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2019 대학생활안내 ∙ 1 공 연 학 부 학부 소개 공연예술(公演藝術, Performing Arts)은 연극, 무용, 음악 분야의 예술가들이 미학적 가치 가 높은 창작의 결과물을 무대를 매개로 전달함으로서 관객과 직접적으로 교감하는 예술작 업 또는 행위를 총칭한다. 따라서 창조자인 예술가와 향수자인 관객 간의 의미 있는 소통 으로 최종 완성을 이루는 공연예술은 일회성과 현장성을 본질로 한다. 서울예술대학교 공 연학부는 이러한 공연예술의 요체를 이루는 개별 학제들을 하나의 학부로 통합하여 공통된 프레임 안에서 전공별 심화 교육을 실시한다. 기존의 분리된 학과 체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적극적이고도 효율적인 전공 간의 연계·순환·통합 교육을 지향함이다. 이는 학문과 분 야의 경계를 넘어 21세기에 요구되는 전인적이며, 역동적인 예술 인재의 양성을 사명으로 예술교육과 창작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견실한 인문학적 토대 위에 상상력과 창조력으로 빛나는 다양한 예술 분야의 학습 체계로 학생들의 지적, 정서 적, 기술적 배양을 도모하는 본 학부는 미래의 탁월한 예술가들의 산실이고자 한다. 학부 교육목표 1. (우리 문화예술콘텐츠의 창작) 우리 고유의 예술적 가치관을 학습하고 이해함으로서 다양한 예술 창조 작업과 행위 속 에 우리의 정신과 문화가 깃들 수 있게 한다. 2. (우리 문화예술콘텐츠의 세계화) 진지하고도 심원한 창작과정 통해 완성되는 결과물들은 우리 문화권을 초월해 세계화 시 대를 리드하며, 공감대를 확장시킬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예술 소프트웨어를 지향한다. 3. (예술-과학 융합) 과학과 기술, 예술과 다양한 인문학 분야의 융합과 통섭을 지향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 하여 학제 간의 긴밀하고도 열린 소통을 통해 상상력을 확장한다. 4. (연계·순환·통합) 과거, 현재, 미래를 총괄하는 예술 창조의 가능성의 창을 열고 도전과 실험 정신으로 만 나고 충돌하는 창조 과정을 통해 서로를 연결하고, 순환하며, 통합한다. 5. (산학협력) 백스테이지 스태프, 액팅컴퍼니를 포함한 전체 작업과정을 통솔하고, 이끄는 이상적인 리더십 인재 육성과 공연예술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하고도 특화된 분야들의 전문가들 을 배출한다.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1

공 연 학 부

학부 소개

공연예술(公演藝術, Performing Arts)은 연극, 무용, 음악 분야의 예술가들이 미학적 가치가 높은 창작의 결과물을 무대를 매개로 전달함으로서 관객과 직접적으로 교감하는 예술작업 또는 행위를 총칭한다. 따라서 창조자인 예술가와 향수자인 관객 간의 의미 있는 소통으로 최종 완성을 이루는 공연예술은 일회성과 현장성을 본질로 한다. 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는 이러한 공연예술의 요체를 이루는 개별 학제들을 하나의 학부로 통합하여 공통된 프레임 안에서 전공별 심화 교육을 실시한다. 기존의 분리된 학과 체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적극적이고도 효율적인 전공 간의 연계·순환·통합 교육을 지향함이다. 이는 학문과 분야의 경계를 넘어 21세기에 요구되는 전인적이며, 역동적인 예술 인재의 양성을 사명으로 예술교육과 창작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견실한 인문학적 토대 위에 상상력과 창조력으로 빛나는 다양한 예술 분야의 학습 체계로 학생들의 지적, 정서적, 기술적 배양을 도모하는 본 학부는 미래의 탁월한 예술가들의 산실이고자 한다.

학부 교육목표

1. (우리 문화예술콘텐츠의 창작)

우리 고유의 예술적 가치관을 학습하고 이해함으로서 다양한 예술 창조 작업과 행위 속에 우리의 정신과 문화가 깃들 수 있게 한다.

2. (우리 문화예술콘텐츠의 세계화)

진지하고도 심원한 창작과정 통해 완성되는 결과물들은 우리 문화권을 초월해 세계화 시대를 리드하며, 공감대를 확장시킬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예술 소프트웨어를 지향한다.

3. (예술-과학 융합)

과학과 기술, 예술과 다양한 인문학 분야의 융합과 통섭을 지향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학제 간의 긴밀하고도 열린 소통을 통해 상상력을 확장한다.

4. (연계·순환·통합)

과거, 현재, 미래를 총괄하는 예술 창조의 가능성의 창을 열고 도전과 실험 정신으로 만나고 충돌하는 창조 과정을 통해 서로를 연결하고, 순환하며, 통합한다.

5. (산학협력)

백스테이지 스태프, 액팅컴퍼니를 포함한 전체 작업과정을 통솔하고, 이끄는 이상적인 리더십 인재 육성과 공연예술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하고도 특화된 분야들의 전문가들을 배출한다.

Page 2: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 ∙ 2019 대학생활안내

인재 양성 유형별 세부전공 소개

무대연출 연출의 기능. 종류, 역사 등의 이론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연출 작업과정의 이해를 도모한다. 이를 토대로 작품 선정과 희곡, 인물, 장면 분석 등의 ‘자신과의 작업’ 뿐 아니라 배우, 디자이너, 기획자, 무대감독 등과 조화로운 협력을 이끌어갈 수 있는 소통 능력과 기술을 함양한다.

무대연출(아동청소년극 연출)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예민한 성장기를 거치는 특수한 생애주기에 속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공연의 다양한 면모들을 학습한다. 그들을 위한 작업의 희곡, 연출, 연기, 무대뿐 아니라 그들이 경험하는 세계와 심리, 감성, 사회적 현상 등에 대한 섬세하고도 통찰력 있는 이해를 고취한다. 실제 제작 작업을 통해 기술적 세부 사항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고, 아동청소년극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적인 역량을 확대한다.

무대연출(무대감독) 공연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무대감독 분야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인 기술을 연마하고, 학습한다. 관련된 다양한 분야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과 테크놀로지, 공학적 운용 등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실제 작업을 통해 습득한다. 함께 작업하는 여러 분야의 스텝, 배우, 연출, 디자이너 등과의 조화로운 소통을 이루는 무대감독의 리더십과 조정능력을 함양한다.

무대제작(무대미술) 무대디자인의 전체 과정을 학습하며, 다양한 미학적 표현 방식을 통해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디자인 능력을 배양한다. 학생 개개인의 감성적, 정서적, 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의 주제를 분석하고, 무대의 다양한 매체적, 표현적 가능성을 숙지하여 완성도 높은 무대미술로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대본의 입체적 시각화 작업에서 디자이너의 개성이 선명하고도 창조적인 무대언어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무대제작(무대조명) 빛을 보고 구상하는 과정과 그것을 어떤 식으로 공간에 시각화 시키는가 하는 학습 과정을 통해 스스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자신만의 독특한 빛을 만들어가는 기초 작업과 실제 공연제작 과정에서의 조명디자인과 설치, 운영 작업 및 공연 현장에서 필요한 기기 사용 훈련으로 디자이너로서의 자질과 실질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무대제작(무대음향) 소리에 대한 특성과 현상을 이해하고, 공연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음향의 효과적인 수집과 선택, 편집과 녹음을 통해 적합한 음향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학습과정을 통해 실제 극장에서 사용하는 무대음향 작업을 이해한다. 또한 음향디자인과 음향공학의 습득을 위한 기초과정으로서 실제로 극장에서 사용되는 음향기기들의 설치와 사용법을 학습하여 이론과 실제를 연계한다.

무대제작(무대의상) 공연예술과 시대에 따른 복식 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희곡 작품 및 인물을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의상스케치, 재단(cutting), 패턴, 재봉(sewing), 직물, 염색, 가봉(fitting) 등, 무대의상 제작과 관련 분야의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훈련을 한다. 실제 제작 작업을 통해 다른 분야의 디자이너들과 시각적, 미학적 조화를 이루기 위한 소통 역량을 함양한다.

Page 3: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3

한국무용 한국의 전통 춤 문화유산을 보존, 전수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우리 고유의 세계관과 예술적 가치관을 형상화 할 수 있는 독창적인 무용수·안무가, 무용 실기지도자를 양성, 배출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본 전공을 통하여 졸업 후 무용단체 및 인접분야의 취업 및 전공 관련 학사로 진학이 가능하다.

현대무용 한국의 전통 춤 문화유산과 다양한 현대 춤 양식을 동시에 체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뉴아트 창조와 글로벌시대에 적합한 전문 무용인(무용수, 안무가)과 무용 실기지도자를 양성, 배출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졸업 후 전공 관련 학사로 진학이 가능하다.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체득하여 대중예술을 선도하고, 글로벌 엔터테이너(무용수·안무가, 무용실기지도자)를 양성, 배출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졸업 후 전공 관련 학사로 진학이 가능하다.

연기 ‘연기’는 공연, 영화, 방송 등의 다매체에서 연기자의 몸과 소리, 상상력 및 창의력을 이용하여 인물을 창작하고 실연하여 능동적으로 공동창작 작업에 임하는 연기전문 예술가양성을 목표로 한다. 연기전공은 세가지의 트랙으로 나뉘어 전문교육을 받게 된다. 무대연기는 무대 공연에서 요구하는 발성과 화술 그리고 신체움직임 수련을 통하여 융합극과 전통극의 형식에 활용할 수 있는 연기술을 학습하고 영상연기는 영상학부 내의 방송과 영화제작 경험을 통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해 연기술을 학습하며 ‘뮤지컬연기’는 연기자의 발성, 공명, 음색의 훈련을 통해 얻어지는 가창력과 연기에 기본을 두고 신체움직임의 조화를 통해 뮤지컬 제작에 참여하여 인물을 구현해내는 창작 작업을 하도록 교육한다. 졸업 후 전공 관련 학사로 진학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취·창업도 가능하다.

Page 4: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4 ∙ 2019 대학생활안내

공연학부 무대연출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1266 공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2 2 교선 01267 컴퓨터 활용 능력 2 2

학선 14100 기초연기Ⅰ 2 2 학선 01128 극장일반상식 3 3

학선 05287 움직임 기초 3 3 학선 05287 움직임 응용 3 3

전필 50001 장면만들기Ⅰ 3 4 전필 01231 희곡분석Ⅰ 3 3

전필 01001 연극개론 3 3 전필 50002 장면만들기Ⅱ 3 4

전필 01260 공연제작기초 3 1 2 전선 01268 아동청소년극창작Ⅰ 3 1 2

전선 01136 연출의 이해 3 3 전선 01262 공연창작디자인Ⅰ 3 1 2

전선 14190 봉산탈춤Ⅰ(춤사위실습) 3 3 전선 14192 봉산탈춤Ⅱ(춤사위실습) 3 3

연계 09121디지털공간표현기법I(CAD)(디자인)

3 3 연계 09121디지털공간표현기법Ⅱ(CAD)(디자인)

3 3

소계 25 6 20 26 8 19

2 학선 01270 무대 메이크업 3 3 전필 01280연극제작실습Ⅱ(캡스톤디자인)

4 2 4

전필 14041 연극제작실습Ⅰ 4 2 4 전필 01012 세계연극사Ⅰ 3 3

전선 01232 희곡분석Ⅱ 3 3 전선 01218 제작워크샵Ⅱ 3 3

전선 01217 제작워크샵Ⅰ 3 3 전선 01251 작화Ⅱ 3 3

전선 01252 공연SRⅠ 3 3 전선 01253 공연SRⅡ 3 3

전선 01250 작화Ⅰ 3 3 전선 01249 공연창작디자인Ⅲ 3 1 2

전선 01271 아동청소년극창작Ⅱ 3 1 2 전선 01276 무대영상Ⅱ 3 3

전선 01248 공연창작디자인Ⅱ 3 1 2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전선 01275 무대영상Ⅰ 3 3 연계 10204아동ž청소년극창작연습

(문예)3 3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31 7 23 28 6 21

3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Ⅰ 2 2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Ⅱ 2 2

전필 14043 연극제작실습Ⅲ 4 2 4 전필 01281연극제작실습Ⅳ(캡스톤디자인)

4 2 4

전선 01233 제작워크샵Ⅲ 3 3 전선 01234 제작워크샵IV 3 3

전선 01141 연출실기 3 3 전선 01274 동시대실험극Ⅱ 3 3

전선 01273 동시대실험극Ⅰ 3 1 2 전선 01171 프로덕션디자인Ⅱ 3 3

전선 01013 세계연극사Ⅱ 3 3

전선 01254 공연Sound Design 3 1 2

전선 01171 프로덕션 디자인Ⅰ 3 1 2

전선 01272 조명LAB 3 3

연계 10076아동ž청소년극창작실습

(문예)3 3

소계 30 10 22 15 4 13

Page 5: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5

공연학부 무대제작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1266 공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2 2 교선 01267 컴퓨터 활용 능력 2 2

학선 14100 기초연기Ⅰ 2 2 학선 01128 극장일반상식 3 3

학선 05287 움직임 기초 3 3 학선 05287 움직임 응용 3 3

전필 50001 장면만들기Ⅰ 3 4 전필 01231 희곡분석Ⅰ 3 3

전필 01001 연극개론 3 3 전필 50002 장면만들기Ⅱ 3 4

전필 01260 공연제작기초 3 1 2 전선 01268 아동청소년극창작Ⅰ 3 1 2

전선 01136 연출의 이해 3 3 전선 01262 공연창작디자인Ⅰ 3 1 2

전선 14190 봉산탈춤Ⅰ(춤사위실습) 3 3 전선 14192 봉산탈춤Ⅱ(춤사위실습) 3 3

연계 09121디지털공간표현기법I(CAD)(디자인)

3 3 연계 09121디지털공간표현기법Ⅱ(CAD)(디자인)

3 3

소계 25 6 20 26 8 19

2 학선 01270 무대 메이크업 3 3 전필 01280연극제작실습Ⅱ(캡스톤디자인)

4 2 4

전필 14041 연극제작실습Ⅰ 4 2 4 전필 01012 세계연극사Ⅰ 3 3

전선 01232 희곡분석Ⅱ 3 3 전선 01218 제작워크샵Ⅱ 3 3

전선 01217 제작워크샵Ⅰ 3 3 전선 01251 작화Ⅱ 3 3

전선 01252 공연SRⅠ 3 3 전선 01253 공연SRⅡ 3 3

전선 01250 작화Ⅰ 3 3 전선 01249 공연창작디자인Ⅲ 3 1 2

전선 01271 아동청소년극창작Ⅱ 3 1 2 전선 01276 무대영상Ⅱ 3 3

전선 01248 공연창작디자인Ⅱ 3 1 2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전선 01275 무대영상Ⅰ 3 3 연계 10204아동ž청소년극창작연습

(문예)3 3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31 7 23 28 6 21

3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Ⅰ 2 2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Ⅱ 2 2

전필 14043 연극제작실습Ⅲ 4 2 4 전필 01281연극제작실습Ⅳ(캡스톤디자인)

4 2 4

전선 01233 제작워크샵Ⅲ 3 3 전선 01234 제작워크샵IV 3 3

전선 01141 연출실기 3 3 전선 01274 동시대실험극Ⅱ 3 3

전선 01273 동시대실험극Ⅰ 3 1 2 전선 01172 프로덕션디자인Ⅱ 3 3

전선 01013 세계연극사Ⅱ 3 3

전선 01254 공연Sound Design 3 1 2

전선 01171 프로덕션 디자인Ⅰ 3 1 2

전선 01272 조명LAB 3 3

연계 10076아동ž청소년극창작실습

(문예)3 3

소계 30 10 22 15 4 13

Page 6: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6 ∙ 2019 대학생활안내

공연학부 한국무용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1266 공연과 커뮤니케이션능력 2 2 교선 01267 컴퓨터 활용 능력 2 2

학선 14100 기초연기Ⅰ 2 2 학선 01128 극장일반상식 3 3

학선 05287 움직임 기초 3 3 학선 05287 움직임 응용 3 3

전필 05249 전공초급실기Ⅰ 4 6 전필 05257 전공초급실기Ⅱ 4 6

전선 14190 봉산탈춤Ⅰ(춤사위실습) 3 3 전필 05163 초급제작실습 4 2 4

전선 05145 한국무용Ⅰ 2 2 전선 14192 봉산탈춤Ⅱ(춤사위실습) 3 3

전선 05149 현대무용Ⅰ 2 2 전선 05146 한국무용Ⅱ 2 2

전선 05220 실용무용Ⅰ 2 2 전선 05150 현대무용Ⅱ 2 2

전선 05144 무용개론 2 2 전선 05221 실용무용Ⅱ 2 2

소계 22 4 20 25 5 24

2 학선 01270 무대 메이크업 3 3 전필 14042 제작실습Ⅱ 4 2 4

전필 14041 제작실습Ⅰ 4 2 4 전필 05293전공중급실기Ⅱ(캡스톤디자인)

4 6

전필 05292전공중급실기Ⅰ(캡스톤디자인)

4 6 전선 05148 한국무용Ⅳ 2 2

전선 05278Improvisation to

Composition3 3 전선 05152 현대무용Ⅳ 2 2

전선 05147 한국무용Ⅲ 2 2 전선 05286 실용무용Ⅳ 2 2

전선 05151 현대무용Ⅲ 2 2 전선 05277 안무를 위한 사운드디자인Ⅱ 3 1 2

전선 05285 실용무용Ⅲ 2 2 전선 05231 무용요법 2 1 1

전선 05276 안무를 위한 사운드디자인Ⅰ 3 1 2 교직 00047 실기교육방법론 2 2

교직 00046 교육학개론 2 2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28 5 24 24 6 19

3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Ⅰ 2 2 창업 01265 공연과 지식재산권Ⅱ 2 2

전필 14043 제작실습Ⅲ 4 2 4 전선 05295전공고급실기Ⅱ(캡스톤디자인)

4 6

전필 05294전공고급실기Ⅰ(캡스톤디자인)

4 6 전선 05232 무용작품해설 및 비평 2 2

전선 05279 안무구성법 3 1 2 전선 05288 문화 현장실습 2 2

전선 05280 움직임 리서치 2 2 전선 05289 커뮤니티 댄스 2 2

전선 05291 무용과 영상 2 2

소계 15 5 14 14 4 12

Page 7: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7

공연학부 현대무용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1266 공연과 커뮤니케이션능력 2 2 교선 01267 컴퓨터 활용 능력 2 2

학선 14100 기초연기Ⅰ 2 2 학선 01128 극장일반상식 3 3

학선 05287 움직임 기초 3 3 학선 05287 움직임 응용 3 3

전필 05249 전공초급실기Ⅰ 4 6 전필 05257 전공초급실기Ⅱ 4 6

전선 14190 봉산탈춤Ⅰ(춤사위실습) 3 3 전필 05163 초급제작실습 4 2 4

전선 05145 한국무용Ⅰ 2 2 전선 14192 봉산탈춤Ⅱ(춤사위실습) 3 3

전선 05149 현대무용Ⅰ 2 2 전선 05146 한국무용Ⅱ 2 2

전선 05220 실용무용Ⅰ 2 2 전선 05150 현대무용Ⅱ 2 2

전선 05144 무용개론 2 2 전선 05221 실용무용Ⅱ 2 2

소계 22 4 20 25 5 24

2 학선 01270 무대 메이크업 3 3 전필 14042 제작실습Ⅱ 4 2 4

전필 14041 제작실습Ⅰ 4 2 4 전필 05293전공중급실기Ⅱ(캡스톤디자인)

4 6

전필 05292전공중급실기Ⅰ(캡스톤디자인)

4 6 전선 05148 한국무용Ⅳ 2 2

전선 05278Improvisation to

Composition3 3 전선 05152 현대무용Ⅳ 2 2

전선 05147 한국무용Ⅲ 2 2 전선 05286 실용무용Ⅳ 2 2

전선 05151 현대무용Ⅲ 2 2 전선 05277 안무를 위한 사운드디자인Ⅱ 3 1 2

전선 05285 실용무용Ⅲ 2 2 전선 05231 무용요법 2 1 1

전선 05276 안무를 위한 사운드디자인Ⅰ 3 1 2 교직 00047 실기교육방법론 2 2

교직 00046 교육학개론 2 2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28 5 24 24 6 19

3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Ⅰ 2 2 창업 01265 공연과 지식재산권Ⅱ 2 2

전필 14043 제작실습Ⅲ 4 2 4 전선 05295전공고급실기Ⅱ(캡스톤디자인)

4 6

전필 05294전공고급실기Ⅰ(캡스톤디자인)

4 6 전선 05232 무용작품해설 및 비평 2 2

전선 05279 안무구성법 3 1 2 전선 05288 문화 현장실습 2 2

전선 05280 움직임 리서치 2 2 전선 05289 커뮤니티 댄스 2 2

전선 05291 무용과 영상 2 2

소계 15 5 14 14 4 12

Page 8: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8 ∙ 2019 대학생활안내

공연학부 실용무용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1266 공연과 커뮤니케이션능력 2 2 교선 01267 컴퓨터 활용 능력 2 2

학선 14100 기초연기Ⅰ 2 2 학선 01128 극장일반상식 3 3

학선 05287 움직임 기초 3 3 학선 05287 움직임 응용 3 3

전필 05249 전공초급실기Ⅰ 4 6 전필 05257 전공초급실기Ⅱ 4 6

전선 14190 봉산탈춤Ⅰ(춤사위실습) 3 3 전필 05163 초급제작실습 4 2 4

전선 05145 한국무용Ⅰ 2 2 전선 14192 봉산탈춤Ⅱ(춤사위실습) 3 3

전선 05149 현대무용Ⅰ 2 2 전선 05146 한국무용Ⅱ 2 2

전선 05220 실용무용Ⅰ 2 2 전선 05150 현대무용Ⅱ 2 2

전선 05144 무용개론 2 2 전선 05221 실용무용Ⅱ 2 2

소계 22 4 20 25 5 24

2 학선 01270 무대 메이크업 3 3 전필 14042 제작실습Ⅱ 4 2 4

전필 14041 제작실습Ⅰ 4 2 4 전필 05293전공중급실기Ⅱ(캡스톤디자인)

4 6

전필 05292전공중급실기Ⅰ(캡스톤디자인)

4 6 전선 05148 한국무용Ⅳ 2 2

전선 05278 Improvisation to Composition 3 3 전선 05152 현대무용Ⅳ 2 2

전선 05147 한국무용Ⅲ 2 2 전선 05286 실용무용Ⅳ 2 2

전선 05151 현대무용Ⅲ 2 2 전선 05277 안무를 위한 사운드디자인Ⅱ 3 1 2

전선 05285 실용무용Ⅲ 2 2 전선 05231 무용요법 2 1 1

전선 05276 안무를 위한 사운드디자인Ⅰ 3 1 2 교직 00047 실기교육방법론 2 2

교직 00046 교육학개론 2 2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28 5 24 24 6 19

3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Ⅰ 2 2 창업 01265 공연과 지식재산권Ⅱ 2 2

전필 14043 제작실습Ⅲ 4 2 4 전선 05292전공고급실기Ⅱ(캡스톤디자인)

4 6

전필 05294전공고급실기Ⅰ(캡스톤디자인)

4 6 전선 05232 무용작품해설 및 비평 2 2

전선 05279 안무구성법 3 1 2 전선 05288 문화 현장실습 2 2

전선 05280 움직임 리서치 2 2 전선 05289 커뮤니티 댄스 2 2

전선 05291 무용과 영상 2 2

소계 15 5 14 14 4 12

Page 9: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9

공연학부 연기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1266 공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2 2 교선 01267 컴퓨터 활용 능력 2 2

학선 14100 기초연기Ⅰ 2 2 학선 01128 극장일반상식 3 3

학선 05287 움직임 기초 3 3 학선 05287 움직임 응용 3 3

전선 14190 봉산탈춤Ⅰ(춤사위실습) 3 3 전선 14192 봉산탈춤Ⅱ(춤사위실습) 3 3

전필 14189 연기실습Ⅰ 3 3 전필 14101 연기실습Ⅱ 3 3

전선 14200 호흡과 소리Ⅰ 3 3 전선 14201 호흡과 소리Ⅱ 3 3

전선 01053 몸다스리기Ⅰ 3 3 전선 01059 몸다스리기Ⅱ 3 3

전선 14013 노래부르기Ⅰ 3 3 전선 14014 노래부르기Ⅱ 3 3

전선 50001 장면만들기Ⅰ 3 4 전선 50002 장면만들기Ⅱ 3 4

전선 01001 연극개론 3 3 전선 01231 희곡분석Ⅰ 3 3

연계 02100 영화학개론 3 3 전선 14102 발성과발음I 2 2

연계 03127 방송학개론 3 3 연계 11010 시창청음Ⅱ 2 2

연계 11009 시창청음Ⅰ 2 2

소계 36 11 26 31 6 26

2 학선 01270 무대 메이크업 3 3 전필 14203장면연구Ⅱ(캡스톤디자인)

3 4

전필 14041 제작실습Ⅰ 4 2 4 전선 01218 제작워크샵Ⅱ 3 3

전선 01217 제작워크샵Ⅰ 3 3 전선 14205 말하기Ⅱ 3 3

전필 14202장면연구Ⅰ

(캡스톤디자인)3 4 전선 01012 세계연극사Ⅰ 3 3

전선 14204 말하기Ⅰ 3 3 전선 14093 소리와 리듬Ⅱ 3 3

전선 14092 소리와 리듬Ⅰ 3 3 전선 14147 노래부르기Ⅳ 3 3

전선 14146 노래부르기Ⅲ 3 3 전필 01280연극제작실습Ⅱ

(캡스톤디자인)4 2 4

연계 11084 합창Ⅰ 1 1 연계 02105 영화제작워크숍Ⅱ 4 2 4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연계 03066 TV제작실습Ⅱ 4 2 4

연계 14113 합창Ⅱ 1 1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26 2 24 34 9 29

3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Ⅰ 2 2 창업 01264 공연과 지식재산권Ⅱ 2 2

전필 14206장면연구Ⅲ

(캡스톤디자인)4 3 전선 14207

장면연구Ⅳ

(캡스톤디자인)3 4

전선 01233 제작워크샵Ⅲ 3 3 전선 01234 제작워크샵Ⅳ 3 3

전선 14195 신체훈련Ⅰ 2 2 전선 14196 신체훈련Ⅱ 3 3

전선 14045 연기이론 2 2 전선 14149 노래부르기Ⅳ 3 3

전선 14148 노래부르기Ⅴ 3 3 전필 01281연극제작실습Ⅳ

(캡스톤디자인)4 2 4

전필 14043 연극제작실습Ⅲ 4 2 4 연계 02112 졸업영화Ⅱ 4 2 4

연계 02111 졸업영화Ⅰ 4 2 4 연계 03137 TV졸업작품제작 4 2 4

연계 03067 TV제작실습Ⅲ 4 2 4

소계 28 10 23 26 8 25

Page 10: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10 ∙ 2019 대학생활안내

공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Performing Arts & Communication Skill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현대 공연예술의 주요 경향을 학습한다. 탁월한 미학적 실험을 주도한 연출가들의 작품뿐 아니라 연기, 무용, 영상, 음악, 게임, 가상현실 등을 매개로 한 다원예술의 이해를 통해 장르 간의 경계를 해체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컴퓨터 활용 능력 Computer Application Skill

컴퓨터 관련 주요 이론과 언어를 학습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기기의 활용 기술을 습득한다. 컴퓨터 코딩 능력을 함양하며, 이를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연마하여 컴퓨터 작업의 효율성과 범주를 확장시킨다.

공연과 지식재산권I, II Performance and Intellectual Property I, II

법률 일반, 권리, 의무에 관한 개괄적인 이해를 기초로, 저작권에 관한 이해를 통해 저작권의 중요성과 권리 의식을 고취한다. 공연예술 분야의 제반 창작자들이 보유하는 저작권들의 내용 및 저작권의 침해 발생 시 그에 대한 구제방안을 학습한다.

기초연기Ⅰ Basic Acting Ⅰ

연기훈련의 입문단계 수업으로 신체의 이완과 유기적인 호흡, 오감확장을 통한 관찰력과 상상력을 활용한 표현 능력을 배양한다. 움직임과 호흡, 소리 표현법과 소통에 대한 이해·분석으로 연기예술의 기초를 연마한다. 또한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기이론들을 학습하고, 각각의 연기체계 및 훈련법을 이해한다.

움직임 기초 Introduction to Dance

움직임에 관한 이론과 신체의 유연성, 균형, 지구력, 리듬감, 표현력, 창의력의 향상을 위한 단계별 교육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움직임을 통한 무용교육의 기본원리를 실현하여 새로운 무용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움직임 응용 Dance Application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무용의 다양한 특성과 미학적 가치를 제고한다. 이러한 학습과정을 통해 창작예술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폭넓은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창작 작업으로 활용하고, 적용하는 제반 능력을 고취한다.

극장일반상식 Introduction to Theatre Technology

극장과 무대 공간에 대한 연구와 이해를 통해 공연예술가가 지녀야 할 전반적인 극장관련 상식을 학습한다. 극장의 역사와 형태, 공간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극장경영과 운영에 이르는 극장예술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학습한다. 각 전공별로 이루어지는 극장에 대한 연구조사와 발표를 통해 공연예술 현장에 대한 지식을 체득한다.

무대 메이크업 Stage Make-up

연극, 무용, 뮤지컬, 음악, 오페라 등의 공연예술 장르와 패션쇼, 패션 공연, 미디어아트 같은 혁신적인 관련 분야로 확장, 전개되는 현대의 다양한 무대 특성을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각기 다른 매체들을 위한 전문 무대 메이크업 방법 및 특수 분장 기술의 기초를 습득한다.

Page 11: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11

연극개론 Introduction to Theatre

연극예술 전반에 걸친 근본적인 이해와 학습을 위한 교과이다. 연극이 대상으로 하는 인간 자체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는 본 교과는 폭넓은 인문학적 교양과 전공의 튼실한 기반을 목표로 연극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이론과 실제 현장의 주요 면모들을 총괄한다.

연출의 이해 Introduction to Theatre Directing

작품의 분석의 기본부터 연출대본의 작성까지 연출의 기능 및 방법을 이해하여 연출실기 및 연극제작 실습을 위한 기초를 닦는다. 작품분석, 연출일지, 연습일정 작성 등, 연극 창조를 위한 객관화된 문서작업을 연출관점에서 훈련한다. 이를 통해 연출적 테크닉과 방법을 터득한다.

공연제작기초 Basics of Production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공연 제작실습 기초의 다양한 면모들을 학습한다. 무대, 조명, 음향, 의상 전공 교과에 대한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실습한다. 또한 각 전공의 기초 이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습 과정을 습득하여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목표로 한다.

장면만들기Ⅰ,Ⅱ Scene MakingⅠ, Ⅱ

장면의 구성요소들 (장소, 시간, 인물, 목적, 갈등 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배우의 신체와 극적행동으로 표현한다. 주변에서 접하는 일상의 이야기를 토대로 자유로운 장면작업을 시도한다. 장면만들기Ⅰ에 이어지는 장면만들기Ⅱ 학습에서는 기존의 단막 및 장막 희곡에서 발췌한 씬(scene)들을 분석하여 배우의 신체 및 무대 행위로 표현하는 훈련을 한다.

희곡분석Ⅰ,Ⅱ Text AnalysisⅠ,Ⅱ

연극 및 관련학과 전공생들에게 연극예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는데 필요한 동서의 고전 및 현대희곡을 읽고, 분석하며, 탐구하는 교과이다. ‘무엇을, 어떻게, 그리고 왜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 전제로 선별된 한국 및 세계의 대표적 희곡작가들의 작품들을 읽고, 그 속에 담긴 세계관과 의미, 가치, 연극술 등을 연구한다. 이를 근간으로 실제 공연에서 적용할 수 있는 희곡분석의 제반 능력을 습득한다.

아동청소년극창작 I, II Children & Youth Theatre I, II

아동청소년들의 인성 발달을 위한 지적, 정서적 참여를 유도하고, 이끌어내는 능력 배양을 위한 이론과 실기를 병행한다. 아동청소년들의 정서유발, 리듬감, 움직임과 소리 등으로 확장되는 표현의 가능성을 탐구하며, 관련 소재에 대한 연구와 창작 희곡쓰기를 거쳐 실제 제작으로 연결한다. 아동청소년의 심리뿐 아니라 인형극, 오브제, 물체 등, 다양한 사물을 극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탐구하여 아동청소년들의 상상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역량을 함양한다.

공연창작디자인Ⅰ, Ⅱ, Ⅲ Production DesignⅠ, Ⅱ, Ⅲ

공연 창작에 기본이 되는 무대, 조명, 의상, 음향을 전공 핵심 기초에서부터 심화를 목표로 한다. 단계별로 해당 단계에 적합한 작품을 설정하고, 각 디자인 파트에서 수행한 디자인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보다 심화된 전공의 세부를 학습한다.

Page 12: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12 ∙ 2019 대학생활안내

연극제작실습Ⅰ Theatre ProductionⅠ

작품 분석에서 공연 후 합평회까지 공연제작의 전 단계를 학습한다. 한 시간 길이의 단막극을 교재로 사용해 공연을 만드는 전체 제작과정을 이해한다. 교수의 지도를 중심으로 드라마의 구조, 공연제작 조직의 구성과 이해, 역할분담 등을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연기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발표를 통해 관객과의 호흡을 경험하며 공연제작의 전반적인 흐름을 터득한다.

작화Ⅰ,Ⅱ Scenic ArtⅠ,Ⅱ

장면작화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와 도구의 사용방법을 이해하고, 고취한다. 또한 작품 제작과 연계한 작화기술을 연마하여 무대장치의 드레싱 작업의 실제를 익히고, 습득한다.

공연 SR I, II (Sound Reinforcement) Performing Arts Sound Reinforcement I, II

연극, 뮤지컬, 무용 등, 공연 예술에서 음향의 확장과 분산을 위한 사운드 시스템의 설치와 활용 기법을 학습한다. 공연 콘텐츠에 적합한 사운드 환경(Aural Temperament)을 현실적,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또한, 마이크, 믹서, 앰프 등, 아날로그 및 디지털 음향장비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고취한다.

무대영상 I, II Videography for Theatre I, II

무대 공연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영상의 기본 구조와 운용 원리를 터득하며 영상 제작과 편집의 기초 능력을 습득한다. 무대영상의 활용은 조명과의 상호 보완적 관계하에 수업을 통해 위치의 공유, 조도의 조절, 색온도의 협의 등을 실험하고 학습한다. 더불어 각 공연의 성격과 필요에 따른 영상을 제작, 편집하여 조명과 함께 적절히 유기적으로 사용하는 예술적 활용 방안을 탐구한다.

연극제작실습Ⅱ(캡스톤디자인) Theatre Production Ⅱ (Capstone Design)

제작 실습Ⅰ의 다음 단계로 본격적인 공연 제작의 준비과정을 학습한다. 장막극의 완성을 전제로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과 장면을 통한 내러티브의 구축과 전개를 이해한다. 교수의 지도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구조 안에서 무대, 조명, 음향, 음악, 의상과 관련, 작품의 환경과 인물, 사건 등의 실제 무대 형상화 과정을 익힌다. 연기자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터득하며, 무대 형성화 과정에서 자신의 연기를 적용 시키는 훈련을 한다.

세계연극사Ⅰ,Ⅱ World Theatre HistoryⅠ,Ⅱ

기원부터 20세기 후반에 이르는 연극예술 발전의 역사적 궤적을 총괄적으로 학습하는 핵심교과이다. 학습방향은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연극사 교과의 전범과 기준에 따라 서양연극사가 중심이 된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연극에 대한 안내가 추가될 본 교과는 주요 연극 사조와 이론을 탐구하여 동시대 공연예술에 대한 폭 넓은 이해 증진을 목표로 한다.

연극제작실습Ⅲ Theatre Production Ⅲ

본격적인 공연 제작실습으로 연기자와의 작업에 중점을 두며 지도교수와 함께 고전작품을 중심으로 제작한다. 작품이 요구하는 화술, 움직임 등을 연기, 무용 수업과 함께 진행한다. 또한 스텝 전공자들은 무대 표현방법의 개발이나 관객과의 호흡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 스스로의 제작 능력을 신장한다.

Page 13: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13

연출실기 Theatre Directing

연극의 희곡·대본을 중심으로 연출 방법론 및 그것에 수반되는 예술의 근본적인 장인정신을 연마한다. ‘연출의 이해’ 교과에서 학습한 연출의 기초 문법과 어휘를 토대로 희곡·대본을 분석하고 형상화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조명LAB Lighting LAB

전체 공간에 대한 조명 계획을 세우고 판단하며, 세부적인 조명 활용과 그림을 창조하기 위한 상상력을 고취한다. 실제 작업을 통해 장면 조명 그림을 특정한 과정에 투영하는 실험으로 디자인의 세부사항을 점검하여, 미학적 완성도를 높인다. 또한 기기나 컬러, 모형(미니어처) 등을 활용한 실험으로 실전 능력을 증대한다.

프로덕션 디자인 I, II Production Design I, II

영화와 비디오를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의 활용을 위한 시각적 요소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교과이다. 프로덕션 디자이너의 역할과 작업방법 및 재료의 선택, 작업과정 등을 학습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수업 과제가 주어진다.

공연 사운드 디자인 Performance Sound Design

공연에서 사용되는 소리의 원리를 이해하고 음향기기의 기능과 특성을 체득한다. 음향과 음악에서 활용되는 전반적인 음향제작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통한 체계적 학습을 하며, 연극 공연 작업에서의 소리를 직접 제작해본다.

연극제작실습Ⅳ(캡스톤디자인) Theatre Production Ⅳ (Capstone Design)

공연제작실습의 마지막 과정으로 3학년 졸업제작이다. 제작실습Ⅰ,Ⅱ,Ⅲ을 통해 익힌 연출, 연기, 움직임, 무대, 조명, 의상, 음향, 소품 등의 전체 제작 과정과 작품발표를 통해 연기 및 제작 능력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프로덕션의 완성도를 드러내는 최종 작업으로서 예술적 깊이와 미학적 가치, 질적 우수성에 중점을 둔다.

동시대실험극Ⅰ, Ⅱ Contemporary Exprimental Theatre Ⅰ, Ⅱ

연극과 미디어 등 기타 장르와의 융합과 연계를 통해 새로운 무대 언어를 탐구하고 체험한다. 기존 희곡에서 새로운 극적언어를 발견하고 동시대 연극의 흐름을 파악하며 대안연극(alternative theatre)의 의미를 실험적 무대 혹은 대안 공간에서 구현한다. 또한 제작실습 교과들과 차별화된 이 워크숍 교과는 완성보다는 도상작업, 실험적 발표 형태를 이룬다. 일종의 인큐베이팅으로 졸업 후 연계하여 창작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유학, 취업, 각종 지원 사업의 기반을 고취한다.

제작워크샵Ⅰ,Ⅱ,Ⅲ,Ⅳ Production WorkshopⅠ,Ⅱ,Ⅲ,Ⅳ

공연제작실습과 병행하여 제공하는 교과들로서 다양한 백스테이지 스태프 분야들의 세부적인 학습을 한다. 학습자들은 공연제작실습 과정을 스스로 계획하고, 수행하며, 토론과 비평을 통해 실제 제작실습의 완성도를 높인다.

Page 14: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14 ∙ 2019 대학생활안내

전공초급실기Ⅰ,Ⅱ Basic Dance TechniqueⅠ,Ⅱ

특정 형식을 가진 춤 테크닉의 실제를 통하여 무용적 신체 육성의 근간인 몸과 정신과의 관계, 표현의 기초, 몸과 공간, 리듬의 관계를 이해하여 무용예술가로서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이다.

한국무용Ⅰ,Ⅱ,Ⅲ,Ⅳ Korean DanceⅠ,Ⅱ,Ⅲ,Ⅳ

한국무용의 춤사위와 춤동작의 용어를 이해하고, 한국무용의 기본원리와 구조를 분석하여 바른 자세와 호흡법 및 다양한 춤사위를 수련한다.

현대무용Ⅰ,Ⅱ,Ⅲ,Ⅳ Contemporary DanceⅠ,Ⅱ,Ⅲ,Ⅳ

현대무용의 주요 개념 및 원리를 연구하고 움직임의 개발을 익히도록 한다. 정확한 기본동작과 올바른 호흡법, 리듬감을 익혀 표현력을 단계별로 심화하고 다양한 작품 소화 능력을 기른다.

실용무용Ⅰ,Ⅱ,Ⅲ,Ⅳ Applied DanceⅠ,Ⅱ,Ⅲ,Ⅳ

대중문화의 기본을 둔 춤으로 힙합, 걸스힙합, 비보이, 팝핀 등의 특징인 즉흥적인 움직임을 통하여 음악적인 요소를 몸으로 표현해 본다.

무용개론 Introduction to Dance

여러 예술장르의 범위를 구축시키게 하는것에 목적이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의 역사와 현재 동향을 살피며 무용에 대한 기초 무용이론 지식에 대하여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이론을 확립하게 한다.

초급제작실습 Basic Production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돕는 효과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자신의 전공 예술분야에 맞는 일정 유형의 시연을 위해 기획 및 제작하는 데 필요한 전체 프로세스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준비과정의 하나로 이를 교육과 접목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기본 지식과 역량을 키우는데에 목적을 둔다.

제작실습Ⅰ Production Ⅰ

초급제작실습의 다음단계로 본격적인 공연 제작의 준비과정이다. 무용수 작업에 중점을 두며 지도교수와 함께 창작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제작을 한다. 또한 작품이 요구하는 움직임, 연출 등을 움직임 창작 수업과 함께 진행하며 전공자들이 무대 표현방법의 개발이나 관객과의 호흡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 스스로의 제작 능력을 키운다.

제작실습Ⅱ Production Ⅱ

공연제작실습으로 작품의 완성을 전제로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과 움직임을 통한 작품 주제의 구축과 전개를 이해한다. 지도교수의 지도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구조 안에서 무용수는 무대 위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터득하여 실제 무대 형성화 과정에 적용 시키는 교육을 실시하며 무대, 조명, 음향, 음악, 의상 등의 디자인을 작품에 맞게 창작해 낼 수 있도록 한다.

Page 15: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15

전공중급실기Ⅰ,Ⅱ(캡스톤 디자인) Intermediate Dance TechniqueⅠ,Ⅱ(Capstone Design)

특정 형식을 가진 춤 테크닉의 실제를 통하여 무용적 신체 육성의 근간인 몸과 정신과의 관계, 표현의 기초, 몸과 공간, 리듬의 관계를 이해하여 무용예술가로서의 중급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mprovisation to Composition

'즉흥(성)'으로 알려진 자발적인 움직임 형식과 안무 창작 도구에 대한 기본 지식과 컨셉을 확장하고 이를 실습한다. 실천 및 경험, 독서, 토론, 관찰 및 저널링을 통해 자각을 넓히고, 시간, 공간, 에너지 그리고 형태 및 역동성에 대한 디자인적 감각을 발달시킨다. 개인의 움직임 어휘를 넓히는 동시에, 이 확장이 어떻게 안무적 의사결정의 민감성에 기여하는지 탐구한다. 개인적인 즉흥 미학과 움직임 스타일을 강화할 뿐 아니라, 앙상블로서의 미학을 파악하고 비판하는 능력을 길러낸다.

무용요법 Dance Therapy

현대무용 공연에서 최신 기술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음악 창작, 실시간 음향 프로세싱 등 현대

무용을 위한 작곡과 사운드 디자인 창작기법을 학생들이 실험하고 새롭고 창의적인 무용 작품을 만

들 수 있는 능력을 길러낸다.

안무를 위한 사운드 디자인Ⅰ,Ⅱ Sound Design for Choreography

현대무용 공연에서 최신 기술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음악 창작, 실시간 음향 프로세싱 등 현대

무용을 위한 작곡과 사운드 디자인 창작기법을 학생들이 실험하고 새롭고 창의적인 무용 작품을 만

들 수 있는 능력을 길러낸다.

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education

예술교육이 왜 필요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예술의 개념과 기능, 예술과 인지와의 관계 등을 고찰하고 교육학의 근간이 되는 교육철학, 교육사회학, 교육심리학의 기초이론을 습득한다.

실기교육방법론 Methodology in Practical Training

교육현장에서 실기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육학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특히 전공교과와 교육학을 연계하여 전공교과 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내용으로는 교육방법론에 중점을 두고 교수이론-학습이론, 교수-학습지도 계획 작성법, 교과단원 분석, 학습지도안 작성, 평가 문제 제작, 교수 매체 활용법 등을 배운다.

제작실습Ⅲ Production Ⅲ

공연제작실습의 마지막 과정으로 3학년 졸업제작이다. 초급제작실습, 제작실습Ⅰ,Ⅱ을 통해 익힌 작품 구성, 움직임 구성, 움직임 테크닉, 연출, 무대, 조명, 의상, 음향, 소품 등의 전 제작 과정과 작품발표를 통하여 학생들 스스로의 움직임 및 제작 능력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또한 3학년 졸업제작은 학교 프로덕션의 완성도를 드러내는 종합체로써 예술적 깊이에 중점을 두고 진행한다. 이를 통해 실제 무용 공연에 투입될 수 있는 완성도를 학습하고 적용한다.

Page 16: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16 ∙ 2019 대학생활안내

전공고급실기Ⅰ,Ⅱ(캡스톤 디자인) Advanced Dance TechniqueⅠ,Ⅱ(Capstone Design)

특정 형식을 가진 춤 테크닉의 실제를 통하여 무용적 신체 육성의 근간인 몸과 정신과의 관계, 표현의 기초, 몸과 공간, 리듬의 관계를 이해하여 무용예술가로서의 고급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이다.

안무구성법 Choreography Composition

특정 형식을 가진 춤 테크닉의 실제를 통하여 무용적 신체 육성의 근간인 몸과 정신과의 관계, 표현의 기초, 몸과 공간, 리듬의 관계를 이해하여 무용예술가로서의 고급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이다.

움직임 리서치 Movement Research

춤의 주요 매체가 되는 움직임의 주요 개념을 학습하고 창작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학습의 내용은 움직임의 주요 구성 요소, 프레이징, 구성 및 조합의 단계를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춤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움직임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춤의 본질적 탐색과 더불어 안무의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무용작품해설 및 비평 Dance Appreciation and Criticism

무용의 역사에서 시대별로 나타난 무용 분석의 유형을 살펴보고 다양한 안무가들의 작품을 시대별, 유형별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관점을 학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무용에 대한 전문적인 비평의 인식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문화 현장실습 Culture Placement

작품 제작 과정 및 공연을 살펴보고 현장에서의 무용 실천을 체험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현장성을 기반으로 하는 무용의 특성에 대해 학습할 수 있으며, 최근의 무용 경향을 직접 경험해보고 현장의 요구와 학교 교육의 내용을 비교, 분석, 적용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예비 무용 전문가로서의 역량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커뮤니티 댄스 Community Dance

최근 무용의 문화적 현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커뮤니티 댄스의 개념 및 실천을 탐색하고 춤의 의미를 공동체의 내부에서 발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수업에서는 계층, 세대, 인종, 성별에 따른 다양한 대상들의 활동 사례를 소개하고 학생들이 직접 수업을 구성해보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춤을 전문적인 영역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즐길 수 있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매체로 인식될 수 있도록 확장된 춤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용과 영상 Dance and Media

최근 무용의 문화적 현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커뮤니티 댄스의 개념 및 실천을 탐색하고 춤의 의미를 공동체의 내부에서 발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수업에서는 계층, 세대, 인종, 성별에 따른 다양한 대상들의 활동 사례를 소개하고 학생들이 직접 수업을 구성해보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춤을 전문적인 영역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즐길 수 있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매체로 인식될 수 있도록 확장된 춤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Page 17: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17

연기실습Ⅰ,Ⅱ Basic Acting Ⅰ,Ⅱ

연기예술가로써 연기 표현에 대해 자신감을 얻기 위한 첫 단계이다. 신체 이완과 그에 따른 유기적인 호흡을 발견하고 오감확장을 통한 관찰력과 상상력을 이용하여 자유로운 표현을 한다. 신체의 움직임과 호흡에서 나오는 소리를 통한 표현방법과 소통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연기의 기초를 닦는다. 다양한 신체표현을 중심으로 한 극을 통해 연기의 체계를 만들고 연기훈련법을 이해한다. 텍스트에 따른 이론적 배경을 통해 연기양식을 이해한다.

호흡과 소리Ⅰ Breath & Voice Ⅰ

호흡과 소리Ⅰ에서는 소리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이전 단계로 호흡에 주목한다. 신체의 근육 신체의 근육들과 호흡의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인식하고, 근육을 자유롭게 해 호흡의 참여도를 높이는 다양한 방법들을 실습한다. 더불어 호흡이 자유롭게 참여할 때 나타나는 다양한 연기적 효과에 대해 주목한다.

호흡과 소리Ⅱ Breath & Voice Ⅱ

호흡과 소리Ⅰ에서 인식한 호흡의 인식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소리를 활용하는 것에 집중한다. 자신이 대사를 말할 때 주로 사사용하는 피치범위를 인식하고 피치를 확장해 대사에 적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노래뿐 아니라 말도 음악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더불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신체에서 뽑아져 나오는 소리에 집중한다. 자신의 몸에 어떤 소리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탐구하고, 타인에게 자신의 소리를 마음껏 들려주며 자유롭게 의사소통한다.

몸다스리기Ⅰ,Ⅱ Movement for Actors Ⅰ,Ⅱ

극의 형상화 과정에서 연기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움직임을 습득하여 연기자의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고 움직임의 기본 동작과 응용능력을 향상시킨다. 움직임을 연기에 접목시키는 요령과 방법을 터득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 능력을 키운다.

노래부르기Ⅰ,Ⅱ,Ⅲ,Ⅳ,Ⅴ,Ⅵ SingingⅠ, Ⅱ, Ⅲ, Ⅳ, Ⅴ, Ⅵ

소수 정예 노래 레슨을 통하여 뮤지컬 전공 및 연기전공 학생들의 기초발성에서 조에스틸 발성법까지 노래의 호흡, 발성과 공명, 음색 등 개인의 보컬 능력의 개발과 훈련에 집중한다. 발성과 더불어 모음의 체계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레가토주법을 익히며 구강내의 마찰과 파찰에서 만들어지는 자음도 정확하게 훈련하여 발음의 기초를 다진다.

영화학개론 Introduction to Film

영화의 다양한 측면들을 이해하기위한 과정으로서, 영화의 기본 개념들과 주변상황을 익혀 영화에 대한 열린 인식과 전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학습한다.

방송학개론 Introduction to broadcasting

방송에 대한 기초 이해에서 시작해, 다양한 방송 영상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를 깊이 있게 연구한다. 뉴스, 다큐, 연예오락물, 드라마, 라디오, 대담물 등 각종 프로그램의 특징과 제작기법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인터넷과 모바일 등 급변하는 방송환경 속에 등장하고 있는 콘텐츠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시도한다.

Page 18: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18 ∙ 2019 대학생활안내

시창․청음Ⅰ,Ⅱ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Ⅰ,Ⅱ 시창청음이란 악기의 도움 없이 악보를 보고 정확히 노래할 수 있는 능력과 음을 듣고 악보에 적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훈련을 말한다. 음정, 리듬, 화성 등을 객관적으로 판단, 실현시키는 것으로부터 음악-예술적 감지와 실현의 능력을 키워 음악의 연주와 창작의 기초를 이루게 한다.

장면연구Ⅰ(캡스톤디자인) Scene StudyⅠ

장면연구 I은 세가지 트랙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산업체 전문가와의 연계프로젝트로 중간점검 및 사후평가에 직접적인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극연기 강좌는 고대에서 르네상스까지 희곡작품의 장면들을 분석하여 실연함으로써 다양한 인물 구축을 위한 창의적 자아를 확장시킨다. 극 형태의 근원에서 출발하는 고대극의 특징과 인물들의 표현방법을 이해하고 이후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의 연기의 변천을 습득하여 연기예술가로써 그 표현법을 연구한다. 그리스 희비극, 셰익스피어 및 몰리에르의 작품들을 연구하여 실연한다. 뮤지컬 연기 강좌의 경우 뮤지컬 장면을 분석, 연구, 해체, 재창작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외 영상 매체(카메라) 연기, 아동극 등 여러 장르에 맞게 연기 수업을 세분화하여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다.

장면연구Ⅱ(캡스톤디자인) Scene StudyⅡ

장면연구 II는 세가지 트랙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산업체 전문가와의 연계프로젝트로 중간점검 및 사후평가에 직접적인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극연기 강좌는 근대 희곡 작품의 장면들을 분석하여 실연함으로써 다양한 인물 구축을 위한 창의적 자아를 확장시킨다. 낭만주의, 자연주의, 사실주의, 멜로드라마 등의 장르를 이해하고 입센, 스트린드베르그, 뷔히너, 체홉 등의 작가 및 작품들을 연구한다. 뮤지컬 연기 강좌의 경우 뮤지컬장면을 분석, 연구, 해체, 재창작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외 영상 매체(카메라) 연기, 아동극 등 여러 장르에 맞게 연기 수업을 세분화하여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다.

장면연구Ⅲ(캡스톤디자인) Scene StudyⅢ

장면연구 III는 세가지 트랙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산업체 전문가와의 연계프로젝트로 중간점검 및 사후평가에 직접적인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극연기 강좌는 20세기 이후 작품의 장면들을 분석하여 실연함으로써 다양한 인물 구축을 위한 창의적 자아를 확장시킨다. 표현주의, 잔혹연극, 서사극, 수정사실주의, 부조리극 등의 다양한 연기 사조를 학습하고 아르또, 브레히트, 이오네스코, 베케트, 밀러, 윌리엄스 및 해당 시대의 한국작가 및 작품들을 연구한다. 뮤지컬 연기 강좌의 경우 기존의 뮤지컬을 축약하여 새로운 장면으로 변형시키거나 소규모의 창작뮤지컬을 만들어 장면을 연구한다. 그 외 영상 매체(카메라) 연기, 아동극 등 여러 장르에 맞게 연기 수업을 세분화하여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다.

장면연구Ⅳ(캡스톤디자인) Scene StudyⅣ (캡스톤디자인)

장면연구 IV는 세가지 트랙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산업체 전문가와의 연계프로젝트로 중간점검 및 사후평가에 직접적인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 강좌는 세부관심분야 별 연기자의 프로덕션 캐스팅을 위한 마지막 단계인 오디션을 준비 할 수 있도

Page 19: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19 대학생활안내 ∙ 19

록 하며 각자 오디션에 필요한 독백 레퍼토리를 만든다. 다양한 오디션의 특성과 성격을 이해하면서 독백연기를 훈련하고 노래 및 특기 준비 능력을 기른다. 현장 적응 능력을 위한 모의 오디션을 실시하여 순발력을 기른다.

말하기Ⅰ,Ⅱ SpeechⅠ,Ⅱ

호흡과 소리Ⅰ, Ⅱ에서 탐구했던 호흡과 소리를 본격적으로 대본 말하기에 적용한다. 우선, 일상의 말하기와 대본 말하기의 차이점을 인식한다. 대사밑에 깔려있는 오감 이미지의 정체를 파헤치고, 그 이미지들의 스케일이 큰 고전대사를 내 말로 바꾸는 작업을 병행한다. 큰 이미지의 스케일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 호흡과 소리 2에서 확장한 피치영역을 적극 활용한다.

말하기Ⅱ SpeechⅡ

호흡과 소리Ⅰ, Ⅱ와 말하기Ⅰ과정에서 배운 지식과 훈련을 총 동원해 말하기 2에서는 캐릭터마다 다르게 말할 수 있는 법, 즉 캐릭터 화술에 집중한다. 자신의 말하는 방법을 확장해 캐릭터에 적용하는 작업은 연기자로서 생명력을 길게 유지하기 위한 필수 작업이다. 소리의 질, 피치, 속도, 발음의 세기 등을 조절해 자유자재로 캐릭터 화술을 구사하는 방법을 익히고, 공연 제작이나 영상제작에서 맡은 캐릭터에 적용한다.

신체훈련Ⅰ,Ⅱ Physical Training for Actors Ⅰ,Ⅱ

배우로써 신체를 균형 있게 발달시키고 근력을 증강시키며, 유연성과 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등을 길러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음악과 리듬감을 가미한 인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기예를 익힌다.

발성과 발음Ⅰ Voice & DictionⅠ

말하기의 기초가 되는 소리 훈련으로 이완된 신체와 유기적인 호흡에서 시작되는 소리를 인지하며, 이완된 신체를 통해 나오는 자유로운 소리를 이용하여 정확한 발음을 구사하여 표현의 기본적 소양에 효율적으로 접근한다.

합창Ⅰ,Ⅱ ChorusⅠ,Ⅱ

전공실기가 개인의 보컬능력을 훈련시키는 것이라면 합창은 4성부로 나누어진 음역에 따라 자신의 성부를 책임지며 소리의 앙상블을 만들어낸다. 다른 성부의 소리를 듣고 자신의 소리와 조화를 시키는 노래를 통한 화성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다. 보이스앙상블과는 달리 주로 노래에만 집중한다.

소리와 리듬Ⅰ,Ⅱ Sound and RhythmⅠ,Ⅱ

연기자를 위한 기초입문단계로 기본적인 소리의 구성과 그에 따른 리듬을 신체에 적용하여 표현을 확장시킨다. 다양한 소리와 리듬을 익히면서 움직임에 적용 시켜 연기자의 창의적인 감각을 개발한다. 움직임과 연계된 소리의 개발로 신체, 소리, 그리고 리듬을 접합시킨다.

연기이론 Theories of Acting

연기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교과이다. 19세기 후반 사실주의의 탄생과 더불어

Page 20: 공 연 학 부 · 실용무용 스트릿댄스, 힙합, 재즈댄스, 방송댄스 등 실용무용 분야의 움직임 및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을 골고루

20 ∙ 2019 대학생활안내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발전한 다양한 연기이론과 트레이닝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스타니슬랍스키, 메이어 홀드, 미카엘 체홉, 리스트라스버그, 샌포드 마이즈너, 스텔라 에들러 등의 20세기 연기이론가들의 사실주의와 그 방법론의 연구를 통해 연기의 의미와 과정, 방법을 비롯한 인물의 성격 창조를 위한 훈련요소들과 방법, 그에 따른 활용방법과 관점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나아가 현재 지향하는 연기의 발전방향 등을 이해한다.

영화제작워크숍 II Film Production Workshop II

상영시간 10분 이내의 단편영화 제작실습을 실시하여 고급 단계의 영화제작의 메카니즘과 기술을 연마한다.

졸업영화 I Thesis Film I

15분 이내의 졸업 작품의 각본, 연출, 촬영, 편집, 제작을 확인하고 평가한다.

졸업영화 II Thesis Film II

3학년 2학기, 15분 이내의 졸업영화를 제작하려하는 학생들의 졸업 작품의 각본, 연출, 촬영, 편집, 제작을 확인하고 평가한다.

TV제작실습II Television Production: Practicum II

TV제작실습Ⅰ에 연장해서 방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과 그 내용을 분석․이해하여 야외제작(EFP)을 중심으로 다양한 포맷의 프로그램 기획능력을 고양시키며 기획안에 따른 구성․제작의 체험을 쌓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V제작실습Ⅲ Television Production: Practicum Ⅲ

팀워크와 개인 작업을 통해 드라마, 시트콤,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포맷의 프로그램 제작 방법과 과정을 경험토록 하여 제작의 이론과 실기능력을 함양토록 한다. TV제작요원으로서 각자의 세부전공(연출, 촬영, 편집, 음향)에 대한 기능향상을 위해 노력 하고, 각자의 능력을 제작에 창조적으로 활용토록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TV졸업작품제작 Thesis Project

다양한 포맷의 프로그램 제작실습을 실시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 자신이 선택한 프로그램 양식을 통하여 전문인으로서 제작 능력을 확인하고 완성된 작품을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미래 방송인으로서의 원대한 포부가 실현 될 수 있는 토대를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