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2016 이란 진출전략 테헤란무역관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2016 이란 진출전략

2015. 12.

테헤란무역관

Page 2: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목 차

I. ’16년 주요 이슈 및 전망 ··································································· 1

1. 상반기 경제제재 해제 전망 ······································································ 1

2. 유가 하락 및 경제 회복세 둔화 ······························································ 1

3. 국내 산업 보호 정책 강화 및 환율 및 금융시장 개혁 ······················ 2

4. 총선 등 주요 선거 실시 ············································································ 2

II. 진출 환경 분석 ···················································································· 4

1.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 4

2. 경제 환경 ······································································································ 6

3. 산업 환경 ······································································································ 7

4. 정책·규제 환경 ·························································································· 9

5. 한국과의 경제교류 동향 ············································································ 11

III. 시장 분석 ························································································ 12

1. 수출 ·············································································································· 12

2. 투자진출 ······································································································ 17

3. 프로젝트 ········································································································ 20

lV. 시장 진출 전략 ·············································································· 21

1. 진출 전략 개관 ···························································································· 21

2. 세부 진출 전략 ···························································································· 23

첨부 ’16년도 KOTRA 주요 사업 (잠정) ··········································· 25

Page 3: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 -

II ’16년 주요 이슈 및 전망

1. 상반기 경제제재 해제 전망

◦ 주요 서방국(P5+1)과 핵협상 타결(’15.7.14.)

◦ IAEA 검증 등 추가적인 절차가 남아 있으나 경제제재 해제는 시기의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현지에서는 일부 ‘15년末 해제 전망 의견도 있으나, ’16년 상반기에 해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16년 상반기 중 이란 내 총선 등 주요 선거가 있고, 3월 21일이 이란의 新年이 시작되기

때문에 이란 행정부는 IAEA의 검증에 최대한 협조하는 등 조기 해제 노력을 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2. 지속적인 유가 하락 및 석유 수출 확대

◦ ’14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해 이란 정부 재정 부족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

- 원유 수익은 이란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정부수입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재정수입이 대폭 축소되었음* 정부 수익의 40% 이상이 석유 판매로 인한 수익이며 석유 관련 제품까지 포함할 경우 약 70% 차지

◦ 이란産 석유가 국제시장에 풀릴 경우, ’16년에도 유가 하락 기조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으나, 재정수입 확대 등을 위해 제재 해제 시 현재 수출량의 2배가

넘는 일일 약 230만 배럴을 수출할 계획

- 서방의 경제제재 등으로 지난 수년간 경기 침체에 있는 이란으로서는 생산 및

수출을 제재 이전 수준으로 확대할 수밖에 없음

◆ ’16년 상반기 경제제재 해제 예상◆ 저유가 기조 지속 ◆ 자국 산업 보호 정책 강화 및 환율, 금융시장 개혁◆ 총선 등 주요 선거 실시

Page 4: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 -

3. 국내 산업 보호 정책 강화 및 환율 및 금융시장 개혁

◦ 이란 정부의 경제성장의 핵심을 ‘국내생산 확충’에 두고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임

- 외국인 투자(단독, 합작투자), 기술 이전 등에 대해서는 적극 권장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는 방침임* 석유·가스 분야의 외국기업의 투자 확대를 촉진하기 위하여 기존의 Buy Back 방식을 개선한

IPC (Iran Petroleum Contract)라는 방식을 준비 중으로 금년 11월(테헤란)에 발표 예정임

* IPC는 투자 기업에 대해 ‘광구 운영권 부여 및 수익 미실현시 기간 연장’, ‘광구 개발 실패 시

다른 광구 개발권 우선권 부여’, ‘이란 현지 기업과의 협업 권장’ 등의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짐

◦ 반면, 세수 확보 및 국내 산업 보호 등의 목적으로 국내생산 가능 제품 및

불요불급한 고가 소비재 등에 대해서는 高 관세 정책을 지속 강화할 방침임

◦ 제재 해제 시 그동안 ‘원화결제 시스템’으로 이뤄졌던 무역거래가 다양한

통화로의 결제 가능해질 것임* ’15년 초부터 이란 중앙은행의 ‘원화할당 자제’ 움직임으로 인한 양국 무역거래의 부정적

영향은 줄어들게 될 것임

◦ 제재 해제를 대비 이란 정부는 은행 구조 개혁 등 금융 시스템 개선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아울러 ‘시장환율’과 ‘정부환율’의 이중환율제를

단일화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관측됨

4. 총선 등 주요 선거 실시

◦ ’16년 2월 26 이란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이 실시됨* 4년 전 중도·개혁세력의 총선 보이콧으로 의석의 대부분을 보수세력이 차지하고 있으나, 내년

총선에는 중도·개혁세력이 의회 진출을 적극적으로 시도할 것으로 예상

◦ 아울러, 총선일에 최고 지도자의 선출 및 탄핵권을 갖고 있는 ‘전문가 의회(임기 8년)’

선거도 실시됨* 최고지도자의 임기가 종신으로 기존 전문가 의회의 역할이 유명무실했으나, 현 최고지도자가

고령(76세)인 점을 감안할 때 선거 결과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될 것으로 보임

◦ 이 같은 양 선거의 결과는 대외개방과 협력을 표방하고 있는 중도세력인

‘로하니정부’의정책과서방과의핵협상결과이행에대한큰흐름은변화되지않더라도

행정부 정책이 얼마만큼의 추진력을 갖게 되느냐에 영향을 주게 될 것임

Page 5: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3 -

2016년 상반기 주요 일정

◦ 선거 일정

- 이란 국회의회 선거 및 전문가의회 선거 (’16.02.26.)

◦ 전시회 일정

- Twelfth International Exhibition of Advertising, Marketing and related Industry (’16.01.02.)

- Ninth International Exhibition of goods, services and equipment for shops and chain stores (’16.01.02.)

- Twenty-third International Exhibition of Chandeliers and Decorative Lights (’16.01.10.)

- Sixth International Exhibition of modern homes, Interior Design and Decoration (’16.01.10.)

- Eighth International Exhibition of Wood and related equipment (’16.01.31.)

- Eighth international Exhibition of gold, silver, jewelry, watches and related industries (’16.02.16.)

- Third International Exhibi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16.02.16.)

- Third international exhibition of real estate (’16.02.26.)

◦ 이란정부 '16년 내 잠정계획

- '16년 정부 예산안 의회 제출 (’15.12.06.)

- 제6차 5개년('16~'21) 경제개발계획 의회 검토 (’16.01.)

- 인도와의 PTA 체결

- 독일, 일본, 체코와의 경제부문 위원회 준비

- 이탈리아와의 농업부문 위원회 준비

Page 6: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4 -

IIII 진출환경 분석

1. 시장특성 및 전략적 가치

□ 내수시장 기반과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

◦ 한반도 면적의 약 7.5배

- 아시아·유럽·중동을 연결하는 허브로 7개국과 인접하고 있는 지정학적 요충지

- 인구 7,700만 명으로 중동 최대 내수시장으로 평가됨

◦ 양질의 노동력이 풍부함

- 인구의 2/3이상 고등교육 수학, 인구의 60%가 30대 이하 젊은층

◦ 산업화 기반 형성

- ’90년대부터 5년 단위 ‘경제·사회개발 계획‘을 추진하여 석유 의존형 경제구조

탈피를 위해 노력 중

- ’05년부터 ’20년 미래계획‘을 추진하여 역내 제일의 경제·과학 선진국 달성을

목표로 수립하고 추진 중

□ 풍부한 천연자원

◦ 원유 매장량 세계 4위 (베네수엘라-사우디아라비아-캐나다-이란)

- 매장량 1,540억 배럴 (세계 석유 매장량의 9%)

- 생산량 일일 350만∼360만 배럴 (’15년 상반기 기준)

* 원유 수출(근사치) : ’12년(153만 배럴) → ’13년(100만 배럴) → ’14년(106만 배럴)

◦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2위 (러시아-이란-카타르)

- 매장량 30조 입방미터 (세계 가스 매장량의 15%)

- 생산량 일일 4억3천만 입방미터

◆ 거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 보유◆ 풍부한 천연자원 부국◆ 대형 프로젝트가 즐비한 시장◆ KOREA PREMIUM 존재 시장

Page 7: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5 -

<이란의 광물자원 현황>

매장량 세계 순위 연간 생산량

철광석 28억톤 12위 3천톤

구 리 19억톤 9위 23만톤

석 탄 5억5천만톤 26위 20만톤

납/아연 2억2천만톤 17위 17만톤

자료원 : USGS(’15년 1월)

□ 대형 건설 프로젝트 다대

◦ 중동 3위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발주국(사우디-UAE-이란)

◦ 이란 프로젝트 규모는 2,905억US$, 누계 발주금액은 1,284억US$(’12년말 기준)

◦ 경제제재 해제 이후 프로젝트 규모는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수입의존도가 높고 한국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시장

◦ 국내 수요 물품의 3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위해서는 연간 300억US$ 이상의 원료 및 자본재,

완제품 수입이 불가피한 전형적인 수입의존 시장

◦ 한국 상품 및 기업에 대한 높은 인지도 및 선호도를 보유

- 기본적으로 한국산 제품이 가격에 비해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 (Korea Premium 존재)

- 이란-이라크 전쟁 시, 제재 시에도 한국기업(EPC, 상사 등)들이 시장에 남아

지속적으로 활동한 것, 발주처의 요구에 대한 대응 및 약속 준수 등 전반적인

기업신뢰도가 높은 것도 강점으로 작용

-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산 가전제품의 시장점유율 70% 이상* ’07-’09년이란국영TV에서방영된<주몽>과<대장금>의시청률85%기록 (이란에서이영애와송일국은월드스타수준)

- 경제제재로 인한 서방기업의 철수 이후 대체품으로 한국 상품에 대한 관심 고조

Page 8: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6 -

2. 경제 환경

□ 주요 경제지표 및 전망

◦ 서방과의 핵협상 개시로 인하여 ’14년 경제성장률이 4.3%로 플러스 전환된데

이어 ’15년(2.3%), ’16년(6.1%)에도 지속 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 소비자 물가상승률도 제재가 본격화된 ’12년 26.0%, ’13년 39.3%에서 ’14년

이후부터 완화되는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14년 17.2% → ’15년 15.3% → ’16년 14.1%)

◦ 이란경제의 발목을 잡아왔던 높은 실업률은 다소 완화되기는 하였으나,

10%대의 여전히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정부발표는 10%대이나 실질 실업률은 20%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특히 여성과 청년실업률이 높은 것으로 관측됨

◦ ’14년 하반기부터 유가하락에 따른 석유수출액 급감 등을 배경으로 경상수지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16년에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이란의 주요 경제지표>

구 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전망)

'16년(전망)

GDP(US$백만) 592,038 587,209 511,622 425,808 420,917 490,695

실질 GDP성장률(%)* 3.7 -6.6 -1.9 4.3 2.3 6.1

소비자 물가상승률(%) 20.6 26.0 39.3 17.2 15.3 14.1

실업률(%) 12.3 12.2 10.4 10.3 10.5 10.2

경상수지(US$백만) 58,507 23,423 26,440 15,861 4,492 9,934

외환보유고(US$백만) 92,450 104,650 107,950 108,950 93,950 103,950

자료원 : EIU, IMF / *IRR 기준

□ 시장 동향

◦ 유가하락 및 경제제재의 여파로 인해 정부재정 약화 및 소비자의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으나, 제재해제시 심리적인 효과 및 시장에 대한 불투명성이

사라져 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됨

Page 9: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7 -

- 이란의 주요 바이어들도 중앙은행의 원화할당 자제분위기 및 제재해제 시

리알화 강세 예상, 다양한 결제통화 사용가능 등을 고려하여 계약 시기를

최대한 지연시키려 하고 있음

- 이란중앙은행은 국내생산을 보호하려는 무역청의 요청과 원화계좌의 외화유지를

위하여 국내생산 가능한 제품 및 불요불급한 소비재에 대해서는 원화할당을

자제하고 있음(이 경우 정부환율이 아닌 시장환율(정부환율 대비 117%)로 원화를 매입해야 함)

◦ 제재해제시 핵협상 타결 및 제재해제 등으로 급등락을 하였던 환율이 점차

안정세를 보일 전망임

- 시장의 예상과 달리 핵협상 타결 후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음* 시장환율(리얄/달러) : (’14.12.1.) 34,000 → (’14.12.25.) 35,300 → (’15.1.28.) 34,450 →

(’15.7.12.) 31,800 → (현재) 36,000 수준

* 핵협상 타결에도 불구, 리알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은 ①정부당국의 환율개입 중지 ②제재지속

③유가하락, ④해제 시에도 실물경제 활성화에는 시간 필요 ⑤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

◦ 다만, 제재해제를 겨냥한 외국기업의 이란시장에 대한 관심과 마케팅 활동이

활발해 지고 있어, 제재해제시 치열한 경쟁이 전개될 것으로 보임

3. 산업 환경

□ 석유·가스 산업

◦ 원유 및 가스 매장량이 풍부한 이란이 가장 강점을 갖고 있는 산업분야가

바로 석유·가스 분야임

◦ 제재로 인하여 석유 수출량 제한(1백만 배럴/일) 및 원유개발을 위한 선진기술

도입 및 투자유치가 불가능해 관련 시설의 노후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임

◦ 석유부 장관은 제재해제 시 즉각적으로 석유생산 및 수출을 현재의 2배 수준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공언하였고, 현재 관련 프로젝트의 조속한 진행을 희망하고 있음

- 특히 제재로 중단되었던 South Pars 가스전 개발에 추진을 희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IPC(Iran Petroleum Contract)를 도입할 예정임

- 아울러, 상대적으로 투자비용이 낮은 노후화된 시설의 개선 작업에도 우선순위를

두어 추진할 계획임

Page 10: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8 -

□ 석유화학 산업

◦ 합성수지, 플라스틱 용기, 타이어, 세제 등 제품과 중간재를 망라한 석유화학산업은

이란이 가장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산업분야 가운데 하나임

- 석유산업 의존도를 낮추고자 하는 이란정부의 정책에 있어서도 가장 우선

육성대상 분야가 석유화학산업임

◦ 이란정부는 '24년까지 생산량을 현재의 3배 이상으로 끌어올려 세계시장에서 6%,

중동에서 32%를 점유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음

◦ 한편 NPC(국영석유화학공사)는 사우스파의 가스와 석유를 기반으로 한 인근

Busher지역의 석유화학 단지 조성 등 석유화학기반 확충을 적극 추진할 계획임

- 부가가치가 높은 정제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하여 신규 정유공장, 석유화학단지

설립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그동안 석유화학 분야에서의 건설프로젝트는 NPC가 독점적 발주처 역할을

해왔으나, 향후에는 50여개의 자회사들을 통하여 발주토록 구조를 변경하였음

□ 자동차 산업

◦ '59년 자동차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한 이래 연 160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음

- 2대 자동차 메이커인 IKCO(Iran Khordro Co), SAIPA를 비롯하여 Pars Khordro,

Bahman Group, Modiran, Kerman Motors, Pars Topco, Khordro Toos 등

다수의 기업이 있음

- 제재대상 산업인 자동차 산업에의 기술지원 및 부품조달 곤란 등으로 국내생산

대수가 60만대 수준으로 하락하였음

◦ 이란 정부는 자동차산업의 생산능력 확충 및 해외기술도입을 적극 장려하고 있음

- ’14년 말 기준 이란의 승용차 등록대수는 약 1,600만대로 인구 및 차량 노후화,

대중교통의 발달 수준 등을 고려할 때 경제제재 해제 시 수요는 더욱 확대될 것임

- 현재 이란은 2,500cc 이하의 차량에 대해서만 수입을 허가하고 있음

- 이란 최대 자동차메이커인 IKCO는 지난해부터 프랑스의 푸조사와 이란 현지생산

재개를 위한 협의 및 MOU를 체결하였으며, 벤츠사와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Page 11: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9 -

□ 철강 산업

◦ 세계 12위의 철광석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이란은 석탄매장량도 풍부해

중동지역에서 철강생산 자원의 자급자족이 가능한 유일한 국가로 꼽히고 있고,

정부에서도 철강산업 육성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해왔음

- 이란 최대의 철강메이커인 Mobarakeh Steel Co.,가 시장의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Khuzestan Steel Co., Esfahan Steel co., Iranian National

Steel Industry Group 등이 지속적으로 생산능력을 증강시키고 있음

- 이 같은 정책에 힘입어 이란은 ’12, ’13년 평균 135만톤의 철강을 수출하였고,

’14년에는 50% 이상의 철강수출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또한, 이란정부는 외국기업 유치를 통한 국내생산능력 확충과 더불어 선진기술

습득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한국기업과의 일관제철소 설립 계획이 거의 합의에 이르렀으며, 인도의

제철소와도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한편, 이란정부는 이란 국내에서 생산 가능한 제품군에 대한 관세율을

상향조정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방향은 지속 추진될 것으로 보임

4. 정책․규제 환경

□ 이란 국가개발계획

◦ 경제·사회·문화 발전을 위한 중장기 목표인 ‘20년 계획 (20-year Outlook

Plan, '05~'25)' 추진하고 있음

- 현재 20년 계획의 일환으로 제5차 5개년 국가개발계획('10년-'15년)을 진행

중이며 '25년까지의 국가 비전 제시

- 역내 제1의 선진국 진입 및 국토의 균등 발전 실현

경제개발 방향 구 분 목 표('10년~'15년)

거시경제지표 개선

경제성장률 평균 8%실업률 7%(연간 99만개 일자리창출)

물가상승률 평균 12% 유지

안정적 에너지수입 확보 및재정건전화

유가(예산책정 기준) $65/b원유 생산능력 510만 b/d

석유가스 부문 투자 정제시설확충을중심으로 연간 200억US$ 투자(외국투자 포함)석유수입/정부예산 0%(연간 10%씩 감축)

기타부가가치가낮은원유형태의석유수출중단연간석유수입의20%를국가발전기금에비축

<이란 제5차 국가계발계획 방향 및 목표>

Page 12: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0 -

자료원 : PDPSS(’11년 1월)

◦ 최고지도자는 ’16년부터 시작되는 제6차 국가개발계획('16~'21) 지침서를

행정부에 전달하였음(’15.6.30.)* 6차 5개년 개발계획의 세부사항은 현재까지 발표되지 않음 → 해당 계획 의회 검토(’16.01.)

- 지침서는 경제 개혁과 사회개발의 우선권에 대해 폭넓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8개 분야 총 80개 조항으로 구성됨  * 8개 분야 : 경제(31개), 정보기술 및 통신(7개), 사회(13개), 보안 및 방어(7개), 대외정책(5개),

사법 및 법률(4개), 문화(6개), 과학기술, 혁신(7개)

경제개발 방향 구 분 목 표('10년~'15년)

산업 다각화

비석유제품 수출1,100억US$

석유화학제품 생산광업 및 산업투자 1억 톤/년

철 생산 700억US$철광석 생산 4,200만 톤/년시멘트 생산 6,600만 톤/년

석회암1억 1,00만 톤/년1억 6,600만 톤/년

기타공업단지 50개 건설GDP 대비 3% 연구비용 예산 측정

※ 6차 5개년 개발계획 지침서 주요내용

 ○ 경 제

  - 계획 기간 내 평균 8%의 지속적이고 빠른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의 충분한자원 활용

  - 비즈니스 환경 및 시장경쟁구조의 지속 개선

  - 저항경제의 목표 실현을 위해 비정부기구를 활용

   * 저항경제 : 경제적 자립을 촉진하는 일련의 정책

  - 다자간 통화협정이 체결될 서남아시아 국가와 상호 경제 및 무역관계 확장

  - 금융(화폐, 자본, 보험)시장 투자 장려를 통해 금융시스템 투명성 증진 및 경제안정,기업 활동 리스크를 줄여나가야 함.

  - 다양한 인센티브를 통해 이란 국외기업 및 외국인 투자 장려

  - 이란 중앙은행에 권한 강화

  - 석유, 가스 등으로부터 벌어들인 수익의 30%를 국가발전기금으로 이전하고, 국가발전기금규정을 영구 구현

   * 이란 중앙은행(CBI)으로부터 국가발전기금 계좌 독립

   * 국가발전기금 지출의 독립성

* 농업분야, 중소기업 및 협동조합에 대출 제공 등

 - 석유, 가스 관련 프로젝트에 민간기업 참여 장려

 - 새로운 경제기회 창출 및 기본 인프라 개선, 지방기업을 지원하고 자원의 공정한 분배를통해 농촌 개발계획을 구현

Page 13: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1 -

5. 한국과의 경제교류 동향

◦ 이란은 '15년(1~9월) 우리나라의 제26위 수출대상국(0.74%) ('14년 26위(0.73%))

- '11년 양국간 교역규모가 최대(17,427백만US$)였으나, 제제심화 이후 교역규모가 감소함* '15년 3분기 기준 교역규모 4,924백만US$

◦ 對이란 교역기업 수는 '11년 약 3천개社였으나, '14년 기준 약 2천개사로 감소

◦ 장관급한-이란경제공동위가매년개최되었으나, 대이란제재영향으로 '07년이후중단됨

- '16년 양국 경제공동위 재개 예정(’16.1., 잠정)

◦ 한-이란간 주요 협정 체결현황

- 경제 및 기술협력 의정서('75.07.08.)

- 무역협정('76.02.12.)

- 항공협정, 투자보장협정('98.10.30.)

- 이중과세방지협정('06.07.)

 - 해상무역의 확장 및 전략적 위치에 경제특구 설립

  - 철도 및 터미널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수출 및 운송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및 국제운송 통로와 국가 철도 연결을 통한 철도 화물수송 개발

- 산업 제조 및 서비스 부문, 상업지역 및 국제시장에서 강력한 입지 달성을 위한 현대기술 도입

  - 전략산업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이 분야의 최신기술을 채택

   * 전략산업 : 석유, 가스, 석유화학, 교통, 첨단소재, 건설, 정보통신기술, 우주항공,해양, 농업, 물

 - 광물제품 가치 완성에 중점을 두고 국내 산업에 원료 공급을 우선순위로 함

  - 품질관리시스템 및 표준화 변화를 위한 지침서의 개발 및 구현

 ○ 정보기술 및 통신

  - 국가정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전자정부 개발

  - 국가정보 조직망을 개발, 보안 및 완성해 나가야 함.

  - 국가의 우수한 지역적 위치를 활용해 이란을 통신, 정보교환의 지역적 중심지로 변모

  - 정보기술 및 통신 부문에서 주요 국가들과 동등한 위치를 달성할 때까지 인프라 투자 증진  

 ○ 대외정책

  - 외국인투자 증진, 글로벌 시장진입, 저항경제 등 실현을 위해 외교정책을 우선시

  - 해외 거주 이란인의 전문지식 및 자본 유치를 위한 조건마련

  - 현대적인 외교방법 및 수단 배포

Page 14: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2 -

IIIIII 시장 분석

1. 수 출

□ 우리나라의 대이란 무역동향

◦ 對이란 교역규모는 제재 심화이전인 ‘11년 174.3억US$에 달하였으나,

원유수입 축소와 수출제한으로 ’12년 이후 감소 추세

- ’14.12월 對이란 교역규모는 전년대비 19.9% 감소한 87.4억US$ 기록

- (수출) 국제 경제제재로 ‘14년(12월) 對이란수출은 전년대비 7.0% 감소* 주요 수출품목 : 컬러TV, 디스플레이, 합성수지, 자동차부품 등

- (수입) 이란산원유수입감축에따라 ‘14년(11월) 對이란수입은전년대비 17.7% 감소* 주요 수입품목 : 원유, LPG, 나프타, 알루미늄 및 아연괴 등

<한-이란 교역현황>

구 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1~10월)

수 출 6,068(32.0%)

6,257(3.1%)

4,481(-28.4%)

4,167(-7.0%)

3,190(-5.6%)

수 입 11,358(63.7%)

8,544(-24.8%)

5,564(-34.9%)

4,578(-17.7%)

2,147(-45.6%)

무역수지 -5,290(-125.7%)

-2,288(57.1%)

-1,084(52.6%)

-411(62.1%)

1,043(284.9%)

교역규모 17,427(51.1%)

14,801(-15.1%)

10,045(-32.1%)

8,745(-12.9%)

5,337(-27.1%)

(단위 : US$백만)

자료원 : 이란 관세청(’15년 11월)

◦ 한편, 핵협상 진전 및 제재품목의 일부 유예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14년 하반기부터 대이란 수출이 대폭 확대되었음

- 여기에는 전년 동기의 수출 감소율이 큰 폭으로 진행되었던데 기인한 측면도 있음

◆ 중국산의 현지 시장점유 가속화◆ 경제제재 해제 이후 주요 선진국 및 경쟁국과의 치열한 경쟁 예상◆ 이란 자국산업 보호에 따른 수입 규제 또는 고관세 정책 심화◆ 품질 차별화 및 공격적 마케팅 활동 필요

Page 15: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3 -

- 반면, 금년 2분기부터는 수출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3분기에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전년 동기 큰 폭의 상승세와 더불어 바이어의 수입지연 현상에 따른 것임

- 3월 신년이후 정체세를 보이던 소비시장이 최근 회복세로 돌아섰고, 제재해제가

본격화되는 내년에는 대이란 수출도 활기를 띠게 될 것으로 전망됨* 다만, 지속적인 경기침체 하에 가격중심의 시장으로 전환되어 향후 저가의 중국산,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유럽산과의 경쟁 치열 및 고관세 정책 등 부정적인 요인도 상존하고 있음

□ 현지 한국상품 점유율 동향 및 수입점유율 상위 10개국 동향

<이란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상품 점유율>

'04년 '09년 '12년 '13년 '14년

현지국의 총 수입액 32,997 49,669 52,802 45,431 50,066

한국상품 수입액 1,775 3,087 4,667 3,827 4,146

한국상품 점유율(%) 5.4 6.2 8.8 8.4 7.9

한국상품 점유율 순위 3 4 3 3 3

(단위 : US$백만, %)

자료원 : 이란 관세청(’15년 1월)

◦ 최근 3년간 한국상품 점유율의 변화는 크게 없었으나 약간 감소하는 추세

- 점유율 순위는 3년간 3위로 동일하나, 저가 중국산 제품의 대량 유입으로

인해 점유율은 하락함

◦ '04년에 비해 한국상품 수입액은 크게 늘어났으며 점유율 순위에서는

3~4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 특히, '09~'12년 수입액 및 점유율이 크게 상승한 이유는 ‘대장금’ 및 ‘주몽’과

같은 한국 드라마의 현지 방영으로 한류열풍이 불었고 코리아 프리미엄(가격 및

품질 우수) 때문으로 추정됨

<이란 수입시장 점유율 상위 10개국 현황>

국가명'04년 '09년 '12년 '13년 '14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중 국 4.9 6 8.6 3 14.6 2 18.8 2 23.4 1아랍에미리트 16.6 1 24.6 1 22.4 1 20.1 1 22.1 2한 국 5.3 5 6.2 5 8.8 3 8.4 3 7.9 3인 도 3.4 8 2.4 8 2.8 10 8.2 4 7.8 4

Page 16: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4 -

자료원 : 이란 관세청(’15년 1월)

※ 미국, 일본

· '14년 : 미국 0.3%(32위) / 일본 0.4%(27위)· '13년 : 미국 0.3%(31위) / 일본 0.6%(18위)· '12년 : 미국 0.3%(34위) / 일본 0.6%(8위)· '09년 : 미국 0.3%(27위) / 일본 2.5%(10위)· '04년 : 미국 0.2%(42위) / 일본 2.9%(9위)

◦ (중 국) 가격경쟁력, 중국 정부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 및 세계시장에서

미국과의 대등한 관계 등으로 작년 현지 수입 점유율 1위를 기록함

◦ (일 본) 중국 및 한국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며 해당 국가의 수입

점유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 점유율 하락

◦ (인 도) 이란 정부와 PTA 협상 등 무역부분에서 양국간 관계 개선 및 협력

등으로 현지 수입시장 점유율에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

◦ (터 키) ’15년 1월부터 발효된 양국간 PTA와 유리한 지정학적 위치 등 이란과

무역부분에서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고 있어 꾸준히 현지 수입 점유율이

늘고 있는 추세

□ 최근 3년간 현지국의 20대 한국상품 수입 동향 및 향후 전망

<이란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위 20대 품목의 수입액 및 점유율 순위>

국가명'04년 '09년 '12년 '13년 '14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 점유율(%) 순위터 키 2.1 13 3.5 10 6.9 4 7.5 5 7.2 5독 일 12.5 2 9.4 2 5.1 6 5.3 7 4.8 6스위스 4.4 7 5.3 4 5.7 5 5.9 6 3.9 7네덜란드 1.6 18 1.5 17 3.2 7 2.8 8 1.9 8이탈리아 7.1 4 3.8 9 2.2 11 1.9 9 1.4 9대 만 0.8 23 0.9 22 1.12 17 1.2 14 1.3 10

수입규모순위

상품코드(4단위)

'12년 '13년 '14년

수입액 점유율 순위 수입액 점유율 순위 수입액 점유율 순위

1 8529 193 25.9 1 483 66.8 1 550 67.7 1

2 8418 149 37.7 1 114 54.6 1 218 55.3 1

3 3204 8 10.8 4 12 14.2 3 193 68.2 1

4 7210 173 35.9 1 120 32.9 2 161 33.7 2

5 8708 147 28.6 1 146 33.9 1 159 24.9 2

(단위 : US$백만, %)

Page 17: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5 -

자료원 : 이란 관세청(’15년 1월)

※ 상품코드(HS코드 4단위)

· 8529 - 부분품(제8525호부터 제8528호까지에 열거된 물품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 8418 - 냉장고·냉동고와 그 밖의 냉장기구나 냉동기구(전기식인지에 상관없다), 열펌프(제8415호의 공기조절기는 제외한다)

· 3204 - 합성 유기착색제(화학적으로 단일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이것을 기본 재료로 한 조제품(이 종류의 주 제3호의

것으로 한정한다), 형광증백제(螢光增白劑)나 루미노퍼(luminophore)로 사용되는 종류의 합성유기생산품

(화학적으로 단일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 7210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밀리미터 이상인 것으로서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으로 한정한다]

· 8708 - 부분품과 부속품(제8701호부터 제8705호까지의 차량용으로 한정한다)

· 7208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밀리미터 이상인 것으로서 열간(熱間)압연한 것으로 한정하고,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은 제외한다]

· 3907 - 폴리아세탈수지·그 밖의 폴리에테르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알키드수지·폴리아릴에스테르와 그 밖의

폴리에스테르[일차제품(primary form)으로 한정한다]

· 4810 - 한 면이나 양면을 도포한 종이와 판지[결합재가 있는지에 상관없으며 고령토(kaolin)[차이나 클레이(China

clay)]나 그 밖의 무기물질을 도포한 것(그 밖의 다른 물질을 도포한 것은 제외한다)으로서 표면착색·

표면장식·인쇄하였는지에 상관없으며 크기와는 관계없이 롤 모양이나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의

시트(sheet) 모양으로 한정한다]

· 3903 - 스티렌의 중합체[일차제품(primary form)으로 한정한다]

수입규모순위

상품코드(4단위)

'12년 '13년 '14년

수입액 점유율 순위 수입액 점유율 순위 수입액 점유율 순위

6 7208 373 24.3 1 126 16.8 3 150 15.7 2

7 3907 127 53.3 1 68 41.7 1 140 45.6 1

8 4810 93 66.4 1 168 72.2 1 130 65.23 1

9 3903 140 34.4 2 121 31.5 2 110 43.7 1

10 8517 23 7.4 3 42 10.0 3 108 13.5 3

11 4011 51 13.7 3 67 17.2 3 106 19.3 3

12 3902 79 45.0 1 53 45.4 1 88 63.5 1

13 8450 27 11.2 3 48 38.7 1 79 30.3 2

14 3901 214 57.7 1 58 44.1 1 67 43.8 1

15 7209 138 39.4 1 34 27.8 2 66 20.7 3

16 8414 33 6.2 5 46 11.7 3 65 12.3 3

17 8429 130 32.4 2 31 19.5 3 58 20.7 2

18 8415 37 11.9 3 55 24.7 2 56 19.7 3

19 4802 62 19.4 2 57 19.3 3 51 14.6 4

20 8603 8 9.1 2 0.0 0.0 4 45 38.1 2

전체 - 4,667 8.8 3 3,827 8.43 3 4,146 7.9 3

Page 18: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6 -

· 8517 - 전화기(셀룰러 통신망이나 그 밖의 무선 통신망용 전화기를 포함한다)와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송신용·수신용 그 밖의 기기(근거리 통신망이나 원거리 통신망과 같은 유선·무선 통신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기기를 포함하며, 제8443호·제8525호·제8527호·제8528호의 송신용·수신용 기기는 제외한다)

· 4011 - 고무로 만든 공기타이어(신품으로 한정한다)

· 3902 - 프로필렌의 중합체나 그 밖의 올레핀의 중합체[일차제품(primary form)으로 한정한다]

· 8540 –열전자관·냉음극관·광전관[예 : 진공관·증기나 가스를 봉입한 관·수은아크정류관·음극선관·텔레비전용 촬상관(camera tube)]

· 3901 - 에틸렌의 중합체[일차제품(primary form)으로 한정한다]

· 7209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밀리미터 이상인 것으로서 냉간압연(냉간환원)한 것으로 한정하고,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은 제외한다]

· 8414 - 기체펌프나 진공펌프·기체 압축기와 팬, 팬이 결합된 환기용이나 순환용 후드(필터를 갖추었는지에 상관없다)

· 8429 - 자주식(自走式) 불도저(bulldozer)·앵글도저(angledozer)·그레이더(grader)·레벨러(leveller)·스크래퍼(scraper)·

메커니컬셔블(mechanical shovel)·엑스커베이터(excavator)·셔블로더(shovel loader)·탬핑머신(tamping machine)·로드롤러(road roller)

· 8415 - 공기조절기(동력구동식 팬과 온도나 습도를 변화시키는 기구를 갖춘 것으로 한정하며, 습도만을 따로 조절할

수 없는 것도 포함한다)

· 4802 - 도포하지 않은 종이와 판지(필기용, 인쇄용, 그 밖의 그래픽용으로 한정한다), 구멍을 뚫지 않은 펀치카드와

펀치테이프지[제4801호와 제4803호의 것은 제외하며, 크기와는 관계없이 롤 모양이나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 시트(sheet) 모양으로 한정한다], 수제지(手製紙)와 판지

· 8603 - 자주식(自走式) 철도용이나 궤도용 객차와 화차(제8604호의 것은 제외한다)

◦ 최근 급격하게 점유율이 상승 또는 하락하고 있는 품목은 없으며 중국산에 비해

품질, 유럽산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품목은 현지 수입시장에서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 경제제재 해제 이후 현재 점유율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대외적 환경

변화(경쟁국 기업의 현지 본격 진출)에 따라 유럽 및 중국 등 경쟁국과 수입

점유율 부분에서 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전자·전기제품 및 철강, 공산품의 경우 현재도 중국산 제품이 가격경쟁력을

내세워 현지 수입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으며 향후 한국산과의 품질경쟁력

격차를 좁히거나 추월한다면 해당 제품군의 점유율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함

- 중국(전기·전자제품), 인도(철강 및 기계류 등)와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며

해당 국가는 이란과 무역 협력관계를 현 수준보다 더욱 증진할 계획을 가진 나라임

□ 시장 진입장벽

◦ 자국산업 보호정책 강화 및 제도의 불투명성

- 이란 정부는 세수확보 및 국내산업 보호 등의 목적으로 수입규제 또는

고관세 정책 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경제제재 해제 후 해당

정책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국내제도 및 법규가 완비되어

있지 않아 현지 진출 시 세금 및 기타 제반사항에서 애로를 겪게 될 확률이 높음

Page 19: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7 -

□ 현지시장 진출 성공 및 실패사례

구 분 내 용 시사점

이미지 활용을통한 소비재진출 성공사례

- 면도날 생산기업인 D사는 현지 A사와 에이전트 계약을체결하고, 브랜드 인지도 제고가 급선무라는점에인식을같이하고홍보전략적극추진· 아랍권 위성채널, 테헤란 주요 지역에 빌보드 광고,주요 매장에 디스플레이 광고 등· 신제품 개발 노력 및 이란시장 동시 출시

- 연 2천만US$ 규모의 수출 달성

- 브랜드 인지도가 좌우하는소비시장에 프리미엄급이미지 구축

- 세미나 등을 통하여에이전트와 시장 전략 등인식 공유

현지 시장동향및 상관행미숙지에 따른실패사례

-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J사는 이란 기업과 기술이전및 합작투자를 포함한 수출계약 체결

- 제품에 하자 발생, 이란기업의 과다한 클레임 요구에회피자세로 일관

- 결국 지분압수 및 블랙리스트(무역청)에 등재

- 자사 및 시장 동향을무시한 투자진출

- 현지 상관행 미숙지· 이란기업의 과도한 요구에가능한 부분은 적극수용하고나머지는 설득해가면 해결가능할 수 있음· 주요 사항에 대해서는반드시 계약서에 명시해야함

2. 투자진출

□ 투자진출/투자유치 현황

◦ 진출기업 현황 : 대기업 위주이며 연락사무소 형태로 진출함

- 현재 이란 진출기업 13개사 모두 대기업이며 KT&G를 제외한 11개사는

연락사무소·지사 형태임

- ’08년 KT&G, 담배생산 현지법인(6백만US$ 투자) 설립, 매년 5천만갑의 담배 생산

구 분 기업명

상 사 삼성물산, LG상사, SK네트웍스, 대우인터내셔널, 코오롱글로벌, 동부하이텍, 현대종합상사

제조업 삼성전자, LG전자, KT&G, 동부대우전자

건설사 대림산업, GS건설

<주요 진출기업 현황>

- 현대엔지니어링, 현대건설 등 EPC기업이 지사 설립 절차를 밟고 있음

Page 20: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8 -

□ 경쟁국 진출동향

1) 독 일

◦ 독일 부총리(Sigma Gabriel), 이란 정부 및 관련 기업 방문 목적으로 경제사절단

(폭스바겐, 린데, 메르세데스 벤츠社 포함)과 함께 이란 방문(’15.7.19.-20.)

- 벤츠社, 이란 호드로社와 상용차(10년간) 및 승용차(5년간) 현지 생산계약 협의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경제부 장관, 60명 규모의 경제사절단 이란 파견(’15.9월)

2) 프랑스

◦ 프랑스 외무부 장관, 로하니 이란 대통령 접견 및 국빈 초청(’15.7.29.)* 면담 : 로하니 대통령, 외무부 장관, 산업부 및 환경부 장관, 도로·도시개발부 장관 등

◦ 푸조社, 이란 자동차 생산기업 Khodro사와 현지 공동생산공장 설립 논의 지속(’15.7월)

- 이란은 푸조社 해외 수출의 약 13%를 점유(’11년 기준)하였으나, 제재로

인해 ’12년 이란 시장 철수

◦ AccorHotels, 경제제재 이후 대비 이란 호텔 부문 진출 방안 모색

- 비즈니스 호텔(Pullman), 5성 호텔(Sofitel) 등 진출 고려

◦ 프랑스 산업연맹, 투자기회 발굴 및 통상관계 재건을 위해 이란 방문(’15.9월)

3) 일 본

◦ Inpex社(일본국제석유개발주식회사), ’10년에 철수한 아자데간(남서부 지역)

유전 개발 사업 재진입 검토 중(’15.7월)

◦ 일본 경제산업성 차관은 JGC社 등 21개사 대표단과 함께 이란을 방문하였고

이란 산업부, 중앙은행장 및 석유부 장관과 면담(’15.8월)

◦ 양국간투자협정결론을위해일본중동아프리카외무담당국이 OIETAI와면담(’15.9.7.~9.)

◦ 양국 경제장관회의 개최(’15.10월)

4) 영 국

◦ 영국 외교부 장관 및 소규모 경제사절단(로얄더치쉘, Amec Foster Wheeler社 등)

이란 방문(’15.8월)* 면담 : 로하니 대통령, 외무부 장관, 석유부 장관, 중앙은행장

◦ ’11년 폐쇄 이후 4년 만에 영국대사관 재개설(’15.8.23.)

Page 21: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19 -

5) 중 국

◦ 이란 원자력청장, 중국과 원전 2기를 건설하기로 합의(’15.7.22.)

- 마크란지역(남부해안) 100MW용량의원전 2기건설합의에따른세부협상진행 예정

◦ 테헤란-마샤드 구간 고속철도 건설에 대한 기본 협의 진행(’15.7월)

6) 이탈리아

◦ 경제개발부 장관 및 외교부 장관, 보험, 금융, 자동차, 의학 분야 기업들로

구성된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이란 방문(’15.8.6.-7.)

- 이탈리아 수출신용회사(SACE) 및 투자은행(Mediobanca)과 이란 경제 재무부

및 중앙은행 간 MOU 체결

- Eni社, 다코빈(Darkhovin) 유전관련 5억 5천만US$ 계약(석유일일생산량 16만배럴) 체결* 면담 : 로하니 대통령, 석유부 및 경제부 장관, 상공회의소 등

7)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대통령(Heinz Fischer), 경제부 장관 및 상공회의소장 등 230여명

사절단(학계, 기자단 등) 규모로 이란 방문(’15.9.8.-10.)

- 양국 경제포럼에서 8천만 유로 규모의 15개 MOU 체결* 면담 : 로하니 대통령, 의회 대변인, 중앙은행장, 상공회의소장, 산업부, 경제부, 석유부 등

8) 스페인

◦ 스페인 외교부 장관, 에너지 및 관광부 장관, 스페인 경영협회 부회장 등 60명

규모의 경제사절단 현지 방문(’15.9.8.-10.)

- 석유화학, 원유교역 및 석유추출 관련 분야 관계자 면담 및 협의* 면담 : 로하니 대통령, 외교부 장관, 석유부 장관 등

□ 성공/실패사례

구 분 내 용 시사점

ATM 수출성공사례

- 이란 유수의 IT그룹인 B사는 한국의 ATM기기생산기업인 C사와 ATM기기 수입계약 체결· SKD 방식으로 3년간 8천만US$ 수출

- 공동브랜드 출범 및 공장개소(‘14.12)· C사 기술인력 파견

- 투르크메니스탄, 이집트 등에 수출 개시(’15.3)로수출물량 확대

- 한국기업의 기술력과 이란기업의 유통망, 생산비절감 등 양국 기업의강점융합사례

- 이란정부 정책에 부합하면서도 실물투자가 없는방식으로 위험은 상대적으로낮음

Page 22: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0 -

3. 프로젝트

◦ 경제제재의 영향으로 ‘10년 이후 우리 기업의 대형 건설 프로젝트 수주 실적은 전무

- 제재하이란건설프로젝트시장에서는중국EPC기업들이지하철건설등적극적으로활동

◦ 제재해제시 그 동안 지연되었던 프로젝트들이 본격적으로 발주될 것이나,

대부분은 현재와 같이 ‘EPC+F’의 형태가 될 것임

- 제재해제로 해외동결자산 해제 및 석유수출 물량 확대 등을 통한 재정수입

확대가 예상되나, 발주처 예산으로 건설프로젝트를 추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함

- 또한, 기존 프로젝트 대부분이 발주처 예산 시행방법이었기 때문에 확보된자금은 ‘기존 프로젝트 추진’에 중점 사용되고, 나머지 우선 순위에 따라극히 제한적으로 배정될 것으로 전망

◦ 이란 정부는 ‘석유·가스’, ‘석유화학’, ‘항만·철도·도로’, ‘병원’ 등의 분야에

중점을 두고 추진할 것으로 알려짐

<주요 프로젝트 분야별 현황>

구 분 내 용

석유·가스

- 이란의 석유생산용량은 400만bpd로서 2020년까지 470만bpd로 증가 계획,가스생산용량은 650백만입방미터(/일)로써 2017년까지 10억입방미터(/일)로증강 계획이를 위해 유전개발에 200억US$, 사우스파(South Pars)가스전 개발에290억US$ 투자 예정- 중점 투자지역은 웨스트카룬(West Karoun)으로, 동 지역내 남·북 아자데간(Azadegan), 남.북 야란(Yaran), 야다바란(Yadavaran) 등 5개의 유전이 대상

석유화학

- NPC(국영석유화학공사)에 따르면 지난해(회계년도 기준) 석유화학 생산물은43백만톤이었는데 1년 후에는 180백만톤으로 생산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외국인 투자를 유치할 계획현재 70여개 플랜트에서 60백만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고(생산은70% 수준), 진행 중인 60개 프로젝트 완성시 생산능력은 120만톤 수준이되며, 36개 신규프로젝트 완성시(410억US$ 투자 필요) 180백만톤으로 확대- 유망지역은 이란남부의 Chabahar와 Jask 등

교 통

- 현재 도로는 총 20만km로 전체 화물수송의 70%를 담당도로 및 도시개발부(MURD)의 테헤란-북부 카스피해 간을 연결하는121km의 고속도로 사업이 추진 중- 철도는 총 연장 13천km로, 매년 1천km씩 확대하여 ‘25년까지 25천km로확대 예정

- 항만은 반다라압바스가 해상무역의 85%를 담당하고 있는데, 시설확대 추진 중반다라압바스의 샤히드 라자이항 3단계 발전계획(5억US$ 규모)에 착수,현재 6백만 TEU의 선적요량을 8백만 TEU로 확대- 공항은 전국에 319개의 공항이 있으며 (활주로가 포장된 공항은 140개소/민간 54개소, 국제공항 8개소)이맘호메이니 공항 2단계 확장사업(22억US$ 규모)이 계획 중임

발전·수자원

- 발전량은 ’14년 228.1TWh로 연간 수요량 185.4TWh를 충족하고 있지만,향후 수요 증가에 대비 지속적으로 확충 예정천연가스 154.1, 석유 55.8, 수력 12.2, 원자력 5.4, 석탄 0.4, 신재생에너지 0.2 등가스발전 비중을 현재 68%에서 2023년까지 74%로 확대 예정

Page 23: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1 -

IVIV 시장 진출 전략

1. 진출 전략 개관

<이란시장 SWOT 분석>

<StrengthsStrengths>◦ 한국 제품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인지도◦ 중국산 대비 우수한 제품 품질◦ 원화결제 시스템을 통한 지속적인 현지 시장유지

<OpportunitiesOpportunities>◦ 대형 프로젝트 다대◦ 광물자원 등 자원 부국◦ 수입 의존 시장(수요물품 30% 이상 수입의존)

<WeaknessesWeaknesses>◦ 한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 프로젝트 시장에서의 자금조달 능력

<ThreatsThreats>◦ 본격적인 중국 및 유럽국 등 대이란 진출◦ 저유가 지속에 따른 이란 경제 침체◦ 제재 복원(Snap-back) 리스크 상존◦ 불투명한 정부 정책

<시사점시사점>◦ 한국 제품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인지도를 바탕으로 시장 진출 용이◦ 핵협상 타결 이후 중국 및 유럽 선진국 대이란 시장이 본격화됨에 따라 시장 점유 경쟁 불가피◦ 경제제재 해제를 대비해 품질 차별화·선제적 마케팅 활동 등을 통해 시장 점유 및 진입 시도 필요◦ 대내외적인 변수를 항시 모니터링해야 하며 잠재 리스크(스냅 백)가 상존하고 있으므로결재대금 미지급, 합의사항 미준수 등 위험요인 방지를 위한 장치 마련 필요

◆ 이란 시장 진출 기반 확대․강화 ◆ 이란 시장 진출 유망분야 마케팅 강화 ◆ 한-이란 전략적 파트너십 및 동반성장 모델 구축 지원

Page 24: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2 -

□ 중장기 진출전략

목 목 목 목 목 목 목 목 목 목 목 목 목 목 표표표표표표표표표표표표표표목 표

이란 시장 선점(제2의 중동 붐은 이란 시장으로)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전 략략략략략략략략략략략략략략추 진 전 략

◆ 이란 시장 진출 기반 확대․강화

◆ 이란 시장 진출 유망분야 마케팅 강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추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진 방 방 방 방 방 방 방 방 방 방 방 방 방 방 향향향향향향향향향향향향향향추 진 방 향

① 시장선점 및

네트워크

구축·확장

경제제재 완화 동향 및 현지 시장 정보 수집 노력

- 이란 시장 진출 전략 설명회․상담회 적극 참가

- 기존 거래선과의 관계 회복 및 신규 거래선 발굴 노력

② 진출 유망분야

공략 강화

이란 개최 국제박람회(의료/기계/전기) 한국관 참가

이란 유력 바이어 방한 상담회 참가

③ 전략적 파트너십 유통망, 물류망 진출을 통한 교역 확대

이란정부 민영화 및 M&A 분야 진출

Page 25: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3 -

2. 세부 진출전략

1) ’16년 상반기 경제제재 해제 관련 동향 파악 및 현지 정보 적극 수집

◦ ’16년 상반기 내 경제제재 해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으므로

최근 주요 경쟁국 기업의 대이란 진출동향 및 현지 시장 정보 파악에 노력

- 성공적인 이란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 법령, 정책 및 현지 시장정보 등

자료 조사가 충분히 선행되어야 하며 현지 규정 변화가 많으므로 예의주시해야함* KOTRA, 현지 에이전트, 기진출 기업 등을 통해 기존정보에 대한 재확인 필요

* 이란 시장 진출 전략 설명회 또는 상담회 일정을 참고하여 해당 행사에 참가 및 정보

습득에 집중

2) 유망 교역 분야에 대한 선제적·적극적 마케팅 전개

◦ 중동지역 최대 규모인 이란 시장 선점을 위해 제재 완화 시행 초기 유망품목을

중심으로 공격적 마케팅 노력 경주

- 기존 주요 수출상품과(가전, 석유화학, 철강제품 등) 더불어 자동차 부품, 보건의료

및 바이오, 산업용 기계 등 유망품목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마케팅 필요* 진출 유망분야

분 야 주요 내용

철 강• 국내 업체 건설/플랜트 프로젝트 수주 활성화시 철강제품 수요 증가 기대• 철강제품 수출 : ‘13년 6.25억US$ → ‘14년 11월 4.4억US$(25% 감소)

석 유화 학

• 경제성 높은 이란産 원유 수입 확대 → 석유제품 가격 유지기여• 국제 유가 하락 예상 → 우리나라 석유화학제품 가격 경쟁력에 호재

조 선해 운

• 건설/석유화학 분야 수요 확대 → 장기적 해운 수송량 증가 기대• 제재 해제시 이란 LNG 운반 선박 80척(160억 불 상당), 원유 수송선박 10척(10억 불), F-LNG(2억 불) 등 발주할 것으로 관련업계 예상

건설플랜트

• 대규모 석유화학/인프라 프로젝트 유망• 향후 1,600억US$ 규모 건설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계획• 제재 본격화된 ‘09년 이후 우리기업 수주 실적 전무

자동차 및자동차부품

• 이란 핵협상 타결로 자동차 생산·조립용 부품 수출 재개 예상• 이란의 수입규제, 이란 핵 반대연합(UANI) 압력 등으로 완성차 수출 재개는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

보 건의 료

• 이란 정부, 의약품 부족 및 낙후 의료시설 개선 위해 의료산업 현대화 사업 적극  - 검사·진단장비 등 의료기기, 항암제 등 의약품 진출 유망

정보 통신기술(IT)

• 서방 기업 이란 시장 철수로 기술 및 품질이 우수한 한국산 IT 장비/시스템도입에 대한 관심 크게 증가

  - e-러닝 시스템, 은행 시스템, 전자교통 시스템, 디지털 병원 등 진출 유망

신재생에너지

• 이란 정부, 신재생에너지 개발 적극 추진  - ‘1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 5000MW로 확대 계획  -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등 진출 유망

중소형플랜트

• 이란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 추진으로 자동화 라인 등 생산설비 수요 증가세  - 국내생산 촉진 정부 방침으로 관세장벽(완제품 40~90%, 기계·부품 5~25%)이

더 높아지고 수입규제 강화 추세

Page 26: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4 -

◦ 기존 수출거래선 복구 및 신규 수입선 발굴 노력* 對이란 교역기업 수 : ’11년(약 3천개社) → ’14년(약 2.1천개社)

3)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 산업협력을 통한 녹다운(skd·ckd) 방식의 수출 강화

- 이란 정부의 내수산업 육성 및 자국 산업 보호 정책 기조로 수입품에 대한

엄격한 규제 시행 중임

- 수입규제 및 고관세율 회피를 위해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조립 생산 방안 추진* 초기에는 조립, 기술 지도, 로열티 생산 등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작,

시장 여건에 따라 합작투자 등으로 확대

- 이란 기업과 공동으로 인근 제3국 진출 방안 모색* 이란은 남부의 해안지대를 이용한 물류의 출입 활동이 매우 용이하며 인접국과의 도로·

철도시설 기반이 비교적 우수함

* 이란 기업의 네트워크 및 시장 접근성과 우리 기업의 기술력을 결합한 주변국 진출

거점화 모델 개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접경국 :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터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등 7개국

4) 유통망 진출을 통한 수출 확대

◦ 이란의 경우, 현대적인 유통망이 많이 부족한 상황으로 우리 기업이 현지기업과

협력 진출한다면 중기제품의 이란 시장 진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현재 외국계인 Hyperstar(까르푸), 공기업 성격의 Sharvand 등 현대적 유통

체인점이 있으나, 아직 부족한 상황이며, 통신판매나 온라인도 신용카드 사용 불가 및

통신 인프라 미비로 초기 단계임* e-market place로는 ‘Digikala’가 선두 주자이나, 현재까지는 유명 브랜드 제품을 중심으로

취급하고 있음

5) 이란 정부의 민영화 정책 및 M&A 분야 진출

◦ 이란 정부는 IPO(Iran Privatization Organization)를 통해 공기업 민영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자금력이 풍부한 국내 및 외국기업의 참여 부재로

거의 대부분 진행이 지연되고 있는데 중장기적으로 동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도

수요확보와 안전성 측면에서 시장 진출에 좋은 방안이 될 것으로 보임

- 특히 UAE 등 이란 시장에 관심이 많은 외국기업과의 컨소시움을 통해 진입한다면

더욱 효율적일 것임

첨 부 : ’16년도 무역관 주요사업(잠정) 1부

별 첨 : 수출유망품목 1부

Page 27: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5 -

첨부첨부 ’16년도 KOTRA 주요사업 (잠정)

1. 추진목표

◦ 제재 해제 관련 위험요인을 최소화하고, 기회요인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적인 목표 수립을 통해 내실 있는 시장진출을 지원

- (안정적인 진출기반 조성) 정확한 정보제공, 해운·통관 등 경제협력 인프라

구축, 무역투자진흥기관 간 협의채널 강화 등을 통해 진출 위험 최소화

- (진출유망 분야 집중지원) 건설·플랜트, 조선·해운 등 경쟁우위가 있는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진출역량을 결집, 성과를 극대화

2. ’16년 추진계획

□ 진출 유망분야 집중 공략 및 시장 동향 신속 전파

◦ 한국상품전 개최(’16년 상반기)

◦ 자동차부품·산업기계 등 유망품목 중심 무역사절단, 전시회 한국관 확대

◦ 한국 개최 마케팅사업 관련, 이란사절단 구성 및 파견

◦ 한-이란 산업별 단체간 MOU 체결 추진 등 협력채널 다변화

◦ 이란 시장 진출전략 세미나·상담회(서울 개최, 이란 무역청 등과 협의 필요)

◦ 제재해제 동향 및 현지시장 변화 정보 공유

- 유망상품 및 산업, 경쟁국·기업 동향 등 시장정보 전파

- 현지상황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고객 기업의 위기관리 지원

□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One-roof 지원 체계 구축

◦ ‘이란 진출기업 지원센터’를 통한 시장기회 확대 및 위험 관리

- 정부, 산업별 협회, 관련 공기업 등 협업을 통한 지원 및 애로 해소* 기관별 보유정보 및 기능의 종합적인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진출 리스크 관리

* KOTRA : 제재분야, 규제변경 등 관련 정보의 신속한 전파 및 심층조사 제공

◦ 금융 유관기관(수은, 무보 등)과 대형 프로젝트 발굴 확대* 수출입은행 테헤란사무소 무역관 입주 완료(’15.9.)

◦ 전시회, 무역사절단 등의 유관기관과의 공동 개최를 통해 성과 제고* ’16 이란 의료기기박람회 한국관 참가 관련, 무역협회와 공동개최 추진 중

◦ 이란 정부정책 대응을 위한 국내수요 발굴 및 CSR사업 연계

Page 28: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6 -

# 별 첨 : 수출유망품목

품목명 HS Code

ㅇ 8708.30ㅇ 8708.40ㅇ 8708.50ㅇ 8708.93

수입관세율(%)

ㅇ 관세율 15%, VAT 9%ㅇ 관세율 7%, VAT 9%ㅇ 관세율 15%, VAT 9%ㅇ 관세율 7%, VAT 9%

자동차

부품

수입액(’14/US$백만)

ㅇ 147ㅇ 49ㅇ 108ㅇ 41

대한수입액(’14/US$백만)

ㅇ 90ㅇ 4ㅇ 25ㅇ 7

선정사유

ㅇ 이란은 중동 최대 자동차 생산국이며 연 100만대 이상 생산 능력보유국임에 따라 관련 부품 수요가 꾸준히 많음

ㅇ 한국 자동차(현대·기아)에 대한 프리미엄이 존재하고, 자동차부품 성능및 품질에 대한 인식이 좋음- 현지는 노후화차량 및 중고차량이 많아 제재해제 시, 우리나라 A/S부품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 중국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존재하나, 가격경쟁력을앞세워 최근 시장점유율 대폭 증가하고 있음

ㅇ 제재해제 시, 이란 자동차 생산 양대 메이저 기업(호드로, 사이파)의생산 및 조립라인 증설이 예상되는 바, 관련 OEM 부품 수요도증대될 것으로 예상됨

시장동향

ㅇ 이란은 ‘59년 자동차산업을 본격 육성하기 시작한 후, 중동 최대의자동차 생산국으로 도약- ‘05년 연간 100만대 생산을 달성하였으며, ’13년 25개의 자동차회사 및 1,200개의 부품 제조업체가 활동 중

- 3대 국영 자동차회사인 이란 호드로(Iran Khodro), 사이파(Saipa),파르스 호드로(Pars Khodro)사가 전체 시장의 90% 이상 차지

ㅇ ‘10년 제5차 5개년 계획 발표시, 이란 산업부(Ministry of Industriesand Mines)는 ’25년까지 세계 11위, 아시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으로부상한다는 계획 수립- 이를 위해 승용차 226만대, 상용차 24만대 등 연 250만대의 자동차생산 목표 수립

ㅇ 이란 자동차산업은 대부분 외국 자동차 모델을 들여와 현지 조립생산하는CKD(Complete Knock Down)임- 국내소비 감소로 인한 판매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수출확대에 주력- 정부의 자동차산업 보호정책은 외국기업의 현지 합작생산 투자를촉진했으나, 자국산 부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

ㅇ 특히 제재 기간 중국산 부품이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며 이란자동차산업이 20년 후퇴했다는 평가 제기

경쟁동향

ㅇ 최근 핵협상 타결 이후,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의 진출 확대전망- 이란은 지리적으로 유럽과 가까우며, 전통적으로 유럽산 제품에 대한높은 충성도를 보유한 시장임

- 특히, 푸조-시트로앵社는 이란 제조사와 파트너십 향상을 위한 노력을꾸준히 해오며, 전략적 제휴 관계 수립

ㅇ 제재 본격화 후 중국의 자동차 부품 수출이 급격히 늘었으나, 이란소비자는 품질 차이를 확연히 체감하고 있음- 중국산 부품의 낮은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으로 작용하며,유럽산 제품이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이 큼

진출방안

ㅇ 자동차산업 육성을 위한 이란 정부의 수입규제를 피하기 위해 현지제조사와 합작기업을 설립하는 등 협력 적극 고려

ㅇ 높은 한국산 인지도 적극 활용ㅇ 제재해제 이후, 우리 제품과 유럽산의 경쟁이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며,한국산만의 세일즈 포인트 개발 필요

Page 29: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7 -

품목명 HS Code ㅇ 3901.10 / 3902.10ㅇ 3906.90 / 3909.50

수입관세율(%) ㅇ 관세율 4%, VAT 9%

석 유

화 학

제 품

수입액(’14/US$백만)

ㅇ 53 / 53ㅇ 120 / 97

대한수입액(’14/US$백만)

ㅇ 17 / 25ㅇ 19 / 31

선정사유

ㅇ 중동 제2위의 석유화학제품 생산국이자 세계 4위의 산유국* 석유화학제품 생산국 순위(사우디→이란),산유국 순위(베네수엘라→사우디→캐나다→이란)

ㅇ 해당 산업은 이란 정부의 집중 육성 산업군이므로 산업규모 확대가예상되고 제재해제 시 관련 수요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 현지 석유 정제기술 및 기계 설비·인프라 부족, 노후화로 상당부분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14년 주요 10대 수입국으로부터 석유화학제품 수입량 : 약 256백만US$* ’14년 한국으로부터 석유화학제품 수입량 : 110백만US$(1위)

시장동향

ㅇ 이란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은 중동 제2위의 석유화학제품 생산국가로,‘12년 기준 에틸렌 600만 톤, 폴리에틸렌 150만 톤 생산- 정부가 많은 재원을 투입하여 석유화학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제재해제 이후 산업규모의 확대가 예상됨

- 다만, 시추 및 생산량의 지속적인 감소 및 석유정제 부분의 인프라부족으로 ’12년 일일 4천만 리터 이상의 휘발유를 수입

ㅇ 제재해제 시 경제성 높은 이란산 원유 수출 확대로 석유제품 가격하락 지속 예상- 이란산 원유 수출 재개에 따라 국제유가 하락이 예상되며, 우리나라석유화학제품의 가격 경쟁력 확보에 호재로 작용* 석유화학제품 수출 : (‘14년) 5.5억US$ → (’15년 1~9월) 42억US$

경쟁동향

ㅇ 이란은 매장량 기준, 세계 4위의 산유국이나 정제기술 부족으로석유화학제품의 상당수를 수입에 의존- 제재 심화 후 전체 수입량 감소세를 보였으나, 중국·터키 자본이현지 공장 설립 검토 등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ㅇ 이란 정부는 석유화학제품 수입 감소 및 자국산업 개발을 위해‘20년 계획(20-Year Outlook Plan)’을 진행중- 다만, 제재로 인해 설비투자 시설 구축에 큰 차질을 겪음ㅇ 대이란 제재조치 강화는 주요 글로벌 기업의 투자 회피 등 프로젝트지연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최근 중국기업 진출 확대- 우리 기업도 사업 철수 및 각종 프로젝트 수주에서 타격을 입음- 제재 기간 동안 중국과의 대이란 수출 경쟁 심화

진출방안ㅇ 석유화학 분야는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담 존재- 우리 기업이 이란 석유화학 플랜트를 수주하고자 할 경우 신중한 접근이 필요ㅇ 제재기간, 이란은정책적으로석유화학생산시설을휘발유생산설비로대폭전환

Page 30: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8 -

품목명 HS Codeㅇ 8517ㅇ 8525ㅇ 8523

수입관세율(%)

ㅇ 관세율 26%, VAT 9%ㅇ 관세율 4%, VAT 9%ㅇ 관세율 26%, VAT 9%

ICT

관련제품

수입액(’14/US$백만)

ㅇ 809ㅇ 716ㅇ 86

대한수입액(’14/US$백만)

ㅇ 108ㅇ 10ㅇ 2

선정사유

ㅇ 현지 인터넷(보급률 61.3%)·통신 인프라 확대에 따라 관련 장비수요 증대 예상* 연도별 수입변화 추이 : ’12년(318백만US$) → ’13년(412백만US$)→ ’14년(442백만US$)* 한국으로부터 수입량 : ’12년(19백만US$, 6위) → ’13년(25백만US$, 6위)→ ’14년(29백만US$, 7위)

ㅇ 인구의 절반 이상(4,600만명, 2013년 말 기준)이 인터넷·모바일기기 사용자- 30세 이하 연령층이 주요 고객(전체사용자의 2/3 이상)ㅇ ADSL기반 인터넷 속도저하로 인해 광통신망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시장동향

ㅇ 이란은 7,700만명의 인구 중 4,000만명 이상의 인터넷 사용자를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성이 매우 큼- ‘12년 인터넷 보급률은 53.3%로 나타났으며, 사용자는 4,200만명에 달함- 이는 중동지역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며, 사용자수는 한국보다도많은 것으로 알려짐

ㅇ ‘12년 기준, 이란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5,815만명, 브로드밴드가입회선 수는 308만 회선으로 집계됐으며, 각각 76.9%와 4.1%의보급률을 기록함- 이란의 유선통신 서비스는 이란 최대 종합 통신 사업자인 TCI가독점 제공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시장은 TCI와 MTN Irancell의 3G서비스 위주로 성장

ㅇ 이란은 IT 제품을 선호하는 30세 이하 연령층이 2/3 이상을 차지할정도로 젊은 인구가 많아 향후 IT 시장규모 확대 전망- 도서지역의 이동통신 가입 증가 및 관련 부가서비스의 발전 잠재력이매우 큰 것으로 평가

- ADSL 기반 인터넷 속도저하로 인해 광통신망 수요도 꾸준히 증가ㅇ ’11년까지 제재에도 불구하고 IT 수입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지만,경제제재로 2013년 대폭 축소

ㅇ UAE를 통한 우회수출 물량 확대- ‘12년 수입 1위 대상국은 UAE로 집계되었으나, 이는 제재를회피하기 위한 제3국 경유 수입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경쟁동향

ㅇ 중국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중산층 이하를 겨냥해 저가물량을대량 투입한 결과로 분석- 인플레이션 및 리알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구매력이 줄고 있으며,중국산 저가 제품 선호 경향 증가세

ㅇ 유럽국가 중에서는 독일 제품의 강세가 주목할 만하며 ’13.9월까지터키제품 진출도 증가- 터키는 이란과 국경을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 최근 수출확대

진출방안

ㅇ 한국산 IT 제품의 인지도 활용 및 고품질 적극 홍보- 시장 확대를 위해 저가 중국산과의 차별화된 마케팅 필요ㅇ 이란의 금융제재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로, 우리기업은 원화계좌시스템을 활용한 이란 시장진출 가능- IT제품 수출을 위해 별도의 라이센스는 필요하지 않으며, 원화로L/C 계좌 개설도 가능

ㅇ 비제재 대상 분야이나, 이란 정부의 검열 및 통제가 심하므로 진출시이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음- 인터넷의 경우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서비스가 차단되어 있으므로관련제품 등의 시장성에 한계 존재

Page 31: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29 -

품목명 HS Codeㅇ 8445.30ㅇ 8474.10ㅇ 8443.32

수입관세율(%)

ㅇ 관세율 4%, VAT 9%ㅇ 관세율 7%, VAT 9%ㅇ 관세율 15%, VAT 9%

산 업

기 계

수입액(’14/US$백만)

ㅇ 4ㅇ 225ㅇ 22

대한수입액(’14/US$백만)

ㅇ 0.1ㅇ 1ㅇ 1

선정사유

ㅇ 제조업 육성 정책 및 정부의 생산설비, 기계류 수입 장려에 따라관련 수요 증가 예상- 제제 심화 전에는 유럽산 기계류가 강세였으나, 제제 심화 후한국·중국 등 아시아산 기계류 수입 증가* ’14년 수입 현황 : UAE(122백만US$) → 한국(58백만US$) →중국(53백만US$)

ㅇ 민간기업의 생산능력 증가로 재제해제 시, 관련 수요 확대 전망

시장동향

ㅇ 이란은 제재 하에서도 지속적으로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으며생산설비 및 기계류의 수입을 장려- 이란 당국은 최근 ‘저항경제’라는 표현을 쓰며 소비재의 수입을 줄이고역내 생산을 늘리기 위해 노력 중

ㅇ 자국내 기계산업 낙후로 국내 기계류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 현지 업체의 수준은 관련부품을 수입해 단순 조립하는 정도이며간단한 기계부품을 생산

ㅇ 제재 심화 전에는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산 기계류가 강세를보이며 수입시장을 석권- 제재 상황 하에서 유럽산의 수입이 어려워지자, 한국․중국 등아시아산 기계류 수입 증가

ㅇ 이란 정부는 기계류 수입에 대해서 절차를 대폭 간소화- 제재해제 후 유럽산의 진입이 허용되면 한국산과 경쟁이 매우치열해질 것으로 품질개선 및 사후관리가 관건임

경쟁동향

ㅇ 수입시장 규모는 ‘11년 429백만US$를 기록한 뒤 지속 감소ㅇ 제재 심화로 UAE, 우리나라, 터키 등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 ‘12년까지 유럽 국가의 수입수요 감소분을 한·중·일 등 아시아국가가 대체

- ‘13년에는 우회수출 수요가 많은 UAE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및중국 등 대부분의 국가 수출 감소

진출방안

ㅇ 제품 수출시 에이전트 선임이 필수이며, 사후관리 및 충실한 서비스제공 노력 요구- 각종 승인 및 등록 업무를 에이전트가 직접 수행하며, 따라서 유능한에이전트를 선임하는 것이 관건

- 한국산의 경우 가격 대비 품질 면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나,사후관리가 미흡한 것이 큰 약점으로 꼽힘

Page 32: 2016 이란 진출전략 - FKI

- 30 -

품목명 HS Code ㅇ 7210.49 / 7210.70ㅇ 7210.30 / 7210.12

수입관세율(%) ㅇ관세율 15%, VAT 9%

철 강

제 품

수입액(’14/US$백만)

ㅇ 163 / 93ㅇ 40 / 147

대한수입액(’14/US$백만)

ㅇ 39 / 33ㅇ 8 / 58

선정사유

ㅇ 설비 및 인프라 문제와 철근생산 부족으로 50% 이상 수입에 의존* ’14년 주요 10대국 수입국으로부터 철강 수입량 : 약 999백만US$* ’14년 한국으로부터 철강 수입량 : 150백만US$(2위) / UAE(416백만US$, 1위)

ㅇ 제재해제 시, 이란 메이저 자동차 제조업체의 강판 수요 및 대형건설·항만·공항 프로젝트 재개 등에 따라 관련 수요 증가 예상

ㅇ 현지 철강생산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수요를 중심으로 향후 관련 수요 확대 전망

시장동향

ㅇ 이란의 철강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로, 조강(crudesteel) 제품은 1,400만 톤 이상의 생산설비를 구축- 다만 소비량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프라 문제와철근생산 부족으로 전체 수입량의 50%를 수입에 의존

ㅇ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주요 부품을 수입하고 있는 이란 메이저 자동차기업의 강판 수요가 큼- 우리 철강 기업의 이란 자동차용 강판 점유율은 50%를 상회할정도로 시장을 지배하고 있음

ㅇ 이란은 철강산업 도약에 필요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제재해제 시가파른 성장 예상- 풍부한 자원과 노동력, 저렴한 에너지 비용은 기회요인임

경쟁동향

ㅇ 우리나라는 ‘12년 이란 시장에서 점유율 24.3%로 1위를 기록하였으나,’13년 철강 분야 제재로 UAE, 중국에 이어 점유율 15.7% 3위로 하락

ㅇ 경제제재에 따른 거래제한과 리알화 평가절하에 따라 철강 가격이상승하여 수입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이란 정부의 인프라 건설 사업 추진에 제약을 받고 있으며 국내경기둔화 등이 수입 감소에 영향

진출방안 ㅇ 단기적으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나, 향후 예상되는 서구 기업의이란시장 진입에 대비한 장기적 전략 마련이 요구됨

연번 문의처 직책 소속 Tel Email

1 박재영 과장 테헤란무역관 98-2620-6711 [email protected]

2 이영희 과장 본사 중아CIS팀 02-3460-7576 [email protected]

<문의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