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9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조선전기 문론과 그 실천 양상 연구히 조선 전기에 성리학적 실천을 강조했던 사림 을( )士林 “도학파( )道學派”라고 부르며, 그들의 학문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legalcod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철학박사 학위논문

    조선전기 문론과 그 실천 양상 연구

    도학 적 문론과 그 실천을 중심으로- ( )道學

    년 월201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계 영 경

  • - i -

    초록

    본 논문은 고려말 우리나라에 성리학이 전래된 이후 조선 전기를 거쳐

    그것이 정착될 때까지의 문론과 그 실천 양상의 변화 과정을 고찰한다 이.

    는 문론과 문학적 실천의 변화를 살피는 자체로도 의미가 있음은 물론 성,

    리학이라는 새로운 이념이 전래되어 기존의 이념을 대체하는 과정을 고찰

    한다는 의미도 가질 것이다.

    새로운 이념의 전래와 그 정착과정을 연구하는데 있어 주의할 점은 그

    새로운 이념이 과연 개개인에게 내면화되었는가의 문제일 것이다 구체적.

    으로 이 논문의 대상이 되는 고려와 조선의 교체기를 생각해보면 유교 불,

    교 도교의 융합을 기본으로 한다지만 사실상 불교가 이념의 전면에 나섰,

    던 고려로부터 불교와 도교는 배척하고 성리학 유일 이념 체계를 표방한,

    조선으로의 이념적 변화가 과연 개개인에게 내면화되어 그들의 신념 태,

    도 행동의 변화까지 일으키는 기준이 되었는가의 문제라 할 것인데 이는, ,

    또한 개인의 사회적 공식적 언사만으로는 판단하기 힘든 문제이기도 하,

    다 공적인 부분에서의 언사가 개인적 영역에서의 실천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조선 전기의 지배층이라고 할 수 있는 사대부들.

    의 문론과 그 문학적 실천을 확인하는 것은 내면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

    는 유효한 방법 중 한 가지가 될 수 있다 문학을 시문 을 통해 공. , ( )詩文

    식적 정치적 업무는 물론 인간관계에서의 개인적 교류까지 수행했던 당시-

    사대부들의 상황은 문론과 그 실천을 확인함을 통해 그들이 성리학이란

    새로운 이념을 과연 내면화했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문론과 그 실천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성리학이,

    라는 새로운 사상 이념이 전래하여 내면화되고 기존의 사상 이념을 대체, ,

    하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고려말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문론과 그 실천 양상

  • - ii -

    을 우선 시기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시기적으로 겹치는 인물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특징에 의해 다시 분류하였다 고려말과 조선 건국기의 경우 활동.

    시기가 겹치는 인물들이 많았는데 고려말로 분류된 인물들이 국가의 근본,

    적 변화 또 성리학의 유일이념화를 원치 않았던 반면 조선 건국기로 분류,

    된 인물들은 성리학의 유일이념화를 표방하며 국가의 근본적 변화 조선으,

    로의 역성혁명을 지지했다는 특징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인물들을 분류했

    다 세기 관인문학가들과 세기 후반에 등장한 사림 도학. 15 15 ( )- ( )士林 道學

    자들의 분류도 우선적으로 시기에 따른 것이지만 일부 활동시기가 겹치는,

    인물들은 그들이 가진 성리학에 대한 이해 문론과 그 실천의 차이 등의,

    특징에 따라 구분했다 이런 구분은 물론 성리학 전래 이후 정착과 심화까.

    지의 내면화 과정 또 그에 따라 등장한 성리학적 문론과 그 실천 양상의,

    변화 과정 사림들의 도학적 문론과 그 실천 양상의 변화과정을 확실히 드,

    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언급하자면 고려말,

    의 경우 성리학자들에 의해 성리학적 문론과 그 실천이 나타나기도 했지

    만 근본적으로 그 문론과 실천이 반드시 성리학에 의거한 것인지 혹은, ,

    불교 도교에도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 선 의 추구에 의거한 것인지를, ( )善

    확신할 수 없었다 성리학의 유일이념화를 거부하고 개인의 수양에 대해서.

    는 여전히 불교를 우선시하던 고려말 성리학자의 경우 불교 이념을 성리

    학적 문사로 표현했을 뿐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성리학의 내면.

    화를 기대하기는 힘들었다 조선 건국기의 성리학자들은 적어도 공적인 부.

    분에서는 성리학적 원칙에 충실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개인.

    적 부분의 경우 여전히 기존의 관습을 따르는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으며,

    문론과 그 실천에 있어서도 서로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 모습을 드러내는

    한계를 보였다 세기 중반 이후 관인문학가들의 경우에는 어려서부터. 15

    학습한 성리학적 소양 등을 바탕으로 문론과 그 실천에 있어 전대에 비하

    자면 보다 성리학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시기적으로 성리학 이해가 부족했,

    던 이유 고려말부터의 명문가 출신이라는 가계 의 영향 또 이들이, ( ) ,家系

  • - iii -

    주로 실천한 문학이 치세를 노래해야하는 관각문학이라는 이유 등으로 인

    해 성리학적 원칙에 충실한 성리학의 내면화로부터 기인하는 문론과 실천,

    을 보이지는 못했다 세기 후반에 등장한 사림들의 경우 성리학적 원칙. 15

    을 중시하고 특히 그 실천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들을 도학파, “ ”

    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런 특징이 드러난 이들의 문론을 도학적 문론이라,

    부른다 이들은 도학적 원칙에 근거하여 기본적으로 도본문말 적. ( )道本文末

    문론을 주장하는데 문학적 형식에 대한 노력은 거부하며 개인의 심성 수, ,

    양에 힘쓸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들에게 좋은 문학이란 심성 수양이 충.

    실해졌을 때 어떠한 작위적 노력 없이 저절로 드러나는 것이었다 세기. 16

    에 들어 이언적과 이황에 의해 이런 도학적 문론과 문학 작품은 심화 정,

    착되는데 특히 이황에 의해 문학의 내용 을 강조함을 기본으로 하면서, [ ]道

    도 다시금 문학적 형식의 중요성도 인정받게 되니 도학적 문론은 문질빈, “

    빈 한 일반 문론화되어 이후 조선의 주류 문론으로 자리 잡게( )”文質彬彬

    된다.

    지금까지 언급한 본 논문의 연구는 기본적으로 고려말과 조선 전기라는

    특수한 상황에 대한 것이지만 한 사회에 새로운 이념이 유입되어 심화, ,

    정착되고 나아가 그 사회의 주류 이념화되는 과정에 대한 것 또 새롭게, ,

    유입된 이념의 내면화에 대한 것이기도 하기에 새로운 이념의 유입과 심

    화 정착 내면화에 대한 일반적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주요어 성리학 조선 전기 내면화 문론 문학 실천 도학적 문론 도학: , , , , , ,

    적 문학 실천.

    학번 : 2006-30040

  • - v -

    목차

    머리말 1

    장 고려 유가의 문론과 그 실천1 10

    성리학 전래 이전 문도관계의 인식1.1. – 11

    고문 운동 전래기의 상황1.1.1. 12

    한유 문장의 유행과 문도관계의 인식1.1.2. 14

    성리학 전래에 따른 문론의 변화와 그 실천 내면화의 한계1.2. – 22

    고려 성리학의 흥기와 성격1.2.1. 25

    문론의 변화와 그 실천에서의 한계1.2.2. 34

    장 조선 건국시기 문예론과 그 실천2 53

    공적 차원의 문예사업2.1. 59

    건축 도시정비2.1.1. , 59

    국가차원의 음악정비2.1.2. 62

    성리학적 문론의 확산 노력2.1.3. 66

    개인적 차원의 문론과 그 실천2.2. 68

    조선 건국기 관료의 경우2.2.1. 69

    공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개인적 문론과 그 실천 사이의 이중성과2.3. ,

    그 원인 78

    이중성의 개인적 원인2.3.1. 78

    관찬서 선정의 한계와 여악의 문제2.3.2. 84

    외부적 원인 명 태조의 문체 관리2.3.3. – 87

    장 세기 관인문학의 문론과 그 실천3 15 91

    관인문학의 성리학 이해와 그 특징3.1. 94

  • - vi -

    관인문학의 문론과 그 실천3.2. 101

    전시대로부터의 영향3.2.1. 109

    관인문학의 일반적 모습3.2.2. 118

    관인문학의 변화3.2.3. 148

    장 도학적 문론의 등장과 그 심화4 155

    도학적 문론 재도론4.1. – 157

    내면화의 사회적 동인4.2. 167

    내면화의 배경 군주권위 에서 도덕권위 로의 변화와 공신정치4.2.1. “ ” “ ” “ ”

    의 붕괴 170

    내면화의 사회적 동인4.2.2. 175

    도학적 문론의 등장4.3. 178

    도학적 문론의 전개4.4. 186

    문론과 그 실천의 일치 추구 내면화의 과정4.4.1. – 186

    과도기적 모습4.4.2. 197

    도학적 문론의 심화 내면화의 한 모습4.5. – 204

    맺음말 236

    참고문헌 241

    Abstract 248

  • - 1 -

    머리말

    이 논문은 고려말 성리학의 전래 이후 조선 전기까지 성리학적 문론1)이,

    더 정확히는 도학 적 문론( )道學 2)이 등장 심화하고 정착하여 문학적 실천,

    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려는 유교 불교 도. , ,

    교의 융합을 국가 이념의 근본으로 했다지만 널리 알려져 있는 것처럼 사,

    실 불교 중심의 유교와 도교 통합이 그 이념적 실상이었으니 유교는 국가

    통치 행정을 위한 도구적 역할에 머물러 있었으며 개인의 생활 윤리 도, ,

    덕과 관련된 수신 의 근원적 부분은 불교가 담당하고 있었다 이에( ) .修身

    반해 조선은 국가 수립 단계부터 성리학을 국가 유일 이념으로 규정하여

    개인의 수신부터 국가의 통치까지 일원화된 성리학적 이념의 실천을 목표

    로 했다 그러나 이념이라는 것이 개개인에 있어서는 세상을 이해하는 사.

    고의 기본적 틀로 작용하기에 사회적 외형적으로는 변혁을 주장하고 그 변·

    화를 제시할 수 있다 해도 개인적 내면적으로는 겉보기와 일치하는 급격, ·

    한 변화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이는 이념의 내면화. (internalization)3)

    1) 문론 이라 이야기할 때 좁게는 시론 과 구분되는 산문 론이라는 의미부터( ) ( ) ( )文論 詩論 散文

    문학이론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크게는 문화 론이라는 의미까지 포괄한, ( )文化

    다 이는 사문 이라는 용어에서 문 의 사용과도 연관된다고 할 것인데 피터. “ ( )” “ ( )” ,斯文 文

    볼은 사문 은 과 동일한 개념으로 간주되었는데 주목할 것은 사문이 문학 역“ ‘ ’ , ,儒學…

    사와 철학을 아우르는 문헌 전통의 집대성을 의미하여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김영민.”(

    옮김 역사 속의 성리학 예문서원 라며 문 이라는 말에 가장 넓은, 2010, , , p.94.) “ ( )”文『 』

    의미를 부여하여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이때 사문 이 문론 을 직접적으로 이야기하는. “ ” “ ”

    것은 아니지만 문 이라는 말 하나로 유학의 범위 전체를 지칭한 것임은 분명하다 곧, “ ” .

    문 안에 유교의 문화론과 문학 이론까지 포함되어 있다는 말이며 그 하부에는 시론과“ ” ,

    산문론까지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기본적으로 문화론까지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문론이라는 말을 사용하겠다 그러나 연구의 현실상 주로 문학이론을 대상으로.

    하겠다.

    2) 도학은 기본적으로 중국 송대 정주 성리학의 한 별칭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특( ) ,程朱

    히 조선 전기에 성리학적 실천을 강조했던 사림 을 도학파 라고 부르며( ) “ ( )” ,士林 道學派

    그들의 학문을 도학이라 칭한다 이들 도학파의 문론을 도학적 문론 이라 할 것인데. “ ” ,

    기본적으로 성리학에 바탕하지만 그들의 학문적 경향과 마찬가지로 원칙에 철저하며 실

    천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성리학적 문론과는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 즉 우리.

    나라의 경우 성리학적 문론의 하위 구분으로 도학적 문론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3) 내면화 는 개인의 성장 과정에 있어 외부의 사고가 자신의 가치체계(internalization) ,

    도덕적 기준체계 등으로 자리 잡게 되는 상황을 뜻하는 것이다( ) .(Raynold J. Corsini,

  • - 2 -

    와 관련된 문제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인데 국가의 이름이 고려에서 조선으,

    로 바뀌었고 국가 이념이 공식적으로 변화했다 해도 그곳에 살고 있는 사,

    람들 자체가 달라진 것은 아니기에 기존의 이념이 내면화되어 있는 사람

    들 또 그런 사람들로 둘러싸인 환경에서 성장한 사람들에게 칼로 자른 것,

    같은 이념의 변화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이런 문제는 문론과 그 실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성리학이 전.

    래된 고려말 당시는 유교가 혹은 성리학이 유일 이념으로 인정받지 못하,

    는 상황이었으며 일부 역성혁명 을 주장한 성리학자들 이외의 다( )易姓革命

    수 학자들은 고려의 불교 중심 이념을 고수한 상태로 다만 기존 유학의

    자리를 성리학으로 대체하려는 생각정도만 가지고 신유학을 받아들였다.

    이 경우 성리학에서 도출되는 문론은 이념적 우월성을 가지지 못한 기존,

    여러 문론과 다를 바 없는 문론의 한 가지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조선이 건국되면서 상황은 달라진다 성리학이 국가 유일 이념이 되면서.

    문론에 있어서도 성리학에서 도출되는 문론 성리학적 문론이 다른 문론에,

    비해 절대적 우월성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앞서 언급한 이념의 경.

    우와 마찬가지로 문론의 내면화 문제가 나타난다 문학을 시문 을 통. , ( )詩文

    해 공식적 정치적 업무는 물론 인간관계의 개인적 교류까지 수행했던 당-

    시의 사대부들은 성리학의 국가이념화 이전에도 이미 모범으로 삼는 각자

    의 문론 기존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문론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며 이, ,

    를 내면화하여 실천으로 드러내고 있었을 것이다 이에 성리학적 문론이.

    새롭게 제시되었다고 해도 기존에 내면화되었던 문론과 충돌하여 급격한

    문론의 변화가 또 그로부터의 문학적 실천이 나타나기는 힘들었을 것을,

    생각할 수 있다.4)

    그러나 조선이 건국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성리학적 문론과 그

    The Dictionary of Psychology 이 글에서는 단순히 내재, Psychology Press, 1999.)

    하게 되는 것을 넘어 개인에게 신념 태도 행동의 변화까지 일으키는 실천적 기준이, ,

    된 상황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할 것이다.

    4) 이 문제는 황위주도 자신이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데 조선초기의 한문학이 성리학적 문

    론과 주자의 문학에 대한 입장과 일치하지 않음을 이야기한다 황위주 의, . , 朱子 蘇東「

    과 대동한문학 권, ( ) 5 , 1993.坡 排擊 朝鮮初期 漢文學 嶠南漢文學」 『 』

  • - 3 -

    실천이 문학의 주류가 된다는 점도 주지의 사실이다 즉 조선이 건국되고.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는 기존에 내면화되어 있던 고려로부터의 문론과 실

    천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새롭게 내면화된 성리학적 문론과 실천이 자리

    잡았다고 할 것인데 이 논문은 바로 그 과정을 고찰하려 한다.

    앞서 이야기한 성리학의 성리학적 문론의 내면화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고려말부터 조선전기까지를 그 시대적 대상으로 하는데 이 시기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적 문학적 연구로는 유봉학의 한국문화와 역사의식/ 『 』5)이 있

    다 이 책의 경우 이 논문의 해당시기를 포함하여 비교적 한국문화 전체를.

    조망하는 모습이 보였는데 역사관과 문화론에 많은 부분을 할당했고 또, ,

    조선시대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조선전기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소략

    했다 길진숙의 연구. 6)도 이 시기에 해당하는데 이 논문의 논지와 연관된

    주제로 비교적 조선전기 전체를 상세히 아울렀다 그러나 논의가 주로 악.

    론 에 집중된 점과 시대적 배경에 대한 고찰이 충분하지 못한 점이( )樂論

    아쉬웠다.

    이 시기 전체를 아우르는 연구에 비하자면 보다 세분화된 대상이나 개인,

    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 또한 이 논문을 작성하,

    는데 도움이 되었다 세부적으로 이야기하자면 고려 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문론 또 그 실천에 대한 연구로는 김건곤, ,7) 이병혁,8) 최근덕9) 등의 연구

    들을 통해 고려말의 사회적 상황과 사상 문론 등을 연구할 수 있었다 조, .

    선 초기 전기 관인문학에 대해서는 조용호/ 10) 유호진, 11) 이재숙, 12) 등의

    연구가 개별 대상에 대해 진행되어 있어 조선 초기 전기 관인문학가들의/

    사상과 문론 문학 실천을 이해할 수 있었다 성리학적 문론 도학적 문론, . -

    5) 유봉학 한국문화 역사의식 신구문화사, , , 2005.『 』

    6) 길진숙 조선 전기 시가예술론의 형성과 전개 소명출판, , , 2002.『 』

    7) 김건곤 등 고려시대 문인과 승려 파미르, , , 2007.『 』

    8) 이병혁 과 태학사, , , 2003.高麗末 性理學 受容 漢詩『 』

    9) 최근덕 등 사 포은사상연구원, , ( ) , 1993.元代 性理學『 』

    10) 조용호 세기 관료문인의 한시연구 한국학술정보, 15 , , 2005.『 』

    11) 유호진 에 나타난 의 고전과 해석 제 집, , 3 , 2007.金守溫 詩 鮮初 詩風 變化「 」 『 』

    12) 이재숙 시세계 연구 집 등, , 30 , 2010. .三槐堂 漢文學論集「 」 『 』

  • - 4 -

    을 표명하고 그것을 실천한 정여창 김굉필 조광조 이언적 이황 즉 사, , , , ,

    림 혹은 도학자들의 문론과 실천에 대한 연구로는 장도규13)와 신연우14)

    등의 책과 논문이 있었다 이들의 연구는 특히 도학적 문론 자체를 이해하.

    고 실제 문학작품을 분석하는데도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세분화된 대상이나 개인에 대해서만 혹은 특정 시기의 특정 대상에 대해,

    서만 그 연구가 한정되거나 특정한 한 가지 입장을 가지고 대상을 분석하,

    는 것에 그쳐 고려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전체를 조망하지 못하고 있고 또,

    그 대상과 개인 사이에 서로 연관되어 나타난 변화의 모습을 총제적으로

    보여주지는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사상과 문화에 특히 이 논문에서의 문론에 직접 연관된 것은 아니지만, ,

    이 시기 문화 문학의 주체였던 사대부의 성격과 정체성에 관련해서는 에/

    드워드 와그너15) 존 던컨, 16) 마르티나 도이힐러, 17) 등의 연구가 도움이

    되었다 이들은 주로 조선전기 지배층의 연원과 성격 등에 대해 논의했는.

    데 기본적으로 고려말부터 이 시기 이후까지도 지배층의 인적 가계/ ( )家系

    적 변화가 크지 않았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는 정출헌. 18)과 송응

    섭19) 등의 연구에서도 그 기조를 같이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도 기본적,

    으로 이들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 연구들은 관인문학가들과 사림. “ (士

    의 사회적 정체성과 양자의 연속성에 대한 이해 또 그들이 특정한 형)” ,林

    태의 문학 실천 양상을 보였던 이유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지금까지 이 논문을 쓰는데 도움이 되었던 기존의 연구를 정리했다 이.

    정리과정에서도 보이듯이 현재 조선전기 문론에 대한 연구에 있어 가장

    아쉬운 점은 특정 대상이나 개인에 대한 연구의 진전에 비해 이 시기 전

    13) 장도규 의 삶과 정림사 등, , , 1999. .朝鮮五賢 詩文學『 』

    14) 신연우 이황 시의 깊이와 아름다움 지식산업사 등, , , 2006. .『 』

    15) 에드워드 워그너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 일조각 쇄, , , 2008(2 ).『 』

    16) 존 던컨 조선 왕조의 기원 너머북스, , , 2013.『 』

    17) 마르티나 도이힐러 한국의 유교화 과정 너머북스, , , 2013.『 』

    18) 정출헌 성종대 의 과 그 의 양상 민족문학사연구 제 호, , 5 ,新進士類 同類意識 分化「 」 『 』

    2012.

    19) 송응섭 조선 성종대 공론정치의 형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 2011.「 」

  • - 5 -

    체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통합적 시각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거칠.

    게 관인문학가와 사림 으로 나누어 이야기하자면 그들 각각의 문론과 문“ ”

    학실천에 대해서는 현대 연구자들에 의해 주로 그들의 이론과 실천을 옹

    호하는 입장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만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 또 역사, ,

    적 흐름 속에서 그들과 연관된 주류 문론의 변화 양상 나아가 그 변화의,

    원인 등을 명확히 보여줄 입체적 통합적 시각이 부재하다고 할 수 있으/

    니 바로 이 부분이 현재 조선전기 문론 연구에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방향일 것이다 이 논문은 기본적으로 성리학적 도학적 문론의 등장과 정. ,

    착 과정을 연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지만 그 연구의 과정을 통해,

    조선전기 여러 인물들 나아가서는 그들이 속해있는 집단의 문론과 그 실,

    천을 비교하고 그 전체적 변화 양상을 확인 고찰하기에 조선전기 문론에, ,

    대한 입체적 통합적 연구에도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

    본 논문은 문론의 변화에 대한 것이지만 단순히 시기별로 등장한 문론을

    분석하고 그 특징만을 설명하는 것에서 그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왕조.

    교체기이며 국가 이념의 교체기라는 해당 시기의 특성상 내면화되지 못한,

    표면적 문론의 변화만 나타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이 논문,

    에서 고민한 점은 어떤 문론이 등장하여 그 문론이 과연 내재화되었는지

    의 여부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문론만큼이나 그 실천 양상을 살펴.

    보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그 이유는 앞서 이야기했듯 문학 활동이 일상화.

    된 당시의 사대부들이기에 그들이 일상적 문학 실천을 통해 자신들이 이,

    야기했던 문론을 과연 실제 실천하고 있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

    다 이에 이 글에서는 시기별로 대표적 인물들의 문론과 문학실천을 확인.

    함으로 문론의 내면화 여부를 고찰했다.

    본 논문은 성리학의 전래와 이론적 심화 정착가지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

    해 기본적으로 다음의 시기 구분에 따라 구성하였다 장은 주로 고려말. 1

    기를 장은 조선 건국기를 장은 건국기 이후 세기 중후반까지를 장, 2 , 3 15 , 4

    은 세기 후반부터 세기 중반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전개했다 그러나15 16 .

  • - 6 -

    각각의 변화가 비교적 짧은 시간에 나타난 일이기에 각 장이 대상으로 하

    는 인물들의 다수는 그 활동 시기가 겹치는 문제가 나타난다 이에 장과. 1

    장의 인물들은 역사적 활동 시기와 함께 성리학을 유일이념으로 받아들2

    였는지 국가와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추구했는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

    했으며 장과 장의 인물들은 활동 시기와 함께 문론과 관련된 성향 즉, 3 4 ,

    기존의 문론을 고수했는지 아니면 성리학적 도학적 문론을 추구했는지를, -

    기준으로 구분했다.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한 가지 더 밝힐 것은 성리학적 도학적 문학 작품,

    의 분류와 관련된 것이다 성리학적 도학적 문학 작품의 분류와 관련해서. ,

    는 지금까지 이렇다 할 정설이 없으며 연구자에 따라 재도 문학 순“ ( ) /載道

    정 문학( ) ”醇正 20) 이어시 이취시 관물오리, “ ( )/ ( )”, “ ( )/理語詩 理趣詩 觀物悟理

    음영성정( )”吟詠性情 21) 등 전체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분류되어 왔

    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성리학적 문론과 문학 실천의 분류를 새롭게 정리.

    하려고 하는데 우선 경세제민 우국충정 과 같은 전통, ( ), ( )經世濟民 憂國衷情

    유학적 가치를 내세우고 독자 에게 영향을 미쳐 변화를 일으키려는( )讀者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세교적“ ( )”世敎的 22) 문학으로 분류하겠

    다 세교적인 것이 반드시 성리학의 핵심적 내용은 아니지만 조선전기 성. ,

    리학을 주장한 이들에게서 이 내용이 자주 나타나는바 당시의 성리학적

    문론과 그 실천의 한 형태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대비해 문학에.

    있어 적극적으로 이 가 만물을 주재함을 내세우고 문학에는 도 를( ) , ( )理 道

    추구하는 내용이 담겨있어야 함을 주장하며 문학의 형식을 말단의 것으로,

    보고 도를 그 근본으로 강조하는 경우는 도학적 이라고 분류하겠“ ( )”道學的

    다 도학적 문론과 문학 작품은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

    도학적 수양의지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거나 도학적 진리를 직접적으로 드

    20) 김준옥 의 웅진어문학 제 호, , 4 , 1996.退溪 李滉 醇正文學 硏究「 」 『 』

    21) 장도규 등의 경우이다.

    22) 현대의 일반적 쓰임에 따르자면 교화 가 적합하겠지만 연구 대상이 되는 당시“ ( )” ,敎化

    에는 주로 세교 라는 용어를 사용했기에 이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이 용어를“ ( )”世敎

    사용하겠다.

  • - 7 -

    러내는 경우 또 그런 시문을 주장하는 경우는 도학적 철리시 와, “ ( )”哲理詩

    그에 관련된 문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성리학적 세계관.

    에 입각하여 사물의 이 와 자신의 이 가 다르지 않음을 경험하고 그( ) ( )理 理

    체득한 바를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경우 또 그런 시문을 주장하는 경우는,

    도학적 영탄시 와 그에 관련된 문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 .詠歎詩

    도학적 영탄시는 외물과 자아의 간격이 사라지면서 성리학적 세계관이라(

    는 이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융합되는 특별한 경험으로부터 일종의 예술) ,

    적 경험23)으로부터 촉발되는 즐거움 의 자연스러운 발화 라고“ [ ]” ( )樂 發話

    할 수 있다.

    이 새로운 분류법은 기존의 성리학적 문학에 대한 분류들보다 특히 문론

    의 내면화 정도를 확인하는데 유효한데 세교적 문학과 도학적 문학을 나,

    누는 것은 세교적 문학과 문학론이 위기지학 과 관련된 성리학“ ( )”爲己之學

    적 기본 논리 수신 으로부터 시작되는 성리학의 기본 논리, “ ( )”修身 24)와 상

    충될 수 있기에 성리학 이해 정도 성리학적 문론의 내면화 정도를 확인하,

    는 기준으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도학적 철리시 와 도학적 영탄시 를. “ ” “ ”

    다시 구분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이다 성리학이 성리학적 문론이 진. ,

    정으로 내면화되었다면 일상생활의 경험가운데 내면화한 이론과 현실이

    부합되는 상황을 아무런 작위 없이 맞는 경우가 있을 것이고 이에( ) ,作爲

    23) 예술적 경험 이라는 말은 미적 경험 과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주장한 노엘 캐럴의“ ” “ ”

    예술적 경험 이라는 말로부터 차용했다 세기 이후 미적 경험이 전적으로 감각과 연“ ” . 20

    관하는 것을 지칭하게 되면서 인지적 요소와 관련하여 예술작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특별한 경험들은 미적 경험으로 평가받지 못하게 되었는데 인지적 요소와 관련된 경험,

    들 또한 현실적으로 의미가 있고 즐거움을 줄 수 있기에 이를 별도로 예술적 경험이라

    부르며 옹호하는 것이 캐럴의 주장이다 이 논문에서도 인지적 요소와 관련된 특별한.

    경험이라는 의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겠다.

    24) 이란 무엇보다도 과 곧 자신의 수양을 가장 중요시하는 이므“ ,性理學 存心 養性 學問…

    로 으로는 위에 을 통한 인 인간의 완성에 역점을 두고 그, ,外面上 原始儒學 正德 道德的

    의 전제 위에서 이라는 본래의 을 실현코자 하는 것이다.人格完成 安人治人 儒家 理想

    그런 이유로 하여 은 에서 자주 말해온 의 면을 궁극적인 목표로‘ ’性理學 儒學 爲己之學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니 무엇보다도 는 자신의 에 의한 인간의 성취, 退溪 人格形成

    를 으로 삼았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상 그는 항상 의 이란 일 뿐 이. , ‘ ’理想 君子 學 爲己

    라 하였으니 이진 의 을 으로”, , - ,退溪 李滉 詩文學論 性理學的 變容 中心 東岳… 「 – 」 『

    18 , 1983. pp.236-237.語文論集 第 輯』

  • - 8 -

    시문이 자연스럽게 감발되어 나온다면 이는 도학적 영탄시 라 할 것이다“ ” .

    도학적 철리시 또한 성리학적 배경을 가져야 가능한 것이지만“ ” 25) 창작의

    작위성과 관련하는 내면화의 정도에 있어서 도학적 영탄시 와 구분될 수“ ”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런 구분은 내면화 정도를 확인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성리학적 문론과 문학 작품에 대한 분류와 그 문제점.

    등에 관련해서는 장에서 다시 이야기하겠다4 .

    이 논문의 구성과 각 장별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장은 고려말 성리학의 전래와 이에 따른 문론과 그 실천의 변화를 주로1

    살폈는데 이를 위해 우선 성리학 전래 이전 고려의 상황과 문론을 김부,

    식 이규보 최자 임춘의 경우를 통해 간략하게 정리했다 또 고려에 전래, , , .

    된 성리학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 중국 원대 성리학의 특징과 성리학

    전래 당시의 고려 유학의 상황도 살폈다 이는 고려말 전래 이후 성리학의.

    급속한 흥기를 설명하고 그 특징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이제현 이색 정몽주 이숭인의 경우를 확인했다, , , .

    장은 조선 건국기 성리학자들의 문론과 그 실천을 주로 고찰했다 이들2 .

    의 경우 공적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또 개인의 문론과 그 실천에 있어,

    이중적 모습을 보였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공적차원의 문예사업과,

    개인적 차원의 문예 활동의 차이를 확인하고 정도전과 권근 하륜의 문론, ,

    과 그 실천을 살폈으며 이런 이중성의 원인에 대해서는 개인적 차원과 사,

    회적 차원으로 고찰했다.

    장은 조선 건국기 이후 세기 중후반까지 조선의 주류 문학이라고 할3 15

    수 있는 관인문학의 문론과 그 실천을 살폈다 이들의 문론과 실천을 설명.

    하기 위해 우선 이들의 사상 성리학 이해를 확인했으며 그와 관련하여 나,

    타나는 문론과 실천의 특징을 서거정 성현 등 대표적 관인문학가들의 경,

    25) 도학적 철리시의 경우 도학적 이치를 독자에게 설명 교육하려 하는 경우라면 세교적,

    문학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내용이 앞서 이야기한 세교적 문학의 우. “

    국충정 등과는 차이가 있기에 이런 경우라도 역시 도학적 문학 가운데 한 가지로 세” ,

    교적 성격도 지닌 경우로 보는 것은 문제가 없을 것이다.

  • - 9 -

    우를 통해 고찰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이 보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이들.

    과 관련된 가계적 특징과 사회적 환경 등도 확인했다.

    장은 세기 후반 이후 등장한 도학적 문론과 그 실천에 대해 성리학4 15 ,

    이 내면화되어 문론과 그 실천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

    해 우선 도학적 문론을 정리 규정하고 내면화의 사회적 동인 을 살, , ( )動因

    폈다 이후 도학적 문론의 등장과 전개 또 심화되어 사회적 주류 문론으. ,

    로 등장하기까지의 과정과 그 내용을 김종직부터 이언적 이황까지 대표적,

    도학자들의 문론과 실천을 통해 확인했다.

    이제 성리학 전래 이전 고려의 사상과 문론을 고찰하며 본론을 시작하겠

    다.

  • - 10 -

    장 고려 유가의 문론과 그 실천1

    조선이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천명한 나라였다면 고려는 사실상 불교

    를 국가적으로 신봉하는 나라였다 고려 태조 왕건 이 십훈요. ( ) “ (王建 十訓

    를 통해 유 불 도의 역할 분담을 규정하고 있다지만 유교의 역할이 국)” ,要 ‧ ‧

    가 통치를 위한 도구적 역할이었다면 이국지학 불교는 인간의[ ( )]理國之學

    정신생활에 치중하여 인심 을 위안하는 수신지교 의 역할( ) “ ( )”人心 修身之敎

    을 담당했었다.

    불교를 실천하는 것은 수신 의 근본이며 유교를 행하는 것( ) ,修身…

    은 나라를 다스리는 근원입니다 수신하는 일은 내세를 위한 바탕이.

    며 나라를 다스리는 일은 오늘 당장 해야 할 일입니다, .26) …

    위의 글은 성종 재위 대 최승로 의 말이( , 981-997) ( , 927-989)成宗 崔承老

    다 물론 최승로의 이야기는 현실에 도움이 되는 유교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지만 이는 역으로 유교가 고려 사람들 사이에서 주도적 이념의 위치,

    를 차지하고 있지 못했음을 알려준다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수신.

    의 원칙이 불교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적 부분에서만 유교를( )修身

    따른다는 것 자체가 애초에 무리한 일이다 불교적 윤리 도덕을 신봉하는. ‧

    사람들이 그 사회 정치적 행동에 있어서는 유교를 따른다는 것 자체가 어·

    렵다고 하겠다 태조의 유훈에 따라 유 불 도의 융합을 추구하는 것이 고. ‧ ‧

    려의 기본적 이념체제라고 하더라도 결국 그 실상에 있어서는 불교가 사

    상계의 전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27)

    이런 사상적 특징은 고려 시대의 문론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고려시대.

    26) “ , , , . , . ”,行釋敎者 修身之本 行儒敎者 理國之源 修身是來生之資 理國乃今日之務… …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인터넷판 이하 원문의 번역은 번역문이, . ( , )崔承老傳『 』 「 」

    있는 경우 원래 번역을 최대한 살려 옮겼지만 원활한 이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윤문했

    다.

    27)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 , 1997, pp.97 98.『 』 ~

  • - 11 -

    유자들의 한문학 주제의식과 그 실천은 조선시대에 비해서 주제영역도 광

    범위했고 그 실천의 폭도 넓었다 주제의 경우 기층사유는 물론이고 불, .

    교 유교 도가 사상 등의 여러 이념들이 각각의 무게를 가지고 있었다, , .

    특정한 이념만이 가치있고 여타의 것들은 배제되어야 한다는 식의 발상은

    거의 없었다.28)

    이런 상황에서 고려 지배층에게 유교 교육이란 세련된 교양인의 상징 정

    도의 의미였다 한시를 암송하고 유교 도덕의 원리에 충실한 것은 관직. ,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고 관리를 선발하는 방법 과거 와 연결, - ( )科擧

    되었기에 지배층들은 유교 교육에 헌신했지만 일상생활의 원리로 작용하

    는 것은 아니었다.29) 과거의 과목 에 있어서도 이런 고려의 상황은( )科目

    영향을 미친다 고려 말 변화가 있기는 했으나 대부분의 경우 고려의 과. ,

    거 시험은 제술 을 중시했으며 진사 시험의 경우 문학적 재능이 필( ) ,製述

    요한 시 와 부 가 중심이었다( ) ( ) .詩 賦 30) 결국 사장 위주의 문풍이 고( )詞章

    려 문단을 주도 했으며 부화 한 귀족적 문체가 고려 전반 을 아( ) ( )浮華 全般

    울렀다고 할 수 있다.

    성리학 전래 이전 문도관계의 인식1.1. –

    무신 정권 이전 문벌 귀족들이 문론 논의의 중심이었던 시기에는 주로,

    한유 와 소식 의 문풍이 유행했다 고려의 경우 인종 대의( ) ( ) . ( )韓愈 蘇軾 仁宗

    김부식 에 의해 고문 이 창도 되었다고 하는데( , 1075-1151) ( ) ,金富軾 古文

    김부식과 그의 동생 김부철 의 이름 자체가 소식( ) ( ,金富轍 蘇軾

    소철 형제의 이름을 본떠 지어졌다고 하1036-1101), ( , 1039-1112)蘇轍

    2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조선초기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쇄, 27 2 , , 2013(2 ), p.271.『 』

    29) 마르티나 도이힐러 한국의 유교화 과정 너머북스, , , 2013, p.58.『 』

    30) 과거의 실시는 고려 문풍 을 진작시켰을 뿐만 아니라 한문학의 수준향상에“ ( )文風…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진사 시험과목은 경우에 따라 조금씩 달랐지만 상당한 문학적.

    재능이 필요한 시 와 부 를 더 중시하였다 하정화 고려시대 유가 문예관의( ) ( ) . ”, ,詩 賦 … 「

    형성과 전개 미학 제 집, 43 , 2005. p.42.」 『 』

  • - 12 -

    며 또 소동파의 고문은 한유의 고문에서 발전되어 나온 것이니 김부식 또,

    한 한유의 시문을 접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31) 한유의 문풍 유행에

    대해서는 후대 이제현이 역옹패설 에서 선생은 한유와 두보의 시 를“ ( )詩『 』

    배웠다 라는 오세재” ( , 1133-?)吳世才 32)에 대한 이규보의 말을 남겨 놓은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33) 한유문의 유행은 조선 전기까지 이어지

    는데 앞으로 해당시기마다 확인하겠다.

    그러나 이 문벌 귀족들의 문풍 흥기에는 문제도 있었다 과거시험에 있어.

    서 경술 보다 제술 을 중시하는 상황에서 문벌 귀족들은 오직( ) ( )經術 製述

    관직에 오르는 일에만 힘썼으니 결국 경학 을 소홀히 하고 오로지, ( )經學

    글짓기에만 종사하여 경박하고 부화 한 풍조가 일상화된 것이다( ) .浮華 34)

    이런 당시 문인들의 경박 부화한 문풍은 결국 그들의 생활과도 연결됐는,

    데 조정 에서 무인을 하대하던 당시의 풍조와 결합하여 문인들에 의, ( )朝廷

    해 무인들이 멸시받는 일들이 일어났고 이는 의종 말년 무신의 난, ( )毅宗

    으로 이어졌다.

    이제 문벌 귀족 출신의 대표 문사라고 할 수 있는 김부식의 문풍과 실천

    을 살펴 당시의 상황을 확인하겠다.

    고문 운동 전래기의 상황1.1.1.

    김부식35)은 경주 출신으로 년 과거에 급제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1096

    한림원 직한림 을 맡았고 이후 년간 문한직 에 종사했으( ) , 20 ( )直翰林 文翰職

    며 후일 재상의 지위까지 오른다 은퇴 후에는 삼국사기 편찬. ( )三國史記『 』

    에 힘써 년 인종 년 그 편찬을 마무리한다1145 ( 23 ) .36) 출신 가문과 역임한

    31) 허권수 한유 시문의 한국에서의 수용 중국어문학, , , vol.9, 1985. p.72.「 」 『 』

    32) 오세재 는 고려 중기의 학자이자 문인으로 시에 뛰어났다고 전한다 동문선 에( ) .吳世才 『 』

    오언율시 편 칠언율시 편이 남아있다2 , 1 .

    33) 이제현 역주 역옹패설 역옹패설 후집“ , . ”, , ,李文順公奎報謂 先生爲詩學韓杜… … 『 』

    후 박성규 역주 보고사2, -30, , , 2012. pp.229 233.–

    34)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 , 1997, pp.109-110.『 』

    35) 호는 뇌천 이고 시호은 문열 이다( ) ( ) .雷川 文烈

  • - 13 -

    관직 등을 통해 볼 때 김부식은 당시 문벌귀족을 대표한다 하겠다, .

    김부식은 기본적으로 유자 였다 그의 이런 성격은 다음의 진삼국( ) .儒者 「

    사표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進三國史表 」

    또 그 고기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옛 기록 는 글이 거칠어 뜻이[ ]…

    통하지 않고 사적이 빠져 없어졌으므로 이로써 임금의 착함과 악함,

    을 신하의 충직함과 간사함을 국가의 편안함과 위태함을 인민의, , ,

    다스려짐과 어지러워짐 전부를 드러내어 후세에게 권장하고 경계하

    게 할 수는 없었습니다. …37)

    위 글에서 김부식은 글의 목적을 세교 에 두고 있음을 분명히 밝히고( )世敎

    있다 사서의 글을 통해 정치와 역사의 잘됨과 잘못됨을 분명히 밝혀 후대.

    의 훌륭한 통치에 도움이 될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또 그 외 삼국.

    사기 편찬에 삼국의 고승 들이 제외되었음 등을 통해 유교적 사관에( )高僧

    입각하여 편찬했음도 확인할 수 있다 김부식은 문체에 있어서도 삼국사. 『

    기 에 당 송의 고문체를 수용하려 노력했다.』 ‧ 38)

    그러나 김부식의 이런 유교적 입장은 후대의 경우처럼 절대적이고 배타,

    적인 기준은 아니었다 오히려 전술했던 것처럼 유 불 융합이라는 입장에. ‧

    서 역사는 유교의 영역에 해당한다 생각하며 이를 드러낸 것이었다 사실.

    이렇게 이념과 관련하여 실천 영역을 나누는 입장은 고려 말까지 문인들

    의 기본적 입장이기도 했다 최자 의 다음 글은 김부식의 불교 이해. ( )崔滋

    36) 이글에 등장하는 인물의 생존연대 가계 역임한 관직 등은 모두 한국인물대사전 한, , (『 』

    국정신문화연구원편 중앙 를 기본으로 정리했다 다른 출처가 있는 경우, M&B, 1999.) .

    주석으로 다시 밝히겠다.

    37) “ , , , , ,又其古記 文字蕪詘 事跡闕亡 是以君后之善惡 臣子之忠邪 邦業之安危 人民之…

    김부식 권 솔, . ”, , 1 , , , 2000(3理亂 皆不得發露以垂勸戒 三國史記 進三國史表… 『 』 「 」

    쇄). pp.18-20.

    38) 김부식은 한림원에 있을 때 선배인 김황원 이궤 와 함께 고문체“ ( )· ( ) (金黃元 李櫃 古文…

    문장의 보급에도 대단한 노력을 하였다 당시 유행하던 육조풍 의 사륙변려) . ( )體 六朝風

    문체 에서 당 송시대에 발전한 고문체를 수용하려는 것이었다 삼국사기( ) · .四六騈儷文體 『

    의 중찬도 이러한 문체운동과 깊은 관련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 ) .” ,三國史記 』 『 』

    부식 항목 한국학중앙연구원. ( , 2007.)

  • - 14 -

    와 그 문학적 실천 또한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보여준다.

    문열공 김부식 이 혜소 스님의 묘아 라는 시에 화운했다[ ] .「 」

    땅강아지와 개미에게도 도는 있고 이리와 호랑이도 어지니

    반드시 망령됨을 버려야 비로소 진리를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네.

    우리 스님 혜안에는 분별이 없으니

    물건마다 모두 청정신을 드러내네.

    문열공은 시의를 불교에다 부쳤기 때문에 나타낸 이치를 말한 것…

    이 가장 심오하다. …39)

    김부식의 시 자체도 도교와 불교적인 내용을 보여주고 있거니와 이에 대,

    한 최자의 이해도 김부식을 불교와 연결시켜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는 앞서 살핀 역사 영역에서와는 달리 시 에 문학에 있어서. ( ) ,詩

    는 불교적 주제에 능숙함을 보이는 당대 문인들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

    부식의 경우 무신정권 이전의 인물이지만 이런 특징은 고려 전반에 해당,

    하는 문인들의 유 불 도교에 대한 일반적 모습이기도 하다· · .

    한유 문장의 유행과 문도관계의 인식1.1.2.

    년 고려 의종 말년에 정중부 등 무신들의 반란에 의해1170 ( ) ( )毅宗 鄭仲夫

    고려 무신정권이 성립했고 이 체제는 경대승 최충헌 등 지배 세력을 바꿔,

    가며 년 고려 원종 이 몽고와 강화하여 개경으로 환도할 때까지1270 ( )元宗

    년간 유지된다 무신정권 자체가 문벌 귀족 문관 들의 무관100 . ( ) ( )文官 武官

    39) “ , , , ,文烈公和慧素師猫兒云 螻蟻道存狼虎仁 不須遣妄始求眞 吾師慧眼無分別 物物皆呈

    최자 역주 중권 중 박성규 역. . ”, , , -9, ,淸淨身 文烈公寄意浮屠言理最深 補閑集… … 『 』

    보고사, 2012. pp.223 225.–

  • - 15 -

    에 대한 멸시로부터 시작되었던 만큼 이 기간 동안 문인들 유가 세력은,

    몰락을 면치 못한다 많은 경우 산으로 피신해 사찰 등에 몸을 맡기고 은.

    둔하거나 무신 권력에 문사 로 부역하는 신세로 전락한 것이다 이( ) .文事

    시기 문학은 무신정권의 행정적 실무 해결이나 기호 충족을 위한 도( )嗜好

    구로 전락하면서 수기치인 이라는 유학의 근본정신을 망각하고“ ( )”修己治人

    사장학 에만 얽매이게 된다 또 무신 정권에 부역한 유자 들이( ) . ( )詞章學 儒者

    추구하는 목표는 이록 에 치중해 있었고 또 보신 을 위해 그렇( ) , ( )利祿 保身

    게 할 수 밖에 없었기에 자연히 유학은 정치 행정의 도구가 될 뿐임을 벗‧

    어나지 못했다 같은 이유로 그들은 질박한 도덕정신보다는 화려한 문화적.

    생활만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국가문서나 기록하고 불교행사나 미,

    화해 주는 단순한 문학적 도구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게 된다 무기력한.

    문인 관료거나 퇴폐적인 문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이들이 현실을

    새롭게 개혁할 수 있는 문풍을 추구하기는 어려웠다.40)

    무신정권기는 이렇게 유가가 몰락했던 시기였지만 전시대와 연결되어 고,

    문운동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으며 그 내용 즉 문도 관계의 문제, ( )文道

    가 미약하게나마 인식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먼저 이 시기에도 한유의 문장이 문풍의 기본을 이뤘고 나아가 한유의,

    문집이 고려 내에서 출간되기도 했다.41) 한유 문장의 유행은 고려 중기

    이후 다수 창작된 가전체 소설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유의( ) .假傳體

    가전 인 모영전 하비후전 등을 모사한 것이라( ) ( ) , ( )假傳 毛穎傳 下邳候傳「 」 「 」

    할 수 있다.42) 이런 가전체 소설은 조선 전기에도 꾸준히 창작되었으며

    조선말까지 그 명맥이 끊이지 않았다.

    이런 한유문의 유행은 형식의 모사를 넘어 내용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

    한다 한유의 고문운동과 관련하여 생각하자면 단순히 병려문 을. , ( )騈儷文

    40)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 , 1997, pp.110-111.『 』

    41) 경남 진주목 소재 에 과 이규보의 문집인 의 판본이“ 斷俗寺 韓昌黎集 東國李相國集『 』 『 』

    조선 때까지 남아 있었다 진주는 최충헌 일가의 식읍지였고 단곡사는 최씨 일가. ,世宗

    의 이었다 이로써 본다면 한창려집 은 고려 때 이미 간행되었음을 알 수.家刹 高宗… 『 』

    있겠다 허권수 한유 시문의 한국에서의 수용 중국어문학.”, , , , vol.9, 1985, p.74.「 」 『 』

    42) 허권수 한유 시문의 한국에서의 수용 중국어문학, , , vol.9, 1985, p.73.「 」 『 』

  • - 16 -

    타파하고 고문의 형식을 사용하자는 것이 아니라 문장에 있어서 내용의

    중요성 또 그 우선성을 생각하게 된 것이다 이 시기 문인인 최자, . ( )崔滋

    의 보한집서 에도 이런 언급이 나타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잠( ) ,補閑集序「 」

    시 뒤 다시 살피겠다.

    이제 무신정권 시기의 대표적 문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이규보 최자 임춘, ,

    의 저작을 살피며 이들의 문론과 그 실천의 특징을 확인하겠다.

    이규보( , 1168-1241)李奎報 43)는 년 무신정권 시기에 세로 진사과1190 23

    에 합격했지만 관직을 받지 못하고 많은 시간을 보내다 무신정권의 수장

    최충헌 을 국가적 대공자 로 칭송하는 시를 짓고 실제 관직( ) ( )崔忠獻 大功者

    을 얻는다 이후 몇 번의 부침이 있었지만 결국 최씨 무신정권에 충성하며.

    고관이 되었는데 무신정권기 유자의 모습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하겠다.

    이제 살펴볼 논시 는 그 자체도 시이지만 시에 관한 이규보의 문( ) ,論詩「 」

    론이라고도 볼 수 있다.

    論詩

    시 짓기에서 무엇보다 어려운 바는 / 作詩尤所難

    말과 뜻이 함께 아름다워야 하는 것이네 / 語意得雙美

    함축하여 뜻이 참으로 깊어야 / 含蓄意苟深

    음미할수록 더욱 맛이 참되네 / 咀嚼味愈粹

    뜻은 있으나 말이 원숙하지 못하면 / 意立語不圓

    난삽하여 바른 뜻을 펴지 못한다오 / 澁莫行其意

    이 중에 중요하지 아니한 것은 / 就中所可後

    문장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일세 / 雕刻華艶耳

    아름다운 문장을 굳이 배제하랴 / 華艶豈必排

    이것 또한 많은 정신 쓰인다네 / 頗亦費精思

    꽃만을 잡고 열매를 버리니 / 攬華遺其實

    43) 호는 백운거사 이고 시호는 문순 이다( ) ( ) .白雲居士 文順

  • - 17 -

    이 때문에 시의 본지 잃게 되느니 / 所以失詩旨

    근래의 시 짓는 무리들은 / 邇來作者輩

    풍아의 깊은 뜻을 저버리고 / 不思風雅義

    외식으로 단청만을 빌려 / 外飾假丹靑

    한때의 기호에 맞추고자 하네 / 求中一時嗜

    뜻은 본래 하늘에서 나오는 것 / 意本得於天

    쉽게 이뤄지기 어렵네 / 難可率爾致

    스스로 어려운 줄 알고는 / 自揣得之難

    그 이유로 겉만을 꾸미고 / 因之事綺靡

    이것으로 여러 사람의 눈을 현혹시켜 / 以此眩諸人

    깊은 뜻이 없음을 엄폐하려 하네 / 欲掩意所匱

    이러한 풍속이 점점 이루어져 / 此俗寖已成

    사문이 땅에 떨어지게 되었네 / 斯文垂墮地

    이백 과 두보 가 다시 나오지 않으니( ) ( ) /李白 杜甫 李杜不復生

    누구와 함께 진위를 분별하리 / 誰與辨眞僞

    나는 허물어진 터를 다시 쌓으려 하는데 / 我欲築頹基

    누구 하나 조그만 힘도 도와주지 않네 / 無人助一簣

    시경 삼백 편을 외운들 / 誦詩三百篇

    어느 곳에서 풍자를 보익 하리( ) /補益 何處補諷刺

    직접 하면 또한 된다고 하겠지만 / 自行亦云可

    외로운 노래에 남들은 반드시 놀릴 것이라네 / 孤唱人必戲44)

    시를 살펴보면 먼저 시는 함축된 뜻 이 아름다워야 함을 주장한“ [ ]”含蓄意

    다 기본적이나마 시의 내용 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곧바로 말. “ ” .

    도 원숙 해야 하고 아름답게 꾸미는 일 도 많은 정신을“ [ ]” , “ [ ]”圓 彫刻華艶

    쓸 일이라고 이야기하며 내용과 형식이 모두 중요함을 주장한다 다만 당.

    시의 문제적 상황으로 추측되는 외식으로 단청만을 빌려 한때의 기호에“

    44) 이규보 국역 동국이상국후집 제 권 민족문화추진회, , 1 , , , 1982.東國李相國集 論詩『 』 「 」

  • - 18 -

    맞추고자 하는 것 은 부정하며 최소한 당시 상황에 대해서일 뿐이라도 다” ,

    시 내용 을 강조하고 있다 이때 이규보가 이야기하는 시의 내용 은 풍“ ” . “ ” “

    자를 통한 보익 이 되어야 하는 것인데 이는 이규보의 시에 대한[ ]” ,補諷刺

    생각이 효용론 적인 것임을 확인시켜준다( ) .效用論

    물론 이규보의 논의는 아직 문도관계에 대한 고민이라고 이야기하기에

    미흡하다 문과 도의 관계를 논의하기보다는 피상적으로 양자 모두의 중요.

    성을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소한 이규보의 이 글에 문도관계에.

    대한 인식이 나타났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최자( , 1188-1260)崔滋 45)는 고려 초기의 명유 최충 의 후손이( ) ( )名儒 崔沖

    다 이규보와 마찬가지로 무신정권 시기인 년 급제했으나 관직생활이. 1212

    순탄치 않았는데 년후 쯤 이규보에게 알려져 출세의 길을 가게 된다, 10 .

    이규보가 무신정권에 자신을 이을 문병 으로 최자를 추천했기 때문이( )文柄

    다 최자는 이규보의 문학관을 이었다고 평가 받는데 이규보와 마찬가지. ,

    로 무신정권에 부역한 당시 유자의 모습을 보인다.

    최자는 문 과 도 라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형식과 내용의( ) ( )文 道

    관계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내용 의 실현을 위해 기괴함이 필요성을 인. [ ]道

    정하여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문과 도가 모두 중요하다는 기존 인식에 머

    물고 있다 다음은 앞서 언급했던 보한집서 의 일부분이다. ( ) .補閑集序「 」

    문 이란 도를 밟아 나가는 문 이니 불경한 말에 간여해( ) [ ]文 蹈道之門

    서는 안 된다 그러나 글을 지을 때 기운을 고무하고 말을 자유롭. [ ]

    게 구사하고자 하면 때로는 듣는 사람을 감동시키기 위하여 혹 험하

    고 괴이한 것에 간여하기도 한다 하물며 시를 짓는 것은 비와 흥과.

    풍유에 바탕을 둠으로 반드시 기궤한 것에 부친 뒤에야 기운이 힘차

    며 뜻이 심원하고 말이 명료해져서 그 시가 보는 이의 마음을 감, [ ]

    동시킬 만하고 은밀한 뜻을 드러내어 마침내 바른 데로 돌아오게,

    45) 호는 동산수 이며 시호는 문청 이다( ) ( ) .東山叟 文淸

  • - 19 -

    된다 시문 을 지을 때 남의 것을 몰래 훔쳐 오고 고치고 꾸. [ ( ) ]詩文

    미는 것에 치우치며 과장되고 요란스러워 절제되지 않는[ ],剽竊刻畵

    것 같은 일은 선비들이 진실로 하지 않는 것들이다[ ] .誇耀靑紅 …46)

    문 이란 도를 밟아 나가는 문 이라 말하며 문과 도의 관계를 직접“ ( ) ( )”文 門

    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 내용에 있어서도 불경 한 상도 에서 벗. “ ” ( )常道–

    어난 말을 거부함으로서 문보다 도가 우선인 것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뜻 이 심원하고 명료하기 위해서는 기궤 한 것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고“ ” “ ”

    주장하며 형식이 필수적임을 말하기도 한다 물론 지나친 꾸밈과 절제가.

    되지 않는 경우는 유자가 할 일이 아님을 분명하게 말하기도 하지만 이미,

    기궤 를 좋은 글의 필수적 요소라고 말해 놓았으니 그가 말하는 꾸밈“ ” “ ”

    이란 새롭지 않으며 기존의 언어를 사용하는 시문의 조탁만을 의미하게

    된다 기궤한 신어의 추구와 시문의 조탁 사이의 근본적 차이는 내용과 형.

    식이라는 면에서 볼 때 근본적으로 의문일 수 있지만 이글을 통해 보자면,

    최자의 경우 시문의 조탁은 부정하되 좋은 시문을 짓기 위해 새로운 언어

    에 몰두하는 작자의 노력은 필수적이라 생각하고 있다 다시 말해 문과 도.

    의 관계는 인식하고 있으나 좋은 시문을 추구하는 일이 비록 기궤한 것, ,

    을 찾는 일이라도 그 자체로 완물상지 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은“ ( )”玩物喪志

    아직 가지고 있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문체 에 대해서는 최자도 한유의 문체를 기준으로 삼고 있( )文體

    다.47) 이를 통해 최자의 문과 도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 내용에 대한 이, -

    해도 어느 정도 한유와 연관된다고 추측할 수 있다.

    46) “ , , . , , . ,文者 蹈道之門 不涉不經之語 然欲鼓氣肆言 竦動時聽 或涉於險怪 況詩之作 本

    , , , , ,乎比興諷諭 故必寓託奇詭 然後其氣壯其意深其辭顯 足以感悟人心 發揚微旨 終歸於

    최자 역주. , , . ” , , ,正 若剽竊刻畵 誇耀靑紅 儒者固不爲也 補閑集 補閑集序… 『 』 「 」

    보고사pp.29-30. ( , 2012.)

    47) 시를 배우는 사람은 율시와 절구에 있어서는 두보를 본받고 악장은 이백을 본받고“ , ,

    고시는 한유와 소식을 본받아야 한다 문사와 같은 것은 각 문체가 한유의 글에 다 갖.

    추어져 있으므로 충분히 읽고 깊이 생각하면 그 체를 가히 얻을 수 있다, . - ,學詩者

    , , . , ,對律句體子美 樂章體太白 古詩體韓蘇 若文辭則各體皆備於韓文 熟讀深思 可得其

    최자 역주 상권 보고사.” , , -38, pp.139-141. ( , 2012.)體 補閑集『 』

  • - 20 -

    최자의 경우 이규보와 비교하자면 보다 직접적으로 문도관계에 대한 언

    어를 사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는 이규보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최자를 통해 이 시기 고려 문인들.

    사이에 문도관계에 대한 초보적 인식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은 분명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임춘 의 호는 서하 인데 생몰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 ?-?) ( ) ,林椿 西河

    않다 다만 년 무신의 난 때 이미 세 전후였던 것으로 보이고. 1170 ( ) 20 ,亂

    대 후반에는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기에 무신정권 초기에 주로 활동했30

    다고 볼 수 있다 임춘은 건국공신 임중간 의 후손으로 문벌 귀족. ( )林仲幹

    이었다 무신란 때 가문 전체가 화를 입어 년간 개성에 은거하다 영남지. 5

    방으로 피신했다 이후 다시 관직을 구하기도 했으나 결국 관로 에는. ( )官路

    오르지 못한다 무신정권에 부역하지 않은 당시 유자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하겠다.

    임춘에게서도 문과 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찾아 볼 수 있다.48) 그도

    이규보 최자 등과 마찬가지로 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좋은 글이 되기 위,

    해서는 형식이 필수적임을 말한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도라는 것은 말을 빌려서 전하는 것이니 서…

    술하는 자는 밝은 사람이고 창작하는 자는 성스러운 사람이며 문은,

    기로써 주를 삼아 마음속에서 작동해서 말에 표현되는 것이니 누른

    빛깔을 빼내어 흰 빛깔과 대우를 지어 서로 자랑하려하는 것이 아니

    라 반드시 꽃을 머금고 씹은 뒤에야 글이 묘하게 됩니다. …49)

    48) 임춘은 사실 이규보나 최자보다 전세대의 인물로 생각해야 하겠지만 활동 연대에 많,

    은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며 생몰년을 확정할 수 없기에 이규보와 최자에 이어 살피겠,

    다.

    49) “ , , , , ,竊以 道假辭而傳 述者明而作者聖 文以氣爲主 動於中而形於言 非抽黃對白以相…

    임춘 한국고전비평론 조남권 박은정 공역, . ”, , 3 , , ,誇 必含英咀華而後妙 上按部… 『 』 「

    민속원, , 2008. p.118.學士啓 代人作闕聯」

  • - 21 -

    도는 말 을 빌어서 전달하는 것이라는 언급은 도가 근본이고 말은 도[ ] ,辭

    의 전달을 위한 도구일 뿐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말의 필수성 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보인다 특히 함영저화 라“ ” . “ ( )”含英咀華

    는 용어에서 이를 생각할 수 있는데 꽃을 머금고 씹는다 는 것은 문장, “ ”

    의 묘처 를 잘 음미 하여 가슴속에 새겨 둔다는 뜻이기 때( ) ( ) ( )文章 妙處 吟味

    문이다 이 때 묘처 란 문장의 내용보다는 그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는. “ ”

    형식적인 부분을 뜻하는 것이기에 전체적으로 도의 강조라기보다는 그 도

    를 전달하기 위한 말 형식의 필수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하겠다 임춘의- .

    경우도 대우 를 비판하는 모습을 통해 조탁을 긍정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

    확인할 수 있지만 여전히 내용보다는 문장의 형식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

    도 확인할 수 있다.

    임춘도 문체에 있어서는 한유를 강조하고 있다 타인에 대한 평가에서.

    글씨는 안진경의 경지에서 머물고 문은 한유의 경지에서 머물고 시“ , ,…

    는 두보의 경지에서 머물렀다. ”… 50)는 언급을 찾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문의 기준을 한유로 생각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최자의 경우와 마찬가.

    지로 문도관계에 있어서도 한유의 영향을 받았음을 추측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성리학 전래 이전 고려에도 문도관계에 대한 초보적 인식이 있

    었음을 확인했다 그 내용은 한유문의 유행을 통해 고려에 전해졌던 고문.

    운동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데 글에 있어 형식과 내용을 구분해 생각하,

    며 기본적으로 내용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다만 그 이유는 내.

    용 도의 우위를 이야기한다는 것보다는 당시의 문풍을 과도한 조탁 등 형-

    식이 지나친 상태로 규정하고 그 상황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었다 결국, .

    문과 도의 관계 자체에서는 도 내용 을 강조한다 해도 그 전달을 위해서“ - ” ,

    는 기궤 함영저화 등과 연관하는 특별한 문 형식 을 인정 강조하거“ ”, “ ” “ - ” ,

    나 내용은 결국 문 형식을 통해 드러날 수밖에 없음을 강조하는 모습이, -

    50) 임춘“ , , . ”, , , , .書止安 文止韓 詩止杜 西河集 西河先生集卷第六 謝金少卿啓… … 『 』 「 」

    문집총간본.

  • - 22 -

    었다.

    이 부분에서 한 가지 더 확인할 것은 일반적으로 이 시기의 문인들은 결

    코 유교 중심의 사고를 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유교는 실질적 필요를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했다는 점이다 사회 전체적인 이념은 유교와 불교. ,

    경우에 따라서는 도교의 사상을 융합하는 것이었고 그 중에서도 사실상

    불교가 전면에 있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렇기에 앞서 살펴본 문도관계의 도 도 유가적 도의 강조라 보기는 힘“ ”

    들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형식과 내용에 있어 내용을 강조한다고 했을 때.

    그 내용이란 삼교 어디에도 통용하는 일반적인 선 의 수준에 머물 수“ ( )”善

    밖에 없었다 이때 이들이 시문과 관련하여 형식과 내용의 관계를 논의한.

    이유는 내용이 있는 글 즉 좋은 글 가치 있는 글 을 쓰는 방법에 대, “ ”, “ ”

    해 이야기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 시문에 있어 내용과 형식의 관계를 고민하는 최소한의

    인식이 등장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는 다음 시기 성리학이 전래되면.

    서 문도관계에 대한 논의의 외연과 깊이를 더해가는 출발점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성리학 전래에 따른 문론의 변화과 그 실천 내면화1.2. –

    의 한계

    무신 정권 시기 유가의 몰락은 다음 세대에까지 그대로 영향을 미치는데,

    다음은 원 간섭기에 고려 유가의 상황을 노래한 안향( ) ( ,元 安珦

    의 시이다1243-1306) .

    學宮

    곳곳마다 향등으로 모두 불공 드리고 / 香燈處處皆祈佛

    집집마다 풍악으로 다투듯 푸닥거리라. / 簫管家家盡祀神

  • - 23 -

    오직 두어 간 공자님 사당만은 / 獨有數間夫子廟

    가을 풀 뜰에 가득 사람 없어 쓸쓸하여라. / .滿庭秋草寂無人 51)

    짧은 시지만 무신정권 이후 피폐한 고려 유가의 상황을 불교 도교 무속, -

    신앙의 상황과 대비하여 잘 그려내고 있다 이런 유자의 반성은 유가 재건.

    을 위한 노력 성리학의 도입으로 연결된다, .

    무신정권 시기 몰락했던 유가는 년 개경환도 이후 원 간섭기를 통해1270

    재건에 노력을 기울인다 충선왕 재위 과 이제현. ( , 1308-1313) (忠宣王 李齊

    의 다음 이야기는 무신정권기 유가의 몰락과 이후 재건의, 1287-1367)賢

    방향을 보여준다.

    또 충선왕이 이제현에게 묻기를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중국의 문[ ] “

    물을 본받았다고 알려졌는데 지금의 학자들은 모두 중을 좇아서 장,

    구나 익히고 있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조충전각하는 무리들이 많아.

    지고 경서에 밝고 덕행을 닦는 선비들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데 그, ,

    까닭이 무엇입니까 라 했다 이제현이 대답하기를 불행하게도” . “ …

    의종 말년에 무인들의 변란이 갑자기 일어 향기로운 풀과 악취를,

    내는 풀이 같은 냄새를 뿜고 옥과 돌이 함께 불탔습니다 그 중 호, .

    랑이 입에서 벗어난 자는 깊은 산으로 달아나 유자가 쓰는 의관과

    띠를 벗어버리고 중의 가사를 입고서 남은 생애를 보냈으니 신준, ‧

    오생 같은 부류가 이런 사람입니다 그 후에 국가가 차츰 문인을 쓰.

    는 정책을 회복하자 선비들이 비록 배움을 원하는 뜻이 있어도 좇,

    아 배울 수 있는 바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감발을 하고 먼 곳으로. [ ]

    찾아가 깊은 산으로 도망쳐 가사를 입고 살아가고 있는 자에게 배,

    우는 것을 면치 못했습니다 그러므로 신은 배우는 자들이 중을. …

    좇아 장구를 익히게 된 것은 그 원인이 대개 이로부터 비롯되었다

    고 말하겠습니다 지금 전하께서 진실로 학교를 넓히고 상서를 경건.

    51) 안향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 , , 2007.學宮「 」 『 』

  • - 24 -

    하게 하며 육예를 높이고 오교를 밝혀서 선왕의 도를 널리 펼치신,

    다면 참된 선비를 멀리하고 중을 좇으며 실학을 버리고 장구를 익, ,

    히는 자가 누가 있겠습니까 그렇게 되면 장차 조충전각의 무리들? [ ]

    이 모두 경서를 밝히고 덕행을 닦는 선비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라 했다” . …52)

    충선왕은 당대의 문학이 경서 를 멀리하고 사장 을 추구하고 있( ) ( )經書 詞章

    는 점을 문제라 생각하고 그 원인을 이제현에게 묻고 있다 이제현은 그.

    이유로 무신정권 시기의 폭압을 드는데 이 시기 유가가 몰락했기에 제대,

    로 된 스승과 학문의 공간이 남지 않았고 이후 제대로 된 유학을 추구하

    려해도 그럴 수 없었다고 이야기한다 또 이는 학교 상서의 확충과 학교. ,

    에서의 경전 강조 정치적 지원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변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현의 이 말은 사실 잘못된 것이다 역사적 사실을 떠나. .

    이 글만 놓고 보더라도 그런데 무신란의 영향으로 유자가 산중에 처했을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그들의 학문이 갑자기 명경 에서 사장으로 바( )明經

    뀌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산속으로 피신한 선비들은 무.

    신란 이전에도 이미 조충전각에 집중하며 장구나 익히고 있었기에 무신정

    권기가 지나간 이후에도 이것 밖에 가르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무신란 이.

    전부터 고려의 주류 유학은 사장 중심이었다 이는 무신정권이라는 외부.

    요인과 함께 유가의 몰락을 일으킨 유가의 내부적 요인이라고 하겠다.

    충선왕에게 이야기한 답변은 사실과 차이가 있었지만 이제현은 유가의,

    52) “ , , , .又問臣曰 我國古稱文物侔於中華 今其學者 皆從釋子以習章句 是宜雕蟲篆刻之徒寔

    , , . , , ,繁 而經明行修之士絶少也 此其故何耶 臣對曰 不幸毅王季年 武人變起所忽 薰蕕…

    , . , , , ,同臭 玉石俱焚 其脫身虎口者 遯逃窮山 蜕冠帶而蒙伽梨 以終餘年 若神駿悟生之流

    . , , .是也 其後國家稍復用文之理 士子雖有願學之志 顧無所從而學焉 未免 ( )裏 裹 ,足遠尋

    , . , .蒙伽梨而遯窮山者 以講習之 故臣謂學者從釋子習章句 其源盖始于此 今殿下誠能…

    , , , , , ,廣學校 謹庠序 尊六藝 明五敎 以闡先王之道 孰有背眞儒而從釋子 捨實學而習章句

    이제현 역주 역옹패설. , . ”, , ,者哉 將見雕蟲篆刻之徒 盡爲經明行修之士矣 前集… 『 』

    박성규 역 보고사 박성규의 책에는 밑줄친 부분이 리 로 인-14, ( , , 2012) pp.64-68. ( )裏

    쇄되어 있으나 한국고전번역원 원문 이미지 파일 고전번역본 익재난고 역옹패설 상, (“ ”

    의 이미지 파일 쪽 을 확인하면 과 로 되어 있다 의미상 과 가 적합하다37 ) ( ) . ‘ ’ .裹

  • - 25 -

    재건을 위해 경서 중심의 유학을 활성화시킬 것을 주장했고 그 유학은 바,

    로 성리학 이었다 이 시기에는 이미 백이정( ) . ( , 1247-1323),性理學 白頤正

    권보 등에 의해 고려에도 성리학이 어느 정도 알려져( , 1262-1346)權溥

    연구되고 있었다.

    고려 성리학의 흥기와 성격1.2.1.

    안향이 고려에 주자서 를 베껴 왔다는 것이 년이다 북송으로( ) 1290 .朱子書

    부터 성리학이 도입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만약 그렇다 해도 안향 시기까,

    지 성리학이 별다른 사회적 역할을 하지 못했기에 적어도 이 글의 맥락에

    서는 북송전래설은 의미가 없다고 하겠다 이후 백이정 권보 등을 통해. ,

    성리학이 확산53)되었으니 세기 중반부에는 고려 내에서도 성리학이 상14

    당히 알려져 있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성리학은 개혁의 필요.

    성을 느낀 일부 유자들 특히 현직에 있던 유자들에 의해 도입된 것이었,

    다 아직 관직에 나아가지 못했거나 나갈 생각이 없는 유자들의 경우 성. ,

    리학의 도입 자체에서 실질적 흥미를 느끼지는 못했을 것이다 성리학이.

    고려 전체의 유자들에게 기존 유학을 대체할 유일한 것으로 인식되어 실

    질적 흥기 를 이루지는 못했을 것이라는 말이다( ) .興起

    하지만 원 간섭기가 지나 고려 말기에 이르면 실제 고려 유학은 성리학

    일변도의 모습을 지니게 된다 즉 그 사이 성리학의 실질적 흥기가 있었다.

    는 것이다 이런 성리학의 실질적 흥기는 그 수요자들의 실질적 필요에 의.

    한 것일 텐데 고려 말기 유학을 성리학 일변도로 만든 원인 실질적 필요, ,

    중 한 가지로 우선 원의 과거시험을 생각할 수 있다.

    원의 과거는 인종 연우 원년 고려 충숙왕 원년 부터 실( ) ( ) (1314, )仁宗 延祐

    시되었는데 이십 년의 채 못돼 정치적인 요인으로 순제 지원, ( ) ( )順帝 至元

    53) 권보는 사서집주 의 간행을 건의하였고 이는 충숙왕 재위( ) , ( 1313-1330,四書集註『 』

    때 실행되었다1332-1339) .

  • - 26 -

    원년 충숙왕 후 년 월에 폐지되었다 그 후 년이 지난 지정(1335, 4 ) 11 . 5 (至

    년 충혜왕 후 원년 월에 회복되어 순제 지정 년 공) 6 (1340, ) 12 25 (1365,正

    민왕 까지 도합 향시 회 회시와 전시는 회가 실시되었고 명14) 17 , 16 1139

    의 진사를 선발하였다 고려 정동행성에서 실시되었던 향시는 인종 연우.

    원년 충숙왕 원년 보다 한해 늦은 연우 년 충숙왕 년 부터(1314, ) 2 (1315, 2 )

    시작되었고 순제 지정 년 고려 공민왕 년 까지 번 실시되었13 (1353, 2 ) 12

    다.54)

    원대의 향시에는 지역별로 인종별로 인원제한 명액 이 있었다 정, - ( ) .名額

    동행성의 향시에는 기본적으로 몽고인과 색목인의 명액이 있었지만 실제

    응시하는 사람이 없었기에 대부분의 경우 지역에 배정된 명의 향공진사3

    를 모두 고려인으로 낼 수 있었다 실제로 충숙왕 년( ) . 2 (1315),鄕貢進士

    충숙왕 년 충숙왕 년 충혜왕 년 충목왕 년7 (1320), 10 (1323), 5 (1344), 3

    에 각각 명의 고려인 향시 합격자를 배출했다 그러나 회시에 합격(1347) 3 .

    할 수 있는 인원은 명으로 한정되어 있었고 급제자를 배출하지 못했던1

    때도 두 번이나 있었다 또 성리학의 흥기에 과거의 실시만큼 중요한 것은.

    그 시험 과목일 것인데 원대 과거의 시험 과목으로는 한인 과 남인, ( )漢人

    은 삼장 을 보았다 이때 고려인은 한인으로 분류되었다 제 장( ) ( ) . . 1南人 三場

    은 명경 경의 문을 포함하고 경의 도 다 제 장은( ), ( ) 2 ( ) 1 ( ) . 2明經 經疑 經義 道

    고부 조고 장표내과 도인데 고부와 조고는 고체( ) ( ) ( ) 1 (古賦 詔誥 章表內科 古‧ ‧

    를 썼고 장표는 사육문과 고체를 섞어 사용하였다 지정 연간에 이르러) .體

    제 장에서 책문 도를 시험 보았다3 ( ) 1 .策問 55) 과거 시험 과목 자체가 경서

    의 공부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 .經書

    고려인이 원의 과거에 급제한 경우 기본적으로 원나라에서 관직 생활을

    해야 했다 원의 관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정 기간 동안 원나라에서. .

    관직생활을 하면 본인들이 귀국을 원할 때는 언제든지 돌아갈 수 있었으

    54) 배숙희 와 의 및 동양사학연구, , 104, 2008,元代 科擧制 高麗進士 應擧 授官「 」 『 』

    pp.125-126.

    55) 배숙희 와 의 및 동양사학연구, , 104, 2008,元代 科擧制 高麗進士 應擧 授官「 」 『 』

    pp.128-130.

  • - 27 -

    며 특히 고려와 원의 특수한 정치적 관계로 원나라에서 진사과에 급제하, ,

    거나 관직생활을 한 경력은 대체로 고려에서의 승진에 이점이 있었고 그

    런 경력이 있는 사람은 출세가도를 달릴 수 있었다.56)

    년 정동행성에서 향시가 시작된 이래로 비교적 꾸준히 안정적으로1315 ,

    원의 과거가 유지되었기에 더구나 원의 과거에 급제한다는 것은 원나라의,

    관직을 얻는 것일 뿐만 아니라 고려에서의 출세를 보장하는 길이 되었기

    에 고려의 능력 있는 사인들은 원의 과거를 염두에 둘 수밖에 없었다 또.

    이 원의 과거는 경서의 이해를 기본으로 하고 있었기에 고려의 사인들 사

    이에는 기존 사장 중심의 유학이 아닌 경서를 기본으로 하는 성리학이 유,

    행하게 된 것이다 이 원의 과거 제도가 세기 전반 이후 고려에 성리학. 14

    의 흥기를 가져온 실질적 이유 가운데 한가지라 할 수 있다.

    공민왕 재위 은 중국 역사로 보자면 원명 교체( , 1351-1374) ( )恭愍王 元明

    기에 고려의 왕으로 재위하며 고려의 개혁에 힘썼다 당시 고려의 권력은.

    과거로부터의 문벌 무신정권기 이후 등장한 권문세족 원 간섭기에 등장, ,

    한 부원배에 의해 전횡되고 있었다 공민왕은 원나라의 힘이 약해진 것을.

    이용해 기존의 부패한 권력을 몰아내고 다시 안정된 국가를 건설하기를

    원했으며 이때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연합한 대상이 신진사류, “ (新進

    였다 물론 이 신진사류 역시 완전히 새로운 가문 출신으로 기존의)” .士類

    권력과 무관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들은 기존의 권력에 비해 최소한.

    당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개혁의 의지를 지니고 있었으며 성,

    리학이 이 신진사류의 이념적 기반이었다 개혁 과정 가운데 신돈. ( ,辛旽

    이라는 승려의 등용으로 신진사류와 공민왕 사이가 소원해지기는?-1371)

    했지만 몇 가지 공민왕의 개혁정책은 고려 내에 신진사류를 성리학을 강, ,

    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성리학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도 했는데 바로 성균관에서의 성리학 교육이다, .

    56) 배숙희 와 의 및 동양사학연구, , 104, 2008,元代 科擧制 高麗進士 應擧 授官「 」 『 』

    p.150.

  • - 28 -

    성균관은 국가최고의 학부기관으로 고려 충렬왕 때인 년 기존의 국1289

    자감 에서 성균 으로 이름을 바꾸며 시작된다 년 충선( ) “ ( )” . 1308 (國子監 成均

    왕 년 다시 이름을 성균관 으로 개칭한다 공민왕 년 년1 ) “ ( )” . 5 (1356 )成均館

    이름을 잠시 국자감 으로 바꾸지만 년 다시 성균관으로 개칭하며 조“ ” 1362

    선까지 이어진다 공민왕의 성균관 개혁은 단지 이름만 바꾸는 것이 아니.

    라 담당 관리를 규정하고 전체 교육 내용을 성리학적으로 바꾸는 것이었

    다.57)

    당시 성균관의 분위기와 성리학에 있어서의 역할은 권근이 남긴 이색의

    행장 목은선생이문정공행장 을 통해 확인할 수( ( ) )牧隱先生李文靖公行狀「 」

    있다.

    목은 이색은 본국에서 판개성 겸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 당초[ ] .…

    신축년 병란을 겪은 후에 학교가 폐이되었으므로 임금은 이를 부흥,

    시키려고 성균관을 숭문관의 옛 터에 다시 시작했다 강의를 할 사.

    람이 적었기 때문에 당시의 경술을 잘하는 선비를 뽑았으니 영가,

    김구용 오천 정몽주 반양 박상충 밀양 박의중 경산 이숭인 같은 사람‧ ‧ ‧ ‧

    들인데 모두 다른 관직에 있으면서 학관을 겸하게 했으며 공 이색, , [ ]

    으로써 그 장을 삼았으니 대사성을 겸직한 것도 공으로부터 시작되

    었다 이듬해 무신년 봄에는 사방에서 학자들이 모여들어 제공이 경.

    서를 나누어 수업했다 매일 강의가 끝나면 서로 어렵고 의심나는.

    57) 공민왕 년 에 다시 국자감으로 이름을 바꾸고 대사성은 정 품 좨주는 종“ 5 (1356) 3 , 3…

    품 사업은 종 품 직강은 종 품 국자박사는 정 품 태학박사는 종 품 사문박사와 명, 4 , 5 , 7 , 7 ,

    경박사는 모두 정 품 율학박사는 종 품 학정과 학록은 정 품 직학 학유 서학박사 명8 , 8 , 9 , · · ·

    경학유 산학박사 율학조교는 종 품으로 정했다 년에 다시 성균관이라 이름을 바꾸고· · 9 . 11

    사업은 사예로 국자박사는 성균박사로 사문박사는 순유박사로 고치고 품질을 종 품으, , 7

    로 올렸다 년에 좨주를 사성으로 고쳤다. 18 . ( , ,恭愍王五年 復稱國子監 大司成正… …

    , , , , , ,三品 祭酒從三品 司業從四品 直講從五品 國子博士正七品 大學博士從七品 四門博

    · , , , · , · · ·士 明經博士 並正八品 律學博士從八品 學正 學錄正九品 直學 學諭 書學博士 明經學

    · · . , , , ,諭 算學博士 律學助敎從九品 十一年 復稱成均館 改司業爲司藝 國子博士爲成均博士

    국역 고려사 백관지, . , . )”, , -四門博士爲諄諭博士 陞從七品 十八年 改祭酒爲司成 … 『 』 「

    성균관 경인문화사 인터넷판, , 2011. ( )」

  • - 29 -

    것을 논의하여 각각 그 극진함을 다하였다 이때에 공은 화평한 표. [ ]

    정으로 가운데 위치하여 변석하고 절충하여 정주의 뜻에 부합되도록

    반드시 힘썼으니 밤새도록 지칠 줄을 몰랐다 이로부터 우리나라의, .

    성리학이 크게 일어났었고 학자들은 그 기송사장의 습관을 버리고,

    신심성명의 이치를 연구했으며 성리학 을 높일 줄 알고 이단에, [ ]斯道

    미혹되지 않았으며 의리를 바로하려하고 공리를 도모하려 하지 않,

    았으므로 유풍과 학술이 찬란히 새로워졌으니 이는 모두 선생이 가,

    르친 힘 때문 이었다[ ] . …58)

    이색 본인도 원의 과거에 급제했을 정도로 성리학에 능했다는 점 경술에, “

    능한 선비 를 뽑아 강의를 맡긴 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성균관에서 주로”

    연구되었던 것은 성리학이었다 이 과정에서 기송사장의 습관을 버리고. “

    신심성명의 이치 를 연구하는 성리학이 고려 말기 유학의 주류로 자리 잡”

    게 된다 또한 성균관은 신진사류들이 연합하고 강화하는 공간이 되며 이. ,

    후 지속적으로 신진사류를 배출하는 근원이 되기도 하는데 이 또한 이 시,

    기 성리학 흥기의 한 가지 이유라고 하겠다.

    이에 더해 고려 과거 제도의 변화도 나타났다 고려 말 과거 시험 제도는.

    사장을 배척하고 경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고려사 선거지. 『 』 「 」

    의 과목 을 통해 당시의 변화를 확인하겠다.「 」

    충렬왕 년 월 국왕이 문신을 친시하여 황패를 내려주고6 (1280) 5 . ,

    내시에 소속시켰다 국왕은 시문 에 뜻을 두어 때로는 여. ( ) [ ]詩文 留意

    58) “ , . , . , ,以本國判開城 兼成均大司成 初 自辛丑經兵之後 學校廢弛 王欲復興 改創成…

    . , , ,均于崇文館之舊址 以講授員少 擇一時經術之士若永嘉金九容 烏川鄭夢周 潘陽朴尙

    , , , , , , .衷 密陽朴宜中 京山李崇仁等 皆以他官兼學官 以公爲之長 兼大司成 自公始也 明

    , , . , , .年戊申春 四方學者坌集 諸公分經授業 每日講畢 相與論難疑義 各臻其極 公怡然中

    , , , . ,處 辨析折衷 必務合於程朱之旨 竟夕忘倦 於是東方性理之學大興 學者祛其記誦詞章

    , , , ,之習 而窮身心性命之理 知宗斯道而不惑於異端 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