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2 0 1 9 0 6 39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 1) 산업경제분석 KIET 최근 창원, 대전, 논산 등 주요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육성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프랑스, 이스라엘 등 주요국들도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방위산업 및 이와 관련성이 높은 항공우주, 전력지원체계, 사이버보안 등 관련산업(Adjacent Industry) 육성에 매진하여 왔다. 하지만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은 주요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산 클러스터의 현황을 살펴보고 아울러 국내 방산 및 관 련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과 전문가, 정부 및 지자체 관계자 325명을 대상으로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경쟁력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세계 최고 클러스터(=100) 대비 국내 클러스터의 현재 수준과 향후 5년 후 수준에 대해 비교한 결과, 2018년 기준 국내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의 선진국 대비 수준은 7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국내 5개 방 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의 혁신환경(인프라) 역량은 9점 만점에 4.3으로 보통(5)을 하회하는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대전이 5.7로 가장 높고, 진주·사천 5.4, 창원 3.9, 영천 3.7, 논산 2.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러스터 혁신활동 역량은 4.5로 보 통(5)을 하회하는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진주·사천이 6.3으로 가장 높고, 대전 6.2, 영천 4.3, 창원 3.8, 논산 3.1 순으로 조 사되었다. 향후 국가균형발전과 방위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중앙정부의 주도적인 방위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방위산업진흥 법 등 관련법령에 클러스터 육성관련 법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통령 직속 균형발전위원회내 방위산업 분과를 포함함과 아울러 중앙정부-지자체 간 방위산업 클러스터 협의체 신설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요 지자체를 중 심으로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조례를 마련하고 산학연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넷째,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내 군부대/기지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기 업들의 방위 및 관련산업 진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과 규제 해소에 역량을 집중해 나가야 할 것이다. 1) 1) 본고는 장원준 외(2018), 주요국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의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수정·보완한 것이다.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2 0 1 9 0 6 39

산 업 경 제 분 석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정책 과제1)

산 업 경 제 분 석KIET

최근 창원, 대전, 논산 등 주요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프랑스,

이스라엘 등 주요국들도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방위산업 및 이와 관련성이 높은 항공우주, 전력지원체계, 사이버보안 등

관련산업(Adjacent Industry) 육성에 매진하여 왔다. 하지만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은 주요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산 클러스터의 현황을 살펴보고 아울러 국내 방산 및 관

련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과 전문가, 정부 및 지자체 관계자 325명을 대상으로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경쟁력 실태조사’

를 실시하였다. 먼저, 세계 최고 클러스터(=100) 대비 국내 클러스터의 현재 수준과 향후 5년 후 수준에 대해 비교한 결과,

2018년 기준 국내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의 선진국 대비 수준은 7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국내 5개 방

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의 혁신환경(인프라) 역량은 9점 만점에 4.3으로 보통(5)을 하회하는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대전이

5.7로 가장 높고, 진주·사천 5.4, 창원 3.9, 영천 3.7, 논산 2.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러스터 혁신활동 역량은 4.5로 보

통(5)을 하회하는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진주·사천이 6.3으로 가장 높고, 대전 6.2, 영천 4.3, 창원 3.8, 논산 3.1 순으로 조

사되었다. 향후 국가균형발전과 방위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중앙정부의 주도적인 방위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방위산업진흥

법 등 관련법령에 클러스터 육성관련 법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통령 직속 ‘균형발전위원회’ 내 방위산업 분과를

포함함과 아울러 중앙정부-지자체 간 방위산업 클러스터 협의체 신설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요 지자체를 중

심으로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조례를 마련하고 산학연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넷째,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내 군부대/기지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기

업들의 방위 및 관련산업 진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과 규제 해소에 역량을 집중해 나가야 할 것이다. 1)

1) 본고는 장원준 외(2018), 「주요국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의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수정·보완한 것이다.

Page 2: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

40 K I E T 산 업 경 제

최근 주요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방위 관련산업2)

클러스터’ 육성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 최

대 방위산업 집적지인 창원은 2017년 9월 ‘창원 방

위산업 활성화 중장기 계획’을 발표, 4대 분야 15

개 사업에 2026년까지 3,000여 억원을 투자하겠

2) 방위 관련산업(Defense Adjacent Industry)이란 방위산업과 함께 관련성

이 높은 항공우주산업, 항공 MRO 산업, 민군기술협력산업, 전력지원체

계산업, 사이버산업 등을 의미한다.

다고 밝혔다. 대전시, 논산시, 진주/사천, 구미, 영

천 등도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에 전력하

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아직까

지 선진국 수준의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가 마

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산업

클러스터 관점에서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향후 바람직한 클

러스터 육성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1. 서론

2. 방위산업 클러스터의 개념과 필요성

(1) 방위산업 클러스터의 개념과 특성

일반적으로, 산업 클러스터(industry cluster)란

‘일정 지역에서 산업발전과 관련주체들이 기능적

으로 연계되고 공간적으로 집적을 이룸으로써 산

업생산과 과학기술, 기업지원체계가 효율적으로

접합된 집합체’로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산

업 클러스터는 신규 또는 중소기업이 근접하여 위

치함으로써 상호 능력과 공급채널 이점을 활용할

수 있으며, 협력과 경쟁의 산업문화 구축,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가 용이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아

울러, 강점분야에 핵심역량을 집중하고 약점은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보완할 수 있는 지역, 지식

과 아이디어, 인력과 자본, 기술의 자유로운 흐름

이 보장되며, 기업과 정부, 대학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최적의 파트너십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

적, 공간적 집합체라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산업 클러스터 개념에서 살펴보면, 방

<표 1> 산업 클러스터의 특징

내용

클러스터 특징

- 신규·중소기업이 근접하여 위치, 상호 능력과 공급채널 이점 활용

- 협력과 경쟁의 산업 문화 구축, 시너지 효과 극대화

- 자신의 강점분야에 핵심역량 집중, 약점은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보완

- 지식과 아이디어, 인력과 자본, 기술의 자유로운 흐름 보장

- 기업간 파트너십 최대 활용 : 대학, 중소기업, 벤처 자금 등

Page 3: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2 0 1 9 0 6 41

산 업 경 제 분 석

위산업과 관련산업인 항공우주, 항공 MRO, 전력

지원체계 산업 등도 큰 틀에서의 개념과 정의, 운

용 등에 있어 일반적인 산업 클러스터와 특별히

차별화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일반적

인 산업 클러스터와 달리 방위산업 클러스터가 갖

는 특징으로는 군 기지와 시설, 군 연구소 등 군

사체계와 산업생산, 과학기술 및 기업지원체계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국

의 경우, 전역에 걸쳐 약 220개의 군사기지와 시

설 등이 존재하며 연간 미 국방예산은 장병 봉급

을 포함하여 4,000억 달러를 상회하는 것으로 파

악된다.3) 이를 통해, 각 주에 산재된 군사기지를

중심으로 지자체와의 국방계약과 아웃소싱이 다

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방위산업에서의 클러스터 개념은

‘일정 지역에서 방위산업 발전과 관련된 혁신주

체들이 기능적 연계와 공간적 집적을 통해 방위

및 관련산업 생산체계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체계

와 기업지원체계 그리고 군사체계가 효율적으로

접합된 집합체’로 정의할 수 있다.

3) NCSL, ‘Preparing for Duty’, 2016.12.

<표 2> 산업 클러스터의 개념 종합

내용

산업 관점· 일정 지역에서 산업발전과 관련된 혁신주체들이 기능적 연계와 공간적 집적을 이룸으로써 산업생

산체계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체계 및 기업지원체계가 효율적 접합된 집합체

국방부/방사청 · 개념 미정립

본 연구· 일정 지역에서 방위산업 발전과 관련된 혁신주체들이 기능적 연계와 공간적 집적을 이룸으로써 방

위 관련산업(항공우주, 항공 MRO, 전력지원체계 등) 생산체계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체계 및 기업지원체계 그리고 군사체계가 효율적으로 접합된 집합체

<그림 1> 방위산업에서의 클러스터 개념도

자료 : 산업연구원(KIET) 작성.

Page 4: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

42 K I E T 산 업 경 제

이를 모형화하여 제시하면 <그림 1>과 같다.

방위산업에서의 클러스터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긴밀한 협력과 지원을 통해 방위 및 이와 관

련성이 높은 항공우주, 항공 MRO, 전력지원체계

산업의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과 경

쟁력 제고를 도모하는 집합체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된 산·학·연·군 혁신주체들이 기능적 연계

와 공간적 집적을 이룸으로써 방위 및 관련산업

생산체계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체계 및 기업지원

체계, 군사체계가 효율적으로 접합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 방위산업에서의 클러스터 필요성

방위산업에서 클러스터의 필요성은 크게 세 가

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국가안보 유지

를 위한 방위산업 역량강화 측면이다. 클러스터

의 발전단계를 살펴볼 때, 방위산업 클러스터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중

반에 걸쳐 형성되기 시작하였다.4) 종전 이후 미·

4) www.jointventure.org/nsv/waves.html 참조

소 냉전시대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방위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국가별, 지

역별로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미국의 텍사스주

(방위·항공우주), 버지니아주(방산계약), 오클라

호마주(항공 MRO), 캘리포니아주(함정, 실리콘

밸리)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선진국들은 국가안보 유지와 국방력 강화를

추진해 온 것으로 파악된다.5)

둘째, 방위산업의 첨단기술개발의 테스트 베드

(Test-Bed)적 특성에 따른 항공우주, 항공 MRO,

전력지원체계 산업 등과의 높은 연계성을 들 수

있다. 방위산업 자체보다는 이와 연관성이 높은

관련산업 발전의 촉매제로서 방위산업이 클러스

터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는

사실이다. 1950년대 이후 미국 주요 주의 공공·

국방연구소들을 중심으로 Aparnet(인터넷의 전

신), GPS, 유도기술, 항공우주기술, 레이다, 레이

저 등 수많은 첨단 국방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미

국의 경우, Bay Dole(1980)법에 따라 국방부를 포

함한 공공연구소 개발기술과 지재권들이 국내 민

5) CSIS 방위산업 전문가 인터뷰 결과, 2018.6.

<그림 2> 클러스터의 변화(1950~현재)

자료 : www.jointventure.org/nsv/waves.html

Page 5: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2 0 1 9 0 6 43

산 업 경 제 분 석

간기업과 연구소에 파급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

다. 이에 따라, 방위산업 분야에서 개발된 첨단기

술들이 항공우주, 항공 MRO, 항공운송 등 관련

산업으로 파급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창업과 벤

처기업들이 크게 증가하는 원동력의 하나가 되었

다. 미국 실리콘 밸리도 1950년대 이후 첨단 C4I,

ISR, 미사일 분야 국방프로젝트 사업이 매우 빈번

하게 일어났으며, 이러한 결과가 오늘날 세계 최

고 수준의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중요한 요인

으로 평가되고 있다. 텍사스주의 경우에도, 록히

드 마틴, Bell, L3사 등 방산업체들과 함께, 사우스

웨스트, 유나이티드 등 항공운송업체, P&W, 롤스

로이스, GE 등 항공엔진업체 등이 집적되어 거대

방위·항공우주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

한 클러스터 조성 노력을 통해 미 텍사스주는 세

계 10위의 GDP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6)

6) 텍사스 주정부, 방위·항공우주 클러스터 담당자 James Chen 인터뷰

결과, 2018.6.

결과적으로, 방위산업에서의 클러스터 조성 노

력은 이를 통한 첨단기술 개발과 그 파급효과에

따라 항공우주, 항공MRO, 항공운송, 항공엔진 등

연계성이 높은 산업을 포함한 대규모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원동력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미국, 터키, 이스라엘, 프랑스 등 주요국들에서는

방위산업만의 독자적인 클러스터보다는 관련성

이 높고 파급효과가 큰 항공우주, 항공 MRO 산업

과 연계된 클러스터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지자체 자체의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 의지 측면에서도 필요성을 찾아볼 수 있다.

미국 오클라호마주의 경우, 주의 유리한 지리적

위치와 대규모 군 정비창 소재, 운하 및 항공우

주 발사대 보유 등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세계 최

고의 항공 MRO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노력해 왔

다. 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오클라호마주는 항

공 MRO 산업이 석유산업 다음으로 2위 산업의 위

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 MRO 클러

<그림 3> 텍사스주 방위·항공우주 클러스터 개념도

자료 : KIET, 텍사스 주정부, Lockheed Martin사, TSTC 등 방문결과, 2018.6을 기초로 KIET(산업연구원) 작성.

지역금융 클러스터링

교육 훈련

물류 유통

정보, 통신

군사체계

기업지원체계마케팅, 컨설팅,

지역산업 플랫폼

산업생산체계과학기술체계

추진체계방위산업 클러스터 협의체

Page 6: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

44 K I E T 산 업 경 제

스터 육성을 위한 특별 인센티브 프로그램(Aero-

space Industry Engineer) 운영, 6개 항공전문 기

술센터(CareerTech Center) 운영 및 무상 교육 등

의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7)

우리나라에서도 연 46조원 규모의 국방예산 투

자와 안정적인 방위산업 기반, 방산수출 증가 추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인터뷰 결과, 2018.6.

세 등에 따라 주요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방위산업

분야를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

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지역발전

을 주도하여 왔던 조선, 자동차 등 주력산업이 정

체 또는 퇴조 현상을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안정되

고 고용효과가 높은 방위 및 항공우주, 항공 MRO

등 관련산업에 관심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

으로 해석된다.

(1)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현황

국내 방위산업 및 이와 관련성이 높은 항공우

주, 항공 MRO, 전력지원체계를 포함한 방위산업

관련 클러스터는 창원, 진주·사천, 구미, 대전, 부

산 등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운용 중인 것으로 파

악된다. 지역별 방위 및 관련 클러스터의 조성·

운용 현황 및 주요 지표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 최대 규모의 방위산업 집적지인 창

원시는 2016년 기준 방위산업 생산 4조 5,000억

원, 수출 3,400억원, 고용 7,900명을 기록하며 전

체의 각각 27.3%, 15.1%, 21.7%를 차지하고 있다.

1974년 창원국가산업단지 지정 이후 방위사업법

에 의해 지정된 94개 방산기업 중 20개사(2018년

6월 기준)가 소재하고 있으며, 이를 비롯해 국방

과학연구소의 제5기술연구본부(화력, 기동 분야

등), 제6기술연구본부가(수중 무기체계), 육군 종

합정비창, 해군 정비창, 전기선박육상시험장 등

의 군 관련 인프라가 소재하고 있어, 기업들의 부

품국산화 개발 시 시험평가 등을 지원하고 있다.

2016년에는 방위산업 분야 산·학·연·관 간 협의

체인 “방산 클러스터”를 발족하여 부품 국산화 및

수출활동 지원, 지역혁신기관과 연계한 신사업

창출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최근 국방

외교협회 등과 방산수출 확대를 위한 MOU를 체

결하는 등 수출확대를 통한 제2의 도약을 위해 노

력하고 있다.

사천, 진주 등을 중심으로 한 경남은 전국 최대

의 항공우주산업 밀집 지역으로 2016년 기준 방

산 생산은 4조 2,000억원으로 전체의 25.7%로 창

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생산을 기록했다. 수출

은 1조 1,000억원, 전체의 47.5%로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력은 5,865명으로 15.9%

수준이다. 경남은 항공산업 관련 인프라 및 산업

집적도 등 우수한 산업기반을 토대로 정부의 항공

3.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현황과 비교분석

Page 7: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2 0 1 9 0 6 45

산 업 경 제 분 석

산업 발전계획에 따라 제조 및 MRO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2014년 12월 국가항공산업

단지로 지정되었으며, 군용기 분야 주요 체계종

합업체인 KAI(한국우주산업주식회사)를 중심으

로 항공기 기체 분야의 완제기 및 기체 관련 부품

에 관련된 다수의 업체가 소재하고 있다. 한편, 사

천공항(인프라), 군(수요자), 산업기술시험원, 국

방기술품질원 등 지역 내 특화된 항공산업 인프라

를 바탕으로 2017년에는 항공 국가산업단지로 지

정되었으며, 2020년까지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

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과 울산은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등 함

정관련 체계종합업체와 대한항공을 중심으로 한

항공기 관련 기체, 기계 소재 등의 부품 관련 업체

등이 소재하고 있다. 2016년 기준 방위산업 생산

실적은 1조 980억원으로 전체의 6.7%를 차지했으

며, 수출 실적은 약 700억원으로 전체의 3.2%를, 고

용은 2,614명으로 전체의 7.1%를 차지하고 있다.

경북, 대구 지역에는 LIG 넥스원, 한화시스템

등이 소재하고 있는 구미 등을 중심으로 유도 및

C4I(합동지휘통제체계) 관련 완제품, 구성품, 부

품 관련 생산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방위산업

관련 주요 실적으로는 2016년 기준, 1조 11억원의

생산액을 기록하며 전체의 6.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수출은 141억원으로 0.6%, 고

용은 2,763명으로 7.5%를 기록했다.

대전시는 국내 최고수준의 과학기술 인프라와

기술역량이 집적된 도시로 30여개의 정부출연연

구기관과 1,600여개에 달하는 첨단기술분야 업체

들이 소재해 있으며, 이를 통해 40년 이상 축적

된 R&D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방산 매출액은

1,690억원으로 전체의 1%에 불과하나, 국방과학

연구소(ADD)를 비롯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KAIST 등 국내 최고수준의

R&D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활용 시 향후 발전 가

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은 93억원으

로 전체의 0.4%, 고용은 1,093명으로 3.0%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대전시는 대덕연구단지,

KAIST 등의 우수한 과학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방

ICT 첨단산업 육성을 추진 중으로, 향후 2022년까

<그림 4> 지역별 방위산업 생산 현황(2016) <그림 5> 지역별 방위산업 고용 현황(2016)

자료 : KIET 방위산업 통계 및 경쟁력 실태조사, 2017.

주 : 1) 매출액 300억 이상 293개 업체 기준, 2) 생산공장 소재지 기준, 3) ( ) 는 비중.

단위 : 조 원 단위 : 명

창원 경남 경기·인천 충남·충북 서울 부산·울산 경북·대구 대전 전북·전남 기타(제주)

창원 경기·인천 경남 서울 충남·충북 경북·대구 부산·울산 전북·전남 대전 기타(제주)

4.5(27.3)

7,986(21.7)

4.2(25.7)

6,222(16.9)

2.5(15.3) 5,865

(15.9)

16.4(100)

36,821(100)

0.0(0.0)

19(0.1)

0.2(1.0) 2,614

(7.1)

1.0(6.1)

1,804(4.9)

0.1(0.8)

1,093(3.0)

1.1(6.7)1.4(8.5)

1.4(8.6)

2,763(7.5)

4,363(11.8)

4,093(11.1)

Page 8: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

46 K I E T 산 업 경 제

지 조성 완료될 계획인 안산 국방산업단지와의 연

계를 통해 국방 중소기업 개발품목에 대한 성능시

험 및 연구장비 등의 인프라 구축을 통한 테스트

베드를 구축할 계획이다.

충남·충북지역에는 (주)한화 등을 중심으로

2016년 기준 방위산업 분야 매출액은 1조 4,095

억원을 기록하며 전체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수출은 1,327억원으로 5.9%, 고용은 4,093명으로

11.1%를 기록하였다. 우리나라 국가안보의 최고

지휘부인 3군 본부를 비롯해 국방대학교, 육군훈

련소, 육군항공학교, 건양대학교를 비롯한 인근

대전의 대학교, ADD(대전), 대덕 R&D 특구 및

과학비즈니스벨트 등이 위치하고 있어,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제반 인프라가 확보된 것으로 평가된

다. 특히, 충남 논산은 2022년까지 논산시 연무읍

일원 103만m2 부지에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장

병 워리어 플랫폼(warrior platform) 장비류와 전

기장비, 전자부품, 통신장비 등 무기체계 부품류

그리고 MRO 분야를 중심으로 전력지원체계(비

무기체계) 중심의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단계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8)

8) http://www.news-stor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221.

(2)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실태조사

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지역균형발전과 경쟁력 강화 관

점에서 우리나라 방위산업과 항공우주, 전력지원

체계 등 관련산업에 대한 클러스터 육성전략 마련

을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은 정부 관계

자와 업체 및 전문가 집단 300여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조사 표본 총 325개 중 242개 응답이 회수되

어 전체 응답률은 74.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먼저, 주요 지역별로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의 현재 수준과 향후 5년 이후 수준을 분석한 결

과, 진주/사천의 항공우주 클러스터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진주/사천 클러스터의 현재 수준

은 계획수립 단계인 5.0 수준이며, 5년 후에는 클

러스터 조성(7) 단계까지 이를 수 있을 것으로 전

망되었다.9) 창원, 대전, 논산의 현재 클러스터 수

준은 각각 4.9, 4.7, 4.4로 계획 수립(5) 단계인 것

으로 파악된다. 한편, 세 지역 클러스터 모두 현

9) 현재 국가항공우주산업단지로 지정된 진주/사천 지역은 2021년까지

사업비 2,012억원을 투자하여 경남 항공국가산업단지를 조성 중이다

(http://www.sacheon.go.kr/aerospace/02811/02812.web).

<표 3>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실태조사 표본구성

단위 : 개, 명, %

세부구분 발송(a) 회수(b) 무응답(c) 유효응답(d=b/a)

업체1)

대기업 31 21 10 67.7

중소기업 260 187 73 71.9

소계 291 208 83 71.5

전문가2)

34 34 - 100.0

합계 325 242 83 74.5

주 : 1) 업체는 방산매출 3억원 이상의 SI업체, 전문방산업체, 협력업체 중 해당분야 종사자.

2) 전문가는 방위사업청, 국방대학교 등 관련기관 종사자 및 지자체, 관련 협회 등 전문기관 담당자.

Page 9: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2 0 1 9 0 6 47

산 업 경 제 분 석

재 방위산업 클러스터와 전력지원체계 클러스터

를 조성 중이어서 향후 5년 후에는 각각 6.4, 6.7,

6.5 수준으로 조성 단계(7)에 가깝게 발전할 것으

로 전망된다.

한편, 세계 최고 클러스터(=100) 대비 국내 클

러스터의 현재 수준과 향후 5년 후 수준에 대해 비

교한 결과, 2018년 현재 국내 방위 및 관련산업 클

러스터의 선진국 대비 수준은 71.1로 평가되었으

며, 5년 후에는 선진국(=100) 대비 82.5로 수준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5개 방위 및 관련산업 클

러스터를 대상으로 혁신환경(인프라) 역량을 평

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10) 대전의 혁신환경(인

프라) 역량이 9점 만점에 5.7로 가장 높은 것으

로 파악되며, 단, 점수는 보통(5)을 조금 상회하

는 수준이다. 이어서 진주/사천의 항공우주 클러

스터가 5.4로 보통(5) 수준의 클러스터 혁신환경

(인프라) 역량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

면, 국내 최대 방위산업 클러스터인 창원이 3.9

에 머물러 다소 미흡한 평가를 기록하였다. 세부

적으로 7개 대항목 평가에서 창원은 기술인프라

(5.9)를 제외한 나머지 6개 분야에서 3.3~4.3 수

10) 국내 총 7개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중 구미는 유효응답수 부족, 부

산은 객관성 부족으로 제외하였다.

<그림 6> 국내 주요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수준 현황과 전망

주 : 1) 유효응답 수 108개 기준(복수응답 포함), 2) ● : 현재(2018), ◆ 5년 이후(2023)를 의미, 3) 점

수는 9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한 값, 4) 1은 미조성 단계, 3은 조사검토 단계, 5는 계획수립단

계, 7은 조성단계, 9는 성숙·확대단계.

단위 : 점

<그림 7> 선진국 대비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수준 비교

주 : 1) 유효응답수 110개 기준(복수응답 포함), 2) 지수는 선진국=100을 기준으로 매우 대등(90% 이상), 대등

(80~89%), 중간(70~79%), 미흡(60~69%), 매우 미흡(60%)을 기준으로 중간값으로 환산.

현재(2018) 5년 후(2023)

평균 창원 대전 진주/사천 논산

(선진국=100)90.0

85.0

80.0

75.0

70.0

65.0

60.0

55.0

50.0

71.1

82.5

72.8

83.5

69.1

82.9

73.7

81.7

67.7

79.0

Page 10: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

48 K I E T 산 업 경 제

준에 그쳤다. 특히 R&D 활동은 3.3으로 가장 저

조하여 추후 이에 대한 인프라 역량 보완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영천은 3.7로 나타났

으며 논산이 2.7로 가장 저조하였다. 논산이 미

흡(3)에도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지난 8월 전력

지원체계 중심의 국가 국방산업단지로 지정되었

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혁신역

량(인프라)은 크게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클러스터 혁신활동에 대해 평가한 결과11),

국내 5개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의 혁신활동

은 진주/사천이 6.3으로 가장 높고, 이어서 대전

6.2, 영천 4.3, 창원 3.8, 논산 3.1로 파악되었다.

진주/사천과 대전이 클러스터 혁신활동에서 우수

(7)에 가까운 편인 반면 영천, 창원은 보통(5) 수

준, 논산은 미흡(3)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5개

클러스터의 평균은 4.5로 보통(5)을 하회하는 수

준인 것으로 종합되었다. 11)

11) 구미는 유효응답수 부족으로 제외하였다.

<그림 8> 지역별 클러스터 혁신환경(인프라) 역량 비교결과 종합

주 : 1) 유효응답 수 79개 기준.

2) 클러스터 혁신환경(인프라) 역량 평가항목은 R&D 활동(4), 기술인프라(4), 지식서비스(4), 금융지원(4),

기술거점(4), 마케팅(3), 인력양성(3) 등 대항목 7개 세부항목 26개에 대한 평가결과의 평균값.

창원 대전 진주/사천 영천 논산

(점)9.08.07.06.05.04.03.02.01.00.0

3.9

5.7 5.4

3.72.7

평균(4.3)

<그림 9> 지역별 클러스터 혁신활동 비교결과 종합

주 : 1) 유효응답 수 77개 기준.

2) 클러스터 혁신활동 역량 평가항목은 비전수립(4), 법/제도 정비(3), 클러스터 브랜드화 활동(1), 지역내

비전공유 활동(1), 클러스터내 관산학연군 기관/단체/협회 다양성(1), 지역 내 기업간 아웃소싱 수준(1)

등 대항목 6개, 세부항목 11개에 대한 평가결과의 평균값.

창원 대전 진주/사천 영천 논산

(점)9.08.07.06.05.04.03.02.01.00.0

3.8

6.2 6.35.4

3.1

평균(4.5)

Page 11: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2 0 1 9 0 6 49

산 업 경 제 분 석

향후 국가균형발전과 방위산업의 경쟁력 강화

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

스터 육성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중앙정부에서 주도적으로 방위산업 클러

스터 육성정책을 수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

다. 이를 위해 방위산업진흥법 등 관련법령에 클

러스터 육성관련 법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현

재 제정을 추진 중인 ‘방위산업진흥법’ 내 지역별

특화된 방위산업단지 조성 및 지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조항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상위

법 내 지역산업과의 연계에 관한 조항을 추가한다

면, 지자체의 사업추진에 대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방위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

스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방위산업 클러스터 육

성 계획은 국방부와 방사청의 기본계획에 미포함

되어 있는 상황으로, 향후 클러스터의 체계적인 조

성 및 관리를 위해서는 방위사업청 주도로 ‘방위산

업 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필요

가 있다. 아울러, 방위산업 육성의 주무부처인 방

위사업청에서도 방위산업 클러스터 주요 지자체

들과 협의체 신설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실

질적으로, 방위산업 클러스터 육성과 관련한 ‘중앙

정부-지자체 간 방위산업 협의체(가칭)’를 신설하

거나 새로 신설되는 ‘방위사업협의회’12)에 지자체

의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

된다. 이를 통해, 지자체만의 방위산업 클러스터

추진전략과 세부전략 추진이 아닌 중앙정부와 지

자체 간 협업을 통한 현안 및 애로사항 해결을 위

한 공식적인 협의통로를 마련함으로써 정부 차원

12) 방위사업청에서는 최근 방위사업혁신 종합계획(2018.8)을 발표, 국방

커뮤니티와의 유기적 협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림 10> 국가균형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전략

4. 향후 정책과제

Page 12: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

50 K I E T 산 업 경 제

<표 4>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전략 종합

정책방향 세부과제 제도 개선방안

방산 클러스터 육성정책 수립

방위산업진흥법(안) 내 클러스터 법안 포함

·(단기) 지역별 특화된 방위산업단지 조성 및 지원사업 관련 조항 추가

방위산업 클러스터 육성 기본계획 수립

·(중장기) 방위산업육성기본계획 내 관련 클러스터 육성 내용 포함·(단기)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방위산업 클러스터와 관련한 협의체를

신설

방위 및 관련산업단지 확대

· (중장기) 지역별 방위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내용을 가칭 방위산업 클러스터 육성 기본계획에 포함

방산 클러스터 거버넌스 구축

균형발전위원회 내 방위산업 분과 포함

· (단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내에 방위산업 클러스터 주무부처 장관인 국방부 장관(또는 방위사업청장) 당연직 위원으로 포함

· (단기) 방위산업 클러스터와 관련한 전문가를 균형발전위원회 위촉위원으로 위촉

중앙정부-지자체 간 방위산업 협의체 신설

· (단기) ‘중앙정부-지자체 간 방위산업 협의체(가칭)’ 신설 또는 새로 신설되는 ‘방위사업협의회’에 지자체의 참여 보장

산학연 협력체제활성화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 조례 마련

· (단기)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 마련 필요

대학 및 정출연의 국방 연구개발 활성화

· (중장기) 지자체 클러스터 내 대학 및 정출연의 국방 연구개발 활성화 필요

· (중장기) 이를 위한 응용/시험개발 등 시제품 수준의 개발 보장 등 규제 개선과 국방핵심기술개발 예산 증액 필요

클러스터 내 기술이전센터/창업보육센터 신설

· (중장기) 대학, 연구소, 기업이 국방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기술이전센터, 창업보육센터 확대

지자체-군간 네트워크 강화

지자체-군간 클러스터 협의체 신설

· (단기) 창원, 논산, 대전 등 주요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정기적으로 의견을 교환하고 소통할 수 있는 ‘지자체-군간 클러스터 협의체’ 신설

클러스터 관련 인프라 구축 및 규제 해소

방위산업의 진입장벽 완화를 위한 제도 개선

· (중장기) 방산물자 지정과 방산원가 보상을 전략비닉 품목에 한정하여 단계별로 축소

· (중장기) 1,400여개 방산물자에 대해 일정 준비기간을 부여 후, 방산물자 지정을 해제하는 ‘방산물자 일몰제’ 도입 검토

· (중장기) 독과점제도 축소에 따른 기업의 초기 반발은 무기개발 초기단계 ROC(작전요구성능) 설정 시 수출을 고려한 개발방식, 진화적 개발방식을 통해 개발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산학연군간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군사보안 완화

· (단기) 정부를 중심으로 과거 정보공개가 제약되는 무기개발 계획, 부품국산화 등 관련정보에 대한 일반본(public use)을 확대

· (단기) 관련 정보에 대해 관련 방산업체 및 연구소, 기관의 일정 담당자들에게 정보 접근권한(Access)을 부여

국방기술 소유권의 과감한 민간이양

· (단기) 국방기술 소유권의 과감한 민간이양· (단기) 공동 R&D사업 계약 시 소유권 활용을 일정기간으로 제약하는

내용 삭제 필요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통계 구축

· (단기) 정부와 지자체에서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방위 및 관련산업 통계 구축

· (중장기) 관련 기본계획에 통계 구축을 포함시켜 중장기적으로 관련통계 확보

Page 13: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772|1|2019... · 7) 오클라호마주 Career Tech Center 담당자

2 0 1 9 0 6 51

산 업 경 제 분 석

의 중장기적이고 일관성있는 방위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통령 직속 ‘

균형발전위원회’ 내에 방위산업 분과를 포함시켜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13)

셋째, 클러스터 내 산학연 협력체제를 보다 활

성화해야 할 것이다. 주요 지자체를 중심으로 방

위산업 육성과 관련한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 조

례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내 군 부대/

기지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지자

체 내 군 대상 협력사업을 발굴함과 아울러, 지

자체-군 간 클러스터 협의체를 신설하여 선진국

수준의 국방사업 계약과 우수전역자 유치, 군 기

지 내 소요시설/장비에 대한 아웃소싱 확대를 통

해 협력관계를 강화해야 한다.

13) 현재 방위산업 클러스터와 관련한 주무부처인 국방부 장관과 방위사업

청 장관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당연직 위원 15명 명단에서 제외되어

있는 실정이다. 향후 우리나라도 국가 최고의 클러스터 컨트롤 타워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내에 방위산업 클러스터 주무부처 장관인 국방부

장관(또는 방위사업청장)을 당연직 위원으로 포함시키고, 관련 전문가

도 위촉위원으로 위촉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

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규제 해소에 역량을 집중

해 나가야 할 것이다. 방산물자 지정 등 각종 진입

장벽 완화를 통해 우수한 기술력 보유기업들이 방

위 및 항공우주, 항공 MRO, 전력지원체계 산업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성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

이다. 단기적으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

한 핵심 요소이자, 국내의 국방관련 기술들의 민

간분야 이전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국방기술 소유권의 과감한 민간 이양과 더

불어, 공동 R&D사업 계약 시 소유권 활용을 일정

기간으로 제약하는 내용을 삭제하는 방안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산학연 간 네트워크

(협력)를 활성화시켜 기업 간, 산학연 간 R&D 시

너지 효과를 창출,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육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하

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 세금으로 개발

된 첨단 국방기술들이 새로운 기술개발과 시장창

출, 일자리 확대와 연계해야 할 것이다.

송재필방위산업연구센터·연구원

[email protected] / 044-287-3221<주요 저서>

•주요국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분석과 시사점(2018, 공저)

장원준방위산업연구센터·연구위원

[email protected] / 044-287-3284<주요 저서>

•주요국 방위 및 관련산업 클러스터 분석과 시사점(2018, 공저)•국방 연구개발체제의 환경변화와 발전과제(2016,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