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76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목표내용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1)2)3)4) 최정화**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박동진***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노기영****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근 지속적인 건강행위의 변화나 건강관리를 요구하는 건강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한 정보기술의 하나로 스마트폰 앱이 그 잠재력을 주목 받고 있다. 금연 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앱을 찾아볼 수 있으나, 이러한 앱에 대한 평가나 분석은 거의 없는 형편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안드로이드 및 애플의 앱 시장에서 한국어로 제공되고 있는 29개의 금연앱의 내용을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에 기반하여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금연앱들은 SDT가 제시하는 기본욕구인 자율성, 유능 성, 관계성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 내용과 관련해서도 외재적(주로 금전적 이익 및 손실) 목표내용만을 제시하거 나 외재적 및 내재적(즉 건강) 목표내용을 동시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금연앱은 자발적 동기화가 아닌 통 * 이 논문은 2012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 단(NRF2012S1A3A2033480)과 한림대학교 Group연구활성화 지원사업(HRFG20122)의 지 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email protected], 제1저자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교신저자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76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목표내용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1)2)3)4)

최정화**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박동진***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노기영****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근 지속적인 건강행위의 변화나 건강관리를 요구하는 건강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한 정보기술의 하나로 스마트폰 앱이 그 잠재력을 주목 받고 있다. 금연

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앱을 찾아볼 수 있으나, 이러한 앱에 대한 평가나 분석은

거의 없는 형편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안드로이드 및 애플의 앱 시장에서

한국어로 제공되고 있는 29개의 금연앱의 내용을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에 기반하여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금연앱들은 SDT가 제시하는 기본욕구인 자율성, 유능

성, 관계성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

내용과 관련해서도 외재적(주로 금전적 이익 및 손실) 목표내용만을 제시하거

나 외재적 및 내재적(즉 건강) 목표내용을 동시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금연앱은 자발적 동기화가 아닌 통

* 이 논문은 2012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

단(NRF‐2012S1A3A2033480)과 한림대학교 Group연구활성화 지원사업(HRF‐G‐2012‐2)의 지

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email protected], 제1저자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교신저자

Page 2: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77

제적 동기화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많아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건 실무자 및 소비자에 대한 실무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 또한 논의

된다.

주제어: 스마트폰 앱, 자기결정성이론, 기본욕구, 목표내용

1. 서론

국내 흡연률은 1998년 66.3%에서 2005년 45.0%로 감소해 왔으나 2005년

이후로는 답보 혹은 소폭 증가상태로 유지, 2010년에는 47.3%에 머물고

있다(국민건강영향조사, 2013). 이는 20%를 조금 웃도는 OECD 평균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치다(OECD, 2011). 담배를 피우지 않는 직장인의 44.3%도

직장 내에서 거의 매일 간접흡연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건강

영양조사, 2012). WHO는 전 세계적으로 직접흡연으로 인해 600만 명, 간접

흡연으로 60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WHO, 2011).

이러한 흡연의 위험에 대해 정부에서는 대대적인 금연캠페인 및 건강교육

을 통해 흡연의 위험을 경고해 왔다. 이에 많은 흡연자들이 이를 인식하고

담배를 끊으려 하지만 흡연처럼 오래된 습관으로 고착화된 행동을 바꾸기란

쉽지가 않다. 담배에 함유된 니코틴 성분은 중독성이 있어 흡연을 할수록

니코틴에 대한 내성을 강화하고 흡연 욕구를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미국암협

회(American Cancer Society)에 따르면 금연을 시도하는 흡연자의 약 47%의

사람들이 약물이나 치료 프로그램 없이 금연에 성공하며, 약물 사용자들

중 약 25% 정도만이 6개월 이상 금연을 유지한다고 한다(Guide to Quitting

Smoking). 어렵사리 끊었다 하더라도 다시 흡연으로 돌아가는 일이 빈번하

다. 금연자의 60∼90%가 1년 내 다시 흡연을 한다는 연구 결과(e.g.,

Garvey, Bliss, Hitchcock, Heinold, & Rosner, 1992)는 변화된 행동을 지속

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보여 준다.

Page 3: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78

이처럼 지속적인 건강행위의 변화나 건강관리를 요구하는 건강문제의 해

결을 돕기 위해 정보기술을 응용하는 방안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그러한

정보기술의 하나로 스마트폰이 최근 그 잠재력을 주목 받고 있는데, 고혈압

이나 당뇨와 같은 장기적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스마

트폰 기반 운영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활용이 대표적인 예다. 이는 스마트

폰이 그 특성상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24시간 휴대하는 미디어이며,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및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행동 관리 및 강화를 지원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인식하고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한 스마트폰 앱이 실제로

많이 출시되어 있으나, 문제는 이러한 앱이 명확한 이론적 근거 및 과학적

증거에 기반해 개발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개인이 만든 앱이

쉽게 유통되고 있으며 공신력 있는 국가기관의 개발 사례가 부족한 형편이

다. 또한 유통되고 있는 앱들이 그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객관적

평가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검증되지 않는 앱의 무분별한

이용이 국민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는지 생각해 볼 문제다.

실제로 한 보도에 의하면 많은 우울증 관련 스마트폰 앱에 문제가 있으며,

심지어는 우울증을 조장할 소지까지 지닌 앱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

었다(류인하, 2012).

금연과 관련해서도 애플과 안드로이드 마켓 모두에서 다양한 금연 및 흡연

관리 관련 앱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금연앱을 나름대로 평가하고 추천하는

기사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앱에 대한 학술적 평가나 분석은

거의 없는 형편이다. 드문 예로 아브람스 등(Abroms, Padmanabhan,

Thaweethai, & Phillips, 2011)은 금연을 목적으로 하는 아이폰 앱을 조사,

분석한 바 있다. 애플스토어에서 유통되고 있는 47개의 앱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금연앱이 미보건국(U.S. Public Health Service)이 권고하는 ‘2008 담배

이용과 의존성 치료를 위한 진료 지침(2008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에 대한 준수 정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 금연앱이 과거 연구를 통해 금연에 효과가

Page 4: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79

있다고 증명된 접근법을 기능이나 내용에 충분히 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앱의 효용성이 의심될 수 있는 부분이다.

금연행위도 장기간의 노력과 지속적인 행동변화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스

마트폰 앱이 이를 돕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개인이 혼자서 금연을 시도하는 경우 성공하는 비율이

높지 않지만, 어떠한 형태든 보조적 도움을 받는 경우(e.g., 인터넷을 통한

자가도움, 상담, 니코틴 대체 치료 등)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금연에 성공

할 가능성이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Zhu, Melcer, Sun, Rosbrook,

& Pierce, 2000).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앱이 이러한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면 장기적 금연 유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의도한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 근거가 있는 내용과

기능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안드로이드 및 애플의 앱 시장에서 한국어로 제공되

고 있는 금연을 목적으로 하는 앱의 내용을 분석 및 평가해 보고자 한다.

국내 소비자들이 영문 금연앱에 노출될 수도 있겠지만 영문으로 된 세부적인

정보와 메뉴들을 대부분의 국내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

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 한정적이지만 국내 소비자들 누구나 이용 가능한

금연앱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한국어 금연앱에 분석을 한정시키고자

한다. 특히 이를 분석하는 데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 R. M. Ryan & Deci, 2000, 2008)을 이론적 틀로 삼는다.

SDT는 인간행동 동기(motivation)의 내재적, 외재적 원천을 정의하고 이들

이 인지적 및 사회적 발달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탐색하는 이론이다.

SDT에 따르면 개인의 행동에 대한 동기는 자율성의 정도에 따라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데, 통제된 동기화(controlled motivation)가 아닌 자발적 동

기화(autonomous motivation)에 의해 행동이 촉발되었을 경우 사람들은 그

행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금연과 같은

지속적 행동 변화를 요구하는 경우 자발적 동기화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금연앱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그 기능과 내용이 구성되었을

Page 5: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80

때 더욱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금연앱이 어느 정도로 이러한 자발

적 동기화를 유도할 수 있는 내용과 기능을 갖추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들 금연앱의 질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민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금연앱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에서는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해서는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이론인 SDT를 소개, 응용함으로써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SDT의 유용

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2. 문헌 연구

1) 정보기술과 건강관리

공중 보건 및 개인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도구로서 정보기술의 잠재력

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정보기술을 통해 개인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고

장기적 의료적 처치를 지원할 가능성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를 탐색해

왔다. 이러한 연구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먼저 시도되었

다.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치료적 개입은 음주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Hester, Squires, & Delaney, 2005; Murray, et al., 2007).

약물 중독 환자들은 컴퓨터를 통한 개입 시 약물 사용과 증상에 대해 더

인정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개입을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nningham, Wild, & Walsh, 1999). 또한 이메일이나 온라인 게시판과

같은 인터넷상 공간은 질병 치유를 돕는 사회적 지지의 자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음이 여러 연구를 통해 제시되었다(e.g., Han, et al., 2009; Han, et

al., 2008; Kim, Han, Shaw, McTavish, & Gustafson, 2010). 휴대전화 또한

만성질환 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e.g., Franklin, Greene, Waller, Greene, & Pagliari, 2008; Noh, et

Page 6: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81

al., 2010; D. Ryan, Cobern, Wheeler, Price, & Tarassenko, 2005).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건강관리에 접목한 사례는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건강증진시스템연구센터(Center for Health Enhancement Systems Studies)

의 CHESS(Comprehensive Health Enhancement Support System)에서 찾아

볼 수 있다. CHESS는 컴퓨터 기반의 e헬스(e‐Health) 시스템으로 개인이

유방암, 에이즈, 천식 등 다양한 건강문제에 대처하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건강정보 전달, 모니터링, 사회적 지지, 치료를

위한 지침 준수 전략 등을 제공하는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을 시행해 오고

있는데, 여러 연구(e.g., Gustafson, et al., 1999; Gustafson, et al., 2008;

Gustafson, et al., 2005)를 통해 이러한 CHESS 기반의 질병 관리 프로그램

이 일반적인 인터넷에 비해 더 효과적임을 보여 주고 있다. 보다 최근에는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시스템인 A‐CHESS (Alcohol‐Comprehensive Health Enhancement Support System)를 개발해 실험하고

있다.

건강관리에 정보기술의 활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의

상용화는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내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무선전화가

갖는 이동성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더불어 컴퓨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향상된 능력을 갖고 있다. 특히 이용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

그램은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도구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스마트폰

을 활용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이나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되는

단계인 만큼 그 사례를 찾기는 어려우나 A‐CHESS의 경우처럼 스마트폰을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건강관리 개입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또한

이를 헬스케어에 활용하기 위한 산업계의 노력도 가시화되고 있어, 여러

병원과 보건 당국은 당뇨 및 고혈압과 같은 건강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

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체력 관리 및 다이어트와 같은

건강행동 및 식습관 관리를 위한 앱도 인기다.

그렇다면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앱은 금연행동 관리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첫째는 금연 프로그램의 중도포기율을 낮추는 측면에서의

Page 7: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82

역할이다. 금연 프로그램을 통한 금연 성공 여부는 프로그램을 끝까지 마치

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정도로 중도포기율이 높다(Lichtenstein & Glasgow,

1992). 이러한 상황에서 스마트폰은 상시적인 행동 변화를 지지하기 위한

도구로 금연 프로그램의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는 맞춤형 메시지 및 프로그램 제공의 가능성이다. 흡연자의

인구통계학적, 심리적, 혹은 행동적 특성에 맞춘 맞춤형 금연 지침 프로그램

이 그렇지 않은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e.g.,

Prochaska, DiClemente, Velicer, & Rossi, 1993; Rimer, et al., 1994). 스마트

폰은 개인화된 미디어로 흡연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메시지를 보내거

나 기능을 맞춤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가능성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앱의 기능과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한 대답은 이론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론에 근거한 건강 캠페인 및 건강 개입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학자들(e.g., Fishbein & Cappella, 2006; Pingree, et al., 2010)에 의해 그

중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는 그러한 이론적 근거의 하나로 SDT에

의존하고자 한다.

2) 자기결정성이론과 금연행위

SDT(자기결정성이론)는 동기화 이론의 하나로, 교육, 조직, 운동, 건강

등 폭넓은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이론이다(김아영,

2010). 인간행동 동기의 내재적, 외재적 원천을 정의하고 이들이 인지적

및 사회적 발달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주목한다. 또한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

이 어떻게 개인의 의지적 동기를 촉진 혹은 위태롭게 하는지 탐색한다. 건강

행위와 관련해 많은 해외의 SDT 연구들이 운동, 섭식, 흡연, 음주, 치아

관리, 심리적 건강 등을 주제로 진행된 바 있다. SDT는 다섯 개의 하위

미니 이론(mini‐theory: 인지평가이론, 유기적통합이론, 인과지향성이론, 기

본심리욕구이론, 목표내용이론)으로 구성된 매크로 이론(macrotheory)인데,

Page 8: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83

이 연구에서는 기본심리욕구이론과 목표내용이론을 활용한다. 이는 기존의

여러 SDT 연구들이 정보기술의 특성과 건강행위의 동기화 과정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이들, 특히 기본심리욕구이론에 상당 부분 의지했기 때문이다.

(1) 기본심리욕구와 금연행위

SDT에 따르면, 인간은 기본적으로 ‘자기(self)’를 성장시키고 발달시키려

는 능동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추구하는 데 세 가지 기본심리욕구

의 만족이 필수적인데, 자율성(autonomy), 유능성(competence), 관계성

(relatedness)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본적 욕구가 충족됨에 따라 행동에 대한

개인의 내재적 동기가 유지되고 외재적 동기가 보다 자기결정적 형태로 변화

하게 된다. 즉 외부적 요인에 의해 강제된 행동이라 할지라도 이를 내면화하

여 강제성이 아닌 자발성에 기반하여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SDT 연구

들은 이러한 욕구 충족을 촉진시키거나 방해하는 사회적, 개인적 요인을

밝혀내고자 한다. 건강행위와 관련된 기존의 SDT 연구 성과는 개인의 자율

성, 유능성, 관계성을 극대화함으로써 건강행위의 자기조절이 내면화될 가능

성이 많아지고 긍정적 행동 변화가 보다 더 지속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세 가지 기본심리욕구가 건강행위, 특히 금연행위에서 작

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① 자율성

자율성 욕구는 외부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부여한 가치와 흥미에

근거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SDT에 의하면 사람

들은 행동의 원인 소재가 외부에 있을 때보다 내부에 있을 때 동기 유발이

더 잘되고 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려 한다(Ryan & Deci, 2000). 즉 외재

적인 보상이나 압력보다는 자율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기를 바라는

욕구에 의해서 동기화된다는 것이다. 자아에 의한 내재적 조절(intrinsic

regulation)-즉 행동 자체에 대한 흥미와 만족감에 기반하여 행동함-을

통해 개인이 의도한 행동을 할 때, 개인은 자율성을 경험하게 된다(R. M.

Page 9: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84

Ryan & Deci, 2008). SDT 연구들은 외적 조절의 내재화를 위해서는 자율성

지지(autonomy support)와 같은 사회적 환경 변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자율성 지지는 개인의 환경이 행동에 대한 의미 있는 이유

를 제시하고, 참여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며, 어려운 행동에 대한 개인의

부정적 느낌을 인정하는 것과 같은 요소로 특징지어진다(Reeve & Jang,

2006).

이러한 자율성의 효과는 여러 금연 관련 연구에서도 그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 일례로 윌리암스 등(Williams, Cox, Kouides, & Deci, 1999;

Williams, Gagné, Ryan, & Deci, 2002)의 연구에서, 자율성을 지지하는 커뮤

니케이션 스타일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자발적 동기화를 유도했으

며, 자발적 동기화가 될수록 단기적뿐만 아니라 장기적 금연에 성공할 가능

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마트폰 금연앱이 개인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내용과 기능을 제공할 때, 스마트폰 앱 이용에 따른 금연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금연앱이

개인으로 하여금 흡연을 절제해 나가는 방법이나 목표 등을 스스로 결정하도

록 하고, 금연의 중요성과 의미를 설득하는 정보를 제공한다면 이는 자율성

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② 유능성

유능성 욕구는 개인이 본인의 능력이나 재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며 스스로

유능하다고 느끼고 싶어 하는 욕구를 말한다. 이러한 욕구는 실질적으로

기술과 능력을 획득하는 것에서 유인하는 것이라기보다 자신감과 효능감에

대한 지각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기효능감(self‐efficacy; Bandura,

1997)과 비슷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SDT는 동기의 내재화를 위해서는

개인이 변화에 대한 자신감과 능력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유능감은 행동 변화를 저해하는 방해물이 나타났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나 도구, 그리고 관련된 적절한 피드백 등에 의해

형성되고 지지된다. 유능감은 자율성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이는 자율적으

Page 10: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85

로 어떤 행동에 참여할수록 관련된 전략이나 능력을 더 배우고 응용하려고

동기화되기 때문이다. SDT는 유능감만으로는 지속적 행동 변화를 이끌어

내기 어렵고 자율성이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고 본다.

유능감이 금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는 여러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e.g., Williams, et al., 2006; Williams, Niemiec, Patrick, Ryan, &

Deci, 2009). 이들 연구들은 자율성과 더불어 유능감이 향상될수록 장기적으

로 금연을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아짐을 보여 준다. 마찬가지로 여러 연구들

이 금연에서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고한 바 있다(e.g.,

Condiotte & Lichtenstein, 1981; Shiffman, et al., 2000). 스마트폰 앱은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보 및 자원, 피드백 기능 등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능성 요소를 탑재한 금연

스마트폰 앱은 유능성 지각을 높여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③ 관계성

관계성 욕구는 타인과 관계를 맺고 사회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를 의미하

며, 타인과 연결되어 있다는 심리적 지각에 관한 것이다. 관계성은 특히

외적 원인의 내재화를 증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즉 어떤 행동이 그 자체로는 본인에게 흥미롭지 못하더

라도 그 행동에 대해 동기 부여를 하는 타인이 본인에게 의미 있는 사람일

경우 그 행동을 보다 쉽게 내재화할 수 있다. 건강행위에서 관계성의 중요성

은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라는 개념으로 많은 연구에서 제시된 바

있다. 유방암(e.g., Fogel, Albert, Schnabel, Ditkoff, & Neugut, 2002),

HIV(e.g., Friedland, Renwick, & McColl, 1996), 운동(e.g., Duncan &

McAuley, 1993) 등 다양한 건강행위에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에서도 사회적 지지의 역할은 여러 연구에 의해 고찰

되었다(e.g., Coppotelli & Orleans, 1985; May & West, 2000; Mermelstein,

Cohen, Lichtenstein, Baer, & Kamarck, 1986).

Page 11: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86

정보기술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관계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인터넷

및 컴퓨터 네트워크가 건강행위와 관련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e.g., Fogel,

et al., 2002; Shaw, McTavish, Hawkins, Gustafson, & Pingree, 2000).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사회 미디어(Social Media)는 개인 간의 연계를 가능케

함으로써 개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Ellison, Steinfield, & Lampe, 2007),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많은 스마트폰 앱이 이러한 사회 미디어에 기반하거

나 이와 연계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금연 스마트폰 앱이 이러한 특성을 활용

한다면 관계성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에서 논의한 바처럼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행동 변화를 유도, 특히

장기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금연앱

이 이러한 욕구를 기술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면, 흡연행위를 변화시키는

데 보다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문제 1: 스마트폰 금연앱들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속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가?

(2) 목표내용과 금연행위

SDT의 하위 미니 이론 중의 하나인 목표내용이론은 개인이 삶 또는 행동

의 목표를 어떻게 선택하고 내재화하며, 그것이 어떻게 개인의 행동 변화나

심리적 안녕 등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다. SDT에서는 목표내용을

내재적(e.g., 자아실현, 건강, 공동체에 대한 공헌) 목표내용과 외재적(e.g.,

경제적 성공, 사회적 지위, 신체적 매력) 목표내용으로 구분하고 있다. 과거

연구들은 외재적 목표보다 내재적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자발적 동기화를

일으켜 행동변화에 보다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

다. 한 예로 한 연구(Vansteenkiste, Simons, Lens, Soenens, & Matos, 2005)

Page 12: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87

에 따르면 목표가 없거나 외재적 목표를 갖는 경우에 비해 내재적 목표를

갖는 학생들일수록 학습활동에 더 깊이 더 끈기 있게 참여하고 개념 학습에

서 보다 높은 성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활용 참여

행위에도 나타났는데, 내재적 가치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받았을 때 대학생들

은 재사용 및 재활용에 대해 더 많이 학습했으며 그 학습은 더 오래 지속되었

다(Vansteenkiste, Simons, Lens, Sheldon, & Deci, 2004). 또한 외재적 목표

에 중점을 두는 사람들일수록 덜 행복하며 더 우울해 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Kasser & Ryan, 1996).

이러한 결과는 건강행위에도 일관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비만 어린이

를 대상으로 한 연구(Vansteenkiste, Matos, Lens, & Soenens, 2007)에 의하

면, ‘매력적 외모’와 같은 외재적 목표에 비해 ‘건강’이라는 내재적 목표를

교육받은 어린이들이 체중감량 시도율이 더 높았을 뿐만 아니라 2년간 유지

하는 비율도 더 높았다. 금연과 관련한 연구에서도 육체적 건강을 목표로

갈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금연을 유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Niemiec, Ryan, Deci, & Williams, 2009). 한편 금연의 대가로 금전적 혜택

이 주어졌을 때, 금연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결과도 있다(Cahill &

Perera, 2008). 이러한 이유로 라이언과 데시(R. M. Ryan & Deci, 2008)는

금전적 혜택과 같은 통제적 기제를 사용하는 것에 우려를 표한다.

이처럼 목표내용의 종류가 장기적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

했을 때, 스마트폰 앱에서 어떠한 목표내용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스마트폰 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 외재적 목표는

행동 촉발 단계에 보다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내재적 목표는

행동 변화의 지속적 유지에 더 큰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Pelletier

& Sharp, 2008). 장기적인 행동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는 금연행위의 경우

이러한 외재적 목표도 일정 기능을 담당하겠지만, 완전한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목표의 제시가 중요한 이유다.

이러한 목표내용은 스마트폰 앱상에서는 행동의 결과를 보여 주는 방식으

로 암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배 한 개비를 피우는 데 소요되는

Page 13: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88

금전적 이익이나 손실을 계산하여 보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금연

앱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금연행위를 통해 추구될 수 있는 목표를 금전적

인 측면에서 제시한 것으로, 외재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문제 2: 금연앱 기능에서 암시되어 있는 목표내용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즉 외재

적 및 내재적 목표내용이 어느 정도로 금연앱 기능에서 암시되고 있는가?

(3) 목표내용의 이익·손실 프레이밍과 금연행위

목표를 제시하는 방법은 메시지 프레이밍(message framing)과도 접하

게 관련이 있다. 즉 어떤 종류의 목표를 제시할 것이냐 뿐만 아니라 어떠한

방식으로 그 목표를 제시할 것인가(i.e., 프레이밍) 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다.

이에 따라 제시된 목표내용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Pelletier & Sharp, 2008). 헬스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많이 활용

되어온 프레이밍 이론은 이익·손실 프레이밍 이론이다. 프레이밍에는 권고

안을 채택할 경우 얻게 될 신체적, 심리적 혜택이나 긍정적 결과를 강조하는

‘이익 프레이밍(gain framing)’과 권고안을 채택하지 않을 경우 신체적, 심리

적 손실이나 부정적 결과를 강조하여 수용자에게 불편한 감정을 유발시켜

권고안을 선택하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손실 프레이밍(loss framing)’으로

나눌 수 있다. 펠레티에와 샤프(Pelletier & Sharp, 2008)는 내재적 목표와

외재적 목표내용이 각각 이익 혹은 손실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시될 수 있으

며, 이에 따라 정보처리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주장한

다. 즉 어떤 행위를 했을 때 ‘건강’과 같은 내재적 목표를 얻거나(이익) 잃는다

(손실)는 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고, 혹은 ‘금전’과 같은 외재적 목표

를 얻거나 잃는다는 식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이밍의 효과는 여러 가지 개인적 요인 혹은 반응 대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그중 하나가 행동 단계(Stages of Change)다.

펠레티에와 샤프(Pelletier & Sharp, 2008)는 기존의 논의에 근거하여 행동

Page 14: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89

변화의 세 단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탐지(detection), 결정(decision), 수행

(implementation)이 그것이다. ‘탐지’ 단계는 문제를 지각하지 못하거나

문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지 못하는 단계로 행동 변화의 의지가 없는 단계

다. ‘결정’ 단계는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행동을 취해야 할지, 취한다면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할지 생각하는, 결정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다. 마지막

으로 ‘수행’ 단계는 결정한 행동을 수행하는 단계다. 이는 초이론적 모형

(transtheoretical model)-변화단계모델(stages of change)-에서 제시하

는 단계와 어느 정도 상응한다.

학자들(Pelletier & Sharp, 2008; Prochaska, et al., 1993)은 단계별로 사람

들이 처한 상황이 다르고 다음 단계로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즉 각 단계별로 사람들의

욕구 및 동기가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나 효과적인 소구 방법에서 달라

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행동 변화를 위한 건강 개입을 기획할 때 이러한

행동 변화 단계를 고려한 맞춤형 개입이 요구된다. 먼저, 탐지(사전 숙고)

단계는 현재 건강행위에 아무런 문제를 느끼지 못하거나 문제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단계다. 탐지 단계에서 결정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문제

가 있음을 깨닫고 그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메시지가 사람들의 주목을 끌 수 있어야 하며, 해당 문제가 본인

과 관련성이 높음을 강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Pelletier & Sharp, 2008).

그런 의미에서 공포 소구식의 위협적이고 강제적인 메시지 전략이 이 단계에

있는 사람들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메시지 프레이밍에서도

이익(gain) 프레임보다는 손실(loss) 프레임의 메시지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Pelletier & Sharp, 2008). 반면 결정 단계는 건강행

위에 대한 문제점을 느끼고 그 문제의 중요성을 느끼는 단계로, 행동 변화의

의사가 있는 단계다. 그러나 아직 실행으로 옮길 만큼 행동 변화에 대한

구체적 결정을 내리지는 못하고 있는 단계다. 이 단계는 사람들이 이미 문제

의 존재와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위협적인 메시지

는 제한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공포감을 불러올 수도 있다(Rothman

Page 15: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90

& Salovey, 1997). 이는 로저스(Rogers, 1975)의 보호동기이론에서 제시하는

바와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결정 단계에서는 행동 변화를 통해 얻게 될 바람

직한 결과를 강조하는 것(즉 이익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는 것이 학자들(Pelletier & Sharp, 2008)의 주장이다.

금연앱을 검색하고 설치하는 시점에서의 금연앱 이용자는 대부분이 결정

(숙고) 단계에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들이 금연앱에 관심을

가졌다는 것 자체가 자신의 행위에 문제점을 느꼈다는 것이라고 가정해 볼

때, 금연앱은 행동 촉발에 효과적인 손실 프레임보다는 행동 유지에 도움이

되는 이익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문제 3: 금연앱이 목표내용을 제시하는 데 어느 정도로 이익 및 손실 프레이밍이

사용되고 있는가?

3.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이 연구에서 금연앱이라 함은 금연을 위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앱을 말한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인 한국어 스마트폰 금연앱

을 수집하기 위해 애플과 안드로이드 앱 마켓에서 각각 ‘금연’, ‘흡연’, ‘담배’라

는 주제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실시했다. 검색된 앱의 명칭과 설명을 검토한

후, 공공 흡연 장소 안내에 관한 것이나 흡연 시뮬레이션 앱, 습관 관리

앱 등 금연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앱, 그리고 금연과 전혀 관련 없는 앱은

제외했다. 또한 최면을 통해 금연을 유도하는 앱도 분석에서 제외했는데,

이는 무의식적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앱들이어서 SDT으로 분석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몇몇 영문명의 앱도 검색되었는

Page 16: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91

데, 이들은 한국어로 언어 설정이 가능하거나 한국어판인 경우에만 분석에

포함되었다. 동일한 앱명으로 무료와 유료판이 있는 경우 내용이 더 풍부한

유료판만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또한 금연앱으로 등록이 되어 있으나

실제 설치했을 때 내용이 없거나 작동되지 않는 앱들은 분석에서 제외되었

다. 이러한 기준으로 애플과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각각 분석 대상 앱 목록을

작성한 후, 두 목록을 비교하여 중복되는 경우 하나만 분석하도록 했다.

최종적으로 2012년 12월에서 2013년 1월 사이에 설치 가능했던 29개의 앱이

분석 대상으로 확정되었다.

2) 코딩 프로토콜 개발

금연앱 분석을 위한 코딩 프로토콜 개발을 위해, 자기결정성이론 및 구스

타프슨 등(Gustafson, et al., 2011)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스콘신대 e‐CHESS

시스템 분류(p. 330)를 참조해 초안을 먼저 개발했다. 이 초안에 기반해,

분석 대상 금연앱의 일부를 연구자가 검토하여 금연앱의 특성을 고려한 세부

적인 코딩 프로토콜을 작성했으며, 후에 코더 간 신뢰도를 시험하는 과정에

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항목은 일부 수정하여 완성했다.

앱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유목으로, 마켓 유형(안드로이드

vs. 애플 vs. 공통), 가격 유형(무료 vs. 유료), 개발자 유형(개인 및 개발자

그룹 vs. 비영리 조직 vs. 기업), 개발자 국가(한국 vs. 기타), 내용 유형(정보

중심 vs. 기능 중심 vs. 정보 및 기능 균형)이 포함되었다. 앱을 내려 받은

이용자의 수를 말하는 다운로드 숫자는 안드로이드앱에 대해서는 구간(e.g.,

500∼1,000, 10,000∼50,000 등)으로 표시된 정보가 제공되었으나 애플앱에

대해서는 제공되지 않아 안드로이드앱에 대해서만 자료가 수집되었다. 안드

로이드앱의 다운로드 횟수는 구간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이들 구간은 순위로

환산되었다. (즉 분석 대상 앱에서는 총 일곱 개의 연속되는 구간이 있었으므

로 1에서 7까지의 숫자로 전환되었다.)

다음으로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의 요소를 얼마나 갖고 있는지 살펴보기

Page 17: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92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코딩하도록 했다. 먼저 관계성 관련 요소 포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① 토론방이나 카페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 기능

제공 혹은 연계 여부, ② SNS와 연계 기능 제공 여부, ③ 앱 자체 격려나

지지 메시지 제공 기능 여부(예. 가족이나 친구의 격려 메시지 녹음 및 재생

기능), ④ 타인과 금연을 함께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제공 여부(예.

버디 프로그램 등), ⑤ 전문가 상담 혹은 연결 기능 제공 여부를 표시하도록

했다. 이들 기능은 타인과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므로 관계성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유능성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기능 유무를 조사했다.

① 금연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행동지침의 제공, ② 본인의 흡연

및 건강 상태에 대한 자기 진단 기능(예. 니코틴 의존도 측정), ③ 금연

행위 분석 기능(예. 흡연 빈도 및 시간 등의 추이 및 평균 등 통계치 제공),

④ 금연을 향한 성취 혹은 진척을 알리는 신호 제공(예. 목표 대비 진척도

표시), ⑤ 각종 정보자원(예. 퀴즈, 질의응답, 뉴스레터, 웹사이트 링크, 건강

관련 신문기사 등) 제공이다. 이러한 기능들은 개인이 행동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이 실천한 행위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자신감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유능성을 높일 것으로 고려된다.

자율성 관련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항목에

대해 제공 여부를 조사했다. ① 금연의 중요성 및 흡연의 위험성을 알리는

정보, ② 금연을 위한 행동 목표 설정 및 행동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기능(e.g., 하루에 피울 담배 개수, 목표 금연일), ③ 개인의 금연/흡연 행위

기록 기능, ④ 흡연 행위에 대한 경고 혹은 금연을 상기시키는 메시지 설정

기능이다. 이들은 개인의 행동 변화에 대한 의미를 제공하고, 스스로 행동

계획하고 통제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성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금연앱 기능에서 암시되고 있는 목표내용과 이에 대한 이익 및 손실 프레

임을 분석하기 위해 금연앱에서 금연 행위의 결과를 어떠한 목표내용과 연계

시켜 기능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즉 ① 금전(흡연으로 인한 금전

Page 18: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93

적 손실 및 금연으로 인한 금전적 이익), ② 외모(흡연으로 인한 외모적

손실 및 금연으로 인한 외모적 이익), ③ 건강(흡연으로 인한 건강 측면의

손실 및 금연으로 인한 건강 측면의 이익) ④ 시간(흡연으로 인한 시간 손실

및 금연으로 인한 시간 이익) 측면에서 기능 제공 여부를 조사했다.

그 밖에 코딩 프로토콜에서 미처 반영하지 못한 항목이 나타날 것에 대비

하여 기타 항목을 만들어 기존 프로토콜에서 해당하는 항목이 없을 경우

이를 ‘기타’로 표시하고 그 내용을 기록하도록 했다.

3) 코더 간 신뢰도

코더 간 신뢰도를 수립하는 절차는 롬바르드 등(Lombard, Snyder‐Duch,

& Bracken, 2002)의 지침에 따랐다. 코더의 교육 및 코더 간 신뢰도 수립을

위한 사전 테스트를 위한 코딩을 위해서는 영문 금연앱을 이용했다. 분석

대상인 한국어 금연앱의 숫자가 작아서 여기서 표본을 추출하여 신뢰도 수립

을 위한 연습용으로 이용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영어와 한국어 모두

구사 가능한 두 명의 학부생 연구보조원이 코더로 참여했으며, 이들 연구보

조원들은 세 차례의 훈련을 통해 코딩 유목을 숙지했다. 영문앱을 대상으로

한 사전 테스트를 통해 만족할 만한 신뢰도가 수립될 것으로 판단되자, 이

연구의 전체 표본인 29개의 한글앱을 대상으로 코더 간 신뢰도를 평가했다.

두 명의 훈련된 코더들은 독립적으로 각각 29개의 앱에 대한 코딩을 수행했

다. 코더 신뢰도는 PRAM v.0.4.5(PRAM, 2001)를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이

를 통해 얻어진 최종 코더 간 신뢰도는, 단순일치도의 경우 모든 항목이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Cohen’s Kappa나 Scott’s Pi의 경우 대부분은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네 개 항목의 .70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ohen’s Kappa나 Scott’s Pi, Krippendorff’s Alpha와 같은 통계적 신뢰도는

이원적 변인(예를 들어 있음/없음)인 경우, 두 값 중 하나가 드물게 나타나면

한 두 개만 틀려도 통계치가 매우 낮아지거나 심지어는 음수 값을 보이기도

한다(Swert, 2012). 데이터를 확인해 본 결과 코딩 대상이 되는 속성이 드물

Page 19: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94

게 나타난 경우로(즉 1로 코딩된 값이 매우 적었음) 코더 간 불일치가 두

개 정도에 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유목에 대한 단순일치도는 모두

.90을 넘었고 이론 및 기존 연구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이들 유목이 의미 있다

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이들 유목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코더 간 불일치

가 발생한 사례에 대해서는 연구자와 코더 간의 토론을 통한 합의에 의해

확정되었다.

4. 분석 및 결과

1) 서술적 분석

총 29개의 한국어 금연앱 중 대부분(86.2%, n=25)이 무료앱이었으며

유료앱(13.8%, n=4)은 소수였다. 65.5%(n=19)는 안드로이드앱이었고

20.7%(n=6)는 애플앱, 그리고 4개(13.8%)의 앱은 양쪽 마켓 모두에서 이용

가능했다. 이들 앱의 개발자는 대부분 개인이나 개발자 그룹(72.4%, n=21)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영리조직(10.3%, n=3)과 기업(17.2%, n=5)이 소

수 있었다. 이들 한국어앱의 대부분은 한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75.9%, n=22), 일부는 외국에서 개발된 후 한국어가 이용 가능하도록 만들

어졌다(24.1%, n=7). 개발된 앱들은 대부분 특정한 목표이용자 대상 없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했으며, 단 한 개의 앱만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

다. 앱의 내용적인 측면을 보자면, 정보와 기능을 균형 있게 담고 있는 것으

로 파악된 앱은 17.2%(n=5)에 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은 기능 중심의 앱이

었고(72.4%, n=21), 기능은 거의 없이 정보만 담고 있는 앱도 소수 있었다

(10.3%, n=3)(<표 1> 참조).

Page 20: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95

항목 분류 유목 분포

마켓 유형

안드로이드

애플

안드로이드/애플 공통

65.5% (n=19)

20.7% (n=6)

13.8% (n=4)

가격 유형무료

유료

86.2% (n=25)

13.8% (n=6)

개발자 유형

개인 및 개발자 그룹

비영리 조직

기업

72.4% (n=21)

10.3% (n=3)

17.2% (n=5)

개발자 국가한국

기타

75.9% (n=22)

24.1% (n=7)

내용 유형

정보중심

기능 중심

정보 및 기능 균형

10.3% (n=3)

72.4% (n=21)

17.2% (n=5)

<표 1> 분석 대상 한국어 금연앱의 서술적 특성(N=29)

2) SDT 기본욕구 관련 속성 분석

<연구문제 1>은 한국어 스마트폰 금연앱들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속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이에 대한

답변을 찾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금연앱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중 최소한 어느 한 요소와 관련된 기능은 제공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 세 가지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금연앱은

24.1%(n=7)에 지나지 않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계성과 관련된 기능을 한 가지라도 제공하는 앱은

37.9%(n=11) 정도였으며 대부분 온라인 커뮤니티 및 사회 미디어와의 연계

를 통해 관계성을 지지하는 것이었다. 전문가와의 상담 제공 관련 기능을

Page 21: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96

SDT 기본욕구 관련 기능 유목 속성 보유 비율(빈도)

관계성

온라인 커뮤니티와 연계(e.g., 카페, 게시판) 13.8% (n=4)

사회 미디어 연계 17.2% (n=5)

앱 자체 격려 및 지지 메시지 기능 제공 6.9% (n=2)

전문가와 상담 3.4% (n=1)

타인과 공동 실행 0.0% (n=0)

위 기능 중 최소 한 가지 이상 제공 37.9% (n=11)

유능성

금연 방법에 관한 정보 20.7% (n=6)

현재 흡연 행위 및 건강 상태에 대한 자기 진단 10.3% (n=3)

금연 행위에 대한 분석 20.7% (n=6)

성취 혹은 발전에 대한 신호 20.7% (n=6)

각종 정보(e.g., 신문기사, 웹사이트 링크,

건강정보, 금연클리닉 위치 정보 등)13.8% (n=4)

위 기능 중 최소 한 가지 이상 제공 58.6% (n=17)

자율성

금연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정보 31.0% (n=9)

목표와 행동 계획 설정 기능 20.7% (n=6)

행동에 대한 경고나 상기 메지지 설정 기능 20.7% (n=6)

금연 노력 및 시도 행위 기록 기능 89.7% (n=26)

위 기능 중 최소 한 가지 이상 제공 100.0% (n=29)

<표 2> 금연앱의 SDT 기본욕구 관련 속성 분석(N=29)

제공하는 앱은 단 한 건에 그쳤다. 유능성의 경우 절반을 조금 넘는 수

(58.6%, n=17)의 금연앱이 최소한 한 가지 이상 관련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자율성의 경우, 모든 금연앱이 한 가지 이상 관련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 스스로의 금연/흡연 행위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참조).

Page 22: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97

마지막으로 이들 각각의 SDT 기본욕구 관련 속성 보유 여부를 각 앱별로

합산하여 SDT 총점을 만들어 추가적 분석을 실시했다. SDT 총점의 평균은

3.48(SD=1.82)로 이는 평균적으로 이들 금연앱이 3.48개의 SDT 기본욕구

관련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장 많이 SDT 속성을 보유한 앱은

최대 7점으로, 대부분은 이러한 속성을 세 개 미만(58.6%, n=8)으로 보유하

고 있었다. 금연앱의 분류에 따른 SDT 총점 평균은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다.

3) 암시된 목표내용 관련 기능 분석

<연구문제 2>는 금연앱에서 어떠한 목표내용이 암시되고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금연앱에서 금연 행위의 결과를 어떠한

목표내용과 연계시켜 기능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전

체적으로 79.3%(n=23)에 해당하는 앱들이 금연행위의 결과를 ① 금전,

② 건강, ③ 시간, ④ 외모 중 최소한 한 가지와 연계시켜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전과 연계시키는 경우(69.0%, n=20)는, 담배 한 개비당 가격을

기준으로 금연 및 흡연으로 인한 금전적 이익 혹은 손실을 개인의 흡연 및

금연 행위와 연계시켜 보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건강과 연계시키

는 경우(48.3%, n=14)는 금연/흡연으로 인한 건강 측면의 이익·손실을

보여 주는 것으로, 폐나 혈액의 독성물질 지수나 수명의 감소 혹은 연장

정도를 수치로 보여 주는 방식이었다. 시간의 경우(10.3%, n=3), 흡연에

소요되는 시간의 손실이나 금연을 함으로써 절약한 시간을 수치화하여 보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외모와 연계시키는 경우(6.9%,

n=2)에는 흡연이나 금연 행위에 따라 얼굴이 노화되거나 젊어지는 이미지

를 보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그 예다(<표 3> 참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르면 금전과 외모는 외재적 목표내용과 연관되며,

건강은 내재적 목표내용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분류해서 살펴보았을 때,

내재적 목표와 외재적 목표를 모두 제시하고 있는 경우는 37.9%(n=11)였

Page 23: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98

프레이밍별 비율 전체 비율

금전

이익만 27.6%(n=8)

69.0%(n=20)손실만 20.7%(n=6)

이익·손실 모두 20.7%(n=6)

건강

이익만 17.2%(n=5)

48.3%(n=14)손실만 17.2%(n=5)

이익·손실 모두 13.8%(n=4)

시간

이익만 3.4% (n=1)

10.3%(n=3)손실만 0.0%(n=0)

이익·손실 모두 6.9%(n=2)

외모

이익만 0.0%(n=0)

6.9%(n=2)손실만 3.6%(n=1)

이익·손실 모두 3.4%(n=1)

<표 3> 금연앱에서 암시된 목표내용(N=29)

유목 비율

내재적 목표내용만(즉, 건강) 10.3%(n=3)

외재적 목표내용만(즉, 금전과 외모) 31.0%(n=9)

내재적 및 외재적 목표내용 모두 37.9%(n=11)

합계 79.2%(n=23)

<표 4> 금연앱에서 암시된 목표내용의 프레이밍(N=29)

고, 외재적 목표내용만 제시한 경우는 31.0%(n=9), 내재적 목표내용만 제시

된 경우는 10.3%(n=3)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외재적 목표내용을 제시하

고 있는 금연앱이 좀 더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표 4> 참조).

Page 24: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99

4) 목표내용의 이익·손실 프레이밍 분석

<연구문제 3>은 금연앱에서 암시된 목표내용이 어떤 프레이밍으로 제시

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이익과 손실 프레이밍에 대한 코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빈도수가 많았던 금전과 건강의 경우 모두, 손실 프레이밍만

제시된 경우가 이익 프레이밍만 제시된 경우나 이익·손실 프레이밍 모두를

제시한 경우에 비해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익 프레

이밍보다는 손실 프레이밍이 전반적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

었다(<표 3> 참조).

5. 결론 및 논의

공중보건 증진에서 정보기술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미디어를 통한 건강행위 증진은 학문적·실무적으로

크게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인식, 많은 조직 및 개인들이 건강

과 관련된 스마트폰 앱을 시장에 내놓고 있으나 이러한 앱이 어떠한 내용과

기능으로 구성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중요한 건강행위 중 하나인 금연을

목표로 하는 29개의 한국어 금연앱을 분석했다. 특히 동기화이론의 하나로,

건강행위와 관련해 최근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자기결성성이론에 근거해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모든 금연앱들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중 최소한 어느 한

요소와 관련된 속성을 최소한 한 개 이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24.1%(n=7)는 세 가지 기본 욕구와 관련된 기능을 모두 제공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DT에 따르면 기본 욕구들이 충족될수록 유의미

하고 지속적인 행동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문헌 연구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금연과 관련한 과거 연구에서도 증명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Page 25: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100

결과는 현재 앱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국어 금연앱들이 개인의 금연행위

에 대한 자발적 동기를 부여하고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일정

정도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관계성을

지지하는 속성을 갖는 앱이 매우 적다는 점이다. 과거에 여러 연구들(e.g.,

Carlson, Goodey, Bennett, Taenzer, & Koopmans, 2002; Mermelstein, et

al., 1986; Wagner, Burg, & Sirois, 2004)에서 금연에서 사회적 지지의 주요

성을 강조한 바 있다는 점에서 금연앱은 이러한 측면에 있어서 개선될 필요

가 있다 하겠다.

목표내용과 관련해서는 외재적(주로 금전적 이익 및 손실) 목표내용만을

제시하거나 외재적 및 내재적(즉 건강) 목표내용을 동시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목표내용이 외재적 동기화와 관련이 있다는

기존 SDT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이들 금연앱들이 자발적 동기화가 아닌

통제적 동기화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외재적 목표

내용과 내재적 목표내용이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에도 오히려 외재적 동기화

를 불러일으킨다는 연구 결과(Vansteenkiste, et al., 2004)를 고려했을 때,

다수의 금연앱이 통제적 동기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통제적

동기화로 인한 행동 변화의 경우 그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기 어렵다는 기존

SDT 연구 결과(Ortis, et al., 2007)를 고려했을 때, 이들 금연앱이 갖는 효능

성을 한편으로는 의심해 볼 수 있는 이유다.

목표내용을 제시하는 형식에서도 이익 프레이밍보다는 손실 프레이밍이

보다 빈번히 사용되었다는 점도 생각해 볼 부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실 프레이밍은 행동 변화를 촉발하는 데에는 보다 효과적일 수 있지만,

행동 유지에서는 이익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있다(Pelletier

& Sharp, 2008). 금연앱을 이용하는 시점에서 모두 금연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일단 금연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이용의도를 갖고 내려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론할 수 있으며, 일단 금연을 하기로 결정하고 앱을 이용

하게 되는 경우 장기적 금연의 유지가 더 관건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러한 손실 프레이밍의 이용이 자발적 동기 유발에 제한적으로 작용하는

Page 26: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101

것은 아닐지 생각해 보아야 할 부분이다.

이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현재 금연앱을 분석 및 평가함으로써 보건 전문

가 및 실무자, 그리고 소비자에게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금연앱 분석 결과는 현재 스마트폰 앱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금연앱들이 소비자의 자발적 행동동기를 유발시킬 만한 속성을 일부

갖추고 있음을 제시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세 가지 기본욕구를 모두 충족

시키거나 목표내용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이를 충실히 만족시키는 수준의

앱은 많지 않다는 것 또한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관련 보건 기관이나 전문가

는 질적 수준이 어느 정도 이상인 금연앱을 추천하거나 이 연구에서 분석의

틀로 삼은 요소들을 참고하여 보다 질적으로 완성된 앱을 개발하여 배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후속 분석에 의하면, 회사(n=5, m=4.00, SD=2.12)나 비영리

조직(n=3, m=5.33, SD=1.53)이 개발한 앱이 개인이나 개발자 그룹이

개발한 앱(n=21, m=3.09, SD=1.82)보다 SDT 총점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앱을 선택할 때 신뢰도 있는 기관에서 제작한

앱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현명한 선택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이 연구는 아직까지 SDT를 응용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드문

가운데, SDT를 소개하고 헬스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응용가능성을 보여 주

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SDT는 개인이 외부적 영향 요인을 내면

화하는 과정에 관심을 갖고 이를 통해 개인이 어떻게 스스로 행위를 결정하

고 수행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서 SDT는 기존에 많이 이용

되었던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예. 합리적행동이론, 사회규범이론)에 비

해, 수용자의 능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SDT가 기존의 이론에 더해 혹은 그에 반해 개인의 건강행

위에 대해 어떠한 설명을 더 할 수 있는지는 더 많이 탐구해야 할 부분이다.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을 소개하고 적용하는 데에 그쳤지만, 앞으로 보다

많은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들이 이론의 확장성을 목표로 수행되길 기대해

본다.

Page 27: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102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여러 가지 한계점에서 자유롭지 못하

다. 먼저 분석 대상인 한국어 금연앱의 개수가 작아서 보다 세 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수 없었다. 금연앱의 개수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것은, 앞서 서론에서 설명했듯이 금연이 중요한 건강 문제이

기 때문이다. 또한 금연행위는 지속적 행동 변화를 요구하고 목표행동이

매우 명확하다는 점에서 SDT를 활용한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즉 SDT를

적용하여 건강앱 분석을 시행하는 데 금연만큼 적절한 주제도 없다는 것이

다. 이 연구의 또 다른 한계는, 국내 소비자들이 주로 한국어 앱을 이용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했다는 점이다. 실제로는 영문앱을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국내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모든 금연앱을 분석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때문에 영문앱으로 범위를 넓혀서 분석을 실시할 수도 있겠지만, 영문

으로 된 세부적인 정보와 메뉴들을 대부분의 국내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한정적이지만 국내 소비

자들 누구나 이용 가능한 금연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이러한

한계는 어느 정도 참작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기능 중심의 분석을 수행했으며, 앱 자체에 있는 메시지나 세부적 정보에

대한 분석은 수행하지 못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이 연구의 결과는

금연앱의 전체라기보다는 한 단면을 평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기존 자기결정성이론 및 관련 연구에 기반해 그

효과를 가정하고 분석한 측면이 있다. 예를 들면 SDT의 세 가지 기본 욕구와

관련된 기능의 분석은, 기존 연구 결과에 기반해 이러한 기능이 있을 경우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것이다. 이는 물론 학문적 근거에

기반한 것이지만 이 연구가 직접적으로 각 금연앱의 효과를 실험해 그 질을

평가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행동 단계에 따른 이익‐손실

프레이밍의 효과에 대한 이 연구의 결론도 마찬가지로 향후 과학적 검증을

더 필요로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 향후에는 금연앱의 특징을

SDT에 따라 조작해 그 효과를 직접 살펴보는 실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일부 스마트폰 앱이 개인의 기본 욕구를 일정 정도

Page 28: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103

충족시키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의 금연행위 증진에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많은 금연앱이 부족한 기능과

내용을 제공하고 있음도 사실이다. 의도한 건강행위 증진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이론에 근거한 보다 과학적인 앱이 개발되고 이들이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보건 관련 실무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

여 국민의 건강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에 대해 고민하

고, 이론에 근거하여 유익한 건강앱을 개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이름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Page 29: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104

참고문헌

김아영 (2010).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교육심리연구≫, 24권 3호, 583∼609.

국민건강영향조사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소개: 주요결과. 질병관리본부.

Available: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류인하 (2012. 2. 12). ‘우울증 앱’ 재미로 봤다가 되레 죽고 싶다는 생각만. ≪경향신문≫.

Retrieved from http://news.khan.co.kr

Abroms, L. C., Padmanabhan, N., Thaweethai, L., & Phillips, T. (2011). iPhone Apps

for Smoking Cessation: A Content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0(3), 279∼285.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Cahill, K. & Perera, R. (2008). Competitions and incentives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6(3), CD004307.

Carlson, L. E., Goodey, E., Bennett, M. H., Taenzer, P., & Koopmans, J. (2002). The

addition of social support to a community‐based large‐group behavioral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Improved cessation rates and gender

differences. Addictive Behaviors, 27(4), 547∼559.

Condiotte, M. M. & Lichtenstein, E. (1981). Self‐efficacy and relapse in smoking

cessation program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9(5),

648∼658.

Coppotelli, H. C. & Orleans, C. T. (1985). Partner support and other determinants of

smoking cessation maintenance among women.

doi:10.1037/0022‐006X.53.4.455.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4), 455∼460.

Cunningham, J. A., Wild, T. C., & Walsh, G. W. (1999). Interest in selfhelp materials

in a general population sample of drinkers. Drugs: Education, Prevention,

and Policy, 6(2), 209∼213.

Duncan, T. & McAuley, E. (1993). Social support and efficacy cognitions in exercise

adherence: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6(2), 199∼218.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2(4), 1143∼1168.

Page 30: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105

Fishbein, M. & Cappella, J. N. (2006). The Role of Theory in Developing Effective

Health Communica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56, S1∼S17.

Fogel, J., Albert, S. M., Schnabel, F., Ditkoff, B. A., & Neugut, A. I. (2002). Internet

use and social support in women with breast cancer.

doi:10.1037/0278‐6133.21.4.398. Health Psychology, 21(4), 398∼404.

Franklin, V. L., Greene, A., Waller, A., Greene, S. A., & Pagliari, C. (2008). Patients’

Engagement with ‘Sweet Talk’ ‐ A Text Messaging Support System for Young

People with Diabetes. J Med Internet Res 10(2), e20.

Friedland, J., Renwick, R., & McColl, M. (1996). Coping and social support as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HIV/AIDS. doi:

10.1080/09540129650125966. AIDS Care, 8(1), 15∼32.

Garvey, A. J., Bliss, R. E., Hitchcock, J. L., Heinold, J. W., & Rosner, B. (1992).

Predictors of smoking relapse among self‐quitters: A report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Addictive Behaviors, 17, 367∼377.

Guide to Quitting Smoking. (2013. 1. 17). Retrieved Jan. 31, 2013, from

http://www.cancer.org/

Gustafson, D. H., Boyle, M. G., Shaw, B. R., Isham, A., McTavish, F., et al. (2011).

An e‐health solution for people with alcohol problems. Alcohol Research &

Health, 33(4), 327∼337.

Gustafson, D. H., Hawkins, R., Boberg, E., Pingree, S., Serlin, R. E., et al. (1999).

Impact of a patient‐centered, computer‐based health information/support

system.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6(1), 1∼9.

Gustafson, D. H., Hawkins, R., McTavish, F., Pingree, S., Chen, W. C., et al. (2008).

Internet‐Based Interactive Support for Cancer Patients: Are Integrated

Systems Better?. Journal of Communication, 58(2), 238∼257.

Gustafson, D. H., McTavish, F. M., Stengle, W., Ballard, D., Jones, E., et al. (2005).

Reducing the Digital Divide for Low‐income Women With Breast Cancer: A

Feasibility Study of a Population‐Based Intervention. doi:

10.1080/10810730500263281.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0(sup1),

173∼193.

Han, J. Y., Hawkins, R. P., Shaw, B. R., Pingree, S., McTavish, F., et al. (2009).

Unraveling Uses and Effects of an Interactive Health Communication System.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3(1), 112∼133.

Han, J. Y., Shaw, B. R., Hawkins, R. P., Pingree, S., Mctavish, F., et al. (2008).

Expressing Positive Emotions within Online Support Groups by Women with

Page 31: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106

Breast Cancer.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8), 1002∼1007.

Hester, R. K., Squires, D. D., & Delaney, H. D. (2005). The Drinker’s Checkup:

12month outcomes of a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a standalone software

program for problem drinkers.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28(2),

159∼169.

Kasser, T. & Ryan, R. M. (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 80∼87.

Kim, J., Han, J. Y., Shaw, B., McTavish, F., & Gustafson, D. (2010). The Role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in Predicting Breast Cancer Patients’

Emotional Well‐being: Testing Mediation and Moderation Model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4), 543∼552.

Lichtenstein, E. & Glasgow, R. E. (1992). Smoking cessation: What have we learned

over the past decade?. doi:10.1037/0022‐006X.60.4.518.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4), 518∼527.

Lombard, M., Snyder‐Duch, J., & Bracken, C. C. (2002). Content Analysis in Mass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Reporting of Intercoder Reliabil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4), 587∼604.

May, S. & West, R. (2000). Do social support interventions (“buddy systems”) aid

smoking cessation? A review. Tobacco Control, 9(4), 415∼422.

Mermelstein, R., Cohen, S., Lichtenstein, E., Baer, J. S., & Kamarck, T. (1986). Social

support and smoking cessation and maintenance.

doi:10.1037/0022‐006X.54.4.447.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4), 447∼453.

Murray, E., McCambridge, J., Khadjesari, Z., White, I. R., Thompson, S. G., et al.

(2007). The DYD‐RCT protocol: An onlin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n

interactive computerbased intervention compared with a standard

information website to reduce alcohol consumption among hazardous

drinkers. BMC Public Health, 7, 306∼314.

Niemiec, C. P., Ryan, R. M., Deci, E. L., & Williams, G. C. (2009). Aspiring to physical

health: The role of aspirations for physical health in facilitating long‐term

tobacco abstinenc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4(2), 250∼257.

Noh, J.‐H., Cho, Y.‐J., Nam, H.‐W., Kim, J.‐H., Kim, D.‐J., et al. (2010). Web‐Based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for Self‐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12(5), 333∼337.

Page 32: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107

OECD (2011). Health at a glance 2011: OECD indicators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787/health_glance‐2011‐en

Ortis, L. C., Maymi, J. N., Feliu, J. C., Vidal, J. M. L., Romero, E. P., et al. (2007).

Exercise motivation in university community members: A behavioural

intervention. Psichothema, 19, 250∼255.

Pelletier, L. G. & Sharp, E. (2008). Persuasive communica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urs: How Message framing can improve the integrationof behaviours

through self‐determined motivation.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49, 210∼217.

Pingree, S., Hawkins, R., Baker, T., DuBenske, L., Roberts, L. J., & Gustafson, D. H.

(2010). The Value of Theory for Enhancing and Understanding e‐Health

Intervention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8(1), 103∼109.

Skymeg Software, Inc. (2001). PRAM (Version 0.4.5) [Software]. Available from

http://academic.csuohio.edu/kneuendorf/c63311/PRAMS/

Prochaska, J. O., DiClemente, C. C., Velicer, W. F., & Rossi, J. S. (1993).

Standardized, individualized,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doi:10.1037/0278‐6133.12.5.399. Health

Psychology, 12(5), 399∼405.

Reeve, J. & Jang, H. (2006). What teachers say and do to support students’ autonomy

during a learning ac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 209∼218.

Rimer, B. K., Orleans, C. T., Fleisher, L., Cristinzio, S., Resch, N., et al. (1994). Does

tailoring matter? The impact of a tailored guide on ratings and short‐term

smoking‐related outcomes for older smokers. Health Education Research,

9(1), 69∼84.

Rogers, R. W. (1975).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of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 Journal of Psychology, 91, 93∼114.

Rothman, A. J. & Salovey, P. (1997). Shaping perceptions to motivate healthy

behavior: The role of message framing. Psychological Bulletin, 121, 3∼19.

Ryan, D., Cobern, W., Wheeler, J., Price, D., & Tarassenko, L. (2005). Mobile Phone

Technology in the Management of Asthma.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11(Suppl 1), 43∼46.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Ryan, R. M. & Deci, E. L. (2008).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to

Page 33: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108

psychotherapy: The motivational basis for effective change.

doi:10.1037/a0012753.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49(3), 186∼193.

Shaw, B. R., McTavish, F., Hawkins, R., Gustafson, D. H., & Pingree, S. (2000).

Experienc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Exchanging Social Support over

the CHESS Computer Network. doi: 10.1080/108107300406866.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5(2), 135∼159.

Shiffman, S., Balabanis, M. H., Paty, J. A., Engberg, J., Gwaltney, C. J., et al. (2000).

Dynamic effects of self‐efficacy on smoking lapse and relapse.

doi:10.1037/0278‐6133.19.4.315. Health Psychology, 19(4), 315∼323.

Swert, K. D. (2012). Calculating inter‐coder reliability in media content analysis using

Krippendorff’s Alpha. Retrieved from

http://www.polcomm.org/wp‐content/uploads/ICR01022012.pdf

Vansteenkiste, M., Matos, L., Lens, W., & Soenens, B. (2007). Understanding the

impact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framing on exercise performance:

The conflicting role of task and ego involvemen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 771∼794.

Vansteenkiste, M., Simons, J., Lens, W., Sheldon, K. M., & Deci, E. L. (2004).

Motivating Learning, Performance, and Persistence: The Synergistic Effects

of Intrinsic Goal Contents and Autonomy‐Supportive Contexts.

doi:10.1037/0022‐3514.87.2.246.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2), 246∼260.

Vansteenkiste, M., Simons, J., Lens, W., Soenens, B., & Matos, L. (2005). Examining

the motivational impact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framing and

autonomy‐supportive versus internally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on

early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Child Development, 2, 483∼501.

Vansteenkiste, M., Simons, J., Lens, W., Soenens, B., Matos, L., & Lacante, M. (2004).

Less is sometimes more: Goal content matte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96, 755∼764.

Wagner, J., Burg, M., & Sirois, B. (2004). Social support a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to smoking cessation stage, decisional

balance, process use, and temptation. Addictive Behaviors, 29(5),

1039∼1043.

WHO (2011).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1: warning about the

dangers of tobacco.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Page 34: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109

Williams, G. C., Cox, E. M., Kouides, R., & Deci, E. L. (1999). Presenting the facts

about smoking to adolescents: Effects of an autonomy‐supportive style. doi:

10.1001/archpedi.153.9.959.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3(9), 959∼964.

Williams, G. C., Gagné, M., Ryan, R. M., & Deci, E. L. (2002). Facilitating autonomous

motivation for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ogy, 21(1), 40∼50.

Williams, G. C., McGregor, H. A., Sharp, D., Levesque, C., Kouides, R. W., et al. (2006). Testing a self‐determination theory intervention for motivating

tobacco cessation: Supporting autonomy and competence in a clinical trial.

doi:10.1037/0278‐6133.25.1.91. Health Psychology, 25(1), 91∼101.

Williams, G. C., Niemiec, C. P., Patrick, H., Ryan, R. M., & Deci, E. L. (2009).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Autonomy and Perceived Competence in

Facilitating Long‐Term Tobacco Abstinence.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37(3), 315∼324.

Zhu, S.‐H., Melcer, T., Sun, J., Rosbrook, B., & Pierce, J. P. (2000). Smoking cessation

with and without assistance: A population‐based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8(4), 305∼311.

Page 35: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interaction.hallym.ac.kr › pdf › 2013 › 2013_10.pdf ·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한 스마트폰

110

Abstract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Smoking Cessation Apps for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Jounghwa Choi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Communication, Hallym University

Dong-Jin Park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Communication, Hallym University

Ghee-Young NohProfessor, School of Communication, Hallym University

Smartphone apps are receiving an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and public health practitioners as a mean to solve public health problems which require consistent behavioral change or health management. Various apps for smoking cessation are also available but there exists nearly evaluation or analysis of these apps. In regard to this,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Smartphone apps for smoking ces-sations which are available in Korean, apply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the apps do not of-fer the functions or contents to satisfy the basic needs suggested by SDT(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apps also tend-ed to present more extrinsic goal contents (primarily in terms of gaina/loss of money) over intrinsic goal contents (i.e., health). To sum up, the apps seems limited in its utility to lead people to stop smoking, as they are more likely to tap controlled motivation rather than autonomous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to public health practitioners and con-sumer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Key words: Smartphone Apps, Self determination Theory, Basic Needs, Goal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