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개선을 위한 연구.pdf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본 보고서의 연구내용은 연구진의 의견으로 (재)한국장애인개발원의 공식적인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연 구 진

연구책임 : 김 인 순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부장)

공동연구원 : 안 성 준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공학박사)

이 영 환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공학박사)

이 규 일 (삼육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연구보조원 : 김 동 영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연구원)

김 태 훈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연구원)

유 중 목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연구원

자문위원

강 병 근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서 은 실 (선진엔지니어링 조경사업본부 상무)

신 동 혁 (LH 녹색건축인증센터 과장)

평가연구위원

박 광 재 (한국복지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교수)

윤 영 삼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교수)

iv

발간사

2015년 7월 29일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이 개

정됨에 따라 장애인의 시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건축물의 Barrier-Free인증이 의무

화 되어 현재 시행중에 있으나, Barrier-Free공원 인증의 경우 의무대상에서 제외되

어 현 제도에서는 장애인등의 공원 이용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는 지속적으로 Barrier-Free 인증지표를

개선하고 있으나 공원인증지표의 경우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평가지표의 세

부사항은 개선되지 않아 실제 공원 인증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생활 증대 및 문화 활동 등의 참여 욕구

증대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사

용자 중심의 관점과 인증 실무담당 및 건축, 조경 업무 종사자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여 보다 합리적인 인증지표의 세부기준을 제시하고자 인증지표의 기준, 배점의

비율 조정 등을 통하여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의견을 주신 장애인 당사자 분들과 그동안 인증 업무 및 인증 심사

를 담당하였던 실무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그리고 연구의 방향 설정과 연구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아낌없는 고견을 주신 건국

대학교 강병근 교수님, 한국복지대학교 박광재 교수님, 건국대학교 윤영삼 연구교수

님, 선진엔지니어링 서은실 상무님, LH공사 신동혁 과장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

다.

또한, 본 연구의 책임을 맡아 진행한 김인순 부장님과 공동연구자인 삼육대학교

이규일 교수님, 본원의 안성준, 이영환 연구원께 감사를 표한다.

v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Barrier-Free공원 인증이 활성화 되는 계기가 마련

되어 향 후 정책 기초자료는 물론, 실무에서 즉각 반영될 수 있는 연구로써 평가되기

를 바란다.

2015년 12월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 황 화 성

vi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3. 선행연구 고찰 ····························································································6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9

1. Barrier-Free인증 제도 이론적 고찰 ·························································11

2. 국내 Barrier-Free공원 인증 지표 평가기준 고찰 ····································15

3. 국내 Barrier-Free공원 인증 사례 분석 ····················································21

4. 국외 인증 사례분석 ··················································································25

5. 인증지표 비교 분석을 통한 국외 인증 사례 분석 ···································28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49

1. Barrier-Free공원 인증 평가지표 분석을 위한 FGI조사 ···························51

2. Barrier-Free공원 인증 지표 개선항목 도출 ·············································71

Ⅳ.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75

1. AHP 기법의 개요 ·····················································································77

2. AHP의 수행절차 ·······················································································78

3. AHP 조사결과 분석 ··················································································81

4. AHP모형 작성 ··························································································86

5. 소결 ··········································································································87

vii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89

1. BF보행로 ··································································································92

2. 유도 및 안내 시설 ·················································································100

3. 위생시설 ·································································································104

4. 공원시설 ·································································································116

Ⅵ. 결론 ································································································123

참고문헌 ································································································129

부 록 ···································································································131

<부록 1> Barrier-Free 장애인 및 전문가 FGI 설문지 ································133

<부록 2> Barrier-Free 장애인 및 전문가 AHP 설문지 ······························145

viii

표 목 차

<표 Ⅰ-1> Barrier-Free 관련 유사 연구 사례 ···························································6

<표 Ⅰ-2> Universal Design 관련 유사 연구 ····························································7

<표 Ⅱ-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등급표 ·················································14

<표 Ⅱ-2> 인증 평가의 기준 및 정의 ······································································15

<표 Ⅱ-3> 건축물 부문 인증항목별 평가기준 ··························································16

<표 Ⅱ-4> Barrier-Free공원 인증 평가항목 개수 및 배점현황 ·······························20

<표 Ⅱ-5> 국내 공원인증 사례 - 여의도공원 ·························································22

<표 Ⅱ-6> 국내 공원인증 사례 - 용수골어린이공원 ···············································23

<표 Ⅱ-7> 국내 공원인증 사례 - 부산시민공원 ······················································24

<표 Ⅱ-8> 지표 비교분석 결과 Bishan-Ang Mo Kio Park ·····································29

<표 Ⅱ-9> 지표 비교분석 결과 Springleaf Nature Park ··········································32

<표 Ⅱ-10> 지표 비교분석 결과 Toa Payoh Town Park ·······································35

<표 Ⅱ-11> 지표 비교분석 결과 Punggol Waterway Park ·····································39

<표 Ⅱ-12> 지표 비교분석 결과 Gardens by the Bay ···········································42

<표 Ⅱ-13> 지표 비교분석 결과 JEM 복합 건축물 ·················································45

<표 Ⅲ-1> 공원인증지표 매개시설 지표 현황 ······················································53

<표 Ⅲ-2> 공원인증지표 매개시설 FGI의견 현황 ···················································54

<표 Ⅲ-3> 공원인증지표 유도 및 안내시설 지표 배점현황 ·································56

<표 Ⅲ-4> 공원인증지표 유도 및 안내관련 FGI의견 현황 ·····································57

<표 Ⅲ-5> 공원인증지표 위생시설 지표 현황 ······················································59

<표 Ⅲ-6> 공원인증지표 위생시설 FGI의견 현황 ···················································60

<표 Ⅲ-7> 공원인증지표 공원시설 지표 현황 ······················································62

<표 Ⅲ-8> 공원인증지표 공원시설관련 FGI의견 현황 ············································63

ix

<표 Ⅲ-9> 공원인증지표 위생시설 지표 현황 ······················································65

<표 Ⅲ-10> 공원인증지표 BF보행로 FGI의견 현황 ················································66

<표 Ⅲ-11> FGI조사 결과 종합 ················································································68

<표 Ⅳ-1> 쌍대비교의 척도 ······················································································79

<표 Ⅳ-2> AHP 설문의 예시 ····················································································79

<표 Ⅳ-3> AHP 난수지수의 적용 ·············································································81

<표 Ⅳ-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대분류 쌍대비교 ··········································82

<표 Ⅳ-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대분류 배점 범위 ········································82

<표 Ⅳ-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소분류 쌍대비교 ··········································83

<표 Ⅳ-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소분류항목 배점 범위 ·································84

<표 Ⅳ-8> 공원 인증지표 배점 범위 및 가중치 ······················································85

<표 Ⅳ-9>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가중치 결과 ·················································86

<표 Ⅳ-10> 현행 인증지표 배점과 가중치 결과 비교표 ··········································88

<표 Ⅴ-1>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가중치 결과 ·················································91

<표 Ⅴ-2>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3

<표 Ⅴ-3>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4

<표 Ⅴ-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5

<표 Ⅴ-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6

<표 Ⅴ-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7

<표 Ⅴ-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8

<표 Ⅴ-8>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9

<표 Ⅴ-9>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1

<표 Ⅴ-10>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2

<표 Ⅴ-11>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3

<표 Ⅴ-12>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5

<표 Ⅴ-13>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6

<표 Ⅴ-1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7

<표 Ⅴ-1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8

<표 Ⅴ-1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9

<표 Ⅴ-1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0

x

<표 Ⅴ-18>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1

<표 Ⅴ-19>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2

<표 Ⅴ-20>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3

<표 Ⅴ-21>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4

<표 Ⅴ-22>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5

<표 Ⅴ-23>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7

<표 Ⅴ-2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8

<표 Ⅴ-2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9

<표 Ⅴ-2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20

<표 Ⅴ-2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21

<표 Ⅴ-28>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22

xi

그림목차

[그림 Ⅰ-1] 연구 체계도 ····························································································5

[그림 Ⅱ-1] 예비인증 및 본인증 발급절차 ····························································13

[그림 Ⅱ-3] Bishan-Ang Mo Kio Park 주요 공간 ··················································28

[그림 Ⅱ-4] Springleaf Nature Park 주요 공간 ·······················································31

[그림 Ⅱ-5] Toa Payoh Town Park 주요 공간 ······················································34

[그림 Ⅱ-6] Punggol Waterway Park 주요 공간 ····················································38

[그림 Ⅱ-7] Gardens by the Bay 주요 공간 ··························································41

[그림 Ⅱ-8] JEM 복합 건축물 주요 공간 ································································44

[그림 Ⅲ-1] 조사 대상의 개요 ·················································································51

[그림 Ⅳ-1] 조사 대상의 개요 ·················································································81

Ⅰ. 서론

Ⅰ. 서론 3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13년 장애인편의시설 실태전수조사 결과에서 도시공원의 경우 적정설치율은

47.9%, 자연공원의 경우 52.7%로 공원 전체의 적정설치율 평균은 49.0%로 조사되

었다. 이는 전수조사 전체시설에 대한 적정설치율 60.2% 수준보다도 10%이상 낮은

수준으로 오히려 2008년도 공원 전체의 적정설치율 57.9% 보다도 낮아지고 있어

아직도 장애인, 고령자 등 시설이용약자가 공원을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동반

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장애인의 삶의 질 확보와 독립적인 사회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장애인 개개인의

욕구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07년도부터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인증 제도를 실시함에 따라 인증

을 신청하는 시설주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장애인

등의 편의증진법”)에 따른 최소한의 법적규정을 지키는 것은 물론 누구나 시설을 이용

하는데 있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인증을 받아야 한다.

건축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BF인증”) 취득은 BF인증이 시작된 2008년

첫해 4개 건축물이 인증을 받는데 그쳤으나 2014년에는 138개 건축물이 인증을 받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 1월 29일 이후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신축하는 건축물은 BF인증을 의무적으로 취득하도록 하여 2015년 하반기 부터는 급

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BF 공원 이증의 경우에는, 2010년 3개소, 2013년 1개소, 2014년 3개소의

공원이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7개소에 그치고 있어 그 실적이 건축물에 비하여 매우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BF 공원인증 지표를 실제 공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공원인증 지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공원 BF인증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4 한국장애인개발원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 중 공원부분 인증지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현행 인증 지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증지표별 세부배점의 가중치 등을 조정

하여 공원인증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증제도와 유사한 해외 인증제도를

검토하고 해외 인증관련 제도 분석 및 현행 BF공원 인증지표와의 비교 분석을 위하여

Singapore Universal Design Mark 및 우리나라 BF공원 인증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인증제도 적용 방안과 적용 가능한 세부지표들을 도출하여 공원인증 지표

개선 방안을 조사・분석하였다.

Barrier-Free공원 인증 지표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장애당사자와 인증관련

업무 종사자, 인증심사단 등으로 구성된 관련분야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집단면접

설문조사(FGI)를 실시하고 이를 통하여 인증업무 활성화 방안과 인증 지표의 세부

문제점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증지표의 실제 적용사례 등을 고찰하여 인증지표의

적용수준 및 특성과 인증지표의 중요도 조사를 위해 인증 항목별 총점에 대한 획득

비율 등을 조사 분석하고 집단면접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증지표 세부항목별 배점의 가중치를 재설정하기 위한 AHP설문은 인

증심사단, 인증심의위원, 인증기관종사자 등 BF전문가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

였다.

인증 적용 사례를 분석하기 위한 대상시설은 공원부분 인증을 취득한 5개 공원 및

인증을 신청하였지만 탈락한 1개 공원으로 한정하였으며, 항목별 획득점수를 비율조

사를 바탕으로 집중도 분석 및 심층적인 적용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체계도는 <그림Ⅰ-1>과 같다.

Ⅰ. 서론 5

연구의 방향 설정▸ 세부 연구계획 수립▸ 공동연구원(보조원) 계약▸ 자문위원진 구성

문헌연구▸ Barrier-Free 인증제도 관련 연구 고찰▸ 공원 관련 연구 및 장애인의 공원 이용에 관한 문헌 고찰

국외자료 수집▸ 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관련 법규 및 제도 기준 비교 고찰▸ 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도입 국가 사례 중 공원 관련 사

례 분석(일본, 싱가폴, 홍콩 등)

FGI 설문지 작성▸ 인증 평가항목별 중요도 도출을 위한 설문지 초안작성▸ 국내・외 인증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한 설문지 작성

FGI 1차 설문조사

▸ 전문가 1차 설문조사 실시▸ 설문조사 코딩 및 분석

중간평가 ▸ 중간보고서 내용 중간 평가 실시

AHP 설문조사▸ 전문가 AHP 설문조사 실시▸ 설문조사 코딩 및 분석

분석결과 도출 ▸ 설문조사 및 해외사례를 통한 인증평가 항목별 중요도 도출

자문회의 ▸ 평가 항목 및 지표 중요도를 적용한 지표별 배점 가중치 산정

인증 평가 항목 분석 ▸ 지표 개정 요구 항목 및 개정 방향 도출

최종평가▸ 최종보고서(안) 도출▸ 2차 자문회의 내용을 수렴하여 인증 항목별 배점 안 도출

최종보고서 ▸ 최종평가 의견 수렴 후 최종보고서 제작

[그림 Ⅰ-1] 연구 체계도

6 한국장애인개발원

연도 연구자 연구명 연구목적

2007 강병근 일본 배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도시공원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현재 일본에서 베리어 프리 개념에 입각하여 계획, 조성 되어있는 4개소의 공원과 국내 대표적 도시 지역공원 3곳을 조사하고 국내 공원의 문제점에 대하여 일본 배리어 프리 도시공원의 계획요소들의 적용을 살펴 도시공원의 계획 및 설계기준의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접근성 측면에서는 공공교통수단 및 여객시설에서 공원과의 BF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해야하며 도보로 접근이 어려운 공원의 경우는 특별교통수단 등과 같은 서비스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공원의 BF보행의 연속성을 확보해 주기 위해서는 공원 내부 주요 산책로는 경사가 1/18이하로 계획되어야하며 휠체어의 교행이 가능하도록 1.5m이상의 유효폭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또한 산책로는 시각장애인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유도레일 등을 이용하여 보행유도의 연속성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이용편의성을 고려한 계획요소로는 모두가 함께 이용 가능한 화장실을 설치하며, 장애인 등을 배려한 놀이, 화단, 감각체험 등에 대한 프로그램 도입하고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음수대, 자동판매기, 매표소 등 설치를 제안하였다.

2011 권형근 숲길에서의 Barrier-Free

인증제도 개발에 관한

연구

숲길 BF 인증제도의 기본 방향과 원칙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숲길의 BF 평가에 필요한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세부 평가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숲길 설계・관리자에게 설계 및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숲길의 BF 디자인 평가를 위한 인증제도 시행에 따른 주무기관과 인증조직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여 적합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보행약자를 고려한 숲길의 계획 설계 시 숲길의 적정 노폭

<표 Ⅰ-1> Barrier-Free 관련 유사 연구 사례

3. 선행연구 고찰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에 관한 연구는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및

분석에 대한 연구 및 이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연구로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초 연구의 결과로는 처음부터 장애물이 없는 시설물로 설계되도록 반영하기

위한(Barrier-Free) 개선방안을 제시하기에는 제한적인 요소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 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기본계획에서부터 장애인 및 노약

자 등을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가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나 제도를 좀 더 발전적으로 운영하

기 위한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지 않다.

1) Barrier-Free 관련 유사 연구

Ⅰ. 서론 7

연도 연구자 연구명 연구목적

은 150cm이며, 최소 노폭은 81.5cm 이상이어야 한다. 특히 숲길의 노면장애물은 5cm를 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그리고 숲길의 최대경사는 1/8을 넘지 않아야 하며, 완화기준 1/12의 경우 연장거리 20m를 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종단 경사 1/12 이상의 구간은 운동부하를 고려하여 전체 숲길노선의 30%를 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적정 노선 형식은 보행약자의 적정 이용시간과 거리를 고려하여 왕복로(직선로) 형식과 순환로 형식을 적용하여 계획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2011 노순석 근린공원의 장애인

편의시설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장애인 및 비장애인 누구나 공원을 불편함 없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공원부문 인증지표 및 기준을 적용하여 근린공원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를 분석하고,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이용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근린공원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으로 매개시설에서 공원입구의 진출입 통제 계획의 개선을 제안하였고 보행로의 유효폭 기준을 1.2m에서 1.8m이상으로 개선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통행에 어려움이 없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배려한 유도 및 경고설비의 설치와 보행로의 바닥마감을 넘어져도 충격이 적은 재료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2012 이규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수준 비교 고찰

BF인증이 본격적으로 시행된지 3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인증 은 건축물의 현황을 볼 때 장애물을 제거하자는 본래 인증의 취지와는 달리 인증평가지표의 의도와는 다른 해석으로 계획・시공되어 인증을 취득하는 사례가 늘어 있어 인증제도의 일부 평가지표를 보완함으로써 인증 정착과정에서의 폐단을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국내외 무장애 관련 법규 및 규정들과의 비교 고찰을 통해 BF인증제도의 건축물부문 인증지표의 수준을 평가하고 향후 BF인증 평가지표의 개정 시 보완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도 연구자 연구명 연구목적

2010 이현철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도고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의 대표 도시공원인 ‘서울 숲’을 대상으로 도시공원 내 법적 공공시설물의 현황을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으로 선행연구 된 기존 평가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시공원에 적합한지 파악하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보편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도시공원 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된 평가방법의 유니버설디자인 6원칙은 도시공원 내 경관・공간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아 도시 공원에 적합한 평가를 내리기엔 미흡한 부분들이 있었다. 도시공원에 적용가능 할 수 있게 경관・공간적 측면으로 새

<표 Ⅰ-2> Universal Design 관련 유사 연구

2) ‘Universal Design’ 관련 유사 연구

8 한국장애인개발원

연도 연구자 연구명 연구목적

로운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평가기준의 세부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2013 이경찬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탐방환경 평가와 개선방안-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중심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생태공원의 탐방환경 평가 및 분석을 통해 개선해야 될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생태공원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문헌고찰과 법적 기준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조사항목을 선정하여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태공원 내 단위 시설에서는 전반적으로 손잡이가 미설치 되어 있고 시각장애인용 시설 설치가 미흡하다. 또한 바닥높이차가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법적 기준이 단위시설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생태공원과 같은 넓은 장소에 적용 가능한 기준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원과 같은 대규모 활동공간에 알맞은 유니버설 디자인 기준과 지침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고 하였다.

2015 이재혁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주체별 자연휴양림 무장애성 분석

구체적으로는 국내 주요8개의 자연휴양림의 휠체어 이용 장애인, 일반이용객, 관리자를 대상으로 세부공간과 전체공간별 편리성을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포지셔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산림복지시설의 세부공간별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태를 파악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림복지시설은 어떠해야하는가 고찰하였다.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11

II.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1. Barrier-Free인증 제도 이론적 고찰

1) 인증제도의 개요 및 목적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이란’ 어린이・노인・장애인・임산부 뿐만 아니

라 일시적 장애인 등이 개별시설물・지역을 접근・이용・이동함에 있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계획・설계・시공되는 것1)을 의미한다. 시설이용약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도시나 교통시설, 건물, 공원 등에서 장벽을 느낄 수 있는 물리적인 장애를 제거함으

로써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장애인 편의시설을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닌, 근본적인 장애물을 제거하여 접근성 및 이용성을

확보하자는 차원으로의 인식적 전환을 목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가

탄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는 편의시설 설치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의 이용 가능 유무를 설치 이전인 계획단계에서부터 설치 이후에까지

국가적 차원에서 검증하고 보장2)하기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2) 인증제도 추진과정

BF 인증제도는 2005년 행정중심복합도시에 대한 장애물 없는 도시 건설을 추

진하면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에서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 인증제도를 제안하면서 그 효시가 되었다.3) 보건복지가족부(현 보

건복지부)는 당시 관련분야 전문가들에 의해 그 필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고 인증

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4) 이후 국토해양부와 보건복지부는 인증제도

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지침, 건설교통부 제2007-001호(2007.04.05.)2) 강병근, BF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추진 및 쩡책방향, 2010년 BF인증제도 세미나, 보건복지부, 국토

해양부, 2010, p63) 박신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Barrier Free)의 개요와 인증현황, 토지와 기술 제3호, 2009,

p214) 김인순, BF인증제도 건축물 분야 인증 취득방법, 2010년 BF인증제도 세미나, 보건복지부, 국토해양

부, 2010, p13

12 한국장애인개발원

추진을 위해 공동으로 ‘장애친화(BF)인증제 TF'를 운영하여 인증제도위원회를 구

성하고 두 주무기관이 2007년 4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지침’5)을

공고하면서 BF인증제도가 시행되었다.

이후 2007년 9월에 인증기관 선정절차를 통하여 한국토지공사(현 LH공사)와 한국

장애인개발원이 인증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9개월 동안의 시범운영을 통해 2008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인증제도가 시행되었다.

3) 인증제도 운영체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운영체계는 인증제도를 주관하는 주무기관과 장

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인증기관으로 구성되며, 주무기관으로 국토

교통부와 보건복지부에서 공동으로 주관하고 있으며 인증운영위원회의 구성・운영을

통해 인증제도 전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인증기관은 주무기관에서 정한 인증 지침에 따라 인증업무를 수행하며 인증신청

공고 및 접수, 인증기관 지정서 교부 사항과 인증제도에 관한 일반적인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및 인증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인증의 종류는 본인증과 예비인증으로 구분하는데, 본인증은 공사 준공 이후에 함

을 원칙으로 하며, 예비인증은 본인증 이전에 사업 계획 또는 설계도면 등을 제출하여

받을 수 있고 예비인증을 받은 신청자는 반드시 본인증을 받아야 한다. 인증의 유효기

간은 인증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이며, 인증을 연장하고자 할 때에는 인증기관에 인증

연장 신청을 하여 인증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5년의 범위 내에서 인증을 연장할

수 있다. 인증 유효기간의 만료이전에 인증기관은 인증사후 실태조사를 시행하여야

하고 인증내용과 다르게 유지・관리 되고 있는 대상물에 대하여 인증내용에 부합하게

시정 조치하도록 인증을 받은 자에게 통보한다.

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지침, 건설교통부 제2007-001호(2007. 04. 05)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13

[그림 Ⅱ-1] 예비인증 및 본인증 발급절차

인증의 대상은 지역인증과 개별시설인증으로 구분되며, 지역인증은 시・군・구의 행

정동 또는 10만㎡이상 사업지역을 인증 받는 것이며, 개별시설인증은 도로, 교통수

단, 여객시설, 공원, 건축물(공공건물, 공중이용시설, 공동주택) 등의 개별시설을 인

증 받는 것이다.

인증을 위한 인증절차는 인증을 받기 원하는 신청자(단체 등)가 예비인증 또는 본인

증 단계에 맞추어 인증기관에 인증을 신청하고, 인증기관은 인증심사단을 구성하여

서류 및 현장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등급 등)를 인증심의위원회에 상정하고, 인증

심의위원회는 인증심사단의 평가 결과를 심의하여 그 결과를 인증기관이 주무기관에

보고한 후, 신청자에게 인증의 가 부 및 인증의 등급을 신청자에게 부여한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운영절차는 <그림 Ⅱ-2>와 같다.

14 한국장애인개발원

[그림 Ⅱ-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운영절차

인증평가에 따라 인증등급은 최우수등급, 우수등급, 일반등급으로 구분하며, 평가

지표에 따른 채점결과를 총점기준으로 다음의 표에 따라 각 등급기준을 부여한다.

등급 평가점수 과락 기준

최우수등급 심사기준 만점의 90% 이상‘교통약자법’ 또는 ‘편의증진법’의

세부기준 중 한 항목이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우수등급 심사기준 만점의 80% 이상 90% 미만

일반등급 심사기준 만점의 70% 이상 80% 미만

<표 Ⅱ-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등급표

인증주무기관은 교통영향평가 시 보행환경의 개선이나 안전 및 교통약자 관련 검토

의 생략, 지속가능한 도시대상 및 살기 좋은 도시 선정 시 점수 부여, 건축물 분양가격

산정 시 등 관련 공사비용의 추가 인정, 기타 관련 정책이나 사업시행 시 혜택 부여와

같은 인센티브 방안을 강구 하도록 현행 인증 지침 상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아직 효용

성 있는 인센티브는 없는 상태다. 인증 받은 시설물의 설치자는 대상 시설물과 관련

있는 인쇄물, 광고물 등에 인증내용의 홍보가 가능하며, 향후 인증제도의 시행에 따른

인센티브의 구체적 법적 기준이 명시될 예정이다.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15

평가기준 정 의

공평성

∙ 장애인을 포함한 누구에게도 공평하게 이용가능할 것∙ 특정 사용자만이 특별한 대우를 받거나, 좋지 않은 대우를 받지 않도록 할 것∙ 프라이버시, 안전 등은 전체 사용자에게 동등하게 배려하도록 할 것∙ 동선의 문제, 손잡이, 유효폭, 높이 등의 대부분의 평가항목에 적용

안전성

∙ 인증대상별 접근, 이동, 이용에서의 안전도 평가 = 안전성으로 정의∙ 실수나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을 디자인일 것∙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의 난간, 손잡이의 형태 등, 대상시설별로 최대한

무리함이 없이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한 성능

편리성

∙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 편리성으로 정의∙ 사용법이 간단하며 쉽게 조작할 수 있을 것∙ 이용자가 부자유스러운 자세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 무리하지 않은 힘으로도 조작가능 한 것 등의 심적, 육체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

식별성(인지성)

∙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외국인, 처음 방문자 등)이 안전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시설 = 식별성(인지성)으로 정의

∙ 필요한 정보가 쉽게 이해가능할 것

<표 Ⅱ-2> 인증 평가의 기준 및 정의

2. 국내 Barrier-Free공원 인증 지표 평가기준 고찰

1) 인증심사 평가기준

BF인증 평가의 목적은 고령자・장애인 등이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 도시 및 공원

등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시설로 접근가능하고 이용 가능한 것을 최소한의 조건으

로 만족시키며 이에 필요한 부분을 평가하고 인증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공원부문 인증 평가에서의 중점은 시설 이용시의 고령자・장애인 등, 모든 사

람들이 이용하는 경로의 동선계획을 명확히 하며, 평가의 대상이 되는 경로에 대해서

는 외부에서의 접근로, 공원입구, 유도 및 안내설비, 위생시설, 시설물의 이용 가능여

부, BF보행로 등의 평가를 연속시켜 안전하며 원활히 이용 가능하도록 배려하고 있는

가에 중점을 둔다.

인증 평가기준은 공평성, 안전성, 편리성, 식별성, 접근성, 기능성이며 그 정의를

정리하면 <표 Ⅱ-2>와 같다.6)

6) 강병근, 장애물 없는 도시 인증기준, 건국대학교 장애물없는 생활환경만들기 연구소, 2007

대분류체계

소분류체계

심사항목 평가내용 배점

1. 매개시설

1.1접근로

1.1.1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보도에서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에서 보차가 분리된 안전보행로가 확보되었는지에 대해 평가

1

1.1.2 유효폭휠체어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보행로 또는 접근로의 적정 유효폭 확보 여부 평가

2

1.1.3 단차공원 주출입구까지의 모든 보행로 및 접근로의 진행방향상의 단차 평가

1

1.1.4 기울기 접근로의 진행방향 및 좌우기울기의 정도 평가 2

1.1.5 바닥 마감미끄럽지 않은 바닥 재질 및 이음새 그리고 마감정도의 평탄한 정도에 따른 평가

1

1.1.6 보행장애물접근로의 보행장애물이 제거되어 보행안전 통로로서 연속성이 확보되고, 차도와의 경계부분에 차도와 분리할 수 있는 공작물의 설치 정도로 평가

2

1.1.7 덮개빠질 위험이 있는 곳에 표면 높이가 동일하고, 격자구멍 또는 틈새가 없는 덮개를 설치하였는지 평가

1

<표 Ⅱ-3> 건축물 부문 인증항목별 평가기준

16 한국장애인개발원

평가기준 정 의

접근성(이동성)

∙ 인증평가 대상시설의 거의 모든 항목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기준∙ 대상시설로 최대한 접근하기 쉬운 크기와 넓이가 확보될 것∙ 도로와 교통, 도로와 건축, 도로와 공원 등 인증평가대상의 접점 부근에서 가

장 중요시 되어야 할 부분으로서 연계성(네트워크) 측면에서의 세부 산정기준으로 작용

기능성(이용성)

∙ 인증평가대상시설의 거의 모든 평가항목에 적용∙ 효율적이며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가능 하도록 정비된 모든 성능을 판별하는

기준

2) 인증 심사항목별 평가내용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는 지역, 도로, 건축물, 여객시설, 교통수단, 공원으

로 구분하며 각 인증 대상에 따라 인증지표 및 심사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본 연구에

서는 개별시설인증 중 공원인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공원 인증 부문의 평가지표

및 평가항목을 기술하였다. 평가항목은 매개시설, 유도 및 안내시설, 위생시설, 편의

시설, BF보행의 연속성 5개 대분류체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대분류체

계 항목은 총 13개의 소분류체계 항목으로 나뉘고, 각 소분류체계별 세부심사항목은

모두 44개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평가항목과 평가내용은 <표 Ⅱ-3>과 같다.

대분류체계

소분류체계

심사항목 평가내용 배점

소계 7개항목 10

1.2 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 의 경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장애인 등의 출입이 가능한 건축물의 출입구 또는 장애인용 승강설비 가까운 곳에 설치하였는지 평가

1

1.2.2 주차면수 확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적정 주차면수 확보정도 평가 1

1.2.3 주차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면 크기 평가 1

1.2.4 보행안전통로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공원의 출입구 또는 산책로에 이르기까지 장애인안전통행로의 폭 및 연속성 정도 평가

1

1.2.5 안내 및 유도표시

주차장의 입구에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안내표지를 식별하기 쉬운 장소에 부착 또는 설치하고, 주차구역까지 적정 유도표시의 연속성 정도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바닥에 장애인전용주차장표시 및 입식안내표시의 적정 설치 정도 평가

1

소계 5개항목 5

1.3 주출입구 (문)

1.3.1 진출입 통제 계획공원 주출입구에서 자전거 및 오토바이 등의 진출입 통제 계획 및 휠체어사용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등의 설치 여부 평가

5

1.3.2 공원입구와 보도와의 경계

공원의 주출입구와 보행로의 경계에서 보행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입가능한지 여부평가

1

소계 2개항목 6

2. 유도 및 안내시설

2.1 안내설비

2.1.1 안내판 설치해당시설의 주요시설 위치 등에 대한 장애인 등이 쉽게 이용 가능한 안내판 설치 여부 평가

2

2.1.2 안내판의 정보

안내판에 장애인 등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혹은 BF산책로의 정보 제공 유무 및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시각・청각 장애인 등도 쉽게 인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

2

2.1.3 통합안내설비

해당시설의 주요시설 위치 등에 대한 음성안내 장치의 설치 여부 및 주출입구부터 주요시설까지 시각장애인용 유도용시설(점자블록 등)의 연속적인 설치 정도 와 적절성 평가

2

2.1.4 경고시설 위험지역에 적절한 경고시설을 설치 1

소계 4개항목 7

3. 위생시설

3.1 장애인 이용 가능한 화장실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화장실 평면구성의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에 따른 평가

5

3.1.2 안내표지판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이용 안내표지판 설치 유무 평가

2

소계 2개항목 7

3.2 화장실의

3.2.1 유효폭 및 단차화장실로 접근하기 위한 모든 통로의 유효폭 및 단차 정도 평가

3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17

대분류체계

소분류체계

심사항목 평가내용 배점

접근 3.2.2 바닥 마감 화장실 바닥 마감의 평탄함 및 미끄러지는 정도 평가 2

3.2.3 출입구(문)휠체어의 접근이 가능한 출입구(문)의 형태 및 유효폭의 확보 여부 평가

3

소계 3개항목 8

3.3 대변기 3.3.1 칸막이 출입문

칸막이의 출입문 유효폭의 휠체어 접근 가능 정도 및 출입문의 형태로 평가칸막이 사용여부 시각설비 여부와 손잡이 및 잠금장치 형태로 평가

2

3.3.2 활동공간 대변기 내부 유효 바닥면의 크기로 평가 2

3.3.3 형태 대변기의 형태 및 설치 높이로 평가 2

3.3.4 손잡이대변기 수평 및 수직손잡이 재질과 굵기, 설치 높이로 평가

2

3.3.5 기타설비 세정장치의 설치 형태 및 기타설비 평가 2

소계 5개항목 10

3.4 소변기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소변기의 형태 및 수평・수직손잡이 굵기, 설치 높이 평가

2

소계 1개항목 2

3.5 세면대

3.5.1 형태 세면대의 형태 평가 1

3.5.2 거울 세면대 거울의 휠체어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 평가 1

3.5.3 수도꼭지 세면대 수도꼭지 형태 평가 1

소계 3개항목 3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4.1.1 시설까지의 접근로

공원 내 시설의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평가

1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공원 시설의 주출입구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접근하여 진입 가능한지 정도를 주출입구의 높이 차이와 기울기로 평가

2

소계 2개항목 3

4.2 공원 시설

4.2.1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

장애인 등이 이용할 수 있는 화단 혹은 놀이 공간 등의 공원 시설 설치 여부

8

소계 1개항목 8

4.3 기타설비

4.3.1 휴식공간장애인 등의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휴식공간 설치 여부

1

4.3.2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의 적정 구조 여부

2

소계 2개항목 3

5. BF보행의 연속성

5.1 공원내부 보행로

5.1.1 BF보행로의 지정

내부 산책로 중 출입구-공원시설 간을 연결하는 주요보행로를 BF보행로로의 지정여부

2

5.1.2 보행안전공간 내부 보행로에서 수직 수평의 3차원적인 무장애 보행 6

18 한국장애인개발원

대분류체계

소분류체계

심사항목 평가내용 배점

공간의 확보여부

5.1.3 단차 공원 내의 모든 보행로 및 접근로의 단차 여부 1

5.1.4 기울기 보행로 등의 진행 방향 및 좌우 기울기의 경사정도 5

5.1.5 바닥 마감미끄럽지 않은 바닥 재질 및 마감의 평탄한 정도와 미끄럼방지설비 설치 여부 평가

2

5.1.6 자전거도로와의 접점

자전거도로와의 접점 없이 연속적인 안전보행로의 확보여부

2

5.1.7 보행유도의 연속성

시각장애인 등을 배려한 보행유도의 연속성을 위한 장치나 시설계획 여부

10

소계 7개항목 28

총 지표수 및 배점합 44개 항목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19

3) 인증평가항목 개수 및 배점 현황

공원 인증 부문의 평가항목은 총 44개 항목이며 배점의 총합은 100점으로 구성되

어 있다(<표 Ⅱ-3>참조). 대분류체계항목 중 매개시설과 위생시설의 평가항목이 14

개로 동일하게 가장 많으며, 배점의 합은 위생시설이 총30점(3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원 인증 부문 평가항목 개수 및 배점 현황은

다음 <표 Ⅱ-4>와 같다.

20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시설항목수(개)

배점합(점)

배점비율(%)

1. 매개시설

1.1 접근로 7 10 10.0%

1.2 장애인전용주차구역 5 5 5.0%

1.3 주출입구 (문) 2 6 6.0%

소 계 14 21 21.0%

2. 유도 및 안내시설

2.1 안내설비 4 7 7.0%

소 계 4 7 7.0%

3. 위생시설

3.1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2 7 7.0%

3.2 화장실의 접근 3 8 8.0%

3.3 대변기 5 10 10.0%

3.4 소변기 1 2 2.0%

3.5 세면대 3 3 3.0%

소 계 14 30 30.0%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2 3 3.0%

4.2 공원시설 1 8 8.0%

4.3 기타설비 2 3 3.0%

소 계 5 14 14.0%

5. BF보행의 연속성

5.1 공원내부 보행로 7 28 28.0%

소 계 7 28 28.0%

총 계 44 100 100%

<표 Ⅱ-4> Barrier-Free공원 인증 평가항목 개수 및 배점현황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21

3. 국내 Barrier-Free공원 인증 사례 분석

1) 공원인증 현황

건축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BF인증”) 취득은 BF인증이 시작된 2008년

첫해 4개 건축물이 인증을 받는데 그쳤으나 2014년에는 138개7) 건축물이 인증을

받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 1월 29일 이후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

단체 신축하는 건축물은 BF인증을 의무적으로 취득하도록 하여 2015년 하반기 부터

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BF 공원 이증의 경우에는, 2010년 3개소, 2013년 1개소, 2014년 3개소의

공원이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7개소에 그치고 있어 그 실적이 건축물에 비하여 매우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2) 공원인증 사례 분석

(1) 여의도공원(본인증)

국내 공원인증 사례 중 여의도 공원은 대규모 공원으로 가지는 의미가 매우 깊다.

여의도 공원은 대지경계선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접근로 항목이 존재하지 않지만, 대

지경계선에서부터 안내판까지의 보도를 접근로로 평가하였으며, BF보행로를 지정하

여 장애인이 산책등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하지만, BF보행로의 경우 순환되지 않고 일부구간에서 장애물이 발생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점 등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원내 편의시설을 일부에 한정하여 평가하였기 때문에 장애인이 이용이 불

구분 합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총계 559 4 18 45 96 115 126 155

예비인증 406 3 13 33 89 89 87 92본인증 153 1 5 12 7 26 39 63

대상종류별 559(153) 4(1) 18(5) 45(12) 96(7) 115(26) 126(39) 155(63)건축물 505(142) 4(1) 16(5) 39(11) 82(7) 111(26) 115(32) 138(60)

공원 7(3) - - 3(1)(공원) - -

1(공원)

3(2)(공원)

여객시설 47(8) - 2(도시,도로)

3

(여객시설)

14

(여객시설, 도로)

4(여객시설,

도로)

10(7)(여객시설)

14(1)(여객시설)

7)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 실적은 다음표와 같다(2014년 12월말 기준)

22 한국장애인개발원

가능한 시설이 존재하며 이와 같은 이용 불가능 시설은 공원내 편의시설 항목에서

제외하고 평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원 접근로 공원 안내판

공원내부 화장실 놀이공간

<표 Ⅱ-5> 국내 공원인증 사례 - 여의도공원

(2) 용수골어린이공원

용수골어린이공원은 소규모 어린이 공원으로 지형적 특성으로 모든 출입구에서 접

근이 불가능하여 일부 출입구 및 접근로만 평가 대상으로 분류하였으며, 공원 시설에

주차구역을 설치할 수 없는 공간적 특성이 있어 해당 항목의 경우 총 배점에서 제외하

고 평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린이 공원의 특성상 놀이공간을 의무적으로 구성하여야 하였으나 모든

장애인을 고려한 통합 놀이공간의 구성은 공원의 규모등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

여 설치가 불가능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23

공원 안내판 놀이공간

위생시설 공원접근로

<표 Ⅱ-6> 국내 공원인증 사례 - 용수골어린이공원

(3) 부산시민공원

부산시민공원은 예비인증을 획득하였으나 본인증을 부여받지 못하고 있는 공원으

로 인증을 받지 못한 주된 사유로는 BF보행로의 기울기 등이 적합하지 않아 장애인등

의 이용 및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공원내 편의시설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인증이 유보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부 주출입구 및 접근로의 경우 장애인의 출입이 불가능하거나 차량과 교행

이 되는 구간이 발생하여 인증지표상 과락에 해당되거나 낮은 등급을 부여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도 조사되었다.

24 한국장애인개발원

공원 접근로 공원 내부 산책로

안내판 놀이시설

<표 Ⅱ-7> 국내 공원인증 사례 - 부산시민공원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25

4. 국외 인증 사례분석

Barrier-Free공원인증 지표 개선을 위해 인증을 시행하고 있는 싱가포르

Universal Design Department Building and Construction Authority(BCA) 정

부기관의 운영방식 및 인증 심사 운영방법 등 세부 기준 자료 수집하여 국내 적용가능

한 지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공원인증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100여개의 공원이 인증 받은 싱가포르의 공원을

우리나라의 인증기준 개선(안)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인증기준 개선(안)의 적절성 여부

를 검토하고, 인증운영기관에서 실질적으로 진행하는 심사과정 협의 등을 통하여 공

원인증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현장의 문제 및 해결방안 등의 우리나라 적용 가능성

검토하고자 한다.

싱가포르 건축물 및 공원 인증 관련 Universal Design Department Building

and Construction Authority(BCA) 정부 기관의 운영방법 및 인증 세부 지표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기준을 적용하여 해당 시설을 재평가 해 봄으로써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인증지표의 차이를 구분 하고자 함

싱가포르 기관 평가의견은 의견은 다음과 같다.

1) 매개시설

건축물의 경우 주출입구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에 높이차이

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경사로가 전혀 설치되지 않았음 이로 인해 장애인 등 시설이

용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설 이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출입구 접근이 가능한 구조

로 계획되었으며, 주출입구 접근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은 설치되지 않고

있지만 점자블록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별도의 경고 존을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의

접근로 이용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경우에도 모든 시설에서 설치하고 있었으나 싱가포르는 해

당 규격 등을 단속하는 권한이 건축주에 있으며, 자율적으로 건축주에게 부여하고

있어 과태료 등이 매우 유동적으로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원은 별도의 접근로가 없는 대지경계선에서 바로 출입이 가능한 공원으로 계획된

경우가 많아 해당 지표의 평가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으나, 일반적으로 보행로(대

26 한국장애인개발원

지경계선 밖)에서 공원으로 이동하는 ‘길’의 경우 장애인의 이동을 고려하여 계획되기

때문에 별도의 접근로의 지표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공원의 인증 지표의 경우

에도 공원의 접근로 항목은 없으며, 통합적으로 접근성을 평가하는 지표가 있어 대중

교통, 공공시설, 다른 공원으로부터의 접근성을 별도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경우에도 모든 시설에서 설치하고 있었으나 싱가포르는 해

당 규격 등을 단속하는 권한이 건축주에 있으며, 자율적으로 건축주에게 부여하고

있어 과태료 등이 매우 유동적이였다.

2) 내부시설

건축물의 경우 내부 복도 또는 통로에 설치된 바닥에는 단차가 설치된 경우가 없었

으며, 일부 단차가 발생할 경우 단차를 제거하거나 단차 제거용 경사로를 규정에 맞게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내부 수직이동 수단으로는 모든 시설이 승강기를

설치하고 있었으며 승강기의 크기는 현행 편의증진법 규정보다 비교적 큰 규모로 설

치되어 있었다.

3) 위생시설

건축물의 경우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은 모든 시설에서 설치하고 있었으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의 내부 공간은 비교적 크게 설치되어 있어서 휠체어사용자 등의 변기 접근

및 회전 등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애인용 화장실 내부의 대변기는 높이가 비교적 높은 구조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손잡이는 장애인등의 편의법에서 규정하는 것처럼 일률적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디자

인 요소를 적용하여 유니버셜디자인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원의 경우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은 모든 공원에서 설치되어 있었으며 별

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의 내부 공간은

비교적 크게 설치되어 있어서 휠체어사용자 등의 변기 접근 및 회전 등이 용이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장애인용 화장실 내부의 대변기는 높이가 비교적 높은 구조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27

손잡이는 장애인등의 편의법에서 규정하는 것처럼 일률적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디자

인 요소를 적용하여 유니버셜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었다.

공원에 설치되는 화장실의 경우 외부 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아 접근로

등의 구획을 디자인적인 요소를 적용하여 설계 계획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안내시설 등

건축물의 경우 경보 피난설비는 대부분 시각경보기까지 설치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

하게 비상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인증 Platinum 등급의 건축물의

경우에는 해당 인적서비스를 포함한 음성안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조사되었다.

공원의 경우 장애인을 고려한 유도 안내 설비 및 경보 피난 설비는 일반적인 안내

설비(안내판)로 구성하고 있으며, 설치된 안내판의 안내사인은 디자인 등을 고려하고,

색상을 통일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BF보행로(산책로)

싱가포르의 경우 공원 내부 보행로를 장애인의 이용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하

는 것이 우선 고려되어야 하지만 지형지물 등 자연적인 형태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전체적인 산책로의 동선을 하나의 통일된 사인체계를 유지하고(PCN (Park

Connector Network))있어 장애인으로 하여금 진행방향을 정확히 인지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었다.

또한, 보행로는 장애인이 현재 위치와 특정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안내 사인

및 유도설비를 연속적으로 배치하고 모든 공원의 주요 산책로의 동일한 유도 안내

사인을 통해 장애인 등 공원 이용자가 편리하게 공원을 이용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28 한국장애인개발원

5. 인증지표 비교 분석을 통한 국외 인증 사례 분석

1) Bishan-Ang Mo Kio Park

UD Mark 사전 등급인 Friendly 5 등급인 해당 공원은 UD Mark로의 전환을

위해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놀이시설과 산책로에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 휴게공간을

분리하는 등 안전을 위한 디자인계획을 새롭게 수립하고 있음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안내판 산책로

산책로 휴게공간 휠체어 사용자 놀이시설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모두가 사용가능한 놀이시설

[그림 Ⅱ-3] Bishan-Ang Mo Kio Park 주요 공간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29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1.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1.1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0 - 해당없음

P1-01-02 1.1.2 유효폭 0 - 해당없음

P1-01-03 1.1.3 단차 0 - 해당없음

P1-01-04 1.1.4 기울기 0 - 해당없음

P1-01-05 1.1.5 바닥마감 0 - 해당없음

P1-01-06 1.1.6 보행장애물 0 - 해당없음

P1-01-07 1.1.7 덮개 0 - 해당없음

1.2 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P1-02-01 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 1 0.7

P1-02-02 1.2.2 주차면수 확보 1 0.8

P1-02-03 1.2.3 주차면 1 1.0

P1-02-04 1.2.4 보행 안전통로 1 0 과락

P1-02-05 1.2.5 안내 및 유도표시 1 0.8

1.3 주출입구

P1-03-01 1.3.1 진출입 통제 계획 5 4.0

P1-03-02 1.3.2 공원입구와 보도와의 경계 1 1.0

소계 11 8.3

2. 유도 및

안내시설

2.1 안내설비

P2-01-01 2.1.1 안내판 설치 2 1.4

P2-01-02 2.1.2 안내판의 정보 2 1.4

P2-01-03 2.1.3 통합안내설비 2 1.5

P2-01-04 2.1.4 경고시설 1 1.0

소계 7 5.3

3. 위생시설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5 3.5

P3-01-02 3.1.2 안내표지판 2 1.4

3.2 화장실 접근

P3-02-01 3.2.1 유효폭 및 단차 3 2.25

P3-02-02 3.2.2 바닥마감 2 1.4

P3-02-03 3.2.3 출입구(문) 3 3.0

3.3 대변기 P3-03-01 3.3.1 칸막이 출입문 2 1.65

P3-03-02 3.3.2 활동공간 2 1.6

P3-03-03 3.3.3 형태 2 1.6

P3-03-04 3.3.4 손잡이 2 1.6

P3-03-05 3.3.5 기타설비 2 1.6

3.4 소변기 P3-04-01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2 1.6

3.5 세면대 P3-05-01 3.5.1 형태 1 0.8

<표 Ⅱ-8> 지표 비교분석 결과 Bishan-Ang Mo Kio Park

(1) 국내 BF공원 인증 지표 분석

30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P3-05-02 3.5.2 거울 1 0.7

P3-05-03 3.5.3 수도꼭지 1 0.8

소계 30 23.5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1.1 시설까지의 접근로 1 0.7

P4-01-02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2 1.4

4.2 공원시설

P4-02-014.2.1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8 8.0

4.3 기타설비

P4-03-01 4.3.1 휴식공간 1 0.8

P4-03-02 4.3.2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 2 1.4

소계 14 12.3

5.BF보행의

연속성

5.1 공원 내부 보행로

P5-01-01 5.1.1 BF보행로의 지정 2 1.4

P5-01-02 5.1.2 보행안전공간 6 4.8

P5-01-03 5.1.3 단차 1 1.0

P5-01-04 5.1.4 기울기 5 5.0

P5-01-05 5.1.5 바닥마감 2 1.6

P5-01-06 5.1.6 자전거 도로와의 접점 2 1.4

P5-01-07 5.1.7 보행유도의 연속성 10 7.0

소계 28 22.2

6.종합평가

5% (평가항목의 총점기준)

심사단배점사항

소계 0

구 분 배점 현지평가 비고

매개시설 11 8.3접근로 해당없음주차구역(과락)

유도 및 안내시설 7 5.3

위생시설 30 23.5

편의시설 14 12.3

BF보행의 연속성 28 22.2

종합평가 0

합 계 90 71.6(79.9%)일반8)등급

(과락사항유보)

8) 해당 공원은 우리나라 공원인증지표를 적용하면 일반 수준의 등급을 부여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나 과락사항 등이 존재 함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31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안내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화장실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화장실

산책로 접점 계획 및 이동 동선 배수시스템 산책로 접점 계획

[그림 Ⅱ-4] Springleaf Nature Park 주요 공간

2) Springleaf Nature Park

해당 공원은 자연녹지지역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공원 디자인계획이 수립되

어 일부 지역은 경관만 관람하도록 계획 되었으나,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경관을 관람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차별을 최소화 함

32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1.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1.1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1 1.0

P1-01-02 1.1.2 유효폭 2 2.0

P1-01-03 1.1.3 단차 1 1.0

P1-01-04 1.1.4 기울기 2 2.0

P1-01-05 1.1.5 바닥마감 1 0.7

P1-01-06 1.1.6 보행장애물 2 1.8

P1-01-07 1.1.7 덮개 1 0.8

1.2 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P1-02-01 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

1 0.7

P1-02-02 1.2.2 주차면수 확보 1 0.8

P1-02-03 1.2.3 주차면 1 1.0

P1-02-04 1.2.4 보행 안전통로 1 0.7 보차혼용(과락)

P1-02-05 1.2.5 안내 및 유도표시 1 0.7

1.3 주출입구

P1-03-01 1.3.1 진출입 통제 계획 5 4.0

P1-03-02 1.3.2 공원입구와 보도와의 경계 1 1.0

소계 21 18.2

2. 유도 및

안내시설

2.1 안내설비

P2-01-01 2.1.1 안내판 설치 2 1.4

P2-01-02 2.1.2 안내판의 정보 2 1.4

P2-01-03 2.1.3 통합안내설비 2 1.5

P2-01-04 2.1.4 경고시설 1 1.0

소계 7 5.3

3. 위생시설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5 3.5

P3-01-02 3.1.2 안내표지판 2 1.4

3.2 화장실 접근

P3-02-01 3.2.1 유효폭 및 단차 3 3.0

P3-02-02 3.2.2 바닥마감 2 1.6

P3-02-03 3.2.3 출입구(문) 3 2.4

3.3 대변기 P3-03-01 3.3.1 칸막이 출입문 2 1.65

P3-03-02 3.3.2 활동공간 2 2.0

P3-03-03 3.3.3 형태 2 1.4

P3-03-04 3.3.4 손잡이 2 1.6

P3-03-05 3.3.5 기타설비 2 2.0

<표 Ⅱ-9> 지표 비교분석 결과 Springleaf Nature Park

(1) 국내 BF 공원 인증 지표 분석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33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3.4 소변기 P3-04-01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2 1.6

3.5 세면대 P3-05-01 3.5.1 형태 1 1.0

P3-05-02 3.5.2 거울 1 0.8

P3-05-03 3.5.3 수도꼭지 1 1.0

소계 30 24.95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1.1 시설까지의 접근로 1 1.0

P4-01-02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2 2.0

4.2 공원시설

P4-02-01 4.2.1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

0 0 해당 없음

4.3 기타설비

P4-03-01 4.3.1 휴식공간 1 1.0

P4-03-02 4.3.2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 2 1.4

소계 6 5.4

5.BF보행의

연속성

5.1 공원 내부 보행로

P5-01-01 5.1.1 BF보행로의 지정 2 1.6

P5-01-02 5.1.2 보행안전공간 6 6.0

P5-01-03 5.1.3 단차 1 1.0

P5-01-04 5.1.4 기울기 5 5.0

P5-01-05 5.1.5 바닥마감 2 1.6

P5-01-06 5.1.6 자전거 도로와의 접점 2 2.0

P5-01-07 5.1.7 보행유도의 연속성 10 7.0

소계 28 24.2

6.종합평가

5% (평가항목의 총점기준)

심사단배점사항

소계 0

구 분 배점 현지평가 비고

매개시설 21 18.2

유도 및 안내시설 7 5.3

위생시설 30 24.95

편의시설 6 5.4

BF보행의 연속성 28 24.2

종합평가 0

합 계 92 78.05(84.8%) 우수9)등급

9) 우수 등급은 우리나라 건축물 인증 지표를 기준으로 적용한 것으로 싱가포르 기준은 Gold 등급임

34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안내판 장애인 휴게공간 및 관람공간구획

산책로 보행장애물 경고표시

[그림 Ⅱ-5] Toa Payoh Town Park 주요 공간

3) Toa Payoh Town Park

자연 경관지구를 장애인 등 모두가 관람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데크를 설치하여 장애

물 없이 접근 가능하도록 하였음

여러 산책로가 중앙 호수로 연결되는 구조인 해당 공원은 각 산책로의 접점 구간을

서로 재질을 달리하여 경고의 의미를 부여함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35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1.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1.1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1 0.7

P1-01-02 1.1.2 유효폭 2 1.4

P1-01-03 1.1.3 단차 1 0.8

P1-01-04 1.1.4 기울기 2 1.6

P1-01-05 1.1.5 바닥마감 1 0.7

P1-01-06 1.1.6 보행장애물 2 1.7

P1-01-07 1.1.7 덮개 1 0.8

1.2 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P1-02-01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1 0.7

P1-02-02 1.2.2 주차면수 확보 1 0.8

P1-02-03 1.2.3 주차면 1 0.8

P1-02-04 1.2.4 보행 안전통로 1 0.7

안전구역없음과락

P1-02-05 1.2.5 안내 및 유도표시 1 0.7

1.3 주출입구

P1-03-01 1.3.1 진출입 통제 계획 5 4.0

P1-03-02 1.3.2 공원입구와 보도와의 경계 1 0.7

소계 21 16.1

2. 유도 및

안내시설

2.1 안내설비

P2-01-01 2.1.1 안내판 설치 2 1.4

P2-01-02 2.1.2 안내판의 정보 2 1.4

P2-01-03 2.1.3 통합안내설비 2 1.5

P2-01-04 2.1.4 경고시설 1 1.0

소계 7 5.3

3. 위생시설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5 3.5

P3-01-02 3.1.2 안내표지판 2 1.4

3.2 화장실 접근

P3-02-01 3.2.1 유효폭 및 단차 3 2.1

P3-02-02 3.2.2 바닥마감 2 1.4

<표 Ⅱ-10> 지표 비교분석 결과 Toa Payoh Town Park

(1) 국내 BF 공원 인증 지표 분석

36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P3-02-03 3.2.3 출입구(문) 3 3.0

3.3 대변기 P3-03-01 3.3.1 칸막이 출입문 2 1.65

P3-03-02 3.3.2 활동공간 2 1.6

P3-03-03 3.3.3 형태 2 1.4

P3-03-04 3.3.4 손잡이 2 1.6

P3-03-05 3.3.5 기타설비 2 1.4

3.4 소변기 P3-04-01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2 1.4

3.5 세면대 P3-05-01 3.5.1 형태 1 0.7

P3-05-02 3.5.2 거울 1 0.8

P3-05-03 3.5.3 수도꼭지 1 0.8

소계 30 22.75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1.1 시설까지의 접근로 1 0.7

P4-01-02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2 1.4

4.2 공원시설

P4-02-014.2.1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0 0

4.3 기타설비

P4-03-01 4.3.1 휴식공간 1 0.8

P4-03-02 4.3.2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 2 1.4

소계 6 4.3

5.BF보행의 연속성

5.1 공원 내부 보행로

P5-01-01 5.1.1 BF보행로의 지정 2 1.4

P5-01-02 5.1.2 보행안전공간 6 4.2

P5-01-03 5.1.3 단차 1 0.8

P5-01-04 5.1.4 기울기 5 4.0

P5-01-05 5.1.5 바닥마감 2 1.4

P5-01-06 5.1.6 자전거 도로와의 접점 2 1.4

P5-01-07 5.1.7 보행유도의 연속성 10 7.0

소계 28 20.2

6.종합평가

5% (평가항목의 총점기준)

심사단배점사항

소계 0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37

구 분 배점 현지평가 비고

매개시설 21 16.1

유도 및 안내시설 7 5.3

위생시설 30 22.75

편의시설 6 4.3

BF보행의 연속성 28 20.2

종합평가 0

합 계 92 68.65(74.6%) 일반10)등급

10) 해당 공원은 우리나라 공원인증지표를 적용하면 일반 수준의 등급을 부여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나 과락사항 등이 존재 함

38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안내판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안내판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그림 Ⅱ-6] Punggol Waterway Park 주요 공간

4) Punggol Waterway Park

해당공원은 대규모 자연공원 중 일부 공개된 부분에 한하여 산책이 가능하였으나

장애인이나 유모차 등의 이용이이 어렵지 않도록 산책로의 유지 및 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39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1.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1.1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0 0

P1-01-02 1.1.2 유효폭 0 0

P1-01-03 1.1.3 단차 0 0

P1-01-04 1.1.4 기울기 0 0

P1-01-05 1.1.5 바닥마감 0 0

P1-01-06 1.1.6 보행장애물 0 0

P1-01-07 1.1.7 덮개 0 0

1.2 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P1-02-01 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 1 0.7

P1-02-02 1.2.2 주차면수 확보 1 0.8

P1-02-03 1.2.3 주차면 1 0.8

P1-02-04 1.2.4 보행 안전통로 1 0.7

P1-02-05 1.2.5 안내 및 유도표시 1 0.7

1.3 주출입구 P1-03-01 1.3.1 진출입 통제 계획 5 4.0

P1-03-02 1.3.2 공원입구와 보도와의 경계 1 0.7

소계 11 8.4

2. 유도 및

안내시설

2.1 안내설비 P2-01-01 2.1.1 안내판 설치 2 1.4

P2-01-02 2.1.2 안내판의 정보 2 1.4

P2-01-03 2.1.3 통합안내설비 2 1.5

P2-01-04 2.1.4 경고시설 1 0.8

소계 7 5.1

3. 위생시설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5 3.5

P3-01-02 3.1.2 안내표지판 2 1.4

3.2 화장실 접근

P3-02-01 3.2.1 유효폭 및 단차 3 3.0

P3-02-02 3.2.2 바닥마감 2 1.6

P3-02-03 3.2.3 출입구(문) 3 2.4

3.3 대변기 P3-03-01 3.3.1 칸막이 출입문 2 1.65

P3-03-02 3.3.2 활동공간 2 1.4

P3-03-03 3.3.3 형태 2 1.4

P3-03-04 3.3.4 손잡이 2 1.6

P3-03-05 3.3.5 기타설비 2 1.4

3.4 소변기 P3-04-01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2 1.4

<표 Ⅱ-11> 지표 비교분석 결과 Punggol Waterway Park

(1) 국내 BF 공원 인증 지표 분석

40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3.5 세면대 P3-05-01 3.5.1 형태 1 0.7

P3-05-02 3.5.2 거울 1 0.8

P3-05-03 3.5.3 수도꼭지 1 0.8

소계 30 23.05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1.1 시설까지의 접근로 0 0

P4-01-02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0 0

4.2 공원시설P4-02-01

4.2.1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

8 6.4

4.3 기타설비 P4-03-01 4.3.1 휴식공간 1 0.8

P4-03-02 4.3.2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 2 1.4

소계 11 8.6

5.BF

보행의 연속성

5.1 공원 내부 보행로

P5-01-01 5.1.1 BF보행로의 지정 2 2.0

P5-01-02 5.1.2 보행안전공간 6 6.0

P5-01-03 5.1.3 단차 1 1.0

P5-01-04 5.1.4 기울기 5 4.0

P5-01-05 5.1.5 바닥마감 2 1.4

P5-01-06 5.1.6 자전거 도로와의 접점 2 1.4

P5-01-07 5.1.7 보행유도의 연속성 10 7.0

소계 28 22.8

6.종합평가

5% (평가항목의 총점기준)

심사단배점사항

소계 0

구 분 배점 현지평가 비고

매개시설 11 8.4

유도 및 안내시설 7 5.1

위생시설 30 23.05

편의시설 11 8.6

BF보행의 연속성 28 22.8

종합평가 0

합 계 87 67.95(78.10%) 일반11)등급

11) 해당 공원은 우리나라 공원인증지표를 적용하면 일반 수준의 등급을 부여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나 과락사항 등이 존재 함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41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안내판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전용 출입구

장애물 경고존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화장실

[그림 Ⅱ-7] Gardens by the Bay 주요 공간

5) Gardens by the Bay

해당 공원은 문화재 성격이 강한 대규모 공원으로 싱가포르 국민 아니라 외국인의

방문도 매우 많고 장애인의 공원 출입도 매우 많아 동선계획이 매우 중요함에 따라서

관련동선을 단순화하고 동선 간 접점 계획을 통일된 사인체계로 구성함

42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1.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1.1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1 1.0

P1-01-02 1.1.2 유효폭 2 2.0

P1-01-03 1.1.3 단차 1 1.0

P1-01-04 1.1.4 기울기 2 2.0

P1-01-05 1.1.5 바닥마감 1 0.8

P1-01-06 1.1.6 보행장애물 2 1.5

P1-01-07 1.1.7 덮개 1 1.0

1.2 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P1-02-01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1 0.7

P1-02-02 1.2.2 주차면수 확보 1 1.0

P1-02-03 1.2.3 주차면 1 1.0

P1-02-04 1.2.4 보행 안전통로 1 0.7

P1-02-05 1.2.5 안내 및 유도표시 1 1.0

1.3 주출입구 P1-03-01 1.3.1 진출입 통제 계획 5 4.0

P1-03-02 1.3.2 공원입구와 보도와의 경계 1 1.0

소계 21 18.7

2. 유도 및

안내시설

2.1 안내설비 P2-01-01 2.1.1 안내판 설치 2 1.4

P2-01-02 2.1.2 안내판의 정보 2 1.4

P2-01-03 2.1.3 통합안내설비 2 1.5

P2-01-04 2.1.4 경고시설 1 1.0

소계 7 5.3

3. 위생시설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5 3.5

P3-01-02 3.1.2 안내표지판 2 1.4

3.2 화장실 접근

P3-02-01 3.2.1 유효폭 및 단차 3 3.0

P3-02-02 3.2.2 바닥마감 2 1.4

P3-02-03 3.2.3 출입구(문) 3 2.1

3.3 대변기 P3-03-01 3.3.1 칸막이 출입문 2 1.65

P3-03-02 3.3.2 활동공간 2 1.4

P3-03-03 3.3.3 형태 2 1.4

P3-03-04 3.3.4 손잡이 2 1.6

P3-03-05 3.3.5 기타설비 2 1.4

<표 Ⅱ-12> 지표 비교분석 결과 Gardens by the Bay

(1) 국내 BF 공원 인증 지표 분석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43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3.4 소변기 P3-04-01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2 1.6

3.5 세면대 P3-05-01 3.5.1 형태 1 0.8

P3-05-02 3.5.2 거울 1 0.8

P3-05-03 3.5.3 수도꼭지 1 0.8

소계 30 22.85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1.1 시설까지의 접근로 1 0.8

P4-01-02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2 2.0

4.2 공원시설P4-02-01

4.2.1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

8 6.4

4.3 기타설비 P4-03-01 4.3.1 휴식공간 1 1.0

P4-03-02 4.3.2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 2 2.0

소계 14 12.2

5.BF

보행의 연속성

5.1 공원 내부 보행로

P5-01-01 5.1.1 BF보행로의 지정 2 2.0

P5-01-02 5.1.2 보행안전공간 6 6.0

P5-01-03 5.1.3 단차 1 1.0

P5-01-04 5.1.4 기울기 5 5.0

P5-01-05 5.1.5 바닥마감 2 1.6

P5-01-06 5.1.6 자전거 도로와의 접점 2 1.4

P5-01-07 5.1.7 보행유도의 연속성 10 7.0

소계 28 24

6.종합평가

5% (평가항목의 총점기준)

심사단배점사항

소계 0

구 분 배점 현지평가 비고

매개시설 21 18.7

유도 및 안내시설 7 5.3

위생시설 30 22.85

편의시설 14 12.2

BF보행의 연속성 28 24

종합평가 0

합 계 100 83.05(83.05%) 우수등급

44 한국장애인개발원

6) JEM 복합건축물

지상 20층 규모의 복합건축물인 JEM은 장애인이 시설 이용 및 접근을 위해 대중교

통수단인 지하철, 버스 정류장에서부터 장애물이 제거된 보행로를 통해 접근이 가능

하도록 계획되었음

또한, 내부 시설 이용을 위해 통일된 안내사인체계를 통한 way-finding system을

구축하고 어디서든 인적지원이 가능한 화상 안내서비스를 주요지점에 배치하여 장애인

이 아무런 문제없이 건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함

출입구 높이차이제거 높이차이제거 및 배수 시스템

내부시설의 출입구 문 안내설비

수직이동 장치(elevator)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그림 Ⅱ-8] JEM 복합 건축물 주요 공간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1. 매개시설

1.1 접근로B1-01-01

1.1.1 보도에서 주출입구까지 보행로

6 4.8

B1-01-02 1.1.2 유효폭 3 3.0

B1-01-03 1.1.3 단차 3 3.0

B1-01-04 1.1.4 기울기 3 2.4

B1-01-05 1.1.5 바닥마감 3 3.0

B1-01-06 1.1.6 보행장애물 2 1.8

B1-01-07 1.1.7 덮개 2 2.0

1.2 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B1-01-08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6 4.2

B1-01-09 1.2.2 주차면수 확보 4 4.0

B1-01-10 1.2.3 주차구역 크기 4 4.0

B1-01-11 1.2.4 보행 안전통로 4 2.8일부

부적합

B1-01-12 1.2.5 안내 및 유도표시 3 2.4

1.3 주출입구 (문)

B1-01-13 1.3.1 주출입구의 높이 차이 6 6.0

B1-01-14 1.3.2 주출입문의 형태 3 3.0

B1-01-15 1.3.3 유효폭 3 3.0

B1-01-16 1.3.4 단차 3 3.0

B1-01-17 1.3.5 전면유효거리 2 2.0

B1-01-18 1.3.6 손잡이 2 2.0

B1-01-19 1.3.7 경고블록 2 1.4

소 계 64 57.8

2. 내부시설

2.1 일반출입문

B2-02-01 2.1.1 단차 3 3.0

B2-02-02 2.1.2 유효폭 3 2.4

B2-02-03 2.1.3 전후면 유효거리 3 2.4

B2-02-04 2.1.4 손잡이 및 점자표지판 3 2.4

2.2. 복도 B2-02-05 2.2.1 유효폭 3 2.4

B2-02-06 2.2.2 단차 3 3.0

B2-02-07 2.2.3 바닥마감 2 1.6

B2-02-08 2.2.4 보행장애물 2 1.4

<표 Ⅱ-13> 지표 비교분석 결과 JEM 복합 건축물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45

(1) 국내 BF 건축물 인증 지표 분석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B2-02-09 2.2.5 연속손잡이 2 1.4

2.3 계단 B2-02-10 2.3.1 형태 및 유효폭 3 2.1

B2-02-11 2.3.2 챌면 및 디딤판 3 2.1

B2-02-12 2.3.3 바닥마감 2 1.6

B2-02-13 2.3.4 손잡이 2 1.6

B2-02-14 2.3.5 점형블록 2 1.6

2.4 경사로 B2-02-15 2.4.1 유효폭 0 - 해당없음

B2-02-16 2.4.2 기울기 0 - 해당없음

B2-02-17 2.4.3 바닥마감 0 - 해당없음

B2-02-18 2.4.4 활동공간 및 휴식참 0 - 해당없음

B2-02-19 2.4.5 손잡이 0 - 해당없음

2.5 승강기 B2-02-20 2.5.1 전면활동 공간 2 2.0

B2-02-21 2.5.2 통과유효폭 2 2.0

B2-02-22 2.5.3 유효바닥 면적 2 2.0

B2-02-23 2.5.4 이용자 조작설비 3 2.3

B2-02-242.5.5 시각 및 청각장애인

안내장치2 1.6

B2-02-25 2.5.6 수평손잡이 2 1.6

B2-02-26 2.5.7 점자블록 2 1.6 비표준형

소 계 51 42.1

3. 위생시설

3.1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B3-03-01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10 7.0

B3-03-02 3.1.2 안내표지판 5 3.5

3.2 화장실의 접근

B3-03-03 3.2.1 유효폭 및 단차 6 6

B3-03-04 3.2.2 바닥마감 4 4

B3-03-05 3.2.3 출입구(문) 3 3

3.3 대변기 B3-03-06 3.3.1 칸막이 출입문 5 5

B3-03-07 3.3.2 활동공간 3 3

B3-03-08 3.3.3 형태 3 2.4

B3-03-09 3.3.4 손잡이 3 3

B3-03-10 3.3.5 기타설비 3 3.0

3.4 소변기 B3-03-11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6 4.8

3.5 세면대 B3-03-12 3.5.1 형태 3 2.4

B3-03-13 3.5.2 거울 3 3.0

46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B3-03-14 3.5.3 수도꼭지 3 3.0

3.6 욕실 B3-03-15 3.6.1 구조 및 마감 3 2.4

B3-03-16 3.6.2 기타설비 3 3.0

3.7 샤워실 및 탈의실

B3-03-17 3.7.1 구조 및 마감 3 2.4

B3-03-18 3.7.2 기타설비 3 2.1

소계 72 63

4. 안내시설

4.1 안내 설비

B4-04-01 4.1.1 안내판 4 4.0

B4-04-02 4.1.2 점자블록 3 3.0

B4-04-03 4.1.3 시각장애인 안내설비 3 2.4

B4-04-04 4.1.4 청각장애인 안내설비 3 2.1

4.2 경보 및 피난설비

B4-04-054.2.1 시각・청각장애인용 경보 및

피난설비3 2.4

소계 16 13.9

5.기타시설

5.1 객실 및 침실

B5-05-01 5.1.1 설치율 0 - 해당없음

B5-05-02 5.1.2 설치위치 0 - 해당없음

B5-05-03 5.1.3 통과유효폭 0 - 해당없음

B5-05-04 5.1.4 활동공간 0 - 해당없음

B5-05-05 5.1.5 침대구조 0 - 해당없음

B5-05-06 5.1.6 객실바닥 0 - 해당없음

B5-05-07 5.1.7 유효폭 및 단차(화장실) 0 - 해당없음

B5-05-08 5.1.8 유효 바닥면(화장실) 0 - 해당없음

B5-05-09 5.1.9 손잡이(화장실) 0 - 해당없음

B5-05-10 5.1.10 점자표지판(기타설비) 0 - 해당없음

B5-05-11 5.1.11 설치높이(기타설비) 0 - 해당없음

B5-05-12 5.1.12 초인등(기타설비) 0 - 해당없음

5.2 관람석 및 열람석

B5-05-13 5.2.1 설치율 0 - 해당없음

B5-05-14 5.2.2 설치위치 0 - 해당없음

B5-05-15 5.2.3 관람석 및 무대의 구조 0 - 해당없음

B5-05-16 5.2.4 열람석의 구조 0 - 해당없음

5.3 접수대 및

안내데스크

B5-05-17 5.3.1 설치위치 2 2.0

B5-05-18 5.3.2 설치 높이 및 하부공간 3 3.0

5.4 매표소・판매

B5-05-19 5.4.1 매표소의 구조 및 설비 2 1.6

B5-05-20 5.4.2 판매기의 구조 및 설비 2 1.6

Ⅱ. 국내・외 Barrier-Free 인증제도 사례 및 특성 분석 47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해당사항 비고

기・음료대 B5-05-21 5.4.3 음료대의 구조 및 설비 2 1.6

5.5 피난구 설치

B1-05-22 5.5.1 피난방법 및 설치위치 3 2.4

B1-05-23 5.5.2 피난의 구조 3 2.1

5.6 임산부 휴게시설

B1-05-24 5.6.1 접근 유효폭 및 단차 2 2.0

B1-05-25 5.6.2 내부 구조 3 3.0

소계 22 19.3

6.6.1 비치

용품B1-06-01 6.1.1 비치하여야 할 용품 3 3.0

소계 3 3.0

48 한국장애인개발원

구 분 배점 현지평가 주요내용

매개시설 64 57.8

내부시설 51 42.1

위생시설 72 63

안내시설 16 13.9

기타시설 22 19.3 관람석, 열람석 제외

기타설비 3 3

종합평가 0 0

합 계 228 199.1(87.32%) 우수12)등급

12) 우수 등급은 우리나라 건축물 인증 지표를 기준으로 적용한 것으로 싱가포르 기준은 Platinum등급임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평가 분석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51

III.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본장에서는 Barrier-Free공원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장애당사자 및 인증

전문가 등의 의견을 바탕으로 항목별로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는지,

Barrier-Free공원 인증의 활성화를 위해 어느 지표가 개선되거나 추가되어야 하는

지 장애당사자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본장에서 분석한 지표별 개정사항을 바탕으로 4장에서 새로운 공원 인증 지표와

전문가의 지표별 AHP 가중치 설문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배점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1. Barrier-Free공원 인증 평가지표 분석을 위한 FGI조사

1) 조사의 개요

현행 Barrier-Free공원 인증 제도의 지표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의 FGI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림 Ⅲ-1] 조사 대상의 개요

설문대상으로는 객관적으로 인증지표를 판단하고 지표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장애당사자 및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등 총 2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

원 인증지표 개선방향 관련 의견을 수렴하였다.

52 한국장애인개발원

인증지표의 개선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현재 시행되고 평가되고 있는

공원인증지표를 토대로 매개시설, 유도 및 안내시설, 위생시설, 공원내 편의시설, BF

보행로에 대한 총 6개 대분류 체계와 대분류 아래의 46개 세부항목에 대하여 각 집단

별로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53

2) 매개시설

매개시설은 총 14개의 세부항목으로 분류되며 공원까지의 접근로 영역과,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공원의 주출입구 영역으로 구분되어 인증지표가 운영 평가되어지고

있다.

(1) 매개시설의 인증지표 배점 구성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배점비율

1.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1.1 주출입구까지의 접근로 1 4.76

P1-01-02 1.1.2 유효폭 2 9.52

P1-01-03 1.1.3 단차 1 4.76

P1-01-04 1.1.4 기울기 2 9.52

P1-01-05 1.1.5 바닥마감 1 4.76

P1-01-06 1.1.6 보행장애물 2 9.52

P1-01-07 1.1.7 덮개 1 4.76

1.2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P1-02-01 1.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 1 4.76

P1-02-02 1.2.2 주차면수 확보 1 4.76

P1-02-03 1.2.3 주차면 1 4.76

P1-02-04 1.2.4 보행 안전통로 1 4.76

P1-02-05 1.2.5 안내 및 유도표시 1 4.76

1.3 주출입구

P1-03-01 1.3.1 진출입 통제 계획 5 23.81

P1-03-02 1.3.2 공원입구와 보도와의 경계 1 4.76

소계 21 100.00

<표 Ⅲ-1> 공원인증지표 매개시설 지표 현황

매개시설은 총 14개 항목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며 전체 배점에서 21% 범위 내에서

평가를 통해 인증 심사를 진행한다.

총 21점의 배점 중 약 20%인 5점이 공원의 진출입 통제 계획 항목의 평가로 이루어

지며 접근로 항목은 총 7개 항목으로 전체 배점의 약 50%인 10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매개시설의 인증지표 개정의견

해당 매개시설의 지표 중 FGI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장애당사자, 건축업무 종사자,

54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장애당사자건축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1 .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00.00 100 75 80

P1-01-02 57.14 25 25 40

P1-01-03 57.14 25 0 60

P1-01-04 57.14 0 0 40

P1-01-05 71.43 50 25 60

P1-01-06 71.43 25 12.5 50

P1-01-07 57.14 50 0 40

1.2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P1-02-01 57.14 25 25 0

P1-02-02 71.43 0 0 40

P1-02-03 57.14 0 25 0

P1-02-04 42.86 50 0 0

P1-02-05 57.14 25 25 0

1.3 주출입구P1-03-01 71.43 25 75 40

P1-03-02 64.29 12.5 25 0

소계 63.78 29.46 22.32 32.14

<표 Ⅲ-2> 공원인증지표 매개시설 FGI의견 현황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의 의견을 종합하면 매개시설 중 접근로 항목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며, 특히 장애당사자군의 의견에서는 접근로를 보행로(BF보행로, 산책

로) 등과 혼돈하여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55

① 장애당사자

장애당사자 그룹은 공원 매개시설 항목의 개정의견이 가장 많은 그룹으로 접근로

항목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BF보행로와의 구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공원

특성을 고려한 바닥 마감에 따른 접근성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② 건축업무 종사자

건축업무 종사자의 경우 접근로 항목은 모두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냈으

나, 단차, 기울기 등의 항목은 현재 지표로 충분히 장애인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③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업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접근로 항목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삭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소수 의견으로 제시되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는 내부의 보행로와

접근로의 보행로가 서로 유사하여 평가 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을 꼽았다.

④ 인증심사단

인증심사단은 공원인증지표의 매개시설지표 항목 의견으로 접근로와 진출입통제계

획 부분의 항목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많은 항목에서

개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56 한국장애인개발원

3) 유도 및 안내시설

유도 및 안내시설은 총 4개의 세부항목으로 분류되며 안내판의 설치, 안내판의 정

보와 경고시설의 설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유도 및 안내시설의 인증지표 배점구성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배점비율

2. 유도 안내

2.1 안내설비

P2-01-01 2.1.1 안내판 설치 2 28.57

P2-01-02 2.1.2 안내판의 정보 2 28.57

P2-01-03 2.1.3 통합안내설비 2 28.57

P2-01-04 2.1.4 경고시설 1 14.29

소계 7 100.00

<표 Ⅲ-3> 공원인증지표 유도 및 안내시설 지표 배점현황

유도 및 안내설비는 총 4개 항목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며 전체 배점에서 7% 범위

내에서 평가를 통해 인증 심사를 진행한다.

총 7점의 배점 중 경고시설 항목이 1점으로 가장 낮으며 안내판설치, 안내판의 정

보, 안내판의 설비 등 과 같은 항목은 각 2점씩 동일한 배점 기준을 가지고 있다.

(2) 유도 및 안내시설의 인증지표 개정의견

해당 유도 및 안내설비의 지표 중 FGI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장애당사자, 건축업무

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의 의견을 종합하면 공원의 이용활성화를 위해

유도 및 안내설비의 확충이 필요하며, 특히 장애당사자군의 의견으로는 안내판의 설

치 등과 관련된 항목 보다 경고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장애인을 고려한 안내판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제시하는 장애인 당사자

의 의견도 소수 있었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57

범 주 분류번호 장애당사자건축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2. 유도 안내

2.1 안내설비

P2-01-01 14.29 25 0 20

P2-01-02 28.57 25 0 20

P2-01-03 42.86 12.5 12.5 40

P2-01-04 57.14 25 25 0

소계 63.78 29.46 22.32 32.14

<표 Ⅲ-4> 공원인증지표 유도 및 안내관련 FGI의견 현황

① 장애당사자

장애당사자 그룹은 공원 유도 및 안내설비 항목에서도 개정의견이 가장 많은 그룹

으로 통합안내설비 설치와 경고시설의 확충 등 다양한 개정의견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의 안내시설 지표로는 장애인이 공원을 안전하게 이동 할 수 없기 때문에 지표를 강화

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② 건축업무 종사자

건축업무 종사자는 다른 설문조사 대상에 비하여 비교적 유도 및 안내설비에 대한

개정의견이 많았으며 세부적으로는 안내설비, 안내판의 설치 등의 항목에 장애인을

고려한 지표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58 한국장애인개발원

③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업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접근로 항목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삭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소수 의견으로 제시되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는 내부의 보행로와

접근로의 보행로가 서로 유사하여 평가 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을 꼽았다.

④ 인증심사단

인증심사단은 유도 및 안내설비 항목 개정 등의 의견으로 안내설비의 장애유형을

고려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산책로의 점자블록 설치와 관련된 사항과 음성유도

등의 설비 강화 측면의 소수 의견도 제시되었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59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배점비율

3. 위생시설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3.1.1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5 16.67

P3-01-02 3.1.2안내표지판 2 6.67

3.2 화장실 접근

P3-02-01 3.2.1 유효폭 및 단차 3 10.00

P3-02-02 3.2.2 바닥마감 2 6.67

P3-02-03 3.2.3 출입구(문) 3 10.00

3.3 대변기

P3-03-01 3.3.1 칸막이 출입문 2 6.67

P3-03-02 3.3.2 활동공간 2 6.67

P3-03-03 3.3.3 형태 2 6.67

P3-03-04 3.3.4 손잡이 2 6.67

P3-03-05 3.3.5 기타설비 2 6.67

3.4 소변기 P3-04-01 3.4.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2 6.67

3.5 세면대

P3-05-01 3.5.1 형태 1 3.33

P3-05-02 3.5.2 거울 1 3.33

P3-05-03 3.5.3 수도꼭지 1 3.33

소계 21 100.00

<표 Ⅲ-5> 공원인증지표 위생시설 지표 현황

4) 위생시설

위생시설은 총 14개의 세부항목으로 분류되며 장애인 등이 이용가능한 화장실, 화

장실의 접근, 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등의 중분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위생시설의 인증지표 배점구성

위생시설은 총 14개 항목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며 전체 배점에서 30% 범위 내에서

평가를 통해 인증 심사를 진행한다.

총 30점의 배점 중 약 17%에 해당하는 장애유형별 대응방법과 관련된 위생시설의

항목과 출입구의 유효폭 항목 등의 배점이 각각 5점과 3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60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장애당사자건축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3. 위생시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85.71 0 25 20

P3-01-02 42.86 25 25 40

3.2 화장실 접근

P3-02-01 50 12.5 12.5 0

P3-02-02 42.86 25 25 20

P3-02-03 42.86 50 25 0

3.3 대변기

P3-03-01 42.86 12.5 0 5

P3-03-02 57.14 0 0 0

P3-03-03 14.29 0 0 0

P3-03-04 57.14 0 0 0

P3-03-05 52.86 25 0 20

3.4 소변기 P3-04-01 28.57 0 0 0

3.5 세면대

P3-05-01 52.86 0 0 0

P3-05-02 28.57 0 50 0

P3-05-03 42.86 0 0 0

소계 45.82 10.71 11.61 7.50

<표 Ⅲ-6> 공원인증지표 위생시설 FGI의견 현황

(2) 위생시설 인증지표 개정의견

해당 위생시설의 지표 중 FGI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장애당사자, 건축업무 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의 의견을 종합하면 공원의 이용활성화를 위해 화장실의

설치 및 접근과 같은 기본적인 요건만 충족된다면 편의시설적인 측면은 법적 근거가

명확한 지표부터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타났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61

① 장애당사자

장애당사자의 공원 위생시설 지표의 개정의견으로는 장애유형별 화장실 대응방법

과, 대변기의 손잡이 설치, 휠체어 장애인만을 위한 편의시설 외 기타설비의 확충

등 여러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② 건축업무 종사자

건축업무 종사자의 위생시설에 대한 개정의견은 약 10%로 현재 기준으로도 장애인

이 위생시설을 사용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장실 출입구 문의 경우에는 지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소수 있었다.

③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업무 종사자의 경우에도 위생시설의 지표 개정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한

경우는 11%에 불과하였으나 다른 대상들과 달리 세면대의 전면거울 항목이 개정이

필요하다고 조사 대상의 50%에서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④ 인증심사단

인증심사단은 전체적으로 위생시설 항목에서는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경우가 적었으며 화장실의 안내표지 등과 관련된 지표가 유도 및 안내설비 지표를

고려하여 개정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소수 제안하였다.

62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배점비율

4. 공원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1.1 시설까지의 접근로 1 7.14

P4-01-02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2 14.29

4.2 공원시설 P4-02-01 4.2.1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 8 57.14

4.3 기타설비P4-03-01 4.3.1 휴식공간 1 7.14

P4-03-02 4.3.2 매표소, 판매기, 음료대 2 14.29

소계 21 100.00

<표 Ⅲ-7> 공원인증지표 공원시설 지표 현황

5) 편의시설

공원인증지표의 편의시설 항목은 총 5개의 세부항목으로 분류되며 접근 및 이용성,

공원 시설, 기타 시설의 중분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공원시설의 인증지표 배점구성

공원시설은 총 5개 항목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며 전체 배점에서 14% 범위 내에서

평가를 통해 인증 심사를 진행한다.

총 14점의 배점 중 약 50%에 해당하는 점수 배점이 공원내 놀이시설의 설치 항목으

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공원시설의 인증지표 개정의견

공원인증지표 중 공원시설에 대한 FGI 의견은 4가지 조사대상중 인증업무 종사자

를 제외한 모든 조사대상에서 공원시설(놀이시설)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체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63

범 주 분류번호 장애당사자건축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4. 공원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2.86 0 50 60

P4-01-02 50 12.5 12.5 50

4.2 공원시설 P4-02-01 85.71 25 0 80

4.3 기타설비P4-03-01 50 37.5 0 30

P4-03-02 28.57 8.30 0.00 20.00

소계 51.43 16.66 12.50 48.00

<표 Ⅲ-8> 공원인증지표 공원시설관련 FGI의견 현황

① 장애당사자

장애당사자는 공원내 편의시설의 접근과 관련된 항목과 공원내 놀이시설, 휴식공간

에 대한 지표의 개정 및 명확한 지표 설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공원내 놀이시설의 경우 이용이 불가능한 놀이시설이 설치 운영되는 것 보다는 하나

의 놀이공간이라도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놀이시설이 설치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② 건축업무 종사자

건축업무 종사자의 편의시설에 대한 개정의견은 약 16%로 현재 기준으로도 장애인

64 한국장애인개발원

이 편의시설을 사용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원내 놀이시설의 경우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의견을 제시하였다.

③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업무 종사자의 경우는 공원내 시설까지의 접근로 항목에 대한 개정 의견이 다

수로 많았는데 이와 같은 의견을 제시한 배경으로는 공원내 편의시설까지 접근로를

규정에 맞게 설치하도록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표는 BF보행로를 한 개 이상 설치하도

록 규정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모든 보행로를 규정에 맞게 설치하여야 하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의견을 나타

냈다.

④ 인증심사단

인증심사단은 공원내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된 항목 중 공원편의시설의 접근로 부분

과 휴식공간부분에 대한 개정의견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공원 편의시설의 접근로는 공원내 산책로와 유사하거나 구분이 불가능하다는 의견

이 많았으며 모든 공원 편의시설까지 접근이 가능하도록 지표가 설정되어 있어 인증

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65

범 주 분류번호 평가항목 배점 배점비율

5. BF보행로

5.1공원내부 보행로

P5-01-01 5.1.1 BF보행로의 지정 2 7.14

P5-01-02 5.1.2 보행안전공간 6 21.43

P5-01-03 5.1.3 단차 1 3.57

P5-01-04 5.1.4 기울기 5 17.86

P5-01-05 5.1.5 바닥마감 2 7.14

P5-01-06 5.1.6 자전거 도로와의 접점 2 7.14

P5-01-07 5.1.7 보행유도의 연속성 10 35.71

소계 28 100

<표 Ⅲ-9> 공원인증지표 위생시설 지표 현황

6) BF보행로의 연속성

공원인증지표의 공원 내부 보행로 항목은 총 5개의 세부항목으로 분류되며 접근

및 이용성, 공원 시설, 기타 시설의 중분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BF 보행로 인증지표 배점구성

BF보행로는 총 7개 항목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며 전체 배점에서 28% 범위 내에서

평가를 통해 인증 심사를 진행한다.

총 28점의 배점 중 약 35%에 해당하는 점수 배점이 공원 내부 보행로의 연속성과

관련된 항목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BF보행로 인증지표 개정의견

보행로에 대한 FGI 의견은 4가지 조사대상중 인증업무 종사자를 제외한 모든 조

사대상에서 보행로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체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66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 장애당사자건축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5. BF 보행로의 연속성

5.1 공원내부 보행로

P5-01-01 28.57 50 50 40

P5-01-02 42.86 25 0 20

P5-01-03 57.14 0 0 20

P5-01-04 42.86 25 0 40

P5-01-05 42.86 75 25 80

P5-01-06 42.86 25 0 60

P5-01-07 28.57 0 0 40

소계 40.82 28.57 10.71 42.86

* P5-01-01 : BF보행로의 지정* P5-01-02 : 보행안전공간* P5-01-03 : 단차

<표 Ⅲ-10> 공원인증지표 BF보행로 FGI의견 현황

① 장애당사자

장애당사자는 공원내 보행로와 관련된 지표의 개정과 관련된 의견으로 단차와 바닥

마감 주변도로와의 접점 계획 등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 공원내 산책로 이용시 안전한 산책로 이용에 대하여 높게 평가 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67

② 건축업무 종사자

건축업무 종사자집단에서는 공원내 보행로 지표 중 개정이 필요한 항목으로 바닥

마감과 관련된 사항을 가장 높게 제시하였으며 개정이 필요한 이유로는 현재 지표의

바닥 마감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③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의 경우 BF보행로의 지표 개정의견으로 BF보행로의 지정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인증업무 및 컨설팅

등의 과정에서 건축주나 건축업무 종사자에게 관련내용에 대해 설명할 때 관련 BF보

행로의 명확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④ 인증심사단

인증심사단은 건축업무 종사자와 같이 바닥마감 항목이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관련 지표상 명확한 기준 제시와

보행로의 접점 계획 시 바닥 마감의 구획을 어느 정도 범위까지 인정하는지 여부도

명확한 기준 적립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68 한국장애인개발원

범 주 분류번호장애

당사자건축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평균

1. 매개시설

1.1 접근로

P1-01-01 100.00 100 75 80 88.75

P1-01-02 57.14 25 25 40 36.78

P1-01-03 57.14 25 0 60 35.53

P1-01-04 57.14 0 0 40 24.29

P1-01-05 71.43 50 25 60 51.61

P1-01-06 71.43 25 12.5 50 39.73

P1-01-07 57.14 50 0 40 36.78

평균 67.35 39.29 19.64 52.86 44.78

1.2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P1-02-01 57.14 25 25 0 26.79

P1-02-02 71.43 0 0 40 27.86

P1-02-03 57.14 0 25 0 20.54

P1-02-04 42.86 50 0 0 27.32

P1-02-05 57.14 25 25 0 26.79

평균 57.14 20.00 15.00 8.00 25.86

1.3 주출입구

P1-03-01 71.43 25 75 40 52.86

P1-03-02 64.29 12.5 25 0 25.45

평균 67.86 18.75 50.00 20.00 39.16

2. 유도안내

2.1 안내설비

P2-01-01 14.29 25 0 20 14.82

P2-01-02 28.57 25 0 20 18.39

P2-01-03 42.86 12.5 12.5 40 26.97

P2-01-04 57.14 25 25 0 26.79

평균 35.72 21.88 9.38 20.00 21.74

3. 위생시설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P3-01-01 85.71 0 25 20 32.68

P3-01-02 42.86 25 25 40 33.22

평균 64.28 12.50 25.00 30.00 32.95

<표 Ⅲ-11> FGI조사 결과 종합

7) 소결

장애인 당사자 및 인증업무 종사자, 건축업무 종사자, 인증심사단으로 구성된 인증

지표 개선을 위한 FGI설문조사의 종합적인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69

범 주 분류번호장애

당사자건축업무종사자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평균

3.2 화장실 접근

P3-02-01 50 12.5 12.5 0 18.75

P3-02-02 42.86 25 25 20 28.22

P3-02-03 42.86 50 25 0 29.47

평균 45.24 29.17 20.83 6.67 25.48

3.3 대변기

P3-03-01 42.86 12.5 0 5 15.09

P3-03-02 57.14 0 0 0 14.29

P3-03-03 14.29 0 0 0 3.57

P3-03-04 57.14 0 0 0 14.29

P3-03-05 52.86 25 0 20 27.94

평균 44.86 7.50 0.00 5.00 15.04

3.4 소변기P3-04-01 28.57 0 0 0 7.14

평균 28.57 0 0 0 7.14

3.5 세면대

P3-05-01 52.86 0 0 0 13.22

P3-05-02 28.57 0 50 0 19.64

P3-05-03 42.86 0 0 0 10.72

평균 41.43 0.00 16.67 0.00 14.53

4. 편의시설

4.1 접근 및 이용성

P4-01-01 42.86 0 50 60 38.22

P4-01-02 50 12.5 12.5 50 31.25

평균 46.43 6.25 31.25 55.00 34.73

4.2 공원시설P4-02-01 85.71 25 0 80 47.68

평균 85.71 25 0 80 47.68

4.3 기타설비

P4-03-01 50 37.5 0 30 29.38

P4-03-02 28.57 8.30 0.00 20.00 14.22

평균 39.28 22.90 0.00 25.00 21.80

5. BF 보행로의 연속성

5.1 공원내부 보행로

P5-01-01 28.57 50 50 40 42.14

P5-01-02 42.86 25 0 20 21.97

P5-01-03 57.14 0 0 20 19.29

P5-01-04 42.86 25 0 40 26.97

P5-01-05 42.86 75 25 80 55.72

P5-01-06 42.86 25 0 60 31.97

P5-01-07 28.57 0 0 40 17.14

평균 40.82 28.57 10.71 42.86 30.74

70 한국장애인개발원

공원인증지표에 대하여 장애당사자를 비롯한 인증업무 종사자, 인증 심사・심의위

원으로 구성된 FGI를 통해 현재 지표에 문제점 등과 개선 또는 개정의견을 수렴한

결과 가장 많은 의견이 제시된 항목으로는 공원시설의 항목으로 공원에 설치하여야

하는 놀이공간에 대한 지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공원의

접근과 관련된 매개시설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편의시설 항목 중 공원시설은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놀이공간)항목으로 장애인이

공원의 시설 중 이용가능한 놀이공간을 설치 운영할 수 있도록 지표가 설계되어 있으

나, 우리나라 공원의 특성상 소규모 어린이공원, 근린공원 등에서는 놀이공간을 구성

할 수 없는 규모, 지형이라 할지라도 놀이공간을 계획하고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

점과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가의 놀이시설을 배치하여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

점들이 제시되어 개정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공원의 매개시설의 접근로와 관련된 세부항목의 개정의견이 평균

44.78%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 접근로 항목에 개정의견은 조사대상 중 88.75%

에서 개정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공원의 접근로의 명확한 정의와 접근로

의 범위 설정 등에 현실적인 문제점들이 존재하지만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나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지표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공원의 주출입구에 관한 의견도 39.16%의 조사대상에서 명확한 주출입구의

정의가 필요하며 공원의 여러 개의 출입구 중 어느 곳을 주출입구로 명시하느냐에

따라 접근성이 달라지는 등의 문제점 등이 제기되었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71

2. Barrier-Free공원 인증 지표 개선항목 도출

본 절에서는 도출된 FGI 결과를 바탕으로 인증지표의 개선 항목을 5개의 대분류

체계별로 도출하고 이를 통해 장애당사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AHP 지표 가중치

설문조사를 실시할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 매개시설

매개시설은 공원의 접근 및 출입과 관련된 항목으로 기존 지표에서 가장 많이 제시

된 문제점은 명확하지 않은 지표의 기준과, 건축물과 다른 공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표 적용상의 어려움이 있는 부분을 고려하여 현장 적용이 보다 명확히 가능한

세부지표로의 전환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이 앞의 FGI설문조사에서 명확히 제시되

었다.

특히 본 연구의 자문단에서도 동일하게 개선이 최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라는 언급이 있어 공통적으로 개선에 대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 공원의 접근로 개념의 정의

∙ 공원의 대지경계선 밖 보도의 평가 세부기준 마련

∙ 공원의 주출입구 개념의 정의 및 평가 방법

∙ 자연형 공원의 구조적 문제 해결 방안

2) 유도 및 안내시설

유도 및 안내시설은 공원을 이용하는 장애인이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매개체로 자립적으로 공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장애인을 고려하

여 설치되어야 하는 중요한 시설 및 설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설이 비장애인을 위주로 설치되고 있거나, 심지어는 설치되어

있더라도 자연지형,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접근하지 못하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또

한, 현재 공원의 위치도 파악하기 어렵게 설치되어 있는 안내판 등은 일차원적인 안내

서비스만 제공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지표의 개선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72 한국장애인개발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지표의 개선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 모두가 이용 가능한 통합안내설비 계획

∙ 공원의 지형・지물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경고 및 유도 설비 시스

템 구축

∙ BF보행로 및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시설에 대한 정보, 보도의 기울기 및 주요

목적지까지의 거리 등이 상세히 명기된 안내판의 연속성

3) 위생시설

위생시설은 현행 지표의 세부 항목에 대한 개정의견을 통한 위생시설의 개선 필요

성 보다는 누구나 이용 가능한 화장실의 설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이와 같은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지표의 수준은 현행 수준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장애

물 제거 뿐 아니라 누구나 이용가능하고 공원의 목적에 부합될 수 있는 가족 화장실,

통합화장실의 설치를 적극적으로 유도 할 수 있도록 지표를 개선하였다.

위생시설의 지표 개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개선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 모두가 이용 가능한 가족화장실, 통합화장실의 설치 비율 증대

∙ BF보행로 등에서 연속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원내 편의시설의 설치 위치

계획 수립

∙ 세부적인 지표의 문제점 등을 보완하기 위한 설비 등의 보완

4) 편의시설

편의시설 항목은 대분류 체계의 명칭에서부터 다른 건축물, 공간에 설치되는 편의

시설과 혼돈되거나, 잘못 해석되는 들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어 대분류 체계의

명칭 개선을 관계 법령 등을 고려하여 새롭게 조정하였다.

또한, 그동안 문제가 되었던 공원내 놀이시설과 관련된 항목의 조정을 통하여 통합

놀이시설의 설치를 권장하되, 통합놀이시설 한 개의 지표에 따라 전체 등급을 부여

할 수 있는 현행 지표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Ⅲ. 인증지표 항목별 적용수준 평가 분석 73

편의시설 관련 항목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개선항목을 도출

하였다.

∙ 공원의 산책로와 편의시설(건축물 등)과의 연계성을 확보 하고 접근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관련 지표 개정

∙ 통합놀이시설의 설치를 적극 권장하되 놀이시설의 설치여부만으로 해당 인증 여

부를 판단하는 현재 지표 개선

∙ 공원 휴식공간 등에 장애인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지표 개선

5) BF보행로

BF보행로는 공원의 이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주목적 지표이지만 장애

인의 이용 가능성이 낮은 보행로의 지정, 공원의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내부 BF보행

로는 현실적으로 이용이 어렵다는 점 등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또한, 공원내부의 편의시설과의 연계성 결여로 인해 공원이용이 불가능한 경우 보

행로의 지정이 무의미하게 변질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

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BF보행로 평가지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개선지표를 도출하였다.

∙ 공원내 편의시설과의 연계성 확보

∙ 공원 내부 접근로와 주출입구 등의 접점 계획 수립

Ⅳ.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Ⅳ.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77

IV.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본 장에서는 BF 인증지표의 대분류 및 소분류체계별 중요도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의식 수준을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분류체계별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AHP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AHP 기법의 개요를 살펴보고 조사결

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1. AHP 기법의 개요

1) AHP의 정의

AHP는 미국의 펜실베니아 대학의 Thomas Satty 교수에 의해서 고안된 방법론으

로 Analytic Hierarchy Process(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의 약자이다. 의사결정의

목표 또는 평가기준이 다수이고 복합적인 경우 이를 계층(hierarchy)화 하여, 의사결

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쌍대비교13)(pairwise comparison)를 통

해 중요도를 산출하는 분석 방법으로,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

어온 방법론이다. 기존의 의사결정론과는 달리 대안들 간의 가중치를 계산하는데 있

어 쌍대비교를 이용하며,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토대로 쌍대비교시의 중요도

의 지수를 9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쌍대비교에 따른 의사결정의 일관성을 유지하

기 위하여 일관성 비율(Consistency Ratio)을 도입한다.

AHP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14)

∙ 계층(hierarchy)적 구조의 설정

∙ 상대적 중요도(weight)의 설정

∙ 논리적 일관성 유지(logical consistency)

∙ 계층적 구조의 설정 : 가장 기본적인 AHP 계층(hierarchy)은 맨 윗부분에 Goal

(목적)을 두며, 그 밑에 판단기준이 되는 기준(Criteria)을 두고 가장 아래 계층에

대안(Alternatives)을 두는 구조다. 판단기준이 되는 요소를 여러 단계로 나눌

13) 쌍대비교란 의사결정 요소들을 한 번에 한 쌍씩 짝지어 비교하는 형식이다. 일반적으로 n가지 의사결정 기준들의 상대적 중요도 또는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n(n-1)/2번의 쌍대비교를 수행하고 이를 행렬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임승남, 2006)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친환경 건축물 인증심사 기준 개선 및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9, p146

78 한국장애인개발원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Criteria밑에 Sub-criteria를 두게 되며, 더 나아가

Sub-sub-criteria를 둘 수도 있다. 이 과정에는 한계가 없으며 그 현상이나

문제, 시스템이 난해하거나, 심층적 분석을 요하거나, 많은 변수들을 가질수록,

더 복잡한 계층구조를 가지게 된다.

∙ 상대적 중요도의 설정 : AHP의 가장 큰 장점은 이러한 인간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복잡한 의사결정 상황에서 수많은 의사결정 요소들의 가중치(weight)

또는 중요도를 간단한 쌍대비교(1:1비교)를 통하여 산출해 내는데 있다. 여러

의사결정 요소들을 동시에 고려해서는 그들사이의 중요도를 산출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나 요소를 1:1로 비교하는 것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으며, 이들

전 요소에 대한 1:1비교 자료를 가지고 비교행렬을 구성한다.

∙ 논리적 일관성의 유지 : AHP에서는 비교행렬의 주고유 벡터를 활용한 1:1비교

결과의통합과정에서 AHP의 커다란 장점 중 하나인 “비일관성지수

(Inconsistency Index)"를 도출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자의 논리적

일관성 유지 여부를 확인하고 의사결정의 합리성과 논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비일관성지수를 난수지수(Random Index)로 나눈 비일관성 비율

(Inconsistency Ratio)이 10%를 넘게 되면 의사결정자가 논리적 일관성을 잃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의사결정과정을 재점검하도록 하는 신호를 보내는 기준으

로 삼고 있다.

2. AHP의 수행절차

1) 상대적 중요성 설정

상대적 중요성을 설정하기 위하여 두 가지 기준을 동등한 조건하에서 비교하는 쌍

대비교(pairwise comparison) 방법을 사용한다. 쌍대비교시 <표 Ⅳ-1>과 같이 9점

척도로 중요도를 부여하며, A와 B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를 묻는 질문형식으로

중요도 정도를 비교한다. AHP설문지는 다음 <표 Ⅳ-2>와 같다.

Ⅳ.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79

중요도 정의 설명

1비슷함

(equal importance)어떤 기준에 대하여 두 활동이 비슷한 공헌도를 가진다고 판단됨

3약간 중요함

(moderate importance)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약간 선호됨

5중요함

(strong importance)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확실하게 선호됨

7매우 중요함(very strong importance)

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강하게 선호됨

9극히 중요함

(extreme importance)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극히 선호됨

2,4,6,8 위 값들의 중간 값경험과 판단에 의한 비교값이 위 값들의 중간에 해당한다고 판단될 경우에 사용함

역수값활동a가 활동b에 대하여 위의 특정 값을 갖는다고 할 때, 활동b는 활동a에 대하여 그 특정 값의 역수 값을 갖는다.

<표 Ⅳ-1> 쌍대비교의 척도

자료 : 조근태 외(2003)

(예시)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따라 ∨표(또는 ◯)를 해 주십시오.

A 중요 동등 중요<----------------- -----------------> B

내부시설 9 8 7 6V 5 4 3 2 1 2 3 4 5 6 7 8 9 위생시설

매개시설 9 8 7 6 5 4 3 2 1 2 3 ④ 5 6 7 8 9 안내시설

<표 Ⅳ-2> AHP 설문의 예시

2) 쌍대비교 계산

쌍대비교란 여러 가지 대안들에 대하여 다중기준(multi-criteria)에 의한 의사결

정을 수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의사결정 요소들을 한 번에 한 쌍씩 짝지어 비교하는

형식을 취하게 되며, 비교하는 쌍대비교의 회수는 n(n-1)/2 개가 필요하게 된다. 쌍

대비교를 계산하는 절차는 행렬 A 각 열의 원소를 그 열의 원소의 합으로 나누어

정규화한 후 정규화 값을 행 별로 합하여 행의 원소 개수로 나누어 가중치를 추정하는

것이다.

80 한국장애인개발원

3) 논리적 일관성

쌍대비교가 가지는 문제점은 여러 가지의 요소들 사이를 주관적으로 비교하기 때문

에 논리적인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A가 B보다 환경적으로

우수하고, B가 C보다 환경적으로 우수하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당연히 A가 C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이 나와야 함에도 불구하고 쌍대비교의 회수가 늘어나면서 C가 A보

다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럴 경우에 논리적인 일관성이 떨어진다.

AHP방법에서는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 CR)이 가지는 의미는 (질서/무

질서)의 비율로 계산결과 10%이내이면 평가가 일관성이 있다고 하며, 20% 이내이면

허용할 수 있는 평가라고 여긴다. 일관성지수를 계산하는 수식은 아래와 같다.15)

CR = CI/RI×100

여기서, CR : 일관성 비율(Consistency Ratio)

CI :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

RI : 난수지수(Random Index)

일관성 비율을 계산하기 위한 일관성지수는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서 계산된다.

CI = (λ - n) / (n - 1)

여기서, λ : Consistency Vector에서 요소들의 평균값

n : 대안의 수

한편, 일관성 비율의 수실에 있는 RI는 난수지수(Random Index)를 의미하며, 이

는 1에서 9가지의 수치를 임의로 설정하여 역수행렬을 작성하고 이 행렬의 평균 일관

성지수를 산출한 값으로 일관성의 허용한도를 나타낸다. n이 1에서 10까지 변화할

때의 난수지수는 <표 Ⅳ-3>과 같다. 경험법칙에 의하여 위식에서 구한 일관성비율이

10% 이내에 들 경우, 해당 쌍대비교행렬은 일관성이 있다고 규정한다.16)

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친환경 건축물 인증심사 기준 개선 및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9, p148

16) 조근태 외,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03, p10

Ⅳ.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81

대안의 수 1 2 3 4 5 6 7 8 9 10

평균난수지수 0 0 0.58 0.90 1.12 1.24 1.32 1.41 1.45 1.49

<표 Ⅳ-3> AHP 난수지수의 적용

3. AHP 조사결과 분석

1) 조사의 개요

Barrier-Free공원 인증기준의 대분류체계인 접근성, 유도 및 안내설비, 위생시설,

편의시설, BF보행로의 연속성 등 대분류 및 소분류체계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를 도출하기 위하여, 인증심사단, 인증심의위원단, 인증기관종사자, 인증컨설팅업체

종사자, 학계종사자 22명을 대상을 AHP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응답자 개요는 다음의 <그림Ⅳ-1>과 같다.

설문 응답자의 소속분야는 장애인 협회 소속의 장애 당사자가 35%로 가장 많았으

며, BF인증 심사단 및 인증 심의위원이 전체의 25%로 나타났다. 건축 및 BF관련

경력기간은 3~5년과 5~10년이 각각 30%로 가장 많았다.

[그림 Ⅳ-1] 조사 대상의 개요

82 한국장애인개발원

(1) 쌍대비교

쌍대비교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중 일관성 지수가

0.10 이하의 경우만 합리적인 의사결정으로 판단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혀둔다. 쌍대비

교행렬에서 사용된 단위는 각각의 설문조사에 의한 수치를 합하고 기하평균17)을 사용

하였다.

대분류체계에서의 쌍대비교 결과는 다음 <표 Ⅳ-4>와 같으며, 배점범위 및 가중치

결과는 다음 <표 Ⅳ-5>과 같다. 각 소분류체계의 쌍대비교 결과는 다음 <표 Ⅳ-6>와

같으며, 배점범위 및 가중치 결과는 다음 <표 Ⅳ-7>과 같다.

구분 접근성유도 및 안내시설

위생시설공원

내부시설BF보행로

접근성 1.00 2.32 2.16 3.31 0.77

유도 및 안내시설 1.00 1.08 1.97 0.88

위생시설 1.00 2.18 0.31

공원내부시설 1.00 0.49

BF보행로 CR=0.035 1.00

<표 Ⅳ-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대분류 쌍대비교

대분류 항목 범위 가중치

접근성 1.66 0.303

유도 및 안내시설 0.96 0.174

위생시설 0.78 0.142

공원내부시설 0.51 0.093

BF보행로 1.58 0.288

합계  5.49 1.000

<표 Ⅳ-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대분류 배점 범위

17) 중요도 평가과정에서 집단이 참여할 경우 기하평균(geometic mean)을 사용하여 중요도를 산출한다. (Satty, 1982)

구분

공원까

지의

접근성

장애인

전용주

차구역

공원

입구

안내

설비

화장실

의설치

화장실

접근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공원내

부시설

공원

시설

(놀이

시설)

기타

설비

(휴식

공간)

공원

내부

보행로

공원까지의 접근성 1.00 4.14 2.10 2.11 2.80 2.48 3.77 5.20 5.42 3.44 4.75 4.12 2.04

장애인전용주차구역 1.00 0.45 0.47 0.48 0.34 0.81 1.43 1.54 0.63 1.21 1.05 0.37

공원입구 1.00 1.33 1.50 1.15 1.79 2.23 2.58 2.00 2.26 2.53 0.77

안내설비 1.00 1.31 1.17 2.12 2.82 3.10 1.79 2.57 2.55 0.82

장애인등이

이용가능한화장실의설치1.00 0.61 1.64 2.20 2.30 1.52 2.41 2.39 0.57

화장실접근 1.00 2.58 3.75 3.55 2.01 3.03 3.23 0.68

대변기 1.00 2.40 2.38 0.92 1.53 1.58 0.45

소변기 1.00 1.60 0.57 0.88 0.86 0.29

세면대 1.00 0.58 0.80 0.79 0.27

공원내부시설접근성

및 이용성1.00 2.28 2.15 0.47

공원시설(놀이시설) 1.00 0.68 0.24

기타설비(휴식공간) 1.00 0.26

공원내부 보행로 CR=0.01 1.00

<표 Ⅳ-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소분류 쌍대비교

84 한국장애인개발원

소분류 항목 범위 가중치

공원까지의 접근성 3.04 0.197

장애인전용주차구역 0.66 0.043

공원입구 1.51 0.099

안내설비 1.51 0.098

장애인등이 이용가능한화장실의설치 1.19 0.077

화장실접근 1.65 0.107

대변기 0.85 0.055

소변기 0.52 0.034

세면대 0.50 0.032

공원내부시설접근성 및 이용성 0.92 0.060

공원시설(놀이시설) 0.53 0.035

기타설비(휴식공간) 0.58 0.037

공원내부 보행로 1.93 0.125

합계 15.37 1.000

<표 Ⅳ-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소분류항목 배점 범위

Ⅳ.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85

대분류 항목 범위 가중치

대분류 체계

접근성 1.66 0.303

유도 및 안내시설 0.96 0.174

위생시설 0.78 0.142

공원내부시설 0.51 0.093

BF보행로 1.58 0.288

계  5.49 1.000

소분류 체계

공원까지의 접근성 3.04 0.197

장애인전용주차구역 0.66 0.043

공원입구 1.51 0.099

안내설비 1.51 0.098

장애인등이 이용가능한화장실의설치

1.19 0.077

화장실접근 1.65 0.107

대변기 0.85 0.055

소변기 0.52 0.034

세면대 0.50 0.032

공원내부시설접근성 및 이용성

0.92 0.060

공원시설(놀이시설) 0.53 0.035

기타설비(휴식공간) 0.58 0.037

공원내부 보행로 1.93 0.125

계  15.37 1.000

<표 Ⅳ-8> 공원 인증지표 배점 범위 및 가중치

(2) AHP모형 설정을 통한 BF공원 인증지표의 가중치 설정

지표의 가중치 및 일관성지수는 Microsoft Excel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대분류

체계 및 각 소분류체계별 가중치 결과는 다음 <표 Ⅳ-8>과 같다.

대분류 체계에서는 접근성 관련 항목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0.303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BF보행로와 관련된 항목의 가중치가 0.288로 조사되었다. 소분류체계에

서는 공원까지의 접근성 항목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0.197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공원내부 보행로가 0.125, 화장실의 접근이 0.107 순으로 조사되었다.

86 한국장애인개발원

4. AHP모형 작성

부분별로 고유 행렬을 구하여 작성한 요인별 가중치는 AHP모형에 의한 소분류체

계별 중요도로 정리할 수 있다. 각 대분류체계별 배점을 소분류체계의 가중치에 의해

배분한 최종 중요도 결과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나타내면 다음 <표 Ⅳ-9>와 같다.

대분류 항목 소분류항목 가중치

매개시설(접근성)

공원까지의 접근성 17.6

장애인전용주차구역 3.7

공원입구 8.8

소계 30.3

유도 및 안내시설안내설비 17.4

소계 17.4

위생시설

장애인 등이 이용가능한 화장실의 설치 3.6

화장실접근 5.0

대변기 2.5

소변기 1.6

세면대 1.5

소계 14.2

공원내부시설

공원내부시설 접근성 및 이용성 4.2

공원시설(놀이시설) 2.5

기타설비(휴식공간) 2.6

소계 9.3

BF보행로공원내부 보행로 28.8

소계 28.8

총 계  100

<표 Ⅳ-9>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가중치 결과

Ⅳ.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배점의 가중치 산정 87

5. 소결

현행 인증제도 공원인증지표 배점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통해 인증 분류체계별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의 <표

Ⅳ-10>과 같다. 전문가가 평가한 중요도를 현행 인증배점으로 환산한 배점을 표기하

여 현행 배점과 비교하기 쉽도록 하였다. 비교결과 현행 인증제도에서 부여하고 있는

배점과 전문가들의 중요도 평가와는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분류체계에서는 접근성이 1.5배, 유도 및 안내시설은 2.5배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위생시설은 현행배점의 절반으로 낮게 나타났다. 접근성 항목은 도보나 대중교

통으로 공원에 접근하고자 할 때 일차적으로 무장애화 되어야하는 시설이므로 중요도

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유도 및 안내시설은 공원 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설치된 편의시설을 연계하는 시설로써, 전문가 그룹은 안내시설의 중요도를 현행 인

증지표의 배점보다 매우 높게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BF 내부보행로 항목은 현행 배

점과 유사한 수준의 중요도로 조사되었다.

소분류체계 항목을 살펴보면 대분류체계 접근성 항목 중에는 공원까지의 접근성

항목과 유도 및 안내시설 하위의 안내설비 항목이 현행지표 배점에 비해 2.5배 가까

이 높은 중요도로 나타나 공원까지 이르는 접근로와 안내설비의 중요성을 전문가들

도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위생시설에서는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설치 항목과 세면대 항목은 현행배점 대비 절반 정도의 낮은 중요도 비율로

조사되었다.

본 결과는 BF관련 전문가의 설문을 통한 각 분류체계별 중요성을 조사한 것으로

향후 공원인증지표 관련 개정시에 배점의 가중치와 관련하여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인증 현장의 보편적 시설적용여부 및 타 항목의 배점과의 상대

적인 관계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 후에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88 한국장애인개발원

대분류 항목 소분류항목현행

지표배점신규

가중치증감

매개시설(접근성)

공원까지의 접근성 7 17.6 10.6

장애인전용주차구역 5 3.7 △1.3

공원입구 6 8.8 2.8

소계 21 30.3 9.3

유도 및 안내시설안내설비 7 17.4 10.4

소계 7 17.4 10.4

위생시설

장애인 등이 이용가능한 화장실의 설치

7 3.6 △3.4

화장실접근 8 5.0 △3.0

대변기 10 2.5 △7.5

소변기 2 1.6 △0.4

세면대 3 1.5 △1.5

소계 30 14.2 △14.3

공원내부시설

공원내부시설접근성 및 이용성

3 4.2 1.2

공원시설(놀이시설) 8 2.5 △5.5

기타설비(휴식공간) 3 2.6 △0.4

소계 14 9.3 △4.7

BF보행로공원내부 보행로 28 28.8 0.8

소계 28 28.8 0.8

총 계  100 100 0

<표 Ⅳ-10> 현행 인증지표 배점과 가중치 결과 비교표

Ⅴ. Barrier-Free공원인증지표(안) 제시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91

V.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본 장에서는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활성화를 위해 실시한 FGI, AHP설문조

사를 통해 얻어진 지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표의 배점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인증

지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롭게 구성되는 BF공원 인증지표는 공원의 주목적과 공원 이용의 연속성을 강화

하기 위해 지표의 대분류 위계부터 재구성하였으며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의 세

부항목별 개정(안)은 AHP가중치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대분류 체계의 신규

배점을 적용하여 기존의 배점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지표를 추가 하거나, 기존지표를

개정하여 설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새롭게 적용된 지표의 위계는 AHP가중치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으

며 세부 가중치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대분류 항목 소분류항목현행지표 배점(A)

신규가중치(B)

증감(B-A)

BF보행로

BF보행로의 지정 28 28.8 0.8

BF보행로의진입・출입 계획 16 26.5 10.5

공원까지 접근(외부보도) - 1.5 1.5

소계 44 55.3(1.5) 11.3(1.5)

유도 및 안내시설

안내설비 7 17.4 10.4

소계 7 17.4 10.4

위생시설

장애인 등이 이용가능한 화장실의 설치 7 3.6 △3.4

화장실접근 8 5.0 △3.0

대변기 10 2.5 △7.5

소변기 2 1.6 △0.4

세면대 3 1.5 △1.5

소계 30 14.2 △15.8

공원내부시설

공원내부시설 접근성 및 이용성 3 4.2 1.2

장애인전용주차구역 5 3.8 △1.2

공원시설(놀이시설) 8 2.5 △5.5

기타설비(휴식공간) 3 2.6 △0.4

소계 19 13.1 △5.9

총 계  100 100 0

<표 Ⅴ-1>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가중치 결과

92 한국장애인개발원

1. BF보행로

BF보행로는 공원내부 주요 산책로를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용하는 것은 물론, 공원

내부시설의 접근에도 연속성을 가지며 이용 할 수 있도록 개정하고자 하였다.

BF보행로는 기존 접근로의 세부기준 적용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이를 공원 내부

보행로에 편입하고, 공원대지내 보도는 BF보행로로 지정하여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

었던 접근로의 정의가 불분명한 점을 해소 하고자 하였다.

BF보행로의 지정은 공원내 보도 중 한곳 이상을 지정하고 공원으로 접근 가능한

보도를 확보하게 함으로써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장애인이 공원을 찾은 주목적인 산

책, 경관관람 등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BF보행로는 공원시설과 연속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장애인으

로 하여금 차별 받지 않고 공원을 순환 할 수 있도록 하게 하였다.

BF보행로는 기존 2.4m이상 되어있으나, 공원의 목적인 산책을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가능할 수 있도록 3.0m 이상의 폭을 확보 하도록 하였으며, 다만 ‘장애인등

의편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접근로의 규정을 준수 하였을 경우에는 일반 등급이 부

여 되도록 계획하였다.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93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1 BF 보행로

평가범주 1.1 BF 보행로의 지정

평가항목 1.1.1 BF 보행로의 구성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공원 내부 보도를 BF보행로로 지정 설치하여 장애인의 공원이용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함

평가방법대지경계선 밖 보도를 제외한 공원내부 보도를 BF보행로로 지정하고, 공원시설 등을 연결하는 BF보행로로의 설치 수준을 파악함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 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BF보행로의 설치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대지경계선내 모든 보행로를 BF보행로로 지정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하나의 BF보행로를 통해 공원시설(화장실 등)간을 연결하여 돌아 나올 수 있는 BF보행로를 1개소 이상 지정

일 반공원의 출입부터 공원내부를 순환하여 나올 수 있는 1개의 BF보행로 지정

•주요 산책로 등을 BF보행로로 지정하고 설치하여 BF보행로 외 다른 보행로는 경사도 및 재질 등을 평가하지 않게 함으로 인하여 보행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좀 더 다양한 공원을 만들기 위한 배려임•BF보행로의 설치 여부에 대해 대지경계선 등에서 시각장애인 등이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표시가 되어야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제출 서류

예비인증

- 공원 배치도- 공원내 주요 보행로 상세도- 바닥 마감 계획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4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1 BF 보행로

평가범주 1.1 BF 보행로의 지정

평가항목 1.1.2 BF보행로의 연속성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공원 내부 보도를 BF보행로로 지정하여 장애인의 공원이용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함

평가방법대지경계선 밖 보도를 제외한 공원내부 보도를 BF보행로로 지정하고, 공원시설 등을 연결하는 BF보행로로의 연속성을 파악함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 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BF보행로의 연속성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통합적 유도 안내 설비를 설치한 대지경계선내 모든 보행로를 BF보행로로 지정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하나의 BF보행로를 통해 공원시설(화장실 등)간을 연결하여 돌아 나올 수 있는 BF보행로를 1개소 이상 지정

일 반공원의 출입부터 공원내부를 순환하여 나올 수 있는 1개의 BF보행로 지정

•주요 산책로 등을 BF보행로로 지정하고 이외의 다른 보행로는 경사도 및 재질 등을 평가하지 않게 함으로 인하여 보행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좀 더 다양한 공원을 만들기 위한 배려임•최우수에서 말하는 유도 안내의 연속성의 확보는 BF보행유도의 연속성 및 주요 BF보행로 상에 위치한 시설의 안내 및 주출입구에서부터 안내(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 배려한 음성안내, 촉지도식 안내판, 눈에 잘 띄게 디자인된 표지판의 연속된 설치 등)가 되어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어야 함•BF보행로의 지정 여부에 대해 주출입구에서는 시각장애인 등이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표시가 되어야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제출 서류

예비인증

- 공원 배치도- 공원내 주요 보행로 상세도- 바닥 마감 계획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3>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9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1 BF 보행로

평가범주 1.1 BF 보행로의 지정

평가항목 1.1.3 보행안전 공간의 구성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장애물 구역이 명확히 분리된 보행안전공간이 확보되어 장애인 등이 안전하게 공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

평가방법 BF보행로에 수직, 수평의 무장애 공간 확보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보행안전 공간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BF보행로 유효폭 3.0m이상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BF보행로 유효폭 1.8m이상이며, 단차 없음

일 반지정된 BF보행로에 높이 2.5m이상, 장애물 구역이 명확하게 분리된 유효폭 1.5m이상 보행로로 전체 구간에 2cm이내의 단차 구간 있음

•지정된 BF보행로를 평가하며, BF보행로 미지정시 등급 미부여•보행로의 유효폭은, 대지내 보행로 중에 가장 유효폭이 좁은 곳을 기준으로 평가함•보행로 유효폭 1.5m미만의 보행로가 50m이상 연속될 경우 1.5m×1.5m이상의 교행구간을 50m이내마다 설치하여야 함(교행구간 미설치시 등급 미부여)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호

제출 서류

예비인증

- 공원 배치도- 공원내 주요 보행로 상세도- 바닥 마감 계획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6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1 BF 보행로

평가범주 1.1 BF 보행로의 지정

평가항목 1.1.4 BF보행로의 기울기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BF보행로는 장애인 등에게 있어 안전보행로가 되어야 하며, 그 보행로는 BF연속성을 가져야 함

평가방법 보행로 등의 진행 방향 및 좌우 기울기의 경사정도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보행로 기울기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기울기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좌우 1/50(2%/1.15°)이하, 진행방향 기울기 1/24(4.17%/2.39°)이하

우 수좌우 1/24(4.17%/2.39°)이하, 진행방향 기울기 1/18(5.56%/3.18°) 이하

- 지정된 BF보행로를 평가하며, BF보행로 미지정시 등급 미부여- 보행로의 기울기는 대지내의 보행로에 경사가 있는 경우 경사가 제일 급한 곳을 기준으로 평가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호

제출 서류

예비인증

- 공원 배치도- 공원내 주요 보행로 상세도- 경사로 상세도- 바닥 마감 계획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97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1 BF 보행로

평가범주 1.1 BF 보행로의 지정

평가항목 1.1.5 바닥마감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공원의 산책로는 장애인 등에게 있어 안전보행로가 되어야 하며, 그 보행로는 BF연속성을 가져야 함

평가방법미끄럽지 않은 바닥 재질 및 마감의 평탄한 정도와 미끄럼방지설비 설치 여부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바닥 마감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공원의 대지경계선에서부터 연

속적으로 장애인 등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유도 사인, 풋

라이트 등의 안전 보행 설비를 갖춘 경우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넘어져도 충격이 적은 탄성포장

재 등으로 마감하거나, 줄눈이 있는 경우 0.5cm이하로

일 반

물이 묻어도 전혀 미끄럽지 않은 아스팔트, 시멘트 등의

마감이나, 보도블록, 석재 마감 등의 경우 걸려 넘어질

염려 없이 평탄하게 마감하며 줄눈이 있는 경우 1cm이

하로 함

- 지정된 BF보행로를 평가하며, 보행로 미지정시 전체 보행로를 평가- 보행로의 바닥이 여러 재료로 마감되어 있는 경우 그 마감 정도가 가장 미비

한 곳을 기준으로 평가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호

제출 서류

예비인증

- 공원 배치도- 공원내 주요 보행로 상세도- 경사로 상세도- 바닥 마감 계획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98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1 BF 보행로

평가범주 1.2 BF 보행로의 진입・출입 계획

평가항목 1.2.1 공원의 진입・출입 통제 계획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자전거 및 오토바이 등의 진출입을 분리하도록 하여 장애인등의 보행자가 안전하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함

평가방법공원 대지경계선에서 자전거 및 오토바이 등의 진출입 통제 계획 및 휠체어사용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등의 설치 여부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 등급에 해당하는 점수

구분 자전거 및 오토바이 등의 진출입 통제 계획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자전거 및 오토바이와 장애인등의 진출입 동선이 서로 분리되어 장애인 등의 보행안전이 확보된 경우

우 수자전거 및 오토바이의 속도 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1.5m이상의 유효폭으로 지그재그, 반원, 곡선 형태 등으로 출입구 계획

일 반0.75m정도의 간격으로 차량 진입억제 말뚝 설치하여 자전거 및 오토바이의 속도저감 효과를 가져오며 일부분의 경우 휠체어 통과가 가능하도록 출입구 계획

- 차량 진입억제 말뚝의 경우 높이 0.8~1.0m, 지름 0.1m~0.2m이내로 설치되어야함- 밝은 색의 반사도료 띠 등을 사용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함- 재질의 경우 보행자 등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함(이 규정대로 설치하지 않은 채 무릎정도의 높이의 어두운 색의 볼라드 등으로 설치할 경우 등급 미부여)- 차량 진입억제 말뚝을 0.75m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은 자전거 등의 속도 저감 효과를 내기 위함이며, 아울러 휠체어의 통과를 위해 출입구 일부는 휠체어만 통과할 수 있는 시설계획이 필요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제출 서류

예비인증

- 공원 배치도 및 평면도- 공원 대지경계선 단면도(출입구 등)- 주출입구 상세도- 바닥 마감 계획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9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1 공원까지의 접근

평가범주 1.3 접근로

평가항목 1.3.1 공원 외부 보도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공원이 대지경계선에 인접하여 외부보도에서 직접 연결되는 경우 외부 보도를 정비하여 장애인의 접근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보행장애물이 없는 보도를 제공하여야 함

평가방법공원 대지경계선 밖 보도의 바닥마감, 유효폭, 기울기 및 유도 안내설비 등을 평가하여 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 할 수 있도록 안전보행로가 확보되었는지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공원 외부 보도평가항목

점수

최우수모든 대중교통수단에서부터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보행로가 폭 3.0m이상 확보되어 있으며 공원의 주출입구까지 차량과 완전히 분리된 보도

우 수대중교통 수단 중 한곳 이상에서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보행로가 폭 1.5m이상 확보되어 있으며 공원 주출입구까지 차량과 완전히 분리된 보도

일 반일반 보도 중 장애인이 공원의 주출입구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1.2m 이상의 보행안전구역을 설치

• 공원 외부 보도는 장애인을 위하여 시설의 정비, 유도 안내설비 등을 별도로 제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평가하며 추가점수를 BF보행로 항목 총배점의 3%범위에서 부여 할 수 있음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호- 일본 동경도 복지마을 만들기 조례- 독일 편의증진 관련법규(DIN 18024 Teil 2)- 스위스 편의증진 관련법규(Norm SN 521 500)

제출 서류

예비인증

- 배치도(차량 출입 및 보행 출입구 표시)- 접근보행로 단면도- 바닥 마감 계획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8>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0 한국장애인개발원

2. 유도 및 안내 시설

유도 및 안내 설비는 장애인이 공원을 처음 방문하거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

고 공원의 목적지 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계획 되어야 하며,

누구나 이용이 편리하고 인지성이 높아야 한다.

기존의 지표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통합 안내판을 설치할 경우 최우수 등급을 부

여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통합 안내판에 명시하여야 하는 세부적인 기준이 없어 인증

심사나 평가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세부 지표를 개정하

였다.

개정된 유도 및 안내 시설의 세부 지표는 통합안내판에 명시하여야 하는 기준, 공원

의 주요 지점까지의 거리를 포함한 전체 BF보행로의 순환체계 등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어야 하며,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해 공원 내부 보도의 경사도를 표시 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통합유도 안내설비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지원과 위험으로부터 경고,

재난 등으로부터 피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지원이 가능할 경우에만

최우수 등급을 부여 하도록 계획 하였다.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0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2 유도 및 안내시설

평가범주 2.1 안내설비

평가항목 2.1.1 안내판 설치 및 안내판의 정보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촉지도식 안내판을 평가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공원 내의 위치 및 시설의 기능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판을 설치하도록 하며 안내판의 질적 정보를 평가

평가방법해당시설의 주요시설 위치 등에 대한 장애인 등이 쉽게 이용 가능한 안내판 설치 여부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촉지도식 안내판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안내판 설치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경사진 산책로의 경우 경사 정도를 표시

우 수장애인 등이 쉽게 이용가능한 안내판에 촉지도식 안내판과 음성 안내장치를 함께 설치하여 장애인 등이 이용가능한 BF보행로를 표시

일 반장애인 등이 쉽게 이용가능한 안내판에 촉지도식 안내판을 함께 설치하여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시설에 대한 정보 제공

- 장애인 등이 쉽게 이용가능한 안내판은 읽기 좋은 글자체(고딕체 또는 이와 유사한 글자체)로, 글자크기는 최소 1.5cm이상으로 하고, 바탕과 명확히 대조되는 색상을 이용한 양각 글자체를 사용, 바닥면으로부터 1.0m~1.2m 범위 안에 설치하고,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조명을 설치하여야 함- BF산책로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시각적으로 인지가 쉬워야 할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 등을 배려하여 촉지도식 혹은 점자 안내 및 음성안내가 함께 제공되는 통합 안내판을 설치한 경우 최우수로 평가함- 안내판에는 기본적으로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주차장, 시설물 등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표시가 없을시 등급을 얻지 못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7호

제출 서류

예비인증

- 배치도(안내판 위치 및 시각장애인 음성안내시설 표기)- 촉지도식 안내판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9>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2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2 유도 및 안내시설

평가범주 2.1 안내설비

평가항목 2.1.2 통합안내설비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안내설비는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시각・청각 장애인에게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평가방법해당시설의 주요시설 위치 등에 대한 음성안내 장치의 설치 여부 및 주출입구부터 주요시설까지 시각장애인용 유도용시설(점자블록 등)의 연속적인 설치 정도 와 적절성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각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세부항목 - 음성안내 장치 및 연속된 유도용 시설(점자블록 등) 설치

구분 음성안내 장치 및 연속된 점자블록 설치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대지경계선에 접근 시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리모콘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안내장치 설치

우 수재질과 마감을 달리하고, 색 대비를 통해 점자블록의 기능을 확보

일 반 점자블록을 연속 설치

• 세부항목 - 청각장애인 안내설비

구분 청각장애인 안내설비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그림을 병용하여 표시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외국어를 병용하여 표시

일 반안내표시를 읽기 좋은 글자체(고딕체 또는 이와 유사한 글자체)를 사용하였으며, 주변과 명확히 대조되는 색상을 이용하여 문자 표시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6호, 제17호

제출 서류

예비인증

- 배치도(안내판 위치 및 시각장애인 음성안내시설 표기)※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0>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03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2 유도 및 안내시설

평가범주 2.1 안내설비

평가항목 2.1.3 경고시설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위험지역에 대한 경고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장애인 등이 공원 내에서 안전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함

평가방법 위험지역에 적절한 경고시설을 설치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경고시설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주요 위험지역에 색상, 질감적으로 대비되는 마감재를 이용하여 점자블록의 기능을 확보하여 경고시설 설치하고, 음성안내 설비 등을 구비

우 수주요 위험지역에 색상, 질감적으로 다른 마감재를 이용하여 점자블록의 기능을 확보하여 경고시설 설치

우 수주요 위험지역에 규정에 적합한 점자블록을 이용하여 주의경고시설 설치

• 주변과 조화된 환경을 만들어 모두가 함께 공원을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점형블록의 사용보다는 질감적, 색상적으로 명확한 대비가 구분되는 마감재 사용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6호, 제17호

제출 서류

예비인증

- 배치도(안내판 위치 및 시각장애인 음성안내시설 표기)※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1>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4 한국장애인개발원

3. 위생시설

위생시설은 공원인증 지표의 가중치 산정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이지만 세

부 지표를 개선하거나 관련 기준을 완화하는 형태로의 개정보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

경’에서 공원의 특성을 고려한 ‘누구나 이용 가능한’위생시설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지

표를 개정 하였다.

위생시설은 기존의 최우수 항목을 보다 강화하고 일반수준의 지표를 완화하여 지표

의 균형을 보완하였으며 일반 등급은 장애인등의 편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규적인

부분과 사용가능성, 이용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반면, 최우수 등급은 가족화장실의 설치 비율을 전체 화장실의 50%까지 확대 운영

하도록 하여 공원을 이용하는 유모차, 노인 사용자 등의 이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위생시설은 기존 1,500㎡ 미만의 공원에 설치되지 않을 경우 해당 지표의 평균과

전체 배점의 평균의 비율을 해당항목의 점수로 산정하는 어려운 절차를 보였지만 개

정된 지표에서는 건축물 인증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총 배점에서 제외하고 점수를 산

정하여 합리적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세부지표는 그동안 설비의 설치 등으로 보완이 가능하였던 등받이 설치 항목이 필

수적으로 인증 평가를 받도록 보완하였으며 기타 인체 감지형 비데 등의 설비도 평가

대상에 포함시켜 장애인의 편의증진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0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1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평가항목 3.1.1 화장실의 설치 및 안내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의 다양한 장애유형에 대한 대응 방법을 평가하여 장애인 등 모든 사용자가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화장실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장애인 등이 화장실 내부의 위치 및 기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

평가방법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 여부 및 이용안내 표지판 설치 유무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장애유형별 대응 방법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공원 전체 화장실의 50%이상이 다목적 화장실, 가족화장실 등으로 구성됨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최소1개 이상의 다목적 화장실을 설치하고, 화장실 내부의 위치 및 기능을 안내할 수 있는 촉지도식 안내표지가 화장실 출입구에 있음

일 반최소 1개 이상의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을 남녀 각 1개 이상 설치하고 남녀 화장실 전면에 점형블록 및 벽면의 점자표기를 포함한 안내표지 있음

•1,500㎡미만의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점수산정은 위생시설(3.항목전체)을 제외한 공원 전체의 평가점수의 총점으로 등급을 부여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2>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6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2 화장실의 접근

평가항목 3.2.1 BF보행로와의 연계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BF보행로와 화장실의 연계성을 평가하여 장애인 등이 BF보행로에서 불편함이 없이 접근하기 위해 적절한 유효폭을 확보하고 단차 없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함

평가방법화장실로 접근하기 위해 BF보행로에서 화장실까지의 접근로의 유효폭, 단차, 바닥 마감 등을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세부항목 – BF보행로와 접점, 보행로의 유효폭 및 단차

구분 유효폭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BF보행로에서 단차 없이 보행 연속성을 유지하며 접근이 가능하며 1.1항목의 공원내부 보행로와 동일한 폭의 접근로 확보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단차 없이 BF보행로에서 연결이 가능한 2.4m이상의 보행로 확보

일 반BF보행로에서 연결이 가능하며 2cm이하의 단차, 1.5m이상의 보행로 확보

•1,500㎡미만의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점수산정은 위생시설(3.항목전체)을 제외한 공원 전체의 평가점수의 총점으로 등급을 부여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3>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07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2 화장실의 접근

평가항목 3.2.2바닥 마감(BF보행로의 바닥 마감)_3.2.1항목으로 조정가능함_1.1.5항목, 5.1.5항목으로 연계 및 편입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화장실 접근로의 마감 상태를 평가하여 장애인 및 노약자 등 다양한 사용자가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화장실로 접근 가능하도록 함

평가방법 화장실 바닥 마감의 평탄함 및 미끄럽지 않는 정도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화장실 바닥 마감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바닥 마감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마감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결려 넘어질 염려가 없음

일 반 물이 묻어도 미끄럽지 않음

•1,500㎡미만의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점수산정은 위생시설(3.항목전체)을 제외한 공원 전체의 평가점수의 총점으로 등급을 부여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08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2 화장실의 접근

평가항목 3.2.3 출입구(문)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화장실의 출입구(문)을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화장실로 접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의 출입문 및 적절한 폭을 확보하고, 시각장애인이 실의 기능을 알 수 있도록 출입구(문) 옆에 점자표지판을 설치하도록 함

평가방법 휠체어의 접근이 가능한 출입구(문)의 형태 및 유효폭의 확보 여부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형태 및 유효폭평가항목

점수

최우수BF보행로에서 대변기 칸막이까지 자동문 등으로 단차 가

없으며, 1.5m이상의 통과 유효폭 확보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유효폭을 1.2m이상 확보

일 반BF보행로에서 대변기 칸막이까지 여닫이 또는 미닫이문을

통해 이동하며 유효폭 1.0m를 확보

•화장실 출입구의 유효폭이 1.0m미만일 경우 해당 지표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음•화장실의 출입문의 유효폭은 문틀 내부 폭에서 경첩의 내민 거리와 문의두께를 뺀 나머지 폭으로 측정함•화장실의 출입문이 없는 경우 화장실 출입문 형태는 자동문을 설치한 것과 동일하게 평가하고, 유효폭만으로 평가등급을 부여함•1,500㎡미만의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점수산정은 위생시설(3.항목전체)을 제외한 공원 전체의 평가점수의 총점으로 등급을 부여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0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3 대변기

평가항목 3.3.1 칸막이 출입문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대변기의 칸막이 출입문을 평가하여 대변기 칸막이 출입문이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대변기로 접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 및 유효폭을 확보하도록 함

평가방법 휠체어의 접근이 가능한 칸막이 출입문의 유효폭 및 형태, 기타 설비 설치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세부항목 - 유효폭

구분 유효폭 및 칸막이 출입구 형태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유효폭 1.2m이상의 자동문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유효폭 1.0m이상

일 반내부 공간이 확보된 밖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유효폭 0.8m이상

• 세부항목 - 사용여부 설비

구분 사용여부 설비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불이 켜지는 문자 시각설비 설치

우 수 색상과 문자로 사용여부 알 수 있음

일 반 색상으로 사용 여부를 알 수 있음

• 세부항목 - 잠금장치

구분 잠금장치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누구나 사용이 편리한 형태의 잠금장치를 설치함

우 수 잠금장치를 설치함

•출입문을 자동문으로 설치할 경우 자동문버튼은 바닥면에서 0.8m ~ 0.9m 높이로 설치하여야 하며 코너로부터 0.4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함(3.3.5)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0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3 대변기

평가항목 3.3.2 대변기 내부 유효바닥면의 크기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대변기 내부의 활동공간을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활동공간을 확보하도록 함

평가방법 대변기가 설치된 내부 유효 바닥면의 크기로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활동공간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는 가족화장실 등의 다목적 화장실로써, 유효바닥 면적이 3.0m×3.0m이상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대변기 유효바닥 면적이 폭2.0m이상, 깊이2.1m이상이 되도록 설치

일 반대변기 전면 활동공간 1.4m×1.4m이상 확보하고, 측면활동공간 0.75m 이상 확보

•유효바닥 면적은 화장실이 큐비클 등의 칸막이로 설치된 경우 해당 칸막이 내부 활동공간으로 평가함•1,500㎡미만의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점수산정은 위생시설(3.항목전체)을 제외한 공원 전체의 평가점수의 총점으로 등급을 부여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1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3 대변기

평가항목 3.3.3 대변기 형태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대변기의 형태 및 설치 높이를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 및 높이로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대변기의 형태 및 설치 높이로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형태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등받이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 비데설치(기타설비로 이동)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대변기는 벽걸이형으로 설치

일 반대변기는 바닥부착형 양변기로 설치하고, 좌대의 높이는 바닥면으로 부터 0.4m~0.45m

•플러쉬밸브형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등받이설치는 필수적으로 설치 하여야 함•1,500㎡미만의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점수산정은 위생시설(3.항목전체)을 제외한 공원 전체의 평가점수의 총점으로 등급을 부여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8>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2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3 대변기

평가항목 3.3.4 손잡이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대변기 손잡이를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대변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재질과 굵기의 손잡이가 적절한 높이에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대변기 수평 및 수직손잡이 재질과 굵기, 설치 높이로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대변기 손잡이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손잡이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일반화장실을 포함한 모든 대변

기에 손잡이 설치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손잡이는 차갑거나 미끄럽지 않

은 재질의 손잡이 설치

일 반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법률 시행규칙 별표1. 13. 장애인등의 이용이 가능한 화장실의 규정 중

손잡이 규정 설치

(대변기 양옆에 수평손잡이는 높이 0.6m~0.7m위치에 설치변기중심에서 0.4m이내의 지점에 고정하여 설치

다른 쪽 손잡이는 0.6m 내외의 길이로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야 하며 손잡이간의 간격은 0.7m내외로 설치할 수 있음수직손잡이는 수평손잡이와 연결하여 0.9m이상의 길이로 설

손잡이 두께는 지름 3.2cm~3.8cm가 되도록 설치)

•1,500㎡미만의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점수산정은 위생시설(3.항목전체)을 제외한 공원 전체의 평가점수의 총점으로 등급을 부여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19>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13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3 대변기

평가항목 3.3.5 기타설비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대변기에 세정장치를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대변기 세정장치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의 세정장치가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세정장치의 설치 형태 및 기타설비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기타설비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비상호출벨 인체감식 센서 등의 비데설치

우 수 광감지식 및 누름 버튼 세정장치 설치

일 반대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화장지걸이 등의 기타설비가 이용 가능함세정장치는 바닥 및 벽면 누름 버튼 장치 설치

- 유아용 거치대는 장애인이 사용 가능한 화장실 또는 일반화장실에 설치한 것을 평가함(지표에 없는 부분인데 법적 의무 사항이기 때문에 평가가 가능할지 여부 판단)- 조명스위치 및 화장지걸이는 바닥면에서 0.8m ~ 1.2m이내에 설치하여야 함- 출입문을 자동문으로 설치할 경우 자동문버튼은 바닥면에서 0.8m ~ 0.9m 높이로 설치하여야 하며 코너로부터 0.4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0>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4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4 소변기

평가항목 3.4.1 형태 및 손잡이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소변기의 형태 및 손잡이를 평가하여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의 지탱하는 힘이 부족한 다양한 사용자가 소변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의 소변기와 손잡이가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소변기의 형태 및 수평・수직손잡이 굵기, 설치 높이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소변기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점수로 평가

구분 형태 및 손잡이평가항목점

최우수 우수 기준을 만족하며 모든 소변기에 손잡이 설치

우 수우수의 기준을 만족하며, 손잡이의 재질이 차갑지 않은 손잡이 설치

일 반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법률 시행

규칙 별표1. 13. 장애인등의 이용이 가능한 화장실의 규정

중 손잡이 규정 설치하고, 바닥 부착형 소변기 설치

(수평손잡이는 높이 0.8m~0.9m,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0.55m내외로 설치 좌우손잡이 간격은 0.6m내외로 설치수직손잡이는 높이 1.1m~1.2m, 돌출폭 벽면으로부터 0.25m내외, 하단부가 휠체어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손잡이 두께는 지름 3.2cm~3.8cm가 되도록 설치)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1>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1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3 위생시설

평가범주 3.5 세면대

평가항목 3.5.1 형태 및 거울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세면대 형태를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의 세면대가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세면대의 형태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세면대 형태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세면대 형태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다목적 화장실 등에 확대경 등의 추가 설비 설치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광감지식 수도꼭지, 전면 거울을 설치하여 대변기 사용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

일 반

카운터형 혹은 단독형 세면대 설치를 설치하고, 수도꼭지는 사용하기 쉬운 누름버튼, 레버식을 사용함- 법적사항 (상단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5m하단은 깊이 0.45m, 높이 0.65m이 확보)

- 대변기 칸막이 내부에 단독형으로 설치할 경우 세면대 양측면에 상하회전형 손잡이를 설치- 외부 세면대로 적용할 경우, 단독형이면 반드시 양쪽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하며 카운터형일 경우에는 양쪽손잡이 없어도 평가가 가능함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2>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6 한국장애인개발원

4. 공원시설

공원시설은 기존 편의시설 항목의 대분류 체계에서 인증담당자, 건축업무종사자,

인증심사단 등이 명칭 개정의견에 따라서 공원내부시설, 공원시설로 명칭을 변경하여

새롭게 평가하도록 설계하였다.

공원시설이라 함은 공원안내소, 매표소 등과 같이 공원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건축물과, 공원관리 직원이 상주하여 근무하는 건축물을 말하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 별도의 건축물과 연계되어 있으면 해당 건축물을 포함하여 평가하도록 함으로써,

공원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건축물 등은 필수적으로 평가 대상에 포함시켰다.

하지만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던 그 외 시설(도서관, 병원 등)의 경우, 별도의

건축물 인증 또는 적합성 평가를 받아야 하도록 관련 법령이 개정되어 공원 인증 지표

에서는 제외 하였다.

위의 별도의 건축물 인증이나, 적합성 평가를 통하여 공원시설이 BF보행로와 연계

되거나, 장애인이 시설 이용에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되면 인증심의, 심사를 통해 총

배점의 3%의 가점을 부여 할 수 있도록 계획 하였다.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17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4 공원시설

평가범주 4.1 접근 및 이용성

평가항목 4.1.1 BF보행로와의 연계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공원 내 시설은 장애인 등의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여 모두가 함께 공원을 즐길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함

평가방법 공원시설의 BF보행로와의 연계성에 대한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시설위치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시설까지의 접근로평가항목

점수

최우수BF보행로와 연계되어 있으며, 눈에 잘 띄도록 위치 및 유도 안내 표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BF보행로와 같은 유횩폭을 확보

우 수BF보행로와 이격되어 있으나 유도안내 표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1.5m의 유효폭 확보

일 반 BF보행로와 이격되어 있으나 1.2m의 유효폭 확보

•공원시설이라 함은 공원안내소, 매표소 등과 같이 공원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공원관리 직원이 상주하여 근무하는 건축물을 말하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이 별도의 건축물과 연계되어 있으면 해당 건축물을 포함하여 평가함•주 산책로와 인접해 있다함은 주 산책로에서 시설의 입구가 바로 보임을 말함•주 산책로에서 따로 접근로를 두어 시설로 접근할 경우 접근로는 ‘1.1 보도 및 접근로’ 일반 이상의 기준을 따르며 일반 미만일 경우 등급 미부여• 특수목적을 가지는 공원시설의 경우 건축물 또는 해당 시설까지의 접근로를 BF보행로와 함께 적용하여 심사를 하는 경우 총 배점의 3% 이내로 가점을 부여 할 수 있음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3>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18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4 공원시설

평가범주 4.1 접근 및 이용성

평가항목 4.1.2 공원시설의 주출입구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공원시설은 장애인 등의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여 모두가 함께 공원을 즐길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함

평가방법공원 시설의 주출입구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접근하여 진입 가능한지 정도를 주출입구의 높이 차이와 기울기로 평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세부항목 - 주출입구 높이차이

구분 주출입구 높이차이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단차없이 수평접근

우 수 0.75m이하 단차(경사로 설치)

일 반 0.75m이상 단차(경사로 설치)

• 세부항목 - 주출입구 경사로 기울기

구분 주출입구 경사로 기울기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단차없이 수평접근

우 수 기울기 1/18(5.56%/3.18°)이하

일 반 기울기 1/12(8.33%/4.76°)이하

•공원시설이라 함은 공원안내소 등과 같이 공원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공원관리 직원이 상주하여 근무하는 건축물을 말하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이 별도의 건축물과 연계되어 있으면 해당 건축물을 포함하여 평가함•주출입구에 높이차이가 있으나 불가피하게 경사로를 설치하지 못하고, 부출입구로 출입구 가능한 경우, 부출입구 이용에 대한 연속적인 안내 및 유도 표시가 마련된 경우에 한하여서 부출입구로 대체하여 평가가 가능함•공원시설이 여러 개일 경우 등급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4>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1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4 공원시설

평가범주 4.2 공원 내 놀이시설

평가항목 4.2.1 장애인을 위한 통합 놀이 공간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공원 내 시설은 장애인 등의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여 모두가 함께 공원을 즐길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함

평가방법 장애인 등이 이용할 수 있는 화단 혹은 놀이 공간 등의 공원 시설 설치 여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장애인을 배려한 공원시설에 대한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통합 혹은 장애인 전용 공원 놀이시설 등의 설치 여부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통합시설로 설치

우 수 부분적인 통합시설로 설치

일 반 일반 놀이 시설 설치

• 장애인을 위한 통합놀이공간의 경우 어린이 근린공원, 놀이공원, 연면적 300,000㎡이상의 대규모 공원의 경우 의무적으로 평가 함• 통합시설이라 함은 장애인 비장애인의 구분 없이 모두가 이용하는데 차별이 없는 시설을 말함• 장애인 등이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다 함은 위험지역의 난간설치 계획, 위험지역에 대한 경고시설 설치가 포함되며 이는 모든 시설에 기본이 되어야 함• 장애인 등이 접근하기 쉬운 시설은 시설의 이용에 있어 이동(수직 이동 포함)에 어려움이 없음을 말함• 통합놀이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총 배점의 3% 이내로 가점을 부여 할 수 있음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5>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20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4 공원시설

평가범주 4.3 기타설비

평가항목 4.3.1 휴식공간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적절한 간격마다 휴식공간을 제공하여 휠체어사용자 등 모두가 함께 휴식을 할 수 있는 공원이 되어야 함

평가방법 장애인 등의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휴식공간 설치 여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휴식공간에 대한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세부항목 - 휴게시설의 설치방법

구분 휴게시설의 설치방법평가항목

점수

최우수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상부에 지붕 등을 설치함

우 수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휠체어사용자와 비장애인의 휴식공간을 분리하지 않고 함께 휴식할 수 있는 공간

일 반휠체어의 진입이 가능하고, 휴식공간 내부에서 휠체어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 확보

• 세부항목 - 휴게의자의 구조

구분 휴게의자의 구조평가항목

점수

최우수등받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어나기 편하도록 손잡이가 설치

우 수 등받이만 설치된 구조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13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출 서류

예비인증

- 화장실 층별 평면도, 단면도- 대변기・소변기・세면대 상세도 ※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6>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Ⅴ.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안) 제시 12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4 공원시설

평가범주 4.3 기타 설비

평가항목 4.3.2 판매기, 음료대, 매점 등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 판매기, 음료대 등은 장애인 등이 이용하기에 적정한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함

평가방법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판매기, 음료대의 적정 구조 여부 및 매점 이용 여부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 판매기

구분 판매기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판매기 주변 바닥 재질을 달리하여 위치 안내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조작부에 점자 표시 함께 설치

일 반휠체어의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 및 투입구 및 조작버튼 높이는 0.4m~1.2m이내 설치, 버튼식 설치

- 음료대

구분 판매기평가항목

점수

최우수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음료대 주변구역의 바닥 재질을 달리 마감하여 위치 안내

우 수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광감지식 조작기 설치

일 반

휠체어의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 분출구의 높이는 0.7m~0.8m이내에 설치휠체어바퀴가 들어갈 수 있는 하부공간 확보레버식 조작기 설치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2 제2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제22호

제출서류

예비인증

- 공원 배치도- 판매기 상세도- 음료대 상세도※ 위 제출서류 중 평가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서류제출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7>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122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 공원

평가부문 5 종합평가

평가범주

평가항목

■ 세부평가기준

평가목적

평가방법

배 점

산출기준

• 평점 = 편의시설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편의시설 평가평가항목

점수

등급 구분

없음※ 심사위원의 평가내용을 자필로 기입

■ 평가 참고자료 및 제출서류

참고자료

제출 서류

예비인증

본인증 - 예비인증시와 동일

<표 Ⅴ-28> Barrier-Free공원 인증지표 (안)

Ⅵ. 결론

Ⅴ. 결론 125

VI. 결론

장애인의 여가생활 증대와 휴식에 대한 욕구가 날로 증대하고 있는 현재 장애인의

외부 활동 역시 장애인의 삶 중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나날이 이러한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은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Barrier-Free공원 인증의 활성화를 통하여

장애인이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서의 공원 역할을 부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원인증지표가 합리적으로 개선되어야하며, 장애인이나 노인, 유모차를

끌고 가는 사람들 모두가 실질적으로 편안한 공원을 체감할 수 있는 지표의 위계 조정

을 통하여 개정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재 공원인증 지표는 공원 시설 모두를 BF화하여야만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

을 갖고 있고, 접근로 등의 세부 항목의 기준이 모호하여 공원의 접근로를 설정하기

어려운 현실적 문제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장애인, 인증심

사단, 인증업무종사자, 인증심의위원, 건축 및 조경업무종사자 등으로 구분하여 FGI

대면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통해 개정되어야 하거나 새롭게

추가되어야 하는 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인증전문가, 장애당사자 등의 전문가 AHP설문조사를 통해 인증지표의 위계

설정과 인증 지표별 점수 배점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향 후 인증 지표의 점수 구성

방향을 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증지표의 전체적인 지표의 구성을 세부 항목에 설치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닌,

공원의 주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표의 위계를 재설정하고 세부 지표를 구성하

였다.

상대적으로 공원시설을 이용하면서 목적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는 시설에 대해서는

일부 이용 가능성을 포기하더라도 공원을 이용하는 주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연속

적인 공원의 보행체계를 구성하는 것을 우선 고려하여 지표의 위계를 설계하고자 하

였으며, 공원의 목적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지표의 비중확대와 지표 방향의 개정

126 한국장애인개발원

을 통해 공원을 이용하는 기본 목적에 더욱 충실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러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공원이용 당사자 공원관련 전문가 및 업무 담당자

그리고 해외 사례까지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방향이 도출되었다.

첫째, 공원인증의 활성화를 위하여 현행 공원인증 지표의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는

공원 접근로 지표의 명확한 구역 설정을 통한 지표의 명확성 확보, 위생시설 지표의

세부범위 설정, BF보행로의 명확한 기준제시를 통한 연속성 확보, 통합 놀이시설의

기준설정 등이 개정필요 사항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현재 인증지표의 위계 설정을 위한 대분류 체계의 중요도 조사 결과는 매개

시설의 접근로관련 항목이 1.5배, 유도 및 안내시설은 현재 지표의 중요도 보다 2.5배

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위생시설은 현행 지표의 배점이 절반정도 낮게 설계되어야

한다고 나타남으로써, 이와 같은 결과를 반영하여 배점을 조정하였다.

셋째, 그동안 지표의 위계상 접근로에서부터 BF보행로까지로 설계된 공원 인증지

표는 접근로의 정의와 구역 설정의 문제점 등을 보완하기 위해 공원내부 보도는 모두

BF보행로로 편입하고 공원의 외부 보도는 별도로 추가점수를 부여하여 BF화를 유도

하도록 계획하였다. 특히 최우수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공원시설로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대중교통수단이나 주변 보도까지도 BF수준을 만족하여

야 하는 방향으로 지표를 수정하여 제안하였다.

하지만 공원의 특성상 실제 다양한 시설물이 공원구역과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설

치된 경우에는 해당 시설물은 별도의 건축물 인증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원과의 명확한 공간구분에는 다소 혼란이 있을 수도 있음을 밝힌다.

건축물과는 달리 공원이라는 공공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더 많은 공원이

Barrier-Free공원으로 인증 받아야 하며 인증받은 공원시설은 휠체어사용자나 시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보행보조기를 끌고 오는 노인이나 유모차를 끌고 오는 이용자까지

도 편리하게 접근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

Ⅴ. 결론 127

하여 금번 제시된 공원인증 지표의 개선(안)이 최대한 현장에 적용되어 공원인증이

보다 활성화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인증지표 개선(안)은 도시형 공원을 중심으로 제시된

점을 고려한다면 향후 다양한 공원의 형태 및 특성을 반영한 인증지표 개선(안)이 연

구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다양한 공원들이 누

구나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공원으로 인증받아 모든 공원이용자에게 구분없는 이용

편의가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129

■ 참고문헌

강병근, 일본 베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도시공원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22권 제12호, 2007.

권형근, 숲길에서의 Barrier-Free 인증제도 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노순석, 근린공원의 장애인 편의시설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이규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수준 비교 고찰, 재활복지 제16권 2호, 2012.

이현철,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5호, 2010.

이경찬,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탐방환경 평가와 개선방안-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학회지, 27권 6호, 2013.

이재혁 외,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주체별 자연휴양림 무장애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권 3호, 2015.

김상운 외, 각국의 장애인 편의시설 관련법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2호, 2002.

김상운 외,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주택계획의 장애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4호, 2009.

김해솔 외 2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제1호, 2006.

박광재,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제11권 제2호, 2005.

박신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Barrier Free)의 개요와 인증현황, 토지와 기술 제3호, 2009.

배시화 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실태와 그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권12호,

2010.

성기창 외, 장애인편의시설을 고려한 보편적 건축계획의 기본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논문집, 제9권 제2호, 2003.

윤영삼 외, 무장애 생활환경 구축을 위한 국내외 편의시설 관련법 비교분석,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논문집, 제16권 2호, 2010.

정종대 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지표 및 인증사례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8호,

2006.

130 한국장애인개발원

곽문근, 학교시설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사례를 통한 평가항목 분석 및 개선방안,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박명규,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평가항목 분석 및 중요도 조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임승남, 주거단지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 및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6.

강병근 외 4인 역, 배리어프리 건축・도시 계획론, 건국대학교출판부, 2009.

강병근 외, 공동주택단지 무장애설계 매뉴얼,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3.

강병근, 장애인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서울특별시, 2006.

박을종, 미국장애인 편의시설 상세표준도, 한국맹인복지연합회, 1999.

보건사회연구원,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8.

조근태 외 2인,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친환경 건축물 인증심사 기준 개선 및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9.

한국장애인개발원, 2008년 장애인편의시설 실태전수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9.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편의시설 표준상세도, 보건복지부, 2011.

한국토지공사‧건국대학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만들기 연구소, 장애물 없는 도시 구축 및 제도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2007.

Schweizerischer Invalidenverband SIV, NORM SN 521 500 Ausgabe 1988, 1990.

강병근, 장애물 없는 도시 인증기준, 건국대학교 장애물없는 생활환경만들기 연구소, 2007.

강병근, 보건복지부, 각국의 편의시설 관련 법규집(미국), 1999.

강병근, 보건복지부, 각국의 편의시설 관련 법규집(독일), 1999.

건설교통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지침, 건설교통부 제2007-001호, 2007.

보건복지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1999.

보건복지부, 제2차 편의증진 국가종합 5개년계획, 2005.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년 BF인증제도 세미나, 보건복지부‧국토해양부, 2010.

한국장애인개발원, BF인증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2011.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보고서, 2010.

한국장애인개발원 http://bf.koddi.or.kr/

한국토지주택공사 BF인증센터 http://bfcc.lh.or.kr/

부 록

부록 133

본 전문가 조사는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공원인증

지표별로 장애인과 인증전문가, 업무종사자 등이 느끼는 실질적은 문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자료입니다.

전문가님들의 다양한 고견을 취합하여 장애인이 공원을 이용하는데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공원인증지표로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본 FGI조사를 통해 얻어진 응답은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개선을 위한 연구’의

인증지표 개선을 위한 계획수립에 소중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조사의 결과는 통계법 제33조에 의거 보호를 받으며 전문가 여러분의 개인적인 의견과

정보는 외부로의 유출이 없도록 보안 및 관리를 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장애인 및 노약자의 복지발전 및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소중한 의견을 주시

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5. 10.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연구자 : 김 인 순

문의 TEL. 02-3433-0680

일반사항

응답자 소속 ① 장애당사자 ② 건축업무종사자 ③ 인증업무종사자 ④ 인증심사단

응답자 성명 응답자 성별 ① 남성 ② 여성

응답자 경력 ① 3년미만 ② 3년이상~5년미만 ③ 5년이상~10년미만 ④ 10년이상~20년미만

응답자 연령 ① 20대 ② 30대 ③ 40대 ④ 50대

BF인증 경험 ① 인증업무참여 ② 인증심사참여 ③ 인증경험없음

<부록 1> Barrier-Free 장애인 및 전문가 FGI 설문지

□ 전문가 1차 FGI

NO.

BF 공원 인증 지표 개선을 한

장애당사자 문가, 종사자 FGI

본 FGI는 Barrier-Free 공원 인증지표 개선을 위한 연구의

장애당사자 및 인증전문가 및 인증 업무종사자의 의견 수렴을 위한 조사입니다

134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35

136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37

138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39

140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41

142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43

144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45

<부록 2> Barrier-Free 장애인 및 전문가 AHP 설문지

146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47

148 한국장애인개발원

부록 149

Barrier-Free공원 인증 지표 개선을 위한 연구

인 쇄 일 : 2015년 12월 31일

발 행 일 : 2015년 12월 31일

발 행 인 : 황 화 성

발 행 처 : (재)한국장애인개발원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5층

Tel. 02-3433-0600

Fax. 02-3433-0463

http://www.koddi.or.kr

ISBN 978-89-6921-203-0

※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무단 복사하는 것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