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 양A101 부처사업명(대) 기초연사업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 명(중) 선도연센지원사업 개가능여부(개, 비개) 세부사업명(소) 기초의학분야(MRC) 제성(기초, 응용, 개발) 기초 -1 용화 대상여부(용화, 비용화) (센 명) 만성염증질환연센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Research Center 주연기 주일 협동연기 주연책임자 성 명 주일 직급(직위) 소속부서 의대학 약리학 면역약리, 약리 연개발비 및 참여연원수 (단위: 천원) 정부출연금 (A) 기업체부담금 정부외 출연금 (B) 상대 부담금 (F) G=(A+B+E) 참여 연원수 현금 (C) (D) E=(C+D) 1차도 300000 0 200000 500,000 61 2차도 300000 0 200000 500,000 53 3차도 440000 0 250000 690,000 49 4차도 470000 0 250000 720,000 49 5차도 470000 0 250000 720,000 65 6차도 950000 0 100000 1050000 59 7차도 970000 0 100000 1070000 60 8차도 1005500 0 100000 1105500 59 9차도 1000000 0 100000 1100000 58 5,905,500 0 0 0 1,550,000 0 7455500 513 총연기간 2003. 09. 01 - 2012. 08. 31 (108개월) 참여기업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0 제동연 상대연기수 상대연개발비 상대연책임자수 규정 모든 지사항을 준수하면서 가연개발사업에 따라 수행한 연개발제 (사업)의 최종 보서를 붙임 같이 제출합니다. 2012 9 월 7 일 주연책임자 : 주 일 (인) 주연기장 : 유 재 석 (직인) 육 학 기 술 부 장 귀 하 참여연원수는 연책임자를 제외한 본 연에 참여하는 모든 연인(연보조원 포함) 인원수를 기재함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

양식A101① 부처사업명(대) 기초연구사업 보안등급(보안, 일반) 일반② 사 업 명(중)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공개가능여부(공개, 비공개) 공개③ 세부사업명(소) 기초의과학분야(MRC)④ 과제성격(기초, 응용, 개발) 기초 ④-1 실용화 대상여부(실용화, 비실용화)⑤ 과 제 명 (센 터 명)

국 문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영 문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Research Center

⑥ 주관연구기관 주일로⑦ 협동연구기관⑧ 주관연구책임자 성 명 주일로 직급(직위) 교 수

소속부서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전 공 면역약리, 신경약리⑨ 연구개발비 및 참여연구원수 (단위: 천원)

년 도 정부출연금(A)기업체부담금 정부외출연금(B)

상대국부담금(F)합계G=(A+B+E) 참여 연구원수현금(C) 현물(D) 소계E=(C+D)

1차년도 300000 0 200000 500,000 612차년도 300000 0 200000 500,000 533차년도 440000 0 250000 690,000 494차년도 470000 0 250000 720,000 495차년도 470000 0 250000 720,000 656차년도 950000 0 100000 1050000 597차년도 970000 0 100000 1070000 608차년도 1005500 0 100000 1105500 599차년도 1000000 0 100000 1100000 58

합계 5,905,500 0 0 0 1,550,000 0 7455500 513⑩ 총연구기간 2003. 09. 01 - 2012. 08. 31 (108개월)⑪ 참여기업 중소기업수 대기업수 기타 계

0⑫ 국제공동연구 상대국연구기관수 상대국연구개발비 상대국연구책임자수

관계규정과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면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따라 수행한 연구개발과제 (사업)의 최종 결과보고서를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2012 년 9 월 7 일 주관연구책임자 : 주 일 로 (인) 주관연구기관장 : 유 재 석 (직인)

교 육 과 학 기 술 부 장 관 귀 하※ ⑨참여연구원수는 연구책임자를 제외한 본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연구인력(연구보조원 포함) 인원수를 기재함

Page 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

< 한글 요약문 >

양식A201

연구목표(500자내외)

염증반응은 손상된 조직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면역반응의 일종으로 생체보호반응 (host defense response)이지만, 부적절한 염증반응은 조직의 손상을 초래하는 양면성을 갖고 있음. 염증 반응이 여러 만성 및 퇴행성 질환의 발생, 진행 및 후유증의 유발에 주요하게 관여하고 있음이 점차 밝혀지고 있어 염증반응은 다양한 만성 및 퇴행성 질환의 제어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새로운 타겟으로 부각되고 있음. 본 센터에서는 이러한 연구배경을 바탕으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하고 염증반응과 관련된 간질환과, 뇌질환에서의 염증반응의 양상과 작용을 규명하며, 임상과의 중개연구를 통하여 그라브스눈병, 피부질환, 천식 등에서 염증반응이 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관여하는 바를 확인하여, 만성염증질환 치료를 위한 염증반응 조절 및 제어 표적을 발굴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설정하였음.

연구내용(1000자내외)

1총괄: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1-1세부: 발굴된 염증조절인자를 통한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 핵수용체 small heterodimer partner(SHP)에 의한 interferon signal의 조절기작 규명• 염증조절 타겟인 MAP kinase phosphatase (MKP)-1의 조절기작 규명• 세포막 lipid raft에서의 염증조절물질들의 기작 규명• PIP2/PIP5K에 의한 LPS/TLR4 수송 및 시그널링 조절에 관한 기전연구• 알레르기 질환환자에서 알레르겐-면역요법 전후의 면역학적 변화 분석• Wnt 분비 단백질의 색소형성 조절 효과 및 기전 규명<1-2세부: 세포내 대사이상과 연관된 만성염증반응의 제어> • 간암세포주에서 LDH B knockdown을 통한 당대사전환 유전자를 통한 세포암화 제어기술 도출 • Ganglioside에 의한 hyaluronic acid 생성조절을 통해 갑상샘눈병증 병리 기전에서 ganglioside에

의한 병리적 현상에 대한 억제 효과 규명• TTFL (Transcription/Translation Feedback Loop)의 모델 정립을 통해 형질전환

초파리모델에서 CLOCK 인산화와 전사활성 규명 <1-1위탁: Fibrosis의 병태생리 및 억제기전 연구>•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세포막 구조단백질 역할규명• 안와섬유화 조절을 위한 항염증 약물 효과 검증2총괄: 뇌염증반응 조절을 통한 신경질환 치료연구<2-1세부: 신경계 손상 후 재생과정과 염증반응의 상호작용 연구>• 급성 뇌척수손상모델에서 염증세포들의 반응양상과 뇌염증반응의 세포독성 및 재생 작용 확인• 척수손상 모델에서 macrophage 및 염증반응과 척수내 신경가소성과의 관련성 분석<2-2세부: 뇌염증반응에 의한 손상방어 전략구축>• 염증반응에 동반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 손상과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의 관련성 확인• 퇴행성뇌질환과 염증반응의 관련성 연구: α-synuclein에 의한 뇌염증 세포 기능조절과

파킨슨병과의 연관성 확인 단독: 간의 만성염증반응 및 섬유화에 관한 기전연구 • 산화자극에 의한 cytokinesis defect, genomic instability, mitotic kinase 변화 및 기전확인 • 세포 스트레스 반응에서 NADPH oxidase의 활성 기전의 규명• TIM-3 발현 T 세포내 IL-2 생성조절에 관한 분자기전 연구

기대효과(500자내외)(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염증반응의 조직, 질환 특이적 양상을 이해함.• 본 연구과제에서 얻은 결과들을 최고 수준의 국제적인 학술지에 게재함으로써 국가 과학 수준의

향상에 기여함.• 후속 연구에서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기반 지식과 기술 확보.• 염증의 글로벌한 이해를 바탕으로 만성질환과 퇴행성 질환의 기초연구를 선도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로 보건∙의료의 발전에 기여함.• 만성 염증 질환 연구센터로서의 국제적 인지도를 확보하고, 국내 관련 연구의 허브로서

자리매김함.• 본 연구과제의 수행결과는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차세대 의과학을 이끌어갈 신진연구인력을 양성, 배출함.

중심어만성염증 조직특이적 조절 퇴행성뇌질환

섬유화 질환 세포막 지질/단백질 재생과 신경가소성대사이상 생체시계 뇌척수손상

Page 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

< 영문요약문(SUMMARY) >

양식A202

Purpose(500자내외)

Inflammation is a defense mechanism to protect damaged tissues from infection. However, long-lasting and excessive inflammation destroys tissues and organ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inflammation participates in onset and progression of several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Therefore, inflammation is an emerging target to prevent and treat diverse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Based on these backgrounds, we set up the research aims of this center as followings. 1. Identify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that regulate inflammation in diverse tissues and diseases. 2. Identify patterns and effectiveness of inflammation in cell and animal models of liver and brain diseases. 3. Find out targets to regulate inflammation in Grave's disease, skin diseases, and asthma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se diseases as a translational research.

Contents(1000자내외)

Project 1: Studies on tissue-specific inflammation (1-1) Provide tissue specific preventive measures for inflammatory diseases via regulation of

inflammatory target genes• Interferon signal transduction pathway mediated by nuclear receptor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 Mechanisms for regulation of MAP kinase phosphatase (MKP)-1• Functional roles of lipid raft for inflammatory signal transduction• PIP2/PKP5K mediated LPS/TLR4 trafficking and signal transduction • Investigation of immunologic changes following allergen-immune therapy in allergy patient• Mechanism for Wnt-mediated pigment formation(1-2) Regul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s linked with cellular metabolic perturbations• Prevention of cellular carcinogenesis by LDH B knockdown in hepatoma cell lines • Roles for ganglioside in the treatmnent of thyroid ophthalmopathy'via through regulation of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vestigation of roles of CLOCK phosphorylation in circadian clock system(1-3) Pathophysiology and preventive mechanisms of fibrosis • Investigation of functional roles for membrane proteins in cell trafficking and signal transduction

following astrocyte activation• Valid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nti-inflammatory drugs for orbital fibrosis Project 2: Studies on brain inflammation in acute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2-1) Interaction between regenerative and inflammatory pathways following neural injury• Investigate the inflammatory cell's behavior and cytotoxic/regenerative actions of brain inflammatory

responses in acute spinal cord injury model•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macrophage mediated inflammatory reactions to neural plasticity in spinal

cord injury (2-2) Establish the protective strategies for brain damage following brain inflammation.• Relationship between free-radical induced cytotoxicity and mitochondria dysfunciton accompanied with

inflammatory reactions.• Investigate the roles of inflammatory reaction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 relationship between• α-synuclein mediated regulation of brain inflammatory cell function and pathophysiology of Parkinson's

disease Project 3: Studies on chronic liver inflammation and fibrosis • Oxidative stress induced cytokinesis defect, genomic instability, and changes in mitotic kinases• Mechanism of NADPH oxidase activation in cellular stress response• Molecular mechanism of IL-2 production in TIM-3 expressing T cells

ExpectedContribution(500자내외)(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issue-, and disease-specific patterns of inflammatio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publishing scientific accomplishments in

international top-notched journals.•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health care by establishment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for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via global understanding of inflammation.• Secure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Research Center" and become

domestic research hub for related researches.• Scientific results will be used for prognosis of diseases which accompany inflammation • Educate and foster young investigators responsible for next generation biomedical science.

Keywordschronic inflammation tissue-specific regulation neurodegenerative disorder

fibrosis membrane lipid/protein synaptic plasticitymetabolic alteration biological clock brain/spinal cord injury

Page 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

【 목 차 】

Ⅰ. 연구센터 개요 ------------------------------------ 1. 센터의 목표 ------------------------------------ 2. 센터의 주요연혁 --------------------------------- 3. 센터의 사업개요 --------------------------------- 4. 센터의 조직 ------------------------------------ 5. 센터의 인력현황 --------------------------------- 6. 센터의 사업비현황 -------------------------------- 7. 사업수행실적 요약(총괄) ----------------------------

Ⅱ. 사업수행실적 ---------------------------------- 1. 사업수행 산출성과 -------------------------------- 2. 기타 주요업적 ----------------------------------

Ⅲ. 사업관리 및 기반구축 ----------------------------- 1. 사업관리 ------------------------------------- 2. 설치대학의 지원실적 ------------------------------ 3. 연구시설 기반구축--------------------------------

Ⅳ. 목표달성도 ----------------------------------- 1. 목표달성도 ---------------------------------- 2. 대표연구업적 --------------------------------- 3.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 4.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 5.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6. 센터 향후 연구계획 ------------------------------

< 양 식 > 자체평가의견서 -------------------------- < 부 록 > 1. 과제별 연구내용 ------------------------------- 2. 대표적 연구성과 ------------------------------ 3. 대표적 논문초록 사본(10편) ------------------------- 4. 대표적 특허등록 및 출원증 사본(10건) -------------------

4

4

4

5

14

15

18

18

28

29

66

69

70

71

72

74

75

77

79

79

80

80

82

3

36

40

-

Page 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

제1장

연구센터 개요

Page 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

Ⅰ. 연구센터 개요

1. 센터의 목표

1.1. 당초목표 및 수정 보완목표

구분 당초목표 수정․보완 목표

1단계 염증복합체 규명 및 섬유화기전 연구 좌동

2단계 염증조절을 위한 표적물질 및 선도물질 발굴 염증반응조절 타겟 확인 및 새로운 염증신호발굴

3단계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 좌동

1.2. 당초목표의 수정 보완 사유

2단계 연구목표 일부 수정보완 이유: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염증조절물질 발굴보다는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계와 기전을 연구하여 염증반응조절 타겟을 발굴하는 것이 사업목적에 부합되는 동시에 앞으로의 연구와 응용 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목표를 수정함.

2. 센터의 주요연혁2003. 8. 28. 과학재단‧과학기술부 지원 기초의과학 연구사업 (MRC)에 선정2003. 9. 1. 아주대학교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과제 수행2003. 9. 1 센터 전담 행정요원인 이해경 근무시작 2003. 10. 13. 의료원 운영위원회에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를 의료원기구로 독립시킴2003. 11. 6.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규정 초안 완성 규정류 위원회 상정2003. 12. 29. 센터 전임교원 선발 1차 공고2004. 1. 2. 제 1회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동계캠프 모집 및 활동시작2004. 2. 20. 아주대학교 의료원 직제규정에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신설 및 소장 보직 임명2004. 3. 2.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홈페이지 오픈2004. 4. 28. 센터 전임교수 선발 2차 공고 2004. 9. 1. 센터 전임교원(박은정박사) 선발 및 근무시작2004. 11. 9. 병무청으로부터 전문연구요원 지정업체로 선정2004. 11. 12. 센터 내 공동기기인 confocal Microscopy 입고 및 설치2005. 3. 12. 제1차 Ajou Bio-Future Forum 에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소개2005. 7. 15. 과학재단 MRC 운영관리실태 현장점검 실시2005. 9. 1.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2단계 연구개시2005. 12. 1. 센터 병역특례요원인 김영현 연구원 근무 개시

Page 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

2006. 3. 2. 센터 전임조교로 confocal microscopy 담당인 박지영 임용2006. 5. 1. 박상면 조교수(센터 연구관련 전임교원) 신규임용 및 센터연구 합류2006. 6. 21. 과학재단 MRC 운영관리 현황 연차 모니터링 실시2006. 8. 1. 센터 공모과제 모집공고 게시2006. 9. 1. 센터 공모과제 발표 및 연구개시 (알러지내과 남동호교수, 신경과 이필휴교수, 피부과

강희영교수, 의과학연구소 진병관교수 위탁연구로 센터연구 참여)2006. 11. 17. 기초의과학 연구센터 정책토론회 (국회 헌정기년관 대회의실, MRC협의회)2007. 1. 11. IRB와 공동 주관으로 의학윤리 워크샵 개최2007. 3. 1. 센터 전임교원 이상윤 조교수 센터연구 합류 (박은정 전임강사 후임) 센터 연구 전임교수 최윤희 조교수 센터연구 합류2007. 5. 11-12. 대학원 의학과 공동주관으로 The 9th Ajou Brain Conference 개최

(양지파인리조트)2007. 7. 2~8. 4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하계캠프 시행2007. 8. 3. 과학재단 연차 센터현장점검 실시2007. 10. 11. 제1회 경기바이오테크노 포럼에 참가,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소개2007. 12. 8. 센터 주관으로 대학원의학과 공통세미나 개최 (Chronic Inflammation: The

Emerging Convergence in Human Disease, 아주대학교 별관 소강당)2008. 4. 25-26. 대학원 의학과 공동주관으로 The 10th Ajou Brain Conference 개최

(양지파인리조트)2008. 6. 18. 과학재단 MRC 운영관리 현황 연차 모니터링 실시2008. 7. 10~11 MRC 여름캠프참가 (대천 한화콘도)2008. 9. 01.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3단계 연구개시2008. 9. 01. 최용준, 김은영 조교수 (센터연구관련 전임교원) 신규임용 및 센터연구합류2008. 11. 21~22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연합성과발표회 참가 (천안 상록리조트)2009. 1. 5~2. 13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동계캠프 시행 2009. 7. 1~8. 12.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하계캠프 시행 2009. 12. 11~12.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연합성과발표회 참가 (부산 벡스코 컨벤션센터)2010. 7. 08~09. MRC 여름캠프 참가 (대천 한화콘도)2010. 11. 26~27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연합성과발표회 참가 (경주교육문화회관)2011. 12. 02~03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연합성과발표회 참가 (광주 무등파크호텔)2012. 01. 02~02. 03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동계캠프 시행2012. 3. 17 세계 뇌주간행사 중 센터연구소개 (주일로 센터장)2012. 7. 02~ 7. 27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여름캠프 시행2012. 9. 01.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2012년도 선도연구센터로 재선정

3. 센터의 사업개요 3.1. 관련분야의 현황 및 중요성과 국제동향

▣ 염증반응과 만성질환의 연관성 -만성 및 퇴행성질환 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 염증반응은 본래 외부로부터의 손상에 대처하여 생체 특히 혈관이 분포된 조직에서 나타나는 면역반응의 일종으로 생

체보호반응 (host defense response)이지만, 부적절한 염증반응은 조직의 손상을 초래하는 양면성을 갖고 있음. 최근,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물질이 동맥경화, 다발성 경화증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과 관련이 높다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알

려지면서 염증 반응이 여러 만성 및 퇴행성 질환의 발생, 진행 및 후유증의 유발에 주요하게 관여하고 있음이 점차 밝

혀지고 있음. 그 결과, 염증매개물질의 조절을 통하여 염증반응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만성 및 퇴행성 질환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심을 갖고 많은 의과학연구자 및 의료진들이 염증반응조절을 통한 질환의 제어방안에 대해 연구하

Page 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

고 있음

• 염증반응에 의한 질환을 두 가지로 구분하면, 첫째는 염증반응 자체가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lzheimer 병, 천식

등이며, 두 번째로는 만성염증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섬유화가 질병의 중요 원인이 되는 간경화, 폐섬유화 등이 있음.

염증반응 많은 퇴행성 질환과 만성질환의 병태생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현대인의 'life quality'의 유

지를 위하여 치료방안이 절박한 동백경화증, 관절염, 퇴행성뇌질환, 천식 등과 연관되어 있어 염증반응조절을 통한 만

성 및 퇴행성 질환의 치료방안 모색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음. 본 센터에서는 이러한 연구배경을 갖

고 1총괄과제에서는 염증반응 자체에 주목하여 염증반응에서의 염증복합체(inflammasome)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염증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표적을 발굴하고 대사와 염증반응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 총괄과제에

서는 신경질환과 염증반응의 관계, 단독과제에서는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 섬유화의 진행 및 기전에 관한 연구를 추

진하였음.

▣ 중추신경계 염증반응의 특이성Cerebrospinal fluid, blood brain barrier, meninges와 같은 특징적인 구조는 중추신경계를 다른 조직과 기능적으로 차단시키기 때문에, 뇌는 면역반응에 있어서 예외가 되는 기관(immunologically privileged organ)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들은 microglia나 astrocyte같은 신경교세포(glia)뿐만 아니라 신경세포(nerve cell)도 면역반응에 관여하여 뇌의 염증반응을 주도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음. 따라서 중추신경계의 염증반응에 대한 연구는 이들 신경계 세포에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기반으로하여 별도로 진행되어져야할 필요가 있음. Astrocyte나 microglia가 활성화되면 특정 사이토카인이나 성장인자 등의 분비를 변화시켜 ‘Reactive gliosis’ 또는 ‘Glial scar’ 라고 불리는 환경을 조성함. Reactive gliosis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glial barrier를 형성하여 손상되지 않은 조직이 2차 반응에 의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막고 axon의 regeneration을 유도하여 뇌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수행함. 이와 상반되는 역작용으로 glial cell의 과도한 활성화 결과 생성되는 신경물질 및 사이토카인 등에 의한 뇌의 2차 손상이 유도되어 더 큰 병변을 생성시키기도 한다. 신경세포와 면역세포는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신경물질과 염증매개인자를 분비한다는 최근의 보고가 있음.. Infection, injury, ischemia 등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날 경우 이를 인지한 neuron이 cholinergic anti-inflammatory pathway를 활성화시키며, 이 반응은 motor neuron, sensory neuron, macrophage cell이 밀접하게 정보를 교환하며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됨.

▣ 대사이상과 염증반응염증반응(Inflammation)과 대사반응 (metabolic control)에 모두 작용하는 물질의 규명은 과도한 염증반응에 의한 질환을 치료하기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해주고 있다. 감염된 조직이나 상처부위가 갖고 있는 대표적인 특징 두 가지는 정상세포보다 낮은 산소농도 (hypoxia)와 염증세포의 유착임. 최근 cramer등은 hypoxia에 반응하면서 염증반응에 참여하는 master regulator로 추정되는 HIF-1이란 물질을 보고함. HIF-1은 염증질환 및 암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target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HIF-1외에도 염증반응과 대사반응에 모두 관련된 중요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됨. 또한 염증상태에서 metabolic regulatory gene의 발현이 중요하다는 최근의 보고들도 이어지고 있음. 대표적인 유전자는 PPAR-gamma로, 그 기전은 정확히 알려진 바 없지만 실질적으로 PPAR-gamma agonist가 염증성 뇌질환 및 심장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의미있는 보고들이 있음. 세포대사반응과 염증 및 면역반응은 조직세포마다 특이적인 반응을 보이며, 특정조직에서 이 두 반응에 모두 참여하는 조절물질 및 유전자의 발굴은 다양한 질환의 극복에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것임.

▣ 미토콘드리아대사이상과 염증반응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서 에너지 생성의 주요장소일 뿐 아니라, 활성산소(ROS)의 생성의 주요장소이며 세포내 Ca++의 항상성조절 및 세포사멸의 시발점으로도 작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모든 조절작용이 미토콘드리아의 대사기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의 변화가 면역세포 뿐 아니라 염증부위의 여러 조직세포의 기능 및 면역반응 조절에도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음. 또한 최근 들어 세포내 에너지 대사산물의 하나인 adenosine이 염증조절인자로 밝혀짐에 따라 대사적

Page 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

염증조절인자(Metabokines)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조직의 암화는 염증반응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대표적인 조직손상의 하나이며, 또한 hypoxia가 암화의 초기단계인 세포증식부터 후기의 전이단계까지 깊이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모델임. 본 연구자는 최근 들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이 세포의 암화과정에 깊이 관여하고 있어서, 초기의 세포증식작용 뿐 아니라 세포간 부착(cell-to-cell interaction) 및 세포의 이동(migration), 이미 암화된 간암세포주의 세포이동(migration)에도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됨.

▣ 간 섬유화, 간암 - 만성간염의 주요 합병증한편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 의한 간의 염증상태가 장기화되었을 때 피할 수 없는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것이 간의 섬유화와 간암 발생임. 한국보건사회 연구원이 발표한 국내 주요질환의 유병율을 보면 만성 간염이 주를 이루고 있는 만성 간질환은 40대에는 2위, 50대에는 3위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1995-1998. 연령별 주요 성인 질환 유병율), 만성간염 중 적어도 12-20%가 5년 내에 간경화로 진행하며, 그 중 20-30% 정도가 비대사성 간경화, 즉 잔여 간이 보상 작용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간경화 상태로 악화되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김. 또한, 간경변 환자의 약 10%는 간암으로 진행하게 되며, 간암은 매우 치사율이 높은 암으로 잘 알려져 있음. 현재까지도 한국에서 간암으로 사망하는 환자의 75%는 HBV에 대한 만성적 염증반응으로 인하여 간암으로 진행된 경우임.

▣ 간 섬유화 - 일반적인 섬유화 기전의 복사판만성염증반응이 지속되면 간조직도 다른 조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섬유화 (fibrosis) 현상을 일으키고 간경화로 진행됨. 인체의 섬유화는 다양한 장기에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유사한 생성기전을 갖고 있음. 즉, TGF-β를 대표로 하는 섬유화 촉진 cytokine이 작용하고 이에 반응하여 myofibroblast가 활성화되고 증식하여 collagen을 다량 분비한다는 것이 그것임. 간의 섬유화에 있어서도 TGF-β가 섬유화의 촉진인자로 작용하며 Ito 세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의 항섬유화 작용간세포 성장인자(HGF)는 세포의 분화, 분열, 이동, 재생, 기관형성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cytokine으로 간경화 동물 모델에서 HGF가 간경화의 진행을 억제하며 심지어는 이미 생성된 간의 섬유화를 소실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음. 간경화에 있어서 중심세포로 작용하는 Ito 세포(stellate 세포)는 간경화의 과정 중 증식 및 활성화를 겪게 되는데 본 연구자들의 이전 연구에 의하면 HGF는 TGF-β에 의한 Ito 세포의 활성화를 막을 수 있음. 또한 HGF는 hepatocyte의 EMT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음.

▣ Interferon-λ; 염증 반응의 새로운 modulator

HBV 감염에 의한 조직 손상은 바이러스에 의한 간세포 파괴에 의하지 않고 HBV-specific CD8 T cell에 의한 감염된 세포의 공격과 이로 인해 유도된 비특이적 염증반응에 의한다. 면역 반응과 염증 반응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은 사이토카인으로서 이 중 IFN-α는 면역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고 자연 면역과 획득 면역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함. IFN-λ는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는 점에서 IFN-α와 유사한 점이 있음. 그러나, IFN-α와 다른 고유의 수용체를 이용하므로 IFN-λ는 IFN-α와 기능면에서 차별성을 보일 가능성이 충분하다. IFN-λ에 대한 기능 연구는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작용에 국한되어 있으며 면역 조절 기능과 염증 반응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음. IFN-λ에 의한 면역 조절과 그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면역 조절을 통한 만성 염증 제어에 새로운 조절자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음.

▣ 바이러스성 단백질인 HBx에 의한 염증반응 조절; ROS, cytokineHBV가 발현하는 HBx 단백질은 바이러스성 암유전자로 발암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이다. HBx는 또한 다양한 종류의 pro-inflammatory cytokine들(TNF-α, IL-6, IL-18)의 발현을 직접 조절할 수 있어 간에서의 염증반응 조절에 직접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팀은 만성간염, 간경화, 간암환자의 간조직에서 HBx의 발현이 각 간조직의 염증정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관찰하여 보고하였

Page 1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8

그림 1. 각 질환에서 염증연관 연구의 비율. 숫자는 최근30년간의 연구의 증가(배) 표시. (출처: pubmed)

그림 2. 뇌염증과 퇴행성 신경질환 관련 특허 동향. (출처: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 서비스)

음. 흥미롭게도 본 연구팀은 세포 내에서 ROS의 양이 증가하면, HBx 단백질의 분해를 저해시켜 세포 내 HBx의 양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보고하였다. 따라서, 만성 염증반응의 진행시 ROS와 HBx간의 positive feedback loop이 형성되어 oxidative stress에 의한 세포 손상을 심화할 가능성이 있음.

▣ 바이러스성 염증질환에서 간세포 손상 관련인자 HBV 감염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간세포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① 주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를 비롯한 inflammatory cytokines ② HBx 발현에 의한 caspase 3의 활성 ③ inflammatory cytokine과 HBx에 의한 ROS의 생성 등이다. 이들은 간세포에서 단독적으로 혹은 스트레스성 외부자극에 민감하게 만듦으로써 세포사멸을 촉진할 수 있음고 보고되었음. Oxidative stress 하에서 살아남은 간세포내 genetic alteration의 축적 등이 간세포의 전암 단계 또는 암으로 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러한 oxidative stress 하에서 간세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된 바 거의 없다. NF-κB는 간세포사멸을 조절할 수 있는 대표적 유전자임. 최근, 쥐의 간염 모델을 이용한 연구에서 NF-κB의 활성 여부는 염증반응 정도나 dysplasia등 간세포 형질변형에 기여하지는 않으나 carcinogenesis의 후반기에 apoptosis를 억제함으로써 hepatocellualr carcinoma 생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음.

▣ 국제동향▶ 관련 연구 논문 동향 만성염증은 많은 질환의 원인이 되고 질환의 진전을 촉진시키는 위험인자로 알려짐에 따라 각 질환을 이해할 수 있는

기전 측면 뿐만 아니라, 치료 측면에서도 관심이 급격히 높아짐. 이에 따라 논문수도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림 1), 또 이를 이용한 특허출원건수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임 (그림 2)

• 뇌염증반응과 뇌질환- 뇌연구에서 염증반응에 대한 연구는 현재 태동기이나 최근 들어

염증반응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음. - Pubmed 검색결과 “Neuroinflammation” 관련 논문은 지금까지

2,886건이 발표되었으며, 이들 중 2005년 이후 발표된 논문이 2,062 건으로 전체 71%가 최근 5년간 나온 논문임.

- 뇌허혈성 질환인 뇌졸중에 대한 연구 중 염증반응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 이전 1%도 되지 않았으나, 최근 5년간 4% 가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 또한, 퇴행성뇌질환의 연구에서도 염증반응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 이전 1.6%에서 최근 5년간 거의 10% 가까이로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음 (그림 1).

▶ 관련 특허 동향 (우측 그림)• 염증과 대사 질환에 관한 특허는 미국이

전체의 66%를 점유하고 있고, 유럽 (7.7%), 일본 (2.93%), 그리고 한국(2.9%)의 순으로 점유하고 있음.

• 염증반응과 암에 관한 특허는 역시 미국이 전체의 69%를 점유하고 있고, 한국이 6.3%로 뒤를 잇고 있음. 약 2만여건의 특허 중 천연물에 관한 특허가 전체의 50%에 해당할 만큼 천연물의 효능에 관한 특허가 압도적임.

• 뇌염증과 퇴행성 신경질환에 관한 특허는 미국이 53건에 85%의 강세를 보이고 있음. 특히 뇌염증과 퇴성 신경질환에

Page 1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9

관한 특허는 2003년부터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비로소 시작되고 있음을 말해줌.• 염증 반응 조절을 통한 치료제 개발도 진행중임. - National Institute of Aging (NIA, 미국): 2007년, Alzheimer‘s Disease Anti-Inflammatory Prevention Trial

(ADAPT) 임상 3상 완료, follow-up 연구가 진행 중임. - Pfizer: 2011년, 면역반응을 이용한 신약 PF-04360365(humanized Aβ antibody)의 임상 2상 완료 - Janssen: 염증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

▶ 국외 염증 연구센터 현황• University of Edinburgh (에딘버그, 영국): 1999년 MRC Centre for Inflammation Research (CIR)설립, 2005년에 현

재의 University of Edinburgh로 이동. CIR은 임상/비임상 과학자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중개연구를 활성화함으로써 염증이 공통 인자로 매개되는 여러 가지 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최고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여 최근 5년간 누적 논문수가 411편에 달함

• Center for Human Immunology, Autoimmunity and Inflammation (NIH, 미국): 자가면역질환 등의 면역질환뿐 아니라 염증이 관련될 수 있는 다양한 질병들, 암, 동맥경화, 뇌신경질환 등을 연구함. Genome, gene expression, epigenetic modulation, proteome, lipidome, metabolome 등의 ”Large scale examination" 방법으로 염증관련 인자들을 규명하고, 이를 advanced biostatical/computer modeling methods 등으로 분석함.

•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는 2008년 The Center for inflammation and cancer (CIC)를 창립하여 MD Anderson과 Texas Medical Center의 종양환자와 실험동물 모델에서 종양의 미세환경과 염증세포의 종류에 따른 종양 경과와 그 분자 기전을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현재 director인 Dr. Chen Dong을 비롯한 30여명의 스텝이 참여하고 있음

• Boston University의 Evans Center for Interdisciplinary Biomedical Research에서는 2010년 이후 “Obesity, Cancer and Inflammation” 연구 그룹 (ARC: The Affinity Research Collaboratives)을 결성하여 비만과 연관된 염증 반응이 종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으며 비만과 연관된 염증반응의 제어에 입각한 새로운 항암치료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에서는 Lucille Castori Center for Microbes, Inflammation, and Cancer (CMIC)을 운영하고 있으며 종양환자의 감염 연구, 미생물에 의한 종양의 발생 연구, 감염과 연관된 염증 질환 연구를 수행하는 여러 연구 그룹과 연구자의 상호 협력을 도모하고 있음.

• 미국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Center for Cancer Research (CCR)의 “The Cancer and Inflammation Program (CIP)”는 암과 염증의 연관성 연구에서 면역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주요 기관이며 NCI의 Frederick과 Bethesda campus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 CIP는 Laboratory of Experimental Immunology (LEI)와 Laboratory of Molecular Immunoregulation (LMI)으로 나뉘며, 세 개의 core laboratories (the CCR Flow Cytometry Facility, the CIP Genetics Facility, the CIP Peptide Pharmacology Facility)를 관장하고 있음.

• 유럽 13개국 21개 연구기관과 6개의 중소기업은 2012년 3월 컨소시움을 구성하고 “Imaging of Neuroinflammatio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Project“를 수행하여 퇴행성뇌질환에서의 뇌염증반응의 역할을 규명하는 작업을 진행 중임.

• 미국을 비롯한 의생명 분야의 선진국들은 이미 The Immunological Genome Project (ImmGen)와 같은 염증 및 면역 오믹스 연구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대규모 면역 관련 오믹스데이터를 축적하여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Page 1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0

1총괄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1세부 발굴된 염증조절인자를 통한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

염증신호에서 탈인산효소(SHP2, MKPs)를 통한 제어방안의 조직특이성 확인 및 비교염증반응의 조절에 관여하는 전사후 조절기작, 특히, SUMOylation과 UPS system에 의한

염증조절의 표적효과 확인 및 기적연구염증반응의 진행과정에 동반되는 세포막-세포액 경계에서의 수용체 수송과정과 세포골격 재조정에

대한 분자기작 연구염증반응 활성화 과정에서 인지질 포스포이노시티드가 갖는 조절기작으로서의 기능과 상호인과관계

규명연구기관지 천식에서 기도 염증반응의 표적단백 규명 및 기도 염증반응의 발생기작 및 조절기작 연구혈관유래 염증인자에 의한 색소형성 조절의 표적확인 및 기작 연구

3.2. 센터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전략 중점추진과제 현황

3.3. 센터목표 달성을 중점추진과제 현황

Page 1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1

2세부 세포내 대사이상과 연관된 만성염증반응의 제어세포암화모델에서의 대사이상 조절단백질에 의한 기전확인 및 효과 검증세포노화 및 노화동물에서의 대사이상 조절 단백질에 의한 기전 확인 및 효과 검증안와섬유화 (눈의 fibrosis) 세포모델 및 동물모델에서 ganglioside 및 ROS에 의한 염증조절 기전

규명 및 임상적용 가능성 확인Astrogliosis (뇌의 fibrosis) 마우스모델에서 염증 조절기전 규명 및 임상적용 가능성 검증노화에 따른 생체시계의 기능부전에 관한 상관성 확인뇌 염증세포에서 염증반응의 생체리듬 상관성 규명

2총괄 뇌염증반응 조절을 통한 신경질환 치료 연구1세부 신경계 손상 후 재생과정과 염증반응의 상호작용 연구뇌손상에 따르는 astrocyte의 증식과 migration 현상 규명.Astrocyte의 증식과 migration에 관여하는 유효인자 확인.Astrocyte의 증식과 migration 조절 기전 규명Astrocyte의 비정상적 기능 통제를 이용한 신경계환경 재생 방안 구축 Conditioning injury에 의한 DRG내 염증세포 침윤의 시공간적 분포 및 염증세포 유래 생리활성물질

변화 및 염증반응 억제에 의한 감각신경 축삭 재생 능력의 변화 관찰DRG내 실험적 염증유발에 의한 감각신경 축삭재생 촉진 여부 및 그 기전 규명염증반응 관련 인자 중 축삭재생 조절 인자의 발굴 및 그 기능 분석2세부 뇌염증반응에 의한 손상 방어 전략 구축염증반응에 의해서 유도되는 ROS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Prote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염증반응에 의해서 유도되는 ROS(또는 protease의 활성)에 의한 신경세포의 adhesion molecule의

shedding의 의미와 조절 기전 규명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lipid mediator가 신경세포의 손상에 영향을 주는 기전 규명퇴행성 뇌질환의 주원인이 되는 변형단백질이 염증세포에 미치는 영향 규명지질대사 조절제가 퇴행성 뇌질환의 주원인이 되는 단백질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 규명

단독 간 만성염증질환의 제어 및 치료기술개발 간세포 손상 신호 제어기술 바이러스성 단백질 발현 조절에 의한 염증조절 간염, 간암 조직에서 임상적 연관성 조사 Interferon(IFN) λ의 신호전달과 세포반응 분석 간염 환자의 IFN λ 수용체 유전형 분석 만성 간염과 IFN λ 수용체 유전형간의상관성 기전 분석

3.4. 연구성과, 인력양성, 학술활동 및 국제협력, 산학협력 등

▣ 연구성과

9년간 총 106편의 SCI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발표논문의 총 impact factor의 합은 438.7 임. 특히 괄목한 만한 결과는 1단계에는 년 3편에서 2단계에는 년 11.7편, 3단계는 년 16.3 편으로 연구가 진행될수록 연구의 양적증가가 있었으며 질적으로도 1단계 평균 IF 3.09에서 2단계 3.76, 3단계 4.44로 질적으로도 많은 향상이 있었음(아래 표 참조). 대표논문의 수준도 Molecular Cell, Genes & Development등 IF 10이상의 최우수 논문, Stem Cells, Aging Cell, Autophagy, Oncogene 등 각 분야 상위논문의 발표증가도 뚜렷하였음.

Page 1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2

▣ 인력양성실적: 석박사 대학원생이 총 81명이 배출되었으며 이 중 박사학생이 32 명이 배출되었음. 특히 3단계에서는 석사보다는 박사위주의 인력양성이 이루어져 우수한 연구성과를 배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음(아래 표 참조).

▣ 의대출신의 조교 양성: 초기에는 의과대학 출신의 조교가 많이 배출되어 본 의과대학 및 타 대학의 전임교원으로 활발히 일하고 있으나 2000년대 이후의 임상의학으로의 쏠림 현상으로 본 대학에서도 의대출신의 조교가 거의 배출되지 않고 있었음. MRC 출범 이후, 여러 가지 장려책으로 MD 출신 조교가 늘어나기 시작하여 2012년 현재 MD 조교가 총 8명으로 이 중 4명은 전문의 취득 후 병역특례와 연계하여 기초학교실에서 학위과정을 하고 있는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있음(오른쪽 표 참조).

MD교원의 충원실적: MRC 출범 이후 기초학교실의 교원이 MRC와 연계하여 활발하게 충원되어 총 15인의 기초교원을 충원하였으며 이 중 7인은 MD 교원으로 5개 기초학교실의 MD 교원 충원률이 50%가 되었음.

▣ 학술활동▶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자체 세미나 개최: 월 2회의 자체 세미나 개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센터연구를 진작시키는 동시에 협력연구의 기반을 제공. 자체세미나는 각 핵심연구원들의 연구진행결과의 발표와 외부 관련 테마의 선두 연구자들의 초청세미나로 이루어짐. ▶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와 공동세미나 개최: 본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의 연구인력은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의 연구인력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으므로 ‘염증연구에 관한 최근 동향’에 관한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있음.

• 2002년 주제: Inflammation Research: from Basic to Clinical Practice • 2007년 주제: Chronic Inflammation: the Emerging Convergence in Human Disease • 2012년 주제: 염증미세환경과 만성질환

▶ BK21,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와의 공동워크샵 개최: 센터는 매년 4월에 BK21,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와 공동으로 년례 워크샵을 개최하여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인력들의 발표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관련 외부연자들의 최신 연구동향과 결과를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

▶ 기타 국내학술활동계획 - MRC 연합회의 사업인 MRC 연합학술 심포지움(08년 11월 예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새로운

연구동향 및 연구 기술, 기법을 공유하고, 접맥 가능한 연구교류를 활성화하고자 함. - 매년 개최하던 ABC (Ajou Brain Conference)를 09년부터는 관련 연구테마를 가진 타 센터와 연합하여

Page 1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3

개최, 국내 공동연구를 활성화 하고자 함.

▣ 국제협력체제- 2단계부터 미국 Cincinnati 대학의 Dr. Guan의 연구실에 연구방문 후,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손상에 대해

협력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2단계부터 스위스의 Dr. Martinou와 프랑스의 Dr. Rojo 그룹과 미토콘드리아의 형태조절에 대해

협력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미국 시카고대학의 강운중 교수와 파킨슨병 관련 공동 연구를 시작하였음.- 미국 Stony Brook 소재 뉴욕 주립대학에 있는 Stella Tsirka 교수의 실험실에 본 연구실 졸업생인

지경애 박사가 2008년 1월 박사후 연구원으로 합류하였고, 2008년 4월 11일 Stella Tsirka 교수가 아주대를 방문하여 뇌염증반응 유도 물질 탐색 및 모델제작과 관련된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였음.

- 미국 Rochester 대학의 김백 교수와 HIV에 의한 치매 유발과 관련된 뇌염증반응 연구를 계획하고 있음.

- 미국 Vanderbilt 대학의 Jason Morrow교수 초청 세미나 및 공동연구 논의* “The isoprostanes and related compounds as markers and mediators of oxidative stress in

human disease-New insights and current controversies" 2008.1.15. Ajou Hall * “Measurement of prostaglandins and isoprostanes in neurons and microglial cells with HPLC”

의 내용으로 공동 연구 추진- 이탈리아 G. d'Annunzio 대학의 Paola Patrigani 교수 초청 세미나 및 공동연구 논의

* “Insightsintoeicosanoidfunctionsinhealthanddisease” 2008.6.10, Ajou Hall * “COX activity in neurons compared with other cells” 의 내용으로 공동 연구 추진

- 센터 선정 2단계부터 캐나다 Alberta 대학의 Gordon Chan 교수와 간세포 손상인자 신호전달에 대해 협력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3단계에서도 지속적인 국제공동 연구를 수행할 예정임. 또한, 2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이 국제협력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캐나다 연수를 계획하고 있음.

- 센터 선정 2단계부터 미국 국립보건원 (NIH)의 Dr. Richard Youle과 공동연구를 수행해오고 있으며, 간세포 손상 제어방안의 표적인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연구도 3단계에서 국제협력을 지속할 예정임

▣ 산학협력체제▶ 아주대학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경기 남부 최대 종합병원인 아주대병원이 한 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어, 아주대학교 약대, 자연대, 공대, 임상의 등의 다양한 연구자들과의 협력연구를 수행하기에 유리한 조건임. 또한 아주대가 위치하고 있는 광교신도시 내에 경기도에서 지원하는 산학 클러스터인 광교테크노밸리가 존재하여, 산학협력 연구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음.

▶ 특히 광교테크노밸리 내 생명과학연구를 주도하는 경기 바이오센터는 개별대학에서 보유하기 힘든 고가의 실험설비 및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산학협력관계 구축을 통하여 실험설비/장비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음. 경기바이오센터에서도 대학의 우수한 연구인력과 아주대병원의 인적자원, 환자시료와 임상연구자료를 이용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이 있어, 이미 센터소속 교수들과 아래와 같이 실험실 단위의 활발한 공동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본 센터에서 발굴한 만성염증조절 물질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확립된 만성염증 모델시스템을 기반으로 만성염증조절 신약의 스크리닝 기법으로의 적용을 타진하고 있으며 경기 바이오포름에서 연구내용을 선보여 2007년 9월부터 (주)엠디 바이오와 MB 12066(나프로퀴논 계열 화합물)고 그 유사체, MB11720(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고 그 유사체의 허혈성질환과 퇴행성질환(파킨손병) 관련 생체 내외의 효력평가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3단계에서는 임상적용과 연계하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Page 1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4

4. 센터의 조직센터연구는 1단계에서는 1총괄 2세부과제로 편성하였고 23단계에서는 2개의 총괄과제와 5개의 세부과제로 구성하여 운

영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3개의 총괄과제와 6개의 세부과제로 운영하다가 3총괄의 핵심연구원의 이동으로 3단계 3년차부터 2개의 총괄과 4개의 세부과제 및 1개의 단위과제로 운영하였음.

‣ 센터조직 구성 • 본 센터는 연구팀과 운영위원회, 대학원의 전일제 학생을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부와 행정지원부로 구성됨. 기타 제반

지원은 의과대학 교학팀과 연구지원팀에서 지원을 받음. • 행정지원은 센터 내의 행정전담직원(양태석 주임)과 비서(박소연)를 중심으로 센터의 전반적인 행정업무와

연구지원을 하고 연구지원실의 집단연구 담당자의 협조를 받아 진행함.

(2008년 센터 구성)

‣ 운영위원회 • 센터 운영을 위한 제반 사항 및 아래의 주요사항을 결정함. - 총괄과제 및 세부과정 조정에 관한 사항 - 핵심연구원의 충원 및 교체 - 교비에서 지원되는 연구지원 인력의 배정 - 자체 평가단의 구성 - 공간에 관한 사항 - 연구비 배정 예산에 관한 사항 - 기계구입 예산에 대한 사항 - 센터 대표가 위임하는 기타 주요 사항 • 센터장을 위원장으로 하며 센터장을 제외한 총괄연구책임자 2인, 감사 1인, 센터관련 연구자 3-5인 및 센터의

행정과장으로 구성함 (총 8인 이내) • 운영위원회는 각 분기별로 정기개최하고, 필요시 (센터대표 요구 시) 수시로 개최할 수 있음.

‣ 자체평가 • 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수월성있는 연구를 위하여 공개적이며 계량화된 평가를 실시함. • 센터 대표는 아래의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일년에 한번 예비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당자들에게 통고함. 각

Page 1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5

단계별 평가는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운영위원회에서 시행함. • 평가결과에 따라 각 과제의 계속여부 및 확대여부를 결정하며 평가결과가 부실한 과제는 정리하거나 과제책임자를

교체함. 또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연차계획서 제출 시 연구비를 차등 지급함.

‣ 외부자문위원 및 내부감사위원 2단계 시, 과학재단의 현장 모니터링 시의 조언에 따라 외부자문위원을 위촉하였으며 (서울대 강창율교

수, 전남대 김경근 교수) 내부감사(백은주교수, 연구지원실장 및 팀장)를 두어 연구비 및 기타 진행사항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음.

‣ 평가기준 평가항목 세부평가 항목 점수 평가방법 비고

연구내용의 우수성

연구목표, 연구과제간 유기성, 연구과제의 우수성 10 각 항목별 세부평가기준을 토대로 연구과제의

우수성을 평가

연구목표 달성도

SCI급 논문게재 실적국제학회발표실적지적재산권 확보실적기타 학술활동

70

SCI급 논문발표를 1로 정하고 Impact factor (IF)를 기준으로 논문의 수준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함. 20 이상, 10배; 10 이상, 5배; 5 이상, 2배, 국제학회 학회발표실적: 0.2 특허와 기술이전은 내용을 심사하여 평가

한계점수 초과자는 인센티브를 부여함.MD조교 및 대학원생 유치시 가산점 부여

국제협력 및 중개연구실적

국제공동연구, 초청세미나, 국내외 연구소와 공동연구, 임상과 공동연구, 산학협력실적 10

각 항목별 세부평가기준을 토대로 국제협력 및 중개연구실적, 산학협력정도를 점수화하여 평가

센터운영 기여도

MRC 협의회의 사업참여도, 센터내 교육 프로그램 기여도, 인력양성기여도, 센터운영기여도

5 교육 프로그램, 인력양성, 센터운영참여, MRC연합회의 참여도로 나누어 점수화하여 평가

센터연구 기반 구축

센터전체 연구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는 동물모델 구축 또는 시스템구축 3 염증성동물모델 구축, 염증연구의 기본 시스템

구축센터원의

외부연구비수주실적

센터연구비 이외의 외부연구비 수혜실적, 공동연구원의 경우는 특히 중견연구비 이상의 연구비 수혜실적, 센터의 박사후연구원은 기본연구

2공동연구원의 경우는 외부연구비 수주로 센터의 연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건 구축이 목적, 포닥의 경우는 전문연구인력 양성 차원

합계 100

5. 센터의 인력 현황 5.1. 센터 소장의 이력사항인적사항

성명 주일로소속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연락처 수원시 영통수 원천동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전화 031-219-5061/0, 4410

E-mail개인 Homepage

학력기간 소속 취득학위

Page 1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6

소 속 성 명 참여구분 센터 참여기간아주대학교 주일로 총괄과제책임자 2003.09-2012.08아주대학교 백은주 세부과제책임자 2003.09-2012.08아주대학교 조혜성 세부과제책임자 2003.09-2009.02아주대학교 이재호 세부과제책임자 2003.09-2012.08아주대학교 박선 공동연구원 2003.09-2012.08아주대학교 박은정 공동연구원 2003.09-2007.08아주대학교 김욱환 공동연구원 2003.09-2008.08아주대학교 윤계순 세부과제책임자 2005.09-2012.08아주대학교 박상면 공동연구원 2006.05-2012.08아주대학교 강희영 공동연구원 2006.09-2012.08아주대학교 남동호 공동연구원 2006.09-2012.08아주대학교 이필휴 공동연구원 2006.09-2008.08아주대학교 진병관 공동연구원 2006.09-2008.08아주대학교 이상윤 공동연구원 2007.03-2012.08아주대학교 최윤희 공동연구원

위탁연구책임자2006.09-2008.082008.09-2012.08

아주대학교 조은혜 총괄과제책임자 2008.09-2012.08아주대학교 국경훈 공동연구원 2008.09-2012.08아주대학교 김병곤 공동연구원 2008.09-2012.08아주대학교 최용준 공동연구원 2008.09-2012.08아주대학교 김은영 공동연구원 2008.09-2012.08

실무경력

연구업적• 관심 연구분야 및 대표논문 - Anti-inflammatory mechanisms of nuclear receptor ligands: J Neuroinflammation 9:34 (2012), Mol Cell 35:806

(2009), J Immunol 181:8642 (2008) - STAT signals in neruoinflammation and in glioma: J Immunol 188:5132 (2012), Free Redic Biol Med 46:1694

(2009), J Biol Chem 281:11872 (2006), J Immunol 171:6072 (2003), J Biol Chem 278:14747 (2003), J Biol Chem 277:40594 (2002)

- 1999년, 2002년, 2003년에 J Biol Chem에 게재된 STAT signal에 대한 논문들은 neuroinflammation 분야에서 STAT signal의 중요성을 밝힌 논문으로 100회 이상 인용되어 관련 분야에서의 선도적 역할을 입증함.

5.2. 연구참여인력: 핵심연구원 이상만 기록

Page 1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7

5.3. 센터 인력변동현황

◎ 핵심연구원 이동현황• 다른 기관으로 이직 (박은정, 이필휴, 진병관) 또는 개별 연구로 독립 (김욱환).• 노화, 대사, 간질환 관련 염증연구 (윤계순, 최용준, 김은영, 최윤희)와 뇌질환 관련 염증연구 (박상면, 이상

윤, 조은혜, 김병곤), 중개연구 (강희영, 남동호, 국경훈)를 위한 인력 보강을 위해 센터전임교원 (이상윤)을 비롯한 신규인력을 임용하거나 기존 아주대 연구인력이 센터에 합류함.

◎ 연구원급 인력변동 사항성 명 직위 참여과제 센터 참여기간

우주홍 1 총괄 2008.09-2012.08이지훈 1 총괄 2008.09-2012.08김희영 1 총괄 2009.09-2012.08박수정 1 총괄 2008.09-2012.08윤영실 1 총괄 2006.02-2007.02윤황금 1 총괄 2007.04-2008.03김유미 1 총괄 2008.03-2011.02황동훈 2 총괄 2011.09-2012.08최준영 2 총괄 2011.09-2012.08김범수 2 총괄 2011.09-2012.08정혜경 2 총괄 2011.09-2012.08장유나 2 총괄 2011.09-2012.08김광수 2 총괄 2011.09-2012.08이미진 단독 2011.09-2012.08윤사라 단독 2011.09-2012.08

5.4. 연구참여인력 구성의 특징• 만성염증연구센터의 연구인력은 염증조절신호와 대사성 염증반응을 연구하는 제1 총괄 과제와 뇌염증반응

을 연구하는 제2 총괄과제, 간질환관련 염증반응을 연구하는 단독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과제에는 그 분야에서 연구력이 검증된 핵심연구인력과 연구원, 연구조원이 참여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 본 센터의 참여인력의 직급별 구성은 아래 표와 같음. 전체적으로 59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고 있으며, 그 중 50% 가까운 인력 (핵심연구원 15인과 박사급 연구원 12인 포함)이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창의적인 연구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

• 핵심연구인력과 함께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조원의 66%가 대학원생이며 이 중 65%가 박사과정학생 안정적으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음. 또한, 연구보조원의 상당 부분이 아주대학교에 조교로 임용되어 있어 이직이 많지 않아 지속적인 연구가 가능함. 또한, 센터전임교수 1인과 센터전임 연구원이 3인을 포함하여 4인의 우수인력이 센터소속으로 연구를 수행 중임.

• MRC 사업과 연계된 인력양성 사업으로 의과대학 졸업생 2인 (박정섭, 최준영)이 본 센터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병역특례기관으로 5인 (누적인원)의 전문연구요원 (김영현, 임원청, 장성수, 우상욱, 김용민)이 참여하여 연구를 진행.

Page 2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8

단계 계획 사업실적 달성도

1단계

연구실적

<1세부>• 염증 복합체의 구성단위로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물질을 검색• 검색된 염증 복합체 구성요소들의 염증반응에서의 역할 규명• 신경면역세포및 신경세포의 염증반응에서의 기본특성 규명<2세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간 만성염증과 섬유화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역할과 조절기전 규명

• SCI급 논문 게재: 6편 (IF, 18.54)• 국제학술대회 초청강연:• 학술대회 발표: 100%

인력양성• 염증연구 관련 전문연구인력의 양성• 의과대학 졸업생들을 연구인력으로 유도 • 연구능력을 갖춘 임상연구자 양성 • 중개연구의 강화를 통한 벤치에서의 연구를 환자에 적용• 대한민국의 의료산업화 수준 제고 및 경제성 창출

• MD 교수요원 확보: • 센터전임교원: 박은정• 전문인력 학위자 양성 박사: 2명 석사: 14명100%

국제협력및 산업화

• 연구 및 인력교류를 통한 국제협력 활성화로 경쟁력 제고 • 연구 및 인력교류를 통한 학술활동의 활성화 • 염증성 뇌질환의 제어방안 제시 • 염증치료제 및 대사성질환 치료제 개발의 분자생물학적 기반 제공• 산업체에 기술연계 및 신약개발을 위한 부가가치 창출

• 공동연구:• 국외 단기 연수지원: 100%

연도핵심연구원(명) 연구원(명) 연구조원(명) 합계

(명)대학교 연구소 산업체 대학교 연구소 산업체 박사과정

석사과정

학부과정 연구보조원

2012년 14 12 13 8 11 59

년도 센터전임연구원(센터전임교수 등) 의학계열 조교 전문연구요원 (누적)

2012년 4 2 3

6. 센터의 사업비 현황(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대학지원금 산업체지원금

지자체지원금 기타 합계

센터 총연구비 5,905,500 1,550,000 7,455,5001차년도 연구비 300,000 200,000 500,0002차년도 연구비 300,000 200,000 500,0003차년도 연구비 440,000 250,000 690,0004차년도 연구비 470,000 250,000 720,0005차년도 연구비 470,000 250,000 720,0006차년도 연구비 950,000 100,000 1,050,0007차년도 연구비 970,000 100,000 1,070,0008차년도 연구비 1,005,500 100,000 1,105,5009차년도 연구비 1,000,000 100,000 1,100,000

7. 사업수행실적 요약 총괄 7.1. 단계별 사업수행실적 및 달성도

Page 2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9

학술활동 • 염증관련 세미나 개최• 염증관련 대학원 강좌 개설

• MRC 자체 seminar 개최 ; 연간 10회 이상• MRC symposium: 만성염증질환 집중 심포지움, ABC (Ajou Brain Conference)• MRC 관련 교과목의 운영: '염증반응의 이해', '신경계 약리', '섬유화의 이론 및 실제'

100%

2단계

연구실적

<1총괄> • 염증복합체 구성물질간의 상호작용 및 그 결과분석• 새로운 염증복합체 구성 후보물질의 발굴 및 동정• 세포대사조절과 연관된 염증복합체 구성 후보물질 발굴<2총괄> 간의 만성염증으로 유도되는 EMT 현상에 대한 기초연구 • 줄기세포를 이용한 HGF therapy 기반 기술 확보 • HBV에 의한 간세포손상기전 연구 • Interfronλ에 의한 면역반응 연구

• SCI 논문: 35편 (IF, 131.6)• 국내논문: 1편• 학술회의 발표: 총 43명 발표 100%

인력양성• 염증연구 관련 전문연구인력의 양성• 의과대학 졸업생들을 연구인력으로 유도 • 연구능력을 갖춘 임상연구자의 양성• 중개연구의 강화를 통한 벤치에서의 연구를 환자에 적용• 대한민국의 의료산업화 수준 제고 및 경제성 창출

• MD조교: 박남숙, 김시헌• MD 교수요원 확보: 박상면, 최용준, 김병곤, 국경훈, 이필휴, 남동호, 강희영, • 센터 교수요원 확보: 김은영, 이상윤, 진병관, 조은혜, 윤계순• 센터전임인력: 최윤희, 우주홍, 권순환, 김유미, 윤영실• MD 연구인력 양성:• 전문인력 양성 박사양성: 9명, 석사양성:11명 PostDoc: 지경애 외 7명

100%

국제협력및 산업화

• 연구 및 인력교류를 통한 국제협력 활성화로 경쟁력 제고 • 연구 및 인력교류를 통한 학술활동의 활성화 • 염증성 뇌질환의 제어방안 제시 • 염증치료제 및 대사성질환 치료제 개발의 분자생물학적 기반 제공• 산업체에 기술연계 및 신약개발을 위한 부가가치 창출

• 공동연구: Dr. Guan, Dr. Rojo, Dr. Martinou, Dr. Kang, Dr. Kim Dr. Morrow, Dr. Youle, Dr. Ortonne• 국외 단기 연수지원: 융영실, 이승민, 강희영교수 (Dr. Ortonne), rladudgus (Dr. Els)100%

학술활동 • 염증관련 세미나 개최• 염증관련 대학원 강좌 개설

• MRC 자체 seminar: 연간 10회 이상• MRC symposium: 만성염증질환 집중 심포지움, ABC (Ajou Brain Conference)• MRC 관련 교과목의 운영: '염증반응의 이해', '신경계 약리', '섬유화의 이론 및 실제'

100%

연구기기 연구기기 구입 및 활용 • Confocal Microscopy• Cryocut, Real-time PCR 100%

3단계

연구실적

<1총괄>• 2단계에서 발굴한 표적의 효과를 동물모델에서 확인• 뇌염증에서 발굴한 표적과 다른 질환(천식, 피부색소질환)에서의 역할을 비교 분석• 대사조절과 연관된 염증인자의 역할 규명<2총괄>• Microglia 조절을 통한 염증 제어 • 신경계질환 동물모델에서 신경세포 손상 제어물질 효과 검증 및 최적화 <단독>• 동물모델을 이용한 간경화 치료물질의 효과 검증 및 최적화 •간경화에서 EMT 억제방안 연구 • HBV에 의한 간세포 손상제어기술 • Interfronλ의 신호 전달과 간염환자에서 Interfronλ 수용체 유전형 분석

• SCI 논문: 65편 (IF, 288.6)• 국내논문: 1편• 학술회의 발표: 총 43명 발표 100%

인력양성• 염증연구 관련 전문연구인력의 양성• 의과대학 졸업생들의 연구인력으로의 유도 • 연구능력을 갖춘 임상연구자의 양성으로• 중개연구의 강화를 통한 벤치에서의 연구를 환자에 적용하여• 대한민국의 의료산업화 수준 제고 및 경제성 창출

• MD조교: 4명(나원웅, 이경원, 한기명, 윤덕용)• 의사과학자: 4명(박정섭, 최준용, 최용원, 박도영)• 센터전임교원: • MD 연구인력 양성: 박사 1명, 석사 1명• 전문인력 학위자 양성 박사: 32명 석사: 49명

100%

Page 2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0

국제협력및 산업화

• 연구 및 인력교류를 통한 국제협력의 활성으로 경쟁력 제고 • 연구 및 인력교류를 통한 학술활동의 활성화 • 염증성 뇌질환의 제어방안 제시 • 염증치료제 및 대사성질환 치료제 개발의 분자생물학적 기반 제공• 산업체에 기술연계 및 신약개발을 위한 부가가치 창출

• 공동연구:• 연구자교류:

학술활동 • 염증관련 세미나 개최• 염증관련 대학원 강좌 개설

MRC 자체 월례 seminar 개최 ; 연간 10회 이상MRC symposium: 만성염증질환 집중 심포지움, ABC (Ajou Brain Conference)MRC 관련 교과목의 운영: '염증반응의 이해', '신경계 약리', '섬유화의 이론 및 실제'

100%

7.2. 사업별 주요 추진내용 ▣ 연구성과 및 성과 관리

<연구성과> 9년간 총 106편의 SCI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발표논문의 총 impact factor의 합은 438.7 임. 특히 괄목한 만한 결과는 1단계에는 년 3편에서 2단계에는 년 11.7편, 3단계는 년 16.3 편으로 연구가 진행될수록 연구의 양적증가가 있었으며 질적으로도 1단계 평균 IF 3.09에서 2단계 3.76, 3단계 4.44로 질적으로도 많은 향상이 있었음. 대표논문의 수준도 Molecular Cell, Genes & Development등 IF 10이상의 최우수 논문, Stem Cells, Aging Cell, Autophagy, Oncogene 등 각 분야 상위논문의 발표증가도 뚜렷하였음.

또한 아래와 같이 각 분야에서 인정받는 우수한 저널에 게재하는 성과를 이루었음.

<성과관리>• 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센터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연구업적과 연구성과물을 임상에 적용하고 우수한

인력양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공개적이며 계량화된 평가를 실시함. • 센터 대표는 아래의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일 년에 한번 예비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당자들에게

Page 2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1

통고한다. 각 단계별 평가는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운영위원회에서 시행함.• 평가결과에 따라 각 과제의 계속여부 및 확대여부를 결정하며 평가결과가 부실한 과제는 정리하거나

과제책임자를 교체한다. 또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2단계부터는 연구비를 차등 지급함. ▣ 인력양성

<의과대학/의전원 학부생을 위한 인력양성 계획>▶ 시행 중인 의과대학/의전원 학부생을 위한 의과대학의 연구 인력 양성 제도에 대한 센터의 추가지원: • 의과대학/의전원 ‘학생연구비 과제’ 지원제도에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CIDRC) 학생연구비’를 매년 추가로

예산을 구성하여 지원하고 센터내에서 연구하게 할 계획임. • 기초학교실 선택실습: Special Study Module (SSM)에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CIDRC)‘를 선택실습

분야의 하나로 지정하여 센터내에서 연구실습을 하게 함으로써 기초의과학연구를 고취시킬 계획임. • 의과대학/의전원 단기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해외단기프로그램에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CIDRC)와

교류하고 있는 해외기관에 기초의과학에 대한 연구교류를 확장하여 지원할 계획임. • 담임반, 칼리지제도: 기존의 제도에 센터내 참여교수들을 적극 참여시켜 담임반이나 칼리지제도를 통해

기초의과학을 홍보하게 할 계획임.

▶ 동계 및 하계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CIDRC) 캠프의 지속적인 시행 및 확대: 센터에서는 2003년 센터 지정 이후 매년 동계 및 하계 방학동안 6주간 학부 3,4학년 학생 (의과대학생 포함)을 대상으로 연구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초의과학 예비 캠프를 실행하고 있음. 지난 9년간 총 89명의 학생이 연구를 마침.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하계 6(2) 7(0) 4(0) 6(1) 4(0) 7(0) 미시행 7(0) 11(1)동계 2(2) 6(4) 1(0) 미시행 4(1) 4(1) 미시행 9(0) 11(0)합 2(2) 12(6) 8(0) 4(0) 10(2) 8(1) 7(0) 9(0) 18(0) ( )안의 숫자는 의대학생 숫자임 합 89 (12)

▶ MRC 여름캠프의 적극적 활용: 매년 여름 MRC 협의회에서 개최하는 MRC 여름캠프를 의과대학 선택실습 및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의 하계 캠프와 연계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동기를 부여함.

<석·박사 과정생을 위한 인력양성>

▶ 센터 참여 연구원 및 연구조원들(대부분은 석박사 학생임)의 학문적 교류 및 공동연구의 장으로 다음과 같은 사업을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음. ‣ MRC 자체 월례 seminar 개최 ; 연간 10회 이상 센터 참여자들의 연구내용을 발표하는 MRC 자체

세미나를 월 1회 정례적으로 개최하여 연구교류를 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년 4-5회 정도 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국내외 연구자들을 초청,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에도

Page 2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2

지속적으로 진행 할 예정임.‣ MRC symposium (만성염증질환 집중 심포지움) ; 관련 분야에 관한 정례모임을 정기적으로 공동주관하

여 개최하고 있다. 현재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모임으로는 현재 년 1회씩 10회의 모임을 가진 Ajou Brain Conference와 2회의 모임을 개최한 대학원 공통세미나가 있음.

‣ MRC 관련 교과목의 운영 : 센터 유치 이후 본 센터의 연구의 기반이 되는 과목을 대학원에 개설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설치 운용되고 있는 과목으로는 '염증반응의 이해', '신경계 약리', '섬유화의 이론 및 실제' 의 3과목임. 이외에 각 연구그룹별로 연구테마 관련 저널클럽과 리서치 발표회를 운영하고 있음.

<기타 인력에 대한 양성지원>▶ 국내단기 연수지원계획

각 과제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책임자가 과제수행을 위하여 관련 전문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타기관에 단기연수를 파견하고자 하는 경우 CIDRC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숙박비를 지원하고자 함. 연수지원계획 본 센터의 참여하고 있는 교수급 책임자들의 해외연수 기관과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들 기관에 필요한 경우 박사학생이나 post-Doc을 파견하여 지속적인 공동연구 체제를 구축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예정함.

▶ 센터 출범 후 기초교원 확보성과

<센터의 학위취득자 활용성과>▶ Research fellow 제도와 연계한 안정적인 연구직의 유지: 교육과학기술부의 research fellow 제도와 연계하여 센터에서 학위를 마친 전문연구자들에게 안정적인

연구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함. - 2012년 7월 현재 센터의 장유나, 정혜경, 윤사라 박사가 한국연구재단의 ‘Reseaarch Fellow 연구비’ 신청

중.▶ 적극적으로 정부연구비를 수주하여 센터의 PI와 공동으로 독립된 PI로서 지속적으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실제로 센터의 연구전임교수였던 박은정박사, 최윤희박사가 센터에서 연구비를 수주하여 독립적으로

연구활동을 활발히 하여 이를 바탕으로 박은정박사는 국립암센터의 선임연구원으로, 최윤희박사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조교수로 발령받아 활발히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 현재 교과부/한국연구재단 연구비를 수주하여 센터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적극 지원 예정임.

• 현재까지의 실적: - 김희영 연구조교수 (교과부의 학술연구교수연구비 수주 2009. 9 - 2012. 8) - 이지훈 연구조교수 (교과부의 여성과학자 연구비 수주 2009. 5 - 2012. 4) - 박수정 박사 (여성과학자 연구비 수주 2011. 5 - 2014, 4) - 황동훈 연구조교수 (교과부의 학술연구교수연구비 수주 2010. 9 - 2013. 8) - 김범수 박사 (교과부의 일반연구자지원 연구비 수주 2011. 5 - 2016. 4)▶ 해외 공동연구 과제의 연구원으로 활용하여 해외 연수의 기회 확대. • 현재까지의 실적:

Page 2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3

- 지경애 박사 (미국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 양명순 박사 (미국 에모리대학) - 서용학 박사 (미국 메사추세츠대학) - 김유미 박사 (미국 메사추세츠대학) - 최성이 박사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 공개경쟁을 통한 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채용하여 3년 단위의 재계약에 의한 고용.▶ 기기관리자 및 Lab manager 제도의 정착을 통한 고용확대. • 실적: 의료원 TO의 기기조교로 2003년 센터의 공촛점현미경 설치 이래 박지영 조교가 기기를 담당하고

있음. • 계획: 센터 내 고가장비 설치시 기기 담당자를 전담 배치하여 기기의 효율성을 높이며, 고용을 확대할 예

정임. 설치 예정인 장비: Super Resolution Microscopy, High performance flow cytometer, NGS용 sequencer

▣ 협력체제< 산학협력>그동안 본 센터에서 발굴한 만성염증조절 물질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확립된 만성염증 모델시스템을 기반으로 만성염증조절 신약의 스크리닝 기법으로의 적용을 타진하고 있으며 경기 바이오포름에서 연구내용을 선보여 2007년 9월부터 (주)엠디 바이오와 MB 12066(나프로퀴논 계열 화합물)고 그 유사체, MB11720(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고 그 유사체의 허혈성질환과 퇴행성질환(파킨손병) 관련 생체 내외의 효력평가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3단계에서는 임상적용과 연계하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아주대학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경기 남부 최대 종합병원인 아주대병원이 한 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어, 아주대학교 약대, 자연대, 공대, 임상의 등의 다양한 연구자들과의 협력연구를 수행하기에 유리한 조건임. 또한 아주대가 위치하고 있는 광교신도시 내에 경기도에서 지원하는 산학 클러스터인 광교테크노밸리가 존재하여, 산학협력 연구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음.

▶ 특히 광교테크노밸리 내 생명과학연구를 주도하는 경기 바이오센터는 개별대학에서 보유하기 힘든 고가의 실험설비 및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산학협력관계 구축을 통하여 실험설비/장비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음. 경기바이오센터에서도 대학의 우수한 연구인력과 아주대병원의 인적자원, 환자시료와 임상연구자료를 이용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이 있어, 이미 센터소속 교수들과 아래와 같이 실험실 단위의 활발한 공동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센터소속 연구자 김병곤 교수 (2-2 세부)관련기업 및 연구자 경기바이오센터 (최용문 박사)

연구기간 2012. 1- 현재연구내용 척수손상 신경보호 및 재생약물 개발

▶ 이 외에도 경기도는 전국에서 제약기업이 가장 많이 위치하고 있으며, 광교신도시 내에 CJ 연구개발센터가 착공하는 등 향후 제약회사 R&D 관련시설이 점차 증가될 것으로 기대됨. 아주의대 MRC는 이러한 유리한 입지조건을 활용하여 산학협력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함.

▶ 연구기기 활용: Confocal microscopy를 센터내에 설치하고 전담 연구원을 배치하여 센터의 연구원 및 의과대학 내의 연구에 활용하고 있으며 센터 내는 아니나 의과대학 내에 confocal microscopy를 추가로 구입예정(2008년말 입고예정)으로 있어 이것이 들어오면 현재 부담이 많이 걸리고 있는 confocal 사용이 원활해 질 것으로 생각됨.

Page 2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4

대부분의 연구에 필요한 기본 기기는 1,2단계에 걸쳐 구입완료 되었으며 특히, 3단계 연구에 필요한 'in vivo' 실험에 필요한 장비는 2단계말 현재 거의 완비 되었으므로 3단계에는 특기할 기기구입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나 필요한 것이 있으면 구입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됨.

<학술 및 국제협력>▶국내외 학술회의 개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자체 세미나 개최: 월 2회의 자체

세미나 개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센터연구를 진작시키는 동시에 협력연구의 기반을 제공. 자체세미나는 각 핵심연구원들의 연구진행결과의 발표와 외부 관련 테마의 선두 연구자들의 초청세미나로 이루어짐.

▶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와 공동세미나 개최: 본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의 연구인력은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의 연구인력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으므로 ‘염증연구에 관한 최근 동향’에 관한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있음.

• 2002년 주제: Inflammation Research: from Basic to Clinical Practice • 2007년 주제: Chronic Inflammation: the Emerging Convergence in Human Disease • 2012년 주제: 염증미세환경과 만성질환

▶ BK21,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와의 공동워크샵 개최: 센터는 매년 4월에 BK21,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와 공동으로 년례 워크샵을 개최하여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인력들의 발표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관련 외부연자들의 최신 연구동향과 결과를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

▶ 기타 국내학술활동계획 - MRC 연합회의 사업인 MRC 연합학술 심포지움(08년 11월 예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새로운

연구동향 및 연구 기술, 기법을 공유하고, 접맥 가능한 연구교류를 활성화하고자 함. - 매년 개최하던 ABC (Ajou Brain Conference)를 09년부터는 관련 연구테마를 가진 타 센터와 연합하여

개최, 국내 공동연구를 활성화 하고자 함.

▶ 국제공동연구

제1총괄 (염증반응의 선도물질 발굴)- 2단계부터 미국 Cincinnati 대학의 Dr. Guan의 연구실에 연구방문 후,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손상에 대해

협력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2단계부터 스위스의 Dr. Martinou와 프랑스의 Dr. Rojo 그룹과 미토콘드리아의 형태조절에 대해

협력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2008년 5월부터 1총괄의 강희영교수가 Jean-Paul ORTONNE 교수 (Department of Dermatology,

Hospital L'Archet, University of Nice-Sophia Antipolis, Nice, France)의 Lab에서 약 1년간 기미발생에 혈관변화의 중요성 및 관련 인자 규명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자 있으며 2009년 동계방학에 손진영학생과 주일로 소장이 방문예정

- 2007년부터 센터의 병역특례요원인 김영현 연구원이 조직에서의 적합성 모델개발을 위하여 Goulmy Els 교수 (Leiden Univ., Netherland)의 Lab으로 방문연구를 가있으며 2008년 말에 센터로 복귀하면 뇌와 천식에서의 만성염증성 질환을 유발하는 내인성 항원을 찾기위한 모델시스템을 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제2총괄 (뇌염증반응 조절을 통한 신경질환 치료 연구)

Page 2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5

- 미국 시카고대학의 강운중 교수와 파킨슨병 관련 공동 연구를 시작하였음.- 미국 Stony Brook 소재 뉴욕 주립대학에 있는 Stella Tsirka 교수의 실험실에 본 연구실 졸업생인

지경애 박사가 2008년 1월 박사후 연구원으로 합류하였고, 2008년 4월 11일 Stella Tsirka 교수가 아주대를 방문하여 뇌염증반응 유도 물질 탐색 및 모델제작과 관련된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였음.

- 미국 Rochester 대학의 김백 교수와 HIV에 의한 치매 유발과 관련된 뇌염증반응 연구를 계획하고 있음.

- 미국 Vanderbilt 대학의 Jason Morrow교수 초청 세미나 및 공동연구 논의* “The isoprostanes and related compounds as markers and mediators of oxidative stress in

human disease-New insights and current controversies" 2008.1.15. Ajou Hall

* “Measurement of prostaglandins and isoprostanes in neurons and microglial cells with HPLC” 의 내용으로 공동 연구 추진

- 이탈리아 G. d'Annunzio 대학의 Paola Patrigani 교수 초청 세미나 및 공동연구 논의 * “Insightsintoeicosanoidfunctionsinhealthanddisease” 2008.6.10, Ajou Hall * “COX activity in neurons compared with other cells” 의 내용으로 공동 연구 추진

제3총괄 (간의 만성 염증질환 제어 기술 제시)- 센터 선정 2단계부터 캐나다 Alberta 대학의 Gordon Chan 교수와 간세포 손상인자 신호전달에 대해

협력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3단계에서도 지속적인 국제공동 연구를 수행할 예정임. 또한, 2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이 국제협력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캐나다 연수를 계획하고 있음.

- 센터 선정 2단계부터 미국 국립보건원 (NIH)의 Dr. Richard Youle과 공동연구를 수행해오고 있으며, 간세포 손상 제어방안의 표적인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연구도 3단계에서 국제협력을 지속할 예정임.

< 방문연구>- 2008년 5월부터 1총괄의 강희영교수가 Jean-Paul ORTONNE 교수 (Department of

Dermatology, Hospital L'Archet, University of Nice-Sophia Antipolis, Nice, France)의 Lab에서 약 1년간 기미발생에 혈관변화의 중요성 및 관련 인자 규명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자 있으며 2009년 동계방학에 손진영학생과 주일로 소장이 방문예정

- 2007년부터 센터의 병역특례요원인 김영현 연구원이 조직에서의 적합성 모델개발을 위하여 Goulmy Els 교수 (Leiden Univ., Netherland)의 Lab으로 방문연구를 가있으며 2008년 말에 센터로 복귀하면 뇌와 천식에서의 만성염증성 질환을 유발하는 내인성 항원을 찾기 위한 모델시스템을 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2009년 5월부터 박상면교수가 UCSF의 Edwards RH의 교수의 연구실로 약 1년여의 방문연구 (protein의 endocytosis 의 기작) 예정으로 있음.

<협력기관>- 2단계부터 미국 Cincinnati 대학의 Dr. Guan의 연구실에 연구방문 후,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손상에 대해

협력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2단계부터 스위스의 Dr. Martinou와 프랑스의 Dr. Rojo 그룹과 미토콘드리아의 형태조절에 대해

협력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미국 시카고대학의 강운중 교수와 파킨슨병 관련 공동 연구를 시작하였음.- 미국 Stony Brook 소재 뉴욕 주립대학에 있는 Stella Tsirka 교수의 실험실에 본 연구실 졸업생인

지경애 박사가 2008년 1월 박사후 연구원으로 합류하였고, 2008년 4월 11일 Stella Tsirka 교수가 아주대를 방문하여 뇌염증반응 유도 물질 탐색 및 모델제작과 관련된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Page 2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6

시작하였음. - 미국 Rochester 대학의 김백 교수와 HIV에 의한 치매 유발과 관련된 뇌염증반응 연구를 계획하고

있음.- 미국 Vanderbilt 대학의 Jason Morrow교수 초청 세미나 및 공동연구 논의

* “The isoprostanes and related compounds as markers and mediators of oxidative stress in human disease-New insights and current controversies" 2008.1.15. Ajou Hall

“Measurement of prostaglandins and isoprostanes in neurons and microglial cells with HPLC” 의 내용으로 공동 연구 추진

- 이탈리아 G. d'Annunzio 대학의 Paola Patrigani 교수 초청 세미나 및 공동연구 논의 * “Insightsintoeicosanoidfunctionsinhealthanddisease” 2008.6.10, Ajou Hall * “COX activity in neurons compared with other cells” 의 내용으로 공동 연구 추진

- 센터 선정 2단계부터 캐나다 Alberta 대학의 Gordon Chan 교수와 간세포 손상인자 신호전달에 대해 협력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3단계에서도 지속적인 국제공동 연구를 수행할 예정임. 또한, 2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이 국제협력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캐나다 연수를 계획하고 있음.

- 센터 선정 2단계부터 미국 국립보건원 (NIH)의 Dr. Richard Youle과 공동연구를 수행해오고 있으며, 간세포 손상 제어방안의 표적인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연구도 3단계에서 국제협력을 지속할 예정임

7.3. 센터 특별지원사업 추진실적 (해당 센터에 한함)해당사항 없음

7.4. 기타 사업성과가 우수한 사항 및 센터특별활동

◎ 중개연구의 기반 구축 1기 연구팀에는 기초교수 이외에 외과의 김욱환교수가 참여하여 생화학의 이재호교수와 공동연구를

수행하였음. 1기 연구를 진행하면서 2단계인 2006년에 임상교원을 대상으로 공모과제를 선정하여 2년간의 pilot study 후 3단계 연구에 합류시킴으로써 임상교수와의 공동연구 시스템을 구축하고 또한 임상의 소장교수들이 연구력 배양으로 각자의 연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음. 1기 3단계 연구에는 신임교원인 안과의 국경훈교수가 핵심연구원으로 센터연구원으로 합류하였음. 이들은 1기 연구동안 연구기반을 확립하여 주관연구책임자(PI)로 국가연구비를 수주하고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하였음. 강희영교수는 아시아 색소세포 연구학회에서 최고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으며 피부과학에서의 최상위논문인 J Invest Dermatol에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남동호교수는 내인성, 주증 천식관련 자가항원 단백규명으로 아토피의 새로운 면역치료법을 개발하여 관련 방송 및 매체에 소개되었음. 안과의 국경훈교수 또한 안과학의 최상위 논문인 IOVIS에 2편의 논문을 게재하는 개가를 올렸음. 또한, 본 사업의 목적인 의사과학자(physician scientist) 양성 프로그램을 구축 확립하여 현재 총 4인의 임상전문의(내과 최용원, 이비인후과 박정섭, 신경과 최준용, 정형외과 박도영)가 병역특례와 연계하여 기초의학교실에서 박사과정을 이행 중임. 이들은 현재 정부와 기관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중심병원의 중추적 역할이 기대됨.

2006년 공모 선정과제목록 신경과 이필휴교수 파킨슨병모델에서의 항염증효과를 통한 신경보호효과피부과 강희영교수 기미의 색소침착에 미치는 염증관련인자 규명

알러지내과 남동호교수 기관지천식에서 기도조직의 만성염증반응 유발기전

◎ 학부생 대상의 동계 및 하계 캠프운용센터에서는 2003년 센터 지정 이후 매년 동계 및 하계 방학동안 6주간 학부 3,4학년 학생 (의과대학생 포함)을

Page 2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7

대상으로 연구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초의과학 예비 캠프를 실행하고 있음. 지난 9년간 총 89명의 학생이 연구를 마침.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하계 6(2) 7(0) 4(0) 6(1) 4(0) 7(0) 미시행 7(0) 11(1)동계 2(2) 6(4) 1(0) 미시행 4(1) 4(1) 미시행 9(0) 11(0)합 2(2) 12(6) 8(0) 4(0) 10(2) 8(1) 7(0) 9(0) 18(0)

( )안의 숫자는 의대학생 숫자임 합 89 (12)

Page 3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8

제2장

사업수행실적

Page 3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9

Ⅱ. 사업수행실적

1. 사업수행 산출성과성과대상과제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일로

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백은주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과제번호 2008-0062491 과제명 뇌염증반응에 의한 손상 방어 전략 구축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윤계순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8-0062486 과제명 세포내 대사이상과 연관된 만성염증반응의 제어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주일로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8-0062485 과제명 발굴된 염증조절인자를 통한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이재호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8-0062504 과제명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기술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조은혜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8-0062490 과제명 신경계 손상 후 재생 과정과 염증작용의 상호작용 연구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백은주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5-0048927 과제명 신경세포에서 염증유발에 대한 새로운 보호기전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조혜성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5-0048929 과제명 만성염증질환 및 간암에서 간세포 조절인자 규명 및 면역반응 조절 연구

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이재호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과제번호 2005-0048928 과제명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 기술 개발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주일로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5-0048925 과제명 뇌염증세포에서 염증반응 조절을 위한 표적물질 발굴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윤계순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5-0048926 과제명 세포내 대사이상과 연관된 염증반응의 제어연구사업명 만성 염증질환 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조혜성 주관기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제번호 2008-0062505 과제명 간 만성염증질환 제어 연구

과학기술/학술적 연구성과(단위 : 건)

전문학술지 논문게재초청

강연

실적

학술대회

논문발표지식재산권

수상

실적

출판실적

국내논문 국외논문국내 국제

출원 등록저역서 보고서

SCI 비SCI SCI 비SCI 국내 국외 국내 국외

5 5 103 1 29 141 157 0 0 0 0 19 1 0

Page 3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0

전문학술지 논문게재 성과정보게재연월 논문제목

저자학술지명 Vol.

(No.)저널구분

SCI여부

ImpactFactor

공동연구논문총저자명 주저자 교신저

자201207

NF-kappa B and STAT3 cooperatively induce IL6 in starved cancer cellsYoon, S.Woo, S. U.Kang, J. H.Kim, K.Shin, H-JGwak, H-SPark, S.Chwae, Y-J 윤사라 최용준 ONCOGENE 31(29) 국외 SCI등재 7.414(jcr2010) 아니오

201207Proteolytic Cleavage of Extracellular alpha-Synuclein by Plasmin IMPLICATIONS FOR PARKINSON DISEASE

Kim, Kwang SooChoi, Yu ReePark, Ji-YoungLee, Jung-HoKim, Dong KyuLee, Seung-JaePaik, Seung R.Jou, IloPark, Sang Myun김광수 박상면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7(30) 국외 SCI등재 5.328(jcr2010) 아니오

201205Role of vitamin D-binding protein in isocyanate-induced occupational asthma

Kim, Sung-HoChoi, Gil-SoonNam, Young-HeeKim, Joo-HeeHur, Gyu-YoungKim, Seung-HyunPark, Sang MyunPark, Hae-Sim

김성훈최길순 박상면박해심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44(5) 국내 SCI등재 2.453(jcr2010) 아니오

201205Astrocytes, not not microglia, rapidly sense H2O2 via STAT6 phosphorylation, resulting in cyclooxygenase-2 expression and prostaglandin release.

박수정;이지훈;김희영;최윤희;박정섭;서영호;박상면;조은혜;주일로 박수정 주일로김희영 JOURNAL OF IMMUNOLOGY 188(10) 국외 SCI등재 5.745(jcr2010) 아니오

201205Spatial and temporal correlation in progressive degeneration of neurons

민경진, 정혜경, 김범수, 황동훈, 신혜영, 트란 안, 김종현,주일로I, 김병곤, 조은혜 민경진정혜경 조은혜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9(1) 국외 SCI등재 5.79(2010) 아니오

201205GSK3 inactivation is involved in mitochondrial complex IV defect in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β1-induced senescence

변해옥; 정현정;서용학;정현정;이영경;황은성; 윤계순; 변해옥 윤계순 EXPERIMENTAL CELL RESEARCH318(15) 국외 SCI등재 3.609(jcr2010) 아니오

201204Impair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rine Lrrk2-Knockdown Brain Microglia

Kim, BeomsueYang, Myung-SoonChoi, DongjooKim, Jong-HyeonKim, Hye-SunSeol, WongiChoi, SangdunJou, IloKim, Eun-YoungJoe, Eun-Hye

김범수 조은혜 PLOS ONE 7(4) 국외 SCI등재 4.411(jcr2010) 아니오

인력양성 및 연구시설(단위 : 명,건)

학위배출 국내외 연수지원

산학강좌 연구기자재박사 석사

장기 단기

국내 국외 국내 국외

21 29 0 1 22 1 1 27

국제협력(단위 :명,건)

과학자교류 국제협력기반 학술회의개최

국내과학자

해외파견

외국과학자

국내유치MOU체결 국제공동연구 국제사업참여 국내 국제

6 2 0 2 0 14 0

산업지원 및 연구성과 활용(단위 : 건)

기술확산 연구성과활용(사업화 및 후속연구과제 등)

기술실시계약 기술이전 기술지도 기술평가 후속연구추진 사업화추진중 사업화완료 기타목적활용

0 0 0 0 0 0 0 0

Page 3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1

201204Anti-inflammatory effect of low intensity ultrasound (LIUS) on complete Freund's adjuvant-induced arthritis synovium.

정지인;Sumit Barua;최병현;민병현;한희철;백은주 정지인 백은주 OSTEOARTHRITIS AND CARTILAGE20(4) 국외 SCI등재 3.888(jcr2009) 아니오

201204PRAVASTATIN ATTENUATES NOISE-INDUCED COCHLEAR INJURY IN MICE

Park, J. S.Kim, S. W.Park, K.Choung, Y. H.Jou, I.Park, S. M. 박정섭 박상면 NEUROSCIENCE 208 국외 SCI등재 3.215(jcr2010) 아니오

201203Pendulous melanocyte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melasma and how it may occur

Lee, D. J.Park, K-C.Ortonne, J. P.Kang, H. Y. 이동준 강희영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66(3) 국외 SCI등재 3.666 예

201203 Acquired bilateral melanosis of the neck in perimenopausal womenPark, J. -Y.Kim, Y. C.Lee, E. -S.Park, K. -C.Kang, H. Y. 박지윤 강희영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166(3) 국외 SCI등재 3.666 아니오

201203 A role for O-GlcNAcylation in setting circadian clock speedKim, Eun YoungJeong, Eun HeePark, SujinJeong, Hyun-JeongEdery, IsaacCho, Jin Won

김은영 김은영조진원GENES & DEVELOPMENT

26(5) 국외 SCI등재 12.889(jcr2010) 예201203 Role of JAK3 in myogenic differentiation. 장유나;이일재;박명철;백은주 장유나 백은주 CELLULAR SIGNALLING 24(3) 국외 SCI등재 4.094(jcr2009) 아니오

201203Relevance of interleukin-10RB to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interferon-λ and interleukin-22

Okki Cho; Jae Y. Cheong; Ka J. Jun; Soon S. Kim; Yong-Joon Chwae; Kyongmin Kim; Sun Park; Sung W. Cho조옥기 박선조성원 hepatology international 6(5) 국외 SCI등재 아니오

201202

5,8,11,14-eicosatetraynoic acid suppresses CCL2/MCP-1 expression in IFN-gamma-stimulated astrocytes by increasing MAPK phosphatase-1 mRNA stability.

이지훈;김현미;우주홍;조은혜;주일로 이지훈 이지훈주일로JOURNAL OF NEUROINFLAMMATION 9(1) 국외 SCI등재 5.785(jcr2010) 아니오

201201

Down-regulation of interleukin-2 production by CD4(+) T cells expressing TIM-3 through suppression of NFAT dephosphorylation and AP-1 transcription.

Lee MJ, Woo MY, Chwae YJ, Kwon MH, Kim K, Park S. 이미진 박선 Immunobiology 127(3) 국외 SCI등재 3.205 아니오

201112 Gene transfer mediated by stem cell grafts to treat CNS injury Hwang, Dong H.Jeong, Soo R.Kim, Byung G. 황동호 김병곤EXPERT OPINION ON BIOLOGICAL THERAPY

11(12) 국외 SCI등재 3.279(jcr2010) 아니오

201111 Defective barrier function in melasma skinLee DJ ; Lee J ; Ha J; Park KC; Ortonne JP; Kang HY 이동준 강희영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1(1) 국외 SCI등재

2.980(jcr2011) 아니오

201110Involvement of mitophagy in oncogenic K-Ras-induced transformation Overcoming a cellular energy deficit from glucose deficiency

Kim, June-Hyung; Kim, Hee Young; Lee, Young-Kyoung; Yoon, Young-Sil; Xu, Wei Guang; Yoon, Joon-Kee; Choi, Sung-E; Ko, Young-Gyu; Kim, Min-Jung; Lee, Su-Jae; Wang, Hee-Jung; Yoon, Gyesoon;

김준형 윤계순 AUTOPHAGY 7(10) 국외 SCI등재 6.643(jcr2010) 아니오

201108

Transcriptional Profiling Shows Altered Expression of Wnt Pathway- and Lipid Metabolism-Related Genes as Well as Melanogenesis-Related Genes in Melasma

Kang, Hee YoungSuzuki, ItaruLee, Dong JunHa, JaehyunReiniche, PascaleAubert, JeromeDeret, SophieZugaj, DidierVoegel, Johannes J.Ortonne, Jean-Paul

강희영 Jean-PaulOrtonn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131(8) 국외 SCI등재 6.314 예

201108Identification of CCL1 as a Gen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CD4+ T Cells Expressing TIM-3

이미진;신동철;우민영;김경민;박선 전가정 박선 Immune Network 11(4) 국내 SCI미등재 아니오

201107Differential and Cooperative Actions of Olig1 and Olig2 Transcription Factors on Immature Proliferating Cells After Contusive Spinal Cord Injury

Kim, Hyuk M.Hwang, Dong H.Choi, Jun YoungPark, Chang HwanSuh-Kim, HaeyoungKim, Seung U.Kim, Byung G.김혁민 김병곤 GLIA 59(7) 국외 SCI등재 5.186(jcr2010) 예

201105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B expression enhances claudin 1-mediated hepatoma cell invasiveness via mitochondrial defects

Kim, June-HyungKim, Ei-LyoungLee, Young-KyoungPark, Chan-BaeKim, Bong-WanWang, Hee-JungYoon, Chang-HwanLee, Su-JaeYoon, Gyesoon

김준형 윤계순 EXPERIMENTAL CELL RESEARCH317(8) 국외 SCI등재 3.609(jcr2010) 아니오

Page 3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2

201103Uridine 5 '-Diphosphate Induces Chemokine Expression in Microglia and Astrocytes through Activation of the P2Y(6) Receptor

Kim, BeomsueJeong, Hey-kyeongKim, Jong-hyeonLee, Sang YoonJou, IloJoe, Eun-hye김범수 조은례 JOURNAL OF IMMUNOLOGY 186(6) 국외 SCI등재 5.745(jcr2010) 아니오

201102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paracrine and autocrine hepa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induced tumor cell migration and invasion

Kwak, In-Hae Shin, Yun-Hye Kim, Myeongdeok Cha, Hyun-Young Nam, Hyun-Ja Lee, Bok-Soon Chaudhary, S. C. Pai, Ki-Soo Lee, Jae-Ho

곽인혜 이재호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43(2) 국내 SCI등재 2.453(jcr2010) 아니오

201101Altered Ganglioside Expression Modulates the Pathogenic Mechanism of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by Increase in Hyaluronic Acid

Kook, Koung Hoon; Choi, Youn-Hee; Kim, Yu Rim; Park, Soo Jung; Jou, Ilo; Kim, Sung Joo; Lee, Sang Yeul;국경훈 국경훈이상열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52(1) 국외 SCI등재 3.466(jcr2010) 아니오

201012Astrocytes in injury states rapidly produce anti-inflammatory factors and attenuate microglial inflammatory responses

Kim, Jong-hyeonMin, Kyoung-JinSeol, WongiJou, IloJoe, Eun-hye 김종현 조은혜 JOURNAL OF NEUROCHEMISTRY115(5) 국외 SCI등재 3.999(jcr2009) 아니오

201011Enhanced phosphatidylinositol 4-phosphate 5-kinase alpha expression and PI(4,5)P-2 production in LPS-stimulated microglia

Lee, Sang Yoon; Kim, Bokyoung; Jeong, Hey-Kyeong; Min, Kyoung-Jin; Liu, Tian; Park, Ji-Young; Joe, Eun-hye; Jou, Ilo;이상윤 이상윤

NEUROCHEMISTRY INTERNATIONAL57(5) 국외 SCI등재 3.541(jcr2009) 아니오

201010Two Distinct Modes of PERIOD Recruitment onto dCLOCK Reveal a Novel Role for TIMELESS in Circadian Transcription

Sun, Woo Chul Jeong, Eun Hee Jeong, Hyun-Jeong Ko, Hyuk Wan Edery, Isaac Kim, Eun Young선우철정은희 김은영 JOURNAL OF NEUROSCIENCE

30(43) 국외 SCI등재 7.271(jcr2010) 예

201010Inflammatory Responses Are Not Sufficient to Cause Delayed Neuronal Death in ATP-Induced Acute Brain Injury

Jeong, Hey-KyeongJi, Kyung-minKim, BeomsueKim, JunJou, IloJoe, Eun-hye정혜경 조은혜 PLOS ONE 5(10) 국외 SCI등재 4.351(jcr2009) 아니오

201010Amyloid formation and disaggregation of alpha-synuclein and its tandem repeat (alpha-TR)

Bae, Song YiKim, SeulgiHwang, HeejinKim, Hyun-KyungYoon, Hyun C.Kim, Jae HoLee, SangYoonKim, T. Doohun배송이 이상윤김두헌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400(4) 국외 SCI등재 2.595(jcr2010) 아니오

201010Differential Regulation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Neural Precursor Cells by the Jak Pathway

Kim, Yun Hee; Chung, Jee-In; Woo, Hyun Goo; Jung, Yi-Sook; Lee, Soo Hwan; Moon, Chang-Hyun; Suh-Kim, Haeyoung; Baik, Eun Joo;김윤희 백은주 STEM CELLS 28(10) 국외 SCI등재 7.747(jcr2009) 아니오

201009Phosphatidylinositol 4-phosphate 5-kinase alpha is induced in ganglioside-stimulated brain astrocytes and contributes to inflammatory responses

Lee, Sang Yoon Kim, Bokyung Yoon, Sarah Kim, Yeon Joo Liu, Tian Woo, Joo Hong Chwae, Yong-Joon Joe, Eun-hye Jou, Ilo이상윤 이상윤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42(9) 국내 SCI등재 2.304(jcr2009) 아니오

201009The PI3K-Akt mediates oncogenic Met-induced centrosome amplification and chromosome instability

Nam, Hyun-Ja; Chae, Sunyoung; Jang, Seung-Hoon; Cho, Hyeseong; Lee, Jae-Ho;남현자 이재호 CARCINOGENESIS 31(9) 국외 SCI등재 4.795(jcr2009) 아니오

201009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SREBP)-1-mediated Lipogenesis Is Involved in Cell Senescence

Kim, You-Mie; Shin, Hyun-Taek; Seo, Yong-Hak; Byun, Hae-Ok; Yoon, Soo-Han; Lee, In-Kyu; Hyun, Dong-Hoon; Chung, Hae-Young; Yoon, Gyesoon;

김유미 윤계순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285(38) 국외 SCI등재 5.328(jcr2009) 아니오

201008Endogenous Expression of Interleukin-4 Regulates Macrophage Activation and Confines Cavity Formation After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Lee, Seung IhmJeong, Soo RyeongKan, Young MiHan, Dae HeeJin, Byung KwanNamgung, UkKim, Byung G.이승임 김병곤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88(11) 국외 SCI등재 2.958(jcr2010) 아니오

201008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detects pigmentary changes in melasma at a cellular level resolution

Kang, Hee YoungBahadoran, PhilippeSuzuki, ItaruZugaj, DidierKhemis, AbdallahPasseron, ThierryAndres, PhilippeOrtonne, Jean-Paul강희영 Jean-PaulOrtonne

EXPERIMENTAL DERMATOLOGY19(8) 국외 SCI등재 3.543 예

201007Regulation of Weibel-Palade Body Exocytosis by alpha-Synuclein in Endothelial Cells

Kim, Kwang Soo; Park, Ji-Young; Jou, Ilo; Park, Sang Myun; 김광수 박상면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285(28) 국외 SCI등재 5.328(jcr2009) 아니오

Page 3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3

201007Roles of GSK3 in metabolic shift toward abnormal anabolism in cell senescence

Kim, You-Mie; Seo, Yong-Hak; Park, Chan-Bae; Yoon, Soo-Han; Yoon, Gyesoon;김유미 윤계순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1201 국외 SCI등재 아니오

201006Toluene diisocyanate (TDI) regulates haem oxygenase-1/ferritin expression: implications for toluene diisocyanate-induced asthma

Kim, S. -H.; Choi, G. -S.; Ye, Y. -M.; Jou, I.; Park, H. -S.; Park, S. M.; 김성호 박상면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160(3) 국외 SCI등재 3.009(jcr2009) 아니오

201006Antifibrotic Effect of Pirfenidone on Orbital Fibroblasts of Patients with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by Decreasing TIMP-1 and Collagen Levels

Kim, HyunmiChoi, Youn-HeePark, Soo JungLee, Sang YeulKim, Sung JooJou, IloKook, Koung Hoon김현미 국경훈최윤희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51(6) 국외 SCI등재 3.466(jcr2010) 아니오

201004Co-treatment with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TGF-beta 1 enhances migration of HaCaT cells through NADPH oxidase-dependent ROS generation

Nam, Hyun-Ja; Park, Yun-Yeon; Yoon, Gyesoon; Cho, Hyeseong; Lee, Jae-Ho;남현자 이재호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42(4) 국내 SCI등재 2.304(jcr2009) 아니오

201003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for pigmentary disorders Kang, Hee YoungBahadoran, PhilippeOrtonne, Jean-Paul 강희영 Jean-PaulOrtonneEXPERIMENTAL DERMATOLOGY

19(3) 국외 SCI등재 3.543 예

201003Characterization of a novel oligomeric SGNH-arylesterase from Sinorhizobium meliloti 1021

Hwang, HeejinKim, SeungBumYoon, SangyoungRyu, YeonwooLee, Sang YoonKim, T. Doohun황희진 이상윤김두헌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46(2) 국외 SCI등재 2.502(jcr2010) 아니오

200911Overexpression of Bcl-X-L in Human Neural Stem Cells Promotes Graft Survival and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Transplantation in Spinal Cord Injury

Lee, Seung I.; Kim, Byung G.; Hwang, Dong H.; Kim, Hyuk M.; Kim, Seung U.;이승임 김병곤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87 (14) 국외 SCI등재 03.086(jcr2008) 아니오

200909

Transplantation of human neural stem cells transduced with Olig2 transcription factor improves locomotor recovery and enhances myelination in the white matter of rat spinal cord following contusive injury

Hwang, Dong H. Kim, Byung G. Kim, Eun J. Lee, Seung I. Joo, In S. Suh-Kim, Haeyoung Sohn, Seonghyang Kim, Seung U.황동훈 깈병곤 BMC NEUROSCIENCE 10 국외 SCI등재 2.744(jcr2009) 예

200909

Differential SUMOylation of LXR alpha and LXR beta Mediates Transrepression of STAT1 Inflammatory Signaling in IFN-gamma-Stimulated Brain Astrocytes

Lee, Jee Hoon; Park, Sang Myun; Kim, Ohn Soon; Lee, Chang Seok; Woo, Joo Hong; Park, Soo Jung; Joe, Eun-hye; Jou, Ilo;이지훈 주일로 MOLECULAR CELL 35(6) 국외 SCI등재 12.903(jcr2008) 아니오

200908Functional implication of BAFF synthesis and release in gangliosides-stimulated microglia

Kim, Kwang Soo Park, Ji-Young Jou, Ilo Park, Sang Myun 김광수 박상면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86(2) 국외 SCI등재 04.605(jcr2008) 아니오

200907Increased IgG Antibody-Induced Cytotoxicity Against Airway Epithelial Cells in Patients with Nonallergic Asthma

Kwon, Byul; Lee, Hye-Ah; Choi, Gil-Soon; Ye, Young-Min; Nahm, Dong-Ho; Park, Hae-Sim;권별 남동호 JOURNAL OF CLINICAL IMMUNOLOGY 29(4) 국외 SCI등재 03.248(jcr2008) 아니오

200907On the mechanism of internalization of alpha-synuclein into microglia: roles of ganglioside GM1 and lipid raft

Park, Ji-Young Kim, Kwang Soo Lee, Saet-Byul Ryu, Jae-Sung Chung, Kwang Chul Choo, Young-Kug Jou, Ilo Kim, Jongsun Park, Sang Myun박지영 박상면 JOURNAL OF NEUROCHEMISTRY

110 (1) 국외 SCI등재 04.500(jcr2008) 아니오

200907A Case of Congenital Orbital Malignant Rhabdoid Tumor: Systemic Metastasis following Exenteration

Kook, Koung Hoon; Park, Moon Sung; Yim, Hyunee; Lee, Sang Yeul; Jang, Jae Woo; Grossniklaus, Hans E.;국경훈 장재우 OPHTHALMOLOGICA 223 (4) 국외 SCI등재 01.093(jcr2008) 예

200907A Case of Congenital Orbital Malignant Rhabdoid Tumor: Systemic Metastasis following Exenteration

Kook, Koung Hoon; Park, Moon Sung; Yim, Hyunee; Lee, Sang Yeul; Jang, Jae Woo; Grossniklaus, Hans E.;OPHTHALMOLOGICA 223 (4) 국외 SCI등재 01.093(jcr2008) 예

200906Depletion of BubR1 promotes premature centrosomal localization of cyclin B-1 and accelerates mitotic entry

Park, Sun-Yi Kim, Sujeong Cho, Hyeseon Kwon, Soon-Hwan Chae, Sunyoung Kang, Dongmin Seong, Yeon-Sun Cho, Hyeseong박선이 조혜성 CELL CYCLE 8(11) 국외 SCI등재 04.120(jcr2008) 예

Page 3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4

200905Calpain-Mediated N-Cadherin Proteolytic Processing in Brain Injury

Jang, You-Na; Jung, Yi-Sook; Lee, Soo Hwan; Moon, Chang-Hyun; Kim, Chang-Hoon; Baik, Eun Joo;장유나 백은주 JOURNAL OF NEUROSCIENCE

29(18) 국외 SCI등재 07.452(jcr2008) 아니오

200904Oxidative stress induces lipid-raft-mediated activation of Src homology 2 domain-containing protein-tyrosine phosphatase 2 in astrocytes

Park, Soo Jung; Kim, Hee Young; Kim, Hyunmi; Park, Sang Myun; Joe, Eun-hye; Jou, Ilo; Choi, Youn-Hee;박수정 주일로최윤희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46 (12) 국외 SCI등재 05.399(jcr2008) 아니오

200903Hepatocyte growth factor induces delayed STAT3 phosphorylation through interleukin-6 expression

Lee, Bok-Soon Park, Minseon Cha, Hyun-Young Lee, Jae-Ho 이복순 이재호 CELLULAR SIGNALLING 21(3) 국외 SCI등재 04.305(jcr2008) 아니오

200812Enhanced glycogenesis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via GSK3/GS modulation

Seo, Yong-Hak Jung, Hyun-Jung Shin, Hyun-Taek Kim, You-Mie Yim, Hyunee Chung, Hae-Young Lim, In Kyoung Yoon, Gyesoon서용학 윤계순 AGING CELL 7(6) 국외 SCI등재 05.854(jcr2007) 아니오

200812

The 15-Deoxy-Delta(12,14)-Prostaglandin J(2) Suppresse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Expression in IFN-gamma-Stimulated Astrocytes through Induction of MAPK Phosphatase-1

Lee, Jee Hoon Woo, Joo Hong Woo, Sang Uk Kim, Kwang Soo Park, Sang Myun Joe, Eun-hye Jou, Ilo이지훈 주일로 JOURNAL OF IMMUNOLOGY 181(12) 국외 SCI등재 06.068(jcr2007) 아니오

200810GM1 induces p38 and microtubule dependent ramification of rat primary microglia in vitro

Park, Ji-Young Kim, Hee Young Jou, Ilo Park, Sang Myun 박지영 박상면 BRAIN RESEARCH 1244 국외 SCI등재 02.218(jcr2007) 아니오

200809Methyl-beta-cyclodextrin, a specific cholesterol-binding agent, inhibits melanogenesis in human melanocytes through activation of ERK

Jin, Sun Hee Lee, Young Yi Kang, Hee Young 진선희 강희영AR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300(8) 국외 SCI등재 2.279 아니오

200808Microglial phagocytosis is enhanced by monomeric alpha-synuclein, not aggregated alpha-synuclein: Implications for Parkinson´s disease

Park, Ji-Young Paik, Seung R. Jou, Ilo Park, Sang Myun 박지영 박상면 GLIA 56(11) 국외 SCI등재 05.380(jcr2007) 아니오

200808Mitochondrial dysfunction by complex II inhibition delays overall cell cycle progression via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Byun, Hae-Ok Kim, Hee Young Lim, Jin J. Seo, Yong-Hak Yoon, Gyesoon 변해옥 윤계순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104(5) 국외 SCI등재 03.381(jcr2007) 아니오

200807LPS induces melanogenesis through p38 MAPK activation in human melanocytes

Ahn, Joo Hee Jin, Sun Hee Kang, Hee Young 안주희 강희영AR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300(6) 국외 SCI등재 2.279

200807The ERK-RSK1 activation by growth factors at G2 phase delays cell cycle progression and reduces mitotic aberrations

Nam, Hyun-Ja Kim, Sujeong Lee, Min-Woo Lee, Bok-Soon Hara, Toshihiro Saya, Hideyuki Cho, Hyeseong Lee, Jae-Ho남현자 이재호 CELLULAR SIGNALLING 20(7) 국외 SCI등재 04.147(jcr2007) 예

200805Reactivation of p53 in cells expressing hepatitis B virus X-protein involves p53 phosphorylation and a reduction of Hdm2

Wang, Jin-Hee Yun, Chawon Kim, Sujeong Chae, Sunyoung Lee, Young Ik Kim, Wook-Hwan Lee, Jae-Ho Kim, Wankee Cho, Hyeseong왕진희 조혜성 CANCER SCIENCE 99(5) 국외 SCI등재 03.165(jcr2007) 아니오

200805HBV X protein targets hBubR1, which induces dysregulation of the mitotic checkpoint

Kim, S. Park, S-Y Yong, H. Famulski, J. K. Chae, S. Lee, J-H Kang, C-M Saya, H. Chan, G. K. Cho, H.김수정 조혜성 ONCOGENE 27(24) 국외 SCI등재 06.440(jcr2007)

200805beta-catenin interacts with MyoD and regulates its transcription activity

Kim, Chang-Hoon Neiswender, Hannah Baik, Eun Joo Xiong, Wen C. Mei, Lin김창훈 백은주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28(9) 국외 SCI등재 06.420(jcr2007) 예

200805

Retinoic acid enhances prostaglandin E-2 production through increased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and 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1 in rat brain microglia

Kim, Beomsue Lee, Jee-Hyung Yang, Myung-Soon Jou, Ilo Joe, Eun-Hye김범수 조은혜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86(6) 국외 SCI등재 03.268(jcr2007)

200805Movement disorders at a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 An analysis of clinical pattern and etiology

Yoon, Jung Han Lee, Phil Hyu Yong, Seok Woo Park, Hee Young Lim, Tae Sung Choi, Jun Young윤정한 이필휴 JOURNAL OF NEUROLOGY 255(5) 국외 SCI등재 02.477(jcr2007)

200803Matrix metalloproteinase-3 induction in rat brain astrocytes: focus on the role of two AP-1 elements

Kim, Kwang Soo Kim, Hee Young Joe, Eun-hye Jou, Ilo 김광수 주일로 BIOCHEMICAL JOURNAL 410 국외 SCI등재 04.009(jcr2007) 아니오

Page 3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5

200803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man Interferon-lambda1 SH Hong, JS Kim, S Park 홍승호 박선 Immune Network 8 국내 SCI미등재 아니오

200802

Involvement of endogenous prostaglandin F-2 alpha on kainic acid-induced seizure activity through FP receptor: The mechanism of proconvulsant effects of COX-2 inhibitors

Kim, Hee-Jae Chung, Jee-In Lee, Soo Hwan Jung, Yi-Sook Moon, Chang-Hyun Baik, Eun Joo김희재 백은주 BRAIN RESEARCH 1193 국외 SCI등재 02.218(jcr2007) 아니오

200801A soluble and heat-resistant form of hantavirus nucleocapsid protein for the serodiagnosis of HFRS

Park, Sang Myun Kim, Jongsun 박상면 김종선 JOURNAL OF VIROLOGICAL METHODS147(1) 국외 SCI등재 02.097(jcr2006)

200801Cadmium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p38 MAPK in brain microvessel endothelial cells

Jung, Yi-Sook Jeong, Euy-Myoung Park, Eun Kyung Kim, You-Mie Sohn, Seonghyang Lee, Soo Hwan Baik, Eun Joo Moon, Chang-Hyun정이숙 문창현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578(1) 국외 SCI등재 02.376(jcr2007) 예

200712 Neuronal adhesion molecules in neuronal injury Jang YN, Jung YS, Lee SH, Moon CH, Baik EJ 장유나 백은주 Experimental Neurobiology 16(2) 국내 SCI미등재 아니오

200712A comparison of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Parkinson´s disease, Parkinson´s disease dementia and dementia with Lewy bodies

Yong, S. W. Yoon, J. K. An, Y. S. Lee, P. H. 용석우 이필휴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14(12) 국외 SCI등재 02.580(jcr2007)

200711

ODOUR IDENTIFICATION TEST AND ITS RELATION TO CARDIAC I-123-METAIODOBENZYLGUANIDINE IN PATIENTS WITH DRUG INDUCED PARKINSONISM

LEE, PHIL HYU YEO, SEUNG HYEON YONG, SEOK WOO KIM, YUN JOONG이필휴 이필휴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78 국외 SCI등재

200711

RESIDENT MICROGLIA DIE AND INFILTRATED NEUTROPHILS AND MONOCYTES BECOME MAJOR INFLAMMATORY CELLS IN LIPOPOLYSACCHARIDE-INJECTED BRAIN

JI, KYUNG-AE YANG, MYUNG-SOON JEONG, HEY KYEONG MIN, KYOUNG-JIN KANG, SEUNG-HEE JOU, ILO JOE, EUN-HYE지경애 조은혜 GLIA 55 국외 SCI등재 5.186(2010)

200708MITOCHONDRIAL FISSION AND FUSION MEDIATORS, HFIS1 AND OPA1, MODULATE CELLULAR SENESCENCE

LEE, SEUNGMIN JEONG, SEON-YONG LIM, WON-CHUNG KIM, SUJEONG PARK, YONG-YEA SUN, XUEJUN YOULE, RICHARD J. CHO, HYESEONG

이승민 조혜성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2 국외 SCI등재 05.581

200707Neuroprotective effect of nicotine on dopaminergic neurons by anti-inflammatory action

Park, Hyun Jung Lee, Phil Hyu Ahn, Young Whan Choi, Yun Jung Lee, Gwang Lee, Da-Yong Chung, Eun S. Jin, Byung Kwan박현정 이필휴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26(1) 국외 SCI등재 03.673

200706

ROLES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SUBTYPE 1 AND CANNABINOID TYPE 1 RECEPTORS IN THE BRAIN: NEUROPROTECTION VERSUS NEUROTOXICITY

KIM, SANG R. CHUNG, YOUNG C. CHUNG, EUN S. PARK, KEUN W. WON, SO Y. BOK, E. PARK, EUN S. JIN, BYUNG K.

MOLECULAR NEUROBIOLOGY 35 국외 SCI등재

200706NEUROPROTECTIVE EFFECT OF NICOTINE ON DOPAMINERGIC NEURONS BY ANTI-INFLAMMATORY ACTION

PARK, HYUN JUNG LEE, PHIL HYU AHN, YOUNG WHAN CHOI, YUN JUNG LEE, GWANG LEE, DA-YONG CHUNG, EUN S. JIN, BYUNG KWAN박현정 이필휴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26 국외 SCI등재

200705CELL CYCLE-DEPENDENT MITOCHONDRIAL BIOGENESIS AND DYNAMICS IN MAMMALIAN CELLS

LEE, SEUNGMIN KIM, SUJEONG SUN, XUEJUN LEE, JAE-HO CHO, HYESEONG이승민 조혜성

Biochemical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357 국외 SCI등재 2.484

200705THE VASCULAR CHARACTERISTICS OF MELASMA

KIM, EN HYUNG KIM, YOU CHAN LEE, EUN-SO KANG, HEE YOUNG 김은형 강희영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46 국외 SCI등재 3.718

200704HEPATOCYTE GROWTH FACTOR AT S PHASE INDUCES G2 DELAY THROUGH SUSTAINED ERK ACTIVATION

PARK, YUN YEON NAM, HYUN-JA LEE, JAE-HO 박윤연 이재호 BIOCHEM BIOPHYS RES COMMUN 356 국외 SCI등재

200704RAF-1 AND PROTEIN KINASE B REGULATE CELL SURVIVAL THROUGH THE ACTIVATION OF NF-KAPPA B IN HEPATITIS B VIRUS X-EXPRESSING CELLS

UM, HAE-RYUN LIM, WON-CHUNG CHAE, SUN-YOUNG PARK, SUN PARK, JEON HAN CHO, HYESEONG엄혜련 조혜성 VIRUS RESEARCH 125 국외 SCI등재 2.941

Page 3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6

200704EFFECT OF INTERFERON-LAMBDA ON REPLICATION OF HEPATITIS B VIRUS IN HUMAN HEPATOMA CELLS

HONG, SEUNG-HO CHO, OKKI KIM, KOYNGMIN SHIN, HO-JOON KOTENKO, SERGEI V. PARK, SUN홍승호 박선 VIRUS RESEARCH 126 국외 SCI등재 2.941 아니오

200702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DUCES PERINUCLEAR MITOCHONDRIAL CLUSTERING IN MICROTUBULE- AND DYNEIN-DEPENDENT MANNERS

KIM, SUJEONG KIM, HYE-YOUNG LEE, SEUNGMIN KIM, SUNG WOO SOHN, SEONGHYANG KIM, KYONGMIN CHO, HYESEONG

김수정 조혜성 Journal of Virology 81 국외 SCI등재 5.402

200611

FORMATION OF ELONGATED GIANT MITOCHONDRIA IN DFO-INDUCED CELLULAR SENESCENCE: INVOLVEMENT OF ENHANCED FUSION PROCESS THROUGH MODULATION OF FIS1

YOON, YS YOON, DS LIM, IK YOON, SH CHUNG, HY ROJO, M MALKA, F JOU, MJ MARTINOU, JC YOON, G윤영실 윤계순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209 국외 SCI등재 5.222

200610AN ALTERNATIVELY SPLICED FORM OF MET RECEPTOR IS TUMORIGENIC

LEE, JAE-HO GAO, CHONG FENG LEE, CHONG CHOU KIM, MYUNG DEOK WOUDE, GEORGE F. VANDE이재호 이재호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38 국내 SCI등재 2.481 예

200607

INTERLEUKIN-13 ENHANC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ACTIVATED RAT BRAIN MICROGLIA: IMPLICATIONS FOR DEATH OF ACTIVATED MICROGLIAL

YANG, MS JI, KA JEON, SB JIN, BK KIM, SU JOU, I JOE, E 양명순 조은혜 Journal of Immunology 177 국외 SCI등재 6.068

200605GANGLIOSIDES TRIGGER INFLAMMATORY RESPONSES VIA TLR4 IN BRAIN GLIA

JOU, I LEE, JH PARK, SY YOON, HJ JOE, EH PARK, EJ 주일로 박은정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68 국외 SCI등재 5.224(2011)

200604

RAFT-MEDIATED SRC HOMOLOGY 2 DOMAIN-CONTAINING PROTEIN-TYROSINE PHOSPHATASE 2 (SHP-2) REGULATION IN MICROGLIA

KIM, HY PARK, SJ JOE, EH JOU, I 김희영 주일로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1 국외 SCI등재 5.52(2008)

200603

OXIDIZED LOVE DENSITY LIPOPROTEIN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ICROGLIA: OXIDATIVE STRESS ACTS THROUGH CONTROL OF INFLAMMATION

KIM, OS LEE, CS JOE, EH JOU, I 김온순 주일로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42 국외 SCI등재 2.904

200602

ASTROCYTES INDUCE HEMEOXYGENASE-1 EXPRESSION IN MICROGLIA: A FEASIBLE MECHANISM FOR PREVENTING EXCESSIVE BRAIN INFLAMMATION

MIN, KJ YANG, MS KIM, SU JOU, I JOE, EH 민경진 조은혜 JOURNAL OF NEUROSCIENCE 26 국외 SCI등재 7.452(2008)

200602OXYSTEROLS SUPPRESS INOS EXPRESSION IN LPS-STIMULATED ASTROCYTES THROUGH LIVER X RECEPTOR

LEE, C. S. JOE, E. H. JOU, I. CHUNG, M. H. YE, S. K. 이창석 주일로 NEUROREPORT 40 국외 SCI등재 2.351

200512Role of Cyclooxygenases Isoforms in the Dorsal Root Ganglia during Inflammatory Pain Transmission

정지인, 이윤영, 김은주, 장유나,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박승화, 백은주 정지인 백은주 Experimental Neurobiology 14 국내 SCI미등재 아니오

200510Centrosome amplification and multinuclear phenotypes ar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CHAE, S YUN, C UM, H LEE, JH CHO, H 채선영 조혜성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37 국외 SCI등재 1.712

200506 Role of COX-2 on the Maintenance of Chronic Neuropathic PainEun Joo Baik, Kyungsoon Chung, Woo Yong Lee, Kyoung Ja Kwon, You-Na Jung

백은주 백은주 한국뇌학회/한국뇌신경과학회 학술대회 14 국내 SCI미등재 아니오

200506Presence of autocrine hepatocyte growth factor-Met signaling and its role i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SNU-484 gastric cancer cell line

PARK, M PARK, H KIM, WH CHO, HS LEE, JH 박민선 이재호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37 국외 SCI등재 1.712

200506Arachidonic acid induces neuronal death through lipoxygenase and cytochrome P450 rather than cyclooxygenase

KWON, KJ JUNG, YS LEE, SH MOON, CH BAIK, EJ 권경자 백은주 J neurosci res 81 국외 SCI등재 3.727 아니오

200505PPAR-alpha activators suppress STATI inflammatory signaling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t glia

LEE, JH JOE, EH JOU, I 이지훈 주일로 Neuroreport 16 국외 SCI등재 2.351

Page 3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7

국제학술대회 초청강연실적 성과정보발표연월 학술대회명 발표자 강연주제 개최국201208 2012, Gordon Conference,

Mitochondria and Chloroplast 윤계순 GSK3 inactivation is involved in complex IV defects in TGF b1-induced senescence, 미국

201208 Asian Association of Aging Research, AAAR 윤계순

A time-series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rofiles in replicative senescence explains cellular backgrounds of

age-associated diseases일본

201207 2012 Mackay International Symposium 윤계순 A link between cellular senescence and age-related

diseases 대만

201206 The 2nd Japan-Korea Neural Tissue Culture Seminar 이상윤 Association of Membrane Phosphoinositide with Glial

TLR4 Signaling 일본

201206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2년 국제학술대회 박상면 Parkinson's disease: Lesson from common signal

pathways of genetic susceptibility factors 대한민국

201206 대경학술대회 강희영 백반증 최신지견 대한민국

201204 백반증학회 학술대회 강희영 임상연구방법 대한민국

201204 2012 Asia-Pacific Academy of Ophthalmology / European Society of Ophthalmology 국경훈 The role of ganglioside in the pathogenic mechanism of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대한민국

201204 대한면역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일로 Control of neuroinflammation by small molecules 대한민국

201202 2012, Gordon Research Conference, Aging biology 윤계순 A time-series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rofiles and phenotype changes in the process of replicative senescence 미국

201111 성형외과 학술대회 강희영 Potential application of ASCs to pigmentation dis orders 대한민국201110 연세의대피부생물학연구소 학술

심포지엄 강희영 new insights into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melasma 대한민국

2011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주일로 A novel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15d-PGJ2

through MKP-1 induction. 대한민국201109 IPCC 강희영 Skin lightening agents and melasma 프랑스201106 대한코스메틱피부과학회학술대회 강희영 update in melasma 대한민국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윤계순 Roles of GSK3 in Cell Senescence 대한민국201105 World Congresses of

Dermatology 강희영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reatment of melasma 대한민국201104 1st Tri-Nations' Aging

Symposium 윤계순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Metabolic Alteration in Senescence 중국

200504Double-stranded RNA-activated protein kinase is required for the LPS-induced activation of STAT1 inflammatory signaling in rat brain glial cells

LEE, JH PARK, EJ KIM, OS KIM, HY JOE, EH JOU, I 이지훈 주일로 GLIA 50 국외 SCI등재 4.781

200503Characterization of new microglia-like cells obtained from neonatal rat brain

KIM, OS LEE, CS KIM, HY JOE, EH JOU, I 김온순 주일로 Biochem. Biophys. Res. Comm. 328 국외 SCI등재 2.904

200411Neuroprotection by fructose-1,6-bisphosphate involves ROS alterations via p38 MAPK/ERK.

박지영, 김은주, 권경자, 정이숙, 문창현, 이수환, 백은주 박지영 백은주 BRAIN RESEARCH 1026(2) 국외 SCI등재 2.218 아니오

Page 4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8

201104 대한백반증학회학술대회 강희영 Definition of stable vitiligo 대한민국

201103 대한피부과의사회 춘계심포지엄 강희영 Histopathlogical characteristics of melasma with melanocyes anding down into dermis 대한민국

201010 제15회 글리아 연구회 조은혜 Neuroinflammation in acutely damaged spinal cord: patterns and effect on delayed neuronal death 일본

201009 Taiw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윤계순 Involvement of GSK3 in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Senescence 대만

2009116th Conference of 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윤계순 Contribution of GSK3 to metabolic alteration in cell

senescence 대만

200812 J-Mit International Symposium 윤계순 Functional Defects and Altered Morphogenesis of Mitochondria in Cellular Senescence. 일본

200810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Cell Biology 윤계순 Involvement of Enhanced Glycolysis in Cellular

Senescence. 대한민국

200806AJOU G.d' ANNUNZIO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s in Biomedicine

조혜성 Mitotic checkpoint control by HBx viral oncoprotein and aneuploidy formation in liver cancer 대한민국

200711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이재호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of hepatocytes

through increase of TGF-α contributes to hepatocyte dysfunction and liver fibrosis

대한민국

200707 2007 대한생화학 분자생물학회 하계학술대회 윤계순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cellular

senescence. 대한민국

200707 제 4회 세포기질연구소 심포지움 윤계순 Mitochondria and cancer. 대한민국

학술대회 논문발표 성과정보

발표

년월학술대회명 저자 논문제목

학술대

회구분

개최

201206 BRC international conference 김종현, 최동주, 김준, 조은혜 DJ-1, a Parkinson's disease-associated gene, prevents excessive glial activation through interactin with SHP-1 phosphatase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206 BRC international conference 조은혜 Microglial function altered by LRRK2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206 BRC international conference 최인섭,김준,정혜경,김범수,주일로,박상면,Linan Chen, Xiaoxi Zhuang, 강은중, 조은혜

Mitochondrial dysfunction is linked on phosphorylation of p38 and AKT level in PNIK1-deficiency astrocyte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205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연례학회 조민국,이인정,박윤연,이재호 Reactive oxygen species increase binucleated cells through perturbation of cytokinesis progression via unresolved DNA bridges in HeLa cell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204 Ajou Brain conference 권민정, 황동훈, 김병곤 Macrophage activation is essential for the increased regenerative capacity of DRG neurons by intraganglionic cyclic AMP injec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204 제20회 기초의학 학술대회 정지인, 백은주 Vunerability of Neonatal Seizure with Little COX Activit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204 제20회 기초의학 학술대회 장유나, 고기영, 백은주 Downregulation of JAK2/STAT3 Activation Attenuates Astrogliosis Following Brain Injur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204 기초의학학술대회 주일로 Sumoylation mediates transrepression of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204 제20회 기초의학 학술대회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Energetic Rescue of Beta-Lapachone in Mouse Brain Ischemic Insult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204 Ajou Brain Conference 신혜영, 황동훈, 김병곤 Dynamic gene expression patterns in the lumbar spinal cord below the lesion level: regulation by treadmill locomotor training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204 제20회 기초의학 학술대회 장유나, 고기영, 백은주 Downregulation of JAK2/STAT3 Activation Attenuates Astrogliosis Following Brain Injur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204 제20회 기초의학 학술대회 정지인, 백은주 Vunerability of Neonatal Seizure with Little COX Activit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Page 4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9

201204 제20회 기초의학 학술대회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Energetic Rescue of Beta-Lapachone in Mouse Brain Ischemic Insult.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1 미국신경과학회 권민정, 황동훈. 김병곤 Macrophage recruitment in DRG contributes to sensory axon regeneration after conditioning injury 국제학술대회 미국201111 미국뇌신경과학회 최준영, 강영미, 김병곤 Toll-like receptor 2 regulates the extent of demyelinating lesion in endothelin-1 induced white matter stroke model in mouse

국제학술대회 미국201110 대한생리학회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Possibility of beta-lapachone as a neuroprotection agent in brain ischemic insult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0 대한생리학회 정지인, Sumit Barua, 백은주 Low intensity of ultrasound alleviates synovial inflammation in adjuvant-induced arthritis rat model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0 대한생리학회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Possibility of beta-lapachone as a neuroprotection agent in brain ischemic insult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우주홍, 손진영, 이지훈, 주일로 Forming disulfide bonds of HuR is required to resist oxidative stress by hydrogen peroxid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0 대한생리학회 정지인, Sumit Barua, 백은주 Low intensity ultrasound alleviates synovial inflammation in adjuvant-induced arthritis rat model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0 대한생리학회 장유나, 이일재, 박명철, 백은주 Negative role of JAK3 in myogenic differenti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0 대한생리학회 장유나, 이일재, 박명철, 백은주 Negative role of JAK3 in myogenic differenti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10 Cytokines and Interferons Mi Jin Lee, Sun Park Suppressive mechanisms of TIM-3 on IL-2 production in T cells 국제학술대회 유럽201110

2011, Asia-Oseania Conference in Gerontology and Geriatrics김준형, 서용학, 윤계순 Involvement of Upregulated Glycogen Synthase and Glycogenin in glycogenesis-associated Cell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호주

2011102011, Asia-Oseania Conference in Gerontology and Geriatrics

이영경, 신현택, 서용학, 윤계순 Mitochondrial Mass Increase is linked to Respiratory Defects and Morphological Elongation of Mitochondria during Cellular Senescence국제학술대회 호주

201109 FAOPS 정지인, Sumit Barua, 백은주 Down regulation effect of low intensity ultrasound(LIUS) in adjuvant-induced arthritis 국제학술대회 대만201109 FAOPS 장유나, 이일재, 박명철, 백은주 JAK3 inhibition promotes Myogenic Differentiation. 국제학술대회 대만201109 Glia Cells 정혜경, 조은혜 Blood monocytes infiltrate into the injured brain, are alternatively activated, and contribute to repair 국제학술대회 체코201109

Embo conference-Nuclear Receptors 이지훈, 박수정, 주일로 Small heterodimer partner mediates Liver X receptor-induced transrepress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in brain astrocytes. 국제학술대회 스페인

201109 Glia Cells 최인섭, 김준, 조은혜 Mitochondrial dysfunction is linked on phosphorylation of p38 and AKT level in PINK1-deficiency astrocytes국제학술대회 체코

201109 FAOPS 정지인, Sumit Barua, 백은주 Downregulation effect of low-intensity ultrasound(LIUS) in adjuvant induced arthritis 국제학술대회 대만201109 FAOPS 장유나, 이일재, 박명철, 백은주 JAK3 inhibition promotes Myogenic Differentiation. 국제학술대회 대만201109 한국뇌신경과학회 최인섭, 김준, 김범수, 정혜경, 주일로, 박상면, 조은혜

PINK1 deficiency attenuates astrocyte prolifer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AKT activation and EGF receptor expression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9 Glia Cells 김범수, 양명순, 최동주, 김종현, 김혜선, 설원기, 주일로, 김은영, 조은혜 Impaired inflammatory response in murine LRRK2-knockdown brain microglia 국제학술대회 체코201109 Glia Cells 조은혜, 민경진 Microglia and monocytes do not promote delayed neuronal death in contusion-induced spinal cord injury

국제학술대회 체코201109 IPCC 김혜란 Wnt inhibitory factor (WIF)-1 promotes melanogenesis in normal human melanocyte 국제학술대회 프랑스201109 한국뇌신경과학회 최준영, 강영미, 김병곤 Post-ischemic inflammatory responses sustain demyelinating pathology in endothelin-1 induced white matter stroke model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9 한국뇌신경과학회 정혜경, 지경민, 김준, 주일로, 조은혜 Blood monocytes infiltrate into the injured brain, are alternatively activated, and contribute to repair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9 한국뇌신경과학회 권민정, 황동훈, 김병곤 Macrophage recruitment in DRG contributes to sensory axon regeneration after conditioning injur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9 한국뇌신경과학회 김범수, 양명순, 최동주, 김종현, 주일로, 조은혜 Impair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rine LRRK2-knockdown brain microglia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7 한국초파리연구회 김은영 Understanding of circadian transcription/translation feedback loop (TTFL) from dynamic interaction between clock component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7 한국 RNA 학회 심포지엄 우주홍, 주일로 A novel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15d-PGJ2 through induction of MKP-1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7 한국RNA학회 심포지움 우주홍, 주일로 A Novel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15d-PGJ2 through inuction of MKP-1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Page 4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0

201106 5th Conference of KSMRM Young-Kyoung Lee, June-Hyung Kim, Gyesoon Yoon.The relationship between mitochndrial dysfunction and down-expression of mitochondrial 8-oxoguanine DNA glycosylas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6 2011 WCU & BK21 BNT Symposium 윤계순 Involvement of GSK3 in Metabolic Alteration during Cell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6 Mitochondrial Medicine 2011 June-Hyung Kim, Ei-Lyoung Kim, Young-Kyoung Lee, GyesoonYoon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defects in 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B-mediated hepatoma cell invasiveness국제학술대회 미국

201106 2011, 5th Conference of KSMRM 변해옥, 정현정, 서용학, 윤계순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GSK3 in complex IV defects via binding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6b1 by TGFβ1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6 10th world congress on inflammation 김현미, 주일로 22(R)-hydroxycholesterol induces MKP-1 expression via HuR nuclear translocation in brain astrocytes. 국제학술대회 프랑스

2011062011 WCU & BK21 BNT Symposium on HIV-1 and Cell Survivals

Gyesoon Yoon Involvement of GSK3 in Metabolic Alteration during Cell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6 10th World Congress on Inflammation 김현미, 이지훈, 주일로 22(R)-hydroxycholesterol induces MKP-1 expresssion is induced by HuR in brain astrocytes. 국제학술대회 프랑스201106 2011, 5th Conference of KSMRM 이영경, 김준형, 윤계순

The relationship between mitochndrial dysfunction and down-expression of mitochondrial 8-oxoguanine DNA glycosylase in hepatocellular carcinoma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6 5th Conference of KSMRM Hae-Ok Byun, Hyun-Jung Jung, Yong-Hak Seo, Gyesoon YoonInvolvement of mitochondrial GSK3 in complex IV defects via binding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6b1 by TGFβ1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6 Mitochondrial Medicine 2011 김준형, 김이령, 이영경, 윤계순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defects in 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B-mediated hepatoma cell invasiveness

국제학술대회 미국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Young-Kyoung Lee, June-Hyung Kim, Gyesoon Yoon

A link between down-expression of mitochondrial 8-oxoguanine DNA glycosylase and respiratory defects in hepatocellular carcinoma.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Hae-ok Byun, Hyun-Jung Jung, Yong Hak Seo, Gyesoon Yoon. Potential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GSK3 in TGFb1-induced complex IV defects via binding subunit 6b1.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Kim JH, Kim EL, Lee YK, Park CB, Wang HJ, Yoon CH, Lee SJ, Yoon G.

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B expression enhances hepatoma cell invasiveness by claudin1 induction via mitochondrial defect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5 기초의학회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Beta-Lapachone under metabolic ischemic insult in neur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5 기초의학회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Beta-Lapachone Metabolic Insult in Neur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5 기초의학회 정지인, Sumit Barua, 백은주 Anti-inflammatory effect of low intensity ultrasound in the synovium of arthritis model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5 기초의학회 정지인, Sumit Barua, 백은주 Anti-inflammatory effect of low intensity ultrasound in the synovium of arthritis model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윤계순 Roles of GSK3 in Cell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김준형, 김이령, 이영경, 박찬재, 왕희정, 윤창환, 이수재, 윤계순

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B expression enhances hepatoma cell invasiveness by claudin1 induction via mitochondrial defects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이영경, 김준형, 윤계순 A link between down-expression of mitochondrial 8-oxoguanine DNA glycosylase and respiratory defects in hepatocellular carcinoma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5 2011 KSBMB Annual Meeting 변해옥, 정현정, 서용학, 윤계순 Potential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GSK3 in TGFb1-induced complex IV defects via binding subunit 6b1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104 1st Tri-Nations' Aging Symposium 윤계순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Metabolic Alteration in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중국201104 13th Ajou Brain Conference 김종현, 조은혜 DJ-1, a Parkinson's disease-associated gene, prevents excessive glial activ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SHP-1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4 13th Ajou Brain Conference 김준, 조은혜 PINK1 knock-out enhances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brain slic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101 2011 Annual meeting Asia ARVO 국경훈, 최지하 Association between Genetic Variations of ST3 beta-galactoside alpha-2,3-sialyltransferase5 (ST3Gal5) and Thyroid Associated Ophthalmopathy

국제학술대회 싱가폴201012

7th Conference of 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이영경, 김준형, 윤계순 Importance of decreased expression of mitochondrial 8-oxoguanine DNA glycosylase in hepatocellular carcinoma국제학술대회 일본

2010127th Conference of 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김준형, 김희영, 윤계순 Autophagy-mediated functional loss of mitochondria in oncogenic K-Ras-induced transformation 국제학술대회 일본

Page 4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1

2010127th Conference of 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서용학, 정변해옥, 정현정, 서용학, 윤계순 Potential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GSK3 in TGFbeta1-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국제학술대회 일본

201011 기초의과학연구센터연합성과발표회 주일로 Control of inflammatory responses by nuclear receptor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11

2010 Dasan Conference: Translational Research in Aging Science 김유미, 신현택, 서용학, 변해옥, 윤계순 Enhanced lipogenesis is importantly involved in cell senescence through GSK3/SREBP-1.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011 미국신경과학회 권민정, 정수령, 황동훈, 김병곤 Macrophage activation in DRG contributes to enhanced regenerative capacity of sensory neurons after conditioning injury

국제학술대회 미국201011 미국신경과학회 김혁민, 최준영, 황동훈, 김병곤 Regulation of glioma formation by Olig genes 국제학술대회 미국201010 대한생리학회 정지인, 백은주 Anti-inflammatory effect of low intensity ultrasound on FCA-induced rat osteoarthritis kne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10 Stem cells, development and Regulation 김윤희,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우현구, 백은주

WHI-p154 protect the apoptotic death and the differentiation in the mouse embryo neuronal stem cells국제학술대회 네델란드

201010 Society for Neuroscience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Pharmacological effect of beta-lapachone under oxidative insult in mice 국제학술대회 미국201010 Society for Neuroscience 정지인, 백은주 Maturation of cyclooxygenases in the brain 국제학술대회 미국201010 대한생리학회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Protection of beta-lapachone under metabolic insult: involvement of methylglyoxal pathwa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10 대한생리학회 김윤희,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우현구, 백은주

Role of Jak3 in the neuronal precursor cell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Bcl Expression.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10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선우철, 정은희, 정현정, 고혁완, Isaac Edery, 김은영Two Distinct Modes of PERIOD Recruitment onto dCLOCK Reveal a Novel Role for TIMELESS in Circadian Transcrip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8 2010 Gordon Research Conference 서용학, 정현정, 변해옥, 김유미, 윤수한, 윤계순 Roles of GSK3 in mitochondrial respiratory defects during cell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스위스201006 제 4회 대한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김준형, 김희영, 서용학, 이수재, 윤계순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functional loss in oncogenic K-Ras-induced transform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6 제 4회 대한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윤계순 Roles of GSK3 in Mitochondrial Dysfunction during TGF b1-induced Cell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6 제 4회 대한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이영경, 김준형, 윤계순 Contribution of decreased mitochondrial 8-oxoguanine DNA glycosylase expression to delayed cell growth of invasive hepatoma cell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5 KSBMB 정지인, 박지영, Stefania Tacconelli, Paola Patrignani, 백은주 Developmental changes of cyclooxygenases activity in neuronal cell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5 KSBMB 김아영, 정경훈, 박명규, 백은주 Effect of beta-lapachone under oxidative insult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5 기초의학학술대회 조현실, 주일로 Stereo-selectiv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alidomide enantiomers in LPS-stimulated brain astrocyt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5 기초의학학술대회 우주홍,이지훈,주일로 A novel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15d-PGJ2 through induction of MKP-1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3 2010 Oxygen Club of California 서용학, 정현정, 변해옥, 김유미, 윤수한, 윤계순 TGF b1 induces mitochondrial ROS through GSK3 inactivation-mediated respiratory defects 국제학술대회 미국201003 2010 Oxygen Club of California 이영경, 김준형, 김유미, 윤수한, 윤계순 A link between mtOGG1-mediated respiratory defect and mitochondrial ROS 국제학술대회 미국201002 대한약리학회동계학술모임 주일로 SUMOylation mediates LXR-induced STAT1 suppression in brain astrocyt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1001 생화학분자생물학회동계학술대회 주일로 summon SUMO to wrestle with inflamm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12 BK21 Symposium 주일로 How nuclear receptors are involved in inflammatory respons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11 한국노화학회 추계학술대회 김유미, 서용학, 윤계순 Enhanced lipogenesis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11

6th Conference of 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서용학, 정현정, 신현택, 김유미, 윤계순 Enhanced glycogenesis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만200911

6th Conference of 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김유미, 서용학, 윤계순 Enhanced lipogenesis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만200911 제61차 대한 약리학회 이지훈, 조은혜, 주일로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mechanisms of 5,8,11,14-eicosatetraynoic acid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11

6th Conference of 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변해옥, 정현정, 서용학, 김유미, 윤계순 Involvement of GSK3 in TGF-b1-induced mitochondrial defects 국제학술대회 대만200911 한국노화학회 추계학술대회 윤계순 ROS production in mitochondrial respir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10 대한생리학회 김윤희,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Role of Jak3 during neurogene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Page 4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2

200910 Society for Neuroscience 김광수, 박지영, 주일로, 박상면 Regulation of Weibel-Palade body exocytosis by alpha-synuclein in endothelial cells 국제학술대회 미국200910 Society for Neuroscience 정지인,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조은혜, Stefania Tacconelli, Paola Patrignani, 백은주

Glycosylation is necessary for brain COX-2 maturation 국제학술대회 미국200910 Society for Neuroscience 김아영, 장유나,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홍승길 Protective effect of AG490 in oxidative stress 국제학술대회 미국200910 Society for Neuroscience 장유나, 고기영,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JAK2 inhibition prevents astrocyt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9099th European Meeting on Glial Cells in Health and Disease

정혜경, 지경애, 김범수, 김준, 주일로, 조은혜ATP INDUCES EARLY NEURONAL DEATH AND MICROGLIAL ACTIVATION, AND MONOCYTE INFILTRATION WITHOUT SECONDARY NEURONAL DEATH IN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AND THE CORTEX

국제학술대회 프랑스

200909 GLIA cells in health and disease 박지영, 김광수, 이샛별, 류재성, 정광철, 추영국, 주일로, 김종선, 박상면On the mechanism of internalization of a-synuclein into microglia : roles of ganglioside GM1 and lipid raft

국제학술대회 프랑스200908

22nd biennial meeting of the ISN/APSN joint meeting 민경진, 조은혜 Behavior and functions of microglia, neutrophils, and astrocytes in spinal cord injury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907 The 9th World Congress on Inflammation 이지훈, 박상면, 김온순, 이창석, 우주홍, 박수정, 조은혜, 주일로

Differential SUMOylation of LXRa and b mediates transrepression of STAT1 inflammatory signaling in IFNr-stimulated brain astrocytes.국제학술대회 일본

20090719th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서용학, 정현정, 김유미, 정해영, 임인경, 윤계순 Enhanced glycogenesis is critically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프랑스200907 The 9th world Congress on Inflammation 박수정, 최윤희, 주일로 Hydrogen peroxide induces STAT-6 activation and COX-2 induction in brain astrocytes. 국제학술대회 일본200907 IUPS 김윤희,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Role of Jak3 in neuronal precursor cells 국제학술대회 일본200905 대한노인병학회 윤계순 노화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05 한국노화학회 춘계학술대회 정현정, 서용학, 김유미, 윤계순 Contribution of GSK3 inactivation to TGF b1-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04 기초의학학술대회 정지인, 백은주 COX-2 activity through N-glycosylation in the brain cell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04 기초의학 학술대회 임원청, 권순환, 김수정, 이승민, 류왕식, 조혜성

HBx targeting to mitochondria and ROS generation ar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hepatitis B virus induced cyclooxygenase-2 expression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904 대한안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국경훈, 이상렬, 김성주 The role of gangliosides in pathogenesis of Graves' ophthalmopath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904 기초의학학술대회 박용예, 이승민, Mariusz Karbowski, Albert Neutzner, Richard Youle, 조혜성

Loss of mitochondrial E3 ubiquitin ligase, MARCH5 induces cellular senescence through modulating mitochondrial dynamics controlling molecules, Drp1 and Mfn1.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904 기초의학학술대회 김윤희,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A Protective Role of 4-(3'-Bromo-4'-hydroxylphenyl)-amino-6,7-dimethoxyquinazoline against Tropic factor deprivation-induced Death in Neural Precursor Cell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2

The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48th Annual Meeting박용예, 이승민, M. Karbowski, A. Neutzner, R. Youle, 조혜성 Loss of MARCH5 mitochondrial E3 ubiquitin ligase induces cellular senescence through Drp1 and Mfn1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812The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48th Annual Meeting

이승민, 박용예, Sun Xuejun, CHAN Gordon, 조혜성 mitochondrial fragmentation is required for mitotic entry 국제학술대회 미국200812

The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48th Annual Meeting채선영, 권순환, 임정미, 이창우, 강동민, 조혜성 The Chromatin remodeling factor Rsf-1/HBxAP mediates the HBx/hBubR1 interaction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812 한국뇌신경과학회 지경애, 정혜경, 김준, 강승희, 주일로, 조은혜 Fate and function of monocytes infiltrated brain in LPS-injected SNpc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2

Symposium on Aging: From Molecules to Society 윤계순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Metabolic Alteration in Cellular Senescence. Gyesoon Yoon (Invited Speaker)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12 한국뇌신경과학학회 김종현, 민경진, 조은혜 Astrocytes in injury states produce soluble factors to reduce inflammatory responses of microglia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1 5th ASMRM Young-Kyoung Lee, Hwang-Geum Youn, June-Hyung Kim, and Gyesoon Yoon.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s Associated with mtDNA Damage and mtOGG1 Down-expression국제학술대회 중국

200811 기초의과학 연구센터 연합성과 발표 주일로 A novel anti-inflammatory mechanisms of 15d-PGJ2 in brain astrocyt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1 5th ASMRM June-Hyung Kim, Ei-Lyoung Kim, Young-Kyoung Lee, Hee Young Kim, Su-Jae Lee, and Gyesoon Yoon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Aerobic Glycolysis in Cancer Cell Invasion 국제학술대회 중국200811 5th ASMRM Hyun-Jung Jung, Yong-Hak Seo, You-Mie Kim, and Gyesoon Yoon Involvement of GSK3 Inactivation in TGF β1-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국제학술대회 중국

Page 4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3

200811 5th ASMRM Yong-Hak Seo, You-Mie Kim, and Gyesoon YoonMitochondrial Mass Increase: A Potential Link between Mitochondrial Elongation and Respiratory Defects

국제학술대회 중국200811 한국노화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윤계순 Roles of GSK3 in Cellular Senescence (invited speaker)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1 대한암예방학회 조혜성 Molecular carcinogenesis of HBV-mediated liver cancer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Cytokines Okki Cho, SH Hong, J Kim, S Park Endocyotsis of Interferon-lambda in HepG2 cells 국제학술대회 캐나다

200810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In Commemoration of the 60th KSMBMB Anniversary

Young-Kyoung Lee, Hwang-Geum Youn, June-Hyung Kim, and Gyesoon Yoon.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defects are associated with mtDNA damage and mtOGG1 down-expression in human hepatoma cell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대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정지인, 박지영, 장유나,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Milne GL, Morrow JD, 백은주 Neurons produce PGF2alpha not PGE2 through COX2 activity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대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이영만, 황정미, 이수경, 조혜성, 김연수 ROS generated by the HBx protein induce apoptosis of liver cells under condition of NF-κB repressi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세포생물학회 여름학술회 Hyun-Taek Shin, Yong-Hak Seo, You-Mie Kim and Gyesoon Yoon Mitochondrial Mass Increase is linked to Respiratory Defects of Mitochondria during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장유나,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NMDA-induced N-cadherin cleavag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생화학분자생물학 국제학술대회 박수정, 김희영, 김현미, 박상면, 조은혜, 주일로, 최윤희

Oxidative stress induces lipid raft-mediated activation of Src homology 2 domain-contain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2 in astrocyte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이승민, 박용예, Sun Xuejun, CHAN Gordon, 조혜성 mitochondrial fragmentation is indispensible for mitotic entry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대한생화학 분자생물학회 김윤희,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IL-7 and JAK3-cyclin D1, a key pathway promoting proliferation and preventing differentiation into neurons in neural precusor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대한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정지인, 박지영,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Neurons produce PGF2-alpha not PGE2 through COX-2 activity.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Medical women's International Association 정지인, 백은주 Strategy f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국제학술대회 호주200810 International Congress on Cell Biology Young-Kyoung Lee, Hwang-Geum Youn, June-Hyung Kim, and Gyesoon Yoon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s Associated with mtDNA Damage and mtOGG1 Down-expression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10 International Congress on Cell BiologyYong-Hak Seo, Hyun-Jung Jung, Hyun-Taek Shin, You-Mie Kim, In Kyoung Lim, and Gyesoon Yoon

Enhanced Glycogenesis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via GSK3/GS Modulati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대한생리학회 장유나,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Calpain-mediates N-cadherin cleavage and regulates beta-cateni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대한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장유나, 정이숙, 이수환, 문창현, 백은주 NMDA-induced N-cadherin cleavag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International Congress on Cell Biology You-Mie Kim, Hyun-Taek Shin, Yong-Hak Seo, Gyesoon Yoon Alteration of membranous organelles and lipogenesis in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810 International Congress on Cell Biology Hyun-Jung Jung, Yong-Hak Seo, You-Mie Kim, and Gyesoon Yoon

GSK3 Inactivation is involved in Mitochondrial Complex IV Defects in TGF β1-Induced Cellular Senescence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10 International Congress on Cell BiologyJune-Hyung Kim, Ei-Lyoung Kim, Young-Kyoung Lee, Hee Young Kim, Su-Jae Lee, and Gyesoon Yoon

Metabolic Shift by Down-expressed Lactate Dehydrogenase H Subunit Enhances Invasion Activit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through Claudin-1 Expression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김범수, 조은혜 UDP induces MCP-1 production from rat brain astrocytes and microglia through activation of P2Y6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9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윤계순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dynamics in cellular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9 Gordon Research Conference

Ji-Young Park, Kwang Soo Kim, Saet-Byul Lee, Ilo Jou, Jongsun Kim and Sang Myun ParkOn the mechanism of internalization of alpha-synuclein into microglia: Roles of ganglioside GM1 and lipid-raft

국제학술대회 영국200808 세포생물학회 여름학술회 June-Hyung Kim, Ei-Lyoung Kim, Young-Kyoung Lee, Hee Young Kim, Su-Jae Lee, and Gyesoon Yoon

LDH B Supression Contributes to Cancer Cell Invasion through Mitochondrial Defects-mediated Claudin1Induction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8 세포생물학회 여름학술회 Hyun-Jung Jung, Yong-Hak Seo, You-Mie Kim, and Gyesoon Yoon TGF β1-Induced Cellular Senescence is Mediated by Complex IV Defects via GSK3 Inactiv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8 세포생물학회 여름학술회 Yong-Hak Seo, Hyun-Jung Jung, Hyun-Taek Shin, You-Mie Kim, In Kyoung Lim, and Gyesoon Yoon

Glycogen-associated Cellular Senescence is Induced by GSK3 and GS Modul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8International symposium of research Institute of Drug Development and Drug Receptor Research Center

윤계순 Mitochondria in Cellular Senescence. (invited Speaker)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7 대한생화학&#8228;분자생물학회 하계 학술대회 채선영, 권순환, 임정미, 강동민, 이창호, 조혜성The hepatitis B virus X-associated protein (HBXAP) mediates the HBx/hBubR1 interaction during mito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Page 4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4

200807 대한생화학&#8228;분자생물학회 박용예, 이승민, 조혜성Depletion of mitochondrial E3 ubiquitin ligase, MARCH5 promotes cellular senescence through modulating Drp1 and Mfn1 in a RING dependent manner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6 Cell Cycle Symposium 이승민, 박용예, 조혜성 Cell cycle control by mitochondrial dynamic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6 Cell Cycle Symposium 권순환, 채선영, 조혜성 Mitotic dysfunction in viral oncogene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5

한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춘계 학술대회Yong-Hak Seo, Hyun-Jung Jung, Hyun-Taek Shin, Hae-Young Chung3, In Kyoung Lim, and Gyesoon Yoon Enhanced glycogenesis and cellular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5한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춘계 학술대회

Hyun-Teak Shin, Yong-Hak Seo, and Gyesoon Yoon Relationship between mitochondrial elongation and mitochondrial respiratory dysfunc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5한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춘계 학술대회

Hyun-Jung Jung, Yong-Hak Seo, and Gyesoon Yoon Potential involvement of GSK3 in TGF β1-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5한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춘계 학술대회

June-Hyung Kim, Ei-Lyoung Kim, Young-Kyoung Lee, Hee Young Kim, and Gyesoon YoonMetabolic shift by down-expressed lactate dehydrogenase H subunit enhances invasion activity of liver cancer cells through claudin-1 express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4 Ajou Brain Conference 박수정, 김희영, 김현미, 조은혜, 주일로, 최윤희

Oxidative stress induces lipid raft-mediated activation of Src homology 2 domain-contain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2 in astrocytes.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4 Ajou Brain Conference 이지훈, 박수정, 김온순, 우상욱, 박상면, 조은혜, 주일로Liver X receptor activation suppresses STAT-inflammatory responses by its sumoyoation in brain astrocyt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4 Ajou Brain Conference 김종현, 민경진, 주일로, 조은혜 Damaged astrocytes induced by oxygen-glucose deprivation reduce inflammatory responses of microglia.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4 10th Ajou Brain Conference 이지훈, 주일로 Liver X receptor activation suppresses STAT-inflammatory responses by its sumoylation in brain astrocyt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4

International Symposium on Aging: Ajou University 20th Ann Symposium

Yong-Hak Seo, Hyun-Taek Shin, Hyun-Jung Jung, Hee Young Kim, Hwang-Geum Youn, In Kyoung Lim, and Gyesoon YoonGSK3 inhibition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Glycogen accumulation as a novel senescence marker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4 대한 안과학회 김의연, 김현미, 최윤희, 국경훈 Anti-fibrotic agent pirfenidone inhibits TIMP-1 release in orbital fibroblasts of Graves' ophthalmopath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4 10th Ajou Brain Conference 박수정, 주일로 Oxidative stress induces lipid rafts-mediated activation of Src homology 2 domain-containing protein tyrosien phosphatase 2 in astrocyt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802 Keystone Symposium

Yong-Hak Seo, Hyun-Taek Shin, Hyun-Jung Jung, Hee Young Kim, Hwang-Geum Youn, In Kyoung Lim, and Gyesoon YoonGSK3 inhibition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Glycogen accumulation as a novel senescence marker.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802 Keystone Symposium Hyun-Jung Jung, Hee Young Kim, Hwang-Geum Youn, Sung-Chul Hwang, Gyesoon Yoon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increased oxidative stress through oxidation of mitochondrial Prx III in TGF 1-induced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802 Keystone SymposiumHee Young Kim, Min-Jeong Kim, Joo-Yun Byun, Yong-Hak Seo, Hyun-Jung Jung, Su-Jae Lee, and Gyesoon Yoon

Involvement of mitcochondrial functional loss through autophagy in oncogenic K-Ras-induced transformation국제학술대회 미국

200801 세포생물학회 박지영, 백승렬, 주일로, 박상면 Microglial phagocytosis is enhanced by monomeric α-synuclein, not aggregated α-synuclein: Implications for Parkinson's diseas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801 The 3rd CPMDRC Seminar 주일로 A novel anti-inflammatory mechanism fo PPAR agonist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2

The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47th Annual Meeting김명덕, 김성수, 차현영, 장승훈, 장다영, 양종욱, 박복남, 윤준기, 김욱환. 서해영, 이재호

Therapeutic effect of hepatocyte growth factor-secreting mesenchymal stem cell in established rat liver fibrosis model.국제학술대회 미국

200712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chanisms of Antimutagenesis and Anticarcinogenesis.

김명덕, 김성수, 차현영, 장승훈, 장다영, 양종욱, 서해영, 이재호Therapeutic effect of hepatocyte growth factor-secreting mesenchymal stem cell in established rat liver fibrosis model.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한국뇌신경과학회 정지인 Neuron has different arachidonic acid metabolic pathway on prostaglandin E2 produc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제2회 대한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김희영, 서용학, 정현정, 이수재, 윤계순 Mitochondrial functional loss in oncogenic K-Ras-induced transformation: the involvement of autophag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제2회 대한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정현정, 윤황금, 윤계순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TGFb1-induced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Page 4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5

200711 한국뇌신경과학회 김아영 Protection of AG490 in hydrogen peroxide-induced cortical neuronal death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한국뇌신경과학회 김아영 The direct antioxidant activity of AG490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한국뇌신경과학회 박은수 Capsaicin prevents MPP+-incuced loss of nigral dopaminergic neurons in vivo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한국뇌신경과학회 장유나 The Calpain I generates 110kDa cleavage fragment of N-cadherin in brain injur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제2회 대한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윤황금, 김준형, 윤계순 Mitochondrial DNA damage in human cancer.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Shanghai International Symposium on Stem Cell Research김명덕, 김성수, 차현영, 장승훈, 장다영, 양종욱, 김욱환, 서해영, 이재호

Therapeutic effect of hepatocyte growth factor-secreting human mesenchymal stem cell in established rat liver fibrosis model.국제학술대회 중국

200711 제2회 대한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서용학, 신현택, 정현정, 윤황금, 임인경, 윤계순 GSK3 inactivation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accompanying mitochondrial dysfunc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1 대한퇴행성 신경질환학회 박은수 Capsaicin prevents MPP+-incuced loss of nigral dopaminergic neurons in vivo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0 대한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서용학, 신현택, 정현정, 윤황금, 임인경, 윤계순

GSK3 inhibition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accompanying glycogen synthesis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10 대한생리학회 장유나 Calpain-mediated 110-kDa cleavage fragment of N-cadherin in brain injur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0 대한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김희영, 서용학, 정현정, 이수재, 윤계순 Activated autophagy by oncogenic K-Ras mediates mitochondrial functional loss involved in cell transformati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0 대한생리학회 정지인 Prostanoid Synthesis Through N-metyl-D-aspartate (NMDA) - Induced Cyclooxygenase-2 In Neuron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10 한국 세포 분자생물학회 김희영, 서용학, 정현정, 이수재, 윤계순 Activated autophagy mediates mitochondrial loss via the beclin 1 induction in oncogenic K-Ras-induced cell transform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9

EMBO Workshop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s)왕진희, 한재호, 김장희, 김명덕, 이재호, 김욱환

EMT of hepatocyte through increase of TGF-β1 and 2 contributes to hepatocyte dysfunction and liver fibrosis.국제학술대회 유럽

200708 세포생물학회 김희영, 서용학, 정현정, 이수재, 윤계순 Activated autophagy mediates mitochondrial loss via the class I PI3K/JNK/beclin 1 pathway in oncogenic K-Ras-induced cell transformation.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8 세포생물학회 여름학술회 서용학, 신현택, 정현정, 윤황금, 임인경, 윤계순Glycogen accumulation as a senescence marker: GSK3 inhibition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accompanying glycogen synthesis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611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arkinson's disease and Movement disorders

이필휴 Movement disorders at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an analysis of linical pattern and etiology국제학술대회 터키

20070611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arkinson's disease and Movement disorders

용석우, 안영실, 이필휴 A comparison of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parkinson's disease, Parkinson's disease dementia, and dementia with lewy bodies국제학술대회 터키

20070611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arkinson's disease and Movement disorders

이필휴 Neuroprotective effect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 on dopaminergic neurons by anti-inflammatory actin국제학술대회 터키

20070611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arkinson's disease and Movement disorders

이필휴 Diffusion tensor imaging in patients with essential tremor 국제학술대회 터키200705 AAI 김광수 Functional Implication of BAFF Synthesis and Release in Gmix-stimulated Microglia 국제학술대회 미국200705 한국 EMT 역구회 심포지움 왕진희, 한재호, 김장희, 이재호, 김욱환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of hepatocytes through TGF-β contributes to liver fibro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19th FAOBMB Seoul Conference 김수정, 김해영, 이승민, 김성우, 김경민, 조혜성

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duces perinuclear mitochondrial clustering in microtubule and dynein-dependent manner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5 19th FAOBMB Seoul Conference 이승민, 정선용, 임원청, 김수정, Xuejun Sun, Richard J. Youle, 조혜성 Mitochondrial fission and fusion mediators, hFis1 and Opa1, modulate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19th FAOBMB Seoul Conference 김수정, 용화심, 박선이, 채선영, 이재호, 강창모, 조혜성

Binding of the HBV X protein to hBubR1 disturbs the mitotic checkpoint and increases chromosome instability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5 19th FAOBMB Seoul Conference 이승민, 김수정, Xuejun Sun, 조혜성 Mitochondrial biogenesis is coupled with cell cycle progression in mammalian cell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FAOBMB 정지인 Cyclooxygenase activity independent prostagladins E2-like substances in neur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19th FAOBMB Seoul Conference 박선이, 김수정, 성연선, 조혜성 Premature activation of cyclinB-cdk1 kinase leads to early mitotic entry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Page 4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6

200705 19th FAOBMB Seoul Conference 채선영, 임원청, 조혜성 Activation of the c-Jun NH2-terminal kinase determines mitotic entry and paclitaxel sensitivity in human hepatoma cell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5 FAOBMB 김광수 Functional Implication of BAFF Synthesis and Release in Gmix-stimulated Microglia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19th FAOBMB Seoul Conference 임원청, 김수정, 이승민, 류왕식, 조혜성 HBx induces cyclooxygenases-2 gene expression of HBV-replicating cells via ROS generati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대한 파킨슨병 및 이상 운동질환 학회 이필휴 Mesenchymal stem cells therapy exerts neuroprotection in a progressive animal model of PD and in patients with parkinsonian SD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FAOBMB Seoul Conference 박수정, 주일로 Differential regulation of STAT activation by oxidative stress in rat primary astrocyte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FAOBMB 김아영 Protection by AG490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death in primary cortical neuron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AHFMR Visiting Seminar 조혜성 Mitotic control of 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 hepatocarcinogenesis 국제학술대회 캐나다200705 FAOBMB Hyun-Jung Jung, Hee Young Kim, Hwang-Geum Youn, Sung-Chul Hwang,, Gyesoon Yoon.

Increased oxidation of mitochondrial Prx III in TGF b1-induced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FAOBMB 장유나 Regulation of 110kDa fragmentation of N-cadherin in cultured cortical neur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FAOBMB Yong-Hak Seo, Hyun-Teak Shin, Hee Young Kim, Dong-Sun Yoon, Gyesoon Yoon.

Role of GSK3βin glycogen accumulation and Drp1 modulation in DFO-induced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FAOBMB Jeong-Min Kim, Hee Young Kim, Yong-Hak Seo, Su-Jae Lee, Gyesoon Yoon.

Functional defects of mitochondria are involved in cellular transformation induced by oncogenic K-ra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5 FAOBMB Seoul Conference 이지훈, 조현실, 주일로 The trans-repression of inflammatory response by interaction of LXR and PIAS in IFN-g-stimulated rat astrocyte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4 기초의학학술대회 Hee Young Kim, Hae-Ok Byun, Jin J. Lim, Yong-Hak Seo, Jeong-Min Kim, and Gyesoon Yoon

Mitochondrial complex II inhibitor, 2-thenoyltrifluoroacetone, induces overall delay of cell cycle progression through ROS production.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4 2007 제54차 대한춘계면역학회 Mi Jin Lee, Young Hee Jin, Jung Sik Kim, Sun Park Expression of 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 hepatocytes induces the apoptosis of CD8 T cell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4 기초의학학술대회 정지인 Prostaglandin E2 synthesis through cyclooxygenase independent pathwa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4 기초의학학술대회 임원청, 김수정, 이승민, 류왕식, 조혜성 HBx induces cyclooxygenases-2 gene expression of HBV-replicating cells via ROS gener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4 기초의학학술대회 장유나 Regulation of N-cadherin cleavage in primary cortical neuronal death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4 기초의학학술대회 권순환, 채선영, 박선이, 조혜성 Mitotic Dysregulation in hepatitis B virus mediated hepatocarcinogene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4 기초의학학술대회 Hyun-Jung Jung, Hee Young Kim, Hwang-Geum Youn, Sung-Chul Hwang, and Gyesoon Yoon

Increased oxidation of mitochondrial Prx III in TGF b1-induced cellular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4 FAOBMB Hee Young Kim, Hae-Ok Byun, Jong-Jin Lim, Gyesoon Yoon Glutathione reverses delayed cell cycle progression by TTFA, a mitochondrial complex II inhibitor.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2 분자암연구학회 겨울모임 조혜성 Mitotic control in viral oncogene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2 아시아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Jeong-Min Kim, Young-Sil Yoon, Su-Jae Lee, Hee Young Kim and Gyesoon YoonFunctional defects of mitochondria are involved in cellular transformation induced by oncogenic K-ras.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2 아시아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Yong-Hak Seo, Hyun-Teak Shin, Hee Young Kim and Gyesoon Yoon Role of GSK3βin glycogen accumulation and Drp1 modulation in DFO-induced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2 아시아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Ei-Lyoung Kim, Hee Young Kim and Gyesoon Yoon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defects and activated glycolysis through down-expressed LDH H protein in cancer cell migration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702 아시아 미토콘드리아 의학회 Hae-Ok Byun, Jong-Jin Lim, Hee Young Kim and Gyesoon Yoon Delayed cell cycle progression by TTFA, a mitochondrial complex II inhibitor, and its reversal through elevated glutathion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2 미래의약산업 핵심고급 인력양성사업단 심포지움 주일로 염증반응의 조절을 통한 퇴행성뇌질환 치료방안의 모색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702

간염바이러스연구회 제20차 Biannual Symposium 임원청, 김수정, 이승민, 류왕식, 조혜성 HBx induces cyclooxygenases-2 gene expression of HBV-replicating cells via ROS gener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612 American Society of Cell Biology S. Kim, S. Park, W. Lim, H. Saya, J. Lee, H. Cho

Dual Roles of the 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 the ATM/ATR dependent DNA damage response: Activation and Silencing국제학술대회 미국

200612The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46th Annual Meeting

S. Shoba, S. Cheng, Dawn Mcdonald, 조혜성, Gordon Chan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kinetochore protein, hZwilch 국제학술대회 미국200612 American Society of Cell Biology S. Chae, W. Lim, H. Cho Activation of the c-Jun NH2-terminal kinase determines mitotic entry and paclitaxel sensitivity in human hepatoma cell lines

국제학술대회 미국

Page 4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7

200612The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46th Annual Meeting 박선이, 김수정, 성연선, 조혜성 Depletion of hBubR1 induces early cyclin B localization at the centrosome, Which leads to early mitotic entry

국제학술대회 미국200611 2006 제53차 대한추계면역학회 Mi Jin Lee, Okki Cho, Yoomi Heo, Seung-Ho Hong, Sun Park The effect of blockade of Tim-3 pathway on Tumor Growth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6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tochondrial Biomedicine & Chinese Mit’ 2006Ei-Lyoung Kim,Young-Sil Yoon and Gyesoon Yoon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metabolic switch to glycolytic ATP productionare contributed to migratory activities of hepatoma cells.국제학술대회 중국

200611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tochondrial Biomedicine & Chinese Mit’ 2006

Gyesoon Yoon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elongation in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중국200611 대한미토콘드리아의학회 Gyesoon Yoon Functional defects of mitochondria in cellular senescence and carcinogene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610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추계국제심포지움 Ei-Lyoung Kim,Young-Sil Yoon and Gyesoon Yoon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metabolic switch to glycolytic ATP productionare contributed to migratory activities of hepatoma cell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6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Lee S, Jeong S, Lim W, Cho H A novel cellular function of mitochondrial fission in mammalian cells:escape from stress-induced premature senescence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610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S Chae, W Lim, H Cho Activation of the c-Jun NH2-terminal kinase determines mitotic entry and paclitaxel sensitivity in human hepatoma cell lin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610 한국분자&#8228;세포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박선이, 김수정, 성연선, 조혜성 Depletion of hBubR1 induces early cyclin B localization at the centrosome, Which leads to early mitotic entry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610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추계국제심포지움 Yong-Hak Seo, Hyun-Teak Shin and Gyesoon YoonHow can mitochondrial elongation induced by blocking fission process induce mitochondrial respiratory dysfuncti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610 국제 신경과학회 김희재

Role of endogeneous prostaglandin F2 alpha on kainic acid-induced seizure activity through FP receptor: involvement of prostaglandin F2 alpha aggravated by COX-2 inhibitors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610 FAOPS 권경자 Neuroprotective effect of AG490 i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death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610 FAOPS 김아영 Antioxidant activity of AG490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610 FAOPS 장유나 Regulation of N-cadherin cleavage in neuronal death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608 분자바이러스분과학회 S. Kim, S. Park, W. Lim, H. Saya, J. Lee, H. Cho Dual Roles of the 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 the ATM/ATR dependent DNA damage respons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608 Cytokines 2006 S. Park, S. Hong, K. Kim, H. Shin, S. Kotenko

The sifferent effect of interferon-lambda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two human hepatoma cell lines국제학술대회 오스트리아

200607 Cold Spring Harbor Symposium 이지훈, 주일로 Differential anti-inflammatory mechamisms of PPAR-alpha activators in interferon-gama -activated rat glial cells.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606 Ajou International Symposium 주일로 Lesson from MRC: Mechanism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brain glial JAK-STAT signaling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604 기초의학 학술대회 고기영 Effect of AG490, known as a JAK2 inhibitor on astrogliosi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604 Kestone Symposium

Young-Sil Yoon, Dong-Sun Yoon, In Kyoung Lim, Manuel Rojo, Florence Malka, Mei-Jie Jou, Jean-Claude Martinou and Gyesoon YoonFormation of elongated giant mitochondria in cellular senescence: Role of enhanced fusion process as a mediator.

국제학술대회 미국200604 기초의학 학술대회 장유나 Regulation of N-cadherin cleavage in primary cortical neuronal death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604 기초의학 학술대회 김희재

Role of endogeneous prostaglandin F2 alpha on kainic acid-induced seizure activity through FP receptor: involvement of prostaglandin F2 alpha aggravated by COX-2 inhibitors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603 2006 Keystone symposia Mi Jin Lee, Young Hee Jin, Kyongmin Hwang Kim, Ho-Joon Shin, Sun Park The effect of hepatitis B virus X protein on antigen spectific CD8+ T cell response 국제학술대회 미국200512 American Society of Cell Biology 김수정, 윤차원, 김혜영, 김성우, 손성향, 이재호, 조혜성

Activation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by Hepatitis B Virus X protein mediates mitochondrial clustering in microtuble- and dynein-dependent manner.국제학술대회 미국

200512 American Society of Cell Biology 이승민, 임원청, 정선용, 김수정, Xuejun SUN, 조혜성 Depletion of hFis1 in cells causes stress-induced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미국200512 American Society of Cell Biology 박선이, 김수정, 채선영, 조혜성. A possible role of BubR1 mitotic checkpoint protein at G2/M transition. 국제학술대회 미국200511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박민선, 남현자, 전성후, 김율, 이재호 A novel alternative splicing form of Met reduces the tumorigenic potential of Met protooncogene. 국제학술대회 미국

Page 5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8

200511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이복순, 박민선, 차현영, 이재호 Activation of HGF/c-Met signaling induces delayed STAT3 phosphorylation via in Interleukin6 expression.

국제학술대회 미국200511 Society for Neuroscience 장유나 NMDA-induced cleavage of N-cadherin in cultured cortical neurons : A potent role of protease 국제학술대회 미국200511

Medical women's international association 8th western pacific congress김희재 Involvement of PGF2 alpha with kainic acid-induced seizure activity aggravated by NSAID 국제학술대회 필리핀

200510 한국뇌신경과학회 김광수 Transcriptinal regulation of MMp-3(stromelysin-1) by AP-1 and LYR agonists in rat brain astrocyte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2005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남현자, 이민우, 조혜성, T. Hara, H. Saya, 이재호

Raf-MAPK-RSK activation contributes to hepatocyte growth factor-induced G2 cell cycle delay in HeLa cell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102005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박민선, 이복순, 이재호 Role of a novel alternative splicing form c-Met on Human Skeletal Muscle Differentiat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10 대한생화학분자세포생물학회 이승민, 임원청, 정선용, 김수정, Xuejun SUN, 조혜성 Depletion of hFis1 in cells causes stress-induced cellular senescenc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제57회 대한생리학회 장유나 The regulation of NMDA-induced N-cadherin cleavage in cortical neuron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제57회 대한생리학회 박지영 COX-independent prostaglandins from arachidonic acid in primary cortical neurons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2005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이복순, 박민선, 차현영, 이재호 Activation of HGF/c-Met signaling induces delayed STAT3 phosphorylation via in Interleukin6 expressio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10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05 추계 국제학술대회Young-Sil Yoon, Dong-Sun Yoon, In Kyoung Lim, Hae-Young Chung and Gyesoon Yoon

Roles of enhanced mitochondrial fusion process as a mediator in cellular senescenc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한국뇌신경과학회 이지훈 Differential anti-inflammatory mechanisms of PPARα activators in IFN-r activated rat glial cell : focus on AP-1/SP-1 signal in MCP-1 gene.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한국뇌신경과학회 김온순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OxDLD)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t brain microglia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홍승호 The supperssive effect of lambda interferon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human hepatoma cell line PEB8.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2005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곽인혜, 신윤혜, 김명덕, 차현영, 배기수, 이재호

Green tea polyphenol Epigallate inhibits hepatocyte growth factor-induced tumor cell migration and invision in in vitro and in vivo.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10 제57회 대한생리학회 김희재 Role of prostaglandins on kainic acid-induced seizure activity aggravated by NSAID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2005 생화학 분자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이민우, 남현자, 박윤연, 이재호 Caffeine augumented HGF-induced G2 delay via ERK pathway.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200510 대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05 추계 국제학술대회 Young-Sil Yoon, Ei-Lyung Kim, Su-Jae Lee, Gyesoon Yoon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dysfunction during oncogenic K-ras induced cellular transformatio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509 Asia Pacific Cancer Conference 남현자, 이민우, 조혜성, T. Hara, H. Saya, 이재호

Raf-MAPK-RSK activation contributes to hepatocyte growth factor-induced G2 cell cycle delay in HeLa cells.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09 Asia Pacific Cancer Conference 김수정, 용화심, 박선이, 윤차원, 이재호, G. K. Chan, 조혜성.Hepatitis B virus X protein alters stoichiometry of the spindle checkpoint with the APC/C and causes premature anaphase onset.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509 18th Asia Pacific Cancer Conference 곽인혜, 신윤혜, 김명덕, 차현영, 배기수, 이재호

Green tea polyphenol Epigallate inhibits hepatocyte growth factor-induced tumor cell migration and invision in in vitro and in vivo.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09 Asia Pacific Cancer Conference 김수정, 용화심, 박선이, 윤차원, Jakub K. Famulski, 이재호, G. K. Chan, 조혜성. Mitotic checkpoint dysfunction induced by HBx viral oncoprotein.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509 Asia Pacific Cancer Conference 김수정, 박선이, H. Saya, 이재호, 조혜성 A moderate activation of the DNA damage signaling by HBx viral protein weakens extrinsic DNA damage response.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508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Women Engineers and Scientists 박지영 Effect of COX inhibitors on AA-induced PGE2 release in the nervous system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200506 한국뇌학회/한국뇌신경과학회 학술대회

Eun Joo Baik, Kyungsoon Chung, Woo Yong Lee, Kyoung Ja Kwon, You-Na JungRole of COX-2 on the Maintenance of Chronic Neuropathic Pain 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05 한국분자생화학회 윤희정 Failure of surface expression of class II major histo compatibility complex (MHCII) in ganglioside-stimulated rat brain astrocytes.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05 한국분자생화학회 박수정 Involvement of Src homology domain-containing tyrosine phosphatase(SHP2) in H₂O₂-induced JAK-STAT activation in membrane rafts.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Page 5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9

수상실적 성과정보시행연월 수상명 수상자 시상기관 시상국가 수상사유이름 소속기관201011 최우수약리학자상 주일로 (학)아주대학교의료원 대한약리학회 대한민국 우수연구업적201006 Best Poster Award 김준형 아주대학교 대한미토콘드리아연구의

학회 대한민국 우수 연구내용의 포스터 발표

200911 우수포스터상 김유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대만'Enhanced lipogenesis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의 주제로 포스터 발표에 대한

우수 연구내용 및 발표200911 우수구연상 국경훈 아주대학교 대한안과학회 대한민국

200911 우수포스터상 변해옥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Asian Society for

Mitochondrial Research and Medicine

대만

'Involvement of GSK3 in TGF-b1-induced mitochondrial defects' 주제의 포스터 발표에 대한 우수연구내용 및

발표200812 Travel award 이승민 (학)아주대학교의료원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미국 우수포스터발표200810 우수포스터상 신현택 (학)아주대학교의료원 International Congress

on Cell Biology 대한민국 우수연구내용 발표200710 우수연구자상 서용학 아주대학교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대한민국 우수 연구결과 발표200708 우수포스터발표상 김희영 (학)아주대학교의료원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대한민국 우수 연구결과 발표200705 우수연구자상 김희영 (학)아주대학교의료원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대한민국 우수한 연구내용의

발표200705 우수연구자상 (Best

Research Award) 이승민 아주대학교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대한민국200702 우수포스터상 김정민 (학)아주대학교의료원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대한민국 우수한 연구결과 발표200611 우수포스터상 이미진 아주대학교 대한면역학회 대한민국 연구성과우수

200610 일천젊은의과학자상 윤계순 (학)아주대학교의료원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대한민국최근3년간

의과학분야에서 창의적이며 탁월한 연구업적을 쌓아

200505 한국분자생물학회 이지훈 Differential anti-inflammatory mechanisms of PPARα activators in IFN-r activated astrocytes : focus on AP-1 signal국내학술대회 대한민국

200503Experimental Biology & XXXV International congress of physiological sciences

이창석 Anti-inflammatory effect of oxysterds and synthetic LXR lignds in rat brain astrocytes. 국제학술대회 미국

200503Experimental Biology & XXXV International congress of physiological sciences

김희영 Raft-mediated Src homology 2 domain containing tyrosine phosphatase-2 regulations in brain glial cells국제학술대회 미국

200503Experimental Biology & XXXV International congress of physiological sciences

박지영 Microtubules, not actin filament are involved in gangliosides-induced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changes of cultured microglia from rat brain국제학술대회 미국

지식재산권 성과정보출원등록

연월 재산권구분 출원등록구분 발명제목 출원등록인 출원등록국 발명자명 출원등록번호 활용형태

Page 5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0

학문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음

200610 우수포스터상 이승민 아주대학교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대한민국 우수연구 200610 우수포스터 채선영 아주대학교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대한민국 우수연구 200510 우수 포스터상 이복순 (학)아주대학교의료원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대한민국 포스터 및 그 발표의

우수성200509 Young scientist award 김수정 아주대학교 국립암센타연구소 대한민국 학회 우수 논문발표

(시상기관 부정확)

학위배출인력 성과정보학위취득

연월 학위구분 학위취득자 진로이름 성별 지역 대학 학과201208 Nguyen Thi

Ngoc Tu 여 201208 강두현 남 201202 전새봄 여 201202 김준 남 201108 김혜란 여 201108 전가정 남 201102 김광수 남 201102 Sumit Barua 남 201102 윤수진 여 201102 Sumit Barua 남 201102 김윤희 여 201102 이미진 여 201102 김윤희 여 201008 서용학 남 201008 Tian Liu 남 201008 김보경 여 201008 김혁민 남 201002 장유나 여 200908 박수정 여 200908 정수령 여 200908 황동훈 남 200902 김범수 남 200902 신현택 남 200802 남현자 여 200802 박근우 남 200708 박선이 여 200708 정지인 여 200706 이지훈 여 200702 박윤연 여 200702 김아영 여 200702 김이령 여 200702 김희재 남 200612 박윤연 여 200608 김수정 여 200608 고기영 여 200602 박지영 여 200602 이창석 남 200602 김온순 여 200602 김광수 남 200602 박지영 여 200602 홍승호 남 200509 김희영 여 200508 채선영 여 200503 윤희정 여

Page 5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1

200502 이우용 남 200502 장유나 여 200502 박현정 여 200502 김율 여 200502 이복순 여 200502 이승민 여

국내외 연수지원 성과정보연수기간 연수명 연수구분 연수자 연수국가 연수기관

20061012 ~ 20061020 미국신경과학회 교육훈련 김희재 미국 아주대학교20061015 ~ 20061018 FAOPS 교육훈련 권경자 대한민국 아주대학교20061015 ~ 20061018 FAOPS 교육훈련 김아영 대한민국 아주대학교20061015 ~ 20061018 FAOPS 교육훈련 장유나 대한민국 아주대학교20061015 ~ 20061018 FAOPS 교육훈련 정지인 대한민국 아주대학교20070403 ~ 20070625 공동연구수행, 학술연수 교육훈련 이승민 캐나다 University of Alberta 20070426 ~ 20070427 기초의학학술대회 교육훈련 장유나 대한민국 건양대학교20070426 ~ 20070427 기초의학학술대회 교육훈련 정지인 대한민국 건양대학교20070527 ~ 20070530 FAOBMB 교육훈련 김아영 대한민국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20070527 ~ 20070530 FAOBMB 교육훈련 장유나 대한민국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20070527 ~ 20070530 FAOBMB 교육훈련 정지인 대한민국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20071025 ~ 20071026 대한생리학회 교육훈련 정지인 대한민국 동아대학교(구덕)20071025 ~ 20071026 대한생리학회 교육훈련 김아영 대한민국 동아대학교(구덕)20071025 ~ 20071026 대한생리학회 교육훈련 장유나 대한민국 동아대학교(구덕)20071025 ~ 20071026 대한생리학회 교육훈련 김윤희 대한민국 동아대학교(구덕)20071116 ~ 20071117 한국뇌신경과학회 교육훈련 박은수 대한민국 동아대학교(구덕)20071116 ~ 20071117 한국뇌신경과학회 교육훈련 김윤희 대한민국 한국뇌신경과학회20071116 ~ 20071117 한국뇌신경과학회 교육훈련 김아영 대한민국 한국뇌신경과학회20071116 ~ 20071117 한국뇌신경과학회 교육훈련 정지인 대한민국 한국뇌신경과학회20071116 ~ 20071117 한국뇌신경과학회 교육훈련 장유나 대한민국 한국뇌신경과학회20071123 ~ 20071123 대한퇴행성 신경질환학회 교육훈련 진병관 대한민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20071123 ~ 20071123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 교육훈련 박은수 대한민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20090105~ 20090213 동계학생연구원 연수프로그램 교육훈련 조효민, 남인혜, 조헌도, 김태승 대한민국 아주대학교20090701~ 20090812 하계학생연구원 연수프로그램 교육훈련 이규명, 강두현, 김진하, 이정휘, 정나이, 지영찬,강단비 대한민국 아주대학교

Page 5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2

연구기자재 구입 성과정보구입연월 기자재명 규격 수량 제조국 구매금액 활용용도 설치장소200503 Microscope,Laser,Co

nfocal set 1 독일 400,346,501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511 AxioVision 4 Module

Sofrware System ea 1 독일 8,663,000 연구용 생화학교실

200511 AxioVision 4 Module Software System 1 독일 8,663,000

현미경관찰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200605 PCR machine 96 well 2 프랑스 30,000,000 PCR, RNA

measure 센터내200605 PCR Machine ea 1 프랑스 30,00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609 PCR Machine,

Thermal Cycler set 2 호주 14,938,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612 형광현미경 inverted 1 독일 70,000,000 세포의 관찰 센터내200612 형광현미경 set 1 독일 70,00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612 형광현미경 set 1 독일 70,00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612 Freezer, Ultralow

Temperature,Upright set 1 대한민국 12,50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701 Sliding Microtome 대 1 독일 50,000,000 조직표본 제조 센터내200701 Microtome,Sliding

with Freezing Unit set 1 독일 16,736,495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802 Cryostat 대 1 독일 30,000,000 조직표본 제조 센터내200805 Electroporator 대 1 미국 30,000,000 세표 내로

transfection 센터내200805 Electroporator EA 1 독일 19,80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809 PCR Machine,Real

Time set 1 호주 31,631,776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0809 PCR Machine,Real

Time set 1 호주 31,631,776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908Laser Doppler Blood (CBF Measurement System for 1Ch)

SET 1 영국 18,00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908Tabletop Research Anesthesia With

N2O&O2 Flow meter Failsafe System

SYS 1 미국 6,699,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1107 Centrifuge, Ultra set 1 독일 66,070,884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1201 Electrophoresis Unir

Trans Blot EA 1 미국 2,09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1201 PCR Machine, Real

Time set 1 일본 21,89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1203 Sonicator, Cell

disruptor set 1 미국 11,946,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1203 Centrifuge,

Refrigerated ea 1 대한민국 2,915,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1206 Chamber, Hypoxic set 1 미국 43,00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1207 Analyzer,

Fluorescent Cell ea 1 미국 8,250,0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201207 Discruptor, Tissue set 1 미국 11,643,500 연구용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산학강좌 프로그램 개설 성과정보개설기간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내용 교육대상 총교육시간 총교육인원

Page 5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3

국내외 과학자교류 성과정보파견유치

기간인력교류

구분파견유치 연구자 파견국가

유치자국적파견유치

목적이름 소속기관 직위 최종학위 전공20070101 ~

20081130 해외파견 김영현 정보교환20070514 ~

20070521 해외파견 조혜성 캐나다 정보교환20080101 ~

20081229 해외파견 김영현 신기술 습득 및 정보교환20080115 ~

20080115 외국연구자

유치Jason

Morrow 미국 세미나와 공동연구20080601 ~

20081231 해외파견 강희영 프랑스 공동연구 및 공동논문작성

20080610 ~ 20080610

외국연구자 유치

Paola Patrigani 이탈리아 세미나 초청

20090101 ~ 20090831 해외파견 강희영 프랑스

Jean-Paul Ortonne (U. of Nice)와 Garderma와 공동연구 발전 확대를 위한 연수교육 및 자료

공유20100510 ~

20100528 해외파견 윤계순 미국Viral infection에 의한

암화과정에서의 LDH5가 세포변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위한 기술교류

MOU체결 성과정보MOU체결

연월 MOU체결명 대상국 대상기관 수집자료 MOU체결내용

수요조사 성과정보조사연월 수요조사명 대상국 과제접수 과제도출

국제공동연구 성과정보연구기간 연구과제명 우리측연구비 상대측과학자

이름 소속기관 국가 연구비200702~ 200902

Measurement of prostagladins and isoprostanes in neurons and

microglial cells with HPLC0 0

200806~ 200806

COX activity in neurons compared with other cells 0 0

Page 5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4

학술회의 개최 성과정보개최기간 학술회의명 기술분야 규모 발표자 개최장소 지원금액참가국 참가인원 학술회의구분 내국인 외국인

20050315 ~ 20050315 MRC 세미나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1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0,00020050421 ~

20050421 MRC정기세미나 : Dissection

and Modulation of HGF/c-Met Signaling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4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0,000

20050512 ~ 20050512

MRC 세미나 : Experimental gene therapy for colon cancer in mice using antisense strategy to

KITENIN, a metastasis enhancing protein.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1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300,000

20050526 ~ 20050526

MRC 세미나 :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1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300,00020050617 ~

20050617 MRC 6월 정기세미나 :

신경세포에서 염증자극에 대한 반응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4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0,000

20050708 ~ 20050708 MRC 7월 정기세미나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2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0,000

20050711 ~ 20050711

MRC 연자세미나 : Induction of Chemokinase in Human Astrocytes by Picornavirus

Infection Requires Activation of Both AP-1 and NF-kB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1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0,000

20051109 ~ 20051109

MRC 10월 정기세미나 : Inflammatory responses by

sulfatide, a major lipid component of myelin sheath,

in brain resident immune cells

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3 0 아주대학교 의료원 20,000

20051116 ~ 20051116

MRC 연자세미나 : The modulation of Toll-like

receptors:의약학 1 30 국내학술회의 1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300,000

20051222 ~ 20051222

MRC 12월 정기세미나 : B형 간염바이러스 X 유전자에

의한 DNA 손상 및 간암억제의약학 1 40 국내학술회의 4 0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0,00020070511 ~

20070512 Ajou Brain Conference 의약학 1 60 국내학술회의 18 0 강원 4,000,00020071208 ~

20071208 2007 대학원 공통세미나 의약학 1 100 국내학술회의 9 0 경기 5,000,00020080425 ~

20080426 The 10th Ajou Brain

Conference 의약학 1 70 국내학술회의 17 0 강원 4,000,00020080425 ~

20080426 The 10th Ajou Brain

Conference 의약학 1 90 국내학술회의 17 0 경기 5,000,000

국제 거대 연구개발 사업참여 성과정보연구기간 참여사업명 협약연구비 외국연구비지출 외국연구비수입 참여조건

Page 5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5

기술확산 성과정보시행연월 기술확산

구분 대당기술명칭 업체명 기술확산내용 활용형태

후속연구추진 성과정보연구기관 사업명 연구과제명 선행과제와의

관계 과제성격 수행구분 과제책임자이름 소속기관

아주대학교 MRC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후속연구 기초연구 수행예정 주일로 아주대학교

사업화 추진중 성과정보대상기술명칭 사업화명 사업화주체 사업화형태 추진정도 완료예정 사업화내용 업체개요

업체명 대표이사 종업원수

Page 5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6

사업화 완료 성과정보사업화명 사업화주체사업화형태 사업화완료연월사업화내용

업체개요업체명 대표이사 종업원수

매출액기매출액 당해연도매출액 매출액합계

고용창출기고용창출 당해연도고용창출 고용창출합계사업화명 사업화주체사업화형태 사업화완료연월사업화내용

업체개요업체명 대표이사 종업원수

매출액기매출액 당해연도매출액 매출액합계

고용창출기고용창출 당해연도고용창출 고용창출합계

기타목적활용 성과정보기타목적활용연월 기타목적활용내용

컨소시엄 구성 및 참여 성과정보구성연월 구분 컨소시엄명 회원업체명 활용내용 및 성과

Page 5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7

1.1. 인력양성 - 전체 요약기술1.2. 참여인력 현황[총괄 현황]

연도핵심연구원(명) 연구원(명) 연구조원(명) 합계

(명)대학교 연구소 산업체 대학교 연구소 산업체 박사과정

석사과정

학부과정 연구보조원

1차년도 7 2 18 17 9 9 62

2차년도 7 5 16 13 6 4 54

3차년도 9 6 21 10 4 50

4차년도 10 6 19 9 1 5 50

5차년도 15 8 27 10 1 5 66

6차년도 17 7 18 9 2 7 60

7차년도 15 9 18 12 0 7 61

8차년도 15 10 16 6 0 13 60

9차년도 15 12 13 8 0 11 59

Page 6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8

참여과제 참여구분 성명 연구자번호 소속기관 소속부서(학과) 직위 참여기간 의대출신여부

1총괄 총괄과제책임자 주일로 10085141 아주대학교 의학과(약리학교실) 20030901-20120831 Y1총괄1세부 세부과제책임자 주일로 10085141 아주대학교 의학과(약리학교실) 20030901-20120831 Y

1단계:1총괄1세부 참여연구 윤성필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40901-200503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공동연구원 이상윤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70501-201208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공동연구원 남동호 아주대학교 의학과(알레르기내과학) 20070901-20120831 Y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공동연구원 강희영 아주대학교 의학과(피부과학) 20070901-20120831 Y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참여연구참여언구 김희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1208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원참여연구 우주홍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참여연구 이지훈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연구조원참여연구 박수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갈1세부 연구조원 조현실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60709-20110530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양태석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온순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60630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윤희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전새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영현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51201-200808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현미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6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이창석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신진애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지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석선미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수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40229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전자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103-20050218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이화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103-20050218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인성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101-20040229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명노경 성균관대학 유전공학과 20050103-2005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도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705-20040814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백충희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101-20040229

[과제별 참여인력 현황]

Page 6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9

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혜란 아주대학교 약리학교실 20030901-2004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한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705-20040814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전주현 이화여대 생물학과 20050103-20050218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민경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103-20050218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성인 아주대학교 약리학교실 20030901-200407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홍성연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103-20050218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한수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남숙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301-20090831 Y2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이영이 아주대학교 의학과(피부과학교실) 20060901-2008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정섭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90901-20120831 Y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Ngoc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2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미선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2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보경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0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리우티엔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90901-2010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손진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2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장성수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100901-20110930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소현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110201-20110530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이혜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90901-2010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용민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110201-2012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진선희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1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혜란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20831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권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110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2세부 공동연구원세부책임 박은정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30901-200608312단계:1총괄2세부3단계:1총괄2세부 세부책임 윤계순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60901-201208312단계:1총괄2세부3단계:1총괄2세부 공동연구원 국경훈 아주대학교 의학과(안과학교실) 20060901-20120831 Y3단계:1총괄2세부 공동연구원 김은영 아주대학교 의학과(의과학연구소) 2008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참여연구 권경자 아주대학교 의학과(생리학교실) 20030901-200708312단계:1총괄2세부 연구원 윤황금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70901-200808312단계:1총괄2세부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준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1208312단계:1총괄2세부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정현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60901-201008312단계:1총괄2세부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서용학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60108-20100831

Page 6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0

참여과제 참여구분 성명 주민등록번호 소속기관 소속부서(학과) 직위 참여기간 의대출신여부

2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임종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608312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허수희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8312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이령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331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유림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80901-20100930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백금옥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101001-201208312단계:1총괄2세부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신현택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60901-20100831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유미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00831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영경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208312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조선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은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10901-201208313단계:1총괄2세부 박사과정 변해옥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90901-201208313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종혁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 2011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3세부3단계:2총괄2세부

공동연구원세부책임 백은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생리학교실) 20030901-20120831 Y2단계:1총괄3세부3단계:2총괄2세부 공동연구원공동,세부책임 박상면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약리학교실) 20051201-20110831 Y2단계:1총괄3세부 공동연구원 이필휴 아주대학교 의학과(신경과교실) 20070901-20080831 Y2단계:1총괄3세부 공동연구원 진병관 아주대학교 의학과(의과학연구소) 20070901-2008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1세부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광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003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3세부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참여연구 장유나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2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1총괄3세부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연구원 김윤희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1108312단계:1총괄3세부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아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12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3세부 연구조원 김희재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7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1총괄3세부 연구조원 고기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705-200608311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지연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312312단계:1총괄3세부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정지인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1208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박지영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50901-201008312단계:1총괄3세부 연구원 정이숙 아주대학교 의학과(의과학연구소) 20070901-200808312단계:1총괄3세부 연구조원 박근우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2단계:1총괄3세부 연구조원 박은수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2단계:1총괄3세부 연구조원 복유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2단계:1총괄3세부 연구조원 원소윤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

Page 6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1

참여과제 참여구분 성명 주민등록번호 소속기관 소속부서(학과) 직위 참여기간 의대출신여부

2단계:1총괄3세부 연구조원 정영철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Sumit Barua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20831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최일화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20831 Y3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최유리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10101-201208312단계:1총괄2세부3단계:위탁 공동연구원위탁책임자 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의학과생리학교실) 20060901-20120831 Y

3단계:위탁 연구조원 윤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학과(생리학교실) 20080901-201008313단계:위탁 연구조원 김희자 이화여자대학교 의학과(생리학교실) 20100901-201208313단계:2총괄 총괄과제책임자 조은혜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120831

2단계:1총괄1세부3단계:2총괄1세부 공동연구원세부책임자 조은혜 아주대학교 의학과(약리학교실) 2007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공동연구원 김병곤 아주대학교 의학과(의과학연구소) 20080901-20120831 Y2단계:1총괄1세부2단계:2총괄1세부 참여연구 민경진 아주대학교 의학과(약리학교실) 20070901-201012312단계:1총괄1세부2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참여연구 김범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약리학교실) 2007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참여연구 양명순 아주대학교 의학과(약리학교실) 20090901-201012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원 최준영 아주대학교 의학과(의과학연구소) 20100901-20120831 Y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혁민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1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원 정혜경 아주대학교 의학과(약리학교실) 2008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참여연구 황동훈 아주대학교 의학과(의과학연구소) 2008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Tran An 아주대학교 의학과(약리학교실) 20080901-2011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강영미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1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혜선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0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종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준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108313단계:2총괄1세부 통합과정 최인섭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최동주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진하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1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신혜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1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정수령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0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권민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80901-20120831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이환구 아주대학교 의학과(의과학연구소) 20110901-201205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3단계:단위

세부책임자총괄, 세부세부책임자 이재호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30901-20120831 Y2단계;2총괄2세부3단계:단위 공동연구원 김욱환 아주대학교 의학과(외과학교실) 20030901-20090831 Y

Page 6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2

참여과제 참여구분 성명 주민등록번호 소속기관 소속부서(학과) 직위 참여기간 의대출신여부

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2세부3단계: 단위 공동연구원 박선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030901-20120831 Y3단계: 단위 공동연구원 최용준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080901-20120831 Y

1단계:1총괄1세부2단계:2총괄1세부3단계:단위연구조원참여연구 이복순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100901-20110831

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3단계:단위 참여연구 박민선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30901-2010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3단계:단위

연구조원연구원 이미진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110901-2012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3단계:단위 연구조원 곽인혜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110901-2012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3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남현자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차현영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40501-2008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김명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허유미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501-2006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박윤연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301-200808312단계:2총괄1세부3단계:단위 연구조원참여연구 왕진희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80901-200908311단계:1총괄2세부 참여연구 진영희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030901-20050131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양진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40430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연재홍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41231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양종욱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301-20050801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 율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50801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민우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301-20050801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백철민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401311단계:1총괄2세부 참여연구 권대호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050501-20050831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홍석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40131 Y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명신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40228 Y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정룡태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40501-20041130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혜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0408311단계:1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진양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030901-200404302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이민우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8312단계:2총괄1세부 연구조원 장승훈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2단계:1총괄1세부3단계:단위 전문연구 우상욱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80901-20110831

Page 6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3

참여과제 참여구분 성명 주민등록번호 소속기관 소속부서(학과) 직위 참여기간 의대출신여부

3단계:단위 참여연구 윤사라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080901-201008313단계:단위 참여연구 박용예 아주대학교 의학과(미생물학교실) 20080901-201008313단계:단위 연구조원 전가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100901-20110831

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2세부3단계:3총괄2세부 세부책임자 조혜성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30901-200905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2세부3단계:3총괄2세부 연구조원 채선영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90901-201008312단계:2총괄2세부3단계:3총괄2세부 연구조원 임원청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50901-200808312단계:2총괄2세부3단계:3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수정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2세부3단계:3총괄2세부 연구조원 이승민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8311단계:1총괄1세부2단계:2총괄2세부3단계:1총괄1세부

연구조원참여연구 박선이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30901-201208311단계:1총괄2세부2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참여연구 홍승호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30901-200708312단계:2총괄2세부3단계:3총괄2세부 연구조원 조옥기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1108312단계:2총괄2세부3단계:3총괄2세부 참여연구 권순환 아주대학교 의학과(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20060601-200908312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정식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8312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백승호 아주대학교 의학과(생화학교실) 20050901-200608312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정민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60901-200708312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김태인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50901-200808312단계:2총괄2세부 연구조원 박용예 아주대학교 의학과 20070901-20080831

Page 6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4

[센터전임연구원]참여과제 성명 임용기간 최종학위취득기관(국가) 최종학위취득일 지도교수 참여기간

1-1 박은정 20030901-20060831 서울대학교 19990226 박상대 20030901-200608311-2 최윤희 2007030-

20080229 연세대학교 20030224 박전한 2007030-20120831

1-1 윤성필 20040901-20050331 Wayne state 대학(미국) 20010501 2004090-

200503311-1 이상윤 20060501-20120831 서울대학교(한국) 20020226 최명언 20080901-201208311-1 박수정 20100901-20110831 아주대학교(한국) 20090821 주일로 20080901-201208311-1 김희영 20090601-20120831 아주대학교(한국) 20050800 주일로 20090601-201208311-1 박지영 20030901-20100228 아주대학교(한국) 20060200 주일로 20030901-201002281-1 조현실 20100301-20100228 충북대학교(한국) 20020200 장수익 20090901-201105301-1 김유림 20080301-20100831 전북대학교(한국) 20060200 박기인 20090901-201008311-1 우주홍 20070901-20120831 아주대학교(한국) 20070822 김혜선 20070901-201208311-1 이지훈 20070901-20120831 아주대학교(한국) 20070822 주일로 20070901-201208311-2 김유미 20080901-20100831 서울대학교(한국) 문창규 20080901-201008312-2 장유나 20100901-20110831 아주대학교(한국) 20020222 백은주 20100901-201108312-2 권순환 20060601-20090831 뷰르츠부르크대학(독일) 20060000 20060901-20080831

※ 센터전임교수 등 (前페이지의 [과제별 참여인력 현황]과 중복 기재함)

[의학계열 조교]참여과제 성명 임용기간 최종학위취득기관(국가) 최종학위취득일 지도교수 참여기간

1-1 박남숙 20070301-20090831 아주대학교(한국) 20100821 주일로 20070301-200908311-1 박정섭 20100901-20110831 아주대학교(한국) 20090223 주일로 20100901-201108311-1 김시헌 20070901-20080831 아주대학교(한국) 20070200 주일로 20070901-200808311-1 윤덕용 20070901-20080831 아주대학교(한국) 20110223 이기영 20070901-200808311-1 나원웅 20120301-20080831 아주대학교(한국) 20100222 장재연 20120301-200808311-1 이경은 20120301-20120831 아주대학교(한국) 20110223 이순영 20120301-201208311-1 한기명 20120301-20120831 아주대학교(한국) 20110223 이순영 20120301-201208311-3 김성호 20070901-20080831 아주대학교(한국) 2010.02.22 박상면 20070901-200808312-2 최일화 20100901-20120831 연변의대(중국) 20090600 박상면 20100901-201208312-1 최준영 20100901-20110831 아주대학교(한국) 20100222 김병곤 20100901-20110831

※ 의․치․한의대 출신 조교 등 (MRC 필수 기재)(前페이지의 [과제별 참여인력 현황]과 중복 기재함)

Page 6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5

[전문연구요원]참여과제 성명 복무기간 세부연구분야 참여기간

1-1 김영현 20051201-20080831 면역학 20060102-20081230

1-1 장성수 20100325-20130324 신경과학 20100901-20110831

1-1 김용민 20110401-20140331 세포생물학 20110401-20110831

2-1 임원청 20050901-20090511 간질환연구 20050512-20090511

단독 우상욱 20080420-20110419 면역학 20080401-20110831

※ 병력특례 복무중인 연구조원 등(前페이지의 [과제별 참여인력 현황]과 중복 기재함)

Page 6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6

공동연구상대 연구내용1-1 세부 주일로 Goulmy Els (Leiden U, Netherland) 1-1세부에 참여하고 있는 김영현연구원이

조직에서의 적합성모델 개발을 위해 방문연구1-1 세부 이상윤 Jong-Sook Kim Kemper (U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SA)비 알콜성 지방간염 (NASH)에서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전사후 변형, PTM)

1-1 세부 강희영 Jean-Paul Ortonne (U of Nice, France) 기미발생에 혈관변화의 중요성 및 관련인자 규명1-2 세부 김은영 Paul Hardin (Texas A&M University, USA) 염증반응과 대사에 미치는 생체시계의 영향 1-2 세부 윤계순 Yau-Huei Wei (Mackay Medical college, New Taipei City,

Taiwan) 미토콘드리아 연구교류, 세미나 및 공동연구협의

2. 기타 주요업적[인력양성 및 활용 관련 주요업적]센터의 학위취득자 활용실적▶ Research fellow 제도와 연계한 안정적인 연구직의 유지: • 교육과학기술부의 research fellow 제도와 연계하여 센터에서 학위를 마친 전문연구자들에게 안정적인 연구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함. • 2012년 7월 현재 센터의 장유나, 정혜경, 윤사라 박사가 한국연구재단의 ‘Reseaarch Fellow 연구비’ 신청 중.▶ 적극적으로 정부연구비를 수주하여 센터의 PI와 공동으로 독립된 PI로서 지속적으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센터의 연구전임교수였던 박은정박사, 최윤희박사가 센터에서 연구비를 수주하여 독립적으로 연구활동을 활발히 하여

이를 바탕으로 박은정박사는 국립암센터의 선임연구원으로, 최윤희박사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조교수로 발령받아 활발히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 현재 교과부/한국연구재단 연구비를 수주하여 센터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적극 지원 예정임. • 현재까지의 실적: - 김희영 연구조교수 (교과부의 학술연구교수연구비 수주 2009. 9 - 2012. 8) - 이지훈 연구조교수 (교과부의 여성과학자 연구비 수주 2009. 5 - 2012. 4) - 박수정 박사 (여성과학자 연구비 수주 2011. 5 - 2014, 4) - 황동훈 연구조교수 (교과부의 학술연구교수연구비 수주 2010. 9 - 2013. 8) - 김범수 박사 (교과부의 일반연구자지원 연구비 수주 2011. 5 - 2016. 4)▶ 해외 공동연구 과제의 연구원으로 활용하여 해외 연수의 기회 확대. • 현재까지의 실적: - 지경애 박사 (미국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 양명순 박사 (미국 에모리대학) - 서용학 박사 (미국 메사추세츠대학) - 김유미 박사 (미국 메사추세츠대학) - 최성이 박사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 기기관리자 및 Lab manager 제도의 정착을 통한 고용확대. • 실적: 의료원 TO의 기기조교로 2003년 센터의 공촛점현미경 설치 이래 박지영 조교가 기기를 담당하고 있음. • 계획: 센터 내 고가장비 설치시 기기 담당자를 전담 배치하여 기기의 효율성을 높이며, 고용을 확대할 예정임. 설치 예정인 장비: Super Resolution Microscopy, High performance flow cytometer, NGS용 sequencer

[국제화 및 국제협력 관련 주요업적]▶ 국제공동연구 실적

Page 6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7

Heidi Tissenbaum (Dissecting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ging process, U.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USA) 노화조절 분자기전, 세미나 및 공동연구협의Isao Shimokawa (Dept. of Investigative Pathology, Nagasaki University)

노화에서의 mitochondrial complex IV 기능전환, 세미나 및 공동연구협의

2-1 세부 조은혜UJ Kang (Dept. of Neurology, Chicago University) 파킨슨병 동물 모델 실험

S Tsirka (U of NY, Stony Brook)2-1세부에 참여하고 있는 지경애박사가 방문연구를 하고 있으며 2008년 4월 Dr. Tsirka 가 아주대 방문

2-1 세부 김병곤Stephen Strittmatter (Yale University for cellular Neuroscience & neurodegeneration and regeneration, CNNR, USA)

Nogo 수용체 세포내 신호전달 연구

3-1 세부 조혜성Chan Gordon (U of Alberata, Canada) 간세포 손상인자 신호전달에 대한 협력연구진행

및 김승민학생이 방문연구Richard Youle (NIH, USA) 간의 염증반응 및 손상에 대한 공동연구 수행

[기술료 및 사업화 관련 주요업적]해당사항 없음

[기타 주요업적]▶ 학술대회 개최실적

실적년도

회의구분 학술회의명 개최기간 개최장소 논문발표자(명) 참가자

(명)내국인 외국인2002 국내 대학원 세미나 2002. 12. 7 아주대학교 별관 대강당 9 2002007 국내 Ajou Brain Conference 2007. 5.

11-12 양지파인리조트 25 902007 국내 대학원 세미나 2007. 12. 8 아주대학교 별관 소강당 9 1002008 국내 Ajou Brain Conference 2008. 4.

25-26 양지파인리조트 30 98

개최내용 : 1. 대학원 공통세미나 주관 개최: 2002년의 일차 개최(Inflammation Research: from basic to clinical

practice)에 이어 Chronic Inflammation: the emerging convergence in human diasease란 제목으로 2007년 2차 세미나 개최를 개최하여 본 센터의 주일로, 조은혜, 박상면, 남동호, 최윤희 김욱환교수가 발표하였으며 교외연자로 고려대학교의 김재홍교수, 건국대학교의 이승재교수가 퇴행성 뇌질환, 천식 및 눈과 간의 섬유화 질환에 대한 최신지견에 대하여 발표와 토론을 하였으며 100 여명 이상의 대학원 학생들과 교수들이 참석하였음.

2. Ajou Brain Conference 개최: 제9회 2007, 10회 2008 Ajou Brain Conference 공동주최(BK21,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본 대학에서 1999년부터 매 1회 개최한 Ajou Brain Conference를 9회부터 공동주관하여 개최하여 뇌연구를 하는 대학원생들 및 교수들과의 학문적 토론의 장을 마려하고 있음. 연구발표 뿐 아니라 2007년에는 슬라이드 만드는 법에 대한 강의를, 2008년에는 연구윤리에 관한 강의를 외부연자를 모셔 진행하였음.

3. 하계 및 동계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CIDRC) 캠프 시행: 2003년 센터 지정 이후 매년 동계 및 하계

Page 7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8

방학동안 6주간 학부 3,4학년 학생 (의과대학생 포함)을 대상으로 연구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초의과학 예비캠프를 시행하였음. 지난 9년간 총 89명의 학생이 연구를 마침.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하계 6(2) 7(0) 4(0) 6(1) 4(0) 7(0) 미시행 7(0) 11(1)동계 2(2) 6(4) 1(0) 미시행 4(1) 4(1) 미시행 9(0) 11(0)합 2(2) 12(6) 8(0) 4(0) 10(2) 8(1) 7(0) 9(0) 18(0) ( )안의 숫자는 의대학생 숫자임 합 89 (12)

4. 대학원 센터 관련 교과목 개설: 대학원에 ‘염증반응의 이해’와 ‘섬유화 질환의 기초와 임상’을 coursework으로 개설하였음.

Page 7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9

제3장

사업관리 및 기반구축

Page 7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0

Ⅲ. 사업관리 및 기반구축

1. 사업관리 1.1. 관리체계 센터조직 구성본 센터는 연구팀과 운영위원회, 자문위원회, 내부감사, 그리고 행정전담직원으로 구성한다. 기타 제반 연구지원은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와 행정에 관한 사항은 의과대학 교학팀, 의료원 연구지원실에서 지원을 받음.1,2단계에서는 센터의 공동연구원급 이상의 인원이 8인 이하이므로 전원이 운영위원회의 위원이 되어 운영위원에서 주요 사항을 결정하였으며 3단계 이후에는 센터의 핵심연구원이 15명으로 증가되어 운영위원회를 아래 규정에 따라 따로 구성하였음.

운영위원회1. 센터 소장을 위원장으로 하며 총괄간사 1인, 감사 1인, 센터관련 연구자 3-5인 및 센터의 행정담당 과장

으로 구성한다 (8인 이내).2. 센터 운영에 관한 제반사항 및 아래의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총괄과제 및 세부과제 조정에 관한 사항 연구비 배정 예산에 관한 사항 인센티브 기준에 관한 사항 기타 센터 소장이 위임하는 주요 사안3. 운영위원회는 분기별로 정기 개최하되 특별한 사안이 없는 경우 전자메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

다.

1.2. 예산편성 및 회계관리자체평가 방법1. 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우수한 연구성과의 도출을 위하여 계량화된 평가를 실시하였음2. 1단계에서는 각 공동연구원급 이상의 연구자들에게 일억원이상(OH제외)의 연구비를 지급하여 연구기반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으며 2단계 이후는 매년 기본 연구비를 축소하여 지급하고 대신 논문이나 기타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제로 추가 지급하는 형태로 운용.

3. 센터대표는 아래의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일년에 한번 예비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당자들에게 통고한다. 각 단계별 평가는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운영위원회에서 시행한다.

4. 평가결과에 따라 각 과제의 계속여부 및 확대여부를 결정하며 평가결과가 부실한 과제는 정리하거나 과제 책임자를 교체한다.

5. 센터의 연구전임교원(Post-doc)의 T.O. 사용에 관한 기준: 센터는 학교에서 년봉이 지급되는 2인의 Post-Doc 급 연구전임교원의 T.O.를 가지고 있으며 T.O.는 3년을 원칙으로 하여 3년 후 재평가하여 T.O. 사용 권한을 심사한다.

평가기준 및 논문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기준

Page 7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1

평가항목 세부평가항목 점수 평가방법연구내용의

우수성 • 연구목표에의 부합도, 과제간의 유기성,

과제의 우수성 10

연구목표 달성도

• SCI급 논문게재 실적 • 지적 재산권 확보실적 • 기타 활동

70

• SCI급 논문발표를 1점으로 보고 Impact Factor 10 이상은 8배 가산 5 이상은 4배 3 이상은 2배 • 특허 및 기타는 내용을 심사하여 평가* 점당 지급기준은 위원회에서 정한다.

국제협력 및 산학협력

• 산업체로의 기술이전 및 기술료, 상품화 기여도

• 국외 공동연구실적10 • 각 항목별 세부평가기준을 토대로 심의하

여 점수로 환산센터운영 기여도

• 학생연구원제도 주관 • 센터 세미나 및 심포지움 주관 • 기타 센터 운영 기여

10 • 각 부분 담당교수에게 점수부여

2. 설치대학의 지원실적 2.1. 시설연구공간: 원래 계획서 제출시 제시한 바와 같이 기존 공간의 리모델링으로 해결하였음. 연구공간(실험실)은 2006년 8월 3층 리모델링 공사와 2008년 2월 하계와 동계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두차례의 리모

델링 공사를 시행하여 연구공간과 소장실, 사무실을 재배치하였음. 공동기기실은 기존에 송재관 5층과 6층의 중앙에 널찍하게 자리잡고 있었으나 폐기해야 할 기기들, 문서들로 효율적

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본 센터장이 연구부학장을 맡고 있던 2006년 5월부터 2008년 5월사이에 5층과 6층을 재정비하여 공동기기를 재배치하는 동시에 흩어져 있던 공동기기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센터 교수들 뿐 아니라 전 교수들에게 배포함. 센터자체로는 2단계에서는 크게 공간이 필요한 기기의 구입은 없었음.

소장실 및 센터 사무실은 2008년 2월의 리모델링 공사시 소장실을 재배치하고 사무실도 소장실 옆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새로이 만듬.

2.2. 인력

센터연구관련 분야 교수충원: 센터연구관련 교수로는 2006년도 5월 1일자로 약리학교실의 MD 교원인 박상면 조교수를 새로 임용하여 센터연구에 참여시킴. 2007년 3월 1일부로 센터전임교원인 이상윤교수가 임용되어 센터연구에 합류하였으며 의과학연구소의 김병곤교수가 센터연구관련 교수로 센터의 핵심연구원으로 합류. 2008년에 미생물학교실의 MD 교원인 최용준교수와 의과학연구소의 김은영교수가 새로 임용되어 3단계부터 센터연구에 참여하고자 함.

센터전임 연구교수 충원: 센터전임 연구교수로는 1단계에 이어 2단계에 1인의 연구강사 T.O.를 받아 2006년 6월부터 독일에서 면역학으로 학위를 획득한 권순환박사가 2총괄 2세부과제로 편입되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센터의 연구조교수 T.O.로는 MD 교원인 최윤희 박사가 UAB에서 면역학으로 Post-Doc 연수 후 2007년 3월부터 센터의 연구과제에 참여.

Page 7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2

2.3. 자금 연구비 지원: 학교의 순수 대응자금(현금) (단위 : 백만원)

구분 1차년 2차년 3차년 4차년 5차년 6차년 7차년 8차년 9차년 계 연구비 200 200 250 250 250 100 100 100 100 1,550

2.4. 기타

3. 연구시설 기반구축 3.1. 전체 요약기술

구분 1차년 2차년 3차년 4차년

연구기기 confocal microscopy 추가구입

연구공간 신진센터원을 위한 공간은 의과학연구소 내에 리모델링을 통하여 제공 예정

조교인력 지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은 MD 출신의 조교인력은 T.O.에 관계없이 조교로 임용하며 대학원은 전액장학금 지원

PostDoc 인력지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은 MD 출신의 조교인력은 T.O.에 관계없이 과정을 수료하면 연구강사로 임용됨.

운영인력 지원 추가 계획 없음

3.2. 연구시설(센터전용)구분 면적(평) 위치 공간확보를 위한 대학차원의 조치사항

연구실 92.7 송재관 4층 406호 리모델링 공사로 확보공동기기실 50.2 송재관 5층, 6층의 center 리모델링 공사로확보센터사무실

(소장실포함) 17.4 송재관 4층, 406호 리모델링 공사로확보합계 160.3

3.3. 연구기기구입

Page 7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3

구분 기기현황 비고기기명 보유수량보유 confocal microscopy 2보유 fluorescence microscopy 6보유 stereotaxic instrument 5보유 realtime PCR 3보유 PCR machine 10보유 FACS 2보유 beta-counter 1보유 gamma-counter 1보유 anoxic chamber 1보유 DNA synthethizer 1보유 Image analyzer 2보유 전자현미경 1보유 동위원소실 large unit 1 각 실마다 small unit보유 ‘in vivo’ room 3보유 Gel Documentation System 3보유 Cryocut 5 센터 내 2대보유 cell transfecting system 3보유 stereology 1보유 confocal microscopy 2 추가 구입보유 Hypoxic chamber 1

Page 7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4

제4장

목표 달성도

Page 7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5

구분 당초 목표 평가지표 목표 달성내용 달성도(%)

1단계

염증복합체 (Inflammasome) 구성 및 섬유화 기전 이해

1세부

• 염증복합체의 구성단위로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물질 검색

• 검색된 염증복합체 구성요소들의 염증반응에서의 역할과 기전연구

• 뇌염증 신호전달물질 선별 및 작용기전 제시 여부

• 신경면역세포와 신경세포에서 염증복합체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기본역할 규명

• 대표적인 항염증약물의 작용확인을 통한 새로운 염증신호의 발굴

• 새로운 염증신호의 기작 규명100%

2세부

• 바이러스감염에 의한 간의 만성염증과 섬유화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역할과 조절기작을 연구

• 동물모델 개발여부

• 간 염증질환 기전 제시 여부

• 간섬유화 조절인자 규명• 간섬유화 억제물질 탐색• 간섬유화 과정에서 간세포손상기작 연구• IFN-lambda가 Ito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 규명

100%

2단계 염증반응 조절을 위한 표적 발굴

Ⅳ. 목표 달성도

1. 목표 달성도 1.1. 센터의 총괄목표 달성▶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는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역할 및 그 총체적인

조절기작을 규명하여, 염증반응이 병인이 되는 만성질환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그 예방 및 치료방안 제시”라는 총괄목표를 가지고 센터연구를 시작함.

▶ 센터의 총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퇴행성 뇌질환과 바이러스성 간염의 2가지 만성염증질환 모델을 이용한 센터연구를 시작하였으며 1단계 염증복합체 구성 및 섬유화 기전 이해, 2단계 염증반응 조절을 위한 표적발굴, 3단계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의 단계별 목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함.

▶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는 목표달성 평가지표로 연구 향상을 위한 국제적 학술지 발표수 증가, MD 교원 및 조교의 확보, 전문연구인력 양성과 센터사업을 통한 연구 시스템 기반 구축을 제시하였음.

▶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는 센터 지정 초기와 비교하여 연구의 양적, 질적 수준이 현저히 향상. 1, 2단계 (5년)에 발표한 SCI논문이 41편이었으나 3단계 (4년)에는 65편으로 증가함. 년당 발표논문 수도 1단계 3편에서 3단계 16편으로 확연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질적 수준 역시 발표 논문 한 편당 평균 IF가 1단계 3에서 3단계 4.5로 증가하였음. 또한, 3단계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각 분야 상위 10% 이내의 논문발표가 상당히 증가를 하였으며 Molecular Cell, Genes & Development, Stem Cells 등 최상위 논문도 발표를 하였음.

▶ 또한 지난 9년간 MD 교원 6인을 포함하여 총 8인의 신임 교원을 본 사업과 연계하여 채용하였으며, 의과학자 육성 프로그램인 AMPhST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현재 기초의과학 학위과정에 7명의 의치한의대 출신의 조교 및 연구강사를 확보하였으며, 그 중 3명은 센터소속으로 학위과정을 진행 중임.

▶ 더하여, 9년간 Confocal microscopy 등의 고가 연구 장비들을 확보하여 이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하여 연구 시스템 기반을 구축하였음.

▶ 이를 통해 만성염증질환센터는 경기도 내 유일한 기초의과학 연구센터로 위상이 부각되었으며, 의료원 내의 기초임상 연계연구의 핵심적인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는 중심센터로 역할을 하였음.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만성염증질환센터의 위상이 많이 높아져 아직 세계최고 수준의 연구역량을 보이지는 않지만, 곧 세계최고 수준으로의 연구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됨.

1.2. 당초목표 대비 목표 달성도

Page 7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6

1총괄

• 염증복합체 구성물질간의 상호작용 및 그 결과분석

• 새로운 염증복합체 구성 후보물질의 발굴 및 동정

• 세포대사조절과 연관된 염증복합체 구성 후보물질 발굴에 대한 연구

• 뇌염증반응 조절을 위한 표적물질 및 선도 물질 발굴 여부

• 염증반응에서의 케모카인 MCP-1의 역할 규명 및 MCP-1의 발현에서의 AP1/SP1의 역할 규명

• 염증반응에서의 탈인산효소의 역할규명 및 적용가능성 탐색

• 항염증표적으로서 SUMOylation의 역할규명• 세포노화에서의 대사전환 반응규명• 세포암화과정에서 대사전환에 대한 세포 기능변화 및

방어규명• 조직특이적 염증반응의 만성화로 유도되는 섬유화의

기전규명 및 조절방안 모색• 새로운 항산화제의 허혈성 뇌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규명• 퇴행성 뇌질환 연관단백의 특성규명 및 신경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100%

2총괄

• 간의 만성염증으로 유도되는 EMT 현상에 대한 기초연구

• Mesenchymal stem cell을 이용한 HGF therapy 기반 기술 확보

• HBV에 의한 간세포손상기전 연구

• Interfronλ에 의한 면역반응 연구

• 간질환에서 HGF 효과조사

• 간질환 조절

신표적물질 발굴 여부

• HGF/MSC를 만들고 이를 DMN-유도 간경화 모델에 적용하여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밝힘.

• 새로운 염증관련 표적물질로서 Interferon lambda 의 가능성을 제시함.

• HBx가 간세포에 어떤 생물학적 변화룰 초래하는지 확인함.

100%

3단계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

1총괄

• 2단계에서 발굴한 표적의 효과를 동물모델에서 확인

• 뇌염증에서 발굴한 표적과 다른 질환(천식, 피부색소질환)에서의 역할을 비교 분석

• 대사조절과 연관된 염증인자의 역할 규명

• 뇌염증, 색소질환,천식 특이적 염증신호 제어방안 제시 여부

• 안화섬유화 및 대사성 노화질환 제어기전

1세부과제• 염증조절의 표적으로서의 SUMOylation과 UPS

system의 적용가능성 확인 • 기관지 천식에서 기도 염증반응의 표적단백 규명 및

기도 염증반응의 발생기작 및 조절기작 연구• 혈관유래 염증인자에 의한 색소형성 조절의 표적확인

및 기작 연구2세부과제

• 세포노화 및 노화동물에서의 대사이상 조절 단백질에 의한 기전 확인 및 효과 검증

• 안와섬유화 (눈의 fibrosis) 세포모델 및 동물모델에서 ganglioside 및 ROS에 의한 염증조절 기전 규명 및 임상적용 가능성 확인

• 노화에 따른 생체시계의 기능부전에 관한 상관성 확인

100%

2총괄

• Microglia 조절을 통한 염증 제어

• 신경계질환 동물모델에서 신경세포 손상 제어물질 효과 검증 및 최적화

• 뇌염증세포 제어방안 제시

• 신경세포 보호전략 제시

1세부과제• 뇌손상에 따르는 astrocyte의 증식과 migration 현상

및 관여인자 파악.• Astrocyte의 비정상적 기능 통제를 이용한

신경계환경 재생 방안 구축 • 염증반응 관련 인자 중 축삭재생 조절 인자의 발굴

및 그 기능 분석2세부과제

• 퇴행성 뇌질환의 주원인이 되는 변형단백질이 염증세포에 미치는 영향 규명

• 지질대사 조절제가 퇴행성 뇌질환의 주원인이 되는 단백질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 규명

100%

단독

• 동물모델을 이용한 간경화 치료물질(HGF, transglutaminase-2 저해제)의 효과 검증 및 최적화

•간경화에서 EMT 억제방안 연구

• 간경화 치료물질 효과 및 간세포보호전략제시

• 간염증반응

• FDA 승인 물질 library에서의 screening 시행 • 간경화 억제 물질 candidates의 약리 작용 분석• 화학적 간섬유화 동물 모델에서의 예방적, 치료적 효능

검증 • HGF 분비 MSC에 대한 일부 전임상 연구 수행 • 간세포 손상 신호 제어기술

100%

Page 7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7

• HBV에 의한 간세포 손상제어기술

• Interfronλ의 신호 전달과 간염환자에서 Interfronλ 수용체 유전형 분석

조절방안 제시

• 바이러스성 단백질 발현 조절에 의한 염증조절• 간염, 간암 조직에서 임상적 연관성 조사 • Interferonλ의 신호전달과 세포반응 분석.• TIM-3와 TIM-3L interaction 억제기전 규명• T세포 활성자극에 의한 IL-22 생산 조절기전 규명• 자기소모(autophagy)에서 STAT3의 활성이 세포

생존조절기전 규명

2. 대표 연구업적 2.1. 전체 요약기술 ▶ 염증반응조절 타겟 확인 및 새로운 염증신호발굴 • GSK3를 통한 glycogenesis과정이 세포노화를 조절하는 현상을 규명하고 세포노화에서 Glycogenesis 역할

규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함으로써 염증반응의 환경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노화 조절 신호를 이해하게됨. 이를 Aging Cell誌dp 게재함.('08. 12월)

• 뇌신경교세포에서 핵수용체인 LXR의 항염증 작용을 최초로 규명함. 이를 Molecular Cell誌에 게재함.('09. 9월)

• 종양의 영양결핍 과정중 STAT3 종양유전자가 활성화되 IL6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함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STAT3 활성 기전을 제시함. 이를 Autophagy誌에 게재함.('10. 11월)

• Kras 암유전자가 포도당결핍시 mitophagy를 촉진시켜 세포내 에너지를 공급하는 필수기작을 매개함을 규명함으로써 암대사과정에서 mitophagy의 역할규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함. 이를 Autophagy誌에 게재함. ('11. 10월)

• PERIOD 단백질의 O-GlcNAcylation이 생체리듬의 속도를 조절하는 현상을 세계 최초로 규명함으로써 O-GlcNAcylation 이라는 단백질의 전사후변형이 미치는 역할 규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함. 이를 Genes and Development誌에 게재함.('12. 3월)

• 뇌성상세포의 STAT6가 산화적스트레스를 신속히 매개함을 최초로 규명하고 뇌성상세포가 산화적스트레스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기작으로서의 STAT6 활성화를 통한 염증조절 가능성을 제시함. 이를 Journal of Immunology誌에 게재함. ('12. 5월)

▶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 뇌성상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에 의해 microglia의 항산화효소가 발현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는

것이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써 Astrocyte에 의한 microglia 활성화 조절작용과 관련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Journal of Neuroscience誌에 게재함('06. 2월)

• 허혈성 또는 흥분성 세포특성에 의한 신경퇴행성 뇌질환에서의 calpain에 의한 N-cadherin cleavage의 기능과 기전을 규명하여 세포부착분자 조절을 통한 치료법 개발에 기여함. 이를 Journal of Neuroscience 誌에 게재함. ('09. 5월)

• 신경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과정 조절에 Jak2와 Jak3 신호전달체계가 서로 다른 작용을 하며, 특히 Jak3의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최초로 규명함. 신경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기여함. 이를 Stem Cells誌에 게재함. ('10. 10월)

• 종양의 스트레스 반응으로 염증성 전사인자의 활성을 초래하여 염증반응을 촉진함을 확인하고 종양의 생존에 있어 염증반응의 중요성을 검증함. 이를 Oncogene誌에 게재함. ('12. 7월)

Page 8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8

연구과제명 제목 저자명(공동저자 포함) 게재지명 집 권Vol. 호No.

발행기관

수록면(PP.) 발행년도SCI여부 I.F. C

1 NF-kappaB and STAT3 cooperately induce IL6 in starved cancer cellsYoon S, Woo SU, Kang JH, Kim K, Shin HJ, Gwak HS, Park S, Chwae YJ.

Oncogene 31 29 NPG 3467 2012 SCI 7.414

2

Astrocytes, but not microglia, rapidly sense hydrogen peroxide via STAT6 phosphorylation, resulting in cyclooxygenase-2 expression and prostaglandin release.

Park SJ, Lee JH, Kim HY, Choi YH, Park JS, Suh YH, Park SM, Joe EH, Jou I.J. Immunol. 188 10 AAI 5132 2012 SCI 5.745

3A role for O-GlcNAcylation in setting circadian clock speed

Kim EY, Jeong EH, Park S, Jeong HJ, Edery I, Cho JW.Genes Dev. 26 5 CSH 490 2012 SCI 12.889

4

Involvement of mitogeny in oncogenic K-Ras-induced transformation: overcoming a celluar energy deficit from glucose deficiency.

Kim JH, Kim HY, Lee YK, Yoon YS, Xu WG, Yoon JK, Choi SE, Ko YG, Kim MJ, Lee SJ, Wang HJ, Yoon G.Autophagy 7 10 Landes Biosciences 1187 2011 SCIE 6.643 6

5STAT3 transcriptional factor activat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induces IL6 in starvation-induced autophagy of cancer cells.

Yoon S, Woo SU, Kang JH, Kim K, Kwon MH, Park S, Shin HJ, Gwak HS, Chwae YJ.Autophagy 6 8 Landes Biosciences 1125 2010 SCIE 6.643 6

6Differential regulation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neural precursor cells by the Jak pathway

Kim YH, Chung JI, Woo HG, Jung YS, Lee SH, Moon CH, Suh-Kim H, Baik EJ.Stem Cells 28 10 Wiley 1816 2010 SCIE 7.871 4

7

Differential SUMOylation of LXRalpha and LXRbeta mediates transrepression of STAT1 inflammatory signaling in IFN-gamma-stimulated brain astrocytes

Lee JH, Park SM, Kim OS, Lee CS, Woo JH, Park SJ, Joe EH, Jou I.Mol. Cell 35 6 Cell Press 806 2009 SCI 14.6 27

8 Calpain-mediated N-cadherin proteolytic processing in brain injuryJang YN, Jung YS, Lee SH, Moon CH, Kim CH, Baik EJ.

J. Neurosci. 29 18 SFN 5974 2009 SCI 7.178 12

9Enhanced glycogenesis is involved in cellular senescence via GSK3/GS modulation

Seo YH, Jung HJ, Shin HT, Kim YM, Yim H, Chung HY, Lim IK, Yoon G.Aging Cell 1. 7 6 Wiley 894 2008 SCIE 7.791 14

10Astrocytes induce hemeoxygenase-1 expression in microglia: a feasible mechanism for preventing excessive brain inflammation

Min KJ, Yang MS, Kim SU, Jou I, Joe EH.J. Neurosci. 26 6 SFN 1880 2006 SCI 7.453 87

2.2. 대표 연구논문

2.3. 대표 특허 등록, 상품화

관련과제명 특 허 명 발명자 국가 일자 번호 주요내용(상품화 등)

Page 8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9

2.4. 기타 업적 해당사항 없음.

3.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과학기술진흥 측면에서의 기여도 • 만성염증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의과학지식의 기반을 확장하여 축적시킴. • 만성염증질환의 조직 및 세포특이적 제어기작에 대한 기반지식을 확장, 축적시킴. • 만성염증질환 연구에 대한 다양한 세포 및 동물모델 시스템을 구축하고, 심도깊은 연구와 적용을 위해

제공하였음. • 만성염증질환을 제어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수립을 위한 신기술의 개발 및 적용의 기반을 제공하였음. • 만성 염증질환에 대한 기초와 임상의 연계연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공함.▶ 대학연구와 교육 및 인력양성 측면에서의 기여도 • 본 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하계, 동계 학생연구원제도 및 의과대학에서 지원하고 있는 학부생

연구지원제도를 본 센터에서 활용함으로서 의대학부학생의 연구로의 관심을 유도하고 학부시기부터의 연구분위기가 활성화시킴

• 본 센터 내에 활성화 되어 있는 기초와 임상 간의 긴밀한 공동연구를 통해 기초-임상 간의 공동연구 기반이 활성화됨.

• 본 센터를 통해 많은 대학원 학생의 연구지원이 확보됨으로서 대학원 연구분위기가 더욱 활성화되고 연구내용의 수월성이 증진됨.

• 만성염증질환엔 대한 집중화된 공동연구로 만성염증 연구에 대한 대학연구의 특성화가 확립됨. • 본 센터를 통해 해외 연수, 해외학회 지원, 기초임상간의 다양한 연구분야 체험등 다양한 현장경험능력을

갖춘 능력있는 연구인력 양성을 통해 연구분위가 재조성됨. ▶ 산업경제 및 지역 발전 측면에서의 기여도 •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는 광교테크노밸리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아주대학교 및 아주대학교 의료원의 위치하고 있어 광교테그노밸리의 만성염증질환 연구 핵심센터로서의 기반을 확립함. •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는 수원, 나아가 경기도의 유일한 기초의과학 연구센터로서 경기도 내의 전략적 기초의과학 기술의 인프라를 구축함. • 본 연구로 만성염증질환 제어기술이라는 새로운 기초의과학 기술확보로 차세대 성장동력의 기반구축을 마련함. • 경기기업지원센터를 필두로 한 아주대학교 근처 대규모 과학기술 단지에서 필요한 경쟁력있는 고급 의과학연구인력을 양성 및 배출함.. • 본 센터를 통해 경기도내 의료산업 및 기초의과학 연구발전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일조함..

4.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영국은 MRC Centre for Inflammation Research (CIR)를 1999년 설립하였다. CIR은 임상/비임상

과학자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중개연구를 활성화함으로써 염증이 공통 인자로 매개되는 여러 가지 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최고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여 최근 5년간 누적 논문수가 411편에 달함.

▶ 미국은 Center for Human Immunology, Autoimmunity and Inflammation을 NIH내에 설립하여 자가면역질환 등의 면역질환뿐 아니라 염증이 관련될 수 있는 다양한 질병들, 암, 동맥경화, 뇌신경질환 등을 연구함. Genome, gene expression, epigenetic modulation, proteome, lipidome, metabolome 등의 ”Large scale examination" 방법으로 염증관련 인자들을 규명하고, 이를 advanced biostatical/computer

Page 8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80

modeling methods 등으로 분석하고 있음.▶유럽 13개국 21개 연구기관과 6개의 중소기업은 2012년 3월 컨소시움을 구성하고 “Imaging of

Neuroinflammatio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Project“를 수행하여 퇴행성뇌질환에서의 뇌염증반응의 역할을 규명하는 작업을 진행 중임.

▶위의 센터들은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의 연구 측면 뿐만 아니라 운영 측면에서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음.

5.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만성염증은 많은 질환의 원인이 되고 질환의 진전을 촉진시키는 위험인자로 알려짐에 따라 각 질환을

이해할 수 있는 기전 측면 뿐만 아니라, 치료 측면에서도 관심이 급격히 높아짐. 이에 따라 논문수도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또 이를 이용한 특허출원건수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임. 특히 뇌염증분야는 현재 태동기이나 최근 들어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음. Pubmed 검색결과 “Neuroinflammation” 관련 논문은 지금까지 2,886건이 발표되었으며, 이들 중 2005년 이후 발표된 논문이 2,062 건으로 전체 71%가 최근 5년간 나온 논문임. 뇌허혈성 질환인 뇌졸중에 대한 연구 중 염증반응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 이전 1%도 되지 않았으나, 최근 5년간 4% 가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 또한, 퇴행성뇌질환의 연구에서도 염증반응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 이전 1.6%에서 최근 5년간 거의 10% 가까이로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음. 뇌염증과 퇴성 신경질환에 관한 특허는 2003년부터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비로소 시작되고 있음을 말해줌. 현재 염증 반응 조절을 통한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2007년 National Institute of Aging (NIA, 미국)에서는 Alzheimer‘s Disease Anti-Inflammatory Prevention Trial (ADAPT) 임상 3상 완료하고, follow-up 연구가 진행 중이며, Pfizer의 경우, 2011년, 면역반응을 이용한 신약 PF-04360365(humanized Aβ antibody)의 임상 2상 완료하였음. 또한 Janssen의 경우에도 염증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임.

▶ 우리나라의 만성염증에 대한 연구는 최근 급격히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선도연구센터 등을 주축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어, 곧 세계적인 수준으로 도달할 것으로 기대됨.

6. 센터 향후 연구계획 6.1 향후 센터의 연구활동▶ 본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는 1기 센터 출범 당시인 2003년부터 염증반응을 각종질환의 위험요소로 인지하고 염증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병태생리를 연구하여 우수한 연구성과 (107편)를 거둔바 있음. 그러나 이러한 연구 중에 염증반응의 복잡성을 인식하였으며, 성공적인 만성염증질환의 치료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염증반응을 변화시키는

환경요인과 이에 따른 염증반응의 패턴 분석, 그리고 염증억제 효과 등에 대한 포괄적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함. ▶ 따라서, 새로운 센터연구를 통해 염증 반응의 복잡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기법을 도입하여 세포 및

조직특이, 질환특이 요소를 규명하는 포괄적 연구를 하고자 함.

6.2 산학 협력연구▶ 아주대학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경기 남부 최대 종합병원인 아주대병원이 한 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어, 아주대학교

약대, 자연대, 공대, 임상의 등의 다양한 연구자들과의 협력연구를 수행하기에 유리한 조건임. 또한 아주대가 위치하고 있는 광교신도시 내에 경기도에서 지원하는 산학 클러스터인 광교테크노밸리가 존재하여, 산학협력 연구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음.

▶ 특히 광교테크노밸리 내 생명과학연구를 주도하는 경기 바이오센터는 개별대학에서 보유하기 힘든 고가의 실험설비 및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산학협력관계 구축을 통하여 실험설비/장비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음. 경기바이오센터에서도 대학의 우수한 연구인력과 아주대병원의 인적자원, 환자시료와 임상연구자료를 이용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이 있어, 이미 센터소속 교수들과 아래와 같이 실험실 단위의 활발한

Page 8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81

공동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이 외에도 경기도는 전국에서 제약기업이 가장 많이 위치하고 있으며, 광교신도시 내에 CJ 연구개발센터가 착공하는

등 향후 제약회사 R&D 관련시설이 점차 증가될 것으로 기대됨. 아주의대 MRC는 이러한 유리한 입지조건을 활용하여 산학협력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함.

6.3 국제 협력연구▶ 아주대학교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는 9년간의 연구를 토대로 국제공동연구의 조직적 활성화를 이루고자

함. 이를 위해 국제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임. 현재 센터핵심연구원인 김은영 교수가 Dr. Paul Hardin (Texas A&M University, USA)와, 윤계순 교수가 Dr. Heidi Tissenbaum (Dissecting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ging process, U.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USA)와, 조은혜 교수가 Dr. UJ Kang (Dept. of Neurology, Chicago University)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자 계획하고 있음. 또한, 만성염증과 관련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고자 계획하고 있음.

Page 8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

부 록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결과보고서

2012. 8.

만성염증질환 연 구 센 터

Page 8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

<목 차>

1. 과제별 연구내용 ('03.9.1 ~ '12.8.31) -------- 3

2. 대표적 연구성과 ('03.9.1 ~ '12.8.31) -------- 36

3. 대표적 논문초록 사본 ('03.9.1 ~ '12.8.31) ----- 40

4. 대표적 특허 초록사본 ('03.9.1 ~ '12.8.31)

Page 8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

1. 과제별 연구내용 1.1.1. 제 1 총괄과제

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1000-0 구분 총괄과제연구과제명 (국문)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

(영문) Development of tissue-, and stimuli-specific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odality총괄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주일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성명 및 소속(영문) Ilo JOU,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세부과제책임자 1. 주일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 윤계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3. 백은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기간 2003년 9월 ~ 2012년 0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세부과제책임자 연 구 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2명 5명 55명 62명2차년도 2명 10명 42명 54명3차년도 3명 4명 20명 27명4차년도 3명 6명 20명 29명5차년도 3명 14명 25명 42명6차년도 2명 8명 14명 24명7차년도 2명 10명 16명 28명8차년도 2명 10명 17명 29명9차년도 2명 11명 16명 29명

계 21명 78명 225명 324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 300,000 200,000 500,0002차년도 300,000 200,000 500,0003차년도 261,000 172,000 433,0004차년도 327,500 250,000 577,5005차년도 310,000 250,000 560,0006차년도 600,000 100,000 700,0007차년도 633,000 100,000 733,0008차년도 691,500 100,000 791,5009차년도 590,800 100,000 690,800

계 4,013,800 1,472,000 5,485,800

①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 0 0 0 0 17 17 0 02차년도 1 6 3 4 13 16 1 03차년도 1 6 8 9 6 9 6 44차년도 0 4 10 26 3 9 4 15차년도 1 15 29 6 4 14 0 16차년도 0 8 7 15 3 5 1 17차년도 0 5 11 6 4 4 2 18차년도 1 7 13 15 2 5 1 09차년도 0 9 1 5 3 5 2 0

계 4 60 82 86 55 84 17 8② 외부지원금 지원기관

Page 8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4

◈ 과제내용◈ 연구배경 및 목적 ○ 1단계 : • 신경면역세포와 신경세포에서 염증복합체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기본역할 규명하고, 대표적인 항염증약물의

작용확인을 통해 새로운 염증신호를 발굴하고 새로운 염증신호의 기작 규명함.

○ 2단계 : • 1단계에서 발굴된 염증 복합체 구성요소의 특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염증 복합체 구성물질 발굴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규명. • 염증 복합체 구성물질 간의 상호작용 및 그 결과를 분석하여 새로운 염증 복합체 구성물질 발굴. 추가로

세포대사조절이상과 염증반응의 상호관계 규명하여 대사조절반응에 대한 심층연구 및 대사성 염증반응모델 확립하고, 대사성 염증조절 유전자(Metabogenes) 및 대사성 염증조절물질 (Metabokines)의 탐색.

• 신경세포의 염증반응에 있어서의 세포부착분자와 protease의 기능규명

○ 3단계 : • 1,2단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퇴행성뇌질환, 천식 및 피부색소질환에서 발굴된 염증조절 타겟을

확인하고 이들 사이의 공통적인 요소와 조직-특이적인 요소를 비교하여 공통적인 또는 질환-특이적인 표적확인을 통한 염증 제어방안의 제시함. 발굴된 염증조절인자를 통한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을 제시하고 질환특이적인 염증조절 표적의 효과를 염증성 질환에서 비교 확인하여 target-oriented 염증제어물질 도출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며, 임상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함.

• 생체리듬과 만성염증질환과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만성염증질환의 치유 및 예방을 위한 새로운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 이를 위해 생체시계의 핵심 전사인자인 CLOCK의 인산화의 역할과 전사활성을 억제하는 PERIOD 단백질의 결합 도메인을 규명함으로써 생체시계 조절기전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고자 함.

◈ 연구결과 및 방법 ○ 1단계 : • 뇌염증반응에서 초기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케모카인인 MCP-1의 역할 및 조절기전 규명• 항염증표적으로서의 탈인산효소 SHP-2의 조절기전 규명• 성상세포에서 Jak-STAT inflammatory signal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단백인 SHP-2의 조절이 세포막 raft를

통해 이루어 짐을 확인 • 뇌염증반응에서의 Toll-like Receptor(TLR)의 역할 규명

⇒ 논문발표: J Biol Chem. 281:11872, 2006 Am J Pathol. 168:1619, 2006

○ 2단계 : • 성상세포에서 interferon에 의한 활성화 억제효과를 liver X receptor(LXR)이 가지게 되며 LXR의 억제효과

는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기작인 transrepression에 의하여 나타나며 이 과정에 LXR의 SUMOylation이 관여함을 밝힘.

• 염증반응시 생성되는 산소유리기를 뇌의 성상세포가 STAT6 인산화반응을 통하여 빠르게 인지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며 이는 염증성매개인자인 TNFα 등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homeostasis를 유지하려는 negative regulation의 기능을 담당함.

•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에 대한 세포의 기능변화 및 방어기전 규명 :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한 세포주기 진행

Page 8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5

지연 규명 및 미토콘드리아 형태조절 규명 • 세포 노화에서의 대사전환 반응 규명 및 미토콘드리아 형태조절 기전 및 중요성 규명 • 뇌와 눈에서 일어나는 만성염증 질환의 기전 규명 및 대사이상과의 상관성 규명 및 조직 특이적 염증반응의 만성

화로 유도되는 섬유화의 기전 규명 및 조절방안 모색

⇒ 논문발표: J Biol Chem. 281:11872, 2006Am J Pathol. 168:1619, 2006Molecular Cell. 35:806, 2009 J Immunology. 188:5132, 2012

J Cell Biochem. 104, 1747-1759. 2008J Cell Physiol. 209, 468-480. 2006Ophthalmologica. 223(4):274-8. 2009

○ 3단계 : • 염증반응의 조절 타겟이 세포나 자극/질환에 따라 다양한 level에서 조절될 수 있음을 MAP kinase의 세포

내 조절단백인 MAPK phosphatase (MKP)-1의 조절기전을 통하여 확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하나인 ETYA의 항염증효과가 MKP-1의 발현조절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경

우 ETYA는 MKP-1 발현을 RNA level에서 조절하며 이는 RNA-binding protein인 HuR을 통한 MKP-1 mRNA의 stability increase 를 통하여 이루어 짐을 확인

• 프로스타글란딘의 하나인 15-deoxy PGJ2 (15d-PGJ2) 역시, MKP-1의 발현을 통하여 염증억제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반응에도 HuR이 관여하나 이는 mRNA의 processing 과정과 stability 증가에 의해 나타남

• 콜레스테롤의 산화물인 oxysterol, 역시 MKP-1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염증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 HuR이 관여하여 HuR의 핵에서 세포질 내로의 translocation을 촉진시켜 HuR과의 결합으로 mRNA의 안정성이 증가하여 나타나며 HuR의 세포질 내로의 이동에는 protein kinase Cα가 관여함을 확인함.

• caveolin은 세포막의 주요 구조로 세포신호전달, 세포의 이동 등 다양한 세포반응을 매개함. 뇌에서는 성상세포에서는 caveolin이 풍부한 반면 마이클로글리아는 caveolin의 발현이 거의 없는 생화학적 특징을 지님. 이의 차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차이점을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그 중 하나로 caveolin-1 reactive oxygen sepcies(ROS)에 의한 SHP-2의 활성에 관여함을 확인

• LXR에 의한 성상세포에서의 염증억제 기전에 관여하여 특이적 조절기전을 나타내는 핵수용체로서의 SHP의 관여 여부 및 기전 확인

• 성상세포와 마이크로글리아에서 Toll-like receptor 4를 경유하는 뇌염증반응에 의해 세포막 지질 PIP2와 PIP2 합성효소인 PIP5Ka 유전자 발현이 증가함과 PIP2/PIP5Ka가 TLR4 시그널링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

• 중증천식 환자의 혈청에 존재하는 기도상피세포 단백질에 대한 IgG 자가항체의 아형을 immunoblot으로 분석한 결과 IgG1 아형이 주된 아형임을 확인하여 보체를 통한 IgG자가항체에 의한 기도상피세포 독성 기작이 중증천식의 발병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함.

• 비알레르기성 천식환자의 말초혈액으로부터 분리된 IgG 항체에 의한 기도상피세포 독성 반응이 기도상피세포 자가항원 단백질인 cytokeratin 18 protein 혹은 alpha-enolase protein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함.

• 세포암화모델에서의 대사이상 조절단백질에 의한 기전확인 및 효과 검증: LDHB 발현저하에 의한 대사전환 유도와 암세포 전이활성 증가 규명 및 Kras 암유전자에 의한 대사전환 유도와세포 암화관계 규명

• 세포노화 및 노화동물에서의 대사이상 조절 단백질에 의한 기전 확인 및 효과 검증: GSK3의 중요성 규명• 안와섬유모세포에서 IL-1b로 유도된 TIMP-1의 증가를 pirfenidone이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덱사메타손에

비해 더 높은 효율을 나타냄을 규명함. Pirfenidone은 안와섬유모세포의 콜라겐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규명함

Page 8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6

• GT1b에 의한 안와섬유모세포의 하이알루로난의 생성 증가 기전에 HAS의 발현 증가가 관여됨을 규명함 - RT-PCR을 통하여 HAS mRNA의 증가를 확인함.

• PERIOD 단백질에서 아미노산 926-977이 CLOCK 결합 도메인임을 규명하고, CLOCK Binding Domain (CBD)이라 명명함. 세포에서는 PER△CBD는 CLOCK과 결합하지 못하나 초파리 개체에서는 TIMELESS 단백질과 함께 콤플렉스를 이루어 CLOCK의 전사활성을 여전히 억제할 수 있음을 밝힘.

• PERIOD 단백질이 시간에 따라 O-GlcNAc화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핵내로 이동하는 시간이 달라짐으로써 생체시계의 속도를 조절함을 밝혀냄.

⇒ 논문발표: J Neuroinflammation 9:34, 2012 Exp Mol Med 43:660, 2011

Yonsei Med J 49:923-930, 2008Exp Mol Med 42:662, 2010, Neurochem Int 57:600, 2010

J Clin Immunol. 29:517-23, 2009. Exp.Cell Res. 317, 1108-1118, 2011

Autophagy 7, 1187-1198. 2011 Aging Cell. 7, 894-907. 2008 Ann NY Acad. Sci. 1201, 65-71, 2010JBC. 285, 29069-29077, 2010 Exp. Cell Res. 318, 1808-19. 2012 Invest Ophthalmol Vis Sci. 51:3061, 2010 Invest Ophthalmol Vis Sci. 52:264, 2011 Journal of Neuroscience 30:14458, 2010Genes and Development 26:490, 2012

◈ 세부과제연관성 ○ 1단계 : • 1, 2세부에서 신경계 세포에서의 염증반응을 중심으로 염증복합체를 이루어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물질을 밝히고, 그 기본적 특성을 규명하여 본 과제 최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연구기반을 구축

○ 2단계 : • 1단계에서 구축한 염증반응 조절 복합체를 중심으로 염증을 제어할 수 있는 표적을 발굴하고 그

조절기작을 규명하고자 함. 또한, 조직특이적인 뇌와 눈에서의 염증반응 만성화와 대사이상 관계 규명 (임상적용 가능성 모색) - 1세부에서 확인한 염증신호와 2세부의 안와염증질환과 대사이상과의 연관성 규명

○ 3단계 : • 1, 2단계에서 확인된 염증반응과 세포대사조절에 동시에 작용하는 염증조절물질의 활성조절을 통한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방안제시를 목표로 질환 모델을 대상으로 도출된 염증조절물질의 효과 검증• 도출된 염증조절 물질 및 방안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추가로 뇌염증반응과 생체리듬, 생체시계의

상관성 규명 (새로운 연구 전략) - 1세부에서 확인된 염증조절 활성물질과 2세부의 대사이상, 염증 질환, 및 생체시계에서 나타나는 조절기전과의 연관성 확임

◈ 목표달성도

Page 9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7

○ 1단계 : • 뇌염증반응에서 초기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케모카인인 MCP-1의 역할 및 조절기전 규명: 100% 달성• 항염증표적으로서의 탈인산효소 SHP-2의 조절기전 규명: 100% 달성• 뇌염증반응에서의 Toll-like Receptor(TLR)의 역할 규명 : 100% 달성

○ 2단계 : • LXR의 항염기작의 규명 – transrepression : 100% 달성 • 신경교세포에 의한 뇌염증조절에서의 STAT3 와 6의 역할 규명: 100% 달성 • 뇌면역세포에서 염증자극에 의한 세포대사전환양상에 대한 기본정보를 세포생물학적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규명: 100% 달성• 대사이상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규명: 100% 달성•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손상과의 암세포전이활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100% 달성• 해당과정으로의 에너지 대사전환과 acidosis와의 상관관계 규명: 100% 달성• 안와섬유화 (눈의 fibrosis)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 눈에서 일어나는 만성염증 질환의 기전 규명: 100% 달성

○ 3단계 : • 1,2단계에서 발굴한 염증조절물질인 탈인산효소 및 핵수용체에 의한 새로운 염증조절 기작에 근거한 조직,

및 자극-특이적 염증조절 타겟발굴: ETYA, 22(R)-oxysterol 및 15d-PGJ2의 MKP-1 발현조절의 서로 다른 기전 규명: 100% 달성

• 염증조절기전에서 핵수용체의 상호작용 규명:LXR과 SHP의 상호작용 규명: 100% 달성• 천식환자의 혈액에 존재하는 기도상피세포 단백질에 대한 자가항체의 독성유도기작 규명: 100% 달성• 세포 노화에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과 대사전환 반응 규명: 100% 달성• 세포대사전환이 세포암화와 암세포 전이능력에 미치는 영향 규명: 100% 달성• 세포노화에서 대사전환을 조절하는 주요타겟 발굴 : 100% 달성• 갑상샘눈병증의 새로운 병리기전 규명: 갱글리오사이드의 역할 규명: 100% 달성• 병리 기전에 대한 효과적 억제 약물 도출: pirfenidone의 억제 효과 규명: 100% 달성• 생체시계 단백질들의 전사후 조절기전 규명: 100% 달성• 염증조절에 대한 새로운 단백질 조절 기전 제시: 100% 달성

Page 9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8

1.1.1.1. 제1-1 세부과제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1006-0 구분 세부과제연구과제명 (국문) 발굴된 염증조절인자를 통한 조직특이적 염증질환 제어방안 제시 (영문) Development of tissue-specific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odality

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주일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성명 및 소속(영문) Ilo Jou,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연 구 원 공동연구원 (교수요원): 이상윤, 강희영, 남동호, 김희영,박사후연구원: 박수정, 우주홍, 이지훈

연구조원 박사과정: 박정섭, 김현미, 석사과정: 손진영

연구기간 2003년 9월 ~ 2012년 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연구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3명 25명 28명2차년도 5명 20명 25명3차년도 3명 7명 10명4차년도 2명 8명 10명5차년도 7명 6명 13명6차년도 7명 6명 13명7차년도 9명 11명 20명8차년도 9명 12명 21명9차년도 10명 10명 20명

계 55명 105명 160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 200,000 100,000 300,0002차년도 200,000 100,000 300,0003차년도 142,000 123,000 265,0004차년도 190,000 250,000 440,0005차년도 70,000 250,000 320,0006차년도 505,000 100,000 605,0007차년도 511,500 100,000 611,5008차년도 504,500 100,000 604,5009차년도 413,200 100,000 513,200

계 2,736,200 1,223,000 3,959,200

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 0 0 0 0 7 7 0 02차년도 1 5 3 4 5 6 1 03차년도 0 6 4 2 2 4 3 24차년도 0 1 1 2 0 3 0 15차년도 0 5 6 0 3 2 0 06차년도 0 5 1 3 2 4 0 17차년도 0 3 6 0 3 3 2 08차년도 1 2 3 2 2 2 1 09차년도 0 5 1 3 2 2 1 0

계 2 32 25 16 26 33 8 4① 외부지원금 지원기관② 상대과학자 성명 및 소속 (국가명)

Page 9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9

◈ 과제내용◈ 연구배경 및 목적 ○ 1단계 : • 아직 그 병태생리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만성퇴행성 질환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염증반응의 제어

를 통한 접근• 신경계 염증세포에서 염증복합체를 이루어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물질을 밝히고 그 기본적 특성을

규명하여 염증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타겟을 발굴함. ○ 2단계 : • 염증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표적을 발굴하고 그 항염효과를 확인• Jak-STAT inflammatory signal의 억제 표적물질로서의 SHP-2의 조절기전 연구• 염증신호전달에서 세포막 raft의 역할과 세포막 인지질들과의 상호관계 규명을 통한 새로운 조절기전 규명• 염증신호전달에서 AP-1/SP1에 의한 특이적 조절방식과 기전 연구: 특히, PPARs의 항염증작용 비교• Oxidized LDL 및 oxysterol의 항염작용을 중심으로 ligand-activated nuclear receptor들의 염증신호 전사

조절 규명

○ 3단계 : • 염증반응은 우리 몸의 모든 조직과 기관에서 일어나는 반응인 동시에 보호반응과 병인으로서의 역할을 동시

에 가질 수 있으므로 염증반응의 조절을 통한 질환의 치료효과는 조직-, 자극-특이적 타겟을 규명하고 이에 기초한 전략이 필수적임. 따라서 치근의 연구동향은 각 조직에서 반응에 따른 특이적인 transcriptome complex 형성에 대한 연구가 관심대상임

• 전 단계연구결과, 뇌의 면역세포인 성상세포 (astrocyte)와 소교세포 (microglia)의 반응이 다르며 이들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대표적인 자극제인 lipopolysaccharides (LPS), interferon-γ, gangliosides의 반응과 신호전달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항염효과도 물질에 따라, 조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기작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이에 기초하여 3단계에서는 성상세포와 소교세포에서 자극에 따른 transcriptome의 형성을 비교하는 동시에 항염증물질들이 transcriptome의 무엇을 target으로 하여 억제하는 가를 확인하였음.

• 성상교세포의 세포막 구성단백의 발현변화에 따른 세포내 신호전달체계를 추적하며 이에 따른 astrogliosis의 발생 및 진행과정에 작용하는 주요 타겟을 제시함.

• 아직 그 병태생리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중증 비알레르기성 기관지천식의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서 기도 염증반응의 표적단백 규명 및 기도염증반응의 발생기작 및 조절기작 규명

◈ 연구결과 및 방법 ○ 1단계 : • 뇌염증반응에서 초기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케모카인인 MCP-1의 역할 및 조절기전 규명• 항염증표적으로서의 탈인산효소 SHP-2의 조절기전 규명• 성상세포에서 Jak-STAT inflammatory signal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단백인 SHP-2의 조절이 세포막 raft를

통해 이루어 짐을 확인 • 뇌염증반응에서의 Toll-like Receptor(TLR)의 역할 규명

⇒ 논문발표: J Biol Chem. 281:11872, 2006 Am J Pathol. 168:1619, 2006

Page 9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0

○ 2단계 : • 성상세포에서 interferon에 의한 활성화 억제효과를 liver X receptor(LXR)이 가지게 되며 LXR의 억제효과

는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기작인 transrepression에 의하여 나타나며 이 과정에 LXR의 SUMOylation이 관여함을 밝힘.

• 염증반응시 생성되는 산소유리기를 뇌의 성상세포가 STAT6 인산화반응을 통하여 빠르게 인지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며 이는 염증성매개인자인 TNFα 등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homeostasis를 유지하려는 negative regulation의 기능을 담당함.

⇒ 논문발표: J Biol Chem. 281:11872, 2006Am J Pathol. 168:1619, 2006Molecular Cell. 35:806, 2009 J Immunology. 188:5132, 2012

○ 3단계 : • 염증반응의 조절 타겟이 세포나 자극/질환에 따라 다양한 level에서 조절될 수 있음을 MAP kinase의 세포

내 조절단백인 MAPK phosphatase (MKP)-1의 조절기전을 통하여 확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하나인 ETYA의 항염증효과가 MKP-1의 발현조절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경

우 ETYA는 MKP-1 발현을 RNA level에서 조절하며 이는 RNA-binding protein인 HuR을 통한 MKP-1 mRNA의 stability increase 를 통하여 이루어 짐을 확인

• 프로스타글란딘의 하나인 15-deoxy PGJ2 (15d-PGJ2) 역시, MKP-1의 발현을 통하여 염증억제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반응에도 HuR이 관여하나 이는 mRNA의 processing 과정과 stability 증가에 의해 나타남

• 콜레스테롤의 산화물인 oxysterol, 역시 MKP-1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염증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 HuR이 관여하여 HuR의 핵에서 세포질 내로의 translocation을 촉진시켜 HuR과의 결합으로 mRNA의 안정성이 증가하여 나타나며 HuR의 세포질 내로의 이동에는 protein kinase Cα가 관여함을 확인함.

• caveolin은 세포막의 주요 구조로 세포신호전달, 세포의 이동 등 다양한 세포반응을 매개함. 뇌에서는 성상세포에서는 caveolin이 풍부한 반면 마이클로글리아는 caveolin의 발현이 거의 없는 생화학적 특징을 지님. 이의 차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차이점을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그 중 하나로 caveolin-1 reactive oxygen sepcies(ROS)에 의한 SHP-2의 활성에 관여함을 확인

• 중증천식 환자의 혈청에 존재하는 기도상피세포 단백질에 대한 IgG 자가항체의 아형을 immunoblot으로 분석한 결과 IgG1 아형이 주된 아형임을 확인하여 보체를 통한 IgG자가항체에 의한 기도상피세포 독성 기작이 중증천식의 발병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함.

• LXR에 의한 성상세포에서의 염증억제 기전에 관여하여 특이적 조절기전을 나타내는 핵수용체로서의 SHP의 관여 여부 및 기전 확인

• 성상세포와 마이크로글리아에서 Toll-like receptor 4를 경유하는 뇌염증반응에 의해 세포막 지질 PIP2와 PIP2 합성효소인 PIP5Ka 유전자 발현이 증가함과 PIP2/PIP5Ka가 TLR4 시그널링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

• 비알레르기성 천식환자의 말초혈액으로부터 분리된 IgG 항체에 의한 기도상피세포 독성 반응이 기도상피세포 자가항원 단백질인 cytokeratin 18 protein 혹은 alpha-enolase protein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함.

⇒ 논문발표: J Neuroinflammation 9:34, 2012Exp Mol Med 43:660, 2011Yonsei Med J 49:923-930, 2008Exp Mol Med 42:662, 2010

Page 9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1

Neurochem Int 57:600, 2010 J Clin Immunol. 29:517-23, 2009

◈ 목표달성도

단계 목표 달성도

○ 1단계 • 뇌염증반응에서 초기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케모카인인 MCP-1의 역할 및 조

절기전 규명 100%• 항염증표적으로서의 탈인산효소 SHP-2의 조절기전 규명 100%• 뇌염증반응에서의 Toll-like Receptor(TLR)의 역할 규명 100%

○ 2단계 • LXR의 항염기작의 규명 – transrepression 100%• 신경교세포에 의한 뇌염증조절에서의 STAT3 와 6의 역할 규명 100%

○ 3단계

• 1,2단계에서 발굴한 염증조절물질인 탈인산효소 및 핵수용체에 의한 새로운 염증조절 기작에 근거한 조직, 및 자극-특이적 염증조절 타겟발굴: ETYA, 22(R)-oxysterol 및 15d-PGJ2의 MKP-1 발현조절의 서로 다른 기전 규명

100%• 염증조절기전에서 핵수용체의 상호작용 규명:LXR과 SHP의 상호작용 규명 100%• 뇌염증세포의 TLR 활성화에 세포막 지질 PIP2의 변화 및 조절 역할 규명 100%• 천식환자의 혈액에 존재하는 기도상피세포 단백질에 대한 IgG 자가항체의

기도상피세포 독성기작 규명 100%

Page 9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2

1.1.1.2. 제1-2 세부과제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1007-0 구분 세부과제연구과제명 (국문) 세포내 대사이상과 연관된 만성염증반응의 제어

(영문) Metabolic transition related to chronic inflammatory control 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윤계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성명 및 소속(영문) Gyesoon Yoon,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연 구 원 공동연구원 (교수요원): 김은영, 국경훈,

연구조원박사과정: 김준형, 변해옥, 이영경, 서용학석사과정: 이종혁연구원: 백금옥

연구기간 2003년 9월 ~ 2012년 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연구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4명 30명 34명2차년도 7명 22명 29명3차년도 2명 7명 9명4차년도 5명 7명 12명5차년도 5명 8명 13명6차년도 3명 8명 11명7차년도 3명 5명 8명8차년도 3명 5명 8명9차년도 3명 6명 9명

계 35명 98명 133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 100,000 100,000 200,0002차년도 100,000 100,000 200,0003차년도 79,000 33,000 112,0004차년도 100,000 100,0005차년도 80,000 80,0006차년도 95,000 95,0007차년도 121,500 121,5008차년도 187,000 187,0009차년도 177,600 177,600

계 1,040,100 233,000 1,273,100

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 0 0 0 0 10 10 0 02차년도 0 1 0 0 8 10 0 03차년도 0 0 0 4 1 2 0 04차년도 0 0 5 12 1 4 1 05차년도 0 0 10 6 1 6 0 06차년도 0 3 6 12 1 1 1 07차년도 0 2 5 6 1 1 0 18차년도 0 5 10 13 3 0 09차년도 0 4 0 2 1 3 1 0

계 0 15 36 55 24 40 3 1① 외부지원금 지원기관② 상대과학자 성명 및 소속 (국가명)

Page 9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3

◈ 과제내용◈ 연구배경 및 목적 ○ 1단계 : 해당사항 없음 (2단계에 구성) ○ 2단계 : • 염증반응과 연관된 세포 대사전환, 대사이상 및 대사조절반응을 규명하여, 대사반응이상과 염증반응이 병인

이 되는 만성질환의 병태생리를 밝히고, 대사성 염증조절유전자 (Metabogenes) 및 대사성 염증조절물질 (Metabokines)을 규명하여 대사조절반응 제어를 통한 염증질환의 제어방안을 제시.

○ 3단계 : • 만성 염증 반응에 연관된 대사반응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제어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됨. 대사반응조절에 관한 연구에 대한 연구관심도의 증가: 단편적인 신호전달중심의 면역반응연구에서 면역활성에 필요한 에너지 대사반응과 이로 인한 세포섬유화 및 세포노화 및 세포암화의 진행에 대한 일련의 세포반응과정을 통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 확립된 세포변형시스템을 이용하여 새로운 대사성 염증조절 target을 통한 염증조절기전을 규명하고, 임상으로의 적용가능성 검증: 대사조절인자를 통한 노화 및 암화연관성 염증반응 제어 검증, 조직특이적(눈, 뇌) 만성염증질환 모델을 이용한 염증 제어전략 제시

• 갑상샘눈병증은 갑상샘의 자가면역질환인 그레이브스씨 병(Graves' disease) 환자에서 동반되는 안과적 질환임. 갑상샘눈병증의 병리 기전에서 갱글리오사이드의 역할을 규명하고, 또한 눈병증의 병리기전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을 규명하고자 함.

• 최근, 다양한 연구결과들은 생체시계와 면역작용이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며 두 시스템을 조절함을 밝혀내었음. 따라서 생체시계의 작동기전에 대한 이해는 만성염증질환을 이해하고, 치유 및 예방을 위한 새로운 식견을 제시하게 될 것임. 생체시계 단백질들은 인산화를 포함하는 전사후조절작용에 의해 그 기능 및 활성이 조절됨. 또한 생체시계단백질들은 서로 결합함으로써 전사활성 및 전사억제의 작용을 나타냄. 생체시계의 핵심 전사인자인 CLOCK의 인산화 잔기를 규명하여 CLOCK 인산화의 역할을 탐색하고, CLOCK의 전사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PERIOD단백질의 결합 도메인을 규명함으로써 생체시계 조절기전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고자 함.

◈ 연구결과 및 방법○ 1단계 : 해당사항 없음 (2단계에 새로 구성된 세부과제임.)○ 2단계 : •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에 대한 세포의 기능변화 및 방어기전 규명 :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한 세포주기 진행

지연 규명 및 미토콘드리아 형태조절 규명 • 세포 노화에서의 대사전환 반응 규명 및 미토콘드리아 형태조절 기전 및 중요성 규명 • 뇌와 눈에서 일어나는 만성염증 질환의 기전 규명 및 대사이상과의 상관성 규명 및 조직 특이적 염증반응의 만성

화로 유도되는 섬유화의 기전 규명 및 조절방안 모색

⇒ 논문발표: J Cell Biochem. 2008. 104, 1747-1759. J Cell Physiol. 2006. 209, 468-480.Ophthalmologica. 2009;223(4):274-8.

○ 3단계 : • 세포암화모델에서의 대사이상 조절단백질에 의한 기전확인 및 효과 검증: LDHB 발현저하에 의한 대사전환

Page 9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4

유도와 암세포 전이활성 증가 규명 및 Kras 암유전자에 의한 대사전환 유도와세포 암화관계 규명 • 세포노화 및 노화동물에서의 대사이상 조절 단백질에 의한 기전 확인 및 효과 검증: GSK3의 중요성 규명• 안와섬유모세포에서 IL-1b로 유도된 TIMP-1의 증가를 pirfenidone이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덱사메타손에

비해 더 높은 효율을 나타냄을 규명함. Pirfenidone은 안와섬유모세포의 콜라겐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규명함

• GT1b에 의한 안와섬유모세포의 하이알루로난의 생성 증가 기전에 HAS의 발현 증가가 관여됨을 규명함 - RT-PCR을 통하여 HAS mRNA의 증가를 확인함.

• PERIOD 단백질에서 아미노산 926-977이 CLOCK 결합 도메인임을 규명하고, CLOCK Binding Domain (CBD)이라 명명함. 세포에서는 PER△CBD는 CLOCK과 결합하지 못하나 초파리 개체에서는 TIMELESS 단백질과 함께 콤플렉스를 이루어 CLOCK의 전사활성을 여전히 억제할 수 있음을 밝힘.

• PERIOD 단백질이 시간에 따라 O-GlcNAc화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핵내로 이동하는 시간이 달라짐으로써 생체시계의 속도를 조절함을 밝혀냄.

⇒ 논문발표: Exp.Cell Res. 317, 1108-1118, 2011,Autophagy 7, 1187-1198. 2011 Aging Cell. 7, 894-907. 2008 Ann NY Acad. Sci. 1201, 65-71, 2010 JBC. 285, 29069-29077, 2010 Exp. Cell Res. 318, 1808-19. 2012 Invest Ophthalmol Vis Sci. 51:3061, 2010 Invest Ophthalmol Vis Sci. 52:264, 2011 Journal of Neuroscience 30:14458, 2010Genes and Development 26:490, 2012

◈ 목표달성도단계 목표 달성도

○ 1단계 • 해당사항 없음 (2단계에 새로 구성된 세부과제임.) 100%

○ 2단계

• 뇌면역세포에서 염증자극에 의한 세포대사전환양상에 대한 기본정보를 세포생물학적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규명 100%

• 대사이상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규명 100%•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손상과의 암세포전이활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100%• 해당과정으로의 에너지 대사전환과 acidosis와의 상관관계 규명 100%• 안와섬유화 (눈의 fibrosis) 세포모델 및 동물모델에서 눈에서 일어나는

만성염증 질환의 기전 규명 100%

○ 3단계

• 세포 노화에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과 대사전환 반응 규명 100%• 세포대사전환이 세포암화와 암세포 전이능력에 미치는 영향 규명 100%• 세포노화에서 대사전환을 조절하는 주요타겟 발굴 100%• 갑상샘눈병증의 새로운 병리기전 규명: 갱글리오사이드의 역할 규명 100%• 병리기전에 근거한 효과적 억제 약물 도출: pirfenidone의 억제 효과 규명 100%• 생체시계 단백질들의 전사후 조절기전 이해 100%• 염증조절에 대한 새로운 단백질 조절 기전 제시 100% 달성

Page 9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5

1.1.1.3. 제 1-3 세부과제 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1006-1 구분 세부과제연구과제명 (국문) 신경세포에서 염증유발에 대한 새로운 보호기전 (영문) Novel mechanism that protects neurons from inflammation 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백은주 생리학교실 성명 및 소속(영문) Eunjoo Baik Dept. of Physiology

연 구 원 1. 박상면 약리학교실 3. 진병관 의과학연구소 2. 이필휴 신경과 4. 정은숙 의과학연구소 5. 박현정 신경과

연구조원 1. 장유나 2. 윤희 3. 김아영 4. 정지인 5. 김광수 6. 박근우 7. 박은수 8. 복유진 9. 원소윤 10. 정영철 11. 허수희

연구기간 2003년 9월 ~ 2012년 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연구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명 명 명2차년도 명 명 명3차년도 2 명 6 명 8 명4차년도 2 명 5 명 7 명5차년도 5 명 11 명 16 명6차년도 명 명 명7차년도 명 명 명8차년도 명 명 명9차년도 명 명 명

계 9 명 22 명 31 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 02차년도 03차년도 40,000 16,000 56,0004차년도 37,500 37,5005차년도 160,000 160,0006차년도 07차년도 08차년도 09차년도 0

계 237,500 16,000 253,500

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2차년도3차년도 1 0 4 3 3 3 3 24차년도 0 3 4 12 2 2 3 05차년도 1 10 13 0 6 0 16차년도7차년도8차년도9차년도

계 2 13 21 15 5 11 6 3① 외부지원금 지원기관② 상대과학자 성명 및 소속 (국가명)

Page 9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6

◈ 과제내용• 1-3세부과제 (연구책임자 백은주)는 2 단계에 구성되어 3년간 연구수행 후 3단계에 2총괄과제 2 세부과

제로 편성됨. 자세한 연구내용은 2총괄과제 2세부과제에 기록함.

◈ 연구배경 및 목적2총괄과제 2 세부과제 참조

◈ 연구결과 및 방법2총괄과제 2 세부과제 참조

◈ 목표달성도 2총괄과제 2 세부과제 참조

Page 10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7

1.1.2. 제 2 총괄과제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2000-0 구분 총괄과제연구과제명 (국문) 뇌염증반응 조절을 통한 신경질환 치료연구

(영문) Development of therapeutic targets to control neuroinflammation to treat brain diseases총괄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조은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성명 및 소속(영문) Joe, Eunhy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세부과제책임자 1. 조은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2. 백은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연구기간 2003년 9월 ~ 2012년 0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세부과제책임자 연 구 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명 명 명 명2차년도 명 명 명 명3차년도 2명 5명 16명 23명4차년도 2명 5명 16명 23명5차년도 2명 4명 18명 24명6차년도 2명 3명 18명 23명7차년도 2명 4명 17명 23명8차년도 2명 7명 15명 24명9차년도 2명 8명 15명 25명

계 14명 36명 115명 165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2차년도3차년도 187,000 78,000 265,0004차년도 142,500 0 142,5005차년도 160,000 0 160,0006차년도 180,000 0 180,0007차년도 225,000 0 225,0008차년도 190,000 0 190,0009차년도 264,000 0 264,000

계 1,348,500 78,000 1,426,500

①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2차년도3차년도 0 1 8 11 4 12 4 24차년도 1 6 10 12 6 9 2 15차년도 1 3 4 4 6 8 0 16차년도 0 4 6 9 6 10 1 27차년도 0 6 1 8 7 10 0 28차년도 0 5 9 5 4 10 2 39차년도 1 9 19 13 5 8 1 1

계 3 34 57 62 38 67 10 12② 외부지원금 지원기관

Page 10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8

◈ 과제내용• 2총괄과제는 1, 2 단계부터 MRC 연구에 참여한 2-2 세부과제 (백은주, 박상면)와 3단계에 새로 MRC 연

구에 참여한 2-1 세부과제 (조은혜, 김병곤)로 구성됨.

◈ 연구배경 및 목적• 급성뇌손상 모델 제작 및 분석을 통한 뇌염증반응 양상 확인. 뇌염증반응은 급성뇌손상 후 이차손상의 원인

으로 간주되어 오랫동안 염증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음.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염증억제 약물들은 이차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미미하였음. 따라서 손상 받은 뇌에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들과 이들의 행동양상을 동정하고, 각각의 세포들이 이차손상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 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였음.

• 뇌염증반응은 퇴행성뇌질환의 위험인자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퇴행성뇌질환 모델에서 나타나는 염증반응의 양상을 이해하고 이러한 반응이 정상적인 뇌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과 차이를 나타내는 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함.

○ 1단계 : <2-2 세부과제>• 일차배양신경세포와 신경계 손상모델에서 염증반응에서 활성이 증가하는 신호전달 물질과 여러 요소를 선

별하여 퇴행성 만성뇌질환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의 사멸을 제어하고 신경세포 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 탐색.

○ 2단계 : <2-2 세부과제>• 뇌신경세포에서 염증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JAK/STAT system이 신경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일차배

양신경세포와 뇌허혈성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연구.• ROS증가에 의한 염증반응 모델 확립을 통한 JAK/STAT과 ROS와의 상관관계 연구.• 신경세포에서 여러 형태의 자극에 대한 free radical증가를 조절할 수 있는 세포내 항산화제의 변화와

JAK/STAT system의 관여여부 연구.• 신경세포의 염증반응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들의 기능과 이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들(proteases)과

의 연관성 연구.• 퇴행성 뇌질환의 병태생리에서 만성염증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보고됨에 따라 퇴행성 뇌질환

과 염증반응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급속도록 진행되고 있음.• 퇴행성뇌질환의 병인론을 설명하는 중심부에 위치한 aggregation prone proteins들이 이러한 만성염증반응

에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를 확인함.• 파킨슨병의 병인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α-synuclein이 microglia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

명함.

○ 3단계 : <2-1 세부과제>• 급성뇌손상 모델 제작 및 분석을 통한 뇌염증반응 양상 확인. 뇌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들을 확인하고,

이 세포들에서 발현되는 염증매개물질들을 확인하여, 뇌염증반응의 세포독성 작용뿐만 아니라 재생관련 작용을 분석함.

• 척수손상 후 축삭의 재생 및 신경망의 가소성은 손상 후 기능회복의 정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임. 성숙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축삭재생 및 신경망 가소성이 매우 제한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따라서 이 과정의 세포분자적 기전 및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은 중추신경계 손상 후 기능회복을 위한 치료기술 개발로 이루어질 수 있음.

Page 10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19

• 중추신경계 축삭의 재생과정에 대식세포 및 관련된 염증인자들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함. 중추신경계 축삭의 자발적 재생모델인 Conditioning injury (CI) 모델에서 대식세포 및 염증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고, CI 모델의 재생과정에서 염증세포의 역할을 규명함.

<2-2 세부과제>• 뇌 염증반응에는 뇌 염증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뇌세포 손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뇌 염증

세포와 신경세포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인자들을 이용하여 뇌의 손상제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 이를 위해 1단계와 2단계에서 진행한 연구를 통해 알아낸 중요인자들 특히, 퇴행성신경세포의 변형 단백질과 염증반응 과정에서의 ROS, protease, 세포부착분자, lipid mediator들의 조절기전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검증하여, 임상으로 적용 가능한 기초지식을 제공하고자 함.

• 파킨슨병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α-synuclein이 microglia와 혈관내피세포 기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탐구를 탐구하고 α-synuclein의 spreading을 억제할 수 있는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탐구

◈ 연구결과 및 방법 ○ 1단계 : • 일차배양 신경세포에서 염증유발인자를 처리 후 MAPKs, JAK/STAT sytem의 활성이 증가되었고, MAPK

pathway의 활성화는 신경세포내 ROS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 신경세포의 퇴화과정에서 신경세포보호제로 알려진 FBP가 P38 MAPK/ERK를 통한 ROS의 생성을 감소시

켜 신경세포보호작용을 나타냄을 확인.

• 염증성 신경퇴화과정에서 분비되는 arachidonic acid(AA)에 의해 일어나는 신경세포의 사멸과정이 AA대사과정과 ROS의 생성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

• Proteomics기법을 이용하여 염증유발인자에 의한 세포부착분자를 비롯한 단백질들의 변화를 확인함.

⇒ 논문발표: Brain Res. 1026(2):295-301, 2004 J Neurosci Res. 81(1):73-84,2005 ○ 2단계 : •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자극은 JAK2/STAT3의 신호전달과정을 활성화 시키고, 세포내 ROS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 • JAK2 저해제인 AG490은 신경세포배양조건에서 뿐만 아니라 ROS를 유발하는 허혈성 뇌손상동물모델에서

도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 ROS증가에 의한 염증반응 모델에서 JAK2/STAT3 신호전달의 활성화는 신경세포사멸에 기여하고,

JAK2/STAT3 신호전달의 억제는 항산화제들보다 세포내 활성산소 조절에 효과적이고, 세포보호에도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음. 이러한 활성산소 조절은 내재적 항산화제인 GSH 조절을 통해 일어나는 것임을 확인.

• JAK3 저해제인 WHIp154는 신경전구세포의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고, 근아세포의 근육세포으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함.

• CHL1, L1, NCAM, N-cadherin과 같은 각 세포부착분자는 세포마다 특이적으로 발현되었고, cytokines, LPS, NMDA와 같은 손상자극에 따라 그 변화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

•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인 N-cadherin의 발현 감소는 N-cadherin의 분해현상에 의한 것이며 MMP, γ-secretase의 활성화로 생성되는 분해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 α-synuclein은 microglia의 phagocytosis 기능을 조절하는데 그 형태에 따라 다르게 조절함. 즉, monomeric form의 경우, phagocytosis 기능을 항진시키는 반면, aggregated form의 경우, phagocytosis 기

Page 10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0

능을 억제함. • α-synuclein이 microglia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던 중, GM1이 p38 그리고 microtubule 의존적으로

primary microglia의 ramification을 유도함을 밝혀냄.

⇒ 논문발표: Stem Cells. 28(10):1816-1828, 2010Cellular Signaling. 24(3):742-749, 2012Experimental Neurobiology. 16(2):61-70, 2007Glia. 56:1215-1223, 2008Brain Research. 1244:13-23, 2008

○ 3단계 : <2-1 세부과제>• ATP, LPS 등의 주입에 의한 급성 뇌손상모델 및 급성척수손상 모델에서에서 시간에 따른 손상부위의 변화

를 확인한 결과, 뇌손상에 동반되는 염증반응이 이차손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모든 뇌손상이 이차손상을 동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음. 예를 들면 ATP는 이차손상을 유도하지 않는 반면 LPS 모델과 급성척수손상는 이차 손상을 유도하였음. 이러한 이차손상 유무는 염증반응보다는 astrocyte의 행동양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임.

• 배양상태와 실제 뇌척수에서 나타나는 활성화된 microglia/monocyte의 염증매개물질 발현의 차이는 주변세포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Astrocyte는 손상자극이 존재하는 경우 매우 빠르게 강력한 항염증물질을 발현하여 microglia가 독성을 지닌 염증매개물질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음. 또한, astrocyte는 손상된 뇌척수로 monocyte의 유입을 유도함.

•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뇌질환의 경우 뇌염증반응이 정상적인 뇌에서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한 예로써, 파킨슨병 유전자인 LRRK2가 결여된 microglia의 경우 염증반응이 정상적인 microglia에 비해 현저히 저해됨을 확인하여 뇌염증반응이 퇴행성죄질환의 위험인자가 될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

• CI 모델에서 sciatic nerve injury 후 후근신경절에 대식세포가 침윤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대식세포관련 재생인자의 발현을 확인. 또한 이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대식세포에서 발현됨을 MACS를 이용하여 규명함.

• macrophage의 활성을 억제하는 minocycline을 DRG에 투여하여 DRG sensory neuron의 축삭재생이 억제됨을 관찰하여, 대식세포 및 관련된 염증반응이 CI 이후 재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규명하였음.

• CI 모델에서 신경세포 내 재생능을 증가시키는 핵심물질로 알려진 cAMP가 DRG내의 macrophage 침윤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고, cAMP를 처리한 macrophage의 conditioned medium이 DRG 축삭의 재생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cAMP를 통한 축삭재생능의 항진에 macrophage가 기여함을 증명

• 척수손상 후 많은 염증관련 유전자가 손상부위의 원위부인 lumbar motor region의 척수에서 발현함을 증명하였고, lumbar motor region에서 발현하는 대식세포들이 시냅스의 제거에 관여함을 관찰. 또한 항염증인자인 IL-4가 척소손상 후의 공동현상을 억제하는 내인성 가소성 역할을 촉진함을 규명함.

• 척수손상 이후 내인성 글리아전구세포의 증식이 관찰되고, 글리아전구세포의 증식을 VEGF가 증가시키고, Olig 유전자를 이용하여 내인성 글리아전구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는 방법을 규명하였음.

⇒ 논문발표: PLoS ONE. 2010Exp Mol Med. 2010Journal of Neuroinflammation. 2012Journal of Neurochemistry. 2010

Journal of Immunology. 2011PLoS ONE. 2012

Page 10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1

J Neurosci Res. 88:2409, 2010PLoS One. 4:e4987, 2009Glia. 59:1094, 2011

<2-2 세부과제>•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인 N-cadherin은 신경세포의 손상자극으로 분해되는데, 이러한

분해현상은 세포내에 증가하는 calcium증가로 활성화되는 calpain protease에 의한 것이며, N-cadherin과 연결되어 있는 β-catenin과의 연결을 억제하고, 세포사이의 interaction을 방해하여 퇴행성뇌질환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기전임을 확인함.

• Lipid mediator로 알려진 PGs의 일종인 PGD2는 LPS로 인해 증가한 신경교세포의 NO와 iNOS생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iNOS의 생성은 PGD2와 DP2 agonist가 JNK를 조절하여 일어나는 것임을 확인함.

• PGs를 합성하는 효소의 한 종류인 COX-2의 저해제는 전처리시 kainic acid로 유도된 seizure activity를 더욱 악화시키는데, 세포내에서 분비되는 PGF2α는 FP receptor를 경유하여 COX-2 저해제 전처리로 악화된 seizure activity를 낮추는 효과를 확인함. 골관절염 등에서도 COX-2의 억제는 면역세포침투를 저해함.

• 발생초기 배아단계와 신생쥐 대뇌피질에서는 COX-2가 거의 발현되지 않는 반면, 생후 대뇌의 성숙이 이루어지면서 정상크기의 COX-2가 발현되고, 신경세포가 성숙이 이루어진 후에만 COX-2의 발현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NMDA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

• COX-2의 활성화로 인한 PGE2의 생성은 NMDA처리시 신경세포를 제외한 성상세포와 신경교세포에서 증가되고, 혼합신경세포에서는 신경세포의 성숙이후 시기에만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함.

• Redox 불균형에 의한 세포질에 존재하는 GSH의 고갈은 미토콘드리아, 리소좀과 같은 세포소기관의 막을 공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기능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함.

•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손상은 세포내 에너지 생성을 저해하며, 리소좀 막의 투과도 증가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 GSH 조절에 의한 세포 소기관의 기능 유지 가능성을 확인함.

• 2단계 연구결과에서 α-synuclein이 microglia의 phagocytosis를 조절하는 기전 중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α-synuclein의 세포내 uptake 기전을 연구해본 결과, α-synuclein은 microglia내로 GM1 ganglioside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protein receptor를 통하여 세포내로 들어가며, 들어가는 방식은 clathrin이나 caveolae, 그리고 dynamine 비의존적, lipid rafts 의존적인 방식으로 들어감을 밝혀냄.

• Microglia의 염증반응 조절인자로 BAFF가 microglia에 발현되며, ganglioside에 의해 expression이 증가함. 또한 BAFF의 receptor들도 microglia에 발현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하고 있음을 밝혀냄.

• 염증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asthma 모델에서 PPAR-g agonist인 15d-PGJ2의 항염증작용 기전과 병인기인을 확인함.

• α-synuclein이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α-synuclein은 혈관내피세포의 Weibel-Palade Body exocytosis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기전은 RalGDS-β-arrestin complex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임을 밝혀냄으로써 혈관내피세포를 통한 염증반응에도 참여하고 있음을 밝혀냄.

• ROS가 중요한 병인기전 중의 하나로 생각되는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모델에서 Pravastatin이 NIHL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pravastatin의 ROS 억제능력을 통해 이루어짐을 밝혀냄.

• 세포밖 α-synuclein의 염증반응 참여를 억제하기 위한 단백질분해효소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plasmin이 세포밖 α-synuclein을 분해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아냈으며, 이를 통해 α-synuclein에 의한 염증반응 증가현상도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α-synuclein의 세포내 uptake 역시 억제됨을 확인하여, 파킨슨병의 치료전략으로 plasmin system을 조절을 제시함.

⇒ 논문발표: Journal of Neuroscience. 29(18):5974-5984, 2009Brain Research. 1193:153-161, 2008Osteoarthritis and Cartilage. 20(4):314-322. 2012

Page 10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2

Journal of Neurochemistry. 110:400-411, 2009Journal of Leukocyte Biology. 86:349-359, 2009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160:489-497, 2010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5:21416-21425, 2010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44:319-329, 2012Neuroscience. 208:123-132, 2012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7:24862-72, 2012

◈ 세부과제연관성: 3 단계의 2총괄과제는 전체적으로 뇌척수 손상시에 나타나는 뇌염증반응의 양상과 뇌염증반응이 손상된 뇌척수에 나타내는 유해한 작용과 유용한 작용을 선별적으로 판별하며, 이러한 작용이 퇴행성뇌질환 상태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 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 제 1 세부과제에서는 손상모델에서 염증반응의 양상과 염증반응의 세포독성 및 재생작용을 규명하여, 결과적으로 뇌염증반응이 재생작용에 관여할 가능성을 연구하였음

• 제 2 세부과제에서는 뇌손상시에 일어나는 염증반응의 활성화 기전과 염증매개물질들의 작용, 그리고 뇌염증작용과 퇴행성뇌질환인 파킨슨병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음.

◈ 목표달성도 ○ 1단계 : • 염증유발인자를 처리 후 활성이 증가하는 신호전달물질 선별 100% 달성• Proteomics기법을 이용하여 염증유발인자에 의한 변화되는 단백질 선별 100% 달성

○ 2단계 : • 염증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JAK/STAT system, ROS, 세포내 항산화제의 변화와의 연관성 규명 100%

달성• 염증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JAK/STAT system 중에서 JAK2와 JAK3의 기능 규명 100% 달성• 신경세포의 염증반응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양상과 기능과 이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들

(proteases)과의 연관성 규명 100% 달성• α-synuclein이 microglia의 phagocytosis에 미치는 영향 규명 100% 달성

○ 3단계 : • 급성 뇌척수손상모델에서 신경세포 이차손상의 유무 확인 100% 달성• 급성 뇌척수손상모델에서 시간에 따라 나타나는 microglia, astrocyte, monocyte의 행동변화 확인 여부

100% 달성• microglia, astrocyte, monocyte의 상호작용과 관련 지전 연구 100% 달성• 척수손상 후 축삭재생 및 신경망 가소성에 관여하는 염증반응의 역할 규명 100% 달성• 세포부착분자인 N-cadherin 분해현상에 관여하는 protease와 기능 규명 100% 달성• PGD2가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와 작용기전, PGF2-alpha의 anticonvulsant(항경련) 작용기전 규명• 신경계 발생에 따른 COX-2의 발현양상의 차이점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여기에 관여하는

신경교세포의 역할을 규명 100% 달성• 세포내의 redox의 불균형이 세포소기관에 미치는 영향과 세포소기관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규명

100% 달성• α-synuclein이 microglia의 phagocytosis 조절기전에 중요한 uptake 기전 규명 100% 달성• α-synuclein이 혈관내피세포 기능 조절 기전 규명 100% 달성• α-synuclein의 spreading을 억제할 수 있는 단백질분해효소로 plasmin이 될 수 있음을 밝힘 100% 달성

Page 10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3

1.1.2.1. 제 2-1 세부과제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2003-0 구분 세부과제연구과제명 (국문) 신경계 손상 후 재생과정과 염증작용의 상호작용 연구

(영문) Development of tissue-specific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odality 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조은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성명 및 소속(영문) Eun-hye Jo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연 구 원 공동연구원 (교수요원): 김병곤, 아주대학교

연구조원박사후연구원: 김범수, 정혜경, 박사과정: 김종현, 최인섭, 최준영석박사통합과정; 최동주, 김준, 권민정,신혜영, 석사과정: 변지원, 김진하연구원: 조효진

연구기간 2005년 9월 ~ 2012년 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연구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명 명 명2차년도 명 명 명3차년도 3 명 7 명 10 명4차년도 3 명 7 명 10 명5차년도 3 명 8 명 11 명6차년도 3 명 12 명 15 명7차년도 3 명 12 명 15 명8차년도 6 명 8 명 14 명9차년도 6 명 9 명 15 명

계 27 명 63 명 90 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 02차년도 03차년도 99,000 46,000 145,0004차년도 77,500 0 77,5005차년도 80,000 0 80,0006차년도 105,000 0 105,0007차년도 81,000 0 81,0008차년도 84,000 0 84,0009차년도 144,000 0 144,000

계 670,500 46,000 716,500

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2차년도3차년도 0 0 5 3 2 5 2 04차년도 1 1 1 0 2 4 2 05차년도 0 1 0 4 2 5 0 16차년도 0 0 3 1 6 5 0 07차년도 0 4 0 1 7 5 0 08차년도 0 4 2 2 3 4 0 09차년도 0 3 7 6 4 3 0 0

계 1 13 18 17 26 31 4 1① 외부지원금 지원기관② 상대과학자 성명 및 소속 (국가명)

Page 10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4

◈ 과제내용◈ 연구배경 및 목적 ○ 1단계 : 해당사항 없음 (3단계에 새로 구성된 세부과제임)

○ 2단계 : 해당사항 없음 (3단계에 새로 구성된 세부과제임) ○ 3단계 : • 급성뇌손상 모델 제작 및 분석을 통한 뇌염증반응 양상 확인뇌염증반응은 급성뇌손상 후 이차손상의 원인으로 간주되어 오랫동안 염증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

어졌음.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염증억제 약물들은 이차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미미하였음. 따라서 손상 받은 뇌에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들과 이들의 행동양상을 동정하고, 각각의 세포들이 이차손상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 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였음.

• 또한 뇌염증반응은 퇴행성뇌질환의 위험인자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퇴행성뇌질환 모델에서 나타나는 염증반응의 양상을 이해하고 이러한 반응이 정상적인 뇌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과 차이를 나타내는 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함.

• 척수손상 후 축삭의 재생 및 신경망의 가소성은 손상 후 기능회복의 정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임. 성숙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축삭재생 및 신경망 가소성이 매우 제한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따라서 이 과정의 세포분자적 기전 및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은 중추신경계 손상 후 기능회복을 위한 치료기술 개발로 이루어질 수 있음.

• 중추신경계 축삭의 재생과정에 대식세포 및 관련된 염증인자들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함. 중추신경계 축삭의 자발적 재생모델인 Conditioning injury (CI) 모델에서 대식세포 및 염증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고, CI 모델의 재생과정에서 염증세포의 역할을 규명.

• 척수손상 후 기능회복과정에 관여하는 신경망의 가소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염증세포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양상을 조사하고, 기능회복 및 병리현상과의 상관관계를 규명. 또한 내인성 재생과정에 참여하는 희소돌기교세포의 재생에 관여하는 인자의 규명 및 내인성 희소돌기교세포의 신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 고안

◈ 연구결과 및 방법 ○ 1단계 : 해당사항 없음 (3단계에 새로 구성된 세부과제임)

○ 2단계 : 해당사항 없음 (3단계에 새로 구성된 세부과제임)

○ 3단계 : • ATP, LPS 등의 주입에 의한 급성 뇌손상모델에서 시간에 따른 손상부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뇌손상에

동반되는 염증반응이 이차손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모든 뇌손상이 이차손상을 동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음. 예를 들면 ATP는 이차손상을 유도하지 않는 반면 LPS는 이차 손상을 유도하였음. 이러한 이차손상 유무는 astrocyte의 행동양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임: 이차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ATP에 의해서는 손상초기 (3 시간)에 손상 부위 주변으로 gliosis 현상이 일어나고 이러한 gliosis 현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나타나지만, 이차 손상이 일으키는 LPS에 의해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neuron 뿐만 아니라 astrocyte가 함께 죽는 것을 확인하였음. 반면에 Iba-1+ resident microglia는 ATP에 의한 손상의 중심에서 신경세포보다 빨리 또는 함께 죽으며, 손상주변부위의 microglia는 형태적으로 활성화되어

Page 10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5

손상 주변을 고립시키는 역할을 함. 또한 손상이 일어난 부위에 monocyte가 유입됨을 확인하였음. 그러나 monocyte들은 세포독성을 지닌 염증매개물질을 발현하는 대신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 관련된 염증매개인자들을 발현함을 확인하였음.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로 monocyte가 astrocyte를 recruit 하는 작용이 있으며, 실제로 손상된 뇌에서 monocyte 유입 이후에 손상부위에 astrocyte와 혈관, myelin 등이 회복됨을 확인함.

• 급성척수손상 모델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확인하였음. 이차손상이 일어나지만 microglia와 monocyte에서는 세포독성을 지닌 염증매개물질의 발현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급성뇌손상모델에서와 같이 재생관련 염증매개인자들이 발현되었음. 또한 신경세포 이차손상에 앞서 astrocyte의 세포사가 확인되었음.

• 배양상태와 실제 뇌척수에서 나타나는 활성화된 microglia/monocyte의 염증매개물질 발현의 차이는 주변세포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Astrocyte는 손상자극이 존재하는 경우 매우 빠르게 강력한 항염증물질을 발현하여 microglia가 독성을 지닌 염증매개물질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음.

• Astrocyte는 손상된 뇌척수로 monocyte의 유입을 유도하는 MCP-1 등의 chemokine을 발현하며, 이 과정에 UDP와 P2Y6 수용체, 그 downstream 신호전달단백질인 NFAT 등이 작용할 가능성을 확인함.

•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뇌질환의 경우 뇌염증반응이 정상적인 뇌에서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한 예로써, 파킨슨병 유전자인 LRRK2가 결여된 microglia의 경우 염증반응이 정상적인 microglia에 비해 현저히 저해됨을 확인하여 뇌염증반응이 퇴행성죄질환의 위험인자가 될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

• CI 모델에서 sciatic nerve injury 후 후근신경절에 대식세포가 침윤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LIF와 대식세포관련 재생인자인 oncomodulin의 발현을 확인. 또한 이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대식세포에서 발현됨을 MACS를 이용하여 규명.

• macrophage의 활성을 억제하는 minocycline을 DRG에 투여하여 DRG sensory neuron의 축삭재생이 억제됨을 관찰하여, 대식세포 및 관련된 염증반응이 CI 이후 재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규명하였음.

• CI 모델에서 신경세포 내 재생능을 증가시키는 핵심물질로 알려진 cAMP가 DRG내의 macrophage 침윤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고, cAMP를 처리한 macrophage의 conditioned medium이 DRG 축삭의 재생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cAMP를 통한 축삭재생능의 항진에 macrophage가 기여함을 증명

• 척수손상 후 많은 염증관련 유전자가 손상부위의 원위부인 lumbar motor region의 척수에서 발현함을 증명하였고, lumbar motor region에서 발현하는 대식세포들이 시냅스의 제거에 관여함을 관찰. 또한 항염증인자인 IL-4가 척소손상 후의 공동현상을 억제하는 내인성 가소성 역할을 촉진함을 규명함.

• 척수손상 이후 내인성 글리아전구세포의 증식이 관찰되고, 글리아전구세포의 증식을 VEGF가 증가시키고, Olig 유전자를 이용하여 내인성 글리아전구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는 방법을 규명하였음.

⇒ 논문발표: PLoS ONE. 2010 Exp Mol Med. 2010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2012Journal of Neurochemistry. 2010Journal of Immunology. 2011PLoS ONE. 2012J Neurosci Res. 88:2409, 2010PLoS One. 4:e4987, 2009Glia. 59:1094, 2011

◈ 목표달성도

Page 10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6

단계 목표 달성도

○ 1단계 해당사항 없음 (3단계에 구성됨) -○ 2단계 해당사항 없음 (3단계에 구성됨) -

○ 3단계

• 급성 뇌척수손상모델에서 신경세포 이차손상의 유무 확인 100%• 급성 뇌척수손상모델에서 시간에 따라 나타나는 microglia, astrocyte,

monocyte의 행동변화 확인 여부 100%• microglia, astrocyte, monocyte의 상호작용과 관련 지전 연구 100%• 척수손상 후 축삭재생 및 신경망 가소성에 관여하는 염증반응의 역할 규명 100%

Page 11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7

1.1.2.2. 제 2-2 세부과제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2004-0 구분 세부과제연구과제명 (국문) 뇌염증반응의 손상 제어방안 (영문) Relief mechanisms of brain-inflammatory injury

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백은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성명 및 소속(영문) Eun Joo Baik,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연 구 원 공동연구원 (교수요원): 박상면, 아주대학교

연구조원박사후 연구원: 장유나, 김광수 박사과정: 박정섭, 최일화, 김아영, 정지인, Sumit Barua석사과정: 최유리, 임소연, 김진수

연구기간 2005년 9월 ~ 2012년 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연구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명 명 명2차년도 명 명 명3차년도 4 명 9 명 13 명4차년도 4 명 9 명 13 명5차년도 3 명 10 명 13 명6차년도 2 명 6 명 8 명7차년도 3 명 5 명 8 명8차년도 3 명 7 명 10 명9차년도 4 명 6 명 10 명

계 23 명 52 명 75 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2차년도3차년도 88,000 32,000 120,0004차년도 65,000 0 65,0005차년도 80,000 0 80,0006차년도 75,000 0 75,0007차년도 144,000 0 144,0008차년도 106,000 0 106,0009차년도 120,000 0 120,000

계 678,000 32,000 710,000

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2차년도3차년도 0 1 3 8 2 7 2 24차년도 0 5 9 12 4 5 0 15차년도 1 2 4 0 4 3 0 06차년도 0 4 3 8 5 1 27차년도 0 2 1 7 5 0 28차년도 0 1 7 3 1 6 2 39차년도 1 6 12 7 1 5 1 1

계 2 21 39 45 12 36 6 11① 외부지원금 지원기관② 상대과학자 성명 및 소속 (국가명)

Page 11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8

◈ 과제내용◈ 연구배경 및 목적 ○ 1단계 (연구책임자 백은주 교수는 1단계 1총괄과제 세부과제 책임자로 연구함). • 신경세포 손상 시 나타나는 염증반응에서 활성이 증가하는 신호전달 물질과 여러 요소를 선별하여 퇴행성

만성뇌질환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의 사멸을 제어하고 신경세포 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 탐색.

○ 2단계 : • 뇌신경세포에서 염증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JAK/STAT system이 신경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ROS증가

에 의한 염증반응 모델 확립을 통한 JAK/STAT과 ROS와의 상관관계 연구.• 신경세포에서 여러 형태의 자극에 대한 free radical증가를 조절할 수 있는 세포내 항산화제의 변화와

JAK/STAT system의 관여여부 연구.• 신경세포의 염증반응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들의 기능과 이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들(proteases)과

의 연관성 연구.• 퇴행성 뇌질환의 병태생리에서 만성염증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보고됨에 따라 퇴행성 뇌질환

과 염증반응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급속도록 진행됨. 퇴행성뇌질환의 병인론을 설명하는 중심부에 위치한 aggregation prone proteins들이 이러한 만성염증반응에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함.

• 파킨슨병의 병인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α-synuclein이 microglia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고자 함.

○ 3단계 :• 뇌염증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은 뇌세포 손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뇌염증세포와 신경세포 상호작용

에 관여하는 중요인자들을 이용하여 뇌의 손상제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이를 위해 본 연구자들은 1단계와 2단계에서 진행한 연구를 통해 알아낸 중요인자들 특히, 퇴행성신경세포

의 변형단백질과 염증반응에서의 ROS, protease, 세포부착분자, lipid mediator들의 조절기전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검증하여, 임상으로 적용 가능한 기초지식 제공하고자 함.

• 신경계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인 N-cadherin의 분해현상의 구체적인 작용기전과 기능을 연구하여 퇴행성뇌질환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사멸을 저해할 수 있는 새로운 제어방안으로서의 가능성 검토.

• 염증조절인자로 알려진 lipid mediator중의 하나인 prostaglandins(PGs)가 염증유도반응에 미치는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고, 신경계 발생에 따른 COXs의 발현양상의 차이점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여기에 관여하는 신경교세포의 역할을 규명하여 중추신경계의 염증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폭넓은 지식 제공.

• 세포소기관의 기능손상을 유도하여 세포사멸을 초래하는 세포내의 redox의 불균형을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신경세포 사멸억제 가능성 탐구.

• α-synuclein이 microglia의 phagocytosis 조절기전과 혈관내피세포 기능조절 작용 탐구• 파킨슨병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α-synuclein의 spreading을 억제할 수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탐구

◈ 연구결과 및 방법 ○ 1단계 : • 일차배양 신경세포에서 염증유발인자를 처리 후 MAPKs, JAK/STAT sytem의 활성이 증가되었고, MAPK

pathway의 활성화는 신경세포내 ROS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 신경세포의 퇴화과정에서 신경세포보호제로 알려진 FBP가 P38 MAPK/ERK를 통한 ROS의 생성을 감소시

켜 신경세포보호작용을 나타냄을 확인. • 염증성 신경퇴화과정에서 분비되는 arachidonic acid(AA)에 의해 일어나는 신경세포의 사멸과정이 AA대사

Page 11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29

과정과 ROS의 생성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 Proteomics기법을 이용하여 염증유발인자에 의한 세포부착분자를 비롯한 단백질들의 변화를 확인함.

⇒ 논문발표: Brain Research. 1026(2):295-301, 2004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81(1):73-84, 2005

○ 2단계 : •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자극은 JAK2/STAT3의 신호전달과정을 활성화 시키고, 세포내 ROS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 • JAK2 저해제인 AG490은 신경세포배양조건에서 뿐만 아니라 ROS를 유발하는 허혈성 뇌손상동물모델에서

도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 ROS증가에 의한 염증반응모델에서 JAK2/STAT3의 활성화는 신경세포사멸에 기여하고, JAK2/STAT3 신호

전달의 억제는 항산화제들보다 세포내 활성산소 조절에 효과적이고, 세포보호에도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음. 이러한 활성산소 조절은 내재적 항산화제인 GSH 조절을 통해 일어나는 것임을 확인.

• JAK3 저해제인 WHIp154는 신경전구세포의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고, 근아세포의 근육세포으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함.

• CHL1, L1, NCAM, N-cadherin과 같은 각 세포부착분자는 세포마다 특이적으로 발현되었고, cytokines, LPS, NMDA와 같은 손상자극에 따라 그 변화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

•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인 N-cadherin의 발현 감소는 N-cadherin의 분해현상에 의한 것이며 MMP, γ-secretase의 활성화로 생성되는 분해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 α-synuclein 형태에 따른 microglia의 phagocytosis 기능 조절양상 확인: monomeric form은 phagocytosis 기능 항진, 반면에, aggregated form은 phagocytosis 기능 억제.

• GM1이 p38과 microtubule 의존적으로 primary microglia의 ramification을 유도함을 밝혀냄.

⇒ 논문발표: Stem Cells. 28(10):1816-1828, 2010Cellular Signaling. 24(3):742-749, 2012Experimental Neurobiology. 16(2):61-70, 2007Glia. 56:1215-1223, 2008Brain Research. 1244:13-23, 2008

○ 3단계 :•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인 N-cadherin은 신경세포의 손상자극으로 분해되는데, 이러한 분해

현상은 세포내에 증가하는 calcium증가로 활성화되는 calpain protease에 의한 것이며, N-cadherin과 연결되어 있는 β-catenin과의 연결을 억제하고, 세포사이의 interaction을 방해하여 퇴행성뇌질환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기전임을 확인함.

• Lipid mediator로 알려진 PGs의 일종인 PGD2는 LPS로 인해 증가한 신경교세포의 NO와 iNOS생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iNOS의 생성은 PGD2와 DP2 agonist가 JNK를 조절하여 일어나는 것임을 확인함.

• PGs를 합성하는 효소의 한 종류인 COX-2의 저해제는 전처리시 kainic acid로 유도된 seizure activity를 더욱 악화시키는데, 세포내에서 분비되는 PGF2α는 FP receptor를 경유하여 COX-2 저해제 전처리로 악화된 seizure activity를 낮추는 효과를 확인함.

• 골관절염에 의해 증가한 COX-2는 IL-1β, CCR5와 함께 저강도 초음파 치료에 의해 억제되어 활막으로의 면역세포침투를 저해함으로써 통해 관절 염증을 완화시킴.

• 발생초기 배아단계와 신생쥐 대뇌피질에서는 COX-2가 거의 발현되지 않는 반면, 생후 대뇌의 성숙이 이루어지면서 정상크기의 COX-2가 발현되고, 신경세포가 성숙이 이루어진 후에만 COX-2의 발현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NMDA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

Page 113: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0

• COX-2의 활성화로 인한 PGE2의 생성은 NMDA처리시 신경세포를 제외한 성상세포와 신경교세포에서 증가되고, 혼합신경세포에서는 신경세포의 성숙이후 시기에만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함.

• Redox 불균형에 의한 세포질에 존재하는 GSH의 고갈은 미토콘드리아, 리소좀과 같은 세포소기관의 막을 공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기능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함.

•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손상은 세포내 에너지 생성을 저해하며, 리소좀 막의 투과도 증가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 GSH 조절에 의한 세포 소기관의 기능 유지 가능성을 확인함.

• 2단계 연구결과에서 α-synuclein이 microglia의 phagocytosis를 조절하는 기전 중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α-synuclein의 세포내 uptake 기전을 연구한 결과, α-synuclein은 GM1 ganglioside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protein receptor를 통하여, microglia 세포내로 들어가며, clathrin이나 caveolae, dynamine 비의존적, lipid rafts 의존적인 방식으로 들어감을 밝혀냄.

• Microglia의 염증반응 조절인자로 BAFF가 microglia에 발현되며, ganglioside에 의해 expression이 증가함. 또한 BAFF의 receptor들도 microglia에 발현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하고 있음을 밝혀냄.

• 염증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TDI-induced asthma 모델에서 TDI가 HO-1/Ferritin 발현을 억제하며, 이는 MAPK-Nrf2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일어남을 밝혀냄. 또한 이 모델에서 PPAR-g agonist인 15d-PGJ2에 의해 TDI에 의한 영향이 줄어듬을 보임으로써 asthma에서의 15d-PGJ2의 항염증작용 기전을 밝혀냄.

• α-synuclein이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α-synuclein은 혈관내피세포의 Weibel-Palade Body exocytosis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기전은 RalGDS-β-arrestin complex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임을 밝혀냄으로써 혈관내피세포를 통한 염증반응에도 참여하고 있음을 밝혀냄.

• TDI-induced asthma 모델에서 Vitamine D binding protein(VDBP)의 uptake가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megalin 발현의 감소에 의한 것임을 알아냄. 또한 VEGF의 발현증가를 야기함을 관찰함으로써 VDBP가 TDI-induced asthma의 병인기전에 관여함을 밝혀냄.

• ROS가 중요한 병인기전 중의 하나로 생각되는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모델에서 Pravastatin이 NIHL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pravastatin의 ROS 억제능력을 통해 이루어짐을 밝혀냄.

• 세포밖 α-synuclein의 염증반응 참여를 억제하기 위한 단백질분해효소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plasmin이 세포밖 α-synuclein을 분해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아냈으며, 이를 통해 α-synuclein에 의한 염증반응 증가현상도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α-synuclein의 세포내 uptake 역시 억제됨을 확인하여, 파킨슨병의 치료전략으로 plasmin system을 조절을 제시함.

⇒ 논문발표: Journal of Neuroscience. 29(18):5974-5984, 2009Brain Research. 1193:153-161, 2008Journal of Neurochemistry. 110:400-411, 2009Journal of Leukocyte Biology. 86:349-359, 2009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160:489-497, 2010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5:21416-21425, 2010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44:319-329, 2012Neuroscience. 208:123-132, 2012Osteoarthritis and Cartilage. 20(4):314-322. 2012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7:24862-72, 2012

◈ 목표달성도

Page 114: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1

단계 목표 달성도

○ 1단계 • 염증유발인자를 처리 후 활성이 증가하는 신호전달물질 선별 100%• Proteomics기법을 이용하여 염증유발인자에 의한 변화되는 단백질 선별 100%

○ 2단계

• 염증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JAK/STAT system, ROS, 세포내 항산화제의 변화와의 연관성 규명 100%

• 염증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JAK2와 JAK3의 기능 규명 100%• 신경세포의 염증반응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양상과 기능과 이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들(proteases)과의 연관성 규명 100%• α-synuclein이 microglia의 phagocytosis에 미치는 영향 규명 100%

○ 3단계

• 세포부착분자인 N-cadherin 분해현상에 관여하는 protease와 기능 규명 100%• PGD2가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와 작용기전, PGF2-alpha의 anticonvulsant

(항경련) 작용기전 규명 100%• 신경계 발생에 따른 COX-2의 발현양상의 차이점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여기에 관여하는 신경교세포의 역할을 규명 100%• 세포내의 redox의 불균형이 세포소기관에 미치는 영향과 세포소기관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규명 100%• α-synuclein이 microglia의 phagocytosis 조절에 중요한 uptake 기전 규명 100%• α-synuclein이 혈관내피세포 기능 조절 기전 규명 100%• α-synuclein의 spreading을 억제할 수 있는 단백질분해효소로 plasmin의

가능성 규명 100%

Page 115: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2

1.1.3. 제 1 단독과제연구과제번호 R13-2003-019-03001-0 구분 단독과제연구과제명 (국문)간 만성염증질환의 제어 및 치료기술개발

(영문) Control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n the liver 과제책임자 성명 및 소속(국문); 이재호, 아주대학교

성명 및 소속(영문); Jae-Ho Lee, Ajou University

연 구 원 공동연구원 (교수요원): 최용준, 박선

연구조원박사후연구원: 윤사라, 이미진박사과정: 석사과정연구원: 강정희, 곽인혜, 우상욱

연구기간 2003년 9월 ~ 2012년 08월 (9년)

연도별 연구인력

구분 연구원 연구조원 계1차년도 명 명 명2차년도 명 명 명3차년도 명 명 명4차년도 명 명 명5차년도 명 명 명6차년도 9 명 4 명 13 명7차년도 6 명 4 명 10 명8차년도 4 명 3 명 7 명9차년도 4 명 1 명 5 명

계 23 명 12 명 35 명

연도별 연구비(단위 : 천원)

구분 정부출연금 자체부담금 외부지원금 기 타 계1차년도 02차년도 03차년도 04차년도 05차년도 06차년도 170,000 0 170,0007차년도 112,000 0 112,0008차년도 124,000 0 124,0009차년도 145,200 0 145,200

계 551,200 0 551,200

실 적

구분논문 학술발표 특허 인력활용, 배출

국내 국외 국내 국제 출원 등록 활용 배출국내 국외 국내 국외 석사 박사 석사 박사

1차년도2차년도3차년도4차년도5차년도6차년도 0 2 2 7 0 4 0 07차년도 1 1 0 0 1 4 0 08차년도 2 2 0 0 0 1 2 19차년도 0 3 0 2 0 0 0 0

계 3 8 2 9 1 9 2 1① 외부지원금 지원기관② 상대과학자 성명 및 소속 (국가명)

Page 116: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3

◈ 과제내용* 1단계 2총괄과제는 3단계에 단독과제로 구성됨.

◈ 연구배경 및 목적 ○ 1단계 : • 만성 간염 - 인류를 위협하는 질병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전 세계 인구 중 20억 이상이 감염되어 있거나 적어도 감염된 적이 있으며,

약 3억 5천만 명 정도가 장기적으로 감염되어 있음. • HGF와 Mesenchymal stem cell(MSC)을 이용한 간 섬유화 억제 연구 수행•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만성 간염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증식의 억제가 필수적임. B형 간

염 바이러스 증식에 새로이 동정된 IFN-λ가 억제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음. ○ 2단계 : • 간 경화에서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현상이 간세포 기능 소실과 간섬유화 진행에 영향을 미침

을 확인• 최근 endocytosis와 신호전달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는 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IFN-λ의 endocytosis 경로와 IFN-λ의 기능간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음. • 종양세포의 영양결핍 스트레스에서 STAT3의 활성 기전의 규명• 종양세포의 영양결핍에 의한 autophagy과정중 IL의 분비 증가 규명• STAT3에 의한 IL6 유도 기전 규명 ○ 3단계 : • 만성염증과 암발생 만성염증과 암의 관계는 처음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와 colon cancer의 연관성이 알려진 이래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어 왔음. 만성염증시 염증세포와 대식세포가 조직에 모여들어 TNF-alpha 등의 cytokine을 분비하게 됨. TNF-alpha에 의해 자극 받은 세포들은 ROS의 발생이 증가하게 되는데 ROS는 DNA 손상을 유발하여 mutagen으로 작용하여 암발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됨.

• Genomic instability와 암 발생 Genomic instability, 특히 chromosomal instability와 암 발생간의 상관관계는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음. 특

히 aneuploidy가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tetraploidy가 aneuploidy의 전단계가 될 수 있음이 알려 지면서 cell fusion, cytokinesis defect에 의한 tetraploidy formation에 대한 연구가 크게 각광받고 있음.

• ROS와 Genomic instability ROS가 cytokinesis defect을 일으켜 tetraploidy formation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2편 정도 있음. 본 연구

자들의 예비연구 결과 H2O2 처리 시 HeLa 세포주에서 명확하게 cytokinesis arrest가 초래됨을 확인함. 위 내용을 종합하면 만성염증에 이은 ROS 증가가 cytokinesis defect를 유발하고, 그 결과 tetraploidy가 발생, 결국 aneuploidy를 초래함으로써 암 발생 혹은 암의 진행에 기여할 가능성이 큼.

- 전 단계에서 IFN-λ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나 세포주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만성 B형 간염과 IFN-λ에 대한 수용체 genotype의 관련성에 주목하게 됨. IFN-λ에 대한 수용체 IL-10RB genotype과 만성 감염의 관련성 및 IFN-λ 작용효과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음.

- B 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감염에서 소모성 (exhausted) T 세포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음. 소모성 T 세포의 주요 표지자 TIM-3 분자가 T 세포 기능 억제 기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T 세포에서 TIM-3 발현에 의한 IL-2 생산 억제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음.

- 종양세포의 영양결핍과 rapamycin 처리에 의한 autophagy에서 NADPH oxidase의 활성 규명

Page 117: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4

- 종양세포의 영양결핍에 의해 유도된 분비물질에 의한 종양의 증식과 생존의 증가 규명- 종양세포의 영양결핍에 의한 IL6 유도에서 NF-kB의 활성이 필요함 증명- 종양세포의 영양결핍 과정중 발생한 ER stress에 의해 NF-kB의 활성화 규명- NF-kB의 활성화에서 STAT3의 역할 규명- 종양세포의 스트레스 반응중 분비되는 물질에 의한 종양의 생존 증가 확인- 만성염증에 동반되는 세포암화의 기전을 확인함

◈ 연구결과 및 방법 ○ 1단계 : • IFN-λ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나 세포주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보임.• IFN-λ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고 이의 유용성을 분석하여 발표함.• 간세포성장인자가 autocrine manner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 HGF와 Mesenchymal stem cell(MSC)을 이용한 간 섬유화 억제 연구- In vivo 실험에 의해 간경화에 있어 HGF가 치료적인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함. HGF를 간경화 조직에 공

급하는 방법으로 MSC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 간경화가 유발된 간에서는 다수의 hMSC가 portal vein 주변을 중심으로 infiltration 해있음을 확인함

⇒ 논문발표: Virus Research 126 : 245, 2007Immune Netw 8: 7, 2008Exp Mol Med 37:213, 2005

○ 2단계 : • IFN-λ의 endocytosis 경로는 콜레스테롤 의존적이며, dynamin과 Rho family GTPase에 비의존적임을 밝히

고, IFN-λ의 endocytosis를 억제할 경우 IFN-λ에 의한 유전자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힘.• 종양세포의 영양결핍에 의한 autophagy에서 STAT3 전사인자가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STAT3에 의해 IL6

가 유도 분비됨을 증명함.• 간 경화에서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현상 : 간세포 기능 소실흰 쥐 간세포의 1차 배양계 및 DMN-유도 간경화 모델, 그리고 무엇보다도 환자의 간경화조직에서 간경화의

진행 시 주변 간세포의 EMT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음.• 간세포성장인자 수용체의 alternative splicing form이 암화를 유발함을 확인.• 간세포성장인자가 세포주기 진행 중 G2 delay를 유발함을 확인하고 그 신호전달을 확인함⇒ 논문발표: BBRC 356:300, 2007

Cell Signal 20:1349, 2008Exp Mol Med 38:565, 2006Cytokine 51: 93, 2010

○ 3단계 : • IFN-λ에 대한 수용체 IL-10RB K47E genotype과 만성 B 형 간염간의 상관성이 한국인에서 관찰되었으나

간암과의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IL-10RB의 전사수준과 관련성을 보였으나 IFN-λ에 의한 세포사 억제 작용효과와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음을 밝힘

• B형 간염 바이러스의 HBx 단백질이 간세포에서 발현되면 CD8 T 세포의 세포사를 유도하고 IFN-gamm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함

• TIM-3 분자가 T 세포에서 NFAT의 탈인산화를 억제하고 AP-1의 전사를 억제함으로써 IL-2 생산을 억제하는 것과 이에 TIM-3 분자의 cytoplasmic tail이 역할함을 밝힘.

• TIM-3 발현에 의한 T 세포 기능 변화 연구 결과 TIM-3 발현이 증가하면 CCL-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밝힘.

Page 118: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5

단계 목표 달성도

○ 1단계 • IFN-λ의 B형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과 분석 100%• In vivo 실험에 의해 간경화에 있어 HGF가 치료적인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 100%

○ 2단계

• IFN-λ의 endocytosis 경로 분석 및 endocytosis가 IFN-λ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100%

• 종양세포의 영양결핍 스트레스에서 STAT3의 활성 기전의 규명 100%• 종양세포의 영양결핍에 의한 autophagy과정중 IL의 분비 증가 규명 100%• STAT3에 의한 IL6 유도 기전 규명 100%• 간 경화에서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현상 확인 100%

○ 3단계

• IFN-λ에 대한 수용체 IL-10RB K47E genotype의 임상적 의의 분석과 TIM-3 분자의 기능 및 작용기전 분석 100%

• 종양세포의 스트레스 반응중 분비되는 물질에 의한 종양의 생존 증가 확인 100%• 종양세포의 영양결핍과 rapamycin 처리에 의한 autophagy에서 NADPH oxidase의 활성 규명 100%• 종양세포의 영양결핍에 의해 유도된 분비물질에 의한 종양의 증식과 생존의 증가 규명 100%• 종양세포의 영양결핍에 의한 IL6 유도에서 NF-kB의 활성이 필요함 증명 100%• 종양세포의 영양결핍 과정중 발생한 ER stress에 의해 NF-kB의 활성화 규명 100%• NF-kB의 활성화에서 STAT3의 역할 규명 100%• in vivo model을 통한 TGase2 저해물질 이용 가능성 확인 100%• MSC와 HGF/MSC의 biodistribution 및 toxicity 확인 100%• ROS에 의한 DNA bridge formation과 binucleated cell형성확인 및 기전확인 100%

• 암세포의 Autophagy 에 있어 JAK2/STAT3 의 활성화가 일어나며, 이는 Nox에 의한 ROS 생성과 관련됨을 밝힘. 나아가 활성화된 STAT3 가 IL6 promoter 에 결합하여 그 생성을 촉진함을 밝힘.

• 영양분 결핍 상태의 cancer cells에서 NF-kB 와 STAT3 가 IL6 등의 survival factor를 발현하게 함.• 간세포성장인자가 IL6 발현을 통해 STAT3의 지속적 활성화를 유발함.• 간세포성장인자와 TGF-beta에 의한 세포이동성 증가• 간세포성장인자 수용체 변이형에서 centrosome amplification과 유전체불안정성의 발생 확인• EGCG가 간세포성장인자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 논문발표: Hepatol Int DOI 10.1007/s12072-012-9361-8, 2012

Immune Netw. 10 : 126, 2010Immunobiology 217 : 986, 2012Immune Netw. 11 : 203, 2011Autophagy 6(8): 1125, 2010 Oncogene 31:3467, 2012Cell Signal 21:419, 2009Exp Mol Med 42:270, 2010Carcinogenesis 31:1531, 2010Exp Mol Med, 2011

◈ 목표달성도

Page 119: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6

◯ 아주의대 김은영 교수

◯ PERIOD 단백질의 O-GlcNAcylation이 생체리듬의 속도를 조

절하는 현상을 세계 최초로 규명

- O-GlcNAcylation 이라는 단백질의 전사후변형이 미치는 역

할 규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

※ 「Genes and Development」 誌 게재(' 12. 3월)

◯ 아주의대 최용준 교수

◯ 종양의 스트레스 반응으로 염증성 전사인자의 활성을 초래하

여 염증반응을 촉진함

- 종양의 생존에 있어 염증반응의 중요성을 검증

※ 「Oncogene」 誌 게재(' 12. 7월)

◯ 아주의대 주일로 교수

-만성염증질환센터/센터장

◯ 뇌신경성상세포의 STAT6가 산화적스트레스를 신속히 매개

함을 최초로 규명

- 뇌신경성상세포가 산화적스트레스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기

작으로서의 STAT6 활성화를 통한 염증조절 가능성을 제시

※ 「Journal of Immunology」 誌 게재(' 12. 5월)

2. 대표적 연구성과 ('03.9.1 ~ '12.8.31)

Page 120: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7

◯ 아주의대 윤계순 교수

◯ Kras 암유전자가 포도당결핍시 mitophagy를 촉진시켜 세포내

에너지를 공급하는 필수기작을 매개함을 세계최초로 규명

- 암대사과정에서 mitophagy의 역할규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

※ 「Autophagy」 誌 게재(' 11. 10월)

◯ 아주의대 최용준 교수

◯ 종양의 영양결핍 과정중 STAT3 종양유전자가 활성화되

IL6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

- 새로운 STAT3 활성 기전을 제시함

※ 「Autophagy」 誌 게재(' 10. 11월)

◯ 아주의대 백은주 교수

◯ 신경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과정 조절에 Jak2와 Jak3 신호전달체계가 서로 다른 작용을 하며, 특히 Jak3의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최초로 규명.

- 뇌발생과정에서 신경재생을 통한 신경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기여

※ 「Stem Cells」 誌 게재(' 10. 10월)

Page 121: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8

◯ 아주의대 윤계순 교수

◯ GSK3를 통한 glycogenesis과정이 세포노화를 조절하는 현상

을 세계 최초로 규명

- 세포노화에서 Glycogenesis 역할 규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

※ 「Aging Cell」 誌 게재(' 08. 12월)

◯ 아주의대 주일로 교수

-만성염증질환센터/센터장

◯ 뇌신경교세포에서 핵수용체인 LXR의 항염증 작용을 최초로

규명

- LXR의 SUMOylation 이라는 번역 후 단백질 변형이 미치는

항염증 작용 기전 규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

※ 「Molecular Cell」 誌 게재(' 09. 9월)

◯ 아주의대 백은주 교수

◯ 허혈성 또는 흥분성 세포특성에 의한 신경퇴행성 뇌질환에서

의 calpain에 의한 N-cadherin cleavage의 기능과 기전 규명

- 신경퇴행성 뇌질환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사멸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세포부착분자

조절을 통한 치료법 개발에 기여

※ 「Journal of Neuroscience」 誌 게재(' 09. 5월)

Page 122: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MRC) 최종보고서img.kisti.re.kr/tr_img/2013021/rttrko000000173937.pdf · • 성상교세포 활성화 따른 세포이동 및 신호전달에서

39

◯ 아주의대 조은혜 교수

◯ Astrocyte에 의한 microglia 활성화 조절작용과 관련 기전 규

- Astrocyte에서 분비되는 물질에 의해 microglia의 항산화효소

가 발현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는 것이 억제됨

※ 「Journal of Neuroscience」 誌 게재(' 06.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