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2007. 11. 30.

2007. 11. 30.audio.dn.naver.com/audio/ncr/1378_1/20120808145656356_NA09BC4RX.pdf · 진로교육·상담 경험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2007. 11. 30.

  • • 연구 과제명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 연구기간 : 2007년 1월 ~ 2007년 11월

    • 연구 수행자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연구보조원

    고재성

    이종범

    서현주

    정명진

    박효희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부연구위원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책임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연구조교

  • 차 례 ∙ⅰ

    ❚차 례❚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3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4

    4. 용어의 정의····················································································································7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심리검사 개요··········································································································8

    1) 직업심리검사의 개념 ································································································8

    2) 직업심리검사의 기능·······························································································11

    3) 직업심리검사의 분류·······························································································12

    4) 발달단계에 따른 직업심리검사의 활용···································································16

    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20

    1)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개요········································································20

    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운영 및 활용현황···················································22

    3. 효과성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24

    1) 청소년 직업흥미검사·······························································································24

    2) 청소년 직업적성검사·······························································································26

    3) 직업선호도검사(L형) ································································································29

    4) 성인용 직업적성검사·······························································································33

    4.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 선행연구············································································36

    1) 국내외 선행연구······································································································36

    2) 효과성 측정을 위한 준거변인·················································································37

  • ⅱ∙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Ⅲ. 연구 설계 및 조사도구

    1.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연구 설계······························································40

    1) 청소년 대상 실험 연구····························································································40

    2) 성인 대상 실험 연구·······························································································42

    2.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조사 도구······························································44

    1)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44

    2)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준거변인 설정··················································45

    3) 조사 도구 개발········································································································46

    Ⅳ.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1.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50

    1) 중학생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50

    2) 고등학생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64

    3)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결과 종합················································75

    2. 성인 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78

    1) 대학생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78

    2) 직장인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88

    3) 성인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결과 종합·····················································97

    Ⅴ. 직업심리검사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 직업심리검사 실시 영역·····························································································101

    2. 직업심리검사 실시 환경 영역····················································································106

    3. 직업심리검사 결과 활용 영역····················································································108

    4. 직업심리검사 담당 인력 영역····················································································110

  • 차 례 ∙ⅲ

    Ⅵ. 결론 및 제언

    1. 결 론···························································································································114

    2. 제 언···························································································································117

    참고문헌 ························································································································118

    부록

    [부록1] 청소년용 사전조사 질문지·················································································125

    [부록2] 청소년용 사후조사 질문지·················································································131

    [부록3] 성인용 사전조사 질문지····················································································136

    [부록4] 성인용 사후조사 질문지····················································································143

    [부록5] 직업상담원용 조사 질문지·················································································149

  • ⅳ∙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표차례❚ 국내의 직업심리검사 분류·············································································13

    국외의 직업심리검사 분류·············································································15

    발달단계에 따른 직업심리검사 활용·····························································17

    미국의 진로지도상담 과정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검사도구·····················18

    심리검사 실시 단계························································································19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현재 활용중인 검사) ·····································21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2008년 배포될 신규 직업심리검사) ·············2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별 활용 현황···················································24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의 측정내용···································································25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의 측정 척도·······························································25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의 일반흥미유형별 신뢰도··········································26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일반흥미유형별 상호상관··········································26

    청소년 적성검사의 구성···············································································27

    청소년 적성검사 하위 검사별 신뢰도··························································28

    청소년 적성검사의 적성능력 요인간 상관···················································29

    직업선호도검사 L형 - 흥미검사의 구성·····················································30

    직업선호도검사 L형 - 성격검사의 구성·····················································30

    직업선호도검사 L형 - 생활사 검사의 구성···············································31

    직업선호도검사 신뢰도-흥미검사·······························································31

    직업선호도검사의 신뢰도-성격검사····························································32

    직업선호도검사의 신뢰도-생활사검사························································32

    흥미 요인간 상관·························································································32

    성격 요인간 상호 상관················································································33

    생활사 검사의 구성 요인간 상호 상관························································33

    성인용 직업적성검사의 구성········································································34

    성인용 직업적성검사의 신뢰도····································································35

    성인용 직업적성검사의 적성 요인간 상호 상관··········································35

    중학생 실험 연구 표집 현황··········································································41

    고등학생 실험 연구 표집 현황 ····································································42

  • 차 례 ∙ⅴ

    대학생 실험 연구 표집 현황 ········································································43

    직장인 실험 연구 표집 현황 ········································································44

    청소년용 예비조사도구 구성··········································································46

    청소년용 본조사 도구 구성(사전검사용) ·······················································48

    성인용 예비조사도구 구성·············································································48

    성인용 본조사도구 구성(사전검사용) ····························································49

    중학생 집단의 분석자료 현황········································································51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52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변인 분석········································53

    학업성적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변인 분석·································54

    학교생활 만족도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분석······························55

    진로교육·상담 경험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변인 분석········56

    진로관련 심리검사 경험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변인 분석········56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변인 분석··························57

    중학생 집단별(실험·통제집단)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58

    중학생 집단별(검사방법)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59

    중학생 집단별(결과해석)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59

    직업심리검사 실시여부에 따른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중학생 - 사후검사) ········60

    통제집단의 검사시기에 따른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중학생) ·······················61

    실험집단의 검사시기에 따른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중학생) ·······················62

    직업심리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중학생 - 사후검사) ·····62

    직업심리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중학생 - 사후검사) ·····63

    고등학생 집단의 분석자료 현황 ·································································64

    고등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에 대한 기술 통계···········································65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관련 특성 차이분석······································66

    학업성적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분석····································66

    학교생활 만족도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차이 분석···············67

    진로교육·상담 경험여부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분석··········68

    진로관련 심리검사 경험여부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분석·····68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분석·····························69

  • ⅵ∙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고등학생 집단별(실험·통제집단)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70

    고등학생 집단별(검사방법)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71

    고등학생 집단별(결과해석)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71

    고등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준거변인의 차이분석(고등학생) ····················72

    직업심리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인문계 고등학생)·····73

    직업심리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전문계 고등학생)·····74

    직업심리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인문계 고등학생)·····74

    직업심리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전문계 고등학생)·····75

    대학생의 진로 관련 특성 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78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특성 차이분석···················································79

    연령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특성 차이분석···················································80

    전공만족도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특성 차이분석········································81

    진로관련 심리검사 경험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특성 차이분석············81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특성 차이분석····································82

    대학생 집단별(검사방법)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83

    대학생 집단별(결과해석)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83

    직업심리검사 실시에 따른 사전-사후검사 차이 분석································84

    직업심리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 변인의 차이 분석(대학생) ····85

    직업심리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대학생) ····85

    직업적성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대학생) ·······86

    직업적성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대학생) ······86

    직업선호도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대학생) ·····87

    직업선호도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대학생) ······87

    직장인의 진로 관련 특성에 대한 기술 통계···············································88

    성별에 따른 직장인의 진로특성 차이분석···················································89

    연령에 따른 직장인의 진로특성 차이분석···················································89

    학력에 따른 직장인의 진로특성 차이분석···················································90

    직업만족도에 따른 직장인의 진로특성 차이분석········································91

    심리검사 경험여부에 따른 직장인의 진로특성 차이분석····························91

    직장인 집단별(검사방법)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92

    직장인 집단별(결과해석) 효과성 준거변인 동질성 비교 - 사전검사········93

  • 차 례 ∙ⅶ

    직업심리검사 실시에 따른 사전-사후 검사 차이 분석(직장인) ················93

    직업심리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직장인) ·······94

    직업심리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직장인) ······95

    직업적성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직장인) ·······95

    직업적성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직장인) ······96

    직업선호도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직장인) ·······96

    직업선호도검사 결과해석여부에 따른 효과성 준거변인의 차이분석(직장인) ·······97

    직업상담사 대상 조사 영역, 내용, 문항 수··················································99

    직업상담사들의 일반적 특성········································································100

    선호하는 직업심리검사 실시 방법·······························································101

    직업심리검사 실시 방법별 선호 이유··························································102

    선호하는 수검집단 크기별 검사 방법··························································102

    수검집단 크기별 선호 이유·········································································103

    개인검사 대상별 실시 현황·········································································103

    집단검사 대상별 실시 현황·········································································104

    한국고용정보원 개발 검사 외 검사 사용 여부···········································104

    직업심리검사 실시 영역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105

    검사 실시 환경의 적절성 및 만족도·························································106

    단체 검사 실시와 관련된 문제점 심각성 정도·········································107

    직업심리검사 실시 환경 관련 문제점 및 해결방안 ·································108

    검사 결과의 활용도, 보조자료 만족도, 검사 결과 이해도·······················108

    직업심리검사 개정 필요성 정도································································109

    직업심리검사 결과 활용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110

    직업심리검사 담당 인원 수·······································································110

    직업심리검사 담당 인력의 적절성 정도····················································111

    직업심리검사 관련 업무 전담 여부···························································111

    직업심리검사 담당 업무와 다른 업무간의 우선순위·································112

    직업심리검사 담당자들의 전문성 수준 ····················································112

    한국고용정보원 실시 외 다른 교육참여 경험···········································112

    직업심리검사 담당 인력 관련 문제점 및 해결 방안 ·······························113

  • ⅷ∙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그림차례❚

    [그림 Ⅰ-1] 연구절차별 연구내용 및 방법·······································································6

    [그림 Ⅱ-1]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활용 현황····················································23

    [그림 Ⅲ-1] 청소년 대상 실험연구 도식·········································································41

    [그림 Ⅲ-2] 성인 대상 실험연구 도식············································································42

  • Ⅰ. 서 론 ∙ 1

    Ⅰ. 서 론

    1. 연구 필요성

    개인의 삶에 있어서 진로(career)는 일생 동안에 걸쳐 이루어지는 일이나 직업과

    관련된 총체적 경험과 그와 관련된 지속적인 발달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발달의 과정에서 개인은 필연적으로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선택의 순간에

    직면하게 된다. 인간은 자신이 하는 일을 통해 사회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때문

    에 진로 및 직업의 선택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부여하는 의미와 자신의 삶으로부터

    느끼는 만족감에까지 영향을 미친다(Goodstein, 1972: 김헌수, 2001 재인용). 이처

    럼 개인의 삶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진로선택에 있어 보다 나은 선택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그와 관련된 다양한 진로정보나 상담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개인의 진로선택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 진로지도 영역에

    있어서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이 직업심리검사이다. 직업심리검사란 직업선택

    및 직업생활과 관련되는 다양한 개인의 심리적 속성을 측정하여 직업생활의 과정 중

    에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적합한 직업선택과 조직에 적합한 사람을 선

    발․배치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심리검사이다. 즉, 직업심리검사는 원활한 직업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모든 심리검사를 일컫는다(김한준 외, 2000).

    직업심리검사의 가장 주요한 기능은 자신을 이해하는 하나의 객관적 수단이라는

    점이다(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97). 즉, 자신은 어떤 특성을 갖고 있으

  • 2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며, 무엇을 좋아하는가 등 자기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결국 직업심리검사는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

    하고자 하는 자극을 주며, 동질의 직업적 또는 교육적 집단을 확인하고 다른 집단과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Zunker, 1998; Herr & Cramer, 1996).

    특히 직업진로지도 영역에서 직업심리검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얻고 개인과 직업을 적절히 연결시키기 위한 도구로 꾸준히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직업심리검사가 직업진로지도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라 할 지라도 대부분이 타당화 과정에서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검사도구가 가지고

    있는 양호도를 보여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그 또한 구인타당도와 준거타당도에

    편중되어 있다. 하나의 직업심리검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예언타당도와

    결과타당도에 대한 검증이 선행되어져야 하지만, 연구소요 기간 및 연구대상 선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관련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직업심리검사의 활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들 중 이종범․정철영(2001)의 전국 242

    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직업심리검사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적

    성검사, 지능검사, 성격검사, 흥미검사, 진로성숙도검사 등의 순으로 활용빈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자기 이

    해 및 진로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직업심리검사를 활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자신이 어떠한 전공이나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지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진학 및 취업에 실패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현재 활용되고 있

    는 검사도구의 개발과 활용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정철영․이종범․이성식, 2002)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직업심리검사와 관련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1998년 개발된 직업선호도

    검사를 포함하여 성인용 직업적성검사,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청소년 적성검사 등

    2006년 현재 총 8종의 직업심리검사를 개발 보급하였으며, 2007년에는 청소년 진로

    발달검사, 청소년 직업인성검사를 포함한 5종의 검사를 개발 완료하여 보급할 예정

    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 보급한 직업심리검사 가운데 그 활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청소년 직업흥미검사로 2006년 한 해 동안 30만 명 정도가 수검하였으

    며, 청소년 적성검사는 21만 명, 직업선호도검사는 22만 명 정도가 수검하였다. 이

  • Ⅰ. 서 론 ∙ 3

    처럼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 보급한 직업심리검사의 수검 인원이 연간 80만에 육

    박함에도 불구하고 직업심리검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그 동안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 및 보급하여 현장

    에서 활용되고 있는 직업심리검사 실시 대상 및 방법, 해석 여부 등에 따라 청소년

    이나 성인들의 진로 관련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 및 보급한 대표적인 직업심리검사들이

    개인의 진로선택 및 진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현장에서 직

    업심리검사를 활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 및 보급한 직업심리검사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활용성이 더 높은 검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청소년의 경우 청소년 직업흥

    미검사와 청소년 적성검사이며, 성인의 경우 직업선호도검사(L형)와 성인용 직업적

    성검사를 연구 대상 검사로 설정하였다. 또한 직업심리검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 대상별, 검사 실시 방법별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직업심리검사의 활용에 있

    어서 문제점 및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직업심리검사 대상별 효과를 측정한다.

    - 청소년(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심리검사가 그들의 진로 관련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 성인(대학생,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심리검사가 그들의 진로 관련 특

    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 직업심리검사 실시 방법별, 결과 해석 유무별 효과를 측정한다.

    - 직업심리검사 실시 방법(지필검사, 온라인검사)에 따른 진로 관련 특성의 변

    화에 차이가 있는가?

  • 4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 직업심리검사 실시 후 결과 해석 유무에 따라 진로 관련 특성의 변화에 차이

    가 있는가?

    ◦ 고용지원센터 직업 상담원을 대상으로 직업심리검사 검사 활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 고용지원센터 직업 상담원들이 인식하는 직업심리검사 활용상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에 대한 해결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 직업심리검사의 개념 및 기능과 관련된 고찰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에 관한 고찰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 및 측정 구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

    (2) 실험 연구

    ◦ 청소년(중학생, 고등학생) 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 측정

    - 중학생의 경우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실시, 고등학생의 경우 청소년 직업흥미

    검사, 청소년 적성검사 실시 전후의 진로 관련 특성의 변화 측정

    - 검사실시 방법별(지필, 온라인), 검사 결과해석 유무에 따른 효과 측정

    검사대상 청 소 년

    검사종류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청소년 적성검사

    학교급별 중학생 고등학생 고등학생

    검사방법

    지필검사

    온라인검사 통제

    집단

    지필검사

    온라인검사 통제

    집단

    지필검사

    온라인검사 통제

    집단결과해석 ○ × ○ × ○ × ○ × ○ × ○ ×

  • Ⅰ. 서 론 ∙ 5

    ◦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직업심리검사의 효과 측정

    - 대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직업선호도검사(L형), 성인용 직업적성 검사 실시

    전후의 진로 관련 특성의 변화 측정

    - 검사실시 방법별(지필, 온라인), 검사 결과해석 유무에 따른 효과 측정

    검사 대상 성 인 (대학생, 직장인)

    검사 종류 직업선호도검사(L형) 성인용 직업적성검사

    검사 방법 지필 검사 온라인 검사 지필 검사 온라인 검사

    결과 해석 ○ × ○ × ○ × ○ ×

    (3) 조사 연구

    ◦ 직업상담원들을 대상으로 직업심리검사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

  • 6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2) 연구 절차

    앞서 설명한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절차는 아래 [그림Ⅰ-1]과 같다.

    연구 내용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 고찰

    직업심리검사의개념 및 기능

    직업심리검사 효과성측정 구인 고찰

    직업심리검사 효과성관련 선행연구 분석

    연구 방법

    - 직업심리검사 종류별 특성및 측정구인에 대한 고찰

    - 직업심리검사 효과 측정

    방법 및 내용에 대한 고찰

    문헌 연구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문헌 연구

    - 개발된 조사도구의 타당도및 신뢰도 측정용 예비조사

    조사 연구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를 위한 연구 설계 및 방법 구안

    청소년용 조사도구 :

    실험연구를 위한 도구

    성인용 조사도구 :

    조사연구를 위한 도구

    - 청소년 대상 효과성 측정

    - 대상 : 중학생 및 고등학생

    - 검사 방법 : 지필 및 온라인

    - 성인 대상 효과성 측정

    - 대상 : 대학생 이상

    - 검사 방법 : 지필 및 온라인

    직업심리검사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 도출

    직업심리검사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도출(고용지원센터 직업상담원 대상)

    - 직업심리검사 활용 문제점및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조사 연구

    - 청소년 대상 검사별, 실시방법별 효과성 검증

    실험 연구

    직업심리검사 대상별, 방법별 효과성 측정

    [그림 Ⅰ-1] 연구절차별 연구내용 및 방법

  • Ⅰ. 서 론 ∙ 7

    4. 용어의 정의

    1) 직업심리검사

    직업심리검사는 일반적으로 원활한 직업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모든 심리검사

    를 의미(김한준 외, 2000)하며, 여러 진로 관련 이론에서 그 역할에 따라 다소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심리검사의 범위를 단순히 직업 활동영역

    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전반적인 진로 관련 특성 측정 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것

    으로 정의한다.

    2) 진로 관련 특성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진로 관련 특성이란 검사 대상별 효과성 측정을 위한 구인

    으로 설정한 변인들을 의미한다. 청소년의 진로 관련 특성은 자기이해, 진로성숙, 진

    로탐색행동, 진로미결정, 진로결정효능감을 의미하며, 성인들의 진로 관련 특성은 자

    기이해, 진로탐색행동, 진로결정몰입, 진로결정효능감을 의미한다.

    3)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직업심리검사의 효과성이란 직업심리검사 실시를 통해 나타난 진로 관련 특성의

    변화를 의미한다. 즉, 직업심리검사 실시 전후, 검사 실시 방법별,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 유무에 따른 진로 관련 특성의 변화로 정의한다.

  • 8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심리검사 개요

    1) 직업심리검사의 개념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ing)는 능력, 지식, 지능, 가능성, 적성 등을 측정하여

    미래의 수행이나 성취에 관한 예측을 하려는 목적을 지니며, 이에 따라 직업심리검

    사는 직업선택 및 직업생활과 관련되는 다양한 개인의 심리적 속성을 측정하여 직업

    생활의 과정 중에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적합한 직업선택과 조직에 적

    합한 사람을 선발·배치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심리검사를 뜻한다. 즉, 직업심리

    검사는 원활한 직업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모든 심리검사를 일컫는다(김한준

    외, 2000). 직업심리검사는 여러 진로관련이론에서 각기 다른 역할로 정의되어왔고,

    각자가 기반하고 있는 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발전되어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여러 진로관련이론 중 직업심리검사의 발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특

    성요인이론, 사람-환경 일치이론, 발달이론, 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각 이론에 따라

    직업심리검사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Ⅱ. 이론적 배경 ∙ 9

    (1) 특성요인이론과 직업심리검사

    Parsons(1909)의 의해 제기된 특성요인이론(trait-factor theory)의 이론적 핵심은

    3단계 모델(three-step model)이다. 3단계 모델은 자신에 대한 이해,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 이 둘을 통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말한다(Savickas & Walsh, 1997).

    특성요인이론의 주요한 가정은 개인마다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자신만의 능

    력 및 특성에 대한 패턴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의 평가는 진로상담의

    주요한 영역을 차지하게 되고 개인의 진로결정은 측정된 특성, 특히 능력에 기초하

    게 된다. 이에 따라 개인차의 구명은 진로검사의 주요한 역할로 자리 잡게 된다. 이

    러한 초기 특성요인이론에 따르면 직업심리검사는 각 개인 간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

    해 능력 및 특성을 측정하는 객관화된 검사도구라고 할 수 있다. 특성요인이론이 직

    업심리검사에 미친 영향을 보면 개인차 변인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인터뷰나 자기분석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과정을 시도하였다는 점, 자신에 대한 다양

    한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Zytowski & Swanson,

    1994).

    (2) 사람-환경 일치 이론과 직업심리검사

    사람-환경 일치 이론(person-environment congruence theory)은 특성요인이론의

    논리적 진화로 발생된 이론으로 볼 수 있는데 진로검사관련 이론에서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wanson, 1997).

    첫째, 기존의 특성요인이론에서는 능력과 같은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사람-환경 일치 이론에서는 인지적 과정뿐만 아니라 정의적

    과정에 대한 평가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둘째, 기존의 특성요인이론에서는 양적 검사도구 즉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통한 평

    가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사람-환경 일치 이론에서는 양적 검사도구 뿐

    만 아니라 임상정보를 제공해주는 검사도구와 질적 검사도구를 통해 개인을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한다.

    셋째, 기존의 특성요인이론에서는 객관적 검사도구의 제공과 해석이 상담가의 주

    요한 역할로 설정되어 내담자는 상담과정에서 수동적인 객체로 존재하지만 사

  • 10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람-환경 일치 이론에서는 검사도구의 선정 및 검사도구의 활용을 통한 의사결

    정을 포함한 전반적인 상담과정에서 내담자는 능동적인 주체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사람-환경 일치 이론에서도 특성요인이론과 같이 진

    로의사결정을 위한 정확한 자기이해(self-knowledge)를 강조하고 있다. Holland의

    유형론적 접근이론에서는 개인의 흥미와 성격에 대한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고

    Dawis & Lofquist의 일 적응 이론에서는 일에 대한 만족(satisfaction)과 충족

    (satisfactoriness)을 예측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과 가치관에 대한 평가에 초점을 두

    고 있다(Brown & Brooks, 1996).

    이러한 사람-환경 이론에 따르면 직업심리검사는 직업적 환경의 관점에서 개인이

    적절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능력, 흥미, 가치관 등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라고 할 수 있다.

    (3) 발달이론과 직업심리검사

    발달이론(developmental theory)에서는 연속적 과정으로서의 진로발달이 일생동

    안의 진로탐색기회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진로검사결과에 의해 강화된

    다고 보고 있다(Zuker & Norris, 1998). 발달이론에서는 진로검사를 통해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보다는 일생동안의 진로패턴을 알아보는 것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진로성숙의 측정과 개인사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고 있다.

    최근의 발달이론에서는 진로성숙 뿐만 아니라 장애요인, 불안, 진로와 관련된 인

    지적 요소에 대한 평가에 관심을 두고 있다. 발달이론에서의 진로검사는 개인의 진

    로성숙도 평가뿐만 아니라 진로의사결정의 수준 및 장애요인을 평가하는 것 등을 포

    함하고 있다.

    이러한 발달이론에 따르면 직업심리검사는 개인의 진로발달의 수준을 측정하고 진

    로의사결정의 정도 및 장애요인 등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라고 할 수 있다.

    (4) 사회학습이론과 직업심리검사

    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의하면 직업심리검사는 진

    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학습을 위한 출발 지점을 알아

  • Ⅱ. 이론적 배경 ∙ 11

    보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Krumboltz, 1996). 이에 따라 검사 결과는 내담자가

    교육적 또는 직업적 환경과 어떻게 일치시켜 나가는가를 보기 위해 사용되고 새로운

    학습 경험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활용된다고 보고 있다. 직업심리검사 자체

    가 학습경험에 대해 규정되지는 않지만 내담자가 학습했던 선호도, 기술, 믿음 등을

    확인시켜주며 앞으로 학습해야 할 추가적인 선호도, 기술, 믿음 등을 제공하여 주는

    토대를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사회학습이론에 따르면 직업심리검사는 새로운 학습경험을 촉진하기 위한

    검사도구라고 할 수 있다.

    2) 직업심리검사의 기능

    직업심리검사의 가장 주요한 기능은 자신을 이해하는 하나의 객관적 수단이라는

    점이다(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97). 즉, 자신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으

    며, 무엇을 좋아하는가 등 자기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에 따라, 자신에 대한 이해가 증진하게 되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하

    고자 하는 자극을 받게 되며, 동질의 직업적 또는 교육적 집단을 확인하고 다른 집

    단과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Zunker, 1998; Herr & Cramer, 1996).

    직업심리검사의 두 번째 기능은 진단적인 기능으로서, 개인의 진로탐색․결정․변

    경 등을 방해하거나 문제가 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이다(김성곤,

    2000). 이를테면, 진로결정검사와 진로성숙도검사 등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는데 문

    제가 되는 점이 무엇인지, 어느 부분에서 진로성숙이 부족한지 등을 발견할 수 있으

    며, 이에 따라 적절한 처치, 훈련 등을 통해 그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직업심리검사의 주요한 세 번째 기능은 예측적인 기능으로서, 미래의 학문적․직

    업적 성취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이다(Zunker, 1998; Herr &

    Cramer, 1996). 이러한 기능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사보다는 능력과 관련된 영역

    의 검사에 적용되며, 예언적 기능으로 인해 직업심리검사에서 예언타당도가 중요하

    게 작용한다. 하지만, 여기서 ‘예측’이란 어디까지나 검사의 결과를 개인 간에 상호

    비교하여 확률적인 의미로 앞으로 잠정적 추정하는 것이며(김성곤, 2000), 현재 사

    용되고 있는 지능, 적성, 성취도검사와 같이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는 검사를 받는

    시점에서 개인이 갖고 있는 경험과 능력을 측정하는 것뿐이므로, 미래의 성취가능성

  • 12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또는 성공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제한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직업심리검사의 네 번째 기능은 진로지도․상담 프로그램의 진단 및 평가와 개선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이다. 즉, 직업심리검사를 사용함으로써 진로상담과정

    및 상담과정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부족한 점을 개선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상담이 가능하게 된다(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

    연구소, 1997).

    이밖에도, 어떤 집단의 일반적 경향을 조사하는 등 사회학적, 심리학적 또는 교육

    학적인 연구를 위해 직업심리검사가 사용될 수 있으며(김성곤, 2000), 개인으로 하

    여금 자신에 대한 새로운 시야 또는 새로운 가능성을 갖게 할 수 있다(Nathan &

    Hill, 1992)는 점 등이 직업심리검사의 기능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3) 직업심리검사의 분류

    (1) 국내의 분류

    국내의 몇 가지 선행연구에 따르면 각종 직업심리검사는 여러 준거에 의해서 분

    류할 수 있다. 그 중 표준화 직업심리검사를 분류하는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는 검사

    도구가 인간의 어떤 행동영역을 측정하느냐에 따라 인간의 지적 능력을 검사하는 인

    지적 영역 검사, 인간의 성격, 성향, 태도 등을 검사하는 정의적 영역 검사, 인간의

    신체적인 능력이나 상태를 검사하는 심동적 영역 검사로 나누는 것이다. 한국진로교

    육학회(1999)는 진로지도를 위한 심리검사의 활용을 논의하며 인지적 영역의 검사로

    서 적성검사, 지능검사, 창의성검사를, 정의적 영역의 검사로서 성격검사, 흥미검사,

    태도검사, 가치관검사, 자아개념검사를, 신체적 영역의 검사로서 체력검사와 건강진

    단검사를 제시하였고, 종합적인 검사로서 학업성취도검사와 진로성숙도검사를 제시

    하였다. 또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1997)는 교육에 활용되는 심리검사를

    제시하며 지적 영역의 검사로서 지능검사, 적성검사, 학력검사, 창의성검사를, 정의

    적 영역의 검사로서 흥미검사, 성격검사, 기타 정의적 특성검사(가치관검사, 자아개

    념검사 등)를, 심동적 영역의 검사로서 체력검사, 운동능력검사로 나누어 제시하였

    다.

    또한 윤필중(1971)은 자기이해를 돕기 위해 상담에서 활용되는 검사들을 지능검

  • Ⅱ. 이론적 배경 ∙ 13

    사, 학력검사, 학업적성검사, 직업의 준비와 선택에 필요한 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성격검사로 분류하였다. 김재은(1986)은 지능, 학력, 적성, 성격(흥미, 태도, 기질, 적

    응)검사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임두순(1992)은 학교에서 학생 이해를 위한

    검사로 인지적 영역(지능, 창의력, 적성), 정의적 영역(성격, 흥미, 자아개념), 신체적

    영역(체력, 건강진단) 등의 세 가지 영역의 검사들과 세 영역을 종합한 종합검사(학

    업성취도, 진로성숙도)로 분류하였다. 김병석(1997)은 진로검사를 직업흥미검사, 직

    업가치관검사, 성격검사, 적성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진로의사결정 검사 등으로 분

    류하고 있고 김봉환․김병석․정철영(2000)은 진로검사를 가치관검사, 흥미검사, 성

    격검사, 적성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진로결정검사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를 행동

    유형 측정영역별로 분류하여 종합하면 다음 와 같다.

    구 분윤필중

    (1971)

    김재은

    (1986)

    임두순

    (1992)

    김병석

    (1997)

    서울대

    교육연구소

    (1997)

    진로교육학회

    (1997)

    김봉환 외

    (2000)

    인지적

    영역

    지능검사

    학력검사

    학업적성검사

    직업적성검사

    지능검사

    학력검사

    적성검사

    지능검사

    창의력검사

    적성검사

    학업성취도검사

    적성검사

    지능검사

    적성검사

    학력검사

    창의성검사

    적성검사

    지능검사

    창의성검사

    적성검사

    정의적

    영역

    직업흥미검

    성격검사

    성격검사

    흥미검사

    태도검사

    기질검사

    적응검사

    성격검사

    흥미검사

    자아개념검사

    직업흥미검사

    직업가치관검사

    성격검사

    진로의사결정검사

    흥미검사

    성격검사

    가치관검사

    자아개념검사

    성격검사

    흥미검사

    태도검사

    가치관검사

    자아개념검사

    흥미검사

    가치관검사

    성격검사

    진로결정검사

    신체적

    영역- -

    체력검사

    건강진단검사-

    체력검사

    운동능력검사

    체력검사

    건강진단검사-

    종합적

    영역- - 진로성숙도검사 진로성숙도검사 -

    학업성취도검사

    진로성숙도검사진로성숙도검사

    국내의 직업심리검사 분류

  • 14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2) 국외의 분류

    Betz(1992)는 직업심리검사를 크게 개인차 변인 검사, 진로발달과정 변인 검사,

    진로관련 인지 검사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차 변인 측정도구에는 능력 및

    적성검사, 흥미검사, 요구 및 가치관 검사 등이 있고, 진로발달과정 변인 측정도구에

    는 진로성숙도 및 적응검사, 성인의 진로발달 측정, 진로미결정검사 등이 있으며, 진

    로관련 인지에 대한 측정도구로는 자기효능감 및 진로신념검사 등이 있다.

    Hackett & Watkins(1995)는 직업심리검사를 크게 개인차 변인 검사, 진로발달

    과정 변인검사, 진로관련 인지 검사로 분류하였다. 개인차 변인 측정도구로는 적성

    및 능력검사, 흥미검사, 직업가치관 및 직업요구․진로 돌출 검사(work values and

    needs and career salience) 등이 있고, 진로발달과정 변인 측정도구는 진로의사결

    정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성인진로적응 검사 등이 있으며, 진로관련 인지에 대한 측

    정도구로는 자기효능감 및 진로신념검사 등이 있다. Kapes & Whitfield(1996)는

    직업심리검사를 적성, 성취도, 흥미, 가치관, 진로발달, 성격, 특수집단을 위한 검사,

    종합적인 검사로 분류하였다. 종합적인 검사는 적성 및 성취도와 같은 인지적 영역

    부터 흥미와 가치관과 같은 정의적 영역까지 여러 개의 심리적 행동 및 직업적 행

    동을 합하여 측정하는 검사를 말한다. Isaacson & Brown (1997)는 직업심리검사를

    크게 질적 평가 방법과 양적․객관적 평가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질적 평가방법으로

    는 자기효능감 측정, 역할놀이, 직업카드분류(vocational card sorts), 가계도 분석

    (genogram) 등이 있고, 양적․객관적 평가 방법으로는 직업요구 및 가치관 검사,

    흥미검사, 성격검사, 다중적성검사, 진단적 검사(진로결정, 진로발달, 진로신념 등이

    여기에 속함), 다목적 검사 등이 있다.

    Zunker(1998)는 직업심리검사를 적성검사, 성취도검사, 흥미검사, 성격검사, 가치

    관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카드분류로 구분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다음 와 같다.

  • Ⅱ. 이론적 배경 ∙ 15

    구분 검사 분류

    Betz(1992)

    개인차 변인∙적성 및 능력검사∙흥미검사∙욕구 및 가치관검사

    과정변인∙진로성숙도 및 적응검사∙성인진로발달검사∙진로미결정검사

    진로관련인지∙자기효능감검사∙진로신념검사

    Hackett &

    Watkins(1995)

    개인차 변인 ∙적성 및 능력검사∙흥미검사∙직업가치관검사

    진로과정 변인 평가∙진로의사결정검사∙진로성숙도검사∙성인 진로적응검사

    진로관련 인지 평가∙진로신념검사∙진로 자기효능감검사

    Kapes & Whitfield(1996) 직업심리검사

    ∙적성검사∙성취도검사∙흥미검사∙가치관검사∙진로발달검사∙성격검사∙특수집단을 위한 검사∙종합적 검사

    Isaacson & Brown(1997)

    양적 평가

    ∙직업가치관검사∙흥미검사∙성격검사∙다중적성검사∙진단검사∙다목적검사

    질적 평가

    ∙자기효능감∙역할놀이∙카드분류∙가계도분석

    Zuker(1998) 직업심리검사

    ∙적성검사∙성취도검사∙흥미검사∙성격검사∙가치관검사∙진로성숙도검사∙진로카드분류

    국외의 직업심리검사 분류

    자료:이종범(2001). 고등학교에서의 진로검사 도구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6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우리나라에서는 과 같은 측정 행동영역에 따른 분류가 비교적 자주 사

    용되고 있는 반면에, 와 같이 국외에서는 Betz(1992)가 제시한 개인차 변

    인(individual-difference variables), 진로과정 변인(career-process variables), 진로

    관련 인지(career-related cognitions)의 분류방법이 비교적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

    분류에 따르면, 개인차 변인을 측정하는 검사로는 적성 및 능력검사, 흥미검사, 요구

    검사, 가치관검사 등이 있고, 진로과정 변인을 측정하는 검사로는 진로결정검사, 진

    로성숙도검사, 성인 진로조정(adult career adjustment)검사가 있으며, 진로관련 인

    지를 측정하는 검사로는 진로신념검사, 진로효능감검사 등이 있다(Hackett &

    Watkins, 1995).

    한편, 어떤 특정한 준거에 의한 검사도구의 분류보다는 연구자가 임의로 많이 사

    용되고 있는 검사라든가, 진로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검사를 특정 준거없이 구분하

    여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김봉환․김병석․정철영(2000)은 진로지도를 위해

    알아야 할 개인의 심리적 특성 중 중요한 것들을 선별하여 그에 따라 가치관검사,

    흥미검사, 성격검사, 적성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진로결정검사를 제시하였고, 김성곤

    (2000)은 개인지능검사, 성격(인성)검사, 적성검사를 제시하고 있다. 국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Zunker & Norris(1998)는 능력검사, 성취도검사, 흥미검사, 성격검사,

    가치관검사, 진로발달검사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으며, Gysbers, Heppner,

    Johnston(1998)도 흥미검사, 성격검사, 적성 및 능력검사, 진로신념검사, 기타 검사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는 직업심리검사 자체가 어떤 특정 준거에 의해

    명확하게 분류될 수 없다는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면, 정의적 영

    역을 측정하는 성격검사나 가치관검사 등에도 인지적인 요인, 즉 지능이나 적성 등

    의 요인이 상당한 관련성을 가질 수 있고, 심동적 영역을 측정하는 검사에도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이 상당 부분 포함되고 있으며, 개인차 변인, 진로과정 변인, 진

    로관련 인지 등에 의한 분류가 사실상 모호하다는 등의 이유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4) 발달단계에 따른 직업심리검사의 활용

    일반적인 진로발달단계에 따라 어떤 직업심리검사를 활용하느냐 하는 것은 학교

    현장에서 보다 쉽게 직업심리검사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미국의 경우 각각의 진

    로발달단계에 따라 자기지식, 교육․직업적 탐색, 진로설계에 대한 능력 및 행동전

  • Ⅱ. 이론적 배경 ∙ 17

    략에 대한 수준을 정하여 놓고 각각의 진로발달단계에 따른 차별적 진단을 위한 방

    법으로 직업심리검사를 활용하고 있다(NOICC, 1989, 1998).

    이러한 기준에 따라 진로발달단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직업심리검사의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데, 일례로 Oklahoma Department of Career and Technology

    education의 「Oklahoma's Guidance School-to-Work Model」를 들 수 있다. 이

    를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학년 진로발달단계 해당 진로검사

    K-6 진로 인식

    ∙가족사(Family histories)∙개인사(Personal Narratives)∙흥미검사

    Grade 7~8 진로 탐색∙성취도검사∙흥미검사

    Grade 9~12

    대학 1~2진로 준비 및 확립

    ∙능력검사∙성취도검사∙적성검사∙직업흥미검사∙직업가치관검사

    자료: Oklahoma Department of Career and Technology education(2000). Oklahoma's Guidance School-to-

    Work Model.

    발달단계에 따른 직업심리검사 활용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 해당되는 시기(K-6)를 진로인식단계로 규정하고 표준화 검

    사보다는 가족사 및 개인과 관련된 자료를 작성하여 평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흥미검사의 실시를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중학교 1~2학년 시기에 해당

    되는 시기(K-7,8)를 진로탐색단계로 규정하고 성취도검사와 흥미검사의 실시를 권고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의 중학교 3학년부터 대학 2학년까지를 진로 준비 및 확립단

    계로 보고 능력, 성취도, 적성, 직업흥미, 직업가치관검사의 실시를 권고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의 진로지도 및 상담 과정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들을

    살펴보면 다음 와 같다(Engen et al, 1982; Kapes & Mastie, 2001;

    Watkins & Campbell, 1994). 이를 살펴보면 적성검사와 같은 능력검사보다는 흥

    미․가치관․진로성숙도 검사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 관한 검사도구들을 진로지도

  • 18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및 상담과정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구분 검사명

    적성검사

    ∙DAT (Differential Aptitude Tests)∙GATB (General Aptitude Test Battery)∙ASVAB (Armed Services Vocational Aptitude Battery)

    흥미검사

    ∙SCII/SII (Strong-Campbell Interest Inventory/ Strong Interest Inventory)∙SDS (Self-Directed Search)∙Kuder-DD (Kuder Occupational Interest Survey)∙Kuder C (Kuder General Interest Survey)∙CAsI (Career Assessment Inventory)∙COPS (California Occupational Preference Survey)∙H-O CDM (Harrington-O'Shea Career Decision-Making Systme)∙JVII (Jackson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OVIS (Ohio Vocational Interest Survey)

    가치관검사

    ∙WVI (Work Value Inventory)∙MIQ (Minnesota Important Questionnaire)∙HOOI (Hall Occupational Orientation Inventory)∙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진로발달/성숙도 검사

    ∙CMI (Career Maturity Inventory)∙CDI (Career Development Inventory)∙MVS (My Vocational Situation)

    종합적인 검사도구∙VPI (Vocatioal Preference Inventory)∙WRIOT (Wide Range Interest-Opinion Test)

    미국의 진로지도상담 과정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검사도구

    우리나라의 경우 학교급별에 따라 검사도구의 실시단계를 규정하고 있는 연구자료

    들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 Ⅱ. 이론적 배경 ∙ 19

    구분 학교급 단계 검사도구

    교육부(1994)

    초등학교

    4학년 지능검사5학년 기초적성검사

    6학년 진로성숙도검사

    중학교1학년 창의력검사, 지능검사 2학년 성격검사, 흥미검사3학년 적성검사, 진로성숙도검사

    고등학교1학년

    지능검사, 창의력검사, 적성검사,

    진로성숙도검사

    2학년 성격검사, 흥미검사

    서울시

    교육과학연구원

    (1996)

    초등학교 5~6학년 지능검사, 창의력검사, 학력검사

    중학교1학년 자아개념검사, 집단지능검사, 학습습관검사2학년 적성검사, 성격검사3학년 진로성숙도 검사

    고등학교

    1학년 적성검사, 집단지능검사, 직업흥미검사2학년 진로성숙도검사, 자아개념검사

    3학년 가치관검사, 흥미검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97)

    초등학교

    1~2학년 사회성숙도검사, 지능검사

    3~4학년기초학습기능검사, 창의력검사,

    학습흥미검사,

    5~6학년표준화학력검사, 인성검사, 지능검사,

    흥미검사, 학업적성검사

    중학교1학년 지능검사, 학습습관검사2학년 인성검사, 표준화학력검사, 자아개념검사3학년 진로성숙도검사, 직업적성검사

    고등학교

    일반계1학년 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2학년 자아개념검사, 표준화학력검사3학년 가치관검사, 흥미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실업계

    1학년 지능검사, 직업흥미검사2학년 적성검사, 인성검사

    3학년 가치관검사, 흥미검사

    한국직업능력

    개발원(1998)

    초등학교

    3학년 기초 학습 기능 검사4학년 창의력 검사, 학습흥미검사

    5학년 표준화 학력검사, 성격검사, 지능검사

    중학교1학년

    자아개념 검사, 집단 지능 검사,

    학습습관검사2학년 적성 검사, 성격 검사3학년 진로성숙도 검사

    고등학교

    1학년 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2학년 진로성숙도 검사, 자아개념 검사

    3학년 가치관 검사, 흥미검사

    심리검사 실시 단계

  • 20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이를 종합하면, 초등학교의 경우 주로 지능검사, 학력 및 기초학습기능검사, 학습

    흥미검사의 실시를, 중학교의 경우 지능검사, 성격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적성검사,

    학습습관검사, 자아개념검사의 실시를, 고등학교의 경우 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를

    포함한 흥미검사, 진로성숙도검사, 가치관검사, 자아개념검사, 지능검사, 성격검사의

    실시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준들은 진로발달단계와 같은 일정한 준

    거의 명시 없이 제시되고 있는 등 일반화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1)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개요

    청소년 및 성인 구직자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진로설계와 취업을 지원하고, 급변

    하는 사회구조적 변화와 노동시장의 다변화에 적응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입직을 도

    움으로써 궁극적으로 국가의 고용안정을 도모하고자 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1)은

    1970년대부터 다양한 직업지도를 위한 자료를 개발하여 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직업지도는 ‘직업안정법’ 제4조에서 ‘취직하고자 하는 자의 능력과 소질에 적합한

    직업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시하는 직업적성검사, 직업상담, 실습․권유․

    조언 기타 직업에 관한 지도’로 규정되고 있으며, 특히 이중 자기이해를 돕는 직업상

    담과 직업정보제공이 직업지도의 핵심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직업지도의

    과정에서 직업심리검사는 청소년 및 성인구직자의 자기이해를 돕기 위한 상담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이효남, 2005), 이에 한국고용정보원은 다양한 수요계층의 요구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직업심리검사를 개발하고 이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각종 연구 및 교육을 실시해오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GATB(General Aptitude Test Battery)를 번안하고 표준화하여

    사용하던 초창기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 한국고용정보원은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총 9종(참고)의 직업심리검사를 개발하여 전국의 고용지원센터와 워크넷

    1) 전 국민의 직업 및 진로지도를 위해 1979년 노동부 직업안정소로 개소한 한국고용정보원은 2001년 한국

    산업인력공단 산하 중앙고용정보원으로 그 소속과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05년 12월 고용지원서비스 선

    진화의 강력한 추진을 위해 개정된 ‘고용정책기본법’에 근거하여 독립 기관으로 개원함

  • Ⅱ. 이론적 배경 ∙ 21

    (www.work.go.kr) 및 청소년 워크넷(youth.work.go.kr)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고용정보원은 현재 활용되고 있는 9종의 직업심리검사와 더불어 2008년

    부터는 3종의 청소년 직업심리검사(청소년 적성검사(중학생용), 청소년 진로발달검

    사, 청소년 직업인성검사)와 2종의 성인용 직업심리검사(IT직무 기본역량검사, 영업

    직무 기본역량검사)를 추가적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참고).

    구분 검사명 개요 대상제작

    년도

    소요

    시간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청소년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분

    야에 맞는 학과와 직업을 추천

    만13세 이상~

    만18세 이하 청소년2000 약 30~40분

    청소년

    적성검사

    청소년들에게 자신이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이에 적합한 직

    업추천

    만13세 이상~

    만18세 이하 청소년2003 약 80분

    청소년

    +성인직업가치관

    13개 가치요인별 개인수준을 측정

    하여 현직자 특성과 비교하여 적합

    한 직종을 추천

    만15세 이상

    청소년 ~ 성인2005 약 15~20분

    성인

    직업선호도검사

    (L형/S형)

    성인들에게 흥미와 성격을 진단해

    주고 이에 적합한 직업을 추천만18세 이상 성인

    1998개발

    2000개정

    L형 :60분

    S형 :25분

    적성검사

    성인들에게 어떤 능력이 탁월하며

    적성에 비추어 볼 때 적합한 직업

    추천

    만18세 이상 성인2000개발

    2004개정90분

    구직욕구

    진단 검사

    얼마나 절실하게 취업을 원하는지

    정도(동기)를 측정만18세 이상 성인 1999 약 5분

    구직효율성

    검사

    실업자가 겪는 실직의 충격과 새로

    운 일자리를 찾는 기술 정도를 진

    만18세 이상 성인 2001 약 20분

    직업전환검사

    이․전직 희망자에게 어느 분야로 이․전직하는 것이 유리한 지 알려줌

    만18세 이상 성인

    (신규구직자

    제외)

    2001 약 20분

    창업진단검사

    창업을 하려는 사람에게 창업적성

    과 어느 분야의 창업이 유리한 지

    알려줌

    만18세 이상 성인 2001 약 20분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현재 활용중인 검사)

  • 22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구분 검사명 개요 대상제작

    년도소요시간

    청소년 적성검사

    (중학생용)

    중학생들의 적성능력에 적합한 학과

    를 추천하며 더불어 학생들의 학습

    동기 수준을 측정함

    중1~중3 2006 약70분

    청소년

    진로발달검사

    청소년의 진로발달 수준을 측정하여

    진로발달수준에 적합한 진로설계를

    지원함

    중2~중3 2006 약40분

    청소년

    직업인성검사

    청소년의 성격특성을 측정하여 진로

    선택에 필요한 자기이해를 도움중1~중3 2006 약40분

    성인

    IT직무

    기본역량검사

    IT직 분야를 희망하는 구직자의 인․적성을 측정하여 그 분야에서 성공

    적으로 직무수행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

    만18세 이상

    성인2006 95분

    영업직무

    기본역량검사

    영업직 분야를 희망하는 구직자의

    인․적성을 측정하여 그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직무수행을 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

    만18세 이상

    성인2006 50분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2008년 배포될 신규 직업심리검사)

    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운영 및 활용현황

    (1)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의 운영

    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의 운영은 검사의 개발 및 연구, 검사관리 및

    지원, 검사시행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중 검사의 개발과 개정

    및 검사의 활용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검사의 실시 및 운영

    은 노동부의 전국 고용지원센터에서, 그리고 전체 직업심리검사의 관리와 예산지원

    은 노동부에서 담당하고 있다.(이효남, 2005)

    한국고용정보원의 직업심리검사의 실시와 검사의 결과처리 및 결과해석은 전국고

    용지원센터를 통한 오프라인 서비스와 워크넷(http://www.work.go.kr) 및 청소년 워

    크넷(http://youth.work.go.kr)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2)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2) 현재 워크넷 및 청소년 워크넷을 통해서는 9종의 심리검사가 제공되고 있으며, 신규 개발된 5종의 검사

    는 추후 온라인 검사를 개발한 이후 온라인 탑재할 예정임.

  • Ⅱ. 이론적 배경 ∙ 23

    이 중 온라인 서비스와 관련한 검사 관리 및 운영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오프라인을 통한 검사의 실시와 관리는 전국 고용지원센터를 통해 이루어지

    고 있다.

    전국 고용지원센터를 통한 검사의 실시와 상담은 실제 센터를 방문하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이뤄지거나 중․고등학교 및 대학을 통한 집단 실시와 상담의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의 활용현황

    워크넷 및 청소년 워크넷과 전국 고용지원센터를 통해 실시되고 있는 한국고용정

    보원의 직업심리검사의 최근 3년간의 검사실시 방법별 활용현황은 다음의 [그림 Ⅱ

    -1]과 같다.

    573,291573,291 211,974211,974

    547,112547,112 251,005251,005

    504,007504,007 306,558306,558

    00 200,000200,000 400,000400,000 600,000600,000 800,000800,000

    지필지필

    온라인온라인

    20042004

    20052005

    20062006

    ((년도년도))

    [그림 Ⅱ-1]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활용 현황

    위의 그림을 살펴볼 때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의 활용과 관련한 몇 가지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우선 다변화되고 있는 직업상황과 개인의 특성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가

    등으로 인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의 유형을 모두 포함할 때 전체적으로 검사

    를 실시하는 수검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사의 실시방법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여전히 전체적인 수검자의 수에

    있어서는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의 수검실적이 많은 상황이나, 실시의 편의성과 즉각

  • 24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적인 결과확인, 인터넷 활용 인구의 증대 등의 원인으로 인해 수검자수에 있어서 온

    라인검사는 검사별로 모두 그 실적이 증가되고 있는데 반해 오프라인은 그 수가 감

    소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청소년 성인

    청소년

    적성

    청소년

    흥미

    직업선호

    (L형)

    직업선호

    (S형)

    성인용

    직업적성구직효율성 직업전환 창업진단

    2004년 181,685 330,403 81,455 135,539 24,438 5,249 7,808 18,688

    2005년 199,089 315,651 94,372 121,542 34,193 5,050 9,409 18,811

    2006년 212,227 298,440 92,827 134,980 40,170 4,940 8,419 18,56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별 활용 현황

    그리고 검사별로 살펴보면 청소년과 성인 모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검사는

    직업적성검사와 흥미검사(성인의 경우 선호도검사)임을 알 수 있다. 두 검사의 경우

    특수한 목적이나 상황을 고려한 검사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진로 및 직업계획과 선택

    을 위한 과정 중 본인에 대한 이해를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실시되는 것이기 때문

    에 그 활용도가 다른 특수한 목적이나 상황을 고려한 검사들에 비해서 월등하다고

    할 수 있겠다.

    3. 효과성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

    앞에서 설명한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활용현황을 고려하여 본 직업심리검

    사 효과성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적성검사와 흥미검사, 그리고 성인

    을 대상으로 하는 적성검사와 직업선호도검사(L형)을 효과성 측정을 위해 사용하고

    자 한다. 여기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되는 한국고용정보원 검사도구에 대하여 살펴보

    고자 한다.

    1)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청소년 직업흥미검사는 만 13세부터 만 18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

  • Ⅱ. 이론적 배경 ∙ 25

    도록 개발된 검사로써, 진로 및 직업상담 장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Holland 흥미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본 검사는 개인의 흥미를 Holland의 6가지 흥

    미유형(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진취형, 관습형)과 더불어 이를 보다 구체적

    인 측면에서 13개의 기초흥미로 측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

    흥미 및 기초흥미와 관련된 대표직업 및 학과목록을 제시하여 진로 및 직업설계를

    위한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 흥미유형 기초흥미분야

    현실형 (Realistic) 농림분야, 기계․기술 분야, 사회안전분야탐구형 (Investigative) 과학․연구 분야

    예술형 (Artistic) 음악분야, 미술분야, 문학분야

    사회형 (Social) 교육분야, 사회서비스분야

    진취형 (Enterprising) 관리․경영분야, 언론분야, 판매분야관습협 (Conventional) 사무․회계분야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의 측정내용

    (1) 검사의 구성

    본 검사는 활동, 자신감, 직업의 세 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가지 하

    위척도를 통해 개인별 일반흥미유형과 기초흥미분야를 측정합니다. 흥미를 측정하는

    세 가지 척도는 다음의 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척도명 내용

    활동다양한 직업 및 일상생활 활동을 묘사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문항 활

    동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혹은 싫어하는지의 선호를 측정한다.

    자신감

    활동척도와 동일하게 직업 및 일상생활 활동을 묘사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항의 활동들에 대해서 개인이 얼마나 잘 할 수 있다고 느끼는지의 자신감

    정도를 측정한다.

    직업다양한 직업명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의 직업명에는 해당 직업에서

    수행하는 일에 관한 설명이 함께 제시된다.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의 측정 척도

    (2) 검사의 양호도

    ① 신뢰도

  • 26 ∙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본 직업흥미검사의 신뢰도는 문항 내적합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인 Cronbach-α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과 같다.

    유 형 문항 수 α- 계수

    현실형 21 .9111

    탐구형 21 .9582

    예술형 21 .9041

    사회형 21 .9180

    진취형 21 .9205

    관습형 21 .9092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의 일반흥미유형별 신뢰도

    ② 타당도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의 타당도의 확인은 하위 흥미유형별 상호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과 같다.

    유형이름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진취형 관습형

    현실형 1.000

    탐구형 .454 1.000

    예술형 .112 .205 1.000

    사회형 .237 .155 .373 1.000

    진취형 .131 .267 .434 .507 1.000

    관습형 .245 .170 .299 .536 .408 1.000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일반흥미유형별 상호상관

    2) 청소년 직업적성검사

    청소년의 학업 및 직업진로 결정을 위해 적성분야와 적성강도를 파악하는 과학적

    이고 표준화된 검사로 2002년 개발되었으며, 중학교 2학년 학생부터 고등학교 3학

    년 학생까지 검사를 치를 수 있는 검사이다.

    청소년 적성검사는 성인용 적성검사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상황 판단력’을 제외하

    고 성인용 적성검사와 동일한 10개의 적성요인을 가정하고 있으며, 청소년 적성검사

    는 직업적성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학업 전공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학업적성 정보

  • Ⅱ. 이론적 배경 ∙ 27

    도 제공해 주고 있다.

    청소년 적성검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직업준거는 성인용 직업적성검사에서 조사된

    직업별 적성능력 기준 점수 중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