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최종결과보고서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사업수행 기 관 명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책 임 자 성 명 이진석 직급 직위 부교수 소 속 부 서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연구소 전화 02-740-8363 02-743-2009 [email protected] 협력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업기간 개월 총 참 여 인 원 수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최종결과보고서를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기관장 성 노 현 직 인 질병관리본부장 귀하 구비서류 최종결과보고서 제출공문 최종결과보고서 상기 내용을 수록한 파일을 담당자 로 제출 사업담당부서: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담당자 이름: 김재익 연락처(Tel. 02-740-8363, Fax. 02-743-2009) 사업기관 주소: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최종결과보고서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사업수행기 관 명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사 업책 임 자

성 명 이진석 직급 직위 부교수

소 속부 서

서울대학교의료관리학연구소

전화 02-740-8363 02-743-2009

phealthsnuackr

사 업협력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업기간 개월총 참 여인 원 수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최종결과보고서를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년 월 일

기관장 성 노 현 직 인 인

질병관리본부장 귀하

구비서류최종결과보고서 제출공문 부 최종결과보고서 부상기 내용을 수록한 파일을 담당자 로 제출

사업담당부서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담당자 이름 김재익 연락처(Tel 02-740-8363 Fax 02-743-2009)

사업기관 주소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요 약 문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사업책임자 이진석 사업수행기관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사업기간 개월

사 업 내 용 요 약

사업의 목적

목적 손상감시사업을 표준화하고 체계화하며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을 강화하고 손

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확대 및 강화함

목표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조사업무를 표준화하고 체계화하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 수립을 위해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을

지원하고 손상정책포럼과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손상 역학과 관리(2009)

개정 작업을 시행함 손상관련 타 부처 기관과 협력하여 손상종합통계집과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함

사업의 내용 및 수행방법

사업내용 손상감시사업을 지원하고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사업을 지원함 또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을 지원함

사업수행방법 손상운영사업단 교육분과위원회를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

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을 하고 뉴스레터를 발간함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협력하여 예방가능한 손상 사망률 산출 및 국가대표 손상관련 지표 개발을 지원하고 손상예

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를 운영하며 손상정책포럼을 개최함 또한 2009년 발간된 lt손

상 역학과 관리gt를 개정함 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여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손상감시정

보지를 발간하여 기관 및 전문가 간 협력기반을 강화함

최종 실적

손상감시사업 지원을 위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질향상 및 자료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통계 실습교육을 시행함 또한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질병관리본부와 참여

기관 간 정보교류를 강화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를 위해 차례

의 세미나와 차례의 손상정책포럼을 개최하였으며 각국의 손상정책 관련 기관의 손상감시

체계 현황을 조사함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국가

적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함 손상 예방활동과 관리 전략 마련에 참고

할 수 있도록 손상의 역학과 관리의 개정작업을 진행 국내 손상정책 관련 기관 간의 연계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였으며 분기별로 손상감시정보지를 발

간함

- 3 -

기대효과 및 활용전략

2010년 이후 상시적으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을 운영함으로써 국가손상 통합

감시를 위한 기본 인프라 구축작업을 진행하였음 향후 안정적인 감시체계의 운영을 위한 질

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 조사원의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외국 감시체계

와 정책 고찰 및 손상정책개발 세미나를 진행하여 내부 연구진의 역량을 강화함 또한 사업

단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손상 관련 통계를 생산하고 배포함으로써 손상 문제에 대한

국가적 정책 우선순위를 높이는데 기여함

- 1 -

1 사업배경 및 필요성

가 우리나라의 손상 발생 현황 우리나라에서 손상은 암 순환기계 질환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주요사망원인으로 손상예

방대책은 전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매우 중대한 요인임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2년도 우리나라의 총 사망자는 267221명인데 이 중 질병이 아닌 외인(사고)

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총 31153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2에 이르고 있음 특히 생산 가

능 연령대에서 사망률이 높아서 경제적인 손실이 큰 상황임1)

신생물74990(28)

순환기계통의질환58960(22)

질병이환및

사망의외인31153(12)

달리분류되지

않은증상 징후25115(9)

호흡기계통의질환22770(9)

그림 년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현황 자료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또한 손상 발생률은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2011년도

기준 인구 100000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63명임 2011년 외인으로 인한 사망

자료가 있는 OECD 국가 중 에스토니아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며 전체 사망 중 외인에

의한 사망이 차지하는 분율 역시 126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1) 이진석 등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 간 손상관련 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 질병관리본부 2010

- 2 -

선진국에서 손상의 치명상의 경우 의학기술과 의료체계의 발전에 따라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에도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사망률은 특별한 손상예방정책이 없더라도 감소하

는 경향이 있음 손상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사회적으로 투여되는 자원은 더욱 증가

하고 있음2)

그러나 우리나라의 손상환자 사망률은 1983년 이후 전반적으로 사망률이 일정 수준에서

감소하지 않고 있음 2006년 한 해 손상 발생 건수는 총 1300여만 건에 이르며 사회경

제적 부담은 최소 26조 5천억 원 이상으로 전체 GDP의 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음3) 특히 이 같은 추계 결과는 간접 의료비용과 장애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 물적 피

해와 경제적 손실비용은 제외한 결과로 이를 포함할 경우 손상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더

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 Cryer C Langley JD Developing valid indicators of injury incidence for all injury Inj Prev 2006

Jun12(3)202-7

3) 국민건강보험공단 안전사고 통계DB 구축 및 현황 분석 연구 2007

810

740

655 633

606 580

555 506 496

445 408

367 341 339 337

269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그림 인구 만 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 자료

- 3 -

559

641

742 759

634 651 613 64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연도

십만명당사망자수

그림 국내 손상 사망률 추세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 및 지원체계의 필요성 손상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기 위해서는 손상의 발생 규모와 양상에 대한 양

질의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WHO 2006) 이를 통해 손상예방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효과적인 개입 수단을 도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책 실행의 경과와 성과를 모니터

하고 평가할 수 있음

그림 손상예방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

접근법과 손상감시체계 자료

- 4 -

손상감시(surveillance)는 손상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손상정보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체

계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 배포하는 과정임 개별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보건전문가 정부기관 국제조

직 일반 국민 등 손상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영역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

손상감시를 목적으로 수집활용되는 자료는 매우 다양함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손상감시

자료원을 구분해보면 지역사회기반 조사 응급실 기록이나 입원기록과 같은 각종 의무

기록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서 수집되는 보험자료나 행정자료 그리고 사망통계 등

이 손상 감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지역사회기반 조사

의원 의무기록

응급실 기록

보험 행정자료

입원기록

사망통계

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손상 감시 자료원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축되어 있는 손상감시체계는 손상 발생 경과(사고 발생 이

전 사고 발생 사고 발생 이후)별 정책 마련과 성과 모니터평가를 뒷받침하고 손상예방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임 다양한 형태의 손상 관련

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나 손상통계지표가 손상예방정책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생성하

지 못하거나 조사대상집단이 한정되어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이 부족함 따라서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평가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각 부문별 손상

관련 통계의 조사문항이나 문항의 분류코드가 비 표준화된 상태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

에 다양한 손상자료로부터 산출된 손상 통계를 연계 활용하기가 어려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손상 관련 통계가 다양한 부문에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임 각 부문별로 손상에 관련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손상 관련 통계를 생성유지하는 고유의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임 따라서 이처럼 부문별 기능별로 분산된 손상

관련 감시체계에서 각자 고유의 목적을 극대화시키면서 각 분야의 통계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적인 전체 손상의 규모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가 필요함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요 약 문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사업책임자 이진석 사업수행기관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사업기간 개월

사 업 내 용 요 약

사업의 목적

목적 손상감시사업을 표준화하고 체계화하며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을 강화하고 손

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확대 및 강화함

목표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조사업무를 표준화하고 체계화하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 수립을 위해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을

지원하고 손상정책포럼과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손상 역학과 관리(2009)

개정 작업을 시행함 손상관련 타 부처 기관과 협력하여 손상종합통계집과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함

사업의 내용 및 수행방법

사업내용 손상감시사업을 지원하고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사업을 지원함 또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을 지원함

사업수행방법 손상운영사업단 교육분과위원회를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

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을 하고 뉴스레터를 발간함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협력하여 예방가능한 손상 사망률 산출 및 국가대표 손상관련 지표 개발을 지원하고 손상예

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를 운영하며 손상정책포럼을 개최함 또한 2009년 발간된 lt손

상 역학과 관리gt를 개정함 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여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손상감시정

보지를 발간하여 기관 및 전문가 간 협력기반을 강화함

최종 실적

손상감시사업 지원을 위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질향상 및 자료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통계 실습교육을 시행함 또한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질병관리본부와 참여

기관 간 정보교류를 강화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를 위해 차례

의 세미나와 차례의 손상정책포럼을 개최하였으며 각국의 손상정책 관련 기관의 손상감시

체계 현황을 조사함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국가

적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함 손상 예방활동과 관리 전략 마련에 참고

할 수 있도록 손상의 역학과 관리의 개정작업을 진행 국내 손상정책 관련 기관 간의 연계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였으며 분기별로 손상감시정보지를 발

간함

- 3 -

기대효과 및 활용전략

2010년 이후 상시적으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을 운영함으로써 국가손상 통합

감시를 위한 기본 인프라 구축작업을 진행하였음 향후 안정적인 감시체계의 운영을 위한 질

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 조사원의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외국 감시체계

와 정책 고찰 및 손상정책개발 세미나를 진행하여 내부 연구진의 역량을 강화함 또한 사업

단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손상 관련 통계를 생산하고 배포함으로써 손상 문제에 대한

국가적 정책 우선순위를 높이는데 기여함

- 1 -

1 사업배경 및 필요성

가 우리나라의 손상 발생 현황 우리나라에서 손상은 암 순환기계 질환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주요사망원인으로 손상예

방대책은 전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매우 중대한 요인임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2년도 우리나라의 총 사망자는 267221명인데 이 중 질병이 아닌 외인(사고)

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총 31153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2에 이르고 있음 특히 생산 가

능 연령대에서 사망률이 높아서 경제적인 손실이 큰 상황임1)

신생물74990(28)

순환기계통의질환58960(22)

질병이환및

사망의외인31153(12)

달리분류되지

않은증상 징후25115(9)

호흡기계통의질환22770(9)

그림 년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현황 자료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또한 손상 발생률은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2011년도

기준 인구 100000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63명임 2011년 외인으로 인한 사망

자료가 있는 OECD 국가 중 에스토니아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며 전체 사망 중 외인에

의한 사망이 차지하는 분율 역시 126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1) 이진석 등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 간 손상관련 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 질병관리본부 2010

- 2 -

선진국에서 손상의 치명상의 경우 의학기술과 의료체계의 발전에 따라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에도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사망률은 특별한 손상예방정책이 없더라도 감소하

는 경향이 있음 손상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사회적으로 투여되는 자원은 더욱 증가

하고 있음2)

그러나 우리나라의 손상환자 사망률은 1983년 이후 전반적으로 사망률이 일정 수준에서

감소하지 않고 있음 2006년 한 해 손상 발생 건수는 총 1300여만 건에 이르며 사회경

제적 부담은 최소 26조 5천억 원 이상으로 전체 GDP의 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음3) 특히 이 같은 추계 결과는 간접 의료비용과 장애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 물적 피

해와 경제적 손실비용은 제외한 결과로 이를 포함할 경우 손상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더

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 Cryer C Langley JD Developing valid indicators of injury incidence for all injury Inj Prev 2006

Jun12(3)202-7

3) 국민건강보험공단 안전사고 통계DB 구축 및 현황 분석 연구 2007

810

740

655 633

606 580

555 506 496

445 408

367 341 339 337

269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그림 인구 만 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 자료

- 3 -

559

641

742 759

634 651 613 64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연도

십만명당사망자수

그림 국내 손상 사망률 추세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 및 지원체계의 필요성 손상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기 위해서는 손상의 발생 규모와 양상에 대한 양

질의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WHO 2006) 이를 통해 손상예방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효과적인 개입 수단을 도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책 실행의 경과와 성과를 모니터

하고 평가할 수 있음

그림 손상예방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

접근법과 손상감시체계 자료

- 4 -

손상감시(surveillance)는 손상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손상정보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체

계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 배포하는 과정임 개별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보건전문가 정부기관 국제조

직 일반 국민 등 손상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영역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

손상감시를 목적으로 수집활용되는 자료는 매우 다양함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손상감시

자료원을 구분해보면 지역사회기반 조사 응급실 기록이나 입원기록과 같은 각종 의무

기록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서 수집되는 보험자료나 행정자료 그리고 사망통계 등

이 손상 감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지역사회기반 조사

의원 의무기록

응급실 기록

보험 행정자료

입원기록

사망통계

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손상 감시 자료원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축되어 있는 손상감시체계는 손상 발생 경과(사고 발생 이

전 사고 발생 사고 발생 이후)별 정책 마련과 성과 모니터평가를 뒷받침하고 손상예방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임 다양한 형태의 손상 관련

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나 손상통계지표가 손상예방정책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생성하

지 못하거나 조사대상집단이 한정되어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이 부족함 따라서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평가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각 부문별 손상

관련 통계의 조사문항이나 문항의 분류코드가 비 표준화된 상태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

에 다양한 손상자료로부터 산출된 손상 통계를 연계 활용하기가 어려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손상 관련 통계가 다양한 부문에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임 각 부문별로 손상에 관련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손상 관련 통계를 생성유지하는 고유의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임 따라서 이처럼 부문별 기능별로 분산된 손상

관련 감시체계에서 각자 고유의 목적을 극대화시키면서 각 분야의 통계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적인 전체 손상의 규모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가 필요함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 -

기대효과 및 활용전략

2010년 이후 상시적으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을 운영함으로써 국가손상 통합

감시를 위한 기본 인프라 구축작업을 진행하였음 향후 안정적인 감시체계의 운영을 위한 질

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 조사원의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외국 감시체계

와 정책 고찰 및 손상정책개발 세미나를 진행하여 내부 연구진의 역량을 강화함 또한 사업

단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손상 관련 통계를 생산하고 배포함으로써 손상 문제에 대한

국가적 정책 우선순위를 높이는데 기여함

- 1 -

1 사업배경 및 필요성

가 우리나라의 손상 발생 현황 우리나라에서 손상은 암 순환기계 질환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주요사망원인으로 손상예

방대책은 전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매우 중대한 요인임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2년도 우리나라의 총 사망자는 267221명인데 이 중 질병이 아닌 외인(사고)

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총 31153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2에 이르고 있음 특히 생산 가

능 연령대에서 사망률이 높아서 경제적인 손실이 큰 상황임1)

신생물74990(28)

순환기계통의질환58960(22)

질병이환및

사망의외인31153(12)

달리분류되지

않은증상 징후25115(9)

호흡기계통의질환22770(9)

그림 년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현황 자료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또한 손상 발생률은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2011년도

기준 인구 100000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63명임 2011년 외인으로 인한 사망

자료가 있는 OECD 국가 중 에스토니아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며 전체 사망 중 외인에

의한 사망이 차지하는 분율 역시 126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1) 이진석 등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 간 손상관련 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 질병관리본부 2010

- 2 -

선진국에서 손상의 치명상의 경우 의학기술과 의료체계의 발전에 따라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에도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사망률은 특별한 손상예방정책이 없더라도 감소하

는 경향이 있음 손상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사회적으로 투여되는 자원은 더욱 증가

하고 있음2)

그러나 우리나라의 손상환자 사망률은 1983년 이후 전반적으로 사망률이 일정 수준에서

감소하지 않고 있음 2006년 한 해 손상 발생 건수는 총 1300여만 건에 이르며 사회경

제적 부담은 최소 26조 5천억 원 이상으로 전체 GDP의 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음3) 특히 이 같은 추계 결과는 간접 의료비용과 장애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 물적 피

해와 경제적 손실비용은 제외한 결과로 이를 포함할 경우 손상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더

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 Cryer C Langley JD Developing valid indicators of injury incidence for all injury Inj Prev 2006

Jun12(3)202-7

3) 국민건강보험공단 안전사고 통계DB 구축 및 현황 분석 연구 2007

810

740

655 633

606 580

555 506 496

445 408

367 341 339 337

269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그림 인구 만 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 자료

- 3 -

559

641

742 759

634 651 613 64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연도

십만명당사망자수

그림 국내 손상 사망률 추세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 및 지원체계의 필요성 손상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기 위해서는 손상의 발생 규모와 양상에 대한 양

질의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WHO 2006) 이를 통해 손상예방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효과적인 개입 수단을 도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책 실행의 경과와 성과를 모니터

하고 평가할 수 있음

그림 손상예방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

접근법과 손상감시체계 자료

- 4 -

손상감시(surveillance)는 손상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손상정보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체

계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 배포하는 과정임 개별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보건전문가 정부기관 국제조

직 일반 국민 등 손상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영역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

손상감시를 목적으로 수집활용되는 자료는 매우 다양함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손상감시

자료원을 구분해보면 지역사회기반 조사 응급실 기록이나 입원기록과 같은 각종 의무

기록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서 수집되는 보험자료나 행정자료 그리고 사망통계 등

이 손상 감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지역사회기반 조사

의원 의무기록

응급실 기록

보험 행정자료

입원기록

사망통계

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손상 감시 자료원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축되어 있는 손상감시체계는 손상 발생 경과(사고 발생 이

전 사고 발생 사고 발생 이후)별 정책 마련과 성과 모니터평가를 뒷받침하고 손상예방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임 다양한 형태의 손상 관련

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나 손상통계지표가 손상예방정책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생성하

지 못하거나 조사대상집단이 한정되어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이 부족함 따라서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평가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각 부문별 손상

관련 통계의 조사문항이나 문항의 분류코드가 비 표준화된 상태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

에 다양한 손상자료로부터 산출된 손상 통계를 연계 활용하기가 어려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손상 관련 통계가 다양한 부문에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임 각 부문별로 손상에 관련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손상 관련 통계를 생성유지하는 고유의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임 따라서 이처럼 부문별 기능별로 분산된 손상

관련 감시체계에서 각자 고유의 목적을 극대화시키면서 각 분야의 통계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적인 전체 손상의 규모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가 필요함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 -

1 사업배경 및 필요성

가 우리나라의 손상 발생 현황 우리나라에서 손상은 암 순환기계 질환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주요사망원인으로 손상예

방대책은 전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매우 중대한 요인임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2년도 우리나라의 총 사망자는 267221명인데 이 중 질병이 아닌 외인(사고)

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총 31153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2에 이르고 있음 특히 생산 가

능 연령대에서 사망률이 높아서 경제적인 손실이 큰 상황임1)

신생물74990(28)

순환기계통의질환58960(22)

질병이환및

사망의외인31153(12)

달리분류되지

않은증상 징후25115(9)

호흡기계통의질환22770(9)

그림 년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현황 자료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또한 손상 발생률은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2011년도

기준 인구 100000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63명임 2011년 외인으로 인한 사망

자료가 있는 OECD 국가 중 에스토니아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며 전체 사망 중 외인에

의한 사망이 차지하는 분율 역시 126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1) 이진석 등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 간 손상관련 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 질병관리본부 2010

- 2 -

선진국에서 손상의 치명상의 경우 의학기술과 의료체계의 발전에 따라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에도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사망률은 특별한 손상예방정책이 없더라도 감소하

는 경향이 있음 손상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사회적으로 투여되는 자원은 더욱 증가

하고 있음2)

그러나 우리나라의 손상환자 사망률은 1983년 이후 전반적으로 사망률이 일정 수준에서

감소하지 않고 있음 2006년 한 해 손상 발생 건수는 총 1300여만 건에 이르며 사회경

제적 부담은 최소 26조 5천억 원 이상으로 전체 GDP의 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음3) 특히 이 같은 추계 결과는 간접 의료비용과 장애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 물적 피

해와 경제적 손실비용은 제외한 결과로 이를 포함할 경우 손상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더

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 Cryer C Langley JD Developing valid indicators of injury incidence for all injury Inj Prev 2006

Jun12(3)202-7

3) 국민건강보험공단 안전사고 통계DB 구축 및 현황 분석 연구 2007

810

740

655 633

606 580

555 506 496

445 408

367 341 339 337

269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그림 인구 만 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 자료

- 3 -

559

641

742 759

634 651 613 64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연도

십만명당사망자수

그림 국내 손상 사망률 추세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 및 지원체계의 필요성 손상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기 위해서는 손상의 발생 규모와 양상에 대한 양

질의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WHO 2006) 이를 통해 손상예방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효과적인 개입 수단을 도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책 실행의 경과와 성과를 모니터

하고 평가할 수 있음

그림 손상예방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

접근법과 손상감시체계 자료

- 4 -

손상감시(surveillance)는 손상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손상정보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체

계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 배포하는 과정임 개별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보건전문가 정부기관 국제조

직 일반 국민 등 손상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영역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

손상감시를 목적으로 수집활용되는 자료는 매우 다양함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손상감시

자료원을 구분해보면 지역사회기반 조사 응급실 기록이나 입원기록과 같은 각종 의무

기록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서 수집되는 보험자료나 행정자료 그리고 사망통계 등

이 손상 감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지역사회기반 조사

의원 의무기록

응급실 기록

보험 행정자료

입원기록

사망통계

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손상 감시 자료원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축되어 있는 손상감시체계는 손상 발생 경과(사고 발생 이

전 사고 발생 사고 발생 이후)별 정책 마련과 성과 모니터평가를 뒷받침하고 손상예방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임 다양한 형태의 손상 관련

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나 손상통계지표가 손상예방정책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생성하

지 못하거나 조사대상집단이 한정되어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이 부족함 따라서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평가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각 부문별 손상

관련 통계의 조사문항이나 문항의 분류코드가 비 표준화된 상태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

에 다양한 손상자료로부터 산출된 손상 통계를 연계 활용하기가 어려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손상 관련 통계가 다양한 부문에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임 각 부문별로 손상에 관련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손상 관련 통계를 생성유지하는 고유의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임 따라서 이처럼 부문별 기능별로 분산된 손상

관련 감시체계에서 각자 고유의 목적을 극대화시키면서 각 분야의 통계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적인 전체 손상의 규모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가 필요함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 -

선진국에서 손상의 치명상의 경우 의학기술과 의료체계의 발전에 따라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에도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사망률은 특별한 손상예방정책이 없더라도 감소하

는 경향이 있음 손상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사회적으로 투여되는 자원은 더욱 증가

하고 있음2)

그러나 우리나라의 손상환자 사망률은 1983년 이후 전반적으로 사망률이 일정 수준에서

감소하지 않고 있음 2006년 한 해 손상 발생 건수는 총 1300여만 건에 이르며 사회경

제적 부담은 최소 26조 5천억 원 이상으로 전체 GDP의 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음3) 특히 이 같은 추계 결과는 간접 의료비용과 장애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 물적 피

해와 경제적 손실비용은 제외한 결과로 이를 포함할 경우 손상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더

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 Cryer C Langley JD Developing valid indicators of injury incidence for all injury Inj Prev 2006

Jun12(3)202-7

3) 국민건강보험공단 안전사고 통계DB 구축 및 현황 분석 연구 2007

810

740

655 633

606 580

555 506 496

445 408

367 341 339 337

269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그림 인구 만 명당 외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 자료

- 3 -

559

641

742 759

634 651 613 64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연도

십만명당사망자수

그림 국내 손상 사망률 추세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 및 지원체계의 필요성 손상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기 위해서는 손상의 발생 규모와 양상에 대한 양

질의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WHO 2006) 이를 통해 손상예방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효과적인 개입 수단을 도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책 실행의 경과와 성과를 모니터

하고 평가할 수 있음

그림 손상예방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

접근법과 손상감시체계 자료

- 4 -

손상감시(surveillance)는 손상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손상정보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체

계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 배포하는 과정임 개별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보건전문가 정부기관 국제조

직 일반 국민 등 손상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영역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

손상감시를 목적으로 수집활용되는 자료는 매우 다양함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손상감시

자료원을 구분해보면 지역사회기반 조사 응급실 기록이나 입원기록과 같은 각종 의무

기록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서 수집되는 보험자료나 행정자료 그리고 사망통계 등

이 손상 감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지역사회기반 조사

의원 의무기록

응급실 기록

보험 행정자료

입원기록

사망통계

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손상 감시 자료원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축되어 있는 손상감시체계는 손상 발생 경과(사고 발생 이

전 사고 발생 사고 발생 이후)별 정책 마련과 성과 모니터평가를 뒷받침하고 손상예방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임 다양한 형태의 손상 관련

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나 손상통계지표가 손상예방정책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생성하

지 못하거나 조사대상집단이 한정되어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이 부족함 따라서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평가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각 부문별 손상

관련 통계의 조사문항이나 문항의 분류코드가 비 표준화된 상태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

에 다양한 손상자료로부터 산출된 손상 통계를 연계 활용하기가 어려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손상 관련 통계가 다양한 부문에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임 각 부문별로 손상에 관련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손상 관련 통계를 생성유지하는 고유의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임 따라서 이처럼 부문별 기능별로 분산된 손상

관련 감시체계에서 각자 고유의 목적을 극대화시키면서 각 분야의 통계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적인 전체 손상의 규모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가 필요함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6: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 -

559

641

742 759

634 651 613 64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983 1987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연도

십만명당사망자수

그림 국내 손상 사망률 추세 자료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 및 지원체계의 필요성 손상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기 위해서는 손상의 발생 규모와 양상에 대한 양

질의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WHO 2006) 이를 통해 손상예방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효과적인 개입 수단을 도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책 실행의 경과와 성과를 모니터

하고 평가할 수 있음

그림 손상예방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

접근법과 손상감시체계 자료

- 4 -

손상감시(surveillance)는 손상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손상정보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체

계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 배포하는 과정임 개별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보건전문가 정부기관 국제조

직 일반 국민 등 손상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영역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

손상감시를 목적으로 수집활용되는 자료는 매우 다양함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손상감시

자료원을 구분해보면 지역사회기반 조사 응급실 기록이나 입원기록과 같은 각종 의무

기록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서 수집되는 보험자료나 행정자료 그리고 사망통계 등

이 손상 감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지역사회기반 조사

의원 의무기록

응급실 기록

보험 행정자료

입원기록

사망통계

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손상 감시 자료원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축되어 있는 손상감시체계는 손상 발생 경과(사고 발생 이

전 사고 발생 사고 발생 이후)별 정책 마련과 성과 모니터평가를 뒷받침하고 손상예방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임 다양한 형태의 손상 관련

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나 손상통계지표가 손상예방정책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생성하

지 못하거나 조사대상집단이 한정되어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이 부족함 따라서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평가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각 부문별 손상

관련 통계의 조사문항이나 문항의 분류코드가 비 표준화된 상태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

에 다양한 손상자료로부터 산출된 손상 통계를 연계 활용하기가 어려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손상 관련 통계가 다양한 부문에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임 각 부문별로 손상에 관련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손상 관련 통계를 생성유지하는 고유의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임 따라서 이처럼 부문별 기능별로 분산된 손상

관련 감시체계에서 각자 고유의 목적을 극대화시키면서 각 분야의 통계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적인 전체 손상의 규모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가 필요함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7: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 -

손상감시(surveillance)는 손상의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손상정보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체

계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 배포하는 과정임 개별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보건전문가 정부기관 국제조

직 일반 국민 등 손상문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영역으로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

손상감시를 목적으로 수집활용되는 자료는 매우 다양함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손상감시

자료원을 구분해보면 지역사회기반 조사 응급실 기록이나 입원기록과 같은 각종 의무

기록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서 수집되는 보험자료나 행정자료 그리고 사망통계 등

이 손상 감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지역사회기반 조사

의원 의무기록

응급실 기록

보험 행정자료

입원기록

사망통계

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손상 감시 자료원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축되어 있는 손상감시체계는 손상 발생 경과(사고 발생 이

전 사고 발생 사고 발생 이후)별 정책 마련과 성과 모니터평가를 뒷받침하고 손상예방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임 다양한 형태의 손상 관련

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나 손상통계지표가 손상예방정책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생성하

지 못하거나 조사대상집단이 한정되어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이 부족함 따라서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평가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각 부문별 손상

관련 통계의 조사문항이나 문항의 분류코드가 비 표준화된 상태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

에 다양한 손상자료로부터 산출된 손상 통계를 연계 활용하기가 어려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손상 관련 통계가 다양한 부문에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임 각 부문별로 손상에 관련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하고 손상 관련 통계를 생성유지하는 고유의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임 따라서 이처럼 부문별 기능별로 분산된 손상

관련 감시체계에서 각자 고유의 목적을 극대화시키면서 각 분야의 통계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적인 전체 손상의 규모와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

가 필요함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8: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5 -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관 간 효율적 연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해외손상감시체계의 현황

과 발전방향을 조사하여 관련 통계의 정책적 활용성과 손상예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

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사업목적 손상감시사업의 표준화와 체계화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의 감시정보 조사업무를 표

준화하고 체계화

-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원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진행하는 표준화된 교

육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

- 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

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하여 손상 뉴스레터 발간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 역량 강화

- 외국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손상감시체계의 발전 방

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하여 손상 분야 정책 역량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강화

-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 개최를 지원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소를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 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

법론 개발 및 시범적용

- 손상 예방정책 수립 및 관련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하여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를

선정

- 손상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lsquo건강

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기반 강화

- 국가손상종합통계집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 손상감시정보지의 주제를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손상감시사업과

정책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9: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6 -

3 사업내용 및 수행방법

가 손상감시사업 지원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지원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여러 손상감시체계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권고안이 일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획되

어 시행되어야 자료 결과물의 비교 활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비교활용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활용성과 신뢰성도 확보될 수 있음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손상감시체계 간에도 비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관된 지침 개발이 필

요한 상황임

손상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조사원 업무 표준화 및 체계화를 위한 사업 세부 목표는 아래

와 같음

- 다른 손상감시체계의 조사체계 및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형태의 응급실 손

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를 통해 마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조사인력에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질병관리본부

의 교육활동 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의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한 병원의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따라서 다양한 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육의 내용도 조사와 관련된 여러 분

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가해야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사업단과 질병관리본부 위원 및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과 전문가middot사업단 위원

간담회를 개최함 교육 대상자인 코디네이터 역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시키

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함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코디네이터 교육을 진행할 때 이와 관련된

기술적 운영 지원을 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된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을 조율함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0: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7 -

또한 그동안 시행된 교육과정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강의식 교육으로 손상감시체계

의 이론적인 배경과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음 그러나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

그램에서 실습교육이 부족하여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연계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

었음 특히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응급실 손상환

자 표본심층조사 자료의 입력과 질관리를 할 수 있는 실습 교육과정을 추가하여 코디네

이터 교육에서 학습 내용이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함

나) 성과

(1)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13년 1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3 28 ~ 29

- 장소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내용

손상진단명 코딩교육 신진희(질병관리본부)

제주 안전도시사업 지명준(제주도청 안전도시팀)

손상역학 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다빈도 코딩 오류 안선희(질병관리본부)

두부척추손상 송성욱(제주대병원 응급의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13년 2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6 21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R을 이용한 데이터 질관리 실습 교육황승식(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강성찬(인하대학교 사회의학교실)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1: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8 -

13년 3차 코디네이터 교육

- 시간 2013 9 26 ~ 27

- 장소 부산 팔레드시즈

- 내용

조사문항 기타내용 질관리 안선희(질병관리본부)

코디네이터의 행복커리어 개발 이영희(HR Consulting firm)

의무기록 판독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

문항 간 연관관계 신진희(질병관리본부)

문의사례 조별 실습 안선희(질병관리본부)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4차 코디네이터 교육

- 일시 2013 12 20

- 장소 서울의대 도서관 3층 전산교육실

- 내용

엑셀 심화기능 및 함수 실습 정혜민(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년 차 코디네이터 교육 주제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을 위해서는 조사에 관여하는 구성인력

및 관련 전문가 간 정보교류가 강화되어야 함 이러한 정보교류의 주된 대상은 조사 참

여병원과 연구진 및 질병관리본부가 될 것임

지속적 교류 매개체의 확보를 통해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세부목

표는 아래와 같음

- 뉴스레터의 발간을 통해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참여병원과 연구진 질병관리본

부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교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

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2: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9 -

주된 정보 교류 당사자인 참여병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

록 뉴스레터의 구체적 형식을 결정함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전문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 컨텐츠를 반영하여 뉴스레터의 내용을 기획함 이를 위해 사업단 내에 별도

팀을 구성하여 뉴스레터를 기획하고 발간함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 동안 4차례의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참여병

원과 관련 기관에 배포함

- 일반공지 코디네이터 교육 요약 주요 손상 현황 및 예방(사업 참여병원 기고) 행사공

지의 4부분으로 구성

- 질병관리본부와 참여병원 코디네이터간의 정보교류 및 소통의 도구로 활용

- 13년 4호 뉴스레터는 1월 중 발간 예정임

그림 년 호 뉴스레터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3: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0 -

나 손상감시 및 예방 정책사업 지원

1)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

로 이송되어 최선의 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

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선진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외상사망 중에서 14의 환자는 살릴 수 있다고 일반

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치료체계

의 확립이 필수적임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이러한 예방가능한 사망을 10 이내

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음4)

외상치료체계는 크게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병원 전 단계에서 사

망하는 환자가 전체의 50 정도 차지하며 이 중 20 정도가 예방가능한 사망이며 이들

은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음5)

이러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

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lsquo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rsquo연구와

2008년 lsquo응급의료체계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rsquo등을 통하여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였음 하지만 단일 과제로 진행되었고 병원 규모 연구방법론 등이 서로 상이하여

지속성과 대표성을 기대할 수 없었음

4) Trundey amp Lim 1974 Wes et al 1979 Trunkey 1982 Kreis et al 1986 Shackford 1987 Draaisma 1989

5) Danne 1989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4: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1 -

특히 지역사회 단위의 자료산출 체계가 부재하며 권역외상센터의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

률 산출은 기관단위의 질 관리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이에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산출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나) 성과

2013년 조사추진체계

-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전체 조사 기획 예산 및 기술지원

과 향후 타지역 확산을 기획함

- 대구광역시 협조 하에 대구지역 응급의학 전문의 타과 전문의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제 조사를 주도함 또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지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감

소를 위한 향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예정임

향후 조사추진체계

- 지방자치단체 주도 하에 질병관리본부와 손상운영사업단이 지원하는 체계를 통해 향후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

주관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보건복지부 이화여대

기간

병원 수 개 개 개 개 개 개 중증외상특성화센터 개

환자 수

예방가능사망 환자 비율 병원단계 병원단계 병원단계

사망영향요인 두부손상 중증도 두부손상 중증도두부손상 중증도

병원도착 후 수술까지 시간

문제 수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장소응급실

병원간이송병원전단계

응급실병원전단계병원간이송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응급실병원전단계중환자실

범주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치료구조적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기존 조사 결과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5: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2 -

조사 지역 및 참여병원

-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

터 4개로 아래표와 같음

참여병원

권역센터 경북대병원

지역센터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 파티마병원

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 참여병원

조사방법

- 조사규모는 사업 참여병원에 내원한 외상 사망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 첫해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표본추출방법론 및 조사대상

규모를 산출할 예정임

- 조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해당병원 응급실에 외상으로 내원하

여 사망환 환자이며 DOA 가망 없는 퇴원 자살 타살은 포함 익사 목맴 중독 동상

외인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영향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처치의 합병

증은 제외하였음

- 조사팀은 사전조사를 위한 의무기록조사원 1인과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전체위원회 17인

을 구성하였음(일반외과 신경외과 외상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등)

- 조사 시행전 의무기록조사원과 방문조사 패널에 대한 교육을 1회 시행함 조사는 의무

기록조사원이 조사표 내용 중 의무기록번호부터 AIS까지 작성하였으며 응급의학 전문

이 2인이 해당병원을 방문하여 남은 부분과 문제점 코드를 작성함 2인의 의견이 일치

할 경우 해당건을 완료하였고 불일치할 경우 해당 분야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하여

해결 자문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위원회에 상정하여 전체토의를 거쳐 합

의점을 도출함

- 예방가능성의 판단은 외상사망환자 분석표 문제점 코드 영상의학 자료 등을 참고하였

으며 문제점 코드의 진료 오류에 대한 판단은 Advanced Trauma Life Support(ATLS)

9th Edition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판단함 또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의 기저질환은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MoRT를 모두 조사하여 예측력 검증을 시도함

- 전체위원회의 불일치 건 합의과정은 전체 조사 종료 후 전체위원회를 소집하여 불일치

건 조사자 2인이 환자의 병력 및 조사자 간의 의견차이를 설명함(영상의학 자료 및 혈

액검사 자료 등 참고) 건당 10~20분 자유토론 후 다수결로 예방가능성을 재판정하며

의견조율 및 합의점 도출과정은 해당지역 총괄 교수와 위원회 위원장이 주도함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6: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3 -

위원장 도병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외상학

패널

류현욱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신수정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안재윤 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

김성진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전재천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응급의학

이경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성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

김윤정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이대로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

박신률 영남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

자문위원

이상철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김재범 계명대학교동산병원흉부외과학

중환자의학과외상외과

박기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김영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조해창 대구파티마병원 외과

이장훈 영남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

표 8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대구지역 산출위원회

그림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과정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7: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4 -

결과해석

- 조사완료된 외상사망환자 분석표를 데이터 코딩 및 분석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대구지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 431 병원전 123 병원내 308로 조사되

었음

기대생존확률(TRISS) 일치도 평가

- 일치도 평가를 위해 총 180명 중 TRISS 산출에 필수적인 나이 호흡수 수축기혈압

GCS ISS 값 중 하나라도 결측인 117명을 제외한 63명의 TRISS 값을 산출함 TRISS 산

출은 Schluter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산출 방법과 TRISS로부터 생존

확률 사망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음

그림 대구지역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8: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5 -

- TRISS 산출이 가능했던 63명의 평균 사망확률은 327였으며 최소 05에서 최대

997까지 분포하였음 이중 전체단계 예방가능(PP) 외상사망자는 23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226 (최소 05 최대 745) 였음 전체단계 예방불가능(NP) 외상사

망자는 40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사망확률은 386 (최소 27 최대 997) 였음

- 두 군의 사망확률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이용하였을

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확률 00487로 예방불가능군과 예방불가군의 사망확률의 분포

는 동일하지 않았음

조사 의의

-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지역 자체 위원회 구

성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해짐 또한 응급의학 전문의 외에 외

상 관련 학과 전문의 참여로 예방가능성의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타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음

지속계획

- 중증도 보정 기대생존확률 결과의 타당도가 확인되면 이를 활용하여 매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 산출을 하고 일정 간격으로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시행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 발생의 단계 구분 및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임

그림 예방가능군과 예방불가능군의 사망확률 분포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19: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6 -

2)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국가 대표 손

상관련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체계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 및 기관에서 해당기관의 이해와 관심에 따라 개별

적으로 손상자료를 생산 관리하고 있음 이로 인해 자료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자료원을 동시에 사용하고 손상 예방정책에 활용 가능한 자

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료원간 공통으로 조사 가능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필요

가 있음 그동안 손상 관련 지표 개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나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에 대한 합의가 불충분하였음

이에 손상운영사업단에서는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지표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대표 손상지표를 선정할 계획임 대표 손상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 고찰

외국의 지표 검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손상 분야의 대표 지표를 선정함

나) 성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를 종합하여 14개 영역 46개의 지표를 1차로 추출함 아동청소년

지표는 이미 보건복지부에서 선정 후 활용 중이므로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함

- 국내 참고 지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부처간

손상관련자료 표준화 방안 연구(2010)

- 외국 참고 지표 Healthy People 2020-Injury and Violence Prevention (미국) Serious

Injury Outcome Indicators (뉴질랜드) Injury Profiles (영국) The Injury Chart Book

(WHO) Injuries in the European Union 2008-2010 (EU)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0: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7 -

미국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내 아동안전지표 뉴질랜드 손상예방 통계 영국 손상예방 통계 세계보건기구 통계 유럽연합 통계

전체손상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인구 만명당손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손상관련

사망률손상예방 영역의 손상 현황

예방가능한손상사망건수 세이하 인구 만 명당 치명적 손상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입원율

인구만명당손상으로인한응급입원율 세미만 세미만

세 세이상국가별 치명적 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 명당 성 연령별 손상 사망자수 분율

세이상 성인의 연간 손상경험률

치명적 손상 추세

인구 만 명당 손상 퇴원환자 수 분율

성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손상예방 영역의 연령별 내원 명당 손상환자 수

연령별 소아청소년 노인

세 이상의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연령 그룹별 비치명적 손상 발생 주요장소

세 이하 아동 가정 손상의 기전

세 이하 아동 손상 원인물질

세 치명적 손상과 사망원인

손상예방 영역의 세 손상 환자수 명당

제 당자사별 교통손상 발생 분율 세

구기종목 팀별 손상 발생 순위 세

세 이상 기전별 치명적 손상 발생자 수 만 명당

세 이상 비치명적 손상

표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1: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8 -

장소별 분율

비의도적손상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사망률세 세 세 세이하

세이하 인구 만명당 치명적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비의도적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중증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입원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일 이상

입원율

아동청소년인구 만명당비의도적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중증손상으로 인한 입원율

세 이하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교통사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교통사고사망률인구 만명당운수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

사망률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률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교통사고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손상 발생률

연령별 도로 이용자 유형별 치명 분율

차량운행억마일당교통사고사망률

차량 운행 억 킬로미터당 교통사고 사망률

도로 이용자의 취약성과 중증도

차량운행 억킬로미터당교통사고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비치명적 도로 손상의 부위별 분율

차량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차량 탑승 영아 카시트 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부스터시트착용률

차량탑승 세아동안전벨트착용률

차량탑승 세 미만 아동 안전벨트 착용률

운전면허 법이 있는 주 수

인구 만명당보행자교통사고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보행자교통사고발생률

인구 만명당자전거사고사망률

자전거운전시헬멧착용을의무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2: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19 -

화한주 수

이륜차 운전사 헬멧 착용률

오토바이 운전자 중 중증손상 사망 건 수

세 이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손상으로 인한 생명

손실 년 수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망률 도로 중증

손상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도로 사고

발생률전체 세미만

지역기반인구 만명당 보행자 사고 발생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차량 충돌사고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지역 기반 인구 만명당 육지 교통수단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외상성두부손상

인구 만명당외상성두부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입원율

인구 만명당 두개골절이나 두부내 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외상성두부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

척추손상인구 만명당척추손상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척추손상입원율

진료접근성

외상센터에시간이내접근가능한인구비율

외상센터에시간이내거리의면적비율

중독손상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인구 만명당중독사고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중독

사망률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3: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0 -

인구 만명당중독사망률세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의도적불특정중독사망률 세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중독발생률

인구 만명당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인 중독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낙상

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낙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 관련 손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중증 손상 발생률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낙상사망률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세 미만 인구 만명당 비의도적 낙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질식

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영아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세이상인구 만명당비의도적질식사망률

익수인구 만명당익수사망률

인구 만명당익수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익수사고 사망률

인구 만명당 익수나 수몰로 인한 응급 입원률

인구 만명당 익수 사망률

인구 만명당 비치명적 익수 사고로 인한 병원 입원률

스포츠 여가활동 손상

인구천명당스포츠및레저활동중손상으로인한의료이용률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연령별 기전별 치명적 스포츠손상 발생 분율

인기 개 스포츠별 스포츠손상두부손상 발생

분율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4: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1 -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성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스포츠손상의 유형

학교손상

체육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교내활동 및 운동클럽 활동시 안전복장을 착용하는

학교의 비율

화재손상

인구 만명당거주지화재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화재사고사망률 세세 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화재 관련 화상 사망률

인구 만명당 연기 화재화염 노출로 인한 응급

입원률

자살 자해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자해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

자살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자살사망률 세 세세 세이하

인구 만명당 자살 사망률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성 연령별 자살자수인구 만

명당

인구 만명당의도적자해로인한중증손상발생률

인구 만명당 의도적 자해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별 기전별 자살 분율

비치명적 자해손상의 위험요인

국제적인 성 연령별 자해손상 분율

인구 만명당 자살로 인한 생명 손실 년수

성별 자해손상 기전별 분율

폭행 타살

인구 만명당 살인 발생률인구 만명당타살사망률 세 세

세 세이하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사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폭력손상 기전별 분율

인구 만명당비치명적폭행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인한 중증손상 발생률전체 세

이하

인구 만명당 폭력으로 인한 응급 입원률

성 연령별 치명적 폭력손상

세이상인구천명당폭행피해경험률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신체적다툼을한적이있는학생비율

성 연령별 병원에서 치료 받은 폭력손상의 유형

최근년사이에학교에서괴롭힘을당한적이있는학생비율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5: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2 -

최근달사이에학교내에서흉기를소지한적이있는학생비율

최근년사이에 세미만인구중어떤형태이든폭력에노출된적

이있는비율

인구 만명당총기관련사망률

인구 만명당비치명적총기관련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율

세미만인구 만명당아동학대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인구 만명당 폭행으로 인한

입원률 세이하 세

세미만인구천명당주당국에의해아동학대로인정된비율

직업손상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손상으로인한사망률

인구 만명당직업관련중증손상발생률

주별손상통계

손상으로인한응급실방문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응급실기반통계체계를갖

춘주 비율

손상으로인한병원치료후퇴원건수의 이상을정례적으로취합하는퇴원의무기록기반통계체계를갖춘주 비율

폭력으로인한사망감소활동을위해폭행사망자료와사망신고법정 의무기록등을연계하고

있는주 수

세 이상 인구 만명당 대퇴골 골절로 인한 응급

입원율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6: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3 -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인구 만명당 화상과 부식손상으로 인한 응급

입원율

가정레저손상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연령별 치명적 가정손상 원인물질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원인물질별 범주

가정손상 레저손상의 서비스 관련 발생 장소

가정내 아동 열손상 발생 원인별 분율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7: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4 -

전문가 합의를 통해 46개의 예비지표 중 최종 10개의 지표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선

정하였으며 전문가 합의 방법으로는 lsquo전문가 의견조사(델파이)rsquo를 사용함 1차 조사에

서는 손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국가대표 손상지표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위지표(예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기전별 활동별 등)에 대한 의

견을 수렴함 조사에는 총 16명이 참여하였으며 조사지와 결과는 별첨자료로 제시함

최종 선정된 10개의 국가 대표 손상지표는 아래 표와 같았으며 하위지표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소인변수로는 연령과 성별 손상특성변수로는 손상기전을 제시함

분야 지표명 하위 지표

전체손상전체 손상 발생률

연령 성별 손상기전

전체 손상 사망률

의도적 손상자살자해 발생률

자살자해 사망률

교통사고교통사고 발생률

교통사고 사망률

낙상 낙상 사망률

중독 중독 사망률

익수 익수 사망률

직업손상 직업손상 사망률

표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3) lsquo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 개정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략 마련을 위하여 2009년 보건복지부 질병

관리본부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임상독성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역학회

가 공동으로lsquo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rsquo를 발간하였음

손상의 역학과 관리 구성은 아래와 같음

- 손상의 공중보건학적 의의

- 손상발생현황

- 손상기전별 역학과 관리 전략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8: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5 -

- 손상 취약집단별 손상역학 및 관리전략

2009년 초판 발간 이후 4년여가 흐른 현재 손상발생 위험요인 통제와 손상예방 관리 전

략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2013년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

단에서 실무 운영을 지원하여 개정판을 발간함 또한 이를 관련 전문가 보건의료기관

학교 및 유관단체에 손상 예방 활동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

개정 관련 기관 및 학회는 아래와 같음

- 보건복지부

- 대한예방의학회

- 대한외상학회

- 대한응급의학회

- 대한임상독성학회

- 한국역학회

나) 성과

변화된 손상감시체계와 손상 통계 자료에 대한 개정을 진행하였음 손상예방정책에 관한

부분을 새로 추가하여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손상예방정책 사업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다뤘음 또한 부록으로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 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공동 개발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을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손상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절 손상이란 손상이란

절 손상의 분류 손상의 분류

절 손상의 질병부담 손상의 질병부담

절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손상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접근

절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손상예방을 위한 각국의 정책

표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판 목차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29: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6 -

절 손상감시체계 손상감시체계

절 손상의 규모 손상의 규모

절 손상의 역학적 특성장 세부내용으로 이동

절 교통사고 교통사고

절 추락 및 낙상 추락 및 낙상

절 둔상 둔상

절 중독 중독

절 어린이 질식 어린이 질식

절 익수 익수

절 화상 화상

절 자살 자살

절 폭력 타살 폭력 타살

절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절 어린이손상 어린이손상

절 노인손상 노인손상

절 직업손상 직업손상

절 손상예방을 위한 국가 비전과 전략 신설

절 손상예방정책과 사업 신설

절 지역사회 중심의 손상예방정책 신설

절손상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연구개발

신설

물놀이 사고 대 안전수칙 교통안전 변경

폭염 건강피해 대 예방수칙 익사사고 변경

폭염관련 중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장난감안전 변경

폭염관련 경증 질환 증상 및 대처방법 야외 낙상안전 변경

가정내 어린이사고 예방수칙 화상안전 변경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수칙 중독안전 변경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0: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7 -

4)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선진국의 손

상감시체계와 이를 활용한 손상예방정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체계의 개선방안과 손상예방정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며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하여야 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회 참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을 국

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

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에 근거로 제시

나) 성과(제141차 미국공중보건학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참석))

일정

- 일시 2013년 11월 2일 ndash 11월 6일

- 장소 Bosto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Boston MA US

- 참석자 김재익 김연용(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손상운영사업단 사무국)

- 주제 Think Global Act Local Best Practices Around the World

Conference 개요

- 제141차 학회의 주제는 지역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전 세계의 수많은 실천

들을 공유하여 최고의 연구 실천 리더십을 보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약 13000명의 공중보건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였으며 1000개 이상의 세션이 구성되

어 운영되었고 APHA 공중보건 엑스포에는 공중보건과 관련된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1: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8 -

주요 내용

- 학회 발표

전체 구연 및 포스터는 총 6500여 개가 발표되었음 구연 및 포스터 발표 자료의 키

워드를 중심으로 손상예방분야의 연구 정책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음

(httpsaphaconfexcomapha141amwebprogramstarthtml)

손상(injury)을 키워드로 한 발표는 모두 525개였으며 손상예방(injury prevention)은

301개 안전증진(safety promotion)은 210개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음

발표내용의 접근수준별로 살펴보면 먼저 국가수준의 손상예방 (national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10개였으며 지방정부 또는 지역사회 수준의 손상예방

(community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136개였음 미국은 Healthy people이라는

국가보건정책의 주요 지표로 손상예방과 폭력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주

또는 지방 정부의 보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회 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어

네트워크 활동 등으로 나타남

대상자 생애주기별로는 아동 손상예방(child injury prevention) 관련 발표는 53개 노

인 손상예방(elderly injury prevention)관련발표는 15개였음 아동 및 청소년 손상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소아 뇌 손상의 비용 분석 손상 관련 행위의 역학 소아 응급실

에서의 처치 일산화탄소 검출기 사용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대상 환경별로는 학교 손상예방 (school injury prevention)이 120개 지역사회

(community injury prevention) 136개 산업장 (workplace injury prevention) 27개 건

강도시와 손상예방 (healthy community amp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27개였음

주제별로 교통사고예방(traffic injury prevention) 관련발표는 18개 낙상안전 (fall

injury prevention)은 30개 자살예방 (suicide prevention) 관련발표는 79개 폭력예방

(violence prevention) 관련 발표는 327개였음 손상감시(injury surveillance) 관련 발

표는 96개 응급상황대응(emergency preparedness) 관련 발표는 125개였음 자살 예

방과 관련된 발표에서는 미국 성인에서의 자살 사고 외상 네트워크 체계 청소년 자

살 성직자의 역할 자살 예방 사업의 성과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손상감시

관련 발표에서는 일일 상황 감지 도구(DSAT)라는 시스템 손상 기전별 EMS 자료의

분석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학회 프로그램의 세션 구성을 위한 위원회에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서비스(Injury

control amp Emergency health services)위원회가 있었으며 구성된 세션의 주제는 표2

와 같음 손상 연구 방법론 공중보건 손상 관련 법률 기술의 중요성 응급 보건 자

료 분석 자살 예방 도로 교통 여가활동 손상 총기 손상 직업 손상 아동 및 청소

년 손상 보스톤 테러 사건 폭행 손상 자연 재해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음 도로 교

통 관련 발표에서는 10대 운전자의 손상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손상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직업 손상 관련 발표에서는 소방대원의 피부감염 낙상의 위험인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2: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29 -

자 군인에서의 손상 위험인자 다중 직업과 손상의 위험 직업 손상의 비용 부담 등

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제 141차 APHA에서 손상을 포함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는 형평성에 대한 것

이었는데 손상과 형평성(injury amp equity) 관련 발표가 14개 손상과 차이(injury amp

disparity) 관련 발표가 63개였음 이와 관련하여 인종별 외상환자 사망률의 차이 태

아 손상의 불평등 등의 세부 주제가 다루어졌음

- 엑스포(전시회) 내용

약 700개 이상의 학교 출판사 정부 기구 기술 및 제약회사 등이 참가하였음

관련된 연방정부 및 국가연구소들과 질병관리본부 비영리기관 컨설팅 기관 시민단

체 비영리기관 컨설팅 업체 및 교육기자재 제작회사 전문가 단체(학회 등) 보건대

학원 등이 참여하였음

손상예방을 위해 다양한 부처의 소속 기관들 간 다양한 부처의 기관과 지역사회 유

관기관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연방정부 주정부에서는 지방정부의 보건부에서 원활한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제공(인터넷 활용 교육지원 등)

하고 있었음

민간업체의 경우 실제 손상예방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교육기자재와 정보

자료들을 제작하여 실무자의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었음

표 손상관리 및 응급보건의료서비스 위원회가 구성한 세션 주제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3: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0 -

5)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예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이 요구됨 이를 위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사업단 위원과

사무국과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인력의 정책 개발 및 수행 역량의 강화가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사업단 위원 사업단 사무국 질병관리본부 등이 참여하는 정책개발 세미나를 정례적으

로 운영

이를 통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을 발굴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발굴하여 손상감시체계에 반영

-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와 정책개발 세미나 결과를 정리하여

연례 손상감시 및 정책개발 보고서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사업기간에 상 하반기 총 2차례의 정책개발세미나가 진행되었고 그 주제는 아래

와 같음

상반기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 산출 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하반기년 손상운영사업단 주요 사업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미국 지표 활용 김인순 미국 질병관리본부

표 년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6) 손상정책포럼 운영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국가 및 부처middot기관의 손상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포괄적 활용이 가

능한 손상통합감시체계의 수립방안 논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손상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들에게 의제를 제안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손상통합감시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4: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1 -

형성하는 장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본부를 주최로 하고 운영사업단이 주관하여 상반기 하반기로

연 2회 개최

이를 통해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하고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

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

나) 성과

제13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5 20

- 장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5층

- 내용

주제 발표자

질병관리본부 손상 감시체계 및 예방활동 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농작업손상 현황 및 예방 이경숙 농촌진흥청

교통사고 손상 현황 및 예방 유기열 도로교통공단

학교손상 현황 및 예방 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토론자 김상철(건대 충주병원) 황승식(인하대 사회의학)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

제14차 손상정책포럼

- 시간 2013 12 13

- 장소 대구광역시 노보텔 샴페인홀

- 내용

주제 발표자

국가손상감시체계의 현재와 미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대구지역 외상사망률 산출 조사 결과 류현욱 경북대 응급의학

효과적인 지역사회 외상진료체계 구축 방안 이강현 원주의대 응급의학

표 제 차 손상정책포럼 주제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5: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2 -

다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사업 지원

1) 손상종합통계집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경제발전 및 인구고령화로 인해 각종 손상사고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손상예

방을 위한 범정부적인 공동노력이 필요함

- 2007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1300여만 건의 각종 손상사고 발생 및 이로 인한 사회경

제적 부담이 최소 26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 기관별로 해당 영역의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근거로 활발한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손상통계는 상세하게 생

산되고 있지만 각 기관의 손상통계에 대한 연계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

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발견할 수 있음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손상통계를 생

산하고 있고 조사방법도 지역기반설문조사와 병원기반감시체계 및 보험보상체계와 행정

자료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 그러나 유럽과 미국 뉴질랜드 등 손상감시분야

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자료원을 조직화하여 포괄적인 손상통계를 생산하고 있음

외국에서 생산되는 손상통계는 크게 통계형과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통계형은 단

순한 통계수치들을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단계이고 종합형은 주요 사실과 위험요인과 취

약집단 및 예방전략 정책적 함의를 포괄하는 형태로 구성됨

우리나라에서도 각 기관에서 기존에 생산하고 있는 손상통계를 효율적으로 연계 활용하

는 것만으로 우리나라의 손상예방정책과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임 이

를 위해 2010년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처음으로 발간하였음

- 이를 통해 각 기관과 협력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이후 참여기관 간 손상통계의 질적 향

상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조사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전체손상 산업재해 교통사고 일차산업손상 학교손상으로 분류하여 손상통계 관련 기

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시

2010년 통계집은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발간하는 것이 주요한 목

표였으며 2011년 통계집은 자료 구성을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하여 자료 간 비교성을 확

보하여 손상예방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활용하도록 하였음 2012년 통계집은 참여 기관

확대를 주요한 목표로 하여 소방방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규로 참여하였으며

2013년은 이미 체계화된 형태로 정리된 기존 통계집 구성을 유지하였음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6: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3 -

2013년 손상종합통계집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통계집 레벨을 설정하여 각 레벨에 따라 목차 구성

1레벨 손상종류(전체 교통 산업재해 학교 농작업)

2레벨 손상특성변수(손상 당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손상기전 시기 장소 원인

물질 손상시 활동 등)

3레벨 지표변수(손상 사건으로 초래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발생 사망 기타(손상

전 지표변수 장애 의료비용 등))

- 성 연령 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수를 나타내는 소인변수는 각 통계표의 세로 축 항목으

로 두고 자료원에 따라 가능한 소인변수를 사용

- 각 레벨에 의해 구분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통계 자료원을 포괄하여 정리

나) 성과

손상 종합통계집 발간을 위한 실무협의회 운영을 지속함

- 손상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기관의 통계 담당자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논

의 진행

- 통계집에 수록될 지표 선정 및 통계의 비교성 확보를 위한 세부 조정 논의

- 부처기관 간 통계집 공동발간 협의

손상종합통계집의 발간 과정은 아래와 같음

그림 국가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절차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7: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4 -

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산업안전보건공단

학교안전중앙공제회

질병관리본부

근로복지공단

통계청

소방방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국가손상종합통계 참여기관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8: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5 -

구분전체 1-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일 표준

오차 일 표준오차

전체 55 07 55 07 13 04 52 14 57 17 21 09 88 22 124 25 135 31

성남자 55 09 04 00 15 05 52 14 82 17 24 15 134 49 160 40 73 11

여자 55 09 11 06 10 05 79 31 32 18 17 05 54 17 93 25 170 54

직업2)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1 09 - - - - 88 57 86 30 01 00 35 16 270 - - -

사무종사자 24 03 - - - - 16 12 44 05 04 02 00 - 00 - - -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58 15 - - 00 - 40 06 103 - 25 00 79 35 18 - 82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160 49 - - - - - - - - 154 - 17 - 262 85 135 69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6 - - - - 140 - 39 08 08 06 119 11 25 21 - -

단순노무 종사자 59 18 - - 10 - 61 20 37 30 00 - 53 28 60 - 106 96

무직(주부 학생 등) 65 13 - - 14 03 20 13 37 23 14 05 121 48 128 26 145 45

지역(동읍면)

동 46 06 08 03 16 04 49 16 55 18 11 03 79 19 74 15 135 48

읍 면 96 23 00 00 00 - 74 - 69 30 58 44 143 112 221 51 136 34

소득수준(월평균 가구총소득)

100만원 이하 80 13 00 - 10 06 58 - 00 - 230 - 57 20 133 32 116 25

101-200만원 50 13 01 00 00 00 27 06 77 - 11 03 106 20 150 19 46 16

201-300만원 58 12 22 01 33 05 60 05 87 42 33 - 12 01 246 32 66 -

301만원 이상 49 10 05 01 10 03 54 26 43 15 23 10 118 33 23 12 317 99

교육수준3)

초졸이하 46 08 08 04 11 02 - - - - 175 - 43 20 106 27 122 26

중졸 95 27 - - 18 04 140 - 00 - 00 - 216 81 217 16 196 -

고졸 55 11 - - 00 - 49 07 68 07 21 13 56 23 130 11 203 148

대졸이상 47 12 - - - - 55 40 50 11 16 03 79 31 65 30 00 -

의료보장지역의료보험 54 11 00 00 19 02 62 05 63 05 49 23 50 23 53 16 173 78

사업장(직장) 가입자 55 08 11 04 12 06 49 22 51 10 07 03 107 26 185 36 106 26

의료급여 58 22 00 - 07 - 00 00 93 - - - 28 - 00 - 179 59

미가입 - - - - - - - - - - - - - - - - - -

질병이환4)

고혈압 112 23 - - - - 00 - 182 - 06 - 125 20 116 32 110 32

이상지혈증 61 14 - - - - - - 00 - 03 - 78 06 99 15 40 09

뇌졸중 174 23 - - - - - - - - - - 245 - 00 - 62 -

심근경색 102 32 - - - - - - - - 00 - 106 - 00 - 225 126

골관절염 80 12 - - - - 33 - 00 - 00 - 41 11 131 13 78 24

당뇨병 99 22 - - - - - - 450 - 123 - 75 17 98 15 59 05

우울증 78 20 - - - - 72 - 75 08 19 04 42 20 85 16 315 119

혼인상태유배우자 동거 75 11 - - - - 64 61 49 16 24 12 98 25 126 28 137 55

유배우자 별거 24 - - - - - - - 00 - - - 170 - - - - -

사별 110 24 - - - - - - - - - - 31 08 145 18 127 34

이혼 37 11 - - - - - - 09 - 12 - 41 17 32 - 300 -

비해당 30 07 08 04 13 04 52 14 130 21 12 01 10 - - - - -

미상 - - - - - - - - - - - - - - - - - -

표 제 차 손상종합통계집 통계표 예시 손상 평균 와병일수1)) 단위 일

주 1) 손상 평균 와병일수 (연령별 사고중독 총 와병일수전체 사고중독 건수)와병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누워서 보내야 했던 날

2) 직업 군인 제외3) 교육수준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 중퇴 재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4) 질병이환 현재 유병여부

자료원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39: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6 -

2) 손상감시정보지 발간가) 배경 및 사업 세부목표

손상감시정보지는 참여 병원들에게 손상정보를 환류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자에게는 손

상문제에 대한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현재 손상감시정보지는

논문 형식의 연구요약본과 손상 칼럼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

상예방사업 소개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통계로 구성됨

손상감시정보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는 손상 관련 전문인력이 상호 교류하여 인적 조직

적 역량을 강화하고 손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 논의를 하기위해 필요함

이를 위한 사업 세부목표는 아래와 같음

- 연간 기획을 통해 일관성과 흐름을 갖추어 전체 손상 영역 중 특정 주제를 선정

- 선정된 주제에 맞추어 칼럼과 이슈통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관련 연구 손상예방

사업 소개 연구요약본을 담아 손상감시정보지를 발간

나) 성과

2013년 손상감시정보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중 심층정보 항목을 각 호의

주제로 구성하였음 각 호별 주제는 교통사고 두부척수손상 자살middot중독middot추락 및 낙상

취학 전 어린이 손상으로 구성하여 손상예방 관리시스템 및 관련 연구middot사업에 대하여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음

2013년 1~4호 손상감시정보지 주제 및 구성은 다음과 같음

주제 특집칼럼 특집통계 연구논문 자료원별 조사체계 및 시스템 소개

호 두부척추손상손상감시체계 국내를 넘어

아시아로 박창배응급실을 방문한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의

사망률과 의료자원 이용률송성욱국내 소아 두부손상 환자의

역학적 분석 김한범

호 교통사고농어촌 지역의 농기계손상

현황과 예방 류현호교통사고 환자의 질병부담 김유진

국가 도로교통사고정보의 관리 및 운영 유기열

호자살 중독 추락 및 낙상

자살 관련 의도적 추락 손상의 특성 김선휴

고령층의 자살중독 약물중독 양상과 예후 한철

소아청소년에서 급성 중독의 특성 이지숙 최상천

호취학 전

어린이 손상우리나라 어린이 소비자

위해 현황 최은실취학 전 어린이 낙상 손상 분석 전우찬 유치원 안전사고 표석환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주제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0: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7 -

4 최종성과

가 목표달성도

손상감시사업 지원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코디네이터 교육 시행교육 평가 및 개선

교육 프로그램 시행 연간 회 시간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뉴스레터 발송뉴스레터분기별 회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구성방법론 개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산출

산출 결과

손상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손상관련 보건지표 개발 지원

손상관련 지표 검토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선정 및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체계 개선방안 제언

선정 지표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 작업 시행

손상 역학과 관리 개정판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기획상반기 세미나 운영

하반기 세미나 운영세미나 자료연 회

손상정책포럼 운영연간 손상정책포럼 기획상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시행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연 회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조사

보고서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년 손상종합통계집 기

획타 기관 업무 협의

손상종합통계집 발간 작업 시행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손상종합통계집공동발간기관 워크샵 시행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년 손상감시정보지 발

간 기획분기 정보지 발간

분기 정보지 발간 손상감시정보지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1: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8 -

나 성과지표

983791

손상감시사업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코디네이터 교육 시행

회 코디네이터 교육 개최

교육 프로그램교육 시행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결과

뉴스레터 개발뉴스레터 발송

분기별 회 뉴스레터 발간

회 뉴스레터

손상감시 및 예방정책사업

지원

지역사회 기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지역사회 기반 산출

산출결과

국내외 손상관련 지표 고찰전문가 조사

지표 선정국가 대표 지표 선정

선정 지표

개정위원회 구성영역별 저자 섭외

손상의 역학과 관리 개정

개정판 편집 편집본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조사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방문

회 보고서

세미나 기획세미나 운영

상 하반기 정책개발 세미나

개최회 세미나 자료

손상정책포럼 운영상 하반기

손상정책포럼 개최

회손상정책포럼

자료집

손상 관련 타 부처 기관 및

전문가 협력 사업

손상종합통계집 발간발간 기획 및 기관 간 업무 협의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발간 기획손상감시정보지 발간 호

분기별 회 손상감시정보지

발간회

발간 기획안손상감시정보지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2: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39 -

5 외부 자원 활용

노동부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농촌진흥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도로교통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산업안전보건연구원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학교안전공제중앙회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소방방재청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건강보험공단 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한국생활안전연합 손상예방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개발

경찰청 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통계청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손상정책 포럼 정례적 참여

근로복지공단손상종합통계집 공동 발간 추진

손상정책포럼 참여

한국소비자원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경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세이프키즈코리아 손상정책포럼 정례적 참여

문경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광주광역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성남시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송파구보건소 손상정책포럼 참여

서울시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전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강원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경기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충북도청 손상정책포럼 참여

보건복지부손상정책포럼 참여

코디네이터 교육 참여

경북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영남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대구가톨릭대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계명대 동산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파티마병원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여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3: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0 -

6 사업수행 시 문제점 및 극복방안

가 손상분야 인적 기반 부족 손상 분야에 관련된 기관이 한정적이고 이에 참여하는 전문적인 연구원 또는 정책담당

자가 많지 않음 또한 관련된 기관에서도 손상의 문제보다는 기관 고유의 목적에 부합

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되어 있어 손상을 전담하는 인력이 많지 않은 상태임

2013년 사업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정책포럼과 세미나 등을 통

해 손상에 대한 이해와 손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협력을 위한 인

적 기반이 확충됨

그러나 여전히 협력기관의 조직 규모와 상황에 따라 협력의 수준에 편차가 컸으며 중장

기적인 손상감시체계의 조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기에는 충분한 인적 역량이 부족하였

지속적으로 손상감시사업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과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를 지속하고

확대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손상정책포럼을 통해 관련 인적 자원과 정보 교류를 강화

- 손상감시체계 및 예방정책 세미나를 통해 역량 강화

- 손상 분야 선진지 방문 또는 고찰을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발전 방향을 공유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20개 병원의 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프로그

램을 체계화하고 실습을 강화

나 손상감시 관련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손상의 문제파악과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 기관의 협력이

필수적임 2010년부터 발간중인 손상종합통계집을 통해 국내 주요 손상 분야 통계를 생

산중인 대부분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협력의 안정화를 이루었음 그러나 통계집 자

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기반확충에 이어서 기관 간 손상감시체계의 조율과 실질적인

연계 협력 활동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음

이는 질병관리본부 손상운영사업단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4: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1 -

다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을 통한 분석연구 미흡 손상감시사업의 목적은 국가적 손상문제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손상예

방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한 것임

그러나 정책적으로 의미가 높은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통해 자료원을 활용하는 것에 한

계가 있음 이는 아래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함

- 첫째 참여병원 연구진이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의 특성에 기반한 심층분석방법에 대

해 실제 연구수행경험이 없어 주제 선정 후에 유의미한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음

- 둘째 응급실 손상환자 자료원은 조사체계의 특성상 심층적인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자

료원을 모든 응급실 손상환자에게 수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 이로 인해 학술적 연구

에 있어서 중요한 인구사회적 요인 등의 자료 수집률이 낮거나 수집되지 못해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내기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기존의 참여병원 역량 강화 활동을 지속하면서 연구주제 선정 이후의 실제 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라 지역사회 단위의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기반 취약 2013년 사업을 통해 대구지역을 시범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지역사회 단위 예방가능 외

상사망률을 산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

음 그러나 아직 대구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타 지역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임

손상감시활동이 손상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임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함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5: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2 -

7 사업비 집행실적

회계 절차상 위탁정산 수수료 95만원을 집행잔액으로 남겨놓음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6: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3 -

8 사업수행 인력

책임 이진석 의료관리학교실 조교수 의료관리학 사무국 운영 총괄 비상근 수령

연구원 박창배서울대병원 응급의학교실

전임의 응급의학 손상감시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원 탁양주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의료관리학 손상 관련 협력사업 지원 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재익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응급구조학 사무국 운영 실무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정혜민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뉴스레터 발간 및 코디네이터교육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연용 의료관리학교실 전공의 의학 손상감시정보지 발간 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이정아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예방의학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김윤정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손상종합통계집

손상감시정보지 발간비상근 수령

연구보조원 임도희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연구원 예방의학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손상예방정책 동향조사상근 수령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7: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4 -

9 사업 실적의 확산

가 손상정책포럼 제13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함

제14차 손상정책포럼은 손상관련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정부기관 담당자 질병관리본

부 손상운영사업단 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함

서미영 보라매병원 이덕형 질병관리본부김태용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채혜선 농촌진흥청표석환 학교안전공제중앙회 신진희 질병관리본부이경숙 농촌진흥청 안선희 질병관리본부김선표 조선대병원 서지수 강동성심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박한아 삼성서울병원유기열 도로교통공단 이은경 삼성서울병원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학 최선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도김난 서울대 의료관리학 박명희 인천시청 보건정책과김은나 서울대 의료관리학 탁양주 한국교통대학교송경준 서울대병원 김상철 건국대 충주병원정지영 서울대병원 황승식 인하대 사회의학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학 이윤성 서울대 의과대학정경애 가천길병원 강인혜 연세대 원주기독병원서혜영 고려대학교 이강현 연세대 원주기독병원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학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박정배 경북대병원 박경애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이미진 경북대병원 신유미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홍정익 보건복지부 박윤숙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허탁 응급의학회 이광성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영애 대구광역시 이한나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김성진 동산의료원 김혜정 대구응급의료정보센터유인술 충남대병원 최지애 경북대병원홍성옥 질병관리본부 서강석 경북대병원이경우 대구가톨릭병원 홍미정 경북대병원송경준 서울대병원 안용찬 영남대병원

표 차 손상정책포럼 참석자 명단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8: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5 -

나 손상감시정보 1년 1 2 3 4호 손상감시정보 각 800부 발행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기관(16) 전문응급

의료기관(4) 지역응급의료기관(389) 학회(15) 관련기관(25) 시middot도 보건위생과(273) 기

타(35) 배포하였음

권역응급의료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강남의료재단 강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인성병원 응급의학과경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춘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가천의대중앙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원주의료원 응급의학과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성지의료재단 성지병원 응급의학과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강릉의료원 응급의학과충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병원 응급의학과의정부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병원 응급의학과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동해금강병원 응급의학과강릉동인병원 응급의학과동해성지병원 응급의학과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태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목포한국병원 응급의학과속초병원 응급의학과안동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삼척의료원 응급의학과마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아산재단 홍천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응급의료기관

영동세브란스병원 외상센터 횡성대성병원 응급의학과조선대학교병원 외상센터 사북연세병원 응급의학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영월의료원 응급의학과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철원길병원 응급의학과

표 년 호 손상감시정보 배포처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신용민 동산의료원도병수 영남대병원 김지혜 동산의료원이진석 서울대 의대 김소미 파티마병원류현욱 경북대병원 김동훈 대구가톨릭병원이강현 원주기독병원 이세나 대구가톨릭병원박준영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김보미 대구가톨릭병원안선희 질병관리본부 박정민 대구가톨릭병원신진희 질병관리본부 강인혜 원주기독병원류시은 영남대병원 이상희 남구보건소김은경 영남대병원 장무길 남구보건소조영애 달서구보건소 남하영 남구보건소윤지영 달서구보건소 장돈호 대구광역시정혜민 서울대 의료관리 이현주 대구광역시김재익 서울대 의료관리 김인숙 대구광역시김연용 서울대 의료관리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49: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6 -

지역응급의료기관

강북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청주의료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 하나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대학교의대부속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효성병원 응급의학과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충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경희의료원 응급의학과 충주새로운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충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서울위생병원 응급의학과 현대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보은연세병원 응급의학과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보은한양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옥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진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이화여자대학교의대부속 목동병원

응급의학과충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고려대학교의대부속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천안의료원 응급의학과

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충무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공주의료원 응급의학과

성애병원 응급의학과 공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서울특별시립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보령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한사랑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산의료원 응급의학과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새금산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금산을지병원 응급의학과

서울보훈병원 응급의학과 부여중앙병원 응급의학과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동아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당진백병원 응급의학과인제대학교부속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아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

수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응급의학과 전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응급의학과 군산차병원 응급의학과대구광역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동군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익산병원 응급의학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인하대학교의대 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익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응급의학과정읍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인성의료재단 한림병원 응급의학과 남원삼성병원 응급의학과남광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광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김제우석병원 응급의학과첨단종합병원 응급의학과 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하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고창병원 응급의학과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0: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7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부안혜성병원 응급의학과

대전선병원 응급의학과 부안성모병원 응급의학과을지의과대학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정읍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건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목포기독병원 응급의학과울산동강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목포의료원 응급의학과동수원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여수성심병원 응급의학과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순천의료원 응급의학과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오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현대병원 응급의학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순천병원 응급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종합병원 응급의학과

한림대학교부속 성심병원 응급의학과 나주중앙병원 응급의학과고려대학교부속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영산포제일병원 응급의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광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응급의학과 담양사랑병원 응급의학과

인제대학교부속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구례애향병원 응급의학과

한양대학교의대부속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샘안양병원 응급의학과 녹동현대병원 응급의학과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보성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영동병원 응급의학과 벌교삼성병원 응급의학과아산강릉병원 응급의학과 화순고려병원 응급의학과청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화순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천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장흥병원 응급의학과

단국대학교의대부속병원 응급의학과 해남한국병원 응급의학과순천향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해남우석병원 응급의학과논산백제병원 응급의학과 무안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홍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영광기독병원 응급의학과예수병원 응급의학과 영광병원 응급의학과새전주병원 응급의학과 장성병원 응급의학과

원광대학교부속병원 응급의학과 완도대성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군산의료원 응급의학과 포항사랑병원 응급의학과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항의료원 응급의학과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동국대학교의대 경주병원 응급의학과여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계명대학교의대 경주동산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성가롤로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김천의료원 응급의학과고흥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김천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해남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안동의료원 응급의학과

화순전남병원 응급의학과 구미강동병원 응급의학과

순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성누가병원 응급의학과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1: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8 -

포항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영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응급의학과 영남대학교의대부속 영천병원 응급의학과포항세명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성모병원 응급의학과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상주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응급의학과 문경제일병원 응급의학과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하양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경산신동산병원 응급의학과경상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부림요양병원 응급의학과김해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군위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공생병원 응급의학과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의성제남병원 응급의학과

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영남제일병원 응급의학과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진보병원 응급의학과세란병원 응급의학과 봉화해성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파티마재활요양원 응급의학과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창도의료재단성심병원 응급의학과삼성제일병원 응급의학과 울진의료원 응급의학과소화아동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청아병원 응급의학과금강아산병원 응급의학과 동마산병원 응급의학과혜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연세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마산의료원 응급의학과동부제일병원 응급의학과 마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녹색병원 응급의학과 마산복음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 응급의학과 창원한마음병원 응급의학과

원자력병원 응급의학과 창원병원 응급의학과청구성심병원 응급실 진주제일병원 응급의학과동신병원 응급의학과 진주한일병원 응급의학과

홍익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서안복음병원 응급의학과 진주반도병원 응급의학과희명병원 응급의학과 진주의료원 응급의학과

구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진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대림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연세병원 응급의학과명지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진해은성병원 응급의학과영등포병원 응급의학과 통영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충무병원 응급의학과 사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남고려병원 응급의학과 장유병원 응급의학과베스티안병원 응급의학과 진영한서병원 응급의학과국립경찰병원 응급의학과 진영세영병원 응급의학과메리놀병원 응급의학과 밀양영남병원 응급의학과부산위생병원 응급의학과 거제대우병원 응급의학과부산성모병원 응급실 거제백병원 응급의학과

일신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웅상병원 응급의학과좋은문화병원 응급의학과 양산삼성병원 응급의학과해동병원 응급의학과 함안중앙병원 응급의학과영도병원 응급의학과 우리병원 응급실동의병원 응급의학과 한성병원 응급의학과춘해병원 응급의학과 창녕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광혜병원 응급의학과 남해병원 응급의학과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2: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49 -

동래봉생병원 응급의학과 하동병원 응급의학과대동병원 응급의학과 거창서경병원 응급의학과

구포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부민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해운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학회

대한응급의학회세웅종합병원 응급의학과 대한화상학회부산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교통학회부산센텀병원 응급의학과 대한가정의학회좋은삼선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부산보훈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학회기장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곽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학회세동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행정학회동부허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예방의학회강남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응급구조학회

지방공사 대구의료원 응급의학과 대한임상독성학회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카톨릭병원

응급의학과대한외상학회

동경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정형외과학회가야기독병원 응급의학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구병원 응급의학과

관련기관

국립방재연구소대구보훈병원 응급의학과 소방방재청 안전문화지원팀혜성병원 응급의학과 중앙 구조대

현풍하나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병원협회

논공가톨릭병원 응급의학과 의무기록협회

인천기독병원 응급의학과 중앙응급의료센터지방공사 인천의료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응급의료과

인천사랑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지원과새한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보호과

인천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 보건복지부 정책홍보팀 기자실부평세림병원 응급의학과 대한응급구조사 협회성민병원 응급의학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산재의료원 인천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대한보건협회계양병원 응급의학과 교통안전공단

가좌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온누리병원 응급의학과 행정안전부 안전정책과강화병원 응급의학과 국토해양부 교통안전과

서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광주상무병원 응급의학과 경찰청 교통안전담당

광주한국병원 응급의학과 통계청 인구동향과미래로 병원 응급의학과 한국소비자원 정보자료실광주씨티병원 응급의학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광주동아병원 응급의학과 세이프키즈코리아

광주일곡병원 응급의학과 시도 보건위생과

서울시청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삼성병원 응급의학과부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3: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50 -

광주현대병원 응급의학과 대구광역시청 보건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병원 응급의학과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호남병원 응급의학과광주광역시청 건강증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송정사랑병원 응급의학과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보훈병원 응급의학과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광주신가병원 응급의학과경기도청 복지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성심병원 응급의학과강원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보훈병원 응급의학과충청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중앙병원 응급의학과충청남도청 식의약안전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대전한국병원 응급의학과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강서병원 응급의학과전라남도청 노인장애인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제일병원 응급의학과경상북도청 보건정책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굿모닝병원 응급의학과경상남도청 보건행정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

울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제주특별자치도청 보건위생과 외 관할

보건소 개소울산병원 응급의학과

편집위원 및 기타

정구영교수님세기좋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교수님언양보람병원 응급의학과 박혜숙교수님온산보람병원 응급의학과 조준필 교수님시티병원 응급의학과 김경환 교수님백성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님

성남중앙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님부천대성병원 응급의학과 이강현 교수님세종병원 응급의학과 소장님

수원중앙병원 응급의학과 강성홍교수님한성병원 응급의학과 신동운교수님메트로병원 응급의학과 안기옥교수님안산한도병원 응급의학과 황승식교수님안산중앙병원 응급의학과 홍주희선생님

연세대학교의대부속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최상천교수님김선표교수님

용인서울병원 응급의학과 류현욱교수님다니엘 병원 응급의학과 윤선화 대표님강남병원 응급의학과 곽숙영 팀장님

수지삼성병원 응급의학과 이명선 교수님박애병원 응급의학과 박남수 선생님안중백병원 응급의학과 손주현 선임연구원

성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육현철 교수님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4: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51 -

10 기대효과

기존의 손상감시사업은 대개 단발적이고 이전 사업과 연계가 부족한 일회성 연구용역의

형태로 진행되었음 이에 따라 이전 연구 및 사업성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가기에 한

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관계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었음 또한 지속성의

제약으로 인해 단기적 성과가 가능한 사업 개발에 치우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장

기적 관점의 기관 간 협력 또는 손상감시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음 따라서 손상 관

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과 손상감시체계의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해서는 손상감시체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과 역량 구축이 필

요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는 사업단의 구성

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기관과 지속적 협의 및 지원체계를 개발하고 국

내 손상문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가능할 것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조사를 담당

시화병원 감염관리실 채종민 교수님신천연합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수 교수님연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님원광대산본병원 응급의학과 최찬호 교수님동수원남양병원 응급의학과 윤병길 선생님이천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탁양주 교수님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천주성삼병원 귀중

지방공사 안성의료원 응급의학과 정책자료과연속간행물실 선병원 응급의학과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귀중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오산한국병원 응급의학과여주고려병원 응급의학과양평길병원 응급의학과국립암센터 응급의학과신천병원 응급의학과

의정부백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의정부의료원 응급의학과현대병원 응급의학과다보스병원 응급의학과

지방공사 포천의료원 응급의학과우리병원 응급의학과

의료법인 참병원 응급의학과화성중앙병원 응급의학과장호원성모병원 응급의학과하나성심병원 응급의학과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5: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52 -

하는 코디네이터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료의 안정적인 산출 신뢰도 조사결과의 활용성

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향후 심층항목과 다른 감시체계의 손상조사 항목 개선으로 이어

져서 포괄적인 통합감시체계 구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발간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의료진과 코디네이터와 질병관리본부의 정보교류가 강화되어 조사의 질적 수준의 향상

과 효과적인 지침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이를 통해 응급실손상환자 표본심층

조사의 안정적이고 체계적 발전을 위한 매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선진국 손상감시체계 및 손상예방정책 동향 조사 선진국 손상감시체계와 손상예방정책

을 정례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세미나와 손상정책포럼 등을 통해 공유하였음 이를 통해

국내 손상감시 및 손상예방 활동의 인적 역량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됨 또한 선진국의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의 구현과정과 현황을 파악하고 장점과 문제점

을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분석하고 조사된 손상정보를 예방정책개발에 연계 활용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여 국내손상통합감시체계의 조사결과 활용 및 예방정책개발

에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예방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 운영 세미나 운영과 정책개발 보고서 발간을 통

해 정책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실행 가능한 손상예방정책과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손상정보를 고찰하였음 이를 통해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를 통해 생성되는 손상정보를

정책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정책포럼 운영 손상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부처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손상통계

생산 및 예방관리 정책개발에 관하여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손상정책포럼을 질병관리

본부 주최 운영사업단 주관으로 상반기 하반기 연 2회 개최함 이를 통해 손상문제의

정책적 관심을 환기하여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고하고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됨

손상종합통계집 개선된 통계표의 구성을 체계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통계표를 자료원별

로 배치하였던 것을 통계지표의 의미단위로 여러 자료원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여 통계

집 본래의 목적인 여러 자료원을 통한 손상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개

선하였음 이를 통해 손상통계에 대한 사회적 활용이 용이해지고 손상통계 생성기관 간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손상감시정보 2013년 손상감시정보는 통계집의 주제를 각 손상분야별로 일관되게 선정

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 및 사업 시스템을 수록하여 통계집 주제의 연결성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6: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53 -

강화하였음 또한 2010년에 개선된 구성에 따라 독자층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손

상예방정책에 도움이 되며 가독성이 높은 형태로 통계집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손

상감시정보집을 통한 손상 문제의 파악과 손상예방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

Page 57: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 민간경상보조사업 … 2013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 · 사 업 명 년도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 54 -

11 기타 자료 붙임 참조

붙임 1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코디교육 자료집

붙임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뉴스레터

붙임 3 손상 정책개발 세미나 자료집

붙임 4 손상정책포럼 자료집

붙임 5 2013 APHA 참석 보고서

붙임 6 국가 대표 손상관련 지표 전문가 조사(1 2차)

붙임 7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산출 참고자료

붙임 8 2013 손상감시정보

붙임 9 2013 손상종합통계집

붙임 10 건강증진과 사회안전을 위한 손상의 역학과 관리(2013년 개정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