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현아 * · 엄세진 ** · 강현영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명을 대 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 관적 안녕감의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에 대한 긍정 정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 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에 대한 부정 정도가 높을수록 행복감 중 내적요인 이 낮아지고 주관적 안녕감 중 부정적 정서 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전체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 인지적 삶의 만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부정적 정서 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주제어 죽음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부산디지털대학교 아동보육교육학부 아동보육학전공 조교수 교신저자 영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생태유아교육연구

2015. 제14권 제4호 , 279 - 30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현아* · 엄세진** · 강현영***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9명을 대

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

관적 안녕감의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에 대한 긍정 정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에 대한 부정

정도가 높을수록 행복감 중 ‘내적요인’이 낮아지고 주관적 안녕감 중 ‘부정적 정서’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전체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

서’, ‘인지적 삶의 만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부정적 정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주제어 죽음(death)

행복감(happiness)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 논문접수 : 2015. 10. 31 / 수정본 접수 : 2015. 12. 05 / 게재승인 : 2015. 12. 15*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부산디지털대학교 아동보육교육학부 아동보육학전공 조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영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Page 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의 삶과 생활 속에서 출생과 사망은 동전의 양면처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죽

음은 자연적으로 정상적인 삶의 과정이다(홍혜숙, 2008). 특히 인간이 죽음에 대해 인식을 한

다는 것은 실은 생명의 유한성을 깨닫고,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라는 삶의 목적에 대해 생각

해 볼 기회와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김명숙, 2010; 신임선, 2012).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세

적 삶을 중시하는 전통사상의 영향으로, 죽음에 대한 논의나 언급 자체를 불길하게 생각하고

회피하려거나 금기시하는 분위기가 짙다(김명숙, 2010). 죽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들

을 살펴보면 노인의 죽음교육을 통한 불안감 극복, 죽음 및 죽음의 의미성 있는 접근에 대한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 박애선, 2007),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환자를 돌보는 태도나

간호수행, 그리고 간호사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윤지향, 하

주영, 2013),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생활만족, 긍정적,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신임선, 2012), 환자와 그 가족들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 연구(홍혜숙, 2008) 등이 주로 진행된 바 있다. 죽음 연구의 대표적인 학자인

Kubler-Rose는 삶과 죽음의 의미에 관심을 두고, 호스피스 운동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였는

데,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고(김영철, 이진혁, 김진수, 2015, 재

인용; Kubler-Rose, 2009), 죽음은 죽음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더불어 죽음에 직면하였을 때 죽음을 의식하는 것은 늦기 때문에, 죽음

에 대한 인식은 전 생애를 통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구인

회, 2004; 김시원, 2010). 그 결과 죽음교육은 삶의 교육(Dead Education=Life Education)과

같은 의미로 간주되며(유제석, 2007: Deeken, 2002), 죽음교육의 목적은 죽음에 집중하는 데

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산다는 것을 가르치고 삶에 대한 감수성을 장려하는데 있다(서현, 김영

보, 박미자, 2013 재인용; Crase, 1982). 또한, 임재택(2002, 2008)은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이념

및 방향에 있어 생명 중심 유아교육과 생명원리에 따른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며, 특

히 유아들에게 생명가치 존중 사상을 적용하고 실천하는 데에는 이런 생명의 본성을 이해하

고 있는 유아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삶의 첫 시작을 담당하는 유아교육에 있어 생명과 죽음에 대한 연구들은 대다수가 유아의

죽음개념 발달과 관련된 연구들(김양남, 1993; 서현아, 1998; 정경숙, 1998; 정은미, 1999)과 유

Page 3: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81

아의 발달에 적합한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들(서현, 김영보, 2012; Crase & Crase,

1984), 유아들이 죽음을 잘 이해하는데 있어 담당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오선영,

강병재, 2002; 조부경, 김정화, 2000; Grollman, 1990), 유아죽음교육의 방향성 연구(이윤주, 조

계화, 이현지, 2006), 유아죽음교육에 있어 교사의 인식(양진희, 2006; 서현, 김영보, 박미자,

2013) 등이 있다. 양진희(2006)의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죽음개념 교육에 대한 교

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유아교사들의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지, 그리

고 유아의 죽음개념교육을 실천하면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질적 연구방

법으로 수행하여 조사하였다.

이처럼 유아교육에서는 대부분의 죽음에 대한 선행연구가 유아의 죽음에 대한 개념이해를

위한 유아죽음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어 왔다. 유아를 대상으

로 죽음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죽음교육이란 죽어가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이라

기보다는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교육이라는 것을 유아교사들에게 먼저 인식시키는 것이 중

요함에도 불구하고(장연집, 1998), 유아교사 또는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죽음에 대한 인식 연

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죽음에 대한 인식은 죽음에 대한 긍정 정도, 죽음에 대한

부정 정도, 죽음에 대한 불안, 죽음에 대한 관심 정도, 생명존중의지와 같은 하위요인으로 구

성된다(차영례, 2005; 홍혜경, 2008). 죽음에 대한 인식은 죽음을 수동적인 태도로 대하는 것

이 아니라, 죽음을 내포한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측면에 대해 부각시킨다(차영례,

2005). 개인이 살아가면서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삶

의 방식이 달라진다(차영례, 2005). 따라서 죽음에 대한 인식을 예비유아교사교육에 함께 연

구함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부여와 또 미래유아교사로서의 삶의 방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육, 특히 유아교사양성에 있어 연구의 중요성을 지닌다고 하겠다.

한편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보다 장애, 불안, 스트레스 같은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많이

두었던 심리학분야의 제한성을 뛰어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인 긍정심리학이 주목받고 있다

(Seligman, 2004). 긍정심리학은 개인의 행복이나 안녕과 같은,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

적으로 연구 및 지원하는 학문분야이다(권석만, 2008; Seligman,2004). 먼저 행복이란 생활에

서 마음의 만족감과 평화로움을 느끼는 상태로, 행복한 사람은 긍정적인 정서적, 심리적 기능

을 경험하며 일상생활에서 충만함을 느낀다(김민정, 김정원, 2010; 박숙경, 2003).

Lyubomirsky(2008)에 따르면 행복은 행복을 느끼는 당사자뿐만이 아니라 그가 속해있는 집

단 (예-가족, 직장, 국가 등)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또한 행복한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사

람들에 비해 친사회적이고 이타적이며 높은 역할수행능력을 나타내며(Argyle, 2001, 2005),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신체 및 심리적 건강, 일과 학습 성취와 만족, 몰입, 스트레스 대응 등

Page 4: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에 있어 개인과 사회생활에서 질적으로 높은 삶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iener &

Seligman, 2002; Fredrickson, 2002; Hoggard, 2006).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에게 위의 행복한 사람들의 특성을 적용한다면, 행복한 유아교

사/예비유아교사는 삶을 긍정적으로 보고 만족하며, 직무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하며, 스트레

스에 잘 대처하고 열정을 가지고 유아를 대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배성희, 2009; 최윤정,

이경민, 2012). 영유아들이 교육기관에서 많은 상호작용을 하고 신체적, 심리적인 성장을 포

함한 전인적인 성장을 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Spodek, Saracho, & Davis, 1987), 영유아들에

게 있어 교사들의 영향력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유아들과 많은 상호작용을 해야 하

는 유아교사로서, 교사가 행복감이 없는 상태에서 유아를 돌보는 일이란 매우 힘들고 어려운

일이므로 교사자신이 스스로 행복감을 가지는 것이 유아교사의 역할을 잘 감당하고 수행하

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이미란, 2010; 모연례, 2014). 예비유아교사는 장차 유아

교사의 역할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수행할 존재이므로,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정서, 즉 행

복감에 대한 고찰은 단순히 예비유아교사 개인의 행복일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유아들과

의 상호작용과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향상에 큰 영향을 준다고 설명할 수 있다.

산업화의 발달과 핵가족화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영유아들의 교육기관 이용률

의 증가와 영유아들의 연령 또한 점점 낮아지는 추세에 있다(육아정책연구소, 2011). 영유아

들은 하루 중 장시간을 가정에서 벗어나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교사와 밀접하게 상호작용을

한다. 영유아기는 신체적, 심리적인 성장을 포함한 전인적인 성장을 일어나는 시기이며

(Spodek, Saracho, & Davis, 1987), 교육기관에서 자녀 돌봄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유아교사

가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진 만큼(곽희경, 2011), 영유아에게 있어 교사는 밀접한 관계성을 지

니며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인이다. 유아교사 및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지

금까지 이루어진 행복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사의 행복감과 긍정적 정서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의 질(곽희경, 2011; 김시연, 2014; 장연화 2014)과 전반적 교육의 수준에 영향을 미

치며(방정주, 2008;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아교사 행복감은 교사헌신(배성희, 2009;

이미란, 2010)과 직무만족을 높여 궁극적으로 유아에게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배성희, 2009; 이경민, 최윤정, 2009).

주관적 안녕감은 일반적으로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포함한다(Diener & Emmons,

1984). 인지적 측면이란 삶의 만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신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이며,

정서적 측면은 일상생활의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정서를 포함한 안녕감을

의미한다(Campell, 1981; Diener & Emmons, 1984).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은 완전히 독

립적이지는 않지만, 이 두 가지 요인을 독립적으로 측정했을 때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상호

Page 5: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83

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외적 조건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

을 미칠 수는 있지만, 똑같은 환경임에도 사람들이 다르게 반응하고, 또 자신들의 기대와 이

전경험을 바탕으로 조건들을 평가하므로, 외적 조건자체에 주관적 안녕감의 요소가 내재해

있다고 볼 수 없으며(Campbell, Converse, & Rogers, 1976; Diener, 1996), 따라서 주관적 안

녕감은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기초한다고 볼 수 있다. 긍정심리학에서는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개인 정신 건강에 중요하며 또한 한 개인의 주어진 삶의 상황에 대해 개개인이 내

리는 평가 또는 판단하는 주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본다(허재홍, 2009; Diener, 1984;

Veenhoven, 1991). 삶의 질이 높고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는 것은 현재 생활에 대해 만족하고

긍정적 정서를 풍부하게 경험하는 반면 부정적 정서를 적게 가질 때를 의미한다(금기윤,

2011; 양병한, 2003; Diener & Lucas, 1999).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은 유아교사들의 정서와 삶의 만족도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김정은,

2010),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유아의 성장과 발달,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과의 연

구(박영신, 2012),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인성, 자질함양, 자아실현과의 연구(최미숙, 오

영희, 2012) 등이 있다. 결국 주관적 안녕감은 교사 개인에게도 영향을 미치지만, 함께 생활하

는 유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이지혜, 2010),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높은

주관적 안녕감은 유아교육에 있어 교육의 질을 높이고 유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

어 있어 특히 중요하게 다뤄져야 함을 시사한다.

종합해보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연구는 개인이 살아가면서 죽음에 대해 어

떻게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 알 수 있으며 이는 예비유아교사 개인의 삶의 방식, 즉 삶

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도 영향을 미친다(차영례, 2005).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정서,

즉 행복감은 단순히 예비유아교사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영유아들에게 있어 교사의 영향

력을 생각할 때 예비유아교사자신이 삶을 긍정적으로 보고 직무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하고

스트레스에 잘 대처함으로, 장차 유아교사로서 잘 성장하여 그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고 데에

도 영향을 준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유아들의 발달과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향상에

중요한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은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들 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

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좋은 유아교사로 성장

하고 변화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유아교사로서 필요한 능력 및 자질을 갖추도록 준비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다루고 있다(이선미, 2006). 예비유아교사는 교사양성과정을 통해 교사

역할에 대한 신념을 형성하고, 이 신념은 이후 유아교사가 되었을 때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

Page 6: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으므로(이희경, 김성수, 2007),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주관

적 안녕감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우리 사회의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장차 사회적 양육과 교육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담당

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예비유아교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

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관적 안녕감과 행복감은 큰 범주로는 행복을 의미하지만, 구체적

으로 행복감을 측정하는 하위영역에서 차별화된다. 즉, 행복감은 외적요인, 내적요인, 자기조

절요인과 같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다. 주관적 안녕감은 정서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으로 구

성되는데, 정서적 요인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인지적 요인은 자신의 삶의 상태를

인지하고 평가하는 부분으로 ‘삶의 만족’이라고 한다. 따라서 주관적 안녕감은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인지적 삶의 만족과 같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긍정적 정서라 함은 사람이

열광적이고 활동적인 높은 에너지, 집중, 즐거운 일 등의 상태를 의미하고, 부정적 정서라 함

은 슬픔, 분노, 공포 등의 다양한 주관적인 부정적 정서, 고통, 불쾌한 상태를 포함한다(이현

희, 김은정, 이민규, 2003; 최미숙, 2011). 인지적 삶의 만족은 개인이 자신이 설정한 삶의 질

의 기준과 삶의 여건을 비교하여 자신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판단과정을 말하며, 삶에 대한

인지적인 판단을 말한다(최미숙, 2011).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의 주관적 안녕감과 행복감은

각각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 들 뿐만 아니라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에 있어서 명확히 구별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이해를 돕

고,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할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사회적 차원에서의 관심과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기

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나아가 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 및 예비교사 양성교육과정 프로그램 개

발에 있어 질적 향상의 도모에 도움이 되는 등 교사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Page 7: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85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50명을

임의표집 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회수 결과 450부 중 420부가 회수되어

93.3%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은 설문지 59부와 충실히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최종 349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은 표 1과 같

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구분 항목 빈도(N) 비율(%)

연령

만 18세 이하 27 7.6

만 19세 99 28.4

만 20세 92 26.4

만 21세 84 24.1

만 22세 31 8.9

만 23세 이상 16 4.6

학제3년제 163 46.7

4년제 186 53.3

학년

1학년 41 11.7

2학년 131 37.5

3학년 105 30.1

4학년 72 20.7

계 349 100.0

2. 연구도구

1) 죽음에 대한 인식 검사도구

예비유아교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홍혜숙(2008)이 재편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설문지는 죽음에 대한 긍정 정도 7문항, 죽음에 대한 부정 정도 7문항, 죽음에

대한 불안 4문항, 죽음에 대한 관심 정도 4문항, 생명존중 의지 4문항 등 5개 하위요인 총 26

Page 8: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문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

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죽음에 대한 긍정 정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0, 죽음에 대한 부정 정도 Cronbach's α =.61, 죽음에 대한 불안 Cronbach's

α =.89, 죽음에 대한 관심 정도 Cronbach's α =.84, 생명존중 의지 Cronbach's α =.54로 나타

났다.

2) 행복감 검사도구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Argyle(2001)이 개발한 옥스퍼드 행복 척도를 권석만(2008)이 번

안한 것을 다시 수정·보완한 최영옥(201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행복감 검사 도구는 외적요

인 10문항, 내적요인 6문항, 자기조절요인 5문항 등 3개 하위요인 총 21문항으로 구성되며,

외적요인은 다른 사람과 함께 할 때의 흥미, 아름다움, 재미 등을 느끼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느끼는 외적행복에 관한 내용을, 내적요인은 자기 자신이 행복하고 인생에 낙관을 느끼며 보

람을 느끼는 자신의 내적인 긍정적 정서, 내적행복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요인은

일상에서 자기조절을 잘함으로 느끼는 긍정적인 반응 자기조절행복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최영옥, 2011). 각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점 척

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외적요인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7, 내적

요인 Cronbach's α =.87, 자기조절요인 Cronbach's α =.77로 나타났다.

3) 주관적 안녕감 검사도구

주관적 안녕감은 최미숙(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정서척도와 인지적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서척도는 Watson, Clark과 Tellegen(1988)이 개발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 척도(Positive and Nagative Affect Schedule; PANAS)를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2003)

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이다. 인지적 삶의 만족 척도는 Diener,

Emmons, Larsen과 Griffin(1985)이 개발한 삶의 만족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이하

‘SWLS’라 한다)를 조명한과 차경호(1998)가 한국판으로 번안한 척도이다. 주관적 안녕감은

긍정적 정서 10문항, 부정적 정서 10문항, 인지적 삶의 만족도 5문항 등 3개 하위요인 총 25

문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

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긍정적 정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4, 부정적 정서 Cronbach's α =.83, 인지적 삶의 만족 Cronbach's α =.84로 나타났다.

Page 9: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87

3. 연구절차

1) 예비조사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의 유아교육과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20일부터 2015년

4월 24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및 주관적 안녕감

에 대한 설문내용의 이해와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2) 본 조사

예비조사 후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을 통해 검토 받은 최종 설문지를 가지고, 2015년 5월 4일

부터 5월 22일까지 유아교육과 재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본 연구목적을 사전에 설명한 뒤, 연구협조에 동의를 구하였다. 동의서 누락 및 불성실한 설

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34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4. 자료처리

본 연구는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설문지를 자료

처리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문제 2에

서는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뒤,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 3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별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의 인식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Page 10: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하위요인 평균(M) 표준편차(SD)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에 대한 긍정

죽음에 대한 부정

죽음에 대한 불안

죽음에 대한 관심

생명존중 의지

3.30

3.02

2.84

2.56

3.41

.67

.61

1.01

.89

.69

전체 3.03 .47

행복감

외적요인

내적요인

자기조절요인

3.83

3.63

3.27

.53

.66

.65

전체 3.57 .55

주관적 안녕감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인지적 삶의 만족

3.22

3.46

3.33

.61

.53

.71

전체 3.35 .44

<표 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인식 정도

표 2와 같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은 3.03(SD=.47)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생명존중 의지가 3.41(SD=.69)로 가장 높은 반면 죽음에 대한

불안이 2.84(SD=1.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행복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

은 3.57(SD=.55)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외적요인 3.83(SD=.53), 내적요인

3.63(SD=.66), 그리고 자기조절요인 3.27(SD=.6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에 대

한 인식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부정적 정서 3.46(SD=.53), 인지적 삶의 만족 3.33(SD=.71), 그

리고 긍정적 정서 3.22(SD=.61) 순으로 높았으며, 전체 평균은 3.35(SD=.44)로 나타났다.

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

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다.

Page 1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89

하위요인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1.00

-.13*

-.11*

1.00

.75*

1.00

<표 3>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

(N=349)

*p <.05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행복감과 -.13, 주관적 안녕

감과는 -.11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주관적 안녕감과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 계수는

.75로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은 낮아지고, 행복감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도 높아지는 것을 의

미한다.

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하위요인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인지적 삶의 만족 주관적 안녕감

죽음에 대한 긍정

죽음에 대한 부정

죽음에 대한 불안

죽음에 대한 관심

생명존중 의지

.11*

.00

-.03

-.01

.33**

-.04

-.13*

-.14**

-.23**

.20**

.08

-.05

-.06

-.13*

.39**

.01

-.16**

-.16**

-.22**

.39**

죽음에 대한 인식 .11* -.15** .05 -.08

<표 4>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

(N=349)

*p <.05 **p <.01

표 4와 같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은

-.13에서 .39의 범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Page 1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죽음에 대한 인식과 긍정적 정서의 관련성은 .11,

죽음에 대한 인식과 부정적 정서의 관련성은 -.15로 나타났다. 이는 죽음에 대한 인식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는 높아지고, 부정적 정서는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관적 안녕감과 죽음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관적 안

녕감과 죽음에 대한 부정의 관련성은 -.16, 주관적 안녕감과 죽음에 대한 불안의 관련성은

-.16, 주관적 안녕감과 죽음에 대한 관심의 관련성은 -.22, 주관적 안녕감과 생명존중 의지의

관련성은 .39로 나타났다. 이는 주관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부정, 죽음에 대한 불

안, 죽음에 대한 관심은 낮아지고, 반면에 생명존중 의지는 높아짐을 의미한다.

3)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표 5와 같다.

하위요인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인지적 삶의 만족 주관적 안녕감

외적요인

내적요인

자기조절요인

.54**

.54**

.50**

-.24**

-.27**

-.24**

.58**

.70**

.57**

.65**

.73**

.62**

행복감 .59**

-.29**

.69**

.75**

<표 5>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

(N=349)

**p <.01

표 5와 같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은 .-24에서 .75

의 범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

인 간의 상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행복감과 긍정적 정서는 .59, 행복감과 부정적 정서는

-.29, 행복감과 인지적 삶의 만족은 .69로 나타났다. 행복감이 올라갈수록 긍정적 정서와 인지

적 삶의 만족은 높아지고, 부정적 정서는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관적 안녕감과 행복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관적 안녕감과

외적요인은 .65, 주관적 안녕감과 내적요인은 .73, 주관적 안녕감과 자기조절요인은 .62로 나

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외적요인, 내적요인, 자기조절요인도 함께 높아진다는 것

을 보여준다.

Page 13: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91

4)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간의 관계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의 하위요인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표 6과

같다.

하위요인 외적요인 내적요인 자기조절요인 행복감

죽음에 대한 긍정

죽음에 대한 부정

죽음에 대한 불안

죽음에 대한 관심

생명존중 의지

.00

-.03

-.05

-.14**

.33**

-.00

-.11*

-.12*

-.15**

.39**

.05

-.10

-.12*

-.19**

.28**

.02

-.09

-.12*

-.18**

.38**

죽음에 대한 인식 .01 -.03 -.06 -.030

<표 6>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

(N=349)

*p <.05 **p <.01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

관은 .-12에서 .38의 범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의 하

위요인 간의 상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의 하위요인 간의 유의

미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으나, 죽음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과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에

서는 죽음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중 생명존중 의지와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내적요인이 .39

로 가장 높고, 죽음에 대한 부정과 내적요인과 -.11로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 생명존중 의

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의 하위요인들도 높아지는 반면, 죽음에 대한 부정, 불안, 관심이 높을

수록 행복감의 하위요인들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과 죽음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행복감과 죽음

에 대한 불안이 -.12, 행복감과 죽음에 대한 관심이 -.18, 행복감과 생명존중 의지는 .38로 나

타났다. 행복감이 높아질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과 관심은 떨어지고, 생명존중 의지는 높아진

다는 것을 보여준다.

Page 14: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3.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총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전체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

력을 구하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독립변수 B β t R2 R2의 변화량 F VIF

(상수) 1.18.57 456.03

***

행복감(전체) .61 .03 21.36*** .57 1.00

<표 7>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총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N=349)

***p <.00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전체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

력을 확인하기 전 투입한 변인의 다중공선성 및 잔차의 독립성을 살펴본 결과,

Durbin-Watson의 통계치는 2.02로, VIF 값은 1.00으로 나타나 중다선형 회귀분석의 기본가

정을 만족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전체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을 위의 표 7에서 살펴보면, 행복감 총점은 주관적 안녕감을 57% 정도 설명하고 있

다. 또한 F값 456.03은 p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위의 회귀모형식이 적합하

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의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의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구하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Page 15: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93

독립변수 B β t R2 R2의 변화량 F VIF

(상수) 1.20

내적요인 .29 .43 7.83***

.60

.54

102.31***

2.61

외적요인 .16 .19 3.65***

.03 2.41

자기조절요인 .10 .15 2.93*** .01 2.20

생명존중 의지 .08 .12 3.10***

.01 1.19

죽음에 대한 관심 -.04 -.08 -2.17** .01 1.05

<표 8>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N=349)

**p <.01 ***p <.00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행복감의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을 위의 표 8에서 살펴보면,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내적요인, 외적요인, 자기조절요인과 죽음

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생명존중 의지, 죽음에 대한 관심은 주관적 안녕감을 60%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행복감의 하위요인이 내적요인은 54%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외적요인이 첨가됨으로써 설명력이 3%가 증가하여 57%의 설

명력을 가지며, 자기조절요인과 생명존중 의지, 죽음에 대한 관심이 각각 1%가 증가하여 전

체 60%의 설명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F값 102.31은 p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

나 위의 회귀모형식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향후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의 인식정도를 전체와 하위

영역별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의 전체 평균은 보통

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생명존중 의지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고, 죽음에 대한 관심 정도는 보통보다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Page 16: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러한 결과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는 윤지향과 하주영(2013)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인간이 죽음의 보편성은 인정하면서도 자기 자신의 죽음은 상상도 하지 못한다(이영

화, 1997)는 결과와 죽음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죽음을 생각하게 되는 노인을 대상(오진탁,

김춘길, 2009; 윤서희, 이경준, 2012; 조추용, 2014)으로 하고 있음을 살펴볼 때 본 연구의 대

상은 예비유아교사로 이제 20대 초반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이 되었기 때문에 연령의

특징상 죽음에 대한 인식 중에서도 특히 죽음에 대한 관심 정도가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

러나 죽음은 언제 어디서나 어느 누구에게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인간의 힘으로는 피할 수 없

는 현실임을 생각해보면 죽음에 대해 생각한다는 것은 인간 개개인에게 주어진 시간은 유한

한 것임을 다시 한 번 새기는데 도움이 되는 기회를 제공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과 하위요인별 평균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외적요인, 내적요인, 자기조절요인 순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는 선행

연구 결과(김성숙, 2012; 박진성, 2015;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5; 황해익, 최혜진, 김병만,

2012)에 비추어볼 때 예비유아교사는 행복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다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인식의 전체 평균과 하위요인별 평균은 보통 이상

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부정적 정서,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

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정서는 보통 이

상으로, 부정적 정서가 보통 이하로 나타난 탁정화와 강현미(2014)의 연구와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이 인지적 삶의 만족, 긍정적 정

서, 부정적 정서 순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와는 맥을 달리한다(최은실, 서보순, 2015). 선행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 부정적 정서가 가장 높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 추후 심도 있는 연

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서 특히 부적정서를

줄이고 긍정적 정서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교사양성기관에서의 강의

개설 및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

고 주관적 안녕감과 행복감 간에는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은 낮아지고, 행복감이 높을수록 주관

적 안녕감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Page 17: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95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 하위요인인 ‘긍정적 정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

적상관이 나타났고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는 높아지고, 부정적 정서는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 정서란 ‘기쁨, 행

복함, 편안함’과 같은 정서가 포함된 긍정 정서 어휘들이며, 반대로 부정적 정서란 ‘짜증, 부

정적인, 무기력한’과 같은 감정을 나타내는 부정 정서 어휘들이다(서은국, 구재선, 이동귀, 정

태연, 최인철, 2010). 즉, 죽음에 대한 인식은 나에게 주어진 유한한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여

잘 살아갈 것인가를 고민하도록 하는 삶에 대한 인식으로도 볼 수 있는데 그런 의미에서 보

면 죽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삶을 잘 살아가면 기쁘고 즐거운 감정을 많이 느끼는 반면 부

정적인 감정은 적게 느껴 더욱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

감 전체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인 ‘긍정적 정서’, ‘인지적 삶의 만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부정적 정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

났다. 즉, 행복감이 높아질수록 긍정적 정서와 인지적 삶의 만족감은 커지고 부정적 정서는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추구경향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는 최은실과 서보순(2015)의 연구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이승은, 서현(2013)의 연구,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자아탄력성 간의 정적 상관이 있다는 이순복

과 원지현(2013)의 연구와도 부분적으로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삶의 만족도’는 인간

의 소망이 성취된 정도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 Diener(2000)에 의하면 삶의 만족도를

높게 인지하는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행복하고 만족스러움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

고, 주변사람들 역시 그들이 행복한 삶을 사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권석만, 2008, 재인용).

다시 말해, 행복하게 살려고 노력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긍정적인 정서

를 유발하며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만족하면서 행복을 추구한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죽음에 대한 인식 전체와 행복감의 하위요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

지 않았지만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죽음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중 ‘생명존중 의지’와 행복감

의 하위요인 중 ‘내적요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죽음에 대한 부정’

과 ‘내적요인’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행복감과 죽음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 간에는 행복감과 ‘죽음에 대한 불안’, ‘죽음에 대한

관심’간에 부적 상관이, 행복감과 ‘생명존중 의지’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생명존중 의

Page 18: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는 반면, 죽음에 대한 부정, 불안, 관심이 높을수록 행복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피적인 죽음태도를 가졌을 때 자아존중감은 낮

아진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조추용, 2014)에 비추어 볼 때 죽음에 대한 부정, 불안을 줄여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낮아졌는데,

이는 좋은 죽음은 자연스러운 욕구에 따라 열심히 살면서 매 순간 행복을 경험하는 것에 달

려있으므로(김명숙, 2014), 죽음에 대한 지나친 관심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행복한 삶에 대

한 전체적인 통찰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면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을 57%를 설명하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과 행복감의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행복감의 하

위요인 ‘외적요인’, ‘내적요인’, ‘자기조절요인’과 죽음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 ‘생명존중 의

지’, ‘죽음에 대한 관심정도’가 주관적 안녕감을 60%정도 설명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 ‘내적요

인’이 54%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내적요인’이라 함은 ‘나는 행복하고 인생의 많은 부분에 대해 만족

하고 미래를 낙관적으로 느끼고 인생에 보람을 느낀다’ 등의 내용으로 자신의 내적인 긍정적

정서를 포함하는 것을 일컫는데(최영옥, 2011),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중 행복감의 ‘내

적요인’이 가장 크다는 것은 ‘다른 사람과 흥미를 느끼고, 많은 것들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다른 사람과 함께 재미있는 일들을 경험한다’ 등의 내용의 외적 요인과 ‘아침에 일어날 때 개

운하고 활기 차 있고 정신이 맑고 시간을 잘 관리한다’ 등의 내용이 포함된 ‘자기조절요인’ 보

다 주관적 안녕감을 잘 설명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김명숙(2012)의 연구에서 보면 행복의 암

묵적 개념에 대해 물어보았을 때 청년기는 자기 자신에게 불만이 없고 스스로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낙관적인 마음, 삶에 대한 만족 등 정서적인 안녕과 자아실현, 삶의 가치실현 등의 심

리적 안녕을 행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중·장년기에서는 자기만족, 감사하며 사는 것, 낙관

적이고 긍정적인 마음, 욕심 없이 주어진 여건에서 만족을 느끼는 상태를 행복으로 여기고

있었는데 이것은 본 연구의 행복감 하위요인인 내적요인과 부분적으로 유사하며 또한 실로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과 많은 부분 뜻을 같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의 낙관

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다수의 연구(권혜경, 2004; 김민정,

2006; 윤지혜, 2007)도 본 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이 크게 나왔다고 유추해본다.

Page 19: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97

참고문헌

곽희경(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구인회(2004). 현대인에게 있어 죽음의 의미와 그 도덕적 문제. 철학탐구, 16, 59-81.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혜경(2004).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23-741.

금기윤(2011).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만족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

리학회지, 15(2), 19-39.

김명숙(2010).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철학적 고찰. 유학연구, 22, 73-108.

(2014).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철학논총, 76, 275-293.

김민정(2006).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민정, 김정원(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 유능성 간의 연구. 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원, 14(2), 5-24.

김성숙(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65-83.

(2012). 예비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4), 35-53.

김시연(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

용 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시원(2010).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태도 및 죽음준비교육 요구. 영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김양남(1993). 아동의 죽음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 사람, 동물, 식물의 죽음을 중심으로. 고려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철, 김진혁, 이진수(2015). 하루를 살아도 행복하게 일해야하는 88가지 이유. 서울: 좋은땅.

김정은(2010).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모연례(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숙경(2003). 實療法을 適用한 幸福增進 集團相談 프로그램의 開發과 效果 檢證. 강원대학교

Page 20: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2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영신(2012). 예비 유아교사의 낙관성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1), 63-80.

박진성(2015).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미래유아

교육학회지, 22(1), 97-118.

방정주(2008). 중학교 담임교사의 행복이 학급학생들의 행복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

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성희(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22, 25-44.

서석희, 박애선(2007).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

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107-130.

서은국, 구재선,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2010). 특별 심포지엄: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 지수: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10, 213-232.

서현, 김영보(2012).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269-293.

서현, 김영보, 박미자(2013).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307-333.

서현아(1998). 연령에 따른 유아의 죽음개념 인식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회지, 19(1), 97-117.

신임선(2012).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병한(2003). 초등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연구지:

교육연구, 41, 285-309.

양진희(2006). 유아의 죽음개념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7(3), 1-27.

오선영, 강병재(2002). 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역할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수행간의 차

이. 열린유아교육연구, 7(2), 155-184.

오진탁, 김춘길(2009).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

학, 29(1), 51-69.

원지현, 이순복(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166-193.

유제석(2007). 노인 죽음 준비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 : N노인복지관 노인들을 중심으로. 감리교

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육아정책연구소(2011). 유아교육, 보육주요통계.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윤서희, 이경준(2012). 노인죽음준비교육 활성화 방안: 기독교적 측면에서. 교회사회사업, 19,

193-232.

Page 21: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99

윤지향, 하주영(2013). 간호사가 지각하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 기본간호학회지, 20(4),

381-388.

윤지혜(2007). 낙관성이 우울과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경민,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행복강점직무만족의관련성탐색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이미란(2010).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도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미(2006). 한국 유아교사교육의 과제와 방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429-449.

이순복, 원지현(2013).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

이문학교육연구, 14(3), 263-281.

이윤주, 조계화, 이현지(2006). 죽음 교육 모형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7(3), 121-140.

이지혜(2010).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

연구, 27(3), 143-164.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지, 2(4), 935-946.

이희경, 김성수(2007).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신념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영유아

교육연구, 10, 169-186.

임재택(2002). 아이들의 삶과 생태유아교육.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32.

임재택(2008).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양서원.

장연집(1998). 아동기 죽음개념의 발달과 충격환화를 위한 비탄치료의 기초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논총, 4, 127-147.

장연화(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정경숙(1998). 발달수준에 따른 아동의 죽음에 대한 개념과 죽음준비교육에 관한 연구. 대구산업

정보 대학논문집, 21, 267-293.

정은미(1999). 종교와 죽음경험유무에 따른 유아의 죽음 개념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명한, 차경호(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적 비교. 서울: 집문당.

조부경, 김정화(2000).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경험의 통합운영에 대한 예

비교사 지도교사 및 담당 교수의 반응분석. 유아교육연구, 20(1), 139-162.

조추용(2014). 노인의 죽음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63,

203-227.

차영례(2005). 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도 연구 - 전북지역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미숙(2011). TA 성격이론에 의한 유아교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 및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

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age 22: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3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최미숙, 오영희(2012). TA 성격이론에 의한 유아교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 및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년 정기총회 및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최영옥(2011).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

복 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윤정, 이경민(2012). 유아교사의 행복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

집, 303-304.

최은실, 서보순(2015).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성격요인, 행복추구경향이 주관적 안녕

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3), 29-52.

탁정화, 강현미(2014).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

구, 34(5), 107-128.

허재홍(2009). 가족주의 가치관이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4),

1769-1782.

홍혜숙(2008). 서울시 공립병원 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 인식과 죽음 인식. 한양대학교 임상간호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

연구, 12(2), 157-180.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2015).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성, 희망, 정서성 간의 구조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5(3), 365-386.

황해익, 박성미, 탁정화((2015).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93-218.

황해익, 최혜진, 김병만(2012).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주의 및 학과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아

교육학논집, 16(6), 405-434.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Argyle, M.(2001). The psychological of happiness (2nd ed.). New York: Routledge.

Argyle, M.(2005). 행복심리학. (김동기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1 출판)

Campbell, A., Converse, P. E., & Ro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Campbell, A.(1981).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y, 31, 117-124.

Crase, D.(1982). Death Education's Quest for Maturity. ERIC No. ED214489. 49, 1-14.

Crase, D. R., & Crase. D.(1984). Helping children understand death. Young Children, 32, 21-25.

Deeken, A.(2002). Death: How to face it (Oh, C. (translation)). Seoul: Kungree.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3(3), 542-575.

Page 23: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301

Diener, E., & Emmons, R. A.(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Diener, E., Emmons, R. S., Larsen, R. J., & Griffin, S.(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Diener, E.(1996). Traits can be powerful, but are not enough: Lessons from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0, 389-399.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Diener, E., & Seligman, M. E. P.(2002).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Fredrickson, B.L.(2002). Positive emotions.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120-13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Grollman, E. A.(1990). Talking about death. Beacon Press Boston.

Hoggard, L.(2006). 영국BBC 다큐멘터리행복: 행복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의 심리학. (이경아

역). 서울: 예닮. (원저 2005 출판)

Kubler-Ross, E.(2009). On Death and Dying. Abingdon: Routledge.

Lyubomirsky, S.(2008).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저 2007 출판)

Seligman, M. E. P.(2004).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Spodek, B., Saracho, O. N., & Davis, M. D.(1987). Founda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

wood clifs; Prentice-HallInc.

Veenhoven, R.(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1988). Developmental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Page 24: 예비유아교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행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 · 연구에 대한 연구서석희박애선 +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3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Abstract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eath and happiness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Hyun Ah Seo · Se Jin Eom · Hyun Young K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ir perception of death, happiness, subjective well-b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eath,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49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Pusa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questionnaires developed by using perception of death scale, happiness scale,

and subjective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 on their perception of death, happiness,

subjective well-bing was above the average. Second, i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eath,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ing, it was identified that: as ‘acceptance of death’, one of the sub-factors, in the perception of

death was high, ‘positive affect’, one of the sub-factors, in subjective well-being, was also high; and

as ‘denial of death’, one of the sub-factors, in the perception of death was high, ‘internal factor’, one

of the sub-factors, in happiness was low and ‘negative affect’, one of the sub-factors, in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ppiness and ‘positive affect’ sub-factor and ‘cognitive life

satisfaction sub-factor’ in subjective well-bei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happiness and ‘negative affect’ sub-factor in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