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수학언어의 내면화를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수학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학습 초기에 학생들은 비교적 간단한 수학 용어와 기호들을 내면화 하고, 이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에 대한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방법을 경험하

게 된다. 이후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이 더욱 성숙되면 고차원적인 수학적 언어를 내면화하게

되고, 이를 사용하여 주어진 과제 속에 함축되어 있는 내용들을 해석하거나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학생들은 수학 용어와 기호를 통해 수학적 아이디어를 말과 글로 설명하고 시각

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여러 가지 정보를 참고하여 연속적으로 수학적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

이 역량은 수학적 언어를 실생활과 연결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이 수준의 학생들은 수학적 언어를 주의 깊게 선택해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의

사소통능력을 습득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매체로부터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정

보를 비교하고 전달하는 융합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에서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

인관계능력과 관련이 있다.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은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발견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수학적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Page 15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55 -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강화해 나갈 수 있다.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자료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수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가장 관련성이 높다. 단지 사용하는 언어가 일

반적 언어인지 수학적 언어인지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대인관계능력은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협력적 발전을 이

루는 능력으로, 상호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능력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수학언어의 내면화를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토론학습

과 협동학습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도입부분 뿐만 아니라 개념을 학습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강의식 수업 등의 일방향의 수업은 수학적 언어를

내면화하는 데 있어 걸림돌이 됨으로 질문과 발표를 많이 유도하는 교수ㆍ학습 전략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교수ㆍ학습 방법은 이 역량을 신장 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인지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영역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점 커

져가고 있는 요즈음 수학언어의 내면화를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수학 학습과정에서 학

생들의 정의적인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역량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 확산적 접근을 통한 수학적 창의사고력

1) 개념

‘확산적 접근을 통한 수학적 창의사고력’이란 생활 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 현상 속에서 파

악된 문제들을 수학적 개념과 관련지어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확산적 사고 활동을 통해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생성된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과정은 자연스럽게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게 함으로써 창의성 신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 역량은 자신만의 아이디어 창출이라는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스스로 도전하려는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학습자는 문제 상황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학적 요소와 기존 형성되어 있는 수학적 개념

및 원리와의 관계 규명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이해함으로써 도전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내재적 동기화가 일어나게 되면 분석적, 종합적,

추론적 사고와 더불어 확산적 사고 활동을 통해 수학적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

리고 생성된 아이디어는 수학적 교구(컴퍼스, 자, 각도기 등)를 이용한 조작활동과 수학적 언

어(수학용어와 기호 등)로 조직화하는 활동을 거쳐 다듬어진다. 또한, 반성적 사고 과정을 통

해 아이디어를 수정․보완하여 최적화된 아이디어로 재구성하게 된다.

Page 16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56 -

그리고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보다 향상되면 자신만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말과 글로 설명하거나 도식화 과정을 거쳐 명료화하고 타당성을 입증하는 과정으

로 나아간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상황 속에서 내재된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발견하게 되고

깊이 있는 통찰력과 창의적 수학사고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수학적 창의사고력은 창의지성역량 중에서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과 관련이 있다.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은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발견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창의적 사고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비판․

분석․종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산출해 내는 높은 차원의 지적 능력으로 창의지성역량 중 가

장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배움의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자기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지니고

학습하는 능력으로, 수학적 문제 상황 속에서 학생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문제에 대한 다양

한 해결 방법을 비교․분석하는 활동은 자기주도적인 학습 습관 형성에 도움이 된다.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

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수학적 언어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창의적 사고 능력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비판․분석․종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산출해

내는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우리 생활 주변의 사회 및 자

연 환경을 수학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바탕으로 비판적, 분석적이며 확산적인 사고 과

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상황, 즉 수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

다. 그리고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 활동을 적극 권장함으로써 수학에 대한 친근감 조성 및 바

람직한 학습태도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Page 16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57 -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의 관련성

가. 공통교육과정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초등

학교

수학

(1학년

~

6학년)

수와

연산

∙네 자리 이하의 수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

∙즐거운생활-가게 놀이하기(가게 물건 개수

세기, 물건의 개수 더하기 빼기)

∙다섯 자리 이상의 수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ㆍ나눗셈

∙자연수의 혼합 계산

∙분수ㆍ소수

∙분수와 소수의 덧셈과 뺄셈

∙사회-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세대 간의 가

족 수, 인구 구성의 변화 알기)

∙체육-도전 활동(속도 기록 측정하기), 경쟁

활동(점수 획득 계산하기)

∙음악-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창의적

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박자표, 여러 가

지 박자의 리듬꼴 알기)

수와

연산

∙약수와 배수

∙분수의 덧셈과 뺄셈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분수와 소수

∙음악-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창의적

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박자표, 여러 가

지 박자의 리듬꼴 알기)

도형

∙입체 도형의 모양

∙평면 도형의 모양

∙평면 도형과 그 구성 요소

∙바른생활-우리나라의 상징 알기(태극기 원,

사각형 모양 알기)

∙슬기로운생활-학교 둘러보기(학교 안, 밖,

교실 주변 사물의 모양 알아보기)

∙즐거운생활-우리나라 상징 표현하기(태극기

원, 사각형 모양 알기)

∙도형의 기초

∙평면 도형의 이동

∙원의 구성 요소

∙여러 가지 삼각형

∙여러 가지 사각형

∙다각형

∙과학-지구와 달(모양 알기)

∙미술-체험(생활 속에서 시각 문화를 찾아보

고 모양 탐색하기), 표현(다양한 모양으로

표현하기)

∙합동과 대칭

∙직육면체와 정육면체

∙각기둥과 각뿔

∙원기둥과 원뿔

∙입체도형의 공간감각

∙과학-식물의 구조와 기능, 지구와 달의 운

동, 렌즈의 이용

∙미술-표현(데칼코마니로 표현하기, 입체로

표현하기)

측정

∙양의 비교

∙시각 읽기

∙시각과 시간

∙길이

∙국어(듣기말하기)-일이 일어난 차례 생각하

며 듣고 말하기

∙슬기로운생활-여름(겨울)방학 생활 계획하기

∙즐거운생활-나의 한 해 표현하기(달력 만들기)

Page 16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58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초등

학교

수학

(1학년

~

6학년)

측정

∙시간

∙들이

∙무게

∙각도

∙어림하기(반올림, 올림, 버림)

∙수의범위(이상,이하,초과,미만)

∙사회-달라지는 생활 모습(옛날과 오늘날의

변화 모습 알기), 다양한 삶의 모습들(시간

흐름에 따른 삶의 변화 모습 알기)

∙과학-물체의 무게 비교하기, 지층과 화석

(지층이 쌓이는 순서 알기), 물의 상태 변

화에 따른 무게 변화 알기

∙미술-감상(미술의 시대적, 지역적 배경에

흥미와 관심 갖기)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무게와 넓이의 여러 가지 단위

∙원주율과 원의 넓이

∙겉넓이와 부피

∙사회-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과 생활모습(여

러 나라의 크기와 영토 모양 알아보기)

∙과학- 태양계와 별(태양계 행성들의 상대적

크기와 거리 비교하기)

초등

학교

수학

(1학년

~

6학년)

규칙성

∙규칙 찾기

∙규칙 찾기

∙규칙과 대응

∙과학-거울과 그림자(전등, 물체 사이 거리

에 따른 그림자 크기 변화 알기)

∙음악-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음악의

형식 알기, 메기고 받기)

∙비와 비율

∙비례식과 비례배분

∙정비례와 반비례

∙과학-태양계와 별(행성의 상대적 크기와 거

리 비교하기), 여러 가지 기체(압력과 부피

사이의 관계를 입자간 거리 변화로 이해하

기), 계절의 변화(계절에 따른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과 밤의 길기, 기온 변화알기)

확률과

통계

∙분류하기

∙표 만들기

∙그래프 그리기

∙슬기로운생활-마을 사람들이 하는 일 조사하

기(일의 종류 분류, 표, 그래프로 표현하기)

∙즐거운생활-가게 놀이하기(같은 물건끼리

분류하기)

∙과학-물체와 물질을 고체, 액체, 기체로 분

류하기

∙자료의 정리

∙막대 그래프와꺽은선그래프∙과학-지표의 변화 과정 알기

∙가능성과 평균

∙자료의 표현

∙비율그래프(띠그래프,원그래프)

∙국어(듣기, 말하기, 쓰기)-매체 활용 발표

및 매체 자료 조사 내용 글쓰기

∙사회-우리 경제의 성장(통계, 사진, 각종 지

표 등의 자료 이용한 경제 성장 과정 알기)

∙체육-도전활동(기록 측정하여 변화정도 알기)

Page 16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59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수학

(1학년

~

3학년)

수와

연산

∙소인수분해, 최대공약수, 최

소공배수, 정수와 유리수의

개념, 대소관계, 사칙계산

∙순환소수, 유리수와 순환소

수의 관계

∙제곱근의 뜻과 성질, 무리

수, 실수의 대소 관계, 근호

를 포함한 식의 사칙계산

∙과학-외권과 우주 개발(별의 밝기와 등급)

∙정보-정보의 표현과 관계(해상도)

∙사회(지리 영역)-내가 사는 세계(세계의 표

준시와 시차 계산)

∙사회(일반 사회 영역)-경제 생활의 이해(기

회비용 계산)

∙음악-감상(박자표)

∙도덕-도덕적 주체로서의 나(양심의 온도)

문자와

∙문자의 사용, 식의 값, 일차식

의덧셈과뺄셈, 일차방정식

∙법칙, 다항식의 덧셈과 뺄

셈, 다항식의 곱셈과 곱셈공

식, 다항식의 나눗셈, 등식

의 변형, 연립일차방정식,

부등식의 성질과 일차부등

식, 연립일차부등식

∙인수분해, 이차방정식

∙과학-힘과 운동(탄성력을 이용한 힘의 크기

측정), 일과 에너지(일률, 일의 원리), 전기

와 자기(옴의 법칙)

∙가정-청소년의 이해(출산예정일, 피임기

간), 청소년의 생활(나의 체중 상태, 열량

섭취와 열량소비의 균형)

함수

∙함수의 개념, 순서쌍과 좌

표, 함수의 그래프

∙일차함수의 의미와 그래프,

일차함수의 활용, 일차함수

와 일차방정식의 관계

∙이차함수의 의미, 이차함수

의 그래프의 성질

∙국어-문법(음운체계/모음사각도)

∙과학-힘과 운동(시간-이동과 시간-속력 그

래프), 광합성(빛의 세기, 온도, 이산화탄소

의 농도에 따른 광합성량의 변화), 분자 운

동과 상태 변화(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

계,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 물질의 가

열 곡선, 물질의 냉각 곡선), 수권의 구성

과 순환(위도에 따른 해수변이 받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 기권과 우리 생활(기온

의 연직 분포에 따른 대기권의 구조, 기온

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 곡선), 물질의 특성

(물의 양과 끓는점, 용해도 곡선), 일과 에

너지(운동 에너지, 위치 에너지), 전기와

자기(전압과 전류의 관계, 저항과 전류의

관계, 전류가 흐른 시간과 발열량의 관계)

∙가정-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인체치수와 수

압의 범위)

∙사회(지리 영역)-내가 사는 세계(경선과 위

선을 이용한 위치 찾기)

∙사회(일반 사회 영역)-시장 경제의 이해(수

요곡선, 공급곡선, 균형 가격)

∙미술-표현(빨강의 명도와 채도변화)

∙체육-건강 활동(적당한 스트레스의 수준 그

래프)

Page 16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60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확률과

통계

∙줄기와 잎 그림, 도수분포

표, 히스토그램, 도수분포다

각형, 도수분포표에서의 평

균, 상대도수의 분포

∙경우의 수, 확률의 뜻과 기

본 성질, 확률의 계산

∙중앙값, 최빈값, 평균, 분산,

표준편차

∙사회(지리 영역)-내가 사는 세계(경선과 위

선을 이용한 위치 찾기), 자연재해와 인간

생활(세계의 강수량 분포)

기하

∙점, 선, 면, 각

∙점ㆍ직선사이의 위치관계,

평행선의 성질, 삼각형의 작

도, 삼각형의 합동 조건, 다

각형의 성질, 부채꼴에서의

중심각과 호의 관계, 부채꼴

에서 호의 길이와 넓이, 다

면체ㆍ회전체의 성질, 입체

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과학-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부피의 변화),

빛과 파동(반사법칙, 평면 거울에 의한 상,

빛의 반사와 굴절), 태양계(태양과 달의 크

기), 외권과 우주 개발(별의 거리)

∙기술-건설 기술과 환경(모형다리의 제작

도), 제조 기술과 자동화(척도의 표기, 직

육면체ㆍ정사각뿔 전개도)

∙미술-표현(점과 선/어번 하이브, 밀워키 미

술박물관, 면과 형/코엑스 건물외관, 유리

피라미드, 쿤스트 하우스, 교육용 20색상환)

중학교

수학

(1학년

~

3학년)

기하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삼각

형의 외심ㆍ내심, 사각형의

성질, 닮은 도형의 성질, 평

행선 사이에 있는 선분의 길

이와 비, 닮은 도형의 성질

활용

∙피타고라스 정리, 삼각비,

원의 현ㆍ접선에 대한 성질,

원주각의 성질

∙체육-경쟁 활동(농구/드리블 자세와 안정

성), 도전 활동(철봉의 회전 운동), 표현

활동(음악 줄넘기 공간구성하기)

Page 16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61 -

나. 선택교육과정(고등학교)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수학 I

다항식

∙다항식의 연산

∙나머지 정리

∙인수분해

방정식과

부등식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여러 가지 방정식

∙여러 가지 부등식

∙미술-미술의 감상(작품 속에 숨겨진 황

금비)

∙물리I-시공간과 우주(시간, 속력, 에너

지 보존 법칙에서의 방정식 계산)

도형의

방정식

∙평면좌표

∙직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도형의 이동

∙부등식의 영역

∙물리II-운동과 에너지(포물선과 원 운동

방정식 구하기)

수학 II

집합과

명제

∙집합

∙명제

∙세계지리-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

성(문화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기)

함수∙함수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물리II-운동과 에너지(운동과 에너지 사

이의 함수관계)

수열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수열의 합

∙수학적 귀납법

∙경제-경제 생활과 금융(이자 및 원리합

계 계산)

지수와

로그

∙지수

∙로그

∙과학-생명의 진화(세포분열에서의 지수

법칙 활용)

확률과

통계

순열과

조합

∙경우의 수

∙순열과 조합

∙분할

∙이항정리

∙체육-스포츠의 과학적 원리(대진표에서

경우의 수 구하기)

확률∙확률의 뜻과 활용

∙조건부확률∙체육-스포츠의 과학적 원리(승률 계산)

확률과

통계통계

∙확률분포

∙통계적 추정

∙세계지리-변화하는 세계의 인구와 도시

(인구분포 분석)

∙사회·문화-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체육-운동과 정신건강(운동과 정신건강

사이의 상관관계 통계적 추정)

Page 16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62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미적분Ⅰ

수열의

극한

∙수열의 극한

∙급수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함수의 극한

∙함수의 연속

다항함수의

미분법

∙미분계수

∙도함수

∙도함수의 활용

∙화학Ⅱ-화학반응속도(반응속도)

다항함수의

적분법

∙부정적분

∙정적분

∙정적분의 활용

∙물리Ⅰ-시공간과 우주(시간, 공간, 우주)

미적분Ⅱ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뜻과그

래프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고급지구과학-우주과학(별의 특성)

삼각함수∙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삼각함수의 미분

∙물리Ⅰ-정보와 통신(소리와 빛)

∙물리Ⅱ-운동과에너지(힘과운동)

∙고급물리-역학(회전운동)

미분법∙여러가지 미분법

∙도함수의 활용∙물리실험-역학(운동의 분석)

적분법∙여러가지 적분법

∙정적분의 활용

∙물리Ⅱ-운동과 에너지(열에너지)

∙고급물리-전자기(교류전기)

기하와

벡터

평면

곡선

∙이차곡선

∙평면 곡선의 접선

∙지구과학실험-우주의 탐구(달과행성의운동)

∙물리Ⅱ-파동과 빛(빛의 이용)

평면

벡터

∙벡터의 연산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평면운동

∙물리Ⅱ-운동과에너지(힘과운동)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공간도형

∙공간좌표

∙공간벡터

∙지구과학Ⅰ-다가오는 우주(천체관측)

Page 16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63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수학과 타 교과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통합 교수ㆍ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정치, 경제, 음악,

미술 등 주변의 다양한 분야에 숨어있는 수학적 개념, 원리들을 탐색, 이해함으로써, 수학

의 유용성을 인식하도록 지도한다.

2) 수학과 타 교과 간 공통학습요소를 추출한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에 힘쓰고, 학습자 중심의

발견ㆍ 탐구 학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학생 스스로 문제 상황을 탐색하고 수학적 지식과

사고방법을 토대로 실생활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3) 칠판에서 구현하기 힘들었던 함수 그래프의 생성과 변화, 도형의 회전, 이동 등을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다채롭고 입체적인 교수ㆍ학습으로 구현하고, 이런 수업을 통해 수학에 대

한 이해를 빠르게 돕고, 자발적인 학습을 촉진한다.

4) 계산기, 컴퓨터,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의 공학적 도구와 다양한 교구의 활용을 통해 실생활

에서 볼 수 있는 크고 복잡한 숫자 계산(서울타워에서의 가시거리 구하기 등)을 직접 체험

해보고 생생한 숫자 감각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5) 공학적 도구의 적극적 활용을 통하여 복잡한 숫자와 과정 때문에 생략되었던 특정주제 탐구

(삼각비의 다양한각도, 순환소수, 경우의 수 시뮬레이션 등)로 수학의 학습 범위를 확장하

여 지도한다.

6) 수학사 활용 및 실생활 사례 등의 읽을거리 제공으로 학습동기를 유발하며 Story-telling

방식을 통해 수학적 아이디어를 말과 글로 설명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학습과정에서 수

학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7) 초등학교는 각종 교구를 활용한 체험, 놀이 중심, 중고등학교는 다양한 공학적 도구를 이용

한 탐구 토론 중심의 수업을 적용하여 수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이고,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8)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지 않고 각자의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지도 및 상담을

도와주는 멘토-멘티 관계를 구축하고 서로 돕는 바람직한 수학 학습 문화를 조성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지식기반사회의 빠른 변화로 공학 이외에도 생명과학, 금융 및 경제 분야까지 수학의 활용

영역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사회의 적합한 인재를 기르기 위해 수학과

교수ㆍ학습과정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사고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며,

수학이 활용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소개를 포함하여야 한다.

1) 기계, 전기, 전자, 컴퓨터 등의 주요 공학 교육과정 속의 교과 관련 내용과 진로를

간단히 소개하여 공학 분야의 이해를 넓히고 이공계 기피현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Page 16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64 -

2) 통계적 사고를 활용하는 실생활 문제를 통하여 마케팅, 품질관리, 정책연구 등의

다양한 진로를 소개하고 수학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3) 계산기를 활용한 금융 계산을 통하여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 분석력, 합

리적 판단력을 경험할 수 있게 하며, 수학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하는 보험, 금융

등 경제관련 분야를 안내한다.

4) 수학과 관련된 물리학의 내용을 간략히 연결하고 자연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변화가 개인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

1) 공통교육과정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

학교

수학

(1학년

~

6학년)

수와

연산

∙네 자리 이하의 수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선생님도 놀란 초등학교 수학 뒤집기(약

수와 배수의 이해, 문자와 식, 분수와

소수편)

∙행복한 교과서 수학자를 만나다

∙피아제와 반힐레의 실험에 근거한 우리

아이 수학 가르치기

∙사람들이 미쳤다고 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

∙어린이를 위한 우리 겨레 수학 이야기

∙멋진 세상을 만든 수학

∙놀라운 수의 세계

∙다섯 자리 이상의 수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ㆍ나눗셈

∙자연수의 혼합 계산

∙분수ㆍ소수

∙분수와 소수의 덧셈과 뺄셈

∙약수와 배수

∙분수의 덧셈과 뺄셈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분수와 소수

도형

∙입체 도형의 모양

∙평면 도형의 모양

∙평면 도형과 그 구성 요소∙명화 속 신기한 수학 이야기

∙피타고라스가 들려주는 사각형 이야기

∙종이로 만든 도형나라

∙친절한 도형 교과서

∙유클리드가 들려주는 삼각형 이야기

∙첫 번째 도형 이야기

∙재미있는 수학 여행

∙생각이 통하는 수학

∙수학콘서트

∙창의적 도형 만들기-

∙www.4dframe.com, www.edtoy.kr

∙도형의 기초

∙평면 도형의 이동

∙원의 구성 요소

∙여러 가지 삼각형

∙여러 가지 사각형

∙다각형

∙합동과 대칭

∙직육면체와 정육면체

∙각기둥과 각뿔

∙원기둥과 원뿔

∙입체도형의 공간감각

Page 16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65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학교

수학

(1학년

~

6학년)

측정

∙양의 비교

∙시각 읽기ㆍ시각과 시간

∙길이

∙선생님도 놀란 초등학교 수학 뒤집기(달

력편, 시간과 시각편)

∙생각하는 수학 산책

∙퍼즐로 수학 283배 즐기기

∙학교 수학에서 어림 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제 13집

∙초등 중등 수학용어 다시보기

∙학교 수학과 교구

∙시간ㆍ들이ㆍ무게ㆍ각도

∙어림하기(반올림, 올림, 버림)

∙수의 범위(이상,이하,초과,미만)∙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무게와 넓이의 여러 가지 단위

∙원주율과 원의 넓이

∙겉넓이와 부피

규칙성

∙규칙 찾기

∙선생님도 놀란 초등학교 수학 뒤집기(함

수, 비와 비율편)

∙명화 속 신기한 수학 이야기

∙규칙 찾기

∙규칙과 대응∙비와 비율

∙비례식과 비례배분

∙정비례와 반비례

확률과

통계

∙분류하기

∙표 만들기

∙그래프 그리기

∙선생님도 놀란 초등학교 수학 뒤집기(통

계와 그래프, 확률편)

∙수학퍼즐 다시보기

∙가르다노가 들려주는 확률 1 이야기

∙확률의 함정

∙확률게임

∙수학이 자꾸 수군수군 3

∙영화-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자료의 정리

∙막대 그래프와 꺽은선 그래프

∙가능성과 평균

∙자료의 표현

∙비율그래프(띠그래프,원그래프)

문자와식

∙문자의 사용, 식의 값, 일차식

의 덧셈과 뺄셈, 일차방정식

∙지수법칙, 다항식의 덧셈과 뺄

셈, 다항식의 곱셈과 곱셈공식,

다항식의 나눗셈, 등식의 변형,

연립일차방정식, 부등식의 성질

과 일차부등식, 연립일차부등식

∙인수분해, 이차방정식

∙린드파피루스(가장 오래 된 수학책)

∙종이접기에 숨어있는 와

의 위력

∙바빌로니아 시대의 수학

∙구일집(조선시대 수학자 홍정하가 쓴 책)

∙손자산경, 구장산술(고대 중국의 수학책)

∙혈액형의 비밀(ABO식 혈액형)

∙귀뚜라미 온도계(미국의 과학자 돌베어)

∙영화 : 넘버스(NUMB3RS), 다이하드

3(Die Hard : With A Vengeance),

박사가 사랑한 수식

∙아르키메데스와 지레의 원리

∙태풍이야기

∙시로 표현된 이차방정식(인도의 수학자

바스카라가 쓴 책)

∙청소년을 위한 한국수학사

∙청소년을 위한 동양수학사

∙파르테논 신전, 황금비

∙메르센 소수

Page 17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66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수학

(1학년

~

3학년)

함수

∙함수의 개념, 순서쌍과 좌표,

함수의 그래프

∙일차함수의 의미와 그래프, 일

차함수의 활용, 일차함수와 일

차방정식의 관계

∙이차함수의 의미,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아르키메데스의 ‘거울무기’

∙호주 시드니에 있는 하버브릿지(철골형

아치형 다리)

확률과

통계

∙줄기와 잎 그림,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 도수분포다각형,

도수분포표에서의 평균, 상대도

수의 분포

∙경우의 수, 확률의 뜻과 기본

성질, 확률의 계산

∙중앙값, 최빈값, 평균, 분산,

표준편차

∙보험 계리사 이야기

(http://www.actuary.or.kr)

∙주사위 게임으로 만드는 미뉴에트

∙목제주령구에 얽힌 우리 조상의 지혜(안

압지 발굴조사 보고서)

∙부여국서 시작된 고유 놀이(윷놀이)

기하

∙점ㆍ선ㆍ면ㆍ각, 점ㆍ직선ㆍ평

면사이의 위치관계, 평행선의

성질, 삼각형의 작도, 삼각형의

합동 조건, 다각형의 성질, 부

채꼴에서의 중심각과 호의 관

계, 부채꼴에서 호의 길이와 넓

이, 다면체ㆍ회전체의 성질, 입

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삼각형의

외심ㆍ내심, 사각형의 성질, 닮

은 도형의 성질, 평행선 사이에

있는 선분의 길이와 비, 닮은

도형의 성질 활용

∙피타고라스 정리, 삼각비, 원의

현ㆍ접선에 대한 성질, 원주각

의 성질

∙점과 선분을 이용한 지하철 노선도

∙백남준의 ‘다다익선’

∙옷본 제작사 이야기

∙맨홀 뚜껑과 수학

∙아르키메데스의 입체도형

∙직각삼각형이 모여서 직각삼각형(오스트

레일리아의 멜버른에 있는 이안 포터 센

터 NGV)

∙수학자 탈레스

∙멀리 있는 것은 작게, 가까운 것은 크게

(투시 원근법, 그림:시바여왕의 출항,

밤의 카페 테라스)

∙플림튼 322 :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비

밀(EBS)

∙롤러코스터 레일의 길이

∙타지마할에서 수학을 배우자

∙도로와 철도 선로의 경사도

∙미스터리 서클

∙상위 5%로 가는 지구과학교실 1

∙중국의 수학책 ‘구장산술’

2) 선택 교육과정(고등학교)

교과명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수학 I

다항식∙다항식의 연산∙나머지 정리∙인수분해

∙아벨이 들려주는 인수분해 이야기

방정식과

부등식

∙복소수와 이차방정식∙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여러 가지 방정식∙여러 가지 부등식

∙허수란 무엇인가∙대수와 방정맞은 방정식∙코시가 들려주는 부등식 이야기

Page 17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67 -

교과명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수학 I도형의

방정식

∙평면좌표

∙직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도형의 이동

∙부등식의 영역

∙자연, 예술, 과학의 수학적 원형

∙Grqpher(그래프 그리는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

∙Graph It! (극한값 구하는 스마트폰

앱프로그램)

수학 II

집합과

명제

∙집합

∙명제∙칸토어가 만든 집합

함수∙함수

∙유리함수와 무리함수∙디리클레가 들려주는 함수 이야기

수열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수열의 합

∙수학적 귀납법

∙가우스가 들려주는 수열이론

지수와

로그

∙지수

∙로그

∙개념부터 다시 시작하는 Reset 수학

지수와 로그

확률과

통계

순열과

조합

∙경우의 수

∙순열과 조합

∙분할

∙이항정리

∙이야기로 아주 쉽게 배우는 확률과 통계

확률∙확률의 뜻과 활용

∙조건부확률

∙세계를 삼킨 숫자이야기

∙파스칼이 들려주는 확률론

통계∙확률분포

∙통계적 추정

∙통계를 알면 인생이 달라진다

∙여론 조사를 믿어도 될까

미적분Ⅰ

수열의

극한

∙수열의 극한

∙급수

∙수학이란 무엇인가

∙0과 무한의 과학

∙살아있는 수학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함수의 극한

∙함수의 연속

∙수학사대전

∙Mathematica와 수학

다항함수의

미분법

∙미분계수

∙도함수

∙도함수의 활용

∙미분과 적분 뉴톤의 대발명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미적분

다항함수의

적분법

∙부정적분

∙정적분

∙정적분의 활용

∙Math! Encounters with High School

Students

∙수학사

미적분Ⅱ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오일러가 사랑한 수

∙수학의 위대한 순간들

삼각함수∙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삼각함수의 미분

∙파동의 법칙

∙파동의 사이언스

미분법∙여러가지 미분법

∙도함수의 활용∙미시경제학

적분법∙여러가지 적분법

∙정적분의 활용

∙통계학의 역사

∙의 역사

Page 17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68 -

교과명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미적분Ⅱ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오일러가 사랑한 수

∙수학의 위대한 순간들

삼각함수∙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삼각함수의 미분

∙파동의 법칙

∙파동의 사이언스

미분법∙여러가지 미분법

∙도함수의 활용∙미시경제학

적분법∙여러가지 적분법

∙정적분의 활용

∙통계학의 역사

∙의 역사

기하와

벡터

평면

곡선

∙이차곡선

∙평면 곡선의 접선

∙기하학과 상상력

∙뉴톤 역학과 만유인력

∙원의 역사

평면벡터

∙벡터의연산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평면운동

∙대학물리학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공간도형

∙공간좌표

∙공간벡터

∙Cabri 3D 활용

∙Maple과 수학

참고사이트

∙교수ㆍ학습개발센터

∙수리과학연구정보센터

∙Mathematica

∙Mathforum

∙국가통계포털

∙Maple

∙NCTM

∙GSP

∙Cabri 3d

www.classroom.re.kr/201109/

mathnet.kaist.ac.kr/

www.wolfram.com/

mathforum.org/

kosis.kr/

www.maplesoft.com/

www.nctm.org/

www.keypress.com/sketchpad

www.cabri.com/

Page 17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69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수학 학습의 평가는 전인교육을 위해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2) 수학 학습의 평가가 교육의 방향과 학습 상황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평가

내용이 교육과정 중심, 고등정신기능 중심(분석력, 비판력, 판단력, 종합력 등),

과정 중심의 평가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학습 결과와 더불어 과정 중심 평가를 실시하되,

수학의 개념과 원리, 표현, 추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종합

적으로 평가한다.

4) 교사별 평가를 확대 실시하여 각자의 학습자에게 맞는 다양한 개성과 인성 및 창

의성을 평가함으로써 문제점을 발견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나. 평가 방법

1) 수학적 문제 상황 해결을 위해 그룹별로 토론한 내용이나 개인적인 생각을 보고

서로 정리, 요약하게 하여 평가할 수 있다.

2)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얼마나 잘 표현 할 수 있는가와 문제를 어떻게 창의적

으로 바라보고, 해결방식을 창의적으로 제시하는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

하여 서술형ㆍ논술형 평가를 확대 실시하도록 한다.

3) 수행평가를 통해 수학 학습 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준비과정에 대해 평가하고,

발표와 토론, 사고의 성장 등 지성적 과정에 대한 학생별 장단점과 특징, 창의

성,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등을 파악한다.

4) 수학적 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도록 하여 말하는 태도, 주장의 명료

성, 논증의 정확성, 질문에 대한 답변내용의 적절성 등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구술평가를 확대 실시한다.

다. 인지적 영역에서 강조되어야 할 수학적 능력

1) 수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생활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현상에서 만나는 문제를 창의

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비판․분석․종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산출해 내는 높은

차원의 지적 능력을 평가한다.

Page 17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70 -

라. 정의적 영역에서 강조되어야 할 수학적 능력

1)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기 위해 가치관, 관심, 흥미, 자신감, 적극

성, 협동성 등의 정의적 능력을 평가한다.

2) 수학적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표시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할 수

있는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한다.

3)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협력적 발전을 이루는

대인관계능력을 평가한다.

마. 평가 결과의 활용

1) 평가 결과를 누가 기록하여 개인별 성장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는 성취 수준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성취 정도를 이해하는 자

료가 되도록 한다.

3) 평가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오개념, 미성취 수준 등을 피드백할 수 있는 과정

을 가지도록 한다.

4) 평가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판단하고,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Page 17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71 -

과학과

1 과학과 핵심역량

가. 과학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1) 개념

과학의 기본 지식과 탐구 과정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 과정을 통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사회 구성원들이 인정하는 적절하고 새로운 해결 방법을 발견하는 능력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과학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자연현상을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

하고 자연 현상에 대해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과학적,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를 의미한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경우에는 정해져 있지 않은 다양한 해결책이나 답을 모

색하고, 문제의 감수성, 사고의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집착성 등의 발산적 사고가 사용된

다.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해 지식과 원리, 법칙 등을 동원하여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아가

는 과정에서는 비판적, 논리적, 수렴적 사고 과정을 포함하게 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과학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를 인식하고 이것의 해결을 위해 긍정적인 의사결정과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타인의 의견을 이해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과 갈등 상황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대인관계능력’은 중

요하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 주체적인 자세로 기존의 상식과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판단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가고, 이 과정에서 내재적 탐구 동기를 신

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과도 관련이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학습자는 학습 과정에서 문제, 자료, 아이디어 그리고 해결책을 발견하는 활동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다. 학생들에게 자연 현상과 일상생활

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하고 개방적인 상황을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 자신의 문제로 지각하게 하여 문제 해결의 의지를 높

인다.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된 과학 개념 및 과학적 탐구

Page 17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72 -

과정을 바탕으로 적절한 자료와 탐구 방법을 선별하고 이를 활용한다. 개방적 질문, 창의적

아이디어가 수용되는 개방적 분위기를 통해 발산적 사고가 일어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

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한다.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모둠 활동, 토의 과정 등을 통해

적절한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해결책으로 수렴하는 과정을 거친다.

나. 과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능력

1) 개념

과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능력은 자연 현상과 과학 개념의 발달 과정을 이해

하고, 과학적 사실과 이론을 학문적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 타인과의 교류를

원활하게 하는 데 바탕이 되는 의사 전달과 의견의 공유 및 합의 과정을 이끌어 낼 수 있

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과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능력’은 과학적 사실과 논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과

학적 용어를 사용하는 언어적 의사소통 외에 그래프와 도표를 포함한 상징적인 표현 방법

과 이해를 의미하며, 자연과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자세 및 태도 등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과도 관련이 깊다. 따라서 과학 지식은 자연 현상과 인간의 삶 가운데 인간의 끊임없는 호

기심과 의문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타인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과 끊임없는 상호 작용을 통

한 의사소통으로 수정되고 보완된 것이다. 또한, 과학과 관련된 상황에 대하여 민주사회 구

성원으로서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과학의 윤리적 문제 인식과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역량의 주요 특성이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과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 ‘민주시민 의식’,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이 있다. 다양한 가치관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직면한 문제

들을 해결하기 위해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의사소통을 이끌어내는 태도는 ‘민주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또한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자신의 의견을 타인

에게 설득해 가며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어 가는 능력은 개인 간의 갈등을 넘어 사회적인

갈등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대인관계능력’ 형성에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학생들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고 다른 학생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과학 지식의 형성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습득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은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

견을 논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확장하고 타인에게 자신의 과학적 견해를 언어나 수학적 기

Page 17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73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초등학교

과학

물질과

에너지

∘물체의 무게 ∘수학 - 분수와 소수

∘물체와 물질 ∘사회 - 정보화, 세계화 그리고 우리

∘액체와 기체 ∘사회 - 우리 국토의 모습과 생활

∘소리의 성질 ∘실과 - 생활속의 전기․전자

∘자석의 이용 ∘실과 - 생활속의 전기․전자

∘혼합물의 분리 ∘실과 - 생활자원과 소비

∘거울과 그림자 ∘미술 - 시각 문화 환경과 미술

∘물의 상태 변화 ∘사회 -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생명과

지구

∘지구와 달 ∘사회 - 우리 국토의 모습과 생활

∘동물의 한살이 ∘실과 -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동물의 생활 ∘실과 -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지표의 변화 ∘사회 -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식물의 한살이 ∘실과 -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화산과 지진 ∘사회 -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식물의 생활 ∘실과 -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지층과 화석∘사회 - 자연과더불어사는 인간

∘사회 -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물질과

에너지

∘온도와 열 ∘수학 - 자료의 표현과 해석

∘용해와 용액 ∘실과 - 간단한 음식 만들기

∘산과 염기∘사회 - 우리 국토의 모습과 생활

∘실과 - 식물과 함께 하는 생활

∘물체의 빠르기 ∘수학 - 자료의 표현과 해석

∘전기의 작용 ∘실과 - 생활속의 전기․전자

∘여러가지 기체 ∘사회 -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

∘렌즈의 이용∘미술 - 시각 문화 환경과 미술

∘미술 - 사진과 영상

∘연소와 소화 ∘실과 - 나의 영양과 식사

호․그래프 등의 비언어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데 도

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적 의사소통과 소양을 기반으로 한 논리적인 사고는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해왔음을 알고,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

를 가지고 상대성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Page 17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74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과학

생명과

지구

∘날씨와 우리 생활∘사회 - 우리지역의 자연환경

∘사회 - 우리 국토의 모습과 생활

∘식물의 구조와 기능 ∘실과 - 식물과 함께 하는 생활

∘태양계와 별 ∘미술 - 상상표현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체육 - 건강과 활동

∘지구와 달의 운동 ∘사회 -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생물과 환경

∘사회 - 우리 국토의 모습과 생활

∘실과 - 식물과 함께 하는 생활

∘미술 - 자연환경과 미술

∘생물과 우리 생활 ∘사회 - 환경을 생각하는 국토 가꾸기

∘계절의 변화∘사회 - 환경을 생각하는 국토 가꾸기

∘미술 - 자연환경과 미술

과학이란 ∘과학이란?

∘기술가정-진로와 생애 설계, 진로와 직업

∘역사-아시아․아프리카 세계의 변화와민족 운동

∘국어-쓰기(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계획하는글을 쓴다.)

∘도덕-도덕적 주체로서의 나(공부와 진로)

물질과

에너지

∘힘과 운동∘수학-문자와 식

∘체육-도전활동

∘열과 우리 생활∘기술가정-녹색가정생활의 실천

∘사회-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기술가정-녹색가정생활의 실천

∘물질의 구성∘수학-문자와 식

∘기술가정-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빛과 파동

∘미술-표현

∘수학-기하

∘기술가정-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음악-표현(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물질의 특성∘기술가정-녹색가정생활의 실천

∘보건-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일과 에너지 전환

∘수학-문자와 식, 함수

∘사회-자원의 개발과 이용

∘체육-도전활동

∘기술가정-에너지와 수송기술

∘환경과 녹색성장-자원과 에너지

∘전기와 자기 ∘수학-문자와 식, 함수

∘화학 반응에서의

규칙성

∘수학-함수

∘보건-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여러 가지 화학 반응∘기술가정-녹색가정생활의 실천

∘보건-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Page 17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75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과학

생명과

지구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사회-자연으로 떠나는 여행,극한지역에서의생활

∘지리-인간 거주에 유리한 지역, 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자연재해와 인간생활

∘광합성∘기술가정-녹색가정생활의 실천

∘환경과 녹색성장-자원과 에너지

∘수권의 구성과 순환∘사회-자원의 개발과 이용

∘환경과 녹색성장-환경과 환경보전

∘기권과 우리 생활

∘체육-도전활동

∘사회-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환경과 녹색성장-지구환경과 기후변화

∘소화․순환․호흡․배설

∘기술가정-청소년의 생활

∘체육-건강활동

∘보건-건강의 이해와 질병 예방

생명과

지구

∘자극과 반응 ∘미술-표현

∘태양계∘역사-현대세계의 전개

∘도덕-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생식과 발생∘기술가정-청소년의 이해

∘보건-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유전과 진화

∘기술가정-생명기술과 미래 기술

∘역사-아시아․아프리카 세계의 변화와 민족운동

∘도덕-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과학기술과도덕)

∘외권과 우주 개발∘역사-현대세계의 전개

∘도덕-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과학과

인류문명∘과학과 인류 문명

∘사회-현대사회와 사회문제

∘역사-현대세계의 전개

∘기술가정-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생명기술과 미래 기술

고등학교

과학

우주와

생명∘우주의 기원과 진화

∘물리Ⅰ-시공간과 우주, 물질과 전자기장,

정보와 통신, 에너지

∘물리II-운동과 에너지, 미시세계와 양자현상, 파동과 빛

∘지구과학II-천체와 우주

∘화학I-화학의 언어, 아름다운 분자 세계

∘화학II-화학 반응 속도

∘기초 수학-방정식과 함수

Page 18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7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학교

과학

우주와

생명

∘태양계와 지구

∘물리I-시공간과 우주

∘물리II-운동과 에너지

∘지구과학I-소중한 지구, 다가오는 우주

∘지구과학II-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

∘항해-항해술의 기초, 항법의 종류

∘기초 수학-방정식과 함수

∘생명의 진화

∘지구과학I-생동하는 지구

∘지구과학II-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

지구의 변동과 역사

∘생명과학I-생명과학의 이해, 세포와생명의 연속성

∘생명과학II-세포와 물질대사, 유전자와

생명공학, 생물의 진화

∘화학I-화학의 언어, 개성있는 원소,아름다운

분자 세계, 닮은 꼴 화학 반응

∘화학II-화학 반응 속도

∘농업 생명 과학-농업과 과학 기술의관계,재배 및 사육 기술, 농업 생명 과학기술의 미래

∘공학 기술-나노와 생명공학

∘가정 과학-결혼과 가족 생활

고등학교

과학

과학과

문명

∘정보통신과 신소재

∘물리I-물질과 전자기장, 정보와 통신

∘물리II-전기와 자기, 파동과 빛

∘지구과학II-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

∘기술․가정-기술의 세계(미래 기술과사회)

∘공학 기술-나노와 생명공학

∘전자 통신의 기초-반도체와 전자 회로,통신 방식,

선박 통신과 GMDSS

∘전자 통신 기기-이동통신 기기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물리I-정보와 통신

∘물리Ⅱ-파동과 빛

∘생명과학I-항상성과몸의 조절, 자연 속의 인간

∘생명과학II-유전자와 생명공학

∘화학II-인류 복지와 화학

∘환경-환경과 인류의 삶, 환경 문제와 대책

∘농업 생명 과학-식량 안보와 농산물 안전,

녹색 환경 보전, 농업과 과학 기술의 관계

∘가정 과학-웰빙과 식생활

∘해양 과학-해양 생물

Page 18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77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학교

과학

과학과

문명∘에너지와 환경

∘물리I-에너지

∘물리II-운동과 에너지

∘지구과학I-소중한 지구, 위기의 지구

∘지구과학II-지구의 변동과 역사

∘생명과학II-세포와 물질 대사

∘화학II-화학반응속도

∘환경-환경 문제와 대책, 자원과 에너지,기후 변화의 이해와 대책, 녹색 사회로가는 길

∘농업 생명 과학-녹색 환경 보전

∘공학 기술-환경과 건설공학

∘가정 과학-주거와 환경

∘해양 과학-녹색 성장과 해양 자원

∘해양-해양 개발과 자원 이용

∘수산 생물-수산 생물의 성장과 분포

∘해양 오염․방제-인간과 해양 환경, 해양

자원의 이용과 생태계, 연안 해양의개발과

재해, 해양 오명과 현장 조사, 오염물질의

움직임과 방제 활동

∘냉동 일반-냉매와 지구 환경

물리Ⅰ

시공간과

우주

∘시간, 공간, 운동 ∘사회-환경변화와 인간

∘수학I -방정식과 부등식

∘미적분I -다항함수의 적분법∘시공간의 새로운 이해

물질과

전자기장

∘전자기장∘(전문교과)전기와생활-전기 이론, 전자

소자와 전자 회로의 기초

∘(전문교과)전자기계회로-전기 이론, 전자

이론

∘(전문교과) 전기회로-전기와 자기∘물질의 구조와 성질

정보와

통신

∘소리와 빛

∘미적분II -삼각함수

∘화법과작문-정보전달

∘기술ㆍ가정-미래 기술과 사회

∘(전문교과) 전기와생활-전기 이론

∘(전문교과) 전자회로-반도체 소자와 집적

회로, 증폭 회로

∘(전문교과) 통신시스템-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정보의 전달과 저장

에너지

∘에너지의 발생

∘(전문교과) 전기와생활-전력 설비, 전기

기기, 전기ㆍ전자 응용

∘(전문교과) 전기회로-직류 회로

∘(전문교과) 전기기기-직류기, 변압기

∘(전문교과) 전력설비-발전 설비

∘(전문교과) 전기응용-조명

∘(전문교과) 역학-힘과 모멘트

∘힘과 에너지의 이용

Page 18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78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물리Ⅱ운동과

에너지

∘힘과 운동

∘물리I-시공간과 우주, 에너지

∘화학II-다양한 모습의 물질, 물질변화와에너지

∘공학 기술-환경과 건설공학

∘수산 가공-식품의 냉동

∘냉동 일반-냉동 및 공기 조화의 기초,열역학,

냉동 및 공기 조화 장치

∘열기관-열기관의 개요, 디젤 기관, 가솔린

기관, 가스 터빈 및 로터리 기관, 외연기관,

동력 전달 장치

∘기초 수학-방정식과 함수, 피타고라스정리와 삼각비

∘수학I-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

∘수학II-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적분법

∘기하와 벡터-평면 곡선, 평면 벡터, 공간

도형과 공간벡터

∘열에너지

물리Ⅱ전기와

자기

∘전하와 전기장

∘물리I-물질과 전자기장

∘기술․가정-기술의 세계(미래 기술과 사회)

∘공학 기술-전기․전자와 정보 통신 공학,

나노와 생명공학

∘정보-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선박 전기․전자-전기와 자기, 회로 이론,

전기 기기, 반도체와 회로, 자동 제어

∘전자 통신의 기초-교류 회로, 반도체와

전자 회로, 디지털 회로, 전자파와 안테나,

통신 방식, 선박 통신과 GMDSS

∘전자 통신 기기-무선송수신기, 이동통신 기기

∘기초 수학-방정식과 함수, 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비

∘수학I-도형의 방정식

∘수학II-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적분법

∘미적분II-삼각함수

∘기하와 벡터-평면 곡선, 평면 벡터,공간도형 과 공간벡터

∘전류와 자기장

Page 18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79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물리Ⅱ

파동과빛

∘파동의 발생과 전달

∘물리I-정보와 통신

∘음악 이론-악곡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

악기와 연주 형태∘기술․가정-기술의 세계(미래 기술과

사회)

∘공학 기술-전기․전자와 정보 통신 공학

∘정보-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기초 수학-방정식과 함수, 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비

∘수학I-도형의 방정식

∘미적분II-삼각함수∘기하와 벡터-평면 곡선, 평면 벡터, 공간도형과 공간벡터

∘빛의 이용

미시세계와

양자현상

∘물질의 이중성

∘물리I-시공간과 우주, 물질과 전자기장

∘화학I-개성있는 원소∘기술․가정-기술의 세계(미래 기술과

사회)

∘공학 기술-전기․전자와 정보 통신 공학

∘정보-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기초 수학-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비

∘수학I-도형의 방정식

∘수학II-확률, 통계

∘미적분II-삼각함수∘기하와 벡터-평면 곡선, 평면 벡터, 공간도

과 공간벡터

∘양자물리

화학Ⅰ

화학의언어 ∘화학의 언어 ∘세계사 -역사와 인간

개성있는

원소

∘원자의 구조∘수학Ⅱ-수열

∘주기적 성질

아름다운분자세계

∘분자 세계의 건축 예술

∘수학Ⅰ-도형의 방정식∘화학 결합

∘분자의 구조

닮은꼴

화학반응

∘산화 환원∘수학Ⅱ-지수와 로그

∘산과 염기

화학Ⅱ

다양한모습의물질

∘물질의 상태 ∘한국지리-지형환경과 생태계

∘지구과학Ⅰ-생동하는 지구

∘물리Ⅱ-운동과 에너지∘용액

물질변화와에너지

∘반응열∘생물Ⅰ-항상성과 몸의 조절

∘세계지리-에너지 자원의 특성

∘사회 -인구, 식량 그리고 자원

∘물리Ⅱ-운동과 에너지∘반응의 자발성

Page 18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80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화학Ⅱ

화학평형

∘평형의 원리 ∘기술․가정 -정보통신기술의 활용

∘세계지리 -경제활동의 세계화

∘과학-에너지와 환경∘평형의 이용

화학반응속도

∘반응 속도 ∘가정과학 -전통 웰빙 음식 만들기

∘과학–우주의 기원과 진화∘촉매

인류복지와화학

∘인류 복지와 화학

∘기술․가정 -바이오 기술

∘공학기술 -나노와 생명공학

∘사회 -인류미래를 위한 선택

∘과학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생명과학Ⅰ

생명과학의이해

∘생명 과학의 이해 ∘과학사 및 과학철학

세포와세포의

속성

∘세포와 세포분열∘기술 -미래기술과 사회

∘화학 -아름다운 분자구조

∘인류의 미래사회 -과학기술과 인류의 미래∘유전

항상성과

건강

∘생명활동과 에너지∘운동과 생활건강 -운동과 체격

∘가정 -건강한 생활∘항상성과 몸의 조절

∘방어 작용

자연속의인간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사회 -지형 환경과 생태계,기후환경의변화

∘해양과학 -해양환경∘생물의 다양성과 환경

생명과학II

세포와

물질대사

∘세포의 특성 ∘스포츠 과학-스포츠의 과학적 원리

∘환경과 녹색성장-자원과 에너지∘세포와 에너지

유전자와생명공학

∘유전자와 형질 발현∘기술․가정-미래 기술과 사회

∘사회-미래를 바라보는 창

∘인류의 미래 사회-과학 기술과 인류의미래

∘농업생명과학-농업생명과학기술∘생명 공학

생물의진화

∘생명의 기원과 다양성 ∘확률과 통계-확률

∘사회-환경변화와 인간

∘환경과 녹색성장-환경 문제와 대책∘진화의 원리

지구과학Ⅰ소중한지구

∘행성으로서의 지구∘한국지리 -지형환경과 생태계, 생산과소비 공간의 변화

∘세계지리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경제활동의 세계화

∘지구의 선물

∘아름다운 한반도

Page 18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81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지구과학Ⅰ

생동하는

지구

∘고체 지구의 변화 ∘세계지리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한국지리 -지형환경과 생태계∘유체 지구의 변화

위기의

지구

∘환경 오염∘한국지리 -기후환경의 변화

∘생활과 윤리 -과학기술·환경·정보윤리

∘세계지리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사회 -환경 변화와 인간

∘산림 자원 -산림과 환경∘기후 변화

다가오는

우주

∘천체 관측 ∘기술가정 - 미래기술과 사회

∘기하와 벡터 - 공간도형과 공간벡터∘우주 탐사

지구과학Ⅱ

지구의구조와

지각의물질

∘지구의 구조∘물리Ⅰ-물질과 전자기장

∘한국지리-지형환경과 생태계

∘고급지구과학-고체지구과학

∘지구과학실험-고체지구의 탐구

∘과학사 및 과학 철학-서양과학사∘지각의 물질

지구의

변동과

역사

∘지구의 변동 ∘사회-자연환경과 인간생활

∘한국지리-지형환경과 생태계

∘고급지구과학-고체지구과학

∘지구과학실험-고체지구의 탐구

∘과학사 및 과학 철학-서양과학사

∘지구의 역사

∘우리나라의 지질

지구과학Ⅱ

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대기의 운동과 순환

∘사회-자연환경과 인간생활

∘한국지리-변화하는 기후 환경

∘해양과학-해양의 이해

∘고급지구과학-유체지구과학

∘지구과학실험-유체지구의 탐구

∘공업-대기․소음방지-대기오염과 기상

∘수산해운-해양의 이해-해수의 성질과

운동, 대기 해양 상호작용

∘수산해운-항해-해수의 유동

∘수산해운-해양 플랜트 일반-해양의 개요

∘해수의 운동과 순환

∘대기와 해양의상호작용

천체와

우주

∘별의 특성∘과학-우주의 기원과 진화, 태양계와 지구

∘물리Ⅰ-시공간과 우주, 정보와 통신, 에너지

∘물리Ⅱ- 파동과 빛

∘고급지구과학-우주과학

∘지구과학실험-우주의 탐구

∘과학사 및 과학 철학-서양과학사

∘우리 은하

∘은하와 우주

Page 18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82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수업 설계 시 창의지성역량 및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동시에 구안한다.

2) 창의지성역량은 교과 내용 목표 또는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개발할 수 있다. 창의지성역

량을 교과 내용 목표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과학 상식과 사회적 쟁점을 주제로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을 위

한 기회 제공, 탐구 학습, 협동 학습, 웹기반 학습, 문제기반 학습 등이 있으며, 교

수ㆍ학습 과정을 통해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은 강의, 토의, 실험, 조사, 견학, 인터

넷 검색, 과제 연구, 컴퓨터를 활용한 실험, 멀티미디어 활용 등이 있다.

3) 과학 내용 및 과학 내용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자료를 읽고 이를 이용한 과

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첨단과학, 과학사, 과학기술과 과학과 사회, 환경 등에 관련된 서적을 읽도록 권장

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련성을

이해시킨다.

5) 학생들이 의문과 호기심을 일으키도록 하는 일상생활의 과학적 현상 및 문제를 다

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제시하여 학생들이 문제를 인식하도록 한다.

6) 과학 탐구활동으로 모둠학습을 진행할 때는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과학과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진로지도는 현대 사회에서 과학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미래

사회에서 과학의 역할에 대한 예측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과학과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과학 지식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능력과 같은 과학적 역량이 잘

발휘될 수 있는 직업 세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

고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Page 18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83 -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학교

과학

물질과

에너지

∘물체의 무게∘과학도둑-무게

∘과학 운동과 에너지-무게재기

∘물체와 물질∘돌고 도는 물질의 변화

∘숨어있는 원리 과학

∘액체와 기체 ∘못 말리는 과학 방송국

∘소리의 성질 ∘빛과 소리

∘자석의 이용∘자석 수수께께를 풀어라

∘내일은 발명왕

∘혼합물의 분리∘혼합물 분리

∘깜짝놀라는 과학-혼합물

∘거울과 그림자 ∘무엇이 어떻게 보일까요?

∘물의 상태 변화∘물 한 방울

∘지구야 물을 지켜줄게

생명과

지구

∘지구와 달∘지구와 달

∘과학의 힘-지구와 달

∘동물의 한살이 ∘애벌레가 들려주는 나비 이야기

∘동물의 생활∘무당벌레가 들려주는 텃밭 이야기

∘겨울눈이 들려주는 학교 숲 이야기

∘지표의 변화 ∘과학 공화국 지구 법정

∘식물의 한살이∘무당벌레가 들려주는 텃밭 이야기

∘겨울눈이 들려주는 학교 숲 이야기

∘화산과 지진∘화산에서 살아남기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주는 화산 이야기

∘식물의 생활∘내일은 실험왕-식물의 대결

∘신기한 식물일기

∘지층과 화석∘지층과 화석

∘떳다, 지식 탐험대

물질과

에너지

∘온도와 열 ∘오르락내리락 온도를 바꾸는 열

∘용해와 용액 ∘용해와 용액

∘산과 염기∘산과 염기 이야기 33가지

∘산과 염기

∘물체의 빠르기∘달려라 달려 속력

∘힘과 속력이 뭐야?

Page 18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84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학교

과학

물질과

에너지

∘전기의 작용∘만화로 쉽게 배우는 전기

∘What's 전기 속이 보인다

∘여러가지 기체

∘보일이 들려주는 기체 이야기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

∘단단하고 흐르고 날아다니고

∘렌즈의 이용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거울과 렌즈

∘연소와 소화 ∘불과 연소(Why 시리즈)

생명과

지구

∘날씨와 우리 생활∘날씨를 바꾸는 요술쟁이 바람

∘구름 박사님, 날씨 일기 쓰세요?

∘식물의 구조와 기능∘내일은 실험왕-식물의 대결

∘신기한 식물일기

∘태양계와 별∘별가족, 태양계 탐험을 떠나다

∘신나는 태양계 대탐험∘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알기 쉬운 인체의 신비

∘지구와 달의 운동∘지구와 달

∘과학의 힘-지구와 달

∘생물과 환경∘바닷속 생물

∘생물들의 신비한 초능력

∘생물과 우리 생활

∘땅속 생물 이야기

∘꼬물꼬물 세균대황 미생물이 지구를 지켜요

∘소금쟁이가 들려주는 물속 생물 이야기

∘미생물(Why 시리즈)∘계절의 변화 ∘청소년을 위한 환경 교과서

중학교

과학

과학이란 ∘과학이란?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물질과

에너지

∘힘과 운동

∘선생님이 교과서에서 뽑은 힘과 운동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물리의 세계 1

∘속보이는 물리 힘과 운동

∘왜, 건물은 지진에 무너지지 않을까

∘스포츠 속에 과학이 쏙쏙

∘열과 우리 생활

∘화학이 화끈화끈

∘요리로 만나는 과학교과서

∘전통 속에 살아 숨쉬는 첨단과학이야기

∘알고보면 신기한 열의 정체∘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요리로 만나는 과학교과서

∘물질의 구성

∘화학이 화끈화끈

∘재미있는 화학여행

∘겨우 존재하는 것들

∘3일만에 읽는 과학사

∘청소년을 위한 케임브릿지 과학사3

∘빛과 파동

∘과학교사를 위한 빛과 파동

∘소리가 슥삭슥삭

∘눈이 즐거운 물리

Page 18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85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과학

물질과

에너지

∘물질의 특성 ∘보일의 화학노트

∘일과 에너지 전환∘속보이는 물리 힘과 운동

∘줄이 들려주는 일과 에너지

∘전기와 자기

∘일렉트릭 유니버스

∘눈이 즐거운 물리

∘물리선생님도 몰래보는 물리책

∘화학 반응에서의규칙성

∘재미있는 화학여행

∘화학반응 매끄러운 충돌

∘여러 가지 화학 반응∘세상을 바꾼 17가지 화학이야기

∘재미있는 화학여행

생명과

지구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화산이 왈칵왈칵

∘산꼭대기의 과학자들

∘망치를 든 지질학자

∘가족과 함께 떠나는 주말 지질 여행

∘광합성

∘엥겔만이 들려주는 광합성 이야기

∘전훅이 들려주는 세포이야기

∘철없는 전자와 파란만장한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인류씨 이야기

∘수권의 구성과 순환 ∘해변의 과학자들

∘기권과 우리 생활∘하늘의 과학자들

∘소방귀에 세금을

∘소.화․순환․호흡․배설

∘알기쉬운 인체의 신비

∘울렁울렁 위장 꿀꺽꿀꺽 음식

생명과

지구

∘자극과 반응 ∘베버가 들려주는 자극과 반응

∘태양계∘우리는 이제 우주로 간다

∘눈깜짝시의 짜릿한 우주여행

∘생식과 발생∘생물과 무생물 사이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유전과 진화

∘이기적인 유전자

∘일주일 만에 끝내는 카라스마 선생의 생물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떡갈나무 바라보기

∘외권과 우주 개발∘우리는 이제 우주로 간다

∘뒤뜰에서 떠나는 밤하늘 여행

과학과

인류

문명

∘과학과 인류 문명

∘빅뱅우주론

∘과학, 일시정지

∘청소년이 꼭 알아야할 과학 이슈

∘미래를 만드는 한국의 과학자들

Page 19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86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고등학교

과학

우주와

생명

∘우주의 기원과 진화

∘지식채널e 원소 1부-탄생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우주론 강의

∘블랙홀 화이트홀

∘소립자는 무엇인가

∘태양계와 지구

∘태양계와 지구

∘태양계의 모든 것

∘신나는 태양계 대모험

∘생명의 진화

∘이기적 유전자

∘세상의 모든 원소 118

∘주기율표

∘멘델레예프가 들려주는 주기율표 이야기

과학과

문명

∘정보통신과 신소재∘테크놀리지 세계

∘도구와 기계의 원리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유전자 조작 밥상을 치워라

∘기술의 충격

∘에너지와 환경 ∘에너지와 환경

물리Ⅰ시공간과

우주

∘시간, 공간, 운동

∘지식채널e 1초

∘거울 속의 물리학

∘수학 없는 물리

∘물리 튜터리얼

∘친절한 과학사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조선과학 인물열전

∘뉴턴이 들려주는 만유인력 이야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열 가지

∘과학공화국 물리법정 6 운동의 법칙

∘과학공화국 물리법정 7 일과 에너지

∘과학공화국 물리법정 10 상대성 이론

∘천재들의 과학노트 3 물리학

∘천재(리처드 파인만의 삶과 과학)

∘안녕 아인슈타인

∘시간과 공간, 그리고 우주는 어떻게 만들어졌

는가 빅뱅 이전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키워드로 읽는 물리

∘소매치기도 뉴턴은 안다

∘물리법칙으로 이루어진 세상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

∘EBS 아인슈타인과 블랙홀

∘EBS 우주의 신비 블랙홀

∘시공간의 새로운이해

Page 19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87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물리Ⅰ

물질과

전자기장

∘전자기장

∘속보이는 물리-전기와 자기 밀고 당기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열 가지

∘과학공화국 물리법정 9 현대물리학과 양자론

∘천재들의 과학노트 3 물리학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키워드로 읽는 물리

∘물리법칙으로 이루어진 세상

∘현대물리학

∘청소년을 위한 서양과학사

∘물질의 구조와 성질

정보와

통신

∘소리와 빛

∘과학의 발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열 가지

∘과학공화국 물리법정 4 소리와 파동

∘물리법칙으로 이루어진 세상

∘수학 없는 물리

∘기초물리학

∘과학사 X파일

∘EBS 소리의 과학 사운드 디자인의 세계

∘EBS 과학 다큐멘터리 빛, 찬란한 수수께끼

∘EBS 과학 다큐멘터리 마이크로의 세계

∘정보의 전달과 저장

에너지

∘에너지의 발생

∘과학공화국 물리 법정 8 유체의 법칙

∘천재들의 과학노트 3 물리학

∘물리법칙으로 이루어진 세상

∘물리와 함께하는 50일

∘도구와 기계의 원리

∘아르키메데스가 들려주는 부력 이야기

∘물리학 핸드북

∘힘과 에너지의 이용

물리Ⅱ

운동과

에너지

∘힘과 운동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열에너지

전기와

자기

∘전하와 전기장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전류와 자기장

파동과

∘파동의 발생과 전달∘빛이란 무엇인가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빛의 이용

미시세계

양자현상

∘물질의 이중성∘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미래는 결정되어 있는가 : 뉴턴역학과 양자론

의 대결

∘양자역학의 모험∘양자물리

Page 19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88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화학Ⅰ

화학의언어 ∘화학의 언어 ∘고교생이 알아야 할 화학 스페셜

개성있는

원소

∘원자의 구조 ∘오미야 노부미쓰 저, 재미있는 화학상식

(살아있는 112가지 원소에 얽힌)∘주기적 성질

아름다운

분자세계

∘분자 세계의 건축

예술∘페니 르 쿠터 저, 역사를 바꾼 17가지 화학이

야기∘화학 결합

∘분자의 구조

닮은꼴

화학반응

∘산화 환원∘이익모 저, MT 화학

∘산과 염기

화학Ⅱ

다양한

모습의

물질

∘물질의 상태 ∘알기 쉬운 비주얼 화학

∘세상을 바꾼 17가지 화학이야기

∘재미있는 화학여행∘용액

물질

변화와

에너지

∘반응열 ∘클라우지우스가 들려주는 엔트로피 이야기

∘EBS 무릎학교 과학13강 -과학 새로운 관점

-엔트로피∘반응의 자발성

화학

평형

∘평형의 원리 ∘하버가 들려주는 화학 산업 이야기

∘재미있는 화학여행∘평형의 이용

화학반응

속도

∘반응 속도 ∘화학WHY

∘클릭 사이언스23회 생체 화학반응의 촉매-효소∘촉매

인류

복지와

화학

∘인류 복지와 화학∘역사를 수놓는 발명 250가지

∘신재생 에너지

생명과학Ⅰ

생명과학의

이해∘생명 과학의 이해 ∘거의 모든 것의 역사

세포와세포의연속성

∘세포와 세포분열∘멘델이 들려주는 유전이야기

∘이기적 유전자

∘이중나선

∘다윈지능∘유전

항상성과

건강

∘생명활동과 에너지∘하리하라의 생물학카페

∘소화: 위대한 드라마∘항상성과 몸의

조절

∘방어 작용

자연속의

인간

∘생태계의 구성과기능 ∘마을, 생태가 답이다.

∘지구를 살리는 50가지 방법∘생물의 다양성과환경

Page 19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89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생명과학II

세포와

물질 대사

∘세포의 특성∘세포의 모든 것

∘엥겔만이 들려주는 광합성 이야기∘세포와 에너지

유전자와

생명 공학

∘유전자와 형질발현

∘하리하라의 바이오사이언스

∘유전 공학과 복제

∘이타적 유전자∘생명 공학

생물의진화

∘생명의 기원과다양성 ∘종의 기원

∘마이크로 코스모스∘진화의 원리

지구과학Ⅰ

소중한

지구

∘행성으로서의 지구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 답사기

∘한반도 30억년의 비밀∘지구의 선물

∘아름다운 한반도

생동하는

지구

∘고체 지구의 변화∘세계를 움직인 과학의 고전들

∘이야기로 떠나는 지구기행

∘노벨상과 함께 하는 지구 환경의 이해

∘한반도 30억년의 비밀∘유체 지구의 변화

위기의

지구

∘환경 오염∘청소년을 위한 환경교과서

∘기후변화 교과서∘기후 변화

다가오는

우주

∘천체 관측∘코스모스

∘별을 따라간 사람들

∘노벨상과 함께 하는 지구 환경의 이해

∘KBS 여름다큐 - 태양계의 신비∘우주 탐사

지구과학Ⅱ

지구의구조와

지각의물질

∘지구의 구조 ∘가족이 함께 떠나는 주말 지질여행

∘손영운의 우리 땅 과학답사기

∘EBS 과학혁명의 이정표∘지각의 물질

지구의

변동과

역사

∘지구의 변동 ∘한탄강 지질 탐사 일지

∘줄무늬 지구과학

∘새로운 지구사

∘최신 지구학

∘대륙은 살아있다

∘2011 킬라우에아 화산

∘베게너 무덤에서 부활하다

∘지구의 역사

∘우리나라의 지질

Page 19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90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지구과학Ⅱ

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대기의 운동과

순환

∘아름다운 바다-BBC 자연다큐멘터리1∘해수의 운동과

순환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천체와

우주

∘별의 특성∘코스모스

∘교양으로 읽는 과학의 모든것 2

∘우주로의 여행Ⅰ,Ⅱ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우주론 강의

∘최초의 3분

∘아시모프의 천문학 입문

∘별 헤는 밤 천문우주실험실

∘허블과 아인슈타인의 한판승부

∘스티븐 호킹의 블랙홀 이론 수정

∘EBS 과학혁명의 이정표

∘우리 은하

∘은하와 우주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과학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 위주의 평가를 지양하고, 과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탐구 활동 수행 능력과 학생의 비판성, 개방성, 정직성, 객관성, 협동성 등 과학적 태도

와 의사소통능력, 일상생활의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형성을 알

아보는 데 중점을 둔다.

2) 다양한 자연 현상에 관련된 기본 개념에 통합적인 이해 정도를 평가한다.

3) 창의지성교육과 연계하여 학생의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학생이 진로 의식을 완

성해 가는 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나. 평가 방법

1)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선다형, 서술형, 보고서 작성,

논술형, 실험활동 평가, 구술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관찰, 면담 등의 다양한 방법

을 활용한다.

2) 기획력과 과정, 논리를 중시하는 지식 창조의 논술형 평가와 교사별 평가가 이루어

지도록 한다.

Page 19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91 -

3) 과학적 문제 상황 해결을 위해 그룹별로 토론한 내용이나 개인적인 생각을 보고서

로 정리, 요약하게 하여 평가한다.

4) 창의지성교육을 위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과학 학습 참여의 적극성,

협동성,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태도, 창의성 등 학습 수행 과정을 평가하는

수행평가의 반영 비율을 높인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 수준, 의사소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발달 정도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2) 학생 스스로 배움의 주체가 되어 배움에 대한 전․중․후에 대한 자기평가를 통해

지식의 창조 정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평가를 통해 주어진 답을 찾

는 것이 아니라 보다 깊고 넓은 자기 생각을 만들도록 한다.

3) 평가 결과를 통해 얻은 다양한 산출물 들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진학․진로 자료

로 활용한다.

Page 19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19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93 -

실과(기술ㆍ가정)

1 실과(기술․가정) 핵심역량

가. 생활 속 경험을 통한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1) 개념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를 ‘가정생활’과 ‘기술의 세계’에 근거한 실천적 경험

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 실생활에 적용 및 실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다원화된 가정생활과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기반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창의

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생활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사람은 이론

적 지식만을 가진 사람보다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

역량은 우리 모두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며, 이 역량의 신장은 스스로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실과(기술ㆍ가정)는 사회, 문화, 역사, 과학, 예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환경과 밀접한 관

계를 맺으며 상호작용을 하는 실천교과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다양한 가정생활과 일, 그리

고 혁신적인 기술의 변화를 이해하고 체험함으로써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스스로 생각

하고 직접 해결 및 실천하는 창의적인 문제해결자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개인과 가족이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 상황 속에서 바람직한 행동 양식을 선택하고

실천,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실천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급변하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창의적인 사고와 함께 기술적 문제해결 능

력 또한 반드시 필요하며 다양한 발명적 사고, 아이디어의 구체화, 디자인 및 설계 과정을

통해 그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래 핵심역량인 문제해결능력은 학습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 속

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적 행동방식이며 체험 활동, 문

제해결 학습 등과 같은 과정 중심 교육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가)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상황적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것으로 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과 직접

적으로 연관된다.

Page 19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94 -

나)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확산적이고 생산적인 새

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으며 그 과정 속에서 비판적 사고력

을 함양할 수 있다.

다) 학습자 스스로 책임을 지고 자신의 학습과정을 주관함으로써 자신에게 유의미한

지식을 구성하고 기술적 소양 능력을 습득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라)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문제를 직접 체험하고 실천함으로써 자신의 적성 및 소질을 계발

할 수 있기에 진로개발 능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가정영역은 자신과 가족이 접하는 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며, 기술영역

은 실천적이고 생산적인 학습 경험을 통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나) 창의융합교육(STEAM)을 실생활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교과 내용을 재구조화 하

며, 이를 통해 융합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한다.

다) 학습자 스스로 실생활에 유용한 제품을 창안하고 설계하고 디자인함으로써 정보

수집,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 수집, 의사 결정 등의 능력을 배양한다.

라) 아이디어 창출과 구상, 입체 투상법, 확산적 사고 기법 등 문제해결 활동의 과정

을 알고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한다.

마) 실험ㆍ실습, 조사, 사례연구 등 학생중심의 활동을 제시하여 직접 체험을 통해 정

보를 수집, 처리, 분석하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표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한다.

바) 학습자의 체험활동을 중시하고 학교 행사, 지역사회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견학, 지역 인적자원의 활용, 전시회 관람 등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사) 학습 소재나 실습 재료는 생활 속에서 찾아 습득한 지식과 기능을 일상생활에 적

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초학습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을 바탕으로 한 창

의력,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나. 자립적인 생활을 위한 통합적 자기관리능력

1) 개념

지속가능한 삶을 기획하고 성취하기 위해 의․식․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신의 행동을 절

제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자립적인 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때

자립적인 생활이란 개인과 가족은 물론 사회 공동체 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윤리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Page 19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95 -

자신의 삶을 어떤 모습으로,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것인가는 자신을 어떻게 관리

하느냐에 달려 있다. 최근 저출산․고령 사회, 다문화 사회, 환경 및 에너지 문제 등 가족과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현재와 미래의 가정생활의 변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며,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기술적 소양인을 기르는 학습 경험의 효과가 높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스스로 기획하고, 행동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기술․가정교과를 통해 ‘자립적인 생활을 위한 통합적 자기관리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

은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확립, 건강한 가족 및 친구관계 형성, 자신과 가족, 환경을 배려한

의․식․주․소비생활, 시간 및 스트레스 관리, 가족생활과 일․여가생활의 조화, 기술적 문

제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등과 관계가 깊다.

통합적 자기관리능력은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 강․약점 등을 분명하게 인식하

고 (자아정체성 확립),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욕구 충족뿐만 아니라 가족과 환경을 배려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계획을 세워 추진하며(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 스스로 행동을 절제

하고 생활을 관리하며(의․식․주․소비생활, 시간 및 스트레스 관리, 가족생활과 일․여가

생활의 조화), 이를 반성하며 피드백하는 과정을 통해 함양할 수 있다. 즉, 자기평가, 자기

기획, 자기관리, 피드백 등의 과정을 통해 통합적 자기관리능력을 향상시켜 현재와 미래에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가) 현재와 미래의 가정, 학교,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기 스스로 행동

을 절제하고 생활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으로 비판적 사고과정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나) 실생활에서 당면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자기관리 및 자립적 생활 능

력을 향상시키므로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력, 건설적 생산능력, 문화적 창조력과

연관된다.

다) 개인, 가족은 물론 자연환경 및 사회 환경의 요구를 함께 충족시킬 수 있는 자기

관리능력은 민주적 시민가치와 책무성과 연관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다양한 특성을 가진 인물들이 등장하는 소설이나 전기를 읽고 타인의 자기관리 모

습을 비교․평가해 보게 한다.

나) 의․식․주․소비생활, 시간 및 스트레스 관리, 가족생활과 일․여가생활의 조화,

기술적 문제에 대한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학습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한다.

다) 자신과 가족, 환경을 배려하는 의․식․주․소비생활은 가정 및 지역사회에서 체험

Page 20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96 -

적으로 적용하게 하고 그 결과를 평가에 반영하여 생활에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라) 학습자들의 경험과 요구를 바탕으로 기초적인 개념과 원리를 간단하고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의 순서로 학습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고 관리하

는 능력을 배양하게 한다.

마) 평소 자신의 생활이 자신과 가족,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판적 사고

과정을 통해 점검해 봄으로써 ‘자립적 생활을 위한 통합적 자기관리능력’을 기르게

한다.

다. 생애 발달 단계에 따른 자기주도적 진로개발능력

1) 개념

체험적 노작 활동을 통해 일과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고, 자신과 직업 세

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생애 발달 단계에 따른 자신의 진로를 주도적으로 탐색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단기적 기술 및 기능 중심의 능력이 아닌 창의성이 뒷받

침된 새로운 능력으로 생활 속의 체험적 활동을 통해 장래에 대한 진로를 스스로 계획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생활 속에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체험을 경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특성을 파

악하여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탐색하고 선택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진로개발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자기주도적 진로개발능력은 기술 혁신 등 급격한 사회변화를 보일 것으

로 전망되는 미래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핵심역량을 갖춘 인

재로 성장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 역량의 함양을 위해서

첫째, 일과 직업의 의미와 중요성 이해하고, 다양한 노작적 체험활동과 학습을 통해 직

업 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하고, 일과 직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기른다.

둘째,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스로 진로를 탐색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하고, 이

를 통해 자신의 발달 단계에 맞는 진로 설계 및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자기주도적 진로개발능력은 창의지성에서 강조하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밀접

히 관련되어 있으며,

가) 창의지성교육은 단기적 기술 및 기능중심의 진로교육이 아니라 창의성에 뒷받침

된 새로운 진로교육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계 및

사회의 핵심적 흐름과 인생의 의미를 이해하고, 스스로의 진로와 직업을 개척하

는 실천적 인간을 기를 필요가 있다. 실과(기술・가정)는 생활 속의 실천적 문

제를 자기관리능력을 바탕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폭넓은 경험을 제공해 주게

Page 20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97 -

된다.

나) 미래 사회는 평생학습사회로 변화될 것이며, 학생들은 삶의 모든 장면에서 학습

을 하게 되고, 스스로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직업을 탐색하게 된다. 실과

(기술・가정)는 가정과 기술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직업을 소개하고, 관련 분야

의 활동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노력하는 능력은

창의지성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인 자기주도 학습능력과도 직접 관련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실과는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많은 직업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하며, 배움 과정에서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이해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진로교육의 핵심 교

과이다.

가) ‘실과’ 영역에서는 일과 직업의 의미 및 중요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직업의 세

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프로젝트법 등 생활 및 현장 중심의 통합적인 교수ㆍ학

습 지도를 통해 지속적인 동기 유발과 자기 주도적 학습이 되도록 안내할 필요

가 있다.

나) ‘가정’ 영역에서는 청소년기의 적성에 맞는 미래의 진로 탐색에 초점을 두고 지도

하되, 생애주기 관점과 경제적 자립 관점을 중심으로 자신의 생애를 설계하여 봄

으로써 자기주도적 진로개발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기술’ 영역에서는 미래 기술과 우리 사회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미래 기술이 개

인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며 미래 기술의 직업 세계를

탐색하는 한편 미래 지향적이며 지속가능한 자기 계발과 산업 발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핵심적인 가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Page 20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198 -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계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초등학교5학년≀

6학년

나와 가정생활∘나의 성장과 가족

∘가정일과 가족원의 역할

∘사회-사회변화와 우리 생활

∘도덕-소중한 나

∘도덕-화목한 가정

∘체육-가족과 여가

나의 균형 잡힌

식생활

∘나의 영양과 식사

∘건강 간식 만들기∘체육-건강 활동-건강과 신체발달

나의 자립적인

의생활

∘건강하고 안전한 옷차림

∘스스로 하는 옷 관리

∘도덕-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는 삶

∘체육-건강과 생활습관

쾌적한 주거와

생활 자원 관리

∘주거 공간과 생활 자원

관리

∘용돈과 시간 관리

∘사회-우리지역, 다른 지역

∘사회-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국토

∘미술-표현-조형 요소와 원리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

∘건강하고 안전한 식사

∘음식 만들기와 식사 예절∘체육-건강활동-건강과 신체발달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생활 속 헝겊 용품 만들기

∘환경과 나눔의 생활 용품

만들기

∘미술-체험-소통-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미술 찾아보기

생활과 기술∘기술과 발명의 기초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사회-달라지는 생활모습

∘과학-소리의 성질

∘과학-혼합물의 분리

∘과학-렌즈의 이용생활 속의

동식물

∘인간 생활과 동 식물

∘동 식물 자원과 환경

∘도덕-생명의 소중함

∘과학-생물과 환경, 생물과 우리 생활

생활과 정보

∘정보 기기와 사이버 공간

∘멀티미디어 자료

만들기와 이용

∘사회-정보화,세계화 속의 우리

∘사회-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과 생활모습

∘도덕-인터넷 예절, 정보 사회에서의

올바른 생활

∘과학-날씨와 우리 생활

∘국어-매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발표하기

생활과

전기․전자

∘전기 전자의 이용

∘로봇의 이해∘과학-전기의 작용, 자석의 이용

생활 속의

동식물의 이용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

∘과학-동물의 한 살이

∘과학-동물의 생활

∘과학-식물의 생활

나의 진로∘일과 직업의 세계

∘진로 탐색과 진로 설계

∘사회-사회변화와 우리 생활

∘사회-경제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도덕-성실한 생활

∘도덕-자긍심과 자기계발

Page 20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199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1학년

3학년

청소년의 이해∘청소년의 발달

∘청소년의 성과 친구 관계

∙도덕-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도덕-우리․타인과의 관계

∙일반사회-개인과 사회생활

∙과학-생식과 발생

∙체육-건강과 체력

청소년의 생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구성

∘옷차림과 자기표현

∘주거와 거주 환경

∙도덕-우리․타인과의 관계

∙과학-소화․순환․호흡․배설

∙체육-건강과 환경

청소년의

자기관리

∘청소년의 시간 ․ 스트레스

∘청소년의 소비 생활

∘청소년의 복지 서비스

∙도덕-우리․타인과의 관계

∙체육-사회와 여가

가족의 이해∘변화하는 가족과 건강 가정

∘가족 관계와 의사소통

∘도덕-우리․타인과의 관계

∘도덕-사회․국가․지구공동체

와의 관계

∘국어-듣기․말하기

녹색가정생활의

실천

∘녹색 식생활과 음식만들기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고쳐 입기

∘지속 가능한 주생활과 주거 공간

꾸미기

∘지리-환경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진로와 생애설계

∘진로 탐색과 생애 설계

∘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 복지

서비스

∘도덕-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기술과 발명∘기술의 이해

∘문제 해결과 발명

∘과학-과학과 인류문명

∘사회(일반사회)-경제 생활의 이해

건설 기술과환경

∘건설 기술의 세계

∘친환경 건설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 활동

∘사회(지리)-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정보와 통신기술

∘정보 통신 기술의 세계

∘컴퓨터와 통신기술

∘정보 통신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

활동

∘과학-전기와 자기

∘사회(일반사회)-사회변동과 발전

제조 기술과자동화

∘제조 기술의 세계

∘자동화와 로봇

∘제조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 활동

∘과학-과학과 인류문명

∘과학-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에너지와 수송기술

∘에너지와 동력

∘수송 기술의 세계

∘수송 기술 체험과 문제 해결 활동

∘과학-에너지와 환경

∘사회(지리)-자원의 개발과 이용

생명 기술과미래의 기술

∘생명 기술의 세계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과학-유전과 진화

∘과학-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Page 20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00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

학교

1학년

저출산ㆍ고령

사회와 가족

∘사랑과 결혼

∘부모됨과 자녀 돌봄

∘자립적인 노후생활

∘사회문화-일상생활과 사회제도

∘보건-선택과 안전

∘법과 정치-개인생활과 법

∘인간발달-인간 발달 단계

∘생활과 윤리-생명ㆍ성ㆍ가족윤리

가족이 여는행복한

가정생활문화

∘건강가정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배려와 나눔의 의식주 생활

∘사회ㆍ문화-문화와 사회

∘세계 지리-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여행

∘환경과 녹색성장-환경과 인류의 삶

∘생활과 윤리-문화와 윤리

기술혁신과

설계

∘기술 혁신과 발명

∘창의 공학 설계

∘음악-표현(창조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미술창작-분석과 적용

미래기술과

사회

∘미래 기술의 세계

∘미래 기술과 사회

∘융합적 문제해결 체험 활동

∘고급생명과학-생명 공학의 기술과

응용

∘생활과 윤리-사회윤리와 직업윤리

∘음악과 진로-음악의 진로와 특성

∘미술문화-미술의 확장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진로와의 연계 지도

실천 교과의 성격을 가진 실과(기술·가정)는 창의적 노작 활동을 통해 일과 관련된 의미를

찾고, 기초적인 생활 지식과 능력을 길러 스스로 삶을 책임감 있게 영위하는 실천 활동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생애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진로를 계획할 수 있도록 발달

단계에 맞는 연계 지도가 필요하다. 진로를 계획하고 스스로의 삶을 책임감 있게 영위할 수

있도록 노작활동 등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일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단원에

맞는 진로 요소를 추출한 후 일화, 성공 사례, 진로 자료 등을 활용하여, 자기 탐색의 기회를

갖게 하고 스스로 진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일과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진로를 설계하는

등 의미 있는 삶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20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01 -

나.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자료

초등

학교

5학년

≀6학년

나와가정생활

∘나의 성장과 가족

∘가정일과 가족원의 역할

∘어린이를 위한 리더십∘세상을 뒤흔든 31인의 바보들∘몽실언니∘가까울수록 존중해야지(가족)

나의균형잡힌식생활

∘나의 영양과 식사

∘건강 간식 만들기

∘지구마을 어린이 요리∘내 몸 사용 설명서∘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쌀 이야기∘피라미드 식단

나의자립적인의생활

∘건강하고 안전한 옷차림

∘스스로 하는 옷 관리

∘금발이 너무해 (해로운 화학물질에서 자신을구하는 환경동화: 의생활 편)』)

∘코코 샤넬

쾌적한주거와생활자원 관리

∘주거 공간과 생활 자원

관리

∘용돈과 시간 관리

∘어린이를 위한 시간 관리의 기술∘우리 조상들의 의식주 이야기∘숨 쉬는 도시 꾸리찌바

건강한식생활의

실천

∘건강하고 안전한 식사

∘음식 만들기와 식사 예절

∘맛있는 정크푸드 왜 몸에 나쁠까요?∘위대한 쌀과 밥∘지구마을 어린이 요리책

창의적인의생활의

실천

∘생활 속헝겊용품 만들기

∘환경과 나눔의 생활

용품 만들기

∘WHY 옷과 패션

생활과기술

∘기술과 발명의 기초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미래의 기술∘세상을 바꾼 100가지 공학기술∘루이 브라이∘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메이징 하우스∘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

생활속의동식물

∘인간 생활과 동 식물

∘동 식물 자원과 환경

∘어린이를 위한 아마존의 눈물∘샬롯의 거미줄∘생명이 숨 쉬는 숲

생활과정보

∘정보 기기와 사이버 공간

∘멀티미디어 자료

만들기와 이용

∘21세기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생활과전기․전자

∘전기 전자의 이용

∘로봇의 이해

∘슝 달리는 전자 흐르는 전기∘전기와 자기∘재미있는 전기 자기 이야기∘전기전자 WHY?

생활속의동식물의이용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

∘어진이의 농장일기∘식물도감, 동물도감∘애완동물 기르기

나의진로∘일과 직업의 세계

∘진로 탐색과 진로 설계

∘10살에 떠나는 미래 세계 직업 대탐험∘존 아저씨의 꿈의 목록∘세상 모든 탐험가의 탐험 이야기∘열 살에 꿈꾸면 좋은 것들∘갈매기의 꿈∘해저 2만리

Page 20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02 -

구분 영역 내용 읽기자료

중학교

1학년

3학년

청소년의

이해

∘청소년의 발달

∘청소년의 성과 친구 관계

∘오체불만족

∘청소년의 성, 알파와 오메가

∘왕따

청소년의

생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구성

∘옷차림과 자기표현

∘주거와 거주 환경

∘색, 색을 먹자

∘섬유이야기

∘세계의 주택과 실내 디자인

청소년의

자기관리

∘청소년의 시간 ․ 스트레스

∘청소년의 소비 생활

∘청소년의 복지 서비스

∘시간을 파는 상점

∘워렌버핏, 마음이 따뜻한 부자가 되라

가족의

이해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 가정

∘가족 관계와 의사소통

∘엄마 사용법

∘완득이

∘돌다리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녹색 식생활과 음식만들기

∘친환경적의생활과옷고쳐 입기

∘지속 가능한 주생활과

주거 공간 꾸미기

∘녹색 시민 구보 씨의 하루

∘가족식사의 힘

∘미래를 여는 소비

진로와 생애

설계

∘진로 탐색과 생애 설계

∘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

복지 서비스

∘무엇이 될까보다 어떻게 살까를 꿈꿔라

∘준비하는 10대의 미래 선택

기술과

발명

∘기술의 이해

∘문제 해결과 발명

∘생각의 탄생

∘아름다움의 발명

∘테크놀로지의 세계1

∘상식밖 문명의 창조자들 2

건설기술과

환경

∘건설 기술의 세계

∘친환경 건설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 활동

∘세상을 바꿀 한국의 27가지 녹색 기술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미래를 여는 건축

∘테크놀로지의 세계 3

정보와 통신

기술

∘정보 통신 기술의 세계

∘컴퓨터와 통신기술

∘정보 통신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 활동

∘제3의 물결

∘테크놀로지의 세계2

제조

기술과

자동화

∘제조 기술의 세계

∘자동화와 로봇

∘제조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 활동

∘로봇 세계에서 살아남기

∘테크놀로지의 세계2

∘아이로봇

에너지와

수송기술

∘에너지와 동력

∘수송 기술의 세계

∘수송 기술 체험과 문제

해결 활동

∘신재생에너지

∘테크놀로지의 세계2

∘바람과 물과 태양이 주는 에너지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생명 기술의 세계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유전공학과 복제

∘생명과 진화

∘테크놀로지의 세계 3

Page 20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03 -

구분 영역 내용 읽기자료

고등

학교

1학년

저출산ㆍ고령사회와

가족

∘사랑과 결혼

∘부모됨과 자녀 돌봄

∘자립적인 노후생활

∘텅빈 요람

∘사랑의 기술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부모와 자녀가 꼭 함께 읽어야 하는 시

∘부자 아빠의 자녀 교육법

∘성공하는 10대들의 7가지 습관

가족이 여는행복한

가정생활문화

∘건강가정과 지속가능

한 소비생활

∘배려와 나눔의 의식주

생활

∘음식을 바꾼 문화 세계를 바꾼 음식

∘문화로 읽는 세계사

∘불편한 진실

∘과자 내 아이를 해치는 달콤한 유혹

∘자연을 담은 소박한 밥상

∘희망의 밥상

∘세계의 환경도시를 가다

기술혁신과설계

∘기술 혁신과 발명

∘창의 공학 설계

∘우리시대 기술혁명

∘도구와 기계의 원리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가?

∘진화하는 테크놀로지

∘세계를 바꾼 100가지 공학기술1,2,3

미래기술과사회

∘미래 기술의 세계

∘미래 기술과 사회

∘융합적 문제해결 체험

활동

∘기술의 대융합

∘다시 기술이 미래다

∘공학기술과 인간사회

∘깜짝 아이디어(미래기술편)

∘국가대표 공학도에게 진로를 묻다

다. 교수․학습 방법

1) 학생들의 발달단계, 학습수준, 관심, 흥미 등을 고려한 학생 중심 활동으로 교수

ㆍ학습 계획을 계획하고,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학생 중심 활동으로

전개하며, 학생들이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통합적 자기 관리능력, 자기주도적 진

로개발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2) 학습 소재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생동감 있는 사례를 찾아 활용하고, 실습 재료는

실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수업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능을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교 및 일상생활에서 실천 할 수 있

는 다양한 소재와 내용을 선택하여야 하며, 실험 및 실습 등 활동 중심의 학습과

정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수집, 의사 결정 능력 등을 통합적으로 기를 수 있

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4) 통합적 자기관리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제가 일어난 맥락이나 상황을 고려하

여 지식, 기능, 가치 판단력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Page 20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04 -

지도한다. 특히 학습자가 탐색의 과정을 거쳐 실천한 행동이 자신과 타인 및 사

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봄으로써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와 관련된 의사 결

정에 도움이 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5) 진로 개발 능력은 지역 인사 방문 및 산업체 탐방 활동을 통해 자신의 특성 및

적성에 맞는 일을 탐색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학

습자는 자신의 생활과 일을 조화롭게 양립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 및 생활 역

량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6) 저출산·고령 사회 대비 교육, 건강 가정교육, 양성 평등 교육, 진로 및 적성 계발

교육, 녹색 성장 교육, 기술·과학·공학·예술·수학간 통합 교육, 최첨단 미디어 활

용 및 정보 교양교육, 안전 교육 등 범교과 영역에 대해 관련 영역과 내용이 충

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7) 자기 주도적 진로개발능력을 길러야 하는 실과(기술·가정) 특성상 진로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영역별로 차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한다.『나의 진로』에서는 다양한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여 보고,

『진로와 생애 설계』에서는 자신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

고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미래 기술과 사회』에서는 미래 직업세계를 이

해하고 온라인, 신문, 방송, 현장 체험학습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직업 세계

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8) 실험 실습, 조사, 토의 등 활동 중심, 사례 중심의 교수ㆍ학습 지도 방법을 선택

하고, 학생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활동 계획을 세워 실행할 수 있는 과제를 포

함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실습 활동이나 협동 학습으로 상호 협력의 중요성을 인

식하도록 지도한다.

9) 기계, 도구 및 기구, 설비나 용구 등의 정확한 사용 방법과 안전 및 유의사항을 숙

지하도록 한 후 실험․실습 활동을 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기술․가정과 핵심역량과 평가

1) 실험ㆍ실습을 수행하는 능력, 인지하고 있는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려는 실천적 태

도, 당면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2) 자신과 가족, 환경을 배려하는 생활을 통해 가정생활이 자립적으로 영위될 수 있도

록 자기관리능력을 실생활에 적용해 보게 하고, 기초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용하여

기술과 관련된 문제를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관리 능력 등을 종합

Page 20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05 -

적으로 평가 한다.

3) 생활 속의 체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직업 세계를 탐색하고, 자신의 특성

을 파악하여 생애 단계별 진로 계획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한다.

나. 평가의 방향

1)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근거로 평가하되, 점수를

산출하는 양적 평가와 수량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질적 평가를 적절하게 활용

하도록 한다.

2) 양적 평가는 단순 사실이나 지식의 측정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적용력, 분석력, 종

합력, 평가력 등의 고등정신 능력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선다형 문항,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를 개발하여 평가에 활용하도록 한다.

3) 과정 평가의 대표적인 유형인 수행평가는 연구 보고서, 실험․실습 보고서, 포트폴

리오, 토의 및 토론, 창의적인 산출물을 제작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적절히 활용

한다.

다. 평가 방법

1) 실과(기술․가정)교과의 실천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식․기능․태도를 종합적으로 평

가하되 다양한 배경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평가 자료 및 평가 장면을 다양화한다.

2) 지필 중심의 획일적 평가를 지양하고 실제적인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행 능력 중심

의 종합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실험・실습, 포트폴리오, 서술형․논술형 평가,

토의나 토론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3) 성취 기준 및 성취 수준에 근거한 성취 평가를 기반으로 하며, 창의 지성 학습 과

정을 통한 학습자의 능력 변화 과정과 성장에 주안점을 둔 성장 참조형 수행평가를

적용하도록 한다.

4) 모둠별 과제를 수행하는 평가 시에는 행동실천력, 책임감과 협동 등의 인성적 요소

와 집단사고를 통한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 자기관리능력 등의 창의성 요소를

함께 기를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선정한다.

5) 수행 능력 중심의 평가를 위해 평가 시기는 수업 전, 수업과정, 수업 후로 구분하

여 평가하고 평가 주체를 다양화하여 평가에 대한 참여를 높이고 평가 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는 배움 중심 수업 환경을 조성한다.

6) 수행 능력 중심의 평가는 계속적・분석적・개별적・객관적이어야 하는데,

- 계속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포트폴리오의 적용을 통해 평가결과나 자료를 정리하여

평가 하도록 하고,

- 분석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한 가지 평가과제가 아닌 다양한 과제의 평가와 종합된

Page 21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06 -

과제를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 개별화된 평가를 위해서는 각 개인의 자기평가 보고서, 설문지, 관찰, 면접, 일화

기록법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 객관적이고 정확한 수행행동을 관찰하기 위해서 체크리스크, 평정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7) 서술형 평가는 ‘가정생활’ 및 ‘기술의 세계’와 연관된 실제적인 소재를 구성 요소로

고루 활용하고 단편적인 지식의 암기여부가 아니라, 기초가 되는 개념적 지식을 충

분히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다.

8) 논술형 평가는 개념적 지식을 논리적으로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현

상을 어느 정도 깊이 있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고 실제적인 상

황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해결과정을 활용하여 답안을 구성하도록 응답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라.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능력의 변화 과정 및 성장 정도를 파악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2) 평가 과정 및 결과를 통해 얻은 다양한 산출물들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진학•

진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3) 평가 결과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가 획득된 지식을 스스로 재구성해 나갈 수 있는

배움중심수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며, 교수ㆍ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도 개

선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21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07 -

체육과

1 체육과 핵심역량

가. 건강한 생활을 위한 자기관리능력

1) 개념

‘건강한 생활을 위한 자기관리능력’은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 자신에게 맞는

신체활동 및 스포츠 활동을 계획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체육교육에서는

행복한 미래사회를 영위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건강의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신체활동과

스포츠활동을 통하여 체력 및 운동능력을 기르는 것은 바람직한 품성과 사회성을 갖추어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살아가는데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한 생활을 위해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자기관리능력은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에게 꼭 필요한 핵심

역량이라 말할 수 있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개인의 신체적․정신적인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신체활동을 계획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 감정 조절, 인내력, 건강관리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창의지성역량에서 강조하고 있는 통찰력과 상상력 그리고 창조적 생산을 지향하는 문화적

능력은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기반이 될 때 보다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미래 역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 올바른 식습관과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건강 및 체력을 평가하고 관리하며, 개인 및 사회적 건강 문

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는 창의지성역량의 협력적 문제발견․

해결능력과 관련이 깊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초․중학교 체육의 ‘건강 활동’, 고등학교 운동과 건강생활의 ‘운동과 건강관리’, ‘운

동과 정신건강’ 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는 건강과 관련된 교과 내용 지식을 이해하고

Page 21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08 -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나)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을 계획, 관리, 실천

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다)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해 외모와 신체 이미지 등과 연계하여 신

체활동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라) 건강한 체력과 체격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스스로 계획을 세워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대인관계능력

1) 개념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대인관계능력’은 다양한 신체활동과 여가활용의 체험과 감상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집단 구성원 간의 원만한 관계 맺기를 통해 사회적 상호

의존성을 기반으로 공동 목표를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하여 집단의 공동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즉,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수용함으로써 원만한 관계를 유지

하며, 이러한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대인관계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대인관계능력은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개인의 이익보다는 전체의 목표를 중요시하며 상호협력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스포츠 활동은 정해진 규칙 속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정정당당하게 발현할 수 있을

때 의미가 있다. 대부분의 신체 활동은 2인 이상의 팀 구성원의 관계 속에서 모든 팀원에게

공동체 의식이 요구되며, 팀 구성원이 공동으로 추구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개인의

목표보다는 팀 전체의 목표를 중요시하고 상호 협력의 태도를 강조한다. 이러한 면에서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대인관계능력은 창의지성역량에서 언급하고 있는 타인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함으로써 타인과 효과적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대인관계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또한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는 자신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타인에게 효과적

으로 전달하고, 타인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능력에서 비롯된다고 할 때 창의

지성역량의 의사소통능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Page 21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09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초등학교

3~6

학년

건강 활동

∘건강과 생활 습관

∘건강과 체력 향상

∘건강과 신체 발달

∘건강과 재해 안전

∘도덕-꿈을 실현하기 위한 자기 계발의 방법

∘과학-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과학-사람의 성장과 발달

∘사회-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도전 활동

∘속도 도전

∘동작 도전

∘거리 도전

∘표적/투기 도전

∘과학-물체의 속력

∘도덕-용기 있는 행동의 실천

∘도덕-최선을 다하는 삶

경쟁 활동

∘피하기형 경쟁

∘영역형 경쟁

∘필드형 경쟁

∘네트형 경쟁

∘도덕-올바르게 규칙 지키기

∘도덕-책임을 다하는 삶 이해하기

∘도덕-공정한 생활의 필요성 알기

∘도덕-협동의 중요성 알기

∘도덕-감정을 바르게 표현하고 조절하기

표현 활동

∘움직임 표현

∘리듬 표현

∘민속 표현

∘주제 표현

∘즐․생-여러 나라의 민속춤 감상

∘음악-여러 나라의 노래

∘음악-신체 표현하며 노래 부르기

∘음악-노래를 수화로 표현하기

∘사회-조상들의 민속놀이

여가 활동

∘가족과 여가

∘전통 놀이와 여가

∘생활 환경과 여가

∘자연 환경과 여가

∘사회-오늘날의 여가 생활

∘사회-옛날과 오늘날 여가 생활의 변화

∘사회-계절에 따른 여가 생활

∘사회-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

∘실과-간단한 조리하기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체 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 타인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하여 다른 사람과 효과적이고 조화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이 맡은 역할을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행

하며,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집단의 목표 달

성에 밀알이 되도록 노력한다.

다) 학생들은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이해와 협동

이 중요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라)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이 함양되

고 상호 배움과 나눔이 있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의 관련성

가. 공통교육과정

Page 21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10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건강 활동

∘건강과 환경

∘건강과 체력

∘건강과 안전

∘도덕-인간 존엄성과 인권(양성평등)

∘도덕-청소년 문화와 윤리

∘도덕-환경 친화적인 삶

∘사회-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기술․가정-청소년의 이해

도전 활동

∘기록 도전

∘동작 도전

∘표적/투기 도전

∘과학-힘과 운동

∘과학-소화․순환․호흡․배설

∘과학-일과 에너지 전환

경쟁 활동

∘영역형 경쟁

∘필드형 경쟁

∘네트형 경쟁

∘과학-힘과 운동

∘과학-일과 에너지 전환

표현 활동

∘심미표현

∘현대표현

∘전통표현

∘음악-세계 여러 나라의 춤곡

∘음악-우리나라의 춤음악

여가 활동

∘사회와 여가

∘자연과 여가

∘지구촌 여가

∘사회-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나. 선택교육과정(고등학교)

구분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운동과

건강

생활

∘운동과 건강 관리

∘운동과 체격

∘운동과 체력

∘운동과 정신건강

∘기술․가정-진로 탐색과 생애 설계

∘기술․가정-건강가정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사회-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도덕-타인 존중의 태도

스포츠

문화

∘스포츠 정신 문화

∘스포츠 경기 문화

∘스포츠 축제 문화

∘사회-문화의 이해와 창조

∘사회-일상생활과 법

∘사회․문화-문화의 의미, 문화의 요소, 문화의 기능,

문화를 보는 관점, 문화 변동, 문화의 세계화

∘도덕-청소년 문화와 윤리

∘도덕-문화의 다양성과 도덕

스포츠

과학

∘스포츠 과학의 발달

∘스포츠의 과학적 원리

∘스포츠 과학의 적용

∘물리Ⅰ-뉴턴 운동법칙, 운동량과 충격량, 중력의

발견, 힘의 평형성과 안정성, 유체의 법칙

∘물리Ⅱ-힘과 운동법칙, 운동량 보존

∘생명과학Ⅰ-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의 통합,

신경계의 기능, 자극과 반응의 경로, 근수축 운동,

체온조절,

∘생명과학Ⅱ-ATP

Page 21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11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학생들이 신체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신체활동이 구현하는 다양

한 가치를 체험하고 학습하도록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며 협력적 문제발견․

해결력을 증진하도록 지도한다.

2) 학생들이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정의적 영역의 잠재적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한다. 타인에 대해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갖고,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인식하며, 규칙을 준수하는 민주시민 의식을 함양한다. 또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협동심의 중요성,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 나 전달법의 대화능력 등과 같은

대인관계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신체 활동과 관련된 모든 문화의 중요성을 지각하고 바람직한 문화적 행동 양식을

습득하며, 이를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신장과 함께, 비판적사

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지성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신체 활동을 제공하며, 창

의지성과 관련된 교육 요소들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계획, 준비하여 실천할 수 있

는 교수․학습 환경을 조성한다.

5) 신체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선행 경험, 흥미, 운동 수준, 체력, 성차, 학습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한다. 체육 수업에서 소외되는 학생들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과제 형태와 난이도를 달리한 교수․학습 활동을 조직하거나

재구성하여 동일 과제에 대한 목표 수준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6) 신체 활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인 활동을 통합하여

운영한다. 즉, 신체 활동의 가치를 학습하기 위해 신체 활동에 직접적인 참여와 읽

기, 글쓰기, 감상하기, 조사활동, 토론 등과 같은 간접적인 학습 활동을 병행하여 운

영한다.

7) 학습 내용을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파악하고, 주어진 과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

록 자기주도적 학습을 장려한다.

8) 각 학교 및 지역 사회의 환경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수업 모

형, 교수․학습 전략, 학생관리기법, 수업 기법, 교육용․기구 등을 선정하여 적용한

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나 교사 수준에서 교수․학습 방법을 창의적으로 변용하여

적용한다.

Page 21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12 -

나. 진로와의 연계 지도

최근 사회에는 스포츠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며 자기 건강관리를 실천하는 사람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육관련 직업이 과거에 비해 다양해지고, 앞으로도 그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체육에서도 관련 분야의 다양한 진로를

소개하여 타고난 재능과 적성을 찾아주고, 자신의 건강관리 및 사회 체육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1) 초등학교 체육계열 진로 교육은 운동선수 및 체육과 스포츠관련으로의 진학, 취업,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안내를 통해 체육 분야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진로 개척

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중․고등학교 체육계열 진로 교육은 운동선수로서의 진로뿐만 아니라, 체육교육자,

경기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등의 진로와 체육행정가, 체육과학자 등의 다양한 진

로를 안내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대학 진학과 관련하여

체육 선택교과 및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3) 체육계열 분야의 직업은 대부분 사람의 신체활동을 통한 상호작용이 주 활동이므

로, 운동의 생활화를 통한 자기 관리 및 실천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 인내심,

배려심, 협동심 등의 긍정적인 마인드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

1) 공통교육과정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학교

3~6

학년

건강 활동

∘건강나라 식품

∘건강하려면 습관을 바꿔라

∘http://www.youtube.com/let.s play

도전 활동∘초등 과목별 독서비법

∘시사논술 개념사전

경쟁 활동∘우나우벤으로 가는 편지

∘나는야 열 살 시장님

표현 활동

∘신체표현활동

∘동화중심 표현활동을 통한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http://www.youtube.com/오슬로왈츠

여가 활동

∘철학 스캔들

∘여가활동

∘http://www.youtube.com/뉴스포츠

Page 21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13 -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1~3

학년

건강

활동

∘건강한 삶을 위한 운동처방 기초∘웰니스를 위한 맞춤 운동∘생활과 과학∘약물중독∘올바른 식생활∘운동과 건강∘건강한 삶을 위한 운동∘보건복지부건강길라잡이(http://www.hp.go.kr)∘한국건강관리협회 (http://www.kahp.or.kr)∘한국환경교육협회(http://www.greenvi.or.kr)∘한국영양협회(http://www.kns.or.kr)

중학교

1~3

학년

도전

활동

∘수영아카데미

∘육상경기 지도의 이론과 실제

∘운동역학

∘사진과 그림으로 만나는 기계체조

∘국민생활체육회(http://sportal.or.kr)

∘대한체조협회(http://www.gymnastics.or.kr)

∘대한수영연맹(http://www.swimming.sports.or.kr)

∘대한 육상경기연맹(http://www.kaf.go.kr)

∘전국체육교사모임 (http://mom.eduhope.net)

경쟁

활동

∘게임수업의 새로운 접근

∘체육과 스포츠의 역사

∘농구의 탄생-그 역사와 에피소드

∘스포츠로 배우는 과학

∘스포츠 속에 과학이 쏙쏙

∘체육시간에 과학 공부하기

∘국민생활체육회(http://sportal.or.kr)

표현

활동

∘줄넘기 백과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봉산탈춤

∘무용교수법과 교육과정 설계

∘민속무용의 이론과 실제 - 세계 여러 나라의 포크댄스

∘대한줄넘기 협회 (http://www.jumprope.co.kr)

∘봉산탈춤보존회 (http://www.bongsantal.com)

∘대한댄스스포츠협회 (http://www.koreada.org)

∘대한체조협회 (http://www.gymnastics.or.kr)

여가

활동

∘현대여가와 레저 생활

∘디스크 골프 소개 및 기초 배우기

∘전통놀이를 활용한 여가 문화 콘텐츠 개발 방향 및 정책 방향

∘여가활동과 정서

∘한국플라잉디스크협회 (http://www.flyingdisc.or.kr)

∘에듀넷(http://www.edunet4u.net)

∘국민생활체육회(http://sportal.or.kr)

Page 21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14 -

2) 선택교육과정

구분 읽기 및 영상자료

운동과

건강

생활

∘보건복지부(2009). 비만바로알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한국 아동․청소년의 비만 실태 및 정책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생활 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 결과

∘영상-KBS 특집 21세기 신운동 웰니스 당신의 뇌를 바꾼다.

∘영화-지상 최고의 게임

∘국민생활체육회 (http://www.sportal.or.kr/)

∘국민체육진흥공단 (http://www.kspo.or.kr/)

스포츠

문화

∘국민체육진흥공단(2011). 스포츠는 세상을 바꾸는 힘이다.-리더들의 성공비결

∘영상-KBS스페셜 종교가 된 스포츠 아프리카 축구

∘영화-쿨 러닝

∘영화-글로리 로드

∘영화-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영화-국가대표

∘영화-코리아

∘대한체육회 (http://www.sports.or.kr)

∘전국체육교사모임 (http://mom.eduhope.net)

스포츠

과학

∘체육과학연구원(2000). 1급생활체육지도자 연수교재(기초편)

∘영상-EBS 다큐 프라임-원더풀 사이언스(마찰 그 불편한 진실, 0.4초의 과학 야구,

그라운드의 과학 축구, 두 바퀴의 과학 자전거 등)

∘영화-리멤버 타이탄

∘영화-코치 카터

∘영화-킹콩을 들다

∘한국체육학회 (http://www.kahperd.or.kr)

∘체육과학연구원 (http://www.sports.re.kr)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건강한 생활을 위한 자기관리능력’에 대한 평가는 자신의 건강과 체력 진단 능력,

신체활동의 계획과 실천력, 건강한 생활습관의 실천력, 주기적인 자기관리능력, 건강

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보건과 안전 의식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특

히 다양한 신체활동을 하면서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

정을 통해 합리적인 사고능력과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평가가 이

루어지도록 한다.

Page 21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15 -

2)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평가는 개인 또는 집단이 공동 목

표를 달성해 나가는 총체적인 과정, 즉 개인 또는 집단의 역할 수행 능력, 협동능력,

타인 이해 및 존중,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 수집․분석력, 창의적 사

고, 토의, 발표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특히 다양한 신체활동을 이해, 감

상, 수행하는데 필요한 민주적 시민가치, 개인 또는 집단 책무성, 리더십 등 사회생

활영역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 평가 방법

1)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을 고려하고, 평가를 통하여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가 내용, 기준, 방법, 도구 등을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며, 학기 초에 이를

학생들에게 공지한다.

2) 평가는 각 영역별로 균형있게 실시하되, 학생과 학교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평가 요소를 제시하고, 학생의 선택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3) 평가 내용이 특정 영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되, 영역 내에서도 학습자의 지식, 기

능, 태도 등을 균형 있게 평가되도록 계획한다.

4)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독립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 교사가 창의성

을 발휘하여 통합적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5) 학습 목표 및 평가 목적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고,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가 높은

평가 방법과 도구를 개발․활용한다.

6)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문화적 소양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적 문제발견 해결

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방법으로 일지 작성, 수업 일기,

감상문, 체험 보고서, 포트폴리오, 서술․논술형 평가, 토론, 발표 등을 활용한다.

7) 성장참조형 평가는 성장가산점에 대한 점수 기준을 명확하게 선정하고 반영한다.

성장참조형 평가의 경우 1차 수행평가 결과에 대한 내용을 명확하게 기록한 후 2

차 수행평가 결과에 비추어 성장정도를 평가한다. 논술형 문항은 문장이나 문맥 하

나하나에 대한 평가보다 요구한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종합적이며 배타성에 근거한

다. 평가 결과에 근거한 반성적 고찰을 통해 교육과정 및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선

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성장참조형 수행평가 결과는 학생 개개인의 출발

점 행동과 도착점 행동의 변화에 대한 평가이므로 학생의 성장정도에 따른 학습방

법 및 학습내용의 재구성에 반영해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성장할 수 있는 잠재

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한다. 또한 체육

과 논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의 다양한 사고력 증진과 체육 가치의 이해와 판단능력

을 증진시키는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Page 22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16 -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는 다음 학기 또는 차기년도 평가 기준안을 수립하는데 활용하며, 교사의

수업 및 평가 방법 개선의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를 누가 기록하여 개인별 성장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3) 평가 결과는 성취 수준으로 제시하여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판단하고, 이해하는 자

료가 되도록 한다.

Page 22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17 -

음악과

1 음악과 핵심역량

가. 다양한 음악의 창의적 표현능력

1) 개념

다양한 음악의 창의적 표현능력은 학생들이 음악 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바탕으

로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체험함으로써 즐거움을 얻고, 자신들의 생각과 감정, 감동을 창의

적이고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예술적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다양한 음악의 창의적 표현능력은 음악적 기초능력의 바탕 위에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노래, 악기 연주, 음악 만들기를 통해서 표현된다. 이 활동을 통해 음악의 역할과 가치에 대

한 안목을 키움으로써 음악을 즐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새로운 발상과 도전을 통해 능동

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다양한 음악의 창의적 표현능력은 함께하는 음악적 활동 안에서 정서적 반응을 이끌어내

고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표현활동을 거치면서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된다.

다양한 예술 작품에 대한 음악적 이해와 해석으로 문제 발견 및 해결능력을 신장하고 음

악적 상상력을 표현함으로써 학생 스스로의 문제에 대한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다양한 악곡을 노래 부르고 발표하는 활동을 통하여 음악적 표현력을 키운다.

나) 다양한 연주기법으로 음악적 요소가 드러나도록 연주하며 연주경험에 대한 상호작

용을 통하여 음악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른다.

다) 음악적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음악을 만들어 표현함으로써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

상시킨다.

나. 음악적 가치를 인식하는 예술문화 소양능력

1) 개념

음악적 가치를 인식하는 예술문화 소양능력은 시대별 여러 문화권의 음악을 경험함으로

Page 22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18 -

써 풍부한 음악적 정서를 함양하게 되어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사회와 문화 속에서의 음

악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음악 교육을 통하여 심미적 경험의 세계를 넓히

는 예술적 안목과 더 나아가 음악과 다른 예술과 분야를 엮어서 통합적 안목까지 함양하는

것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음악적 가치를 인식하는 예술 문화 소양능력은 시대별 여러 문화권의 음악을 감상함으로

써 예술적 가치관을 형성하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제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글로벌 인재를 육성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음악활동은 예술․문화에 대한 이해력과 감수성을 길러주며 이를 바탕으로 길러진 창의

성, 상상력은 문화적 소양능력을 지니게 한다. 예술문화를 체험하면서 길러진 심미적, 정서

적 소양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정서 등을 표현해 보는 활동을 통해 창의

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삶과 가치, 문화, 사고방식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을 지니게 됨으로 우리 전통문화의 이해와 다문화의 이해를 기반으로

겸비된 예술문화 소양능력은 국제사회를 이해하는 능력을 키워주며 더 나아가 의사소통능

력을 길러준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우리 음악을 이해하며 감상하고 음악의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체험한다.

나) 시대별 여러 문화권의 음악을 이해하고 학교 및 지역 사회의 문화행사에 참여를

통해 예술문화 소양능력을 향상시킨다.

Page 22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19 -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구분 영역 내용 체계 타 교과의 관련내용

3~6학년

표현

1-1 바른자세로 표현

하기체육 : 앉을 때의 바른 자세 알기

1-2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체육 : 악곡 듣고 음악의 흐름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하기

미술 : 그림으로 표현하기, 소리를듣고선과 면으로 표현하기

1-3 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국어 : 만든 악곡에 가사 만들기

국어 : 상황이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기

국어 : 노랫말 바꾸거나 노랫말에 맞는 말 붙임새 만들기

국어 : 시나 글을 읽고 자신의 감정을 음악으로 표현하기

미술 : 상상의 세계를 표현하고 어울리는 음악으로 표현하기

과학 : 자연의 소리를 듣고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과학 : 자연의 아름다움을 체험하고 느낌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체육 : 음악에 맞추어 아름답게 주제를 표현하기

감상

2-1 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국어 : 창의적인 감상 글쓰기, 중요한 부분 듣기, 음악 감상 느낌 발표하기, 토의․토론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키우기

수학 : 규칙 찾기

2-2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

하기

미술 : 감상곡 떠올리며 그림으로 표현하기

체육 : 악곡을 감상하고 느낌을 연상하여 몸으로 표현하기

체육 : 음악과 어울리게 여러 가지 움직임 만들고 표현하기

체육 : 음악의 쓰임새에 맞는 놀이하기

사회 :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조사하기(음악으로 세계

만나기)

생활화

3-1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국어 :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에 대하여 발표하기

창의적 체험활동 : 음악회 관람하기

창의적 체험활동 : 학급의 음악 발표회, 학예회 참여하기

창의적 체험활동 : 가족 행사에 적절한 음악을 사용하기

창의적 체험활동 : 일상생활 경험을 UCC로 만들고 어울

리는 배경음악 넣기

미술 : 음악 발표회를 위한 초대장이나 포스터 만들기

체육 : 무용과 관련된 작품 감상하기

3-2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국어 : 우리 음악의 가치 토론회, 글쓰기

도덕 :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문화 교류의 중요성 인식하기

창의적 체험활동 : 전통문화 이해하기 활동하기

미술 : 자랑스러운 우리 음악 책 만들기

사회 : 전통문화 계승ㆍ발전의 중요성

사회 : 음악과 관련된 문화재 조사하여 발표하기

Page 22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20 -

구분 영역 내용 체계 타 교과의 관련내용

7~9학년

표현

1-1 바른 자세로

표현하기

체육 : 바른 자세 익히기

도덕 : 올바른 생활 습관

1-2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국어 : 음악을듣고 음악에 어울리는느낌을 시로 표현하기

체육 : 다른 나라의 춤 동작 표현하기

체육 : 강강술래의 여러 놀이를 동작으로 표현하기

1-3 창의적으로 음

악 만들어 표

현하기

국어 : 선택한 이야기나 장면을 이용하여 스토리보드 짜기

국어 : 랩 가사 만들어 랩으로 표현하기

미술 : 명화속의 장면에 어울리는 음악 만들기

미술 : 음악회 프로그램에 사용할 무대 만들기 및 포스터

그리기

미술 :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악기 만들기

교과통합 : 뮤지컬 만들기-국어(시나리오 쓰기), 내용(역사, 사회, 도덕), 의상(가정), 무대배경(미술), 안무

(체육)

감상

2-1 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

하기

국어 : 각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투리 조사하기

미술 : 음악적 소재가 미술이나 영화에 접목된 사례 조사

하기, 음악을 듣고 그 느낌을 그림 또는 만화로

표현하기, 조형요소와 원리의 시각적 효과를 이해

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2-2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

하기

사회 : 다른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문화의 다양성에 대해

토론하기

세계사 : 세계사의 시대별 특징과 음악사의 특징을 연결

해서 이해한 후 감상하기

미술 : 동시대의 음악작품과 미술작품을 연결해서 감상하기

(미술관, 음악연주회)

생활화

3-1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체육 : 음악에 어울리는 동작이나 춤 만들어 표현하기

미술 : 광고 음악을 통해 공익광고와 상업광고의 차이점을 발표하기

미술 : 주제(생일잔치, 체육대회, 회장선거)에 따라 광고

만들기

국어 : 문화예술의 가치와 중요성 알기,일상에서의 음악

적요소 찾기(음악회,연극,뮤지컬등 경험나누기)

3-2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사회 : 음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토론하기

사회 : 유네스코가 지정한 우리나라 및 다른 나라의 세계

무형유산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하기

사회 : 우리 지역의 축제에 대해 조사해서 발표하기

컴퓨터 : 생활 속에서의 음악과 저작권의 의미에 대해

조사하기

Page 22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21 -

구분 영역 내용 체계 타 교과의 관련내용

음악

생활

음악적

표현과

소통

1-1 악곡 구성의

요소와 원리

국어 : 내가 좋아하는 음악 발표하기. 음악 감상 느낌

발표하기

1-2 표현의 즐거움체육 : 표현-창작활동-음악을 듣고 몸으로 표현하기

미술 : 그림에 어울리는 배경음악 만들기

1-3 음악의 영향력 국어 : 토의․토론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키우기

감상

2-1 사회 현상으로

서의 음악

한국사 : 우리나라 역사에 따른 음악의 변천을 감상하고

토론하기

2-2 음악의 다양성정보와 컴퓨터 : 저작권 관련한 윤리적 문제에 대해 토론

하기. 악곡에 어울리는 영상 만들기

2-3 지구촌 사회의

음악세계사 : 다양한 시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표현하기

음악

진로

음악의

경험과

현장

1-1 음악의 경험

국어 : 음악이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발표하기

정보와 컴퓨터 :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하기

1-2 사회적 협업의

현장

국어 : 음악관련 직업의 역할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하기

사회 : 공연이나 지역 축제를 기획하기, 음악현장에서의

새로운 시도나 타 문화의 음악활동을 조사하기

음악의

진로와

특성

2-1 다양한 직업의

세계

진로 : 공연기획자, 음향 기술자, 방송프로듀서 교사 등

다양한 직업의 세계를 탐방하기

2-2 진로를 향한

도전과 상상진로 :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필요한 적성과 능력 조사하기.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지도 방법

1) 수업 설계 시 창의지성역량 및 교과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동시에

고안한다. 창의지성역량의 경우 교과의 내용 목표나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달성할

수 있도록 그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 핵심역량은 교과 내용을 배우는

활동을 통해 달성될 수 있도록 수업을 고안한다.

2) 학습 내용 선정 시 교과의 재구성 및 타 교과와의 융합을 적용하여 창의적이고 비

판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해결 과정을 탐색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음악 작품을 수용하거나 생산하면서 인간의

다양한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고, 위대한 예술 작품과 조우하고 자

Page 22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22 -

기표현의 창조적 작업 과정을 밟아 음악적 감수성과 잠재성을 발휘하여 예술문화

소양능력을 극대화 하도록 한다.

4) 자신들의 생각과 감정, 감동을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즐거움을 얻고 학생의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5) 음악 감상을 통하여 학생들이 음악의 미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방

법을 활용하고 감상한 느낌에 대해 동료들과 서로의 생각을 교환하며 의사소통능력

을 높이도록 한다.

6) 교수ㆍ학습의 내용에 따라 활동 중심, 경험과 체험 중심, 개인별, 그룹별 수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학습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도록 한다.

7) 민요, 전래동요 등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즐길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전

통 리듬 지도를 충실히 하고, 농악이나 판소리 등은 감상 활동으로 접근하여 우리

전통 음악에 대한 경험을 통한 이해와 친근감을 갖도록 한다.

8) 전래동요나 민요를 지도할 때에는 악보를 이용한 시창법 보다는 교사가 노래를 직

접 익혀 지도하거나 그것이 어려울 때는 전통 창법에 의해 부르는 전문인들의 노래

를 듣고 따라 부르게 하는 청창법을 활용하도록 한다.

9) 도서, 벽지, 농촌 등 음악 문화 행사를 실제로 접할 기회가 적은 지역에서는 음악

연주가 담긴 영상매체를 이용한 교육과 지역사회 자원을 이용한 음악교육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10) 음악과 관련된 지역 사회의 문화 행사에 참여하여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고

생활화하도록 한다.

11) 음악 활동의 각 영역에 적합한 시설과 교구, 교재, 음악관련 서적을 구비하여 활

용하되, 다양한 악기를 구비하여 활용하고 특히, 질 높은 음향 시설을 구비하여

활용한다.

12) 창의지성 교육을 위하여 개별학습, 모둠별 협력학습, 프로젝트 수행,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을 적절히 활용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 지도

음악교육을 통해 사회 속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다양한 음악 관련 직업

세계와의 만남을 통하여 생생한 진로활동을 체험한다. 이러한 진로 체험을 통해 자신의 적

성과 소질, 취미, 특기 등을 고려한 진로를 탐색하고 개척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진로 역

량을 강화하여 자아실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1) 초등학교 음악계열 진로 교육은 다양한 음악활동으로 음악적 특기, 흥미, 적성 등

을 인지하도록 하며, 음악계열 직업의 의미, 목적 등을 이해하며, 음악계열 직업에

Page 22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23 -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하도록 지도한다.

2) 중학교 음악계열 진로 교육은 다양한 음악 관련 직업을 소개하여,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진로 탐색을 하도록 지도하며, 고등학교 및 계열 선택과 연계할 수 있도록 교

육한다.

3) 고등학교 음악계열 진로 교육은 음악 관련 직업에 대한 토론을 통해 진로에 대한

고민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여, 대학 진학이나 희망직종에 종사하기 위한 준

비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4) 음악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 연주가, 성악가, 지휘자 등

나) 음악을 가르치는 유치원 및 학원 강사, 음악교사, 음악대학 교수 등

다) 음악을 만드는 작곡가(클래식, 대중음악, 광고음악, 게임), 영화음악 감독 등

라) 음악을 무대에올리는 무대감독, 교향악단 운영자, 공연 기획자, 문화예술행정가 등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체계 읽기 및 영상자료

3~6

학년

표현

1-1 바른 자세로

표현하기•[도서] 내 몸이 삐뚤삐뚤 그림자가 투덜투덜

1-2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도서] 음악 그림 동화 슈베르트 ‘보리수

1-3 창의적으로 음

악 만들어 표

현하기

•[도서] (놀면서 배우는)교과서 동시

•[명화] 판에이크 작품, 보테로의 작품

•[도서] 음악과 미술의 만남, 보성각

•[도서] 전시회 도록

•덕수궁 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http ://m useum .go.kr

감상

2-1 음악의 요소및

개념 이해하기•[도서] 음악아 음악아 나 좀 도와줘

2-2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

상하기

•[도서] 음악으로 그린 그림

•[동영상] 뮤지컬 ‘백조의 호수’•[동영상] 비발디 ‘사계’•[동영상] 뮤지컬 ‘캣츠’

생활화

3-1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도서] 초등학생을 위한 음악 동화

•[동영상] 난타

3-2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도서] (초등학생을 위한)국악의 모든 것

•[도서] 책 만들며 놀자

•[동영상] 뮤지컬 ‘점프’•[동영상] 난타

•[동영상] 사물놀이

•전통문화 콘텐츠 박물관(http ://www .tcc-m useum .go.kr)

Page 22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24 -

구분 영역 내용 체계 읽기 및 영상자료

7~9학년

표현

1-1 바른자세로표현하기 •[도서] 오케스트라 악기여행

1-2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동영상] EBS 음악기행 클래식

1-3 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동영상] ‘뮤지컬 cats, 레미제라블, 그리스, 오페라의유령, 오즈의마법사, 사운드오브뮤직 등

•[도서] 뮤지컬 쇼쇼쇼

•[도서] 뮤지컬 스토리

•[도서] 창의적 문화사회와 문화정책

•[도서] 원종원의 올댓 뮤지컬

•[도서] 뮤지컬 레시피

•[도서] 뮤지컬을 꿈꾸다

감상

2-1 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동영상] EBS 지식채널 e '4분33초•[도서] 한권에 담은 세계음악

2-2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

하기

•[동영상]영화 ‘카핑 베토벤’•[도서] ‘클래식 음악의 괴짜들’•[도서] 나의 서양음악 순례

7~9학년

생활화

3-1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동영상] 뮤지컬 ‘맘마미아’•[도서] ‘무인도에 떨어져도 음악’•[도서]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

•[도서] 창의적 문화사회와 문화정책

•[도서] 예술이 궁금하다

•[도서]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

•[도서]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3-2 우리 음악의 가

치 인식하기

•[도서] 잠자는 뇌를 깨워주는 음악 테라피

•[동영상] 판소리 ‘춘향가’, ‘흥보가’•[도서] 소리꾼:득음에 바치는 일생-키워드

•[DVD ] 한국의 혼, 김덕수 사물놀이 3종

음악

생활

음악적

표현과

소통

1-1 악곡 구성의 요

소와 원리

•[도서] 음악의 탄생

•[도서] 열려라, 클래식

•[도서] 1주일 만에 3옥타브!

1-2 표현의 즐거움

•[도서] 브람스 네 손을 위한 헝가리 무곡

•[방송] KBS2 클래식 오디세이

•[DVD ] 베르디 오페라 : 일 트로바토레

•[DVD ] 베르디 오페라 : 라 트라비아타

•[DVD ] 비제 오페라 : 카르멘

•[DVD ] 바그너 오페라 : 탄호이저

•[DVD ] 도니제티 오페라 : 사랑의 묘약

•[DVD ] 모차르트 오페라 : 돈 지오반니

•[방송] KBS1 국악 한마당

•[도서]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

•[도서] 재미있는 우리 국악 이야기

•[도서] 쉽게 풀어 쓴 판소리 열두 마당

•[DVD ] 한국의 혼, 김덕수 사물놀이 3종•[DVD ] 클래식 명곡으로의 길 BBC 뮤직스페셜

•[DVD ] 글렌 굴드, 끝나지 않은 신화

Page 22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25 -

구분 영역 내용 체계 읽기 및 영상자료

음악

생활

음악적

표현과

소통

1-3 음악의 영향력

•[도서] 만화 서양음악사

•[도서] 오페라 에센스 55 •[도서] 나의 서양음악 순례

•[DVD] 라이언킹

•[영화] 바투스•[도서]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감상

2-1 사회 현상으로

서의 음악

•[도서] 영화 속 클래식 이야기

•[도서] 영화와 오페라

•[도서]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

•[영화] 더 콘서트

•[영화] 카핑 베토벤

•[DVD] 엘 시스테마 : 음악이 이뤄낸 기적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2-2 음악의 다양성

•[도서] 나를 위로하는 클래식 이야기

•[도서] 탱고 인 부에노스 아이레스

•[방송] KBS2 해피 선데이/남자의자격/합창편

•[영화] 어거스트 러쉬

•[영화] 라 밤바

•[영화] 물랑루즈•[방송] EBS 특집-2011 선생님 사랑 음악회

2-3 지구촌 사회의

음악

•[도서] 위대한 작곡가의 생애와 예술

•[영화] 피아니스트

•[영화] 아마데우스

•[영화] 쇼팽의 푸른 노트

•[영화] 호로비츠를 위하여

•[영화] 슈만과 클라라

음악

진로

음악의

경험과

현장

1-1 음악의 경험

•[도서] 진회숙의 스토리 클래식

•[도서] 음악가를 알면 클래식이 들린다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

•[영화] 샤인

•[방송] M BC 다큐멘터리 1004 합창단

•[도서] 황의종의 우리음악 이야기

•[영화] 서편제

•[도서] 클래식이 필요한 순간들

•[DVD] 국악한마당 - 무(巫), 혼을 부르는 소리

•[DVD] 국악한마당 - 민요, 시대의 연대기

•[DVD] 500년 역사의 향기 - 종묘제례

•[DVD] 토요일 우리 국악 - 박동진 춘향가

•[DVD] 국악한마당 - 오정숙 판소리 다섯 마당

Page 23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26 -

구분 영역 내용 체계 읽기 및 영상자료

음악과

진로

음악의

진로와

특성

1-2 사회적 협업의

현장

•[도서] 생활 속의 음악 이야기

•[도서] 나를 위로하는 클래식 이야기

•[DVD] 엘 시스테마 : 음악이 이뤄낸 기적

•[DVD] 한국의 전통음악 - 한국의 악기

•[방송] KBS1 명작스캔들

•[도서] 오페라를 만나러 가자 1

•[도서] 오페라로 배우는 역사와 문화

2-1 다양한 직업의

세계

•[방송] EBS 직업의 세계 1인자 합창 지휘자 윤학원

•[방송] KBS2 인간극장

•[영화] 피아니스트의 전설

•[방송] EBS 직업의 세계1인자 대금의 명인 이생강

•[도서] 가야금 선율에 흐르는 자유와 창조

•[DVD] 지휘의 예술 - 위대한 지휘자들

2-2 진로를 향한

도전과 상상

•[도서] 안동림의 불멸의 지휘자

•[도서] 자클린느 뒤 프레•[영화] 홀랜드 오퍼스

•[영화] 오페라의 유령

•[영화] 원스•[영화] 가면 속의 아리아

•[영화] 코러스

•[뮤지컬] 캣츠•[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방송] M BC 황금어장 무릎팍도사 <박칼린>

•[방송] M BC 황금어장 무릎팍도사 <장한나>•[DVD] 지휘대의 거장 카라얀 다큐멘터리

•[DVD] 다큐멘터리 라 바야데르 댄서의 꿈

•[DVD] 피아노의 예술 : 20세기의 위대한 피아니스트들

•[방송] 지식채널 파블로 카잘스 콘서트

•[방송] 지식채널 Play & Fight

•[방송] 지식채널 신중현 1부 - ‘기타리스트’ •[방송] 지식채널 신중현 2부 - ‘시대의 초상’

•[방송] 지식채널 신중현 3부 - ‘내 기타는 잠들지 않는다’

•[방송] 지식채널 아버지의 아들, 찰스 아이브스

•[방송] 지식채널 빛 1부 - 오선지가 몇 장이나 남았지요?

•[방송] 지식채널 Vol. He is wonder

Page 23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27 -

음악 학습 관련 사이트

1 . http ://www .lgch28.com .ne.kr 여러 가지 음악학습 훈련 프로그램2 . http ://support.k fta .o r.kr/cafe/jnm us 다양한 음악학습 및 자료3 http ://www .m usiclife .pe .kr 악기, 개론, 작곡가 등 중, 고등학교 음악학습자료 제공4 . http ://user.cho llian .net/~m s1 국악마당, 창작교실, 한국예술, 음악교실, 진학정보5 . http ://www .m usicschoo l.pe.kr 국악사, 전통음악분류, 전통악기소개, 국악추천사이트, 음악가(양악) 6 . http ://www .m usicnara.pe.kr 배광재 음악교실7 . http ://kw ija .new21 .net/ 합창음악8 . http ://user.cho llian .net/~chun4270/ 천성광의 쿠키의 뮤직세계9 . http ://www .ictm usic.net ICT 활용음악 홈페이지(천성광 선생님 홈입니다.) 10 . http ://www .renaissancem usic.pe .kr 르네상스 음악이야기11. http ://www .sorisam .com /sub .htm 함께 생각하는 음악교육12. http ://www .krsong .com /intro .php 한국 가곡 감상실13. http ://user.cho llian .net/~ flum en/ 한국음악, 서양음악이야기, 음악이 있는 이야기 등14. http ://user.cho llian .net/~pj8888/m usic/m usic3 .htm 국악세상 국악개요, 민요, 국악기, 판소리, 풍물, 국악감상, 국악 사이트 등을 소개.

음악 학습 관련 사이트

15. http ://www .conductkim .com 지휘법 강의 동영상 자료

16. http ://www .gugak.go .kr 국립국악원

국악곡/악기 정보검색, 용어풀이, 논문집, 창작곡 목록집, 음반, 비디오 자료

17. http://data.edunet.net:9000/TeachSW/12/20/C1/0/chungbuk/index.html 충북교육과학연구원 개발

18. http ://211.251.8 .5/student/jung_m usic/index.htm l테마가 있는 음악 여행

테마별 영역통합 자료(가창, 뮤직 비디오, 연주 동영상, 발성 동영상 강의)19. http ://cham m usic.n joyschoo l.net전국음악교과 모임

수업자료 및 수업방법, 음악과 생활

20. http ://m usic.ce in .o r.kr 전북중등음악교사연구회

음악이론 정리, 분야별 음악감상, 음악교육관련 문서 자료

21. http ://www .paldosori.co .kr/ 팔도소리

22. http ://www .m tinstitu te .o r.kr/ 한국음악치료연구소

음악치료 및 음악치료사 안내, 임상현장 사례 및 교육과정 안내. 23 . http ://www .sac.o r.kr/ 예술의 전당 홈페이지

공연 정보 외 여러 가지가 사용 가능. 24 . http ://in tu ition.pe.kr/ 음악과 친구 창작/연주/역사 별 우리나라 전통음악, 서양음악 소개.25 . http ://hom e.ebs.co .kr/jis ike/m ain .jsp EBS지식채널

26. http ://www .kbs.co .kr/1tv/sisa/classic/ 클래식 오디세이

27. http ://pansori.gen .go .kr/ 판소리 한 대목 부르기(광주광역시 교육청)

Page 23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28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평가 목표와 내용은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영역별 내용을 근거로 설정하되, 학습

자의 성취수준을 고려한다.

2) 평가 내용이 특정 영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표현, 감상, 생활화를 균형 있게 평가한다.

3) 평가 기준을 학습자에게 미리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나. 평가 방법

1)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학습 태도, 과정 및 결과를 균형 있게 평가한다.

2) 필수 지도 내용과 평가 요소에 따라 면담 또는 질의응답, 실음을 통한 평가, 관찰,

감상문 작성, 글로 표현하기, 포트폴리오 등의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활용하여 수

행 능력을 상시 평가한다.

3) 음악적 표현 활동 및 감상,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등은 과정과 활동 중심의 평

가가 되도록 한다.

4) 음악에 대한 태도는 학교 내외에서의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평가하며, 평가

결과는 학습 지도 계획과 지도 방법 개선에 활용한다.

5) 평가의 목적과 종류,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과제와 적절한 난이

도의 문항을 통하여 평가하되 단편적인 지식이나 능력에 대한 측정보다 학습자들이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를 이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6) 수행평가 시 학생 개개인의 출발점 행동과 도착점 행동의 변화를 반영하는 성장참

조형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교사의 평가권 존중과 교수․학습과정의 원활한 피드백

을 도모한다.

7) 성장참조형 평가 시 성장가산점에 대한 점수 기준을 명확하게 선정하고 반영한다.

성장참조형 평가의 경우 1차 수행평가 결과에 대한 내용을 명확하게 기록한 후 2

차 수행평가 결과에 비추어 성장 정도를 평가한다.

8) 서술형․논술형 문항은 문장이나 문맥 하나하나에 대한 평가보다 요구한 핵심 내용

을 중심으로 종합적이며 배타성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를 누가 기록하여 개인별 성장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는 성취수준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성취정도를 이해하는 자료가

되도록 한다.

3) 평가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판단하고,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 개선을 위

한 자료로 활용한다.

Page 23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29 -

미술과

1 미술과 핵심역량

가. 미적 표현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1) 개념

‘미적 표현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삶 속에서 스스로 발견한 문제를 시각 예술 작

품 창작 과정을 통해 해결하는 능력이다. 이는 미적 감수성과 직관을 바탕으로 주변 환경

이나 문화적 상황, 맥락 등을 고려하여 비판적․심미적 태도와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미적 표현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발상력과 구상력, 표현방법

의 선택력, 재료나 용구의 선택 및 활용력, 조형요소와 원리의 적용력 등을 필요로 한다. 발

상력과 구상력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주제를 생각해 내는 능력, 표현 방법의 선택력과

재료나 용구의 선택 및 활용력은 주제에 적합한 표현방법을 선택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능

력, 조형요소와 원리의 적용력은 시각 언어를 표현하는 능력을 말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은 학생들이 직면하는 삶 속에서 이루어지며, 이 때 적절한 표현매체를 활용한 창작과

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하여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미적 표현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학생들이 주변 대상이나 환경 속에서 경험하는

시각적 이미지와 관련된 자극 및 문제들을 발견하고, 미적 상상력과 이해력, 통합력, 응용력

등이 동원된 표현활동을 통해 자신이 발견한 문제 상황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인 문제 발견 및 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적․역사적 배경과 맥락을 가진 인류의 고전, 예술 작품에

대한 이해와 해석 및 비판 활동은 의사소통능력과 문화적 소양능력을 함양하는 데 밑거름

이 될 것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주변 세계와 연관지어 이해함으로써 표현활동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신장될 수 있다.

Page 23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30 -

나) 표현방법이나 재료, 매체를 다양하게 탐색, 활용하는 과정에서 독창적인 창작물을

만들어 내고 이를 타인과 공유할 수 있다.

다)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비판적, 심미적 사고력을 신

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 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나. 체험과 감상을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

1) 개념

‘체험과 감상을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은 다양한 예술적 체험 및 작품 감상을 통해 함양

되는 창작 능력과 감성적 지성, 시각적 사고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적 소양능력’은 다

양한 문화 예술 활동에의 적극적 참여와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를 수용

하는 유연한 사고와 지성을 통해 자신의 삶을 창조적으로 가꾸고 예술적 향유와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체험과 감상을 통해 문화적 소양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관찰력, 아이디어 창출력,

상상력, 통찰력, 감수성, 발표 및 토론・비평 능력 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핵심역량들은

시각현상에 대한 민감성, 끊임없는 상상력, 다양한 이미지 속에 숨겨진 속성의 파악, 미세하

고 미묘한 차이를 느끼고 감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와 함께 미술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토론과 비평 활동을 중심으로 평소 여러 가지 문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다양한 예

술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활동이 수반될 때 자연스럽게 증진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체험과 감상을 통한 문화적 소양능력’은 다양한 문화적 경험과 여러 가지 예술적 프로그

램의 참여를 통해 길러진 관찰력과 상상력, 통찰력 그리고 감수성을 의미한다. 관찰력은 주

변의 이미지나 시각현상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탐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과 연결되고 풍부한 상상력은 독창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제수행에 필수적인 역

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찰력은 다양한 이미지나 현상 속에 숨겨진 본질을 파악하고 객관적

인 근거에 입각하여 판단할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에 도움을 준다. 감수성은 오감을 통해

습득되는 민감성을 바탕으로 일상의 문제나 주위 환경에 대한 비판적 지성을 갖게 만든다.

따라서 체험과 감상을 통해 길러진 이러한 문화적 소양은 창의지성역량을 발휘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시각 이미지를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며 자신과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나) 학습자 주도의 자발적인 체험과 감상활동은 서로 배우고 나누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Page 23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31 -

다) 다양한 문화적 체험이나 예술적 경험을 학습 상황으로 끌어들여 향유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가. 공통교육과정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초등

학교

미술

(3학년

∼4학년)

지각

∘주변 대상을 탐색하여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내기

∘국어-오감을 이용한 표현

∘수학-비와 비례

∘체육-몸짓으로 다양한 표현하기

소통∘생활 속에서 시각문화를

찾아보고 탐색하기

∘사회-의식주의 모습

∘국어-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음악-다양한 악곡의 감상

주제표현∘다양한 주제를 탐색하여

자유롭게 표현하기

∘국어-일이 일어난차례 생각하며 듣고 말하기

∘수학-도형

표현방법

∘기본적인 재료와 용구,

표현 방법을 탐색하여

표현하기

∘과학-물질의 특성

조형요소

와 원리

∘조형 요소와 원리를

탐색하여 표현하기

∘국어-묘사와 비유하며 말하기

∘수학-길이와 넓이, 도형

∘사회-다양한 삶의 모습들

∘ 과학- 동물의 생활

미술사∘미술의 시대적, 지역적

배경에흥미와관심을갖기

∘사회-옛날과 오늘날의 모습

∘음악-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음악

미술비평∘미술 작품에 흥미와

관심을 갖기

∘수학-수의 범위

∘사회-자연환경에 따른 다양한 집의 모양

초등

학교

미술

(5학년∼

6학년)

지각

∘주변 대상이나 현상, 자

신의 특징을 발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내기

∘국어- 작품 속 인물의 생각과 행동을 나

와 견주어 이해하고 평가

∘음악-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소통∘시각문화의 소통방식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사회-이동과 소통하기

∘국어-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실과-옷 만들기

주제표현

∘체계적인 발상을 통하여

주제의 특징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과학-온도와 열

∘사회-통일신라, 삼국, 조선 등의 문화재

표현방법

∘다양한 표현 방법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

적으로 표현하기

∘과학-용해와 용액, 산과 염기

∘수학-들이, 부피, 비와 비율, 도형의 합동

∘실과-정보기기 활용

Page 23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32 -

구분 영 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초등

학교

미숧

(5학

년∼6

학년)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 요소와 원리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

과적으로 표현하기

∘과학-식물의 구조와 기능

∘수학-입체도형

∘음악-조화, 통일, 대비 등의 음악구성요소

∘체육-조형요소와 원리를 몸짓으로표현하기

미술사

∘미술의시대적, 지역적

특징을알아보고문화적

전통을이해하기

∘국어-글쓴이의 관점이나 의도를 파악하며

글 읽기

∘사회-선사시대부터 대한제국까지 문화재

∘음악-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적 특징

미술비평∘미술비평활동의과정과

방법을익히기

∘국어-쓰기의 핵심전략을 익혀 목적에 맞는

글쓰기

∘실과-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음악-의식음악, 축제음악, 풍류음악

중학교

미술

지각

∘주변 환경과의 관계 속

에서 대상과 자신을 이

해하고조화를발견하기

∘지리-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도덕-환경친화적 삶

∘기술․가정-녹색가정생활의 실천

소통

∘시각 문화의 사회적

가치를 이해하고 참여

방안을모색하기

∘지리-환경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도덕-문화의 다양성과 도덕

∘기술 가정 - 녹색가정생활의 실천

주제표현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주제의 특징과 목적을

표현하기

∘음악-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

∘체육-주제표현

표현방법

∘표현방법과매체를 창의

적으로활용하고계획을

세워표현하기

∘국어 - 작품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

∘음악-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

∘과학-물질의 특성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요소와 원리의

시각적 효과를이해하고

창의적으로표현하기

∘수학-기하

∘과학-빛과 파동

미술사

∘미술의 변천과정과

가치를 문화적 맥락에

서이해하기

∘음악-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

∘과학-과학과 인류문명

∘역사-지역세계의 형성과 발전

미술비평

∘미술비평활동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고

판단하기

∘국어-작품비평과 설득

∘도덕-과학기술과 도덕

∘기술․가정-생명기술과 미래 기술

미술

문화

미술의 기능

∘미술과언어∘국어-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

∘사회-사회를 바라보는 창

∘미술과생활

∘국어-문학과 삶

∘음악-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기술․가정-기술 혁신과 설계

미술의 감상

∘분석과해석∘국어-매체 자료의 분석과 비판적 태도

∘사회-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판단과 활용∘국어-문학의 수용과 생산

∘도덕-동․서양 윤리 사상

Page 23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33 -

나. 선택교육과정(고등학교)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미술

문화

미술의

확장

∘미술과 직업∘사회-합리적인 선택과 삶

∘도덕-사회 윤리와 직업 윤리

∘미술과 통합

∘과학-정보통신과 신소재

∘기술․가정-미래 기술과 사회

∘체육-스포츠 축제 문화

미술

창작

주제와

발상

∘표현 주제∘사회-문화와 사회

∘도덕-생명․성․가족 윤리

∘발상과 표현∘국어-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

∘음악-음악적 표현과 소통

매체와

표현

∘평면 표현∘수학-공간 도형과 공간 벡터

∘과학-미시세계와 양자현상

∘입체 표현 ∘과학-운동과 에너지

∘매체의 확장∘국어-매체 자료의 활용

∘과학-정보통신과 신소재

분석과

적용

∘작품 분석∘국어-작가의 개성 이해와 작품 감상

∘사회-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작품의재발견 ∘국어-문학 활동과 비평적 태도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방법

1) 수업 설계 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영역별 내용을 근거로 설정하고, 창의지성역

량 및 교과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2) 학생 자발적인 수업이 되도록 하며 교사와 학생이 끊임없이 교류하며 소통한다.

3) 수업은 계획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변화와 발전이 일어나는 창조의 과정으로

이해한다.

4) 간학문적, 탈학문적 관점에서 타 교과와 연계하여 학습내용을 구성한다.

5) 학습내용과 관련된 고전, 명저, 명작, 영상자료 등을 활용한다.

6) 정보 통신 기술(ICT)과 사진, 영상, 멀티미디어 등을 활용하여 학습의효과를높인다.

7) 다양한 예술 작품을 체계적으로 감상하고 이것을 기초로 새롭게 자기를 표현하는

Page 23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34 -

창조적 작업이 되도록 한다.

8) 미술 감상 및 비평 학습 시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력을 갖도록 질문을 적극 활용하

고 대화를 통해 분석을 심화하거나 역할을 지정한 논쟁 방식을 활용한다.

9)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지역의 미술 자료와 문화공간을 적극적

으로 활용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미술교과교육을 통해 다양하게 변화·발전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변화의

주체로서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어 진로 역량을 강화하도

록 지도한다.

1) 초등학교 미술계열 진로교육은 미술가, 디자이너 등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

하고 일의 중요성을 이해하며 진로탐색과 계획 및 준비를 위한 기초소양을 키움으

로써 진로개발역량의 기초를 배양하도록 한다.

2) 중·고등학교 미술계열 진로교육은 초등학교에서 함양된 진로개발역량의 기초를 발전

시키며, 다양한 미술 및 디자인관련 직업세계와 교육기회를 탐색하고, 중·고등학교

이후의 진로를 계획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교육

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에서 개발한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을 활용하거나

각종 검사 및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3) 미술계열분야의 직업에는 화가, 만화가, 애니메이터, 제품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웹디자이너, 광고디자이너, 귀금속 및 보석 세공원, 패션코디네이터 등이 있다. 그러

나 미술관련 직업세계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성을 갖고 있으므로 기존 직업들의

분화와 통합을 통하여 새로운 직업들이 창출되는 것을 이해하면서, 새로운 직업을

디자인하거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앙터프레너십에 대한 이해와 연습을 할

수 있는 통합적이고 유연한 학과 개설 및 교육과정 운영으로 창의적 진로개발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Page 23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35 -

다. 읽기 및 영상자료

1)공통교육과정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

학교

미술

(3학년

~4학년)

지각

∘주변 대상을 탐색

하여 느낌과 생각

을 다양한 방법으

로 나타내기

∘열네살 비밀과 거짓말, 굳게 다짐합니다

∘완전한세계

∘공정한기회-전래동화편(공익광고협의회)

소통

∘생활 속에서 시각

문화를 찾아보고

탐색하기

∘절에서 만나는 우리 문화, 비굴이 아니라

굴비옵니다

∘사라진 숲, 천만년의 여행

∘빅뱅-한국방문의해, 우리가 먼저 인사해요

주제표현

∘다양한 주제를 탐

색하여 자유롭게

표현하기

∘철물 사러 오세요, 친구야 넌 어떤 행복을

꿈꾸니

∘문제는 재미다, 이상한 창문

∘EBS 다큐프라임-상상의 날개

표현방법

∘기본적인 재료와

용구, 표현 방법을

탐색하여 표현하기

∘지구환경 파수꾼, 어린이 먹을거리 구출 대작전

∘KT, KBS캠페인, 대한민국 IT편

∘EBS/교양/어린이 교양/미술/오방색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 요소와 원리를

탐색하여 표현하기

∘누가 처음 시작했을까, 왜 0등은 없을까요

∘2012 여수세계박람회 브랜드편

∘EBS/교양/어린이 교양/미술/조형원리

미술사

∘미술의 시대적,

지역적 배경에 흥

미와 관심을 갖기

∘재미로 북적이는 옛 그림 길 산책, 한눈에 반

한 우리 미술관

∘명작은 디테일이 아름답다, 빨간 수묵화

미술비평∘미술 작품에 흥미

와 관심을 갖기

∘명화를 읽어주는 어린이 미술관, 그림으로 떠

나는 생각여행

∘가장 적합한 자의 생존

∘EBS/교양/어린이 교양/미술/광고읽기

초등

학교

미술

(5학년

~6학년)

지각

∘주변 대상이나 현상,

자신의 특징을 발

견하고 다양한 방

법으로 나타내기

∘천둥치던 날, 오마이 캡틴

∘見,들여다 봄

∘문화체육관광부, 2012 서울핵안보정상회의

∘EBS/교양/다큐멘터리/마이크로의 세계

소통

∘시각문화의 소통방

식을 이해하고 활

용하기

∘쉿 박물관에 암호가 숨어 있어요, 우리집이

한옥이면 좋겠다.

∘놀라울 정도로 순진한 작가, 소행성 94400

∘EBS 안토니오 가우디/공간,생명을 얻다

현주제표현

∘체계적인 발상을

통하여 주제의 특

징과 느낌을 효과

적으로 표현하기

∘어린이를 위한 정의란무엇인가, 14살 인생멘토

∘원소2부-빈자리, 두루미의 휴게소

∘EBS다큐프라임/1부 공간을 살리는 예술

Page 24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36 -

구분 영 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초등

학교

미술

(5학년

~6학년)

표현방법

∘다양한 표현 방법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표현하기

∘집이 도망쳤다, 이모의 꿈꾸는 집

∘리비트 법칙, 이중그림

∘EBS/교양/어린이 교양/미술/스크래치와

프로타쥬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 요소와 원리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자전거에 숨은 과학, 누가 처음 시작했을까

∘디자인의 생명은 질서와 변형이다

∘지구가 두꺼운 책이라면

∘EBS 다큐프라임, 미시과학의 세계

∘EBS/교양/어린이 교양/미술/모자이크와

스테인드 글라스

미술사

∘미술의 시대적, 지

역적 특징을 알아

보고 문화적 전통을

이해하기

∘미술상점, 친절한 우리 그림 학교

∘화인열전

∘환경부 저탄소 녹색성장캠페인-사진편

∘EBS/교양/어린이 교양/미술/서양미술사-

르네상스

미술비평∘미술비평 활동의

과정과방법을익히기

∘미술관에 가고 싶어지는 미술책, 그림을

보는 52가지 방법

∘나는 피카소다, 바보 같은 남자

∘EBS/교양/어린이 교양/미술/우리미술 감상

중학교

지각

∘주변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대상과 자

신을 이해하고 조

화를 발견하기

∘세상은 놀라운 미술선생님

∘자연미술 여행

∘다큐멘터리-지구의 눈물시리즈(아마존,

남극, 아프리카, 북극)

소통

∘시각 문화의 사회적

장치를 이해하고

참여 방안을 모색

하기

∘자유로운 디자이너가 되어라

∘우리 풍속화 백가지

∘지식채널- 고바우 영감

∘광고-3D 거리 미술과 광고와의 만남

주제

표현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주제의 특징과

목적을 표현하기

∘아이디어 발상의 끝은 없다

∘지식채널- 90%를 위한 디자인, 놀라운 능력

∘영화- 아바타, 트랜스포머

표현방법

∘표현방법과 매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고

계획을 세워표현하기

∘만화 캐릭터 데생

∘일러스트 쉽게 배우기

∘미술 속의 마술

∘지식채널-텔레비전

∘EBS-미술교실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요소와 원리의

시각적 효과를 이해

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조형의 원리

∘색을 훔치다

∘지식채널-내가 찍은 점

Page 24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37 -

구분 영 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표

미술사

∘미술의 변천과정과

가치를 문화적 맥

락에서 이해하기

∘김홍도의 풍속화로 배우는 옛 사람들의 삶

∘청소년을 위한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서양미술사

∘한국의 미 특강

∘ebsi-한국근현대미술사 대표작 50편 분석

∘지식채널-우는 여자, 가운데 그림, 소 닭 아이

그리고 가족

∘영화-폴락, 고뇌와 환희, 열정의 랩소디

미술비평

∘미술비평활동을 통

해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고 판단하기

∘미술비평이란 무엇인가

∘혼자 가는 미술관(청소년을 위한 독일식

미술수업)

∘지식채널-걸려 있는 그림

∘공연-아르츠콘서트 (미술, 뮤지컬&오페라를

만나다)

2) 선택교육과정-고등학교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미술

문화

미술과 언어∘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야! 미술이 보인다

미술과 생활

∘일상, 그 매혹적인 예술

∘EBS 다큐프라임-예술, 일상을 만나다. 1, 2부

∘SBS 서울시 공동기획 다큐-디자인, 도시를 깨우다

분석과 해석∘의미 만들기의 미술

∘KBS 다큐-미술-모나리자의 진실

판단과 활용∘재미있는 미술감상 수업

∘현대미술,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다

미술과 직업∘광고천재 이제석

∘MBC-화사색

미술과 통합∘새로운 문화 새로운 상상력

∘미술 과학을 탐하다

미술

창작

표현 주제 ∘혼자 가는 미술관

발상과 표현∘드로잉의 세계

∘거꾸로 그린 그림

평면 표현∘드로잉의 세계

∘MBC-베를린의 신데렐라 세오

입체 표현∘조각사

∘혼자 가는 미술관

매체의 확장∘영화보다 재미있는 사진 이야기

∘SBS 특집다큐-미디어아트 상상의 세계를 날다

작품 분석∘혼자 가는 미술관

∘해외걸작다큐-명작의 재발견-최후의 만찬 4월작품의 재발견 ∘현대미술,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다

Page 24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38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체험, 감상 학습을 통한 예술적 창의력, 시각 이미지를 읽고 의미를 파악하는 사고력 등

문화적 소양능력을 기를 수 있는 평가, 다양한 표현 활동에서 만나게 되는 문제들을 해결

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비판적인 사고 능력,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

도록 평가의 방향을 설정한다. 미술과의 평가 목표와 내용은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영역

별 내용을 근거로 설정하되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고려하며, 평가 내용이 특정 영역에 편

중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영역 내에서도 학습자의 지식, 기능, 태도 등을 균형 있게 평가하

고, 평가 기준을 학습자들에게 미리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체험’ 영역에서는 시각 현상에 대한 감수, 반응, 관찰력, 발표 및 토론 능력, 태도 등을

평가하고, ‘표현’ 영역에서는 발상과 구상력, 재료와 용구의 선택과 활용력, 매체와 방법의

활용력, 조형 요소와 원리의 적용력, 창의성, 표현력, 심미성, 태도 등을 평가하며, ‘감상’ 영

역에서는 미술 작품에 대한 감수, 반응, 지식, 이해, 적용, 비평 능력, 발표 및 토론 능력, 태

도 등을 평가한다.

나. 평가 방법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학습 태도, 과정 및 결과를 균형 있게 평가하고, 평가 목적과 평가

내용에 적합한 평가 방법을 선정한다. 그리고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가 높은 평가 방법과

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며, 지필 평가, 관찰법, 감상문, 토론법, 연구 보고서법,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실기 평가,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 다양한 배경 지식이

활용될 수 있도록 평가 활동을 구성하여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수행 평가는 경

기도의 학교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계획하고 실시하고, 실기 평가의 내용, 과제, 매체 등은 학

생과 학교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시하며 되도록 선택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체험, 표현, 감상 등의 활동이 학습자의 삶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고등 사고

능력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1) 미술과 성취 평가

미술과 성취기준을 토대로 학생들의 성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지필평가 및 수

행평가)를 제작하여 교수ㆍ학습 및 평가를 시행하고 결과를 종합하여 미술과 기준 성취율

에 따라 학생의 성취도를 평정한다.

Page 24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39 -

2) 미술과 성장참조형 및 논술형 평가

미술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수ㆍ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하

였는가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평가 활동이 실시될 수 있다.

성장참조형 평가 시 성장가산점에 대한 점수 기준을 명확하게 선정하고 반영하며, 평가 내

용 및 절차는 학생들에게 사전에 고지한다. 논술형 평가 또한 종합적이며 객관적인 채점을

하며 학생의 다양한 사고력 증진과 미술가치의 이해와 판단능력을 증진시키는 자료로서 평

가를 활용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평가 결과는 성취 수준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성취 정도를 이해하는 자료가 되

도록 한다. 평가 결과는 누가 기록하여 개인별 성장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이

를 통해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판단하여 교수ㆍ학습 내용 및 방법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

용한다.

Page 24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24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41 -

영어과

1 영어과 핵심역량

가. 영어로 다양한 정보와 경험을 나누는 의사소통능력

1) 개념

영어로 다양한 정보와 경험을 나누는 의사소통능력은 세계화와 지식 정보화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능력 중 하나이

다. 영어 의사소통능력은 개인 생활의 친숙하고 일반적인 주제에서부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과 의견

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정보와 경험을 새롭게 생산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로 이루어진 언어의 4기능이 영어를 활용한 의사소통 활

동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달되며, 상황과 목적에 맞도록 이를 통합적으로 구사할

수 있게 한다.

나)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로 이루어진 다양한 텍스트의 이해와 활용을 통해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가치적 측면을 포함한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킨다.

다) 직접적인 개인적, 사회적 경험뿐 아니라 지적 경험을 바탕으로 읽고 보고 들은 텍

스트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상황에 맞게 표현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을 증

진시킬 수 있게 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영어를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하여 음성과 문자를 상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적인

소통 능력에서부터 고차원적 상황에서의 언어사용능력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창의지성역

량 중의 하나인 ‘의사소통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사소통능력’은 문해(文解)능력으로

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초학습능력을 갖추고, 이를 통하여 텍스트를 읽거나 듣고

이해함으로써 개인의 지적인 영역과 사회성을 성장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세계화․다원화된 미래 사회에서는 서로 다른 사고방식과 가치가 충돌하면서 구성원 간

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심화될 것이고, 이를 조정하여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집단적 사고와 협의 과정이 중요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영어 의사소통능력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능력과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 상대방의 표현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고 상대방을

Page 24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42 -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 명시적 혹은 함축적인 정보를 파악하려는 노력 등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인지적 측면과 더불어 정서적, 가치적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영어

를 사용하는 ‘의사소통능력’ 함양은 소통의 대상과 영역, 범위 등을 세계로 확대함으로써 학

습자의 지적, 사회적 성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상호 작용의 장을 조성하기 위하여 일상생활과 밀접하

게 연계된 노래, 게임, 역할극, 과업 중심의 체험 활동 등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학

습자의 발달 단계와 수준에 맞추어 제공한다.

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 4기능을 점진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소재, 언어, 어휘, 단일 문장의 길이를 참고하여 지도한다.

다) 학습자 간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모둠별 협동․협력 학습, 토론 학습, 프로

젝트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성원이 서로 집단 지성을 나누고 창의적으로 발

전해 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외국의 문화를 배우고 우리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는 문화적 소양능력

1) 개념

외국의 문화를 배우고 우리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는 문화적 소양능력은 세계 여러 나라

의 다양한 문화와 정보를 이해하여 학습자의 지식을 넓히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를 통해 우리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올바르고 우리 문화에 대한 균형 잡힌 태도와 자

세를 기를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문화를 영어로 소개

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가) 외국의 다양한 문화, 지식과 정보에 대한 영어 텍스트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나) 문화 예술적인 경험을 하고 이를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킨다.

다) 문화에 대하여 균형 잡힌 안목을 갖고 우리 문화를 영어로 소개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영어를 사용하여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를 소개하는 능력은 감성적 지성, 심

미 능력, 창작 능력을 포괄하는 ‘문화적 소양능력’과 관련이 있다. ‘감성’, ‘스토리’, ‘지식 창

조’의 시대로 변화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자문화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

나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면서도, 우리 문화에 대한 올바른 정체

성을 확립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동서고금의 예술과 문화를 경험하고 향유하는 능

Page 24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43 -

력과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주

는 것이 필요하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영어권 및 비영어권 문화를 두루 이해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 관련 텍스트로 교

수ㆍ학습 내용을 구성한다.

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영어로 체험하는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국의 문화를

체득하도록 한다.

다) 상황극, 토론, 글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문화에 대한 개방성 및 유연성과 우리 문

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높인다.

라) 우리나라의 문화를 말이나 글로 외국인에게 소개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 내용을

구성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가. 언어 기능

1) 언어 기능에는 이해 기능으로 듣기, 읽기가 있으며, 표현 기능으로 말하기와 쓰기

가 있다.

2)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 4기능을 점진적으로 함양하고, 통합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나. 의사소통 활동

1) 의사소통 활동은 음성 언어 활동과 문자 언어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2)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다양한 언어 형식과 내용을 필요로 한다.

다. 언어 재료

1)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활동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탐구 능력, 문제해결 능력 및

창의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내용으로 삼는다.

2) 의사소통 활동의 내용에 따라 교수ㆍ학습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텍스트가 있다.

Page 24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44 -

라. 공통교육과정 및 선택교육과정5)

구분 과목 내 용 활용 가능한 텍스트6)

초등

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흥미, 필요, 인지적

수준 등을 고려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내용

∘의사소통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

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

∘주제, 상황, 과업 등을 고려한

내용

∘상호 작용에 적합한 내용

∘영어권 및 비영어권 문화 이해에

적합한 내용

∘창의성 및 논리적, 비판적 사고

력 배양에 도움이 되는 내용

∘개인 생활에 관한 내용

∘가정생활과 의식주에 관한 내용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에관한 내용

∘취미, 오락, 여행, 건강, 운동

등 여가 선용에 관한 내용

∘동․식물 또는 계절, 날씨 등 자

연 현상에 관한 내용

∘영어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다양

한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내용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내용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의 언어

적, 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

∘공중도덕, 예절, 협력, 배려, 봉

사, 책임감 등에 관한 내용

∘광고 포스터, 지도, 그래프, 도표, 단어 의미

설명 카드, 영화, 상징, 로고, 웹 페이지

∘사용 설명서, 게임 규칙, 신상명세서, 광고지,

잡지 발췌, 어린이 잡지와 신문, 웹사이트

∘만화, 촌극, 대화, 인터뷰, 연극 극본 발췌문

∘삽화가 많이 있어 이해하기 쉬운 구조의

이야기, 고전동화, 철학동화, 삶의 지혜,

역사지혜

∘수학, 과학 등 다양한 과목의 외국 교과서,

웹사이트

∘문화적 체험으로 과학, 정치, 예술, 역사,

스포츠혹은 문학 분야의 사건, 인물 및행사에

대한 발견 및 탐구

중학교

∘지도, 그래프, 도표, 광고 포스터

∘광고, 단체의 로고, 영자신문, 청소년잡지와

웹사이트

∘편지, 엽서, 초대장, 감사카드

∘일기, 에세이, 논평문

∘인터뷰, 연극, 영화 대본

∘수학, 과학 등 다양한 과목의 외국 교과서,

웹사이트

∘문학, 역사, 철학 및 자연과학 관련 작품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영어마을 등 체험

학습기관 방문

5) 텍스트가 제시된 순서는 시각적 텍스트, 서술적 텍스트, 체험적 텍스트 순이고, 교수․학습 장면에서 학습자 수준에 따

라서 유연하게 취사선택한다.

6) 학습자의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에 맞는 텍스트를 선택하며, 과목에 따른 텍스트의 내용이 동일할지라도 수준별

로 적절하게 재구성하여 활용하되, 학교급 별로 제시된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에서 나아가 교육과정상의 학습자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Page 24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45 -

구분 과 목 내 용 활용 가능한 텍스트7)

고등

학교

기초

영어

∘환경 문제, 자원과 에너지 문

제, 기후 변화 등 환경 보전에

관한 내용

∘문학, 예술 등 심미적 심성을

기르고 창의력, 상상력을 확장

할 수 있는 내용

∘인구 문제, 청소년 문제, 고령

화, 다문화 사회, 정보 통신 윤

리 등 변화하는 사회에 관한

내용

∘진로 문제, 직업, 노동 등 개인

복지 증진에 관한 내용

∘민주 시민 생활, 인권, 양성 평

등, 글로벌 에티켓 등 민주 의

식 및 세계 시민 의식을 고취

하는 내용

∘애국심, 평화, 안보 및 통일에

관한 내용

∘정치, 경제, 역사, 지리, 수학,

과학, 교통, 정보 통신, 우주,

해양, 탐험 등 일반교양을 넓히

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

∘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

예술 분야의 학문적 소양을 기

를 수 있는 내용

∘간단한 서식, 메모, 그림, 광고 포스트,

지도, 그래프, 도표, 영화, 상징, 로고,

웹사이트

∘문화, 역사, 철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고전과 현대명저

∘문학, 역사, 철학, 과학, 사회과학 다큐

멘터리, 영상물

∘다른 학과목의 기본서

∘예술철학, 예술사회학, 예술평론

∘자기 주도 학습 계획서 및 학업계획서 작

성 등 미래 진로 및 직업 탐색 활동

∘문화적 체험으로 과학, 정치, 예술, 역사,

스포츠 혹은 문학 분야의 사건, 인물 및

행사에 대한 발견 및 탐구

∘문화와 관련된 장소(도서관, 박물관, 미

술관, 영어마을 등) 방문

실용

영어I

실용

영어

회화

실용

영어

독해와

작문

실용

영어Ⅱ

영어Ⅰ

영어

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II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초등에서 중등, 고등으로 이어지는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른 특성을 이해하고, 영

어과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과 문화적 소양능력의 기초를 키워주는 교수ㆍ학습을

계획하고 지도한다.

7) 학습자의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에 맞는 텍스트를 선택하며, 과목에 따른 텍스트의 내용이 동일할지라도 수준별

로 적절하게 재구성하여 활용하되, 학교급 별로 제시된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에서 나아가 교육과정상의 학습자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Page 25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46 -

2) 의사소통능력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수준에 맞는 스토리텔링이나 노래, 찬트

그리고 몸으로 나의 생각과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

하며, 이 외에도 게임, 역할극 등의 체험활동을 적극 활용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자 간에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한다.

3) 교사는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자료를 수업에 도입함으로써, 학습자의 자

발성과 자기주도성을 북돋우며 영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기능이 연계된

의사소통 과정에서 배움을 전개해 나가도록 지도한다.

4) 교사 중심의 활동보다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 학습자와 교사 간 상호 작용이 촉진되

도록 하고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이루어진 다양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활용하여 자

신을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 활동을 계획한다.

5) 교육내용은 교과서에서 가져오되, 교수ㆍ학습에 관련된 텍스트는 주변의 자료나 일

상적인 학습자의 삶 속에서 가져와서 언어와 삶을 분리시키지 않고 통합적으로 의

사소통능력을 기르도록 계획한다.

6) 영어의 4기능을 지도할 때에는, 학습자의 진로 및 관심분야와 관련된 텍스트를 다

양한 소집단 협동학습을 위한 적절한 과업과 함께 제시하여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자기주도성을 배양하도록 지도한다.

7)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위한 수업에 있어, 쉬운 내용을 모방하거나 반복하기보다는

학습자의 수준보다 약간 높은 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자의 지적인 성장이 일어 날 수

있는 다양한 과제를 제시한다.

8) 학습자가 의사소통기능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실수나 오류를

교사가 곧바로 수정해 주기보다는 스스로 생각해서 깨달을 수 있도록 적절한 피드

백을 제공한다.

9)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수업은 가급적 영어로 진행하되 학습자의 수준

을 고려하여 영어 사용량과 수준, 속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학습흥미와 동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저학년은 평생 영어학습의 시작단계이므로 학습동기

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교사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세심한 배려, 관심이 필요하다.

10) 교수ㆍ학습 방법의 선정 과정에 학습자를 참여시켜 창의적인 활동을 도출하고, 학

습자의 주체적 사고를 유도하기 위하여 교사가 명시적인 답을 제시하기 보다는 모

호한 태도를 취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11) 주어진 주제에 대한 발표 및 글쓰기 지도를 할 때에는 한 개의 정답을 요구하기

보다는 여러 개의 응답이 나올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확산적, 주

체적, 창의적 사고의 신장을 도모한다.

12) 학습자는 명저를 포함한 다양한 텍스트에서 지식과 지성을 얻고, 이를 토대로 한

비판적 사고에서 도출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인 영어 텍스트(음성․문자)로 표

현하며, 이를 사회적 실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3) 타 문화 체험활동 및 역할극, 문화적 소재 등을 교수ㆍ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개방적 태도 및 존중의식을 길러 세계시민으로서 더불어 살아

Page 25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47 -

갈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14) 다양한 매체를 통해 외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동시에 우리 문화의 우수함을

말이나 글로 외국인에게 소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말하기, 쓰기를

지도한다.

15) 말하기, 쓰기 지도에 있어 문제를 제기하거나 질문하고 대답하는 논쟁의 과정, 비

판적 사고력, 나와 의견이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와 가치를 함께 배울 수 있

도록 한다.

16) 교수ㆍ학습 활동에 있어 지나친 경쟁위주의 게임보다는 서로를 이해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그룹 활동과 함께 발음이나 말하기 등의 표현능력뿐만 아니라 상대방을

배려하고 상대의 말을 경청하는 듣기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함으로써 민주적인 의

사결정을 존중하고 의무를 다하는 민주시민 의식의 기틀이 형성되도록 지도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학습자의 진로에 따른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학습자의 수준, 언어 능력, 공통

관심 분야를 고려하되 실생활과 기초 학문 영역의 주제에 관한 자료 및 정보를 다루는 데

필요한 언어 능력을 계발하도록 한다. 다양한 진로 분야를 소개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ㆍ학습 활동을 계획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진로 탐색과 자아실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1) 어문계열이나 인문학계열의 영어 교과에 특별한 계열적 관심이 있는 학습자들은 영

어 심화과목(심화 영어 독해 Ⅱ, 심화 영어 작문 등)을 선택하여 인지적 관심을 발

전시켜나가도록 지도한다.

2) 국제 통상 계열, 상경 계열 등의 진학을 희망하는 학습자들은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통해서 국제적인 정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관련된 영어 심화과목(심화

영어, 심화 영어 회화 Ⅱ, 심화 영어 독해Ⅰ 등)을 심층적으로 학습하도록 지도한다.

3) 농생명 계열, 이공계열, 상경계열, 관광 계열 등 전문 직업군으로의 진로를 희망하

는 학습자들은 전문교과 관련 과목(전문교육을 실시하는 고등학교에서 개설하는 전

문교과 관련 영어로 농업영어, 공업영어, 비즈니스영어, 해사영어, 관광영어 등)을

밀도 있게 학습하도록 지도한다.

4) 진로와 연계된 교수ㆍ학습 지도의 주안점은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학습자 자신의

직업 및 진로 분야에 필수적인 영어 기능을 심화할 수 있도록 학습을 촉진하되 이

를 통해 해당 분야의 영어 의사소통능력과 문화적 소양능력을 신장시켜 희망하는

진학, 진로 분야에서 전문성의 기초를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다. 읽기자료

1) 교수․학습 지도 과정에서 학습자의 통찰력, 직관력, 분석력, 그리고 논리력을 기

를 수 있도록 세계의 명저를 두루 읽도록 한다.

2) 세계의 명저에는 영어로 기술된 고전동화, 철학동화, 문학, 역사, 철학, 자연과학과

Page 25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48 -

사회과학의 고전 및 현대명저가 있으며, 명저 읽기를 바탕으로 자신이 읽은 내용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수업과 긴밀하게 연계하여 교수ㆍ학습 과정을 설계하도록 한다.

3) 읽기자료-공통교육과정 및 선택교육과정8)

구분 읽기자료

초등학교

∘The very hungry caterpillar(Eric Carle)

∘Guess How Much I Love You(Sam McBratney)

∘Brown bear, Brown bear, what do you see?(Bill Martin, Jr.)

∘Magic Tree House series(Mary Pope Osborne)

∘The Runaway Bunny(Margaret Wise)

∘The Polar Express(Chris Van Allsburg)

∘Green Eggs and Ham(Dr.Seuss)

∘Fantastic Mr. Fox(Roald Dahl)

∘The Wizard of Oz(L. Frank Baum)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Dr. Seuss)

중학교

∘Who Moved My Cheese?(Spencer Johnson)

∘Fahrenheit 451(Ray Bradbury)

∘Five People You Meet in Heaven(Mitch Albom)

∘To Kill a Mockingbird(Harper Lee)

∘Next(Michael Crichton)

∘Bringing Down the House(Ben Mezrich)

∘Aboriginal And Inuit Worlds(Philip Harvey)

∘20,000 Leagues Under the Sea(Jules Verne)

∘Of Mice and Men(Tim O'Brien)

∘Brave New World(Aldous Huxley)

∘Mythology(Edith Hamilton)

∘The Story of Philosophy(Will Durant)

∘The Phantom tollbooth(Norton Juster)

∘Number the Stars(Lois Lowry)

∘That Was Then, This is Now(S. E. Hinton)

∘The Clan of the Cave Bear(Jean Auel)

∘The Chocolate War(Robert Cormier)

8) 미국 교육협회(http://www.nea.org) 등을 참고하여 읽기자료(예시)를 선정하였다.

Page 25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49 -

구분 읽기자료

중학교

∘The Clan of the Cave Bear(Jean Auel)

∘The Chocolate War(Robert Cormier)

∘My Side of the Mountain(Jean George)

∘Animal Farm(George Orwell)

∘I Have A Dream(Martin Luther King Jr.)

고등학교

∘1984(George Orwell )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Edward Gibbon)

∘A History of the English-speaking Peoples(Winston Churchill)

∘Seven Pillars of Wisdom(T.E. Lawrence)

∘Inaugural address(John Fitzgerald Kennedy)

∘Pearl Harbor Address to the Nation(Franklin Delano Roosevelt)

∘The Catcher in the Rye(J. D. Salinger)

∘The Wealth of Nations(Adam Smith)

∘For Whom the Bell Tolls(Ernest Hemingway)

∘Lord of the Flies(William Golding)

∘The Picture of Dorian Gray(Oscar Wilde)

∘The Metamorphosis(Franz Kafka)

∘Pride and Prejudice(Jane Austen)

∘Pygmalion(Bernard Shaw)

∘The Life of Galileo(Bertlot Brecht)

∘The Selfish Gene(Richard Dawkins)

∘Heart of Darkness(Joseph Conrad)

∘Hamlet(William Shakespeare)

∘Tess of the D'urbervilles(Thomas Hardy)

∘Utopia(Thomas More)

4 평가 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교수ㆍ학습에서 사용한 과업의 형태와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과 평가가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하며, 평가의 목적과 종류,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과제와

적절한 난이도의 문항을 통하여 평가한다.

2)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영역을 균형 있게 평가하되, 두 가지 이상의 영역의 기능을 통합한 평가도 적

절히 실시한다.

3) 평가 내용에는 학습한 영어의 언어지식 및 내용과 함께 학습자의 호기심이나 성취

욕구, 도전의식, 협력도와 긍정적인 태도 등의 정의적 능력을 포함하여 학습자의

Page 25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50 -

인지능력과 정의적인 영역의 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4) 관찰, 역할극, 포트폴리오 평가, 시연, 보고서 작성, 문학작품 감상문 작성, 토론,

캠페인 활동 등 학습 과정과 결과를 함께 평가하는 과제 지향형 체험으로 평가내용

을 구성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학습력을 조장하고 동시에 평가에 참여하는 경험이

학습자에게 유의미하며 가치 있는 학습 과정이 되도록 한다.

5) 평가의 방향은 학습자의 성취수준을 평가하는 성취평가제로 나아가며, 학습 목표와

이에 따른 성취 수준에 학습자가 도달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 활동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설계해야 한다.

나. 평가 방법

1) 듣기 평가의 경우, 입력 언어를 제시할 때에는 일관성을 위해서 가급적 녹음 자료

를 사용하고, 녹음 대본을 만들 때에는 대화문을 사용하거나 음성 언어로 된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진정성을 높임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도록 한다.

2) 듣기와 말하기 평가의 경우, 언어라는 지시적 수단 뿐 아니라 제스처나 눈 마주치

기 등과 같은 비지시적 언어사용능력을 함께 평가하여 다양한 의사소통전략을 평가

에 반영하도록 한다.

3) 듣기와 말하기 평가의 경우, 의사를 전달할 때 타인의 말을 잘 경청하고 이해하고

반응하는지 등의 영어 의사소통 규칙 준수에 준거를 두고 가급적 관찰평가를 실시

한다.

4) 말하기 평가의 경우, 의사소통과 의미 표현의 유창성에 중점을 두며, 편안하고 우

호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다양한 내용에 관하여 학습자가 의사소통전략과 문화적 소

양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말하기 평가의 경우, 개인별로 특정 주제에 대한 의견을 발표하게 하여 태도, 주장

의 명료성, 질문에 대한 답변내용의 적절성 등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거나 그룹별로

촌극이나 연극 형식으로 발표하게 하여 평가할 수 있다.

6) 표현기능(말하기, 쓰기) 평가는 수행 평가, 보고서 작성, 서술형 및 논술형 평가와

구술형 평가 등을 활용한 직접 평가 방법을 가급적 실시하며, 사실 표현 능력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를 토대로 자신의 의견, 주장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

르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7) 초등학생의 읽기와 쓰기 평가의 경우,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알파벳과 단어위

주에서 시작해서 짧은 문장이나 단락 위주로 점진적으로 읽고 쓰도록 지도한다.

8) 읽기 평가의 경우, 단어나 문장, 단락을 단순히 읽는 단계에서 더 나아가, 단어 군

의 공통점을 찾거나 읽고 난 후 떠오르는 단어와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평가 상황을 조성하여 학습자의 통합적 사고력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9) 읽기 평가의 경우, 단편적인 언어 지식을 측정하기보다는 전체 글을 읽고 이해하

고, 읽은 내용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쓰고, 발표하고, 토론하는 과업의 과정과

Page 25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51 -

결과를 평가하되, 언어의 4기능을 종합하여 측정하는 통합적 평가가 되도록 한다.

10) 쓰기 평가의 경우, 과제나 수업과 연관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하거

나 논의된 주제와 내용을 토론하여 그룹별 혹은 개인별로 간단한 보고서를 제출하

는 등 다양한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11) 쓰기 평가의 경우, 학습자를 실제로 평가하기 전에 여유와 시간을 갖고 해당 평가

유형을 충분히 연습하도록 지도하여, 비판적이며 창의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는 교사의 입장에서 학습자의 오류장면과 원인을 파악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배움의 자료로 활용하고,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현재 수준을 가늠하여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알아보는 지표와 안내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2) 학습자가 학습에 주의와 노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 및

학습자 개별지도의 수단으로 평가 결과를 활용하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연계하여 학습자의 진학․진로 지도를 전개해 나간다. .

Page 25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25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53 -

제2외국어과

1 제2외국어과 핵심역량

가. 해당 언어권과의 교류를 위한 의사소통능력

1) 개념

‘해당 언어권과의 교류를 위한 의사소통능력’은 해당 언어로 자신의 의사를 상황과 맥락

에 맞게 적절한 표현을 하고, 타인의 의사를 본래의 의도에 맞게 수용하며, 우리말과 해당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표현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하여 상황에 적절한 언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해당 언어권과의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탐색하고,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함으로써 공식적․비공식적

외국어 사용을 확대하여 풍부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가) 해당 언어권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더불어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상대

방이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나) 일상생활을 통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해당 언어로 자신

의 생각과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다) 해당 언어로 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탐

색하고 나아가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 논리적으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논리적으

로 표현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감정과 정서까지 이해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해당 언어권과의 교류를 위한 의사소통능력’은 해당 언어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적․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을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신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

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해당 언어권 사람들과 다양한 장

면에서 적절하게 소통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 등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적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대인관계능력도 기를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제2외국어 교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어휘 및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활용하여

Page 25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54 -

상황에 맞게 적절히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한다.

나) 자신의 생각을 바르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모둠학습, 프로젝트학습, 토론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다) 다양한 정보매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해당 언어권과 상황에 맞게 의사소

통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국제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

1) 개념

‘국제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은 해당 언어권의 문화에

대한 직․간접적 경험을 통해서 문화의 다양성, 사회․역사적 배경, 특징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급변하는 국제사회에 유연한 사고와 창의적 아이디어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

는 능력을 의미한다. 나아가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세계문화 창조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문화적 감수성과 유연한 사고능력을 갖춘 세계인으로서 지녀야할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가) 국제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다원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양한 삶의 가치와 문화

를 창조적으로 수용․발전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급변하는 국제 정세를 바로 알

고, 당면한 과제를 원활히 해결해 나갈 수 있다.

나) 우리 문화와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해당 언어권 국가 특유의 일

상 생활 문화와 사회․문화적 현상의 원인 및 그것이 지닌 문화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다)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틀림’과 ‘다름’의 차이를 이해하고 타문화에 대한 능동

적 수용 자세와 우리 문화에 대한 성찰을 통해 국내외 문화 및 관계에 대한 이해

의 폭을 넓혀 성숙한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국제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 문화

적 소양능력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 즉, 학습자가 다양한 문화권에 존재하는 삶의 방식과

문화적 전통, 가치관 등의 직․간접적 경험을 통해 문화의 다양성 및 다원성을 열린 마음

으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세계의 여러 민족과 소통하고 협력하며, 쌍

방향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세계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시민 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age 25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55 -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수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해당 국가의 특징적 문화 현상을 변별해 낼 수 있도

록 직․간접적 체험활동 중심으로 학습장면을 구성한다.

나) 해당 문화권 사람들과 SNS를 통한 실시간 대화, e-mail 교환, 관련 도서 및 텍

스트 읽기 등의 활동을 통해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한다.

다) 다양한 문화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사회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여 자신의 진로에 대한 비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가. 중학교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1~3

학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을 균형 있게 전개할

수 있는 내용

∘국어-언어의 특성, 국어의 구조

∘영어-철자법, 어법에 맞게 쓰기

∘한문-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

∘영어-문자 언어 활동

∘발음 및 철자

∘어휘, 문법

∘의사소통표현 기능을 이해

하고 활용할 수 있는 내용

∘다양한매체를활용하여자신의

의사를표현할수있는내용

∘국어-다양한 목적의 글 읽기

∘도덕-타인 존중의 태도, 청소년 문화와 윤리,

자신․타인․사회와의 관계 (사이버 예절)

∘사회-개인과 사회생활

∘정보-정보의 공유와 보호, 정보의 윤리적

활동, 정보의 표현과 관리

문화적

내용

∘가정생활에 관한 내용

∘도덕-우리․타인․사회와의 관계

∘체육-건강활동

∘기술․가정-가족의 이해, 가족의 생활

∘환경-지역 환경과 지구환경

∘학교생활에 관한 내용

∘기술․가정-청소년의 이해, 가족의 이해

∘체육-도전활동, 여가활동

∘진로와 직업-중학교 이후의 진로탐색

∘도덕-예절과 도덕

∘의복 문화에 관한 내용 ∘기술․가정-가정생활의 실제

∘음식 문화에 관한 내용 ∘기술․가정-가정생활의 실제, 가족의 생활

∘주거 문화에 관한 내용∘기술․가정-건설기술, 가정생활의 실제

∘환경과 녹색성장- 환경문제와 대책

∘축제에 관한 내용

∘도덕-문화와 도덕

∘역사-다양한 문화권의 형성

∘음악-표현(다양한 예술의 배경음악)

∘미술-미적체험, 감상

Page 26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5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1~3

학년

문화적

내용

∘전통 문화에 관한 내용

∘진로와 직업-행복한 삶과 진로, 직업의 의

미와 다양한 직업 세계

∘도덕-문화와 도덕

∘체육-표현활동(전통 표현, 다문화 존중)

∘음악-감상(다양한 시대의 음악)

∘미술-미적체험, 감상

∘대중문화에 관한 내용

∘사회-문화의 이해와 창조

∘체육-표현활동, 여가활동

∘음악-생활화(음악을 즐기는 태도)

∘미술-미적체험, 감상

∘기술․가정-청소년의 생활

∘국토․지리에 관한 내용 ∘사회-다양한 기후 지역과 주민생활

∘세계문화 유산에 관한 내용

∘역사-통일제국의 형성과 세계종교의 등장

∘도덕-세계평화와 인류애

∘음악-표현(다양한 예술 음악)

∘미술-미적체험, 감상

나. 고등학교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

학교

1~3

학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을 균형 있게 전개할

수 있는 내용

∘국어Ⅰ-문법(음운과 어휘의 이해)

∘국어Ⅱ-문법(한글의 가치와 국어사랑)

∘독서와 문법-음운(국어구조의 이해)

∘한문Ⅰ-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

∘기초수학-수와 식의 계산

∘수학Ⅰ-다항식의 연산

∘발음 및 철자

∘어휘, 문법

∘의사소통표현 기능을 이해

하고 활용할 수 있는 내용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자

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

는 내용

∘국어Ⅰ-바람직한 글쓰기 습관, 정보의 선정과

내용 조직

∘독서와 문법 - 독서와 언어의 본질, 국어

구조의 이해

∘문학-문학 활동과 비평적 태도

∘공업-정보기술과 활용, 정보통신

문화적

내용

∘가정생활에 관한 내용 ∘기술․가정-가정생활문화, 진로와 직업설계

∘학교생활에 관한 내용 ∘도덕-청소년과 도덕

∘사회생활에 관한 내용 ∘윤리와 사상-인간의 삶과 윤리사상

∘의복 문화에 관한 내용∘기술․가정-가정생활문화

∘가사․실업-의복재료․관리, 서양의복 구성

∘음식 문화에 관한 내용∘기술․가정-가정생활문화

∘가사․실업-동양조리, 서양조리

Page 26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57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

학교

1~3

학년

문화적

내용

∘주거 문화에 관한 내용

∘기술․가정-가정생활문화

∘환경과 녹색성장-자원과 에너지 문제(지역 간,

국가 간의 갈등과 협력)

∘가사․실업-주거, 실내디자인

∘축제에 관한 내용

∘사회문화-문화를 보는 관점

∘세계지리-문화적 차이와 교류

∘음악과 진로-음악의 경험과 현장, 음악의

진로와 특성

∘미술창작-미술의 확장

∘스포츠문화-스포츠 축제문화

축제에 관한 내용

사회문화-문화를 보는 관점

세계지리-문화적 차이와 교류

음악과 진로-음악의 경험과 현장,

음악의 진로와 특성

미술창작-미술의 확장

스포츠문화-스포츠 축제문화

전통 문화에 관한 내용

가사․실업-관광 일반

음악과 생활-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미술창작-미술의 감상

대중문화에 관한 내용

생활과 윤리-다문화 사회의 윤리

음악과 생활-음악적 표현과 생활

미술문화-매체와 표현

운동과 건강생활-운동과 정신건강

공업-만화․애니메이션기초

국토․지리에 관한 내용

세계지리-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동아시아사-오늘날의 동아시아

세계사-지역세계의 통합과 세계적 교역망

세계문화 유산에 관한 내용

사회․문화-문화와 사회

미술창작-미술의 감상

음악과 생활-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지도방법

1) 수업을 계획하고 준비할 때 학습자의 발달 단계, 수준, 개성을 고려하고 학습자 스

스로 배움이 일어나도록 지도한다.

2) 의사소통 기본표현을 활용하여 학생-학생, 교사-학생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

Page 26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58 -

어지도록 하고, 관련 표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언어의 유창성과 창의성을 신장

하도록 한다.

3) 타 교과와의 통합 교수ㆍ학습 방법을 모색하여 다양한 교과로부터 언어적 기능, 언

어재료 및 문화적 내용의 원리들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하여 제2외국어의 유용성

과 가치를 인식하도록 한다.

4) 해당 언어권의 관련 고전, 명저, 명작 등을 다양한 각도로 재구성하여 제공함으로

써 인류 문화 이해에 필요한 감수성을 키우고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한다.

5) 듣기 지도에서는 교재 및 해당 언어권의 노래, 광고,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등

을 활용하여 지도하고, 들은 내용을 해당 언어로 쓸 수 있도록 지도하여 듣기와 쓰

기 지도를 연계하여 운영한다.

6) 말하기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매체를 활용한 상황극 및 더빙 활동을 통해

정확한 발음과 표현이 가능하도록 지도한다. 더불어 타인의 말을 경청하고 배려하

는 자세를 갖출 수 있도록 한다.

7) 읽기는 짧은 단문 읽기에서 시작하여 긴 문장 읽기로 확대하도록 지도하고, 고전,

문학, 예술, 뉴스 자료 등의 다양한 매체의 읽기 자료를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

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8) 쓰기는 빈 칸 채우기, 짧은 문장 완성하기, 긴 문장 완성하기, 자신의 생각 쓰기

등을 통해 표현력과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듣기와 병행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9) 의식주와 관련된 직ㆍ간접 체험을 통해 외국어에 대한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한

다. 이를 통해 모든 학습자들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배움과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0) 문화비교 수업에서는 협동학습과 체험학습, 그리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토론학습,

모둠학습, 프로젝트학습을 통해 협동심, 비판적 사고력, 표현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11) 학생들이 수업과정에서 스스로 문제를 찾아 생각하고 비판하며 성찰할 수 있는 능

력을 기르도록 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남을 배려하고 더불어 살아가

는 민주시민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12) 학습자 스스로 우리 문화와 해당언어권 문화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탐색하여, 다

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및 존

중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13) 배움중심수업을 실천하여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도

록 한다. 또한 다양한 언어와 관련하여 자신의 진로와 관심 분야를 탐색하고 새로

운 세계에 대한 도전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Page 26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59 -

나. 진로와의 연계 지도

제2외국어 교과 학습을 통해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세계시민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제2외국어 습득을 통해 영어 사용 국가

뿐 아니라 다양한 국가로의 진로 개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외국어 교과는 의

사소통능력뿐만 아니라 해당 언어권의 문화에 대한 직․간접적 경험을 통해 문화의 다양

성, 사회ㆍ역사적 배경, 특징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 등을 기를 수 있도록 해

야함은 물론, 제2외국어 교과의 핵심역량이 잘 발휘될 수 있는 진로를 학생들에게 안내하고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제2외국어와 관련된 진로 분야로는 교육(교수, 교사, 연구원 등), 관광(통역사, 호텔리어

등), 외교, 출판 분야(국제회의 전문가, 저작권에이전트등), 기업체, 한류문화 전문가 등이 있

다. 변화하는 국제사회ㆍ다문화 사회에서 자신의 역량과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제2외국

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해당 언어권과의 의사소통능력과 문화소양능력을 강화하여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고등학교

공통

언어 및

문화적 내용

∘제2외국어 공통

세계 문화여행 역사 지리 여행

요리조리 맛있는 세계 여행

세계의 옛이야기

먼 나라 이웃나라

교과서속 세계 여행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

세계테마기행(영상물)

요리보고 세계보고(영상물)

∘생활독일어, 독일어Ⅰ Ⅱ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독일사

과학 선생님 독일 가다, 독일의 역사와 문화

독일: 내면의 여백이 아름다운 나라

독일을 움직인 48인, 독일 문화 이야기, 데미안, 저지대

세계로 떠나는 테마여행 30-독일/오스트리아(DVD)

걸어서세계속으로:유럽(DVD)

Ich Liebe Dich: Beloved German Lieder[독일가곡집](CD)

Page 26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60 -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고등학교

공통

언어 및

문화적 내용

∘생활프랑스어, 프랑스어Ⅰ Ⅱ

이방인, 페스트, 적과 흙, 레미제라블, 나무, 어린왕자

인간의 대지, 마담 보바리, 개미, 꼬마 니꼴라(영화)

키리쿠와 마녀(애니매이션), 곰이 되고 싶어요(애니매이션)

좁은 문, 노트르담드 파리(뮤지컬), 프랑스 미술 500년

루브르와 오르세의 명화산책, 아주 쉬운 프랑스 요리∘생활스페인어, 스페인어Ⅰ Ⅱ

돈키호테, 스페인 너는 자유다, 체 게바라 평전

보르헤스 만나러 가는 길, 모래의 책, 영혼의 집

백년간의 고독, 배를 타고 아바나를 떠날 때

가우디 공간의 환상, 달리, 나는 천재다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그리고 갑자기 천사가

멕시코 쿠바 한인 이민사, 가만히 조용히 사랑한다

피카소(영화), 모토사이클 다이어리(영화), 마리포사(영화)

에비타(영화), 스팽글리쉬(영화), 카르멘(오페라)생활중국어, 중국어Ⅰ Ⅱ

중국의 음식문화, 한국인이 까뒤집어본 중국

중국문화에 담긴 중국이야기, 경극의 묘미(동영상)

빈대가족의 중국 따라잡기, 중국문화의 날 축제(동영상)

영화 속 문화대혁명-인생, 레드바이올린을 보고(영화)

한자, 한문 그리고 중국문화, 문화한류로 본 중국과 일본

중국문화여행 역사․지리여행 중국편, 중국의 전통가정교육

아큐와 건달, 예술을 말하다, 중국 전통극의 공연과 문화

중국을 움직이는 말 한마디, 위치우위의 중화를 찾아서

중국의 지형과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동영상)생활일본어, 일본어Ⅰ Ⅱ

일본의 연중행사와 관습 120가지 이야기, 국화와 칼

일본의 문화와 생활, 축소지향의 일본인, 설국

개인적인 체험, 일본 기차 그리고 여행, 일본에 가자

일본인의 생활 365일, 일본의 역사와 문화

현대 일본 문화론, 이것이 일본이다, 가부키(동영상)

이웃집의 토토로(애니메이션), 심야식당(만화)

반딧불이의 묘지(애니메이션), 동경 비디오 일본어(비디오)생활러시아어, 러시아어Ⅰ Ⅱ

체홉 단편선, 푸쉬킨 단편선, 톨스토이 단편선

고골 단편선, 눈과 피의나라 러시아 미술, 부활

죄와 벌, 안나카레니나, 전쟁과 평화

러시아:상상할 수 없었던 아름다움과 예술의 나라

벚꽃동산(연극), 바냐아저씨(연극),

체부라쉬까(애니메이션), 백조의 호수(발레), 지젤(발레),

호두까기 인형(발레), 닥터지바고(영화)

Page 26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61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해당 언어권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학습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올바른

경청 및 이해를 바탕으로 바른 외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한다.

2) 국제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다원성을 이해하고 미래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 처

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을 기르기 위해 학생 개개인의 논리적인 사고방식과 창

의적 해결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3) 정해진 답만을 찾도록 강요하는 객관식, 단답형의 평가를 지양하고, 기획력과 과정,

논리를 중시하는 서술형, 논술형 평가 비중을 높인다.

4) 단편적인 지식을 지양하고,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평가 방법을 사

용한다.

5)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능을 분리

하지 않고 통합하여 나의 생각과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6) 듣기와 말하기는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경청․이해․반응을 평가하고 유창성, 유연

성에 바탕을 둔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외국어를 구사하는지

를 평가한다.

7) 읽기는 비판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해 단편적인 언어 지식보다는 전체 글을 읽고,

글의 성격, 논리적 관계, 주제어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8) 쓰기는 학생 스스로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연하고 다양한 사

고력과 창의성을 발휘하는 글을 쓸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9) 문화 평가의 경우, 외국어 문화에 대한 편견 없이 다양한 삶의 가치를 이해하고 수

용하기 위해 외국의 일상 문화와 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 여부를 평가한다.

나. 평가 방법

1) 수행평가는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과정 중심의 다

양한 평가와 학생의 능력 변화 과정과 성장 정도에 관심을 가지는 성장참조형 수행

평가를 활용한다. 즉 요리, 노래, 역할극, 프리젠테이션, 시낭송, 말하기, 독서, 작

품 감상, 체험활동 등 학습활동에 적절한 평가를 실시한다.

2) 구술형 평가는 해당 외국어 인터뷰, 발표, 말하기를 통해 특정 교육 내용이나 주제

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도록 하여 말하는 태도, 주장의 명료성, 논증의 정확

성,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의 적절성 등을 총체적으로 평가한다.

3) 서술형평가는 주제에 대한 예화, 동영상, 그림, 문학작품의 일부를 보거나 읽게 한

Page 26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62 -

다음 주제에 대한 학생의 사고과정을 드러내게 할 수 있는 등, 학생의 사고력을 평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4) 논술형 평가는 제시된 다양한 텍스트에 대한 찬반 의견, 갈등 상황에 대한 해결 방

안 제시 등과 같은 논리적 표현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이 평가될 수 있도록 한다.

5) 지필평가의 경우는 지엽적이고 단편적인 지식에 대한 평가를 지양하고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실시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지필평가 외에 면접, 체크리스트, 관찰, 면담 프로그램, 활동 보고서, 포트폴리오,

자기평가 등의 여러 가지 양적, 질적 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반성적 자기 평가 자료

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는 외국어 지식 함양 및 의사소통능력 제고를 위한 학업성취수준 향상과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

3) 평가 결과는 학생의 현재 수준 및 발전가능성을 알려주는 지표로 진로지도 자료로

도 활용할 수 있다.

Page 26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63 -

한문과

1 한문과 핵심역량

가. 한문고전 감상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살 수 있는 자기관리능력

1) 개념

‘한문고전 감상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살 수 있는 자기관리능력’이란 한문고전 속에 담겨

있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내면화하여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하고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을 성찰하여 스스로의 생활을 관리할 수 있는 실천적

생활능력을 의미한다. 이 역량은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혼재되어 있는 현대 사회에서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한문고전은 선인들의 삶과 지혜가 담겨 있어 오랜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그 생명력이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는 우리 민족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선인들의 삶의 모습과 사상은

현대의 다양한 문제 상황 속에서 바람직한 행동 유형을 생각하게 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

을 할 수 있게 한다.

한문 속담과 명언·명구, 격언 등은 짧은 구절 속에 교훈적 의미를 담고 있어 삶의 지혜를

발견하고 진지한 자기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글들은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학습

자들에게 중요한 삶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한문고전 감상을 통해 학습자가 건전한 사고방식과 생활습관을 형성해감으로써

장차 타인과의 바람직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이 역량의 주요 특

성이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첫째, 학습자는 선인들의 사상과 지혜가 담겨 있는 한문고전의 감상을 통해 문제 상황에

대한 다각적이고 논리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며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하는 과정을 통해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한문고전 속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은 바람직한 인성과 건전한

가치관 및 국가관을 함양하게 한다. 나아가 민주사회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다하고,

사회발전에 기여하며, 다양한 문화를 인정하고, 세계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민주시민 의

식을 형성할 수 있다.

Page 26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64 -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각 단원의 학습에 있어서 단원의 특성에 맞는 학습 장면이나 학습자의 성취 수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나) 토의 학습법, 역할놀이 학습법, 토론 학습법, 색출법 등 목표달성에 효과적인 교수

ㆍ학습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자신

의 창의적인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다) 학습자에게 친근한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의 다양한 매체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

가 흥미를 가지고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하되 교사와 학습자가 쌍방향으로 소통

할 수 있도록 한다.

라) 한문에 담겨 있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자신의 가치관 수립과 인성 함양에 관련

지어 설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마) 중학교에서 한문과 교육을 체계적으로 이수하지 않은 학습자가 고등학교 ‘한문I’을

이수하고자할 때에는 중학교 한문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별도의 보충학습 계획을 수

립하여 지도한다.

나.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

1) 개념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이란 다양한 유형의 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현대 사회에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문화적 감수성과 창조성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는 한문 교육을 통해 전통

문화의 의미와 현대적 특성을 학습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 속

에서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나아가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학습자가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에 대한 비판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 자료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는 인

류사회의 누적된 지적 전통으로 학습자는 이러한 한문 자료를 학습하면서 비판적 안목을

키우게 된다. 이를 통해 우리의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자

질과 태도를 형성하게 되며, 나아가 국제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

를 수 있는 것이 이 역량의 주요 특성이다.

Page 26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65 -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첫째, 학습자는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하는 과정 속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긍지와 주체의식을 가지고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삶의

가치와 문화를 편견 없이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키워, 다문화 사회에서 그들의 문화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창조적으로 적용하는 문화적 소양능력을 기르게 된다.

둘째, 전통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는 한자문화권의 공통된 문화에 대한 이해로 이어지며,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들과의 공감과 협력을 통해 이해와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상호간의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국제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학습자가 한자의 음과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실제의 언어생활이나 다른 교과의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나) 한문 독해를 통하여 고전에 담긴 선인의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고, 현대 재해석된

고전과 비교, 분석하여 고전 해석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키우도록 한다.

다) 한문에 나타난 전통문화의 특성과 현대적 의미를 토론과 협동학습을 통해 발견하

도록 한다.

라) 전통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와 심미적 향유를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현대사회에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마) 다양한 문화체험활동을 통해 한자문화권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체득하고 한자문화권

에 속한 나라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하도록 한다.

2 평가상의 유의점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독해

읽기∘국어 - 읽기의 본질과 특성

∘국어 - 읽기와 맥락

이해

∘도덕 -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국어 - 작품의 이해와 해석

∘국어 - 작품 감상

∘미술 - 삼국의 예술

문화 한자문화

∘역사 - 민족문화의 발달

∘도덕 - 우리·타인과의 관계

∘사회 -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사회 - 문화의 이해와 창조

∘체육 - 다문화 존중

∘중국어 - 문화적 내용

Page 27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6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한문

지식

언어생활과 한자문화∘국어 - 국어생활의 점검과 문제 해결

∘중국어 - 언어적 내용(의사소통기본표현)

한자

∘역사 -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중국어 - 언어적 내용(한자쓰기 규칙)

∘국어 - 글씨 쓰기

어휘∘국어 - 표현하기와 고쳐쓰기

∘국어 - 언어의 특성

문장∘국어 - 국어의 구조

∘국어 - 낱말 및 문장의 이해

고등학교

한문Ⅰ

독해

읽기 ∘국어Ⅰ - 음운과 어휘의 이해

이해∘독서와 문법 - 독서와 언어의 본질

∘고전 - 고전과 국어활동

문화

한자문화∘윤리와 사상 -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기술·가정 - 배려와 나눔의 의식주 생활

언어생활과 한자문화∘국어Ⅰ - 올바른 국어 사용의 생활화

∘법과 정치 - 민주정치의 과정과 참여

한문

지식

한자

∘중국어Ⅰ- 언어적 내용(한자쓰기 규칙,

학습용 한자 필순)

∘한국사 -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어휘∘중국어Ⅰ- 언어적 내용(어휘)

∘일본어Ⅰ- 언어적 내용(어휘)

문장 ∘독서와 문법 - 국어 구조의 이해

고등학교

한문Ⅱ

독해읽기 ∘국어Ⅰ - 음운과 어휘 지식의 활용

이해 ∘고전 - 고전의 지혜와 삶의 성찰

문화

한자문화

∘윤리와 사상 -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사회∙문화 - 문화와 사회

∘고전 - 고전에 대한 태도

언어생활과 한자문화 ∘국어Ⅰ - 올바른 국어 사용의 생활화

한문학의 이해

∘국어Ⅰ - 문학과 사회적 소통

∘문학 - 문학 활동과 비평적 태도

∘한국사 -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한문

지식

한자∘한국사 -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어휘∘중국어Ⅰ- 언어적 내용(어휘)

∘일본어Ⅰ- 언어적 내용(어휘)

문장 ∘중국어Ⅰ- 언어적 내용(문법)

Page 27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67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원활한 언어생활을 영위하며, 한자문화권의 지

식 학습으로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의사소통

능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독해하면서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배워 건전한 가치관

과 올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도록 지도한다.

3) 전통문화의 이해를 바탕으로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을

키우도록 한다.

4)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은 모든 학생이 도달해야 할 성취 기준이므로, 학생의 특

성, 학년 간 연계성, 지역성 및 현실성을 고려하여 지도한다.

5) 독해, 문화, 한문 지식 영역의 학습이 유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계획한다.

6) 학습자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고, 학년 간 및 다른 교과와의 연계 학습이 가능하

도록 지도한다.

7) 교육 내용과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견학습, 협동 학습, 토론 학습, 개별학습,

설명식 교수 등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강구하되,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

는 창의적인 학습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8) 관련 고전, 명저, 명작, 영상자료 등 다양한 매체를 재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한문

자료를 독해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9) 한문 고전을 읽고 토론하면서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고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

할 수 있는 한문고전 독서토론 활동을 권장한다.

10) 학생 개인의 학습 능력과 수준, 적성, 희망 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학습내용을 재구성하여 배움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지도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한문 교과는 학생들로 하여금 원활하고 풍부한 언어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각종 한

문 자료 및 이와 관련된 학문과 문화의 제 분야를 이해하는 데 기본적인 도구의 역할을 한

다. 또한 중국, 일본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 속한 여러 나라의 언어에 소질이 있거나 관심

이 있는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되어 국제적 역량을 지닌 인재로의 성장을 돕는다.

한문과 관련된 진로는 우리의 전통문화, 문학, 역사, 철학에 관심이 있거나 한문 독해에

흥미와 적성을 갖고 있는 학생에게 적합하며, 특히 학생들의 자기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소양능력 등의 역량을 강화하여 희망하는 진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의 토대를 갖출

Page 27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68 -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문과 관련된 직업 분야에는 한국한문학, 동양학, 언어학, 동아시아학, 언론계, 신문방송계,

출판업계, 교직, 한국학 전문가 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진로와 취업기회에 대해 안내하고,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독해

읽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한자 비타민2000

∘거꾸로 보는 고대사

이해

∘고전혁명

∘옛글에 빗대어 세상을 말하다

∘한시의 세계

∘한시 미학 산책

∘우리 한시를 읽다

∘알아주지 않는 삶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유배지에서 보내는 편지

∘고전시가의 모든 것

∘고전산문산책

문화한자문화

∘[영화]-공자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생각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

언어생활과 한자문화 ∘한자로 풀어보는 우리 문화 유산

한문

지식

한자

∘살아있는 한자교과서1,2

∘한자의 역사를 따라 걷다

∘한자의 뿌리1,2

∘이야기 한자여행

어휘

∘지란지교를 꿈꾸며

∘고사성어 문화답사기1,2

∘고사성어 속담사전

∘클릭! 고사성어

문장 ∘문자이야기

고등학교

한문Ⅰ

독해

읽기 ∘고급한문해석법

이해

∘[동영상] 경청-항우와 유방 이야기

∘[지식채널e] 기원전 4세기(맹자)

∘왜춘추전국 시대에 제자백가가 등장했을까?

문화한자문화

∘처음 만나는 우리문화

∘이야기 중국사1

∘KBS 스페셜 ‘유교, 2500년의 여행'

언어생활과 한자문화 ∘우리 한자어 1000가지

Page 27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69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고등학교

한문Ⅰ

한문

지식

한자

∘한자왕국

∘한자를 알면 세계가 좁다

∘한자와 파자

어휘∘고사성어 인문학 강의

∘한학 연구 입문문장 ∘한문독해법

고등학교

한문Ⅱ

독해

읽기 ∘고급한문해석법

이해∘김원중 교수의 청소년을 위한 사기

∘오래된 웃음의 숲을 노닐다

∘[지식채널e] 12부 72조(정약용)

문화

한자문화∘한자로 풀어보는 우리 문화유산

∘[지식채널e] 어느 독서광의 일기(김득신)언어생활과 한자문화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한문학의 이해 ∘한 푼도 못되는 그놈의 양반

한문

지식

한자∘한문독해법어휘

문장

한문 학습 관련 사이트

1. 실학박물관 http://www.silhakmuseum.or.kr

2. 성호기념관 http://seongho.iansan.net

3. 다산연구소 http://www.edasan.org

4. 존한자사전 http://www.zonmal.com

5. 사마천의 사기세계 http://www.giant.x-y.net

6. 국가기록 유산 http://www.memorykorea.go.kr

7. 사이버서당 http://www.cyberseodang.or.kr

8.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itkc.or.kr

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10. 전통문화연구회 http://www.juntong.or.kr

11.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

3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한문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을 근거로 평가하되, 독해, 문화,

한문 지식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2) 평가의 목적, 방법, 기준, 내용, 시기 등을 학습자에게 안내하여 평가를 통한 학습

자의 한문 학습 능력 제고를 도모한다.

3) 평가 내용 선정 시, 평가 방법의 편의성에 치우쳐 각 영역의 단편적 지식이나 기초

Page 27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70 -

적 기능에 편중되는 것을 지양한다.

4) 독해 영역에서 ‘읽기’는 단문, 산문, 한시의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에 중점을 두

고, ‘이해’는 단문, 산문, 한시의 풀이하기, 이해하기, 감상하기에 중점을 두어 평가

한다. 특히, 한문고전에 담긴 지혜와 교훈을 내면화하고 자신의 삶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자기관리능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5) 문화 영역에서 ‘한자 문화’는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

류 증진에 중점을 두고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는 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를 알고

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특히,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하며, 창조적

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적 소양능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6) 한문 지식 영역은 ‘한자’, ‘어휘’, ‘문장’과 관련된 기초적인 한문 지식의 성취와 그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나. 평가 방법

1) 지필 평가 중심의 평가를 지양하고 문제해결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등 고등 정

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와 논술형 평가, 성장 참조형 평가의 비중

을 점차 확대한다.

2) 학습 참여의 적극성, 협동성, 문제를 해결하는 태도, 창의성 등 학습 과정을 평가

하는 수행평가의 반영비율을 높이고, 특히 학생의 능력 변화 과정과 성장 정도에

관심을 가지는 성장 참조형 수행평가를 권장한다.

3) 한문 고전을 읽고 토론하고 글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및 비판적 사

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한문 고전 독서·토론·논술 평가를 권장한다.

4) 독해, 문화, 한문 지식 영역의 평가 목표와 평가 내용에 적합한 문항을 개발하되

교사의 창의적인 교육내용 재구성이 가능하며 학생의 수업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교사별 평가를 지향한다.

다. 평가 결과의 활용

1) 평가 결과는 학습자의 한문 학습 능력, 자기관리능력, 문화적 소양능력 등 한문 교

과의 성취 수준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는 배움중심수업의 환경을 조성하고, 교수ㆍ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개선

의 자료로 활용한다.

3) 평가 결과를 통해 얻은 산출물은 학생들의 성장 정도 및 진로 지도 자료로 활용하

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Page 27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71 -

정보과

1 교과 핵심역량

가. 알고리즘적 사고 기반의 문제해결능력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Algorithmic Thinking)

1) 개념

알고리즘적 사고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문제해결방법을 생각하는 능력이다. 즉, 정보교과

에서 말하는 알고리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능력은 주어진 문제를 컴퓨터에서

실행이 가능하도록 구안하는 것이며, 문제해결방법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해서 문제의 해답을

찾아가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제시되는 문제는 너무 쉽게 해결되거나 일정한 틀

에 매여서 답을 구하는 상황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것 중에서 비구조화 되

어 있고 복잡한 것이어야 한다. 이렇게 현실 상황과 밀접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것을 해

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알고리즘적 사고 기반의 문제해결능력은 전체적으로 문제해결단계를 통해 발현될 뿐

아니라, 각각의 문제해결단계가 하나의 문제해결능력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역량의

주요 특성으로는 문제 이해 및 분석, 문제 해결 방안 탐색, 알고리즘 설계, 알고리즘 구현

능력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정보에서 알고리즘적 사고 기반의 문제해결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에서 협력적 문제발

견․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관련이 있다.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은 생활주변이나 사회 및 자연현상에서 만나는 문제를 ‘해독

-탐색-설계-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좀 더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으로, 학생들은 여

러번에 걸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역동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다양한 문제 해결방법을 찾는 경험을 통해 향상될 것이며, 상황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사고능력을 갖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고등사고능력은 학생들이 추구하는 삶의 목표를 설정하고 추구하는 중요한 역량이다.

Page 27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72 -

4) 학습과의 관련성

알고리즘적 사고 기반의 문제해결능력은 실생활 및 자연 등의 모든 영역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이 역량을 통해 학생들은 스스로 문제를 탐색해 다양한 문제해결방안을 탐색하고 알

고리즘 설계기법을 이용해 최적의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역량을 갖게 된다. 또한 자신이 설

계한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하는 능력도 기르며, 알고리즘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분

석하는 사고력을 키운다.

나.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의사소통능력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1) 개념

정보과학적 사고는 현실상황에서의 문제를 컴퓨팅의 관점에서 규정하고 그 문제의 해결

방법을 탐색해효율적인 해결절차를 강구하는 사고 능력이다. 여기서 ‘컴퓨팅(Computing)’ 이

라는 것은 컴퓨터 기술을 개발하거나 이용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보기기라는 도구를 이용

해 정보를 처리하는 일련의 모든 지식과 활동을 말한다. 즉, 정보과학적 사고는 컴퓨터 과학에

만 국한되지 않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사고로, 문제를 탐색하고, 탐색하

기로 결정한 문제의 다양한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의사소통능력이 요구

된다. 여러 해결방안 중 최적의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상대방을 올바르게 이해

시키기 위해 문제해결방안을 표현할 줄 알며, 이와 반대로 상대방이 표현한 문제해결방안

을 정확히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의사소통능력은 문제를 발견하고 이해하며 각각의 문제를 해결

하는 과정에서 더 나아가 서로 의사를 교환하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능력이며 문제의

표현 및 알고리즘 표현 능력과도 관련이 있다. 이 역량의 주요 특성은 정보과학적 사고를

통해 학습자가 주어진 문제를 발견해서 최적의 문제해결단계를 설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하고 폭넓은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데 있다. 따라서 정보과학적 사고인 ‘컴

퓨팅(Computing)’이 원활하게 진행되어야 의사소통능력도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특

성이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정보에서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의사소통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에서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과 관련이 있다.

의사소통능력은 주어진 문제를 이해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주어진 문제를 다른 표현방식으로 구조화시키고 설계한 알고리즘을

통해 표현되기도 한다.

Page 27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73 -

대인관계능력은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을 통해 협력적인 발전을

이루는 능력으로 상호간 의사소통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능력이다. 이것은 기존의

정보기기나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토론을 통해 발전

시킬수 있는 능력이다. 또한 ‘집단지성’, ‘협업프로그래밍’, ‘pair programming’을 통해소통

과 배려 속에서 다양한 문제해결방안이나 최적의 문제해결방법을 고안하는 능력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정보과학적 사고기반의 의사소통능력은 상호간의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하는 ‘토론학습’, ‘pair

programming’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적인 영역 뿐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의 정의적인 능력을 신장시킬수 있는 핵심역량이라고말할 수 있다.

다. 정보문화인으로서의 대인관계능력

(Interpersonal Relation Capability as Member of Information Culture)

1) 개념

정보사회의 일원으로 갖추어야 할 소양인 정보윤리 및 정보보호, 정보기술 및 기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고 실천하며 타인과의 소통을 통한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는 소셜 미디어 환경으로 인한 소통의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 뿐 아니라 다른 집단, 나아가 해외의 많은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타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에 필요한 중요한 역량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정보문화 기반의 대인관계능력은 소설 미디어 사회에서 공유와 협업을 통해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소통하고 결과를 사회적 수준으로 확신시킬 수 있도록 건전한 정보공유와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역량은 건전한 정보 공유 , 타문화의 다양성 이해,

소통을 통한 신뢰 형성, 집단 지성을 통한 창조적 지식 창출 능력 요소를 들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정보문화를 기반으로 한 대인관계능력은 창의지성역량 중에서 문화적 소양능력, 대인관계

능력, 민주시민 의식과 관련이 있다.

오늘날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은 다른 사람,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경험하게

하고 이를 통해 인간 중심의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창의적으로 변용할 줄

아는 문화적 소양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에 개발된 정보기기나 알고리즘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서 학습자는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이 계기가 되어

Page 27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74 -

다시 정보기기나 알고리즘을 개선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다. 인터넷상에서의 건전한 정보공유

및 소통을 통해 타인과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로 타인과 함께 살아가는

올바른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면 이는 민주시민능력과도 관련이 깊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정보문화기반의대인관계능력은‘토론학습’, ‘관찰법’, ‘pair programming’, ‘Action learning’과관련이

있다. 이것은 단순히 정보 윤리 영역 뿐 아니라 정보 교과의 전 영역에 걸쳐 소통을 통해 타

문화와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공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형태의집단지성이 발현되

어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적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게 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계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정보

정보과학과

정보

윤리

∘정보과학과

정보사회

∘진로와 직업: 잠정적인 진로에 관한 정보 탐색 및 분석

∘기술․가정: 자동화와 로봇

∘정보의 윤리적

활용

∘국어: 쓰기의 윤리

∘사회: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정보사회의 역

기능과 대처

∘환경과 녹색 성장: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

∘체육: 사회와 여가

∘사회: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보건: 수면, 식습관, 신체 활동 등 건강한 생활 주기 관리,

폭력

∘예방 및 게임 중독, SNS 안전 등 생활 안전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컴퓨터의 구

성과 동작∘과학: 빛과 파동, 자극과 반응

∘운영체제의

이해∘사회: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

∘네트워크의

이해∘기술․가정: 정보 통신 기술의 세계, 컴퓨터와 통신기술

정보의

표현과

관리

∘자료와 정보 ∘진로와 직업: 진로 의사 결정의 방법

∘정보의 이진

표현

∘한문: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음악: 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수학: 경우의 수

Page 27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75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정보

정보의

표현과

관리

∘정보의 구조화∘한문: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수학: 함수의 의미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문제해결 방법 ∘기술․가정: 문제해결과 방법

∘문제해결 절차∘과학: 유전과 진화

∘기술․가정: 정보 통신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 활동

∘프로그래밍의

기초∘수학: 삼각형의작도, 다각형의 성질, 일차식의덧셈과뺄셈

고등

학교

정보

과학과

정보

윤리

∘정보과학과

정보사회

∘생활과 윤리: 과학 기술과 윤리

∘문학: 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사회: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

∘한국지리: 정보화 사회와 서비스 산업의 고도화

∘과학: 첨단 영상 진단

∘지구과학Ⅰ: 기상․해양 정보와 생활

∘미술 문화: 미술과 다양한 분야와의 통합

∘정보의 윤리

적 활용

∘국어Ⅰ: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

∘국어Ⅱ: 매체자료의 분석과 비판적 태도

∘생활과 윤리: 정보 사회와 윤리

∘국제경제: 지적재산권 문제와 대응 방안

∘생명과학실험: 생물정보학

∘공학기술: 표준화와 지식 재산권

∘정보과학: 정보 보호

∘정보사회의 역

기능과 대처

∘국어Ⅰ: 정보의 선정과 내용 조직

∘화법과 작문: 정보 전달의 표현 전략

∘인류의 미래 사회: 정보 매체의 활용과 문제점

∘운동과 건강생활: 바른 자세와 자기 절제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컴퓨터의 구

성과 동작

∘과학: 디지털 정보처리, 저장매체, 디스플레이

∘물리 실험: 컴퓨터와 센서, 오실로스코프

∘물리Ⅰ: 반도체, 신소재, 정보저장장치

∘확률과 통계: 경우의 수, 조합

∘정보과학: 컴퓨터의 원리

∘운영체제의

이해

∘물리 실험: 컴퓨터와 센서, 오실로스코프

∘물리Ⅰ: 반도체, 신소재, 정보저장장치

∘공학기술: 공학 기술 관련 창의적 문제해결의 실제

∘네트워크의

이해

∘물리Ⅰ: 안테나와 무선통신, 광케이블

∘공학기술: 컴퓨터와 정보통신공학의 세계

Page 28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7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

학교

정보의

표현과

관리

∘정보의 효율

적 표현

∘물리 실험: 유효숫자와 오차

∘기술․가정: 창의공학 설계, 융합적 문제해결 체험 활동

∘정보과학: 자료구조의 개념

∘자료와 정보

의 구조

∘고급 수학Ⅰ: 행렬과 연립일차방정식, 여러 가지 그래프,

그래프의 활용

∘정보과학: 선형 자료구조, 비선형 자료구조

∘정보의 관리∘수학Ⅱ: 집합, 명제, 함수

∘화학실험Ⅰ: 컴퓨터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장치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

∘문제해결 전략

∘공학기술: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의 개발

∘기술․가정: 창의공학 설계, 융합적 문제해결 체험 활동

∘공학기술: 공학 기술 관련 창의적 문제해결의 실제

∘정보과학: 문제와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기초 수학: 일차방정식과 함수

∘고급 수학Ⅰ: 행렬과 연립일차방정식

∘정보과학: 프로그래밍 기초, 프로그래밍 심화

∘알고리즘의

응용

∘확률과 통계: 통계적 추정

∘수학Ⅱ: 수학적 귀납법, 지수, 로그

∘미적분Ⅱ: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생명과학Ⅱ: 유전정보의 특성, DNA의 복제

∘정보과학: 알고리즘의 비교, 알고리즘의 설계 및 분석,

탐색, 정렬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방법

1)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학생 스스로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 상황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정보과학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방안을 탐색해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문제해결의 결과뿐만 아니라

방법과 과정도 중시하며 문제를 만들어보는 활동도 포함시킨다.

2) 학습내용과 관련 있는 읽을거리 제공 및 타 교과 내용과의 연계를 통해 정보에 대

한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며, 다른 학문들과 통합되어 새로운 형태로 확장,

발전시켜나가는 융합 학문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역량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획일적인 학습 방식을 지양하고 학생의 수준 차에 따라 학습 내용, 학습 방법 및

과제를 달리하여 융통성 있게 지도하고 학습 내용의 성취 수준에 따라 기본 학습

Page 28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77 -

내용에서 보충 학습 또는 심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전 영역에 걸쳐 소통을 통한 지식 창출을 위한 방법이나 도구(Action learning,

SNS, pair programming)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 사회적 책임감,

협업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5) 각 단원에서는 다음의 사항에 유의하여 지도한다.

가) 정보과학과 정보윤리 : 정보사회의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 과학 기술의 특성을 이

해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여 정보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자세를 기르도

록 한다. 건전한 정보 공유 방법과 소통을 통한 신뢰를 형성하기 위해 문제에 대

한 사례 발표와 토론 수업 모형으로 올바른 태도와 행동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나)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 정보기기의 단순한 기능 및 조작에 대한 이해보다는

컴퓨터를 기본으로 하는 정보기기들의 기본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일상생활에

서 자주 사용하는 정보기기들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우

리 주변에 있는 정보기기들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토론 수업 모형이나 협

동학습 모형을 통해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정보의 표현과 관리 :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정보가 표현되고 저장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사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동료 교수법,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지도

한다. 컴퓨터에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구조

와 방법을 예시를 통해 설명하고, 여러 가지 정보를 구조화하여 저장, 처리하였

을 때의 장점과 정보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지도한다.

라)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 : 알고리즘적 사고를 기반으로 문제해결과정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협동학습, 프로젝트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지도하며, 의사소통을 통

해 다양한 문제해결방안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해결 과정을 이해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지도

한다. 프로그래밍 지도 시에는 문제해결 절차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특정한 프

로그래밍 언어의 습득에 치중되지 않도록 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1) 정보교과는 정보 과목으로서의 독립 과목 뿐 아니라 정보생물학, 계산화학, 전산

물리학 등 과학 분야나 수학 분야에서 컴퓨터 관련 자원들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

거나 데이터 처리를 하는 등 모든 학문의 문제 해결의 기초 소양 교과로서의 역할

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본 교과에서는 수학 뿐 아니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외에 사회, 국어, 미술, 음악 등과 같은 인문, 예체능과 같은 타 학문과 연계, 융합

된 직업군을 가질 수 있다.

2) 정보 교과와 관련된 직업으로는 정보 보안 전문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베이

스 관리자, 시스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웹 개발자 등과 같은 전문 정보 과학 분

야 직업군이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진로 지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28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78 -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정보과학과

정보윤리

∘정보과학과

정보사회

∘평전 스티브 잡스 vs 빌 게이츠

∘두 명의 해커(지식채널 e)

∘네 번째 사과(지식채널 e)

∘행복바이러스 안철수

∘소셜미디어? 그게뭔데!?(YouTube)

∘정보의 윤리적 활용 ∘사이버키즈와 정보윤리

∘정보사회의 역기능과

대처∘IT 전문가 가족의 사이버 중독 탈출기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컴퓨터의 구성과 동작∘과학으로 생각한다.

∘생각하는 기계

∘운영체제의 이해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네트워크의 이해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정보의 표현과

관리

∘자료의 정보 ∘암호의 해석

∘정보의 이진 표현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0의 진화(지식채널 e)

∘1의 진화(지식채널 e)

∘정보의 구조화 ∘빅데이터 세상을 바꾸다(다큐멘터리)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문제해결방법 ∘누워서 읽는 퍼즐북

∘문제해결절차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프로그래밍의 기초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프로그래밍 비타민

∘누워서 읽는 알고리즘

∘행복한 프로그램

고등학교

정보과학과

정보윤리

∘정보과학과 정보사회

∘소셜러닝

∘MT 컴퓨터 공학

∘청소년 부의 미래

∘평전 스티브 잡스 vs 빌 게이츠

∘두 명의 해커(지식채널 e)

∘네 번째 사과(지식채널 e)

∘행복바이러스 안철수

∘소셜미디어? 그게 뭔데!?(YouTube)

∘정보의 윤리적 활용 ∘공감의 시대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컴퓨터의 구성과 동작 ∘생각하는 기계

∘운영체제의 이해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네트워크의 이해 ∘교양으로 읽는 과학의 모든 것

Page 28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79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고등학교

정보의 표현과

관리

∘자료의 정보 ∘암호의 해석

∘정보의 이진 표현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0의 진화(지식채널 e)

∘1의 진화(지식채널 e)

∘정보의 구조화 ∘빅데이터 세상을 바꾸다(다큐멘터리)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문제해결방법∘다산선생 지식경영법

∘누워서 읽는 알고리즘

∘문제해결절차 ∘생각하는 기계

∘프로그래밍의 기초

∘인간 컴퓨터 언어

∘프로그래밍 비타민

∘누워서 읽는 알고리즘

∘행복한 프로그램

정보 학습 관련 사이트

1. 언플러그드 http://csunplugged.com

2. CS4FUN http://www.cs4fn.org

3. CS교사협회 http://csta.acm.org

4. 위키독스 http://wikidocs.net

5. 알고리즘 트레이닝 http: www.dovelet.com

6.스크래치 사이트 http://scratch.mit.edu

7.인터넷 윤리 교실 http://www.imucc.kr

8.인터넷중독대응센터 http://www.iapc.or.kr

9.사이버범죄수사대 http://www.netan.go.kr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단순 지필평가보다는 수시평가 형태의 수행평가를 지향하며, 논술 시험, 구술 시험,

찬반 토론법, 관찰법,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실기 시험

등 다양한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고 결과뿐만 아니라 수행 과정도 함께 평가한다.

2) 정보 과학 기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정보 사회의 올바른 시민으로서 갖추어야할

윤리의식을 평가할 경우 정보 사회 역기능의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정보를 효

과적으로 수집하는 방법, 정보의 공유와 보호를 위한 올바른 태도를 갖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Page 28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80 -

3) 정보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기초․기본 능력의 습득에 대한 평가의 경우, 개인별

능력을 고려하여 실질적이고 개인의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둔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4) 지필 평가는 정보 처리 과정에 대한 이해 및 문제해결 정도를 가지고 평가하며, 필

요한 경우 서술형 평가 혹은 논술형 평가를 병행한다.

나. 평가 방법

1) 알고리즘적 사고를 기반으로 문제해결능력을 평가 시 문제해결의 결과 뿐 아니라

문제 해결 단계 또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생활 속의 문제해결, 혹은 수업에

서 제시된 문제해결 과제의 경우, 그 결과를 전시 혹은 발표하여 다른 학생들이 참

고할 수 있도록 한다.

2) 정보과학적 사고기반의 의사소통능력 평가 시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법을 평가

하는 것을 지양하고, 의사코드나 순서도 등을 이용해 학생들이 문제해결의 접근 과

정을 평가한다.

3) 정보문화를 통한 대인관계능력을 건전한 정보 공유와 보호를 위한 올바른 정보 과학

기술의 활용 태도 및 정보윤리 의식을 관찰법, 찬반 토론법등을 이용해 평가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는 실생활 및 자연 등의 모든 영역에서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가늠해보는 지표로 삼을 수 있다.

2) 평가 결과는 수업 방법을 반성하며 개선할 점을 찾아서 교수ㆍ학습 과정 및 교수ㆍ

학습 자료, 평가 도구를 수정, 보완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3) 평가결과는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4) 평가 결과를 통해 얻은 다양한 산출물들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진로 지도 자료

로 활용한다.

Page 28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81 -

진로와 직업과

1 교과 핵심역량

가. 공동사회에서의 대인관계능력

1) 개념

자기에 대한 이해를 통한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기반으로 대인관계능력을 신장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동사회에서의 사회적 역량을 개발한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동사회이며, 직장에서의 일은 한두 사람의 전문

가나 경영관리자의 힘만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모두의 협동과 담당 직무의 성

실한 수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공동사회에서의 필수적인 요소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바탕으로,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대인관계능력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한다.

성격, 흥미, 적성, 가치관 검사나 전문가와의 상담 등을 통해 객관적이고 의미 있게 자신

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자기정체성을 확립한다. 그럼으로써 열등감을 느끼지 않고 자신이

의미 있는 존재임을 인식한다.

나) 대상과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및 관계형성능력을 신장한다.

인간사회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대상과 상황에 대한 소통 능력과 협력적 관계형성을

통해 당면과제를 해결한다. 타인과 현상에 대해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로 임하여 자신

과 동료들의 역량을 함께 신장시켜 공동선을 추구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진로교육에서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확립과 의사소통을 통한 대인관계 역량은 창의지성

역량 중에서 문화적 소양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과 관련이 있다.

가)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전통문화와의 조화를 통해 예술적

감수성을 갖추는 문화적 소양능력과 관련이 있다.

나) 건강한 사회생활을 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인 바른 언어사용, 외국어 활용, 유머,

경청, 토론, 배려와 존중, 갈등조절, 상호작용, 협동 등을 하위요소로 갖고 있는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과 관련이 있다.

Page 28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82 -

4) 학습과의 관련성

다양한 읽기 자료나 매체를 활용한 간접경험과 객관적이고 공인된 심리검사를 활용한

자기이해활동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자아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을 형성

한다. 개별학습과 토론 및 발표학습을 적절히 접목시켜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자신의 생각과 친구들의 생각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역량과 대인관

계 역량을 신장시킨다.

나. 창의적인 진로디자인을 위한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능력

1) 개념

직업세계의 다양함과 역동성을 이해하고 진로장벽과 갈등요소에 합리적으로 대처하는

문제발견 및 해결 능력이다. 직업세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기존 직업들의 분화와 통합은

새로운 직업들을 끊임없이 창출한다. 이 과정에서 문제발견 및 해결 능력을 통해 새로운

직업을 디자인 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직업의 다양성과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직업세계를 인식하고 직업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발견 및 해결능력 신장을 통해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자신의 진로를 창의적

으로 디자인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중학교 졸업 후의 고등학교 선택, 고등학교 졸업 후의

대학 전공 선택이나 직업선택 과정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래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진로교육에서 창의적인 진로디자인을 위한 문제 발견 및 해결능력은 진로탐색 및 진로의

사결정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창의지성역량 중 문제발견 및 해결능력, 민주시민 의식능력

등과 관련이 있다.

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으로 정

보활용능력, 분석과 통합능력, 비판적 사고력, 가치판단력 등을 하위요소로 갖고

있는 문제발견 및 해결능력과 관련이 있다.

나) 인간행동변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가치판단력, 직업윤리, 공동체의식, 국가관,

공정성, 봉사정신 등을 하위요소로 갖고 있는 민주시민 의식역량과 관련이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진로탐색 및 진로의사결정에서의 문제발견 및 해결역량은 토론학습, 체험학습, 관찰법 등

교사와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형태의 학습유형을 필요로 한다. 특히, 온라인 자료 검색과정과

직업현장 체험, 성공한 직업인 인터뷰 등을 통한 보고서 작성 및 발표형태의 학습유형이

Page 28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83 -

효과적이다. 개별학습과제보다는 관심직업군에 따른 그룹별 협동학습을 권장한다. 또한 역

할모델이 될 수 있는 인물에 대한 탐구학습으로 시대적 상황에서 그 인물이 갖게 된 지

식과 기능, 태도, 가치관을 발견해 보고 현재 상황에 적용해보도록 한다. 이런 비교․분석

의 과정을 통하여 문제 발견 및 해결 능력을 신장시키도록 한다. 자신의 롤모델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그 사람의 성공과 실패의 요인을 분석하여 자신이 처한 현재 상황에 적용

해 봄으로써 진로장벽과 진로 갈등 요소를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능력을 기

른다.

다. 평생학습시대 진로 개척인으로서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1) 개념

자기주도학습이란 졸업 후의 진학이나 진로를 위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새로운 정보

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스스로 확보하고 실천하는 능력

이다. 자신의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학업 및 직업에 관련된 진로 계획 수

립과 자기주도적인 실천이 필요하다. 지식의 증가와 사회의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미

래 사회는 평생학습을 요구한다. 자기주도학습은 예측하기 어려운 사회의 변화가 자신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중․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진학과 관련된 자기주도적 학업계획과 실천능력을 개발하고,

진로개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과 장애를 스스로 극복할 수 있도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신장한다. 또한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다양한 교육기회의 탐색과 실천 능력 신장을

통해 미래사회에 필요한 평생학습역량의 기초를 마련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진로교육에서 평생학습시대에 필요한 진로개척인으로서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학습의

의의와 가치를 발견하고 학습의 즐거움을 인식하는 것으로, 창의지성역량 중 자기관리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민주시민 의식 역량과 관련이 있다.

가)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경제 감각, 건강․보건․위생, 감

정조절, 인내력, 정신건강, 도전정신, 여가활용, 자기개발능력 등을 하위요소로 갖

고 있는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이 있다.

나) 미래사회의 건강한 일원으로서 자신의 진로계획을 체계적으로 실천하고 성취하기 위

해 필요한 문해력, 예지력, 비판적 사고력, 정보활용능력, 평생학습능력 등을 하위

요소로 갖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관련이 있다.

다)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사명을 다하면서 개인의 행복한 삶

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봉사정신, 직업윤리, 준법정신, 국가관, 공동체의식, 정의,

Page 28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84 -

공정성, 조직이해, 변화관리 능력 등을 하위요소로 갖고 있는 민주시민 의식 역량

과 관련이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자신의 미래에 대한 진로 시나리오(인생곡선 그리기, 진로 로드맵 작성, 미리 쓰는 자서전,

미리 쓰는 유언장, 미래 명함 만들기 등)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서로 생각을 나누는 학습활

동을 통해 자신의 진로 설계능력을 향상시킨다. 또, 시간관리 전략, 가치관 형성, 집중력 신

장, 내면적 욕구에 의한 동기 강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실천력을 키

울 수 있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중학교 졸업 후의 고교 진

학이나 고교 졸업 후의 대학 교육 또는 취업 등에 대한 생각을 구체화할 수 있다. 계획에

맞게 실천하는 과정은 상황변화에 따라 진로계획을 재평가하고 보완하는 과정을 요구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와의 관련성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나의이해

삶에 대한

이해

∘도덕- 삶의 목적과 도덕

∘사회- 개인과 사회 영역

∘기술 가정- 청소년의 이해

∘미술- 주변 환경 관찰

자신에 대한

이해

∘기술 가정- 진로와 생애 설계

∘도덕- 나의 삶과 국가

∘창의적 체험활동-표준화 검사

∘체육- 체육활동을 통해 잠재력 발견

∘미술- 시각문화 이해를 통해 가능성 탐구

∘음악- 음악활동 참여를 통해 음악 활용 방안 탐색

∘영어- 장래 희망 인터뷰

일과직업

세계의이해

직업 세계

탐색

∘국어- 문학 작품에 나타난 직업세계

∘사회- 문화의 이해와 강조

∘기술 가정- 기술과 발명

∘국사- 역사적 인물의 직업 탐구

∘영어- 직업인 인터뷰

Page 28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85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일과직업

세계의이해

미래세계

전망

∘국어- 문학작품에 나타난 사회ㆍ경제적인 환경 변화

∘사회- 경제생활 및 세계화, 사회의 변동과 발전

∘지리- 다양한 기후 지역과 주민생활

∘사회- 환경과 거주공간의 변화, 현대세계 이해, 미래사회의 전망

∘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통한 경제지표 분석

∘국사-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와 미래 세계의 변화 전망

∘과학- 환경오염, 기후변화 탐구, 환경과 인간, 대기와 물의 순환,

∘기술․가정- 기술 혁신과 설계, 미래 기술과 사회

일과직업

세계의이해

직업윤리

고정관념의

극복

∘도덕- 직업윤리

∘도덕- 이웃에 대한 배려와 관심 영역

∘수학- 정수의 사칙연산을 익히고, 가치관 경매활동에 활용

∘영어- 외국문화 이해를 통해 고정관념 극복

∘도덕-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 영역

∘사회- 인권 보장과 법

∘체육- 팀워크 및 페어플레이 정신

진로탐색

및의사결정

중학교

이후의 교육

경로 탐색

∘기술 가정- 청소년의 자기관리 영역

∘영어- 다양한 읽기자료를 읽고 중학교 이후의 교육기회의 탐색

∘도덕- 공부와 진로 영역을 통해 학업의 중요성 인식

직업인의

역할 모델

탐색

∘국어-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좋아하는 위인 탐색

∘국사- 역사적 인물들의 성공스토리 파악하기

∘체험학습 - 롤모델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꿈 구체화

직업체험

∘가정- 요리 및 의류 디자인 실습

∘기술- 각종 기계 실습, 현장 견학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체험학습의 달’ 행사

∘영어- 원어민 인터뷰, 대사관 체험

∘수학- 다양한 수학자의 삶 간접 체험

∘사회- 경제인 초청 강연

합리적 결정

자기 책임감

∘도덕- 인간과 도덕 영역을 통해 합리적 의사결정의 중요성과

절차 이해

∘체육- 건강 활동 영역을 통해 심신의 건강을 증진하여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함양

∘영어- 상호작용 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통한 합리적인 진

로 의사결정 능력 함양

∘수학- 탐색한 자료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한 논리적 사고능력

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기초 마련

진로계획및

준비

나의 희망

진학ㆍ직업

선택 및 탐색

∘도덕- 도덕적 탐구 영역을 통한 자신의 진로 설계 및 검토

∘수학- 도수분포와 그래프 영역을 통해 경제사회를 분석해

봄으로써 자신의 진로 계획

∘국사- 문명 형성 과정 이해를 통한 미래사회 전망 및 진로탐색

∘사회- 문화의 이해와 강조 영역을 통한 직업 요구 능력 및 기술

분석, 자신의 진로 방향 모색

Page 29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8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진로계획및

준비

진로계획

및 준비

∘사회-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영역을 통한 다양한 미래 사회에서의

자신의 진로계획 수립

∘체육- 신체적 표현활동과 감상을 통한 창의적인 진로계획 수립

∘음악- 음악적 표현활동과 감상을 통한 창의적인 진로계획 수립

∘미술- 미술적 표현활동과 감상을 통한 창의적인 진로계획 수립

평생

학습계획

및 실천

∘국어- 문학작품 속 인물 탐구를 통한 자신의 삶 성찰

∘수학- 문자와 식 영역을 통한 자신의 생애 띠 완성

∘영어- 영어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통한 개인의 역량 강화

∘체육- 여가활동 영역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신체적 여가활동의

가치 이해 및 올바른 여가문화의 자기주도적 설계

고등

학교

나의이해

삶, 진로,

직업의 이해

∘고전- 고전의 가치: 고전을 통한 교양 형성

∘성공적인 직업 생활- 삶과 직업/ 회사와 일

∘철학- 인간론: ‘인간’의 삶과 활동/ 가치론: ‘더 나은 삶’

∘문학- 문학과 삶

자아

존중감의 확립

∘국어- 작문 특성의 이해/ 바람직한 글쓰기 습관

∘심리학- 나 알기Ⅰ,Ⅱ

나의 특성 및

제반 여건의

이해

∘기술․가정-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심리학- 사회와 나: 사회적 정체성

∘화법-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

∘사회․문화- 개인과 사회구조

종합적인

나의 이해와

진로

∘국어- 정보의 선정과 내용 조직

∘심리학- 삶과 적응

∘화법과 작문-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작용

직업세계의

이해

다양한 직업

세계의 이해

∘경제- 국민 경제의 이해/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경제 생활과 금융

∘사회문화-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동아시아사- 오늘날의 동아시아

∘국제 경제- 국제 경영과 기업의 세계화/ 한국경제의 주요 과제

∘세계 문제- 새로운 세계 상상하기

∘한국의 사회와 문화- 현대 한국 사회의 당면 과제

∘지역 이해- 지역의 갈등과 공존의 모색

∘과학- 정보통신과 신소재/ 인류의건강과 과학 기술/ 에너지와 환경

∘화학- 인류 복지와 화학

∘생명과학- 생명 공학

∘물리 실험- 현대 물리

∘화학- 생활 속의 화합물과 최신 화학

∘환경 과학- 환경과 인간/ 자원과 에너지/ 환경문제와 대책/

환경보존

∘가정 과학- 결혼과 가족생활 관련 진로/ 소비생활 관련 진로/

식생활 관련 진로/ 패션 관련 직업과 진로/ 주거와 환경 관련

직업과 진로

∘경영일반- 경영관리의 과정/ 경영활동과 기능/ 현대 경영과 창업

Page 29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87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

학교

직업세계의

이해

다양한 직업

세계의 이해

∘해양 과학- 해양 생물 기르기/ 해양 레저 산업/ 해양 환경 보존

∘체육과 진로탐구- 체육과 진로와 미래 설계

∘스포츠 경영․행정- 스포츠 경영/ 스포츠 행정

∘음악과 진로- 음악의 진로의 특성

∘디자인 일반- 디자인의 역사/ 디자인 분야

∘발효 공업- 발효 공업의 개요

∘상업 경제- 경제 활동과 상업/ 기업과 경영/ 유통/ 금융/

비즈니스와 상업 정보/ 무역과 글로벌 경영

∘금융 일- 라이프 사이클과 재무 설계

∘농업 생명 과학- 농업과 진로

∘농산물 유통 관리- 농산물 마케팅/식품 구매 행동과 상권 분석/

농산물 물류 관리/ 창업 및 매장 관리/ 마케팅 성공 사례

∘수산일반- 미래 어업

∘해양의 이해- 해양 개발과 자원 이용

∘수산경영일반- 수산업과 수산 경영/ 수산 경영의 개요/ 수산업의

경영관리

∘수산물 유통- 수산물 유통과 마케팅/ 수산물 유통의 새로운 흐름

∘공학 기술- 공학기술과 진로

∘전자 상거래 일반- 전자 상거래와 비즈니스 모델

∘전자상거래 실무- 인터넷 창업

∘미디어 콘텐츠 실무- 미디어 콘텐츠 기획 실무

∘금융 실무- 금융과 진로

∘생활서비스 산업의 이해- 생활 서비스 산업과 직업/ 직업 사회와

진로 계획

∘정보 기술과 활용- 정보 기술과 산업

∘관광 일반- 관광 사업

∘관광 경영 실무- 관광 경영의 이해

∘관광 서비스 실무- 관광 서비스의 이해/ 관광 종사원의 기본 업무

/ 관광 서비스 고객 관리/ 호텔 서비스 실무/ 여행 서비스 실무

∘복지 서비스의 기초- 복지 서비스 직업 세계와 전망

∘무대 기술- 무대 장치/ 무대 조명/ 무대 음향/ 무대 의상/ 무대 분장

∘연극 제작 실습- 연극제작과정의 이해/ 연극제작의 실제

∘영화의 이해- 영화 제작 과정

∘영화의 기술- 촬영/ 조명/ 음향/ 편집

∘영화 제작 실습- 영화 제작 과정의 이해

직업 세계의

전망과

직업윤리

∘생활과 윤리- 사회윤리와 직업윤리

∘한국지리- 기후 환경의 변화/ 거주 공간의 변화/ 생산과 소비

공간의 변화

∘세계지리- 경제활동의 세계화/ 갈등과 공존의 세계

∘한국사-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세계사- 현대 세계의 변화

Page 29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88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

학교

직업세계의

이해

직업 세계의

전망과

직업윤리

∘인류의 미래 사회- 미래 사회의 전망/ 정보 사회/ 지구촌 시대/

과학 기술과 인류의 미래/ 미래 사회의 대응 과제

∘지구과학Ⅰ- 환경 오염/ 기후 변화

∘고급 생명 과학- 생명 공학의 기술과 응용

∘기술․가정- 기술 혁신과 설계/ 미래 기술과 사회

∘관광 농업- 관광농업 경영/ 관광농업의 유형과 전망/ 관광농업

경영 사례

∘수산․해운 산업 기초- 변화하는 해양 산업

∘교육학- 미래 사회와 교육

계속 교육의

이해와 교육

기관 탐색

∘교육학- 바른 삶과 교육

다양한

직업인 탐색

∘창업 일반- CEO 성공 사례

∘국어- 문학과 사회적 소통

고등

학교

진로의사결정

나의 진로

장벽 및

갈등의

진단과 해결

∘컴퓨터 일반- 정보 사회와 정보 기술

∘논리학- 생각함과 논리

∘국어Ⅱ- 정보의 조직과 논거의 이해

∘세계지리- 갈등과 공존의 세계

∘정보과학- 프로그래밍/ 자료구조/ 알고리즘/ 문제해결

합리적 진로

의사 결정

과정 및

방법의 이해

∘수학- 집합과 명제

∘확률과 통계- 통계

∘고급 수학Ⅰ- 그래프

∘논리학- 논증의 활용

∘국어Ⅱ- 매체자료의 분석과 비판적 태도

나의 희망

직업 선택∘교육학- 생애 설계와 진로 선택

희망 계열 및

과정 선택∘교육학- 공부와 자기 계발

진로계획

및준비

진로 계획

수립의 의의

∘사회과학 방법론- 연구 설계

∘과제 연구- 과제 연구의 의미/ 과제 연구 계획의 수립

진로 역할

모델의

의의 및 설정

∘국어- 자율적 독서의 생활화

∘과학사 및 과학 철학- 과학의 본질과 과학사 및 과학 철학

진학 및 취업

준비

∘교육학- 미래 사회와 교육

∘사무 관리 실무- 프레젠테이션/ 정보 통신

∘커뮤니케이션 실무- 대화기술/ 회의기술/ 발표기술/ e-커뮤니

케이션과 리더십

∘창업일반- 창업의 절차/ 창업과 자금관리/ 아이디어 창출 및 보호

/ 사업 계획서 작성

행복한 직업

생활∘성공적인 직업 생활- 직장인으로서의 기본자세/ 문서작성과

발표/ 문제 해결

Page 29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89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진로교육은「진로와 직업」창의적 체험활동 또는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이뤄지

는 융합적인 교육과정이다. 그러므로 학교전체 교육과정 차원에서 교과활동과 비교

과활동 간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뤄져야 하며, 타 교과목에서도 이뤄질 수 있는 진

로개발역량 함양의 가능성에 주목하여야 한다.

2) 개별학습과 집단학습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되, 학생의 지적 능력 향상에 치우치기보

다는 정의적 학습이 이뤄지도록 한다.

3)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은 진로개발역량을 함양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은 가능한 다양하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

야 한다. 특히 지역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직업 현장을 탐색하고 체험하는 활동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4) 기존의 직업세계에 대한 충실한 이해와 더불어 기존 직업들이 분화와 통합을 거쳐

새로운 직업을 창출해 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직업세계의 역동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직업을 디자인하는 것에 대한 연습이 필요하다.

5) 학생과 교사가 함께 진로를 개척하고 개발하여 성장․발전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활동이 이뤄져야 한다. 이는 배움중심 수업의 추구 방향과도 부합한다.

6) 선택 교과 시간 또는 창의적 체험 활동의 진로 지도 시간에 진로와 직업 교육이 이

루어짐을 감안할 때 학교급별로 한 학년에서 지도하는 것이 권장된다. 경우에 따라

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의해 학년별 위계성을 지닌 진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는 단순한 반복이나 중복이 없도록 중․고등학교 진로 교육의 목표와 지도

방향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1) 자신과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하여 평생 교육 사회를 살아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은 삶과 인간에 대한 이해,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진로 코칭, 생애 컨설팅이나 학습 멘

토링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기존의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기존 직업이 분화와 통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함을 이해하여 새로운 직업이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낼 수 있다.

Page 29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90 -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자기

이해

적성과 흥미

∘중고등학생용진로탐색프로그램아로플러스: http://www.career.go.kr>

중학생>심리검사>‘아로플러스’ 메뉴클릭

∘중학생을 위한 적성, 흥미, 성격검사: http:// jinro.kerinet.re.kr>

경기도교육청자료실>상담자료

∘나의 적성검사 이력 http://peitho1.busanedu.net> 주도

교육청 진로정보 센터>중학생>나의적성검사 이력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

∘나를 사랑하기: 자아존중감 및 미래설계하기:

∘http://jinro.jje.go.kr>제주교육청 자료실>진로상담자료램

∘http://www.work.go.kr/youth>중학생>직업심리검사>

청소년용 직업인성검사(s형)

∘http://jinro.kerinet.re.kr>자료실>상담자료

∘http://www.work.go.kr/youth>중학생>직업심리검사>

청소년용 직업인성검사(L형)

직업세계의

이해

직업윤리 의식과

책임감

∘중학생을 위한 직업가치관 검사:

∘http:// jinro.kerinet.re.kr> 경기도교육청 자료실>상담자료

∘http://www.work.go.kr/youth>중학생>직업심리검사>

청소년용 직업가치관검사

∘http://www.career.go.kr>중학생>심리검사>직업가치관

검사실시

일과 직업

세계의 이해

∘http://www.career.go.kr>중학생>직업정보>직업사전

∘http://www.career.go.kr>중학생>직업정보>분야별 직업의 세계

∘http://www.career.go.kr>중학생>직업정보>커리어넷이

만난 도전하는 한국인

∘http://www.career.go.kr>메인화면>‘직업전망지표’ 메뉴 클릭

∘http://www.career.go.kr>미래의직업세계2009>미래의직업

세계 책자

∘http://www.work.go.kr/youth>중학생>직업정보>직업검색

∘http://www.work.go.kr/youth>중학생>직업정보>나에게

적합한 직업찾기

∘『한 권으로 보는 그림 직업 백과』

직업체험

∘부모님의 직업현장체험

∘Job World 체험

∘http://www.career.go.kr>교사연구자>진로교육프로그램>

직업체험프로그램 운영매뉴얼> 현장체험프로그램

∘http://www.jinhak.or.kr>진로정보>체험학습장

∘http://www.career.go.kr>교사연구자>진로교육프로그램>

직업체험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직업인 초청프로그램

∘http://jinro.kerinet.re.kr>자료실>상담자료

Page 29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91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진로의사

결정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

∘http://www.career.go.kr>중학생>심리검사>심리검사실시

∘http://www.work.go.kr/youth>중학생>직업심리검사>청소

년용 진로발달검사

진로계획

및준비

고등학교

정보 파악

및 진학계획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학교유형별 정보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학교단위별 정보

∘경기도교육청 고등학교 입학 포털(http://satp.goe.go.kr):

경기도 고등학교 정보

진로 계획

∘『너의 이름보다는 너의 꿈을 남겨라』

∘『사랑한다 내 꿈아』

∘『16살, 네 꿈이 평생을 결정한다. 1,2,3』

∘『나를 디자인하라』

∘『꿈을 찾아주는 네비게이터』

∘‘나는 꿈꾸고 싶다’ EBS 동영상

∘‘The Bucket List' Movie

∘'존고다의 꿈의 목록‘ 동영상

고등

학교

나의

이해

삶, 진로,

직업의 이해

∘보키니 EBS 지식채널 e

∘『열일곱, 영화로 세상을 보다』영화 “굿 바이(Good & Bye)”

∘『호모 루덴스』

자아 정체감 및

존중감의

확립

∘바로 지금 여기에서 EBS 지식채널 e

∘『자조론』

∘『나는 멋지고 아름답다』

나의 특성 및

제반 여건의

이해

∘『청소년을 위한 우리 미술 블러그』

∘『너의 꿈은 무슨 색깔이니』

∘『심리학 열일곱 살을 부탁해』

∘말랑말랑 라이프, CBS 세상을 바꾸는 시간

∘가비오따스 EBS 지식채널 e

종합적인 나의

이해와 진로

∘『심리학 열일곱 살을 부탁해』

∘『경주 최 부자 500년의 신화』

∘『유럽 미술 기행』

∘『리더십, 삼국지에 길을 묻다』

∘『배려의 기술』

직업

세계의

이해

다양한 직업

세계의 이해

∘『인물한국사』김용만(우리역사문화연구소장)

∘그녀의 이야기 EBS 지식채널 e

∘신라의 미켈란젤로 EBS 지식채널 e

∘한국고용정보원, 『색다른 직업 생생한 인터뷰』

Page 29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92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고등

학교

직업

세계의

이해

직업 세계의

전망과 직업윤리

∘나는 로봇 EBS 지식채널 e

∘『한 권으로 보는 그림 직업 백과』

계속 교육의

이해와 교육

기관 탐색

∘공부 못하는 나라 EBS 지식채널 e

∘난 알아요 EBS 지식채널 e

∘국제디자인트랜드센터 한국트랜드연구소, HOT TRENDS 40

∘http://www.career.go.kr>교사연구자>진로교육프로그램>직

업체험프로그램 운영매뉴얼> 현장체험프로그램

∘http://www.jinhak.or.kr>진로정보>체험학습장

∘http://www.career.go.kr>교사연구자>진로교육프로그램>직

업체험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직업인 초청프로그램

∘http://jinro.kerinet.re.kr>자료실>상담자료

다양한 직업인

탐색

∘나는 배우가 아니다 EBS 지식채널 e

∘7일간의 기적 EBS 지식채널 e

∘0 의 비밀 EBS 지식채널 e

∘뇌를 읽다 EBS 지식채널 e

∘이중그림 EBS 지식채널 e

∘들여다봄/ 180도의 진실 EBS 지식채널 e

∘영화 <어바웃 어 보이>

∘마지막 30년 EBS 지식채널 e

고등

학교

진로의사

결정

나의 진로 장벽

및 갈등의

진단과 해결

∘마라톤을 완주하는 방법 EBS 지식채널 e

∘영화 <패치 아담스>

∘『내일을 향해 쏴라』이윤석, 새로운 제안

합리적 진로

의사 결정 과정

및 방법의 이해

∘현명하게 길을 읽는 방법 EBS 지식채널 e

∘『왜 똑똑한 사람들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

나의 희망 직업

선택∘어떤 작별/ SPEC UP! EBS 지식채널 e

희망 계열 및

과정 선택

∘당신의 전성기 EBS 지식채널 e

∘9회말 투아웃 투쓰리 풀카운트 EBS 지식채널 e

∘세계 1위 EBS 지식채널 e

∘사소함의 힘/ 뜻밖의 선택 EBS 지식채널 e

∘버튼을 누르지않은 이유/ 내 머리 속의 거울 EBS 지식채널 e

∘미안하다 EBS 지식채널 e

∘웰컴 투 벤포스타/ Man of Action EBS 지식채널 e

∘한끼 밥 EBS 지식채널 e

진로계획

및준비

진로 계획

수립의 의의∘영화 <세 얼간이>

진로 역할

모델의 의의 및

설정

∘『서태석의 진짜 인생』

∘리브스의 『동물학교』

Page 29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93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고등

학교

진로계획

및준비

진학 및 취업

준비

∘취업난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MBC 스페셜

∘서울산업통상진흥원, http://www.sba.seoul.kr

∘창업넷, http://www.changupnet.or.kr

∘창업진흥원, http://www.kised.or.kr

∘소상공진흥원, http://www.seda.or.kr

∘비즈쿨(체험학습프로그램), http://www.bizcool.go.kr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학업성취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학생 개개인의 진로의식 성숙도와 자기관

리역량,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발전 과정을 중심으로 성장 참조형 평가를 지향한다.

2) 자기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여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진로개발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개척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나. 평가 방법

1) 차시별 활동에 대한 수업 활동 평가지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진로의식변화과정을 확

인하고 경우에 따라서 발표 및 전시의 기회를 마련하여 자기평가, 동료평가가 이뤄

지게 한다.

2) 개별 및 집단평가는 사전 준비 상황, 참여 태도 및 집단구성원으로서의 소통과 협

력적 태도, 결과 활용도 등을 중심으로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 등을 평가한다.

3) 지적인 측면보다는 정의적, 창의적 측면을 평가하되 조사 보고법, 면접법, 질문지

법, 토의법 등을 고루 활용하고 교사평가와 더불어 학생들의 자기평가 및 집단평

가, 학부모 자녀평가 등을 병행한다.

4) 진로검사 결과, 진로 및 진학 정보수집, 진로설계 및 실천에 대한 포트폴리오 평가

를 실시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면접이나 자기 보고식 평가를 통해 진학이나 취업 시 모의 면접 자료로 활용한다.

2)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축적된 자료들이 진학이나 및 취업 자료로 활용되도록 한다.

3) 소집단 평가나 동료 평가 방법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 신장이 신장되

고 궁극적으로는 공동 사회에서 사회적 역량 신장에 활용되도록 한다.

Page 29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29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95 -

보건과

1 보건과 핵심역량

가. 건강생활습관 형성과 자기관리능력

1) 개념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은 질병에서 자유롭고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 절제와 실천을 통해

자신의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것이다. ‘자기관리능력’은 자신의 성장단계에 따른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행위를 분석하여 건강한 행위와 건강에 해로운 행위를 구

별할 줄 알며, 건강에 좋은 행동들을 습관화하여 전 생애동안 건강을 유지해 나가면서 상황

변화에 따라 자신에게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건강생활습관의 올바른 정립은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에 기반하고 있다. 건강한

삶을 위해 건강영향요인, 자신의 성장단계와 그에 따른 건강문제, 건강문제 예방과 치료에 대

한 지식을 습득한 후 이에 따라 건강목표를 설정하고 자율적 실천을 통해 건강생활습관을 형

성해 나가는 자기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이 역량의 주요 특성이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기본적으로 생활습관에 대한 통찰과 자신의 미래에 대한 예상 및 계획, 건강 문제 분석과

판단, 비판적 사고활동이 이루어지면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증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데,

창의지성역량의 사고-인식영역과 삶과 문화영역, 사회생활영역의 모든 내용에 걸쳐 관련이

있다. 건강한 생활 습관형성과 자기관리능력은 인간에게 꼭 필요한 생애능력이란 면에서 창

의지성역량의 모든 영역이 포함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올바른 건강의 개념을 알고 건강 위험 요인을 관찰, 분석함으로써 건강에 유익한 선

택을 하도록 한다.

나) 정상적인 발달 상황을 인식하고 자신의 상황과 비교해 보며, 발달 단계 변화에 따라

적절한 대처 방법을 알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 수면, 식습관, 신체활동, 정서 안정,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한 생활 주기를 유지하는

Page 30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96 -

방법과 건강에 이로운 생활 습관, 해로운 습관을 파악하여 건강 목표를 세우게 한다.

라) 유전적, 사회․환경적, 생물학적 요인 등을 포함한 자신의 건강 지도를 작성하고

생활습관에 대한 보고서를 써 봄으로써 실제 생활에서 행동의 변화를 꾀한다.

마) 실험과 실습, 사례연구 등을 통해 질병 발생의 기전을 알고, 생활습관으로 인해 발

생 하는 만성질병을 조사하여 자신의 생활습관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습관 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나. 다양한 건강 문제 발견과 해결 능력

1) 개념

‘건강문제 발견과 해결능력’은 사회․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지하고,

건강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분석함으로써 자신의 건강문제를 확인하여, 상황에 따라 선

택 가능한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그에 적합한 의사결정을 내려 행위를 변화시키는 능력을 의

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건강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자신을 비롯하여 주변 사람들과 주위 환경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된다. 건강 문제의 발견 과정,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정보

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신적․사회적 안정을 도모하여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며 나아가 의사 결정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이 역량의 주요 특성이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자신과 주변의 여러 가지 상황을 파악하고 그 관계 속에서 서로에게 끼치는 영향과 각종

건강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은 사고력과 분석, 비판력 등의 역량과 연관된다. 또한 스스로 문

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으면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하게 되고 학습자 중심 교육

이 이루어진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로 연구하며 생산적 사고 과정을 거치고 해결

방법을 도출하는 동안 주변 사람들과의 의사 소통, 방법 선택과 결정에 따른 경험을 통해 고

등 정신 능력 함양이 가능하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자기 신체상을 정립하고 올바른 건강 개념을 확립하여 청소년기 신체·정신 발달과

변화에 관심을 갖도록 지도한다.

나) 영양, 수면, 운동과 여가 활용, 스트레스 및 심리·정신적 문제, 기성세대와의 마찰,

성적 충동 등 생활의 모든 면에서 건강 위험 요인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건강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다) 흡연, 음주 등의 약물에 대한 위험을 인식하고 정보 수집, 사례 분석 등을 통해 그

Page 30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97 -

결과를 예상하여 바람직한 의사 결정을 내리고 의지를 다질 수 있게 한다.

라) 성과 건강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성장에 따른 성적 변화를 수용하며, 이에 수반되는

문제점들을 개인적·사회적 관계에서 예상하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마) 비정상적인 양상, 즉 질병이나 일상생활의 불편, 학교 공포증, 왕따, 등교 거부, 폭

력, 학업 실패, 가출, 수면장애, 우울증, 약물 남용, 음주, 흡연, 자기과시, 지나친

모험심, 자살, 신경증, 정신병, 인터넷(디지털) 중독, 스트레스 등에 대해 자기 관리

정도를 평가하여 문제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다. 건강한 공동체 구현을 위한 관계 형성 능력

1) 개념

사회 공동체와 건강하게 의사소통하고 원활한 관계를 맺으며, 사회·문화적 환경과 건강의

관계를 이해하여 자원과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얻을 수 있는 타인에 대한

이해, 배려, 협동, 리더십, 팔로우십 등의 관계 형성 능력은 건강한 삶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러한 대인 관계 형성 능력은 자기 존중감과 긍정적인 신체상 확립, 타인에 대한 관심과 사

회·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 능력을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질병을 비롯하여 건강을 해치는 각종 요소들은 관심 부족, 소통의 단절, 스트레스, 표현의

부족 등으로 인해 야기되는 예가 많다. 따라서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감정 이입과 감정

조절 및 통제 능력을 향상시켜 나가는 과정은 창의지성역량 중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능력

과 관련이 있다. 대인관계능력은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협

력적 발전을 이루는 능력으로 긴밀한 대인관계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하고 다른 사람

의 의견을 경청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을 통해 사회·문화적 환경과

건강의 관계를 이해하여 자원과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권리와 책임, 개인 및 사회와 국가의 책무성과 대처 방법을 이

해하고 생활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나)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인과 사회, 국가와 세계의 노력

및 대처 사례를 조사하고 평가한다.

다) 신념, 규범, 관습, 법질서, 미디어 등 문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문화

환경 개선을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Page 30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298 -

라) 또래 문화, 가족문화, 사회적 소수자와 약자 등에 대해 파악하여 문화적 다양성, 인

간관계, 의사소통 기술과 건강과의 관련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공동체를 영위하기 위

한 방법을 탐색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의 관련성

가. 공통 교육과정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1학

년∼3

학년)

건강의 기본

개념과영향

요인

∘건강증진과 질병예

방의 개념

∘건강위험요인 관찰

평가와건강목표수립

∘사회(지리)-인구변화와 인구문제, 도시발달과 도시문제

∘사회(일반사회)-개인과 사회생활

∘도덕-도덕의 의미, 삶의 목적과 도덕, 삶의 소중함과

도덕

∘과학-유전과 진화

∘체육-건강과 환경

청소년기

성장 발달과

건강의 조화

∘성장 발달과 대처

∘수면, 식습관, 신체

활동 등 건강한 생

활주기 관리

∘도덕-도덕적 성찰과 실천, 인간존재의 특성, 자율과

도덕, 도덕적 자아상

∘과학-자극과 반응, 유전과 진화

∘기술·가정-청소년의 이해, 청소년의 생활

∘체육-건강과 환경

질병예방과

관리

∘질병발생과 예방

∘신체기관별건강관리

∘만성질병예방과 생

활습관 관리

∘감염병예방과 관리

∘사회(지리)-자연재해와 인간생활

∘과학-소화·순환·호흡·배설

∘체육-건강과 체력

∘환경과 녹색성장-환경과 나의 관계, 소중한 환경

약물

오·남용 및

흡연·음주

예방

∘의약품의 안전한선택

∘흡연·음주의 위험과

또래압력 대처

∘체육-건강과 환경

Page 30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299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1학

년∼3

학년)

성과

건강

∘성적발달의이해와대처

∘이성교제와 성역할,

임신, 피임 등 성과

개인적·사회적 관계

∘성폭력, 성매매, 에

이즈 등 성적 위험

으로부터의 안전

∘과학-생식과 발생 

∘기술·가정-청소년의 이해, 가족의 이해

∘체육-건강과 체력

정서와 정신

건강

∘화와 스트레스 등

감정 이해와 조절

∘건강한 관계 맺기와

학대 등 정신적 위

험으로부터의 안전

∘도덕-가정생활, 친구관계와 도덕, 사이버윤리와 예절,

타인 존중의 태도, 평화적 해결과 폭력예방, 마음의

평화와 도덕적 삶

∘과학-과학과 인류 문명

∘기술·가정-청소년의 자기관리, 가족의 이해

∘체육-사회와 여가

∘정보-정보사회의 역기능과 대처, 정보의윤리적 활용

안전과

응급처치

∘폭력예방 및 게임중

독, SNS안전 등

생활안전

∘재난 및 위험 예측

과 안전

∘응급처치와심폐소생술

∘체육-건강과 안전

건강 자원의

활용

∘건강 및 안전정보

매체의 창의적 이용

∘생활 속에서 건강·안

전자원 탐색 및 활용

∘보건의료서비스와

의료보장

∘사회(일반사회)-경제생활의 이해

∘기술·가정-청소년의 자기관리

대처기술

∘건강을 위한 의사결

정·목표설정

∘효과적인 의사소통

∘건강증진을 위한 참

여와 옹호

∘위기관리와 회복

∘국어-듣기, 말하기

∘기술·가정-가족의 이해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권리와 책임

∘청소년 건강 및 안

전에 대한 권리

∘건강 및 안전에 대

한 개인과 사회, 국

가, 국제적인 책임

∘사회(지리)-환경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사회(일반사회)-사회의 변동과 발전

∘사회(일반사회)-인권보장과 헌법

∘도덕-인간 존엄성과 인권

∘환경과 녹색성장-지구환경, 기후변화

문화와

건강

∘문화가 건강에 미치

는 영향

∘문화적다양성과건강

∘사회(지리)-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사회(일반사회)-문화의 이해와 창조

∘사회(일반사회)-현대사회와 사회문제

∘도덕-이웃에 대한 배려와 상호협동, 청소년 문화와

윤리, 문화적 다양성과 도덕, 세계화 시대의 우리의

과제,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

Page 30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00 -

나. 선택 교육과정(고등학교)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고등

학교

건강의

이해

∘건강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체육(운동과 건강생활)-운동과 건강관리

∘운동과 건강생활-운동과 체격

건강한

생활

∘개인과 가족, 사회의

건강한 균형

∘기술가정-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과 문화

∘가정과학-생애 주기와 가족 발달

질병예방과

관리

∘신체기관별건강관리Ⅱ∘생명과학1-생명활동과 에너지, 항상성과 몸의 조절,

방어작용

∘비만, 암 등 만성질

환과 감염병의 체계

적 예방관리

∘고급물리-의학의 물리

∘고급생명과학-면역

∘가정과학-식생활과 건강

∘가정과학-생활습관병의 예방과 관리

성과건강

∘사랑, 성적 결정권,

성역할 등 성과 개인

적, 사회적 관계

∘생활과 윤리-성과 사랑의 윤리

∘임신, 미혼모, 저출

산 등 국가정책∘가정과학-배우자 선택과 결혼생활

정서와

정신건강

∘감정에 대한 이해와

화, 스트레스 등 부

정적 감정대처

∘운동과 건강생활-운동과 정신건강

∘철학-정신과 이성

안전 및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응급처치․심폐소생

술․구조활동 및 응

급의료․안전법률과

제도

∘체조운동-체조운동의 부상예방법과 응급처치

∘수상운동-수상운동의 부상예방법과 응급처치

∘개인 및 대인운동-개인 및 대인운동의 부상예방법

과 응급처치

∘단체운동-단체운동의 부상예방법과 응급처치

∘투기운동-투기운동의 부상예방법과 응급처치

∘빙상.설상운동-빙상.설상운동의 부상예방법과

응급처치

∘표현창작운동-표현창작운동의 부상예방법과 응급

처치

∘체력운동-체력운동의 부상예방법과 응급처치

∘재난․오염․사고․

산업재해와 안전∘인간과 환경-실내환경과 산업안전

건강자원의

활용∘보건의료산업과건강

∘과학-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고급화학-건강과 미의 화학

대처기술∘개인․집단의 의사소

통 기술과 전략

∘국어-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과

대인관계

Page 30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01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내용

고등

학교

건강할

권리와

사회적 책임

∘건강과 안전에 대한

권리와 법규∘생활과 윤리-환경문제에 대한 윤리적 고려

∘환경과 녹색 건강,

기후 변화

∘세계문제-환경문제

∘과학-에너지와 환경

∘물리1-힘과 에너지의 이용

∘지구과학1-환경오염, 기후변화

∘환경과학-환경보건과 위생

∘농업생명과학-녹색환경보전

∘철학-생명과 환경

∘환경과 녹색성장-기후변화의 이해와 대응,

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사회

문화와

건강

∘가족․사회의 집단과

규범 등 문화적 다양

성과 건강정책

∘비교문화-사회제도와 문화

∘한국의 사회와 문화-다문화사회의 도래와 개방적

문화수용

∘심리학-사회와 나-사회적 정체성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을 통한 자기건강관리, 건강 문제 발견과 해결, 생애주기 과

업 수행과 공동체 관계형성 능력 등의 교과 핵심역량과 창의지성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고 지도한다.

2) 건강행위 실천 교육은 학생들이 지식습득에 머무르지 않고,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관심을 갖고 평생건강의 기본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교사가 확고한 신념을

갖고 지도한다.

3) 건강에 관한 시사성이 큰 교육내용을 시기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재구성하

여 지도하며,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4) 학령기동안 올바른 건강행위 실천을 습관화 할 수 있도록 실험, 실습, 역할극 등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기 방법을 활용한다.

5) 학습자가 참여하는 능동적인 학습방법,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토론학습, 협동학습 등의 방법을 적용한다.

6) 거절기술, 자기주장기술(assertiveness), 갈등관리기술, 의사결정기술 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상황극, 역할극, 가족 참여활동, 기술 시범과 리허설, 지역사회 관련인물

과의 만남 등 다양한 학습환경을 조성한다.

Page 30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02 -

7) 사례연구, 시나리오 작성, 토의, performing(장례식, 사후체험, 장애체험, 질병체

험 등), language art(자서전, 유서, 묘비명 쓰기, 금연 및 금주광고 만들기 등),

기사나 이야기 작성, UCC 만들기 등으로 건강에 대한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한다.

8) 행동변화를 위한 계약이나 선서, 또래교육, 학생진행 수업 등 학습자 중심의 실제

적이고 실천적인 방법으로 지도한다.

9) 다른 교과와 연계가 되도록 관련 교과 교육과정과 내용을 소개하고 같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10) 실험, 실습, 현장학습, 체험학습 등의 수업 과정 중 돌발 상황이나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사전 교육과 유의사항을 숙지하도록 지도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1) 본 교과는 인간이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초과학, 생활과학의 한 분야라 할 수 있

으며, 과목의 특성상 의학, 과학, 약학, 생물학, 심리·상담학, 윤리학, 경제학, 환경관

리학, 인구문제와 사회복지학, 가정관리학 등 거의 모든 학문과 두루 연관이 있다.

2) 대인관계능력이 좋은 학생들은 건강관리사, 비만관리사(다이어트 프로그래머), 장

기이식 코디네이터, 심리연구가, 상담전문가, 직업설계사, 이미지컨설턴트 등의 직

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3) 친절하고 이해심이 많은 학생들은 청소년심리연구가, 행동과학전문가, 사회복지사,

공인 알콜중독상담가, 약물중독치료사, 노인간병사, 가정관리사, 직업설계사, 이미

지 컨설턴트 등의 직업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4) 남을 잘 도와주고, 봉사활동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의사, 간호사, 간병인, 응급구조

사, 의료사회사업가, 사회복지사 등의 직업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5) 타인의 문제에 관심이 많고 교육적 지도력이 있는 학생들은 보건교육사, 언어치료

사, 식물치료학자, 음악치료사, 미술치료사, 의무기록사 등의 직업에 대해 안내한다.

다. 읽기 및 영상자료(공통교육과정 및 선택교육과정)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

고등학교

건강의 기본

개념과영향

요인

∘건강증진과 질

병예방의 개념

∘건강위험요인

관찰 평가와

건강목표 수립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나비효과와 건강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1

∘한국청소년건강 안전 보호 지표조사 자료집(2010)

∘2010 한국 청소년 건강 실태조사(기초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건강재단 (www.gunzzang.org)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yhs.cdc.go.kr)

∘그린나래(www.greenteen.or.kr )

∘청소년세계(www.youth.co.kr )

Page 30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03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

고등학교

청소년기

성장 발달과

건강의 조화

∘성장 발달과

대처

∘수면 ,식습관 ,

신체활동 등

건강한 생활주

기 관리

∘생생 청소년 건강보감 eBook

∘청소년 건강실태 국제비교조사(한미일중 4개국 비교)

∘날씬함의 환상을 좇는 아이들-섭식장애

∘행복한 부모 건강한 자녀

∘나를 끌고 가는 너는 누구냐

∘완득이

∘위저드 베이커리

∘건강생활과 영양

∘왕호기심 군 더부룩 아저씨 뱃속으로 들어가다

질병예방과

관리

∘질병발생과예방

∘신체기관별 건

강관리

∘만성질병예방

과 생활습관

관리

∘감염병예방과

관리

∘건강 100세 따라하기

∘여성의 몸-평생 건강 프로젝트

∘우리가족 건강을 부탁해요

∘여성과 건강

∘먹고 싶은 대로 먹인 음식이 당신 아이의 머리를

망친다

∘권오길 교수의 구석구석 우리 몸 산책

∘건강하세요

∘서른살 면역력

∘내몸 건강 체크리스트

∘주사기와 반창고

∘건강한 몸 착한 몸 부러운 몸

∘몸 태곳적부터의 이모티콘

∘슈퍼 사이즈 미

∘사랑의 기적

∘패치 아담스

중․

고등학교

약물오·남용

및흡연·

음주예방

∘의약품의 안전

한 선택

∘흡연·음주의

위험과 또래압

력 대처

∘약물중독의 심리 생리학적 이해

∘술의 사회학(음주 공동체의 일상문화)

∘여성 흡연과 음주의 요인 및 정책대안

∘내몸 대청소

∘굿바이 니코틴홀릭

∘STOP SMOKING

∘담배의 사회문화사

∘청부과학

∘담배 탈출하기

∘출동 금연특공대

∘무엇을 해도 잘 풀리는 사람의 금연 기술

Page 30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04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

고등학교

성과건강

∘성적발달의 이

해와 대처

∘이성교제와 성

역할, 임신, 피

임 등 성과 개

인적 ·사회적

관계

∘성폭력, 성매

매, 에이즈등

성적 위험으로

부터의 안전

∘청소년 성교육과 상담

∘아름답고 건강하게 사춘기 보내기

∘성에 눈뜨는 아이들

∘빨라지는 사춘기

∘RE-우리 지금 사랑일까

∘루나레나의 비밀편지

∘여자 몸 사용설명서

∘오리진

∘10대들을 위한 성교육

∘내 몸에 무슨 일이-사춘기 소년(소녀)들을 위한 성교육

∘성충동에 관한 13가지 진실

∘사랑과 성의 역사

∘Juno

∘필라델피아

∘굿바이 마이 프렌드

정서와

정신건강

∘화와 스트레스

등 감정 이해

와 조절

∘건강한 관계

맺기와 학대

등 정신적 위

험으로부터의

안전

∘청소년 긍정의 힘

∘치료적 게임과 심상유도

∘그린노트(건강한 자아상 회복)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청소년 음악치료

∘사춘기 뇌가 위험하다

∘TV의 무서운 진실

∘인터넷에 빼앗긴 아이

∘운동화 신은 뇌

∘나의 두뇌가 보내는 하루

∘뚱보가 세상을 지배한다

∘리버보이

∘무엇이 될까보다 어떻게 살까를 꿈꿔라

∘유토피아

∘앤트원 피셔

∘비투스

∘해피 피트 2

∘폴라 익스프레스

∘요시노 이발관

∘블랙

Page 30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05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

고등학교

안전과

응급처치

∘폭력예방 및

게 임 중 독 ,

SNS안전 등

생활안전

∘재난 및 위험

예측과 안전

∘응급처치와 심

폐소생술

∘생활안전과 응급처치

∘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워크북

∘퀴즈 과학상식 30-응급처치

∘어린이 응급처치

∘응급처치 119

∘응급처치의 원리

∘수호천사 119(만화 응급처치 상식)

∘자신만만 안전왕

∘우리 아이 생활 안전 백과

∘생활속의 안전

∘생활안전 UP

∘날마다 5분 안전 트레이닝

∘예방과 위기 대처요령

∘거의 모든 재난으로부터 살아남는 법

∘위기탈출 넘버원(www.kbs.co.kr/2tv/enter/no1)

건강 자원의

활용

∘건강 및 안전

정보 매체의

창의적 이용

∘생활 속에서

건강·안전자원

탐색 및 활용

∘보건의료서비

스와 의료보장

∘건강 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까

∘추적 한국 건강불평등

∘건강가정론

∘대한민국 건강 불평등 보고서

∘오래된 미래

∘가장 인간적인 의료

∘제약회사는 어떻게 거대한 공룡이 되었는가

∘의료관광 들여다보기

∘의료정책 현장에서 답을 찾다

∘의사를 죽여서 의료를 살릴 수 있다면

∘식코

대처기술

∘건강을 위한 의

사결정·목표설정

∘효과적인 의사

소통

∘건강증진을 위

한 참여와옹호

∘위기관리와회복

∘밥상머리에서 키우는 리더십

∘십대 공감

∘어려운 의사결정 쉽게 내리는 55가지 방법

∘사회복지사의 윤리적인 의사결정

∘건강정보이해능력

∘생각의 함정

∘지하철과 코코넛

Page 31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06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중․

고등학교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권리와

책임

∘청소년 건강

및 안전에 대

한 권리

∘건강 및 안전

에 대한 개인

과 사회, 국가,

국제적인 책임

∘청소년 복지론

∘내몸 경영

∘청소년 인권 수첩

∘인권은 대학가서 누리라고요

∘10대를 위한 행복 체크 리스트

∘청소년의 법과 생활

∘세상의 모든 아이는 가정을 가질 권리가 있습니다

∘머리에 피도 안마른 것들 인권을 넘보다

∘너의 의무를 묻는다

∘세상을 향해 어퍼컷

∘사람답게 아름답게

∘인권교육 날다

∘약이 사람을 죽인다

∘인 디스 월드

∘길버트 그레이프

∘천상의 소녀

∘사이먼 버치

∘버킷리스트-죽기전에 꼭 하고 싶은 것들

∘마이 시스터즈 키퍼

∘잭 1996 미국 코미디 감독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문화와

건강

∘문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다양성

과 건강

∘이제 다시 시작이야

∘건강생활과 레저스포츠 즐기기

∘내 몸 대청소

∘내 몸 상식사전

∘건강과 과학기술

∘유엔미래보고서 2025

∘살아남기 위하여

∘덤벼라, 인생

∘10대와 통하는 정치학

∘인권과 소수자 이야기

∘연을 쫓는 아이

∘훌라 걸스

∘옥토버 스카이

∘제 8요일

∘호텔 르완다

∘크로싱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Page 31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07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건강생활습관 형성과 자기관리능력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의 개인별,

그룹별 평가가 필요하다. 건강과 건강수칙에 대한 이해, 건강 관련 지식과 건강증

진을 위한 종합적 사고력 및 판단력, 동기유발과 내면화, 건강증진을 위한 실천 의

지와 태도, 건강행동 실천력, 생활 습관의 변화와 자기관리능력 정도 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2) 건강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제 측면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추구한다. 건강 행

위와 불건강 행위에 대한 구별,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다양한 건강문제에 대

한 정확한 통찰과 해결 방법 제시, 생애주기 과업 수행을 위한 행동의 변화를 종합

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보건교육은 집단평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으므로 건강한 공동체 구현을 위

한 관계 형성 능력도 평가해야 한다. 공동체와의 상관 관계, 건강 목표 달성을 위

한 개인과 집단의 행동, 환경과 건강의 영향에 대한 이해와 실천, 건강을 위한 환

경 조성, 다양한 문화와 소수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 정도를 평가에 포함시킨다.

4) 보건교육이 이루어지기 전에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서 건강수준을 파악한

후 주기별로 건강수준의 변화를 다양한 형태로 평가하거나, 보건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의 건강 행위 실천비율을 비교하여 결과를 수치화하는 것으로 평가를 갈

음할 수 있다.

나. 평가 방법

평가를 위한 방법이나 도구로 서술형 검사, 논술형 검사, 구술시험, 토론법, 실기시험, 면접,

관찰, 자기평가 보고서, 동료평가 보고서, 연구보고서, 프로젝트(project)수행, 대안찾기, 작

품 모음집(portfolio) 등을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다. 평가 결과의 활용

1) 평가 결과는 학생들의 계속적인 건강행위 수정을 위한 피드백 자료로 활용하고, 건

강증진을 위한 관심 증대 및 건강수준 향상을 위하여 수업의 목표, 내용, 방법 등

을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균 학점, Fail/Pass, 우등생 판정 시 다른 교과 성적과 같이 필수로 포함시키는

등 평가 결과에 대한 처리에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Page 31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31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09 -

환경과 녹색성장

1 환경과 녹생성장 핵심역량

가. 친환경적 소양을 갖춘 민주시민 의식

1) 개념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지역 사회의 실천이 중요하며, 환경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친환경적 소양을 갖추 민주시민 의식은 환경 문제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환경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기르고, 일

상생활 속에서 환경친화적 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친환경적 소양을 갖춘 민주시민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에서의 실천 방안,

지역 사회에서의 실천 방안, 국가적․국제적 노력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역량은 다음의 3단계의 과정을 거처 실현될 수 있다.

첫째, 주제 선정의 단계이다. 주제의 선정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평소에 관심을 가졌던 주제, 해결해 보고 싶었던 주제를 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료 수집 및 문제 해결 단계이다.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환경문제, 범지구적 환경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 한다.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해 환경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합리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실천의 단계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환경과 나의 상호 관계를 인식한다. 그

과정을 통하여 사회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다하고 환경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민주

시민 의식을 신장시킬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지역 사회의 환경 문제와 범지구적 환경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과

정을 통해 창의적이고 비판적 사고가 역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내면화 되며, 환경

에 대한 가치와 관심을 갖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환경보전의 참여의식과 실천 정신

을 겸비한 민주시민 의식을 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 소양을 갖춘 민주시민 의식은 창의지성역량의 문제발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능력, 민주시민 의식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age 31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10 -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

한 방안을 모색해 보도록 한다.

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신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며, 이러한 환경문제를 합리

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친구들과 이야기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능력

1) 개념

환경 문제는 경제, 정치, 사회 문제가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있다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리고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쟁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해

해야 한다. 쟁점이 되는 환경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

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소통능력은 바로 통합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에서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을 바탕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능력을 통하여 쟁점이 되는 환경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

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의사결정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이 역량은 다음의

4단계의 과정을 거쳐 신장될 수 있다.

첫째, 쟁점의식 및 쟁점 분석 단계이다. 환경문제와 쟁점을 명료화하는 방법을 배우며,

쟁점들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통합적인 안목을 갖게 한다.

둘째, 환경쟁점의 조사 단계이다. 자신이 선정한 주제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기획력과 문제 해결력을 기르고, 자료를 찾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과 통찰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합리적인 의사 결정 단계이다. 객관적인 증거나 사실을 바탕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대안을 선택한다. 대화와 토론을 통하여 자기 입장을 설득하거나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용

하여 의사를 결정한다. 결과를 발표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발표력을

기른다.

넷째, 행동계획수립 및 평가 단계이다. 다수결의 결과와 소수의견을 존중하며, 상대방의

처지를 이해하고 이해관계를 조정한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환경 문제에 대하여 인식하고

실천 과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창의성과 지성을 동시에 기를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은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서로 상호 작용을

하며 협동심과 리더십을 키울 수 있으며, 결과를 발표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통

해 문제해결력, 민주적 의사결정력, 비판적 사고력, 발표력 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어려

Page 31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11 -

운 문제에 부딪힐 경우 인내력, 책임감, 과감성, 결단력 등 자기관리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

를 가질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가) 쟁점이 되는 환경문제를 명료화하는 과정을 통해, 쟁점에 대한 거시적이고 통합적

인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나) 객과적인 증거나 사실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타인에게 효과적

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의 연관성

구분 영역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환경과 나의 관계

•도덕 - 환경과 인간의 삶•도덕 - 환경 친화적 삶의 방식•기술․가정 - 주거와 주거환경•기술․가정 -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 가정•사회 - 환경 보전 필요성•진로 - 과학과 도덕•과학-기술과 도덕•지리-인구 변화와 인구문제

생태계 속의 나•지리 - 자연으로 떠나는 여행•미술 - 자연환경•과학- 열과 우리 생활

우리 활동과 환경의 변화

•지리-자연재해와 인간생활•지리-도시 발달과 도시 문제•사회-시장 경제의 이해•사회 - 인구변화와 인구 문제•사회 - 도시 발달과 도시 문제•사회 - 일상생활과 환경 문제•사회 - 산업 활동과 지역 변화•기술․가정 - 주거와 생활

환경 친화적 가치관과지속가능한 생활양식

•도덕-환경친화적인 삶•도덕 - 국가 발전과 나•지리-자연재해와 인간생활•지리-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기술․가정 -기술의 발달과 생활•체육-건강과 환경

맑고 상쾌한 공기•과학 - 우리 주위의 화합물•과학 - 대기의 성질과 일기 변화

Page 31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12 -

구분 영역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깨끗하고 풍부한 물•과학 - 해수의 성분과 운동

•사회 - 소중한 자연 유산 갯벌

생명의 터전인 흙

우리 생활과 자원 및 에너지

•사회 - 자원문제와 지속가능 자원 이용

•사회 - 자원의 개발과 이용

•사회 - 독도의 지리적 변화

•지리 - 자원의 개발과 이용

•과학 - 수권의 구성과 순환, 일과 에너지 전환

•기술․가정-에너지와 수송 기술

•기술․가정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다시 사용하는 쓰레기

지역 사회의 환경•사회 - 다양한 기후 지역과 주민 생활

•사회 - 지역에 따라 다른 환경 문제

지구 환경•사회 - 서로 다른 환경 문제

•사회 -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

생태 공간의 회복 •기술․가정 -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환경 보전의 실천•사회 - 지역에 따라 다른 환경 문제

•지리 -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고등학교

환경 프로젝트 •과제 연구 – 과학 연구의 실제

인간과 지구 생태계

•한국지리 – 지형 환경과 생태계

•한국지리 – 기후 환경의 변화

•세계 지리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동아시아사 - 인구 증가와 사회, 경제

•생활과 윤리 - 과학기술, 환경, 정보윤리

•생명과학Ⅰ-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생명과학Ⅰ-생물의 다양성과 환경

•환경과학 – 환경과 인간

•미술 - 자연환경

인류 문명과 환경

•세계 지리 – 변화하는 세계의 인구와 도시

•생활과 윤리 - 문화와 윤리

•한국지리 -인간 활동에 따른 지형 변화

•지역 이해 –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서 지역

이해

•사회․문화 - 문화와 사회

•세계사-산업 혁명과 산업화

•지구과학Ⅰ- 환경 오염

•사회ㆍ문화 - 산업화, 도시화, 도시 문제

•생활과 윤리-전통적 자연관과 자연 친화

•세계 문제 – 환경 문제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

•세계사-과학 기술

•한국지리 –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

•세계 문제 – 발전 문제

•환경과학 – 환경문제와 대책

Page 31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13 -

구분 영역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학교

대기 환경 •지구과학Ⅱ-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물 환경•지구과학Ⅱ-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해양과학 – 해양의 이해, 해양 환경

토양 환경 •지구과학Ⅱ-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생물 환경 •생명과학실험 – 생물과 환경

자원과 에너지의 종류와 이용

•사회 - 지역 개발과 환경 보전

•과학 - 에너지와 환경

•물리Ⅰ- 에너지

•환경과학 – 자원과 에너지

자원과 에너지 문제

•기술․가정-미래 기술과 사회

•세계 지리 – 경제활동의 세계화

•세계 문제 – 에너지 문제

•화학Ⅱ - 물질변화와 에너지

자원과 에너지의 친환경적

이용

•기술․가정-건강가정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사회 - 지속가능한 사회

•물리 실험 - 신재생에너지

기후 변화의 원인과 영향•과학 - 탄소 순환과 기후변화

•지구과학Ⅰ- 기후 변화

기후 변화에 대한 대책

녹색 산업과 정책

•도덕 - 사회 제도와 정의

•물리 실험 – 원자핵과 방사능

•공학기술 – 환경과 건설 공학

친환경적 기반 구축•한국지리 -도시의 성장과 재개발

•농업생명과학 – 녹색 환경 보전

지속가능한 사회ㆍ문화

•한국지리- 생태 및 관광 자원으로서의 지형

•비교 문화 – 문화와 사회 구조

•경제 - 생산요소, 비용, 이윤, 기술, 생산성, 기업

가정신

•화학Ⅱ - 인류 복지와 화학

•사회ㆍ문화 - 세계화, 정보화, 환경 문제, 전쟁과

테러

개인과 지역 사회에서의 실천 •도덕 - 자유와 자율

국가적, 국제적 노력

•한국지리 -지속 가능한 발전과 바람직한 국토상

•세계 지리 -갈등과 공존의 세계

•세계 문제 – 새로운 세계 상상하기

•인류의 미래사회 – 미래 사회의 대응 과제

•동아시아사 - 각국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법과 정치 - 국제사회의 특성과 변화, 국제사회의

여러 문제

•생활과 윤리-지구촌의 윤리적 상황과 과제

•화학Ⅱ-인류 복지와 화학

•환경과학 - 환경보전

Page 31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14 -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 계발을 위하여 토론, 프로젝트 학습, 체험 학습,

사례 연구, 아이디어 공모 등 교내ㆍ외 활동을 권장하며,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한다.

2) 교사들의 신념이나 가치에 의해 형성된 환경행동을 학생들에게 주입하거나 강요하

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현재나 미래에 건전하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고, 자주적

이며, 자기평가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준다.

3) 토론,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환경 문제를 내면화하고 다양한 환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고, 체험 학습을 통하여 환경 문제에 관한 직접적 체험을

하여 지적 성장뿐 아니라 정의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을 포함한 종합적인 성장을 이

룰 수 있도록 한다.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을 강조하여 환경과 경제, 사회의 문

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4) 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는 간학문성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제나 주

제를 중심으로 관련 내용들을 통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프로젝트 학습을 첫 영역에

도입하여 두 번째부터 마지막 영역까지 교수ㆍ학습을 프로젝트 방법으로 진행할 것

을 권장 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지도

1)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환경관련 체험활동, 봉사활동, 국제 교류 활동 등을 경

험할 수 있으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교과와 관련해서 진로교육

을 실시할 수 있다.

2) 환경과 녹색성장 관련 진로 분야로는 수질관리, 해양관리, 상수도 관리, 대기관리,

폐기물 관리, 방사성 관리, 소음 관리, 환경 위생, 환경 설비, 생태계 분야, 농업

분야, 환경 관광, 환경컨설턴트, 신재생에너지 분야, 환경부 산하기관 공무원 등이

있으며, 세계적으로 새롭게 생겨나고 있는 친환경 산업 또는 녹색직업의 진로를 결

정할 수 있다.

다. 읽기 자료 및 영상 자료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중학교

환경과 나의 관계 100년 동안 인간이 저지른 가장 어리석은 짓들

생태계 속의 나KBS 2008 지구의 해 특별 기획 인간과 습지 <3

부작> 제2편

Page 31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15 -

구분 영역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중학교

우리 활동과 환경의 변화 박경화-고릴라는 핸드폰을 미워해

환경 친화적 가치관과

지속가능한 생활양식

청소년을 위한 환경교과서

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

맑고 상쾌한 공기최열 아저씨의 지구촌 환경이야기2

MBC 특선 다큐, 황사 1부. 자연의 복수

깨끗하고 풍부한 물

깨끗한 물이 되어줘

물은 답을 알고 있다.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생명의 터전인 흙EBS 흙 제작팀-흙(이야기가 있는 과학)

SBS 특집다큐, 건강한 땅을 먹다

우리 생활과 자원 및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푸르른 지구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에너지

KBS 환경스페셜-도전! 에너지 자립 7일간의 기록

다시 사용하는 쓰레기 EBS 하나뿐인지구-미래자원, 쓰레기를 디자인하다

지역 사회의 환경 SBS 스페셜-환경호르몬의 습격2

지구 환경 기후, 에너지 그리고 녹색이야기

생태 공간의 회복 SBS 스페셜-재앙 제3부 미래를 위한 선택

환경 보전의 실천

도시에서 생태적으로 사는 법

리빙 그린(Living green)

지구를 구하는 101가지 방법

고등

학교

환경 프로젝트 리얼 프로젝트 학습

인간과 지구 생태계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인류 문명과 환경 자연사박물관과 생물다양성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 KBS 환경스페셜-그린스타트, 녹색도시를 꿈꾸다

대기 환경 최열 아저씨의 지구촌 환경이야기2

물 환경 하천과 우리의 삶

토양 환경 흙:문명이 앗아간 지구의 살갗

생물 환경 EBS 하나뿐인지구-한국의 습지, 희귀 철새를 품다

자원과 에너지의 종류와 이용 물건의 재구성

자원과 에너지 문제

자원전쟁

석유 종말시계

SBS 창사 특집 프로그램-코난의 시대:석유 세상

에 찾아온 위기

KBS 지구의 해 특별기획-호모 오일리쿠스 1부

자원과 에너지의 친환경적

이용

MBC 프라임-녹색혁명 세상을 이끌다

KBS 환경스페셜-에너지 자립의 새로운 희망, 로

컬 에너지

EBS 하나뿐인지구-마을에너지, 지구를 구하다

Page 32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16 -

구분 영역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고등

학교

기후 변화의 원인과 영향

너무 더운 지구

북극곰은 걷고 싶다

MBC 다큐멘터리-북극의 눈물

기후 변화에 대한 대책

기후다이어트

지구온난화를 막는 50가지 방법

탄소다이어트

KBS 환경스페셜-1g의 전쟁 탄소 다이어트

녹색 산업과 정책알고싶어요 미래에너지

에너지의 미래

친환경적 기반 구축저탄소녹색성장의 미래:블루이코노미

지구의 미래

지속가능한 사회ㆍ문화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KBS 환경스페셜-오래된 미래, 선조들의 녹색 지혜

개인과 지역 사회에서의 실천

로컬푸드

MBC 스페셜-로컬푸드

KBS 환경스페셜-블루이코노미 세상을 바꾼다

국가적, 국제적 노력

기후변화의 정치학

MBC스페셜-세상을 바꾸는 실험:대안 기업가들(3부

작) 1부:생산자가 행복하면 소비자도 행복하다

참고

사이트

환경부 : www.me.go.kr/

기상청 : www.kma.go.kr/

기후변화 정보센터 : http://www.climate.go.kr/

녹색성장포털 : http://www.greengrowth.go.kr/

식품의약품안정청 : http://fa.kfda.go.kr

에너지경제연구원 : www.keei.re.kr/index.html

에너지관리공단 : www.kemco.or.kr/

친환경농산물정보시스템 : http://www.enviagro.go.kr

환경관리공단 : http://www.emc.or.kr/

한국자원재생공사 : http://www.koreco.or.kr/

한국전력공사 : http://www.kepco.co.kr/

물포탈사이트 : http://www.water.or.kr/

대기오염도실시간오염시스템 : http://www.airkorea.or.kr/

산림청 : http://www.forest.go.kr/

폐기물종합정보시스템 : http://wsis.nier.go.kr/

토양지하수종합정보시스템 : http://www.sgis.or.kr/

한국수자원공사 : http:// kwater.or.kr

한국환경자원공사 : http://www.envico.or.kr/

화학물질배출량정보공개시스템 : http://tri.nier.go.kr/triopen/

국립산림과학원 : http://www.kfri.go.kr/

국립생물자원관 : http://www.nibr.go.kr/

눈높이 환경교실 : http://edu.me.go.kr/env2/index.html

Page 32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17 -

참고

사이트

천연염색식물원 : http://www.naturalcoloring.co.k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keins.ketri.re.kr/

국제기후변화협약 : http://www.unfccc.de/

에너지경제연구원 : http://www.keei.re.kr/

탄소포인트제도 : http://www.cpoint.or.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http://www.biosafety.or.kr

한국해양연구원 : http://www.kordi.re.kr/

환경교육 포털 : http://www.keep.go.kr/

환경종합정보서비스 : http://etips.me.go.kr/

그린스타트 : http://www.greenstart.kr/

녹색연합 : http://www.greenkorea.org/

환경운동연합 : http://www.kfem.or.kr/

IPCC 홈페이지 : http://www.ipcc.ch

생명의 숲가꾸기 국민 운동 : http://www.forest.or.kr/

유넵한국위원회 : http://www.unep.or.kr/

에너지관리공단 : http://www.kemco.or.kr/

지방의제 21 전국협회의 : http://www.la21.or.kr/

환경보전협회 : http://www.epa.or.kr/

환경재단 : http://www.greenfund.org/

한살림 : http://www.hansalim.co.kr/

Greenpeace : http://www.greenpeace.org/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평가는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서 이루어져야 하며, 토의․토론 결과물, 실험․실습

보고서, 탐구 보고서, 프로젝트 결과물 등 교수․학습 과정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

하여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2) 프로젝트 학습을 평가할 때에는 수행 중 학생들의 보고서, 활동 관찰, 포트폴리오

등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의 질과 양, 활동 결과물 등을 종합하여 수행 평가 위주

로 평가한다.

3)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개인별 평가와 더불어 모둠별 평가를 실시하고, 함께 배우

고 실천하는 능력을 강조하기 위하여 지역 학교와의 협력 활동을 평가한다.

4)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 참여의 목표를 균형 있게 평가하되 내용과 활동의 성격

에 따라서 강조점을 달리할 수 있으며,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 방법과 일관성과

타당성을 유지하여 평가한다.

Page 32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18 -

나. 평가 방법

1) 평가는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개인별 평가와 더불어 모둠별 평가를 실시하고, 학

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 계발을 위하여 아이디어 공모, 동영상(UCC), 연

구 활동 보고서, 논문 등 교내․외 다양한 대회에 참여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권장

하여 그 결과를 평가에 반영한다.

2) 친환경적 소양을 갖춘 민주시민 양성 능력을 평가 시 기본적인 개념이나 원리를 평

가하기 보다는 환경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 실천하는 능력을 평

가한다.

3) 의사소통능력을 평가 시 환경 쟁점을 조사하는 능력, 서로 다른 생각을 나누는 능

력, 배우고 협력하는 능력 등의 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수준별 지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평가 결

과는 수업을 개선하고 수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능력의 변화 과정 및 성장 정도를 파악하여 교육

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3) 평가 과정을 통해 얻은 다양한 산출물들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진로 지도 자료

로 활용할 수 있다.

Page 32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19 -

농생명 산업 계열 전문교과

1 농생명 산업 계열 핵심역량

가. 농생명 산업 분야의 직업에 종사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

1) 개념

농생명 산업 분야의 직업에 종사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은 직장 내 상사, 동료 뿐만 아니

라 구매자, 소비자 등을 응대하여 직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으로, 문자로

표현된 문서를 해석하고, 타인의 언어적 표현을 이해하며, 자신의 의도한 바를 논리적인

글로 표현하거나 적절한 언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표정과 몸짓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공감하는 능력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농생명 산업 분야의 직업에 종사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은 일상적인 생활에서나 농생명 산

업 현장에서 자신 또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글을 읽고 정확히 파악·실

행할 수 있는 능력, 주어진 직무 과제를 이해하고 재해석하여 지시·실행·전달할 수 있는 능

력, 전문 분야의 지식·기술을 기반으로 구성원 간 협업을 위한 다양한 표현 및 소통 능력,

글로벌 산업 현장에서의 외국어 구사 능력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능력은 특정 과목의 학

습과 함께 교육과정에 편성된 각 과목에서 두루 학습해야 하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능

력이기도 하며 다른 역량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산업 현장에서는 자신뿐만 아니라

구성원과 함께 일해야 하기 때문에 조직이해능력과 대인관계능력 등이 함께 요구된다. 의

사소통능력은 대인관계능력의 향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문화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변화관리능력의 향상과 함께 신장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농생명 산업 분야는 고도의 기술 발전과 더불어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글로벌 환경으

로 변화하고 있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서로 다른 가치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

대방을 존중하고 협력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은 가치관과 다양성의 수

용을 토대로 하는 대인관계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다양성에 대한 이해, 협상 능

력 함양, 팀워크를 위한 개인의 역량 강화 등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능력은 협력적 문제발

견․해결능력과도 관련이 깊다.

Page 32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20 -

4) 학습과의 관련성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전문 교과뿐만 아니라 국어, 외국어, 수리 및 정보 통신

등의 과목에서도 농생명 산업 현장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문제중심학습(PBL), 프로젝트 학습 등을 활용한 협동학습은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교과활동뿐 아니라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한

토론, 모둠 활동, 타 교과와의 연계 활동을 통해 농생명 산업 분야의 직업에 종사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나. 농생명 산업 현장에서의 문제해결능력

1) 개념

농생명 산업 현장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은 농생명 산업의 실행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발

생하는 장애요인을 창의적인 사고를 통하여 해소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즉, 농작물 생산에 필

요한 생산비를 산출하는 경우와 같이 문제와 상황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

는 분석적 사고력과, 주어진 생산 환경에 가장 적합한 재배 종자를 선택하는 문제와 같이

다양한 해결책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평가적 사고력, 농기계의 고장 발생시 이 문제를 해결

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문제 상황을 재해석하거나 새로운 대안을 찾아내는 창의적 사고력을

말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농생명 산업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접근 가능한 인적, 물

적 자원에 대한 관리와 다양한 경로를 통한 정보 수집 능력을 포함한다. 즉, ‘문제인식 및

명료화’ 과정을 통해 농산업 관련 문제 상황을 명료하게 인식하고, ‘대안 탐색 및 선택’ 과

정에서는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게 된다. ‘대안 실행 및 적용’ 과

정을 통해 선택된 방법을 실천하고, ‘대안 평가 및 일반화’ 과정을 통하여 선택한 방법이 효

과가 있었는지 평가하며, 추후 비슷한 유형의 문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한 해결책과

새로운 해결책을 비교하면서 같은 절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농생명 산업

에서 문제해결능력은 수리 활용 능력, 정보 활용 능력, 자원 관리 능력, 기술 활용 능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창의지성역량에서도 문제해결능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고도로 복잡해지는 미래 사회

에서 타인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개인의 의사 결정 상황과 연관된다. 농생명 산업 계열에

서의 문제해결능력은 농생명 산업의 관련 기술과 산업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에 적절

히 대처하기 위한 전문 농업인의 능력 향상을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문제 해결 절차에 따른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의 향상을 필요로 한다.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구조

Page 32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21 -

화되지 않는 개방적인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다양한 해결 방안을 탐색하게 된다는 면에

서 창의지성역량의 여러 기본 역량과 맥을 같이 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농생명 산업 전문 교과별 성취 기준과 성취 수준을 설

정하고, 성취 기준 도달 정도에 대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 장면을 구성하

여야 한다. 특히 농생명 산업 계열의 특성상 문제중심학습법(PBL), 프로젝트 학습 등을 실

시하여 학생들이 개별 학습과 협동 학습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문제를 찾고 해결 방법을 구

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이 관련 지식과 기술 습득에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개별적ㆍ집단적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적절한 발문으로 자극을 주어야 한다.

다. 농생명산업 분야에서 자신의 발전을 위한 자기개발능력

1) 개념

농생명산업 분야에서 자신의 발전을 위한 자기개발능력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

속적으로 자기 자신을 관리하고, 진로를 개발하며, 농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를 함

양하는 것으로, 자기 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설계능력이 요구된다. 이 중 자기주도 학습능력

은 농생명 산업 계열의 기초 기술 습득과 급변하는 첨단 기술 진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학

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학습의 목표, 내용, 방법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능력을 말한다. 진

로설계능력은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로 이행을 위해 스

스로 준비해나갈 수 있는 능력이다. 즉, 직무 수행상의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학습 활동뿐

만 아니라, 평생학습 사회에서 성공적인 직업인이 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

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려는 태도와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농생명산업 분야에서 자신의 발전을 위한 자기개발능력은 평생학습 체제에서의 생애고용

가능성 증대를 위한 기본 학습 능력과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개발 능력, 구성원간의 쌍

방향적 소통에 필요한 자기이해 및 리더십 등을 통해 신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자신의

성격과 특성을 파악하여 경력 관리를 계획하고 추진하는 능력과 변화하는 농생명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내외적인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생산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길러야 한다. 자기 개발 능력은 자원관리능력 및 변화관리능력의 향상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창의지성역량에서의 자기개발능력은 일련의 학습 과정에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스스로 조

직하여 실행하고 평가하는 능력과 내재적 학습 동기를 강조하고 있다. 농생명산업 분야에

Page 32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22 -

서의 자기개발능력은 이에 더하여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능력의 함양을

위한 일련의 절차와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기개발능력은 미래 사회에 대한 개인

스스로의 역량 강화에 기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자기개발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자율적인 학습 습관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한데, 이를 위해서는 과제 활동, 프로젝트 학습, 실습 중심 수업, 분석적 사고를 통한 비판

력 향상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농생명산업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 견학, 과제 이수

등의 활동과 함께, 신문, 인터넷, 독서 활동을 접목하여 바람직한 미래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소양이 무엇인가에 대한 깨우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학생들을 자극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2 내용 체계와 타 교과의 관련성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식물자원

경영 설계 및 평가

경영 설계회계 원리-자산과 부채 및

자본의 회계처리, 수익과

비용의 회계처리, 결산과

재무제표

마케팅과 광고-마케팅 믹

스 전략

기업 회계-기업의 경영 성과,

재무제표

경영 평가

재배 시설 및 생산 자재

재배 시설 및 자재

친환경 농업-친환경농업과

병충해 관리, 친환경농업과

친환경 자재, 친환경농업의

실제

토양과 용토

비료

식물보호제

작물 재배 관리용 자재

친환경 농자재

양액 재배와 식물 공장

작물의 생육과 환경

작물의 생육 환경 관리-생태계 관리

생명 과학Ⅰ-생태계와 인간

생명 과학Ⅱ-세포와 물질

대사생육과 환경

Page 32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23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식물자원

종묘 생산

종자 생산 및 구근 생산

생명 과학Ⅰ-유전

생명 과학Ⅱ-유전자와 생명

공학

종자 번식

영양 번식

조직 배양

공정 육묘

작물 재배 기술

작물 재배 계획 과학-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환경 보전-환경 문제와 대책,

농업과 환경 보전

작물 재배 준비

재배 관리 기술

수확과 생산물 처리

생산물의 수확과 유통

수확 후 관리 기술

농산물 유통-농산물 거래,

주요 농산물 유통

경제 지리-유통과 소비의

지리적 특성

한국 지리-생산과 소비의

공간

생산물의 유통

생활 원예생활 원예의 실제 인류의미래 사회-미래사회의

대응 과제원예 치료

동물자원

가축의 영양 및 사료가축의 영양 생명 과학Ⅰ-생명활동과

에너지가축의 사료

가축의 사육

대 가축 기르기

생명 과학Ⅰ-생명 활동과

에너지, 방어 작용

중소 가축 기르기

말 기르기

기타 가축 기르기

동물 자원의 활용과

경영

동물 자원 생산물의

유통과 이용 생명 과학Ⅰ-유전

생명 과학Ⅱ-유전자와 생명

공학

생활과 윤리-과학 기술과

윤리

동물 자원 정보 수집 및

이용

동물 자원 경영 설계

동물 생명 공학의 신비

반려 동물의 관리

반려견 관리

생활과 윤리-생명,성,가족

윤리

관상조 관리

관상어 관리

기타 반려 동물 관리

동물 매개 치료

동물 복지동물 복지와 사육 환경 생활과 윤리-생명,성,가족

윤리반려 동물의 복지

Page 32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24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산림자원

수목 식별나무의 발견 생명 과학Ⅰ-생물의 다양성과

환경나무의 식별

수목 관리

종자의 관리 생명과학Ⅰ-세포와 생명의

연속성묘목의 생산

나무 심기와 가꾸기

산림 자원 활용산림 자원 경영 생명 과학Ⅰ-유전

생명 과학Ⅱ-유전자와 생명

공학산림 자원의 가공과 이용

산림과 환경

숲 속의 생물과학Ⅰ-생명의 진화

생명 과학Ⅱ-생물의 진화

산림과 환경

세계 지리-세계의 다양한

자연 환경

지구 과학Ⅰ-위기의 지구

조경

조경 재료

식물 재료

생명 과학Ⅰ-생물의 다양성과

환경

기술․가정-기술 혁신과 설계

목질 재료

석질 재료

콘크리트 재료

그 밖의 재료

조경 설계

조경 계획

역사-한국사 영역, 서양사

영역

한국 지리-거주 공간의 변화,

지역조 사와 지리정보 처리

세계 지리-세계의 다양한

자연 환경

사회․문화-문화와 사회

기초 수학-수와 식의 계산

과학Ⅰ-에너지와 환경

화학Ⅱ-물질변화와 에너지

생명 과학Ⅰ-자연속의 인간

조경 제도

식재 설계

조경 시공기반 조성 공사 농업 토목 시공․측량-건설

재료 및 시공조경 시설 공사조경 식재 공사

조경 관리수목 관리 생명 과학Ⅰ-생물의 다양성과

환경

기술․가정-기술 혁신과 설계시설물 관리

농업토목

수리와 수문수리 물리Ⅰ-1.힘과 에너지수문

측량

기본 측량 기초 수학- Ⅲ. 피타고라스정리와 삼각비

응용 측량

지형 공간 정보 기술

Page 32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25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농업토목

농업 용수의 관리

관개

수리․토질-물의 성질과 흐름배수

수질 보전

농지 개발 및 농지

보전

농지 개발과 농지 활용 수리․토질-흙의 기본적 성질,

흙 속의 물과 압밀농지의 보전

농업 토목 제도와 설계농업 토목 설계 전문 제도(토목 제도)-구조

물의 제도 설계농업 토목 제도

농업 시설 및 시공농업 시설 토목 재료․시공-시공 방법건설 재료 및 시공

농업기계

농업 공작

기초 공작 기초 기계 공작-기계 조립

산업 설비-전기 용접

공작 기계-선반, 밀링

용접

공작 기계

농업 동력

전동기과학-물질과 에너지

과학-에너지와 환경

내연기관

물리-시공간과 우주, 물질

과 전자기장, 에너지

물리Ⅱ-운동에너지, 전기와

자기

농업기계

농작업 기계

경운기

기술․가정-기술 혁신과 설계

물리-힘과 에너지의 이용

트랙터

관리기 및 작업기

농업 중장비

농업 시설 관리

종합 처리 시설

생산 자재-재배 시설 자재

원예 전문 생산-양액 재배

시설 원예 설비

축산 시설 설비

미곡 종합 처리장

양액 공급 시스템

식품가공 식품의 재료와 성분

식품의 성분

생물I-영양소와 소화

식품 분석-식품 분석 기초

및 실습,

식품 재료의 종류와 특성화학I-아름다운 분자 세계

실과-균형잡힌 식생활

Page 33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2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식품가공

식품의 가공

농산물 가공과학-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제과 제빵-전 단원

한국 조리-전 단원

식품 공업 기술-농산식품

가공, 축산식품가공, 통조

림, 침채류의 제조

축산물 가공

식품 미생물과 질병

식품과 미생물

생명 과학 I-생명과학의 이해

실과-건강한 식생활의 실천

기술ㆍ가정-청소년의 생활

식품 분석-식품 미생물 기

초 및 실습, 식품 위생 검사

식중독

식품과 질병

식품 위생

식품 첨가물

식품의 오염

식품 가공 공장의 위생

식품의 위생 검사

식품의 품질 관리

식품의 보존 식품 공업 기술-식품 포장

및 식품 안전식품의 포장과 유통

식품의 안전성

농산물유

통정보

농산물 유통 및 품질

관리

농산물 생산, 소비와

가격경제-경제 생활과 경제 문

제의 이해

농업 생명 과학-농산물의

세계화

유통관리-유통과유통 활동

농산물 유통 마진과 비용

농산물 유통의 기능과

조직

농산물 수확 후 관리

상업 디자인 일반-디자인

분야

농산물 품질 관리

농산물 품질 및 안전

관리

농산물 거래

농산물 거래

전자 상거래 일반-전자 상

거래의 개요

농업 생명 과학-농산물의

세계화

유통관리-유통과유통관리

농산물 거래 실무

경제-시장과 경제 활동

전자 상거래 일반-전자 상

거래와 마케팅

물류 관리-물류 활동

농산물무역실무

경제-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농업 생명 과학-농산물의

세계화

국제 상무-무역과 전자무역

Page 33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27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농산물유

통정보

농산물 유통 정보

농산물 유통 정보 실무

유통관리-유통 정보 시스템

전자 상거래 일반-전자 상

거래의 개요, 전자 상거래

와 마케팅

농산물 물류 관리

기업과 경영-기업의 경영

관리 영역

마케팅-물류 관리

물류 관리-물류 이해, 물류

활동

마케팅 및 창업

농산물 마케팅

마케팅- 마케팅 믹스 전략,

마케팅의 이해

수산물 유통-수산물 유통

과 마케팅

식품 구매 행동과 상권

분석

기업과 경영-기업의 경영

관리 영역

마케팅-소비자 행동

농산물 상품 계획

유통 관리-유통 관리 실무

기업과 경영-기업의 경영

관리 영역

창업 및 매장 관리

창업 일반-CEO성공 사례,

창업의 이해, 창업 절차,

창업 사례

환경․관광농업

생태계 관리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생활과 윤리-과학기술·환

경·정보 윤리, 평화와 윤리

생명 과학Ⅰ-자연속의 인간

지구 과학Ⅰ-소중한 지구,

생동하는 지구, 위기의 지구생태계 관리

자원과 에너지

자원과 에너지 과학-에너지와 환경

물리Ⅰ-에너지

화학Ⅱ-물질변화와 에너지자원과 에너지 관리

환경 문제와 대책

대기 관리 한국 지리-지형 환경과 생

태계, 기후 환경의 변화

세계 지리-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갈등과 공존의

세계

지구 과학Ⅱ-대기와 해양

의 운동과 상호작용

환경 과학 전단원

수질 관리

토양 관리

환경 보전 활동

Page 33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28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환경․관광농업

농업과 환경 정책

농업과 환경 보전

한국 지리-국토의 지속가

능한 발전

사회․문화-현대사회와 사회

변동

과학-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환경 정책 및 친환경

산업

관광농업

관광농원 개발 사회-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한국 지리-다양한 우리 국토

관광 일반-관광 사업

관광 경영 실무-관광 경영

관리

관광농원 관리

관광농업경영

생명공학

기술

식물 생명 공학

식물의 대량 증식

과학-생명의 진화

생명 과학Ⅱ-생명 공학

고급 생명 과학-생명 공학

기술의 응용

생명 과학 실험-생명 공학

무병 개체 증식식물의 품종 개량형질 전환 식물의 생산조직 배양 기술

동물 생명 공학

수정란 이식체세포 복제

형질 전환 동물의 생산동물 질병 치료 및 예방

미생물 생명 공학농업 미생물의 이용식용 버섯

생명 공학의 안전성

유전자 조작 농산물 생활과 윤리-생명․성․가족윤리, 과학 기술과 윤리

인류의 미래 사회-과학 기

술과 인류의 미래

환경 생태계

윤리 의식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농생명산업계열의 각 학과, 과목별로 초등학교의 실과, 중학교의 기술ㆍ가정의 교

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하여 연계성 있는 선·후수 교수ㆍ학습 활동이 이루

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의 검토 및 반영이 이루어지

도록 하고, 계열/학과별 능력 개발을 위한 차별화된 지도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2) 농생명산업계열에서 필요한 일반적인 핵심역량과 함께 농산업계의 직업 영역과 직

업 종류, 직무 수행 능력을 분석하여 변화하는 산업 사회에서 능동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배양하도록 지도한다. 농산업체에 취업하여 직무를

수행하거나 농업 경영 활동을 하면서 성공한 사례와 실패한 사례를 동시에 제시하

Page 33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29 -

고 원인을 분석하여 현장적응능력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3) 농산업계의 발전 방향과 앞으로의 전망을 파악하여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문제해

결능력과 미래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변화대처능력을 배양하

도록 지도한다. 이를 위해서 프로젝트 학습, PBL(Problem -Based Learning),

CTT(Creative Teaching Technology: 창의적 교수ㆍ학습 방법), 프로그램 학

습, 시뮬레이션, 역할 놀이(Role Play) 등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지

도한다.

4) 국내의 농업인들과 농산업체 종사자, 농업 연구기관 종사자들과 정보 교환뿐만 아

니라 세계 선진 농산업 국가의 농업인들과 농업 관련 종사자와의 정보 교환을 통

해서 농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도록 지도한다. 이를 위해서

학생들이 교과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조사, 정리하고 발표하도록 하며, 발표자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한다. 또한 모둠 학습을 통해서 서로 협력하

고 토론하면서 구성원들간의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5) 농산업 분야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국제화ㆍ개방화에 따른 주변 환경의 변화에 능

동적으로 대처하고, 국내 농산업의 생산 및 소비 시장의 변화, 국제 농산물 시장의

변동 사항을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 생애에 걸쳐 학습할 수 있는 자기주

도 학습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진로 결정에 따라서 농업생산분야

와 농업관련분야에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갖추기 위한 요소를 분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학생들이 농업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고 변화에 대

처하기 위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과제를 부여하고 발표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조사 및 발표에 있어서는 인터넷, 신문, 잡지, 참고서 등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조사하고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6) 다양한 컴퓨터 관련 실습실을 이용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이러닝

(e-Learning)이나 교실수업과 온라인 학습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으로 지도한다. 또 학습에 대한 이력 및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정리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7)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이나 지역 사회의 여건, 학교의 사정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

의 지도 방법을 적용한다. 특히, 지역 사회의 여건을 고려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

해서는 지역의 선진 농업 산업체 및 농가 등을 조사ㆍ견학하고, 지역의 외부 인사

를 활용하여 역동적인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 지도

1) 농생명 산업 계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농생명 분야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진

로 개척을 위해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함을 유의하여 구체적인 진로 지도 중심

Page 33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30 -

의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2) 관련 분야의 직업적 특성과 계열에 필요한 일반적인 핵심역량과 함께 분야별 핵심

직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각 교과목별로 핵심 내용을 추출, 재구성하여 실험·실

습, 프로젝트 수행 등 생활 및 현장 중심의 통합적인 교수ㆍ학습 활동을 통해 지속

적인 동기 유발과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 지도록한다.

3) 농생명 분야에는 식물 생산, 동물 사육, 식품 가공, 농업분야 건설 및 기계, 식품

가공, 조경, 산림자원, 환경․관광농업, 농산물 유통, 식품 생명, 농촌 생활 지도

등이 있다. 즉 오늘날의 농산업 분야는 전통적인 1차 산업에서 벗어나 2, 3차 산

업으로 분화, 통합하고 있다. 그리고 평생 직장이 아닌 평생 직업으로서의 생애고

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이고 유연한 학과 개설 및 교육과정 운영에도 유념

할 필요가 있다.

4) 각 학과별 진로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함과 동시에 교과목

선택, 지도에 있어서도 미래 지향적이며 지속가능한 자기계발과 농생명 산업의 발

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핵심적인 가치와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 읽기 및 영상 자료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식물자원

경영 설계 및 평가• 양화소록

• 식물도감

• 원예대백과사전

• 농업대백과사전

• 위기의 밥상 농업

• 농업 거의 모든 것의 역사

• 이야기 농업

• 디지털 농업 시대

• 농업이 미래다

•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

• 도시농업

• 원예도감

• 실내원예

• 원예치료의 기초

• 가정원예

• 생활원예

• 원예그린인테리어

• 양화소록

• 천연자원을 둘러싼 세계적인 변화

• 친환경 유기농업 초기 저비용으로 가는 길

• 우리집은 친환경 반찬을 먹는다

재배 시설 및 생산

자재

작물의 생육과 환경

종묘 생산

작물 재배 기술

생산물의 수확과

유통

생활 원예

Page 33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31 -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동물자원

가축의 영양 및 사료 • 유기 축산

• 돼지가 사는 공장

• 유기견에 관한 슬픈 보고서

• 개과천선

• 학습과 훈련 그리고 생활

• 나는 사랑입니다.

가축의 사육동물 자원의 활용과

경영

반려 동물의 관리

동물 복지

산림자원

수목 식별

• 나무와 숲

• 아낌없이 주는 나무

• 내 마음의 나무 여행

• 나무를 심은 사람

• 숲을 지켜낸 사람들

• 나무를 껴안아 숲을 지킨 사람들

•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 꽃과 곤충

• 신갈나무 투쟁기

• 나는 매일 숲으로 출근한다

• 조화로운 삶

• 사막에 숲이 있다

• 종이로 사라지는 숲 이야기

수목 관리

산림 자원 활용

산림과 환경

조경

조경 재료

• 텍스트로 만나는 조경

• 키워드로 만나는 조경

• 정원 소요

•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 정원을 말하다

• 꿈꾸는 정원사의 사계 소박한 정원

• 영국 정원 산책

• 신의 정원 나의 천국

• 세계의 정원

• 정원으로 가는 길

• 타샤 튜더 나의 정원

•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 고정희의 바로크 정원 이야기

• 생각하는 정원

• 정원 일의 즐거움

조경 설계

조경 시공

조경 관리

농업토목

수리와 수문 •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 세계 각국의 댐 건설 관련 도서

• 4대강 사업 보고서

• 만 화로 보는 지적이야기

• 만화로 쉽게 배우는 측량학

• 자연재해의 이해

• 대한민국 건설(불가능은 가능이다)

측량

농업 용수의 관리농지 개발 및 농지

보전농업 토목 제도와

설계농업 시설 및 시공

Page 33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32 -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농업기계

농업 공작• 핵심농업기계이론해설

• 핵심농업기계실기해설

• EBS직업탐구 다큐-전문기능인을 꿈꾼다

• Why 로봇

농업 동력

농작업 기계

농업 시설 관리

식품가공

식품의 재료와 성분•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 첨가물

•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 첨가물

• 나쁜 초콜릿

• 레미제라블

• 선생님의 밥그릇

• 피자는 어떻게 세계를 정복했는가?

• 맛있는 햄버거의 무서운 이야기

• 고기:욕망의 근원과 변화

• 콩 내 몸을 살린다

• 두부 한 모 경영

• 내 몸을 살리는 천연 발효 식품

• 민희, 치즈에 빠져 유럽을 누비다

• 감자 먹는 사람들(고흐)

• 감자 먹는 사람들(신경숙)

• 알리스와 소시지

• 몸에 좋은 색깔 음식 50

• 음식주식회사

• 미각예찬, 당신의 혀를 보호하라

• [시]무말랭이, 민어회(안도현), 시래기(도종환), 청

국장, 대추 한 알(이정록), 황태(박기동), 감귤(채

호기), 국수(강대실), 멸치(김기택)

식품의 가공

식품 미생물과 질병

식품 위생

식품의 품질 관리

농산물유통정보

농산물 유통 및 품질

관리 • 10년 후의 부의 미래

• 농업이야말로 21세기의 환경비지니스다

• 21세기 농업의 미래-1부 친환경 유기농시장 어떻

게 지킬 것인가

• 글로벌 마켓 제1부 생명-그 거대한 사업의 전쟁터

• 대형 유통업체는 경쟁을 해치는가

• 장사 이번에 제대로 해보자

• 젊은 사장이 꼭 알아야 할 거래의 7가지 함정

• 유통만 알아도 돈이 보인다

농산물 거래

농산물 유통 정보

마케팅 및 창업

Page 33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33 -

구분 영역 읽기 및 영상자료

환경․관광농업

생태계 관리• 환경 스페셜, 종복원 프로젝트 50년의 약속

• 농촌 불패

• 농촌에서 온 편지

• 이야기 농업

• 농업환경

• 하느님, 개구리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젊은 농부의 농사 이야기

• 인생2막 귀농 귀촌 난 이곳으로 간다

• 그린 투어리즘:도시와 농산어촌 공생하기

자원과 에너지

환경 문제와 대책

농업과 환경 정책

관광농업

생명공학기술

식물 생명 공학 • 바이오농업은 제2의 녹색혁명인가

• 식탁 위의 생명공학

• 지식채널e-GMO, 미친 공장

• 동물과 인간

• NHK 인간게놈 프로젝트

• 생명의 느낌

• 생명 과학

• 생명공학 시대의 법과 윤리

• 생명공학으로의 초대

• 가타카

• 아일랜드

• 마이 시스터즈 키퍼

동물 생명 공학

미생물 생명 공학

생명 공학의 안전성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농생명 산업 계열에서 공통적으로 길러야 할 핵심역량과 교과목의 목표 및 학교의

여건, 학습자의 특성 등을 고려한 과목별 성취 기준을 설정하고, 그 도달도를 평가

할 수 있는 성취 수준을 마련하도록 한다.

2) 계열별, 학과별로 길러야 할 인재상과 그에 부합하는 주요 역량을 길러 주도록 하

고, 목표 수준 도달을 촉진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평가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지도

목표와 교수ㆍ학습 및 평가 간의 정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3) 농생명 산업 현장에 필요한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지식 위주의 평가를 지양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기

Page 33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34 -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또한 과제 이수, 습득한 기술의 실무적용능력, 원만한 대인

관계능력 등 다양한 자기개발능력 등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여러 평가 기법을 적용

하도록 한다.

4) 학습자 개개인의 농업적 지식과 자영 및 창업 마인드를 바탕으로 진로의식을 완성

해가는 과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5) 졸업 후 직업 진입을 위한 핵심역량 습득과 현장 적용 능력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평가를 위하여 원리의 이해 및 응용, 창의적인 사고와 문제 발견/해결 능력, 의사

소통능력, 실질적인 업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며, 이를 자격 취득

및 현장 실무와 연계되도록 하여 생애 발전을 유도하도록 한다.

6) 모든 평가는 정상적인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평가 계획 시 평

가의 수준이나 방법 및 내용에 사교육 유발요인이 없도록 하여 교육과정이 정상적

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나. 평가 방법

1) 평가는 입문과목, 기초과목, 심화과목 등 과목의 성격, 특성에 따라 지필평가, 수행

평가 등을 실시하되, 과목 또는 단원의 학습 정도가 미리 설정한 성취 기준에 비추

어 어느 정도의 성취 수준에 도달하였나를 판단하고 이를 교수ㆍ학습 지도에 환류

할 수 있도록 각 과목, 단원의 성격, 특성, 내용 등에 따라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

용하여 평가한다.

2) 각 과목별로 학년(학기) 초에 성취 기준을 설정하고 성취 수준을 명료화하여 학생

들에게 사전에 고지하며, 단순 객관식 선다형 평가 외에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및 성장참조형 평가 등 다양한 평가의 적용으로 성취 수

준 도달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3) 이론 평가, 실험∙실습 평가, 보고서 작성, 구술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관찰, 면담 등

의 다양한 평가 장면을 활용하되,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환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4) 모든 평가는 평가 목표와 내용에 적합한 평가 방법과 평가 도구 개발을 통하여 타

당하고 신뢰도 높은 평가를 실시하되, 학습자의 지속적 자기계발을 위하여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제고하고, 학습

자 상호 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평가를 유의미한 교수ㆍ학습 방법의 일환

으로 활용한다.

5) 교과목의 내용에 따라 농생명 산업 현장에 대한 체험, 견학, 조사 등의 활동에 기

반을 둔 수행평가를 실시하되, 학습 활동 준비과정은 물론, 발표와 토론, 수업 태

도,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등을 평가하며, 이러한 평가는 평가 결과보다는 과정 평

가가 되도록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 및 참여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Page 33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35 -

다. 평가 결과의 활용

1) 상시 평가 체제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결과를 누가 기록

하여 개인별 성장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성취 수준에 따른 도달 정도

를 파악함으로써 전체 학생의 학습 상황이나 학생 개인별 수준별 지도를 위한 자료

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성취 수준 도달 정도를 정확히 인지하고,

이를 향상시켜 나갈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따라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선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3) 입문 과목의 평가 결과는 동일 계열의 기초 및 심화 과목을 학습하기 위한 내용,

수준의 재구성과 연계성 확보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기초, 심화 과목의 현장 실

무 중심의 평가는 결과 분석을 통해 학생 개개인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위한 자료

로 활용한다. 정의적 영역의 평가 및 분석 자료 등과 함께 학습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취업 등 진로 지도의 참고 자료로 적극 활용한다.

4) 전문교과가 추구하는 현장 실무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농생명 산업 분야의 입직을

돕고, 평생 학습 체제에서 스스로의 생애를 발전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든 직업군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 기초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분야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역량 개발과 전공 분야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환류 자료로 활용한다.

Page 34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34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37 -

공업 계열 전문교과

1 공업과 핵심역량

가. 공업 분야의 기초적인 기술 실무 능력을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1) 개념

공업 분야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란 직무를 수행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기초적인 기술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더 나아가 비판적, 창의적

으로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고차원적인 해결 전략을 제시하게 함으로써 발전된 기술을

창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공업 분야에서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은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을 확인․조직․계획․할당할 수 있는 자원 활용 능력, 정보를 분류, 처리, 검색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 및 목적에 맞게 적절한 형태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처리능력, 사회적․조직적․기술적 시스템을 이해, 관리,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능력,

관련 기술 지식을 선택하고 이를 직무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공업 분야에서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은 창조적이고 논리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력을

그 바탕에 두고 있으며, 이것은 과제 지향적 프로젝트 학습, 융합 학습 등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협력적 문제발견․해결력, 건설적 생산능력, 종합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일반적으로 문제해결과정은 가) 문제에 직면 또는 문제를 발견하는 단계, 나) 직면, 발견한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 파악하는 단계, 다) 문제를 평가하여 포기, 보류, 또는 수용하는 단계,

라) 수용된 문제를 해결하는 단계 등 4개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모든 과정에는 사

고활동 및 전공 분야에 대한 지적 활동과 더불어 체험을 통해 습득된 실무능력, 지적 조작

능력, 그리고 새로운 것을 생성․창출 하는 능력 등 종합적인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합적인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전공 교과의 이론교육과 실습뿐만 아니라 범교과적

학습이나 통합 교육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논리적․비판적․창의적 사고력

등을 함양해야 한다.

Page 34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38 -

나. 공업 분야에 종사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

1) 개념

공업 분야에 종사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이란 공업 현장에서 다른 사람의 말한 바를 정확

하게 이해하고,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뿐만

아니라 제도법과 도면 해석 능력, 응용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생활 문서와 설계와 도면 등

기업 실무 문서 작성 능력 등을 포함한 개념이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의사소통능력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인 읽기 능력, 자기가 뜻한 바를 글로 나타내는

능력인 쓰기 능력, 말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인 듣기 능력, 자기가 뜻한 바를 말로 나타내는

말하기 능력, 표정, 몸짓, 기호 등을 이해하는 비언어적 표현 방식의 이해 능력 등을 포함한

다. 공업 분야에서는 도면과 설계, 디자인 등 비언어적 표현방식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

업 분야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의 함양이 특히

중시된다. 다양한 공학적 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의사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은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이고, 더 나아가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할 것이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공업 교과에서는 학생-학생, 교사-학생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공업 분야의 각종 제품 개발

및 생산 실무를 효율적이고 창조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지식과 산업체 현장 실무

기능․기술을 배우게 된다. 이러한 배움은 언어적 표현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으로도

실현되며, 이렇게 습득된 지식은 해당 분야에 진출한 후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하고, 직무를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것

이다.

발표식 수업, 브레인스토밍, 마인드 맵, 결과 토의, 보고서 작성 등의 수업방법은 학생들

이 스스로 배움중심의 수업을 실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4) 학습과의 관련성

학교의 모든 교육활동은 기본적으로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을 토대로 전개되므로 의사소통

능력 함양과 직결되어 있다. 즉 정상적인 교육활동 속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 나간다. 공업 분야에서는 특히 비언어적 표현방식의 이해 능력, 비

언어적 표현 능력 등이 중시되며, 이는 전공과 관련된 기호, 약어, 용어, 도면 해독 등에 대

한 기본 지식과 수리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수행 활동 과제를 통해 전공과 관련된

교과에 대한 기본 지식 이외에 전공과 관련된 외국어 습득과 수학을 응용한 현장 실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34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39 -

다. 자기관리에 바탕을 둔 변화 대응 능력

1) 개념

자신이 맡은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지닐 수 있도록 스스로를 관리함으로써

내적․외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자기의 흥미, 적성, 특성 등을 이해하는 자기이해능력, 끊임없이 스스로를 개발하는 자기

개발능력, 수행해야 할 업무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추진력, 업무를 감당할 수 있는 체력을

유지하는 건강관리능력, 주어진 일에 거짓 없고 참되게 임하려는 마음가짐인 성실성,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려는 긍정적인 태도, 자기에게 주어진 일에 자신의 명예를

걸고 최선을 다하려는 장인정신 등을 포함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미래 산업수요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정서를 조절

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수행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며, 이는 수준별 과제, 독서 활동, 온라인

활용 교육,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 등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새롭게 변화되는 직업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능동성, 자신감, 발전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질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질을 키우기 위해서 변화될 미래에 대한 통찰력과

전문교과에 대한 응용력을 꾸준히 높일 수 있도록 수준별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또 산업체

견학, 명사 초청 강연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도 변화 대응 능력 함양에 도움을 줄

것이다.

Page 34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40 -

2 내용체계와 타 교과의 관계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공업일반

공업일반

• 산업 사회와 공업의 개요

• 도덕-현대사회와 도덕 문제

• 국사-경제구조와 경제활동

• 사회-환경문제와 지역의 문제

• 제품의 생산

• 기업 경영 활동

• 산업 안전과 환경오염

• 직업 사회와 진로 계획

기초제도

• 제도의 개요

• 기술․가정

• 수학-도형(평면좌표)

• 제도의 규격과 통칙

• 기본 도법에 의한 도면그리기

• 스케치도 그리기

• 기본적인 도면그리기

• 컴퓨터를 이용한 제도

• 도면의 검사와 관리

정보기술과

활용

• 정보 기술과 산업

• 수학

• 도덕-현대 사회와 도덕 문제

• 국어-정보의 조직과 활용

• 컴퓨터와 정보 통신

• 정보 통신 윤리와 정보 보호

• 기업문서실무 Ⅰ - 워드활용

• 기업문서실무 Ⅱ - 엑셀활용

• 기업문서실무 Ⅲ - 파워포인트활용

기계

․금속

전문제도

• 기계제도에 의한 도면 그리기

• 기초제도

• 기계 요소 그리기

• 컴퓨터를 이용한 도면 그리기

• 금형 제도하기

• 산업 설비 제도하기

• 도면 검사 및 관리

기계공작법

• 기계 공업의 개요

• 물리-힘과 에너지

• 기계 재료

• 검사와 측정

• 절삭 가공

• 입자 가공

• 그 밖의 절삭 가공

• 비절삭 가공

Page 34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41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기계

․금속

기계기초공작

• 측정

• 기계공작법

• 수학

• 기계 조립

• 선반

• 밀링

• 연삭• 용접• 판금• 배관

재료일반

• 공업 재료

• 화학

• 수학

• 재료 시험과 검사

• 철강 재료

• 비철 금속 재료

• 기능성 금속 재료

• 기타 공업 재료

금속처리• 금속 열처리 • 재료일반

• 화학• 금속 표면 처리

전기

․전자

․통신

전기회로

• 전기와 자기

• 물리-전기와 전자• 직류 회로• 교류 회로

전기․전자측정

• 측정 일반• 전기회로

• 수학

• 물리-전기와 전자

• 전압, 전류 및 전력 측정• 저항, 인덕턴스및커패시턴스측정• 주파수 및 파형 측정

• 그 밖의 측정

전자회로

• 반도체 소자와 집적 회로

• 물리-전기와 전자

• 전기회로-직류회로

• 직류 전원 회로

• 증폭 회로

• 발진 및 펄스 회로

• 변복조 회로

• 인터페이스 회로

• 신호 변환 회로

전기

․전자

․통신

통신일반

• 통신의 기초

• 전기회로

• 전자회로

• 통신 방식

• 전송 방식

• 통신 이용 절차

디지털

논리회로

• 디지털 시스템

• 전자회로

• 수학

• 정보의 표현

• 불 대수

• 조합 논리 회로

• 순서 논리 회로

• 메모리와프로그램가능한논리소자

Page 34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42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토목

․건축

측량

• 측량의 개요• 물리

• 수학-도형(평면좌표), 규칙성과 함수

(삼각함수, 삼각형에의응용)

• 사회-국토와 지리 정보

• 기초 측량

• 기준점 측량

• 세부 측량

• 응용 측량

• 사진 측량

토목

재료․시공

• 토목 재료

• 측량

• 화학

• 골재 시험

• 시멘트 및 콘크리트 시험

• 아스팔트 및 강재 시험

• 시공 방법

건축구조

• 건축의 구조• 물리

• 수학-규칙성과 함수(삼각함수,

삼각형에의응용)

• 국어-전통과 창조

• 목 구조

• 조적 구조

• 철근 콘크리트 구조

• 철골 구조

• 구조 시스템

건축계획

• 건축의 변천• 물리, 건축구조

• 국사-사회구조와 사회생활• 건축 관련 계획

• 용도별 건축 계획

건축 구조체

시공

• 조적 구조의 이해

• 건축구조-조적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구조

• 건축계획

• 조적 구조 시공

•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이해

•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시공

• 철골 구조의 이해

• 철골 구조의 시공

화공

․섬유

공업화학

• 물질의 구조

• 화학

• 물질의 상태와 용액

• 화학 반응

• 무기물 화학

• 유기물 화학

단위조작․공정

제어

• 화공 양론• 공업화학

• 유체 수송

화공

․섬유

섬유재료

• 섬유의 개요

• 화학• 천연 섬유

• 인조 섬유

• 기능성 섬유

Page 34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43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화공

․섬유

염색가공

• 정련 표백

• 화학

• 섬유재료

• 침염

• 날염

• 섬유 디자인

• 컴퓨터를 이용한 색 조합

• 섬유 가공

기타

교과공업영어

• 공업 분야 영어회화

• 영어• 공업 기술 영어

• 공업 실무 영어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ㆍ학습 방법

1)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의 성취 수준 및

요구, 학교의 사정, 지역 사회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전공에 따라 난이도 조절과

지도내용의 비중을 달리하여 지도한다.

2) 공업계열의 공통 필수과목은 가급적 실기 실습을 통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원리

나 규칙을 이해하여 창의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수준을 고려하여 교과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습자가 산업현

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여 직무에 적응하고 응용할 수 있는 내용

으로 지도한다.

4) 기초적인 원리 학습으로 습득한 이론적인 지식을 연계하여 보충학습과 심화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5) 학습자 스스로 조사활동, 탐구활동을 통해 얻은 지식을 토론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6) 직무에 관련된 직업기초능력 즉 ‘의사소통능력’, ‘문제 해결 능력’, ‘정보․자원 활용

능력’, ‘대인관계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한다.

8) 기초적인 지식과 실무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교수ㆍ

학습 방법에 있어서도 기초지식과 기능을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9) 심화된 전문교과를 이수하는데 선행되는 과목의 특성상 학과별로 단원별 중점지도

사항에 맞게 선별하여 교육내용을 기초에서 심화로 연계성 있게 선택적으로 가르치

Page 34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44 -

도록 하여야 한다.

10) 협동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을 통해 공구 및 공작기계의 활용방법을 익히고, 모듈

식 수업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11) 실험․실습을 통해 기초 기능을 익히도록 하며 관련 산업체의 견학을 통해 관련영

역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2) 학생들이 수행하여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하위기능의

성취 여부에 따른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업성취도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3) 관련 교과목의 이론과 실습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유의하고, 각 영역의 실습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학습량을 조절하여 지도한다.

나. 관련 진로와의 연계 지도

1) 공업교과는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조기에 발견하여 전공분야 지식과 기술을 익혀

관련 직업에 종사하거나 공업 분야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진로 개척을 위해 입학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이다. 공업교과에서는 문제 해결 능력, 자원․정보

활용 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조직 및 문화 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 진

로 개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창의지성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학습자가 세

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2) 각 교과목별로 핵심 내용을 추출, 재구성 한 후 실험․실습, 프로젝트법 등 생활

및 현장 중심의 통합적인 교수ㆍ학습 지도를 하고, 지속적인 동기 유발과 자기 주

도적 학습이 되도록 안내를 함으로써 공업계열의 공통 핵심역량과 함께 분야별 핵

심 직무 능력을 기룰 수 있도록 한다.

3) 공업계열 분야는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교육을 통해 전 산업 분야에 걸쳐

분화, 통합하고 있으며, 평생직장이 아닌 평생 직업으로서의 생애 고용 가능성을 높

이기 위한 통합적이고 유연한 학과 개설 및 교육과정 운영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4) 각 학과별 진로와 관련한 자영, 취업 등을 고려하여 전공이나 코스 등 다양한 교육

과정 편성․운영 방법과 함께 교과목 선택, 지도에 있어서도 미래 지향적이며 지속

가능한 자기 계발과 산업 발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핵심적인 가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Page 34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45 -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공업일반

공업일반

• 산업 사회와 공업의 개요 • 직업세계와 나의 직업찾기

• 제3의 물결

• 에피소드로 보는 발명의 역사

• 미래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 제품의 생산

• 기업 경영 활동• 산업 안전과 환경오염• 직업 사회와 진로 계획

기초제도

• 제도의 개요

• 디자인 일상의 경이

• 제도의 규격과통칙• 기본 도법에 의한 도면그리기

• 스케치도 그리기• 기본적인 도면그리기• 컴퓨터를 이용한 제도• 도면의 검사와 관리

정보기술과활용

• 정보 기술과 산업

• 컴퓨터 배움터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 컴퓨터와 컴퓨터 산업의 미래

• 차세대 정보 통신

• 컴퓨터와 정보 통신

• 정보 통신 윤리와 정보 보호

• 기업문서실무 Ⅰ - 워드활용

• 기업문서실무 Ⅱ - 엑셀활용

• 기업문서실무 Ⅲ - 파워포인트활용

기계

․금속

전문제도

• 기계제도에 의한 도면 그리기

• AUTOCAD와 기계 제도

• 기계 요소 그리기

• 컴퓨터를 이용한 도면 그리기

• 금형 제도하기

• 산업 설비 제도하기

• 도면 검사 및 관리

기계 공작법

• 기계 공업의 개요

• 도구와 기계의 원리

• 공업 재료 가공학

• CNC가공

• 신판 공작 기계

• 생산 제조 공학

• 기계 재료

• 검사와 측정

• 절삭 가공

• 입자 가공

• 그 밖의 절삭 가공

• 비절삭 가공

기계 기초 공작

• 측정

• 로봇 세계에서 살아남기

• 정밀 측정 이론

• 금속 가공 기초 실기

• 엔드 밀의 모든 것

• http://www.kosha.or.kr

• 기계 조립

• 선반

• 밀링

• 연삭

• 용접

• 판금

• 배관

Page 35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46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기계

․금속

재료일반

• 공업 재료

• 클라우지우스가 들려주는

엔트 로피 이야기

• 재료 시험과 검사

• 철강 재료

• 비철 금속 재료

• 기능성 금속 재료

• 기타 공업 재료

금속처리• 금속 열처리

• 연금술사• 금속 표면 처리

전기

․전자

․통신

전기회로

• 전기와 자기• 재미있는 전기이야기

• 정전기 재해와 장해 방지• 직류 회로

• 교류 회로

전기․전자측정

• 측정 일반 • 생활 속의 전기전자

• 항공인을 위한 전기 전자공학

입문

• 속 보이는 물리

• http://ikeee.or.kr

• 전압, 전류 및 전력 측정

• 저항, 인덕턴스및커패시턴스측정

• 주파수 및 파형 측정

• 그 밖의 측정

전기

․전자

․통신

전자회로

• 반도체 소자와 집적 회로

∘ 프로가 가르쳐 주는 전자회로

• 전기 전자 기초 및 제어

• 직류 전원 회로

• 증폭 회로

• 발진 및 펄스 회로

• 변복조 회로

• 인터페이스 회로

• 신호 변환 회로

통신일반

• 통 신의 기초

∘ 스티브 잡스• 통신 방식

• 전송 방식

• 통신 이용 절차

디지털

논리회로

• 디지털 시스템• 디지털 네이티브

• 개인 가정용 디지털 내화 금고

• 현대 디지털 공학 시험

• 디지털 공학 기초 실험

• 정보의 표현

• 불 대수

• 조합 논리 회로

• 순서 논리 회로

• 메모리와프로그램가능한논리소자

토목

․건축

측량

• 측량의 개요 • 항해의 역사

• 항공 사진 측량 작업

• 원격 탐사 개론

• 지도학 개론

• http://www.ngii.go.kr

• 기초 측량

• 기준점 측량

• 세부 측량

• 응용 측량

• 사진 측량

Page 35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47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토목

․건축

토목 재료․시공

• 토목 재료

• 백제의 토목 건축

• 토목 공사 표준 일반 시방서

• 연약 지반의 설계와 지공

• 골재 시험

• 시멘트 및 콘크리트 시험

• 아스팔트 및 강재 시험

• 시공 방법

건축구조

• 건축의 구조 • 한옥이 돌아왔다

• 건축 속 재미 있는 이야기

• 전통 한옥 짓기

• 한국의 살림집

• 건축속 재미 있는 과학 이야기

• 목 구조

• 조적 구조

• 철근 콘크리트 구조

• 철골 구조

• 구조 시스템

건축계획

• 건축의 변천 • 서울의 바람길

• 스스로 숨쉬는 집• 건축 관련 계획• 용도별 건축 계획

건축 구조체

시공

• 조적 구조의 이해 • 미래를 여는 건축

• 건축 구조 디자인의 세계

• 고등학교 건축 구조

• 궁궐․유고 건축

• 한국의 전통 건축

• 건축 구조 원리 이해

• 조적 구조 시공

•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이해

•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시공

• 철골 구조의 이해

• 철골 구조의 시공

화공

․섬유

공업화학

• 물질의 구조• 역사를 바꾼 17가지 화학

이야기

•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

• 3일만에 읽는 나노의 세계

• 물질의 상태와 용액

• 화학 반응

• 무기물 화학

• 유기물 화학

단위조작․공정

제어

• 화공 양론 • 살아있는 112가지 원소에얽힌

재미있는 화학 상식• 유체 수송

섬유재료

• 섬유의 개요

• 이해하기 쉬운 섬유패션소재• 천연 섬유• 인조 섬유• 기능성 섬유

염색가공

• 정련 표백

• 내손으로 하는 천연 염색

• 침염

• 날염

• 섬유 디자인

• 컴퓨터를 이용한 색 조합

• 섬유 가공

기타교과 공업영어

• 공업 분야 영어회화

• 진짜 영어 성공스토리• 공업 기술 영어

• 공업 실무 영어

Page 35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48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교육 목표와 평가의 일관성 : 교수․학습 과정을 통하여 달성하기를 기대하는 능력

의 함양 정도를 측정한다.

2)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의 유기적 관련성 : 학생들이 활동한 결과 즉 산출물을 그

대로 평가의 대상으로 활용한다.

3) 타당성 높은 평가 : 가르치려 했던 내용을 충실하게 측정한다.

4) 평가의 공평성 : 학습자들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다.

나. 평가의 방법

1) 공업 산업 계열에서 공통적으로 길러야 할 핵심역량과 학교의 여건, 학습자의 특성

등을 고려한 과목별 성취 기준을 설정하고, 그 도달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성취

기준을 마련하도록 한다.

2) 배움 중심 수업을 통한 창의지성교육을 추구하기 위해서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학

생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이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려는 태도까

지 평가한다.

3) 학습과제의 목적설정, 계획, 실행, 평가의 4단계를 기초로 각 단계가 끝나고 난 후

직업기초능력의 신장 여부를 사전 사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다음 단계의 수행과정

에 반영한 후 평가한다.

4) 지속적인 관찰과 수행평가를 통해 학습활동에 필요한 기본과정에 대해 평가하고 학

생들의 수준을 감안하여 기본이 되는 개념적 지식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에 중점을

둔다.

5) 전문교과의 각 과목이 각각 독립된 별개의 과목이 아니라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이

해시키고 각 과목에서의 결과물을 포트폴리오로 정리하도록 하여 자료수집 능력을

평가하고,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종합적인 지식과 의사소통능력을 확인하고 평가한다.

6) 학생의 평가에 있어서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성취기준 등을 감안하여 평가하고

기초개념과 원리, 문제해결능력, 응용력, 실천적 태도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다. 평가 결과의 활용

1) 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평가 결과를 정확성, 타당성, 객관성을 바탕으로 분석 및 해

석하고, 이 결과를 교수⋅학습 활동 및 학생에 대한 교육적 의사결정에 사용하며,

학생, 학부모 등과의 의사소통 근거로 활용한다.

Page 35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49 -

2) 학생들의 성취 정도와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차기 수업계획을 위한 정보와 학생들

의 진로 지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촉진하

고, 학습기회 제공 및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평가 결과를 활용하며, 교육 내용과

수준을 점검한다.

3) 학생들의 학습의 정도를 파악하고 목표 수준에 얼마나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고 학생

개개인의 개인차를 고려한 피드백 자료로 활용한다.

4) 공업 산업 현장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도달 정도를 정확히 분석하여 학

생들의 진로지도에 활용한다.

Page 35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35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51 -

상업 정보 계열 전문교과

1 상업 정보 핵심역량

가. 비즈니스 활동 수행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

1) 개념

비즈니스 활동 수행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은 기업의 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인이 과업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장애 요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으로,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창의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력을 토대로

효율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 수행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컴퓨터 활용 능력을 토대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가장 효율

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창의적인 직무 수행 능력을 포함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창의지성역량에서 제시하는 문제 해결 능력과 개념상 유사하나,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 수

행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직무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컴퓨터 활용 능

력이 필수적이다. 또한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창의지성역량에 해당하는 통찰력이 필수

적으로 요구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상업 정보 계열 전문교과에서는 프로젝트 학습, PBL,

NIE 학습 등을 실시하여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의 핵심을 이해하고

해결 방안을 창의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문제 상황에 당면

했을 때 차분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태도와 해결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나.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한 대인관계능력

1) 개념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한 대인관계능력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원활하게 의사소통함으로써 갈등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고 협상 능력을

Page 35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52 -

발휘하는 능력으로,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일치시켜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한 대인관계능력은 팀 구성원으로서 조직 구성원들과 목표를 공유

하고 자신의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하는 팀워크 능력과 리더십 능력, 갈등 관리 능력, 협상

능력 및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고객 서비스

능력을 포함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창의지성역량에서 제시하는 사회생활 영역인 민주적 시민 가치와 책무성, 리더십 등은 대

인관계능력의 하위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들 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대인

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상업 정보 계열 전문교과에서는 대인관계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역할놀이 등을

실시하여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과정을 체험해 보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직장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다른 사람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습득할 수 있다.

다. 전문적인 직무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개발 능력

1) 개념

전문적인 직무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개발 능력은 상업 정보 분야에 종사하는 직

업인으로서 자신의 능력, 적성, 특성 등을 이해하고 자신이 맡은 과업과 관련된 전문적인 직

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스로를 관리하고 개발해 나가는 능력으로, 자기 주도적으

로 학습하는 능력을 기본으로 한다.

2) 역량의 주요 특성

자신의 능력, 적성, 특성 등을 이해하고 자아정체감을 확고히 하는 자아 인식 능력을 토대로

자신의 진로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수립하는 진로 설계 능력을

포함한다. 또한 진로 목표 달성을 위해 자기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며 합리적이고 균형적으로

조정 및 관리하는 자기관리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포함한다.

3) 창의지성역량과의 관련성

자기 개발을 위해서는 자아에 대한 객관적인 통찰력을 토대로 자신의 미래를 상상하여

Page 35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53 -

진로를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창의지성역량에서 제시하는 사고-인식 영역인 통찰력

및 상상력과 개념적인 부분에서 일부 유사하다. 그러나 전문적인 직무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개발 능력은 상업 정보 관련 분야의 직무를 분석하여 그 직무의 특성과 그 직무가

요구하는 자질 및 능력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히 강조한다.

4) 학습과의 관련성

자기 개발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상업 정보 계열 전문교과에서는 프로그램 학습, 블렌디드 러닝

등을 실시하여 자신의 직업 적성 및 흥미, 다양한 직무 및 직업 정보를 탐색하고 자신의

희망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파악하여 전문성 함양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2 내용 체계와 타 교과의 관련성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필수

상업경제

•경제활동과 상업•농업경영-농업 경영요소

•유통관리-유통과 유통활동

•금융일반-금융의 이해

•금융실무-은행업무, 증권업무, 보험업무

•국제상무-무역, 무역거래조건

•글로벌경영-글로벌 경영의 이해

•기업과 경영

•유통

•금융

•비즈니스와 상업 정보

•무역과 글로벌 경영

회계원리

•회계의 기초•기업자원통합관리-회계·세무 관리

•재무회계-자산, 부채, 자본, 수익비용의

회계처리

•회계정보처리시스템-재무상태표 계정의

회계정보처리, 손익계산서 계정의 회계

정보처리, 결산 및 회계정보의 조회

•회계의 순환 과정

•자산의 회계 처리

•부채·자본의 회계 처리

•수익과 비용의 회계 처리

•결산과 재무제표

경영

정보

마케팅

•마케팅의 이해•농산물 유통 관리-농산물 마케팅, 마케팅

성공사례

•커뮤니케이션 실무-e-커뮤니케이션과

리더십

•마케팅 전략

•소비자 행동•마케팅 믹스 전략•마케팅 커뮤니케이션•서비스 마케팅

기업과

경영

•기업 경영과 기업가 정신 •경영일반-경영관리의과정, 경영활동과기능

•농업경영-농업 경영전략 및 계획

•공업일반-기업 경영 활동

•수산경영일반-수산업의 경영관리

•관광 경영 실무-관광 경영 관리

•경영 관리

•기업의 경영 관리 영역

•기업의 국제화와 경영 혁신

Page 35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54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경영

정보기업자원통합관리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기초•회계원리-결산과 재무제표

•재무회계-금융자산의 회계처리

•원가관리회계-원가 관리 회계의 기초

•세무회계-세무 회계의 기초

•회계정보처리시스템-결산 및 회계 정보의

조회

•금융·자금 관리

•인사·급여 관리

•생산·물류 관리

•원가 관리•회계·세무 관리•결산 및 경영 정보 관리

회계정보

재무회계

•재무회계의 기초

•회계원리-자산의 회계 처리, 부채․자본의

회계 처리, 수익과 비용의 회계 처리

•기업자원통합관리-재무회계의 기초

•자산의 회계처리

•부채의 회계 처리•자본의 회계 처리•수익비용의 회계 처리•재무제표의 분석

원가관리회계

•원가관리 회계의 기초 •기업자원통합관리-원가관리

•회계정보처리시스템-제조업의 회계정보

처리

•원가-조업도-이익 분석

•원가계산•특수 의사 결정

세무회계

•세무회계의 기초•기업자원통합관리-회계․세무 관리

•회계정보처리시스템-부가가치세의 회계

정보처리

•부가가치세•소득세•법인세

•기타 조세

회계정보처리

시스템

•회계정보처리시스템의 기초 •회계원리-자산의 회계 처리, 부채․자본의

회계 처리, 수익과 비용의 회계 처리

•원가관리회계-개별 원가 계산

•세무회계-부가 가치세

•기업자원통합관리-원가 관리, 회계․세무

관리, 결산 및 경영 정보 관리

•재무상태표 계정의 회계정보처리

•손익계산서 계정의 회계정보처리

•부가가치세의 회계정보처리

•결산 및 회계정보의 조회

•제조업의 회계정보처리

무역정보

글로벌경영

•글로벌 경영의 이해 •경영일반-경영활동과 기능, 현대 경영과

창업

•상업경제-무역과 글로벌 경영

•글로벌 경영전략

•글로벌 기업의 경영관리

비즈니스영어

•비즈니스 영어 기초

•국제 상무-무역 거래 조건과 무역 계약

체결

•영어-실무에 필요한 회화문, 영문 이력

서 작성, 영어 취업 인터뷰

•거래 관계의 수립

•협상•클레임•무역 실습•거래관련 서식 및 E-MAIL작성

•비즈니스 영어의 실습

국제상무

•무역•농산물 유통실무-농산물 무역실무

•상업경제-무역과 글로벌 경영

•비즈니스 영어-협상, 클레임, 무역 실습

•국제경제-국제경제의 이해

•전자무역

•무역 거래 조건과 무역 계약 체결

•수출 실무

•수입 실무

Page 35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55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정보

처리

자료구조

•자료•확률과 통계-순열과 조합

•고급수학Ⅰ-벡터와 행렬

•고급수학Ⅰ-그래프

•수학Ⅱ-수열

•수학Ⅱ-집합과 명제

•선형구조

•비선형구조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

모바일

콘텐츠

•모바일 서비스 •컴퓨터 그래픽-컴퓨터 그래픽과 시각

언어

•물리Ⅰ-정보와 통신

•과학-정보통신과 신소재

•환경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멀티미디어 다루기•애플리케이션 등록의 이해

프로

그래밍

실무

•X 언어의 개요 •수학Ⅱ-수열

•기초수학-수와 식의 계산

•고급수학Ⅰ-벡터와 행렬

•고급수학Ⅰ-그래프

•X 언어의 기초

•X 언어의 이해

•X 언어의 활용

사무관리

실무

•사무관리 •기초수학-수와 식의 계산

•기초수학-방정식과 함수

•수학Ⅱ-집합과 명제

•커뮤니케이션 실무-발표 기술

•생활과 윤리-과학 기술․환경․정보 윤리

•사무관리실습

•프레젠테이션

•정보통신

상업

디자인

상업

디자인

일반

•디자인의 이해•세계사-서양 국민국가의 형성과 산업화

•미술 문화-미술의 확장

•조형-조형과 표현, 표현 연습

•색채 관리-색의 효과, 생활과 색채

•디자인의 기초

•디자인 분야

•자유연상과 표현기법

•디자인과 색채

상업

디자인

실무

•디자인과 법 •생활과 윤리-사회윤리와 직업윤리•법과 정치-국제사회의 법과 정치•시각 디자인-편집 디자인, 광고 디자인,

포장 디자인, 멀티미디어 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컴퓨터 그래픽-컴퓨터 그래픽의 이해,컴퓨터 그래픽의 원리

•디지털 그래픽스

•상업 디자인의 영역

•상업 디자인의 개발

유통

정보

유통관리

•유통과 유통 활동 •농산물 유통-농산물 유통의 기능과 조직,

농산물 유통정보 실무

•수산 일반-수산물 유통

•수산물 유통-수산물 유통 정보

•상업경제-유통

•유통 경로의 이해•유통 정보 관리

•유통 관리 실무

•미래 유통 산업의 전망

물류관리

•물류의 이해

•해양 물류 일반-운송, 보관, 물류 정보

•농산물 유통 관리-농산물 물류 관리

•경제지리-유통과 소비의 지리적 특성

•물류 활동•물류 정보•물류 표준화와 공동화•물류관리 전략•물류의 국제화

Page 36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56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전자

상거래

전자

상거래

일반

•전자상거래의 개요 •생활과 윤리-과학기술·환경·정보윤리•농산물 유통-농산물 거래•전자상거래 실무-전자상거래 쇼핑몰의

구축 및 운영•마케팅-소비자 행동, 마케팅 믹스 전략•물류 관리-물류의 이해, 물류 활동, 물

류 표준화와 공동화, 물류 관리 전략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기술

•전자상거래와 비즈니스 모델

•인터넷과 마케팅

•전자상거래 운영 및 관리

•상거래관련 기본법과 문제 해결

전자

상거래

실무

•전자상거래를 위한웹사이트개발 •웹프로그래밍-웹사이트만들기

•상업디자인 실무-디지털그래픽스

•창업일반-창업의 이해, 창업절차, 아이디어

창출 및 보호

•인터넷창업

•전자상거래쇼핑몰의 구축

•전자상거래쇼핑몰의 운영

콘텐츠

개발

미디어

콘텐츠

일반

•미디어콘텐츠의 이해 •확률과 통계-순열과 조합

•과학-정보통신과 신소재

•물리Ⅰ-정보와 통신

•문학-문학의 수용과 생산

•화법과작문-정보전달

•미디어의 구성 요소

•미디어콘텐츠기획

•미디어콘텐츠기획 실무

미디어

콘텐츠

실무

•미디어 디자인의 이해 •시각 디자인-멀티미디어 디자인

•컴퓨터그래픽-컴퓨터그래픽디자인의실제

•사무관리일반-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실무-발표 기술

•미디어콘텐츠저작도구

•미디어콘텐츠기획 실무

•미디어콘텐츠제작실무

프로그래밍

•웹과멀티미디어•컴퓨터그래픽-컴퓨터그래픽디자인의실제

•기초수학-방정식과 함수

•수학Ⅱ-수열

•수학Ⅱ-집합과 명제

•웹사이트만들기

•웹프로그래밍기초

•웹서버구축

•웹프로그래밍활동

금융

정보

금융일반

•금융의 이해

•가정과학–소비자와 가계재무설계

•경제–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 결정

•상업경제-금융

•소득관리

•소비관리

•투자관리

•라이프사이클과 재무설계

금융실무

•금융과진로

•진로와 직업-직업세계의 이해

•상업경제-금융

•경제-국민 경제의 이해

•은행업무

•증권업무

•보험업무

•금융분쟁사례

선택커뮤니케이션

실무

•의사소통의 이해•국어Ⅰ-화법

•화법과작문-정보전달

•사무관리 실무-프레젠테이션

•마케팅-마케팅커뮤니케이션

•대화 기술

•회의 기술

•발표 기술

•e-커뮤니케이션과 리더십

Page 36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57 -

구분 영역 내용 타 교과의 관련 내용

선택

창업일반

•창업의 이해•영화 제작실습–사전 제작단계

•상업경제-기업과 경영

•기업과 경영-기업경영과 기업가 정신

•컴퓨터게임 기획-컴퓨터게임 기획서작성

•생활과윤리-사회윤리와 직업윤리

•법과 정치-국제사회의 법과 정치

•창업절차

•창업과 자금관리

•아이디어 창출 및 보호

•사업계획서작성

•CEO 성공사례

컴퓨터

일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생활과윤리-과학기술․환경․정보윤리

•확률과 통계-순열과 조합

•물리Ⅰ-정보와 통신

•수학Ⅱ-집합과 명제

•과학-정보통신과 신소재

•기초수학-수와 식의 계산

•수학Ⅱ-수열

•정보의 표현과관리

•컴퓨터시스템

•프로그래밍

3 교수ㆍ학습 지도상의 유의점

가. 교수․학습 방법

1) 상업 정보 계열에서 필요한 일반적인 핵심역량과 함께 상업 정보 계열의 직업 영역

과 직업 종류, 직무 수행 능력을 분석하여 변화하는 산업 사회에서 창의적으로 직

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배양하도록 지도한다.

2) 비즈니스 활동 수행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관련 직무에 관

한 전문적인 지식과 컴퓨터 활용 능력을 지도하고, 프로젝트 학습, PBL, NIE 학

습 등을 실시하여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의 핵심을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창의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한 대인관계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역할놀이

등을 실시하여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과정을 체험해 보도록

지도하고, 이를 통해 팀워크 능력과 리더십 능력, 갈등 관리 능력, 협상 능력, 고객

서비스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전문적인 직무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개발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프로그램

학습, 블렌디드 러닝 등을 실시하여 자아 인식 능력을 토대로 진로 설계 능력, 자

기관리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5) 상업 정보 계열의 발전 방향과 앞으로의 전망을 파악하여 미래의 사회에서 필요한

Page 36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58 -

통찰력 및 상상력을 기반으로 미래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변화

대처 능력을 배양하도록 지도한다.

6) 국제화 · 세계화 시대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국제 사회의 변화와 상업 정보 계열의

변화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7) 글로벌 경영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선진 국가의 경영자들과 기업계 종사자, 각종

연구기관 관계자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도록

지도한다.

8)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이나 지역 사회의 여건, 학교의 사정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

의 지도 중점을 달리할 수도 있다.

9) 학습에 대한 이력 및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10) 조사 및 발표에 있어서는 인터넷, 신문, 잡지, 참고서 등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조사하고 프레젠테이션의 특징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발표하는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진로와의 연계 지도

1)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지식 기반 경제 사회에서 학습자에게 요구

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직업기초능력, 상업 정보 분야의 실무능력을 함양하여

주어야 한다. 특히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조기에 발견하여 전공분야 지식과 기술을

익혀 상업 정보 분야에 취업하거나 창업하기 위해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함에

유의하여 구체적인 진로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2) 상업 정보 계열 교육과정의 전문 교과는 경영 정보, 회계 정보, 무역 정보, 정보

처리, 유통 정보, 상업 디자인, 관광 경영, 전자 상거래, 콘텐츠 개발, 금융 정보

분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분야의 교과는 경영, 경제 환경의 변화, 산업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각 분야에 맞는 직업적 소양을 길러 개인과 사회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려는 태도를 육성하고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통해 관련 분야의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3) 새로운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글로벌 및 디지털 경제 경영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상업 정보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 실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

초 지식과 기능․기술 및 태도를 길러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고, 상업 정보 관련 분

야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Page 36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59 -

다. 읽기 및 영상자료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필수

상업경제

•경제활동과 상업 •경제학 콘서트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의 선구자들

•청소년을 위한 만만한 경제학

•둥글둥글 지구촌 경제 이야기

•기업과 경영

•유통•금융•비즈니스와 상업 정보•무역과 글로벌 경영

회계원리

•회계의 기초

•회계학 콘서트

•회계 천재가 된 홍대리

•재미있는 회계여행

•회계의 순환 과정

•자산의 회계 처리

•부채·자본의 회계 처리

•수익과 비용의 회계 처리

•결산과 재무제표

경영

정보마케팅

•마케팅의 이해

•마케팅 불변의 법칙

•마케팅 천재가 된 맥스

•마케팅 전쟁

•마케팅 전략•소비자 행동

•마케팅 믹스 전략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서비스 마케팅

경영

정보

기업과

경영

•기업 경영과 기업가 정신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경영학 콘서트

•경영학 무작정 따라하기

•경영학 코칭

•경영의 진화

•경영 관리

•기업의 경영 관리 영역

•기업의 국제화와 경영 혁신

기업자원

통합관리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기초

•ERP 여행

•ERP 프로젝트 성공 가이드라인

•금융·자금 관리•인사·급여 관리•생산·물류 관리•원가 관리•회계·세무 관리

•결산 및 경영 정보 관리

회계

정보

재무회계

•재무회계의 기초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회계이야기

•자산의 회계처리

•부채의 회계 처리

•자본의 회계 처리

•수익비용의 회계 처리

•재무제표의 분석

원가관리

회계

•원가관리 회계의 기초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원가이야기

•수필 같은 원가관리회계

•원가-조업도-이익 분석

•원가계산

•특수 의사 결정

Page 36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60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회계

정보

세무회계

•세무회계의 기초•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세금이야기

•경리 회계 원리와 세무 비법 노트

•돈 되는 세금

•부가가치세•소득세•법인세•기타 조세

회계정보

처리

시스템

•회계정보처리시스템의 기초

•회계의 이해

•회계를 알면 성과가 보인다.

•재무상태표 계정의 회계정보처리

•손익계산서 계정의 회계정보처리•부가가치세의 회계정보처리•결산 및 회계정보의 조회

•제조업의 회계정보처리

무역

정보

글로벌

경영

•글로벌 경영의 이해•글로벌 시대의 경영전략

•글로벌 산업과 국가경쟁력•글로벌 경영전략•글로벌 기업의 경영관리

비즈니스

영어

•비즈니스 영어 기초

•수출입 시뮬레이션

•비즈니스 영어 회화

•거래 관계의 수립

•협상

•클레임

•무역 실습

•거래 관련 서식 및 E-MAIL작성

•비즈니스 영어의 실습

무역

정보국제상무

•무역 •무역대사전

•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무역 천재가 된 홍대리

•공정한 무역 가능한 일인가?

•한권으로 보는 무역 콘서트

•전자무역

•무역 거래 조건과 무역 계약 체결

•수출 실무

•수입 실무

정보

처리

자료구조

•자료

•C언어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

•열혈강의 자료구조

•선형구조

•비선형구조•알고리즘•데이터베이스

모바일

콘텐츠

•모바일 서비스

•모바일혁명이 만드는 비즈니스미래지도

•나는 모바일 오피스에서 일한다.

•인사이트 플래닝

•환경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멀티미디어 다루기

•애플리케이션 등록의 이해

프로그래밍

실무

•X 언어의 개요 •애플쇼크

•C가 보이는 그림책

•프로그래밍 비타민

•누워서 읽는 알고리즘

•행복한 프로그램

•X 언어의 기초

•X 언어의 이해

•X 언어의 활용

Page 36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61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정보

처리

사무관리

실무

•사무관리

•스티브잡스 프레젠테이션의 비밀•사무관리실습•프레젠테이션•정보통신

상업

디자인

상업

디자인

일반

•디자인의 이해 •발상과 표현 기법

•스케치 드로잉

•디자인 스케치북

•디자인 여행

•디자인의 역사

•디자인의 기초

•디자인 분야

•자유연상과 표현기법

•디자인과 색채

상업

디자인

실무

•디자인과 법•그래픽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모든 것

•레이아웃의 모든 것

•디자인 프로세스

•디지털 그래픽스

•상업 디자인의 영역

•상업 디자인의 개발

유통

정보

유통관리

•유통과 유통 활동

•유통의 이해

•유통의 맥

•브랜드와 유통의 전쟁

•유통 경로의 이해

•유통 정보 관리

•유통 관리 실무

•미래 유통 산업의 전망

물류관리

•물류의 이해

•물류의 이해

•물류의 역사

•폴은 어떻게 재고관리 해결사가 되었

을까?

•물류 활동

•물류 정보

•물류 표준화와 공동화

•물류관리 전략

•물류의 국제화

전자

상거래

전자

상거래

일반

•전자상거래의 개요

•인터넷 쇼핑몰 대표 강사와 함께하는

쇼핑몰 창업 운영 제작 북

•너의 전부를 걸어라.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기술

•전자상거래와 비즈니스 모델

•인터넷과 마케팅

•전자상거래 운영 및 관리

•상거래 관련 기본법과 문제 해결

전자

상거래

실무

•전자상거래를 위한웹사이트개발

•인터넷 쇼핑몰 CEO 열전

•인터넷 쇼핑몰 설득의 심리학

•인터넷 창업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구축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운영

콘텐츠

개발

미디어

콘텐츠

일반

•미디어 콘텐츠의 이해•렉토라

•콘텐츠가 미래다.

•1인 미디어

•미디어의 구성 요소

•미디어 콘텐츠 기획

•미디어 콘텐츠 기획 실무

Page 36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62 -

구분 영역 내용 읽기 및 영상자료

콘텐츠

개발

미디어

콘텐츠

실무

•미디어 디자인의 이해

•기획에서 제작까지 미디어 기업을 넘어

콘텐츠 기업으로

•미디어 콘텐츠 저작 도구

•미디어 콘텐츠 기획 실무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실무

프로그래밍

•웹과 멀티미디어

•뇌를 자극하는 JSP SERVLET

•한국 웹의 불편한 진실

•웹 사이트 만들기

•웹 프로그래밍 기초

•웹 서버구축

•웹 프로그래밍 활동

금융

정보

금융일반

•금융의 이해•부자의 조건

•금융 IQ

•금융 아는 만큼 보인다.

•재무설계 무작정 따라하기

•신용관리와 소비 생활

•소득 관리

•소비 관리

•투자 관리

•라이프 사이클과 재무 설계

금융실무

•금융과 진로

•경제와 금융 그렇구나!

•금융 비타민

•금융 지식의 힘

•은행 업무

•증권업무

•보험업무

•금융 분쟁 사례

선택

커뮤니케이션

실무

•의사소통의 이해

•스티브잡스 프레젠테이션의 비밀

•카네기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회사에서 통하는 커뮤니케이션

•대화 기술

•회의 기술

•발표 기술

•e-커뮤니케이션과 리더십

창업일반

•창업의 이해

•창업의 이해

•창업 선수들은 왜 망하지 않을까?

•청년 기업가 정신

•창업절차

•창업과 자금 관리

•아이디어 창출 및 보호

•사업계획서 작성

•CEO 성공사례

컴퓨터

일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생각하는 기계

•컴퓨터 과학자 15인의 지식 오딧세이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 과학

•정보의 표현과 관리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래밍

Page 36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63 -

4 평가상의 유의점

가. 평가의 방향

1) 상업 정보 계열에서 공통적으로 길러야 할 핵심역량과 과목의 목표를 고려하여 학

기 시작 전에 과목별, 단원별 성취기준과 그 도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성취 수준

을 마련한다.

2)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발된 상업 정보 계열의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의 성취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계획을 세운다.

3) 비즈니스 활동 수행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평가 시에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컴퓨터 활용 능력을 토대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정

보를 수집하여 가장 효율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창의적인 직무수행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4)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한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평가 시에는 팀 구성원으로서 조직

구성원들과 목표를 공유하고 자신의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하는 팀워크 능력과

리더십 능력, 갈등 관리 능력, 협상 능력, 고객 서비스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해야 한다.

5) 전문적인 직무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개발 능력에 대한 평가 시에는 자신의

능력, 적성, 특성 등을 이해하고 자아정체감을 확고히 하는 자아 인식 능력, 자신

의 진로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수립하는 진로 설계 능력,

진로 목표 달성을 위해 자기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고 합리적이고 균형적으로 조정

및 관리하는 자기관리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나. 평가 방법

1) 일상생활이나 비즈니스 활동 수행 현장에서 자신의 성취나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

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길러주도록 선택형, 서술형, 논술형, 구술형, 성장 참조형,

포트폴리오, 워크시트법, 토론형, NIE학습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한다.

2) 수행평가는 학습 활동에 필요한 준비과정에 대한 평가는 물론 발표와 토론,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 등의 관찰을 통한 학습 참여도와 실습 능력 및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정보 사회에의 적응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3) 교과목의 내용에 따라 체험, 견학, 조사, 실습 등의 활동을 실시하되, 이러한 활동

의 평가는 결과보다 과정중심으로 의사소통능력 및 참여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

가한다.

Page 36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64 -

4) 졸업 후 취업에 필요한 핵심역량 습득과 현장 적용 능력 향상을 위해 단순하고 지

엽적인 문제보다는 원리의 이해, 응용 및 창의적인 사고와 협력적 문제발견․해결

능력 및 실질적인 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평가가 자격

취득, 현장 실무와 연계되도록 한다.

다. 평가 결과 활용

1) 평가 결과는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수업 방법을 반성하며 개선할 점

을 찾아 교수ㆍ학습 과정 및 교수ㆍ학습 자료, 평가 도구를 수정, 보완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 결과는 학생의 성취수준을 판단하고 전체 학생의 학습 상황 파악이나 학생 개

인의 수준별 지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3) 평가 결과를 통해 얻은 다양한 산출물들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학생 개개인의

흥미, 관심, 특기 등과 함께 취업 등 진로 지도의 참고 자료로 적극 활용한다.

4) 평가 결과는 모든 직업군에서 필요한 직업 기초 능력 함양과 자신의 분야에서 필요

한 핵심적 역량 개발에 모두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평생 학습 체제에서, 평

가 결과가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역량 개발과 전공 분야 직무의 성공적 수행에 유용

한 환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Page 36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II. 창의적 체험활동

Page 37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37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67 -

창의적 체험활동

1 창의지성교육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의미9)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서 앎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나눔과 배려를 할

줄 아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와 상호보완적이고 유기적인 순환관계에 있다. 교과의 내용이 창

의적 체험 활동의 실제 문제나 상황에 적용되는 경우도 있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교과에

대한 필요성과 흥미를 느끼게 하여 교과에 대한 바람직한 시사점을 얻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과 활동을 통해 달성할 수 없는 목표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이루는 경우도 있

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교과 교육활동을 통해 습득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지식을 창

의적인 체험활동을 통해 자기만의 주관적인 지성으로 체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

과 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이 각각 분리되어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계 또는 통합하

는 형태로서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집단을 단위로 하는 활동10)으로 자율적이고 구체적인 체험활동을 통해

자신감이나 성취감을 높이고, 삶에 필요한 여러 가지 규범을 익히고 가치관을 형성하며 심

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우고자 하는 창

의지성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창의지성교육이 추구하는 7가지 창의지

성역량의 계발과 관계가 깊다. 즉,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발견하고 상호 협력

적으로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 문제 발견 및 해결능력,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과 더

불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자기관리 능력, 문화ㆍ예술의 이해, 다양한 삶의 가치와 문화를 편

견 없이 이해하고 수용하는 문화적 소양 능력을 신장하고 궁극적으로는 민주시민의 자질 함

양을 추구한다.

9) 이 글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기준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부분을 경기도의 창의지성교육과정 측면에서 해석함

10) 집단을 단위로 하는 활동은 집단 내 개인 간의 관계를 도모하고 타인과 더불어 사는 삶의 체득을 기반으로 한 개인

의 완성을 추구하는 활동을 의미함

Page 37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68 -

2 내용 체계와 역량과의 관계

가. 내용 체계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내용 체계는 다음과 같다.

영역 성격 활동 세부 활동별 내용

자율

활동

학교는 학생 중심의

자율적 활동을

추진하고, 학생은

다양한 교육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적응 활동

입학, 진급, 전학 등에 따른 적응 활동 등

예절, 질서 등의 기본생활 습관형성 활동, 축하, 친목, 사제동행 등

학습, 건강, 성격, 교우 등의 상담 활동 등

자치 활동1인 1역, 학급회 및 학급 부서 활동 등

학생회 협의 활동, 운영위원 활동, 모의 의회, 토론회 등

행사 활동

시업식, 입학식, 졸업식, 종업식, 기념식, 경축일 등

전시회, 발표회, 학예회, 경연대회, 실기대회 등

학생건강 체력평가, 체격 및 체질 검사, 체육대회, 친선 경기대회, 안전생활 훈련 등

수련활동, 현장학습, 수학여행, 학술조사, 문화재 답사, 국토순례, 해외문화체험 등

창의적 특색활동

학생 특색 활동, 학급 특색 활동, 학년 특색 활동, 학교 특색활동, 지역 특색 활동 등

학교 전통 수립 활동, 학교 전통 계승 활동 등

동아리

활동

학생은 자발적으로

집단 활동에

참여하여협동하는

태도를 기르고

각자의취미와

특기를 신장한다.

학술 활동외국어 회화, 과학 탐구, 사회 조사, 탐사, 다문화 탐구 등

컴퓨터, 인터넷, 신문 활용, 발명 등

문화 예술활동

문예, 창작, 회화, 조각, 서예, 전통예술, 현대예술 등

성악, 기악, 뮤지컬, 오페라 등

연극, 영화, 방송, 사진 등

스포츠 활동구기운동, 육상, 수영, 체조, 배드민턴, 인라인스케이트, 하이킹,야영 등

민속놀이, 씨름, 태권도, 태껸, 무술 등

실습 노작활동

요리, 수예, 재봉, 꽃꽂이 등

사육, 재배, 조경 등

설계, 목공, 로봇제작 등

청소년 단체활동

스카우트연맹, 걸스카우트연맹, 청소년연맹, 청소년적십자,우주소년단, 해양소년단 등

Page 37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69 -

영역 성격 활동 세부 활동별 내용

봉사

활동

학생은 이웃과

지역사회를 위한

나눔과 배려의

활동을 실천하고,

자연 환경을

보존한다.

교내봉사활동 학습부진 친구, 장애인, 병약자, 다문화가정 학생 돕기 등

지역사회봉사활동

복지시설, 공공시설, 병원, 농 어촌 등에서의 일손 돕기 등

불우이웃돕기, 고아원, 양로원, 병원, 군부대에서의 위문활동 등

재해 구호, 국제 협력과 난민 구호 등

자연환경보호활동

깨끗한 환경 만들기, 자연보호, 식목활동, 저탄소 생활 습관화 등

공공시설물, 문화재 보호 등

캠페인 활동공공질서, 교통안전, 학교주변 정화, 환경 보전, 헌혈, 각종편견 극복 등에 대한 캠페인 활동

진로

활동

학생은 자신의흥미,

특기, 적성에

적합한 자기 계발

활동을 통하여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한다.

자기 이해활동

자기 이해 및 심성 계발, 자기 정체성 탐구, 가치관 확립 활동, 각종 진로 검사 등

진로 정보탐색 활동

학업정보 탐색, 입시 정보 탐색, 학교 정보 탐색, 학교 방문 등

직업 정보 탐색, 자격 및 면허 제도 탐색, 직장 방문, 직업훈련, 취업 등

진로 계획활동

학업 및 직업에 대한 진로 설계, 진로 지도 및 상담활동 등

진로 체험활동

학업 및 직업 세계의 이해, 직업 체험활동 등

내용체계는 초 중 고등학교 구분 없이 하나로 제시하였으므로 단위학교에서는 학교급별로

학생들의 교육 특성,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야 하며, 위에 제시된 영역별 내용은 예시이므로

지역과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 달성에 적합한 활동 영역 및 내용

을 선정하여 자율적으로 운영한다. 이 때, 어느 한 영역의 활동만을 강조하거나 제외되지 않

도록 다양한 활동내용을 창의적으로 편성ㆍ운영할 것을 권장한다.

나. 역량과의 관계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서 교과와 마찬가지로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이

라는 목표를 위해 편성ㆍ운영되어야 한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실천적․체험적 교육활동 내

용은 창의지성교육의 텍스트로서의 역할을 하며, 다양한 지적 내용을 포함한 지성교육이 경

험 및 체험활동과 결합됨으로써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은 더욱 향상된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영역과 창의지성역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율활동은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토대로 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능력 및 공동

체 구성원으로서의 역량을 형성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자치활동이나 적응활동, 행사활동, 창

Page 37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70 -

의적 특색활동 등을 통해 타인과 관계 맺기, 상호작용하는 능력, 자기를 조절하는 능력을 습

득하게 된다. 이것은 창의지성역량 중 자기관리 능력이나 대인관계능력과 연결되며 이와 더

불어 의사소통능력이나 민주시민의식의 습득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동아리 활동은 취미 및 특기 계발, 협동적 학습 능력과 창의적 태도 형성을 통해 자아실

현의 기초를 닦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학습자는 학술, 문화․예술, 스포츠, 실습노작,

청소년 단체활동 등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스스로 집단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협동하는

태도를 기르고 취미와 특기 신장 및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

다. 이것은 창의지성역량 중 자기주도학습 능력이나 문화적소양 능력과 맥락을 같이 한다.

봉사활동은 나눔과 배려의 실천, 자연환경의 보존 등의 생활습관 형성을 등을 통한 삶의

가치 이해를 목표로 하는 활동으로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더불어 사는 사

회의 이해, 협동의식의 고취 등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따라서 이 활동을 통해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민주시민의식 등의 창의지성역량을 계발할 수 있다.

진로활동은 자아 정체성의 확립과 자신의 진로를 탐색, 설계, 준비할 수 있는 역량의 형성

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학습자는 자신의 흥미, 특기, 적성에 적합한 자기 계발 활동을 통

하여 자연스럽게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진로와 관

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직면하게 되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문제나 현상에 대

해 깊이 있는 통찰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사고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것은 창의

지성역량 중 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의 습득과 관련이 있다.

앞에서 제시된 영역별 창의지성역량들은 서로 분절적인 것이 아니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한 가지 영역의 활동을 통해서 여러 역량이 동시에 복합적

으로 계발될 수도 있다.

3 창의적 체험활동의 운영

창의적 체험활동은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을 체험활동의 주요 목표로 하여 운영하여야 한

다. 그리고 학교에서 실시하는 각종 체험활동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포함한 총체적 삶의

맥락 속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운영해야 한다.

Page 37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71 -

가. 각 영역별 운영

1) 자율활동

자율활동은 자치활동이나 적응활동, 행사활동, 창의적 특색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운영한다.

운영할 때에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을 유도하고,

◦ 모든 학생들이 고르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 학교 행사 진행 시 필요한 경우 지역 사회와 연계하는 방안 등을 고려하며,

◦ 다양한 실생활과 자연을 접하여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각 학교는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학교 특색활동, 전통수립을 위한 창의적 특색활동을

실천하고, 다양한 범교과 학습주제를 선정하여 특색에 맞게 운영함으로써 학습자의 자기관

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민주시민의식 등의 역량을 기를 수 있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는

학습자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학생 중심보다 학교 및 교사의 주도적 노력이 필요한 자율활

동이 강조된다. 활동내용은 기초생활습관의 형성, 공동체 의식의 함양에 중점을 두며, 저학

년은 질서 지키기, 안전교육 등의 적응활동을 중점적으로 지도한다.

2) 동아리활동

동아리 활동은 공통의 흥미나 특기를 가진 학생들이 모여서 함께 협동하면서 소질을 계발

하는 자발적인 공동체 활동이다. 동아리를 조직할 때에는 각급 학교의 실정, 지역적 특성,

학생의 흥미ㆍ적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부서가 조직되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지역 내 인적

ㆍ물적 자원 및 시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특히 동아리 활동 시에는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안내와 지도가 필요하며, 활동 결과물을 발표할 수

있는 발표회, 전시회 등의 교내ㆍ외 행사를 적극 권장하며,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생

들이 문화적 소양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편성 운영한다.

3) 봉사활동

봉사활동은 이웃과 지역사회를 위한 나눔과 배려의 활동 및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등의 사

회적 실천을 위주로 운영한다. 학습자는 교내 봉사 활동, 지역 사회 봉사 활동, 자연 환경

보호 활동, 캠페인 활동 등 나눔과 배려의 실천을 통하여 자기 관리 능력, 대인 관계 능력,

민주 시민 의식 등을 기를 수 있다. 봉사 활동은 다음과 같은 운영 절차를 거친다.

∘ 계획 → 사전 교육 → 현장 교육 → 봉사 활동 실천 → 봉사 활동 지도ㆍ감독 → 봉

사 활동 기록 → 반성 및 토의 → 인정과 격려

Page 37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72 -

4) 진로활동

진로활동은 학생이 자신의 흥미, 특기, 적성에 적합한 자기 계발 활동을 통하여 진로를 인

식․탐색․설계(준비)하는 것으로 자기 이해 활동, 진로 정보 탐색 활동, 진로 계획 활동, 진

로 체험 활동 등으로 구분된다. 학습자는 진로활동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깊이 있는 통찰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사고

및 판단 능력이 함양됨으로써 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이 향상된다.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진로 활동은 학생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실질적인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고학년을 대

상으로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학교는 이후의 학업 진로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시기로서 진로활동의 집중적인 지도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연중 일정한 시수를 확보

하여 꾸준히 지도하거나 한 학기 동안 집중 이수하는 방법 등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정 시간

을 진로활동으로 확보하여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의 진로활동은

진로를 선택하여 자아실현에 힘쓰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나. 통합ㆍ연계운영

1) 각 영역과의 통합ㆍ연계운영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등 4개의 하위 영역을 구분

하여 각기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창의지성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2개 이상

의 활동 영역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및 운영 방법

의 효율적인 방안을 고려하여 하위 영역 간의 통합 편성ㆍ운영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동아리활동 중심의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을 통합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지

역사회 봉사활동이나 캠페인활동 등이 강조되며, 동아리활동에서 익힌 기량, 장기, 특기를

적극 활용하여 봉사활동과 연계ㆍ활용할 수 있다. 또한, 농ㆍ산ㆍ어촌의 경우 다문화 가정의

급속한 증가로 다문화가정의 학생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해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

도록 여러 가지 영역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대인관계능력, 민주시민의식 등의

역량이 길러질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하위 영역 간 통합 운영(예시)>

영역Ⅰ 영역Ⅱ 통합 편성 운영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동아리활동의 운영결과를 자율활동 중행사활동을 통하여 발표하는 경우

• 자율활동 중 자치활동을 동아리활동으로 구성하여 운영하는 경우

자율활동 봉사활동

• 봉사활동을 자율활동 중 행사활동과 통합하여 학년(군) 혹은 학급

단위로 운영하는 경우

• 봉사활동을 자율활동 중 창의적 특색활동과 통합하여 학급 특색

또는 학년 특색 활동으로 운영하는 경우

자율활동 진로활동• 진로 교육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관심을 증대하기 위하여 진로활

동을 자율활동 중 행사활동이 창의적 특색 활동으로 운영하는 경우

Page 37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73 -

영역Ⅰ 영역Ⅱ 통합 편성 운영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봉사 관련 동아리를 운영하는 경우

• 동아리별로 관련된 봉사활동을 계획하여 운영하는 경우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진로 관련 동아리를 운영하는 경우

• 동아리별로 관련된 진로활동을 계획하여 운영하는 경우

봉사활동 진로활동• 다양한 봉사활동을 수행하며 직업의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 중 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p. 51)

각 영역 간의 통합 편성ㆍ운영은 위의 예시와 같이 두 하위 영역 간의 통합ㆍ운영일 수도

있고, 여러 영역간의 통합ㆍ운영일 수도 있다. 각 영역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등의 구분 가

능성과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각 학교 단위로 통합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통합 운영

의 경우 각 영역별 시수 분배는 영역별로 시수를 분배하여 편성할 수도 있고 한 영역에만

시수를 편성할 수도 있다.

2) 교과와의 통합ㆍ연계 운영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 영역의 활동 내용을 관련 교과의 학습내용 또는 교수ㆍ학습 방법

과 연계하여 운영할 경우, 교과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과와 관련된 전문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직업세계를 통하여 교과 관련

진로탐색활동이 가능하고 또한 교과 특기를 활용하여 봉사활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 외

에도 교과 학습 내용이나 학습 방법을 자치활동이나 적응활동에 적용하는 등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과 교과 간 통합 운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통합 운영은 관련 교과의 창의지성역량과 대인관계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등

의 다양한 역량이 동시에 함양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교과와의 연계 또는 통합 운영을 할 때 다음 사항에 유의하도록 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관련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재구성 요소를 추출하

고, 교과의 특성이나 학습자의 요구, 흥미 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의 통합 운영에 따라 다양한 제재 간의 연계를 생각하며 재구성한다.

◦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에는 시사성ㆍ지역성, 학습 지도 원리, 지도 시기, 순서

조정, 특정 교수법 적용 등을 고려한다.

◦ 운영 형태는 개별적인 학습활동 및 소집단 공동 학습을 중시하는 활동이나, 발표 토

의 활동과 실험, 관찰, 조사 등의 직접적 체험활동 등 다양하게 운영한다.

◦ 효과적인 통합 운영을 위하여 추진시기 및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모색한다. 예를 들

어 각 학기별 1차 또는 2차 지필평가가 종료된 다음 학생들의 흥미와 진로를 고려한

Page 37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74 -

교과와의 통합 운영 활동내용 예시

자율활동국어 • 관련 주제별 독서 후 토론, 소감 발표

사회/도덕 • 모의 의회, 모의 법정 참여/예절교육 실시

동아리활동음악/미술 • 현악반, 기타연주반, 사물놀이반 등의 연주활동

정보 •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일러스트, 에니메이션 제작 발표

봉사활동영어 • 지역 사회 복지관 영어회화 수업 도우미 활동

과학/환경 • 저탄소 생활 습관화를 위한 행동 실천

진로활동

사회/도덕 • 전문가 초청강연 및 토론회

과학/기술 가정 • 과학관을 방문하여 과학자의 연구 활동을 다양하게 체험

교과별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합ㆍ연계하여 실시하거나, 교과별 특기를 활용한 봉사

활동(복지기관, 마을 공부방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하위 영역과 교과간 통합 운영(예시)>

3) 범교과 학습 및 자기주도적 학습과의 연계 운영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동 영역 및 교육 내용의 편성을 위하여, 실천적 내용과 운영 방법

면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 및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 영역을 함께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하위 영역과 범교과 학습 주제 및 자기주도적 학습과 통합 운영(예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범교과 학습 주제 통합 내용

자율활동 민주 시민 교육• 학급 반장 및 전교 학생회장 선거, 학급 회의 및

전교 학생회

동아리활동 여가 활용 교육 • ‘문화 예술 활동’과 ‘여가 활용 교육’의 통합 운영

봉사활동 장애인 이해 교육 • ‘장애인 이해 교육’과 ‘봉사 프로그램’의 통합 운영

진로활동 진로 교육 • ‘진로 정보 탐색 활동’과 ‘진로 교육’의 통합 운영

4) 통합 운영 시 유의사항

가) 통합 편성ㆍ운영 시 지역의 특수성, 계절 및 학교의 실정과 학생의 요구, 교사의 필

요에 따라 내용 배열의 순서를 조정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Page 37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75 -

나) 통합 방법에 따라 각각 시수를 분배하여 편성할 수도 있고, 한 영역에만 시수를 편

성할 수도 있다. 다만 학교 실정에 따라 평가와 관련된 사항은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결정하여 운영하도록 한다.

다) 통합 편성ㆍ운영은 전체적인 교육활동에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일관성 있게 계획

되도록 한다. 즉, 일회성 행사나 시간확보를 위한 단순한 통합방식은 지양한다.

라) 통합은 특정 영역이나 사례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학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사례를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다. 지역 사회 자원 활용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실질적 체험학습이 되도록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계

획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 각종 체험활동을 운영하는 경기도교육청 직속기관11)의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다.

◦ 창의체험자원지도(CRM)활용으로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자원목록을 작성

하고, 기관과의 연계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우수프로그램을 학교 안으로 끌어 올

수 있도록 한다.

◦ 창의적 체험학습 지원센터(에듀모두, www.edumodoo.goe.go.kr)를 활용하여 다양

한 체험 활동의 기회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아 단위 학교의 창의적 체험활

동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편성 운영하도록 한다.

◦ 창의인성교육넷(www.crezone.net)을 활용하여 지역단위, 전체단위의 창의적 체험활

동 프로그램을 단위학교에 적용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 청소년 수련 시설 인력, 문화 예술 시설, 직업 교육 시설, 봉사활동 기관, 교육 기

부 기업 및 단체, 범부처적인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단위 학교와 연계하

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학부모나 지역사회 인사 등을 활용할 경우, 경기도교육청 계약직 교원 지침에 의거하

여 강사임용절차를 밟아 창의적 체험활동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학교는 외부강사 지

도계획을 수립 관리하고 지도교사와 외부 인적자원 간의 멘토링 및 지도 관리 체제를

갖추어 운영하도록 한다.

11) 경기도과학교육원, 경기도학생야영장(김포, 용인, 양평, 여주, 안성, 연천, 포천), 경기도청소년수

련원, 경기교육종합복지관, 경기도립도서관 등

Page 38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76 -

4 교수‧학습 방법

가. 공통 사항

1) 모든 활동 속에서 존중, 나눔, 배려가 실천될 수 있도록 하고, 기본생활습관 형성,

공동체의식의 함양, 개성과 소질을 발현할 수 있는 경험을 갖도록 계획하여 창의

적인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2) 활동을 계획 과정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방향 제시와 적절한 조언을 통해 학

생들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3) 개인 활동보다는 집단 활동을 통해 각자 역할 분담에 따른 공동 작업ㆍ토론ㆍ토

의 활동을 통한 민주적 의사결정과정 등 다양한 상호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동 내용을 조직한다.

4) 다양한 소통의 구조 안에서 자극 받고 지지받는 가운데 자기표현력과 더불어 타

인의 생각을 수용하고 협력하는 태도를 기르게 한다.

5) 사전에 교육과정을 면밀히 분석하여 학습목표와 내용을 명료화하고, 정확한 정보

를 수집하여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그리고 돌발 상황에

대한 충분한 준비를 하여 무엇보다 안전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6) 활동의 전 과정이 교육적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활동의 계획과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사후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향후의 활동 계획 수립에 반영한다.

나. 영역별 교수 학습 방법

1) 자율활동

가)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최대한 보장될 수 있도록 하고, 상호 존중의

태도, 학생중심의 문제 해결 방안 모색 및 실천이 수반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의사결정과정 및 실천 과정에서 성숙된 민주시민의식의 내면화, 참여의 가치와 자치

적 공동체의 생활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자신이 기여한 일이나 다른 사람이 분담한 일이 학급에 긍

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에 대해 소중하고 가치 있게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다.

라) 다양한 행사계획을 수립할 때 학생들이 함께 계획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공동체 의식 및 참여의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마) 학교 행사의 실시에서 필요한 경우 지역 사회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실시하되 교

육적 가치를 충분히 검토하고 유의미한 경험으로 재구성하여 지도하도록 한다.

Page 38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77 -

바)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되 인류의 지적ㆍ문화적 자산에

내재된 의미와 가치, 환경 친화적 태도와 실천의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및 존

중 등이 배움의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풍부한 내용의 구성과 적절한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도하도록 한다.

사) 다양한 활동의 기저에 민주주의 원리와 절차에 대한 이해, 민주적 의사결정 능력과

문제해결능력, 민주적 원리와 절차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그 기반이

되는 도덕성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2) 동아리활동

가) 학생의 취미, 흥미, 적성, 요구, 학교 실정 및 지역 특성 등에 알맞은 활동 부서를

조직하고, 학생의 희망을 존중하여 활동 부서를 조직한다.

나) 자신의 희망이 반영된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발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호간의 협동적인 활동을 통해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 교육도 병행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 교사는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와 자율성 발휘에 필요한 지원을 해주고 그러한 활동

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도록 한다.

라) 학생의 개성과 소질을 최대한 신장시키기 위하여 정규 교육과정 시간 이외에 방과

후 및 휴업일, 방학 중에도 활동을 지속적 집중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마) 동아리활동의 각종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교내외의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을 적극 활용한다. 특히 지역사회 인사와 학부모의 자발적 봉사 협력을 통해 동아리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를 장려한다.

바) 동아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교내 및 학교 간 경연대회, 전시회, 발표회, 봉사활

동과 연계 등을 적극 추진한다.

3) 봉사활동

가) 봉사활동의 참된 의미와 가치를 인식시키고 미래 생활과도 연계되도록 지도한다. 효

율적이며 진정한 봉사활동이 될 수 있도록 사전 교육을 실시하며, 관련 정보를 충분

히 수집하고 면밀한 계획을 세워 추진한다.

나) 봉사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을 돕고 난 후 느끼는 성취감과 보람, 기쁨, 자긍심 등과

같은 가치를 인식하고 서로 공감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끼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다) 동아리 활동의 성과나 교과 및 기타 학교 교육활동, 개인적 배움을 통해 얻은 지식,

기능 등을 봉사활동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배움을 나눌 수 있는

방법과 태도를 체득하도록 한다.

라) 자기 성찰을 통해 이 활동에서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찾았는지, 봉사 대상 기관에

Page 38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78 -

도움이 되었지 등을 중심으로 하여 활동의 계획과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사후 평가

를 실시하고, 이를 향후의 활동 계획 수립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마) 지역 사회 유관 기관 및 봉사 단체와 협조 체제를 유지하고 학부모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활동 등을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봉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4) 진로활동

가) 학생이 자신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려는 태도를 갖

게 한다. 더불어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교육활동 전반에 걸쳐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지도하도록 한다.

나) 학생의 인성, 적성, 진로 성숙도 등 다양한 측면을 파악할 수 있는 각종 검사를 실

시하고 그 결과에 대해 필요한 상담을 실시한다. 상담의 내용은 진학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반에 걸쳐 직면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삶을 개척하는

역량을 신장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진로 관련 상담 활동은 담임교사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특히 중등학교에서는

학생의 진로와 가장 밀접한 교과교사를 진로지도교사로 하여 학생 개인별 혹은 집

단별 진로 상담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진로활동 내용에 따라서는 상담 교사나 전문

적 소양을 가진 학부모 또는 지역 사회 인사의 협조를 받는다.

라)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준비 등에 알맞은 진로 관

련 계획서 등을 작성하여 꾸준하게 수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활동을 실시한다.

마) 진로 선택에 중요한 시기를 맞고 있는 중등학생의 경우 ‘직업과 진로’ 과목과 연계

하여 지도한다. 특히 중학교 3학년에서 고교 진학과 고교 1학년에서 진로에 따른 교

과목 이수 및 고교 3학년에서 학업 혹은 직업 선택을 지도하는데 중점을 둔다.

바) 학교 및 지역 사회 인사, 지역 사회 시설 등을 활용하여 장래에 학생들이 선택하게

될 학업과 직업에 대해 탐구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5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

가. 평가의 방향

1)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학생 평가는 학생 개개인의 성장, 발달 및 자기주도적인

활동을 평가하여 개개인의 진보와 계발을 돕는 자료로 활용한다.

2) 평가의 관점은 학생 개개인이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얼마나 성장하였는지에

관심을 두며 정해진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깊고 넓은 자기 생각을 만들고 표현

할 수 있도록 평가한다.

3) 다양한 지적 내용을 경험과 체험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문화적 소양과 사회적 실천

Page 38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79 -

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그 결과

를 교과 역량과 교과 외의 역량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모색 한다.

4) 양적 평가 보다는 질적 평가, 결과 보다는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평가 체제로의

전환을 위하여 객관성,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한다.

5) 창의지성역량은 직ㆍ간접 체험을 바탕으로 한 반성적 사고 훈련을 통해 점진적으

로 발달하므로 학생 개인을 위한 종단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뿐 아니라 창의

지성교육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평

가를 실시한다.

6)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평가에는 운영 계획, 운영 과정, 운영

결과 등이 포함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차후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 수립 및 운영

의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

나. 평가의 절차

1) 학교와 지역 사회의 실정 및 교육목표에 비추어 적합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2) 창의지성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 목표를 설정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방향을

정하고, 효과적인 지도의 방법을 강구하며,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결정한다.

창의지성교육을 위한 평가 목표의 설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가) 학생들이 비판적인 사고 활동을 통해 지식을 소화하고 높은 차원의 지혜와 지

성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창의지성역량의 계발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하여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유기적,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평가 목표를

설정한다.

나) 학교의 실정과 지역 사회,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된 역량을 고려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별 평가 목표의 내용과 수준을 수정하고 구체화한다.

3) 학생들의 행동의 성취나 습득의 증거가 나타날 수 있도록 다양한 평가 장면을 선

정하되 질문지, 필답 검사, 표준화 검사처럼 비교적 다루기 쉬운 방법부터 관찰,

평정 척도, 면접, 자기 평가, 상호 평가 등 전문적인 지식과 연구가 필요한 평가

장면을 활용한다.

가)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과와 유기적으로 통합 운영되었을 경우, 교과의 특성에

맞는 서술형ㆍ논술형 평가 및 수행 평가를 활용할 수 있다.

나) 최종 수준 그 자체보다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얼마나 성장하였느냐에 관

심을 둔 성장 참조형 평가를 적용할 수 있다.

4) 평가의 장면이 결정되면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에 따라 목표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제작하거나 기존의 평가도구를 선정하여 제작하며, 특히 역량을 평가

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의 개발과 제작 방안을 모색한다.

Page 38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80 -

5) 평가 결과는 평소의 활동 상황을 누가 기록한 자료를 토대로 학생의 활동 실적,

성장 정도, 행동의 변화, 특기 사항 등을 담임 또는 담당 교사가 수시로 평가한다.

6) 학생들이 얼마나 성장하였는지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 처음과 중간, 마무리

과정 등의 단계에서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 결과를 평어 또는 평정 척도로 누가

기록한다. 학생은 에듀팟(http://www.edupot.go.kr)을 활용하여 개개인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주도적으로 누가 기록하고 담당 교사는 학생들이 기록한 내용을 확인

하고 지도하며, 이를 담임교사가 학년말에 종합하여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한다.

7)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 결과는 개인은 물론, 그 부서의 다음 과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인별, 부서별, 평가 기록 카드가 작성되어야 한다.

다. 각 영역별 평가 관점과 평정 척도의 작성

1) 각 영역별로 평가 관점을 마련하고 참여도, 협력도, 열성도 및 그 이외의 활동 실적

등이 골고루 반영되도록 평정 척도를 작성, 활용한다.

2) 평가 관점에는 창의지성 역량인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관리능력, 협력적 문제발견

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민주시민의식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활동 영역 평가 관점 예시평가 관점에 따른

관련 창의지성역량

자율활동

• 민주적인 의사 결정을 기본으로 한 합리적인

문제해결능력과 능동적으로 협력하는 태도의 함양

• 다양한 활동을 자율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형성되

는 자신감과 창의성 신장의 변화

• 민주시민 의식

• 협력적 문제발견 해결능력

• 자기주도 학습능력

• 대인관계능력

• 의사소통능력

동아리활동

•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개인의 창의성 신장과

협동심을 기르는 태도의 변화

• 학생 개인 활동에 대한 평가와 소속 집단의 발전에

대한 평가

• 학술, 문화예술, 스포츠, 실습노작, 청소년 단체

활동에 참여하여 여가를 선용하는 생활습관 형성에

대한 평가

• 의사소통능력

• 대인관계능력

• 협력적 문제발견ㆍ해결능력

• 민주시민 의식

• 문화적 소양능력

• 자기주도 학습능력

봉사활동

• 나눔과 배려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사회적 역

할과 책임을 분담하며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

고자 하는 태도의 변화

• 봉사활동의 계획, 과정, 결과, 평가 등의 전 과정을

평가하여 결과를 향 후 활동 계획에 수립 반영

• 민주시민의식

• 대인관계능력

• 의사소통능력

진로활동

• 각종 검사, 상담을 통해 진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를 계획, 실천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태도와

행동의 변화

• 진로 관련 상담 활동이 학생의 진로 의사 결정 능

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 평가

• 문제발견ㆍ해결능력

• 자기관리능력

Page 38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3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중점

- 381 -

라. 다양한 평가 방법

1)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는 활동 과정과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중요하게 여긴

다는 점에서 지필평가를 지양하고 학생의 자기평가, 상호평가, 활동 및 관찰 기

록, 질문지, 작품 분석,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한다.

2) 분석력, 비판력, 판단력, 종합력 등의 고등정신능력 뿐 아니라 호기심, 흥미, 성취

욕구, 가치나 태도 등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3) 다양한 지적 내용을 텍스트로 하여 경험과 체험, 문화적 소양, 사회적 실천으로

확대되는 학생의 배움을 드러낼 수 있도록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

구분 평가 방법 평가 요령

활동

상황의

관찰

일화 기록법 학생의 활동 상황을 자유롭게 수시로 기록하여 평가하는 방법

체크리스트법활동에의 참가 태도, 실천 상황 등을 미리 준비된 리스트에 의거하

여 체크하는 방법

평정 척도법관찰하고자 하는 특성이나 활동을 일정한 척도에 맞추어 평정하는

방법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

의식 태도

조사활동에의 생각, 흥미, 관심, 태도 등을 설문식으로 조사하는 방법

자기 평가집단 활동의 참가 태도, 행동의 정착도를 학생 스스로가 반성, 평가

하도록 하는 방법

상호 평가학생 상호 간의 집단 활동에의 참가 태도, 공동으로 산출한 결과에

의 기여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

학생의

작품과

기록

작품 평가 개인 또는 집단으로 작품을 만드는 과정이나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

활동의 기록

분석법

활동의 계획이나 활동의 과정을 실제 기록하도록 한 것을 분석하는

방법작문, 소감문

, 보고서

분석법

활동의 계획, 실시에 대한 의견, 참가 후, 활동 후의 감상 등을 글

로 쓰도록 하거나 활동하는 동안의 일지, 보고서를 분석하는 방법

교사의

의견 교환교사협의 활동 영역별 지도에 관한 정보 교환, 평가, 반성

마. 평가 결과의 활용

1) 학생이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정도와 성과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학교가

제공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특성을 상세히 기록하여 상급학교 진학 자료

로 활용한다.

2) 학생 개개인의 성장, 발달, 변화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학생의 계속적 진보와 계

발을 돕는 자료로 활용한다.

3) 학급, 또는 학교 차원에서 전체 집단의 성장, 발달, 변화 등을 평가하여 지도 방

법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

Page 38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82 -

4)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 목표가 교과와 창의지성역량과 연계 되면서 학교와 지역

사회 실정 및 창의지성을 위한 교육 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실현 정도를 측

정한다. 그 결과는 다음의 지도 계획에 참고, 반영, 활용하여야 하며 학교 실정에

맞게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누적 관리하여 학급, 학년, 학교 차원의 더욱 효율적

인 지도 방법 개선에 활용한다.

Page 38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부 록

1. 학교 교육과정 작성의 실제

2. 각종 서식

3. 참고문헌

Page 38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Page 38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부 록

- 385 -

[부록1] 학교 교육과정 작성의 실제

1 기본 원칙

가. 학교 교육과정의 합리적인 편성과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교과(군)별 교원 대표, 교

육과정(교과 교육)전문가, 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학교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한다.

나.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장을 중심으로 전 교직원의 참여와 협동으로 편성하되,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의 의견 등을 최대한 반영하여 지역 사회와 학교의 실정에 맞게

하여야 한다.

다. 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 등의 관련

사항을 구체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라. 학교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 계획을 통합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이 지침에 제시된

작성 요령을 참고로 지역 및 학교의 특색을 최대한 발현시킬 수 있는 학교 교육과

정을 구성하도록 한다.

2 학교교육과정위원회 조직 운영

가. 위원회는 교감을 위원장, 학부모 위원 또는 교육과정 전문가를 부위원장으로 하고,

기획ㆍ조정 분과, 교과(군) 분과, 창의적 체험활동 분과, 평가 분과 등을 둘 수 있다.

나. 기획ㆍ조정 분과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관한 업무 총괄, 교육과정 작성

을 위한 기초 조사, 문헌 연구, 편성 원칙 수립, 편성 모형 개발, 요구 분석, 종합

정리, 자료 수집, 연수 계획 수립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다. 교과(군) 분과, 창의적 체험활동 분과에서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 편

성ㆍ운영 및 지원 업무를 담당한다.

라. 평가 분과는 학교 교육과정 운영상의 제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여 학

교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자료 축적의 업무를 담당한다.

Page 39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86 -

3 학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절차(예시)

단계 추 진 내 용

기반조성

1. 학교교육과정위원회 조직2.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 연수

실태분석

1.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 분석(업무 및 학급 경영 실태)2. 기초 조사 : 학생, 학부모, 지역 사회, 교원, 학교 교육시설3.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학생, 학부모, 교원의 설문 조사4.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및 도교육청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 분석5. 지역 교육청 장학 자료 분석

학교교육과정편성

1. 학교 교육과정 기본 방향 설정- 교육 목표, 경영 방침- 특색 교육 내용 선정- 학년별, 영역별, 교과별 교육 중점

2. 학교 교육과정 시안 작성- 편제, 시간 배당, 수업 일수, 시간 수 결정-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연간 운영 계획 수립

3. 교과 교육과정 편성- 교과별 지도 목표 설정- 교과 지도 시간 조정 및 학생 수준을 고려한 교육 내용 재구성

4.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학생,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창의적 체험활동 목표 설정 및 지도 계획 수립-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5. 학교 교육과정 시안 작성 및 분석 검토

6. 학교 교육과정 지원 업무- 교육과정 중심의 업무 조직

학교교육과정운영

1. 교과- 연간 교육과정 운영 일수 및 시간 확보- 학교 시설과 여건을 활용한 융통성 있는 교과 운영

2. 창의적 체험활동- 창의적 체험활동의 균형 있는 지도와 시간의 융통성 있는 운영- 지역 및 학교 특색이 충분히 발현되도록 운영- 다양한 방법을 적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학교교육과정평가

1.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적합성, 타당성 및 효율성2. 교수ㆍ학습 자료의 개발과 활용3. 교직원 조직의 적절성4. 교육 시설의 적합성5. 교육 재정의 효율성

Page 39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부 록

- 387 -

4 학교교육과정위원회 조직(예시)

위 원 장

교 감

지도 기관 자문 기관(위원)

지역 교육청

◦ 학교운영위원회

◦ 교육과정(교과

교육) 전문가

◦ 학부모

부위원장

학부모 위원

기획ㆍ조정분과 교과(군) 분과창의적 체험활동

분과평가ㆍ분석 분과

∘편성ㆍ운영 업무

총괄

∘기초 조사

∘문헌 연구

∘편성 원칙 수립

∘운영 모형 구안

∘연수 계획 수립

∘학교 교육과정

위원 섭외

∘요구 분석

∘학교 교육과정

작성

∘문헌 연구 및

자료 개발

∘교과 교육

중점과제 추출

∘교과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

수립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수립

∘수준별 학습 자료

개발

∘문헌 연구 및

자료 개발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 중점 추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 운영

계획 수립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 계획

∘영역별 교육과정

안 작성

∘학교 교육과정

투입ㆍ과정ㆍ산출

평가척도

개발ㆍ적용

∘교육과정 자체

평가 실시

∘교육과정 개선

방안 마련 제시

∘질 관리 자료

축적

∘평가 결과 환류

적용

위원

위원

위원

위원

Page 39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88 -

5-1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교육계획(예시-1)

Ⅰ. 학교 교육과정의 기저

1. 경기 교육의 방향 및 교육 중점

2. 실태 및 기초 조사

가. 전년도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평가 결과

나. 국가 및 도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 분석

다. 지역 교육청 장학 자료 분석

라. 학생, 학부모, 교원, 지역 사회 요구 분석

3. 학교 교육 목표, 중점 교육 과제 및 특성화 사업

가. 교육 목표

나. 중점 교육 과제

다. 특성화 사업

Ⅱ.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1. 성격 및 구성 방향

2.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방침

가. 편제와 시간 배당

나. 수업 일수 및 수업 시수 확보 계획

다. 편성ㆍ운영의 일반 사항

Ⅲ.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1. 교과

2. 창의적 체험활동

Ⅳ. 학교 교육과정 운영 지원 계획

1. 생활 지도 계획

2. 교직원 전문성 신장

3. 교내 자율 장학 실천 계획

4. 시설ㆍ교구 확보 계획

5. 행ㆍ재정 및 인적 자원의 활용 계획

Ⅴ. 교육과정 운영 평가

※ 부록

학교 연혁, 학생 및 교직원 현황, 기타 학사 운영 계획 등

Page 39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부 록

- 389 -

5-2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교육계획(예시-2)

Ⅰ. 학교 교육과정의 기저

1.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

2. 경기 교육의 방향 및 교육 중점

3. 실태 및 기초 조사

4. 학교 교육 목표, 중점 교육 과제 및 특색 사업

가. 교육 목표

나. 중점 교육 과제

다. 특색 사업

Ⅱ.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향

1. 교육과정의 성격 및 구성 방향

가.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

나.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2.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방침

가.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

나. 수업 일수 및 수업 시수 확보 계획

다. 편성ㆍ운영의 일반 사항

- 교육과정 편성표

- 수준별 수업 계획 수립

- 수준별 수업 자료 개발

Ⅲ.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1. 교과별 교육과정 운영

2.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Ⅳ. 학교 교육과정 운영 지원 계획

1. 연간 학사 일정 세부 계획

2. 교직원 전문성 신장

3. 교내 자율 장학 실천 계획

4. 시설ㆍ교구 확보 계획

5. 행ㆍ재정적 지원 계획

6. 중ㆍ장기 학교 발전 계획

7. 노력 중점 및 특색 사업의 세부 계획

Ⅴ.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1.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계획

2. 학교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설문 조사 계획

3. 학부모 모니터링 계획

※ 부록

학교 연혁, 학교 운영 조직, 교무 분장 조직, 학교 배치도 등

Page 39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90 -

[부록2] 각종 서식

[서식1]

교과목 신설 승인 신청서

교과(군) 과목한글

영문

대상학년이수 단위 수

※중학교는 이수 시간 수

교과목 신설의

필요성 및 목적

교과목 목표 및

내용 요약

교과용 도서

개발 또는

선정 계획

지도 교사

확보 방안

기 타

특 기 사 항

※ 교과용 도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경기도교육청 인정도서 업무처리 지침에

의거, 별도 승인 절차를 거칠 것

위와 같이 교과목 신설 및 도서 사용을 신청하오니 승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 년 월 일

학교장 직인 사인

(중학교의 경우)경기도00교육지원청교육장 직인 사인

경 기 도 교 육 감 귀하

Page 395: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각종 서식

- 391 -

[서식 2]

수업 일수 감축 운영 보고서

적용 년도

적용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구분 감축 일수 수업 일수 감축 일수 수업 일수 감축 일수 수업 일수

감축 일수 및 수업

일수 기재

감축 운영의

필요성 및 사유

수업 시수

보전 방법

※해당란에

○ 표기

감축일

수업을

다른

날짜에

분산운영

행사

일수

축소

기타

(혼합)

연간 수업 시수

확보계획

기 타

특기사항

별첨 : 연간 시간 운영 계획 1부

위와 같이 수업 일수 감축 운영 상황을 보고합니다.

20 년 월 일

학교장 직․사인

경 기 도 ○ ○ 교 육 지 원 청 교 육 장 귀하(초, 중학교의 경우)

경 기 도 교 육 감 귀하(고등학교의 경우)

Page 396: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92 -

[서식 3]

고등학교 학교 외 학습 교과목 이수 승인 신청서

교과목명대상 학년 및이수 단위 수

이수 장소 이수 기간 ~

이수 기관명(지역사회학습장)

지도교사(강사) 교원자격 유무

필요성 및 목적

내용 요약

이수 방법

평가 방법

기 타특기사항

위와 같이 학교외 학습 이수 인정 교과목을 신청하오니 승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서류

1. 학교 외 학습 이수 인정 교과목 운영 계획(평가계획 포함) 1부

2. 협약서 1부

3. 심의회 사본(교육과정위원회, 학교운영위원회) 1부.

20 년 월 일

고등학교장 직․사인

경 기 도 교 육 감 귀하

Page 397: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각종 서식

- 393 -

[서식 4]

인정도서 사용 교과목 목록

과목명 이수단위 인정도서명 인정기관 인정년도 인정번호 비고

위와 같이 이미 승인된 인정도서를 교과용 도서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20 년 월 일

학교장 직․사인

경기도00교육지원청교육장 귀하(중학교)

경 기 도 교 육 감 귀하(고등학교)

Page 398: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94 -

[서식 5]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단위 배당 변경 보고

적용 계열 적용 학과 또는 과정

적용 학생의

입학 학년도

변경 운영의

필요성 및 목적

변경 승인

주요 내용 요약

(간략히)

변 경 전 변 경 후

이수 단위

변경 운영 승인

(변경 운영 과목

및 이수 단위)

과 목(영 역)이 수 단 위(또는 시간)

변경 전 변경 후

지도 교사

확보 방안

기 타

특기 사항

경기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의거 위와 같이 교육과정 편제 및 단위 배당 변경

상황을 보고합니다.

첨부서류

1. 변경전 교육과정 편제 및 단위 배당 편성표 1부

2. 변경후 교육과정 편제 및 단위 배당 편성표 1부

3. 교육과정위원회 협의록 1부

20 년 월 일

고등학교장 직․사인

경 기 도 교 육 감 귀하

Page 399: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참고문헌

- 395 -

참고문헌

곽형식(2005). 청소년기의 발달과 심리 특성. 경산대학교출판부.

권일남외 3인(2003). 청소년활동지도론. 서울: 학지사

김순남(1997). 교육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김정민 역(2006).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서울: 학지사

문용린 역(2000).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서울: 아카넷

박민정(2009).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7(4), 71-94.

박영숙 외(2008). 교원능력 제고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평가 연계 모형 개발 연구. 연구보

고 RR 2008-0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서울특별시교육청(2006). 초등학교 3~4학년 교육이 평생을 좌우합니다. 서울: 세원문화사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n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

육과정연구, 25(3), 1-21.

소경희(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1-20.

서명석(2011).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애매성과 모호성 비판.교육과정연구, 29(3), 75-91

송명자(2000).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신종호 외 6인 공역(2010). 교육심리학: 교육실제를 보는 창. 서울: 학지사.

신명희 외 2인(2005).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이건인(2008).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설계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9-10-1.서울: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이성진(2007). 교육심리학 서설. 서울: 교육과학사

홍원표, 이근호(2011).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 캐나다퀘벡의 사례를 중

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1), 67-86.

최호성외 6인 공역(2007). 교육과정설계의 이론과 실제: 코스설계자로서의 교사. 서울: 시

그마익스프레스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2008).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서울: 이

화여자대학교출판부

Spencer, L.& Spencer, S. (1993). Competence at work: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Gouvernenment duQuébec(2001). Québec Education Program. Bibliothèque nationale du

Québec

Page 400: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96 -

지침 개발위원 명단

1. 지도위원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교육국 국장 이관주 학교혁신과 장학관 이중현학교혁신과 과장 김기철 학교혁신과 장학사 이형우

2. 기획 및 개발 지원

담당 소속 직 성명 담당 소속 직 성명기획 학교혁신과 장학사 송호현 개발 지원 죽전고 교사 지금숙

개발 지원 수원교육청 장학사 남창렬 개발 지원 서해고 교사 이승은개발 지원 교육연구원 연구사 오춘옥 개발 지원 영신여고 교사 양진성

3. 총론

◦ 초등학교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구리 호평초 교감 강명자 남양주미금초 교사 강미옥

용인 성지초 교사 박승렬 연천 노곡초 교사 강정희용인 동막초 교사 김기범 서해초 교사 이성진양평 원덕초 교사 김대현 기흥초 교감 이윤수

화도초 교사 황희정 수원 영통초 교사 최현영

◦ 중학교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성남서중 교감 소진형 샛별중 교사 권현수성남동중 교사 김경완 영통중 교사 박명옥권선중 교사 김종미 단원중 교사 박경준장안중 교사 송은주 창곡중 교사 임명옥

의왕부곡중 교사 박종교

◦ 고등학교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죽전고 교장 강희붕 풍덕고 교사 박태환남한고 교감 박현숙 조원고 교사 유지연

동탄국제고 교감 정찬호 경기과학고 교사 최상인

구성고 교사 장희숙 수원외고 교사 김진숙용호고 교사 류관숙 분당정산고 교사 구모란명문고 교사 정수임 수원농생고 교사 최창현영생고 교사 김태환 안양공고 교사 김세진함현고 교사 고은정

Page 401: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지침 개발위원 명단

- 397 -

4.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 국어/한문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산본고 교감 윤종택 삼평고 교사 김지태

서해고 교사 이승은 망포고 교사 강원경

월곶초 교사 김종숙 서해고 교사 강현주

능내초 교사 이은진 양지고 교사 강영희

양지중 교사 이은정 범계중 교사 원희연

저동중 교사 박현정 저동고 교사 김윤전

◦ 도덕(윤리)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소하고 교감 최흥재 장안중 교사 송은주

영생고 교사 김태환 범계중 교사 이혜현

토월초 교사 안소영 비봉고 교사 오재성

한얼초 교사 박지운 솔빛중 교사 손현웅

◦ 사회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영덕고 교감 박강용 발안중 교사 배정은

성지초 교사 박승렬 군서고 교사 이진용

안성교육지원청 장학사 이효순 봉담고 교사 배지현

귀인초 교사 김보경 보평고 교사 서은영

은행중 교사 김미형

◦ 역사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예당고 교감 이원환 상하중 교사 박선영

동막초 교사 김기범 동원고 교사 김찬수

신리초 교사 김지훈 숙지고 교사 이동욱

흥진초 교사 정창규 분당고 교사 이주원

삼괴중 교사 양상진 백영고 교사 이건홍

◦ 수학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수성고 교감 김상근 소하중 교사 황만영

권선중 교사 김종미 함현중 교사 김환선

군자초 교사 설진희 김포고 교사 이수미

서해초 교사 김상규 곤지암고 교사 김태국

시흥월곶초 교사 이연경 청학고 교사 이재광

수원북중 교사 배 숙

Page 402: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 398 -

◦ 과학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동탄고 교감 이창구 광문고 교사 이윤미

의왕부곡중 교사 박종교 망포고 교사 김영종

안산진흥초 교사 민경용 흥진고 교감 송창민

안산석수초 교사 송태훈 광명고 교사 김진영

화홍중 교사 김상협 진접고 교사 고은미

매탄중 교사 이종섭 동산고 교사 신동준

범박고 교사 전찬희 동탄고 교사 김영애

안중고 교사 정하정

◦ 실과(기술․가정)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연현중 교감 이용미 향남중 교사 임성재

성남동중 교사 김경완 퇴계원중 교사 정영희

야탑초 교사 김진섭 평촌고 교사 백천화

야탑초 교사 이미영 동탄고 교사 이경옥

◦ 체육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기흥초 교감 이윤수 성곡중 교사 김정한

서현고 교사 오길희 소사중 교사 조영운

나산초  수석교사  이순임  풍덕고 교사 진형수

황곡초 교사 장미선 광남고 교사 조찬준

◦ 음악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 서은경 부명중 교사 지선

조원고 교사 유지연 고천중 교사 박은주

대명초 교사 모영희 광명고 교사 김주연

광정초 교사 김현옥 수리고 교사 박기낭

◦ 미술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청명고 교감 서예식 계남중 교사 고황경

용호고 교사 류관숙 궁내중 교사 이정희

성남송현초 교사 박미연 평택고 교사 임용우

효원초 교사 이선혜 현화고 교사 임종삼

광명광성초 교사 이미경 청명고 교사 김기현

심원중 교사 정윤진

Page 403: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지침 개발위원 명단

- 399 -

◦ 영어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동탄국제고 교감 정찬호 수성중 교감 이미선

명문고 교사 정수임 백암중 교사 김영훈

서해초 교사 이성진 죽전고 교사 오수정

미금초 교사 강미옥 관양고 교사 박미경

문원초 교사 김영순 관양고 교사 김은하

서현중 교사 노숙영

◦ 선택(보건, 정보, 진로와 직업, 환경)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영통중 수석교사  박명옥 경기과학고 교사 김종혜

창곡중 교사 임명옥 송우고 교사 권현자

과천문원중 교사 배진주 효자고 교사 김진영

평촌공고 교사 김나영 안산고 교사 김윤태

경기모바일과학고 교사 한건우 성문고 교사 황우원

◦ 제2외국어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과천중앙고 교감 서동신 함현고 교사 고은정

샛별중 교사 권현수 신기중 교사 김지성

수원외고 교사 배미순 시흥능곡고 교사 이상엽

인창고 교사 박정희

◦ 전문교과(농업, 공업, 상업)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수원농생명고 교감 남현석 김포제일고 교사 류동석

수원농생명고 교사 최창현 양평전자과학고 교사 한성구

여주자영농업고 교사 윤강우 안양공고 교사 최현규

용인바이오고 교사 이근수 평촌경영고 교감 유경애

용인바이오고 교사 이기수 수원정보과학고 교사 박은아

안양공고 수석교사 김장환 광명정보고 교사 강은정

안양공고 교사 류광우 평촌경영고 교사 김미정

◦ 창의적 체험활동

소속 직 성명 소속 직 성명

과천중앙고 교감 서동신 영생고 교사 김태환

동막초 교사 김기범 명문고 교사 정수임

권선중 교사 김종미 효자고 교사 김진영

Page 404: 1…„... · 2012. 11. 14. · 1부. 경기교육의 방향 - 5 - _() ¤4 EFCy`() T 7ÞI ã!,6¬ 67 `7. 8 £ ¼9 :F £;I &7 ôPQ F ¼! i.EF 4¼1I 671 Z 6Æ`°b EF~5 Ë48 I '7}ra

경기도 교육과정

발행일 : 2 0 1 2 년 9 월 1 2 일

발행인 : 김 상 곤

발행처 : 경 기 도 교 육 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