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

2013. 4.

Page 2: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목 차

Ⅰ. 개 요 ··································································· 1

Ⅱ. 단계별 조치사항 ··············································· 3

1. 예방단계 ······································································ 3

2. 대응단계 ······································································ 7

2-1. 준비단계(관심) ················································· 7

2-2. 1단계(주의) ····················································· 10

2-3. 2단계(경계) ····················································· 12

2-4. 3단계(심각) ····················································· 14

3. 조사․복구단계 ··························································· 18

Ⅲ. 단계별 중점 추진사항 ···································· 20

부 록

1. 산사태 위험 예측정보 제공 기준 ························· 22

2. 시․군․구 산사태 예방대응 시나리오 예시 ·········· 24

3. 상황판단회의 ·························································· 31

4. 산사태정보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 35

5. 산사태 상황보고 양식 ·········································· 53

6. 산림재해 상황보고 양식 ········································ 54

7. 산사태현장예방단 구성․운영 계획 ······················· 56

8. 산사태 관련 행동요령 ·········································· 61

Page 3: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 -

Ⅰ. 개 요

1. 목 적

이 매뉴얼은 산사태 예방단계 및 산사태가 우려되거나 발생될 때

산림청, 소속기관, 지자체 등 유관기관의 임무・역할과 협조사항을

규정하여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 및 상황관리가 이루어져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음

2. 법적근거

□ 작성근거

o 국가위기관리 기본지침(대통령훈령 2011.6.10. 제285호)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 관련법령

o 산림보호법 제5장(산사태의 예방・대응 및 복구)

o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o 자연재해대책법

o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관리규정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산림청 훈령 제1145호, '12.9.28)

3. 적용범위

산사태 예방활동 및 태풍・호우 등으로 인한 산사태 위기관리 업무

수행과 관련되는 산림청, 소속기관, 지자체 등 유관기관의 예방․대응․복구 활동에 적용함을 원칙으로 함

Page 4: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 -

4. 용어의 정의

o 산사태 :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원인으로 산지가 일시에 붕괴되는 것

※ 이를 통해 발생한 다량의 토석 및 유목이 비교적 낮은 지역인 계곡으로

모여 물과 함께 섞여 매우 빠른 속도로 계곡의 하류로 내려오는 토석류

(土石流)를 포함한다.

o 산사태예방 : 산사태의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하여 미리 대처하여

막는 모든 활동

o 산사태취약지역 : 산사태로 인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으로 「산림보호법」 제45조의8에 따라 지정・고시한 지역

※ 다만,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의 급경사지 및 제2호의

붕괴위험지역, 도로법 제8조의 도로,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2호 및 제3호의 시설물에 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o 산사태정보체계 : 산사태 위험등급을 구분하여 제공하고, 산사태의

발생 위험 정도를 분석하여 알려주는 일련의 체계

5. 추진단계

□ 예방단계

o 기간 : 연중을 대상으로 하며, 2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중점추진

o 주요업무 : 산사태 재해예방체계 구축, 취약지역 관리 및 역량 강화 등

□ 대응단계

o 기간 : 5월15일부터 10월15일까지(여름철 산림재해 대책기간)

※ 대응단계는 준비단계(관심), 1단계(주의), 2단계(경계), 3단계(심각)로 구분대응

o 주요업무 : 산사태 예측정보 제공, 산사태대응 모의훈련, 현장점검강화,

피해 예방조치 및 대응 등

□ 조사․복구단계

o 기간 : 산사태 발생 직후부터 발생지에 대한 복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를

원칙으로 하며, 9월1일부터 11월30일까지 중점추진

o 산사태 피해조사, 발생지 복구계획 마련 및 복구 추진, 산사태 대응의

평가․분석, 복구공사 완료지역에 대한 모니터링 등

Page 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 -

6. 업무수행 체계

산사태예방지원본부

(산림청)

중앙재난안전대책상황실

(안전행정부장관)

(상황보고)

시․도, 지방청

산사태대책상황실

(지방산림청, 산림과학원,

휴양림관리소 등 1차 소속기관)

시 ․ 도

재난안전대책본부

(시 ․ 도지사)

시․군․구, 관리소

산사태대책상황실

(국유림관리소 등 2차 소속기관) 시 ․ 군 ․ 구

재난안전대책본부

(시 ․ 군 ․ 구청장)산림재해 응급복구

(산사태현장예방단, 자원봉사,

공무원, 공익근무요원)

산림항공본부

(재난지역 인명

구조 지원,

구호물자 수송)

산사태 현장지휘소

(대형 산사태 발생시)

산림조합 계통조직 등

유관기관 협조

(산림작업단, 복구장비 지원 등)

Page 6: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 -

Ⅱ. 단계별 조치사항

1. 예방단계

(1) 산사태 예방대책의 수립·시행을 통한 재해예방체계 구축

□ 체계적・효율적 산사태 예방을 위한 산사태예방 장기대책 수립・시행

o 산림청 : 전국산사태예방 장기대책 수립·시행(5년주기)

o 지자체, 지방산림청 : 전국산사태예방 장기대책에 따라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지역산사태예방 장기대책 수립·시행(5년주기)

□ 기상전망, 산림상태 등 당해 여건을 고려한 산사태예방 연도별대책 수립・시행

o 산림청 : 장기대책과 연계하여 전국산사태예방 연도별대책 수립·시행

※ 조림․숲가꾸기 사업지, 임도 관리 등 기존 풍수해 대책 내용 포함

o 지자체, 지방산림청, 국유림관리소 : 전국산사태예방 연도별대책에 따라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지역산사태예방 연도별대책 수립·시행

(2) 산사태 정보시스템의 유지·관리 및 현행화

□ 산사태 대응단계시 산사태 정보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준비 철저

o 산림청 : 산사태 예측정보 제공 및 위험지도 활용 등 산사태 관련정보

활용을 위한 교육 실행 및 시스템 기능 고도화

o 지자체, 지방산림청 등 : 산사태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를 위한 담당자

지정·교육 및 등록인원 현행화 조치

◆ 시스템 사용자의 개인정보 업데이트(현행화) 실시 - 담당자 변경, 휴대전화 번호 변경 등이 있을 때에는 즉시 개인정보 변경

◆ 시스템 사용자 등록인원 확대 → 10명 기본, 20명까지 가능 - 필수등록대상 : 기관장, 부기관장, 산림부서장, 재난부서장, 재난상황실장, 산사태 담당계장, 담당직원 등

◆ 시스템 숙지(교육) 및 대응계획 마련 - 시스템 접속, 운영요령을 숙지하고, 산사태예측정보(MMS) 수신시 상황

전파할 수 있는 산사태취약지역 주민 비상연락망 확보

Page 7: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 -

(3) 생활권 주변 산사태취약지역의 체계적・적극적 관리

□ 산사태취약지역 지정 대상지에 대한 지정 절차 이행 철저

o 산사태 특히, 토석류(土石流) 피해 우려지역에 대한 지정 강화

- 산림청 :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용역 실시

- 지자체, 지방산림청 등 : 실태조사 협조, 산사태취약지역지정위원회

구성·운영, 산사태취약지역 지정 등

※ '12년 국무총리실 주관 ‘정부업무평가’에서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지정절차를 신속히 진행 할 것을 미흡사항으로 지적

o 산사태취약지역의 조사 및 지정·관리 절차

실태 조사 위원회 심의 지 정 유지관리 해제

산림청에서 일괄추진 , 지역 협조

⇨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 이의신청 완료 후 고시

⇨ 연도별 사방사업계획 추진, 주민연락 체계 유지

⇨ 지정 목적 달성

□ 산사태취약지역 위주의 현장관리 집중 추진

o 산림청 :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사방사업(사방댐, 계류보전) 최우선 실시

및 후순위 개소에 대한 우기전․후 점검․응급조치, 주민대피체계 유지 등 지시

o 지자체, 지방산림청 등 : 사방사업 대상지 선정시 산사태취약지역을

100% 선정, 사업 후순위 개소에 대하여는 사전 점검․정비 및 지역

주민과의 사전 소통체계(비상연락망 확보)를 유지하며 대피 체계 구축

(4)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산사태 대응역량 강화

□ 지역여건을 감안한 행동매뉴얼(시․도, 지방청) 및 시나리오(시․군․구,

관리소 등) 정비

o 산림청 :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 수립·통보, 모의훈련 계획 수립

- 예방·대응·복구 단계별․기관별 추진과제 마련으로 신속한 대응

및 상황관리 기반 구축,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정비

o 지자체, 지방산림청 등 : 산림청 매뉴얼을 토대로 현지 실정에 맞는

자체 행동매뉴얼을 수립하고, 구성원 및 상황별 시나리오 작성

Page 8: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 -

- 시나리오 : 형식적인 시나리오가 아닌 상황별(예방․대응)․구성원별

임무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숙지

※ 예시) 집중호우가 예보되었을 경우 취약지역별로 누가 사전점검을

어떻게 할 것인지, 예측정보를 수신 할 경우 상황판단회의 참석범위는

어떻게 되며, 누구(이장, 공무원 등)를 통해 어떤 방법(마을․차량방송,

메시지, 전화 등)으로 지역주민에게 상황을 전파 할 것인지 등

□ 현장 중심·실무 위주의 산사태 담당자 역량강화 교육 등 실시

o '13년 산사태방지 교육계획에 따라 지역산사태예방기관 관계관 및

담당자는 교육 적극참여 : 현지 여건에 따라 자체 교육 및 전달 교육 등 실시

o 교육 일정계획

교육 명칭 교육시기 교육대상 교육기관(추진부서)

사방공학의 이해과정(사이버)제1기 : 3. 6~3.19제2기 : 8. 7~8.20

공무원 산림교육원

산사태현장예방단 교육 5.14~5.15산사태

현장예방단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원

산사태복구․사방사업 현장 순회교육 4월~6월 공무원산림청

(산사태방지과)

산사태방지분야 발전방안 전문가 워크숍 3.26~3.27공무원일반인

산사태정보시스템 담당자 교육 4월 공무원 〃

산사태 대응 모의훈련 5월, 6월 공무원 〃

제10차 한․일 토사재해방지기술회의 5.15~5.18공무원 일반인

전국 산사태 예방․대응 체계 경진대회 5월 공무원 〃

산사태방지분야 유관기관 워크숍 5월 공무원 〃

□ 산사태 예방․대응에 필요한 각종 사이트 접속 방법 등 확인

o 산사태정보시스템, 기상청 방재기상정보 포탈 시스템의 사이트 주소,

ID․비밀번호 확인, 활용방법 사전 숙지

- 산사태정보시스템 : www.sansatai.forest.go.kr/welcome.ls?reDirect=on

- 방재기상정보 포털시스템 : https://metsky.kma.go.kr/index.html

Page 9: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6 -

【산사태 업무담당자 필수 체크리스트】

과 제 명 완료 추진 중 미흡

1 지역 산사태예방 장기대책 및 연도별대책 수립·시행

2 산사태 정보시스템 등록 인원(10명) 및 정보 현행화

3 산사태취약지역 지정 및 사전점검

4 산사태취약지역 주민 연락처 파악 및 전달체계(MMS 등) 확보

5 주민 대피시 대피장소의 적정성 현장 확인

6 자체 산사태 행동매뉴얼 및 시나리오 작성 및 숙지

7 산사태 방지관련 교육 및 워크숍 참여

8 산사태 관련 국민행동요령 등 사전 홍보(캠페인 등)

9 수방자재 등 긴급 보수 자재 확보

10 산사태 대응 모의훈련 참여, 문제점 보완

11 등산객 및 야영객 등 산림관련 시설 이용객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

* 대책기간(5.15) 전까지 자체 점검을 수시로 실시하여 미흡사항 보완실시

Page 10: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7 -

2. 대응단계 (5.15~10.15)

1 준비단계(관심, Blue)

(1) 상 황

o 집중호우 및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태풍 발생 시기

(2) 조치사항

□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설치·운영

o 운영기간 : 5.15 ~ 10.15 (여름철 산림재해 대책기간, 5개월)

o 상 황 실 : 산림청 산림보호국 산사태방지과(정부대전청사 1동 15층)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장 : 산림청장

o 주요임무 : 전국 산사태 대응 활동의 총괄 지휘, 산사태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 산사태 관련 대국민 홍보 등 실시

※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산림청 훈령 제1145) 참조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 체계도

산사태예방지원본부장

산림청장

산사태예방지원부본부장

산림보호국장

상황실장

산사태방지과장산림자원과, 목재생산과

산림휴양문화과, 산림경영소득과, 산림환경보호과, 산불방지과,

도시숲경관과, 대변인실

(협 조)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Page 11: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8 -

□ 가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산사태 대응 모의훈련 실시

o 집중호우를 가정한 산사태예측정보(MMS) 전송, 상황판단회의 실시,

산사태 예·경보 발령, 지역주민에 대한 상황전파 및 조치사항에 대한

산사태정보시스템 운영 등 훈련

※ 5․6월 각 1회의 모의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발생시 대처능력 배양 및

문제점 발굴·개선(5월 훈련은 안전한국 훈련과 병행)

□ 산사태취약지역의 점검 강화 및 대응요령 홍보

o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현장순찰 강화 및 위험요인 사전 제거

- 지역별 산사태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점검․관리 계획 수립·시행

※ 산사태대응팀, 산사태현장예방단에 대한 담당구역 지정으로 책임강화

◆ 산사태대응팀 - 산사태 예방 및 대응활동 등을 위해 설치한 공무원 조직(산림보호법 제45조의 15)

◆ 산사태현장예방단 - 공무원을 보조한 상시 대응 인력(산림보호법 제45조의 15)

- 산사태취약지역 내 사방사업을 조속히 완료하고, 사방댐 준설,

배수로 정비, 벌채지 정리 등 사전조치 이행

o 산사태방지 동영상 등을 활용한 교육․홍보 실시,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현장캠페인 실시

□ 유관기관 협조체계 및 대비상황 점검·확인

o 유관기관에 대한 협조 체계 정비

- 산사태예방지원본부 : 중앙부처간 협조사항 재정립, 연락처 현행화

- 지역산사태예방기관 : 지역기관 등 유관기관간 협조체계 사전 점검

※ 지역산사태예방기관 :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및 국유림관리소

o 예방단계 조치사항(산사태정보시스템 현행화, 산사태취약지역 사전점검

및 비상연락처 확보 등) 중 미흡사항 긴급 보완 실시

Page 12: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9 -

(3) 기관별 임무 및 역할

□ 산림청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설치·운영

o 산사태정보시스템 활용 교육 및 모의훈련 실시

o 산사태취약지역 점검강화 및 지역주민과의 연락체계 유지 지시

o 산사태유관기관에 대한 예방․대응 공조 협조요청 및 연락처 현행화

o 산사태방지 홍보 추진

□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국유림관리소 및 휴양림관리소

o 산사태 대응조직의 설치·운영

- 산사태대응팀 또는 산림관련부서를 중심으로 산사태예방지원본부에

준하여 자체 실정에 맞는 산사태 대응 전담기구 설치·운영

- 산사태현장예방단, 산사태자원봉사단 구성․운영

o 지역실정에 맞게 작성된 시나리오에 대한 담당자별 숙지

o 산사태정보시스템 등록인원 현행화, 교육 및 모의훈련

o 산사태취약지역 점검 및 취약지역 주민 대상의 안내활동 실시

o 예방단계 조치사항 자체점검 및 미흡한 점에 대한 긴급보완

o 수방자재 확보

【산사태 업무담당자 임무】

* 예방단계에서 추진한 산사태방지 활동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검 결과 “추진중” 또는 “미흡사항” 보완 완료

Page 13: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0 -

2 1단계(주의, Yellow)

(1) 상 황

o 태풍․호우 예비특보 또는 주의보가 발령되고 태풍․호우에 의한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나타날 때

(2) 조치사항

□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운영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 및 상황실의 운영

- 상황실장 : 산사태방지과장

- 근무인원 : 1명(09:00 ~ 22:00 근무를 원칙으로 함)

※ 근무시간 종료 후 상황실 전화를 개인 핸드폰으로 착신하여 연락체계 유지

o 근무자의 주요임무

- 상황 모니터링 : 기상청 방재기상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기상상황 등 파악

-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한 산사태 예측정보 제공 및 조치사항 모니터링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관리 단계 파악 및 전파

- 지역산사태예방기관 근무 상황 모니터링

□ 지역산사태예방기관장 현장순찰 실시

o 산사태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산사태 예방기관장이 직접 현장순찰을

실시하고 피해예방 조치사항 확인 및 미흡사항의 응급조치 지시

□ 산사태취약지역 등에 대한 인명피해 예방조치 이행

o 산사태 취약지역내 보호시설 및 주택지 대상의 안내방송 준비

- 현재 기상상황, 행동요령, 주민대피 명령시 대피처 및 대피요령 등

o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 산간계곡 행락객 등의 대피준비

Page 14: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1 -

(3) 기관별 임무 및 역할

□ 산림청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운영

o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한 산사태 예측정보 제공 및 상황 모니터링

o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관리 단계 파악 및 전파

o 방재기상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기상상황 등 파악

o 재난방송을 통해 현재 기상상황 및 산사태 대비 행동요령 등 안내

※ KBS 방송자막 활용(한국방송공사와 재난방송 협약 체결, ’11.12.1)

o 지역산사태예방기관 대처사항 확인

- 지역산사태예방기관장 현장순찰 강화

- 산사태취약지역 주민 대피체계 유지

- 재해취약지역 및 위험시설 점검․응급조치 : 휴양객대피, 등산로 통제

및 휴양시설물 피해예방 포함

□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국유림관리소 및 휴양림관리소

o 산사태 대응조직 운영

o 지역산사태예방기관장 현장순찰 실시

o 산사태현장예방단, 산사태자원봉사단을 활용한 현장 순찰 및 점검

o 산사태취약지역 순찰강화 및 안내방송 준비(필요시 안내방송 실시)

o 재해취약지역 및 위험시설 점검․응급조치, 지역주민 대피 준비 : 휴양객

대피, 등산로 통제 및 휴양시설물 피해예방 조치 포함

【지역산사태예방기관장 점검사항】

* 예방․준비단계 추진사항에 대한 점검

- 재해취약지역에 대한 사전현장점검 및 주민연락체계 등 중점 점검

Page 1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2 -

3 2단계(경계, Orange)

(1) 상 황

o 태풍/호우경보가 발령되고 태풍/호우에 의한 대규모 산사태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할 때

(2) 조치사항

□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운영 강화

o 상황실 운영 강화

- 근무인원 증원 : 1명 → 2명

- 근무시간 연장 : 24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함

o 근무자의 주요임무

- 상황 지속 모니터링 : 기상청 방재기상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기상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

- 주요 상황보고처와 상황 공유(2회, 08시․18시)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관리 단계 파악 및 전파

-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한 산사태 예측정보 제공 상황 모니터링

- 집중호우 및 태풍관련 긴급 대책 수립․시행, 현장 대응상황 점검 실시

- 보도자료 배포, 재난방송을 통한 자막방송 등 언론대응

□ 산사태 위험예보 발령대비 및 주민대피 준비

o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 및 시나리오에 의한 상황대비

o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한 예측정보 수신시 재난부서 등과 상황판단

회의를 실시하여 위험예보 발령 여부 결정

o 산사태취약지역 내 비상연락망을 통해 상황 전달 및 주민대피 준비

- 산사태현장예방단 및 산사태자원봉사단 활용

o 지역별 대피장소 활용여부 판단 및 구호물품 등 지원 계획 수립

□ 상황별 보고체계 확립

o 산사태예방․대응에 대한 중앙↔중앙↔지방 상황유지 및 보고체계 유지

Page 16: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3 -

(3) 기관별 임무 및 역할

□ 공통사항

o 산사태 상황실 운영강화 및 상황 전달·보고 체계유지, 주민대피 준비,

상황관련 언론대응, 피해 원인조사 관련 조사단 활용

【산사태 업무담당자 체크리스트】

과제명 완료 추진 중 미흡

1 산사태 예측정보 수신에 따른 대응

1-1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기상상황 확인

1-2 유선(공무원, 이․통장, 주민)을 활용한 현지 기상 확인

1-3 재난부서 등과 상황판단회의 실시

1-4 상황판단회의 결과에 따른 상황전파

1-5 담당자 및 예방단별 산사태취약지역 상황 점검

1-6 유사시 주민대피 유도

1-6 상황별 보고체계 유지

2 재해취약지역 및 위험시설 점검․응급조치

2-1 산림사업지 등 재해취약지역 점검

2-2 주민대피, 인명구조, 응급복구 등을 위한 유관기관·지역단체·기업 등 협조

3 태풍 및 집중호우관련 긴급대책 수신시

3-1 관련 대책 수립 및 재해취약지역 점검․조치

4 산사태 발생 후 대응체계

4-1 산사태 발생시 피해지 현장 및 조사담당(2인 1조) 지정

4-2 전문조사단과 언론공동대응 및 응급복구 실시

4-3 주민대피시설별 관리

* 산사태 업무담당자 외 산림관련부서, 재해담당부서 등 관내 인력 최대한 활용

Page 17: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4 -

4 3단계(심각, Red)

(1) 상 황

o 태풍/호우 경보가 발령되고 태풍/호우에 의한 대규모 산사태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실할 때

(2) 조치사항

□ 산사태 예방지원본부의 운영강화

o 상황실 운영 강화

- 근무인원 증원 : 2명 → 4명

- 근무시간 연장 : 24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함

※ 산사태방지과 직원으로 구성하며 필요시 산림재해관련 부서 근무지원 조치

o 근무자의 주요임무

- 상황 지속 모니터링 : 기상청 방재기상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기상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

- 주요 상황보고처와 상황 공유(2회, 08시․18시)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관리 단계 파악 및 전파

-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한 산사태 예측정보 제공 및 조치상황 모니터링

- 집중호우 및 태풍관련 긴급 대책 수립․시행, 현장 대응상황 점검 실시

- 대형 산사태 및 인명피해 발생지에 대한 상황파악 등 모니터링

- 보도자료 배포, 재난방송을 통한 자막방송 등 언론대응

□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주민대피

o 산사태 정보시스템에 의한 위험 예측지에 대하여 산사태 위험예보 발령

o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주민대피 실시

Page 18: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5 -

□ 산사태 발생 후 상황처리를 위한 언론대응 준비

o 산사태 발생 후 피해확산 방지를 위한 신속한 상황전파 및 부정적

여론 방지를 위한 언론대응 체계 구축

o 산사태 발생시 홍보 전담조직 설치·운영 준비

구 분 구 성 주요임무

총괄관리관 기획조정관 o 산사태 방지 홍보업무 총괄

대변인 대변인 o 보도지원 및 홍보업무 실무총괄

정보수집팀팀장 : 산사태 담당계장팀원 : 1명

o 산사태 발생상황 파악 및 정보수집

- 산사태원인조사단 활용

o 산사태 예․경보 발령사항 전파

o 여론조사 및 언론 등 동향파악․분석

o 단계별 중점 홍보사항 전파

o 각종 보도자료 작성

홍보지원팀팀장 : 대변인실 담당계장팀원 : 1명

o 산사태 수습을 위한 보도지원(현장대변인,

공동취재단구성 및 프레스센터 설치지원 등)

o 보도자료 배포 및 재난현장 취재지원

o TV․라디오․신문사, 스마트폰, 인터넷, DMB,

케이블TV, 위성방송, SNS 등의 각종 언론매체를

통한 자료수집 및 정보 제공

공보팀팀장 : 대변인실 담당계장팀원 : 1명

o 각종 TV․라디오 등 각종 언론매체와 인터뷰 전담

o 긴급 TV 자막방송 요청 전담

o 국민행동요령 전파 등

□ 산사태 발생시 피해상황 및 응급복구상황 보고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 : 상황실장 → 부본부장, 차장, 본부장

o 지역산사태예방기관 : 산사태대책상황실 → 산림청 상황실장

Page 19: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6 -

(3) 기관별 임무 및 역할

□ 공통사항

o 산사태 상황실 운영강화 및 상황 전달·보고 체계유지, 주민대피 실시

【산사태 업무담당자 체크리스트】

과제명 완료 추진 중 미흡

1 상황 전파 및 주민대피 조치

1-1 산사태 상황실 운영 강화

1-2 산사태정보시스템에 의한 산사태 위험예보 발령

1-3 산사태취약지역 내 주민 개별 비상연락 실시

1-4 관내 방송, 전광판, 엠프 등을 통한 상황전파

1-5 주민대피 명령 및 대피인솔

1-6 취약지역별 차량배치 및 주민대피 수행

1-7 등산객 및 야영객 입산통제 및 대피조치

1-8 대피 장소별 응급구호물품 배분

1-9 대피 주민 대상 상황설명회 개최

1-10 현장 및 주요상황 보고처에 대한 상황공유

2 현장 관리·대응

2-1 대규모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현장지휘소 설치

2-2 산사태 발생지 및 대피장소 관리·통제

2-3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응급조치

2-4 상황처리를 위한 언론대응

3 인명피해 최소화 조치 수행

3-1 소방서 등 유관기관에 인명구조 협조요청

3-2 산림 등 고립주민 구조(산림항공구조대 등 협조)

3-3 주민대피 지역 잔류인원 확인 및 대피조치

3-4 주민대피 지역 외 현장예찰 실시

* 사전 시나리오별 조치방안에 따라 담당자별 업무분장을 침착히 수행

* 산사태 업무담당자 외 산림관련부서, 재해담당부서 등 관내 인력 최대한 활용

Page 20: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7 -

대응단계의 구분

구 분 판 단 기 준 비 고

관심

(Blue)

산림청

(준비단계)

◦태풍․호우 빈발 시기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태풍의 발생

◦산림청 준비단계 가동

- 여름철 산림재해 대책기간(5.15~10.15) 운영

◦징후 감시활동

주의

(Yellow)

산림청

(1단계)

◦태풍․호우 예비특보 또는 주의보가 발령되고

태풍․호우에 의한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나타날 때

◦산림청 비상 1단계 가동

- 근무인원 : 1명(09:00 ~ 22:00 근무)

◦기상정보(특보 등)

확인

◦협조체제 가동

경계

(Orange)

산림청

(2단계)

◦태풍․호우 경보가 발령되고 태풍․호우에

의한 대규모 산사태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 할 때

◦산림청 비상 2단계 가동

- 근무인원 : 2명(24시간 근무)

◦대비계획 점검

심각

(Red)

산림청

(3단계)

◦태풍․호우 경보가 발령되고 태풍․호우에

의한 대규모 산사태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실 할 때

◦산림청 비상 3단계 가동

- 근무인원 : 4명(24시간 근무)

◦즉각 대응태세

돌입

※ 태풍, 호우재난 위기경보는 상황에 따라 순차에 관계없이, 전국적 또는 지역적으로 발령 가능

Page 21: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8 -

3. 조사․복구단계

(1) 산사태 발생원인 분석 및 신속한 피해조사 실시

□ 상황 종료 후 신속·정확한 피해조사 실시 및 피해발생 원인 진단

으로 산사태 재발방지 및 항구적 복구기반 마련

o 산림청

- 산사태 조사·복구 실무매뉴얼 수립·시행

- 산사태 원인진단 및 복구방안 제시를 위한 “전문조사단” 운영

o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및 국유림관리소

- 산사태 원인 및 피해조사 계획 수립·시행

- 상황 종료시 신속한 피해조사를 실시하되 누락지가 없도록 조사철저

※ 피해지는 기능복원사업을 원칙으로 조사하되, 인명피해 및 반복피해 우려지역은

근원적인피해발생원인이해소될수있도록개선복구사업적극적용

- 신속한 피해조사 후 피해상황은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입력

- 지역별로 운영하는 “전문조사단”을 활용하여 피해원인조사 및 언론대응 실시

(2) 산사태 발생지 항구적·체계적 복구계획 수립·시행

□ 산사태 발생지에 대하여 토석유출 등 피해가 없도록 응급조치

후 현장 조사결과에 따라 산지의 추가 붕괴 및 침식방지, 경관

조성 등을 포함한 견실 복구실시

o 산림청

- 산사태 발생지의 복구계획 수립·시행

- 산사태 복구설계·시공 기술지원을 위한 “현장자문단” 구성·운영

o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및 국유림관리소

- 지역별 산사태 발생지의 복구계획 수립·시행

- 산사태 발생 후 신속한 응급복구를 실시하여 2차 피해 예방

- 수해복구 추진 대책반 구성·운영

Page 22: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19 -

- 산사태 원인진단 “전문조사단”에서 제시한 복구공법 설계 반영

- 1개소당 확정·통보된 복구비가 5억원 이상인 지역은 자체 사전

설계 심의단 구성·운영

- 산사태 피해지역 주민의 복구설계 참여 등 의견수렴

(3) 산사태 대응의 평가·분석 실시

□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 대응단계 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을 평가·분석하고 이를 반영

o 산림청 : 산사태 예방·대응 과정의 문제점 및 효율성, 산사태예방

대책 수립·시행의 적절성, 산사태 예방·대응 전반의 개선방안 등에

대한 평가·분석 수행

※ 대규모 인명피해 등이 발생한 경우 “산사태 대응 평가보고회” 개최

o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및 국유림관리소

- 산사태 평가분석을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작성·제출

- 산림청 평가분석 결과를 다음 연도 지역산사태예방 대책에 반영

(4) 산림피해지 복구공사 완료지역에 대한 복구상태 및 효과분석

□ 산사태 복구지에 대한 복구공법, 복구지에 대한 잔존 위험여부,

복구시설물의 유지관리 상태 등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o 산림청

- 복구지에 대한 사방공학적, 생태적 기능 효과 분석 실시

- 복구공법에 대한 개선방안 및 유사 재발 방지책 마련

※ 대규모 산사태 복구지를 중심으로 모니터링 실시

o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및 국유림관리소

- 산사태 복구지 모니터링을 위한 필요한 자료를 작성·제출

- 산사태 복구지에 대한 위험여부, 복구시설물의 유지관리 상태 점검

- 산사태정보시스템에 산사태 복구사업 이력 기록 등 DB화

Page 23: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0 -

Ⅲ. 단계별 중점 추진사항

구 분 중점 추진사항

예방

단계

산림청

o 전국 산사태 재해예방 대응체계 구축

- 전국 산사태예방 장기대책 수립(5년 주기)

- 전국 산사태예방 연도별 대책 수립

-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 수립

o 산사태정보시스템 고도화(2차)

- 스마트폰을 활용한 현장 산사태상황관리시스템 구축 등

o 산사태취약지역의 체계적 적극적 관리

-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실시 : 1만개소

- 산사태취약지역 점검․보수 및 주민대피체계 구축 등 관리 지시

o 산사태 대응역량 강화

- 산사태 예방을 위한 단계별 실무매뉴얼 마련 및 전파

- 산사태 방지 교육․홍보계획 수립 실시

- 산사태 관련 세미나, 간담회, 연찬회 등 개최

- 산사태 대응 모의훈련 실시

지자체/

소속기관

o 지역 산사태 재해예방 대응체계 구축

- 지역 산사태예방 장기대책 수립(5년 주기)

- 지역 산사태예방 연도별 대책 수립

o 산사태 정보체계의 현행화

- 산사태정보시스템 사용 담당자 지정 및 현행화 조치

- 산사태예측정보 수신에 따른 체크리스트 작성 등 대응

o 산사태 취약지역의 체계적 적극적 관리

- 산사태현장예방단을 활용한 취약지역 사전 점검․정비

- 산사태취약지역의 지정 및 관리

- 산사태취약지역 위주의 사방사업 및 집중관리 추진

- 산사태취약지역 주민과의 비상연락망 구축

o 현장 중심의 산사태 대응역량 강화

- 산사태대응팀 등 산사태 전담조직 구성 운영

-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 및 시나리오 작성

- 산림청 주관 예방교육 등 참석

- 자체 간담회, 세미나 등 개최

- 산사태 대응 모의훈련 참여

o ’12년 산사태 발생지 복구

사방협회o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을 위한 컨설팅

o 사방사업 대상지 타당성 평가실시

산림공학회o 산사태취약지역 관리를 위한 컨설팅

o 산사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 등 개최

Page 24: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1 -

구 분 중점 추진사항

대응

단계

산림청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 설치 운영

- 여름철 재해대책 기간 동안 전국 산사태예방 연도별 대책의

체계적 추진

- 산사태 발생 위험 정보의 수집 전파, 대응 및 상황관리 등

※ 여름철 산사태 재해 대책기간(5.15~10.15) 동안 설치 운영

o 산사태 예측정보의 제공

- 지역산사태 예방기관의 장 등에게 제공

※ 지역산사태 예방기관의 장 : 지방자치단체, 지방산림청 및 국유림관리소의 장

o 산사태취약지역의 점검 강화 지시

- 지역산사태 예방기관장 등 산사태취약지역 현장점검 결과 확인

o 산사태 피해조사 지원

- ‘전문조사단’을 구성 운영하여 지자체/소속기관의 수요에 지원

지자체/

소속기관

o 산사태 예방 대응조직 설치 운영

- 산사태 예방지원본부(산림청)에 준하여 자체 실정에 맞도록 설치 운영

o 산사태 예측정보 수신시 상황판단회의를 통한 조치 실시

- 산사태 예측정보 등을 고려하여 산사태 발생 우려가 있거나

발생한 경우 대피명령 등 피해예방 조치 시행

※ 지역 주민 항시 연락체계 유지, 단계별 행동요령 등 사전전파

o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점검 강화

- 지역산사태 예방기관장의 산사태취약지역 현장점검 실시

o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응급조치

- 산사태 발생지에 대하여 토석 유출 등 피해가 없도록 조치

o 산사태의 보고

- 산사태 발생시 보고체계를 유지하고 필요할 경우 조사지원 요청

사방협회 o 산사태 피해조사 및 응급복구 등 관련 컨설팅

(국립산림과학원 및 유관기관 협조)산림공학회

복구

단계

산림청

o 산사태 발생지의 복구계획 마련

-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복구 계획 수립 시행

o 산사태 대응의 평가 분석

- 산사태 대응 단계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평가 분석

※ 평가 분석 결과는 다음 연도 전국 산사태예방 연도별 대책에 반영

- 산사태 대응 평가보고회 개최

※ 산사태로 인하여 인명 피해와 이재민 등이 발생한 경우 개최

지자체/

소속기관

o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복구(복원) 추진

- 복구설계금액 5억원 이상인 지역에 대한 사전 설계 심의

o 산사태 대응 평가 분석 협조

- 산사태 대응 평가 분석을 위하여 필요한 자료의 작성 제출

사방협회 o 산사태 피해조사 및 복구 등 관련 컨설팅

(국립산림과학원 및 유관기관 협조)산림공학회

Page 2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2 -

【부록 1】

산사태 위험 예측정보 제공 기준

산사태 예측정보의 제공 과정

❍ 기상청 강우자료(동네예보) 분석 → 권역별 산사태 토양함수지수

(예측기준) 분석 → 읍․면․동 단위로 예측정보 제공

※ 기상청 동네예보 : 714개 관측소의 5km × 5km 격자단위 강우정보

산사태 예측을 위한 권역구분

❍ 전국을 강우분포와 지질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권역을 구분

- 강우구분 : 1987∼2007년의 7~9월 평균 강우량의 분포를 이용하여

4개 권역으로 구분

※ 1권역: 600~1,100㎜․2권역: 550~900㎜․3권역: 650~850㎜․4권역: 500~800㎜

- 지질구분 : 지질은 화성암류, 변성암류, 퇴적암류로 분류

※ 1권역 : 화성암류, 2권역 : 변성암류, 3권역 : 퇴적암류

❍ 총 12개(4/강우분포*3/지질특성=12)권역 중 지질특성이 유사한 2개

권역은 통합하여 총 10개 권역으로 구분

※ 중부권역(1-1, 1-2, 1-3), 전라경남권역(2-1, 2-2, 2-3), 충청권역(3-1, 3-2), 경북권역(4-1, 4-2)

Page 26: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3 -

< 탱크모델 개념도 >

예경보 발령기준

❍ 권역별로 과거 산사태 발생 이력분석

결과를 토대로 토양내 빗물의 양을

토양함수지수로 산정(탱크모델)하고

그 지수에 따라 예․경보 구분

- 주의보 : 권역별 토양함수지수 80% 도달 시

- 경 보 : 권역별 토양함수지수 100% 도달 시

〈권역별 토양함수지수〉 (단위: mm)

권 역 별 1-1 1-2 1-3 2-1 2-2 2-3 3-1 3-2 4-1 4-2

토양함수지수 105 92 62 62 59 67 67 89 130 87

※ 토양함수지수는 탱크모델을 이용하여 토양에 저류되어 있는 빗물을

산출한 지수로서 실제 빗물의 량과는 차이가 있음

이용상의 한계

❍ 지역별 세부적인 토양특성(투수성, 지하수위 등)을 모두 반영하여

예측기준(탱크모델)을 설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므로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산사태 예측에는 한계가 있음

❍ 따라서, 산사태 예측정보는 현지 기상 등을 고려하여 산사태발생

우려지역 주민에게 예․경보 발령 및 피해예방 기초자료로 활용

Page 27: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4 -

【부록 2】

OOO 시․군․구 산사태 예방․대응 시나리오(안)

Ⅰ. 예방단계

□ 산사태취약지역 D/B 구축 및 사전 점검․정비 추진

o 산사태취약지역 현황

- oo개 읍․면․동 총 oo개소

- 아파트 oo개소, 주택 oo개소, 펜션 oo개소 등

- 산사태취약지역 총 거주인원 oo명

o 세부 D/B 내역(산사태취약지역 관리대장)<필요시 별첨>

연번 읍·면

리·동

지번 지구 취약지역 유형

거리(m) 대피장소 취약지역주민연락처

.

1

2

.

.

※ 산사태방지과-1167(2013.4.5.) “2013 여름철 산림재해 사전대비 점검

관련 사항 알림” 공문 및 첨부물 참조

o 산사태취약지역별 담당자 및 사전점검 내역<필요시 별첨>

연번 개 소 담당자 점검계획 실제점검일 조 치 사 항

1 oo읍 oo리 oo번지 홍길동

2

.

※ 산림보호법 제45조의11(산사태취약지역 관리) :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하여 연 2회 이상 현지점검

□ 산사태정보시스템 담당자 현행화 및 운영요령 숙지

o 산사태정보시스템 등록인원 현황(10명 이상)

부서 직급연락처

성명운영요령

숙지여부사무실 핸드폰

00과 0급 홍길동 O

. ×

Page 28: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5 -

Ⅱ. 대응단계

□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 설치․운영

o 상황실 근무자 편성표(산사태예방지원본부 근무자 편성표 예시)

구분 상 황 근무시간 비상근무조

상황실장 : 산사태방지과장

관심

단계

태풍․호우

빈발시기-

비상근무 없이 일상 업무 수행하면서

징후 감시활동

주의

단계

예비특보 또는

주의보 발령시22:00까지

10개조로 운영(1명 근무)

김영환 송인종 박영환 황상훈 공태식

김은혜 조화택 이원기 이경미 유승문

경계

단계경보 발령시

철야근무

(09:00 교대)

4개조로 운영(2명 근무)

김영환

송인종

박영환

황상훈

조화택

이원기

유승문

공태식

심각

단계

경보 발령 후 피해

발생 가능시

철야근무

(09:00 교대)

2개조로 운영(4명 근무)

김영환, 박영환

송인종, 황상훈

조화택, 유승문

이원기, 공태식

o 상황실 근무자 대응 요령

기상상황 확인 * 방재기상정보포털사이트

등 활용

→산사태취약지역별 연락체계 사전점검

* 현장 기상정보 확인→ 산사태예측정보 수신

→상황판단회의 개최

* 담당부서장 주재, 재난부서 협의 →

결과는 반드시 문서화→

산사태 예․경보 발령

* 발령시 산사태정보시스템 체크리스트 작성→

취약지역별 예․경보 상황 전파

* MMS, 안내방송 등→ 유사시 주민대피 조치

* 자력대피 가능여부 사전 파악→

피해발생시 즉시 상황보고

* 선 유선보고 후 서면보고

□ 산사태취약지역별 주민연락 및 대피체계도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시·군·구, 국유림관리소 등)

OO읍 담당자

(OOO)

OO면 담당자

(OOO)

OO면 담당자

(OOO)

OO면 담당자

(OOO)

OO면 담당자

(OOO)

(HP) (HP) (HP) (HP) (HP)

↓ ↓ ↓ ↓ ↓

연락방법 연락방법 연락방법 연락방법 연락방법

주민수 주민수 주민수 주민수 주민수

↓ ↓ ↓ ↓ ↓

대피소

대피소

대피소

대피소

대피소

Page 29: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6 -

Ⅲ. OO군 국지성 집중호우시 대응 시나리오

《oo관내 국지성 집중호우 발생 시나리오》

o 2013.8.14~17일까지 oo지역에는 시간당 10mm내외, 일강우량 50mm

미만의 비가 예보되었으나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2013.8.16 14:00경부터

시간당 20~30mm내외로 다소 강한 비가 옴에 따라 기상청 호우

주의보 및 산림청 산사태주의보가 발령됨

□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 운영강화”(1단계 : 주의)

o 근무인원 증원 : 녹지과 산림보호계 o명 증원

o 근무시간 : 09:00~20:00까지 근무

o 주요임무

- 상황판단회의 개최

- 기상진행상황(방재기상정보 포털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파악․관리

-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산사태주의보 발령 실시

- 읍면사무소 산사태주의보 전파 및 산사태취약지역 지속 관리

□ “산사태주의보 발령 상황전파”

o 2013.8.16 19:00경에 산림청에서 산사태예측정보(주의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황판단회의 후 산사태 주의보 발령 결정 후 산사태취약지역 거주자

ooo명에게 SMS 문자메세지 전송 <“금일 19:00부로 산사태주의보가 발령

되었으니 방송과 기상예보를 청취하시고, 비상상황시 즉시 대피 할

수 있도록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o 읍․면 공무원 ooo명에게 <“금일 19:00부로 산사태주의보가 발령되었

으니 산사태취약지 및 시설물 점검 등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산사태취약지 순찰지역을 점검하시어 특이사항 발생시 즉시

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제메시지 전송 및 유선으로 협조 요청

Page 30: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7 -

o 이장 ooo명에게 “금일 19:00부로 산사태주의보가 발령되었으니 oo군

녹지과에서 배부한 주의1단계 안내방송을 실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선 협조 요청

〔주의1단계〕 안내멘트

oo군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에서 알려드립니다.

현시각 산사태주의보가 발령되었으니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들께서는 계속

해서 방송과 기상예보에 귀를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긴급한 비상상황 발생시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장소를 숙지하시고,

비상식량과 손전등, 담요 등 비상용품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oo관내 21:00경부터 시간당 88mm이상의 호우발생 시나리오》

o 당일 21:00경부터 돌풍을 동반한 국지성 집중호우로 변질되어 기상청

호우경보가 발효되고 oo관내 일원에 시간당 88mm이상의 많은 비가

내림에 따라 상황판단회의 후 산사태경보로 상향 발령

□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 운영강화”(2단계 : 경계)

o 근무인원 증원 : 녹지과 근무(o명씩 o개조 운영)

o 근무시간 : 24시간 근무

o 주요임무

- 상황판단회의 개최

- 기상진행상황(방재기상정보 포털사이트)을 지속적으로 파악․관리

-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산사태경보 발령 실시

- 읍면사무소 산사태경보 전파 및 산사태취약지역 지속 관리

- 지정 대피장소 비상체계망 구축 및 관리

□ “산사태경보 발령 상황전파”

o 2013.8.16 21:00경에 산림청에서 산사태예측정보(경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황판단회의 후 산사태 경보 발령 결정 후 산사태취약지역 거주자

ooo명에게 SMS 문자메세지 전송. <“금일 18:00부로 산사태경보가 발령

되었으니 거주자여러분은 대피장소를 숙지하시어 비상상황시 즉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Page 31: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8 -

o 읍․면 공무원 ooo명에게 <“금일 21:00부로 산사태경보가 발령되었으니

산사태취약지 순찰지역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시어 비상상황발생시

즉시 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자메시지 전송 및 유선 협조 요청

o 이장 ooo명에게 <“금일 21:00부로 산사태경보가 발령되었으니 oo군

녹지과에서 배부한 경계2단계 안내방송을 실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선 협조 요청

〔경계2단계〕 안내멘트

oo군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에서 알려드립니다.

현시각 산사태경보가 발령되었으니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 여러분께서는

대피장소를 숙지하시여 비상상황 발생시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만전의

준비를 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상황전파 후 산사태현장예방단 및 산림조합 등 유관기관을 활용하여

현장점검 및 주민대피체계 구축

《oo군 oo면 oo리 일원 시간당 100mm이상 집중호우 발생 시나리오》

o 2013. 8. 16 21:00경부터 산사태경보가 발령되었고, 동일 22:00부터

oo군 oo면 oo리 일원에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성 집중호우가

쏟아지고 있으며,

o oo면사무소 산사태취약지 순찰도중 oo면 지방행정주사보 김○○직원

으로부터 oo면 oo리 일원의 oo야영장 뒤쪽임야의 산사태 붕괴위험이

높고 현재 oo야영장에 ○○대학교 대학생 10여명이 숙박을 하고

있다고 급보함.

o 또한, oo면 oo리, oo리 일대 전체가 지속적인 폭우로 수위가 너무

높고 주택 및 인명피해가 우려된다고 급보함.

□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 운영강화”(3단계 : 심각)

o 근무인원 증원 : 녹지과 전원근무(읍・면사무소 전원근무)

o 근무시간 : 24시간 근무

Page 32: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29 -

o 주요임무

- 상황판단회의 개최

- 산사태취약지역 등 주민대피 실시

- 산사태 피해지 응급복구 장비 및 비상식량 물자확보

□ “oo면 oo리 일원 거주자 SMS 전송”

o 산사태취약지역 D/B통계자료에서 oo면 oo리 산림인접지 실거주자에게

SMS문자메세지 전송 <“실제 산사태 비상상황입니다. 지금 즉시 대피

장소로 이동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알려드립니다. 지금

즉시 건물밖으로 나와 대피장소로 이동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o oo면사무소 공무원에 SMS문자서비스 전송 및 유선통보 “지금 즉시

oo면 oo리 일원의 산사태취약지 거주자들을 대피장소로 즉각 대피

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 번 알려드립니다. 지금 즉시 산사태

취약지 거주자들을 건물 밖으로 대피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o 또한, oo면장과 유선통화를 한 후 가용인력 및 행정차량 등을 이용

하여 산사태현장으로 이동하여 거주자들을 직접 대피조치

o oo면 oo리 이장에게 유선통화를 한 후 마을 방송시스템과 녹지과

산사태상황실 방송기기를 연결하여 심각3단계 안내방송을 실시

〔심각3단계〕 안내멘트

주민여러분!

oo군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에서 알려드립니다.

oo군 oo면 oo리에 실제 산사태 비상상황 심각단계 경보를 발령합니다.

이것은 실제상황입니다.

- 2회 반복-

현재기간 22시 00분 oo야영장 뒷산과 oo산 임야 하단부가 붕괴되고

있습니다. 지금 즉시 지정된 대피장소인 oo초등학교로 이동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이것은 실제상황입니다.

- 2회 반복 -

Page 33: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0 -

《oo군 oo면 oo리 3ha 산사태 발생 시나리오》

o 동일 22:25분 oo군 oo면 oo리 oo야영장 뒷 임야에서 집중호우로

지반이 무너져 토석이 oo야영장을 덮쳐 건물 매몰

o oo야영장에서 투숙하던 ○○대학교 대학생 10여명은 산사태 발생전에

안내방송 및 SMS문자서비스를 전송받은 oo야영장 관리자의 대피

명령으로 oo면사무소 행정차량을 이용하여 대피장소로 이동하여 인명

피해는 없었다.

o 또한, 100mm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렸던 oo면 oo리 일원의 산림인접지의

주택, 펜션 거주자들 역시 SMS문자서비스와 마을 안내방송을 통하여

대피장소로 이동할 수 있었다.

□ 산사태피해지에 대한 원인 및 피해 조사 실시

o 직원별 담당구역에 대한 피해 유무 및 규모를 우선 파악하여 즉시

보고하고, 대피장소에 있는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의 안전 여부 확인

- 보고체계 : oo군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 → oo도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

→ 산사태예방지원본부(산사태방지과)

※ 인명피해 발생시 산림청 산사태예방지원본부로 직접 보고

o 피해지에 대한 응급복구가 필요한 경우 사전에 확보한 수방자재 및

산사태현장예방단 등 가용인력을 총 동원하여 2차 피해 예방

o 피해규모에 대하여는 중앙합동조사단 현장 조사 이전 정밀조사를

통해 NDMS에 입력하고, 합동조사단에 대한 현장 안내 실시

Page 34: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1 -

【부록 3】

상 황 판 단 회 의

□ 개 요

o 회의개최시기 : 기상특보 발령 또는 산사태예측정보 단계부터

필요시 수시 개최

o 단계별 회의참석대상

기상특보

(예측정보)

회의개최 결정 및 회의주재 책임자

참 석 대 상 비 고

예비특보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장

(산림과장)

◦ 산사태 업무 담당자

◦ 재해업무 담당자

주 의 보통 제 관

(담당국장)

◦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장

◦ 산사태 및 재해업무 담당자

경 보

지역산사태예방

기관의 장

(시장․군수․구청장)

◦ 통제관

◦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장

◦ 산사태 및 재해업무 담당자

※ 야간, 토․일요일 및 공휴일에 기상특보 발령시 상황판단회의 개최 여부 결정

1. 산림재해대책상황실 상황요원이 기상특보단계별 회의주재자에게

기상상황 즉보

2. 회의주재 책임자(부재시에는 차 하급자)는 상황판단회의 개최를 결정

하여 참석자 소집을 지시하거나 상황판단회의 없이 즉시 비상단계

돌입 결정

Page 3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2 -

□ 회의 운영

기상상황 보고

<기상청 예보자료>▸기상개황, 향후 전망, 태풍 예상진로 등

산사태예측정보 분석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장>

▸산사태예측정보에 따른 위험상황 및 향후

재난전망 분석

단계별 대응전략 보고

<산림재해 대책 상황실장>

▸특보 발령 지역별로 현 기상상황과 유사한

피해이력 분석

▸읍․면․동별 누적강우량 및 향후 강우량 분석

▸산사태취약지역별 주요 대처상황 및 관리

계획 검토

▸예상피해지역별로 주요 대처방안 검토

주요사항 논의․결정<회의 주재관>

* 주의보 : 통제관, 경보 : 지역산사태

예방기관의 장

▸비상근무단계 결정 및 필요시 현장 상황요원 배치

▸산사태 예․경보 발령 및 주민대피 등 조치

필요사항 검토

후속조치 이행

<각 소관업무 담당부서>

▸회의결과 조치, 지시사항 지자체 및 해당

기관에 전파, 비상대응체제 가동 조치

※ 상황판단회의 회의록 표준(안) : 【붙임 1】

Page 36: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3 -

【붙임 1】

상황판단회의 회의록 표준 (안 )

1. 기상 상황 및 현장확인 내용

□ 산사태예측정보 수신상황 : □ 없음 □ 주의보 □ 경보

o 예측정보 주의보 지역 : oo읍, oo면, oo면 . . .

o 예측정보 경보 지역 : oo읍, oo면, oo면 . . .

□ 기상특보 발효 상황 : □ 없음 □ 주의보 □ 경보

o 기상특보 주의보 지역 : oo읍, oo면, oo면 . . .

o 기상특보 경보 지역 : oo읍, oo면, oo면 . . .

□ 현재까지 누적 강수량

지 역 oo읍 oo면 oo면 oo면 . .

강수량(mm)

지 역 oo읍 oo면 oo면 oo면

강수량(mm)

□ 예상 강수량

o oo지역을 중심으로 00mm의 강수가 예상

□ 주요지역 마을 이장 등 현지 기상 상황 확인 결과

o 현재 폭우성 비가 내리고 있으며, 마을 하천의 물이 많이

불어나 통행에 지장이 있음 등

□ 사방댐 원격관리시스템을 활용한 토석량 확인(관내 설치된 경우)

o 현재 사방댐 방수로 근처까지 토석이 쌓여있고 물의 흐름이

많아지고 있음

Page 37: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4 -

2. 상황 발령 여부결정

□ 상황판단회의 참석자

o 지역산사태예방기관의 장, 산림과장, 재난부서과장 등

□ 주요 논의 사항

o 회의에서 나온 주요 발언 내용 기록 : 현재 기상상황 및 향후

기상예보를 고려할 때 산사태 주의보 발령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또는 기존의 상황을 고려 할 때 산사태 예․경보 발령을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 됨

□ 결정사항

o oo읍, oo면, oo면 등 o개 지역에 산사태 “주의보” 발령

o oo읍, oo면, oo면 등 o개 지역에 산사태 “경보” 발령

3. 상황판단회의 결과에 따른 조치사항

□ 발령사항 통보

o 해당 읍․면․동 담당자 및 마을이장, 산사태취약지역 주민, 지역

유관기관에 대한 해당 사실 통보 : MMS, 마을방송, 유선 등

□ 단계별 조치사항 이행

o 단계별․담당자별로 작성된 시나리오에 의거 담당구역 순찰

및 응급조치, 산사태취약지역 주민 대피준비 등 이행

4. 상황판단회의 참석자 서명

직 시장 산림과장 재난부서과장 . .

서 명

<별첨서류> 산사태취약지역 관리대장

Page 38: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5 -

【부록 4】

Page 39: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6 -

Page 40: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7 -

Page 41: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8 -

Page 42: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39 -

Page 43: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0 -

Page 44: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1 -

Page 4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2 -

Page 46: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3 -

Page 47: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4 -

Page 48: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5 -

Page 49: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6 -

Page 50: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7 -

Page 51: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8 -

Page 52: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49 -

Page 53: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0 -

Page 54: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1 -

Page 5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2 -

Page 56: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3 -

산 사 태 상 황 보 고- 2013. 0. 0(금) 06:00 -

산사태예방지 원본 부

042)481-8844

【부록 5】

Ⅰ 산사태 발생 현황

구 분2013년도

비 고전일까지 금일 누계

산사태(ha)임 도(km)인명피해(명)

Ⅱ 주요 대처상황

《주요 작성 내용》: 실적위주로 작성

1. 비상근무 현황(공무원 00명)

2. 기관장 주요 활동내용(교육, 현장점검 상황 등)

3. 산사태 예보발령지역 : 주의보( 개 시·군·구), 경보( 개 시·군·구)

4. 산사태취약지역점검( 개소), 취약지역주민경보발령상황전파( 명)

- 주요 시설물 점검 내역

5. 산사태 예방 관련 공문지시( 회)

6. 기타 산사태 대응과 관련된 사항을 위주로 작성

Ⅲ 금후 추진계획 : 앞으로 조치 및 해야 할 계획을 작성

Page 57: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4 -

【부록 6】

산 림 재 해 상 황 보 고 산림청

피해기간 : 태풍 산사태예방 지원본부

작성 2012.09.21.16:00피해 총액     0 백만원

                 

Ⅰ 피해발생현황(공공시설)

기관

피해종별 단위 피해량지원단가 피해액 비

고(원) (백만원)

계       0  

산림시설

산사태 ha   100,452,000    

야계사방(계류보전) km   228,590,000    

사방댐 개소   287,359,000    

임 도 km   203,021,200    

자연휴양림숲속의집 ㎡   1,512,000    

화장실 ㎡   1,026,000    

수목원시설 묘포장 ㎡   5,000    

유리온실 ㎡   80,000    

초본원 ㎡   133    

교관목원 ㎡   1,200    

  생태관찰로 km   125,499,000    

  휴게실 ㎡   1,512,000    

  화장실 ㎡   1,026,000    

가로수 기타 가로수 본   121,000    

활엽수류,14cm미만 본   213,954    

활엽수류,15cm이상 본   719,579    

침엽수류,14cm미만 본   257,254    

침엽수류,15cm이상 본   597,607    

  산사태 외 피해 산림입목(풍해목) 본        

    기타(청사등공공시설) 건        

인명 인명피해 명        

※ 노란색 셀의 피해량만 기재하시면 피해액은 자동 계산 됩니다.(서식 변경 금지, 단위 확인하여 소수점 확인하여 기입)

Page 58: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5 -

Ⅱ 피해발생현황(사유시설)

기관

피해종별 단위 피해량지원단가 피해액 비

고(원) (백만원)

계       0  

산림시설

표고재배사 ㎡   27,008    

대추비가림 개량형(개폐기없음) ㎡   4,460    

소계 (피해량-㎡) 개량형(수동개폐기) ㎡   5,090    

0 연동형(자동개폐기) ㎡   6,340    

소계 (피해액) 우산형(수동개폐기) ㎡   6,700    

0 우산형(자동개폐기) ㎡   7,140    

산림작물

표고자목 1.2m 본   2,200    

톱밥표고 ha기준 ㎡   4,200    

유실수(묘목기준) 대추 ㎡   199    

  대추(낙과율) ㎡   47    

떫은감 ㎡   175    

떫은감(낙과율) ㎡   47    

호도 ㎡   118    

호도(낙과율) ㎡   47    

밤 ㎡   107    

밤(낙과율) ㎡   47    

  기타(은행) ㎡        

  기타(은행 낙과율) ㎡   47    

조경수분재(묘목기준) 조경수,분재 ㎡   2,171    

약용류(묘목기준) ㎡   716    

복분자(묘목기준) ㎡   655    

머루(묘목기준) ㎡   542    

다래(묘목기준) ㎡   255    

도라지(종자대) ㎡   122    

더덕(종자대) ㎡   305    

두릅(종자대) ㎡   237    

취나물(종자대) ㎡   161    

산양삼(종자대) ㎡   808    

약초류(종자대) ㎡   266    

야생화(종자대 ㎡   335    

잔디(파종생산비) ㎡   183    

※ 노란색 셀의 피해량만 기재하시면 피해액은 자동 계산 됩니다.(서식 변경 금지, 단위에 따른 소수점 확인하여 기입)

Page 59: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6 -

【부록 7】

산사태 현장예방단 구성·운영 계획

Ⅰ 현 황

1. 개 요

ㅇ 운영기간 : 6개월 (5월 ∼ 10월/여름철재해대책기간 포함)

ㅇ 운영규모 : 17개 시·도 25개 사업단

※ 산사태현장예방단 지방자치단체 배정현황 참고(참고2)

ㅇ 실행주체 : 지방자치단체(국고보조 70%)

※ 법적근거 : 산림보호법 제45조의 15(산사태대응팀의설치)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2조의 13(산사태 현장 예방단의 구성·운영)에 따라서 지역산사태예방기관장

등은 산사태예방·대응을 위한 ‘산사태현장예방단’을 구성·운영

2. 목적 및 필요성

o 여름철재해대책기간(5.15∼10.15)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상시 대응

인력체계를 확보하여 재해로부터 국민의 인명·재산 피해를 사전 예방

o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 순찰·점검 강화로 선제적 산사태 예방·대응

o 산사태 예방교육 및 홍보활동을 통한 대국민 안전의식 고취

Ⅱ 세부 추진계획

1. 산사태현장예방단의 운영·구성

o 운영기간 : 여름철재해대책기간( 5개월)을 포함한 6개월

o 구 성 : 1개단 4명 내외로 구성

o 확보장비 및 복장

- 확보장비 : 차량 및 수방자재, 도구, 등

※ 재료비 및 유류대 활용 : (4,900/재료비 · 2,700/유류대)

- 복장 규정 : 안전을 고려한 통일복장 및 안전장구 착용

Page 60: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7 -

2. 채용 및 임무

o 공고기간 : 4월 중(4월 말까지 선발 완료)

o 공고내용 : 사업내용, 사업기간, 자격요건, 신청서류, 선발절차

급여수준 등 근로계약에 대한 사항

o 주요임무

단계별 세부 사업내용 비고

예방단계

(4.15~6.30)

o 해빙기 산사태취약지역 순찰 및 점검

- 옹벽, 석축, 배수로 정비 등

o 산사태취약지역, 사방지 불법 훼손행위 감시

o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지원

o 산사태취약지역, 수해복구지, 임도, 산지전용지, 등 점검

o 수해복구 및 사방사업 지원

o 산사태예방 교육 및 홍보활동 지원 등

대응단계

(7.1~9.15)

o 산사태취약지역 순찰 및 피해예방조치

- 배수로 정비, 물길 돌리기, 천막․비닐 피복 등

o 산사태 예·경보 시 취약지역 내의 행락객 및 주민대피 안내

o 산사태 피해지 응급복구 지원 및 피해확산 차단

o 사방댐 등 재난방지시설의 점검 및 안전 조치

o 수방자재․응급복구용 장비 등 점검 및 응급복구

o 산사태 발생 신고지 현지 확인 및 자료수집․조사

o 산사태정보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조치

o 산림작물 재배시설 등 재해방지 계도 및 응급조치 등

복구단계

(9.16~10.15)

o 산사태 피해지의 조사 및 보고 등 복구계획 지원

o 추가 피해우려지역 조사 및 안전 조치 등

3. 복무 및 임금

o 복무관리

- 근무시간 : 1일 8시간(산사태예측정보 발령상황에 따라 조정근무)

- 휴일근무 : 토·일요일 또는 공휴일 근무가 불가피한 경우 서면

합의에 따라 평일 대체휴무일 지정 운영

- 초과근무 : 시간급으로 산정하여 지급 또는 합의에 따른 보상휴가 실시

- 근무상황점검 및 해고 : 불성실 근무자는 경고 후 재발 시 해고 조치

o 임금지급

- 인건비 : 51,500원/1일(단장수당 2,000원/1일)

- 교통비 및 식대 : 5,000원/1일

Page 61: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8 -

4. 예방단 교육

o 시책교육 : '13. 5. 14(화) ∼ 15(수), 2일간

- 장 소 : 사방기술원(경북 포항)

- 내 용 : 산사태방지의 정책방향 및 현장예방단업무 이해

o 직무교육 : 매월 첫째주 월요일 직무 및 안전교육 실시

Ⅲ 행정사황

o 각종 보고일정

보 고 내 용 보 고 자 수 신 자 일 자 비 고

예방단구성 및 운영

계획보고

시행기관의 장 시․도, 지방산림청장 4월 5일

시․도. 지방산림청장 산림청장 4월 10일

에방단 선발결과 보고

시행기관의 장 시․도, 지방산림청장 4월 30일

시․도, 지방산림청장 산림청장 5월 5일

예방단 운영실적 보고

시행기관의 장 시․도, 지방산림청장 매분기 5일 6,9,12월

시․도, 지방산림청장 산림청장 매분기10일 6,9,12월

※ 보고서식 등 ’13년 현장예방단 구성 및 운영지침(산사태방지과-158, ’13.1.16) 참고

o 기관별로 현장예방단 구성이 산림재해대책기간 이전에 구성·

운영될 수 있도록 추진

- 반상회 홍보자료 등을 통한 현장예방단 활동내용 적극홍보

o 기상이변으로 증가하는 산사태에 대비하여 산사태 전담인력 부족

및 전문인력 확보를 위하여 산사태현장예방단 운영예산 증액

지속 추진(산림청)

Page 62: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59 -

참고 1 산사태현장예방단 사업단가(1개단)

구 분 공정단가

(원)

금액

(천원)비 고

계 55,772

1. 인건비 4인 41,040

- 단장 1인 58,500 10,530 6월*25일*1.2

- 단원 3인 56,500 30,510 6월*25일*1.2

2. 재료비 4,900

- 수방 자재대 등 700 비닐,마대 등

- 차량임차 1대 700천원/월 4,200

3. 경비 7,998

- 4대 보험료 5,298 인건비의 12.91%

- 유류대등 450천원/월 2,700

4. 여비 및 교육비 1,034

- 여비 834

- 교육비 200 25,000원/일

5 . 안전복 등 4인 800 안전복, 안전화 등

Page 63: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60 -

참고 2 산사태현장예방단 배정현황

기관별 사업량(단)

사업비(천원)배정현황(인원)

계 국고 지방비

합 계 25 1,392,625 974,835 417,790  

시 · 도계 25 1,392,625 974,835 417,790  

서 울 3 165,641 115,949 49,692 서울시(12)

부 산 2 111,544 78,081 33,463 남구(2), 북구(2), 사하구(2),금정구(2)

대 구 2 111,544 78,081 33,463 동구(4), 달성군(4)

인 천 2 111,544 78,081 33,463 남동구(4), 강화군(4)

광 주 2 111,544 78,081 33,463 광주시(8)

대 전 2 111,544 78,081 33,463 공원관리사업소(4), 대덕구(4)

울 산 2 111,544 78,081 33,463 울주군(4), 북구(4)

세 종 1 55,772 39,040 16,732 세종시(4)

경 기 1 55,772 39,040 16,732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4)

강 원 1 55,772 39,040 16,732 강릉시(4)

충 북 1 55,772 39,040 16,732 보은시(4)

충 남 1 55,772 39,040 16,732 아산시(4)

전 북 1 55,772 39,040 16,732 정읍시(4)

전 남 1 55,772 39,040 16,732 광양시(4)

경 북 1 55,772 39,040 16,732 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소(4)

경 남 1 55,772 39,040 16,732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소(4)

제 주 1 55,772 39,040 16,732 제주도(2), 서귀포(2)

Page 64: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61 -

【부록 8】

산사태 관련 행동요령

□ 산사태 주의보 발령시 행정기관이 해야 할 일

산사태

예측정보(주의보) 수신

o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통한 MMS 수신

(산림청 → 지자체)

기상상황 확인

o 강우지속일수, 누적강수량, 시우량, 위성사진 등 관할

구역의 기상정보 확인

- http://metsky.kma.go.kr/index.html 접속

- 기관별 ID, Password 입력

o 유선으로 해당지역 공무원, 이․통장 또는 지역주민 등을

통한 현지 기상 확인

- 실제 비가 많이 오는지? 배수가 양호한지? 등

관계관

협조 및 의견조율

o 기상정보 및 현지 기상상황을 바탕으로 산림부서는

재난 부서와 협의 : 산사태주의보 발령 여부

- 상황이 주의보를 발령 해야 할 정도인지?

- 발령이 필요하다면 어느 시점에 할 것인지?

- 발령을 어느 지역에 할 것인지?

상황 전파 및 대응

o 발령이 결정 될 경우 산사태 매뉴얼 및 시나리오에 의거

- 산사태정보시스템에 발령 상황 등록

- 이․통장에게 유선 및 메시지를 활용하여 상황 통보하고,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에게 방송 유도

- 메시지 전송, 유선연락 등을 통한 상황 전파

o 관계 부서 공무원 등은 비상근무 체계 유지

- 산사태취약지역 담당지역별 점검 및 주민 비상연락망

확인, 이․통장을 활용한 기상상황 모니터링

- 산사태취약지역 주민대피 장소 안내 등 사전준비

Page 65: 산사태 예방·대응 행동매뉴얼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laceManual/1367296143777.pdf · o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실무매뉴얼 관련법령

- 62 -

□ 산사태 경보 발령시 행정기관이 해야 할 일

산사태

예측정보(경보) 수신

o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통한 MMS 수신

(산림청 → 지자체)

기상상황 확인

o 강우지속일수, 누적강수량, 시우량, 위성사진 등 관할

구역의 기상정보 확인

- http://metsky.kma.go.kr/index.html 접속

- 기관별 ID, Password 입력

o 유선으로 해당지역 공무원, 이․통장 또는 지역주민 등을

통한 현지 기상 확인

- 실제 비가 많이 오는지? 산사태 발생 징후는 없는지? 등

관계관

협조 및 의견조율

o 기상상황 확인자료를 바탕으로 산림부서는 재난

부서와 협의(산사태 경보 발령 여부)

- 기상상황이 경보를 발령 해야 할 정도인지?

- 발령이 필요하다면 어느 시점에 할 것인지?

- 발령을 어느 지역에 할 것인지?

상황 전파 및

긴급상황에 대응

o 발령이 결정 될 경우 산사태 매뉴얼 및 시나리오에 의거

- 산사태정보시스템에 발령 상황 등록

- 이․통장에게 유선 및 메시지를 활용하여 상황 통보하고,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에게 방송 유도

- 메시지 전송, 유선연락 등을 통한 상황 전파

o 관계 부서 공무원 등은 비상근무 체계를 강화

- 산사태취약지역 이․통장을 활용한 기상상황 확인 및 산

사태 발생 여부 모니터링

- 주민대피명령 발령시 주민대피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