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경희의학 : 29 권 제 1 J Kyung Hee Univ Med Cent : Vol. 29, No. 1, 2014 - 26 -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근로자들을 중심으로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직업환경의학과 책임저자: 임신예,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직업환경의학과 Tel: +82-2-958-9439, Fax: +82-2-958-8708 E-mail: [email protected] 남성과 여성은 생리적으로, 독성학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직업환경의학 측면 에서 관찰해 보았을 때에도 남성 근로자들과 여성 근 로자들은 서로가 다른 직종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은 직장에서도 다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대에 들 어 여성들의 사회적 참여는 증가하고 있으나 남녀 간 취업률 및 고용형태 등에서 불평등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객관적으로 제시해주는 지표들 이 제시되고 있는데, 국제연합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에서는 1995년부터 성권 한척도(Gender Empowerment Measure, GEM)와 남녀평 등지수(Gender Development Index, GDI)를 매년 발표 하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세계 성격차지수 (Gender Gap Index, GGI)를 발표하고 있다.(1) 우리나 라에서도 여성발전기본법에서 향후 시행될 정책이 여 성의 권익과 사회참여 등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고, 양성평등기본법에서는 인적 통계를 성별 로 구분한 성인지 통계를 산출하고, 국가의 성평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국가성평등지수를 개발하도 록 하는 등 우리나라 정책에서 남녀 평등이념을 실현 하기 위한 방안들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여성근로자들의 건강 수준 현황 및 건강 위 험요인들을 직업환경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들 에서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 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전체 여성들에 관한 통계들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여성근 로자들을 중심으로 작업현장에서 노출되고 있는 중요 한 건강 위해요인들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이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영향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 수준 현황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의 건강 현황을 살펴보기 에 앞서 우리나라 전체 여성들의 삶과 건강수준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2013년 우리나라 여성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로 20136월 통계청에서 발표 2013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내용을 정리해 보 았다.(2) 우리나라 여성 총 인구는 25,087,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50.0%를 차지하며, 연령별 인구 규모는 60세 이상 인구 분율이 19.3%로 가장 높고, 이 연령 대의 분율은 증가 추세이다(Table 1). 여성 가구주의 비율은 27.4%로 계속 증가 중에 있으며, 맞벌이 가 구는 43.5%이르고 있다. 우리나라 여성 중 경제활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경희의학 제 29 권 제1 호 특 집

J Kyung Hee Univ Med Cent Vol 29 No 1 2014

- 26 -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근로자들을 중심으로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임 신

경희 학교 의학 문 학원 직업환경의학과

책임저자 임신 경희 학교 의학 문 학원 직업환경의학과

Tel +82-2-958-9439 Fax +82-2-958-8708

E-mail drforestkhuackr

서 론

남성과 여성은 생리 으로 독성학 으로 그리고

사회 으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직업환경의학 측면

에서 찰해 보았을 때에도 남성 근로자들과 여성 근

로자들은 서로가 다른 직종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같

은 직장에서도 다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에 들

어 여성들의 사회 참여는 증가하고 있으나 남녀 간

취업률 고용형태 등에서 불평등 상이 찰되고

있다 이러한 상을 객 으로 제시해주는 지표들

이 제시되고 있는데 국제연합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에서는 1995년부터 성권

한척도(Gender Empowerment Measure GEM)와 남녀평

등지수(Gender Development Index GDI)를 매년 발표

하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세계 성격차지수

(Gender Gap Index GGI)를 발표하고 있다(1) 우리나

라에서도 여성발 기본법에서 향후 시행될 정책이 여

성의 권익과 사회참여 등에 미칠 향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고 양성평등기본법에서는 인 통계를 성별

로 구분한 ldquo성인지 통계rdquo를 산출하고 국가의 성평등

수 을 측정할 수 있는 ldquo국가성평등지수rdquo를 개발하도

록 하는 등 우리나라 정책에서 남녀 평등이념을 실

하기 한 방안들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여성근로자들의 건강 수 황 건강

험요인들을 직업환경의학 에서 살펴보고 이들

에서의 질병 방 건강증진을 한 방법을 제시하

는 것은 매우 요하다 이를 해 먼 우리나라 체

여성들에 한 통계들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여성근

로자들을 심으로 작업 장에서 노출되고 있는 요

한 건강 해요인들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이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 향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 수 황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의 건강 황을 살펴보기

에 앞서 우리나라 체 여성들의 삶과 건강수 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2013년 우리나라 여성에

한 기본 인 자료로 2013년 6월 통계청에서 발표

한 9851722013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985173 내용을 정리해 보

았다(2) 우리나라 여성 총 인구는 25087000명으로

체 인구의 500를 차지하며 연령별 인구 규모는

60세 이상 인구 분율이 193로 가장 높고 이 연령

의 분율은 증가 추세이다(Table 1) 여성 가구주의

비율은 274로 계속 증가 에 있으며 맞벌이 가

구는 435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 여성 경제활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27 -

Table 1 Number and Proportion of Women by Age Group

Total

(n ())0-9 years 10-19 years 20-29 years 30-39 years 40-49 years 50-59 years 60 years and over

25087000 2217000 2916000 3195000 3856000 4196000 3858000 4848000

1000 88 116 127 154 167 154 193

Table 2 Proportion of Employment Status by Gender

Wage and salary workers 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Daily workers

Female 740 387 283 70

Male 702 494 144 63

1st 2nd 3rd 4th

Female

Professionals and related

workers

Clerks Service workers Elementary workers

211 188 163 163

Male

Professionals and related

workers

Equipment machine

operating and assembling

workers

Clerks Elementary workers

182 174 150 106

Table 3 Proportion of Occupation by Gender

동인구는 10609000명(499)으로 남자에서의

733에 비해 낮다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을 보면 특징 으로 M자 패턴이 찰되는데 25~29세에서 716로 가장 높고 이후 감소하다가 45~49세에서 677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이다 이러한

상이 찰되는 이유는 여성들이 결혼 육아 임신

출산 자녀교육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 되기 때문

이며 실제 15~54세 기혼여성 경력단 여성 비

율은 203이다 여성의 학진학률은 743로 남성

에서의 686에 비해 높다 그러나 직장에서의 임

은 성별 차이가 있어 여성은 남성의 680에 해당

하는 임 을 받는다 우리나라 여성의 교육정도별

경제활동참가율 취업자 구성비를 살펴보면 졸

이상에서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높아서 639로

남자들에서의 895에 비해 낮다 우리나라 5인 이

상 사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여성 근로자들의 월평균

임 은 1958000원이다 종사상지 는 크게 임 근

로자(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와 비임

근로자(자 업자 무 가족종사자)로 구분된다 우리

나라 여성 취업자들의 종사상지 별 구성비를 보면

특징 으로 남성 근로자들에 비해 임시 일용직의

비율이 높다(Table 2)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여성들

은 직무불안정의 험이 높고 임 이 낮으며 작업

안 보건장치의 보호를 받지 못할 험이 더욱

높게 된다 2003년 자료를 보면 여성 근로자들이 주

로 종사하는 직종으로는 서비스 종사자(198)

매종사자(167) 문 기술 middot행정 리직(166) 사

무종사자(163) 순이었으나(3) 2012년에는 1 가

문가 련 종사자로 211가 차지하 다(Table

3)(2)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 수 황을 알아보기 해

련 주요 지표들을 정리하여 발표한 985172한국여성의

건강통계985173 결과를 정리 요약하 다(Table 4)(4) 여기

에 제시된 수치는 국민건강 양조사 2001년 2005년

2007~2009년 조사 자료를 19세 이상 성인들을 상

으로 하여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이다

여기에서는 2007~2009년 자료 여성 련 자료만

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부분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28 -

unit

    2001 2007-2009

Total 19-24 25-44 45-64 65- Total 19-24 25-44 45-64 65-

Current smoking rate1) Female 52 47 35 46 136 69 116 73 46 67

Male 609 562 694 569 420 469 469 552 417 276

Prevalence of obesity2) Female 274 106 211 425 364 257 122 190 354 404

Male 318 209 357 331 240 357 246 384 408 227

Prevalence of total psychiatric

disorder3)

Female 152         161        Male 228         163        

Prevalence of dysthymic

disorder4)

Female 36         48        Male 09         23        

Prevalence of anxiety disorder5) Female 95         100        Male 28         37        

Experience rate of depressed

symptoms6)

Female 108 94 56 143 245 183 190 145 201 280

Male 62 17 34 69 196 97 87 81 112 126

Stress perception rate7) Female 346 405 333 350 339 322 420 332 273 313

Male 342 261 404 315 251 269 214 329 238 170

Suicidal ideation rate8) Female 227 288 183 243 307 209 223 165 205 384

Male 146 142 131 136 230 106 95 86 115 170

Attempted Suicide rate9) Female 36 44 41 34 20 63 54 62 62 62

Male 76 174 78 51 29 61 38 60 59 82

Health check-up rate10) Female 422 316 407 524 353 451 165 392 636 469

Male 534 357 551 596 514 527 161 525 642 586

    2005 2007-2009

Drinking rate per month11) Female 369 586 418 293 156 436 635 507 363 150

Male 726 790 783 701 523 749 760 798 748 539

High risk drinking rate12) Female           74 116 84 66 18

Male           260 204 280 295 160

Physical inactivity rate13) Female 361 387 364 301 479 471 385 483 458 542

Male 284 241 256 296 376 366 214 374 394 405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over rate14)

Female 261 182 283 307 130 230 196 221 278 165

Male 333 281 339 369 274 273 339 266 284 204

1) Lifetime smoke over 5 packs and currently smoking rate 2) Body Mass Index ge 25kgm2 3) Proportion of schizophrenia schizophreniform

disorder delusion schizoaffective disorders brief psychotic disorder etc 4) Proportion of bipolar disorder dysthymic disorder depression

5) Proportion of obsessive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panic disorders agoraphobia social phobia specific phobia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6) Proportion of people with depressed or sad mood with difficulty in everyday life continuously over

2 weeks in previous year 7) Proportion of very highly or highly stressed people in everyday life 8) Proportion of people who had

intention of dying in previous year 9) Proportion of people who attempted suicide in previous year 10) Proportion of people who

took health check-up in last 2 years 11) Proportion of people who drank over once a month in previous year 12) Proportion of over

7 cups (5 cups in female) in one time and drink over 2 times a week among drinkers(people who drank over once a month in

previous year) 13) Proportion of people who exercised vigorous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less than one time a week or who

do not walk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30 minutes per day and over 5 days per week) 14)

Proportion of people who

exercised vigorous physical activity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20 minutes per day and over 3 days per week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30 minutes per day and over 5 days per week in previous week

Table 4 Prevalence rates of health status indicators by year and gender

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재 흡연율은 69이며 체

질량지수 25 kgm2으로 기 으로 한 비만율은 257

다 월간 음주율은 436 고 연간음주자 1회

평균 음주량이 5잔 이상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

율인 고 험음주율은 74 다 신체활동부족률은

471 으며 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30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29 -

다 사회에 들어 요도가 더욱 커지는 정신

건강 련 지표들을 보면 모든 정신장애 유병률은

161 기분장애 유병률은 48 불안장애 유병률은

100로 2001년 조사 결과에 비해 증가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유해인자들

1 감정 노동

최근 우리 사회에서 감정 노동이 주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산업구조가 과거 제조업 심에서

에 와서 서비스 산업 심으로 변화되면서 이와 동

반하여 감정 노동이 주요한 유해인자임이 인식되었

다 감정 노동이란 고객에게 친 한 노동행 뿐 아

니라 생산성 향상을 해 ldquo근로자 자신의 감정을 만

들어 내기 해 리하는 목 의식 인 감정 활동rdquo

이다(5) 여성들이 주로 종사하는 업종에서 감정 노

동이 문제가 되며 매업 융업 호텔 스토

랑 등 서비스업 항공기 승무원 등이다 감정 노동

노출과 련이 있다고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소

진 우울증 신체 증상 직무 만족도 등이다 향후 후

속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 맥락에 합한

감정 노동 측정 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직업

장에서 감정 노동을 감소시키기 한 효과 인

방 책 마련을 한 기본 연구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2 직무스트 스

선진국의 업무상 질병에서 정신심리학 문제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요한 기 하나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직무스트 스이다 직

무스트 스를 설명하는 주요한 모형으로 1970년

카라섹이 직무스트 스 모형(Demand-Control model)

을 제시하 다(6) 이 모형에서는 직무요구도와 직무

통제력을 조합하여 직무스트 스군을 구분하며 직

무요구도가 높고 직무통제력이 낮은 집단은 고진장

군(high strain group)이며 이들에서 정신심리 문제

신체 질병의 험이 높아진다 이 모형에서는 직

무스트 스 측정 도구로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를 용하 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반 심있는 연구자들

이 모여 한국인 직무 스트 스 측정도구(Korean Oc-

cupational Stress Scale KOSS)를 개발하 다(7) 이

도구의 기본형은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 직장문

화의 8 역에 해 43문항의 질문으로 이루어져있

다 이 24문항을 선택하여 단축형으로 구성하여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직무스트 스와 련

된 것으로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심 계질환 정

신건강 근골격계질환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병원

근로자 소방 공무원 은행원 제조업 근로자 등의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들을 상으로 직무스트 스

정도 질환과의 련성을 분석한 연구가 수행되었

다 여성들이 부분인 병원 간호사들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 직무스트 스와 사회심리 스트 스

를 비교한 결과 체 으로 직무스트 스가 높은 군

에서 사회심리 스트 스의 험도 높았으며 직무

스트 스 하 역별로는 낮은 직무 자율군 높은

계갈등군 조직체계 문제군 보상 부 군 직장

문화 문제군 등에서 유의하게 사회심리 스트 스

고 험군의 비율이 높았다(8)

3 인간공학 험 등 근골격계질환 험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표 인 험요인 하

나가 인간공학 험이다 인간공학 험요인의

요소들로는 부 한 작업자세 량물 취 반복작

업 힘 진동 정 인 자세 육체 부담 등이다 우리나

라에서 법으로 정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기 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 ldquo업무상 질병에

한 구체 인 인정 기 rdquo ldquo가 업무에 종사한 기간

과 시간 업무의 양과 강도 업무수행 자세와 속도 업

무수행 장소의 구조 등이 근골격계에 부담을 주는 업

무로서 반복 동작이 많은 업무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업무 부 한 자세를 유지하는 업무 진동 작

업 그 밖에 특정 신체 부 에 부담되는 상태에서 하는

업무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0 -

근로자의 팔 다리 는 허리 부분에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rdquo

라고 정하고 있다(9) 한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1-38호 ldquo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 rdquo에서 하루에 4

시간 이상 집 으로 자료입력 등을 해 키보드

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 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등 11가

지를 규정하고 있다(10)

이러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은 어떤 하나의

험인자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보다는 개인 인 소

인 작업과 련된 요인들 사회심리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11) 남성 근로자들과

여성 근로자들에서 발생하는 작업 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장 내 발생 원인은 그들이 작업하는 환

경의 차이 때문이며 일반 으로 작업장의 설계가

남성 근로자를 기 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여성근로

자들에게는 하지 못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는

여성들은 주로 상지(손목 손 어깨 등)를 반복으

로 사용하는 일을 많이 하는 등이 원인으로 제시

되고 있다

4 교 근무

교 근무란 일반 으로 근무시간이 오 6~7시부

터 오후 6시 이외의 시간에 일하는 모든 종류의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12) 그 규모는 2010년 유럽 34개국에

서 조사한 결과 17이며 야간 근무(밤 10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 어도 2시간 이상 근무)는 유럽 연합 27개

국에서 19 근로자들이 수행하고 있다(13) 교 근무

율은 역별로 달라서 여성들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

역은 35 이상의 근로자들이 교 근무를 수행하며

호텔과 스토랑 종사 근로자들은 30 제조업은

26 운송 통신 역에서는 근로자들의 24가 수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우리나라는 2010년 ldquo취

업자 근로환경조사rdquo 결과에 따르면 교 근무율은

109이고 장치 기계조작 조립종사자들(243)과

서비스 종사자(136)들에서 높고 규칙 2교 근무

형태가 386로 가장 많았다(15)

교 근무를 하게 되면 불규칙한 근무 시간으로 인

해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근로자들은 스트 스를 받게 된다 한 생리

으로 밤에 잠을 자는 것이 정상인데 근무로 인해

낮에 잠을 자고 밤에 밝은 빛 아래에서 일을 하게

되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

하게 되며 이로 인한 건강 향이 나타나게 된다 여

러 역학연구들에서 비교 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

는 교 근무와 련된 건강 향들로는 수면장애 업

무상 손상 사고 우울증 뇌 질환(뇌경색)

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 질환 유방암 등이

다(16)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3월부터 야간근로를

포함한 교 근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을 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제도를 시작하 다

5 장시간 근무

우리나라가 36개 OECD 국가들 에서 근로자 일

인의 연간 근로시간이 2007년까지 1 로 가장 장시

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8년부터 2013년

까지는 멕시코에 이어 2 를 차지하고 있다(17)

2007년 자료를 보면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99시간인 반면 우리나라는 2306시간이었으며

2013년에는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70시간

우리나라는 2163시간 멕시코는 2237시간이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간근로시간은 매년 조 씩

감소하여 2003년에는 2424시간에서 2013년에는

2163으로 261시간이 어들었다

성별 근무시간에 한 자료를 OECD 통계 통

계청에서 검색하려고 하 으나 공개되지 않은 자료

로 구할 수가 없었다 안으로 통계청에서 성별 주

당 근무시간을 2006년 2010년 2011년 자료가 제공

이 되어 그림으로 재구성해보았다(Fig 1)(18) 우리

나라 여성 근로자들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은 2006년 527에서 2010년 479로 약간 감

소하 다가 2011년 540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이 남자

는 18가 증가하 으며 여자는 13 증가하 다

남녀 간의 차이는 2006년 102에서 2011년 107

로 약간 증가하고 있다 체 근무시간의 범 가 제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1 -

Fig 1 Work hours per week by gender and year

공되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지만 부분의 가사 노

동을 담당해야 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반이 넘으며 이러한 분율이

남자와의 차이가 10 정도인 은 우리나라 여성들

이 상당한 정도의 장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9월 서울시 일개 지역 소재 사업장에 근무

하는 5000여명의 여성 근로자들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율은 118 으

며 특히 매직의 경우 453로 장시간 근무가 심각

하 다 연령별로는 40~49세군이 198로 가장 많

았으며 그 다음이 50세 이상군으로 187 다 20

~30 군에 비해 오히려 나이가 많은 군에서 더 장

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인 특성별로는 고졸군에서 자녀와만 거주하는 경

우 가구 수입의 23 이상 부담하는 경우 사업장 규

모가 5인 미만에 근무하는 경우 종사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인 경우에 유의하

게 장시간 근무율이 높았다(19) 장시간 근로로 인한

건강 향을 조사한 역학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작

업 련 손상의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이 넘어

가는 경우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2배 정도 상승하

으며 심 질환의 경우 하루 11시간 이상 혹은 주

당 52sim60시간 정도 근무하게 되면 심근경색 등

상동맥질환 발병 험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면장애의 경우는 주당 55시간 이상

근무 시 수면시간 단축 324배 입면 장애 666배 조

기 각성 험 223배 높아졌다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13sim17배 정도 증가하며 지속

으로 주 45시간 이상 근무 시 사망 험이 약 2배

정도 증가하 다(20)

6 다 역할

여성의 건강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으로 여

성은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다 가정에

서 부인으로서(marital role)의 역할과 어머니로서(pa-

rental role)의 역할이 있으며 직장에서는 근로자로서

(work role)의 역할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역

할에 따른 건강 수 의 차이를 찰하기 해 2005

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25~59세 여성들을

상으로 다 역할에 따른 건강 향(주 건강

상태 스트 스 인지 우울증 경험)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1) 고 인 여

성의 역할은 주부로서 이 역할(maritalparental)을 수

행하며 의 기혼 직장 여성은 삼 역할(marital

parental work)을 수행한다 이 건강 향이 가장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2 -

좋지 않은 군은 어머니로서의 역할만(single mother)

을 수행하는 군이었으며 사회경제 상태(교육수

가구 수입)가 낮은 군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9851722009년 생활시간조사985173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벌이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2시간 38분이고 맞벌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24

분으로 여성이 66배 가사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4시간 11분이고 외벌

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19분으로 132배 다 맞

벌이 남편은 외벌이 남편에 비해 5분 더 가사에 시

간을 사용하 으며 이는 2004년 조사 때의 결과와

같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은 직장에

서 육체 정신 인 부담을 갖고 근무하다가 가정

에 돌아와서는 가사를 담해야 하는 불평등 상황

휴식시간 부족의 건강 험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한 2012년 985172사회통계조사985173 결과에서 취업자 남편

이 ldquo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rdquo한다는 비율은 155

에 불과하 다(23)

7 건강 리 소홀

우리나라 여성들이 흡연율과 음주율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지만 신체활동부족률 건강검진 수

진율 등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아 건강 리를 잘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신체활

동부족은 체 증가와도 연결되는 요한 건강 험

요인이다 2005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부족군(격렬한 신체활동이나 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일도 실천하지 않았고 1회 10

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걷기를 실천

하지 않은 분율)은 남자에서 284 여자에서 361

으며 2007~2009년 조사에서는 남자에서 366

여자에서 471로 여자에서 신체활동부족률이 더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률(최근 2년 동안 건강을

해 건강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1년 자료에서 남자

에서 534 여자에서 422 으며 2007~2009년

자료에서는 남자에서 527 여자에서 451로 여자

에서 건강검진 수검률이 더 낮았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문제

1 주 평가 건강상태

많은 역학연구들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해

하나의 질문으로 상자들의 건강을 측정한 결과들

이 분석되어왔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도 ldquo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rdquo라고 질문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5가지 에서 응답하게 하며 이 매우 좋

음과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ldquo주 건

강인지율rdquo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2007년까지

실시한 「사회통계조사(Social Statistics Survey)」 (2008

년부터 「사회조사(Social Survey)」로 이름이 변경)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노동패

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등에서 조사하고 있다

2001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25~64세를

상으로 조사한 주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

환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주 건강상태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좋지 않았

으며 나이가 많은 군(45~64세)에서 남녀 간의 건강

불평등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 다(24) 만성 질병 유

병상태를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의 분

율은 연령 보정한 후 남자에서는 85 여자에서

201 으며 정신 행동장애의 분율은 연령 보정

후 남자에서 16 여자에서 39로 유의하게 여자

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들에서 높은 불건강 유병

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사회-구조 인 요

인들(교육수 고용상태 가구 수입 결혼 상태 등)

로 나타났다

1995 1999 2003 2006년에 조사된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25~64세 근로자들에서 문직

고용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추이를

악한 연구결과 문직에서는 1997년의 경제 기

이후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수 이 건강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2: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27 -

Table 1 Number and Proportion of Women by Age Group

Total

(n ())0-9 years 10-19 years 20-29 years 30-39 years 40-49 years 50-59 years 60 years and over

25087000 2217000 2916000 3195000 3856000 4196000 3858000 4848000

1000 88 116 127 154 167 154 193

Table 2 Proportion of Employment Status by Gender

Wage and salary workers 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Daily workers

Female 740 387 283 70

Male 702 494 144 63

1st 2nd 3rd 4th

Female

Professionals and related

workers

Clerks Service workers Elementary workers

211 188 163 163

Male

Professionals and related

workers

Equipment machine

operating and assembling

workers

Clerks Elementary workers

182 174 150 106

Table 3 Proportion of Occupation by Gender

동인구는 10609000명(499)으로 남자에서의

733에 비해 낮다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을 보면 특징 으로 M자 패턴이 찰되는데 25~29세에서 716로 가장 높고 이후 감소하다가 45~49세에서 677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이다 이러한

상이 찰되는 이유는 여성들이 결혼 육아 임신

출산 자녀교육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 되기 때문

이며 실제 15~54세 기혼여성 경력단 여성 비

율은 203이다 여성의 학진학률은 743로 남성

에서의 686에 비해 높다 그러나 직장에서의 임

은 성별 차이가 있어 여성은 남성의 680에 해당

하는 임 을 받는다 우리나라 여성의 교육정도별

경제활동참가율 취업자 구성비를 살펴보면 졸

이상에서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높아서 639로

남자들에서의 895에 비해 낮다 우리나라 5인 이

상 사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여성 근로자들의 월평균

임 은 1958000원이다 종사상지 는 크게 임 근

로자(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와 비임

근로자(자 업자 무 가족종사자)로 구분된다 우리

나라 여성 취업자들의 종사상지 별 구성비를 보면

특징 으로 남성 근로자들에 비해 임시 일용직의

비율이 높다(Table 2)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여성들

은 직무불안정의 험이 높고 임 이 낮으며 작업

안 보건장치의 보호를 받지 못할 험이 더욱

높게 된다 2003년 자료를 보면 여성 근로자들이 주

로 종사하는 직종으로는 서비스 종사자(198)

매종사자(167) 문 기술 middot행정 리직(166) 사

무종사자(163) 순이었으나(3) 2012년에는 1 가

문가 련 종사자로 211가 차지하 다(Table

3)(2)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 수 황을 알아보기 해

련 주요 지표들을 정리하여 발표한 985172한국여성의

건강통계985173 결과를 정리 요약하 다(Table 4)(4) 여기

에 제시된 수치는 국민건강 양조사 2001년 2005년

2007~2009년 조사 자료를 19세 이상 성인들을 상

으로 하여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이다

여기에서는 2007~2009년 자료 여성 련 자료만

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부분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28 -

unit

    2001 2007-2009

Total 19-24 25-44 45-64 65- Total 19-24 25-44 45-64 65-

Current smoking rate1) Female 52 47 35 46 136 69 116 73 46 67

Male 609 562 694 569 420 469 469 552 417 276

Prevalence of obesity2) Female 274 106 211 425 364 257 122 190 354 404

Male 318 209 357 331 240 357 246 384 408 227

Prevalence of total psychiatric

disorder3)

Female 152         161        Male 228         163        

Prevalence of dysthymic

disorder4)

Female 36         48        Male 09         23        

Prevalence of anxiety disorder5) Female 95         100        Male 28         37        

Experience rate of depressed

symptoms6)

Female 108 94 56 143 245 183 190 145 201 280

Male 62 17 34 69 196 97 87 81 112 126

Stress perception rate7) Female 346 405 333 350 339 322 420 332 273 313

Male 342 261 404 315 251 269 214 329 238 170

Suicidal ideation rate8) Female 227 288 183 243 307 209 223 165 205 384

Male 146 142 131 136 230 106 95 86 115 170

Attempted Suicide rate9) Female 36 44 41 34 20 63 54 62 62 62

Male 76 174 78 51 29 61 38 60 59 82

Health check-up rate10) Female 422 316 407 524 353 451 165 392 636 469

Male 534 357 551 596 514 527 161 525 642 586

    2005 2007-2009

Drinking rate per month11) Female 369 586 418 293 156 436 635 507 363 150

Male 726 790 783 701 523 749 760 798 748 539

High risk drinking rate12) Female           74 116 84 66 18

Male           260 204 280 295 160

Physical inactivity rate13) Female 361 387 364 301 479 471 385 483 458 542

Male 284 241 256 296 376 366 214 374 394 405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over rate14)

Female 261 182 283 307 130 230 196 221 278 165

Male 333 281 339 369 274 273 339 266 284 204

1) Lifetime smoke over 5 packs and currently smoking rate 2) Body Mass Index ge 25kgm2 3) Proportion of schizophrenia schizophreniform

disorder delusion schizoaffective disorders brief psychotic disorder etc 4) Proportion of bipolar disorder dysthymic disorder depression

5) Proportion of obsessive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panic disorders agoraphobia social phobia specific phobia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6) Proportion of people with depressed or sad mood with difficulty in everyday life continuously over

2 weeks in previous year 7) Proportion of very highly or highly stressed people in everyday life 8) Proportion of people who had

intention of dying in previous year 9) Proportion of people who attempted suicide in previous year 10) Proportion of people who

took health check-up in last 2 years 11) Proportion of people who drank over once a month in previous year 12) Proportion of over

7 cups (5 cups in female) in one time and drink over 2 times a week among drinkers(people who drank over once a month in

previous year) 13) Proportion of people who exercised vigorous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less than one time a week or who

do not walk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30 minutes per day and over 5 days per week) 14)

Proportion of people who

exercised vigorous physical activity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20 minutes per day and over 3 days per week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30 minutes per day and over 5 days per week in previous week

Table 4 Prevalence rates of health status indicators by year and gender

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재 흡연율은 69이며 체

질량지수 25 kgm2으로 기 으로 한 비만율은 257

다 월간 음주율은 436 고 연간음주자 1회

평균 음주량이 5잔 이상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

율인 고 험음주율은 74 다 신체활동부족률은

471 으며 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30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29 -

다 사회에 들어 요도가 더욱 커지는 정신

건강 련 지표들을 보면 모든 정신장애 유병률은

161 기분장애 유병률은 48 불안장애 유병률은

100로 2001년 조사 결과에 비해 증가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유해인자들

1 감정 노동

최근 우리 사회에서 감정 노동이 주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산업구조가 과거 제조업 심에서

에 와서 서비스 산업 심으로 변화되면서 이와 동

반하여 감정 노동이 주요한 유해인자임이 인식되었

다 감정 노동이란 고객에게 친 한 노동행 뿐 아

니라 생산성 향상을 해 ldquo근로자 자신의 감정을 만

들어 내기 해 리하는 목 의식 인 감정 활동rdquo

이다(5) 여성들이 주로 종사하는 업종에서 감정 노

동이 문제가 되며 매업 융업 호텔 스토

랑 등 서비스업 항공기 승무원 등이다 감정 노동

노출과 련이 있다고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소

진 우울증 신체 증상 직무 만족도 등이다 향후 후

속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 맥락에 합한

감정 노동 측정 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직업

장에서 감정 노동을 감소시키기 한 효과 인

방 책 마련을 한 기본 연구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2 직무스트 스

선진국의 업무상 질병에서 정신심리학 문제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요한 기 하나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직무스트 스이다 직

무스트 스를 설명하는 주요한 모형으로 1970년

카라섹이 직무스트 스 모형(Demand-Control model)

을 제시하 다(6) 이 모형에서는 직무요구도와 직무

통제력을 조합하여 직무스트 스군을 구분하며 직

무요구도가 높고 직무통제력이 낮은 집단은 고진장

군(high strain group)이며 이들에서 정신심리 문제

신체 질병의 험이 높아진다 이 모형에서는 직

무스트 스 측정 도구로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를 용하 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반 심있는 연구자들

이 모여 한국인 직무 스트 스 측정도구(Korean Oc-

cupational Stress Scale KOSS)를 개발하 다(7) 이

도구의 기본형은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 직장문

화의 8 역에 해 43문항의 질문으로 이루어져있

다 이 24문항을 선택하여 단축형으로 구성하여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직무스트 스와 련

된 것으로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심 계질환 정

신건강 근골격계질환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병원

근로자 소방 공무원 은행원 제조업 근로자 등의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들을 상으로 직무스트 스

정도 질환과의 련성을 분석한 연구가 수행되었

다 여성들이 부분인 병원 간호사들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 직무스트 스와 사회심리 스트 스

를 비교한 결과 체 으로 직무스트 스가 높은 군

에서 사회심리 스트 스의 험도 높았으며 직무

스트 스 하 역별로는 낮은 직무 자율군 높은

계갈등군 조직체계 문제군 보상 부 군 직장

문화 문제군 등에서 유의하게 사회심리 스트 스

고 험군의 비율이 높았다(8)

3 인간공학 험 등 근골격계질환 험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표 인 험요인 하

나가 인간공학 험이다 인간공학 험요인의

요소들로는 부 한 작업자세 량물 취 반복작

업 힘 진동 정 인 자세 육체 부담 등이다 우리나

라에서 법으로 정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기 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 ldquo업무상 질병에

한 구체 인 인정 기 rdquo ldquo가 업무에 종사한 기간

과 시간 업무의 양과 강도 업무수행 자세와 속도 업

무수행 장소의 구조 등이 근골격계에 부담을 주는 업

무로서 반복 동작이 많은 업무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업무 부 한 자세를 유지하는 업무 진동 작

업 그 밖에 특정 신체 부 에 부담되는 상태에서 하는

업무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0 -

근로자의 팔 다리 는 허리 부분에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rdquo

라고 정하고 있다(9) 한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1-38호 ldquo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 rdquo에서 하루에 4

시간 이상 집 으로 자료입력 등을 해 키보드

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 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등 11가

지를 규정하고 있다(10)

이러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은 어떤 하나의

험인자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보다는 개인 인 소

인 작업과 련된 요인들 사회심리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11) 남성 근로자들과

여성 근로자들에서 발생하는 작업 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장 내 발생 원인은 그들이 작업하는 환

경의 차이 때문이며 일반 으로 작업장의 설계가

남성 근로자를 기 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여성근로

자들에게는 하지 못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는

여성들은 주로 상지(손목 손 어깨 등)를 반복으

로 사용하는 일을 많이 하는 등이 원인으로 제시

되고 있다

4 교 근무

교 근무란 일반 으로 근무시간이 오 6~7시부

터 오후 6시 이외의 시간에 일하는 모든 종류의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12) 그 규모는 2010년 유럽 34개국에

서 조사한 결과 17이며 야간 근무(밤 10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 어도 2시간 이상 근무)는 유럽 연합 27개

국에서 19 근로자들이 수행하고 있다(13) 교 근무

율은 역별로 달라서 여성들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

역은 35 이상의 근로자들이 교 근무를 수행하며

호텔과 스토랑 종사 근로자들은 30 제조업은

26 운송 통신 역에서는 근로자들의 24가 수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우리나라는 2010년 ldquo취

업자 근로환경조사rdquo 결과에 따르면 교 근무율은

109이고 장치 기계조작 조립종사자들(243)과

서비스 종사자(136)들에서 높고 규칙 2교 근무

형태가 386로 가장 많았다(15)

교 근무를 하게 되면 불규칙한 근무 시간으로 인

해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근로자들은 스트 스를 받게 된다 한 생리

으로 밤에 잠을 자는 것이 정상인데 근무로 인해

낮에 잠을 자고 밤에 밝은 빛 아래에서 일을 하게

되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

하게 되며 이로 인한 건강 향이 나타나게 된다 여

러 역학연구들에서 비교 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

는 교 근무와 련된 건강 향들로는 수면장애 업

무상 손상 사고 우울증 뇌 질환(뇌경색)

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 질환 유방암 등이

다(16)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3월부터 야간근로를

포함한 교 근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을 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제도를 시작하 다

5 장시간 근무

우리나라가 36개 OECD 국가들 에서 근로자 일

인의 연간 근로시간이 2007년까지 1 로 가장 장시

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8년부터 2013년

까지는 멕시코에 이어 2 를 차지하고 있다(17)

2007년 자료를 보면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99시간인 반면 우리나라는 2306시간이었으며

2013년에는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70시간

우리나라는 2163시간 멕시코는 2237시간이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간근로시간은 매년 조 씩

감소하여 2003년에는 2424시간에서 2013년에는

2163으로 261시간이 어들었다

성별 근무시간에 한 자료를 OECD 통계 통

계청에서 검색하려고 하 으나 공개되지 않은 자료

로 구할 수가 없었다 안으로 통계청에서 성별 주

당 근무시간을 2006년 2010년 2011년 자료가 제공

이 되어 그림으로 재구성해보았다(Fig 1)(18) 우리

나라 여성 근로자들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은 2006년 527에서 2010년 479로 약간 감

소하 다가 2011년 540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이 남자

는 18가 증가하 으며 여자는 13 증가하 다

남녀 간의 차이는 2006년 102에서 2011년 107

로 약간 증가하고 있다 체 근무시간의 범 가 제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1 -

Fig 1 Work hours per week by gender and year

공되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지만 부분의 가사 노

동을 담당해야 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반이 넘으며 이러한 분율이

남자와의 차이가 10 정도인 은 우리나라 여성들

이 상당한 정도의 장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9월 서울시 일개 지역 소재 사업장에 근무

하는 5000여명의 여성 근로자들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율은 118 으

며 특히 매직의 경우 453로 장시간 근무가 심각

하 다 연령별로는 40~49세군이 198로 가장 많

았으며 그 다음이 50세 이상군으로 187 다 20

~30 군에 비해 오히려 나이가 많은 군에서 더 장

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인 특성별로는 고졸군에서 자녀와만 거주하는 경

우 가구 수입의 23 이상 부담하는 경우 사업장 규

모가 5인 미만에 근무하는 경우 종사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인 경우에 유의하

게 장시간 근무율이 높았다(19) 장시간 근로로 인한

건강 향을 조사한 역학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작

업 련 손상의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이 넘어

가는 경우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2배 정도 상승하

으며 심 질환의 경우 하루 11시간 이상 혹은 주

당 52sim60시간 정도 근무하게 되면 심근경색 등

상동맥질환 발병 험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면장애의 경우는 주당 55시간 이상

근무 시 수면시간 단축 324배 입면 장애 666배 조

기 각성 험 223배 높아졌다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13sim17배 정도 증가하며 지속

으로 주 45시간 이상 근무 시 사망 험이 약 2배

정도 증가하 다(20)

6 다 역할

여성의 건강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으로 여

성은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다 가정에

서 부인으로서(marital role)의 역할과 어머니로서(pa-

rental role)의 역할이 있으며 직장에서는 근로자로서

(work role)의 역할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역

할에 따른 건강 수 의 차이를 찰하기 해 2005

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25~59세 여성들을

상으로 다 역할에 따른 건강 향(주 건강

상태 스트 스 인지 우울증 경험)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1) 고 인 여

성의 역할은 주부로서 이 역할(maritalparental)을 수

행하며 의 기혼 직장 여성은 삼 역할(marital

parental work)을 수행한다 이 건강 향이 가장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2 -

좋지 않은 군은 어머니로서의 역할만(single mother)

을 수행하는 군이었으며 사회경제 상태(교육수

가구 수입)가 낮은 군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9851722009년 생활시간조사985173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벌이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2시간 38분이고 맞벌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24

분으로 여성이 66배 가사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4시간 11분이고 외벌

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19분으로 132배 다 맞

벌이 남편은 외벌이 남편에 비해 5분 더 가사에 시

간을 사용하 으며 이는 2004년 조사 때의 결과와

같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은 직장에

서 육체 정신 인 부담을 갖고 근무하다가 가정

에 돌아와서는 가사를 담해야 하는 불평등 상황

휴식시간 부족의 건강 험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한 2012년 985172사회통계조사985173 결과에서 취업자 남편

이 ldquo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rdquo한다는 비율은 155

에 불과하 다(23)

7 건강 리 소홀

우리나라 여성들이 흡연율과 음주율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지만 신체활동부족률 건강검진 수

진율 등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아 건강 리를 잘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신체활

동부족은 체 증가와도 연결되는 요한 건강 험

요인이다 2005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부족군(격렬한 신체활동이나 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일도 실천하지 않았고 1회 10

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걷기를 실천

하지 않은 분율)은 남자에서 284 여자에서 361

으며 2007~2009년 조사에서는 남자에서 366

여자에서 471로 여자에서 신체활동부족률이 더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률(최근 2년 동안 건강을

해 건강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1년 자료에서 남자

에서 534 여자에서 422 으며 2007~2009년

자료에서는 남자에서 527 여자에서 451로 여자

에서 건강검진 수검률이 더 낮았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문제

1 주 평가 건강상태

많은 역학연구들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해

하나의 질문으로 상자들의 건강을 측정한 결과들

이 분석되어왔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도 ldquo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rdquo라고 질문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5가지 에서 응답하게 하며 이 매우 좋

음과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ldquo주 건

강인지율rdquo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2007년까지

실시한 「사회통계조사(Social Statistics Survey)」 (2008

년부터 「사회조사(Social Survey)」로 이름이 변경)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노동패

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등에서 조사하고 있다

2001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25~64세를

상으로 조사한 주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

환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주 건강상태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좋지 않았

으며 나이가 많은 군(45~64세)에서 남녀 간의 건강

불평등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 다(24) 만성 질병 유

병상태를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의 분

율은 연령 보정한 후 남자에서는 85 여자에서

201 으며 정신 행동장애의 분율은 연령 보정

후 남자에서 16 여자에서 39로 유의하게 여자

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들에서 높은 불건강 유병

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사회-구조 인 요

인들(교육수 고용상태 가구 수입 결혼 상태 등)

로 나타났다

1995 1999 2003 2006년에 조사된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25~64세 근로자들에서 문직

고용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추이를

악한 연구결과 문직에서는 1997년의 경제 기

이후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수 이 건강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3: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28 -

unit

    2001 2007-2009

Total 19-24 25-44 45-64 65- Total 19-24 25-44 45-64 65-

Current smoking rate1) Female 52 47 35 46 136 69 116 73 46 67

Male 609 562 694 569 420 469 469 552 417 276

Prevalence of obesity2) Female 274 106 211 425 364 257 122 190 354 404

Male 318 209 357 331 240 357 246 384 408 227

Prevalence of total psychiatric

disorder3)

Female 152         161        Male 228         163        

Prevalence of dysthymic

disorder4)

Female 36         48        Male 09         23        

Prevalence of anxiety disorder5) Female 95         100        Male 28         37        

Experience rate of depressed

symptoms6)

Female 108 94 56 143 245 183 190 145 201 280

Male 62 17 34 69 196 97 87 81 112 126

Stress perception rate7) Female 346 405 333 350 339 322 420 332 273 313

Male 342 261 404 315 251 269 214 329 238 170

Suicidal ideation rate8) Female 227 288 183 243 307 209 223 165 205 384

Male 146 142 131 136 230 106 95 86 115 170

Attempted Suicide rate9) Female 36 44 41 34 20 63 54 62 62 62

Male 76 174 78 51 29 61 38 60 59 82

Health check-up rate10) Female 422 316 407 524 353 451 165 392 636 469

Male 534 357 551 596 514 527 161 525 642 586

    2005 2007-2009

Drinking rate per month11) Female 369 586 418 293 156 436 635 507 363 150

Male 726 790 783 701 523 749 760 798 748 539

High risk drinking rate12) Female           74 116 84 66 18

Male           260 204 280 295 160

Physical inactivity rate13) Female 361 387 364 301 479 471 385 483 458 542

Male 284 241 256 296 376 366 214 374 394 405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over rate14)

Female 261 182 283 307 130 230 196 221 278 165

Male 333 281 339 369 274 273 339 266 284 204

1) Lifetime smoke over 5 packs and currently smoking rate 2) Body Mass Index ge 25kgm2 3) Proportion of schizophrenia schizophreniform

disorder delusion schizoaffective disorders brief psychotic disorder etc 4) Proportion of bipolar disorder dysthymic disorder depression

5) Proportion of obsessive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panic disorders agoraphobia social phobia specific phobia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6) Proportion of people with depressed or sad mood with difficulty in everyday life continuously over

2 weeks in previous year 7) Proportion of very highly or highly stressed people in everyday life 8) Proportion of people who had

intention of dying in previous year 9) Proportion of people who attempted suicide in previous year 10) Proportion of people who

took health check-up in last 2 years 11) Proportion of people who drank over once a month in previous year 12) Proportion of over

7 cups (5 cups in female) in one time and drink over 2 times a week among drinkers(people who drank over once a month in

previous year) 13) Proportion of people who exercised vigorous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less than one time a week or who

do not walk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30 minutes per day and over 5 days per week) 14)

Proportion of people who

exercised vigorous physical activity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20 minutes per day and over 3 days per week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over 10 minutes a time totally over 30 minutes per day and over 5 days per week in previous week

Table 4 Prevalence rates of health status indicators by year and gender

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재 흡연율은 69이며 체

질량지수 25 kgm2으로 기 으로 한 비만율은 257

다 월간 음주율은 436 고 연간음주자 1회

평균 음주량이 5잔 이상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

율인 고 험음주율은 74 다 신체활동부족률은

471 으며 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30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29 -

다 사회에 들어 요도가 더욱 커지는 정신

건강 련 지표들을 보면 모든 정신장애 유병률은

161 기분장애 유병률은 48 불안장애 유병률은

100로 2001년 조사 결과에 비해 증가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유해인자들

1 감정 노동

최근 우리 사회에서 감정 노동이 주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산업구조가 과거 제조업 심에서

에 와서 서비스 산업 심으로 변화되면서 이와 동

반하여 감정 노동이 주요한 유해인자임이 인식되었

다 감정 노동이란 고객에게 친 한 노동행 뿐 아

니라 생산성 향상을 해 ldquo근로자 자신의 감정을 만

들어 내기 해 리하는 목 의식 인 감정 활동rdquo

이다(5) 여성들이 주로 종사하는 업종에서 감정 노

동이 문제가 되며 매업 융업 호텔 스토

랑 등 서비스업 항공기 승무원 등이다 감정 노동

노출과 련이 있다고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소

진 우울증 신체 증상 직무 만족도 등이다 향후 후

속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 맥락에 합한

감정 노동 측정 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직업

장에서 감정 노동을 감소시키기 한 효과 인

방 책 마련을 한 기본 연구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2 직무스트 스

선진국의 업무상 질병에서 정신심리학 문제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요한 기 하나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직무스트 스이다 직

무스트 스를 설명하는 주요한 모형으로 1970년

카라섹이 직무스트 스 모형(Demand-Control model)

을 제시하 다(6) 이 모형에서는 직무요구도와 직무

통제력을 조합하여 직무스트 스군을 구분하며 직

무요구도가 높고 직무통제력이 낮은 집단은 고진장

군(high strain group)이며 이들에서 정신심리 문제

신체 질병의 험이 높아진다 이 모형에서는 직

무스트 스 측정 도구로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를 용하 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반 심있는 연구자들

이 모여 한국인 직무 스트 스 측정도구(Korean Oc-

cupational Stress Scale KOSS)를 개발하 다(7) 이

도구의 기본형은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 직장문

화의 8 역에 해 43문항의 질문으로 이루어져있

다 이 24문항을 선택하여 단축형으로 구성하여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직무스트 스와 련

된 것으로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심 계질환 정

신건강 근골격계질환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병원

근로자 소방 공무원 은행원 제조업 근로자 등의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들을 상으로 직무스트 스

정도 질환과의 련성을 분석한 연구가 수행되었

다 여성들이 부분인 병원 간호사들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 직무스트 스와 사회심리 스트 스

를 비교한 결과 체 으로 직무스트 스가 높은 군

에서 사회심리 스트 스의 험도 높았으며 직무

스트 스 하 역별로는 낮은 직무 자율군 높은

계갈등군 조직체계 문제군 보상 부 군 직장

문화 문제군 등에서 유의하게 사회심리 스트 스

고 험군의 비율이 높았다(8)

3 인간공학 험 등 근골격계질환 험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표 인 험요인 하

나가 인간공학 험이다 인간공학 험요인의

요소들로는 부 한 작업자세 량물 취 반복작

업 힘 진동 정 인 자세 육체 부담 등이다 우리나

라에서 법으로 정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기 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 ldquo업무상 질병에

한 구체 인 인정 기 rdquo ldquo가 업무에 종사한 기간

과 시간 업무의 양과 강도 업무수행 자세와 속도 업

무수행 장소의 구조 등이 근골격계에 부담을 주는 업

무로서 반복 동작이 많은 업무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업무 부 한 자세를 유지하는 업무 진동 작

업 그 밖에 특정 신체 부 에 부담되는 상태에서 하는

업무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0 -

근로자의 팔 다리 는 허리 부분에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rdquo

라고 정하고 있다(9) 한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1-38호 ldquo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 rdquo에서 하루에 4

시간 이상 집 으로 자료입력 등을 해 키보드

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 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등 11가

지를 규정하고 있다(10)

이러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은 어떤 하나의

험인자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보다는 개인 인 소

인 작업과 련된 요인들 사회심리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11) 남성 근로자들과

여성 근로자들에서 발생하는 작업 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장 내 발생 원인은 그들이 작업하는 환

경의 차이 때문이며 일반 으로 작업장의 설계가

남성 근로자를 기 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여성근로

자들에게는 하지 못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는

여성들은 주로 상지(손목 손 어깨 등)를 반복으

로 사용하는 일을 많이 하는 등이 원인으로 제시

되고 있다

4 교 근무

교 근무란 일반 으로 근무시간이 오 6~7시부

터 오후 6시 이외의 시간에 일하는 모든 종류의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12) 그 규모는 2010년 유럽 34개국에

서 조사한 결과 17이며 야간 근무(밤 10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 어도 2시간 이상 근무)는 유럽 연합 27개

국에서 19 근로자들이 수행하고 있다(13) 교 근무

율은 역별로 달라서 여성들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

역은 35 이상의 근로자들이 교 근무를 수행하며

호텔과 스토랑 종사 근로자들은 30 제조업은

26 운송 통신 역에서는 근로자들의 24가 수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우리나라는 2010년 ldquo취

업자 근로환경조사rdquo 결과에 따르면 교 근무율은

109이고 장치 기계조작 조립종사자들(243)과

서비스 종사자(136)들에서 높고 규칙 2교 근무

형태가 386로 가장 많았다(15)

교 근무를 하게 되면 불규칙한 근무 시간으로 인

해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근로자들은 스트 스를 받게 된다 한 생리

으로 밤에 잠을 자는 것이 정상인데 근무로 인해

낮에 잠을 자고 밤에 밝은 빛 아래에서 일을 하게

되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

하게 되며 이로 인한 건강 향이 나타나게 된다 여

러 역학연구들에서 비교 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

는 교 근무와 련된 건강 향들로는 수면장애 업

무상 손상 사고 우울증 뇌 질환(뇌경색)

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 질환 유방암 등이

다(16)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3월부터 야간근로를

포함한 교 근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을 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제도를 시작하 다

5 장시간 근무

우리나라가 36개 OECD 국가들 에서 근로자 일

인의 연간 근로시간이 2007년까지 1 로 가장 장시

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8년부터 2013년

까지는 멕시코에 이어 2 를 차지하고 있다(17)

2007년 자료를 보면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99시간인 반면 우리나라는 2306시간이었으며

2013년에는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70시간

우리나라는 2163시간 멕시코는 2237시간이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간근로시간은 매년 조 씩

감소하여 2003년에는 2424시간에서 2013년에는

2163으로 261시간이 어들었다

성별 근무시간에 한 자료를 OECD 통계 통

계청에서 검색하려고 하 으나 공개되지 않은 자료

로 구할 수가 없었다 안으로 통계청에서 성별 주

당 근무시간을 2006년 2010년 2011년 자료가 제공

이 되어 그림으로 재구성해보았다(Fig 1)(18) 우리

나라 여성 근로자들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은 2006년 527에서 2010년 479로 약간 감

소하 다가 2011년 540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이 남자

는 18가 증가하 으며 여자는 13 증가하 다

남녀 간의 차이는 2006년 102에서 2011년 107

로 약간 증가하고 있다 체 근무시간의 범 가 제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1 -

Fig 1 Work hours per week by gender and year

공되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지만 부분의 가사 노

동을 담당해야 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반이 넘으며 이러한 분율이

남자와의 차이가 10 정도인 은 우리나라 여성들

이 상당한 정도의 장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9월 서울시 일개 지역 소재 사업장에 근무

하는 5000여명의 여성 근로자들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율은 118 으

며 특히 매직의 경우 453로 장시간 근무가 심각

하 다 연령별로는 40~49세군이 198로 가장 많

았으며 그 다음이 50세 이상군으로 187 다 20

~30 군에 비해 오히려 나이가 많은 군에서 더 장

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인 특성별로는 고졸군에서 자녀와만 거주하는 경

우 가구 수입의 23 이상 부담하는 경우 사업장 규

모가 5인 미만에 근무하는 경우 종사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인 경우에 유의하

게 장시간 근무율이 높았다(19) 장시간 근로로 인한

건강 향을 조사한 역학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작

업 련 손상의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이 넘어

가는 경우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2배 정도 상승하

으며 심 질환의 경우 하루 11시간 이상 혹은 주

당 52sim60시간 정도 근무하게 되면 심근경색 등

상동맥질환 발병 험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면장애의 경우는 주당 55시간 이상

근무 시 수면시간 단축 324배 입면 장애 666배 조

기 각성 험 223배 높아졌다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13sim17배 정도 증가하며 지속

으로 주 45시간 이상 근무 시 사망 험이 약 2배

정도 증가하 다(20)

6 다 역할

여성의 건강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으로 여

성은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다 가정에

서 부인으로서(marital role)의 역할과 어머니로서(pa-

rental role)의 역할이 있으며 직장에서는 근로자로서

(work role)의 역할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역

할에 따른 건강 수 의 차이를 찰하기 해 2005

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25~59세 여성들을

상으로 다 역할에 따른 건강 향(주 건강

상태 스트 스 인지 우울증 경험)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1) 고 인 여

성의 역할은 주부로서 이 역할(maritalparental)을 수

행하며 의 기혼 직장 여성은 삼 역할(marital

parental work)을 수행한다 이 건강 향이 가장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2 -

좋지 않은 군은 어머니로서의 역할만(single mother)

을 수행하는 군이었으며 사회경제 상태(교육수

가구 수입)가 낮은 군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9851722009년 생활시간조사985173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벌이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2시간 38분이고 맞벌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24

분으로 여성이 66배 가사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4시간 11분이고 외벌

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19분으로 132배 다 맞

벌이 남편은 외벌이 남편에 비해 5분 더 가사에 시

간을 사용하 으며 이는 2004년 조사 때의 결과와

같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은 직장에

서 육체 정신 인 부담을 갖고 근무하다가 가정

에 돌아와서는 가사를 담해야 하는 불평등 상황

휴식시간 부족의 건강 험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한 2012년 985172사회통계조사985173 결과에서 취업자 남편

이 ldquo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rdquo한다는 비율은 155

에 불과하 다(23)

7 건강 리 소홀

우리나라 여성들이 흡연율과 음주율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지만 신체활동부족률 건강검진 수

진율 등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아 건강 리를 잘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신체활

동부족은 체 증가와도 연결되는 요한 건강 험

요인이다 2005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부족군(격렬한 신체활동이나 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일도 실천하지 않았고 1회 10

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걷기를 실천

하지 않은 분율)은 남자에서 284 여자에서 361

으며 2007~2009년 조사에서는 남자에서 366

여자에서 471로 여자에서 신체활동부족률이 더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률(최근 2년 동안 건강을

해 건강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1년 자료에서 남자

에서 534 여자에서 422 으며 2007~2009년

자료에서는 남자에서 527 여자에서 451로 여자

에서 건강검진 수검률이 더 낮았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문제

1 주 평가 건강상태

많은 역학연구들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해

하나의 질문으로 상자들의 건강을 측정한 결과들

이 분석되어왔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도 ldquo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rdquo라고 질문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5가지 에서 응답하게 하며 이 매우 좋

음과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ldquo주 건

강인지율rdquo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2007년까지

실시한 「사회통계조사(Social Statistics Survey)」 (2008

년부터 「사회조사(Social Survey)」로 이름이 변경)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노동패

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등에서 조사하고 있다

2001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25~64세를

상으로 조사한 주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

환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주 건강상태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좋지 않았

으며 나이가 많은 군(45~64세)에서 남녀 간의 건강

불평등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 다(24) 만성 질병 유

병상태를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의 분

율은 연령 보정한 후 남자에서는 85 여자에서

201 으며 정신 행동장애의 분율은 연령 보정

후 남자에서 16 여자에서 39로 유의하게 여자

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들에서 높은 불건강 유병

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사회-구조 인 요

인들(교육수 고용상태 가구 수입 결혼 상태 등)

로 나타났다

1995 1999 2003 2006년에 조사된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25~64세 근로자들에서 문직

고용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추이를

악한 연구결과 문직에서는 1997년의 경제 기

이후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수 이 건강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4: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29 -

다 사회에 들어 요도가 더욱 커지는 정신

건강 련 지표들을 보면 모든 정신장애 유병률은

161 기분장애 유병률은 48 불안장애 유병률은

100로 2001년 조사 결과에 비해 증가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유해인자들

1 감정 노동

최근 우리 사회에서 감정 노동이 주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산업구조가 과거 제조업 심에서

에 와서 서비스 산업 심으로 변화되면서 이와 동

반하여 감정 노동이 주요한 유해인자임이 인식되었

다 감정 노동이란 고객에게 친 한 노동행 뿐 아

니라 생산성 향상을 해 ldquo근로자 자신의 감정을 만

들어 내기 해 리하는 목 의식 인 감정 활동rdquo

이다(5) 여성들이 주로 종사하는 업종에서 감정 노

동이 문제가 되며 매업 융업 호텔 스토

랑 등 서비스업 항공기 승무원 등이다 감정 노동

노출과 련이 있다고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소

진 우울증 신체 증상 직무 만족도 등이다 향후 후

속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 맥락에 합한

감정 노동 측정 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직업

장에서 감정 노동을 감소시키기 한 효과 인

방 책 마련을 한 기본 연구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2 직무스트 스

선진국의 업무상 질병에서 정신심리학 문제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요한 기 하나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직무스트 스이다 직

무스트 스를 설명하는 주요한 모형으로 1970년

카라섹이 직무스트 스 모형(Demand-Control model)

을 제시하 다(6) 이 모형에서는 직무요구도와 직무

통제력을 조합하여 직무스트 스군을 구분하며 직

무요구도가 높고 직무통제력이 낮은 집단은 고진장

군(high strain group)이며 이들에서 정신심리 문제

신체 질병의 험이 높아진다 이 모형에서는 직

무스트 스 측정 도구로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를 용하 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반 심있는 연구자들

이 모여 한국인 직무 스트 스 측정도구(Korean Oc-

cupational Stress Scale KOSS)를 개발하 다(7) 이

도구의 기본형은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 직장문

화의 8 역에 해 43문항의 질문으로 이루어져있

다 이 24문항을 선택하여 단축형으로 구성하여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직무스트 스와 련

된 것으로 제시된 건강 향으로는 심 계질환 정

신건강 근골격계질환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병원

근로자 소방 공무원 은행원 제조업 근로자 등의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들을 상으로 직무스트 스

정도 질환과의 련성을 분석한 연구가 수행되었

다 여성들이 부분인 병원 간호사들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 직무스트 스와 사회심리 스트 스

를 비교한 결과 체 으로 직무스트 스가 높은 군

에서 사회심리 스트 스의 험도 높았으며 직무

스트 스 하 역별로는 낮은 직무 자율군 높은

계갈등군 조직체계 문제군 보상 부 군 직장

문화 문제군 등에서 유의하게 사회심리 스트 스

고 험군의 비율이 높았다(8)

3 인간공학 험 등 근골격계질환 험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표 인 험요인 하

나가 인간공학 험이다 인간공학 험요인의

요소들로는 부 한 작업자세 량물 취 반복작

업 힘 진동 정 인 자세 육체 부담 등이다 우리나

라에서 법으로 정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의 기 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 ldquo업무상 질병에

한 구체 인 인정 기 rdquo ldquo가 업무에 종사한 기간

과 시간 업무의 양과 강도 업무수행 자세와 속도 업

무수행 장소의 구조 등이 근골격계에 부담을 주는 업

무로서 반복 동작이 많은 업무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업무 부 한 자세를 유지하는 업무 진동 작

업 그 밖에 특정 신체 부 에 부담되는 상태에서 하는

업무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0 -

근로자의 팔 다리 는 허리 부분에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rdquo

라고 정하고 있다(9) 한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1-38호 ldquo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 rdquo에서 하루에 4

시간 이상 집 으로 자료입력 등을 해 키보드

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 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등 11가

지를 규정하고 있다(10)

이러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은 어떤 하나의

험인자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보다는 개인 인 소

인 작업과 련된 요인들 사회심리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11) 남성 근로자들과

여성 근로자들에서 발생하는 작업 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장 내 발생 원인은 그들이 작업하는 환

경의 차이 때문이며 일반 으로 작업장의 설계가

남성 근로자를 기 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여성근로

자들에게는 하지 못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는

여성들은 주로 상지(손목 손 어깨 등)를 반복으

로 사용하는 일을 많이 하는 등이 원인으로 제시

되고 있다

4 교 근무

교 근무란 일반 으로 근무시간이 오 6~7시부

터 오후 6시 이외의 시간에 일하는 모든 종류의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12) 그 규모는 2010년 유럽 34개국에

서 조사한 결과 17이며 야간 근무(밤 10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 어도 2시간 이상 근무)는 유럽 연합 27개

국에서 19 근로자들이 수행하고 있다(13) 교 근무

율은 역별로 달라서 여성들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

역은 35 이상의 근로자들이 교 근무를 수행하며

호텔과 스토랑 종사 근로자들은 30 제조업은

26 운송 통신 역에서는 근로자들의 24가 수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우리나라는 2010년 ldquo취

업자 근로환경조사rdquo 결과에 따르면 교 근무율은

109이고 장치 기계조작 조립종사자들(243)과

서비스 종사자(136)들에서 높고 규칙 2교 근무

형태가 386로 가장 많았다(15)

교 근무를 하게 되면 불규칙한 근무 시간으로 인

해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근로자들은 스트 스를 받게 된다 한 생리

으로 밤에 잠을 자는 것이 정상인데 근무로 인해

낮에 잠을 자고 밤에 밝은 빛 아래에서 일을 하게

되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

하게 되며 이로 인한 건강 향이 나타나게 된다 여

러 역학연구들에서 비교 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

는 교 근무와 련된 건강 향들로는 수면장애 업

무상 손상 사고 우울증 뇌 질환(뇌경색)

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 질환 유방암 등이

다(16)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3월부터 야간근로를

포함한 교 근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을 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제도를 시작하 다

5 장시간 근무

우리나라가 36개 OECD 국가들 에서 근로자 일

인의 연간 근로시간이 2007년까지 1 로 가장 장시

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8년부터 2013년

까지는 멕시코에 이어 2 를 차지하고 있다(17)

2007년 자료를 보면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99시간인 반면 우리나라는 2306시간이었으며

2013년에는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70시간

우리나라는 2163시간 멕시코는 2237시간이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간근로시간은 매년 조 씩

감소하여 2003년에는 2424시간에서 2013년에는

2163으로 261시간이 어들었다

성별 근무시간에 한 자료를 OECD 통계 통

계청에서 검색하려고 하 으나 공개되지 않은 자료

로 구할 수가 없었다 안으로 통계청에서 성별 주

당 근무시간을 2006년 2010년 2011년 자료가 제공

이 되어 그림으로 재구성해보았다(Fig 1)(18) 우리

나라 여성 근로자들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은 2006년 527에서 2010년 479로 약간 감

소하 다가 2011년 540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이 남자

는 18가 증가하 으며 여자는 13 증가하 다

남녀 간의 차이는 2006년 102에서 2011년 107

로 약간 증가하고 있다 체 근무시간의 범 가 제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1 -

Fig 1 Work hours per week by gender and year

공되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지만 부분의 가사 노

동을 담당해야 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반이 넘으며 이러한 분율이

남자와의 차이가 10 정도인 은 우리나라 여성들

이 상당한 정도의 장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9월 서울시 일개 지역 소재 사업장에 근무

하는 5000여명의 여성 근로자들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율은 118 으

며 특히 매직의 경우 453로 장시간 근무가 심각

하 다 연령별로는 40~49세군이 198로 가장 많

았으며 그 다음이 50세 이상군으로 187 다 20

~30 군에 비해 오히려 나이가 많은 군에서 더 장

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인 특성별로는 고졸군에서 자녀와만 거주하는 경

우 가구 수입의 23 이상 부담하는 경우 사업장 규

모가 5인 미만에 근무하는 경우 종사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인 경우에 유의하

게 장시간 근무율이 높았다(19) 장시간 근로로 인한

건강 향을 조사한 역학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작

업 련 손상의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이 넘어

가는 경우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2배 정도 상승하

으며 심 질환의 경우 하루 11시간 이상 혹은 주

당 52sim60시간 정도 근무하게 되면 심근경색 등

상동맥질환 발병 험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면장애의 경우는 주당 55시간 이상

근무 시 수면시간 단축 324배 입면 장애 666배 조

기 각성 험 223배 높아졌다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13sim17배 정도 증가하며 지속

으로 주 45시간 이상 근무 시 사망 험이 약 2배

정도 증가하 다(20)

6 다 역할

여성의 건강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으로 여

성은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다 가정에

서 부인으로서(marital role)의 역할과 어머니로서(pa-

rental role)의 역할이 있으며 직장에서는 근로자로서

(work role)의 역할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역

할에 따른 건강 수 의 차이를 찰하기 해 2005

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25~59세 여성들을

상으로 다 역할에 따른 건강 향(주 건강

상태 스트 스 인지 우울증 경험)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1) 고 인 여

성의 역할은 주부로서 이 역할(maritalparental)을 수

행하며 의 기혼 직장 여성은 삼 역할(marital

parental work)을 수행한다 이 건강 향이 가장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2 -

좋지 않은 군은 어머니로서의 역할만(single mother)

을 수행하는 군이었으며 사회경제 상태(교육수

가구 수입)가 낮은 군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9851722009년 생활시간조사985173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벌이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2시간 38분이고 맞벌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24

분으로 여성이 66배 가사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4시간 11분이고 외벌

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19분으로 132배 다 맞

벌이 남편은 외벌이 남편에 비해 5분 더 가사에 시

간을 사용하 으며 이는 2004년 조사 때의 결과와

같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은 직장에

서 육체 정신 인 부담을 갖고 근무하다가 가정

에 돌아와서는 가사를 담해야 하는 불평등 상황

휴식시간 부족의 건강 험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한 2012년 985172사회통계조사985173 결과에서 취업자 남편

이 ldquo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rdquo한다는 비율은 155

에 불과하 다(23)

7 건강 리 소홀

우리나라 여성들이 흡연율과 음주율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지만 신체활동부족률 건강검진 수

진율 등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아 건강 리를 잘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신체활

동부족은 체 증가와도 연결되는 요한 건강 험

요인이다 2005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부족군(격렬한 신체활동이나 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일도 실천하지 않았고 1회 10

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걷기를 실천

하지 않은 분율)은 남자에서 284 여자에서 361

으며 2007~2009년 조사에서는 남자에서 366

여자에서 471로 여자에서 신체활동부족률이 더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률(최근 2년 동안 건강을

해 건강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1년 자료에서 남자

에서 534 여자에서 422 으며 2007~2009년

자료에서는 남자에서 527 여자에서 451로 여자

에서 건강검진 수검률이 더 낮았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문제

1 주 평가 건강상태

많은 역학연구들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해

하나의 질문으로 상자들의 건강을 측정한 결과들

이 분석되어왔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도 ldquo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rdquo라고 질문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5가지 에서 응답하게 하며 이 매우 좋

음과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ldquo주 건

강인지율rdquo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2007년까지

실시한 「사회통계조사(Social Statistics Survey)」 (2008

년부터 「사회조사(Social Survey)」로 이름이 변경)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노동패

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등에서 조사하고 있다

2001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25~64세를

상으로 조사한 주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

환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주 건강상태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좋지 않았

으며 나이가 많은 군(45~64세)에서 남녀 간의 건강

불평등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 다(24) 만성 질병 유

병상태를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의 분

율은 연령 보정한 후 남자에서는 85 여자에서

201 으며 정신 행동장애의 분율은 연령 보정

후 남자에서 16 여자에서 39로 유의하게 여자

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들에서 높은 불건강 유병

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사회-구조 인 요

인들(교육수 고용상태 가구 수입 결혼 상태 등)

로 나타났다

1995 1999 2003 2006년에 조사된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25~64세 근로자들에서 문직

고용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추이를

악한 연구결과 문직에서는 1997년의 경제 기

이후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수 이 건강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5: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0 -

근로자의 팔 다리 는 허리 부분에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rdquo

라고 정하고 있다(9) 한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1-38호 ldquo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 rdquo에서 하루에 4

시간 이상 집 으로 자료입력 등을 해 키보드

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 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등 11가

지를 규정하고 있다(10)

이러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은 어떤 하나의

험인자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보다는 개인 인 소

인 작업과 련된 요인들 사회심리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11) 남성 근로자들과

여성 근로자들에서 발생하는 작업 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장 내 발생 원인은 그들이 작업하는 환

경의 차이 때문이며 일반 으로 작업장의 설계가

남성 근로자를 기 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여성근로

자들에게는 하지 못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는

여성들은 주로 상지(손목 손 어깨 등)를 반복으

로 사용하는 일을 많이 하는 등이 원인으로 제시

되고 있다

4 교 근무

교 근무란 일반 으로 근무시간이 오 6~7시부

터 오후 6시 이외의 시간에 일하는 모든 종류의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12) 그 규모는 2010년 유럽 34개국에

서 조사한 결과 17이며 야간 근무(밤 10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 어도 2시간 이상 근무)는 유럽 연합 27개

국에서 19 근로자들이 수행하고 있다(13) 교 근무

율은 역별로 달라서 여성들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

역은 35 이상의 근로자들이 교 근무를 수행하며

호텔과 스토랑 종사 근로자들은 30 제조업은

26 운송 통신 역에서는 근로자들의 24가 수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우리나라는 2010년 ldquo취

업자 근로환경조사rdquo 결과에 따르면 교 근무율은

109이고 장치 기계조작 조립종사자들(243)과

서비스 종사자(136)들에서 높고 규칙 2교 근무

형태가 386로 가장 많았다(15)

교 근무를 하게 되면 불규칙한 근무 시간으로 인

해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근로자들은 스트 스를 받게 된다 한 생리

으로 밤에 잠을 자는 것이 정상인데 근무로 인해

낮에 잠을 자고 밤에 밝은 빛 아래에서 일을 하게

되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

하게 되며 이로 인한 건강 향이 나타나게 된다 여

러 역학연구들에서 비교 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

는 교 근무와 련된 건강 향들로는 수면장애 업

무상 손상 사고 우울증 뇌 질환(뇌경색)

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 질환 유방암 등이

다(16)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3월부터 야간근로를

포함한 교 근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을 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제도를 시작하 다

5 장시간 근무

우리나라가 36개 OECD 국가들 에서 근로자 일

인의 연간 근로시간이 2007년까지 1 로 가장 장시

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8년부터 2013년

까지는 멕시코에 이어 2 를 차지하고 있다(17)

2007년 자료를 보면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99시간인 반면 우리나라는 2306시간이었으며

2013년에는 OECD 국가 평균 근로시간은 1770시간

우리나라는 2163시간 멕시코는 2237시간이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간근로시간은 매년 조 씩

감소하여 2003년에는 2424시간에서 2013년에는

2163으로 261시간이 어들었다

성별 근무시간에 한 자료를 OECD 통계 통

계청에서 검색하려고 하 으나 공개되지 않은 자료

로 구할 수가 없었다 안으로 통계청에서 성별 주

당 근무시간을 2006년 2010년 2011년 자료가 제공

이 되어 그림으로 재구성해보았다(Fig 1)(18) 우리

나라 여성 근로자들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은 2006년 527에서 2010년 479로 약간 감

소하 다가 2011년 540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분율이 남자

는 18가 증가하 으며 여자는 13 증가하 다

남녀 간의 차이는 2006년 102에서 2011년 107

로 약간 증가하고 있다 체 근무시간의 범 가 제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1 -

Fig 1 Work hours per week by gender and year

공되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지만 부분의 가사 노

동을 담당해야 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반이 넘으며 이러한 분율이

남자와의 차이가 10 정도인 은 우리나라 여성들

이 상당한 정도의 장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9월 서울시 일개 지역 소재 사업장에 근무

하는 5000여명의 여성 근로자들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율은 118 으

며 특히 매직의 경우 453로 장시간 근무가 심각

하 다 연령별로는 40~49세군이 198로 가장 많

았으며 그 다음이 50세 이상군으로 187 다 20

~30 군에 비해 오히려 나이가 많은 군에서 더 장

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인 특성별로는 고졸군에서 자녀와만 거주하는 경

우 가구 수입의 23 이상 부담하는 경우 사업장 규

모가 5인 미만에 근무하는 경우 종사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인 경우에 유의하

게 장시간 근무율이 높았다(19) 장시간 근로로 인한

건강 향을 조사한 역학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작

업 련 손상의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이 넘어

가는 경우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2배 정도 상승하

으며 심 질환의 경우 하루 11시간 이상 혹은 주

당 52sim60시간 정도 근무하게 되면 심근경색 등

상동맥질환 발병 험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면장애의 경우는 주당 55시간 이상

근무 시 수면시간 단축 324배 입면 장애 666배 조

기 각성 험 223배 높아졌다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13sim17배 정도 증가하며 지속

으로 주 45시간 이상 근무 시 사망 험이 약 2배

정도 증가하 다(20)

6 다 역할

여성의 건강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으로 여

성은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다 가정에

서 부인으로서(marital role)의 역할과 어머니로서(pa-

rental role)의 역할이 있으며 직장에서는 근로자로서

(work role)의 역할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역

할에 따른 건강 수 의 차이를 찰하기 해 2005

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25~59세 여성들을

상으로 다 역할에 따른 건강 향(주 건강

상태 스트 스 인지 우울증 경험)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1) 고 인 여

성의 역할은 주부로서 이 역할(maritalparental)을 수

행하며 의 기혼 직장 여성은 삼 역할(marital

parental work)을 수행한다 이 건강 향이 가장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2 -

좋지 않은 군은 어머니로서의 역할만(single mother)

을 수행하는 군이었으며 사회경제 상태(교육수

가구 수입)가 낮은 군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9851722009년 생활시간조사985173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벌이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2시간 38분이고 맞벌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24

분으로 여성이 66배 가사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4시간 11분이고 외벌

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19분으로 132배 다 맞

벌이 남편은 외벌이 남편에 비해 5분 더 가사에 시

간을 사용하 으며 이는 2004년 조사 때의 결과와

같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은 직장에

서 육체 정신 인 부담을 갖고 근무하다가 가정

에 돌아와서는 가사를 담해야 하는 불평등 상황

휴식시간 부족의 건강 험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한 2012년 985172사회통계조사985173 결과에서 취업자 남편

이 ldquo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rdquo한다는 비율은 155

에 불과하 다(23)

7 건강 리 소홀

우리나라 여성들이 흡연율과 음주율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지만 신체활동부족률 건강검진 수

진율 등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아 건강 리를 잘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신체활

동부족은 체 증가와도 연결되는 요한 건강 험

요인이다 2005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부족군(격렬한 신체활동이나 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일도 실천하지 않았고 1회 10

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걷기를 실천

하지 않은 분율)은 남자에서 284 여자에서 361

으며 2007~2009년 조사에서는 남자에서 366

여자에서 471로 여자에서 신체활동부족률이 더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률(최근 2년 동안 건강을

해 건강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1년 자료에서 남자

에서 534 여자에서 422 으며 2007~2009년

자료에서는 남자에서 527 여자에서 451로 여자

에서 건강검진 수검률이 더 낮았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문제

1 주 평가 건강상태

많은 역학연구들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해

하나의 질문으로 상자들의 건강을 측정한 결과들

이 분석되어왔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도 ldquo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rdquo라고 질문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5가지 에서 응답하게 하며 이 매우 좋

음과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ldquo주 건

강인지율rdquo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2007년까지

실시한 「사회통계조사(Social Statistics Survey)」 (2008

년부터 「사회조사(Social Survey)」로 이름이 변경)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노동패

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등에서 조사하고 있다

2001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25~64세를

상으로 조사한 주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

환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주 건강상태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좋지 않았

으며 나이가 많은 군(45~64세)에서 남녀 간의 건강

불평등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 다(24) 만성 질병 유

병상태를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의 분

율은 연령 보정한 후 남자에서는 85 여자에서

201 으며 정신 행동장애의 분율은 연령 보정

후 남자에서 16 여자에서 39로 유의하게 여자

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들에서 높은 불건강 유병

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사회-구조 인 요

인들(교육수 고용상태 가구 수입 결혼 상태 등)

로 나타났다

1995 1999 2003 2006년에 조사된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25~64세 근로자들에서 문직

고용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추이를

악한 연구결과 문직에서는 1997년의 경제 기

이후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수 이 건강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6: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1 -

Fig 1 Work hours per week by gender and year

공되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지만 부분의 가사 노

동을 담당해야 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주당 45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반이 넘으며 이러한 분율이

남자와의 차이가 10 정도인 은 우리나라 여성들

이 상당한 정도의 장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9월 서울시 일개 지역 소재 사업장에 근무

하는 5000여명의 여성 근로자들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율은 118 으

며 특히 매직의 경우 453로 장시간 근무가 심각

하 다 연령별로는 40~49세군이 198로 가장 많

았으며 그 다음이 50세 이상군으로 187 다 20

~30 군에 비해 오히려 나이가 많은 군에서 더 장

시간 근로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인 특성별로는 고졸군에서 자녀와만 거주하는 경

우 가구 수입의 23 이상 부담하는 경우 사업장 규

모가 5인 미만에 근무하는 경우 종사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인 경우에 유의하

게 장시간 근무율이 높았다(19) 장시간 근로로 인한

건강 향을 조사한 역학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작

업 련 손상의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이 넘어

가는 경우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2배 정도 상승하

으며 심 질환의 경우 하루 11시간 이상 혹은 주

당 52sim60시간 정도 근무하게 되면 심근경색 등

상동맥질환 발병 험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면장애의 경우는 주당 55시간 이상

근무 시 수면시간 단축 324배 입면 장애 666배 조

기 각성 험 223배 높아졌다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13sim17배 정도 증가하며 지속

으로 주 45시간 이상 근무 시 사망 험이 약 2배

정도 증가하 다(20)

6 다 역할

여성의 건강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으로 여

성은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다 가정에

서 부인으로서(marital role)의 역할과 어머니로서(pa-

rental role)의 역할이 있으며 직장에서는 근로자로서

(work role)의 역할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역

할에 따른 건강 수 의 차이를 찰하기 해 2005

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25~59세 여성들을

상으로 다 역할에 따른 건강 향(주 건강

상태 스트 스 인지 우울증 경험)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1) 고 인 여

성의 역할은 주부로서 이 역할(maritalparental)을 수

행하며 의 기혼 직장 여성은 삼 역할(marital

parental work)을 수행한다 이 건강 향이 가장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2 -

좋지 않은 군은 어머니로서의 역할만(single mother)

을 수행하는 군이었으며 사회경제 상태(교육수

가구 수입)가 낮은 군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9851722009년 생활시간조사985173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벌이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2시간 38분이고 맞벌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24

분으로 여성이 66배 가사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4시간 11분이고 외벌

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19분으로 132배 다 맞

벌이 남편은 외벌이 남편에 비해 5분 더 가사에 시

간을 사용하 으며 이는 2004년 조사 때의 결과와

같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은 직장에

서 육체 정신 인 부담을 갖고 근무하다가 가정

에 돌아와서는 가사를 담해야 하는 불평등 상황

휴식시간 부족의 건강 험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한 2012년 985172사회통계조사985173 결과에서 취업자 남편

이 ldquo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rdquo한다는 비율은 155

에 불과하 다(23)

7 건강 리 소홀

우리나라 여성들이 흡연율과 음주율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지만 신체활동부족률 건강검진 수

진율 등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아 건강 리를 잘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신체활

동부족은 체 증가와도 연결되는 요한 건강 험

요인이다 2005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부족군(격렬한 신체활동이나 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일도 실천하지 않았고 1회 10

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걷기를 실천

하지 않은 분율)은 남자에서 284 여자에서 361

으며 2007~2009년 조사에서는 남자에서 366

여자에서 471로 여자에서 신체활동부족률이 더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률(최근 2년 동안 건강을

해 건강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1년 자료에서 남자

에서 534 여자에서 422 으며 2007~2009년

자료에서는 남자에서 527 여자에서 451로 여자

에서 건강검진 수검률이 더 낮았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문제

1 주 평가 건강상태

많은 역학연구들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해

하나의 질문으로 상자들의 건강을 측정한 결과들

이 분석되어왔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도 ldquo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rdquo라고 질문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5가지 에서 응답하게 하며 이 매우 좋

음과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ldquo주 건

강인지율rdquo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2007년까지

실시한 「사회통계조사(Social Statistics Survey)」 (2008

년부터 「사회조사(Social Survey)」로 이름이 변경)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노동패

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등에서 조사하고 있다

2001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25~64세를

상으로 조사한 주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

환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주 건강상태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좋지 않았

으며 나이가 많은 군(45~64세)에서 남녀 간의 건강

불평등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 다(24) 만성 질병 유

병상태를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의 분

율은 연령 보정한 후 남자에서는 85 여자에서

201 으며 정신 행동장애의 분율은 연령 보정

후 남자에서 16 여자에서 39로 유의하게 여자

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들에서 높은 불건강 유병

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사회-구조 인 요

인들(교육수 고용상태 가구 수입 결혼 상태 등)

로 나타났다

1995 1999 2003 2006년에 조사된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25~64세 근로자들에서 문직

고용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추이를

악한 연구결과 문직에서는 1997년의 경제 기

이후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수 이 건강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7: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2 -

좋지 않은 군은 어머니로서의 역할만(single mother)

을 수행하는 군이었으며 사회경제 상태(교육수

가구 수입)가 낮은 군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9851722009년 생활시간조사985173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벌이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2시간 38분이고 맞벌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24

분으로 여성이 66배 가사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 리시간은 4시간 11분이고 외벌

이 남편의 가정 리시간은 19분으로 132배 다 맞

벌이 남편은 외벌이 남편에 비해 5분 더 가사에 시

간을 사용하 으며 이는 2004년 조사 때의 결과와

같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은 직장에

서 육체 정신 인 부담을 갖고 근무하다가 가정

에 돌아와서는 가사를 담해야 하는 불평등 상황

휴식시간 부족의 건강 험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한 2012년 985172사회통계조사985173 결과에서 취업자 남편

이 ldquo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rdquo한다는 비율은 155

에 불과하 다(23)

7 건강 리 소홀

우리나라 여성들이 흡연율과 음주율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지만 신체활동부족률 건강검진 수

진율 등은 남성들에 비해 높지 않아 건강 리를 잘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신체활

동부족은 체 증가와도 연결되는 요한 건강 험

요인이다 2005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부족군(격렬한 신체활동이나 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1일도 실천하지 않았고 1회 10

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걷기를 실천

하지 않은 분율)은 남자에서 284 여자에서 361

으며 2007~2009년 조사에서는 남자에서 366

여자에서 471로 여자에서 신체활동부족률이 더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률(최근 2년 동안 건강을

해 건강검진을 받은 분율)은 2001년 자료에서 남자

에서 534 여자에서 422 으며 2007~2009년

자료에서는 남자에서 527 여자에서 451로 여자

에서 건강검진 수검률이 더 낮았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요한 건강 문제

1 주 평가 건강상태

많은 역학연구들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해

하나의 질문으로 상자들의 건강을 측정한 결과들

이 분석되어왔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도 ldquo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

까rdquo라고 질문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5가지 에서 응답하게 하며 이 매우 좋

음과 좋음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ldquo주 건

강인지율rdquo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2007년까지

실시한 「사회통계조사(Social Statistics Survey)」 (2008

년부터 「사회조사(Social Survey)」로 이름이 변경)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노동패

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등에서 조사하고 있다

2001년 국민건강 양조사자료에서 25~64세를

상으로 조사한 주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

환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주 건강상태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좋지 않았

으며 나이가 많은 군(45~64세)에서 남녀 간의 건강

불평등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 다(24) 만성 질병 유

병상태를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의 분

율은 연령 보정한 후 남자에서는 85 여자에서

201 으며 정신 행동장애의 분율은 연령 보정

후 남자에서 16 여자에서 39로 유의하게 여자

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들에서 높은 불건강 유병

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사회-구조 인 요

인들(교육수 고용상태 가구 수입 결혼 상태 등)

로 나타났다

1995 1999 2003 2006년에 조사된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25~64세 근로자들에서 문직

고용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추이를

악한 연구결과 문직에서는 1997년의 경제 기

이후 자가평가 불건강의 불평등 수 이 건강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8: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3 -

불평등 지표와 상 건강 불평등 지표 모두 더욱 심

해졌으며 비 문직에서는 건강 불평등 지표가

여자근로자들에서 증가하 으며 특히 임시직과 일

용직에서 상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25)

2 우울증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우울증은 여성들의 정신 건강 문제 가장 요

한 문제 하나이다 국민건강 양조사에서는 정신

건강 역으로 우울증상 경험률 스트 스 인지율

자살생각률 자살시도율을 지속 으로 조사하고

있다 우울증상 경험률은 2005년 조사부터 ldquo지난 1

년 동안 연속 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

을 정도로 슬 거나 망감을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정

의를 용하 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ldquo지난 1년

동안 항상 슬 거나 우울하다고 느낀 사람의 분율rdquo

로 정의하 다 2005년 추계인구로 표 화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에서 우울증 경험률은 2001년 조사에

서 108 고 2007~2009년 조사에서는 183로 증

가하 다 남자에서는 97로 여자에서 약 2배 높

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증상 경험률은 증가하여

65세 이상군에서 가장 높았다(4) 2001년 조사와

2007~2009년 조사 결과와 다른 은 여성들에서 우

울증상 경험률이 모든 연령 에서 증가하 으며 특

히 은 연령층에서 크게 증가하여 19~24세 연령층

에서 94에서 190로 25~44세 연령군에서는 56

에서 145로 증가하 다 스트 스 인지율은 ldquo평상

시 생활 에 스트 스를 단히 많이 혹은 많이 느

끼는 사람의 분율rdquo을 말하며 2007~2009년 조사에

서 여성들의 스트 스 인지율은 322로 남자들에

서의 2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군에서 371로 가장 높았다 여성

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높

은 스트 스 인지율 장시간 근무 일-가정 불균형

등이다 2007~2009년 국민건강 양조사 자료에서

근무 시간과 우울증상 경험률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사회경제 상태 건강 행동

고용형태 교 근무 여부 등을 보정한 결과 여성

에서 남성에 비해 우울 증상 경험의 험은 212배

(95 신뢰구간 158-286) 높았으며 주당 52시간 근

무군에 비해 60시간 이상 근무군에서의 경험 험은

162배(95 신뢰구간 120-218) 증가하 다(26) 우

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차 그 요성이 커지고 있

는 자살은 이러한 우울 증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

할 수 있다 자살에 해 생각 여부를 조사하는 자

살생각률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한다 여성에

서 남성에 비해 높아서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

자에서 209로 남자 보다 약 2배 높았다 직업별로

는 ldquo서비스 매 종사자rdquo 군에서 가장 높아서

246 다 이들 에서 자살을 직 시도하는 자살

시도율은 ldquo지난 일 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이 있는 사람의 비율rdquo로 정의되며 자살생각율

과 달리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높아 2001년 조사에

서도 남성에서 76로 여성에서보다 2배 높았다 그

러나 2007~2009년 조사 결과 여성에서 63로 남

성에서의 6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천안에 소재한 다양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남녀 근

로자들에서의 근골격계질환 험 유병 상태를 조

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근로자들의 작업 부담

이 높았으며 작업 특성 상 반복성 어깨 몸 손과

손목의 부 한 작업 자세 량물 취 등의 인간

공학 작업특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11) 직무스트 스 요인으로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재량권 동료들의 낮은 지지 낮은 직업안정성

요인 순서 로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

다 근골격계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부 로는 어깨

등과 허리 목 손과 손목 다리와 발 팔 순서 고

남성근로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한 여성

근로자들은 질병 방활동을 게 경험하며 치료

병가도 게 사용하 다 여성근로자들에서 작업

련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유의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고용상태(정규직) 직종( 문직 서비스

직 생산직) 작업부담( 간 군 높은 군) 인간공학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9: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4 -

험( 간 군 높은 군) 직무요구도(높은 군) 동료

들의 지지(낮은 군) 등으로 나타났다

4 생식독성

우리나라 직업환경의학 분야에서 생식독성 문제는

많이 연구되지 않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식독

성 향이 리 알려진 계기는 1995년 한 기 스

치 생산 공장에서 세척제로 사용한 유기용제에 노출

된 근로자들에서 생식독성 액학 이상 소견이

발생한 사례이다 이 사업장에 근무한 체 여자 근

로자 25명 16명에서 이차 무월경 얼굴 홍조 등 폐

경에 합당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세척제의 주요

성분(974)은 2- 로모 로 이었다(27) 다른 생

식독성 유해인자로 임신 기간 동안 량물을 취 하

는 경우 자연 유산의 험이 339배(95 신뢰구간

206~560) 높아지며 이 때 문제가 되는 취 하는

량물의 무게는 5 kg 이상의 물건이 유의하게 험을

높 다 한 주당 52시간 과 근무하는 경우에도

자연 유산의 험이 208배(95 신뢰구간 116-374)

증가함이 확인되었다(28)

생식독성의 범 는 모체가 임신 시 발생할 수 있

는 유산 사산 조산 외에도 임신 자체가 늦어지는

임신 지연 태어난 자녀에서의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는 원인들로는 2- 로모 로 과 같은 화학 인자

량물 취 장시간 근무 교 근무와 같은 물리

인자 그리고 풍진 등 생물학 인자 등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결 론

우리나라 여성은 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

으며 학진학률은 계속 증가하여 남자를 앞지를

정도로 교육수 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 직업 장에서는 유리천장이 존재하여 여

성의 고 직 비율이 낮고 성별 임 의 격차가 크다

한 여성 근로자들이 임시직 일용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고 이 수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들은 직장에서의 일 이외에도 가사일을 수행해야 하

는 이 부담이 있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험

이 더욱 증가하며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로감 주 건강수 악화 우울증 자살사

고의 험이 높아지게 되며 최근에는 자살시도율도

남자 보다 높았다 여성근로자들은 반복작업 힘 신

체 구조에 부 합한 작업도구 등의 원인으로 작업

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 험이 높다 여성들은 주

로 감정 노동 강도가 높은 서비스 매직 돌 노

동 병원 등에 종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가 증가하고 있다 한 근로자 자신뿐 아니라 자녀

들의 건강에 향을 미치는 생식독성 험이 있다

이러한 건강 문제들을 방하기 해서는 여성근로

자들을 보호하기 한 법 인 조처들의 정확한

수 일-가정을 양립하기 한 정책 수립 실행 직

무자율권 확 업무 부담 감소 등의 직무스트

스 리 조처 남녀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집행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Statu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of Korean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Working Women

Sinye L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in total population

is 500 The enrollemtn r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of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Korean men In spite of this finding

the proportion of women in higher position in government

and company is much lower because of glass ceiling

Furthermore there is a big wage gap between male workers

and female workers Korean female workers are more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10: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임신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 건강 험요인 황 여성근로자들을 심으로 minus

- 35 -

employed in non-standard work such as temporary and

daily work than male workers and the employment rate

in non-standard work is increasing Female workers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work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i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s

increasing They deprived of sleeping hours so the risk

of generalized fatigue self-rated poor heal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suicidal

attempted rate in Korean female has been higher than that

in Korean mal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in female workers is worse because of repetition

force and not suitable working conditions and equipments

In addition most female workers are working in the sectors

of service sales care giver and hospital exposed to high

demand of emotional labor

Because of these risk factors female workersrsquo self-rated

health is worse than that of male workers an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other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how increasing trend Besides female

workers exposed to adverse reproductive health risks for

both workers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uch as

spontaneous abortion delayed time to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ies of their children

To prevent these healt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obey

the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menrsquos health

Furthermore policies for keeping work-life balance

reducing job stress by increase of job control and decrease

of job demand and decreasing gender inequality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Korean society

Key Words Women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ease

Emotional labor Reproductive health risk

참 고 문 헌

1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Press release June 2013

3 Kim N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Gwa-

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15

4 Kim N Song HJ Kim MH Kang YA Lee HY

Kwack MS Korean Womenrsquo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76-367

5 Kim HJ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

tional labor Hanyang Med Rev 201030284-9

6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yeo Medical Books 2005 p40-58

7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25-34

9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En-

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

pensation Insurance Act Available httpwwwlawgokr

lsScdomenuId=0ampp1=ampsubMenu=ampnwYn=1ampquery

=EC82B0EC9785EC9EACED

95B4EBB3B4EC8381EBB3B4

ED9798EBB295ampx=0ampy=0J5384241

[cited 19 July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bor Available http

wwwmoelgokrviewjspcate=3ampsec=1ampsmenu=4

ampdiv_cd=003ampmode=viewampbbs_cd=116ampseq=

1311919034143amppage=1ampstate=A [cited 19 July

2014]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

Page 11: 우리나라 여성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 위험요인 현황: 여성 ...khmccd.kyunghee.ac.kr/room/news/29_01_4.pdf · 2014-10-07 · − 임신예:우리나라 여성들의

minus 경희의학 제29 권 제1 호 2014 minus

- 36 -

11 Kim HJ Jung WC Gender difference in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n J Aerosp

Environ Med 200414142-50

12 Noh DH Wang JH Choi HR Lim S Kim KW

Won CW et al The effect of shift work on the

level of self-rated health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00-9

13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

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p41

14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7 p22-23

15 Wang JH Lee GE Song JT Kweon JH Choi HR

Jung-Choi K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

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274-86

16 Lim S Health effects of night work Korea Occu-

pational Safety amp Health Agency OSH Research

Brief 2012114-21

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

velopment (OECD) OECD iLibrary Employment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Available httpstatsoecdorgviewhtmlaspx data-

setcode=ANHRSamplang=en [cited 19 July 2014]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orking

Conditions Survey Average working hours Available

h t tp kos is kr s ta tHtml s ta tHtmldoorgId=

380amptblId=DT_Q18ampvw_cd=MT_ZTITLEamplist_id

=380_38002_012ampseqNo=amplang_mode=koamp

language=korampobj_var_id=ampitm_id=ampconn_

path=E1 [cited 19 July 2014] (Korean)

19 Kim HJ Kang HT Kim SY Kim IA Kim JG Park

KL et al Geumcheon Digital Industrial Complex

womens health management project Cheona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Geumcheon-gu Office

2013 p152-153

20 Kim HJ Kim SY Lim S June KJ Management

policy for overworking workers Cheonan Dankook

University Ministry of Labor 2011 p117-136

21 Cho SJ Jang SN Cho SI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55-63

22 Statistics Korea Time Use Survey 2009 Press release

March 2010 [cited 19 July 2014]

23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2012 Press release

December 2012 [cited 19 July 2014]

24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

vioral factors Soc Sci Med 200867988-1001

25 Kim IH Khang YH Cho SI Chun H Muntaner C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4422-31

26 Kim IA Kim HJ Lim S Lee M Bahk JW June

KJ et al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

tomatology among full-time employees Results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ndash2009)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515ndash20

27 Kim YH Jung KY Hwang TY Jung GW Kim

HJ Park JS et 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hazards of Korean electronic workers exposed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622387-9

28 Lee B Jung HS Relationship between handling heavy

items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Saf 201260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