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경제전망 2017년 경제전망 2016.12.29. 기 획 재 정 부

2017년 경제전망 - 대한상공회의소 (1).pdf · ②서비스업․중소기업부문의생산성․효율성제고를위한투자 확대에대한인센티브체계강화 ③4차산업혁명시대경쟁력제고를위해新산업육성세제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2017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경 망2017년 경 망

2016.12.29.

획 재 부

Ⅰ. 최근 경 동향과 2016년 망 ····················· 1

1.경제성장 ·············································································1

2.고용 ·····················································································9

3.가계소득과 임 ····························································10

4.물가와 부동산 가격 ······················································13

5.수출입과 경상수지 ························································14

6. 융시장과 자 사정 ···················································20

7.외환시장 ···········································································24

Ⅱ. 2017년 외여건 검 ································ 25

1.세계경제 ···········································································25

2.국제원자재 가격 ····························································33

3.국제 융시장 ··································································34

Ⅲ. 2017년 경 망 ··········································· 37

1.경제성장 ···········································································37

2.고용 ···················································································46

3.소비자물가 ······································································52

4.수출입과 경상수지 ························································56

Ⅳ. 종합평가 ·························································· 58

( 참고 )

참고 1 : 지식재산생산 자 부진 원인과 시사 ·························· 4

참고 2 : 조업 재고-출하 동향과 평가 ············································ 7

참고 3 : 소득 1분 주요 특 과 최근 소득감소 원인 분 ····· 11

참고 4 : 출 량 둔화 요인과 시사 ············································ 16

참고 5 : 비스 지 자 확 요인 분 ······································ 18

참고 6 : 향후 시장 리 망과 신용시장 향 분 ···················· 22

참고 7 : 트럼프노믹스 주요 내용과 경 향 ·························· 27

참고 8 : 주요 자원신흥국 동향과 망 ············································ 29

참고 9 : 국경 험 요인 검 ···················································· 31

참고 10 : 최근 럽 치불안 동향과 망 ························· 32

참고 11 : 美 리인상에 른 로벌 통화 책 여건 변화 가능 35

참고 12 : 가계부채․고 화가 소비에 미치는 향 ······················ 39

참고 13 : 주택시장과 건 경 평가 망 ································ 43

참고 14 : 고 화에 른 경 활동참가 변화 시사 ··········· 48

참고 15 : 노동생산 둔화요인 분 ··············································· 50

참고 16 : 생산자 가 동향과 향 ··········································· 54

- 1 -

Ⅰ . 최근 경 동향과 2016년 망

1. 경 장 2% 장 지속

◇ ( 장) 하 들어 회복 가 둔화 며 '16년 2.6% 장 상

ㅇ (실질 성장률)3/4분기까지는 당 상한 성장경로에 부합

하 으나 9월 이후 하방요인이 첩되며 4/4분기 성장세 둔화

- 산업생산은 업․일부 리미엄폰 단종 등에 따른 생산차질,

구조조정 향 등으로 조정

-다만,건설투자 호조,추경․4/4분기 경기보강 책(10조원)등

정책효과가 경기를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GDP성장률 산업생산

0.6

0.0

0.2

0.4

0.6

0.8

1.0

1.2

1.4

13.1/4 14.1/4 15.1/4 16.1/4

(전 비, %)

106

108

110

112

114

116

15.1 7 16.1 7

(2010=100, SA)

*출처 :한국은행 *출처 :통계청

ㅇ (GDP디 이터)소비자물가를 상회하는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교역조건 악화로 차 둔화되며 연간 1.3% 상승 상

*소비자물가 상승률( 년동기비,%):(‘16.1/4)1.0(2/4)0.9(3/4)0.8

ㅇ (경상 성장률)3/4분기까지 4.3% 성장하며 '16년 연간으로는

당 망치에 부합하는 4.0% 성장 상

교역조건과 GDP디 이터 경상성장률

-5

0

5

10

15

13.1/4 14.1/4 15.1/4 16.1/4

-1

0

1

2

3

역조건(좌)

GDP 디플 이터( )

(전년 비, %)

1

2

3

4

5

6

13.1/4 14.1/4 15.1/4 16.1/4

실 성장률

경상성장률

(전년 비, %)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

- 2 -

지출 면

◇ (민간소비) 최근 회복 가 주춤하며 연간 2.4% 증가 상

ㅇ 하반기 이후 자동차․가 제품 등 내구재 소비 조정,소비심리

축 등으로 회복세가 공고하지 못한 모습

*승용차 매(년동기비,%):(‘16.2/4)17.0(3/4)△9.7(10)△3.1(11)0.9

*가 제품 매(년동기비,%):(‘16.2/4)14.4(3/4)18.9(10)5.4(11)3.2

민간소비 추이 소매 매와 소비자심리지수

-0.5

0.0

0.5

1.0

1.5

2.0

13.1/4 14.1/4 15.1/4 16.1/4

0

1

2

3

4전 비(좌) 전년 비( )(%)

109

112

115

118

121

124

15.1 4 7 10 16.1 4 7 10

90

95

100

105

110

소매판매(좌)

소비자심리 수( )

(2010=100,SA)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통계청

ㅇ 해외소비는 3/4분기까지의 환율하락,연휴효과 등으로 높은 증가세

*거주자 해외소비( 년동기비,%):(‘16.1/4)9.7(2/4)5.3(3/4)20.3

◇ ( 비 자) 출부진, 구조조 향 로 3.3% 감소 상

ㅇ 수출부진․제조업 가동률 하락,구조조정 추진,美 리인상 등

외 불확실성이 확 되며 기업투자 축

ㅇ 기계류 투자는 반도체 장비투자 확 등으로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나 운송장비 투자는 항공기 도입 조정 등으로 부진

*반도체제조용장비수입(년동기비,%):(‘16.2/4)△12.2(3/4)48.4(10~11)122.0

*항공기 수입(년동기비,%):(‘16.2/4)47.2(3/4)△30.2(10~11)△10.5

설비투자 추이 형태별 설비투자

-15

-10

-5

0

5

10

15

13.1/4 14.1/4 15.1/4 16.1/4

전 비

전년 비

(%)

-20

-10

0

10

20

30

13.1/4 14.1/4 15.1/4 16.1/4

송장비

계류

(전년 비, %)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

- 3 -

◇ (건 자) 건 건 을 심 로 10.8% 증가 상

ㅇ 건물건설은 ‘15년 이후 규모 아 트 분양․착공,양호한

주택거래,상업용 건물건설 호조 등으로 견조한 증가세

*아 트 분양물량(만호):(‘13)28.3(’14)33.1(‘15)51.7(’16e)45

*비주거용 건물투자( 년동기비,%):(‘16.1/4)12.2(2/4)14.8(3/4)18.8

ㅇ 토목건설은 SOC 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석유화학 랜트

건설 등 민간부문 투자 확 에 힘입어 증가세 환

*SOC 산(조원):(‘13)25.0(’14)23.7(‘15)26.1(’16)23.7

건설투자 추이 형태별 건설투자

-12

-8

-4

0

4

8

12

16

13.1/4 14.1/4 15.1/4 16.1/4

전 비 전년 비

(%)

-10

-5

0

5

10

15

20

13.1/4 14.1/4 15.1/4 16.1/4

건물건설

토목건설

(전년 비, %)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

◇ (지식재산생산 자) 낮 증가 가 지속 며 2.4% 증가 상

ㅇ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소 트웨어 생산 회복에도 불구하고

IT업황부진,R&D 산 효율화 등으로 낮은 증가세 지속

*소 트웨어생산지수(년동기비,%):(‘13)6.9(’14)5.2(‘15)1.3(’16.1~3/4)3.7

*R&D 산(조원):(‘13)16.9(’14)17.8(‘15)18.9(’16)19.1

※ 최근 지식재산생산 자 부진 원인과 시사 : 참고 1

지식재산생산물투자 형태별 지식재산생산물투자

-3

0

3

6

9

13.1/4 14.1/4 15.1/4 16.1/4

전 비

전년 비

(%)

-4

-2

0

2

4

6

8

10

12

13.1/4 14.1/4 15.1/4 16.1/4

R&D

식생산물

(전년 비, %)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

- 4 -

(참고1) 지식재산생산 자 부진 원인과 시사

( 황)그간 지식재산생산물투자(이하 지재투자)는 높은 수 으로

증가(‘01~’14년 평균 6.7%)하며 설비투자를 견인*․보완

*R&D투자는 2년 내외 시차를 두고 설비투자 확 에 기여(과기硏,한은)

ㅇ 그러나 ‘15년 이후 지재투자가 빠르게 축되고 있어 로벌

신경쟁에서 부정 요인으로 작용 우려

지재투자와 설비투자 지재투자 구성별 증가율 추이

-10

-5

0

5

10

15

20

25

02 04 06 08 10 12 14 16

설비투자(A)재투자(B)

A+B

(%)

-5

0

5

10

15

20

02 04 06 08 10 12 14 16

R&D

타 식생산물

(전년 비, %)

*출처 :한국은행,‘16년은 1/4~3/4분기 *출처 :한국은행,‘16년은 1/4~3/4분기

(부진 원인)양 확 → 효율성 제고라는 정책 환에 따른

R&D투자 조정,R&D주력업종 업황 악화 등 복합 요인에 기인

① (구조 요인)우리나라 R&D투자는 경제규모 비 세계 최고

수 이었으나 복투자 조정 등 효율성 제고 필요성 두

-R&D투자 지원을 新성장동력 사업 심으로 선택과 집 하는 등

투자 효율화 과정에서 양 투자규모 조정

*정부 R&D 산 변화(‘08년=100,‘08→’15년):(韓)158.8(1 ),(OECD평균)96.5

R&D 산 증가율(%):(‘08)13.3(’10)11.4(‘12)7.6(‘14)5.3(’15)6.4(‘16)1.9

-제조업․ 기업을 심으로 R&D 투자가 확 된 반면,

서비스업․ 소기업은 신이 미약하여 부가가치가 조

*한국 소기업은 기업의하청구조로운 →효율성제고유인이낮음(OECD,‘16.5)

OECD국가의 1인당 산업 부가가치 비교 산업 유형별 R&D투자 비 (‘15)

01234567

셈르크(1

)

노르

이(2

)

스위스(3

)

미(5

)

일(9

)

스(1

1)

에(1

3)

마크(1

4)

OECD (15)

일본(1

6)

한(1

8)

프랑스(2

0)

이탈리아(2

2)

이스라엘(2

6)

포르투갈(2

9)

그리스(3

2)

(만 , PPP ) ( 가 안 호는 순위)(%) 제조업 서비스업

한국 88.9 8.3

일본 88.7 10.0

독일 86.1 13.1

미국 65.8 28.6

랑스 50.2 46.9

국 40.0 58.1

*출처 :OECDMSTI,KISTEP 출처 :미래부

- 5 -

② (경기 요인)수출 부진,제조업 매출 감소 등의 향으로

기업 생존과 직결되지 않는 미래 비 투자 축소

*R&D투자는 인건비 비 이 높아 통상 매출액 비 일정비율에 연동되는 경향

-‘14년 이후 지재투자 비 의 반을 차지하는 반도체․ 자․통신 등

IT업종의 업황이 악화된 것도 지재투자 부진에 향

*업종별 연구개발비 비 (%,미래부):(IT)51.9(운송장비)13.3(석유화학)7.5

*IT업종이 작년 R&D총량 유지시 ‘15년 민간R&D성장률은 2.6→4.4%로 상승

제조업 기업실 개발비 지출 추이 세계 IT시장과 지식재산생산물 투자

-5

0

5

10

15

20

10 11 12 13 14 15

5

7

9

11

13

15

매출 가율(좌)

개 비 가율( )

(%)

-6-4

-20

24

68

10

10 11 12 13 14 15 16

세계 IT 시장

재투자

(%)

e

*출처 :한국은행 기업경 분석 *출처 :Gartner,'16년 지재투자는 정부 망치

(시사 )지재투자 부진 지속시 새로운 성장․일자리 창출동력 하

우려 → 질 성과를 제고하는 가운데 효율 투자 확 필요

① 양 성과에서 벗어나 R&D투자 비 산업부가가치 제고,기술

수출 확 ,핵심기술 확보 등 경제 성과 효율성 제고

*연구개발투자 비 기술수출․산업부가가치 등 질 지표 개선 필요(‘15년,미래부)

② 서비스업․ 소기업 부문의 생산성․효율성 제고를 한 투자

확 에 한 인센티 체계 강화

③ 4차 산업 명 시 경쟁력 제고를 해 新산업 육성세제(‘17년)등

선택과 집 원칙에 따른 지원 강화

*(미국)R&D투자를 GDP의 3%까지 확 추진 (국)R&D비용의 150%소득공제

(일본)R&D투자를 GDP의 4%까지 확 ,R&D비용 8~10% 세액공제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김경록 사무 (044-215-2733)

- 6 -

산업활동

◇ ( 공업 생산) 8월 이후 주요 업 생산차질 등 로 둔화

ㅇ 공업 생산은 하반기 이후 반도체 업황 개선에도 불구 업․

휴 폰 단종 등 주요기업 생산차질,구조조정 향으로 둔화

-제조업 재고가 감소하며 재고/출하 비율은 하락세

*제조업재고/출하비율(%):(’16.1/4)124.8(2/4)120.9(3/4)117.7(10)119.6(11)115.5

※ 조업 재고-출하 동향과 평가 : 참고 2

ㅇ 업종별로는 모바일用 수요 등으로 반도체가 호조세를 보 으나,

생산차질,구조조정 등으로 통신기기․자동차․선박 등은 감소

공업 생산 업종별 공업 생산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4.1 7 15.1 7 16.1 7

공업생산

평(2010=100, SA)

-30

-20

-10

0

10

20

30

체 전자 통신 자 차 선 계

장비

장비

화학

석유

정제

1차

16.上 16.7~11

(전년 비, %)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 ( 비스업 생산) 내 회복을 견인해 왔 나 최근 회복 약화

ㅇ 자동차 개소세 종료 향 등에 따른 민간소비 회복세 약화,

청탁 지법 시행 등으로 9월 이후 회복세 약화

ㅇ 업종별로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 등 향으로 보건·복지업이

견조한 증가세이나 음식숙박․개인서비스 등은 감소

서비스업 생산 업종별 서비스업 생산

106

108

110

112

114

116

118

14.1 7 15.1 7 16.1 7

추세선

(2010=100, SA)

-5

0

5

10

15

보건

보험

여가

소매 수 음식

개인

서비스

16.1~8 16.9~11(전년 비, %)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 7 -

(참고2) 조업 재고-출하 동향과 평가

(동향) 로벌 융 기 이후 꾸 히 증가하던 제조업 재고가

최근 감소세로 환되며 재고/출하비율(재고율)이 하락

ㅇ 제조업 출하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 으나,자동차 개소세 인하

종료 업,노트7단종 등의 향으로 최근 회복세가 다소 둔화

*제조업재고율(기말기 ,%):(’16.1/4)124.8(2/4)120.9(3/4)117.7(10)119.6(11)115.5

*재고/출하 증가율( 년동기비,%):

('16.1/4)2.9/△0.8,(2/4)△2.2/1.5(3/4)△7.5/0.0(10~11월)△6.4/0.8

ㅇ 가동률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재고-출하 순환상 시계 방향으로

역행 → 재고율 하락이 생산 확 로 이어지지 못하는 모습

*재고-출하는 경기 여건에 따라 상호작용하며 反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경향

제조업 재고ㆍ출하 제조업 가동률ㆍ생산 지수 제조업 재고-출하 순환도

70

90

110

130

150

06 08 10 12 14 16

재고율(%)출하 수재고 수

(2010=100, SA, 3개 이 평 )

60

70

80

90

100

110

120

06 08 10 12 14 16

가 률 수

생산 수

(2010=100, SA 3개 이 평 )

-12

-6

0

6

12

-12 -6 0 6 12

재고

출하

(전년 비, %)

('16.10-11)

('15.1/4)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업종별)반도체, 자부품 등 주력 IT업종은 재고율이 크게

하락하는 반면,그 외 업종은 재고율이 정체되는 등 업종별 차별화

제조업 업종별 재고율 추이 제조업 업종별 재고/출하 증감율

40

80

120

160

200

11.1 12.1 13.1 14.1 15.1 16.1

체전자

체 전자 제

( 년비,%)제조업 반도체ㆍ 자부품 기타

‘15년 2.9 35.5 △2.1

‘16.상 △2.2 4.2 △3.3

‘16.3/4 △7.5 △42.0 △0.2

‘16.10~11월 △6.4 △32.5 △1.0

‘15년 △0.2 5.7 △1.3

‘16.상 0.4 4.3 △0.3

‘16.3/4 0.0 12.2 △2.4

‘16.10~11월 0.8 6.0 △0.3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ㅇ (반도체․ 자부품)스마트폰,PC등 방수요 확 , 로벌 업황

개선 등의 향으로 출하가 증가하고 재고는 감소

-재고율이 과거 비 낮은 수 으로 하락하고,가동률도

통과 후 차 회복세 → 향후 생산 확 에 정 신호

*D램단가(4Gb,$):(‘16.6)1.25(10)1.5/디스 이패 단가(43인치,$)(’16.6)97(10)138

- 8 -

반도체․ 자부품 재고율 가동률 지수 재고-출하 순환도

60

100

140

180

220

260

14 15 16

재고율(%)

출하 수

재고 수

10~15년 재고율 평

(2010=100,SA,3MA)30

60

90

120

14 15 16

체 + 전자

체전자

(2010=100, SA, 3MA)

-60

-30

0

30

60

-60 -30 0 30 60

재고

출하

(전년 비,

%)

('16.10-11)

('15.1/4)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ㅇ (기타)업종별 차이가 있으나 반 으로 수출 감소세,해외생산

확 등으로 출하가 부진하며 재고 감소에도 불구 재고율 정체

-가동률도 통신기기,자동차 등을 심으로 반 으로 하락세 →

수요를 생산보다는 재고소진으로 응하는 재고조정 단계에 치

기타업종 재고율 가동률 지수 재고-출하순환도(반도체ㆍ부품제외)

80

100

120

140

160

180

14 15 16

체·전자 제

자 차통신 송장비

(SA, 3MA)

10~15년

재고율 평30

60

90

120

14 15 16

체·전자 제

자 차통신 송장비

(SA, 3MA)

-10

-5

0

5

10

-10 -5 0 5 10

재고

출하

(전년 비, %)

('16.10-11)

('15.1/4)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평가)최근 재고 감소는 일부 IT업종을 제외하고는 생산 확 보다는

내외 수요부진 등에 응하기 한 재고조정에 주로 기인한 측면

ㅇ 재고율 하락세가 제조업 반으로 확산되지 못하여 반 인

재고율 수 이 아직 높고,기업들도 여 히 재고 부담을 인식

*제조업 재고율 기간별 비교(%):(‘00~’07)105.0(‘10~’15)112.1(‘16.11)115.5

*제조업 재고수 망 BSI(한은):(‘16.1)104(10)104(11)103(12)103(’17.1)103

ㅇ 높은 재고 지속시 통상 기업들은 가동률 조정을 통해 응하므로

유휴 생산설비 증가에 따른 설비투자 제약 요인으로 작용

*재고율과 설비투자조정압력 간 상 계수 :(00년 )△0.614(10년 )△0.536

ㅇ 향후 경기 불확실성 등을 감안시 재고조정 압력이 생산에 부담

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거시경제를 안정 으로 리하는 가운데

수요확충,주력 산업 경쟁력 강화 등 정책 노력 지속 필요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이근우 사무 (044-215-2731)

- 9 -

2. 고 용 '16년 취업자는 29만명 증가 상

◇ (취업자 ) 완만한 증가 지속, 조업․청년 고용 여건 악화

ㅇ 30만명 수 의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12월에는

년동월 기 효과,구조조정 등으로 증가폭 축소 상

*취업자증감(년동기비,만명):(‘16.1/4)28.7(2/4)28.9(3/4)31.8(10~11월)30.9

-서비스업이 고용 증가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제조업 취업자는

구조조정 향 등으로 7월 이후 큰 폭의 감소세 지속

-상용직 증가폭 축소,임시․일용직 감소로 임 근로자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세 자 업자는 늘어나는 모습

-고령화 등으로 50 이상에서 취업자가 크게 증가하는 반면

청년층은 신규채용 축 등으로 증가세가 차 둔화

산업별 취업자 증감 종사상지 별 취업자 증감 연령별 취업자 증감

-30

-15

0

15

30

45

60

16.1 4 7 10

제조업 서비스업 타

(전년 비, 만명)

-60-40-20

0

20406080

16.1 4 7 10

상 임시ㆍ일 자 업

(전년 비, 만명)

-30

-10

10

30

50

16.1 4 7 10

청년 30 40 50 ~

(전년 비, 만명)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 (고용률・실업률) 경 활동참가 이 높아지면 동 상승

ㅇ 청년․여성층의 구직활동 확 로 고용률 증가세 지속

ㅇ 다만 신규채용 축소,구조조정에 따른 인력감축 등으로

청년과 조선업 집지역의 실업률이 상승

고용률(15~64세) 청년․조선업 집지역 실업률 증감

63

64

65

66

67

13.1 7 14.1 7 15.1 7 16.1 7

-1

0

1

2

고 률 감( 계열, )

고 률(계절조정, 좌)

(%) (전년 비, %p)

0.0

0.2

0.4

0.60.8

1.0

1.2

1.4

[전체] [청년] [ 산]

16.上16.7~11

(전년 비, %p)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 10 -

3. 가계소득과 임 소득분 개 체, 양 한 임 상승률

◇ (가계소득) 소득 소득이 감소하며 소득분 개 체

ㅇ 취업자증가․임 상승 등으로 근로소득은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이 소득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가계소득 개선세 약화

ㅇ 특히 기 연 (‘14.7월),맞춤형 여(’15.7월)도입 등 정책효과

소멸로 소득층 소득이 감소하며 소득5분 배율이 상승

*1분 소득증가율(%):(15.4/4)3.6(16.1/4)△2.9(2/4)△6.0(3/4)△5.9

※ 소득 1분 주요 특 과 최근 소득감소 원인 분 : 참고 3

가계소득 증가율(명목기 ) 소득5분 배율

-202468

10121416

13.1/4 14.1/4 15.1/4 16.1/4

가계소득근 소득이전소득

(전년 비, %)

4.0

4.3

4.6

4.9

5.2

5.5

10 11 12 13 14 15 16

3/4

연간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 (임 ) 가계소득 증 책 등 로 증가 지속

ㅇ 가계소득 증 세제,최 임 인상(’16년 8.1%)등 가계소득 증

정책에 힘입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임 상승세 지속

ㅇ 최근 정액 여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나 특별 여는 회복

임 상승률 명목 정액․ 과․특별 여 상승률

-2

0

2

4

6

8

13.1/4 14.1/4 15.1/4 16.1/4

명목임 실 임

소비자물가(전년 비, %)

-20

-15

-10

-5

0

5

10

15

13.1/4 14.1/4 15.1/4 16.1/4

0

1

2

3

4

5

초과 여(좌) 특 여(좌)정액 여( )

(전년 비, %)

*출처 :고용노동부 *출처 :고용노동부

- 11 -

(참고3) 소득 1분 주요 특 과 최근 소득감소 원인 분

(1분 가구․취업 특성)고령화,1인 가구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임시․일용직 비율이 상승하는 등 고용여건 악화 조짐

① (가구특성)가구주 연령(‘15년 63.8세) 1인 가구 비율(46.8%)이

타 분 에 비해 높고 상승 속도가 빠른 모습

*가구주 평균연령(‘09→’15,세):<1분 >59.0→63.8(4.8세↑)< 체>50.6→53.5(2.9세↑)

*1인가구 비율(‘09→’15,%):<1분 >37.6→46.8(9.2%p↑)< 체>19.2→24.0(4.8%p↑)

-고령가구 증가,남녀 평균수명 차이로 여성 가구주 비율(50.8%)이

상승하 으며, 졸 이하 학력자 가구수 비율(43.7%)도 높은 수

*여성가구주 비율(‘09→’15,%):<1분 >45.9→50.8(4.9%p↑)< 체>26.4→28.9(2.5%p↑)

* 졸 이하 비율(‘09→’15,%):<1분 >42.7→43.7(1.0%p↑)< 체>19.0→18.1(0.9%p↓)

가구주 평균연령(세) 1인 가구 비율(%) 여성 가구주 비율(%)

45

50

55

60

65

70

09 10 11 12 13 14 15

1 위 전체

10

20

30

40

50

60

09 10 11 12 13 14 15

1 위 전체

15

25

35

45

55

65

09 10 11 12 13 14 15

1 위 전체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② (취업)가구주 연령이 높아 취업률이 낮고,여성․ 학력 비 이

높아 임시․일용직, 세자 업자 비율이 높은 모습

*가구주 취업률(%,‘15):<1분 >50.6<2>85.9<3>89.6<4>93.1<5>94.1

*임시․일용직 비율(%,‘15):<1분 >42.6<2>26.3<3>16.7<4>14.3<5>9.2

-특히,‘12년 이후에는 성장률 둔화,베이비부머 은퇴*등으로

취업률,상용직 비 이 하락하는 추세

*베이비부머 가장 많은 60년생이 ’12년부터 본격 은퇴(평균 은퇴연령 52세)

1분 취업률 등 추이(‘09→’15,%) 분 별 취업률 등 변화(‘12~’15,%p)

30

40

50

60

70

09 10 11 12 13 14 15

취업률 임시일 상(%)취업률 상용직 임시일용직

1분 △2.6 △2.2 3.5

2분 △2.3 △0.4 1.5

3분 △2.4 4.3 △1.9

4분 0.6 △0.4 1.2

5분 0.6 0.2 2.3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 12 -

(1분 소득 특성)이 소득 비 이 크고,근로소득 변동성이 큰 모습

① (근로소득)가구주 취업률이 낮아 타 분 비 근로소득 비 이

낮고 임시․일용직 비 이 높아 근로소득 변동성도 큰 편

*근로소득 비 (%,‘15):<1분 >43.6<2>58.0<3>65.7<4>70.2<5>72.5

② (사업소득)사업소득 비 은 다른 분 와 유사한 수 이나

세 자 업자 비율이 높아 사업소득의 변동성이 큰 모습

*사업소득 비 (%,‘15):<1분 >19.1<2>22.2<3>20.8<4>19.4<5>17.6

③ (이 소득)노인가구 증가 등으로 이 소득 비 이 높으며,기 연

(‘14.7),맞춤형 여(’15.7)도입 등으로 공 이 소득이 크게 증가

*이 소득 비 (%,‘15):<1분 >31.6<2>16.1<3>10.5<4>7.3<5>5.3

근로소득 증가율(%) 사업소득 증가율(%) 1분 이 소득 증가율(%)

-5

0

5

10

15

20

09 10 11 12 13 14 15

전체 1 위

-10

0

10

20

30

09 10 11 12 13 14 15

전체 1 위

-30

-20-10

0

1020

30

09 10 11 12 13 14 15

전체 이전소득

공적 이전소득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최근 1분 소득 악화 원인)‘16년 들어 1분 소득이 감소 환

*1분 소득증가율(%):(‘15.4/4)3.6(‘16.1/4)△2.9(2/4)△6.0(3/4)△5.1

① 근로소득은 제조업․도소매업 등을 심으로 일용직 고용이

감소하면서 감소세가 확

*근로소득 증가율(%):(‘15.4/4)3.2(‘16.1/4)△7.4(2/4)△8.6(3/4)△12.4

*일용직 증감(만명,’16.1~3/4):<제조업>△2.9<도소매업>△3.1<건설업>△1.3

② 자 업 세화 등으로 사업소득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공 이 소득은 기 연 (‘14.7)도입효과 소멸 등으로 둔화

*사업소득 증가율(%):(‘15.4/4)△5.0(‘16.1/4)△17.7(2/4)△23.3(3/4)△12.5

*공 이 소득 증가율(%):(‘15.4/4)7.9(‘16.1/4)12.2(2)2.7(3)3.2

(시사 )경기회복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취업 취약계층에

한 맞춤형 지원 강화 등 일자리 심 국정운 을 지속 추진

ㅇ 1~2인 가구 생계 여 확 방안 마련,근로장려 (EITC)지 액

인상(10%)등 서민생활 안정노력 강화

작성자: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 김병철 사무 (044-215-2813)

- 13 -

4. 가 주택시장 가 지속, 주택시장 안

◇ (소비자 가) '16년 1.0% 상승 상

ㅇ 폭염․조류독감(AI)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4/4분기 이후

유가 상승(년 비)등 상방요인에도 불구하고 1% 물가 지속

*두바이유($/B):(‘15.3/4)49.9(4/4)40.8/(‘16.3/4)43.2(10~11월)46.9

ㅇ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 반 유지

소비자물가 품목별 기여도

0

1

2

3

4

13.1 7 14.1 7 15.1 7 16.1 7

소비자물가

근 물가

(전년 비, %)

-0.5

0.0

0.5

1.0

석유류 공업제 농축

수산물

전 수

가스

공공

서비스

개인

서비스

16.1.4~3/4

16.10~11

(%p)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공업제품은 담배·석유류 제외

◇ (주택시장) 가격이 안 가운데 주택거래량 100만건 상회 상

ㅇ 주택매매가격이 안정된 가운데 거래량이 3년 연속 100만건을

상회할 망이며,11.3 책 이후 강남 등 일부 지역의 과열 진정

*강남4구 재건축 아 트가격(월비,%):(‘16.8)1.8(9)3.6(10)1.7(11)△0.8

ㅇ 세가격은 신규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상승세가 둔화되고

월세가격은 월세 환에 따른 공 물량 확 로 하향․안정세

* 세가격( 년동기비,%):(‘13)4.7(‘14)3.4(‘15)4.8(‘16.1~11)1.24

월세가격( 년동기비,%):(‘13)△1.1(‘14)△1.7(‘16.1~11)△0.15

주택 매매가격과 거래량1) 주택 세가격 상승률

-4

0

4

8

12

16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년비,%)

50

70

90

110

130(만건)거래량( )

가격(좌)

0.0

0.3

0.6

0.9

1 2 3 4 5 6 7 8 9 10 11 12

(전 비,%) 간평 (10~15)15년16년

주1)‘16년은 1~11월 *출처 :국토부,감정원 *출처 :한국감정원

- 14 -

5. 출입과 경상 지 출부진 완화, 경상흑자 축소

◇ ( 출) 출부진이 완화 며 '16년 6.1% 감소 망

ㅇ 11월 수출이 유가 향(단가회복),기 효과 등으로 증가 환하는 등

개선흐름이나 세계교역량 둔화 등으로 수출물량은 정체

※ 출 량 둔화 요인과 시사 : 참고 4

ㅇ 품목별로는 리미엄폰 단종에 따른 휴 폰 수출차질 향이

컸으나 반도체․석유화학 등 부분 주력품목 수출이 개선

ㅇ 지역별로는 일본․아세안․신흥국 등에 한 수출이 차

개선되고 있으나 미국․EU수출은 부진 지속

*지역별수출(‘16.上→7~11, 년비,%):(日)△13.6→4.3(아세안)△6.1→4.1(中)△14.2→△7.0

( 동)△21.2→△5.2( 남미)△23.2→△12.4(美)△3.3→△6.6(EU)△2.5→△9.6

통 수출과 수출물량 품목별 수출

-24

-18

-12

-6

0

6

12

18

14.1 7 15.1 7 16.1 7

수출 액

수출물량

(전년 비, %)

-30-25-20-15-10-505

10

전체 체 석유

석유

화학

철강 자 차 선 휴 폰

16.上

16.7~11

(전년 비, %)

*출처: 세청,한국은행 *출처:무역 회

◇ ( 입) 가하락 향이 축소 며 '16년 7.1% 감소 망

ㅇ 유가가 회복되며 원자재를 심으로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나,

설비투자 축,수입차 매 축 등으로 자본재․소비재는 둔화

통 수입과 수입물량 용도별 수입

-25-20

-15-10

-50

510

15

14.1 7 15.1 7 16.1 7

수입 액

수입물량

(전년 비, %)

-40

-30

-20

-10

0

10

20

30

자재(좌) 자본재( ) 소비재( )

-4

-3

-2

-1

0

1

2

3

1516.1~11

(전년 비, %)

*출처: 세청,한국은행 *출처: 세청

- 15 -

◇ (경상 지) '16년 940억불 흑자 상 며 작년 비 흑자폭 감소

ㅇ 최근 유가상승으로 상품수지 흑자폭이 축소되는 가운데,

서비스수지 자폭이 확 되면서 경상수지 흑자폭 감소

12개월 이동 경상수지 GDP 비 경상수지 비율

80

90

100

110

15.1 4 7 10 16.1 4 7 10

(억 )

3

5

7

9

12 13 14 15 16

(GDP 비 %)

e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

ㅇ 상품수지는 일반상품․가공무역수지가 감소하고 리미엄폰

단종 등으로 계무역 순수출도 둔화되면서 최근 흑자폭 축소

*일반상품․가공무역수지(년동기비,%):(‘16.1/4)15.8(2/4)△2.2(3/4)△11.8

* 계무역순수출( 년동기비,%):(‘16.1/4)35.2(2/4)13.4(3/4)13.2

ㅇ 서비스수지는 지재권사용료수지 자폭이 었으나,건설․

운송수지가 악화되면서 자폭 확

*부문별 서비스수지(‘15.1~10월→’16.1~10월):(총계)△123.8→△150.8

(지재권사용료)△35.9→△22.4(건설)77.6→66.5(운송)43.0→△3.2

-건설수지는 ‘15년 이후 해외건설수주 감소 향으로 건설

수입이 감소하면서 흑자폭 축소

*해외건설수주 규모(억불):(’13)652(‘14)660(’15)461(‘16.1~11월)234

-운송수지는 화물운임 하락 등으로 최근 해상 운송수지가

감소하면서 자 환

*해상운송수지(억불):(’13)56.0(‘14)43.9(’15)43.1(‘16.1~10)△3.4

※ 비스 지 자 확 요인 분 : 참고 5

ㅇ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이자 등 투자소득 감소로 흑자규모가

축소되었고,이 소득수지는 자폭 확

*부문별 수지(‘15.1~10월→’16.1~10월):(본원)35.7→12.1(이 )△37.4→△48.0

- 16 -

(참고4) 출 량 둔화 요인과 시사

(추이)최근 유가상승 등 반 단가개선*으로 통 수출 감소폭이

축소되고 있으나,단가를 제외한 물량은 낮은 증가세 지속

*주요품목 수출물가 변화(‘16.3/4→10~11월,달러기 , 년동기비,%)

:(총수출물가)△4.5→1.7(에 지)△12.9→2.2(非에 지)△4.0→1.8(IT)△9.2→3.1

ㅇ 수출물량과 한 계가 있는 실질 상품수출(GDP기 )증가율은

3년 연속 GDP성장률을 하회하며 성장세 회복을 제약

수출 액-물량-단가 추이 실질 상품수출 증가율과 성장률

-15

0

15

30

45

10 11 12 13 14 15 16

액 물량

단가

(전년 비, %)

-15

-5

5

15

25

00 02 04 06 08 10 12 14 16

-15

-5

5

15

25

A-B( ) 상 수출(A,좌)성장률(B,좌)

(%) (%p)

*출처:한국은행,무역 회,‘16.4/4분기는 10~11월 *출처 :한국은행,‘16년은 1/4~3/4분기

(요인)세계교역 둔화 등 로벌 요인과 우리의 고유요인이 복합 작용

① ( 로벌 요인) 로벌 융 기 이후 세계경제 성장률이 3% 로

크게 둔화된 가운데,성장 비 교역간의 계도 약화

*성장률 1%당 교역증가율(IMF,%):(‘90~’00)2.2(’01~‘07)1.5(‘08~’15)0.9

-유럽재정 기․자원국 침체 등으로 수입유발 효과가 큰 투자

(자본재)가 크게 둔화되면서 교역량이 성장보다 더 크게 축

*세계지출증가율(‘04~’07→’11~‘14,%):(민간소비)3.7→2.5(정부소비)2.5→1.4(투자)6.5→3.7

*1단 증가 당 수입유발(KDI):(민간소비)0.25(정부소비)0.10(투자)0.32

-선진국의 제조업 리쇼어링, 국 등 신흥국 간재 자 률 제고

등으로 로벌 가치사슬(GVC)이 약화되고,보호무역주의 두

*GVC지수(간재수입/내수,경기·가격요인제거등)변화율(OECD,%):(‘91~’11)4.0(‘11~)△1.7

*GVC약화,보호무역주의 등이 ‘12~’15년 세계수입량 △1.75%p감소요인(IMF)

세계 성장․교역․투자 생산(GDP) 비 간재 수입 비

-15

-10

-5

0

5

10

15

03 05 07 09 11 13 15

투자성장률

역량

(전년 비, %)

6

8

10

12

14

16

18

03 05 07 09 11 13 15

세계 (%)

*출처 :IMF,WB *출처 :IMF,UNComtrade** 간재는1차산품제외

- 17 -

② (고유요인)우리수출의 간재․자본재 수출비 (87.2%)이 높아

‘11년 이후 간재․자본재 심 세계교역 둔화에 더 큰 향

-주력 수출품목의 국추격,해외생산 확 등으로 우리 수출의

시장 유율이 하락하는 것도 일부 요인

간재․자본재 수출비 과 수출물량 韓 10 수출품목(‘10)의 세계 시장 유율

전세계 추세선

-20

-15

-10

-5

0

5

10

20 40 60 80 100

간재+자본재 수출비

(13~15, %)

수출물량 가율 폭

('11→'15, %p)

7

8

8

9

9

10

10 11 12 13 14

10

11

12

13

한 (좌) ( )

(%)

*출처 :WTO(30 수출국),UNComtrade,한은 *출처 :UN Comtrade,HScode4단 기

( 조업 해외생산 동향 )

◇ ‘00년대 이후 우리나라 제조업 해외생산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며 일본 수준

(약 20%)에 육박한 가운데, 자동차(약 50%)․휴대폰(약 90%)의 해외생산 비중이 높은 편

▸ 해외생산 확대는 초기에 부품수출에 기여할 수 있으나, 국내 완제품 수출

대체․부품 현지조달 확대 등으로 점차 국내수출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

◇ 지역별로는 中 가공무역 제재․임금상승 등으로 中→아세안으로 생산기지 이전 중

▸ 아직 중국대비 아세안 진출기업의 부품 현지조달 비중이 작은 만큼 생산기지

이전이 부품수출 확대에는 긍정적이나 향후 수출 대체 가능성

* 해외 현지법인의 현지매입 비중(‘11→’14, 수은, %) : <중>57.6→63.9 <아세안>35.7→37.7

* 對中, 對베트남 중간재 수출 규모(‘11→’15, 억불) : <중>956.3→1,006.4 <베>107.1→212.1

해외생산 비중 휴대폰 해외투자·수출 해외투자(中→아세안 이동)

0

5

10

15

20

25

03 05 07 09 11 14

일본

(%)

-40

-20

0

20

40

60

01 03 05 07 09 11 13 15

-40

-20

0

20

40

60

해 투자( )

수출(좌)

(%) (억 )

0

2

4

6

03 05 07 09 11 13 15

아세안

(십억 )

(시사 )수출물량 부진은 간재․자본재․ 국 심 세계교역

둔화가 련 비 이 큰 우리나라에 더 크게 작용한 데 기인

ㅇ 소비재․서비스 등 유망품목 육성,신흥시장 개척 등을 통한

수출 다변화 OLED등 고부가 품목 수출 확 등 병행 필요

ㅇ 수입규제 등 보호무역주의에 선제 으로 응하고,유턴기업․

FDI유치를 통한 투자→생산→수출 선순환 구조 강화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김태웅 사무 (044-215-2732)

- 18 -

(참고5) 비스 지 자 확 요인 분

(서비스수지 동향)서비스수지는 ‘14년까지 자폭이 감소하는

추세 으나 ’15년 이후 큰 폭으로 확

ㅇ 건설․운송수지 흑자가 감소하거나 자로 환*된 가운데,

여행수지 자폭도 확 된 데 주로 기인

*건설(57.7%)․운송(39.4%)수지가 ‘13~14→‘15~16.3/4분기 서비스수지 변동의 97.1%설명

서비스 수지 추이 부문별 서비스 수지 동향

-250

-200

-150

-100

-50

0

00 02 04 06 08 10 12 14 16

(억 )

-120-90-60-30

0306090

120150

13.1/4 14.1/4 15.1/4 16.1/4

송 타 여행

건설 서비스

(억 )

*출처:한국은행 *출처:한국은행

( 자 확 요인) 로벌 교역둔화에 따른 해외건설 수주 부진,

화물운임 하락,내국인 해외여행 증가 등에 주로 기인

① (건설수지) 유가에 따른 동 경기 축 등으로 해외건설

수주가 ‘14년 이후 지속 감소하며 건설수지 흑자폭 축소

* 동․북아 리카 성장률(IMF,%):(‘11)4.6(’12)5.1(‘13)2.2(’14)2.6(‘15)2.1

② (운송수지)세계교역량 둔화,화물운임 하락에 따른 해상운송

화물수입 감소 등으로 ‘02년 이후 처음으로 운송수지 자 환

*항공운송,우편․상업송달 등 기타부문의 자폭은 일정(月 △5~6억불)

*세계교역액(년동기비,%,WTO):(‘11)19.6(’12)1.0(‘13)2.0(’14)0.4(‘15)△12.8

*BDI운임지수(연평균,Bloomberg):(‘11)1,532(’12)885(‘13)1,256(’14)1,065(‘15)704

건설수주와 건설수지 운송수지와 화물운임

0

200

400

600

800

05 07 09 11 13 15

0

50

100

150

200

건설수주(좌)

건설수 ( )

(억 ) (억 )

-4

0

4

8

12

16

20

12 13 14 15 16

0

300

600

900

1,200

1,500

송수 (A, 좌)

해상 송화물수 (B, 좌)

컨테이너 임(SCFI 수, )

(억 , 3개 이 평 )

*출처 :한국은행,해건 **‘16년은 1~10월 *출처 :한국은행,Bloomberg

- 19 -

③ (여행수지)메르스 사태(‘15.5~6) 향, 비용항공 노선 확 *에 따른

해외여행 비용 감소 등으로 ‘15년 이후 여행수지 자폭 확

* 비용항공사 국제선 분담률(국토부,10월,%):(’13)8.6(‘14)10.6(’15)15.2(‘16)21.0

- 경쟁력이 주요국 비 조*한 가운데,최근 방한 객

1인당 지출 감소, 국 가 상품 규제(‘16.10)등도 하방요인

*세계 경쟁력순 (WEF,‘15):(1)스페인 (2)佛 (3)獨 (4)美 (9)日 (17)中 (29)韓

출입국자와 여행수지 1인당 지출 액과 국인 객수

5

10

15

20

25

10 11 12 13 14 15 16

-120

-100

-80

-60

-40

-20

0입 자(좌)출 자(좌)

여행수 ( )

( 만명) (억 )

0

20

40

60

80

100

15.1 4 7 10 16.1 4 7 10

0

400

800

1200

1600

인 객(좌)

1인당 평 소비액( )

(만명) ($)

*출처:한국은행,문체부 지식정보시스템 *출처 :문체부 지식정보시스템

(평가) 유가 등의 향으로 해외건설․운송 부문의 회복 기 가

어려워 당분간 서비스수지 자 확 지속 가능성

ㅇ 주요국이 여행․ICT 부문에서 안정 흑자를 확보 인 반면,

우리는 주요 흑자부문인 건설․운송수지가 악화되는 등 취약한 구조

(단 :억불) 한 국 미 국 국 독 일 랑스 스웨덴

여 행 △74.8 643.6 △182.6 △464.7 94.6 31.7

운 송 60.6 △66.9 81.0 △157.2 △27.3 △55.5건 설 134.8 △4.1 △1.6 5.9 3.4 △13.1

기 타 △204.3 1,683.9 1,478.0 113.7 146.6 146.9

ICT기반 △145.1 1,903.6 1,165.4 111.6 117.2 139.6

서비스 수지 △83.7 2,256.3 1,374.8 △504.4 217.3 110.0

*출처 :UNCTAD(‘13~15평균)/** 융,ICT․컴퓨터,지재권사용료,기타사업서비스(R&D등)

ㅇ 우리 서비스 산업은 도소매․숙박음식․운수업 등 통

서비스업에 편 되어 있어 서비스수출 기반이 취약

*美․英은 융수지,獨․佛․스웨덴은 원천기술 보유로 지재권사용료 수지 흑자

OECD주요국의 GDP 비 서비스수지 비 과 서비스업 생산성 비교

(단 :%) 한 국 OECD 룩셈부르크 미 국 국 랑스 일 본 독 일

서비스수지 비 (‘15) △1.1 0.8 40.6 1.2 4.8 0.5 △0.3 △1.2서비스업생산성(미국=100) 52.9 - 103.6 100 72.6 76.9 68.4 66.6

*출처 :OECD,UNCTAD

⇒ 해외건설 수주지원 등과 함께 ․콘텐츠 등 유망 서비스업

육성,IT-서비스업 융합 등 서비스 수출 변확 노력 긴요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김태웅 사무 (044-215-2732)

- 20 -

6. 시장과 자 사 시장 변동 지속

◇ ( 시장) 로벌 이벤트에 라 주가 등락, 시장 리 상승

ㅇ 美 리인상 망 변화,中 융시장 불안, 시트 등 주요

로벌 이벤트에 따라 융시장 변동성이 확 되는 모습

ㅇ 주가는 기업실 정체 등으로 상승세가 제약된 가운데 시트

국민투표,美 선 등 주요 이벤트에 따라 등락을 지속

-외국인 주식 투자자 은 연 (국發 시장불안),11월(美 선)

매도세를 보이기도 하 으나,’16년 체로는 11조원 이상 순매수

*외국인 주식자 (조원):(‘16.1~2월)△3.3(3~10)14.8(11)△1.2(12월)1.0

ㅇ 국채 리는 美 리인상,美 新정부의 재정 자 확 망 등에

따른 로벌 리상승 향으로 동반 상승

※ 향후 시장 리 망과 신용시장 향 분 : 참고 6

주가와 리 추이 외국인 주식․채권순매수

1,600

1,800

2,000

2,200

15.1 15.7 16.1 16.7

1.0

1.5

2.0

2.5

코스피(좌)고채 3년물( )

리( )

(%)(pt)

-6

-3

0

3

6

15.1 7 16.1 7

주식

(조 )

*출처 :한국거래소, 융투자 회 *출처 : 융감독원

◇ ( 업자 사 ) 산업 구조조 등 로 다소 악화 모습

□ 기업의 자 사정은 산업․기업 구조조정 등에 따른 신용경계감,

내외 융시장 불확실성 등으로 다소 악화

ㅇ 은행의 기업 출 증가폭이 년에 비해 축소되고,구조조정 등의

향으로 기업 출 연체율도 기업을 심으로 년 비 상승

*은행 기업 출증가(기간 ,조원):(’14)52.0(’15)48.3(’16.1~11월)35.8

*기업 출 연체율(기말,%):(’13)0.86(’14)0.77(’15)0.78(’16.10월)1.23

- 21 -

ㅇ 회사채는 유통시장의 활력이 반 으로 하된 가운데,

발행시장도 비우량 등 (A등 이하)을 심으로 순상환 지속

자 사정 BSI(실 기 ) 기업 출 연체율 회사채 순발행 규모

40

60

80

100

15.1 15.7 16.1 16.7

조선· 타 수

업소 업

0

1

2

3

3 6 9

업 출 연체율(%)업

소 업

16.115말

-4

-2

0

2

4

6

15.1/4 3/4 16.1/4 3/4

AA 이상 A

BBB 이하 합계

(조 )

*출처 :한국은행 *출처 : 융감독원 *출처 : 탁결제원

◇ (가계부채) 집단 출, 비 행권 출 심의 증가 지속

ㅇ 가계신용은 리,분양호조 등 주택시장 정상화 등으로

집단 출,비은행권 출을 심으로 증가

*집단 출 증감(조원, 감원):(’15.1~9월)3.1→ (’16.1~9월)16.2

*비은행권 출 증감(조원) :(’15.1~9월)19.1→ (’16.1~9월)39.0

ㅇ 여신심사 가이드라인,8.25가계부채 리방안 등 질 구조

개선 노력으로 고정 리․비거치식 분할상환 출 증가

*고정 리 비 (%):(’13)15.9(’14)23.6(’15)35.7(’16.9)41.4

*비거치식 분할상환 비 (%):(’13)18.7(’14)26.5(’15)38.9(’16.9)43.3

-8.25 책이 본격 시행된 10월 이후 집단 출,제2 융권 출

증가폭이 축소되는 가운데 주택담보 출 증가율도 다소 둔화

*은행 도 출 신규승인(월평균,조원):(’16.1~9)4.5→ (10)1.6

*상호 융 일평균 가계 출 증가(억원):(’16.1~10)+859→ (11)+552

ㅇ 연체율이 하향 안정화되는 등 가계부채 건 성 지표는 양호

*가계 출 연체율(%): (’12말)0.78(’14말)0.49(’16.10말)0.31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12말)0.69(’14말)0.50(’16.9말)0.31

가계신용 출구조 비 변화

-10

0

10

20

30

40

50

13.1/4 14.1/4 15.1/4 16.1/4

(조 )

-2

0

2

4

6

8

10

12(%)

전 비 감(좌) 전년 비( )0

10

20

30

40

50

10 11 12 13 14 15 16.9

(%) 고정 리 출 비

비거치식 할상환 출 비

*출처 :한국은행 *출처 : 융감독원(은행권 주택담보 출 기 )

- 22 -

(참고 6) 향후 시장 리 망과 신용시장 향 분

(동향 망)10월이후 美 리인상 先반 ,트럼 發 인 이션

기 등으로 로벌 리가 상승하면서 국내 리도 동반 상승

ㅇ 美연 은 12월 리인상 이후 내년 3회 리인상을 시사했으며,

시장도 내년 2~3회(50~75bp)의 美 기 리 인상을 망

*美 선물시장 반 리인상 확률(%):(0~1회)22(2회)31(3회)28(4회~)19

주요 IB 망:(JPMorgan,Citi,Barclays)2회 (GoldmanSachs)3회 인상

ㅇ 韓-美 장기 리 동조화 상*등을 고려할 때 美 리인상

가속화시 우리나라 시장 리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

*’15.6월이후,美-韓 국채 리간 상 계수는 0.77로 높은 수 (HSBC,’16.11)

-다만 美 리상승에 한 우리나라의 장기 리 변동폭은

여타국에 비해서는 낮은 편

*美 국채 리 1%p상승시 우리 장기 리는 0.47%p상승 추정(IMF,’16.9)

韓․美 국채 리(3년물) 美연 원 리 망 美 장기 리 상승(100bp) 향

1.0

1.5

2.0

9 10 11 12

0.5

1.0

1.5

2.0

韓 고채(좌)

美 채( )

(%)

16.9

0

1

2

3

16년 17년 18년

16.12 전망치16.9 전망치

0.50~0.75

1.25~1.50

2.00~2.25

3회 인상

3회 인상

(%) 67 65

47

100

20

60

100

미 선 신흥 한

美 채 리 100bp 상승시

장 리 (bp)

*출처 :블룸버그, 융투자 회 *출처 :美연 , 값 기 *출처:IMF,선진‧신흥국은 값

(신용시장 향)시장 리 상승은 융부채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으나,가계․기업부문의 상환부담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

① (가계부문) 출 리가 격하게 상승 시 이자부담이 증가

하면서 한계차주*를 심으로 채무상환 능력이 약화될 소지

* 리 1%p상승시,한계가구(15.3월 기 134만)는 9만가구 증가 추정(한은,’16.6)

-특히 소득‧ 신용 차주는 출 리가 높고 변동 리 주인

비은행권 출 비 이 높아 향후 리변동 험에 노출

*신규취 기 가계 출 가 평균 리(16.11월,%):(은행)3.2(비은행)3.7~15.4

*업권별 취약차주 출비 (16.9월, 액기 ):(은행)3.7% (비은행)10.0%

(취약차주 :3개 이상 융기 에서 출받은 소득 하 30% 는 신용 7~10등 차주)

- 23 -

② (기업부문)기업의 부채비율 하락*등 재무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빠른 리상승시 자 조달 여건 악화 우려

*기업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14)106.5(’15)100.9(’16.3/4)91.8

-특히 기업 구조조정 추진 등에 따른 융권 리스크 리 강화로

기업규모별,우량-비우량 기업 간 신용차별화 확 가능성

*신용경계감으로 소기업 담보 출 비 이 확 (61→ 68%,’12.9→’16.6)

우량-비우량 회사채간 신용스 드도 확 추세(559→ 611bp,‘13.1→‘16.11)

기업규모별 담보 출 비 회사채(3년물)신용등 간 스 드 변동

26.5 28.8

60.767.6

0

20

40

60

80

12.3/4 16.2/4 12.3/4 16.2/4

+2.3

+6.9

[ 업 ] [ 소 업 ](%)

20

40

60

80

13.1 14.1 15.1 16.1

550

600

650

700

BBB- - AA- ( ) AA- - 고채(좌)

BBB- - 고채 ( )

(bp)

*출처:한국은행(’16.12) *출처: 융투자 회

(평가 시사 )향후 美 리인상이 빠른 시장 리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 소득․ 신용 차주, 소‧비우량 기업이 취약할 망

① 서민‧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하고, 소기업 자 난 악화에 비

하는 등 리변동에 취약한 차주에 한 맞춤형 지원 강화

*(가계)4 정책서민자 ․사잇돌 출 확 (총 +2.3조),연체 후 단계별 채무조정

(기업)中 정책 융 확 (+6.8조원) 정책자 기 리 인하(2.47→2.3%)

② 스트 스테스트*를 실시하고 필요시 선제 인 자본확충을 유도

하는 등 융부문 건 성 악화 가능성**에 선제 으로 비

*’16년말까지 은행‧상호 융 등 융업권을 상으로 스트 스 테스트 실시

**美 기 리 1~3%p인상시 은행부문 BIS가 0.5~1.7%p하락 추정(한은,’16.12)

③ 한 가계부채 질 구조개선(고정 리․분할상환 심)가속화*등

가계부채 연착륙과 상환부담 경감 노력도 지속

*①은행권 주담 ’17년 목표비율 상향 조정(고정 42.5→45%,분할 50→55%)

②변동 리 비 이 높은 제2 융권 주담 의 질 구조개선 유도방안 강구

③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全업권(1월 잔 출,3월 상호 융권)으로 확

작성자:경제정책국 자 시장과 김채윤 사무 (044-215-2758)

- 24 -

7. 외환시장 변동 확 , 외채 건 양

◇ (환 ) 美 리인상 망 변화 등 외변 불확실 확

ㅇ 원/달러 환율은 美 선 결과 리인상 기 *에 따른

로벌 달러강세 등의 향으로 상승

*12.14FOMC:25bp 리인상,'17년 리인상 횟수 망 상향(2→3차례)

ㅇ 특히 트럼 당선 이후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려,자본유출

가능성 등으로 아시아 통화의 변동성 확

원/달러 환율과 달러화인덱스 주요 아시아 통화 상률(‘16.11.9~12.27)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90

95

100

105

달러(좌) 달러화인 스( )

15.1 15.5 15.9 16.1 16.5

-12

-10

-8

-6

-4

-2

0

일본 호주 말 한 싱가폴 태 인니 만 필리핀 인

(%)

*출처 :Bloomberg *출처 :Bloomberg

◇ (외채) 외채 소폭 증가, 외채권 증가, 외채건 양

ㅇ 총외채는 은행의 외화차입 증가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

증가 등으로 년말 비 50억불 증가

ㅇ 외채권이 해외 증권투자 증가 등으로 총외채보다 크게 증가

하면서 순 외채권은 년말 비 613억불 증가

ㅇ 총외채 비 단기외채 비 ,외환보유액 비 단기외채 비율 등

외채 건 성 지표는 양호한 수 을 지속

외채무 외채권(기간말)

’14년말 ’15년말'16년

1/4 2/4 3/4외채무(억달러) 4,244 3,954 3,893 3,918 4,004단 기 1,164 1,071 1,041 1,068 1,118외채권(억달러) 6,836 7,176 7,308 7,495 7,839순 외채권(억달러) 2,592 3,222 3,415 3,578 3,835단기외채/총외채(%) 27.4 27.1 26.7 27.3 27.9

단기외채/외환보유액(%) 32.0 29.1 28.1 28.9 29.6

*출처 :한국은행

- 25 -

Ⅱ. 2017년 외여건 검

1. 계경 '16년보다 장․교역 개 , 불확실 확

◇ ( 장) 미국․자원국을 심 로 완만한 회복

ㅇ 미국은 양호한 소비․고용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美 新정부

출범에 따른 경기부양 효과 등으로 개선 상

*美 실업률(계 조정,%):('13)7.4('14)6.2('15)5.3(‘16.1~11)4.9

-다만 무역․이민 제한에 따른 성장잠재력 약화는 우려 요인

※ 트럼프노믹스 주요 내용과 경 향 : 참고 7

ㅇ 유로존은 미약한 회복세가 지속되겠으나 시트 등은 하방요인

ㅇ 일본은 경기부양책(28.1조엔),소비세 인상 연기(‘17.4→’19.10월)등으로

소폭 개선될 망이나,디 이션 우려 등은 제약 요인

ㅇ 국은 감속성장을 지속하겠으나 극 재정정책과 양호한

내수흐름 등에 힘입어 목표 성장경로 유지 상

ㅇ 여타 신흥국은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라질·러시아

성장률의 (+) 환 등 자원국을 심으로 회복 망

※ 주요 자원신흥국 동향과 망 : 참고 8

세계경제 성장률 추이와 망

(단 :%)실 망’16년 ’16년 연간 ’17년 연간

1/4 2/4 3/4 IMF OECD IMF OECD

세계경제 성장률 - - - 3.1 2.9 3.4 3.3

미 국( 기비연율) 0.8 1.4 3.5 1.6 1.5 2.2 2.3

유 로( 기비) 0.5 0.3 0.3 1.7 1.7 1.5 1.6

일 본( 기비) 0.7 0.5 0.3 0.5 0.8 0.6 1.0

국( 년동기비) 6.7 6.7 6.7 6.6 6.7 6.2 6.4

라질( 년동기비) △5.4 △3.6 △2.9 △3.3 △3.4 0.5 0.0

러시아( 년동기비) △1.2 △0.6 △0.4 △0.8 △0.8 1.1 0.8

*출처 :IMF,OECD등

- 26 -

◇ (교역량․ 가) 低교역·低 가 상 지속

ㅇ 세계교역량은 자원국 경기회복으로 소폭 개선되겠으나 보호

무역주의 두, 로벌 밸류체인 약화 등은 제약 요인

*세계교역량(%,IMF,'16.10):('14)3.8(’15)2.6(‘16)2.3(17e)3.8

*교역탄성치(교역량/성장률,5년이동평균):(‘07)1.6(’16)0.9(‘17)1.0

ㅇ 세계물가는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상승세가 소폭 확

되겠으나 로벌 수요부진으로 물가 지속 상

세계교역량 증가율 추이 세계물가와 원자재 가격

-15

-10

-5

0

5

10

15

20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세계 역량

신흥 수입량

e

(%)

2.5

3.0

3.5

4.0

4.5

5.0

5.5

11 12 13 14 15 16 17

-30

-20

-10

0

10

20

세계물가(좌)

자재가격( )

(전년비, %)

e

*출처 :IMF(세계),CPB(신흥국) *출처 :IMF

◇ (리스크) 보 역주의 확산, 국 시장 변동 확 등

ㅇ 美 리인상에 따른 달러강세,신흥국 자본유출,달러화 조달

애로 등으로 펀더멘탈이 취약한 신흥국들의 불안 발생 우려

*단기외채/외환보유액 비율(%,‘16.6말):(아르헨)120.3(터키)86.7(말련)82.4

*외국인 국채보유비 (%,IIF):(페루)40.9(인니)39.2(말련)35.8

ㅇ 美 新정부 출범이후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될 경우 로벌 교역

축에 따른 세계경제의 회복세 둔화 가능성

ㅇ 국은 美-中 통상마찰,부동산시장․기업부채 조정,자본

유출 가능성 등에 따른 실물․ 융 불안 재개 우려

※ 국경 험 요인 검 : 참고 9

ㅇ 유럽은 국 시트 가결 이후 자국우선주의 정서가 확산

되는 등 정치리스크 확

※ 최근 럽 치불안 동향과 망 : 참고 10

- 27 -

(참고7) 트럼프노믹스 주요 내용과 경 향

(동향)트럼 의 경제정책(Trumpnomics)은 ‘미국우선주의’를

바탕으로 내수 부양,보호무역주의 강화의 양 축으로 구성

ㅇ 트럼 당선인의 공개연설 등을 통해 TPP철회,공정한 양자

무역 정 추진 등 美 신행정부의 정책방향도 차 공식화

트럼 당선인의 주요 정책 공약

국내 :국내일자리 창출 외 :미국우선주의

ㅇ( 융)Dodd-Frank법 폐지 등

융기 규제 완화

ㅇ(세제)감세를 통한 경기부양·일자리 창출

ㅇ(투자) 규모 인 라투자(1조불)확

국내 제조업 르네상스 추진

ㅇ(통상)TPP 탈퇴,NAFTA 한·미

FTA재 상,무역제재 강화 등

ㅇ(외교)동맹국 방 비 분담 추가요구,

북핵문제 해결 한 국압박 강화 등

(세계경제 향)내수부양 정책이 미국경제에는 정 이나,

보호무역주의 등은 장기 으로 미국․세계경제에 부정

① (미국경제)인 라 지출 확 ,감세정책 등에 따른 경기회복*

기 를 반 하여 최근 주가상승 달러강세 지속

*므 신 재무장 내정자는감세·인 라투자를통한3~4%성장을최우선과제로제시

② (세계경제)美경제개선은 세계경제에는 정 *요인이나,보호

무역주의 강화시 세계 교역량이 축되며 성장 둔화 가능성

*美재정정책등 향으로세계경제’17,’18년각각0.1%p,0.3%p추가성장 망(OECD)

美 주가와 달러환율 추이 보호무역주의 확산시 세계성장률 변화

92

94

96

98

100

102

104

16.6 16.7 16.8 16.9 16.10 16.11 16.12

17000

18000

19000

20000

달러인 스(좌)

다 수( )

美 선

-2.0

-1.5

-1.0

-0.5

0.0

17 18 19 20 21

(%p)

*출처 :국제 융센터 *출처 :IMF

(우리경제 향) 융경로를 통한 변동성 확 가 상되는

가운데 무역경로를 통한 부정 향도 우려

① ( 융경로)美 재정부양 국채발행 확 망에 따른 리

상승·달러강세 등 융·외환시장 변동성 확 가능성

- 28 -

② (무역경로)美 경기회복,인 라 투자 확 등에 따른 수입수요

확 는 정 이나,통상마찰 실화시 직·간 수출 향 우려

*美 성장률 1%p상승시 한국의 美 수출증가율 2.89%p상승(무역硏)

-미국의 수입규제 강화시,주요 美 흑자 품목 심으로

직 인 수출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망

- 국·멕시코 등과 미국간 무역갈등 발생시 해당국가에 한

간재 수출 축 등 간 경로를 통해서도 부정 향 가능

* 中수출 가공수출(간재 가공후 제3국 수출)비 :51.9%(‘15.4,무역硏)

* 국의 美 수출이 10% 감소시 우리나라 수출은 0.36% 감소(‘16.12,한은)

美 5大 흑자․ 자상품 우리나라 10大 수출국1)의 美수출액

-3

0

3

6

9

12

15

자 차 휴 폰자 차 석유

고무

식물성 곡실류 육류 체

장비

항공

-3

0

3

6

9

12

15(억달러) (억달러)

[ 5 흑자상 ] [ 5 적자상 ]

0

100

200

300

400

500

홍콩

트남

일본

싱가

멕시

호주

(십억 )

* 만의 경 '15.1~11

*출처 :무역 회 주1)‘15년기 ,미국제외,국가순서는수출 액기

*출처 :UN Comtrade,무역 회

( 1980년 美-日 통상마찰과 시사 )

◇ (미국의 조치) ‘80년대 일본의 對美 무역흑자가 급증하자 미국은

플라자 합의․슈퍼 301조 적용 등 對日 환율절상․통상압력 강화

◇ (우리경제 영향) ‘80년대 한국의 對美흑자도 확대되고 있었으므로

美 통상제재가 수입규제·시장개방 압력의 형태로 한국으로도 확산

▸ 일본의 수출감소에 따른 반사이익도 있었으나, TV·철강·자동차 등

주력상품의 경우 통상압력으로 인해 對美수출 감소 · 수입증가

* 對美수출증가율(%) : (일본) (’86)△13.0→(’87)△10.4→(’88)△5.4→(’89)11.6→(’90)1.9→(’91)△5.6

(한국) (’86)29.1→(’87)31.9→(’88)16.9→(’89)△3.6→(’90)△6.2→(’91)△4.1

◇ (시사점) 미국의 對中 통상제재 시 우리나라에도 유사한 형태로 전이

될 수 있으며, 對美·對中 수출에 동시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

(시사 )美 新정부의 정책 변화에 응하여 美 교역구조 변화,

긴 한 통상 력 등을 통해 보호무역주의에 극 응

ㅇ 新정부의 인 라 투자 확 등의 주요정책을 기회요인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교역․투자 확 방안 모색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박창규 사무 (044-215-2736)

- 29 -

(참고8) 주요 자원신흥국 동향과 망

(동향)‘14년 하반기 이후 원자재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면서

자원국들의 성장세가 둔화되며 세계경제 성장을 제약

*주요 자원신흥국의 세계경제성장률 기여도(%p):(’10)0.9→ (’15)△0.1

원자재 가격 자원신흥국 성장률

0

20

40

60

80

100

120

140

13 14 15 16

식 속 유

(2014=100)

-4

-2

0

2

4

6

브라 러시아 사 디 남아공 멕시코

12~14

15~16e

(%)

*출처 :IMF *출처 :IMF

① (수출·투자 부진)수출 감소,수익성 악화 등으로 기업 투자 부진 지속

*멕시코의 경우 최근 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지공장 설립 등으로 투자 확

수출 증가율 투자 증가율

-40

-30

-20

-10

0

10

20

브라 러시아 남아공 사 디 멕시코

12~14

15~16.6

(%)

-15

-10

-5

0

5

브라 러시아 남아공 멕시코

12~14

15~16.6

(%)

*출처 :Bloomberg,통 기 *출처 :Bloomberg

② (정책여력 축소)경상수지 악화,정부 재정수입 감소에 따른

자 확 ,정부부채비율 증 등 정책 응여력도 약화

경상수지 재정수지

-10

-5

0

5

10

15

20

브라 러시아 사 디 남아공 멕시코

12~14

15~16e

(GDP 비 %)

-20

-15

-10

-5

0

5

10

브라 러시아 사 디 남아공 멕시코

12~14

15~16e

(GDP 비 %)

*출처 :IMF *출처 :IMF

③ (정치 불안) 라질·러시아의 경우 정치 불확실성 서방

경제제재 강화*등이 추가 인 성장 하락요인으로 작용

*(라질)’14년 재정 자 규모 은폐 의 등으로 호세 통령 탄핵 결정(’16.8)

(러시아)’14년 크림반도 합병 이후 EU는 러시아에 해 방 경제제재 단행

- 30 -

( 망)‘17년에는 OPEC감산합의,인 라 투자 확 등에 따른

원자재가격 회복,국내 정치 불확실성 완화 등으로 경기개선 상

ㅇ 라질·러시아의 경우 정치 불안이 완화되며 (+)성장 환

*( 라질)탄핵이후 불확실성 해소,재정건 화 조치,인 라 투자 확

*(러시아)최근 英·中·터키 등 주요국과 러시아간 계 개선

ㅇ 사우디·UAE·이란 등 동국가들의 경우 정책노력 인 라

투자 확 등으로 경제여건 개선 가능성

*(UAE)2020두바이 엑스포 개최 (이란)서방 경제제재 해제

(사우디)인 라 개선,일자리 확 ,유망산업 육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비 2030 로젝트」(정치·경제·사회 반에 한 개 )추진

주요 자원신흥국 경제성장률 추이와 망(IMF,‘16.10월)

러시아 라질 사우디 남아공 멕시코

2015 △3.7 △3.8 3.5 1.3 2.52016e △0.8 △3.3 1.2 0.1 2.1

2017e 1.1 0.5 2.0 0.8 2.3

ㅇ 다만 美 셰일오일 생산증가*,신정부 정책**에 따른 유가상승 제약,

美 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자본유출 가능성 등은 리스크 요인

*최근셰일오일한계생산비용(40~60$/B)감안시유가상승이60$수 에서제한가능성

**트럼 당선인은 통 에 지 확 정책을 통한 에 지가격 안정 주장

-특히 사우디·멕시코의 경우 美 리인상*과 통상정책 향**에

따라 하방 리스크가 확 될 가능성

*사우디는 美달러 페그제를 시행하고 있어 美 통화정책 변화에 노출

→ 美 기 리 인상에 따른 사우디 리인상으로 경기침체 심화 가능성

**NAFTA재 상,멕시코산 수입품에 35% 세부과 검토 등

(평가)그간 자원신흥국 경제가 「원자재 수출감소 → 투자부진」경로로

축되었으나,원자재가격 상승으로 투자반등 등 경기개선 가능성

ㅇ 로벌 투자수요에 탄력 인 우리 수출구조 감안시 자원신흥국

경기개선 투자수요 회복은 ‘17년 수출흐름에 정

*우리수출中 로벌투자수요에 향받는비 은47.9%, 세계평균(33.7%)상회(KDI)

ㅇ 다만,멕시코 등 우리 수출비 이 높은 국가들의 경우, 美통상마찰

등으로 인한 경기둔화 가능성에 해 면 한 모니터링 필요

*수출비 (%,’16.1~10):(멕시코)2.0(사우디)1.2(러시아)1.0(라질)0.9(남아공)0.2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박창규 사무 (044-215-2736)

- 31 -

(참고9) 국경 험 요인 검

( 험요인)‘17년 국경제는 목표 성장경로 하의 안정 인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상되나 투자․부채 등 험요인이 잠재한 상황

① (부동산 과열)주택구매· 출 제한 등으로 주택시장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나,향후 격한 둔화시 투자 축 등 부정 향 우려

*10월 책 발표 직후 신규주택가격 상승률 둔화(9월 :1.8%→ 10월 :1.0%)

-다만,주택공 부족,잠재 수요*등 주택가격 상승요인도 상존

*열악한 주거시설,도시화율 상승 추이 감안시 ‘20년까지 1억명 도시이주수요 발생

② (기업부채 증가)기업부채와 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어 시스템

리스크 가능성은 제한 이나 최근 부실채권 증가 등은 험요인

*기업부채· 의 동반증가(GDP 비,%):(‘08)97/52→ (’15)165/98

*5大은행 부실채권 규모/증가율(천억 안,%):(’13)2.6/4.2(‘14)3.6/36.5(’15)5.3/48.8

③ ( 융불안)해외 M&A 등 외자산 수요 증가*로 자본유출

압력이 증 되는 가운데,내외 리차 축소 등으로 안화 약세

* 국 직 투자 자본유출입(십억불):(‘14)960(’15)30(‘16.1~10)△1,092(순유출)

도시규모별 주택가격상승률 국 기업부채 추이 자본유출액과 안화환율

-2

0

2

4

6

13.10 14.10 15.10 16.10

2선

3선1선

(%)

98

169

60

100

140

180

07 09 11 13 15

(GDP 비 %)

16

-2

-1

0

1

2

13.1 14.1 15.1 16.1

5.5

6.0

6.5

7.0

자본유출(좌)

위안화 환율( )

(천억 ) (위안/달러)

출처 : 국국가통계국, 련 회 출처 :WIND,BIS 출처 : 국 인민은행

④ (美-中 통상마찰)美 新정부가 中 무역 수지 균형을 목표로

극 무역규제 조치시 수출 감소에 따른 경기 하방압력 가능성

*‘15년 미국의 中무역 자는 3,657억달러로 美무역 자 49.6% 차지

(평가) 기발생 가능성은 제한 이나,美 리인상,美 新정부의

강경 통상정책이 결합될 경우 불확실성 확산 가능성

ㅇ 국 불안시 부정 향*에 응하여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韓中 FTA활용도 제고,신시장 개척 등 기회 요인 활용

* 국 성장률 1%p둔화시 우리 경제 성장률 0.21%p둔화(KDI,'15.11)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김경록 사무 (044-215-2773)

- 32 -

(참고10) 최근 럽 치불안 동향과 망

(동향)최근 국을 비롯한 유로존 각국에서 反EU움직임 두

① ( 국)EU탈퇴를 해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는 고등법원 결

(11월)에 해 英정부는 법원 상고(’17년 1월 결 정)

※ 국민투표(6월) 이후 파운드 약세 이외 성장․주가 영향은 제한적(☞그림)

* 英 분기별 성장률(전기비, %) : (’15.3/4)0.3 (4/4)0.7 (’16.1/4)0.4 (2/4)0.7 (3/4)0.5

② (유로존 국가)장기간 경기 부진 이민자 문제 등으로 최근

反EU정당 지지율이 상승하는 등 자국 우선주의 정서 확산

*EU내 난민 신청건수(천명):(’12)335(’13)431(’14)627(’15)1,333

-이탈리아는 국민투표 부결 이후 오성운동(유로존 탈퇴 주장)약진,

랑스의 르펜 후보(EU탈퇴 주장)도 최근 유력 선후보로 두

국 주가 운드화 환율 유럽 정치 일정

1.1

1.2

1.3

1.4

1.5

1.6

16.1 16.3 16.5 16.7 16.9 16.11

5500

6000

6500

7000

7500

환율(좌) 주가( )

(파 드/달러) 브 시트 민투

가결(6.24)

날 짜 일 정 주 요 내 용

17.3월 시트 英리스본조약50조발동 정

17.3월 和총선 자유당,EU탈퇴 주장

17.4~5월 佛 선 마린르펜(국민 선),EU탈퇴주장

17.9월 獨총선 AfD,EU탈퇴 주장

18.5월 伊총선오성운동,유로존 탈퇴 주장(‘17년 총선 가능성)

( 망)英 고등법원 결 인용시 소 트 시트 가능성 확 ,

여타국의 경우에도 EU·유로존 탈퇴 가능성은 제한

① (국) 법원이 고등법원 결 인용시 EU탈퇴를 한 의회승인 필요

-국민투표 번복은 쉽지 않으나 의회에서 단일시장 탈퇴에 한

의견이 립 인만큼 소 트 시트*가능성 두

*단일시장 근권을유지한EU탈퇴로서완 단 을의미하는하드 시트와 비

② (유로존 국가)反EU정당들의 지지율이 상승하고 있으나 실제

집권 가능성과 련해서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

*(佛)여론조사상피용후보가르펜보다우세 (伊)선거법개정시오성운동집권에불리

-통화 하에 따른 국가부채 부담․교역둔화 등 부작용,복잡한

탈퇴 차*등 감안시 실제 EU·유로존 탈퇴 가능성은 제한

*이탈리아의 경우 국민투표 前 의회승인 필요,승인이후에도 헌법재 소 검토 필요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박창규 사무 (044-215-2736)

- 33 -

2. 국 원자재가격 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 (국 가) '17년 평균 51$/B 상(두 이 )

ㅇ 국제유가는 OPEC감산합의에 따른 과잉공 완화,세계 경제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등으로 완만한 상승세 상

-다만,美 셰일오일 생산증가,미국의 통 에 지 확 정책,

OPEC감산합의 이행차질 가능성 등 하방 리스크 상존

*최근 셰일오일 한계생산비용(40~60$/B)감안시 유가상승이 60$수 에서 제한 가능성

주요 기 들의 ‘17년 국제유가 망 ($/B,기간평균)

기( 망시 )

유종 ‘14 ‘15‘16 ‘17

연간 4/4 연간 1/4 2/4 3/4 4/4IMF('16.10월) Dubai

97 5141 - 48 - - - -

에경연('16.11월)Dubai 41 47 52 48 51 53 54CERA('16.12월)Dubai 41 48 52 50 52 53 52EIA(‘16.12월) Brent 99 54 43 48 52 50 50 52 55

ㅇ (가스·석탄)유가회복 등에 따라 천연가스 석탄가격은 완만한

상승이 상되나 국의 증산정책 환 등은 변동 요인

*에 지 상품가격지수('16.10,IMF):('14)176.9('15)97.6('16)81.1('17e)93.8

* 국은 석탄생산 억제정책을 추진하 으나 최근 가격 등으로 증산 허용(‘16.9월)

◇ (국 곡 ․비철 속) 완만한 상승 , 일부 불확실 상존

ㅇ (비철 속)공 감소 등으로 진 가격 상승이 상되나,

국 등 신흥국 경기 상황에 따라 변동성 확 가능

국제곡물·비철 속 가격 상승률 망

(년비,%) 옥수수 두 알루미늄 구리 니 아연’16년 △4.6 △19.9 +5.5 △3.6 △13.6 △19.9 +5.4’17년 +5.8 +2.2 △1.0 +6.2 +1.6 +9.8 +12.9

*출처 :IMF('16.10월)

ㅇ (국제곡물)재고감소,에 지 가격 회복 등으로 가격상승이

상되나 기상여건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이 상존

*세계 곡물 재고율(%,기말재고/기간소비,美 농무부):(’15)23.5(’16e)24.8(’17e)24.6

- 34 -

3. 국 시장 미국發 리스크 등 로 변동 지속

◇ (주가․환 ․ 리) 주가․환 차별화, 리는 로벌 동조화

ㅇ (주가)선진국 증시는 美 新정부 경기부양 기 등 상방 요인이

우세하나 신흥국 증시는 자 유출 등으로 하방압력 상

ㅇ (환율)달러화 강세 심화시 엔화 약세 확 가능성이 있으며

안화 등 신흥국 통화의 변동 가능성

ㅇ ( 리)선진국 리는 트럼 당선 이후 동반상승하고 있으나

통화정책 기조,경제상황 등에 따라 차별화 망

*‘16.12월 FOMC에서 '17년 리인상 횟수 망 상향 조정(2→3차례)

-신흥국은 美 리 상승,보호무역주의,자본유출 우려 등으로

펀더멘탈 취약 국가를 심으로 리 상승폭 확 가능성

※ 美 리인상에 른 로벌 통화 책 여건 변화 가능 : 참고 11

주요국 주가 엔화․ 안화 환율 주요국 리

80

90

100

110

120

130

신흥

16.1 4 7 10

(2016.1.4=100)

트럼프

당선

95

100

105

110

115

120

125

6.4

6.5

6.6

6.7

6.8

6.9

7.0엔/달러(좌)

위안/달러( )

16.1 4 7 10-1.5

-0.5

0.5

1.5

2.5

3.5

0

1

2

3

4

5

6

미 (좌) 일(좌)

EMBI+( )

(%) (%)

16.1 4 7 10

*출처 :Bloomberg *출처 :Bloomberg *출처 :Bloomberg

◇ (자 출입) 신흥국 → 진국 로 향 환 가능

ㅇ ‘16.3/4분기까지 신흥국으로 주식․채권자 이 유입되었으나,

美 선 이후 리상승,달러강세 등으로 유출로 환 가능성

선진국 자 유출입 변화 신흥국 자 유출입 변화

-20

-10

0

10

20

30

08 09 10 11 12 13 14 15 16.

1-11

주식 채

( 억 )

-10

-5

0

5

10

08 09 10 11 12 13 14 15 16.

1-11

주식 채( 억 )

*출처 :EPFR *출처 :EPFR

- 35 -

(참고11) 美 리인상에 른 로벌 통화 책 여건 변화 가능

(검토배경)‘16.12월 美 연 은 1년만에 추가 리인상(25bp)을

단행한 가운데 당 상보다 빠른 ’17년 3회의 리인상을 시사

*12.14FOMC:25bp 리인상,'17년 리인상 횟수 망 상향(2→3차례)

ㅇ ‘08년 이후 지속된 완화 통화정책의 기조 환을 의미하는 가운데

세계경제에서의 미국 상 감안시 각국 정책여건에 향 상

세계경제에서의 미국의 상(‘15년)

세계GDP 세계무역액 무역결제통화 외환보유통화 해외차입액 로벌 유동성

15.4% 14.0% 41.1% 64.2% 49.3% 75.4%

*출처 :IMF,WTO,SWIFT,BIS

(美 리인상 향) 로벌 유동성 축소에 따른 리상승․

달러강세,달러화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 부담 증가 상

① ( 로벌 유동성 축소)‘08년 기 이후 로벌 유동성이 달러화를

심으로 증가해왔음을 감안시,미국 리인상에 따른 로벌

유동성 축소는 여타국 경기․ 융 긴축요인으로 작용

*시 리 상승,부동산․주식 등 자산 가격 하락,외국인투자자 유출 등

② ( 리상승․달러강세)美 리인상은 미국으로의 자본유입 요인

이며 로벌 리상승,달러화 강세(여타국 통화 약세)유발

③ (자본이동) 로벌 자 은 내외 리차 축소,취약국 펀더멘탈 우려

등으로 신흥국 → 선진국으로 이동하고,변동성 확 가능성

로벌 유동성 잔액 신흥국 포트폴리오 투자자 유출입

4

6

8

10

12

14

07말 09말 11말 13말 15말

달러 유 엔(조 )

9.9

(+4.2)

2.8

(+0.4)

5.7

2.4

-15-10-505

1015202530

13.1 14.1 15.1 16.1

주식 채

(십억 )

*출처 :BIS,GlobalLiquidityIndicator *출처 :IMFGFSR(16.10월)

- 36 -

(통화정책 여건 망)선진국보다는 신흥국 통화정책 제약 상

ㅇ (선진국)유로존․일본은 미약한 경기회복세,높은 실업률(유로존),

디 이션 압력 등 감안시 당분간 완화 통화정책 유지 상

-달러강세에 따른 유로화․엔화 약세는 인 이션 압력 증 ,

수출개선 효과 등 선진국 경제에 정 향

*일본은 달러강세의 정 향이 가장 큰 국가(‘16.12,국 센터)

ㅇ (신흥국)자본유출,통화가치 하락,달러표시 부채부담 증가 등

융불안 가능성이 큰 국가*일수록 통화정책에 제약

*홍콩․사우디 등 달러 페그제 국가는 美 통화정책에 연동되어 기 리 인상 필요

-통화 하의 수출진작 효과는 보호무역주의로 상쇄되는 반면

세계경제 불확실성 확 로 외채상환․자본유출 압력은 확 가능성

* 라질․터키 등 주요 신흥국의 달러표시 부채비 (외화표시 부채 60~90%)이

달러화무역결제비 (40~50%)를상회하여원리 상환부담이우세(‘16.12,국 센터)

(평가와 시사 )美 리인상이 지속될 경우 펀더멘탈이 취약한

신흥국부터 부정 향이 확 될 가능성

ㅇ 우리나라의 경우 양호한 외건 성 감안시 취약신흥국 불안이

이될 가능성은 낮지만,국제 융시장 변동성 확 가능성 등

감안시 美 리인상에 비한 리스크 리 강화 필요

① 경기․리스크 리,경상흑자,외채구조 리 등 외건 성

리를 통한 펀더멘탈 차별화 노력 지속

② 통화정책 제약 상황 감안시, 통 통화정책 외에도 시장

유동성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방안 강구

-아울러 융시장․자본유출입 변동성 확 가능성에 응하여

거시건 성 조치 보완 필요

③ 시 리 상승에 응하여 취약가계․ 소기업에 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융기 의 건 성 유지 노력 지속

작성자: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 김 환 장(044-215-2934)

경제정책국 종합정책과 백 리 사무 (044-215-2713)

- 37 -

Ⅲ. 2017년 경 망

1. 경 장

(1) (실질 GDP) '16년과 사한 연간 2.6% 장 망

□ (성장흐름)내수가 차 둔화되며 연간 2.6% 성장 상

ㅇ 상반기는 재정조기집행,노후차 개소세 감면 등으로 ‘16.4/4분기

부진에서 반등하겠으나 美 新정부 출범 등 불확실성 확 상

ㅇ 하반기는 민간소비․건설투자 둔화,구조조정 효과 가시화 등

으로 내수가 둔화되며 회복 모멘텀이 다소 약화될 망

□ (내수․수출)내수회복세가 약화되겠으나 수출은 개선 상

ㅇ 내수는 설비투자 반등에도 불구 유가상승, 리상승 압력 등

내수여건 악화,건설투자 둔화 등으로 회복모멘텀 약화 상

ㅇ 수출은 세계교역량 회복,주력상품 업황 개선 등으로 개선

되겠으나 국 둔화,보호무역주의 등으로 회복세는 제한

GDP성장률과 내수(재고제외)증가율 한국과 국 성장률

1

2

3

4

13 14 15 16 17

내수 가율 GDP 성장률(%)

0

4

8

12

16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0

1

2

3

4

5

6

7

(좌)

한 ( )

(%)

e

*출처 :한국은행 **‘16~’17은 정부 망 *출처 :IMF **한국 ‘16~’17은 정부 망

(2) (경상 GDP) 연간 3.8% 장 망

□ 유가상승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확 되겠으나 교역조건이

악화되며 디 이터 상승률은 1.2%로 둔화 상

ㅇ 경상성장률은 ‘16년(4.0%)보다 둔화된 연간 3.8% 상

- 38 -

(3) (민간소비) 연간 2.0% 증가 상

(소득여건)최 임 인상 등 소득기반 확충 정책은 정 이나

고용여건 악화 등으로 실질구매력 증가세 둔화 상

*최 임 인상률(%):(’12)6.0(’13)6.1(’14)7.2(’15)7.1(’16)8.1(’17e)7.3

*복지 산(‘16→’17,조원):(기 연 )7.9→8.1(생계 여)3.3→3.7(구직 여)5.1→5.3

(자산여건)美 리인상 등에 따른 자산시장의 불확실성,

거래량 둔화는 련 서비스 소비지출 제약 요인

가계 실질구매력1)과 민간소비 주택거래량과 련 소비․서비스업

-10

-5

0

5

10

06 08 10 12 14 16

실 매

민간소비

(전년 비, %)

0

5

10

15

13.1/4 14.1/4 15.1/4 16.1/4

-10

-5

0

5

10

15주택거래량(좌) 가 판매( )

산·임 업( )(만호) (%)

주1)실질구매력 =실질임 ×취업자수*출처 :통계청,한국은행,고용노동부

*출처 :한국감정원,통계청

(기타)부채 상환부담,기 여명 증가에 따른 소비성향 하락,

소비심리 부진은 제약요인이나 소비활성화 책은 정 향

*소비자심리지수(한은):(8)101.8(9)101.7(10)101.9(11)95.8(12)94.2

※ 가계부채·고 화가 소비에 미치는 향 : 참고 12

ㅇ 자동차․휴 폰 등 내구재 소비가 둔화되고 있으나 노후경유차

교체 지원(~6월),단통법 일몰(9월)등으로 소비활력 보완 상

주담 분할상환비 과 가계 축률(%) 내구재 소비와 민간소비

0

20

40

60

11 12 13 14 15 16 17

0

2

4

6

8

10할상환(좌)

가계순저축률( )

0

1

2

3

4

13.1/4 14.1/4 15.1/4 16.1/4

-5

0

5

10

15

20

민간소비 내 재

(전년 비, %)

*출처 :한국은행, 융 *출처 :한국은행

(‘17년 망)유가상승 등에 따른 실질구매력 증가세 둔화,내구재

소비 둔화 등으로 ‘16년(2.4%)보다 낮은 2.0% 증가 망

- 39 -

(참고12) 가계부채·고 화가 소비에 미치는 향

(검토배경)‘12년 이후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이 하락하면서 가계의

순 축률이 빠르게 상승

ㅇ 실질 국민총소득(GDI)과 민간소비간 격차도 ‘03년 카드사태․’08년

로벌 융 기 수 으로 확 → ‘번 만큼 쓰지 않는’구조 지속

⇒ 구조 소비 제약요인인 ①가계부채,②고령화의 향 검

평균소비성향과 가계순 축률 실질GDI와 민간소비

0

2

4

6

8

10

03 05 07 09 11 13 15

70

72

74

76

78

80

가계 순저축률(좌)

평 소비성향( )

(%) (%)

-5

0

5

10

00 02 04 06 08 10 12 14 16

A-B 실 GDI(A)

민간소비(B)

(%, %p)

카드사태 위

*출처 :한국은행,통계청 *출처 :한국은행

(가계부채·고령화 향)가계부채는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

감소를 통해 고령화는 비 축 증가를 통해 소비를 제약

① (가계부채)가계부채 증가시 유동성 제약을 완화하여 소비를 진하는

‘유동성 효과’와 함께 소비를 제약하는 ‘원리 상환부담 효과’발생

(i)‘05년 이후 유동성․원리 상환부담 효과 분해시,’15년까지는

’08~‘09년을 제외하고 유동성 효과가 더 크며 소비에 정 향

- 리 기조,가계부채 규모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나,

융 기 당시에는 실질소득 감소 등으로 상환부담이 더 크게 발생

*가계 출 리(평잔기 ,%):(’05)6.3(’09)6.4(’13)4.5(’15)3.4(‘16.1~10)3.3

*가계신용(조원,기말):(’05)543(’09)776(’13)1,019(’15)1,203(‘16.3/4)1,296

(ii)향후에는 주담 분할상환 확 ,美 리인상 향으로 원리

상환부담이 증가하며 가계부채가 소비를 제약할 가능성

가계부채 증가가 소비에 미치는 향 분해1) 주담 분할상환 비 과 DSR비율(%)

-1

0

1

2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합계 유 성 상환 담(%p)

0

20

40

60

10 11 12 13 14 15 16 17

10

20

30

할상환비 (좌)

DSR( )

(%)

주1)(+)방향은 소비확 ,(-)방향은 소비제약 의미

*출처 :기획재정부 자체시산

주)‘16,‘17년 분할상환 비 은 목표치

*출처 : 융 ,가계 융복지조사

- 40 -

② (고령화)기 여명 증가에 따른 비 축 증 ,고령층 인구

비 증가 등이 소비성향에 부정 으로 작용

(i)’03~’15년 간 소비성향 변화를 시산한 결과,기 여명 증가로

소비성향이 연평균 0.22%p내외 하락

-연령별로 보면 기 여명 증가에 처할 기간이 짧은 고령층의

소비성향 감소가 상 으로 큰 편(60 이상 감소폭은 40 의 약 3배)

*기 여명 증가(’03→’15년,년):(39세 이하)4.7(40 )4.5(50 )4.3(60세 이상)3.8

소비성향 변화(’03→15년,%p): △0.14 △0.16 △0.21 △0.45

(ii)고령층 인구비 확 로 연평균 소비성향 0.23%p 축

-상 으로 소비성향이 낮은 고령층 가구 비 이 증가하며

체 소비성향 하락세를 주도하는 모습

소비성향 감소폭/기 여명 증가폭 비율 연령 별 소비성향과 가구비 변화

-0.03 -0.04-0.05

-0.12-0.15

-0.12

-0.09

-0.06

-0.03

0.00

39세 이하 40 50 60세 이상

(03→15년, 연평 , %p)-20

-10

0

10

20

39세 이하 40 50 60 이상

60

65

70

75

80

가 비 화(03→15년, %p, 좌)

소비성향(15, %, )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iii)다만 향후기 여명안정,연 수 확 등으로고령화 향완화 상

*우리보다 20년 앞서 고령화에 어든 日의 경우 ’00년 들어 소비성향 반등

기 수명(세),연 수 액(조원)추이 한국·일본 평균소비성향 추이

76

78

80

82

84

86

88

01 05 09 13 17

0

100

200

300민연 수 액( )

여명(좌)일본 : 83.7세

65

70

75

80

85

93/

72

03/

82

13/

92

23/

02

33/

12

한 (1993~2015)

일본(1972~2014)

(%)

*출처 :국민연 연구원,통계청 *출처:통계청,OECD

(시사 )당분간 가계부채 상환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고령화도

소비성향을 제약하며 성장 부담요인으로 작용 상

ㅇ 리 출,서민 융 확 등을 통해 가계의 원리 상환부담을

경감시키고,다층 연 체계 구축,실물자산 유동화 지원 등을

통해 노후 소득불안 완화 노력 지속 필요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홍승균 사무 (044-215-2735)

- 41 -

(4) ( 비 자) 연간 2.8% 증가 망

(투자여건)어려운 여건이 지속되나 신산업투자 지원 등은 개선요인

ㅇ 제조업 가동률 하락추세,구조조정에 따른 설비감축, 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기업심리회복 지연 등 제약요인 지속 상

*제조업 경 애로사항(한은,%):(불확실성)21.3(수출부진)11.3(경쟁심화)10.0

ㅇ 다만 수출부진이 완화되는 가운데 기업 업이익 개선,설비투자

조정압력 증가 환 등은 설비투자 회복에 정 지표

*기업 업이익률(%):(‘13)4.1(’14)4.0(‘15)4.7(’16.3/4)5.7

-신산업․유망서비스업 육성,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한시

확 ,규제개 ․규제 리존 등 정책효과도 개선요인

상품수출과 설비투자조정압력 제조업 평균 가동률

-15

-10

-5

0

5

10

13.1/4 14.1/4 15.1/4 16.1/4

-4

-3

-2

-1

0

1

2수출(좌)

설비투자 조정압 ( )(전년 비, %)

67

72

77

82

13.1 14.1 15.1 16.1

융 위 전 평 (00.1~08.7): 77.3%(%)

*출처 :한국은행 *출처 :통계청

(업종별 여건)IT업종을 심으로 투자 증가 상

ㅇ 스마트폰․SSD수요 증가로 반도체․디스 이 부문의 규모

투자가 상되며 수익성이 개선된 정보통신업 투자도 정

*SSD시장(‘16→’17년,IHS,억불):164→180,SSD內 3D낸드 비 (%):22→42

*OLED패 시장(‘16→’17년,IHS,억불):139→166,스마트폰OLED비 (%):22→30

ㅇ 다만,구조조정 향으로 조선․철강 업종 투자는 부진 지속 상

*‘17년 투자계획(산업은행, 년비,%):(조선)△20.1(철강)△13.2

(‘17년 망)수출회복․IT업종 업황 개선,新산업 정책효과

등으로 ‘16년 부진(△3.3%)에서 반등한 2.8% 증가 망

- 42 -

(5) (건 자) 연간 4.0% 증가 망

(주택건설)주택건설 기성액은 높은 수 을 유지하겠으나

기 효과,착공면 (선행지표)감소, 공물량 증가 감안시 둔화 상

* 공물량(만호,주산연):(’14)43.1(’15)46.0(’16e)54.5(’17e)60.6

ㅇ 주택거래량 둔화,미분양 주택 증가 등도 건설투자 제약요인

ㅇ 다만,아 트 건설시차(약 30개월 내외),‘16~’17년 상당한 수 의

분양물량 감안시 주택투자 증가세는 유지 망

*분양물량(만호,건산연):(’14)34.5(‘15)52.5(‘16e)45.0(‘17e)38.0

※ 주택시장과 건 경 평가 망 : 참고 13

주택착공면 과 건설기성 추이 주택거래량과 미분양

6

10

14

18

22

13.1/4 14.1/4 15.1/4 16.1/4

4

7

10

13

주거 착공면적(좌) 건축 성( )

( 만, m2) (경상, 조 )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3.1 7 14.1 7 15.1 7 16.1 7

23

45

67

89

10미 양( )

주택거래량(12개 누적, 좌)

(만호)

*출처 :국토교통부,통계청 *출처 :국토교통부,통계청

(비주거용 건물건설)평창올림픽 비 호텔․ 특구 건설수요

등으로완만한 증가세가 상되나,오피스 공실률 상승 등은 제약요인

*평창․강릉 일 1,000실 내외 호텔 다수 신축,강릉 한옥단지 조성 등

*상업용 빌딩 공실률(%):(‘15.3/4)12.6(4/4)13.0(‘16.1/4)13.4(2/4)13.4

(토목건설)SOC 산 감소 등으로 토목건설 둔화 상

*SOC 산(조원):(‘15)26.1(’16)23.7(‘17)22.1(’16년 비 △6.6%)

ㅇ 다만 석유화학․바이오부문의 랜트 건설 확 ,공공기

투자확 등이 토목건설 부진 보완 상

* 랜트 투자( 년동기비,%):(‘16.1/4)△9.0(2/4)41.2(3/4)56.2

*‘17년 공공기 투자를 공공임 주택,뉴스테이,송배 ,신재생에 지,

원 내진보강 등 필수 공공서비스․신산업 심으로 7조원 확

(‘17년 망)’16년 두자릿수 증가(10.8%)에서 ’17년 4.0%로 둔화 상

- 43 -

(참고13) 주택시장과 건 경 평가 망

(검토 배경)최근 신규주택 공 이 활성화되며 주거용 건물

(건설투자의 34%)을 심으로 건설투자가 성장을 견인하는 모습

ㅇ 향후 주택 시장이 수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이로 인한 건설경기

축이 우리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

건설투자 증가 추이 GDP성장률 건설투자 기여도

-10-5

05

1015

2025

11 12 13 14 15 16

건설투자 주거 건물

(전년 비, %)

0

1

2

3

4

5

15.1/4 2/4 3/4 4/4 16.1/4 2/4 3/4

GDP 성장률(%)

건설투자 여 (%p)

(전년 비, %, %p)

*출처 :한국은행(‘16년은 1/4~3/4분기) *출처 :한국은행

(최근 동향 평가)신규주택 공 이 확 되었으나,건설경기가

장기 추세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

① (주택시장)‘16년 분양물량이 ’15년 비 감소하 으나 여 히

높은 수 이며,미분양 물량 거래량도 안정

*미분양 물량 추이(만호):(’12)7.5(’13)6.1(’14)4.0(’15)6.2(’16.10)5.8

*주택 거래량추이(만건):(’12)73.5(’13)85.2(’14)100.5(’15)119.4(’16.1~11)96.4

ㅇ 수도권 심의 재건축 이주수요,높은 세가율,자가보유율

수 등 고려시 신규주택 수요기반이 양호

*아 트 평균 세가율(%):(’12)65.0(’13)68.7(’14)70.3(’15)73.4(’16)74.5

*자가보유율(%):(’06)61.0(’08)60.9(’10)60.3(’12)58.4(’14)58.0

ㅇ 다만,입주물량 증가, 리상승 등에 따라 최근 주택 매수심리가 약화

*주택가격 망CSI:(’15.11)113(’16.9)112(10)114(11)107

아 트 분양 물량 추이 주택 인허가 착공물량 추이

0

20

40

6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양물량

'11~'15년 평 : 35만호(만호)

0

20

40

60

80

10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인허가물량 착공물량(만호)

*출처 :국토교통부 *출처 :국토교통부

- 44 -

② (건설경기)최근 건설기성이 높은 수 을 유지하고 있으나

장기 추세로 평가 시 건설투자 규모는 평균 수

*월평균 건설기성액(계 조정,조원):(‘14)7.5(‘15)7.6(’16.上)8.7(3/4)9.2(10)8.9

ㅇ GDP 비 건설투자 비 이 지속 으로 하락했고,국제 으로도

국토 활용도가 높은 국가들과 비교시 높지 않은 수

*‘16년(1~3분기)은 수출 부진 등으로 건설투자 성장 기여율(51.4%)이 다소 높은 측면 :

동기간수출증가율(년동기비1.8%)이 과거 5년 평균(5.5%)유지시 29.9%로 하락

GDP 비 건설투자 비 추이 GDP 비 건설투자 비 국제 비교

5

10

15

20

25

61 66 71 76 81 86 91 96 01 06 11 16

(%)

장 추세5

10

15

20한 일본

뉴랜드

스페인

프랑스

호주

노르

캐나다

(%) [유사소득 가] [ 토면적 넓은 가]

*출처 :한국은행(‘16년은 1~3분기) *출처 :OECD(‘14년 기 )

(향후 망)향후 주택시장은 ’15~’16년 분양물량 증에 따른

공 증가 등으로 분양이 완만히 감소하는 등 조정 상

*주택수 :’17년 공물량 61만호(주산硏),연평균 수요 39만호(국토硏)

ㅇ 다만,①분양→건설 시차,②하강 국면이 더 완만한 건설경기 특징,③비주거 건설 호조 등 감안시 건설경기 락가능성은 제한

*① 아 트 분양시 약 30개월 간 건설기성 반 ,② 경기 수축기 분양은 지속하되

목표 업이익률을 조정,③ 임 수익률 호조 평창올림픽 련 수요 등

주거용 건물투자와 공정률 반 분양물량1)과거 건설경기 상승 -하강 국면 비교

02

468

10

1214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0

5

10

15

20

25

공정률 양물량(좌)

주거 건물 투자( )

(만호) (조 )

e-20

-10

0

10

20

30

t+0 t+2 t+4 t+6 t+8 t+10 t+12 t+14 t+16 t+18

00-04 건설 15-16 건설

00-04 주택 15-16 주택

(전년 비, 3MA, %)

주1)분양물량을 공정률(약30개월)에 맞춰 배분

→ 주거용 건물기성의 리지표로 사용

*출처 :한국은행,부동산114

*출처 :한국은행

(시사 )지역별 맞춤형 부동산 책,시장상황을 감안한 매매수요

보완 등 주택시장 안정 유지,향후 SOC 산의 탄력 활용 등 강구

작성자: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김경록 사무 (044-215-2733)

경제정책국 부동산정책 이명선 사무 (044-215-2852)

- 45 -

(6) (지식재산생산 자) 연간 2.9% 증가 망

(R&D투자)민간부문을 심으로 개선세 강화 망

ㅇ 민간 R&D는 핵심 업종인 IT부문(민간 R&D의 약 52%차지)실

개선 망에 따라 진 투자 확 상

*IT기업 매출액 업이익률(%,FnGuide):('15)10.7('16e)11.0('17e)12.2

-‘17년 연구인력 고용 증가․인건비 상승 신규 도입 정인

신산업 R&D세액공제 강화*등도 R&D투자에 정 요인

*산산업 R&D세액공제율 확 ,신산업 기술 사업화 세액공제 신설 등

ㅇ 다만,정부 R&D 산 증가세 둔화는 제약요인으로 작용 상

*R&D 산규모(조원):(‘15)18.9(’16)19.1(‘17e)19.5(1.9%↑)

세계 IT시장과 지식재산생산물 투자 문,과학,기술서비스업취업자 임

-10

-5

0

5

10

10 11 12 13 14 15 16 17

세계 IT 시장

재투자

(%)

e e-60-40-20

020406080

100

14.1 7 15.1 7 16.1 7

-5

0

5

10

15

취업자 감(좌)

인건비( )

(전년 비, 천명) (전년 비, %)

*출처 :Gartner,‘16~’17년 지재투자는 정부 망치 *출처 :통계청,고용노동부 **3개월 이동평균

(기타 지식재산생산물)소 트웨어 제값주기 문화 확산* 새로운

기술 트 드 두에 따른 SW 수요 증 **등으로 투자 확 상

*소 트웨어 제값주기 홍보 우수기 선정,하도 행 개선 등

**지능형 교통시스템,스마트그리드,사물인터넷,O2O등

기타지식재산생산물과 S/W 개발업 소 트웨어 생산량 추이

-10

-5

0

5

10

15

13.1/4 14.1/4 15.1/4 16.1/4

타 식재산생산 SW공 개 업

(전년 비, %)

2.0

2.5

3.0

3.5

4.0

4.5

5.0

14.1 7 15.1 7 16.1 7

(3개 이 평 , 조 )

*출처 :한국은행,통계청 *출처 :한국정보통신진흥 회

(‘17년 망)IT업종의 R&D투자와 련 SW 투자를 심으로

‘16년(2.4%)보다 개선된 2.9% 증가 망

- 46 -

2. 고 용 : 취업자 26만명 증가 망

(노동 요) 조업 부진 지속, 비스업․자 업 증가 상

ㅇ (기업 인력사정) 외 불확실성 확 에 따른 기업심리 축,

창업․투자부진,구조조정 등으로 신규 구인수요 둔화 상

*신규채용(년동기비,천명):(’16.1/4)10.0(2/4)△2.1(3/4)△2.2(10월)△12.7

*조선업은 ’16~‘17년 기간 5.6~6.3만명 고용조정 상(조선 회,‘16.6)

인력사정 망 BSI1) 신설법인수와 창업배율2)

80

85

90

95

100

105

110

13.1 7 14.1 7 15.1 7 16.1 7

전산업 제조업

비제조업전산업 최근 10년 평

: 93.3

5,000

6,000

7,000

8,000

9,000

14.1 7 15.1 7 16.1 7

0

50

100

150

200

250

300

신설 인수(좌)

창업 율( )

(개) ( )

주1)BSI지수가 높을수록 인력과잉 의미

*출처 :한국은행

주2)창업배율=신설법인수/부도법인수

*출처 : 소기업청,한국은행

ㅇ (산업별)제조업은 수출회복세가 미약한 가운데 조선․철강 등

주력산업 구조조정으로 인력수요 부진 지속 가능성

-서비스업은 의료․사회 서비스 수요 확 등으로 보건․복지업을

심으로 인력수요가 증가하겠으나 내수둔화는 제약요인

*보건‧복지업취업자( 년동기비,만명):(’16.1/4)5.6(2/4)8.9(7~11)9.3

ㅇ (기타)자 업은 과당경쟁에도 불구하고 고령화,기업 구조조정

등에 따른 장년층 유입 확 로 증가 망

산업별 취업자 증감 추이 자 업자 규모와 비 추이

-20

0

20

40

60

14.7 15.1 7 16.1 7

제조업 서비스업

(전년 비, 만명)

-20-15

-10-5

05

1015

20

15.1 5 9 16.1 5 9

20.0

20.5

21.0

21.5

22.0

22.5

자 업자 감(좌)

취업자 자업업자 비 ( )

(전년 비, 만명) (%)

*출처:한국은행 *출처:통계청

- 47 -

(노동공 ) 여 ․청년․장년 심의 경 활동 참여 확 지속

ㅇ 여성과 청년층은 맞춤형 지원정책,맞벌이 부부 증가 등으로

노동시장 진입이 지속 확 될 망

*맞벌이 가구수(만가구):(‘12)509.7(‘13)505.5(’14)518.6(‘15)520.6

ㅇ 50 이상 장년층은 인구가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노후 비를

한 노동시장 잔류 등으로 경제활동 참여 확 지속

ㅇ 다만,‘17년 생산가능인구 감소 환,상 으로 경활율이 낮은

고령층 인구비 증가,노동생산성 둔화 등 구조 제약요인 상존

※ 고 화에 른 경 활동참가 변화 시사 : 참고 14

※ 노동생산 둔화요인 분 : 참고 15

청년․여성 경활인구 증감 평균인구증감(‘14~’16)․연령별경활참가율

16.322.1

34.7

19.3

9.28.013.1

-3.2

-20

-10

0

10

20

30

40

50

13년 14년 15년 16년 13년 14년 15년 16년

[ 청년 ] [ 여성 ](만명)

-20

-10

0

10

20

30

40

50

청년층 30 40 50 60 이상20

30

40

50

60

70

80

90

인 감(좌) 경제활 참가율( , 16년)

(만명) (%)

*출처 :통계청,‘16년은 1~11월 기 *출처 :통계청

( 타) 부 일자리 창출 책 , 비스업 고용둔화 우

ㅇ 청년․여성 맞춤형 고용 책 지속*,일자리 산** 폭 확 등

정부의 고용여건 개선 노력으로 추가 인 고용 창출 기

*신산업 등 양질의 일자리 확 ,육아휴직 지원 확 ,시간선택제 확산 등

*일자리 산(조원):(’16)15.8→(’17)17.1,직 일자리(만개):(’16)73.3→(’17)76.4

ㅇ 다만,고용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는 서비스업이 경기회복 지연,

청탁 지법 시행 등으로 축되면서 회복세 제약 우려

('17년 망) 취업자 26만명 증가 상

ㅇ ’17년 취업자 증가폭은 ‘16년(29만명)보다 둔화된 26만명 상

ㅇ 고용률(15~64세)은 ‘16년(66.0%)보다 개선된 66.5%,실업률은

’16년(3.8%)보다 소폭 상승한 3.9% 망

- 48 -

(참고14) 고 화에 른 경 활동참가 변화 시사

(고령화 향)고령화가 진행되고 은퇴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

ㅇ 경제활동참가율 하락으로 노동공 이 축소되고 생산인구 고령화

등으로 노동생산성이 둔화되며 성장에도 부정 향

*고령인구 비 1% 증가시 1인당 GDP0.55% 감소 분석(美 NBER,‘16.7월)

ㅇ 일본․ 랑스 등 선진국은 고령사회에 진입하며 상당기간 경제

활동참가율이 하락하 고 일본은 장기 경기침체를 함께 경험

* 체인구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 이 7%이상 고령화사회,14%이상

고령사회,20%이상 고령사회로 분류(UN)

고령사회 진입 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일본 경제활동참가율․성장률

93

95

97

99

101

T T+3 T+6 T+9 T+12 T+15

일본(1994)

프랑스(1979)

(%)

58

60

62

64

66

71 76 81 86 91 96 01 06 11-2

0

2

4

6

경제활 참가율(좌)

성장률 추세(HP 필터링, )

(고 화사회) (고 사회)

(초고 사회)

(%) (%)

*출처:OECD,ILO *출처:OECD

(경제활동참가율 동향)한국의 경우 ‘00년 고령화사회 진입 이후

하락세를 보 으나 ’09년 이후 장년․여성 심으로 증가세 환

ㅇ 노후 비 등으로 장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13년 이후 청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도 큰 폭 반등

ㅇ 다만,’17년 생산가능인구 감소 환,’18년 고령사회 진입 등

고령화 심화로 경제활동참가율도 차 하락 환 가능성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활동참가율 추정(연령 별 경활참가율은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가정):(‘15년)62.6%→(’20년)61.3%→(‘25년)60.1%

한국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한국 인구구조 변화 추이

55

57

59

61

63

00 03 06 09 12 1541

43

45

47

49

51

53

전체(좌) 청년( )여성( ) 장년( )

(%)

28

30

32

34

36

38

90 95 00 05 10 15 20 25 300

5

10

15

20

25

65세 이상 비 ( )

15~64세 인 (좌)

( 만명) (%)

고 사회 입

*출처:통계청 *출처: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49 -

(해외사례)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선진국들은 구조개 등으로

경제활동참가를 진하거나 출산율 제고 등 노력 강화

ㅇ (독일)‘03년 이후 하르츠개 등 노동시장 개 , 극 이민

정책 등으로 감소세를 보이던 경제활동참가율이 반등

*고용보호 완화, 견근로 규제완화,시간제 일자리 확 ,실업 여 축소 등

-독일은 ‘10년 고령사회 진입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참가율

개선세가 지속되며 성장 둔화를 보완

독일 경제활동참가율․유입인구 독일 경제활동참가율․성장률

52

54

56

58

60

62

72 77 82 87 92 97 02 07 120

5

10

15

20

유입인 ( )

경제활 참가율(좌)

고 사회 입

(%) (만명) 통일하르츠개혁

54

56

58

60

62

72 77 82 87 92 97 02 07 12

0

1

2

3

4경제활 참가율(좌)

성장률 추세(HP 필터링, )

(%) (%)

*출처:독일 통계청,OECD *출처:OECD

ㅇ (일본)아베노믹스의 일환으로 노동시장 유연화,여성 노동시장

참여 제고 등을 추진하여 ’12년 이후 경제활동참가율 상승 환

* 체경제활동참가율(%):(’11)59.3(‘12)59.1(‘13)59.3(‘14)59.5(‘15)59.6

여성경제활동참가율(%):(’11)48.3(‘12)48.2(‘13)48.9(‘14)49.2(‘15)49.6

ㅇ ( 랑스)출산에 한 재정지원 확 ,일․가정 양립정책 등을

통해 출산율을 제고하여 근본 으로 고령화 완화 노력을 지속

* 랑스 합계출산율(OECD,명):(’95)1.71(‘00)1.87(‘05)1.92(‘10)2.02

(시사 )고령화․인구감소에 따른 노동공 감소에 응하여

청년‧여성‧고령층 비경활인구의 노동시장 참가 제고 노력 필요

*OECD도 향후 노동투입 감소를 보완하기 해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청년‧여성‧고령층의 구조 고용 제약요인 해소 권고(‘16.5,OECD)

ㅇ 신산업육성 등으로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일․가정 양립 기반을 강화하여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진

ㅇ 노동시장 유연화, 략 인 우수 외국인력 유치 등과 함께

근본 인 출산율 제고 노력 등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보완

작성자: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 신동 사무 (044-215-2812)

- 50 -

(참고15) 노동생산 둔화 원인 분

□ ( 황) 로벌 융 기 이후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둔화되었으며

기 이 의 추세를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

ㅇ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성장률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 에서

정체되며 경기회복세를 제약하고 성장잠재력 둔화

*최근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고용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하락으로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 (J.Taylor,R.Barro교수,‘16.10)

※ 실질 GDP 장률 변동의 고용 면 여요인

GDP=GDP

(노동생산성)×취업자수

(고용률)×생산가능인구취업자수 생산가능인구

ㅇ OECD 주요국과 비교 시 우리나라 노동생산성은 하 권

노동생산성(부가가치 기 )추이 주요국 노동생산성 비교(‘15년)

60

70

80

90

100

110

120

01 03 05 07 09 11 13 15-4

-2

0

2

4

6

8

노 생산성(좌) 가율( )

성장률( )

(2010=100) (%)

0.0

0.5

1.0

1.5

2.0

멕시코

칠 터키

헝가리

포르투갈

한그리스

일본

OECD평

스페인

캐나다

이태리 일

호주

스 프랑스

스위스 에

노르

이미

셈르크

OECD 평 = 1

*출처:한국생산성본부 *출처:OECD

□ (원인)생산요소(자본‧노동)와 산업구조 요인이 복합 으로 작용

① (자본축 부진) 내외 불확실성 지속 등에 따른 설비․R&D

투자 부진으로 자본축 에 따른 노동생산성 제고 기반 약화

*노동생산성(Y/L)=자본생산성(Y/K)×자본심화도(K/L)

-노동생산성 증가에 한 자본축 기여도가 하락하고 있으며

R&D 투자부진은 장기 으로 총요소생산성에도 부정 향

설비․지식재산생산물 투자 추세 노동생산성 증가 요인별 기여도

-0.5

0.0

0.5

1.0

1.5

2.0

2.5

3.0

00 02 04 06 08 10 12 14 16

설비투자(HP 필터링)

식재산생산물투자(HP 필터링)

(%)

-4

-2

0

2

4

6

8

01 03 05 07 09 11 13 15

자본심화

자본생산성

(%p)

*출처:한국은행 *출처:한국은행

- 51 -

② (노동효율성 하)생산인구가 고령화되고 조기 은퇴자들은

교육․훈련 부족 등으로 부가가치 서비스업으로 집 유입

*한국은 고령층의 숙련 수 이 OECD평균에 비해 낮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의

교육․학습 참여율이 OECD하 권(OECD보고서,‘16.5월)

-청년층 고용 미스매치,여성 경력단 등으로 업무능력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노동시장 참가율이 낮아 생산성 제약

장년층 산업별 취업자 증감(‘15년) 청년(15~24세)․여성 고용지표(‘15년)

6.0

29.5

7.2 4.8 5.9

32.1

0

10

20

30

40

전체 제조업 서비스업 소매 숙 음식 보건사회

(전년비, 만명)

0

1020

30

40

5060

70

경제활 참가율 고 률 경제활 참가율 고 률

한 OECD평

[ 청년 ] [ 여성 ](%)

*출처:통계청 *출처:통계청,OECD

③ (산업구조 요인)진입․행 규제 등으로 서비스업 생산성이

주요국․제조업 비 매우 낮아 경제 반의 생산성을 제약

-최근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한계기업 증가,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등으로 제조업 부문의 생산성 증가율도 크게 둔화

*한계기업 비 (최근 3년간 이자보상배율 1미만,%):(‘09)10.4→(‘15)14.7

제조업 비 서비스업 생산성(‘13년) 산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

2030

40506070

8090

한 미 일본 일 프랑스

(%) OECD 평

-6

-3

0

3

6

9

12

02 04 06 08 10 12 14

제조업 서비스업

(%)

*출처:OECD *출처:한국생산성본부

□ (시사 )‘17년 생산가능인구 감소 환 감안시 인 자본의 질

제고,기술 신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 시

ㅇ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등 노동개 을 지속 추진하는 가운데

청년․여성․장년층에 한 맞춤형 일자리 지원 필요

ㅇ 설비․R&D 투자 확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산업․

기술간 융합,규제완화 등을 통한 4차 산업 명 응 노력 필요

작성자: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 신동 사무 (044-215-2812)

- 52 -

3. 소비자 가 : 연간 1.6% 상승

( 가 여건) 공 상 압 존재, 요 압 약화

ㅇ (공 )국제유가․곡물가격 상승 등으로 상승압력으로 환

-최근 FTA 확 등으로 국내물가와 해외물가의 동조성이

강해지고 있어 로벌 물가상승 망은 국내물가 상승 요인

*국내와 선진국간 소비자물가 상 계수:(‘00~11)0.49(’12~‘15)0.94

*소비자물가와 한 생산자물가도 로벌 요인 등으로 상승세 환 망

-지정학 리스크,기상여건 등 유가․농산물가격 불안요인도 상존

※ 생산자 가 동향과 향 : 참고 16

ㅇ (수요)기 인 이션(한은조사)은 2% 반을 지속하고 있으나,

내수 둔화 등으로 국내 수요측 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망

ㅇ (기타) 기요 진제 개편(‘16.12)은 ‘17년 물가 0.2%p하락 요인

한국․선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근원물가와 기 인 이션

0

2

4

6

01 03 05 07 09 11 13 15 17e

주 선

(전년비, %)

1

2

3

4

13.1 7 14.1 7 15.1 7 16.1 7

인플 이션

근 물가

(전년 비, %)

*출처 :통계청,IMF *출처 :통계청,한국은행

(부 별) 류, 에 지요 등이 상승 를 견인할 망

ㅇ (농축수산물) 반 으로 ‘16년보다 낮은 상승세를 보일 망

-농산물은 재배면 감소*에도,‘16년 기상재해(한 ‧폭염 등)에

따른 가격 상승이 기 효과로 작용하며 오름세 둔화 망

*’17년 재배면 망( 년비,%):(배추)△3.4(무)△2.5(양 )△5.9

-축산물은 사육마릿수 증가 등으로 상승폭 둔화가 상되나,조류

독감(AI)에 따른 계란 가격 상승세 지속 가능성 등은 리스크 요인

*AI사태 장기화시 체품(돼지고기),가공식품(빵,과자류)등도 상승 가능성

- 53 -

ㅇ (공업제품)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석유류‧가공식품 등을

심으로 상승세가 확 될 망

-석유류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오름세로 환되고 가공식품도

국제 곡물가격 상승 등으로 상승폭 확 상

*소비자물가상승률(‘16.1~11월)0.9% 석유류 기여도는 △0.42%p

-내구재 등은 매 진을 한 할인경쟁,단말기통신법

일몰도래(‘17.9월)등으로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상

ㅇ (개인서비스)내수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농축수산물 가격

안정 등으로 외식서비스 등은 상승세 둔화 상

-다만, ‧여행 등 외식 제외 서비스는 유가 상승 효과

반 등으로 상승세 지속 상

공업제품 가격동향 개인서비스 가격동향

-25

-20

-15

-10

-5

0

5

10

15

13.1 7 14.1 7 15.1 7 16.1 7

가공식

내 재

석유류

(전년 비, %)

0

1

2

3

4

13.1 7 14.1 7 15.1 7 16.1 7

개인서비스 식

식제

(전년 비, %)

*출처 :통계청 *출처 :통계청

ㅇ (공공요 ) 기요 인하( 진제 개편)에도 불구하고,유가

회복에 따른 도시가스 요 상승 등으로 상승세 환 망

-상하수도료 등 일부 지방 공공요 인상도 상방요인

('17년 망) 소비자 가는 연간 1.6% 상승 망

ㅇ 기요 인하 등은 하락요인이나,유가상승 등으로 석유류․

에 지요 이 상승 환하며 ‘16년(1.0%)보다 높은 1.6% 상

ㅇ 유가 등 공 측 하방요인이 완화되며 소비자물가와 석유류·

농산물을 제외한 근원물가 간 격차 축소 상

- 54 -

(참고16) 생산자 가 동향과 향

□ (동향)생산자물가*는 ‘12년 하반기 이후 17분기 연속 하락세

*국내생산자가 국내시장에 공 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

ㅇ 공산품(제조업)가격하락이 생산자 물가하락을 주도(기여율 83%)

하고 있는 가운데,서비스 가격 상승세는 상 으로 안정

생산자물가 추이 품목별 기여도 변화

-8

-4

0

4

8

12

16

01.1/4 04.1/4 07.1/4 10.1/4 13.1/4 16.1/4

(전년 비, %)

0.2

1.8

0.2 0.6

2.8

0.40.0

-2.2

0.0

-2.0

-4

-2

0

2

4

전체 농림수산 공산 전 수 가스 서비스

01.1/4~'12.2/412.3/4~

(%p)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

□ (하락원인)국제원자재 가격 하락, 국發 공 과잉 등 로벌

공 충격이 주도한 가운데 미약한 수요측 압력도 일부 향

ㅇ (국제원자재)‘14년 이후 국제유가 락은 공산품을 심으로

부분의 품목 가격*에 하방압력으로 작용

*석유제품 투입비 (%):(제조업)16.1(서비스업)5.8(기·가스·수도업)18.6

ㅇ (공 과잉) 국發 공 과잉에 따른 련 업종(철강·석유화학 등)

단가 하락도 우리나라 등 주변 교역국 생산자물가에 하방요인

-국내 석유‧화학,철강제품 가격의 경우 상승세가 크게 둔화되며

‘12년 이후 물가기여도가 마이 스(-)로 환

*기여도(‘12.3/4前→後,%p):(석유‧화학)1.0→△1.0(1차 속)0.6→△0.8

ㅇ (수요둔화)GDP갭률이 마이 스(-)를 지속함에 따라 공 측 요인

(석유·화학, 속,가스)을 제외한 수요측면의 생산자물가 기여도*감소

*석유·화학·속·가스 제외 기여도(%p):(‘01.1/4~12.2/4)1.0→ (’12.3/4~)△0.1

국제유가 국 공 과잉 GDP갭률 추이

-100

-50

0

50

100

06.1/4 09.1/4 12.1/4 15.1/4

-10

-5

0

5

10

두 이유(좌)

생산갭( )

(전년 비, %) (%)

-3

-2

-1

0

1

2

3

01 03 05 07 09 11 13 15

0

2

4

6

8

10

갭률(좌)

성장률( )

(%)(%)

*출처 :IMF *출처 :한국은행,IMF

- 55 -

( 주요국 생산자 가 동향 )

◇ 생산자물가의 상승률 둔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여타 선진국

에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

▸ 서비스물가는 안정적이나 제조업이 생산자 물가 하락을 주도

주요국 생산자물가 비교 선진국 부문별 생산자물가 추이

2.8 2.5

0.2

2.6

-1.6-0.8

-1.6

4.0

-0.1

-2.8-4

-2

0

2

4

6

8

한 유럽 일본 미

01~11년 평 12~16년 평(%)

-2

0

2

4

6

01 03 05 07 09 11 13 15

제조업 서비스업(%)

*출처 :IMF * 출처 :IMF

□ ( 향)생산자물가 하락 장기화시 기업 매출액이 감소하는 등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투자 등 실물경제에 하방요인으로 일부 작용

ㅇ 특히 로벌 과잉공 향을 받는 취약업종의 경우 매출액 감소․

수익성 악화 등에 따라 인력․설비 축소 등 구조조정 압력 발생

*‘17년 업종별 설비투자 망(산은):(철강)△13.2(조선)△20.1(해운)△49.9

생산자물가와 기업매출액 추이 주요국 생산자물가와 투자간 계

-8

-2

4

10

16

22

28

01 03 05 07 09 11 13 15

생산자물가

매출액(제조업)(전년비, %)

-0.08

-0.04

0.00

0.04

0.08

-0.06 -0.03 0.00 0.03 0.06 0.09

(투자 가율)

(생산자물가상승률)

*출처 :한국은행 *출처 :ADB

□ (평가)향후 생산자물가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완만하게

상승함에 따라 ‘17년 상승 환 망

*두바이유 망($/b):(‘15)51(’16e)41[년비 △19.6%](‘17e)51[+24.4%]

ㅇ 다만,유가 상승에 따른 내수회복 제약,미약한 세계경제 회복으로

인한 공 과잉 해소 지연 등의 물가 하방요인은 지속될 상

ㅇ 소비‧투자 진 등을 통해 내수기반을 확충하는 가운데 공 측면

에서는 구조조정․사업재편을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 노력 필요

작성자: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 정민철 사무 (044-215-2772)

- 56 -

4. 출입과 경상 지

(1) ( 출(통 )) 연간 2.9% ( 입(통 )) 연간 7.2% 증가 상

(수출)세계교역량 개선,유가․반도체 심 단가 회복 등으로

‘16년(△6.1%)에 비해 개선된 2.9% 증가 망

*세계 교역량 증가율(IMF10월,’16→‘17년,%):2.3→ 3.8

세계 상품수입물량 증가율(〃 ):<선진국>2.4→4.1<신흥국>2.5→3.9

ㅇ (지역별)유가 회복 등으로 동․ 남미 수출이 개선되겠으나,

미국 소비, 국 수출 회복세가 공고하지 않은 은 제약요인

세계교역량과 우리나라 수출물량 미국 소비․ 국 수출 증가율

-12

-6

0

6

12

18

24

01 03 05 07 09 11 13 15 17e

세계 역량

수출물량

(전년 비, %)

-15

-10

-5

0

5

10

15

14. 1/4 15. 1/4 16. 1/4

1.5

2.0

2.5

3.0

3.5

4.0

수출(좌)

미 소비( )

(전년 비, %) (전년 비, %)

*출처 :IMF,한국은행 *출처 : 국 해 ,Bloomberg

ㅇ (품목별)반도체․디스 이․석유류 등은 단가 유가

개선, 로벌 수요 확 망 등 감안시 개선 상

*D램단가(4Gb,$):(‘16.6)1.5(11)2.6/디스 이패 단가(43인치,$):(’16.1)97(11)148

**반도체(IHS,%):(‘16)△1.1(’17)4.8/디스 이(IHS,%):(‘16.4/4)△5(’17.1/4)15

-휴 폰은 국 업체와 경쟁격화,해외생산 부품 지화

확 등이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망

*스마트폰 해외생산 비 (IITP,%):(‘11)56.5(’13)83.6(‘15)88.1(’16.1~9)89.3

-선박은 최근 수주 감소 흐름이 부담요인으로 작용

*선박수주량(조선 회,만CGT):('12)858(‘13)1,840(‘14)1,271(’15)1,075

ㅇ (기타)美 신정부 공약이 구체화․이행되는 과정에서 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시 수출에 부정 으로 작용할 망

- 57 -

(수입)설비투자․수출 회복,유가회복 향 등으로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며 ‘16년(△7.1%)에서 크게 반등한 7.2% 증가 망

ㅇ 설비투자 회복 등 심으로 내수용 수입이 증가하는 가운데

수출이 반등하면서 수출용 원․부자재 수입 수요도 확

*수입유발계수(‘14년 가격기 ):(민간소비)0.24(민간투자)0.35(수출)0.42

ㅇ 유가상승 향으로 원유 등 원자재 수입도 증가 환 상

(2) (경상 지) 820억불 흑자 상

(상품수지)수출이 증가하겠으나 유가상승,내수 회복세 등으로

수입이 더 크게 늘면서 흑자폭 감소

ㅇ 그간 호조세를 보이던 계무역 순수출이 최근 둔화 흐름을

보이는 도 흑자폭을 제한하는 요인

(상품외수지)서비스 수지 심으로 자폭 확 상

ㅇ 내국인 해외여행객 증가,해외 건설수주 부진 등으로 서비스

수지 자는 여행․건설․운수부문을 심으로 확 망

*해외 객 증가율(%):(‘13)8.1(‘14)8.3(‘15)20.1(’16.1~11)16.2

*해외건설수주 증가율(%):(’13)0.5(‘14)1.2(’15)△30.2

-다만,해외생산 확 등에 따른 지재권사용료수지 개선은

자폭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작용

*지재권사용료수지(억불):('14)△53.8('15)△36.3('16.1~10)22.4

ㅇ 본원․이 소득수지는 해외 증권투자 확 추세 등으로

배당․이자수익 등이 늘면서 흑자 확 상

*해외증권투자(억불):(’13)274.9(‘14)398.2(’15)495.3(‘16.1~10)561.3

경상수지 망

(단 :억불) 2015년 2016년e 2017년e

▸ 경상수지 규모 1,059 940 820▪상품수지 1,223 1,180 1,080▪서비스․본원․이 소득수지 △163 △240 △260

- 58 -

Ⅳ . 종합 평가

◇ '17년에도 2% 장 를 이어가겠 나 불확실 확

ㅇ ‘16년 우리 경제는 내수 심 회복세에 힘입어 2% 반의

성장세를 유지하 으며 역내 유사국과 비교시 양호한 성과

*亞신흥 4국 싱가폴․ 만․홍콩의 성장률은 0~1% 로 락

-다만 수출부진 장기화가 내수․고용에 부정 향을

미치는 가운데 4/4분기 하방요인이 첩되며 경기 축

ㅇ ‘17년에도 2% 반 성장세는 유지할 것으로 망되나 내외

불확실성은 확 될 것으로 상

-뚜렷한 수출개선을 기 하기 어려운 가운데 그간 성장을 주도

했던 내수 회복세가 둔화되며 회복 모멘텀 약화 우려

-경기둔화,구조조정 본격화 등으로 고용창출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취약계층 소득기반 약화 우려

-생산가능인구 감소(‘17년),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등 구조

문제가 소비․투자․수출을 제약

◇ 어 운 여건이나, 극 거시 책 운용과 민생안 , 미래 비 만

ㅇ ‘16.4/4분기 성장부진 향이 ’17년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1/4분기

이 성장경로로 복귀하기 한 정책 응노력 강화

-기업․정부 등 여력있는 경제주체를 심으로 경제활력을

제고하고, 외 불확실성 확 에 응한 리스크 리 강화

ㅇ 경기․고용둔화에 따른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가 되지 않도록

일자리 창출과 민생안정 노력 강화

ㅇ 고령사회․4차 산업 명 등에 비한 구조개 도 시성 있게 추진

- 59 -

2016~2017년 경 망 요약

( 년동기비,%)

‘15년‘16년 망

‘17년1/4 2/4 3/4 연간

망 제

세계경제(PPP)1」 3.1 - - - 3.1 3.4

Dubai유가($/bbl) 51 31 43 43 41 51

실질 GDP 2.6 2.8 3.3 2.6 2.6 2.6

민간소비 2.2 2.2 3.3 2.7 2.4 2.0

설비투자 5.3 △4.5 △2.7 △4.2 △3.3 2.8

건설투자 3.9 9.6 10.8 11.4 10.8 4.0

지식재산생산물투자 1.5 0.9 2.9 3.1 2.4 2.9

경상 GDP 4.9 4.4 4.8 3.8 4.0 4 3.8

취업자 증감(만명) 34 29 29 32 29 26

고용률(15~64세,%)2」 65.7 65.1 66.2 66.5 66.0 66.5

소비자물가 0.7 1.0 0.9 0.8 1.0 1.6

경상수지(억달러) 1,059 254 263 215 940 820

상품수지(억달러) 1,223 290 335 283 1,180 1,080

수출(통 ) △8.0 △13.6 △6.7 △5.0 △6.1 2.9

수입(통 ) △16.9 △16.1 △10.2 △5.2 △7.1 7.2

서비스․본원․이

소득수지(억달러)△163 △36 △72 △68 △240 △260

1」IMFWorldEconomicOutlook(‘16.10월)

2」고용률 70% 로드맵 추진을 통해 추가고용 창출 노력

- 60 -

2017년 경 망 담당자

분 야 담 당 사연 락 처

(044-215~)

G D P․ 총 종 합 정 책 과백 리

최 시 훈

2713

2714

산 업 생 산 경 제 분 석 과 이 근 우 2731

수 출 입 경 제 분 석 과 김 태 웅 2732

투 자 경 제 분 석 과 김 경 록 2733

민 간 소 비 경 제 분 석 과 홍 승 균 2735

세 계 경 제 경 제 분 석 과 박 창 규 2736

유 가 물 가 정 책 과 도 경 탁 2776

재 정 거시경제 략과 김 요 균 2833

고 용 정 책 기 획 과 신 동 2812

물 가 물 가 정 책 과 정 민 철 2772

부 동 산 시 장 부동산정책 이 명 선 2852

가 계 동 향 정 책 기 획 과 김 병 철 2813

융 시 장 자 시 장 과이 우

김 채 윤

2752

2758

국 제 융 시 장 국 제 융 과 정 규 삼 4712

외 환 시 장 외 화 자 과 성 진 규 4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