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Click here to load reader

문화달력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문화달력

문화달력

8학년 김희소

Page 2: 문화달력

순서

- 시인 김춘수

- 소설가 이효석

- 극작가 차범석

Page 3: 문화달력

1. 김춘수

- 1922년 11월 25일 (경상남도 통영) - 2004년 11월 29일

- 2004년 제19회 소월시문학상 특별상 수상

- 시에서의 언어의 특성을 다른 어떤 시인보다 날카롭게 응시하며

존재론적 세계를 이미지로 노래했다.

- ‘사물’ 과 ‘사물성’을 잘 표현 했다. (현대시에 영향을 줌)

- 대표작에는<꽃>,<꽃을위한서시>등이있고,

저서에는《구름과장미》《늪》《기》《인인》《꽃의소묘》《

부타페스트에서의소녀의죽음》 등이있다.

Page 4: 문화달력

꽃 김춘수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자유시

산문

Page 5: 문화달력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Page 6: 문화달력

‘꽃 ’의 특징

성격: 관념적, 철학적, 주지적, 상징적

소제: 꽃

주제:존재의 본질

어조: 소망을 나타내는 간절한 어조

특징 :

1. 꽃은 실제의 꽃과 연관성을 가지는 제재가 아니라 추상적인 시어이다.

2.반복과 변화에 의한 의미의 점층적 확대

3. 인식의 주체가 ‘나-너-우리’, 인식의 내용이

‘몸짓-꽃-눈짓’

Page 7: 문화달력

2. 이효석- 1907년 2월 23일 (강원도 평창) - 1942년 5월 25일

- 1928년 조선지광에 단편《도시와 유령》이 발표됨으로 동반작가로 데뷔. 동반작가를

청산하고 구인회에 참여, 《돈》 등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 1934년 평양 숭실전문교수가

된 후 《산》《들》 등 자연과의 교감을 수필적인 필체로 유려하게 묘사한 작품들을 발표.

1936년에는 한국 단편문학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메밀꽃 필 무렵》을 발표.

- 자연과 인간 본능의 순수성 추구함, 그 후로 많은 작가들이 자연을 소제로한 책을 썼다.

Page 8: 문화달력

.3. 차범석

- 1924년 11월 15일 (전라남도 목포) - 2006년 6월 6일

- 195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귀향’으로 등단

- 최창봉‧오사량 등과 제작극회를 창단하였으며 1963년부터

1983년까지 극단 산하의 대표로 활동하여 한국의 현대극을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전쟁을 겪은 세대로 전쟁이라는 주제를 고집하지 않고 계속

재제의 폭을 넓혀나가 한국적 리얼리즘의 작풍을 창조하였다.

- 대표작으로는 ‘불모지’, ‘산불’, ‘청기와집’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