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07 , Vol. 23, No. 2 , pp. 1-28. : * ** ). Dept. of Special Educ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 Upload
    -

  • View
    165

  • Download
    5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연구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07,Vol. 23, No. 2, pp. 1-28.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정 대 영**

<초 록〉

본 논문은 정서행동장애 교육 분야에서 외현화장애를 대상으로 행동주의적 접

근 또는 인지-행동주의적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교육 대상 영역의 확대

와 지도 기법 및 접근 방식의 다양화를 모색하고자 상위인지적 접근인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을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정서장애의 셰마

이론과 상위인지,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이 모형을 적용한 연구 결과 및 모형의

지지 여부, 이 모형의 특수교육적 함의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인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을 고찰한 결과를

근거로 이 분야의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특수

교육 대상으로서의 정서행동장애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특수교육적 접근이 행동주의적 접큰 및 인지-행동적 접근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접근 방법이 모색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었

던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상위인지적 접근 방법의 확대 적용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서행동장애 분야에서 상위인지적 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하위장애 영역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이 접근에 의한 특수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구체적인 중재 방략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핵심 단어: 정서행동장애, 오|현화 장애, 상위인지,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 이 논문은 2006년 창원대학교 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E-mail; [email protected] ).

Dept. of Special Educ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age 2: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23권 제 2호)

I . 서 론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교육 및 치료적 입장은 인간을 어떤 존재로 보며, 장애

의 원인과 발생 메커니즘 및 특성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하다. 즉, 존

재 방식의 관점에서 인간이 영적 존재인가, 생물학적 유기체인가, 이성적 및 감

성적 존재인가에 따라 한편 장애 발생 메커니즘 측면에서 개인의 내적 문제인

가, 환경적 문제인가,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문제인가에 따라 정서행동

장애의 문제해결 방법이 다르게 제안되고 있다. 지금까지 정서행동장애 이론 분

야에서 제안된 개념 모형으로는 정신 역동적 접근법, 인문주의적 접근법, 생물

발생학적 접근법, 교육심리학적 접근법, 생태학적 접근법, 행동주의적 접근법, 인

지적 접근법, 사회-인지적 접근법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접근법은 문제 발생의 원인 특성, 해결 방법 등의 준거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문제의 원천이 유기체의 내

에 있다고 보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문제 해결의 중요한 방법으로 본다

(Remschmit & Quaschner, 2아)1; Konopasek & Forness, 2004). 둘째 , 유기 체 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문제가 발생되며, 환경의 통제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Heward & Silvestri, 2004; Walker, Ramsey, & Gresham, 2004). 셋째, 유

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유기체의 내적 조건과 다양한 환경 조건을

통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Bandura & Locke, 2003).

특수교육진흥법이나 IDEA2004에서는 정서행동장애의 판별 준거를 심한 학습

문제, 대인관계 문제, 부적절한 행동 및 감정, 불행감과 우울감, 개인 및 학교와

관련된 정신 선체증 문제 등 다섯 가지로 규정짓고 있다. 그러나 정서행동장애

의 분류에서는 이러한 진단 준거보다는 다른 체제에 근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과적 분류CDSM - IV -TR)와 행동 차원적 분류(Waldman & Li11enfield, 1995)

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문제의 본질을 규정하기 어렵고, 이에 대

한 구체적 판별과 분류 및 교육 방법 면에서 단일 차원의 접근에는 한계가 있으

며,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접근하는 학문적 관점의 차이에서 오는 결과일 것이

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정서행동장애 분야의 연구는 앞서 언급한 것처

럼 세 가지 방향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들은 정서

행동장애 범주를 매우 제한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주로 자폐증과 외현화장애

를 주요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방법론적 차원에서는 행동주의적 및 인지-행동

7 ‘

Page 3: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주의적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인지행동 요법은 의식적으로 구어적 및 행동적 조작을 통해 장애인의 인지

체계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서 상태를 재조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인지적 자기 조절을 통해 실제로 인지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하는 이 메커니즘을 개념화하려는 시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We]]s, 2000).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 중의 하나는 자기조절 및 인지기

능 모형의 기초 자료가 될 정보처리과정 구조에 관한 기반이 취약하다는 점이

다. 즉, 심리적 장애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보처리와 장애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고, 정보처리과정에서 신념과 자아지식이 어떻게 수정되는지를 밝힐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장애와 관련된 인지중심의 이론들은 정서장애인의 정보

처리과정 체계의 기능과 신념 사이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설명하기

보다는 임상적 현상을 기술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분야가 발전하기 위해

서 셰마이론과 같은 임상적 이론보다는 광범위한 인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Wells, 2000).

본 논문은 정서행동장애 교육 분야에서 외현화장애를 대상으로 행동주의적

접근 또는 인지-행동주의적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교육 대상 영역의

확대, 지도 기법 및 접근 방식의 다양화를 모색하려는 맥락에서 상위인지적 접

근인 실행기능 자기조절 (self-regulatory excutive function: S-REF) 모형을 소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정서장애의 셰마이론과 상위인지,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이 모형을 적용한 연구 결과 및 모형의 지지 여부, 이

모형의 특수교육적 함의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11. 정서장애의 셰마이론과 상위인지

1. 셰마이론과 상위인지

1) 셰마이론

인지와 정서의 관계는 복잡한 2차노선과 같아서 정서는 인지적 활동을 새롭

게 정향 짓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하며, 거꾸로 인지가 정서 활동에 이와 같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장현갑 외, 2004).

정서행동장애 분야에서 내변화 장애의 경우 주로 인지적 모형을 근거로 문제

꺼 、)

Page 4: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23권 제 2호)

를 해결하고자 모색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이론은 인지를 강조하는 셰마이론

(Beck 1976)으로서 심리적 장애가 사고의 혼란과 연계되어 있다는 논리를 바탕

으로 하고 있다. 특히, 불안과 우울은 개인이 세계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negative automatic thought)로 해석함으로써 왜곡된 행위를 보인다. 부정적 사

고나 부정적 해석은 장기기억 내에 저장된 부정적 신념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인지요법의 목적은 심리적 불안을 지속시키는 부정적

사고, 신념 및 관련 행동을 수정하는 것이다.

정서 행동장애의 일반적 셰마이론의 구성요소는 <그립 2-1>과 같다. 이 이론

에 의하면, 정서행동장애는 역기능적 셰마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다. 셰마는 신

념과 가설이란 두 가지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기억구조이며, 개인이 직

면하는 자극들을 선택하고 부호화하고 인출하고 해석하는 유형으로 기능한다

(김경희, 1997). 신념은 특성상 비조건적 복합개념(심상)이며(예; 나는 상처받기

쉽다. 세상은 위험한 장소이다) , 자아와 세계에 관한 진리로 받아들여진다. 가설

은 조건적이며, 사상(events)과 자기평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ζ-학 습 경 궐표「=:==〉

* | 역.7 1늄적 쉽l마 |

* ζ二一용F 술 경 험 τ>

* 을롤단.!- / ε유즐롤

흥!멍등롤등으킥 브f응룰

으! ::::>c1 걷펙 존련 도견

그림 2-1. 정서장애의 일반적 셰마이론

정서행동장애를 특정짓는 역기능적 셰마는 정상인의 셰마보다 경직되어 있

고, 유연하지 못하며, 구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셰마의 내용은 장애에

따라 독특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안셰마는 위험에 관한 신념, 가정 및 대처불능

이란 특성을 보이며, 우울셰마는 부정적 인지 삼요소(negative cognitive triad)의

주제에 초점을 맞추며, 그 안에서 이루어진 초기 경험은 자아, 미래, 외부 세계

에 대한 부정적 개념을 형성할 근거를 제공한다(Wells , 1979). 따라서 우울한 사

람은 긍정적 정보보다 부정적 우울과 관련된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처리한다(김

-4-

Page 5: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경희, 1997).

역기능적 셰마가 일단 활성화되면 편향된 사고로 정보를 처리하고 해석한다.

이러한 편견은 의식의 흐름이 부정의 자동적 사고로 표면화된 것이다. 정서불안

을 지속시키는 잠재적 인지 기재가 이런 종류의 감정으로 표출된다. 셰마이론과

인지요법의 문제는 몇 가지 이론에서 강조되었다(Wells. 2000). 예를 들어,

Teasdale과 Bamard(993)는 인지적 사고는 우울의 선행자극이라기보다 결과일

수 있고, 우울삽화를 보이는 동안 기능장애 태도만이 고조된 것으로 나타나며,

회복과 함께 정상으로 되돌아온다는 점을 지적했다. 더욱 비판받는 내용은 그

모형이 인지의 한 가지 차원만 다루고 정서적 신념과 지적 신념 (hot and cold

belief) 사이의 특정을 다루지 못한다는 점이다. Teasdale과 B따nard는 우울상태

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인지의 모든 면을 기술하기 위해 종합적인 정보처리과정

구조(인지적 하위체계와 상호작용하는)를 제안하고 있다.

셰마이론은 전적으로 정서행동장애의 감정과 신념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왔고, 그 가운데 신념은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나는 실패자이다 “나는 나

쁘다 등 선언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S-REF 모형은 인지요법에서 목표로 삼아 야 할 사항을 상세히 제공하며 인지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방법

적 정보를 제공해 주는 반면 셰마이론은 신념 감정 및 정서를 수정하는 방법적

인 측면 에 서 심 리 학적 정 교성 이 부족하다(Wells , 2000).

개인의 마음을 변화시키려한다면 사고 자체를 통제, 교정, 평가, 조절하는 요

인들을 개념화할 수 있는 수준에서 심리학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더

욱이 사고의 내용은 심리적 불안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고, 사람들의 생각

하는 방식은 심리적 장애와 그 회복에 함의를 갖는 중요한 차원이다. Wells와

Matthews(994)가 제시한 정서행동장애 모형은 상위인지와 사고의 형태를 정서

적 취약성이나 정서행동장애의 유지와 직접 연관 지었다. 따라서 먼저 상위인지

의 일반적 개념을 규정하고 이해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하며, 상위인지와 정서행

동장애와의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2) 상위인지

상위인지는 인지의 평가, 감시 또는 통제에 포함된 어떤 지식이나 인지적 과

정, 또는 어떤 상황에 관해 우리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평가해보거나 신념

에 잘못된 것이 없는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자신의 사고 과정을 살펴보는 것(장

현갑 외, 2004)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상위인지를 모든 인지적 활동에 포함

되는 인지의 일반적인 측면으로 생각할 수 있고, 상위인지의 일부 특수한 측면

-5-

Page 6: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 23권 제 2호)

에서는 심리적 불안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Wells , 2000; Nelson,

Stuart, Howard, & Crawley , 1999).

상위인지는 다면적인 개념으로서 지식(신념)과 인지를 평가, 감시, 통제하는

과정과 방략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인지활동은 이러한 상위인지 요소에

의존한다. 더욱이 상위인지적 감시를 통해 얻은 정보는 흔히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관적 감정으로 경험한다. 예를 들어, 개인은 정보가 기억에 부호화된

주관적 감정인 “앓의 느낌”을 경험하게 되면 정보를 인출하려는 동기를 유발시

킨다. 기억을 포함한 상위인지적 경험의 사례를 혀끝맴돌이 효과

(tip-of-the-tongue effects)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개인은 정보가

기억에 저장되어 있으나 그것을 인출할 수 없는 강한 주관적 감정을 경험한다.

그 결과 개인은 일반적으로 인출 노력을 계속하면서 가벼운 혐오상태를 경험하

게 된다(Wells , 2000).

상위인지의 두 가지 측면은 상위인지적 지식과 상위인지적 통제이다. 상위인

지적 지식이란 개인이 지니고 있는 자신의 인지, 과제요인 또는 그것에 영향을

주는 학습 방략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상위인지적 통제는 주의집중의 할당, 감

시, 점검, 계획 및 수행상의 오류 발견 등과 같은 실행기능의 범주에 속하는 요

소들이다. Nelson과 Narens(1990)에 의하면 인지적 과정이 두 가지 이상의 내적

관련 수준에서 작용하며, 이들 수준은 상위수준과 구체수준(객관적 수준)으로서

<그림 2-2>와 같다.

갚원ii즘

정보의흐름

램짚순즙

그림 2-2. 상위 수준/구체 수준 메커니즘

구체적 수준에서 상위 수준으로 흐르는 정보를 감시 (monitoring) '* 하는데, 이것은 구체적 수준의 정보를 상위 수준에게 알려준다. 상위 수준에서 구체적

수준으로 흐르는 정보를 통제(control)라고 한다. 통제는 구체적 수준에게 다음에

ι u

Page 7: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해야 할 바를 알려준다. 상위수준은 구체적 수준의 역동적 모형(예, 시간의 경과

에 따라 변화를 강조하는 정신적 자극)을 내포하고 있다. 이 자극에는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해 구체적 수준을 이용하는 방식과 관련된 목표와 지식이 포함되어 있

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메커니즘을 제안하면서 당면하게 되는 어려운 점

은 상위수준을 통제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이에 대해 Wells와

Matthews( 1994)는 개인이 활성화된 목표(activated goals)와 관련하여 특정 인

지의 효과성과 행동 방략을 평가하는 온라인 처리과정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아서

상위수준을 통제하고 수정한다는 것이다. 심리장애의 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상

위수준과 구체적 수준간의 관계를 적용할 수 있다. 개인이 자아를 조절하고 통

제할 때 부정확하거나 왜곡된 감시 때문에 심리적 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통제과정은 이전의 활동을 지속하거나, 수정하거나, 활동을 종

결함으로써 구체적 수준의 활동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대처방략을 선

택할 때와 같이 통제가 불안하거나 편견을 갖게 되면 심리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2. 상위인지의 변인

1) 지식

상위인지적 지식은 특정 유형의 사고(thought)의 의미에 관한 신념, 기억과

인지적 통제의 효율성에 관한 신념처럼 개인이 갖고 있는 자신의 인지에 관한

신념과 이론을 말한다CWells. 2000). 정서행동장애의 맥락에서 상위인지적 지식

의 두 가지 형태인 명시적 지식과 암시적 지식을 검토하는 것이 유용하다 명시

적 상위인지 지식은 의식적인 것으로써 구두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

어, 일반화된 불안장애를 지닌 개인이, 걱정은 통제할 수 없는 것이고 위험하다

고 믿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걱정하는 것은 유리한 입장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Cartwright, Hatton & Wells , 1997). 강박충동장애 인은 부

정 적 인 사건 이 나 원 하지 않는 행 동을 하며 (EmmelKamp & Aardema, 1999) , 우

울증을 지닌 사람들은 명상증Crumination: 지나치게 깊이 생각하는 것)에 대해

긍정 적 인 믿음을 지 니 고 있다CWells , 2000).

암시적 상위인지 지식은 정상적으로 의식을 따르지 않는다. 이 지식은 구어

형태로 표현될 수 없으며, 주의력 할당, 기억 조사, 판단시 편견(성향)의 이용 등

을 안내하는 규칙이나 계획이다. 이 지식을 처리과정을 위한 절차나 계획으로

생각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고, 그와 같은 상위인지 계획은 적어도 정서행동

-7-

Page 8: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저1123권 제 2호)

장애에서 선언적 지식만큼 중요하다(김경희, 1997; Wells, 2000),

2) 경험

상위인지적 경험은 특정 정신적 사고의 의미 평가, 상위인지적 감정과 인지

상태의 판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위인지적 평가와 판단이란 인지적 경험을 의식

적으로 해석하고 명칭을 붙이는 것이며, 온라인 형식을 취한다.

상위인지적 경험은 몇 가지 방식으로 정서행동장애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박충동장애인은 사고와 기억 현상을 부정적인 방식으로 평가한다. 일부

장애인들은 부정적 사고 침해(일반화된 불안,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공황

장애, 강박장애)와 연관되 어 있다, Nelson, Kruglanski 및 ]ost(998)는 상위 인지

적 판단의 기초를 제공하는 두 가지 형태의 정보로 순간적 감정이나 인상 및 보

다 지속되는 암시적 이론들을 제시했다, Schwarz와 Clore(988)는 사람들이 평

가와 판단의 정보로 감정을 이용한다고 주장했으며, Wells와 Matthews(994)는

심리장애 상태에서 감정이 상위인지적 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했다. 특히, 암시적

수준에서 정서행동장애인은 위협을 평가하고 대처방략의 실행을 조절하기 위한

지침으로 감정 정보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강박충동장애인은 그들

이 뭔가 완벽하다고 느끼게 되는 의식적인 행위를 반복한다. 주관적 감정은 여

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고, 감정의 의미와 처리과정에 미치는 그들의 영향은 자

아지식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Clore와 Paπott(994)는 최면으로 불확실성에 대

한 감정을 의도적으로 끌어냄으로써 감정의 해석이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

실을 밝혔다.

3) 상위인지적 통제 방략

상위인지적 통제 방략은 개인이 자신의 인지적 체계의 활동을 통제하는 반응

이다. 이 방략들은 사고방략을 강화시키거나 억압시킬 수 있고, 감시과정의 수준

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은 자료를 기억

하기 위해 시연하거나 기억법을 이용하고 단서 제시하기와 같은 회상 방략을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기억 방략들을 이용한다. 불안장애는 정신적 사건의 파

괴 징후(공황장애, 일반화된 불안장애)로 해석되는데, 이 경우 파멸(대실패)을 예

방하려는 특별한 방식으로 사고하려고 할 것이 q(Wells, 2000) ,

상위인지적 방략에는 구체적 수준에서 오는 정보의 흐름을 강화시키기 위해

반응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 수준의 처리과정에는 종결짓거나 수정하기 위한

-8-

Page 9: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방략이 포함될 수도 있다. Wells와 Matthews(1994)는 위협의 내적 또는 외적 자

원에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정서행동장애를 위협-감시 방략과 관련지었다. 정서

행동장애 방식의 처리과정을 수정하기 위해 원치 않거나 고통스런 사고를 통제

하는 방략에 의존한다. Wells와 Davis(1994)는 요인분석 연구를 통해 사고 통제

질문지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 TCQ)로 측정한 다섯 가지 통제 방략

은 재평가, 벌, 사회적 통제, 걱정, 주의산만 등인 것으로 밝혔다. TCQ에 대한

실험적 연구들은 걱정과 별 대처방략들이 부정적 섬리 건강 지표와 관련이 있다

고 주장했다. 이러한 자료들은 상위인지적 방략이 정서불안과 긍정적으로 연관

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Wells , 2000).

3. 정서, 상위인지적 감시와 통제

정서는 동기 유발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 내적 데이터를 의미한다. 정서는 인

지보다 더 원시적일 수 있고, 피질하뇌구조에 의해 통제된다. 정서는 주의집중

성향, 기억 성향, 판단과 의사결정을 포함한 일련의 인지적 과정(장현갑 외,

2004)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몇 가지 이론적 접근은 인지와 정보처리과정에 미칠 정서의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적응하기 위해서는 유의한 자극을 감시하고 방해 후 뒤따를 새로운 목표

와 현재의 목표를 대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정서란 방해 과정의 일부로 생기

게 되며, 계획한 행동을 성공했거나 실패했음을 지각함으로써 발생된다. 정서가

일단 발생되면 원시적으로 활동하나 실행될 현제의 계획을 급속히 변경시키는

수단이 된다. 예를 들어, 자아를 보존하려는데 위협을 받을 경우 불안이 일어난

다. 정서에 대한 다른 접근은 그와 같은 반응이 사회적으로 얼마나 유의성을 지

니는지를 강조했다. Bower(981)의 독창적 네트워크 모형에서 정서는 분별력 있

는 노드(nod)와 유니트( unit)에 의해 표현된다. 정서 노드는 외적 입력에 의하거

나, 불행한 사건에 대한 기억을 표현하는 노드처럼 정서와 관련된 네트워크의

노드를 통해 활성화된다. 일단 활성화 되면, 정서 노드는 연합된 노드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미래의 처리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정서가 고립된 의미적 개념뿐만

아니라 규칙 중심의 행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Williams , Watts , Macleod와 Mathews(988)는 특성 우울, 상태 우울, 불안 등

과 연관된 인지와 기타 편향성을 구분했다. 여기서 불안은 주의집중에 영향을

미치며, 상태불안은 자극의 위협가치를 증가시키고, 특성불안과 임상적 불안은

후속자원을 편파적으로 할당한다. 우울은 자극 판별 후에만 처리과정에 영향을

-9

Page 10: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 23권 제 2호)

미치고, 이 때 주의 자극이 정교하게 처리된다. 상태우울이 자극의 부정적 평가

를 편향시키는 반면, 특성/임상적 우울은 부정적 자료를 정교화 하도록 촉진시킨

다. 이러한 이론적 접근법의 특징은 정서가 상위인지적 통제와 감시 기능에 영

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이다.

111. 인지적 정서 조절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델

1.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의 개관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S-REF)은 상호작용하는 인지의 세 가지 차원적 구

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모형의 체계적인 모습과 과정 시스템의 구성요소 간

의 연계성은 <그림 3-1>과 같다.

판 懶(〕

옳웰뚫

명가

(쩍극격 근심 / 반추)

-:4 ^~돔쩍 청흐낌f훌

‘ r

낮온 수훈의 처리과정 단위

* 자료출처: Emotional disorders and metacognition: Innovative cognitive therapy, by A. Wells, 2000.

NY: John Wiley & Sons, L TO.

그림 3-1.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세 가지 차원을 보면 첫째, 자동적 처리과정은 의식적 인식 konscious

awareness) 밖에서 기능하는 낮은 차원의 네트워크로서 처리과정 유니트의 자

10

Page 11: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극에 의해 작용하며, 의식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차원에서의 처리과정은 인

지적 자원에 그다지 의존하지 않으며 주로 반사적이다. 둘째는 사상(events)을

의식적으로 평가하거나 행동과 사고를 통제하는 온라인 통제과정의 차원이다.

셋째는 장기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자아지식(신념)이다. 이 신념은 상위인지적 요

소를 지니고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처리과정을 위한 계획들을 내포하고 있다.

하위차원과 온라인차원은 각각 다른 자원 요건을 요구한다. 하위차원은 매우

자동적으로써 주의를 요구하는 수준이 낮고, 처리과정은 주로 의식적 인식 밖에

서 이루어진다. 온라인차원은 처리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주의집중 자원에 의존

하며, 그 활동은 의식적 인식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제를 받을 수 있다. 온

라인 차원에서 실행된 처리과정은 자발적이고 개인은 정상적으로 자발적 통제

를 인식한다. 그러나 일부 장애인의 경우 이 인식이 감소될 수 있다. 온라인 처

리과정은 주로 자아지식에 접근하여 실행되고, 독자적으로 기능할 수 없으며, 기

억으로부터 나온 자아지식에 의존한다.

이 세 가지 차원의 구조는 개인이 이용하는 처리과정의 전반을 지원하지만,

양식과 처리과정 형태는 다르게 실행될 수 있다. 현재의 맥락에서 양식 (mode) 이

란 자신의 사고와 신념에 관해서 개인이 지니고 있는 관점을 말한다. 두 가지

양식, 즉 구체적 양식 (object mode)과 상위인지적 양식 (metacognitive mode)이

있다. 구체적 양식에서는 사고와 지각을 사건의 평가받지 않은 정확한 표상으로

서 받아들이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일상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작용의

내정양식 (default mode: 개인이 지정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양식)

이다. 상위인지적 양식에서 개인은 사고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사고와

지각은 평가받을 수 있으나 반드시 현실에 대한 직접적인 표상으로서 수용되는

것은 아니다.

형태( configuration)란 특정 시점에서 활성화되는 인지과정 패턴을 말한다. 심

리적 장애와 가장 관련성이 있는 형태는 S-REF 형태이며 이는 자아관련 처리 과정 (self-relevent processing)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그것은 자아에 대

한 현재 상태의 표상과 소망적/규범적 표상 사이에 자아불일치를 감소시키는 목

표 지향의 실행 기능에 일익을 담당한다. 정상적인 상황 아래에서 S-REF 활동 기간은 짧다. 예를 들어, 배고픔에 대한 내적 반응이 인식에 끼어들 때 S-REF 는 개인을 표준적 포만상태로 되툴리기 위해 그러한 반응과 실행 기능을 평가하

는 자아지식에 접근한다. 자기조절기능의 이러한 측면은 자기조절과 자아표상에

대 한 인 공두뇌 학적 접 근(cybemetic approach)과 일 치 한다(Higgins , 1991).

S-REF 형태는 구체적 양식에서 자아에 주의를 집중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그

n

Page 12: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23권 제 2호)

리고 외적 자극, 신체상태 자극(body state stimulD의 개인적 유의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수용한다.

일반적인 조건 아래에서 온라인 S-REF 활동 삽화는 기간이 짧으며, 그 상황 에서 개인은 과제에 초점을 맞추어 대처하거나 신념을 수정함으로써 불일치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략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심리적 장애의 경우

개인은 자기조절 목표를 달성할 수 없고 S-REF 형태는 병적으로 집요하게 반 복된다. 즉, 부적절한 대응방략의 선택, 부정적 자아지식에 대한 현재 상태를 반

복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하기, 자기조절에 대한 비현실적 목표 설정, 불일치 감소

를 위태롭게 하는 외적 제약 등으로 인하여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실패할 가

능성이 높다. 그러나 외적 요구에 의해 목표 달성이 방해를 받을 경우나, 개인이

심하게 아프고 생존 목표가 불가능한 경우, S-REF 활성화는 주요 목표를 포기 하거나 달성할 수 있는 대안적 차선의 목표를 개발하게 된다. 그러한 방략은 정

서적 영향을 완화시키기 쉽다. 그러나 목표가 확고하고 유연성이 부족할 때는

이런 유형의 자아조절 방략을 이용할 수 없다.

2. 자아 관련 지식(신념) : 계획과 목표

이 모형은 자아신념이 정신병에 관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온라인 S-REF 처리과정은 자아지식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지식은 개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지 평가하고 대처 계획을 세운다. Wells와 Matthews(1994)에 의하면 신념은 셰

마이론에서 강조되는 선언적 지식으로 누적될 뿐만 아니라 처리과정과 대처를

위한 일반적 계획으로 축적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는 상처받기 쉽다 “나는

쓸모가 없다”와 같은 신념은 특별한 처리과정 절차의 산물로 보게 된다. 그러한

순환성 인지를 일으키는 자아지식은 주의집중, 정보탐색, 기억 인출, 평가 및 행

동을 안내하고자 계획한다. 따라서 S-REF는 처리과정과 해석을 안내하는 자아

지식의 특정 유형인 상위인지적 지식의 장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다. 상위인지적 지식은 처리과정을 안내하고 주로 의식적 인식의 밖에서 작용하

는 암시적 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발견술과 인지적 편향은 의식의

내용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그것은 사고에 대한 보다 명시적(선언적) 신념을 나

타낸다. 그러한 신념의 예로는 “걱정은 내가 대처하는데 도움이 된다 “내 생각

을 통제하지 못한다 “나쁜 생각을 하면 나쁜 일이 일어난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려한 명시적인 상위인지는 처리과정을 위한 계획과 연결되어 있고 해석에 영

향을 미치는 데이터로 작용하기도 한다.

u

Page 13: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자아지식에 접근할 때 개인은 사회적 및 물리적 세계에 관한 일반적인 목적

의 자아관련 정보에 접근하며 또한 다음 두 가지 유형의 상위인지적 지식에 접

근한다. 즉 하나는 사고의 의미에 관한 지식이고 다른 한 가지는 인지가 일반적

으로 취하는 형식 (form)을 안내하고 형성하는 계획이다. 모든 지식은 인지 체계

의 처리과정을 안내하고 다른 유형의 자아지식을 향상시키도록 이끌어주는 상

위인지적 계획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나는 실패자다"라는 신념은 자기

것으로 올바르게 저장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특정 S-REF의 작용 결과일 수

있다. 그러므로 선언적 신념은 현재의 주의집중 기억 탐색 및 자아지식을 반복

적으로 생성하는 대처방략을 안내하려는 계획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이

다. 계획에는 처리과정 활동을 안내하고 형성하는 암시적 및 명시적 상위인지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계획들은 자체에 자기조절 목표를 지니고 있다.

상위인지적 수준에서 이러한 목표들은 새로운 자료를 현재의 신념에 동화시킬

수도 있고, 새로운 자료에 적응하기 위해 신념을 조절할 수도 있다.

자아지식을, 주의집중과 평가를 지시하고 의미를 산출하기 위해 내적 정보를

동화시키는 일련의 상위인지적 계획으로 개념화하는 것은 장애인들의 신념 평정

결과를 설명해 줄 수 있기 때문에 호소력을 지닌다. 예를 들어, 거미공포는 자신

이 커다란 거미와 마주하고 있을 때 위험하다고 믿지만 그 상황으로부터 멀어

지면 이것은 불합리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된다.

3. 체제 작동의 특성

S-REF는 외적 위협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자동적 처리과정으로부터 방해를

받아서 시작되거나, 부정적 위협과 관련된 사고를 일으키는 내적 처리과정 사이

클에 의해 시작된다(Wells & Matthews. 1994). S-REF는 일단 활성화되면 위협 을 평가하고 대처 방략을 선택하기 위해 장기기억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자아지식

에 접근한다.

지식 기초(신념)는 정보를 평가하고 적절히 대처하기 위한 일반적인 계획을

포함하고, 온라인 처리과정을 통해 계획을 특정 상황에 맞추게 된다. 그 계획은

처리과정을 안내하며, 상위인지적 구성 요소를 지니고 있어 장기기억에 있는 신

념을 바탕으로 처리과정의 상보적 효과를 유도한다. 이것은 반응절차에 따라 행

동을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계획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이

위협을 다룰 때 S-REF의 통제된 처리과정을 이용함으로써 융통성 있게 반응하

n

Page 14: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23권 제 2호)

도록 하고, 나아가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자신의 상위인지적 지식에 변화를 가

져오게 된다.

S-REF 활동은 <그림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식 기초를 수정할 수 있

다. 온라인 처리과정이 신념을 수정할 것인지의 여부는 상위인지적 계획과 활성

화된 목표, 현재 계획에 의해 구체화된 대처 방략의 효과에 달려있다. 예를 들

어, 공포 상황의 회피는 부당한 공포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부정적 경험에 초점을 맞추는 억압적 심사숙고와 같은 처리과정 방략들은 부

정적 신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 사고<thought)를 사실(구체적 양식)로 받아들이

고 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계획을 세웠다면 역기능적 지식은 수정될 가능성이 낮

다. 그러나 계획에서 상위인지적 기능의 양식을 구체화하면 그러한 상황에서 사

고는 평가되어야 할 사상(event)으로 받아들이고 지식을 검토하고 수정하려는

목표를 설정할 때 인지적 변화는 강화를 받게 된다(Wells , 2000).

4. 정서의 원인과 결과

정서 상태는 그 목표 달성과 관련된 시스템의 사정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

으로 불안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할 때 나타나고, 반면에 우울

은 현재의 실패와 관련되어 있다. 정서적 정보는 처리과정을 위한 지식의 인출

을 편향시킴으로써 S-REF 활동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정서는 정보

적 기능을 가지고 있고, 처리과정의 우선순위에 영향을 미친다. 심리적 장애에서

정서적 반응은 흔히 S-REF 활동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그럼으로써 정서적 반

응 형태 (configuration)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정서적 반응은 공황장애에서처럼

부정적으로 잘못 해석될 수도 있고, 자기조절 처리과정을 계속할 것인지, 아니면

중단할 것인지에 관한 목표 관련신호로 부적절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내적 감

정이나 상위인지적 정보는 근심이나 심사숙고와 같은 자기조절 대처 방략을 종

결지을 선호로 이용되고 있다. 일부 정서행동장애인들은 인내심이 적어 부정적

정서를 잘 견디지 못하고, 만성적 S-REF 준비 상태에서 정서적 촉발을 감시하

고 정서적 반응을 억제한다.

정서장애의 셰마모형과 종합인지모형이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은 질문 중의

하나는 강한 정서의 공격을 중단시키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어떻게 장애

인으로 하여금 불안 상태를 중단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가? S-REF 모형은

S-REF가 활성적일 때만 불안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Wells , 2000). 공황공격에

• 14 -

Page 15: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서 직접적인 목적은 다양한 대처행동을 적용하여 자신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S-REF는 개인이 신체적 및 정신적 재난을 예방하려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

했다고 평가하게 되면 활성화가 약화된다.

5. 상위 인지적 자료로서 내적 사상과 감정

심리적 장애인은 자아지식을 평가하기 위해 S-REF 모형을 이용하고, 자기조 절 참조 지침으로 이용되는 많은 자료들은 기억, 감정상태, 자아의 표현 등으로

부터 나온다고 본다. 이 내적 데이터는 자아지향적 주의집중의 요소인데, 사건의

의미와 자아지식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대처 노력을 중단할 것인지 아니면

계속할 것인지를 판단할 근거를 제공한다. 장애인이 내적 데이터를 이용하는 아

이디어는 정서적으로 추론한 개념이나 감정을 위협의 증거로 받아들여지는 초결

과적 추론(ex-consequentia reasoning)과 겹쳐진다(Beck, 1976). 그러나 이러한

현상을 사고의 우연적 편견으로 보는 것을 넘어, 내적 자료가 위협이 존재한다

는 신호뿐만 아니라 대처방략을 조절해야 할 신호를 제공해 주는데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차원에서 가장 기본적인 정서와 기타 감정 상태는 신념과 인지적 과정의

활성화를 편향시키는 내적 신호로 작용하며 자아지식을 해석하는데 영향을 미

치는 정보를 제공한다. 중요한 감정 상태, 주관적 에너지 수준, 앓의 감정, 판단

의 자신감과 유사한 흥분과 상위인지적 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감정은

장기기억에 저장된 보다 안정된 정보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의 정서와

감정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다른 차원에서 보면 자발적 중재를 포함하며, 정보의 내적 흐름은 대처방략

을 안내하는데 이용되고 정서장애 방식으로 대처하는 부적응의 한 부분이다. 예

를 들어, 강박충동을 보이는 장애인들은 그만두어도 좋다는 생각이 들 때까지,

아니면 내적 규칙이 만족될 때까지 행동을 점검하거나 반복하는 의식 행위를 한

다. 일반화된 불안장애를 보이는 개인은 자신이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느낄

때까지 대부분의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걱정하고 따라서 준비되었다는 느낌이

들 때까지 걱정한다. 내적 준거를 이용하는 문제는 이런 준거의 일부가 도달되

기 위해 높은 수준의 인지를 요구한다는 사실이다. 더욱이 내적 느낌은 정서적

반응, 호르몬 반응, 생리적 변인들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분열되는 경향

이 있다.

5

Page 16: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 23권 제 2호)

6. 심리적 장애의 유지

S-REF 모형은 인지적-주의집중 반응<Cognitive-attentional response)의 증후

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 증후는 심리적 불안이 자아지향의 주의집중, 부정

적 자아신념의 옹라인 처리과정 근심/명상증 위협 감시 보다 적응적 지식의 발

달을 방해하는 특별한 유형의 대처방략을 실행하는 등의 특정을 보인다. 고통

상태에서 작동하는 정보처리 및 대처 활동은 심리적 장애인의 기능이 정상으로

되돌아오는데 필요한 인지적 적응을 방해한다.

이러한 특성은 심리적 불안을 영구화하는 자아처리과정에 개인을 가두어버린

다. 이 경우, S-REF 모형은, 장애인이 인지와 행동에 관한 처리과정 자원을 상 실함으로써 제약을 받거나, 개인의 목표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그래서 이들은

역기능을 다루기 위한 심리적 기재를 잘못 형성하고 인지 재구조화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처럼 자원을 상실함으로써 받게 되는 부정적 영향은 특히 시험불안에

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결국에는 시험 성적을 실제로 떨어뜨렬 수 있다.

우리들 대부분은 평가와 대처 방략을 실행하여 목표를 획득하고, S-REF 처 리과정으로부터 벗어나므로 스트레스와 강한 정서를 갖게 되는 기간은 짧다. 처

리과정을 위한 경쟁목표의 활성화와 산만으로 인한 주의집중의 전환은 역시

S-REF 활동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불일치가 존재한다면 S-REF는 재활성 화되는 경향이 있다. 대처 및 처리방략을 적용하여 볼일치를 감소시키거나, 신념

을 바꾸거나, 위협의 특성을 제거하게 되고, S-REF는 후속되는 위협자극에 노

출되어 활성화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S-REF는 자아불일치가 해결될 때까지 재활성화를 위한 준비 상태에 있거나

활동 상태에 있게 된다. S-REF 활동을 연장시키거나, 삽화를 반복적으로 보이 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인지-정서적 자아통제 문제는 환경의

특성이거나 스트레스 유발 요인 자체일 수 있지만 심리장애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아통제 곤란은 개인으로부터 일어난다. 개별적 요인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포함한다.

첫째, 통제에 대한 잘못된 평가, 정신적 조절과 문제해결 능력의 부족 등 상

위인지적 신념에 의해 영향을 받는 통제 감정

둘째, 통제를 방해하며 도움이 되지 않는 대처방략의 이용

셋째, 부적절한 대처방략의 이용으로 인한 부적응적 자아지식을 수정하는데

실패하고, 그 결과 불일치를 지속시킴

- 16-

Page 17: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넷째, 자기조절을 하기 위해 비현실적인 목표를 취하는 역기능적 자아지식

비현실적 목표는 S-REF 처리과정을 반복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Wells, 20(0). 마치 목표를 연속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면 불일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S-REF 처리과정을 활성화시키는 것과 같다. S-REF 활동을 지속시키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는 근심을 하나의 효과적인 대처 방략이라고 여기는 믿음

과 같은 상위인지적 신념이다. 그와 같은 경우 개인은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일부 내적 감각을 일으키기 위해 사고의 비극적인 결과를 이용한다.

이와 유사한 과정을 일부 강박적 행동에서 볼 수 있는데 그런 상황에서 개인은

일부 내적으로 절실한 목표 상태에 도달될 때까지 은밀하거나 공개적인 방법으

로 의식 행위를 수행해야 한다고 느낀다.

그러나 근심, 명상증 방략을 이용할 때 자기조절에 문제가 된다. 그들은 부정

적 신념이나 감정을 확인하고서 정보를 제공하며, 자아지향 처리과정을 연장시

키며, 정서적 처리과정 같은 활동을 편향시키거나 방해할 수 있다.

보존적 자아지향의 S-REF 처리과정에 기여하는 기타 영향은 기질성 자아지

향의 주의 집 중과 같은 성 격 특성 (Fenigstein, Scheier & Buss, 1975)으로 구성 되

어 있는데, 이것은 특히 상황을 통제할 수 있을 때 회피의 특성을 보이는 도움

이 되지 않는 대처방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ells & Matthews ,

1994; Matthews, Mohamed, & Lochrie, 1998).

위협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주의집중이 포함된 대처 방략을 선택할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방략을 제공하지 않고 부정적 자아지식을 수정하지 않으면

S-REF 과정을 지속시킬 수 있다. 장애에 관한 특정 모형을 구안하려는 시도들

은 S-REF분석에 따라 내용과 자아중심의 처리과정, 위협 점검 방략과 세부사항

에 대한 능동적 근심 이들 요소와 신념 변화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검토해야

한다

7. 신념의 변화 : 정신모형과 대처

온라인 S-REF 처리과정은 상위인지적 자기조절 기능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다. S-REF 활동은 자료를 현재의 신념에 동화시키거나(현재의 신념을 유지 또

는 강화시컴), 신념을 수정하거나(거절적/거부적 처리과정), 처리과정에 대한 새

로운 계획을 세움으로써 자아지식으로 피드백 시킬 수 있다. 불확실한 처리과정

은 거절 데이터를 분명히 이용하거나 내적 인지 요인들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n

Page 18: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 23권 제 2호)

특히 중요한 내적 요인은 처리과정의 양식 (mode) , 주의집중 역량, 처리과정 통

제의 유연성이다.

S-REF는 두 가지 일반적인 양식이 있는데, 두 양식은 서로 다른 결과를 가

져온다. 특히, 상위인지적 양식은 신념을 변화시키도록 촉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은 자신의 사고, 감정, 신념을 독립된 방식으로 검토할 수 있고, 평가할 대

상으로 다루며, 단순히 실재를 묘사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각

양식은 특수한 1차 목적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 양식에서 고통을 받는 개인은

위협을 회피하거나 도피하고자 하며, 상위인지 양식에서는 사고와 신념을 검토

하고 수정하고자 한다.

<표 3-1>은 이들 양식의 기본 구성 요소들과 자아지식의 재구조화를 통해

얻게 되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 양식은 주의집중 자원과 대처 노력, 자

아에 대한 위협을 감시, 평가, 예방하는데 집중하고, 상위인지 양식은 위협을 평

가하고 예방하려는데 투입된 주의집중 자원을 철회하여 인지 자체를 평가하고

수정하는데 투입된다. 각 양식의 자아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위협의 특성에 의해

통제된다. 이것은 내변화장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우이다. 구체적 양식 처리

과정은 자아에 대한 위협이 현실적일 때 적응적이고 바람직하게 된다. 구체적

양식과 상위인지적 양식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지만, 한 양식의 요구가 증가

하면 다른 양식은 자원이 부족해지거나 목적이 상충되어 분열될 수 있다.

표 3-1.

S-REF의 구체적 양식과 상위인지적 앙식의 특성

구분 구체적 양식 상위인지적 양식

사고는 실재를 묘사한다(위협은 사고는 사상(events) 이 지 설 재 가

상위 아니다.

인지 객관적이다)

(위협은 주관적이다) 사고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사고는 평가되어야 한다.

목표 위협 제거 사고 수정

위협 평가 사고 평가

방략 위협 감소 행위의 실행 상위 인지적 통제 행동의 실행

(근섬, 위협 점검) (근심 중지, 관심의 재지시)

결과 부적응적 지식 강화 지식 재구조화

새로운 계획 개발

- 18-

Page 19: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일부 내변화장애를 지닌 경우 구체적인 양식에 빠져있게 되고, 상위인지적

처리과정에 필요한 자원 인지적 유연성, 일반적 계획(상위인지적 지식)이 부족

할 수 있다. 치료의 주요 목적은 인지적 유연성이나 상위인지적 처리과정 양식

을 습득하도록 촉진시키는데 있다. 지나친 주의집중 문제는 신념을 바꾸는데 문

제가 된다. 대처방략과 평가 및 자아지식을 수정하고 감시하는 등의 활동을 하

기 위해서는 통제된 처리과정과 주의집중 자원을 필요로 한다. 개인이 평가하고

대처하는데 필요한 주의집중력은 상처받기 쉽고, 중요한 자아조절 작용이 분리

될 수 있다. 대처능력의 손상 외에 자원의 부족 역시 자아지식의 재구조화를 방

해하고, 그 결과 위협을 다룰 때 부적응적 신념을 적응적 신념으로 대체할 수

없게 된다. 근심 대처 방략이나 명상증 대처 방략을 이용할 때 특히 자아지식의

재구조화에 펼요한 자원을 고갈시키는 경향이 있다.

끝으로 통제 과정의 유연성 결함은 신념의 변화를 방해한다. 신중한 통제과

정을 이용하거나 특정 대처 방략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면 상위인지적 통제 계

획을 개발하는데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불안을 느끼는 개인은

조심스럽고 통제된 방식으로 말을 하고 이러한 태도는 언어유창성을 저해할 수

있다. 하위 차원이 통제를 하지 못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무능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따라서 부정적 자아신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보다 반사적인 방략들이

더 효과적일 때 새로운 방략을 개발하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통제 과

정을 유연하게 실행하지 못하게 된다.

8. 사고의 기능 : 심상을 위한 특별한 역할

S-REF 모형은 상위인지적 자기 조절에서 사고 스타일의 역할이 중요함을

주장했다(Wells , 2000). 자기조절의 기본 목적은 평가를 안내하고, 위협과 자아

불일치에 대한 대처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지식을 습득하고 편집하는데 있다.

인간은 인지와 행동을 조절할 절차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다원적 통로를 갖출

수 있다. 심상은 처리과정 통제를 위한 상위인지적 지시를 포함하고 있는 절차

적 지식의 발달에 중요한 통로를 제공한다. 개인이 위협에 대처할 계획을 습득

하도록 촉진할 인지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을 경우 살아가는데 유익하다. 심상

은 실제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 동안 온라인 행동의 위험을 회피하는 절차적 지

식을 프로그래밍 하는데 필요한 가상현실세계 (virtual world)를 제공한다.

왜 심상은 지식 편집이나 수정에 유용한가? 그 이유는 다음 두 가지 특정 때

- 19-

Page 20: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23권 제 2호)

문일 것이다. 첫째, 심상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건의 역동적 특성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고 실재 세계의 사상(real world events)에 대한 정신적

모형과 자극 발달에 필요한 원인과 결과 및 시간적 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

한다. 개인은 그와 같은 자극을 기초로 하여 결과와 적절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섬상은 정보와 행동을 조합한다. 지식은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동시에 지님으로써 인지와 행동반응을 통제하기 위한 지시를 할 수 있다.

현재의 가설은 인지요법의 심상기법과 개인의 지식 및 신념을 연계시키기 위

한 구조를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는 심상의 효과에 관한 분명한 모형을 제시하

지 못한 채 심상을 처치에 너무 빈번히 이용해 왔다. 따라서 인지와 행동을 조

작하는 사상의 정신적 시율레이션은 이상 스트레스 반응을 수정하기 위한 수단

을 제공해야 하고, 새로운 절차적 지식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Wells, 2000).

IV. 상위인지와 정서장애 연구: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의 적용 결과

1. 상위 인지적 신념과 특성

상위인지적 신념의 차원과 정서불안 사이의 관련성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결과는 상위인지 질문지를 이용한 연구에서 밝혀졌다(Caπwright-Hatton &

Wells, 1997). 이 도구는 상위인지적 신념, 인지적 자신감 판단 및 정신적 사상

에 대한 선택적 주의집중의 차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Cartwright-Hatton과 Wells(997)는 S-REF 모형과 Wells의 GAD 모형 (995)에

기초하여 예언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근심에 관한 긍정적 및 부정적 신념의 상위

인지적 차원은 근심과 강박-충동성 증후의 경향성과 긍정적 상관을 보였다.

Wells와 Papageoriou o 998a)는 근심의 특성 측정, 강박-충동증후와 상위인지적 신념 사이에 긍정적 상관관계를 밝혔다. 상위인지적 신념은 불안검사와 상관을

보였고(Matthews , Hillyard, & Campebell, 1999). 우울 기분이 통제되었을 때 강

박적 신념은 강박적 행동과 상관을 보였다(Emmelkamp & Aardema, 1999).

2. 상위인지와 부적응 대처

- 20-

Page 21: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Matthews , Hillyard와 Campbel(1999)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위인지와 불안

검사의 관계 여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상위인지적 신념은 근심

및 정서 중심의 대처와 관련이 있고 이 두 요인은 시험에 부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것은 보다 적절히 대처하는 요인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시험불안에 대한 취약성의 경우 상위인지

와 근심이 상관을 보이고 이러한 점은 정서 중심의 대처와 적응적 대처와는 구

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상위인지적 사고통제 방략

S-REF 모형에서 심리적 문제와 연관이 되는 상위인지적 차원은 특히 사고

통제 방략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여러 연구자들은 스트레스나 외상후스트레스에

노출된 뒤에 따르는 사고 억제 효과에 대해 연구했다(Davis & Clark, 1998;

Harvey & Bryant, 1998a, b). 이들의 연구 결과는 일치하지 않는데, 일부 연구

는 사고 억제가 이루어지는 동안 사고 억제의 이상 영향(자기모순적 영향)을 발

견하였지만(Salkovski & Campbell, 1994) , 일부는 이상 영향이 있거나(McNally

& Ricciardi , 1996), 이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Purdon & Clark,

2000a).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방법론적 차이, 사고 발생에 대한 보고 의지의 차이,

실험 상황에서의 적응 능력, 억압 동기에 관한 개인차 등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Wells , 2000).

4. 근심/명상증의 해로운 영향

사고 통제 방략으로서 또는 스트레스 대처 수단으로 걱정을 이용하는 사람

들은 일부 상황에서 해로운 결과를 가져오는 활동에 빠질 수 있다. S-REF 모형

은 근심이 위협을 탐지하기 위한 인지적 과정을 편향시킬 수 있으며, 부적응 신

념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고 신념을 수정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를 처

리하는 과정이나 스트레스를 가져오는 정서적 처리과정의 지원을 방해할 수 있

다.

York, Borkovec, Vasey, Stem(1987)은 근심과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자극에

노출된 뒤 에 나타나는 방해 심 상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Borkovec와 Inz (1990)

이 주장한 바와 같이 근심은 정서적 처리과정을 차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age 22: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 23권 제 2호)

부정적 처리과정의 보존적 형태 즉 근심과 명상증은 S-REF 모형이 예언하

는 바와 같이 인지적 처리과정을 편향시키고, 자아조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근심이나 명상증을 직접 조작했던 연구들과 명상증 대처 양식에

대한 조망적 연구는 정서와 인지적 장애와 부정적 처리과정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지지하고 있다(Wells , 2000).

5. 인지적 효율성

S-REF 모형은 정서장애인은 자원의 상실과 함께 부적응적 처리과정에 고착

되어 있으며, 처리과정을 유연하게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손상되어 있다고 기

술하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정서장애는 인지적 효율성이 낮은 상위인지적

평가(meta - appraisaI)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 이 분야의 연구들(Wells &

Matthews, 1994; Radomsky & Rachman, 1999)은 정서불안이 인지적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상위인지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그와 같

은 경험과 S-REF 보존 사이의 상관 방향은 좀더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지만, 일

부 정서불안은 효율성이 감소된 인지적 평가와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 다(Wells , 2000).

V. 요약및시사점

1 . 요약

셰마이론과 인지요법이 비판받는 점은 인지의 한 가지 차원만 다루고 정서적

신념과 지적 신념 사이의 특징을 다루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해서는 보다 종합적인 정보처리과정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며, 논의된 구

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S-REF 모형은 우리가 인지요법에서 목표로 삼아야 할 사항을 상세히 제

공하며, 인지적변화를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반면, 셰마이론은 신념, 감정 및 정서의 수정과 관련된 이론적 정교성이 부

족하다.

• 우리가 개인의 마음을 변화시키려한다면 사고 자체를 통제, 교정, 평가,

Page 23: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요인 들을 개념화할 수 있는 상위인지적 차원에서 이들을 심리학적으

할 수 있어야 한다.

조절하는

로 설명을

• S-REF 모형은 장애가 발생되어 유지되는 과정에서 인지의 다양한 요소 들 사이에 존재 하는 내적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부적응적 자아지식을 강화시키

거나 유지시키는 조건에 관심을 갖는다.

정보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 S-REF 모형은 정서 행동장애의 수준의 인지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 S-REF 모형에서 처리과정은 구체적 양식과 상위인지적 양식으로 구분되 는데 인지의 재구조화에 시사점을 주고 있는 부분이다.

• 온라인 S-REF 과정은 자아지식에 접근하고자 하며 외적 위협자극에 의 해 발생되는 자동적 처리과정으로부터 방해를 받아서 시작되거나, 부정적 위협

과 관련된 사고를 일으키는 내적 처리과정에 의해 시작 된다.

처리과정에 필요한 지식의 인출을 편향시킴으로써 S-REF 도움을 준다.

• 정서적 정보는

활동을 유지 하는데

• S-REF 모형은 인지적-주의집중 반응의 증후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 증후는 심리적 불안이 자아지향의 주의집중, 부정적 자아신념의 온라인 처리과

정, 근심/명상증, 위협 감시, 적응적 지식의 발달을 방해하는 특별한 유형의 대처

방략 실행 등의 특정을 보인다. 아울러 인지의 상위인지적 자기 조절에서 사고

스타일의 역할이 중요함을 주장했다. 자기조절의 기본 목적은 평가를 안내하고,

위협과 자아 불일치에 대한 대처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지식을 습득하고 편집하

는데 있다.

• 온라인 S-REF 처리과정은 상위인지적 자기조절 기능에 긍정적으로 작용 한다. S-REF 활동은 자료를 현재의 신념에 동화시키거나, 신념을 수정하거나, 처리과정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세움으로써 자아지식으로 피드백 시킬 수 있다.

이상의 검토 결과를 근거로 할 때 S-REF 모델이 주장하고 있는 중요 요소 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인지의 조절과 해석과 관련된 상위인지적 신념은 정서장애의

취약성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정서행동장애의 부적응적 대처 형태와 긍정

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정서행동장애는 부적응적인 상위인지적 사고 통제 방략

의 이용과 관련이 있으며, 부정적 자아처리과정에 고착된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

셋째, 부정적 보존을 이용하는 대처방략은 인지와 자기조절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Page 24: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23권 제 2호)

2. 특수교육적 시사점

지금까지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인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을 고찰

한 결과를 근거로 이 분야의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특수교육 대상으로서의 정서행동장애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현재

정서행동장애 분야의 연구 대상이 자폐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우울증 등 몇

가지 영역에 국한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개념과 정

체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고 질환으로 보고 접근하는 정신과적 접근 외에 체

계적인 특수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질 펼요가 있다. 전반적으로 외현화장애 중심

의 특수교육에서 내변화장애 비행 약물남용 등 그 대상으로 폭을 넓혀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특수교육적 접근이 행동주의적 접근 및 인지-행

동적 접근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접근 방법이 모색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대

상이 다양한 만큼 접근 방식 또한 다양하게 모색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상위인지적

접근 방법의 확대 적용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접근은 주

로 학습 분야에서 이루어졌지만, 정서행동장애 아동들이 모두 중증의 지적장애,

인지장애 및 사고장애를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정서행동장애 분야에서 상위

인지적 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하위장애 영역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이

접근에 의한 특수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구체적인 중재 방략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一 24 -

Page 25: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참고문헌

김경희 (1997). 정서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원호택 외 공역 (2001). 우울증의 인지치료. 서울: 학지사.

장현갑, 이진환, 신현정, 정봉교, 이광오, 정영숙 공역 (2004). 힐가드와 애트킨슨

의 심리학 원론 서울: 박학사.

Bandura, A., & Locke, E. A. (2003). Negative self-efficacy and goal effects

revisite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 87-99.

Beck, A. T. (976). Cognitiu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 ork: Intemational Universities Press.

Bower, G. H. (981). Mood and Memory. American Psychologist, 36, 129-148.

Cartwright-Hatton, S. , & Wells, A. (997). Beliefs about worry and

intrusions: the Metacognitions Questionnaire.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 11, 279-315.

Davies, M. I., & Clark, D. M. (998). Thought suppression produces a

rebound effect with analogue post-traumatic intrusions. Behauiour

Research and Therapy , 36, 571-582.

EmmelKamp, P. M. G. , & Aardema, A. (999). Metacognitive, specific

obsessive compulsive beliefs and obsessive compulsive behavior.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6, 139-146 (Special Issue, Metacognition

and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enigstein, A., Scheier, M. F. , & Buss, A. H. (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 Psycho!ogy, 43, 522-527.

Heward, W. L., & Silvestri, S. M. (2004). The neutr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 W. Jacobson, J. A. Mulick, & R. M. Foxx (Eds.) , Fads:

Dubious and improbable treatments for deuelopmental disabilities.

Mahwah, NJ Erlbaum.

Higgins, E. T. (991).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and person-situation

relations: standards and knowledge activation as a common language.

In: L.A. Pervin (EdJ ,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pp. 301-338). New York: Guilford.

Konopasek, D., & Fomess, S. R. (2004). Research regarding the use of

- 25-

Page 26: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 23권 제 2호)

psychopharmacology in the treat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R. B. Rutherford, M. M. Quinn, & S. R. Mathur (EdsJ ,

Handbook 01 research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New

Y ork: Guilford.

Matthews, G. , Hillyard, E. ]. & Campbell, S. E. (999). Metacognition and

maladaptive coping as components of test anxiety.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 6, 111-126 (Special Issue, Metacognition and

Cognitive Behaviour Therapy).

Mattews , G. , Mohamed, A., & Lochrie, B. (1998). Dispositional self-focus of

atten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ppraisal and coping. In: ].

Bermadez, A.M. Perez, A. Sanchez-Elvira G.K. van Heck (Eds) ,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Vol. 6, (pp. 278-285). Tilburg:

Tilburg University Press.

McNally , R. ]., & Ricciardi, ]. N. (996). Suppression of negative and neutral

thoughts.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24, 17-25.

Nelson, T. 0. , Kruglanski, A. W. , & Jost, T. ]. (998). Knowing thyself and

others: progress in metacognitive social psychology. In: V.Y. Yzerbyt, G.

Lories & B. Dardenne (Eds) , Metacognition: Cognitive and Social

Dimensions (pp. 69-89). London: Sage.

Nelson, O. T., Stuart, R. B. , Howard, G. , & Crawley, M. (999).

Metacognition and clinical psychology: a preliminary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6, 73-80

(Special Issue, Metacognition and Cognitive Behaviour Therapy).

Nelson, T. 0., & Narens, L. (1990). Metamemory: a theoretical framework

and some new findings. In: G.H. Bower (EdJ. The Psychology 01

Learning and M otivation (pp. 125-173). New York: Academic Press.

Purdon, C., & Clark, D. A. (200üa). Suppression of obsession-like thoughts in

non-clinical individuals. Part 1. Impact on thought frequency , appraisal

and mood state (submitted for publication).

Remschmidt, H., & Quaschmer, K. (2001). Psychodynamic therapy. In H.

Remschmidt (EdJ, Psycho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pp.

81-9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alkovski, P. M. , & Campbell, P. (994). Thought suppression induces

intrusions in naturally occurring negative intrusive thoughts. Behaviour

%

ω

Page 27: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Research and Therapy, 32, 1-8.

Schwarz, N. , & Clore. G. L. (988). How do 1 feel about it? Infonnational

function of affective states. In K. Fiedler & ].P. Forgas (Eds), Affect,

Cognition and Social Behaviour (pp. 44-62). Toronto: Hogrefe

International.

Teasdale, ]. D. , & Barnard, P. ]. (993). Æ₩ct, Cognition and Change:

Remodelling Depressive Thought. Hove: Erlbaum.

Waldman, 1. D. , & Lillenfield, S. O. (995).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In M.

Hersen. , & R. T. Ammennan (Eds.) , Advanced abnormal child

psychology (pp. 21-36) Hillsdale, NJ: Erlbaum.

Walker, H. M. , R없nsey , E., & Gresham, F. M. (2004). Antisocial behavior in

school: Strategies and best practices (2nd ed.J. Pacific Grove, CA:

Brooks/Cole.

Wells, A., & Mattews, G. (994). Attention and Emotion. A Clinical

Perspective. Hove: Erlbaum.

Wells, A. (2000). Emotional disorders and Me따cognition: Innovative

cognitive therapy. NY John Wiley & Sons, LTD.

Wells, A., & Matthews, G. (996). Mode1ling cognition in emotional disorder:

The S-REF model.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2, 867-870

Williams, ]. M. G. , Watts, F. N. , MacLeod, C., & Mathews, A. (988).

Cognitive P양cholo양 and Emotional Disorders. Chichester: Wiley.

York, D., Borkovec, T. D. , Vasey, M., & Stern, R. (987). Effects of worry

and somatic anxiety induction on thoughts, emo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5, 523-526.

I논문 접수: 2007. 04. 30. / 수정본 접수: 2007. 06. 11. / 게재 승인: 2007. 06. 18.>

Page 28: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서 · 행동장애연구(제23권 제 2호)

Abstract

Meta-Cognitive Intervention to Emotional-ßehavioral Disorders : Self-Regulatory Executive Function Model

Jung , Dae Y oung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troduce the self-regulatory executive

function(S-REF) based on meta-cognitive approach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domain of education object and diversifying

techniques of teaching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Meta-cognitive intervention to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 a self-regulatory executive function model,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special education:

First, the range of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must be expanded.

Second, various approaches must be explored and applied beyond behavioral

or ’ cognitive-behavioral ’ approach to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Third, a systematic effort must be made to

expand and apply meta-cognitive approach for children with

, emotional-behavioral ’ disorder that has not been given proper attentio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Considering the wide-ranging domains of sub-disorder that can

appropriately apply meta-cognitive functions to the field of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ose approaches

needs to be stimulated even more and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y must be

developed.

Key Words: Meta-Cognition, Schema Theory, Self-Regulatory Executive Function.

-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