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환 경 부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환 경 부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Page 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 -

[목차]

Ⅰ. 포럼 개요

1. 2010년 석면환경포럼 소개

2. 2010년 석면환경포럼 개요

3. 2010년 석면환경포럼 프로그램

Ⅱ. 부문별 행사 진행

1. 회의 운영

1-1 개관

1-2 석면환경포럼

1-3 통역사 운영

1-4 총평

2. 커피 브레이크

2-1 개관

2-2 커피 브레이크

2-3 총평

3. 홍보

3-1 개관

3-2 오프라인 홍보

3-3 온라인 홍보

3-4 총평

Page 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4. 등록

5-1 개관

5-2 사전 등록

5-3 현장 등록

5-4 등록 Kit배부

5-5 총평

5. 물자 및 기자재

6-1 개관

6-2 물자

6-3 기자재

6-4 제작․인쇄물

6-5 총평

6. 인력

7-1 개관

7-2 선발

7-3 교육

7-4 현장 배치

7-5 총평

Page 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 -

Ⅲ. 연자발표

1. 비 직업성 석면 피해자에 대한 일본의 구제제도

- 수기오 푸루야 (Sugio Furuya)

Work:

Secretary General

Japan Occupational Safety and ResourceCenter(JOSHRC)

5th fl., Zbldg., 7-10-1 Kameido, Koto-ku, Tokyo,136-0071,Japan

Phone: +81-3-3636-3882, Fax: +81-3-3636-3881

E-mail: [email protected], URL: http://www.jca.apc.org/joshrc/

Education:

Bachelor of Economics,

YokohamaNationalUniversity,Yokohama,Kanagawa,Japan,1979,

Work Experience:

Kanagaw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Center(KOSHC), 1989-1990 Jap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ource Center(JOSHRC), SecretaryGeneral,

1990- Ban Asbestos Network Japan(BANJAN), SecretaryGeneral, 1996-

Organizing Committee of the Global Asbestos Congress 2004 in

Tokyo(GAC2004), 2003-Asian Ban Asbestos Network (A-BAN), Coordinator,

2009-

Academy:

Japan Society for Occupational Health (JSOH)

Japan Society for Labor Law (JSLL)

Accomplishment (book):

Recommendations for shortening working hours, edited by the Study Group on

Working Hours (1987, Dai-ichi Syorin, collaboration)

The workers' compensation scheme in confrontation with challenge for the

worse -- our recommendations, edited by the the Study Group on Workers

Page 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 -

Compensation Scheme (1990, Token Syuppan, collaboration)

Occupational injuries among migrant workers (1991, Kaifu Shobo,

collaboration)

Practical guidance for the Labour Standards Law (1991, Syakai Hyoron Sya,

collaboration)

Discrimination of life -- workers' compensation and health care for migrant

workers (1993, Syakai Shinpo)

(English Article):

Asbestos in

Japan:CountryReport,ProceedingsoftheAsbestosSymposiumfortheAsianCountries,U

OEH,2003

Asbestos in

Japan,InternationalJournalofOccupationalandEnvironmentalHealth,Vol.9,No.3,2003(c

ollaboration)

Page 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 -

2. 석면 제거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과 제도

- 테런스 스토비 (Terrence Stobbe)

Education:

BS Industrial Engineering & Management Science,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

MS Occupational Health & Safety Engineering, U of Michigan, Center for Ergonomics,

Ann Arbor, MI

MS Industrial Health Science, U of Michigan, College of Public Health, Ann Arbor, MI

PhD Industrial & Operations Engineering and Industrial Health Science,

Interdisciplinary doctorate,

College of Engineering and College of Public Health, U of Michigan, Ann Arbor, MI

Major Awards, Committees, and Memberships:

John M. White award for best paper in Respiratory Protection, AIHA

Outstanding Researcher award, College of Engineering, West Virginia U

Outstanding Teaching award, College of Engineering, West Virginia U

Respiratory Protection Technical Committee Chair, AIHA

Ergonomics Technical Committee Chair, AIHA

Board member, American Board of Industrial Hygiene

National Mine Research & Advisory Committee, NIOSH

Experience:

United Airlines, Industrial Engineer

Chevron, Safety Engineer

West Virginia University, Professor & Director, Occupational Health & Safety Engineering

Program

Texas Tech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Embry Riddle University, Professor

Currently, Associate Professor in School of Public Health, U of Arizona

US Coast Guard, Port Safety Officer

Page 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 -

NIOSH, Research engineer

Paper & Presentations:

Over 100 technical papers and presentations o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ubjects

Other:

Numerous consulting activities involving all kinds of organizations including large

companies like Exxon and General Motors, government organizations like OSHA , the US

Navy, and the State Health Department, all the way down to small businesses like

individual office owners. Also involved as an expert witness for all types of

organizations including OSHA, large businesses, and individual plaintiffs

Page 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 -

3. 자연발생석면 - 미국의 현안

- 줄리 로블 (Julie Wroble)

Experiences:

-

9 years as a toxicologist for US EPA Region 10

(States of Alaska, Idaho, Oregon, and Washington).

8-1/2 years working as a consultant, primarily for federal and state

regulatory agencies.

co-chairs of the Asbestos Technical Review Workgroup, a group of US EPA

scientists working on sampling,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issues relating to

asbestos.

Region 10; works include landslides with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Libby

exfoliation facilities, and housing developments contaminated with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completed risk assessments for a chemical weapons incinerator in Oregon, a

pulp mill in Alaska, an industrially-polluted river system, a wood-treating site

in Washington, and several formerly used defense sites.

Education

- BA in Bi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t Rice University

r MS in Environmental Health, Toxicology focu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Misc.

enjoys running, skiing with her family, and working out at the boxing gym.

Page 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 -

4. 중국의 석면 폐기물의 관리현황 및 동향

- 왕싱룬 王兴润 (Wang Xing Run)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holder

of a PhD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from Tsinghua university in 2008.

He is doing research o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waste

and recycling technology, especially in contaminated sites risk assessment and

remediation technology.

5. 석면 분석방법과 한계

- 임호주 (Lim, Ho Ju)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earch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octor

of Public Health

Page 1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 -

Ⅰ. 포럼 개요

1. 2010 석면환경포럼의 배경 및 목적

석면은 물리, 화학적으로 내열, 내마모성, 방음, 단열성 등 좋은 특성을

가진 광물질로써, 값도 저렴하므로 절연체, 충진제, 방직품, 건축자재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며, 약 3,000 종류의 제품이 있다. 건축물에는 화

재방지용 뿜칠재, 벽재, 바닥 타일, 천장재 등에 사용되며, 단열재로 보일

러나 파이프라인에도 사용된다. 그러므로 석면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존재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석면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 중 가

장 위험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석면이 호흡기를 통해 석면에 노출

되면, 10~40년의 잠복기를 거쳐 석면폐증 (Asbestosis), 악성중피종

(mesothelioma) 및 폐암 (Lung Cancer)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며, 이

러한 질병은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노출을 방지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에 연간 8만 톤 이상의 석면이 수입된 것을 정

점으로 원료 수입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나, 반제품이나 원 제품으로의

수입이 증가되었다(김현욱 등, 2006). 우리나라의 노동부에서는 1997년부터

청석면과 갈석면의 수입, 사용을 금지하여 왔으며, 백석면의 경우 2009년

1월부터 수입, 사용을 금지하였다(노동부, 2007).

그러나 과거 부산 석면제품 생산 공장 근로자들이 석면으로 인한 악성중

피종 발병이 밝혀져, 일본의 석면제품 생산공장 주변 주민이 석면으로 인

한 질병 발병(쿠보다 사건)과 같은 사례들이 소개되면서 석면은 사회적 문

제로 대두 되었으며, 2008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실시한 연구를 통해 과

Page 1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9 -

거 석면채취가 이뤄졌던 석면광산 주변을 중심으로 인근마을의 토양이 석

면으로 오염, 인근 주민들의 건강영향평가 결과 흉막반, 석면폐등 석면으

로 인한 건강상 영향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해

당지역은 토양내 자연적으로 석면이 존재하는 자연석면발생지역(NOA,

Naturally Occurring Asbestos)확인되었다.

또한 최근 환경부에서 입법예고 된 석면안전관리법 중 석면해체작업관

리인(Supervisor)등 석면해체․제거작업에 대한 인프라가 거론되었으나, 구

제적으로 그 역할과 활동에 대한 제안이 이뤄지지 않았다.

건축물 및 산업체에서 사용한 석면의 해체·제거 작업으로 인한 석면폐기

물의 증가와 자연발생지역 및 석면광산에서 발생하는 석면폐기물의 처리

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석면피해구제법(2010.3.22)을

제정하여 석면질병 인정자에 대한 의료비 및 생활비 등의 지원제도를 실

시하였다. 또한 석면질병으로 인정되지는 않으나 중장기적으로 석면질환

발병 가능성이 의심되는 자에 대해서는 건강관리수첩을 발급하고 무상으

로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할 예정임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법적 제도

제정은 아래와 같은 국외 사례들을 참조로 진행되었다.

※ 주요국가 관련제도 현황

° 프랑스

·2000년 12월에 석면피해보상기금 설치

·구제대상 질병 : 악성중피종, 원발성폐암, 석면폐, 양성흉막병변 등

° 일본

·2006년 2월에 “석면건강피해구제법”을 제정

Page 1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0 -

·구제대상 질병 : 악성중피종, 원발성폐암

° 네덜란드

·2006년 11월에 석면노출건강피해자 공적보상 발표

·구제대상 질병 : 악성중피종

° 미국 :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통해 보상

또한 자연발생석면(NOA)에 대하여는 2009년 한국환경공단(구환경관리공

단)에서는 광산을 중심으로 한 석면 오염분포를 조사하였으며, 2010년 그

외지역도 점차적으로 조사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외국의

사례를 참조로 하여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조사대상지역, 조사방법,

위해성평가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활동은 2009년 7월에 발표된 관계부처 합동“석면관리 종합대책”

에 따라 석면피해구제 및 예방을 위한 법제도 제정 및 기반구축을 위한

것이며,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시기이다.

특히 석면피해구제법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정착과 자연발생석면(NOA)

지역의 조사 및 관리, 석면해체․제거 작업장 관리, 석면폐기물의 적절한

처리 등을 위해 논의와 합의를 통한 국내 정책 및 선진외국의 사례의 국

내 적용을 위한 토론 등을 통해 석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과업의 목적은 관계부처 합동 「석면관리 종합대책(‘09.7)」에

따라

1. 석면피해 구제 및 예방을 위한 법제도 제정 및 기반구축에 있어 국내

Page 1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1 -

정책을 소개하고,

2. 주요 선진국의 관련 정책 추진현황 공유를 통해

3. 석면 리스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도모하고 국내 정책발전에 기여

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2. 2010 석면환경포럼 개요

본 과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제 석면환경포럼을 개최

하여 국내의 석면 피해 보상 및 예방에 대한 국내 정책의 방향 및 국내에

직면한 석면관련 문제점들에 대한 선진국의 사례 및 관리 현황에 대한 소

개와 토론을 통해 과업의 우수한 성과를 얻고자 한다.

본 과업의 수행 방법은 국제석면환경포럼을 개최하여 진행하며, 과업 수

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국제 석면환경포럼 개최

① 프로그램 구성 및 발표자 섭외 등 지원

국내 석면관계 법제도 추진현황에 맞춰 선진외국의 운영현황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발표 세부주제 선정 및 발표자 섭외(환경부 협의)한다. 행사개요 및 주요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행사개요

○ 행사명 : 국제석면환경포럼(제2차 아시아 환경․보건장관포럼의 부대행

사로 추진)

○ 일시: 2010. 7. 15(목), 13:30~17:30(변동될 수 있음)

○ 장소: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 Jeju)

○ 규모 및 참석대상: 국내외 총 100여명(관계부처․단체․협회, 국내․외

학계, 산업계, 시민단체, 언론 등)

Page 1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2 -

- 주요 발표내용

○ 비 직업성 석면피해자에 대한 일본의 구제제도(일본)

○ 석면 제거 관리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과 제도(미국)

○ 자연발생석면(NOA) - 미국의 현안(미국)

○ 중국의 석면 폐기물 관리현황 및 동향(중국)

○ 석면 분석방법과 한계(국립환경과학원)

○ 질의응답

② 행사기획 및 운영․관리

본 포럼의 행사기획은 전문 행사기관(위탁업체 선정)를 통하여 실시할 예정

이며, 포럼의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문 행사 기관과의 유기적으로 협

조관계를 구성하여 행사를 주최한다. 본 포럼의 행사 기획의 대략적인 내용

은 다음과 같다.

행사 진행 구분 대상자 및 주요 내용

참석대상

․ 정부 : 환경부, 노동부, 국토해양부 등

․ 연구기관 :국립환경과학원, KEI, 대학연구기관 등

․ 관계 전문가 : 석면, 보건, 의학 등의 전문가

․ 석면관련 민간기관 : 석면관련 단체․협회, 시민단체, 언론 등

․ 기타 : 석면관련 업체

주요내용 행사장 배치, 등록데스크 운영, 현수막 설치 등 포럼 행사장 운영․관리

세부내용

※ 회의 기자재, IT관련 회선 및 시설 등 임차, 사무용품, 다과(필요시) 등

포함

- 포럼개요, 진행순서, 발표원고 등을 포함한 자료집 발간(200부)

- 숙박시설 예약․관리(국내외 발표자 등)

- 동시통역․번역 등 서비스 제공, 행사요원 교육․운영 등

- 홍보계획 수립 및 홍보물(브로셔 등)제작․배포, 초청장․메일 발송(각 500부)

Page 1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3 -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13:30~14:00 등 록

14:10~14:20 개 회 사 김현욱 교수(가톨릭대학교)

14:20~14:30 축 사오종극 환경보건정책관

(환경부)

14:30~15:00비 직업성 석면 피해자에 대한 일본의 구제제도

Japanese relief scheme for non-employee asbestos victims

수기오 푸루야 (Sugio Furuya)

Jap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ource Center((JOSHRC)

15:00~15:30

석면 제거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과 제도

Asbestos removal program management - problems and regulations

테런스 스토비 (Terrence Stobbe) (미국애리조나 대학교, University

of Arizona)

15:30~16:00

자연발생석면 - 미국의 현안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 Current Issues in the United States

줄리 로블 (Julie Wroble) (미국 환경보호청, EPA)

16:00~16:20 휴 식

16:20~16:50중국의 석면 폐기물의 관리현황 및 동향

The status and Trend of Management of Asbestos Waste in China

왕싱룬 王兴润 (Wang Xing Run)(중국환경과학연구원

고체폐기물오염공제 연구소)

16:50~17:20

석면 분석방법과 한계

Asbestos Analysis Method and Limitation in

Environment Field

임호주 (Lim, Ho Ju)(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20~17:40 질의․응답 김현욱 교수(가톨릭대학교)

17:40 폐 회

③ 기타 행사의 원활한 진행에 필요한 제반 사항

본 과업을 통해 개최되는 국제 석면 포럼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행사

진행 요원 및 안내요원을 배치하는 등 원활한 진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수

행한다.

3. 2010 석면환경포럼 프로그램

Page 1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4 -

Ⅱ. 부문별 행사 진행

1. 회의 운영

1-1 개관

(1) 기본개요

□ 포럼의 특성에 따라 회의장 레이아웃을 수립하고 구분하는 등 회의

운영 지원

□ 연사의 발표자료 수령 및 회의운영 관련 기자재 등 회의운영에 필수

사항을 점검하여 국내외 주요연사 및 참가자의 불편을 최소화

(2) 고려 사항

□ 정확한 참가 인원을 파악하여 적절한 인력 배치, 이동 공간을 확보하

여 원활하고 효율적인 회의장 운영

□ 회의준비에서 종료에 이르는 체계적인 업무절차 구축 및 그에 따른

적절한 인력배치 및 교육

□ 회의장 조성(기자재, 물자) ⇒ 발표자료 준비 ⇒ 참가자 회의장

착석 안내 ⇒ 회의 운영 ⇒ 회의장 정리

Page 1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5 -

1-2 석면환경포럼

(1) 회의장 조성

<회의장 배치 도면>

□ 무대배치 : 연단 → 패널석(6인)

□ 기자재: 유․무선 마이크 5개

연단모니터 1개

스위처시스템 1식

노트북 2대

□ 좌석배치

ㅇ 교실형(책상, 의자) : 120석

ㅇ 극장형(의자) : 3석

<회의장 운영>

Page 1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6 -

(2) 기자재 및 물자

가. 기자재 구성

□ 회의장 특성에 따라 기자재 및 물자를 배치하여 효율적인 회의 진행

및 최상의 운영기반 마련

□ 노트북, 빔프로젝터 등 주요 기자재는 사전 충분한 테스트 및 점검을

실시하여 원활한 회의운영 지원

□ 빔프로젝터를 관리하는 ICC제주 관리자, 기자재 업체 관리자, 통역업

체 관리자 등 각각의 기자재 관리자가 상주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

및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

나. 물자 운영

□ 사용량이 많은 생수 등은 사전에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회의 시작

전 회의장 입구에서 배포

□ 연사용 생수와 물컵, 명패를 따로 구비하고 연사 입장 전 세팅 완료하

여 착석 유도

□ 회의운영의 원활을 위하여 물자운영 전담 인력을 지정하여 관리체계 유

지 및 효율적인 물자 운영

Page 1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7 -

(3) 업무 진행 절차

가. 사전 준비

□ 회의 운영 투입인력의 준비

ㅇ 참석대상 : 총괄 PCO 1명, 운영요원 3명, 자원봉사자 2명

기자재 테크니션 2명, 통역업체 테크니션 1명

ㅇ 내용

* 회의 전체 구성 및 흐름 교육

* 시나리오 배부 및 시뮬레이션 진행

* 준비사항 점검 및 각자 역할 분담

나. 회의 준비

□ 회의장 구성

ㅇ 연사 좌석 물자 세팅

- 물, 물컵, 명패, 통역 수신기

ㅇ 기자재 세팅 점검 및 통역 수신기 점검

- 빔 프로젝터, 스크린 크기 조절, 연단모니터, 마이크, 통역수신기

채널 점검

ㅇ 개회사, 축사 진행 시 / 연사 발표 시 회의장 조명 변화 점검

ㅇ 회의장 문 개방 및 안내 준비, 각 시설팀 세팅 최종 점검

ㅇ 참가자용 생수 회의장 입구 세팅

Page 2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8 -

□ 발표자료 관리

ㅇ 최종 발표자료를 스크린 송부용 노트북에 저장하고 미수령된

발표자료 수령 및 준비

다. 회의 운영

□ 참가자 안내 담당은 참가자 착석을 유도하고 회의장 밖에 참가자가

남아 있을 경우 입장 안내

□ 회의 시작 후 뒤쪽의 출입문 하나만을 개방함으로써 연사 및 참가자

의 집중력이 분산될 수 있는 요소 제거

□ PCO 담당자는 전체 회의 운영 및 기자재 수시 점검

□ 녹취 담당은 ICC제주 관리실 내에서 회의장 녹취를 관리하며 더불어

각 연사별 발표 시작 시간과 진행 상황 전달

□ 조명 담당은 각 상황별 회의장 조명을 컨트롤하여 원활한 회의 진행

유도

라. 회의장 정리

□ 커피브레이크 시간을 이용해 회의장 내외 정리 정돈 진행

□ 질의응답 시간을 위해 운영요원과 ICC제주 관계자 5명이 패널석, 마이크

설치 및 장내 정리 진행

Page 2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19 -

1-3 통역사 운영

(1) 기본개요

□ 통역 언어 : 영어

□ 송수신 방법 : FM 방식

□ 통역사 : 조재현 통역사, 김유라 통역사

□ 통역부스 : 통역업체의 부스 설치

□ 통역 수신기 : 130개 세팅 및 20개 여유분 구비

(2) 기본방침

□ 경험이 풍부한 전문 통역사를 배치하여 정확한 통역서비스로 참가자

들의 이해도를 증진

□ 연사의 발표자료와 축사등의 사전 전달로 보다 정확한 통역서비스

유도

□ 통역사 관리 인력을 배치하여 비상상황 및 통역사 요구사항 전달

□ 통역관리 전문 테크니션을 상주시켜 철저한 장비 관리 진행

Page 2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0 -

(3) 세부운영사항

가. 통역사 관리

□ 통역사 선정 후 스케줄 조정 및 행사 프로그램․시나리오․발표자료

사전 전달

나. 통역 기자재 관리

□ 통역기자재 전담 테크니션을 배치하여 기자재 사고 예방 및 시스템

등 소요장비 수시 점검

다. 수신기 배포 방법

□ 회의장 세팅 시 각 테이블 위 통역수신기 배치

□ 여유분을 구비하여 수신기에 이상이 있을 시 교체 가능 및 여유

수신기 원하는 참가자에게 배포

라. 통역채널 안내

□ 회의 시작 전 막간화면의 채널 안내페이지를 스크린에 송부하여

참가자들에게 언어 채널 안내

□ 회의 시작 전 막간화면의 채널 안내페이지를 스크린에 송부하여

언어 채널 안내 및 연사 발표 직전 사회자 어나운스 시행

ㅇ CH. 3 : 영어 , CH. 4 : 한국어

Page 2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1 -

1-4 총평

□ 참가자와 연사에게 편리한 행사장이 조성되었고 각 시스템간의

유기적인 조화 및 인력 교육․운영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신속히 제공함으로

써 성공적인 회의 운영이라 평가함

가. 잘된 점

□ 현대적인 회의장과 신식 기자재를 이용함으로써 쾌적하고 편리한

공간 조성

□ 기자재와 통역 전문 테크니션의 상주로 원활한 관리가 가능함

□ 사전 인력 교육과 오전 회의로 현장에서의 업무진행이 매끄럽게

진행됨

나. 미흡한 점

□ ICC제주 소속 기자재 관리 인력의 부족으로 빔 프로젝터 관리의

어려움을 겪음

□ 앞서 오전에 시행된 다른 부대행사로 회의장 조성이 1시간 30분

안에 급하게 이루어짐

Page 2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2 -

2. 커피브레이크

2-1 개관

□ 제주도라는 먼 지역까지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온 참가자들을 위해

ICC제주 내 고급 케이터링 커피브레이크 운영

□ 전체 참가자 수를 고려하여 커피잔이 모자라지 않도록 예산 수립 및 진

□ 편안한 커피브레이크 장 조성을 위하여 커피브레이크 30분전에 세팅

을 완료하고 다른 부대시설 참가자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해 관계자가

커피브레이크 시작 직전까지 상주함

2-2 커피 브레이크

□ 일 시 : 2010. 7. 15(목) 16:10~16:30

□ 장 소 : 삼다홀 앞 로비

□ 구 성 : 커피 & 차 & 쿠키

- 커피잔 100잔 구비

□ 진 행

ㅇ 커피 온수통과 차 온수통 두 대를 구비하여 참가자들의 자유로운

이용 유도

ㅇ 케이터링 관계자가 상주하며 수시로 테이블을 정리함으로써 쾌적한

환경 유지

Page 2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3 -

2-3 총평

□ 참가자 수를 고려한 커피잔 구비로 현장에서 모자람 없이 모든 참가자

가 골고루 커피브레이크 진행

□ 케이터링 관계자가 상주하며 수시로 테이블을 정리하여 쾌적한 커피

브레이크장 조성

<커피브레이크 참고사진>

Page 2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4 -

3. 홍보

3-1 개관

□ 길지 않은 홍보기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TM - 온라인 홍보

- 오프라인 홍보 활동을 체계적으로 진행함

3-2 TM / 온라인 홍보

(1) TM

□ 환경부, 가톨릭대학교, PCO 의 업무분장에 따른 담당별 TM 진행

ㅇ 환경부 : 환경부, 중앙부처 및 산하기관

ㅇ 가톨릭대학교 : 관련학계, 학회 및 협회, 단체

ㅇ PCO : 관련기관, 연구원

□ 유선상으로 석면환경포럼에 관한 홍보 진행 및 온라인 홍보를 위한

담당자 e-mail 주소와 오프라인 홍보를 위한 실제 주소 수령

(2) 온라인 홍보

□ 온라인 홍보를 위한 초청메일 이미지 제작

- 각종 인쇄물을 담당할 디자이너가 직접 제작함

□ TM 진행으로 수령한 각 담당자의 e-mail로 초청메일과 공문, 신

청양식, 석면환경포럼 개최계획서 발송

Page 2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5 -

□ 메일 발송 시 첨부파일로 보낸 신청양식으로 등록 연계 진행

3-3 오프라인 홍보

□ 석면환경포럼 초청장 발송

ㅇ 대상 : TM, 온라인 홍보를 통해 참가를 확정지은 참가자 및

그 외 관련 학계인사, 기관 등

ㅇ 발송기관 수 : 57

ㅇ 총 발송 부수 : 250부

* 발송부수 중 140부는 PCO측이 수령하여 현장등록 배포용으로

보관함

3-4 총평

□ 환경부와 가톨릭대학교, PCO의 업무분장으로 원활한 홍보 활동이

진행됨

□ 짧은 시간 내 이루어진 홍보였으나 체계적인 순서를 거쳐 목표한

참가자 수 (100명) 모집이 가능했음

□ 활발한 홍보와 그에 따른 문의사항의 빠른 피드백으로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높임

Page 2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6 -

붙임-1 초청메일 이미지

Page 2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7 -

연번 받는 사람(기관) 주소 우편번호발송

부수

1 이지영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1번지 정부과천청사 환경부

생활환경과427-729 40

2한국환경공단

석면관리팀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 한국환경공단 404-708 10

3 김대종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505번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137-701 5

4 (재)한국의류시험연구원 서울 동대문구 용두2동 232-22호 130-823 1

5한국환경보건

안전과학연구소

서울시 성북구 정릉3동 산1번지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진리관 406호136-703 1

6대구한의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경상북도 경산시 유곡동 290 대구한의대학교 종합과학관 3 712-715 1

7ISAA석면분석

전문연구소충북 충주시 칠금, 금릉동 329-5 380-964 1

8 에이렉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 2가 74-3, 2층 140-012 1

9 ETS 컨설팅 서울 강남구 역삼1동 798-30 현진빌딩 6층 135-930 1

10 SGS Testing Korea 서울 용산구 갈월동 98-38 청룡빌딩 4층 SGS 140-807 1

11 국제환경컨설턴트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713 현대벤처빌 1405 135-539 1

12 아토스 석면컨설팅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가 326 상지빌딩 705호 100-846 1

13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8가 88-2 150-038 1

14 우리환경컨설팅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689-9 203호 461-831 1

15 진성연세모두병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60-1시그마3 B/D 463-070 1

16 (주)한국보건환경연구소 서울시 성동구 성수2가 309-148 협성빌딩 602호 133-827 1

17 ㈜석면환경컨설팅 광주시 서구 서창동(풍암동) 945-5번지 1 층 10 502-832 1

18 건자재시험연구원 서울 서초구 서초3동 1465-4 137-073 1

19 한국광물자원공사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흥대로 79 한국광물자원공사 156-706 1

20 이오컨벡스 부산지사 부산시 해운대구 재송동 1309 센텀IS타워 1608호 612-050 140

21 한국광물학회 경남 진주시 가좌동 900.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 내 660-701 1

22 대한산업의학회서울 서대문구 성산로 250(신촌동 13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업보건연구소120-752 1

23 한국산업위생학회부산시 금정구 부곡 3동 9번지 부산 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대학 산업보건학과609-817 1

24 한국산업위생학회 부산시 진구 개금2동 인제의대 2층산업의학과의국 614-735 1

25 한국산업위생학회 서울 용산구 청암동 한국노동조합총연맹 168-24번지 140-050 1

26 화학물질관리협회 서울 서초구 서초동 1623-2 우일빌딩 35 137-070 1

27 전국석면환경연합회 서울시 관악구 남현동 1061-17 지산빌딩 301호 151-801 1

붙임-2 초청메일 이미지

Page 3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8 -

28 전국석면환경협회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2가3동 284-9 성수빌딩 5층 133-120 1

29 한국생활환경학회서울 성동구 행당동 17번지 한양대학교

한양종합기술연구원 1층 105-3호133-791 1

30 (사)한국실내환경학회 서울 성동구 홍익동 298 이노피스 302호 133-030 1

31 한국석면협회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193-16번지 동아빌딩 4층 120-825 1

32 소비자시민의모임 서울 종로 신문로 2가 89번지 27호 피어선빌딩 603호 110-761 1

33 시민환경연구소 서울 종로 누하동 251 110-806 1

34 환경보건학회 서울 종로구 연건동 28번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내) 110-744 1

35 연세대학교 예방의학회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번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대한예방의학회120-752 1

36 재해통계분석팀 인천시 부평구 구산동 34-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층 430-120 3

37 백남원 교수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 220 보건대학원 151-015 1

38 백도명 교수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 221 보건대학원 151-015 1

39 김동일 교수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300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440-746 1

40 강동묵 교수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부산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626-776 1

41 김인아 교수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33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301-721 1

42 김용배 교수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 1174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420-767 1

43 김정숙 교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410-820 1

44 박형욱 교수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25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120-749 1

45 안연순 교수 경상북도 경주시 석장동 707 번지 동국대학교 산업의학과 780-714 1

46 이용진 교수충남 천안시 동남구 봉명동 23-20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석면폐질환 환경보건센터330-721 1

47 황진연 교수부산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98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609-735 1

48 이효민 연구원부산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99 부산대학교

지질재해산업자원연구소 609-735 1

49 하미나 교수 충남 천안시 안서동 산 29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330-715 1

50 김선준 교수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17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133-871 1

51 윤충식 교수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 221 보건대학원 151-015 1

52 이기영 교수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 221 보건대학원 151-015 1

53 노열 교수광주시 북구 용봉동 300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500-757 1

54 김진욱 교수 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250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120-749 1

55 김종국 변호사 서울시 종로구 내자동 223 세양빌딩 김&장법률사무소 110-720 1

56 박일호 의원 서울시 종로구 내자동 224 세양빌딩 김&장법률사무소 110-720 1

57 박종원님 서울시 서초구 양재천길 131 한국법제연구원 137-890 1

Page 3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29 -

4. 등록

4-1 개관

□ 사전등록을 기본으로 하는 회의로 사전 온라인 신청서 접수 현황을

바탕으로 전체 참가자 수와 커피 브레이크 인원 등 행사 구성에 필요한

인원 수를 산정

□ 현장 등록을 원하는 참가자를 대비하여 ID카드 발급용 기자재를 준

비하고 카드 여분을 구비함

4-2 사전등록

□ 온라인 신청서 접수

ㅇ 홍보 진행시 송부한 등록 신청서를 e-mail 접수 진행

* 수령처 : PCO, 환경부 측 공동 수령 후 취합

ㅇ 사전등록자에게 등록이 안전하게 진행되었다는 답장을 보내어

컨펌레터를 대신함

□ 오프라인 신청서 접수

ㅇ 홍보메일에서 등록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팩스로 보내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사전등록 진행

□ 사전등록자 현황 : 국내참가자 97명 사전등록 완료

Page 3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0 -

4-3 현장등록

□ 등록기간 중 미등록 및 데이터 오류 등으로 등록정보가 누락된 참가

자를 대상으로 현장등록 진행

ㅇ 기타 관련 학회 및 협회, 관련기관 미등록 참가희망자를 대상으로

기본 정보를 수령한 후 현장등록 진행

□ 현장등록자 현황 : 국내참가자 36명 현장등록 완료

4-4 등록 kit 배부

(1) 등록데스크 위치

□ 등록데스크는 참가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삼다홀A 출입구 앞으로 배

<등록데스크 위치>

Page 3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1 -

(2) ID카드 및 kit 배부

□ 등록 체계

ㅇ 사전 등록 여부 확인

* 사전등록자의 경우 : 해당 ID카드와 kit (발표자료집, 브로셔, 초청장) 배

* 현장등록자의 경우 : 명함 혹은 신청서 수령 -> ID카드 발급 및 kit 배부

□ kit 배부

ㅇ 구성 : 석면환경포럼 발표자료집, 초청장, 브로셔 배부

ㅇ 배부대상 : 사전등록자와 현장등록자 전체 배부

4-4 총평

□ 현장등록자를 위한 ID카드와 kit 여분을 준비하여 현장에서도 모자람

없이 배부가 가능함

□ 운영요원과의 사전회의와 교육의 효과로 막힘없이 등록이 진행됨

Page 3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2 -

빈이름 소속 직책 연락처 메일주소

1 강혁재 연세대학교 연구원   [email protected]

2 고문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기준과 010-9017-4253 [email protected]

3 김균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토양화학과 010-2845-6422 [email protected]

4 김도식 한국의류시험연구원 신뢰성표준연구센터장 010-7404-7475 [email protected]

5 김동오 한국환경공단 석면관리팀    

6 김동일 .. 교수 010-5267-3211 [email protected]

7 김동진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주무관   [email protected]

8 김세훈 전북대학교   010-3164-7859 [email protected]

9 김수주 국토해양부 건축기획과 010-2632-8042 [email protected]

10 김수진 대한민국학술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010-2993-3622 [email protected]

11 김연주 대구지방환경청 환경관리과 010-2624-7615 [email protected]

12 김용배 순천향석면폐질환센터     [email protected]

13 김은주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원    

14 김재환 낙동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장 010-9809-8344 [email protected]

15 김정만 (사) 대한석면관리협회 (회장)/ 동아대학교 011-870-2915 [email protected]

16 김중진 한국환경공단 석면관리팀 대리    

17 김진욱 연세대학교 교수   [email protected]

18 김치년 (사) 대한석면관리협회 (사무총장)/연세대학교 010-3342-4042 [email protected]

19 김태헌 제주 환경자원연구원 환경산업경영연구부   [email protected]

20 김혜태 한국환경공단 석면관리팀장    

21 맹경태 금강유역환경청 측정분석과 010-8812-6778 [email protected]

22 박성준 한국환경공단석면피해구제센터

준비팀 대리   

23 박찬호 순천향석면폐질환센터     [email protected]

24 박충서 한국환경공단석면피해구제센터

준비차장   

25 박헌규 한국환경공단석면피해구제센터

준비팀장   

26 백윤정(주) 피앤티디

인간공학연구소  017-207-6578 [email protected]

27 최용준 SGS Korea 이사 010-5069-7155 [email protected]

28 손근용 현대건설㈜ 과장 010-3328-9108 [email protected]

29 손상진 한국환경공단 연구개발본부장    

30 손영걸 한국환경공단 석면관리팀    

붙임-1 사전등록 리스트

Page 3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3 -

31 송상택 제주 환경자원연구원 환경산업경영연구부   [email protected]

32 송석환 중부대학교 교수 010-3409-9313 [email protected]

33 송윤수 티케이석면환경㈜   010-9694-3888 [email protected]

34 신광선 상록환경위생(주) 대표이사   [email protected]

35 신준수 식품의약품안전청   017-209-1706 [email protected]

36 심상효 (사) 대한석면관리협회(사무차장)/한양대학교

병원010-3342-4042 [email protected]

37 안연광 환경부 생활환경과 사무관 010-7933-8883  

38 안종주 전국석면환경연합회   011-9741-4322 [email protected]

39 안치성 에이피텍(주)   010-3729-2433 [email protected]

40 양승 국토해양부 건축기획과 010-4607-3736 [email protected]

41 양영환 제주 환경자원연구원 환경산업경영연구부   [email protected]

42 연경의 ㈜KCC     [email protected]

43 오종극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국장)    

44 오승배 충남도청 복지환경국 환경관리과 011-9801-9436 [email protected]

45 우재언 한국환경공단 생활환경팀 과장    

46 위영오 (사) 대한석면관리협회 (기술위원) 010-3342-4042 [email protected]

47 유장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032-503-6997 [email protected]

48 유혜영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센터   [email protected]

49 윤영주 (주)ISAA환경컨설팅 전무   [email protected]

50 윤정인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센터   [email protected]

51 이경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010-3518-4060 [email protected]

52 이광식 (사) 대한석면관리협회(부회장)/

ETWO산업환경010-9961-6322 [email protected]

53 이나경 한국환경공단 석면관리팀 대리    

54 이방희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토양화학과 010-2649-2633 [email protected]

55 이상준 충남도청 복지환경국 환경관리과 019-9180-1887 [email protected]

56 이선규 한국환경공단 생활환경팀 차장    

57 이승헌 FEI Company   010-5447-7971 [email protected]

58 이영기 환경부 생활환경과장 010-5699-9480  

59 이영수 충남 홍성군청 환경관리과 011-426-2764 [email protected]

60 이영열 ㈜KCC      

61 이용진 순천향석면폐질환센터     [email protected]

62 이장혁 SGS Korea 과장 010-8366-3153 [email protected]

63 이주영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원    

64 이지영 환경부 생활환경과 주무관 010-2314-2041 [email protected]

65 이창환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email protected]

66 이헌진 SGS Korea 대리 010-2729-0231 [email protected]

Page 3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4 -

67 이현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 017-603-1132 [email protected]

68 이호열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과 010-5526-2402 [email protected]

69 임병무 한국환경공단 녹색산업진흥처장    

70 임중근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과 011-9502-0836 [email protected]

71 임지은 (주)환경시설관리공사   010-3238-6268 [email protected]

72 임호주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73 장공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email protected]

74 장은철 순천향석면폐질환센터     [email protected]

75 전기석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팀장   [email protected]

76 정연국 산림청 산지관리과 011-259-2471 [email protected]

77 정영대 환경부 생활환경과 사무관 011-9719-0384  

78 정원상 대구지방환경청 환경관리과 010-3321-3951 [email protected]

79 정현성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원    

80 조석연 한국환경공단석면피해구제센터

준비팀 과장   

81 조성준 환경부 생활환경과 사무관 010-7182-4056  

82 조연주 티케이석면환경㈜ 대표이사 010-7138-9292 [email protected]

83 조영래 한국환경공단석면피해구제센터

준비팀 대리   

84 조영우 (주)ISAA환경컨설팅 대표이사   [email protected]

85 조형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 010-9651-1407 [email protected]

86 좌달희 제주 환경자원연구원 환경산업경영연구부   [email protected]

87 진원기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사무관   [email protected]

88 최성호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원    

89 최아름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원    

90 최예용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집행위원장    

91 최용준 SGS Korea 이사 010-5069-7155 [email protected]

92 최재웅 환경부 생활환경과 주무관 010-2282-9633  

93 최진범 경상대학교   010-4586-1180 [email protected]

94 최효성 (사) 대한석면관리협회 (기술위원)/JM건설산업 017-217-6009 [email protected]

95 현성수 제주 환경자원연구원 환경산업경영연구부   [email protected]

96 홍석우 낙동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010-2802-4714 [email protected]

97 황경숙 한경대학교   010-8466-8744 [email protected]

Page 3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5 -

빈이름 소속 직책 연락처 메일주소

1 박화미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연구교수 02-2220-0692 [email protected]

2 황용식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석면중 피종연구센터사무국장/연구교수 019-591-9692 [email protected]

3 김성주 제이엠 대표이사 011-741-6681 [email protected]

4 국 훈 전남대학교 의과 대학 교수 82-10-3601-6645 [email protected]

5 황동진 일산건설 대표 010-9990-0091 [email protected]

6 김대선 NIER   016-768-4063 [email protected]

7 정준식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원 010-3212-0850 [email protected]

8 송우근 ISAA환경컨설턴팅 부팀장 010-5676-4296 [email protected]

9 권상철 이앤에이월드 이사 영업관리부 011-302-0906 [email protected]

10 이석기 동일시마즈주식회사   010-6315-5541 [email protected]

11 이재형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센터장 010-6273-9137 [email protected]

12 최윤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010-4707-9208 [email protected]

13 권지운 KOSHA 연구원/과장 011-762-4048 [email protected]

14 구동철 양산부산대학교병원 팀장 010-2550-2129 [email protected]

15 허솔지 KBS제주방송총국 보도국 기자 010-7142-0206 [email protected]

16 박정원 신화금속 제주지역본부장 010-4593-2299 [email protected]

17 유승진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 사무국장/기술사 010-3903-1251 [email protected]

18 호문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원 010-2029-4021 [email protected]

19 김선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건설팀 차장 017-380-4351 [email protected]

20 최봉인 한국환경공단 팀장 010-7620-8714 [email protected]

21 김호준 은하수산업   010-3757-3510  

22 이영준 제주특별자치도 생활환경과   016-691-6391 [email protected]

23 고철루 제주특별자치도 생활환경과   010-9604-2619 [email protected]

24 서민아 환경부 생활환경과      

25 장원석 ㈜ ISSA 환경 컨설팅   010-4046-7982 [email protected]

26 서동아 전남여수시청 도시미화과   010-6625-8383 [email protected]

27 최재홍 이앤에이월드   032-432-2047  

28 김성현 이앤에이월드   032-432-2047  

29 강승백 이앤에이월드   032-432-2047  

30 고지혜 이앤에이월드   032-432-2047 [email protected]

31 남계원 강원 정선군 환경산림과   010-3760-4236 [email protected]

32 김민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010-2940-5120 [email protected]

33 임병무 한국환경공단 처장 010-2514-5314 [email protected]

34 손상진 한국환경공단 연구개발본부장 010-9681-0411 [email protected]

35 배효수 ㈜석면환경컨설팅   062-654-6567 [email protected]

36 이송의 ㈜석면환경컨설팅   062-654-6567 [email protected]

붙임-2 현장등록 리스트

Page 3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6 -

5. 물자 및 기자재

5-1 개관

□ 포럼의 형식에 맞추어 물자와 기자재 사전 구비 및 현장 조달

5-2 물자

(1) 회의장

가. 연사

□ 연사용 명패, 생수, 컵, 통역 수신기 세팅

나. 일반 참가자

□ 일반참가자용 생수는 회의장 입구에 배치해 입장 시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가지고 갈 수 있도록 유도함

□ 통역 수신기는 전체 테이블에 1인 1개로 사전 세팅 완료

<연사용 물자 세팅 참고 사진>

Page 3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7 -

(2) 등록 데스크

가. 등록 진행용

□ 각종문구류, ID카드 및 여유분, 현장발급용 A4 용지 등 세팅

나. kit 배부용

□ 발표자료집, 브로셔, 초청장 세팅

<등록데스크 세팅 참고 사진>

5-3 기자재

(1) 회의장

□ ICC제주 사용 기자재

ㅇ 유․무선 마이크 5개, 빔 프로젝터, 스크린

Page 4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8 -

□ 기자재 렌탈업체 발주 기자재

ㅇ 발표자료, 막간화면 호환용 노트북 2대, 스위쳐시스템 1식

□ 통역관련 기자재

ㅇ 통역부스1식, 통역시스템1식, 통역 수신기 150개

(2) 등록 데스크

□ 현장등록 ID카드 발급용

ㅇ 노트북 1대, 프린터 1대

(3) 진행

□ 회의장 기자재 세팅 시작 시간 30분 전부터 대기하여 기자재 세팅 가능

시간에즉시전기자재세팅을진행하고, 등록데스크의경우는세팅시간 30분 전미

리세팅을진행하여업무를시작함

5-4 인쇄 ․ 제작물

(1) 인쇄물

가. 초청장

□ 사전 홍보를 위한 초청장을 기획․제작함

□ 초대의 글과 포럼 개요, 오시는 글 등 사전 홍보가 될 컨텐츠 삽입

Page 4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39 -

□ 초청장 인쇄 후 정부 기관, 관련 학회 및 협회, 관련 기관에 우편 송부

<초청장 시안>

Page 4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0 -

나. 브로셔

□ 최종 확정된 프로그램과 연사 정보 등이 기재된 브로셔를 제작 및

인쇄하여 현장에서 배포

<브로셔 시안>

Page 4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1 -

6. 인력

6-1 개관

□ 2010 석면환경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하여 진행인력 분야별 전문

인력을 확보

ㅇ 진행인력은 포럼기간 중에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를

미리 배정하고 사전, 현장에 걸친 철저한 교육으로 효율적으로 운영

ㅇ 인력배정 시 업무경험, 외국어, PC 사용 가능자 등을 고려

6-2 선발

(1) 모집

□ 현장 운영요원

ㅇ 모집기간 : 6. 15 (화) ~ 6. 30 (수)

ㅇ 공고대상 : 제주 소재 대학교, 관련 사이트 등

ㅇ 접수방법 : e-mail로 “운영요원 지원서” 접수

ㅇ 모집인원 : 4명 지원서 수령

- 제주지역 거주자 : 3명

- 서울지역 거주자 : 1명

Page 4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2 -

(2) 선발

□ 제주지역 거주자 중심으로 선발

□ 서울지역 거주자의 제주 업무가능 여부 파악 결과 교통비 지원없이 곤란

을 표시해 최종 선발에서 제외

ㅇ 운영요원 : 3명 최종 선발

ㅇ 자원봉사자 : 본행사에서 자원봉사자 지원 가능 확인

6-3 교육

(1) 개요

□ 사전교육을 통해 사명감 고취 및 현장지원 서비스 마인드 수립, 명확

한 임무 부여로 효율적인 행사 진행

ㅇ 운영요원을 대상으로 사전 온라인교육과 현장 전체교육, 업무

시뮬레이션 진행

ㅇ 현장 지원 자원봉사자에게 현장 전체교육, 업무 시뮬레이션 진행

(2) 온라인 교육

□ 사전 온라인 교육

ㅇ 일시 : 7. 7 (수)

Page 4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3 -

ㅇ 대상 : 운영요원 3명

ㅇ 내용 : 전체 행사 계획 및 업무 개요, 구비 서류 등

(3) 오프라인 교육

□ 현장 교육

ㅇ 일시 : 7. 15 (목) 08:30 ~ 11:30 (3시간)

ㅇ 대상 : 운영요원 3명, 자원봉사자 2명

ㅇ 내용 : 최종행사 개요 및 상세 내용, 각 업무 교육 및 시뮬레이션,

행사장 시찰 등

6-4 현장배치

□ 등록

ㅇ 사전등록데스크 : 운영요원 2명 배치

ㅇ 현장등록데스크 : PCO 지원인력 1명 배치

□ 회의장

ㅇ 자원봉사자 1명이 회의장 전체 녹취를 관리하며 참가자 착석 안내

및 연단 이동 업무 담당

ㅇ 자원봉사자 1명이 참가자 착석 안내 및 연단 이동, 각종 물자 조달

업무 담당

Page 4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4 -

ㅇ 운영요원 1명이 회의장 조명을 관리 및 현장등록 보조 업무 담당

ㅇ 기자재 테크니션 2명이 상주하며 막간화면 송부 및 각종 기자재

관리 업무 담당

ㅇ 통역 시스템 테크니션 1명이 상주하여 녹취 및 통역기 관리 업무

담당

6-5 총평

□ 두차례에 걸쳐 진행된 교육으로 진행인력의 책임감 및 자긍심 고취

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에 상응하여 현장에서 진행인력의 열의가 돋보임

□ 제주도라는 지역의 한계로 운영요원이 예상보다 적게 모집되어 무리

한 업무 배치를 계획하였으나 본행사의 자원봉사자 지원과 각 기자재

테크니션의 활동으로 원활한 행사가 진행되었음

Page 4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5 -

붙임-3 운영요원 모집 공고

<석면환경포럼 운영요원 모집> 석면피해구제 및 예방을 위한 석면환경포럼이 아시아 환경보건장관포럼과 함께 제주국제컨벤션센타에서

열립니다.

석면환경포럼의 원활한 행사 진행에 필요한 행사 운영 인력을 다음과 같이 모집하오니 관심 있는 여러

분의 적극적인 참여 바랍니다.

<행사개요>

포럼명 : 석면환경포럼

1)일시 : 2010년 7월 15일(목)

2)장소 :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ICC JEJU)

3)주관 : 환경부

4)주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5)규모 : 국내··외 인사 150여명

<모집안내>

1)모집구분 : 운영요원

2)모집인원 : OO명

3)모집분야 및 근무기간

- 등록, 회의장

- 7월 15일(목) 08:00~19:00 (변경가능)

4)근무조건

- 교통비는 제공하지 않음

- 중식제공

- 사전교육 1회 진행 예정이며, 반드시 참석해야 함

(사전 교육일은 추후 통보)

5)자격요건

- 전시회 및 국제회의 有경험자 우대

- 제주지역 출퇴근 가능자

<지원방법>

1)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사진1부 포함)

- 첨부된 지정서식 사용

- 파일명에 지원자 이름 반드시 기재

예) 석면환경포럼운영요원지원서_홍길동.doc

- 유사 행사 경험이 있을 경우 명확히 기재

2)제출방법 : e-mail을 통한 온라인 접수

3)제출처 : [email protected]

Page 4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6 -

<선발일정 및 계획>

1)서류심사 마감일 : 2010년 6월 30일

2)서류심사 발표일 : 2010년 6월 30일

3)면접 : 서류 합격자에 한하여 개별 통보

4)발표방법 : 최종 합격자에 한하여 개별 통보 (e-mail 또는 유선 연락)

5)담당자 : ㈜이오컨벡스 장정아 (e-mail: [email protected])

* 문의 사항은 가능한 이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Page 4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7 -

붙임-4 운영요원 지원서

[인 적 사 항]

사진

성명 국문영문

주민등록번호E-mail전화번호 자택

휴대폰주소

[학 력 사 항]학교명 전공/부전공 졸업/ ○학년

[특 기 사 항]외국어 1) 상 중 하

2) 상 중 하공인 어학 성적 시험종류 / 성적

시험종류 / 성적해외 연수 경험 국가 기간

수료기관컴퓨터 활용 능력 MS-Word Excel Power Point 한글 기타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경 력 사 항]

행사명 기간 주최 담당업무(세부사항 기재)

[지 원 분 야]업무분야

등록 · 회의 희망업무

1지망 2지망[기 타]

그 외, 기타사항 및 하고 싶은 말※ 파일명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저장해주십시오. (예:석면환경포럼지원서_홍길동.doc)※ 지원서는 이메일([email protected])을 통해서만 접수 가능합니다.

Page 5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8 -

Ⅲ. 연자발표요약

1. 수기오 푸루야 (Sugio Furuya)

-Jap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ource Center((JOSHRC)-

비 직업성 석면 피해자에 대한 일본의 구제제도

(Japanese relief scheme for non-employee asbestos victims )

석면은 발암물질로서 죽음의 먼지, 소리 없는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아

울러 전 세계 많은 인구들이 석면에 의한 질병(악성중피종, 폐암) 의해서

죽어간다. 국제암연구소(IARC)에 발표에 따르면(IARC 발간한 논문 Part C

에 100편) 후두, 난소, 결장암 또한 석면과 관련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일본은 1960년 진폐증(석면폐)관련법안 발암방지조례를 도입하였고,

1991년 석면관련 폐기물처리법 통과시켰다. 1996년 석면함유 건축물을 철

거하라는 조치가 내려져 소위 말하는 사용통제 혹은 전면금지 안전한 사

용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전면금지 이전에 부분적, 단계적 조치가 있었다.

일본의 경우 1975년 석면함유 스프레이를 사용 금지시켰고, 1995년도에는

청석면, 갈석면 전면금지 시켰다. 또한 2004년도에는 백석면을 사용금지

시켰다. 그리고 2012년까지 석면 원재료 또한 사용금지 시킬 예정이다.

일본에 석면 침착증(석면폐)은 1929년 처음 보고되어 1960년도에는 석

면에 관련된 폐암이 보고되고, 1973년도에는 중피종이 보고되었다. 석면관

련보상제도는 1954년에 석면폐를 보상하였고, 1973년에는 석면관련폐암,

1978년에는 중피종을 보상하였다.

일본의 수정된 작업환경노출기준 PEL/TLV 허용수치(공기중) 1971년에

는 2mg/m^3, 1975년에는 5f/cc, 1984년에는 2f/cc, 2005년에는 0.15f/cc이

고, 법적인 규제(함유량)는 1975년에 5Weight%, 1995년에는 1Weight%,

2005년에는 0.1Weight%이다.

일본은 선진국에 비하여 전문적인 석면에 의한 문제가 동유럽에는 25

Page 5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49 -

년 서방국가에는 10년 정도 늦는다. 그 이유는 선진국에 비하여 석면에 의

한 시간적인 격차가 있다. 영국과 일본의 사망률을 비교하여 보면 현재

일본의 석면의 소비에 비하여 증상이 낮은데 선진국에 비하여 석면에 의

한 시간적인 격차가 있고 증상이 50년 정도 잠복기가 있기 때문이다.

석면관련 질환의 정보는 중피종의 다수가 석면에 의한 노출에 의해서

발생되었고 이중에 80%정도가 작업환경에 의한 석면 노출이었다. 적은 농

도의 노출이라도 석면 노출이력이 있다면, 직업관련 질환으로 중피종에 대

한 충분한 판단이 필요하다. 석면사용 작업자 전체의 중피종, 폐암의 발생

비율은 0.5:1, 30:1비율인데 실제로는 2:1의 비율로 석면노출에 대한 비중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석면은 석면을 사용하는 작업환경과 같은 유해환경에서만 나타나지 않

는다. 공중보건 및 환경보건의 이슈와도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석면은 직

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업환경노출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직접노출은

환경노출에 대한 피해자도 있었다. 실내노출은 석면환경에 관련된 직장인

들의 가족에게도 석면피해 또한 많은 수의 보고가 이루어 졌다.

석면을 사용하는 근로자들의 가족에게 도 석면에 의한 피해가 보고되

었고, 환경적 노출에 의한 공장이나 광산인근 거주민들에 경우에 몇 가지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석면환경뿐만 아니라 석면에 따른 폐기물 노

출환경에서도 피해사례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한국과 일본이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하여 전문적인 조치에 대하여 선두주자 이다.

석면에 노출되는 건물에 대해서 도 어떻게 예방적인 조치를 통하여 환

경을 보호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가 공통된 관심이라고 생각이 되고 이번

심포지엄에 깊이 있게 다룰 주제라 생각된다. 실제로 이러한 발암물질에

대한 근원을 추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직접, 간접적으로 직업 환경에 대한

노출의 경우 관련된 구제조치를 통하여 보호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비직업성 환경의 석면노출에 대한 석면노출환자에 대해서 대부분의 국가

에서 법적보호조치를 하고 있지 않다.

일본의 경우도 석면공장에서 노출된 석면섬유에 대한 치명적인 건강여

파가 경험된바 있다. 효고현에 위치한 아마까사시에서 발견된 구보타 회사

의 경우는 기계제조업체이다. 석면이 함유된 시멘트파이프를 제조 했고,

Page 5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0 -

1954년~1975년 사이 청석면, 백석면을 사용하였다. 또한 1960년~2001년 사

이에는 외벽과 지붕을 만드는 작업에서 백석면을 사용하였다.

충격적인 구보타 사건은 2005년 6월 29일 날짜로 촉발된 이 사건을 통

하여 실제로 많은 석면노출환자들이 10년 동안 석면관련 질환으로 사망하

였다. 그 외 공장인근에 거주한 5명이 중피종에 의해서 피해를 입었다.

150명 이상의 근로자들이 석면관련 질환으로 사망하였고, 대략 1015명이

근무자가 1년 넘게 근무했고, 그중 10% 근무자 들이 이 질병으로 사망하

였고, 그 외 200명 이상의 중피종 사례가 회사 인근 거주민들에게 발견되

었다. 이 거주민들은 구보타 회사에 근무이력이 없음에도 발생하였다.

구보타의 사례가 최악의 사례일 것이다. 나라현에 위치한 니키아스 오

지공장과 다츠카 고교가 니키아스 자회사이고, 1970년에 부회사가 한국의

부산으로 석면섬유생산시설을 수출하였다.

Page 5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1 -

구보타 사건이 후 일본정부는 즉각적인 조치를 통하여 6개월 만에 석

면관련 사건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포괄적인 방법론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2010년 5월19일 오사카지법은 정부에 석면 관련 노출에 대한 척도

를 마련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판결하였고, 2006년 3월 27일 석

면 피해구제법을 발효하였는데 비 작업성 환자 및 관련 가족까지 보상하

는 내용이었다. 산재보상보호법 내용에는 직업 관련 질환으로 사망할 경우

발생한 5년 이후부터 공소시효가 소멸되는 것인데, 이법을 보정하였다. 구

보타 사건이후 많은 생존자들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 졌어 공소시효건의

이슈뿐만 아니라 비 직업 환경에 대한 사례도 검토 되었다.

석면피해 구제제도에 대한 간략한 검토 중피종, 폐암, 석면관련 질환

등도 모두 포함 되었고, 보상금액외 보험금에 대한 해택까지도 포함 되었

다. 비 작업 환경에 대한 구제 제도도 중피종이나 폐암만 허용 되었던 것

에 비해 실제 발생되는 수당에 대해서는 일반 직업성 질환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다. 하지만 새로 도입된 비직업성 구제제도는 중피종과 석면관련 질

환, 극심한 호흡곤란증세까지 적용되었다.

Page 5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2 -

위 그림은 중피종의 보상연도에 따른 보상사례이다. 실제로 보상받은

사례의 경우 2005년 구보타 사건이후 에는 500건에 불가했지만, 2006년도

에는 1년 만에 500건을 보상하였고, 2007년에는 1000여건의 사례가 보상되

었다. 새로운 구제제도에 의하여 보상받는 인구가 늘어났다.

Page 5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3 -

위 그림은 중피종과 보상비율을 사망연도별로 비교해보 자료이다. 2005

년도에 비하여 1995년부터 2000년도 까지 실제 보상비율이 522.3%늘었고,

1995년도에 대비해서는 88.84%까지 더 보상되었다.

현재 6개의 국가에서 비직업성 석면환자에 대한 보상 제도를 도입하였

다. 첫 번째는 프랑스이고 두 번째는 일본, 세 번째는 벨기에, 네 번째는

네덜란드 영국이 다섯 번째로 동참하였고 한국이 6번째로 구제제도를

2010년 3월에 입안되었고, 2011년1월6일 받을 예정이다.

구제법의 맞춤형 해결방안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공동된 과제로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 일본과 서방국가의 경험을 토대로

예방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 이다. 그리고 빠른 시 일안에 전면적인 금지가

필요하며, 전 세계적인 협업이 필요하다.

Page 5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4 -

2. 테런스 스토비 (Terrence Stobbe)

-미국애리조나 대학교, University of Arizona-

석면 제거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과 제도

(Asbestos removal program management - problems and regulations)

건물 곳곳에 사용된 석면에 대해서 심각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석

면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그 문제에 대해서 언급을 할 예정이

다. 여러분의 가족이 석면에 의한 질병에 걸리게 되었다고 가정을한다면

당신들은 어떠한지 상상을 해보아라! 석면을 관리하기 위하여 관련된 규정

과 규제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석면 제거와 관련된 문제는 많이 발생된

다. 왜냐하면 감사관과 조사관의 수가 적어서 감시가 어려운 실정이기 때

문이다. 그래서 석면에 관련된 문제는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또한 계속해서

이러한 일과 관련된 소송이 발생된다.

한 가지 사례를 소개하며, 44년 된 카보드 박스를 만드는 큰 회사가 있

다. 카보드 박스를 만들려면 3겹으로 된 브라운 페이퍼를 서로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결합하고 접착을 한다. 그리고 드럼으로 고압 스팀 보일러에 의

하여 열건조를 통하여 카보드 박스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100℃ 가넘는 고

압 스팀 보일러의 배관의 절연제에 석면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석면이

포함된 배관의 노후 된 절연제 교체작업이 진행되었는데 회사이기 때문에

수입창출을 위하여 작업 중에 배관을 싸고 있는 석면제거 작업이 진행되

었는데, 이 작업으로 피해가 발생되었는데, 근로자가 악성중피종으로 사망

한 것이다. 이 일에 대한 책임은 누가 져야하는가?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

았고 결국에는 보험회사가 보상금을 주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계

속해서 석면에 노출되었던 다른 근로자들이 질병이 발생할 수도 있는 잠

재성을 가지고 이런 위험 속에서 살아가게 되었다. 이런 위험은 석면에 노

출되었던 모든 근로자들에게 돌아가게 되어있다.

Page 5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5 -

□ 석면과 관련된 변화

- 1870년 처음으로 보일러 절련제로 사용함

- 1871년 영국에서 석면 공장 설립

- 1890년 캐나다에서 석면 공장 설립

- 1903년 미국에서 석면 공장 설립

- 1906년 처음으로 영국에서 브레이크 라이닝 사용

→ 1960년대까지 거의 모든 무역과 회사에서 석면 노출을 가지고 있었습

니다.

□ 석면과 폐 질병

A.D 100 - 로마 노예들에게서 석면관련 질병 확인

1899년 -석면 폐 질병 관련된 영국의 공장 시찰단 리포트

1906~08년 -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asbestosis로 명명됨

1912년 미국 캐나다에서 asbestosis로 명명됨

1918년 - 미국의 건강 보험

1930년 - 미국 의사 협회는 석면 침착증을 최종적으로 인정

1938년 - USPHS는 5mppcf의 기준을 마련함

Page 5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6 -

1935년 - 폐암관련 보고서가 처음으로 미국에서 보고

1936~40년 - 석면과 관련된 많은 보고서가 작성됨

1943년 - 처음으로 mesothelioma 보고서(영국)

1944년 - 미국 의사 협회에서 asbestos-LC을 기술함

1963년 -처음으로 mesothelioma 보고서(미국)

1964년 - 석면에 관한 생물학적인 영향이 뉴욕 사이언스 아카데미에서 보

고됨

→ 미국에서 석면에 대하여 실질적인 관계를 출발시켰다.

□ 호주에서의 중피종 환자의 수

: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Page 5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7 -

□ 석면 노출 기준

1931년 - 영국에서 최초로 기준마련

1938년 - USPHS은 구체적으로 5mppcf 기준 마련

1946년 - ACGIH에서 5mppcf 채택함

1968년 - ACGIH에서 2mppcf로 기준강화

1971년 - OSHA에서 12f/cc로 채택 - ACGIH에 의해 5f/cc로 강화됨

1976년 - OSHA에서 2f/cc로 강화됨

1994년 - OSHA에서 0.1f/cc로 강화됨

(석면은 20mppcf 이상 눈에 보이므로 근로자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석면

의 위험성을 대부분 모르고 있다)

□ 2008년 캐나다의 석면 수출현황

: 대부분 아시아를 포함한 개발도상국가에 많이 수출된 것을 알 수있다.

Page 6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8 -

□ 제기된 석면문제에 대한 대처

석면과 관련된 최우선 과제

- public health

- worker health

- asbestos worker health

- cost control

- business profit

- appearing to regulate it

- creating a bureaucratic empire 등.

□ 미국의 석면관련 규제

- OSHA

- EPA

- State health dept

- State DEP

- County health dept

- City agency

Page 6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59 -

□ 석면과 관련된 효율적인 관리체계

석면관리 법안은 있지만 효율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 규제가 마련

되었다고 해서 효율적으로 관리가 되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먼저 석면이

우리의 생활 속에서 어디에 사용되어 있는지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 석면조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석면조사를 통해서

파악된 석면들의 함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제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

한 석면 조사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석면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짧은 교육일정으로 배출된 조사관들로 정확한 석

면조사가 이루어질지도 의문이다.

Page 6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0 -

□ EPA에서도 석면에 관련된 규제가 많이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제에서의

문제점도 많고 개선이 필요한 규제들도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기관들이 같

은 일들을 하고 있는데,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다른 기관으로 전가하는

문제점도 있으며, 또한 근로감독관의 수가 매우 적어서 규제가 제대로 시

행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매우 어려운 현실속의 감시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법규를 어긴다고 해서 벌금도 별로 높지 않아서 효율적으로 관리

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밖의 보고체계의 문제, 정확한 개

인보호구 착용 등의 문제들이 있다.

□ 한국에서도 석면관련 규제를 제정할 때 근로자 보건 및 안전, 공공안

전, 석면의 유해성에 대한 공포의 확산문제, 건물의 석면제거를 위한 정부

의 부담문제, 모든 관점을 고려해서 법규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6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1 -

3. 줄리 로블 (Julie Wroble)

-미국 환경보호청, EPA-

자연발생석면 - 미국의 현안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 Current Issues in the United States )

미국의 자연발생석면(NOA)지역은 이전에 개발되었던 광산(금속, 질석,

보석 등)과 자연발생석면(NOA)지역들의 학교나 빌딩 등이 대규모로 건축

되면서 석면에 대한 자연발생지역이 되었다. 미국 환경청(EPA) 산하에 있

는 자연 발상적인 유해물질 관련된 부서에서도 이에 역점을 두고 활동한

다. Sumas 산악지역 같은 경우도 사파이어 채굴을 위해 산을 깎아서 이런

지대를 만들어 졌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다. 이 당시 자연발생석면

(NOA)이 함께 유입되고, 자연적인 산사태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미국의 연방규정 에서도 석면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직업관련 안

전위생특별법제정과 미국 환경청(EPA)의 독성물질 통제 특별법, 청정 수질

법, 식수안전특별법, 자연보전과 회복법령, 청정 대기법이 있다.

특별히 자연발생물질에 대한 제한적인 요소가 존재한다. 정부차원에서

자연발생물질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환경대응 보상체계 법(CERCLA), 공해

방지사업기금(Super fund) 자금을 지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발적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여기에대한 제거작업도 수

행한다.

아래 사진은 Clear Creek관리지역에 연구원 들이 보호구와 시료채취기

를 작용하고 실제 일반인들의 하는 활동을 Clear Creek관리지역에서 하였

을 때 석면의 피해가 얼마나 오는지를 시료채취를 통하여 검증하는 작업

인 활동기반시료채취(ABS)이다.

Page 6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2 -

아래의 그래프는 활동기반시료채취(ABS)를 채취한 후 분석하여 각각의

다른 빈도수에 분석한 석면의 농도를 대입하여 위해성 평가를 한 것이다.

Sumas 산악지역에서 산사태나 폭우로 인하여 석면함유자재들이 흘러

내려와 하천과 인근토양을 오염시킨다. 이것이 쌓이고 쌓여 강둑을 이루고

이곳에서 석면에 오염된 건자재를 민간업체나 개인이 공공목적이나 개인

Page 6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3 -

의해서 정원에 뿌리거나 바닥에 뿌려지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게 되면 이

용하는 아이들과 어른들에게 피해가갈 것이다.

시료를 채취하는 이유는 인체에 호흡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

하기 위해서 실제로 시료채취를 통하여 환경에 의한 피해를 분석 해보았

다.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자재들이 민간업체나 공공목적에 의해서 바닥에

뿌려지는 것이 문제이다.

Page 6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4 -

2008년에 제정한 Frame Work이다. 공해방지사업기금(Super fund)에

해당하는 지역과 석면에 대한 유해여지가 있는 지점들에 조사 작업을 위

한 Frame Work이다.

활동기반시료채취(ABS)로 유해물질의 Risk와 석면에 대한 노출정도를

척도화하고 구체적인 표준화 작업을 통해 위험도를 분석하고 검증 한다.

준설작업들로 인해 석면의심물질이 각각의 입자는 평균 1.7%이었고 크기

Page 6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5 -

별 0.1~4.4%범주까지 높아져 굉장히 높은 수치이다.

개인 시료를 채취한 시료의 경우 0.01~0.06f/cc로 오염물질이 다량 검출

되었다. 또한 칼슘과 마그네슘의 비율이 0.02와 0.03(칼슘 : 마그네슘의 농

도가 3이 되어야 식물이 성장 )으로 식물의 성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보

였다. 또한 호흡의 영향을 보기위하여 Frame Work의 4단계의 시료를 채

취하고(채굴, 적재), 분석한 후 그 다음 단계로 여가활동의 시나리오인 개

와 산책을 하고 자전거를 타는 활동들을 하는데 이 동안에 아주 치명적인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분석하기 위한 과정이다.

Page 6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6 -

아래 표는 1년 동안 Swift Creek에 준설자재에 대한 석면 노출 치에 대

한 추정치 이며, 이것을 시간대비 노출 값을 계산하여 각 시나리오 별로

비교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County(자치주)에 공고하여 방관적인 태도를 버리

고 보다 적극적으로 철폐해야 할 것이며, 전면적으로 사용금지 해야 한다

고 주장 그 이후 County(자치주)에서 석면에 대한 노출 활동을 중단 시킨

예가 있다.

Sumas강의 인근 거주지의 뒤뜰이다. 도심과 달리 이 지역은 큰 영농지

역을 가지고 있다. 0.5에이커의 1/3정도가 2009년 1월에 홍수에 의해 침전

물로 덮여있었다. 미국 환경청(EPA)에서도 석면이 홍수에 대한 침전물에

그대로 담겨져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2009년 5월달 이후 3개

월 정도 고지대의 토양과 지표수, 표층수를 함께 시료를 채취하여 석면 포

함여부를 분석하였다. 실제 분석 시 표층수에서 허용수치보다 높은 백석면

이 발견되었고 백석명의 경우 고지대의 토양에서는 기존 3%에서 27%로

높게 치솟았고, 강둑 침전물에서도 7%에서 23% 까지 농도가 높았다.

Page 6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7 -

Community(지역사회)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정보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많은 수의 시료채취를 하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강물의

범람을 통제하고 관리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실제 토지 및 집값의 하락

과 강, 하천, 원수이외 식수에 대한 원천에 영농활동에 필요한 식수가 실

제로 오염이 되었는지의 우려가 가장 컷 다. 이 지역은 대부분의 농업지대

로 식수가 활용되어 농작물이 경작되었다. 이를 우려하는 거주민들과 이러

한 문제로 소통이 어려웠고, 석면을 함유한 침전물이 하천에서 토지로 넘

어가는 과정에서 보다 적은양의 침전물이 석면을 포함하고 있기를 바라면

서 연구 및 작업을 진행하였고 많은 활동기반시료채취(ABS)를 통해서 보

다 많은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석면함유

자재를 더 이상 다른 지역으로 흘러가지 않게 하는 작업들이 필요한데 1

억불이상 소요된다. 그래서 이런 것을 권고 하는 것 이 어려웠고, 미래에

는 어느 범주까지 미국 환경청(EPA)이 접근할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

다. 지역 내 지자체에서 보다 더 주도적 역할을 담당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Page 7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8 -

4. 왕싱룬 王兴润 (Wang Xing Run)

-중국환경과학연구원 고체폐기물오염공제 연구소-

중국의 석면 폐기물의 관리현황 및 동향

(The status and Trend of Management of Asbestos Waste in China)

1.석면의 특성 및 사용과 유해성

석면의 경우는 섬유규산염의 종류이고, 거칠고, 비가연성의 특징을 가

지고 있어서 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면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아주

얇고 소프트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지름이 2*10^5mm정도이고, 녹는점이

1500'C이다. 중국에서는 석면이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시멘트, 가스

켓 그리고 섬유, 단열재 및 절연체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석면 시멘트가 전체 시멘트 중 약70%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

이 발암 물질로 위해성을 가지고 있어 폐암, 위암 등을 야기 할 수 있고,

석면 침착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위해성을 이야기 하고 있

다. 중국에서도 석면을 발암물질, 유해물질로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2.석면광산채굴과정

중국의 석면광산은 중국의 18개성에 있다. 18개성에서 석면을 채굴하고

있고 러시아, 캐나다의 뒤를 이어서 세계 3위의 생산국이다. 쓰촨성, 칭하

이성, 산시성에서 중국의 전체 생산량에 90%이상 채굴하고 있고, 중국의

석면자원 중 96.5%가 백석면이다. 중국의 석면광산 1999년~ 2007년 백석면

의 생산량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 중 2004년에 가장 높은 생산량을

차지하였고 그 양은 약 40만톤 이상을 생산 하였다는 그래프이다.

Page 7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69 -

러시아 뒤를 이어서 백석면과 관련된 생산에서 중국이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그래프이다.

중국에는 536개의 석면시멘트 생산 공장이 있고 4만6천명에 달하는 근

로자들이 536개의 공장에서 일을 하고 있다. 700개가 넘는 석면제품을 만

드는 공장이 있고, 공장의 근로자는 54만 명이다.

Page 7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0 -

3.석면폐기물관리규정

석면관련 직업보건기준은 작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다. 석면과

관련된 부지를 선정을 할 때 어떤 곳에 선정을 할지를 규정하고 있다. 거

주지로부터 공장의 위치가 일정 거리이상 있어야 하고 바람의 풍향과 풍

속을 고려하며, 지형을 고려하여 선정해야한다.

중국내 회사의 작업장의 대기 내에서 석면이 최대허용농도 1.5f/ml이

고, 시간가중평균허용농도(TWA) 0.8f/ml이다. 추가적으로 직업보건과 관련

되어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들은 석면제품과 관련하여 전 공정에서 관리가

되어야한다. 즉 석면가공, 보수, 제공, 운송, 저장, 폐기 전 과정에서 석면

이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유해물질과 노출을 제한하고 있다. 대기 중에

허용농도가 분진의 경우 0.8mg/m^3, 섬유의 경우 0.8f/ml이다. 오염배출

기준 또한 중국은 마련하고 있다. 대기 오염물질에 통합배출기준법을 마련

하여, 대기 중 최대 허용가능 한 농도를 오염물질별로 두고 있고 물론 석

면도 유해물질에 포함되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2f/ml를 초과할 수 없고 수

치를 바꾸어 보면 20mg/cm^3이상을 초과할 수 없다는 것을 별도로 규정

하고 있다. 유해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규제 중 국가관리 유해폐기물 목록

중에 석면 폐기물이 HW36이라는 명칭으로 분류되어 별도로 분류하여 관

리되고 있다.

중국의 환경기준이 있어서 유해물질과 같은 경우 운송, 저장, 폐기와

관련되어서도 환경제어 기준이 있는데 이 기준은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Page 7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1 -

폐기물과 같은 경우 다른 고체폐기물과 서로 혼합될 수 없게 규정하고 있

다. 또한 고체폐기물의 총 중량에 0.01%가량 석면이 혼합되어서는 안 된다

고 규정되어 있고 노후화된 석면관련 장비들을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

며 청석면의 사용을 전면 금지시키고 있다. 또한 건설 및 시공 시에 석면

과 같은 물질을 시공할 수 없게 하는 것을 2004년 1월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4.석면폐기물발생과 처리과정

중국의 석면광산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사업체의 구모가 작는 것이 특

징이고, 대부분의 석면광산장비는 구식화 되어 있는 문제이다. 석면 채광

후 실외건조, 풍력건조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폐광에서 나온 폐 광산 자재

석면에 경우는 연간 1000만톤 정도 생산되고 총 누적 량은 수십억 톤의

석면이 별도의 처리 없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이 있고 처리 없이

매립하는 등 관리가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석면의 폐 광산 자재와 같

은 경우 산화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마그네슘이나 실리카겔이 함유되어

있어 농업분야의 비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석면의 폐 광산 자재는 여러 가

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우선 환경에 그대로 노출 되는 문제이다. 석면의

폐 광산 자재는 처리되지 못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석면을 채광

하는 기업의 경우 규모가 작고 고 등급의 자재를 원하기 때문에 석면 폐

광산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버린다. 두 번째는 광산의 위치가 외딴

산악지역에 있기에 운송비가 많이 들어서 가지고 와서 처리하지 않는다.

또한 수익마진이 높지 않아 폐 석면자재에 별관심이 없고 세 번째 환경관

련 인식이 별로 없다.

기업의 경우는 석면을 사용하는 제조기업의 프로세스가 오래된 경우가

많다. 연간 4만톤의 석면폐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석면관련 업체는 영세하고 분산되어 있기에 제대로 하고 있지 못

하다. 뿐만 아니라 사업체내에 분진흡입장치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은 곳이

많다. 석박에서도 석면폐기물은 문제가 되고 있다. 엔진룸부분의 화염을

차단하거나 절연제로 사용되고 거주공간의 단열벽, 방음벽, 천장, 소방제와

Page 7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2 -

증기, 물, 연기배관에서도 석면이 사용되고 바닥타일과 깔개애도 사용이

된다. 이러한 것들이 일반적이 배에서 사용되는 석면의 예이다. 중국과 같

은 경우에는 매년 폐 선박을 수입하는 양이 150톤 정도 되고 그중 석면폐

기물도 톤당 0.001~0.002톤 정도 발생한다. 페 선박에서 나오는 석면의 경

우는 전체 석면 함유량 0.0074%이다. 그래서 연간 석면이 발생되는 양이

연간 110톤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석면폐기물을 재이용하기 위한 노력도 있다. 예를 들어서

석면시멘트를 분쇄하여 그것을 솔벤트 오일과 섞어서 다른 제품을 생산한

다. 석면 잔여물은 폐수 처리 후 석면 찌꺼기를 보온재로 사용하며, 레진

과 에폭시에 섞어 접착제로 사용한다. 석면의 경우 업체가 영세하고 기계

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재활용이 어렵고, 폐기도 제대로 못하는 실정이

다.

5.정리

중국은 석면 자원이 풍부하다. 전 세계 생산량의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석면은 유용한자원이다. 가격도 저렴하고,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

렇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건설, 건조, 제조 등 그 외에 여러 부분에서

사용이 된다. 그래서 당장은 석면을 다른 물질로 대체 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에서는 영세한 기업과 노후화된 장비, 환경적 인식부족

으로 석면함유 폐기물이 아무 처리 없이 환경에 버려지고 매립되는 경우

가 많다 그래서 환경을 고려하여 안전한 방법으로 관리 되어야 할 것이다.

Page 7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3 -

5. 임호주 (Lim, Ho Ju)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석면 분석방법과 한계

(Asbestos Analysis Method and Limitation in Environment Field)

□ 발표개요

○ 현재 매질별 석면 분석에 사용되는 장비 특성, 분석방법들의 특성 및 국

제 석면분석 동향을 평가

○ 분석장비별 적용의 한계, 결과 해석의 제한점 및 향후 매질별 적용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함

□ 주요내용

○ (석면정의) 석면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섬유상광물이며, 국제적 연구기관

에 의해 안정된 발암성 물질임.

○ (건강성 영향) 호흡성 노출로 악성중피종, 페암, 석면페 등을 유발함

(석면분석) 석면은 모든 매질(공기, 물, 토양, 폐기물)에 포함도어 있으며, 매

질별 적용 분석장비는 모두 다름

-(작업장 관련 공기) 국제적으로 위상차현미경을 사용

-(실내공기 및 대기) 국제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을 주로 이용하며, 유럽의 경

우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기도 함

-(토양, 고형 및 폐기물) 국제적으로 편광현미경을 이용, 개발 매질의 특성상

X선회절분석기 또는 투과전자현미경만을 이용

-(먹는물) 미국 EPA는 투과전자현미경만을 이용함.

○ (국제적 동향) 분석장비의 개선 및 개발로 인하여 매질의 특성에 맞도록

사용하고자 함

- 작업장 → 위상차현미경, 실내공기 및 대기 →투과전자현미경,

Page 7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4 -

고형시료 → 편광현미경, 먹는물 → 투과전자현미경

○ (석면분석의 제한점) 분석장비별 석면의 정의 확립, 벽게현 석면의 위해성

여부, 분석장비별 해석 차이 등에 존재함에 따라 국제적 논의가 필요함

석면이란 광물학적 이름이 아니고 제품에 대한 이름이고 학문적으로

elongated mineral fiber 형태를 말한다. 과거에는 Miracle mineral 등의 불멸

이라는 단어로도 사용이 되었는데, 이유는 강하지만 직조를 할 수 있고, 열

이나 화학적 저항성이 강하고 가격이 저렴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개

선하기위한 최고의 물질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노출에 의해서 질병이

발생하므로 Hidden Silence Killer라고 불리며, 발암성물질로 규정을 하여 관

리를 하고 있다.

석면은 여석가지 종류에 의해서 섬유상 형태가 나타나는데 가장 흔한 형

태인 크리소타일(Chrysotile)이고, 그 다음이 아모사이트(Amosite), 크로시도

라이트(Crocidolite), 안소필라이트(Anthophyllite), 트레몰라이트(Tremolite),

액티노라이트(Actinolite)이다. 석면에 대한 유해성은 호흡과 관련된 농도와

노출시간, fiber의 형태, 크기, 흡연 등의 다른 요소가 synergy 효과를 일으켜

질환이 발생되는데, 발생되는 질병의 종류는 악성중피종, 폐암, 석면 폐 등이

있다.

석면을 왜 분석하여야 하는가?

이유는 공기 물, 분진, 토양 등에서 석면의 양에 관한 분석이 있어야 석

면에 얼마나 노출이 되는지 알 수 있고 유해성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석면을 분석할 때 현미경을 사용하는데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과 전자현

미경이 있다. 광학현미경은 Phase Contrast Microscope(PCM)과 Polarized

Light Microscope(PLM)으로 나누며 전자현미경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과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으로 나눌 수 있

다. 기타로는 X-ray Diffractometer(XRD)와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이 있다.

Page 7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5 -

<Asbestos Analysis Equipment>

환경에서 석면은 공기, 고체, 물 3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공기는 광학현미

경을 사용하는 PCM, SEM, TEM 분석방법이 있고, 작업장 등에서는 PCM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대기나 실내공기에서는 SEM, TEM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고체는 토양과 Bulk smple(ACM)으로 구분하며, PLM, SEM, TEM,

XRD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TEM과 PLM은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가

있으며, XRD는 대량분석이 가능하여 building material 분석에 좋다. 그러나

섬유 또는 비섬유를 구분할 수 없어 PLM, SEM, TEM등의 추가분석이 필요

하다. 수질은 음용수와 물로 구분하고 있는데, 국제적으로 TEM분석을 사용

하고 있으며, SEM도 가능하다.

안소필라이트(Anthophyllite)가 존재할 수 있는 섬유는 0.25㎛, 아모사이트

(Amosite) 0.062㎛, 크크로시도라이트(Crocidolite) 0.03㎛, 백석면인 크리소타

일(Chrysotile)은 더 얇게 까지 나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PCM의 한계는

0.25㎛, 주사전자현미경(SEM)은 0.062㎛까지 볼 수 있고, TEM은 그 이하까지

볼 수 으며, 최근에 기술의 계발로 인해 더 작은 것까지도 볼 수 있다.

Page 7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6 -

아래 그림은 질병과 입자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Asbestos Size, diseases and Microscopy>

길이가 5㎛ 이상에서 직경이 0.1㎛이하에서 노출이 되면 악성중피종의 위

험이 있고, 석면폐증은 0.1㎛ ~ 0.25㎛ 사이에서 직경이 1.0㎛ ~ 3.0㎛까지 길

이는 50㎛이상, 폐암은 10㎛이상하고 0.25㎛이상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질병은

호흡노출에 의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PCM으로는 분석 한계가 있어 TEM을

적용하고 있다. 이유는 TEM은 모든 길이의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CM분석방법은 빛을 매질에 조사하여 진폭의 크기 차이를 이용한 광학

적인 분석방법으로 5㎛이상과 길이와 직경의 비율이 3:1인 것을 계수를 하고

있다. 일반적인 기준으로 작업장에서 0.1f/cc를 대부분의 국가에서 정하고 있

다.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이보다 더 높은 수치로 정하는 국가도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0.01f/cc 적용하고 있다.

Page 7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7 -

<Phase Contrast Microscope(PCM)>

아래 그림은 PCM분석법의 기준으로 이 중 NIOSH 7400번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PCM은 가격이 저렴하고 현장에서 직접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장

에서 적합하며, 환경 중 노출에서 screening을 할 수 있어 단순 노출 가능성

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제한점으로는 detection limit가 0.01

정도가 되고, fiber의 형태와 종류에 대해서는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 또한 입자가 모여 있으면 섬유상처럼 보이므로 전부 개수를 하여야

하며, 직경이 0.2㎛ 이하로는 분석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PCM은 환경과 관

련한 분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최근 질병과 관련한 문헌에서 밝힌바

있다.

Page 8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8 -

<PCM analysis of air>

PLM 편광현미경은 편광렌즈를 이용하여 빛을 교차시켜서 분석하는 방법

으로 모양, 색, 굴절률, 복굴절(birefringence), 분산염색, 신장률(sign of

elongation), 소관(extinction angle)있고,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모양, 신

장률, 소광 3가지로 석면 여부를 분석하고 있다.

<Polarized Light Microscope(PLM)>

Page 81: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79 -

PLM의 장점은 SEM, TEM, XRD에 비해서 시간과 비용이 가장 효율적이

며, 광학과 광물학적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 값을 나타낼 수

있고, 모든 벌크 시료에 이용할 수 있다. 단점은 1% 미만에 대해서는 정량이

제한적이다. 또한 시야평가법과 포인트 계수법이 있는데 이 두 가지 방법 사

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1%미만에 대해서는 석면 여부를 결정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XRD는 X-ray를 표면물질의 결정 구조에 따라서 반사되는 것을 측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각도에 변화를 줌으로써 결정구조를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X-ray Diffractometer(XRD)>

XRD는 고형시료를 분석할 때 좋으며, 결정구조가 어떤 형태인지 구분할

때 가장적합하다. 또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점은 fiber와 nonfiber

형태를 구분할 수 없는 것으로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투과현미경 등

으로 추가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여야한다,

SEM, TEM은 원리가 거의 비슷하며, 전자가 발생하는 건이 가장 중요하

다.

Page 82: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0 -

TEM의 분석은 전자를 일으켜 매질의 회절 형태로 석면의 결정구조, 형태

및 화학적 구조 관찰이 가능하고, 환경 중 샘플은 벌크시료, 토양, 분진, 공

기 중 시료를 분석할 수 있으며, Structure/cc, Fiber/cc (PCME), %, f/m2

등으로 정량 분석이 가능하다.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주사전자현미경 SEM의 경우에는 매질의 모양을 보고 EDS 패턴으로 분

석하는 방법이나 select area를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없다.

<Electron Microscope(SEM)>

Page 83: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1 -

TEM의 분석방법으로는 EPA와 ISO 방법이 있으며, EPA의 대표적인 방

법은 AHERA가 있고, ISO는 10312의 분석방법이 있다. 작업장같은 경우에는

OSHA나 NIOSH7402에서 권장하는 방법이 따로 있다.

<TEM analytical method for airborne asbestos in air>

이러한 방법의 장비운영은 같다 하지만 차이점으로는 EPA의 AHERA분

석방법은 0.5㎛이상부터 직경의 비가 5:1 이상을 계수하게 되어 있고 오래전

TEM분석방법이었던 Yamate는 0.5㎛이상부터 계수하지만 직경은 특별한 언

급이 없다. ISO 10312는 0.5㎛이상부터 계수를 하고 직경의 비가 3:1 이상인

것을 섬유상으로 간주를 한다. NIOSH7402는 5㎛이상 5:1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는 계수기준이 차이가 있는데, 이는 과거에 노출이 되었을 때

분석방법은 PCM이였다. PCM의 기준은 5㎛이상에 3:1을 적용하고 있기 때

문에 이것을 비교하기 위해서 5㎛를 적용하는 것이다.

분석 값과 과거에 PCM을 이용한 리스크 카시노젠 평가와 비교하기 위해서

투과전자현미경에서 PCM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Page 84: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2 -

음용수의 TEM분석방법은 EPA 100.1, EPA 100.2, AWWA 2570방법이 있

다. EPA에서는 10㎛이상을 계수하게 되어있고, 단위는 MFL(밀리언 화이버리

터)이다. 그 기준은 백만에서 칠백만인데, 미국의 기준은 칠백만이다. 미국에

서 음용수에 10㎛를 적용하는 이유는 음용수와 관련하여 뉴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당시 뉴욕시의 상수도관이 50년대의 아스베스토스 시멘트 파이

프 관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이 관을 통하여 상수도로 유입이 돼서 검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 10㎛이다. (섬유상 길이가 긴 것을 제품으로 사

용하였다.)

<TEM analytical method for measuring asbestos in water>

ASTM은 D5755-02부터 D6480-99까지 있는데 D5755-02는 미국 표준이며,

차이점은 시료채취 방법이다. 진공청소기를 적용하는 것과 닦아내는 방식,

카페트를 통째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계수하는 방법은 모두 0.5㎛이상에서 직경이 5:1을 적용하고 단위는 면적

당 strcuture로 계산한다. 그러나 기준에 관한 가이드나 표준이 없다.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는 이유는 이 분석방법은 전처리에서 간접법이라는 분석방법

을 사용하는데, indirect analysis라는 방법은 시료를 포집하고 바로 분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초음파로 먼지를 제거 후 분석하기 때문에 석면이 깨지거

Page 85: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3 -

나 얇아지기 때문에 석면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어떠한 기준을 적용할 수

없고, 또한 자연적으로 비산되는 석면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준을

적용할 수 없다.

<Analytical method for measuring asbestos in Surface Dust>

TEM의 장점은 모든 fiber에 대해서 분석을 할 수 있고, 가장 정확하게 사

이즈에 대한 정보를 주고 EDS분석을 통해서 케미컬 분석을 할 수 있고,

SED를 통해서 결정구조에 대해서 정확하게 분석을 할 수 있어 어떤 석면의

종류라고 얘기할 수 있다. 단점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전처리과정

에서 샘플의 손상율률이 굉장히 높으며, 필터의 적은양만 분석하기 때문에

fiber인지 structure인지에 따라서 단위가 틀려질 수 있다.

SEM 같은 경우 사이즈 information을 알 수 있고, EDS를 통해서 화학적

성분을 얻을 수 있지만, 종류를 구분할 수는 없다. 또한 카운팅에 제한이 있

으며, 템과 마찬가지로 작은 면적만 개수를 하여야 하고 회절현상(diffraction

pattern)이 없기 때문에 석면 여부를 결정할 수 없어 석면과 유사한 광물에

대해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주사전자현미경에 대해서

숙련도 시험이 없다.

Page 86: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4 -

PCM, SEM, TEM의 효율의 평가는 정보와 정확도, 시간과 비용이 있다.

정보와 정확성은 TEM이 가장 높은데, SEM은 굴절률을 얻을 수 회절 결정

을 얻을 수 없는 단점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진다. 시간과 비용에 대해서는

TEM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

고형시료의 분석 효율은 PLM, XRD, SEM, TEM 중에서 TEM이 가장 높

은 효율을 가지고 있다. XRD, SEM이 떨어지는 이유는 fiber와 nonfiber를

구별할 수 없다는 것과 SEM은 diffraction pattern을 얻을 수 없어 효율이 낮

을 수 있고, PLM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이득이 가장 높다.

최근 분석방법에 대해서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석면에 대한

정의와 석면과 같은 결정구조와 화학물질을 가지고 있지만 모양이 틀린 경

우이다. 이것의 석면 인정 여부 및 석면에 대한 기준, 결과의 해석, 앞으로

어떠한 석면 분석방법을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슈가 되고 있다.

석면의 정의로는 OSHA에서는 6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MSHA는 광

산에 관련된 기관인데, 이 두기관은 fiber와 cleavage fragment를 건강상의

영향을 구분하여 섬유상은 건강에 유해하지만, 섬유상이 아닌 것은 건강상에

유해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EPA는 대중의 건강의 영향 때

문에 fiber와 cleavage fragment를 구분하지 않는다. NIOSH에서는 비석면형

각섬석섬유(amphibole asbestos)를 확대해서 관찰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

하고 있으며 “Asbestos and other mineral fibers: A Roadmap for

scientific research”라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분석과 광물학적인 분석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우선

석면의 정의로서 위생학과 광물학의 문제점은 시간이 지남으로서 관심의 대

상이 바뀌는데 있다. 처음에는 building metrical처럼 석면의 제품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점차 관심이 자연석면으로 바뀌었다.

제품으로 만들어진 석면은 질이 좋은 석면이다. 석면 같은 경우 1급부터

7급까지 구분을 하고 있는데 1급은 짧고 굵은 석면으로 질이 좋지 않고 7급

은 섬유가 굉장히 얇고 길어서 가장 좋은 석면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상태에 있는 석면은 질이 좋치 않다. 왜냐하면 모든 종류의 섬유가 전부

섞여 있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로는 관점의 차이이다. 광물학적 관점의 석면

Page 87: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5 -

과 건강을 고려할 때의 석면 차이 때문에 논쟁이 되고 있다. 그래서 EPA와

NIOSH는 구분을 할 수 없다.

다음은 기준이다. 작업장의 기준은 0.1f/cc를 기준으로 하고 있고, 철거하

는 경우에는 AHERA에서 0.02s/cc로 규정을 하고 있으며, 미국은 Asbestos

Containing Material(waste): 1% 을 제시하고 있고, 일본은 0.1%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기와 실내공기는 한국에서는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에서 0.01

정도를 제시한 것 이외에 세계적으로 기준이 없다. 또한 자연발생석면의 토

양의 기준은 1%~0.001%가 제시되고 있는데,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

는 각 국가마다 분석방법과 전처리 방법이 전부 틀리기 때문이다. 전처리 방

법을 고려한 기준과 방법의 통일성 있어야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

결과분석 해석의 문제점은 TEM으로 분석을 했을 때 분석방법에 따라서

structure/cc로 counting하는 것이 있고, fiber/cc로 counting을 하는 것이 있

는데 이러한 것은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모호한 결과분석의 해석을 일

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대기, ABS, 해체 작업장의 측정에서 TEM분석을 권

장하고 있는데, TEM분석에서 structure로 분석을 하면 모든 형태의 섬유상

물질을 다 포함하게 된다. ISO 10312나 NIOSH 7402 같은 경우 PCME를 권

장을 하고 있는데 이유는 과거의 PCM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그러

나 PCME이 부분에 대해서도 고려해야하는 부분이 있다. 또한 PCM과 TEM

의 해상도의 차이로 인한 문제기 있다. TEM은 대부분 0.5㎛ 이상부터 측정

하고 있고, PCME의 ISO 10312와 NIOSH 7402는 5㎛이상을 분석하는데, 유

해성평가(Risk Assessment)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5㎛미만에 대해서 유해 여

부가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TEM분석에서는 0.5㎛이상을 계수하라고 하고

유해성 평가는 5㎛ 이상으로만 실시하게 되면 그 사이에 있는 석면은 유해

한지 그렇지 않는지 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asbestos form fiber occupational health risk에서는 섬유가 얇고 짧을수록 공

기 중에 비산이 되기 때문에 24시간 노출을 고려해야 하며, 작업장 같은 경

우 8시간 노출을 고려해서 1년에 8760시간 1800시간에 노출이 된다고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기오시 사까이는 2000년도 논문에서 석면 폐기물을

인위적으로 오리 농장에다가 퍼트려 놓았을 때 길이가 0.5㎛미만인 섬유가

Page 88: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6 -

비산이 된다고 제시를 하였다. 그러면 노출이 되었을 때 유해한가? 미국의

ASTDR은 asbestos export panel report를 2002년도에 작성을 하였다(EPA).

여기에서 5㎛ 미만의 cancer impact short fiber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섬유

는 암을 일으킨다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100% 일으키지 않는 보장도 없다.

즉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정확한 근거는 없다. 대신 섬유가 짧은 것에

노출이 되면 발암성 영향을 있고, 폐섬유화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폐

조직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진행해야 하고 동물실험을 통하여 길이에 관해

어떻게 조직을 파괴시키는지 연구를 하여야 하며, 환경과 생물학적 샘플 분

석에 대해서 표준화가 되어야 하며, 개인 시료채취를 통하여 노출되는 양을

정확히 알아야 하고, 특히 짧은 석면에 대해서 얼마나 노출이 되는지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짧은 석면들과 흉막, 흉막반, 폐섬유화의 관계에 대

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분석장비간의 차이에 대해서는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간의 확대정도와

해상도의 차이에서 PCM은 100만 계수를 하게 되어있다. SEM은 ISO에서

2000배 확대를 권장하고 있으며, TEM은 10000~20000배를 권장하고 있다.

TEM에서 분석하는 시표의 지름은 3mm로 정확히 분석을 하여야 한다.

향후 석면을 분석하기 위한 방향에서는 작업장은 빠른 분석과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방법으로는 PCM분석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대기나

실내공기에서 정확히 분석하고자 한다면 TEM을 사용하여야 하며, SEM은

제한점이 많다.

고체에서는 PLM을 적용하여야 하며,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TEM을 사

용해야 한다. XRD같은 경우 혼란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 쪽에서만

적용하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겠고, 음용수는 현재 TEM만을 인정하고 있으

나 음용수가 석면오염이 확실하다면 SEM으로 분석을 실시하여도 같은 효과

를 나타낼 수 있다.

NIOSH에서 elongated mineral particle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 있는데, 목

적을 보면 석면의 섬유와 elongated mineral particle(EMP)에 대해서 독성에

대한 재평가를 하는 것으로 짧은 섬유가 독성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객

관적으로 평가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직업적으로 노

Page 89: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7 -

출 양과 세 번째로는 효과적인 분석방법의 재정비로 최근에 연구가 시작됐

다.

Page 90: 2010년 석면환경포럼 보고서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53727.pdf- 7 - XS@Y,*@ V&Z[\] ^_` ! Wangxing Run, Male, Assistant Researcher, born in 1981. He is the

- 88 -

Ⅳ. 결론

우리나라의 석면사용 정점은 1990년대였으며 90% 이상이 건축자재에 사용

됐다. 석면의 오랜 잠복기를 감안하면 석면피해자는 2040년을 정점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석면문제는 이미 우리 사회에서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작년 석면폐광 주

변 지역주민의 석면피해가 사회문제로 떠오른 이후, 베이비파우더 · 의약품

· 화장품 등 일반 시민들의 일상용품에도 석면이 사용된 것이 밝혀졌다. 왕

십리 뉴타운 등 재개발・재건축을 위한 철거, 태평로 삼성본관 - 세종로 정

부청사 등 건물 리모델링, 국내 최대 규모로 석면제품을 생산해 온 KCC 수

원공장의 석면 대책 없는 철거문제 등이 사회에 알려지면서 석면 피해예방

과 보상 문제가 사회여론화 되었다. 그 결과 얼마 전에 석면피해자를 구제하

는 석면피해구제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또한 이에 발맞추어 서진국의 사

례와 관리방법 및 제도를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게 석면의 안전관리법 제정

과 석면함유제품 제조수입유통 관리강화, 건축물 석면안전관리체계 구축, 석

면광산 및 자연발생석면 관리, 석면 건강피해 관리 및 구제 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석면관리에 관한 통합법안 마련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부록

인쇄할 때 연자발표자료 첨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