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기본연구 2016. 05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 ...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4-2/issue2.pdf ·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실업극복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박 진 희

    윤 정 혜

    최 기 성

    기본연구

    2016. 05

  • 발간사

    우리나라에서 고용보험제도는 1997년 말의 외환위기 및 2008년 하반기의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실업극복을 위한 노동시장정책

    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왔다. 실업급여를 통한 실업자의 생활안정과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을 활용한 대규모 실업자훈련과 고용유지 및 고용촉진사업을 시행하여 고실업을 무난하게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해 왔다.

    또한 실업급여가 노동시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예방하는 장

    치를 잘 구축한 결과 실직자의 재취업 일자리의 질이 개선되는 등의 노동시장

    성과가 나타나 실업급여의 긍정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

    러나 도덕적 해이 등 실업급여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부작용을 완전히 차단하

    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업급여 수급자의 특성을 비수급자

    와 비교하여 미취업 기간, 재취업 일자리 구직 방법과 구직 노력 등에서 어떠

    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실업

    급여제도가 건전하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평가함으로써 실업급여제도의 바람직

    한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용보험 DB의 자료뿐만 아니라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재취업 활동, 실업급여제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등에 대한 구

    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

    하여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노동시장성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업급여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가 정부의

    실업급여제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연구본부의 박진희 박사가 연구책임을

    맡았으며 윤정혜 전임연구원과 최기성 부연구위원과 공동으로 집필하였다. 실

    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에 대한 추적조사와 고용보험 행정 DB의 연계 및

    가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꼼꼼한 분석과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한 연구진과 보고서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해 주신 내・외부 심사자 여러분께도 감사를 전하고 싶다.

    끝으로 본 연구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필자들의 개인적인 견해로서

    한국고용정보원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혀둔다.

    2016년 12월

    한국고용정보원 원장

  • 〚 차 례 〛

    제1장 서 론·······························································································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제2절 분석자료 및 연구방법··································································4

    제3절 보고서의 구성············································································10

    제2장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11

    제1절 실업급여제도··············································································11

    제2절 실업급여 수급자 현황 및 특성···················································16

    제3절 실업급여 성과············································································28

    제4절 소결···························································································48

    제3장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자 특성····················································51

    제1절 문제제기·····················································································51

    제2절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53

    제3절 실업급여 수급 결정 요인····························································62

    제4절 실업급여 비수급 사유와 수급자격··············································68

    제5절 소결···························································································73

    제4장 실업급여가 미취업기간에 미치는 영향···········································77

    제1절 문제제기·····················································································77

    제2절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재취업 행태 비교·······················80

  • 제3절 실업급여 수급자의 실업 탈출에 미치는 영향·····························89

    제4절 소결···························································································99

    제5장 실업급여가 재취업의 질에 미치는 영향······································101

    제1절 문제제기···················································································101

    제2절 실업급여가 재취업 일자리의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103

    제3절 실업급여가 재취업 일자리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112

    제4절 실업급여가 재취업 일자리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114

    제5절 소결··························································································122

    제6장 실업급여 수급이 비수급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125

    제1절 문제제기···················································································125

    제2절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의 이직 전후 구직활동················127

    제3절 실업급여 수급자의 구직활동이 비수급자의 취업선택에

    미치는 영향··············································································136

    제4절 소결··························································································140

    제7장 결론 및 정책과제·········································································141

    참고 문헌·······························································································151

    부록 : 실업급여 수급자․비수급자 추적조사 설문지·································155

  • 〚 표 차례 〛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월별 상실 건수(2014년 1~3월) ·····················5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사유별 비율(2014년 1~3월) ··················6

    실업급여 수급자의 목표 표본·······················································6

    실업급여 비수급자의 목표 표본····················································7

    실업급여 비대상자의 목표 표본····················································8

    구직급여의 소정급여일수····························································13

    구직급여일액 현황······································································14

    자영업자의 실업급여액·······························································15

    자영업자의 소정급여일수····························································15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17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의 성별 비중 추이······················18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의 연령 비중 추이······················20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전 직장의 사업장 규모별 분포··················21

    자영업자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전 직장의 사업장 규모별 분포···21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전 직장의 산업별 분포······························22

    이직 사유별 실업급여 수급자·····················································24

    자영업자 실업급여 수급자의 폐업사유 분포································25

    소정급여일수별 실업급여 수급자················································26

    피보험자격 상실자의 구직급여 수급요건별 분포·························29

    인적특성별 실업급여 신청률 추이···············································32

    고용보험 피보험자 및 실업급여 수급자 추이······························33

    실업급여 수급자 증가율 요인 분해·············································34

    실업급여 신청까지 평균 소요기간···············································35

  • 실업급여 신청까지 소요기간 분포···············································36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구직급여 임금대체율 추이······················39

    상용근로자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구직급여 임금대체율············41

    일용근로자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구직급여일액·······················42

    상용근로자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산업별 구직급여 임금대체율

    현황(2015년) ················································································43

    상용근로자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산업별 구직급여 임금대체율 추이·44

    성별 구직급여 수급일수 소진율 추이··········································46

    연령별 구직급여 수급일수 소진율 추이······································47

    상실자의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3

    상실자의 성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4

    상실자의 연령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4

    연령별 비자발적 이직 비수급자의 피보험기간 분포····················55

    상실자의 학력수준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6

    학력별 비자발적 이직 비수급자의 피보험기간 분포····················56

    상실자의 가구유형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7

    상실자의 이직 당시 자산규모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7

    상실자의 이전 직장 사업체 규모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8

    상실자의 이전 직장 산업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59

    상실자의 이전 직장 고용형태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60

    상실자의 이전 직장 퇴직금 수령여부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61

    상실자의 이직 전 취업준비유무별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 분포···62

    설명 변수의 정의 및 분포··························································64

    실업급여 수급 결정요인 분석(로짓모형)······································65

    구직급여 수급요건 충족자의 실업급여 수급 결정요인 분석(로짓모형)··67

    비자발적 이직 비수급자의 실업급여제도 인지 여부····················69

    실업급여 비수급자의 실업급여 신청 및 미신청 사유··················70 실업급여 소정급여일수 및 수급금액의 적정성····························71 실업급여 수급요건 및 보험료 변경에 대한 의견·························72

  • 실업급여 수급요건 강화 방안······················································72 실업급여 수급요건 강화 방안(보험료 추가 부담)·························73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재취업 상태 비교·······················81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의 이직 사유·································82

    소정급여일수별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의 재취업 소요기간··83

    소정급여일수별 실업급여 수급 때문에 구직활동 노력 하락········85

    소정급여일수별 재취업의사 없이 실업급여 수급 위한 구직활동·85

    소정급여일수별 실업급여 적합 직종 구직활동 가능····················86

    소정급여일수별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87

    소정급여일수별 소진율·······························································87

    실업급여 수급자의 소정급여일수별 소진자 수 및 소진사유········88

    실업급여 수급 비소진자의 소정급여일수별 비소진자 수 및

    비소진사유··················································································88

    실업급여 수급자의 소정급여일수가 미취업상태 탈출에 미치는

    영향(Cox Hazard 모형): 자산·······················································91

    실업급여 수급자의 소득 대체율이 미취업상태 탈출에 미치는

    영향(Cox Hazard 모형): 자산·······················································93

    실업급여 수급자의 소정급여일수가 미취업상태 탈출에 미치는

    영향(Cox Hazard 모형): 퇴직금···················································95

    실업급여 수급자의 소득 대체율이 미취업상태 탈출에 미치는

    영향(Cox Hazard 모형): 퇴직금···················································97

    이직 직후 재취업 여부······························································103

    이직 직후 재취업 경험자 중 현재까지 첫 직장 계속 근무여부···105

    현재 재취업 일자리 고용형태····················································107

    재취업 성공 이직자의 첫 일자리 비정규직 여부·······················108

    비정규직 취업 여부(로짓모형Ⅰ)················································110

    계약직 취업 여부(로짓모형Ⅱ)···················································111

    실업급여 수급이 재취업 일자리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113

  •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임금 또는 소득·················114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취업의 안정성···················115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일의 내용··························116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근로환경···························116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근로시간···························117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개인의 발전 가능성···········118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119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인사고과의 공정성············119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만족도: 복리후생···························120

    이직 후 재취업자의 현직장 전반적 만족도································121

    이직 전 충분한 일자리 탐색 여부·············································127

    이직 전후 취업 제의 여부·························································128

    이직 전후 취업 제의 횟수·························································128

    이직 후 일주일 이상 취업 경험················································129

    이직 후 재취업(일주일 이상 취업) 전까지 거절한 취업 제의 횟수···130

    이직 후 미취업 상태에서 취업 제의 거절 사유·························130

    실업인정 시 취업알선 경험·······················································131

    실업인정 시 취업알선 수용 이유···············································132

    실업인정 시 취업알선 취업 도움 정도······································133

    실업급여 구직노력 감소 여부····················································134

    실업급여 구직 시 적합 일자리 탐색 도움 여부·························135

    실업급여의 스필오버 효과 분석(OLS 회귀분석)·························138

    실업급여 수급기간 및 금액의 적정성········································146

    소정급여일수별 소진율······························································146

    실업급여 수급금액 부적정 응답자의 적정 실업급여 수급액······147

    실업급여기간 부적정 응답자의 적정 실업급여 수급기간············147

    임금근로자 평균 및 중위임금 추이···········································148

    고용보험 사각지대 추정(2016년 3월 기준)·································149

  • 〚 그림 차례 〛

    [그림 1-1]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취업실태조사의 설문 구조···········9

    [그림 2-1] 실업급여 종류···········································································12

    [그림 2-2]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 추이·······································16

    [그림 2-3] 실업급여 수급자 성별 비중 추이··············································18

    [그림 2-4] 실업급여 수급자의 연령 비중 추이···········································19

    [그림 2-5] 일용근로자 실업급여 수급자의 건설업 비중 추이·····················23

    [그림 2-6] 자영업자 실업급여 수급자의 산업 분포 추이····························23

    [그림 2-7] 실업급여 수급자의 비자발적 이직 사유 분포····························25

    [그림 2-8] 실업급여 수급자의 평균 소정급여일수······································27

    [그림 2-9] 실업급여 수급자의 구직급여일액 유형 분포·····························28

    [그림 2-10] 상실자 중 성별 구직급여 수급가능자 비중·······························30

    [그림 2-11] 상실자 중 연령별 구직급여 수급가능자 비중····························31

    [그림 2-12] 성별 실업급여 신청률 추이·······················································32

    [그림 2-13] 근로자유형별 실업급여 신청 평균 소요기간 추이·····················35

    [그림 2-14] 실업급여 수급 비율 추이··························································37

    [그림 2-15] 월별 실업자 수 대비 실업급여 수급자 비율 추이·····················38

    [그림 2-16] 구직급여 임금대체율 추이························································40

    [그림 2-17] 일용근로자의 구직급여 임금대체율 추이··································45

    [그림 2-18]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평균 소정급여일수, 수급일수 및 소진율

    추이··························································································46

    [그림 2-19] 일용근로자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구직급여 소정급여일수별

    소진자 비율··············································································47

    [그림 3-1] 전 직장의 평균임금··································································60

    [그림 4-1]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의 재취업 소요기간·····················84

  • 요약 i

    요 약

    본 보고서는 실업급여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업급여제도 개선에 필요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실업급여 성과분석을 함으로써 실업급여가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또한 실

    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에 비하여 미취업기간, 재취업, 재취업 일자리의 질

    등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실업급

    여제도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실직되었을 때 실업자와 그 가족의 생계안정을 위해

    일정기간동안 실업에 따른 소득 상실을 보전해 주는 제도이다. 실직자가 구직

    급여를 수급하기 위해서는 고용보험 피보험기간 조건 및 이직 사유를 충족해야

    한다. 먼저, 고용보험 피보험기간 조건은 고용보험 피보험 가입 이직자 중 이직

    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기간 동안 180일 이상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이

    직 사유 조건은 고용보험법 제45조의 규정에 의해 수급자격 제한사유에 해당하

    지 않아야 하는데, 근로의사 및 능력이 있고, 비자발적으로 이직한 경우, 적극

    적으로 재취업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한다.

    최근 실업급여 수급자는 남성, 30대에서 여성, 50대 연령층으로 그 비중이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급여 수급자의 성별 비중을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조금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왔으나, 여성 실업급여 수급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15년에는 남녀 비중이 같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

  • 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15년에는 50대의 비

    중이 30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비중이 높은 일용근로자와 자

    영업자로 인해 50대 비중이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2013년부터 65세 이

    상 고령층의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도 확대되고 있었다.

    실업급여 수급자 증가율을 요인 분해하여, 실업급여 수급자의 증가 원인을

    살펴본 결과 실업급여 수급자 증가율은 피보험자격 상실자수 증가율의 기여도

    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보험자격 상실자의 증가는 피보험자 증가와

    연관된다. 고용보험 피보험자 중 상실자 비중은 49~51% 내외의 수준을 유지하

    고 있어, 증가폭의 차이는 있으나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실업급여 수급자의 규모 또한 함께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요인 분해 결과 이직 사유 충족자 비율이 수급자 증감에 중요한 요인으

    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2015년에는 이직 사유 충족자 비율의 감소와

    함께 신청률이 감소하면서 실업급여 수급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업급여의 보편성, 적시성, 적절성 측면에서 실업급여 성과를 분석

    하여 실업급여가 사회안전망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먼저, 고

    용보험자격 상실자 중 실업급여 수급가능자 비중은 30% 내외로 높은 수준이

    아니다. 2011년 이후 실업급여 수급가능자 비중과 신청률이 일정 수준을 유지

    하면서 실업급여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되나, 구직급여의 강

    한 충족요건으로 인해 실업급여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보편성 측면에서는 실업급여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적시성 측면에서는 제도적 요인보다는 실직

    자의 행태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는데 실업급여 신청 소요기간은 점차 짧아

    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남성, 연령이 높을수록 실업급여 신청 소요기간인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으로 인한 소득 단절이 생기지 않도록 실업급여를

    더 빨리 신청하고 있어 적시성 측면에서는 실업급여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

    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실업급여의 적절성 측면에서의 성과는 실업

    급여가 얼마나 충분하게 지급되는지, 얼마 동안 지급되는지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의 소정급여일수 증가와 함께 평균 수급일수도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나며, 평균적으로 소정급여일수의 80%를 소진하는 것으로 나

  • 요약 iii

    타났다. 구직급여의 임금대체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는 50%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실업급여의 적절성 측면에서는 실업급

    여가 어느 정도 기능을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실업급여 수급 및 비수급자 특성

    우리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실업급여가 지급되

    고 있는지 살펴본 후 실업급여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실업급여 비수급사유 및

    제도 변경에 대한 이직자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실업급여 수급요건의

    적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전체 이직자 대비 실업급여 수급자의 비중은 14.1%로 상대적으로 낮

    았으며, 이직 사유를 충족한 이직자 중 상당수는 재취업 등으로 실업급여를 수

    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업급여 수급자의 특성만을 보면, 실업

    급여가 상대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취약한 계층의 실직 후 생계 및 구직활동을

    지원하는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비

    자발적 실직자 중 실업급여 비수급자 중 일부는 계약직이거나 퇴직금도 받지

    못하고 있어 실직 후 생계 및 구직활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피보험자격 상실자를 대상으로 실업급여 수급 결정요인을 분석

    한 결과 피보험기간이 길수록, 비자발적으로 이직한 경우에 실업급여를 신청

    할 확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피보험기간 충족 요건인 180일

    에 해당하는 6개월~1년 미만인 경우에 실업급여 신청 확률이 가장 높았다. 이

    러한 결과를 통해 실업급여 수급 결정에는 수급요건 충족 여부가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업급여 수급요건을 충족한 이직자를 대상으로 실업급여 수급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단 실업급여 수급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실업기간 중 실

    업자와 그 가족의 생계안정을 목적으로 소득을 보전해주는 실업급여의 원래

    목적에 따라 실업급여가 지급되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셋째,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실업급여제도에 대해 인지하

    고 있어야하는데 노동시장 초기진입자인 청년층을 중심으로 실업급여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이직 당시 시점에서 실직

    자 본인이 실업급여가입여부를 알지 못하는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 이 두 항목의 비중은 실업급여를 수급하기 위한 요건 미충족자 비중에 비해

    높았다.

    마지막으로 실업급여 수급・비수급자에게 실업급여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이직자 60%는 현재 실업급여의 소정급여일수 및 수급

    급액이 적정하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이직자의 50% 정도는 실업급여 수급자격

    요건 변경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럼에도 실업급여제도 개선이 필요하

    다면 보험료 인상보다는 실업급여 수급요건만 강화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이직자의 대부분은 18개월 기준 기간동안 210일의 기여기간을 선호하여 수급

    요건 강화도 최소한도 내에서 변경되기를 희망하였다.

    ◈ 실업급여가 미취업기간에 미치는 영향

    실업급여 수급자는 비수급자에 비해 재취업 소요기간이 상당히 길다는 사

    실이 실업급여의 일에 대한 역인센티브 효과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실업급

    여가 구직활동을 낮추어 미취업 기간을 늘린다는 도덕적 해이에는 보고효과의

    존재, 유동성 효과의 존재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업급여 수급자들이 실업급여와 상관없이 구직활동을 해왔으며, 실

    업급여제도가 구직활동을 하는 데 있어 일정 정도 물질적・심리적 여유를 갖게 하여 구직활동의 내실을 기하게 함으로써 더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실업급여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우려보다는 실업급여가 유동성 제약완화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자신에

    게 적합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는 개인의 후생 개선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실업급여의 소정급여일수와 소득 대체율 구간에 따라 미취업기간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

    하여 미취업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적정 소정급여일수와 실질 소득 대체율

    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다른 조건을 통제하든 통제하지 않든 소

    정급여 일수 150~180일에서, 실질 소득 대체율은 60~70% 미만인 경우 미취업

    기간을 단축시키고 보고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요약 v

    ◈ 실업급여가 재취업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실업급여가 안정적인 구직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실직자 자신에게 더 적합

    한 일자리에 취업하도록 지원하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재취업에 성공한 이직

    자를 대상으로 재취업 경험을 분석한 결과 실업급여 수급자의 재취업 경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하였고, 실업급여 수급자의 소정급여일수별로 그리

    고 급여수준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실업급여가 고용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실업급여수준

    이 짧고, 소득 대체율이 50~70%인 경우 비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비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이 가장 낮은 소정급

    여일수는 150일, 소득 대체율은 50% 미만 이거나 70% 이상인 경우였다.

    셋째, 실업급여가 재취업 일자리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소정

    급여일수 180일 이하이면서, 소득 대체율 40~60% 미만인 경우 재취업 일자리

    에서의 임금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업급여가 재취업 일자리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면, 재취업 일자리의 임금 또는 소득 만족도, 취업의 안정성, 하고 있는 일의

    내용, 개인의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인사고과의 공정성 등의 측

    면에서는 대체로 실업급여 수급자가 비수급자에 비해 재취업 일자리의 만족도

    가 낮았으나, 근로환경, 근로시간, 복지후생의 측면에서는 실업급여 수급자가

    비수급자에 비해 재취업 일자리의 만족도가 다소 높았다. 전반적으로 실업급여

    수급자가 비수급자에 비해 전반적인 직장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

    나 실업급여 수급자의 지급기간과 지급수준에 따라 재취업 일자리에서 전반적

    인 직장 만족도가 차이를 보였다. 즉 소정급여일수 180일, 소득 대체율

    40~70% 미만인 경우 비수급자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요약하면, 재취업 일자리의 고용의 안정성, 재취업 일자리의 임금수준 및

    직장 만족도의 측면에서 실업급여 수급자가 비수급자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실업급여 지급기간은 150~180일, 지급수준은 40~60% 수준에서 고용안정성, 임

    금수준 및 직장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실업급여 기간이나 소득 대

    체율이 적정수준을 유지해야함을 시사한다.

  • ◈ 실업급여 수급이 비수급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구직활동과 취업선택은 상대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실업급여 비수급자는 수급자와 비교하여 취업 제의를 받았던 경험이 더

    많았으며, 실업급여 수급자는 소정급여일수 150일을 기점으로 취업 제의를 받

    은 경험이 더 낮았고, 소득 대체율이 높을수록 취업 제의를 더 많이 받았다.

    취업 제의를 받은 일자리에 취업했었던 경험은 실업급여 비수급자가 수급

    자에 비해 더 높았으며, 취업 제의를 거절한 횟수는 실업급여 수급자가 더 많

    았다. 거절 사유는 주로 ‘급여 또는 수입이 적어서’, ‘작업조건이나 작업환경이

    나빠서’, ‘적성・기능・경험 등과 맞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실업급여 수급자들은 실업급여가 구직활동 노력을 낮추는 부정적인 효과

    보다는 보다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근로환

    경, 적성・경험, 임금수준 등 다각도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업급여 수급자들이 수급기간 동안 자신들에게 보다 적합한 일자

    리를 탐색하기 위해 제안받은 일자리로의 취업 선택을 미루면서 노동시장 전

    체에 일자리 경쟁도를 낮춤으로써 비수급자들이 상대적으로 더 빨리 제안받은

    일자리에 취업할 가능성이 있어 실업급여의 스필오버 효과가 존재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부터 실업급여제도는 실업급여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긍

    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정 수급기간과 적정 소득 대체율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실업급여의 지급기간 및 실업급여의 상하한액 조정

    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실업급여가 취약계층의 안정적인

    구직활동을 한다는 사실과 실업률의 하향에 긍정적인 역할을 미친다는 사실로

    부터 실업급여의 적용확대를 통한 사회안전망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

    가 개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실업급여는 1995년 고용보험제도가 도입된 이래 제도의 틀 내에서 실업자

    의 생계안정과 안정적이고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보장하는 실업자의 사회안전

    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체 취업자 대비 고용보험 피보험자 적용

    비율은 1997년 말 20.5%에서 2015년 말 46.2%까지 증가하였으며 임금근로자를

    기준으로 하면 37.1%에서 65%까지 적용이 확대되면서 고용보험의 사각지대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고, 이에 실업급여의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은 꾸준히

    강화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우리 노동시장에서 고용형태가 다양화되면서 노동시장의 불

    안정성이 심화되고 있고, 영세 사업장 소속 근로자, 저임금 근로자, 비정규직

    근로자 등 사회적으로 보호해야할 필요성이 높은 취약계층이 보호를 받지 못

    하는 사각지대는 여전히 큰 상황이다.

    또한 현재 실업급여제도 하에서는 상대적으로 실업급여 수준이 낮고, 지급

  • 2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기간은 짧으며, 자발적 이직자에 대한 지원이 적어 실업자의 생계안정 등 실

    질적 보호 수준이 낮다는 지적이 있다. 실업급여 사회안전망으로서 역할을 강

    화하기 위해서는 실업급여의 지급수준, 지급 기간 등 보장성 강화가 필요하다

    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실업급여가 실업자의 근로유인을

    낮추고 구직노력에 영향을 미치며, 의중임금을 높여 실업기간을 늘리는 역할

    을 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우리 실업급여제도는 실업급여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직 후 7일의 대기기간을 두고 있고, 18개월의 실업급여 기

    준기간 및 180일 이상 기여요건 등 수급자격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연령별로

    90~240일의 실업급여의 지급기간과 평균임금의 50% 급여수준을 유지하여 실

    업자의 구직유인을 줄이거나 실업의 장기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등 비교

    적 엄격하게 규정하는 대신 실업급여 수급자가 조기에 재취업하는 것을 지원

    하고 직업훈련,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해 취업을 촉진하는 다양한 제도적 장

    치를 갖추어 실업급여가 초래할 수도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병행

    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 빈번한 노동이동, 고용의 불안정성의 심화 등 우리 노동시장

    내에서의 변화에 조응하는 실업급여제도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에 따라 실업급여제도가 우리 노동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

    한 종합적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먼저, 우리 노동시장에서 실업급여제도가 실업위험이 높은 계층, 고용안전

    망의 보호가 필요한 계층에게 어느 정도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

    료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어떤 사람들이 실업급여를 수급 하는

    지 혹은 어떤 사람들이 실업급여를 수급하지 않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설

    명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실업급여가 수급자의 의중임금과 일자리탐색 노력에 영향을 미쳐 실

    업급여 비수급자와 비교하여 수급자 개인의 실업기간을 늘린다는 도덕적 해이

    문제에 대한 지적이 있다. 그런데 최근 외국의 선행연구결과를 보면, 실업급여

    수급으로 인해 늘어난 미취업기간은 모두 도덕적 해이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는 없으며, 유동성 효과, 보고효과에 따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여

  • 제1장 서론 3

    기서는 실업급여가 미취업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도덕적 해이와

    함께 유동성 효과, 보고효과 등이 우리 노동시장에도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우리나라 실업급여의 관대성은 OECD 회원국에 비해 실업급여 지급

    기간이 짧고 소득 대체율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1)받고 있다.

    이에 실업급여 수급기간과 지급수준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자료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실업급여의 순기능적 역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즉, 실업급여로 생계유지가 가능해

    져 효율적인 일자리 탐색으로 재취업 일자리의 안정성이 강화되는지와 재취업

    일자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수급기간과 지급수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넷째, 실업급여는 비수급자가 직면하는 일자리 경쟁도를 낮추어 비수급자

    의 취업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실업급여의 순기능의 다른

    하나는 실업급여 수급자는 실업인정 절차를 거치게 되어 취업알선 등을 적극

    적으로 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취업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

    이다. 이는 취업 제의가 왔을 때 비수급자가 수급자보다 빠르게 취업을 결정

    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실업급여 수

    급자는 실업인정절차를 통해 취업알선 등의 고용서비스를 지원받기 때문에 이

    에 대해 고려한 후 분석해야한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요구를 종합하여 실업급여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업급여제도 개선에 필요한 정책 자

    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실업급여 성과분석을 함으로써 실업급여가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

    행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또한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에 비하여 미취업

    기간, 재취업, 재취업 일자리의 질 등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실

    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실업급여제도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고용노동부, 내부자료

  • 4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제2절 분석자료 및 연구방법

    본 연구는 주로 실업급여에 관한 실증자료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실업

    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의 특성에 대해서는 주로 고용보험 피보험자 DB, 고

    용보험 취득 및 상실자 DB 등 고용보험 행정 DB를 이용하여 기 구축된 고용보험 이력 DB, 실업급여 관련 행정 DB 및 구인・구직 행정 DB, 그리고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고용보험 행정 DB 및 구인・구직 행정 DB에는 성, 연령, 학력, 채용경로, 피보험자격의 취득일과 상실일 및 상실사유, 취득 시 월평균임금, 피보험

    자격 상실 당시의 임금, 산업, 직종, 사업장 규모, 실업급여를 받은 금액과 기

    간, 구직희망직종, 희망임금, 구직기간 등 다양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실업급여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

    해서 일차적으로는 앞서 논의한 다양한 행정 DB를 활용한다. 그런데 고용보험

    DB에는 실업급여를 받지 않은 비수급자의 이직 당시의 임금 정보가 없고 이

    직 후 재취업 행태와 미취업 사유, 생계유지 방법 등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가

    없다. 이러한 고용보험 DB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

    수급자의 전국 대표성을 갖는 표본을 추출해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취업 실태 조사의 조사 대상은 2014년 1~3월 사이에 발생한 이직의 자발성 여부2)와 실업급여 수급여부에 따라 3개

    집단으로 나뉜다. 첫 번째 조사 대상은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사유가 비

    자발적이며 실업급여 수급요건을 충족하여 실업급여를 수급한 자이다(이하

    ‘실업급여 수급자’). 두 번째 조사 대상은 상실 사유가 비자발적이지만, 실업급

    여 수급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거나 실업급여 수급신청을 하지 않아 실업급여를

    수급하지 않은 자이다(이하 ‘실업급여 비수급자’). 마지막 조사 대상은 상실 사

    유가 자발적으로 실업급여를 수급하지 못한 자이다(이하 ‘실업급여 비대상자’).

    2)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사유 중 ①질병, 부상, 노령 등, ②폐업, 도산, 공사 중단, ③경

    영상 필요에 의한 해고, ④휴업, 임금체불, 회사이전, 근로조건변동, ⑤기타 회사사정에

    의한 퇴직, ⑥근로자의 귀책사유에 의한 징계해고, 권고사직, ⑦정년, ⑧계약기간 만료,

    ⑨공사종료 등을 비자발적 사유로 정의하였고, ⑩전직, 자영업, ⑪결혼, 출산, 거주지변경

    등 가사사정, ⑫징계해고, ⑬기타 개인사정(비권고성 명예퇴직 포함), ⑭이중고용 ⑮분류

    불능 등을 자발적 사유로 정의하였다.

  • 제1장 서론 5

    한편, 조사 대상을 2014년 1~3월 사이의 이직자로 설정한 이유는 실태조사 기준

    시점(2016년 4월 1일)을 고려했을 때, 실업급여 신청 유효 기간(이직 후 1년

    이내)과 최대 수급 기간(8개월)이 모두 경과한 시점에서의 구직활동 등을 파악

    하기 위함이었다.

    조사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표집틀로 한국고용정보원이 보유하고 있는 고

    용보험 DB 중 2014년 1~3월 사이의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자 DB를 사용하

    였다.

    은 2014년 1~3월까지의 월별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자 수이다.

    1월의 상실자 수 239,015명, 2월 상실자 수 446,467명, 3월 상실자 수 579,563명

    으로 3개월 동안의 총 상실자 수는 1,265,045명이었다.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월별 상실 건수(2014년 1~3월)

    (단위: 명, %)

    구 분월별 상실자 수

    빈도 비중

    전체 1,265,045 100.0

    2014년 1월 239,015 18.9

    2014년 2월 446,467 35.3

    2014년 3월 579,563 45.8

    주:피보험자격 상실일 기준

    자료: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 피보험자 상실자 DB

    에는 2014년 1~3월 피보험자격 상실 사유별 비중이 제시되어 있

    다. 전체 상실자 중 자발적 이직으로 인한 상실 비중이 66.0%를 차지하였고,

    비자발적 이직으로 인한 상실 비중은 34.0%로 나타났다. 개별 상실 사유별로

    는 전직, 자영업을 위한 이직이 59.8%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계약기

    간 만료(15.5%), 경영상 필요에 의한 해고(13.4%)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한편, 비자발적 이직자 430,358명 중 실업급여 수급자는 174,000명으로

    40.4%를 차지하였다.

  • 6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사유별 비율(2014년 1~3월)

    (단위: 명, %)

    상실 사유상실자 수

    빈도 비중

    전 체 1,265,045 100.0

    자발적 이직 834,687 66.0

    비자발적 이직 430,358 34.0

    주:자발적 이직에는 기타 사유가 포함됨.

    자료: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 피보험자 상실자 DB

    실업급여 수급자의 목표 표본

    (단위: 명)

    구 분

    지역 및 사업체 규모

    합 계수도권 비수도권

    30명 미만

    30~299명300명 이상

    30명 미만

    30~299명300명 이상

    30세 미만10

    (2,801)

    5

    (1,470)

    6

    (1,691)

    6

    (1,709)

    4

    (1,152)

    4

    (1,037)

    35

    (9,860)

    30~49세48

    (13,444)

    18

    (5,129)

    12

    (3,414)

    33

    (9,430)

    13

    (3,640)

    3

    (942)

    127

    (35,999)

    50세 이상21

    (5,965)

    14

    (3,971)

    15

    (4,277)

    22

    (6,230)

    14

    (3,896)

    5

    (1,315)

    91

    (25,654)

    30세 미만27

    (7,706)

    12

    (3,273)

    16

    (4,664)

    20

    (5,600)

    7

    (1,840)

    6

    (1,737)

    88

    (24,820)

    30~49세74

    (20,866)

    19

    (5,385)

    17

    (4,823)

    60

    (17,042)

    13

    (3,544)

    3

    (815)

    186

    (52,475)

    50세 이상23

    (6,434)

    10

    (2,779)

    9

    (2,630)

    20

    (5,622)

    10

    (2,783)

    2

    (617)

    74

    (20,865)

    합 계202

    (57,216)

    78

    (22,007)

    76

    (21,499)

    161

    (45,633)

    60

    (16,855)

    23

    (6,463)

    600

    (169,673)

    주:( )는 표집틀에 포함된 리스트 수

    조사표본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3가지 조사 대상별로, 성, 연령(30세 미만,

    30~49세, 50세 이상), 권역(수도권3), 비수도권), 상실 시 사업체 규모(30명 미

    만, 30~299명, 300명 이상) 등을 층화 변수로 사용하여 층화추출(36개 층) 후

    층별 규모에 비례하게 표본을 할당하였다.

    3) 수도권에는 서울, 인천, 경기도가 포함된다.

  • 제1장 서론 7

    실업급여 수급자는 전체 169,673명 중에서 목표 표본으로 600명을 추출하

    였다( 참조). 목표 표본 중 남성이 253명으로 42.1%를 차지하고, 연령

    별로는 30세 미만이 123명(20.5%), 30~49세가 313명(52.2%)를 차지하였다. 지역

    별로는 수도권이 356명으로 59.3%를 차지하였고, 사업체 규모별로는 30명 미

    만이 363명으로 60.5%를 차지하였다.

    실업급여 비수급자는 전체 235,517명 중에서 목표 표본으로 600명을 추출

    하였다( 참조). 목표 표본 중 남성이 289명으로 48.2%를 차지하고, 연

    령별로는 30세 미만이 157명(26.1%), 30~49세가 288명(48.0%)를 차지하였다. 지

    역별로는 수도권이 333명으로 55.5%를 차지하였고, 사업체 규모별로는 30명

    미만이 296명으로 49.3%를 차지하였다.

    실업급여 비대상자는 전체 803,003명 중에서 목표 표본으로 400명을 추출

    하였다( 참조).4) 목표 표본 중 남성이 216명으로 54.0%를 차지하고,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이 150명(37.5%), 30~49세가 188명(47.0%)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31명으로 57.8%를 차지하였고, 사업체 규모별로는 30명

    미만이 196명으로 49.0%를 차지하였다.

    실업급여 비수급자의 목표 표본(단위: 명)

    구 분지역 및 사업체 규모

    합 계수도권 비수도권30명 미만 30~299명 300명 이상 30명 미만 30~299명 300명 이상

    30세 미만12

    (4,637)10

    (4,066)18

    (7,177)11

    (4,243)9

    (3,591)9

    (3,409)69

    (27,123)

    30~49세38

    (14,963)19

    (7,385)20

    (7,682)36

    (14,022)18

    (7,207)10

    (3,810)141

    (55,069)

    50세 이상16

    (6,183)13

    (4,952)14

    (5,348)19

    (7,622)13

    (5,224)5

    (2,028)80

    (31,357)

    30세 미만20

    (7,902)15

    (6,027)21

    (8,410)17

    (6,647)8

    (3,165)6

    (2,277)87

    (34,428)

    30~49세45

    (17,826)18

    (7,054)15

    (6,034)45

    (17,561)16

    (6,290)9

    (3,442)148

    (58,207)

    50세 이상18

    (6,880)11

    (4,202)10

    (3,971)19

    (7,443)13

    (5,133)4

    (1,704)75

    (29,333)

    합 계149

    (58,391)86

    (33,686)98

    (38,622)147

    (57,538)78

    (30,610)42

    (16,670)600

    (235,517)주:( )는 표집틀에 포함된 리스트 수

    4) 실업급여 비대상자는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자 중 이직사유가 자발적 또는 기타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자발적 상실자 중에서도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실업급여를 수급할 수 있으나, 2014년 1월~3월 자발적 상실자 중 실업급여 수급자는 1.3% 수준에 해당하여 표본추출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8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실업급여 비대상자의 목표 표본

    (단위: 명)

    구 분지역 및 사업체 규모

    합 계수도권 비수도권30명 미만 30~299명 300명 이상 30명 미만 30~299명 300명 이상

    30세 미만13

    (26,765)

    12

    (23,974)

    22

    (44,522)

    12

    (23,895)

    15

    (29,660)

    5

    (9,537)

    79

    (158,353)

    30~49세29

    (57,997)

    16

    (32,907)

    10

    (19,388)

    27

    (54,575)

    19

    (38,251)

    3

    (6,194)

    104

    (209,312)

    50세 이상8

    (16,917)

    6

    (11,645)

    3

    (5,579)

    10

    (19,383)

    6

    (11,255)

    1

    (1,790)

    34

    (66,569)

    30세 미만17

    (35,120)

    10

    (19,840)

    21

    (41,693)

    13

    (25,361)

    7

    (13,777)

    4

    (7,513)

    72

    (143,304)

    30~49세27

    (53,709)

    10

    (20,190)

    11

    (21,896)

    24

    (48,351)

    10

    (20,003)

    2

    (4,115)

    84

    (168,264)

    50세 이상8

    (16,008)

    5

    (9,288)

    3

    (6,099)

    7

    (14,884)

    5

    (9,756)

    1

    (1,166)

    29

    (57,201)

    합 계103

    (206,516)

    59

    (117,844)

    69

    (139,177)

    93

    (186,449)

    61

    (122,702)

    15

    (30,315)

    400

    (803,003)

    주:( )는 표집틀에 포함된 리스트 수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비대상자 간의 실업기간, 구직활동 여부 및

    정도, 재취업 특성 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조사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사 대상 전체에 대해 2014년 1~3월 사이에 이직한 직장에서의 고

    용형태, 직장 만족도, 월평균 임금, 이직 사유, 이직 준비 수준 등을 조사한다.

    이어서, 이직 후 구직활동과 관련하여 취업 제의 경험 여부, 이직 후 일주일 이

    상 취업 경험 여부, 이직 후 첫 취업 전까지의 구직활동 정도 등을 조사한다.

    다음으로 이직 후 일주일 이상 일자리 경험자만을 대상으로 이직 후 첫

    번째 일자리 입사 년 월, 종사상 지위, 고용형태, 월평균 임금, 취업 경로, 고

    용보험 가입여부, 사업체 산업 및 종사자수, 직업, 직장 만족도 등을 조사한다.

    다음으로 조사 기준 시점(2016년 4월 1일)에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자와 미취업

    자로 구분하여 조사 한 후 실업급여 수급과 미수급에 관해 조사한다.

    이어서, 조사 대상 전체에 대해 실업 급여 제도 개선에 관한 의견과 응답

    자 가구 특성 및 소비 수준을 묻고 조사를 종료한다. 아래 [그림 1-1]은 설문

    구조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것이며, 조사 설문지는 에 첨부하였다.

  • 제1장 서론 9

    [그림 1-1]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취업실태조사의 설문 구조

    개발된 설문지로 본 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설문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016년 5월 27~28일 이틀에 걸쳐 응답자 1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각 응답자로 하여금 개별문항의 어의, 문맥, 용어 등을 철

    저히 검증토록 하여 본 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예비

    조사 이후 면접원 교육을 마치고 6월 1일부터 본 조사를 시작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먼저 조사 대상 표본에 대해 전화로 조사 참여를 요청

    한 후 면접원이 응답자를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조사

    전문회사에 의해 2016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약 10주간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이상의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뿐 아니라 실업급여를 둘

    러싼 개별 주제에 대한 문헌 연구와 이론적 연구도 부분적으로 병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업급여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실

    증분석 방법으로서는 빈도분석 이외에 다양한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의 진행 과정에서 수시로 학계전문가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연구

    방법 및 활용자료의 타당성,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의 정확성 및 시사성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 10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제3절 보고서의 구성

    본 연구는 실업급여가 우리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실업급여의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평가하고 실업급여제도 개선 방

    안 마련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주로 다루고자 하는 주된 내용은 4부분으로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먼저, 현 실업급여제도의 현황과 성과를 분석하여 실업급여가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실

    업급여제도 개요를 살펴보고, 실업급여 수급자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한 후 보편

    성, 적시성, 적절성 등의 측면에서 실업급여제도를 평가한다.

    제3장에서는 누가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지, 이직자 중 실업급여 수급자와

    비수급자 간의 성, 학력, 연령, 이직 전의 임금수준, 직종, 산업, 근속기간 등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업급여가 수급자의 미취업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업급여가 미취업 기간을 늘리는 부정적인 영향이 실제보다 과장되었을 가능

    성을 고려하여 실업급여 수급자의 미취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실업

    급여의 지급수준 혹은 지급기간, 자산, 퇴직금 등 유동성 효과와 보고효과의

    존재를 함께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실업급여가 재취업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용안정성,

    임금, 일자리 만족도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제6장에서는 실업급여 수급자의 구직활동과 취업선택이 비수급자의 취업

    혹은 미취업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실업급

    여의 스필오버 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7장에서는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업

    급여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기능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

    였다.

  • 제2장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

    제1절 실업급여제도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실직되었을 때 실업자와 그 가족의 생계안정을 위해

    일정기간동안 실업에 따른 소득 상실을 보전해 주는 제도이다. 실업급여는 구

    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구직급여가 실업급여의 핵심적

    인 제도이다. 취업촉진수당은 조기재취업수당, 직업능력개발수당, 광역구직활

    동비, 이주비로 세분할 수 있다. 취업촉진수당은 구직급여 수급자의 조기재취

    업을 촉진하기 위해 구직급여에 부가적으로 지급되는 것으로, 취업촉진수당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먼저 구직급여 수급자격인정자가 되어야 한다.

    실직자가 구직급여를 수급하기 위해서는 고용보험 피보험기간 조건 및 이

    직 사유를 충족해야한다. 먼저, 고용보험 피보험기간 조건은 고용보험 피보험

    가입 이직자 중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기간 동안 180일 이상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5) 이 때 피보험단위기간은 피보험기간 중 임금지급의 기초가 된

    5) 1995년 제도 도입당시 기준은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은 12개월이었다.

  • 12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날을 합하여 계산하는데 임금지급의 기초가 된 날은 근로한 날과 근로하지 않

    더라도 사업주로부터 임금을 지급받은 유급휴일과 휴업수당을 지급받은 날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직 사유 조건은 고용보험법 제45조의 규정에 의해 수급

    자격 제한사유에 해당하지 않아야 하는데, 근로의사 및 능력이 있고, 비자발적

    으로 이직한 경우, 적극적으로 재취업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

    지 못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림 2-1] 실업급여 종류

    구직급여 상병급여

    훈련연장급여

    개별연장급여

    실업급여 특별연장급여 조기재취업수당

    직업능력개발수당

    취업촉진수당

    광역구직활동비

    이주비

    구직급여 지급기간은 수급자격자의 연령과 피보험기간에 따라 90일에서

    240일까지 받을 수 있다.6) 또한 수급자격자가 실업의 신고를 한 이후에 질병

    또는 부상으로 취업이 불가능하여 실업의 인정을 받지 못한 날에 대해서는 수

    급자격자의 청구에 의해 구직급여와 동일한 금액의 상병급여를 구직급여에 갈

    1997년 말 이후 외환위기로 실업자가 급증하면서 1998년 3월 1일부터 2000년 3월 31일

    까지 한시적으로 기준기간과 피보험단위기간을 각각 12개월과 6개월로 완화하여 적용하

    다가 실업급여 수혜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2004년 4월 1일부터는 피보험단위기간을

    180일로 단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6) 제도 도입 당시 구직급여 소정급여일수는 30~210일간으로 하였으나, 1998년 3월 고용보

    험법 개정을 통해 25세 미만자의 소정급여일수를 확대(30~210일→ 60~210일)하였고, 2000

    년 1월 실업급여의 수혜범위 확대를 위하여 소정급여일수를 90일~240일로 확대하여 현재

    까지 운영하고 있다.

  • 제2장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 13

    음하여 소정급여일수의 범위 내에서 지급하고 있다(고용보험법 제49조 제1항).

    현행 고용보험법은 구직급여의 소정급여일수를 90~240일로 규정하면서도 일정

    한 사유가 있을 경우 구직급여의 소정급여일수를 일정기간 연장할 수 있는 연

    장급여제도(extended benefits)를 두고 있다. 연장급여는 훈련연장급여, 개별연

    장급여 및 특별연장급여가 있다. 훈련연장급여는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직업능

    력개발훈련을 받으면 재취업이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수급자격자에게 훈련지시

    를 할 경우 훈련을 받는 기간 동안(최대 2년) 구직급여일액의 100%를 연장하

    여 지급하는 제도이다. 개별연장급여는 구직급여 소정급여일수가 종료될 때까

    지 취업하지 못하고, 18세 미만자 등의 부양가족이 있는 등의 수급자격자에게

    구직급여일액의 70%를 60일간 연장하여 지급하는 제도이다. 특별연장급여는

    실업의 급증 등으로 재취업이 특히 어렵다고 인정하는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이

    일정한 기간을 정하고 동 기간 내에 구직급여일액의 70%를 연장하여 지급하

    는 제도이다.

    구직급여의 소정급여일수

    피보험기간 연령

    1년 미만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

    30세 미만 90일 90일 120일 150일 180일

    30세 이상 50세 미만 90일 120일 150일 180일 21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9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주:1) 연령은 퇴사 당시의 만 나이임

    2) 장애인은 수급자격 신청일 당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른 장애인으로 등록되어야 함

    자료:고용보험법 별표1(제50조 제1항 관련)

    구직급여일액은 원칙적으로 급여기초임금일액7)의 50%를 곱한 금액으로

    여기에 상한액과 하한액이 설정되어 있다. 산정된 구직급여일액이 4만 3천 원

    을 초과하는 경우는 4만 3천 원을 지급하고, 구직급여일액이 이직 당시 소정

    근로시간에 최저임금의 90%를 곱한 급액보다 낮은 경우는 동 금액을 지급한

    7) 급여기초임금일액은 구직급여의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일액을 말하며, 고용보험법에 따라

    평균임금, 통상임금 또는 기준보수에 의해 산정된다. 기초임금일액은 이직 전 3개월간

    임금총액을 당해 산정의 기준이 되는 3개월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으로 산정한다.

  • 14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다. 1998년 10월 최저 구직급여일액(최저임금의 70%)을 설정하였으며, 2000년

    4월 최저 구직급여일액 기준을 최저임금의 90%로 상향 조정하여 현재까지 운

    영하고 있다. 최저임금이 매년 일정비율로 상승하면서 하한액이 상한액보다

    높아지는 역전현상이 나타나자 2015년 일시적으로 상한액을 4만 3천 원으로

    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상・하한액 모두 4만 3천 416원의 단일 금액으로 지급하고 있다.

    구직급여일액 현황

    (단위: 원)

    최저임금액(일급)

    급여기초임금일액

    구직급여일액비고

    하한액1) 상한액

    1998.10~1999.612,200

    70,000 8,540 35,000 최저임금의 70%

    1999.7~1999.8

    60,000

    8,540

    30,000

    상한액 인하

    1999.9~2000.312,800

    8,960

    2000.4~2000.8 11,520 최저임금의 90%

    2000.9~2000.1214,920

    13,428

    2001.1~2001.8

    70,000

    13,428

    35,000

    상한액 인상

    2001.9~2002.8 16,800 15,120

    2002.9~2003.8 18,200 16,380

    2003.9~2004.8 20,080 18,072

    2004.9~2005.8 22,720 20,448

    2005.9~2015.1224,800

    22,320

    2006

    80,000

    22,320

    40,000

    상한액 인상

    2007 27,840 25,056

    2008 30,160 27,144

    2009 32,000 28,800

    2010 32,880 29,592

    2011 34,560 31,104

    2012 36,640 32,976

    2013 38,880 34,992

    2014 41,680 37,512

    2015 44,640 86,000

    40,176 43,000 상한액 인상

    2016 48,240 43,416 43,416

    주:1) 하한액은 8시간 기준 일급으로 산정

  • 제2장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 15

    2012년 1월 22일부터 자영업자도 실업급여에 임의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자영업자 고용보험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자영업자의 경우 1년 이상 고용보

    험에 가입하고, 비자발적으로 폐업하는 경우 실업급여를 지급한다. 비자발적으

    로 폐업하는 경우는 6개월 이상 적자가 지속되거나 매출액이 전년에 비해

    20% 이상 감소하는 등 경영이 악화되어 더 이상 사업을 영위할 수 없는 경우,

    건강이 악화되거나 출산・육아로 인해 폐업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자영업자의 실업급여 지급액은 기준보수의 50%이며, 월 77만 원에서 134만 5천 원 수준이

    다. 자영업자의 경우 소득파악이 용이하지 않고 소득이 수시로 변동하는 특성

    을 고려하여, 자영업자의 기준보수는 실제 소득과 관계없이 고용보험 가입자

    의 희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자영업자는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3~6개

    월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

    자영업자의 실업급여액

    (단위: 원)

    2015년 이전 2016년 이후

    기준보수 월 실업급여 기준보수 월 실업급여

    1등급 1,540,000 770,000 1,540,000 770,000

    2등급 1,730,000 865,000 1,730,000 865,000

    3등급 1,920,000 960,000 1,920,000 960,000

    4등급 2,110,000 1,055,000 2,110,000 1,055,000

    5등급 2,310,000 1,155,000 2,310,000 1,155,000

    6등급 2,500,000 1,250,000

    7등급 2,690,000 1,345,000

    자료:고용노동부.

    자영업자의 소정급여일수

    가입기간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

    소정급여일수 90일 120일 150일 180일

    자료:고용보험법 별표2(제69조 제6항 관련)

  • 16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1995년 실업급여제도가 시행되고 1996년 7월 실업급여가 최초 지급되었으

    며, 고용보험 가입자의 증가와 함께 실업급여 수급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2004년 1월 이후 일용근로자에게도 실업급여제도가 적용된 이후, 일용근

    로자의 실업급여 수급자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영업자 고용보험이

    도입된 지 1년 1개월 만인 2013년 2월 자영업자에 대한 실업급여가 처음 지급

    되었다.

    [그림 2-2]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 추이(단위: 천 명)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신청 DB.

    제2절 실업급여 수급자 현황 및 특성

    이번 절에서는 2006년부터 지난 10년간의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자 DB를

    이용하여 실업급여 수급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실업급여 신

    청일 기준으로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신청자를 해당연도의 수급자(수급자격인

    정자)로 정의한다.8) 2015년 기준 실업급여 수급자는 94만 4천 명으로 이들 대

    8) 개인식별번호, 실업급여 신청일 등의 변수가 결측인 경우는 제외하였고, 연 단위 기준으로

  • 제2장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 17

    부분이 상시(상용+임시)근로자에 해당하며, 일용근로자는 7만 9천 명으로 8.4%,

    자영업자는 1,032명으로 0.1%를 차지하였다. 실업급여 수급자는 제도 도입 이

    후 매년 증가하여 왔으며 2009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후 감소 추세에 있

    다 2012년 경기침체 이후 2013년 증가로 전환되어 2년 연속 증가하였으나

    2015년 들어 다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2015년 수급자의 감소는 일용근로

    자의 감소가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

    (단위: 명, %, 전년대비)

      전체 상시근로자 일용근로자 자영업자증감률

    2006 608,284 568,717 (93.5) 39,567 (6.5)

    2007 682,691 12.2 626,880 (91.8) 55,811 (8.2)

    2008 824,050 20.7 741,184 (89.9) 82,866 (10.1)

    2009 1,066,288 29.4 927,864 (87.0) 138,424 (13.0)

    2010 967,393 -9.3 839,172 (86.7) 128,221 (13.3)

    2011 899,630 -7.0 792,143 (88.1) 107,487 (11.9)

    2012 897,944 -0.2 808,743 (90.1) 89,201 (9.9)

    2013 920,249 2.5 839,325 (91.2) 80,179 (8.7) 745 (0.1)

    2014 962,661 4.6 873,758 (90.8) 87,703 (9.1) 1,200 (0.1)

    2015 944,409 -1.9 864,516 (91.5) 78,861 (8.4) 1,032 (0.1)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 종합통계 DB.

    실업급여 수급자의 성별 비중을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조금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왔으나, 여성 실업급여 수급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15

    년에는 남녀 비중이 같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업급여 수급자 중 상시근

    로자는 2011년 이후 여성 수급자가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나며, 남성 비중이

    높은 일용근로자의 경우에도 여성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동일인의 고용보험 사업장번호와 실업급여신청일이 중복되는 정보는 제거하고 분석하였다.

    실업급별 수급자는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일 기준으로 작성하여, 행정처리일 기준으로 작

    성되는 「고용보험통계연보」 상의 실업급여 수급자격 인정자와 수치가 다를 수 있다.

  • 18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나타난다. 실업급여 수급자의 여성 비중의 증가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활

    발해지면서 고용보험 가입 일자리에 진입 비중이 높아지면서 실업급여 수급가

    능성이 높아진 것과 함께 여성의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고용이 불안정하다는

    양면성을 내포하고 있을 것이다.

    [그림 2-3] 실업급여 수급자 성별 비중 추이(단위: %)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 종합통계 DB.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의 성별 비중 추이

    (단위: %)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상시남성 52.7 51.8 51.7 54.5 50.9 49.5 49.0 48.0 47.9 47.4

    여성 47.3 48.2 48.3 45.5 49.1 50.5 51.0 52.0 52.1 52.6

    일용남성 85.4 85.7 85.9 87.0 84.1 83.8 82.9 81.2 81.7 78.3

    여성 14.6 14.3 14.1 13.0 15.9 16.2 17.1 18.8 18.3 21.7

    자영남성 53.8 48.9 49.5

    여성 46.2 51.1 50.5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 종합통계 DB.

  • 제2장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 19

    연령별로 살펴보면, 실업급여 수급자는 30대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15년에는 50대의 비중이 24.1%로 30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비

    중은 2006년 29.0%에서 2015년 23.5%로 10년 사이 5.5%p, 29세 이하 청년층은

    동 기간에 9.3%p 감소한 반면, 50대와 60세 이상 연령층은 증가하여 전반적으

    로 실업급여 수급자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50대

    비중이 높은 일용근로자와 자영업자로 인해 50대 비중이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3년부터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

    게 됨에 따라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도 확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9)

    [그림 2-4] 실업급여 수급자의 연령 비중 추이(단위: %)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 종합통계 DB.

    9) 고용보험법에 규정된 실업급여 적용제외 근로자 범위를 ‘65세 이상인 자’에서 ‘65세 이후

    에 고용되거나 자영업을 개시한 자’로 고용보험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여 2013년 6월

    4일부터 근로자 및 자영업자가 기존에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65세 이후에 이직(폐

    업)하더라도 실업급여 적용이 가능하도록 고용보험 적용대상 범위를 확대하여 취약 계층

    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한층 더 강화하였다.

  • 20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근로자 유형별 실업급여 수급자의 연령 비중 추이

    (단위: %)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9세 이하 27.2 26.1 25.0 24.0 22.1 20.1 19.3 18.9 17.8 17.5

    30대 29.8 29.6 29.9 29.5 27.6 27.8 27.9 27.4 25.8 24.7

    40대 20.7 21.0 21.5 21.8 21.1 21.6 21.9 21.7 22.1 21.8

    50대 16.8 17.1 17.2 17.7 20.3 21.2 21.5 21.6 22.4 22.4

    60세 이상 5.6 6.2 6.5 6.9 8.9 9.4 9.5 10.4 11.9 13.6

    29세 이하 5.1 4.5 3.9 3.8 3.9 3.5 3.1 3.4 3.3 3.9

    30대 18.6 16.7 16.2 15.6 14.6 13.3 12.2 11.4 10.7 11.0

    40대 34.3 33.9 34.1 34.6 32.3 30.4 28.1 26.6 25.6 24.7

    50대 31.6 34.1 35.1 35.4 37.3 39.5 41.5 42.3 43.3 42.4

    60세 이상 10.4 10.8 10.7 10.7 11.8 13.3 15.1 16.3 17.1 17.9

    29세 이하 2.8 1.9 2.6

    30대 14.9 14.8 14.9

    40대 24.6 24.7 23.1

    50대 44.0 41.8 40.1

    60세 이상 13.7 16.8 19.3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 종합통계 DB.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전 직장의 규모별 비중을 보면, 2015년 기준 5인 미

    만 규모가 21.9%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10~29인, 5~9인 등의 순이었다. 실업

    급여 수급자의 과반수 이상이 30인 이만 사업장에 분포되어 있으며 지난 10년

    간 사업장 규모별 비중은 규모별로 소폭의 등락은 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실업급여 수급자 중 자영업자의 경우는 90% 이상이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해당하였다.10)

    10) 자영업자 고용보험은 사업자등록증을 보유하고, 근로자를 고용하지 않거나 50인 미만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2장 실업급여제도 현황과 성과 21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전 직장의 사업장 규모별 분포

    (단위: %)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5인 미만 20.0 20.7 21.5 21.9 22.3 24.0 22.7 22.6 22.0 21.9

    5~9인 13.4 13.1 13.2 12.9 13.0 13.8 13.9 13.7 13.4 13.7

    10~29인 21.1 20.8 21.3 20.2 20.2 20.4 21.1 20.7 20.1 20.2

    30~49인 7.8 7.9 8.1 7.8 7.4 7.3 7.6 7.6 7.5 7.6

    50~69인 4.9 4.9 4.7 4.5 4.1 4.0 4.2 4.2 4.1 4.3

    70~99인 4.9 4.9 4.7 4.6 4.3 4.3 4.2 4.2 4.4 4.3

    100~149인 5.3 5.1 5.0 5.1 4.7 4.6 4.4 4.4 4.4 4.2

    150~299인 8.3 8.2 8.0 7.8 7.4 7.0 6.6 6.6 6.6 6.6

    300~499인 4.2 4.5 4.3 4.4 4.6 4.2 3.8 3.8 3.9 3.7

    500~999인 4.3 4.0 3.9 4.3 4.4 4.3 4.2 4.4 4.6 4.6

    1,000인 이상 5.6 5.9 5.3 6.6 7.6 6.1 7.3 7.8 9.0 8.8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 종합통계 DB.

    자영업자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전 직장의 사업장 규모별 분포

    (단위: 명, %)

    2013 2014 2015

    5인 미만 693 (93.0) 1,107 (92.3) 972 (94.2)

    5~9인 31 (4.2) 52 (4.3) 26 (2.5)

    10~29인 18 (2.4) 27 (2.3) 29 (2.8)

    30~49인 3 (0.4) 14 (1.2) 5 (0.5)

    전체 745 (100.0) 1,200 (100.0) 1,032 (100.0)

    주:실업급여 신청일 기준자료:한국고용정보원,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 종합통계 DB.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직 전 직장의 산업분포를 보면, 제조업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이 비교적 높은 비중을 보인다. 실업급여 수급자 중

    일용근로자의 경우 대부분이 이전 직장이 건설업에 해당하였고, 자영업자의

    경우에는 도매 및 소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여 이직

    전 직장에서의 고용형태에 따른 산업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 22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실업급여 수급자의 이전 직장의 산업별 분포

    (단위: %)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A 1.0 1.2 1.3 1.2 1.8 1.1 0.9 0.9 1.0 0.9

    B 0.2 0.2 0.2 0.2 0.2 0.2 0.1 0.1 0.1 0.1

    C 29.6 27.9 26.0 23.6 17.4 17.9 18.8 17.8 18.0 19.6

    D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E 0.6 0.5 0.4 0.4 0.5 0.5 0.5 0.5 0.5 0.5

    F 12.0 13.5 15.3 18.3 18.0 17.1 14.6 13.0 12.7 11.2

    G 11.8 11.0 10.8 10.2 9.7 9.8 10.4 10.6 10.4 10.6

    H 4.1 3.8 3.7 3.9 3.6 3.8 3.9 3.8 3.6 3.6

    I 2.1 2.4 2.6 2.6 2.7 2.8 3.1 3.5 4.0 4.7

    J 4.8 4.5 4.5 4.1 4.1 3.4 3.5 3.8 4.2 3.2

    K 2.1 1.9 1.6 2.0 2.0 1.7 2.0 2.0 2.4 2.0

    L 4.1 4.2 3.8 3.4 3.4 3.5 3.5 3.5 3.4 3.4

    M 4.5 4.4 4.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