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3 인도 에너지수급 현황과 전력공급 역량 확충 계획 해외정보분석실 양의석 선임연구위원([email protected]) , 김아름 전문연구원([email protected]) 지역협력연구실 김비아 전문연구원([email protected]) 인도는 지난 10년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였고, 이의 결과로 급속한 에너지수요 증가와 소비구조 변화를 경험하여 왔음. 인도의 에너지소비 수준은 세계 3위를 점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석탄 45.8%, 석유 22.4%, 가스 5.2%)적인 특징을 보임. 특히 석탄의 의존도는 2005년 35.7%에서 매년 심화되고 있음. 인도의 정책 목표는 안정적 에너지 공급 역량 확보,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발전부문 구조개편 등으로 제시되고 있음. 이를 위해 정부는 전원구성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고, 석탄발전소의 효율을 증대해야 하는 과제를 보유하고 있음. 2015년 인도의 발전량 중 화력발전 비중은 84.4%로 높은 화력 의존도를 보여주고 있으나, 정부는 향후 전원구조에서 화력설비 비중은 감축 추진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증대하고자 함. 특히,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전력공급 역량 확충계획 중 핵심과제로 설정하여 개발을 추진하고자 하며, 정부는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에서 2022년까지 총 175GW의 재생에너지 전원개발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1. 인도 에너지 수급 현황 에너지수급 구조 ¡ 인도는 지난 10년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였 , 이의 결과로 급속한 에너지수요 증가와 소비구조 변화를 경험하여 왔음 . 1) GDP성장률은 20147.2%, 20157.9%를 기록한 바 있으며 2) , 20177.9%(Morgan Stanley 보고서 , 2017.5) 3) 성장이 전망되고 있음 . ¡ 에너지소비 수준 (1차에너지 공급기준 )2014824.7Mtoe를 기록하여 세계국 가 중 3위의 소비대국 위치 (1위 중국 : 3,051.5Mtoe, 2위 미국 : 2,216.2Mtoe)점하고 있음 . 4) 인도의 에너지수급은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 ( 석탄 45.8%, 석유 22.4%, 가스 5.2%) 하고 있으며 , 특히 석탄의 의존도는 200535.7%에서 매년 심화되고 있음 . 한편 , 바이오 폐기물의 에너지 분담률이 20141차에너지 공급 중 23.5%달하여 농업국가의 전통적 에너지수급 특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음 . 1) EIA(2016.6.14), Country Analysis Brief: India; IMF 데이터 재인용 2) The World Bank 홈페이지(검색일 : 2017.5.17) 3) The Times of India(2017.5.16) 4) IEA(2016),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 “인도의 에너지소비 수준은 세계 3위를 점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에 의존적인 특징을 보임”

인도 에너지수급 현황과 전력공급 역량 확충 계획 · 2021. 1. 16.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3 인도 에너지수급 현황과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3

    인도 에너지수급 현황과 전력공급 역량 확충 계획

    해외정보분석실 양의석 선임연구위원([email protected]), 김아름 전문연구원([email protected])

    지역협력연구실 김비아 전문연구원([email protected])

    ▶ 인도는 지난 10년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였고, 이의 결과로 급속한 에너지수요 증가와 소비구조 변화를 경험하여 왔음.

    ▶ 인도의 에너지소비 수준은 세계 3위를 점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석탄 45.8%, 석유 22.4%, 가스 5.2%)적인 특징을 보임. 특히 석탄의 의존도는 2005년 35.7%에서 매년 심화되고 있음.

    ▶ 인도의 정책 목표는 안정적 에너지 공급 역량 확보,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발전부문 구조개편 등으로 제시되고 있음. 이를 위해 정부는 전원구성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고, 석탄발전소의 효율을 증대해야

    하는 과제를 보유하고 있음.

    ▶ 2015년 인도의 발전량 중 화력발전 비중은 84.4%로 높은 화력 의존도를 보여주고 있으나, 정부는 향후 전원구조에서 화력설비 비중은 감축 추진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증대하고자 함.

    ▶ 특히,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전력공급 역량 확충계획 중 핵심과제로 설정하여 개발을 추진하고자 하며, 정부는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에서 2022년까지 총 175GW의 재생에너지 전원개발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1. 인도 에너지 수급 현황

    ▣ 에너지수급 구조¡ 인도는 지난 10년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였

    고, 이의 결과로 급속한 에너지수요 증가와 소비구조 변화를 경험하여 왔음.1)

    ‒ GDP성장률은 2014년 7.2%, 2015년 7.9%를 기록한 바 있으며2), 2017년 7.9%(Morgan Stanley 보고서, 2017.5월)3) 성장이 전망되고 있음.

    ¡ 에너지소비 수준(1차에너지 공급기준)은 2014년 824.7Mtoe를 기록하여 세계국가 중 3위의 소비대국 위치(1위 중국: 3,051.5Mtoe, 2위 미국: 2,216.2Mtoe)를 점하고 있음.4)

    ‒ 인도의 에너지수급은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석탄 45.8%, 석유 22.4%, 가스 5.2%)하고 있으며, 특히 석탄의 의존도는 2005년 35.7%에서 매년 심화되고 있음.

    ‒ 한편, 바이오・폐기물의 에너지 분담률이 2014년 1차에너지 공급 중 23.5%에 달하여 농업국가의 전통적 에너지수급 특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음.

    1) EIA(2016.6.14), Country Analysis Brief: India; IMF 데이터 재인용

    2) The World Bank 홈페이지(검색일 : 2017.5.17)

    3) The Times of India(2017.5.16)

    4) IEA(2016),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

    “인도의 에너지소비 수준은 세계 3위를 점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에 의존적인 특징을 보임”

  • 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05~14)

    1차에너지소비(Mtoe) 516.2 693.2 722.7 758.4 775.9 824.7 5.3

    석탄

    (%)

    35.7 40.2 40.8 42.6 43.9 45.8 8.3

    석유 24.1 23.3 23.0 23.4 22.7 22.4 4.5

    가스 6.2 7.8 7.6 6.5 5.7 5.2 3.5

    원자력 0.9 1.0 1.2 1.1 1.1 1.1 8.5

    수력 1.8 1.5 1.7 1.4 1.6 1.4 2.2

    지열/태양 0.1 0.3 0.4 0.4 0.5 0.5 23.4

    바이오/폐기물/기타 31.2 25.8 25.3 24.6 24.5 23.5 2.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자료 : IEA(2016),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

    < 1차 에너지 공급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 Mtoe, %)

    ▣ 석탄수급¡ (석탄 매장 및 생산) 인도는 미국, 러시아, 중국, 호주에 이어 세계 5위(606억 톤,

    2015년 말, BP)5)의 석탄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음.

    ‒ 석탄 자원 2/3 이상은 Jharkand(33%), Odisha(22%), Chhattisgarh(13%) 등지의 동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석탄 성상의 95%는 유연탄(Hard Coal)로 구성됨.6)

    ‒ 인도의 석탄 생산량은 2015년 6억7,750만 톤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세계 석탄 생산량의 7.4%에 해당하는 양임.7)

    ・ 석탄 생산량은 1995년 2억8,900만 톤에 불과하였으나, 2000년 3억4,480만 톤, 2005년 4억2,900만 톤, 2010년 5억7,230만 톤으로 증대되었음.

    ¡ (석탄 수요) 인도의 석탄 수요는 연평균 7% 속도로 증가하여 왔으며, 석탄 수요의 65%(2014년 기준)는 발전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음.8)

    ‒ 발전연료 저가격 정책을 표방한 ‘국가 석탄보급정책(National Coal Distribution Policy, 2007)’은 석탄 수요 증대에 기여하였음.

    ▣ 석유 수급¡ 2014년 인도의 원유 생산규모는 88.4만b/d 수준에 있으며, 2021년 94.2만b/d 규

    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9)

    ‒ 인도의 원유 확인매장량 규모는 57.5억 배럴(BP, 2015년말 기준) 수준이고, 대부분 서부・북부 지역(뭄바이 및 구자라트 연안)에 유전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5) BP(2016) 기준임; IEA(2015)는 인도의 석탄 확인매장량을 820억 톤으로 추정하고 있음.

    6) IEA(2015), World Energy Outlook Special Report: India, pp.100~102

    7) BP(2016.6),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8) EIA(2016.6.14)

    9) EIU(2017.3), Industry Report, Energy: India

    “인도는 세계 5위의 석탄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석탄 생산의 7.4%를 생산함”

    “인도 원유 확인매장량 57.5억 배럴 중 대부분은 서부・북부 지역에 분포함”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5

    이 중 절반 이상은 해상에 매장되어 있음.10)

    ・ 인도 북부 Assam-Arakan 분지 지역 또한 주요 원유 매장・생산지로서 원유 매장량의 약 22%가 매장되어 있음.

    ‒ 인도의 석유 소비 규모는 410만b/d(2015년 기준) 수준으로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음.

    ・ 산업 및 수송 부문의 급속한 수요 증가로 자국의 석유공급량(100만b/d)으로는 충당하지 못하고 있음.

    ¡ 인도 정부는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높은 경제성장률에 따른 석유 수요 증가를 충

    족시키기 위한 정책방안으로 자국의 석유자원 개발 확대와 석유 수입선 다변화

    정책을 전개하고 있음.

    ‒ 정부는 ‘탄화수소 광업권 인가정책(Hydrocarbon Exploration and Licensing Policy, HELP)’을 도입(2016.3월)11)하여, 에너지기업이 하나의 탐사허가권만으로 모든 종류의 탄화수소 자원을 탐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同 정책의 적용을 받는 광구에서 생산된 석유・가스 판매 시, 폭넓은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허용함.

    ・ 소규모 광구 분양(Discovered Small Oil and Gas Fields, DSF, 2015.10월)을 위한 경쟁입찰 제도를 마련하였음12).

    ・ 2016년 5월 개시된 ‘Bid Round-2016’로 31개의 유전 및 가스전이 배정되었음(2017년 2월 기준).13)

    ‒ Modi 총리는 2022년까지 석유수입량 10% 감축목표를 설정(2015.3월)하는 한편, 석유・가스 수입의존도(2015~2016년 기준 81%)를 67%로 감축 계획을 발표하였음14).

    ‒ 인도의 중동 의존도는 57%(2014년 기준) 수준에 있으며, 남미(18%), 아프리카(18%) 등에 의존하고 있음.

    ・ 2015년부터 정부는 원유공급선 다각화의 일환으로 남미와 아프리카 지역의 원유수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였음15).

    ¡ 인도는 국제 석유가격의 급변과 공급 애로에 대비하여 전략비축유 비축을 추진

    하고 있음.

    ‒ 전략비축유 확보를 위해 인도는 2016년 9월 이란産 원유 600백만 배럴 수입을 계획하였으며, 2017년 UAE로부터 600만 배럴의 원유를 수입계약을 체결하였

    10) EIA(2016.6.14)

    11) 인사이트 제16-10호(2016.3.18일자) pp.50~51 참조

    12) IHS(2016.12.16)

    13) EIU(2017.3)

    14) 인사이트 제16-22호(2016.6.17일자) p.66 참조

    15) 인사이트 제16-2호(2016.1.15일자) p.16 참조

    “정부는 자국 내 석유자원 개발 확대와 석유 수입선 다변화 정책을 전개하고 있음”

    “또한, 석유 공급 애로에 대비하여 전략비축유 비축을 추진하고 있음”

  • 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음(2017.1월).16)17)

    ▣ 천연가스 수급¡ 인도는 2004년까지 천연가스를 자급하였으나, 이후 순수입으로 전환되었으며,

    2015년 세계 4위(일본, 한국, 중국, 인도)의 LNG 수입 국가로 성장하였음.18)

    ‒ 천연가스 수요 증가는 2000~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6%에 달하였으며, 발전연료 소비 증가, 산업(비료제조)부문 및 LPG 대체 수요 증가에 기인함.

    ・ 천연가스 소비의 부문별 비중(2014년)은 발전부문(23%), 산업부문(32%), 가정⋅기타부문(14%)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정부는 천연가스의 1차에너지 분담률을 2015년 5.2%에서 향후 3~4년 내에 14%까지 높일 계획이며, LNG 수입선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19)

    ‒ 한편, 러시아 및 투르크메니스탄으로부터 천연가스(PNG) 수입을 추진하고 있음(인사이트 제16-38호(2016.10.21일자) p.54 참조).

      2006 2012 2013 2014 2015 △%*(’06~15)

    석탄

    (억 톤)606 606 606 606 606 0.00

    원유

    (억 배럴)56.9 57.2 57.1 57.4 57.5 0.12

    가스

    (Bcm)1.05 1.33 1.35 1.43 1.49 3.97

    석유정제

    (kb/cd)**2,872 4,279 4,319 4,319 4,307 4.61

    주 : *△%(’06~15): 2006~2015년 연평균 증감률; **kb/cd: Thousand barrels daily

    자료 : BP(2016.6),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Statistic

    < 인도 화석연료 매장량 및 석유 정제 능력 >

    2. 에너지정책 목표 및 현안

    ▣ 에너지정책 목표¡ 인도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에너지공급 안정

    성 확보를 우선적인 정책목표(△에너지안보 및 자립 강화, △지속가능한 에너지공급, △국가 경제성장 기여)20)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합리적인 에너지가격 설정 등의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음.

    16) 인사이트 제16-35호(2016.9.30일자) p.56 참조

    17) 연합뉴스(2017.1.26)

    18) EIA(2016.6.14)

    19) 인사이트 제 17-7호(3.6일자) p.65 참조

    20) ‘12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2012~2017년)’ 에너지부문에서 제시

    “인도는 2004년 천연가스 순수입국으로 전환되었으며, LNG 수입선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

    “인도는 에너지공급의 안정성 확보를 우선적인 정책 목표로 설정함”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7

    ‒ 인도 Narendra Modi 총리는 취임(2014.5월) 이후 에너지산업 보조금제도를 개혁하는 한편, 석유・가스 상류부문 활성화를 위해 규제제도를 개선하고 있음.

    ¡ 에너지정책 목표는 안정공급 역량 확보 및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발전부문 구조개편 등으로 제시되고 있음.

    ‒ (석유・가스 부문) 인도의 석유가스 부문 정책목표(2022년)는 석유・가스 수입의존도를 2016년 81% 수준에서 2022년까지 67%로 감축(석유수입량 10% 감축)하는 한편, 수입선 다변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음.

    ‒ (비화석 에너지) 비화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을 2030년까지 총 설비용량의 40%로 증대하고, 재생에너지(풍력, 태양광, 바이오에너지) 설비용량(44.2GW, 2016.9월)을 2022년까지 175GW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원자력) 원전 설비용량을 2032년까지 63GW로 증대(2017.2월 기준 6.2GW)‒ (온실가스 감축)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의 1/3 감축목표 설정‒ (석탄 화력) 총발전용량 규모 37GW에 달하는 노후 석탄화력 발전소 폐쇄 추

    진21) 및 기존 석탄 화력발전소 144개의 효율을 증대하고, 13차 5개년계획 개시(2017~2022년) 이후 건설되는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에 초임계압 화력발전 기술(supercritical technology)을 적용할 계획임.

    ※ 초임계압 화력발전 : 임계점(critical point)을 초과하는 압력・온도 상태에서 화력발전 설비를 가동하는 기술로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사고위험 또한 높음.

    ▣ 에너지정책 당면과제 ¡ (에너지가격 및 보조금) 정부는 에너지부문의 가격자유화 및 보조금 철폐를 정

    책기조로 설정하고 있으며, 단계적인 가격 자유화 조치를 시행하여 왔음.

    ‒ 2014년 경유 보조금을 철폐하고 자유화하였으며, LPG와 경유 가격에 대해서는 통제가격을 적용하고 보조금을 유지하고 있음.22)

    ・ LPG 가격은 2014년 11월부터 국제시장가격과 연동하여 결정하되, 상・하한선을 설정하여 부분적으로 정부의 통제 하에 관리하고 있음(휘발유 가격: 2010년 자유화).

    ‒ 전력요금은 정부가 통제하고 있으며, 산업・공업용 전력요금을 높게 설정하고, 농업・가정용 전력요금 보조금을 통해 원가 이하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 정책 현안으로 인식되고 있음.23)

    ‒ 2020년까지 ‘전기자동차 조기 도입계획(Faster Adoption and Manufacturing of

    21) 인사이트 제16-17호(2016.5.13일자) p.60 참조

    22) 인사이트 제16-2호(2016.1.15일자) p.17 참조

    23) IEA(2015)

    “인도의 에너지정책 목표는 안정공급 역량 확보,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발전부문 구조개편 등으로 제시되고 있음”

    “정부는 에너지 부문의 가격자유화 및 보조금 철폐를 정책 기조로 설정하고, 단계적인 가격 자유화 조치를 시행하여 왔음”

  • 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FAME)’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EV, HV) 보조금 지급을 시작(2015년)하였음.24)

    ・ 원유수입 감소 및 대기오염 완화를 위해 2030년까지 인도 내 거의 모든 자동차를 전기자동차로 전환하는 구상을 제시하였음(정부 성명서, 2017.3월).

    ¡ (기후변화 대응) 인도는 세계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노력의 일환으로 2016년 10월 2일 파리기후협약(2015.12월 체결, 2016.11월 발효)을 비준하였음.

    ‒ 인도의 1인당 에너지소비 및 탄소배출량은 높지 않으나, 세계 인구의 17%가 밀집해 있어 국가 전체의 1차 에너지소비 및 탄소배출량은 세계 상위권을 차지함.

    ・ 인도의 1인당 에너지소비는 0.6toe(한국 5.3toe), 1인당 CO2배출량은 1.5톤(한국 11.4톤)에 불과하나, 국가 1차에너지 소비는 824.7백만toe(한국 268.4백만toe), CO2배출량은 1,868백만 톤(한국 572.3백만 톤)으로 각각 세계3위를 기록하고 있음.25)

    ‒ 인도의 INDC(2015.12월 제출)는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GDP 당 온실가스 발생을 33~35% 감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선진국의 금융 지원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INDC에 해당함.

    ・ 인도는 자국의 INDC 이행을 위해서 향후 자국의 전원 구성에서 비화석연료 및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고, 석탄발전소의 발전 효율을 증대해야하는 정책과제를 보유하고 있음.26)

    3. 전력공급 현황 및 공급역량 확충 계획

    ▣ 전력 공급구조 및 수급 현황¡ (전력공급 권역) 인도의 전력공급은 북부, 동부, 북동부, 남부, 서부 총 5개 권역

    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권역별 전력망은 부분적으로 연계・운영되고 있음.27)‒ 권역별 전력 공급 및 수요 구조는 해당지역의 발전연료 공급 및 설비 구축 특성

    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음.

    ‒ 인도 서부・남부 지역은 금융・회계・IT・BT 산업 등이 발전한 지역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요구되고 있으며, 북부・동부 지역은 산업 발달이 다소 지체되어 전력공급 상황이 他지역에 비하여 원활하지 못한 상황임.

    24) Enerdata(2016.11)

    25) IEA(2016), 1차 에너지소비는 2014년 기준, CO2 배출량은 2013년 기준

    26) Government of India, Indian’s INDC

    27) World Nuclear Association 홈페이지(검색일 : 2017.5.14)

    “인도는 전원구성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고, 석탄발전소의 효율을 증대해야 하는 과제를 보유하고 있음”

    “인도의 전력 수급구조는 권역별로 상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음”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9

    자료: Maps of India 홈페이지, www.mapsofindia.com/maps/india/power-grid.html#

    (검색일 : 2017.5.16)

    < 인도 전력공급 권역 구조 >

    권역 州

    북부(7)Haryana, Himachal Pradesh, Jammu&Kashmir, Punjab, Rajasthan,

    Uttar Pradesh, Uttarakhand

    동부(5) Bihar, Jharkhand, Orissa, West Bengal, Sikkim

    서부(5) Chhattisgarh, Gujarat, Madhya Pradesh, Maharashtra, Goa

    북동부(7)Arunachal Pradesh, Assam, Manipur, Meghalaya, Mizoram,

    Nagaland, Tripura

    남부(5) Andhra Pradesh, Karnataka, Kerala, Tamil Nadu, Telangana

    자료 : Green Clean Guide 홈페이지, greencleanguide.com/power-grid-system-in-india-part-1/

    (검색일 : 2017.5.16)

    < 전력공급 권역 구분 >

    ¡ (전력 공급능력) 인도의 전력공급 능력은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왔으나, 2017년 3월 기준, 여전히 전국적인 전력부족 현상에 직면하고 있음.

    ‒ 전력 피크수요는 151,820MW(2017.3 기준)에 달하고 있으나, 설비공급 능력은 151,087MW에 불과하여 평균 0.5%의 공급능력 부족에 직면하고 있음.

    “2017년 3월 기준, 인도는 여전히 전국적인 전력부족 현상에 직면하고 있음”

  • 1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 전력공급량 기준의 수급불균형 상황도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북동부 지역은 전력공급이 총량기준으로 2.8%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발전량(GWh) 설비용량(MW)

    수요 공급 차이(%)* 피크수요 피크공급 차이(%)*

    인도 전체 97,923 97,669 -0.3 151,820 151,087 -0.5

    북부 26,586 26,399 -0.7 42,393 41,915 -1.1

    서부 30,579 30,571 0 48,516 48,298 -0.4

    남부 28,847 28,829 -0.1 42,290 42,277 0

    동부 10,698 10,691 -0.1 18,781 18,781 0

    북동부 1,211 1,178 -2.8 2,236 2,200 -1.6

    주 : *마이너스(-) 값은 전력 부족을 의미함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7.3)

    < 권역별 전력 수급 현황(2017.3월) >

    ¡ (전원설비 구조) 인도의 전원설비는 화력발전 의존도 변화와 신재생에너지 전원설비 확대로 구조변화를 시현하고 있음.

    ‒ 석탄화력 설비비중은 1992년 64.8%에서 2007년 53.7%로 낮아진 뒤 다시 증가하여 2017년 2월 현재 59.9%를 기록하고 있음.

    ‒ 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전원설비 비중은 1997년 1% 수준에서 2017년 2월 기준 15.9%(발전량 비중: 5% 미만)까지 증대하였음.

    ‒ 현재 가동 중인 원전 설비는 용량은 총 6,219MW에 달하고 있으며, 원전 설비 비중은 2007년 2.9%에서 2017년 2월 기준 1.8%를 기록하고 있음.

     6차

    계획*

    (’87.3)

    7차

    계획*

    (’92.3)

    8차

    계획*

    (’97.3)

    9차

    계획*

    (’02.3)

    10차

    계획*

    (’07.3)

    11차

    계획*

    (’12.3)

    2017.2월

    설비용량

    (MW)42,585 63,636 85,795 105,046 132,329 199,877 315,426

    화 력

    %

    63.5 68.7 71.1 70.9 65.0 65.8 68.2

    ⋅석탄 61.8 64.8 63.1 59.1 53.7 56.0 59.9⋅가스 1.3 3.7 7.6 10.6 10.3 9.2 8.0⋅경유 0.4 0.3 0.3 1.1 0.9 0.6 0.3원자력 2.6 2.5 2.6 2.6 2.9 2.4 1.8

    수 력 34.0 28.8 25.2 25.0 26.2 19.5 14.1

    신재생에너지 0.0 0.0 1.1 1.6 5.9 12.3 15.9

    주 : *5개년 국가 전력 계획기간 말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7.2)

    < 인도 에너지원별 발전설비 구성(6차 계획기간~2017.2월) >

    (단위 : MW, %)

    ¡ (권역별 전원구조) 권역별 발전설비 구성은 발전에너지 공급 특성에 따라 달리하고 있으나, 화력발전 설비비중이 남부와 북동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60%를 능가하고 있음.

    “전원설비는 신재생에너지 전원 설비 확대로 구조변화를 시현하고 있음”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11

    ‒ 수력발전 설비 비중은 다른 권역에 비해 북부(23.1%) 및 북동부(34.1%) 지역이 높으며, 특히, 북동부 지역의 가스화력 설비 비중은 48.7%에 이르고 있음.

      북부 서부 남부 동부 북동부 도서 총합설비용량(MW) 83,420 110,065 82,668 35,583 3,639 51.5 315,426

    화력

    %

    62.7 76.2 56.7 84.2 58.2 77.8 68.2

    석탄 55.8 66.1 48.0 83.9 8.5 0.0 59.9

    가스 6.9 10.2 7.8 0.3 48.7 0.0 8.0

    경유 0.0 0.0 0.9 0.0 1.0 77.8 0.3

    원자력 1.9 1.7 2.8 0.0 0.0 0.0 1.8

    수력 23.1 6.8 14.2 13.3 34.1 0.0 14.1

    신재생에너지 12.3 15.3 26.3 2.5 7.7 22.2 15.9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7.2)

    < 인도 에너지원별・권역별 발전설비 구성 현황(2017.2월) >(단위 : MW, %)

    ¡ (발전량 구성) 인도의 2015년 기준 발전량은 1,376.6TWh에 달하고 있으며, 화력발전 비중이 84.4%에 달하여 높은 화력발전 의존도를 보여주고 있음.

    ‒ 특히, 석탄화력 의존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2년 71%를 초과한 이후 2015년 기준 76.3%를 기록하였음.

    ‒ 수력발전량 비중은 10.5% 수준으로 설비비중(14.1%)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원자력 발전량 비중은 2.8%로 설비비중(1.8%)을 크게 능가하였음.

    ‒ 신재생에너지 중 풍력 발전량은 2010년 이후 2% 수준의 발전량 비중을 보이고 있음.28)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발전량(TWh) 979.4 1,074.5 1,123.0 1,193.5 1,295.1 1,367.6

    화 력

    %

    82.7 81.3 83.1 82.2 83.5 84.4

    ⋅석탄 67.2 66.8 71.6 72.8 75.2 76.3⋅가스 11.6 10.6 7.6 5.5 5.0 4.9⋅석유 - - - - - -수 력 12.6 13.4 11.1 11.9 10.5 9.3

    원자력 2.7 3.0 2.9 2.9 2.8 2.7

    풍 력 2.0 2.3 2.7 2.8 2.9 3.1

    주 : 석유 화력 발전량 자료는 이용불가(not available); 반올림 오차 및 일부 전원

    자료의 이용불가로 인해 발전량 구성의 합은 100%가 아닐 수 있음.

    자료 : Enerdata(2016.6월), India Energy Report

    < 인도 에너지원별 발전량 구성(2010~2015년) >

    28)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비중은 2015년 15.9%에 달하고 있으나, 신재생에너지원의 총 발전량 자

    료가 발표되지 않고 있는 이유로 Enerdata가 제시하는 풍력발전량만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유의해야함.

    “2015년 인도의 발전량 중 화력발전 비중은 84.4%로 높은 화력 의존도를 보여주고 있음”

  • 1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 (전력 수출입) 인도는 1980년대 중반 주변국과의 전력거래를 개시한 이래 주로 부탄으로부터 전력을 수입하고, 방글라데시, 네팔, 미얀마 등지에 전력을 수출하고 있음.

    ‒ 전력 수출은 2016년 4월~2017년 2월 기간 중 총 5,798GWh에 달하였고, 동기간 중 전력수입(주로 부탄)은 5,585GWh를 기록하여 최초로 전력 순수출 기록을 시현하였음.29)

    ・ 인도는 11kV・33kV・132kV급 송전선을 이용하여 총 12개의 계통연계 지점에서 190MW 규모의 전력을 네팔에 공급하여 왔으며, 2016년부터 Muzaffarpur(인도)~Dhalkhebar(네팔) 간 400kV 송전망이 상업가동을 개시하면서 145MW의 송전능력이 추가되었음.

    ‒ 인도는 부탄으로부터 연평균 5,000~5,500GWh의 전력을 수입해 오고 있으며, 2016년 3월에는 부탄과의 전력거래 협약(2016.3.3)을 체결30)하고, 총 1,542MW 규모의 전력 수입용량을 확보하였음.

    ・ 이는 Tala(1,020MW), Chukha(336MW), Kurichhu (60MW), Dagachu(126MW)과 같은 인도 북부 국경지역으로 수입됨.

    ・ 인도는 수입전력을 2027년까지 24,000MW 규모로 확대하고, Bihar州 및 Uttar Pradesh州 등 국경지역에 이를 공급할 계획임.

    Bangladesh Nepal Pakistan Bhutan Total

    Export 1,500 400 500 2,400

    Import 10,000 14,000 24,000

    Net Imports 21,600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6.12),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 전력(수력) 수출입 전망(~2027년) >

    (단위 : MW)

    ▣ 송・배전망 현황 및 확충 내역¡ 인도의 송・배전망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1992년 7,945만km에 불과했

    던 송・배전망 총연장은 2017년 2월 현재 3억6,513만km로 증가하였음. ‒ 특히, 9차 전력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고압송전망(HVDC) 구축이 본격적으

    로 추진되었으며, 11차 계획기간 중에도 HVDC 전력망이 크게 확충되었음.

    29) Press Information Bureau Government of India Ministry of Power(2017.3.29), “India

    becomes Net Exporter of Electricity for the first Time”

    30) The Economic Times(2016.3.3), “India imports 1,542 MW power from Bhutan”

    “인도는 주로 부탄으로부터 전력을 수입하고, 방글라데시, 네팔, 미얀마 등지에 전력을 수출하고 있음”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13

    6차

    계획*

    (’87.3)

    7차

    계획*

    (’92.3)

    8차

    계획*

    (’97.3)

    9차

    계획*

    (’02.3)

    10차

    계획*

    (’07.3)

    11차

    계획*

    (’12.3)

    2017.2월

    합계

    (AC+HVDC)52,034 79,455 117,376 152,269 198,407 257,481 365,134

    AC 52,034 79,455 115,742 147,531 192,535 248,049 349,622

    765kV 0 0 0 1,160 2,184 5,250 29,950

    400kV 6,029 19,824 36,142 49,378 75,722 106,819 157,142

    220kV 46,005 59,631 79,600 96,993 114,629 135,980 162,530

    HVDC 0 0 1,634 4,738 5,872 9,432 15,512

    주 : * 5개년 국가 전력 계획기간 말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7.2)

    < 인도 송전망 구축 현황(6차 계획기간~2017.2월) >

    (단위 : 1,000km)

    ▣ 전력정책 목표 및 공급역량 강화¡ Modi 정부는 2018년 5월까지 모든 가구 대상으로 전력화율 100%, 2019년까지

    24시간 전력공급 전력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31)

    ※ 인도는 2015년 기준, 2억4,000만 인구가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32)

    ‒ 특히, 농촌지역 전력보급 프로젝트(Deen Dayal Upadhyaya Gram Jyoti Yojana, DDUGJY)를 착수하였음(2014.11월)33)

    ・ DDUGJY 프로젝트는 총 7,600억 루피(117.2억 달러)의 재원이 투입될 계획이며, 이 중 중앙정부가 6,300억 루피(97.2억 달러)를 제공할 계획임.

    ¡ 인도는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13차 국가전력계획34)을 수립하여 전력공급 역량 확충을 추진하고 있음.

    ‒ 인도의 전력수요(피크수요 기준)는 2021~2022년 기간 중 235,317MW에 달하고, 2026~2027년 기간 중에는 317,674MW에 이를 전망임.

    ※ 2017년 2월 기준, 인도의 피크전력 공급능력은 149,130MW임.‒ 정부는 2022년까지 총 137,796MW를 신규 발전설비를 증설하여 누적 발전설

    비 규모를 523,389MW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임.

    ¡ 발전설비 증설은 재생에너지 전원설비 중심으로 증설(115,326MW, 83.7%)할 예정이며, 화력발전 설비 증설(22,470MW, 16.3%)은 최소화하여 화석에너지 의존도 감축을 추진하고자 함.

    31) IHS(2017.2.7), Ten questions for India’s energy sector in 2017

    32) IHS(2016.12.22), H2 2016 India Market Outlook

    33) National Portal of India 홈페이지

    34) 인도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중 기본시나리오(Base Scenario) 기준

    “정부는 2018년 5월까지 전 가구 전력화율 100% 및 2019년까지 24시간 전력공급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 1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 화력설비 비중을 2017년 66.8%에서 2022년 53.2%(그 중 석탄은 59.1%에서 47.5%)로 감축 추진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2017년 17.8%에서 33.4%로 증대 추진하고자 함.

    기간전력수요량

    (GWh)

    피크수요

    (MW)

    풍력・태양광 제외전력수요량

    (GWh)

    재생에너지 제외

    피크수요

    (MW)

    ’21~22 1,611 235,317 1,337 224,997

    ’26~27 2,132 317,674 1,701 300,404

    주 : 수요관리(DSM)를 통한 전력 수요 감축 포함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6.12),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 인도 전력 수요 전망(~2027년) >

    재생에너지원설비용량**

    (2017.3.31)

    목표 설비용량

    (~2022.3.31)

    신규증설 계획

    (2017~2022)

    발전설비용량(MW) 335,568 523,389 137,796

    화력

    %

    66.8 53.2 3.1

    ⋅석탄 59.1 47.5*** 0.0⋅가스 7.6 5.7 3.1수력* 13.3 11.4 11.1

    원자력 2.2 1.9 2.0

    재생에너지 17.8 33.4 83.7

    ⋅태양에너지 5.6 19.1 59.0⋅풍력 9.2 11.5 21.1⋅바이오매스 1.6 1.9 3.3⋅소수력 1.3 1.0 0.4주 : 기본시나리오(Base Scenario) 기준;

    *수입 수력전력(5,100MW) 제외;

    **2016년 말 기준 2017년 3월말까지 건설 예정인 설비용량 포함;

    ***건설 중인 석탄화력발전 프로젝트 50,025MW 포함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6.12),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재구성

    < 설비용량 증설 계획(2017~2022년) >

    (단위 : MW, %)

    ¡ 인도는 2022년까지 175GW(태양광 100GW, 풍력 60GW, 바이오 10GW, 소수력 5GW)의 신재생에너지 전원개발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35)

    ‒ 태양에너지는 2017년 18,763MW에서 2022년 100,000MW로 발전능력이 4배 이상 확대하고, 동기간 풍력설비는 30,763MW에서 60,000MW로 94% 확대할 계획임.

    ・ 농촌 지역에 Family Size Biogas Plants를 건설하여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LPG 사용량을 줄여나가고자 함.

    ※ 정부는 국가 바이오가스・비료관리 프로그램(National Biogas and Manure Management Programme, NBMMP)을 시행 중임.

    35) 인도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2016.12월

    “정부는 향후 전원구조에서 화력설비 비중은 감축 추진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증대 추진하고자 함”

    “인도는 2022년까지 총 175GW의 재생에너지 전원개발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15

    ‒ 정부는 재생에너지 조달의무제도(RPO)를 강화하여 전체 발전용량 중 태양에너지 발전용량 비중 목표치를 2022년까지 8%로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음.

    ※ 정부는 RPO제도는 2014년부터 도입・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송배전 기업은 2017년 3월 31일까지 총 전력수요의 2.75% 이상을 태양열 발전소로부터

    조달해야하는 의무를 부여받은 바 있음.36)

    ‒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을 위한 인증제도로서 신재생에너지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프로그램도 실시하고 있음.

    ‒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조세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대한 외국 투자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37)

    ‒ 정부와 3개 국영기업이 주도하여 최대 20억 달러의 주식형 청정에너지펀드(Clean Energy Equity Fund; CEEF)를 조성하여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기업을 지원을 추진하고 있음.38)

    ▣ 화력 발전설비 확충 프로젝트39)¡ (화력발전 설비) 2022년까지 화력발전 설비를 278.4GW(석탄 248,513MW, 가스

    29,968MW)로 확충하는 계획을 설정하고 있음.

    ‒ 2016년 말 기준, 2020년까지 계획된 석탄화력 증설 규모는 총 100GW이며, 그중 현재 건설 중인 프로젝트는 80GW임.40)

    ※ 인도 전력청(CEA)은 현재 건설(예정) 중인 석탄화력 프로젝트로 인해 13차 전력계획 기간(2017~2022년) 동안 추가되는 석탄화력 규모를 50GW 수준으로 전망

    하고 있음.

    ‒ 가스화력 발전설비의 증설은 현재 가동연도를 미정하고 있으나, 석탄화력 발전을 대체하는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음.

    ¡ (초대형 화력발전 프로젝트: Ultra Mega Power Project(UMPP)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41)는 전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초대형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인 UMPP를 2005년부터 추진하여 왔으며, 향후에도 지속할 예정임.42)

    ‒ UMPP는 초임계압 기술이 적용되는 석탄 화력 프로젝트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프로젝트는 BOO(Build, Own and Operate)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음.

    36) Enerdata(2016.11)

    37) 인사이트 제17-4호(2.13일자) pp.55~56 참조

    38) 인사이트 제16-41호(2016.11.14일자) p.67 참조

    39) 인도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중 기본시나리오(Base Scenario) 기준

    40) Enerdata(2016.11), Country Energy Report: India, p.34

    41) Modi 총리는 취임 직후(2014.5월) 기존의 전력부, 석탄부, 신재생에너지부를 ‘전력・석탄・신재생에너지부(Ministry of Power, Coal and New and Renewable Energy)’로 통합・개편함.

    42) Power Finance Corporation Ltd. 홈페이지, www.pfcindia.com/Content/UltraMegaPower.aspx

    “정부는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에서 2022년까지 화력발전 설비를 총 274.8GW로 확대하고자 함”

  • 1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 현재까지 Tata Power가 1개, Reliance Power가 3개 프로젝트를 낙찰 받아 착공(완공)하였음.

    전원 파트너사 프로젝트 규모(MW) 가동개시 연도

    석탄

    NTPC

    ⋅Kudgi Phase1 2,400 2017⋅Gadarwara1 1,600 2017~2018⋅Nabi Nagar New 1,980 2017~2018⋅North Karanpura 1,980 2019~2020⋅Ramagundam 1,600 2019~2020⋅Katwa* 1,600 2019~2020⋅Kamakhyanagar* 2,400 미정

    Reliance Power ⋅Tilaya 3,960 2017NLC ⋅Srikali 4,000

    (2,000x2)미정

    가스

    KPCL⋅Tadadi Port* (Tamil Nadu)

    2,100 미정

    HPGCL ⋅Faridabad 1,500 미정MAHAGENCO ⋅Latur 1,500 미정

    IL&FS ⋅Mandvi CCGT 2,000 2023주 : *Katwa 및 Kamakhyanagar 석탄화력, Tadadi Port 가스화력 프로젝트는 입찰 추진중

    자료 : Enerdata(2016.11), Country Energy Report: India

    < 인도 주요 화력발전 프로젝트(계획・건설) 현황(~2023년) >

    No. 이름 위치요율

    (Rs/kwh)파트너사 현황

    1Mundra UMPP

    (5x800 MW)Gujarat 2.263 Tata Power 상업가동중

    2Sasan UMPP

    (6x660 MW)

    Madhya

    Pradesh1.196 Reliance Power 상업가동중

    3

    Krishnapatnam

    UMPP

    (6x660 MW)

    Andhra

    Pradesh2.330 Reliance Power 연기중

    4Tilaiya UMPP

    (6x660 MW)Jharkhand 1.770 Reliance Power 연기중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6.12),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 UMPP 프로젝트(완료)>

    No. 프로젝트 위치(州) 추진 현황

    1 ⋅Bedabahal Orissa州 RFQ, RFP* 발급 준비중2 ⋅Tamil Nadu Tamil Nadu州

    (Kancheepuram)RFQ, RFP* 발급 준비중

    3 ⋅Bihar Bihar州(Banka)

    특수목적법인 설립 완료

    ⋅운영사: Bihar Mega Power⋅인프라 건설사: Bihar Infrapower

    4⋅Jharkhand UMPP(2nd)

    Jharkhand州

    (Deoghar)

    특수목적법인 설립 완료

    ⋅운영사: Deoghar Mega Power⋅인프라 건설사: Deoghar Infra

    주 : *RFQ: Request for Qualification, RFP: Request for Proposal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6.12),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 UMPP 프로젝트 (사업자 선정 중, 2016년 말 현재) >

    “정부는 2005년부터 초대형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인 UMPP를 추진하여 왔으며, 향후에도 지속할 예정임”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17

    No. 이름 위치 현황

    1⋅Additional UMPP(1st) in

    Orissa

    Orissa州

    (Bhadrak) ⋅州정부(Orissa) 허가 대기중

    2⋅Additional UMPP(2nd)

    in Orissa

    Orissa州

    (Kalahandi)

    3 ⋅Chhattis garh Chhattisgarh州 (Surguja)

    ⋅Chhattisgarh 州정부는 UMPP 건설에 회의적인

    입장 표명(2015.7.21)

    4 ⋅Tamil Nadu UMPP(2nd) - ⋅UMPP 입지 재검토 중5 ⋅Gujarat UMPP(2nd)

    6 ⋅Karnataka주 : 2016년 말 기준

    자료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2016.12),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 UMPP 프로젝트(계획 중, 2016년 말 현재) >

    ▣ 수력 및 신재생 발전설비43)44)¡ (수력 발전설비) 15.3GW의 수력발전설비 증설을 추진하여 2022년까지 누적용량

    59.8GW를 확보할 예정임.

    ‒ 2016년 11월 현재까지 건설 중인 수력발전 프로젝트 규모는 14GW이며, 승인된 프로젝트는 35GW 규모에 달함.

    ¡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전력공급 역량 확충계획 중 핵심과제로 설정하여 개발을 추진하고자 함.

    ‒ 태양광은 81.2GW 설비를 증설하여 2022년까지 총 100GW의 누적설비용량을 달성한다는 계획임.

    ・ 태양광 발전전원 중 40GW는 지붕형 태양광 발전으로 확충할 계획이며, 40GW은 유틸리티 규모 태양광 발전, 나머지 20GW는 초대형 태양광 발전단지 건설을 통해 달성할 계획임.

    ・ 인도 신재생에너지부(MNRE)는 National Solar Mission 2단계를 추진하면서, 2016년 6월 기준 34개의 태양광 발전단지(총 20GW) 프로젝트를 승인하였음.

    ※ National Solar Mission(Jawaharlal Nehru National Solar Mission)은 2010~2013년 1단계가 추진되었고, 2014년~2017년 2단계가 추진되고 있음.

    ・ 인도 정부는 2022년까지 태양전력 설비용량을 100GW로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National Solar Mission’을 추진하고 있음.

    ※ 기존 National Solar Mission 목표는 2022년까지 태양전력 설비용량을 20GW까지 증대하는 것이었으나, 2015년 의회 승인을 거쳐 100GW로 확대되었음.

    43) 인도 13차 국가전력계획 초안 중 기본시나리오(Base Scenario) 기준

    44) Enerdata(2016.11)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전력공급 역량 확충계획 중 핵심과제로 설정하여 개발을 추진하고자 함”

  • 1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 인도의 풍력발전 증설 중인 설비규모(2016년 말 기준)는 ∆건설중 프로젝트(720MW), ∆승인 프로젝트(1.8GW), ∆계획 프로젝트(3.8GW)에 이르고 있음.

    전원 파트너사 프로젝트 규모(MW)가동개시

    연도

    수력

    NHPC⋅Subansiri 2,000 2018~2020⋅Dibang* 3,000 미정

    TANGEDCO** ⋅Sillahalla 2,000 2022~2023Athena Demwe

    Power⋅Demwe 1,750 2019

    NEEPCO⋅Tipaimukh 1,500 2016~2017⋅Siang upper1&2 9,750 미정

    EHEPCL ⋅Etalin 3,0977 미정

    태양

    Adani Power⋅Adani Rajasthan Solar

    1&2

    10,000

    (5,000x2)2022

    Reliance Power ⋅Reliance Solar Park 6,000 2011~20225개 국영기업

    합자회사**

    ⋅Sambhar Ultra- Mega Green Solar Power

    4,000

    (1단계: 1,000)

    (2단계: 3,000)

    미정

    KSPDCL ⋅Pavagada Solar Park*2,000

    (1단계: 500)

    (2단계: 1,500)

    미정

    풍력 SJVN⋅SJVN Hindustan

    Salt(On-shore)

    (1단계: 1,000) 2018

    (1단계: 3,200) 미정

    주 : *Dibang 수력, Pavagada Solar 태양광 프로젝트는 입찰 진행 중임

    **5개 국영기업: Bharat Heavy Electricals, Solar Energy Corporation of India,

    Hindustan Salts, Powergrid, Rajasthan Electronics and Instruments

    자료 : Enerdata(2016.11), Country Energy Report: India; **Deccan Chronicle(2015.5.25)

    < 주요 신재생 프로젝트(계획・건설 중) 현황 >

    ▣ 원자력 발전설비¡ 인도는 원전설비 규모를 2024년 14.6GW, 2032년 63GW까지 확충하고 2050년

    까지 원자력의 전력공급 비중을 25%까지 확대한다는 구상임.45)

    ‒ 인도는 현재 3.3GW 규모의 원자로 5기(Kalpakkam; 470MW, Kakrapar 3-4; 각 630MW, Rajasthan 7-8; 각 630MW) 등을 건설하고 있음.

    ¡ 2016년 8월, 인도는 러시아와 협약을 체결하고 Kudankulam 원전의 3,4기 원자로(각각 1,050MW) 건설에 합의하였으며, 총 55기의 원전설비(64,000MW) 프로젝트를 제안(proposed)하고 검토 중에 있음.

    45) World Nuclear Association 홈페이지(검색일 : 2017.5.14)

    “인도는 2050년까지 원자력의 전력공급 비중을 25%까지 확대한다는 구상임”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19

    원자로 주관사 종류 규모(MW)* 상업가동 시기

    ⋅Kalpakkam PFBR Bhavini FBR 500 2017~2018⋅Kakrapar 3  NPCIL**  HWR 700 2017~2018⋅Kakrapar 4  NPCIL PHWR 700 2018⋅Rajasthan 7  NPCIL PHWR 700 2019⋅Rajasthan 8  NPCIL PHWR 700 2019

    계(5기) 3,300MW

    주 : *gross 규모 기준; **인도 원자력공사(Nuclear Power Corporation of India

    Ltd, NPCIL)는 인도 내 원전의 디자인, 건설, 상업가동 전반을 관할함.

    자료 : World Nuclear Association 홈페이지(검색일 : 2017.5.14)

    원전설비(원자로) 주관사 원자로 유형규모

    (MW)

    상업가동

    연도

    ⋅Kudankulam 3

    NPCIL

    AES-92 1,050 2022

    ⋅Kudankulam 4 AES-92 1,050 2023⋅Gorakhpur 1 PHWR 700 2022⋅Gorakhpur 2 PHWR 700 2023⋅Chutka 1 PHWR 700 2024⋅Chutka 2 PHWR 700 2025⋅Bhimpur 1&2 PHWR x 2 700 -⋅Mahi Banswara 1&2 PHWR x 2 700 -⋅Kaiga 5&6 PHWR x 2 700 -⋅Kudankulam 5&6 AES-92 x 2 1,050 -⋅Kalpakkam 2&3 Bhavini FBR x 2 600 -⋅Jaitapur 1&2

    NPCILEPR x 2 1,700 -

    ⋅Kovvada 1&2 AP1000 x 2 1,250 2025~2026계(20기) 18,300

    자료 : World Nuclear Association 홈페이지(검색일 : 2017.5.14)

    < 인도 원자력 증설 목표(계획 중) >

  • 2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1호, 2017.4.3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7호, 2017.3.6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호, 2017.2.13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1호, 2016.11.14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8호, 2016.10.21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5호, 2016.9.30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17호, 2016.5.13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10호, 2016.3.18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호, 2016.1.15연합뉴스, “인도, UAE서 전략비축유 확보 국방・경제 등 전방위 협력 확대”,

    2017.1.26Kotra, 「인도의 경제 위상 진단과 경쟁력 분석」, Global Strategy Report

    16-004, 2016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16Central Electricity Authority, Executive Summary for the Month of Feb, 2017,

    Feb 2017________________________, 13th Draft National Electricity Plan, Dec 2016EIA, Country Analysis Brief: India, June 14 2016EIU, Industry Report, Energy: India, 1Q 2017Enerdata, Country Energy Report: India, Nov 2016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 2016___, World Energy Outlook Special Report: India, 2015IHS, Ten questions for India’s energy sector in 2017, 7 Feb 2017___, H2 2016 India Market Outlook, 22 Dec 2016___, India’s Energy Reforms :  Taking Stock at the Halfway Mark of the

    Modi Administration, 16 Dec 2016Planning Commission, 12th Five Year Plan(2012–2017), Economic Sectors, 2013Press Information Bureau Government of India Ministry of Power, “India

    becomes Net Exporter of Electricity for the first Time”, Mar 29 2017The Economic Times, “India imports 1,542 MW power from Bhutan”, Mar 3 2016The Times of India, “India’s GDP growth to rise to 7.9 per cent by Dec

    2017: Report”, May 16 2017Bureau of Energy Efficiency(BEE) 홈페이지, www.beeindia.gov.in/content/nmeee-1

    (검색일 : 2017.5.16)Green Clean Guide 홈페이지, greencleanguide.com/power-grid-system-in-india

    -part-1/(검색일 : 2017.5.16)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17호 2017.5.22 21

    Maps of India 홈페이지, www.mapsofindia.com/maps/india/power-grid.html#(검색일 : 2017.5.16)Ministr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홈페이지, pib.nic.in/newsite/PrintRelease

    .aspx?relid=155612(검색일 : 2017.5.16)National Portal of India 홈페이지, india.gov.in/spotlight/deen-dayal-upadhyaya-gram-

    jyoti-yojana(검색일 : 2017.5.15)Power Finance Corporation Ltd. 홈페이지, www.pfcindia.com/Content/UltraMega.

    Poweraspx(검색일 : 2017.5.14)World Bank 홈페이지, databank.worldbank.org/data/reports.aspx?source=2&country

    =IND(검색일 : 2017.5.14)World Nuclear Association 홈페이지, www.world-nuclear.org/information-library/

    country-profiles/countries-g-n/india.aspx(검색일 : 2017.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