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6
모로코 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작성 KOTRA COUNTRY REPORT news.kotra.or.kr

125.131.31.47125.131.31.47/Solars7DMME/004/2017_kotra국가정보_모로코.pdf · 차 Ⅰ. 국가 일반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모로코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작성

    KOTRA COUNTRY REPORT

    news.kotra.or.kr

  • http://news.kotra.or.kr

    모로코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작성

    KOTRA COUNTRY REPORT

  • 목차

    Ⅰ. 국가 일반 ............................................................................................................. 2

    1. 국가 개요 ........................................................................................................ 2

    2. 정치·사회동향 .................................................................................................. 4

    3. 한국과의 주요 이슈 ........................................................................................ 19

    Ⅱ. 경제 .................................................................................................................. 30

    1. 경제지표 DB .................................................................................................. 30

    2. 경제동향 및 전망 ........................................................................................... 31

    3. 주요 산업동향 ................................................................................................ 32

    4.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 62

    Ⅲ. 무역 .................................................................................................................. 64

    1. 수출입동향 ..................................................................................................... 64

    2.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 66

    3. 수입규제제도 ................................................................................................. 68

    4. 대한 수입규제동향 .......................................................................................... 73

    5. 관세제도 ........................................................................................................ 75

    6. 주요 인증제도 ................................................................................................ 78

    7. 지식재산권 ..................................................................................................... 80

    8. 통관절차 및 운송 ........................................................................................... 82

    9. 수출유망품목 ................................................................................................. 88

    10. 시장 특성 .................................................................................................... 90

    11. 바이어 발굴 ................................................................................................. 93

    12. 상관습 및 거래 시 유의사항 ......................................................................... 95

    13.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 98

    14. 수출 성공·실패사례 ....................................................................................... 99

    15. 수출 시 애로사항 ....................................................................................... 100

    Ⅳ. 투자 ................................................................................................................ 102

    1. 투자환경 ...................................................................................................... 102

    2. 투자 인센티브제도 ........................................................................................ 105

    3. 외국인 투자동향 ........................................................................................... 107

    4. 한국기업 투자동향 ........................................................................................ 117

    5. 한국기업 진출현황 ........................................................................................ 132

    6. 투자진출 성공·실패사례 ................................................................................ 134

    7. 주요 투자법 내용 ......................................................................................... 138

    8. 투자방식 ...................................................................................................... 140

    9. 투자진출형태 ............................................................................................... 141

    10. 진출형태별 절차 ......................................................................................... 143

  • 11. 투자입지여건 ............................................................................................. 145

    12. 투자진출 시 애로사항 ................................................................................. 148

    13. 노무관리제도 ............................................................................................. 150

    14. 조세제도 .................................................................................................... 159

    15. 금융제도 .................................................................................................... 162

    16. 외환관리 및 자금조달 ................................................................................. 167

    Ⅴ. 비즈니스 참고정보 ............................................................................................ 169

    1. 물가정보 ...................................................................................................... 169

    2. 취업유망분야 및 유의사항 ............................................................................. 170

    3. 비즈니스 에티켓 ........................................................................................... 174

    4. 이주정착 가이드 ........................................................................................... 177

    5. 생활여건 ...................................................................................................... 182

    6. 취항정보 ...................................................................................................... 195

    7. 출입국 및 비자제도 ...................................................................................... 197

    8. 관광, 호텔, 식당, 통역 ................................................................................. 201

    9. 출장 시 유의 및 참고사항 ............................................................................. 222

    10. 유관기관 웹사이트 ...................................................................................... 237

    11. KOTRA 무역관 안내 ................................................................................... 239

  • 1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자료원: CIA

  • 2 / 243

    모로코 국가정보

    Ⅰ. 국가 일반

    1. 국가 개요

    가. 일반사항

    국명 모로코 왕국(불어: Royaume du Maroc, 영어: Kingdom of Morocco,

    아랍어: Al Mamlaka Al Maghribia)

    위치 아프리카 북서단(북위 23~36도, 서경 13~17도)

    면적 71만 850㎢(서부사하라 지역 252,120㎢ 포함/한반도의 3.2배)

    기후 북부(지중해성), 중부(대륙성), 남부(사막성)

    수도 라바트(Rabat),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2012년)

    인구 3,480만 명(2017년 6월)

    주요 도시 카사블랑카(335만 명), 라바트&살레(188만 명), 페스(107만 명),

    마라케시(95만 명), 탕제(79만 명), 케니트라(42만 명)

    민족 아랍인-베르베르인(99.1%), 유대인(0.2%), 기타(0.7%)

    언어 공용어(아랍어, 베르베르어), 상용어(프랑스어)

    시차 GMT+0(우리나라보다 9시간 늦음). 단, 서머타임 적용 시 8시간 늦음.

    종교 이슬람교(수니파) 98.7%, 기독교 1.1%, 유태교 0.2%

    건국(독립)일 1956년 3월 2일(프랑스로부터 독립)

    독립기념일은 독립선언일인 1955년 11월 18일로 지정

    정부형태 입헌군주제

    국가원수(실권자) 국왕 모하메드 6세(Mohammed VI, 1999년 7월 30일 즉위)

    자료원: 모로코 통계청, EIU(2016년 12월)

    나. 경제지표

    GDP 1,006억 달러(2015년 기준), 1,036억(2016년 예상치), 1,056억(2017년 전망

    치)

    실질경제성장률 4.5%(2015년 기준), 1.48%(2016년 기준), 4.35%(2017년 전망치)

    1인당 GDP 3,003달러(2015년 기준), 3,063달러(2016년 예상치), 3,093달러(2017년 전

    망치)

    실업률 9.7%(2015년 기준), 9.4%(2016년 예상치), 9.3%(2017년 전망치)

    물가상승률 1.54%(2015년 기준), 1.6%(2016년 예상치), 1.2%(2017년 전망치)

    화폐 단위 디르함(Dirham/DH, 국제통화 표기로는 MAD로 표시, 모로코 디르함)

    환율 1달러=9.81모로코 디르함(2016년 평균)

    총외채 688억 달러(2016년), 693억 달러(2017년 전망치)

    외환보유고 230억 달러(2015년), 253억 달러(2016년), 251억 달러(2017년 전망치)

    산업구조 농업·수산업(39.2%), 제조업·공업(21.4%), 서비스산업(39.3%)(2014년 기준)

  • 3 / 243

    모로코 국가정보

    교역 규모 수출: 227억 달러(2016년) / 수입: 414억 달러(2016년)

    수출: 82억 달러(2017년 4월) / 수입: 142억 달러(2017년 4월)

    교역품 수출: 인광석, 전자부품, 의류, 농수산물, 차량부품 등

    수입: 원유 및 가스,에너지, 통신장비, 곡물, 차량 등

    자료원: 모로코 고등계획 위원회(HCP), EIU, IMF, 모로코 중앙은행(BAM), Global Trade Atlas(2017년 6월)

    * 2016년 예상치의 경우, 모로코 정부 공식 통계 및 국제 기관 공식 통계 상의 자료 기록에 근거해 작성

    * 모로코 산업 구조 관련 2014년 이후 공식 집계 자료 미공개

    다. 한-모 관계

    체결 협정

    무역협정(1976년)

    경제기술협력협정(1976년)

    문화, 과학 협력협정(1977, 1979년)

    체육협력의정서(1990년)

    한∙모로코 청소년∙체육교류약정 체결(1990년)

    사증면제협정(1993년)

    이중과세방지협정(2000년)

    투자보장협정(2001년)

    정보통신협력협정(2001년)

    해외봉사단 교환각서(2001년)

    항공협정(2003년)

    관광협력협정(2006년)

    정보화 MOU 체결(2009년)

    부산시-카사블랑카 자매도시협정(2011년)

    한-모로코 4대강사업 기술협력협정(2012년)

    문화교류 시행계획서 조인(2016년)

    교역 규모 수출: 5억 4,400만 달러(2016년) / 수입: 1억 5,900만 달러(2016년)

    수출: 7억 2,900만 달러(2017년 5월) / 수입: 6,800만 달러(2017년 5월)

    교역품

    한국의 수출

    2016년: 승용차(5,269만 2,000달러), 화물자동차(2,630만 5,000달러), 철구

    조물(8,367만 5,000달러), 건설중장비(3,478만 6,000달러)

    2017년 5월: 승용차(1,835만 달러), 화물자동차(387만 4,000달러), 철구조물

    (923만 8,000달러), 건설중장비(785만 6,000달러)

    한국의 수입

    2016년: 동괴 및 스크랩(3,365만 달러), 직물제의류(2,154만 6,000달러), 직

    접회로반도체(2,437만 6,000달러)

    2017년 5월: 동괴 및 스크랩(1,668만 9,000달러), 직물제의류(1,100만

    3,000달러), 직접회로반도체(927만 4,000달러)

    해외 직접투자 84건, 9,930만 달러(2017년 6월까지 총 투자 기준)

    교민 약 700명

    자료원: 주모로코 대한민국대사관, 한국무역협회, 한국수출입은행(2015년 12월)

  • 4 / 243

    모로코 국가정보

    라. 행정 구역별 인구

    행정 구역(주요 도시) 인구 수(명)

    TANGER-TETOUAN-AL HOCEIMA

    (AL HOCEIMA, CHECHAOUEN, LARACHE, TANGER-ASSILAH, TETOUAN) 3,556,729

    L'ORIENTAL

    (BERKANE, GERADE, NADOR, OUJDA-ANGAD, TAOURIRT) 2,314,346

    FES-MEKNES

    (MEKNES, FES, IFRANE, SEFROU, TAZA, MOULAY YACOUB) 4,236,892

    RABAT-SALE-KENITRA

    (KENITRA, RABAT, SALE, SKHIRATE-TEMARA) 4,580,866

    BENI MELLAL-KHENIFRA

    (AZILAL, BENI MELLAL, KHENIFRA, KHOURIBGA) 2,520,776

    CASABLANCA-SETTAT

    (BERRACHID, CASABLANCA, EL JADIDA, MEDIOUNA, MOHAMMADIA,

    SETTAT)

    6,861,739

    MARRAKECH-SAFI

    (CHICHAOUA, ESSAOURIA, MARRAKECH, SAFI) 4,520,569

    DRAA-TAFILALET

    (ERRACHIDIA, MIDELT, OUARZAZATE, TINGHIR, ZAGORA) 1,635,008

    SOUSS-MASSA

    (AGADIR-IDA-OU-TANANE, TATA-TIZNIT) 2,676,847

    GUELMIM-OUED NOUN

    (ASSA-ZAG, GUELMIM, SIDI IFNI, TAN-TAN) 433,757

    LAAYOUNE-SAKIA EL HAMRA

    (BOUJDOUR, LAAYOUNE, TARFAYA) 367,758

    DAKHLA-OUED ED-DAHAB

    (AOUSSERD, OUED ED-DAHAB) 142,955

    자료원: 모로코 고등계획위원회

    2. 정치·사회동향

    가. 국가조직

    모로코의 정체는 입헌군주제로 국시는 신(알라), 조국, 국왕이다. 정부 형태는 국왕제(국왕은 3권 초월)

    이다. 현 국왕은 1999년 7월 서거한 하산 2세(Hassan II, Roi du Maroc, 1961년 3월 3일 즉위)의 뒤

    를 이어 왕위를 승계한 모하메드 6세(Mohamed VI)로 모로코를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다. 모로코의

    왕권은 절대적인 권력이다. 장자 상속제를 유지하고, 국왕은 수상 임명권과 각료 임명권을 행사한다.

    행정부는 의회 다수파 중 국왕이 지명하는 수상과 수상의 제청에 의해 국왕이 임명하는 각료로 구성된

    다.

  • 5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왕권

    모로코는 788년 이드리시드(Idrisid) 왕조가 통일한 후 11세기에 알모라비드(Almoravid) 왕조가 광대

    한 제국을 건설했으나, 12세기에 알모하드(Almohad) 왕조로 교체됐고, 12세기 말에 메리니드(Merinid)

    왕조가 뒤를 이었다. 이후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중엽까지 와타시드(Wattasid) 왕조가 지배하고 사

    디(Saadi) 왕조가 뒤를 이었다. 1666년부터는 알라위트(Alaouite) 왕조가 시작돼1999년 즉위한 시디

    모하메드 6세의 18대 국왕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국왕은 헌법상 종교 최고지도자(Amir Al-Muminin), 국가원수, 국가 통일의 상징이자 국가 연속성을 보

    장하는 자이며 이슬람교와 국헌의 수호자(헌법 제19조 명시)이다. 모로코의 정체가 입헌군주제이고 수

    차례에 걸친 개헌을 통해 제한적인 범위에서 대의정치를 발전시키고 있지만, 국왕은 의회를 해산하고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는 등 행정, 사법, 입법 3권을 초월한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왕권은

    국왕이 다른 왕자를 후계자로 지명하지 않는 한 장자 상속(헌법 제 20조)된다.

    국왕은 총리 임명권과 총리의 제청에 의한 각료 임명권(헌법 제 24조)도 행사한다. 또한 각료회의 주재

    권, 법률공포권, 의회 해산권(헌법 제 25, 26, 27조)을 갖고 있으며, 군 참모총장을 겸직하고, 군·민 관

    리 및 대사임명, 조약 비준권, 사면권 및 비상사태 선포권(헌법 제 30, 31, 34, 35조)을 가지고 있어 절

    대적인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2011년 2월에 중동 민주화 시위의 영향으로 정치개혁을 요구하

    는 반정부 시위가 있었고, 그 결과 2011년 3월에 모하메드 6세 국왕의 정치개혁안 발표와 7월 헌법

    개정 투표를 실시했다. 개정안에 따라 국왕은 국가원수 겸 군 통수권자의 역할을 유지하지만, 다수당에

    서 선출된 총리에게 정부 대표의 지위를 부여하도록 변경됐다.

    행정부

    행정부는 의회 다수파 중 국왕에 의해 지명되는 총리(Prime Minister)와 총리에 의해 제청돼 국왕이 임

    명하는 각료(Ministers)로 구성돼 있다. 총리는 국왕과 의회에 책임을 지며 법률을 집행하고 각 부처의

    정책을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의 수상은 2011년 11월 총선에서 승리한 정의개발당(PJD)의

    지도자 압델릴라 벤키란(Abdelilah Benkirane)이다. 2016년 총선 또한 정의개발당이 다수당이 되면서

    압델릴라 벤키란이 수상으로 임명됐으나, 2016년 말-2017년 초까지 해당 수상이 정부를 구성을 완료

    하지 못함을 이유로 국왕이 수상을 해임하고 정의개발당의 사드에딘 엘 오트마니(Saad-Eddine El

    Othmani)를 신 수상으로 임명했다. 국왕은 총리에게 연립정부 구성권과 국왕이 독점했던 장관 임명권,

    의회 해산권을 부여하는 등 유혈사태 없이 민주화가 평화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법부

    사법부의 법관은 국왕이 주재하는 사법평의회의 추천에 의해 임명되며, 지방법원, 행정법원, 상고법원,

    대법원 등이 주요 사법기관이다. 법원은 관할구역 내 거주하는 개인의 재산권(1,000디르함 이하)에 관

    한 심의를 담당하는 지방법원(Communal and District Courts)과 행정부에 대한 소송, 행정 계약이나

    공권력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 등을 담당하는 행정법원(Administrative Tribunals)이 있다. 이외 가

  • 6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족법, 상속, 계약, 노동분쟁, 민사 소송 등을 심의하는 민사 1심 법원(Tribunals of Original Jurisdiction)

    과 형사 소송, 민사 1심 법원의 상고 등을 심의하는 상고법원(Courts of Appeal)이 있다.

    이외 대법원(Supreme Court), 지방 관리나 중앙정부 공무원의 횡령 및 배임에 관한 재판을 전담하는

    특별법원(Special Court of Justice)이 운영되며, 정부 공무원이 업무 수행 중 발생한 범죄나 위법행위에

    심의를 하는 고등법원(High Court)과 군사법원(The Standing Tribunal of the Royal Armed Forces)이

    설치돼 있다.

    의회

    과거 단원제이던 의회는 제4차 헌법 개정(1996년 9월 13일)에 따라 상원(Chambre des Consei llers)

    및 하원(Chambre des Representants)으로 구성된 양원제로 변경됐다. 하원은 임기 6년으로 직선에 의

    해 선출되며 325석이다. 하원의장은 임기 3년으로 최초 의장 선거 후 제3차년도 4월 정기 국회에서

    의장이 교체되며, 각 위원회 의장단의 임기는 1년이며, 정당 그룹별 의원 수에 비례해 구성돼 있다.

    상원은 9년 임기로 지역 선거인단 대표에 의해 총 의석(270석)의 3/5을 지역별로 선출하고, 나머지

    2/5 의석은 직능별 대표와 전국의 임금노동자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간접 선출한다. 상원의

    원은 재선이 가능하며, 3년마다 1/3씩 교체(제4차 개정헌법에 의해 선출된 상원의원의 임기는 추첨에

    의거3년, 6년 임기 의원을 선출)되고 있다. 상원의장과 의장단은 3년마다 선출하며, 의장단 구성은 정

    당 그룹별 의원 수에 비례해 선출된 의원 대표로 구성되고 있다. 회기는 연 2회 정기국회 개최를 원칙

    으로 하고 특별 회기는 의원 과반수 또는 관계 법령에 의거 소집되고 있다. 법률안은 총리 또는 의원에

    의거 상·하 양원의 일방 사무국에 제출되며, 모든 법률안은 양원에서 별도 심의되고 있다.

    모로코에는 30여 개 이상의 정당이 존재하며, 주요 정당으로 독립당(PI), 대중운동당(MP), 친(親)왕실

    성향의 독립국민연합당(RNI), 사회국민연합당(USFP), 이슬람 근본주의를 표방하는 정의개발당(PJD) 등

    이 있다. 제2당인 독립당(PI)은 2013년 7월 정부 보조금 삭감안에 반대해 연정을 탈퇴했으며, 이에 따

    라 3개월간의 새로운 연정 구성을 거쳐 10월 10일 모하메드 6세 국왕이 압델릴라 벤키란 총리 2기

    내각각료들을 임명했다. 2016년 10월 7일 모로코 하원의원 총선거가 진행됐으며, 기존 총리 압델릴라

    벤키란의 총리직 재임은 확정됐으나 2016년 12월 말까지 정부 구성이 확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

    로 2017년 초 모로코 국왕 모하메드 6세는 압델릴라 벤키란을 수상에서 해임하고 해당 전 수상과 같

    은 정의개발당 소속 사드에딘 엘 오트마니를 신 수상으로 임명했으며, 2017년 4월 신임 정부 각료 임

    명이 완료됐다.

    나. 정치 제도

    선거제도

    피선거권과 선거권은 공히 만 18세 이상의 모로코 국적자에게 주어진다. 모로코는 1956년 프랑스로부

    터 독립 이후 국민투표, 의원 및 지방선거 등 각종 선거를 치렀다. 최초의 국민 투표는1962년 12월 7

    일의 헌법 제정을 위한 국민투표였다. 지난 1996년 9월 13일 국민투표를 통한 헌법 개정을 통해 상·

  • 7 / 243

    모로코 국가정보

    하 양원제를 채택했다. 최초의 지방선거는 1960년 5월 29일에 있었고, 2015년 9월 4일 선거를 마지

    막으로 총 10회 시행됐다.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은 1963년 5월 최초로 치러졌고 5년마다 선거가 있다. 지난 2011년 11월

    25일에 총선이 실시됐고 온건 이슬람성향의 정의개발당(PJD)이 제1당 지위를 차지했다. 2007년 선거

    시 37%의 낮은 투표율과 달리 2011년 선거에서는 45.4%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 같은 결과

    는 2011년 총선이 1년 앞당겨진 조기총선이었고 의회 권한이 강화된 헌법 개정안에 따른 첫 번째 투

    표였기 때문에 국민들의 관심이 컸기 때문이다.

    정당제도 및 현황

    모로코에는 30여 개 이상의 정당이 난립해 있는데, 주요 정당으로는 이슬람 근본주의를 표방하는

    PJD(정의개발당), Istiqlal(독립당), USFP(사회, 국민연합당)당 등이다. 2011년 11월 25일 치러진 총선

    최종 개표결과 정의개발당(PJD)이 총의석 395석 중 107석을 얻어 제1당 지위를 차지했고,Istiqlal(독립

    당)이 60석으로 2위를 차지했다. 국왕 모하메드 6세와 정치적 유대관계가 깊은 다른 8개 정당은 총

    160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에 반해, 2016년 10월 7일 총선 개표 결과, 기존 여당인 정의개발당은

    125석을 얻어 제1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친왕파 정당인 정통현대당(PAM)이 102석(2011년 47석)을

    차지하며 정의개발당과 근소한 차이를 보이며 제2당의 위치를 확보했다.

    2011년 민주화 시위 및 이후 상황

    2011년 2월 20일 전국적인 민주화 시위가 발생한 이후 국왕직속 ‘경제사회위원회’가 구성돼 행정, 사

    법, 입법 등 국가전반의 개혁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7월 1일에는 국왕이 제안한 헌법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돼 98% 이상의 압도적 찬성으로 채택됐다. 총선 5일 전인 2011년 11월 20일에 수

    도 라바트와 카사블랑카에서 3,000명 규모의 조기 총선 반대 시위가 일어나고 총선 이후에는 총선 결

    과 인정 거부운동이 일어났지만, 현재 정부가 다방면으로 정치적 변화를 모색해 시민들의 반정부 시위

    행위는 잠잠해진 상태이다.

    다. 주요 인사

    국가원수 겸 최고 통수권자

    직위 국왕(Roi du Maroc) / 입헌군주제

    성명 모하메드 6세(Mohamed VI)

    출생 1963년 8월 21일(라바트)

    취임일 1999년 7월 30일

    임기 종신

    학력

    1967~1981년: 왕실 교육을 통해 초, 중, 고등학교 과정 수료

    1985년: 라바트 소재 모하메드 5세(Mohamed V) 대학교 법학분야 문학사 학위

    1987년: 모하메드 5세 대학교 정치학 석사

  • 8 / 243

    모로코 국가정보

    1993년: 프랑스 니스-소피아 앙티폴리스(Nice-Sophia Antipolis) 대학교 법학박사

    경력

    1973년 6월 28일: 왕세자 책봉

    1983년: 인도 뉴델리 비동맹정상회의 모로코 수석대표

    1988년: Delors 전 EU 집행위원장실에서 연수

    1994년: 모로코 군 소장 진급

    1999년 7월 30일: 하산 2세 사망 후 새 국왕으로 즉위

    정부각료

    직위 국무총리

    성명 Saad-Edine El Othmani

    생년월일 1965년 1월 16일(Inezgane)

    경력

    국회의원(1997년~)

    이슬람주의 정의 개발당 사무총장(2004~2008년)

    외교국제협력부 장관(2012~2013년)

    현 이슬람주의 정의 개발당 총리 (2008년 7월)

    직위 성명

    인권 담당 국무장관 Mustapha Ramid

    내무부 장관 Abdelouafi Laftit

    외교국제협력부 장관 Nasser Bourita

    법무부 장관 Mohamed Aujjar

    이슬람종교부 장관 Ahmed Toufiq

    총무부 장관 Mohamed El Hajjoui

    재무경제부 장관 Mohamed Boussaid

    국가계획/도시계획/주택/도시정책부 장관 Nabil Benabdallah

    농수산/농촌개발/수자원/산림부 장관 Aziz Akhannouch

    교육/직업훈련/고등교육/과학연구부 장관 Mohamed Hassad

    설비/교통/물류/수자원부 장관 Abdelkader Amara

    산업/투자/통상/디지털경제부 장관 Moulay Hafid Elalamy

    에너지/광업/지속가능개발부 장관 Aziz Rabbah

    청소년/체육부 장관 Rachid Talbi Alami

    보건부 자관 Lhoussaine Louardi

    관광/항공/수공예/사회경제부 장관 Mohamed Sajid

  • 9 / 243

    모로코 국가정보

    가족/연대/양성평등/사회개발부 장관 Bassima Hakkaoui

    문화/공보부 장관 Mohamed Laarej

    고용/직업통합부 장관 Mohamed Yatim

    총리실 국방행정 담당 특임장관 Abdellatif Loudiyi

    종리실 총무/거버넌스담당 특임장관 Lahcen Daoudi

    총리실 대의회/시민사회담다아 특임장관 겸 정부

    대변인 Mustapha Khalfi

    총리실 행정/공무개혁담당 특임장관 Mohamed Ben Abdelkader

    외교국제협력부 재외국민/이주문제담당 특임장관 Abdelkrim Benatiq

    내무부 특임장관 Noureddine Boutayeb

    설비/교통/물류/수자원부 교통담당 국무장관 Mohamed Najib Boulif

    농수산/농촌개발/수자원/산림부 수산담당 국무장관 Mbarka Bouaida

    설비/교통/수자원부 수자원담당 국무장관 Charafat Afailal

    관광/항공/수공예/사회경제부

    수공예/사회경제담당 국무장관 Jamila El Moussali

    외교국제협력부 국무장관 Mounia Boucetta

    농수산/농촌개발/수자원/산림부

    농촌개발/수자원/산림당당 국무장관 Hamou Ouheli

    국토/도시화/주거/도시정책부 주거담당 국무장관 Fatna Lkhiyel

    교육/직업훈련/고등교육/과학연구부

    고등교육/과학연구담당 국무장관 Khalid Samadi

    교육/직업훈련/고등교육/과학연구부

    직업훈련 담당 국무장관 Larbi Bencheikh

    산업/투자/통상/디지털경제부 통상담당 국무장관 Rkia Derham

    관광/항공/수공예/사회경제부 관광담당 국무장관 Lamia Boutaleb

    사업/투자/통상/디지털경제부 투자담당 국무장관 Othman El ferdaous

    에너지/광산/지속가능개발부

    지속가능개발담당 국무장 Nezha El Ouafi

  • 10 / 243

    모로코 국가정보

    라. 외교관계

    외교노선

    모로코의 대외정책의 기조는 비동맹 중립, 대 마그레브권 건설, 아랍권 단결 및 아프리카의 단결과 서

    부 사하라(Western Sahara)의 영토 보전 및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웃 알제리와는 서부 사하라 영

    토분쟁으로 대립관계에 있으나, 2011년 천연가스 공급계약을 체결했고 현재 폐쇄된 육로 개방을 논의

    하는 등 관계 복원을 위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1976년 서사하라에 대한 영유권 문제로 시작된 비공식회의에서 모로코 정부가 포괄적 서부 사하라 자

    치안을, 알제리 정부가 독립 여부 결정을 제시했고,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Polisario Front)과의 무력

    충돌은 1991년 UN의 중재로 휴전이 이루어졌다. 이후 UN의 주민투표 감시단이 파견됐으나주민투표

    가 무기한 연기돼 긴장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서부 사하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N의 중재 하에 분쟁

    당사자인 모로코, 폴리사리오와 유관국인 알제리, 모리타니가 참석해 투표 실시안을 제시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모로코는 그간 이스라엘과의 특수관계를 바탕으로 아랍권-이스라엘 간의 관계 개선의 중재자 역할을 수

    행해 왔으나 하산 2세 국왕의 서거로 영향력이 감소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유혈충돌사태를 계기로

    모하메드 6세 국왕이 관련국과의 중재 역할을 수행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유럽과는 역사, 지리, 전략적, 경제적인 이유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프랑스와 스페

    인이 중요한 동맹국인 동시에 최대 교역국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러시아와의 정

    치-경제적 교류를 위한 활동들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모로코는 국제관계 다변화 차원에서 중국 등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관계 또한 강화하고 있다. 중국 및 인도와 기존 비동맹 외교에 바탕을 둔 친선 우

    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요 인사 상호 방문 및 경제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과도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본 국제협력단(JAICA), 해외협력기금(OECF) 및 어업 협력

    기금(OFCF) 등을 통해 경제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모로코 정부가 육성하고있는 고부

    가 가치 제조업 관련 일본무역진흥회인 JETRO는 카사블랑카에 위성 사무소를 수개월 내에 열 것을 발

    표하는 등 항공 분야 발전 파트너로 거듭나고 있다.

    2009년 3월 6일 모로코는 이란과의 외교단절을 선언했다. 이란 국가지도자운영위원회 소속 알리 아크

    베르 나테그-누리는 “바레인은 역사적으로 이란 땅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모로코는 이란이 중동 사회

    및 모로코 사회에 시아파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함이라며 이란과의 외교 단절을 선언하며 중동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모로코의 이와 같은 행동이 중동의 강대국 중 하나인 이란과의 외

    교 단절을 선언하는 초강수를 둔 모로코의 결정은 아랍권에서 자국 지위를 높이려는 야망을 갖고 있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외교 단절 후 양국 간에 어떠한 교류도 없으며 2009년 모로코는 이란 원유 수입을 금지했다. 2013년

    2월 카이로에서 열린 이슬람 국가 협회(Islamic cooperation) 회의에 참가한 모로코 총리 Abdelilah

    Benkirane는 이란 외무장관의 요청으로 회동을 가졌다. 이후 인터뷰에서 모로코 총리는 모로코와 이란

  • 11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은 역사적으로 중요함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번 회동이 차후 모로코와 이란 관계 확장에는 아무

    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모로코는 아랍 국가 관계에 있어 이란같은 시아파의 확장에 우려를 나타내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모로코 내무장관 Mohand Laenser은 2012년 2월 28일 스페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란

    의 시리아 내정 관섭과 걸프만 국가에 시아파 영향력 행사를 끝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바레인과 아

    랍에미리트연합처럼 이란과 외교적 마찰이 있었던 국가에 지지를 표한다고 밝히며, 모로코 내 시아파

    세력 확장과 극단 세력 확장 방지가 최우선 과제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지역협력체 참여 정도

    아랍 및 아프리카권 단결정책을 기반으로 실리 추구 외교정책을 펴는 모로코는 마그레브 아랍연합

    (UMA) 및 아랍연맹(Arab League)을 통한 역내 국가, 아랍권 및 회교권 전체 단결을 공고히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모로코는 1989년 2월 UMA 결성에 주도적 역할을 했으나 서부 사하라 문제를 둘

    러싼 알제리와의 갈등 및 서방권의 대리비아 제재 등으로 UMA는 유명무실화 상태에 있다. 현재 모로

    코는 외교부 장관 주도하에 마그렙 청년연합(Union des jeunes maghébins)를 창설하는 등UMA 재활

    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모로코 정부는 EU와 미국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주장하

    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로서의 일체성을 부각시키며 아프리카 제국들에 대한 지원 및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폴리사리오의 OAU 가입에 항의해 1984년 OAU를 탈퇴한 바 있다. 특히 서부 사하

    라 이남국가들과는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최근 모로코 정부는 외국기업 및 외국

    자본 투자 유치를 위한 정책으로 모로코의 유럽-중동-아프리카 진출 교두보화를 표명하면서, 기존에 탈

    퇴한 OAU 재가입 의사를 표명했다. 특히, 국왕 모하메드 6세는 2016년 세네갈, 에티오피아를 비롯한

    주요 아프리카 국가들을 순방해 각 국가와의 관계 확대 및 OAU 재가입을 위한 밑바탕을 마련해,

    2017년 OAU 재가입에 성공했다.

    모로코의 최대 목표는 EU 회원국 가입이다. 1987년 EU에 가입 신청을 한 바 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

    았다. 그러나 EU-모로코 수산협정과 재정 자원 협정 등을 통해 유럽연합 시장 편입을 위한 제도적 통

    합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지난 2000년 3월 1일부로 모로코-EU 간 관세인하 협력협정이 발효돼, 지난

    2012년 3월 관세가 전면 철폐됐다. 모로코는 튀니지, 팔레스타인에 이어 지중해 연안 중동국가로는 3

    번째로 EU와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 국가이다.

    주요국과의 관계

    ㅇ 프랑스와의 관계

    프랑스와 모로코는 과거 식민지 관계였다고 여겨질 수 없을 만큼 정치, 외교, 군사,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프랑스는 모로코 총 수출의 약 20.5%, 수입의

    13%, 외국인 투자의 35.1%, 무상 원조의 30%, 해외 거주 교민의 43%, 해외 취업자 송금의 63%

    등을 점유하는 제1의 교역 및 협력국으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프랑스는 모로코의 수출대

    상국1위, 수입대상국 2위로 매우 중요한 교역대상국이다. 특히 2015년 약 12회의 양국 정상 및 주요

  • 12 / 243

    모로코 국가정보

    공직자 회의와 방문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약 20개의 협약을 채결해, 양국 간의 협력 관계를 재 확인

    했다.

    미테랑 대통령 재임기간 중 모로코-프랑스 관계가 한때 경직되기도 했으나, 중도 우파인 시락 대통령

    취임 후 양국 정상 교환 방문 등 관계가 강화됐다. 2007년 사르코지 대통령 취임 이후 대프랑스 관계

    는 더욱 호전돼 프랑스는 모로코에 30억 유로 규모의 투자를 제안했으며, 고속철도 건설(Tanger-

    casablanca 구간)과 우라늄 추출사업 참여에 프랑스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2012년 프랑스

    와 모로코는 양국 간 원자력 자원을 무기가 아닌 자원으로 사용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양국 간 원자

    력발전 협약을 체결하며 지속적인 개발협력을 진행 중이다.

    2009년 4월에는 모로코 철도청(ONCF)과 프랑스철도공사(SNCF) 간 기술협력(6,500만 유로 규모) 등

    협력협정이 체결돼 고속철도 건설을 위한 프랑스 전문가들이 파견됐다. 고속철도 차량과 주요 시설은

    프랑스 알스톰(Alstom)사와 수의계약 체결을 맺었으며, 모로코는 오는 2035년까지 총 연장1,500km

    에 달하는 고속철도를 건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모로코와 알스톰사와의 계약이 공개 입찰이 아닌 수의

    계약이라는 것에 형평성이 어긋난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고, 모로코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고속철의

    필요성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는 고속철 공사에 들어가는 막대한 규모의 예산을 모로

    코 실정에 맞지 않는 대규모 공사라고 비난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한, 프랑스는 모로코의 재생자원 개발에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 있다. 모로코 해안 지하자원 발굴에

    투자, 연구비 지원을 펼치고 있으며, 2013년 6월 해안자원 발굴에 관한 2개의 연구자료를 발표했다.

    또한 2011년부터 프랑스는 모로코 재생에너지 개발에 관심을 보이며 1억 300만 유로라는 거대한 자

    금을 풍력, 태양력 발전에 투자했다. 2010년, 모로코 정부는 2020년까지 화력(26%), 풍력(14%), 태

    양(14%), 수력(14%). 천연가스(11%) 등 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전력생산 비중을 전체 전력생산의

    42%까지 확대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프랑스이민국통합국(OFII)은 1963~2013년 모로코에서 프랑스로 이민을 간 사람들의 수는 약 82만 명

    이며 매년 2만 여 명의 모로코-프랑스 이민자가 발생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모로코로 떠나는 프랑스 퇴

    직자 수도 증가 추세이다. 평균 200만 원 연금을 받는 퇴직자층 중 연간 4만 명 이상이 모로코에 다녀

    가며, 그 중 아예 모로코로 이주하는 퇴직자 수도 점점 늘고 있다. 프랑스, 스페인을 비롯한 유럽과는

    역사·지리, 전략적,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2010년에 제1차 모로코-EU 정상회담이 개최

    되는 등 안보,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EU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ㅇ 미국과의 관계

    1787년에 모로코가 신생 독립국인 미국을 세계 최초로 인정한 이후 미국과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01년에 9·11 사태 발생 이후 모로코는 미국의 대중동 외교정책의 중요한 동반자 역할을 하

    고 있다. 1956년 모로코가 프랑스로부터 독립 이후 양국 관계가 더욱 강화, 발전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중동 평화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미국의 대중동 외교정책에 중요한 동반자 위치를 굳

    히고 있다. 동서 냉전시기에도 미국과 구소련 양 진영과 우호 관계를 유지해 균형 외교를 펴왔다.

  • 13 / 243

    모로코 국가정보

    한편, 모로코는 1981년 구소련이 폴리사리오를 지원한다는 이유로 미국에 지원을 요청한 일이 있으나,

    걸프전 발발 시 쿠웨이트를 즉각 지원해 미국으로부터 차관 지원 및 서부 사하라 문제에 있어 모로코

    에 대한 지원을 약속받은 경우를 보면 실리외교에 적극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9·11 사태 이후 아랍국

    중 미국에 가장 협조적인 나라로 인식되며, 2004년도에 모로코-미국 간의 FTA 체결로 경제·정치적 유

    대관계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2013년 9월 13일 워싱턴에서 이루어진 외교부 장관급 회담에서 양국은 앞으로 매년 전략적 회담을

    워싱턴과 라바트에서 교차 개최하기로 하기로 결정했다. 이 자리에서 양국은 경제, 사회 등 다방면에서

    견고한 협력관계를 다졌으며 자원, 식량안보에 관한 공동 실무그룹을 꾸려 연구를 하기로 결정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보였다. 또한 2014년 4월 라바트에서 개최된 두 번째 외교부 회담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Salaheddine Mezouar 모로코 외교부 장관은 그 어느 때보다 양국의 관계를 돈독히 했다.

    양국은 정치, 안보, 군사력, 경제, 문화 협력 등 기존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9~2013년 5년

    간 미국은 모로코 수입 상위 국가 3~4위를 위치하며 전체 수입 비중의 평균 7.2%를 차지했다. 또한

    미국에서 모로코는 아랍국가 중 6번째로 큰 수입국가로 집계됐다.

    한편, 2012년 9월 '무슬림의 순진함(Innocence of Muslims, 2012)'이란 조악한 삼류영화 예고편에서

    촉발된 반미시위는 모로코에서 이란까지 거의 아랍권 전역으로 확산됐다.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에서 이

    슬람 선지자 모하메드를 모욕한 것으로 간주한 이슬람권 주민들이 격한 반미시위를 벌였으며, 이는 이

    집트와 리비아에 이어 예멘과 모로코, 튀니지, 수단 등지로 확산됐다. 이와 함께 미국과 적대적인 이란

    과, 동시에 우방인 바레인에서도 반미시위가 벌여졌다. 미국과 모로코는 2001년부터 African Eagle로

    명명된 공동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위 공동 군사훈련은 미군 1200명, 모로코군 900명, 약2100

    명 규모의 훈련으로 아프리카 지역에서 진행되는 연간 훈련 중 가장 큰 규모의 군사 훈련이다.

    양국의 공동 훈련 목표는 모로코와 대테러 공조 및 상호 작전능력 제고이며, 12~18개 작전 수행 및 실

    사격 훈련, 육해공 합동 훈련, 저공비행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양국 간의 군사훈련이

    무마될 뻔한 위기가 있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독립연맹의 분쟁지역인

    서사하라에 대한 UN의 인권 유린 모니터링 제안에 대해 지지 입장을 표명하고, 미국이 위 제안의 지휘

    주도권을 가져가면서 서사하라 분쟁에 민감한 모로코 측이 공동 군사 훈련을 철회했었다. 그러나 미국

    국토보안부 고문과 모로코 측의 논의 끝에 미국이 해당 제안의 지휘 주도권을 철회하면서 양국의 공동

    군사 훈련은 재개됐다.

    위와 같은 결과는 미국이 모로코와의 군사 훈련보다는 최근 발생한 말리 사태와 알카에다 및 테러 세

    력에 대한 감시, 북 아프리카 정세를 관찰하고 긴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한편 2014년4

    월 라바트에서 개최된 두 번째 외교부 회담에서 미국은 모로코 통치하 사하라 자치 여부에 대해 동일

    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모로코의 계획이 실현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하라 자치는 사하라 주민들에게 평화와 존엄성을 부여할 것이라고 확언했다.

    2013년 11월 21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모로코 국왕 모하메드 6세가 워싱턴에 방문

    했다. 이 방문에서 미국과 모로코 양국은 세관 및 행정 절차의 간소화를 통해 양국 간 무역 교류를 촉

    진하는 무역원활화를 위한 양국 합의에 서명을 했다. 재정경제부 장관, Mohamed Boussaid와 미국무

  • 14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역대표부(USTR)의 마이클 프로먼(Michael Froman)은 자유무역협정의 일환으로 모로코의 경쟁력 강화

    와 무역환경 개선을 돕는 협정에(2006년부터 발효) 서명한 바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에 따르면, 모로코는 미국과 '무역 원활화를 위한 협정을 맺는 중동지역의 첫 번째 나

    라'를 대표하며, 앞으로 ‘투자에 대한 공동 원칙’과 ‘정보통신기술과 관련한 서비스 무역’을 맡게 될 것이

    라 밝혔다. 2006년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 이래로 모로코와 미국의 무역 교류는 크게 증가했으며, 양측

    무역 총량은 전반적으로 300% 증가를 기록했다. 협정 이후, 미국의 모로코 수출은 2005년7900만 달

    러에서 2011년 18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모로코의 미국 수출은 45% 증가했다. 2012년, 약 120개의

    미국 기업들이 모로코에 진출해 약 22억 달러의 투자 및 10만 여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ㅇ 알제리와의 관계

    서부 사하라에서 스페인을 축출하기 위해 1967년 알제리와 모리타니아와 함께 서부 사하라 독립 운동

    을 지원한 경우와 1969년 알제리에 분쟁지역을 양보함으로써 서부 사하라에 대한 주도권을 얻음과 동

    시에 알제리와 우호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1975년 모리타니아와 서부 사하라 영토의 분할 소유에 합의

    함에 따라 알제리와 관계가 급속히 악화됐다. 하산 2세 전 국왕이 1989년에 리비아, 튀니지, 모리타니,

    알제리와 아랍마그레브연합(UMA)을 창설해 북아프리카 아랍국가와의 관계 발전을 모색했으나, 서부

    사하라 영유권 문제로 알제리와 갈등관계를 지속하면서 협력 관계는 지지부진했다.

    1991년 알제리와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해 공식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지난 1994년 8월 마

    라케시 ASNI 호텔에서 발생한 호텔 습격 테러범들이 알제리에 의해 사주됐다는 혐의로 양국 국경은

    2014년 이후 폐쇄돼 육로로는 드나들 수 없다. 2012년 기준, 양국 대립비용만 연간 국민총생산의 1%

    를 차지할 정도로 두 나라의 경제발전에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한편, 2011년 11월 총선 이후 신임

    외무부 장관이 2012년 1월 알제리를 방문해 알제리 대통령과 양국 관계 진전 방안 및 UMA 부활을

    통한 정치, 경제 협력 활성화를 논의하는 등 관계 정상화를 도모하고 있다.

    2012년 5월에는 모로코 라바트에서 모로코-알제리 산업 포럼이 개최돼 알제리의 영향력 있는 기업의

    대표들과 모로코 수출업 협회, 경제인연합회, 주요 금융사, 상공회의소 등의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고,

    사하라 사막 분쟁과 같은 민감한 정치적 사안은 제외한 채 상업과 경제 관련 회의만 진행, 양국 간 상

    업적·경제적 파트너십 증진, 시기성과 상호보완성이 주로 다뤄졌다.

    이 회담 이후 알제리는 9월 12일 모로코와 튀니지, 리비아, 이집트, 모리타니, 부르키나파소 등 사라하

    인접국가들을 알제로 초청해 서사하라 문제에 대한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서사하라 국토분쟁 문

    제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UN과 같은 국제기구에서 공론화하는 방안이 검토됐다. 2013년 전체

    모로코 대알제리 교역규모는 126억 디르함인데 반해, 교역량의 86%가 수입으로 모로코는 막대한 무

    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바, 향후 알제리로의 수출량을 늘려 무역 수지를 개선하겠다는 입장이다.

  • 15 / 243

    모로코 국가정보

    ㅇ 중국과의 관계

    1956년도 중국과 외교관계 수립 후 처음으로, 모로코 국왕 모하메드 6세가 2002년 2월 5일 중국 방

    문을 했으며, 모로코 국왕의 중국 방문은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의 1999년 10월 모로코 방문에 대한

    답방형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2002년 양국은 보건, 관광, 환경 등 6개 분야에 이르는 사회발전 공동

    협약을 맺었다. 이를 계기로 양국 관계는 발전하기 시작해, 중국은 2013년 전반기 미국을 밀어내고 프

    랑스, 스페인에 이어 세 번째 수입 대상국으로 부상했다. 한편 2014년 6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중국-

    모로코 간 포럼이 개최됐다. 이 포럼의 목적은 양국 간 상업 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으로,Salaheddine

    Mezouar 모로코 외교부 장관과 왕 이(Wang Yi) 중국 외교부 장관이 만남을 가졌다.

    중국의 모로코 수출량은 2013년 33억 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의 모로코 제품 수입 규모는3.6(2013년)

    으로 모로코에 대해 상당한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어서 양국 간 첨예한 경제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모로코는 중국산 베니어 합판에 대해 25%의 반덤핑과세를 부과하는 보호무역조치를 취했

    다. 이전엔 수량제한조치를 통해 중국산 제품의 과도한 반입을 제한했으나, 앞으로 적극적인 보호무역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돼 양국 간 대립이 예상된다. 중국은 수년 전부터 모로코 여러 산업분야에 투

    자 진출을 강화하고 있다. 철근 공장(Faston 사) 및 오토바이 조립공장(Motochina사)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힐 수 있다. 최근 모로코는 중국과 인산비료 수출량을 기존의 12,000톤에서 50,000톤으로

    증가시키는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앞으로의 교역량은 점차 늘어갈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2016년 5월 모로코 국왕의 중국 순방을 기회로 모로코-중국 간의 정상회담 및 15개 합의

    서 조인을 진행해 양국 간의 협력을 공고히 하고 있다. 특히, 해당 15개 합의서에 중국 일반 관광객의

    무비자 모로코 방문 가능, 모로코 국내 중국 경제 산업단지 건설 및 중국철도총공사(China Railway)와

    모로코 철도공사(ONCF) 간의 모로코 국내 LGV(고속철도) 건설 관련 투자 및 협력 각서가 포함돼 있

    어 차후 모로코-중국 간의 교류 및 협력이 더욱 긴밀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ㅇ 기타

    2011년에 정부가 칠레와 FTA 체결을 위한 공동조사에 착수했으며, 2010년부터 캐나다와 FTA 체결

    협상에 착수했다. 인도, 중국 등 아시아 국가와도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제관계 다변화를 위해 노

    력하고 있다. 또한 2013년 제10회 청소년 아프리카 국가컵 축구대회와 2015년 제27회 아프리카 국

    가컵 축구대회(African Cup of Nations)를 개최하기로 결정하는 등 아프리카 국가와의 관계 강화를 위

    해서도 노력 중이다. 또한 2014년 5월, 모로코-기니 간 수력전기생산 협정이 체결됐으며, 인산비료 합

    작투자를 위해 가봉과 협력하기도 하는 등 아프리카 국가와의 경제적 교류도 증가하고 있다.

    마. 최근 정치 현안

    테러

    2007년 중 2차례에 걸쳐 알카에다의 사주로 알려진 테러 시도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5명의 사망자

    가 발생했다. 이들의 테러 목적은 사회 불안심리 조성과 미국 대사관 공격이었으나 모두 목적을 달성하

  • 16 / 243

    모로코 국가정보

    는 데는 실패했다. 모로코는 유럽과의 인접성으로 인해 이슬람 세계에서는 상당히 개방된 편인데, 원리

    주의를 고수하고 있는 알카에다의 입장에서는 모로코가 이슬람의 율법을 많이 어기고 있는 것으로 보

    여 일종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했다.

    2011년 4월 26일에는 관광도시인 마라케시의 제마 엘 프나 광장 부근에서 알카에다 북아프리카지부

    (AQMI) 소행으로 추정되는 폭탄테러가 발생해 16명이 사망하고 25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후 테러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세력이 확장되고 있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여성

    대원 모집책인 모로코 여성 '사미라 예로우'가 2015년 3월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공항에서 체포됐으며,

    이 여성은 유럽과 북아프리카의 모로코 등지에서 IS의 여성대원들을 모집한 혐의를 받고 체포됐다. IS에

    가입하는 단원들의 국적은 다양한데 특히 북아프리카의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인도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5년 11월 파리 연쇄테러 테러범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용의자로 모

    로코-벨기에 이중국적자 겔렐 아타르(Gelel Attar)가 카사블랑카 인근 모하메디아에서 체포됐으며,

    2017년 6월 벨기에 테러 테러범 또한 모로코 국적 남성으로 밝혀졌다.

    밀수

    모로코는 밀수 천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로코 소비시장의 경우, 구매 결정에 있어 제품 품질

    보다는 가격에 민감한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루트를 통해 수입된 제품은 가격경쟁력을 상실

    한다. 지나친 밀수거래로 인해 암시장 성행, 탈세, 제조업 발전 저해, 불량제품 유통 등의 부작용이 발

    생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제품의 유통체계를 파괴하고 있다. 밀수는 주로 스페인과 인접한 지중해 연안

    의 섬들을 거점으로 자행되고 있으며, 북부 나도르(Nador), 탕제르(Tanger), 세우타(Sebta, 영: Ceuta,

    모로코 북부 스페인령 항구도시) 등이 내륙 밀수 거점 지역이다. 특히 2013년 세우타(Sebta) 지역의

    밀수액은 10억 디르함에 달했다. 밀수된 제품들은 메디나(Medina, 구도심)의 재래식 시장(수크)에서

    주로 유통되고 있으며 담배, 술, TV, 오디오 등 전자제품, 공산품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특히 모로코와 알제리 간 국경지대 밀수 척결을 위해 양국이 대안을 세우고 있지만 실질적 대안은 나

    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양국 간 정치 갈등으로 전문가들은 중장기적 안목에서 밀수입 시장 발전은

    알제리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 밝히며 국경지역, 즉 서남 알제리 지역과 해당 모로코 지역의 합

    법적인 거래가 이루어진다면 양국 상업 시장 발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 국경지역 발전은 누

    구나 보증하는 매우 유리한 지역이나, 매번 모로코-알제리 두 국가 간 정치적 대립으로 양국 근접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무산된 바 있다.

    모로코 정부는 밀수 단속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나 아직도 상당량의 제품이 암거래되고 있어, 모로

    코 정부는 군 병력까지 투입하는 등 척결 노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5년 1월 1일

    금융법을 개정, 밀수 방지를 위한 세관 관할 영역이 확장됐으며, 고속도로 톨게이트 출입구에서 수상한

    차량의 적재물을 검사 및 적발할 수 있게 됐으며, 밀수 적발 및 납부 벌금액이 기존 금액의 두 배로 증

    가했다.

  • 17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서부 사하라 문제

    모로코는 과거 스페인 자치령이었던 서부 사하라를 1974년부터 사실상 통치하고 있으며, 현지의 주민

    들은 폴리사리오(Polisario) 전선을 결성해 독립운동을 계속하고 있다.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은 알제

    리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내전을 계속해왔으나,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은 지난 1988년 유

    엔 중재의 평화안을 수용해 내전이 일단락됐다. 1991년 유엔 사하라 주민투표감시단(MINURSD)이 그

    지역에 파견됐으나, 주민투표가 거듭 연기되며 긴장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유엔이 내린 중재안은 주민투표를 진행해 서사하라의 독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이후 양 당사자

    는 유권자의 대상을 놓고 대립해 주민투표는 1992년 1월 사실상 무기한 연기됐다. 그 후 모로코는 폴

    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 측의 주민투표 조기 실시 요구를 거부하면서 공세를 강화했다. 이로써 서부 사

    하라 지역의 분쟁은 해결의 가능성이 요원한 상태로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인광석과 수산자원이 풍부한 이 지역의 영유권 문제가 주변국의 중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으며, 모로

    코 정부는 서부 사하라 지역에 군 시설을 설치하고, 자국민을 이주시키는 등 영유권을 확보하고자 노력

    하고 있다. 현재까지 유엔 서부 사하라 투표임무단(UN Mission for the Referendum in the Western

    Sahara: UN MINURSO)이 여전히 활동 중이며, 중국, 프랑스, 이집트, 러시아 등에서219명이 파견, 주

    재 중이다.

    2014년 4월, 모로코는 사하라 영토 분쟁에 대한 UN 안전보장이사회의 투표에 계속해서 압력을 가했

    다. 사하라에 관한 보고서가 출간된 후 모로코 국왕과 반기문 UN 사무총장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졌다.

    국왕은 이 분쟁의 해결 과정에서 특히 인권문제를 도구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모로

    코는 분쟁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해결책의 하나로 분쟁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

    토 중이라고 밝혔다. 2016년 3월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알제리 소재 서사하라 난민촌 방문 시, 모로

    코 서사하라 지역 분쟁과 관련해 한 발언에 모로코 수도 라바트에서 모로코 정부 및 국민의 대규모 항

    의시위가 발생해 UN과 모로코 간의 갈등이 심화되기도 했다.

    2012년 모로코는 서부 사하라 문제로 관계가 소원해진 알제리와의 관계 재구축에 나섰으며, 폴리사리

    오 측을 공식 정부로 인정했던 OAU(아프리카 통일기구)와도 협상을 통해 서부 사하라의 실질 자치를

    인정받으려 하고 있다. 위 문제에 대해 모로코는 알제리와 모리타니, 기니 등과 9월 회담을 통해 국제

    기구에 모로코 자치안을 승인받는 문제를 논의하는 동시에, 폴리사리오 측이 난민을 억압하고 테러위협

    과 마약, 무기밀매를 공공연하게 인정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상황을 유리하게 가져가고 있다.

    서부 사하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N의 중재 하에 분쟁 당사자인 모로코, 폴리사리오와 유관국가인

    알제리, 모리타니가 참석한 비공식회의에서 모로코 정부가 포괄적 서부 사하라 자치안을, 알제리 정부

    가 독립 여부 결정을 위한 투표 실시안을 제시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서부 사하라 분쟁 문

    제는 말리의 계속되는 내전 등 불안정한 국가 상태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2012년 모로코, 알제리

    양국의 대립비용만 연간 국민총생산의 1%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 발전에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18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사하라 자치정부 수립 계획에 찬사를 보냈다. 2013년 미 오바마 대통령 초청

    으로 방미한 모하메드 6세 모로코 국왕과 오바마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공동 언론 발표문을 채택했다.

    미 민주당 행정부와 오랫동안 분쟁 주제였던 사하라 문제와 관련해, 미국은 '모로코가 제안한 자치정부

    수립 계획은 진지하고 현실적이며 신뢰할 수 있다고 보며, 사하라 사람들의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접근방식을 나타낸다고 본다'고 백악관 대변인이 발표 했다. 정상회담이 있기 몇 시간 전 Jay

    Carney(백악관 대변인)는 모로코 자치 계획에 대해 ‘진지하고, 현실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사하라

    주민들에게 평화와 존엄성을 부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정부 민주화 시위

    모하메드 6세 국왕이 1999년에 즉위한 후 입헌군주제와 정당정치의 기틀을 마련하면서 아랍 국가 중

    비교적 민주화가 진행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으나, 2011년 2월에 튀니지 민주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정치개혁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정부가 국민들의 요구를 수용해 2011년 3월에 행정부와 입법부의 기능 강화, 사법권의 독립 등

    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치개혁안을 발표했으며, 7월에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

    러나 2011년 9월과 2012년 1월에 카사블랑카에서 왕정의 정치개혁이 헌법개정 및 총선 이후에도 제

    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반정부 시위가 재발했다.

    국왕 특별 사면 시위

    2013년 7월 30일 모로코 국왕 모하메드 6세는 어린이 성범죄자인 스페인 국적의 다니엘 갈반(64)을

    사면했다가 수만 명의 시위대가 거리로 나서자 다음달인 8월 4일 뒤늦게 사면을 철회했다.

    스페인 부유층인 갈반은 모로코 현지에 아파트 두 채를 사놓고 살면서 3~14살 빈곤층 어린이 11명을

    끌어들여 성폭행하거나 포르노 영상을 찍은 범죄 사실이 인정돼 2011년에 징역 30년형을 받았다. 지

    난달 모로코를 방문한 스페인 국왕은 자국민 죄수 사면을 부탁했고, 모로코 국왕은 즉위기념일 특사로

    스페인 죄수 48명을 사면했다. 갈반이 여기에 포함됐다.

    이에 따라 수도 라바트와 카사블랑카 등 대도시에서 수만 명이 시위에 나섰고, SNS 등을 통해 8월

    6~7일 대규모 시위가 예고됐었다. 국왕은 뒤늦게 “사면 당시 범죄 내역을 전혀 모르고 있었으며, 당장

    경위 조사에 들어갔다”는 성명을 내고 "왕실법원의 요청에 행정부가 수감자의 범죄 기록에 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며, 이에 대한 책임을 물어 해당 교도소장을 해임하는 등 사태 수습에 총력을 기울였

    다.

    국왕의 사면 철회에 따라 스페인 경찰은 모하메드 6세 모로코 국왕의 사면으로 풀려난 소아성범죄자

    다니엘 갈반을 스페인 남동부 무르시아에서 체포했다고 내무부가 밝혔다. 모로코 국왕 대변인에 따르면

    갈반은 마드리드로 이송돼 스페인 최고형법재판소에서 재판을 받았다고 밝혔다.

  • 19 / 243

    모로코 국가정보

    Rif 지역 정부 규탄 시위

    2016년 10월 모로코 북부 알호세이마(Al Hoceima) 지역 생선장수가 모로코 당국에서 어종 보호를 이

    유로 판매를 금지한 황새치류 어류를 시장에서 판매하다 해당 물품이 압수 및 분쇄되는 과정에서 분쇄

    기에 뛰어들어 사망한 것에 대한 항의 시위가 발생했다. 모로코 정부에서 철저한 수사를 약속해 잠시

    소거상태에 들어섰던 시위는 2017년 초 수사 미진 및 모로코 국내 언론 해당 사건 미보도 등으로 인

    해 확대되고 있다. 2017년 6월 초 모로코 정부는 확대된 시위대를 강경진압했으나, 시위 참가자들은

    자유, 존엄성, 사회 정의 등을 구호로 내세우며 계속적으로 시위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시위 확장에도

    불구하고, 모로코 현지 언론들은 해당 시위 관련 기사 보도를 삼가하고 있으며, 국제앰네스티 및 국경

    없는 기자회는 모로코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 표명 및 강경 진압 중단을 요청하고 있다.

    3. 한국과의 주요 이슈

    가. 개요

    외교관계 수립 1962년 7월 6일(북한과는 1989년 2월 13일 수교)

    주요 협정체결

    1976년 5월 무역협정

    1976년 5월 경제기술협정

    1979년 7월 문화과학협정

    1990년 5월 체육협력의정서

    1993년 9월 사증면제협정

    2000년 6월 이중과세방지협정

    2001년 5월 투자보장협정

    2001년 11월 해외봉사단 교환각서

    2003년 4월 항공협정

    2006년 6월 관광협력협정

    2009년 12월 문화교류시행계획서

    2012년 3월 한-모로코 4대강 사업 기술협력협정

    2016년 8월 문화교류 시행계획서 조인

    나. 한국-모로코 관계 주요 타임라인

    수교일: 1962년 7월 6일

    모로코 한국

    1976년

    5월 서울에서 양국의 무역관계

    증진을 위한 협정 체결

  • 20 / 243

    모로코 국가정보

    5월 서울에서 양국의 이익을 위한

    경제 및 기술 협력 협정 체결

    7월 한-모로코 문화과학

    협정 체결 1979년

    1990년

    5월 한-모로코 간 체육청소년

    협의의정서 체결

    해당 의정서 체결 이래 2014년까지

    총 340명의 한-모로코 간의 청소년

    대표단의 양국 방문과 교류가

    이루어짐.

    8월 라바트에서 사증면제

    협정 체결

    9월 발효

    1993년

    1999년 1월 라바트에서

    소득에 대한 조세와 이중

    과세회피 및

    탈세방지를 위한 협약 체

    결,

    2000년 6월 발효

    2000년

    1999년 1월 라바트에서

    투자 증진

    및 보호에 관한 협정 체

    결,

    2001년 5월 발효

    2001년 11월 라바트에서

    양국

    봉사단 파견에 관한 각서

    교환

    2001년

    2003년 4월 항공운수에 대한 양자 간

    항공 협정 체결

    2006년 6월 양국 간의 관광분야에서의

    협력에 관한 협정 체결

    1979년 문화과학협졍 이

    후,

    1993년 1차 회의(서울),

    2009년

  • 21 / 243

    모로코 국가정보

    1999년 2차 회의(라바

    트),

    2007년 3차 회의(서울),

    2009년 4차 회의(서울)를

    개최

    위의 협정과 회의를 근거

    2012년 6월 25일 제 5회

    한-모로코

    문화공동위원회 개최

    2010년 정보보안센터 구축협약 체결 후,

    2011년 11월 정보보안센터 개소

    5월 카사블랑카에서 대한

    민국

    지식경제부와 모로코 상공

    신기술부

    간의 산업협력 양해각서

    체결

    2011년

    1월 대한민국 국회대표단

    모로코 공식 방문

    5월 김성한 외교통상부 제

    2차관

    한-모로코 수교 50주년 기

    념 모로코

    공식 방문

    6월 카사블랑카에서 한국-

    모로코

    플랜트산업 협력포럼 개최

    2012년

    3월 수자원 관리 및 4대강 사업

    기술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6월 서울에서 한국-모로코

    문화공동위원회 개최

    11월 정홍원 국무총리 모

    로코 방문,

    같은 달 한-모로코 총리

    회담에서

    한국기업 진출 확대 논의

    2014년 4월 모로코 산업시찰단 방한

    3월 김승수 전주시장 모로

    라바트와 마라케시 방문

    2015년

    8월 한-모로코 국가 간

    청소년교류단 영덕 방문

    10월 모하메드 아민 스비히 모로코

  • 22 / 243

    모로코 국가정보

    문화부장관 전주 방문

    10월 KAFACI(한-아프리

    카 농식품 기술협력협의

    체) 농기계 네트워크 사업

    기획 회의 라바트 개최

    10월 주 마라케시 대한민

    국 명예영사관 개관(명예

    영사 Abdelaziz

    Cherkaoui)

    11월 KOICA-IRESEN(모

    로코 태양신재생에너지연

    구소) 간 그린빌딩 연구개

    발 플랫폼 건립사업 협의

    의사록 서명

    2016년

    12월 KOAFIC(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개최

    다. 정무관계

    전자정부(e-Government) 구축협정

    2001년 설립된 세계은행의 국제 정보 격차 해소 재단(Development Gateway Foundation, Inc.)은 개

    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정보 통신 교육 정보화 자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03년 모로코의 전자 정부

    구축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 사업의 파트너로 한국이 선정돼 한국 전산원은 2004년 1월 27

    일 세계은행 국제정보 격차 해소 재단(DGF)과 모로코 국가 정보화를 위한 컨설팅 제공 계약을 맺고 양

    해 각서를 교환했다. 양해 각서에는 전자정부 로드맵 수립, 국가 통신망 구축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으

    며 DGF로부터 실비 수준의 12만 달러를 받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2004년 2월부터 7월까지 기술 실무자들이 모로코에 파견돼 모로코 정부가 추진 중인 전자

    정부 및 초고속 국가망 구축 사업 전반에 대한 타당성 검토와 기술 자문을 담당했다. 모로코 정부의 전

    자 정부 프로젝트 책정 예산은 6,000만 달러 규모이며,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 모로코는 정보화

    의지가 높고 통신 기반 인프라가 잘 갖춰진 편이다.

    이후 모로코 정부는 2009년 10월 국가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국가정보화 추진전략(MarocNumeric

    2013)’을 채택해 정보통신인프라의 대대적인 확충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0년 한국 정부와 ‘정보보안

    센터(Ma-Cert: 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 구축협약을 체결했고 2011년 11월 2일 정보

    보안센터를 개소했다.

  • 23 / 243

    모로코 국가정보

    2011년 3월 국내 기업 LG NS는 모로코 정부기관 해킹 방지 사이버 안전센터 구축사업에 착수했으며,

    2011년 7월에는 센터의 완공에 앞서 모로코 산업신기술부의 부커 바드르 국장을 비롯한 관계자 8명이

    LG CNS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초청으로 국내 주요 IT와 정보보안 시설을 탐방하는 연수 프로그

    램을 진행했다. 모로코의 정부 관계자들은 한국에서 5일간의 연수 과정을 통해 정부통합전산센터 및

    문화관광부 보안센터 등 주요 시설을 벤치마킹했으며, LG CNS와 모로코 전자정부 구축 방안을 논의하

    는 등 양국은 정보통신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모 공동위원회

    1986년부터 추진된 양국 장관급 경제협력회의로서 2009년 한국에서 개최됐다. 회담에 앞서 모로코

    외교장관인 Saâd Dine El Otmani은 5월 7일 김성한 외교부 제2차관과 한-모 수교 50주년 기념 회담을

    가진 이후 성명을 통해 한-모 수교 50주년을 맞아 양국관계의 긴밀한 협력을 기대하며, 특히 재생에너

    지와 관련해 한국 기업의 노하우와 인력을 전수받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2009년 공동위원회에서 모

    로코 측이 발표한 인프라 구축 계획과 발전전략은 다음과 같다.

    ㅇ 인프라 구축: 130억 달러

    ㅇ 관광산업육성: 50억 달러

    ㅇ 상수도보급 확대: 23억 달러

    ㅇ 에너지 확충: 30억 달러

    ㅇ 고속도로 건설: 100km/년

    ㅇ Tanger 항만 확충

    ㅇ 모로코의 산업육성 전략

    - 서비스(offshoring): 19억 달러(2013년까지, 고용창출 10만 명)

    - 식품, 섬유, 공예품, 수산물

    - 자동차(140억 유로)

    모로코는 이러한 발전 전략에 따라 10년 동안 매년 GDP 1.8% 성장을 목표로 설정했으며, 44만 명의

    고용 창출과 함께 무역수지 적자를 50%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모로코 외무부 본부대사는 공동위

    원회에서 다음과 같이 한-모로코 경제 협력 발전과 관련해 우리나라 정부에 대해 아래와 같은 요청사항

    을 발표한 바 있다.

    - 한국기업의 대모로코 투자진출 확대

    - 은행, 금융 부문에서의 양국 간 업무 약정 체결

    - 모로코 제품을 한국에 홍보하기 위해 한국에서 모로코 상품전 개최

    2012년 제6차 공동위원회는 11월 모로코에서 진행됐다. 모로코측 수석대표로는 Abdelkader AMARA

    상공 신기술부장관, 한국측 수석대표 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 포함 총 13명(외교부 8명, 관계부처 5명)

  • 24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이 참가했다. 우리측 의제는 모로코 진출 우리 기업 애로사항 해소, 모로코 국책 사업에 대한 한국기업

    투자 확대, 신재생에너지 분야 강화였으며, 모로코측 관심사항은 한국의 대모로코 투자 확대, 개발협력,

    한-모로코 아프리카 삼각협력사업, 수자원환경 협력, 정보화 협력 등이다.

    한-모 산업협력 양해각서 체결

    2011년 5월 23일 카사블랑카에서 우리나라 지식경제부와 모로코 상공신기술부 간에 산업협력 양해각

    서(MOU)가 체결됐다. 이 각서는 양국 간 평등과 상호 이익에 기반을 두고 민관 산업, 투자, 기술협력

    증진을 위해 한-모 산업협력위원회를 설치해 운영할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양국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유리한 기후적, 지리적 조건을 보유한 모로코와 풍부한 자본 및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한국과의 협력을 확대키로 했다. 또한 양국 정부 간 장기적인 산업협력 채널을

    마련하고, 제1차 한-모로코 산업협력위 개최를 추진했다.

    2012년 12월 8일 국토해양부 권도엽 장관이 모로코에서 발주 예정인 '세보우(Sebou)강 유역정비 사

    업' 등 해외 대규모 프로젝트의 수주 지원과 관련국 고위급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모로코로 출국했

    다. 모로코 '세보우강 유역정비사업'은 세보우 강 유역 4만㎢에 약 6000억 달러를 투자해 댐 건설, 제

    방 축조, 수로 변경 등을 하는 지역 홍수 방어 프로젝트다. 국토해양부 장관은 10일 모로코에서 오마르

    카바즈 국왕고문 등과 만나 국내기업의 모로코 세보우강 유역정비사업 수주활동에 대해 회동을 가졌다.

    김성한 외교통상부 제2차관 한-모로코 수교 50주년 기념 공식방문

    김성한 외교부통상부 제2차관이 한-모로코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2012년 5월 6일(일)~9일(수) 간 모

    로코 방문했다. 방문기간 중에는 Mr. Benkirane 정부수반, Mr.El Otmani 외교부장관, Mr.Sbihi 문화부

    장관을 포함한 모로코 정부지도자들을 만나 양국관계 증진방안을 함께 협의했을 뿐만 아니라, KOICA봉

    사단원 오찬 간담회, 모로코 진출 기업인 대표 간담회, 한-모로코 중등교사 양성 IT센터 방문 및 기념식

    등의 일정도 가졌다.

    정홍원 국무총리 모로코 방문

    북아프리카 및 코카서스 경제외교 순방으로 정홍원 총리는 2014년 11월 24일~26일 모로코를 공식

    방문했다. 정 총리의 이번 방문은 한-모 수교 이래 최고위급 인사 방문으로, 정 총리는 벤키란 모로코

    총리와 약 1시간 30분 동안 회담을 통해 수교 이래 지난 50년간의 양국관계 발전 현황을 점검하고,

    이번 방문을 계기로 양국 관계의 새로운 50년을 열어나가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정 총리는 모로코에

    머무는 3일 동안 한국학을 공부하는 모로코 대학생들과 만남을 가졌고, KOICA 자동차 직업훈련원 방문,

    동포 간담회를 주최하는 등 활발하게 움직였다.

    특히 벤키란 총리와의 회담을 통해 정 총리는 에너지 및 산업 인프라 프로젝트 분야에서의 우리 기업

    진출 지원, ICT, 환경, 수자원 분야에 있어 양국간 실질 협력 확대, 경제 및 문화산업 분야에서 대아프

    리카 공동 진출 모색, 2015년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제7회 세계 물포럼 등 물 분야 협력기반 구축,

  • 25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우리나라의 대북 정책에 대한 모로코측의 지속적인 지지를 확보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로코와의

    협력을 약속했다.

    김승수 전주시장 모로코 방문

    2015년 3월 7일~15일간, 김승수 전주시장 및 전주시 대표단은 유럽, 아프리카 방문 도중 모로코 라

    바트와 마라케시를 방문했다. 모로코 수도 라바트에서 모하메드 아민 스비히 문화부 장관 및 관계자와

    예술문화 교류 약속 및 교류 협정 체결을 진행했으며, 마라케쉬를 방문해 밴 압델라히 시장 및 관계자

    와 우호교류 의향서를 체결했다. 이는 전주시의 탄소사업 활성화와 문화산업 국제교류 확대를 통한 전

    주시 홍보 마케팅의 일환으로 진행된 방문으로 알려졌다. 이후 같은 해 10월 14~17일, 4일간 모하메

    드 아민 스비히 모로코 문화부 장관은 모로코 마라케쉬와 전주시 간의 향후 교류를 위한 협의를 위해

    전주를 방문했다.

    임성남 제1차관, 모로코 외교 차관과 회담

    임성남 제1차관은 나세르 부리타 모로코 외교 차관의 방한 중인 2015년 12월 9일 만남을 가지고, 양

    국 고위 인사 간의 교류, 경제 등에 대한 실질 협력 및 국제무대 협력 등에 대한 양국 간 협력 증진 방

    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모코로 산업통상장관 물라이 하피드 엘라라미 방한

    2016년 4월 모로코 산업통상장관 물라이 하피드 엘라라미가 방한 중 약 20여개의 한국 주요 기업들

    과 미팅 및 모로코 투자 진출 관련 상담을 진행했으며, 17일 우태희 산업통상부장관과 한국-모로코 간

    교역 및 투자 확대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라. 경제통상관계

    한-모로코 플랜트산업 협력 포럼 개최

    한국플랜트산업협회 KOPIA(Korea Plant Industries Association)와 KOTRA(Korea Trade Investment

    Promotion Agency)가 주최하고 한국 지식경제부가 후원하는 『한-모 플랜트포럼(KOREA-MOROCCO

    Plant Cooperation Forum)이 국내외 100여 명의 주요 인사 및 기업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2012년

    6월 26일 카사블랑카 골든튜립 호텔에서 개최됐다. 모로코는 모하메드 6세 국왕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전력생산 계획을 필두로 도로와 항만, 철도, 통신 등 대규모 인프라 확충사업을

    진행시키고 있는데다, 과거 유럽 일변도의 관행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있어 이번 행사는 어느 때보

    다 양국기업의 관심이 높았다.

    이성옥 KOPIA 부회장의 개회사와 이태호 주모로코 한국대사의 축사, 모로코 에너지광물환경부 국장의

    축사로 행사가 시작했으며 1부에서는 모로코 전력청(ONE), 인광석공사(OCP), 전력회사(Cegelec)의 각

    기업의 활동분야 및 향후 계획 등을 발표하며 한국기업들과의 협력을 희망했다. 식의 2부에서는

  • 26 / 243

    모로코 국가정보

    KOPIA, GCS, 현대중공업이 각각 플랜트 산업에서의 협력을 주제로 기업 소개, 프로젝트 소개 등의 발

    표가 이어졌다. 이후 양국 업체들의 B2B 미팅이 이어져 개별적인 상담활동이 이어졌다.

    한편, Jorf Lasfar의 화력발전단지 수주를 필두로 해 우리 기업들의 모로코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포럼의 개최는 양국 간 산업 협력에 방향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양국 우호적인 관계 형

    성에도 일조할 것으로 평가된다.

    지속 가능한 수자원 개발 및 관리 연수과정에 참가자 주모로코 한국대사관 방문

    2012년 9월, 서울에서 3주간 실시된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 및 관리(Gestion et Développement

    des Ressources en Eau)' 연수과정에 참여한 모로코 정부 중견관리들이 방한에 앞서 대사관을 방문, 오

    리엔테이션을 받았다. 이 연수과정은 2012년에 처음 실시하는 KOICA 프로그램으로 앞으로 수자원 개

    발 및 관리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기획위원회 곽승준 위원장 한-모로코 수교 50주년 발전경험 공유 세미나 참석

    2012년 10월 30일 미래기획위원회 곽승준 위원장은 ‘한-모로코 수교 50주년 발전경험 공유 세미나에’

    에 참석했다. 곽승준 위원장은 세미나에서 ‘Future Vision of Korea: Hub of Talent and Knowledge’라

    는 주제로 강연하고, 동일 라흐리미 알라미 모로코 기획부 장관과 면담의 시간을 가졌다.

    대우건설, 모로코 인광석 프로젝트 관련 진출

    대우건설은 모로코 인광석 공사(Office Cherifien des Phosphates: OCP)로부터 3억 2,800만 달러 규모

    의 인광석 비료공장 건설 사업을 수주해 건설했다. 모로코 경제수도인 카사블랑카에서 2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세계 최대 규모의 죠르프라스파(Jorf Lasfar) 복합비료 산업단지에 2곳을 건설하고 있으며,

    2014년 9월 완공됐다.

    2012년 1월에 포스코엔지니어링은 OCP로부터 760억 원 규모의 인광석 및 비료 수송용 이송장치 건

    설 사업을 수주했다. 2012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총 28개월간 카사블랑카에서 죠르프라스파 산

    업단지에 인광석 및 비료를 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11km 구간에 걸쳐 설치하는 공사로, 포스

    코 엔지니어링이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을 일괄 수행(EPC)했다.

    KT, 모로코 이통사 ‘Maroc Telecom’ 인수 추진, 결국 포기

    KT가 모로코 이동통신업체인 마로크 텔레콤 주식 인수에 나서며 두 번째 아프리카 시장 진출에 나섰다.

    2012년 12월 26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KT는 프랑스 통신기업 비방디 SA가 소유한 모로코의

    이동통신사 마로크 텔레콤 주식 인수를 위한 예비 입찰의향서를 제출했다. KT는 11월 17일, 입찰서를

    제출했으며, 법적 구속력이 없는(non-binding)것이라고 밝혔다. 마로크 텔레콤의 최대 주주인 프랑스

    의 통신∙미디어 그룹인 비방디 유니버설은 마로크 텔레콤 주식의 53%를 55억 유로에 매각하는 방안

  • 27 / 243

    모로코 국가정보

    을 추진해왔다. KT가 비방디가 소유한 마르코 텔레콤 주식 전체를 인수할 경우 1대 주주 지위에 올라서

    게 된다.

    하지만 2013년 4월, KT는 모로코 통신사 인수를 포기했다. KT측은 마로크텔레콤의 시가와 KT가 입찰

    하려는 금액의 차이가 커 입찰 경쟁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1대 주주 참여를 위한 경

    쟁 입찰에는 참여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추후 상황에 따라 사업협력 등 다각적인 형태의 투자

    검토가 가능하다고 말하며 투자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한국기술교대, 모로코 자동차 기술 훈련원에 기술 전수

    모로코 정부는 지난 2008년 자동차산업 기술인력 양성과 고용 창출을 위해 한국 측에 ‘자동차 직업훈

    련원 지원사업’을 요청했고, 코리아텍 개도국기술이전연구소가 KOICA의 ‘모로코 카사블랑카 자동차 직

    업훈련원 지원사업을 용역 받아 지난 2010년 12월부터 2013년까지 2월까지 3년에 걸쳐 위 사업을

    진행했다.

    코리아텍은 2010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모로코 자동차직업훈련원을 위해 교육훈련 마스터플랜

    수립, 모로코 고용직업 훈련부 차관 및 훈련원장, 공무원 등 관리자 한국기술교육대 초청연수, 모로코

    직훈원 교사 한국기술교육대 초청연수, 책임 전문가 파견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모로코 자

    동차 직업훈련원의 3개 공과 6개종의 교재(기계공과, 자동화 시스템공과, 자동차공과)를 주도적으로 개

    발했다.

    모로코 자동차 직업훈련원의 명칭은 이프미아 카사블랑카(IFMIA Casablanca: L’Institutde Formation

    avancee Aux Metiers de L’Industie Automobile a Casablanca)로 공식적인 공립학교로 승인돼 2013

    년 2월 90명, 8월 90명 등 총 180명의 공과학생을 모집했다. 이들에겐 자동차 훈련과 관련된 이론과

    실습 교육을 진행했다. 입학생들은 자동차 관련 산업체에 입학과 동시에 취업이 확정되는 등 이프미아

    카사블랑카는 모로코에서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프미아 카사블랑카는 2013

    년 10~11월경 국왕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 개원식을 가졌다.

    대우건설 모로코 사피지역 화력발전소 건설권 수주

    대우건설이 아프리카 모로코에서 2조원 규모의 발전소 공사를 따냈다. 대우건설이 1976년 해외시장에

    진출한 이후 지금까지 수주한 단일 해외 건설 공사 중 최대 규모다. 대우건설은 2013년 8월 9일 모로

    코에서 1조 9,710억원 규모 사피 민자 발전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