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한국체육과학회지, 2011, 20권 제6, pp. 14151426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1, Vol. 20, No. 6, pp. 14151426 우슈 등공파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강 영 석 1) 유 태 석 2) Biomechanical Analysis on the Motion of Jump Lotus Kick 720° in Wushu Kang, Young-Seok 1 Yoo, Tae-Seok 2 Abstract In this study, it selected 3 persons of the present national team players whose Wushu career of more than 10 years each, and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kinematic and kinetical variables with regard to Jump Lotus Kick 720°motion, from which obtained the conclusion as follows. As for the required time, at the phase2, by enlarging the feet-rolling time more and let the ground repulsive force greater, so that an extreme increase of the vertical height is important, minimizing the left·right travelling width of the body pivot, also the movement greatly towards the progressing direction is efficient, and by taking the gesture of very lowering body just before the foot-rolling motion, it was known that at the time after jump-up, the heightening of body pivot let it can quick turning as well as a relaxable touchdown. At the joint angle, in order to secure its altitude, let it accumulates the energy by maximum bending of the polyarticular at E2, and when take-off from the ground, by extending it to maximum, it converts the kinetic energy to the potential energy, and it was displayed as desirable that when foot-kicking, by the lower side bending of the ankle joint, thence increases the rotation velocity. It was appeared that by maintaining the balance of 1) 단국대학교 330-714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산29번지 2) 비솔 423-829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626-3 광명테크노타운601 1. Dankook University San#29 Anseo-dong Dongnam-gu Cheonan-si Chungnam 330-714 Korea 2. Visol #601 Gwangmyeong Techno-twon 626-3 Cheolsan-dong Gwangmyeong-si Gyeonggi-do 423-829 Korea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 Upload
    motius

  • View
    21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2011, 제20권 제6호, pp. 1415~1426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1, Vol. 20, No. 6, pp. 1415~1426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 분석

강 석1) 유 태 석2)

Biomechanical Analysis on the Motion of Jump Lotus Kick 720° in Wushu

Kang, Young-Seok1 Yoo, Tae-Seok2

Abstract

In this study, it selected 3 persons of the present national team players whose Wushu

career of more than 10 years each, and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kinematic and kinetical

variables with regard to Jump Lotus Kick 720°motion, from which obtained the conclusion as

follows.

As for the required time, at the phase2, by enlarging the feet-rolling time more and let the

ground repulsive force greater, so that an extreme increase of the vertical height is

important, minimizing the left·right travelling width of the body pivot, also the movement

greatly towards the progressing direction is efficient, and by taking the gesture of very

lowering body just before the foot-rolling motion, it was known that at the time after

jump-up, the heightening of body pivot let it can quick turning as well as a relaxable

touchdown. At the joint angle, in order to secure its altitude, let it accumulates the energy by

maximum bending of the polyarticular at E2, and when take-off from the ground, by

extending it to maximum, it converts the kinetic energy to the potential energy, and it was

displayed as desirable that when foot-kicking, by the lower side bending of the ankle joint,

thence increases the rotation velocity. It was appeared that by maintaining the balance of

1) 단국 학교

330-714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산29번지

2) 비솔

423-829 경기도 명시 철산동 626-3

명테크노타운601

1. Dankook University

San#29 Anseo-dong Dongnam-gu Cheonan-si

Chungnam

330-714 Korea

2. Visol

#601 Gwangmyeong Techno-twon 626-3

Cheolsan-dong Gwangmyeong-si Gyeonggi-do

423-829 Korea

Page 2: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1416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 분석

power at the insides of left·right feet, the generating of the kinetic energy able to shoot-up

the body higher is important, and by means of the generation likely as the left foot for the

impellent power, the right foot for the braking force, respectively, thence as it strengthens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makes it rising the vertical speed of body also the

air-floating height, enlarging the air-floating time, a relaxable landing is efficient.

Key words : Wushu, Jump Lotus Kick, Ground Reaction Force

Ⅰ. 서 론

우슈는 국의 무술로서 경기화된 엘리트 스포

츠이다. 우슈의 수련인구는 종주국인 국을 비롯

하여 화권 나라에 많지만 재 우리나라에서도

수련인구는 증해 있는 추세이다.

우슈는 1990년 북경 아시안게임에서 정식종목

으로 채택되면서 무도 스포츠로서의 기틀이 잡히

게 되었고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서 양성찬

선수가 메달을 획득하여 국가의 상을 높 다.

2008년 북경 올림픽에서 우슈는 번외경기로 치르

게 되었지만 세계인의 스포츠로 알리고 우슈 발

의 계기가 되었으며 머지않아 올림픽 정식종목

으로서 기 할 수 있는 종목이라 할 수 있다. 우

슈는 동양의 무술인 만큼 화권 선수들의 경기

력은 매우 우수하며 우리나라 역시 좋은 성 을

거두고 있다. 종주국인 국은 올림픽 스포츠를

겨냥하여 경기규칙의 내용들을 보다 객 으로

연구하여 2003년도에는 경기규칙과 내용·심 법

이 새로운 경기방식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난이도

도입을 통해 규정투로에서 자선투로로 새로운 경

기방식을 채택하 고 2005년 마카오 동아시아

회부터 자선투로를 용하기 시작했다. 자선투로

는 선수개개인의 능력과 실력을 펼칠 수 있는 창

작투로이며 고난이도를 자유롭게 선택해 신청하

여 표연하는 경기이다(임동진, 2008).

자선투로 경기방식은 가로14m와 세로8m의 카

펫이 깔린 경기장에서 각 종목별 규정된 시간의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동작들을 가장 효과 으로

표 해야 하며 득 평가 방법은 A, B, C조로 나

어진 10명의 심 원들이 채 하며 A조 5 (동

작의 질량), B조 3 (연기 수 ), C조 2 (동작난

이도1.4 , 연결난이도 0.6 )으로 채 되어진다

(박찬 , 2008). 그 에서 동작난이도는 A, B, C

등 별 난이도로 나 어지며 이는 등공 동작들로

경기력을 좌우 할 만큼 매우 요하다고 할 수 있

다. 등공 동작들은 공통 으로 등공 수행 직 의

도움닫기 부분과 공 동작, 등공 상태에서의 각각

의 발차기, 등공 동작 수행 후 착지자세, 착지 후

다음 동작과의 재빠른 연결을 한 동작 발 등

을 모두 내포하고 있는 동작이다(배경희, 2000).

등공 동작들은 고난도 동작들로 보다 과학 인

훈련방법에 한 연구와 그에 따른 기술을 습득

해야만이 경기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우슈 등공 동작들의 운동학 운동역학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선풍각 540゚동작을 수행하

는데 있어서 신체 심의 속도변화는 고도 확보를

하여 수직속도를 증가시키고 최고정 에서 신

체 수직축을 심으로 좌․우측 하지 의 내회

을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구름 시 지면반력을 효율 으로 활용하기 해

서는 무게 심을 낮춤과 동시에 체공의 높이를

상승하기 하여 우측 발이 좌․우 방향으로 힘

을 분산시키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지면반력의 힘

Page 3: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0권 제6호 1417

상자 신장(cm) 체 (kg) 나이(yrs) 경력(yrs)

s1 171 71 28 12

s2 168 64 26 10

s3 173 68 22 10

표 1.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

을 가해 가속으로 충격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하 다(강 석, 박 동, 안완식, 2007; 강

석, 박 동, 2007). 등공비각은 수직으로 높이

뛰어 오르기 해서는 발구름 직 의 진속도가

커야하며 발구름 구간에서 이러한 진속도를 수

직방향으로 효율 으로 환시키는 것이 요하

며 우수 선수일수록 이지직 도움닫기 구간에서

의 발구름 시간이 짧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 고

등공 직 과 등공 직후의 구간에서 수직, 수평 속

도의 교차구간이 짧을수록 효율 인 동작이라고

보고 하 다(배경희, 문 진, 2001; 오정환, 2001).

등공 편각 동작의 수행 시 난이도에 합한 회

각 만족도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체공시간, 등공 상체의 회 등공 후 외 퇴

(外擺腿)의 작용 등이 요하다고 보고하 고(김

세겸, 2007), 강 석, 지용석(2008)은 등공 련

540° 발구름 동작 시 지면의 반력을 이용하기

해 제동력을 크게하여 추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구름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구름

에 작용하는 힘을 크게 하는 것이 큰 충격량 과

함께 인체를 상승시키는데 효율 이라고 보고하

다. 최근들어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많은 정량

화된 자료와 지도모형을 제시해 주었지만 난이도

동작들 360° 540° 등 A난도와 B난도만 연

구해 왔으며 720°인 C난도에 한 연구는 무한

실정이다. 국제 회에서는 C난도 기술을 발휘하

는 외국 선수들이 많으며 그로인한 성 도 우수

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국내 회에서는 아직

까지 C난도 기술을 구사하는 선수가 없으며 재

국가 표들만이 고난도 기술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이다. 다가오는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홈그라운드로서 우수한 성 을 거두기 해서는

고난도 기술에 한 과학 연구로 정량화된 정

보를 제공하여 선수 지도자들에게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등공 동작 경기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는 등공 련 동작을 720°인 C난도를

연구하고 운동역학 요인들을 분석하여 과학

이고 효율 인 지도와 수련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우수선수 발굴 육성에 기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운동경력 10년 이상으로

등공 련 720°동작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국가 표 3명으로 선정하 으며 연구 상자의 일

반 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2. 연구방법

1) 실험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장비는 3차원 상분

석을 한 촬 장비와 상 분석장비 그리고 지

면반력 측정장비를 사용하 고 <표 2>와 같다.

2) 실험방법 차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을 분석하기 하여 3

차원 상촬 을 실시하 고 상분석에 필요한

3차원 실 공간 좌표를 얻기 해 36개의 통제 이

Page 4: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1418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 분석

측정 장비 모델명 제조사

촬 장비

MotionMaster200 Visol.

Control Object(1*2*2) Visol.

Reflective Markers Visol.

LED module Visol.

상 분석장비Kwon3D XP program Visol.

Multi-Capture system Visol.

지면반력 분석장비

Force Platform AMTI

MiniAMP AMTI

Coner Marker Visol.

A/D sync box(16채 ) Visol.

표 2. 실험 장비

그림 1. 랜드마커 부착 치

표시된 통제 틀을 상자의 등공 련 동작이

완 히 포함할 수 있도록 폭 1m, 높이 2m, 길이

2m로 설치한 다음 등공 련 동작 통제 틀

을 약 1 간 촬 하고 그 후에 통제 틀을 제거

하 다. 상분석은 6 의 고속 카메라

MotionMaster200을 이용하여 200frames/s의 속

도로 촬 하 으며, 셔터 속도는 1/500s로 설정하

다. 상자의 동작 수행을 모두 포함되도록 ·

후·좌·우에 총 6 를 설치 하 으며 실험을 하

여 6 의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도록 28개의 랜드

마커를 <그림 1>과 같이 상자의 각 부

에 부착하 다. 지면반력분석은 등공 련 동작 시

발생하는 지면반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Force Platform 2 를 이용하 으며 이때 6개 채

(Fx, Fy, Fz, Mx, My, Mz)에서 발생한 미세한

신호를 증폭하기 하여 MiniAMP를 사용하 다.

충분한 증폭 결과를 얻기 하여 Gain값은 4000

으로 설정하 으며 증폭된 analog 신호를 digital

신호로 변환시키기 하여 A/D Sync box를 사용

하고 샘 링 주 수는 1000Hz로 설정하 다. 각

피험자들은 실험에 들어가기 에 충분한 비운

동과 발차기 연습을 실시한 후 실험에 들어가게

하 으며 본 실험에서 상자별로 등공 련 동작

을 총 5회씩 실시하여 촬 한 후 이 가장 완성

도가 높았다고 단되는 동작을 선수의 단에

근거하여 선정한 다음 분석, 처리하 다.

3. 이벤트(Event) 국면(Phase) 설정

본 연구에서 등공 련 720°동작의 운동역학

분석을 해 5개의 이벤트(Event)와 4개의 국면

(Phase)로 나 었으며 <그림 2>와 같다.

1) 이벤트(Event)

Event1: 비자세

Event2: 하지의 슬 이 최소각을 이루는 순간

Event3: 하지가 지면에서 이지되는 순간

Event4: 차기발이 최고정 에서 임팩트 되는

순간

Event5: 지면에서 착지되는 순간

2) 국면(Phase)

Phase1: E1에서 E2까지( 비구간)

Page 5: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0권 제6호 1419

그림 2. 이벤트(Event)와 국면(Phase)

subject P1 P2 P3 P4 total

s1 0.25 0.27 0.32 0.47 1.30

s2 0.25 0.23 0.32 0.47 1.25

s3 0.20 0.24 0.31 0.43 1.18

M 0.23 0.24 0.32 0.46 1.24

SD 0.03 0.02 0.00 0.02 0.07

표 3. 국면별 소요시간 (단 : sec)

Phase2: E2에서 E3까지(이륙구간)

Phase3: E3에서 E4까지(임팩트구간)

Phase4: E4에서 E5까지(회 착지구간)

4. 자료처리

자료처리는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기술요

인에 한 동작분석 지면반력분석을 해

Kwon3D XP 로그램을 이용하 으며, 카메라에

서 녹화한 동 상을 편집하는 캡쳐(capture)단계

를 거쳐 각 임의 해부학 좌표 을

DLT(Abdel-Aziz Karara,1971) 방정식을 이용하

여 디지타이징(dig

itizing)을 시행하 다. 이 단계에서 생성된 각

각의 2차원 자료를 3차원 으로 변화를 시켜주

는 로세싱(Processing) 단계를 거쳐 , 디지타이

징 단계에서 발생되는 원 자료(raw data)의 잡음

(noise)을 Butterworth의 역통과필터(low-pass

fillter)를 사용하여 차단주 수(cut-off freqency)

를 6Hz로 평활화하여 제거 는 감소시키는 인터

폴 이티드(Interpolated)단계를 지나 결과를 출력

하 다. 지면반력 자료처리는 지면반력기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 값을 Dowling & Vamos(1993)의

식을 이용하여 각 피험자의 체 으로 나 어 표

화하여 산출하 다.

Ⅲ. 결과 논의

1. 소요시간

우슈 등공 련 720°동작의 각 국면별 소요시간

을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등공 련 720°동작 시 우수선수들의 총 소요시

간은 평균 1.24±0.07sec의 소요시간을 나타내었으

며 상자별 소요시간은 s1이 1.30sec, s2가

1.25sec, s3가 1.18sec로 s1이 등공 련 720°동작

시간이 가장 길게 나타났다. 각 국면별로는 s1과

s2의 경우 1국면, 3국면, 4국면에서 같은 소요시

간을 나타냈으며 2국면은 s1이 보다 긴 소요시간

을 나타내었다. 반면 s3는 각 국면별 소요기간이

다른 사장들에 비해 소요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김세겸(2007)의 등공 련각 동작 수행 시 상 군

의 체공시간이 하 군 보다 등공 후 발차기 완성

까지의 소요시간이 3배 이상 긴 시간을 나타냈으

며 본 연구에서 s1은 등공 련 720°동작 시 충분

한 공간 확보와 긴 경과시간으로 여유있게 등공

련 동작을 효율 으로 수행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2국면에서는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서 이륙하는 구간으로 강 석, 지용석

(2008)은 등공 련 540°발구름 시 지면반력의 지

지구간의 소요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보고하 는데 본 연구에서도 s1은 2국면에서

Page 6: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1420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 분석

그림 3. 소요시간

그림 4. 신체 심의 좌·우(X)변

상 방향 E1 E2 E3 E4 E5

s1X 0.42 0.44 0.49 0.43 0.50

Y 0.04 0.29 0.35 0.61 0.89

Z 0.76 0.45 0.95 1.55 0.62

s2X 0.41 0.45 0.53 0.57 0.64

Y 0.04 0.25 0.24 0.44 0.53

Z 0.88 0.59 0.93 1.49 0.58

s3X 0.44 0.49 0.57 0.64 0.67

Y 0.06 0.22 0.21 0.44 0.55

Z 0.82 0.59 0.94 1.47 0.64

MX 0.43 0.46 0.53 0.54 0.60

Y 0.05 0.25 0.27 0.50 0.66

Z 0.82 0.54 0.94 1.50 0.61

SDX 0.02 0.02 0.04 0.11 0.09

Y 0.01 0.04 0.07 0.10 0.20

Z 0.06 0.08 0.01 0.04 0.03

표 4. 신체 심 변 (단 : m)

발구름 시간을 길게 함으로서 지면의 반발력을

크게 하여 수직높이를 크게 증가시켜 최고 정

에서 720°의 회 을 여유롭게 수행하기 한 것으

로 생각된다.

2. 신체 심 변

우슈 등공 련 720°동작의 신체 심의 좌·우

(X)변 , ·후(Y)변 , 상·하(Z)변 를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신체 심의 좌·우(X)변 를 살펴보면 <그림

4>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E1에서 E5까지 평균

0.43m∼0.60m으로 0.17m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s1은 s2와 s3에 비해 가장 작은 이동폭을

나타냈는데 발차기 시 인 E4에서 신체 심의

좌·우 이동폭을 최소화하여 임팩트를 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s1은 E1부터 E3까지 신체 심이

우측으로 이동시키다 E4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

인 것은 등공 련 동작은 시계방향으로 회 하는

동작이기 때문에 신체 심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결과이며 회 에 의하여 원심력이 커지면 E5에서

는 불안정하게 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심력과

구심력의 균형을 이루어 회 속도를 증가시키기

한 것으로 생각되며 마지막 E5에서 안정되게

착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신체 심의 ·후(Y)변 를 살펴보면 <그림

5>와 같이 E1에서 E5까지 평균 0.05m~0.66m으로

0.61m 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1은 0.85m, s2와 s3는 0.49m로 s1이 진방향으

로 크게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면에서

이륙하는 시 부터 임팩트, 그리고 720°회 하여

착지하기까지 가장 크게 진이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같은 원인은 등공 련 동작이 실

Page 7: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0권 제6호 1421

그림 5. 신체 심의 ·후(Y)변

그림 6. 신체 심의 상·하(Z)변

제 경기시 제자리 가 아닌 2스텝 도움닫기

후 동작수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진행방향

으로 운동에 지가 이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되며 이는 치에 지를 증가시켜 최고정 에서

발차기를 효율 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신체 심의 상·하(Z)변 를 살펴보면 <그림

6>과 같이 E1에서 E2까지 신체 심을 평균

0.28m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1은 0.31m, s2

는 0.29m, s3는 0.23m로 s1이 가장 낮은 신체 심

을 이동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E3에서는 평균

0.94m로 신체 심을 높이며 지면에서 이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정환(2001)은 등공동작을

수행할 때 이지직 에 신체 심을 낮추어서 발구

름 직 에 가장 낮추었다가 등공 후에는 신체

심을 높이는 것이 요하다고 하 는데 본 연구

와 일치하 다. E4에서는 s1이 1.55m, s2가

1.49m, s3가 1.47m로 s1이 가장 높은 신체 심의

이동을 보 다. Kang, Park & Jeon(2009)은 등공

동작에서 수직속도를 증가시키고 장축을 하지

의 회 을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고 보고하 다. 본 연구에서도 s1은 E4

에서 신체 심을 최고정 으로 높이 투사시켜 발

차기를 수행한 것으로 보여지며 발차기 시 회

운동의 궤 을 크게하여 720°의 회 속도를 증가

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한 높이 투사된 동체는

E5까지 여유롭고 안 하게 착지를 할 수 있는 것

으로 단된다.

3. 의 각도

우슈 등공 련 720°동작의 각도 변화는 고 ,

슬 , 족 을 분석하 으며 각 을 살펴보

면 <표 5>와 같다.

1) 고 의 각도

상자들의 평균 고 의 각도변화는 E2에서

62.98°, E3에서 119.49°의 각도변화를 나타냈으며

s1은 E2에서 E3까지 s2와 s3에 비하여 73.29°로

가장 큰 굴신 동작을 보 다.

<그림 7>과 같이 고도 확보를 한 비단계

로 고 의 각도를 최 한 굴곡시켜 에 지를

축 시키다.

굴곡된 고 을 크게 신 시킴으로서 지면에

서 신체를 수직상방향으로 높이 투사시키기 한

것으로 생각된다. E5인 착지동작에서는 s1이

96.36°로 90°가까이 퇴의 수평자세를 취하는 것

Page 8: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1422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 분석

그림 7. 고 의 각도변화 그림 8. 슬 의 각도변화

E1 E2 E3 E4 E5

s1

고 86.84 44.35 117.64 80.05 96.36

슬 130.51 42.82 161.16 171.64 114.05

족 98.20 65.53 123.31 120.69 87.61

s2

고 108.62 71.35 118.87 77.12 78.17

슬 147.04 76.05 161.21 175.40 96.38

족 109.73 71.27 118.99 105.78 68.83

s3

고 102.39 73.24 121.97 77.02 79.03

슬 131.79 74.64 162.47 174.73 112.42

족 95.79 69.41 120.51 104.34 79.25

M

고 99.29 62.98 119.49 78.06 84.52

슬 136.44 64.50 161.61 173.92 107.62

족 101.24 68.74 120.93 110.27 78.56

SD

고 11.22 16.16 2.23 1.72 10.26

슬 9.20 18.79 0.75 2.01 9.76

족 7.45 2.93 2.19 9.05 9.41

표 5. 의 각도요인 (단 : deg)

으로 나타났으며 s2와 s3는 고 의 각도가 작

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우슈 자세 특성상 착지

시 고 각이 작으면 신체 심이 후방으로 이동

될 확률이 크므로 동작 실수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2) 슬 의 각도

상자들의 평균 슬 의 각도변화는 E1에서

136.44°, E2에서 64.50°, E3에서 161.61°의 각도변

화를 나타냈으며 이는 <그림 8>과 같이 비단

계부터 지면에서 이륙하기까지 발구름 구간으로

s1이 슬 의 최소굴곡에서 최 신 으로의

환으로 각도변화를 크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Dowling & Vamos(1993)은 근육이 에서

최 의 활동을 하기 해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

여 최 의 토크와 정한 속도의 힘을 생성하는

Page 9: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0권 제6호 1423

그림 9. 족 의 각도변화

Fx Fy Fz

s1L 3.06 2.95 24.68

R -2.21 -8.03 22.06

s2L 3.75 2.20 14.65

R -3.19 -5.23 14.18

s3L 3.67 3.00 13.01

R -2.75 -4.76 13.71

ML 3.49 2.72 17.45

R -2.72 -6.01 16.65

SDL 0.38 0.45 6.32

R 0.49 1.77 4.69

표 6. 지면반력 (단 : BW)

데는 무릎반동이 필요하다고 하 으며 본 연구결

과와 일치하 다. 이는 등공 련 동작의 발구름

시 슬 의 반동 이용은 등공의 높이를 증가 시

킬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신체 심을 최고 정

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운동량 에 지를 크게

하기 한 것으로 생각된다. E4에서는 발차기 시

으로 슬 의 각도가 평균 173.92°로 시계방향

으로 회 하여 발차기를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2가 s1과 s3에 비하여 큰 슬 의 각도 변화를

나타냈다. 우슈 규정상 등공 련 발차기 시 임팩

트 시 에는 슬 이 180°에 근 하도록 신 시

키는 것이 요하며 임팩트 후 하지의 회 속도

를 증가시켜 투사체를 720°빠른 회 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 족 의 각도

상자들의 평균 족 의 각도변화는 E4에서

110.27°의 각도변화를 나타냈으며 s1은 120.6

9°로 s2와 s3에 비하여 족 의 각도를 크게

측굴곡으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9>

와 같이 등공 련 동작 시 임팩트 시 은 이미 동

체가 최고정 으로 투사되어있는 시 이며 그 이

후 회 속도가 증가되므로 발등을 최 로 신

시켜주는 것이 효율 인 각운동의 스윙궤 을 나

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 지면반력

우슈 등공 련 720°동작의 지면반력 변화는

<표 6>과 같다. 지면반력의 힘 방향은 Fx는 좌․

우 방향의 지면반력, Fy는 ․후 방향의 지면반

력 그리고 Fz는 수직 방향의 지면반력을 나타낸

것이다.

등공 련 720°동작을 수행하기 한 발구름

시 에서 Fx 지면반력은 <그림 10>과 같이 왼

발(L)과 오른발(R) 평균 3.49BW, -2.72BW로 양

쪽 발의 내측에 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강 석, 지용석(2008)은 신체의 무게 심을 좌

측 는 우측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게하여 안정감

을 유지해야 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 다. 이는

지면에서 이륙하기 직 운동진행방향으로 회

력을 크게 증가시키기 한 것으로 생각된다.

좌․우 힘의 균형은 동체를 높이 투사시킬 수 있

는 운동에 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720°의 회

속도를 증가시켜 안정되게 착지 할 수 있는 것으

로 생각된다.

Fy 지면반력을 살펴보면 왼발(L)과 오른발(R)

Page 10: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1424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 분석

그림 11. 후(Fy) 지면반력

그림 12. 수직(Fz) 지면반력

그림 10. 좌우(Fx) 지면반력

평균 2.72BW, -6.01BW로 나타났다. Fy 지면반력

에서는 (-)방향은 제동력을 의미하며 (+)방향은

추진력을 의미한다. <그림 11>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등공 련 동작 시 왼발은 추진력을 오른발은 제

동력의 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왼발

에서 (+), 오른발에서 (-)힘이 발생한 원인은 등공

련 동작의 특성상 운동진행방향은 시계방향으로

회 하기 때문에 지면의 반작용력으로 신체의 회

력을 극 화 시키기 한 것으로 생각된다.

Fz 지면반력을 살펴보면 왼발(L)과 오른발(R)

평균 17.45BW, 16.65BW로 나타났다. <그림 1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s1은 24.68BW, 22.06BW로

가장 높은 수직 지면반력을 나타냈다. 김세겸

(2007)은 등공 련 동작 시 우수한 선수는 회 각

과 착지 시의 성공률이 100%, 71.4%의 성공률을

보 으며 이는 등공 직 지면반력의 작용력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강 석, 지용석(2008)의

연구에서 오른발 최 수직 지면반력은 15.76BW

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s1의 수직 지면반력

이 22.06BW로 선행연구 보다 크게 나타났다.

720°동작을 수행하기 해서는 540°동작보다 약

6.30BW 크게 하는 것이 효율 일 것으로 보이며

이와같은 결과는 하지의 다 을 이용한 최 굴

곡으로 지면의 반발력을 크게 가하여 수직 지면

반력을 크게 함으로서 신체의 수직속도를 증가시

켜 체공높이를 상승시키고 체공시간을 길게하여

여유 있는 착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우슈 경력 10년 이상으로 국

가 표 3명으로 선정하여 등공 련 720°동작에

한 운동학 운동역학 변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등공 련 720°동작 시 소요시간은 2국면에서

Page 11: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0권 제6호 1425

발구름 시간을 길게 함으로서 지면의 반발력을

크게 하여 수직높이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요하며 4국면에서 충분한 공간 확보와 긴 경과시

간이 720°회 을 여유있고 효율 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신체 심의 좌·우 이동폭을 최소화하며 진

방향으로 크게 이동시키는 것이 효율 이며 이지

직 에 신체 심을 낮추어서 발구름 직 에 가장

낮추었다가 등공 후에는 신체 심을 높이는 것이

720°의 빠른회 과 여유로운 착지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고 , 슬 , 족 의 각도는 고도확보를

해 E2에서 다 의 최 굴곡으로 에 지를 축

시켜 지면에서 이륙 시 최 로 신 하여 운동

에 지를 치에 지로 변환 시켜주는 것이 효율

이며 발차기시 족 의 측굴곡으로 회 속

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좌․우측 발의 내측에 힘의 균형을 이루어

동체를 높이 투사시킬 수 있는 운동에 지를 발

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하며 왼발은 추

진력을 오른발은 제동력의 힘을 발생시켜 수직

지면반력을 크게 함으로서 신체의 수직속도와

체공높이를 상승시키고 체공시간을 길게하여 여

유 있는 착지를 하는 것이 효율 인 것으로 나타

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등공 련 720°동작을 효율

으로 수행하기 해서는 다 을 이용한 지면의

작용과 반작용이 체공높이를 상승시키는 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최고정 에서 여유있는 시간

으로 정확한 발차기와 720°빠른 회 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근력발 훈련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단된다. 한 와 착지에 련하여 부상발생

의 잠재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우슈 상해

메카니즘 연구와 같이 종합 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강 석, 박 동, 안완식(2007). 우슈(武術) 선

풍각(旋風脚) 540° 동작에 한 기술분석. 한

국스포츠리서치, 제18권 제4호, 339.

2. 강 석, 박 동(2007). 우슈(武術) 선풍각(旋風

脚) 540° 발구름 동작의 지면반력 분석. 한국

체육학회, 제46권 제6호, 509-515.

3. 강 석, 지용석(2008). 우슈(武術) 등공 련(騰

空擺蓮)동작시 지면반력에 한 역학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제33호, 831-838.

4. 김세겸(2007). 등공 련각 동작 수행 시 체공

동작 완성도가 우슈 경기력에 미치는 향. 미

간행 석사학 논문, 구 학교 교육 학원.

5. 박찬 (2008). 우슈 장권의 경기화 과정에

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 논문, 명지 학교 사

회교육 학원.

6. 배경희(2000). 우슈 장권의 등공비각 동작에

한 기술분석. 1 경기지도자 수료논문, 한

국체육과학연구원.

7. 배경희, 문 진(2001). 우슈(武術) 장권(長拳)

종목 등공비각(騰空飛脚) 동작의 운동학

운동역학 특성에 한 연구. 체육과학연

구, 제12권 제4호, 94-105.

8. 임동진(2008). 여성 우슈참여자의 체험 분석.

미간행 석사학 논문, 연세 학교 교육 학원.

9. 오정환(2001). 우슈(武術) 장권(長拳)의 등공

비각(騰空飛脚)에 한 운동역학 분석. 한국

사회체육학회지, 제15호, 581-592.

10. Kang, Y. S., Park, K. D. & Jeon, K.

K.(2009). Kinematic analysis on the Motion

of Jump Lotus Kick 540°in Wushu.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228-229.

11. Dowling, J. J. & Vamos, L.(1993).

Page 12: 우슈_등공파련_720°_동작의_운동역학적_분석(한국체육과학회)

1426 우슈 등공 련 720° 동작의 운동역학 분석

Identification of kinetic and temporal factors

related to vertical jump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9(4), 98-110.

논문투고일:2011. 10. 12

논문심사일:2011. 11. 24

논문완료일:2011.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