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9
발 간 등 록 번 호 11-1350000-002209-10 2004년 원자력백서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발 간 등 록 번 호11-1350000-002209-10

2004년

원자력백서

Page 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Page 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발 간 사

우리나라는 1958년에 원자력법을 제정한 이

래 원자력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이제 원자력기술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

게 되었습니다.

1978년 고리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

래 현재 총 19기의 원자력발전소가 가동되어 국내 발전량의 약

40%를 담당함으로써 세계 6위의 원전력발전 능력을 갖추게 되었

고 한국표준형원전의 완성판인 울진5호기가 성공적으로 완공된

것을 계기로 원전 수출을 모색하는 원전 강국이 되었습니다.

2003년도에도 우리나라 원자력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

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유 모델인 신형경수로 건설을 추진 중이며,

웨스팅하우스형 원전용 개량핵연료를 개발하여 원전의 경제성과

신뢰성 또한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21세기 첨단 과학기술의 하나로 성장하고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분야는 그 이용 기관이 매년 10%이상 성장하여 2004년 현재

2,261개에 이르고 있으며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법

령 을 제정하였고, 첨단 방사선이용진흥센터의 건설과 권역별 의

료용 싸이클로트론의 개발을 추진하였습니다.

Page 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안전 부문에 있어서는 원자력안전점검의 날 을 신설하여 원자

력시설 등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안전의식을 고취토록 하였으며,

총 20건의 안전마크를 선정하였습니다.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

선기기의 이용 증대에 따른 안전성 확보를 위해 사용기관에 대한

안전점검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국가 방사능방재 체제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국제협력 부문에서는 국제원자력기구의 웹서비스를 유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등 여러 국가에 일체형원자로의 기

술 수출을 추진하는 등 원자력 협력 중심 국가로써의 입지 또한

공고히 다져 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국내 전력의 주공급원이자 미래 첨단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더욱 확대해 나가기위해

원자력을 이용한 청정에너지 개발, 인류복지 증진을 위한 방사선

이용기술 개발과 효율적인 안전관리의 기틀을 더욱 공고히 다져

원자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더욱 확대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

입니다.

원자력백서는 지난 한 해 동안의 여러 원자력 활동사항을 정리

하여 국민들에게 널리 알림으로써 국민과 함께 호흡하기 위해 매

년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 책자를 통해 국내 원자력에 대한 더욱

많은 이해가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2004년 10월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Page 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국가원자력기술지도(NuTRM) 작성 위한 대공청회

(2004.3.5/전경련회관)

◦방사능테러 대응 모의훈련

(2004.5.25/김포공항)

Page 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방사선종사자정보 중앙등록센터 현판식

(2004.4.6/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

◦원자력기기 검증시설 준공식

(2004.3.31/한국기계연구원)

Page 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한․태국 원자력협력 양해각서 체결

(2004.3.24/태국 방콕)

◦제25차 한․미 원자력공동위원회 합의록 서명

(2004.7.12~16/과학기술부)

Page 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i

목 차

제1장 원자력 현황 ·························································· 31. 원자력의 역할과 정책 동향 ······················································· 3가. 원자력의 의의와 역할 ·························································3

나. 원자력 정책의 목표 ·····························································5

다. 원자력 정책 동향 ································································7

라. 국제 동향 ··············································································9

2.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 ······················································ 14가. 설비용량 및 발전량 현황 ·················································14

나. 이용률 및 가동률 현황 ····················································17

다. 원전 운영능력 향상 ··························································20

라. 원전건설 현황 ····································································22

3. 원자력연료 현황 ···································································· 24가. 원자력연료 주기별 수급현황 및 전망 ····························24

나. 국내 원자력연료 수급계획 ···············································30

다. 원자력연료 생산 기술개발 ···············································30

4.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 32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현황 ······························32

나. 고준위폐기물 관리 현황 ···················································38

다. 방사성폐기물처분장 ··························································40

Page 1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ii

5.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분야 ······································ 42가. 의학적 이용기술 분야 ······················································42

나. 공업적 이용기술 분야 ······················································52

다. 생명자원 이용기술 분야 ···················································53

라. 첨단선원 및 첨단기반기술 분야 ·····································54

마. 첨단방사선이용연구센터 설립 현황 ································58

제2장 원자력 위원회 운영 및 법령체계 정비 ··············· 631. 원자력위원회 운영 ··································································· 63가. 구성 및 운영 ······································································63

나. 운영 실적 ···········································································64

다.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66

2. 원자력안전위원회 운영 ···························································· 69가. 구성 및 운영 ······································································69

나. 운영 실적 ···········································································70

다.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운영 ·············································73

3. 원자력법령체계의 정비 ···························································· 77가. 개요 ·····················································································77

나. 원자력법의 개정 ································································78

다. 원자력시설등의방호및방사능방재대책법의 제정 ···········80

라. 방사선및방사성동위원소이용진흥법시행령의 제정 ·······82

마. 원자력안전규제기술기준 ···················································84

Page 1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 ············································· 91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목적 및 근거 ········································· 91

2.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경과 ············································· 92

3.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주요 목표 ············································· 97

4.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관리 체계 ············································· 99

5. 세부사업별 추진현황 및 성과 ················································ 102가. 각 사업별 추진 현황 ······················································102

나.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성과 ··············································118

6. 대형 국책 원자력연구개발사업 ··············································· 122가. 일체형 원자로 기술 ························································122

나. 양성자 가속기 기술 ························································124

다. 원전계측제어계통 개발사업 ··········································127

7. 원자력 인력양성 ····································································· 132가. 원자력 인력현황 ·····························································132

나. 향후 전망 및 육성계획 ··················································136

제4장 원자력 안전규제제도의 강화 ···························· 1411. 개요 ······················································································ 141가. 원자력안전헌장과 안전규제활동의 5대 원칙 ············141

Page 1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iv

나. 국내 외 원자력 안전 현황 ··········································142

다. 원자력 안전규제 체계 ··················································144

2. 원자력시설에 대한 안전규제 ················································· 147가. 기본 방향 ·······································································147

나. 주요 안전규제 정책 ······················································147

3. 방사성물질에 대한 안전규제 ················································ 152가. 기본 방향 ·········································································152

나. 주요 안전규제 정책 ······················································153

4. 환경방사능 감시체계의 구축․운영 ········································· 156가. 환경영향 평가 ·······························································156

나. 환경방사선 감시 ·····························································158

5. 방사능 방재대책 ··································································· 161가. 개요 ··················································································161

나. 방사능방재 관련 활동 현황 ··········································162

다. 방사능방재대책 대응능력 향상 ·····································166

6. 원자력 안전규제의 국제화 ··················································· 169가. 원자력안전협약의 이행 ················································169

나. 사용후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 관리 안전에 관한 공동협약 ···170

7. 원자력 안전규제 전문지원기관의 육성․지원 ··························· 172

8. 안전문화의 확산 ··································································· 173

Page 1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v

제5장 국제협력 및 해외동향 ······································ 1771. 국제협력 ················································································· 177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국제적 신뢰 확보 ················177

나. 국제기구 및 다자간 국제협력 ·······································185

2. 국가간 협력 ··········································································· 201가. 미국과의 협력 ·································································203

나. 러시아와의 협력 ·····························································203

다. 중국과의 협력 ·································································205

3. 원자력 기술수출의 촉진 ························································ 207가. 개요 ··················································································207

나. 해외 사업 추진 현황 ····················································208

【 참고자료 】가. 2003년도 대통령 업무보고 자료 ·································217

나. 2003년도 정기국회 업무보고 자료 ·····························218

다. 제47차 IAEA 정기총회 기조연설 (9월) ···················225

라. ‘제9회 원자력안전의 날 기념식’ 치사 (9월) ·············234

마. 우리나라 미래형 원자로 ················································237

바. 원자력 신기술 개발 ························································243

Page 1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vi

<표 목차>

<표 1-1> 1970년대 전원별 구성 비중 ······································14

<표 1-2> 2003년 기준 전원별 구성 비중 ·································14

<표 1-3> 국내 원자력발전소 현황 ··············································15

<표 1-4> 발전원별 발전설비 추이 ··············································15

<표 1-5> 에너지원별 발전량 구성비 추이 ·································16

<표 1-6> 국내 원자력발전소 이용률 현황 ·································18

<표 1-7> 국내 및 세계 원전이용률 비교 ···································18

<표 1-8> 국내 원자력발전소 가동률 현황 ·································19

<표 1-9> 국내 원자력발전소 연도별『한주기 무고장 안전운전』

현황 ················································································21

<표 1-10> 세계 발전용량 전망 ···················································25

<표 1-11> 우라늄 확인 매장량 ···················································25

<표 1-12> 우라늄 정광 소요량 및 생산 전망 ···························25

<표 1-13> 변환 시설(경수로) ·····················································27

<표 1-14> 변환 수급전망 ·····························································28

<표 1-15> 농축 공급능력 ·····························································29

<표 1-16> 농축 수급전망 ·····························································29

<표 1-17> 농축 서비스 가격 추이 ··············································29

<표 1-18> 경수로 성형가공 역무 수급전망 ······························29

<표 1-19> 국내 원자력연료 소요량 ············································30

<표 1-20> 2003년 기체 및 액체 방출 방사능이 주민에 미치는

최대 피폭선량 ·····························································34

<표 1-21> 2003년 방사성 기체 및 액체 방출실적 ·················36

<표 1-22> 2003년 중․저준위 고체폐기물 발생실적 ·············38

<표 1-23> 연도별 호기당 고체 방사성폐기물 방출량 ·············39

Page 1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vii

<표 1-24> 2003년 말 사용후연료 저장 현황 ··························40

<표 1-25> 400 예 치료사례(2002.6.10~2003.10.21) ·····45

<표 1-26>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법 및 용도 ·················47

<표 1-27> 국내 동위원소 생산용 가속기 보유현황 ·················48

<표 1-28> 2003년도 방사성동위원소 수입 및 원자력연구소,

원자력의학원 생산 현황 ············································49

<표 1-29> 방사성동위원소 등의 인허가 기관별 현황 ·············55

<표 1-30> 분야별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적용 범위 ········55

<표 1-31> 국내 원자력 공급 산업체의 분야별 총매출액 추이 ··57

<표 1-32>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기술 개발을 통한 사업

현황 ··············································································58

<표 2-1>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위원회 위원 현황 ················64

<표 2-2> 제252차 원자력위원회 회의 결과 ·····························65

<표 2-3>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위원 현황 ·· 67

<표 2-4>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68

<표 2-5>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 현황 ········70

<표 2-6> 제23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결과 ··························71

<표 2-7> 제24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결과 ··························72

<표 2-8> 제25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결과 ··························72

<표 2-9>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위원 현황 ·· 74

<표 2-10>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전문분과 위원 현황 ··75

<표 2-11>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전문분과 위원 현황(계속) · 76

<표 2-12> 원자력법 개정상황 ·····················································78

<표 2-13> 원자력법 개정상황(계속) ··········································79

<표 2-14> 2003년 원자력관련 과학기술부고시 제․개정 현황 ·85

<표 2-15> 현행 과학기술부고시 집계표 ····································87

<표 3-1> 연도별 원자력연구개발사업 변천과정 ·······················95

<표 3-2> 2003년 대과제별 연구추진 현황 ····························105

Page 1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viii

<표 3-3> 2003년 대과제별 연구추진 현황(계속) ·················106

<표 3-4> 방사선기술(RT) 개발사업 세부분야별 추진현황 ··117

<표 3-5> 1992~2003년 주요 성과지표: 산업재산권 취득 ···119

<표 3-6> 1992~2003년 주요 성과지표: 학술지 게재 및 논문

발표 ··············································································119

<표 3-7> 1992~2003년 주요 연구개발성과 및 세부 사항 ···120

<표 3-8> 1992~2003년 주요 기술개발성과 ························121

<표 3-9> 세계 해수담수화용 원자로 개발현황 및 이용현황 ··124

<표 3-10> 우리나라 원자력관련 종사자수의 연도별 추이 ··· 133

<표 3-11> 원자력 관련업체 종사자의 분야별 분포 연도별 추이

···················································································134

<표 3-12> 원자력공학전공 학과 및 학생현황 ························135

<표 4-1> 원자력발전소 중대사고 정책 주요골자 ···················148

<표 4-2>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선/능 조사내용 ······159

<표 4-3> 방사선비상합동훈련 실시현황 ··································164

<표 4-4> CARE 계통 개발 기본계획 ······································167

<표 5-1> IAEA 사무총장 상설자문그룹 현황(2003.12 현재) ··194

<표 5-2> 우리나라의 2003년도 NEA 회의 참석 실적 ········197

<표 5-3> OECD/NEA 국제공동 사업 현황 ··························198

<표 5-4> 우리나라의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현황 ···················201

<표 5-5> 우리나라의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현황(계속) ········202

<표 5-6> 제8차 한․러 원자력공동위 기술협력 합의 내용 ···204

<표 5-7> 한․중 원자력공동위원회를 통한 양국간 주요협력 실적

······················································································206

Page 1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ix

<그림 목차>

<그림 1-1> 세계 원전 이용률 추이 ············································10

<그림 1-2> 원전수거물관리센터 조감도 ·····································41

<그림 2-1> 기술기준 고시화 및 안전규제지침 인정 절차도 ···87

<그림 3-1> 연도별 원자력연구개발사업 투자실적 ····················96

<그림 3-2> 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과제선정 및 협약체결 절차 · 101

<그림 3-3>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추진체계도 ···················108

<그림 3-4> 2002년도 원자력 관련업체 종사자의 직능별 분포현황

··················································································133

<그림 4-1> 원자력 안전규제 조직체계 ····································146

<그림 4-2> 원전 방사능 방재대책 조직체계도 ·······················162

<그림 4-3> CARE 계통 전체 구성도 ······································166

<그림 5-1> 원자력전용품목의 국가 수출 통제 체제 ·············184

<그림 5-2> IAEA 사무국 조직도 ·············································187

<그림 5-3> 제47차 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총회 수석대표

연설 ··········································································189

<그림 5-4> 제7차 한․IAEA 기술전시회(I) ·························191

<그림 5-5> 제7차 한․IAEA 기술전시회(II) ························192

<그림 5-6> 제7차 한․IAEA 기술전시회(III) ······················192

<그림 5-7> 미국 세코야 원전 1호기 교체용 증기발생기 출하 ···

··················································································209

<그림 5-8> 고리원전 소내이동용 사용후 핵연료 이송용기 출하

··················································································210

<그림 5-9> AP1000 원전 조감도 ···········································211

<그림 5-10> 중국 신규 원전 건설부지 ····································213

Page 1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1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제1장

원자력 현황

1. 원자력의 역할과 정책 동향 2. 원자력발전소 운영 및 건설 3. 원자력연료 현황 4.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5.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분야

Page 2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Page 2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

제1장 원자력 현황

1. 원자력의 역할과 정책 동향

가. 원자력의 의의와 역할원자력은 안정적․경제적 에너지 공급으로 국가경제 발전, 지구

환경의 보전, 국민 복지의 증진, 과학기술 진흥에 크게 기여해 왔

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원자력의 역할이 계

속 증대될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적인 경제 회복과 더불어 중국의 거침없는 경제

성장 그리고 국제 정세 불안의 여파로 인해 석유는 물론 석탄,

LNG 등 1차 에너지원의 가격이 급격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으

며 일부 에너지원은 안정적인 확보 자체가 난망한 실정이다. 특

히, 석유 등 소위 화석연료의 경우 이들 자원의 한정성과 지역편

중 그리고 국제적 카르텔 형성 등으로 가격상승과 공급불안의 위

험이 상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마다 에너지원의 안정적 확

보를 정책의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에너지원의 97%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특히 에너지원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원자력은 지금까지 우리 국가발전의 원동력

으로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전력을 공급하여 왔을 뿐만 아니라 향

후 대체에너지의 지속적인 확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당기간 국

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이 불가피하

다. 화력 발전의 경우 연료수급이 국제 정세에 민감한 데 반해 원

자력발전은 핵연료의 가격 변동성이나 수급이 훨씬 안정되어 있으

며 오는 2017년경의 전력수요가 지금의 1.4배 정도에 이를 것으

Page 2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

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대용량의 안정적 에너지원을 확충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가장 적합하다.

한편, 환경 친화적 측면을 고려할 때도, 원자력발전의 중요성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원자력발전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발생과

그 관리에 대한 일부 사회적인 논란에도 불구하고 화석연료로 인

한 환경 폐해와 향후 닥칠 이산화탄소 배출량 규제 등을 감안하

면, 비록 원자력발전이 최선은 아니더라도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

비한 최적의 선택임은 변할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다.

온실가스 주범의 하나인 이산화탄소의 경우 세계 전력 수요의

17%를 차지하고 있는 원자력발전으로 인해 연간 약 23억톤의 배

출이 억제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총배출량의 약 10%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발전부문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이 전체

의 약 24% 수준이나 전력수요 증가에 따라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여 원자력발전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는 필수불가결한 선

택이다.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산성비나 스모그의 원인이 되는

대기 오염물질을 고려하면 원자력발전의 친환경성은 두말할 나위

가 없다.

이렇게 볼 때,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화석연

료의 소비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을 적극 펴 나가야 하

는 것은 우리의 선택이 아닌 필연이다. 즉, 원자력이나 대체에너

지의 이용을 확대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체에너지는 지리적

제한성과 낮은 에너지 밀도에 따른 경제성 문제 등으로 가까운 시

일 내에 대용량 에너지원을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바로 이러

한 점에서 원자력발전은 지구환경을 보전하기에 가장 적합한 현실

적 에너지원이다.

원자력발전은 또한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의 경우처럼 인력자원

만으로 무한한 개발과 이용이 가능한 기술에너지이다. 원전에 필

요한 기술은 첨단기술의 집합체로서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은 물론

Page 2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

기타 국내 산업기술 발전에 그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우리나라는

이미 한국표준형원전을 통한 원전 설계 및 제작 기술의 국내 자립

은 물론 신형경수로(APR1400: Advanced Power Reactor

1400MWe)을 국내 기술진의 주도하에 개발하였으며 이제는 중

국, 동남아 등 해외 수출을 모색할 정도로 세계 최고수준의 원전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원자력은 우리 생활 깊숙이 뿌리 내리고 있어 현대 사회를 살아

가는데 있어서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 개발된 최첨단 양전

자방출 단층촬영술(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과

같은 각종 진단과 치료기술 개발로 의학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기

여했으며 비파괴검사, 농산물 품질개량, 오폐수 정화 등 방사선의

특성을 활용한 첨단 기술이 우리의 일상으로 꾸준히 확장되고 있

다. 원자력은 이 밖에도 가속기, 신재료 등 기초 과학기술은 물론

핵융합, 심해저 탐사 등 미래의 산업 발전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술의 하나이다.

나. 원자력 정책의 목표우리나라 원자력 정책은 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2002~2006)을 통해 자연과의 조화, 인간 삶의 존중이라는 기본이념 하

에 원자력을 평화적 목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함으로써 경제 성장,

환경 보호, 국민 보건 및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도록 5대 기본

목표를 설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5대 기본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선진 안전성 확보체계를 구축

하고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여 ‘국민과 함께 하는 원자력’의

위상을 정립

Page 2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

(2)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주력 에너지원’으로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에 기여

(3) 원자로기술과 핵연료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여 원자력 산업

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출산업으로 육성

(4) 의료․농업․공업․환경․기타 산업분야에서의 원자력 이

용을 확대하여 국민 보건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5) 원자력 기초 및 첨단 연구를 활성화하여 창조적 과학기술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위한 인력 양성체계를

구축

또한 정부는 원자력 정책의 5대 기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10

대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원자력 개발․이용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평화적 목적

으로만 추진한다.

(2) 민주와 공개의 원칙 하에 국민의 알 권리와 지역주민의 권

익을 존중하면서 국민과 함께 하는 원자력 개발․이용을 추

진한다.

(3) 철저한 안전성의 확보가 원자력 개발․이용의 최우선 전제

임을 인식하고 안전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

한다.

Page 2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

(4) 대체에너지원의 개발 노력과 병행하여 원자력 개발․이용

을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안정적 에너지 공급체계를 구

축해 나간다.

(5)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기술개발과 산업육성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6) 산․학․연 기술협력체계와 효율적인 산업체계를 구축하여

원자력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

(7) 방사성폐기물의 안전 관리를 위한 관리시설을 확보하고, 관

련 기술을 개발한다.

(8) 원자력기술 개발은 실용적 측면과 원천기술 확보 측면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선택과 집중의 원칙 하에 일

관성 있게 추진한다.

(9) 원자력 이용․개발의 진흥과 안전성 확보, 창조적 연구․개

발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할 핵심 인력의 양성에 노력한다.

(10) 원자력 정책은 세계화 시대에 부응하여 국제적 이해와 협력

을 바탕으로 추진하며, 남북 원자력 협력의 기반을 확충한다.

다. 원자력 정책 동향

우리나라 원자력 정책은 정책목표 및 기본방향, 원자로형 정책,

방사성폐기물 관리 정책,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정책, 원자로 폐로

Page 2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

정책, 핵비확산 정책,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 계획으로 구성된다.

원자력 정책목표 및 기본방향, 핵비확산 정책, 원자력연구개발 중

장기 계획은 본 백서의 다른 장 및 절에서 설명되므로 본 절에서

는 그 외 5개 분야의 정책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 원자로형 정책

2010년까지 100만 kW급 한국표준형원전의 건설을 추진하고

수출을 주도하는 원자로형으로 발전시킨다. 2010년 이후에는

140만 kW급 차세대원자로를 액체금속로 상용화 이전까지 주도

적인 원자로형으로 건설한다. 또한 사용후핵연료의 핵비확산성 재

활용과 경제성 및 기술성의 입증을 위해 원자로와 핵연료 정책을

연계하여 추진한다.

(2) 방사성폐기물 관리 정책

방사성폐기물 종합관리시설을 수용할 수 있는 부지를 공개적이

고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확보한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원전부지내 및 동위원소 폐기물 저장시설에서 관리한 후, 천층식

또는 동굴식 처분시설을 건설하여 영구 처분한다. 사용후핵연료는

처리 및 처분에 대한 국가 정책을 고려하여 원전부지내 저장시설

확충 및 소외 중간 저장시설 건설을 통해 단계별로 저장을 관리한

다.

(3)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정책

원자력기술선진국 진입을 위한 원자력기술의 균형적 발전을 위

Page 2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

해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산업

육성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안정적 생산․공급, 방사선 및 방사성

동위원소 이용 연구와 기술 수준의 선진화, 방사선 방호 및 방사

선 안전관리체계의 합리적 구축을 기본 목표로 한다.

(4) 원자로 폐로 정책

국내 최초의 원자로인 연구용 원자로 TRIGA MARK II, III는

폐로 중이며 원자력발전소는 폐로까지 시간이 있으므로 연구용 원

자로 폐로 과정에서 습득한 전문지식을 토대로 기술 개발 등 준비

를 갖추어 나갈 계획이다. 원전 폐로에 소요되는 비용은 사업자가

호기별로 적립하고 있는 사후처리 충당금으로 조달할 예정이나,

산정 및 적립 방식에 대한 정책을 조정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 국제 동향(1) 원전 성능 및 이용률 향상

2003년 말 현재 세계적으로 31개국에서 444기의 원전이 운전

중이며, 총 전력생산의 16%를 담당하고 있고, 10개국에서 36기

가 건설 중에 있다. 그리고 지난 12년간 세계 원전의 이용률은 매

년 1%씩 향상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향상될 것으로 전망되

고 있다(<그림 1-1>). 즉 1990년의 세계 원전 이용률이 71%에

불과하였는데 2002년에는 84%로 향상되었으며, 이는 100만

kW급 원전 34기를 새로 증설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Page 2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

71.072.9 73.1

74.475.4

76.7 77.178.1

79.180.8

82.183.4 83.7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7 1996 1998 1999 2000 2001 2002

이용률

(%)

년도

71.072.9 73.1

74.475.4

76.7 77.178.1

79.180.8

82.183.4 83.7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7 1996 1998 1999 2000 2001 2002

이용률

(%)

년도

<그림 1-1> 세계 원전 이용률 추이

한편, 미국을 비롯한 몇 개 국가에서는 원전 운영허가 갱신을

통한 원전 운영기간 연장을 추진 중에 있다. 미국에서는 2003년

말 현재 24기의 원전이 20년 연장 운전을 위한 운영허가 갱신이

발급되었으며, 러시아에서는 1기의 원전을 5년간, 불가리아에서

는 2기의 원전을 10년간 연장하는 운영허가 갱신이 발급되었다.

(2) 신규 원전 건설 활성화

현실적인 에너지 공급원은 원자력에너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는 재평가 하에, 미국 및 핀란드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원전 건설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1년 5월 백악관에서 발표한 “국가에너지정책”을

통해 원전이 미국 에너지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

으로 권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 에너지부(DOE)는 2010년

Page 2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

까지 신규 원전을 건설․운영한다는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2002

년 2월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2010년 준공을 목표로 최소한 원

전 1기(개량 경수로 또는 개량 고온가스로) 건설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조기 부지허가 승인을 결정한 바 있으며, 2003년에 3개의

전력회사가 조기 부지허가를 신청하였다. 또한 미국은 아이다호

주에 수소생산용 원자로 건설을 제안하고 있다.

2003년에 핀란드에서는 유럽 최초로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하

기로 결정한 바 있다. 핀란드 전력회사인 TVO는 핀란드의 5번째

원전이 될 오킬루오토 3호기를 160만 kW급 가압경수로(PWR:

Pressurized Water Reactor)인 EPR로 선정하였으며, 2005

년부터 건설에 들어갈 예정이다.

러시아는 2003년 5월 “국가에너지전략” 백서를 발표하여, 원전

의 발전점유율을 현재의 15%에서 2020년 5월까지 23%까지 증

대하기로 하였다.

일본은 2010년까지 9~12기의 신규 원전을 건설하여 향후 10

년 동안 원전의 발전점유율을 30%로 추진키로 하였다.

또한 영국은 2003년 “에너지백서”를 발표하여 장기에너지정책

에서 원전 이용을 유지키로 하였으며, 루마니아는 건설이 중단되

었던 체르나보다 원전 3호기의 건설을 재개하여 2011년에 운영

하기로 결정하였다.

(3) 신형 원자로 및 해수담수화 원자로 개발

국제에너지기구 등의 장기 에너지 예측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증가 및 소득 증대 등으로 인해 향후 50년간 세계 에너지수요가

2배 정도 증가하고, 또한 전력 수요는 3배 이상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 수요 증가의 대부분이 개도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Page 3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

IAEA는 “혁신적인 원자력기술개발 프로그램(INPRO: Inter-

national Project on Innovative Nuclear Reactors and

Fuel Cycle)”을 러시아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독일 및 한국 등 17

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로서 2000년부터 추진하였고,

2003년 6월에 INPRO 중간보고서인 “혁신 원자로 및 핵연료주

기 평가지침”(IAEA TECDOC-1362)을 발간한 바 있다.

한편 미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를 포함 원자력선진 11개국이

제4세대 원전 개발을 위한 국제포럼(GIF: Generation IV

International Forum)을 구성하여 2002년 중․장기적으로 가

장 바람직한 원자로형을 선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중기적으로는 제3세대+형 원자로인 미국에서 개발 중인

AP1000과 ABWR,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APR1400과 해수담수

화 발전로인 SMART, 프랑스와 독일이 공동 개발한 EPR 등을

건설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초고온가

스로 등 6개의 제4세대 원자로형을 선정하고 이들을 공동개발하

기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국제원자력기구의 지역협력계획으로 우리나

라와 공동으로 추진 중인 해수담수화 타당성 연구결과에 의거,

2010년에 해수담수화 발전로인 SMART를 건설 추진하여 2017

년에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아랍 에미리트를

비롯한 중동 지역의 몇몇 국가들과 칠레 등에서도 해수담수화 발

전로 SMART 도입 건설을 검토 중에 있다.

(4) 방사성폐기물관리

현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최종처분장은 미국의 반웰, 영국

의 돈리, 스웨덴의 포스마크, 일본의 로카쇼무라 등이 운영되고

있으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최종 처분장은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Page 3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

선정되지 못한 상태로 있어 신규 원전 건설의 걸림돌이 되고 있

다. 다행히 1999년부터 미국의 뉴멕시코 주에 위치한 군사용 고

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인 WIPP(Waste Isolation Pilot

Plant) 처분장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2002년에는 미국 정부가

유카마운틴(Yucca Mountain)을 상용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및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 최종 결정한 바 있다. 한편,

2001년 5월에는 핀란드 의회가 사용후핵연료의 최종 처분장으로

오클로루토 부지를 선정하였고, 2011년에 건설에 착수하여

2021년경에 운영 개시할 계획으로 있어, 사용후핵연료 및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영구 처분장 운영에 대한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으

로 기대된다.

(5) 국제 핵비확산 체제 강화

국제 핵비확산 체제는 계속 강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핵비확산

조약이 무기한 연장되었고 IAEA 안전조치체제도 강화되고 있다.

IAEA는 현재 145개국과 229개의 안전조치협약을 맺어 각 국가

가 신고한 시설에 대한 사찰만을 수행하여 왔으나, 신고하지 않은

시설에 대한 사찰까지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의정서의 시

행을 추진하여 추가의정서를 비준한 국가(2003년 말 현재 39개

국이 비준)와 단계별로 시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2001년 9월

11월에 발생한 미국 뉴욕의 테러 사태 이후에 제기된 원자력 시설

및 물자에 대한 방호조치의 강화도 추진 중에 있다.

Page 3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

2.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

가. 설비용량 및 발전량 현황(1) 설비용량 현황

우리나라는 1970년대까지 석유 중심의 전력 공급 체계를 유지

하였으나 두 차례의 석유 위기(유가 약 10배 상승)로 인해 석유

발전에 대한 대안으로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게 되었다.

구 분 석 유 국 내 탄 수 력구성비 약 70% 약 15% 약 15%

<표 1-1> 1970년대 전원별 구성 비중

그리하여 2003년에는 원자력과 석탄, 가스 중심의 전력 공급

체계가 이루어져 고유가에도 커다란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전력공

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구 분 원자력 석 탄 가 스 석 유 수력/기타 계용량(MW) 15,716 15,931 14,518 4,632 5,257 56,053

구성비(%) 28.0 28.4 25.9 8.3 9.4 100

<표 1-2> 2003년 기준 전원별 구성 비중

원자력발전은 여타 전원에 비해 투자비는 상대적으로 높으나 연

료비가 낮아 높은 이용률 면에서 경제적이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소는 고리1호기의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으로 2003년 현

재 총 18기가 운영중에 있다.

Page 3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

구분 호기

설비 용량(만kW) 원자로형 위치 상업 운전 개시

고리 #1고리 #2고리 #3고리 #4월성 #1월성 #2월성 #3월성 #4영광 #1영광 #2영광 #3영광 #4영광 #5영광 #6울진 #1울진 #2울진 #3울진 #4

58.765959567.970707095951001001001009595100100

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중수로가압중수로가압중수로가압중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가압경수로

부산광역시 기장군부산광역시 기장군부산광역시 기장군부산광역시 기장군경북 경주시경북 경주시경북 경주시경북 경주시전남 영광군전남 영광군전남 영광군전남 영광군전남 영광군전남 영광군경북 울진군경북 울진군경북 울진군경북 울진군

'78. 4.29'83. 7.25'85. 9.30'86. 4.29'83. 4.22'97. 7. 1'98. 7. 1'99.10. 1'86. 8.25'87. 6.10'95. 3.31'96. 1. 1'02. 5.21'02.12.24'88. 9.10'89. 9.30'98. 8.11'99.12.31

계 1,571.6 - - -

<표 1-3> 국내 원자력발전소 현황

[출처: 2003년 종합 원자력발전연보]

연도설비 '88 '96 '97 '98 '99 '00 '01 '02 '03원자력 6,666

(33.4)9,616(26.9)

10,316(25.1)

12,015(27.7)

13,716(29.2)

13,716(28.3)

13,716(27.0)

15,716(29.2)

15,716(28.0)

기 력 9,912(49.7)

14,022(39.3)

16,077(39.2)

17,208(39.6)

18,908(40.2)

20,059(41.4)

21,559(42.4)

21,749(40.4)

23,128(41.3)

복 합화 력

895(4.5)

8,719(24.4)

11,268(27.5)

10,785(24.8)

10,935(23.2)

11,257(23.2)

11,436(22.5)

12,186(22.7)

13,086(23.4)

내연력 235(1.2)

264(0.7)

265(0.6)

265(0.6)

270(0.6)

271(0.6)

273(0.5)

275(0.5)

246(0.4)

수 력 2,236(11.2)

3,094(8.7)

3,114(7.6)

3,131(7.2)

3,147(6.7)

3,149(6.5)

3,876(7.6)

3,876(7.2)

3,877(6.9)

합 계 19,944(100)

35,715(100)

41,042(100)

43,405(100)

46,977(100)

48,451(100)

50,859(100)

53,801(100)

56,053(100)

<표 1-4> 발전원별 발전설비 추이(단위: 천kW, %)

[출처: 2003년도 한국전력 통계]

Page 3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

(2) 발전량 현황

원자력발전량 점유율은 1989년에 50.1%로 전체 발전량의 절

반 이상을 차지한 이래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삼천포, 보령

등 대용량 화력발전소 건설로 계속 감소하여 1997년에 34.3%까

지 감소하였다. 1998년과 1999년에 월성3,4호기 및 울진3,4호

기가 상업운전에 들어감으로써 다시 40%대의 원자력 발전량 점

유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후 다소 증감은 있었지만 원자력 발전은

우리나라 전력계통의 기저부하를 담당하는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원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여 왔다.

연도설비 '95 '96 '97 '98 '99 '00 '01 '02 '03

원자력 67,029

(36.3)

73,924

(36.0)

77,086

(34.3)

89,689

(41.7)

103,064

(43.1)

108,964

(40.9)

112,133

(39.3)

119,103

(38.9)

129,659

(40.2)

화력

석탄48,813

(26.4)

56,881

(27.6)

67,190

(29.9)

75,500

(35.1)

81,544

(34.1)

97,538

(36.6)

110,333

(38.7)

118,022

(38.5)

120,275

(37.3)

유류42,045

(22.8)

42,436

(20.7)

42,937

(19.1)

17,712

(8.2)

18,527

(7.7)

26,142

(9.8)

28,156

(9.9)

25,095

(8.2)

26,511

(8.2)

가스21,296

(11.5)

27,050

(13.2)

31,822

(14.2)

26,302

(12.2)

30,124

(12.6)

28,146

(10.6)

30,451

(10.7)

38,943

(12.7)

39,093

(12.2)

수 력 5,478

(3.0)

5,201

(2.5)

5,404

(2.4)

6,099

(2.8)

6,066

(2.5)

5,610

(2.1)

4,151

(1.5)

5,311

(1.7)

6,887

(2.1)

합 계 184,661

(100)

205,494

(100)

224,439

(100)

215,302

(100)

239,325

(100)

266,400

(100)

285,224

(100)

306,474

(100)

322,425

(100)

<표 1-5> 에너지원별 발전량 구성비 추이단위: GWh, %

[출처: 2003년도 한국전력통계]

Page 3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

나. 이용률 및 가동률 현황(1) 이용률

국내원전의 이용률 추세는 1978년 국내 최초로 고리1호기가

상업운전을 개시한 이래 1990년도까지는 70%대 수준이었으나,

지속적으로 운영기술을 향상시켜 1991년부터 80%대로 진입하였

으며 1993년 이후 87% 이상의 높은 이용률을 유지하고 있다.

2001년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따라 발전부문의 경쟁체제가 도

입된 이후 국내원전의 평균 이용률은 2001년에 93.2%, 2002년

에 92.7%를 기록함으로써 2003년도 세계원전 평균 이용률

76.45%를 훨씬 상회하는 우수한 실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2003년에는 우리나라 25년 원전 운영 역사상 최고 실적인

94.17%의 이용률을 기록하였다.

미국 Nucleonics Week지가 발표한 2003년도 국가별 평균 이

용률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네덜란드(94.4%)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하였는데, 호기별 기록에서는 고리3호기가 이용률 104.8%로

세계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울진3호기, 영광4호기가 각

각 104.42%와 102.93%의 이용률로 2위와 4위를 차지하였다.

Page 3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

호기년도

고 리 월 성 영 광 울 진 평균#1 #2 #3 #4 #1 #2 #3 #4 #1 #2 #3 #4 #5 #6 #1 #2 #3 #4'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00'01'02'03

46.3

61.3

67.4

56.3

73.5

63.6

66.3

65.5

67.9

94.0

45.8

56.5

72.1

89.9

74.8

78.7

66.5

82.2

77.0

78.9

77.6

85.2

92.3

95.0

85.4

93.2

-

-

-

-

-

80.4

76.9

70.1

73.7

79.7

83.6

94.4

81.0

84.9

84.0

78.1

87.5

95.3

87.0

86.1

87.5

87.1

91.3

89.4

93.9

90.2

-

-

-

-

-

-

-

89.7

71.7

73.0

76.7

82.6

85.9

74.2

84.3

89.1

82.1

76.1

99.1

75.8

86.5

90.5

100.9

94.7

96.1

104.8

-

-

-

-

-

-

-

-

94.2

73.7

74.1

77.3

78.1

79.6

83.1

85.5

93.2

91.4

83.5

87.8

105.3

89.0

91.3

95.1

106.0

95.1

-

-

-

-

-

61.9

66.8

94.4

79.7

92.9

79.4

91.0

85.9

91.1

86.8

100.0

82.6

83.7

81.0

102.1

78.5

82.8

80.9

83.1

99.1

89.5

-

-

-

-

-

-

-

-

-

-

-

-

-

-

-

-

-

-

-

97.1

83.6

90.8

92.7

97.2

91.6

95.3

-

-

-

-

-

-

-

-

-

-

-

-

-

-

-

-

-

-

-

-

98.5

82.0

103.1

86.0

95.8

97.3

-

-

-

-

-

-

-

-

-

-

-

-

-

-

-

-

-

-

-

-

-

103.0

94.2

95.5

94.7

98.2

-

-

-

-

-

-

-

-

88.2

75.2

77.6

81.0

86.5

84.0

86.8

84.5

100.0

78.6

84.6

103.9

89.1

84.5

90.3

104.4

92.9

88.7

-

-

-

-

-

-

-

-

-

95.9

78.6

71.6

74.9

84.2

80.6

86.9

89.4

77.1

95.6

83.5

75.5

84.3

89.4

89.9

102.5

92.8

-

-

-

-

-

-

-

-

-

-

-

-

-

-

-

-

-

100.0

76.6

87.0

89.0

89.1

87.3

103.6

92.1

93.9

-

-

-

-

-

-

-

-

-

-

-

-

-

-

-

-

-

-

86.5

81.7

101.2

91.8

87.3

87.1

92.1

102.9

-

-

-

-

-

-

-

-

-

-

-

-

-

-

-

-

-

-

-

-

-

-

-

-

103.3

81.1

-

-

-

-

-

-

-

-

-

-

-

-

-

-

-

-

-

-

-

-

-

-

-

-

105.3

92.5

-

-

-

-

-

-

-

-

-

-

40.8

65.2

78.5

91.7

88.1

87.6

86.2

90.4

89.8

85.9

96.0

89.4

90.0

87.5

71.3

87.6

-

-

-

-

-

-

-

-

-

-

-

45.8

70.3

84.2

88.9

90.9

86.8

98.2

96.6

88.8

92.8

97.9

85.2

91.6

82.0

90.9

-

-

-

-

-

-

-

-

-

-

-

-

-

-

-

-

-

-

-

-

103.7

83.5

90.1

94.9

93.0

104.4

-

-

-

-

-

-

-

-

-

-

-

-

-

-

-

-

-

-

-

-

-

-

84.7

93.1

88.2

95.4

46.3

61.3

67.4

56.3

73.5

66.6

70.1

78.7

78.1

81.5

73.0

76.2

79.3

84.4

84.5

87.2

87.4

87.3

87.5

87.6

90.2

88.2

90.4

93.2

92.7

94.2

<표 1-6> 국내 원자력발전소 이용률 현황(단위: %)

[출처: 2003년 종합 원자력발전연보]

연도 구분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국내평균 87.2 87.4 87.3 87.5 87.6 90.2 88.2 90.4 93.2 92.7 94.17

세계평균 69.6 70.2 71.6 72.9 72.2 73.9 75.6 76.4 78.9 78.9 76.45

<표 1-7> 국내 및 세계 원전이용률 비교(단위: %)

[출처: 2003년 종합 원자력발전연보]

Page 3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

(2) 가동률

이용률과 더불어 원전의 안전성, 경제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

표중 하나가 가동률인데 이는 연간 총시간(Calender Hour)에

대한 발전소의 실제 가동시간(Operation Hour)의 비율로서 국

내원전의 가동률 또한 이용률과 함께 꾸준히 향상되어 왔다.

1990년 이후 평균 80% 이상의 가동률 실적을 보였으며, 특히

2001년 전력산업 구조개편 후 발전부문의 경쟁체제가 도입된 이

후에는 90% 이상의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

호기년도

고 리 월 성 영 광 울 진 평균#1 #2 #3 #4 #1 #2 #3 #4 #1 #2 #3 #4 #5 #6 #1 #2 #3 #4'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00'01'02'03

65.1

74.8

79.5

69.6

78.8

70.1

72.0

72.6

73.1

98.8

50.6

60.0

74.6

93.3

76.9

81.4

68.2

99.4

79.0

80.8

76.5

84.7

90.6

93.0

91.3

91.1

-

-

-

-

-

84.7

78.0

75.8

74.8

82.8

82.8

95.7

84.3

85.8

85.0

80.5

87.7

95.5

87.3

87.2

86.1

85.3

88.9

87.3

91.1

88.0

-

-

-

-

-

-

-

94.8

74.5

76.1

79.7

82.3

90.4

75.1

83.7

88.1

81.4

78.4

96.2

74.2

83.6

86.9

95.6

90.0

92.1

99.2

-

-

-

-

-

-

-

-

95.9

76.6

79.8

77.2

81.5

80.0

82.7

85.1

93.2

89.3

81.4

85.0

100.0

85.0

86.3

90.5

100.0

90.9

-

-

-

-

-

77.0

70.6

94.5

80.8

93.4

80.1

91.7

86.0

90.5

85.5

99.0

81.6

82.6

80.0

99.7

76.8

80.9

79.6

81.7

97.5

88.2

-

-

-

-

-

-

-

-

-

-

-

-

-

-

-

-

-

-

-

95.1

81.6

88.5

89.3

93.5

88.2

91.5

-

-

-

-

-

-

-

-

-

-

-

-

-

-

-

-

-

-

-

-

96.4

80.0

100.0

83.5

92.3

93.3

-

-

-

-

-

-

-

-

-

-

-

-

-

-

-

-

-

-

-

-

-

100.0

91.5

92.6

91.0

94.3

-

-

-

-

-

-

-

-

94.8

78.4

77.9

81.5

85.7

84.3

86.5

86.8

99.9

77.4

82.6

99.8

86.7

82.7

87.6

100

90.0

86.8

-

-

-

-

-

-

-

-

-

98.1

80.7

73.6

77.1

84.9

82.6

85.7

87.8

76.4

93.2

85.1

75.1

83.3

88.3

88.2

99.8

90.7

-

-

-

-

-

-

-

-

-

-

-

-

-

-

-

-

-

99.6

75.0

85.0

86.4

87.6

86.2

100.0

89.5

91.0

-

-

-

-

-

-

-

-

-

-

-

-

-

-

-

-

-

-

86.1

81.3

98.1

90.0

85.3

84.8

89.2

98.9

-

-

-

-

-

-

-

-

-

-

-

-

-

-

-

-

-

-

-

-

-

-

-

-

99.2

84.8

-

-

-

-

-

-

-

-

-

-

-

-

-

-

-

-

-

-

-

-

-

-

-

-

100.0

88.2

-

-

-

-

-

-

-

-

-

-

45.1

66.5

81.7

91.0

87.4

87.3

83.3

87.9

86.9

83.6

94.3

87.2

88.1

85.5

69.1

85.0

-

-

-

-

-

-

-

-

-

-

-

45.9

73.0

86.8

87.5

87.8

83.5

93.9

92.8

86.0

90.7

99.9

83.5

89.6

79.2

87.7

-

-

-

-

-

-

-

-

-

-

-

-

-

-

-

-

-

-

-

-

100.0

81.6

88.0

91.6

89.4

100.0

-

-

-

-

-

-

-

-

-

-

-

-

-

-

-

-

-

-

-

-

-

-

82.3

90.0

85.1

92.3

65.1

74.8

79.5

69.6

78.8

75.4

73.5

82.1

79.8

85.8

74.6

77.6

81.6

85.7

84.2

86.9

85.2

87.7

85.5

86.6

87.1

86.2

88.2

90.1

90.0

91.2

<표 1-8> 국내 원자력발전소 가동률 현황(단위: %)

[출처: 2003년 종합 원자력발전연보]

Page 3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

다. 원전 운영능력 향상원자력발전소의 고장정지 건수는 1년 동안 정상 운전 중 기기고

장 또는 인적요인 등에 의해 발전소가 불시 정지하는 횟수를 의미

하는데, 안전성과 전기품질 확보 측면에서 원전의 운영관리 수준

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003년도 국내 원자력발전소 호기별 고장정지현황을 살펴보

면, 월성2,3,4호기와 영광3,4,5호기 및 울진2,4호기가 각각 1건

씩의 고장정지를 기록하였으며 영광1호기는 3회 정지되었다. 아

울러 2003년에 발생한 고장정지를 원인별로 살펴보면, 11건 모

두가 기기고장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자연열화로 인한 정지가 4건,

오동작 3건, 시공불완전 2건, 정비불완전, 설계불완전 및 기타가

각각 1건씩 발생하였다.

한주기 무고장 안전운전이란 연료교체 후 다음 연료교체 시기까

지 발전정지 없이 연속운전 하는 것을 의미하며 OCTF(One

Cycle Trouble Free)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한주기 무고장 안

전운전은 수백만 개의 부품과 기기로 구성된 원자력발전소가 일정

기간동안 이상이나 고장이 없어야 가능한 것으로 운전․정비․관

리의 우수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2003년도에는 18기의 가동원전 중 고리4호기 및 영광2,3,6호

기 등 4개 원전에서 한주기 무고장 안전운전을 달성하였다. 특히,

고리4호기는 상업운전 이후 5번째로 국내 최다를 기록하였고, 영

광3호기는 2주기 연속, 영광6호기는 국내 최초로 첫주기 무고장

안전운전을 달성하였다. 이로써 2003년 말까지 국내원전이 달성

한 한주기 무고장 안전운전은 1988년 고리3호기를 시작으로 총

40회에 이르고 있다.

Page 3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

연도구분 '88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가 동원 전 8 9 9 9 9 9 10 11 12 14 16 16 16 18 18

한주기무고장운 전

1 0 1 2 3 0 1 1 2 6 4 1 7 7 4

<표 1-9>국내원자력발전소연도별『한주기무고장안전운전』현황

[출처: 2003년 종합 원자력발전연보]

최근 국내 원전운영 실적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원전 선진국으

로 도약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살펴보면,

첫째, ‘인적실수 제로화’를 목표로 작은 일에도 항상 최선을 다

하는 원전 종사자들의 노력을 꼽을 수 있다. 2003년에는 인적실

수에 의한 고장정지가 단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둘째, 고장예방 활동 강화와 지속적인 설비개선으로 모든 설비

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발전소가 최적의 상태에서 운전되도

록 유지·관리하였다.

셋째, 발전소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운영능력 향

상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넷째, 계획예방정비 최적화 및 관리체계 개선 등을 통한 지속적

인 공기단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 밖에도 연료 교체주기 연장, 열출력 측정방법 개선, 실시간 감

시 계통 운영 등 지속적인 설비개선 및 연구개발을 수행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을 운영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Page 4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

라. 원전건설 현황울진5,6호기는 울진3,4호기 인접부지에 건설되는 100만 kW

급 가압경수로 한국표준형원전으로 2004년과 2005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한국표준형원전의 설계를 반복하여 건설하는 울진5,6호기는 핵

심설비중의 하나인 원자로 내부구조물 및 제어봉 구동장치의 설계

를 국내업체가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 원전기술력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하였다. 또한 장주기 노심설계 채택, 증기발생기 세관

재질 변경,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60) 반영, 옥외 매설물

의 지하공동구 배치 등 신기술 및 선진 공법을 적용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한 단계 향상시켰으며 국내원전 건설 사상 최단공기(최

초콘크리트 타설~준공: 57개월)에 건설되어 경제성이 가일층 향

상되었다.

신고리1,2호기는 고리원자력본부 인접 부지에 건설되는 100만

kW급 가압경수로 개량형 한국표준형원전으로 2008년과 2009년

에 준공될 예정이다.

신고리1,2호기의 주요 특성은 일체형원자로상부구조물, 복합건

물 등 97개의 개선사항을 반영하여 한국표준형원전 대비 안전성과

경제성을 향상시켰으며, 원전 종사자의 운전편의성과 방사선 피폭

저감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건설공기 단축을 위해 합성구

조물 공법과 원자로냉각재계통의 자동용접 등 신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고리1,2호기의 건설공기는 국내 역대 최단기간

인 52개월(최초콘크리트 타설~준공)로 추진될 예정이다.

신월성1,2호기는 월성원자력본부 인접 부지에 건설되는 100만

kW급 가압경수로 개량형 한국표준형원전으로 2009년과 2010년

에 준공될 예정이다.

Page 4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

신월성1,2호기는 신고리1,2호기와 동일한 개량형 한국표준형

원전의 두 번째 건설 사업으로 부지 특성을 제외한 제반 설계특성

이 신고리1,2호기와 동일하다.

신고리3,4호기는 가동중인 신고리1,2호기의 인접부지에 건설

되는 140만 kW급 가압경수로로 최초로 건설되는 APR1400로

서 2010년과 2011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중이다.

APR1400은 정부 주도의 선도기술개발사업(G-7)으로 1992

년 6월 선정되어 국내 원자력 산․학․연의 공동 참여하에 10여

년에 걸쳐 개발한 개량형 신형원전(Evolutionary Advanced

Light Reactor)으로 기존 원전에 비해 안전성과 경제성이 대폭

향상되었다.

북한원전 건설사업은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북한 간

체결된 경수로 공급협정에 따라 함경남도 금호지구에 한국표준형

원전인 1,000 MW급 가압경수로 2기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진입

도로공사, 취․배수 방파제 및 물양장, 용수 및 전력공급설비, 생

활시설 등 기반시설공사를 완료하고 발전소 기초굴착공사 및 구조

물 신축공사, 도·방수로 공사 등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북핵 문제가 새롭게 제기된 2002년 10월 이후 정상적

인 사업수행이 어려워져 2003년 12월부터 공사가 중지되었다.

Page 4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4

3. 원자력연료 현황

가. 원자력연료 주기별 수급현황 및 전망(1) 원자력발전 전망 및 우라늄 수급전망

2003년 12월 말 현재 전세계에서 운전 중인 원자력발전소는

총 436기로 그 용량은 360 GWe로 세계 전력의 약 16%를 공급

하고 있다.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World Nuclear Association(WNA)

사는 “Global Nuclear Fuel Market 2003”에서 원자력발전소

용량을 2010년 396.5 GWe, 2015년 421.5 GWe, 2025년에

는 437.9 GWe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표 1-10>은 세

계 원자력발전 용량 전망을 상한, 표준, 하한으로 구분하여 예측

하고 있으며, 본 백서의 핵연료주기 소요량은 발전용량이 표준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하였다.

호주, 구 소련권, 캐나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우라늄 매장이

확인되었으며, kgU당 40$ 이하로 개발할 수 있는 세계 우라늄

매장량은 1,885천 톤U, 80$ 이하로 개발할 수 있는 우라늄 매장

량은 3,404천 톤U으로 향후 40~50년간 세계 우라늄 수요를 충

족할 수 있는 물량이다. WNA가 발표한 확인매장량은 IAEA와

OECD/NEA에서 발간하는 “Uranium 2003: Resources,

Production and Demand”(일명 Red Book)에서 발표한 확인

매장량 3,466천 톤U와 비슷한 수치이다.

<표 1-11>은 세계 우라늄 확인 매장량을 나타낸다.

Page 4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5

구 분 2002 2010 2015 2025상 한 356.8 425.6 481.8 549.1

표 준 356.8 396.4 421.5 438.0

하 한 356.8 372.6 371.7 307.6

<표 1-10> 세계 발전용량 전망(단위: GWe)

구 분 40 $/kgU 60 $/kgU 80 $/kgU아프리카 126 269 269

아시아 51 51 51

호주 500 1209 1209

캐나다 379 447 447

유럽 2 4 31

구소련권 687 878 977

남미 39 41 273

미국 101 134 147

합계 1,885 3,033 3,404

<표 1-11> 우라늄 확인 매장량(단위: 천 톤U)

[출처: WNA 자료]

년도 2002 2005 2010 2015 2025소요량 65.3 68.4 74.8 79.4 81.9

생산량 36.1 38.3 41.7 37.9 37.9

과부족 -29.2 -30.1 -33.1 -41.5 -44.0

<표 1-12> 우라늄 정광 소요량 및 생산 전망(단위: 천 톤U)

Page 4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6

원자력발전소 증가에 따라 우라늄 수요도 계속 늘어나 2002년

65,274 톤U이었던 우라늄 소요량이 2005년에는 68,357 톤U,

2010년에는 74,790 톤U, 2020년에는 82,264 톤U로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우라늄 생산량은 우라늄 수요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

다. <표 1-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2년 우라늄 생산량은

36,097 톤U로 수요량 65,274 톤U의 55.3%에 불과하였으며,

2005년 생산예상량 38,000 톤U으로 수요예상량의 55.5%에 불과

하다. 이와 같이 우라늄 생산량이 소요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1985년 이후지속되고있으며, 앞으로도 상당기간지속될전망이다.

지난 20년 동안 지속된 우라늄 생산량과 소요량의 차이에 따른

부족분은 정부, 발전회사, 광산회사, 핵연료주기회사 등에서 보유

한 비축물량으로 우선 보충하였으며, 전략무기 감축협정에 따라

해체된 핵무기에서 회수한 고농축 우라늄, 재처리로 회수된 우라

늄과 플루토늄 등으로 메워왔다.

2002년 말 현재 세계 비축물량은 약 147,500 톤U으로 세계수

요의 약 2년분을 조달할 수 있는 물량이며, 그 중 110,000 톤U

는 일본, 한국, 대만을 비롯한 발전회사에서 전략적 비축물량으로

가지고 있으며, 광산회사에서 15,000 톤U, 핵연료주기회사에서

22,500 톤U을 보유하고 있다.

1993년 미국․러시아간 체결된 고농축우라늄 공급합의서에 의

해 1995년부터 2014년까지 러시아산 고농축 우라늄 총 500 톤

U을 미국으로 수출하게 되어있으며, 동 물량을 천연우라늄으로

환산하면 152,000 톤U에 해당한다. 매년 약 30 톤U의 고농축

우라늄을 저농축 우라늄으로 희석하여 발전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는 핵무기 해체로 회수된 플루토늄 중 각각 34 톤

씩을 혼합연료로 만들어 가압경수로에 사용할 예정이며, 이는 천

연 우라늄 14,300 톤U에 해당한다.

Page 4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7

또한 민간용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하여 회수한 우라늄과 플루

토늄을 가압경수로에 사용하고 있으며 그 양을 천연우라늄으로 환

산하면 매년 2,000~3,000 톤U에 해당된다.

러시아는 남아도는 농축시설을 이용하여 천연 우라늄을 농축한

후 농축시설에 저장중인 농축도 0.2~0.3%인 감손우라늄 중 농

축도가 0.3%에 가까운 감손우라늄을 재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세계 농축시설에 약 150만 톤U의 감손우라

늄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당량의 우라늄 자원을 추가로 확보할

수가 있다.

농축 시설이 있는 나라는 전부 변환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2003년 말 현재 세계 변환시설 용량은 67,500 톤U으로 소요량

에 비하여 공급능력이 충분하다. 영국 BNFL사 변환시설을

2006년 폐쇄 예정이나 BNFL사가 폐쇄되더라도 수급에는 특별

히 문제점이 예상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핵무기 해체로 시장에

유입되는 고농축 우라늄을 희석한 저농축 우라늄은 이미 변환이

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변환 수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표 1-13>에 경수로 변환 시설명 및 용량을, <표 1-14>에 변환

수급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국명 회사명 용량(tU/년) 비고캐나다 CAMECO 10,500

BNFL 시설은 2006년 3월

폐쇄 예정

프랑스 Comurhex 14,000

러시아 Tenex 22,000

영 국 BNFL 6,000

미 국 Convert Dyn 14,000

기 타 1,090

계 67,590

<표 1-13> 변환 시설(경수로)

Page 4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8

년도 2005 2010 2015 2020소요량 6.04 6.12 6.19 6.11

공급능력 6.76 6.16 6.16 6.16

과부족 0.72 -0.04 0.03 0.05

<표 1-14> 변환 수급전망(단위: 만 톤U/년)

1970년대 미국 독점시장이었던 농축시장은 1980년

EURODIF와 URENCO사의 등장으로 독점이 깨어져 그 이후

치열한 시장 경쟁을 벌이고 있다. 동구권 농축역무 독점 공급원이

었던 소련이 붕괴한 후 1990년대 러시아가 달러 확보를 위하여

자유세계시장에 의욕적으로 진출함에 따라 시장경쟁은 더욱 가열

되었다. 핵무기 해체로 민수용으로 전환된 고농축 우라늄을 희석

한 저농축 우라늄도 농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그만큼 농축 수요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표 1-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계 농축 공급능력은 47,450

톤 SWU인데 반해, 수요는 4만 톤 SWU 수준에 그쳐 공급능력이

충분하며, 공급능력 과잉으로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표 1-16>

은 세계 농축 수급전망을 나타내며, <표 1-17>은 농축 서비스 가

격을 표시한다.

성형가공분야는 원자로 공급자마다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

부분의 원자력발전소 보유국이 국산화를 달성하여 국내 수요를 충

족하고 있으므로 공급이 수요를 훨씬 상회하여 핵주기 성분 중 가

장 경쟁이 치열한 분야이다. 원자력발전소 이용률 증가에 따라 소

요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핵연료 기술개발로 연소도가 증가함에 따

른 핵연료 성형가공 소요량이 감소함으로써 핵연료 소요량 증감분

이 상쇄되고 있다.

Page 4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9

국명 시설명 용량(톤 SWU)미국 USEC 8,000

불, 이, 벨기에 EURODIF 10,800

러시아 Tenex 20,000

영, 독, 네덜란드 URENCO 6,000

일본 JNFL 1,050

중국 CNNC 1,300

기타 300

합계 47,450

<표 1-15> 농축 공급능력

2002 2005 2010 2015 2025수요 38.5 40.9 46.2 49.9 51.5

공급 47.7 47.5 51.5 51.5 51.5

과부족 9.0 6.6 5.3 1.6 -

<표 1-16> 농축 수급전망(단위: 천톤 SWU)

구 분 '96 '97 '98 '99 '00 '03 '04.4현물가 98 91 86 83 81 108 110

장기가 125 100 96 89 84 105 105

<표 1-17> 농축 서비스 가격 추이(단위: $/ SWU)

구분 2004 2010 2015 2020수요 7,060 7,550 7,700 8,900

설비용량 10,059 10,059 10,059 10,059

과부족 2,999 2,509 2,359 1,159

<표 1-18> 경수로 성형가공 역무 수급전망(단위: 톤U)

Page 4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0

나. 국내 원자력연료 수급계획World Nuclear Association이 평가한 국내 원자력발전소 우

라늄 정광 소요량은 2005년 3,011 톤U에서 2025년 5,740 톤

U으로 늘어날 전망이며, 농축 소요는 2005년 1,632 톤 SWU에

서 2025년 3,335 톤 SWU로 늘어날 전망이다.

핵연료주기 중 성형가공 분야만 국산화한 우리나라는 우라늄 정

광, 변환 역무, 농축 역무를 해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해외

공급선의 공급중단에 대비하여 공급원을 다원화하고 있으며, 상당

량의 천연우라늄과 농축우라늄을 비축물량으로 확보하고 있다. 대

부분의 물량을 장기계약으로 확보하고 있다. <표 1-19>는 우리나

라 우라늄과 농축 수요전망을 보인다.

구분 2002 2005 2010 2015 2025우라늄 정광, 톤U 2,870 3,011 3,669 4,833 5,740

농축, 톤 SWU 1,524 1,632 2,032 2,783 3,335

<표 1-19> 국내 원자력연료 소요량

다. 원자력연료 생산 기술개발우리나라는 1982년 11월 한전원자력주식회사를 설립하고 핵연

료 성형가공 국산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1988년 연산 200 톤U 규모의 경수로 핵연료 생산시설을 준공

하고, 국내원전 소요 핵연료성형가공 역무를 공급하기 시작한 한

전원자력연료주식회사는 1997년 경수로 연산 200 톤U, 중수로

연산 400 톤U의 시설을 증설하여 국내 모든 원전에 소요되는 핵

연료 성형가공 역무를 공급하고 있으며, 북한에 건설 중인 KEDO

Page 4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1

원전에 소요되는 핵연료 성형가공 역무까지 공급할 계획이다. 신

고리1~4호기, 신월성1,2호기 건설계획에 맞추어 늘어나는 수요

를 충족하기 위하여 시설증설 계획도 추진 중이다.

세계 최고 품질의 연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추

진하여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용 핵연료 기술개발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웨스팅하우스와 공동으로 추진하여 2003년 PLUS-7의 개

발을 마치고 시범집합체를 울진3호기에 장전 중이며, 2006년 상

용 공급 예정이다. 웨스팅하우스형 원자로용 핵연료의 기술개발

역시 정부의 지원을 받아 2004년 ACE-7 시범집합체를 원자로에

장전 예정이며 2008년부터 상용 공급할 예정이다. PLUS-7과

ACE-7의 개발 목표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핵연료의 연소도를

기존 연료 45,000 MWD/MTU에서 55,000 MWD/MTU으로

높이는 것이며, 혼합날개의 설계를 개선하여 열적 여유도를 높이

고, 하단 고정체의 설계를 개선하여 금속 부스러기가 핵연료 집합

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로 막는 등 일곱 가지 점을 기존연료와

비교 개선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경제성을 제고하고 있다.

다음 세대 핵연료 기술개발을 위한 개념 확립을 위한 준비도 진

행 중으로 2015년 목표로 독자 기술에 의한 핵연료 개발을 추진

하고 있다.

중수로 개량핵연료 CANFLEX의 연구개발이 한국원자력연구

소와 캐나다 AECL사와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CANFLEX 연료

는 기존 연료의 다발 당 연료봉수 37개를 43개로 늘려 열적 여유

도를 향상시켜 안전성을 제고하는 방향의 연구가 종료단계로 월성

원자력발전소에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 CANFLEX-NU 연

료 시범집합체를 장전하여 실험을 완료한 상태이다. 저농축 우라

늄과 재처리 후 회수되는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는 연구도 계속

되고 있으며, 저농축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할 경우 사용후 연료 방

출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Page 5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2

4.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현황(1) 기체폐기물관리

(가) 발생원

원자력 에너지는 우라늄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핵분열이 일어나

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핵분열생성물은

대부분 연료봉안에 남지만 극히 일부는 원자로 냉각재계통으로 유

출되어 원자로와 원자로건물, 보조건물내 각종 설비로 이동된다.

방사성기체는 원자로 냉각재계통의 냉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는

과정과 방사능에 오염된 액체폐기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과정에

서 발생한다.

(나) 처리방법

기체폐기물 처리에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첫째, 일정기간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기체폐기물 저장탱크에 기

체폐기물을 압축, 주입하여 일정기간동안 저장하여 두면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물질이 자연적으로 붕괴되어 없어지게 되고, 방사성요

오드와 미립자는 특수한 여과설비에 의해 걸러진 후 방사능 연속

감시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방출되는 방사능이 안전 기

준치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방출이 중단되도록 되어 있다.

둘째, 활성탄을 이용, 방출을 지연시키는 방법으로 활성탄이 많

이 들어있는 여과탑에 기체폐기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방사성동위

Page 5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3

원소를 활성탄에 흡착시켜 걸러내는 방식이다. 흡착된 방사성물질

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적으로 그 방사능이 줄어든다. 방출시

방사능 연속감시기에 측정되며 방출되는 공기의 방사능이 안전기

준치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방출이 중단된다.

(다) 배출관리

기체폐기물 배출은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규제한다.

첫째, 발전소 인근 주민거주지역의 공기에 대하여 방사성물질이

허용되는 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방출을 제한한다. 기체폐기물은

외부로 방출하기 전에 방사성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여 인

근 주민이 자유롭게 통행, 거주하는 지역에서 법이 정한 허용농도

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둘째, 발전소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이 1년간 받아도 무방한 방

사선 영향 기준치를 넘지 않도록 방출을 제한한다. 방사성물질의

방출이 기준치에 적합한지 여부는 배출 핵종별 방사능량, 기상상

태, 반경 80km 이내 지역사회의 각종 자료를 “발전소 인근 주민

방사선량 피폭평가 프로그램(ODCM)”에 입력하여 평가한다. 발

전소 경계에 인접한 거주주민에 대한 연간 방사선 선량한도는 일

반인의 기준치와 같이 한 사람당 연간 1mSv(100mrem)이나 동

일부지 내에 다수호기의 원자력관계시설을 운영하는 발전소의 경

우 설계 기준치인 유효선량 0.25mSv(25mrem)를 운영 목표로

관리하고 있다.

2003년도의 발전소 인근주민에 대한 방사선영향을 평가한 결

과는 <표 1-20>과 같다.

Page 5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4

구분 기체 액체고리 1발 7.42E-05 mSv 1.12E-05 mSv

2발 1.25E-05 mSv 4.44E-07 mSv

월성 1발 1.20E-02 mSv 5.31E-05 mSv

2발 2.51E-03 mSv 2.00E-05 mSv

영광1발 2.92E-04 mSv 9.26E-07 mSv

2발 9.38E-06 mSv 3.94E-06 mSv

3발 1.27E-05 mSv 4.46E-05 mSv

울진 1발 2.76E-03 mSv 1.31E-05 mSv

2발 8.22E-04 mSv 7.33E-06 mSv

<표 1-20> 2003년 기체 및 액체 방출 방사능이 주민에 미치는

최대 피폭선량

(2) 액체폐기물관리

(가) 발생원

액체폐기물 발생의 근원은 핵분열생성물이 들어 있는 원자로 냉

각재이며, 원자로 냉각재를 깨끗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과 펌프, 밸브 등의 기기로부터 누설된 물을 수집한 것, 방사선

작업복 등을 세탁한 물 등으로 구성된다. 액체폐기물은 포함된 방

사능의 양, 화학적 순도에 따라 발생원에서부터 분리하여 수집하

도록 되어 있다.

(나) 처리방법

원자로 냉각재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체폐기물에는 붕산

Page 5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5

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붕산회수설비의 여과기, 이온교환수지

및 붕산증발기를 통해 붕산을 회수하여 재사용한다. 방사능이 제

거된 증류수는 바다로 내보내게 된다.

각종 기계로부터 건물 바닥으로 누설된 액체폐기물은 먼지와 불

순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에 수집하여 액체폐기

물 처리설비의 여과기, 이온교환수지 및 폐액증발기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폐액증발기 내부의 농축찌꺼기는 건조하여 고화제와 혼

합해 고체로 만들고 깨끗한 증류수는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여 기

준치 이하이면 방출한다. 방사성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신기

술인 “선택적 이온교환설비”가 고리 1발전소 및 울진 1발전소에

설치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신규호기인 영광5,6호기 및 울진5,6

호기는 “원심분리기와 선택적 이온교환설비”를 설치하고, 후속기

부터는 “역삼투압설비와 선택적 이온교환설비”를 원전 건설시부터

채택한다.

(다) 배출관리

액체폐기물 방출은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규제한다.

첫째, 발전소 외부의 물속 방사성물질 허용농도를 초과하지 않

도록 한다. 액체폐기물은 방출하기 전에 시료를 채취하여 방사성

물질의 종류 및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여 방출여부를 결정한다. 배

수시 방사능 연속감시기에 의해 방사능 농도가 측정되며 허용기준

치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방출이 중단된다.

원전의 액체폐기물은 증발 농축 여과 이온교환 등을 거쳐 법정허

용치 이내로 방출하고 있으나, 신규설비의 설치, 기존 처리설비의

성능 향상, 절차서 보완, 종사자 교육훈련 등을 통해 방사능 방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 검출한계 미만 수준으로 방출하고자 노력하

고 있다. 발전소별 방출실적은 <표 1-21>과 같다(삼중수소 제외).

Page 5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6

구분 기체 액체고리 1발 8.82E+00 TBq 1.03E-04 TBq

2발 1.77E+00 TBq LLD미만

월성 1발 1.35E+01 TBq 2.48E-04 TBq

2발 3.01E+01 TBq 2.40E-04 TBq

영광1발 1.55E+01 TBq LLD미만

2발 1.16E-02 TBq 2.32E-05 TBq

3발 1.99E-02 TBq 3.90E-03 TBq

울진 1발 1.67E+00 TBq 1.58E-05 TBq

2발 4.49E-02 TBq 4.88E-06 TBq

<표 1-21> 2003년 방사성 기체 및 액체 방출실적

주) 1. LLD: Lower Limits of Detection(최소검출한계)

2. 삼중수소 제외

둘째, 발전소 인근주민의 연간 방사선영향 기준치를 넘지 않도

록 한다. 발전소 경계에 인접한 거주주민에 대한 연간 방사선 선

량한도는 일반인의 기준치와 같이 한 사람당 연간

1mSv(100mrem)이나 동일부지 내에 다수호기의 원자력관계시

설을 운영하는 발전소의 경우 설계 기준치인 유효선량

0.25mSv(25mrem)를 운영 목표로 관리하고 있다.

발전소 인근주민이 위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영향을 받았는지 여

부는 방사성물질의 종류별 방출량, 바닷물의 움직임, 사람의 신진

대사, 반경 80km 이내 지역사회의 각종 자료를 발전소 인근주민

방사선영향평가 컴퓨터프로그램(ODCM)에 입력하여 계산한 결

과를 기준치와 비교 평가하여 파악한다. 2003년도의 발전소 인근

주민에 대한 방사선영향을 평가한 결과는 앞의 <표 1-20>과 같다.

Page 5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7

(3) 고체폐기물관리

(가) 발생원

고체폐기물은 기체 및 액체중의 방사성물질 제거용 폐여과기,

폐이온교환수지, 폐액증발기의 농축찌꺼기 그리고 방사선 작업자

들이 사용했던 작업복, 공구, 휴지 등 잡고체로 구분할 수 있다.

(나) 처리방법

고체폐기물은 종류에 따라 적절한 처리방법으로 감용 처리하여

원전부지내 저장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영구처분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방사성폐기물 처리작업의 품질 고도화를 도모하

여 작업종사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고 있다. 고체폐기물은 종

류별로 특성에 따라 적절한 처리방법을 사용하며 같은 종류라 하

더라도 방사능 준위에 따라 처리방법이 다르다.

청정쓰레기 자동분류설비를 이용하여 자체처분 제한치 미만의

방사성폐기물 분류처리로 잡고체드럼을 10% 이상 감소시킨다.

잡고체는 종류별로 분류 저압압축기(10, 20톤)로 압축 포장한 후

저장고에서 2,000톤으로 초고압압축기로 재 압축한다. 농축폐액

은 건조 후 파라핀 고화 처리한다. 폐수지는 건조 후 고건전성 용

기(HIC)에 포장 또는 대형 저장탱크에 장기 저장한다. 폐필터는

방사능 준위에 따라 시멘트 고화 또는 차폐 용기에 포장하거나 잡

고체로서 처리한다.

한국수력원자력(주)은 2008년을 실용화 목표로 방사성폐기물

을 유리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중에 있으며 이 기술이 실용화 된다

면 발생량은 현재의 약 1/5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Page 5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8

구 분 고 리 영 광 울 진 월 성 계2003년도

농축폐액 23 119 121 0 263

폐 수 지 65 150 105 98 418

폐 필 터 17 0 24 19 60

잡 고 체 888 917 580 466 2,851

계 993 1,186 830 583 3,592

누 계 33,714 11,834 13,355 5,179 64,082

저장능력 50,200 23,300 17,400 9,000 99,900

<표 1-22> 2003년 중․저준위 고체폐기물 발생실적(단위: 드럼)

(다) 저장관리 및 연간 발생량

드럼에 포장된 고체 방사성폐기물은 전용차량을 이용, 부지 내

의 방사성폐기물 저장고로 운송하여 준위별로 구분 저장한다.

가동원전 18기(경수로 14기, 중수로 4기)에서 2003년에 발생

된 고체폐기물은 총 3,592드럼이고 초고압 압축을 고려한 호기

당 평균발생량은 137드럼이다. 연도별 호기 당 평균발생량은 <표

1-23>과 같다.

나. 고준위폐기물 관리 현황현재 국내에서 발생되는 고준위폐기물은 사용후연료를 지칭한

다. 사용후연료는 그 속에 포함된 핵분열생성물 때문에 원자로에

서 꺼낸 이후에도 오랜 기간동안 강력한 방사선과 열을 낸다. 따

라서 발전소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와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을 방사

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후연료는 발전소

의 건물 안에 있는 ‘사용후연료저장조’에 저장한다. 기존 사용후연

Page 5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39

료저장조내에 저장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이미 울진1,2호기, 고리

3호기에 조밀저장대를 교체 및 추가 설치하였으며 1996년에는

고리4호기에 406다발 용량의 조밀저장대를 추가로 설치하였고,

1997년에는 영광1,2호기에도 같은 용량의 조밀저장대를 설치하

였으며, 2002년에 고리3호기에 기존 저장대를 조밀저장대로 교

체하였다. 그리고 고리4호기, 영광1호기 사용후연료 저장능력 확

장을 위해 기존 저장대를 조밀저장대로 2005년~2006년에 교체

할 계획이다.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는 공기냉각식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저장시설을 3회(92년, 98년, 02년)에 걸쳐 건설하였다. 원전부

지내 저장시설은 현재 추진중인 확장사업이 완료되면 부지별로

2006~2008년까지 사용후연료를 원전 부지내에 저장할 수 있으

며, 중간저장시설이 건설될 2016년까지 부지내 저장할 수 있도록

조밀저장대 설치, 건식저장소 건설 및 호기간 사용후연료 수송을

통한 저장용량 확장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03년 말 현재 사용

후연료의 저장관리현황은 <표 1-24>와 같다.

137

141

145

139

146

172

219

236

0 50 100 150 200 250

'03

'02

'01

'00

'99

'98

'97

'96

<표 1-23> 연도별 호기당 고체 방사성폐기물 방출량(단위: 드럼/호기)

Page 5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0

구 분 저장용량 누계 발생량 예상 포화년도고 리 1,737 1,350 2008

영 광 1,696 990 2008

울 진 1,563 764 2007

월 성 4,807 3,487 2006

계 9,803 6,591 -

<표 1-24> 2003년 말 사용후연료 저장 현황(단위: 톤)

사용후연료는 국가정책이 결정될 때까지는 이를 중간저장하기

로 되어 있다. 중간저장시설이 건설되면 발전소 안에 있던 모든

사용후연료는 이 시설로 운송되어 집중 관리 될 예정이다. 중간저

장시설은 1998년 9월 제249차 원자력위원회에서 확정된 국가

방사성폐기물관리대책에 따라 2016년까지 2,000톤 규모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다. 방사성폐기물처분장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경우 천층처분, 동굴처분, 지층처분

등의 방법으로 다수국가에서 처분을 시행하고 있으나 현시점에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사용후연료)은 영구처분장을 운영하는 국가

가 아직 없으며 대다수 국가에서 사용후연료의 재처리에서 발생한

고준위 폐액을 유리고화해 저장하거나, 사용후연료를 재처리하지

않고 중간저장하여 심지층 처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다수의 시행착오와 지역주민의 반대에 부딪혀 처분장 부

지조차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방사성폐기물은 국가 책임 하에 안전성을 최우선하여 관

Page 5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1

리하며,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은 발생시점에

서 발생자가 부담하는 것을 기본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향후에

건설예정인 중․저준위 폐기물처분장은 사용후연료중간저장시설

을 포함한 약 60 만평의 부지에(지역여건에 따라 증감가능)

2008년까지 1차로 총 10만 드럼 규모의 중 저준위 폐기물 처분

시설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단계적으로 증설을

추진하여 최종적으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80만 드럼, 사

용후연료 중간저장시설은 2만톤 규모로 건설하게 된다. 따라서 한

국수력원자력(주)은 방사성폐기물관리사업의 차질 없는 수행을

위해서 가장 공개적인 방법인 지자체를 대상으로 부지를 유치공모

중에 있다.

<그림 1-2> 원전수거물관리센터 조감도

Page 6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2

5.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분야

가. 의학적 이용기술 분야21세기 들어 생명과학의 급성장으로 방사선 의학 분야에서도

방사선에 대한 생물학적인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 자료가 축적되

었으며, 방사선치료 및 진단을 위한 분자마커가 개발되어 암과 같

은 난치성 질병의 진단 효율을 높이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방사

선 치료기기의 핵심기술 및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인하여 인체 질환에 대한 영상기술이 발전하게 됨으로서 종양의

표적 방사선 조사가 가능하여 환자가 보다 편리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치료성적 또한 크게 향상되어 가고 있다.

원자력의학원을 주축으로 한 국내 주요 방사선 의학 유관기관에

서는 방사선 기초의학 및 임상 적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을 뿐

아니라 사이버나이프 등을 이용한 시술의 도입으로 치료환자의 성

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한편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연구개발 투자가 다각도로 이루어져 가

속기 핵종 및 원자로핵종이 개발되었다. 이외에도 불의의 사고로

인한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피폭환자에 대한 국가적 재난 대

책 마련도 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체

계화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방사선 피폭 시 인체영향평가를 정확

히 하여 피폭에 대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와 같이 방

사선 의학계에서 지난 일년간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사항을 방사선

의학 연구 분야,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암 환자치

료에 적용한 현황 및 국가방사선 비상진료대책 수립분야로 나누어

좀 더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Page 6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3

(1) 방사선 생명 과학 및 진단 치료기술 분야

(가) 방사선 치료 생명과학 기술 분야

식물에서 분리한 대사산물인 ‘피토스핑고신 유도체’가 각종 암의

방사선 치료에서 최고 30%의 효과를 높여준다는 사실을 원자력

의학원 연구팀에서 규명했다. 특히 기존 방사선치료 증진제나 항

암제와달리 구강투여가 가능하도록 캡슐형태의 먹는 약으로 제조

할 수 있고 방사선 치료로 인해 내성을 가진 암 세포 제거에도 탁

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앞으로 3~4년간의 임상실험을 거

쳐 이르면 2007년께 상용화할 계획이다. 또한 삼산화비소의 항암

효과를 규명하였는데 이 비소성분이 방사선 세포사멸효과를 증진

함으로써 방사선의 치료효과를 현저히 증가시킨다는 것을 자궁경

부암세포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에서 확인하였다.

(나) 방사선 인체영향평가 및 손상조직 치료기술 분야

사고에 의한 방사선 피폭시 또는 방사선 치료시 정상조직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기술 및 이를 치료하는 기술이 원자력의학원 연

구팀에 의해 개발되었다. 정상조직 방사선 피폭 마커 및 방사선

특이 발암 인자 발굴,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세포방어기능을 유도

하는 인자의 발굴 등이 성과에 해당하며 방사선 피폭 시 피부손상

을 치료할 수 있는 인공피부의 개발 및 골수세포의 재생기술등도

괄목할 만한 기술이다. 또한 4년마다 개최되는 2003년 국제방사

선학회(International Congress of Radiation Research)에

서 원자력의학원 이윤진 연구원이 젊은 과학자상 수상으로 학술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Page 6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4

(다) 방사선을 이용한 암 환자 진단 및 치료작년 한 해 동안 원자력의학원 사이버나이프의 방사선 시술법

도입으로 방사선 치료 대상 환자가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치료 성

적이 크게 좋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암을 진단하는데

마치 영화의 한 장면을 보는 것처럼 영상화 할 수 있는 길이 BT

및 IT 분야의 기술혁신에 힘입어 가능하게 되었다.

1) 사이버나이프

사이버나이프는 크루즈 순항미사일이 목표물을 찾아가는 것과

같은 최첨단 영상 유도기술로 병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 로

봇 팔에 장착된 선형가속기로 1,296개의 방향에서 병소 부위에만

작은 방사선 점(pencil beam)들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치료하

는 방사선 수술 시행 첨단 장비이다. 기존의 방사선 수술장비로

치료하지 못했던 암을 사이버나이프로 수술한 환자의 비율이

44%로 나타나 뇌종양과 두경부종양 뿐만이 아니라 전신에 걸쳐

발생한 암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사이

버나이프는 뇌종양, 이비인후과 종양, 뇌혈관질환, 뇌기능성질환,

척추종양, 척추혈관질환 뿐만 아니라 침윤과 전이가 없는 흉부,

복부 및 골반암을 치료할 수 있다. 원자력 의학원에서는 사이버나

이프 치료를 시작한지 16 개월 만에 400 사례를 돌파하는 대기록

을 세움으로서 세계적으로 체부방사선 수술에 대한 최다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 사이버나이프 수술결과, 기존 방사선 수술장비로

치료가 어려운 척추종양과 국소성이 강한 전신의 암도 치료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종양제거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정상조직

의 손상도 없게 하고 일반적인 방사선 치료에 비해 치료기간이 짧

아 편리하며, 외과적 수술을 병행하였을 때 나타나는 출혈, 감염

및 합병증의 위험도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Page 6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5

남자: 214명여자: 186명

연령 5 ~ 87세 (중앙 51세)

신경계종양 (185예) 체 부 (215예)원발성 뇌종양 81

두경부 61

폐 25

전이성 뇌종양 44

췌장 39

간 15

복부 임파절 28

척수 또는 척추종양 60

전립선 8

뼈 8

기타 31

<표 1-25> 400 예 치료사례(2002.6.10~2003.10.21)

[출처: 원자력의학원 사이버나이프 News Letter, 창간호]

2) 입체조형 치료법

최근에는 4차원 개념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방법이 원자력의학원을 비롯

한 몇몇의 종합병원에 보급 중에 있다. 이는 다엽 조준기가 치료조

사문 내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면서 치료조사문의 모양을 다양하

게 구성할 뿐만 아니라 치료조사문의 방사선 세기를 조절하여 공간

의 개념에 더하여 시간적으로도 방사선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특히 종래의 통상적인 방사선치료방법으로는 정상조

직을 둘러싸고 있는 종양에 대해서는 고선량의 방사선치료가 불가

능하였으나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정상조직의 방사선 피폭 선량을

최소화하면서 종양에만 국한된 방사선치료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방사선 후유증 및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최첨단 치료방법이다.

Page 6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6

(2)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및 기술개발 현황

방사성동위원소는 원자로와 가속기를 이용하여 생산하며 원자

로에서 생산되는 핵종은 원자로 핵종, 가속기는 가속기핵종으로

명칭하며 그 핵적 특성은 상호 보완적이다. 즉, 원자로 핵종은

(99mTc 제외) 주로 의료분야에서 치료용과 농학적, 산업적으로 사

용하고 있는 반면, 가속기 핵종은 높은 비방사능, 높은 생산단가

와 고부가가치로 대부분 의료분야의 진단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용도는 <표 1-26>과 같다.

국내 원자로 핵종은 한국원자력연구소의 “하나로”원자로에서 생

산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소는 1963년부터 1995년까지 TRIGA-

Mark Ⅱ, TRIGA-Mark Ⅲ 원자로를 이용하여 동위원소를 생산

공급하였다. “하나로”는 1984년에 건설을 착수하여 1995년에 첫

임계에 도달해 1996년부터 동위원소 생산에 활용하기 시작하였

으며 현재 22 MW 열출력으로 운전중이다. 1997년 방사성동위

원소 생산시설 등 부대시설이 가동되어 원자로 핵종 생산에 이용

하고 있다. 과기부로부터 원자력연구기반 확충 사업비 약 21억을

지원받아 원자로 핵종중 80% 이상 사용하고 있는 99mTc 발생기

생산 기반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과거 전량 수입에 의존

하였던 99mTc 발생기를 자체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결과

국제수준의 방사성의약품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었다.

가속기 핵종은 SPECT핵종(201Tl,123I,67Ga,111In등)과 양전자방

출핵종(이하 PET핵종, 18F,11C,13N,15O등)으로 대별한다. 국내 가

속기 핵종에 이용하는 가속기 보유 현황은 <표 1-27>과 같다. 원자

력의학원은 <표 1-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3대의 가속기(MC-50,

Cyclone-30, KIRAMS-13)를 보유하여 국내 가속기 방사성동위

원소 개발 및 생산 공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SPECT핵

종과 PET핵종을 생산하여 외부 의료기관에 공급하고 있다.

Page 6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7

구분 주요 핵종 생산장비 용도

진단

18F, 11C,13N, 15O

가속기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용 핵종

99mTc(99Mo) 원자로 간, 뇌, 심장등 장기검사

125I 원자로갑상선,종양,알레르기,간염,핼액,신장등

체외검사67Ga 가속기 종양, 농양검사201Tl 가속기 심장, 심근, 종양검사

51Cr원자로/

가속기비장검사

57Co 가속기 비타민 B12 흡수검사55Fe, 59Fe 원자로 빈혈검사

3H 원자로 생화학검사(연구용)111In 가속기 뇌조영술, 간, 뇌검사198Au 원자로 간, 뇌, 심장 등 검사14C 원자로 호흡기능 검사, 생화학검사123I 가속기 갑상선 검사113mIn 가속기 뇌조영 검사45Ca 원자로 빈혈검사, 칼슘검사22Na 가속기 종양검사, 나트륨검사133Xe 원자로 폐기능검사, 뇌혈류기능 검사153Gd 원자로 골밀도검사

치료

131I 원자로 갑상선 기능 검사 및 치료32P 원자로 핼액(혈소판)검사 및 치료89Sr 원자로 암치료시 환자 고통 경감 치료137Cs 원자로 암치료192Ir 원자로 암치료60Co 원자로 암치료90Sr 원자로 눈 익상편 재발방지 치료226Ra 원자로 부인암 치료166Ho 원자로 간암, 류마티스 관절염, 낭성뇌종양103Pd 가속기 전립선암 치료

<표 1-26>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법 및 용도

Page 6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8

기타 기관(5기관)은 PET 핵종만 생산이 가능한 베이비 가속기

를 보유하고 있어 대부분 18FDG만 생산하여 자체 사용하고 있고

잉여분은 PET만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에 공급하고 있다. 원자

력의학원의 동위원소 대량생산용 대전류 음이온 가속기인

Cyclone-30과 부대시설인 동위원소 생산시설이 일부분 설치되어

2003년부터 대량생산을 시작하였다. 또한 원자력의학원에서 개

발된 PET 핵종 생산 전용 KIRAMS-13 가속기는 2004년에 조

선대학병원과 경북대학병원에 설치될 예정이며 이는 “권역별

Cyclotron 센터” 구축사업에 활용될 것이다.

현재 국내 방사성동위원소 공급은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

으나 생산 기관에서 대량생산 기술을 확립하여 점차 국산화를 높

이고 있으며, 일부는 해외수출도 추진하고 있다. 동위원소의 수입

은 정부 허가를 취득한 판매업체가 한국방사성동위원소를 통해 수

입추천을 받아 반입하고 있다.

기 관최대가속에너지(MeV)

명칭 및 제조회사 용 도 설치연도

원자력의학원

50

30

13

MC-50(Scanditronix)

Cyclone-30(IBA)

KIRAMS-13(원자력의학원)

연구용 및 생산용

대량생산용

PET 핵종 생산용

1986

2002

2002

삼성병원 16 GE PET 핵종 생산용 1994

서울대 13 Ebco PET 핵종 생산용 1995

서울아산 18 IBA PET 핵종 생산용 2001

국립암센터 11 CTI PET 핵종 생산용 2001

해동 18 IBA PET 핵종 생산용 2003

<표 1-27> 국내 동위원소 생산용 가속기 보유현황

Page 6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49

핵종 수입 연구소 의학원 총사용량 핵종 수입 연구소 의학원 총사용량

개 봉

Am-241 0 0.26

밀 봉

Am-241-Be 16,855 6,855

Ba-133 3 3 Am-241 45 45

C-14 40,151 40,151 Ba-133 1 1

Ca-45 10 10 Cd-109 35 35

Cd-109 1 1 Cf-252 146 146

Ce-139 1 1 Co-57 325 325

Co-57 6 6 Co-60 350,103,252 24,714 350,127,966

Co-60 6 6 Cs-137 22,246 22,246

Cr-51 517 17 534 Cr-51 0.0004 0.0004

Cs-137 15 15 Fe-55 670 670

Eu-152 0.01 0.01 Gd-153 500 500

F-181) 33,720 33,720 Ge-68 161 161

Fe-55 7 7 Ir-192 9,106,660 82,160,378 91,267,038

Fe-59 1 1 Na-22 1 1

Ga-67 1,971 5,384 7,355 Sc-46 50 50

H-3 5,916,935 5,916,935 Sn-113 0.0001 0.0001

Hg-203 5 5 Ni-63 9 9

Ho-166 43,147 43,147 Sr-89 0.0001 0.0001

I-123 2,646 2,646 Kr-85 800 800

I-125 2,483 2,483 Pm-147 503 503

I-131 299,322 470,735 770,057 Po-210 245 245

In-111 109 109 Sr-90 2 2

Mn-54 0.02 0.02 Te-123m 0.00001 0.00001

Kr-85 80 80 Y-88 0.00011 0.00011

Mo-99 5,983,466 11,300 5,994,766 소계 359,252,455 82,185,142 - 441,437,597

Na-22 2 2 합계 371,610,249 82,719,164 59,056 454,388,469

P-32 3,124 40 3,164

P-33 42 42

Rb-86 5 5

Re-188 1,000 1,000

S-35 795 795

Sn-113 1 1

Sr-85 12 12

Sr-89 286 286

Sr-90 0.10 0.10

Tc-99m 8,783 8,783

Tl-201 97,638 17,306 114,944

W-188 9,800 9,800

Y-88 1 1

소계 12,357,794 534,022 59,056 12,950,872

<표 1-28> 2003년도 방사성동위원소 수입 및 원자력연구소, 원

자력의학원 생산 현황단위: mCi

주) 18F은 원자력의학원의 생산량만 반영한 것임.

[출처: 방사성동위원소수입은 한국방사성동위원소 협회 회보 참조]

Page 6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0

국내에서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공급은 한국원자력연구소의 ‘하

나로’와 원자력의학원의 의료용 싸이클로트론(Cyclone-30,

MC-50) 및 그 부대시설을 이용하여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체는 삼영유니텍, 호진산업, 신진메딕스, 동화약품, 동아제약, 한

국표지화합물연구소 등이 있다. 가속기 핵종은 국내에 PET 도입

이 활성화됨에 따라 서울대학교병원 및 삼성의료원, 서울아산병원,

국립암센터, 해동 등 5기관에서 소형 싸이클로트론를 보유하고 있

어 단수명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주로 18FDG)를 생산해 병원 내

부와 PET만 보유하고 있는 병원에 공급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소는 ‘하나로’와 부대시설을 이용해 2003년도에 방사

성동위원소 82,719,164Ci, 콜드킷트 18,750바이알을 국내에 공

급하였다. 총 방사능에서 전년 공급량보다 120% 이상의 급격한

증가는 산업용 192Ir을 국내에 성공적으로 공급한 결과이며 방사

성동위원소의 생산공급 현황은 <표 1-28>과 같고 일부 베트남, 태

국, 파키스탄에 수출하였다. 또한 99mTc 발생기 제조시설 설치가

완료되어 2004년부터 본격적인 상용생산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Cyclone-30 및 MC-50가속기를 이용하여 <표

1-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속기 핵종(67Ga, 201Tl, 123I, 18F,

[123I]mIBG, 18FDG, 11C 등)을 총 59,056mCi 생산 공급하였

다. 국내 핵의학에 사용하는 가속기 핵종은 매년 10% 이상씩 증

가추세에 있으며, 이중 8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03

년 말에 Cyclone-30이 정상가동되고 대량생산을 시작함에 따라

현재 국산화율을 15%에서 35%까지 향상시켰다. 또한 지난해부

터 국내 PET 도입의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PET 화합물의 합성

및 안정적 공급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이다.

방사성동위원소 형태를 밀봉방사선원과 비 밀봉 방사성동위원

소로 분류하여 <표 1-28>에 나타내었다. <표 1-28>에서 보는 바

와 같이 밀봉선원 방사능은 441,437,597mCi이고 개봉선원 방

Page 6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1

사능 12,950,872mCi로 총 454,388,469mCi이다. 일반적으로

밀봉선원은 산업용으로 금속 또는 무기물 형태의 단순화합물이 대

부분이며 일부는 장비에 부착한 경우 부가가치가 높다. 개봉선원

은 면역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물질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하

거나 의약품으로 가공한 경우 부가가치가 높다. 2003년도의 동위

원소 국산화율은 18.22%에 불과하다. 그 원인은 원자로 핵종의

Co-60 선원이 대량 수입되었고, 가속기 핵종 생산용

Cyclone-30 가속기가 2003년 말에 대량생산을 시작하여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3)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운영

세계 제2차대전의 원폭 투하와 소련에서 발생한 체르노빌 원전

사고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방사선 피폭환자가 다수 발생하여 현재

까지 고통을 받고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세계적으로 불특

정 다수인에 대한 테러로 전 세계가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적 재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는 원자력의학원

내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두어, 첫째 방사능테러 또는 방사

성물질이용기관에서의 방사능사고 발생 시, 방사선 피폭환자에 대

한 응급제염․치료 및 후송 등 신속한 대처를 유도하고 있으며,

둘째,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주축으로 전국 권역별 방사선비

상진료지정병원과 연계한 방사선비상진료체계 확립을 구축하였

다. 본 비상진료센터는 2002년 5월에 개소한 후 2003년 국군화

생방방호사령부와 방사선비상진료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고,

2004년 1월 세계보건기구/방사선비상진료 네트워크(WHO/

REMPAN)의 연락기관으로 지정될 예정이므로 명실상부한 국가

방사선비상진료 분야에 있어 국가를 대표하는 면모를 갖추게 될

것이다.

Page 7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2

연구부분에서는 방사선보건관리-방사선사고 발생 시 필수적으

로 요구되는 부가적인 감시 기능을 제공하고, 방사선 비상 진료팀

과 격리병동 등의 시설에 관한 방사선 안전관리 및 방사선비상진

료요원의 방호를 위한 권고․지침 개발 등의 임무를 수행하다. 이

밖에 물리학적 선량평가, 생물학적인 선량평가 및 방사선 피폭자

역학 연구 등을 수행하여 방사선 비상진료의 의료대책을 세우기

위한 R&D 사업도 활발히 진행시켜 많은 가시적 연구결과를 도출

하였다. 특히 중앙119구조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화생방방호사

령부,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권역별 방사선비상진료지정기관

요원 등을 대상으로 1회당 3일 일정 교육으로 현재 13회에 걸쳐 총

358명을 교육하였고, 종합 방재 훈련은 연 1회 이상 지속적으로 시

행하였고, 그 외에도 방사선 비상 진료관련 국제 Symposium 및

Workshop을 주관하여 수차례 개최해 왔다. 또한 국제협력부분에

서도 IAEA, 일본 방사선의학총합연구소(NIRS), 미국 REAC/TS

등과 연계하여 연수 및 전문가 초청 등을 통하여 방사선비상진료체

계에 대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나. 공업적 이용기술 분야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인공관절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

발하였다. 현재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기업체 기술이전을 하였으며

식품의약청으로부터 제조 허가를 받아서 시작품이 생산되고 있다.

최근에 석유화학시설에서의 추적자 기술 적용에 대한 요구가 증

가함에 따라 기존 장비로는 측정이 어려운 고속 유체의 거동에 대

한 정보 획득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GPIB(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통신기능을 내장한

Page 7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3

다중 채널 계수처리 계통이 개발되었다.

또한 이온 챔버와 섬광체 검출기를 기반으로 한 방사선 감시 장

치의 핵심 기술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이로 인해 방사선 시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었다.

비파괴 검사장비인 감마선조사장치의 대부분은 Ir-192선원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작업 이동성이 편리한 이점이 있는 반면

방사선안전관리 확보와 상질기술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

성에 따라 감마선조사장치의 자동화, 감마선투과사진의 상질 향

상․평가 기술 및 방사선원 위치추적 계통의 기술 개발을 수행함

으로서 방사선투과검사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다. 생명자원 이용기술 분야방사선의 농업생명공학적 이용을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방사선을 이용한 육종 연구를 통해 고품질 벼 돌연변이 신품종 ‘원

청벼’를 신품종 등록하였고 콩, 기능성 들깨, 축엽자소 등에 대한

유망 선발계통의 후대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꾸준한 저선량 방

사선의 식물이용기술 개발을 통해 저선량 방사선이 주곡작물 및

채소작물의 종자 발아율과 생장을 10% 정도 증가시키는 것을 확

인하였다. 이 외에도 미생물자원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농업생태계

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방사선을 이용하고 있다.

방사선의 식품생명공학 기술 이용을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소는

RT/BT를 이용한 식품 저장 및 가공기술 개발을 통해 현재 육가

공품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화학첨가제 아질산염(NO2)을 효과적

으로 제거하거나 그 첨가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

였다. 또한, 발효식품 중에 과량 존재하는 biogenic amine 함량

Page 7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4

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산업적 이용증가 및 원자

력 시설의 증대에 따라, 방사선에 의한 생체손상 및 부작용 극복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외적으로 무독성 천연 생리활

성 물질을 이용한 방사선 방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

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식품소재에서 방사선

등 각종 위해요소로부터 생체를 보호할 수 있는 고효능 생체방어

기능성식품 개발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라. 첨단선원 및 첨단기반기술 분야충분한 세기를 갖는 선원(source)을 이용할 수 없었던 기술적

어려움과 원자력 기술이 갖는 낮은 접근성 때문에 20세기 초, 방

사선의 이용은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주로 원자 및 핵구조, 핵반

응과 같은 기초과학의 연구 분야에만 집중되었다.

하지만 가속기와 같은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발생 장치가

개발되면서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의 방사선 이용은 단

지 순수한 물리적 연구 분야의 수준을 뛰어 넘어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시도되었다. 물론 아직도 산업적 이용에 있어서 비용과 기

술 적용 측면에 따라 전통적 분야인 원자력, 그리고 우주항공 및

방위산업분야가 다수를 이루지만 최근에는 산업이 고도로 발전하

고 학제 간 연구가 강화되면서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고분자공학, 생물학분야 등에서는 더욱 활발하다.

국내에서도 1960년대 이후부터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이용범위는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다양한 업종 및 기관(<표

1-29>)에서 연구 및 응용 기술적인 측면으로 활용(<표 1-30>)되

고 있다.

Page 7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5

연도업종 1967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3

산업체8 16 39 110 278 446 675

847 1,048

비파괴검사전문업체 34 42

공공기관 235 334

기타기관 9 10

판매전문업체 - 3 1 4 11 21 22 32 125

의료기관 16 17 26 38 80 93 108 125 134

교육기관7 8 12 22 70 138 259

199 203

연구기관 211 230

누계 31 44 78 174 439 698 1,064 1,692 2,126

<표 1-29> 방사성동위원소 등의 인허가 기관별 현황

주) ’99년도부터 기관구분이 조정되었음 [출처: 2004년 방사선이용통계]

분 야 내 용

기초과학(선원․동위원소)

가속기 및 원자로를 이용한 핵구조 및 핵반응 연구

( X , α, β, γ선, 안정핵, 동위원소)

물리현상이나 이온․화합물의 반응을 추적하는 추적자

(Tracer) (3H, 14C, 24Na, 32P, 82Br)

고고학이나 운석의 연대를 측정하기 연대 측정법

(14C, 238U)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미세구조 관찰을 위한

라디오그라피 ( X , α, β, γ선 및 중성자선원)

화합물의 분리를 위한 화학분석법 (14C, 238U)

중성자 산란을 통한 원소의 합금이나 화합물의 구조해석

(중성자 선원)

응용기술(선원․동위원소)

구조재의 내부 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비파괴 검사

(중성자 및 60Co, 192Ir)

고분자 물질의 합성 촉매역할 (60Co, 137Cs)

수질, 대기, 토양 등 공해로부터 환경보존 측면

(방사성 황산코발트 등)

부도체 실리콘을 반도체 실리콘으로 변환시키는 중성자 핵변

환 도핑기술 (중성자 선원)

산업용 방사선 추적자 이용 기술 (82Br 및 방사화된 시료)

<표 1-30> 분야별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적용 범위

Page 7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6

(1) 기초과학분야

방사선 또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이용에 있어 가속기의 역할은 매

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도 가속기 연구 및 개발 사업이 꾸준히 진행

되어 2002년 원자력 의학원에서 처음으로 의료용 KIRAMS-13

양성자 가속기의 개발하여 국산화 및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KIRAMS-13 개발 성공을 토대로 정부는 2003년부터 전국을 5개

권역별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가속기 연구소를 건립하고 있다. 국

내 가속기 개발의 성공은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에 크게 기

여하여 이를 이용한 기초과학 분야 발전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이 쉬워짐에 따라 현재 많은 대

학및연구소를중심으로핵구조및핵반응의연구가진행중에있으

며 또한 우주의 생성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천체물리의 연구가 활

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중성자 발생장치로부터 중성자를 조사

하여 분석시료를 방사선 동위원소로 변화시켜 그 결과 시료에서 나

오는 선또는 선을측정함으로써목적하는 원소또는핵종의존재

량을 정량적으로 조사하는 방사화 분석법, 그리고 안정한 12C와 동

위원소인 14C의 비율을 조사함으로써 14C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고

고학과지층에서의연대 측정에서도 방사선 및방사성동위원소는사

용된다. 이 밖에도 X-선 발생 장치로부터 얻은 X-선을 이용하여 특

정한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백질 결정구조 연구와 방사선을

이용한 표면과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려는 표면/계면 분석법 등의 기

초과학 연구에도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는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산업적으로 60Co, 192Ir으로부터 나오는 선과 중성자

선원으로부터 나오는 중성자를 이용한 투과 비파괴 검사 장치, 폐수

처리 시설에서 폐수 유동을 관찰하고 처리공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찾기 위해 131I과같은방사성동위원소를이용한 추적자이

Page 7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7

용 기술, 그리고 원자로로부터 얻은 중성자를 반도체 실리콘에 조사

하면 극히 일부분의 실리콘이 기체상태의 인(P)으로 바뀌어 반도체

실리콘에 스며드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중성자 핵변환 도핑

(Neutron Transmutation Doping)기술 등이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 결과 2002년 말 국내 원자력 산업체의 총매출액(총생산

액: <표 1-31> 참조)은 원자력 산업의 총매출액 10조 2,406억원

중 원자력 발전 사업체의 수익 8조1,461억원(총매출액의 79.5%)

을 제외한 2조 945억원(20.5%)으로 조사되어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다양한 기술 개발도 이루어져 기술의 이전, 국외

수출, 창업, 그리고 중소기업 지원사업으로 이어지고 있다(<표

1-32>).

연도분야

2000 2001 2002 증감률매출액 구성비 매출액 구성비 매출액 구성비 00/

0101/02

원전건설운영

설 계 155,956 8.1 163,645 8.1 181,310 8.7 4.9 10.8

건 설 380,209 19.8 375,570 18.5 558,370 26.7 △1.2 48.7

기자재 제조 740,293 38.6 774,341 38.1 635,206 30.3 4.6 △18.0

원전 유지․보수 221,443 11.5 216,525 10.7 257,301 12.3 △2.2 18.8

소 계 1,497,901 78.0 1,530,081 75.4 1,632,187 78.0 2.1 6.7

원자력 안전 50,995 2.7 83,113 4.1 69,008 3.2 63.0 △17.0

원자력 연구사업 149,177 7.8 181,570 8.9 171,600 8.2 21.7 △5.5

원자력 지원사업 및 기타

45,834 2.4 49,128 2.4 45,191 2.2 7.2 △8.0

동위원소 등 이용 175,487 9.1 186,286 9.2 176,507 8.4 6.2 △5.2

합 계 1,919,394 100 2,030,178 100 2,094,493 100 5.8 3.2

<표 1-31> 국내 원자력 공급 산업체의 분야별 총매출액 추이단위: 백만원

주) 2003년 자료는 2004년 10월 발표 예정 [출처: 원자력 산업회의 자료]

Page 7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8

구 분 '92~'00 '01 '02 '03 계기술 이전 83 38 26 48 195

기술 수출 31 3 2 1 37

연구원 창업 14 5 2 1 22

중소기업 기술지원 149 34 17 29 229

합 계 277 80 47 79 483

<표 1-32>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기술 개발을 통한 사업

현황

[출처: 과학기술부 자료]

마. 첨단방사선이용연구센터 설립 현황(1) 설립배경 및 추진실적

본 센터의 설립배경은 2010년 국민소득 2만불 시대 진입을 위

한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방사선이용기술(RT: Radiation

Technology) 산업 육성은 필수적으로 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

획 (2001.7 제251차 원자력위원회 의결)과 제2차 방사선 및 방

사성동위원소 이용 진흥계획(2001.12)에 근거하여 정부는 국가

RT산업의 선진화와 기술 고도화를 목적으로 첨단방사선이용연구

센터(가칭, 이하 연구센터) 설립을 주요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2) 연구센터 향후 발전계획

(가) 연구센터 임무/역할

•고부가가치의 RT/BT/NT/ET 등 융합 신기술 개발

Page 7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59

•연구센터 중심의 연구/산업 클러스터 육성 지원

•지방과학기술 육성 및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기여

(나) 연구센터 장기비전

•21세기를 선도할 post-반도체, post-genome 기술

•2010년 세계 10위권, 2020년 G-5 RT 기술 진입

•2010년 2조원/년 이상의 신산업 육성

•2010년 5,000명/년 이상의 고용창출

•2020년 RT 연구/산업 동북아 허브 구축

(다) 연구센터 주요사업 추진 계획

1) 연구센터 설립 및 건설

현 1단계로 추진 중인 연구센터 건설사업은 계획에 따라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고 2005년 말에 완공예정이며, 2006년부터는

2단계 신규사업으로 방사성동위원소 가공이용 시설, 환경처리 실

증 시설, 벤처 연구동 등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2) 연구센터 중심 RT 연구 사업

기본적으로 감마선, 베타선, 전자가속기, Cyclotron 등 다양한

방사선원의 특성연구와 새로운 방사선원 및 발생장치를 개발/이

용하고 첨단 파동에너지(Frequency Technology)기반기술을 확

보한다. 특히 의료, 공업, 환경, 자원, 농수산, 식품, 우주항공, 원

자력발전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융합기술(Fusion Technology)

Page 7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0

로서 방사선 이용기술을 개발하여 IT, BT, NT 분야와 더불어

21세기 국가 산업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첨단산업을 창출을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센터는 원자력기술 고도화의 목표

인 2020년에는 G-5 진입, 세계 3대 플랫폼을 형성, 동북아 RT

허브 구축의 주축 역할을 할 것이며, 국내적으로는 정부의 지방과

학기술 육성 및 지역균형발전 정책과 연계하여 추진될 것이다.

Page 7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제2장

원자력위원회 운영 및 법령체계 정비

1. 원자력위원회 운영 2. 원자력안전위원회 운영 3. 원자력법령체계의 정비

Page 8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Page 8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3

제2장 원자력 위원회 운영 및 법령체계 정비

1. 원자력위원회 운영

가. 구성 및 운영1958년 3월 원자력법이 제정․공포됨에 따라 1959년 1월 원

자력원이 설립되었고, 원자력이용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의결

키 위해 원자력위원회가 발족되었으며, 1959년 10월 제1차 원자

력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원자력위원회는 원자력법 제3조 및 제4조의2에 의거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되며 9인 이상 11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하도록 되

어 있다.

당연직 위원은 재정경제부장관․과학기술부장관․산업자원부장

관 및 기획예산처장관이 되며, 위촉직 위원은 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 또는 위촉하는 자가 된다. 위원회에 상정되는 안건

은 제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하

게 된다.

2003년말 현재 11인의 위원으로 구성․운영중이며, 발족 이래

총 252회의 원자력위원회가 개최되었다.

또한 원자력법 시행령 제13조에 의거 원자력위원회에는 위원회

의 소관업무를 전문적으로 조사․심의하기 위하여 산하에 원자력

이용개발전문위원회를 두고 있다.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위원회

위원 현황은 <표 2-1>에 나타내었다.

Page 8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4

구 분 소속 및 직위 성 명 임 기위원장 국무총리 고 건 재직기간

당연직위 원

재정경제부 장관

과학기술부 장관

산업자원부 장관

기획예산처 장관

김진표

오 명

이희범

김병일

재직기간

임명직위 원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서울대 환경대학원장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

한남대 법학과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최평길

장호완

김정욱

조남진

이경희

홍효정

’03.10.2-’06.10.1

<표 2-1>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위원회 위원 현황

나. 운영 실적2003년도에는 원자력위원회가 1회(제252차) 개최되었으며,

회의 결과는 다음 <표 2-2>와 같다.

Page 8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5

일 시 2003. 2. 4(화), 14:00~15:20

장 소 국무총리 집무실

참석자

위원장 김석수 국무총리

위 원 윤진식(대참), 채영복, 신국환, 장승우, 이창건, 한필순,

이승무, 모혜정

간 사 권오갑 과학기술부 기획관리실장

배 석 국무총리 비서실장, 경제조정관, 과기부 원자력안전심의관,

산자부 에너지산업심의관, 한수원(주) 사장

상정안건처리결과

구 분 안 건 명 제출자 처리결과

의결안건 ㅇ방사성폐기물관리대책 변경(안) 산자부장관 수정의결

보고안건ㅇ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부지확보 추진계획산자부장관 원안접수

보고안건ㅇ국제원자력동향 및 우리나라

원자력기술개발 추진방향과기부장관 원안접수

주 요내 용

가. 제1호 심의안건 :「방사성폐기물관리대책 변경(안)」은 다

음과 같이 수정의결함

ㅇ 수정된 부분

① 주요골자의 수정내용

- 안건 1쪽 중 ‘부지규모’를 ‘부지’로, ‘ “60만평”에서 30만평

2개소”로 변경’을 ‘ “60만평 1개소”에서 2개소로 하되, 그

규모는 후보지 여건에 따라 확정’으로 함

- 안건 1쪽 중 ‘이에 따라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소요예산

을 8,922억원에서 15,060억원으로 변경’을 삭제

② <별지> 방사성폐기물관리대책변경(안)의 수정내용

- 안건 3쪽 중 표에서 ‘부지규모’를 ‘부지’로 하고 그 변경

(안)의 내용중 ‘30만평 2개소(규모는 후보지 여건에 따라

변동 가능)’을 ‘2개소로 하되 그 규모는 후보지 여건에 따

라 확정’으로 함

- 안건 3쪽 중 표에서 ‘소요예산’ 및 ‘재원조달’ 부분을 삭제

나. 제2호 보고안건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부지확보 추진계

획」은 원안대로 접수함

다. 제3호 보고안건 :「국제원자력동향 및 우리나라 원자력기술

개발 추진방향」은 원안대로 접수함

라. 기타 : 과학기술부 장관은 「원전 안전운영을 위한 인력 확

보 대책」의 필요성에 대하여 보고

<표 2-2> 제252차 원자력위원회 회의 결과

Page 8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6

다.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는 원자력법 제3조에 의거하여 원자

력위원회의 소관업무를 전문적으로 조사․심의하기 위하여 원자력

법시행령 제13조의 규정에 의하여 1989년 10월에 구성되었다.

동 위원회는 원자력법시행령 제13조의 규정에 따라 위원장을

포함하여 25인 이내의 비상근 전문위원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은

원자력위원회의 위원장이 원자력위원회 위원 중에서 지명한다.

2003년말 현재 25인의 위원으로 구성․운영중이며, 발족 이래

총 24회의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가 개최되었다.

2003년말 현재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위원 현황은 <표

2-3>에 나타내었다.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는 소관업무를 전문적으로 조사․심

의하기 위하여 산하에 3개의 소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있다. 소

위원회 소관사항 및 위원 구성은 <표 2-4>와 같다.

Page 8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7

구 분 소속 및 직위 성 명 임 기위원장 원자력위원회 위원(서울대교수) 장호완 ‘03.10.2-’06.10.1

당연직위 원

과학기술부 원자력국장

국무조정실 산업심의관

기획예산처 경제예산심의관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

산업자원부 원전사업지원단장

조청원

김호원

김동환

김대유

조 석

재직기간

임명직위 원

한국원자력기기검증협회장

한전원자력연료(주) 사장

한국수력원자력(주) 전무이사

두산중공업(주) 전무이사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

호서대 환경공학과 교수

고려대 법학과 교수

한양대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

경희대 산업공학과 교수

원자력(연) 신형원자로개발단장

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

통일(연) 경제협력연구실 연구위원

에너지기술(연) 수소에너지연구센터장

원자력병원 핵의학과장

원자력(연) 신형원자로개발단 책임연구원

숙명여대 물리학과 교수

인하대 화학공학과 교수

통일(연) 북한사회인권연구센터 연구위원

동아제약연구실 연구위원

박용택

김덕지

권오철

배명성

조남진

박헌휘

박노형

김경민

김상국

박종균

박상훈

전성훈

김종원

홍성운

민병주

오성담

최순자

임순희

유무희

‘03.1.10-’05.1.9

<표 2-3>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위원 현황

Page 8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8

소위원회명 소관 사항 위 원

원자력 정책및 연구개발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원자력연구개발

⋅원자로 노형전략

⋅핵비확산성 주기기술개발 등

박용택, 김덕지

최순자, 조남진

권오철, 박종균

오성담

사회적 합의및 국제협력

⋅국민이해

⋅방사성폐기물관리

⋅핵비확산

⋅수출기반조성

⋅원자력의 경제사회적 역할 등

박헌휘, 김경민

박노형, 김상국

전성훈, 임순희

원자력응용진흥및 인 력 양 성

⋅방사선/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원자력의 비발전이용

⋅원자력관련 전문인력 육성 등

홍성운, 민병주

김종원, 배명성

박상훈, 유무희

<표 2-4> 원자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Page 8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69

2. 원자력안전위원회 운영

가. 구성 및 운영1997년 8월 원자력안전과 관련한 주요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구로 발족하였으며, 1997년 8월 20일 제1차 회의가 개최되었

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자력법 제5조 내지 제8조에 의거 과학기

술부장관 소속 하에 두며 과학기술부장관이 위원장이 되고 위원장

을 포함하여 7인 이상 9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토록 되어 있다.

위원장은 과학기술부장관이 되고, 위원은 과학기술부장관이 임

명 또는 위촉한다. 다만, 발전용 원자로 및 관계시설의 운영에 종

사하는 자는 위원으로 위촉될 수 없다. 당연직위원을 제외한 위원

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표 2-5>에서 보는 것처럼 2003년 말 현재 9인의 위원으로 구

성되어 운영중이며, 원자력안전위원회에는 소관업무를 전문적으

로 조사․심의하기 위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에 원자력안전

전문위원회를 두고 있다.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는 5개의 전문분과로 나누어 운영되고 있

다.

Page 8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0

구 분 소속 및 직위 성 명 임 기위원장 과학기술부 장관 오 명 재직 기간

위 원

아주대 에너지학과 교수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건국대 행정대학원 원장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소장

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센터장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장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 과장

오세기

이재기

이성복

장승필

홍석일

김숭평

은영수

최은경

’03.8.27-’06.8.26

<표 2-5>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 현황

나. 운영 실적원자력안전위원회는 발족 이래 1997년 3회, 1998년 4회,

1999년 4회, 2000년 3회, 2001년 4회, 2002년 4회, 2003년

3회, 총 25회 개최되었으며, 2003년도 회의 결과는 다음 <표

2-6>부터 <표 2-8>에 나타내었다.

Page 8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1

일 시 2003. 1. 27(월), 11:00~12:30

장 소 과학기술부 회의실(621호실)

참석자

위원장 채영복 과기부장관

위 원 임용규, 장호완, 박찬일, 이은철, 장순흥

간 사 조청원 과기부 원자력국장

상정안건처리결과

가. 제1호 안건 (제22차 원자력안전위원회 결과보고):

원안접수

나. 제2호 안건 (2003년도 원자력안전규제정책방향):

수정․의결

- 현장중심의 원전 안전검사강화를 위한 부지별 전

문검사팀의 시범운영시 방재전문가의 참여는 상황

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함

- 치료용 방사선기기 안전성 강화와 관련하여 사용

기간 설정제도 도입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고, 안

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성능 평가제도’에 대한

검토가 요망됨.

다. 제3호 안건 (원전 우수인력확보 및 근무환경개선방안):

수정․의결

- 원전 안전운영요원, 교육․훈련요원 및 기술지원

전문인력의 확보 등을 중심으로 안건을 보완하여

제252차 원자력위원회에 보고('03.2.4)

<표 2-6> 제23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결과

Page 9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2

일 시 2003. 3. 27(목), 10:30~12:00

장 소 과학기술부 회의실(621호실)

참석자

위원장 박호군 과기부장관

위 원 임용규, 천병태, 이은철, 장순흥

간 사 조청원 과기부 원자력국장

상정안건처리결과

가. 제1호 안건 (제23차 원자력안전위원회 결과보고):

원안접수

나. 제2호 안건 (원자력안전규제 향상 추진방안):

원안접수

- 원자력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대국민 안전홍보

를 적극 추진키로 함

다. 제3호 안건 (원자력안전기준 개발계획): 원안접수

<표 2-7> 제24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결과

일 시 2003. 10. 20(월), 11:00~12:00

장 소 과학기술부 회의실(621호실)

참석자

위원장 오 명 과기부장관

위 원 장승필, 은영수, 홍석일, 이성복, 오세기, 김숭평, 이재기

간 사 김용환 과기부 원자력안전심의관

상정안건처리결과

가. 제1호 안건 (제24차 원자력안전위원회 결과보고):

원안접수

나. 제2호 안건 (울진원자력 5호기 운영허가): 원안접수

- 각 전문분과에서 심의된 주요내용을 발표․토의

하였으며 분과에서 토의된 Digital I&C계통 및

이온교환수지 성능확인 등을 운영과정에서 철저히

검증해 나가기로 함.

다. 기타 토의사항

- 원자력안전에 관한 대 국민 신뢰확보차원에서 규제기

관의 안전관리 현황 등을 적극 홍보해 나가기로 함.

<표 2-8> 제25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결과

Page 9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3

다.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운영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는 원자력법 제5조에 의한 원자력안전위

원회의 소관업무를 전문적으로 조사․심의하기 위하여 원자력법

시행령 제19조의3 규정에 의하여 1997년 8월 20일에 구성되었

다.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는 원자력법시행령 제20조에서 준용하는

제13조의 규정에 따라 위원장을 포함하여 2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원자력안전위원

회 위원 중에서 지명한다.

위원장을 제외한 전문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서 연임할 수 있으

며 2003년말 현재 각계 전문가 25명으로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가 구성되어 있다.

2003년말 현재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위원 현황을 <표 2-9>에

나타내었다.

또한,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의 활동에 있어서 전문적인 사항에

대한 효율적 심의를 위하여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산하에 원자로

계통분과(제1전문분과), 방사선 방호분과(제2전문분과), 부지 및

구조분과(제3전문분과), 정책 및 제도분과(제4전문분과), 방사능

방재 및 환경분과(제5전문분과)의 5개 전문분과를 별도로 운영하

고 있다. 2003년말 현재 각계 전문가 14명이 분과위원회 위원으

로서 전문위원 25명과 함께 각 분야의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2003년말 현재 원자력안전전문분과 위원 현황을 <표 2-10>과

<표 2-11>에 나타내었다.

Page 9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4

구 분 소속 및 직위 성 명 임 기위원장 아주대 에너지학과 교수 오세기 ’03.8.27-’06.8.26

위촉직위 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

카톨릭대학교 법학과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소 연구지원부장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교수

서울대 의대 치료방사선과 교수

원자력의학원 생체조직재생연구실장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

청주대학교 응용과학부 교수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

강릉대학교 생명과학대 교수

신원기

노희천

이준현

서균렬

김무환

김태윤

이종인

박선영

김학노

이종덕

이희일

권성택

지헌철

박상훈

박재우

김일한

손영숙

배구현

이모성

김명현

김은경

당연직위 원

과기부 원자력안전과장

과기부 방사선안전과장

과기부 원자력방재과장

김선빈

송우근

이인일

재직기간

<표 2-9>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위원 현황

Page 9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5

구분 성명 소 속 기 관 비 고 임 기

원자로계통

오세기 아주대 에너지학과 교수위원장

(안전위 위원)

김숭평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위원장

(안전위 위원)

신원기 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 전문위 위원

노희천 과기원 원자력공학과 교수 "

이준현 부산대 기계공학과 교수 "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

김무환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교수 "

하재주 원자력연구소 종합안전평가부장 분과위 위원 '03.9.19~'05.9.18

김용수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02.10.4~'04.10.3

방사선방호

이재기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위원장

(안전위 위원)

박상훈 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 전문위 위원

박재우 제주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

김일한 서울대 의대 치료방사선과 교수 "

손영숙 원자력의학원 생체조직재생연구실장 "

장시영 원자력(연) 방사선안전관리실장 분과위 위원 '02.10.4~'04.10.3

박태순 표준(연) 전리방사선그룹장 " '02.10.4~'04.10.3

최성민 한국과기원 원자력공학과 교수 " '03.9.19~'05.9.18

부지구조

장승필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소장위원장

(안전위 위원)

이종덕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전문위 위원

이희일 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 "

권성택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 책임연구원 "

김성균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분과위 위원 '02.10.4~'04.10.3

서일원 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 '03.9.19~'05.9.18

김준경 세명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 " '03.9.19~'05.9.18

<표 2-10>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전문분과 위원 현황

Page 9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6

구 분 성 명 소속기관 비 고 임 기

정책제도

이성복 건국대 정치행정학부 교수위원장

(안전위 위원)

이종인 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위원 전문위 위원

박선영 카톨릭대 법학과 교수 "

김학노 원자력연구소 연구지원부장 "

김태윤 한양대 사회과학부 교수 "

노성기 원자력(연) 위촉연구원 분과위 위원 '02.10.4~'04.10.3

하성환 서울대의대 치료방사선 교수 " '02.10.4~'04.10.3

방재환경

홍석일 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센터장위원장

(안전위 위원)

최은경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약학 과장위원장

(안전위 위원)

배구현 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 전문위 위원

이모성 청주대 응용과학부 교수 "

김명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김은경 강릉대 생명과학대 교수 "

홍성운 여성원자력전문인협회장 분과위 위원 '02.10.4~'04.10.3

박창규 원자력연구소 선임단장 " '02.10.4~'04.10.3

김영성 KIST 대기자원연구센터장 " '03.9.15~'05.9.18

은종화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대령 " '02.10.4~'04.10.3

<표 2-11> 2003년 말 기준 원자력안전전문분과 위원

현황(계속)

Page 9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7

3. 원자력법령체계의 정비

가. 개요우리나라에서는 1958년 3월 11일 최초로 원자력법(법률 제

483호)이 제정되었고, 그동안 17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법령체

제가 정비되어 왔다. 1958년 원자력법이 제정되었던 당시에는 원

전이 없었기 때문에 원자력법의 내용도 원자력의 평화적 개발․이

용에 관한 개념적 골격을 구성한 것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1970

년대 들어 원전건설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원자력법의 내용

도 개발․이용 중심에서 안전규제 중심으로 그 축이 이동되었다.

한편, 에너지 부존자원이 절대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에

너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원자력의 비중을 증대시킬 수밖에 없

는 실정이다. 그러나 원자력은 그 자체에 내재된 방사선의 잠재적

위험성 때문에 공공의 안전 및 환경보전의 측면에서 안전성 확보

가 중대한 문제로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원자력관계법은 원자력행정조직법

령, 특수법인의 설립을 위한 법률, 원자력의 이용 개발 및 안전규

제에 관한 법률, 원자력손해배상법제 및 원자력시설지역지원법제

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원자력관계법은 ① 과학기

술부와 그 소속기관의 조직, 직무범위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

정하기 위한 “과학기술부와그소속기관직제”에 관한 대통령령, ②

원자력연구와 안전규제를 전담하기 위한 조직을 설립하기 위한

“한국원자력연구소법” 및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법”, ③ 원자력의

이용과 이에 따른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방사선에 의

한 재해의 방지와 공공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원자력에 관한

Page 9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8

포괄적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기본법으로서의 “원자력법”, ④ 원자

력손해가 발생한 경우 피해자를 충분히 보호하고 원자력사업의 건

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제정된 “원자력손해배상법” 및 “원

자력손해배상보상계약에관한법률”, ⑤ 방사선 등의 이용․진흥을

위한 “방사선및방사성동위원소이용진흥법”, ⑥ “원자력시설등의방

호및방사능방재대책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 원자력법의 개정원자력법은 1958년 3월 11일 법률 제483호로 제정된 이후 현

재 제19차 개정작업이 있었다. 원자력법은 원자력의 개발이용에

관한 사항 이외에 원자력안전규제에 관한 사항이 주요내용을 구성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법의 개정상황은 다음 <표 2-12>

및 <표 2-13>과 같다.

개정 공 포 일 (법률번호) 개정사유 주요 개정 내용

제1차 1961.10.2

(735)

일부개정

헌법개정- “대통령령”을 “각령”으로 함

제2차 1963.12.16

(1537)일부개정

- 원자력원에 “방사선의학연구소”

설치

- 원자력위원회에 2인의 상임위원

선임

제3차 1963.12.16

(1615)

일부개정

헌법개정- “내각수반”을 “대통령”으로 함

제4차 1966.8.3

(1833)일부개정

- 방사선의학연구소를 “방사선의학연

구소”와 “방사선농학연구소”로 분리

제5차 1967.3.30

(1948)

일부개정

기구개편

- 원자력원을 과학기술처의 외청인

원자력청의 소속하에 둠

<표 2-12> 원자력법 개정상황

Page 9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79

개정 공 포 일 (법률번호) 개정사유 주요 개정 내용

제6차 1969.1.24(2093)

일부개정- 원자력시설의 검사규정 신설- 원자로파괴죄 신설

제7차 1973.1.15(2444)

일부개정원자력청폐지

- 인·허가권자를 원자력청장에서과학기술처장관으로 변경- 원자력연구소를 과학기술처장관소속하에 둠

제8차 1973.3.12(2602)

일부개정- 제한구역설정과 이에 따른 손실보상을 규정

제9차 1982.4.1(3549)

일부개정 - 원자력안전규제관련조항의 보강

제10차 1983.3.1(3549)

전면개정- 핵연료주기사업의 세분화 및인허가절차의 개선- 환경보전기준준수규정 신설

제11차 1986.5.12(3850)

일부개정

- 원자력위원회를 국무총리 소속으로격상하고 위원장을 부총리로 함- 국제규제물자계량관리규정 신설-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설치

제12차 1993.3.6(4541)

일부개정- 동력자원부가 상공자원부로 통합됨에따른 직명변경

제13차 1995.1.5(494)

일부개정

- 원자력진흥종합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관한 규정 신설- 정부직제 변경(재정경제원 및통상산업부의 통합신설)

제14차 1996.12.30(5233)

전면개정-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의 폐지 및원자력연구개발기금의 설치 추진

제15차 1997.12.13(5453)

일부개정 - 행정절차법의 시행에 따른 일부 개정

제16차 1999.2.8(5820)

전면개정- 원자력위원회의 구성-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제17차 2001.1.16(6354)

전면개정-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구성- 원자력연구개발사업비용 부담등

제18차 2001.5.24(6472)

일부개정- 기술개발촉진법의 개정에 따른 일부개정

제19차 2003.5.15(6873)

일부개정- 원자력시설등의방호및방사능방재대책법의 제정에 따른 관련규정의 정비

<표 2-13> 원자력법 개정상황(계속)

Page 9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0

다. 원자력시설등의방호및방사능방재대책법의 제정(1) 배경 및 제정사유

(가) 배경

국제원자력기구는 그동안 핵물질의 국제운송과정에서 탈취방지

를 중심적 내용으로 하여왔던 “핵물질의 물리적 방호에 관한 국제

협약”을 핵물질의 국내사용․저장, 운반을 포함하여 핵물질 및 원

자력시설에 대한 사보타지 및 방사능영향 저감대책의 강구 등 기

존협약을 현실에 맞도록 개정작업을 추진 중에 있다.

미국은 9.11 테러 이후 원자력시설에 대한 방호체제를 강화하

고 있으며, 일본은 1999년 핵연료가공시설(JCO)에서 발생된 핵

임계사고 이후 원자력재해의 특수성 및 방사능방재에 대한 전문성

등이 현실적 문제로 제기됨으로써 이를 “원자력재해대책특별조치

법”을 제정한 바 있다.

(나) 제정사유

방사성재해는 일반재해와는 달리 ① 인간의 오감으로 느끼지 못

하는 상태에서 피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전문적 지식과 특별장치가 필요하며, ② 재해발생 시에 피

해지역이 광역화될 가능성 및 방사능 핵종에 따른 피해위험의 장

기적 잠복가능성 등으로 방사능재해가 발생된 경우에 조기의 신속

한 대응과 장기대책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원자력시설 및 방사성동위원소 사용기관의 증가

에 따라 원자력재해 발생의 개연성도 증대될 뿐만 아니라 원자력

Page 9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1

시설에 대한 대테러 및 사보타지 등에 대비한 원자력시설 방호체

제를 더욱 강화하고 원자력재해의 특수성과 방사능 방재에 대한

전문성을 고려하여 방사능방재대책의 수립 및 그 법적 근거의 마

련이 요청되어 “원자력시설의방호및방사능방재대책법”이 2003년

5월 15일 법률 제6873호로 제정되었다.

(2) 법률 주요내용

(가) 물리적 방호시책의 강구 및 물리적 방호체제의 수립

정부는 핵물질 및 원자력시설의 안전한 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핵물질 및 원자력시설에 대한 물리적 방

호체제를 수립한다(제3조 및 제4조).

(나) 물리적 방호협의회 설치

핵물질 및 원자력시설에 대한 물리적 방호에 관한 국가의 중요

정책을 심의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장관 소속하에 원자력시설등

의 물리적방호협의회를 두고, 원자력시설등이 위치하는 지역에는

시·도방호협의회 및 시·군·구방호협의회를 두도록 한다(제5조 내

지 제7조).

(다) 물리적 방호에 관한 원자력사업자의 책임

원자력사업자는 당해 원자력시설에 대하여 물리적 방호운영체

제, 물리적 방호규정 및 방호비상계획을 수립하여 핵물질의 불법

이전, 원자력시설 등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여야 한다(제9조).

Page 10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2

(라) 방사능 재난의 선포 및 보고과학기술부장관은 피폭방사선량 등이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에

는 방사능재난을 선포하고 방사능재난 상황 및 긴급대응조치사항

등을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에게 보고하여야 한다(제23조).

(마) 중앙방사능방재대책본부의 설치과학기술부장관은 방사능방재에 관한 긴급대응조치를 하기 취

하기 위하여 그 소속하에 중앙방사능방재대책본부를 설치하도록

한다(제25조).

(바) 방사능재난대응시설의 확보원자력사업자는 방사능재난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방

사능감시시설, 방사능오염제거시설 등 방사능재난대응 시설 및 장

비를 확보하여야 한다(제35조).

(사) 방사능재난 사후조치 등의 실시시·도지사 등은 방사능재난상황이 해제된 경우에는 방사능재난

발생구역 거주자들에 대한 의료조치 등 방사능재난의 확대방지 및

피해복구를 위한 사후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한다(제42조).

라. 방사선및방사성동위원소이용진흥법시행령의 제정(1) 진흥법의 개요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이 확대되고 있

Page 10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3

으나, 그 이용기관이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

을 획기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관련

산업체, 연구기관, 대학의 인적, 물적 기반의 확충과 동 분야의 이

용․진흥을 위한 추진체계의 강화 및 진흥을 법제도적 측면에서

뒷받침할 특별법의 제정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2002년 12월

26일 법률 제6814호로 제정․공포되었으며 보다 구체적 사항은

대통령령에 위임하였다.

(2) 시행령의 제정

(가) 제정이유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에 관한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이용을

확대하며 관련산업을 육성·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

여 방사선및방사성동위원소이용진흥법이 제정됨에 따라 동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하여 2003년 6

월 25일 대통령령 제18012호로 동법시행령이 제정되었다.

(나) 주요내용1) 방사선등이용진흥계획의 수립

과학기술부장관이 방사선등이용진흥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원자

력이용개발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한다(제2조).

2) 주관연구기관 및 정보관리기관의 지정

과학기술부장관은 주관연구기관 또는 정보관리기관을 고등교육

법에 의한 대학, 특정연구기관육성법의 적용을 받는 연구기관 등

Page 10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4

을 대상으로 연구 또는 정보관리를 위한 인력·시설·업무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지정한다(제4조).

3) 협회 및 조합 설립의 인가

법 제14조 및 제15조의 규정에 따라 협회 및 공제조합의 설립

인가를 받고자 하는 자는 과학기술부장관의 설립인가를 받아야 한

다. 설립인가의 신청시에 다음 각호의 서류를 과학기술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제5조).

4) 공제조합의 보증한도

공제조합의 보증한도액을 조합의 총출자금과 준비금을 합친 금

액의 40배로 하되, 금융감독원의 검사를 받는 기관의 보증 또는

보험에 의하여 보장을 받아 보증하는 경우에는 그 금액을 보증한

도액에 산입하지 아니한다(제8조).

마. 원자력안전규제기술기준(1) 원자력관련 고시의 정비

2001년에 개정된 원자력법, 동법시행령, 동법시행규칙, 원자로

시설등의기술기준에관한규칙 및 방사선안전관리등의기술기준에관

한규칙에 따라서 기존 과학기술부고시를 개정하게 되었으며, 신규

기술기준 설정에 따라서 신규로 개발하여야 할 고시 건수가 상당

수에 이르게 되었다.

과학기술부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과 함께 원자력안전규제의

Page 10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5

공백을 최소화하고, 적용 시급성과 원자력관계사업자의 불편을 최

소화하기 위하여 고시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2003년도에도 꾸준

하게 고시의 제․개정을 추진하였다.

개정 원자력법령을 근거로 현재의 과학기술부고시를 정비 대상

별로 분류해 보면 현행유지 고시, 개정고시, 원자력법령 근거 조

항삭제에 따른 폐지고시, 원자력법령의 신규 기술기준 설정에 따

른 신규개발고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2003년에 수행된 분

야별 고시 정비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고 그 현황은 <표

2-14>와 같다.

구분 고 시 명 법적 근거

제정고시

1. 제2003-11호 원자로시설 부지의 기상

조건에 관한 조사․평가 기준

2. 제2003-12호 원자로시설 부지의 수문

및 해양 특성에 관한 조사․평가 기준

3. 제2003-19호 화재방호계획의 수립 및

이행에 관한 규정

4. 제2003-20호 화재 위험도 분석에 관한

기술기준

5. 제2003-04호 방사성동위원소 판매자의

준수 규정

6. 업무대행규정 작성지침

원자로규칙 제6조제3항

원자로규칙 제7조제5항

원자로규칙 제59조

원자로규칙 제14조제3항

방사선규칙 제55조

규칙 제69조의2제3항

개정 고시

1. 제203-03호 원자로압력용기감시시험기준

2. 제2003-09호 사용후핵연료중간저장시

설의 위치기준

3. 제2003-15호 발전용원자로운영자의 방

사선비상계획 수립 및 조치에 관한 규정

4. 제2003-06호 개인피폭방사선량의 평가

및 관리에 관한 규정

5. 제2003-21호 방사성동위원소에서 제외

되는 물질 등에 관한 고시

원자로규칙 제21조제4항

영 제229조의2

방사선규칙 제61조제2항

법 제29조제1항

영 제106조의2

원자로규칙 제47조제4항

규칙 제116조

영 제5조제3호

<표 2-14> 2003년 원자력관련 과학기술부고시 제․개정 현황

Page 10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6

(가) 현행고시의 유지, 개정 및 폐지

현행유지(존치)고시는 원자력법령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시급하

게 개정을 요하지 않는 고시와 내용이나 관련 근거조항 등의 변경

을 요하지 않는 고시, 개정은 필요하나 관련분야 전문가 및 관계기

관 의견수렴 등의 지연으로 차기년도로 개정이 이월된 고시이다.

개정고시는 현행고시 중 행정기관의 명칭변경, 원자력법령 근거

조항 변경, 자구수정 또는 구성 변경 등과 같이 단순 정비된 것과

내용을 변경하여 개정한 고시 등으로 2003년도에 개정 완료한 고

시는 5건으로, 이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개정안을 마련하여

과학기술부에 제출하고 과학기술부는 이를 관련 규정에 따라 개정

공포한 것이다.

(나) 신규개발 고시

이는 개정 원자력법령의 신규 기술기준 설정에 따라 개발된 것

으로 과학기술부는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고 원자력안전위원

회 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03년도에 6건의 고시를 신규로

제정․공포하였다.

(2) 2003년 말 현재 고시현황

2002년도에 이어 2003년도에도 신규로 제정고시 6건 및 개정

고시 5건 등을 합치면 2003년 말 현재 고시는 71건으로 그 현황

은 <표 2-15>와 같다.

Page 10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87

구 분 건 수 정 비 방 향2003. 12.31

현재고시(71건)

존치 고시 60개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시급성이 요

구되지 않아 추후 개정

2003년(11건)

제정 6 기술기준 신규 설정에 따라 고시 개발

개정 5 고시내용의 변경

고시개발을 요하는 신규 기술기준

29

(예상)기술기준 신규 설정에 따라 개발

<표 2-15> 현행 과학기술부고시 집계표

(3) 기술기준 개발 향후 추진계획

현행 과학기술부고시 중 개정되지 않은 고시와 신규 기술기준

설정에 따라 신규로 개발해야할 고시는 2004년에도 지속적으로

개발될 예정이며, 과학기술부는 관련 기관 및 외부 전문가의 의견

을 수렴하고 필요한 경우 원자력안전심의회 산하 전문분과위원회

의 심의를 거쳐 과학기술부에 제출할 것이다. 기술기준의 고시화

절차는 <그림 2-1>과 같다.

<그림 2-1> 기술기준 고시화 및 안전규제지침 인정 절차도

Page 10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10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목적 및 근거 2.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경과 3.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주요 목표 4.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관리 체계 5. 세부사업별 추진현황 및 성과 6. 대형 국책 원자력연구개발사업 7. 원자력 인력양성

Page 10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Page 10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1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목적 및 근거원자력연구개발사업은 원자력법 제9조의2 “원자력 연구개발사

업의 추진”에 근거하여 과학기술부에서 관장하고 있는 국가 연구

개발사업으로서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에 따라 연도별 원자력연구

개발사업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은 원자력 과학기술 선진국(G5) 진입을 주

요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 핵심기술 및 핵비확산성 핵연료주기 기술 중점 개발

둘째,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의료․농업․환경․공업적

이용을 확대하여 고부가가치 신 과학산업 창출 및 국민 복

지 향상

셋째, 국가 원자력 경쟁력 제고와 원자력기술의 해외진출기반

확충

넷째, 원자력 기초기반연구를 활성화하여 창조적 과학기술 발전

과 인력양성체계를 구축

“원자력진흥종합계획”에 근거하여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

(1997~2006)을 수립한 바 있으며, 회계연도에 맞추어 매년 원

자력연구개발사업계획과 원자력연구개발기금의 운용을 위한 기금

운용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Page 11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2

2.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경과원자력연구개발사업은 1992년 6월 26일 제230차 원자력위원

회에서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1992~2001) 을 심의․

의결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10년간 정부출연금

(4,500억원)과 한전출연금 (5,000억원), 그리고 방사성폐기물

관리기금 (2,355억원) 등 총 11,855억원의 재원으로 원자력연

구개발을 착수하였다.

1995년에는 원자력연구개발을 종합적인 계획하에 추진하기 위

해서 원자력법에 원자력연구개발계획 수립근거를 마련하였다.

1996년도에는 특정연구개발사업의 일환이었던 원자력연구개발

사업이 별도 예산항목으로 분리되어, 정부출연금도 직접 원자력연

구개발사업에 배분하는 등 독립된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의 수

행체계를 갖추었다.

1996년 말에는 한국원자력연구소가 수행하여 기술개발에 성공

한 원자로 계통 및 핵연료 설계․제조사업, 방사성폐기물관리사업

등을 관련산업체에 이관하고, 원자력연구소는 원자력 연구개발 기

능을 강화하도록 하는 원자력 사업수행체제 조정이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원자력 연구개발 재원의 안정확보를 위하여 기존의 재

원인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과 한전출연금 등을 일원화한 원자력

연구개발기금이 신설되었다. 원자력연구개발기금은 법적․제도적

인 재원안정 확보방안의 일환으로서 발전용원자로 운영자가 전년

도 원자력발전량당 일정비율을 (원자력법에 1.2원/kWh 이내로

규정) 정부에 납부하여 연구개발 재원으로 활용토록 하였다. 이에

따라 1997년부터는 원자력연구개발기금과 정부출연금을 재원으

로 하여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게 되었다.

1992년 착수된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이 시행 5년이 경

Page 11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3

과함에 따라, 1997년에는 그 동안의 연구실적 및 연구개발 주변

여건 변화 등을 반영한 21세기를 향한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

기계획 (1997~2006) 을 연동계획으로 수립하여 시행하였다.

이와함께, 원자력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등의 차원에서 대학에 산

재된 연구역량 결집을 위한 기초연구사업 , 미래 원자력 이용개

발 방향 등의 정립을 위한 정책연구사업 , 선진국 및 국제기구와

의 협력과 개도국에의 원자력기술 진출등을 위한 국제공동연구

사업(2000년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으로 변경) , 국가 핵융합사

업 지원을 위한 핵융합연구사업 , 그리고 연구평가․관리 등을

위한 연구기획평가사업 이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세부사업으로

서 신설․추진되었다.

1998년에는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원자력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성과이전 촉진 등을 통한 국가 경제위기 극복차원에서 연구원

창업지원과 연구성과의 산업체 기술이전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성

과이전사업 을 신설하였고, 본 사업은 1999년에 원자력 실용화

연구사업 으로 변경되었다.

1999년 2월에는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 (1997~2006)

을 보다 목표 지향적, 수요지향적 및 공개경쟁적으로 개편하여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 수정계획(1999~2006) 을 수립하였

고, 세부사업으로 연구기반확충사업 을 신설하여 산․학․연 공

동이용 시설․장비 구축과 하나로 공동이용 촉진, 원자력분야 국

가지정연구시설 등을 통한 연구인프라 구축 및 원자력연구개발의

효율화․생산성 제고를 추진하였다.

연구기반확충사업은 이후 사업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선진국 첨

단기술의 조기 확보를 위하여 2000년 “선진기술확보사업”, 고급인

력 양성 등을 위하여 2001년 “인력양성사업”을 신설하였다. 2002

년도에는 별도 세부사업으로 추진하였던 “기초연구사업”, “핵융합

연구사업” 등을 사업의 성격 등을 반영하여 연구기반확충사업 으

Page 11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4

로 통합되었고, 아울러 원자력 대국민 이해 제고를 위하여 한시적

으로 "이해증진기반구축사업"(2003년 종료)을 수행하였다.

2002년에는 원자력 및 방사선관련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중장기적인 진흥 기반 조성을 위하여 연구기반확충사업의 세부사

업으로서 인력양성사업을 본격 추진하였다.

2003년부터는 원자력연구개발기금과 정부출연금을 통합하여

수행하였던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재원별로 지원대상을 명확히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즉,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으로 수행

하였던 원자력 기초․기반기술분야와 원자력국제협력기반조성사

업 등을 사업의 성격 등을 반영하여 정부출연금만을 재원으로 수

행하였다. 그리고 방사선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첨단 방사선이용

설비 개발․구축 등을 수행하는 방사선기술(RT) 개발사업 을

정부출연금 지원사업으로 신설하여 냉중성자 연구기반시설 구축,

대전류 싸이클로트론 개발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세부사업의 성격상 연계성이 강한 정책연구사업 과 연구

기획․평가사업 을 연구기획․정책․평가사업 으로 통합․수행

하여 연구정책과 연구수행간의 실효성 및 효율성 향상을 기하였

다.

다음 <표 3-1>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변천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1992년부터 2003년까지 12년간에 걸쳐서 연구개발비로서 총

14,616억원이 투입되었다. 이를 재원별로 살펴보면 원자력 연구

개발기금 8,397억원, 정부출연금 3,899억원, 한전출연금 1,382

억원 및 방사성폐기물기금 937억원 등으로 조달되었다. 2003년

도에는 1,898억원이 투입되었는데 원자력연구개발기금 1,638억

원, 정부출연금 260억원이 조달되었다. 1997년 이후 원자력연구

개발사업의 각 연도별 투자실적은 <그림 3-1>과 같다.

Page 11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5

1992~1996 1997 1998 1999중장기계획사업 중장기계획사업 중장기계획사업 중장기계획사업

기초연구사업 기초연구사업 기초연구사업

정책연구사업 정책연구사업 정책연구사업

국제공동연구사업 국제공동연구사업 국제공동연구사업

연구기획평가사업 연구기획평가사업 연구기획평가사업

핵융합연구사업 핵융합연구사업 핵융합연구사업

성과이전사업 성과이전사업

연구기반확충사업

-시설/장비구축

-하나로공동이용

2000 2001 2002 2003중장기계획사업 중장기계획사업 중장기계획사업 중장기계획사업

기초연구사업 - - -

정책연구사업 정책연구사업 정책연구사업 -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연구기획평가사업 연구기획평가사업 연구기획평가사업 연구기획 정책 평가사업

핵융합연구사업 핵융합연구사업 - -

실용화연구사업 실용화연구사업 실용화연구사업 실용화연구사업

연구기반확충사업 연구기반확충사업 연구기반확충사업 연구기반확충사업

-시설/장비구축 -시설/장비구축 -시설/장비구축 -시설/장비구축

-하나로공동이용 -하나로공동이용 -하나로공동이용 -하나로공동이용

-국가지정연구실 -국가지정연구실 -국가지정연구실 -국가지정연구실

-선진기술확보 -선진기술확보 -선진기술확보 -선진기술확보

-기초연구 -기초연구 -기초연구

-인력양성 -인력양성 -인력양성

-핵융합연구 -핵융합연구

-이해증진기반구축 -이해증진기반구축

방사선기술(RT)

개발사업

<표 3-1> 연도별 원자력연구개발사업 변천과정

Page 11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6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단위:연도)

(단위:백만원)

<그림 3-1> 연도별 원자력연구개발사업 투자실적

Page 11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7

3.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주요 목표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주요 목표는 아래와 같다.

첫째, 국제경쟁력이 있는 우리 고유의 핵심 원자력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기 위하여 “일체형원자로(SMART) 개발사업” 및 “양성

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 등 국책연구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추

진하고, 독자 기술실시권을 갖는 “경수로형 신형핵연료 개발” 및

“원전계측제어계통”개발 2단계사업을 착수토록 하였다.

둘째, 선진국수준의 안전성 유지를 위한 원자력 안전 연구 강화

를 위하여 “원자력 열수력 실증실험 및 평가기술개발” 등 고유 핵

심기술 확보에 전제가 되는 실험체계를 본격 구축하고 원전 안전

성 증진과 직결되는 원전기술혁신분야 연구를 지속추진하고 있다.

셋째, 방사선이용 기술개발의 본격추진을 위하여 방사선및방사

선동위원소이용진흥법 에 의거 방사선기술이용진흥종합계획(’04

~’08)을 수립하였으며, 권역별 싸이클로트론연구소 구축등을 통

한 RT 연구기반시설을 확보하고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및 방사선

의 의료․농업․환경․공업분야 이용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

진하고 있다.

넷째, 미래 원자력 계통에 대한 국제 공동연구 참여 및 국가간

원자력공동위원회 합의사항 등을 반영하기 위하여 제4세대 원자

력계통개발 및 핵비확산성 핵연료주기 기술개발 등을 지속 추진하

고 있다.

다섯째, 국가원자력 정책과 원자력연구개발의 연계강화를 위하

여 원자력기술지도(NuTRM) 결과를 반영하여 원자력진흥종합계

획을 수정․보완하였다.

여섯째, 수소에너지 시대에 대비하여 원자력이용 수소생산계통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기획 및 기술․수요조사를 수행하였다.

Page 11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8

일곱째, 지방과학기술균형 발전 및 지방대학 연구개발 확대, 미

래 원자력계통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 미래지향적 우수 원자

력․방사선 연구인력 양성, 산업적 활용 및 지역특화연구를 위한

시설․장비 확충 등을 통해 원자력이용 진흥, 인프라 확충 및 인

력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여덟째,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과 이전을 통한 실용화․사업화를

위하여 국내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실용화연구사업의 추진 및

기술출자기업․기술창업자의 육성, 집적화 단지의 조성등을 추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연구관리의 절차 간소화 및 연구의 자율성․책임성의

보장․강화를 위하여 연구관리 제도의 지속적인 보완을 추진하고

있다.

Page 11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99

4.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관리 체계국가 연구개발사업이란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의 진보에 기여할 목적으로 국가의

기획에 의거하여 수행되는 연구개발사업이다.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은 원자력법에 의거하여 시행하며, 연구개

발사업에 필요한 상세한 절차 및 방법 등 세부적인 사항을 원자

력연구개발사업처리규정 에 규정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연구개

발비 산정․사용 및 정산지침 이 있다.

연구관리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연구개발

자원의 적정배분 및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무엇에, 얼마나, 어

떻게 투자할 것인가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기획 및 관

리가 필요하다.

둘째,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통하여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

급하고 21세기에 원자력기술 선진국에 진입하는 한편, 기술수출

국으로 부상하며, 변화하는 국내․외 정치․경제 및 사회적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원자력분야의 미래 기술수요를 선도

해 나갈 수 있는 연구개발사업 추진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셋째,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을 촉진하고 산업계를 확산시켜 나

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1996년 2월 28일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를

원자력연구개발사업 기획․관리․평가 전문기관으로 지정하였으

며,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는 1997년부터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1999년 2월 과학기술정책

관리연구소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및 과학기술정

책연구원(STEPI)으로 분리됨에 따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종전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연구기획관리단에서 담당하여 오던

Page 11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0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 관리 및 평가업무를 담당해 오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연구기획을 통하여 중점 연구개발부

문을 설정하고, 연구관리를 통하여 자원의 집행효율성을 증대시키

며, 아울러 객관적이고 공정한 연구개발결과 평가를 통하여 연구

개발 투자성과를 극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원자력연구개발사

업의 기획, 관리, 평가 업무는 <그림 3-2>와 같은 연구관리 절차

에 따라 수행되고 있다.

원자력분야의 최고 전문가들로 연구기획위원회를 구성하고 국

가적으로 필요한 기술분야별 연구수요를 감안하여 연구과제별 과

제제안요구서(RFP)를 기획하고 있으며, 기술분야별 과제 선정분

과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하여 연구과제의 기술적인 내용 및 연구비

의 적정규모를 평가하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총괄 조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획․과제선정․관리․평가 등에 관한 주요사항을

심의하고 있다.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사업의 기획․평

가․관리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전주기적 사업관리 계통을 운용

하고 있으며, 이러한 체계 하에서,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설명회,

각종 성과전시 및 우수연구과제 표창 등을 활성화하여 산․학․연

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를 통한 우수과제 발굴 및 연구개발 성과제

고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진도관리 및 평가체제의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연구수요자 참여형 상시관리체제 유지 및 객관적이며

공정한 연차실적 및 과제선정 평가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Page 11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1

원자력진흥종합계획 및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국무총리)

연도별원자력연구개발사업 기획 연구기획분과위원회 및 총괄조정위원회

연도별 원자력연구개발기금운용계획 수립

원자력연구개발기금 운용심의회

(위원장: 과학기술부 차관)

연도별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수립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심의위원회

(위원장: 과학기술부 차관)

사업 공고 및 과제접수

사업공고: 과학기술부

과제접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제선정 평가 과제선정분과위원회

과제선정 및 연구비 확정 총괄조정위원회 등 관련 위원회

협약체결 과학기술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관연구기관

<그림 3-2> 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과제선정 및 협약체결 절차

Page 12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2

5. 세부사업별 추진현황 및 성과

가. 각 사업별 추진 현황(1)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사업

원자력연구개발 중 장기계획사업은 21세기 초 원자력 과학기술

선진국 진입과 국가 전략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 장기적

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2002년에는 핵심 원자력 기술개발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하

여 “일체형원자로(SMART)개발사업”, “양성자기반공학기술 개발

사업” 등 선택과 집중에 입각한 사업단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

였으며 원자력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역량 결집을 위해 안전 관

련 연구를 확대하였으며 특히, 원전 안전성 증진과 직결되는 원전

성능개선 및 현장기술혁신 분야를 신설하였다.

2003년에는 사업단 형태의 국책연구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추

진하였고, 독자 기술실시권을 갖는 “경수로형 신형핵연료 개발” 및

“원전 계측제어계통” 국산화를 추진하였다. 또한 원자력 안전연구

강화를 위한 “원자력 열수력 실증실험 및 평가기술개발” 과제 등

고유 핵심기술 확보에 전제가 되는 실험체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하

였으며, 방사선기술(RT) 개발계획(2002~2006) 에 의거, 방

사성동위원소 생산 및 방사선의 의료․농업․환경․공업 분야 이

용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다. 또한 제 4세대 원자력 계

통 개발 등 한․미 공동연구개발사업에 선도적으로 참여하여 액체

금속로 설계기술개발 등을 통한 신형원자로 개발, 핵비확산성 핵

연료주기 기술개발 등 한․미 공동 투자 원자력 개발사업의 합의

사항을 사업에 반영하여 추진하였다.

Page 12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3

원자력연구개발 중 장기계획('97~'06)에 의한 원자로 및 핵연료, 원자력 안전, 방사선방호 및 영향평가, 방사성폐기물, 방사

선의학,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및 방사선이용, 원전성능개선/현장

기술혁신 등 7개 기술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3년에는 2개

의 사업단을 포함하여 42개 대과제, 7개 단위과제를 지원하였다.

각 기술분야별 중점추진방향은 다음과 같다.

1) 원자로 및 핵연료

원전기술의 해외수출 및 선진화를 위해 우리 고유모델 원

자로, 미래형 원자로 개발과 원자로 관련기술 자립을 위한

핵연료 기술 고도화

2) 원자력안전

원전 가동기술의 증가에 따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종합사

고관리, 안정성평가 검증체계 및 안전규제기술 선진화

3) 방사선 방호 및 영향평가

방사선 영향 해석 및 대책 기술 선진화, 방사선 계측 및

평가기술 고도화 및 국내 특성을 반영한 국제 수준의 방사

선 안전 규제 기술 확립

4) 방사성폐기물관리

후행 핵연료주기 분야의 기술자립을 위한 사용 후 핵연료

의 최적관리 이용 및 고준위 폐기물 처리․처분기술 개발

5) 방사선의학

동위원소를 이용한 새로운 진료기술의 개발과 임상 이용,

방사선치료의 각종 진료기술 개발을 통한 방사선치료 수준

향상

Page 12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4

6)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및 방사선 이용

산업 및 의료용 다수요 방사성동위원소 품목의 국산화, 신

규 방사성 의약품 등 고부가가치 방사성동위원소 제품의

상용화,「하나로」 및 부대시설을 사용한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기술 확보

7) 원전성능개선 및 현장기술혁신

원자력 분야에서 발생하는 현안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며, 원자력 안전성 향상, 현장 애로사항 지원, 단기적 성

과가 가능한 과제 지원

2003년도의 대과제별 연구추진 현황은 <표 3-2> 및 <표 3-3>

과 같다.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하여 종료과제에 대한

단계 및 최종평가 실시, 신규과제 발굴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및 선정평가, 평가결과 연구계획의 개선이 요구되는 과제들에 대한

관계 전문가의 기획참여를 통하여 추가기획을 수행하였다.

연구기획 및 평가의 전문성을 제고시키고 기술분야별 균형적인

과제발굴과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위하여 국내 최고의 산 학 연 전

문가들로서 연구기획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였다.

Page 12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5

분 야 과 제 명 연구비

원자로및

핵연료

1. 액체금속로 설계기술 개발 4,161

2. 핵비확산성 건식공정 산화물 핵연료기술 개발 3,871

3. 웨스팅하우스형 원전용 개량핵연료 개발 2,750

4. 미래형 핵연료 개발 2,636

5. 경수로용 신형핵연료 개발 6,738

6. 일체형 원자로 개발 8,400

원자력안 전

7. 원자력위험도 관리기술개발 2,263

8. 원자력 열수력 실증실험 및 평가기술 개발 7,325

9. 중대사고관리 최적방안 수립 및 대처설비개발 2,511

10. 원자력 안전규제기술개발 2,462

11. 기기 및 구조물 건전성 향상기술개발 2,526

12. 원자력안전의 확인체계 최적화연구 1,091

13. 중수로 안전성 평가체제 수립 및 안전현안 대처

기술개발1,233

14. 원전부지 지진안전성 평가기반 기술개발 1,300

15. 원자력 재료 내환경 특성평가 및 향상기술 개발 3,850

⑴ 구조재 손상 정밀진단/감시 및 제어기술 개발 1,168

방사선방호 및영향평가

16. 방사선 안전규제 기술개발 2,589

17. 저선량 방사선 기초 영향 연구 800

18. 원전 방사선 방호 기술개발 1,102

19. 방사선 환경방호 기술개발 2,085

⑵ 국가 핵물질 계량관리 및 통제기술 개발 681

⑶ 원전 종사자 및 주변주민 역학조사 연구 988

방사성폐기물

20. 사용후 핵연료 관리이용 기술 개발 6,565

21. 장수명 핵종 소멸처리 기술 개발 3,601

22. 방사화학 기반 연구 3,136

23. 고준위폐기물 처분기술 개발 4,599

24. 원자력연구시설 제염해체기술개발 1,877

○ 트리티움 취급기술개발 861

<표 3-2> 2003년 대과제별 연구추진 현황단위: 백만원

Page 12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6

분 야 과 제 명 연구비

방사선의 학

25. 분자핵의학 기술개발 719

26. 방사선 이용 표준화 및 의학물리 기반기술 개발 774

27. 방사선 유전자원 발굴 및 응용기술 개발 1,221

28.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기술 개발 6,858

⑷ 싸이클로트론 및 PET 이용기술 개발 2,016

방사성동위원소 생산및

방사선이 용

29. 방사선 의료기기 핵심기술 개발 731

30. 방사선 계측기 기반기술 개발 1,034

31. 중소형 방사선 발생장치 핵심요소기술 개발 301

32. 의료 및 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기술개발 2,764

33. 방사선 식품생명 공학기술 개발 2,182

34. 방사선의 공업적 이용개발 2,184

35. 동위원소 생산용 가속기 핵심기술개발 1,592

36. 방사선 농업생명 공학기술 개발 1,412

⑸ 원자로를 이용한 BNCT핵심기술 개발 458

원 전기 술혁 신

37. 원자력 설비검사 및 정비기술 개발 2,726

38. 경수로 운전성능 향상기술 개발 1,692

39. 증기발생기 건전성 향상 기술개발 3,883

40. 중수로 운전성능 향상기술 개발 4,312

41. 원전계측제어 계통 개발 7,300

⑹ 한국 표준형원전용 개량핵연료 노내검증시험 및

평가기술 개발194

⑺ 해양생물에 의한 취수구 폐쇄 현상방지 기술 392

⑻ 레이저에 의한 원전구조물의 잔류응력 개선기술

개발327

○ 원전 주기적 안전성 평가기술개발 2,120

○ 가동원전 엔지니어링 서비스 기술개발 726

총 계 41개 대과제, 8개 단위과제, 5개 신규과제 131,087

<표 3-3> 2003년 대과제별 연구추진 현황(계속)

Page 12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7

(2) 원자력 연구기반확충사업

원자력 연구기반확충사업은 원자력 분야의 연구개발을 수행하

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연구 인프라의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는 사

업이다.

원자력연구개발은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과학기술 추세와 마찬

가지로 집단적이고 학제간 연구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거

대과학의 전형이다. 따라서 원자력연구개발의 전반적인 수준을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연구협력를 통하여 균형적으로 발

전되어야 한다. 원자력 연구개발의 전반적 수준향상과 더불어 기

술모방 방식을 탈피하여 선진국형의 창의적 연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연구인력, 연구장비 및 시설 그리고 기술정보 공유체계

등의 연구기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국가 주도하에 장기계획

을 갖고 추진하여야 한다.

원자력 연구기반확충사업은 1999년도에, ① ‘원자력분야의 국

가 연구개발 경쟁력과 생산성 향상에 직결되는 연구개발 하부구조

구축’, ② ‘연구개발 수행에 필요한 필수 연구 인프라를 구축을 통

한 연구개발의 효율화 및 활성화’ 등을 목표로 착수되었다.

2000년도에는 21세기형 신기술 창출 및 고급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원자력 선진국의 첨단 연구 개발 계획에 참여하는 “원자력

선진기술확보사업”을 포함시켰으며, 2002년도에는 2001년도에

시범사업으로 신설된 인력양성분야를 발전된 형태로 재 기획하여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02년에는 독립사업으로 추진되던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개발사업이 동 사업으로 편입되어 추진

중이다.

2003년에는 사업운영의 효율화와 분야간 유기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중심의 ‘연구시설 및 운영기반구축’분야와 소프트

웨어 중심의 ‘미래연구 및 인력기반구축’분야로 사업을 재구성하였

Page 12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8

다. ‘연구시설 및 운영기반구축’ 분야를 ① 원자력 연구 시설/장비

구축 운영, ② 하나로 공동 이용활성화, ③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 등의 3개 분야로 구성하고, ‘미래연구 및 인력기반구축’ 분야

는 ④ 기초연구, ⑤ 선진기술확보, ⑥ 국가 지정연구실, ⑦ 인력

양성 등의 4개 분야로 구성하여 현재는 총 7개의 세부분야로 운

영․추진하고 있다.

연구기반확충사업 추진체계

연구시설 및 운영 기반구축(Hardware중심)

미래연구 및 인력 기반구축(Software중심)

․연구시설․장비구축 운영

․하나로 공동이용 활성화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

․기초연구

․국가지정 연구실

․인력양성

․선진기술확보

<그림 3-3>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추진체계도

(가) 연구시설 ․ 장비구축 운영

원자력연구개발 중 장기계획사업을 통하여 국내 전반적인 원자

력 기술의 수준 향상과 함께 원자력 관련 분야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연구주체간의 교류 및 지식통합을 보다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분야간, 연구주체간의 횡적 연계성을 증진시

키고 공동연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핵심 공동연구시설로서 방사

선 응용과학 연구시설, 전자빔 이용 염색폐수정화시설, 원자력연

구개발용 핵자료 구축․평가, 교육용 원자로의 시설 개선, 원전

Page 12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09

냉각제 상실사고 시험시설, 핵과학 이온빔조사시설, 중․저준위

전자빔 조사시설, 원자력연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지원하

였다. 아울러 IAEA 폐기물 안전 협약의 이행을 위한 국가차원의

통합적 안전규제 체계 구축을 지원하였다.

(나) 하나로 이용 활성화 분야

국내 유일한 열출력 30MW급의 연구로인 “하나로”의 이용을 극

대화시키고 산 학 연 과학기술자들이 하나로를 이용한 실험 및 연

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나로를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지원 사업으로서

① 원자력 전공 학부생의 정규 실험실습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학

연 협동 연수교육, ② 방사선방어 및 보안교육 등의 일반교육, ③

조사시험분야, 중성자 빔 이용분야, 방사성동위원소분야, 중성자

방사화 분석분야에 대한 전문교육을 수행하였다. 2003년도에는

하나로를 이용하는 실험 및 연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자유공모를

통해 44개 과제를 선정 지원하였다.

(다) 선진기술확보 분야

21세기형 신기술 창출 및 고급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원자력선

진국의 첨단 연구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분야로 2001년까지

15개 과제와 2002년 사업에서 신규 5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지원과제는 미국 에너지부(DOE)가 주관하는 NERI(Nuclear

Energy Research Initiative) 및 I-NERI(International-

Nuclear Energy Research Initiative)에 속하는 과제들이다.

동 분야에서는 한․미 원자력공동연구협의회(BIENRIC:

Page 12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0

Bilateral International Nuclear Energy Research

Initiative Committee)를 구성하여 공동연구협력협정을 체결하

였으며, 2003년 11월에는 BINERIC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하였

다. 이 협정을 통해 제4세대 원자력계통(Gen-Ⅳ: Generation

Ⅳ) 노형 결정과 연관 있는 첨단핵연료주기 공정기술(AFCI:

Advanced Fuel Cycle Initiative), 원자력 수소생산계통 등의

공동연구를 미국과 대등한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합

동평가단 구성을 통한 신규과제 선정 및 연구실적 평가를 추진하

였다.

아울러 4년간 추진된 본 사업은 국가간 공동연구추진사업의 기

본 모델을 제시하였고, 2005년부터는 실질적인 연구수행을 위해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사업으로 이관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라) 국가지정연구실 분야

원자력 분야의 산 학 연 우수 연구집단을 육성․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서 특정연구개발사업의 국가지정연구실사업 일정에 맞추

어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아래와 같이 14개 연구실을 지원하고

있다.

① 2상유동 및 상변화 열전달 해석방법 및 검증기법 개발(포항

공과대학, 김무환)

② 원자력재료 성능검증 핵심기술 개발연구(서울대학교, 황일순)

③ 공통유형고장을 배제한 고신뢰도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개

발(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신현국)

④ 원자로 신개념 비상노심냉각 최적화 기술개발(서울대학교,

이은철)

⑤ 유동기인진동기술과 연계한 임계열 유속 증진 기술개발(한

Page 12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1

국과학기술원, 장순흥)

⑥ 주기적안전성평가 시행을 위한 원전설비 용접부 건전성 평가

기술개발(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진태은)

⑦ 중성자 방사선 입자수송 고등전산기술개발 및 검증연구(한

국과학기술원, 조남진)

⑧ 방사선영향의 정량적 해석을 위한 전산해석체계 개발(서울

대학교, 강창순)

⑨ 청정원자력을 위한 신용매 세척기술(경희대학교, 박광헌)

⑩ 의료 방사선 정량화 및 영상화 기술 개발(가톨릭대학교, 서

태석)

⑪ 부지환경 종합관리 계통 개발(한수원(주)원자력환경기술원,

김창락)

⑫ 운전원을 포함한 원전계측제어계통의 정량적 안전성 평가기

술(한국과학기술원, 성풍현)

⑬ 인체질환을 영상진단하기 위한 표지화 기술(인하대학교, 지

대윤)

⑭ 디버터용 전기탐침 해석 설계 기술 및 전기 탐침 응용기술

개발(한양대학교 정규선)

(마) 기초연구분야

미래 기술수요에 대처하고, 대학을 전문화된 연구주체로 육성․

지원하기 위하여 대학에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기초연구과제를 지

원하는 사업이다.

대학내 연구역량을 결집시키고, 지방 과학기술 균형 발전과 지

방대학 육성에 관련되는 지역대학간 공동 협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공동연구소, 대학의 창의적 역량 강화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개별연구과제, 그리고 원자력의 대국민 이해증진 및 국민적

Page 13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2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한 인문 사회과학 분야의 기초연구를 증진시

키기 위한 이해증진 분야를 병행하여 추진 중이다.

(바) 인력양성 분야

원자력 인적기반 확충을 통해 21세기 국내 원자력의 지속적 발

전과 원자력 진흥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본 사업에서는

신진 원자력인력의 육성, 연구인력 및 현장인력 재교육 및 국제

화, 연구개발 종사자의 전문성 함양 교육 프로그램등을 추진하고

있다. 2001년에 시범사업으로 시작되었으며 2003년도에 “국제공

동학술연구협력분야”, “전문인력파견국제협력”, “학부생해외연수”,

“학부생논문연구분야” 및 “원자력CEO 초청강의․강연”의 5개 분

야로 새롭게 기획하였고, 40여명의 국내우수연구자를 선발하여

국외 유수의 대학, 연구기관, 국제기구등에 파견하였으며 87개의

학부생 논문을 발굴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2004년도부터는

효과적인 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지원분야의 재편성 및 규정개정을

계획하고 있다.

(사) 핵융합 연구사업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핵융합연구개발사업은 1995년말 “국가핵

융합연구개발기본계획”의 첫 단계로 선도기술개발사업으로 착수

된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개발사업”에서 시작되었다.

동 사업은 “국가핵융합연구개발기본계획”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해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장치로 이름지어진 차세대 초전도 토카막장치의 개발

설치와 이 연구장치의 운영을 통한 핵융합연구와 기술의 확보,

Page 13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3

나아가 세계적인 핵융합로 개발에 동등한 자격으로의 참여 등을

중간목표로 하는 단계별 계획으로 수립되어 있다. 핵융합발전기술

의 상용화시기까지 기술선진국으로서의 위치를 확립하는 것을 최

종 목표로 하고 있다.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개발사업” 핵융합로 개발에 필

요한 국내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시킨 범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되어

1996년 초 총괄연구주관기관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핵융

합연구개발사업단”을 개설하고 각 분야별 전문성과 연구개발 실적

을 바탕으로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삼성종합기술원 등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되었고, 한국표준과

학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등 출연연구기관과 서울대학교, 연세대

학교, 성균관대학교 등 대학, 삼성전자(주), 현대중공업(주), 포

스콘(주) 등 산업체를 포함하는 총15개 기관 300여명의 연구기

술 인력이 참여하여 1998년 8월에 3개년간의 제1단계 사업이 성

공적으로 완료되었다.

제1단계 사업을 통하여 KSTAR 연구장치 개념설계, 주장치 기

본설계와 부대장치 기본설계 등의 사업 주요 성과물을 성공리에

달성하였으며, 장치 제작을 위해 필수적인 대형 초전도 자석기술

과 초고진공기술 등의 기반기술들의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차질

없이 수행하였다.

제2단계 사업이 1998년 9월에 착수되어 2002년 9월까지

KSTAR장치의 국내 개발과 제작이 완료되었다.

또한, 2002년 후반부터 2005년까지로 계획된 제3단계 사업기

간 중에는 연구장치의 건설이 완성할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KSTAR 장치의 성공적인 건설과 정상가동을 통하여 세계 수준의

핵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미국, 일

본, 유럽연합, 러시아 등 세계 핵융합 선진국과 동등한 수준의 연

구결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age 13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4

21세기 중반으로 예상되는 핵융합발전의 상용화 시기가 도달하

기 전에 우리나라 독자의 기술로 핵융합로 건설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고 있으며, KSTAR 장치의 개

발과 건설 초기부터 국내 산업체의 참여가 활성화되어 이 사업을

통하여 대형 초전도 자석기술, 초고진공 기술, 초고온 특수소재

기술, 극저온 기술, 고전류 이온원기술, 대출력 고주파기술 등 21

세기를 주도할 첨단극한 기술들을 국내 산업체에 체화시켜 산업화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3) 원자력 실용화연구사업

원자력 실용화연구사업은 원자력 연구개발 성과를 산업체에 이

전하거나 연구결과가 원자력 산업체에 바로 활용될 수 있는 과제

로서 단기간의 지원으로 국내 산업기술 수준 및 경쟁력 제고에 기

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제들을 발굴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원자력 산업체의 현장기술, 수입대체기술, 핵심기반기술 및 원

자력안전 현안기술 등을 지원하는 산 학 연 협동연구사업으로서

산업현장의 수요가 있고 실용화가 필요한 분야에 대하여 지정 또

는 자유공모하여 2년 이내에 기업화가 가능한 기술을 대상으로 지

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IMF 경제난국 극복을 위한 출

연연구소 연구원의 창업과, 출연연구소 및 대학 등이 보유하고 있

는 실용화 가능 기술의 기업화를 촉진하고자 함이 본 사업 추진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하에 1998년 성과이전사업으로 출범하였으

며 1년을 총 연구기간으로 37개 과제가 선정, 연구원 창업, 기술

이전지원, 실용화연구지원 등 3개의 하위사업으로 구분 수행되었

다. 1999년에도 원자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30개 과

제가 선정되었다. 하위사업은 신제품 개발지원, 신기술 창업촉진,

Page 13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5

신기술 창업지원으로 다소 변경 추진되었다.

2000년에는 기존의 수동적인 성과이전 위주의 사업성격을 좀더

발전시켜 실용화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사업명을 원자력 실용화연

구사업으로 변경하여 총 25개 과제가 선정되었으며, 성과확산 및

실용화사업으로 구분되어 2001년에도 계속 수행되었다. 하위분야

는 첫째, 기존 사업성격을 유지하는 연구성과확산사업으로 출연연

과 대학 등의 원자력사업 연구성과를 이전받아 이를 토대로 신제품

개발 및 시장진출 가능한 과제를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01년에는 총 25개 과제(신규 6개, 계속 19개 과제)가 선정

되었으며, 2002년도에는 25개, 2003년도에는 30개의 과제가

각각 선정되었다.

2001년부터 2003년에는 기술분야를 방사선계측 및 이용분야

와 산업설비 및 기반기술분야로 각각 구분하였다. 특히, 2003년

도에는 실용화를 위한 원자력 R&D 기반구축과 성과활용 극대화

를 위해 기획성격의 과제가 추진되기도 하였다.

원자력은 다양한 기술분야가 망라된 종합 기술로 타 산업간의

상호 기술이용과 이를 통한 산업화 응용성이 크며 원천기술의 개

발에 따른 파급효과가 대단히 크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을 위해 향

후 계속적인 투자가 지원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원자력 연구성과

확산, 타 산업에서의 원자력기술 활용기획 확대 등 정부의 관련

기획 및 재원 마련 노력이 필수적이다.

(4) 방사선기술(RT) 개발사업

(가) 추진배경

방사선기술(RT: Radiation Technology)개발사업은 방사선

의 의료, 농업, 공업 분야 이용을 다양화하고 확대하며, 원자력 기

Page 13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6

반 신산업 창출과 삶의 질 향상, 생명과학․신소재 개발․환경보

존 등 미래 과학기술 발전의 필수 기반기술 개발, RT기반의 BT,

NT, IT 등과의 시너지즘 효과 창출을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03년 현재 본 사업은 “권역별 싸이클로트론 연구소 구축”, “냉중

성자 연구기반시설 구축 및 이용기술 개발”, “동위원소 생산전용

원자로 기술성 조사”의 3개 분야로 구성되었다.

(나) 세부분야별 추진현황

1) 권역별 싸이클로트론 구축

권역별 싸이클로트론 구축분야는 13MeV 싸이클로트론 및 관

련 부대장치를 개발하고, 권역별로 설치하여 원자력․방사선 의학

연구․지원과 PET(양전자방출 단층촬영)용 단반감기 방사성의약

품을 생산․보급하는 연구소를 구축․운영할 목적으로 추진되었

다. ’03년 평가결과 경북대학교(대구-경북 권역) 및 조선대학교

(광주-전남 권역)의 2개 연구소가 선정되어 1단계 시설구축을 진

행하고 있다.

2) 냉중성자 연구기반시설 구축 및 이용기술 개발

냉중성자 연구기반시설 구축 및 이용기술 개발 분야는 냉중성자

평균 이득률이 10 이상(최대 20)인 냉중성자원 및 냉중성자 유도

관 개발, 설치 및 시운전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 주요사업내용

- 냉중성자 감속기 개발 및 안전해석

- 냉중성자원 시설 계통개발

Page 13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7

- 냉중성자 유도관 개발 및 설치

- 냉중성자 산란장치 개발

3) 동위원소 생산전용 원자로 기술성 조사

동위원소 생산전용 원자로 건설의 기술성 검토를 통해, 본격 사

업착수를 위한 안전성, 성능 및 인허가성 검토를 통한 최적 노형

선정에 앞서 기술성을 조사하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원자로를 이용한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기술 동향의 조

사․분석․평가, 수용성 핵연료 원자로를 이용한 동위원소 생산기

술의 조사․분석․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유형 과 제 명 주관연구기관(연구책임자)

'03 연구비(단위: 천원)

단위 권역별싸이클로트론 연구소 구축경북대학교

(이재태)700,000

단위 권역별싸이클로트론 연구소 구축조선대학교

(전호종)700,000

대냉중성자 연구기반시설 구축

및 이용기술 개발

원자력연구소

(김영진)1,500,000

단위동위원소 생산전용

원자로 기술성조사

원자력연구소

(오수열)100,000

총계 3,000,000

<표 3-4> 방사선기술(RT) 개발사업 세부분야별 추진현황

(5) 원자력 국제협력사업

원자력 국제협력사업은 원자력 기술 및 물자의 수출기반을 조성

Page 13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8

하고 선진기술의 이전 촉진을 위해 선진국 및 국제기구와의 공동

연구 및 협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00년도부터 원자력 기술의

수출기반 구축을 중점 추진하기 위하여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원자

력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현 원자력국제협력사업<개정 2003.8.

25>)으로 개편하여 시행하고 있다.

연구과제 선정은 원자력 기술 수출기반 조성과 원자력관련 국제

회의 유치 및 원자력 분야 관련 인력양성 등을 중점 지원하고 정

부간 고위급 회담, 원자력 공동위원회 등 공식 협력창구를 통해

합의된 과제를 지원하였다.

주요 사업내용으로서 첫째, 원자력 기술 물자의 수출기반 조성

사업으로서 원자력 개발을 추진하는 개도국과 협력사업을 발굴하

여 공동 기술조사 및 전문가 교류를 촉진하였다.

둘째, 국제기구와의 기술협력 확대를 통한 아국의 위상 제고사

업으로서 IAEA 및 OECD/NEA의 공동연구사업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고, 국제회의를 유치 및 추진하였으며, 개도국 지원을 위하

여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원자력 관련 인력양성을 위한 훈련

사업을 실시하였다.

셋째, 선진 원자력 기술의 국내 이전 촉진사업으로는 원자력 선

진국과의 공동위원회를 통하여 공동 연구과제 발굴을 추진하고

IAEA, OECD/NEA 등 주요 기구와의 기술정보 교류를 촉진시

켜 나가고 있다.

나.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성과1992년부터 2003년까지의 연구 성과지표로서 산업재산권 취

득, 학술지 게재 및 논문 발표 등은 <표 3-5> 및 <표 3-6>과 같

다. 동 성과지표들을 보면 1단계(1992~1996)와 비교하여 볼

Page 13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19

때 1997년 이후의 2단계에 들어서서 학술지 게재 및 논문발표

(4,309건→16,407건)와 산업재산권 취득(425건→1,951건)이

대폭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산업체에 대한 기술이전 및 실용화의 경우에 있어

서도 산업체에 대한 기술이전 195건, 중소기업 기술지원 229건,

출연연구소 연구원의 창업 22건, 기술수출 37건 등의 성과를 이

루었다.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연

구개발 성과는 <표 3-7> 및 <표 3-8>에 나타내었다.

구 분 '92~'96 '97~'00 '01 '02 '03 계특허출원

국 내 133 295 137 76 94 735976국 외 67 76 45 16 37 241

특허등록

국 내 56 184 37 60 47 384508국 외 12 62 23 14 13 124

컴퓨터프로그램 등록 157 495 116 69 55 892

합 계 425 1,112 358 235 246 2,376

<표 3-5> 1992~2003년 주요 성과지표: 산업재산권 취득

구 분 '92~'96 '97~'00 '01 '02 '03 계학술지 게재

국 내 1,120 1,452 344 408 763 4,0876,331국 외 380 707 226 378 553 2,244

논문 발표

국 내 2,128 3,590 1,359 1,609 1,954 10,64014,385국 외 681 1,185 399 683 797 3,745

합 계 4,309 6,934 2,328 3,078 4,067 20,716

<표 3-6> 1992~2003년 주요성과지표: 학술지 게재및 논문발표

Page 13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0

연구개발성 과 연구개발 세부 사항

한 국표준형원자로

(KSNP)개 발성 공

․80년대부터 시작된 원전표준화사업에 의해 '95년에 기술

자립

- 핵심설계기술 국산화 및 한국전력기술(주)에 기술이전

․'95년 이후 국내 경수로 원전은 한국표준형을 근간으로

건설

- 현재 6기 운영중, 2기 건설중(울진 5, 6호기)

- 북한 금호지구에 원전 2기 건설(KEDO)중

․차세대 원전인 APR1400개발에 성공(2010년 운영예정)

- 중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세계원전시장 진출 모색

․2003년까지 2조 6천억원 외화 절감

- 표준원전 울진3,4호기 등 4기의 원전 건설(기당 6천 5

백억원) ← 표준원전 기술자립을 위한 연구개발 및 사업

비 총액 3천억원('87~'96)

원 전핵연료국산화성 공

('87, '90)

․한국원자력(연)에서 한전원자력연료(주)에 기술 이전

․중수로 핵연료 국산화 성공('87)

- 월성원전에 전량 공급

․경수로 핵연료 국산화 성공('90)

- 고리, 영광, 울진 원전에 공급

․2003년까지 9천억원의 외화 절감

- 경수로 7천5백억원, 중수로 1천5백억원 ← 원전연료의

연구개발비 및 사업비 약 1천7백억원('86~'96)

<표 3-7> 1992~2003년 주요 연구개발성과 및 세부 사항

Page 13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1

기 간 기 술 개 발 성 과

'95~'02

․3만kW급 다목적연구로 하나로 자력 설계·건조 ('95년)

․100만kW급 한국표준형 원자로 계통설계 국산화('96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소각로 설계 제조 ('97년)

․경수로용 신형핵연료 소결체 제조기술 개발('98년)

․핵비확산성 연구로용 핵연료 분말 미국, 프랑스 등에 수

출('00년)

․테크니슘(Tc-99) 용매 추출장치 개발 및 수출('00년)

․33만kW(열출력) 일체형원자로(SMART) 개념설계기술

개발('01년)

․중수로형 개량 핵연료(CANFLEX-NU) 개발 ('01년)

․핵비확산성 연구용원자로 핵연료분말 세계 최초 개발

('01년)

․한국표준형 개량핵연료(Plus-7) 개발 ('02년)

․13MeV급 싸이클로트론 국산화('02년)

․인간공학 연구용 원전 시뮬레이터 수출('02년)

'03

․하나로에서의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본격 생산, 제품화

․식품 향유 발암, 알레르기 물질 저감․제거 기술 개발

․하나로를 이용한 고품질 반도체도핑 기술개발

․핵비확산 및 동위원소 생산용 연구로 핵연료 제조공법 개발

․원자력시설 방사선 안전검사장치 국산화 성공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보수 로봇 개발

․권역별 싸이클로트론 연구소 구축

․30MeV 싸이클로트론을 이용한 동위원소 생산기술 개발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개발

<표 3-8> 1992~2003년 주요 기술개발성과

Page 14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2

6. 대형 국책 원자력연구개발사업가. 일체형 원자로 기술(1) 개요

일체형 원자로(System-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는 전력생산 이외의 원자력 다목적 이용의 대표적 관심

을 받는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인구증가, 수자

원 부족에 대해 식수, 공업용수, 생활용수를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는 해수담수화를 위한 에너지원으로서의 중소형 원자로가 각광

을 받고 있다. 국가간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초

대형 컨테이너선 등의 선박추진 동력원으로서 중소형 원자로의 활

용이 서서히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소형 원자로는 근본적

으로 중․소규모의 전력이 필요한 지역, 고립 또는 도서지역, 전

력망이 작거나 개발도상국 같이 원자력을 이용코자 하지만 대형

원자로의 건설이 어려운 중․소규모의 전력 생산 및 공급에도 매

우 유리하다.

기본설계 개발이 이루어진 SMART 기술의 검증을 위해 1/5용

량 축소 규모(65 MWt)의 SMART 파일럿 플랜트(SMART-P)

설계․건설의 후속 연구개발사업이 수립되었으며 2002년 상반기

부터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은 SMART 파일럿 플랜트인

SMART-P를 건설하여 SMART 플랜트에 대한 전체적인 기술을

검증하고 입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2) 국내외 기술현황

IRIS(International Reactor Innovative and Secure)는

일체형 중소형 원자로로서 미국의 웨스팅하우스가 DOE의 NERI

Page 14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3

프로그램으로 1999년 9월부터 개발을 시작하였다. 웨스팅하우스

는 현재까지 9개국(미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브라질, 러시

아, 멕시코, 일본, 크로아티아)에서 예산을 투자하여 개발을 진행

중이다. 2008년까지 설계 인가(Design Certification)를 획득

하여 2012년까지 첫 호기를 건설 할 계획이다.

일본은 최근 쇄빙관측선과 화물선의 목적으로 MRX(Marine

Reactor X)를 개발하고 있으며 심해 탐사용 잠수정용으로 소형

원자로인 DRX(Deep-sea Reactor X)를 개발하고 있다. 일본은

원자력선인 무쯔를 개발한 경험이 있으나 무쓰 사고이후 제2의 원

자력선은 개발하지 않고 요소기술을 개발, 필요한 데이터의 확보,

관련지식의 축적 및 연관기술의 정립에 치중하고 있다.

한편, IAEA에서는 21세기 중반 건설목표로 혁신적인 개념의

중소형 원자로에 대한 설계, 안전성 및 향후 동향에 대한 분석 및

기술개발방향 수립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소생

산, 담수화, 지역난방 등을 중소형 원자로의 활용방안으로 전망하

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새로운 개념의 원자로 및

원자로 활용에 대한 연구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원자로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1994

년 7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추진되었다.

원자로 개발에 대한 기초를 확립함에 따라 원자력을 해수담수화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소규모 전력생산을 병행할 수 있는 열 병

합 목적의 열출력 330 MWt급 일체형 원자로 SMART에 관한

개발을 1996년 11월부터 시작하여 중장기 연구개발사업으로 연

결시켜 1997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개념설계를 착수하여 1999

년 3월 개념설계가 완료되었고, 이후 2002년 3월 원자로 계통에

대한 기본설계 개발이 완료되었다.

Page 14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4

국 가 원자로용량 및 형식 현 황 비 고

카자흐스탄

․750MWt

․BN-350

고속로

․135MWe의 전기와

80,000㎥/day의 담수 동시생산

․복합 플랜트의 타당성/신뢰성 제시

․27년간 가동경험

․이후는 모두

신규계획임

인도 ․170MWe

․1970년부터 개발

․2002년 45,000㎥/day 용량

commissioning 계획

․중수로 2기를

담수화 플랜트와

연결

중국 ․200MWe․160,000㎥/day 용량

․플랜트 건설 타당성 조사 중

러시아․150MWt

․KLT-40

선박용원자로

․Barge 선박 탑재 완료․Barge에 선박용

원자로2기 탑재형

파키스탄

․125 MWe

․KANUPP

중수형원자로

․4,500㎥/day 용량

․실증로 설치 추진중

․Karachi 지역에

설치 방안 모색중

모로코 ․10MWt․8,000㎥/day 용량

․중국과 예비 사업 완료

․대서양 해안의

Tan-Tan 지역

아르헨티나

․100MWt

․CAREM

일체형원자로

․열 병합 또는 담수 전용으로 개발중

한국․330MWt

․SMART

일체형원자로

․65MWt(SMART-P) 실증로

․2002년 8월 개발착수

․2008년 건설 목표

․IAEA가 1999년

원자력 해수담수화

국제기술협력과제

의 모델로 선정

<표 3-9> 세계 해수담수화용 원자로 개발현황 및 이용현황

나. 양성자 가속기 기술(1) 개요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은 21세기 미래원천기술 확보와 사

업 및 공공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양성자 가속기 개발과 빔이용

기술 및 장치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

Page 14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5

업단으로 2002년 7월에 출범하였다.

향후 10년간 3단계 연구개발 일정에 따라, 총 1,286억원의 예

산을 투입하여 100 MeV, 20 mA급의 선형 양성자가속기 건설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02년 9월 사업 1단계 1차년도 연

구에 착수하면서 1단계 2차년도인 현재 가속장치 개발 분야, 가

속장치 및 빔 이용 분야와 통합계통 및 기술지원 분야로 나누어

총 21개의 세부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추진 중에 있다.

현재, 5개 연구소, 12개 대학교 그리고 15개의 기업체를 포함

한 총 330여명의 연구 인력이 참여하고 있으며, 외국과 차별화

된 우리 고유의 기술을 개발하고, 첨단산업단지, 의료기관, 관련

연구기관 및 전문교육기관으로 구성된 과학기술단지를 조성하여

산업적 활용의 극대화를 기하고자 한다. 또한, 선진국과 경쟁이

가능한 전략기술을 선택하여 집중개발하고, 국가경쟁력을 획기적

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사업 1차년도인 2002년과 2차년도인

2003년에 NT, BT, IT, ST 연구개발 및 가속장치 기술개발분야

에 총 19개 민간 기업이 일정지분의 예산을 투자하여 참여하고 있

다.

(2) 국내․외 개발현황

가속장치의 기술은 한 시대의 첨단기술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국력을 가늠하는 한 요소로 인식되어 1930년대 이후 선진국을 중

심으로 경쟁적으로 개발을 수행해 왔다.

현재 선진국에서 개발 중인 10mA급 대용량 양성자가속기는 미

국과 일본에서 2006년 및 2007년에 완공예정으로 10억

eV(1GeV)의 에너지를 갖는 양성자를 초당 1경()개 이상 만

들 수 있는 선형가속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들 가속기는 고속의

Page 14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6

양성자를 금속표적에 충돌시켜 생산된 중성자로 물질의 3차원적

구조분석 등의 생명공학과 나노기술이 접목된 신소재 개발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양성자가속기는 약 10여기로 기초연

구 및 분석용으로 4기와 의료용으로 6기가 있다. 이 가속기들의

에너지는 2~50MeV급이며, 빔 전류도 0.002~0.15mA로 단일

목적의 가속기들이 대부분이다.

현재 양성자가속장치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10mA(밀리 암페

어)급 이상의 대용량(대전류) 양성자가속기를 개발하고 있는 미

국, 일본보다는 상당한 격차가 있으나, 영국, 프랑스, 스위스 등의

유럽선진국들과의 격차는 비교적 크지 않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3) 사업성과 및 파급효과

(가) 사업성과

1) 가속장치개발 분야

3MeV RFQ 양성자 가속기를 구성, 제작하여 RFQ 빔 인출시

험을 수행하였으며, 20MeV 양성자 가속기 구성에 필요한 고주파

원/전원/냉각장치를 제작 완료하였다.

2) 빔 이용연구 분야

1.8MeV NT용 및 45MeV BT/ST용 저선량 양성자 빔 이용시

설을 구축하여 조사실험을 실시하였고, 반도체 생산용 표준

SOI(Sillicon on Insulator)웨이퍼 제조기술을 개발 완료하였다.

Page 14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7

3) 실용화 분야

대전방지처리를 위한 이온조사 최적조건 연구 및 50kV,

100mA급 산업용 이온원을 제작하여 고분자재료 대전방지용 표

면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온빔 표면연마용 Pilot 장치를

설계/제작하여 정밀금형 이온빔 표면연마기술을 개발 이용하고

있다.

(나) 파급효과

양성자 가속기는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계속적인 연

구개발로 미래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대형설비로 운영되고, 이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시설, 첨단산업단지 및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최첨단 의료시설까지 접목되어 연구 개발과 산업이 공존하는 연구

공원을 구현하여 지역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 원전계측제어계통 개발사업(1) 개요

국내 원전의 계측제어 분야 신규 및 가동원전의 Upgrade에 연

평균 1,300억원이 소요되고 있으며, 2003년 이후에는 국내 약

1,800억원 이상, 전 세계적으로는 4~8조원의 원전계측제어분야

시장규모가 예상된다.

국내의 원전계측제어 계통설계기술은 기존의 가동 원전이나 차

세대원전설계에서의 경험을 통해 거의 기술자립 수준에 도달하고

Page 14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8

있으나, 제어기기의 설계나 기기국산화 능력은 아주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원전 계측제어는 기술집약적이며 부

가가치가 큰 기술적 특징을 갖고 있어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

이 거의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국내 연구개발은 주로 계측제어 계

통설계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설계를 반영한 계측제어

기기의 개발과 실용화가 시급한 실정이며, 디지털 제어기기 개발

의 기술축적이 요구되고 있다.

원전계측제어계통 개발사업은 원전용 디지털계측제어계통 개발

및 실용화(국산화)를 목표로 2001년 7월 1일 연구개발에 착수하

였으며 독립된 사업단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사업기간은 2001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7년간 1단계

(2001년 7월~2004년 6월)와 2단계(2004년 7월~2008년 6

월)로 나누어 진행되며, ①디지털 원자로 안전계통, ②디지털 계

측제어 인허가 확보 기술 개발, ③원전용 분산제어계통, ④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계통 개발, ⑤감시 및 운전지원기술 개발 등의 세부

과제로 구성되어 추진 중이다.

사업초기에는 비안전 계측제어기기를 우선적으로 가동중인 원

전 및 신규 원전에 공급하고, APR1400 후속기의 통합계측제어

계통을 개발하여 실용화(안전보호계통 포함)하며, 개발완료 시점

에서 최고 성능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다.

더불어 감시 및 운전지원기술 개발로 미래형 고기능 운전지원

계통의 실용화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사업종료 시점에서 원전계측

제어분야의 세계 3위권 진입을 최종목표로 하고 있다.

(2) 국내․외 기술현황

세계적으로 원전계측제어 계통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양대업체

Page 14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29

인 웨스팅하우스와 ABB-CE사는 원전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높이

기 위해 계측제어 기술에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개발

을 계속해 왔다.

ABB-CE사는 원전형식인 System 80+에서 원자로 및

BOP(Balance-of-plant) 계통의 계측 및 제어를 담당하는

Advanced Control Complex인 Nuplex 80+를 개발하였다.

웨스팅하우스는 분산형 디지털 구조를 갖는 계측제어 계통인

EAGLE 21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원전 계측제어 계통 개발에 발맞추어 미국 NRC

에서는 인․허가에 필요한 작업들을 90년대 중반부터 이미 검토

하기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는 100만 kW급 한국표준형원전 기술개발 단계를 거

치며 원전 계측제어계통 설계기술은 외국전문회사의 자문이나 부

분적인 기술지원 정도만으로 자체 설계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

했다.

(3) 사업성과 및 파급효과

(가) 사업성과

본 연구개발사업의 대표적인 사업성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계통 개발

원자로 출력 제어의 핵심인 세계 최고 수준의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계통 국산화 개발하였다.

Page 14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0

2) 발전기 제어기 원전적용기술 개발

화력용 발전소 Digital Exciter 원전 적용 지원으로 고리1호기

에 최초 국산제품의 공급계약 체결하여 2005년 2월 운전 예정에

있다.

3) 디지털 원자로 안전계통 개발

세계 최초로 안전등급 기준을 적용하여 안전등급 제어기기와 원

자로 보호계통 시제품 개발하여 기기검증 시험을 진행 중이다.

4) 원전용 분산제어계통 개발

원전용 분산제어계통 시제품 개발 및 기기검증시험을 완료하여

고리2호기 수처리 계통에 적용할 예정이다.

5) 감시 및 운전지원기술 개발

원전 주제어실 설계의 바탕이 되는 인간공학지침을 개정하여 신

규 원전인 신고리1,2호기 및 신월성1,2호기의 주제어실 설계 지

침으로 반영되었으며, 원전 이차계통 성능진단 자동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리 및 영광 원자력 4개 호기에 적용되었다.

6) 원전 계측제어분야 기기검증체계 구축

계측제어 캐비넷의 지진 시험 장치 및 정밀급 신호발생 및 계측

설비를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Page 14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1

(나) 파급효과

디지털 계측제어계통이 개발되면 국내 차세대 원전에 실용화가

가능하고, 원전계측제어계통의 국내 독자 설계 및 제작의 기반이

구축되어, 발전소의 안전성 제고, 설계개선 및 성능향상에 따른

현장기술 지원이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차세대 원전 및

미래형 원전의 기술 향상으로 원전 이외의 다른 산업 분야에도 적

용이 가능하여 항공우주산업, 대규모 철강 및 화학 플랜트 분야

등에 연쇄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age 15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2

7. 원자력 인력양성

가. 원자력 인력현황(1) 원자력 발전분야

1970년대와 1980년대를 지나면서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과 운

영, 그리고 원자력 연구개발 분야에서 과학기술 인력수요가 창출

되고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함에 따라, 우수한 인력들이 대거 원

자력 분야에 진출하였으며, 원자력 기술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는 고급인력수요증가의 상대적 감소로 인해

국내 대학의 원자력 관련 학과뿐만 아니라 산업계나 연구기관 등

에서 젊은 인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자력산업실태조사”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02

년까지의 우리나라의 원자력관련 종사자 수의 추이는 <표 3-10>

과 같다.

<그림 3-4>는 2002년도 전체 원자력관련 종사자의 직능별 분

포 현황과 아울러 여성종사자의 경우를 비교한 것으로 기술직이

12,852명(62%)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능직 2,933명(14.1%), 사무직 2,428명(11.7%), 연구직

2,523명(4.1%)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여성 종사자는 2001년도

보다 4명이 증가한 571명(2.8%)으로서 주로 사무직 208명

(36.4%)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5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3

연도 연구/기술직 사무직 기능직 합계1995 14,925(63.7) 2,252(9.6) 6,264(26.7) 23,441

1996 15,401(62.3) 2,265(9.2) 7,074(28.6) 24,740

1997 15,724(68.3) 2,024(8.8) 5,258(22.9) 23,006

1998 14,794(69.7) 1,872(8.8) 4,552(21.5) 21,218

1999 14,672(70.9) 2,328(11.2) 3,698(17.9) 20,698

2000 15,209(73.6) 2,306(11.2) 3,131(15.2) 20,646

2001 15,221(73.2) 2,407(11.6) 3,170(15.2) 20,798

2002 15,375(74.2) 2,428(11.7) 2,933(14.1) 20,736

<표 3-10> 우리나라 원자력관련 종사자수의 연도별 추이단위: 명(%)

<그림 3-4> 2002년도 원자력관련업체 종사자의 직능별 분포현황

원자력 관련업체 종사자의 지난 2년간 분야별 분포 변화추이는

<표 3-11>과 같다. 전체 종사자 수가 2001년 20,798명에서

2002년 20,736명으로 62명 줄어들었다. 원전건설․운용분야 중

설계․엔지니어링, 원전건설․시공, 원전운영․보수분야의 인력

은 감소하였으나, 기자재 제조분야의 인력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원자력연구분야의 인력은 증가한데 반해 원자력안전, 원자력지원

사업분야 및 기타, 방사성동위원소 등 이용분야는 그 인력이 감소

하였다.

Page 15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4

연 도 분 야

2001 2002 증감율종사자 수 구성비 종사자 수 구성비원전건설․

운용분야

설계, 엔지니어링분야 3,134

(71)15.1

3,062

(72)14.8 (-)2.3

원전건설, 시공분야 2,544

(20)12.2

2,517

(18)12.1 (-)1.1

기자재제조분야 1,181

(10)5.7

1,547

(19)7.5 31.0

원전(연구로)운영․보수 5,089

(30)24.5

5,064

(56)24.4 (-)0.5

소 계 11,948

(131)57.5

12,190

(165)58.8 2.0

원자력안전분야 2,945

(53)14.2

2,677

(38)12.9 (-)9.1

원자력연구분야 903

(21)4.3

1,368

(79)6.6 51.5

원자력지원사업분야 및 기타

3,310

(228)15.9

3,034

(194)14.6 (-)8.3

방사성동위원소등 이용분야

1,692

(134)8.1

1,467

(95)7.1 (-)13.3

합 계 20,798

(567)100.0

20,736

(571)100 (-)0.3

<표 3-11> 원자력 관련업체 종사자의 분야별 분포 연도별 추이단위: 명, %

주) ( )는 여성인력수임

(2) 대학의 원자력 관련학과

원자력 인력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대학 내 원자력 관련 학

과의 상황은 현재 원자력계의 인력 수급현황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IMF 외환위기 이후의 국가경제난과 전력사업 구조조정 추

진 등으로 인력수요가 일정기간 동안 억제되어 대학 내 원자력분

야에 대한 선호도가 계속 낮아지고 있다.

Page 15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5

아래 <표 3-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학의 원자력전공 인력이

최근 2년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석사, 박사 학위자

의 경우 계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는 점을 감안한다면 우수 인력

의 원자력 관련 전공 지원을 증대시킬 획기적인 방안을 수립․추

진하여 핵심 기술인력 공급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3년간 원자력공학 전공학과 및 학생 수 현황은 <표 3-12>

와 같다.

구분2000 2001 2002

서울대

한양대

경희대

조선대

제주대

과기원

합계

서울대

한양대

경희대

조선대

제주대

과기원

합계

서울대

한양대

경희대

조선대

제주대

과기원

합계

남자

박사 12 2 - - - 19 33 8 - 1 - - 8 17 4 2 2 - - 8 16

석사 19 13 9 2 2 15 60 15 6 11 3 3 15 53 3 14 8 2 3 13 43

학사 33 35 41 32 27 5 173 19 43 41 30 26 7 166 33 52 49 41 22 5 202

여자

박사 - - - - - - - 1 - - - - - 1 1 - - - - - 1

석사 - 1 - 1 - - 2 - - - - 1 - 1 1 - - 8 - 2 11

학사 - 2 2 4 3 - 11 3 - - 7 1 1 12 2 - - 8 - 1 11

합계

박사 12 2 - - - 20 34 9 - 1 - - 8 18 4 2 2 - - 8 16

석사 19 14 9 3 2 15 62 15 6 11 3 4 15 54 4 14 8 2 3 15 46

학사 33 37 43 36 30 5 184 22 43 41 37 27 8 178 34 56 49 49 22 6 216

<표 3-12> 원자력공학전공 학과 및 학생현황

Page 15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6

나. 향후 전망 및 육성계획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에서는 원자력산업을 각 항목별로 전

망하면서 1999년 현재 20,698명인 원자력발전 인력이 2005년

과 2015년에는 각각 25,000명과 35,000명으로 증가할 것이라

는 전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망은 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에

서 설정한 5대 기본 목표와 10대 기본방햔(추진방향)에 따라 인

력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원자력 인력양성 및 확보 기반계

획(단기 2006년까지)을 제시하고 있다.

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자력인력양성

추진계획은 다음과 같다.

○ 원자력 관련 학과의 우수 학생 확보 및 인력양성 전략

- 장학금 확대 및 졸업 후 안정적 취업기회 제공

- 고급 원자력 기술자의 처우 개선

- 핵의학 분야의 교육 강화, 관련 분야 확대 및 기술 혁신

- 관련 학과에서의 원자력 기초 교육 지원

- 인턴 사원제 확대 및 내실화

- 학연협동 원자력 전문교육 훈련 확대

- 고교 과정에서의 원자력 영재교육

○ 원자력 산업체의 우수 인력 확보 및 유지 전략

- 전공 구분없이 신입사원 선발

- 원자력 시설 종사자에 대한 획기적인 처우 개선 및 환경개선

- 재교육 및 보수교육의 내실화

- 원자력 안전규제원의 자격제도 개발

- 연구인력 공모, 기관 내 탄력적 매트릭스 계통 도입

Page 15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37

○ 원자력 인력의 국제적 경쟁력 확보 방안

- 개발도상국 우수 학자 및 학생 유치

- 선진기술 확보 사업 국제기구 공동연구 참여 확대

- 신입사원 및 대학원생 해외파견 지원

○ 인력 양성․확보 관련 실행 수행방안 연구 시행

- 세부 업종별 정밀한 수요 예측 및 장기적 인력양성 계획

수립

Page 15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15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제4장

원자력 안전규제제도의 강화

1. 개 요

2. 원자력시설에 대한 안전규제 3. 방사성물질에 대한 안전규제 4. 환경방사능 감시체계의 구축․운영 5. 방사능 방재대책 6. 원자력 안전규제의 국제화 7. 원자력 안전규제 전문지원기관의

육성․지원

8. 안전문화의 확산

Page 15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Page 15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1

제4장 원자력 안전규제제도의 강화

1. 개요

가. 원자력안전헌장과 안전규제활동의 5대 원칙

원자력 안전에 관한 정부의 기본 목표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

는 원자력 정책을 구현하여 방사선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건강

을 보호하고, 자연 환경을 보전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1994년 9월 “원자력안전정책성명”에서 안전규제활동의 5대 원칙,

즉, 규제기관 및 활동의 독립성, 원자력 정책 및 활동의 공개성,

안전규제의 명확성, 안전규제 수단 및 활동의 효율성, 그리고 안

전규제의 신뢰성 실현을 천명하고 이를 정부의 안전규제 정책기조

로 삼고 있다.

“원자력안전정책성명”이 우리나라 원자력 안전정책의 방향성을

밝힌 것이었다면, 원자력안전에 대한 철학과 원칙을 제시하는 지

침으로 “원자력안전헌장”이 2001년 9월 제정․공포되었다. 이는

원자력 안전에 관한 기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원자력 종사자의 사

명감과 실천의지를 확고히 하고, 국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것이

다. 전문과 8개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안전헌장에는 원자력의 이용

에 따른 안전의 중요성과 원자력 종사자의 사명감을 명시하고 있

으며, 8개항의 다짐으로 최상의 안전수준 유지, 안전정보의 공개,

안전시책 수립에의 국민참여, 규제의 독립성과 공정성, 안전연구

와 기술개발, 국제조약 및 국제협력, 안전관련 법․제도, 안전문

화의 창달을 설정하고 있다.

정부는 안전헌장의 정신과 안전규제활동의 5대 원칙에 따라 원

자력 안전성 확보를 위해 안전규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Page 16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2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고 최고의

원자력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술적 능력 배양과 함께 국제

적인 원자력 안전규범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우리의 여건과 실

정에 적합한 각종 제도와 관행을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해 나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국내 원자력 시설에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

는데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원자력 안전문화

의 기반 조성, 대국민 신뢰성 제고를 위한 안전정보 공개, 원자력

안전규제 정책 결정에 국민 참여기회 확대 등을 추진해 나가고 있

다.

나. 국내 ‧ 외 원자력 안전 현황 (1) 해외 현황

1979년 미국의 TMI-2 원전 사고와 1986년 구소련의 체르노

빌 원전 사고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중심으로 원자력

안전성 제고를 위해 국제협약을 제정 및 개정하여 각국의 국내법

에 반영하도록 하는 등 안전규제를 국제 규범화시키고 있다. 방사

선 비상사고시 지역간 협력체제를 강화하도록 하는 등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제협력 활동이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추

진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시설에 대한 원자력안전협약이 1996년에 발효된

이후, 1999년 제1차 검토회의에 이어, 2002년 제2차 검토회의

가 개최되었다. 1997년 9월 24일 제41차 IAEA 정기총회에서

사용후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안전공동협약을 서명 개방한

이후 2001년 6월 18일 공동협약이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우리

나라는 1999년 9월 29일 제43차 IAEA 정기총회에서 서명 개방

일에 서명하였으며, 2002년 9월 16일에 비준서를 기탁하였다. 또

Page 16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3

한 원자력손해배상협약을 재검토하여 개정하고 1997년에 서명 개

방함으로써 원자력사고에 대한 국제적인 의무를 현실화시켰다.

국제 원자력규제자협의회(INRA)나 서유럽 원전규제자협의회

(WENRA)의 결성 등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안전규제 측면에서

공동보조를 취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세계원전사업자협회

(WANO), 미국원자력발전협회(INPO), 미국 원자력에너지기구

(NEI) 등 원자력 사업자 단체의 활동과 영향력도 아울러 증가하고

있다. 서유럽 일부 국가들의 비정부단체(NGO)들은 원자력을 반

대하는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하여 정치 집단화하는 경향을 보여주

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연대하여 반원자력을 주도하려 하고 있다.

IAEA 및 OECD/NEA는 안전규제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

대중 의사소통과 신뢰증진, 원자력 지식관리, 원자력시설의 보안

과 같은 새로 대두되고 있는 현안을 검토하고 있다.

(2) 국내 현황

정부는 환경과 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증가에 대비하여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원자력 안전행정 구현을 목표로 2003년도

원자력 안전규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세부 추진방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현장중심의 안전검사, 주기적안전성평가, 정비규정 등의

시행을 통해 원자력시설 사고․고장 예방체제를 공고화한다.

둘째, e-안전검사제도, 리스크정보안전검사, 안전규제요원의 전

문성 제고 등을 통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안전규제 제도를 발전

시킨다.

셋째, 신규노형 안전기준 개발, 원자력안전마크 제도의 도입을

통해 세계수준의 원자력안전관리 제도를 구축한다.

넷째, 원전성능평가 공개,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의 운영 등을

Page 16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4

통해 국민 참여형 원자력안전규제를 추진한다.

다섯째, 피폭선량저감, 민원서비스 향상, 비파괴검사 기반확충 등

을 통해 사용자 친화성 방사성동위원소 안전관리체제를 강화한다.

여섯째, 테러대응체계 구축, 현장지휘센터 설치, 방재종합매뉴

얼 작성 등을 통해 국가방사능방재체계의 기반을 확충한다.

일곱째, 안전문화평가, 북한경수로 안전지원, 국제협력강화 등

을 통해 원자력안전규제 인프라를 구축한다.

2001년 사용후 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안전공동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각 체약국은 협약 의무사항의 이행여부를 상호 검

토하기 위하여 매 3년마다 국가보고서를 작성하고 있으며, 체약국

간 검토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2003년 11월에는 제1차 검토회의

가 개최되었는데, 우리나라는 이에 대비하여 국가보고서를 작성하

여 IAEA에 제출하였으며, 검토회의에 참가하여 각국의 국가보고

서에 대한 교차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회의에서는 우리나라의 적

극적이고 체계적인 비상훈련실시, 방사선안전관리 통합정보망의

운영, 방사성폐기물통합정보망 구축 등이 우수사례로 발표되었다.

지역 이익을 대변하는 지방자치단체 및 원전주변 주민들이 안전

감시활동에 직접 참여하고자 하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를

위한 대화창구 및 참여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원

자력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원자력 정보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다. 원자력 안전규제 체계 정부는 원자력안전규제의 기본 목표와 정책을 효과적으로 집행

하기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원자로 및 관계시설, 핵물질 및 방사성동위원소

Page 16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5

이용 등에 대한 안전규제 종합행정의 주무부서이다.

정부는 안전규제의 독립성을 제고하기 위해 안전규제에 관한 사

항을 심의 의결하는 기구로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에는 전문적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를 두고 있다. 그리고 필요시에 “특별조사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가 기술적 세부

사항을 검토 평가함으로써 안전규제의 전문성과 객관성 그리고

독립성이 더욱 제고될 수 있게 되었다.

원자력법은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한 모든 원자력시설, 우라늄 등

핵물질과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함한 방사성물질, 원자력 관련 사업

및 활동이나 행위, 종사자면허 등 제반 원자력 관련사항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원자력 안전규제는 여타 일반 행정과는 달리 고도의 기술적 전

문성이 요구되는 기술행정이다. 원자력시설의 증가에 따른 행정수

요와 전문인력의 운용에 있어 정부는 안전규제 전문인력을 확보․

유지하기 위하여 기술적으로 전문성을 갖춘 전문지원기관을 통해

원자력 안전규제업무를 지원한다.

과학기술부는 1980년대 초부터 한국원자력연구소 내에 원자력

안전규제 전문기관을 설치 운영하여 왔으며 이 기관을 모체로 하

여 1990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을 독립기관으로 설치

하였다. 과학기술부는 원자력 안전심사 및 검사에 관한 전문 기술

적 업무 등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위탁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원자력통제기술센터와 한국방사

성동위원소협회, 한국비파괴검사진흥협회 등에 각각 핵통제 관련

기술적인 업무와 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관리 등을 위탁 형태로 시

행함으로써 전문 기술업무를 지원받고 있다.

Page 16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6

과학기술부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과기부장관)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원 자 력 국

원자력안전심의관

원자력정책과 원자력협력과 원자력안전과 방사선안전과 원자력방재과

원전주재관실

원자력통제기술센터

(한국원자력(연))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

한국방사성

동위원소협회

한국비파괴

검사진흥협회

<그림 4-1> 원자력 안전규제 조직체계

Page 16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7

2. 원자력시설에 대한 안전규제

가. 기본 방향원자력시설의 안전성은 시설 자체의 건전성과 더불어 시설을 운

영·관리하는 활동이 적합한 절차에 따라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원자력시설 설비자체의 안전성은 원자력시설의 설계 제작 건설

운영 해체 등 전 단계에 걸쳐 관련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유지되

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 시설의 운영

관리측면에서 원자력시설 운영에 관한 각종 기준 및 절차의 적합

성, 이의 준수여부에 대한 관리 감독 및 운전원의 교육 훈련을 통

한 자질 향상 등을 통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원자력법에 따른 인허가 과정과 각종 법정검사를

통해 건설 운전중인 원자력시설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아울

러 외국 원자력시설의 사고 고장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

고 있으며, 사전에 취약설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사고예방활동

을 적극 도모하고 있다.

나. 주요 안전규제 정책 원자력시설에 대한 안전규제를 위하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

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1) 안전목표 및 중대사고 대책

TMI-2 사고 및 체르노빌 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확

Page 16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8

보를 위한 전 세계적인 규제동향은 종래의 전통적인 설계기준사고

에 대처하는 규제정책에서 보다 진일보하여 더욱 심각한 중대사고

가 발생한 경우에도 원전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데 초

점이 맞추어져 왔다. 특히 확률론적 안전성평가(PSA) 기법이 발

달함에 따라 원전의 종합적 안전도를 정량화 할 수 있게 되면서

원자력 안전목표체계와 설정방법이 확립되었다.

우리나라는 2000년 말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 정책”을 마련

하여 2001년 8월 29일 제17차 원자력안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동 정책을 확정하였으며, 그 주요 골자는 <표 4-1>과 같다.

항 목 내 용

안 전목 표

◦정량적 안전목표

원전부지 주변주민의 보건목표로서, 원전사고로 인한 초

기사망 위험도와 원전 운영으로 인한 암 사망 위험도를 각

각 전체 위험도의 0.1%로 유지

◦원전 성능목표

원자로 노심의 손상예방과 격납설비에 의한 방사성 물질

의 방출 완화에 관한 성능목표 설정

확률론적안 전 성평가이행

◦원전의 위험도를 확률론적 방법을 통해 평가

◦원전설계, 운영절차의 사고예방과 완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항들을 평가하고 비용-편익을 고려하여 보완

중대사고대처능력확 보

◦원전은 중대사고 예방을 위한 노심손상방지 능력 보유

◦격납시설은 구조적 건전성과 핵분열생성물의 방출 방벽 기

능 유지

중대사고관리계획수 립

◦중대사고관리전략, 사고관리 수행조직, 사고관리지침서, 교

육 및 훈련, 계측기 및 필수정보분석을 포함한 사고관리 계

획 수립

<표 4-1> 원자력발전소 중대사고 정책 주요골자

Page 16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49

(2) 가동 원전의 주기적 안전성 평가

국내 가동중인 18기 원전 중에서 2003년 말 기준으로 가동년

수가 10년 이상인 원전은 9개 호기이다. 지금까지 가동원전에 대

해서는 일상적인 검사 및 보수 등의 방법에 의해 안전성을 확인하

여 왔다. 그러나 원전의 가동년수 증가에 따른 안전현안 발생, 운

전경험, 안전개념 및 해석기법의 변화 등으로 인해 가동원전의 안

전성을 확인하고 강화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동원전에 대한 안전성 향상 및 확인을 위하여 포괄

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성평가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주기

적안전성평가(PSR) 제도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현재 10년

이상 운전한 원전 중 가동연수가 오래된 원전부터 종합적인 안전

성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6년 말까지 모든 대상 원전에

대한 주기적안전평가를 완료할 계획이다. 2003년도에는 국내 가

압경수로형 원전으로서 처음으로 주기적안전성평가를 실시한 고

리1호기와 PHWR형으로서 첫 원전인 월성1호기에 대하여 심사

가 이루어졌다. 고리1호기의 심사는 2002년 11월 말부터 2003

년 말까지 수행되었다. 심사결과 고리1호기에 대한 주기적안전성

평가는 원자력법 제23조의3 등 관련규정에 따라 적합하게 수행되

었으며 원전의 운영은 현재 적용되는 유효한 기술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40개의 안전성 증진항목을 도출하

였다. 월성1호기에 대한 심사는 2003년 6월 말에 제출된 평가보

고서를 중심으로 관련규정에의 적합 여부와 현재 유효한 기술기준

에 적합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한수원은 월성원

전 1호기에 대하여 총 48개의 안전성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제시하

였다. 규제기관은 이들에 대하여 2004년 6월 완료를 목표로 심사

를 진행중에 있다.

Page 16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0

(3) 리스크정보 안전규제(RIR) 제도의 도입

동 제도는 규제 의사결정 과정에서 규제자원의 효율성을 제고하

고 안전성 확보의 완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원자력안전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위험요소에 규제자원을 집중하여 효과적으로 규제업무

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확률론적 안전성평가(PSA) 기법을 응용한 리스크정보 안전규

제(RIR) 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기존의 규제요건 및 규제활동은 원전 운전경험 누적 및 안전성

해석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결정론적 해석과 공학적

판단에 따라 결정되어 보수적이거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안전성확보 및 제고, 그리고 제한된 안전성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을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규제방식의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4) 성능기반규제(PBR)의 적용

사업자의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안전성 향상 노력을 유도하고,

성능목표 달성정도에 따라 차등 규제하는 방식으로 규제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성능기반규제가 새로이 제시되고 있다. 성능기반규

제를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로서 미국의 10CFR 50.65(원전의 정

비 효율성 감시) 규정, 원전감독프로그램(ROP), 캐나다의 운전

안전성능평가 등이 있다.

ROP에서는 성능지표를 설정하고 성능지표에 대한 종합평가를

토대로 4등급으로 구분하여 그 결과를 일반에 공개함과 동시에 그

심각도에 따라 차등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사업자의

Page 16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1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운전안전성을 비교․평가하며, 인허가갱신

과 발전소별 혹은 산업체 단위의 연차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원전 안전 성능지표(SPI: Safety Performance

Indicator)가 ’02년 개발되어 공개되고 있다. 안전성능지표는 원

자력발전소의 운영상태 및 방사선 영향 등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

로서 동 지표를 통해 개략적으로 원전의 안전성 확인 및 안전성능

에 대한 추이분석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동 지표는 운전실적에

따른 정량화된 값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지표의

경향 및 추이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안전규제를 유도하며, 일반

국민을 위한 안전정보를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현재 과학

기술부 및 안전기술원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분기별로 지표별 평가

결과가 게시되고 있다.

(5) 방사선방호 선량한도에 관한 신 권고의 수용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의 ICRP-60 권고에 의한 방사선

작업종사자 선량한도를 2003년 1월부터 국내에 전면 도입하였고

이를 위하여 원전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관련 산업계는 방사선

작업종사자 피폭선량 저감화 대책을 시행한 바 있다.

2003년도 중에는 방사선 작업종사자 선량한도를 ICRP-60 권

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선량한도로 조정하는 한편, 내부피폭 평가

대상 및 방법을 규정함으로서 ICRP-60 권고의 국내 제도화가 완

료되었다.

한편 ICRP는 1990년 권고를 수정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바, 국

제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의 방사선방호 규

정을 지속적으로 보완 발전시키고자 한다.

Page 17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2

3. 방사성물질에 대한 안전규제

가. 기본 방향방사성물질이란 원자력법의 정의에 따르면 핵연료물질, 사용후

핵연료, 방사성동위원소 및 원자핵분열 생성물을 말한다. 핵연료

물질은 우라늄, 토륨 등 원자력을 발생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핵원료물질은 우라늄광, 토륨광, 기타 핵연료물질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핵연료물질이나 핵원료물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원자력법

상의 사용허가를 받거나 또는 사용신고를 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용원자로 설치자, 발전용원자로 운영자 또는 연구용

원자로 설치자 및 핵연료주기 사업자는 허가 또는 지정받은 사업

에 핵연료물질을 사용함으로 별도의 사용허가 또는 사용신고가 필

요하지 않다.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방사선 발생장치(이하 방사성동위원소 등

이라 한다)는 병원, 연구․교육기관, 산업체, 건설현장 등에서 이

용되고 있다. 따라서 원자력법상의 사용허가를 받지 않았거나 사

용신고를 하지 않은 기관(또는 개인)은 방사성동위원소 등을 취

득, 소지,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한편, 방사성물질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방사성물질의 국

내․외 운반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운반되는 방사성물질에는

우라늄, 핵연료 집합체 등 핵분열성물질과, 의료용, 비파괴 검사

용 등 방사성동위원소, 그리고 병원․연구/교육기관 등에서 발생

하는 방사성동위원소 폐기물이 있다. 방사성물질을 운반하는 도중

에 사고로 인하여 운반물이 파손되어, 방사성물질이 누출되는 경

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반용기에 대한 설계승인, 운반신고, 운

반검사 등의 규제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Page 17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3

나. 주요 안전규제 정책 (1) 핵물질에 대한 안전규제

과학기술부는 핵물질을 사용하고자 하는 자로부터 사용시설 등

의 설계자료, 취급방법 및 안전조치 등에 대한 자료를 제출받아

안전성을 검토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핵연료 물질 사용허가자에 대하여 매년 1회 정기적으로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관련 기술기준을 준수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2)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방사선 발생장치 등에 대한 안전규제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방사선 발생장치의 이용기관에 대한 안전

규제는 사용량 등 그 위험도에 따라 허가대상과 신고대상으로 구

분하여 규제하고 있다.

허가대상기관의 경우에는, 방사성동위원소 등을 구매․설치하

기 전에 사용하고자 하는 방사성동위원소 핵종 및 수량 등의 사용

내역, 이용시설의 설계, 안전을 위한 조치 등에 관한 자료(방사선

안전보고서)를 제출하여 안전성을 확인받아야 한다.

특히,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거나 방사선 발생장치를 제조하

고자 하는 자는 안전성 분석보고서 및 품질보증계획서 등을 첨부

한 허가신청서를 제출하여 생산허가를 받도록 규제하고 있다.

생산된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해서는 모델별 생산검사를 받아 판

매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방사선 발생장치의 경우에는 제작검사

를 통하여 제작절차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특수형 방사성물질의 경우에는 허가증 외에 별도로 설계승인서를

Page 17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4

발급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경우에도 설계승인

및 제작검사에 합격한 방사선기기만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방사선 발생장치의 허가사용자는 방사성

동위원소 등의 안전성 입증 외에도 방사선 안전관리의 주체, 임

무, 이용분야별 안전관리절차 등을 규정한 자체안전관리규정을 작

성하여 제출해야 하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면허소지자를 방사선

안전관리자로 확보하여야 한다.

신고대상기관의 경우에는,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방사선 발생장

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방사선 피폭의 우려가 거의 없으므로, 사

용현황 파악과 사용폐지후의 폐기물 안전관리를 위한 일정한 자료

를 제출하게 하고 있으며, 원자력법상의 기술기준을 준수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허가기관에 대해서 정기검사 및 수시검사를 수행하여 안전성을

확인하고 있으며, 동 검사에서 방사성동위원소 등의 이용시설과

선원의 구매, 사용, 저장, 운반, 폐기 등 일련의 사용절차 및 종사

자의 방사선 피폭관리, 교육훈련 등 제반 안전관리 실태가 원자력

법령의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3) 방사성물질의 포장․운반에 대한 안전규제

국내에서의 방사성물질 운반은 핵연료물질 및 방사성동위원소

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방사성물질 등이 들어있는 운반물은 방사

선량 및 물질특성 제한 조건에 따른 운반용기(포장)로서 구분되고

있으며, L형 운반물, IP형 운반물, A형 운반물, B형 운반물, C형

운반물, 핵분열성 운반물로 구분하고 있다.

원자력관계사업자는 운반개시 5일 전까지 운반하고자 하는 방

사성물질의 명세서를 비롯하여 운반 및 사고 대응 절차서와 운반

용기의 건전성을 입증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신고하여야 한다.

Page 17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5

운반신고에 대한 심사과정에서 운반 및 사고대응절차서의 적합

성을 확인하는 한편, 무엇보다도 운반용기의 건전성 여부를 중점

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B형 운반용기와 C형 운반용기, 핵분열

성 물질 운반용기는 설계승인을 받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B형

운반물 또는 사용후 핵연료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매 운반 시마다

운반검사를 실시하고 안전하게 운반되도록 규제하고 있다.

(4)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안전규제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

물과 사용후핵연료로 구분될 수 있다. 2003년 12월 말 현재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200리터 용기용량 기준으로 총 60,895

드럼이 각 원전 부지 내에 저장되고 있고, 사용후핵연료는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7,510다발,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184,204다발 및

연구용 사용후핵연료 213다발이 각 발전소 부지 및 원자력연구소

내에 안전하게 저장되어 있다. 원자력발전소 이외에 의료기관, 연

구/교육기관, 산업체 등에서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발생

되고 있는데, 사용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핵종과 사용목적에 따라

방사성폐기물의 특성도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방

사성동위원소 이용기관으로부터 발생되어 수거된 방사성폐기물은

2003년 12월 말 현재 총 15,808드럼(200ℓ 드럼기준)이 한국

수력원자력주식회사 부설 원자력환경기술원내에서 저장되고 있

다. 동 방사성폐기물들은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 확보될 때까지

각 발전소 부지 및 원자력환경기술원내 방사성폐기물 저장시설에

서 안전하게 관리․저장되도록 규제하고 있다.

Page 17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6

4. 환경방사능 감시체계의 구축 ․ 운영

가. 환경영향 평가 원자력발전 사업자는 발전소 건설 및 운영으로 인하여 주민 및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전을 건설하기 전에 환경영향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으며, 건설

및 운영 기간 중에 각종 환경관리 활동을 하도록 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건설 전에 수행하는 환경영향평가는 원자력 발전

소 건설사업을 수립 시행함에 있어 당해 사업이 환경에 미칠 영향

을 사전 예측 평가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이 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유지 조성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건설 기간 중에 수행하는 환경관리는 건설에 따른

환경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발전소 운영 기간

중에 수행하는 환경관리는 발전소 운영으로 인해 주변환경에 미치

는 영향 및 안전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

고 있다.

환경영향평가는 환경방사선 분야와 일반환경 분야로 구분되어

있으며 평가항목 및 방법은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수행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건설 전에 수행하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업착공시

부터 발생할 수 있는 환경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사후환

경조사는 환경 교통 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에 근거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 및 운영으로 발생되는 방사선 또는 방사능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는 원자력법에 근거한다. 건설 전 환경

영향평가는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며, 발전소 건설과 운영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평가하여 평가서 초안 작성 후 설

Page 17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7

명회 또는 공청회 등을 거쳐 평가대상 지역내 주민의견을 수렴하

고 이를 평가서에 반영시키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평가서를 정부에 제출하면 정부에서는 이에 대해

전문기관의 검토를 받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거나

영향 저감화 방안이 충분하다고 인정될 경우에 관계기관간 협의를

추진하게 된다.

평가항목은 기상, 지형 지질, 동 식물생태계, 해양환경, 수리

수문 등 자연환경과 토지이용, 대기질, 수질, 토양, 폐기물, 소음,

진동, 악취 등 생활환경, 인구, 주거, 산업, 교육, 교통 등 사회

경제환경 등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방사선이 직 간접적으로 주민

에게 미치는 영향과 발전소 온배수에 의한 해양동식물 등 수산자

원에 대한 영향도 아울러 평가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건설 기간 중에 수행하는 환경조사 항목은 해양환

경, 대기질, 수질, 소음, 동 식물상 및 지형 지질 등이며 사업의

특성과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선정하게 된다.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기간 중에 수행하는 환경관리는 원자력법

(과학기술부 고시)에 의한 환경방사선 분야와 환경 교통 재해등에

관한영향평가법에 의한 일반환경 분야로 구분하여 시행하고 있다.

환경방사선 분야는 원자력발전소에서 환경으로 방출되는 미량

의 방사성 기체나 액체로 인하여 지역주민이나 환경에 미친 영향

을 평가하기 위하여 환경방사선 감시계획을 수립하고 발전소 주변

의 방사능 농도와 방사선량을 조사 평가하고 있다.

조사지점은 주변지역의 기상상태, 인구분포, 지형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선정된 지점에서 방사선량률과 공기, 물, 토

양, 해산물, 각종 식품류 등의 방사능 농도 등을 정해진 주기에 따

라 조사하고 있다. 원전 운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는

원전 운영 수년 전부터 수행되는 “운영전 환경방사선 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있으며, 원전이 운영되지 않는 지점(비교지점) 조사도

Page 17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8

병행하고 있다.

일반환경 분야는 원전 운영이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

시하기 위하여 육상 및 해양의 생물, 수질과 저질조사를 하고 있

으며, 또한 원전 주변지역의 인구분포, 해양생물 및 수산시설 등

의 분포도 주기적으로 조사 보고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감시는 원전사업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주)에 의하여 자체감시가 이루어짐은 물론, 환경

감시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조사자료의 객관성을 제고시

키기 위하여 정부(과학기술부), 전문지원기관(한국원자력안전기

술원), 연구기관(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국해양연구소 등), 지역대

학 및 지역 주민, 학계 전문가, 지역의회대표 등으로 구성되는 원

전 민간환경감시기구가 구성 운영되고 있으며, 원전지역의 환경

에 대한 조사 평가 점검 자문 확인 등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나. 환경방사선 감시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등 방사성물질이 생성되거나 함유되어

있는 1차 계통은 여러 겹으로 밀폐되어 있다. 또한, 생성된 방사

성물질은 그 종류에 따라 감쇄, 고화, 여과, 증발 등의 처리절차를

거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가동 중에 발생되는 대부분의 방사성물질은 이러

한 과정을 통하여 제거, 처리되고 환경에 위해가 되지 않는 정도

의 극소량만이 법규에 근거하여 환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서 허용되는 방사성물질 방

출량은 원자력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원자력발전소의 환경방사

선 관리는 이러한 방출이 규정에 맞게 이루어지고 환경과 주변주

민의 건강과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실제 조사하고 감시 확인

하는 일이다.

Page 17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59

시 료 명 분석항목 분석주기 지 점 수방사선조사

공간감마선 량 률 공간감마선량률 연속감시 각 원전주변 1개소

공간집적선 량 공간집적선량 매분기 부지당 12 지점

방사능분석

환경시료

토 양감마동위원소90Sr, 238Pu,239+240Pu

U 동위원소

연 2 회

연 1 회

연 1 회

부지당 10 지점

부지당 2 지점

대덕 2 지점

퇴적물(하천토)

감마동위원소90Sr, 238Pu,239+240Pu

U 동위원소

연 2 회

연 1 회

연 1 회

부지당 2~3 지점

대덕 2 지점

대 기 3H, 14C 매 월 월성 원전주변 3 지점

솔 잎 3H, 14C 매 월 월성 원전주변 3 지점

물시료

해 수감마동위원소

3H,90Sr, 239+240Pu

매분기

연 1 회

취․배수구 3~6 지점

(대덕 제외)

지하수 감마동위원소 3H 연 2 회 부지당 2 지점

빗 물 3H 매 월각 원전 기상관측소

(월성은 거리별 13지점)

식품시료

우 유 감마동위원소90Sr

3H, 14C

매분기연 2 회매 월

부지당 1개 목장〃

월성원전주변 1개 목장

배 추 감마동위원소 연 1 회 부지당 2개 지점

쌀 감마동위원소 연 1 회 부지당 2개 지점

해양시료

어 류 감마동위원소 연 2 회부지당 2지점(대덕 제외)

해조류 감마동위원소 연 2 회부지당 2지점(대덕 제외)

<표 4-2>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선/능 조사내용

Page 17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0

이를 위해 과학기술부고시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의 방사선환경

조사 및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방사선을 조사하여 주민이 받는 방사선량이 과학기술부

고시에 규정한 선량한도를 충분히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환경방사선 조사대상은 고리, 월성, 영광 및 울진 원자력발전소

부지 주변 및 대덕연구시설주변의 육상과 해양의 방사선량과 각종

시료중의 함유된 방사능 농도이며, 육상의 방사선량 측정 및 시료

채취 지점은 원자력이용시설로부터 5km 이내에 집중되어 있고,

해양시료 채취지점은 각 발전소의 배수구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발전소 인근지점 외에 발전소로부터 16km 이상 떨

어진 비교지점(대조구)을 시료별로 1곳 또는 2곳을 선정하여 조

사하고 있다.

원자력이용시설에 대한 환경방사선 분석항목, 분석주기, 지점수

등은 <표 4-2>와 같다.

Page 17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1

5. 방사능 방재대책

가. 개요1999년 일본 JCO 사고와 2001년 미국 9.11테러 등을 교훈으

로 평상시부터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비상대책 수립 필요성이 증대

되는 한편 원자력시설의 테러대비 방재능력 강화의 필요성이 부각

되어 2001년 8월 과학기술부에 국가 방사능방재 중앙통제상황실

을 구축하고, 동년 11월에는 방재업무 전담부서인 원자력방재과

를 신설하였으며,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에 방사능방재 및 환경분

과 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방사선비상대응체계를 강화하였다.

한편, 정부에서는 원자력시설에 대한 대테러․사보타지 등을 방

지하기 위한 시설방호체계를 강화하고, 원자력재해의 특수성과 방

사능방재에 대한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원자력재난에 대한 예방

및 신속하고 완벽한 방사능방재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원자력시

설등의방호및방사능방재대책법”을 제정하였다. 동법에서는 종전

까지 물리적방호대상을 핵물질의 불법이전에 국한하던 것을 원자

력시설까지 확대하고 사보타지 방지대책을 추가하여 국제협약 개

정방향과 일치시키고, 방사능방재대책과 관련하여서는 기존의 재

난관리법에 근간을 두되 방사능재난의 특수성을 감안한 방사능재

난 관리체제를 구축하여 사고예방조치를 위한 규제법령을 제정․

시행함으로써 재난관리법과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동법은 2003년 5월에 공

포되었으며 9개월의 경과기간을 거쳐 시행될 예정이다.

Page 18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2

나. 방사능방재 관련 활동 현황(1) 방사능 재해 대책 계획의 수립

제6차 국가민방위기본계획(2002~2006년) 중 방사능재해대

책계획에서는 국가 방사능방재 조직 및 운영체제를 확립하고 실효

성 있는 방재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각급 방재관련기관이

방재 능력을 확보토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는 방사선비상시 환경방사능 감시를 위한 지원체제를 구축하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원자력발전사업자는 방사선비상시 주민행

동요령 등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사전교육을 실시하고 주민홍보를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2003년도에는 동 기본계획에 따른 집행계

획으로서 2003 방사능안전대책이 수립되었다.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방재대책 조직체계는 <그림 4-2>와 같다.

중앙안전대책위원회(국무총리)

방사능중앙사고대책본부 국제기구, 원전공급국

협정체결국 등(과학기술부장관)

한수원비상대책본부

현장지휘센터(연합정보센터)

방사능방호기술지원본부

방사선비상진료센터

(한수원 사장) (과학기술부 공무원) (원자력안전기술원장) (원자력병원장)

발전소비상대책본부

방사능지역사고대책본부

현장파견기술지원단

현장파견방사선의료팀

(본부장) (시, 도지사)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병원)

<그림 4-2> 원전 방사능 방재대책 조직체계도

Page 18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3

(2) 방사능방재 훈련

(가) 방사능방재 합동훈련

원자력발전소와 소외 방재대책 관련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방사

능방재 합동훈련은 과학기술부 고시 제98-13호(발전용 원자로

운영자의 방사선비상계획 수립 및 조치에 관한 기준)에 따라 발전

소 부지별로 매 3년마다 1회 이상 실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03년도에는 고리 3호기에서 정부, 지방자치단체, 방재대책 관

계기관이 참여하는 방사능방재합동훈련을 실시하였으며, 동 훈련

을 통하여 각 원전본부 방사선비상계획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운영중인 발전소와 동일한 부지에 건설중인 발전소에 대

하여는 최초 정격열출력 5%이전에 합동훈련을 실시하도록 하고,

최초 정격열출력 5% 이전에 합동훈련을 실시하지 아니할 경우,

최초 정격열출력 5% 이전에 전체훈련을 실시하고 차기 회계연도

이내에 합동훈련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어, 이에 따라 2003년 10

월 9일, 울진 5호기에 대한 전체훈련을 실시하였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방재대책관계기관이 참여하는 방사선비상

합동훈련을 통하여 각 원전본부 방사선비상계획의 유효성을 확인

하고 이를 보완․발전시키기 위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합동훈련에서는 훈련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원자력안전기술원

과 원자력연구소, 한수원,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각 방재관련기관간의 유기적인 협조관계를 공고히 하였으며, 주민

보호에 일차적 책임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참여로 실제

주민 소개훈련 등을 실시하는 등 사업자 뿐만 아니라 정부 및 지

방자치단체와의 비상공조체제를 확인하였다.

Page 18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4

특히, 고리원전 방사능방재합동훈련시에는 현재 제정 추진중에

있는 원자력시설등의방호및방사능방재대책법에 따라 방사선비상

시 방사능재난 정보의 수집과 통보, 신속한 지휘 및 상황관리 등

방사능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 사고 현장에서의 종합적인 총괄

· 지휘 활동 수행하는 현장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설치하고, 주민

보호조치 관련사항에 대한 의사결정기구인 합동방사능방재대책협

의를 구성․운영하였으며, 방사선비상시 발생되는 비상정보를 종

합관리하고 주민을 홍보 및 계도하기 위하여 연합정보센터를 설

치․운영하여 그 실효성을 점검하였다.

지금까지 수행된 합동훈련 실시현황은 <표 4-3>과 같다.

년 도 대 상 원 전 훈련참여 자치단체1989 울진1, 고리1, 영광1 경북, 경남, 전남

1990 월성 1 경북

1991 고리 4 경남

1992 영광 1 전남

1993 울진 2, 월성 1 경북, 경북

1994 고리 1 경남

1995 하나로, 영광 3 전남

1996 울진, 월성 경북, 경북

1997 고리2, 영광4 경북․경남․부산, 전남․전북

1998 울진 3 경북

1999 월성 4 경북

2000 영광 2, 고리 1 전남, 부산

2001 울진 1 경북

2002 영광 6, 월성 1 전남, 경북

2003 고리 3 부산

<표 4-3> 방사선비상합동훈련 실시현황

Page 18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5

(나) 방사능방재 전체훈련

원자력관계법령(과학기술부 고시 제98-13호 “발전용 원자로 운

영자의 방사선비상계획 수립 및 조치에 관한 기준”)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전 비상조직이 참여하는 방사능방재 전체훈련의 실시에 관

하여 2개 호기별로 매년 1회 이상 전체훈련을 수행하도록 요구하

고 있다. 2003년도에는 4개 원전부지(고리, 월성, 울진, 영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총 9회의 전체훈련을 실시하였다. 울진5호기

의 경우 과학기술부고시 제98-13호에 따라 운영허가사항으로서

2003년도에 전체훈련을 실시하고, 2004년도에 합동훈련을 실시

할 계획이다.

◦고리: 1발전소(2003.12.4)

◦울진: 1발전소(2003.7.15), 2발전소(2003.3.27),

3발전소(2003.10.9)

◦영광: 1발전소(2003.12.18), 2발전소(2003.10.30),

3발전소(2003.7.24)

◦월성: 1발전소(2003.9.5), 2발전소(2003.4.29)

1999년부터 사업자 자체훈련으로 실시되어 왔던 전체훈련에

대하여도 규제기관의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비상대

응시설 및 전문분야 별로 훈련평가단을 구성하여 각 훈련마다 기

술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보완조치를 요구하였다.

Page 18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6

다. 방사능방재대책 대응능력 향상(1)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 전산체계 구축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 전산체계(CARE: Computerized

technical Advisory system for the Radiological Emergency)

는 원전안전정보망, 환경방사능자동감시망, 방사능방재 기상정보망,

방사선원항분석, 영향평가 확산 모델링, 지형․지리정보계통, 방사

능 대응조치 모듈, IAEA 조기통보체제, 자동정보인지계통, 계통 통

합 및 관련기관 단말기 구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4-3>).

<그림 4-3> CARE 계통 전체 구성도

Page 18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7

이와 같은 각 모듈은 원거리에서 송․수신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 온라인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운전상태를 확인하며, 만

일의 사고시 방사성물질이 외부 환경으로 방출되었을 때 어느 지

역으로 확산될지를 예측하며, 주민과 환경의 피해를 대처하기 위

하여 적합한 비상대응 기술지원을 하도록 함이 그 주된 기능이다.

CARE계통은 <표 4-4>와 같이 1993년 고리4호기에 대한

CARE시범개발을 시작으로 현재, 4단계(2002년 1월 ∼ 2004년

12월)의 사업을 수행 중에 있다. 4단계의 기본방향은 1) 신규원

전에 대한 원전안전정보 통신망 구축 및 방사선원항 해석 모듈의

알고리즘 개발하고, 2) 지역사고대책본부 지원을 위한 Contents

를 개발하며, 3) 지리정보계통을 상세 구축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2002년도부터 시작된 4단계의 주요 추진내용은 1) 신규원전에

대한 통신망 구축 및 원전안전정보망 확대, 2) 신규원전에 대한

안전변수 선정과 선원항해석 프로그램 구축, 3) 원전 부지 반경

40Km범위 1/5,000 전자지도를 이용한 방사능방재 지리정보계

통 개발 및 4) CARE 계통 종합운영 체제 정립 등이며, 신규 가

동 원전인 호기를 대상으로 안전정보망을 구축함으로써 가동중

18호기 전 원전에 대한 안전정보망 구축을 완료하였다.

구 분 기 간 기 본 계 획제1단계 ’93.09.01~’95.12.31 CARE시범개발(고리4호기)

제2단계 ’96.01.01~’98.12.31 가압경수형 전 원전으로 확대 구축

제3단계 ’99.01.01~’01.12.31가압중수형 전 원전 및 방재기관

(중앙정부) 연결

제4단계 ’02.01.01~’04.12.31신규원전 정보처리 및 지자체

연계 방안

<표 4-4> CARE계통개발 기본계획

Page 18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8

(2) 방사능 테러 대응대책

9.11 세계무역센터 테러 이후 방사성물질에 의한 테러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2003년에는 이라크전 발발 및 이라크파병에 따른

테러위협 고조, 대구에서 개최된 하계유니버시아드 등 지속적인

방사능테러 대응활동이 요구되었다. 원자력 관련 시설의 사고나

테러 등으로 인하여 방사성 물질의 방출사고 발생시, 사고 현장에

긴급히 출동하여 사고규모 및 상황의 파악, 방사선량 준위 및 방

사성 오염 정도 측정과 긴급 방사능제염 활동 등을 수행함으로써

사고를 조기에 효율적으로 수습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방사능

방호장비 및 장구를 연차적으로 확보하여 2003년 12월 말 현재,

총 52종 6,000여점의 장비를 확보관리하고 있다.

Page 18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69

6. 원자력 안전규제의 국제화

가. 원자력안전협약의 이행 ‘원자력안전협약’은 1994년 9월 국제원자력기구 총회에서 의결

되었으며, 1996년 10월 24일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우리나라

는 원자력안전협약에 1998년 가입하였으며, 2002년 4월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53개국이 체약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미국,

프랑스, 일본, 영국, 러시아, 독일, 우크라이나, 한국, 캐나다, 스

웨덴 등 원전보유 10위권 이내의 국가가 모두 가입함으로써 명실

상부한 국제협약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각 체약국은 협약의무사항 이행의 일환으로 준비회의에서 확정

된 국가보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매 3년마다 자국의 원전 안전관리

현황 및 계획에 대한 국가보고서를 작성하여 안전협약의 사무국인

IAEA에 제출하여야 한다. 1999년 4월에 개최된 원자력안전협약

제1차 검토회의에 이어, 2002년 4월 제2차 검토회의가 개최된

바 있다.

제2차 검토회의 결과 우리나라의 주기적 안전성평가제도의 법

제화, 중대사고정책의 수립, 정기검사결과의 홈페이지를 통한 공

개, 원자력시설부지 선정시 지역주민 공청회제도 도입, 원자력분

야의 신규인력 충원방안 마련, 안전관련 연구재원의 안정적 확보

등 6개가 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국가보고

서의 충실성이 최종본회의에 보고되는 등 우리나라의 원자력 안전

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검토회의의 종합

결론으로 향후 관심이 필요한 분야로 안전관리와 안전문화, 원전

의 노후화, 규제관행의 개선과 효과성, 원자력 지식의 유지․관

리, 인력의 지속적 유지 등이 제시되었다.

Page 18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0

우리나라는 협약의 14개 의무사항에 따라 원전 안전성을 지속

적으로 점검하고 제2차 검토회의의 요약보고서에 기술된 관찰 및

권고사항 중 우리나라에 해당되는 사항을 추출하여 반영․시행해

나갈 것이다. 또한, 다음 국가보고서에 포함하도록 요청받은 내

용, 즉 PSR 이행 현황, ICRP 60 전면적용 이행 현황, RIR 진척

상황, 접경국과의 비상대책관련 협력, 사업자의 안전문화 자체평

가에 대한 규제기관의 검토, 안전등급 기기에 대한 품질인증 체

계, 중대사고정책 이행 현황 등은 각별히 관심을 가지고 추진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3년도에는 2004년 9월 8일까지 제출하여야

하는 제3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전담반의 구성 등 계획수립에

착수하였다.

나. 사용후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 관리 안전에 관한 공동협약본 공동협약은 1996년 원자력안전협약이 발효된 원자력안전협

약의 자매협약으로서 25개국(적어도 15개 원전 운영국 포함)이

비준서 등을 IAEA에 기탁한 날로부터 90일째 정식 발효하게 되

며, 이에 따라 2001년 6월 18일 공동협약이 공식적으로 발효되

었다. 우리나라는 국제원자력기구 제 41차 정기총회인 1999년 9

월 29일 서명 개방일에 서명하였으며, 2002년 9월 16일에 비준

서를 기탁하였다.

동 협약의 목적은 사용후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 관리의 안전수

준을 전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달성 유지하는 데 있다. 적용범

위는 상업용 원자로의 운전에서 발생한 사용후핵연료 및 방사성폐

기물, 군사 방위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방사성폐기물의 경우에 체

약국이 협약의 대상으로 선언하거나, 민수용 프로그램 내로 영구

Page 18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1

히 이전 관리되는 경우의 방사성폐기물 등이 동 협약의 적용대상

이 된다.

IAEA가 주도하고 있는 동 공동협약은 국제사회의 합의 하에

추진되었으며, 각 국은 자국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와 방

사성폐기물관리의 안전성 확보여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대외적

으로 공개하여야 하는 의무를 가지게 된다.

동 협약의 이행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방사성폐

기물관리 정책방향 결정 및 법규, 규제제도 및 기술기준의 선진화

를 추진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원자력시설에 적용함으로써 국제

적인 수준의 안전관리체계를 확보․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age 19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2

7. 원자력 안전규제 전문지원기관의 육성 ․ 지원 원자력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방사선재해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재산의 보전이라는 원자력안전규제의 본질적인 기능을 적절히 수

행해 나가는 것은 원자력안전규제의 궁극적인 목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과학기술부는 우리나라 안전규제 전

문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대한 육성과 지원을 아끼지 않

고 있다.

규제기술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IAEA, OECD/NEA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 및 미국 NRC 등 선

진 규제기관에의 파견훈련, 규제정책 및 기술개발 등 연구과제 위

탁, 대내외 교육훈련 참여 확대 등을 위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

Page 19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3

8. 안전문화의 확산 과학기술부는 TMI와 체르노빌 사고의 교훈을 통하여 원자력

안전성 확보가 기술적 요인에 못지 않게 인적 요인에 더욱 깊이

관계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국제원자력기구가 제시한 안전문화를

국내에 조기 정착시킨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원자력안전정책성명”

을 통하여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원자력진흥종합계획에서는 이러

한 안전문화의 확산을 위하여 기관별 안전문화 실천방안을 수립하

고 안전문화 평가기준의 개발․적용을 위한 기본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특히, 원자력 안전문화의 정착 및 확산을 위하여 매년 9월 10일

을 원자력 안전의 날로 제정하여 원자력 안전 유공자에 대한 포상

과 원자력 안전관련 심포지엄 개최 등의 활동을 통하여 원자력 안

전문화를 범국가적으로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원자

력안전이 원자력사업 추진에 우선하는 최고의 목표임을 명백히 밝

히며, 원자력계에 종사하는 모든 이로 하여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사명감과 책임의식을 고취시키고 일반 국민의 원자력안전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자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원자력안전

헌장을 제정, 2001년 9월 6일 제7회 원자력 안전의 날에 이를 선

포하였다.

이와 같은 원자력 안전의 날 행사, 안전헌장의 제정 등과 같은

안전문화 확산 노력은 국제원자력기구(IAEA)뿐만 아니라 원자력

추진국들의 관련 인사들에게 큰 감명을 주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2002년에는 원자력안전마크(KNSM: Korean

Nuclear Safety Mark) 수여 제도가 도입되어 원자력안전관리

가 우수한 기관과 원자력안전에 기여한 기술 및 제품을 분기별로

연 4회 공모․선정하여 시상하고 있다. 안전마크는 안전을 최우선

Page 19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4

으로 하는 기업경영의 패러다임 정착을 유도하고, 원자력 기관의

안전의식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안전문화의 확산추세에 따른 현장정착을 더욱 공고히 하

기위하여 과학기술부는 2003년 3월부터 매월 첫 번째 토요일을

“원자력안전점검의 날”로 정하여 사업자 및 규제기관을 비롯한 8

개 원자력관련기관이 자체시설점검, 토론회, 기술회의, 강연회 등

을 통하여 현장 원자력관련종사자의 안전의식이 생활화되도록 노

력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2003년도에는 원자력 안전문화를 정량적 객관

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안전문화지표의 개발을 위해 노력하였다.

안전문화지표는 안전문화 수준을 파악하고 취약점을 도출하여 사

전에 필요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개발된 안전문화지표

및 평가방법은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정책 및 제도분과, 계통분과

등에 보고하였고, 한수원은 2개 발전소를 대상으로 시범적용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표개발 및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

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Page 19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제5장

국제협력 및 기술수출

1. 국제협력 2. 국가간 협력 3. 원자력 기술수출의 촉진

Page 19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Page 19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7

제5장 국제협력 및 해외동향

1. 국제협력

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국제적 신뢰 확보원자력을 이용한 전력 공급이 확대되고 방사선이용기술이 미래

첨단산업으로 성장함에 따라 인류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즉 원자력을 이용한 전력 공급은 물론 차

세대 청정에너지 개발, 핵 비확산성 미래형 원자로계통 개발, 인

류복지 증진을 위한 방사선기술(RT) 개발 분야에서 세계 각국은

활발한 협력을 전개하고 있다.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핵무기 개발로 이어

지지 못하도록 하는 핵무기 비확산체제가 국제적으로 구축되어 있

으며, 원자력을 오로지 평화적 목적으로만 이용하는 우리나라는 이

러한 국제적인 핵비확산 의무를 성실히 준수하고 있으며, 이를 통

해 원자력 이용 개발에 관한 국제적 신뢰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이용개발이 국제적인 핵비확산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핵비확산체제에 참여하여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활동

함은 물론 이러한 체제가 요구하는 여러 가지 검증제도를 이행해

야 한다. 우리나라는 국제적 신뢰를 확보하고 원자력의 평화적 이

용을 증진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확립된 모든 핵비확산체제에 가입

하여 활동 중에 있으며, 관련 검증제도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

국제 핵비확산체제는 핵무기비확산조약(NPT: Treaty on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을 근간으로 하고 있

다. 이 조약은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있던 국가의 핵무기 보유

를 방지(수평적 확산방지)하는 동시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확

Page 19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8

보하여 인류의 발전과 번영에 기여하는 것이 그 첫 번째 목적이

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의 안전조치, 원자력 수출통제 및 핵물

질의 물리적 방호조치체제가 확립되어 있다. 두 번째 목적은 핵보

유국들의 핵무기 성능개량이나 개발에 제동을 걸고 핵군축을 촉진

시키기도록 하는 수직적 확산방지에 있다. 이를 위한 수단이 전면

핵실험금지조약(CTBT: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과

이에 따른 지진파, 및 방사능핵종 감시시설 등이다.

(1) 핵무기 비확산 조약(NPT)

NPT는 1967년 1월 1일 이전에 핵무기를 개발한 5개 핵무기

보유국(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이외의 국가(핵무기 비

보유국)가 핵무기를 개발 및 보유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핵전쟁

의 가능성을 줄여 세계를 보다 안전하게 하고, 핵무기 개발에 소

요되는 자원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으로 유도한다는 취지에서 태

동되어 1970년 3월 발효되었다. NPT의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 핵무기 보유국은 핵무기 비보유국에게 핵무기 또는 그 관리

를 이양하지 않으며, 이를 원조하거나 장려하지 않는다. 또한

핵무기 비보유국은 어떤 경우에도 핵무기나 핵폭발장치 또는

그 통제권을 수령하지 않는다.

◦ 원자력의 평화적인 이용이 핵무기로 전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핵무기 비보유국은 IAEA와 전면안전조치협정을 체결

하고 자국 내의 모든 원자력 활동에 대해서 IAEA의 사찰을

허용해야 한다.

◦ 핵무기 보유국은 조속한 시일 내에 핵군비 경쟁을 중지하고

Page 19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79

핵군축에 관련된 효율적인 조치 및 전면적이고 완전한 군비

축소를 규정하는 조약 협상을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 평화적 목적을 위한 원자력의 연구, 생산 및 이용을 개발할

당사국의 ‘고유한 권리’는 침해받지 않는다.

NPT는 조약의 이행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IAEA 안전조치

및 원자력 수출통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핵무기 보유

국의 핵군축에 관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다. NPT는 발효 이후 세

계의 핵무기 확산을 방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 온 것으로 평

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5년 3월 가입하였으며, 2003년 12

월말 현재 5개 핵무기 보유국을 포함하여 189개국이 가입하고 있

다. 그러나 1998년 핵실험을 실시한 인도, 파키스탄,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이스라엘 등이 아직 가입하지 않고

있어 세계적인 체제로서 하나의 흠이 되고 있다.

NPT 당사국들은 조약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5년마다 평가회의

를 개최하고 있으며, 1995년에 개최된 NPT 평가 및 연장회의에

서 동 조약의 효력을 무기한으로 연장하였다. 2000년 개최된 제6

차 평가회의에서는 조약의 무기한 연장후 처음으로 5년 만에

NPT 각 조항별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최

종문서를 당사국간 합의에 의해 채택하였다. 이 회의에서 우리나

라는 핵보유국들의 핵군축을 촉구하고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관

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원자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000년 NPT 평가회의 최종선언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핵보유 5개국의 핵무기 완전제거 약속

◦ 5년 이내 무기용핵물질생산금지조약(FMCT) 체결

◦ 북한 및 이라크의 안전조치협정 준수 촉구

◦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권리 재확인

Page 19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0

상기 최종선언문 중에서 향후 추진할 핵군축의 주요 내용은 다

음과 같다.

◦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의 조기발효

◦ 향후 5년내 핵무기용핵물질생산금지조약(FMCT)의 체결

◦ 핵무기보유국들의 핵무기 능력 투명성 증진

◦ 안보정책 추진과정에서 핵무기 의존도 감소

◦ 군사목적에 필요하지 않은 잉여의 핵물질에 대한 IAEA안전

조치 적용

◦ 핵군축을 보증하기 위한 검증기술의 개발

2005년 평가회의를 준비하기 위하여 평가회의 개최 3년 전부

터 준비위원회를 개최하였으며, 이 결과는 2005년 평가회의에서

활용될 것이다.

(2) 전면 핵실험금지 조약(CTBT)

전면핵실험금지조약은 대기권, 외기권 및 수중뿐만 아니라 지하

를 포함한 모든 장소에서의 어떠한 형태의 핵실험도 금지시키는

조약이다. 이 조약은 아직 발효되지는 않았지만 세계적인 핵무기

감축을 위한 체계적이고 진보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핵폭발을 종료

시킴으로써 핵무기의 개발과 질적 향상을 제한하고 새로운 유형의

핵무기 개발의 중단을 위해 국제적 감시체제를 운영(지진파, 공중

음파, 수중음파 및 방사능핵종 감시시설)중에 있다.

CTBT의 이행을 검증하는 검증기구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위

치하고 있는 CTBTO(CTBT Organization)가 맡고 있으며, 각

감시시설들은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 세계에 걸쳐 설치․운영 중

에 있다.

Page 19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1

CTBT 발효는 IAEA에 등록된 발전용 또는 연구용 원자로를

보유중인 44개국의 비준시 발효될 예정으로 되어 있다. 2003년

말 현재까지 108개국이 비준하였으나 핵비확산 측면에서 중요한

국가로 분류되고 있는 인도, 파키스탄, 북한 등은 서명도 하지 않

고 있으며, 조약의 주요 발의국가인 미국이 비준하지 않고 있어

단기간 내에 발효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CTBT에 1996년 9월 서명하였으며, CTBTO의 효

율적 운용을 위한 관련 회의 및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한 회의에

지속적으로 참가하면서 국내에 감시시설을 유치하는 등 원자력의

평화이용에 관한 우리나라의 신뢰증진에 노력하고 있다.

(3) IAEA 안전조치

안전조치는 해당 국가의 원자력 프로그램이 평화 목적에 국한되

고 있음을 국제적으로 확신시키는 동시에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되

는 것을 적기에 탐지함으로써 그런 전용을 억제하는 핵비확산체제

의 중요한 수단으로 IAEA가 그 임무를 맡고 있으며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계량(Accountancy): 핵분열성 물질의 위치, 핵연료 및 사

용후핵연료의 축적량, 핵물질의 가공 및 재처리 등에 대한 장

부 유지 및 보고

◦ 격납(Containment) 및 감시(Surveillance): 물질의 분실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봉인(seals) 및 시설에서 벌어

지는 활동을 녹화하는 카메라 설치․운용

◦ 사찰(Inspection): 기구의 사찰관에 의한 봉인 확인, 장부

검증, 재고조사 등

Page 20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2

IAEA는 계량, 격납 및 감시, 사찰 등 활동을 통하여 다음과 같

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사국의 핵비확산 의무를

검증하고 있다.

◦ 해당국의 시설 및 시설 외 지역에 저장하고 있는 핵물질에

관한 정보관리

◦ 기구(Agency)에 제출되는 각종 핵물질 보고서의 검토 및 평가

◦ 핵물질 국제 이전에 관한 정보 관리

◦ 미계량 물질의 원인 분석 및 추적 관리

◦ 기구 사찰관 파견을 통한 해당국의 의무사항 준수 여부 확인

및 시정조치

우리나라는 1975년 4월 NPT를 비준한 이후 1975년 11월

IAEA와 전면안전조치협정을 체결하여 IAEA 안전조치를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 대한 IAEA 년간 사찰량 규모는 35개 시설에

313인 일/년에 달하며, 2003년에는 105회의 사찰을 실시하였

다. IAEA 사찰목표 달성율은 ‘96년의 67%에서 2002년에는

90%에 달하는 등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국가 안전조치 체제를 운영하면서 국가의 신뢰 증진에 노력하고

있으며, 2002년도 국가 사찰량도 IAEA의 규모와 비슷한 35개

시설에 509인 일/년에 달하는 145회의 사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IAEA 사찰목표 달성율을 보다 제고하기 위해 한 IAEA 안전조치

검토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당초 IAEA 안전조치의 목적은 IAEA 안전조치협정 당사국이

신고한 평화적 목적의 원자력 활동이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안전조

치협정에 따라 IAEA의 정기 사찰을 받은 이라크 등 일부국가에

서의 핵개발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기존의 안전조치를 강화하기

Page 20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3

위하여 IAEA는 1993년부터 ‘93+2 프로그램’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1997년 IAEA 이사회에서 ‘강화된 안전조치체제’(SSS:

Strengthened Safeguards System)를 구축하기 위한 모델 추

가의정서(Additional Protocol)를 채택하였다. 강화된 안전조치

체제에 의하여 기존의 안전조치 활동에 더해 추가 정보 제공, 추

가 장소 접근, 환경 샘플링 등의 활동이 수행될 예정이며, 당사국

이 모든 원자력 활동을 신고했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9년 6월 동 추가의정서에 서명하였으며,

2004년에 비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 이행을 위한 원자력

법 등 관련법을 개정하였고 특정핵물질의 계량관리에 관한 검사규

정, 국제규제물자의 대상에 관한 규정, 국제규제물자 등의 보고에

관한 규정, 특정핵물질의 계량관리규정 작성에 관한 고시를 제정

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4) 원자력 수출통제

원자력수출통제는 핵무기 개발 의도를 가진 국가가 핵무기개발

에 필요한 물질, 장비, 부품, 기술 등을 구입할 수 없도록 수출을

통제하는 핵비확산 수단 가운데 하나이다. 수출통제는 원자력공급

국그룹(NSG: Nuclear Suppliers Group)과 쟁거위원회(ZC:

Zangger Committee)와 같이 다자간 공통의 지침을 채택 운영

하고 있는 다자간 체제와 각 국가의 수출통제법에 의거 실시된다.

NSG는 현재 40개국이, ZC는 35개국이 가입하여 활동중에 있

으며, 우리나라는 1995년 10월에 두 체제에 가입하여 활동중이

다.

NSG는 총회 및 자문그룹(CG: Consultative Group)회의를

매년 참여국 중에서 개최하고 있으며, 2003년 NSG 회의는 우리

Page 20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4

나라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우리나라는 NSG 회의에 참가하여 원

자력 수출통제가 투명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운영되도

록 제의한 바 있으며, 핵비확산을 확보하면서도 원자력의 국제협

력이 방해받지 않는 방향으로 NSG와 ZC의 통제 지침이 확립되

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 수출통제 지침과 통제품목의 개

정을 적시에 국내의 법에 반영하여 이행하고 있으며, 원자력 수출

통제에 관한 주요 사안을 심의하기 위한 심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하고 있다.

<그림 5-1> 원자력전용품목의 국가 수출 통제 체제

(5) 핵물질의 물리적 방호 협약

고농축 우라늄 및 플루토늄 등의 핵물질은 핵무기의 원료가 되

기 때문에 도난이나 테러집단에 의한 탈취에 대비하여 안전한 관

리가 필요하다. 국제사회는 핵물질의 안전한 관리를 도모하기 위

Page 20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5

하여 핵물질의 사용, 저장 및 수송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한 물

리적 방호 규정을 제정하고 이를 이행중에 있다.

핵물질의 물리적 방호협약은 핵물질의 안전한 저장, 사용, 운송

을 위해 ① 평화적 목적에 사용되는 핵물질의 국제 운송에 대한

물리적 방호 의무화, ② 원자력 관련 물자의 국제 운송에 대하여

협약에 명시된 수준의 방호조치 준수, ③ 도난 혹은 탈취 등의 사

고에 대한 핵물질 회수 노력 및 당사국간의 협력 등 기본 개념을

규정하고 있으며, 핵물질을 국제적으로 수송할 경우에 경호 인력

에 의한 항시 감시, 경찰 및 군대 등 대응 세력과의 긴밀한 통신

수단 유지 등 핵물질 운송시 적용해야 할 물리적 방호 요건을 규

정하고 있다.

핵물질의 물리적 방호협약은 1987년 2월 8일 발효되었다.

2003년 12월말 현재 핵물질방호협약의 당사국은 88개국과

Euratom이다. 물리적 방호협약은 9.11 테러사건 이후 그 중요

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방호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협약의 개

정작업을 진행중에 있다. 우리나라는 협약을 개정하기 위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실무 작업단에 참여하여 방호체제가 합리적으로 구

축되도록 하는 한편, 협약의 개정이 국내의 다른 원자력 관련 통

제규정과 일관성을 유지시키도록 노력하고 있다.

나. 국제기구 및 다자간 국제협력(1) 국제원자력기구(IAEA)

IAEA는 UN총회 산하 전문기구로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촉진함과 동시에 원자력이 군사적 목적에 전용되지 않도록 감시하

는 기구이다. 이를 위하여 IAEA는 ① 원자력 기술을 교육하고 지

원하는 기술협력 업무, ② 원자력 기술이 군사적으로 전용되지 않

Page 20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6

도록 감시하는 안전조치 업무, ③ 세계의 원자력 시설들에 대한

안전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원자력 안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IAEA는 전체 회원국 대표로 구성되는 총회와 35개 이사국으로

구성되는 이사회를 두고 있으며, 행정지원 조직으로서 사무국이

있다. 2003년 말 현재 IAEA 회원국은 137개국이며 사무국 조직

은 <그림 5-2>와 같이 사무총장 산하에 6명의 사무차장이 관장하

는 기술협력부, 원자력에너지부, 원자력안전 및 보안부, 관리부,

원자력과학 응용부 및 안전조치부로 이루어져 있다. 사무국 인력

은 2003년말 현재 2,247명이다. 회원국들이 의무적으로 부담해

야 하는 2003년도 정규예산은 2억4천9백만 달러이고, IAEA에

서 회원국마다 일정 목표액을 제시하고 이에 대하여 회원국이 자

발적으로 기여하여 조성되는 기술협력자금은 총 7천4백만 달러이

다.

우리나라는 2003년 IAEA 정규예산중 1.76%를 기본분담율로

할당되고 실질적으로 납부해야할 분담율은 1.358%이다. 이는 전

체 회원국 중 12번째 부담률로 약 3백4십만 달러를 납부하고 있

다. 기술협력자금은 1.77%인 132만 달러를 할당받고 이중 64%

수준인 85만 달러를 납부하기로 서약하였다.

(가) IAEA 총회 및 이사회 활동

우리나라는 매년 9월 개최되는 IAEA 총회에 과학기술부장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고 있다.

매년 수석대표 기조연설을 통하여 IAEA 활동과 주요 국제 원

자력 동향에 관한 우리나라의 입장을 발표하는 한편, 우리나라의

원자력 정책 추진 현황과 IAEA를 통한 회원국들과의 협력 성과

를 홍보하고 있다.

Page 20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7

사 무 총 장

정책결정기구 보좌관

내부감사실

외사 및

정책조정실법사실

기술협력부원자력

에너지부

원자력안전 및

보안부

관 리 부원자력과학

응용부

안전조치

ICTP*

아프리카,동아시아및 태평양

원자력

발전국

원자력시설안전국

예산

회계국

기구

연구소들

개념및계획국

유럽,중남미 및서아시아

핵연료주기 및폐기물

기술국

방사선및

폐기물안전국

회의 및문서

지원국

보 건 국운영A국

계획 및협력국

일반지원국

IAEA해양환경

연구소**

운영B국

※ 국제이론물리센터(ICTP)는

UNESCO와 공동운영함

※※해양환경연구소는 UNEP와

IOC도 참여함.

정보

기술국

FAO/IAEA공동 식품및

농업에서의원자력기술국

운영C국

인사국 물리화학국

안전조치정보

기술국

홍보국기술지원국

<그림 5-2> IAEA 사무국 조직도

Page 20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8

우리나라는 원자력 산업 발전 현황과 연구개발 성과를 국제 원

자력 사회에 홍보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총회 기간중 기술전시

회를 개최하고 있다. 2003년 개최했던 전시기간 중에는 IAEA

사무총장(Director General) 등 사무국 주요 간부 및 회원국대

표 등 30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으며, 국내 원자력기술

수준과 능력의 적극적인 홍보 등을 통해 국가의 위상을 높여 나가

는 외교의 장으로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AEA 이사회에 2003년 9월부터 이사국으로서 참

여하여 국제 원자력 현안사항에 관한 우리나라 입장과 의견을 개

진함으로써 국제 원자력 사회의 정책방향 수립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1) 제47차 정기 총회

2003년 9월 15일(월)부터 9월 19일(금)까지 개최된 제47차

IAEA 정기총회는 과학기술부장관을 대표로 과학기술부, 주오스

트리아 대사관, 외교통상부, 원자력(연), 원자력안전기술원 등 7

개 기관 16명이 대표단으로 참석하였다.

우리나라 수석대표는 혁신적인 원자력기술개발 프로그램

(INPRO), 국제핵융합실험로국제공동사업(ITER) 등 국제원자

력 공동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원자력이용 수소생산 등 미래

지향적 기술개발을 IAEA가 적극적으로 주도해야 함을 강조하였

다. 또한, 안전조치 추가의정서의 비준을 위한 국내절차가 거의

완료되어 금년 말까지는 마무리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미비준 국

가의 조속한 비준절차 이행을 촉구하였다. 한편, 북한에 대한

IAEA사찰 중단이 계속되고 있는데 우려를 표명하고,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폐기할 것을 촉구하면서 6자회담의 원활한 진전과 대

화를 통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 수석대

Page 20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89

표는 IAEA 총회에 참석한 주요국(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수

석대표와의 회담 및 IAEA 사무총장 면담을 수행하였다.

<그림 5-3>제47차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총회수석대표연설

미국수석대표(Spencer Abraham 에너지부장관)와의 회담에

서 양국 대표는 핵비확산성 핵주기기술개발 공동협력 부속서

(Annex)에 대한 서명식을 갖고, 제4세대(GEN-IV) 원전공동개

발, 수소에너지개발, ITER에서 그간 상호협력이 순조롭게 진행

된 것을 높이 평가하였다.

중국수석대표(장하추 국가원자능기구 주임)와의 회담에서 양국

은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이후 지난 10년간 상당한 원자력협력 성

과가 있었음을 서로 확인하고, 앞으로도 더욱 협력을 확대해 나아

가기로 하였다. 특히, 원자력을 이용한 수소생산 기술분야에 대해

정보교류 등 상호 협력을 지속하기로 하였으며, 중국 칭화대 원자

Page 20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0

력연구소내에 “한․중 원자력수소 공동연구센터” 설치 등 세부협

력 방안에 대해 2003년 11월 개최 예정인 제4차 한․중원자력공

동위원회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기로 하였다.

러시아 수석대표(Rumyantsev 원자력부장관)와의 회담에서

양국은 러시아가 적극 후원하고 우리나라가 참여하고 있는 IAEA

의 국제공동 사업인 혁신적인 원자력기술개발 프로그램(INPRO)

에서의 상호협력 방안을 협의하였다. 또한 일체형원자로 개발에

대하여 양국이 공동연구 및 전문가 교류 등 상호협력을 확대키로

하였다.또한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협력을 대폭 확대하기로 하고,

2003년 10월 개최 예정인 한·러 원자력공동위원회에서 세부사항

을 논의키로 하였다.

일본수석대표(Hosoda 과학기술정책부장관)와의 회담에서 우

리나라 원자력연구소와 일본 오아라이 연구소간 고온가스로를 활

용한 원자력수소생산 연구개발 협력을 활성화하기로 하였다. 또한

아시아 지역 내 원자력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특히 아·태원

자력협력협정(RCA), 아시아원자력협력포럼(FNCA)에서의 공동

협력을 적극 추진키로 하였다.

IAEA사무총장(Mohamed ElBaradei)과의 면담에서 사무총

장은 북한 핵검증에 IAEA가 중심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임을 강

조하였다. 또한 원전안전성평가(OSART), 방사성물질수송안전성

평가(TranSAS), 비엔나 손해배상협약 등에 대한 우리나라의 참

여를 요청하였다. 우리나라 수석대표는 한국 전문가의 IAEA 사

무국 고위직 진출에 대한 사무총장의 협조를 요청하였다.

고위안전규제자 회의는 안전관리 및 안전문화와 관련된 경험에

대한 공유를 통해 원자력 안전성 증진과 방사선 비상대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포럼에서는 여러 회원국들이 원자력발전 분야 기술과 관련

하여 INPRO 사업추진 중간보고, 원자력수소생산, ITER 사업현

Page 20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1

황을 발표하고 원격 의학, 인터넷 활용 핵의학 교육자료 개발 등

을 논의하였다. 또한 방사성물질 수송안전 등 세계원자력 안전 증

진을 위한 안전기준을 개발하고 적용 방안을 토의하고 안전조치

기술개발 현황 발표 및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토의하였다.

우리나라 기술전시회팀은 원자력 인력양성 및 지식관리에 관한

영상물(Atoms for the Next Generation)과 패널을 전시하였

고 사이버 교육훈련을 시연하였다.

<그림 5-4> 제7차 한․IAEA 기술전시회(I)

Page 21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2

<그림 5-5> 제7차 한․IAEA 기술전시회(II)

<그림 5-6> 제7차 한․IAEA 기술전시회(III)

Page 21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3

2) IAEA 이사회

IAEA 이사회는 IAEA의 정책수립기구이며, 이사회는 1년 임

기로 매년 6월 이사회에서 지명되는 이사회지명이사국 13개국과

매년 총회에서 11개국을 선출하여 2년 임기를 갖는 총회 선출이

사국 22개국을 합쳐 모두 35개국으로 구성된다.

IAEA 이사회는 통상 매년 3월, 6월, 9월 총회 전 및 총회 후,

11월 등 5차례 개최된다. 한편 IAEA는 11월 이사회 직전에 개

최되는 기술원조 및 협력위원회(TACC: Technical Assistance

and Cooperation Committee)와 1월과 5월에 개최되는 사업

및 예산위원회(PBC: Programme and Budgetary

Committee)를 개최하고 있다. 기술원조 및 협력위원회는 기술

원조와 협력 활동을 심의하고, 기술원조 등을 평가하며, 사업 및

예산위원회는 기구 사업의 회계 보고 및 평가, 예산 심의 등을 다

루게 된다.

(나) 사무총장 상설자문그룹2003년 말 현재 IAEA 사무총장 상설자문그룹으로는 <표 5-1>

과 같이 모두 5개 그룹이 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는 원자력에너

지자문위원회(SAGNE), 안전조치자문위원회(SAGSI), 원자력

안전자문위원회(INSAG)에서 자문위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다) IAEA 기술협력 활동 참여우리나라는 1998년 11월 한-IAEA간 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여 IAEA가 주관하는 국제기술회의

와 개도국 훈련생을 대상으로 하는 IAEA 지역훈련과정 또는 지

역간훈련과정을 국내에 적극 유치하고 있다.

Page 21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4

2003년도에 국내에서 개최된 IAEA 주관 국제기술회의 및 훈

련과정은 총 18회로 평균 10개국에서 15인이 참석하였다.

우리나라는 IAEA의 기술협력사업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과학기

술인력의 과학자방문(scientific visit) 및 연수(fellowship)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과학자방문은 2주 이내의 단기 방문으로 자

료수집 또는 연구 시설 방문의 목적으로 정책결정자 중심의 방문

이고 연수는 1~6개월 기간의 장기 훈련으로 기술습득 목적의 실

무자 중심의 방문이다. 2003년에는 SARS 및 이라크 전쟁의 영

향으로 2002년도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과학자방문이 7명

(2002년 11명), 훈련생이 11명(2002년 24명)이었다.

자문위원회 명칭 자문위원 소 속 기 관 주요 임무

원자력에너지자문위원회(SAGNE: Standing Advisory Group on Nuclear Energy)

장인순한국원자력

연구소장

IAEA 원자력에너지부 소관

주요 사업 및 운영에 관한 자문

및 장래 발전방향 제시

안전조치자문위원회(SAGSI: Standing Adv. Group on Safeguards

Implementation)최영명

한국원자력

연구소

원자력통제

기술센터장

국제안전조치강화방안 수행 및

IAEA의 안전조치부

운영방향에 관한 자문

국제원자력안전자문위원회(INSAG*: Int'l Nuclear Safety Advisory Group)

강창순

서울대

원자핵공학

과 교수

원자력안전 전반에 대한 자문

기술협력자문위원회(SAGTAC: Standing Advisory Group on

Technical Assistance and Co-operation)

-

기술협력(TC)부 소관 주요

프로그램 및 운영에 관한

전반적 자문 및 장래 발전방향

제시

원자력응용자문위원회(SAGNA: Standing Advisory Group on

Nuclear Application)-

Nuclear Science and

Application Dept. 소관 주요

프로그램 및 운영방향에 관한

자문

<표 5-1> IAEA 사무총장 상설자문그룹 현황(2003. 12. 현재)

Page 21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5

(라) 우리나라의 IAEA 직원 진출2003년 9월 말 현재 IAEA 진출 한인 직원은 Division

Director(국장) 2인을 포함하여 25명이 IAEA 정식직원으로, 또

한 5명의 전문가가 우리나라가 임금을 지불하는 Cost Free

Expert로 활동하고 있다.

(마) 한∙IAEA 안전조치 평가회의

우리나라는 우리나라 원자력 시설의 IAEA 사찰 결과 및 시설

별 안전조치 등 현안사항을 논의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매년 서

울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교대로 IAEA와 안전조치 평가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2003년 12월 15일부터 20일까지 비엔나 IAEA 본부에서 개

최된 제12차 한∙IAEA 안전조치평가회의는 2002~2003년도

우리나라 원자력 시설의 사찰결과, 시설별 안전조치 및 IAEA 안

전조치 추가의정서 등 형안 사항을 토의하고 향후 협력방안을 논

의하였다.

(바) IAEA와의 공동연구프로그램

우리나라는 IAEA와 2003년 6월 기준으로 총 54개 국제공동

연구 과제에 참여하고 있다. 과학기술부 원자력국제협력사업의 일

환으로 IAEA 국제공동연구과제에 참여하는 우리나라 전문가에게

별도의 연구비를 지원하여 참여를 촉진하고 있으며 국내 전문가의

참여 수준이 급신장되어 참여과제 수 기준으로 회원국 중 7위 수

준이다.

Page 21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6

(사) INIS(International Nuclear Information System)

IAEA는 1998년부터 INIS DB 웹검색을 제공하였으나 이용자

급증에 따른 검색속도 저하로 인하여 제28차 INIS 연락관회의

(2000)에서 본부(비엔나)외 Mirror Site 설치를 추진하기로 결

의하였다. 우리나라는 제29차 INIS 연락관회의(2001)에서

INIS Mirror Site 지역 유치에 대한 의사 표명을 하였고 회원국

의 만장일치로 가결되었다. 2003년 4월부터 INIS2(http://

www.inis2.com) 사이트를 통해 INIS DB 시범 서비스를 제공

하고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2004년에는 INIS2 사이트가 공

식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2) OECD/NEA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에너지위원회(NEA:

Nuclear Energy Agency)는 OECD 산하 독립기구로서 운영위

원회와 운영위원회 산하에 7개 상설기술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NEA 회원국은 2003년말 현재 28개국이며 우리나라는 1993년

5월 정회원국으로 가입하였다.

(가) 전문가 활동우리나라는 매년 5월과 10월에 개최되는 NEA 운영위원회에

참석하여 원자력의 사회 정치적 토론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활

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또한, 7개 상설 기술위원회별로 우리나

라 전문가들이 참석하고 있다.

2003년 우리나라는 <표 5-2>와 같이 NEA와 관련 개최된 총

163개 회의중 50개 회의에 참석하였다.

Page 21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7

위원회위원회 회의

작업단 회의

전문가 회의

국제공동사업 기타 합 계

개최참석개최 참석개최참석 개최참석개최 참석개최참석 참석률(%)

운영위 2 2 - - - - - - - - 2 2 100.0

NDC 1 1 2 0 11 6 - - 1 0 15 7 46.7

CSNI 2 2 11 4 30 3 15 7 6 1 64 17 26.6

CNRA 2 2 3 0 6 0 - - 1 1 9 3 33.3

RWMC 1 1 5 1 2 0 - - 3 1 12 3 25.0

NSC 1 1 9 3 18 7 1 0 12 3 41 14 34.1

CRPPH 1 0 6 2 11 2 - - 1 0 19 4 21.1

NLC 1 0 - - - - - - - - 1 0 0.0

합 계 11 9 36 10 78 18 16 7 24 6 163 50 30.7

<표 5-2> 우리나라의 2003년도 NEA 회의 참석 실적

(나) 우리나라의 NEA 사무국 직원

NEA에는 2명의 우리나라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다) 선진기술의 공동 개발

NEA 국제공동 사업은 공동연구(Joint Undertaking) 사업과 정

보교환 프로그램(Information Exchange Programmes)의 2가지

로 분류할 수 있다. 공동연구 사업은 참여 회원국들이 소요 비용을

분담하는 형식이며 그 결과를 참여 회원국끼리 공유하게 된다. 정

보 교환 프로그램은 각 회원국들이 각자 수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

한 정보를 제공,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참여회원국들의

별도 비용 부담이 없거나 매우 미미한 경우가 많다. 2003년 말

현재 OECD/NEA에서는 <표 5-3>과 같이 11개의 국제공동 사

Page 21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8

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우리나라는 9개 사업에 참여하

고 있다.

위원회 프 로 젝 트 명 기간 우리나라 참여기관(대표)

CSNI

Halden Reactor '58~ 한국원자력연구소

ICDE(International Common

Cause Failure Data

Exchange)

'94~'05 한국원자력연구소

SETH(SESSAR

Thermal-Hydraulics)'01~'05 한국원자력연구소

CABRI Water Loop '99~'08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MCCI(Melt Coolability and

Concrete Interaction)'02~'05 한국원자력연구소

OPDE(OECD Piping Failure

Data Exchange)'02~'05 한국원자력연구소

OECD-Fire '02~'05

PSB-VVER '03~'06

RWMCCPD(Cooperative Programme

of Decommissioning)'85~ 한국원자력연구소

TDB(Thermochemical Data

Base)'84~

CRPPH ISOE(Information System on

Occupational Exposure)'92~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표 5-3> OECD/NEA 국제공동 사업 현황

(3) 아 태지역 원자력협력협정(RCA)

아 태지역 원자력협력협정(RCA)는 IAEA의 아 태지역 회원국

간 원자력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및 훈련을 위한 지역협력협정으로

서 1972년 발효하였다. RCA 회원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 태

Page 21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199

지역 17개국이다. RCA는 매년 IAEA 정기총회가 개최되는 시기

에 IAEA 본부가 있는 비엔나에서 RCA 총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32차 TCA 총회를 개최하였다.

우리나라는 원자력기술 자립 경험을 토대로 아․태지역 회원들

의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고 국제 원자력 사회에 기여하기 위하여

2002년 3월부터 RCA 지역사무국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지

역사무국에 연간 50만 달러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RCA 지역사무국은 회원국간 정보교류를 위한 웹사이트

(http://www.rcaro.org)를 운영하고, 석․박사 훈련과정 개설

등 지역협력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4) 아시아원자력협력포럼(FNCA)

아시아 원자력협력 포럼(FNCA: Forum for Nuclear

Cooperation in Asia)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및 공동연구 등

아시아지역 원자력 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일본 정부가 후원하는

정부 고위 관계자 회의이다.

FNCA 회원국 및 운영 체계는 다음과 같다.

◦ 한국, 일본, 호주,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으로 RCA 17개 회원국 중 9개국임

◦ 운영체계

구 분 기 능 회 의 개 최포 럼 원자력정책 토의

-장관급회의․고위실무준비회의매년 11월 일본과회원국 교대 개최

조정관 회의 FNCA 협력사업 수행 협의-각국 국가대표자(조정관) 참석

기술협력사업사업별 협력 활동 수행

Page 21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0

FNCA의 협력분야로는 연구용원자로 이용, 방사선 및 방사성

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농학적 이

용, 원자력의 국민이해, 방사성폐기물 관리, 원자력 안전문화, 인

적자원개발, 전자가속기 응용 등 8개 분야가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 제3차 FNCA 회의를 유치하고 서울에서 개최한 바 있

다.

2003년 12월 일본 오키나와에서 개최된 제4차 FNCA 회의에

서는 회원국들의 원자력 현황에 대한 국가보고서와 각국의 사업

추진현황 및 계획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Page 21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1

2. 국가간 협력2003년 말 현재 우리나라는 19개국과 정부차원의 원자력협력

협정 등을 체결하여 원자력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표 5-4>

및 <표 5-5> 참조). 이 중 17개국과는 협력협정을 체결하고 있으

며, 보충협정 및 협력각서를 각각 1개국과 체결하고 있다. 협력협

정 체결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이며, 스페인과는 보충협정을

일본과는 협력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이들 국가 이외에 인도네시

아, 모로코, 루마니아와 협정 체결을 위한 문안을 협의 중에 있다.

국 가 협 정 명 서명일(서명장소) 발효일

미 국 원자력의 민간이용에 관한 대한민국정부와 미합중국정부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

'72.11.24개정:'74.5.15(워싱턴)

'73. 3. 19개정:'74.6.16

캐나다대한민국정부와 캐나다정부간의 평화적목적을 위한 원자력의 개발 및 응용에있어서의 협력을 위한 협정

'76. 1. 26(서 울)

'76. 1. 16

스페인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개발과 응용을 위한 대한민국 원자력위원회와 스페인 원자력위원회간의 보충 협정

'75. 7. 14(서 울)

'76. 12. 10

호 주대한민국정부와 호주정부간의 원자력의평화적 이용에 있어서 협력 및 핵물질의이전에 관한 협정

'79. 5. 2(캔버라)

'79. 5. 2

벨기에대한민국정부와 벨지움왕국정부간의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분야에 있어서의협력에 관한 협정

'81. 3. 3(브뤼셀)

'81. 3. 3

프랑스 대한민국정부와 불란서정부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협정

'81. 4. 4(서 울)

'81. 4. 4

독 일대한민국정부와 독일연방공화국정부간의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86. 4. 11( 본 )

'86. 4. 11

<표 5-4> 우리나라의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현황

Page 22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2

국 가 협 정 명 서명일(서명장소) 발효일

일 본 대한민국정부와 일본정부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협력각서

'90. 5. 25

(동 경)'90. 5. 25

영 국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

한 대한민국정부와 영국정부간의 협정

'91. 11. 27

(서 울)'91. 11. 27

중 국대한민국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정부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

한 협정

'94. 10. 31

(서 울)'95. 2. 11

아르헨티나

대한민국정부와 아르헨티나정부간의 원

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96. 9. 9

(부에노스

아이레스)

'97. 9. 19

베트남대한민국정부와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정부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협력을 위한 협정

'96. 11. 20

(하노이)'97. 1. 6

터키대한민국정부와 터어키사회주의공화국

정부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협력을 위한 협정

'98. 10. 26

(앙카라)'99. 6. 4

러시아 대한민국정부와 러시아공화국정부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협력을 위한 협정

'99. 5. 28

(모스크바)'99. 10. 8

브라질 대한민국정부와 브라질정부와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01. 1. 18

(서울)-

체크대한민국정부와 체크공화국 정부간의 원

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01. 3. 16

(서울)'01. 6. 1

우크라이나

대한민국정부와 우크라이나 정부간의 원

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01. 7. 23

(키에프)

이집트대한민국정부와 이집트아랍공화국 정부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

을 위한 협정

'01. 8. 4

(카이로)'02. 6. 1

칠레대한민국정부와 칠레공화국 정부간의 원

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02.11.12

(서울)

<표 5-5> 우리나라의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현황(계속)

Page 22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3

가. 미국과의 협력제24차 한미 원자력공동상설위원회는 2003년 6월 11일~13

일에 미국 워싱톤 D.C.의 국무부에서 개최되었다.

양국은 동위원소 프로그램, 원자력의 우주응용, I-NERI/

GEN-IV 협력, 핵비확산성 핵연료주기 공동연구에 대한 한․미

협력약정 체결, 제3국으로의 기술 수출, 핵비확산체제, 원자력안

전협약, 핵물질방호협약, 원자력 인력양성, KAERI-INEEL간

협력, Rocky Flats Decommissioning Project, 핵테러 방지

등의 분야에 있어서 협력 방안을 토의하였다.

기술협력 분야에서는 액체금속로, 핵비확산성핵연료주기기술개

발 등 43개의 계속 혹은 신규과제에 대한 협력 강화를 위한 협의

가 있었다.

안전협력 분야에서는 원자로 경년열화, 원자력안전교육훈련, 원

자력비상협력, 코드응용 및 관리, 확률론적 위험도분석, 사용후핵

연료 저장 및 운송 인허가, 핵융합장치 안전규제, 원자력발전소의

물리적 방호 등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하였다.

안전조치 협력분야에서는 미측의 IAEA와의 안전조치 이행결과

에 대한 설명, 미국/러시아/IAEA 3자간 잉여핵물질의 안전조치

적용과 관련된 공동정책 경과 등의 설명 청취 후, 양국의 추가의

정서 비준 경과에 대한 현황 설명을 교환하였다.

나. 러시아와의 협력제8차 한․러 원자력 공동 위원회가 2003년 10월 19일~22일

사이에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다. 양국은 SMART 개발,

중소형해상발전플랜트 설계, 방사성동위원소생산 전용원자로 개

Page 22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4

발 등의 분야를 공동추진과제로 합의하였다(<표 5-6> 참조).

러시아는 한국과 제3국 공동진출사업 및 향후 양국간 교역증대

를 희망하였다. 특히, 중소형 해상원자력발전플랜트, SMART 기

술개발협력,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 및 이용 등 합의 의제 관련사

항에 대해 적극적인 협력의사를 보였다.

분 야 협의 내용중소형 해상 원자력발전

플랜트(Floating NPP)

원자력해상플랜트의 한국과 러시아 수요 충족 및 제3국으로

수출하기 위한 한․러 기술개발가능성과 양국기업간 협력방

안을 논의하여 나감

SMART 기술개발협력

SMART 기술 검증을 위한 열수력 실험 등 기술 협력과

SMART 원자로의 핵연료 설계, 제조와 안전해석용 실험실

시 등 긴밀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진행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규제기술협력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및 규제기술이 원자력이용에 있어

핵심적 요소임에 인식을 공유하고, 안전기술협력을 위해 정

보교환 및 SMART 안전규제기술개발을 위해 양국 규제기

관간의 상호방문을 추진하기로 합의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연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유리화 기술의 이행전략과 실험

데이터 등 공동연구협력방안에 대해 협의

원자력시설의제염 및 해체

기술협력한-러 양측은 원자로해체분야의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전문

가의 상호방문을 통한 기술정보교환 및 연구로 해체에 대해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함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 및

이용분야 협력

한-러 양측은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 및 응용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고 러시아측의 핵물리공학연구소

(IPPE), 쿠르챠토프연구소(KI)와 원자력연구소간 생산전용

원자로 개념을 정립해 나가기로 함

양국간 대학, 연구소의 원자력 전문가 훈련 및

워크샵 개최

한-러 양측은 러시아 Moscow Engineering Physics

Institute (MEPhI)와 우리나라 원자력학과를 가진 6개

대학간 박사과정 학생의 상호파견에 합의하고 양국의 관계

대학 총장급 교환방문과 교환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합의문

건 채택을 추진하기로 함. 아울러, 러시아 TENEX사는 기

술경영관리 분야에서 러시아측 박사과정 학생의 한국파견을

제안하여 한국측은 적극 검토키로 함

<표 5-6> 제8차 한․러 원자력공동위 기술협력 합의 내용

Page 22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5

다. 중국과의 협력2003년 11월 중국 북경에서 개최된 제4차 한중 원자력공동위

에서는 2004년 1/4분기 내에 칭화대에 한중 원자력수소 공동연

구센터 설립, 중국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제작 및 설계분야 등에

서 양국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하였다. 중국 칭화대 원자력설

계연구원에 한중 원자력수소 공동연구센터를 설치키로 합의함에

따라, 양국간 수소생산을 위한 고온가스로 분야 협력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2003년 9월 한․중 과기장관회담에서 합의한 아시아

원자력공제조합설립, 원전 계측제어기기 검증기술협력 및 상호 인

증체계 구축, 한․중 원자력전공 대학생 교류사업 추진 등에 대한

세부방안을 협의하고, 관련 워크숍을 개최키로 합의하였다.

Page 22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6

협력분야 협력내용 및 의의중국 원전표준화사업

협력

- 한국표준형원전의 기술자립에 이어 차세대 표준형원전

APR1400을 개발중인 우리나라의 원전기술이 중국의 표준

형원전 개발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협력체제를 구축

- 2002년 10월 북경에서 양국의 “원전기술 자립경험 및 원

전표준화정책에 관한 공동워크샵”을 개최

고온가스냉각로(HTR-10)기술협력

- 중국에서 개발한 HTR-10에 관한 기술협력을 통하여, "고

온가스냉각로"기술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

-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부각하고 있는 수소를 고온가스냉각로

를 이용하여 생산하는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

양성자가속기공동개발 협력

- 첨단과학기술의 기반시설로 선진국 중심으로 건설되고 있는

양성자 가속기의 개발 및 활용분야의 효과적인 기술협력을

추진

- 이 분야에서 중국은 가속장치 부품기술에 강하고, 우리나라

는 양성자 주입기 및 전자기술 이용분야에서 앞서있기 때문

에 상호보완적 협력을 할 경우 좋은 성과를 기대

방사성동위원소상호공급체계구축 및 이용

기술 협력

- 원자로에서 생산되는 방사성동위원소 상호 공급체제를 구축

하여 우리나라의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용 원자로가 정지될 경

우에 방사성동위원소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

- 농업, 공업, 환경, 의료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는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기술을 공동개발

원자력 안전분야 협력

- 양국은 '94년에 체결된 한․중 원자력안전협력의정서에 따

라 원자력시설의 안전심사 및 검사기술교류, 방사선방호 및

비상대책, 환경방사능 감시, 정보교류 등 협력을 강화

<표 5-7> 한․중 원자력공동위원회를 통한 양국간 주요협력 실적

Page 22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7

3. 원자력 기술수출의 촉진

가. 개 요2003년 세계 원전 시장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중국, 일본, 대

만, 인도, 핀란드 등의 국가에서 신규 원전을 건설 또는 계획중에

있다. 미국, 유럽등 선진국에서 신규 원전 건설이 유보된 상황이

고 독일, 스웨덴 등에서는 기존 원전을 중단, 폐쇄하고 있어 전반

적인 침체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전력 수급문제, 지구 환경보호 및 화석 연료 고갈 문제와 관련하

여 환경 친화적이고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에너지원으로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국내 원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는 과

정에서 최신 기술을 반영한 1,00만 kW급 가압경수로인 한국표준

형원전(KSNP)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건설 운영하고 있으며,

월성 원전 2, 3, 4 호기 건설 운영을 통해 70만 kW급 중수로 원

전의 설계, 기자재 제작, 시공, 시운전 및 운전 기술을 보유하여

경수로 원전뿐만 아니라 중수로 원전도 수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갖

추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해외진출은 중국, 루마니아, 베트남, 인도네

시아 등 원전사업 후발국가를 주요대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

들 국가들은 원전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과의 협력

을 희망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 대한 원전 플랜트 해외수출 사업

은 국내 원전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사업추진 체제를 바탕으로, 한

국수력원자력(주)의 주도하에 한국전력기술(주), 두산중공업

(주), 한전원자력연료(주), 한전기공(주) 등 산업체와 국내 관련

기관간 협력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Page 22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8

나. 해외 사업 추진 현황 (1) 미국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103기의 원자력발전소를 보유한 미국에

서 최근 들어 친환경에너지로서 원자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부시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지난 7월31일 포괄

에너지 법안의 가결로 힘을 얻었으며, 비록 재정적지원문제가 난

항을 겪고 있지만 원자력산업에서 상당한 진척을 이루고 있다.

미국에서는 비록 1974년 이래 현재까지 신규 원전이 발주되지

는 않았지만 기존 원전의 출력향상, 수명연장 사업을 통해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이용을 증대하고 있으며, 민관 합동으로 신규원

전 건설 움직임을 구체화 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운영시

발생되는 사용후 핵연료에 대한 해결방안도 꾸준히 제시되고 있

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친환경 에너지로서 그리고 중요한 에

너지 자원으로서 원자력발전의 중요성을 미국정부가 인식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에 건설된 원전은 수명 연장사업을 통

해 기존 40년 운전허가에서 최장 60년까지 운전허가를 연장신청

하고 있다. 본 수명연장사업은 기존 노후화된 기기의 교체와 안정

성 검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원전의 핵심 설비인 증기발생기,

원자로 덮개, 가압기 등의 배관이나 노즐 부위에서 재료의 노후화

에 따른 균열로 1차측 냉각수 누수 현상 위험이 있는 설비에 대한

교체 및 개선 공사가 추진되고 있다. 2003년도에는 Fort

Calhoun 원전과 St. Lucie 원전이 인허가 연장을 승인 받았으

며, 2003년 기준으로 16개 원전이 인허가 연장을 신청한 상태이

다.

Page 22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09

전세계적으로 신규 원전 발주부족으로 야기된 공급 초과 현상으

로 공개경쟁 시장인 미국에서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비록 미국

내에 1999년 웨스팅하우스 펜사콜라 공장이 폐쇄된 이후 주요 원

전 설비 업체는 없지만 해외 주요 설비업체간 수주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이다.

두산중공업은 1999년 미국 세코야(Sequoyah) 원전 1호기의

교체용 증기발생기를 수주하여 2002년에 성공적으로 납품(<그림

5-7>)하였고, 미국 와쯔바(Watts Bar) 원전 1호기의 교체용 증

기발생기도 제작하고 있다. 그동안 다양한 증기발생기를 제작 공

급하였던 경험과 기술로 두산중공업은 증기발생기를 지속적으로

수주하기 위해 가격 경쟁력 제고, 기술 개발 등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림5-7>미국세코야원전1호기교체용증기발생기출하

Page 22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0

미국 원자력발전소의 연간 배출량(약 2,000톤)을 감안할 때 향

후 사용후 핵연료 처리 사업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

후 핵연료 운송․저장 용기는 중성자 및 방사선을 차폐하고, 운송

및 저장시 방사선 노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하므로 엄격한

설계 및 규제 조건에 의해 설계되고 제작되며, 사용후 핵연료 운

송시 각종 규제조건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미국 유카마운틴 저장소 및 사설 저장소가 활성화되면, 사용후

핵연료 운송․저장 용기의 수요가 활성화될 예상이다. 두산중공업

(주)는 지난 2002년 고리 원자력 발전소내에 이송용 사용후 핵연

료 운송 용기를 공급한 경험(<그림 5-8>)을 활용하여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5-8> 고리원전 소내이동용 사용후 핵연료 이송용기 출하

미국의 부시 정부의 신에너지 정책에 따라 신규 원자력 건설이

가시화 되고 있다. 2002년 6월 24일 사전 부지허가 (Early Site

Permission)에 관심을 표명한 도미니언, 엔터지, 엑셀론은 후보

Page 22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1

건설 현장을 지정하여 사전 부지허가를 신청하였다. 이러한 미국

신규 원전 노형 건설 움직임과 관련하여 두산중공업(주)는 웨스팅

하우스가 제3세대 원전으로 개발중인 AP1000 기술개발에 동참

하고 있다.

<그림 5-9> AP1000 원전 조감도

(2) 캐나다

캐나다는 가동중인 원전 14호기, 운전 중지중인 원전 8기 및 폐

쇄된 원전3기를 포함하여 총 25기의 원전을 보유하고 있다. 운전

중인 원전을 기준으로 한 설비용량은 11GWe이며 이는 캐나다

총 전력설비용량의 9.9%에 해당된다.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캐나다에서도 운전중인 발전소의 수명

연장, 설비 교체 및 개선사업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캐

나다는 기존 원전의 설비개선 사업 및 수명 연장으로 전력수요를

Page 23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2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며 단기적으로 수화력 발전소 건설

외에 신규 원전을 검토중이다.

두산중공업(주)는 캐나다 설비개선 사업 및 신규원전 건설 사

업에 원천 설계사인 캐나다의 AECL과의 월성1~4호기 및 중국

진산 Phase III 1,2호기에서의 협력 관계 및 CANDU 공급실적

을 활용하여 기자재 공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3) 중국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총 24~28기의 가압경수로 원전을

신규로 건설할 계획으로 중국은 향후 최대의 신규 원전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의 원전 시장은 세계 원자력 업계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프랑스 (Framatome ANP)는 중국 내 4기 건설 실적 및 중국과

의 인맥을 토대로 반복수주를 추진중이다. 미국(웨스팅하우스)은

자체 개발중인 3세대 신형원자로(AP1000)를 중국에 제시할 예

정이며 러시아(Minatom)는 중국 정부와의 호혜관계를 바탕으로

티안완에 건설중인 VVER로 입찰할 예정이다.

한국은 개량형 한국표준형원전(KSNP+)의 중국 진출을 위해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전력기술(주), 두산중공업(주)이 공동

입찰을 위한 컨소시움 협정을 체결(2003년 12월)하였고 중국의

원자력 기관 방문, 주요인사 초청 등을 통해 한국 표준형원전의

중국 진출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정부는 한 중 원자력공동위원회, 한 중 국산화

경험교류 세미나 등 정부간 창구를 통하여 중국의 신규원전 사업

참여를 위한 협력 기반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정부간 정기

협의체 및 중국 원전정책 결정 관계기관과의 협력증진을 통한 수

출기반의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Page 23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3

LingAo II 2x1000MW PWR

Hong Kong··

운전중 : 9 기

건설중 : 2 기

계획중(복제건설) : 4 기

Qinshan III 2x665MW PHWR

Daya Bay 2x944MW PWR

Qinshan I 1x300MW PWR

Ling Ao 2x980MW PWR

Beijing ·

·Harbin

Chengdu · ·

Tianwan 2x1000MW VVER

Shanghai

Shenzhen

Qinshan II 2x650MW PWR

Qinshan II 3,4 2x650MW PWR

Sanmen : 신형로

계획중(신형로건설) : 4 기Yangiiang : 신형로

<그림 5-10> 중국 신규 원전 건설부지

(4) 베트남

한국과 베트남은 양국간 원자력협력협정(1996년 11월)을 시작

으로, 과학기술부 주관 양국간 원자력분야 6개 사항 상호 협력 합

의(2000년 6월)하였으며 2000년 12월에 한국 전력 그룹사와 베

트남 원자력위원회(VAEC) 공동으로 한국표준형원전 건설 타당

성 공동조사에 착수하여 한국표준형 원전의 베트남 건설시 기술

성, 경제성 및 부지여건에 대한 조사결과 설명회를 2001년 12월

에 개최하였다. 2002년 베트남 과학기술환경부와 원자력협력협

정 체결 등을 통해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2년 7월 하노이에서 개최된 한-베트남 원자력공동위원회에

서는 베트남 원전 도입 등 공동관심사에 대하여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였다.

Page 23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23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참 고 자 료

가. 2003년도 대통령 업무보고 자료 나. 2003년도 정기국회 업무보고 자료 다. 제47차 IAEA 정기총회 기조연설

(9월) 라.‘제9회 원자력안전의 날 기념식’

치사 (9월) 마. 우리나라 미래형 원자로 바. 원자력 신기술 개발

Page 23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Page 23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7

가. 2003년도 대통령 업무보고 자료(1) 원자력・우주・기상기술의 선진화

▪원전기술 자립 95%

▪액체추진로켓 시험 발사

▪악기상 조기감시체제 미비

현 재

▪원자력기술 해외 수출

▪국산인공위성 궤도 진입

▪기상방재 종합체제 구축

5년후

□ 원자력분야에서는○ 해수담수용 일체형 원자로(SMART), 수소생산용 고온 가스

로, 140만 MW급 신형원자로의 실용화 및 해외진출 확대

○ 정보공개, e-안전검사 등 원자력 안전규제활동의 객관성·투

명성을 제고하고 원전사고에 대비한 국가방재체제 확립

□ 우주분야에서는○ '05년까지 소형위성 발사체(3,600억원) 및 우주센터

(1,500억원)를 완공하고 실용위성(2,400억원) 자력 개발

○ '15년까지 20기의 인공위성(다목적 실용위성 8기, 과학기술

위성 7기, 정지궤도위성 5기)을 개발하여 지구 관측능력을

단계적으로 향상

□ 기상분야에서는○ 집중호우 등 악기상의 조기감시를 위한 종합관측네트워크 구

성 및 해양종합기상관측기지 설치

Page 23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8

나. 2003년도 정기국회 업무보고 자료(1)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추진전략과 효율성 제고

□ 사업개요○ 원자력연구개발사업 목표

- 원자력 첨단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미래 에너지원을 확보

- 원자력 안전에 대하여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원자력 과학기술력 확보

- 방사선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국민 보건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창조적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원자력 기초기반연구 및 우

수 인력양성

- 원자력․방사선 기술개발에 지방대학 참여 확대 및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시책 추진

○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주요 내용

중․장기계획사업

원자력 과학기술 선진국 진입과 원자력 핵심기술을 확보하

기 위해 중 장기계획에 따라 추진하는 사업

(원자로 및 핵연료, 원자력안전, 방사선 방호 및 영향평

가, 방사성폐기물 관리, 방사선 의학, 방사성동위원소 생

산 및 방사선 이용, 원전 성능개선 및 현장기술혁신, 기초

기반 분야 등 8개 분야 지원)

연구기반확충사업

원자력 분야의 연구인프라를 구축하고 국가적 차원의 원자

력 연구개발 기반을 조성

실용화연구사업

원자력 연구개발 성과를 산업체에 이전하거나 산업체에 바

로 활용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여 지원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원자력 기술 물자의 수출기반 조성, 국제 원자력사회에서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공동연구 및 협력 지원 사업

방사선기술개발사업

냉중성자 연구시설 구축, 대전류 싸이클로트론 개발 등 방

사선기술(RT) 기반시설을 확보하는 사업

Page 23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19

□ 원자력 연구개발 투입재원단위 : 백만원

재 원 사 업 명 2002실적 2003실적 2004계획

원자력연구개발기금

중·장기계획사업 1,320 1,320 1,285

연구기반확충사업 245 248 236

실용화연구사업 61 57 57

연구기획 정책․평가사업 27 26 29

계 1,656 1,651 1,607

일반회계예산

중장기계획사업/기초기반 281 217 267

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10(3) 13 28

방사선기술(RT) 개발사업 - 30 45

원자력이용수소생산계통 - - 30

계 291 260 370

□ 주요현안(문제점) 및 대책① 지금까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이 원자력 發電분야에 치중되

어 왔으나, 앞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되는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분야에도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

⇒ 2002년 6월 방사선기술(RT) 개발계획('02~'06) 을 수

립하여 방사선의 의료․농업․환경․공업 분야 등의 이용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 2003년부터 방사선기술(RT) 개발사업 을 본격적으로 추

진하여 방사선이용기술과 나노기술 및 첨단 의료분야 기술을 접

목한 융합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설비를 개발하고 있음.

② 원자력연구개발 예산에서 원자력 안전 연구의 강화가 필요하

며, 또한 원전 폐기물의 저감에 대해서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

⇒ 원자력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역량을 결집하여 중·장기계

획사업 중에 원자력 안전분야에 '02년 192억원에서 '03년

Page 23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0

257억으로 확대함.(안전 관련 연구는 '02년 467억→'03년

506억)

⇒ 방사성폐기물 저감화를 위해 중장기계획('97~'06)에 의하

여 장수명 핵종 소멸처리, 사용후핵연료 관리이용 기술개발 등

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환경기술원의 중·저준위 방사성폐

기물 저감기술과제와 달리 중장기적 관점에서 추진되고 있음.

(2) 대북경수로 사업 현황

□ 추진배경 ○ 미․북 제네바 합의 ('94.10)

- 핵개발 동결 대가로 100만 kW급(한국표준형원전) 경수

로 2기 공급 약속

○ 기초예비조사 및 초기공사 착수('96.3) 및 건설허가 발급

('01.9)

□ 추진 실적○ 건설공정율 약 32.% 도달(8월말 현재)

- 북한 안전규제요원에 대한 국내 교육실시('02.7/KINS/25명)

- KINS에서 기기제작업체 및 공사현장에 대한 품질보증검

사 및 사용전검사 계획대로 실시중

□ 주요현안(문제점) 및 대책○ 사업의 지속여부 불확실

- '02년 북한 핵문제 대두로 인하여 미국에서는 KEDO사업

의 중단요청, 우리는 향후 건설재개를 전재로 하는 잠정적인

중지 희망

Page 23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1

□ 향후 추진계획○ 6자회담등 국제합의에 따라 사업의 지속 여부 결정 예정

○ 사업이 계속될 경우 KINS를 통한 안전 심사 및 검사시행,

원자력물자 이관에 따른 수출허가, 추가의정서 협상 지원,

금호현장에 상주검사관(원)을 파견하여 안전검사 수행 예정

(3) 원자력안전정보공개 현황

□ 추진배경○ 우리부는 원자력안전규제 활동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대국민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 '98.11월부터 원전사고․고장정보공개지침 을 제정․운영

- 원전사고의 심각성, 방사선 위험도 등에 따라 정보공개 시

기를 정하여 언론사, 인터넷 등을 통해 공개

□ 주요내용○ 언론사, 과기부 홈페이지 등을 통한 안전정보공개

- 원자력안전위원회 활동, 원전 운영현황, 안전검사 활동 등

○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 설치․운영

□ 추진실적○ 과기부홈페이지를 통한 원자력안전정보공개 지속 추진

- 정기검사결과, 품질보증검사결과, 원자력안전위원회 안건

등 공개

○ 전 원전 안전성능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

- '03년 분기별 원전안전, 방사능관리 및 성능 등을 종합평

Page 24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2

가후 결과를 인터넷, 언론보도자료 등을 통해 공개

○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 를 통한 Cyber정보공개계통 운영

('03.6.11)

- 안전정보 수집․분석․공개 전담조직 설치․운영

- 원자력안전정보 e-mail 클럽 운영

․ 매주 원자력안전정보를 적극 제공하는 서비스 실시

○ KINS에 원자력안전정보 홍보전시관 설치․운영('03.6.11)

□ 향후계획○ 원자력안전정보공개 모니터링 제도 착수('03.10)

- 목적: 정보공개에 대한 감시 및 의견수렴

- 구성: 학계, 연구계, 시민단체, 의원 보좌관 등 관련인사

- 모니터링 요원수 : 약 15인(점진적으로 50명까지 확대)

(3) 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관리

□ 사업개요(또는 추진배경)○ 개인피폭선량 측정에 사용되는 선량의 분실 또는 훼손등으로

평가가 불가능한 판독특이자의 피폭선량을 객관적이고 합리

적으로 제시함으로서 피폭선량의 신뢰성을 확보하며

○ 방사선 피폭선량 관리의 표준화를 이룩하여 방사선방호 규제

합리화 및 규제효율성 검증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

□ 추진현황○ 판독특이자의 조사 및 관리는 1999년 감사원 감사 시정요구

사항에 따라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에서 한국원자력안전기

술원으로 업무가 이관됨.

Page 24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3

- 2002년부터는 판독특이자에 관한 관련법규를 정비하고 국

내 방사선량 평가의 전문가 14인으로 구성된 피폭방사선량

평가위원회를 운영함으로서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함.

○ 제19차 원자력위원회 ‘원자력안전규제정책방향’에서 2002

년도 중점추진과제로 「국가방사선작업종사자안전관리센

터」가 선정되어 작년 말에 구축되어 시범운영중에 있음

- 방사선작업자의 생애추적관리 계통 구축을 목표로 하여

- 2002년도 선행계통으로 시범운영 과정을 거쳐

- 방사성동위원소협회의 피폭선량 기록자료와 통합망 이용

자 계통과 연계된 기본설계를 완료함.

※ 추진근거: 개인 피폭방사선량의 평가 및 관리에 관한 규정

(과기부고시 2003-6호)

□ 주요현안 및 대책○ 선량예고제 도입: 소규모 사업장에서의 피폭선량 예측은 작

업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

- 방사선작업 환경과 작업형태에 따른 피폭선량 예측 정보를

제공함으로 방사선작업의 표준화 및 피폭선량저감화 기술교

류의 활성화를 유도함.

□ 향후 추진계획○ 국가방사선작업종사자안전관리센터 구축: 방사선피폭 분

석기술 선진화를 통하여 방사선방호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며 작업자 생애추적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임

- 2004년 예비운영 / 2005년 정상운영

(4)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운영

Page 24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4

□ 추진배경◦ 방사능재난에 대비하여 방사선 진료 및 관련 연구․교육 등을

위해 원자력의학원내 방사선비상진료연구센터 건설(’98~’01)

- 총 건설비: 98억원, 건평: 약 1,400평

※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제 38조)은

국가 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중심으로 방사선비상진료체계를

구축토록 규정

□ 추진실적◦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로 지정․운영중(’02.5~)

- 권역별 방사선비상진료병원(10개)과 협약 체결

- 방사선비상진료교육 실시(8회, 202명) 등

◦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비상진료장비․전담인력확보(’02~’03)

- 전신계측기 등 50여종, 전담인력(정원 21명) 10명

□ 주요현안(문제점) 및 대책◦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전담인력 부족(10/21)

- 기획예산처와 ‘04년중에 전담인력 4명을 확보키로 기협의

◦ 방사선비상진료병원으로서의 기능 제고 및 유지․관리 필요

- 장비확보, 운영비 등 비상진료병원지원대책을 수립 추진중

※ ’04년도에는 정부예산 10억원을 확보하여 지원 예정

□ 향후 추진계획◦ 방사선비상진료병원 추가(10→15개) 지정

◦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의 전담인력 추가(7명) 확보 추진

Page 24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5

다. 제47차 IAEA 정기총회 기조연설 (9월)Statement

by H.E. Dr. Ho Koon Park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47th Regular Session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IAEA

-Atoms for the Next Generation-

Mr. President,

On behalf of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 wish to

extend my congratulations to you on your election as President of

the 47th General Conference. I am confident that, under your

outstanding leadership, this conference will yield a successful result.

My delegation would also like to extend its sincere thanks and

congratulations to Dr. ElBaradei, Director General, and the

Secretariat for their excellent performance and unwavering

dedication to the challenging mission of the Agency in recent years.

Mr. President,

My delegation would like to commend the Secretariat's efforts to

prevent nuclear terrorism since 11 September 2001. Since then,

many new measures have been taken in the area of nuclear

security. In particular, my delegation appreciates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Secretariat to the establishment of a nuclear

security infrastructure for the Member States.

My delegation also highly appreciates the special contribution

made by the United States in this regard.

In April 2003, in order to cope with the threat of nuclear

terrorism, the Republic of Korea concluded the "Arrangement for

Page 24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6

Technical Cooperation on Nuclear Security" with the Agency. This

arrangement will help to consolidate the expertise and experience

of the Agency and Korea in the field of nuclear security.

Domestically, we promulgated the new "Law on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Material and Facilities and Measures for a

Radiological Emergency" in May 2003. My country has made a

contribution of $150,000 to Nuclear Security Fund to support the

Agency's role, including in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n nuclear security.

Together with nuclear security, nuclear safety is an essential

issue. Korean government has put the highest priority on nuclear

safety in developing its nuclear energy policy. In this regard, the

Korean nuclear community adopted the "Nuclear Safety Charter" in

September 2001 declaring eight fundamental principles for nuclear

safety.

To enhance the level of safety further,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a "Nuclear Safety Mark" award system in this year.

Organizations who have proved that they have an excellent safety

performance will be recognized by the nuclear community. Award

winners are to get various incentives such as public advertisements

and R&D funds.

Recently, my government has taken realistic measures to

promote a culture of nuclear safety. We have designed quantitative

indicators and plan to demonstrate their application this year. My

delegation suggests the Agency consider a worldwide safety culture

assessment to upgrade global nuclear safety levels.

In the area of safety and security of radioactive source materials,

we are now testing a tracking method to be attached to the Global

Page 24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7

Positioning System (GPS) for radiological source containers. My

delegation hopes the Agency and other Member States will study

this new GPS approach with us.

Korea also supports the Agency's initiative to establish the Asian

Nuclear Safety Network (ANSN) for the enhancement of nuclear

safety in the Asian region. Indeed, we hosted the second ANSN

Consultation Meeting in March 2003 to share our experience of

Korean safety networking programs.

Mr. President and Distinguished Delegates,

Nuclear energy has been one of the major growth engines for the

Korean economy. My country has 18 nuclear power plants in

commercial operation providing about 40% of the nation's

electricity supply. Six units are Korean Standard Nuclear Power

plants (KSNP) of a capacity of 1,000MWe and are already

operating successfully. Korea has also developed the Advanced

Power Reactor with a capacity of 1,400MWe (APR1400), an

innovative concept. The first construction of APR1400 is scheduled

for 2004.

We envisage that 27 nuclear power plants will be on the grid by

2015. Korea is very willing to share its experiences in the

plann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with

all Member States.

As for the small medium sized reactor (SMR), we launched a 65

MWt pilot project called "SMART-P (System 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P)" with a completion target of 2008. Under the

program of the Agency's Resolution GC(45)/12, "Plan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conomically using Small and Medium-size Nuclear

Reactor", the Agency, Indonesia and Korea are working together to

Page 24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8

deploy SMART for a desalination project on Madura Island,

Indonesia. My government reiterates its readiness to share our

expertise with Member States and encourage other Member States

to join in the SMR deployment program.

My delegation appreciates the efforts of the Secretariat for the

convening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ve

Technologies for Nuclear Fuel Cycles and Nuclear Power last June.

The conference provided a forum for a collaborative approach for

evolving future-oriented nuclear technologies. We, as a member of

International Project on Innovative Nuclear Reactors and Fuel

Cycles (INPRO), will participate actively in its implementation,

including a case study of user requirements and the continued

assignment of one cost-free-expert to the Department of Nuclear

Energy of the Secretariat.

In addition, my delegation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ydrogen and fusion as a future energy source. The

Hydrogen Economy was discussed at the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meeting held last April in Paris. We believes nuclear

energy will play a key role as an effective means for clean large

scale hydrogen production. My delegation strongly recommends

that the Agency revisit its past file on nuclear hydrogen and

considers revitalizing its hydrogen energy program.

Together with hydrogen energy, the outlook for nuclear fusion is

being made brighter and more feasible through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In June this year in

Vienna, the Republic of Korea joined the ITER project meeting as a

full partner. We will contribute fully to ITER by utilizing the

Korea-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K-STAR)

Page 24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29

facility.

Mr. President,

The use of Radiation Technology (RT) in human life is forever

expanding. RT is utilized in the areas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health care, food preservation as well a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anticipated that future RT market

will be hundreds of billions of dollars.

In Korea, new legislation entitled the "Law on the Promotion of

Utilization of Radiation and Radioisotopes" was enacted in

December 2002. We will make extensive efforts to increase the

share of RT to up to 30% of the nuclear industry by 2010.

To this end, a new “Advanced Radiation Technology R&D Center”

is under construction in Jeongeup City. We hope this center will be

utilized as a part of common RT resource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Mr. President,

My delegation supports the Agency's action on the management

of nuclear knowledge under Resolution GC(46)/11. The Republic of

Korea appreciates the Member States echoing at the Meeting of

Senior Officials on Managing Nuclear Knowledge in June 2002 of

the concept of an "International Nuclear University (INU)". Last

June, Korea, in cooperation with the Agency, hosted an inaugural

meeting for the "Asian network for Higher Educations in nuclear

Technology (ANENT)". We also offer our congratulations on the

start of the World Nuclear University (WNU) led by the World

Nuclear Association. We are of the view that this cross-linking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worldwide INU Network.

Page 24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0

The RCA Regional Office was opened in March 2002 in Korea to

consolidate RCA ownership.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tributed $500,000 on an annual basis for its operation. My

delegation expects that an RCA Resolution on the legal provision of

the RCA Regional Office will be duly adopted this week at the 32nd

RCA General Conference.

The role of women in nuclear activities is increasing significance

in the 21st century. "Women in Nuclear Korea" (WIN-Korea) was

registered with the Korean government as a legally approved

association in March 2003. WIN-Korea is a proactive advocator in

WIN Global. Korea recommend that the Agency formulate a new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women in the nuclear field for the future.

Mr. President and Distinguished Delegates,

My delegation reaffirms its unswerving support for the Agency's

role and its safeguards system in securing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which is essential to th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he vast majority of the NPT parties have an excellent record of

full compliance with their safeguards obligations. However, the

safeguards system, and indeed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is presently facing unprecedented challenges.

As the Director General underlined on many occasions, the DPRK

nuclear program poses a serious and immediate threat to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My delegation notes with

continuing concern that the Agency remains unable to provide any

level of assurances about the non-diversion of nuclear material to

nuclear weapons in the DPRK.

My Government urges the DPRK to retract its announced

Page 24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1

withdrawal from the NPT and comply with its obligations under the

NPT regime. It should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program in a

complete, irreversible and verifiable manner.

It should commit itself to a complete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IAEA safeguards and

cooperate fully with the Agency in this respect as soon as possible.

Mr. President,

The six-party talks, held in Beijing in late August, marked a

significant step towards achieving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DPRK nuclear issue.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six

parties shared in principle the ultimate goal of establishing a

nuclear weapon-free Korean Peninsula, and agreed to achieve that

goal by peaceful means, through dialogue. We trust that all the

parties concerned mobilize their collective wisdom to ensure the

timely resumption of the talks and to facilitate meaningful progress

in this critically important process.

The nuclear program of Iran is another challenge to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The Board resolution of last week on

Iran's nuclear program represents the firm commit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nsuring speedy resolution of all

outstanding safeguards issues and to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 go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In this regard, we

sincerely hope that Iran will offer accelerated cooperation and full

transparency on all aspects of its nuclear program to comply with

the resolution in a constructive manner.

Mr. President,

The Additional Protocol is a major accomplishment of the Agency

Page 25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2

aimed at strengthening the safeguards system.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building a trust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all states will fully comply with their

non-proliferation commitments. My delegation would like to

reiterate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universal adherence to the

Additional Protocol.

In this regard, I am pleased to inform the Conference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completed its domestic

preparation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dditional

Protocol. In fact, we expect the parliamentary ratification process

to concluded by the end of this year.

Taking this opportunity, Korea would also like to report on the

performance of the New Partnership Approach (NPA) for Light

Water Reactors (LWRs) between the Agency and Korea. The

Agency saved more than 30 days of inspection time as described in

the Agency's 2002 Safeguards Implementation Report (SIR).

Mr. President and Distinguished Delegates,

My delegation would like to remind all the Member States that

the amendment to Article VI of the Agency's Statue was adopted

by a unanimous consent at the 43rd Regular Session of the General

Conference in its resolution GC(43)/RES/19. It expands the

number of the members of the Board of Governors from the current

35 members to a total number of 43. The amendment was the

demands of the times to reflect the increase in membership of the

Agency as well as increased number of states that have acceded to

the technology of nuclear energy.

This amendment was the outcome of almost 20 years of serious

discussions in the Agency to adapt the composition of the Board to

Page 25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3

the reality of today. It accommodated the principle of greater

democratic representation without jeopardizing the efficiency of the

Board. However, it is rather disappointing that only 34 states

among 134 Member States have so far accepted the amendment to

Article VI in the four years since its approval. We strongly hope

that consistent with the commitments we all made, all Member

States, which have not yet accepted this amendment, will do so at

the earliest possible date.

We also hope that the Director General continue its efforts to

draw the attention of the governments of the Member States to the

need for the amendment to be entered into force and encourage

them to address this issue at their earliest convenience.

In closing, my delegation would like to remind the Conference

that fifty years have passed since U.S. President Eisenhower made

his historic speech, "Atoms for Peace". During the past fifty years,

we, mankind, have obtained electricity, which is indispensable in

human life, from nuclear technology. Now, I believe that, for the

next fifty years,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will surely bring

greater prosperity for future generations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I would like to conclude my remarks by proposing "Atoms for the

Next Generations" as our common objective of the next fifty years.

Thank you, Mr. President.

Page 25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4

라.‘제9회 원자력안전의 날 기념식’치사 (9월)국 무 총 리 고 건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계신 원자력계 종사자와 내빈 여러분!

오늘 ‘제9회 원자력 안전의 날’을 맞이하여 여러분과 함께 원자

력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원자력 안전에 대한 의지를 다져보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그동안 사회의 윤리와 정의에 따라 원자력의 안전한 운영과 관

리를 위해 애써오신 원자력 산업계와 원자력 안전 관계기관 여러

분의 노고에 치하를 드립니다.

아울러, 원자력 안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오늘 수상의 영예를 안

으신 수상자 여러분께도 축하를 드립니다.

원자력계 종사자 여러분!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은 이미 세계 최상위 수준입니다. 지난

해에 영광원전 5호기와 6호기가 연이어 가동에 들어간 우리나라

는 이제 총 18기의 원전에서 국내 전력의 40% 정도를 공급하고

있는 세계 6위의 원자력발전 선진국이 되었습니다.

또한 질병을 발견하고 치료하는 데 이용되는 것을 비롯해 다양

한 방식으로 우리 생활의 편의를 더해주고 있는 방사선의 이용기

관도 2천여 곳이 넘어섰습니다.

이 모두는 여기 계신 관계자 모두가 안전을 최우선한 덕분이라

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원자력의 안전은 강조하면 할수록 부족

함이 없으며, 안전을 지키는 일의 중요성과 책임에는 한계가 없습

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원자력의 이용에 따른 방사선 위험으로부터 국

Page 25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5

민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며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원자력”이

되도록 앞으로도 계속해서 최상의 안전 품질 확립, 방사선분야의

이용확대에 따른 효율적 안전관리의 기틀을 다져, 우리나라는 물

론 국제사회에서도 핵심적 역할을 수행해 나가야 합니다.

그리하여 원자력의 안전에 대한 사회적인 수용성과 국민적 공감

대 형성을 통한 건강한 원자력산업의 발전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지금 세계는 원자력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습니다. 미

국, 핀란드, 중국 등 세계 각국은 청정 에너지원이면서 경제성을

갖춘 원자력발전의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만 보아도 잘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을 LNG로 대체한다면 매년 80억 달러

의 추가비용이 소요됩니다. 이는 원자력이 이제는 국가발전을 위

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원자력의 안전성 확보를 더욱 공고히 하고 국민

의 신뢰구축을 위해 원전 안전성능지표 개발, 원자력안전정보

공개센터 설립 및 원자력안전문화 평가 등 국민에게 좀더 다가

서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력발전소의 주변 주민보호 및 물리적 방호를 위한 원

자력방재법 제정, 방사능테러 대책 수립 및 국가방사선안전관

리센터 설립 등 방사선 안전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요즘 사회적으로 관심이 집중돼 있는 원전 수거물 관리시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최근 일각에서는 전북 부안군이 원전

수거물 관리시설을 신청한 것과 관련하여 수거물 관리의 안전성에

대하여 우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프랑스․영국․일본 등 26개

국가에서 수십년 동안 안전하게 운영함으로써 이미 안전성이 입증

된 시설입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원전수거물의 무게를 줄이고 방사능이 누설

Page 25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6

되지 않도록 유리화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게

수거물을 관리할 계획입니다.

원자력계 종사자 여러분!

지난 8월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사상 초유의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워싱턴은 무려

19시간 동안이나 전기가 끊긴 암흑상태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우

리는 이 사건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전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간

접 경험했습니다.

원자력 시설을 안전하게 관리․운영해야 할 종사자 여러분의 책

임은 실로 막중하며, 이는 국가와 국민에 대하여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여러분의 소명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지난 하절기 동안에 국내 18기의 원전이 정상적으로 가동됨으

로써 연일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부응해준 여러분들이 자랑스럽습

니다. 어려운 여건을 마다하지 않고 24시간 책임을 완수한 원자

로 조종사 여러분에게도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오늘 우리는 원자력 안전에 대한 결의를 다시 한번 다지기 위해

여기 모였습니다. 우리나라 원자력 안전이 한층 더 굳건해지는 뜻

깊은 시간으로 만드시기 바랍니다. 또한 여러분들의 결의와 다짐

으로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신뢰를 드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충

심으로 기대합니다.

바쁜 생활속에서도 오늘의 기념식을 준비한 관계자 여러분과,

이 자리에 함께 해 주신 참석자 모두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여러분 모두의 건승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Page 25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7

마. 우리나라 미래형 원자로(1) KALIMER

<KALIMER 구조 개념도>

KALIMER는 Korea Advanced LIquid MEtal Reactor의

약자로서 액체금속로이다.

기존 액체금속로의 경우 우라늄으로 구성되어 있는 블랭킷을 사

용함으로써 연소된 양 이상으로 핵분열물질 생성을 가능하게 한

다. 반면에 KALIMER-600은 블랭킷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이

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미래형 원자로인 제4세대 원자로의 설계목

표인 지속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핵확산저항성을 획기적으로 향

상시킨 국내 고유모델이다. 또한, 사고 시 비상전원이 요구되는

능동기기를 배제하여 비상발전기 고장으로 인한 원자로 노심의 잔

Page 25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8

열제거 실패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사고 후 72시간동안 운

전원의 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운전원의 작동실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설계특성을 지닌다.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중에 있다.

(2) HYPER

HYPER는 HYbrid Power Extraction Reactor의 약자로서,

장수명 방사성 핵종을 단수명화해서 원자력 에너지를 보다 친환경

적인 에너지원으로 만들기 위해 가속기와 결합한 미임계 핵변환로

이다. 미임계로의 운전방식은 가속기로 고에너지의 입자를 생산하

고 이를 미임계 노심의 중심부에 있는 중금속에 충돌시켜(핵파쇄

반응) 다량의 중성자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발생된 중성자는 미임

계로에 장전된 장수명 핵종과 핵반응을 하게 되고 이러한 핵반응

을 통해서 장수명 핵종은 단수명 핵종으로 변환되게 된다.

<HYPER 노심>

Page 25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39

미임계로의 특성은 노심이 외부 가속기의 고에너지빔에 의해서

운전되기 때문에 매우 큰 운전탄력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계통의 안전성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장수명 핵종을

자유스럽게 소각할 수 있다. 그러나 미임계 계통 운전이 가속기와

연계되는 관계로 아직 극복해야할 많은 기술적 문제들이 남아 있

다. 그 중 계통의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시급히 해

결되어야할 문제가 가속기 운전의 연속성 확보이다.

한국원자력 연구소에서 1997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HYPER

계통은 2003년까지 기본 설계를 완료하였다.

(3) GEN-IV

제4세대 원자로 국제공동연구개발 사업은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및 프랑스 등 원자력기술선진 10개국과 유럽연합의 EURATOM이

참여하는 GIF(Generation IV International Forum)를 중심으

로 제4세대 원자로를 공동 연구개발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창설

회원국으로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GIF 선정 제4세대 원자력계통>

제4세대 원자력계통 비 고GFR(Gas-cooled Fast Reactor) 가스냉각 고속로

LFR(Lead-cooled Fast Reactor) 납냉각 고속로

MSR(Molten Salt Reactor) 용융염 원자로

SFR(Sodium-cooled Fast Reactor) 소듐냉각 고속로

SCWR(Supercritical Water-cooled Reactor) 초임계압 수냉각원자로

VHTR(Very High Temperature Reactor) 초고온가스로

Page 25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40

GIF는 미래 에너지 수요의 충족과 국민수용성의 확보를 위한

새로운 세대의 원자력계통의 개발을 위해 2001년 출범하였으며,

2002년 7월 6개의 원자로형을 제4세대원자력계통으로 선정하고,

그 해 12월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지도를 발간하였다.

2003년의 진행사항으로는 제4세대 원자로 국제공동개발을 위

한 연구협력협정 체결 방안, GIF 연구개발 운영체제와 국제공동

연구개발 계획 수립 등에 대하여 논의되었다.

제4세대 원자로 국제공동개발을 위하여 회원국이 공동연구의

기본 원칙과 GIF 조직, 운영 등을 포함한 정책선언문(Policy

Statement)을 채택하고, 연구개발 참여국 및 기관이 각 원자로

형 및 하부의 사업별로 연구개발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계통협

정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공동연구의 추진 틀이 될 전망으로

우리나라는 현재 전문가들로 협정검토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이에

대비하고 있다.

(4) 수소생산용 초고온가스 냉각로 개발

미래 에너지의 한 형태로 수소가 큰 축을 구성할 것이라는 예측

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이 초고온 가스 냉각로인

VHTR(Very High Temperature Reactor) 개발에 모아지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VHTR은 그 기술적 기본을 MHTGR

(Modular High Temperature Gas-cooled Reactor)에 두고

있으며 노심에 장전되는 핵연료의 형태에 따라 크게 Prismatic

형과 Pebble형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두 가지 노형 모두 아래

와 같은 공통의 계통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냉각재로는 헬륨을 사용하며 1000℃의 출구온도를 갖음

Page 25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41

○ 핵연료는 저농축 우라늄의 TRISO 입자를 기본으로 제작됨

○ 흑연감속 열중성자로이며 매우 큰 음의 온도계수를 가짐

○ 노심의 피동 열제거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낮은 출력밀

도와 높이가 직경의 2~3배가 되는 긴 환형 원통 노심

○ 어떤 사고 상황에서도 핵연료의 최대 온도가 1,600℃를 넘

지 않도록 설계

국내 초고온 가스로 개발은 2020년대에 수소 생산을 통해 전체

수송용 에너지의 20%를 국산화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고

있다. 2003년까지는 기본적인 기술적 타당성에 주안점을 두고 연

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2003년 기획을 통해 ‘원자력 수소생산 기

술개발 및 실증사업’이 추진되었다. 실증사업을 위해 2019년까지

총 5단계의 연구개발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원자력 수소생산 실증

과 상용화기술 개발완료가 사업의 최종 목표로 설정되었다.

미국, 일본, 중국 등과 공동연구를 추진 중이며 중국과는 공동

연구센터(JRC)를 기 설립하였다.

(5) KSTAR

국가 핵융합 연구개발사업은 1995년 말 정부에 의해 확정․시

행된 국가 핵융합 연구개발 기본계획에 의해 첫 단계로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개발사업(KSTAR Project) 이 착수되

어 핵융합연구개발사업단 이 1996년 1월 개설되면서 본격적으

로 추진되었다. KSTAR 개발사업은 장치의 개념 및 기본설계와

기반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 제1단계 사업을 3개년(1995.12~

1998.8)간에 걸쳐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장치 제작을 위한 공

학 설계와 제작 기술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는 제2단계 사업을

(1998.9~2002.6) 완료하였다. 이에 2002년 6월에는 장치의

Page 260: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42

제작 및 계통 통합을 목표로 하는 제3단계 사업이 착수되었으며

2003년 말 기본계획 변경 절차를 거쳐 2007년 8월 종합 준공을

목표로 최종 확정되어 추진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핵융합 연구는 ITER 핵융합 실험로가 가동되는 시

점인 2015년경에는 미국, 일본 등 세계 핵융합 선진국 수준의 연

구결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21세기 중반으로

예상되는 핵융합발전의 상용화 시기가 도달하기 전에 제작기술이

최고조에 달한 국내 중공업 기술과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력기술

을 현재 달성된 핵융합 연구장치 기술에 접목하여, 우리나라 독자

의 기술로 핵융합로 건설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SMART 연구로 관련 사항은 ‘제3장, 6.대형 국책 원자력연

구개발사업, 가. 일체형 원자로 기술’에 기술되어 있음

Page 261: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43

바. 원자력 신기술 개발※ 본 자료는 2003년 동안 원자력 관련 각종 간행물이나 학술

회의 등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3가지 분야에 대한 내용임

(1) 삼중수소제거 설비

월성원자력본부에 설치되는 삼중수소제거설비(TRF: Tritium

Removal Facility)는 월성1~4호기의 냉각재 및 감속재로부터

삼중수소를 분리 추출하여 종사자 방사선피폭량 및 방사능의 환경

방출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월성 TRF 계통들은 방사선피폭 및 수소폭발 잠재성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기능을 확보하도록 예방(Prevention)

형태, 완화(Mitigation) 형태 및 수습(Accommodation) 형태

의 개념을 적용하여 설계되어 있다.

월성 TRF의 중수처리 설계용량은 100 kg/h이며, 중수 급수에

서 최대 삼중수소농도는 2.22 TBq/kg(60 ci/kg)으로 설계된다.

이 값은 월성 TRF가 가동예정인 2005년에 월성 1호기 감속재

삼중수소농도의 예상 상한치를 근거로 한 것이다.

<삼중수소제거설비 주요 공정도>

Page 262: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44

(2) 방사성폐기물 유리화기술

방사성폐기물 유리화기술은 용융유리 위에 폐기물을 투입하여

폐기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폐기물 내의 방사성 물질과 유리가

반응하도록 하여 방사성물질을 유리구조 안에 가두는 기술이다.

유리구조 내에 갇힌 방사성 물질은 유리고화체가 깨지거나 물에

잠기는 등의 극한 상황에서도 환경으로 유출되지 않아 방사선으로

부터 환경을 지킬 수 있는 후손을 위한 차세대 기술이다. 이와 더

불어 방사성폐기물 발생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폐기물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유리화 기술은 국내는 물론 국외 원전에도

적용 가능하여 산업경제적 측면의 파급효과가 크고 국내원자력 기

술수준의 위상을 높일 수 있어서 원활한 원자력발전 정책의 추진

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수원(주)은 2003년도에 원형플랜트 건설을 위한 설계 계약

을 현대모비스와 체결하였으며, 기본설계 선착수를 통해 일부 조

기 시공이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계약전 사전 설계를 수행하였

다. 또한 설계 진행과 더불어 설계의 입력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병행하여 추진하였는데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연성잡고체 유리화에 대한 원형플랜트 설계자료 생산을 위

한 실증시험을 2회 수행

○ 가연성잡고체와 폐수지를 동시에 투입하여 유리화하기 위해

개발된 혼합폐기물(W1, W2) 후보유리의 장기건전성 평가를

위한 침출시험 수행

○ 배기체 처리계통 개선을 위해 현대모비스와 공동으로 배기체

처리 계통 개선을 위한 개선 방안 수립

Page 263: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245

(3) 방사선안전신기술

(가) 차세대 방사선 영상 계측기현재 차세대 영상 계측기 기술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분야는 상

온 고체형 검출기와 이를 이용한 픽셀형 분광계수기, 그리고 이를

위해 뒷받침되어야 하는 CMOS, TFT 어레이 기술이다. 국내에

서는 현재 상온 고체형 반도체 검출기 제작 기술은 실험실 단계에

서 특성 실험과 응용 분야 개척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평면 영상 계측기술 개발은 TFT 어레이를 이용한 비정

질 실리콘이나 비정질 셀레늄 계측기 제작, 방사선 영상 계측기를

위한 CMOS 영상 센서 제작 기술에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 라디오그라피를 이용한 보안검색기기현재 방사선을 이용한 라디오그라피는 의심스러운 검사체의 물

질 성분까지 분석할 수 있을 정도로 그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는

중이다.

엑스선을 이용한 검색기술에는 엑스선과 물질과의 반응 정도는

에너지에 따라 다르다는 원리를 이용한 dual energy 이용 기술,

반응도가 다른 두 물질이 섞여 있을 때 발생하는 산란 엑스선 강

도의 차를 이용하는 산란 엑스선 이용 기술, 그리고 엑스선이 물

질과 반응하여 특정한 각으로 특성 엑스선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

용한 산란 특성 엑스선을 이용한 기술 등이 포함된다.

중성자를 이용한 검색기술은 열중성자 혹은 속중성자가 검사체

속에 들어 있는 O, C, H, N, Cl 원소와 반응하여 방출하는 감마

선을 계측하여 검사체 속에 마약이나 폭탄이 들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이다.

Page 264: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265: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반 원 김진홍 과학기술부 원자력정책과 과 장

김 혁 과학기술부 원자력정책과 사무관

서균렬 서울대학교 교수

편집위원회위 원 장 김용환 과학기술부 원자력국장

편집위원 황일순 서울대학교 교수

강창순 서울대학교 교수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함철훈 가톨릭대학 교수

은영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장

김시환 한국원자력연구소 단장

박종균 한국원자력연구소 단장

이경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단장

박창규 한국원자력연구소 책임연구원

한도희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장

양맹호 한국원자력연구소 실장

전풍일 한국원자력연구소 국장

송명재 원자력환경기술원 원장

김태우 두산중공업㈜ 부사장

홍장희 한국수력원자력㈜ 사업본부장

이청구 한국수력원자력㈜ 실장

박기철 한국수력원자력㈜ 실장

양창국 한전원자력연료㈜ 사장

김무환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원자력전문위원

김종경 한양대학교 교수

홍석일 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장

편 집 반

Page 266: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267: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 과학기술부 원자력정책과

전화번호: (02) 503-7623

팩스번호: (02) 2110-3639

주 소: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1번지

(정부과천청사)

2004년 10월 발행

발 행 처: 과 학 기 술 부

인 쇄 처: 학우사

(전화: 02/887/0227 팩스: 02/872/7652)

Page 268: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백지 여백)

Page 269: aec.go.kr · iii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19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