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Page 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2011.03

Page 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Page 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출 문

한국콘텐츠진흥원 귀하

본 보고서를 “201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개선”의 최종 연구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부제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연구

2011년 3월

주관연구기관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수행기관 (주)리딩컨버젼스

연구수행책임자 이승규

수행연구원 손석주

수행연구원 윤재경

수행연구원 정인혜

Page 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Page 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목 차>

<연구요약>

제 1 장 서론

1. 저작물 유통환경 ································································································1

2. 저작물에 대한 보호정책 추이 ········································································5

3. 공공저작물의 유통실태 ··················································································19

4.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의 필요성 ····························································21

제 2 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제1절 공공저작물 정책개관 ······································································25

1. 저작물에 대한 개념 ························································································25

2. 공공저작물에 대한 개념 및 법적근거 ························································28

3. 공공저작물을 판단하는 기준 ········································································32

제2절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운영현황 ·············································34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법적근거 ····························································34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시스템 구축현황 ··············································37

3.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운영실태 ····························································45

제3절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문제점 ·················································47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제도적인 문제점 ··············································47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수요대응 측면에서의 문제점 ························58

제 3장 공공부분 지적재산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제1절 정부의 공공정보 정책방향 ····························································63

1. 정부의 공공정보 공개 정책기조 ··································································63

2. 유관정책 개관 ··································································································67

제2절 주요기관의 공공정보 관리실태 설문분석

1. 설문개요 ············································································································69

Page 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2. 설문결과분석 ····································································································72

3. 주요시사점 ········································································································77

제3절 공공정보관리 해외사례 ··································································78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제1절 기본방향 ·····························································································81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목표 ······················································81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단계별 전략 ······················································83

제2절 활성화방안 ·························································································88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에 필요한 주요여건 ····························88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점 ······················93

3.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운용체계의 개선점 ········································100

4.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지원정책제언 ··················································111

5장 결론 ························································································115

참고문헌 ························································································119

부록 ································································································123

Page 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표 목차>

<표 1-1> 온라인 불법 저작물 단속 현황 ·······························································3

<표 2-1> 공공정보의 저작권 발생 유형 ·······························································37

<표 2-2> 공공기관 단독창작물 조건 ·····································································38

<표 2-3> 이용허락 인증절차 ····················································································40

<표 2-4> 이용허락 계약서 작성 시 고려사항 ·····················································42

<표 2-5> 보유하고 있는 자료의 저작물 빈도 ·····················································58

<표 2-6> 수요자요구조사채널 확보 여부 ·····························································60

<표 2-7> 수요자 조사 필요성 ·················································································60

<표 3-1> 설문 조사 대상 기관 ···············································································70

<표 3-2> 정보담당 자 수 ·························································································72

<표 3-3> 정보담당 책임자 직급 ·············································································72

<표 3-4> 연간 생산되는 공공저작물의 자체생산 및 위탁저작물의 점유율 · 72

<표 3-5> 보유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의 자체생산 및 위탁저작물의 점유율 · 73

<표 3-6> 보유하고 있는 자료의 저작물 빈도 ·····················································73

<표 3-7> 공공저작물의 관리기준(접수, 공개, 사후관리 등)을 수립 여부 ········73

<표 3-8> 확보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의 경우 산업화가 가능 여부 ·················73

<표 3-9> 공공저작물의 산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정책 추진여부 ···············74

<표 3-10> 이용허락 요청사례 유무 및 빈도수 ···················································74

<표 3-11> 이용허락요청 목적(활용) ······································································74

<표 3-12> 이용허락 요청을 할 수 있는 창구가 있는지 여부 ·························75

<표 3-13> 이용허락에 따른 성과관리체계 보유 유무 ·······································75

<표 3-14> 성과관리체계 필요성 ·············································································75

<표 3-15> 공공저작물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75

<표 3-16> 공공저작물 관리 민간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가장 필요한 부분 ···76

<표 4-1> 공공저작물 민간활용 촉진을 위한 필요사항 ···································102

<표 4-2> 이용허락에 따른 성과관리체계 보유 유무 ·······································110

<표 4-3> 성과관리체계 필요성 ·············································································110

<표 4-4> 한국기술거래소의 사업내용 예시 ·······················································112

Page 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그림 목차>

[그림 1-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환경분석 ···················································23

[그림 2-1] 이용허락인증 프로세스 ·········································································40

[그림 2-2] 저작권자 시스템 이용절차 ···································································41

[그림 2-3] 이용허락인증시스템 개선된 프로세스 ···············································42

[그림 2-4]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45

[그림 2-5]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운영실적 ···············································46

[그림 2-6]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제도적 문제점 ·····································47

[그림 2-7]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핵심문제점 ···········································48

[그림 2-8] 문화콘텐츠닷컴 저작물 콘텐츠 상세보기화면 ·································57

[그림 2-9] 이용허락인증의 수요대응측면 문제점 ···············································59

[그림 4-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 활성화 목표 ·································81

[그림 4-2] 이용허락인증관련 시스템 개선방향 ···················································82

[그림 4-3] 3단계 활성화 방안 ·················································································83

[그림 4-4]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선순환 구조 개념도 ·················87

[그림 4-5]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달성 과정 흐름도 ···········································88

[그림 4-6] 이용허락인증 활성화의 전제조건 ·······················································89

[그림 4-7] 이용허락인증 전담팀 구성방안 ···························································91

[그림 4-8] 이용허락인증관련 제도적 보완방향 ···················································93

[그림 4-9] 콘텐츠 가치평가 투자모형 ···································································96

[그림 4-10]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운영체계 개선방향 ···································100

[그림 4-11]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이용체계 개선방향 ···································101

[그림 4-12] 현재 운영구성도 ·················································································105

[그림 4-13] 개선된 운영구성도 ·············································································105

[그림 4-14] 콘텐츠닷컴 콘텐츠별 테마 내역 ·····················································108

[그림 4-15]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선순환체계 ·················································108

[그림 5-1]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기본 체계 ·····················································115

[그림 5-2]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기본 개념 ·····················································116

[그림 5-3] 공공기관 및 이용자 관리체계 ···························································117

Page 1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연구요약

- i -

<연구요약>

1. 공공저작물의 범위

공공저작물은 공공기관이 업무상 창작하였거나 제 3자로부터 취득하

여 관리하고 있는 저작물을 뜻하며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창작

물로 학술 논문, 음악, 사진, 영상, 회화, 조각, 설계도, 컴퓨터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저작물이라 함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재화이며 저

작권이란 이와 같은 저작물을 창작자가 일정기간 동안 독점적으로 사

용하게 하거나, 다른 사람이 무단으로 복제 공연 방송 전시 배포 및 2

차 저작물을 작성하는 행위 또는 창작자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금지시킬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유사한 형태의 법률인 특허권, 디

자인권, 상표권 등 다른 지적재산권은 등록요건을 갖추어 설정등록을

해야 권리가 발생하지만, 저작권은 등록여부와 관계없이 창작과 동시

에 권리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2. 공공저작물의 중요성

공공저작물은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가지는 지적자산 중 하나이며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유무형의 자산이다. 정부는 저작물을 포함하여

정부가 가지고 있는 지적자산을 민간에 제공함으로써 산업활성화에 기

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중심이 되

고 있는 것이 국가정보화기본법(舊 정보화촉진기본법)에 근거한 정책이

라 할 수 있다.

정부의 정보관리를 규정하고 있는 국가정보화기본법은 정부의 정보

관리 기준과 방향을 크게 변화시키기 위해 2009년 전부 개정 법률안을

정부가 제출하여 국회를 통과함으로써 큰 방향의 전환을 이루었다.

개정 취지를 살펴보면 2008년 2월 정부조직 개편으로 정보화 기능이

다수 부처로 분산되고 세계적으로 국가정보화의 패러다임이 정보화 촉

진에서 정보 활용 중심으로 변화하는 등 국가정보화의 추진 환경이 급

격히 변화하고 있어, 이에 부응하는 새로운 국가정보화의 기본이념 및

Page 1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ii -

원칙을 제시하고 관련 정책의 수립ㆍ추진을 위한 사항을 규정하여 지

식정보사회의 실현에 이바지하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법에 근거하여 정부의 정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인 정보

화전략위원회에서는 2010년 3월 발표를 통해 교통․기상정보 등 정부

기관 및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공공정보를 누구든지 쉽게 활

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임을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문화체육관광

부·방송통신위원회와 공동으로 『공공정보 민간활용 촉진 종합계획』

을 마련하여 발표하고 종합계획에는 △공공정보에 대한 접근성 강화,

△공공정보의 제공과 활용을 위한 제도 정비, △ 공공정보의 품질제고,

그리고 △민간활용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일반국민 누구나 공공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소재정보를

안내하고, “민간활용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공공정보에 대한 원스톱서

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공공정보를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저작

권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저작권위원회와 연계하여 지원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범정부 차원에서는 정부가 보유한 지적자산의 민간활용을

통해 산업 활성화를 유도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공공

저작물 또한 그 중 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써 매우 중요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3.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인증제도의 필요성

공공저작물은 다양한 분야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민

간기업이 공공저작물을 포함한 공공정보를 아무런 제도적 장치가 없이

사용할 경우 저작권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제공기관과 공식적으로 협

의 또는 계약의 형태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표준화된 절차가 없

어 분쟁의 소지가 상존하고 있다. 현대사회가 디지털화, 다(多)미디어화

가 진행됨에 따라 불법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도적 보완 없

이 적극적으로 저작권이 있는 공공정보를 공개하게 된다면 공공저작물

의 제작목적인 공공의 이익이 침해될 우려가 있으며 공공저작물의 적

Page 1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연구요약

- iii -

극적인 공개에 앞서 예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

한 상황이다.

공공저작물의 공개필요성은 범정부적인 공공정보이용활성화추세에

부합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기 위해서

는 예견되는 저작권 분쟁에 대한 대비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그

이유로는 공공저작물과 관련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크게 일반저작물

과 다른 두 가지의 중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는 분쟁 당사자가 정

부 혹은 공공기관이라는 점이다. 민간활용을 통한 산업화 또는 정책목

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분쟁

당사자가 공익을 위해 설립된 기관이라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저작물의 생산목적이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인데 반해

공익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공익을 해치는데 공공저작물이

활용된다면 공익실현을 위해 만들어진 저작물의 본 취지에 반하는 것

으로써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하는데

있어 합리적인 절차와 이용 목적, 이용한계, 구제방법, 권리관계의 명

확화 등 공공저작물의 민간이용 활성화와 정부의 공공정보 개방추세에

부합하는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 가능한 제도가 필요하며 이는 곧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라 하겠다.

이 제도를 통해 민간활용을 통한 산업화, 일자리창출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저작권분쟁, 공익저해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여 공공저작물 이용

허락인증제도의 안정화와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는 점차 강화되고 있는 저작권

보호의 정책방향과도 부합하는 것이며 또 한편으로 제시되고 있는 민

간의 이용수요에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4.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인증제도의 문제점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제도는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2007년부터

Page 1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iv -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상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데 몇 가

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종류로는 권리인증에 대한 대응체계가

다소 미흡하며 인증에 따른 선의의 피해자 구제방법, 이용허락인증 도

입노력 부족, 각 기관의 역할모델 부족, 시스템홍보부족, 일부기관만의

제한적인 논의로 민간에 확산되지 못한 점 등에 문제로 나타났다.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제도적 문제점]

이러한 문제점들은 제도 시행의 원칙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다소 기술

적 차원에서의 해결이 필요한 과제들이라 할 수 있다. 기술적 차원의

문제는 보완을 통해 해결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위주로 수행하였다.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을 도출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운영기법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등으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통해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제도 필요성에 부

합하는 안정적인 제도운영에 기여하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5. 활성화방안

가) 활성화를 위한 전제조건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선행

Page 1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연구요약

- v -

조건들이 필요하겠지만 정부의 정책과 법&제도의 방향성 전환은 필수

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정부 정책의 생성과정은 관리자의

관점과 공급자 중심의 인식 하에서 수립되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공급자 관점의 정책 수립은 물리적인 자원의 최소화가 가능하다는 장

점이 있지만, 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당위성과 수요자 입장과 환경을

고려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지식기반중심으로 국가운영을 재구축하고 있는 시

점에서 수요자 중심의 정책수립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정책수립 단계에서부터 수요자를 고

려해야 한다.

[ 이용허락인증 활성화의 전제조건 ]

끝으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관련 해외사례가 없어 본 제도는

공정한 시장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도입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세계 최초라는 위상으로 인해 주목을 받을 수 있으며, 부정적

인 측면이 대두되는 경우 많은 긍정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 절하될 가능성이 있어 이를 보완할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나) 단계별 전략

Page 1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 -

[ 3단계 활성화 방안 ]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한 단계별 전략에서의

단기과제로는 기반구축단계와 운영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기반구축단

계에서는 에서는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배보하

고 저작권위원회의 권리인증을 실시, 이용허락인증은 한국콘텐츠진흥

원, 저작권 신탁관리는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을 지정하는 등 운영체

계에 대한 각 기관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다.

중기전략으로는 참여를 확대하는 것으로써 공공분야의 참여확대와

민간참여를 확대하는 두 가지 방향이 있다. 먼저 공공분야의 참여확대

과제로는 이용허락인증에 참여하는 기관을 확대하고 이를 위한 문화체

육관광부 산하기관의 업무평가에서도 이용허락인증에 관한 실적과 운

영 실태를 기관평가의 한 요소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도

를 민간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기반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다음으로

는 민간분야의 참여확대로서 현실적으로 민간분야의 참여를 강제하기

는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작물이용허락인증이라는 것

은 거래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써 민간분야의 저

Page 1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연구요약

- vii -

작권거래 활성화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에는 분명하

다. 따라서 민간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저작물의 권리가 분

명해야 하는 수출지원, 제작지원 등에 참여하는 저작물들은 이용허락

인증제도로의 편입을 의무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기과제로는 안정화단계로써 권리인증에 따른 문제발생 시 이를 해

결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 하는 것과 민간이 주도하는 이용허락인증

기관의 지정, 민간과 공공분야가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마

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전체적인 공공저작물의 제작과 활용의 활

성화를 위해 정부차원에서의 공공저작물 제작 투자가 적극적으로 시행

하고 공공저작물의 양적, 질적 성장을 유도할 것이며 양적, 질적 성장

은 민간에서 높은 파급효과를 가져와 공공저작물의 수효 재창출과 투

자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 제도적 보완점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공공저작물의 가치모델 정립, 저작권

법 내 공공저작물 권리자에 대한 규정 개정이며 다음으로는 민간의 참

여규정을 마련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민간분야로의 확대전략이다

공공저작물에 대한 가치평가의 필요성으로는 공공저작물은 공적자금

이 투자된 저작물이다. 따라서 공공저작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모델인

가상시장가치법과 개별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하는 문화콘텐츠가치평가

모형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이러한 가치평가 모델을 통해 공공

콘텐츠 가치평가에 대한 시장 인식을 제고하고, 공공콘텐츠 유통 활성

화에 기여함으로써 콘텐츠 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법의 경우를 살펴보면 정부가 가지는 특허권의 권리자는 특허청

으로 명시하여 특허권의 관리, 양허 등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공콘텐츠의 저작권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권리를

가지도록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저작권법을 개정하여 공익적 목적에

의해 제작된 저작물을 관리 할 있도록 권리자를 정하는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Page 1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또한 본 제도가 장기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간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관 주도의 정책만으로는 마케팅, 홍보, 시장 환경에 신속한

대응에 다소 어려움이 예상되는 바, 민간기업의 참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의 경우 공공부분만 국한하여 운영

하는 제도로써 점차 민간분야까지 자발적 확대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으나, 궁극적인 방향

성에서는 민간분야에서도 이용허락인증과 같이 제도권 내에서 공정한

유통질서를 확보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운영체계 개선점

운영체계의 개선 분야의 대안에서는 지원체계 구축, 참여기관 확대,

성과관리체계 구축, 조속한 제도시행 등 크게 4가지 부분에 대하여 대

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정책추진 초기 다양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이

제도는 저작권을 가지는 모든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바 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체계 또한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에 대하여 가이드라인

배포, 자체 심사프로세스 제공, 안내페이지 제공, 원스톱 지원체계 구

축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참여기관 확대로써 공공저작물의 생산은 특정기관만의 문제

가 아닌 매우 폭넓은 기관과 연관된 문제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논

의된 형태로는 저작권위원회가 권리인증을 담당하고 공공저작물 관리

및 DB는 데이터베이스진흥원이, 이용허락인증은 콘텐츠진흥원이 하는

것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문화부 산하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 데이터를 모두 데이터베이스진흥원으로 통합하는 것을 전

제로 합의된 것이나 그 외 서울시, 경기도 등 콘텐츠산업 육성에 주력

하는 광역지자체의 경우를 고려해 볼 때 보다 다른 형태가 필요하다.

Page 1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연구요약

- ix -

셋째로는 조속한 사업추진이다. 본 제도는 매우 다양하고 매우 많은

자료를 동시에 시스템 내로 끌어들이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정책추진

과정에서 예견되는 문제를 사전에 모두 해결하기도 어려운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운영 중인 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닷컴” 내 저작권이 콘

텐츠진흥원에 있는 저작물을 선별하여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을 시범 오픈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로는 성과관리체계 구축이다. 성과관리조직의 주요역할로는 첫

째, 핵심과제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이며 둘째로는 대상 기업

의 연계지원 강화, 셋째로는 지원대상 기업의 교육 강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 속에서 이용허락인증 후 추적평가를 통해 산업유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본 제도가 조기에 안정화될 수 있을 것이다.

마) 지원정책 제언

정책제언으로는 첫째 기관평가에 추진상황에 대한 평가항목을 도입

하는 것으로써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시범사업 후 각급 기

관을 대상으로 빠르게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관평가요소로 적용하는

것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사업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 공공

분야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민간에 개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조기 확산을 위해 이 같은 평가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는 연계지원정책추진으로 지식경제부는 10여 년 전부터 사업

화 연계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제도는 특허권을 가지고 있는

권리자로부터 기술이전을 한 후 이를 사업화하는데 필요한 원스톱지원

정책으로써 전문가 상담, 펀드투자유치지원, 정부의 직접투자(5년 후

주식매각) 등으로 이어지는 매우 적극적인 기업지원정책이다.

셋째로는 인증에 따른 기금조성으로써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

템이 오픈되면 획득한 인증서를 바탕으로 민간에서는 다양한 사업을 추

진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인증의 신뢰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경

우 저작권 문제로 분쟁이 발생하면 정책 운영에 위축이 될 가능성이 있

다. 이러한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칭 “공공콘텐츠 저작물 이용

허락 저작권분쟁조정기금”을 조성하여 분쟁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Page 1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x -

6. 기대효과

공공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공저작

물 또한 그 범주 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 동안은 개인 혹은 기업

이 비즈니스를 위해 필요한 공공정보자원(공공저작물 포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접근이나 표준화된 가이드가 없이 이루어져 왔다.

정부는 이러한 민간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국가정보화기본법을

개정하고 국가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범부처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정보화전략위원회를 두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공공저작물 이용

허락인증시스템 활성화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최근 들어서면서 스마트 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관련 모바

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활기를 띠면서 ‘공공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폭

되고 정보 제공 또한 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공공저작물의 경

우 일반 공공정보와는 달리 지식재산권 중 하나인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는 재화이며, 전 세계적으로 저작권에 대한 관리와 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를 볼 때 공공재화라 하더라도 문제의 소지를 방지할 제도적

인 방편이 마련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이용허락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제도적 보완

점, 운영체계 개선점, 지원정책의 제언을 통해 이용허락인증제도의 활

성화 기틀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세계최초로 추진하는 정책인 만큼,

다른 나라에 좋은 선도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Page 2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1장서 론

Page 2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1

1장 서론

1. 저작물 유통환경

가. 올드미디어를 벗어나 인터넷 및 다양한 뉴미디어의 등장

사회의 발전은 그 본질상 고도화된 소통과 상호 작용을 지향해 가는

과정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효율적인 의사소통 구조의 변화는 더 많

은 메시지를, 더 정확한 방식으로, 더 쉽고 저렴하게 보낼 수 있는 방

향으로 흘러왔다. 더욱이 그 정보의 정확성과 양과 속도는 인터넷에

의해 급격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인터넷은 분명

역사의 혁명을 몰고 온 획기적인 미디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지금도 수많은 미디어들은 실험과 실패를 반복하며 효율성을

높여 가고 있으며 이러한 방향성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의 발전 방향성은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동성(mobility), 경제성(efficiency),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그리고

정확성(accuracy)을 개량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나. 뉴미디어를 통한 저작물의 생산-유통-소비 확대

뉴미디어는 인터넷에서 벗어나 스마트폰과 e-book과 같은 휴대용 미

디어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기능이 지금까지의 단순한 다운

로드방식이 아닌 상호작용과 재생산, 공유 등 복잡 다양한 기술의 결

합체 형태로 발전, 이동성(mobility), 경제성(efficiency),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그리고 정확성(accuracy)을 집약적으로 높여주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이름의

미디어 상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경쟁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저작물이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과

소비의 장벽을 모호하게 만들어가고 있다. 디지털 기기로 무장한 1인

미디어들은, 올드미디어들이 따라가지 못할 속도로 진화를 거듭하고

Page 2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

있으며 이들은 웹캠이 장착된 노트북을 들고 다니며, 새로운 저작물을

생산해 내는데 까지 이르렀다.

다. 온라인상 불법저작물의 확산

디지털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환경은 저작물의 유통과 이용 가능

성을 확대시켜 저작권자의 이익확대와 문화의 발전가능성을 높인 반

면, 저작물이 불법적으로 수정․복제되어 광범위하게 유통됨으로써 저

작권이 침해될 위험성 또한 높이고 있다. 저작권에 대한 법적인 보완

책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나 저작물을 활용하는 연령층이 급속히 낮

아지면서 저작권에 대한 교육이나 사회적 홍보가 더욱 요구되는 상황

이나 정책적인 수단은 이러한 속도를 따라가기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또한 저작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음악이나 영상

물의 불법 업로드ㆍ다운로드, 게시 등이 기술적으로 손쉽게 이루어지

면서 불법저작물이 더욱 확산되고 있으며 동시에 온라인상 불법저작물

단속도 강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저작권자 개인의 권리 보호와 공공의

이익보호 사이에서 갈등이 유발되기도 하는 상황이다.

라. 단속건수도 매년 급증추세

저작권보호센터 자료에 의하면 불법저작물 단속건수는 2007년

77,582건으로 전년 대비 약 69%, 2008년에는 98,393건으로 전년 대비

약 27% 각각 증가하였고, 단속수량은 2007년 12,466,051개로 전년 대비

약 13%, 2008년에는 28,132,594개로 전년 대비 약 126% 각각 증가하였

다. 단속건수의 증가추세가 약화된 것처럼 보이나 단속수량은 최근 급

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6년~2008년까지 불법저작물 단속수량이

156%증가한 것은 온라인상 불법저작물의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

음을 나타내고 있다.

Page 2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3

분유형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5/31)

건 수량 건 수량 건 수량 건 수량

P2P 5,179 2,316,667 985 1,763,426 1,236 1,863,445 148 38,293

웹하드 1,817 4,473,635 4,420 5,374,930 4,870 7,648,271 147 259,569

포털 2,960 1,630,623 21,538 1,342,010 18,274 3,362,546 1,006 251,556

계 9,956 8,420,925 26,943 8,480,366 24,380 12,874,262 1,301 549,418

P2P 8,958 204,215 3,672 125,062 4,976 502,451 1,267 105,202

웹하드 26,530 295,459 44,399 610,022 61,622 2,591,736 13,595 541,492

포털 162 17,076 2,114 17,379 465 7,803 154 6,781

계 35,650 516,750 50,185 752,463 67,063 3,101,990 15,016 653,475

P2P 77 365,742 108 721,440 652 1,077,051 3 24,424

웹하드 309 1,682,215 305 2,511,588 5,778 10,951,960 835 3,532,759

포털 11 18,562 41 194 520 127,331 - -

계 397 2,066,819 454 3,233,222 6,950 12,156,342 838 3,557,183

P2P - - - - - - 208 668

웹하드 - - - - - - 4,066 23,630

포털 - - - - - - 115 655

계 - - - - - - 4,389 24,953

P2P - - - - - - 130 346,089

웹하드 - - - - - - 480 1,567,547

포털 - - - - - - - -

계 - - - - - - 610 1,913,636

합계 92,006 22,008,688 155,164 24,932,102 196,786 56,265,188 44,308 13,397,330

<표 1-1> 온라인 불법 저작물 단속 현황1)

마. 다양한 미디어 등장으로 저작물 유통에 기회이자 위기

새로운 미디어가 속속 등장하면서 현행법을 위반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한 자를 적법한 절차에 따라 처벌하고 권리자를 보호하는 것은 법

치국가의 기본적인 원리이나, 규제와 처벌 이전에 문제의 근본적 원인

을 살펴보면 저작권에 관한 교육ㆍ홍보가 부족하여 준법을 위한 법의

식의 개선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법은 누구나 준수하여야 할 의무가

1) 2009년 저작권 보호 연차 보고서

Page 2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4

있으나, 법에 대한 신뢰와 법집행에 대한 순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법이 생활규범으로 국민들의 삶 속에서 항상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

다. 법의식의 개선을 통하여 법규범의 생활화가 이루어진 후 그 위반

행위에 대한 처벌이나 규제가 이루어져야 법집행에 대한 신뢰가 유지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989년 이래 20년간 미국 무역대표부

(USTR)의 스페셜 301조 보고서2)에서 우선감시대상국(Priority Watch

List) 또는 감시대상국 (Watch List)으로 분류되어 왔을 정도로 국민들

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고 저작권 관련 교육이나 홍보도 체

계적으로 시행되지 못하였으며 지적재산권 침해 정도가 심각한 나라에

부여되는 우선감시대상국에 9회, 그보다는 약간 덜 심각한 국가에게

부여되는 감시대상국에 11회나 지정되었다. 1974년 미국통상법 제182

조에 의거하여 주요 교역대상국의 지적재산권의 보호정도를 평가하는

미국 국내 연례보고서로, 지적재산권 보호 수준을 평가하여 보호가 미

비한 국가들을 ‘우선협상대상국’, ‘우선감시대상국’, ‘감시대상국’ 등으로

분류하고, 우선협상대상국에 대해서는 무역보복조치가 가능하도록 하

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저작물의 유통채널은 그

어느 때보다 급속하게 증가하고 소비량 또한 증가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추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저작권불법유통이라는

가장 큰 장애요인이 있으며 이를 강제하는 법적인 근거와 단속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작물에 대한 불법이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향후 정책방향과 노력여하에

따라 합법적인 저작물 유통은 기회가 될 수도 있으며 그 반대로 뉴미

디어의 발전이 가장 큰 해악이 될 수도 있다.

Page 2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5

2. 저작물에 대한 보호정책 추이

우리나라 저작물과 관련된 법률은 다양하게 있다. 각 장르별, 산업별

육성에 관한 법률이 있으며, 미디어 유형별로도 제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와 보호를 총괄적으로 규정하며 다

른 산업진흥에 관한법률의 모범이라 할 수 있는 저작권법에 대하여 살

펴보기로 한다.

가. 저작권법의 주요내용

1) 저작권법의 목적

저작권법2) 제1조는“이 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의 향상발전에 이

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창작자인 저작자의

이익과 이용자인 일반 공중의 이익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저작권법

을 해석하고 운영하여야 한다는 일반 원칙을 천명한 것이라 할 수 있

다.

2) 저작물과 저작자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동법 제2조 제1

호)이다. 여기서의 창작성은 기존의 다른 저작물을 모방하지 않았다는

정도의 창작성을 의미하므로 특허의 요건인 진보성 내지 신규성보다는

많이 완화되어 있다. 또한 저작물은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것이므

로 사상, 감정 등의 아이디어(idea) 자체가 아닌 그것의 표현

(expression)에 국한된다. 특히 국내 저작권법은 미국의 저작권법과 달

리 저작물의 성립에 유형물인 매체에 고정(fixation)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단지 구연하거나 낭독하는 경우에도 저작물로 인정된

다.

2)[시행 2008.2.29] [법률 제8852호, 2008.2.29, 타법개정]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정책

과)02-3704-9478

Page 2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6

컴퓨터프로그램도 어문저작물의 일종으로 저작물에 해당하는데 저

작권법의 특별법이라 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에서 따로 규율

하다가 2009. 4. 22. 개정으로 저작권법에 모두 통합된 바 있다. 저작자

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말한다(동법 제2조 제2호). 즉 저작물을 실

제 제작한 자가 저작자가 된다. 단 법인 등의 명의로 공표되는 업무상

저작물의 경우에는 계약 또는 근무규칙 등에 다른 정함이 없는 한 그

법인 등이 저작자가 되므로 이 경우는 예외이다.

3) 저작권

저작권법은 창작물이 저작물에 해당하는 한 특정한 절차와 방식 없

이 그 창작과 동시에 저작자에게 저작물에 대한 배타적 권리인 저작권

을 부여하는 무방식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저작권은 그 내용상 배타적

인 지배권으로서의 성질을 갖고 있기는 하나 완전한 하나의 권리가 아

니라 몇 개의 개별적 권리의 집합이다. 즉 저작권은 공표권, 동일성유

지권, 성명표시권 등의 저작인격권에 속하는 권리들과 복제권, 공연권,

전시권, 배포권, 공중송신권, 2차적저작물작성권 등의 저작재산권에 속

하는 개개의 권리를 포괄하는 권리이다. 따라서 저작권을 구성하는 개

개의 권리들의 성격이 배타적 독점적이기는 하여도 저작권이 전면적

일반적 지배권은 아니라는 점에서 물건의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의 전부

를 지배하는 전면적 일반적인 권리인 소유권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게다가 저작권은 존속기간이 정해져 있어 한정된 기간 동안만 권리자

에게 독점적인 지배권을 부여하되 그 기간이 경과되면 종료되는 독특

한 특성을 갖고 있다.

저작권은 아니지만 저작권에 유사한 권리로서 실연자,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에게 부여되는 저작인접권이 있다. 저작인접권자들은 실연,

음반, 방송에 대하여 일정범위의 권리를 갖게 되는데, 저작물의 직접적

인 창작자는 아니지만 그 저작물의 해석자 내지는 전달자로서 창작에

준하는 활동을 통해 저작물의 가치를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저작권에

Page 2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7

유사한 권리가 인정된다. 최근에 들어와서는 저작권산업의 발달에 따

라 음반제작자 등이 저작권 분쟁의 전면에 등장하고 그 경제적 이해관

계도 커짐에 따라 저작인접권은 저작권의 부가적인 권리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저작권법의 핵심적인 권리로서 인식되고 있다.

4) 저작물의 이용허락3)

저작재산권자는 다른 사람에게 그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할 수 있다.

저작자가 스스로 저작물을 이용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는 것은 쉽지 않

기 때문에 저작권은 자신이 보유한 채 전문적인 사업자에게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하고 그 이용대가만을 취득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는 것이

일반적인 저작권 이용형태이다. 이 밖에도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저작권 자체의 양도4) 방식이 있다. 이용허락은 단지 저작물

의 이용이라는 채권 채무 관계만을 설정하는데 반하여 저작권의 양도

는 제3자에게도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준물권적인 권리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저작물의 일반적인 이용방법은 저작권의

양도보다는 이용허락(license)에 의하고 당사자 간의 의사가 명확하지

아니할 때에는 저작권의 양도가 아닌 이용허락으로 해석한다. 이용허

락 관계의 당사자는 채권 채무의 법률관계를 가지게 되고 이용허락을

받은 자는 이용허락계약에서 정해진 이용방법 및 조건의 범위 안에서

그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하게 된다.

5) 저작재산권의 제한

배타적 권리로서의 저작권, 특히 저작재산권은 다른 재산권과 마찬

가지로 내재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고, 공공복리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작권에 있어서 그 제한이 좀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앞서 본 저작권의 목적과 관련해서 개인의 권리보호와 공공의 이

익보호라는 두 이념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저

작권의 한계와 예외조항이다.

3) 저작권법 제4관 저작재산권의 양도・행사・소멸 제46조 제1항

4) 저작권법 제4관 저작재산권의 양도・행사・소멸 제45조 제1항

Page 2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8

6) 저작권침해행위에 대한 구제

저작권침해행위에 대해서는 민사적 구제와 형사적 구제가 마련되어

있다. 민사적으로는 침해행위의 정지 등의 청구5)와 손해배상청구로 대

별되는데 손해배상청구는 민법 제750조의 일반불법행위규정에 따라 가

능하지만 손해액의 산정 등의 특별규정을 두고 있다. 형사적 구제는

저작권 등 저작권법이 보호하는 권리를 침해한 경우 이에 대한 형사처

벌을 규정하고 있다. 대체로 친고죄로 규정되어 있으나 비친고죄의 적

용범위가 점차 더 확대되고 있다.

나. 저작권법의 주요 개정내용

저작권법은 1957년 1월 28일 제정된 이후 총 18차에 걸쳐 전부개정

또는 일부개정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일부 용어나 유관법률 개정

에 따른 개정을 제외하면 크게 5차례의 중요한 계기가 있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2003-5-27 11차 일부개정안

이 법률은 남궁석의원(2001.11.12 발의), 신기남의원(2002.2.1 발의)이

각각 대표발의한 저작권법 중 개정 법률안과 정부가 제출(2001.11.26)한

저작권법 중 개정 법률안이 제228회 국회(임시회) 제1차 문화관광위원

회(2002.3.14)에 상정되어, 제안 설명과 전문위원의 검토보고를 듣고 대

체토론을 거쳐 법안심사소위원회에 회부되었다.

제안이유로는 지식정보사회의 진전으로 데이터베이스․디지털콘텐

츠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제작 등에 드는

투자노력을 보호하고, 저작권자 등이 불법복제로부터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행하는 기술적 보호조치 및 저작물에 관한 권리관리

정보를 다른 사람이 침해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등 디지털 네트워크

5) 저작권법 제124조 (침해로 보는 행위)

Page 2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9

1. 종전에는 창작성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한하여 권리로서 보호를

하였으나, 앞으로는 창작성의 유무를 구분하지 아니하고 데이터베이스

를 제작하거나 그 갱신․검증 또는 보충을 위하여 상당한 투자를 한

자에 대하여는 일정기간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복제․배포․방송 및 전

송권을 부여하도록 함(제2조제12호의5 및 제73조의2 내지 제73조의9).

2. 도서관등이 도서 등을 도서관간에 열람목적으로 전송하거나 디

지털 도서 등을 출력하는 경우에 문화관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보상금을 지급하고 가능하도록 하고, 당해 도서관 관내에서의 열람을

위한 복제․전송의 경우에는 보관하고 있는 도서의 부수 범위 내에서

저작권자 등의 허락을 받지 않아도 가능토록 함(제28조).

3. 시각장애인 등의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당해 시설의 장을 포함한다)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

하고 시각장애인 등의 이용에 제공하기 위하여 공표된 어문저작물을

시각장애인 등에게 전용 기록방식으로 복제․배포 또는 전송할 수 있

도록 함(제30조).

4.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보호기간은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거

나 갱신 등을 한 때부터 5년으로 함(제73조의6).

5.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저작물이나 실연․음반․방송 또는 데이

터베이스의 복제․전송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

른 사람에 의한 이들 권리의 침해사실을 알고서 당해 복제․전송을 중

단시킨 경우에는 그 다른 사람에 의한 권리침해행위와 관련되는 책임

환경에서의 저작권보호를 강화하며, 인터넷을 통한 제3자의 저작권침

해시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면책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책임범위를 명확히 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안정적인 영업활동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그 밖

에 현행 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이었다.

주요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Page 3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0

을 감경 또는 면제하도록 하는 등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면책요건 등

을 정함으로써 오늘날의 정보화 사회에서 온라인서비스제공사업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제77조).

6. 저작권 등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기술․서비스․장치 등이나 그 주요부품을 제공․

제조․양도․대여․전송하는 행위는 이를 저작권 그 밖의 이 법에 의

하여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행위로 보고, 동 위반행위자에 대하여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함(제92조제2항

및 제98조제5호).

7. 저작권 등 권리의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거나

과실로 알지 못하면서 전자적 형태의 권리관리정보를 제거․변경하는

행위 등은 이를 저작권 등의 권리침해행위로 보고, 동 위반행위자에 대

하여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함(제

92조제3항 및 제98조제6호).

8. 종전에는 부정복제물의 부수 등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이를

출판물의 경우 5천부, 음반의 경우 1만매로 추정토록 되어 있었으나,

앞으로는 저작권 침해로 인한 손해가 발생한 사실은 인정되지만 저작

권법상 손해액으로 추정되는 ‘침해행위로 얻은 이익 또는 그 권리의 행

사로 통상 받을 수 있는 금액에 상당하는 액’을 입증하기가 어려운 때

에는 변론의 취지 및 증거조사의 결과를 참작하여 상당한 손해액을 인

정할 수 있도록 함(제94조).

2) 2004-10-16 12차 일부개정안

제안이유로는 실연자(實演者) 및 음반제작자에게 그의 실연 및 음반

에 대한 전송권을 부여함으로써 인터넷 등을 활용한 실연 및 음반의

이용에 대한 권리를 명확히 하려는 것이다.

주요내용으로는 실연자는 그의 실연을 전송할 권리를 가지고 음반

제작자는 그의 음반을 전송할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함(제64조의2 및

Page 3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11

제67조의3 신설).

3) 2006-12-28 14차 전부개정안

제안경위로는 다음과 같다.

1. 2004년 9월 4일 정성호의원, 2004년 12월 27일 윤원호의원,

2005년 10월 31일 우상호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하여 회부된

저작권법 일부 개정 법률안과 2005년 6월 13일 이광철의원이

대표 발의하여 회부된 저작권법 전부 개정 법률안을 제250회

국회(정기회) 제11차 문화관광위원회(2004. 11. 25), 제252회

국회(임시회) 제1차 문화관광위원회(2005. 2. 18) 및 제256회

국회(정기회) 제13차 문화관광위원회(2005. 11. 17)에 각각 상

정하여 대체토론을 거친 후 법안심사소위원회에 회부하였음.

2. 제256회 국회(정기회) 제19차 문화관광위원회(2005. 12. 6)는

법안심사소위원회의 심사보고대로 상기 4건의 개정 법률안

중 일부 내용을 수정·통합하여 위원회 대안을 제안하고, 4건

의 법률안을 각각 본회의에 부의하지 아니하기로 의결함.

개정이유로는 디지털 및 인터넷 기술 환경의 변화로 현행 법령을

적용하기 곤란한 이용 분야가 등장하여 이를 반영하고, 저작물 등의

이용환경 변화에 따른 저작인접권자 등의 권리를 국제규범에 맞게 보

호할 필요가 있었으며 1957년 법 제정 이래 잦은 개정으로 흐트러진

법체계를 바로 잡고 저작권 보호를 위한 일정한 침해 방지 및 저작물

등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조항을 신설하여 문화발전의 향상

을 도모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법정허락을 통하여 사용을 허락받은 저

작물의 경우, 후발 신청자는 저작권자를 찾는 상당한 노력 등을 생략

하게 하고, 문화관광부장관에게 저작권 인증과 권리관리정보 및 기술

적 보호조치에 관한 정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 저

작물의 국외 진출을 돕고 저작물의 원활한 이용을 도모하여 문화산업

의 발전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 간 파일공유 등을 목적으로

Page 3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2

1. 방송ㆍ전송ㆍ디지털음성송신을 포괄하는 상위의 ‘공중송신’의 개념

을 신설하고, 방송과 전송의 문구를 부분 수정하는 동시에 ‘디지털

음성송신 및 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의 개념을 신설함(제2조제7호

내지 제12호).

2. 공중의 정의를 신설함(제2조제32호).

3. 저작물 등의 안전한 유통을 보장하여 건전한 저작권 질서를 유지하

기 위하여 저작권 인증 제도를 도입함(제2조제33호 및 제56조 신설).

4. 저작자의 공중송신권을 신설함(제18조).

5. 공개적인 정치적 연설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동일

한 저작자의 것만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것은 금지함(제24조).

6. 학교 수업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복제방지장치 등의 조치를

전제로 교사 및 학생들이 저작물의 일부분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

되, 그러한 전송이 고등학교 이하의 학교 수업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때에는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함(제25조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10항).

7. 교과용 도서보상금의 지급 단체 지정 및 취소 요건을 신설하고 3년

경과 미 분배 보상금을 공익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제25조

제5항 내지 제9항).

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 대하여 권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당

해 저작물 등의 불법적인 전송을 차단하는 기술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영리를 위하여 상습적으로 저작권 침해행위를 한 경우에는 비친

고죄화하는 동시에 문화관광부장관에게 불법복제물 수거, 폐기 및 삭

제 권한을 부여하여 불법복제로부터 우리 문화산업을 보호하고자 하였

다.

주요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Page 3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13

8. 신문, 인터넷 신문 및 뉴스통신의 시사적인 기사 및 논설을 해당

기사 등에 이용 금지 표시가 있는 때를 제외하고 다른 언론기관이

자유롭게 복제ㆍ배포 및 방송할 수 있는 규정을 신설함(제27조).

9. 도서관 등에서의 보상금의 지급 단체 지정 및 취소 요건을 신설하

고 3년경과 미 분배 보상금을 공익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제31조제6항).

10. 이미 법정허락 된 바 있는 저작물에 대하여 다시 법정허락의 신청

이 있는 때에는 저작권자를 찾는 상당한 노력의 절차를 생략함(제

50조제3항 및 제4항 신설).

11.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음반 보호에 관한 조약의 체약국 국

민을 음반제작자로 하는 음반도 보호의 대상에 포함시킴(제64조).

12. 실연자에게 인격적 권리에 해당하는 ‘성명표시권’과 ‘동일성유지권’

을 신설하여 부여하고, 이들 권리는 양도나 이전이 금지되도록 함

(제66조 내지 제68조).

13. 실연자에게 실연의 복제물을 배포할 권리를 부여함(제70조).

14. 판매용 음반의 대여에 대하여 단체를 통한 보상금 지급방식을 벗

어나 실연자와 음반제작자에게 완전한 의미의 배타적 대여권을 부

여함(제71조 및 제80조).

15. 실연자에게 고정되지 않은 생실연에 대한 공연권을 신설하여 부여

함(제72조).

16. 외국인 실연자 및 음반제작자도 상호주의에 입각하여 판매용 음반

의 방송에 따른 보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함(제75조제1항 및 제82

조제1항).

Page 3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4

1. 「도서관법」 제20조의2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이 보존을 위하여

온라인 자료를 수집하는 경우 해당 자료를 복제할 수 있도록 함(제

31조제8항).

4) 2009-3-25 16차 일부개정안

이 법률안은 2008년 7월 24일 김소남의원, 2008년 11월 6일 정병국

의원, 2008년 11월 14일 김창수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저작권법 일

부개정법률안」에 대하여 제280회 국회(임시회) 제1차 문화체육관광방

송통신위원회(2009. 1. 9)에 상정하여 전문위원의 검토보고와 대체토론

을 거쳐 법안심사소위원회에 회부하여 심사·보고하였다.

제280회 국회(임시회) 제2차 법안심사소위원회(2009. 1. 30)와 제281

회 국회(임시회) 제2차 법안심사소위원회(2009. 2. 3)에서 3건의 「저작

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심사한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의 온라인 자료

의 수집을 위한 복제권 인정, 시각장애인 등 전용 기록방식의 위임에

관한 사항, 음반제작자와 실연자의 공연보상청구권 부여 등에 관한 사

항 등에 대해서 위원회 대안을 제안하기로 하고 제281회 국회(임시회)

제2차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2009. 2. 4)에서 법안심사소위원회가

심사보고한 후 위원회 대안을 의결하였다.

개정이유로는 최근 정보기술의 비약적 발달에 따라 지식정보의 생

산 및 이용 환경이 온라인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나 온라인 자료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국립중앙도서관으로 하여금 온라인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도록 복제근거를 마련하고, 판매용 음반

을 이용하여 공연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는

실연자와 음반제작자에게도 상당한 보상금을 지급하도록 하여 저작인

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그 밖에 저작물의 복제·배포에 관한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하도록 보완하려는 것이다.

주요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Page 3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15

2 공표된 어문저작물을 일정시설에 한하여 시각장애인 등 전용 기록

방식으로 복제· 배포 또는 전송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시각

장애인 등 전용 기록방식’의 개념이 불명확하므로 그 범위를 대통령

령에서 정하도록 위임 근거를 규정함(제33조제2항).

3. 판매용 음반을 사용하여 공연을 하는 경우 상당한 보상금을 해당

실연자 및 음반제작자에게 지급하도록 하되, 다른 보상청구권과 마

찬가지로 ‘저작권 침해 정지등 청구권’에 관한 규정 적용을 배제하도

록 함(제76조의2 및 제83조의2 신설, 제123조제1항).

1. 「저작권법」과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의 통합(제2조제34호 신

설 등)

(1) 현재 일반저작물과 컴퓨터프로그램에 대하여 「저작권법」과 「컴

퓨터프로그램 보호법」으로 나누어 각각 보호하는 이원적인 체계

를 유지하고 있으나, 저작권 보호 및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

모하기 위한 정책 수립과 집행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동일

하거나 유사한 규정을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

어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을 이 법에 통합함.

(2)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한 전체 저작물에 대하여 동일한 법률에서

규정함으로써 이원적 체계에 따른 혼란을 줄임.

2.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에 대한 특례(제101조의2부터 제101조의7까지

신설)

(1)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의 경우 일반 저작물과는 다른 특성이 있는

5) 2009-4-22 17차 일부개정안

개정이유로는 저작권보호 정책의 일관성 유지와 효율적인 집행을

도모하기 위하여 컴퓨터프로그램에 대한 보호 업무를 이 법에 통합하

고자 하는 한편, 온라인상의 불법복제를 효과적으로 근절하기 위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 및 불법 복제ㆍ전송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려는

것이다.

주요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Page 3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6

바 이를 감안한 별도의 규정함.

(2) 프로그램저작권의 제한, 프로그램코드 역분석, 프로그램배타적발행

권 설정, 프로그램의 임치 규정 등을 일반적 저작물에 대한 특례

로 규정함.

(3)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에 대하여 특례규정을 둠으로써, 컴퓨터프로

그램저작물만의 특화된 보호수준 및 범위를 유지함.

3.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설립(제112조 및 제112조의2)

(1) 저작권 관련법의 통합에 맞추어 관련 단체를 통합하고, 기존의 저

작권위원회의 업무를 확대하여 효과적인 저작권 보호를 위한 조직

으로 정비함.

(2) ‘저작권위원회’와 ‘컴퓨터프로그램보호위원회’를 통합하여 ‘한국저작

권위원회’를 설립함.

4. 온라인상 불법복제 방지대책 강화(제133조의2 및 제133조의3 신설)

(1) 온라인상 불법복제를 효과적으로 근절하기 위해서는 온라인서비스

제공자 및 불법 복제ㆍ전송자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규제가 도입

됨.

(2) 온라인상에서 불법복제물을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자의 개인 계정

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송된 불법복제물이 게시되는 정보통

신망에 개설된 게시판 서비스를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정보통신

서비스제공자로 하여금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취급을 제한하도록

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

다. 저작권법의 주요 개정추이 요약

현재의 저작권법체계는 2006년 12월 28일에 개정된 제 14차 전부 개

정 법률안이 근간이 되고 있다. 그간의 법률개정 추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2003년 5월 27에 개정된 제 11차 일부 개정 법률안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분야에 대하여 개정을 추진, 첫째로는 지식정보사회의 진전으

로 데이터베이스․디지털콘텐츠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데이

Page 3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17

터베이스의 제작 등에 드는 투자노력을 보호하고, 저작권자 등이 불법

복제로부터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었으며 둘째로는 온라인서비

스제공자가 안정적인 영업활동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

하고,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

선․보완하는 것이었다.

2004년 10월 16일에 개정된 제 12차 일부 개정 법률안에서는 실연자

(實演者) 및 음반제작자에게 그의 실연 및 음반에 대한 전송권을 부여

함으로써 인터넷 등을 활용한 실연 및 음반의 이용에 대한 권리를 명

확히 하려는 것이었다.

2006년 12월 28일에 개정된 제 14차 전부 개정 법률안에서는 디지털

및 인터넷 기술 환경의 변화로 현행 법령을 적용하기 곤란한 이용 분

야가 등장하여 이를 반영하고 저작물 등의 이용환경 변화에 따른 저작

인접권자 등의 권리를 국제규범에 맞게 보호, 1957년 법 제정 이래 잦

은 개정으로 흐트러진 법체계를 바로 잡고 저작권 보호를 위한 일정한

침해 방지 및 저작물 등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조항을 신설

하는 한편 문화관광부장관에게 저작권 인증과 권리관리정보 및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정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하며 불법복제물 수거,

폐기 및 삭제 권한을 부여하여 불법복제로부터 우리 문화산업을 보호

하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2009년 3월 25일에 개정된 제 16차 일부 개정 법률안에서는 온라인

자료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국립중앙도서관으로 하여금

온라인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도록 복제근거를 마련하였고 판

매용 음반을 이용하여 공연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입

게 되는 실연자와 음반제작자에게도 상당한 보상금을 지급하도록 하여

저작인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그 밖에 저작물의 복제·배포에 관한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하도록 보완하였다.

2009년 4월 22일에 개정된 제 17차 일부 개정 법률안에서는 저작권

Page 3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8

보호 정책의 일관성 유지와 효율적인 집행과 컴퓨터프로그램에 대한

보호 업무를 이 법에 통합하고자 하는 한편, 온라인상의 불법복제를

효과적으로 근절하기 위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 및 불법 복제ㆍ전송

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화 및 저작권유통이 온라인화 되면서 새롭게 대

두되는 저작권을 관리 및 보호에 필요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

여 저작권법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왔으며 2006년 12월 28일에 개정된

제 14차 전부 개정 법률안에서는 비로소 우리나라의 저작권관리수준을

국제적인 규범에 맞도록 하는데 까지 이르게 되었다.

Page 3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19

3. 공공저작물의 유통실태

가. 공공저작물에 대한 인식 미흡

공공저작물은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한 저작물로써 그 목적은 다

양할 수 있으나 다양한 공공의 이익실현이라는 목적에 활용될 수 있도

록 다양한 방법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

에서 공공저작물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기관이나 정책관련기관의 인식

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정책기관의 인식은 수요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활용방법이나 그 저작물이 생산된 목적을 다양

하게 실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공공저작물을 공개하고 이를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기관이나 제도는 미약하다. 저작권위원회를 비롯하여 저작권과 관련되

어있거나 생산하는 기관은 여러 곳이 있으나 공공저작물을 기반으로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곳

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현재와 같이 공공저작물을 보유한 공공기관이 동일한 규정과

방법론의 통일성 없이 개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에서는 일반

국민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공공저작물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이용

경로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체계마련과 함께 각 기관간

의 협력필요인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나. 공공저작물 생산과 소비의 연결성 부족

현재까지의 저작물 유통시장은 생산과 소비가 체계화, 기업화, 산업

화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그에 반해 공공저작물시장은 시장진입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으며 소비에 대한 고려보다는 정책적 목적

에 부합한가가 주된 판단의 기준이 되어왔다. 따라서 아무리 산업화가

가능한 공공저작물이라 하더라도 시장에서의 산업화가능성, 소비형태,

Page 4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0

소비규모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된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공저작물 제공기관의 운영목표에 의해 제공방식이나 서비

스의 내용, 품질 등이 결정되고 시장에서의 수요를 고려하는 것은 상

대적으로 미흡하여 공공저작물의 다양한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 소비자의 접근성 부족

소비자의 접근성이란 기본적으로 향유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충분

한 지식과 정보를 토대로 시간적․공간적인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과정

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접근성 제고의 기반은 충분한 정보를 가

진 소비자가 많아져야 한다는 것이며 이는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 규

범 등을 확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공공저작물에

대한 이용가이드나 저작물목록, 비용 등을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기관

은 없으며 다만 각 기관에서 정책추진의 결과물을 공지하는 정도로 그

치고 있다.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소비자의 접근성은 단순히 공지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용방법 및 규범 등에 대한 소비자교육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Page 4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21

4.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의 필요성

가. 공공저작물 민간활용 촉진의 필요성대두

민간 부문의 공공정보 활용 요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게 증대되

고 있다. 특히 새로운 서비스나 상품개발 등을 위해 공공정보의 활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 스마트폰 출시

증가로 공공정보를 활용한 신규 서비스 제공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또한 공공정보를 개방하여 민간의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 창출 및 관련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수요도 꾸준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 대응체계 미흡

외국의 경우에는 공공정보 민간개방을 위한 제도를 정비, 자국의 대

표 포털을 통해 인구, 범죄, 건강 등 공공정보 개방을 추진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 공공정보의 민간부문 활용에 대비한 체계는 부족한

상황이다. 2010년 3월 정부가 발표한 공공정보의 민간활용 촉진 종합

계획에 따르면 현재까지의 문제점으로 첫째 민간기업 등이 원하는 공

공정보에 대한 소재파악 곤란, 둘째 행정․공공기관 담당자의 소극적

대응으로 공공정보의 취득 애로, 셋째 공공정보에 대한 품질관리 부족

으로 민간에 제공된 공공정보의 데이터 오류, 업데이트 미흡 등 문제

발생 등을 꼽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저작권이 있는 공공저작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써 민간수요에 대응하는 체계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다. 공공저작물 공개에 따른 법정분쟁소지도 상존

민간기업이 공공저작물을 포함한 공공정보를 사용할 경우 저작권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제공기관과 공식적으로 협의 또는 계약의 형태로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표준화된 절차가 없어 분쟁의 소지가 상존

Page 4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2

하고 있다.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디지털화, 다(多)미디어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법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도적 보완 없이 적극적으

로 저작권이 있는 공공정보를 공개하게 된다면 공공저작물의 제작목적

인 공공의 이익이 침해될 우려가 있으며 공공저작물의 적극적인 공개

에 앞서 예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한 상황이

다.

라.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 필요성

공공저작물의 공개필요성은 범정부적인 공공정보이용활성화추세에

부합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기 위해서

는 예견되는 저작권 분쟁에 대한 대비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그

이유로는 공공저작물과 관련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크게 일반저작물

과 다른 두 가지의 중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는 분쟁 당사자가 정

부 혹은 공공기관이라는 점이다. 민간활용을 통한 산업화 또는 정책목

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분쟁

당사자가 공익을 위해 설립된 기관이라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저작물의 생산목적이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인데 반해

공익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공익을 해치는데 공공저작물이

활용된다면 공익실현을 위해 만들어진 저작물의 본 취지에 반하는 것

으로써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하는데

있어 합리적인 절차와 이용 목적, 이용한계, 구제방법, 권리관계의 명

확화 등 공공저작물의 민간이용 활성화와 정부의 공공정보 개방추세에

부합하는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 가능한 제도가 필요하며 이는 곧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라 하겠다.

이 제도를 통해 민간 활용을 통한 산업화, 일자리창출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저작권분쟁, 공익저해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Page 4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1장 서 론

23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여 공공저작물 이용

허락인증제도의 안정화와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는 점차 강화되고 있는 저작권

보호의 정책방향과도 부합하는 것이며 또 한편으로 제시되고 있는 민

간의 이용수요에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림 1-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환경분석

Page 4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2장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Page 4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25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제1절 공공저작물 정책개관

1. 저작물에 대한 개념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행한 공공콘텐츠관리지침6)에 따르면 “저작

권법 ”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 즉 저작인접권자의 권

리를 보호하여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포함함으로써 문화의 향상 발

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저작권법”에서 보호하는 저작

물은 “저작권법” 제2조 제1호에서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한다.” 로 정의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 원 저작물

저작물의 사례로는 소설·시·논문·강연·연설·각본 등과 같은 어문 저

작물, 작사·작곡 등과 같은 음악 저작물, 연극 및 무용·무언극 등과 같

은 연극 저작물, 회화·서예·조각·판화·공예·응용미술 저작물 등과 같은

미술저작물, 건축물·건축을 위한 모형 및 설계도서등과 같은 건축저작

물, 사진저작물, 영상저작물, 지도·도표·설계도·약도·모형 등과 같은 도

형 저작물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물 등이 있다.

2) 2차적 저작물

2차적 저작물7)은 “원 저작물을 번역·편곡·변형·각색·영상제작 등이

있다.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이하'2차적 저작물'이라한다)은

독자적인 저작물로서 보호된다.”로 정의되어 있으며, 동조 제2항에서

“2차적 저작물의 보호는 그 원저작물의 저작자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

지 아니한다.”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원저작물을 기반으로 새로운

6) 2009년 2월 한국콘텐츠진흥원 “공공콘텐츠 관리지침(개정안)”

7) “저작권법” 제5조 제1항“

Page 4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6

창작물을 만들었을 때 이를 2차적 저작물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3) 편집저작물

“편집물8)은 저작물이나 부호·문자·음·영상 그 밖의 형태의 자료(이하

‘소재’라 한다)의 집합 물을 말하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로 정의

되어 있다. 따라서 편집대상이 저작물인가는 중요하지 않으며, ‘편집저

작물’9)은 편집물로서 그 소재의 선택·배열 또는 구성에 창작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로 정의된 바와 같이 편집과정의 창작성이 있는가가 중

요하다. 편집 과정의 창작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면 편집물은 편집 저

작물로써 저작권법에 의해 그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

4) 데이터베이스

공공기관이 제작하는 콘텐츠들은 대체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관리되며 인터넷 환경에서 서비스된다. “데이터베이스”10)는 소재를 체

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로서 개별적으로 그 소재에 접근하

거나 그 소재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로 정의되어 있다.

현재 “저작권법”에서는 창작성이 인정되지 못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

로 존재하게 되면 그 제작자에게 일정한 재산적 권리를 사전적으로 보

호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이 구축한 데이터베이

스가 현행 “저작권법”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가는 자세히 살펴볼 필요

가 있다.

(보호받는 데이터베이스)11)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의 데이터베이스는 이 법에 따른 보호를 받는다.

1. 대한민국 국민 2. 데이터베이스의 보호와 관련하여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외국인”으로 보호받는 데이터

베이스 제작자를 정의하고 있다.

8) 저작권법 제2조 제17호

9) 저작권법 제2조 제18호

10) 저작권법 제2조 제19호

11) 저작권법 제91조 제1항

Page 4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27

즉, 개인이 아닌 법인 또는 공공기관이 제작한 데이터베이스는 보호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해설될 수도 있다. 특히, 민간기관과 달리 공공기

관의 경우는 공공의 목적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간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투자한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법”의 취지에 공공기관이 제작한 데이터베이스

에 대한 재산권 인정은 어렵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공공기관이 현행 “저작권법”에 의해서 확실하게 권리를 보호

받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형태에 의존한 미온적 방법보다는 편집

저작물로서의 창작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한다.

5)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저작물

“저작권법”이 문화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이에 저작물의 성질로 보아 국민에게 널리 알려 이용하게 함으로

써 훨씬 더 유익한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것은 보호의 대상에서 제외하

기로 하고, 이를 저작권법 제7조에 명시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5가

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둘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의 이와 유사

한 것

셋째,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 심판 절차 그 밖의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넷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규정된 것의 편

집물 또는 번역물

다섯째,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 보도 등이다.

Page 4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8

2. 공공저작물에 대한 개념 및 법적근거

가. 공공 콘텐츠의 정의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행한 공공콘텐츠관리지침12)에 따르면 “공공

콘텐츠”에서 “공공”은 “공공기관”을 의미하며,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의 규정에 따른 공공기관 및 “박물관 및 미

술관진흥법” 제3조 규정에 따른 기관들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국가

기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각급 학교,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

정부산하기관, 특수법인,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보조금을 받는 사회복지

법인 및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비영리법인, 국립박물관, 공립박물관, 국

립미술관, 공립미술관등이 “공공기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콘텐츠”에 대한 정의13)는 “콘텐츠라함은 부호, 문자, 음성, 음향 및

영상 등의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한다.”로 정의되어 있으며, “콘텐츠”는

고정된 매체에 따라 “실물콘텐츠”와 “디지털콘텐츠”로 구분할 수 있

다. 또한, “디지털콘텐츠”는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 제4호에서

“디지털 콘텐츠라 함은 부호, 문자, 음성, 음향 및 영상 등의 자료 또

는 정보로서 그 보존 및 이용에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디지털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한 것을 말한다.”로 정의되어 있다. 본 보고서에서 “콘

텐츠 제작”은 묵시적으로 “디지털콘텐츠제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 내에서 사용하는 “공공콘텐츠”는 특별한 설명이 부가되지 않는

한 “공공기관에서 디지털 형태로 제작한 콘텐츠”를 의미한다.

나. 공공콘텐츠의 유형 및 해석

“공공콘텐츠”를 “공공기관에서 디지털 형태로 제작한 콘텐츠”로 정

의하였는데, 공공콘텐츠는 공공재 성격으로 일반에게 무료로 서비스하

기 위해 제작된 경우와 유료로 판매할 목적으로 제작된 경우로 구분할

12) 2009년 2월 한국콘텐츠진흥원 “공공콘텐츠 관리지침(개정안)”

13)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제3호

Page 4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29

수 있다. 두 가지 경우 목적하는 바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공콘텐츠

가 제작된 이후 활용하는 방식에도 서로 큰 차이가 난다.

1) 무료정보 제공서비스

지금까지 공공기관들은 소장 자료의 보존 및 효율적인 관리 그리고

웹 환경에서 서비스의 편리성 때문에 보유 콘텐츠의 디지털화 작업을

추진해 온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경우, 공공기관이 자체적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제작된 콘텐츠를 서비스하거나 한국정보문화진흥원

(AO)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지식포털과 연계하여 일반인들에게 서비

스하는 것이 무료 공공콘텐츠의 대표적 활용사례라 할 수 있다.

공공기관의 성격에 따라 자료보존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빙을 구축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웹상으로 무료정보 제공서비스를 위한 디지털콘

텐츠 제작은 질적으로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무료 서비

스 용도로 제작된 콘텐츠를 상업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

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공공 콘텐츠들은 “지식정보자원관

리법”의 취지에 어울리는 공공재적인 성격을 가진다. 공공기관이 무료

로 서비스할 목적으로 콘텐츠를 디지털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외

부로 서비스하는 이상 저작권에 대한 권리 처리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향후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소지를 가진다.

2) 유료콘텐츠 유통서비스

공공재적인 성격의 콘텐츠가 아닌 산업계에서 상업적인 활용, 즉

유통을 목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공공기관은 보다 세심한 준비

가 필요하다. 이 경우 많은 예산과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작된 콘

텐츠에 대하여 공공기관이 가질 수 있는 권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고, 공공기관이 콘텐츠 저작자 본인이 아니고 제3자가 저작자

본인일 경우 해당 저작물의 권리관계와 권리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Page 5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30

다. 공공저작물 보호의 법적근거

국내의 경우 디지털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콘텐츠산업진흥

법”과 “저작권법” 등을 통해서 콘텐츠를 제작한 개인 또는 기관이 보

호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의 경우는 공공기관이 가지는 특

수한 공적 기능으로 인하여 개인 또는 민간기관과는 달리 법에서 보호

하는 범위에서 제외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① 콘텐츠산업진흥법14) 근거

“콘텐츠산업진흥법”은 2002년에 제정되어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

하고 있으며, 동법의 목적은 온라인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필요

한 사항을 정하여 콘텐츠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그 경쟁력을 강화하

여 국민생활의 향상과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데 있다.

동법의 중요 내용은 콘텐츠 등에 대한 정의와 콘텐츠산업발전을 위한

시책의 기본방향과 기반 조성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콘텐츠산업의

발전에 관한 중·장기의 기본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토록 하며, 콘텐츠제

작자에게 일정한 권리를 부여하여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콘텐츠산업

진흥법”이 보호하고자하는 대상은 콘텐츠 제작자인데, 공공기관이 동

법의 보호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지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산업진흥법” 제2조 3항에서 “콘텐츠 산업이라 함은 콘텐츠

를 수집 ·가공 ·제작 ·검색 ·송신 등과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행하는

산업을 말한다.”로 정의하고 있으며, 동 조4항에서 “콘텐츠 사업자라

함은 콘텐츠 산업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영위 하는 자를 말한다.”로 정

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은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자에 포함될 수 없어

동법이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에 포함되기 어렵다는 결론을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공 기관은 콘텐츠를 제작한 제작자이기는 하지만

민간제작자와는 달리 동법으로 보호받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4)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이 콘텐츠산업진흥법개정 [제10369호,2010.6.10 개정]

Page 5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31

공공기관은 “저작권법”을 통해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 예산을 활

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기 이전에 치밀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

② 저작권법 근거

“저작권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포함함으로

써 문화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으며 “저작권법”

에서 보호하는 저작물은 “저작권법” 제2조 제1호에서 “저작물은 인간

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한다.” 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산업진흥법”과는 달리 저작권자에 대한 적용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있어 저작자가 공공기관이라도 동 법에 적용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Page 5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32

※ 정부조직법 근거

동 법에서 규정하는 각 행정기관

동법 제3조((특별지방행정기관의 설치) ① 중앙행정기관에는 소관 사무

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특히 법률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방행정기관을 둘 수 있다.

② 제1항의 지방행정기관은 업무의 관련성이나 지역적인 특수성에 따

라 통합하여 수행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련되는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사무를 통합하

여 수행할 수 있다.

동법 제4조((부속기관의 설치) 행정기관에는 그 소관사무의 범위에서

필요한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험연구기관·교육훈련

3. 공공저작물을 판단하는 기준

공공저작물 관리지침에서의 정의한 공공저작물이란 공공기관이 업무

상 창작하였거나 제 3자로부터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저작물을 뜻한

다. 저작물15)이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학술 논문,

음악, 사진, 영상, 회화, 조각, 설계도, 컴퓨터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저

작물이라 함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재화이며 저작권이란 이와

같은 저작물을 창작자가 일정기간 동안 독점적으로 사용하게 하거나,

다른 사람이 무단으로 복제 공연 방송 전시 배포 및 2차 저작물을 작

성하는 행위 또는 창작자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금지시킬 수 있

는 권리를 의미한다. 유사한 형태의 법률인 특허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 다른 지적재산권은 등록요건을 갖추어 설정등록을 해야 권리가 발

생하지만, 저작권은 등록여부와 관계없이 창작과 동시에 권리가 발생

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개념인 공공기관의 범위로는 기관의 법적 지위에

따라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기타 공공기관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를 규정하는 법률로는 정부조직법 및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법

률에서 규정하는 각급 기관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5) 저작권법 제1장 총칙 제2조 1항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한다.

Page 5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33

기관·문화기관·의료기관·제조기관 및 자문기관 등을 둘 수 있다.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근거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공공기관의 범위) 공

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3호에서 "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기관을 말한

다.

1. 초·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 그 밖에 다른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각급학교

2. 지방공기업법에 의한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

3. 정부산하기관관리기본법의 적용을 받는 정부산하기관

4.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특수법인

5. 사회복지 사업법 제4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

단체로부터 보조금을 받는 사회복지법인과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비

영리법인

따라서 공공저작물이라 함은 정부조직법 및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하여 설립된 기관에서 업무상 창작하였거나 제3자

로부터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

로 학술 논문, 음악, 사진, 영상, 회화, 조각, 설계도, 컴퓨터프로그램

등 저작권에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재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Page 5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34

<저작권법의 이용허락인증 법적근거조항>

제56조(권리자 등의 인증)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물 등의 거래의 안전과

신뢰보호를 위하여 인증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②제1항에 따른 인증기관의 지정과 지정취소 및 인증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

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2009.4.22>

③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인증기관은 인증과 관련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으며

그 금액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한다.<개정 2008.2.29>

제37조(인증 절차 등) ①법 제56조에 따라 인증을 받으려는 자는 제36조제7항

에 따라 고시된 인증기관에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인증신청서를 제출하

여야 한다.<개정 2008.2.29>

②인증기관은 제1항에 따라 인증을 신청한 자가 정당한 권리자(정당한 권리

자로부터 저작물 등의 이용허락을 받은 경우를 포함한다)라고 인정되는 경우에

제2절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운영현황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법적근거

저작권법에서는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과 관련하여 제 56조에 근

거조항을 두고 있다. 이 조항을 둔 목적은 저작권의 거래에 있어 안전

과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저작권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구

체적인 방법으로는 권리자에 대한 보호뿐만 아니라 산업 활성화에 필

요한 다양한 인증제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범위를 강제하지 않고 있다.

l 저작권법 56조

동 법을 근거로 시행령 제 27조에서는 인증절차를 정하고 있으며 2

항에서 이용허락을 포함한 인증규정을 두고 있다. 이를 근거로 이용허

락인증이 가능하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문화부장관이 관련규정

을 정하여고시하도록 하고 있다.

l 저작권법 시행령 37조

Page 5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35

는 이를 인증하여야 한다.

③인증기관이 제2항에 따라 인증을 하면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인증

서를 발급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④제3항에 따라 인증서를 발급받은 자는 저작물에 인증 범위와 유효기간 등

을 나타내는 인증표시를 할 수 있다.

⑤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서 정한 것 외에 인증의 절차 및 기준, 인증

표시, 그 밖에 인증업무와 관련하여 필요한 세부적인 사항은 문화체육관광부장

관이 정하여 고시한다.<개정 2008.2.29>

제3장 이용허락인증서의 발급 및 관리

제8조(이용허락인증서 발급 대상) 이용허락인증서는 정당한 권리자로부터 저작

물 등에 대한 이용허락 받은 자를 발급 대상으로 한다.

제9조(이용허락인증서 발급 절차) ①이용허락인증서를 신규발급 받고자 하는

자는 저작권법 시행규칙[별지 제38호의2서식]의 이용허락인증신청서에 이용허

락인증기관의 이용허락인증업무규정에서 정한 서류를 첨부하여 이용허락인증기

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②이용허락인증서를 갱신, 변경 발급받고자 하는 자는 이용허락인증업무규정

에 따른 신청서 등을 이용허락 인증기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③이용허락인증기관은 이용허락인증업무규정에서 정한 인증기준에 따라 심사

하여 이용허락인증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제10조(이용허락인증서 부여 등) ①이용허락인증기관은 이용허락 인증자에게

이용허락인증서와 이용허락인증 표시를 함께 부여하여야 한다.

②이용허락인증기관은 이용허락인증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술적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문화부는 저작권인증의 활성화를 위하여 2010년 11월 8일 <저작권인

증 업무지침>을 고시하였으며 이 중 이용허락인증에 대한 부분은 다음

과 같다.

l 저작권 인증업무 고시

이상과 같이 저작물이용허락인증에 대한 규정은 법적인 근거를 가지

Page 5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36

고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또한 동일한

법적용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age 5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37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시스템 구축현황

가.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대상의 범위

공공저작물관리기준에 따르면 이용허락인증의 대상이 되는 공공저작

물의 범위를 정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기준을 준용하였다. 공

공저작권은 공공기관 직접 창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공공기관 단

독 창작 및 제3자와 공동 창작), 제3자에게 창작을 위탁하여 발생하는

경우, 저작권의 이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 등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표 2-1> 공공정보의 저작권 발생 유형16)

구 분 내 용

공공기관이

직접 창작한 경우

공공기관이 단독으로 창작한 경우

공공기관이 제3자와 공동으로 창작한 경우

제3자 위탁에 의한 경우제3자에게 창작을 위임하고, 창작물의 저작권을

공공기관에게 귀속시키기로 약정한 경우

저작권 이전에 의한 경우 기부채납, 상속인 없이 저작권자가 사망한 경우 등

공공기관 단독 창작물은 해당 공공기관의 종사자가 업무상 목적으로

창작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업무상 의무로서 창작된 저작물이 공공기관

의 명의로 공표되었다면 저작권은 창작을 한 직원이 아니라 해당 공공

기관에게 귀속되며 「저작권법」에서 이를 업무상저작물이라고 규정하

고 있다.

16)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10),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가이드라인”.

Page 5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38

구 분 내 용

공공기관이 기획업무상저작물의 창작을 공공기관에서 주도적으로 기

획할 것

공공기관의 종사하는 자가

제작

공공저작물이 되려면 공공기관의 직원에 의하여 창

작 되어야 하며, 외부에 창작을 의뢰할 때에는 위탁

계약서에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이 공공기관에게 귀

속됨을 명시

업무상 의무로서 창작창작자가 업무상 의무로서 창작을 한 경우에만 공공

기관에게 저작권이 귀속

공공기관의 명의로 공표

공공기관에게 저작권이 귀속되기 위해서는 저작물이

공공기관의 이름으로 공표되어야 하며 다만, 공표

되지 않고 공공기관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경우가 있

으므로 공표되지 않더라도 공공기관에게 저작권이

귀속

<표 2-2> 공공기관 단독창작물 조건

공공기관이 제3자와 공동으로 창작한 경우에 공공저작물의 판단기준

은 각자가 기여한 부분을 분리하여 이용할 수 없는 저작물로써 공동저

작물의 이용 및 처분을 위해서는 다른 공동저작권자의 동의를 얻은 경

우 이를 공공저작물로 볼 수 있다. 만약 동의를 얻지 못했다면 공공저

작물로 보기 어렵다.

제3자에 위탁하여 창작한 경우에는 제3자와의 계약내용이 중요하며

위탁계약에서 위탁자인 공공기관에게 저작권이 귀속 또는 양도되도록

하였다면 저작권은 공공기관에게 있으며 이는 공공저작물로 볼 수 있

다.

공공기관에 저작권이 이전된 경우는 저작권의 기부채납, 저작권양도

계약 등에 의하여 공공기관에게 이전되는 경우이며 이는 공공저작물로

볼 수 있다.

Page 5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39

나.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절차

1) 이용허락인증시스템 개요

이용허락인증제도는 저작권자 또는 저작물위탁기관과 같은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사업자 간에 저작물에 대한 이용조건을 규정하는 계약

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제도로서 이용자가 각

콘텐츠에 대해 정품임을 쉽게 확인하여 안심하고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콘텐츠제공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은 저작권

위원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저작권라이선스관리시스템과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민간콘텐츠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저작권라이

선스관리시스템과 달리 공공콘텐츠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2) 이용허락인증시스템 구축 현황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는 문화콘텐츠닷컴을 OSP(온라인서비스제공

자)로 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공공문화콘텐츠 위탁관리기관과 이용

허락인증기관의 역할을 맡아 공공문화콘텐츠의 거래에 대한 이용허락

인증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8년까지 23개의 공공기관이 약 25,000여개

의 공공문화콘텐츠를 한국콘텐츠진흥원에 위탁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용허락인증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 Online Service Provider)

가 이용자에게 서비스되는 저작물에 대한 이용허락 내용을 증명하기 위

해 이용허락인증기관에 인증을 신청하는 것으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시스템 이용절차는 회원가입을 하고 신원에 관한 인증을 거친 후

인증목록을 조회하여 필요한 콘텐츠의 인증서 및 인증마크를 신청하여

발급받는 순서를 거치게 된다. 또한 권리자가 새로운 콘텐츠의 추가인

증 또는 기존 등록된 콘텐츠의 정보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Page 6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40

절 차 내 용

1. 이용허락 계약 체결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신탁관리단체 또는 저작권자와

콘텐츠에 대한 이용허락계약을 체결함. 이용허락계약

이 체결되어 있어야만 이용허락인증을 받을 수 있음

2. 이용허락인증 신청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인증기관에 이용허락인증을 신청함

3. 저작권 등록 확인 요청저작권위원회의 저작권등록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신

청된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 확인을 요청함

4. 저작권 등록 확인

정보 제공

저작권 등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인증기관에 제공함.

미등록 시에는 저작권 등록을 하도록 연계하여 줌

5. 이용허락정보 확인

요청

각 신탁관리단체의 이용허락계약정보와 연계하여 신

청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허락 계약내용에 대한 정보

확인을 요청함

6. 이용허락 확인 정보

제공

이용허락 계약내용에 대한 정보를 인증기관에 제공함.

이용계약이 이뤄지지 않았을 경우 인증신청이 취소됨

7. 인증서 및 인증마크

발급

저작권 및 이용허락에 대한 정보가 확인이 되면, 인

증서 및 인증마크를 발급함. 인증서 및 인증마크 발

급 시 수수료를 부과함. 인증마크의 경우 해당 콘텐

츠나 사이트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소비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

[그림 2-1] 이용허락인증 프로세스

<표2-3> 이용허락 인증절차

Page 6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41

이용 절차

[그림 2-2] 저작권자 시스템 이용절차

소비자는 위 절차를 거쳐 최종 발급받는 인증마크를 온라인에서 구

입하고자 하는 콘텐츠와 함께 볼 수 있으며, 이를 클릭하여 각 콘텐츠

의 이용허락인증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확대사

업에서 절차상 오프라인 심사와 보완/반려의 단계가 다음 그림과 같이

추가되었다.

Page 6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42

번호 항목 내용

1 계약의 당사자 명시 계약서에는 계약의 당사자를 표시해야 한다.

2 계약의 목적이용자에게의 이용허락, 이용허락의 범위 및 이

용료 등을 규정

3 정의 동일한 용어라 하더라도 계약 당사자 간 이해

[그림 2-3] 이용허락인증시스템 개선된 프로세스

다. 계약서 작성의 주요항목

이용허락이 승인된 후 최종적으로 이용허락에 대한 계약서를 작성

하는데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운용하는 시스템에 의한 주요 내용은 다

음과 같다.

<표2-4> 이용허락 계약서 작성 시 고려사항

Page 6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43

의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해야 함.

4 목적물 계약서에서 목적물을 특정하여야 함

5 계약지역공공저작물이므로 저작물의 목적에 따라 사용

지역을 한정하여야 함

6 이용허락의 범위

이용허락의 범위에서는 사용자가 목적물을 자

유롭게 사용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 범

위를 제한하여 규정 할 것인지를 결정

7목적물의 변형 또는 변

경 허락유무

목적물을 변형 또는 변경하거나 디지털화할 수

있도록 허용 할 것인가에 대한 규정을 담아야

8온라인에서의 이용 여

부규정

최근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유통이 대세를 이루

는 만큼, 온라인을 이용 할 것인가에 대한 규정

을 담아야 함

9 목적물의 표시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이 이용자가 아니라 공공

기관에 있음을 명확히 하도록 규정

10 독점, 비독점 여부이용자에게 독점적 이용권을 줄 것인지 아니면

비독점적 이용권을 줄 것인지를 결정

11 재이용허락

재이용허락이라 함은 이용자가 제3자에게 다시

이용허락 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허락할 것인

가를 규정

12 금지되는 이용방법

계약의 목적물에 대해 금지되는 이용방법을 명

시해 이용자가 위법한 목적으로 해당 목적물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규정

13 진술 및 보증

공동저작물인 경우 적법한 방법으로 이용허락

을 위한 공동저작자의 동의를 획득하였음을 명

14 비밀유지 비밀유지가 필요한 경우 이를 규정

15 계약기간계약기간은 공공저작물의 특성에 따라 규정하

여야 하며 자동연장에 대한 규정도 구체화해야함

16 이용료이용료를 부가하는 경우 금액, 시기, 방법 등을

명시해야함

Page 6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44

17 연체료 및 징수방법이용료 지불이 안 되는 경우 이를 징수할 수

있는 방법을 규정화해야 함

18 감독

공공기관은 이용자가 계약상의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

을 규정화해야 함

19 계약의 해지 또는 해제

이용자가 계약상 의무를 위반했을 경우에는 계

약을 해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규정을 두어야

20 상시 계약의 해지 권리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의 경우에는 공공기관의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수 있어

야 함

이상과 같은 항목을 계약서 내 규정하여 발생 가능한 문제를 최소화

하고 있다.

Page 6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45

3.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운영실태

가. 시스템 구축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07년 이용허락인증제도에 대한 연구사업과 1

차 시스템구축사업을 진행하였고 현재 시스템 고도화 및 사업 확대를

위해 추진 중이다. 시범적으로 문화콘텐츠닷컴을 OSP(온라인서비스제

공자)로 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공공문화콘텐츠 위탁관리기관과 이

용허락인증기관의 역할을 맡아 공공문화콘텐츠의 거래에 대한 이용허

락인증을 실시하려 하였으나 현재는 시스템 구축에 머물고 있는 상황

이다.

시스템 구축은 2008년과 2009년 두 차례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구축

체계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2-4]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시스템 구축의 주요내용은 저작권이용허락시스템, 저작권이용허락신

청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연계된 시스템으로는 내부연계시스템

Page 6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46

구분 실적

시스템 개발2007년 개발시작

2009년 보완

시스템 소유 한국콘텐츠진흥원

공개시기 미공개

운영실적 없음

연계기관 저작권위원회, 데이터베이스진흥원

주관부서 유통과

운영예산 없음

문제점

권리인증 문제 : 이용허락인증 전 권기관계 확인

저작권확보 문제 : 정부자금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저작권문제 불투

콘텐츠닷컴과 연계성 미습

민간과의 눈의 미흡

시장의 필요성 확인 미흡

으로써 저작권위탁관리시스템 및 문화콘텐츠닷컴, 콘텐츠식별체계 등

이 있다. 외부연계시스템으로는 저작권위원회의 저작권등록시스템, 저

작권거래소의 통합이용허락시스템이 있으며 DC거래인증사이트와도 연

계되어있다.

나. 운영현황

현재 이용허락시스템은 외부로 노출되고 있지 않으며 실질적인 운영

은 없는 상황이다. 내부적으로 본다면 문화콘텐츠닷컴을 통해 일부 콘

텐츠에 대해서는 이용허락을 하고 있으나 이는 이용허락인증과는 달리

개별계약에 의해 이용을 허락하고 있는 수준이며, 콘텐츠저작권에 대

한 보증, 품질인증 등에 대한 인증은 없는 상황이다.

즉, 아직까지는 이용허락인증을 체계화하여 운영하는 것으로는 볼

수 없는 상황이다.

[그림 2-5]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운영실적

Page 6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47

제3절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문제점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제도적인 문제점

앞서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에 대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

은 6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림 2-6]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제도적 문제점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원인을 살펴보

고 문제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우선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장 우

선되어야 할 과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문제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고 문제의

원인이 기술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제도적인 문제인지를 구분하여 살펴

보고자 하였으며 문제의 경중을 가려 중요한 과제부터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데 집중하였다.

앞서 제기한 문제 중 이중 가장 중요한 문제로는 크게 4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째는 권리인증에 대한 체계미흡, 둘째는 선의의 피해자

Page 6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48

구제방법 미흡, 셋째 인증제도에 참여하는 각 기관의 역할모델의 부족,

마지막으로는 본 제도도입을 위한 노력이 다소 부족한 것이라 하겠다.

[그림 2-7] 저작권 이용허락인증시스템 핵심문제점

가. 저작권법상의 무방식주의와 권리인증을 위한 권리자 확인 방

법 간의 충돌

이용허락인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선행조건이 반드시 필

요하다. 하나는 이용허락을 받고자 하는 대상저작물의 권리자가 분명

하며 이용할 경우 문제발생소지가 없는가? 하는 권리인증이고, 두 번째

는 이용허락인증을 받은 범위 내에서 저작물을 이용한 경우 피해가 발

생하지 않는다는 적법한 이용허락을 보증하는 장치의 마련이다.

Page 6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49

권리인증17)은 저작권에 대해 정당한 권리자임을 권리인증기관이 인

증해 주는 것이다. 권리인증은 현재까지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적은

없지만 2009년 6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저작권인증업무TFT’를

구성하여 권리인증제도 시행에 관한 전반적인 준비를 하고 있는 상태

이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준비하고 있는 권리인증은 저작권법상

에서의 정당한 권리자 확인을 중립적인 제 3의 인증기관에서 시행하는

것을 골자로 하여 유통되는 저작물에 대해 정당한 권리자를 명확히 밝

혀 저작물 유통시장에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투명한 저작권 거래

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저작권법에 따라 시행 예정인 권리인증은 권리

인증기관 지정을 위한 절차를 마련한 이후에 권리인증기관을 지정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권리인증기관으로 지정 받은 법인이

나 공공기관은 권리인증서를 발급하는 업무를 시행하게 되는데, 권리

인증서는 정당한 권리자에 대해 사실 확인 절차를 거쳐 발급하게 된

다.

권리인증기관이 권리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 실시하는 정당한 권리

자 확인 절차는 권리인증기관이 정한 내부의 절차에 따라 정당한 권리

자임을 확인하게 되며, 발급한 권리인증서에 대해서 권리인증기관은

발급의 책임을 지게 된다. 이처럼 권리인증서가 사회적으로 필요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저작권 유통시장이 투명하지 못

하다는 인식이 저변에 깔려있고, ‘정당한 권리자’라고 주장하는 자(者)

에 의한 사기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저작권을 이용하여 사업을

하는 사람들을 사기피해로부터 보호하고, 정당한 권리자들의 권익을

타인(他人)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저작물을 이용하고자 하여도 해당 저작물에 대한 권리자가 누

구인지 알 수가 없어 필요로 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지 못하는 일들도

자주 발생하고 있어 권리인증서를 통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저작물의

17) 저작권법 제56조(권리자 등의 인증)

Page 7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50

제36조 (선출원<개정 2001.2.3>) (1)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다른 날에 2이상의

특허출원이 있는 때에는 먼저 특허출원한 자만이 그 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받

을 수 있다.

(2)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같은 날에 2이상의 특허출원이 있는 때에는 특허출원

인의 협의에 의하여 정하여진 하나의 특허출원인만이 그 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권리자가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하여 저작물 유통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권리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권리인증기관이 권리인증서 발급시

스템을 갖추고 권리인증서를 발급하게 되며, 저작물의 권리자에 대한

기본 정보도 권리인증시스템을 통해 제공 될 예정이다.

권리인증기관이 시행하게 될 기본적인 서비스 내용으로는 첫째 권리

인증서 신청 접수 및 심사이며 둘째로는 권리인증서를 발급, 셋째로는

권리인증서에 대한 발급 공시, 넷째로는 권리인증서가 사용될 경우 발

급한 권리인증서가 진짜인지 확인이 필요하면 해당권리인증서에 대해

진본임을 확인, 다섯째로는 권리인증서를 추가로 발급 받아야할 경우

인터넷을 통해서 발급 등의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는 대표적인 지식재산권

의 하나인 특허법의 경우 대부분의 조항이 권리인증과 그에 관한 절

차, 피해구제, 분쟁조정, 권리내용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나 저작권법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저작권법은 최근에 와서야 권리인증에 대한 일

부조항을 추가하였으며 아직까지 시장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

거나 시장변화에 대응하는 체계를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는 지금까지의 저작권은 창작자가 창작이 완료되는 순간 저작권을 가

지며, 이 권리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

러나 권리인증 제도를 도입하는 경우 저작권을 인정하는 범위가 등록

에 의해 저작권을 획득하는 것으로 바뀌게 되며 이는 지금까지의 시장

질서를 한순간에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l 특허법의 주요조항

Page 7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51

받을 수 있다. 협의가 성립하지 아니하거나 협의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어느 특

허출원인도 그 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받을 수 없다.

(3) 특허 출원된 발명과 실용신안등록 출원된 고안이 동일한 경우 그 특허출원

과 실용신안등록출원이 다른 날에 출원된 것일 때에는 제1항의 규정을 준용하

고, 그 특허출원과 실용신안등록출원이 같은 날에 출원된 것일 때에는 제2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개정 1998.9.23, 2001.2.3, 2006.3.3>

(4) 특허출원 또는 실용신안등록출원이 무효·취하 또는 포기되거나 거절결정이

나 거절한다는 취지의 심결이 확정된 때에는 그 특허출원 또는 실용신안등록출

원은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본다. 다만, 제2항 후단(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규

정에 해당하여 그 특허출원 또는 실용신안등록출원에 대하여 거절결정이나 거

절한다는 취지의 심결이 확정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1.2.3,

2006.3.3>

(5) 발명자 또는 고안자가 아닌 자로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또는 실용신

안등록을 받을 수 있는 권리의 승계인이 아닌 자가 한 특허출원 또는 실용신안

등록출원은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처음부터 없었던 것

으로 본다.

(6) 특허청장은 제2항의 경우에는 특허 출원인에게 기간을 정하여 협의의 결과

를 신고할 것을 명하고 그 기간 내에 신고가 없는 때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협의는 성립되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

제94조 (특허권의 효력) 특허권자는 업으로서 그 특허발명을 실시할 권리를 독

점한다. 다만, 그 특허권에 관하여 전용실시권을 설정한 때에는 제100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전용실시권자가 그 특허발명을 실시할 권리를 독점하는 범위 안

에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97조 (특허발명의 보호범위) 특허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제116조 (특허권의 취소) (1) 특허청장은 제107조제1항 제1호의 사유로 인한 재

정이 있은 날부터 계속하여 2년 이상 그 특허발명이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해관계인의 신청에 의하여 또는 직권으로 그 특허권을 취

소할 수 있다.

(2) 제108조·제109조·제110조제1항 및 제111조제1항의 규정은 제1항의 경우에

이를 준용한다.

(3)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특허권의 취소가 있는 때에는 특허권은 그때부터 소멸

된다.

Page 7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52

제126조 (권리침해에 대한 금지 청구권 등) (1)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는

자기의 권리를 침해한 자 또는 침해할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그 침해의 금

지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다.

(2)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청구를 할 때에는 침해

행위를 조성한 물건(물건을 생산하는 방법의 발명인 경우에는 침해행위로 생긴

물건을 포함한다)의 폐기, 침해행위에 제공된 설비의 제거 기타 침해의 예방에

필요한 행위를 청구할 수 있다.

제127조 (침해로 보는 행위)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업으로서 하는

경우에는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것으로 본다.<개정 1995.12.29,

2001.2.3>

1. 특허가 물건의 발명인 경우에는 그 물건의 생산에만 사용하는 물건을 생산·

양도·대여 또는 수입하거나 그 물건의 양도 또는 대여의 청약을 하는 행위

2. 특허가 방법의 발명인 경우에는 그 방법의 실시에만 사용하는 물건을 생산·

양도·대여 또는 수입하거나 그 물건의 양도 또는 대여의 청약을 하는 행위

제128조 (손해액의 추정 등) (1)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는 고의 또는 과실

로 인하여 자기의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에 대하여 그 침해에 의

하여 자기가 입은 손해의 배상을 청구하는 경우 당해 권리를 침해한 자가 그

침해행위를 하게 한 물건을 양도한 때에는 그 물건의 양도수량에 특허권자 또

는 전용실시권자가 당해 침해행위가 없었다면 판매할 수 있었던 물건의 단위

수량 당 이익 액을 곱한 금액을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입은 손해액으

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손해액은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생산할 수 있

었던 물건의 수량에서 실제 판매한 물건의 수량을 뺀 수량에 단위 수량 당 이

익 액을 곱한 금액을 한도로 한다. 다만,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침해행

위 외의 사유로 판매할 수 없었던 사정이 있는 때에는 당해 침해행위 외의 사

유로 판매할 수 없었던 수량에 따른 금액을 빼야 한다. <신설 2001.2.3>

(2)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하여 자기의 특허권 또

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에 대하여 그 침해에 의하여 자기가 받은 손해의 배

상을 청구하는 경우 권리를 침해한 자가 그 침해행위에 의하여 이익을 받은 때

에는 그 이익의 액을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받은 손해의 액으로 추정

한다.

(3)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하여 자기의 특허권 또

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에 대하여 그 침해에 의하여 자기가 받은 손해의 배

상을 청구하는 경우 그 특허발명의 실시에 대하여 통상 받을 수 있는 금액에

상당하는 액을 특허권자 또는 전용실시권자가 받은 손해의 액으로 하여 그 손

Page 7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53

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4) 제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손해의 액이 동항에 규정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

우에는 그 초과액에 대하여도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에게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는 때에는 법원은 손

해배상의 액을 정함에 있어서 이를 참작할 수 있다. <개정 2001.2.3>

(5) 법원은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의 침해에 관한 소송에 있어서 손해가 발생

된 것은 인정되나 그 손해액을 입증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

해당 사실의 성질상 극히 곤란한 경우에는 제1항 내지 제4항의 규정에 불구하

고 변론 전체의 취지와 증거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당한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다. <신설 2001.2.3>

이러한 법적인 문제로 인해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가 조기에 자

리 잡지 못하고 있으며 시스템은 기 구축되었으나 사전단계 중 하나인

권리인증에 대한 명쾌한 대응체계가 미흡한 것이 공공저작물 이용허락

인증제도의 활성화에 장애요인 중 하나이며, 가장 근본적인 문제로 대

두되고 있다.

나. 인증에 대한 법적 책임 규정과 인증의 오류로 인한 피해의 구

제 방안 미흡

특허법을 살펴보면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이에 대한 침해유형, 구제

절차, 피해금액산출 등에 대한 내용이 특허법 126조, 127조, 128조 등

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저작권법을 보면 최근 인증 제

도를 도입하면서 인증에 따른 후속조치가 미흡한 것을 알 수 있다. 인

증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인증에 따른 효과가 구체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으나 저작권법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

다.

예를 들면 특허법의 경우 36조 선출원 규정, 동법 94조 독점권 등을

통해 특허권을 획득한 경우 구체적인 효력을 제시하고 있으나 저작권

법의 경우 제7조의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규정에서 등록을 의무화

하지 않아 등록에 따른 인증의 효력을 약화시켰다. 또한 동법 제 11조

Page 7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54

제7조(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이 법

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한다.

1.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3.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

에 의한 의결·결정 등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

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5.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

제11조(공표권) ①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공표하거나 공표하지 아니할 것을 결

정할 권리를 가진다.

②저작자가 공표되지 아니한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을 제45조에 따른 양도, 제46

조에 따른 이용허락, 제57조에 따른 출판권의 설정 또는 제101조의6에 따른 프

로그램배타적발행권의 설정을 한 경우에는 그 상대방에게 저작물의 공표를 동

의한 것으로 추정한다.<개정 2009.4.22>

③저작자가 공표되지 아니한 미술저작물·건축저작물 또는 사진저작물(이하 “미

술 저작물 등”이라 한다)의 원본을 양도한 경우에는 그 상대방에게 저작물의 원

공표권에 대해서도 공표의 의무가 없으며 공표하지 않더라도 저작권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저작권 등록을 하고 권리자로 인

정받았다 하더라도 이를 구체적으로 담보하지 못함으로 인해 권리인증

을 확인하더라도 제 3자의 선의의 피해자가 나타날 개연성이 높다. 이

러한 문제는 비단 민간부분만의 문제가 아니며, 공공저작물에서도 동

일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공공기관에서 제작하는 저작물이라 하더라도 공동제작이 현실적으로

다수가 존재하며 위탁받은 공공저작물이라 하더라도 저작물에 대한 권

리구조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이 활성

화되는 경우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면 인증기관을 대상으로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현재 시스템이 구축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시스템을 공개하지 못하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

다.

l 저작권법 피해구제 관련 주요조항

Page 7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55

본의 전시방식에 의한 공표를 동의한 것으로 추정한다.

④원저작자의 동의를 얻어 작성된 2차적 저작물 또는 편집저작물이 공표된 경

우에는 그 원 저작물도 공표된 것으로 본다.

제56조(권리자 등의 인증)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물 등의 거래의 안전과

신뢰보호를 위하여 인증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②제1항에 따른 인증기관의 지정과 지정취소 및 인증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2009.4.22>

③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인증기관은 인증과 관련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으며

그 금액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한다.<개정 2008.2.29>

다. 이용허락인증에 대한 각 기관의 역할모델 모호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에 대한 운영모델을 보면 비슷한 기능의 중

복이 나타나고 있다. 각각의 기능을 살펴보면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는

저작권등록, 권리인증 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그 외 이용허락인

증, 거래인증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콘

텐츠진흥원에서는 콘텐츠 DB구축, 권리인증시스템 개발, 이용허락인증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은 콘텐츠 DB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즉 구체적으로 각 기관의 역할모델이 아직 정

립되지 못하여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이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조속히

각 기관의 역할정립과 중복기능을 배제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

단된다.

또한 역할모델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것은 정책수요자가 각 기관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있다. 예를 들자면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산업육성

기관으로써 공공저작물 중 대표적인 사례인 문화원형에 대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 DB가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으로 이관

되는 경우 정책수요자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이는 수요 위

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각 기관의 정책적인 목표를 고

려함과 동시에 정책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

Page 7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56

적 배려가 고려되어야 한다.

라. 계약 관계를 토대로 한 이용허락 사례를 바탕으로 이용허락인

증 추진 가속화 필요

한국콘텐츠진흥원은 현재 사실상의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을 하고 있

는 상황이다. 다만 인증을 하지 않고 있으나, 콘텐츠닷컴을 통해 한국

콘텐츠진흥원의 정책지원 결과물과 위탁받은 저작물 등 앞서 규정한

공공저작물 범주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이용허락을 개별적인 계

약을 토대로 진행하고 있다. 다만 인증이라는 제도적인 틀 안에 편입

시키지 못한 부분은 있으나 이미 어느 정도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범운영을 통하여 현재까지 채득한 운영 노하우를 체계화시

키고 공공저작물이용허락에 대한 홍보를 본격화 함으로써 잠재적인 수

요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정책의 조기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범운영을 통해 인증노하우를 지속적으

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동시에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이용을

활성화 하고 정착시켜야 한다.

Page 7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57

[그림 2-8] 문화콘텐츠닷컴 저작물 콘텐츠 상세보기화면

마. 이용허락인증 홍보부족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은 2007년부터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2008년에는 저작권법 개정을 통해 인증에 대한 법적인 근거를 확보하

였다. 2007년부터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는 권리인증 및 이용허락인증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4년 동안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

러나 저작권 유통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면서

시장참여자에게 이와 같은 정책 내용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은 문제

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물론 제도 도입과정에서 기술적인 문제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있으

나 정책추진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격적인 정책추진이 되

Page 7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58

구분 단순정보 저작물

점유율 28.8% 54.5%

는 시점을 고려한 정책홍보가 필요하나 현재까지 이러한 고려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바. 일부 기관만의 제한적인 논의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몇 개 기관

내부에서 논의에 그치고 있다. 공공저작물은 매우 폭넓은 기관에서 생

산되고 있으나 이러한 논의는 다양한 기관의 참여를 유도하기에 한계

가 존재하며 이를 보완할 대안마련이 시급하다.

예를 들면 광역지자체의 경우 최근 들어 문화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

울이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공공저작물이 양산되고 있으며 그

뿐만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박물관, 전시관, 도서관 및 기타

산하기관들에서도 공공저작물이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정부 소속기관, 산하기관 및 지자체 등 21개 기관

설문조사결과 연간 생산되는 자료 중 저작물이 차지하는 점유율을 묻

는 질문에 54.5%정도가 저작물이라고 응답, 매우 많은 저작물이 생산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관이 참여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2-5> 보유하고 있는 자료의 저작물 빈도

Page 7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59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수요대응 측면에서의 문제점

수요자대응측면에서도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대

한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그림 2-9] 이용허락인증의 수요대응측면 문제점

가. 소비자 수요대응방안 미흡

설문조사결과 제작되는 공공저작물의 품질 및 종류, 만족도 등에 대

한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58.3%의 기관이 수요조사

채널을 확보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용허락인증과 관련된 별

도의 채널이라기보다는 게시판 형태의 소비자 요구 수용 형태에 머물

고 있다.

Page 8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60

구분 예 아니오 준비 중

점유율 58.3% 29.1% 12.5%

구분 예 아니오

점유율 83.3% 12.5%

<표 2-6> 수요자요구조사채널 확보 여부

특히 수요자조사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83.3%의 기관이 필요하다

고 응답하여 그 필요성은 대부분의 기관이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수요자조사의 경우에는 공공기관이 제작하는 저작물이 보다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공공저

작물의 공익적 목적 이 외에도 다양하게 민간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

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표 2-7> 수요자 조사 필요성

나. 저작물 공동제작에 대한 소유권 사전확보 미흡

2009년을 계기로 콘텐츠분야의 정부 예산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콘텐츠 5대강국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로 인

해 정부가 지원하는 콘텐츠 제작 건수가 늘어나고 이들 창작물은 우리

나라 콘텐츠산업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공자산은 보다

폭넓게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정부예산이 지원된 만큼, 공적 기여가

매우 중요한 이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지원하는 저작물인 경

우 각 사안별로 관리기준을 마련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문화원형, 파일럿 지원 사업 등의 결과물로써 산업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시책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가장 근본적인 저작

권의 분쟁소지를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

재원이 투자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정부가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

Page 8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2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실태 및 문제점

61

는 것이 필요하다.

다. 성과관리 체계가 미흡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 제도의 성

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하게 이용건수나 이용료 등의 집계

가 아닌 이용허락인증을 통해 수요자가 어떻게 활용하였으며, 산업화

또는 파생된 성과를 확인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보하고 이러한 결과는

또 다른 모방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제도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선 순환

적 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

지식경제부는 수년전부터 추적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원된

사업성과를 지원종료 후 5년간 보고 의무화를 하고 있다. 문화체육관

광부에서는 2008년 후부터 대폭 증가한 예산으로 다양하게 지원을 하

고 있으나 그 성과를 추적하고 확인하는 체계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

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를 도입하여 이용허락인증 후 성과를 확보하고

이를 홍보함으로써 제도의 조기 활성화와 제도도입 취지를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Page 8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3장공공부분 지적 재산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Page 8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63

1) 국가정보화 정책의 수립과 추진체계 마련(안 제6조 및 제7조) 행

정안전부장관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부문계획을 종합하여 5년

단위의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며,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

은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수

립ㆍ시행하도록 함.

2) 국가정보화의 추진(안 제15조부터 제28조까지) 공공ㆍ지역ㆍ민간

등 사회 각 분야별로 국가, 지방자치단체, 민간 등 다양한 주체들

3장 공공부분 지적재산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제1절 정부의 공공정보 정책방향

1. 정부의 공공정보 공개 정책기조

가. 국가정보화기본법

정부의 정보관리를 규정하고 있는 국가정보화기본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정보관리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국가정보화기본법은

정부의 정보관리 기준과 방향을 크게 변화시키기 위해 2009년 전부 개

정 법률안을 정부가 제출하여 국회를 통과함으로써 큰 방향의 전환을

이루었다.

개정 취지를 살펴보면 2008년 2월 정부조직 개편으로 정보화 기능이

다수 부처로 분산되고 세계적으로 국가정보화의 패러다임이 정보화 촉

진에서 정보 활용 중심으로 변화하는 등 국가정보화의 추진 환경이 급

격히 변화하고 있어, 이에 부응하는 새로운 국가정보화의 기본이념 및

원칙을 제시하고 관련 정책의 수립ㆍ추진을 위한 사항을 규정하여 지

식정보사회의 실현에 이바지하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주요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Page 8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64

제9조(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① 국가정보화 추진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기 위

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둔다.

② 위원은 위원장 2명을 포함하여 35명 이내로 한다.

③ 위원장은 국무총리와 제3호에 속한 사람 중에서 대통령이 위촉하는 사람

이 공동으로 되고,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이 된다. 다만, 제1호의 위원은 제

10조에서 정한 위원회의 심의사항이 해당 기관의 업무와 관련되어 있어 협조가

필요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경우에만 위원회에 출석한다.

1. 국회사무총장, 법원행정처장, 헌법재판소사무처장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2.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3. 국가정보화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대통령이 위촉

하는 사람

④ 제3항 제3호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1차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⑤ 위원회의 효율적 운영 및 지원을 위하여 간사 1명을 두되, 간사는 행정안

전부장관이 된다.

이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는 원칙과 기본 방향을 규정함.

3) 정보이용의 건전성ㆍ보편성 보장(안 제29조부터 제36조까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정보문화의 창달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

한 시책을 마련하도록 하며, 행정안전부장관은 인터넷 중독 예

방, 웹사이트 접근성의 보장 및 정보격차해소교육의 실시 등 이

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시책을 수립ㆍ추진하도록 함.

4) 정보이용의 안전성ㆍ신뢰성 보장(안 제37조부터 제42조까지)

정부는 정보보호, 개인정보 보호, 건전한 정보통신 윤리의 확립,

이용자 권익보호 등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도록 함.

주요 조항으로는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두도록 한 부분과 위원회

를 통해 국가 정보화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총괄기능을 하도록 하였

으며 동 법 제 18조에서는 공공정보 및 지식이 민간에 확산될 수 있도

록 추진할 것을 담고 있다.

l 이용허락과 연관된 국가정보화기본법 조항

Page 8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65

⑥ 위원회에 상정할 안건을 미리 검토하고 위원회가 위임한 안건을 심의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국가정보화전략실무위원회(이하 “실무위원회”라 한다)를 두며,

실무위원회 소속으로 안건 심의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둔

다.

⑦ 위원회의 운영과 실무위원회 및 분야별 전문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필요

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0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2.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의 변경

3. 제6조제4항에 따른 부문계획의 작성지침

4. 제8조에 따른 국가정보화 정책이나 사업 추진의 조정

5.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주요 시책에 대한 추진실적 분석 및 점검

6. 제27조제1항에 따른 지식정보자원의 지정

7. 정보문화의 창달 및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8. 「전자정부법」과 그 밖의 다른 법령에서 위원회의 심의사항으로 정한 사항

9. 중장기 지식정보자원 관리계획

10. 그 밖에 국가정보화의 추진과 관련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제18조(지식ㆍ정보의 공유ㆍ유통) 국가기관 등은 국가정보화의 추진을 통하여

창출되는 각종 지식과 정보가 사회 각 분야에 공유ㆍ유통될 수 있도록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나. 정보화전략위원회의 정보전략 주요내용

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는 2010년 3월 보도자료를 통해 교통․기상정

보 등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공공정보를 누구든

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임을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문

화체육관광부·방송통신위원회와 공동으로 『공공정보 민간활용 촉진

종합계획』을 마련하여 발표하고 종합계획에는 △공공정보에 대한 접

근성 강화, △공공정보의 제공과 활용을 위한 제도 정비, △ 공공정보

의 품질제고, 그리고 △민간활용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발표

했다.

또한 일반국민 누구나 공공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소재정보를

Page 8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66

안내하고, “민간활용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공공정보에 대한 원스톱서

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공공정보를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저작

권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저작권위원회와 연계하여 지원 할

것을 제시하였다.

즉 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는 법 개정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국민

모두가 접근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 정보격차를 해소하며 정부 및 공

공기관이 직접 생산한 공공정보의 경우에는 국가안보나 개인정보보호

등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일반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국가정보화기본

법 등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관련 법 개정까지의 공백을 보완하기 위

하여, 정보제공에 필요한 절차와 방법 등을 담은 공공정보 제공지침을

행안부에서 마련하여 각 부처, 지자체 등 정보제공기관에 보급하였다.

Page 8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67

2. 유관정책 개관

가. 행정안전부

공공정보 민간활용 촉진 종합계획에 따라 행안부는 공공정보제공의

원칙과 절차가 부재하다는 점을 들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도마련을

추진하였는바, 지난 2010년 4월「공공정보 제공 지침」을 마련하여 공

청회를 개최하고 부처의견 수렴을 거쳐 동년 7월에 공포하였다.

또한 제도화 추진에 발맞추어 국가정보화사업을 통해 구축된 DB를

중심으로 300종 이상의 공공정보를 개방하였으며, 국가지식포털을 통

해 소재안내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2010년 하반기에

는 버스운행정보, 취업정보, 위해식품정보 등 13개 국가정보서비스를

Open API 방식으로 개방하고, 국가정보 자원 공유 포털 서비스를 오

픈하여 공공정보의 민간활용에 주안점을 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행안부의 주요 정책 추진방향은 크게 접근성 강화, 제공의 확대, 품

질 제고, 활용 지원으로 요약되는 바, 현재는 정책지원기관인 한국정보

화진흥원에 국가DB포럼을 구성하여 다양한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각종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행안부의 공공정보 제공지침은 공공정보의 제공확대 계획에 따라 공

공정보의 제공절차 및 공공정보 활용촉진을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필요성에 의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그 추진근거로는 국가정보화기

본법 제18조, 정보공개법 제6조 등이다.

지침의 주요 내용은 공공정보 제공 근거, 제공 원칙, 제공 범위, 제

공 대상, 제공 절차, 제공 방법, 감독 등 공공정보 제공과 관련된 사항

과, 공공정보 활용 촉진을 위한 공공정보 관리, 공공정보 관리체계, 정

책 공개 등에 관한 세부사항이 주된 내용이다.

Page 8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68

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공공정보 민간활용 촉진을 위해 현재 공유저작물

에 대한 이용활성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이 사업은 나눌수록 부강

해지는 창조자원 국가 건설을 주요 비전으로, 2013년까지 1천만여건의

공유저작물 활용체계를 구축함을 그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주요 정책방향으로는 크게 3가지로 추진되는 바, 공유저작물의 다각

적인 확보, 공유저작물 활용기반구축, 공유저작물 산업화추진을 그 근

간으로 하고 개별 정책방향에 따라 ① 국내외 만료저작물을 체계적으

로 확보, 문화부 소유 공공저작물의 적극적 개방, CCL 문화의 사회적

확산, 저작권 기증 문화 정착 ② 국내외 공유저작물 ‘가상은행’ 설립,

권리정보 및 소재의 종합안내, 공동논의체 구성을 통해 민관공동 협업

과제 논의 등 ③ 공공저작물 민간 개방 근거마련 및 거래안전 준비금

도입, 휴면저작물 활용 및 콘텐츠산업과 연계(스토리텔링, 1인창조기업,

전자책, 이-러닝 등) 등의 중점추진과제를 특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다.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는 공공정보 제공촉진 종합계획에 따라 민간사업자

및 개인의 입장에서 공공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어떠한 절차와 방

법에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작 사업을 진행 중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행정안전부가 공포한 공공정보 제공지침과의 연계

를 고려하고 3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공공정보 제공 정책

과의 충돌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있

다. 또한 민간사업자 및 개인이 공공정보 활용을 위한 방법을 자세하

게 설명하고 관련 자료를 참고로 구성하여 이용자가 쉽게 활용 가능하

도록 하려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Page 8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69

제2절 주요기관의 공공정보 관리실태 설문분석

1. 설문개요

가. 조사 목적

공공저작물은 공공기관의 유형과 목적 등에 따라 생산에서 제공까

지 그 체계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생산된 저작물의 관리 및

유통의 과정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 산하 공공기관의

유형에 따라 대표 기관을 선별하여 대략적인 공공정보의 생산 및 제공

현황과 저작권관리 현황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공공저작물을 민간에

게 제공함으로써 공공저작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민간경제 활성화에 기

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있어 공공저작물을 접

수, 관리, 제공 등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담당자의 어려운 점을

조사하여 이를 고려한 대안을 수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나. 조사 대상 및 방법

(1) 조사 대상

조사 대상 기관은 민간에서 활용 수요가 높은 공공정보를 생산 보유

한 기관을 중심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 하에 각 부처 산하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으로 구분하여 총 21개 기관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각 기관에서 생산·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는 해당 기관의 개

별 부서별로 관리되는 경향이 크고, 대부분 해당 기관에서 조차 전체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모든 정보의 현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

문에 각 기관에서 생산되는 모든 정보에 대한 보유 및 저작권 관리 현

황을 정밀하게 조사하기는 현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기관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정

Page 9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70

번호 구분 기관명 소속부처 소재지

1중앙부처

(소속기관)

국립국악원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2 국립민속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3 해외문화홍보원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4

산하기관

게임물등급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5 국립예술자료원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6 저작권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7 국민생활체육회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8 국악방송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9 국제방송교류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10 영상물등급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11 영화진흥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12 태권도진흥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13 한국문학번역원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15 한국영상자료원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1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대전

17 한국정보화진흥원 행정안전부 서울

18 한국디자인진흥원 지식경제부 분당

19 한국우편물류지원단 지식경제부 서울

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식경제부 대전

21 지방자치단체 서울시청 - 서울

보의 관리부서나 이슈가 되고 있는 해당 부서의 일부 정보로 제한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정보에 대한 저작권 관리 실태를 조사하는 것으

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표3-1> 설문 조사 대상 기관

(2) 조사 방법

방문 면접에 의한 조사를 기본으로 하되, 방문 면접 수행에 앞서 저

작권 관리 실태 조사에 대한 구두 설명으로 조사에 대해 인지할 수 있

Page 9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71

도록 하였으며, 기관별 보유 공공정보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서면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문화체육관광부 중앙부처(소속기관) 및 산하기관에 대하여 사전

전화 통화를 통해 대상 기관과의 방문면접 일정을 협의하여 방문 면접

을 실시하였으며, 각종 관련 자료 수집도 함께 수행하였다. 방문 면접

에 소요된 시간은 구두 설명 및 일정 협의기간을 포함하여 총 4주 가

량 소요되었다.

다. 조사 내용

조사 내용은 크게 접수, 공개판단, 공개절차, 관리, 수요관리, 성과관

리, 기타 의견 수렴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저작물에 대한 접수, 공개판단, 공개절차, 관리, 수요

관리, 성과관리로 구분하였으며, 접수 방식, 공공저작물과 일반 정보와

구분 관리 여부, 공공저작물을 공개하는데 있어 공개결정을 내리는 절

차, 공공저작물의 관리와 공개에 따른 가장 큰 애로사항, 공공저작물을

관리하는 동안 공공저작물의 위법한 수요자의 사용으로 문제가 발생

여부, 공공저작물 생산에 있어 수요자인 국민의 요구를 반영, 수요조사

결과, 공공저작물 활용에 대한 결과조사(성과관리)는 시행여부를 포함

하였다.

Page 9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72

구분 부서장 팀장 실무자

점유율 45% 27% 27%

구분 자체생산 위탁관리

점유율 62.7% 37.3%

구분 담당부서 직원 수

평균 담당직원 수 2.6

2. 설문결과분석

가. 기관개요

조사대상 21개 기관의 정보 또는 저작물관리를 담당하는 직원 수는

평균 2.6명으로 조사되었으며 부서를 관리하는 정보책임자의 직급은

부서장(본부장급) 45%, 팀장(과장급) 27%, 실무자(대리, 주임급) 27%로

조사되었다. 비교적 정보책임자의 직급이 낮게 나타나 분쟁이 발생하

는 경우 이에 대비하는 체계적 준비가 미흡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표3-2> 정보담당 자 수

<표3-3> 정보담당 책임자 직급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 중 자체생산과 위탁관리 점유율은 자체생산이

높으나 위탁관리도 37.3%를 차지하고 있어 상당한 규모의 저작물이 위

탁되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3-4> 연간 생산되는 공공저작물의 자체생산 및 위탁저작물의 점유율

또한 저작물의 생산방식에서는 자체생산이 59.2%이며 위탁생산도

40.8%에 이르고 있어 저작권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마련이 필요한 사안

으로 판단된다.

Page 9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73

구분 자체생산 위탁생산

점유율 59.2% 40.8%

구분 단순정보 저작물

점유율 45.5% 54.5%

구분 자체기준 타 기관 인용 없음

점유율 21.0% 5.2% 73.6%

구분 있음 없음

점유율 65.0% 35.0%

<표3-5> 보유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의 자체생산 및 위탁저작물의 점유율

또한 보유하고 있는 자료 중 저작물은 54.5%에 이르고 있어 일반정

보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3-6> 보유하고 있는 자료의 저작물 빈도

나. 저작물에 대한 판단기준

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과 매년 생산되는 저작물의 점유

율이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저작물에 대한 판단기준은 매우 미흡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체기준을 마련한 경우는 21.0%에 그치고

있어 기준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표3-7> 공공저작물의 관리기준(접수, 공개, 사후관리 등)을 수립 여부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 중 사업화 가능한 것에 대한 질문에서는 산업

화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65%에 이르고 있어 폭넓게 확산시키는 경

우 산업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표3-8> 확보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의 경우 산업화 가능 여부

Page 9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74

구분 있음 없음

점유율 42.8% 57.1%

구분 있음 없음

점유율 75.0% 25.0%

빈도수 연중 평균 30.77건

구분 공공분야 민간비영리 영리 기타

점유율 64.5% 16.1% 6.4% 12.9%

그러나 산업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을 확산시

키거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추진은 절반수준인 57.1% 수준에 머

물고 있다.

<표3-9> 공공저작물의 산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정책 추진여부

다. 이용허락 요청

조사대상 기관 중 75%가 이용허락요청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요청빈도는 그리 높지 않은 수준이나 대부분의 기관이 이용허락

을 경험하고 있는 만큼, 체계화된 이용허락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3-10> 이용허락 요청사례 유무 및 빈도수

이용허락요청 이유로는 공공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영리목적의 이용은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다.

<표3-11> 이용허락요청 목적(활용)

그러나 이용허락을 요청할 수 있는 전문창구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

에는 37.5%만이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나머지 기관은 없거나 준비 중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9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75

구분 예 아니오 준비중

점유율 37.5% 50.0% 12.5%

구분 예 아니오

내용 17.3% 82.6%

구분 예 아니오

내용 86.3% 13.6%

항목 점유율

저작물등급관리 4.7%

<표3-12> 이용허락 요청을 할 수 있는 창구가 있는지 여부

라. 성과관리체계

이용허락에 따른 성과관리 유무를 묻는 질문에서는 대부분의 기관이

시행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성과관리의 필요성에는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이유로는 전담직원 수, 예산 등

의 문제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3-13> 이용허락에 따른 성과관리체계 보유 유무

<표3-14> 성과관리체계 필요성

마. 저작물관리에서 중요한 부분

공공저작물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묻는 질문에 저작권유무확

인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각각의 저작물이 저작물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이 부족한데서 기인하는 것으로써 앞서 나타난 설문결

과와 연장선상에 있는 문제라 할 수 있다.

<표3-15> 공공저작물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Page 9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76

저작물확산지원 23.8%

불법사용감시 11.9%

저작물 이용요청 심사관리 16.6%

저작물의 저작권 유무 확인관리 30.9%

수요에 의한 생산품질 관리 11.9%

기타 0.0%

항목 점유율

범정부적 공통의 담당자를 위한 저작물관리 가이드 제공 34.7%

범정부적으로 통일된 공공저작물이용허락 절차 32.6%

문제 발생 시 담당자 문책수위 조정 0.0%

민간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책 마련 17.3%

공공저작물관리 민간에 위탁 4.3%

공공저작물 관리부서 설치 의무화 6.5%

공공저작물 품질관리를 위한 수요자조사 강화 2.1%

기타 2.1%

또한 민간활용 촉진에 필요한 중요 요소를 묻는 질문에서는 업무상

필요한 가이드제공과 통일된 공공저작물이용허락절차라고 응답하였다.

<표3-16> 공공저작물 관리 민간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가장 필요한 부분

Page 9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77

3. 주요시사점

설문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상당한 양의 저작물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대상 21개

기관에서는 연간 생산되는 자료 중 54% 정도가 저작물이라고 응답하

였으며 이중 약 60%는 자체생산, 나머지는 위탁된 저작물로 나타났다.

또한 위탁제작물도 상당부분 존재하고 있어 저작물의 품질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둘째, 많은 저작물을 확보 했음에도 불구하고 저작물 관리 및 이용

허락에 대한 가이드가 부족하여 체계화된 대응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공공저작물이 다양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통일된 운영가이드가 필요

하며 설문조사결과에서도 동일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용허락 채널의 확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는 이미 시스템

을 구축하고 있으나, 아직 오픈되지 못한 상황이며, 다른 공공기관에서

도 관장하는 분야의 저작물을 정책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홍

보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각 기관에서 산업화 가능한 저작물이 다양하게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용허락을 받는 이유로는 대부분이 공공분야에 이용하

기 위한 것이란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화지원정책 필요성이 높

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산업화를 유도할 수 있는 지원책 마련이 필요

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성과관리체계 도입이 시급하다. 성과관리는 2004년 도입된

성과중심예산편성제도 뿐만 아니라 이후 이와 같은 정책기조는 현재도

유지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예산확보 뿐만 아니라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성과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age 9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78

제3절 공공정보관리 해외사례

가. 유럽

유럽은 공공부문에서 생산되는 각종 콘텐츠 정보에 대한 민간이용

활성화를 위해 관련 법규를 마련하고 각종 지원방안을 추진 중에 있으

며, 1990년대 중반부터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하여 공공 콘텐츠의 활성

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지원하고 있다. eContentplus 프로젝트는

eContent를 계승하는 프로그램으로 유럽시민의 지식콘텐츠의 접근과

이용을 촉진하고, 특히 부가가치 상품이나 서비스의 창조를 위해 지식

정보의 창조와 유통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정부정보에 대한 저작권(Crown Copyright)을 통해 정

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의 정보 활용을 정부가 주도하고 있으며 2005년

에 ‘공공부문 정보 재이용에 관한 규정(The Re-us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Regulations)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왕실저작권이 부

여된 공공정보를 재사용할 경우 라이선스를 받으며, 이의대가로 최소

한의 비용을 지불하며 각종 정보의 접근 및 안내 등 공공분야 정보의

게이트웨이 역할은 인포루트가 담당하고 있다.

나. 캐나다

1972년 캐나다 박물관에 의해 수집된 유물과 그의 디지털문화콘텐츠

에 대한 관리와 일반 이해 당사자를 위한 전국 캐나다 유물의 창구 역

할을 하기 위해 문화유산부(Department of Canadian Heritage)의 특별

실무 부서(Special Operating Agency)를 설치, 전국 700개 이상의 박물

관과 공동의 고객을 위해 협력을 하고 있으며, 개별 박물관들이 소장

하고 있는 유물을 온라인으로 통합하였다.

캐나다 가상박물관은 CCOP(Canadian Culture Online Program)에

의해 모든 캐나다인에게 무료로 공개되고 있으며, 온라인 콘텐츠에는

Page 9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3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관련 추진방향

79

전시, 게임, 교육자료 등에 관련된 30여만 점의 이미지와 유물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관리하는 총괄기관은 Chin으로써 캐나다 문화콘

텐츠의 저장소(repository)의 역할을 하고 있다.

Chin의 한해 예산은 1,100만 캐나다 달러이며, 이중 500만 달러가 콘

텐츠 개발에 200만 달러가 기술개발에 그리고 100만 달러가 마케팅 활

동에 쓰여 지고 있다. Chin의 업무영역은 크게 콘텐츠의 개발과 이용

환경 개발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 모바일을 통해 박물

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 미국

2000년 12월 미(美) 의회는 급증하는 디지털 자료를 국가적으로 수

집, 축적, 보존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 개발을 위해 NDIIPP 법률 제정,

중요한 정보자원들을 지속적으로 수집, 선택, 조직화하여, 장기보관, 보

존 및 진본성을 유지하고, 이러한 디지털 자료에 대하여 미(美)국민의

이용 권리를 보장하는 접근성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웹 2.0

기반의 거버먼트 2.0 정책의 일환으로 기업, 교육, 인구 등 43개 분야

공공정보를 Data.gov를 통해 전폭적으로 개방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기관에서 유관분야의 정보를 확보하고 확산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RLG(Research Library G

roup), IMLS(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등을 들 수 있다.

EU, 영국, 미국, 호주 등 선진 각국들은 공공정보의 높은 사회경제적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한 개방・활용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공정

보 개방정책을 이용 신청에 따른 수동적 개방에서 정부가 공공정보 원

문을 전면 개방하는 능동적 개방 추세로 전환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공공정보 재활용에 관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정

보 재활용 촉진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Page 10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4장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Page 10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81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제1절 기본방향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목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의 비전 및

목표는 콘텐츠 5대 강국실현을 위한 두 가지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써 첫째는 저작권 유통의 합리적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하

나는 공공부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폭넓게 활용함으로써 다

양한 잠재자원의 활용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그림 4-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 활성화 목표

이러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공공저작물 이용허락

인증 시스템의 조기 안정과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활성화방안을 도출하려고 하였으며, 구체적인 활성화방안들은 앞서 제

시한 두 가지 방향을 근간으로 하여 실행가능성과 성과창출 유무를 기

준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Page 10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82

또한 본 제도를 운영하는 시스템 구축의 기본적인 방향은 첫째 개발

이슈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을 구상하고 제시된 이슈를 해결하며 이를

통해 수요자 편의를 도모하는 한편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을 도출하고

과제해결을 바탕으로 한 시스템의 확대라 할 수 있다.

시스템의 확대의 궁극적인 목표는 크게 두 가지로써 참여기관의 확

대와 시스템의 안정화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구축방

향에 대한 체계를 함께 고려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림 4-2] 이용허락인증관련 시스템 개선방향

Page 10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83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단계별 전략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는 3단계를 기본으로 하여 전략을

수립하며, 제도의 안정화 및 확산을 통해 최종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

록 추진한다.

[그림 4-3] 3단계 활성화 방안

첫째 단기과제로는 기반구축단계와 운영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기반

구축단계에서는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배보하

고 저작권위원회의 권리인증을 실시, 이용허락인증은 한국콘텐츠진흥

원, 저작권 신탁관리는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을 지정하는 등 운영체

계에 대한 각 기관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운영단계에서는 권리인증과 이용허락인증을 실시함으

로써 인증 제도를 도입하고 인증기관과 신탁관리기관간 연계DB 구축

을 통해 제도의 완결성을 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밖에 정부가 주도

Page 10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84

하는 공공정보공개시스템과 연동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주 과제로

제시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본격적인 제도도입에 앞서 운영체계를 안정화시키고

운영상의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향후 확대될 제도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며 또한 과제라 할 수 있다.

※ 단기과제(2011~12년)

<기반구축 단계>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가이드라인 개발 및 관리프로그램 배포

권리인증기관 – 저작권위원회(’11.하반기 추진)

이용허락인증기관 - 한국콘텐츠진흥원

공공 저작권 신탁관리 기관  - 한국데이타베이스진흥원

<운영 단계>

권리인증,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운영 – 운영상의 노하우 확보

인증기관, OSP,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연계관리 DB 구축

인증제도 인식확산 - 관련 주체별 홍보,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디지털저작권거래소 등 정부 주도형 서비스 연계 추진

둘째 중기과제로는 참여를 확대하는 것으로써 공공분야의 참여확대

와 민간참여를 확대하는 두 가지 방향이 있다. 먼저 공공분야의 참여

확대과제로는 이용허락인증에 참여하는 기관을 확대하고 이를 위한 문

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의 업무평가에서도 이용허락인증에 관한 실적과

운영 실태를 기관평가의 한 요소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

도를 민간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기반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다음으로는 민간분야의 참여확대로서 현실적으로 민간분야의 참여를

강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작물이용허락인증

이라는 것은 거래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써 민간

분야의 저작권거래 활성화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에는

분명하다. 따라서 민간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저작물의 권리

Page 10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85

가 분명해야 하는 수출지원, 제작지원 등에 참여하는 저작물들은 이용

허락인증제도로의 편입을 의무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광공

업협회의 경우 업계현황조사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기업지원정책에 참

여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어 성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다. 또 하나의 사례로는 소프트웨어산업협회의 경우 등록을 의무화

하고 있으며 등록되지 않는 경우 정부사업에 참여를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단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원정책과 연계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중기과제(2013~14년)

<공공분야 참여기관 확대기>

ㅇ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운영 확대 ; 이용허락인증기관 추가 확보(공공기관)

ㅇ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도입의무화

ㅇ 민간 참여 방안 연구 추진

- 권리인증제도의 확립이 전제” 저작권분쟁조정기금조성 계획 수립” :

(정부예산 + 수익금)

ㅇ 민간 참여 방안 연구를 통한 계획 수립

<민간의 참여유도정책 추진>

ㅇ 민간 콘텐츠 분야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자발적 참여 유도

ㅇ 일부 지원사업에 의무화 추진

- 저작권리가 명확할 필요가 있는 수출, 제작지원 등의 정책수혜

콘텐츠 등록 의무화

ㅇ 권리하자 보상체계 (보험·보증 제도 등) 정착

마지막 장기과제로는 안정화단계로써 권리인증에 따른 문제발생 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 하는 것과 민간이 주도하는 이용

허락인증기관의 지정, 민간과 공공분야가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방

안을 마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Page 10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86

이 단계에서는 전체적인 공공저작물의 제작과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차원에서의 공공저작물 제작 투자가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공공저

작물의 양적, 질적 성장을 유도할 것이며 양적, 질적 성장은 민간에서

높은 파급효과를 가져와 공공저작물의 수요 재창출과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장기과제(2015년~)

<안정화 단계>

권리하자 발생시 보상체계에 관한 사회적 합의 도출

이용허락인증기관 추가(민간기관)

공공+민간이용 활성화 추진

제도도입 초기에는 다양한 문제들이 초기 안정화의 걸림돌이 될 것

으로 예상되나, 다양한 정책을 통한 정부 기관들의 협조와 지속적인

보완작업들을 통해 해결될 것이다.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의 경

우 저작권의 공정한 유통과 공공자산을 바탕으로 민간의 산업 활성화

를 꾀하는 두 가지 목적이 있는 만큼 제도의 급진적인 개선을 선택하

기 보다는 점진적인 개선과 확대 정책을 병행한다면 최종단계에서 콘

텐츠산업 내 다양한 자원의 확보가 이루어질 것이며, 수요 역시 점진

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의 공공저작물들은 급속한 산업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거나 시장의 니즈를 반영하는 부분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

는 산업 활동에 활용되어 지식의 재창출이나 부가가치의 창출을 염두

에 두고 작성되는 것보다는 특수한 목적, 즉 정책적인 목적과 필요성

에 의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다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공공저작물 활성화를 통해 시장의 니즈와 직접적인 상호커뮤니케이

션 작용을 통해 정책기반형의 공공저작물은 점차 트랜디한 속성을 보

유하게 되는 부가가치 창출이 용이한 저작물의 형태로 자연스럽게 유

도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Page 10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87

[그림 4-4]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선순환 구조 개념도

Page 10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88

제2절 활성화방안

1.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에 필요한 주요여건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선행

조건들이 필요하겠지만 정부의 정책과 법&제도의 방향성 전환은 필수

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정부 정책의 생성과정은 관리자의

관점과 공급자 중심의 인식 하에서 수립되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공급자 관점의 정책 수립은 물리적인 자원의 최소화가 가능하다는 장

점이 있지만, 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당위성과 수요자 입장과 환경을

고려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지식기반중심으로 국가운영을 재구축하고 있는 시

점에서 수요자 중심의 정책수립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정책수립 단계에서부터 수요자를 고

려해야 한다.

[그림4-5]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달성 과정 흐름도

Page 10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89

[그림4-6] 이용허락인증 활성화의 전제조건

가. 수요자 맞춤형 정책 수립

앞서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요자 중심의 정책수립이 가장 중

요한 동인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실제로 수요자 중심 정책의 요구를

받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면 복지, 교육, 관광, 문화 등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위 부분들의 공통점은 정부의 정책에 수요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영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요자들의 관점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

들은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며, 이는 정책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하

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 활성화를 논의하기

에 앞서 어떤 관점에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가 추진되었는가

Page 11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90

를 고민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며, 정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추진의 당위성뿐만 아니라 수요자의 입장과

환경을 고려한 전략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최종 수혜자가 누구인가를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의 경우 그

수혜자는 누구이며 민간에 이용활성화를 통한 산업성장의 기반조성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현재까지 다른 방식으로 민간에 제공하던 일을

별도의 제도를 만들어 불필요한 과정을 추가한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

요가 있을 것이다.

이 제도의 경우에는 지적재산의 관리가 부가가치 창출의 중요한 변

수로 작용하고 있고, 강화되고 있는 국제간 저작권 분쟁 등의 환경적

인 요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여 공정한 저작권 거래 관행의 선도

적인 정착 모델 도입이라는 취지가 있으므로 이 부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나. 저작권 보호의 방향성 제시

디지털시대의 발달에 따라 저작물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불법적인 저작권 침해사례를 날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저작권 보호(예: 단속) 만으로는 불법적인 확산방지의 한계와

문제점은 여러 연구를 통해서도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

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제도를 도입하더라도 불법적인 확산을 방지하

기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불법적인 사용으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현재는 각각의 기관에서

개별적인 대응을 통해 해결되고 있으나, 인증기관을 통합하는 경우에

는 타 기관에 분쟁까지 모두를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을 격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럴 경우 인증기관은 시장참여자에게 논란의 대상이 될 우려

Page 11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91

가 있는 만큼, 추가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제도는 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바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용허락을 받아야 한다는 사

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데도 가장 중요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

라서 예상되는 문제에도 불구하고 거래관행을 개선하는 모델로서 제시

할 필요가 있다.

다. 세계최초로 도입되는 제도인 만큼 조기안정화 체계 마련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관련 해외사례가 없는 것을 보더라도 본

제도는 공정한 시장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도입되는 제도

라 할 수 있다. 세계 최초라는 위상으로 인해 주목을 받을 수 있으며,

부정적인 측면이 대두되는 경우 많은 긍정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다 하

더라도 평가 절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림 4-7] 이용허락인증 전담팀 구성방안

Page 11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92

따라서 이 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고 제도의 안정화 단계이전까지는 전담팀을 구성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로는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해 업무의 혼란이

발생하는 경우 불필요한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도의 신

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새로운 제도도입에 있어 안정화 및 활성화를 이루기까

지는 선행되어야 할 조건들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 있어서도 이 같은

부분을 고려하여 각각의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Page 11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93

2.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점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첫째로는 공공저작물의 가치모델 정

립이며 다음으로는 민간의 참여규정을 마련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민간분야로의 확대전략이다. 이와 같은 세 분야에 대하여 각각의 대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4-8] 이용허락인증관련 제도적 보완방향

가. 공공저작물의 가치모델 정립

공공저작물은 공적자금이 투자된 저작물이다. 따라서 민간에서는 무

료 혹은 저비용으로 제공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

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가능성

이 높다. 그 이유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한다는 것이 시장에서의 가

치 평가와 같이 질 낮은 저작물로 오인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질 낮은

저작물을 정부가 공공재원을 투입해서 만들었다는 논란과 경제적 가치

가 적은 저작물을 제공하면서 불필요한 제도나 제도 도입에 필요한 비

Page 11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94

용 지출이 타당한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공저작물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다는 것은 본 정책의 가치

를 제고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총량

적인 가치평가 방법인 가상시장가치법(CVM)18)과 개별 콘텐츠의 가치

를 평가하는 문화콘텐츠가치평가모형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며 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

다.

① 정책의 총량적 가치평가방법

정책의 총량적인 가치평가는 정책의 수요자 비용지불의사에 따라 결

정되는 것으로써 가장 적합한 가치평가 방법론으로는 가상시장가치법

(CVM)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시장에서 교환가치가 측정되기

어려운 경우와 집단적가치의 편익/비용(B/C)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는

방법론으로써 일반적인 정책목표 달성여부를 판단하거나 시설건축에

있어서도 많이 활용되는 방법이다.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제도의 경우에도 저작물유통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공공저작물이 민간에 활용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가치를 고려할 때 집단적가치개념에서의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예로 2008년 문화원형콘텐츠제작지원사업의 가치를 CVM을

통해 분석한 결과 1조 8737억원19)의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연구가 있기 전까지는 문화원형사업의 실효성논란이 매해 국정감

사에서 지적받아 왔으며, 지원금 대비 문화원형저작물의 판매수익을

직접 대비하여 성과여부를 묻는 질의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

나 문화원형사업은 정부가 저작물을 판매하고자 시작한 사업이 아니며

18) 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가상가치평가법)

19) 문화원형사업 가치분석연구 2007년 문화관광연구원 옥성수박사

Page 11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95

사라저가는 가치 있는 문화원형을 복원하여 보존하고 우수한 저작물은

민간에 제공하여 산업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사업이므로 지원금 대비

이익을 직접 대비하는 것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CVM을 통한 가치

평가결과는 불필요한 실효성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중요한 연구였으며

정책을 평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제도 또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정책이

추진되면 성과를 평가받게 될 것이며 그 평가기준은 거래금액, 거래숫

자, 시스템에 소요되는 비용 등이 중요한 평가 잣대가 될 것이다. 이러

한 측면에서 볼 때 정책의 총량적인 평가를 통해 불필요한 논란을 미

연에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② 개별콘텐츠 가치평가 절차화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에는 개별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

이 만들어져 있다. 물론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물인가에 대한 부

분은 논란의 소지가 있으나 이러한 질적인 문제는 지속적인 보완을 통

해 완화될 것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다양한 논의를 통해 1차적으로 평

가모델이 정립되었다는 것은 저작권 유통시장에서도 커다란 의미를 가

지고 있다. 따라서 공공저작물 이용하락인증제도 운영에 있어서도 공

공저작물의 공정한 가치를 평가받고 그에 합당한 대가를 지불하는 관

행을 만들기 위해 현재까지 구축된 평가모형을 도입하여 개별콘텐츠를

평가하는 절차를 두는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구축된 가치평가모형20)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가

치평가모형은 콘텐츠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정성적인요인과 정

량적인 요인을 결합하기위해 등급평가모형(융자용)과 가치평가모형(투

자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평가모형에 따른 결과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20) 콘텐츠가치평가모형연구 2010년 한국콘텐츠진흥원

Page 11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96

등급평가모형의 평가점수결과가 가치평가모형 내 오차율과 같은 불

확실성 요소에 반영함으로서 2개 모형간 연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투자용으로 활용될 콘텐츠 가치평가모형을 개발함으

로서 콘텐츠 가치를 경제적 흐름을 계산하여 금액으로 환산하여 산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림 4-9] 콘텐츠 가치평가 투자모형

평가모델은 장르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르별 콘텐츠 가치평가 모델

개발을 통해 콘텐츠 산업의 투․융자 등 금융 활성화를 도모하고 산업

계에서 필요로 하는 콘텐츠 수요예측을 통해 투명하고 효율적인 콘텐

츠 유통 선순환 기반구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가치평가모델을 적용한 개별콘텐츠 가치평가절차를 둠으로써 공공콘텐

츠 가치평가에 대한 시장 인식을 제고하고, 공공콘텐츠 유통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서 콘텐츠 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나. 저작권법 내 공공저작물 권리자에 대한 규정 개정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인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권리자의 선명성

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공공자금이 투자된 공공저작

물의 권리자에 대한 규정은 법체계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예를 들면

Page 11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97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내부적으로 업무와 관련한 저작물을 생산한 경우

권리자에 대한 부분은 관념적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에 있는 것으로 보

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구체적인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특허법의 경우를 살펴보면 정부가 가지는 특허권의 권리자는 특허청

장으로 명시하여 특허권의 관리, 양허 등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게 하

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의 경우 그 권리가 불분명하여 저작권에 대한

이용허락의 주체가 분명하게 명시되어있지 않다.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권리자가

필요하며 권리자의 의사에 따라 양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법/

제도적인 체계의 완결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저작물은 매우 많은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통일된 권리자를 두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법

체계상에서 원칙을 정하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권리자를

정하는 체계가 바람직하다.

우선적으로 권리자는 문화부장관으로 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며 그

범위는 문화부가 정책적인 목표를 가지고 제작하는 공공저작물로 한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법 개정 초기에 과도한 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저작권법개정 안>

제10조(저작권) ①저작자는 제11조 내지 제13조의 규정에 따른 권리(이하

“저작인격권”이라 한다)와 제16조 내지 제22조의 규정에 따른 권리(이

하 “저작재산권”이라 한다)를 가진다.

②저작권은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

행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③정부가 공익적 목적에 의해 제작하는 공공저작물의 저작권은 문화

체육관광부장관이 권리를 가지며 그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추가)

Page 11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98

제36조(인증기관의 지정 등) ①법 제56조제1항에 따라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는 기관은 다음 각 호와 같다.<개정 2008.2.29, 2009.7.22>

1. 위원회

2. 저작권신탁관리업자

3. 그 밖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인증업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법인이나 단체

법개정 방향은 저작권법 중 권리를 규정한 제 10조에 3항을 추가하여 원

칙적으로 정부가 생산하는 공공저작물의 경우에는 문화부장관을 권리자로

하고 각 부처 간 갈등을 완화하기 위하여 범위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하

여 시행령에서 그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행령에서 규정할 범위로는 우선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원하는 공공

저작물로 범위를 한정하고 그 이후 범 부처간 논의를 통해 이를 확대하는

단계를 밟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다. 제도 활성화를 위한 민간참여 규정 마련

본 제도가 장기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간과의 협력이 필요하

다. 관 주도의 정책만으로는 마케팅, 홍보, 시장 환경에 신속한 대응에

다소 어려움이 예상되는 바, 민간기업의 참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이 공공저작물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운영규정에 추가적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현재 발표된 고시에

따르면 민간기업의 참여에 필요한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저작권법 시행령 제36조(인증기관의 지정 등)에 관한 규정을 보면 다음

과 같이 민간기업의 참여도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의 경우에는 아직 민간 참여에 대한 논

의는 없으므로 어느 부분에 참여가 가능한지에 대한 별도의 검토가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1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99

라. 이용허락인증제도의 민간분야 확대전략수립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의 경우 공공부분만 국한하여 운영하는 제

도로써 점차 민간분야까지 자발적 확대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

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으나, 궁극적인 방향성에서

는 민간분야에서도 이용허락인증과 같이 제도권 내에서 공정한 유통질

서를 확보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민간으로의 확대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저작권의 등록을

의무화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음으로 이를 정책화 하기는 어려우

나 저작권유통전문회사 등에서 공공저작물이용허락인증 제도 내에서의

장점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Page 12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00

3.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운용체계의 개선점

운영체계의 개선 분야의 대안에서는 지원체계 구축, 참여기관 확대,

성과관리체계 구축, 조속한 제도시행 등 크게 4가지 부분에 대하여 대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4-10]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운영체계 개선방향

가.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지원체계 구축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

해서는 정책추진 초기 다양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이 제도는

저작권을 가지는 모든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바 기관들을 대상으

로 한 지원체계 또한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저

작물 이용허락인증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에 대한 몇 가지 방안을 제

시하고자 한다.

Page 12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101

[그림 4-11]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이용체계 개선방향

1) 가이드라인 배포

본 연구와 동시에 제작되는 가이드북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뿐

만 아니라 범부처 및 광역지자체에 동시에 배포함으로서 공공저작물관

리자로 하여금 동일한 기준 하에서 관리하고 관리자들이 공공저작물 이

용허락인증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제도를 운용함에 있어 해당기관이나 담당

자가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다.

가이드북 배포 필요성은 설문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공공저작물의

민간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

Page 12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02

<설문조사내용 중 일부>

항목 점유율

범정부적 공통의 담당자를 위한 저작물관리 가이드 제공 34.7%

범정부적으로 통일된 공공저작물이용허락 절차 32.6%

문제 발생 시 담당자 문책수위 조정 0.0%

민간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책 마련 17.3%

공공저작물관리 민간에 위탁 4.3%

공공저작물 관리부서 설치 의무화 6.5%

공공저작물 품질관리를 위한 수요자조사 강화 2.1%

기타 2.1%

8-3 공공저작물의 민간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가장 필요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2개만 선정해 주세요)

① 범정부적공통의담당자를위한저작물관리가이드제공( )

② 범정부적으로 통일된 공공저작물이용허락 절차( )

③ 문제 발생 시 담당자 문책수위 조정( )

④ 민간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책 마련( )

⑤ 공공저작물관리 민간에 위탁( )

⑥ 공공저작물 관리부서 설치 의무화( )

⑦ 공공저작물 품질관리를 위한 수요자조사 강화( )

⑧ 기타( )

에서 범정부 공통의 관리가이드를 꼽은 기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 설문에서는 2개의 응답을 요구한 바 전체기관 중 69%의 기관

이 이 응답을 하였다.

가이드북은 크게 두 가지로 현재 제작되고 있는 가이드북은 저작권

관리에 대한 부분이며 추가적으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시스템 운영가

이드북을 별도로 제작하여 배포할 필요가 있다.

<표 4-1> 공공저작물 민간활용 촉진을 위한 필요사항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시스템 운영가이드북은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시

Page 12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103

스템 오픈과 함께 시스템 이용을 위한 가이드북으로써 새롭게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2) 자체 심사 프로세스 제공

가이드 북 제공과 함께 공공콘텐츠 관리담당자들에게 공공기관이 구

축한 저작물의 저작권 데이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이용허락에 관한 심

사,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배포용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공공기관

담당자의 업무 편이, 간소화의 관점에서 현재의 서비스를 분석하고 합

리적인 인증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배포하여 이용허

락인증 프로세스와 자체적인 공공콘텐츠 저작권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메뉴얼화된 체크리스트와 프로세스를 통하여 저작물에 대

한 저작권과 이용허락 여부를 판단하고, 사후 관리 및 책임 소재로부

터 자유로워지며, 저작물의 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각 기관 공

공저작물 담당자들에게 배포가 추진되어야 한다.

3) 안내페이지 노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시스템은 새롭게 도입되는 정책이며, 그간 민간

에서의 논의는 거의 없었던 상황이다. 따라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시

스템 오픈과 동시에 이를 알릴 수 있는 코너를 구성하고 시장참여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노력이 필요하다. 주 내용은 정책의 취지, 공공

저작물의 가치, 이용방법 등을 위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4) 원스톱 지원팀 구축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시스템을 오픈 초기에 활성화시키는 데는 일정

수준의 난이도가 존재한다. 새로운 제도인 점을 감안 하더라도 공공저

작물에 대한 국민적인 수요를 급속하게 진작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즉, 시스템 오픈 초기에는 수요처를 발굴하고 모방수요를 창

Page 12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04

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방수요를 창출시키기 위해서는 주도적인 마

케팅이 필요하며 공공분야의 마케팅이라 함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고

알리는 수준에서 벗어나 정책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을

의미하는 사례를 만들어내는 것이라 하겠다. 2008년 삼척시의 기업유

치사례에서 보듯이 전국적인 이슈화가 되고 그 이후 많은 기업이 삼척

시로 이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시스템 오픈과 동시에 일정기간 동안 원스톱지

원서비스를 통해 현재까지 검토되지 못한 부분에 대한 문제해결과 주

요사례를 만들기 위한 마케팅지원이 필요하다.

나.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 내 참여기관 확대

공공저작물의 생산은 특정기관만의 문제가 아닌 매우 폭넓은 기관과

연관된 문제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논의된 형태로는 저작권위원회

가 권리인증을 담당하고 공공저작물 관리 및 DB는 데이터베이스진흥

원이, 이용허락인증은 콘텐츠진흥원이 하는 것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러한 구성은 문화부 산하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 데이터를

모두 데이터베이스진흥원으로 통합하는 것을 전제로 합의된 것이나 그

외 서울시, 경기도 등 콘텐츠산업 육성에 주력하는 광역지자체의 경우

를 고려해 볼 때 보다 다른 형태가 필요하다.

현재의 구성도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요약할 수 있는데 현재의 문제

점은 다른 기관들의 참여채널을 확보하지 않고 있어 본 제도의 확산에

장애요인으로 작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저작권위원회가 권리인증과정에서 판단하기 어

려운 부분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이 경우 권리확인이 불가능함에

따라 이용허락인증대상에서 제외되는 콘텐츠가 등장하게 될 것으로 예

측되는바 새로운 형태의 운영구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Page 12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105

데이터베이스진흥원 DB

저작권위원회 저작물권리인증 DB

콘텐츠 진흥원이용허락인증 DB

요청

인증

인증요청

인증서

권리확인요청

권리확인

DB 검증요청

DB 검증 통보

[그림 4-12] 현재 운영 구성도

개선된 운영 구성도를 살펴보며 현재의 법체계 하에서 도입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였다.

유관기관

저작권위원회 저작물평가위원회

콘텐츠 진흥원이용허락인증

인증서 발행관리

요청

인증

인증결과통보

기관 코드부여

공공저작물유무확인 요청

심사결과 통지

서울시

요청

인증

문화부 산하 각 기관

요청

인증

저작물권리는 각급기관에서 확인

성과 총괄관리기관

저작물 확인사실 확인요청

결과 통보

운영매뉴얼 제공

[그림 4-13] 개선된 운영 구성도

1) 저작권위원회의 기능

Page 12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06

저작권위원회는 우리나라 저작권 전반을 관장하는 정책기관으로서

현행 저작권법 체계에서 권리인증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을 추진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저작권법은 저작권 획득의 기준을 등록이

아닌 창작일로 보고 있어 사실상 민간의 저작물에 대한 권리인증과 이

를 보증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공공분

야에만 권리인증을 도입하기 보다는 권리확인 정도로 수준을 완화하고

공공저작물을 가지고 있는 공공기관이 해당 저작물이 저작권보호대상

이 되는가의 판단과 권리를 규정한 자료를 검토하여 공공저작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주체 기관으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

을 제안하고자 한다.

2)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총괄기관으로써 인증

서 발행을 총괄관리하고 이용허락인증을 통한 성과를 관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각각의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을 한곳에 모아서 제공하

는 경우 저작물 각각에 대한 중요성과 가치 판단 기준이 모두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노출시키고 소비자를 직접 응대하는 것은 각

각의 기관이 진행하고 콘텐츠진흥원에서는 이를 관리감독하고 문제점

을 해결해 주는 총괄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으로 판단된다.

주요 기능으로서는 각각의 기관에서 발행할 인증서를 검토하고 저작

권위원회에 대상이 되는 저작물에 대한 판단의뢰가 있었는지 와 대상

저작물에 대한 판단결과가 공공저작물임을 확인 했는지에 대한 결과를

통보받고 인증서 발급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원활한

정책추진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3) 각급 기관

Page 12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107

문화부 산하기관 뿐만 아니라 저작물을 양산하는 기관 및 광역지자

체는 이용허락대상이 되는 저작물을 공시하고 수요자를 직접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당기관이 소비자 대면을 하는 이유로는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의

가치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수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체계를 통해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연계시킬 수 있는 시스템

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수의 기관이 참여하게 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관이 가지고 있는 정책적 수단을 활

용하여 특성에 맞도록 지원함으로써 산업화 촉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

이다.

다. 시범사업 조속한 시행

본 제도는 매우 다양하고 매우 많은 자료를 동시에 시스템 내로 끌

어들이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정책추진 과정에서 예견되는 문제를 사전

에 모두 해결하기도 어려운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운영 중인 콘텐츠진

흥원의 “콘텐츠닷컴” 내 저작권이 콘텐츠진흥원에 있는 저작물을 선별

하여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을 시범 오픈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범운영을 통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양한 기관을 대상으로 참여

를 유도함으로써 전국적인 운영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12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08

[그림4-14] 콘텐츠닷컴 콘텐츠별 테마 내역

[그림 4-15]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선순환체계

Page 12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109

기존 공공정보의 구축중심에서 구축·관리·공개·활용의 선순환 가치사

슬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공공정보 개방 및 활용을 통한 행정효

율화와 국민 참여로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지식정보사회의 가치창출

촉진할 수 있다.

라. 성과관리체계 구축

우리나라는 재정예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2003년부터 성과관리제

도라는 이름으로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도입하였다. 성과관리 예산제도

라 함은 재정지출의 성과를 중심으로 예산관리와 운영을 하고자 도입

된 것으로 중앙집권적 예산편성에서 일선부처에 역할과 권한을 위임하

는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최근 도입된 하향식예산편성(Top-Down) 방

식이 대표적인 예이며 이러한 정책기조는 향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

며, 이는 모든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업진흥과 무관한 연구관리 조직에서도 성과관리 조직을 강화하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원성과를 확대시키기 위해 성과관리가

필요한 조직은 산업진흥기관들이나 최근 성과중심 예산편성제도 도입

으로 연구관리 기관에서도 성과관리를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

성과관리조직의 주요역할로는 첫째, 핵심과제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이며 둘째로는 대상 기업의 연계지원 강화, 셋째로는 지원 대

상 기업의 교육 강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 속에서 이용허락인증

후 추적평가를 통해 산업유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본 제도가 조기에

안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이와 같은 응답이 나타났으며 이용허락 후 성

과를 관리하는 기관은 17% 수준에 머물고 있었으나,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크게 매우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Page 13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10

구분 예 아니오

내용 17.3% 82.6%

구분 예 아니오

내용 86.3% 13.6%

<표4-2> 이용허락에 따른 성과관리체계 보유 유무

<표4-3> 성과관리체계 필요성

Page 13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111

4.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지원정책제언

가. 문화부 내 기관평가에 도입

공공저작물은 이미 국민의 세금이 투여되어 산출된 가치 있는 자산이

기에 그 정보가 공개되어 공유된다면 경제적 이익이 생기는 것은 당연

하다. 또한 공공저작물이 더 중요한 목적은 개방을 통해 정부 및 공공

기관 자체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고도 할 수 있으며, 인터

넷과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더 세련되고 "스마트"한 정부는 어쩌면

정보가 얼마나 잘 공개 되느냐로 부터 나올지도 모를 일이다.

문화부 소속기관, 산하기관의 공공저작물 자발적 제공 유도를 위하

여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시범사업 후 각급 기관을 대상으

로 빠르게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관평가요소로 가산점 부여 등 인센티

브를 적용하는 것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사업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 공공분야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민간에 개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조기 확산을 위해 이 같은

평가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역사자료 등 저작권 소멸 또는 국가기관 등에 권리가 있는 공공

정보 우선 제공하도록 하며, 개인의 권리가 포함된 공공저작물의 자유

이용 확대를 통해 민간에서 공공저작물을 합법적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작권 기증 운동을 확산하고, 자유이용허락 라이센스를 부

착한 자유이용 공공저작물에 대한 통합 메타검색서비스 제공하는 등 다

양한 형태의 공공저작물을 공개하도록 하여 시장의 확대 전략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나. 산업화지원정책 추진

지식경제부는 10여 년 전부터 사업화 연계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

Page 13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12

기관 명 한국기술거래소

제목 기술이전사업화 사업

사업 목적 o 기술사업화 논의 장을 마련하여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지원

지원 대상 o 기술기업 협의회

지원 규모

지원 성격 기술이전 지원

지원 시기 상시지원

사업 내용

※ 추진전략

o 산학연 기술이전 교류 네트워크의 연계기능 활성화

- 기술이전 네트워크(각종 협의회 및 교류회)의 활성화를 통해 연구기관, 대

학, 거래기관, 지역기술이전거점, 기업, 투자기관 등의 다양한 의견수렴과

정책 도출 유도

- 기술이전 실적관리시스템 도입으로 거래시장 규모 및 형태에 대한 체

계적 관리

- 행사성 정책협의회 개최보다는 실질적인 소규모 기술사업화교류회 다수

개최 추진

o 기술거래·이전시장에 대한 체계적 홍보로 대국민 인지도 제고

- 기술이전거래 및 기술사업화의 중요성에 대한 일반인 대상 홍보를 강화

하여, 기존의 공급자, 전문가 위주의 사업홍보와는 별개로 애니메이션 등

친밀한 매체를 활용하여 사업전반의 대국민 인지도 강화

- 이를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분야별, 직능별 국내외

포럼의 정기적 개최, 기술주간 지정 등 기술시장에 대한 대국민 인

지도 제고 도모

다. 이 제도는 특허권을 가지고 있는 권리자로부터 기술이전을 한 후

이를 사업화하는데 필요한 원스톱지원정책으로써 전문가 상담, 펀드투

자유치지원, 정부의 직접투자(5년 후 주식매각) 등으로 이어지는 매우

적극적인 기업지원정책이다.

<표4-4> 한국기술거래소의 사업내용 예시

콘텐츠분야에서도 서비스산업 강화기조와 연계하여 사업화지원정책

Page 13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4장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113

을 개발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공저작물 중 산업화가 가능

한 분야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성과가 높은 경우 이를 제

도화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 인증에 따른 기금조성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이 오픈되면 획득한 인증서를 바탕으

로 민간에서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인증의 신뢰

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저작권 문제로 분쟁이 발생하면 정

책 운영에 위축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해서

는 가칭 “공공콘텐츠 저작물 이용허락 저작권분쟁조정기금”을 조성하여

분쟁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기금조성 방법의 한 예로는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기술거래소의 경우

기술의 접수, 평가, 등록, 집적, 알선을 통해 활용하는 모델을 사용하고

있으며, 활용 후 매출수익의 5%를 기금으로 운영하여 지속적인 리스크

요인을 감소시키고 있는 모델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델을 기

반으로 일부 기금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또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에 참여하는 기관의 출연과 일

부 국고보조를 통해 조성하고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인증에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지속적인 기금운영의 기반을 확보, 안정적인 운영기반을 조성

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금의 규모는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가이드가 제시된 후 규모에 걸맞은 금액을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ge 13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5장결 론

Page 13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5장 결 론

115

5장 결론

공공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공저작

물 또한 그 범주 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 동안은 개인 혹은 기업

이 비즈니스를 위해 필요한 공공정보자원(공공저작물 포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접근이나 표준화된 가이드가 없이 이루어져 왔다.

[그림 5-1]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기본 체계

정부는 이러한 민간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국가정보화기본법을

전면개정하고 국가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범부처의 참여를 유도

하기 위하여 정보화전략위원회를 두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 활성화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최근 들어서면서 스마트 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관련 모바

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활기를 띠면서 ‘공공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폭

되고 정보 제공 또한 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공공저작물의 경

우 일반 공공정보와는 달리 지식재산권 중 하나인 저작권법에 보호를

Page 13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16

받는 재화이며, 전 세계적으로 저작권에 대한 관리와 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를 볼 때 공공재화라 하더라도 문제의 소지를 방지할 제도적

인 방편이 마련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라 하겠다.

[그림 5-2]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의 기본 개념

이러한 과정에서 나온 것이 바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이

라 할 수 있다. 공공저작물의 잠재적 가치 인식을 통해 민간의 활용 수

요를 높이고 점차 강화되는 저작권에 대한 보호를 동시에 추구함으로

써 바람직한 모델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한지 약 3년여 동안 여전히 저작

권과 관련한 시장참여자 간 논의가 늦어지고 있으며 안정적인 운영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선행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운영체계

또한 다소 부족한 부분은 문제로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건을 고려하고 저작권법, 동법 시행령, 운영

지침 등을 검토하였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공저작물 이용허

락인증시스템 오픈초기 조기 안정화 및 활성화방안을 마련하는데 주력

하였다.

Page 13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제 5장 결 론

117

[그림 5-3] 공공기관 및 이용자 관리체계

공공저작물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점 일환으로 정책적 제언으

로 공공저작물 가치평가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저작권법 내의 공공저

작물의 권리자에 대한 규정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연구 전반에 고려한 사항은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마련하는 것과 현

재의 상황, 그리고 저작권법이 가지는 특성 등을 고려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만들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저작권위원회와 콘텐츠진흥원 및 여타 유관기관 간

상호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운영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

며 정책의 성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성과관리조직을 제안하는 등 정부

의 예산편성기조인 성과중심 예산편성제도의 틀 속에서 공공저작물 이

용허락인증시스템 운영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마련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인증시스템 조기 안정화와

전국적인 확산의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하며 결말에 가름하고자 한다.

Page 13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참고 문헌

Page 13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참고문헌

119

[참고문헌]

강만석․오경수, “디지털미디어시대, 공공서비스콘텐츠정책방안”, 한국

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7.

김기태, “공공기관의 저작물 이용 및 저작권 관리방안연구”, 김기태, 한

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7.

김윤명 (2009), 『퍼블릭 도메인과 저작권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주호, “국내・외 문화콘텐츠의 마케팅적 활용 연구”, 경영연구, 2006.

류종현 (2008), 『현대 저작권의 쟁점과 전망-1인 1미디어 시대 이용자

와 저작자의 새로운 권리와 한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박덕영 역 (2005), “영국 저작권법”, 서울: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박익환 외 (2005), “자유이용 저작물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문화관광부.

방석호 (2009),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와 저작권』,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서달주 역 (2009) 『프랑스 저작권법』, 서울: 한국저작권위원회.

송영식, 이상정 (2009), 『저작권법개설』, 제5판. 서울: 세창출판사.

수호. (2009).『공공정보 민간활용을 위한 효과적 정책 지원 방안 수립

연구』. 서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신기정․문영수, “공공서비스기관의콘텐츠유료화모형에관한연구”,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03.

안지혜, “한국영화산업에서의저작권위탁관리에관한연구”, 중앙대학교석

사학위논문, 2005.

오승종 (2007), 『저작권법』, 서울: 박영사

오승종, 이해완 (2005), 『저작권법』, 제4판. 서울: 박영사.

윤경, “저작권양도 계약과 이용허락계약의 구별기준”, 저작권69호, 2005.

윤종수, “디지털시대의 저작권과 대안적 보상체제”, 지적재산권, 2008.

이규호, 서재권 (2009), 『공정이용 판단기준 도출을 위한 사례연구』.

서울: 한국저작권위원회.

이대희, “기술적 보호조치와 접근권의 문제점”, 정보법학, 제7권제2호,

2003.

Page 14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20

이대희, “저작권법상의공정이용의법리에관한비교법적연구”, 경영법률,

10집, 1999.

이병희․문제철, 문화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은행, 2009.

이수명 , 공공 콘텐츠관리의 문제점과 이용활성화 방안, 문화체육관광

부, 2009.

이영대. 2006.『공공정보 상용화에 관한 입법 연구』. 서울: 한국데이터

베이스진흥센터.

임원선. 2007.『저작권 이용허락 효율화를 위한 법적 방안 연구』. 서

울: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윤호진․이동훈, 미디어융합에 따른 콘텐츠 산업분석 및 공공문화콘텐

츠활성화방안,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8.

장주영 (2003), 『미국 저작권 판례』, 서울: 육법사.

저작권위원회 (2005), 저작권, 그 안에 무엇이 있길래 서울: 문화관광부

저작권과

정상조 (2007), 『 저작권법주해』, 박영사.

정진근, “공개 소프트웨어의 영업 비밀성과 보호범위”, 정보법학 제10

권제1호, 2006.

정진섭, 이미영. 2009.『CCL과 클린사이트 가이드라인』. 서울: 한국저

작권단체연합회 저작권보호센터.

최영묵 엮음 (2009), 『미디어콘텐츠와 저작권』, 서울: 논형.

최용석, “디지털콘텐츠유통웹사이트품질에따른고객만족및기업전략”, 중

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4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7), 『공공정보가 디지털 경제를 움직인

다: 공공정보의 민간 활용 가이드라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공공문화콘텐츠 유통 중․장기 전략 계

획수립”.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7), “공공콘텐츠의 제작유통관리지침“.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7), “일본의 영상콘텐츠 제작유통을 위한 권

리처리”.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저작권 100”,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공공기관 디지털 저작물 이용 연구”.

Page 14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참고문헌

12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문화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여론조

사결과보고서“.

한병완 (2008), “디지털정보의 사용허락계약(license)”, 지적재산권 제28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09), “개정 저작권법 해설”, 문화체육관광부.

허성욱, “권리남용금지법리에 관한 법경제학적 고찰”, 법조55권1호, 20

06 및 법조54권12호.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2009. The United Kingdom Report on the Re-us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2009. Office of PublicSector Information.

<http://www.opsi.gov.uk/advice/crown-copyright/copyright-guidance/copyright-in-works-commissioned-by-the-crown>.

WIPO. 2006.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and Related Rights. [online]. [cited 2010.3.12]. <http://www.wipo.int/about-ip/en/abou

t_collective_mngt.html>

Onsrud, H.J., X. Lopez. 1998.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Disseminating Digital Geographic Data, Products, and Services: Conflicts and Commonalities among European Union and United States Approaches. in Masser, Ian and Francois Salge ed. European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s: Opportunit ies and Pitfalls. London: Taylorand Francis. pp.153-167.

호주정부 TF 보고서, Managing public sector information (PSI) as a national resource

Page 14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첨#1. 저작권법

#2.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지침

#3. 콘텐츠산업진흥법

#4. 국가정보화기본법

#5. 설문결과내용

Page 14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23

별첨 1. 저작권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

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

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개정 2009.4.22>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개정 2009.4.22>

1.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한다.

2. “저작자”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말한다.

3. “공연”은 저작물 또는 실연·음반·방송을 상연·연주·가창·구연·낭독·상영·

재생 그 밖의 방법으로 공중에게 공개하는 것을 말하며, 동일인의 점유

에 속하는 연결된 장소 안에서 이루어지는 송신(전송을 제외한다)을 포

함한다.

4. “실연자”는 저작물을 연기·무용·연주·가창·구연·낭독 그 밖의 예능적 방

법으로 표현하거나 저작물이 아닌 것을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실연을 하는 자를 말하며, 실연을 지휘, 연출 또는 감독하는 자를 포함

한다.

5. “음반”은 음(음성·음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유형물에 고정된 것(음이

영상과 함께 고정된 것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6. “음반제작자”는 음을 음반에 고정하는데 있어 전체적으로 기획하고 책

임을 지는 자를 말한다.

7. “공중송신”은 저작물, 실연·음반·방송 또는 데이터베이스(이하 “저작물

등”이라 한다)를 공중이 수신하거나 접근하게 할 목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통신의 방법에 의하여 송신하거나 이용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8. “방송”은 공중송신 중 공중이 동시에 수신하게 할 목적으로 음·영상 또

는 음과 영상 등을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9. “방송사업자”는 방송을 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10. “전송(傳送)”은 공중송신 중 공중의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선택한 시간

과 장소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저작물 등을 이용에 제공하는 것을 말

하며, 그에 따라 이루어지는 송신을 포함한다.

11. “디지털음성송신”은 공중송신 중 공중으로 하여금 동시에 수신하게 할

Page 14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24

목적으로 공중의 구성원의 요청에 의하여 개시되는 디지털 방식의 음의

송신을 말하며, 전송을 제외한다.

12. “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는 디지털음성송신을 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13. “영상저작물”은 연속적인 영상(음의 수반여부는 가리지 아니한다)이 수

록된 창작물로서 그 영상을 기계 또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재생하여 볼

수 있거나 보고 들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14. “영상제작자”는 영상저작물의 제작에 있어 그 전체를 기획하고 책임을

지는 자를 말한다.

15. “응용미술저작물”은 물품에 동일한 형상으로 복제될 수 있는 미술저작

물로서 그 이용된 물품과 구분되어 독자성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을 말

하며, 디자인 등을 포함한다.

16.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등 정보

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이하 “컴퓨터”라 한다)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

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명령으로 표현된 창작물을 말한다.

17. “편집물”은 저작물이나 부호·문자·음·영상 그 밖의 형태의 자료(이하

“소재”라 한다)의 집합물을 말하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18. “편집저작물”은 편집물로서 그 소재의 선택·배열 또는 구성에 창작성

이 있는 것을 말한다.

19. “데이터베이스”는 소재를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로서 개

별적으로 그 소재에 접근하거나 그 소재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20. “데이터베이스제작자”는 데이터베이스의 제작 또는 그 소재의 갱신·검

증 또는 보충(이하 “갱신등”이라 한다)에 인적 또는 물적으로 상당한

투자를 한 자를 말한다.

21. “공동저작물”은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창작한 저작물로서 각자의 이바

지한 부분을 분리하여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22. “복제”는 인쇄·사진촬영·복사·녹음·녹화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유형물

에 고정하거나 유형물로 다시 제작하는 것을 말하며, 건축물의 경우에

는 그 건축을 위한 모형 또는 설계도서에 따라 이를 시공하는 것을 포

함한다.

23. “배포”는 저작물등의 원본 또는 그 복제물을 공중에게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아니하고 양도 또는 대여하는 것을 말한다.

24. “발행”은 저작물 또는 음반을 공중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제·

배포하는 것을 말한다.

Page 14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25

25. “공표”는 저작물을 공연, 공중송신 또는 전시 그 밖의 방법으로 공중

에게 공개하는 경우와 저작물을 발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26. “저작권신탁관리업”은 저작재산권자, 출판권자, 저작인접권자 또는 데

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가진 자를 위하여 그 권리를 신탁받아 이

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업을 말하며, 저작물등의 이용과 관련하여 포

괄적으로 대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27. “저작권대리중개업”은 저작재산권자, 출판권자, 저작인접권자 또는 데

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가진 자를 위하여 그 권리의 이용에 관한

대리 또는 중개행위를 하는 업을 말한다.

28. “기술적보호조치”는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에 대

한 침해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하여 그 권리자나

권리자의 동의를 얻은 자가 적용하는 기술적 조치를 말한다.

29. “권리관리정보”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나 그 정보

를 나타내는 숫자 또는 부호로서 각 정보가 저작물등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에 부착되거나 그 공연·실행 또는 공중송신에 수반되는 것을 말

한다.

가. 저작물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나. 저작자·저작재산권자·출판권자·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자·저작인접권자

또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다. 저작물등의 이용 방법 및 조건에 관한 정보

30. “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다른 사람들이 정보통신망(「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제1호의 정보통신망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통하여 저작물등을 복제 또는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31. “업무상저작물”은 법인·단체 그 밖의 사용자(이하 “법인등”이라 한다)

의 기획하에 법인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업무상 작성하는 저작물

을 말한다.

32. “공중”은 불특정 다수인(특정 다수인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33. “인증”은 저작물등의 이용허락 등을 위하여 정당한 권리자임을 증명하

는 것을 말한다.

34. “프로그램코드역분석”은 독립적으로 창작된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과

다른 컴퓨터프로그램과의 호환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저작물코드를 복제 또는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제2조의2(저작권 보호에 관한 시책 수립 등)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이

Page 14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26

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시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다.

1. 저작권의 보호 및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기본 정책에

관한 사항

2. 저작권 인식 확산을 위한 교육 및 홍보에 관한 사항

3. 저작물등의 권리관리정보 및 기술적보호조치의 정책에 관한 사항

② 제1항에 따른 시책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09.4.22]

제3조(외국인의 저작물) ①외국인의 저작물은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된다.

②대한민국 내에 상시 거주하는 외국인(무국적자 및 대한민국 내에 주된

사무소가 있는 외국법인을 포함한다)의 저작물과 맨 처음 대한민국 내에

서 공표된 외국인의 저작물(외국에서 공표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대한

민국 내에서 공표된 저작물을 포함한다)은 이 법에 따라 보호된다.

③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따라 보호되는 외국인(대한민국 내에 상시 거

주하는 외국인 및 무국적자를 제외한다)의 저작물이라도 그 외국에서 대

한민국 국민의 저작물을 보호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게 조약

및 이 법에 따른 보호를 제한할 수 있다.

제2장 저작권

제1절 저작물

제4조(저작물의 예시 등) ①이 법에서 말하는 저작물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

다.

1. 소설·시·논문·강연·연설·각본 그 밖의 어문저작물

2. 음악저작물

3. 연극 및 무용·무언극 그 밖의 연극저작물

4. 회화·서예·조각·판화·공예·응용미술저작물 그 밖의 미술저작물

5. 건축물·건축을 위한 모형 및 설계도서 그 밖의 건축저작물

6. 사진저작물(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작된 것을 포함한다)

7. 영상저작물

8. 지도·도표·설계도·약도·모형 그 밖의 도형저작물

9.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②삭제<2009.4.22>

제5조(2차적저작물) ①원저작물을 번역·편곡·변형·각색·영상제작 그 밖의 방

Page 14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27

법으로 작성한 창작물(이하 “2차적저작물”이라 한다)은 독자적인 저작물로

서 보호된다.

②2차적저작물의 보호는 그 원저작물의 저작자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제6조(편집저작물) ①편집저작물은 독자적인 저작물로서 보호된다.

②편집저작물의 보호는 그 편집저작물의 구성부분이 되는 소재의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제7조(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이 법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한다.

1.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3.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5.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

제2절 저작자

제8조(저작자 등의 추정) ①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저작

자로 추정한다.

1.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에 저작자로서의 실명 또는 이명(예명·아

호·약칭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으로서 널리 알려진 것이 일반적인 방

법으로 표시된 자

2. 저작물을 공연 또는 공중송신하는 경우에 저작자로서의 실명 또는 저작

자의 널리 알려진 이명으로서 표시된 자

②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저작자의 표시가 없는 저작물의

경우에는 발행자·공연자 또는 공표자로 표시된 자가 저작권을 가지는 것

으로 추정한다.<개정 2009.4.22>

제9조(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자) 법인등의 명의로 공표되는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자는 계약 또는 근무규칙 등에 다른 정함이 없는 때에는 그 법인등이

된다. 다만,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이하 “프로그램”이라 한다)의 경우 공표

될 것을 요하지 아니한다.<개정 2009.4.22>

제10조(저작권) ①저작자는 제11조 내지 제13조의 규정에 따른 권리(이하

Page 14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28

“저작인격권”이라 한다)와 제16조 내지 제22조의 규정에 따른 권리(이하

“저작재산권”이라 한다)를 가진다.

②저작권은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행

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제3절 저작인격권

제11조(공표권) ①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공표하거나 공표하지 아니할 것을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

②저작자가 공표되지 아니한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을 제45조에 따른 양도,

제46조에 따른 이용허락, 제57조에 따른 출판권의 설정 또는 제101조의6에

따른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의 설정을 한 경우에는 그 상대방에게 저작물

의 공표를 동의한 것으로 추정한다.<개정 2009.4.22>

③저작자가 공표되지 아니한 미술저작물·건축저작물 또는 사진저작물(이하

“미술저작물등”이라 한다)의 원본을 양도한 경우에는 그 상대방에게 저작

물의 원본의 전시방식에 의한 공표를 동의한 것으로 추정한다.

④원저작자의 동의를 얻어 작성된 2차적저작물 또는 편집저작물이 공표된

경우에는 그 원저작물도 공표된 것으로 본다.

제12조(성명표시권) ①저작자는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에 또는 저작

물의 공표 매체에 그의 실명 또는 이명을 표시할 권리를 가진다.

②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저작자의 특별한 의사표시가 없는 때에는

저작자가 그의 실명 또는 이명을 표시한 바에 따라 이를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저작물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부득이하다

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3조(동일성유지권) ①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의 내용·형식 및 제호의 동일

성을 유지할 권리를 가진다.

②저작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변경에 대하여는 이의(異

議)할 수 없다. 다만, 본질적인 내용의 변경은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9.4.22>

1. 제25조의 규정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학교교육 목적상 부득

이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안에서의 표현의 변경

2. 건축물의 증축·개축 그 밖의 변형

3. 특정한 컴퓨터 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에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서의 변경

Page 14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29

4. 프로그램을 특정한 컴퓨터에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서의 변경

5. 그 밖에 저작물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부득

이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안에서의 변경

제14조(저작인격권의 일신전속성) ①저작인격권은 저작자 일신에 전속한다.

②저작자의 사망 후에 그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저작자가 생존하였더

라면 그 저작인격권의 침해가 될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그 행

위의 성질 및 정도에 비추어 사회통념상 그 저작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

이 아니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5조(공동저작물의 저작인격권) ①공동저작물의 저작인격권은 저작자 전

원의 합의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이를 행사할 수 없다. 이 경우 각 저작자

는 신의에 반하여 합의의 성립을 방해할 수 없다.

②공동저작물의 저작자는 그들 중에서 저작인격권을 대표하여 행사할 수

있는 자를 정할 수 있다.

③제2항의 규정에 따라 권리를 대표하여 행사하는 자의 대표권에 가하여

진 제한이 있을 때에 그 제한은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

제4절 저작재산권

제1관 저작재산권의 종류

제16조(복제권)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복제할 권리를 가진다.

제17조(공연권)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공연할 권리를 가진다.

제18조(공중송신권)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공중송신할 권리를 가진다.

제19조(전시권) 저작자는 미술저작물등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을 전시할 권리

를 가진다.

제20조(배포권) 저작자는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을 배포할 권리를 가

진다. 다만,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이 해당 저작재산권자의 허락을

받아 판매 등의 방법으로 거래에 제공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

정 2009.4.22>

제21조(대여권) 제20조 단서에도 불구하고 저작자는 판매용 음반이나 판매용

프로그램을 영리를 목적으로 대여할 권리를 가진다.<개정 2009.4.22>

제22조(2차적저작물작성권)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원저작물로 하는 2차적

저작물을 작성하여 이용할 권리를 가진다.

Page 15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30

제2관 저작재산권의 제한

제23조(재판절차 등에서의 복제) 재판절차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이거나 입

법·행정의 목적을 위한 내부자료로서 필요한 경우에는 그 한도 안에서 저

작물을 복제할 수 있다. 다만, 그 저작물의 종류와 복제의 부수 및 형태

등에 비추어 당해 저작재산권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 경우에는 그

러하지 아니하다.

제24조(정치적 연설 등의 이용) 공개적으로 행한 정치적 연설 및 법정·국회

또는 지방의회에서 공개적으로 행한 진술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저작자의 연설이나 진술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①고등학교 및 이에 준하는 학교 이하

의 학교의 교육 목적상 필요한 교과용도서에는 공표된 저작물을 게재할

수 있다.

②특별법에 따라 설립되었거나 「유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 또는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교육기관

및 이들 교육기관의 수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소속

된 교육지원기관은 그 수업 또는 지원 목적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에는 공표된 저작물의 일부분을 복제·배포·공연·방송 또는 전송할 수 있

다. 다만, 저작물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저작물

의 전부를 이용하는 것이 부득이한 경우에는 전부를 이용할 수 있다.<개

정 2009.4.22>

③제2항의 규정에 따른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자는 수업목적상 필요

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2항의 범위 내에서 공표된 저작물을 복제하

거나 전송할 수 있다.

④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려는 자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른 보상금을 해당 저작재산권자에게 지급하

여야 한다. 다만, 고등학교 및 이에 준하는 학교 이하의 학교에서 제2항에

따른 복제·배포·공연·방송 또는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보상금을 지급하지

아니한다.<개정 2008.2.29, 2009.4.22>

⑤ 제4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을 받을 권리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춘

단체로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하는 단체를 통하여 행사되어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그 단체를 지정할 때에는 미리 그 단체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개정 2008.2.29>

Page 15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31

1. 대한민국 내에서 보상을 받을 권리를 가진 자(이하 “보상권리자”라 한

다)로 구성된 단체

2.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할 것

3. 보상금의 징수 및 분배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능력이 있을 것

⑥제5항의 규정에 따른 단체는 그 구성원이 아니라도 보상권리자로부터

신청이 있을 때에는 그 자를 위하여 그 권리행사를 거부할 수 없다. 이 경

우 그 단체는 자기의 명의로 그 권리에 관한 재판상 또는 재판 외의 행위

를 할 권한을 가진다.

⑦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5항의 규정에 따른 단체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개정 2008.2.29>

1. 제5항의 규정에 따른 요건을 갖추지 못한 때

2. 보상관계 업무규정을 위배한 때

3. 보상관계 업무를 상당한 기간 휴지하여 보상권리자의 이익을 해할 우려

가 있을 때

⑧ 제5항의 규정에 따른 단체는 보상금 분배 공고를 한 날부터 3년이 경

과한 미분배 보상금에 대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공익목

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⑨제5항·제7항 및 제8항의 규정에 따른 단체의 지정과 취소 및 업무규정,

보상금 분배 공고, 미분배 보상금의 공익목적 사용 승인 등에 관하여 필요

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⑩제2항의 규정에 따라 교육기관이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제방지조치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26조(시사보도를 위한 이용) 방송·신문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시사보도

를 하는 경우에 그 과정에서 보이거나 들리는 저작물은 보도를 위한 정당

한 범위 안에서 복제·배포·공연 또는 공중송신할 수 있다.

제27조(시사적인 기사 및 논설의 복제 등) 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에 관

하여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의 규정에 따른 신문 및 인터

넷신문 또는 「뉴스통신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뉴스통

신에 게재된 시사적인 기사나 논설은 다른 언론기관이 복제·배포 또는 방

송할 수 있다. 다만, 이용을 금지하는 표시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개정 2009.7.31>

제28조(공표된 저작물의 인용) 공표된 저작물은 보도·비평·교육·연구 등을

위하여는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이를 인용할 수 있

Page 15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32

다.

제29조(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공연·방송) ①영리를 목적으로 하

지 아니하고 청중이나 관중 또는 제3자로부터 어떤 명목으로든지 반대급

부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공표된 저작물을 공연 또는 방송할 수 있다.

다만, 실연자에게 통상의 보수를 지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청중이나 관중으로부터 당해 공연에 대한 반대급부를 받지 아니하는 경

우에는 판매용 음반 또는 판매용 영상저작물을 재생하여 공중에게 공연할

수 있다. 다만,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30조(사적이용을 위한 복제) 공표된 저작물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

하고 개인적으로 이용하거나 가정 및 이에 준하는 한정된 범위 안에서 이

용하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는 이를 복제할 수 있다. 다만, 공중의 사용에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사기기에 의한 복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31조(도서관등에서의 복제 등) ①「도서관법」에 따른 도서관과 도서·문

서·기록 그 밖의 자료(이하 “도서등”이라 한다)를 공중의 이용에 제공하는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당해 시설의 장을 포함하며, 이하 “도서

관등”이라 한다)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도서

관등에 보관된 도서등(제1호의 경우에는 제3항의 규정에 따라 당해 도서

관등이 복제·전송받은 도서등을 포함한다)을 사용하여 저작물을 복제할 수

있다. 다만, 제1호 및 제3호의 경우에는 디지털 형태로 복제할 수 없다.

1. 조사·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공표된 도서등의 일

부분의 복제물을 1인 1부에 한하여 제공하는 경우

2. 도서등의 자체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3. 다른 도서관등의 요구에 따라 절판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사유로 구하기

어려운 도서등의 복제물을 보존용으로 제공하는 경우

②도서관등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그 도서관등의 안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보관된 도서등을 복제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시에

열람할 수 있는 이용자의 수는 그 도서관등에서 보관하고 있거나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를 가진 자로부터 이용허락을 받은

그 도서등의 부수를 초과할 수 없다.<개정 2009.4.22>

③도서관등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다른 도서관등의 안에서 열람

할 수 있도록 보관된 도서등을 복제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판매용으로 발행된 도서등은 그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

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9.4.22>

④도서관등은 제1항제2호의 규정에 따른 도서등의 복제 및 제2항과 제3항

Page 15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33

의 규정에 따른 도서등의 복제의 경우에 그 도서등이 디지털 형태로 판매

되고 있는 때에는 그 도서등을 디지털 형태로 복제할 수 없다.

⑤ 도서관등은 제1항제1호의 규정에 따라 디지털 형태의 도서등을 복제하

는 경우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라 도서등을 다른 도서관등의 안에서 열람

할 수 있도록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경우에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

여 고시하는 기준에 의한 보상금을 당해 저작재산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한

다. 다만,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고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를 저작재산권자로 하는 도서등(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판매용으로 발

행된 도서등을 제외한다)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2.29>

⑥제25조제5항 내지 제9항의 규정은 제5항의 보상금의 지급 등에 관하여

준용한다.

⑦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따라 도서등을 디지털 형태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경우에 도서관등은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제방지조치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⑧ 「도서관법」 제20조의2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이 온라인 자료의 보존

을 위하여 수집하는 경우에는 해당 자료를 복제할 수 있다.<신설

2009.3.25>

제32조(시험문제로서의 복제) 학교의 입학시험 그 밖에 학식 및 기능에 관

한 시험 또는 검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그 목적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에서 공표된 저작물을 복제·배포할 수 있다. 다만,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9.4.22>

제33조(시각장애인 등을 위한 복제 등) ①공표된 저작물은 시각장애인 등을

위하여 점자로 복제·배포할 수 있다.

②시각장애인 등의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당해 시설의 장을 포함한다)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시각

장애인 등의 이용에 제공하기 위하여 공표된 어문저작물을 녹음하거나 대

통령령으로 정하는 시각장애인 등을 위한 전용 기록방식으로 복제·배포

또는 전송할 수 있다.<개정 2009.3.25>

③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따른 시각장애인 등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34조(방송사업자의 일시적 녹음·녹화) ①저작물을 방송할 권한을 가지는

방송사업자는 자신의 방송을 위하여 자체의 수단으로 저작물을 일시적으

로 녹음하거나 녹화할 수 있다.

Page 15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34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만들어진 녹음물 또는 녹화물은 녹음일 또는 녹화

일로부터 1년을 초과하여 보존할 수 없다. 다만, 그 녹음물 또는 녹화물이

기록의 자료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소에 보존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35조(미술저작물등의 전시 또는 복제) ①미술저작물등의 원본의 소유자나

그의 동의를 얻은 자는 그 저작물을 원본에 의하여 전시할 수 있다. 다만,

가로·공원·건축물의 외벽 그 밖에 공중에게 개방된 장소에 항시 전시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제1항 단서의 규정에 따른 개방된 장소에 항시 전시되어 있는 미술저작

물등은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이를 복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건축물을 건축물로 복제하는 경우

2. 조각 또는 회화를 조각 또는 회화로 복제하는 경우

3. 제1항 단서의 규정에 따른 개방된 장소 등에 항시 전시하기 위하여 복

제하는 경우

4. 판매의 목적으로 복제하는 경우

③제1항의 규정에 따라 전시를 하는 자 또는 미술저작물등의 원본을 판매

하고자 하는 자는 그 저작물의 해설이나 소개를 목적으로 하는 목록 형태

의 책자에 이를 복제하여 배포할 수 있다.

④위탁에 의한 초상화 또는 이와 유사한 사진저작물의 경우에는 위탁자의

동의가 없는 때에는 이를 이용할 수 없다

제36조(번역 등에 의한 이용) ①제25조·제29조 또는 제30조의 규정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저작물을 번역·편곡 또는 개작하여 이용

할 수 있다.

②제23조·제24조·제26조·제27조·제28조·제32조 또는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저작물을 번역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37조(출처의 명시) ①이 관의 규정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

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제29조 내지 제32조 및 제34조의 경

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

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37조의2(적용 제외)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제23조·제25조·제30조 및 제32조

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Page 15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35

[본조신설 2009.4.22]

제38조(저작인격권과의 관계) 이 관 각 조의 규정은 저작인격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제3관 저작재산권의 보호기간

제39조(보호기간의 원칙) ①저작재산권은 이 관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를 제외하고는 저작자의 생존하는 동안과 사망 후 50년간 존속한다. 다만,

저작자가 사망 후 40년이 경과하고 50년이 되기 전에 공표된 저작물의 저

작재산권은 공표된 때부터 10년간 존속한다.

②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맨 마지막으로 사망한 저작자의 사망 후 50

년간 존속한다.

제40조(무명 또는 이명 저작물의 보호기간) ①무명 또는 널리 알려지지 아

니한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공표된 때부터 50년간 존속한

다. 다만, 이 기간 내에 저작자가 사망한지 50년이 경과하였다고 인정할만

한 정당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저작재산권은 저작자 사망 후 50년

이 경과하였다고 인정되는 때에 소멸한 것으로 본다.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은 이를 적

용하지 아니한다.

1. 제1항의 기간 이내에 저작자의 실명 또는 널리 알려진 이명이 밝혀진

경우

2. 제1항의 기간 이내에 제53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저작자의 실명등록이

있는 경우

제41조(업무상저작물의 보호기간)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공표한 때

부터 50년간 존속한다. 다만, 창작한 때부터 50년 이내에 공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창작한 때부터 50년간 존속한다.

제42조(영상저작물 및 프로그램의 보호기간<개정 2009.4.22>) 영상저작물

및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은 제39조 및 제40조에도 불구하고 공표한 때부

터 50년간 존속한다. 다만, 창작한 때부터 50년 이내에 공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창작한 때부터 50년간 존속한다.<개정 2009.4.22>

제43조(계속적간행물 등의 공표시기) ①제39조제1항 단서·제40조제1항 또는

제41조의 규정에 따른 공표시기는 책·호 또는 회 등으로 공표하는 저작물

의 경우에는 매책·매호 또는 매회 등의 공표 시로 하고, 일부분씩 순차적

으로 공표하여 완성하는 저작물의 경우에는 최종부분의 공표 시로 한다.

Page 15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36

②일부분씩 순차적으로 공표하여 전부를 완성하는 저작물의 계속되어야

할 부분이 최근의 공표시기부터 3년이 경과되어도 공표되지 아니하는 경

우에는 이미 공표된 맨 뒤의 부분을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최종부분으로

본다.

제44조(보호기간의 기산) 이 관에 규정된 저작재산권의 보호기간을 계산하

는 경우에는 저작자가 사망하거나 저작물을 창작 또는 공표한 다음 해부

터 기산한다.

제4관 저작재산권의 양도·행사·소멸

제45조(저작재산권의 양도) ①저작재산권은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할 수 있

다.

②저작재산권의 전부를 양도하는 경우에 특약이 없는 때에는 제22조에 따

른 2차적저작물을 작성하여 이용할 권리는 포함되지 아니한 것으로 추정

한다. 다만, 프로그램의 경우 특약이 없는 한 2차적저작물작성권도 함께

양도된 것으로 추정한다.<개정 2009.4.22>

제46조(저작물의 이용허락) ①저작재산권자는 다른 사람에게 그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허락을 받은 자는 허락받은 이용 방법 및 조건의

범위 안에서 그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다.

③제1항의 규정에 따른 허락에 의하여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는

저작재산권자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를 양도할 수 없다.

제47조(저작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의 행사 등<개정 2009.4.22>) ①

저작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은 그 저작재산권의 양도 또는 그 저작

물의 이용에 따라 저작재산권자가 받을 금전 그 밖의 물건(출판권 및 프

로그램배타적발행권 설정의 대가를 포함한다)에 대하여도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이들의 지급 또는 인도 전에 이를 압류하여야 한다.<개정 2009.4.22>

② 질권의 목적으로 된 저작재산권은 설정행위에 특약이 없는 한 저작재

산권자가 이를 행사한다.<신설 2009.4.22>

제48조(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의 행사) ①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그

저작재산권자 전원의 합의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이를 행사할 수 없으며,

다른 저작재산권자의 동의가 없으면 그 지분을 양도하거나 질권의 목적으

로 할 수 없다. 이 경우 각 저작재산권자는 신의에 반하여 합의의 성립을

방해하거나 동의를 거부할 수 없다.

Page 15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37

②공동저작물의 이용에 따른 이익은 공동저작자 간에 특약이 없는 때에는

그 저작물의 창작에 이바지한 정도에 따라 각자에게 배분된다. 이 경우 각

자의 이바지한 정도가 명확하지 아니한 때에는 균등한 것으로 추정한다.

③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자는 그 공동저작물에 대한 자신의 지분을 포

기할 수 있으며, 포기하거나 상속인 없이 사망한 경우에 그 지분은 다른

저작재산권자에게 그 지분의 비율에 따라 배분된다.

④제15조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은 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의 행사에 관

하여 준용한다.

제49조(저작재산권의 소멸) 저작재산권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1. 저작재산권자가 상속인 없이 사망한 경우에 그 권리가 「민법」 그 밖

의 법률의 규정에 따라 국가에 귀속되는 경우

2. 저작재산권자인 법인 또는 단체가 해산되어 그 권리가 「민법」 그 밖

의 법률의 규정에 따라 국가에 귀속되는 경우

제5절 저작물 이용의 법정허락

제50조(저작재산권자 불명인 저작물의 이용) ① 누구든지 대통령령이 정하

는 기준에 해당하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어도 공표된 저작물(외국인의

저작물을 제외한다)의 저작재산권자나 그의 거소를 알 수 없어 그 저작물

의 이용허락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

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얻은 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의한 보상금을 공탁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뜻과 승인연월일을 표

시하여야 한다.

③제1항의 규정에 따라 법정허락된 저작물이 다시 법정허락의 대상이 되

는 때에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상당

한 노력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다만, 그 저작물에 대한 법정허락의 승

인 이전에 저작재산권자가 대통령령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이의를 제기하

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법정허락 내용을

정보통신망에 게시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제51조(공표된 저작물의 방송) 공표된 저작물을 공익상 필요에 의하여 방송

하고자 하는 방송사업자가 그 저작재산권자와 협의하였으나 협의가 성립

Page 15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38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

관의 승인을 얻은 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의한 보상금을

당해 저작재산권자에게 지급하거나 공탁하고 이를 방송할 수 있다.<개정

2008.2.29>

제52조(판매용 음반의 제작) 판매용 음반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판매되

어 3년이 경과한 경우 그 음반에 녹음된 저작물을 녹음하여 다른 판매용

음반을 제작하고자 하는 자가 그 저작재산권자와 협의하였으나 협의가 성

립되지 아니하는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

관의 승인을 얻은 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의한 보상금을

당해 저작재산권자에게 지급하거나 공탁하고 다른 판매용 음반을 제작할

수 있다.<개정 2008.2.29>

제6절 등록 및 인증

제53조(저작권의 등록) ①저작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등록할 수 있다.

1. 저작자의 실명·이명(공표 당시에 이명을 사용한 경우에 한한다)·국적·주

소 또는 거소

2. 저작물의 제호·종류·창작연월일

3. 공표의 여부 및 맨 처음 공표된 국가·공표연월일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저작자가 사망한 경우 저작자의 특별한 의사표시가 없는 때에는 그의

유언으로 지정한 자 또는 상속인이 제1항 각 호의 규정에 따른 등록을 할

수 있다.

③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저작자로 실명이 등록된 자는 그 등록저작물의

저작자로, 창작연월일 또는 맨 처음의 공표연월일이 등록된 저작물은 등록

된 연월일에 창작 또는 맨 처음 공표된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 1년이 경과한 후에 창작연월일을 등록한 경우에는 등록된

연월일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하지 아니한다.<개정 2009.4.22>

제54조(권리변동 등의 등록·효력) 다음 각 호의 사항은 이를 등록할 수 있

으며, 등록하지 아니하면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

1. 저작재산권의 양도(상속 그 밖의 일반승계의 경우를 제외한다) 또는 처

분제한

2. 저작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의 설정·이전·변경·소멸 또는 처분제한

제55조(등록의 절차 등) ① 제53조 및 제54조에 따른 등록은 문화체육관광

Page 15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39

부장관이 저작권등록부(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등록부를 말한다. 이

하 이 조에서 같다)에 기재하여 행한다.<개정 2008.2.29, 2009.4.22>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신청을 반려할 수 있다. 다만, 신청의 흠결이 보정될 수 있는 경우에 신청

인이 당일 이를 보정하였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2.29>

1. 등록 신청한 사항이 등록할 것이 아닌 때

2. 등록 신청이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한 서식에 적합하지 아니하거나

그 밖의 필요한 자료 또는 서류를 첨부하지 아니한 때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의 규정에 따라 저작권등록부에 기재한 등

록에 대하여 등록공보를 발행하거나 정보통신망에 게시하여야 하며, 신청

한 자가 있는 경우에는 저작권등록부를 열람하게 하거나 그 사본을 교부

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④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따른 등록, 등록신청의 반려, 등록공보의 발

행 또는 게시, 저작권등록부의 열람 및 사본의 교부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55조의2(비밀유지의무) 제53조부터 제55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등록 업무

를 수행하는 자 및 그 직에 있었던 자는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

람에게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조신설 2009.4.22]

제56조(권리자 등의 인증)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물등의 거래의 안

전과 신뢰보호를 위하여 인증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②제1항에 따른 인증기관의 지정과 지정취소 및 인증절차 등에 관하여 필

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2009.4.22>

③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인증기관은 인증과 관련한 수수료를 받을 수 있

으며 그 금액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한다.<개정 2008.2.29>

제7절 출판권

제57조(출판권의 설정) ①저작물을 복제·배포할 권리를 가진 자(이하 “복제

권자”라 한다)는 그 저작물을 인쇄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문서

또는 도화로 발행하고자 하는 자에 대하여 이를 출판할 권리(이하 “출판

권”이라 한다)를 설정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출판권을 설정받은 자(이하 “출판권자”라 한다)는

그 설정행위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출판권의 목적인 저작물을 원작 그

Page 16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40

대로 출판할 권리를 가진다.

③복제권자는 그 저작물의 복제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질권자의 허락이 있어야 출판권을 설정할 수 있다.

제58조(출판권자의 의무) ①출판권자는 그 설정행위에 특약이 없는 때에는

출판권의 목적인 저작물을 복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원고 또는 이에 상당

하는 물건을 받은 날부터 9월 이내에 이를 출판하여야 한다.

②출판권자는 그 설정행위에 특약이 없는 때에는 관행에 따라 그 저작물

을 계속하여 출판하여야 한다.

③출판권자는 특약이 없는 때에는 각 출판물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복제권자의 표지를 하여야 한다.

제59조(저작물의 수정증감) ①출판권자가 출판권의 목적인 저작물을 다시

출판하는 경우에 저작자는 정당한 범위 안에서 그 저작물의 내용을 수정

하거나 증감할 수 있다.

②출판권자는 출판권의 목적인 저작물을 다시 출판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

약이 없는 때에는 그때마다 미리 저작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

제60조(출판권의 존속기간 등) ①출판권은 그 설정행위에 특약이 없는 때에

는 맨 처음 출판한 날로부터 3년간 존속한다.

②복제권자는 출판권 존속기간 중 그 출판권의 목적인 저작물의 저작자가

사망한 때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저작자를 위하여 저작물을 전집

그 밖의 편집물에 수록하거나 전집 그 밖의 편집물의 일부인 저작물을 분

리하여 이를 따로 출판할 수 있다.

제61조(출판권의 소멸통고) ①복제권자는 출판권자가 제58조제1항 또는 제2

항의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6월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그 이행을 최고

하고 그 기간 내에 이행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출판권의 소멸을 통고할 수

있다.

②복제권자는 출판권자가 출판이 불가능하거나 출판할 의사가 없음이 명

백한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즉시 출판권의 소멸을 통고할 수

있다.

③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출판권의 소멸을 통고한 경우에는 출

판권자가 통고를 받은 때에 출판권이 소멸한 것으로 본다.

④제3항의 경우에 복제권자는 출판권자에 대하여 언제든지 원상회복을 청

구하거나 출판을 중지함으로 인한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제62조(출판권 소멸 후의 출판물의 배포) 출판권이 그 존속기간의 만료 그

밖의 사유로 소멸된 경우에는 그 출판권을 가지고 있던 자는 다음 각 호

Page 16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41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출판권의 존속기간 중 만

들어진 출판물을 배포할 수 없다.

1. 출판권 설정행위에 특약이 있는 경우

2. 출판권의 존속기간 중 복제권자에게 그 저작물의 출판에 따른 대가를

지급하고 그 대가에 상응하는 부수의 출판물을 배포하는 경우

제63조(출판권의 양도·제한 등) ①출판권은 복제권자의 동의 없이 이를 양

도 또는 질권의 목적으로 할 수 없다.

②제23조·제25조제1항 내지 제3항·제26조 내지 제28조·제30조 내지 제33조

와 제35조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출판권의 목적으로 되어 있는 저작물

의 복제에 관하여 준용한다.

③제54조, 제55조 및 제55조의2의 규정은 출판권의 등록(출판권설정등록을

포함한다)에 관하여 준용한다. 이 경우 제55조 중 “저작권등록부”는 “출판

권등록부”로 본다.<개정 2009.4.22>

제3장 저작인접권

제1절 통칙

제64조(보호받는 실연·음반·방송) 다음 각 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는 실연·음반 및 방송은 이 법에 의한 보호를 받는다.

1. 실연

가. 대한민국 국민(대한민국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 및 대한민국 내에

주된 사무소가 있는 외국법인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이 행하는 실연

나.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실연

다. 제2호 각 목의 음반에 고정된 실연

라. 제3호 각 목의 방송에 의하여 송신되는 실연(송신 전에 녹음 또는

녹화되어 있는 실연을 제외한다)

2. 음반

가. 대한민국 국민을 음반제작자로 하는 음반

나. 음이 맨 처음 대한민국 내에서 고정된 음반

다.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음반으로서 체

약국 내에서 최초로 고정된 음반

라.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음반으로서 체

약국의 국민(당해 체약국의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 및 당해 체약국

내에 주된 사무소가 있는 법인을 포함한다)을 음반제작자로 하는 음

Page 16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42

3. 방송

가. 대한민국 국민인 방송사업자의 방송

나. 대한민국 내에 있는 방송설비로부터 행하여지는 방송

다.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방송으로서 체

약국의 국민인 방송사업자가 당해 체약국 내에 있는 방송설비로부터

행하는 방송

제65조(저작권과의 관계) 이 장 각 조의 규정은 저작권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제2절 실연자의 권리

제66조(성명표시권) ①실연자는 그의 실연 또는 실연의 복제물에 그의 실명

또는 이명을 표시할 권리를 가진다.

②실연을 이용하는 자는 그 실연자의 특별한 의사표시가 없는 때에는 실

연자가 그의 실명 또는 이명을 표시한 바에 따라 이를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실연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67조(동일성유지권) 실연자는 그의 실연의 내용과 형식의 동일성을 유지

할 권리를 가진다. 다만, 실연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68조(실연자의 인격권의 일신전속성) 제66조 및 제67조에 규정된 권리(이

하 “실연자의 인격권”이라 한다)는 실연자 일신에 전속한다.

제69조(복제권) 실연자는 그의 실연을 복제할 권리를 가진다.

제70조(배포권) 실연자는 그의 실연의 복제물을 배포할 권리를 가진다. 다만,

실연의 복제물이 실연자의 허락을 받아 판매 등의 방법으로 거래에 제공

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1조(대여권) 실연자는 제70조의 단서의 규정에 불구하고 그의 실연이 녹

음된 판매용 음반을 영리를 목적으로 대여할 권리를 가진다.

제72조(공연권) 실연자는 그의 고정되지 아니한 실연을 공연할 권리를 가진

다. 다만, 그 실연이 방송되는 실연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3조(방송권) 실연자는 그의 실연을 방송할 권리를 가진다. 다만, 실연자의

허락을 받아 녹음된 실연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4조(전송권) 실연자는 그의 실연을 전송할 권리를 가진다.

Page 16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43

제75조(방송사업자의 실연자에 대한 보상) ①방송사업자가 실연이 녹음된

판매용 음반을 사용하여 방송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보상금을 그 실연자에

게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실연자가 외국인인 경우에 그 외국에서 대한민

국 국민인 실연자에게 이 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제25조제5항 내지 제9항의 규정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의 지급

등에 관하여 준용한다.

③제2항의 규정에 따른 단체가 보상권리자를 위하여 청구할 수 있는 보상

금의 금액은 매년 그 단체와 방송사업자가 협의하여 정한다.

④제3항에 따른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그 단체 또는 방송사업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112조에 따른 한국저작권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개정 2009.4.22>

제76조(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의 실연자에 대한 보상) ①디지털음성송신사

업자가 실연이 녹음된 음반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보상금

을 그 실연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제25조제5항 내지 제9항의 규정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의 지급

등에 관하여 준용한다.

③제2항의 규정에 따른 단체가 보상권리자를 위하여 청구할 수 있는 보상

금의 금액은 매년 그 단체와 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가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간 내에 협의하여 정한다.

④ 제3항의 규정에 따른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문화체육관광

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액을 지급한다.<개정 2008.2.29>

제76조의2(판매용 음반을 사용하여 공연하는 자의 실연자에 대한 보상)

① 실연이 녹음된 판매용 음반을 사용하여 공연을 하는 자는 상당한 보상

금을 해당 실연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실연자가 외국인인 경우에

그 외국에서 대한민국 국민인 실연자에게 이 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제25조제5항부터 제9항까지 및 제76조제3항·제4항은 제1항에 따른 보상

금의 지급 및 금액 등에 관하여 준용한다.

[본조신설 2009.3.25]

제77조(공동실연자) ①2인 이상이 공동으로 합창·합주 또는 연극등을 실연하

는 경우에 이 절에 규정된 실연자의 권리(실연자의 인격권은 제외한다)는

공동으로 실연하는 자가 선출하는 대표자가 이를 행사한다. 다만, 대표자

의 선출이 없는 경우에는 지휘자 또는 연출자 등이 이를 행사한다.

Page 16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44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실연자의 권리를 행사하는 경우에 독창 또는 독주

가 함께 실연된 때에는 독창자 또는 독주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③제15조의 규정은 공동실연자의 인격권 행사에 관하여 준용한다.

제3절 음반제작자의 권리

제78조(복제권) 음반제작자는 그의 음반을 복제할 권리를 가진다.

제79조(배포권) 음반제작자는 그의 음반을 배포할 권리를 가진다. 다만, 음반

의 복제물이 음반제작자의 허락을 받아 판매 등의 방법으로 거래에 제공

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80조(대여권) 음반제작자는 제79조의 단서의 규정에 불구하고 판매용 음반

을 영리를 목적으로 대여할 권리를 가진다.

제81조(전송권) 음반제작자는 그의 음반을 전송할 권리를 가진다.

제82조(방송사업자의 음반제작자에 대한 보상) ①방송사업자가 판매용 음

반을 사용하여 방송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보상금을 그 음반제작자에게 지

급하여야 한다. 다만, 음반제작자가 외국인인 경우에 그 외국에서 대한민

국 국민인 음반제작자에게 이 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을 인정하지 아니

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제25조제5항 내지 제9항 및 제75조제3항·제4항의 규정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의 지급 및 금액 등에 관하여 준용한다.

제83조(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의 음반제작자에 대한 보상) ①디지털음성송

신사업자가 음반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보상금을 그 음반

제작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제25조제5항 내지 제9항 및 제76조제3항·제4항의 규정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의 지급 및 금액 등에 관하여 준용한다.

제83조의2(판매용 음반을 사용하여 공연하는 자의 음반제작자에 대한 보

상) ① 판매용 음반을 사용하여 공연을 하는 자는 상당한 보상금을 해당

음반제작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음반제작자가 외국인인 경우에 그

외국에서 대한민국 국민인 음반제작자에게 이 항의 규정에 따른 보상금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제25조제5항부터 제9항까지 및 제76조제3항·제4항은 제1항에 따른 보상

금의 지급 및 금액 등에 관하여 준용한다.

[본조신설 2009.3.25]

Page 16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45

제4절 방송사업자의 권리

제84조(복제권) 방송사업자는 그의 방송을 복제할 권리를 가진다.

제85조(동시중계방송권) 방송사업자는 그의 방송을 동시중계방송할 권리를

가진다.

제5절 저작인접권의 보호기간

제86조(보호기간) ①저작인접권(실연자의 인격권을 제외한다. 이하 같다)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부터 발생한다.

1. 실연의 경우에는 그 실연을 한 때

2. 음반의 경우에는 그 음을 맨 처음 음반에 고정한 때

3. 방송의 경우에는 그 방송을 한 때

②저작인접권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의 다음 해부터 기

산하여 50년간 존속한다.

1. 실연의 경우에는 그 실연을 한 때

2. 음반의 경우에는 그 음반을 발행한 때. 다만, 음을 음반에 맨 처음 고정

한 때의 다음 해부터 기산하여 50년이 경과한 때까지 음반을 발행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음을 음반에 맨 처음 고정한 때

3. 방송의 경우에는 그 방송을 한 때

제6절 저작인접권의 제한·양도·행사 등

제87조(저작인접권의 제한) ①제23조·제24조·제25조 제1항 내지 제3항·제26

조 내지 제32조·제33조제2항·제34조·제36조 및 제37조의 규정은 저작인접

권의 목적이 된 실연·음반 또는 방송의 이용에 관하여 준용한다.

② 디지털음성송신사업자는 제76조제1항 및 제83조제1항에 따라 실연이

녹음된 음반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자체의 수단으로 실연이 녹음

된 음반을 일시적으로 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제물의 보존기간에 관하

여는 제34조제2항을 준용한다.<신설 2009.4.22>

제88조(저작인접권의 양도·행사 등) 제45조제1항의 규정은 저작인접권의 양

도에, 제46조의 규정은 실연·음반 또는 방송의 이용허락에, 제47조의 규정

은 저작인접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의 행사에, 제49조의 규정은 저작인접

권의 소멸에 관하여 각각 준용한다.

Page 16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46

제89조(실연·음반 및 방송이용의 법정허락) 제50조 내지 제52조의 규정은

실연·음반 및 방송의 이용에 관하여 준용한다.

제90조(저작인접권의 등록) 제53조부터 제55조까지 및 제55조의2의 규정은

저작인접권의 등록에 관하여 준용한다. 이 경우 제55조 중 “저작권등록부”

는 “저작인접권등록부”로 본다.<개정 2009.4.22>

제4장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보호

제91조(보호받는 데이터베이스) ①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의

데이터베이스는 이 법에 따른 보호를 받는다.

1. 대한민국 국민

2. 데이터베이스의 보호와 관련하여 대한민국이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외국인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보호되는 외국인의 데이터베이스라도 그 외국에서

대한민국 국민의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

하게 조약 및 이 법에 따른 보호를 제한할 수 있다.

제92조(적용 제외)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

하여는 이 장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1. 데이터베이스의 제작·갱신등 또는 운영에 이용되는 컴퓨터프로그램

2.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작되거나 갱

신등이 되는 데이터베이스

제93조(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①데이터베이스제작자는 그의 데이터베

이스의 전부 또는 상당한 부분을 복제·배포·방송 또는 전송(이하 이 조에

서 “복제등”이라 한다)할 권리를 가진다.

②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소재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상당한 부분으로 간주되지 아니한다. 다만, 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소재 또

는 그 상당한 부분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의 복제등이라 하더라도 반복적

이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함으로써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충돌하거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

는 경우에는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상당한 부분의 복제등으로 본다.

③이 장에 따른 보호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부분이 되는 소재의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④이 장에 따른 보호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부분이 되는 소재 그 자체에

는 미치지 아니한다.

Page 16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47

제94조(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제한) ①제23조·제28조 내지 제34조·제36

조 및 제37조의 규정은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목적이 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에 관하여 준용한다.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누구든지 데이터베이스의

전부 또는 그 상당한 부분을 복제·배포·방송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저촉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1. 교육·학술 또는 연구를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 다만,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시사보도를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

제95조(보호기간) ①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는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완료한 때부터 발생하며, 그 다음 해부터 기산하여 5년간 존속한다.

②데이터베이스의 갱신등을 위하여 인적 또는 물적으로 상당한 투자가 이

루어진 경우에 당해 부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는 그 갱신등

을 한 때부터 발생하며, 그 다음 해부터 기산하여 5년간 존속한다.

제96조(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양도·행사 등) 제20조 단서의 규정은

데이터베이스의 거래제공에, 제45조제1항의 규정은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양도에, 제46조의 규정은 데이터베이스의 이용허락에, 제47조의 규

정은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목적으로 하는 질권의 행사에, 제48조

의 규정은 공동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행사에, 제49조

의 규정은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소멸에 관하여 각각 준용한다.

제97조(데이터베이스 이용의 법정허락) 제50조 및 제51조의 규정은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에 관하여 준용한다.

제98조(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등록) 제53조부터 제55조까지 및 제

55조의2의 규정은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등록에 관하여 준용한다.

이 경우 제55조 중 “저작권등록부”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권리등록부”로

본다.<개정 2009.4.22>

제5장 영상저작물에 관한 특례

제99조(저작물의 영상화) ①저작재산권자가 저작물의 영상화를 다른 사람에

게 허락한 경우에 특약이 없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권리를 포함하여 허

락한 것으로 추정한다.

1. 영상저작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저작물을 각색하는 것

Page 16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48

2. 공개상영을 목적으로 한 영상저작물을 공개상영하는 것

3. 방송을 목적으로 한 영상저작물을 방송하는 것

4. 전송을 목적으로 한 영상저작물을 전송하는 것

5. 영상저작물을 그 본래의 목적으로 복제·배포하는 것

6. 영상저작물의 번역물을 그 영상저작물과 같은 방법으로 이용하는 것

②저작재산권자는 그 저작물의 영상화를 허락한 경우에 특약이 없는 때에

는 허락한 날부터 5년이 경과한 때에 그 저작물을 다른 영상저작물로 영

상화하는 것을 허락할 수 있다.

제100조(영상저작물에 대한 권리) ①영상제작자와 영상저작물의 제작에 협

력할 것을 약정한 자가 그 영상저작물에 대하여 저작권을 취득한 경우 특

약이 없는 한 그 영상저작물의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권리는 영상제작자

가 이를 양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

②영상저작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소설·각본·미술저작물 또는 음악저작물

등의 저작재산권은 제1항의 규정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③영상제작자와 영상저작물의 제작에 협력할 것을 약정한 실연자의 그 영

상저작물의 이용에 관한 제69조의 규정에 따른 복제권, 제70조의 규정에

따른 배포권, 제73조의 규정에 따른 방송권 및 제74조의 규정에 따른 전송

권은 특약이 없는 한 영상제작자가 이를 양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

제101조(영상제작자의 권리) ①영상제작물의 제작에 협력할 것을 약정한 자

로부터 영상제작자가 양도 받는 영상저작물의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권리

는 영상저작물을 복제·배포·공개상영·방송·전송 그 밖의 방법으로 이용할

권리로 하며, 이를 양도하거나 질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

②실연자로부터 영상제작자가 양도 받는 권리는 그 영상저작물을 복제·배

포·방송 또는 전송할 권리로 하며, 이를 양도하거나 질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제5장의2 프로그램에 관한 특례<신설 2009.4.22>

제101조의2(보호의 대상)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다음 각 호

의 사항에는 이 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1. 프로그램 언어: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문자·기호 및 그 체계

2. 규약: 특정한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언어의 용법에 관한 특별한 약속

3. 해법: 프로그램에서 지시·명령의 조합방법

[본조신설 2009.4.22]

Page 16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49

제101조의3(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의 제한)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목적상 필요한 범위에서 공표된 프로그램을 복제

또는 배포할 수 있다. 다만, 프로그램의 종류·용도, 프로그램에서 복제된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 및 복제의 부수 등에 비추어 프로그램의 저작재산

권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재판 또는 수사를 위하여 복제하는 경우

2. 「유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및 다

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교육기관(상급학교 입학을 위한 학력이 인정되

거나 학위를 수여하는 교육기관에 한한다)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자가

수업과정에 제공할 목적으로 복제 또는 배포하는 경우

3. 「초·중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및 이에 준하는 학교의 교육목적을 위

한 교과용 도서에 게재하기 위하여 복제하는 경우

4. 가정과 같은 한정된 장소에서 개인적인 목적(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

우를 제외한다)으로 복제하는 경우

5.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및 이에 준하는 학교의

입학시험이나 그 밖의 학식 및 기능에 관한 시험 또는 검정을 목적(영

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를 제외한다)으로 복제 또는 배포하는 경우

6. 프로그램의 기초를 이루는 아이디어 및 원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

램의 기능을 조사·연구·시험할 목적으로 복제하는 경우(정당한 권한에

의하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자가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 중인 때에 한

한다)

② 제1항제3호에 따라 프로그램을 교과용 도서에 게재하려는 자는 문화체

육관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른 보상금을 해당 저작재산권

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보상금 지급에 대하여는 제25조제5항부터 제9항

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본조신설 2009.4.22]

제101조의4(프로그램코드역분석) ① 정당한 권한에 의하여 프로그램을 이용

하는 자 또는 그의 허락을 받은 자는 호환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없고 그 획득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의 호환에 필요한 부분

에 한하여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자의 허락을 받지 아니하고 프로그램코

드역분석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프로그램코드역분석을 통하여 얻은 정보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할 수 없다.

1. 호환 목적 외의 다른 목적을 위하여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경

Page 17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50

2. 프로그램코드역분석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과 표현이 실질적으로 유사

한 프로그램을 개발·제작·판매하거나 그 밖에 프로그램의 저작권을 침

해하는 행위에 이용하는 경우

[본조신설 2009.4.22]

제101조의5(정당한 이용자에 의한 보존을 위한 복제 등) ① 프로그램의 복

제물을 정당한 권한에 의하여 소지·이용하는 자는 그 복제물의 멸실·훼손

또는 변질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서 해당 복제물을 복제할

수 있다.

② 프로그램의 복제물을 소지·이용하는 자는 해당 프로그램의 복제물을 소

지·이용할 권리를 상실한 때에는 그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자의 특별한

의사표시가 없는 한 제1항에 따라 복제한 것을 폐기하여야 한다. 다만, 프

로그램의 복제물을 소지·이용할 권리가 해당 복제물이 멸실됨으로 인하여

상실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본조신설 2009.4.22]

제101조의6(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 ①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자는 다른 사

람에게 그 저작물에 대하여 독점적으로 복제하여 배포 또는 전송할 수 있

도록 하는 배타적 권리(이하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이라 한다)를 설정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라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의 설정을 받은 자(이하 “프로그램

배타적발행권자”라 한다)는 그 설정행위로 인한 범위에서 프로그램배타적

발행권을 행사할 권리를 가진다.

③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자는 그 프로그램의 복제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

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질권자의 동의가 있어야 프로그램배타적

발행권을 설정할 수 있다.

④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자는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자의 동의 없이 프로

그램배타적발행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을 설정하거나 제3자에게 프로그

램배타적발행권을 양도할 수 없다.

⑤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은 그 설정행위에 특약이 없는 때에는 설정행위

를 한 날부터 3년간 존속한다.

⑥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의 등록에 관하여는 제54조, 제55조 및 제55조의2

를 준용한다.

[본조신설 2009.4.22]

제101조의7(프로그램의 임치) ① 프로그램의 저작재산권자와 프로그램의 이

Page 17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51

용허락을 받은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이하 이 조에서 “수치인”이

라 한다)와 서로 합의하여 프로그램의 원시코드 및 기술정보 등을 수치인

에게 임치할 수 있다.

② 프로그램의 이용허락을 받은 자는 제1항에 따른 합의에서 정한 사유가

발생한 때에 수치인에게 프로그램의 원시코드 및 기술정보 등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09.4.22]

제6장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제102조(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①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저작물

등의 복제·전송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물등의 복제·전송으로 인하여 그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가 침해된다는 사실을 알고 당해 복제·전송을 방지하거나

중단시킨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

되는 권리의 침해에 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을 감경 또는 면제할

수 있다.

②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저작물등의 복제·전송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물등의 복제·전송으로 인하여 그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가 침해된다는 사실을 알고

당해 복제·전송을 방지하거나 중단시키고자 하였으나 기술적으로 불가능

한 경우에는 그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에 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은 면제된다.

제103조(복제·전송의 중단) ①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한 저작

물등의 복제·전송에 따라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자신의

권리가 침해됨을 주장하는 자(이하 이 조에서 “권리주장자”라 한다)는 그

사실을 소명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그 저작물등의 복제·전송을 중

단시킬 것을 요구할 수 있다.

②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복제·전송의 중단요구가 있

는 경우에는 즉시 그 저작물등의 복제·전송을 중단시키고 당해 저작물등

을 복제·전송하는 자(이하 “복제·전송자”라 한다) 및 권리주장자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③제2항의 규정에 따른 통보를 받은 복제·전송자가 자신의 복제·전송이 정

당한 권리에 의한 것임을 소명하여 그 복제·전송의 재개를 요구하는 경우

Page 17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52

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재개요구사실 및 재개예정일을 권리주장자에게 지

체 없이 통보하고 그 예정일에 복제·전송을 재개시켜야 한다.

④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른 복제·전송의 중단

및 그 재개의 요구를 받을 자(이하 이 조에서 “수령인”이라 한다)를 지정

하여 자신의 설비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공

지하여야 한다.

⑤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제4항의 규정에 따른 공지를 하고 제2항 및 제3

항의 규정에 따라 그 저작물등의 복제·전송을 중단시키거나 재개시킨 경

우에는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및 복제·전송자에게 발생하는 손

해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을 감경 또는 면제할 수 있다. 다만,

이 항의 규정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다른 사람에 의한 저작물등의 복

제·전송으로 인하여 그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가 침

해된다는 사실을 안 때부터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중단을 요구받기 전까지

발생한 책임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⑥정당한 권리 없이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른 그 저작물등의 복제·전

송의 중단이나 재개를 요구하는 자는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를 배상

하여야 한다.

⑦ 제1항 내지 제4항의 규정에 따른 소명, 중단, 통보, 복제·전송의 재개,

수령인의 지정 및 공지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이 경우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미리 협의하여

야 한다.<개정 2008.2.29>

제104조(특수한 유형의 온라인 서비스제공자의 의무 등) ①다른 사람들 상

호 간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저작물등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

으로 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이하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

라 한다)는 권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저작물등의 불법적인 전송을

차단하는 기술적인 조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권리자의

요청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2009.4.22>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서비

스제공자의 범위를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개정 2008.2.29>

제7장 저작권위탁관리업

Page 17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53

제105조(저작권위탁관리업의 허가 등) ① 저작권신탁관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② 제1항의 규정에 따라 저작권신탁관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저작권신탁관

리업무규정을 작성하여 이를 저작권신탁관리허가신청서와 함께 문화체육

관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1. 저작물등에 관한 권리자로 구성된 단체일 것

2.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할 것

3. 사용료의 징수 및 분배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능력이 있을 것

③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저작권

신탁관리업 또는 저작권대리중개업(이하 “저작권위탁관리업”이라 한다)의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할 수 없다.

1. 금치산자·한정치산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이 법을 위반하여 벌금 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또는 형

의 집행유예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4. 대한민국 내에 주소를 두지 아니한 자

5. 제1호 내지 제4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대표자 또는 임원으로

되어 있는 법인 또는 단체

④제1항의 규정에 따라 저작권위탁관리업의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자

(이하 “저작권위탁관리업자”라 한다)는 그 업무에 관하여 저작재산권자 그

밖의 관계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⑤ 제4항의 규정에 따른 수수료의 요율 또는 금액 및 저작권위탁관리업자

가 이용자로부터 받는 사용료의 요율 또는 금액은 저작권위탁관리업자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이를 정한다. 다만, 저작권대리중개업

의 신고를 한 자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2.29>

⑥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5항에 따른 승인의 경우에 제112조에 따른 한

국저작권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기간을 정하거나

신청된 내용을 수정하여 승인할 수 있다.<개정 2008.2.29, 2009.4.22>

⑦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5항의 규정에 따른 사용료의 요율 또는 금액

에 관한 승인 신청이 있는 경우 및 승인을 한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

Page 17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54

는 바에 따라 그 내용을 공고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⑧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재산권자 그 밖의 관계자의 권익보호 또는

저작물등의 이용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제5항의 규정

에 따른 승인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개정 2008.2.29>

제106조(저작권신탁관리업자의 의무) ①저작권신탁관리업자는 그가 관리하

는 저작물등의 목록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분기별로 도서 또는

전자적 형태로 작성하여 누구든지 적어도 영업시간 내에는 목록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②저작권신탁관리업자는 이용자가 서면으로 요청하는 경우에는 정당한 사

유가 없는 한 관리하는 저작물등의 이용계약을 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를 상당한 기간 이내에 서면으로 제공

하여야 한다.

제107조(서류열람의 청구) 저작권신탁관리업자는 그가 신탁관리하는 저작물

등을 영리목적으로 이용하는 자에 대하여 당해 저작물등의 사용료 산정에

필요한 서류의 열람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제108조(감독)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권위탁관리업자에게 저작권위탁

관리업의 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보고를 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자의 권익보호와 저작물의 이용편의를 도모

하기 위하여 저작권위탁관리업자의 업무에 대하여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다.<개정 2008.2.29>

제109조(허가의 취소 등)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권위탁관리업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6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개정 2008.2.29>

1. 제105조제5항의 규정에 따라 승인된 수수료를 초과하여 받은 경우

2. 제105조제5항의 규정에 따라 승인된 사용료 이외의 사용료를 받은 경우

3. 제108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보고를 정당한 사유 없이 하지 아니하거나

허위로 한 경우

4. 제108조제2항의 규정에 따른 명령을 받고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이행

하지 아니한 경우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권위탁관리업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저작권위탁관리업의 허가를 취소하거나 영업의 폐

쇄명령을 할 수 있다.<개정 2008.2.29>

1.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경우

Page 17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55

2.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업무의 정지명령을 받고 그 업무를 계속한 경우

제110조(청문)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09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저작권위

탁관리업의 허가를 취소하거나 영업의 폐쇄를 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

문을 실시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제111조(과징금 처분)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권위탁관리업자가 제

109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업무의 정지처분을 하여야 할

때에는 그 업무정지처분에 갈음하여 5천만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징수

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의 규정에 따라 과징금 부과처분을 받은

자가 과징금을 기한 이내에 납부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국세체납처분의 예

에 의하여 이를 징수한다.<개정 2008.2.29>

③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징수한 과징금은 징수주체가 건전한 저

작물 이용 질서의 확립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④제1항의 규정에 따라 과징금을 부과하는 위반행위의 종별·정도 등에 따

른 과징금의 금액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른 과징금의 사용절차 등에 관하

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8장 한국저작권위원회<개정 2009.4.22>

제112조(한국저작권위원회의 설립) ① 저작권과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

되는 권리(이하 이 장에서 “저작권”이라 한다)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저

작권에 관한 분쟁(이하 “분쟁”이라 한다)을 알선·조정하며, 저작권의 보호

및 공정한 이용에 필요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저작권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 위원회는 법인으로 한다.

③ 위원회에 관하여 이 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민법」

의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위원회의 위원은 이사로 본

다.

④ 위원회가 아닌 자는 한국저작권위원회의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전문개정 2009.4.22]

제112조의2(위원회의 구성) ① 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2명을 포함한

20명 이상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 중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위촉하며, 위

원장과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이 경우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Page 17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56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보유자와 그 이용자의 이해를 반영하는 위

원의 수가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야 하며, 분야별 권리자 단체 또는 이용자

단체 등에 위원의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1. 대학이나 공인된 연구기관에서 부교수 이상 또는 이에 상당하는 직위에

있거나 있었던 자로서 저작권 관련 분야를 전공한 자

2. 판사 또는 검사의 직에 있는 자 및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자

3. 4급 이상의 공무원 또는 이에 상당하는 공공기관의 직에 있거나 있었던

자로서 저작권 또는 문화산업 분야에 실무경험이 있는 자

4. 저작권 또는 문화산업 관련 단체의 임원의 직에 있거나 있었던 자

5. 그 밖에 저작권 또는 문화산업 관련 업무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③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다만, 직위를 지정하여

위촉하는 위원의 임기는 해당 직위에 재임하는 기간으로 한다.

④ 위원에 결원이 생겼을 때에는 제2항에 따라 보궐위원을 위촉하여야 하

며, 그 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자 임기의 나머지 기간으로 한다. 다만, 위

원의 수가 20명 이상인 경우에는 보궐위원을 위촉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⑤ 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분야별로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 분과위원회가 위원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에 관하여 의결한

때에는 위원회가 의결한 것으로 본다.

[본조신설 2009.4.22]

제113조(업무)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행한다.<개정 2008.2.29,

2009.4.22>

1. 분쟁의 알선·조정

2. 제105조제6항의 규정에 따른 저작권위탁관리업자의 수수료 및 사용료의

요율 또는 금액에 관한 사항 및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위원 3인 이

상이 공동으로 부의하는 사항의 심의

3. 저작물등의 이용질서 확립 및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도모를 위한 사업

4.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국제협력

5. 저작권 연구·교육 및 홍보

6. 저작권 정책의 수립 지원

7. 기술적보호조치 및 권리관리정보에 관한 정책 수립 지원

8. 저작권 정보 제공을 위한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9. 저작권의 침해 등에 관한 감정

10. 제133조의3에 따른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시정권고 및 문화체육

Page 17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57

관광부장관에 대한 시정명령 요청

11. 법령에 따라 위원회의 업무로 정하거나 위탁하는 업무

12. 그 밖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위탁하는 업무

제113조의2(알선) ① 분쟁에 관한 알선을 받으려는 자는 알선신청서를 위원

회에 제출하여 알선을 신청할 수 있다.

② 위원회가 제1항에 따라 알선의 신청을 받은 때에는 위원장이 위원 중

에서 알선위원을 지명하여 알선을 하게 하여야 한다.

③ 알선위원은 알선으로는 분쟁해결의 가능성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알선을 중단할 수 있다.

④ 알선 중인 분쟁에 대하여 이 법에 따른 조정의 신청이 있는 때에는 해

당 알선은 중단된 것으로 본다.

⑤ 알선이 성립한 때에 알선위원은 알선서를 작성하여 관계 당사자와 함

께 기명날인하여야 한다.

⑥ 알선의 신청 및 절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09.4.22]

제114조(조정부) ①위원회의 분쟁조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위

원회에 1인 또는 3인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된 조정부를 두되, 그 중 1인은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자이어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조정부의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

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14조의2(조정의 신청 등) ① 분쟁의 조정을 받으려는 자는 신청취지와

원인을 기재한 조정신청서를 위원회에 제출하여 그 분쟁의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분쟁의 조정은 제114조에 따른 조정부가 행한다.

[본조신설 2009.4.22]

제115조(비공개) 조정절차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조정부장은 당사

자의 동의를 얻어 적당하다고 인정하는 자에게 방청을 허가할 수 있다.

제116조(진술의 원용 제한) 조정절차에서 당사자 또는 이해관계인이 한 진

술은 소송 또는 중재절차에서 원용하지 못한다.

제117조(조정의 성립) ①조정은 당사자 간에 합의된 사항을 조서에 기재함

으로써 성립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조서는 재판상의 화해와 동일한 효력이 있다. 다

만, 당사자가 임의로 처분할 수 없는 사항에 관한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

다.

Page 17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58

제118조(조정비용 등<개정 2009.4.22>) ①조정비용은 신청인이 부담한다. 다

만, 조정이 성립된 경우로서 특약이 없는 때에는 당사자 각자가 균등하게

부담한다.

② 조정의 신청 및 절차, 조정비용의 납부방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

통령령으로 정한다.<신설 2009.4.22>

③제1항의 조정비용의 금액은 위원회가 정한다.

제119조(감정) ①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감

정을 실시할 수 있다.<개정 2009.4.22>

1. 법원 또는 수사기관 등으로부터 재판 또는 수사를 위하여 저작권의 침

해 등에 관한 감정을 요청받은 경우

2. 제114조의2에 따른 분쟁조정을 위하여 분쟁조정의 양 당사자로부터 프

로그램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전자적 정보 등에 관한 감정을 요청받은

경우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감정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

통령령으로 정한다.

③위원회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감정을 실시한 때에는 감정 수수료를 받

을 수 있으며, 그 금액은 위원회가 정한다.

제120조(저작권정보센터) ①제113조제7호 및 제8호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

행하기 위하여 위원회 내에 저작권정보센터를 둔다.

② 저작권정보센터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신설

2009.4.22>

제121조 삭제<2009.4.22>

제122조(경비보조 등) ①국가는 예산의 범위에서 위원회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출연하거나 보조할 수 있다.<개정 2009.4.22>

②개인·법인 또는 단체는 제113조제3호·제5호 및 제8호의 규정에 따른 업

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금전 그 밖의 재산을 기부할 수 있

다.

③ 제2항의 규정에 따른 기부금은 별도의 계정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그

사용에 관하여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개정

2008.2.29>

제9장 권리의 침해에 대한 구제

제123조(침해의 정지 등 청구) ①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

Page 17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59

리(제25조·제31조·제75조·제76조·제76조의2·제82조·제83조 및 제83조의2의

규정에 따른 보상을 받을 권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를 가진

자는 그 권리를 침해하는 자에 대하여 침해의 정지를 청구할 수 있으며,

그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침해의 예방 또는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할 수 있다.<개정 2009.3.25>

②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를 가진 자는 제1항의 규정

에 따른 청구를 하는 경우에 침해행위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건의 폐기나

그 밖의 필요한 조치를 청구할 수 있다.

③제1항 및 제2항의 경우 또는 이 법에 따른 형사의 기소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원고 또는 고소인의 신청에 따라 담보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아

니하게 하고, 임시로 침해행위의 정지 또는 침해행위로 말미암아 만들어진

물건의 압류 그 밖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④제3항의 경우에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가

없다는 뜻의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신청자는 그 신청으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제124조(침해로 보는 행위) ①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는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로 본다.<개정

2009.4.22>

1. 수입 시에 대한민국 내에서 만들어졌더라면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

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로 될 물건을 대한민국 내에서 배포할 목적으

로 수입하는 행위

2.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건(제1호의 수입물건을 포함한다)을 그 사실을 알고 배포할

목적으로 소지하는 행위

3. 프로그램의 저작권을 침해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복제물(제1호에 따

른 수입 물건을 포함한다)을 그 사실을 알면서 취득한 자가 이를 업무

상 이용하는 행위

②정당한 권리 없이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기술

적 보호조치를 제거·변경·우회하는 등 무력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

는 기술·서비스·제품·장치 또는 그 주요 부품을 제공·제조·수입·양도·대여

또는 전송하는 행위는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

해로 본다.

③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

한다는 사실을 알거나 과실로 알지 못하고 정당한 권리 없이 하는 행위로

Page 18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60

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침해로 본다. 다만, 기술적으로 불가피하거나 저작

물등의 성질이나 그 이용의 목적 및 형태 등에 비추어 부득이하다고 인정

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전자적 형태의 권리관리정보를 고의로 제거·변경 또는 허위 부가하는

행위

2. 전자적 형태의 권리관리정보가 제거·변경되거나 또는 허위로 부가된 사

실을 알고 당해 저작물등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을 배포·공연 또는 공중

송신하거나 배포의 목적으로 수입하는 행위

④저작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방법으로 그 저작물을 이용하는 행위는 저작

인격권의 침해로 본다.

제125조(손해배상의 청구) ①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

리(저작인격권 및 실연자의 인격권을 제외한다)를 가진 자(이하 “저작재산

권자등”이라 한다)가 고의 또는 과실로 권리를 침해한 자에 대하여 그 침

해행위에 의하여 자기가 받은 손해의 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 그 권리를

침해한 자가 그 침해행위에 의하여 이익을 받은 때에는 그 이익의 액을

저작재산권자등이 받은 손해의 액으로 추정한다.

②저작재산권자등이 고의 또는 과실로 그 권리를 침해한 자에 대하여 그

침해행위에 의하여 자기가 받은 손해의 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 그 권리

의 행사로 통상 받을 수 있는 금액에 상당하는 액을 저작재산권자등이 받

은 손해의 액으로 하여 그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③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저작재산권자등이 받은 손해의 액이 제2항의

규정에 따른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액에 대하여도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④등록되어 있는 저작권·출판권·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저작인접권 또는 데

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침해한 자는 그 침해행위에 과실이 있는 것으

로 추정한다.<개정 2009.4.22>

제126조(손해액의 인정) 법원은 손해가 발생한 사실은 인정되나 제125조의

규정에 따른 손해액을 산정하기 어려운 때에는 변론의 취지 및 증거조사

의 결과를 참작하여 상당한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다.

제127조(명예회복 등의 청구) 저작자 또는 실연자는 고의 또는 과실로 저작

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한 자에 대하여 손해배상에 갈음하거

나 손해배상과 함께 명예회복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청구할 수 있다.

제128조(저작자의 사망 후 인격적 이익의 보호) 저작자가 사망한 후에 그

Page 18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61

유족(사망한 저작자의 배우자·자·부모·손·조부모 또는 형제자매를 말한다)

이나 유언집행자는 당해 저작물에 대하여 제14조제2항의 규정을 위반하거

나 위반할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는 제123조의 규정에 따른 청구를 할

수 있으며, 고의 또는 과실로 저작인격권을 침해하거나 제14조제2항의 규

정을 위반한 자에 대하여는 제127조의 규정에 따른 명예회복 등의 청구를

할 수 있다.

제129조(공동저작물의 권리침해) 공동저작물의 각 저작자 또는 각 저작재산

권자는 다른 저작자 또는 다른 저작재산권자의 동의 없이 제123조의 규정

에 따른 청구를 할 수 있으며 그 저작재산권의 침해에 관하여 자신의 지

분에 관한 제125조의 규정에 따른 손해배상의 청구를 할 수 있다.

제10장 보칙

제130조(권한의 위임 및 위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 법에 따른 권한의 일부를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특별자

치도지사에게 위임하거나 저작권위원회 또는 저작권 관련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개정 2008.2.29, 2009.4.22>

제131조(벌칙 적용에서의 공무원 의제) 위원회의 위원 및 직원은 「형법」

제129조 내지 제132조의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공무원으로 본다.

제132조(수수료) 이 법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항의

신청 등을 하는 자는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2009.4.22>

1. 제50조 내지 제52조의 규정에 따른 법정허락 승인(제89조 및 제97조의

규정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신청하는 자

2. 제53조부터 제55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등록(제63조제3항·제90조·제98조

및 제101조의6제6항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등록 사항의 변

경·등록부 열람 및 사본의 교부를 신청하는 자

3. 제105조의 규정에 따라 저작권위탁관리업의 허가를 신청하거나 신고하

는 자

제133조(불법 복제물의 수거·폐기 및 삭제)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특별시

장·광역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

장을 말한다)은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를 침해하는

복제물(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복제물은 제외한다) 또는 저작물등

의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하게 하기 위하여 제작된 기기·장치·정보 및 프

Page 18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62

로그램을 발견한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한 절차 및 방법에 따라 관계 공

무원으로 하여금 이를 수거·폐기 또는 삭제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08.2.29, 2009.4.22>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업무를 대통령령이 정한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에 종사하는 자는 공무원으로 본다.<개

정 2008.2.29>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관계 공무원 등이 수거·

폐기 또는 삭제를 하는 경우 필요한 때에는 관련 단체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개정 2008.2.29, 2009.4.22>

④ 삭제<2009.4.22>

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업무를 위하여 필요한 기구를 설

치·운영할 수 있다.<개정 2008.2.29, 2009.4.22>

⑥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이 다른 법률의 규정과 경합하는 경우에는

이 법을 우선하여 적용한다.<개정 2009.4.22>

제133조의2(정보통신망을 통한 불법복제물등의 삭제명령 등) ① 문화체육

관광부장관은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저작권이나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

호되는 권리를 침해하는 복제물 또는 정보,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하게

하는 프로그램 또는 정보(이하 “불법복제물등”이라 한다)가 전송되는 경우

에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온라인서비스제

공자에게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할 것을 명할 수 있다.

1. 불법복제물등의 복제·전송자에 대한 경고

2. 불법복제물등의 삭제 또는 전송 중단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제1호에 따른 경고를 3회 이상 받은 복제·

전송자가 불법복제물등을 전송한 경우에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

하여 해당 복제·전송자의 계정[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이용자를 식별·관리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이용권한 계좌(이메일 전용계정은 제외한다)를 말하

며, 해당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부여한 다른 계정을 포함한다]을 정지할

것을 명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른 명령을 받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해당 복제·전송자의

계정을 정지하기 7일 전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계정이

정지된다는 사실을 해당 복제·전송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정보통신망에 개설된 게

시판(「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제

Page 18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63

9호의 게시판 중 상업적 이익 또는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게시판을 말한

다. 이하 같다) 중 제1항제2호에 따른 명령이 3회 이상 내려진 게시판으로

서 해당 게시판의 형태, 게시되는 복제물의 양이나 성격 등에 비추어 해당

게시판이 저작권 등의 이용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온라인서비스제

공자에게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해당 게시판 서비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⑤ 제4항에 따른 명령을 받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해당 게시판의 서비

스를 정지하기 10일 전부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게시판

의 서비스가 정지된다는 사실을 해당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인터넷 홈페

이지 및 해당 게시판에 게시하여야 한다.

⑥ 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제1항에 따른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명령을 받

은 날부터 5일 이내에, 제2항에 따른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명령을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제4항에 따른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명령을 받은 날

부터 15일 이내에 그 조치결과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

육관광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⑦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 제2항 및 제4항의 명령의 대상이 되는 온

라인서비스제공자와 제2항에 따른 명령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복

제·전송자 및 제4항에 따른 게시판의 운영자에게 사전에 의견제출의 기회

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행정절차법」 제22조제4항부터 제6항까지 및

제27조를 의견제출에 관하여 준용한다.

⑧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 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구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09.4.22]

제133조의3(시정권고 등) ① 위원회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정보통신망을

조사하여 불법복제물등이 전송된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이를 심의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 대하여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시정 조치를 권고할

수 있다.

1. 불법복제물등의 복제·전송자에 대한 경고

2. 불법복제물등의 삭제 또는 전송 중단

3. 반복적으로 불법복제물등을 전송한 복제·전송자의 계정 정지

② 온라인서비스제공자는 제1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권고를 받은 경우

에는 권고를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제1항제3호의 권고를 받은 경우에는

권고를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그 조치결과를 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한

Page 18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64

다.

③ 위원회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제1항에 따른 권고에 따르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제133조의2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명령

을 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④ 제3항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제133조의2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명령을 하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심의를 요하지 아니한다.

[본조신설 2009.4.22]

제134조(건전한 저작물 이용 환경 조성 사업<개정 2009.4.22>) ① 문화체육

관광부장관은 저작권이 소멸된 저작물등에 대한 정보 제공 등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을 할 수 있다.<개정

2009.4.22>

② 제1항에 따른 사업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2009.4.22>

③삭제<2009.4.22>

제135조(저작재산권 등의 기증) ① 저작재산권자등은 자신의 권리를 문화체

육관광부장관에게 기증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저작재산권자등으로부터 기증된 저작물등의 권

리를 공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단체를 지정할 수 있다.<개정 2008.2.29>

③제2항의 규정에 따라 지정된 단체는 영리를 목적으로 또는 당해 저작재

산권자등의 의사에 반하여 저작물등을 이용할 수 없다.

④제1항과 제2항의 규정에 따른 기증 절차와 단체의 지정 등에 관하여 필

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1장 벌칙

제136조(권리의 침해죄) ①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

적 권리(제93조의 규정에 따른 권리를 제외한다)를 복제·공연·공중송신·전

시·배포·대여·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개정 2009.4.2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

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 및 제54조(제63조제3항, 제90조, 제98조 및 제101조의6제6항에

Page 18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65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의 규정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배

포·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4. 제124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24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6.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2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를 제외한다.

제137조(부정발행등의 죄)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

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개정 2009.4.22>

1. 저작자 아닌 자를 저작자로 하여 실명·이명을 표시하여 저작물을 공표

한 자

2. 실연자 아닌 자를 실연자로 하여 실명·이명을 표시하여 실연을 공연 또

는 공중송신하거나 복제물을 배포한 자

3. 제14조제2항의 규정을 위반한 자

4. 제105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저작권신탁관리업을

한 자

5. 제124조제4항의 규정에 따라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6. 자신에게 정당한 권리가 없음을 알면서 고의로 제103조제1항 또는 제3

항의 규정에 따른 복제·전송의 중단 또는 재개요구를 하여 온라인서비

스제공자의 업무를 방해한 자

7. 제55조의2(제63조제3항, 제90조, 제98조 및 제101조의6제6항에 따라 준

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한 자

제138조(출처명시위반 등의 죄<개정 2009.4.22>)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35조제4항의 규정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의 규정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규정을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복제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9조제2항의 규정을 위반한 자

5. 제105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의 규정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Page 18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66

제139조(몰수)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를 침해하여 만들

어진 복제물로서 그 침해자·인쇄자·배포자 또는 공연자의 소유에 속하는

것은 이를 몰수한다.

제140조(고소) 이 장의 죄에 대한 공소는 고소가 있어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9.4.22>

1. 영리를 위하여 상습적으로 제136조제1항 및 제136조제2항제3호에 해당

하는 행위를 한 경우

2. 제136조제2항제2호·제5호 및 제6호, 제137조제1호 내지 제4호, 제6호 및

제7호와 제138조제5호의 경우

3. 영리를 목적으로 제136조제2항제4호의 행위를 한 경우(제124조제1항제3

호의 경우에는 피해자의 명시적 의사에 반하여 처벌하지 못한다)

제141조(양벌규정)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사용인 그 밖

의 종업원이 그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이 장의 죄를 범한 때에

는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개인에 대하여도 각 해당 조의 벌

금형을 과한다. 다만, 법인 또는 개인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9.4.22>

제142조(과태료) ① 제104조제1항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에게

는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개정 2009.4.22>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를 부과한다.<개정 2009.4.22>

1. 제106조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자

2. 제112조제4항을 위반하여 한국저작권위원회의 명칭을 사용한 자

3. 제133조의2제1항·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

4. 제133조의2제3항에 따른 통지, 같은 조 제5항에 따른 게시, 같은 조 제6

항에 따른 통보를 하지 아니한 자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

체육관광부장관이 부과·징수한다.<개정 2009.4.22>

④ 삭제<2009.4.22>

⑤ 삭제<2009.4.22>

부칙 <제8101호,2006.12.28>

Page 18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67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

133조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이 법을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적용 범위에 관한 경과조치) ①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규정에 따라

저작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멸하였거나 보호를 받지 못한 저작물등에

대하여는 그 부분에 대하여 이 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②이 법 시행 전에 행한 저작물등의 이용은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③종전의 부칙 규정은 이 법의 시행 후에도 계속하여 적용한다.

제3조(음반제작자에 대한 경과조치) 종전의 규정에 따른 음반제작자는 이

법에 따른 음반제작자로 본다.

제4조(단체명의저작물의 저작자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제9조의 규정에 따라 작성된 저작물의 저작자에 관하여는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제5조(단체 지정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규정에 따라 보

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지정한 단체는 이 법에 따라 지정한 단체로 본다.

제6조(법정허락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한 법

정허락은 이 법에 따른 법정허락으로 본다.

제7조(등록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른 등록은

이 법에 따른 등록으로 본다. 다만, 종전의 제51조의 규정에 따라 이루어

진 저작재산권자의 성명 등의 등록은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제8조(음반의 보호기간의 기산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고정되

었으나 아직 발행되지 아니한 음반의 보호기간의 기산은 이 법에 따른다.

제9조(미분배 보상금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제25조제8항(제31조제6항·제

75조제2항 및 제82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규정은 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제23조제3항·제28조제5항·제65조 및 제68

조의 규정에 따라 수령한 보상금에 대하여도 적용한다. 이 경우 각 보상금

별 분배 공고일은 보상금지급단체로부터 권리자가 당해 보상금을 처음으

로 지급받을 수 있는 날의 연도 말일로 본다.

제10조(실연자의 인격권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행한 실연에

관하여는 이 법 제66조 및 제67조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11조(저작권위탁관리업자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

정에 따라 저작권위탁관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는 저작권신탁관리업의 허

가를 받은 자로, 저작권위탁관리업의 신고를 한 자는 저작권대리중개업의

Page 18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68

신고를 한 자로 본다.

제12조(저작권신탁관리업자의 수수료 및 사용료에 관한 경과조치) 종전의

규정에 따라 승인한 저작권신탁관리업자의 수수료 및 사용료의 요율 또는

금액은 이 법에 따라 승인한 것으로 본다.

제13조(저작권위원회 등에 관한 경과조치) 종전의 규정에 따른 저작권심의

조정위원회 및 그 심의조정위원은 이 법 제8장의 규정에 따른 저작권위원

회 및 그 위원으로 본다.

제14조(벌칙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의 행위에 대한 벌칙의

적용에서는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제15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지방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43조제2호 중 “「저작권법」 제52조·제60조제3항·제73조 및 제73조의9”

를 “「저작권법」 제54조·제63조제3항·제90조 및 제98조”로 한다.

②방송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8조제3항 중 “著作權法 第69條”를 “「저작권법」 제85조”로 한다.

제16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법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규정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법의 해당 조항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부칙(정부조직법) <제8852호,2008.2.29>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31조제1항의 개정규

정 중 “식품산업진흥”에 관한 부분은 2008년 6월 28일부터 시행하고,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의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

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까지 생략

꒒꒠꒬ 저작권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5조제4항 본문·제5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같은 항 각 호 외의 부분

후단·제7항 각 호 외의 부분·제8항, 제31조제5항 본문, 제50조제1항·제4항,

제51조, 제52조, 제55조제1항·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제3항, 제56조제

1항·제3항, 제76조제4항, 제103조제7항 후단, 제104조제2항, 제105조제1항·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제5항 본문·제6항부터 제8항까지, 제108조제1항·제

Page 18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69

2항, 제10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제110조, 제

111조제1항·제2항, 제112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제113조제2호·제11호,

제122조제3항, 제130조, 제133조제1항부터 제5항까지, 제134조제1항·제2항,

제135조제1항·제2항 및 제142조제1항부터 제4항까지 중 “문화관광부장관”

을 각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 한다.

제55조제2항제2호 및 제132조 각 호 외의 부분 중 “문화관광부령”을 각각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한다.

꒒꒠꒭부터 ꒗꒠꒤까지 생략

제7조 생략

부칙 <제9529호,2009.3.25>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9625호,2009.4.22>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의 폐지)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은 폐지

한다.

제3조(위원회의 설립준비) ① 이 법에 따라 위원회를 설립하기 위하여 행하

는 준비행위는 이 법 시행 전에 할 수 있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위원회의 설립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하기 위

하여 설립위원회를 구성한다.

③ 설립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위촉하는 5명 이내의 설립위원으

로 구성하되, 설립위원회의 위원장은 종전의 「저작권법」 제112조에 따른

저작권위원회의 위원장이 된다.

④ 설립위원회는 이 법 시행 전까지 정관을 작성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⑤ 설립위원회는 제4항에 따른 인가를 받은 때에는 위원회의 설립등기를

하여야 한다.

Page 19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70

⑥ 위원회의 설립에 관하여 필요한 경비는 국가가 부담한다.

⑦ 설립위원회는 제5항에 따른 위원회의 설립등기를 한 후에 지체 없이

위원회의 위원장에게 사무를 인계하여야 하며, 사무인계가 끝난 때에는 설

립위원은 해촉된 것으로 본다.

제4조(저작권위원회 및 컴퓨터프로그램보호위원회의 소관사무, 권리·의무

및 고용관계 등에 관한 경과조치) ①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저작권

법」 제112조부터 제122조까지 및 종전의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 제

35조부터 제43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저작권위원회와 컴퓨터프로그램보호

위원회의 소관사무, 권리·의무와 재산 및 직원의 고용관계는 한국저작권위

원회가 승계한다.

②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저작권법」 제112조에 따른 저작권위원회의

위원장 및 위원은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위원장 및 위원으로 보고, 그 임기

는 종전의 저작권위원회의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가 개시된 때부터 기산

한다.

제5조(적용 범위에 관한 경과조치) ① 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저작권

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멸하였거나 보호를 받지 못한 저작물등에 대하여는 그 부분에

대하여 이 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② 이 법 시행 전에 행한 프로그램의 이용은 종전의 「컴퓨터프로그램 보

호법」에 따른다.

제6조(법정허락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컴퓨터프로

그램 보호법」에 따른 다음 각 호의 행위는 이 법에 따른 것으로 본다.

1. 법정허락

2. 프로그램저작권 위탁관리기관 지정

3. 프로그램의 임치 및 수치인의 지정

4. 프로그램의 등록

5. 프로그램저작권의 이전등록

6. 부정복제물의 수거조치

7. 부정복제물 등에 대한 시정명령 및 시정권고

8. 분쟁의 알선·조정

9. 프로그램의 감정

제7조(벌칙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의 행위에 대한 종전의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에 따른 벌칙의 적용에 있어서는 종전의 「컴

퓨터프로그램 보호법」에 따른다.

Page 19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71

제8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지방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43조제2호 중 “「저작권법」 제54조·제63조제3항·제90조 및 제98조의

규정에 의한 등록중 상속외의 등록”을 “「저작권법」 제54조·제63조제3항·

제90조 및 제98조에 따른 등록 중 상속 외의 등록(프로그램 등록은 제외

한다)”으로 하고, 같은 조 제2호의2 중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 제26

조의 규정에 의한 등록중 상속외의 등록”을 “「저작권법」 제54조에 따른

프로그램 등록과 제101조의6제6항에 따른 등록 중 상속 외의 등록”으로

한다.

제150조의3제2항 중 “「저작권법」 또는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 의

규정에 의한”을 “「저작권법」에 따른”으로 한다.

②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1조 중 “저작권법 또는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의 보호를 받는 경우에는

저작권법 또는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이”를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경우에는 「저작권법」이”로 한다.

③ 관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35조제1항 중 “「저작권법」에 따른 저작권과 저작인접권 또는 「컴퓨

터프로그램 보호법」에 따른 프로그램저작권(이하 이 조에서 “저작권등”

이라 한다)”을 “「저작권법」에 따른 저작권과 저작인접권(이하 이 조에서

“저작권등”이라 한다)”으로 하고, 같은 조 제2항 중 “「저작권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을 “「저작권법」”으로 한다.

④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23호의2 및 제6조제20호의2를 각각 삭제한다.

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조제5항 중 “「저작권법」에 따른 저작권신탁관리업 및 「컴퓨터프로

그램 보호법」에 따른 프로그램저작권 위탁관리업무”를 “「저작권법」에

따른 저작권신탁관리업”으로 한다.

제9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법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컴퓨

터프로그램 보호법」 또는 그 규정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법 또는

이 법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부칙(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보장에 관한 법률) <제9785호,2009.7.31>

Page 19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72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7조까지 생략

제8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⑧까지 생략

⑨ 저작권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7조 중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보장에 관한 법률」”을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로 한다.

⑩부터 ⑭까지 생략

제9조 생략

Page 19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73

「저작권법」제2조의2, 제134조 및 동법 시행령 제73조에 따른, 국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이 민간에서 활발하

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지침」을 다음과 같

이고시합니다.

2010년 12월 17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별첨 2.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

문화체육관광부고시제2010-41호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지침은 「저작권법」제2조의2, 제134조 및 동법 시행령제73조에

의거, 국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이

「저작권법」의 원칙에 따라 관리되고 민간에서 활발하게 활용될수 있도록 하기

위한기본적인방침과세부사항을규정하는것을목적으로한다.

제2조(정의) 본지침에서사용하는용어의의미는다음각호와같다.

1. “공공기관”이라 함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

한법률」제2조 제3호에따른 공공기관을말한다.

2. “공공저작물”이라 함은 공공기관이 업무상 창작하거나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

고있는저작물을말한다.

3. “2차적저작물”이라 함은 원저작물을번역 편곡변형 각색영상제작 그밖의 방

법으로작성한창작물을말한다.

4. “재이용허락”이라 함은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을 받은 자가 다시 제3자에게

이용허락을하는것을말한다.

5. “비독점적 이용허락”이라 함은 공공기관이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을 받은 자

Page 19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74

이외의제3자에게도 이용허락을할수있는것을말한다.

6. “자유이용허락”이란 공공기관이 미리 정한 이용목적과 이용형태의 범위 안에

서 일반국민(자연인 및 법인을 포함한다)이 공공저작물에 대하여 개별적 이용허

락을받을필요없이 자유롭게이용할수있도록하는것을말한다.

제3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공공저작물의 취득 및 이용허락에 관하여 다른 법령

에서 본 지침과 다른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지침이 정하는 바

에따른다.

제4조(공공저작권 관리의 원칙) ①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이 민간에서 널리 신

속하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문화 및 관련 산

업발전에이바지할수 있도록노력하여야한다.

② 공공기관은 저작권의 취득과 행사에 있어 저작권 등 제3자의 정당한 권리를 침

해하지않도록해야한다.

③ 공공기관은 본 지침의 내용에 따라 저작권 관리 및 이용허락의 조건과 방법에

대한자체기준을수립하여 운영할수있다.

제2장 공공저작권의취득관리

제5조(저작권 귀속관계 기재) 공공기관이 제3자에게 창작을 의뢰하거나 제3자

와 공동으로 창작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창작을 위한 의뢰계약서 또는

공동창작을 위한 계약서에 저작권의 귀속관계에 대하여 명확하게 기재하여야 한

다.

제6조(공공기관이 단독으로 보유한 공공저작권의 관리) 공공기관이 직접 창작

하거나 단독으로 취득한 저작물의 처분 및 이용은 공공기관이 단독으로 결정할

수있다.

제7조(공동으로 보유한 공공저작권의 관리) ① 공공기관과 제3자가 공동으로

저작권을 보유하는 저작물인 경우 공공기관은 모든 공동저작권자의 동의를얻어

서공동저작물의저작권을행사하여야한다.

② 공공기관은 신의에 반하여 공동저작권자의 저작권 행사에 동의를 거부할 수

없다.

Page 19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75

제8조(저작권 이전 공공저작물의 관리) ①저작권이계약 또는법령에의하여단

독으로 공공기관에게귀속되는 경우 저작권의 이용 및 처분은 공공기관이 단독으

로결정할수있다.

②「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제19조에 의하여 국가가 저작권자인 공공저

작물이 이관될경우 저작권의 이용 및 처분은 이관 받은 기관에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관한기관은 그저작물의이용및처분에대하여의견을제시할수있다.

제3장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

제1절 이용허락의 대상 및 대상자

제9조(이용허락 대상 공공저작물) 공공기관은「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

률」제9조의 비공개대상정보 및 기타 다른 법령에서 제공 또는 이용허락을 금지

하고있는공공저작물을제외한 공공저작물에대하여이용허락을할수있다.

제10조(공동저작물 등의 이용허락) 공공기관은 제3자가 원저작권을 갖고 있는 2

차적저작물인 공공저작물, 제3자의 저작물이 포함된 공공저작물 또는 제3자와 공

동으로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공동저작물에 대하여는 해당 제3자의 동의를 얻

어서이용허락을해야한다.

제11조(이용허락의 대상자) 공공기관은 자연인(내 외국인을 불문한다) 또는 법

인에 대하여 이용허락을 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 따라 부당한 차별을 하여서는아

니된다. 다만, 법령에서 공공저작물의 제공 또는 이용허락의 상대방을 제한하는

경우그러한상대방에게공공저작물의이용허락을할수없다.

제2절 이용허락의 조건과 범위

제12조(이용이 가능한 범위) 공공기관은 이용자의 이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이용

허락의범위와조건을정할 수있다.

제13조(이용허락의 지역적 범위) 공공기관은 원칙적으로 공공저작물이 이용되

는 지역에 제한을두지아니하고 이용허락을 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에서 해외유

출을 금지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에 대하여는 그 이용지역을 국내에 한정하여 이용

허락을하여야한다.

Page 19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76

제14조(공공저작물 변형 또는 변경의 허락) 공공기관은 이용자가 이용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한도에서 그 이용자에게 공공저작물의 2차적 저작물

작성을허락할수있다.

제15조(비독점적 이용허락의 원칙)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은 비독점적 이용허

락을원칙으로한다.

제16조(재이용허락) ① 공공기관은 이용자로 하여금 재이용허락을 할 수 있도록

이용허락계약서에규정할수있다.

② 전항의 경우 공공기관은 공공기관과 이용자 간의 이용허락계약에서 이용자가

재이용허락할수있는 경우와이용방법을명시하여야한다.

제3절 기타

제17조(출처표시의무) ① 공공기관은 이용자가 공공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적절한 방법으로 그 출처를 표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제14조에 따른 2차적

저작물작성및제16조에 따른재이용허락의경우에도동일하게적용된다.

② 공공기관은 이용자가 공공저작물을 이용한 결과물을 공표할때에 이용한 부분

에대해서는적절한방법으로 그출처를표시하도록하여야한다.

제18조(저작물 제공 방법)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의 통상적인 공개 및 제공방법

이외에도이용자가원하는방법에따라서공공저작물을제공할수있다.

제19조(이용료) ①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의 민간 이용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무료로 이용허락을 할 수 있다. 다만, 법령에서 이용료를 부과하도록 하는 경우

에는그러하지아니하다.

② 공공기관은 이용료 이외에 공공저작물을 제공하는데 소요되는비용에 대하여

실비의범위내에서그비용을청구할수있다.

제20조(이용자의 해지) ① 공공기관은 계약만료일 전이라도 이용자가 원하는 경

우계약을해지할수 있도록이용허락계약서에명시하여야한다.

② 이용허락 계약서에 계약의 해지에 대하여 정한 바가 없는 경우, 이용자가 계약

을 해지한 경우 공공기관은 이용자로부터 이미 지급받은 이용료 중에서 해지 후

Page 19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77

잔여기간동안의이용료를이용자에게반환하여야한다.

제4장 공공저작권의 신탁등

제21조(공공저작권의 신탁) 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이외의 공공기관이 보유

하고 있는 공공저작권 및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제5조의 일반재산에 해당하는 공공저작권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저작권법 제

105조에 따라 허가한 공공저작권 분야 저작권신탁관리업을 허가받은 자(이하 “신

탁관리단체”라한다)에게신탁할수있다.

② 국가가 보유하고 있고,「국유재산법」제6조의 일반재산인 공공저작권은「국

유재산법」제9조의관리계획에 따라서신탁관리단체에게신탁할수있다.

③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고,「국유재산법」제6조 또는「공유재

산 및 물품관리법」제5조의 행정재산에 해당하는 공공저작권은신탁관리단체에

게신탁할수없다.

제22조(공공저작권의 자유이용허락) ①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의 민간에서의

이용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자유이용허락에 노력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에

서 이용료를징수하도록 의무를 부과한 경우 또는 이용허락의 상대방을 제한하고

있는경우그범위에서는 자유이용허락을할수없다.

② 공공기관은 법령에서 이용허락의범위를 제한하거나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특

별히 필요한 경우에는 자유이용이 허락되는 이용의 목적과 조건을 제한할 수 있

다.

제23조(저작권정보 구축 및 디지털저작권거래소의 이용) ① 공공기관은 공공

저작물의 민간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공공저작물의 저작권 관계의 확

인에노력하여야 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이하 ‘저작권정보’라 한다)의 형태로 관

리하여야한다.

② 공공기관은 전항의 저작권정보를 한국저작권위원회의 디지털저작권거래소

또는 제21조의 신탁관리단체에 제공하여야 하며, 이 경우 디지털저작권거래소를

통하여이용허락을할수 있다.

제5장 공공저작권의 침해에 대한 대응

제24조(침해대응을 위한 고려사항) 공공저작권에 침해가 발생한 경우에 공공기

Page 19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78

관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 침해의 정도에 적합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

다.

1. 저작권침해의기간

2. 침해된공공저작물의가치

3. 침해의빈도수

4. 침해된공공저작물의종류

5. 침해의상업적목적

6. 침해자가얻은경제적이익

7. 침해자의연령,교육수준, 경제수준

제25조(경고장의 발송) ① 제24조의 사항을 고려하여 공공저작물의 침해의 정도

가 경미한 경우 공공기관은 침해를 즉시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경고장을 발송할

수있다.

②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의 침해로 인하여 기존 재산의 감소가 있는 경우 경고

장과함께손해배상을청구할 수있다.

제26조(알선 또는 조정) 공공저작권에 침해가 발생한 경우 공공기관은 제24조의

사항을고려하여한국저작권위원회의알선또는조정을이용할수있다.

제27조(손해배상청구 등) 공공저작물에 대하여 권리를 가진 공공기관은 그 권리

를침해하는자에대하여 침해의정지및손해배상등을청구할수있다.

제28조(형사고소) 공공저작물에 대하여 권리를 가진 공공기관은 그 권리를 침해

하는자에대하여형사고소 할수있다.

부칙

제1조(시행일) ①이 지침은 2010년 12월 17일고시된날로부터시행한다.

②이지침은시행일이전에 체결된이용허락계약에대해서는적용되지않는다.

Page 19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79

별첨 3. 콘텐츠산업 진흥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콘텐츠산업의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콘텐츠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그 경쟁력을 강화하여 국민생활의 향상과 국민경

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콘텐츠”란 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 및 영상 등(이들의 복

합체를 포함한다)의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한다.

2. “콘텐츠산업”이란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 또는 이를 제공

하는 서비스(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한다)의 제작·유통·이용 등과 관련한

산업을 말한다.

3. “콘텐츠제작”이란 창작·기획·개발·생산 등을 통하여 콘텐츠를 만드는 것

을 말하며, 이를 전자적인 형태로 변환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4. “콘텐츠제작자”란 콘텐츠의 제작에 있어 그 과정의 전체를 기획하고 책

임을 지는 자(이 자로부터 적법하게 그 지위를 양수한 자를 포함한다)

를 말한다.

5. “콘텐츠사업자”란 콘텐츠의 제작·유통 등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영위하

는 자를 말한다.

6. “이용자”란 콘텐츠사업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자를 말한다.

7. “기술적보호조치”란 콘텐츠제작자의 이익의 침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

기 위하여 콘텐츠에 적용하는 기술 또는 장치를 말한다.

②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제1항에서 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저작권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이 경우 “저작물”은 “콘텐츠”로 본

다.

제3조(기본이념) 정부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본이념에 따라 콘텐츠 관

련 정책을 추진한다.

1. 콘텐츠제작자의 창의성이 충분히 발휘되고, 콘텐츠에 관한 지적재산권

이 국내외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할 것

2. 콘텐츠의 원활한 유통을 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폭넓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복지를 증진시킬 수

Page 20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80

있도록 할 것

3. 다양한 콘텐츠 관련 사업을 창출하고, 이를 효율화·고도화함으로써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여 콘텐츠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

제4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① 이 법은 콘텐츠산업 진흥에 관하여 「문화산

업진흥 기본법」에 우선하여 적용한다.

② 콘텐츠제작자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경우에는 같은 법을 이

법에 우선하여 적용한다.

제5조(기본계획)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그 경쟁력을 강화

하기 위하여 3년마다 콘텐츠산업의 진흥에 관한 중·장기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② 기본계획은 제7조에 따른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다.

③ 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콘텐츠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

2. 콘텐츠산업의 기반 조성에 관한 사항

3. 콘텐츠산업의 부문별 진흥 정책에 관한 사항

4. 콘텐츠의 표준화에 관한 사항

5. 콘텐츠산업의 공정경쟁 환경의 조성에 관한 사항

6. 이용자의 권익 보호에 관한 사항

7. 콘텐츠 관련 산업 간 융합의 진전에 따른 콘텐츠 정책에 관한 사항

8. 콘텐츠산업 진흥을 위한 재원 확보 및 배분에 관한 사항

9. 콘텐츠산업 진흥을 위한 제도 개선에 관한 사항

10. 콘텐츠산업과 관련된 중앙행정기관의 역할 분담에 관한 사항

11. 그 밖에 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④ 기본계획의 수립·추진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6조(시행계획) ① 콘텐츠산업과 관련된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소관별 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한 시행계획(이하 “시행계획”이

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② 시행계획은 제7조에 따른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다.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산업과 관련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수

립한 시행계획을 종합하여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④ 시행계획의 수립·추진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Page 20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81

제7조(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진흥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

(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1.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추진에 관한 사항

2. 콘텐츠산업 진흥 정책의 총괄·조정

3. 콘텐츠산업 진흥 정책의 개발과 자문

4. 콘텐츠산업의 지역별 특성화에 관한 사항

5. 콘텐츠산업에 대한 중복규제 조정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위원장이 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

② 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되고,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으로 한다.

1. 기획재정부장관·교육과학기술부장관·국방부장관·행정안전부장관·문화체

육관광부장관·지식경제부장관·보건복지부장관·고용노동부장관·국토해양

부장관·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2. 콘텐츠산업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위원장이 위

촉한 사람

④ 제3항제2호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1차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⑤ 위원회에 간사위원 1명을 두되, 간사위원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된

다.

⑥ 제1항부터 제5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8조(재원의 확보)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

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정보통신산업 진흥법」 제41조에 따른 정보통신진흥기금 등

으로 이 법에 규정된 사업의 추진을 지원할 수 있다.

제2장 콘텐츠제작의 활성화

제9조(콘텐츠제작의 활성화) ① 정부는 다양한 분야와 다양한 형태의 콘텐

츠가 창작·유통·이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하며, 콘텐츠제작자의

창의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콘텐츠제작자가 콘텐츠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원활하고 안정적

Page 20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82

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③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마련된 분야별·형태별 콘텐츠제작의 활성화 시책을 시행계

획에 반영하여야 한다.

제10조(지적재산권의 보호) ① 정부는 사회적·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콘텐츠 이용방법의 다양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

호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콘텐츠제작자가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콘텐츠에 대한 기술적

보호조치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③ 콘텐츠사업자는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지 아니하도록 필요한 조

치를 하여야 한다.

제11조(공공정보의 이용 활성화) ①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의 장(이하 “공공기관의 장”이라 한다)은 그 공공기

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 중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에 따른 비공개대상정보를 제외한 정보(이하 “공공정보”라 한다)를 공개하

는 경우에는 콘텐츠사업자로 하여금 해당 정보를 콘텐츠제작 등에 이용하

도록 할 수 있다.

② 공공기관의 장은 공공정보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공정보에 대한 이용 조건·방법 등을 정하고 이를 공

개하여야 한다.

제12조(융합콘텐츠의 활성화) 정부는 콘텐츠산업과 그 밖의 산업 간 융합의

진전에 따른 콘텐츠 기술의 연구 개발과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

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제3장 콘텐츠산업의 기반 조성

제13조(창업의 활성화)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 분야의 창업 촉진과 창업자의

성장·발전을 위하여 창업지원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제1항의 창업지원계획에 따라 투자 등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

다.

제14조(전문인력의 양성)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진흥에 필요한 전문인력

을 양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콘텐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평생교육법」 제33조제3항에 따라 설치된 원격대학형태의 평

Page 20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83

생교육시설,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1조에 따른 한국콘텐츠진흥원 등

을 전문인력 양성기관으로 지정하여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게 할 수 있으

며, 이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지정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

로 정한다.

제15조(기술개발의 촉진)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에 관한 기술의 개발을 촉진

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1. 기술수준의 조사 및 기술의 연구 개발

2. 개발된 기술의 평가

3. 기술협력·기술이전 등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

4. 기술정보의 원활한 유통

5. 그 밖에 기술개발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② 정부는 제1항에 따른 기술개발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관련 연구기관이나 민간단체에 제1항 각 호의 사업을 위탁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라 위탁하는 업무의 범위, 위탁기관의 선정 방법 및 절차 등

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6조(표준화의 추진)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효율적인 콘텐츠제작과 콘

텐츠의 품질 향상, 콘텐츠 간 호환성 확보 등을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

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하고, 관련 사업자에게는

제정된 표준을 고시하여 권고할 수 있다.

1. 콘텐츠에 관한 표준의 제정·개정·폐지 및 보급

2. 콘텐츠와 관련된 국내외 표준의 조사·연구·개발

3. 그 밖에 콘텐츠의 표준화에 필요한 사업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 각 호의 사업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

에 따라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1조에 따른 한국콘텐츠진흥원이나

콘텐츠 관련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제17조(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지원)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국제협력 및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1. 콘텐츠의 해외 마케팅 및 홍보활동 지원

2. 외국인의 투자 유치

3. 국제시상식·견본시장·전시회·시연회 등 참여 및 국내 유치

4. 콘텐츠 수출 관련 협력체계의 구축

5. 콘텐츠의 해외 현지화 지원

Page 20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84

6. 콘텐츠의 해외 공동제작 지원

7. 국내외 기술협력 및 인적 교류

8. 콘텐츠 관련 국제표준화

9. 그 밖에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 각 호의 사업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

에 따라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1조에 따른 한국콘텐츠진흥원이나

콘텐츠 관련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제18조(세제 지원 등) ①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조세특례제

한법」, 「지방세특례제한법」 및 그 밖의 관련 세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

라 조세 감면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개정 2010.3.31>

②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금융 지원이나 그 밖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제19조(중소 콘텐츠사업자에 대한 특별지원)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진흥에

필요한 시책을 마련할 때에는 중소 콘텐츠사업자의 사업이 원활하게 수행

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으로 특별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제20조(협회의 설립) ① 콘텐츠사업자는 콘텐츠에 관한 영업의 건전한 발전

과 콘텐츠사업자의 공동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인

가를 받아 협회를 설립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③ 제1항에 따라 설립된 협회는 콘텐츠제작 및 유통질서가 건전하게 유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4장 콘텐츠의 유통 합리화

제21조(콘텐츠 거래사실 인증사업의 추진)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온라

인으로 유통되는 콘텐츠 거래의 투명성·공정성·효율성을 확보하고 우수 콘

텐츠의 유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콘텐츠 거래사실에 관한 자료를 보관하고

거래사실을 확인·증명하는 콘텐츠 거래사실의 인증사업을 실시할 수 있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법인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술인력·재정

능력·시설·장비 및 그 밖에 필요한 요건을 갖춘 자 중에서 콘텐츠 거래사

실 인증사업의 수행기관(이하 “인증기관”이라 한다)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인증기관을 지정하였을 때에는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③ 인증기관은 인증업무를 개시하기 전에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는

인증업무규정을 작성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Page 20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85

1. 인증업무의 종류

2. 인증업무의 수행방법 및 절차

3. 인증업무의 이용조건 및 이용요금

4. 그 밖에 인증업무의 수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문화체육관광부

령으로 정하는 사항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인증기관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다만, 제1호에 해당하는 때에는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기관의 지정을 받은 때

2.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인증업무를 하지 아니한 때

3. 제2항에 따른 지정요건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된 때

4. 제3항의 인증업무규정을 위반하여 인증업무를 처리한 때

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 거래사실 인증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콘텐츠사업자나 인증기관 등에 예산의 범위에서 행정적·재정

적 지원을 할 수 있다.

⑥ 인증기관은 콘텐츠 거래사실 인증사업을 수행할 때에는 콘텐츠사업자

의 거래정보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제공 또는 누설하거나

해당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⑦ 제1항부터 제6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콘텐츠 거래사실 인증사업

의 추진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2조(콘텐츠제공서비스의 품질인증)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의

유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운영기준에 따라 콘텐츠사

업자 등이 이용자가 콘텐츠를 용이하게 구매·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하 “콘텐츠제공서비스”라 한다)의 품질을 인증하는 사업을 할 수

있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의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

여 콘텐츠제공서비스의 품질을 인증하여 주는 기관(이하 “콘텐츠제공서비

스 품질인증기관”이라 한다)을 지정할 수 있다.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

증기관의 지정 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

한다.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기관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다만, 제1호에 해당하는 때에는 지정

을 취소하여야 한다.

Page 20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86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기관의

지정을 받은 때

2.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업무를

하지 아니한 때

3. 제1항의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사업의 운영기준을 위반하여 콘텐츠

제공서비스 품질인증업무를 처리한 때

4. 제2항에 따른 지정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된 때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기관에 예산의 범위

에서 사업 추진에 필요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⑤ 제1항부터 제4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품질인증의 대상, 기준 및

품질인증사업의 운영기준 등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사업의 추진에 필

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3조(콘텐츠 식별체계) ① 정부는 콘텐츠의 권리관계와 유통·이용의 선진

화 등을 위하여 콘텐츠 식별체계(이하 “식별체계”라 한다)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식별체계를 확립·보급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1. 식별체계 연구 개발

2. 식별체계 표준화

3. 식별체계 이용, 보급 및 확산

4. 식별체계 등록, 인증, 평가 및 관리

5. 식별체계의 국제표준화를 위한 협력

6. 그 밖에 식별체계를 활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식별체계의 확립·보급에 관한 사업을 대통령령으

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1조에 따른 한국콘텐츠

진흥원이나 콘텐츠 관련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제24조(공정한 유통 환경 조성 등) ① 「전기통신사업법」 제5조제2항에 따

른 기간통신사업을 하는 사업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이하 “정보통

신망사업자”라 한다)는 합리적인 이유 없이 콘텐츠사업자에게 정보통신망

등 중개시설의 제공을 거부하거나 그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이득을 취

득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콘텐츠 상품의 제작·판매·유통 등에 종사하는 자는 합리적인 이유 없이

콘텐츠에 관한 지적재산권의 일방적인 양도 요구 등 그 지위를 이용하여

불공정한 계약을 강요하거나 부당한 이득을 취득하여서는 아니 된다.

Page 20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87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 상품의 제작·판매·유통 등에 종사하는 자

가 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하는 행위를 한다고 인정할 때에는 관계 기관

의 장에게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산업의 공정한 유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

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할 수 있다.

1. 콘텐츠산업 유통 환경의 현황 분석 및 평가

2. 콘텐츠산업 관련 사업자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3. 그 밖에 공정한 유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

제25조(표준계약서)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의 합리적 유통 및 공정

한 거래를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 및 방송통신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표

준계약서를 마련하고, 콘텐츠사업자에게 이를 사용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표준계약서에 관한 업무를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1조에 따른 한국콘

텐츠진흥원, 콘텐츠 관련 기관 또는 단체 및 제20조에 따른 협회에 위탁할

수 있다.

제5장 이용자의 권익 보호

제26조(이용자 보호시책 등)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의 유통 및 거

래에 관한 이용자의 기본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

진하여야 한다.

1.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및 교육

2. 제28조에 따른 이용자보호지침의 준수에 관한 실태조사

3. 콘텐츠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용자 보호에 관한 교육

4. 이용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 대한 지원

5. 이용자 피해 예방 및 구제를 위한 조치의 마련 및 시행

6. 그 밖에 이용자의 권익 보호에 필요한 시책의 수립·시행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경제적·지역적·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

하여 콘텐츠에 자유롭게 접근하거나 콘텐츠를 이용하기 어려운 자들이 편

리하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과 제2항의 업무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1조에 따른 한국콘텐츠진흥원이나

콘텐츠 관련 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제27조(청약철회 등) ① 콘텐츠제작자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

Page 20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88

에 관한 법률」 제17조제2항(같은 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를 제외한다)에

따라 청약철회 및 계약의 해제가 불가능한 콘텐츠의 경우에는 그 사실을

콘텐츠 또는 그 포장에 표시하거나 시용(試用)상품을 제공하거나 콘텐츠의

한시적 또는 일부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청약철회 및 계

약의 해제의 권리 행사가 방해받지 아니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다만, 그

조치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용자의 청약철회 및 계약의 해제는 제한

되지 아니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청약철회 및 계약의 해제에 관하여는 「전자상거래 등에

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17조, 제18조, 제31조, 제32조, 제40조,

제41조 및 제44조를 준용한다. 이 경우 “통신판매업자”는 “콘텐츠사업자”

로 “재화등”은 “콘텐츠”로, “소비자”는 “이용자”로, “공정거래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 본다.

제28조(이용자보호지침의 제정 등)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의 건전

한 거래 및 유통질서 확립과 이용자 보호를 위하여 콘텐츠사업자가 자율

적으로 준수할 수 있는 지침(이하 “이용자보호지침”이라 한다)을 관련 분

야의 사업자, 기관 및 단체의 의견을 들어 정할 수 있다.

② 콘텐츠사업자는 콘텐츠를 거래할 때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과오금의 환불, 콘텐츠 이용계약의 해제·해지의

권리, 콘텐츠 결함 등으로 발생하는 이용자의 피해에 대한 보상 등의 내용

이 포함된 약관을 마련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야 한다.

③ 콘텐츠사업자는 그가 사용하는 약관이 이용자보호지침의 내용보다 이

용자에게 불리한 경우 이용자보호지침과 다르게 정한 약관의 내용을 이용

자가 알기 쉽게 표시하거나 고지하여야 한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콘텐츠 거래에 관한 약관의 견본을 마련하여 콘

텐츠사업자에게 그 사용을 권고할 수 있다.

⑤ 콘텐츠사업자가 제2항 또는 제3항을 위반한 경우에 대한 시정권고, 시

정조치 및 벌칙에 관하여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

률」 제31조, 제32조, 제40조, 제41조 및 제44조를 준용한다. 이 경우 “공

정거래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 본다.

제6장 분쟁조정

제29조(분쟁조정위원회의 설치) ① 콘텐츠사업자 간, 콘텐츠사업자와 이용

자 간, 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콘텐츠 거래 또는 이용에 관한 분쟁을 조정

Page 20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89

(調停)하기 위하여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이하 “조정위원회”라 한다)를 둔

다. 다만, 저작권과 관련한 분쟁은 「저작권법」에 따르며, 방송통신과 관

련된 분쟁 중 「방송법」 제35조의3에 따른 분쟁조정의 대상이 되거나

「전기통신사업법」 제45조에 따른 재정의 대상이 되는 분쟁은 각각 해당

법률의 규정에 따른다.

② 조정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0명 이상 3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③ 조정위원회의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 문

화체육관광부장관이 위촉하는 사람이 된다.

1.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의 법학 또는 콘텐츠 관련 분야의 학

과에서 조교수 이상의 직에 있거나 있었던 사람

2. 판사·검사 또는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3. 콘텐츠 및 콘텐츠사업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4. 이용자 보호기관 또는 단체에 소속된 사람

5. 4급 이상 공무원(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을 포함한다) 또는

이에 상당하는 공공기관의 직에 있거나 있었던 사람으로서 콘텐츠 육성

업무 또는 소비자 보호 업무에 관한 경험이 있는 사람

④ 조정위원회의 위원장은 조정위원회 위원 중에서 호선(互選)한다.

⑤ 위원은 비상임으로 하고,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1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⑥ 조정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1

조에 따른 한국콘텐츠진흥원에 사무국을 둔다.

⑦ 조정위원회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분과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⑧ 조정위원회의 조직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한다.

제30조(분쟁의 조정) ① 콘텐츠사업 또는 콘텐츠 이용과 관련한 피해의 구

제와 분쟁의 조정을 받으려는 자는 조정위원회에 분쟁의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분쟁조정을 신청하였거나 분쟁조정이 완

료된 경우는 제외한다.

② 조정위원회는 제1항에 따른 분쟁조정 신청을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조정안을 작성하여 분쟁당사자에게 권고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정

으로 그 기한을 연장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유와 기한을 명시하고 분쟁당

사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③ 콘텐츠 관련 분쟁의 조정방법, 조정절차, 조정업무의 처리 등에 필요한

Page 21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90

사항은 조정위원회가 정한다.

제31조(위원의 제척·기피 및 회피) ① 조정위원회의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항에 대한 조정에서 제척된다.

1. 위원, 위원의 배우자 또는 위원의 배우자이었던 사람이 신청한 사항

2. 위원, 위원의 배우자 또는 위원의 배우자이었던 사람과 공동권리자 또

는 공동의무자의 관계에 있는 사람이 신청한 사항

3. 위원과 친족이거나 친족이었던 사람이 신청한 사항

② 당사자는 위원이 불공정한 조정을 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

한 이유가 있으면 그 사실을 서면으로 소명하고 기피신청을 할 수 있다.

③ 제2항의 기피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조정위원회의 의결로 기피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기피신청의 대상이 된 위원은 그 의결에 참여하

지 못한다.

④ 위원은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 또는 제2항에 따라

기피신청을 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스스로 그 사항의 조정

을 회피할 수 있다.

제32조(자료 요청 등) ① 조정위원회는 분쟁조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을 분쟁당사자, 콘텐츠사업자 또는 참고인(이하 “분쟁당사자등”이라 한

다)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분쟁당사자등은 정당한 사유가 없

으면 이에 응하여야 한다.

② 조정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분쟁당사자등으로 하여금

조정위원회에 출석하게 하여 그 의견을 들을 수 있다.

제33조(조정의 효력) ① 조정위원회는 조정안을 작성한 때에는 지체 없이

각 당사자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조정안을 제시받은 당사자는 그 제시를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그 수락 여부를 조정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한다.

③ 당사자가 제2항에 따라 조정안을 수락하였을 때에는 조정위원회는 당

사자 사이에 합의된 사항을 기재한 조정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④ 제3항에 따라 당사자가 조정안을 수락하고 조정위원회가 조정서를 작

성하여 당사자에게 통보한 때에는 그 분쟁조정의 내용은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제34조(조정의 거부 및 중지) ① 조정위원회는 분쟁의 성질상 조정위원회에

서 조정하는 것이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거나 부정한 목적으로 신청

되었다고 인정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조정

을 거부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거부의 사유 등을 신청인에게 통보하여

Page 21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91

야 한다.

② 조정위원회는 신청된 조정 사건에 대한 처리절차의 진행 중에 한쪽 당

사자가 소를 제기한 경우에는 그 조정을 중지하고 그 사실을 양쪽 당사자

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제35조(조정 비용 등) ① 조정위원회는 분쟁의 조정을 신청한 자에게 대통

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조정 비용을 부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조정

이 성립된 경우에는 그 결과에 따라 분쟁당사자에게 조정 비용을 분담하

게 할 수 있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예산의 범위에서 조정위원회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보조할 수 있다.

제36조(비밀 유지) 조정위원회의 분쟁조정 업무에 종사하는 자 또는 종사하

였던 자는 그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타인에게 누설하거나 직무상 목적

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장 보칙

제37조(금지행위 등) ① 누구든지 정당한 권한 없이 콘텐츠제작자가 상당한

노력으로 제작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콘텐츠 또는 그 포

장에 제작연월일, 제작자명 및 이 법에 따라 보호받는다는 사실을 표시한

콘텐츠의 전부 또는 상당한 부분을 복제·배포·방송 또는 전송함으로써 콘

텐츠제작자의 영업에 관한 이익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콘텐츠

를 최초로 제작한 날부터 5년이 지났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누구든지 정당한 권한 없이 콘텐츠제작자나 그로부터 허락을 받은 자

가 제1항 본문의 침해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콘텐츠에 적용

한 기술적보호조치를 회피·제거 또는 변경(이하 “무력화”라 한다)하는 것

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기술·서비스·장치 또는 그 주요 부품을 제공·수입·

제조·양도·대여 또는 전송하거나 이를 양도·대여하기 위하여 전시하는 행

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기술적보호조치의 연구·개발을 위하여 기

술적보호조치를 무력화하는 장치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러하

지 아니하다.

③ 콘텐츠제작자가 제1항의 표시사항을 거짓으로 표시하거나 변경하여 복

제·배포·방송 또는 전송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표시가 없었던 것으로 본다.

제38조(손해배상 청구 등) ① 제37조제1항 본문 및 같은 조 제2항 본문을

Page 21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92

위반하는 행위로 인하여 자신의 영업에 관한 이익이 침해되거나 침해될

우려가 있는 자는 그 위반행위의 중지 또는 예방 및 그 위반행위로 인한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제37조제1항 본문을 위반하는 행위

에 대하여 콘텐츠제작자가 같은 항의 표시사항을 콘텐츠에 표시하지 아니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법원은 손해의 발생은 인정되나 손해액을 산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변론의 취지 및 증거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상당한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

다.

제39조(벌칙 적용 시의 공무원 의제) 조정위원회의 위원과 제29조제6항에

따른 사무국의 임직원 및 이 법에 따라 위탁받은 사무에 종사하는 기관의

임직원은 「형법」 제129조부터 제132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벌칙을 적용

할 때에는 공무원으로 본다.

제8장 벌칙

제40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37조제1항 본문을 위반하여 콘텐츠제작자의 영업에 관한 이익을 침해

한 자

2. 제37조제2항 본문을 위반하여 정당한 권한 없이 기술적보호조치의 무력

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서비스·장치 또는 그 주요 부품을 제공·수입·

제조·양도·대여 또는 전송하거나 이를 양도·대여하기 위하여 전시하는

행위를 한 자

② 제1항의 죄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

제41조(벌칙) 제36조를 위반하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타인에게 누설하거

나 직무상 목적 외의 목적으로 그 비밀을 사용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제42조(양벌규정)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그 밖

의 종업원이 그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40조의 위반행위를 하

면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개인에게도 해당 조문의 벌금

형을 과(科)한다. 다만, 법인 또는 개인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Page 21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93

부칙 <제10369호,2010.6.10>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2조제3항은 201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

한다.

제2조제3호·제5호 및 제7호 중 “부호·문자·음성·음향 및 영상 등”을 각각

“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 및 영상 등(이들의 복합체를 포함

한다)”으로 한다.

제13조를 삭제한다.

제18조를 삭제한다.

② 음악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2호 중 “음반등에 부여한 식별번호·기호”를 “「콘텐츠산업 진흥

법」 제23조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음반 등에 부여한 식별번호·기

호”로 한다.

③ 법률 제10220호 지방세특례제한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부칙 제4조제25항 중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을 “콘텐츠산업

진흥법”으로, “제14조제1항”을 “제18조제1항”으로 한다.

제3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법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온라

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 또는 그 규정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 이 법

가운데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으면 종전의 규정을 갈음하여 이 법 또는

이 법의 해당 조항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Page 21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94

별첨 4.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국가정보화의 기본 방향과 관련 정책의 수립·추진에 필

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지식정보사회의 실현에 이바지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기본이념) 이 법은 국가정보화의 추진을 통하여 인간의 존엄을 바탕

으로 사회적, 윤리적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 지식정보사회를 실현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기본이념으로 한다.

제3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정보”란 특정 목적을 위하여 광(光)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되어 부

호, 문자, 음성, 음향 및 영상 등으로 표현된 모든 종류의 자료 또는 지

식을 말한다.

2. “정보화”란 정보를 생산·유통 또는 활용하여 사회 각 분야의 활동을 가

능하게 하거나 그러한 활동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3. “국가정보화”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정보화를 추진

하거나 사회 각 분야의 활동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정보화를

통하여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4. “지식정보사회”란 정보화를 통하여 지식과 정보가 행정, 경제, 문화, 산

업 등 모든 분야에서 가치를 창출하고 발전을 이끌어가는 사회를 말한

다.

5. “정보통신”이란 정보의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수신 및 그 활용, 이에

관련되는 기기(器機)·기술·서비스 및 그 밖에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과 수단을 말한다.

6. “정보보호”란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중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기술적 수단

(이하 “정보보호시스템”이라 한다)을 마련하는 것을 말한다.

7. “지식정보자원”이란 국가적으로 보존 및 이용 가치가 있는 자료로서 학

술, 문화, 과학기술, 행정 등에 관한 디지털화된 자료나 디지털화의 필

요성이 인정되는 자료를 말한다.

8. “정보문화”란 정보기술의 활용 과정에서 형성된 사회구성원들의 행동방

식, 가치관, 규범 등의 생활양식을 말한다.

Page 21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95

9. “정보격차”란 사회적, 경제적, 지역적 또는 신체적 여건으로 인하여 정

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10. “공공기관”이란 다음 각 목의 기관을 말한다.

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나.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

다.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

라.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및 그 밖의 다른 법률에 따라 설

치된 각급 학교

마.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법인·기관 및 단체

11. “정보통신망”이란 「전기통신기본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전기통신설

비를 이용하거나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및 컴퓨터의 이용기술을 활용

하여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정보통신체제

를 말한다.

12. “정보통신기반”이란 정보통신망과 이에 접속하여 이용되는 정보통신기

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등을 말한다.

13. “초고속정보통신망”이란 실시간으로 동영상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고속·대용량의 정보통신망을 말한다.

14.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이란 통신·방송·인터넷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고속·대용량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을

말한다.

15. “광대역통합정보통신기반”이란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과 이에 접속되어

이용되는 정보통신기기·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등을 말한다.

16.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이란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과 관련한 기술 및

서비스를 시험·검증하고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통신망을 말한

다.

제4조(국가정보화 추진의 기본원칙) 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제2조에 따

른 기본이념을 고려하여 국가정보화 추진을 위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정보화 추진 과정에서 민간과의 협력 체계

를 마련하는 등 사회 각 계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도록 노력하여야 한

다.

③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정보화 추진 과정에서 정보화의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보호, 개인정보 보호 등의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Page 21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96

④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이 국가정보화의 성과를 보편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시책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제5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① 국가정보화의 추진에 관한 다른 법률을 제정

하거나 개정할 때에는 이 법의 목적과 기본이념에 맞도록 노력하여야 한

다.

② 국가정보화의 추진에 관하여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2장 국가정보화 정책의 수립 및 추진체계

제6조(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의 수립) ① 정부는 국가정보화의 효율적, 체계

적 추진을 위하여 5년마다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

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② 기본계획은 행정안전부장관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부문계획을 종합

하여 수립하며, 제9조에 따른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

다)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기본계획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

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③ 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국가정보화 정책의 기본 방향 및 중장기 발전방향

2. 행정, 보건, 사회복지, 교육, 문화, 환경, 과학기술 등 공공 분야의 정보

3. 제16조에 따른 지역정보화

4. 산업·금융 등 민간 분야 정보화의 지원

5.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사항과 관련된 분야별 정보보호, 국가정보화 기

반의 조성 및 고도화

6. 정보문화의 창달 및 정보격차의 해소

7. 개인정보 보호, 건전한 정보통신 윤리 확립, 이용자의 권익보호 및 지적

재산권의 보호

8. 정보의 공동활용 및 표준화

9.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법령·제도의 개선

10.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협력의 활성화

11.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재원의 조달 및 운용

Page 21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97

12. 그 밖에 국가정보화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④ 행정안전부장관은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부문

계획의 작성지침을 정하고 이를 관계 기관에 통보할 수 있다.

⑤ 중앙행정기관(대통령 소속 기관 및 국무총리 소속 기관을 포함한다. 이

하 같다)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관 주요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을

할 때 제3항 각 호의 사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제7조(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의 수립)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

의 장은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이하 “시행계획”이라

한다)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전년도 시행계획의 추진 실

적과 다음 해의 시행계획을 위원회에 제출하여 심의를 받아야 한다. 시행

계획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

다.

③ 위원회는 제2항에 따라 제출된 시행계획을 심의한 후 그 의견을 기획

재정부장관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④ 기획재정부장관은 시행계획에 필요한 예산을 편성할 때에는 제3항에

따른 위원회의 의견을 참작하여야 한다.

⑤ 시행계획의 수립 및 시행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8조(국가정보화 정책 등의 조정)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

의 장은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수행하는 국가

정보화 정책이나 사업 추진이 해당 기관의 국가정보화 정책이나 사업 추

진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미리 행정안전부장관과 협

의한 후 위원회에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② 위원회는 제1항에 따른 조정 요청을 받으면 이를 심의하여 그 조정 결

과를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

다.

③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

면 제2항에 따라 통보받은 조정 결과를 해당 국가정보화 정책이나 사업

추진에 반영하여야 한다.

④ 조정의 절차와 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9조(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① 국가정보화 추진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

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둔다.

② 위원은 위원장 2명을 포함하여 35명 이내로 한다.

③ 위원장은 국무총리와 제3호에 속한 사람 중에서 대통령이 위촉하는 사

Page 21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198

람이 공동으로 되고,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이 된다. 다만, 제1호의 위

원은 제10조에서 정한 위원회의 심의사항이 해당 기관의 업무와 관련되어

있어 협조가 필요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경우에만 위원회에 출석한다.

1. 국회사무총장, 법원행정처장, 헌법재판소사무처장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2.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3. 국가정보화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대통령이 위

촉하는 사람

④ 제3항제3호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1차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⑤ 위원회의 효율적 운영 및 지원을 위하여 간사 1명을 두되, 간사는 행정

안전부장관이 된다.

⑥ 위원회에 상정할 안건을 미리 검토하고 위원회가 위임한 안건을 심의

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국가정보화전략실무위원회(이하 “실무위원회”라 한

다)를 두며, 실무위원회 소속으로 안건 심의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둔다.

⑦ 위원회의 운영과 실무위원회 및 분야별 전문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0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2.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의 변경

3. 제6조제4항에 따른 부문계획의 작성지침

4. 제8조에 따른 국가정보화 정책이나 사업 추진의 조정

5.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주요 시책에 대한 추진실적 분석 및 점검

6. 제27조제1항에 따른 지식정보자원의 지정

7. 정보문화의 창달 및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사업의 우선 순위 결정

8. 「전자정부법」과 그 밖의 다른 법령에서 위원회의 심의사항으로 정한

사항

9. 중장기 지식정보자원 관리계획

10. 그 밖에 국가정보화의 추진과 관련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제11조(정보화책임관)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해당 기관의 국

가정보화 시책의 효율적인 수립·시행과 국가정보화 사업의 조정 등의 업

무를 총괄하는 책임관(이하 “정보화책임관”이라 한다)을 임명할 수 있다.

Page 21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199

② 정보화책임관은 해당 기관의 업무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담당한다.

<개정 2010.2.4>

1. 국가정보화 사업의 총괄조정, 지원 및 평가

2. 국가정보화 정책과 기관 내 다른 정책·계획 등과의 연계·조정

3. 정보기술을 이용한 행정업무의 지원

4. 정보자원의 획득·배분·이용 등의 종합조정 및 체계적 관리와 정보공동

활용방안의 수립

5. 정보문화의 창달과 정보격차의 해소

6. 「전자정부법」 제2조제12호에 따른 정보기술아키텍처(이하 “정보기술

아키텍처”라 한다)의 도입·활용

7. 정보화 교육

8. 그 밖에 다른 법령에서 정보화책임관의 업무로 정하는 사항

제12조(정보화책임관 협의회) ①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정보화의

효율적 추진과 필요한 정보의 교류 및 관련 정책의 협의 등을 하기 위하

여 제11조에 따라 임명된 정보화책임관으로 구성된 정보화책임관 협의회

(이하 이 조에서 “협의회”라 한다)를 구성·운영한다.

② 협의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협의한다.

1. 전자정부와 관련된 정책의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2.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에 관한 사항

3. 정보기술아키텍처에 관한 사항

4. 정보자원의 체계적 관리 및 표준화에 관한 사항

5. 여러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하 “국가기관등”이라 한다)

이 관련된 전자정부사업, 지역정보화사업, 정보문화 창달 및 정보격차

해소의 추진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③ 협의회의 의장은 행정안전부장관이 된다. 다만,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

정하는 경우에는 관계 기관의 정보화책임관을 협의회의 위원으로 추가할

수 있다.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협의회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3조(정보화계획의 반영 등) ① 사회간접자본시설사업 및 지역개발사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규모 투자사업을 시행하려는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해당 사업계획을 수립·시행할 때에는 정보기술

의 활용, 정보통신기반 및 정보통신서비스의 연계이용 등을 위한 정보화계

Page 22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00

획을 수립하여 최대한 반영하여야 한다.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제1항에 따른 정보

화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기술 및 인력 등 필요한 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제14조(한국정보화진흥원의 설립 등) ① 국가기관등의 국가정보화 추진과

관련된 정책의 개발과 건강한 정보문화 조성 및 정보격차 해소 등을 지원

하기 위하여 한국정보화진흥원(이하 “정보화진흥원”이라 한다)을 설립한

다.

② 정보화진흥원은 법인으로 한다.

③ 정보화진흥원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

1.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전문기술의 지원

2. 국가기관등의 정보통신망 관리 및 운영의 지원

3. 국가기관등이 보유한 주요 정보의 원활한 유통과 공동이용을 위한 시스

템의 구축·운영 및 표준화의 지원

4. 국가기관등의 정보자원 관리 지원

5. 국가기관등의 정보화사업 추진 및 평가 지원

6. 국가기관등의 정보통신 신기술 활용 촉진과 이에 따른 전문기술의 지원

7. 정보문화의 창달과 인터넷 중독의 실태조사, 예방 및 해소 지원

8.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지원

9. 건강한 정보문화의 확립 및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교육 및 홍보

10. 국가정보화, 정보문화 및 정보격차 해소와 관련된 정책 개발을 지원하

기 위한 동향 분석, 미래예측 및 법·제도의 조사·연구

11. 국가정보화, 정보문화 및 정보격차 해소와 관련된 국제협력 및 홍보

12. 다른 법령에서 정보화진흥원의 업무로 정하거나 정보화진흥원에 위탁

한 사업

13. 그 밖에 국가기관등의 장이 위탁하는 사업

④ 국가기관등은 정보화진흥원의 설립, 시설, 운영 및 사업 추진 등에 필

요한 경비에 충당하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화진흥원에 출연할 수 있으며,

정부는 정보화진흥원의 설립 및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한 국유재산을 무

상으로 대여할 수 있다.

⑤ 정보화진흥원은 지원을 받으려는 국가기관등에 그 지원에 드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게 할 수 있다.

⑥ 정보화진흥원에 관하여는 이 법 및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서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Page 22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01

⑦ 정보화진흥원이 아닌 자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⑧ 제1항부터 제7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정보화진흥원의 설립과 운

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3장 국가정보화의 추진

제1절 분야별 정보화의 추진

제15조(공공정보화의 추진) ① 국가기관등은 행정 업무의 효율성 향상과 국

민 편익 증진 등을 위하여 행정, 보건, 사회복지, 교육, 문화, 환경, 과학기

술 등 소관 업무에 대한 정보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② 국가기관등은 제1항에 따른 정보화(이하 “공공정보화”라 한다)를 효율

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정보기술아키텍처를 도입·활용하는 등 필요한 방

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16조(지역정보화의 추진)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의 삶

의 질 향상과 지역 간 균형발전, 정보격차 해소 등을 위하여 하나 또는 여

러 개의 지역·도시에 대하여 행정·생활·산업 등의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다.

②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에 따른 정보화(이하 “지역정보화”라

한다)를 추진하는 경우 지역의 수요와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관계 기관

의 의견을 수렴하고 그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야 한다.

③ 국가기관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지역정보화를 위하여 행정, 재정,

기술 등 필요한 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제17조(민간 분야 정보화의 지원) 정부는 산업·금융 등 민간 분야의 생산성

향상과 부가가치 창출 등을 위하여 기업의 정보화 및 정보통신기반의 구

축·이용 등 민간 분야의 정보화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제18조(지식·정보의 공유·유통) 국가기관등은 국가정보화의 추진을 통하여

창출되는 각종 지식과 정보가 사회 각 분야에 공유·유통될 수 있도록 필

요한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19조(민간기관 등과의 협력) ① 국가기관등은 공공정보화를 추진할 때 민

간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관련 민간사업자와 민간사업자단체에 필요한 지

원을 할 수 있다.

② 국가기관등은 공공정보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

에 따라 민간기관 등과 협의체를 구성·운영할 수 있다.

제20조(정보통신응용서비스 이용 등의 활성화) 정부는 인터넷, 원격정보통

Page 22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02

신서비스 및 전자거래 등 정보통신망을 활용한 응용서비스의 이용을 활성

화하고 우수한 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21조(표준화의 추진) 정부는 국가정보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정보의

공동활용을 촉진하며 정보통신의 효율적 운영 및 호환성 확보 등을 위하

여 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제22조(정보통신망의 상호연동 등) ① 정부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구축한 정보통신망의 효율적인 운영과 정보의 공동활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보통신망 간 상호연동에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②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정보통신망을 구축·운영하려는 경우에는 다

른 기관의 정보통신망을 공동활용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마련하여야 한

다.

제23조(국가정보화 관련 영역과의 연계) ① 정부는 정보통신산업의 기반조

성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정보통신기반을 조기에 구축하고 사회 각 분야에서 이용을 활

성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24조(국제협력) ① 정부는 국가정보화에 관한 국제적 동향을 파악하고 국

제협력을 추진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국가정보화에 관한 국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업무를 할 수 있다.

1. 국가정보화 관련 기술과 인력의 국제교류 지원

2. 국제표준화와 국제공동연구개발사업 등의 지원

3.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기구 및 외국정부와의 협력

4.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평가

5.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민간부문의 국제협력 지원

6. 정보문화 창달 및 정보격차 해소와 관련된 국제협력

7. 그 밖에 국제협력과 관련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제2절 지식정보자원의 관리 및 활용

제25조(지식정보자원의 관리 등)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지식정보자

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지식정보자원의 효율적인 수집, 개발 및 활용 등을

촉진하기 위하여 관계 기관의 장과의 협의 및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중장기 지식정보자원 관리계획을 대통령령으로 정

Page 22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03

하는 바에 따라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1. 지식정보자원 관리의 기본방향

2. 지식정보자원의 관리 및 활용

3. 지식정보자원의 표준화 및 공동이용

4. 지식정보자원의 유통체계 구축

5. 지식정보자원 관리의 평가

6. 지식정보자원의 관리를 위한 재원 확보

7. 그 밖에 지식정보자원의 효율적인 수집, 개발 및 활용 등을 위하여 필

요한 사항

③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관 지식정보자원을 효율

적으로 관리하고 그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절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하며, 행정안전부장관은 해당 기관의 시책 추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

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26조(지식정보자원의 표준화) ① 행정안전부장관은 지식정보자원의 개발·

활용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과 관련된 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다만, 「산업표준화법」 등 다른 법률에 관련 표준이 있

는 경우에는 그 표준을 따라야 한다.

1. 지식정보자원의 수집, 보존 및 전송

2. 지식정보자원의 공동활용

3. 그 밖에 지식정보자원의 개발·활용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② 지식정보자원의 표준화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7조(중요지식정보자원의 지정 및 활용) ① 행정안전부장관은 관계 기관

의 장과의 협의 및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식정보자원 중에서 보존 및

이용 가치가 높아 특별히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지식정보자원을 지정할

수 있다.

②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지정된

지식정보자원(이하 “중요지식정보자원”이라 한다)에 대한 디지털화 추진,

중요지식정보자원의 유통, 표준화 계획 등을 수립하여 위원회에 보고하여

야 한다.

③ 중요지식정보자원을 이용하려는 자는 보유하고 있는 기관의 장에게 중

요지식정보자원을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에 드는

비용은 제공을 요청하는 자가 부담하게 할 수 있다.

④ 중요지식정보자원의 지정기준, 지정절차, 관리, 유통 및 제공방법 등에

Page 22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04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8조(전문기관의 지정) ① 행정안전부장관은 지식정보자원의 관리·유통·활

용·표준화 및 중요지식정보자원의 지정·관리 등을 위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전문기관을 지정할 수 있으며, 전문기관의 업무 수행을

위하여 예산의 범위에서 출연할 수 있다.

② 전문기관의 지정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4장 국가정보화의 역기능 방지

제1절 정보이용의 건전성·보편성 보장

제29조(정보문화의 창달)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이 국가

정보화의 편익을 누릴 수 있도록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한 정보문화의

창달 및 확산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1. 정보문화 교육과 관련 인력의 양성

2. 정보문화 창달을 위한 홍보

3. 정보문화 교육 콘텐츠의 개발·보급

4. 정보문화 창달을 위한 사업이나 활동을 하는 단체에 대한 지원

5. 정보문화의 향유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그 기반조성에 관한 사

6. 그 밖에 정보문화 창달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유아교육법」

제13조 및 「초·중등교육법」 제23조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하

는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정보문화에 관한 교육내용이 포함될 수 있

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30조(인터넷 중독의 예방 및 해소) 행정안전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

의 장과 협의하여 인터넷 등의 지나친 이용으로 이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회복할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의 손상을 입는 것(이하

“인터넷 중독”이라 한다)을 예방·해소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제31조(정보격차 해소 시책의 마련)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

이 정보통신서비스에 원활하게 접근하고 정보를 유익하게 활용할 기본적

권리를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32조(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보장) ① 국가기관등은 인

터넷을 통하여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고령자 등이 쉽게 웹사

Page 22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05

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②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이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라 한다)는 그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고령자 등의 접근과 이용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③ 정보통신 관련 제조업자는 정보통신기기 및 소프트웨어(이하 “정보통신

제품”이라 한다)를 설계, 제작, 가공할 때 장애인·고령자 등이 쉽게 접근하

고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④ 국가기관등은 정보통신제품을 구매할 때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과 이용 편의를 보장한 정보통신제품을 우선하여 구매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⑤ 행정안전부장관은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정보통신서비스 및 정보통신제품 등의 종류·지침 등을 정하여 고시

하여야 한다.

제33조(정보격차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 개발 및 보급지원)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환경 개선을 위한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하며, 행정안전부

장관은 관련 기술의 개발을 지원할 수 있다.

②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다음 각 호의 사업자에게 재정 지원 및 기

술적 지원을 할 수 있다.

1.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환경 개선을 위하여 정보통신제

품을 개발·생산하는 사업자

2. 장애인·고령자·농어민·저소득자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

3. 제1항에 따른 관련 기술을 개발·보급하는 사업자

③ 제2항에 따른 지원대상자의 선정·지원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34조(정보통신제품의 지원)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다음 각 호의 어

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유상 또는

무상으로 정보통신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른 장애인

2.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수급권자

3. 그 밖에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제약으로 인하여 정보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제35조(정보격차해소교육의 시행 등)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정보격

Page 22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06

차의 해소를 위하여 필요한 교육(이하 이 조에서 “정보격차해소교육”이라

한다)을 시행하여야 한다.

②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에 대한 정보격차해소교육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할 수 있다.

1.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른 장애인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2.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수급자

3.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4. 그 밖에 국가의 부담으로 정보격차해소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사람

③ 정부는 정보격차해소교육이나 정보격차해소교육에 필요한 시설의 관리

를 위하여 「병역법」 제2조에 따른 공익근무요원 등 필요한 인력을 지원

할 수 있다.

④ 정보격차해소교육의 대상 및 종류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36조(재원의 조달)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정보문화의 창달과 정

보격차의 해소를 위하여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정보문화의 창달과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

하여 국가 예산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으로 관련 사업을 지원할 수 있

다.

제2절 정보이용의 안전성 및 신뢰성 보장

제37조(정보보호 시책의 마련)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정보를 처리

하는 모든 과정에서 정보의 안전한 유통을 위하여 정보보호를 위한 시책

을 마련하여야 한다.

② 정부는 암호기술의 개발과 이용을 촉진하고 암호기술을 이용하여 정보

통신서비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38조(정보보호시스템에 관한 기준 고시 등) ① 행정안전부장관은 관계

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정보보호시스템의 성능과 신뢰도에 관한 기준을 정

하여 고시하고, 정보보호시스템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자에게 그 기준을

지킬 것을 권고할 수 있다.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유통 중인 정보보호시스템이 제1항에 따른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정보보호시스템의 보완 및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권

고할 수 있다.

Page 22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07

③ 제1항에 따른 기준을 정하기 위한 절차와 제2항에 따른 권고에 관한

사항 및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39조(개인정보 보호 시책의 마련)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정보화

를 추진할 때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보장될 수 있도록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40조(건전한 정보통신 윤리의 확립)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건전한

정보통신 윤리를 확립하기 위하여 미풍양속을 해치는 불건전한 정보의 유

통을 방지하고 건강한 국민정서를 함양하며, 불건전한 정보로부터 청소년

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41조(이용자의 권익 보호 등) 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정보화

를 추진할 때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시책을 마련하여

야 한다.

1.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홍보·교육 및 연구

2.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조직 활동의 지원 및 육성

3. 이용자의 명예·생명·신체 및 재산상의 위해 방지

4. 이용자의 불만 및 피해에 대한 신속·공정한 구제조치

5. 그 밖에 이용자 보호와 관련된 사항

②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사업을 할 때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

요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42조(지적재산권의 보호) 정부는 국가정보화를 추진할 때 저작권, 산업재

산권 등 지적재산권이 합리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마련

하여야 한다.

제5장 연차보고 등

제43조(연차보고 등) ① 정부는 매년 국가정보화의 동향과 시책에 관한 보

고서를 정기국회 개회 전까지 국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실태조사를 하고 그 결과

를 종합하여 제1항에 따른 보고서에 포함하여야 한다.

1. 지식정보자원 관리의 실태

2. 정보문화 시책의 추진 실태

3. 정보격차의 실태 및 해소 현황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③ 제2항에 따른 실태조사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Page 22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08

제44조(지표조사) 행정안전부장관은 사회 각 분야의 정보화에 대한 지표를

조사하고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한다.

제45조(자료 제출의 요청) 행정안전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위하여

필요하면 국가기관등에 자료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1. 제6조에 따른 기본계획의 수립 및 변경의 지원

2. 제7조 및 제8조에 따른 시행계획의 심의 및 조정의 지원

3. 제24조에 따른 국제협력

4. 제27조에 따른 중요지식정보자원의 관리

5. 제43조에 따른 연차보고

제46조(권한의 위임 및 위탁) 이 법에 따른 행정안전부장관, 지식경제부장

관, 방송통신위원회의 권한은 그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안전부나 지식경제부 소속 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위

임하거나 다른 행정기관의 장에게 위탁할 수 있다.

제47조(과태료) ① 제14조제7항을 위반한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② 제1항에 따른 과태료는 행정안전부장관이 부과·징수한다.

제6장 정보통신기반의 고도화

제48조(전담기관의 지정 등) ① 방송통신위원회는 광대역통합정보통신기반

의 원활한 구축과 이용촉진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홍보, 국제협력, 기술

개발 등 그 업무를 전담할 기관(이하 “전담기관”이라 한다)을 분야별로 지

정할 수 있다.

② 정부는 광대역통합정보통신기반의 구축 및 이용촉진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자금을 전담기관에 출연하거나 융자 등을 할 수 있

다.

③ 전담기관은 제2항에 따른 자금을 별도로 관리하여야 한다.

④ 전담기관의 지정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

한다.

제49조(초고속국가망의 관리 등) ① 방송통신위원회는 국가재정으로 공공기

관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영리기관(이하 “비영리기관등”이라 한다)이

이용하는 초고속정보통신망(이하 “초고속국가망”이라 한다)을 구축·관리하

거나 제48조에 따라 지정된 전담기관으로 하여금 구축·관리하게 할 수 있

다.

Page 22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09

② 방송통신위원회는 비영리기관등이 초고속국가망을 최소의 비용으로 이

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③ 초고속국가망의 구축·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

다.

제50조(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의 구축·관리 등) ① 방송통신위원회는 광대

역통합정보통신망의 구축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가재정으로 광대역통합연

구개발망을 구축·관리·운영하거나 제48조에 따라 지정된 전담기관으로 하

여금 구축·관리·운영하게 할 수 있다.

② 방송통신위원회는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제51조(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 확충을 위한 협조 등) ① 정부는 광대역통합

정보통신망의 원활한 확충을 위하여 관로·공동구·전주 등(이하 “관로등”이

라 한다)의 시설의 효율적 확충·관리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② 「전기통신사업법」 제6조에 따른 기간통신사업자, 「방송법」 제2조에

따른 종합유선방송사업자 및 중계유선방송사업자(이하 이 조에서 “기간통

신사업자등”이라 한다)는 도로, 철도, 지하철도, 상·하수도, 전기설비, 전기

통신회선설비 등을 건설·운용·관리하는 기관의 장에 대하여 필요한 비용부

담을 조건으로 전기통신 선로설비(「방송법」 제80조에 따른 전송·선로설

비를 포함한다)의 설치를 위한 관로등의 건설 또는 대여를 요청할 수 있

다.<개정 2010.3.22>

③ 기간통신사업자등은 제2항의 기관과 관로등의 건설 또는 대여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할 경우 방송통신위원회에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④ 방송통신위원회는 제3항에 따른 조정요청을 받아 조정을 할 경우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사전에 협의하여야 한다.

⑤ 제2항부터 제4항까지에 따른 건설 또는 대여의 요청 및 합의와 조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부칙 <제9705호,2009.5.22>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14

조의 개정규정, 부칙 제2조제1호에 따라 폐지되는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제16조, 부칙 제3조, 부칙 제6조제2항 및 부칙 제6조제12항 중 제

Page 23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10

73조제1항제5호사목의 개정부분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법률의 폐지) 다음 각 호의 법률은 각각 폐지한다.

1.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2. 知識情報資源管理法

제3조(한국정보사회진흥원의 명칭 변경 및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폐지에

따른 경과조치) ①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른 한국정보사회진

흥원은 제14조의 개정규정에 따라 설립된 정보화진흥원으로 본다.

② 이 법 시행 당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및 종전의 「정보격차해소에 관

한 법률」 제16조에 따른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하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이라 한다)에 속하였던 모든 재산과 권리·의무는 이 법에 따른 정보화진흥

원이 승계한다.

③ 이 법 시행 당시 등기부, 그 밖의 공부(公簿)에 표시된 한국정보사회진

흥원의 명의 및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명의는 각각 정보화진흥원의 명의

로 본다.

④ 제2항에 따라 정보화진흥원에 승계되는 재산의 가액은 이 법 시행일

전날의 장부가액으로 한다.

⑤ 이 법 시행 당시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행한 행

위 또는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대한 행위는 각각

정보화진흥원이 행한 행위 또는 정보화진흥원에 대한 행위로 본다.

⑥ 이 법 시행 당시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직원은

정보화진흥원의 직원으로 본다.

제4조(벌칙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지식정보자원

관리법」을 위반한 행위에 대하여 벌칙을 적용할 때에는 종전의 「지식정

보자원 관리법」에 따른다.

제5조(과태료 적용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의 행위에 대하여 과태

료를 적용할 때에는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건설기술관리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5조의2제4항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5조 및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정보화촉진기본계획 및 정보화촉진시행계획”을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6조 및 제7조에 따른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및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으

로 하고, 같은 조 제5항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정보화추진위원회”를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9조에 따른 국가정보화전

략위원회”로 한다.

② 과학기술인공제회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Page 23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11

제6조제2항제7호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1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설

립된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을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14조에 따른 한국

정보화진흥원”으로 한다.

③ 법률 제9440호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

다.

제6조제4항 중 “「정보화촉진기본법」에 따른 정보화추진위원회”를 “「국

가정보화 기본법」 제9조제1항에 따른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로 한다.

④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호보목을 다음과 같이 한다.

보.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조제13호에 따른 초고속정보통신망

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3호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第2條第3號의 規定에 의한”을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조제5호에 따른”으로 한다.

⑥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3호나목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2조제5호”를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조제13호”로, “제5호의2”를 “제14호”로 한다.

제4조제3항 후단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5조에 따라 수립된 정보화

촉진기본계획에 포함된 행정업무 및 지역의 정보화촉진에 관한 부문계획”

을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6조에 따라 수립된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에

포함된 행정업무 및 지역의 국가정보화에 관한 부문계획”으로 한다.

⑦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

한다.

제3조제8호가목 전단 및 같은 호 나목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2조제

1호”를 각각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조제1호”로 하고, 같은 조 제9호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2조제3호”를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조

제5호”로 한다.

⑧ 전기통신사업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5조제1항제1호 중 “「정보화촉진 기본법」”을 “「국가정보화 기본

법」”으로 한다.

⑨ 전자거래기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0조제3항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8조에 따른 정보화추진위원회”

를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9조에 따른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로 한다.

⑩ 전자무역 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2항 전단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2조의2의 규정에 의한 정보

Page 23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12

화촉진등에 관한 사항은 동법 제8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정보화추진위원

회의”를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조제3호에 따른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사항은 같은 법 제9조제1항에 따른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의”로 한다.

⑪ 전자정부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1조제1항제4호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정보화추진

위원회(이하 “정보화추진위원회”라 한다)”를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9

조에 따른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이하 “정보화전략위원회”라 한다)”로 한

다.

제22조제3항, 제45조제1항, 제46조제1항 및 제47조제1항 중 “정보화추진위

원회”를 각각 “정보화전략위원회”로 한다.

제22조제5항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한국정보사회진

흥원”을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14조에 따른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

한다.

제45조제4항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정보화촉진시행

계획”을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7조에 따른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으로

한다.

제49조를 삭제한다.

⑫ 조세특례제한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1항제3호 중 “「정보화촉진기본법」 제2조제4호”를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조제6호”로 한다.

제73조제1항제5호사목을 다음과 같이 한다.

사.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14조에 따른 한국정보화진흥원(같은 조

제3항제7호부터 제9호까지의 사업에 지출하는 기부금과 같은 항

제10호 및 제11호의 사업 중 정보문화 및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사업에 지출하는 기부금만 해당한다)

제7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법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정보

화촉진기본법」, 종전의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및 종전의 「지식

정보자원 관리법」 또는 그 규정을 인용한 경우 이 법 중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을 때에는 종전의 규정을 갈음하여 이 법 또는 이 법의 해당 규

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부칙(전자정부법) <제10012호,2010.2.4>

Page 23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13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

략>

제2조부터 제4조까지 생략

제5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③까지 생략

④ 국가정보화 기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1조제2항제6호 중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

률」 제2조제2호”를 “「전자정부법」 제2조제12호”로 한다.

⑤부터 ꊉꊗ까지 생략

제6조 생략

부칙(전기통신사업법) <제10166호,2010.3.22>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6조까지 생략

제7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⑦까지 생략

⑧ 국가정보화 기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1조제2항 중 “「전기통신기본법」 제7조에 따른”을 “「전기통신사업

법」 제6조에 따른”으로 한다.

⑨ 생략

제8조 및 제9조 생략

Page 23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14

구분 직원 수(서울시 제외) 서울시 포함

평균 직원 수 130.9 2,619

구분 담당부서 직원 수

평균 직원 수 11.4

구분 부서장 팀장 실무자

점유율 45% 27% 27%

구분 담당부서 직원 수

평균 담당직원 수 2.6

구분 부서장 팀장 실무자

점유율 27% 73%

별첨 5. 설문결과내용

1. 기관의 현황에 대한 설문내용입니다.

1-1 귀 기관의 개요를 간단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① 기관명( ) ② 직원 수( 명 )

③ 정보담당 부서명( 명 ) ④ 부서직원 수( 명 )

⑤ 정보담당 책임자 직급 및 직위(직급: 직위: )

⑥ 정보전담 직원 수( 명 )

⑦ 정보전담자 직급 및 직위(직급: 직위: )

(직급: 직위: ) (직급: 직위: )

(직급: 직위: ) (직급: 직위: )

⑧ 설문응답자 직급 및 직위(직급: 직위: )

1-1-② 조사대상기관 직원 수 (21개 기관)

1-1-④ 정보담당 부서 직원 수

1-1-⑤ 정보담당 책임자 직급

1-1-⑤ 정보담당 자 수

1-1-⑥ 정보담당자 직급

Page 23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15

<단순정보 예시>

- 헌법 법률 조약 명령 조례 및 규칙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 공고 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법원의 판결 결정 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앞에서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

<저작물예시>

- 연구보고서, 영상자료 및 디자인자료, 도면, 음악, 사진, 미술 등 창작자의 감

성이나 상상력 등 지적재산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결과물

구분 자체생산 위탁관리

점유율 62.7% 37.3%

구분 자체생산 위탁관리

점유율 59.2% 40.8%

구분 단순정보 저작물

점유율 28.8% 54.5%

1-2 귀 기관에서 주로 생산되는 공공저작물의 종류와 관리하고 있는 정보의

수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 정보종류 1순위(종류: 수량: )

② 정보종류 2순위(종류: 수량: )

③ 정보종류 3순위(종류: 수량: )

※ 예시: 연구보고서, 정책자료집, 영상자료, 이미지자료 등 귀 기관에서 분류하

는 기준을 적용하여 작성

1-3 귀 기관에서 연간 생산되는 공공저작물의 자체생산 및 위탁저작물의 점

유율 빈도는 어떻습니까?

(자체생산 : %, 위탁관리 : %)

1-4 귀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의 자체생산 및 위탁저작물의 점

유율 빈도는 어떻습니까?

(자체생산 : %, 위탁관리 : %)

1-5 귀 기관에서 관리하는 공공저작물 중 저작권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빈

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단순정보 : %, 저작물 : %)

Page 236: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16

구분 단순정보 저작물점유율 33.3% 66.7%

구분 자체기준 타 기관 인용 없음

점유율 21.0% 5.2% 73.6%

구분 있음 없음

점유율 42.1% 68.4%

구분 있음 없음

점유율 65.0% 35.0%

구분 있음 없음

점유율 42.8% 57.1%

2. 공공저작물 관리기준에 대한 설문입니다.

2-1 귀 기관에서 공공저작물과 일반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습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2-2 귀 기관에서 공공저작물의 관리기준(접수, 공개, 사후관리 등)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까? 있다면 관리기준서명을 기록해 주십시오.

① 자체관리기준 수립적용(기준서명: )

② 타 기관의 관리기준 인용(인용기관: 기준서명: )

③ 없음

2-3 귀 기관에서는 확보하고 있는 공공저작물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을 추진하고 있습니까? 있다면 정책명을 기록해 주십시오.

① 있음(정책명: )

② 없음

2-4 귀 기관에서 확보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의 경우 산업화가 가능한 저작물

을 보유하고 있습니까?

① 있음 ② 없음

2-5 귀 기관에서 확보하고 있는 공공저작물이 산업화가능하다면 산업화를 촉

진시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까? 있다면 정책명을 기록해 주

십시오. (2-4문항의 ②없음 선택인 경우 답변제외)

① 있음(정책명: )

② 없음

Page 237: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17

구분 예 아니오 선택적

점유율 29.1% 33.3% 37.5%

구분 예 아니오

점유율 61.9% 23.8%

구분대부분

일반정보

판단기준

미비

작업종료 후

판단기타

점유율 25.0% 62.5% 12.5% 0.0%

구분 예 아니오

점유율 95.8% 4.1%

3. 공공저작물 생산단계에서의 관리기준에 대한 설문입니다.

3-1 귀 기관에서 생산되는 공공저작물의 경우 기획단계에서 저작물과 일반정

보에 대한 구분을 하고 있습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③ 선택적으로 적용( )

3-2 공공저작물을 기획하면서 구분하고 있다면 저작권 관리를 위한 별도의

단계나 필요한 절차를 동시에 기획하십니까?

(3-1 ①, ③번 응답경우만)

① 예( ) ② 아니오( )

3-3 공공저작물과 일반 정보와 구분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3-1 ②번 응답경우만)

① 대부분 일반정보인 이유로( )

② 판단기준이 없어서( )

③ 저작권과 관련해서는 제작이 종료된 후에 판단하기 때문( )

④ 기타( )

3-4 공공저작물 중 저작권 관리가 필요한 저작물 생산단계에서 별도의 관리

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Page 238: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18

구분 예 아니오

점유율 54.1% 45.8%

구분 예 아니오

점유율 60.0% 40.0%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점유율 5.8% 35.2% 47.0% 11.7%

4. 공공저작물 접수 후 공개여부 판단기준에 대한 설문입니다.

4-1 공공저작물 접수(자체생산 및 위탁포함) 후 공개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마련되어 있습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4-2 공개여부를 판단하는 결정기구 또는 결정권자는 있습니까?

(② 아니오 선택 시 4-4로 이동)

① 예( ) ② 아니오( )

4-3 최고 결정권자 또는 기구의 성격과 직급은 어느정도 입니까?

① 결정권자인 경우(직급: 직위: )

② 결정기구인 경우(기구명: )

4-4 공공저작물이 관리책임부서로 이관된 후 공개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크게

몇 단계로 나뉘어져 있습니까? (단계: )

4-5 만약 각 단계별 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간단하게 작성)

Page 239: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19

구분 있음 없음

점유율 75.0% 25.0%

빈도수 연중 평균 30.77건

구분 공공분야 민간비영리 영리 기타

점유율 64.5% 16.1% 6.4% 12.9%

구분 연간 이용허락 수량 허락율

내용 55.5건 84.6%

구분 예 아니오 기타

점유율 47.8% 47.8% 4.3%

구분 예 아니오 준비중

점유율 37.5% 50.0% 12.5%

5.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요청에 대한 대응에 관한 설문입니다.

5-1 귀 기관에서는 보유중인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수요자가 신청한 사례

가 있습니까? 있다면 연중 빈도는 어느정도 입니까?

(② 아니오 선택 시 5-4으로 이동)

① 예(건수: ) ② 아니오( )

5-2 주로 어떤 부분에 활용을 하기 위해 요청하고 있습니까?(순서변경해도

되지 않을까요?

① 공공분야( ) ② 민간비영리( ) ③ 영리목적( )

④ 기타( )

5-3 공공저작물을 수요자가 신청하는 경우 이용허락 신청 수와 이용허락의 빈도

는 대략 몇 %정도 됩니까?(신청건수 건, 허락빈도율: %)

5-4 귀 기관에서는 이용허락을 받아야 하는 저작물에 대한 판단기준을 가지

고 있습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③ 기 타( )

5-5 수요자가 이용허락을 신청할 수 있는 창구 또는 이용허락 인증 프로세스

는 확보되어 있습니까? (② 아니오 선택 시 5-10으로 이동)

① 예( ) ② 아니오( ) ③ 준비 중( )

5-6 수요자가 이용허락을 요청한 경우 절차는 어떻게 이루어집니까?

Page 240: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20

구분 담당자 판단정보책임자

판단

전문위원회

판단기타

점유율 26.6% 60.0% 13.3% 13.39%

구분 예 아니오

내용 31.2% 68.7%

사례 대처방법

1 서비스 중단요청2 소송3 계약내용에 따라 사용중단요청4 경고조치5 경고조치 및 데이터 삭제 요청

구분 예 아니오

내용 23.5% 76.4%

구분 예 아니오

내용 69.5% 30.4%

① 담당자가 판단하여 이용허락( )

② 담당자의 요청으로 정보책임자가 판단하여 이용허락( )

③ 담당자 또는 정보책임자의 요청에 의해 위원회를 거쳐이용허락 ( )

④ 기타( )

5-7 수요자가 이용허락을 요청하는 경우 위법하게 활용할 가능성에 대한 점

검기능은 있습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5-8 공공저작물을 이용허락 한 후 불법사용이나 위법하게 사용하여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있습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5-9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해결방법은 무엇이었습니까?

(문제해결방법 : )

5-10 영리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Page 241: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21

구분 예 아니오

내용 17.3% 82.6%

구분 예 아니오내용 86.3% 13.6%

구분 성과 신고의무화 일정기간 후 설문 기타

점유율 55.0% 40.0% 5.0%

6. 공공저작물 이용허락요청 후 성과관리에 관한 설문입니다.

6-1 이용허락 후 이용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성과관리체계는 마련되어있습니

까?

① 예( ) ② 아니오( )

6-2 이용허락에 대한 성과관리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② 아니오 선택 시 7-1로 이동)

① 예( ) ② 아니오( )

6-3 성과관리 방법은 어떤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성과신고의무화( ) ② 일정기간 후 설문( )

③ 기타( )

Page 242: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22

구분 예 아니오 준비중

점유율 58.3% 29.1% 12.5%

구분 예 아니오

점유율 83.3% 12.5%

구분 연1회 연2회 연4회 상시 기타

점유율 47.8% 39.1% 0.0% 8.6% 4.3%

7. 공공저작물 소비자요구조사에 관한 설문입니다.

7-1 공공저작물 생산과 관련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은 확

보되어있습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③ 준비 중( )

7-2 공공저작물 생산과 관련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7-2 수요조사방식은 몇 회가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연 1회( ) ② 연2회( ) ③ 연4회( )

④ 상시( ) ⑤ 기타( )

Page 243: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별 첨

223

항목 점유율

저작물등급관리 4.7%

저작물확산지원 23.8%

불법사용감시 11.9%

저작물 이용요청 심사관리 16.6%

저작물의 저작권 유무 확인관리 30.9%

수요에 의한 생산품질 관리 11.9%

기타 0.0%

항목 점유율

저작권유무 확인 25.8%

이용요청에 의한 절차 4.6%

불법이용으로 인한 피해 23.2%

정보유출에 의한 저작권 침해 25.5%

저작물의 품질관리 11.6%

문제발생시 담당자 문책 9.3%

기타 0.0%

8. 기타분야 설문항목입니다.

8-1 공공저작물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2

개만 선정해 주세요)

① 저작물등급관리( ) ② 저작물확산지원( )

③ 불법사용감시( ) ④ 저작물 이용요청 심사관리( )

⑤ 저작물의 저작권 유무 확인관리( )

⑥ 수요에 의한 생산품질 관리( )

⑦ 기타( )

8-2 공공저작물 관리 및 이용요청 응대에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입니

까?(2개만 선정해 주세요)

① 저작권유무 확인( ) ② 이용요청에 의한 절차( )

③ 불법이용으로 인한 피해( ) ④ 정보유출에 의한 저작권 회손( )

⑤ 저작물의 품질관리( ) ⑥ 문제발생시 담당자 문책( )

⑦ 기타( )

8-3 공공저작물의 민간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가장 필요한 부분은 무엇이

라고 생각하십니까?(2개만 선정해 주세요)

Page 244: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224

항목 점유율

범 정부적 공통의 담당자를 위한 저작물관리 가이드 제공 34.7%

범정부적으로 통일된 공공저작물이용허락 절차 32.6%

문제 발생시 담당자 문책수위 조정 0.0%

민간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책 마련 17.3%

공공저작물관리 민간에 위탁 4.3%

공공저작물관리부서설치 의무화 6.5%

공공저작물 품질관리를 위한 수요자조사 강화 2.1%

기타 2.1%

① 범 정부적 공통의 담당자를 위한 저작물관리 가이드 제공( )

② 범정부적으로 통일된 공공저작물이용허락 절차( )

③ 문제 발생시 담당자 문책수위 조정( )

④ 민간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책 마련( )

⑤ 공공저작물관리 민간에 위탁( )

⑥ 공공저작물관리부서설치 의무화( )

⑦ 공공저작물 품질관리를 위한 수요자조사 강화( )

⑧ 기타( )

Page 245: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방안 연구 - KOCCA · 2011-07-22 ·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개선 활성화 방안연구 - viii - Ù

공공콘텐츠 저작권 이용허락인증 활성화 방안 연구

발행인: 이재웅

발행일: 2011년 3월 31일

발행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발행담당자: 최원석

서울 마포구 상암동 1602 문화콘텐츠센터

tel:02-2106-1408 , fax:02-2016-4110 , e-mail:[email protected]

KOCCA 연구보고서 11 - 07

ISBN:978-89-6514-070-2 93600 가격: 비매품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