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2014. 10. 28. u-Health 서비스 현황과 효과 송태민([email protected])

2014. 10. 28. ([email protected])hqcenter.snu.ac.kr/hp/wp-content/uploads/4.-송태민실장님_u-Health서비스현황... · u-Health 서비스 많은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14. 10. 28.

u-Health 서비스 현황과 효과

송태민([email protected])

연구 배경

u-Health 정의

u-Health 국내외 현황

u-Health 수요 및 효과 분석

u-Health 서비스 활성화 방안

1

2

3

4

5

1. 연구 배경

3

1. 연구 배경

4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변화

생활수준향상, 복지수요확대, 의학기술발달, 소비자 인식변화

- 치료위주 공급자중심 → 예방적건강관리위주 수요자중심 능동적서비스

저출산·고령화사회의 진입과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로 인한 의료비 및 의

료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에 대한 문제 제기

- 보건의료 체계의 확충과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의료비 지출절감과 편리

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 욕구 증가

자료: 한국정보화진흥원 , 스마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도입 방안., 2011.

1. 연구 배경

5

보건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 변화

고령화와 IT와 의료의 융합기술 발전속도가 빨라지면서 웰빙(Well-being)

→ 웰에이징(Well-aging) → 웰다잉(Well dying) 관심증대

향후 미래 보건의료서비스는 신 IT와 의료기술이 융합되어 적용되어 예방,

진료, 치유, 처방, 관리 측면에서 많은 변화

2011년 4월기준 1천만명이상 스마트폰사용, 그해말 2천만명 전망

스마트폰에 건강정보와 진료기록을 담은 헬스아바타(디지털의료분신)추진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시간 환자 점검, 투약, 처방 등 가능

스마트 IT와 의료서비스의 융합 가속화

1. 연구 배경

6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의 한계

(의료전문성 측면) 단순한 처치 및 투약과 상담 등에 국한

- 만성질환 및 중증질환자 대상 투약, 검사, 응급처치, 통증관리 등에 한정

(항시성·적시성 측면) 인력부족 및 행정업무 과다로 인한 실질적 서비스

제한, 만성·중증질환자 및 독거노인 등에 대한 업무 미흡

-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행정문서 작업에 업무시간의 상당

부분할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우에는 일반행정업무도 담당

(접근성·효율성 측면) 대상자와 제공자의 접근성 저하로 실질적인 서비

스 제공시간 부족, 기관간 정보공유 미흡으로 서비스 중복 및 누락 발생

- 서비스 대상자가 여러지역에 분산되어 있고, 특히 농촌지역의 접근성

저하로 서비스 제공시간 감소 및 개별 서비스 마다 독립적으로 운영

(예방적 복지 측면)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의 상당부분은 기초생활 수급자

와 독거노인 등 사회취약계층 대상이며 예방보다는 질환관리 중심 제공

공공보건의료서비스의 양적 및 질적 확대를 위해 스마트기술 기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 필요

자료: 권성미, u-Health 도입을 통한 공공보건복지서비스 발전 방안.. 2008.

1. 연구 배경

7

u-Health 서비스는 의료비 절감과 사회경제적 비용감소 등의 경제․산업적 파급

효과, 공공의료서비스와 예방관리 보건 등에 관한 사회․정책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많은 국가에서 추진

• u-Health는 유무선 통신망 인프라를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 상태파악, 치료, 예후, 건강 및 생활 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TTA, 2010)로 보건의료서비스의 변화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수단

• 세계의 u-Health 서비스 시장규모는 2007년 약 1,057억불에서 2013년 약 2,537억불로 매년 약 15%이상 지속성장할 것으로 전망(BCC 등, 2008).

• 국내는 u-Health 서비스의 도입이 노인환자를 위한 원격모니터링으로 연간 1조 4000억 원의 사회적 순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있으며(삼성경제연구소, 2007), 시장규모는 2010년 약 1조 7,000억원에서 2014년까지 약 3조원으로 연간 12.5%로 급성장하고 2014년까지 약 39,000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예측함(KHIDI, 2010).

u-Health 서비스 많은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법제도, 기술적, 표준화, 정책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 노정

• 의사와 환자간의 원격의료 금지, 개인건강정보보호 및 이용의 제한 등

• 첨단의료기술개발 부족, 수입기반 산업 구조

• 국제표준화 반응속도 낮음, u-Health 추진조직 부재 등

2. u-Health 정의

8

2. u-Health 정의

9

보건의료서비스의 진화

유무선 통신 인프라의 발달과 스마트폰 등 지능화된 정보기기 들의 이용

급증에 따라 국가사회 전체가 똑똑해지는 ‘스마트화’시대 도래

- 보건의료서비스는 IT기술과 접목하면서 병원중심의 원격의료(tele-

health) 단계에서 점차 환자 중심 e-헬스 및 u-헬스케어로 진화

- 스마트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의료와 복지, 안정 등이 복합화되고 지능

화된 s-헬스의 단계로 진화

- 향후, 이용자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상호 연계되는 고도로 지능화되

고, 종합화되는 서비스로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

u-Health의 다양한 정의

IT기술과 선진의료기술이 결합된 고부가가치 융복합산업으로 환자의 생체

신호 및 건강정보를 측정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의료기

관에 전송하고 분석하고 다시 피드백해 줌으로서 환자의 질병에 대해 원격

관리뿐만이 아니라 일반인의 건강관리 가능한 서비스로 정의

유무선 통신인프라를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상태파악,치료

예후, 건강 및 생활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2. u-Health 정의

10

u-Health의 발달 과정

자료: 한국정보화진흥원 , 스마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도입 방안., 2011.

2. u-Health 정의

11

스마트 헬스의 특징

구 분 내 용

Intelligent 지능적으로 분석된 정보의 전달이 지식에서 지혜로 변화는 과정에 있는 형태로 지능형·

맞춤형 Healthcare 서비스가 이루어지는(즉, 지식과 지혜가 혼재된 정보전달) 형태

Holistic 모든 Healthcare 서비스에 완전한(완성된, 안전한, 표준화된, 보안된 등) 스마트 IT 기

술 적용

Complex 스마트 시대의 헬스케어서비스는 의료와 복지, 안전 등이 복합되어 제공

Bi-directional

수요자와 공급자의 구분이 없어져 가는 상태(프로슈머의 진행상태) 즉,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간의 상호 지식을 주고받는 형태이나 아직, 공급자 위주의 지식제공이 많은 상태

(예: 수요자의 지식(PHR)이 스마트헬스케어센터에 저장되고 병원, 제약회사, 보험사 등에

서 지식을 구입하여 스마트헬스케어센터에 비용을 집행하고, 수요자는 보험감면 등의 비

용을 돌려받는 형태)

Seamless 상호 전달된 정보나 지식(PHR)은 사례기반추론(CBR)을 통하여 재사용되고 새로운 지식

으로 생산되어 지식이 끊임없이(seamless) 재창출되는 형태

Open 모든 규제가 제거된 형태(서비스에 대한 제도가 대부분 개방(open)된 형태) 즉, 완전한

스마트 헬스케어는 통제 없는 완전한 지식소통일 경우 가능

Green 보다 더 Green IT(초절전, 초소형 플랫폼 등)으로 진화된 상태

3. u-Health 국내외 현황

12

3. u-Health 국내현황

13

공공부문 u-Health 시범사업 현황

정부에서는 u-Health 산업 활성화 촉진 및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책을 마

련하기 위하여 2006년 부터 다양한 u-Health 시범사업을 추진

- u-Health 서비스 모델개발과 검증사업 중점적 지원

구 분 주요 사업 총건/현재운영건 사업 주관

u-Medical 도서산간 주민, 재소자, 군경 등 대상

원격진료(’98~’09) 49건/5건

복지부, 법무부

행안부, 지자체

u-Silver 독거노인, 요양원 대상(’06~’09) 4건/2건 복지부, 지자체

u-Wellness 주민 건강증진사업(’07) 2건/2건 지자체

u-Health 서비스는 공익적 차원에서 정부의 시범사업이 부분적으로 진행

중이나 원격자문과 건강관리외에는 상용 가능한 서비스 모델이 부재하여

본격적인 시장창출이 어려움

- 의료법의 미개정, 보험수가의 미개발

- 기술표준의 미확립, 전문인력의 부족

- 기초 통계의 부족, 비즈니스 모델의 부재

3. u-Health 국내현황

14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구, 정보통신부)

보건소 요양시설 중심 원격의료서비스

3. u-Health 국내현황

15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구, 정보통신부)

병원선 진료차량을 활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3. u-Health 국내현황

16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구, 정보통신부)

산업장 근로자 대상 원격의료 서비스

3. u-Health 국내현황

17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구, 정보통신부)

독거노인 안전관리

3. u-Health 국내현황

18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구, 정보통신부)

u-응급의료서비스

3. u-Health 국내현황

19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구, 정보통신부)

u-생활습관관리 서비스

3. u-Health 국내현황

20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보건복지부)

u-Health 서비스

3. u-Health 국내현황

21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지식경제부)

s-Care 서비스

3. u-Health 국내현황

22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보건복지부, 지자체(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u-Health 대사증후군 관리서비스(지역개발형 바우처 사업)

3. u-Health 국외현황(미국)

23

미국의 u-Health 추진현황

미국의 Health 개념은 Ubiquitous IT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

나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tele-medicine, tele-health, e-Health 등 포괄하는 개념

미국의 u-Health 추진 주요정책

- 1996년 개인정보보호규정(HIPPA)이 국가 표준규정으로 제정

- 1997년 연방원격진료법안(Balanced Budget Act) 제정,취약지역 원격진료

- 2004년 EHR 시스템 구축 및 의료정보화 계획 발표 2014년까지 확대

- 2005년 AHIC(American Health Information Community) 결성 주 정부

중심의 u-Health 추진

·농어촌, 교도소, 가정, 학교 등에 약 50개 진료과목에 적용, 약, 200개의

원격의료 네트워크가 운영중(P52 표 2-13 참조)

- 2009년 오바마정부 미국 경기회복 및 재투자법(ARRA)에 따라 의료서비스

접근성제고, 의료수준향상을 위한 보건정보기술(HIT)에 투자

미국은 의료비 지출이 GDP 비중 과다, 베이붐 세대 고령화 시기 2030년 65

세 인구가 전체인구의 20%(7천만명) 예상 -> 의료정보화를 통한 의료비용

절감 모색

3. u-Health 국외현황(미국)

24

미국의 u-Health 법제도 현황

미국은 보건복지부(DHHS)내 원격의료진흥과(OAT)를 중심으로 u-Health

관련 정책 수립과 미국 전역에 u-Health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구축

미국의 u-Health 관련 법제도

- u-Health 보험수가 적용현황은 보험종류(medicare, medicaid, 민간의료

보험) 및 주별로 상이

- medicare 프로그램(연방의료보험, 65세이상노인/장애인) 원격진료 보험

급여 실시

- mecicaid 프로그램(주별의료보험, 저소득층) 27개주에서 상이하게 보험

급여 실시

- 민간의료보험(전체 미국인의 약 64.4% 담당)은 비용효과 평가를 기준

으로 보험적용 결정, 보험사간 경쟁으로 u-Helath 보험여부 미공개

미국의 u-Health에 대한 보험수가는 기존의 대면진료와 동일하여 보험제

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원격지 의사에 대한 기존 수가 지급외에

시설제공자에 대한 시설사용료를 20$ 추가 -> 미국은 u-Health 서비스가

보험제정에 최소한의 영향을 준다는 보고서를 바탕으로 보험적용 확대추진

3. u-Health 국외현황(미국)

25

미국의 u-Health 법제도 현황

미국은 u-Health 서비스에 대한 원격의료인의 자격 및 의료사고에 대한 책

임 소재는 주 단위로 제한 -> u-Health를 위해 의사면허와 함께 해당지역

원격지 의사 면허를 별도로 요구

온라인 프라이버시 보호법(2002)은 온라인 업체가 개인의 사회보장번호,

의료정보 등 정보를 본인의 동의없이 수집 할 수 없고,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고, 사용 시 고지의 의무를 부과

u-Health(원격진료)와 함께 인터넷 의료상담에 대한 의료사고는 대면진료

와 동일한 책임, 구체적인 책임소재는 참여하는 의료기관 및 환자 간의 상

호 계약으로 결정

u-Health 서비스는 환자가 거주하고 있는 주에서 의료행위가 이루어 진 것

으로 간주

의료취약 지역내의 로컬병원과 특정 대형병원 사이의 환자에 대한 원격

상담 및 환자 의뢰는 의료기관간 담합에서 제외

3. u-Health 국외현황(미국)

26

미국의 u-Health 서비스 모델

미국은 u-Health 서비스 산업은 개인이 건강관리를 책임지는 민간형구조

민간보험사, IT회사, 의료관련 대형벤더 중심으로 의료서비스시장 형성

미국의 u-Health 관련 IT 시장은 2005년 185억$로 추정, 2001년 까지

연평균 13.4% 성장 347억$ 전망(BBC, 2006)

- 특히, 만성질환자 대상의 홈&모바일 Healthcare 시장은 급성장하여 서비

스 규모는 2006년 9.7억$에서 2011년 57억$, 2015년 336억$ 예상

미국의 글로벌 기업에서 추진중인 u-Health 사례

- AMD, GE Healthcare, Google, HomMed, Honeywell, IBM, Intel, Johnson

& Johnson, LIfeWatch, Microsoft, Nike, Pplar, Viterion, VitaNet(P60 표

2-16 참조)

- 주로 PDA나 워어러벌 컴퓨터 통신과 가능한 원격진단 시스템과 스마트

엑세서리를 이용하여 신호를 즉정 분석할 수 있는 착용형 또는 부착형

생체신호 감시 시스템이 개발, 서비스

3. u-Health 국외현황(일본)

27

일본의 u-Health 발전과정

일본은 고령화사회에 IT를 적요하여 간병비용 및 의료비용을 줄이기 위한

사회인프라 구축 정책을 추진, u-Health가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

일본의 u-Health는 원격진료 개념과 같이 사용

- 1971년 오카마야현 오지의 의료공급을 위한 CCTV와 전화선 시초

- 1980년 통신위성과 ISDN이용 토키나와 대학의 재해시 원격진료

- 1997년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한 진료

- 2001년 Grand Design 계획, Healthcare 정보화를 시작, u-Health 프로

젝트 추진, IT기본법과 E-JAPAN 전략 수립,

- 2003년 E-JAPAN 2전략 수립(IT이용과 활용중심)

- 2006년 IT 신개혁 전략 수립(IT 구조개혁)

- 2009년 – 2015년 i-일본 전략 수립

3. u-Health 국외현황(일본)

28

일본의 u-Health 발전과정

3. u-Health 국외현황(일본)

29

일본의 u-Health 형태와 법제도

의사(의료기관) 간 조회,응답, 회의, 연수, 원격방사선 화상진단, 원격병리

진단, 전문의의 조언하에 처치 수술등 추진

의사(의료종사자) 대 재택환자 간에는 상태가 안정된 환자의 지도, 조언(Te

le- care) 서비스 형태

의료수가는 원격진료 평가를 통해 촬영료외 진료 가산료를 청구

- 모든 원격진료 보험수가는 기본적인 수가 + 원격진료 가산료 적용

구체적인 가산료는 진료행위별로 다르게 적용

의사법 20조 진료는 의사와 환자가 직접적인 대면하여 행하여 지는 것이

기본이며, 원격진료는 직접적인 대면진료를 보완하는 것으로 대면진료

실시가 곤란할 경우(낙도, 벽지 환자 등)원격진료를 실시

- 상당기간에 걸쳐 진료를 해온 만성질환자 등 병상이 안정되어 있는 환자

원격진료 실시

- 요양환경이 안정되는 원격진료 대상에 대해서는 포지티브 리스트를 명시

(P69 표 2-18 참조)

3. u-Health 국외현황(일본)

30

일본의 u-Health 고령친화 모델

3. u-Health 국외현황(일본)

31

일본의 지역사회 협력과 의료정보 공유 체계

4. u-Health 수요 및 효과 분석

32

4. u-Health 수요분석

33

u-Health 수요분석 배경

u-Health 관련 기술과 서비스 도입 시 문제점 파악과 해결방안 도출을 위

해 일반 수요자 및 공급자(의사)의 이해수준, 수요, 수용태도 등을 조사

공급자(의사) 조사는 의사 전문 커뮤니티 포털 닥플(www.docple.com)에

가입된 의사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731명 응답)

수요자(일반인)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 풀(pool)을 보유한 전문리서치 회

사에 의뢰하여 비례할당 표본 600명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조사내용(공급자)

- u-Health 제공 및 도입의 필요성

- u-Health 서비스 품질

- u-Health 서비스 도입

조사내용(수요자)

- u-Health 이해수준 및 이용의향

- u-Health 서비스 품질

- u-Health 서비스 도입

4. u-Health 수요분석

34

u-Health 수요분석 결론 및 시사점

공급자와 수요자의 이해수준은 보통이상으로 정부차원의 대국민 홍보필요

수요자의 이용의향을 높으나 공급자의 제공의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남

- 공급자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 필요

u-Health 서비스 도입 시 문제점

- 기술적 문제로 인한 의료사고 초래

- 개인건강정보 유출

u-Health 품질은 대면 진료보다 공급자는 낮게 수요자는 높게 평가

- 서비스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 필요

u-Health 도입 시 필요한 정책

- 제한된 환자(필요한, 대상질환별) 에게 제공

- u-Health 기술에 대한 표준 마련

- 개인건강정보 인증제도 도입

- u-Health 보험수가 책정과 다양한 서비스 모델 개발

필요한 정책으로는 법제도의 개정, 기술의 표준화, 서비스 모델개발, 비용효

과 연구, 사회적 기반조성 등

4. u-Health 효과분석

35

u-Health 효과분석 배경

보건복지부에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사업의 일환으로 u-Health 디바이스

를 이용한 시법사업 실시

- u-Health를 이용한 지역주민 대사증후군 관리서비스에 대한 효과 분석을

통하여 향후 시범사업 확산을 위한 방안을 제시

u-Health 효과분석 대상 및 방법

지역별 u-Health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관리서비스 제공

- 전국가구 월 평균소득 100%이하인 가구의 만 20세 이상 건강위험요인

보유자를 대상으로 u-Health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시범사업

6개월간 실시

본고의 대상자는00군 316명을 대상으로 효과분석 실시

- 효과측정은 u-Health 기기에서 전송된 신체측정자료와 서비스 시작,

중간, 완료시점에 문진한 건강생활습관 자료를 활용

3. u-Health 국내현황

36

공공부문 u-Health 추진사례(보건복지부, 지자체(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u-Health 대사증후군 관리서비스(지역개발형 바우처 사업)

4. u-Health 효과분석

37

u-Health 서비스 효과

4. u-Health 효과분석

38

u-Health 서비스 효과

4. u-Health 효과분석

39

u-Health 서비스 효과

4. u-Health 효과분석

40

u-Health 서비스 효과

4. u-Health 효과분석

41

u-Health 서비스 효과

4. u-Health 효과분석

42

u-Health 서비스 효과

4. u-Health 효과분석

43

u-Health 서비스 효과

5. u-Health 서비스 활성화 방안

44

5. u-Health 서비스 활성화 방안

45

5. u-Health 서비스 활성화 방안

46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