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8 스마트폰 앱 개발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1. 개요 스마트폰과 더불어 무선인터넷은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이미 유선 인터넷은 직장, 가정과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삶의 필수요소가 되었으며, 인터넷을 이동 중에도 사용하고 싶은 욕구는 고도화된 무선통신 인프라와 스마트폰의 출현 그리고 다양한 모바 일 콘텐츠를 기반으로 현실화 되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스마트폰으로 날씨와 주요 스케줄을 확 인하고 출근하는 지하철에서 주요 뉴스를 확인하는 등 외부에서도 자유롭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례는 일상적인 사례로 대중들에게 점차 보편화 되고 있다. 스마트폰 시대로의 진입은 유무선 통합서비스와 더불어 콘텐츠 기반 통신산업의 거대한 패 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 네트워크사업자는 유무선이 분리되어 있던 시장과는 달리 새로운 경쟁자들과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아울러 애플과 구글의 모바 일 콘텐츠 플랫폼을 중심으로 모바일 생태계의 가치사슬의 변화는 기존의 네트워크 사업자들의 가치사슬 붕괴와 더불어 콘텐츠 및 무선인터넷 업체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확산에 대한 전망치는 대폭 수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5 년 전세계 스마트 폰은 6.2억 대를 돌파하며 연평균 25% 성장(Koda Research Consultancy, 2010)과 더불어 2012 년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연평균 102.4%의 성장을 통해 전체 휴대폰 사용자의 46.3%에 해당하는 2,500 만 명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KT 경제경영연구소, 2010). IT 기획시리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1. 개요 2. 스마트폰 개발자 지원방안 현황 3. 스마트폰 개발자 지원정책의 한계 4. 개발자 지원방안의 개념적 모형 제시 5. 결언 김동우 KT 무선데이터사업본부 매니저 [email protected]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KT 개인고객부문 무선데이터사업본부 김동우(☎ 010-6655-9191)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NIPA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스마트폰 앱 개발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스마트폰 앱 개발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1. 개요 ... 의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e.g.게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주간기술동향 2011. 2. 11.

8

스마트폰 앱 개발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1. 개요

스마트폰과 더불어 무선인터넷은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이미 유선

인터넷은 직장, 가정과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삶의 필수요소가 되었으며, 인터넷을 이동

중에도 사용하고 싶은 욕구는 고도화된 무선통신 인프라와 스마트폰의 출현 그리고 다양한 모바

일 콘텐츠를 기반으로 현실화 되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스마트폰으로 날씨와 주요 스케줄을 확

인하고 출근하는 지하철에서 주요 뉴스를 확인하는 등 외부에서도 자유롭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례는 일상적인 사례로 대중들에게 점차 보편화 되고 있다.

스마트폰 시대로의 진입은 유무선 통합서비스와 더불어 콘텐츠 기반 통신산업의 거대한 패

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 네트워크사업자는 유무선이 분리되어 있던 시장과는

달리 새로운 경쟁자들과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아울러 애플과 구글의 모바

일 콘텐츠 플랫폼을 중심으로 모바일 생태계의 가치사슬의 변화는 기존의 네트워크 사업자들의

가치사슬 붕괴와 더불어 콘텐츠 및 무선인터넷 업체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확산에 대한 전망치는 대폭 수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5년 전세계 스마트

폰은 6.2 억 대를 돌파하며 연평균 25% 성장(Koda Research Consultancy, 2010)과 더불어

2012 년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연평균 102.4%의 성장을 통해 전체 휴대폰 사용자의 46.3%에

해당하는 2,500만 명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KT경제경영연구소, 2010).

18IT 기획시리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④

1. 개요

2. 스마트폰 개발자 지원방안 현황

3. 스마트폰 개발자 지원정책의 한계

4. 개발자 지원방안의 개념적 모형 제시

5. 결언

김동우

KT 무선데이터사업본부 매니저

[email protected]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KT 개인고객부문 무선데이터사업본부 김동우(☎ 010-6655-9191)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NIPA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④

9

이는 연초에 국내 시장규모가 200만 대 수준이 될 것이라 예상했던 예측보다 약 3배 많은

수치이다. MWC(Mobile World Congress) 2010년 기간 동안에도 확인할 수 있었듯이 현재 스

마트폰 시장의 확산 속도는 일반적인 예상치를 넘어서고 있다. 북미 모토로라, 중국화웨이, 스웨

덴 에릭슨 등은 2011년 휴대폰 시장의 30%가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에

릭슨의 경우 2015년 스마트폰 시장을 현재의 4배를 초과하는8~9억 대 수준으로 전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시장의 확산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해 무선 데이터 사용량은 전세계적으로 폭발하고 있다. Morgan

Stanley에 따르면 2009년 대비 2014년에는 모바일 트래픽 양이 39배 늘어날 것이고 대부분

은 영상 데이터가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국내에 아이폰을 도입한 KT 의 경우 아이폰 도입전과 비교하여 6 개월만에 3G 트래픽이 3

배 가까이 증가하였다(KT, 2010). 이는 다른 콘텐츠 플랫폼 사업자보다 애플스토어의 다양하고

유용한 애플리케이션과 아이폰의 직관적인 단말 UI를 통해 아이폰 사용자들의 자연스러운 무선

인터넷 사용을 주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2009년 11월 국내 아이폰의 출시로 촉발된 스마트폰 전쟁은 우리나라 통신시장 환경에 많

은 영향을 끼쳤다. 콘텐츠 오픈마켓이 모바일 시장에 도입됨에 따라 기존 네트워크 사업자 중심

의 Walled Garden(네트워크사업자 주도의 휴대폰 콘텐츠 공급구조) 형태의 BM은 점차 붕괴되

고 콘텐츠 플랫폼 사업자(Apple, Google, MS, Nokia)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앱스토어라는 오픈마켓의 도입은 콘텐츠 선택의 주도권이 네트워크사업자로부터 소비자와

콘텐츠 개발자에게 넘어감에 따라 중간단계 없이 생산자와 소비자의 직거래가 가능하게 되었으

<자료>: KT경영연구소 2010. 1.

(그림 1) 아이폰이 가져온 모바일 환경의 변화

주간기술동향 2011. 2. 11.

10

며,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많은 효용을 가져다 주었다. 한편, 네트워크 사업자는 오픈마

켓에서의 역할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피처폰 중심의 사업구조와 조직을 스마트폰 중심의 체질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자체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을 통해 플랫폼 사업자와의 경쟁에 대처하고 있다.

앱스토어와 같은 플랫폼 비즈니스는 기업이 구축한 인프라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 3의 업

체(개인 또는 기업)들이 마치 플랫폼처럼 이용/참여하면서 그 위에서 영리 추구를 가능하게 하

는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이다. 애플의 앱스토어는 애플이 구축한 앱스토어에 개발자(개인 또

는 기업)로 등록한 대상은 누구나 애플이 제조하여 공급하고 있는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등

의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e.g.게임, SNS, eBook, 유틸리티 등)을 직접 개발하

여 등록 및 판매함으로써 영리 또는 홍보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애플은 유료 콘텐

츠 판매금액의 30%를 인프라 사용 수수료로 받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오픈마켓을 통해 개발자와 플랫폼사업자가 상생할 수 있는 모습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관

점에서 흥미를 끌고 있다. 더욱이, Business Week(2009)에 따르면, 앱스토어 시장은 2014년에

는 250 억 달러 규모가 될 정도로 눈부신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실제로, 앱스토어는 해외기업

(Apple, Google, MS, RIM, Nokia)뿐 아니라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KT, SKT, LGU+)도 오픈하

여 서비스 홍보 및 콘텐츠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장밋빛 청사진에도 불구하고 해외 콘텐츠 플랫폼의 국내 시장 잠식으로 인한 국내 모

바일 콘텐츠 SW 의 경쟁력 약화뿐 아니라 나아가 우리나라 IT 산업 전반에 있어서 SW 산업의

근본이 흔들릴 수 있다는 관점에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KISDI 강홍열[1] 등의 연구에서는

모바일 시장이 안정적 네트워크 연결보다는 콘텐츠 서비스(애플리케이션과 무선 데이터)의 경쟁

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SW 경쟁력의 취약성은 국가 경쟁력에 취약점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네트워크사업자 역시 가치사슬의 붕괴에 따른 새로운 고객가치 창출을 위해 스마트폰 확산

을 통한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폰 판매 활성화를 위해 풍부한 양질의

콘텐츠 공급으로 스마트폰의 효용가치는 높아지고 이는 다시 가입자의 증대에 따른 콘텐츠 시장

의 확대와 더불어 개발자들은 더 많은 콘텐츠를 시장에 공급함에 따라 시장이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KT, SKT, LGU+)는 선순환 구조에 있

어서의 핵심요소가 양질의 애플리케이션 확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수한 개발자 확보 및 지원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④

11

2. 스마트폰 개발자 지원방안 현황

미국에서는 애플ㆍ구글이 모바일 플랫폼인 OS 시장을 선도하며, 관련 콘텐츠와 SW를 개발

하는 기업을 벤처 캐피털 업체들이 지원하여 양질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

며,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차세대망에 투자를 본격화하는 선순환 구조가 이미 가동되고 있다. 아

울러 여러 이통사 및 단말제조사의 앱스토어를 강화하기 위해 OS 의 소스를 개방하고 개발자

우호적인 SDK를 배포 하는 등 친 개발자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2009년 10월 17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무선망에서도 개방

및 중립성의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밝히면서 오픈 디바이스, 오픈 애플리케이션을 전제조건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오픈디바이스, 오픈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사가 직접 제공하지 않는 단말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무선망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월드가든(Walled

Garden)으로 불리는 이동통신사의 폐쇄적 무선망 운영정책을 개방과 중립으로 유도하고 이동통

신사가 막강한 파워를 유지해온 모바일 생태계에서 소외되었던 새로운 모바일 시장의 참여자들

의 활발한 참여를 이끄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이동전화 사용자 중 83%인 9,347 만 명이 무선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수치는

일본에서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이미 활성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NTT

DoCoMo의 i-mode 서비스 가입자가 도코모의 고객을 바탕으로 높은 퀄러티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무선 인터넷 사용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au 의 EZ-web 가입자도 2,704 만 명으로

29%, 소프트뱅크의 yahoo! Keitai 서비스 사용자도1,735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높은 모바일인터넷 사용의 배경에는 이동통신사들의 피처폰 기반의 무선인터넷 요금

제, CP와의 상생정책 기반으로 월드가든 형태의 다양한 콘텐츠 사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아이폰으로 인한 스마트폰 쇼크로 인해 소프트뱅크 이외의 통신사에서도

스마트폰 도입 및 스토어 활성화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자체적인 스토어 운

영 또는 앱 개발자에 대한 지원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행 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는 스마트폰

과 비교해서 아이모드와 같은 폐쇄형 콘텐츠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콘텐츠의 종류가 상대적으로

<표 1> 일본 주요통신사 이동전화 및 모바일 인터넷 가입자 (단위: 만 명)

주요 이통사 DoKoMo KDDI Softbank Emobile 합계

이동통신 가입자 수 5,624 3,198 2,209 241 11,271

모바일인터넷 가입자 수 4,903 2,704 1,735 5 9,347

모바일인터넷 가입비율 87% 85% 79% 2% 95%

<자료>: TAC, 2010. 4.

주간기술동향 2011. 2. 11.

12

한정되어 있고 통신사가 플랫폼을 독점하고 있었으므로 서드파티나 개인 개발자들에 대해 스마

트폰용 콘텐츠 개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20].

애플 아이폰 출시에 따른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앱스토어 오픈(2008. 7)에 따라 세계 모바

일 시장에 혁명적 변화가 초래되고 있으며, 급변하는 모바일 시장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1

인 창조기업에게 새로운 도전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기청은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모바일 1 인 창조기업 육성대책’을 2010 년 3 월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발표하고 신규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15].

최근 모바일 시장 확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양성 및 앱 개발 지원을 위해 2011 년

4월 전국의 주요 대학 등에 11개 앱 창작터를 지정하여 2011년 6월부터 앱개발자 양성과정을

개설 운영 중에 있으며, 앱 창작터를 수료한 수강생을 실전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해 SKT, KT 등

앱스토어 사업자와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등 대기업과 상생협력방안 등도 추진 중이다.

Open API는 특정 프로그램을 개발한 개발자가 다른 개발자들이 그 프로그램을 쓰거나 이를

기반으로 다른 프로그램 개발이 용이하도록 프로그램의 API 를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픈

API 는 개발자의 아이디어와 접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매시업 서비스 개발 및 기존 서비스와는

차별적이고 재미있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관점에서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된다.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은 생활에 필요한 공공 정보들을 Open API 방식으로 개방하여 다

양한 서비스들과의 결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 상승을 기대하고 있으며, 버스 운행 정보, 위해식품

정보, 취업정보, 우편번호, 문화재 정보 등을 활용한 앱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면서 많은 편익을

가져다 주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공공 API 공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속에

이를 효율적으로 찾고 활용법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은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표 2> 국내 앱 개발자 지원정책

구분 주력OS 개발지원

SMAC 애플, 안드로이드 민ㆍ관ㆍ연의 13개 기관 합동 개발자 지원기관 Open API, S/W모듈, 전문가협력채널, 커뮤니티 운영

SKT 안드로이드 T아카데미 무료교육, 안드로이드 공모전 T스토어 펀드운영, T스토어 강화전략

KT 애플, 안드로이드 에코노베이션사업(앱개발, 등록, 검수, 판매, 교육, 인프라 제공) 모바일앱 펀드운영, 앱개발 공모전, WAC 해외판매 지원, 단말 확대(TV, Tablet)

LGU+ 안드로이드, MS 오즈스토어 등록, 검수 무료 오즈스토어 펀드운영, CP 테스트룸 제공

삼성전자 바다 바다 개발센터(오션), 바다 앱개발, 등록, 판매 지원 바다개발자데이(공모전)

<자료>: 각사 홈페이지 및 정책발표 재구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④

13

3. 스마트폰 개발자 지원정책의 한계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의 국내 확산에 따라 스마트폰 열풍이 불고 있다. SW 개발자 특히 1

인 개발자의 성공사례가 소개되며 정부, 통신사, 인터넷포털까지 스마트폰 개발자 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이디어만 있으면 전세계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자로서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는 다시 말하면 전세계 개발자들과 우리나라

개발자들 간의 무한경쟁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직까지는 앱개발에 대한 수요가 개발자 공급을 앞서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지만 산ㆍ학ㆍ

연계와 다양한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자가 늘어남에 따라 앞으로 그 상

황은 역전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되는 앱은 주로 앱 개발을 필요로 하는 수요에 의해 전

문 개발자(사)가 개발비를 받고 개발하는 형태로서 개발자(사)의 수익이 고정적으로 확보된 경우

가 많다고 한다[13]. 그러한 환경에서 전세계 개발자들과 경쟁해서 생존해야 하는 조건이 향후

국내 개발자들과 국내 개발자 지원방안에 대한 선결조건이다.

아울러 기존 피처폰 기반의 CP 는 피처폰 사업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통신사업자와의 관계

에 있어서 앱스토어 기반의 새로운 상생 모델에 대한 비전을 찾지 못하고 있고, 개인 개발자 역

시 통신사업자와의 다양한 협력방안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디지에코, 2009).

국내에서 가장 활성화되고 있는 애플스토어의 경우 2010 년 10 월 터치커넥티드 국내 애플

개발자 및 앱개발 현황자료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개발자 에코조성을 위한 교육지원, 개발지

원, 마케팅 지원 등의 다양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개발자(사) 수는 647명(사)로 2009년 말 260

명(사) 대비 387명(사) 증가하였다. 이는 개발자 양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이미 20

만 명 이상이 활동하고 있는 전세계 개발자들과 경쟁해야 함을 의미한다(이동훈 등, 2010).

<표 3> 국내 앱 개발자 및 앱 개발 현황

유형 구분 개발자(사) 개수 개발자(사)비율 App 개수 App 비율

퍼블리셔 1 0.2% 52 0.7%

인터넷/미디어 44 6.8% 231 3.3%

게임개발사 4 0.6% 93 1.3%

전문개발사 45 7% 2,161 30.5%

일반개발사 18 2.8% 60 0.8%

개발 스튜디오 397 61.4% 3,593 50.7%

기업

기타 51 7.9% 319 4.5%

개인 개인개발자 87 13.4% 582 8.2%

합계 647 100% 7,091 100%

<자료>: 터치커넥티드10월자료 재구성

주간기술동향 2011. 2. 11.

14

개인 개발자가 개발한 국내용 앱은 전체 중 8.2%에 해당하며, 개발자 비율은 전체에서 13.4%

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개인 개발자보다 기업형 개발사로 앱 개발이 집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개인 개발자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는 현상은 앱스토어 산업의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더욱 치

열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차원의 일자리 창출, SW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콘텐츠 수출 등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

해 중소기업청, 방송통신위원회, 통신사, 포털 등이 개발자 에코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개발자

지원방안들에 대해 발표하고 지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체계적인 개발자 로드맵 제시, 경쟁력

있는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원확보, 고급 개발자의 부족, 개발사의 대형화, 콘텐츠 BM기반의

수익구조 확립 등 해결해야 할 개발자 지원은 우리나라의 SW 경쟁력 향상을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이 많이 있다[13].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자(사) 우호적인 생태계 조성을 위해 실질적이고 실

효성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플, 안드로이드 애플리케

이션을 개발하여 앱스토어에 1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여 본 경험이 있거나 등록 예정

인 국내 스마트폰 개발사(자)(콘텐츠 보유 또는 애플리케이션개발능력 보유) 43 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양질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 바람직한

개발자 지원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4. 개발자 지원방안의 개념적 모형 제시

인터뷰에 참여한 43명에 대해 개인 개발자, 소형 개발사의 비율은 각각 30%이고 중형 개발

사 28%, 대형 개발사는 12%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경험과 관련된 분야에

서는 중형 개발사가 평균 8.4개로 가장 많았고 개인, 소형, 대형 개발사 순으로 나타났다. 대형

개발사의 개발경험이 적은 이유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만 기존 BM을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보류해 오며 최근에 개발에 동참한 기업이 많기 때문이다. 이는 개발중인

평균 애플리케이션 숫자가 가장 많음(평균 5.6 개)을 통해 알 수 있다. 아울러 개발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은 대형, 중형, 개인, 소형 개발사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 역량(규모)에 따라 시간

<표 4> 인터뷰 참여 개발자(사) 특성 요약

유형 합계(n=43) 비율 개발완료(Avg) 개발중(Avg) 시간(Avg)

개인 개발자 13 30% 1.8개 3.1개 2.5개월

소형 개발사 13 30% 1.2개 1.2개 4.6개월

중형 개발사 12 28% 8.4개 3.6개 2.2개월

대형 개발사 5 12% 1개 5.6개 2개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④

15

이 단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터뷰 결과는 Open Coding의 방법에 의해 3개의 대분류, 15개의 중분류, 39개의 소분류

로 정리하였다. 인터뷰 내용 중 비슷한 개념의 지원방안은 39 개의 소분류 항목에 포함하여 언

급된 빈도수를 기록하였다. 마케팅지원은 개발자(사)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인 다운로

드 및 활용도 증가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지원방안으로 정의하고, 기존의 마케팅 방법과 더불어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SNS마케팅, 온ㆍ오프라인 홍보채널, 유통망 등을 포함하였다. 개발

지원은 개발자(사)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물리적, 기술적 제약사항에 대한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해 지원하는 다양한 지원방안으로 정의하고 물리적 환경, 기술, 교육, 사업방향 공유 등

을 포함하였다. 사업지원은 개발자(사)의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공동사업제안 및 개발비 지원 등

으로 정의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3 개의 대분류 지원방안(마케팅지원, 개발지원, 사업지원)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사)와 지원방안을 제공하는 기관 간의 파트너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파트너십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화에 직간접 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개발자(사) 규모에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화 영향요인을 Total 한 경우 기획지원,

마케팅지원, 홍보지원, 콘텐츠 지원, 협력모델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특히 기획지원은 개인

개발자, 기업형 개발자 모두 공통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응답자의

70% 이상이 서비스 기획지원을 중요 지원사항으로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초기

서비스 기획의 중요성을 공통적으로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유통점을 활용한 마케팅

또한 스마트폰 고객과의 접점영역에서 제공될 수 있는 마케팅 정책이 다른 온오프라인 마케팅

방법보다 직관적이고 애플리케이션을 소개 설치함에 있어서 효과적이기 때문에 높은 빈도를 나

타냈다. 아울러 기업의 홈페이지, 전단지, 홍보인쇄물 등을 활용한 홍보채널, QR 코드와 온오프

라인 채널의 결합을 통한 홍보채널로의 활용, 영향력 있는 기업의 트위터 또는 페이스북과 같은

SNS채널을 활용한 홍보지원 역시 새로운 홍보수단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제작

에 있어서 기술적 문제뿐 아니라 초기 애플리케이션을 기획하고 어떠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기술

적으로 구현하고 다양한 마케팅 채널을 어떻게 활용하는 가에 따라 양질의 애플리케이션이 생산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발자(사) 규모에 관계없이 지원방안을 제공하고 있는 정부관련부서, 통신사, 단말제조

사의 지원방안의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금 더 구체적인 분석

을 위해 (그림 2)에서는 인터뷰 대상 개발자(사) 43명을 모수로 하여 각 변수별 응답회수를 백

분율로 표현하여 살펴보았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이 기획지원(서비스,

주간기술동향 2011. 2. 11.

16

사업, UI/UX, 콘텐츠)에 대한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전 기획

의 중요성은 이미 수만~수십만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 무한경쟁 시장에서 차별화

된 서비스 제공을 통해 경쟁우위 요소 확보를 위한 필수단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아이패드, 갤

럭시탭과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의 출현에 따라 단말별로 상이한 해상도, UI/UX기획, 킬러 콘텐

츠의 변화 등에 적절히 대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서비스기획 UI/UX기획

사업기획 직간접투자

홈페이지 및 보유 웹사이트 언론보도기사

리플랫제작 QR코드 활용 마케팅(App 다운로드)

주요 App설치 주요 App활용법 설명

광고 콘텐츠기획

활용 가능 콘텐츠 Pool 지원 해외 시장 App홍보

사내방송홍보 트위터

파워블로그(제휴사이트) API 지원

공동마케팅모델제시 공동투자

사업제안 채널 OPEN 해외번여 ral 해외스토어 등록지원

선장품지원 서비스 인프라(서버 및 회선)지원

틀러블 슈팅 지원 통계시스템지원

App개발 프로세스 체크리스트 지원 App개발관련 경진대회

투자계획 공지 신사업 추진방향 공유

제안사업 심사프로세스 개선 App표준규격 제시

세부 콘텐츠 형태제시 디자인 기술지원

프로젝트 모델 개발공간지원

개발관련 스마트 디바이스 지원 App개발 Tool 지원 신기술도입계획 공유

AIP 지원 해외 개발관련 동영상 강의지원

정기 세미나 컨퍼런스(TED포함)

펀드조성 개발인력 확보

(그림2) Total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화 영향요인 우선순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④

17

마케팅지원, 개발지원, 사업지원은 개발자(사)의 특성에 따라 기업형 개발사와 개인 개발자

지원방안을 각각 구분하여 이론적 모형을 구체화 하였다. 여기서 제시한 개념적 모형은 단순히

단편적인 개발자(사) 지원정책이 아닌 경쟁력 있는 애플리케이션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마케팅,

개발, 사업적 측면에서 제시하였고, 개발자(사)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역량에 따라 지원영역은 유

기적으로 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양질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획,

콘텐츠, 개발역량, 판매(수익성)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이론적 모형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개발사의 성향에 따라 양질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

화를 위한 각기 다른 개발자(사) 지원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재의 개발자(사) 지원

방안이 개발사 규모 및 역량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지원방안들이 효과적이지 못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개발자(사)에 맞는 맞춤형 지원방안이 제공된다면 지원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투입되는 자원대비 효과는 극대화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5. 결언

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스토어에 비해 늦었지만 SK 텔레콤의 T 스토어와 KT 의 올레마

켓 등 통신사의 플랫폼 사업이 본격화 되고 있다. 현재는 개발자(사)에 대한 지원보다는 개발비

(그림3) 기업개발사 지원방안이 양질의

앱 개발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마케팅 지원

해외 마케팅 지원

QR코드 활용

언론홍보지원

유통망 활용

SNS 활용

사업방향 공유

기획지원

콘텐츠 지원

개발비 지원

협력모델 제시

사업제안채널 제공

가이드라인 제시

마케팅 지원

개발 지원

사업 지원

기업개발사애플리케이션개발 활성화

(그림4) 개인 개발자 지원방안이 양질의

앱 개발에 미치는 영향

기업개발사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화

온라인 마케팅 지원

QR코드 활용

언론홍보 지원

유통망 활용

기획 지원

물리적 인프라 지원

콘텐츠 지원

기술 지원

교육 지원

개발비 지원

협력모델 제시

마케팅 지원

개발 지원

사업 지원

이벤트 개최

주간기술동향 2011. 2. 11.

18

용을 제공하고 개발자(사)가 개발하는 형태의 관계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양질의 애플리케이

션이 스토어에 자발적으로 공급되는 선순환구조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내형 앱스토어에 맞는

한국형 개발관련 지원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개발자(사)가 환호하는 지원방안을 지

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세계 1, 2위 스토어인 애플스토

어와 안드로이드 스토어 개발자(사) 지원방안을 참고하여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기술의 혁신과 발전에 따라 향후 지속적으로 새로운 이머징 디바이스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

된다. 아이패드와 같은 단말 출현에 따라 개발자(사)들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화를 위한 핵심

지원방안은 지속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개발자 지원방안 역시 개발자의 특성뿐 아니

라 새로운 디바이스에 따라 달라져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핵심 단말별 개발자 지원방안에 대한

향후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최근 웹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애플

리케이션 중심이 아닌 웹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개발자(사) 지원방안의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연구 또한 향후 중요한 연구분야가 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정부, 통신사, 인터넷기업의 종합적인 개발자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초기단계

에서 개발자(사) 유형별로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도출하여 바람직한 지원방안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단기적으로는 개발자(사)들이 양질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활성화로 인해 국

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성장에 기여할 뿐 아니라 지원방안을 제공하는 민간기업에게는 콘텐츠 사

업의 선순환구조의 정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개발자(사)에 대한 지원방안이 단기적으로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국가 SW경쟁력 향상, 나아가 IT강국의 국가비전달성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참 고 문 헌>

[1] 강홍열, 권지인, “모바일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향후 산업전략의 변화”, KISDI 정책연구 09-73,

2009.

[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마켓중심의 정보보호 대응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진흥

원 최종연구보고서, KISA-WP-2010-0021, 2010.

[3] 김재필, “일본 스마트폰 도입에 따른 일본 기업시장의 변화”, KT 경제경영연구소, 2010.

[4] Hyung Jin Kim, Inchan Kim, Ho Geun Lee, "The Success Factors for App Store-Like Platform

Busi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ird-Party Developer : An Empirical Study based on a Dual

Model Framework : 2009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5] 송민정, “콘텐츠 플레이어의 모바일미디어 유통 전략”, KT 경제경영연구소, 2010.

[6] 조연아, 정영조, 허정욱, “아이폰이 가져올 변화 그리고, Beyond iPhone”, KT 경제 경영연구소, 2010.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미디어 태블릿 ④

19

[7] Anol Bhattacherjee, Jaeki Song and JongHyung Park,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Platforms: The case of Apple iPhone versus Google Android”, 2010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

대회

[8] Strauss, A,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California, 1990.

[9] Yue Guo. Stuart Barnes, “Virtual item purchase behavior in virtual world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Electron Commer Res, 2009, 9. pp.77-96.

[10] 가트너, 2010.1.18, www.gartner.com

[11] 대한민국 정책포털 공감코리아, 2009년 IT KOREA 전략, http://www.korea.kr/

[12] 드림위즈 터치커넥티드, 2010.10, http://www.connect.kr/

[13] 스마트 모바일 앱개발지원 센터, 2010, http://www.smac.or.kr

[14] 에코노베이션센터, www.econovation.co.kr

[15] 2010년도 중소기업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0, http://www.smba.go.kr

[16] 중소기업청 홈페이지 앱창작터 현황, 2010, http://www.smba.go.kr

[17] KT, SKT, LGU+, 삼상전자 각 사 홈페이지

[18] Appcelerator IDC Mobile Developer Report, 2010. 9, www.appcelerator.com

[19] Koda Research Consultancy 2010. 5, www.codaresearch.co.uk

[20] KDDI, SOFTBANK 기업 홍보담당 인터뷰, 2010. 7.

[21] Mobile World Congress 2010, www.mobileworldcongress.com

[22] Morgan Stanley, IT동향보고서, 2010. 6.

[23] 일본 주요통신사 이동전화 및 모바일인터넷 가입자, TAC, 20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