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정책과제 97- 18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1997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정책과제 97 - 18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1 9 9 7

한 국 문 화 정 책 개 발 원

Page 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이 연구보고서는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와 이

연구의 후속과제로서 추진된 문화정책 고급인력 양성방안의 연

구 결과를 통합하여 수록하였는 바, 제2장 제1절 제4항의 교육개

혁 맥락에서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과, 제5장의 예술경영과정

설립 운영방안은 문화정책 고급인력 양성방안 연구의 결과임.

Page 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 책임자 : 김 용범 (본원 연구실 장 )

공동 연구자 : 정 광렬 (본원 연구기 획부 차장 )

허권 (유네스 코 한 국위원 회 문화 부장 )

홍기원 (본원 객원 연구원 )

강일국 (서울 대학교 교육 학과 박 사과정 )

문화정책 고급인력 양성방안 연구

연구 책임자 : 김 용범 (본원 연구실 장 )

공동 연구자 : 김 기석 (서울 대학교 교육학 과 교 수 )

강태중 (한국 교육개 발원 연구원 )

성기선 (한국 교육개 발원 연구원 )

강일국 (본원 위촉 연구원 )

Page 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차 례

연 구요약

I. 서 론 5

1. 연구목적 5

2. 연구범위 7

3. 연구방법 8

Ⅱ. 문화예술 전문 인력 실태 및 수요예측 9

1.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역할 및 전문교육의 필요성 9

1) 문화행정가 및 예술경영자의 개념 9

2) 문화예술 행정 전문인력에 대한 인식 제고 13

3) 교육 개혁 맥락에서의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 15

4)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의 필요성 22

2. 문화예술 전문인력 현황 및 수요 26

1) 일반 현황 26

2)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정 인력 현황 27

3) 국립 및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문화행정 인력 현황 31

4) 문화예술단체 문화행정 인력 현황 33

5) 무대기술 전문인력 현황 36

6) 향후 문화예술 전문인력 수요 37

3. 우리나라의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 현황 분석 40

1) 일반 현황 및 역사 40

2) 대학의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 41

3) 단기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44

4) 기타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48

Ⅲ . 외국의 문화행 정 전문교육 프로그 램 50

1. 미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분석 50

- i -

Page 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 미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역사 50

2) 미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특징 51

3) 미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분석 54

2. 영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 60

1) 영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역사 60

2) 영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특징 61

3) 영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분석 64

3. 프랑스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분석 69

1) 프랑스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역사 69

2) 프랑스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특징 71

3) 프랑스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분석 72

4. 기타 유럽 국가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75

1) 유럽 국가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역사 75

2) 유럽 국가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특징 75

3) 유럽 각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80

4) 유럽 공동 차원의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 현황 85

5) 단기 교육 프로그램 및 자격증 제도 91

6) 유럽의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 비교 분석 93

5.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96

Ⅳ . 문화행정 전문 인력 양성방안 101

1.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방안 101

1) 문화행정직의 전문화 101

2) 전문 교육기관의 설립 104

3) 전문 연수 프로그램의 강화 110

4) 문화행정 교육 및 문화행정 정보 네트워크 구축 111

5) 문화예술 전문직 자격인증제도 112

2.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 116

1) 정규 교육(학위)기관 프로그램 개발방향 116

2) 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안 119

- ii -

Page 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V. 예술경영과 정 프로그램 구상 122

1. 설립형태 122

2. 교육과정 124

1) 과정 구분 124

2)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125

3. 교수진 구성 및 학생 선발 ·정원 135

1) 교수진 구성 135

2) 교수 및 학생 정원 136

VI. 큐레이터 양성방 안 138

1. 큐레이터의 역할 및 현황 138

1) 큐레이터의 역사 및 일반현황 138

2) 큐레이터의 기능 139

3) 큐레이터 자격인증제도의 필요성 141

2. 프랑스의 큐레이터제도 현황 143

3. 큐레이터 양성방안 152

1) 전문교육기관의 설립을 통한 신규인력 양성 152

2) 기존 인력의 재교육 153

3) 큐레이터 자격인증제도 도입 154

VII. 결 론 및 정책제언 158

참 고문헌 161

A bs tra c t 163

부 록

외국의 문화행정 전문교육기관 현황 ?

- iii -

Page 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차 례

<표 2-1> 지방자치단체별 문화행정 인원수 30

<표 2-2> 지방 문화행정 공무원들의 전문성과 자부심 및 승진기여도 31

<표 2-3> 공공 문화행정 기관의 문화행정 인원수 32

<표 2-4> 전국 문화공간의 문화행정 인력 추계 34

<표 2-5> 전문 예술단체수 추정 35

<표 2-6> 문화예술 전문인력 현황 38

<표 2-7> 문화공간 확충계획에 따른 문화행정인력 수요 39

<표 2-8>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설치대학 41

<표 2-9>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과 프로그램 42

<표 2-10> 단국대 경영대학원 예술경영 전공 교과 프로그램 44

<표 2-11> 문예진흥원 문화행정연수 프로그램 45

<표 2-12> 문예진흥원 지역문화요원 연수 프로그램 46

<표 2-13> 중앙공무원 교육중 문화예술 관련 과목 47

<표 3-1> 미국 30개 대학의 전공에 따른 분류 55

<표 3-2> 미국 6개 대학 예술행정/예술경영 교과 편성 비교 57

<표 3-3> 시티대학의 예술경영 프로그램 65

<표 3-4> 시티대학의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 프로그램 66

<표 3-5> Warwick 대학의 교과과정(유럽 문화정책 석사과정) 67

<표 3-6> De Montfort 대학의 문화행정 프로그램 교과과목 68

<표 3-7> 프랑스의 문화행정 교육기관 분류 73

<표 3-8> 파리 도핀느 대학의 교과과목 74

<표 3-9> 유럽대륙 국가의 문화행정 전문 교육기관 설립현황 76

<표 4-1> 예술경영 재교육 과정 프로그램(안) 121

<표 5-1> 대학원과정, 학위종류 및 수업년한 125

<표 5-2> 예술경영과정 교과 프로그램(안) 130

<표 6-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미술관학 교과과정 142

<표 6-2> 홍익대학교 대학원 예술학과 교과과정 143

- iv -

Page 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연 구 요 약

1. 연구의 목적 및 방향

지금까지 고도 경제성장 우선의 국가정책 지향은 국민의 삶의 질을 보장하

는 문화정책의 순위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 왔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경제성

장은 안정된 국민의 삶을 가능하게 했고, 이에 따른 국민들의 문화욕구의 확

대는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예술정책의 중요성과 재원 투입의 당위성을 인정하

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국민 문화복지의 확충이 문화정책의 지향목표

로 설정되고 주민친화적인 지방자치가 실시됨에 따라 문화복지의 환경 조성을

위한 문화시설 보급 확대, 예술단체 활동과 국민들의 향수도 증가되고, 정부·

지방자치단체·문화기관들의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수요도 대폭적으로 증가하

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IMF 체제로 불리우는 경제위기의 시대에 문화예술기관은 지원금의 감

축 및 자체수입의 감소 등으로 인한 심각한 재정위기에 부딪혀 있다. 정부의

지원을 받는 문화예술기관은 강력한 경영혁신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런 외부

의 요구가 없어도 재정위기를 극복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문제는 문화

예술기관의 생존을 위한 절박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예

술기관의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들에게 문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인력

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즉, 현재의 경제적 어려움이 문화기반 및 국

민들의 문화생활 자체를 위협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불식하고, 우리 문화예

술의 기반을 튼튼히 하며,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문화적 창의성이 우리

나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역

할이 이전 보다 더욱 중요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공 및 민간 문화예술기관에서 문화행정을 담당하고, 문

화예술단체를 경영하는 전문인력 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이들에 대한 양성을

소홀히 한 결과 현재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에 대한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 v -

Page 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못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분야에서 일반 행정가나 예술가와 구별되는 고도의

전문지식과 미적 감수성 및 능력을 지닌 전문가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

고 있다. 즉, 현재 추진되고 있는 문화예술기관의 경영혁신이 주로 경제적인

관점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예술의 창의성과 행정 및 경영의

효율성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이를 조화롭게 매개할 수 있는 전문가 역할

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문화행정의 효율성과 예술단체의 운영 활성화 및

창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가의 양성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훈련이 선

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문화행정 및 문화행정학은 새로운 개념일 뿐 아

니라, 전문직종으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도 대다수 대학교와 예

술대학들은 이를 위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

히 문화기관의 운영은 아직까지 관습적, 타성적인 인식에 머물러 있으며 방

법론 역시 타부문과 비교해 볼 때 낙후된 상태에 놓여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현황과 교육실태를 분석하고,

외국의 문화행정 교육현황을 조사 분석, 교육개혁과 연계하여 문화행정 전문

인력 양성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연구이다. 이를 통해 또한 예술행정가, 무대예술 전문

인력, 예술경영자들을 전문직종으로 확립하고, 이들의 사기진작을 통한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자격인증제도 및 직종 확립 방안 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문화예술 전문인력 실태 및 수요

문화(예술)행정과 예술경영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 있다. 문

화행정은 공공부문과 비영리부문의 기획 관리 기능을 뜻하며, 예술경영은 예

술단체 및 영리적인 단체에서의 관리 운영을 뜻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문화행정가중 문화정책을 기획·조정·관리하는 고위 문화행정관료를 제외한

문화예술 기관·단체의 문화행정가와 예술경영자는 명확히 개념구분을 하기가

어려워 외국에서도 이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의 경계 또한 기능상으로 구분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문화기관 내에

- v i -

Page 1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서 인위적으로 구분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문화행정의 포괄성과 문화예술단체 등에 대한 구체적 실태 파악이 어렵지만

우리나라 문화예술 전문인력은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 약 1만 5천명, 무

대기술 전문인력 2,500명, 큐레이터 100명 등 약 1만 7천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것은 추계상의 오차를 감안하면 문화예술 전문인력이 약 15,000∼20,000명

정도라는 것을 말해 준다. 이것은 전문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우리사회의

당면과제로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2만명 정도의 전문직종에 대한 전문화와

이를 위한 전문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는 것을 말해 주는 주요한 지표이다.

지식·정보사회라고 일컬어지는 21세기는 문화적 창의성이 개인 및 국가사

회의 가치 및 국가의 부의 창출의 핵심이 되는 사회, 즉 국민들의 생활 및 국

가 정책에서 우선순위를 가지는 문화의 시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

부에서는 이를 위하여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문화에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문

화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 문화

행정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문화기관·단체의 효율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인력의 중요성이 제고되고 있어, 이를 위한 인력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정부에

서 계획하고 있는 문화시설에 필요한 인력만도 2011년까지 5천명 정도가 필요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

체계 및 교육기관의 현황은 살펴보면, 대학원의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의 문화예술학과(예술대학원으로 통합)와 단국대학교 경영대학

원의 예술경영 전공이 있고, 단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은 한국문화

정책개발원과 문예진흥원 정도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대학원 수준의 교육프

로그램도 문화행정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하지 못하고 있다. 즉, 야간대

학원의 파트타임으로 운영되고 있고, 교육목표가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에 명

확하게 반영되지 못하여 특성이 불분명하고, 현장실습 프로그램이 없고, 교수

진이 부족하며, 대학원내 다른 분야 전공(학과)과 통합하여 개설되어 있어 예

술의 특수성을 살린 교육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v ii -

Page 1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또한 큐레이터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은 중앙대학교의 예술대학원과 홍익대

대학원 예술학과(세부 전공)가 있으며, 무대기술 인력은 전문 교육기관이 설립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정부에서도 문화시설, 프로그램, 재원 등에 대해서

는 많은 관심과 계획이 추진되고 있지만, 이를 운영할 인력에 대해서는 적극

적인 관심과 의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전문화 정도가 미약한 기존 인력과 향

후 소요되는 인력에 대한 전문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육제도와

프로그램으로는 필요한 수요를 감당하기가 어렵다.

3. 외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분석

외국에서 문화행정이 전문적인 직업으로 인식되고, 문화행정 교육이 발달한

것은 문화 및 정치적인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 즉, 미국은 정부의 문화

예술 지원금 감축으로 인한 대응책으로써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에 대한 필요

성이 대두되었고, 유럽은 정부 지원의 확대에 따른 지원금의 효율적 관리, 특

히 경기 불황에 따른 다른 정책분야와의 경쟁력 확보가 주된 원인이었다. 외

국에서의 문화행정 전문교육은 거의 대부분 대학원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

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문화행정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발달시킨 국가는 미

국이다. 1966년 예일 대학교와 플로리다대학교에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된 이래 약 60여겨 대학원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1967년 국립 런던공과대학(Polytechnic of Central London)에서 최초로 실시되었

다. 그러나 유럽대륙은 영미권 국가에 비해 상당히 늦어 1973년 오스트리아

비엔나 예술음악전문대학에 최초로 도입되었지만 대부분은 1980년대 이후에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문화행정 전문교육은 개별 예술단체 및 문화시설을 운영·관리하는

예술경영의 기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데에 주력하고 있음에 반해, 유럽국

가들은 각 국가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상업적인 예술경영 측면 보다는 문

화발전 및 국민 문화생활의 향상에 더 초점을 둔 문화행정 인력을 양성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국가들도 최근 들어 문화행정을 경영(business)으로,

- v iii -

Page 1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그리고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기 보다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교

육 지향목표를 수정하고 있다.

미국은 주로 정규 대학교의 행정대학원 및 경영대학원에 프로그램이 개설하

고, 유럽국가들은 대부분 별도의 전문 교육기관을 통하여 문화행정 인력을 양

성하고 있다. 또한 대학원 과정의 전문적인 교육 이외에 실무자를 위한 단기

재교육 과정이 활성화되어 있고, 전문 교육과정도 실무자에게 보다 넓은 기회

를 확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자격증에 준한 수료증을 수여하는 기관

이 많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국가 모두 교육의 목적을 이론가 양성이 아닌 실무전문

가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현장 실습교육을 매우 강조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3.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방안

문화행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문화행정직의 전문직화가 선행되어

야 한다. 직종을 전문화하여 일정 수준의 자격 또는 교육을 거친 이들이 임용

되도록 하여 공무원들의 경우 신규 임용자, 승진자 등을 대상으로 지정 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의무화하도록 하고, 공공 문화예술기관에 대해서는 전문교육

수료 또는 자격증을 가진 이들을 일정비율 채용을 의무화하여야 하며, 교육

기관 설립 및 프로그램의 확대에 맞추어 연차적으로 그 비율을 확대해 나가도

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대기술 인력 및 큐레이터에 대해서 자격인

증 제도를 도입하고, 문화행정 인력에 대해서도 일종의 자격증에 준할 수 있

는 교육 수료증을 발급하고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문화행정 전문 교육기관의 설립은 문화예술 전문직화의 전제조건으로서 전

문가의 수요를 창출하고 전문화를 촉진시키므로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문화행정 전문교육기관은 미적 감수성과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 및 문화행

정 전문지식을 지닌 지도자 수준의 문화행정 실무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목

- ix -

Page 1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이므로 대학원 과정으로 설립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각 분야의 전문

가 양성을 위하여 전문대학원 설립을 용이하도록 하였으므로, 가칭 한국문화

정책대학원 을 설립하여야 한다. 문화정책대학원은 책임 있는 문화기관이 설

립을 주도하여야만 전문대학원 설립을 촉진한 정부의 취지에도 부합되며, 문

화정책 연구기능과 교육기능을 연계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을 양

성한다는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런 대학원 수준의 전문 교육기관 이외에 기존 인력의 재교육 등을

위하여 전문 연수프로그램을 강화하여야 한다. 단기 재교육 프로그램은 기존

의 1∼2주간의 집중 교육 이외에도 6개월 과정으로 주 2회 정도 교육을 실시

하는 프로그램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런 단기 재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예술

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신들의 현장에 적용 가능하

고 경제위기 시대에, 소속 기관의 경영혁신과 모두를 위한 문화를 만들어 나

갈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마인드를 형성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문화행정 교육기관 및 문화행정가들을 연계하고, 정보를 교류하며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전문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1) 직업적인 실무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응용능력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일반론적으로 하되, 교육내용은 구체적인 것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미국식의 예술경영과 유럽식의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의 장점을 수용한

제3형(한국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3) 외국의 대부분의 대학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턴제도를 필수과목으로

채택하여야 한다.

(4) 각 교과의 진행은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사례를 연구 분석하도록 하

여 현장에 대한 적응력, 문제점 분석 및 대안 개발에 대한 능력을 키우도록

하여야 한다.

(5) 전체적인 프로그램 뿐 아니라 개별 과목의 내용과 교수방법도 실무 전

문가가 참여한 협의체에서 공동으로 개발하도록 하여야 한다.

- x -

Page 1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6) 각 학과별 프로그램 이외에 통합 교과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관련 분야

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한다.

(7) 정규 학과 프로그램 이외에 방학을 이용한 워크샵 등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이것은 정규학과 프로그램에서 다루지 못한 특정 주제나, 수강과목의 한

계로 인한 다른 과목 수강기회를 확대를 제공할 것이다.

이런 예술경영 전문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따라 교육개혁에 따라 설치될 종

합대학교의 전문예술경영대학원에 예술경영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성격상 완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기는 어려우므로 일

단 전공필수 4과목과 전공선택 4과목을 전제로 각각 2배수의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보았다. 즉, 전공필수과목으로는, 1) 예술경영개관, 2) 공연예술의 기획홍

보론, 3) 예술경영 자금관리론, 4)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론, 5) 마케팅 관리와

예술, 6) 예술경영의 법적 기초, 7) 문화산업론, 8) 문화예술 현장실습, 전공선

택과목으로는, 1) 예술경영 리더쉽과 전략적 사고론, 2) 예술경영 현장사례 연

구, 3) 문화정책론, 4)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5) 예술기관 개발전략, 6) 관객개

발론, 7) 예술경영자를 위한 사회조사방법론, 8) 문화의 이론적 기초 등이다.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에서 전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두 축이라 할 수 있는 전문 교육기관의 설립과 전문직종으로의 인정은 정부의

의지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민간 차원에 자율적으로 전

문인력 양성을 맡긴다면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성 강화는 매우 점진적으로 추

진될 것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급변하는 사회환경에서 외국에서 이룬 것 보

다도 더 단시간 이내에 모든 분야의 전문화를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이것은 문화예술 분야에도 똑같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이것은 정

부에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 주지 않는다면 달성하기가 어려운 사항인 것

이다.

- x i -

Page 1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I. 서 론

1. 연구목적

우리나라는 문화가 사회변동을 선도해 왔다기 보다는 사회변화를 뒤따르는

변화를 경험해 왔다(임희섭, 1987: 235). 즉,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국가발전의

전략으로 경제발전을 선택하였고,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변화는 경제성장에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경제성장과 국민들의 소득증대에 따라 그동안 등

한시하였던 국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문화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국가정책에서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도 매우 높

아지고 있다.

국민들의 급증하는 문화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부가 제일 먼저 시도하는

것이 예술문화단체 및 문화시설의 설립이다. 한국도 국민들의 문화생활 증진

을 위해 1980년대에 들어와서 서울과 지방에 크고 작은 예술단체 및 문화시설

들을 많이 설립하였다. 또한 1990년 후반 이후 문화복지의 확충이 문화정책의

중심목표로 설정됨에 따라 문화복지의 확충을 위한 문화시설 보급이 확대되

고, 예술단체의 수 및 활동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지방자치단

체·문화기관들의 문화행정가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의 하드웨어 구축과 함께 문화정책적으로 주요하게 고려하

여 할 사항이 이를 운영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다. 따라서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확보가 중요한 정책의 하나로 부상되고 있다. 이런 문화

행정 전문인력의 중요성 및 전문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관점

에서 제기되어 왔다.

첫째, 전문화의 추구로, 경제성장에 따른 사회의 발전과 변화는 필연적으로

사회의 다원화와 이에 따른 전문가의 수요와 역할 증대를 수반한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문화예술의 수요와 영역의 확대는 문화정책 과정 및 예술경영 등

에서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할 전문가의 수요와 역할 증대를 필요로 하고 있

- 1 -

Page 1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다. 또한 문화예술 전문직 종사자들의 전문화 욕구도 크게 증대하였다.

둘째,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의 역할 증대로,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 및 공공

지원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지원액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정부의 예술에 대한

간섭이 역시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예술의 창의성과 행정의

효율성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이를 조화롭게 매개할 수 있는 전문가의 역

할이 중요하게 되었다(김문환, 1996: 370)

셋째, 문화의 지방분권화 확대로, 지방자치단체에 문화행정에 관한 많은 책

임과 권한이 부여되고, 문화가 지역 주민들에게 더욱 가까워질 수 있는 프로

그램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과

인력확보는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중앙 정부의

권한을 대폭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 이관하려는 계획이 추진중이므로 지역에

맞는 문화예술활동을 기획하고 예술기관을 경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필요성

은 더욱 요청되고 있다.

넷째, 예술의 경영기법 도입으로, 예술기관·단체 수의 증가 및 문화예술의

경제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에 따라 문화예술 분야에 행정 및 경영기법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 대중의 미적 생활양식의 향상, 예

술기관 운영의 경제적 복합성과 효율성의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 행정이 강조

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경제위기를 맞이하여 정부 차원에서 더욱 강조되

고 있다.

초기의 예술행정가들은 예술가로 활동을 하면서 예술행정분야에 발을 들여

놓거나 예술세계를 동경하는 애호가들이었으며, 예술은 창조성에 기인한다는

인식으로 인하여 예술가들에 비해 그 역할과 대우도 낮은 편이었으며, 이런

문화행정, 예술행정, 문화촉매 요원, 문화예술 기술인력 등에 대한 전문교육과

활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였다. 공공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행정요원

이나 예술경영자들은 아직도 정규학과를 통한 행정교육과 훈련보다 실무를 통

한 교육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들의 역할에 대한 전문적 훈련을 거

의 받아 보지 못했다. 따라서 문화행정가들은 실무를 수행하면서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밖에 없는 형편에 놓여 있다. 그러나 다원화와 경제적 압박 등으로

인하여 문화행정의 효율성과 예술단체의 운영 활성화 및 창조성을 향상시키기

- 2 -

Page 1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문적인 교육훈련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일 수 있다. 업

무의 모든 분야에 걸쳐 개별적인 효율성이 제고되지 않는 한 정부와 예술기관

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전문화 추세 및 수요를 충족할 전문가 및 전문교육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한국에서의 문화행정 및 문화행정학은 새로운 개념일 뿐 아

니라, 전문직종으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도 대다수 대학교와 예

술대학들은 이를 위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문

화기관의 운영은 아직까지 전근대적인 인식에 머물러 있으며 방법론 역시 타

부문과 비교해 볼 때 낙후된 상태에 놓여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현황과 교육실태를 분석하고,

외국의 문화행정 교육현황을 조사하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방안과 구체적

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예술행정

가 및 예술경영자 등을 전문직종으로 확립하고, 이들의 사기진작을 통한 전문

성 강화를 위한 자격인증제도 및 직종 확립 방안 등을 제시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예술 전문인력에 대한 인식과 제도가 부족하고, 전문

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에서 이 연구는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역할

과 체계적인 양성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향

이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문화예술에 대

한 국민들의 욕구 및 문화시설 등의 증대에 따른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수요를

예측하여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분야를 도출한 다음, 문화행정

을 중심으로 외국사례의 조사결과 등을 기초로 하여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

을 위한 방안과 큐레이터 자격인증제도 실시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의 현황은 국내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화

예술 행정인력을 중심으로 향후 수요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문화행정

전문교육기관 현황을 대학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외국의 사례는 문화행정과 예술경영 관련 전문교육기관을 현황과 프로그램

- 3 -

Page 1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을 조사하였으며, 단기과정은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일부 조사하였다. 신생학

문 분야인 문화예술행정이나 예술경영 교육의 목표, 교육과정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다양한 운영사례들을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은 주로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을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나, 예술분야 인력에서는 자격인증제도는 문화예술 전문인력 분야

중 일반적으로 가장 시급하다고 인정되고 있는 분야중 큐레이터 자격인증제도

실시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무대예술 분야에 대해서는 대학원 수준의 전문교육

과는 성격이 다르므로 우리나라 실태 및 양성방향 등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

태분석, 외국사례 및 양성방안은 후속 연구에서 다루기로 하고 이 보고서에는

수록하지 않았다.

3. 연구방법

문화예술 전문인력, 특히 문화행정 교육은 외국에서는 그 역사가 이미 30년

이 넘는 등 상당히 오래되고 체계적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관한 전문교

육이 체계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로 문헌조사 분석방법에

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실태에 관한 분석

은 선행 연구 및 관련 자료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자문회의를 통하여 전문

가의 자문을 받았다. 국내 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은 해당 대학을 방문하여 커리

큘럼을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나, 한계상 졸업자의 활동현황은 조사하지 못하였

다.

외국의 사례는 문화행정을 중심으로 미국 및 EC 국가의 교육기관 현황 및

프로그램을 조사하는데, 이 조사는 미국과 유네스코에서 조사한 자료를 근거

로 하였으며, 일부 학교의 경우에는 직접 서신을 띄어 자료를 입수하였고, 인

터넷을 통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 조사하였다.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제시를 위해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았으며, 해당 전문가로부터 기본적인 방안을 제시받은 후 연구진에서 이를

검토하여 보완하였다.

- 4 -

Page 1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Ⅱ . 문화 예 술 전 문 인력 실 태 및 수요 예 측

1.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역할 및 전문교육의 필요성

1) 문화행정가 및 예술 경영자의 개념

문화예술 전문인력 실태 및 양성방안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에 앞서 이 연구

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행정(가) 및 예술경영(자)에 대한 개념규정

이 필요하다. 문화정책의 기획과 집행, 문화예술 기관·단체의 운영에 자주 사

용되고 있는 예술경영자(arts manager)와 문화행정가(cultural administrator)라는

용어는 서로 명확히 구별하지 않고 혼용되거나 병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개념상의 혼용은 예술재정, 예술의 창작과 보급, 대중과의 관계 등 예술행정

자체가 갖고 있는 구조적인 복합성에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정책 방향의 설정 및 전략의 수립에 있어 이 용어들에 대한 개

념을 좀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우선 예술경영자와 문화행정가가

어떤 일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인가를 규명하고 이들 전문가들이 종사하는

기관들을 살펴 보고자 한다.

실무예술기구(Practical Arts)는 「인식의 길」(Route to Recognition)에서 예술

경영 혹은 문화행정의 전문적 직업성을 특징짓는 5개의 기능을 세분하면서 이

각각의 기능을 필요로 하는 전문작업을 조사한 바 있다(UNESCO, 1993).

(1) 행정·조직·재정기능 : 예술행정가, 매표직원, 재정경리요원

(2) 사업개발, 마케팅, 프로모션기능 : 홍보요원, 마케팅요원, 예술센타소장,

프로모터, 기금모금요원, 개발요원, 예술요원, 연출감독, 제작자, 고문, 출

판인

(3) 창조/생산, 공연의 기능 : 감독, 편집인

(4) 교육, 훈련의 기능 : 청소년극장 감독

(5) 기술지원의 기능 : 화랑, 전시 및 극장의 기술요원

- 5 -

Page 2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이런 5가지 기능중 (1)번은 문화(예술)행정가, (2)번은 예술경영자, (5)번은

큐레이터와 무대기술 전문인력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큐레이터와 공연장

의 기술요원에 대해서는 개념상의 혼란이 없으므로, 그 개념규정은 다른 장에

서 별도로 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문화행정가와 예술경영자에 대해서만 살펴

보기로 한다.

예술행정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으로 미술관 관장, 극장 매니저, 정부 공무원,

예술행정가와 같이 그들이 공공부문 혹은 민간부문에 종사하든 간에 그들의

특정한 전문영역과 관련하여 정의가 내려졌다. 이러한 관습은 하나의 전문영

역으로서의 예술행정 또는 예술경영이 갖는 다양한 복합적인 성격을 확산시키

려는 경향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문화행정 또는 예술행정 이라는 용어는 공공부문과 비영리부문의

양쪽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주로 기획, 재정, 및 진흥기능과 관련되어 사용되

어야 한다. 따라서 폭넓은 의미에서 볼 때, 문화/예술행정가들은 다음 3가지로

구분되어진다.

(1) 중앙정부의 (고위)관리 : 문화정책과 예산 및 관련단체의 행정을 기획·

조정하는 책임 있는 관리로서 정책결정이 공적으로 내려지면 이를 실행

하거나 감독하는 권한을 위임받은 자

(2) 지역문화행정가 : 중앙정부의 정책결정을 지역차원에서 수행하고 이의

실행을 위해 다양한 공사단체와의 조정업무를 책임진 행정가

(3) 기관행정가 : 국공립·비영리 문화기관 및 단체(박물관, 극단, 도서관, 오

케스트라, 음악당, 문화센타 등)의 운영에 참가하는 행정가. 이들은 행정

가는 기관의 운영, 예산, 감독, 사무관리의 중요 행정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관리자급 행정가와 그 밖의 행정요원으로 구별된다.

문화행정가와 유사한 개념으로 문화촉매자(요원)가 있다. 문화촉매자(cultural

animator)는 각 국가별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고, 그 범위도 넓지만 좁은 의미

로 간략하게 공·사 예술단체에서 문화예술 작품을 보다 많은 대중에게 접촉

시키고 그 향수층을 확대하기 위하여 재창조·교육·사회화의 기능을 수행하

- 6 -

Page 2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는 자 라고 정의할 수 있다.1) 문화촉매자들은 개별적으로 어떤 기관이나 단체

에 종사하면서 문화사업을 추진하거나, 아니면 문화프로그램 단위의 네트워크

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행정과 문화촉매는 개념상으로는 구분이

가능하나, 현실적으로 문화행정가와 문화촉매자의 구분은 혼재되어 있어 명확

한 구분이 어렵다. 즉, 문화촉매자는 행정업무에는 간여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고, 문화행정가는 문화예술의 확산을 위한 기획기능에 간여하지 않는 것으

로 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이런 기능을 구분하기는 어렵

기 때문이다.

예술경영 이라는 용어는 박물관, 화랑, 극단, 오케스트라 등 예술단체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원래 기금의 확보, 제작 및 창조, 대외홍보 등과 같은 특수

업무에 국한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이 용어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

며 문화예술단체나 기관의 전반적인 관리 운영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예술경

영자를 다음 4가지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1) 문화예술단체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경영인 혹은 관장

(2) 이윤추구의 목적을 지향하는 문화산업 분야의 경영인 : 영화산업, TV 프

로덕션, 도서출판, 음반 및 비디오 산업 등

(3) 예술가로서 그들의 창작작품을 일반기업에 연계시키는 예술가겸 경영인

(4) 특수사회 및 교육목적을 가지고 있는 지방예술센타나 단체의 경영자

그러나 문화예술분야 중 대규모 문화산업 분야(회사)의 경영자들은 그 기능

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예술경영자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통례이

다. 이들은 예술경영자로 인식하기 보다는 일반 기업의 경영자라고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그 한계를 규정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문화산업 경영자와 예술경영자의 명확한 구분은 불가능하다.

예술감독과 예술경영자가 수행하는 역할은 명확하게 구분된다. 예컨대 극단,

오페라 하우스의 예술감독들은 예술작품의 창작에만 전념하며 일반적으로 행

1) 김문환외(1987), 「문화촉매운동론」과 임문영(1986), <프랑스의 사회문화시설과 사회·문화

촉매운동>, 「조흥식박사 정년퇴임논문집>을 기초로 개념을 재구성한 것임.

- 7 -

Page 2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정업무에 가담하거나 간여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경영자의 업무는 예술감독

이 추구하는 예술성의 구현 혹은 기관의 지속적인 운영에 필요한 여건들을 조

성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그러나, 경영자들은 예술정책상의 전개과정을 소상

히 알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재정, 법령, 인사 및 기타 부수적인 행정문제의

해결능력과 사회의 시장구조, 대외 홍보관계 및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서 숙지

해야 한다.

그러나 문화행정가 중 문화정책을 기획·조정·관리하는 고위 문화행정관료

(Cultural Bureaucrat)를 제외한 문화예술 기관·단체의 문화행정가와 예술행정

가는 명확히 개념구분을 하기가 어렵다. 이것은 첫째, 예술재정, 예술의 창작

과 보급, 대중과의 관계 등 예술행정 자체가 갖고 있는 구조적인 복합성, 둘

째,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경영기법의 적극적 도입, 셋째, 개념과 기능상 구분

은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문화예술단체에서 한 사람이 문화행정과 예술경영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랑스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는 예술경영자/행정가를 지

칭하기 위해 문화요원(ingenieur culturel)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독일, 오스트리아 및 북구 유럽 국가들은 많은 예술단체에서 intendent라

고 불리는 한 사람이 단체의 행정기능을 모두 수행해 오고 있다. 규모가 작은

단체에서도 여러 갈래의 행정기능이 재정상의 이유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한편, 문화행정과 예술행정이라는 개념구분은 큰 의미가 없이 혼용하여 사

용한다. 구태여 구분한다면, 문화행정은 거시적 차원에서 중앙 및 지방정부에

서 문화정책을 기획, 조정하는 문화행정 관료의 역할을 정의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예술행정은 미시적 차원에서 문화예술 기관·단체의 운영 업무를 담

당하는 행정가의 역할을 정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구분의 근거로는

일반적으로 국가 차원의 문화정책을 부정하고, 예술기관 및 예술가의 자율성

을 강조하는 미국 등에서는 주로 예술행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국가의 문

화정책 기능을 강조하는 프랑스 등의 국가에서는 문화행정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보고서에서는 일단은 문화행정(가)과 예술경영(자)을 구분하여

사용하되, 때에 따라 큐레이터 및 무대기술 인력 등과 구분되는 일반 행정(인

- 8 -

Page 2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력)이라는 개념상으로 사용할 경우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을 통칭하여 문화행정

이라고 사용할 것이다.

2) 문화예술 행정 전문 인력에 대한 인식 제고

문화예술 분야에서 전문화의 중요성은 사회의 다원화와 문화예술의 전문화,

효율적 경영을 요구하는 사회환경의 변화 등 단지 사회문화적 요인 뿐 아니라

사회문화 발전을 위한 일반적인 전문성 측면에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Vollmer와 Mills는 전문성은 직업세계를 질서 있게 조정하는 내부적인 노력으

로써 지속적인 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거대하고 유동적이며 분화된 사회의 자

유로운 활동과 이를 해체하려는 운동의 자양분이다 라고 정의한 바 있다. 다

시 말해 전문화는 해당분야에서의 우월성(excellence)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 주

고, 통일된 행동지침을 제공하고, 책임감을 불러일으키고, 고용이나 훈련의 척

도를 마련하는 동인이다. 또한 그 분야를 집단적으로 통솔해 갈 수 있는 제도

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사회에서의 존엄성 그리고 명예를 고

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사회 각 분야 및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화가 매우 발달한 미국에서도 1980년

대 후반까지는 문화행정가 및 예술경영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이 당시 대다수 문화예술 종사자들은 대학에서의 전문화된 정규교

육보다 여전히 실무를 통한 교육훈련을 선호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의 다원화에 따라 일상생활의 업무는 더욱 분업화되고 있으며,

이런 경향은 문화예술 분야에도 더욱 확산되고 있다. 모든 문화예술 분야에서

보다 폭넓은 전문화의 요구가 확산되고, 전문인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

아지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문화예술사업의 예산규모와 관객의 수를 결정하

는 여러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라는 외적 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

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전문성 및 전문교육 강화 요구에는 사회문화적인 외적 요인 못지

않게 문화행정가의 수가 확대되면서 문화행정가 스스로 전문가로서의 위상 향

상과 상승을 추구하는 열망이라는 내적 요인 또한 중요한 변수로 자리잡고 있

- 9 -

Page 2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대부분 개인의 사회적인 지위는 그 사회에서 수행하

고 있는 일의 성격에 따라 결정되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직업이 계속 창출되

고 있다. 사회구성원의 직업은 특정업무를 수행토록 지정되어 있으며, 이는 개

인의 경제적 이윤 뿐 아니라 부분적으로 한 사회의 가치창출에도 연결되어 있

다. 이러한 가치의 창출은 하나의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이라는 개념에 의해 증

폭된다. 따라서 문화행정가들도 전문직종으로 인정받고, 이에 적합한 역할과

대우와 이런 자격조건을 가지기 위한 전문교육에 대한 요구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예술행정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

록, 문화행정가와 예술기획자들이 문화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고 가정하여도 많은 사람들은 이 개념 자체의 논리적 모순을 지적하고 있다.

문화는 기획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예술적 창조성은 예술가들의 몫이지 행

정가의 역할이 아니라는 반대의 시각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로버트 베일리

(Robert Bailey)는 예술의 행정화를 시도할 때 또 다른 모순이 나타난다고 지적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예술은 자생적 성격과 비계획성의 성향을 띠고 있으며

기술 및 관료제도로 관리될 수 없는 비적합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는 인식이

이러한 주장의 기본 입장인 것이다(UNESCO, 1993).

이러한 반론에도 불구하고 문화행정의 중요성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이제

더 이상 찬반 양론의 차원을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제 문화행정의 전문성

에 대한 반론은 문화행정 자체에 대한 부정 보다는, 문화행정 기능의 지나친

상업화와 만능주의에 대한 경계 차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문화예술 단체의 운

영, 문화발전 전략의 수립, 문화예술의 창작과 보급 등의 과정에서 단순히 일

반 행정가나 예술가들이 아닌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훈련을 받은 문화행정가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은 완전히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화행정가들은 일반

행정에 예술의 특수성을 접목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예술경영자와

문화행정가들은 사회의 여타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행정가들과는 달리 취급되

고, 직위도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문화행정가의 역할과 전문적 교육

에 대한 인식은 1960년대 문화촉매요원의 역할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과 비교해 큰 반론 없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촉매운

동은 불어권 국가 이외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며, 전문적인 교육의 필

- 10 -

Page 2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요성에 대해서도 상당한 반대 의견이 제시되었다.2)

3) 교육 개혁 맥락에서 의 문화예술 전문인 력 양성 3)

전통적으로 문화예술은 작품활동의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다. 문화예술 분야

에서 활동하기 위한 준비는 이른바 실기의 기능이나 지식을 갖추고 우수한 작

품을 내놓기 위한 것으로 충분하다고 여겨져 왔다. 우리 나라에서 문화예술계

의 전문인력을 키우는 대학 수준에서의 교육이 대체로 실기 전문인을 키우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 점이 이러한 일반적인 인식을 잘 보여준다.

사회가 변하고 자본주의적 시장 경제체제가 확산되면서 작품활동 위주의 실

기 전문인으로서의 활동도 더 이상 시장권 에서 독립적일 수 없게 되었다. 정

부나 독지가 또는 애호가의 보호막 안에서 실기의 연마와 표출만으로 생존하

기가 어려워진 것이다. 문화예술 부문의 고고한 활동도 경제적 또는 경영적

합리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설 자리를 잃어 가게 되는 것이다. 문화예술 경영

을 위한 전문인력의 필요성은 이러한 사회적 조건에서 불가피하게 제기되는

것이다.

문화예술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의 입장에서만 예술경영 전문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지식과 정보가 경제의 근간이 되고 세계가 하나

의 시장을 구성하는 후기산업 사회는, 문화와 예술이 중요한 경제품목이 되는

동시에 국제 경쟁력의 배경이 되는 사회이기도 하다. 국가적 생존을 위해서도

이제는 문화예술은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운영되어야 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

다. 문화예술 부문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적 전략부문으로서도

의미를 지니며, 예술경영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확대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

하는 것은 국가경쟁력을 키우는 중요한 전략이기도 한 것이다.

문화예술 경영을 전문화하고 그 전문인력을 제대로 양성하는 작업은, 이 점에

2) 문화촉매요원의 교육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반론이 제기되었다. ... 사회문화촉매, 문화적

민주주의, 개인 혹은 집단의 자유로운 표현이라는 측면과 이에 반해 구체적인 훈련계획과

전문적 지침을 제공하고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교 혹은 국가공인 기관을 졸업한 전문가들 사

이에는 서로 대립할 수 없는 문제들이 있다. (Pierre Moulinier, 1984)3) 이 부분은 문화정책 고급인력 양성방안 연구 결과이다.

- 11 -

Page 2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서, 문화예술 부문의 중요한 과제인 동시에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교육개혁의

견지에서도 중요한 과제이다.

지난 4년여에 걸쳐 우리나라에서는 포괄적이고 실제적인 교육개혁이 이루어

져 오고 있다. 1994년 대통령 자문기구로 출범한 교육개혁위원회가 획기적인

교육개혁 방안을 제안하고, 제안된 방안들이 대통령의 재가로 교육부로 이관

되어 구체적인 정책으로 집행되기 시작하면서 일어난 개혁이다. 과거의 교육

개혁이 주로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견지에서 교육부에

의해 대증적 (對症的)이며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었고, 1980년대 이후에는 교육

개혁심의회와 교육정책자문위원회 등과 같은 대통령 자문기구가 구성되어 교

육개혁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제안하기도 했으나, 그 개혁방안들이 현실로

구현된 점은 미미하였다. 교육개혁위원회의 발족 이후에 일어나기 시작한 교

육 개혁의 움직임은 이러한 점에서 그 규모나 실현의 면에서 역사적인 일이

다.

교육개혁위원회가 전면적이며 체계적인 교육개혁을 표방하면서 추구하고자

하는 미래의 교육체제( 新교육체제 )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려진 열린 교육사회, 평생 학습사회 라는 비전

으로 그려져 있다. 이 비전은 미래의 정보화·세계화 시대 가 요구하는 시대

적 요청 이라는 것이 교육개혁위원회의 진단이다(교육개혁위원회, 1995).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지향점으로 그려지는 평생 학습사회 가 구체적으로

어떤 조건을 갖춘 사회인지 명시적으로 정리되지는 않은 듯하다. 다만, 이른바

5·31 교육 개혁 방안의 보고서에 열거된 열린 교육사회(Edutopia) 의 특징에

서 그 조건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정

리되어 있다(교육개혁위원회, 1995:19)

① 교육시기의 열림 : 평생을 통하여 원할 때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는 길

이 열려 있음.

② 교육장소의 열림 : 교육에의 통로가 어디서나 열려 있음.

③ 교육기관간의 열림 : 학교와 학교, 학교와 사회교육 기관간의 통로가 열

려 있음.

④ 대학교육의 열림 : 다전공·복합학문의 통로가 열려 있고, 시간제 학생,

- 12 -

Page 2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대학 편입학의 자유로운 허용으로 학교의 문이 열려 있음.

⑤ 중등교육의 열림 : 학교간 전학이 쉬워지고, 교육과정이 다양화·특성화

되어 있어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에게 다양하게 열려 있음.

⑥ 누구에게나 열린 교육 : 장애인, 도서 벽지 및 농어촌 학생을 포함하여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적은 비용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열린

교육 체제임.

이러한 특징들은 미래의 사회가 불가피하게 드러낼 성격인 동시에 미래사회

를 준비하면서 오늘의 우리가 구현해 가야 할 사회적 조건으로 지적된다. 미

래사회에서는 삶의 전 과정에서 학습이 불가피해지리라는 전망과, 바람직한

미래사회는 시간이나 공간 그리고 개인의 배경이나 특징 등에 구속됨이 없이

교육을 추구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춤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진단이, 위와 같

은 교육적 비전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위의 특징이 지적하는 교육 체제 혹은 학습 사회 에서는, 다시 정리하면,

다음의 세 조건이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①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원하는 교육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

있고, 그 기회를 통하여 완성된 학습을 할 수 있는 지원이 이루어진다.

② 개인이 독자적으로 교육(학습) 진로를 적합하게 선택해 나아갈 수 있도

록 필요한 정보와 안내를 제공한다.

③ 사회(국가)적인 수준에서의 체계적인 인력 개발을 도모하고 개인의 수준

에서 직업적 자아실현의 길을 가늠할 수 있도록, 개개인의 학습(교육) 결

과를 평가하여 공인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이 정립되어 있다.

교육개혁위원회가 정리한 여섯 가지 특징은, 교육의 기회가 사회 구성원 개

개인의 수요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고 특성에 맞게 제공되고, 그러한 기회에 접

근하는 데 개입하는 여러 장애물이 완전히 제거된 사회를 그리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점에서 교육개혁위원회의 관점이 위의 세 조건 중 첫째 조건에

국한하여 평생 학습 사회를 전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첫

째 조건에서와 같이 교육 기회를 충분하고 적합하게 제공한다는 것에는 그러

- 13 -

Page 2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한 기회들을 대상으로 개인이 분별 있는 선택 (informed choice)을 할 수 있도

록 배려한다는 복안이 전제되어 있어야 하는 바, 둘째 조건을 사실상 같이 담

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섯 가지 특징을 진술하는 데서 보이듯, 교

육 체제의 열림 을 강조하는 이면에는 학교 교육을 주축으로 하는 정규 교육

체제 밖에서의 학습이라 하더라도 요건이 갖추어지는 경우 인정하겠다는 방

안이 함축되어 있는 바, 이는 위의 셋째 조건을 암암리에 전제하고 있음을 시

사한다. 이렇게 보면, 위의 세 조건으로 열린 교육사회, 평생 학습사회 의 속

성을 규정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교육개혁위원회는 열린 교육사회, 평생 학습사회 의 비전이 위원회가 제안

하는 다양한 개혁방안들이 유기적으로 실현될 때 구현될 수 있는 것임을 분명

히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 여러 개혁 방안들 중에는 좀 더 직접적으로 이 비

전을 구현하는 데 관련된 것으로 제안된 방안이 있다. 누구나, 언제, 어디서

나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있는 열린 교육체제의 기반 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이

라는 설명이 달린 개혁 방안으로, 학점은행제(Credit Bank System의 도입 이

그것이다(교육개혁위원회, 1995:31). 이 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객관적으로 평가·인정된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

우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것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

시키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학점은행제를 도입한다.

학점은행제도는 학교나 대학 등 정규 교육기관이 아닌 일반 사회교육시설/

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얻은 학점을 인정하고, 그러한 학점이 누적되

어 정해진 요건을 갖추게 되면 학위까지 수여한다는 제도이다. 물론, 비정규

교육기관이나 시설이 제공하는 모든 교육과정에 대하여 그 이수학점을 인정한

다는 무정부적인 제도는 아니다. 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일정한 조건을

갖춘 기관/시설이 시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한하여 학점은행제도가 적용되도

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용하기 위해서, 학점 인정의 대상이 되는 교육과정

을 표준적으로 명시하게 되고 그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이나 시설의

- 14 -

Page 2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요건도 규정하게 된다. 요컨대, 학점은행제도는 비정규적 교육과정(path)을 통

해서도, 그 과정의 질이 정해진 표준을 충족시킨다면, 학위취득이 가능해지도

록 학위취득의 경로를 다변화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제도는 평생 학습 사회 에 다가가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다. 정규 학교/대학에 완전 등록 상태의(full-time) 학생으로 취학해서만 학점을

취득할 수 있고 일정한 수업 연한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비로소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적 구속을 크게 완화하는 제도임에 틀림없다. 개인적으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대로 그리고 지리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서 학점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는, 특정한 캠퍼스 안에서 정해

진 학사력에 따라 비교적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학점과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사회에서, 생애의 과정에서 나이 등에 구애됨이 없이

필요에 따라 교육 경험을 획득하고 자기 계발을 도모할 수 있는 사회로 나아

가는 데 틀림없이 기여할 것이다.

학점은행제도와 병행하여, 직업인으로서의 기능과 지식을 공적으로 인정하

는 체계를 재구조화하는 개혁 방안도 추진되고 있는 바, 직업능력 인증제도

의 도입이 그것이다. 이 제도는 직업교육의 견지에서 발의된 것이다. 미래사회

에서 직업교육은 국민이면 누구나 받는 …… 평생에 걸친 교육 이어야 하고,

그 교육은 반드시 공식적인 기관을 통해서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앞으로 직업 교육/훈련 체제는 모든 국민이 자신에게 편리하고 효율적

인 방식으로 학습하고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그러한 기회를 통하여 체득한 기능이나 지식을 공적으로 인정하고 활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직업능력 인정제도는 이 점을 인식하여 도입되는 방안이

다.

직업능력 인정제도는, 교육개혁위원회의 방안 설명에 따르면, 다양한 직종

의 핵심적인 직업 기초소양과 직무수행 능력을 측정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공

인해주는 제도이다(교육개혁위원회, 1996). 현재의 자격증을 체계적이고 표준

적으로 부여하기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정착되어 갈 직업

능력 인정제도는 현재의 자격증 부여체제와 두 가지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지닌다.

- 15 -

Page 3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첫째, 미래의 제도는 현재와 같이 제한된 직업 영역에서의 자격증 부여제도

로 남아 있지 않을 것이다. 한 사회 안에서 수행되어야 할 매우 다양한 직무

나 기능에 대해서 그 수행에 요구되는 능력과 지식이 무엇인지 체계화하고,

그와 같이 요구된다고 판단되는 능력이나 지식을 구비했는지 여부를 평가하여

공인하는 제도가 될 것이다. 이를테면, 현재와 같이 기술분야의 특정 기능을

제대로 습득했는지 평가하여 자격증을 부여하는 절차와 과정도 이 제도에 포

함됨은 물론, 문화예술 분야의 특정 직업(예컨대, 음악 평론가)이 요구하는 지

식과 안목의 정도가 어떠해야 하는지 규정하고 그 준거에 따라 지원자를 평가

하고 인정하는 부분도 이 미래 제도에 포함될 것이다.

둘째, 미래의 제도는 직업적인 기능이나 지식을 전수하기 위한 기관이나 프

로그램의 성격에 근거해서 자격을 부여하기보다 개인이 실제로 지닌 능력이나

지식을 측정/평가하여 자격을 부여하는 능력 본위의 제도 가 될 것이다. 특정

한 학교를 졸업했거나 특정한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했을 때 자동적으로 자격

을 부여하는 방식보다는, 어떤 과정의 교육/훈련을 받았건 개인이 필요한 지식

과 기능을 갖추었는지 실제로 평가하여 자격을 부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점은 특히, 미래 사회에서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회 구성원 개개

인이 개인의 편의대로 학습하고 직업진로를 모색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더욱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즉, 미래 사회에서 누구나 학교에 다녀야 하는 것

이 더 이상 필요조건이 아니게 될 때, 현재의 공식적인 학교교육 체제가 전담

하고 있는 학력인정의 절차(즉, 졸업장 부여의 기능)마저도 점차 직업능력 인

증제도가 대체해 갈 것이라는 뜻이다.

직업 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지니고 살아야 하는 것이고, 그 직업을 위해

누구나 특정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면, 직업능력 인증제도는 직업인이 되는 모

든 과정에서 거쳐야 하는 제도가 된다. 이 점은 문화예술의 부문도 예외가 아

니다. 예술경영에 종사하게 될 전문인의 자격도 궁극적으로 이러한 제도의 틀

안에서 규정되고 부여될 것이다. 따라서 그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체제는

현재로서 학교 교육의 맥락에서 구상되어야 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학점은행

제도나 직업능력 인정제도와 같은 방안으로 점진적으로 구현되어 가고 있는

미래의 해체된 교육체제를 전망하면서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과도기

- 16 -

Page 3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적으로 다음과 같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현재 학점은행제도는 학사나 전문학사 학위를 겨냥하여 입안되어 운

영되고 있다. 대학이나 전문대학 등 공적으로 인정된 고등교육기관에 취학하

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부가 평가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에

그 학점을 인정하고, 인정된 학점을 학점 은행 에 누적시켜 규정된 요건을 갖

추는 경우에 학위를 수여한다는 것이다. 이 제도는 이미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로 공포되어 실효를 지니고 있으며, 현재 주요 사회 교육기관의 프로그

램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되고 있다.

이 제도의 맥락에서 문화행정 분야는 우선 학점 인정과 학위수여의 대상영

역으로 위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현재로서 학점은행제도는 기존의 대학과

전문대학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과 학위를 중심으로 구축되고 시행될 전망인

바, 그 과정과 학위종류에 추가하여 문화행정의 부문을 포함시키는 작업이 필

요한 것이다.

둘째,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의 직무를 위한 전문성이 어떤 기능과 소양/지

식을 요구하는지 명료화하여 교육 내용 체계로 번안해낼 필요가 있다. 이 연

구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프로그램 검토는 이 때 필요한 작업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예술경영과 행정을 위한 기초 지식, 기능, 소양 등을 상세화하는 작업은, 단

기적으로 학점은행제도와 같은 새 교육 체제에서 활용될 표준 교육과정 을

구성하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직업능력 인증제

도의 시행을 위해 예술경영과 행정 전문인력의 자격을 구체화하고 그 자격수

여를 위한 평가 과정을 객관화하는 작업으로서도 의미를 지닌다. 특히, 미래

사회에서 예술경영과 행정에 종사할 자격은, 다른 직업영역에 종사할 자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공식적인 교육과정을 거쳐서만 갖추게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작업은 더욱 필요해진다. 교육훈련의 과정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직업세계나 개인적인 일상의 경험을 통해서 누적시킨 기능이나 지식을

근거로 해서도 직업능력의 인증(자격)은 획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자격

인정 체제에서 예술경영과 행정영역의 전문인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경험과 능

력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17 -

Page 3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마지막으로, 예술경영과 행정 부문의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정

규교육이나 사회교육을 통해 확산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교육훈련 프로그램

이 사회 속에 산재해 있지 못한다면, 그 부문의 인력양성은 구호에 그치게 된

다. 교육훈련의 결과가 학점이나 학위가 되건 아니면 고용의 가능성을 높여주

는 자격증이 되건, 그 결과를 낳아줄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많은 사

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그 이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

지 못하면 인력 양성은 활성화되기 어려운 것이다.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서는 문화예술 부문에서의 고용관행도 새

롭게 세워야 할 것이다. 문화예술계가 인정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이수나 그러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키울 수 있는 능력을 고용의 중요한 요건으

로 채택하는 관행 등이 정착되어 가야 하리라는 것이다.

4) 문화행정 전문인 력 교육의 필요성

초기의 예술행정가들은 예술가로 활동을 하면서 예술행정분야에 발을 들여

놓거나 예술세계를 동경하는 애호가들이었으며, 예술은 창조성에 기인한다는

인식으로 인하여 예술가들에 비해 그 역할과 대우도 낮은 편이었고, 이런 문

화행정, 예술행정, 문화촉매 요원, 문화예술 기술인력 등에 대한 전문교육과

활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였다. 공공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행정요원

이나 예술경영자들은 아직도 정규학과를 통한 행정교육과 훈련보다 실무를 통

한 교육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들의 역할에 대한 전문적 훈련을 거

의 받아 보지 못했다. 따라서 문화행정가들은 실무를 수행하면서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그러나 다원화와 경제적 압박 등으로 인하여

문화행정의 효율성과 예술단체의 운영 활성화 및 창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무엇보다도 전문적인 교육훈련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일 수 있다. 업무의

모든 분야에 걸쳐 개별적인 효율성이 제고되지 않는 한 정부와 예술기관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새로운 경제적 상황에 직면해서 문화예술기관의 생명력을 존속시키기 위한

예술경영자들의 건설적인 변화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 18 -

Page 3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교육훈련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일 수 있다. 문화예술단체에서 수준 높은 예술

작품의 산출과 문화예술기관의 재정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공연평가, 수요측정,

시간관리, 인사평가, 동기부여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전문성의 제고가 필요한

것이다. 문화예술단체의 목적인 수준 높은 예술작품의 산출이건, 예술을 통한

수입증대이건, 보다 많은 대중에게 문화예술을 접하게 하는 것이건 모두 문화

예술단체의 모든 분야에 걸쳐 개별적인 효율성이 제고되지 않는 한 예술기관

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이제 문화예술기관의 목적은

예술가들에게만 의존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러나 문화행정의 전문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 후에도 유럽에서

는 예술경영자와 문화행정가를 채용할 때 그들의 전문적인 학력수준을 중시하

기 보다는 직원의 실무적인 경력을 중시하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대부분의

문화행정가와 예술경영자들은 그들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전문적인 교

육을 받아 보지 못했다. 따라서 문화행정가들은 실무를 수행하면서 전문지식

을 습득할 수 밖에 없었으며, 시행착오를 거치거나 선배들로부터 전수 받는

것을 통해 문화행정에 관한 전문지식을 쌓을 수 밖에 없었다.

미국에서도 초기의 예술경영자들은 예술가로 활동을 하면서 예술행정 분야

에 발을 들여 놓거나 예술세계를 동경하는 애호가들이었다. 이들 중의 일부는

음악, 연극, 미술 등 예술 관련 학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역사, 언

어, 법률 및 사회과학분야의 학위소지자들도 있었다. 특히, 공공부문에 종사하

고 있는 고위행정가나 예술경영자들은 아직도 정규학과를 통한 행정교육과 훈

련보다 실무를 통한 교육을 더 중시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부문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개발계획의 결실로 국민생활

의 경제적 질의 향상이 놀랄만한 속도로 달성된 그 유례를 찾기 힘든 국가중

의 하나가 되었다. 경제생활면에 있어서의 풍요는 필연적으로 보다 향상된 삶

의 질적 측면에 눈을 돌리게 하는데, 삶의 질적 측면에 대한 척도는 문화부문

의 성장이 어느정도인가로 가늠해 볼 수 있는 것이다.

한국도 국민들의 문화생활 증진을 위해 1980년대에 들어와서 서울과 지방에

크고 작은 예술단체 및 문화시설들을 많이 설립하였다. 또한 90년 후반 이후

문화복지의 확충이 문화정책의 중심목표로 설정됨에 따라 문화복지의 확충을

- 19 -

Page 3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위한 문화시설 보급이 확대되고, 예술단체의 수 및 활동도 큰 폭으로 증가하

고 있으며, 정부·지방자치단체·문화기관들의 문화행정가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4)

그러나 문화예술의 하드웨어 구축과 함께 문화정책적으로 주요하게 고려하

여 할 사항이 이를 운영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다. 따라서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확보가 중요한 정책의 하나로 부상되고 있다. 이런 문화

행정 전문인력의 중요성 및 전문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관점에

서 제기되어 왔다.

첫째, 전문화의 추구로, 경제성장에 따른 사회의 발전과 변화는 필연적으로

사회의 다원화와 이에 따른 전문가의 수요와 역할 증대를 수반한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문화예술의 수요와 영역의 확대는 문화정책 과정 및 예술경영 등

에서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할 전문가의 수요와 역할 증대를 필요로 하고 있

다. 또한 문화예술 전문직 종사자들의 전문화 욕구도 크게 증대하였다.

둘째,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의 역할 증대로,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 및 공공

지원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지원액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정부의 예술에 대한

간섭이 역시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예술의 창의성과 행정의

효율성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이를 조화롭게 매개할 수 있는 전문가의 역

할이 중요하게 되었다(김문환, 1996: 370). 정부의 문화재원이 증가되고 있지

만, 증가된 재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가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

었다. 경제성장에 따른 정부와 국민들은 문화 뿐만이 아니라 계속적인 경제의

성장, 교육, 보건, 사회복지, 환경 등의 욕구들이 동시에 충족되기를 원하기 때

문에 각 부문마다 재원 획득의 경쟁이 가중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문화

부문은 그 충족욕구가 강하게 표출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고, 정책의제에서도

대개 낮은 순위에 놓여있기 때문에 재정 지원이 상당히 가변적이다. 따라서

재원의 확충과 주어진 재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

4) 1989년 문화행정가의 수는 총 1,063명(중앙정부 441명, 지방자치단체 642명) 이었으나, 1996

년에는 총 4,952명(중앙정부 664명, 지방자치단체 4,288명)으로 증가하였다(한국문화정책개발

원 문화발전연구소(1989), 「문화예술행정요원 양성 및 확보방안 연구」 및 내무부(1996),

「행정조직 개편백서」에서 재구성

- 20 -

Page 3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하게 된 것이다. 이런 재원의 가변성과 전문적인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교육

의 관계는 서구사회에서 이러한 학문의 태동을 보면 알 수 있다. 유럽의 경우

1960년대 및 70년대의 정부지원의 확대가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이란 기치아

래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에 대한 필요성을 고취시켰고, 경제불황에 따른 효

율적 운영의 필요성이 이를 확산시킨 반면, 미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지원의

긴축으로 인한 대응책으로서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

었던 것이다

셋째, 문화의 지방분권화 확대로, 지방자치단체에 문화행정에 관한 많은 책

임과 권한이 부여되고, 문화가 지역 주민들에게 더욱 가까워질 수 있는 프로

그램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과

인력확보는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중앙 정부의

권한을 대폭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 이관하려는 계획이 추진 중이므로 지역에

맞는 문화예술활동을 기획하고 예술기관을 경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필요성

은 더욱 요청되고 있다.

넷째, 예술의 경영기법 도입으로, 예술기관·단체 수의 증가 및 문화예술의

경제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에 따라 문화예술 분야에 행정 및 경영기법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대중의 미적 생활양식의 향상, 예술

기관 운영의 경제적 복합성과 효율성의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 행정이 강조되

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경제위기를 맞이하여 정부 차원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IMF 구제금융 실시 이후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국민들의 문화

생활이 위축되고, 심지어 문화의 기반이 무너질 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

고 있다.5) 따라서 비효율적인 문화예술기관의 운영을 효율화하며, 재정적인

위기를 맞은 문화예술 단체의 효율적 경영 및 현재 여건에 맞는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역할이 문화예술단체의 생존에 필수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기획예산위원회에서 시도하고 있는 문화예술기관의

외부자원 활용(out-sourcing) 방침에서도 잘 나타나 있으며, 영국과 유럽국가에

5) 문화관광부의 자료에 따르면, 98년도 1/4분기 월평균 공연수는 97년도에 비해 절반 가까이

감소하였으며, 평균 객석점유율도 70%에서 40%로 감소되고, 잡지의 50%가 폐간되었으며, 음

반·비디오·PC게임 판매량은 30%가 감소되었다고 한다(동아일보 1998. 6. 29)

- 21 -

Page 3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서 문화행정 전문교육이 시작된 이유도 경제불황시대에 문화예술기관의 재정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6) 또한 문화향수

기회가 일부 부유층에 편중되기 쉬운 경제위기 시대에는, 일반 대중들의 문화

향수 기회의 확대를 위한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역할이 더욱 필요로 한다. 즉,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를 함께 발전시킨다는 국민의 정부의 정치철학을 예로 들

지 않더라도 모두를 위한 문화 (Culture for All)라는 문화민주주의는 문화정책

이 추구하여야 할 목표가 되며, 이것은 경제위기 시대에도 결코 방기할 수 없

는 것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의 필요성은 다소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것

이고 개개의 문화예술단체나 문화공간의 차원에서 본다면 그 필요성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재정적 안정성 및 자립도 확보의 문제, 관객 확충

의 문제, 단체내의 인력관리의 문제, 기획의 문제 등 열거할 수도 없이 많은

문제들이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의 전문적 교육을 통한다면 더욱 용이하게 해

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런 전문화 추세 및 수요를 충족할 전문가 및 전문교육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한국에서의 문화행정 및 문화행정학은 새로운 개념일 뿐 아

니라, 전문직종으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도 대다수 대학교와 예

술대학들은 이를 위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문

화기관의 운영은 아직까지 전근대적인 인식에 머물러 있으며 방법론 역시 타

부문과 비교해 볼 때 낙후된 상태에 놓여 있다.

2. 문화예술 전문인력 현황 및 수요

1) 일반 현황

이 연구에서 다루는 문화예술 전문인력은 (1)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

6)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제3장을 참조

- 22 -

Page 3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 무대기술 전문인력, (3) 큐레이터 등 3가지 분야이다. 그러나 이 세 분야의

전문인력은 문화예술의 창작과 보급과정에 참여하는 전문인력이기는 하지만,

각각 특성이 다르므로 이를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

서 서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보고서에는 이 연구의 중점내용인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 부분을 중심으로 실태분석 및 외국사례, 양성방안을 연구하도

록 하고, 기술적인 측면과 경영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큐레이터 분

야에 대해서는 다른 장으로 분리하여 살펴 보았으며, 행정이나 경영과는 차원

이 다른 무대기술 인력 분야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구에서 다루고,7) 이 보고서

에서는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만 언급하였다.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능상으로 구분할 수는 있지

만, 실제로 문화기관내에서 인위적으로 구분하기는 어렵다. 특히 이들 인력의

현황, 수요, 교육현황 등을 살펴 보고자 할 때, 이를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실태 파악을 위해 문화행정과 예술경영

인력의 실태를 (1) 문화행정을 기획, 조정 및 관리하는 중앙 및 지방정부의 문

화행정 조직과, (2) 문화행정을 담당하는 공공 문화예술기관, (3) 예술작품을

창작, 전시, 보급하는 예술단체에서 종사하는 인력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실 여건상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도 현업 문

화예술기관이 속하여 있어, 이를 행정조직과 예술단체로 구분하는 것은 기술

적으로 매우 어렵다. 또한 민간의 예술단체는 규모가 적고 그 정확한 실태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법인 성격의 조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나머지는

다른 조사결과를 토대로 추정하기로 한다.

2) 중앙정부 및 지방자 치단체 문화행정 인 력 현황

우리나라 정부에서 문화행정을 담당하는 조직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분야 부서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중앙정부에서 문화행정을 담당하

는 부서는 문화관광부, 교육부, 외교통상부 등이 있다. 교육부는 학교 및 사회

교육과 국제교류 업무를 담당하고 있고, 외교통상부는 문화외교 및 협력업무

7) 한국문화정책개발원(1997), 무대기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를 참조

- 23 -

Page 3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를 담당하고 있다.8) 그러나 문화정책을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부서는 문화관광

부로서 문화예술(예술, 생활문화, 어문, 전통문화, 문화산업, 매체 포함), 체육,

관광, 청소년 등 4개 분야의 정책을 담당하고 있으며, 1차관보, 2실, 6국, 3관

및 17개 소속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문화분야 부서는 종무실, 문화정책

국, 예술진흥국, 문화산업국 등 4개 실·국이다. 또한 문화관광부에는 문화재

관리국, 예술원 사무국,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물관,

현충사관리소, 세종대왕유적관리소, 칠백의총관리소 등 문화예술 분야에만 13

개 소속기관이 있다. 문화관광부의 총 인원은 문화관광부 본부 457명을 포함

하여 총 2,697명이다. 그러나 문화관광부의 모든 조직이 문화정책을 기획, 조

정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정책을 기획, 조정하는 문화관광부 본

부 및 문화재관리국 중 학예연구원을 제외한 인원을 기본적인 문화행정 인력

으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문화관광부의 문화정책 담당 문화행정 인

력은 문화관광부 본부의 457명에 문화재관리국 일반 행정인력 187명을 더한

644명이다.

이 인원에는 단순 기능직과 체육 등 비 문화분야도 포함되어 있어, 문화관

광부의 전체인원을 문화행정 인력으로 간주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이

를 실제 담당 업무에 따라 문화행정 인력과 비 문화행정 인력으로 구분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일단 이 인원을 그대로 문화행정 인력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문화예술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그 명칭과 조직형

태가 매우 다양한데,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문화관광국 등 문화분야 부서를 별

도로 통합하여 설치한 경우가 많이 있다.9)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문화분야 부

서를 문화공보실 또는 문화공보담당관실에서 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자치단체의 특성에 따라 조직과 명칭을 달리하고 있다.10) 특히 자치구의 경우

에는 부산시의 해운대구, 금정구, 수영구 및 대전시의 유성구 등이 특성에 따

8) 그러나 중앙부처의 경우 그 문화행정 기능에도 불구하고, 이를 문화행정 관료로 포함하기에

는 현실여건상 장애요인이 많으므로, 이 보고서에는 계산하지 않았다.9) 15개 시·도중 문화분야를 별도의 국단위 부서로 통합 설치한 곳은 10개이다.10) 자치단체의 문화분야 부서 조직형태에 분류는 한국문화정책개발원(1996), 「지역 문화복지

지수체계 개발 및 조사연구」를 참고

- 24 -

Page 3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라 문화관광과(실)의 조직형태를 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명칭은 약간씩 다르지

만 문화공보실(문화공보담당관실, 문화공보(홍보)과)의 조직 형태를 취하고 있

다. 이밖에 자치구가 아닌 구(區) 설치된 중규모 시가 있는데, 이런 구는 9개

시에 22개 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안양시, 성남시, 수원시, 부천시, 고양시 및

전주시 등은 총무과에 문화행정을 담당하는 계가 설치되어 있고, 울산시, 마산

시 등은 기획실에, 청주시는 기획감사실에 문화행정을 담당하는 계가 설치되

어 있다. 한 계의 인원을 평균 3명으로 할 때, 자치구가 아닌 구의 문화행정

공무원 수는 총 66명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의 <표 2-1>에는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정 공무원 인원수가 산출되어 있는데, 표에서 산출된 4,222명에 자치구

가 아닌 구의 문화행정 공무원수 66명을 더하면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 공무원 인원수는 총 4,288명으로 추산할 수 있다.

이런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정 인원을 평균적으로 살펴보면, 광역자치단체의

경우에는 평균 79.5명이며, 기초자치단체의 경우에는, 이중 8∼13명 사이가

146개 단체로서 전체의 63.5%를 차지하고 있다.

이 숫자는 1989년 조사에서 지방 문화행정 공무원수를 642명으로 추정하였

던 것에 비하면,11) - 1989년 조사가 개략적인 산출방법과 문화행정 대상 영역

의 차이로 상당한 오차가 있기는 하지만 - 거의 7배로 증가한 것이다. 향후 지

방자치단체는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문화복지행정, 생활체육행정,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문화관광행정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것이므로 문화

행정의 기능 강화 뿐 아니라 문화행정인력도 계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한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 인력수는 1989년에 1,063명이었

던데 비해 1996년에는 4,952명으로 5배 가까이 증가하였다.12)

그러나 문화행정에 종사하고 있는 공무원수가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적 특성에 따른 극히 소수 지역을 제외하고는 아직도 문화행정에 대한 전

11) 이 인원수는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계와 문화재계로 범위를 국한하여 서울시를 제외하고는

직할시·도의 경우에는 평균 48명, 시의 경우에는 평균 3명, 군과 서울시의 구의 경우에는

평균 2명, 직할시의 구는 평균 1명 등으로 추정하여 자치단체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이므로

정확한 수치는 아니다(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1989).12) 보고서 발간의 지연으로 중앙부처인 문화관광부는 1988년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다른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신규 조사가 어려워 1996년 기준의 조사결과를 그대로

활용하였다.

- 25 -

Page 4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문성이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지방자치

단체 문화행정 공무원들은 전문성에 대해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특히 문화행

정부서에서 근무한 경력이 승진 등 경력관리에 별로 도움이 안된다고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a: 74)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문화행정 부서는 그냥 거쳐가는 자리이거나 한직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빈번한 전보로 전문성을 축적할 여유가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표 2-1> 지방자치단체별 문화행정 인원수

시·도별 광역단체기 초 단 체

계단 체 수 인 원

서울특별시 224 25구 344 568

부산직할시 110 15구 1군 158 268

대구직할시 68 7구 1군 81 149

인천직할시 55 8구 2군 103 158

광주직할시 62 5구 42 104

대전직할시 50 5구 50 100

경 기 도 75 21시 10군 459 534

강 원 도 86 7시 11군 229 315

충청북도 60 3시 8군 192 252

충청남도 57 6시 9군 230 287

전라북도 55 6시 8군 179 234

전라남도 72 6시 18군 285 357

경상북도 70 10시 13군 329 399

경상남도 82 11시 10군 264 346

제 주 도 67 2시 2군 84 151

합 계 1,193 230개 3,029 4,222

<자료 : 내무부, 「지방조직개편백서 I, II」, 1996을 참고 작성>

※ 주 : 부서의 명칭에 관련 없이 문화, 체육, 공보, 관광 분야 등을 모두 포함

계산하였으며, 산하 문화예술기관은 포함하지 않았음.

- 26 -

Page 4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2-2> 지방 문화행정 공무원들의 전문성과 자부심 및 승진기여도

빈도(%)

조사항목 매우높다 높은 편 보통 낮은 편 매우 낮다 합계

전문성 정도

자부심 정도

승진 기여도

5(1.5)

12(3.6)

6(3.6)

54(16.4)

74(22.4)

21(12.4)

138(41.9)

134(40.6)

22(13.0)

100(30.4)

82(24.8)

88(52.1)

32(9.7)

28(8.5)

32(18.9)

329(100.0)

330(100.0)

169(100.0)

<출처 : 한국문화정책개발원(1995), 지방자치단체별 문화지표 조사연구>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 공무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들을 위한 교육은 문예진흥원의 지역문화행정연수와 한국문화정

책개발원의 문화행정연수 등 단기 프로그램만이 있을 뿐이다.

한편, 중앙부처인 문화관광부의 경우에도 체계적인 문화행정 교육은 부족하

며, 행정고시를 통하여 채용된 공무원들이 개별적으로 대학원에서 교육을 받

거나, 문예진흥원의 문화행정연수(관리자반/실무자반)나,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의

문화행정연수 등을 통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이 있는 정도이다.13)

3) 국립 및 공공 문화예술 기관의 문화행정 인 력 현황

혼합형 문화정책모형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문화행정 조

직 못지 않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공공 문화행정 기관들이 있다. 이 공

공 문화행정 기관들은 각 분야별로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

공공 문화예술기관 및 인력현황은 다음의 <표 2-3>과 같다.

이 기관들은 각 전문분야별로 문화예술의 창작 및 향수 활동을 지원하는 기

구이거나, 대표적인 문화예술 공간을 운영하거나, 또는 문화예술 심의 조정 등

을 통하여 문화예술에 큰 영향을 가진 기관들이다. 이 기관들의 문화행정 직

원들은 주로 공개경쟁에 의하여 채용되고 있으나, 이들이 채용 전에 문화행정

에 관한 전문교육을 받은 것이 아니라, 채용 후에 실무를 통하여 문화행정에

13)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경우 간부 임용 또는 승진시에 중앙공무원 교육원에서 교육을 받으면

서 일부 문화관련 과목을 교육받게 되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표 2-6>을 참고하기 바란다.

- 27 -

Page 4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관한 전문지식을 쌓아가게 된다.

이밖에 지방자치단체 소속으로 문예회관 등의 문화공간이 있으며, 최근에는

광역자치단체별로 문화예술 행정을 담당하는 별도의 기관을 설립하려는 움직

임이 있다. 제주도의 문화진흥원, 경기도의 문화진흥재단, 서울시의 문화정보

센터 등이 있으며, 향후 이런 시도는 모든 광역 자치단체로 확산될 것으로 예

상된다. 그러나 지방 자치단체의 문화공간의 문화행정 인력현황은 그 분류상

민간의 문화공간 등과 함께 파악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별도로 조사하지 않

았다.

<표 2-3> 공공 문화행정 기관의 문화행정 인원수

기 관 명 기 능 인 원

국립국악원 전통음악·무용의 전승, 보급, 국악인 육성 24

국립현대미술관현대미술작품의 수집, 보존, 전시, 조사연

구, 미술교류 등31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의 진흥을 위한 활동 41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예술가 양성 교육 18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자료의 수립, 보존, 전시, 조사연구 등 9

국립중앙박물관 유물의 수집, 보존, 전시 및 조사연구 등 58

국립중앙도서관 국가 대표 도서관 164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예술의 창작 및 보급지원, 교육연수 등 78

영화진흥공사 영화의 창작·보급지원, 지원시설 운영 등 45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저작권 심의·분쟁조정, 교육 및 조사연구 16

공연윤리위원회 공연물 등급 심의 37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간행물 자율심의 26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전통문화 전승 보급활동 32독립기념관 독립사료의 전시 및 조사연구, 교육 37영상자료원 영상자료의 수집, 관리 18예술의전당 문화공간 조성, 운영 100서울예술단 공연예술 창작 발전을 위한 공연 14

계 580

※ 주 1. 1995년도 정원 기준

2. 학예연구원, 기술직 등 전문직과 단순직종인 기능직은 제외

- 28 -

Page 4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4) 문화예술단 체 문화행정 인력 현황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공간 및 예술단체에서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에 종사하는

인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우리나라의 문화공간은 1996년 현

재 2,519개소(미등록도서관 및 학교도서관 제외)가 있다. 그러나 이중 영화관

은 영리적인 문화산업 공간으로 본 연구에서 제외되어 있으므로, 영화관을 제

외한 문화공간은 총 1,810개소이다. 이 문화공간의 문화행정 인력을 정확히 파

악하는 것은 방대한 작업이며, 이 연구의 핵심내용도 아니므로 이 연구에서는

평균인력을 추정하여 전체 문화공간의 문화행정 인력수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 수치는 연구의 참고를 위한 것이므로 정확한 수치라고 볼 수 없다. 즉 평

균인원의 산출이 통계적인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추정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표 2-4>에는 문화공간의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수가 산출되어 있는데,

전국 문화공간의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수는 총 6,567명으로 추정된다.

예술활동을 직접 수행하는 예술단체수 및 예술경영 인력현황은 더욱더 파악

하기가 어렵다. 협회등에 가입하지 않은 미등록 단체가 많고, 1∼2번의 활동

후에는 거의 활동을 중단한 단체도 많이 있으며, 상설단체 보다는 대표자 개

인에 의하여 운영되는 비상설단체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호인 수준의

단체와 전문 예술단체의 명확한 구분도 점점더 어려워지고 있어, 문화관련 통

계조사에서도 예술단체의 정확한 수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예술경

영인력은 예술단체의 영세성 및 전문영역의 미분화 때문에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파악이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한 통계자료와 예술단체의 여건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 예술단체의 예술경영인력을 추정하여 보았다. 우리나라 전문 예술단체수

는 약 1,015개로 추정되는데, 각 단체별로 전문 예술경영인력이 평균 2명이 있

다고 간주하면 전체 인원은 약 2,030명이 된다.

- 29 -

Page 4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2-4> 전국 문화공간의 문화행정 인력 추계

구 분 소 분 류 시설수 평균인원수 총인원수

공연시설종합공연장 46 20 920

일반공연장 105 7 735

소공연장 146 4 584

소 계 297 2,239

전시시설

박 물 관 173 5 865

미 술 관 29 3 87

전 시 실 270 2 540

화 랑 338 2 676

소 계 810 2,168

지역문화복지시설시·군·구민회관 104 8 832

문화의집 4 3 12

소 계 108 844

문화보급전수시설 문 화 원 183 3 549

국 악 원 37 6 222

전수회관 46 3 138

소 계 266 12 909

공공도서관 329 4 1,316

합 계 1,810 6,567

※ 1. 문화공간현황은 문화체육부의 「 96 전국문화공간현황」에서 재구성

2. 평균인원은 공간별 중규모의 4∼5개를 평균한 것임.

3. 공공도서관은 사서를 제외한 행정직원수로 산출

- 30 -

Page 4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2-5> 전문 예술단체수 추정

장르별 연극 무용 양악 국악 미술 종합 계

비 율 6.08 3.04 7.67 20.63 14.02 4.76 56.2

단체수 110 55 138 373 253 86 1,015

※ 1. 장르별 단체비율은 문화예술단체 실태조사(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4)

표본비율에 근거하였음.

2. 단체수는 1997 문화예술단체 실태조사를 위해 파악한 연극단체 모집단

을 기준으로 하여 비례식으로 계산하였음.

3. 예술단체중 사진, 연예, 건축, 영화 등은 문화산업 제외원칙 및 예술경영

과는 거리가 있어 제외하였음.

그 이외에 이벤트사, 신문사 및 방송사 등에서 문화행정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도 있으나, 이것은 추산하기도 어렵거니와, 문화행정의 개념정의에서 언급

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대규모 문화산업 분야는 문화행정가로 간주하지 않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제외하기로 한다.

문화예술단체의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일부 대형 문화공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문화행정가 또는

예술경영자로서의 교육과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요 문화공

간은 대부분 지방자치단체 소속기관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의 경우 지방자치

단체의 문화부서 문화행정 공무원보다도 더욱 더 한직으로 인식되고 있고, 그

수준도 더 낮은 편이다. 이들의 경우 미적 감각과 행정능력이나 경영기법 등

문화행정가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기가 매우 어렵다. 이들 기관장의 직급은

대부분 4∼5급 일반행정직으로 되어 있다.

예술단체의 예술경영인력에 대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한데, 우리나라 예술단

체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예술단체의 대부분이 대표중심으로 운영되고, 예술가

와 경영전문가의 역할구분이 불명확한 경우가 많다. 물론 공연단체는 공연이

개최될 경우 일시적으로 분야별 문화행정가 및 문화경영요원을 활용하며, 활

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연극단체의 경우, 별도의 예술경영자들이 있는 경우도

- 31 -

Page 4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있지만, 이는 전체 예술단체에 비하면 매우 적은 비율이다. 이들의 경우 대부

분 전문적인 교육 보다는, 현장에서 습득한 지식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예술단체 운영, 마케팅, 기획 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5) 무대기술 전문인 력 현황

공연장의 무대기술 전문인력 현황은 자료가 부족하여 추정하기가 상당히 어

려운 편이다. 여기에는 별정직 또는 임시직 직원도 상당수 있어 인력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공공 일반공연장의

경우 대체적으로 운영요원의 수와 기술요원의 수가 비슷하므로 2천명∼2천 5

백명 사이로 추정된다.

또한 큐레이터의 인력현황은 큐레이터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인원이 현

재 약 100여명 정도로 추정되는데, 현재 큐레이터의 자격과 역할에 대한 명확

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들의 역할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큐

레이터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실제로는 큐레이터에 준한 기능을 수

행하고 있는 전시시설 전문가도 상당수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전시시설에는 최소한 1명 이상의 큐레이터가 있어야 하므로, 우리나라에는 적

어도 2천명 이상의 큐레이터가 활동하고 있어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것이 우리

나라의 현실이다. 박물관법 및 미술관법 제정당시 미술관에 큐레이터를 의무

화하려고 하다가 미술관 경영자들의 반대에 의해 권장사항으로 변경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큐레이터의 기능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이다.

무대기술 전문인력은 예술의전당 등 극히 일부 문화공간을 제외하고는 역할

에 대한 인식이 낮고, 적절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음향, 조명, 무대미술

및 무대기계 등 무대기술직 전문인력들은 공연예술작품의 창작 및 공연과정에

서 보조역할로 취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공연예술 작품에서 연기자,

제작자, 감독의 역할은 중요시되나, 이들 기술전문직들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

지 못하고 있다. 이런 낮은 인식은 전문기술직들에 대한 낮은 대우와 심리적

불만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현실은 지방자치단체 소속의 공연장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지방의 공공 공연장 소속의 전문기술직 등은 대부분

- 32 -

Page 4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기능직 공무원으로 되어 있고, 신규 임용 또는 전보자의 경우 과거에 문화예

술에 거의 관심이 없거나, 이와 관련한 교육을 전혀 받아보지 못한 이들이 대

부분이다. 이들은 시(군)청의 일반 기술파트에서 전보된 경우도 있고, 본청에

복귀하기를 원하고 있는 이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 이런 현실에서 이들에게

미적 감각과 예술에 대한 이해, 창조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이들은

대부분 예술분야에 종사한다는 인식 자체도 희박한 편이다. 이것은 제도에도

문제가 있는데, 음향, 조명 등의 직종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전자·전기분야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6) 향후 문화예술 전문 인력 수요

앞에서 추산하여 본 우리나라 문화예술 전문인력은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 14,069명,14) 무대기술 전문인력 2,500명, 큐레이터 100명 등 총 16,669명

으로 추정된다(표 2-6 참조). 이것은 오차를 감안할 경우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전문인력이 15,000∼20,000명 정도라는 것을 말해 준다. 이 인력현황은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다. 전문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우리사회의 당면과제로 요

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2만명 정도의 전문직종에 대한 전문화와 이를 위한 전

문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21세기는 문화가 국민들의 생활 및 국가 정책에서 정책 우선순위를 가

지는 문화의 시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를 위하여 국민

들이 일상생활에서 문화에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문화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

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2011년까지 각종 문

화공간을 1,098개소 확충할 예정이다. 정부에서 계획된 대로 문화공간이 확충

될 경우 최소한 약 4천 7백명의 문화행정 인력, 1천 4백명 정도의 무대기술

전문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추정하기 어려운 민간차원의 문화공간

14) 조사시점의 통일을 위하여 문화관광부의 인력은 현재의 인력인 644명이 아닌 문화체육부당

시의 인력인 664명(문화체육부 본부 477명에 문화재관리국 187명을 합산)을 기준으로 하였

다. 이것은 전체 인력규모가 추정치이므로 이정도의 숫자는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

다.

- 33 -

Page 4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확충을 포함할 경우 이는 훨씬 더 증가할 것이며,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문화

행정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문화기관·단체의 효율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인력의 중요성이 제고되면, 이를 위한 인력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전체

적으로 필요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수요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

다.

<표 2-6> 문화예술 전문인력 현황

구 분 대 상 추정인원 비 고

문화행정/

예술경영

중앙정부 문화행정인력 664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정 인력 4,228중앙 및 지방정부

합계 4,952명

공공 문화예술기관 문화행정인력 580

문화공간 문화행정 인력 6,567

예술단체 예술경영 인력 2,030

소 계 14,069

공연예술

전문직무대기술 전문인력 2,500 2천∼2천 5백명

큐레이터 큐레이터 100

합 계 16,669

그러나 정부의 문화발전 중장기 계획 및 문화시설 확충 계획에서 문화예술

전문인력 확충에 관한 내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정부에서는 하드웨어 확

충과 함께 소프트웨어의 확충을 위해서도 다양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고, 이를

위하여 문화관광부에서는 프로그램 뱅크와 종합문화정보망과 연계한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15) 생활문화복지 요원 양성, 자원봉사자 확충, 예술영재 및 우수

15) 문화프로그램 뱅크는 전국의 문화공간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공연, 전시, 문화강좌 등 각종

문화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수집, 이들 문화공간에 제공하고 문화프로그램 공급자와 수요

자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지역주민의 문화체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7년 6

- 34 -

Page 4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예술가 양성 등의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16)

그러나 문화시설(hardware), 프로그램(software), 인력(humanware), 재원

(resource)을 문화공간 운영의 4대 요소라 할 때, 문화시설, 프로그램, 재원 등

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과 계획이 추진되고 있지만, 이를 운영할 인력 및 인력

의 양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정부에서 적극적인 관심과 의지가 부족한 실

정이다.

<표 2-7> 문화공간 확충계획에 따른 문화행정인력 수요

구 분 확충계획인력수요

비 고평균인원 추정인원

전문박물관·미술관 160 4 640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12 9 108전시시설 인력

소계 748

지방문예회관 157 7 1,099

종합문예회관 4 20 80공연시설 인력

소계 1,404명

공공도서관 374 4 1,496

문화의집 346 3 1,038

대중공연장 45 5 225

합 계 1,098 4,686

※ 주 1. 공간확충계획은 문화체육부(1996), 「문화복지 중장기 실천계획」에

서 재구성(2,011년 기준)

2. 평균인원은 현재 규모로 추정하여 산출

월 25일 문예진흥원내에 설치되었으며, 향후 초고속 정보통신망과 연계하여 전국 문화공간

간 네트워크 및 데이타베이스도 구축할 계획이다(「문화도시·문화복지」 제17호).16) 이런 계획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문화체육부(1996), 문화복지 중장기 실천계획 및 한국문

화정책개발원(1996), 21세기를 향한 한국문화의 비전과 전략을 참고하기 바란다.

- 35 -

Page 5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 우리나라의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 현황 분석

1) 일반 현황 및 역사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저조는 전문인력 교육의

열악한 현실로 나타난다. 전문가 양성교육은 사회에서 그 전문가에 대한 수요

가 있을 경우에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즉, 문화예술 전문인력이 전문직종으로

서 제대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그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대

우도 열악한 실정에서 문화예술 전문인력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수요도 낮을

뿐더러 전문인력을 채용하는 기관에서도 정규교육을 받은 전문인력에 대한 수

요도 낮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 전문인력에 대한 교육은 문예진흥원에서 시작되었

다. 문화행정인력에 대한 교육은 1985년 문예진흥원에서 10월 문화의달 기념

으로 2박 3일의 단기연수를 실시한 것이 최초이다. 그러나 문예진흥원에 문화

행정인력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된 것은 1989년 부터이다. 또

한 문예진흥원에서는 지역문화종사자(시설운영요원,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지

방의 문화관련 기관직원 등)를 대상으로 한 교육도 1985년부터 실시되었다. 그

밖에 문예진흥원에서는 청소년 문화촉매요원연수, 무대기술 전문인력연수 등

을 실시하고 있으며, 1993년부터는 무대미술아카데미를 개설하여 무대미술 분

야에 대한 전문인력을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무대미술아

카데미를 제외하고는 1∼2주간의 단기 프로그램이어서, 문화예술 전문교육 경

험이 전무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전문가를 양성하기에는 부족한 실

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역할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됨에 따라 이를 지망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

학에서도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문화

행정 전문교육이 시작된 것은 1986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에 문화예술

전공이 개설되면서 부터이다.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에는 문화예술

학과에 문화정책전공과 예술학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중앙대학교의 교육프로

- 36 -

Page 5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그램은 좁은 의미의 문화행정 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1991년

단국대학원 경영대학원에 예술경영 전공이 개설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에서 문화예술 전문인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설하

고 있는 대학은 4개로서 그 현황은 다음의 <표 2-8>과 같다.

<표 2-8>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설치대학

분 야 대학명 대학원명 학과(전공) 학위

문화행정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문화예술학과

(문화정책전공)행정학 석사

예술경영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예술경영전공 경영학 석사

문화이론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문화예술학과

(예술학 전공)행정학 석사

큐레이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미술관학과 미술학석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예술학과 미술학석사

2) 대학의 문화행정 교 육 프로그램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은 위의 <표 2-8>과 같이 여러 분야가 있

지만, 먼저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분야의 프로그램을 살펴보기로 하자. 이 연

구의 주된 목적이 문화행정과 예술행정 분야에 맞추어져 있고, 외국의 교육

프로그램도 문화행정과 예술경영 분야에 한하여 조사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큐레이터 분야에 대해서도 제 6장에서 별도로 고찰해 보았다.

문화행정 프로그램은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예술경영 프로그램은 단

국대학교 경영대학원에 개설된 것이 각각 우리나라의 유일한 전문 교육 프로

그램이다.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의 문화예술학과에는 문화정책학 전공과

예술학 전공의 2가지 세부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다. 그러나 예술학 전공은

예술이론전공으로 예술대학원에 문화예술학과가 개설되면서 특성을 잃고 있다

는 지적이 있으며, 점차로 예술대학원에 통합될 것으로 예상된다.17)

- 37 -

Page 5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은 야간강좌로 운영되며, 각 과목별 2학점 2시간으로

의 2년 6개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4학점을 취득하여야 졸업이 가능하

고, 석사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논문이 통과되어야 한다.

<표 2-9>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과 프로그램

구 분 문화정책 전공 예술학 전공

공통필수과목

사회개발론

현대사회론

행정조직론

조사방법론

영어특강

전공필수과목

문화정책론

문화관계론

문화복지론

문화예술 세미나

문화산업론

예술학개론 I, II

예술비평

예술커뮤니케이션

문화예술세미나

전공선택과목

대중문화론

문화운동론

문화사회학

비교문화론

문화제도론

문화재관리론

예술경영학

문화비평

동양예술론

예술심리학

문화인류학

비교예술론

예술사회학

예술변천사

예술경제학

예술행정

예술기호학

※ 개설과목은 학기에 따라 변경되므로, 개설된 과목을 최대한 열거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문화정책 전공은 일반대학원이 아닌 사회개발대학원

17) 사회개발대학원의 문화예술학과는 97년 2학기부터는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고, 예술대학원

으로 이관하였다.

- 38 -

Page 5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에 속한 특성상 주로 문화예술 분야의 직업을 가진 직장인들이 입학하고 있

고, 교육 프로그램도 이론 보다는 문화정책과 관련된 현실 이해에 중점을 두

고 있다. 즉, 문화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이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어 있는

데, 학생들이 필요로 하고 또한 졸업 후에도 필요로 하는 것은 미시적인 문화

행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교과과정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문

화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이해하기 위한 이론과목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고, 구체적인 주제에 대한 과목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

한 주제를 다루는 것도 필요하지만, 문화예술 조직의 특성에 따른 문화행정의

특수성에 관한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국의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에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현장실습 교육이 없는 것도 아쉬운 점이

다. 이런 문제점은 문화예술학과의 교육목표가 뚜렷하지 않은 것에서 비롯된

다고 할 수 있다. 즉, 각 문화예술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문화행정 전문가 양성

(또는 재교육)인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문화정책과 문화행정 관료의

양성인지, 문화행정 분야의 일반적인 (이론을 포함한) 전문가 양성인지가 교육

프로그램에 명확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단국대 경영대학원은 우리나라의 유일한 예술경영학과로서 야간강좌로 운영

되며, 각 과목별 2학점 2시간의 2년 6개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4학점

을 취득하여야 졸업이 가능하고, 석사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논문이 통과되어

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극장경영, 공연기획, 음악과 음악당 경영 등 예술경영

및 공연기획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전공필수로 설정하여 교육

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한 특성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국대 경영대학원의 예술경영 전공은 일반적인 마케팅 등 경영학

과목의 수가 적고, 그나마 다른 분야의 경영전공과 함께 수강하여야 하므로,

예술의 특수성을 살린 예술경영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또한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 않아 교육의 효과

를 어느 정도까지 살릴 수 있는 지 의문이다.

- 39 -

Page 5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2-10> 단국대 경영대학원 예술경영 전공 교과 프로그램

전 공 필 수 전 공 선 택

극장경영

현대영화와 기획론

공연기획

연극과 극장론

예술경영세미나

음악과 음악당 경영

회계학

마케팅

조직행동론

소비자 행동론

통계분석/ 통계학

현대경영전략

문화관광론

판매촉진론

※ 개설과목은 학기에 따라 변경되므로, 개설된 과목을 모두 기재

중앙대학교와 단국대학교의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보

면 다음과 같은 특성과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바로 별도의

독립적인 문화행정 교육기관 설립 또는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첫째, 모두 야간대학원의 파트타임으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문화예술조직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의 재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신규 인력도 많이 입학하고 있다.

셋째, 교육목표가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에 명확하게 반영되지 못하여 특성

이 불분명한 편이다.

넷째, 현장실습 프로그램이 없다.

다섯째, 문화행정 및 문화경영을 전공한 교수진이 부족하다.

여섯째, 전공선택 과목은 대학원내 다른 분야 전공(학과)과 통합하여 개설되

어 있어 예술의 특수성을 살린 교육이 되지 않고 있다.

3) 단기 문화행정 전문 인력 교육 프로그램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문화행정 인력 교육에서 단기 연수프로그램이 더 큰

- 40 -

Page 5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은 문예진흥원이 중심적인 역

할을 수행하여 왔다. 또한 1996년에는 한국문화정책개발원에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정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밖에

중앙공무원 교육원의 각종 교육프로그램에 일부 문화예술 관련 과목이 개설되

어 있다. 그러나 이런 단기 연수프로그램은 그 과목이 확정된 것이 아니고 매

년 필요에 따라 변경되고 있으며, 종합적인 프로그램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

프로그램은 관리자반과 실무자반 2회로 나누어 각각 1주일간의 개최되는데,

12개의 강의와 문화시설 현장견학, 분반토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2-11> 문예진흥원 문화행정연수 프로그램

구 분 주 제 강 의 내 용

문화소양한국문화론, 문화의 인류학적 이해, 한국인의 문화유산,현대문화 특성, 현대 한국문화 정책사, 대중문화론, 문화

운동론, 청백리 정신과 공직윤리, 한국 고미술의 이해,북한문화의 이해, 현대 예술의 이해

문화행정문화정책론, 각국의 문화정책, 문화교류론, 지역문화형

성, 문화촉매운동론, 문화산업과 매체, 지방자치와 문화

행정, 도시문화환경 개선방안, 음악·미술·무용·대중

예술행정, 만화산업 육성 발전방안, 문화재정 확충방안,문화복지 비전

문 화 공 간

운영

문화행사 유치방법론, 홍보와 고객관리, 전속단체의 운

영, 전시장·공연장 관리, 문화시설과 설비운용, 조명·

음향의 기초, 지역문화시설 경영자의 사명과 역할

문화정보 문화예술과 정보관리, DB의 구축과 활용, DB운영 실무

문화기획문화교육프로그램 기획론, 문화시설을 이용한 문화행사

기획, 이벤트 기획 연출론, 문화행사 기획사례 연구, 지

방문화축제 기획

현장교육문 화 시 설견학

현장강의, 시설·기계설비 운용 견학

합숙훈련 워크샾문화행정 사례발표, 토론, 문화행정기획서 작성 워크샾,친교 프로그램, 문화계 저명인사 특강

시 청 각 교

육, 기타

감 상 프 로그램

영화, VTR 감상, 공연 전시 관람

기타 레크레이션 지도, 토의 방법, 프리젠테이션 기법 등

※ 1995∼1996년 관리자반 및 실무자반의 프로그램을 종합한 것임.

- 41 -

Page 5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2-12> 문예진흥원 지역문화요원 연수 프로그램

구 분 강 의 내 용

북한문화의 이해

미술전시 기획과 실제

지방의 문화교류 활성하와 유관기관간의 협력

도시의 문화환경을 위한 연구

공연기획의 실제

올바른 국어사용과 이해

문화정보망 구축

지역문화축제 기획

문화복지 프로그램 운영요원 양성

문화산업의 현황과 전략적 육성방안

청백리 정신과 공직윤리, 문화란 무엇인가

지역문화재정 확충방안, 도시문화 환경개선방안

문화정책의 과제와 방향, 지역문화학교 프로그램의 과제

문화정보의 자료관리 및 사무자동화, 문화유산의 보존·관

리·보급

한국지방자치제의 발전방향, 백제문화제의 현황진단 및 개선

방안

문화이벤트 기획의 이론과 실제, 현대예술의 새로운 경향

지역문화진흥방안, 지방문화행정, 지역문화시설의 기능과 역할

문화시설 운영요원의 사명과 역할, 저작권 개론

지역문화공간의 조직과 인력관리, 공연장 발달사

관리자의 리더쉽, 대중문화와 예술행정

문화행사 기획사례, 문화행사의 마케팅과 홍보

참 여

프로그램

현장견학, 공연관람, 체육활동, 레크레이션, 분반발표, 토론, 친

교의 시간(다과회)

감 상

프로그램VTR감상

※ 1995∼1996년 프로그램을 종합한 것임.

- 42 -

Page 5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2-13> 중앙공무원 교육중 문화예술 관련 과목

과 정 대 상 문화행정 관련과목

정책관리자 과정 실·국장동양문화의 우수성과 한국문화

한국의 전통문화

국장후보자 과정 3급 승진 후보자청년문화와 사회의식

한국의 전통음악

신임과장 특별과정 4급 승진자 한국의 전통음악

일선기관장 후보과정 4급 승진 후보자청년문화와 사회의식

한국전통문화의 멋과 얼

초급관리자 과정 5급 승진 합격자한국전통문화의 멋과 얼

청년문화와 사회의식

한국인의 언어생활과 의식구조

우리 민족과 문학

전통음악

현대미술의 이해

신임관리자 과정 5급 신규 임용자한국전통문화의 멋과 일

전통문화의 현대적 가치

한국인의 언어생활과 의식

인생과 철학

인생과 문학

미술의 이해

한국의 전통음악

민속무용

민속궁도

덩더쿵춤

한국사상과 선비정신

자료 : 중앙공무원교육원(1996), 96년도 연수교육 계획

문예진흥원에서는 이 외에도 지역문화종사자를 위한 연수를 3차에 나누어

실시하고 있는데, 지방공무원, 문화학교 관계자, 시설운영 및 큐레이터 등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이런 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이 실무에서

- 43 -

Page 5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필요로 하는 새로운 지식(변화된 제도, 법령, 문화예술 현황 등)의 습득과 문

화행정에 필요한 실무적인 기술의 습득 등 2가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재교육

프로그램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로그램별로 명확한 목적을 가지

고 집중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문예진흥원의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행정에 관한 광범위한 내용을 1

주일의 짧은 기간 동안에 편성하여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육내

용도 정부의 주요 문화정책에 관한 현황 소개에 상당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연수프로그램의 교육목표를 특정화하지 못한 결과 다른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한꺼번에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96년도 지

역문화요원연수(2차/문화학교 관계자)의 경우 다양한 문화학교 관계자들을 모

두 대상으로 하다 보니, 다른 분야인 미술전시 기획, 공연기획, 문화복지 프로

그램, 문화정보망, 문화산업 등이 망라되어 있어 교육의 효과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4) 기타 문화예술 전문 인력 교육 프로그램

큐레이터 분야에 대한 전문교육 프로그램은 중앙대 예술대학원의 미술관학

과와 홍익대 대학원의 예술학과에 개설되어 있다. 홍익대는 1987년에 학부에

예술학과를 신설하였고, 1992년에는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여 큐레이터를 양성

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큐레이터 전문학과가 아닌 전반적인 미술학 분

야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중앙대 예술대학

원은 1996년에 큐레이터를 전문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미술관학과를 신설하였

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큐레이터 양성 전문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밖에 서울대를 비롯한 대학원 미술학과에서 선택적으로 큐레이터 전

공을 이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다.

단기 재교육 프로그램으로는 문예진흥원의 지역문화요원연수(박물관·미술

관 종사자), 서울대 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이 있다. 큐레이터 분야에 대해

서는 별도로 다루고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을 제6장에서 논의하기로 하고 여기

에서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 44 -

Page 5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우리나라의 무대기술 전문인력 교육은 대학 수준에서는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과, 상명대학교 무대디자인학과, 용인대학교 연극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

극원 무대미술과 등에서 조명, 음향, 무대, 의상전공 등이 개설되어 있으나, 전

문적인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무대기술 전문

인력은 공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기·전자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자들로

충원되고 있다.

무대기술인력에 대한 단기 연수교육은 문예진흥원에서 1984년부터 실시하여

왔는데 1년에 1회 2주간의 과정으로 운영된다. 예술의전당에서도 1996년도부

터 지방문예회관연합회 소속의 기술인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문예진흥원에서는 1993년에 무대미술 전문가 양성을 위한 2년 과정의 무대

미술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들어 무대기술 전문인력 교육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공중파 방송사

의 방송아카데미(방송문화원)에서 개설한 음향 및 조명 교육프로그램이다. 물

론 이 프로그램은 방송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6개월∼1년간 이루어지고 있

고, 이들이 문화공간에서도 활동한다는 점에서 주목하여야 한다.

무대기술 인력에 대한 실태는 무대기술 인력양성에 대한 연구에서 별도로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 45 -

Page 6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Ⅲ . 외국 의 문 화행 정 전문 교 육 프로 그 램

1. 미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분석

1) 미국의 문화행정 전 문인력 교육 역사

Richard Peterson은 미국내의 예술경영인과 문화행정가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

운 교육이 실시되게 된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1920년대 임프레사리오

(impresario) 형태의 행정구조와 1960년대 이후 예술행정이 갖고 있는 구조를

비교 분석하면서 1920년대의 임프레사리오의 행정구조가 점차 근대적 구조로

대체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1920년대 미국의 저명한 미술관 관장이나 극장장들은 그들 스스로 예술애호

가 혹은 교양 있는 신사로 인정받기 원했으며, 그들의 전문적인 직업은 사회

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믿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역량 있는 예술품 소장

자의 호감을 사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사회의 이사들이나 후원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예술행정가의 교육에는 이들이 갖고 있

는 개인적 경험과 의견이 크게 존중되었으며 이 당시 예술행정가로 입문하는

대다수는 하버드대학교등 명문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이 많았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부터 이러한 고전적인 교육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예술후원자들은 그들의 기업과 마찬가지로 후원하는 문화

예술기관의 행정적 효율성을 똑같이 요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

제적 효율성과 함께, 예술경영인 스스로 자신의 직업과 기관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었으며, 새로운 후원자를 유도하기 위한 혁신적인 사업개발의 필요성

을 강하게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조직의 성장과 고객을 위한 사업이 개발되

면서 과거 임프레사리오적 행정체제를 타파하고 새로운 비지니스 형태의 구조

변화를 추진하였다. 이와 동시에 예술기관에 종사하면서 전문적인 경력을 쌓

고자 희망하는 새로운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규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

서 대학원과정의 고등교육이 등장하게 되었다.

- 46 -

Page 6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966년 예일대학교와 플로리다대학교에 각각 2개의 예술행정가 및 경영자를

위한 최초의 대학원과정이 개설되었다. 초창기 이 두 대학교의 교육은 극예술

경영자의 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곧 이어 예술전반에 걸친 새로운 과목

이 추가되는 등 교육의 범위와 내용이 확산되었다(FAC, 1995: 28)

예일대학교에 개설된 과정은 극장의 행정과 연극단체 경영 등 2가지 과정으

로 나누어져 있다. 극장행정과는 3년간의 MFA 학위과정으로 공공극장의 관리

자에 중점을 두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민간의 극장이나 공연예술기관의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연극경영학과는 3년간의 MFA 학위과

정으로 연극단체 관리자 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판단력을 갖추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다.

1969년 미국의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은 정규고등교

육기관에서의 예술행정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라는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

최하였으며, 1969년말 위스콘신주립대 경영대학원과 UCLA대 경영대학원은 각

각 2년과정의 예술행정 학위과정을 설치하였다. 이 두 학교의 과정은 모두 2

년간의 정규 학위과정으로 소수의 학생(10명 내외)들을 선발하여 예술행정

(Arts Administration) 전공의 MBA 학위를 수여한다. 이 과정은 공공 문화예술

기관과 민간 예술단체의 재정, 회계, 마케팅, 노동법, 조직발전, 전략적 기획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변화를 예견하여, 이에 혁신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도자의 자질을 갖추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캐나다는 1971년부터 전문적인 예술행정학 교육을 도입하였는데 온타

리오에 소재하고 있는 요크대학교가 효시이다. 이 대학교는 수료자에게 MBA

를 수여해오고 있다.

이후 예술행정 및 경영학 전문 프로그램은 계속 확대되어 70년대 말에는 북

미 지역에 약 20개의 대학원 과정이 설치되었고, 1992년에는 미국에 60개, 캐

나다에 30개의 학교에 전문 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을 정도로 확대되었다.

2) 미국의 문화행정 전 문인력 교육 특징

미국에서 고등교육기관을 통한 문화예술행정이나 예술경영에 대한 전문적인

- 47 -

Page 6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교육은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먼저 실시되었다. 특히 미국은 문화예술에 대

한 정부의 지원이 그리 큰 역할은 하지 않고 시장의 원리에 준하여 예술활동

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예술경영에 대한 교육은 다른 어떤 나라

보다도 체계적이고 실제적이다. 미국에서 이 분야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자에

게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학위 중 하나를 수여한다. 즉 MA(Master of

Arts), MFA(Master of Fine Arts), MPA(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그리고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중 하나이다.

동일한 전공분야에 대해서 위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학위중 어느 것이 주어

지는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해서 결정된다. 첫째, 예술행정이나 예술경영의 교

과목들은 학과간 연계성이 많은 과목들을 다수 포함하기 때문에 학교마다 어

느 단과대학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먼저 시작했는가에 따라 그 학위의 유형

을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가 있다. 둘째, 미국의 예술단체들은 그 법적 지위에

따라 영리기관이나 비영리기관으로 분류되는데, MBA의 학위는 예술단체의 시

장 내에서의 생존전략을 강조하거나 문화산업을 비롯한 상업예술의 전반의 운

영에도 중점을 두는 특성을 많이 띠고 있고, 그 외의 학위들은 대개 예술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가운데에서 경영이나 행정의 노하우를 교육하는 경향이 있

다고 분류할 수 있다.

미국에서 이 분야에 있어 대학원 교육의 일반적인 특징은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단체의 운영이나 관리에 필요한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우리가 예술활동의 내용과 그러한 예술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행정적인 틀이나 구조를 구분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미국은 자국의

문화예술 전통이 짧기 때문에 문화라는 어휘보다는 예술이라는 단어를 애용하

며, 예술에 대한 지원을 시장의 원리에 보다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예술행정

과 예술경영 교육의 목표를 시장경제 내에서의 개별 예술단체나 시설의 생존

전략과 그 운영에 필요한 실제적이고도 실용적인 지식의 습득에 둔다. 또한

미국은 예술행정과 예술경영을 거의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며(경우에 따라서

예술행정이 보다 공공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뉘앙스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정부의 틀이 아닌 시장의 틀에서부터 문제를 인식해 나간다. 그러나 유럽의

- 48 -

Page 6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경우 문화예술행정 교육이라 하면 우선 정부가 문화예술에 대한 하나의 큰 틀

— 이것을 문화정책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 을 엮어내는 데에 필요한 지식

을 습득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화정책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

종 시설의 운영 기술 등은 부수인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므로 미국에서의 예

술행정과 유럽에서의 예술행정은 완전히 동일한 개념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

러한 점은 미국과 유럽의 교육이 내용 면에서 또 다른 하나의 특징을 드러내

는데, 유럽의 교육이 보다 문화예술활동의 내용적인 측면 즉 문화예술의 개념

및 의미 파악과 평가 등, 일련의 개념적인 작업을 교과내용에 포함하는 것과

는 대조적으로 미국은 이러한 교육을 예술행정교육에 포함시키지 않는다는 점

이다. 미국 대학원의 교과목들 중에서 문화예술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과

목은 현대예술의 논점(Contemporary Arts Issues)' , '예술환경의 이해

(Environment of Arts World)' , 혹은 문화예술의 비판적 이해(Critical

Judgement)' 등에 불과한 점을 보면 이 점이 더욱 명확해진다. 유럽은 이에 비

해 문화예술의 현황 뿐만 아니라 문화이론까지 천착해 들어감으로써 일견 문

화정책의 이념적 배경을 이해시키려는 것으로도 보인다. 또한 영미권에서는

문화예술행정 교육에서 예술의 구체적인 내용적 측면을 다루지 않는데, 그 일

례는 미술관 경영에 관련된 교과목이 미술관학이나 박물관학(Museum Studies)

의 교과목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데에서도 볼 수 있다. 이를테면 미술관학(박물

관학)에 대한 교육과정이 미술관의 이념, 전시의 내용을 구성하는 학문(미술

사, 인류학, 자연사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전시 디자인, 보존 과학 수장품

관리체계 등의 과목을 중심으로 구성되면서 미술관의 재정운영이나, 홍보 등

의 경영관리 과목을 부수적으로 취급하는데 비해서, 문화예술행정 교육의 교

과목은 미술관(박물관)의 내용적 측면은 다루지 않고 운영의 기술적 측면을

다루는 미술관 마케팅이라든지 미술관 운영의 법제적 측면(기부관련 조세법,

계약법, 보험관계 등)의 이해, 그리고 범위를 더 확대하여 상업화랑의 운영과

관련된 과목 등으로 구성된다.

둘째, 이 분야에 있어서의 대학원 교육은 현장학습을 중요시한다는 점이다.

분석 대상의 여섯 개 대학 모두가 일정 단위 이상의 학점을 필수적으로 인턴

과정을 통하여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예술행정 프로그램들은 자체 대학의 문

- 49 -

Page 6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화시설에서의 수습교육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역내의 문화단체나 문화행사 등과

연계를 맺는 경우도 있고, 방학 등을 이용하여 타지역의 문화예술단체에서 인

턴과정을 연마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기도 한다. 학생들이 이 때에 연관을 갖

게되는 기관이나 단체들은 이후에 학생들의 근무지가 되기도 하며, 졸업시에

학교가 요구하는 각종 연구과제들의 주제로도 활용된다. 예술행정이나 예술경

영교육은 실용학문이기 때문에 습득한 지식을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수련

과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셋째, 첨단 또는 매체예술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와 경영을 강조한다는 점이

다. 많은 대학에서 문화산업, 커뮤니케이션, 영상매체, 첨단기술을 이용한 고객

관리와 홍보 등에 관한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도 점차 높

아지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전통적인 개념의 예술단체 및 문화기관 경영과

행정등에 프로그램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학위도 이에 따라 수여되고 있기

는 하지만, 실용주의적인 미국의 교육 특성으로 인하여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기술적인 내용의 교육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3) 미국의 문화행정 전 문인력 교육 프로그 램 분석

(1) 교육 프로그램 경향 분류

분석대상은 미국의 주요 30개 대학의 대학원 중에서 예술행정이나 예술경

영과정을 제공하고 있는 학교들이다. 다음의 <표 3-1>은 이들 대학의 교과내

용의 경향에 따라 예술행정을 강조하는 과정과 예술경영을 강조하는 과정으로

분류한 것이다. 문화예술행정을 강조하는 교과과정은 교과목의 범위가 예술경

영보다 좀 더 포괄적이며 공공 문화기관과 비영리 문화예술단체를 전제로 하

고 있다. 이에 비해 예술경영은 그 바탕을 경영학에 두고 있기 때문에 국·공

립 및 비영리 문화분야에도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영리를 기반으

로 하는 문화예술단체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화행정 과정은 MPA(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MS(Master of Science) 및 MA(Master of Arts)의 학위를

수여하는 경우가 많다. 예술경영 전공자에 대하여는 주로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이나 Joint MA/MBA 학위를 수여한다.

- 50 -

Page 6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3-1> 미국 30개 대학의 전공에 따른 분류

구 분 학 교 명 (과 정) 학 위

문화행정

(MA /MPA)

American UniversityBoston University, Metropolitan CollegeCalifornia State University, Dominguez HillsCity University of New YorkCarnegie Mellon UniversityColumbia UniversityDrexel UniversityFlorida State UniversityIndiana UniversityNew York UniversitySangamon University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Texas Tech UniversityUniversity of AkronUniversity of CincinnatiUniversity of Illinois at SprinfieldVirginia Tech

MAMS in AdministrativeMAMFAMAMAMSMS / MME / Ph.D.MAMPAMAMAPh.D in Fine ArtsMA / MPAMAMAMA

예술경영

(MBA)

Columbia College ChicagoFlorida State UniversityGolden Gate UniversityLesley CollegeNYU (Performing Arts Admin.)NYU (Visual Arts Admin.)Southern MethodistState University of New YorkUniversity of AlabamaUCLA(Nonprofit Administration)University of CincinnatiUniversity of New OrleansUniversity of MarylandUniversity of Oregon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Yale UniversityYork University

MAMFAMBAMSMA / MBAMA / MBAMBAMBAMFA (극장경영)MBAMBAMBAMFA (극장경영)MA / MS (예술경영)MBAMFA (극장경영)MBA

※ 학위의 명칭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의 중점방향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임.

- 51 -

Page 6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 교과과정

<표 3-1>에서 제시한 미국의 30개 대학은 각기 나름대로 프로그램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중에서 문화예술행정이나 예술경영 전공과정이 비교적 충실한

6개 대학을 대상으로 교과의 교과편성을 분석하여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

다. 이 대학들은 서로 다른 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이 프로그램이 개설되

어 있는 각 학과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에서 교과목이 편성되었다. 예술행정이

나 예술경영 프로그램이 소속되어 있는 학과로는 1) 행정학과, 2) 경영학과, 3)

교육학과, 4) 예술대학 대학원 과정 등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이 6개 대학의

교과과정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 <표 3-2>와 같다.18)

카네기 -멜론 대학 (Ca rne g ie -Me llo n Univ e rs ity)

예술행정 교육을 행정대학원의 세부 전공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러나 미국 프로그램의 특성상 행정대학원에서 개설된 강좌라 할지라도 그 내

용면에서는 경영학과의 교과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학교의 특징은 예술

행정의 기본원리를 정부 운영의 큰 틀 안에서 파악하게 함으로써 예술행정의

공공적 성격을 보다 주지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점은 미국의 대부분의 학

교들이 예술행정(arts administration)을 시장의 원리에 입각한 기업경영의 틀 안

에서 교육하는 것과도 차별화된다. 그러므로 수강과목은 정부가 예술분야에

대해 취하고 있는 정책적 태도, 재원배분에 있어서의 기준과 원리, 공공성을

띤 민간 예술행정 부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도록 우선적으로 편성되어 있

다. 이와 함께 개별 예술기관의 효율적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도구적

과목으로서 관리경제학, 경영정보체계론, 재무회계, 통계분석 등의 경영학과

과목을 제공한다. 이 학교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대학의 과정으로는 뉴욕대학

교(New York University) 행정대학원의 예술행정 전공과정이 있다.

18) 다른 대학의 프로그램과 현황은 부록의 자료를 참고하기 바란다.

- 52 -

Page 6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3-2> 미국 6개 대학 예술행정/예술경영 교과 편성 비교

과 목 명카네기멜론대

골든게이트대

뉴욕주립대

컬럼비아대

뉴욕대

아메리칸대

학위의 종류MA /MPA

MA /MBA

MBA MA MA MA

예술정책(Public Policy for the Arts) ● ● ●

예술행정의 이론과 실제(Principles andPractice in Arts Administration)

● ● ● ●

예술 마케팅/관객개발(Marketing in the arts/Audience Development)

● ● ● ● ● ●

예술의 이해(Contemporary Arts Issues/Environment of Arts World/ CriticalJudgement/ Aesthetics)

● ● ● ● ● ●

기금조성론(Fund Raising/ Grant Writing) ● ● ● ● ● ●

예술인의 인적자원 관리(EmploymentPractices in the Arts/ Human ResourceManagement in the Arts)

● ● ● ● ●

예술과 법(Law and the Arts) ● ● ● ● ●

예술단체 조사(Surveys of Arts Organization) ● ●

관리경제학(Managerial Economics) ● ● ●

재정관리(Financial Management) ● ● ● ● ●

경영정보체계론(Management InformationSystem)

● ● ●

예술행정/예술경영 세미나(Problem andIssues in Arts Administration/ SelectedTopics in Arts Management)

● ● ● ●

통계분석(Statistical Analysis) ● ●

예술기획론(Business Policy and planning inthe Arts)

● ●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 ● ● ● ● ●

조직행태론/ 소비자행태론 (Or g an i za t i on a lBehavior/ Consumer Behavior)

● ● ● ●

각 예술분야 각론(Performing Arts Mgnt/Visual Arts Mgnt/ Gallery Mgnt)

● ● ●

현장실습(Internship) ● ● ● ● ● ●

기타 선택행정학2과목

경영학1과목

경영학6과목

예술이론

4과목

경영학2과목

- 53 -

Page 6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골든게 이트 대학 (Go lde n Gate Univ e rs ity)

예술행정 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stration Educators ; AAAE)가

있는 학교로써 최근 들어 매우 의욕적으로 예술경영을 가르치고 있다. 학위의

종별로는 인문학 석사(MA)를 수여하지만 경영학과의 과목을 비례적으로 많이

이수할 경우 경영학 석사(MBA)를 수여하기도 한다. 예술경영이 비교적 잘 특

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과정으로는 위스콘신 대학의 경영학 석사과정을 들 수

있다.

뉴욕주 립 대학 (S tate Univ e rs ity o f Ne w Yo rk at B ing ha mto n)

경영대학원 내에서 하나의 세부전공으로 예술경영을 선택할 수 있게 교과편

성이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경영관련 과목들보다 일반 경영학 과목이

주종을 이루며 일반 경영학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인턴과정을 문화예술단체에

서 이수하도록 짜여져 있다. 예술경영 전공을 개설하고 있다고 표방하는 다수

의 대학들은 뉴욕주립대학교와 같이 예술경영에 관계된 소수의 과목만을 개설

한 채로 학생 자신의 의지에 따른 인턴과정 이수 등을 통한 소극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컬럼비 아대학 (Co lum bia Univ e rs ity)

예술행정 전공이 교육대학원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학교는 다른 학교들 보다

도 예술이론 계열의 과목들이 강화되어 있다. <표 3-2> 에서 볼 수 있듯이 예

술의 이해 항목에 해당하는 과목이 다른 학교들은 불과 하나인 데에 비해 세

과목 이상을 수강하게 되어 있다(The Arts in Context ; The Arts in

Contemporary Life ; Culture and Society in Africa ; Photography 등). 이것 외에

도 교육학과 과목들 중에서 예술이론적인 성격을 띤 과목이 두 개 정도 추가

된다(Aesthetics and Education ; Historical Foundation of Arts Education 등). 예술

행정에 대한 과목과 예술이론에 대한 과목들 못지 않게 경영기법을 익히기 위

한 일반 경영학 과목들도 중요시되는데, 다섯 과목 정도는 경영대학원에서 수

강하게 되어있다. 이 학교 역시 한 학기 이상의 인턴과정을 개설하고 있는데

- 54 -

Page 6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특이할 만한 점은 인턴과정과는 별도로 예술행정 실습(Practcum in Arts

Administration)이라고 하여 학교 내부 혹은 외부 기관과 협의하여 이 과정과

관계가 있는 주제로 비교적 간단한 연구과제(project)를 수행하는 과목이 있다.

이것은 일종의 사례연구에 상응하는 과목으로서 인턴과정 보다는 덜 집중적이

지만 여전히 지식의 실제 응용을 검증해 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뉴욕 대학 (Ne w Yo rk Univ e rs ity)

조금 독특한 단과대학 형태인 예술대학원(School of Arts and Arts

Professions)에 소속되어 있는데 전공분야가 공연예술경영(Performing Arts

Administration), 시각예술경영(Visual Arts Administration), 그리고 음악산업경영

(Music Industry Administration)으로 나뉘어져 있다. 학과 자체가 예술경영 세부

과목들을 제공하고는 있지만 보다 일반적인 관리기법에 관계된 과목들은 경영

대학원에서 수강하도록 되어 있다.

아메리 칸 대학 (Am e ric a n Univ e rs ity)

공연예술학과에 예술행정 석사과정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학교에서는 예술

행정인력을 두 측면에서 양성한다. 그 하나가 이미 특정한 하나의 예술쟝르에

대한 지식과 기능(음악, 연극, 무용 등)을 주 전공으로 하는 전문예술가 교육

과 더불어 예술행정 교과목들을 부전공으로 택하게 함으로써 관리적 기능을

겸비한 예술가(연출자, 안무가, 음악감독 등)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미국에서도

많은 중소 예술단체에서는 예술감독이 행정업무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관리적 기능을 익히지 않고는 난관에 봉착하는

경우가 있다. 두번째는 전문 예술행정가를 교육하는 과정으로서 이 경우에는

예술경영 과목들을 주 전공으로 하고 일반 경영학 과목을 추가적으로 수강하

게 되어 있다.

(3) 학사운영

대부분의 미국 대학원 과정은 풀 타임의 2년 4학기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 55 -

Page 7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그러나 Maryland 대학과 Yale 대학의 MBA 과정은 3년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19) 박사학위를 수여하는 Texas Tech 대학 등의 경우 과정이수 최소 2년, 논

문제출 최소 1년을 요구하고 있다. 학기당 수강과목의 경우 편차는 있지만 한

학기에 3학점 단위의 과목을 4∼5개 수강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졸업에 필요

한 이수학점은 24∼60 학점으로 각 학교마다 편차가 심하다.

예술행정 및 예술경영 석사과정에서 팔수적인 인턴과정은 학기 중이나 방학

중 어느 기간을 택하든지 관계는 없는데, 학기 중에는 시간제(part time)로 방

학 중에는 전일제(full time)로 하는 경우가 많다.

최종적인 졸업논문에 대한 요구는 예술행정·경영 프로그램이 속한 학과의

특성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경영학 석사를 수여하는 학과들은 논문을 요구하

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인문학 석사나 행정학 석사의 경우에도 수료생이 특별히

학문적인 성취를 원하거나 계속적인 학위취득을 목표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격시험(comprehensive exam)이나 간단한 보고서(project paper)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다.

2. 영국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

1) 영국의 문화행정 전 문인력 교육 역사

영국은 유럽국가들 중 가장 먼저 전문 예술행정 교육이 시작된 국가이다.

즉, 1967년 국립 런던공과대학(Polytechnic of Central London)에서 예술행정학

교육이 최초로 개설되었는데, 이 교육은 영국 예술위원회(Arts Council of Great

Britain)가 주도하였다. 1년 기간의 대학원 과정인 이 교육이 중점적으로 다루

었던 내용은 (1) 법, 재정 및 사회관계, (2) 콘서트 홀, 극단, 오페라 하우스, 미

술관, 예술센터등 예술단체의 기획과 경영, (3) 재정학 및 회계관리, (4) 조직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인터뷰 기술 및 의사결정이론 등에 관한 것이었다. 비

19) 유럽지역에서는 네덜란드의 Utrecht 대학이 3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 56 -

Page 7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록 1930년 이후, 박물관 종사자를 위한 종합적인 교육계획이 박물관협회를 통

해 실시되고 있었지만, 국립 런던공과대학에서의 대학원과정은 1963년 예술평

의회와 지역연극협회가 공동으로 추진했던 극예술 행정훈련계획의 기본안을

따른 것이었다.

1969년 영국 예술평의회는 산하에 예술행정가의 전문적인 교육을 위한 조

사위원회를 설치하고 국립 런던공과대학교에서 실시중인 1년 단위의 교육과

같이 체계적이고 정규적인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보고서를 채택하게 이르

렀다. 그 이후, 국립 런던공과대학교에서의 예술행정교육을 시티대학교 City

University로 이전시키면서 영국 최초로 예술행정학에 대한 석사학위를 수여하

게 되었다. 현재 시티대학교는 예술행정(디플롬과정), 예술경영, 박물관·미술

관 경영, 예술비평(이상 석사학위 과정) 등 1년 과정의 4개의 대학원 학위과정

을 개설하고 있다.

영국과 유럽에서 예술행정 및 예술경영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대학원 과정의 교육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미국과는

달리 유럽의 전반적인 불경기로 많은 예술단체들이 재정적인 압박에 시달렸고

이러한 상황하에서 효율적으로 기관을 운영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

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많은 예술기관 및 단체들이 갖고 있는 비효율성

때문이었다. 이런 현실에서 문화예술단체의 책임자들은 예술단체의 관리자들

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이에 따라 영국에서의 문화예

술 전문인력 교육은 영국 예술위원회(ACGB)의 주도로 이루어진 것이다.

대학원 수준의 전문교육 과정 이외에 특정 교육기관이나 독립된 훈련기관에

서 실시되는 단기 실무교육과정(in-service training)도 여러 기관에 개설되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 분야에 관한 한 대표적인 국가들이다.

2) 영국의 문화행정 전 문인력 교육 특징

영국 문화예술 행정교육의 특징은 미국의 교육이 전적으로 실제적인 운영기

술을 익히는 데에만 치중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 분야에

있어서 유럽 교육의 특징인 문화행정의 철학적 배경이라고 볼 수 있는 문화이

- 57 -

Page 7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론, 미학, 예술철학 등에 대한 교육을 보강하는 것이 그 특징으로, 여기에 행

정 및 경영학적 지식을 병행하는 형태를 취한다. 영국 역시 미국과 마찬가지

로 강력한 국가 주도적인 문화정책을 표방하는 국가는 아니기 때문에 문화예

술의 활성화에 있어서 민간 및 시장의 역할을 상당히 중요하게 평가한다. 이

에 따라 문화행정의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경영학적 기법의 도입을 중요시한

다. 그러나 미국과는 달리 경영대학원에서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경우 보다는

행정학과의 과목에 문화이론과 경영학 과목을 추가하고 있다. 또한 문화정책

에 대한 교육에 있어서는 유럽공동체 안에서 각 국가의 정책적 지향과 유효한

정책수단 및 정책효과를 주로 연구한다.

영국의 예술행정 및 예술경영 프로그램은 모듈 시스템이라는 독특한 학사운

영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이수해야 할 과목의 수가 적어지는

대신, 하나의 과목이 다루는 주제가 보다 광의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과목이

정한 주제 안에서 그와 관련이 있는 여러 문제들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악하

기가 용이해 진다. 이것은 특정한 경영기법(management technique)의 습득을 위

해 세분화된 교과목을 다수 제공하는 미국과는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과목의 구성이 문화정책 연구(policy framework)를 수행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되어 있는 점과 문화예술행정 및 정책연구에 있어 필요한 문화이론

에 대한 교육이 빠지지 않고 있다는 점 역시 영국교육의 특징이다. 영국과 프

랑스를 포함한 유럽의 문화예술 행정교육에는 또한 에라스무스 제도(Erasmus

Scheme)라는 것이 있어서 유럽 공동체 내의 어떤 국가의 문화행정과 정책이라

도 실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도를 바탕으로 Warwick 대학에서는

유럽공동체 내에서도 문화정책 및 문화행정제도의 특성이 비슷한 국가끼리 비

교분석을 하는 과목을 개설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어떤 점들에 있어서는 미국의 프로그램들과 상당히 유사하다. 특히

시티대학의 경우는 미국과 가장 유사한 교과편성을 취하고 있는 학교로서 교

육의 강조점도 매우 유사하다. 특히 시티대학은 여타 영국 대학원들과는 달리

문화이론이나 한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 등을 논의하는 과목들이 미약한 편이

다. 또한 예술경영 각론의 교과목들, 예를 들어 박물관 미술관 경영의 교과목

들에서 볼 수 있듯이 예술활동 그 자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 58 -

Page 7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것이 아니라 각종 예술활동이 보다 활발하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정

적 틀을 잘 조직하고 운영해 낼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도록 교과목이 짜여져

있다는 점도 들 수 있다. 이것은 교육의 목적이 궁극적으로 유능한 박물관 및

미술관 행정가를 양성하는 데에 있는 것이지 유능한 큐레이터를 양성하는 데

에 있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물론 큐레이터가 이러한 교육을 받아 행정능력

이 향상될 수도 있지만 미술사 교육 위주인 큐레이터 양성과 미술행정가 양성

을 위한 교육은 내용에 있어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예술분야의 특수교육은 상이한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욕구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르기 마련이다. 종합대학교, 단과대학 혹은 전문대학(hochschule ; 단과대학에

상응하는 독일의 고등교육기관), 예술단체 및 협회가 주관하는 행정훈련과정

등 다양한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영국과 유럽에서는 대학원 과정의 전문적인 교육 이외에 실무자를 위한 단

기 재교육 과정이 활성화되어 있고, 전문 교육과정도 실무자에게 보다 넓은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즉 교육과정도 파트타임제를 채택하

고 있으며, City 대학의 경우 학사학위가 없더라도, 일정기간 동안 문화예술단

체에 근무한 경력이 있을 경우 입학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국공립기관에서 근

무하고 있는 문화행정가들은 사회학, 법률학, 인문학등의 기초 소양교육을 받

고 있으며 이들은 그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대학교에서 제공되는 대학원코

스에 참가하거나 전문예술단체가 기획하는 훈련 혹은 근무처에서 별도로 실

시하는 직무교육(in-service training)에 참가하고 있다. 규모가 큰 문화기관의 관

리자들도 다양한 교육배경을 가지고 있다. 예술사, 문학, 연극, 드라마, 법학,

사회과학 등의 전공자들이 많으며 대학원 강의를 받고 있거나 전문단체의 특

수교육을 이수하기도 한다. 이런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인하여 교육의 내용과

질에 대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영국 예술평의회의 주도로 교육의

이수와 함께 이를 확인하는 자격증을 공식으로 수강생들에게 수여하고 있는

점이 영국 예술행정 교육의 특징이다. 즉, 일반적인 훈련을 수료한 수강생들에

게 국립직업능력원(National Council for Vocational Qualification)이 발급한 인정

서를 수여하고 있으며 이 기관의 증서는 교육생의 능력 및 자질을 대변해주는

중요한 기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독특한 제도는 예술행정요원

- 59 -

Page 7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및 경영자의 자격을 국가기관이 공식으로 인정하는 최초의 조치인 것이다.

3) 영국의 문화행정 전 문인력 교육 프로그 램 분석

(1) 교육과정 개설 대학 현황

영국에서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에 관한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은 10여개 대학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정확한 조사는 불가능하였다. 이 대

학들 중 대표적인 대학으로는 (1) 런던시립대학(City University), (2) 워윅대학

(University of Warwick), (3) 드 몽포르 대학(De Monfort University), (4) 듀럼대

학(Durham University), (5) 헤로이트-와트 대학(Heroit-Watt University)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Durham 대학 및 Heroit Watt 대학은 경영학 석사(MBA)를 수여하

고 나머지 3개 대학은 인문학 석사(MA)를 수여한다. 그러나 이들 나머지 4개

대학의 교육내용에는 행정학과의 영역이라고도 볼 수 있는 문화정책 연구의

교과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학위의 종류는 이들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는 학과의 편의에 따라 주어지는 것일 뿐이다.

이밖에 예술전문단체, 연구소, 일반 민간단체에서도 단기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다. 연극연구소(Theatre Initiative), 실무예술기구(Practical Arts)와 예

술재정을 지원하는 지역예술협회(Regional Arts Association)등에서 이런 프로그

램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밖에 리버풀 대학교, 뉴캐슬 공과대학 등의 부설 연

구소들이 예술행정에 관한 독립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기획해 오고 있다.

(2) 교과과정

앞에서 언급한 예술행정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한 대학중 Durham 대학 및

Heroit Watt 대학은 경영대학원의 한 프로그램으로 설치하고 있고, 다른 대학

의 경우 독립적인 별도의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다. 이 중에서 대

표적인 3개 대학의 교과과정을 살펴보기로 하자

- 60 -

Page 7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시티대 학 (City Univ e rs ity)

시티대학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예술행정 전공 프로그

램을 가지고 있는 학교이다. 이 프로그램은 예술정책학과(Department of Arts

Policy)라는 영국에서만 고유한 학과에 설치되어 있는데, 세부 전공분야는 다

음의 4가지로 나뉘어지며, 이중 예술경영 프로그램과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

의 교과과정은 다음의 <표 3-3> 및 <표 3-4>와 같다

(1) 예술경영 (Arts Management)

(2) 예술교육 경영 (Arts Management in Education)

(3)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 (Museum and Gallery Management)

(4) 예술비평 (Arts Criticism)

<표 3-3> 시티대학의 예술경영 프로그램

구 분 과 목 명

필 수

과 목

예술계의 현황 및 구조 (Arts Framework)

예술경영 (Arts Management)

선 택

과 목

1

재정경영과 마케팅 (Finance and Marketing)

예술과 디자인의 상업환경 (Art and Design and Commerce)

여성과 예술 (Women in the Arts)

유럽의 예술 (European Arts)

예술에서의 정책형성/ 비교연구 (Policy Making in the Arts)

2

음악행정 (Music Administration)

인사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

예술관객 연구 (Arts Audience)

미술행정 (Visual Arts Administration)

- 61 -

Page 7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3-4> 시티대학의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 프로그램

구 분 과 목 명

필 수

과 목

박물관·미술관 경영 (Museum and Gallery Management)

미술경영 (Managing the Visual Arts)

미술계의 현황과 구조 (Museum Framework)

선 택

과 목

1

교육기능과 박물관·미술관 (Education, museum and Galleries)

재정경영과 마케팅 (Finance and Marketing)

예술과 디자인의 상업환경 (Art and Design and Commerce)

여성과 예술 (Women in the Arts)

유럽의 예술 (European Arts)

예술에서의 정책형성/ 비교연구 (Policy Making in the Arts)

2

음악행정 (Music Administration)

인사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

예술관객 연구 (Arts Audience)

미술행정 (Visual Arts Administration)

워윅대 학 (Univ e rs ity o f Wa rw ic k)

워윅대학의 교육목표는 유럽의 문화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기르는데

에 역점을 두고 있다. 문화이론의 중추적인 대학으로 자부하고 있으며, 이 학

교의 프로그램은 문화이론에 대한 이해를 근간으로 하여 유럽의 문화예술 현

상을 이해하고 각국의 문화정책을 철학적 배경과 관련지어 파악한다. 문화정

책에 대한 보다 개념적인 이해를 다지는 단계 이후에는 수강생의 관심에 따라

경영기법을 익히는 행정연구(Administrative Studies) 선택군(群)을 택하거나, 유

럽 각국의 문화정책을 비교하는 비교연구(Comparative Studies) 선택군(群)을 택

하거나, 2개 군(群)의 분류에 관계 없이 세 과목을 선택하여 들을 수도 있다.

교육과정중 실무연수가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지만 예술경영의 응용(Applied

Arts Management)의 과목을 수강할 경우에는 여름의 6주 기간 동안 관련 예술

기관에서의 실습이 필요하다.

- 62 -

Page 7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3-5> Wa rwick 대학의 교과과정(유럽 문화정책 석사과정)

구 분 과 목 명

전공 필수

문화이론 (Cultural Theory)

문화정책 (Cultural Policy)

문화산업 (Cultural Industries)

행정

기법

연구

재정경영 (Financial Management)

마케팅 (Marketing Management)

예술경영 응용 (Applied Arts Management)

비교

정책

연구

유럽의 문화정책1 - 프랑스와 독일

유럽의 문화정책2 - 스웨덴과 네덜란드

유럽의 공연예술

드 몽포르 대 학 (De Mo ntfo rt Univ e rs ity : 舊 Le ic he s te r Polytechnic)

드 몽포르 대학은 석사과정 뿐만 아니라 학사과정에도 예술경영 전공과정

을 개설해 놓은 몇 안 되는 대학 중의 하나이다.20) 미국에서는 대학원 과정에

나 개설해 놓는 세부 예술경영 과목들이 학부에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관심

있는 학생들은 이미 학부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익히고, 석사과정에서는 이러

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럽에서의 문화 계획이라는 포괄적인 틀을 연구하도록

짜여져 있다. 특히 석사 과정(MA in European Cultural Planning)은 실무에 어느

정도 경험이 있는 문화예술 행정 부문 종사자들을 위해 역점을 둔 프로그램이

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문화(culture)개념을 예술활동에만 국한시키던 시각에서

벗어나 현대 도시에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 이를테면 도시계획, 지역개

발계획, 도시미관 디자인, 지역문화사업, 관광산업에서 제기되는 여러 문제들

을 문화계획(cultural planning)이라는 주제가 해결해야 할 대상으로 파악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들을 유럽 각국에서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보지 않고,

유럽 공동체 공통의 문제로 파악하여 문화정책이 경제발전과 지역발전에 중요

20) 학부과정에 예술경영 프로그램을 개설한 대학으로는 캐나다 퀘백주의 몬트리올 고등경영학

교가 있는데, 이 학교에서는 학부의 3∼4학년 과정의 2년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위는

DESS(고등전문가 학위)를 수여한다(자세한 사항은 부록을 참고).

- 63 -

Page 7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부각시킨다. 이 교육과정은 그러므로 거시적으로

파악된 삶의 문화적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서 잘 고안된 문화계획

즉 문화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 데에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 학교 역시 하나의 주제를 하나의 모듈(module)로 정해 놓고 관련된 사항

을 포괄적으로 학습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교과과정은 다음의 <표3-6>과

같다.

<표 3-6> De Montfort 대학의 문화행정 프로그램 교과과목

구 분 과 목 명

모 듈1

문화정책과 계획Ⅰ(Cultural Policy and PlanningⅠ)

문화이론 (Cultural Theory)

유럽발전을 위한 계획Ⅰ(Planning for development in EuropeⅠ)

정치학적 구조의 이해 (Political framework)

2

문화정책과 계획 I (Cultural Policy and PlanningⅡ)

유럽 문화의 특성 (European Identities)

유럽발전을 위한 계획Ⅱ (Planning for development in Europe Ⅱ)

(2) 학사운영

이미 언급한 것처럼 영국의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교육은 예술단체 실무자

를 위한 재교육 필요성에서 시작되었고, 이들을 위한 배려가 많기 때문에 앞

의 3개 대학을 포함하여 대부분 수료과정은 1년으로 되어 있고, 파트타임 과

정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런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재교육

교육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입학자격이나 졸업자격이 까다롭지 않은 편이

다. 석사논문의 경우 정규 논문(Major Project) 이외에 활동보고서(Action

Research Paper)를 석사논문으로 제출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 규모는 A4

50∼60매 이상 정도이다.

City대학의 모든 석사과정은 1년 3학기로 구성되어 있다. 첫학기에는 의무적

- 64 -

Page 7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으로 규정된 2개 이상의 관련 필수 모듈을 이수해야 하고, 뒤이어 각 학기에

한 개의 모듈씩 두 학기를 이수해야 한다. 그러므로 규정상 이수해야 하는 모

듈의 총 수는 4개이고 학생의 희망에 따라 청강 등의 형태로 더 이수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석사논문(Long Study라고 칭함)을 제출함으로써 과정이 완료

되는데 논문을 제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디플롬(Exit Diplom)을 수여한다.

정규 석사과정 외에 Postgraduate Diploma in Arts Administration의 과정이 있

는데, 이 과정은 실무연수과정을 보다 강화한 프로그램으로서 학사일정에 규

정된 총 3 학기동안 내용이 다양하게 짜여진 하나의 모듈을 계속적으로 수강

하면서 전체 기간중 반 가량의 기간은 예술기관에서의 실습(secondment to

work)과 병행하는 형식을 취한다. 논문은 요구되지 않으며 해당 연수기관에서

의 평가와 보고서가 요청된다.

Warwick 대학의 경우 전일제(full time student)로 등록하는 학생일 경우 1년

동안 가을 학기와 봄 학기를 거쳐 이듬해의 새학기 이전에 인턴 및 논문을 완

료해야 한다. 수업은 첫 학기에 필수 세 과목, 둘째 학기에 선택 세 과목을 일

주일에 이틀에 걸쳐 수강해야 한다. 이것은 시티대학의 모듈 시스템과 비슷한

방식으로 시간당 학점을 계산하여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니라 수강해야 할 과목

의 내용을 이틀에 걸쳐 여러 수업방식을 동원하여 익히는 것이다. 시간제 학

생일 경우에는(part time student) 이러한 전 과정을 2년에 걸쳐 일주일에 한 번

단위로 수강하면 된다.

3. 프랑스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분석

1) 프랑스의 문화행 정 전문인력 교육 역사

영미권과는 달리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대륙의 전문적인 예술행정 및 예술경

영 교육은 영미권과는 다른 교육체계로 인하여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다.2 1) 프

21) 유럽 대륙에서의 최초의 전문 교육은 1973년 비엔나 음악예술전문대학의 예술경영연구소

(Institut fur Kulturelles Management)를 설치하면서 부터이다.

- 65 -

Page 8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랑스는 문화예술행정 교육에 관한 한 독자적인 교육제도를 유지 발전시키고

있다. 즉, 1980년대 후반부터 여러 개의 독립적인 교육기관을 설립하였는데 이

것은 예술기관의 행정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프랑스 정부의 시책에 따른 것이

었다.

즉, 1988년 문화부가 산하의 모든 학술 및 교육기관에서 교과과정을 편성할

때, 예술행정 분야의 인접과목을 필수적으로 편성할 것을 의무화한 것이다. 이

러한 방침에 따라, 국립행정원(Ecole National Administration)의 교육수준과 비

견될 수 있는 문화예술 행정학 교육(1년 과정)이 문화부 산하의 문화 최고행

정연구소(Institut Superieur de Management Culturel; ISMC)에서 실시되기 시작했

으며, 예술가만을 위한 행정교육도 프랑스 국립 예술문화 훈련 정보협회

(Association Nationale pour la Formation et l' inform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L'ANFIAC)에 개설되었다.

이 시기에 설립된 교육기관으로는 1987년 개설된 ANFIAC(프랑스 국립 예술

문화교육정보협회), 고등 문화행정학교(Institut Superieur de Management Culturel

; ISMC), 고등상업학교(Ecole des Hautes Etudes Commerciales ; HEC) 등이 있

다. 프랑스는 예술행정학 연구나 교육보다, 예술단체 및 기타 행정연구소에서

의 예술행정 교육을 선진화시키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정규대학에 예술

행정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Paris-Dauphine 대학 등에 불과하고, 대다수

프랑스 대학들은 학부 및 대학원 수준에서 특별히 예술경영학 및 문화행정학

과를 가지고 있지 않고 있다. 이것은 프랑스의 독특한 교육체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프랑스에서는 각종 전문학교 또는 기관에서 특수분야의 행정학을 전

문적으로 교육하고 있으며, 문화행정 분야에서도 이런 경향을 유지하고 있다.

정규 학위과정을 개설하지 않고 있는 대학, 특히 경영대학에서는 문화기관

의 행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별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기관이 고등 상업학교(Ecole des Hautes Etudes Commerciales ; HEC),

파리와 디죵에 있는 고등 상업학교(Ecole Superieure de Commerce) 등이다. 그

레노블 대학(University of Grenoble)의 정치행정학과도 대학원 수준의 문화행정

학 교육을 개설하고 있다.

- 66 -

Page 8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 프랑스의 문화행 정 전문인력 교육 특징

프랑스의 문화예술 행정교육은 그 수준과 집중도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양

태를 보인다. 정부가 문화의 중요성을 특별히 인식하고 주도적인 위치에서 그

발전을 지원하는 특색이 강한 프랑스는 전문적인 문화예술 행정인력을 양성하

는 것도 매우 체계적이다. 우선 프랑스에서 문화예술행정 분야에 종사하는 인

력의 구분과 그 선발 방식은 다음과 같이 구분지을 수 있다.

첫째, 행정부 내에서 문화예술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들(궁극적으로는 문화부

문의 고위직으로 배치될 인력들)을 꽁꾸르(Concour)를 통해 선발하는 경우이

다. 다수의 그랑제꼴(Grandes Ecoles)이 이러한 경쟁적 시험을 통해 학생을 뽑

고 이들 중 일부가 문화행정직에 종사하게 된다. 문화재 보존학교라고 불리는

Ecole National du Patrimoine도 이러한 경쟁적인 선발시험을 통해 문화예술 행

정인력을 뽑는 경우로 볼 수 있다.

둘째, 종합대학에서 문화예술행정의 이론과 실제를 가르치는 경우이다. 종합

대학들이 제공하는 과정은 영미권과는 달리 석사와 박사 과정의 중간에 위치

한 DEA(Diplomes D'etudes Approfondies)의 과정에 상응하는 DESS (Diplomes

D'etudes Superieures Specialisees)의 학위과정을 제공한다. 이것은 일종의 석사

후 과정(post Master's training porogram)으로 보기도 하는데 다른 교육기관들에

서 제공하는 프로그램보다는 다소 학문적이다. 그러므로 이 과정을 졸업했다

고 해서 관련 분야에 신속한 취업을 보장하기는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민간 전문학교(Ecole)를 통한 교육이 있다. 이 교육체계는 실무교육을

중요시하므로 대학 보다는 취업에 훨씬 더 유리한 편이다. 이런 에꼴 시스템

중에는 고등상업학교(우리나라의 경영대학원)가 단독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

는 경우도 있고, 고등상업학교와 문화예술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재단이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경우가 있다. 에꼴은 학교에 따라 교육수준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전문인력의 질(質)을 외부에서 일

률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다만 이들 졸업생들은 국공립 혹은 민간 문화예

술단체들에서 예술행정인 혹은 예술경영자 혹은 광의의 문화촉매자로 활동하

게 된다.

- 67 -

Page 8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프랑스의 또다른 예술행정 교육의 특징은 최근 들어 전문교육 기관의 수료

생들에게 수료증을 수여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프랑스에서도 예술행정분야

의 전문성과 자격을 공인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이밖에 문화산업체의 실무진을 대상으로 한 예술경영 교육이 폭넓게 실시되

고 있는 것도 프랑스 예술행정 교육의 특색이다.

3) 프랑스의 문화행 정 전문인력 교육 분석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랑스의 문화행정 관련 교육체계는 다양하며, 이

를 정규 학위과정과 전문학교 과정으로 구분하여 프랑스의 문화행정 관련 교

육기관을 분류하여 보면 다음의 <표 3-7>과 같다.

이 중에서 대학에서 정규 학위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파리 도핀느 대학과,

에꼴 시스템중 대표적인 고등상업학교(HEC)를 살펴보기로 하자.

파리 도핀 느 제 9 대학 (Univ e rs ité Pa ris IX Da uphine )

대학 수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는 매우 충실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

다. 문화예술부문의 여러 측면(공공 및 민간 부문)에 대한 다각적인 학문적·

실제적 접근을 시도하는 교육과정으로 평가되고 있다. 교육과정의 구성은 다

음의 <표 3-8>과 같다.

- 68 -

Page 8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3-7> 프랑스의 문화행정 교육기관 분류

구 분 학 교 명 (기 관 명)

정규

학위

과정

Association Nationale pour la Formation et l' Inform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ANFIAC)

Universite de Paris IX Dauphine

Observatoire des Politiques Culturelles de Grenoble

전문

교육

과정

Ecole D'Art et de Communication (EAC)

Ecole du Louvre

Ecole Nationale du Patrimoine

Ecole Superieure de Commerce de Dijon/Fondation Claude

Nicolas Ledoux

Ecole Superiere Internationale D'Art et de Gestion(ESIAG)

Ecole des Haute Etude Commerciales(HEC)

Institut Superieur de Management Culturel(ISMC)

Association Nationale pour la Formation et l' inform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ANFIAC)

Agence Rhone-Alpes de Services aux Entreprises Culturelles

(ARSEC)

Institut d'Administrstion Locale UFR de droit et de Science

Politique, Universite de Reims Champagne Ardennes

- 69 -

Page 8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3-8> 파리 도핀느 대학의 교과과목

구 분 과 목 명

필 수

과 목

문화경제학(Cultural Economy)

문화행정의 제문제(Problems in Cultural Management)

문화예술과 법(Cultural Activities Law)

지적소유권법(Intellectual Property Law)

문화단체의 재정경영(Financial and Budgetary Management)

예술의 현황 및 제문제(Current Topics in the Arts)

선 택

과 목

문화의 상업적 기능과 재정지원(Commercial Function and Financing

Cultural Action)

인력관리(Personnel Management)

문화 마케팅(Marketing)

문화의 탈집중화(Cultural Decentralization)

문화와 조세정책(Cultural Taxation)

유럽 매체분야의 제문제(Problems in the European Audiovisual Field)

문화산업(Cultural Industries)

기업의 문화지원(Arts Sponsoring)

고등 상업 학교 (Ec o le de s Ha ute Etude Co m m e rc ia le s )

에꼴 HEC(Ecole HEC)에서는 대학원 수준의 경영학을 교육하고 있으며,

세부 전공으로 문화와 매체(Culture et Communication)'에 관련된 과목을 제공

하고 있다. 이 학교에서는 교육생들이 이미 일반 경영학의 기초 지식을 갖춘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과목을 개설하고, 이를 심

층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예술경영과 관련된 교과과목은 다음과 같다.

문화산업의 이해(les industries de programmes)

문화 경영자의 활동영역과 예술 장르별 특징(les métiers de amanager

culturel)

문화경영의 제문제(problématiques transversales)

- 70 -

Page 8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문화경영의 재능(le management du talent)

문화경영의 제도적 및 재정적 측면(les dimensions juridiques et fiscales)

4. 기타 유럽 국가의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1) 유럽 국가의 문화행 정 전문인력 교육 역사

유럽 대륙에서는 영국이나 미국에 비하여 문화행정 전문인력에 대한 교육이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다. 유럽대륙에서 최초로 문화행정 전문교육이 시작된

것은 1973년 비엔나의 음악예술 전문대학의 예술경영연구소(Institut für

Kulturelles Management)를 설치하면서 부터이다. 그러나 문화행정 전문교육의

확산은 1980년대 이후에서야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유럽대륙에서는 영국이

나 미국과는 달리 일반 대학이 아닌 별도의 전문학교나 연구기관 등에서 문화

행정 교육과정을 개설하였다.

독일과 프랑스에서 1980년대에 문화행정 전문교육 과정이 개설되었고, 과거

에는 비정규적인 교육과정을 갖고 있었던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이스 등에서

도 대학원 수준의 전문 교육과정이 개설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1984년 파리에 유럽 각국이 공동으로 문화정책의 공동연구

및 정보연계를 위하여 유럽 문화정보 연구센타 연락기구(The Cultural

Information and Research Centres Liaison in Europe ; CIRCLE)를 설치하였다.

CIRCLE는 1987년 독일의 문화연구센타(Zentrum für Kulturforschung)와 공동으

로 유럽 최초의 예술행정학 교육 학술대회를 함부르크에서 개최하였는데, 이

회의는 유럽지역에서 문화행정 교육의 당위성 확립(독립된 학문으로의 인정)

과 문화행정 전문교육 확산에 기폭제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1990년에는 파리 유럽회의(Council of Europe)와 유럽 문화장관회의의

권고에 따라 유럽의 문화행정 전문교육기관 40여개가 회원으로 가입한 유럽

문화행정 훈련센터 네트워크(European Network of Administration Training

Centres)가 설립되었다.

- 71 -

Page 8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이런 추세에 따라 유럽 각국에는 전문 교육기관이 속속 설립되었으며,

CIRCLE의 1992년 조사에 따르면, 유럽 대륙에는 14개 국가에 50개의 전문 교

육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국가별 문화행정 전문 교육기관

의 현황은 다음의 <표 3-9>와 <표 3-10>과 같다.

이런 전문 교육과정의 개설과 함께 특정 교육기관이나 독립된 훈련기관에서

실시되는 단기 실무교육과정(in-service training)도 활성화되었다.22)

<표 3-9> 유럽대륙 국가의 문화행정 전문 교육기관 설립현황

오스

트리아

벨기

핀란

프랑

그리

이스

아일

랜드

이탈

리아

네덜

란드

노르

웨이

포르

투갈

스페

스웨

고계

2 5 1 12 4 1 1 2 12 2 1 4 1 2 50

※ 주 : 단기 프로그램을 제외한 장기 전문 프로그램에 국한하였음.

영국은 통계에서 제외하였음.

1980년대 유럽 대륙에서의 예술행정 교육의 확산의 원인은 다음의 4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1960년대와 1970년대 기간중 문화예술 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이

증대되었다는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전후 재

건계획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문화공간을 신축하는 붐을 맞이하였다. 신축된

대형 예술기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과 많은 예산이 요구

되게 되었으며, 새로운 문화시설물에 맞는 공연 및 전시활동을 위한 특성화된

예술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 수 많은 예술단체들이 신설되었

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 보편화되기 시작한 문화촉매운동 그리고 복합예술센

터의 신설 및 지역예술운동은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새로운 예술극단의 창설

을 필요로 했다. 또한 1968년의 학생운동 이후 전통문화에 대체하는 새로운

대체문화 즉 거리예술, agit 계열의 극장, 공연 및 실험예술들이 부각되기 시작

22) 이런 경향은 영국과 프랑스에서 특히 심하며, 영국의 경우 오히려 실무교육이 더 활성화되

어 있을 정도이다. 영국의 드 몽포르 대학(舊 라체스터 공과대학)과 프랑스의 ANFIAC은 수

준높은 단기 프로그램을 오랫동안 운영하고 있다.

- 72 -

Page 8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했다. 이런 문화공간 및 예술단체의 증대에 따라 정부의 지원금이 확대되었고,

동시에 이를 엮는 네트워크가 복잡해짐에 따라 여러 행정적인 문제점과 관리

능력의 향상이 요청되었다.

둘째, 당시 유럽의 전반적인 불경기로 많은 예술단체들이 재정적인 압박에

시달려 문화예술단체의 경영 효율성 제고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었다는 점이

다. 문화예술에 대한 공공지출이 늘어가게 됨에 따라 이에 따른 책임감 역시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대형 문화예술공간의 신축은 1980년대 석유파동 등으

로 인한 불경기와 함께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에 압박을 가져왔다.

이에 따라 공공 지원금의 축소와 함께 다양한 재원의 확보를 위한 방안, 예술

기관 운영의 효율성 제고 등이 요구되었고, 예술경영자와 문화행정가들은 공

공 지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정부와 국민들에게 납득시

켜야만 했다. 효율성과 경제성은 문화예술기관의 새로운 평가의 기준이 되었

으며, 전문가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의 개발을 서두르

게 되었다. 시장성 확보와 기금확보의 기법이 도입되어 후원금을 유도하고 정

부의 예산삭감의 위기속에서23) 안정적인 재정 확보를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즉, 경제적 위기에 직면한 문화예술기관의 적응 노력은 단순한 전문

성이나 효율성 제고, 예술 프로그램의 수준 제고 등의 차원이 아닌 생존의 문

제로까지 인식되었다.24) 문화예술기관의 최고 관리자들은 문화예술기관의 생

존을 위한 적응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문화행정가나 예술경영자들

에 대한 교육훈련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업무의 모든

분야에 걸쳐 개별적인 효율성이 제고되지 않는 한 예술기관들은 그들이 지향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수준 높은 예술작품 제공을 위한 예

술가들의 능력 못지 않게, 예술경영자들에게도 공연평가, 수요측정, 시간관리,

인사평가, 동기부여 등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셋째, 국민들의 문화접근을 제고하기 위하여 문화분야에서도 분권화가 확산

되고, 지방의 문화기관 신설이 확대됨에 따라 지역 단위에서 프로그램 기획을

23) 이런 경향은 미국에서도 나타나 레이건 행정부는 NEA의 예산을 절반으로 삭감하려고 추진

하였다.24) 영국에서는 "적응이 아니면 죽음뿐이다 (adapt or die)"라는 슬로건이 종종 사용되었다.

- 73 -

Page 8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위한 문화행정 및 기획의 전문성이 요구되었다는 것이다. 문화정책을 지역 분

권화하기 시작한 각국의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 문화행정에 대한 책임과 권리

를 부여하였지만, 지방정부 차원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준비는 제대로 이

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비록 오랜 기간동안 이러한 분권화 정책의 실행을 염

원하였더라도 지방자치단체의 실제적인 업무수행 능력은 떨어져 있었다는 사

실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넷째, 문화예술에 대한 경제적 중요성에 대해 정치인들과 정책결정자들이

공감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문화시장은 경제적으로 중요성을 더 해갔으며

사회 발전측면에서 볼 때 문화적 요인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인식도 보편화되

었다.

2) 유럽 국가의 문화행 정 전문인력 교육 특징

유럽 각국의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제도의 특징을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

렵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 영국, 프랑스의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

제도가 각각 다르며, 이것은 각국의 문화정책의 차이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

다. 따라서 유럽 각국의 문화행정 교육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유럽 각

국의 문화정책에 대해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왜냐하면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

교육의 제도, 내용 및 수준은 그 국가의 정치사회적 환경과 사회구성원의 다

양한 욕구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의 문화정책은 어떤 통일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각 국가의 문화정책은

그들의 특수한 정치사회 제도에 따라 상이한 정책을 가지고 있으나, 대체로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25) 첫째, 정부주도형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역할이 강조된 형태이다. 이런 유형의 대표적인 국가로는

프랑스가 있다. 둘째, 시장주도형으로 시장체제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형태이

25) 정부의 개입정도에 따른 문화정책의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데, 이

보고서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자가 분류한 것이다. 이에 대한 다른 분류는 <문화

정책학의 발전 가능성과 가치상호작용모델의 시론적 검토>를 참고하기 바란다(원용기, 「문

화정책논총 제7집,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 74 -

Page 8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다. 이런 유형의 대표적인 국가로는 미국이 있다. 셋째, 절충형이 있으며, 이런

유형의 대표적인 국가로는 독일이 있다. 이런 유형의 구분은 문화행정 인력의

교육제도에도 반영되어 있다. 즉, 정부주도형에서는 문화행정에 대한 강조가,

시장주도형에서는 예술경영 교육에 대한 강조가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유럽

의 문화정책은 정부주도형 모델에서 시장주도형 모델로 전환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에서 경영측면을 점점 더 강조하고

있는 점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런 각국의 다른 문화정책 제도에도 불구하고 유럽 대륙의 문화행정 인력

교육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 공통적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지방자치의 전통이 매우 강한 연방국가에서의 예술행정 교육은 다소

전통적인 방법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중부 유럽지역에서 이러한 경향이 많으

며, 이들 국가에서는 정규 대학과정에서 문화예술행정 교육을 위한 별도 과정

을 가지고 있지 않다. 특히 독일,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정규대

학 보다는 예술학교 혹은 전문대학(hochschule)등에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둘째, 영미권의 문화예술 교육체계를 가진 국가들에서는 문화행정 교육과정

을 이수한 수강생들에게 일종의 자격증을 발급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 국가들

의 대학교와 고등교육기관들은 예술경영 및 문화행정 분야의 교육과정을 국가

차원에서 주도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시장경쟁 원칙에 입각한 교육내용을

담고 있다. 아울러 교육이수자에게 전문적인 자격을 인정하는 학위를 수여하

고 있다.

셋째, 문화복지가 발달된 북유럽 국가에서는 사회문화단체와 노동조합 같은

직능단체에서 직무교육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체계적인 문화행정 교육을 시행

하고 있다.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각종의 직업훈련은 고도의 수준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대학교와 고등교육기관들은 노동조합 등이 실시하고 있는 분야에

개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스웨덴, 노르웨이 등에서는

대학(대학원)에 문화예술을 위한 정규과정을 개설하지 않고 있다.

넷째, 1980년대 유럽에서 일기 시작한 분권화 및 유럽 통합의 움직임에 따

른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유럽의 공동협력이 가시화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

라 국경 없는 새로운 협력양상은 예술행정 교육을 보다 세분화시키는 요인이

- 75 -

Page 9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되고 있다. 즉, 유럽공동체(EC)와 유럽회의(Council of Europe)는 통일된 문화행

정 교육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바, 이는 회원국가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비회원

국가와 회원국가간의 상호교류를 향상시키는 촉매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

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유럽 문화행정 학위제도 (European Diploma in

Cultural Management)와 같은 유럽 차원의 과정이 각국에 개설되었다.26) 또한

지역의 문화행정에서는 더욱 전문화를 요구하고 있고, 지역의 문화발전을 위

한 보다 큰 목표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하고 있다.

다섯째, 정치적 근대화가 비교적 늦게 시작된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이스

등 일부국가에서는 문화행정 교육도 그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도 그다지 발전되어 있지 않다.

여섯째,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정기간 동안의 실습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런 경향은 점점 더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3) 유럽 각국의 문화행 정 전문인력 교육 현황 27)

(1) 아일랜드

아일랜드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 대학원 과정의 예술행정학과를 설치하고 있

다. 1980년대 말, 영국의 시티 대학과 라체스터 공과대학의 교육내용을 모델로

한 예술행정학 과정이 더블린 대학(Arts Adminstration Studies, University

College in Dublin)에 개설되었다. 이 과정은 주로 문화예술 분야의 실무종사자

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과정은 1년이다.

(2) 독일

독일의 예술행정 전문교육은 유럽 대륙의 다른 국가들 처럼 1980년대 후반

26)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유럽 공통 차원의 교육현황을 참고하기 바란다.27) 이 부분은 핀란드 예술위원회에서 발간한 Professional Managers for the Arts and

Culture(1992)의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한 것이다.

- 76 -

Page 9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에서야 시작되었다. 1985년 Luneburg 대학에서 학부와 대학원에 문화행정 과

정을 설치하였고, 그 이후 전문대학(Hochschule)에 문화행정 교육과정이 설치

되기 시작하였다. 1988년에는 함부르크 음악·공연예술 전문대학(Hamburg

Hochschule für Music und Darstellende Kunst)에, 곧 이어 루드비히스부르그 교

육 전문대학(Pädagogische Hochschu 1e Ludwigsburg)과 함부르크 정경 전문대학

(Hochschule für Wirtschaft und Politik)에 전문 교육과정이 개설되었다.

독일의 문화행정 전문교육 과정은 행정학이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해

온 전통에 따라 이 과정을 예술, 경제, 정치학 과정과 혼합하여 실시하고 있다

는 점이다.

이밖에 독일에서는 실무자를 위한 단기 교육과정도 개설되었는데, 1988년

램샤이드 음악교육 및 매체 교육원(Akademie Remscheid für Musische Bildung

und Medienerziehung)을 시작으로, 평생문화교육진흥원(Stiftung für Kulturelle

Weiterbildnung), 포츠담 영화 TV 전문대학(Potsdam Hochschule für Film und

Fernsehen)등이 이런 단기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3)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는 유럽대륙에서는 최초로(유럽 전체에서는 영국 다음으로) 문화

행정 및 경영에 대한 정규과정을 설치한 국가이다. 1973년 비엔나 음악·공연

예술 전문대학(Hochschule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은 연극, 콘서트, 페

스티발, 박물관, 화랑 및 미디어의 종사자를 위한 2년 단위의 교육과정을 개설

하였다. 또한 북오스트리아의 직업교육원(Berufsforderungsinstitut Oberösterreich)

은 문화기관 종사자를 위한 2년 과정의 문화경영 과정을 설치하였다. 이 과정

은 오스트리아 교육·체육·문화부의 재정지원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예술행

정의 선진화, 문화정책 수립의 과학화와 함께 문화교육의 강화를 교육목표로

설정해 놓고 있다.

독일어권인 오스트리아도 독일처럼 정규대학이 아닌 전문대학이나 전문기관

에서 문화예술 행정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중앙정부에서 문화예술

행정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 77 -

Page 9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4) 스칸디나비아 국가(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 노르딕 국가들은 그들 나름대로 문화예술행정

교육을 발전시켜 오고 있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직업훈련과 같은 교육은 대

학교에서 실시할 필요가 없다는 견해를 가져 왔고, 더욱이 인문과학과 사회과

학 분야의 참여도 부정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예술행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1980년대 이후 불경기에 특히 1990년 이후에 나타난 사회복지 예산의 과다지

출 문제 등으로 인하여 보다 적은 예산으로 효율적인 기관의 운영, 문화사업

의 전개가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노르웨이에서는 텔레마크 대학(Telemark Regional College)과 로가

랜드 대학(Department of Social and Cultural Studies, Hogskolesenteret 1

Rogaland) 등 2개의 대학에 2년 과정의 예술행정 과정을 개설하였다.

스웨덴에서는 1991년 우메아대학(University of Umea)에 3년 과정의 문화행정

과정을 설치하였는데 이 학교의 교과내용은 노르웨이의 대학과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핀란드에서는 대학 수준에서는 문화예술 행정교육이 아직 실시되지 않고 있

으나, 핀란드 예술위원회(Finnish Arts Council)의 주도로 전문교육 과정을 시행

하고 있다. 1991년 시벨리우스 음악아카데미 사회교육 센터(Further Education

Centre, Sibelius Academy of Music)에 최초로 음악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기

관 종사자들 대상의 2년 과정을 개설하였다. 이 과정은 파트 타임제 행정교육

을 신설하였는데 그 내용은 영국의 시티 대학교와 라체스터 공과대학의 모델

을 원용하였다. 그러나 이 아카데미는 영국과 달리 수료생에게 자격인증서를

발급하지 않고 있다. 핀란드 산업예술대학교(University of Industrial Arts)는 석

사과정의 디자인행정학을 2년동안 가르치고 있다. 대학교 과정에서는 창작기

법을, 대학원 과정에서는 행정업무와 관련된 교과목을 배정하고 있는 점이 특

색이다. 이 과정은 영국의 시티대학의 프로그램을 모델로 하고 있으며, 파트타

임 과정도 개설하고 있다.

- 78 -

Page 9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또한 이들 3개 국가에서는 모두 문화행정 종사자들을 위해 예술위원회 등을

중심으로 단기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5) 벨기에

벨기에의 경우 1990년 이전에는 문화종사자 혹은 학생들을 위한 예술행정

교육이 실시된 적이 없었다. 1990년대 이후 유럽 대륙의 다른 국가들 처럼 대

학과 전문기관에 대학원 수준의 문화행정 교육과정이 개설되었다.

현재 안트워프 대학(University of Antwerp/Institute for Post-University), 브뤼셀

대학(Free University of Brussels), 겐트 대학(University of Ghent) 등 3개 대학에

서 대학원 과정을 문화행정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중 겐트 대학교 행정

대학은 2개의 예술행정학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루벤의 정책·경영 훈련센타(Center for Policy and Management Training)에서

도 2년 과정의 파트타임제 문화행정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이 기관은 행

정학 전체에 대한 교육기관으로 예술행정 전공이 특별히 설치된 것은 아니지

만, 석사에 준한 학위인정서를 수여하고 있다. 또한 플랜다스 성인교육센터

(The Flemish Centre for Adult Education)도 1986년 부터 문화센터 및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단기과정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6)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유럽대륙의 다른 국가와는 달리 문화예술 행정을 정규대학에서

가르치고 있어, 많은 대학(전문대학 포함)에 문화예술 행정과정이 개설되어 있

다. 그러나 네덜란드의 문화예술 행정교육은 대학에서 문화관련 과목을 가르

칠 때, 행정학 과목을 포함시키는 방법을 채택해 오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

로 대학에서의 예술행정 교육이 이론분야에 치우쳐 있고, 심지어 소수의 실무

과목도 이론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있다.

네덜란드에는 모두 12개의 대학과 전문대학에 문화예술 행정 교육과정이 개

설되어 있는데, 이중에서 암스테르담 대학(Universiteit Van Amsterdam), 그로니

- 79 -

Page 9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켄 대학(Universiteit Van Groningen), 유트레히트 대학(Universiteit Van Utrecht)

등의 대학과, 유트레히트 예술학교(Utrecht Voor de Kunsten Utrecht), 로테르담

(에라스무스) 대학(Erasmus Universiteit Rotterdam)의 예술·미디어 행정센터 등

이 대표적인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7) 이탈리아

아직까지 이탈리아에서는 문화분야에서 점증하고 있는 전문 행정교육의 필

요성에 대해 충분한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문화재를 많이 소유하

고 있는 이탈리아의 특성상 우디네, 비테르브 등 많은 대학에서 문화재 보존

및 복구를 위한 학예직 교육은 개설되어 있지만, 이들 학교의 프로그램에서

는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 교육과목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다. 만, 이 과정

도 행정분야에 촛점을 맞추지 않고 있다.

문화예술 행정 전반에 대한 전문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지 않지만, 볼로냐

대학(University of Bologne)의 음악연극학과에서 공연예술 종사자를 위한 학부

수준의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데, 이 과정은 대학 입학자격을 가진 학생들 뿐

아니라 공연예술기관 종사자들에게도 입학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이밖에 국립 영상산업협회에서도 영상예술 단체 종사자들을 위한 교육과정

을 개설하고 있으며, 로마 일 깜포훈련원(Il Campo Training Institution in

Rome), 남이탈리아 훈련개발원(Agency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in the

South) 등의 기관에서 단기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8) 스페인, 포르투갈

1980년대는 스페인의 정치·사회 및 문화가 급격하게 변화했던 시기였다.

이 기간 동안, 스페인은 유럽의 일부 국가들이 1960년대 및 1970년대 활발하

게 전개했던 문화촉매운동을 도입하기 시작하였고, 정책적 차원에서도 이를

위한 교육을 널리 실시하였다. 바르셀로나에 있는 문화학술 연구센터(Centre

d'Estudis i Recursos Culturals)는 바로셀로나 대학교의 후원으로 대학원 과정의

- 80 -

Page 9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예술행정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으며, 문화예술분야의 실무자와 행정가

를 위한 단기 교육과정도 병설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문화예술 행정 교

육은 주로 전문기관에서 실시하고 있고, 정규대학에서는 개설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다.

포르투갈도 스페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1988년 개관된 국립행정

연구소(Insitituto Nacional de Administraco in Lisbon)에 예술행정 과정(Curso de

Gestao des Artes)이 설치되어 있고, 정규대학에는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문화행정 교육에 대한 인식도 낮은 편이다.

(9) 그리이스

그리이스도 198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야 예술행정 교육에 관한 관심을 쏟게

되었다. 1988년 판티오스 정경대학(Pantios University of Social and Political

Sciences)의 지역발전연구소(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는 문화부와 유럽

사회기금(European Social Fund)의28) 재정지원으로 최초로 대학원 수준의 단기

과정의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4) 유럽 공동 차원의 문화 예술 전문인력 교육 현 황

(1) 필요성 및 흐름

유럽의 문화행정 교육기관들은 이미 유럽사회가 안고 있는 문화의 복합적

성격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해오고 있다. 1990년대 유럽의 문화정책 입안자들은

예술행정가를 위한 교육에 전 유럽의 공통적인 성격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즉, 범유럽적인 교육과정을 개설하거나 각 국

가의 교육에 유럽적 요소를 가미하는 방법 등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조치

들은 통일유럽의 정체성을 강화하거나, 예술행정의 실무적인 경험과 의견을

상호 교류하는데 일조할 뿐 아니라,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에 따라 유럽의

28) 유럽사회기금은 이밖에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의 프로그램 개설을 지원하였다.

- 81 -

Page 9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대통합이 진행되면서, 예술행정인력의 지역내 이동에 대비, 이에 대한 객관적

인 자료의 수집이 필수적이기 때문이었다. 범유럽적인 예술행정가 교육에는

국가간, 문화간에 걸쳐 복합문화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며 유럽지역의 문화

에 대한 특성과 각각의 지역문화가 유럽문화 전반에 걸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경향은 EC와 유럽회의(Council of Europe)의 유럽 문화협력위원회

(Council for Cultural Cooperation ; CCC)가 공동으로 1987년 신트라에서 개최한

유럽 문화장관회의의 결의에 따라 1988년 "유럽 문화행정 훈련센타 네트워크

(European Network of Cultural Administration Training Centres)가 파리에 설립되

면서부터 적극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1991년 EC는 유럽회의와 함께 전 유럽의 문화장관이 참가한 회의를 개최하

면서 문화행정가 훈련결의안(Resolution on the Training of Cultural

Administration)을 채택하고, 문화행정 교육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하였는데, 이

런 조치들은 유럽의 문화예술 행정교육과 협력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2) 유럽 문화행정 교육과정 설치 현황

유럽 문화행정 학위제도(European Diploma in Cultural Management)는 이런

노력의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브뤼셀에 있는 마르셀 익떼재단은 유럽공동체와

공동으로 수행한 "문화와 지역사회"의 후속사업으로 1989년 유럽 최초의 시범

코스를 개설하였다. 이 과정은 동구권의 헝가리, 폴란드, 유고의 행정요원등

모두 12개국의 20명이 참가한 파트 타임제 교육과정으로 유네스코, EC, 유럽

문화재단 등이 재정지원을 하였다. 이 과정에 참가한 이들은 지역사회의 문화

정책이나 문화사업을 기획하는데 최소 3년이상의 실무경험을 가진 자들이었

다. 이 프로그램은 문화행정학의 기초지식과 다른 국가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

는 각종 문화사업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배양하는 내용으로 편성

되어 있었다. 또한 교육 참가자들은 사후 비공식적으로 상호 연락을 취함으로

써 기관끼리의 협조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

다. 델피에서 개최된 평가회의 이후, 1992년 프랑스에서 두번째의 교육과정이

- 82 -

Page 9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실시되었고, 여러 국가에서 순회하면서 교육을 개설한다는 방침에 따라

1992/93년에는 스웨덴과 영국에서, 1993/94년에는 핀란드와 스페인에서 개최하

였다.

1990년에는 프랑스에서 유럽 예술문화경영 석사제도(European Masters'

Degree in the Management of Artistic and Cultural Activities)가 개설되었다. 프랑

스의 디죵 고급 상업학교(Ecole Superierure de Commerce de Dijon)가 끌라우드

니꼴라스 레두 재단의 후원으로 시작한 석사과정은 1년동안 300시간의 강의를

수료하도록 편성되어 있고, 수강생들은 강의, 사례연구, 세미나, 현지조사 등

여러 형태의 교육에 참가할 뿐 아니라 3개월에 걸친 문화기관 현지실습을 의

무적으로 참가하여야 했다. 이런 프로그램에 따라 수강생들은 중견간부로서

유럽내의 문화예술 이벤트를 기획, 추진할 수 있는 필수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1991년 영국 라체스터 공과대학은 유럽 문화예술정책에 관한 석사과정을 개

설하였다. 이 과정은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등 4개국의 문화정책을 연

구하는데 국한하고 있는데 특별히 문화기관에 직을 두고 있는 행정요원을 대

상으로 2년간의 파트 타임제로 운영되고 있다. 매년 5주간은 합숙훈련을 실시

하며 이중 1주는 외국의 문화기관에서 보내게 되어 있다. 라체스터 공과대학

의 석사과정은 문화사, 문화정책, 정치일반과 법령, 유럽의 통합성, 언어 등에

걸쳐 이론교육과 실무연구를 병행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2년에는 영국의 Warwick대학에서 유럽 문화정책·행정에 대한 1년 기간

의 석사과정을 개설하였다. 이 과정에는 풀타임 과정과 함께 파트타임도 병행

하여 설치되어 있는데, 파트타임을 원하는 수강생들은 2년 기간의 교육을 이

수하여야 한다.

1993년에는 프랑스 국립 예술문화교육정보협회(Association Nationale pour le

Formation et l'Inform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 ANFIAC)에서 부르크뉴

(Bourgogne) 대학과 협력하여 유럽의 문화기획자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설하였

다. 15개월간의 전문교육과정인 이 과정은 예술프로젝트의 행정, 예술의 창작

과 확산, 인사행정, 문화발전전략 및 정책의 개발, 홍보전략 등에 대한 집중적

인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범유럽적인 예술교육을 추진중인 유럽에서 주목할 만한 또 다른 교육이 암

- 83 -

Page 9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스테르담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여름코스이다. 암스테르담 여름코스라고 불

리는 이 교육과정은 단기간에 걸쳐 동서유럽간의 공연예술 경영, 인간의 공동

연구 및 교육을 촉진하기 위해 개설된 교육제도로 암스테르담 대학교, 암스테

르담 예술학교, 고등전문훈련연구소 및 샤티 극단이 주도해 오고 있다.

(3) 유럽 공동의 문화행정 교육 협력기구

유럽의 문화행정 교육이 확산되고, 유럽 통합 움직임 등에 따라 문화행정

교육기관간의 교류협력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이를 연계할 협력기구가 설

립되었다. 이런 기관의 설립은 유럽회의가 주도하였는데, 1987년 유럽문화장관

회의의 권고에 따라 1988년 파리에 설치한 유럽 문화행정 훈련센타 네트워크

(European Network of Cultural Administration Training Centres)와 1990년 암스테

르담에 설치한 유럽예술교육기관연합(European League of Institutes of the Arts)

이 그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유럽 문화행정 훈련센터 네트워크는 문화행정 전문교육기관 40여개 단체가

가입하고 있으며, ① 문화예술 행정교육의 당면과제 분석, ② 회원기관간의 교

류촉진을 위한 사업, ③ 유럽지역에 적합한 교육방법론의 개발, ④ 데이터베이

스 구축 및 단기 프로그램의 개최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유럽예술교육기관연합은 문화행정 뿐 아니라 예술분야 전반의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24개국 450여개 교육기관이 가입하고 있다. 이 기관은

① 유럽예술 교육기관의 교류협력 촉진, ② 예술교육 및 예술창작을 위한 사

회정치적 환경의 개선, ③ 교환 프로그램 및 공동 연구사업의 수행과 상호 정

보교환, ④ 유럽과 비유럽권과의 교류증진, ⑤ 문화적 다양성의 고찰, ⑥ 창조

력, 창의성 등 예술교육에 필요한 특수환경의 보호, ⑦ 교육, 예술분야의 국제

및 국가간 기구 자문, ⑧ 유럽 예술교육 데이터베이스 구축, ⑨ 국제학술상의

제정추진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물론 이런 기구들이 교류협력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이런

기구 설립 이전부터, 또한 개별적인 교육기관 사이의 교류협력은 꾸준히 있어

왔다. 파리-도핀느 대학(University of Paris-Dauphine), 그로니겐 대학(University

- 84 -

Page 9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of Groningen), 시티 대학(City University of London), 바르셀로나 대학(Barcelina

University), 더블린 대학(University College of Dublin) 등은 에라스무스(Erasmus)

계획하에 학생 및 교수의 교환교육을 추진하여 왔다.

이런 개별적인 움직임에 따른 연합기구가 유럽 예술정책 및 경영 개발협회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rts Policy and Management)로서,

① 교육에 관한 각종 정보의 수집 및 교환 그리고 이를 보급하는 중앙센타를

설치하고, ② 예술행정학에 관한 전문학술회의의 개최, ③유럽 단일시장의 출

범이후, 유럽내부의 예술인력의 유동성을 증진시키고 고용을 촉진하는 각종

전문직의 개발을 기본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화행정 교육 활성화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유네스코의 노력이다, 유네

스코는 문화행정가와 예술경영자에 대한 훈련의 중요성을 가장 먼저 인식하

고, 이에 대한 노력한 기구이다. 유네스코는 1970년 베니스에서 세계문화장관

회의를 개최하면서 일부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문화전문요원의 훈련 그리고

문화촉매요원, 행정가, 문화기관종사자들의 훈련과 교육을 재평가하고 이를 보

다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한 권고안을 채택하였다. 또한 이 분야의 전문가회의

의 개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국제적 네트워크를 설치하고 아직까지 예술경

영인에 대한 훈련교육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국가들을 위한 재원의 확보

와 전문지식의 이전을 시급히 실시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이밖에 유럽 문화정보 및 연구센터 연락기구(Cultural Information and

Research Centres Liaision in Europe; CIRCLE)는 유럽 전역의 정보의 수집 및

보급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책자 발간 및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이 기구는 문

화정보와 교육프로그램의 상호 정보 교류를 통하여, 각 교육기관의 교육프로

그램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4) 유럽회의(Council of Europe)의 노력

유럽회의는 1970년부터 예술경영인의 훈련사업을 시작했다. 1976년 문화행

정통계틀의 개발, 과학적으로 교육을 받은 문화행정가들이 문화발전에 기여하

는 영향 등에 관한 전문가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당시 발간된 유럽회의의 각

- 85 -

Page 10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종 간행물과 1976년 오슬로 및 1978년 아테네에서 개최된 유럽문화장관회의의

보고서를 통해 유럽회의는 문화정책의 입안, 집행에 예술행정가들의 역할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유지해 오고

있다.

1987년 신트라에서 개최된 유럽문화장관 회의에서도 변화하는 사회적 여건

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유럽의 예술전문가들을 재훈련시킬 필요가 있음

을 강조하면서 국가, 지역, 지방차원에서 각기 전문화된 문화행정가를 훈련시

키는 교육체제의 세분화를 권고하였다.

1980년대 기간중, 문화행정가의 교육 그리고 문화산업 종사자들을 위한 교

육훈련이 유럽회의의 문화협력위원회(Council for Cultural Cooperation; CCC)가

추진하는 사업에 집중적으로 반영되었다. 특히 프로젝트 10 문화와 지역

(1987-91) 과 연계되었된 CCC의 사업은 문화행정가의 자질향상이 지역문화발

전의 원동력이며, 나아가 전유럽의 통합적인 교육의 시발점이라는 점에 기초

하였다. 따라서 이 분야의 실질적인 훈련사업 및 교육효율성 증진을 위한 사

업에 많은 재원이 투여되었다. 이러한 프로젝트 10의 결과로 유럽문화행정학

위제도 (European Diploma in Cultural Management)가 신설되었고, 1988년 "유럽

문화행정 훈련센타 네트워크(European Network of Cultural Administration

Training Centres)가 발족되었다.

문화협력위원회는 1992년 문화행정가 훈련사업 지침서를 발표하면서 앞으로

범유럽적인 예술문화행정가의 교육을 추진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오늘날 경제와 문화는 더욱 밀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문화발전의 저

해요인 또한 국제화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행정가들은 문화사업의 목적과 특

수성을 망각하지 않은 채 주어진 경제 여건 속에서 더욱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경쟁력을 함양하여야 한다.

복합문화의 유럽사회는 모든 문화사업을 전개하는데 지역·지방·국가 및

국제적인 문화정책상의 새로운 이해, 통합된 지적 접근방법을 요구한다. 문화

사업이 많아질수록 문화발전요원들의 전문성이 가일층 고도화되어야 할 필요

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전 유럽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행정 교육사업이 1992년

- 86 -

Page 10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부터 개시되게 된 것이다.

(5) 유럽공동체 (Europea n Community)의 노력

유럽공동체는 유럽의 다른 기관과 비교해볼 때, 최근에 들어서야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을 쏟고 있다. 1985년 도미니크 레로이(Dominique Leroy)는 유럽공동

체 가입국을 대상으로 예술행정가 훈련현황에 대한 종합보고서를 작성, 이를

EC에 제출한 바 있다. 에라스무스(ERASMUS)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 사업

을 위해 EC는 일정기간 동안 학생들이 타국가에서 예술행정학을 수학할 수

있는 학생 교환계획을 실시하고 이를 위한 장학금을 수여해오고 있다. 그러나

유럽공동체가 이 분야에 본격적인 사업을 수행한 때는 1987년으로, 동년 3월

피렌체 유럽대학에서 개최된 유럽의 변화 : 문화적 도전 에 관한 지역회의

(Conference on Europe in Transformation : the Cultural Challenge)가 계기가 되

었다. 이 회의에서 유럽의 문화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문화지도자들의 역

할이 강조되었다. 이 회의 이후, 유럽공동체는 비록 시청각 부문과 번역 및 문

화재 보존사업에 주안점을 둔 사업지원을 개시하였지만, 문화사업에 대한 직

업훈련에 대해 점차 많은 비중을 두기 시작했다.

유럽공동체는 통일된 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회원국

가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비회원국가와 회원국가간의 상호교류를 향상시키는

촉매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5) 단기 교육 프로그램 및 자 격증 제도

문화분야의 관리자들은 때때로 실제적이고 특수한 교육에 대한 기대를 많이

가지게 마련이다. 현재의 문제에 대한 실무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

을 투여하고 있다. 장기적인 해결이 합리적임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해결책

에 만족하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예술관리자들의 임기는 짧기 때문에 전

문성을 함양한 직원을 고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점이 사실이다. 또한 예술기관

경영자들이 장기간에 걸쳐 직장을 떠나 훈련을 받을 수 없다는 점도 간과될

- 87 -

Page 10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수 없는 제약조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6개월 기간동안 실무중심의 유동적이고

연합학문적이며 자기 스스로 학습내용을 교정하는 학습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기관이 리스본에 있는 오에이라스 국립행정원(Institute of

National Administration in Oeiras)이다.

현재 고안되고 있는 여러 교육방법은 단기간에 걸쳐 특수훈련을 실시하는

방법, 그리고 원거리 학습,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등을 활용한 정기적인 세미

나, 교육기간 사이를 지속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 등이 다양

하게 활용되고 있다. 수강생들에게 일정한 자격을 공인하는 수료증을 발급해

주는 단기과정의 교육프로그램도 개발되고 있는데, 이는 문화분야의 행정가들

이 직면한 문제를 해갈하는 하나의 좋은 묘책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교육생들을 예술기관에서 일정 기간동안 실습을 거치게 함으로

써 행정교육을 실무교육과 통합시키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일부 대학교와

전문대학들은 학생들이 해당분야에서의 관행 혹은 실제상황을 정확하게 인식

시키는 교육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영국의 라체스터 공과대학이 대표적인 교

육기관이다. 이 제도는 학생으로 하여금 실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동시에 예술기관들은 학생들의 이론을 회의 및 워크샵을 통해 반영

하는 등 양측 모두에게 매우 이로운 제도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이 정규과정에만 적용될 이유가 없다. 유럽 전역에 걸쳐 각국의

문화성, 예술위원회, 극단, 오케스트라, 박물관 및 미술관등 중요 문화단체에

근무하고 있는 문화종사자를 위한 체계적인 실무교육 혹은 파견근무 등의 방

안이 더욱 장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은 3주에서 길게는 3개월에 걸쳐 실

시될 수 있으며 최근 교육정책에서 강조되고 있는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과 연계될 수 있다. 만약 이 제도가 유럽 각 국가에서 전반적으로 채택된다면

예술문화종사자들이 직면한 여러 문제에 관한 해결책, 그리고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방안의 강구가 매우 용이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접국

가의 예술종사자와의 협력의 중요성 그리고 유럽적인 이상으로의 접근이 가능

하리라고 믿고 있다.

유럽지역에서의 예술행정 교육의 확산은 몇 가지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

선 첫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위기감의 문제로 특히 프랑스에서 두드러진

- 88 -

Page 10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현상인데 대체적으로 교육기관들이 그들의 예술 수요보다 더 많은 문화행정요

원과 예술경영자들을 교육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교육기관에서 실시되

고 있는 교육의 질적인 문제, 그리고 현 상황과의 관련성에 대한 우려의 소

리가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차원 혹은 지역차원에서 훈련의 내용을 감독하고 일정한 교육수

준을 유지하기 위한 감독기관의 설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영국은 이미 이를

위한 감독기관을 설치하고 있는데, 예술 및 연예 훈련위원회(Arts and

Entertainment Training Council; AETC)가 이 역할을 맡고 있다. 이 기관은 영국

내의 예술 및 연예 공·사단체(고용자, 노조, 훈련기관 등)들과 함께 교육훈련

과 고용에 관한 종합적인 대변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관리인·기술요

원·공연예술가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훈련을 발전시키는 촉매기관

이다. 예술 및 연예훈련 위원회는 훈련의 기준을 설정하고, 국내의 기존 직업

고용 자격을 조사, 이를 훈련계획에 반영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술 및 연예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의 고급화를 촉진하

고 있는 것이다.

AETC와 같은 기관을 소위 산업지도기관(industry-lead body)이라고 하는데,

영국에는 이와 유사한 기관들이 각 산업군마다 설치되어 직업훈련의 기준을

강화하는 정부의 시책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한 보다 전문화된 연구를 위

해 1989년 리버풀에 실무예술기구(Practical Arts)를 창설하였다. 이밖에 박물관

분야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부여받은 기관이 있는데 그 기관이 바로 전 영국

의 박물관요원 교육을 관장하는 박물관 훈련기구(Museum Training Institute)이

다.

6) 유럽의 문화행정 교 육 프로그램 비교 분석

유럽 전체에서 보면 15개국에서 문화예술행정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교육의 내용, 대상, 교육기관들을 살펴보면 문화예술행정 교육제도는 나라마다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내용을 구분해 보면 대체적

으로 다음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89 -

Page 10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① 기존 대학에 예술행정학 과목을 실시토록 조정한 형태

② 예술대학 혹은 전문대학(Hochschule)과 같은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에 행정

학 이론을 접목시키는 형태

③ 예술행정의 교육과 훈련을 위한 별도의 독립기관을 조직하는 형태

예술분야의 특수교육은 상이한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욕구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르기 마련이다.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이 다양한 문화예술기관 종사자들의

관점에 따라 상이하듯이 이들의 전문성과 사회적 지위 또한 커다란 격차를 나

타내고 있다. 예컨대 지방의 예술행정가들은 국가가 운영하고 있는 국립극장

의 경영자 또는 대형 시립박물관의 학예연구원과 동일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부여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미 전문적인 업무수행을 진행중인 행정가들이

요구하는 교육내용과 앞으로 예술기관에 입문하여 전문가로 성장하기 원하는

신규직원이 바라는 교육의 내용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이

유로 예술행정 및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할 필

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유럽국가들은 유럽 전역에 걸친 공동감독기구를 통해 어떤 일정

한 기준의 훈련원칙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꼭 성취되어야 할 필

요성이 있는 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장기적인 기구의 창설은

일견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보인다. 즉 공인된 학력기준은 유럽지역내 예술행

정 및 관리분야의 인력유동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럽의 통일된 교육기준을 마련한다는 것은 결코 쉽게 보이지 않는

다. 왜냐하면 각 국가들은 상이한 법률 및 행정체계를 갖고 있고, 역사 및 문

화적 이질감이 존재하고 있으며, 교육과 훈련의 체제 또한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유럽국가들은 통일교육안이 입안된다면, 이 제도는 우선적으로

유럽전역에 통용될 수 있는 교육내용에 기초해야 하며, 각 국가, 지역 및 지방

단위에서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훈련프로그램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대원

칙을 고수하고 있다. 그리고 유럽 통합교육훈련과정의 질적 분석 및 평가는

유럽문화행정 훈련센타네트워크(European Network of Cultural Administration

Training Centers) 혹은 유럽공동체가 책임져야 하며, 또한 예술분야의 직업훈련

- 90 -

Page 10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을 위해 창설된 유럽예술연구소연합회(European League of Institutes of the

Arts)가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유럽 각국의 문화행정 교육 프로그램을 기초교육과 전문교육

및 재교육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여 보자.

(1) 기초교육 과정

기초교육은 대학의 학부수준의 과정으로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 관련 학과

에 실시하는 것과, 예술분야와 행정분야를 혼합하여 편성하는 것, 예술대학의

예술교육에 문화행정 관련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별도 학과에서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는 예술경영과 문화행정 분야의

학사자격증을 받을 수 있는 과정으로 폭넓은 과목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법

률, 경제, 행정학 과목과 함께 예술분야의 인접과목, 역사 및 미학과목이 추가

되며, 영국과 노르웨이가 대표적인 국가이다.

둘째, 문화전반에 관한 기초교육 차원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문화예술 및 일

반 행정학간의 혼성된 커리큘럼을 편성하는 경우이다. 즉 예술사학, 문학, 음

악, 영화, 연극, 무용, 미학 혹은 인류학 등을 예술행정 프로그램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네덜란드가 대표적인 국가이다.

셋째, 예술교육과 관련된 전문대학 및 종합대학에서의 기초 교육으로 실시

하는 것으로, 미술, 공예, 연극, 음악 및 무용을 교육시키는 많은 전문대학과

대학교에서 일반교과 편성에 문화예술행정과 관련된 과목을 포함하여 교육하

는 것이다. 여기에는 상법, 행정학, 저작권, 노무관리, 마케팅, 계약론 등이 주

요 프로그램으로 실시된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학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네

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등이 대표적인 국가이다.

(2) 전문교육 과정

첫째, 문화행정 및 예술행정을 위한 별도의 대학원 과정이 있는 경우이다.

이 과정은 대개 1년 단위의 풀타임 과정 혹은 2년 단위의 파트 타임제의 대학

원 과정으로 석사학위를 수여한다. 이것은 주로 문화예술기관의 종사자나 실

- 91 -

Page 10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무 행정가들을 위한 재교육 과정으로 개설되고 있다. 그러나 행정이나 경영학

과목 뿐 아니라 문화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과목들도 프로그램으로 포

함되어 있다. 이런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국가들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

드, 스페인, 이탈리아 등이다.

둘째, 일반 대학원 행정학과에 문화행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과정의 프로그램은 전문적인 문화행정학과와 유사하지만, 보다

고급화되고 전문화된 행정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과정은 주로 전문 행정

교육기관이나 경영대학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영국, 프랑스가 대표적인 국가

이다.

(3) 재교육 과정

이 교육과정은 이미 문화예술기관에서 실무를 맡고 있는 종사자들을 위해

단기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 과정은 새롭게 제정된 법령이나 행정기법 등

교육의 필요성과 주제가 보다 명료한 점이 특색이다. 일반대학, 전문교육기관,

민간단체 뿐 아니라 예술기관에서 이러한 형태의 과정을 개설하고 있으며, 유

럽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런 교육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노르딕국가

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문화기관 관리자들은 이런 재교육 과정이 전문적이고

학문적인 교육보다 문화예술기관 경영에 더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5.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술행정학의 필요성 그리고 전문성은 각 국가의

문화적 배경과 문화정책의 목표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한 예로,

영국 및 미국 등 앵글로 아메리카의 전통을 유지해 오고 있는 국가들의 예술

행정학에 대한 인식과 유럽대륙의 인식간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어 오고 있다.

비록, 최근 들어 유럽대륙 국가들도 문화행정을 경영(business)으로, 그리고 사

회적 가치를 중시하기 보다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보이고 있지만,

- 92 -

Page 10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여전히 유럽대륙 국가들은 그들의 전통을 중시하는 속성을 지속해 오고 있다.

유럽내에서도 예술행정에 관한 각국의 차이가 뚜렷하게 다르다.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노르딕국가,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그리이스가 갖고 있는 개념

과 관점은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점은 각국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예술

행정학 교육제도의 차이, 즉 예술행정 교육의 내용, 대상, 교육의 기관 등을

살펴보면 쉽게 얻어질 수 있는 결론이다. 비록 유럽지역이 새로운 행정전문

주의 (new managerial professionalism)를 추구하고 있지만 이 새로운 경향에 대

한 통일된 관점을 이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문화행정과 예술경영 등에 관한 교육개념 조차 제대로 확립되지 않

은 우리나라에서 문화행정 등에 관한 전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리나

라 문화예술 환경을 보다 면밀히 조사하고,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일반 교육제도와의 연

계선상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 우리나라가 표방하고 있는 문화정

책의 목표, 장기 발전계획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화예술 전문

인력 교육은 문화정책의 목표에 따라 결정되기도 하지만 문화정책의 수립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교육이 정책목표를 선도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은 예술경영의 기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이것은 문화예술활동을 정부 주도라기 보다는 민간의 자

율적 운영 원리에 일임하고 있는 미국의 특성을 잘 나타낸다. 미국은 넓은 의

미에서의 문화행정에 대한 교육은 미비하고 개별 예술단체나 시설을 운영·관

리하는 예술경영 교육이 발달해 있다. 정부가 예술활동의 지원을 위해 마련하

는 제도적 틀 및 정책에 대한 이해를 위해 편성된 과목들도 결국은 보다 효율

적인 예술단체 및 시설의 운영을 위해 도구적으로 이용될 뿐이지 정부의 정책

자체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나은 정책적 대안을 찾아내는

데에 있지는 않다.

그러므로 정책 형성이나 집행에 있어서 정부 주도적인 틀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 비추어 볼 때, 미국의 교육형태가 전적으로 적합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화행정의 전반적인 틀보다는 각종 비영리 예술단체나 시설

- 93 -

Page 10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등에서 운용되는 예술행정의 원리와 예술경영 기법 등의 세부적인 교과내용과

영리적 성격을 띤 문화산업(음반산업, 영상산업 등)의 경영전략에 대한 교육내

용을 참고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

화예술 분야에 경영기법의 도입이 활발히 논의되고, 이것이 최선의 방책인 것

처럼 간주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중요성 못지 않게 문화예술의 기본적인 목

표와 성격을 잊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즉, 문화정책이 시장주도형이고

민간의 자발적 또는 상업적인 재원조달에 의존하고 있는 영미권과는 달리, 아

직도 우리나라의 경우 재원의 대부분을 공공재원에 의존하고 있고, 문화예술

의 상업성 보다는 예술성과 공공성에 강조를 두고 있으므로 문화예술행정 교

육 목표에 균형을 고려하여야 한다. 아직도 유럽지역의 경우 상업적 예술경영

측면 보다는 문화발전 및 국민 문화생활의 향상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는 사

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문화의 지방분권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방자치제

의 실시에 따라 문화의 지방분권화가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생활의 지역

화, 지역문화의 발전을 위해서 각 지역에 적합하고, 지역에서 요구하는 문화행

정 전문인력 양성에도 특별히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국의 예술행정 및 예술경영 프로그램은 모듈시스템이라는 독특한 학사운

영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이수해야 할 과목의 수가 적어지는

대신, 하나의 과목이 다루는 주제가 보다 광의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과목이

정한 주제 안에서 그와 관련이 있는 여러 문제들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악하

기가 용이해 진다. 이것은 특정한 운영기술(management technique)의 습득을 위

해 세분화된 교과목을 다수 제공하는 미국과는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과목의 구성이 문화정책 연구(policy framework)를 수행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되어 있는 점과 문화예술행정 및 정책연구에 있어 필요한 문화이론

에 대한 교육이 빠지지 않고 있다는 점 역시 영국교육의 특징이다. 영국과 프

랑스를 포함한 유럽의 문화예술행정교육에는 또한 에라스무스 제도(Erasmus

Scheme)라는 것이 있어서 유럽 공동체 내의 어떤 국가의 문화행정과 정책이라

도 실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도를 바탕으로 Warwick 대학에서는

유럽공동체 내에서도 문화정책 및 문화행정제도의 특성이 비슷한 국가끼리 비

- 94 -

Page 10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교분석을 하는 과목을 개설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어떤 점들에 있어서는 점들에 있어서는 미국의 프로그램들과 상당히

유사하다. 특히 시티대학의 경우는 미국과 가장 유사한 교과편성을 취하고 있

는 학교로서 교육의 강조점도 매우 유사하다. 특히 시티대학은 여타 영국 대

학원들과는 달리 문화이론이나 한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 등을 논의하는 과목

들이 미약한 편이다. 또한 예술경영 각론의 교과목들, 예를 들어 박물관 미술

관 경영의 교과목들에서 볼 수 있듯이 예술활동 그 자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예술활동이 보다 활발하고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행정적 틀을 잘 조직하고 운영해 낼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도록

교과목이 짜여져 있다는 점도 들 수 있다. 이것은 교육의 목적이 궁극적으로

유능한 박물관 및 미술관 행정가를 양성하는 데에 있는 것이지 유능한 큐레이

터를 양성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물론 큐레이터가 이러한 교육

을 받아 행정능력이 향상될 수도 있지만 미술사 교육 위주인 큐레이터 양성과

미술행정가 양성을 위한 교육은 내용에 있어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미국, 영국, 그리고 프랑스의 이 분야에 있어서의 교육제도는 각 국가가 정

책대상으로서의 문화예술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다르다. 우리나라는 현재로

서는 프랑스가 취하고 있는 국가의 문화예술관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보이지

만 프랑스 내부에서도 급변하는 환경에 부응하여 문화예술 부문을 어떻게 운

영해 나가야 할 지에 대한 여러 목소리들이 있기 때문에 섣불리 우리의 모범

으로 삼아서도 안 될 것이다. 국가별 구분을 막론하고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교육의 공통적 특징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당해 과정은 대부분이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고 기능적인 교육을 주로

하기 때문에 석사학위 취득을 기준으로 한 2년의 기간으로 한정된 경우가 많

다. 보다 학구적인 관점에서 공부하려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프랑스의 DESS

과정이나 미국의 Joint-study에 의한(행정학, 경영학, 예술이론, 교육학 등과의 -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은 아직까지 독립분과 학문으로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

에 위의 분야에 소속을 두고서 세부전공으로나 박사학위가 가능하다) 박사과

정 등이 적합하다.

둘째, 앞서 살펴본 각국의 교육과정들은 모두 일정한 실습기간을 통한 지식

- 95 -

Page 11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의 응용능력과 현상의 파악능력을 중요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각 학교들은 전

공 관련기관에서의 인턴제(Internship) 수행 기간을 필수학점의 한 영역으로 인

정하고 있다.

아직까지 체계적인 교육이 정립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광범위한 교과편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관에서 이 분야의 교

육과정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미국 및 유럽 대부분의 국가의 경우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에서 실무교육

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전문적인 교육 못지 않게 실무자를 위한 재교육도 매

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교육 이수자를 위한 자격증(수료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에서 지금까지

논의되어 왔으나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자격증 제도의 시행을 교육제도와 연

계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 96 -

Page 11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Ⅳ . 문 화 행정 전 문인 력 양 성방 안

1.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방안

1) 문화행정직의 전 문화

문화행정의 전문화 요구는 이제는 필연적인 것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도 사회 각 분야에 민간의 자율성이 강조되는 시장경제의 원리가 확산되면

서 문화분야에서도 문화행정의 전문화를 통한 문화예술기관의 자율경영이 확

산되고 있다. 문화예술기관의 자율경영은 시장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화예술 분야의 부족한 재원의 상당부분을 공공보조금 이외의

자체수입이나 기부금 등을 확대하여 충당하여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

한 공공보조금의 확대를 위해서는 문화예술기관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는 것을 입증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경향은 미국이나 유럽국가에서는 1980

년대 이후 나타났으며, 심각한 경제위기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 이

문제는 더욱 절실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즉,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공공보조

금은 보조금을 받는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평가 없이 부족한 부분을 보상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지만, 우리나라 사회 각 분야에서 정부의 지원을 위한 자구

노력의 선행이 요구되고 있는 것처럼, 문화예술 분야도 더 이상 이런 경쟁력

강화 요구에서 안전지대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지금까지와는 달

리 부족한 재원을 거의 전액 보상해 주는 것에서 벗어나 단지 일정 부분만을

보조해 주고, 나머지 부족한 부분은 해당 문화예술기관 스스로 재원을 확보해

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29) 이것은 우리나라 문화예술 지원금의 상당부분을

사용하고 있는 공공 문화예술단체는 물론 공공보조금의 지원이 부족한 민간

29) 기획예산위원회에서는 99년도 정부예산 편성시 문화예술기관의 구조조정 및 예산의 감축

을 포함하여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중앙극장,

정부간행물제작, 영상 제작 등 10개 분야에 대한 외부자원 활용(민간위탁) 방침을 발표하고

많은 논란 속에서도 이를 강력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 97 -

Page 11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문화예술단체에서는 생존을 위한 전문성 강화가 더욱 요청되고 있음을 뜻한

다.

이런 추세는 공공 문화예술기관은 비전문적인 일반행정가, 민간 문화예술단

체는 예술가들이 주로 경영을 책임져 왔던 것을 탈피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능

력을 가진 전문 문화행정가 또는 예술경영자에 대한 수요를 일반화할 것이다.

이런 문화예술단체의 추세는 문화정책을 기획, 조정하고 이를 집행하는 정

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 공무원들의 전문화를 더욱 요구할 것이다. 문

화행정 공무원들은 변화하는 사회에서 국민들의 문화예술 욕구를 정확히 파악

하고, 이를 충족하기 위한 정책을 기획하며, 특히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지원의

조정업무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현상 및 본질에 대한 폭넓은 이

해, 미적 감수성, 일반적인 행정기법과 능력, 문화예술의 특성을 결합한 행정

지식과 능력 등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일반 순환보직 형태로 임명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

공무원과 일반 공무원 채용제도를 통해서 임용되고 있는 중앙정부의 문화행정

공무원 임용제도로는 문화행정 전문성 강화를 담보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문

화행정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문화행정 직렬을 신설하는 방안이다. 이것은 전문성을 갖춘 자들을 임

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위한 전문교육의 강화와 확산, 이를 지망

하는 예비 문화행정가의 확대 등 파급효과가 많아 가장 최선의 방안이 될 수

는 있지만, 시행과정에서 많은 장애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제2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문화행정 공무원수는 결코 적은 수는 아니지만,

전체 공무원수에 비해서는 매우 적은 규모이며, 문화행정직렬을 신설하는 것

은 다른 분야의 직렬신설 등과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그 실현가능성이

높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첫째, 직렬

의 신설로 인한 승진의 제한에 대한 불이익 우려, 둘째, 1∼2개과에 장기간 고

정배치되어 근무하는 것에 대한 반발, 셋째, 기존 공무원들에 대한 조치 등의

어려움으로 해당 공무원들의 반발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안은 장기적

인 차원에서 공무원 제도 전반에 대한 개편시 검토하여 추진하여야 할 문제일

것이다.

- 98 -

Page 11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그렇다면 중·단기적인 차원에서 문화행정 공무원들의 전문성을 강화할 방

안이 요청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행정 부서에 신규 임용된 공무원들과 임용

된 지 일정기간이 경과한 공무원들은 지정된 교육기관에서의 교육을 의무화하

여야 한다. 즉, 공무원 신규채용, 문화행정부서 신규임용, 승진자, 5년 이내에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자 등으로 분류하여 전문 문화행정 연수교육기관으

로 지정된 기관에서의 연수교육을 의무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관

광부 차원에서 5천명 수준으로 파악되는 전국의 문화행정 공무원들을 대상으

로 한 연차적 교육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공무원의 교육은 각

종 단위의 공무원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전문성을 위해서는 이것이 바

람직한 측면도 있지만, 현재 정부에서 공무원 교육원을 통합하거나 외부 위탁

교육을 강화하는 추세에서 문화행정 분야에 대한 별도의 공무원교육원 설립은

불가능하며, 통합된 공무원교육원에서의 교육은 제2장에서 살펴본 바와 전문

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안은 아니다. 따라서 외부의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교

육을 시행하는 것이 전문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안이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 문화행정 분야에서는 한국문화정책개발원과 문예진흥원이 각각

문화행정 공무원 연수교육기관으로 지정을 받아 1년에 약 2백명 정도를 교육

하고 있는데, 이런 수준으로는 교육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더욱 확

대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공공 문화예술기관에 대해서는 문화행정 공무원 교육제도에 따른 교육제도

뿐 아니라 전문교육을 수료한 이들을 일정비율 의무적으로 채용하도록 의무화

하여야 한다. 이것은 교육기관 설립 및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에 맞추어 연차

적으로 그 비율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여야 한다.

문화행정가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제도 정착을 위해서는 유럽 국가들

에서 시행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교육기관에서 일종의 자격증에 준할 수 있는

수료증을 발급하고 — 현재의 형식적인 수료증 대신 —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

하는 제도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즉, 수료증이 자격 또는 직업능력을 인정

하는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정부의 문화행정직 전문화 제도는 문화행정의 전문화를 통한 문화예술의 경

쟁력 강화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화를 위해서는 교육이 필수적

- 99 -

Page 11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으로 요청되는데 교육은 그 사회적 수요가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의 문화행정직 전문화 제도는 전문교육의 강화의 확대, 문화행정가에 대

한 인식과 수요의 확대, 문화행정의 전문화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2) 전문 교육기관의 설 립

(1) 전문 교육기관 설립의 필요성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서는 단기적인 교육과 재교육 프로그램 등

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정규과정의 전문교육기관이 신설되어 전문가를 양

성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분야의 전문교육을

하고 있는 학교는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의 문화예술학과와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의 예술경영 전공이 있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육

프로그램이 다른 학과 및 전공과 혼합 편성되어 있어 전문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과정도 강도가 약한 편이어서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행정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서는 각종 문화예술기관에서 중추

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도자 양성교육으로 수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

를 위해서는 별도의 전문교육기관 설립이 절실히 필요하다. 즉, 문화행정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문화행정 관련분야를 모두 포함한 독립적인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여야 한다. 독립적인 전문교육기관의 설립 필요성과 효과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화행정의 전문화로 인하여 전문가의 역할과 수요가 증대하는데, 기

존의 교육제도로는 이를 충족할 수가 없고 별도의 체계적인 전문교육 프로그

램이 필요하다.

둘째, 국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제고에 따라 문화시설과 프로그램 개

발 제공 등 문화복지 확충이 정부정책에서 차지하는 우선순위가 높아지게 되

는 바, 이는 문화행정을 담당할 전문인력의 수요 증대 뿐 아니라 문화행정 전

문가에 대한 인식과 대우가 높아지게 할 것이므로 이를 지망하는 수요도 증가

- 100 -

Page 11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할 것이다.

셋째, 문화행정은 전문적일 뿐 아니라 또한 문화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필요로 하므로 일반대학의 일반학과 뿐 아니라 문화행정에 관한 세분화된 교

육프로그램으로는 효과를 거둘 수 없고, 문화행정 각 분야를 연계하면서 전문

성을 살린 교육을 할 수 있는 독립적인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의 수요와 필요성은 사회의 전문가와 전문교육 수요에 부응하기

도 하지만, 전문교육기관 설립을 통하여 전문가를 양성 배출하는 것은 반대로

전문가의 역할 증대와 이로 인한 문화행정의 전문화 강화 및 전문교육의 수요

증대 창출의 효과를 가져온다. 일정 수준의 전문가 집단이 형성되면, 일반적으

로 전문가들은 스스로 그 역할을 창출하고 이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런 경향은 문화행정 전문가들에게도 적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행정

가에 대한 낮은 인식과 대우는 지금까지 문화행정가들이 전문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여 전문가로서 인정을 받지 못한 것도 한 원인이기 때문이다.

(2) 전문 교육기관 설립의 방향

문화행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독립적인 교육기관은 우리나라의 교육

제도 및 외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학부 수준이 아닌 대학원 수준으로 설립하여

야 한다. 즉, 대학원 수준의 가칭 한국문화정책대학원 을 설립하여야 한다.

대학의 학부는 우리나라의 교육체계나 교육목표상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보

다는 고등 교양교육 기관의 성격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추세는 현재

교육부와 각 대학교가 대학원 중심대학으로 전환을 표방하면서 대학의 학부는

소양 교육, 대학원은 전문가(학술 포함)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정착하기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데서도 잘 나타난다. 더구나 정부에서는 전문가의 양성

과 이런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교육법을 개정하고 전문대학원 설립을 용

이하게 하도록 하였다.30)

30) 전문대학원 설립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1995년 12월 29일 개정된 교육법에 의하여 학부 없

는 대학원(대학원 대학) 설립이 가능하게 되었다 : 교육법 제 109조 의 3(대학원 대학) 특정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에는 제 109조2(대학의 과정)의 규정

에도 불구하고 학사 학위 과정을 두지 아니하고 대학원만 두는 대학을 설립할 수 있다.

- 101 -

Page 11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문화행정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학부 수준에서 문화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감수성 교육을 받은 일정 수준 이상을 대상으로 한 전문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전문 교육기관 설립의 주체에 대한 것이다. 미국의 경

우에는 일반대학교에서 별도의 전문대학원을 설립하거나 경영·행정대학원의

전문프로그램으로 교육을 하는 경우가 많고, 유럽의 경우에는 전문 연구기관

이나 이와 연계한 독립 교육기관 체계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문대

학원은 그 취지나 교육 효과상 일반대학교가 아닌 전문 연구기관에서 설립하

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것은 전문대학원이 학술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일반

대학교의 대학원과는 달리 실무에서 종사하는 전문가 양성을 주요 목표로 하

고 있으므로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기관의 전문영역 및 인력과 연

계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문화정책대학원의 설립과 운영은 문화관련 전문기관이 주체가 되어

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문화관련 전문기관으로는 문예진흥원, 한국예술종합학

교 및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이 있다.

문예진흥원은 법정기관으로서 재원이 풍부하고, 기존에 문화행정분야의 연

수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어 형식상 설립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과

기존의 단기 교육과정 및 예술분야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문예진흥원의 주요목적이 문화예술의 창작과 보급 지원이므로, 교육기

관의 설립은 문예진흥원의 주요목적에서 다소 벗어나고 또한 목표에 미달하고

있는 문예진흥기금 적립금을 사용하게 되어 예술지원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

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점은 문예진흥원 자체 내에 이런 교육기

관을 운영할 전문인력과 프로그램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문대학원 설립의 효과

가 반감된다는 것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예술분야의 전문교육기관으로서 예술전문사(석사)과정

또한 대학 설립 운영규정(대통령령)의 시설기준도 다음과 같이 완화하였다.

- 학생 1인당 12평방미터의 교사와 교육기본시설이 필요

- 대학원 대학의 경우는 이 기준의 70% 수준에서 허용

- 교사와 교지는 학교(재단) 소유이어야 하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우 공공건물을 임차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이를 인정

- 102 -

Page 11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문화행정 분야 전공의 전문사 과정을 추가로 설치하

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비용도 상대적으로 가장 적게 소요된다는 것

과, 한국예술종합학교측에서는 실기중심의 학부 및 예술전문사과정과 이론중

심의 문화정책대학원이 상호 균형을 유지하여 예술종합학교의 위상제고 및 문

화예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예술종합학교는 설립취

지가 실기중심의 우수예술가 양성을 위한 것이고, 프로그램도 여기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문화행정 전공을 추가하는 것은 당초의 설립취지를 훼손하여

예술종합학교의 특성과 장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대학교에

문화행정 전공을 설립하는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게 되고, 예술종합학교도

실기중심의 우수예술가 양성이 아닌 예술분야의 종합대학교로 전락할 위험성

이 있는 것이다.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은 문화정책 분야의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문화정책개발

원에서 문화정책대학원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것은 전문대학원 설립을 촉진하

한 정부의 취지에도 부합되며,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문화정책 연구기능과 교육기능을 연계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

력을 양성할 수 있고, 문화정책개발원의 박사급 연구원을 교수진으로 활용한

현장중심, 실무중심의 교육 뿐 아니라 다양한 전공의 교수진 구성이 가능하므

로 비교적 비용도 적게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문화정책개발원 차원에서는 정

책연구와 학문간의 연계 및 연구에 필요한 인력의 확보가 용이하며, 학생들은

문화정책개발원의 연구에 참여하는 현장실습 교육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문화정책개발원은 전문대학원 설립을 위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는

법정기관이 아니며,31) 설립에 필요로 하는 예산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외에도 민간 차원에서 별도의 독립적인 기관으로 설립하는 것도 가정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문화정책대학원을 순수 민간차원에서 설립하는 것은 불

가능하므로 논의에서 제외하기로 한다. 또한 일반 종합대학교에 설치되는 전

31) 전문대학원의 설립주체가 반드시 법정기관일 필요는 없으나, 관련 규정에서는 법정기관에게

는 설립이 용이하도록 예외규정 또는 기준을 완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디자인포장개

발원이 최초로 전문대학원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고, 97년에는 23개 기관이 설립을 신청

하였다.

- 103 -

Page 11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문경영대학원 또는 전문행정대학원에 문화행정/예술경영 과정을 설치하는 방

안이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제5장에서 별도로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화정책대학원은 문화정책개발원에서 주체가 되

어 설립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현재 여건상 추진이 어려우므로, 문화정책

개발원을 주로 하되 문화관련 기관이 연합하여 독립적인 교육기관으로 설립하

는 것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런 방안은 관련기관의 협의만 가능하면, 설

립이 비교적 용이할 뿐더러 각 전공분야의 학생들이 특성에 맞게 현장교육을

할 수 있고, 관련기관에서도 그들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반영하고, 필요로

하는 인력양성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운영방향

문화정책대학원의 운영과 프로그램은 별도의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

연구의 목적에서도 벗어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기본적인 방향만을 제시하

기로 한다.

먼저 교육의 기본 목표로는 미적 감수성과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 및 문

화행정 전문지식을 지닌 지도자 수준의 문화행정 실무전문가 양성에 두어야

한다. 이것은 교육목표를 학술적인 연구자 양성이나 행정지식과 기법만을 가

진 전문가 양성에 두어서는 아니되며, 문화에 대한 소양과 행정지식을 모두

가지고 현장에서 문화행정 및 문화예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

성하는데 두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런 교육목표는 미국보다는 유럽적인 것에

더 가까운 것이다.

전공학과는 문화행정학과 및 예술경영학과를 기본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물

론 세부전공분야는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기본적인 학과 이

외에 문화산업 분야의 전공학과를 설치하는 것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문화행

정에 대한 개념규정에서 문화산업 분야는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의 기능상 유

사함에도 불구하고 문화행정이나 예술경영 개념에 포함하지 않는다고 규정하

였다. 이에 따른다면 문화산업 분야 전공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104 -

Page 11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그러나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의 엄격한 구분이 어려운 것처럼, 예술경영과 문

화산업 경영의 구분도 이제는 그 경계가 모호하게 되고 있는 것이 추세이다.

즉,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공연예술 및 전시회의 경우 이제는 문화산업화가 되

고 있어, 과거처럼 엄격한 구별이 어렵게 되었고, 이런 경향은 점차로 확산될

것이다. 이제 대기업에서도 영화 뿐 아니라 공연예술 및 전시회, 대규모 문화

예술 공간 건립에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 문화예술 행사의 대형화 경향은 바람직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

서 우리나라의 현실여건상 문화산업 분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에서도 문화산업적인 매체경영 분야 전공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이 많이 있다.

즉, 설치학과는 문화행정학과, 예술경영학과, 매체경영학과(문화산업, 대중문화,

매체경영) 등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문화정책대학원은 문화정책개발원에서 주도적으로 설립하는 것을 전제로 할

때, 교수요원은 전임교수와 관련 전문가를 객원교수로 위촉하는 이외에 문화

정책개발원의 연구인력을 겸임교수로 활용할 수 있다.

정규교육과정은 풀 타임 교육으로 하되, 외국에서처럼 현장교육(실습)을 정

규과목으로 채택하여 의무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전문교육의 수준을 높

이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 정규과정을 마친 학생들에게는 교육법에 따라

정규 석사학위 수여하게 되며, 박사과정 설치는 연차적으로 설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영국 및 많은 유럽국가에서처럼 문화정책대학원에는 단기 연수 프로

그램에는 부족함을 가진 문화예술기관 종사자를 위한 파트타임(야간)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파트타임 교육은 문화행정 전문화와 문화행정가 및 예술

경영자의 전문직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새로운 분야의 전문직 정

착에 있어 기존 인력의 처리 문제가 성공의 중요한 변수가 되기 때문이다. 즉,

이것은 기존 인력의 반발을 줄이며, 기존 인력의 재교육에 필수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기존 인력을 대상으로 한 파트타임 교육은 신규 학생에 대한

풀 타임 교육 프로그램과는 차별성을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 파트타임 과

정은 필요할 경 분야별로 프로그램을 달리하여 위탁교육 형식으로 진행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 이외에도 전문분야 및 특정대상으로 구분하여 단기 연수프로그램을 개발

- 105 -

Page 12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하여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단기 연수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별도의 기관이 있

기는 하지만, 교육의 효과와 질 및 지속성 차원에서 전문 교육기관에서 시행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1∼2주 정도 집중 교육 및 6개월 동안의 파트타

임 교육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3) 전문 연수 프로그램 의 강화

이미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존 인력에 대한 재교육은 문화행정의 전문화

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문화행정 전문 교육프로그램으로는 문예진흥원과 한

국문화정책개발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있다. 이 두 기관은

1996년 문화체육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연수교육을 마칠 경우 인사고

과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으로 지정을 받았다.

그러나 현재는 교육대상이 포괄적이고, 교육 프로그램도 개론 위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수교육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

다.

첫째, 연수기관을 확대하여야 한다. 분야별로 전문기관을 연수기관으로 지정

하여, 교육대상을 전문화할 뿐 아니라 연수기회를 확대하고 연수효과를 극대

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예술의전당은 무대기술인력, 국립중앙박물관

은 박물관 경영인력, 국립현대미술관은 미술관 경영인력 등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현재 이들 기관은 문화학교라는 이름으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

고 있으므로, 이와는 별개의 전문인력 연수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문예진흥원과 문화정책개발원의 연수프로그램은 횟

수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대상과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 특화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한

다. 같은 공무원이라도 문화예술기관 근무자와 본부 근무자는 그 요구하는 바

가 각각 다르다. 또한 민간 예술기관, 단체 근무자들도 그 기관의 성격에 따라

요구하는 바가 다르다. 문화의 복합적인 성격과 문화관광부가 문화, 체육, 청

소년, 관광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상호 이해하고 연계할 수 있

는 프로그램도 물론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프로그램은 전체 프로그램에서 일

- 106 -

Page 12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부 프로그램이 되어야 하며, 교육의 효과를 거두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서는 교육대상을 세분화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은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 행정(경영)이론, 실제적인 행정(운

영)기법(사례)으로 구분하되, 실제적인 운영기법에 더욱 비중을 두어야 한다.

단기간의 연수교육에 정부의 주요 문화정책에 대한 소개나 일반 문화행정 이

론에 대한 소개 프로그램을 다수 포함하고, 실제적인 기법은 그중의 일부로서

시행한다면 문화행정의 전문성 강화라는 연수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넷째, 현장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현재 연수 프로그램에서 현장교육은 현

장 견학으로 그치고 있으나, 이를 강화하여 실제적으로 직접 참여하거나, 사례

에 대하여 재구성 형식으로 현장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연수교육 수료자에 대한 수료증은 일종의 자격증 수준으로 격상시

켜야 한다. 즉, 구난구호의 경우 인정 교육기관에서 과정을 이수하고 나면, 자

격증을 수여하는데, 이런 경우처럼 문화행정 분야에서도 지정 교육기관의 수

료증을 문화분야 기관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으로 통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물론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하고, 문화기관에서 일정비율 이상은 교육

이수자를 채용하고 있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와 연계하여야 한다. 이것은 문화

행정가의 이력에 해당 교육기관 수료를 공개적으로 추가하도록 하여, 교육이

수자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는 동시에 교육의 질을 높이는 효과도 가져올 것이

다.

4) 문화행정 교육 및 문화 행정 정보 네트워크 구 축

문화행정 관련 교육기관이 증설되고, 문화행정가의 수요가 많아지면 이들을

면 효과적으로 연계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 네트워크는 신설되는

문화정책대학원에서 주도할 수 있을 것이며, 문화관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화정보망과 연계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이 네트워크는 공공 교육기관

과 일반 대학교의 문화행정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하여야 하며, 다음

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여 문화행정 교육 및 문화행정의 전문화를 더욱 촉진할

것이다.

- 107 -

Page 12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 문화행정 교육기관간의 상호 정보 교류

(2) 문화행정 교육기관간의 교육 프로그램의 공동 개발 연구

(3) 정규 교육기관 사이의 교환 프로그램

(4) 공동 연수 프로그램 개발 운영

(5) 문화행정가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의 제공 및 상호 정보 교류를 위한 통

로 제공

(6) 문화행정의 발전과 전문화를 위한 공동 연구 개발

(7) 외국의 문화행정 네트워크와의 교류 및 세미나 개최

5) 문화예술 전문직 자 격인증제도 3 2)

(1) 자격인증제도 도입 분야

문화예술 전문직 자격인증 제도는 주로 큐레이터 분야와 무대기술 분야에

대해 오래 전부터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문화예술 전문인력 전체

분야에 대하여 자격인증제도를 시행하는 것은 많은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예술 전문인력 분야는 문화행정, 예술경영, 큐레이

터이며, 그 이외에도 공연기획, 무대기술인력, 문화재보수, 출판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문화재보수는 이미 자격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출판, 공연기

획, 문화행정, 예술경영은 자격증 제도를 시행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이

를 계량화하기도 어렵고, 자격증 소지자 채용만을 의무화하기는 현실 여건상

문제점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온 큐

레이터와 무대기술인력에 대한 자격인증제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2) 자격인증제도 시행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큐레이터 및 무대기술 전문인력의 자격인증제도 도입의 필요성은 무엇보다

32) 이 내용은 문화발전연구소(1992), 문화예술 전문기술인 자격인증 제도 연구의 내용을 주로

참고하고, 전문가의 및 연구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 108 -

Page 12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도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인식이 낮고, 해당 분야에

비전문가를 채용하고 있어 전문화를 저해하고 문화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지 못

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자격인증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 전문인력에 대한 인식과 신뢰감이 높아진다. 특히 무대기술

인력은 극히 소수를 제외하고는 공연예술 작품의 공동 창작자가 아닌 보조적

인 역할을 수행하는 자로 인식하고 있다. 미술분야에서도 아직도 큐레이터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이들이 큐레이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자격인증 제

도의 도입은 이들의 전문가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작품의 생산에 적극적

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둘째, 전문인력 자신들의 자긍심과 의욕을 고취시킨다. 지방 공공 문화공간

소속의 무대기술 인력의 경우 많은 이들은 예술작업에 참여한다는 인식이 낮

고, 스스로를 단순 기술인력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즉, 언제든지 다시 일

반 청사의 기술부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대부분 휴일이나 야간작업이 많고

업무가 복잡한 문예회관 보다는 일반 청사로의 전보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자격인증 제도는 이런 순환보직에 따른 전문성 약화를 방지하고 전문가와 예

술인으로서 자신들을 인식하도록 하여 의욕을 고취시킬 것이다.

셋째, 자격인증 제도의 도입은 이에 따른 전문인력의 대우를 개선하여 의욕

을 고취시킬 것이다. 예술의전당 등 소수의 기관을 제외하고는 무대기술인력

은 기능직으로 분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이들에 대한 대우가 매우 열악한 실

정이다. 큐레이터의 경우에도 정식으로 큐레이터를 채용하고 있는 미술관을

제외하고는 대우가 낮은 실정이다. 자격인증 제도가 도입되면 무대기술직은

예능직, 큐레이터는 학예직 등으로 직종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넷째, 우수한 인력의 확보가 가능하다. 인식이 낮고 대우가 열악한데다, 조

명·음향의 경우 예술성과는 무관하게 전기·전자 분야 자격증만을 요구함으

로써 우수한 인력의 확보를 어렵게 하고 있으나, 기술과 예술성을 종합적으로

요구하는 자격인증제도의 도입으로 우수인력의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자격인증 제도의 도입을 이를 위한 교육기관이나 양성기관의 설립

을 활성화하여 전문화를 더욱 촉진할 것이다.

- 109 -

Page 12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여섯째, 자격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문화예술 전문인력이 전문가로서 정착되

면, 그들 스스로 전문기술과 예술성을 개발하여 문화예술의 발전에 기여할 것

이다. 예술작품의 창작과 전시에서 예술가들의 능력 이외에도 무대의 수준이

나 전시회의 기획과 배치 수준이 성공의 주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아

직 우리나라는 이 분야의 수준이 낮은 실정이다.

일곱째, 기존 인력의 재교육과 동기부여를 고취시킬 수 있다.

(2) 자격인증제도 시행의 문제점

그러나 자격인증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자격인증 제

도 도입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다.

첫째, 자격증 제도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실제적인 수요가

있어야 한다. 즉, 그 필요성과 함께 실제로 이를 채용할 기관에서 수요가 있어

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술관 큐레이터 제도에서 나타나듯이 많은 기관에

서 비용부담 증가와 채산성 압박을 이유로 이를 반대하고 있다. 즉, 자격인증

제도의 도입은 이들에 대한 대우의 상승을 가져오므로 영세한 문화예술기관의

재정이 부담을 가져오기 때문에 반대여론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자

격증 소지자의 채용을 의무화하도록 제도화하는 동시에 단기적으로는 보수 인

상분의 일정 부분을 보조하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자격인증 제도의 도입이

작품의 수준을 높여 수입을 증대시킬 것이라는 사실을 기관운영자들에게 인식

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자격인증 제도를 원하는 종사자들이나 지망생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

하고, 기존 인력에 대한 처리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특히 2천

5백명 정도로 추정되는 무대기술직의 경우 이에 대한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

상된다. 이런 경향은 연령이 높을수록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지정기관에서의 일정 연수교육 수료로 대신할 수 있는 경과

조치를 통하여 해소하여야 한다.

셋째, 자격인증 제도를 실시함에 있어, 이를 측정할 방법상의 문제이다. 자

격증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지원자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 110 -

Page 12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일반적으로 자격 평가방법은 시험문제로 능력을 계량화하여 일정한 점수 이상

을 받은 자들에게 자격증을 부여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계량화가 문화예

술 전문직에도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즉, 창조성과 예술성의 계량화 가능성에

대한 방법상의 문제가 제기된다. 실제로 일부 종사자들은 예술성은 계량화가

불가능하다는 이유에, 계량화 자체에 대한 거부감으로 자격인증 제도 도입을

반대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실제로 예술성의 계량화도 어떤

형태로든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과목이나 문화과목에 대한 학점 인정이나 대

학입시 등이 그 좋은 예이다. 국전에서 당선자를 선발하는 것이나 신춘문학작

품에 대하여 당선작을 뽑는 것은 어떤 형태로든 계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예이다. 다시 말해 우리사회에서 창조성이나 예술감이 계량화되어 평가의 수

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격인증을 위한 평가방법

도 계량화가 가능할 것이다.

넷째, 자격인증 제도는 규격화를 요구하여 문화예술 발전에 저해가 된다는

주장이 있다. 즉, 창조성을 규격화하는 폐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

은 실제로 예술분야의 대학입시에서 나타나는 폐단으로서 우리나라 예술수준

의 저해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예술종합학교의 신입생 선발

제도에서 기본자질과 가능성에 비중을 두는 것처럼 이것은 평가방법의 보완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3) 자격인증 제도의 시행방향

자격인증 제도 시행방법에 있어서 검토하여야 할 핵심적인 사항으로는 자격

인증 제도의 주관처, 근거 법령의 제정(개정) 방법 및 시험의 과목과 평가방법

등 세 가지이다.

첫째, 자격인증 제도의 주관처는 해당 협회에서 주관하는 방법과, 별도의 종

합적인 위원회를 구성하는 방법, 기능분야의 자격증 총괄 주관기관인 한국산

업인력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방법 등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해당

협회에서 주관하는 방법은 가장 전문성을 살릴 수 있지만, 전문직종이 형성되

지 않아 협회가 제대로 구성되지 못하고 있고, 있더라도 대표성이나 전문성을

- 111 -

Page 12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인정받지 못하고 있어 공신력 및 시행능력이 의문시되므로 현재로서는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것은 협의만 이루어지면

추진이 쉽고, 공신력을 인정받을 수 있지만,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단점

이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별도의 통합위원회를 구성하여 주관하

도록 하는 것이다.33)

둘째, 근거 법령을 마련하는 방법은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법과 통합법

률인 국가기술자격법을 개정하여 문화예술 분야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국

가기술자격법은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기본법으로서 이를 개정하는 것은 상대

적으로 용이하기는 하나, 우리나라는 해당 법률을 주무부서에서 관장하게 되

어 있어, 문화예술의 특수성과 문화체육부의 정책을 반영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현재 문화재 보수 분야에서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고 있는 등 별도 입

법 사례가 있고,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 입법을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기본법인 국가기술자격법의 기본원칙을 따르도록 하여

야 할 것이다.

셋째, 시험과목과 평가방법은 이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생략하

기로 하고, 큐레이터 분야에 대해서는 제6장에서 방향을 언급하기로 한다.

2. 문화행정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

1) 정규 교육 (학위 )기관 프로그램 개 발방향

대학원 수준의 문화행정 전문 교육기관은 기본적으로 지도자 수준의 교육을

지향하여야 하므로, 이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학부 수준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폭넓은 교양 뿐 아니라 분석, 추론, 의사소통 및 판단 능력을 지니도록 하는

일반적인 교양과목을 충분히 이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초가 없이는

대학원 수준에서의 전문적인 교육은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학문적 기

33) 일본의 경우 무대기술분야는 중앙직업능력개발심의회에 무대기구조정 전문위원회를 설치하

여 주관하도록 하고 있다.

- 112 -

Page 12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초는 개별 예술의 특성 뿐 아니라 복합화되어가는 예술작업의 내용을 잘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적 감수성의 개발을 통하여 예술작업에 주도적으

로 참여하고, 이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기초가 없는 전

문교육은 단지 고급 지식인이나 기술자를 양성하는데에 그치기 때문이다. 대

학원 수준에서의 전문교육이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런 원

칙은 일반학과 졸업자 뿐 아니라 수요에 비해 많아 졸업후 전공을 살리지 못

하는 예술계 졸업생등에게 기본적 문화예술에 대한 소양을 바탕으로 관련 직

종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사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그

러나 제3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국의 교육 프로그램은 해당 국가의 사회

문화적 환경, 교육제도, 문화정책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르므로 외국의 사례를

참조로 하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대학원 수준의 전문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다음

과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정책이 정부주도형과 시장주도형의 혼합적인 성

격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직까지는 정부주도의 비중이 강하다. 따라서 미국

식의 예술경영 위주 보다는 유럽식의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을 혼합한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전문대학원의 취지에 맞게 학술 보다는 직업적인 실무 전문가 양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내용은 개론 수준이 아닌 구체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각 과목의 범위는 응용능력 개발에 초점을 맞

추어 일반론적으로 하되, 교육내용은 구체적인 것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단기 연수 프로그램과의 차별화를 시도하여 지나치게 내용을 특정화

하여 여타 분야에 대한 응용 능력 개발이 어렵도록 해서는 아니된다. 예를들

어 음악행사 기획, 향토축제 기획, 저작권법 등과 같은 과목은 바람직하지 않

다. 이런 내용은 별도의 워크샵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외국의 대부분의 대학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턴제도를 필수과목으로

채택하여야 한다. 이는 학생들이 학내 또는 지역사회 예술단체들과 행사들에

인턴이나 자원봉사자로서 직접 참여하는 경험을 해 보고, 학업과 실천을 통해

- 113 -

Page 12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구체적인 예술형태들과 예술과정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심화하도록 한다.

이러한 인턴과정은 가능한한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기관이 대부분 연간 계획에

의하여 운영되므로 전체적인 내용 파악을 위해서는 2학기 동안 계속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각 교과의 진행은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사례를 연구 분석하도록

하여 현장에 대한 적응력, 문제점 분석 및 대안 개발에 대한 능력을 키우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전체적인 프로그램 뿐 아니라 개별 과목의 내용과 교수방법도 실무

전문가가 참여한 협의체에서 공동으로 개발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것은 전문

교육기관의 프로그램 및 교육내용이 다른 일반대학교나 단기 연수기관에 미치

는 파급효과를 고려한 것이다. 즉, 지금까지 전문 교육기관의 부재에 따른 교

수진의 부족으로 이 분야에 대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되지 않은 상태

에서 이를 교수 개인에게 전적으로 맡겨서는 효과적인 교육을 할 수 없는 것

이다.

일곱째, 각 학과별 프로그램 이외에 통합 교과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다른

유사 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한다. 이것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

리나라의 문화행정이 혼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통합

교과 편성은 비교적 소규모의 대학원으로서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여덟째, 정규 학과 프로그램 이외에 방학을 이용한 워크샵 등을 의무화하여

야 한다. 이것은 정규학과 프로그램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이나, 수강과목의 한

계로 인한 다른 과목의 수강확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아홉째, 우리나라 일반대학원의 최저 이수학점이 각 3학점(3시간) 총 24학점

으로 되어 있으나, 문화행정대학원은 이를 각 2학점 각 4시간(이론 2, 실습 2)

총 30학점, 또는 각 3학점 각 3시간 총 30학점으로 강화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 학과별 전공필수 및 공통선택과목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

시될 수 있을 것이다. 각 학과의 세부전공은 전공개설 범위에 따라 개발될 것

이므로 여기에서는 포함하지 않았다.

(1) 통합 교과 및 공통과목 : 문화이론, 예술계의 현황 및 구조, 예술행정

- 114 -

Page 12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세미나, 인턴과정, 문화경제론, 문화산업론, 문화예술 단체 조직행정 세

미나

(2) 문화행정학과 : 문화정책 평가세미나, 문화외교론, 개발기획론, 문화복지

론, 문화변동론, 한국의 문화정책, 비교문화정책, 문화관계법, 문화예술단

체 인사행정 세미나

(3) 예술경영학과 : 예술행사 기획 세미나,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 예술 마

케팅 세미나, 문화예술단체의 재정관리 세미나, 기금개발 세미나, 기업과

예술, 소비자행동론, 시장조사 방법론

(4) 매체경영학과 : 대중문화론, 매체경영론, 매체산업론, 대중매체론, 뉴미디

어론, 매체정책론, 매체미학론, 매체법률론

2) 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 발방안

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

럼 교육대상을 세분화하는 것이다. 문화행정 공무원과 문화예술 공간 종사자,

예술단체 종사자 등은 각각 교육에 대한 기대욕구가 차이가 있다. 단기간에

교육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백화점식의 교육 프로그램을 지양하여야 한

다. 따라서 단기 연수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기관의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대체

적으로 따르되, 단기 프로그램에 적합하도록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로 고려

하여야 한다.

첫째,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교육대상에 대해서는 문화예술에 대

한 이해와 미적 감수성을 높이는 소양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를 위해서는 실제 문화예술 행사의 관람 등 현장 견학기회를 부여하는데서 나

아가, 해당 행사 기획자 및 예술가들과의 대화기회를 통하여 예술에 대한 이

해의 폭을 넓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전체적인 프로그램은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 행정(경영) 이론, 실제적

인 행정(운영)기법(사례)로 구분하되, 실제적인 운영기법에 더욱 비중을 두어야

한다. 단기간의 연수교육에 정부의 주요 문화정책에 대한 소개나 일반 문화행

정 이론에 대한 소개 프로그램을 다수 포함하고, 실제적인 기법은 그중의 일

- 115 -

Page 13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부로서 시행한다면 문화행정의 전문성 강화라는 연수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셋째, 정규 학위교육 프로그램과는 달리 실무기법 프로그램은 특정화된 범

위로 한정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교육기회를 통하여 상호간의 정보 및 경험을 교류하고 협력 모색케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지역문화 발전방안을 강구하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격증을 부여하는 교육은 최소 2주간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2

주간의 계속적인 교육이 어려운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주 2회의 6개월 과정

의 프로그램도 권장할 만하다. 이런 6개월 과정의 프로그램은 문예진흥원 등

의 연수프로그램 보다는 전문교육기관의 단기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더 적합할

것이다.

이런 6개월 과정의 재교육 프로그램중 예술경영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

상하여 보면 다음의 <표 5-1>과 같다. 단기 예술경영 과정의 교육목표는 기존

의 문화관련 종사자들이 문화경영, 문화정책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자신의 현장에 적용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고

이 시대에 맞는 모든 사람을 위한 문화를 창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

시 말해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경영 마인드를 가지고 경제적인 효율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일부 특권층을 위한 문화가 아닌 모든 사람을 위한 문화

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수프로그램은 6개월 단기과정으로 주 2회 강의를 실시하며, 1회

강의시간은 4시간으로 한다. 대상은 문화관련 종사자, 문화정책 관련 공무원을

포함하여 문화와 관련된 실무자들이다.

- 116 -

Page 13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4-1> 예술경영 재교육 과정 프로그램(안)34)

구 분 주 제 강 의 내 용

강의

문화예술

경영일반

예술 경영 개관, 기업발전과 시각예술,

기업의 예술품 수집, 극장과 예술인

문화예술

경영

예술기관의 회계실제, 예술기관의 경영재무.

예술경영의 자금관리, 인적자원관리, 미디어 경영

예술경영

기획

예술경영자를 위한 경영정책과 기획

예술과 마케팅 전략,

전시회 설계

문화행정

공연예술에서 예술·경영에 대한 의사결정

예술경영의 법적 기초

지방자치와 문화예술행사

현장교육

인턴과정

예술경영 현장 사례연구

예술경영 기관 현장실습

합숙훈련

예술경영의 문제와 쟁점 토론실습

문화행정 기획서 작성

예술마케팅 전략 기획실습

전시회 설계 실습

34) 이 교과과정(안)은 문화정책 고급인력 양성방안 연구 결과임.

- 117 -

Page 13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V . 예술 경 영과 정 프로 그 램 구상 35)

1. 설립형태

교육부의 교육개혁 및 교육법 개정에 따라 독립적인 전문대학원 설립이 가

능하게 되었고,36)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4

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문대학원 설립이 가장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설립

주체의 설정과 준비과정 및 예산 확보가 어려워 단시일내에 전문대학원 설립

에 대한 실현가능성은 불투명한 실정이다.37) 따라서 이 장에서는 독립적인 단

35) 이 장은 문화정책 고급인력 양성방안 연구 결과임.36) 교육부는 1997학년도부터 대학원을 비롯한 각종 교육기관 설립을 일정한 자격요건이 되는

경우에 누구나 설립할 수 있도록 허가주의에서 준칙주의로 변경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5.31

교육개혁의 결과로 다양한 형태의 교육기관 설립을 통하여 변화하는 인력수급에 적절히 대

처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을 체계화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실무중

심의 고급인력을 양성할 전문대학원 설립이 가능해 지고 석·박사학위도 학문중심의 학술

학위 와 전문학위 로 분야가 나뉜다. 전문대학원의 설립과 관련된 법률조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통령 제15304호 대학원규정안 제2조1항에 따르면 대학원은 그 주된 교육목적에 따라

일반대학원 : 학문의 기초이론과 고도의 학술연구를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 전

문대학원 : 전문직업분야 인력의 양성에 필요한 실천적 이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주된 교

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 특수대학원 : 직업인 또는 일반성인을 위한 계속교육을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2조2항에 따르면 대학(대학원 대학을 제외

한다)에는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또는 특수대학원을 둘 수 있고, 교육대학 및 개방대학에

는 특수대학원을 둘 수 있으며, 대학원 대학에는 전문대학원만을 또는 특수대학원만을 둘

수 있으며, 제2조3항에 따르면 전문대학원의 명칭은 대학원명에 전문 을 붙여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법 제109조 제3호에 따르면 특정한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특

히 필요한 경우에는 교육법 제109조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학사학위과정을 두지 아니하

고 대학원만을 두는 대학을 설립할 수 있다.

이러한 대학원대학의 설립을 위해서는 설립에 필요한 매우 복잡한 절차가 남아 있다. 예

를 들면 매년3월 31일까지 학교법인설립허가 신청서와 대학설립 계획서를 제반 서류와 함

께 제출해야 한다. 그리고 6월말까지 학교법인 설립허가가 떨어지면 허가사항 이행보고, 학

교별 개교준비를 마치고 개교전년도 7월31일까지 설립인가 신청서를 제반 관련서류와 함께

제출해야 한다. 모든 서류제출이 완료되면 개교전년도 11월말까지 대학설립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대학설립인가 여부가 결정된다.37) 학교설립에 필요한 소요예산에 대한 추정치를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로 개략적으로

산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118 -

Page 13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설대학원 설립과는 별도로 기존의 대학원에 새로운 예술경영 전공과정을 개설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대학원에 예술경영 전공과정을 개설하

는 것은 바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고려할 필요성은 없게 된다. 대학원은 일반

대학원, 전문대학원 및 특수대학원으로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예술

경영과 관련된 전문적인 직업인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은 일반대학원이 아니라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전문대학원과 특수

대학원의 차이는 교육목표와 교육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서 구분이 되고 있

다. 이를테면 현직종사자의 재교육과 계속교육에 주안점을 둔다면 특수대학원

의 성격과 부합하는 것이며, 전문직업 분야 인력의 양성에 필요한 실천적 이

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주된 교육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전문대학원에 적합할

것이다. 물론 예술경영의 경우 전문직업분야 인력 양성과 아울러 현직 종사자

재교육과 계속교육의 성격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특수대학원의 성격과도

부합되는 측면이 많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대학원 유형별 구분에서 이러

한 구분은 크게 유의미하지는 않으며, 새로운 기관을 설립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결국 예술경영과정은 성격상 기존의 전문대학원인 경영대학원과

많은 유사성을 갖고 있으며 경영대학원에 예술경영전공과정을 개설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단위 : 억원)

연 도

항 목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준 비 금 2 - - 2

건 설 비 100 100 - 200

장비구입비 10 10 10 30

연구개발비 3 1 1 5

운영 경비 30 30 30 90

합 계 145 141 41 327

- 119 -

Page 13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 교육과정

1) 과정 구분

대통령령 제15304호 대학원 규정안 제5조에 따르면 대학원에 석사 또는 박

사학위를 수여하기 위한 과정인 학위과정 으로 학과 또는 전공을 둘 수 있으

며, 학위과정 이외에 2이상의 학과 또는 전공이 공동으로 설치·운영하는 협

동과정(학과간 협동과정)과 연구기관 또는 산업체와의 계약에 의해서 설치 운

영되는 학·연·산, 학·연, 또는 학·산 협동과정(학·연·산 협동과정)을 둘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동 규정안 제13조에 따르면 전문대학원에는 석사학위를 수여하기 위한 과

정, 다만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박사학위를 수여하기 위한 과정을 둘 수

있으며, 대학원의 필요에 따라 학위를 수여하지 아니하는 연구과정을 부설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동 규정안 제12조와 제14조에 따르면 전문대

학원에서는 전문학위 이외에 학칙이 정하는바에 따라 학술학위를 수여할 수

있으며, 전문학위의 경우에는 세부전공별로 학칙으로 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

다. 이러한 전문대학원과 관련된 일반적인 규정은 물론 교육기관을 신설할 경

우에 참고가 되어야 하지만 기존의 대학원에 새로운 전공을 병치할 경우에도

중요한 준거가 될 수 있다. 이를테면 경영대학원에 예술경영전공과정 개설을

시작으로 박사과정과 학·연·산 협동과정에 의한 단기 재교육과정을 설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느 장면보다도 예술경영

부분에서 높은 실정이다. 전국의 문화관련 각종 기관과 행정공무원 및 민간

문화시설과 단체에서는 예술경영과정에 대한 참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새로운 전문인 양성과정과 아울러 현직종사자를 위한 비학위 과정의

재교육도 함께 병행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

참고로 특성별 대학원과정과 학위 및 수업년한에 대한 자료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 120 -

Page 13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5-1> 대학원과정, 학위종류 및 수업년한

학 위

과 정전문학위 학술학위 비학위

학 위 석 사 2년 - -

과 정 박 사 3년 3년 -

학·연·산 협동과정 - - 단기

2)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1)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예술경영과정은 경영대학원의 기본 운영틀 속에서 문화예술 영역이라는

독특성과 시대적 요청을 반영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 전공개설 초기단계에는

기존의 경영대학원의 운영방식에 준하여 실시하도록 하면서 , 차츰 전공과정

의 정착이 진행되어 나간다면 이 영역의 특수성과 사회적 필요성 및 학습

자의 요구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전공의 현실 적합성과 타당성

및 사회적 응용능력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변화되도록 한다 . 그러나

예술경영과정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켜나가도록 한다 .

첫째 , 예술경영과정은 문화예술 영역의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야 한다 . 문화예술영역은 이론중심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기보다는 이론

과 실제 및 현장이 적절히 조화되는 것을 요구한다 . 따라서 교육과정 역시

예술경영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기초로 하여 예술경영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현장성을 담지해 내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 예술경영 전문가로서 필요한 보다 구체적인 경영능력과 함께 문제

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며, 새로운 영역을 탐구해 나갈 수 있는 종합적인

안목과 실천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

셋째 , 예술경영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 반드시 3학점 이상의 인턴과정을

- 121 -

Page 13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이수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우리 나라의 보다 구체적인 문화예술계의

현황과 문제점 및 그 해결책을 연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이다 .

이상과 같은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과 함께 각 단계별 일반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단계별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작성하도록 한다 . 교

육과정의 단계별 세부 교육목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물론 이러한

단계별 교육과정 목표는 고정된 것은 아니며 , 필요와 여건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음을 밝혀 둔다 . 각각의 교육단계는 현실적으로 대학원 학기와 상응하

는 것으로 보더라도 큰 무리는 없다 .

1단계 : 경영학 일반이론에 기초하여 문화예술경영의 특수성을 이해하며

각종 문화예술기관의 운영에 필요한 경영학적 시각을 갖도록 한다 .

2단계 : 우리 나라 문화정책, 문화예술경영의 역사와 현황 및 문제점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문화예술기관의 운영 방향에 대한 세부적인 안목을 터

득하도록 한다 .

3단계 : 각종 마케팅 , 여론조사, 예술경영정보체제 등을 숙달케 하여 경

쟁력 있는 예술경영기관 육성과 새로운 관객 개발을 가능토록 한다 . 그리고

다양한 현장사례 연구와 현장실습을 통하여 구체적인 문제와 현황파악을

가능케 하며 새로운 문제해결능력을 구비하도록 한다.

4단계 : 문화예술경영 분석에 필요한 종합적인 안목을 형성하도록 하고,

구체적인 문제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하며, 보다 질적으로 수준 높은

안목을 형성하게 하여 문화예술경영 전문가 양성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기초를 토대로 문화예술경영과 관련된 연구논문 작성을 가능하도록

한다 .

이상과 같은 교육과정의 기본 구성원칙과 단계별 교육목표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

첫째 , 예술경영과정은 기존의 경영대학원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반의 규정

에 근거하여 편성한다 .

둘째 , 예술경영과정은 기존의 경영학 관련 세부전공과 다른 특수성을 고

려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선정하며 선택과목의 영역을 다

- 122 -

Page 13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양화한다 . 결국 일반경영학의 기초 위에서 문화예술경영학 과정 이수를 가

장 바람직한 것으로 상정하지만 , 타학문에 입문하였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경영학 선수과목을 듣도록 하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

셋째 , 현장 실무능력을 익히고 한국의 구체적인 예술경영 현황에 대한 사

전 지식을 습득하게 하기 위하여 현장실습을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한다 .

(2) 기존 경영대학원 교과과정 사례

이제 구체적으로 예술경영과정 교과과정을 구상하여 보도록 하자 . 기존

의 대표적인 S 국립대학교의 경영대학원의 운영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새로

운 전공영역 개설과 이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

을 것이다 .

이 대학교의 경영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개설하고 있는 전공은 회계학 , 생

산관리, 마케팅 , 재무관리 , 인사관리 , 국제경영학 등 6개 영역이다 . 대학원

석사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경영학 관련 선수과목을 이수하고 전공필수과목

과 공통선택과목을 이수하여 학위논문 제출자격 외국어시험과 종합시험에

합격한 후 학위논문 심사 및 구술고사에 합격하여야만 한다 . 학위취득에 필

요한 최소 학점은 30학점이며 , 여기에는 선수과목으로 이수한 학점은 포함

되지 않는다. 각각의 학기 당 최고 수강신청학점은 12학점으로 제한되어 있

다 . 따라서 예술경영과 관련된 전공을 경영대학원에 개설할 경우에는 이러

한 제반의 규정을 따라야 하며 필요한 경우 특별규정을 신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간략히 제시한 교과과정 및 수강신청 규정에 대해서 상세

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먼저 경영대학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영역

으로 나뉘어진다 . 하나는 선수과목이며 다른 하나는 전공필수과목이다 . 전

공필수과목은 각각의 세부전공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영역별 4과목씩 정

해져 있다 .

선수과목은 회계원리연구 , 인사관리연구, 생산관리연구 , 재무관리연구, 마

케팅 관리연구 , 국제경영학연구의 6과목이다. 이들 과목은 대학원에서 경영

- 123 -

Page 13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을 이수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적인 학문영역으로 대학원에서는 개설하

지 않고 있으며 , 학부수준에서 이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단 이러한 선수

과목을 학부수준에서 이수하지 못한 타 전공 영역 출신의 학생들은 대학원

을 다니면서 이상과 같은 선수과목을 학부과정에서 이수할 것을 기대 받는

다 . 따라서 예술경영 전공과정에 입학하는 학생들도 이상과 같은 선수과목

을 이수해야만 한다. 다만 예술경영과정의 특수성을 인정하여 이러한 여섯

과목의 선수과목 중에서 제한적으로 몇 과목만을 이수하면 된다는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 일반적으로 예술경영 전공과정에 입학하기를 기대하는

학생층은 대개 학부수준에서 다양한 전공을 이수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

현직에 있는 경우 문화예술과 관련된 기관의 관리자나 운영자 및 관련기관

종사자 또는 문화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들도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선

수과목의 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규정을 신설하는 편이 운영의 묘를 살릴

수 있을 것이다 .

각 전공별 학생들은 전공필수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하며 , 다른 전공영역

의 교과목은 선택적으로 이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모든 학생들은

3학점 단위의 전공필수과목 4과목(12학점)과 2학점 단위의 논문연구학점 2

과목(4학점)을 반드시 포함하여 3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 이 경우 선

택과목의 수는 최소 5과목 15학점이 된다 . 회계학·생산관리·마케팅·재무

관리·인사관리 및 국제경영학 전공과정의 전공필수과목은 다음과 같다. 공

통교과목과 각 전공영역별 전공필수과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교과목 : 조직행위론 연구 , 경영윤리론 , 경영정책 연구 , 경영정보론 연

구 , 기업과 사회 연구

회계학 전공 : 관리회계 연구, 회계학 세미나 , 회계이론 연구, 회계학 , 조사

방법론 연구

생산관리 : 생산-재고시스템, 생산관리세미나, 경영정보시스템 연구 , 고급

경영과학 연구

마케팅 : 유통기관 경영론, 촉진관리론 , 소비자행동론 , 마케팅 정보 및 계획

재무관리 : 투자론 연구 , 재무분석 연구 , 포트폴리오 관리 , 재무관리 세미나

- 124 -

Page 13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인사관리 : 인력개발론 , 조직구조론 연구 , 노사관계론 연구 , 인사관리세미나

국제경영학 : 다국적기업 경영론 , 국제재무관리 , 국제경영학세미나 , 글로벌

마케팅전략 연구

(3) 교육과정 편성안

앞에서 살펴본 바에 따라 예술경영 전공과정을 개설한다면 4과목을 전공

필수과목으로 설정해야만 한다 . 다만 전공필수과목과 함께 전공선택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여 예술경영과정의 독특성을 살려나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여기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의 기준을 고려하여 전공필수과목

8과목과 전공선택과목 8과목으로 두 배수로 구상해 보고, 각 전공과목의 교

과내용과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제시한 예술경영과정의 교육과정은 고정 불변적인 성격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학문적인 내적 충실도와 사회적 필요성이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어야 하며, 개인적인 다양한 관심사도 포함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교육

과정안은 그러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가장 일반적이

면서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이라고 생각되는 교과목을 예시하고 각각

의 교육내용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한 수준이다. 따라서 예술경영과정 프로그

램을 운영할 때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수준과 학문적 연계성 및

사회적 필요 등에 관한 보다 상세한 자료조사를 근거로 하여 재조직화해 나가

야 한다. 여기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하면서 앞서 교육과정 구성원칙에 따

라 학기별 전공필수과목과 전공선택과목의 계열을 정해 보기로 한다. 여기서

는 전공필수과목과 선택과목만을 고려하였으나 실제에는 기초공통과목(경영대

학원 공통과목)도 고려해서 작성해야 한다.

물론 각각의 전공은 배타적이거나 위계성을 갖고 있지 않다. 다만 예술경

영 전공과정을 이수한다고 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지식 및 업

무능력과 관련된 영역을 전공필수로 ,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다양한 관심사의

심화 발전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과목을 전공선택과목으로 분류했

다 . 실제 운영과정에서는 이러한 기본틀을 수정 보완하면서 가장 적절한 공

- 125 -

Page 14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통분모가 되는 교과목이 무엇이어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고민해

나가야 할 영역이다 . 또 하나의 방법은 이러한 전공과목의 선정을 예술경영

영역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현장

중심으로만 교육과정을 구성할 위험성이 있다. 물론 현장의 필요를 중시하

여야 한다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을 수 없지만 이론적인 논의와 현장 적용

이라는 두 범주가 적절히 조화되어야 한다고 볼 때 그렇게 바람직하지는

않다 . 따라서 이러한 현장전문가의 검토를 생략하고, 문화예술 관련 학문영

역이 우리보다 훨씬 발달한 미국과 유럽의 문화정책, 문화행정 , 문화교육

및 문화경영 관련 대학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을 주로 참고하여 작성

한 것이다 .

<표 5- 2> 예술경영과정 교과 프로그램(안)

구분 1학기 2학기

전공

필수

과목

1. 예술경영개관

2. 공연예술의 기획홍보론

3. 예술경영 자금관리론

4. 박물관 및 미술관경영론

5. 마케팅관리와 예술

6. 예술경영의 법적 기초

7. 문화산업론

8. 문화예술 현장실습 1,2

전공

선택

과목

1. 예술경영리더쉽과 전략적 사

고론

2. 예술경영현장사례연구

3. 문화정책론

4.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5. 예술기관 개발 전략

6. 관객개발론

7. 예술경영인을 위한 사회조

사방법론

8. 문화의 이론적 기초

(4) 교육과정의 구체적 내용

이러한 각 교과목별 교육의 내용 및 교육목표와 관련된 교과목의 개요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자 .

- 126 -

Page 14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 전 공 필 수 과 목 >

① 예술경영개관(Survey of arts management)

문화예술기관 경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과 문화예술경영인으로서 갖추

어야 할 기본 지식과 자질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교과목. 문화예술의 역사,

철학 , 실천 및 이 분야 종사자로서 지켜야 할 직업윤리를 포함하여 , 비영리

기관과 영리 기관 운영에 있어서의 차이점과 공통점, 당면하는 문제점에 대

한 개관을 다룬다 .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지역사회와

국가에 문화적으로 경제적으로 어떠한 기여와 공헌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다. 문화예술경영과정으로의 입문을 위한 가

장 기초적인 교과목 .

② 공연예술 기획홍보론(Promotion and public relations for performing arts)

극장 및 공연장(음악 , 무용 , 오페라 , 연극 등) 운영과 프로그램 기획 , 홍보

와 관련된 전문적인 영역의 경영과 관련된 교육내용. 공연계약, 관련 기업

과의 협력사업, 공연출연자와 기술진(technical staff)들의 조화로운 관계 설

정 및 갈등 조정, 공연일정 기획 , 순회공연 기획과 대중홍보와 관련된 각종

방법론 등을 다루는 교과목 .

③ 예술경영 자금관리론(Fundraising management for the arts)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기관의 재정확충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론과 운영

실제에 대한 교과목. 영리를 위한 기관보다는 비영리기관의 자금확보 방안

에 있어서 당면하는 제반의 사회적 , 법적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으

며 , 창의적으로 새로운 자금확보 방안이 어떠할 수 있는가에 대한 안목을

기르도록 하는데 이 교과목의 목적이 있다 . 지역사회와의 관계 , 기업가의

문화예술활동, 고객관리, 스폰서 확보 등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

의를 주된 교육내용으로 한다.

- 127 -

Page 14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④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론(Museum & Gallery management)

박물관 , 미술관을 포함한 각종 전시시설의 특수한 필요성에 관련된 제반

의 영역을 다루는 교과목 . 큐레이터의 기능과 업무영역 설정 , 전시활동 기

획 , 조명 및 전시장 내부의 환경통제 및 보안문제, 순회전시 등과 관련된

내용 . 지역사회의 재정적 협조 얻기 , 관객참여 유도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의 운영 등도 포함 .

⑤ 마케팅 관리와 예술(Art & Marketing)

문화예술기관과 관련된 각종 행사 , 작품, 저작물 등을 마케팅기법을 도입

하여 그 효과를 최대화하는 방법과 그 절차에 관련된 교과목 . 마케팅의 기

본원리를 숙지한 후 예술작품과 창작물 및 공연물 등의 유통과 판매와 관

련된 일련의 활동 속에서 필요로 하는 경영학적 기초를 배우도록 한다 . 또

한 고객서비스, 텔레마케팅, 광고, 합작(joint promotion), 출판 디자인 및 출

판 , 우편판매(direct mail delivery)의 효과적 기법과 관련된 교과목 .

⑥ 예술경영의 법적 기초(Law & Arts)

문화예술가와 문화예술 관련 기관의 법적 권리 및 책임과 관련된 제반의

논의를 포함하는 교과목. 여기에는 비영리기관과 세금혜택 , 지적재산권(저

작권과 상표 등 관련), 표현의 자유 , 계약과 관련된 기본법(커미션 , 공연허

가 및 라이센스 동의 등과 관련된 제반의 조항 포함), 노동관련법(단체협

상) 및 제반의 문화 예술활동과 관련된 활동과 종사자들의 법적인 문제 , 그

리고 문화예술기관 운영에서 당면하는 현실적인 법적 문제점에 관한 지식

을 다루는 교육내용이 포함된다 .

⑦ 문화산업론(Cultural Industry)

새롭게 부각하는 문화관련 산업활동에 대한 내용 . 지역사회와 국가수준

경제영역에서 차지하는 문화산업의 중요도, 문화산업을 구성하는 하위요소

및 이들간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내용 포함 . 전반적인 경제상황의 변화

와 문화관련 신종직종의 영역 및 미래예측 포함 . 멀티미디어, 영화 , 연극 ,

- 128 -

Page 14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출판 등의 다양한 영역의 산업적 가치평가를 다루는 교과목 .

⑧ 문화예술 현장실습(Internship)

교육과정 이수 중에 문화예술기관에 직접 참여하여 실제 경험을 하면서

이론과 현실의 이중성을 극복하고 , 보다 현실적인 감각을 갖도록 하고 새로

운 문제점 해결과 대안 창출 능력을 겸비하도록 하는 것에 이 교과목의 목

적이 있다 .

<전 공 선 택 과 목 >

① 예술경영 리더쉽과 전략적 사고론(Leadership and Strategic Thinking)

예술관련 조직에서 효과적인 지도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경영자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가? 예술계 관련 종사자(공연가 , 행정가, 기술진 ,

자원봉사자 , 관객 등 포함)들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면tj 예술경영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형성해 가야 하며 그 이상적인 형태는 무엇인가? 예술관련

기관의 유형별로 필요로 하는 경영자의 특성은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 조

직의 성장과 발전에 따라서 지도자로서의 역할기대는 어떻게 변모하는가?

기관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보다 더 넓은 사회와 어떻게 연계를 해

나가야 하는가? 기관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 전략적인 계획을 어떻게

수립해 나갈 것인가? 등과 같은 기관의 운영자로서 예술경영자의 자세와

자질특성을 습득하도록 하는 교과목.

② 예술경영 현장 사례연구(Case study of arts management)

문화예술 관련기관에 대한 참여연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당면하는 다양

한 문제점들을 인식하도록 하며 현장중심의 적절한 대응책 마련을 가능하

도록 하는 교과목 . 영리기관·비영리기관 , 공연장·전시장, 도시·농촌 등

다양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신의 관심사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현

장의 경험을 체득하고 이를 사례로 연구하도록 유도하는 교과목.

- 129 -

Page 14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③ 예술과 문화정책론(Arts and cultural policy)

문화 관련 국가정책의 역사와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갖도록 한

다 . 이 교과목은 문화정책 일반 , 각 나라별 문화정책 운영의 특성과 장단점

비교 , 문화정책의 결정과정 및 그 의미와 타 정책과의 관련성 비교 등 실제

로 문화정책과 관련된 모든 정책적 논의를 포함한 내용이다 .

④ 예술경영과 정보체계(Information system of art management)

각종 영역에 컴퓨터와 정보체제의 도움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사회이

다 . 이러한 사회변화에 발맞춰 문화예술 관련기관의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

홍보 , 관객동원 및 평가 등과 관련한 다양한 컴퓨터 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을 이해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영체제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한

다 . 데이터베이스론에서부터 입장권 발매 , 예산관리 및 홍보 등과 관련된

각종 컴퓨터 응용능력을 겸비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세계 전지역에서 일

어나고 있는 문화예술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며 , 찾은 자료를 새롭

게 가공하여 유용한 자료로 재창조할 수 있는 know-how를 기르도록 하는

교과목. 이를테면 예술경영과 관련 분야의 컴퓨터 활용의 기초지식과 능력

을 제공하기 위한 교과목 .

⑤ 예술기관 개발전략(Strategy for developing art organizations)

문화예술과 관련된 각종 기관의 증가와 함께 일반 시민들의 이러한 기관

에 대한 요구 역시 질적 양적 변화를 보이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기존

의 각 기관 또는 새로이 신설되는 기관들에서 새로운 영역을 어떻게 개척

해 나갈 수 있는가와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는 교과목 . 이를테면 문

화교육 프로그램의 신설 , 다양한 형태의 공연 및 전시방법 도입 , 멀티미디

어를 이용한 문화예술활동의 홍보 및 활성화 등과 관련된 일련의 프로젝트

를 수행하고 이를 적용해 나가는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교육내

용을 제공한다. 사회의 변화 , 시민들의 요구변화 및 문화예술영역의 질적

변화를 고려하여 최적의 프로그램 기획이 가능토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실천해 보도록 하는 교과목 .

- 130 -

Page 14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⑥ 관객개발론(Audience development)

문화예술의 발전은 관객동원에 실패하면 있을 수 없다. 그만큼 문화예술

의 소비자로서의 관객은 문화예술의 근본적인 필요조건이 되고 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이라는 틀 속에서 자체 고객관리에 매우 낮은

관심만을 보여온 것이 사실이다 . 관객도 이제는 문화예술소비자라는 매우

적극적인 자세로 맞아 들여야 한다. 관객에 대한 홍보 , 관객 유치 전략 , 사

회교육을 통한 관객의 질적 수준 제고 등과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인 문제

에 대한 높은 성찰을 요구한다 .

⑦ 사회조사방법론(Social survey method and statistics)

기본통계, 여론조사 및 고급통계 등 일반사회과학 방법론에서 사용되는

내용을 다루고 , 예술경영과 관련된 특수한 문제 이를테면 공연과 전시 등에

대한 평가 및 여론조사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제시

하게 된다 .

⑧ 문화의 이론적 기초(Theoretical basis of culture)

문화예술을 포함하여 문화라는 용어는 매우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류학적 논의 속에서의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 봄으로써 삶의 양상

으로서의 문화에 대한 보다 폭넓은 안목을 형성하도록 한다 .

3. 교수진 구성 및 학생 선발·정원

1) 교수 진 구성

교수요원의 자질은 교육의 질을 결정한다. 따라서 예술경영과정을 개설하기

전에 반드시 필요한 교수요원의 확보와 그 방안을 신중히 고려해야만 한다.

- 131 -

Page 14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무엇보다도 먼저 국내외 예술경영 분야의 최고의 전문가중에서 전공영역별 전

임교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기존의 전공영역 구분에 포함되지 않는 매우 구체적이며 독특한 전

공영역이기 때문에 이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하기가 쉽지 않다. 예술경영에 대

해 대학원 수준의 전공교과목을 가르칠 수 있기 위해서는 예술경영, 문화정책,

문화행정 관련 학위를 받은 사람이 우선적인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이 분야의

전문가는 매우 희귀한 것이 현실이다. 하나의 대안은 기존의 경영학, 경제학,

행정학 등을 전공하면서 이 분야에 관심이 있거나 관련 논문들을 발표한 분들

을 대상으로 교수진을 구성하고, 추후 필요한 전문인력을 충원해 나가는 방안

을 택할 수 있다.

문화예술기관 또는 단체에서 경영자로서 활동하면서 이론적인 안목이 있는

분들을 비상근 겸임교수요원으로 활용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영역의 적임자를

찾아내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방안을 마련해 볼 수 있다.

첫째, 예술경영과 관련된 영역에서 오랫동안 근무해온 사람으로 이 분야에

대한 교육에 남다른 관심을 보이는 분들을 겸임교수 요원화할 수 있다. 각 문

화예술기관과 단체의 협조를 얻어 전문영역별, 직종별 전문가를 겸임교수 요

원으로 활용한다. 이들에게는 일정 기간 상근(파견형태), 비상근(초빙강사, 객

원교수) 등의 다양한 형식을 함께 활용한다.

둘째, 예술경영 관련 해외 교육기관의 전문가 중에서 우수 교수요원을 일정

기간 계약 형태로 초빙하여 교수요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당장 국내에 관련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임을 고려한다면, 일정 기간동안 전공과정의 운영이 기

반을 닦을 때까지 한시적으로나마 이러한 방식으로 전문가를 초빙할 수 있을

것이다.

2) 교수 및 학생 정원

대통령령 제15304호 대학원 규정안 제 3조 1항에 따르면 전문대학원에는

대학설립, 운영규정 제6조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확보하여야 하는

- 132 -

Page 14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교원수 중 당해 전문대학원의 계열별 학생정원의 2배의 학생수를 대학설립,

운영규정 별표 5의 규정에 의한 교원 1인당 학생수로 나눈 수의 교원을 배치

하여야 한다 고 되어 있으며, 제2항에 따르면 전문대학원에는 대학설립, 운영

규정 제6조 제4항의 규정에 의한 겸임교원수중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교원의 3

분의 1의 범위 안에서 겸임교원을 배치할 수 있다 고 되어 있다. 이러한 규정

에 따르면 예술경영 전공과정의 신설로 인해서 필요한 교원의 수는 이 전공과

정의 학생정원의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술경영 전공과정의 학생수는 대학원의 사정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

에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지만 최소 20명에서 최대 40명까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 만약 기존의 대학원이 아닌 신설 단설대학원이라면 필요한

교원의 수는 최소 5명에서 최대 10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경영대학

원에 전공을 신설하는 경우는 이러한 규정과는 다르게 적용이 된다. 이를테면

예술경영 전공과정의 교과목 중에서 기존의 학과 교수가 교육을 담당할 수 있

기 때문에 모든 필요한 교수의 수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만약 기존의 교수진

중에서 새로운 전공영역의 교과목 중에서 절반 정도를 맡도록 한다면, 정규

교수를 최소 2명에서 최대 4명까지로 선발할 수 있고 겸임교수를 1∼3명까지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적정 교원수와 학생수의 문제는 노동

시장에서 이러한 전공영역의 졸업생을 얼마나 필요로 하며 또한 어느 정도의

학생들이 이 과정을 원하고 있는 가라는 수요조사를 통해서 정해져야 할 내용

이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더이상 세부적으로 다루지 않도록 한다.

- 133 -

Page 14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VI. 큐 레이 터 양 성방 안

1. 큐레이터의 역할 및 현황

1) 큐레이터의 역사 및 일 반현황

1980년대 중반부터 국내의 미술관과 대형화랑을 중심으로 도입된 큐레이터

제도는 그 개념이나 기능에 대한 명확한 규명 없이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

다. 공식적인 집계는 되어있지 않으나 현재 어림잡아 100여명에 이르는 인력

이 큐레이터요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진정한 의미의 역할을 담

당한다기 보다는 명칭만을 남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실제로 그 역할을 담당하

는 극소수의 전문인력조차도 자신이 그러한 직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지

에 대해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극소수의 전문인력조차 그들은 직

함에 맞는 업무의 관장기회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을 뿐더러, 단순한

행정직이나 전시보조원 정도로 고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들의 처우 또

한 열악하기 짝이 없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상업화랑의 직원이나 작품매매

인들 조차도 큐레이터란 직함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그 명칭과 위상의 혼

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큐레이터 제도에 대한 인식부족에서 비롯된 제도의 미

정 착은 큐레이터 직종의 전문화를 가로막고 있을 뿐더러 문화적 거품현상을

부추겨 미술문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큐레이터란 일반적으로 미술관이나 화랑의 전시기획과 미술행정의 중추적

역할을 맡아하는 학예연구원을 지칭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현실적으로 그 전

문성에 대한 제도적 보장을 부여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제도의

미정착은 전문인력 양성을 담당하는 공식적인 교육기관과 자격인증제도의 부

재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미술관 운영자

들의 인식부족에서도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 134 -

Page 14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 큐레이터의 기능

큐레이터들의 주요 활동무대인 미술관이나 박물관은 도서관처럼 한 시대와

국가의 문화적 자료들의 집적을 통해 그 전통을 계승 보존하는 중요한 기구이

다. 일반적으로 박물관이란 역사, 예술, 민속, 산업, 자연과학 등에 관한 자료

를 수집, 보관, 육성하고 전시하며, 교육적 배려 아래 일반 공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일반대중의 교양, 조사연구, 레크레이션 등에 이바지하기 위

해 필요한 사업과 이들 자료에 관한 조사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을 지칭

하기 때문이다. 이는 문화적 의미에서의 국가의 정통성을 규명과 재창조하는

역할도 감당한다.

이러한 기능과 의미를 가진 미술관의 전문인력인 큐레이터는 각종 미술문화

와 관련된 자료수집, 연구, 보존, 이를 통한 새로운 전시의 기획, 교육 등을 통

해 기구의 중추적 기능을 수행해 간다.

큐레이터는 미국의 경우 curator,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conservator, 일본의 경

우 학예연구원이라 칭한다. 이들의 업무는 대개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자료수

집, 보관, 전시 업무와 자료의 이용에 관한 설명, 조언, 지도업무 ,그리고 자료

에 관한 전문적 기술적 조사연구 및 보관, 전시에 관한 기술적 연구, 자료에

대한 안내서, 목록, 화보, 연보, 조사연구 보고서 등의 작성 배포, 그리고 기타

기획 입안 등으로 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박물관 및 미술관법 제6조에 의하면, 미술관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동 시행령 제6조에 규정된 자격요건을 가진 전문직원을 확보토록 되

어있다. 시행령 제6조 제1항에 규정된 자격요건으로는 미술관의 자료수집·

보존, 관리, 전시 및 조사, 연구 기타 이와 관련이 있는 전문적 사항을 담당하

는 자 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문직원의 자격요건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

어 있다.

⑴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당해 미술관 자료의 관

련 직렬의 연구직 공무원 또는 연구직 공무원이었던 자

⑵ 지방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등에 관한 규정에 관한 규정에 의한 당해

미술관 자료의 직렬의 연구직 공무원 또는 연구직 공무원이었던 자

- 135 -

Page 15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⑶ 교육법에 의한 대학에서 당해 미술관 자료의 관련학과를 이수하고 졸업

한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⑷ 교육법에 의한 대학에서 당해 미술관 등의 관련학과를 부전공으로 하여

졸업한 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로서 문화

관광부령이 정한 미술관에서 미술관 자료에 관련되는 전문적 사항을 담

당한 경력이 1년 이상인 자

⑸ 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 또는 동등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

정되는 자로서 미술관 등의 근무경력이 2년 이상인 자

⑹ 교육법에 의한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

다고 인정되는 자로서 미술관등의 근무경력이 4년 이상인 자

⑺ 기타 미술관 등의 근무경력이 5년 이상인 자 또는 연구기관에서 미술관

자료에 관련되는 전문적 사항을 5년 이상 담당한 자 등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자격 요건은 포괄적인 요건일 뿐 여러 가지로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미술관에서 행해지는 전시·연구·교육, 보존, 자료수

집 등의 활동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어 외국의 경우 전시기획 큐레이

터, 작품보존 큐레이터, 교육 큐레이터, 기록 및 분류 큐레이터로 전문직원의

역할을 세분화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현립 미술관을 기준으로 할 때 평균 15

명 내외의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직능이 세분화되어 있지도 않으며 인원도 절대 부족한 실정으

로 연구활동 미비, 전문직 업무의 세분화 미비, 전문직원으로서의 자격요건 미

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현행법상 1명만 확보하면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 박물관 및 미술관법에 명시된 인원만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으로 큐레

이터 양성을 위한 정책적 인식이 원천적으로 미흡하며 세분화된 자격요건의

규정과 인력충원 등에 대한 법제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미술관의 전문인력에 대한 인식의 미흡은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의 양성을

담당하는 공식적인 교육기관의 부재와 전문인력의 관리운용에 따른 제도적 장

치가 전무하다는 점에서도 반증되고 있다.

- 136 -

Page 15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 큐레이터 자격인 증제도의 필요성

문화관광부에서는 2011년까지 국,공립 미술관 및 박물관 172개관을 건립목

표로 하고 있으며(문화체육부, 1996; 52-55), 신설된 박물관과 미술관법은 각종

세제 혜택 등을 통해 민간의 미술관의 건립을 적극 추진토록 함으로써 향후

많은 수의 민간 미술관이 건립될 것이다. 그러나 건물로서의 미술관의 수효가

늘어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닐 것이다. 미술관의 운영과 실무를 담당할 전문인

력의 충원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국내에는

현재까지 배출된 인력도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 전문직원을 양성하는

기구나 학과가 별도로 설치된 곳이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문화관광부의

문화복지 확충정책은 자칫 실효성 없는 공염불로 치부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국내의 미술관 큐레이터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는 1996년부터 전문

인력양성을 목표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에 설립된 미술관학 전문과정이 유

일한 정규교육 프로그램이며, 그동안 1987년부터 신설된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가 큐레이터 양성에 가장 적합한 학과로 인정되어 왔다.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는 그동안 6회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1992년부터는 대학원 석사과정을 신

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 이 학과의 졸업생들은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하

여 각종 미술관과 화랑의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이외에도 효성여자대학

교의 예술학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의 이론전공 과정 등 몇 개의 정

규 교육과정이 있으며, 서울대학교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국립현대미술관의

사회교육프로그램인 박물관학 과정,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문화촉매요원 교육

과정, 기타 사설화랑의 사회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유사한 분야의 교육을 부

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규교육기관의 경우 커리큘럼이

미술사나 미학 등 이론교육에 치중되어 있고, 교수진이나 강사들도 이론전공

교수들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 이 교육과정을 통해 미술관의 전시기획이나 행

정실무와 관련된 현장경험과 지식을 습득하기에는 역부족이다(표 6-1 및 표

6-2 참조). 비정규 교육프로그램의 경우는 교육기간이 짧아 폭넓은 전문교육을

제공하기보다는 현장실무에 관련된 피상적, 개괄적인 교육으로 그치고 있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근본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현

- 137 -

Page 15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장에 종사하는 인력의 경우 단기과정으로 해외 연수를 다녀오거나 아니면 개

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실무지식을 쌓아가고 있는 실정으로 있다. 이렇듯 전문

요원을 가르칠 학과나 양성기구 하나 제대로 없는 상황하에서는 당연히 외국

과 같은 전문직 교과과정이 있을 수 없고, 제대로 훈련된 전문직원이 나올 수

없어 미술관 문화는 구조적으로 악순환을 반복할 수 밖에 없는 실정으로 전문

요원의 관리운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미술관 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큐레이터 양성 및 확보

방안과 전문직종으로서 큐레이터 자격인증제도의 필요성이 오래 전부터 시급

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표 6-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미술관학 교과과정

과목

학기1차학기 2차학기 3차학기 4차학기

전공과목 1.미술관학

2.미술관건축론

3.미술사연구(1)

4.미술관행정학

(미술관운영)

5.소장작품관리론

6.미술관정보학

7.유품보존수복학

8.미술품분석연구

9.미술사연구(2)

10.전시조직연습

11.미술관교육론

12.미술관현장실습

특 강미술관 경영학

문화예술관련법규

전시디자인

미술관재정론

전시학(전시기술론)

미술관과 대중

미술관 공간연구

*해외미술관 연구

- 138 -

Page 15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표 6-2> 홍익대학교 대학원 예술학과 교과과정

구 분 과 목 명

필수과목 예술학방법론

현대미술비평연습

조형예술학특론

선택과목 작품분석방법론1, 2

근,현대 작품분석연습

예술사회학특강

현대예술철학특강

미술비평사

서양미술비평문헌연구

한국현대미술특강

한국예술사상특강

모더니즘미술비평론

작가론 1, 2

시각매체론 연습

예술행정특강

고전작품분석연습

작품해석연습

예술심리학연습

현대예술철학연습

20세기미술사조론

동양미술비평문헌연구

한국현대미술비평연습

동양예술사상특강

포스트모더니즘미술비평론

테크놀로지미술론

미술관현장실습

특수과제연구 1,2

2. 프랑스의 큐레이터제도 현황 38)

1950년대부터, 유럽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건을 시작하자마자 프랑스의

문화생활은 세계 도처의 여러 국가에서처럼 상당히 발달하기 시작했다. 경제

적 이유와 놀라운 기술적 발전의 결과에 따른 이러한 진보는 사회적 상황들을

상당 부분 변화시켰으며, 이는 당연히 문화생활과 박물관 및 미술관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박물관은 조예 깊은 일반인과 학생들이 자주 드나드는 곳이었다가 점점 일

38) 이 내용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에서 주최한 우리나라 전문직 큐레이터 양성을 위한 에

꼴 뒤 루브르 큐레이터 교육제도 특별 강연회(1996. 9) 내용을 참고로 정리한 것이다.

- 139 -

Page 15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반 대중의 관광, 박물관끼리의 연합, 정치적 목적에 부응하게 되었다. 또한, 일

반적인 것에서 시작하여 점차로 보다 정교하고 세련된 관리 기술과 연출을 중

시하게 되었다. 이런 근본적인 변화는 큐레이터라는 직업과 그 결과로서의 그

들의 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박물관과 큐레이터 제도를39)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랑스의 역사와 제도

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프랑스는 유럽의 다른 국가에 비해 중앙집권적 성향

이 강하며, 지방분권법이 공식적으로 국가와 지역, 도, 시(코뮌)(市는 주민 700

명 규모의 시골 마을에서부터, 마르세이유처럼 8십만명 규모의 도시까지를 포

함한다) 사이에 권력을 분산시키도록 한 것은 불과 80년대 후반부터였다. 이와

같은 국가의 편재성(遍在性)의 상징이랄 만한 프랑스는 몇 안되는 근대적 국

가들 중 하나이다(이런 근대적 성격은 비록 1958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지

만 이는 여전히 특징적이다). 국가의 개입을 볼 수 있는 예가 문화부이다. 또,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이 예술 작품의 위상에 중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는 것을

인식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왕과 귀족, 성직자들에게 속해 있던 소장품들을 국

가(Nation)가 몰수하여 루브르 박물관(그 당시에는 예술 중앙 박물관 으로 불

렸다)과 그 당시에 이미 박물관을 창설하고 있던 지방의 대도시에 분산시켰기

때문이다. 똑같은 방침이 도서관과 아카이브에도 적용되었다. 그 이념은 예술

관련 직업을 양성하고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과거의 위대한 문화유산을

국민에게 맡긴다는 것이었다.

프랑스의 박물관은 다음 두 가지의 커다란 범주로 구별할 수 있다.

1) 국립 박물관 : 현재는 34개에 달한다. 루브르 박물관, 베르사이유 궁전 박

물관, 기메 박물관, 오르세이 박물관과 같이 매우 대형 박물관이 있는가

하면, 들라크르와 아뜰리레 박물관, 구스타브 모로 박물관과 같이 그 규

모에 있어 훨씬 조촐한 것들도 있다.

2) 공립(시, 도립) 박물관 : 릴 박물관, 루앙 박물관, 낭뜨 박물관, 리용 박물

관, 뚤루즈 박물관들처럼 그 숫자나 질에 있어 매우 많고 중요한 수집품

들을 소장하고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훨씬 작은 것들도 있다. 그러나

프랑스의 지역 전체에 2,000여개 정도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39) 여기에서 박물관은 미술관을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를 뜻한다.

- 140 -

Page 15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 사립 박물관 : 이 중에서도 특히 연합 박물관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들

박물관들은 박물관 중에서도 가장 새로운 형태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소위 조합 박물관(musee de societe)이라고도 하는 이 박물관은 거의 모든

시기의 민족학적, 또는 기술적, 산업적 문화 유산을 조명해준다.

아주 오랫동안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국립 박물관 이외에 국가에 속하지 않

는 박물관에도 국립관리국이 학술적 면에서나 기술적 면에서 그리고 궁극적으

로 재정적 면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이 관리부서는 1945년에 프랑스 박

물관국 이라는 공식기구가 되었으며(1958년에 문화부에 편입되었다), 그 영향

력은 지금보다 한정적이었다. 이 부서는 박물관지의 판매(이는 재정적으로 큰

도움이 될 수 있었다)나, 작품의 구입, 큐레이터의 선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지방분권법 제정 이래로, 특히 이 법이 1922년부터 문화계에

적용된 이래로, 국가에 속하지 않는 박물관에 대한 프랑스 박물관국 '의 역할

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만일 이 부서가 예술 작품의 구입에 대한

관리를 계속해서 행사하고 학술적인 박물관지 자문역으로서의 지위를 상징적

으로 유지하려고 했다면, 오늘날 문화부의 각 지역 담당부서에 의해 행사되는

재정 지원 기능도 잃었을 것이며 또한 큐레이터의 선발에 행사하는 지적 지배

권도 잃었을 것이다.

이런 여건에서 프랑스의 큐레이터 제도 운용 현황을 살펴보자. 프랑스에서

는 큐레이터 제도에 관한 권한은 국립박물관이든, 공립박물관이든 모두 정부

에 귀속되어 있다.

박물관 큐레이터를 선발하는 방식은 지난 30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어 왔

다. 1945년부터 1963년까지는 박물관 큐레이터들을 1) 국립 박물관, 2) 우수

박물관으로 지정된 공립 박물관, 3) 통제관리(controle) 박물관으로 불리는(보다

는 덜 권위 있는) 지역 박물관 등 3개 기관별로 자격을 달리하여 뽑았다. 물론

선발기준은 국립박물관의 경우가 가장 엄격하였고, 세 경우 모두 선발기준은

역사나 예술사 분야의 학사 이상의 자격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런 선발기준

에도 불구하고 큐레이터에 대한 기본교육이나 응용교육을 받은 사람은 없었고

선발된 이후에도 그런 교육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1963년부터 국립박물관의 큐레이터들에게 프랑스의 관료사회에 적용되었던

- 141 -

Page 15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일반적인 규칙들을 적용하게 되었다. 즉, 관료제의 특징인 경쟁시험을 거쳐 선

발하는 것이다. 지원자들은 대학졸업 수준의 학위가 있어야만 응시할 수 있으

며, 큐레이터의 경우 역사를 전공하고 일년 전에 공표한 제한된 프로그램의

범위에서 주어진 주제에 대해 논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역사와 예술사에 대한

지원자의 수준에 의해 결정이 된다. 루브르 대학의 지원을 받는 프랑스 박물

관국 이 국립 박물관 큐레이터들 대부분으로 이루어진 심사위원단을 통해 이

경쟁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입학이 허가된 지원자들은 배속되기 전에 18개월

의 교육과정을 이수한다. 원래는 이 18개월 중 6개월간 루브르 대학에서 이수

하도록 되어 있지만, 루브르 대학의 지원이 없는 경우 각 국립 박물관 자체에

서 이 과정을 운영한다. 경쟁시험 제도는 보다 공정한 것이며 이는 큐레이터

들을 여타 A급 공무원들과 같은 수준에 놓는 것이다. 임용 이전에 이와 같은

과정을 도입하는 취지도 똑같은 원칙에 속하는 문제이다. 이들은 직업에 필요

한 최소한의 특수교육을 받을 수 없었던 것과 계속적인 교육도 미리 밟을 수

없었던 것에 유감스러워 한다. 이 새로운 제도들은 예전부터 존재하고 있던

차별성을 강조하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소수 정예를 선별하여 우

수한 시설과 수준 높은 활동을 하는 국립 박물관 큐레이터들과, 누구보다 먼

저 다양한 실용적인 문제들에 너무 자주 직면해야 하고, 학문적인 기사를 쓸

시간을 갖기가 어려운 다른 박물관들의 큐레이터들과의 차별성을 말한다.

1986년에 큐레이터 제도는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먼저 루브르 대학이 박물

관 큐레이터 직업교육과 로 불리는 학과를 설립했으며, 이후 루브르 대학의

문화유산학교 가 국립 박물관의 견습 큐레이터들과 관구 박물관의 견습 큐레

이터 — 관구 박물관의 큐레이터들도 지금은 경쟁시험을 치르도록 되어 있다

—를 모두 선발한 다음 직업교육을 맡게 되었다. 곧 이어 문화부 소속의 이와

유사한 다른 직종들, 즉 고고학적 발굴지와 자료관을 위한 큐레이터들, 그리고

역사 기념관의 관리자 같은 공무원들의 교육도 맡게 되었다. 루브르 대학의

큐레이터 직업교육과의 설립과 이에 대한 교육의 강화는 학술 및 현장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모든 견습 큐레이터들이 혜택을 입도록 한 것이다.

루브르 대학은 국가에서 일하든지 관구 소속으로 일하든지를 막론하고 모든

종류의 선발된 큐레이터를 대상으로 직업교육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교

- 142 -

Page 15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육함으로써 예술적, 역사적 유산을 위해 일하는 큐레이터의 양성에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계획을 추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런 계획에 대한 거센 반대와 수많은 논쟁이 벌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브르 대학은 1986년에서 1991년까지 50명의 국립 견습생과, 통제관리 박물

관에 배속될 69명의 연합 견습생 을 배출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전체 큐레이

터들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정부를 개혁하고 현대화하려는 정책당국의 계획은 전문가들의 조직 측면에

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문화유산 업무와 관련이 있는 문화부 내의 여러 부서

들에 속해 있는 공무원들이 응집력을 갖는다는 것과 이들을 조정하여 결집력

을 갖도록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박물관과 많은 역

사 기념관의 관리자들을 결집시켜 나가는 것부터 시작하였다. 그 다음이 큐레

이터 차례였는데, 1990년에 문화유산 큐레이터 라 불리는 공동단체를 만든 이

후 단계적으로 박물관과 고고학적 발굴지, 자료관, 역사 기념관, 고문서 보관

소(사료관)의 큐레이터를 통합해 나갔다. 앞으로는 다른 분야 도서관의 큐레이

터에게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처럼 여러 곳에서 일하는 큐레이터들은

각자 자기 분야의 전문성을 유지하지만 그들을 선발하는 방식, 대우, 경력을

쌓아가는 방식은 동일하다. 이 단체의 내부에서는 그들 사이의 유동성을 권장

하며, 앞으로 이런 분야들 사이에 어떠한 경계도 없는 단일체를 실현하는 것

이 프랑스의 문화정책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개혁정책의 추진에 대한 반대여론은 당시까지 보통 수준이었던 큐레

이터의 보수수준을 상당히 인상함으로써 무마시킬 수 있었다. 동시에 관구 소

속 큐레이터들의 위상은 모든 관구 소속 직종의 공립화라는 대대적인 혁신 속

에서 격상시킴으로서 진정시킬 수 있었다. 이 규정에 의하면 관구 소속 큐레

이터의 지위가 국가 큐레이터와 아주 비슷해졌는데 특히 경쟁시험이 그렇다.

그러나 그 규정 중에는 아직도 차별적인 내용이 있다. 즉, 18개월의 교육과정

이수 후에 큐레이터 자격을 부여 받은 지원자들은 적성 리스트에 이름을 기입

하고 배속될 자리를 찾아야 하는데, 2년 내에 선발되지 않는 경우 적성 리스

트에서 삭제되는 것이다. 국립 소속과 마찬가지로 관구에서도 사료관, 자료관,

- 143 -

Page 15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박물관 큐레이터를 많이 확보하고 있으나, 역사 기념관 큐레이터가 부족한데,

이런 원인은 정부에서 큐레이터를 배정할 당시 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기 때

문이다.

이런 큐레이터 지위의 변화는 당연히 경쟁시험의 변혁과 직업교육의 변화를

유도했으며, 국립 문화유산학교 라 불리는 공공 교육시설이 설립되었다. 이

학교는 문화부의 모든 부서, 특히 프랑스 박물관국 에서 독립되어 있으며, 루

브르 대학에서도 독자적인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다. 국립 문화유산학교 설립

과 함께 루브르 대학은 큐레이터 직업교육과를 폐지했다. 국립 문화유산학교

는 문화유산 큐레이터 단체와 협력하여 입학시험을 실시한다. 입학시험을 위

한 참고서적이 있기는 하지만, 정말로 도움이 될 수 참고서적은 극히 드물다.

왜냐하면, 새로운 교육기관 설립과 큐레이터 제도 개혁의 목표가 예술사 전반

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특정 분야 및 지역에 대한 전문 지식을 모두 갖춘 전

문가를 양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문화유산 큐레이터 자격을 얻기 위한

입학시험은 인류학, 역사 및 예술사 분야에서의 고도의 학문적 교육 수준을

요구한다. 필기시험은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작문시험으로 치

러지며, 구술시험은 미리 지정된 역사적 시대의 유적, 작품, 출품 등에 대한

상당한 수준의 분석적인 방법과 지식을 필요로 한다. 또한 두 가지의 외국어

를 아주 정확하게 실용적으로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국립 문화유산학교 의 주된 기능은 견습 큐레이터들을 18개월 동안 기본적

인 직업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교육과정은 실용단계 과정(모두 합해 6개월)을

끝내고 전문 교육과정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전문 교육과정은 모두 3개의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각 과정은 본질적으로 매우 다르다. 즉, 1) 문화행정 당

국에서 하는 행정과정, 2) 박물관, 자료조사관 등 학생의 전문성에 맞춰 두 개

의 문화유산 기관에서 하는 문화유산 과정, 3) 외국어 과정 등이다. 교육은 주

로 세미나, 그룹토의, 사례연구, 탐방에 충당되며 다음과 같은 과목들로 되어

있다.

- 행정 및 문화유산 관련법

- 문화유산 경제학

- 공중 및 사회법과 그 관리

- 144 -

Page 15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 문화유산 건축물의 기능, 설비, 축조

- 문화유산의 보급

- 문화유산의 취급, 관리, 복구

- 현장용어

루브르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시작된 이런 교육은 큐레이터 현장에서

자기의 업무를 보다 잘 수행해 나갈 수 있게 하는 실용교육의 기회를 제공한

다는 이점이 있다. 이런 교육은 또한 각기 다른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특수분

야 간의 장벽을 없앤다는 목적과도 부합되는 것이다. 이 교육들이 어떤 양상

으로 시행되든 지간에 1990년 법령이 규정하고 있는 바에 의하면, 문화유산

큐레이터는 법률상의 행정적 지식이나 관리에 있어 똑같은 기본 원칙을 가져

야 하며, 건물의 관리, 축조, 유지 등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야 한다. 또

한 큐레이터들은 모두 문화의 정보화에 대한 지식, 더 나아가 보호관리 기술

및 복구기술에 익숙해야 한다. 요즈음에는 아무도 정보과학 앞에 무능한 채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다. 국립 문화유산학교 교육의 장점은 동료의식과 다

양하고 폭넓은 공통교육을 통하여 전문분야에 대한 보다 넓은 시각을 갖도록

하여 문화유산의 세계에서 문화적 삶을 보다 잘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

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습 큐레이터들은 이런 교육체계에 대해 어

느정도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는데, 이런 교육 프로그램이 자신의 전문분야의

학문적 연구에 대한 욕구와 능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나중에 박물관, 자료관의 특정 부서에 배치된 이후에도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

한 학문적인 연구를 지속하고 싶어한다.

국립 문화유산학교 는 문화유산 큐레이터들에게 기초교육의 정신과 유사한

평생교육, 즉 실용적이고 다영역적인 교육을 담당한다. 이 교육은 큐레이터 뿐

만 아니라 문화부와 관구에 속해 있는 문화유산과 관련된 학문적, 기술적 업

무를 담당하는 요원들에게도 개방되어 있다. 1996년부터는 시, 도, 관구 소속

의 문화 분야 책임자들과 관계자들을 받아 들이면서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

다. 이런 교육 프로그램은 연구과정 또는 세미나 성격으로서 대개 3일 정도

의 기간으로 파리에서 개최되며, 지방에서 개최되는 경우도 있다. 1996년에

국립 문화유산학교 는 35번의 프로그램을 개최하였으며, 2,000여명 정도가 이

- 145 -

Page 16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지식의 발전과 확대를 확고히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이런 교육 프

로그램은 해마다 그 목적과 내용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5개

의 목적과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1) 새로운 지식의 습득, (2) 문화유산

의 유지와 복구, (3) 문화유산의 설명과 전달, (4) 문화유산의 보급, (5) 문화유

산 및 시설의 관리 등이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큐레

이터, 박물관 관리자 및 기타 큐레이터 지식과 기술을 가진 전문가들을 대상

으로 하고 있으므로, 전문적인 주제를 상당히 폭넓고 심도 깊게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국립 문화유산학교는 상당히 광범위한 문제들, 즉 모든 형태의 문

화유적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주요한 건축물이나 기관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혹은 장애인 관객을 위한 특별 방안 (즉, 건축

물이나 작품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 차원에서 반영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 큐레이터 자격과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에 대한 배경을 문화정책적 차

원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큐레이터 직업을 규제하고 규격화하려는 정부의 의

지, 즉 큐레이터에 대한 교육은 프랑스의 기술주의 — 어떤 이는 이를 플로차

트(기구편성표)의 미학 이라고 부른 바 있다 — 를 특징짓는 합리적 편성에 대

한 애호만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큐레이터 교육강화 정책은 박물관

의 폭발(적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직접적인 목적이 있었다. 80년대에 발생한

박물관의 폭발적인 증가 현상은 70년대에 관계자들이 꿈꾸었던 관객의 증가에

의해서가 시장이나 단체장들의 정치적인 목적 때문에 이루어진 것이다. 새로

운 박물관을 건립, 오래된 박물관을 개축하고 확장하는 것은 많은 시장이나

단체장들에게는 아주 매력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프랑스 전역에서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면서 큐레이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이 제고되었다. 박물관의 신설과 확장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

지만, 큐레이터의 자질과 능력은 박물관의 성공 여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나친 전문화에 대한 반성과 다원화되고

복잡해지는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새로운 유형의 복합 박물관과 예

술관이 설립되었다. 또한 도난사고와 방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상의 기술이

- 146 -

Page 16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도입되고, 시청각적, 정보과학적 연구를 위한 학술연구실이 만들어지는 등 비

용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 꼭 필요하고, 고도로 복잡화된 새로운 기술들이 도

입되었다. 이런 변화는 고전적인 박물관 운영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지식과 기

술을 가진 큐레이터를 요구하게 되었다. 큐레이터들은 전통적인 의미의 기획

과 학술적인 역할에 안주할 수는 없었고, 박물관 운영에 필요한 보다 폭넓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계속적으로 박물관 운영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싶어했던 것이다.

대부분의 큐레이터들은 이러한 점을 충분히 인식하였다. 그러나 프랑스 및

국제적인 차원에서 직장연대, 노조, 연합체 등이 너무 일찍 구성되어 이러한

정부의 계획과 큐레이터의 욕구를 충족하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런

단체 결성을 주도한 이들은 큐레이터의 지속적인 재교육 및 강화된 자격과 교

육 프로그램 시행에 거세게 반대하였으며, 여기에는 많은 국가 소속 박물관의

큐레이터들도 가세하였다. 즉, 이들은 이러한 제도가 큐레이터 고유의 역할을

하향 평준화시키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정착된 큐레이터 자격과 교육 프로그램은 큐레이터의

역할과 지위를 제고하는데 기여하였지만, 프랑스의 큐레이터들은 그 소속 여

부에 관련 없이 모두들 직업의 안정성에 대해 매우 불안해하고 있다. 큐레이

터의 역할이 넓어지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큐레이터 제도에 대해

국가의 관여가 깊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의 경기침체로 인하여 큐

레이터의 충원과 예산이 감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큐레이터들은 예술작품에 대한 학문적 연구활동의 공간과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나 큐레이터

모두 궁극적으로는 그런 모든 것이 현대의 문화적 삶의 모든 부분에서 활동가

로 남아 있기 위해 치러야할 대가임을 잘 알고 있다. 예술이란 멋진 것이고,

큐레이터들은 그 대신에 자기들이 그 의미를 알고 있을 아름다운 작품들을 희

열 속에서 곰곰 음미해 볼 수 있는 커다란 행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147 -

Page 16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 큐레이터 양성방안

1) 전문교육기관 의 설립을 통한 신규인 력 양성

전문인력의 질과 양이 부족한 큐레이터 요원의 확충방안으로는 전문교육기

관의 설립을 통한 신규 우수인력을 양성하는 방안과 기존의 인력에 대한 교육

을 통해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 방안으로 대별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의 큐레이터 양성을 위한 제도적이고 공식적

인 교육기관이 매우 미흡한 국내 현실을 감안한다면, 새로운 교육기관을 신설

하거나 기존 유사 교육기관을 공식적인 교육기관으로 전환시키는 방안이 적극

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인 의지와 배려가 필요한데

우선적으로 새로운 교육기관의 신설방안을 검토해 보자.

첫째,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내에 전문 교육과정을 설립하는 방안이 있다.

1996년 개원한 미술원은 회화, 조각, 건축, 공예, 디자인, 이론 등 조형예술 전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미술원이 전문작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작가가 단순히 작품만을 가지고 살아남는 시대는

이미 지나고 오늘날 작가들에게 미술경영과 관리적 측면의 전문지식이 필수적

으로 요청되는 실정임을 감안할 때, 미술이론 전공분야에 전문 큐레이터 교육

과정을 신설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문화관광부의 미

술문화정책을 구현하는 국책교육기관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예술종합학교의

위상과도 걸맞은 방안일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둘째, 국립현대미술관의 사회문화교육프로그램인 박물관대학을 제도화하여

정규교육과정으로 국립현대미술관내에 큐레이터 양성과정을 신설하는 방안이

다. 이는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의 에콜 드 루브르(Ecole du Louvre)에서 시행하

고 있는 제도처럼 국립미술관에서 시행하는 미술관 대학을 의미한다. 에꼴 드

루브르는 2년간의 대학과정과 대학원 과정인 문화유산대학(Ecole du

Patrimoine)이 있다. 대학과정은 학예연구원을 양성하는 코스이며, 대학원 과정

에서는 학예연구원 자격인증 소지자들을 대상으로 연수교육을 실시한다. 이

교육생들은 성적에 따라 국가관할 문화재관리 전문가와 지역관할 문화재관리

- 148 -

Page 16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전문가의 두직급으로 나뉘게 된다. 이 과정은 문화부 박물관국에서 지정하는

고위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장래의 박물관 및 미술관 운영을 위해 운영철학과

광범위한 운영상의 지식을 습득하도록 교육한다. 국립현대미술관에 이러한 교

육과정을 신설하면 이론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실습에 이르기까지 쉽게 해결할

수 있고, 별도의 교육시설을 크게 건립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며, 국내외 각

종 미술자료나 미술정보의 수집 등이 용이하여 교육의 실효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존 교과과정이 설치된 학교의 학생 수를 늘리는 방안이다. 현행 기

존의 대학에서 배출하는 인력은 매년 평균 50명 이내이다. 물론 이중에는 큐

레이터가 아닌 평론가나 미술사가로, 또는 타분야의 예술이론가로 나서는 인

원이 있으므로 실제로는 연간 20명 이내의 인력이 큐레이터 자원으로 배출되

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미술관 건립추이에 맞추어 구체적인 인력수급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지만, 현행 인력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문화관광

부의 계획대로 2011년까지 172개의 박물관을 건립한다면, 국·공립 기관의 경

우에만도 현행 인원의 2배에 가까운 인력을 필요로 하며40), 민간의 미술관 및

박물관까지 포함한다면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럴

때 배출인원 또한 이에 상응하는 증원이 필요할 것이다.

2) 기존 인력의 재교육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절대적 부족이 예견되는 전문 인력의 충원을 위

해 신설 교육기관을 설립하는 방법 이외에 기존의 인력을 교육시켜 충원하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신규 인력양성을 통한 충원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현장의 경험과 실무능력을

갖춘 인력이 되려면, 몇 년간의 실무경력이 필요한 점을 감안할 때, 전문지식

은 미흡하더라도 충분한 훈련과 실무경력을 가진 기존 인력의 재교육을 통한

충원은 보다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가지 형태의 보

수교육의 시행이 가능한 데, 우선 유경험 우수인력을 선발하여 해외 전문교육

40) 1996년 현재 국,공립 미술관 및 박물관은 182개관이다(문화체육부, 96 전국문화공간 현황)

- 149 -

Page 16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기관에 유학 내지 연수를 통해 전문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교육기관 연수를 통해 이론적인 전

문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장래성이 있는 관리자형

인력을 양성하는 방법으로 검토해 볼만한 프로그램이며, 후자의 경우는 대학

미만의 학력을 소지하며 현장의 실무 경험을 일정기간 소지한 인력을 대상으

로 적용해 볼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전자를 위한 해외 연수기관으로서는 전술한 바대로 에꼴 드 루브르 등과 같

이 우수한 시스템을 가진 미술관도 있을 수 있고, 유학을 위해서라면 미국의

뉴욕 대학이나 영국의 City University 등과 같이 미술행정이나 박물관학 등이

개설된 학교를 대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후자의 연수를 위해서는 기존의

유관학과나 기관 등을 연수대상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

행정 연수와 각 큐레이터의 전공분야에 해당되는 문화기관에서의 연수, 기술

교육, 특별교육과정 등이 시행될 수 있으며, 외국 문화관련 기관에서의 연수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큐레이터란 일반적으로 미술관련 전문지식을 기초로 경영학, 재정학, 교육

학, 정보학 등의 인문 사회과학 뿐만 아니라 물리,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응용학문들에 대한 부차적인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런 점을 감안

할 때, 전문교육과정을 수료한 인력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추가적 교육을 위해

적정한 교육기관에 연수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3) 큐레이터 자 격인증제도 도입

그러나 이렇게 많은 전문인력이 양산된다 하더라고 이들에 대한 자격관리

운용이 제대로 제도화되지 못할 때, 이 장의 처음에서 언급한 것처럼 구조적

악순환과 저해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큐레이터에 대한

자격인증제도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전문직원의 전문성 강화와 창조적인 미술관 문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문직원의 자격요건을 강화할 자격시험과 자격인증제도가 우선적

으로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미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인력들에게 객관

- 150 -

Page 16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적인 자격을 부여함으로써 그들에게 정체성과 사회적 대우를 제공함은 물론,

배출될 전문인력 교육과정의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

다.

또한 현재의 큐레이터에 대한 인식부족과 공신력 결여 등으로 인한 부족한

큐레이터의 자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큐레이터의 자질향상을 도모하며 이

를 통한 국내 미술계의 질적 향상과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미술계의 인식을 제고하고 제도를 정착시켜 미술문화 발전에 크게 기

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소정의 자격시험을 통해 전문인력들에게 자격

증을 부여함으로써 전문성의 강화와 특화를 기하며, 등록미술관은 자격증을

가진 사람만을 채용토록 제도화하면 현재 미술관 문화와 관계된 구조적인 문

제점들이 근원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현행 제도하에서도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학예연구원의 임용시험은 있

다. 그러나 이러한 임용시험은 국가공무원의 임용시험의 특수한 예에 지나지

않아 일반 미술관의 큐레이터의 자격인증과는 별개의 문제라 할 수 있다. 현

행 제도하에서의 학예연구원 시험의 응시자격은 고고인류학, 민속학, 역사학,

미술학(회화, 조소, 공예), 건축학(건축사) 또는 음악(국악, 기악, 성악, 작곡)을

이수한 자이며, 시험과목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시험은 객관식 5

지 선다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 공무원 시험과 마찬가지로 공통과목의 경

우, 국어, 영어, 문화사, 국민윤리, 국사이며 선택과목은 인류학, 고고학, 미술

사, 민속학, 박물관개론, 건축사로 이중 한 과목을 선택토록 되어 있다. 학예원

시험은 총무처가 주관하는 시험으로 일반공무원 5급에 상당하는 학예연구관

자격시험과 해당부처가 실시하는 시험으로 일반공무원 6급에 상응하는 학예연

구사 자격시험의 두 가지 등급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 시험들은 학예연구원

에 필요한 전공과목보다는 일반공무원에 필요한 공통과목 위주의 시험제도로

서 전문성을 살릴 수 없는 신축성이 결여된 시험제도로 지적되고 있다. 선진

외국의 경우, 전공과목을 위주로 학예원의 특성을 살린 세분화된 전형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 151 -

Page 16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 큐레이터 자격시험 전형방법

우선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그리고 면접 등의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필기시험의 경우 미술사, 미학, 박물관학, 예술사회학, 예술교육

학, 인류학, 외국어 등의 공통과목과, 큐레이터 업무의 세분화를 따라 고고학,

인류학, 한국미술사, 서양미술사, 동물학, 식물학, 화학, 교육학 등의 선택과목

을 설정하되 객관식과 논술식의 문제를 평점을 달리하여 출제하는 방식을 검

토 할 수 있다.

실기시험의 경우는 미술관의 인턴쉽 제도를 활용하되 국가가 정하는 미술관

에서 일정 기간동안의 인턴쉽에 참가하여 미술관 운영 실무에 관한 능력을 테

스트한다. 미래의 정보화 사회에 환경에 부합되도록 컴퓨터 조작능력과 외국

어능력을 테스트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외 미술관에서의 경력소지자 등 큐레이터 인증자격에 상

응하는 능력과 실력을 가진 자에 대해서는 무시험 인증제도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아울러 기존 종사자에 대한 배려의 문제도 전형에 있어 신중히 고려되

어야 할 것이다. 기존 종사자들의 경우도 자격인증 시험을 반드시 거쳐 인증

토록 함을 원칙으로 하되, 자격인증제도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교육

기관의 설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기존종사자의 경우 신설되는 교육기관

에서의 보수교육을 통해 요청되는 학점을 이수할 경우, 이수 성적을 필기점수

로 환산하여 필기시험 성적으로 계산하는 방식 등 연구가 필요하며, 실기성적

의 경우 근무고과로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응시자격의 경우도 직급에 따른 연령이나 학력, 전공, 경력의 제한을 두어

엄정하게 관리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며, 기존종사자들의 경우도 전공영역

에 따른 세분화를 위해 자격요건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응시분야는 가급

적이면 전시기획, 작품보존, 교육, 기록 및 분류 등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시행 주무처는 행정자치부 보다는 자격증에 대한 공신력 제고와 전문성 확

보를 위해 문화관광부가 시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자격증 인증제도의 시행은 전문인력으로서의 큐레이터에 대한 사회적 인식

- 152 -

Page 16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의 강화와 함께 큐레이터 자신의 정체성강 화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나 이러한 정체성 강화와 소명의식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자격증 소지자의 처우에 대한 보장이 관건일 것이다. 현재 큐레이터 제도가

정착되지 못하는 이유중 하나는 열악한 처우의 문제에 기인하는 바 크다. 현

재 큐레이터로 활동하는 인력들은 대개 대학원 졸업이상의 자격요건을 가진

자들이 대부분이지만, 대개는 월 100만원 이하의 보수를 받고 일하고 있는 실

정임을 고려할 때 동등한 학력을 소지한 일반 직장인들의 평균수입을 크게 밑

돌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사설 미술관이나 화랑에 종사하는 큐레이터들의

경우 안정된 급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소명의식만으로 버티기엔

역부족인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재능 있는 큐레이터들이 미술관을 떠나 평

론가나 다른 유사 업종에 종사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격

인증제도의 정착과 함께 큐레이터들의 전문인력으로서의 처우개선이 보장될

수 있도록 국립미술관의 직급과 보수체계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격인증제도 신설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

는 중요하고 시급한 사안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우리 미술계의 제반 여건 등

을 감안할 때 사전에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 있다.

우선 자격인증제도가 실시되기 위해서는 큐레이터 양성 교육기관과 연수과

정의 설립이 선결되어야 하며, 현 종사자를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등은

인증제도 실시 이전에 선행되어야 한다. 일본의 경우에서처럼 자격인증제도는

시행시 현 종사자에 대한 경과조치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에 가장 중요한 문제중 하나는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의 신설과 자격인증

제도를 맡아 관리할 전문 관리 및 교수요원들의 확보와 양성이다. 가능하다면

교수요원을 양성하기 위해 일정기간 미술관이나 미술행정 유관기관 종사자들

을 선발하여 해외 전문교육기관에 유학을 시키는 일을 병행하면서 현재 미술

관이나 유사미술 관련 종사 전문인력을 교수요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되

어야 할 문제이다.

- 153 -

Page 16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VII. 결 론 및 정책 제 언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 전문인력에 대한 인식 및 전문화의 정도는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또한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전문교육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어 우수한 전문가를 양성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문화행정 및

다른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화는 문화예술의 경쟁력 강화라는 생존 차원의 문

제로까지 인식되고 있어, 문화예술 전문인력을 전문적인 직업으로 인정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숫자는 이를 독

립적인 전문직으로 인정할 만큼 많으며, 앞으로 그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문화행정 등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전문직 인정은 문화예술의 문화예술 종사

자들은 다른 분야와는 달리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미적 감수성을 가지고 있

어야 한다는 것과, 문화예술이라는 재화가 다른 재화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러므로 특히,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은 대학원 수준

의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하여 전문가를 양성하여야 한다.

미국이나 유럽의 사례에서도 보듯이 문화행정이 전문적인 직업으로 인식되

고, 문화행정 교육이 발달한 것은 문화 및 정치·사회적인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다. 즉, 미국은 지원의 감축으로 인한 대응책으로서 문화행정이

나 예술경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유럽은 정부 지원의 확대에 따른

지원금의 효율적 관리에서 출발하였지만, 경기 불황에 따른 다른 정책분야와

의 경쟁력 확보가 예술경영 교육 확산의 주된 원인이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를 살펴보면, 미국과 유럽의 경우에 모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국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정부의 문화정책에

대한 비중도 높아지고 있으며,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지원금과 문화재원도 증

가되어 왔다. 그러나 외환위기로 인한 경제불황 시작 이후 문화정책은 더욱

더 강조되고 있지만,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지원금 감축과 함께 문화예술기관

의 효율적 운영과 경쟁력 제고가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것은 생존을 위한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즉, 문화예술기관에서도

- 154 -

Page 16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외부자원 활용(out-sourcing) 방법을 통해서든지, 아니면 문화예술기관 자체내의

경영혁신을 통해서든지 효율적 운영 문제는 재원 감축과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어 문화예술기관의 생존을 위한 절박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여건에서

문화예술기관의 경영혁신을 추진할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전문인력의 중요성

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

또한 이런 경향은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의 명확한 개념 구분을 어렵게 하고

있다. 물론 국공립 문화예술기관과 민간 예술단체가 인식하는 문화행정의 전

문성에 대한 관점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다. 또한 각 기관 내에서도 행정절

차와 업무의 범위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르기 마련이다. 예를들어 국립예술단체

의 기관장(단장)이 가져야 할 업무의 전문성과 민간 예술단체의 실무자가 가

져야 할 전문성은 다를 수 밖에 없으며, 중앙정부의 문화정책 기획 조정업무

를 총괄하는 고위관료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 실무자가 함양해야 할 전문

성은 상당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국민들에게 좀 더 수준 높은

예술을 더 용이하게 제공하고 문화예술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공공적 측면과,

재원의 운용 및 기관의 관리에서 효율성을 제고하여야 한다는 경영 측면을 모

두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행정 전문교육은 문화행정에 관한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이 가능한 대학원 수준의 전문교육기관 설립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

기관의 설립은 전문가의 수요를 창출하고 전문화를 촉진시키므로 문화행정의

전문화 및 문화예술 발전에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나 현실 여건상 별도

의 전문 교육기관 설립 운영은 단기간에 추진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따라

서 전문 교육기관 설립과 함께 종합대학교의 전문 경영대학원에 예술경영과정

을 신설하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 문화행정직의 전문화는 전문 교육기관 설

립 못지 않게 중요하다. 교육기관 설립이 환경의 조성이라면, 문화행정직의 전

문화는 이를 실행하는 것이다. 교육을 통하여 전문가가 양성되더라도 이들이

전문가로서 적절한 대우를 받으면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문화행정의 전문화와 문화예술 발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화행정 및 예술경영 외에 큐레이터 및 무대기술 전문인력에 대해서는 자

- 155 -

Page 17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격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이들의 열악한 처우를 개선하고 전문가로서의 인식을

제고하여 전문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자격인증제도 도입 및 전문직 도입은 기존 인력의 처

리 문제에 부딪치게 된다. 기존 인력의 처리는 문화행정 전문화의 중요한 변

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기존인력에 대해서는 지정 교육기관에서 일정기간 동

안 재교육을 통하여 이를 인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단

기 연수교육 프로그램을 대폭적으로 강화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하여 문화행정, 예술경영 및 큐레이

터 등 전반적인 사항을 다루었지만, 연구의 한계상 각 분야를 세부적으로 접

근하여 대안을 개발하지는 못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문화행정 및 예술경

영을 위주로 국내사례 및 외국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에서 전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

식하고, 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두 축

이라 할 수 있는 전문 교육기관의 설립과 전문직종으로의 인정은 정부의 의지

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민간 차원에 자율적으로 전문인

력 양성을 맡긴다면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성 강화는 매우 점진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급변하는 사회환경에서 외국에서 이룬 것 보다도

훨씬 단시간 이내에 모든 분야의 전문화를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

무이며, 이것은 문화예술 분야에도 똑같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이것은 정부에

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 주지 않는다면 달성하기가 어려운 사항인 것이다.

- 156 -

Page 17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참 고 문 헌

교육개혁위원회(1995),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1996),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Ⅱ)」

국립현대미술관(1995), 미술관 발전과 정부의 역할 , 「현대미술관연구」제6집

김문환·이중한(1987), 「문화촉매운동론」, 현암사

김문환(1996), 「미래를 사는 문화정책」, 나남출판

내무부(1996), 「지방조직개편백서」 I, II

문화체육부(1996), 「전국 문화공간」

미술의해 조직위원회(1995),「21세기 문화발전을 위한 미술진흥제도 개선책연구」

서성록(1988), 국내 큐레이터 활동현황 및 그 개선방향 , 「예술과 행정」제 1호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예술문화연구소(1994), 「예술문화연구 제4집」, 관악사

이상원(1996), 생활문화교육프로그램 에 대한 주부 모니터 활동 , 「여성연

구」1996년 겨울호, 한국여성개발원.

임희섭(1987), 한국문화의 변화와 전망 , 「한국사회의 발전과 문화」, 나남출판

정준모(1994), 큐레이터 특집 「미술세계」1994년 5∼6월호

중앙공무원 교육원(1996), 「 96 연수교육 계획」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1996), 우리나라 전문직 큐레이터 양성을 위한 에꼴

뒤 루브르 큐레이터 교육제도 특별 강연회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1996), 「경북도립 예천 전문대학 설립 방안 및 장기 발전계획

연구」

(1996), 「춘천 시립 멀티미디어 예술전문대학 설립 기본계획

수립 연구」

(1997), 「한국전통문화학교 설립·운영 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진흥원(1996), 「 96 문화행정요원연수」(관리자반 / 실무자반)

(1996), 「 96 지역문화행정요원연수」(1차 / 2차 / 3차)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1988), 「문화직종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 157 -

Page 17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988), 미술관 큐레이터 직능과 교과과

정 , 「문화예술자료 7」

(1989), 「문화예술 행정요원의 양성 및

확보방안」

(1990), 문화예술전문인력 연수프로그램 ,

「문화예술자료 21」

(1992), 「문화예술 전문기술인 자격인증

제도 연구」

(1994),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1994), 「문화예술단체 실태조사」

한국문화정책개발원(1994), 문화교육을 위한 개념 , 「문화정책자료 50」

(1995), 「지방자치단체별 문화지표 조사연구」

(1995), 「공공도서관의 문화적 기능 활성화 방안」

(1995), 「21세기 우리나라 문화복지 증진방안」

(1996), 「21세기를 향한 한국문화의 비전과 전략」

(1996), 「지역문화 복지지수 체계개발 및 조사연구」

(1997), 「문화도시 문화복지」 Vol. 6

각 학교의 브러쉬어 및 교육프로그램

A. Arthur Prieve(1997), Arts Administration Training 1996∼1997, ACA Books

Henry Ingberg(ed.)(1981), The Training of Cultural Animators and Administrators,

UNESCO

Pierre Moulinier(1984), The Cultural Animators, UNESCO

Finnish Arts Council(1995), Prof essional Managers f or the Arts and Culture

- 158 -

Page 17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Abstract

A S tudy o n Cultura l Adminis tratio n a nd Arts

Ma nage me nt Tra ining

This stu d y w as d esign ed to p rep are for settin g th e cu ltu ral

ad m inistration an d arts m an agem ent cou rse in th e grad u ate sch ool.

This rep ort con sists of seven ch ap ters :

1. In trodu ction (pu rp ose, m eth od an d extent of th e stu d y)

2. Th e actu al con d ition s of cu ltu ral adm inistrators an d arts m an agers

3. Th e case an alysis of foreign arts adm inistration train in g p rogram

4. Policy altern atives of cu ltu ral adm inistration an d arts m an agem ent

train in g

5. A su ggestion of arts m an agem ent cou rse in th e gradu ate sch ool.

6. Policy altern atives of cu rators train in g

7. A conclu sion

In Korea, th e nu m ber of cu ltu ral adm inistrators is ap p roxim atively

tw enty th ou san d in 1996. An d th e d em an d of it can increase abou t

tw enty-fiv e th ou san d in 2011. In sp ite of th e im p ortance an d d em an d

of cu ltu ral ad m inistrators, cu ltu ral adm inistration train in g p rogram is

n ot en ou gh an d efficien t . It w ill be n eed ed to settle th e p rogram s abou t

cu ltu ral p olicy, arts m an agem ent an d cu ltu ral adm inistration . All th e

staffs of th is field m u st h ave com p reh en sive kn ow led ge of cu ltu re an d

- 159 -

Page 17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aesth etic sen sibility . So it' s n ot fit to th is p rogram in th e bu sin ess

sch ool or adm inistration sch ool of a u niv ersity .

Accordin gly w e su ggest to establish tentatively n am ed "th e Korean

Cu ltu ral Policy Gradu ate Sch ool". Bu t it is d ifficu lt for in d ep en d ent

Sch ool to establish . In ad dition al stu d y, w e su ggest to establish arts

m an agem ent cou rse in th e bu sin ess gradu ate sch ool of a n ation al

u niv ersity . It w ill be n eed ed to h elp each oth er betw een all th e

d ep artm ents of th e u niversity inclu d in g th e d ep artm ent of

ad m inistration , an d th e d ep artm ent of arts or cu ltu ral stu dies.

We p rep ared th e cou rses of th is p rogram . It' s d iv id ed in to tw o p arts.

On e is m ajor field of stu dy th at all th e stu d ents m u st take, com p u lsory

su bject . Th e oth er is m ajor field of stu dy th at th e stu d ents can ch oice

som e, op tion su bject .

Th e concrete title of th is cu rricu lu m is like th is ;

* Com p u lsory Su bjects :

a) Survey of arts m an agem ent

b) Prom otion an d p u blic relation s for p erform ing arts

c) Fu n draisin g m an agem ent for th e arts

d) Mu seu m & Gallery m an agem ent

e) Arts & Marketing

f) Law & Arts

g) Cu ltu ral Indu stry

h) In tern ship

* Op tion Su bjects :

a) Lead ersh ip an d Strategic Thinkin g

b) Case stu dy of arts m an agem ent

- 160 -

Page 17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c) Cu ltural p olicy

d) Inform ation system of arts m an agem ent

e) Strategy for d evelop in g arts organization s

f) Au d ience d evelop m ent

g) Social survey m eth od and statistics

h) Theoretical basis of cu ltu re

So as for training of cultural administrators government must recognize

imp ortance of the p ersonnel and carry out legal and institu tional

alternatives. It is needed to introduce certification for professional theatre

technicians and curators. In relation of the license, the governm ent admit

all the cultural administrators to be as an occupation range.

Page 17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 부 록 □

외국의 문화행정 전문 교육기관 현황41)

41) 이 내용은 Arts Administration Training and Research 1995∼1997를 중심으로 하고 다른 자료

를 추가하여 번역 정리한 것이며, 일부 학교의 경우에는 최신자료가 아니므로 일부 내용이

현재의 프로그램과 약간 다를 수도 있다.

Page 17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차 례

1. The American University 1842. Brooklyn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873. BOSTON UNIVERSITY, METROPOLITAN COLLEGE 19 14. California State University, Dominguez Hills 1945. Carnegie Mellon University 1986. City University of London 2047. Columbia College 2078. Columbia University/Teachers College 2 129. Drexel University 2 1710. L 'ECOLE DES HAUTES ETUDES COMMERCIALE DE MONTREAL 22011.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22312. Golden Gate University 22613. Indiana University 23114. Lesley College Graduate School 23615. New York University (Performing Arts Management Program) 23916. New York University (Visual Arts Administration Program) 24317.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4718. Sagamon State University 25019. Saint Mary 's University of Minnesota 25420.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582 1.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26122.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26423. Texas Tech University 26724. The University of Akron 27025. University of Alabama 27426. Universitat De Barcelona 27927. UCLA Arts Management Program 28428. University of Cincinnati 28929. Univers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29430. University of Maryland 29831. University of New Orleans 30432. University of Oregon 30733.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31034. Utrecht School of the Arts 31435. Virginia Tech 32 136. Yale University 31737. York University 325

- 164 -

Page 17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 The American University

주소 :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Kreeger 20 1

The American University

4400 Massachusetts Ave., NW

Washington, D.C. 200 16-8053

전화 : (202)885-3420

Fax : (202)885-1092

학과장 : Valerie B. Morris

학위명 : M.A.

-------------------------------------------------------------------------------------------------------

설 립 배 경 , 학 업방 향 및 목적

예술경영학 대학원 과정은 예술분야의 전문적인 경영자에 대한 점증하는 요청에 부

응하여 학생들을 모든 분야 - 극장, 시각예술, 음악, 춤 - 의 예술 행정가로 훈련시키

고, 그들에게 예술사업과 경영 그리고 진흥의 기본취지를 교육하기 위해 1974년에 설

립되었다. 이 대학의 프로그램은, 청중 개발과 마케팅 및 자금조달 전략에 초점을 두

고 있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재정 경영에 중점을 두고 있는 유사한 프로그램들과

구별된다. 이 대학의 프로그램을 마치는 데는 대략 2년 반의 기간이 소요되며, 석사학

위가 수여된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분야의 학과과정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transferable arts와 경영기법들을 익히게 한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은 전임교수요원들에 의해 운영된다. Valerie B. Morris는 학과장 겸 프

로그램의 총 감독자이며, Karen Chandler는 예술경영학 조교수이다. 이밖에 Washington,

D.C. 예술계의 경력 있는 저명한 인사들이 보조적인 교수요원으로 참여한다. 보조 교

수요원으로는 Montpelier Foundation의 executive director인 Kathy Dwyer Southern,

Shakespeare Theatre의 Beth Hauptle, 변호사 Pamela Sherman 등이 있다. 그 밖의 초빙강

사로는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Joel Snyder, consultant Mary Ann de Barbieri,

Subscribe Now !의 저자인 Danny Newman, Arts Action Research의 director인 George

Thorn 등이 있다.

1995년부터는 예술경영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출간한 Alvin H. Reiss와 같은 국제

적으로 알려진 예술경영 전문가들이 본 프로그램의 예술경영연구 프로젝트(Project on

Management Studies in the Arts; POMSA)에 초빙교수로 참여하고 있다. POMSA는

- 165 -

Page 17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American University의 제도적으로 두드러진 프로그램으로서, 각 분야에 걸친 예술경영

의 비영리 모델 및 영리 모델의 효과와 적용 가능성에 대한 사례연구들을 장려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학 위 과 정

M.A. 취득을 위해서는 45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교육과정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예

술경영분야의 핵심코스에서 2 1학점을 이수해야 하며, 12학점을 경영, 섭외사무, 통신

또는 행정학에서 선택해야 한다. 논문(6학점)과 인턴쉽(6학점)도 필수과정이다. 필수과

정은 학생의 이전 경력과 경험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된다. 또한 학위취득을 위해

서는 4시간의 종합시험도 필수적이다. 또다른 선택방안은 행정학을 통한 방안이다. 행

정학 석사 학위 취득을 위해 공부하는 학생은 과정 전공분야로 예술경영을 선택할 수

있다.

핵심필수과정(2 1학점) - 지원자의 이전 훈련과정이나 경험에 따라 융통성이 있다

예술경영개관(3학점)

창작이론과 비평(3학점)

공연예술 기획과 홍보(3학점)

예술경영 기금모금 관리(3학점)

예술경영 사례연구(3학점)

예술관련 선택과목(경영과 관계없는 예술관련 과목 - 2과목 )(6학점)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6학점에 해당하는 논문 또는 논문을 대치하는 옵션이 요구된다. 논문은 대학원 연

구과정의 특정 분야와 관련된 연구계획을 수행한 결과이어야 한다. 논문을 대치할 수

있는 옵션은 사례연구나 in-service project, 독창적인 창조적 작업, 연구과정에 대한 상

세한 서술, 또는 학과가 지시하는 다른 과정들이 될 수 있다. 연구계획은 작업이 시작

되기 전에 지도교수, 심사위원회, 그리고 학과의 대학원과정 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받

아야 한다.

현 장 실 습

인턴쉽의 기간은 4-6개월간이다. 예술경영분야에서 일하고 있거나 일했던 경험이 있

는 학생들에게는 인턴쉽이 면제된다. 이 경우 추가적인 코스가 요구될 수도 있다.

Washington, D.C.는 극장, 공연예술 및 다른 비영리 조직들, 정부기관들을 통한 많은

인턴쉽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몇 학기 동안 학생들은 셰익스피어 극장, 케네

디 공연예술센터, Corcoran Gallery of Arts, 워싱턴 공연예술협회, Wolf Trap Farm Park

for the Performing Arts, 국립예술기금 등을 통해 인턴쉽 과정을 이수했다.

- 166 -

Page 18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입 학 허 가절 차

M.A. 학위 취득을 위해 예술경영학 과정에 등록하고자 하는 지원자는 인가된 대학

에서 마지막 60학점의 평균이 3.0 이상을 취득한 학사학위 소지자이어야 한다. 지원자

는 이 대학의 양식에 따른 지원서와 대학성적증명서, 2통의 추천서를 제출해야 한다.

또한 개별 면담을 해야 한다. 지원서 교부처 및 서류 제출처 주소는 다음과 같다.

Office of Graduate Admission

The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C. 20016

- 167 -

Page 18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 Brooklyn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주소 : Performing Arts Management

Department of Theatre

Brooklyn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12 10

전화번호 : (7 18)95 1-5989

Fax : (7 18)95 1-4870

학과장 : Stephen Langley

학위 : M.F.A.(공연예술경영)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Brooklyn College에서는 Performing Arts Management(공연예술경영) M.F.A. 학위 취득

을 위한 2년간의 공연예술경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974년 시험적으로 시작되어

1976년 정식 프로그램으로 확대된 이 프로그램은 무용이나 음악, 연극에 흥미와 경험

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경영인이나 예술감독이 되고자 하는 학

생들을 위하여 마련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바람직한 조직과 상상력이 풍부한

지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잘 훈련되고 인본주의적인 전문가들에 대한 공연예술분야의

필요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필수과정은 이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학생들만을 위해 고안되고 가르쳐진

다. 학생들은 가끔 있는 선택과정을 제외하고는 그룹으로서 고도로 구조화된 교육과

정을 따라야 한다. 실질적으로 모든 수업은 저녁에 시작되고 수업장소는 Brooklyn 캠

퍼스나 Midtown Manhattan에 있는 뉴욕시립대학 Graduate Center이다.

교실에서의 학업과 그에 상당하는 분량의 실질적인 경험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이 프로그램은 대단히 많은 시간의 현장실습을 요구한다. 첫 세 학기 동안 학생들은

200시간의 실습과제 (Practicum assignment)(보통 각 학기마다 다른 예술조직과 다른 자

격으로)를 수행해야 하며, 네번째와 마지막 학기에는 주로 뉴욕시나 기타 다른 곳의

주요 예술조직에서 급여를 받는 full-time 전문인으로서 실습을 받게 된다.

학 과 운 영

강의는 전문예술영역에서 수많은 초청연사를 통해 보충되며, 현재 이 프로그램의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 연극학과 주임인 Benito Ortolani, 프로그램 학과장이며 『미국

의 연극경영』, 『예술, 미디어 경영의 직업』의 저자인 Stephen Langley, Brooklyn

Academy of Music의 학교장인 Alice Bernstein, 브로드웨이의 인쇄업자인 Adrian

- 168 -

Page 18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Bryan-Brown, 맨하탄 연극인 클럽의 고문인 Janet Harris, 카네기홀의 마케팅 담당자인

David Kitto, 컴퓨터과학 교수인 Yedidyah Langsam, Brooklyn Academy of Music의 연출

감독이자 『market the Arts』의 편집인인 Joseph V. Mellilo, 건축가이자 Obie상을 받은

무대장치 디자이너 John Scheffler, 브로드웨이와 노천무대 매니저인 michael Turque, 지

역연극협회(LORT)의 법률고문인 Harry H. Weintraub, 경제학 교수인 Robert Widman,

General Manager on and off Broadway인 Laurel Ann Wilson.

학 위 과 정

아래 열거된 2년동안의 4학기 프로그램이 이과정의 핵심이다. 필수과목은 학생 개

개인의 학업경험, 흥미,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된다. 많은 선택과정도 학교의 승

인 하에 선택할 수 있다. M.F.A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6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수업료

는 뉴욕 주 거주자의 경우 학기당 2,175불, 비거주자의 경우는 학기당 3,800불이며,

part-time 학생의 경우에는 이수학점당 각각 185불과 320불이다. 뉴욕주 거주자는 뉴욕

주에 1년 이상 거주했다는 증명을 제출해야 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full-time 학생으

로, 처음 3학기 동안은 15 내지 18학점을, 그리고 4번째 학기에는 6학점을 이수한다.

공연예술 행정이론

경영학 전공 연구와 문헌

재정 및 경영회계학

경영을 위한 컴퓨터 특강

공연예술단체 경영

공연예술 기획과 마케팅

공연예술 관련 법규

공연예술에서의 노사관계

공연예술에서의 기금조성

극장 디자인과 설치

무대, 극단 관리

방송경영

공연예술의 예술/경영 의사결정

공연예술경영 고급과정 세미나

연극사 : 2학기간 - 음악과정으로 대체 가능

경영실습과정 : 3학기간-학기당 1학점, 주요 예술단체에서 각 학기당 최소

200시간 실습(각각 이수증 수여)

논문프로젝트 : 4개월간 일류 전문예술단에서 full-time으로 실습하며 관련

보고서 작성

- 169 -

Page 18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논문스타일로 작성한 50페이지 분량의 내용과 부록을 갖춘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데, 이 보고서에는 실습단체의 배경과 일에 대한 소개, 그리고 그에 대한 평가와 추천

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현 장 실 습

파트타임 현장실습과 풀타임 수련과정은 위에서 기술한 대로이다. 실습장소는 보통

맨하탄에 있으며, 예술심의회, 조합사무실, 배우양성 소개소, 예술봉사단체, 미디어상사,

연극·무용·음악의 상업적, 비상업적 부문을 포함한다.

여름 동안의 인턴쉽은 뉴욕시 이외의 장소, 런던, 기타 외국의 수도에서 마련된다. 대

표적인 인턴쉽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

ABC Acting Company(ABC 연출사), Actor 's Equity Association(배우조합), Art/New

York(예술/뉴욕), Avignon Festal(아비뇽 페스티발), American Ballet Theatre(아메리칸 발

레 극장), Brooklyn Academy of Music(브룩클린 뮤직 아카데미), Carneigie Hall(카네기

홀), Circle in the Square(스퀘어에의 써클), Columbia Artists Management Inc.(콜롬비아

예술가 경영사), Dance Theatre of Harlem(할렘 댄스 극장), Circle Repertory Company(써

클 레퍼토리사), ICM,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국립예술기금), New York State

Arts Council(뉴욕주 예술위원회), New York City Opera(뉴욕 시립오페라단), New York

Shakespeare Festival(뉴욕 세익스피어 페스티발),Manhattan Theatre Club(맨하탄 극장 클

럽), Edinburgh Festival(에딘버그 페스티발), Roundabout Theatre Company(라운드어바우

트 극장사), Williamstown Theatre Festival(윌리암스톤 극장 페스티발)

입 학 허 가절 차

지원서 교부처 주소 : Theatre Department

Brooklyn College

Brooklyn, New York 112 10

학비 보조에 관한 정보제공

이 프로그램은 특별연구원 연구비를 제공하며 대학내 공연예술센타에서는 이 프로

그램을 수강하는 학생을 위하여 급여제 파트타임 관리직을 제공한다.

- 170 -

Page 18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 BOSTON UNIVERSITY, METROPOLITAN COLLEGE

주소 : Arts Administration

Metropolitan College

Boston university

808 Commonwealth Avenue

Boston, Massachusetts 022 15

전화 : (617) 353-4064

Fax : (617)353-6840

학과장 : Daniel Ranalli

학위명 : M.S.(예술행정 ; Administrative)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행정 프로그램은 공적 및 사적 부문의 시각예술, 공연예술, 그리고 예술지원 조

직들에서의 경영 경력을 갖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탁월성,

창조성, 경제적 문제의 해결, 국제주의, 그리고 현대사회에서의 예술과 개별 예술가들

의 역할에 관한 관심을 강조한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적 수준의 예술관련 기관들로 유명한 도시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직접적인 이점이 있다. Boston University는 Charles River에 인접한 7 1에이커 규

모의 캠퍼스를 가지고 있으며, 15개의 학교 및 college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학은

예술행사와 관련하여 잘 알려져 있으며, 예술 분야의 풍부하고 다양한 학과과정들을

개설하고 있다. 이 대학은 또한 400평방 피트 규모의 박물관 수준의 전시장을 운영하

고 있으며, 몇 몇 전문적인 공연예술조직들이 그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학 과 운 영

본 프로그램의 학과장인 Daniel Ranalli는 20여년에 이르는 예술 관리자, 비전업 예

술가(working artist) 및 예술 평론가로서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직업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것으로서, 모든 수업이 저녁 시간대에 실시된다. 예술행정

과정은 이 지역의 예술관련 기관들에 소속되어 있는 유명한 전문가들이 현장의 경험

을 살린 교육을 하고 있다.

학 위 과 정

인턴쉽을 포함하여 총 10과목에 4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과목들은 예술관련 조직

- 171 -

Page 18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에 관한 것들과 일반 경영에 관한 것들이 각각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이 밖에 회계

및 컴퓨터 조작능력에 대한 학과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과목의 수강이

요구될 수도 있다. 개설된 과목들은 다음과 같다.

예술세계

시각예술 단체의 경영

지역사회 예술단체의 경영

공연예술단체의 경영

정부, 문화정책, 법률과 예술

공공예술프로그램 운영

비영리기관의 진흥전략과 기금조성

현 장 실습

5년 이상의 full-time 경력을 갖지 않은 학생들은 지역의 예술관련 조직들에서 인턴

쉽 기간을 채워야 한다.

입 학 허 가절 차

지원자는 공인된 기관에서 취득한 학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입학허가를

받으려는 사람은 또한 학부 수준의 교육이나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증명 가능한 교

육과정에 근거한 한 예술 분야에 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외국인 학

생은 TOEFL 시험을 치러야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표준화된 시험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2통의 추천서를 제출하고 개별면담을 해야 한다.

- 172 -

Page 18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4. California State University, Dominguez Hills

주소 : 1000 East Victoria Street

Carson, California 90747

전화 : (2 13)5 16-3636

학과장 : Dolo Brookling (예술행정프로그램)

학위 : M.A.(예술행정학)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1986년부터 시작된 예술행정학 M.A.과정은 새로운 문화적 대중의 출현과 관객층의

노령화를 인식하고 예술참여를 위한 새로운 수단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

하고 있다. 문화적 민주주의의 과정을 민족학과 인구통계학에서의 변화로 반영하는

문제와 문화기획과 공공정책에 대한 영향을 인식하고 드러내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실무능력과 지도자로서의 기술을 발달시키고 현대사회에서 예술단체

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문제들을 알아내고 개선하도록 고안되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는 기획, 예산, 섭외, 마케팅, 공공정책, 예술, 기금모금 및 발전, 재정관리, 법적 문제,

공학기술의 이용, 단체조직과 교육 등을 포함하는 현대예술단체의 관리와 관계된 문

제들을 폭넓게 다룬다.

단기간의 행정직 인턴쉽과 지역사회봉사 과제를 통해 학생들을 역동적이고 혁신적

이며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로스엔젤레스에서 예술단체관리의 실체를 배울 수 있

다. 이 과정에서 강조하는 것은 미적 감각을 가지고 구성원을 결속시키면서 문제를

해결하고 올바른 결정을 내려 실행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예술적 훈련을 통해 예술적 영감을 확대하고 여러 사람들

과 성공적으로 작업함으로써 인간관계 개선의 기술을 발전시키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예술 애호가 집단을 반영하는 다양한 예술단체에서 일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다음에 열거한 과정을 통해 예술행정가의 전문적인 성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6개의 단기간 인턴쉽 및 지역사회봉사 과제

한 학기에 달하는 수련과정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교수법

학급단위 공동연구과제

회의, 초청강연, 현장견학을 통해서 전문가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

- 173 -

Page 18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이미 활동하고 있는 행정가를 위해서 AAD프로그램은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이

미 발전 시켜놓은 기술을 확고히 하며, 현대사회에서 갱신된 예술의 역할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문제 인지력과 해결력, 그리고 결정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숙

달된 학습자가 본질 문제에 관한 논의에 활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과

정은 풀타임으로 고용된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주말과 야간에 실시된다. 예술단체에

서의 풀타임 행정직이나 고문으로서의 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은 단기간의 행정직 인

턴쉽으로 대체할 수 있다.

California주립대학 Dominguez Hills는 로스엔젤레스 시내 중심에서 20분 거리에 위치

해 있다. 문화적 다양성이 이 대학의 주된 특성이다.

학 사 운 영

이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전임 지도교수는 교육과정을 지도하고, 학생들에게 조언을

주며, 인턴쉽을 감독하고 전공과목간의 프로그램 위원들과 연구활동을 한다. 지도교수

는 인문예술대학장에게 보고서를 제출하며, 조교수와 초청강사는 예술행정 현장의 전

문가들로 이루어진다.

학 위 과 정

32학점의 연구에 덧붙여 12시간의 경영이나 예술과정이 필수적이다. 추천코스는 회

계, 기획, 예산, 회계에서의 재정전략, 단체행동과 조직 구성관리, 컴퓨터응용, 관리정

보시스템이다. 이런 필수과정들은 전체 프로그램의 일부이며, 학생들의 해당 경력이나

경험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필수과정 (25학점)

- PUB 500 행정학 환경과 실습(4)

- AAD 50 1 예술경영학개론(3)

- AAD 510 공연예술경영학(3)

- AAD 511 영상예술행정(3)

- AAD 550 예술관리 : 비영리적 관점(3)

- AAD 590 기금모금 및 발전기술(3)

- AAD 596 예술경영세미나(3)

- AAD 599 예술경영 수련과정 또는 논문(3)

- 174 -

Page 18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선택과정 (6학점)

- AAD 525 문화적 민주주의(3)

- AAD 595 예술경영의 특별 논제(3)

- PHI 494 미학(3)

- COM 467 섭외연수(3)

- PUB 502 조직이론과 행동(3)

- PUB 5 10 세미나 : 공공재정관리(3점)

- ACC 230 재정회계학과 ACC 531 정부비영리회계학 두 과정은 필수학부과정

12시간을 보충할 필요가 있는 학생들에게 제공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전공보고서는 예술행정학 세미나의 한 부분으로써 요구된다. 한학기의 수련과정 대

신 예술단체에서 풀타임 행정가로 일하는 학생들에게 논문은 필수적이다.

현 장 실 습

예술행정개론, 영상예술행정학, 공연예술행정학의 필수과정으로 이수한 세개의 단기

인턴쉽 이외에 이 프로그램의 결정적인 활동은 한 학기간 받는 감독하의 수련과정이

다. 풀타임 예술행정가에게는 논문이 필수적이다.

입 학 허 가절 차

이 프로그램과 대학에 대한 안내, 지원절차 문의는 우선 학과장 앞으로 해야한다.

입학허가를 받기 위해 학생들은 다음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인가된 대학에서 취득한 학사학위

최소 평균 3.0 이상의 학점

학부에서 연구나 현장에 종사함으로써 증명된 예술에 대한 공헌도

듣기, 말하기, 쓰기와 지도자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낸 두통의 증명서

학과장과의 전화 또는 직접 면담

직업경력이나 성취목표를 기술한 수필과 비판적 사고능력과 작문력을 증명할 수 있

는 수필이나 보고서

하나 이상의 예술분야에 대한 지식과 관리분야에서 일한 경험을 가진 지원자는 특

히 유리하다. 대학과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서는 정보소포로 우송하기 바람. 마감기한

에는 융통성이 있다. 예술행정학 조교직도 제공한다.

- 175 -

Page 18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5. Carnegie Mellon University

주소 : Master of Arts Management Program

H. John Heinz Ill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Carnegie Mellon University

5000 Forbes Avenue

Pittsburgh, Pennsylvania 152 13-3890

전화 : (4 12)268-2 164

Email : mamprog @andrew.cmu.edu

World Wide Web : http ://artsnet.heinz.cmu.edu/mam

학과장 : Dan J. Martin

학위 : M.A.M. (예술경영학 석사)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경영학 석사과정은 1987년 8월 H. John Heinz III 공공정책 및 경영 학교와

College of Fine Arts의 합작으로 시작되었다. 풀타임 2년 과정의 이 프로그램은 오페라

단, 극단, 교향악단, 무용단, 박물관, 기타 예술단체에서 경영인으로서의 능력을 발휘

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해 고안되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예술을 취급하는 지방,

주, 연방정부기관에 종사하는 경영자와 정책수립자들도 배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것은 관리기술과 예술적 기술을 조화시킬 수 있는 예술경영자를 훈련, 양성

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예술 분야에서 충분한 경험을 갖고 있는 이들을 위해 고

안된 것이다.

예술단체의 성공은 수지를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예술적 사명을 다하는 정도에 의

해서도 가늠되어진다. 예술 경영자들은 이 두 가지를 끊임 없이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해 내야 한다. 최근 몇 년간 문화조직들은 예술창작을 해 낼 수 있게 되

었을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있어서의 자신의 역할을 확대시켜 왔다. 예술관련 기관들

은 경제발전 및 도시의 부흥, 교육의 개선 등의 촉매로서 기능한다. 오늘날 예술 경영

자들은 전략가, 재정 기획가, 기금 모금자, 시장 관리자, 교육자, 개인적인 전문가, 로

비 활동가들이다. Carnegie Mellon의 MAM 프로그램은 예술 분야의 미래의 지도자들

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역할을 한다.

Carnegie Mellon University는 환상적인 세계적 수준의 교육을 지향한다. 로봇 공학

연구소와 컴퓨터 과학의 엔지니어에서부터 예술대학의 드라마 주연배우에 이르기까

지, 카네기 멜론은 국제적으로 가장 우수한 인자들을 배출하고 있으며, 학문과 교수

영역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수준을 향상시켜 가고 있다. MAM 프로그램은 카네기 멜

- 176 -

Page 19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론의 가장 강력한 두 부분인 Heinz School과 College of Fine Arts의 힘을 빌려 두 학교

의 상대적 이점을 통합시킨 특출한 수준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Heinz School은 공

공기관 및 비영리조직들의 경영에 관한 분석기술을 제공한다. College of Fine Arts는

예술 분야에서 현재 유행하고 있거나 새로이 나타나는 이슈들에 대한 이해와 관리·

경영자의 입장에서 그것들을 직접 적용하는 방법과 함께 예술에 대한 심미안적 관점

을 Heinz School의 분석기술에 결합시키고 그것을 보완해 준다.

MAM 프로그램은 모든 관리·경영 기능은 조직의 존속을 위해 봉사한다는 믿음에

기초하고 있다. 예술적 사명과 예술가의 요구에 초점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절대적

필연성에 강조점이 두어진다. 그리고, 예술 경영자는 다재다능해야 하므로, 이 프로그

램은 포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예술관련 기관의 경영에 대한

총괄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의 학과장은 Dan J. Martin 교수이다. 그는 예술관련 행정에 종사한 경

력이 있고 기금 모금과 관객개발 및 경영의 고문으로서 활발한 활동경력을 가지고 있

으며 미시간, 뉴욕, 뉴 잉글랜드, 필라델피아, 버지니아 등지의 비영리 극단의 전문 경

영인으로서의 경력도 20여년이 된다. 이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Heinz School과 College

of Fine Arts의 해당 분야의 잘 알려진 전문가들과 경험 많은 교수진들로부터 배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많은 수업에 지방 및 국립 예술조직, 그리고 관련 봉사조직들의

존경받는 현직 경영자들이 강사로 초빙된다.

학과과정 및 공동 학과과정의 개발을 돕기 위해 전문 경영인들로 구성된 고문단이

1993년에 구성되었으며, 구성원들은 다음과 같다: 국립 문화단체연맹의 대표인

William P. Blair III, 피츠버그 문화재단의 대표인 Carol Brown, 카네기협회의 대표인

Ellsworth Brown, George Street 극단의 경영감독인 Diana Claussen, 피츠버그 무용협회

의 경영감독인 Carolinda Dickey, 피츠버그 오페라단의 관리감독인 Matthew Dooley, 미

국교향악단연맹의 연출감독인 Catherine French, 미국예술연맹의 연출감독인 Judith

Golub, 국가예술기관 국립협회의 연출감독인 Jonathan Katz, 피츠버그 발레극단의 경영

감독인 Stevel Libman, (주)Alliance 극단의 경영감독인 Edith Love, 국립 지역예술기관

연합의 연출감독인 Robert Lynch, DeCordova 박물관의 감독인 Paul Master-Karnik, (주)

City 극단의 연출감독인 Marc Masterson, NYC 예술을 위한 변호사들의 자발적 모임의

연출감독인 Daniel Mayer, 콜럼비아 예술 경영자들 및 배우들의 모임의 대표인 Gary

McAvay, 예술행정연구소의 대표인 Nello McDaniel, America 오페라단의 연출감독인

Marc Scorca, 맴체스터 장인조합의 대표인 William Strickland Jr, 상업극단협회의 연출

감독인 Frederic B. Vogel, 지역극단연맹의 고문인 Harry H. Weintraub.

- 177 -

Page 19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과 정

총 204단위의 학업을 마쳐야 한다(12단위의 학과는 종전의 4학점 과목에 해당한다)

프로그램의 절반 이상이 필수과목에 해당한다. 필수과목에서는 재정분석, 예술경영,

회계, 예산, 기금모금, 마케팅, 인력자원경영, 예술관련 법률, 미적 판단, 정보체계, 경

제학, 복합문화단체 경영, 통계학방법론, 조직의 경영 및 구조, 경영 커뮤니케이션 등

의 과정을 훈련시킨다. 전략적 기획, 자원개발, 노사관계 그리고 그 밖의 많은 선택과

목이 있다.

필 수 과 목

College of Fine Art Courses

예술경영 이론(12학점)

예술 마케팅/관객개발(12학점)

비평(12학점)

예술경영을 위한 기금조성(12학점)

예술분야 인력자원 관리(6학점)

예술관련 법규(6학점)

공연예술관련 법규(6학점)

예술단체 조사(학점 없음)

극단/공연예술경영(6학점)

시각예술경영(6학점)

Heinz School Courses

응용경제분석(12학점)

공공정책과 경영을 위한 경험적 방법론(12학점)

재정관리와 통제(12학점)

경영정보체계(12학점)

다문화 사회에서의 경영(6학점)

전문적 話術(6학점)

전문적 글쓰기(6학점)

모의 예술경영 팀프로젝트 (Systems Synthesis) I(12학점)

모의 예술경영 팀프로젝트 (Systems Synthesis) II(12학점)

선 택 과 목

예술사, 음악사, 연극사(학점은 과목에 따라 다름)

- 178 -

Page 19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예산과 관리통제(12학점)

탁상출판(12학점)

경영의 윤리적 문제(12학점)

경영에 있어서의 성 차별 문제(6학점)

협상 (6학점)

조직행위(12학점)

정책과 정치학(12학점)

전략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12학점)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2학년 학생은 1년간의 Systems Synthesis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전

문 예술단체가 당면하게 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들의 개념규정과 그 해결방법

에 대해 팀단위로 집중 작업을 행한다. Systems Synthesis 프로젝트는 학생들에게 그들

이 배운 사실과 이론 및 기술들을 통합하여 실제적인 테스트에 적용해 볼 기회를 제

공한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현장 활동가들로 구성된 지도 위원회와 프로젝트조직 참

여자들의 공식적인 프리젠테이션과 인쇄된 형태의 보고서가 요구된다.

현 장 실 습

프로그램 수강의 첫 해와 두 번째 해 사이의 여름 동안 인턴쉽을 수행해야 한다.

승인 받은 조직 또는 관청에서 최소한 7주 이상 full-time 봉사활동을 해야 한다. 최근

에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 인턴쉽이 행해지고 있다 : 앤디 와홀 박물관, 시카고예술협

회, 디즈니 스튜디오, Dodger Productions, Ghostwriter(어린이들의 TV 워크샵),

Guggenheim 박물관, Jonami Productions, 맨하탄 극단클럽, Mark Taper Forum, the

Museum of Modern Art, 국립 어린이박물관, 국립예술기금, 공영라디오방송국, Pace

Theatricals, 샌프란시스코 오페라단, Tim Miler 's Highways.

입 학 허 가절 차

MAM 프로그램에 입학하고자 하는 지원자는 다음 서류들을 제출하여야 한다.

·서명한 지원서와 30달러의 전형료 (수표나 우편환만 가능)

·개인적인 경력 목표와 본 프로그램이 그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에 관한 250자

수필

·대학 전학년 성적증명서

·추천인의 사인으로 봉인된 3통의 추천서

·GRE 또는 GMAT 성적

- 179 -

Page 19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경우 TOEFL 성적

지원자는 그들 학부에서의 훈련이나 예술·문화단체에서의 경험을 통해 예술에 대

한 포괄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해 보일 수 있어야 한다. 지원서는 가능한 한

빨리 제출하여야 한다. 재정적 지원을 받고자 하는 학생은 3월 15일까지 지원절차를

마쳐야 한다. 이 날짜 이후에 도착한 지원서에 대해서는 선별하여 재정지원이 이루어

질 것이다. 재정지원은 학비와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한 것으로, 부분적 학비 장학금,

대출, 실습조교 및 T.A. 등이 있다. 뛰어난 M.A.M 학생들에게는 제한된 수의 전액 및

일부학비 장학금을 지급한다.

입학지원 및 재정보조 업무 담당처 주소 :

Office of Admissions and Financial Aid

H. John Heinz II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Carnegie Mellon University

5000 Forbes Avenue

Pittsburgh, PA 152 13-3890

이 밖의 자세한 사항은 MAM 프로그램의 홈페이지 참조

WWW: http ://info.heinz.cmu.edu/heinz/mam.html.

- 180 -

Page 19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6. City University of London

주소 : Department of Arts Policy and Management

City University

Level 7 Frobisher Crescent

Barbican

London EC2Y 8HB

Great Britain

전화 : 44-7 1-477-8753

팩스 : 44 7 1-477-8887

인터넷 : http ://www.city.ac.uk/artspol/index.html

학과장 : Michael Quine

전화 : 44-7 1-477-8000 ext. 5752

Email : m.w.quine @city.ac.uk

학위 : Postgraduate Diploma Course(예술행정 ; Arts Administration)

M.A. (예술경영 ; Arts Management)

M.A. (박물관 및 미술관 경영 ; Museum and Gallery Management)

M.A. (예술비평 ; Arts Criticism)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정책 및 경영학과의 대학원 과정은 예술과 문화의 정책과 경영 분야를 전문으

로 가르치는 영국의 대학들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이 과정은 1969년에

처음 시작했고, 이 과는 이제 예술경영, 예술행정, 박물관·미술관 경영, 예술비평 등

4개의 대학원 과정들과 세계 각국에서 온 170명 가량의 학생들이 있고, 다양한 종류

의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City University 자체는 London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곳은 1 평방 마일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이 곳은 Barbican Arts Centre가 위치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Royal Shakespeare Company와 London Symphony Orchestra가 있고, 3개의 영화관들과

큰 화랑과 전시관들, 그리고 공립도서관이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과는 London 전

체와 Barbican Centre를 이웃하고 있다. 약 6,000명의 학생이 등록되어 있고, 전공과 관

련된 교육을 위하여 지역의 기업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 과는 장기간에 걸쳐 성장 발전해 왔다. 대학원 과정(postgraduate Diploma Course)

- 181 -

Page 19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은 직업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 목적으로는 예술 경영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주로 20대 중반의 사람들을 받아들여 이들에게 예술 분야의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술

은 물론 거시적인 의미에서의 정치, 문화, 경제적인 환경을 다룰 수 있는 기술과 자신

감을 배양시키는 것이다. 석사과정으로는 예술경영, 박물관과 미술관 경영 및 예술비

평 등 세 과정이 있다. 이 과정들은 순서대로 더 상급의 교과과정을 이루고 있는데,

직접적인 직업과 career와 관련된 기술보다는 그것의 환경과 철학을 학문적으로 연구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Research Degrees(M.Phil.과 Ph.D.) 과정도 개설되

어 있다.

학 과 운 영

수업은 7명의 전임 교수요원들과, 예술경영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12명의 시간제 강

사들, 그리고 전공과 관련된 분야에서 온 강사들이 가르치고 있다.

학 위 과 정

Post Diploma Course in Arts and Administration

이 과정은 1년으로 이루어져 있고, 학기는 10월에 시작한다. 이 과정은 10주의 인턴

쉽 과정을 포함하는데, 통상 영국에서 하는 대로 무보수이다. 인턴쉽은 영국내에서나,

학과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유럽국가들에서나, 심지어 학과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학생의 필요에 적절한 경험과 지도가 가능한 어떠한 나라에서도 할 수 있다.

과정은 특정 예술 형태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짜여져 있다. 이것은 관련분야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경력을 추구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예술분야로 경력 전환하려는 사람들

은 물론 젊은 예술 경영 전문가들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1년간의 주 과목들에는 재정관리, 법규, 인사관리, 교육과 예술, 예술 마케팅, 예술

과 문화정책, 그리고 예술의 공급 및 지원체계 등이 제공되고 지원되는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과목에는 유럽의 예술정책, 박물관과 화랑경영,

예술관객론, 여성과 예술, 그리고 예술비평이 있다.

성적평가는 5개의 과목보고서와 2개의 3시간 짜리 시험, 인턴쉽 결과에 대한 평가,

약 10,000 단어 정도 길이의 논문으로 이루어진다.

입 학 절 차

모든 국가로부터의 지원이 환영된다. 학부학위가 요구되며, 아니면 적어도 5년 이상

의 경영 관리 경험이 있어야 한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은 학과에 회화와 작

문실력을 입증해야 한다. 지원 서류와 추가정보는 학과 사무실에서 얻을 수 있고, 10

월 입학을 위한 지원 마감은 보통 3월이다.

- 182 -

Page 19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7. Columbia College

주소 : Arts, Entertainment and Media Management Department

Columbia College Chicago

600 South Michigan Avenue

Chicago, Illinois 60605

전화 : (312)663-1600 Ext.5652

학과장 : J. Dennis Rich

Email : jdr000 @colum .edu

학위 : M.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 연예, 미디어경영(AEMM)대학원 프로그램은 숙련된 예술 관리자 및 경영자

그리고 기업가들을 양성하기 위하여 1982년에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M.A. 학위

를 수여하는 2년과정이다.

성공적인 예술경영은 현대의 문화기구들, 창조적 기업들, 그리고 예술조직들의 지속

적인 생존을 위해 핵심적인 요소이다. 대중에게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숙

련된 예술 경영자들이 예술가들의 작업을 촉진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

해 능력 있는 경영자들이 심미적 감수성과 기업의 통찰력을 결합시킨다. 그들의 재정

적, 법률적, 그리고 조직적 결정들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전망을 실현하여 그것을 대중

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그러한 파트너를 훈련시키는 것이 AEMM 대학

원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AEMM 대학원의 학생들은 오늘날의 문화 기구와 기업들의 점차로 복잡해지는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 필요한 경영 방법과 기술들을 연구한다. 그들은 또

한 예술의 가치를 평가하고, 예술작업이 행해지는 경제·사회·정치적 환경을 이해하

고, 미래의 과제와 기회를 예견하는 방법을 배운다.

학 과 운 영

J. Dennis Rich가 Columbia College AEMM 프로그램의 학과장이다. 학과목들은 5명

의 전임교수와 30여명의 초빙교수들에 의해 가르쳐진다. 학과과정에서는 전임교수들

과 초빙교수들 - 현재 활동 중인 예술가/공연예술가 또는 우수한 예술, 오락, 미디어

조직들의 성공적인 경영자들 - 의 활동 경험을 배울 수 있다.

- 183 -

Page 19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과 정

AEMM 프로그램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네 분야의 전공과목들을 이수

해야 한다.

모든 학생들은 필수과목 24학점, 전공과목 9학점, 선택과목 6학점, 인턴쉽/논문 3학

점 등 총 42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필 수 과 목

의사결정을 위한 고급회계학(3학점)

마케팅이론(2)

응용마케팅(1)

정보체계(3)

예술, 미디어와 법률(3)

재무관리(3)

인적자원/노사관계(3)

자료분석/통계(3)

기획 및 정책결정(3)

전 공 과 목 (관 심 에 따라 선 택 )

미디어경영(3)

박물관 경영 실무(3)

의사결정 : 음악경영(3)

의사결정 : 공연예술경영(3)

의사결정 : 시각예술경영(3)

의사결정 : 전자매체(3)

기초 프로그램 작성(3)

Data Base 관리(3)

경영학(3)

예술경영을 위한 소프트웨어(3)

공연 실습(3)

순회공연 실습(3)

(각 분야별) 세미나: 예술, 오락 & 미디어 경영(3)

선 택 과 목의 예

예술기업 경영학(3)

지원신청 : 계획 및 신청 작성

- 184 -

Page 19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기금모금(3)

AEMM 레코드사 마케팅(3)

스튜디오 음반제작(3)

변환기의 예술가론(3)

세금(3)

정부 : 예술정책과 자원(2)

세미나 : 비영리 예술기관 경영(3)

선택과목은 학생의 필요에 따라 AEMM 대학원 과정뿐만 아니라 콜럼비아 대학의

다른 학과의 대학원 또는 학부과정에서 선택해 수강할 수 있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39학점을 이수한 후에 석사논문, 논문계획서, 종합시험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

다.

현 장 실 습

인턴쉽은 프로그램의 필수과정이다. 가장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인턴쉽은 시카고 지

역의 상업적 또는 비영리 조직들에서 실시된다: 시카고 교향악단, Grant Park Concert

Series, 파라마운트 예술센터, Terlac 레코드사, 공연예술 동부센터, 케네디센터, Fox

T.V., Smithsonian Institution, 시카고시 문화부, 일리노이 예술평의회, Alligator 레코드

사, ABC TV의 'Oprah Winfrey Show, 자연사 현장박물관, 시카고 국제예술전시장, 맥

아더재단, Warner / Electra / Asylum 레코드사, Steppenwolf 극장, Music of the Baroque.

입 학 허 가절 차

공인된 기관에서 취득한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 소지자이어야 하며, 평균 B' 이상의

성적이어야 한다. 학부과정에서 회계 1 과목을 수강하고 B' 이상의 학점을 받았어

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AEMM Accounting Profiency Test를 치르거나 콜럼비아

대학을 포함한 (2년제 또는 4년제)다른 대학에서 회계학을 수강하였어야 한다.

지원자는 또한 economic spreadsheet와 word processing, 그리고 관련 데이터베이스 소

프트웨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여 퍼스널 컴퓨터 사용 경험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AEMM 프로그램의 첫 학기가 끝나기 전까지 콜럼비아 대학이나

다른 대학에서 컴퓨터 관련 과목을 수강하였어야 한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지원자

는 TOEFL 성적을 대학원에 제출해야 한다. 상기 요구사항 외에, 지원자는 자신이 선

택한 전공분야의 적절한 배경과 경험을 제시해야 한다. 보통 그러한 경험은 이전의

field work이나 학부과정 경력으로 증명 가능하다.

- 185 -

Page 19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8. Columbia University/Teachers College

주소 : Program in Arts Administration

The Arts in Education

Box 78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New York 10027

전화번호 : (2 12)678-327 1

학과장 : Joan Jeffri

Email : jj 64 @columbia.edu

학위 : M.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1990년에, 기존에 10년간 예술학교에 속해 있던 예술경영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예술

경영, 예술교육 또는 이 두 영역의 조합에 있어서의 직업적 경력을 목표로 하는 고도

로 활동적인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이론적·실천적 준비과정을 제공하는 석사학위과정

을 만들고자 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예술행정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미국과 국제사회의 예술 및 문화활동을 관리, 경영할 새로운 지도자를 양성한다.

·대학원 수준의 학생들이 모든 예술과 예술활동의 교육적 지지기반을 깊이 이해하도

록 함으로써 예술경영의 수준을 사회적 책임의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예술교육자의 예술기관이나 현장, 실제 활동에 대한 친밀도와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해 그들의 예술적 시야를 넓힌다.

·예술교육자에게 미국과 전세계의 교실, 학교체제, 창조적 교육모델에 이용할 수 있

는 새로운 경영 및 관리행정 수단을 부여한다.

·예술계에 그들의 교사, 지도자, 지지자를 위한 보다 강력한 대변인을 제공한다.

·예술행정, 예술교육 또는 이 둘의 조합에서 종사하는 것을 궁극적으로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이론적·실질적 준비를 시킨다.

필수과목은 광범위한 예술교육을 제공하는데 촛점을 맞추는 사범대학, 경영대학원,

법학대학원 등 세 분야의 전문적 교수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필수과목에는 예술경영

의 원리, 문화정책, 기금모금, 예술교육의 역사적 기초와 문제해결법, 회계학, 재정기

획, 마케팅, 실무행정, 단체교섭 및 저작권법 등이 포함된다.

선택과정을 통해 각 학생은 자유롭게 그들의 기존의 관심영역의 지식을 확충하거나

- 186 -

Page 20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새로운 관심영역을 개발할 수 있다. 선택과목도 여러 단과대학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사범대학에서는 미학, 예술과 미국교육, 남미의 문화적 전통 및 위업, 예술공정 등을

수강할 수 있으며 경영대학원, 법학대학원, 건축 기획 및 보존대학원, 신문방송학 대

학원, 예술과학대학원 등의 콜롬비아대학원에서 선택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은 사범대학에 개설되어 있으며, 다섯 부문으로 나뉘어져 있다. 예술행

정 프로그램은 교육부문 중 교육학과의 예술과정에 속한다. 예술경영학과 학과장은

Joan Jeffri이다. 그녀는 1975년에 콜롬비아 캠퍼스에서 처음으로 예술행정 및 경영학

과정을 개설했다. 그녀는 이 분야에 『Arts Money : Raising It, Saving It, Earning It』

(University of Minnesota, 1989), 『The Emerging Arts : Management, Survival and

Growth』(Praeger, 1980) 등 두 권의 교과서를 저술했다. 또한 그녀는 『예술경영 및

법률 저널』(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Law )의 창설 최고편집자이며, M.A

프로그램 운영의 보완 역할을 하고, 조사와 정책입안에 특별한 흥미를 가진 예술경영

학과 학생들에게 매년 파트타임직의 기회를 제공하는 콜롬비아대학의 예술·문화연

구센타' (The Research Center for Arts and Culture)의 설립자이며 책임자이다. 이 센타는

예술경영과 예술법의 비교적 새로운 원리의 응용 연구를 주로 하며, 개발, 교육, 정책

입안과 실시에 중요한 학문적인 지원을 한다.

교수와 초빙강사는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행정관료, 예술위원회 위원, 예술가,

변호사, 후원자, 고문, 작가, 연구자들로 충원된다.

학 위 과 정

M.A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2년간 전일제로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 예술경영학, 예술

법, 경영학, 교육학 분야의 필수과목을 포함해 6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다음 열거한

것이 전일제 학생들을 위한 필수과목의 정해진 순서이다.

1학 년

사 범대 학 (Teacher 's College)

예술경영의 이론과 실제 I, II

예술의 이해

예술교육의 역사적 기초

미학

예술단체의 단체교섭

지원구조

인턴과정

- 187 -

Page 20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경 영대 학 원

회계학

마케팅 전략

2학 년

사 범대 학

법과 예술 I, II

예술경영자를 위한 경영정책 및 기획

예술과 미국교육

유럽 도시사

사진 I ( 스튜디오 과정 )

개인 연구지도

경 영대 학 원

비영리기관 경영

조직행위론

마케팅 관리와 예술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석사논문은 필수적이다. 논문은 독창적인 조사연구능력, 예술행정가의 책임영역과

관계 있는 주제의 개념파악을 반영해야 한다.

인 턴 쉽 또 는 감 독 하 의 직 장 경험

인턴쉽은 첫 학기를 마친 후에 가능하다. 최소 4개월간 주당 평균 20시간이 되어야

하며, 추가 인턴쉽도 가능하다.

입 학 허 가절 차

지원자는 인가 받은 대학의 학사학위를 소지한 자에 한하며, 학사학위 취득 후 관

련분야에서 최소한 3년간 전문적 경험을 쌓고 최소 한가지 예술분야에 대해 확고한

기초를 가진 자에 한한다.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다.

1)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예술훈련이나 작업경험에 대한 간단한 서술이나 요약

2) 직업목표와 지원이유를 밝힌 750-1000자의 서술문

3) 추천서 3통

4) GRE점수

지원과정 어떤 단계에서든 필수적으로 한 차례 개인면담을 해야 한다. 1차 지원 마

감시한은 3월 15일이며, 후기 마감은 5월 15일이다. 재정지원은 제한된 수의 지원자만

이 얻을 수 있다.

- 188 -

Page 20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9. Drexel University

주소 : Arts Administration Program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Drexel University

Philadelphia, Pennsylvania 19 104

전화번호 : (2 15)895-2452 또는 (2 15)895-2453

학과장 : Dr. Edward Arian

Dr. Alfred Blatter

학위 : M.S.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이 프로그램은 1973년부터 개설되었으며, 예술행정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수여한다.

이 프로그램은 전일제로 1년 3개월로 45학점을 이수하도록 되어있으며, 파트타임으로

도 참여할 수 있도록 저녁시간대에 수업이 실시된다. 이 프로그램은 예술단체, 공공예

술단체, 공공예술청, 박물관, 시각예술단체, 재단이나 법인의 예술부문, 무대예술센타,

예술서비스단체, 예술인 대표단체를 이끌어가는 경영자로서의 학문적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정치·사회정책과 경영기술의 과정을 적당

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통합시키는 것을 추구하며, 예술에서 새로운 과학기술과 전문적

인 저술(writing)을 강조한다.

학 과 운 영

Edward Arian 박사와 Alfred Blatter 박사가 공동 학과장이며, 프로그램은 예술과 과

학대학의 공연예술학과에서 제공한다.

학 위 과 정

프로그램은 전일제인 경우 1년 3개월이며, 졸업을 위해서는 45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예술행정의 요소인 미학, 사회, 경제, 정치 그리고 경

영의 다양한 쟁점들을 다룰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정 치 사 회정 책

미국 정치체계(3)

기금모금(3)

- 189 -

Page 20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경 영 기 술

비영리조직의 회계(3)

비영리조직의 마케팅(3)

예술을 위한 저술(3)

예술의 마케팅과 기술(3)

조직이론과 행동(3)

예술행정세미나(3)

예술에서의 경영기술(3)

예술과 법(3)

졸업논문 및 인턴쉽과 선택과목(18)

선 택 과 목의 예

예술작품 제작과정(3)

Networking(3)

공연예술의 제작실습(3)

도시사회학(3)

경영정보체계(3)

복합조직분석(3)

소그룹의 문제해결과 지도력(3)

조직구조와 행동(3)

예술행정에서의 컴퓨터 응용(3)

기금모금(3)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인턴쉽 경험을 바탕으로 한 졸업논문이 필수적이다.

현 장 실 습

학생들은 인턴쉽을 하는 학기 동안 약 120시간 정도의 작업을 한다. 인턴쉽은 과정

을 마친 시기에 실시한다(특수한 여건이 있을 경우에는 인가를 받아 보다 빠른 시기

에 할 수도 있다). 인턴쉽은 펜실바니아 발레단, 필라델피아 동물원, 자연과학학회, 메

트로폴리탄 예술박물관, Erie 교향악단, 필라델피아 예술박물관, 필라델피아 오케스트

라, Waller Street Theater, 국립예술기금, 미국교향악단연맹, John F. Kennedy Center 등

에서 할 수 있다.

- 190 -

Page 20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입 학 허 가절 차

모든 지원서류는 대학원 입학허가사무실(Graduate Admission office)에서 얻을 수 있

다. 지원에는 학사학위가 필요하며, 학부의 후반 2년동안 평균학점이 3.0 이상이어야

하고 졸업작품의 학점이 3.0점 이상이어야 한다. 학점이 2.75에서 3.0점 사이의 지원자

는 높은 점수의 GRE나 특별히 강력한 추천서가 있어야 한다. 지원자는 작품, 자원봉

사 경험, 특별한 훈련과정이나 교육의 경험 등을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해 익숙해 있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학부과정에 최소한 재정회계분야 1과목, 예술분야의 역사나

문학 2과목, 예술분야의 실습 또는 창작 2과목 등을 이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지원자는 입학 후 첫 2학기 동안에 이 과정을 이수하면 된다. 미학과

컴퓨터실습 과목을 이수할 것이 권유된다.

- 191 -

Page 20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0. L'EC O L E D E S HA U T E S ET U D E S CO M M E R C I A L E D E MO N T R E A L

(문화조 직의 운 영에 관한 고 등전문 가 학 위과정 )

주소 : DESSGOC

몬트리올 고등 경영학교

5255, 캐나다 퀘백주 몬트리올 데세르가 5255

H3T IV6

전화 : (5 14)340-615 1

팩스 : (5 14)340-5640

학과장 : 프랑스와 콜베르(문화분야 담당자)

전화 : (5 14)340-5629

학위 : DESS(고등 전문가학위)

-------------------------------------------------------------------------------------------------------

프 로 그 램의 목 적

대학 후반부과정(3-4학년 과정)으로 1988년에 설립된 문화단체운영에 관한 고등전문

가학위과정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지향하고 있다.

1) 문화단체의 실제운영자에게 운영을 위한 적절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

2) 그들 조직의 구성, 또는 개선을 통해 문화단체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3) 실용 예술에 대한 특수성을 고려하는 운영교육을 제공하는 것

학위는 문화영역에서 활동하고 있고 단체에 대한 이해를 보완하고자 하는 단체운영자

에게 주어진다. 매년 약 30명의 후보자가 입학한다. 프로그램의 방향은 예술과목의 측

면에서, 지역의 측면에서 다양한 학생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시간이 지날수

록 점점 더 외국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다.

프 로 그 램

30학점의 프로그램은 전업학생에게는 1년이 최소기간이며, 부업학생의 경우는 4년

이 최대기간이다. 각 수업을 통해 대학의 3학점을 획득할 수 있다. 모든 수업은 프랑

스어로 진행된다. 모든 학생은 다음의 7개의 강의중 최대 6개, 최소 4개를 선택해야만

한다. 즉 문화정치, 문화조직의 마케팅, 예술관련 기업의 운영, 문화영역에서의 회계운

영, 문화영역에서의 법적 맥락, 문화산업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경제분석, 프로젝트

강좌. 학생들은 다음의 M.B.A.과정에서 4개에서 6개의 과목을 수강해야한다. 학생들은

- 192 -

Page 20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졸업논문, 또는 학술논문을 제출할 필요는 없으며, 수업을 끝마쳐야만 하는 의무는 없

다.

학생들은 HEC가 합의한 외부 대학에서 자신들의 교육 일부를 위한 프로그램에 등

록할 수 있다. 학업계획은 프로그램의 책임자에 의해 미래 동의되어야 한다. 외부에서

의 수업은 프로그램 내에서의 발전이라는 목적 하에서 인정되어야만 한다. 몬트리올

고등 경영학교는 몬트리올 대학과 연결되어 있다.

북미에서는 두 번째(Wharton 다음)이며 캐나다에서는 최초의 행정대학인 몬트리올대

학은 지금까지 23,000명 이상의 관료를 배출했다.

입 학 허 가절 차

프로그램에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자격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우선적으로 대학 전반부(대학 1,2학년)의 학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러나 문화영

역의 경우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70 % 또는 그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2) 문화단체에서 최소한 2년이상 경험이 있어야 한다. 단체에서의 경험이라는 용어

는 보다 넓게 이해될 수 있다 : 예술,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인간자원의 관리 기

술 생산 재정 등과 같은 본질적으로 조정, 감독, 지도와 관련된 것, 또는 일반관

리와 관련된 것. 관리위원회나 행정위원회의 참가도 관련된 경험의 일부분이 된

다.

3) 프랑스어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그리고 영어문헌)이 충분할 것. 대학 전반부의

졸업장을 소유하지 못한 학생의 제한된 수는 대체할 수 있는 경험에 기초하여

입학이 허가된다. 문화단체에서의 운영에 대한 고등 전문가과정의 수업 프로그램

은 문화와 예술(영화, 그림해석, 시각예술, 문학, 편집, 음악, 전기미디아 등)과 관

련된 모든 영역의 학생들에게 공개된다.

학생들은 학교의 입학관리사무소에서 제공된 입학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가을학기

는 4월 1일까지, 겨울학기는 10월 1일까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 193 -

Page 20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1.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주소 : Center for Arts Administration

Institute of Science and Public Affairs

School of Visual Arts and Dance

126 Carrothers Hall

Tallahassee, Florida 32306-30 14

전화번호 : (904)644-5473

학과장 : Charles M. Dorn, Ed.D.

학위 : M.S. (예술행정/예술교육)

Ph.D. (예술행정/예술교육)

M.M.E. (예술행정/음악교육)

M.F.A. (극장경영)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행정 전공은 지역예술행정기관, 예술평론가협회(arts councils), 박물관과 극장에

서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지도자 교육을 제공한다. 이 전공은 무용, 음악, 연

극, 시각예술 사이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이 프로그램은 예술, 교육, 행정은 총체적인

인간 노력의 모든 측면이라고 생각한다.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예술행정 연구과정은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다

음과 같이 두드러진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로, 예술활동이 이루어지는 조직체들의

행정적 요구 및 사업과 공공 행정기관뿐 아니라 학교와 대학의 교육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예술분야의 사고과정과 연관되는 바의 예술에 중점을 둔다. 둘째, 지역사회의

문화예술기관의 행정 및 경영기능에 필요한 지도자 교육을 제공한다. 또한 사회체계

및 공공정책뿐 아니라 지도력의 양태에 관심을 갖는다. 학생들은 어떻게 예술행정에

연구방법을 적용시키는가 하는 것과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탐구하

는 교육을 받는다.

경영임무는 다음의 4가지 주제로 다루어진다. 1) 행정 - 구조적 요인, 2) 정보입력과

의사결정 작업, 3) 경제 - 기술적 연구, 4) 인간 - 사회의 기술. 각 프로그램은 학생들

의 전공과 기초에 따라 다양하다. 한학기의 인턴쉽이 필요하며, 조사연구경험은 학문

적 연구와 동등한 평가를 받는다.

학생들은 음악교육과, 예술교육과나 연극학교를 통해서 등록할 수 있다. 음악, 춤,

연극, 시각예술 등의 예술분야에 경력이 있는 개인은 예술부문 중 어떤 부문이든 석

사학위과정에 지원할 수 있다. 예술전공이 아닌 사람이 이 과정에 입학하려면 평가를

- 194 -

Page 20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받아야 한다. 입학허가를 위한 학생 수준의 평가는 학위를 수여하는 여러 기관에서

받을 수 있다.

학 과 운 영

예술행정센터는 3대 사명 - 교수, 연구, 서비스 - 의 발전을 위한 행정적 지원의 기

초를 제공한다. 학과장은 Charles M. Dorn박사가 맡고 있다. 예술행정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예술교육과 공공행정의 연합으로 1978년에 시작되었다. 예

술행정센터가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이사회에 의해 1984년에 창설된 이래로 학위과정

은 예술교육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의 서비스와 연구부분은 공공사무국과

과학연구소가 운영한다. 이것은 일반 대중을 위한 연구와 서비스를 대학의 지원을 통

해서 제공하기 위한 중앙행정기관의 독립적 분과이다. 이 센터를 구성하는 음악학교,

연극학교와 시각예술, 무용학교 등은 일반정책을 세우며 각 학교와 대학간의 의견을

조정하기 위한 자문위원회에 대표를 파견한다. 예술행정센터는 예술행정가를 위한 학

문적 준비과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국 남동부의 예술과 문화관련 행정기구를 위

한 연구와 서비스 시설을 제공한다. 이 센터는 연례 회의에 자금을 지원하여 각국의

지도자와 학자들이 플로리다 주립대학에 모여 예술행정과 관련하여 최근에 문제가 되

는 주제들을 논의하도록 한다. 연례 회의의 강의시리즈는 문화정책, 예술행정이론과

경영과제에 대한 정보의 장을 제공한다. 또한 예술에서의 지역, 주, 전국적 주제에 관

한 정보를 예술단체에 제공하기 위한 서적들의 출판도 담당한다. 이런 활동을 통하여

대학원학생과 연구조교들에게 행정기술을 개발하고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서 교수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 위 과 정

이 석사학위 프로그램에서는 1년동안 최소한 36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여기에는 9

학점의 수습, 예술행정에 9학점, 9-18학점의 기초훈련과정과 일반경영과 재정 분야의

선택과목 9학점을 포함한다.

예술행정과정은 다음을 포함한다:

·예술과 지역사회 봉사 : 지역적 상황하의 예술, 고객특성, 제도적이고 사회적인 맥

락, 예술지원운동, 지역예술 프로그래밍 및 안내, 조사연구과정 들에 관한 분석과

이론을 제공한다.

·예술프로그램의 행정 : 비영리 정책수립의 조사연구, 제도구조, 리더쉽, 각 주와 국

가의 프로그래밍을 다룬다.

·예술기관 경영 : 지도자로서의 경영자, 경영의 개별적 형태들, 다양한 예술에 있어

서의 경영자의 기능과 임무 등의 문제를 다룬다.

·공공부문의 예술행정 : 사회적 맥락, 고객 서비스에 기초한 예술행정의 이론에 관

- 195 -

Page 20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한 지식을 개발하고 음악, 시각예술, 연극, 춤, 문학과 전자매체 등의 예술들의 비

교연구를 수행한다. 효과적인 예술행정을 위한 요소로서의 예술지원 네트워크와 정

책도 연구한다.

입 학 허 가절 차

플로리다주립대학의 대학원 입학허가를 얻기 위해서는 GRE에서 1000점 이상이나

평균 B학점 이상의 학사학위가 필요하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원과정 입학허가를 요청한다. 대학원 입학허가 사무실에 최소한 두 달 전에

모든 원하는 서류를 보내야 한다.

2) 정해진 서류를 직접 작성하여 학과에 입학허가를 신청한다.

3) 입학허가절차 초기에 예술행정센터의 학과장과 연락을 취하여 지원사실을 알린

다.

- 196 -

Page 21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2. Golden Gate University

주소 : Golden Gate University

Arts Administration Department

536 Mission Street

San Francisco, Califonia 94 105

전화 : (4 15) 904-6708

Fax : (4 15) 442-7032

학과장 : Anne W.Smith

전화 : (4 15) 442-65 15

E-mail : asmith @ggu.edu

학위 : M.A., M.B.A.

또는 예술행정분야 대학원과정 예술행정 프로그램 자격증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Golden Gate University의 예술행정프로그램 대학원과정은 예술지원 및 기금보조단체

를 비롯한 비영리적 영상예술과 공연예술조직에서 경영자와 간부로 장차 일하게 될

사람들을 양성하기 위하여 1972년 설립되었다. 이 과정의 접근법은 실용주의적이며,

예술기관 경영자의 기능과 책임이라는 광범위한 영역- 재정, 예산편성, 자금조달, 마

케팅, 홍보활동, 프로덕션 경영, 인사행정, 관련법규 - 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1년의 전업학업(Full-Time Study)을 요구하는 예술행정 분야 자격증뿐

만 아니라 1978년과 1981년 각기 시작된 예술행정분야의 M.A.학위와 M.B.A. 학위 두

가지 모두를 수여한다. 대부분 수업들은 1주일에 한번, 저녁 4:00-6:40 또는 6:50-9:30

에 실시되는데, 이는 학생들이 직업활동과 San Francisco의 많은 예술활동에 참여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구나 금융가의 중심부인 도심에 자리하고 있어

시내 상사들과 풍부한 예술행사에 쉽게 접할 수 있다.

학 과 운 영

예술행정 프로그램의 학과장은 지난 20년 동안 전문적인 예술경영인으로 활동해 온

Anne W. Smith이다. 그녀는 AA300 예술행정의 요소 강좌를 담당하고 있다. 다른 핵

심적인 예술행정 강좌들은 San Francisco Bay 지역 예술조직의 현직 예술행정가들이

담당하고 있다. 경영실무 관련 과목들은 본 대학 경영대학원의 교수진이 지도한다.

그 이상의 예술행정 전문지식은, 프로그램 목표설정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강좌

를 시대에 맞도록 하고 있는 국립예술조직 전문가들로 구성된 예술행정자문위원회의

- 197 -

Page 21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5명 위원이 제공하고 있다.

학 위 과 정

예 술 경영 석 사 과 정 (The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예술행정분야의 M.B.A. 학위과정은 예술산업에 적용되는 기업과 실무경영의 광범위

한 측면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학과내용은 전문화된 예술행정분야의 석사학위과정보

다는 일반적인 경영교육을 바라는 학생들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M.B.A. 학위를 취득

하기 위해서는 대학원에서 6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각각의 과목들은, 특별히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3학점이다.

General Business Program (24학 점 )

경영자를 위한 회계학

경영자를 위한 경제학

경영자를 위한 재정학

조직행동과 경영원리

경영자를 위한 컴퓨터기술

경영자를 위한 통계분석

경영자를 위한 의사결정

Advanced Program (21학 점 )

재무관리

경영분석과 커뮤니케이션

경영정책과 전략

인력자원관리

국제경제환경하의 경영자

마케팅관리

경영관리

Arts Administration Concentration(15학점 )

예술행정의 제요소

예술행정의 컴퓨터 활용

다음 중 세 과목 선택

예술행정 마케팅과 홍보

예술행정 재정과 예산

예술행정 기금모금

- 198 -

Page 21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예술행정의 법적 측면

미술관 경영

예술행정 선택과목

예술행정 인턴쉽 (또는) 예술행정 COOP, 예술행정 연구지도

예 술행 정 석 사 과정 (M aster of Arts in Arts A dm in istration)

예술행정 석사학위과정은 예술단체에 참여하고 있거나 그럴 계획을 가지고 있는 학

생들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학과내용은 예술조직의 경영과 관련된 현대적인 개념들,

이론들, 실무과정들을 익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42학점 가운데 논문이 가장 중요하다. 논문은 학생이 예술행정 연구

와 개발행위에 기여할 수 있는 독특한 방식을 제시해야 한다. 다음 각각의 학과목은

3학점이다.

General Business Program (6학 점 )

경영자를 위한 회계학

조직행동과 경영원리

Advanced Program (36학 점 )

Core Courses(27학 점 )

예술행정의 제요소

현대 예술의 쟁점

예술행정의 마케팅과 홍보

예술행정의 재정과 예산

예술행정의 기금모금

예술행정의 법적 측면들

예술행정에서의 컴퓨터 활용

예술행정의 제 문제와 토의

다음 중 한 과목:

예술행정 인턴쉽

연 구 지 도

선택과목(9학점)

예 술 행 정 자 격 증 취득 과 정

예술행정 전문가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학생은 예술행정 대학원 수료자격증을 얻

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예술행정의 제요소와 현대예술의 문제들 과목 외에

M.B.A. 예술행정 전공분야나 M.A. 학습과정에서 추가로 4 과목을 합하여 총 18학점을

- 199 -

Page 21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이수하여야 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학위와 자격취득을 위한 최종적인 필수과정은, 활동중인 예술단체조직의 영역에 관

련된 실제적인 문제나 논점을 심층 연구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것이다. 그것은 예술행

정 교육과정의 총체적 경험을 위해 도움이 된다.

현 장 실 습

본 프로그램의 우수학생은 San Francisco와 전국에 있는 예술조직의 한정된 수의 유

급 인턴과정에 들어갈 수 있다.

인턴들은 샌프란시스코 발레단, 캘리포니아 예술평의회, L.A.교향악단, 케네디센터, Jac

ob 's Pillow Dance Festival(Massachusetts), Butterfield & Butterfield 미술품 경매소, 뉴올

리언즈 교향악단, 공연예술을 위한 Scottsdale Center(Arizona), 오레곤 세익스피어 페스

티발(Ashland), Spoleto Festival(South Califonia), 그리고 샌프란시스코의 미술품 박물관

등과 같은 단체에서 경영훈련 자격으로 15주를 보냈다.

입 학 허 가절 차

예술행정분야 M.A.나 M.B.A. 학위과정의 지원자가 입학허가를 받으려면 다음과 같

은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1) 인가된 대학에서 취득한 학사 이상의 학위, 2) 이전

의 대학 수준 학업에서 받은 평점 2.50 이상의 성적, 2) 예술관련 경험 2년. 신청은 대

학 입학사무실의 양식으로 제출하여야 하며, 지원신청시 지원 수수료를 함께 내야한

다. 전학년 성적증명서를 제출해야 하며 프로그램 학과장과 면담을 해야 한다. M.B.A.

과정은 GMAT 성적을 제출해야 한다.

예술행정분야 자격증 과정에 입학하고자 하는 지원자는 학과장에게 학력, 실무경험,

그리고 연주자나 자원봉사자 혹은 직원으로서 공연/시각예술분야에서 겪은 경험들을

상세히 기록한 이력서를 내야한다.

자격증, M.A. 또는 M.B.A. 학위과정에는 신청 마감기한이 없으며, 학생들은 가을,

봄, 또는 여름학기 초에 등록할 수 있다. 재정지원이나 작업연구프로그램의 이용이 가

능하다. 문의는 사무실로 하면 된다.

- 200 -

Page 21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3. Indiana University

주소 : Arts Administration Program

Graduate School

Business Building, Room 660F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Indiana 47405

전화 : (812)885-0282

Fax : (812) 855-8679

학과장 : James E. Suelflow

전화 : (812) 855-0282

Email : Suelflow @indiana.edu

학위 : M.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Indiana대학교는 197 1년에 예술행정분야 대학원 과정을 설립했는데, 이 과정은 3학

기 동안의 교내 교과수업과 한 학기동안의 인턴쉽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2년간의 교

육을 이수한 학생에게 M.A학위를 수여한다. 이 과정은 예술센터, 예술위원회와 평의

회, 박물관과 미술관, 그리고 모든 종류의 공연예술을 경영하고 진흥시킬 사람들을 양

성하기 위한 것이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의 전임 학과장은 경영학 교수인 James E. Suelflow이다. 그는 예술행정

과정을 지도할 뿐 아니라 예술행정세미나를 지도하며, 독자적인 연구과목들을 감독한

다. 시간제 교수진에는 음악대학에서 온 2명, 연극과에서 온 1명, 미술과 2명, 그리고

인류학과(박물관학) 2명이 있다.

객원 강사들이 교내 교수진을 보충한다. 이 과정은 비즈니스학교, 음악대학, 연극과,

미술과에서 온 교수들로 이루어진 학과간 위원회와 William Hammond Mathers 박물관

과 I.U.미술박물관의 이사들이 이끌어 나가고 있다. 이 과정은 일반 대학원의 지침을

따른다.

학 위 과 정

이 프로그램은 음악, 연극, 미술, 경영, 그리고 예술행정분야에서 최소 39시간(선수

- 201 -

Page 21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과목까지 43시간)의 코스워크를 수료해야 한다. 이러한 필수과목에는 핵심적인 경영과

목들(12-16시간); 예술진흥, 시설계획, 기금모금, 기금의 사용, 노사관계, 홍보활동, 청

중개발, 법률상의 문제들, 예술분야의 경영과 행정, 그리고 전략적/장기계획 등에 관한

예술행정세미나 6시간을 포함한 예술행정과목(12-15시간) 수업이 포함된다.

선 수 과 목

경영학 비전공자를 위한 회계학(3)

마케팅 개론(3)

위 과목들은 회계학과 마케팅 분야에서 이에 상당하는 과목을 듣지 않은 학생들에

게만 필수적이다.

경 영 핵 심과 목 (필 수 )

기금조성 관리론(3)

광고와 판매촉진(3)

조직행위론 또는 인력선발체계론(3)

경영 관련 법적 개념과 동향(3)

예 술 행 정과 목 (필 수 )

예술행정 실습(3)

예술행정 세미나(2학년 학생들만, 가을학기: 6 )

인턴쉽(2학년 학생들만, 봄학기: 3 )

예 술 필수 과 목 (최 소 3학 점 필수 )

(음악사, 연극사, 예술사)

선택과목(최소 3학점 필수)

콘서트 경영(매학기 개설, 3)

음악 연극(오페라) 경영 (가을학기, 3)

극장 경영(격년제로 가을학기, 3)

박물관 경영(봄학기, 3)

선 택 과 목 (최 소 9학 점 필 수 )

예술, 예술가, 법률(2)

예술, 미디어, 사회(3)

세미나; 예술보고(3)

비영리조직의 홍보(3)

- 202 -

Page 21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공공경영회계학(3)

자선 관련 법규(3)

예술행정강독(cr hrs arr.)

예술행정 개별연구(cr hrs arr .)

노동경제학 - 대학원 과정 서베이(3)

박물관학 개론(3)

박물관 방법론(3)

박물관 실습 (일정한 선수과목을 들은 학생만 수강 가능, 2-4)

예술이론 IV(19-20세기) (4)

박물관학(미술)(3)

컴퓨터 기능강좌(3)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졸업논문은 필수적이지 않으나 각 학생은 세미나의 일부로서 사전 조사와 예술행정

분야의 실제적용에 기초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또한 인턴쉽에 기초한 광범위한

평가보고서가 요구된다.

현 장 실 습

인턴쉽 기간은 4개월에서 1년까지이다. 최근의 인턴쉽은 다음과 같은 곳에서 행해

지고 있다: John F. Kennedy 공연예술센타 (워싱턴), 워싱턴 공연예술협회, 웨스트민스

터 성가대학 (프린스턴), 세인트루이스 오페라극장, 인디아나폴리스 예술박믈관, 루이

스빌 관현악단, Arena 스테이지(워싱턴), Guthrie 극장(미네아폴리스), 보스턴 미술박물

관, Smithsonian 국립박물관(워싱턴), 센터 스테이지(볼티모어), 인디아나 예술위원회,

캐나다 오페라단(온타리오주, 해밀턴), Koblenz 극장(독일), 세인트 폴 실내악단, 아동

박물관(인디아나 폴리스), Joffrey 발레단(뉴욕), 뉴멕시코대학의 대학미술박물관, 덴버

예술박물관, Colbert 예술가 매니지먼트(뉴욕), 예술가연맹(뉴욕), 피츠버그 무용협회,

인디아나폴리스 오페라, J.B. Speed 예술박물관(루이스빌), 산타페 오페라, 볼티모어 교

향악단, 국립예술기금, 달라스 교향악단, 카네기홀.

입 학 허 가절 차

음악, 시각예술, 연극, 무용, 경제학, 또는 경영학에서 우수한 학부 성적을 취득한

학생이 지원할 수 있다. 즉, 입학 허가를 받은 지원자의 학점 평균은 대략 4.0 만점에

3.5이다. 또한 GRE 성적을 제출해야 하는데, 입학허가 받은 지원자의 GRE 평균점수

는 어휘, 분석, 수학 각각에서 대략 600에서 675점이다. 다음 가을학기 입학을 위해서

는 완성된 신청서를 1월 15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과목의 연속성 때문에 다른 시기의

- 203 -

Page 21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입학허가는 피하고 있다.

제한된 수의 매우 우수한 학생들만이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 예술행정 과정에 있

어서 Susan Llewellyn Memorial 장학금에 대한 지원 자격은 매년 부여된다. 또한 우리

는 다소 비용이 적게 드는 학교환경을 떠나 늘어난 생활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인턴쉽

기간에 대한 보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려고 노력한다. 정기적으로 연극, 음악, 미술,

I.U.강당, 그리고 박물관 따위의 다른 학과에서 조교 자리를 얻을 수 있다. 장기융자는

The National Direct Student Loan Program, the United Student Aid Fund, Inc., 그리고 the

Guaranteed Student Loan Programs에서 받을 수 있다. 부업은 the Student Employment

Office와 the Work-Study Program을 통해 구할 수 있다. 해당 학년도의 National Direct

와 Work-Study 신청마감은 4월 1일이다.

상세한 정보와 지원을 위해서는 the Director, Office of Scholarships and Financial

Aids, Franklin Hall 208,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Indiana 47405로 연락하면 된

다. 전화 (812)855-0321

- 204 -

Page 21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4. Lesley College Graduate School

주소 : Lesley College Graduate School

Management Division

29 Everett Street

Cambridge, Massachusetts 02 138

전화번호 : (617)349-8355

학과장 : Daniel Ranalli (예술행정)

학위 : M.S.M (경영학 석사)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행정의 전문화과정인 레슬리대학 M.S.M. 프로그램은 대학원 경영학과에 의해

제공되는 석사과정이다. 1980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공연예술, 시각예술, 문학, 방

송예술단체 등에서 관리직에 근무할 수 있는 적절한 기술을 발전시키려는 문제해결자

및 관리자로서의 행정가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그것은 또한 에술계와 관계 있는 정

부단체에서 일하고 있는 경영자들, 위탁자들, 그리고 정책입안자들을 돕기 위해 고안

되었다.

현재와 그 이전 학생들은 사실상 모든 분야에서 온 행정가들, 교육자들, 그리고 예

술가들이 포함되었다. 레슬리대학의 경영학과 내 다른 전문화과정들은 비영리적인 행

정관청에서 특별히 활발한 위탁을 강조하고 있는 위생, 교육, 그리고 일반 경영관리를

포함한다.

캠브리지에 기반을 둔 레슬리대학원은 그 프로그램을 위한 좀더 큰 보스턴 지역의

풍부한 자원을 끌어낼 수 있다. 대부분의 전문화 과정들은 예술계에서 전문가로 활동

하고 있는 조교수진에 의해 가르쳐진다.

보스턴은 역사적으로 시각, 공연, 교육, 방송, 문학예술단체들의 본고장이다. 그곳

사람들은 보스턴 미술박물관이나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같은 세계적 수준의 단체

들로부터 더 작고 혁신적인 예술가 자영단체들에 이르기까지 그들 지역의 다양성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그것이 학생들에게 예술행정분야에 있어 예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믿는다.

학 과 운 영

레슬리대학 경영학과 학과장은 Daniel Ranalli이다.

- 205 -

Page 21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과 정

M.S.M. 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총 38학점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과정들은 일주일에 한번 열리며, 직장인들의 스케쥴에 적합하게 짜여져

있다. 통상적으로 학생들은 매학기당 2개의 코스에 등록하며 모든 필수코스와 인턴쉽

을 위한 추가학기를 마치는데는 대략 2년이 걸린다.

핵심과정 (총 18학점)

- 조직체내에서의 인간행동 (3)

- 재정경영 (3)

- 마케팅과 통신 (3)

- 경영정보체계나 퍼스널 컴퓨터 적용 (3)

- 인간자원경영 (3)

- 전략적 경영(3)

전문화과정 (총 13학점)

- 예술행정에서의 법적 쟁점들 (3)

- 예술행정에 있어 특별한 논제 (3)

- 자금모금의 기초 (3)

- 다음의 것에서 선택 5학점을 더함.

시각예술단체 실습 (2)

지역예술경영(2)

공연예술경영(2)

문화정책과 예술 (1)

인턴쉽 프로젝트 (총 4학점)

- 자가평가와 인턴쉽 기획 (1)

- 인턴쉽 (3)

입 학 허 가절 차

석사학위 입후보에 허가된 사람은 지역적으로 인가된 대학에서 받은 학사학위를 가

지고 있으리라 예상된다.

그외에 지도력의 증거, 조직 경험, 전문영역에서의 경력, 조화스런 직업목표, 학구적

능력 등이 사려 깊고 진취적인 학생에게 중요한 요소들이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한 예술분야(예를 들어 시각예술, 음악, 무용 등)에 대

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가지고 있으리라 기대된다. 비록 이전의 대학공부가 다른 성취

- 206 -

Page 22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척도에 의해 상쇄될지도 모르는 덜 중요한 대학기록으로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신청

시 설명되어져야만 한다.

GRE나 GMAT 같은 시험점수는 불필요하다. 신청양식은 완성해서 대학원 입학사무

실로 보낸다. 그 외에도 공식기록사본과 3장의 추천서도 제출해야 한다. 또 자전적 서

술에는 과거경험과 미래목표가 잘 나타나 있어야 한다. 신청양식은 대학원 학과사무

실에서 이용할 수 있다. 신청절차는 경영학과의 많은 교수진과 개인면담 후 이루어진

다.

그러나 만약 신청자가 캠브리지에서 멀리 떨어져 살고 있어 개인면담이 어려울 경

우에는 전화로 인터뷰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연기될 수도 있다.

신청자들은 등록허가 기준 위에 받아들여지며, 가능한 한 빨리 신청하기를 권장한

다. 신청자료가 완성되면 신청은 재심되며 신청자는 허가여부를 통보받는다. 새학기의

학생들은 가을학기와 봄학기에 입학이 허가된다.

- 207 -

Page 22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5. New York University(Performing Arts Management Program)

주소 : Performing Arts Management Program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Music and Performing Arts Professions

Suite 675, Education Building

New York University

35 West 4th Street

New York, New York 10012-1172

전화번호 : (2 12)998-5505(6)

Fax : (2 12) 995-4043

학과장 : Brann J. Wry

Email : wry @is.nyu.edu

학위 : M.A. (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뉴욕대학교 공연예술행정 프로그램은 36학점 프로그램으로서 1971년에 시작되어

1976년에는 54학점 프로그램으로 확장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2년의 기간을 요한다. 프

로그램의 목적은 일반경영, 마케팅, 개발, 프로그래밍, 장기기획, 위원회 및 자원자 개

발과 조직적 목표형성 분야에서 공연예술기관들을 지도하는 최상의 경영기량을 훈련

시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프로그램은 대학에서부터 예술기관 근무로 부드럽게

전이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대학공부와 인턴쉽 경험을 통해서 세심하게 그들을 상담

하고 충고하는데 특별한 노력을 기울인다.

학 과 운 영

프로그램은 Brann J. Wry 교수에 의해 운영되는데, 그는 주요 세미나들을 지도하고

인턴쉽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조언하며 그들의 졸업논문 프로젝트를 지도한다. 전임교

수진 외에 변호사이자 AT&T재단 부사장인 Timothy McClimon, Michael Kaiser and

Paul Engler, Papermill 극단의 development 감독인 John McEwen, 마케팅 컨설턴트인

Jacqueline Guttman, Chamber Artist Management의 부사장인 John Luckacovic 등이 강의

에 참여한다. 이 프로그램은 교육학부, 보건위생학부, 간호학 및 예술전문직, 그리고

Leonard N. Stern 경영대학원의 교수진들에 의해서도 지도를 받는다. 이 프로그램은 이

학부들의 협동적인 사업이라 할 수 있다.

- 208 -

Page 22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과 정

이 프로그램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전일제로 한다 해도 2년의 기간이 걸린다. 학생

들은 Leonard N. Stern 경영학부에서 M.B.A. 학생의 기초과목들을 수강해야 한다. 동시

에 학생들은 6학점의 인턴쉽뿐만 아니라 예술행정의 환경, 예술행정의 이론과 실제,

공연예술을 위한 개발, 공연예술 마케팅, 그리고 법과 공연예술, 공연예술의 기획과

재정, 관리 분야의 세미나에 참여하여 전공 필수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프로그

램 지도교수의 조언에 따라 경영, 예술행정, 혹은 예술에서 3학점의 선택과목을 이수

해야 한다.

학 과 목

1학 기 (총 12학 점 )

예술행정의 환경(3)

예술행정의 이론과 실제 (3)

마케팅(Stern 학부) (3)

경제와 재정의 최신 문제들(Stern 학부)(3)

2학 기 (총 15학 점 )

통계학 I(3)

법과 공연예술(3)

공연예술 개발(3)

선택과목(Stern학부)(3)

인턴쉽I(3)

3학 기 (총 15학 점 )

재정회계학(Stern학부)(3)

조직행동관리(Stern학부)(3)

마케팅, 공연예술(3)

소비자행동(Stern학부)(3)

인턴쉽II(3)

4학 기 (총 12학 점 )

기획과 재정(3)

관리(3)

세미나: C/P 쟁점(3)

선택과목(3)

학 위 취 득 을 위 한 총 학점 수 : 54

- 209 -

Page 22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문화정책에 관한 세미나(예술행정의 제문제)에서 전공논문, 프로젝트, 또는 사례연구

가 요구된다 : 예술행정에서의 쟁점들

현 장 실 습

학생들은 6학점의 인턴쉽을 이수해야 한다. 각각 주당 20시간인 3학점 짜리 인턴쉽

두 개나 주당 35-40시간인 6학점짜리 인턴쉽 하나를 하면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늦은 봄이나 초여름 시기에 해외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미국과 유럽의 예술행정의 문

제들과 실행과정을 비교 연구하도록 한다.

입 학 허 가절 차

제한된 수의 학생들만이 입학허가를 받을 수 있다. 신청자들은 하나 혹은 그이상의

예술영역에서의 활동경력과 문화조직에서 일한 경험을 갖고 있어야 한다. 예술영역에

서의 전문지식은 지식과 능력의 다른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증명할 수도 있지만, 통상

적으로 음악, 연극, 미술, 무용 분야의 학부학위에 의해 증명된다. 문화단체에서의 경

험에는 유급 형태와 자원봉사 형태 모두가 포함된다. 이런 필수요건들은 대학에 의해

정해진 최소한의 정상적인 학부성적 수준이라는 요건과 별개의 것들이다. 지원자들은

이 프로그램이 매우 중요한 개인의 창의성과 판단력을 요구하는 것이고, 바로 그 때

문에 입학한 학생들에게 성숙도가 기대된다는 점을 숙지해야 한다.

프로그램 지원자는 Th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Admissions, New York

University, 32 Press Building, Washington Square, New York, New York 10003'으로 신청

지원해야 하며, 덧붙여, 전 고용주나 감독관 또는 지도교수에게서 받은 적어도 2통 이

상의 추천서를 프로그램 지도교수에게 발송해야 한다. 개별적 면접 또는 에세이의 제

출도 필수적이다.

수업료는 학점당 578 달러이다. 현재 한정된 수의 학생만이 재정지원을 얻을 수 있

다. 지원자들은 뉴욕대 재정보조국 Office of Financial Aid, New York, New York Uni

versity, 23 West 4th Street, New York, New York 10003'으로 지원신청 진행 중에 가능

한 한 빨리 문의해야 한다. 대학원생을 위한 기숙사 시설에 관한 정보는 Associate D

ean, Partricia Carey, SEHNAP, Press Building 32, New York, New York 10003, 전화번호

(2 12)998-5025 에서 입수할 수 있다. 기숙사 신청은 프로그램 입학허가 직후 아주 빨

리 해야한다.

- 210 -

Page 22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6. New York University(Visual Arts Administration Program)

주소 : Visual Arts Administration Program

Department of Art and Art Professions

School of Education

New York University

34 Stuyvesant Street, 3rd Floor

New York, New York 10003

전화번호 : (2 12) 998-5700

Fax : (2 12) 995-4320

학과장 : Carlo Lamagna

Email : lamagna @is.nyu.edu

학위 : M.A (시각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뉴욕대학의 시각예술행정 프로그램은 박물관과 비영리성 시각예술 조직에 중점을

두고 197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1980년에 갤러리와 다른 기업적인 이윤 추구활동들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54학점을 이수해야 하며 full-time으로 2년이

걸린다. 수업은 이미 예술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의 스케줄에 맞도록 조정하

여 파트타임으로 3년에 마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박물관

관련 안팎의 다양한 분야에서 시각예술 행정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둔

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물질문화를 설명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이

해할 수 있는 경영자를 훈련시키는 것이다. 이 학업의 과정은 이론과 실제 경험의 균

형을 유지하며 운영, 계획, 개발, 프로그래밍, 정책결정 들을 포함한다. 새로이 출현하

는 전문적이고 직업적인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별한 과목들이 개설된

다. 이 프로그램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Sotheby's Inc., Whitney 박물관 등지에서 행

해지는 인턴쉽과 대학내의 다른 분야 및 활동적인 졸업생들의 네트워크가 보여 주는

분야들에서의 전문적인 훈련과정을 포함한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의 학과장은 Carlo Lamagna 교수이다. 그는 박물관장, 공공기금 관리자,

전시미술가, 비영리 경영고문, 교수로서 20여년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보조 교수진은

직업적 성과의 적합성에 따라 시각예술의 다양한 분야와 다른 전문가들로부터 보충된

- 211 -

Page 22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다. 학생들은 Stern School of Business에서 필수과목들을 수강하며, Wagner 공공업무

대학원이나 Tisch 예술학교, 미술연구소 등에서 과목을 들을 수 있다.

학 위 과 정

졸업을 위해서 54학점의 코스워크를 마쳐야 한다. 수업은 part-time 학생들이 3년에

프로그램을 마칠 수 있도록 순환적으로 제공된다. 학생들은 상업대학원에서 기초수준

의 M.B.A.과정을 수강하고 갤러리, 박물관 및 다른 예술조직들의 자금지원을 받아 9

내지 12학점의 인턴쉽과정을 채워야 한다. 프로그램은 6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순서는 각 개별 학생의 필요에 맞는 지도에 의해 결정된다.

예 술 경 영과 목 (필 수 , 각 3학 점 ) 총 15학 점

시각예술행정의 이론과 실제

시각예술 마케팅

도시발전과 시각예술(정부와 공공정책)

시각예술 관련 법규

시각예술을 위한 개발

예 술 경 영과 목 (선 택 , 각 3학 점 ) 총 15학 점

뉴욕의 미술관 및 박물관 개관

기업의 미술품 수집

기업발전과 시각예술

박물관의 구조와 기능

전시회 기획

대안적인 공간들에서의 예술

예술가 관리론

(영리목적의 경영을 위한) 시각예술 시장

기획과정 : 프로그램 및 제도적 분석

예술단체의 관리 및 위탁경영

수집품 관리 및 시각예술

경 영 학 과 목 (필 수 ) 총 9학 점

조직행동경영(3)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3)

재무회계(3)

인 턴 쉽 (각 3학 점 ) 총 9-12학 점

예술분야 인턴쉽(반복)

최 종 보고 서 (논 문 ) 3학 점

- 212 -

Page 22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선 택 과 목

조사연구, 경력 개발, 경영 시뮬레이션 분야의 다른 선택과목들도 수강할 수 있다.

이러한 과목들을 예술 경영과정을 구성하는 과목으로서 조정되어야 한다. 학과에서는

또한 예술, 예술사. 비평과 미학에 관한 선택과목들도 개설한다.

입 학 허 가절 차

프로그램의 입학 허가는 1년에 20명 이하로 제한된다. 지원자는 시각예술분야에 유

급이나 자원봉사자로서 일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의 대부분 참여자들은 예

술사 분야의 학사학위를 가지고 있다. 학생들은 의욕에 넘치며 세계적인 예술도시를

배경으로 자리잡은 진보된 전문프로그램의 이득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기를 바란

다.

입학허가 및 재정보조 지원자는 다음의 주소로 연락하면 된다.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Office of Graduate Admissions, Press Building, Room 22, 32

Washington Place, New York, NY 10003. (212)998-5030

지원서류 작성방식은 입학허가 사무실의 지도에 따라야 하며, 지원서와 성적증명서,

그리고 그 밖의 필요한 서류들을 위의 주소로 직접 보내야 한다. 학교나 과거의 직장

에서 받은 3장의 추천서와 이력서를 다음의 주소로 보내야 한다.

Professor Carlo Lamagna, Director

Visual Arts Administration Program

New York University

Department of Art & Art Professions

Barney Building, 34 Stuyvesant Street, 3rd Floor

New York, NY 10003

입학을 위해서는 예술 및 예술직업학과에 반드시 전화연락을 해서 Lamagna 교수와

의 개인 면접 신청을 해야 하며, 불가능한 경우에는 전화 면접 약속을 정해야 한다.

학비는 94-95학년도 기준으로 한 학기에 학점당 578달러이다. 여기에는 반환되지 않

는 학점당 31달러의 등록 및 서비스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매년 30달러를 내고 의무

적으로 건강진단을 받아야 한다.

예술 및 예술직업학과는 예술교육, Art Therapy, 시각예술행정, 미술품 거래 및 모금,

의상연구, 민속예술연구, 예술과 인성연구, 스튜디오 예술 분야의 학위를 수여한다. 학

과의 주된 목적은 다양한 예술적 관심을 가진 개인들이 서로 만날 수 있는 자극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환경은 현대 뉴욕 예술계의 다원주의적이고 국

제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며, 예술세계의 중심지에서 서로 다른 관점들을 교환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 213 -

Page 22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7.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주소 : Graduate Program in Arts Administrati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GPO Box 2434

Brisbane Old 400 1

Australia

전화 : 61-7-38642070

팩스 : 61-7-3864177 1

Coordinator : Dr. Jennifer Radbourne (경영학 교수)

전화 : 61-7-38641792

전자우편 : radbourne @qut.edu.au

수여학위 : graduate certificate in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diploma in Business (Arts Administration)

Master of Business (Arts Marketing and Arts Administration)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의 예술경영학 대학원 과정은 이 대학의 경영학

과의 marketing과 국제경영학교내에 속하고 있다. 이 과정은 예술경영 분야의 교육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1989년에 시작되었다. 그 이후로 예술 마케팅과 예술

행정분야의 과목과 연구과정으로 이루어진 Graduate Diploma 과정에서 시작하여 지금

은 석사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1993년에는 매주 통학이 불가능한 지방의 예술관

리자들과 학생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집중적이고 장거리교육에 기초한 예술

행정분야의 Graduate Certificate가 시작되었다.

학 과 운 영

대학원 과정의 코디네이터인 Jennifer Radbourne 박사는 모든 분야를 가르치고 있으

며, 논문심사 위원장이다. 산업관계, 예술, 법,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 기

술, 정부정책 및 재정지원, 기금모금과 원주민 예술 분야에서 일하는 초청 강사들이,

marketing과 비영리경영을 가르치는 경영학 교수들과 함께 가르치고 있다.

학 위 과 정

학위과정은 예술경영자, 공무원, 예술과 문화 분야 종사자들을 위해 고안되었다.

강의내용은 사회에서의 예술의 위치, 예술경영의 기획과 조직화 과정, 정부구조, 문화

- 214 -

Page 22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지원기금의 쟁점, 예술과 법, 예술마케팅, 예술산업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예술품설치,

그리고 예술에서의 건강과 안전 등이 있다. Graduate Diploma 과정 학생들은 위의 과

목들과 함께 M.B.A. 과정에서의 경영, 회계, 법,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과목들을 이

수한다. 연구학위인 MBA 과정은 문화정책, 사회에서의 예술, 마케팅, 예술경영자의

역할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에 기초한다. 학생들은 기초 예술경영과정을 빠르게 이수

하고 그 분야의 적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연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조사방법론을 개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학생들은 한 나라의 경제 발전, 관광 개발, 문화적 유산

의 개발과 마케팅에서의 문화산업의 역할을 분석한다.

Graduate Certificate of Arts Administration : 1년 part time

Graduate Diploma of Business (Arts Administration) : 1년 full time, 2년 part time

Master of Business : 2년 full time, 4년 part time

졸 업 요 건

각 학기는 14주간이다. 첫 번째 학기는 2월 중순에서 5월말까지, 두 번째 학기는 7

월 중순에서 10월말이다. 학생들은 두 학기중 어느 학기에서나 입학이 가능하다. 학생

들은 14주의 학기간에 걸쳐서 4일간의 강의와 교습, teleconference 강의와 평가를 수반

하는 집중적인 수업을 하게 된다. 모든 학생들은 예술행정과 사회, 예술산업, 예술행

정가를 위한 마케팅 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대개 기금모금의 이론에서 총 48 학점을 이

수해야 한다. 수업평가는 연구보고서나 논문, 산업관련 보고서, 세미나에서의 발표, 실

제 상황에 수업내용을 적용하는 학기말 시험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Graduate

Diploma과정의 학생들은 그 후에 MBA 과정에서의 경영, 마케팅 방법과 실천, 상법과

윤리, 조직커뮤니케이션 과목들을 이수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Master of Business 학위 학생들은 144 학점에 상당하는 졸업논문을 12에서 18개월에

마치기 위해 연구조사방법론 과목과 전략적인 마케팅 분야에서의 과목들을 이수한다.

입 학 허 가절 차

입학서류와 과목에 대한 정보는 위에 소개된 대학주소의 입학과(Admission Section)

에서 얻을 수 있다. Graduate Diploma와 Master of Business 과정에 대한 지원은 입학전

년도의 12월 1월에 마감하고, Graduate Certificate 과정에 대한 지원은 1월 26일에 마감

한다. 6월 중순 입학은 모든 과정에서 가능하다.

호주시민들은 Graduate Certificate와 Graduate Diploma 과정에 다니기 위해 수업료 전

액을 내야 한다. Master of Business 과정은 Federal Government Higher Education

Contribution Scheme (HECS) tax의 적용을 받는다. 해외유학생들은 특별 수업료를 내

게 된다.

- 215 -

Page 22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8. Sagamon State University

주소 : Sangamon State University

Springfield. Illinois 62794-9243

전화번호 : (2 17)786-6535

학과장 : Joan S. Lolmaugh

공공업무와 행정학교

단체예술운영프로그램

학위 : M.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단체예술운영(CAM) 프로그램은 1973년 가을에 개설되었으며, M.A. 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2년과정으로 제공된다. 프로그램을 위한 커리큘럼 결정을 유도하는 기본과정

은 일반운영과 계획 수립뿐만이 아니라 예술에 대한 특별하게 적절한 지식과 기술이

예술행정에서 지도력으로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술양식에 대한 인식과

심미적 주제를 고찰하는 능력을 포함하고, 심미적 결정을 내리거나 심미적 생산과 산

업적 생산의 기여와 산출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비영리성과 정부운영시

스템의 특성에 친숙하며, 벌어들이는 수입과 기금의 출처에 대한 지식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이 단체나 주립예술기관, 예술센타와 서비스 조직 같은 다양한 예술단체의

운영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오케스트라, 극장, 박물관과 무용단체 운영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습득하는데 있다.

학 과 운 영

프로그램의 전업지도자는 과정을 가르치며, 프로그램의 현장경험 부분을 위하여 교

수진을 연결 시켜주며, 공공업무와 행정학교의 학장에게 행정적인 보고를 한다. 비영

리단체의 재정적 운영 , 예술철학 과 공공단체의 역할 같은 과정에서 학생들은 경

리, 철학, 공공행정 프로그램을 배운다. 비영리단체의 마케팅과 발전 , 박물관/예술

센타운영 과 예술단체 운영 실제 는 현장에서 시간제로 가르쳐진다. 교과과정을 설

계하고 학생평가 등을 책임지는 지도자로 구성된 프로그램위원회는 교수와 선출된 대

학원생으로 이루어진다.

학 위 과 정

대학원생은 2년 동안에 학위과정을 마치도록 계획해야 한다. 프로그램은 2가지 선

- 216 -

Page 23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택과정을 제공한다. 첫번째 선택과정에서 교과과제와 지역수습과정으로 구성된 첫 세

학기는 Springfield에서 보낸다. 프로그램의 네번째 학기에서 학생들은 전업의 점진적

유료고용이나 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자리에서 현장경험을 해야한다. 이 학기

동안에 프로그램의 지침, 과정과 최종보고서나 작품을 내야한다.

두번째 선택과정에서, 두개의 추가적 수습과정과 현장경험을 대신하는 프로젝트 논

문을 써야한다. 3학기 수업과 1학기 현장경험이 M.A. 학위의 필수조건이며 다음 CAM

과정을 수료해야 한다.

비영리단체 운영의 법적 측면 (2시간)

예술행정(4시간)

공공정책과 예술(4시간)

비영리단체의 마케팅과 발전(4시간)

연구/주 프로젝트(4시간)

현장경험(6시간)

4학기의 상주 프로그램으로 M.A.를 위한 필수조건 수행을 위해서는 동일한 요구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경험을 대신해서 2가지 추가적 인턴쉽을 할 수 있다.

수습과정 III (2시간)

수습과정 IV (4시간)

모든 학생들은 다음의 선택과정을 수행하거나 그들의 부가적 항목의 능력을 증명해

야 한다.

비영리단체의 재정운영 (4시간)

예술의 철학(4시간)

공공단체의 역학(4시간)

컴퓨터 워드프로세싱, 스프레드 쉬트, 데이타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능력

(제한되지 않은) 선택과목

인턴쉽 II & III

예술과 교육

예술운영 수행

박물관/예술센타 운영

- 217 -

Page 23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대학의 대학원 학위 지원자에게 학업의 전공분야안의 같은 영역의 능숙함을 증명할

석사 프로젝트가 요구된다. 프로젝트는 학생의 학문조언자, 학생들이 선택한 교수진,

학장이 임명한 교수로 구성된 교수위원회에 의해서 증명되고 평가된다. 석사 프로젝

트 작업의 준비는 연구/석사 프로젝트 과정의 교과과정에서 한다.

현 장 실 습

상주 교과과정의 부분으로 대학원생들은 일리노이즈 예술회, 미조리 예술회, 상가몬

주립대학 예술수행센타, 스프링필드 심포니 오케스트라, 스프링필드 지역예술회와 일

리노이즈 주립박물관 같은 단체에서 주당 약 8시간의 수습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현

장경험은 상주 교과과정을 마치고 나서 한 학기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별연구원,

조합사무실, 국립예술기금, 예술인턴, 국회예술간부회, 주재행정관, 가입 예술가 기구

와 프로젝트 조정자, 스미스소니언협회를 들 수 있다.

입 학 허 가절 차

Sangamon 주립대학 대학원 과정의 입학은 개방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으며, 학사학

위의 졸업증서가 있는 지원자를 받는다. 단체예술운영 프로그램의 입학허가는 현장에

서의 경험, 학문적 성취, 지도력, 의사소통 능력에 기초를 둔다. 프로그램은 대학 사

본, 자서전, 학업의지 진술, 약력, 3장의 추천장을 요구한다. 평균학점은 재평가하지만

최저 요구수준은 넘어야 한다. 지도자는 허가 경계선으로 제한하지 않지만 3월 1일까

지 심사숙고해서 허가를 추천한다.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프로그램 사무실로 직접 연

락해야 한다.

- 218 -

Page 23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19. Saint Mary's University of Minnesota

주소 : Arts Administration Program

Saint Mary 's University of Minnesota

700 Terrace Heights #78

Winona, Minnesota 55987-1399

전화 : (507) 457-1606

팩스 : (507) 457-1633

학과장 : Robert R. Pevitts 박사(School of Arts and Humanities 학장)

학위명 : M.A.(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행정학(Arts Administration) 석사학위 과정은 199 1년에 설립되었고, 21세기에 들

어가면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예술단체의 필요성에 대처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예술

행정가들을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과정을 이수하면 졸업생들은 서비스 조직

은 물론 행위와 시각예술을 포함한 전문적인 분야(예술 관련의 비영리 및 상업조직들

에서)에서의 경력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그 목적을 위해서, 학생들은 경영능력은

물론 리더쉽과 대인관계에서의 기술을 집중적으로 훈련하게 된다. 여러 분야에 걸친

실질적인 경험은 교과과정의 중심적인 부분이다. Minneapolis와 St. Paul의 Twin City는

지역 단체들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알려진 예술조직들의 집합소이다. Winona가 Twin

Cities에 가깝기 때문에, 심포지엄, 여행, 그리고 관련인사들의 상호교류를 위한 장기적

인 그리고 1일 여행이 자주 이루어진다.

Saint Mary 's University of Minnesota는 중북부대학협회 고등교육위원회(Commission

o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of the North Central Association of Colleges and

Schools)의 인가를 받았다.

학 과 운 영

프로그램 디렉터는 Robert R. Pevitts 교수이다. 교수진은 School of Arts and

Humanities와 School of Business of Social Sciences에서 충원된다. 보조 교수진은 전문

예술가들로 이루어진다. Twin Cities로부터 온 초대강사들과 심포지엄 참석자들에는

Minnesota State Arts Boards의 Elizabeth Childs, Guthrie Theatre의 Sheila Livingston,

Walker Art Center의 Julie Voigt, Resources and Counseling for the Arts의 Barbara Davis

등이 있다. 또한 전국에서 온 강사들로는 Terzi Production의 Lawsann Kratz, Pentacle의

- 219 -

Page 23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Ivan Sygoda, Cincinnati Playhouse in the Park의 Buzz Ward 등이 있다.

학 위 과 정

석사학위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총 4 1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이 과정

은 학생들이 학기 시작을 8월초에 해서 54주 후에 끝마치는 cohort model에 의해 운영

된다. 8월 과정은 집중적인 입문 세미나와 연례 예술행정 심포지엄으로 이루어져 있

다. 가을과 겨울 학기전의 과정은 Twin Cities에서 수업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그들이

일하는 직장에서 예술행정가들과의 일련의 만남의 기회로 이루어져 있다. 가을과 겨

울 학기는 다음의 과목들로 이루어져 있다:

경영이론과 기법

전문인을 위한 의사소통

예술관련 법규과 노사협상

예술마케팅과 홍보

예술기획과 개발

예술경영

현대예술의 쟁점

시설디자인과 기획

예술 재정 경영

예술기술론

실습

여름학기는 다음 과목들로 이루어져 있다:

실습(Residency) 관련 논문

Capstone 심포지엄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실습과정의 경험을 정리하고, 수업과정을 반영하고, 과목에 대한 파악을 평가의 기

본이 되는 학기말 논문을 학생들은 쓰게 된다. 이 논문은 Graduate Committee에 제출

되고 또한 새로운 대학원생들과 교수진,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연례 예술

행정 심포지엄에서 발표된다.

현 장 실 습

인턴쉽은 프로그램 디렉터와 학생의 상담에 의해서 선택되는 예술조직에서의 6주간

의 full time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직들로는 Ordway Music Theatre, Minnesota State

Arts Board, Central City Opera, Actors Theatre of Louisville, Pearl Theatre Company,

- 220 -

Page 23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Minnesota Opera, Nevada Museum of Art, Minneapolis Institute of Arts 등이 있다.

입 학 허 가절 차

입학을 위해서는 아무런 표준화된 시험이 요구되지 않는다. 지원자들은 입학을 위

해 다음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입학지원료와 함께 완성된 입학서류의 제출

지역적으로 인가된 대학에서 4.00 만점에서 2.75 이상의 학점으로 학사학위를 수여

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수학했던 모든 대학들로부터의 공식 학부 성적표를

제출

두 통의 추천서를 제출

Arts Administrator 프로그램 디렉터와의 인터뷰

- 221 -

Page 23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0.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주소 : Arts Administration Program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37 South Wabash

Chicago, Illinois 60603

전화 : (312) 899-1232

팩스 : (312) 263-0 14 1

학과장 : Robert Weiss

전화 : (312) 899-1472

전자우편 : r .weiss @dune.artic.edu

학위명 : M.A.(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행정(Arts Administration) 프로그램의 목적은 예술행정가들의 능력을 향상시켜

예술을 활성화하고 사회생활에서 예술의 의미를 더하는 데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 학위과정은 다음의 목적들을 추구한다.

예술분야에서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하고, 그들의 자질과 중요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제공

예술 표현의 다양성과 특히 현대사회에서의 예술의 가능한 역할들을 인지할 수 있

는 능력의 개발

예술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고 다양한 예술공동체들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능력을

포함해서 예술, 예술 조직, 예술가, 사회간의 다양한 관계들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

의 개발

역동적이고 효과적인 리더십을 갖도록 도와주는 실제적이고 동시에 학습하는 능력

의 개발

지식에 기반하고 명확한 방법으로 조직적인 문제들은 물론 예술적인 문제들까지를

발표, 제시하는 데 필요한 이해력과 기법의 개발

조직들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조직들의 구조, 리더십 스타일,

경영방식들에 대한 이해력의 개발

사회적 책임을 갖는 지도력과 경영의 중요성의 홍보

Arts Administration Program은 이론과 실천을 모두 교육의 근본적인 요소로 취급한

다. 이 과정은 예술조직의 운영은 예술의 구체적인 역사, 제도들, 쟁점들, 가치를 파악

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는 전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런 전제를 기반으로, Arts

- 222 -

Page 23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Administration Program은 전문화된 전공분야에서의 지도와 일반적인 경영기술의 개발

을 같이 가르치고 있다.

Arts Administration Program은 비영리와 공공 시각예술기관들의 리더십과 경영에 초

점을 맞추는 한편, 영리조직들을 포함한 폭넓은 종류의 문화조직들에 관심이 있는 사

람들에게도 가치 있는 교육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또한 시카고시의 교수진과 초대강사로 구성된 거대한 양의 문화적

그리고 교육적 자원들을 활용한다. 유명한 예술단체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는 프로그램 개발을 이끌어 가는 것과 인턴쉽과 경력을 위한 기회들에 대한 자문을

주고 있다.

이 과정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술관(The Museum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과

연결된 저명한 예술학교(The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가르쳐진다. 학생들은 예술

을 만들고, 연구하고, 보여주기 위한 최고의 환경에서 학업한다.

이 과정은 개별적인 지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각각의 학생들은 과목 선택, 과정

이수의 진척, 개인적 배경, 관심, 목적에 적합한 실질적인 적용에 관해서 주의 깊은

지도를 받는다.

학 과 운 영

대학원 과정의 학과장은 Rachel Weiss이다. 조교수는 Roosevelt 대학의 Partners in

Cooperative Education의 이사인 Adrienne Hirsch가 맡고 있다. 이외의 교수진에는

Strategic Technology Planner의 David Anderson, Sculpture Chicago의 책임자인 Joyce

Fernandes, J.D. Hazell Associates의 변호사인 Dr. Clive Hazell,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New Museum Project의 재정책임자인 Aamodt Hechinger, SAIC Auxiliary Board의

창립자인 Shirley Paperno Kravitt, 경제학과 부교수인 Sarah Core Peters,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의 Institutional Development의 부회장인 Paul Pribbenow, Eckhart,

McSwain, Silliman & Sears의 변호사인 Jerry Singer,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Chief Development Officer인 Carolyn L. Stolper, Ragdale Foundation의 책임자인 Mike

Wilkerson이 있다.

자문회는 Chicago Arts Partnerships in Education의 책임자인 Arnold April,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책임자인 Kevin Consey, Marwen Foundation의 이사인 Antonia

Contro, Renaissance Society의 책임자인 Suzanne Ghez, Arts and Business Council of

Chicago의 이사인 Joan Gunzberg, New Art Examiner의 부편집장인 Kathrvn Hixson, 예

술가인 Laurie Palmer, Illinois Arts Council의 Artists ' Services & Multicultural Programs의

책임자인 Rose Parisi, MacArthur Foundation의 Senior Program Office for Arts &

Humanities의 Nick Rabkin, Randolph Street Gallery의 이사인 Peter Taub, Mexican Fine

Arts Center의 이사인 Carlos Tortolero, Guild Complex의 책임자인 Michael Warr가 있다.

- 223 -

Page 23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과 정

학위취득을 위해서는 총 48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필수과목은 대학원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선택과목 - 예술사, 예술이론, 예술비평, 교양과목, 예술교육, 문화유산 보존,

스튜디오 예술 등 - 들에 의해 보완된다. 교과과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핵 심 과 정 : 24학점

예술행정 개관

예술단체의 경영 및 리더십

조직행태론

마케팅 및 개발

재무관리

예술행정 커뮤니케이션

모 듈 과 정 (필 수 과 목 )

예술행정관련 법적 쟁점

예술후원

조사방법론

화랑경영

정보관리기법

최 고 경 영자 과 정 : 리더십워크샵, 협상워크샵, 매체훈련워크샵

예술단체 구성

이사회 구성 및 개발

인적자원 관리

이 과목중에서 12학점은 예술사, 예술이론, 예술비평, 예술교육, 문화유산 보존 등

일반 과목 중에서 선택하여야 하며, 인턴쉽으로 12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적어도 한학기 동안에는 9학점 짜리 풀타임 실습(최고 15학점까지 가능)을 하여야

하며, 그 다음학기에는 6학점의 실습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것은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2년내에 과정을 끝마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프로

그램은 직업을 가진 학생들을 위해서 저녁 및 토요일에 이루어지므로 최고 4년을 필

요로 하기도 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학위논문은 인턴과정에서의 프로젝트를 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연구를 통한 프로젝

트 등 2가지가 모두 가능하다. 다만 인턴쉽 프로젝트는 3학점이며, 새로운 프로젝트는

6학점이다.

- 224 -

Page 23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현 장 실 습

인턴과정은 3번째 학기의 한 과정으로서 수행된다. 인턴과정은 총 225시간, 1주일에

적어도 15시간을 요구한다. 현장실습 학점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필답 및 구두 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얻어야 한다. 현장실습은 다양한 시카고 지역사

회 예술기관 등에서 이루어진다.

입 학 허 가절 차

인가된 대학에서의 학사학위 취득이 필수적이며, 학부에서 예술사, 예술교육, 미술

등을 전공한 학생들과 예술단체의 실무경험이 있는 경우 입학허가를 받기가 유리하

다. 또한 문서 및 구두상의 의사소통 기술이 강조되며, 기초수학 지식과 컴퓨터 조작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지원자들은 다음의 서류를 갖추어 제출해야 한다.

·학부의 전학년 성적증명서 및 학위증명서

·예술관련 교육이나 실무 경험, 관심분야 및 학업능력 등을 담은 자기 소개서,

·향후 직업목표 및 지원동기 진술서,

·추천서 3장

·개별면접(어려울 경우 전화면접 가능)

·비영어권 국가 출신자들은 TOEFL 점수

- 225 -

Page 23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1.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주소 : Center for Arts Administration

Meadows School of the Arts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PO Box 750356

Dallas, Texas 75275-0356

전화번호 : (2 14)768-3425

Fax : (2 14) 768-3272

학과장 : Gregory Poggi 박사

학위 : M.A. (예술행정), M.B.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미국내 예술단체들의 수, 크기, 복잡성에 있어서의 현격한 성장은, 다양한 예술분야

와 예술관련 단체내에서 관리직을 맡을 수 있는 예술과 경영분야에서 고도로 교육받

고 훈련된 사람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Southern Methodist 대학 예술행정 프로

그램의 기본목표는 예술행정분야로의 입문을 위해 고도로 자격이 갖춰진 사람들을 배

출하기 위해 예술과 경영 분야에서 필요한 매우 깊이 있고, 폭넓은 공식적인 교육경

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Meadows 예술학부와 Edwin L. Cox 경영학부의 결합된 자원들, 달라스라는 대도시

우수한 예술환경, 그리고 전문적인 초빙교수들은 Southern Methodist 대학 예술행정 프

로그램의 장점이다. 예술행정 프로그램은 2년 과정으로 예술행정에서의 M.A.와

M.B.A.의 2중 학위를 수여하게 된다.

학 과 운 영

예술행정센터의 책임자는 Meadows 예술학부의 학장에게 보고하고, 외부의 예술 후

원자들에게 뿐만 아니라 Cox 경영학부 학장과, 교수진들과의 연계와 조정자로서의 기

능을 하게 된다. 교수진은 학과장과 Meadows 및 Cox 학부의 교수진 그리고 예술단체

및 관련분야 현장 전문가들인 초청강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예술행정센터는 달라스

예술단체의 회장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학 위 과 정

2중 학위 프로그램을 마치기 위해서는 24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 예술행정 M.A.는

Meadows 예술학부에 속해 있으며, M.B.A. 학위는 Cox 경영학부에서 수여되는데, 이는

AACSB에 의해 인정된다. 두가지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75학점을 수강해

- 226 -

Page 24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야 한다.

예 술 행 정의 M .A.와 M .B.A.를 위 한 필 수 과 목

재정회계학(3)

국제경제 환경(3)

경영통계 및 예측(3)

조직행태 및 다양성 관리(3)

경영회계학(3)

재무관리(3)

경영의사결정을 위한 경제학 (3)

마케팅관리(3)

제조업과 서비스 분야에서의 경영기능(3)

세계화 시대의 전략분석(3)

정보기술 관리(3)

경영관련 선택과목(15)

홍보물 저술(3)

예술행정세미나(9)

예술행정 인턴쉽(3)

예술관련 선택과목(12)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인턴쉽을 마친 후에 프로젝트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현 장 실 습

첫 5학기 동안의 실습경험은 part-time으로 진행되며, 학생들을 다양한 예술환경과

책임 있는 지위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학생들은 프로그램 마지막 학기 동안에는

full-time 인턴쉽을 해야 한다. 인턴들은 달라스와 달라스 밖의 지역의 예술단체, 즉

Arena Stage, 샌프란시스코 현대예술박물관, 필립스기금, 뉴욕시 발레단, 시카고 Lyric

오페라단, 시애틀극장, 로스앤젤리스 실내악단, 시카고예술협회, 보스턴 Grand 오페라

단 같은 단체에 배치된다.

입 학 허 가절 차

매년 대략 10명의 학생들이 입학한다. 입학 지원자들은 Meadows 예술대학, Cox 경

영대학 양쪽의 평가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후보자들은 한 예술분야의 학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최소 누적평점이 3.0(4.0만점)이상 이어야 하고, GMAT 시험에

서 우수한 성적을 얻어야 하며, 이력서를 제출해야 하고, 학과장과 면접을 해야 한다.

수업료 전액 외에 봉급까지도 지급하는 다양한 재정보조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 227 -

Page 24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2.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주소 : M.B.A. in Arts Administration Program

School of Manageme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Binghamton, New York 13902-60 15

전화 : (607)777-2630

Fax : (607)777-4422

학과장 : Martin Schulman

Email : MSchulma @BINGVMB.cc.binghamton.edu

학위 : M.B.A.(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1973년에 시작된 예술프로그램에서의 M.B.A. 과정은 예술단체들에 전문적이고, 식

견 있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고도로 훈련된 지도자들을 공급해 왔다. 이 프로그램의

주된 목적은 예술계 내부의 주요한 관리, 행정적 문제들을 잘 처리할 수 있는 완벽한

능력을 갖출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기술적인 자유기업사회에서의 예술의 적절한 역

할에 관한 미래의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필요한 비젼과 분별력, 그리고 유

머를 겸비한 학생들을 졸업시키는 것이다. 예술프로그램의 M.B.A.는 full-time으로 2년

과정이다. 학위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예술행정 전공으로 M.B.A.를 수여 받게 된다.

학 과 운 영

예술행정프로그램 M.B.A. 과정의 학과장은 Martin Schulman이다. 학과장은 예술행정

의 2가지 필수과목 가르치며 모든 인턴쉽을 감독한다. 나머지 과목들은 경영학부 교

수진과 뛰어난 초빙강사들에 의해 지도를 받는다.

학 위 과 정

이 프로그램에서는 64학점을 이수하여 평균 3.0이상의 학점을 받아야 한다. 64학점

중에서 8학점은 경영선택이고 20학점은 예술경영 과목들이다. 이 프로그램을 마치는

데는 인턴쉽을 포함하여 만 2년이 걸린다.

- 228 -

Page 24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기 별 학 과 목

1학년

가을학기

경영회계학

경영통계학

경영정보체계론

관리경제학

봄 학 기

조직행태론

경영마케팅

Operations Management

예술 공공정책

예술기관의 고용실습

여름학기

예술관련 선택과목

경영 재정학

지원금 개발 및 신청서 작성

2학년가을학기

고객 자원 관리 (또는) 투자자 자원관리

예술계의 환경

경영관련 선택과목

봄 학 기 예술분야 인턴쉽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인턴쉽 후의 분석 보고서와 인턴쉽 기간 중의 3개의 중간보고서를 제외한 다른 논

문은 요구되지 않는다.

현 장 실 습

모든 학위과정 지원자들은 대략 14주간의 인턴쉽을 이수하여야 한다. 인턴쉽은 이

프로그램에 있어 최고의 교육경험이 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져 있으며, 또한 교육과정

의 마지막 단계이다. 학생과 프로그램 학과장이 공동으로 고용기관을 결정한다. 학생

들은 미국 예술위원회, 현대예술박물관, 뉴욕시립오페라단, Joffrey 발레단, 미국

Spoleto 페스티발, 시드니 오페라극장, 링컨센터 재즈악단, 그리고 국제음악위원회(파

리) 같은 단체들에서 인턴쉽을 해 왔다.

입 학 허 가절 차

입학허가 신청서는 대학원 입학허가 사무실에서 구할 수 있다. 입학을 원하는 학생

들은 GMAT 점수를 지원서와 함께 보내야 하며, GRE 점수를 별도로 제출해야 한다.

외국인 학생들은 TOEFL 점수를 제출해야 한다. 또한 모든 지원자들은 개인별 면접을

치러야 한다. 입학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학부에서 미적분학을 수강하였어야 하며, 그

렇지 않은 경우 입학 이전까지 수강하여야 한다. 재정지원은 대학원 조교와 장학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 229 -

Page 24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3. Texas Tech University

주소 : Texas Tech University

Arts Administration Specialty

The Graduate School

P.O. Box 4460

Lubbock, Texas 79409

전화 : (806)742-2781

학과장 : Thomas A. Langford(대학원장, 미술학 박사과정위원회 의장)

학위 : Ph .D. (미술, 예술행정 전공)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미술분야의 박사과정 프로그램은 예술에 대한 여러 학제간의 공동연구에 관심을 갖

고 있는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훈련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1972년 개설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다른 예술영역에서의 필수 교과과정(학기당 20시간)을 통해 예술의 한 분

야에 대한 매우 전통적인 전문성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예술계에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고, 그들의 전문분야에서 잘

훈련되어 있으며, 예술 전반에 정통한 졸업생을 배출하는 것이다. 모든 학생들이 예술

행정을 전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전공에서나 예술행정에 중점이 두어진다. 예술

행정의 쟁점들을 다루는 논문 주제뿐만 아니라 인턴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프로

그램은 경영학과 행정학에서의 학업을 권장한다. 개별 프로그램들은 각 학생의 특별

한 취향과 장점에 맞도록 만들어져 있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은 미술, 음악, 연극학과에서 대학원 지도교수들과 함께 일하고 있는 대

학원 부원장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미술분야의 박사과정 위원회가 그 프로그램 정책

과 운영을 감독하는 대표적인 기구이다. 이 프로그램을 위한 대학원 교수진은 대략

40명 정도이다.

학 위 과 정

이 프로그램에서는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학점 외에 최소한 50학점을 이수하여야 하

며, 논문은 별도이다. 이중에서 20학점은 학제간 공동 필수과목, 그리고 30학점은 전

공과목에서 이수하여야 한다. 필수과목에는 철학과에서 개설되는 미학과목이 포함된

- 230 -

Page 24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다. 전공과목은 예술행정뿐만 아니라 예술교육, 역사, 공연, 이론과 비평이 포함된다.

이 프로그램은 최소한 full-time으로 1년의 기간동안 지역 내에 상주할 것을 요한다.

통상적으로는 학생들이 과정을 끝내는 데 만 2년이 걸리고, 논문을 제출하는 데 다시

1년이 걸린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모든 학생은 논문을 써야 하지만, 그 내용은 인턴쉽 프로젝트, 직업적인 문제들, 보

다 전통적인 연구 같은 것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현 장 실 습

인턴쉽은 행정에 중점을 두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인턴쉽은 적어도 6개월의 기

간을 필요로 하며, 신중하게 선택되고 감독되어진다. 지금까지 학생들은 뉴욕의

Joffrey 발레단, 달라스의 Shakespeare Festival, 그리고 하와이에 있는 Polynesian 문화센

타에서 인턴쉽을 가졌다.

입 학 허 가절 차

입학허가는 어떤 한 예술분야에서의 석사학위와, 적합한 학업성적, 그리고 GRE 점

수를 필요로 한다. 지원자는 전공학과에서 추천을 받아 미술분야 박사과정 위원회와

대학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관심 있는 학생들은 Director of Graduate Admissions,

Texas Tech University '에게 연락하면 지원 서식을 얻을 수 있다, 또 추천서나 경력서,

이력서 등의 필요할지도 모를 부가사항들을 알아보기 위해 장래 전공학과의 대학원

지도교수 와 접촉하여야 한다.

- 231 -

Page 24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4. The University of Akron

주소 : Arts Administer Program

School of Theatre Arts

College of Fine and Applied Arts

Akron, Ohio 44325-1005

전화 : (2 16)972-6823

Fax : (2 16)972-552 1

학과장 : Durand L. Pope

학위명 : M.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1980년에 시작된 예술행정 프로그램은 Akron대학의 미술 및 응용예술학부에서 강력

하고 활발한 학제간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아 왔다. 학과과정은 학생들이 이 분야 업무

의 복잡성뿐 아니라 정책의 복잡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계획되었

다. 대학원 과정의 전문적인 훈련을 통해 학생들은 공연, 시각 및 매체예술 경영의 비

영리 전문분야에서 경력을 쌓게 된다.

예술행정 프로그램은 이 나라의 전문적인 비영리 예술분야의 변화에 일차적인 관심

을 가지고 있다. 모든 단계에서 학생들은 예술경영자들이 일상에서 부딪치게 되는 자

금조성, 관객속성, 기술, 정책에서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대학원에서 이러한 문제들

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생들은 전문적인 일을 하면서 제기될 수 있는 많은 조직적인

문제들에 대처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상적인 학생은 예술분야의 교육을 받은 학사학위자이지만, 다른 분야의 학사학위

를 받은 학생도 예술행정 프로그램에 입학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학부를 성공적

으로 마친 학생들은 대학원에 입학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일을 할 기회를 갖게되는데,

이 실제적인 일의 경험은 그들의 대학원 과정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 주며, 이것은 학

문적이고 직업적인 성공을 위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석사학위 취득은 full-time 또는

part-time으로 할 수 있다.

학 과 운 영

대학원 교수진이 경영, 마케팅, 회계학, 도시연구, 커뮤니케이션, 음악, 연극, 무용,

미술 등의 영역을 강의한다. 전문조직으로부터 초빙된 보조 교수진이 자신들의 전문

영역에 따라 특정한 과목들을 강의한다. 대부분의 강의에서 관현악단, 문화센터, 예술

- 232 -

Page 24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협회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극단, 오페라, 무용단에서 초빙된 강사를 접할 수 있다.

학 위 과 정

학생들은 독창적인 연구논문을 포함하여 최소한 42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예 술 행 정 필 수 과 목

대학원 개설과목 개관(3)

예술세미나(2)

예술행정이론(3)

관객개발(3)

예술에서의 기금조성과 지원금 확보(3)

예술행정의 실제와 정책(경영)(3)

예술행정의 법적 측면(3)

인턴쉽(3-6)

연구논문(6학점)

경 영 필수 과 목

경영과 생산개념(3)

마케팅개념(3)

조직행태론(3)

선 택 과 목

예술행정 특정주제 연구

현대 홍보이론(3)

위탁경영과 인사행정(3)

그래픽, 인쇄, 출판경영(3)

비영리회계학(3)

극장시설계획과 설계(3)

관 련 분 야 과 목 들

정부 및 공공기관 회계(3)

재무회계(3)

경영재무(3)

전략적 마케팅 경영(3)

마케팅 커뮤니케이션(3)

도시정치학(3)

도시행정(3)

이 밖에도 컴퓨터 과학과 소프트웨어, 광고, 그리고 판촉분야에서의 과목을 선택할

- 233 -

Page 24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수 있다.

현 장 실 습

예술행정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전문적인 공연단이나 시각예술단체에서 인턴으로 한

여름을 보낸다. 학생들은 Jacob 's Pillow, Seattle 's A Contemporary Theatre, Ohio Ballet,

The Cleveland Play House, Dance Theatre of Harlem, Indianapolis Ballet 등의 유명한 단

체에 배치된다. 국제단체에서의 인턴쉽도 가능하다. 인턴쉽은 학생들에게 실제의 예술

단체에서의 경영실습 경험과 전문성을 갖고 직접 일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 인턴쉽의 기간에 따라 이수해야 할 학점의 양이 달라진다.

인턴쉽의 구성은 전문가로서의 학생의 발전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 인턴쉽을 수

료한 후의 과목수강과 이의 실제에의 적용은 전문영역에서 성공할 수 있는 학생들의

잠재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선택된다.

조 교 제 도

Akron대학은 활동적이고 경쟁적인 조교제도를 갖고 있다. 매년 약 10명의 학생들이

예술행정 프로그램에서 조교자리를 얻는다. 학생들은 직업적인 예술단체나 학생예술

단체(음악학부, 공연예술학부, 무용학부와 미술학부의 Emily Davis 화랑)들에서 실제적

인 경험을 얻는다. 학생들은 조교로서 실질적인 경험을 쌓는 가운데 그들의 학문적인

성과를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프로그램은 주로 소수 집단으로부터 조

교를 충원 한다. 대학원 조교들은 학비 전액과 장학증서 외에 생활비 지원을 받는다.

(1995/ 1996년 기준으로 두 학기에 5,850달러 지급)

입 학 허 가절 차

응시원서를 받으려면 Akron대학의 연극예술학부의 예술행정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연

락하기 바라며, 대학원 입학허가를 얻기 위한 최소한의 학점은 2.75이다. 조교자격은

일반적으로 평균학점 3.0을 받은 학생들에게 주어지며, GRE 성적은 요구되지 않는다.

학생들은 연중 어느때나 입학허가 지원을 할 수 있으며, 대학원 조교를 희망하는 지

원자는 4월 1일 이전까지 지원서를 제출해야 한다.

- 234 -

Page 24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5. University of Alabama

주소 : Theater Management/Art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heatre and Dance

University of Alabama

P.O. Box 870239

Tuscaloosa, Alabama 35487-3850

전화 : (205)348-3850

Fax : (205)348-9048

학과장 : Kevin Marshall(알라바마대학)

Email : Kmarshall @ROJO.as.ua.edu

Kevin K. Maifeld, 알라바마 셰익스피어 극단

학위 : M.F.A (극장경영/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극장경영/예술행정 학과의 M.F.A. 프로그램은 1984년에 알라바마 대학에 설치되었

다. 1989년부터는 알라바마대학교와 알라바마 셰익스피어 페스티발(ASF)이 공동으로

극장경영/예술행정 분야의 2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첫 9개월간(가을과 봄학기 동안) Tuscaloosa에 있는 알라바마대학 교정에서

수업에 참여하며 지내게 된다. 그 동안 학생들은 극장경영, 예술행정 및 업무와 연관

된 문제들을 다루게 된다. 다음 15개월 동안은 몽고메리에 있는 알라바마 셰익스피어

페스티발에서 보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학업과 현장 지향적인 연구

를 결합시키는 훈련을 받게 된다.

학생들은 이러한 두 가지 환경에서 매우 가치 있는 학문적이고 객관적인 경험을 얻

게 된다. 이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개인적 접촉을 통한 경험과 대학 극

단 및 ASF 행정 사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러한 환경의 장점을 유지하

기 위해 프로그램의 등록은 매년 가을 4명 이내로 제한된다.

학 과 운 영

학교에 머무는 동안 학생들은 본 대학의 연극 및 무용학과의 교수진으로부터 극장

경영, 예술행정, 그리고 극장 실무에 관한 수업을 받는다. 실무 관련 과목들은 본 대

학의 College of Commerce and Business Administration의 교수진이 강의한다. ASF의 강

의들은 ASF의 전문가들이 맡는다. 이 밖에도 많은 초청 연사와 강사들이 학과과정에

- 235 -

Page 24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참여한다.

학 위 과 정

M.F.A.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6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필 수 과 목 (54학 점 )

극장행정(3)

예술행정(3)

극예술경영의 제 문제(3)

예술관련 공공정책(3)

대학원 극장 실습(2)

알라바마 셰익스피어 페스티발 실습(40)

선 택 과 목 (6학 점 )

조직이론과 조직행태론(3)

마케팅조사론(3)

재무관리개론(3)

경영통제를 위한 기초회계학(3)

기업 경제학(3)

판매관리(3)

고급소비자행동론(3)

인적자원관리(3)

경영커뮤니케이션(3)

소규모사업 컨설팅(3)

현 장 실 습

이 프로그램에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면서 행해야 하는 인턴쉽이 포함된다. 알라바

마 셰익스피어 페스티발에서 보내는 15개월 동안 학생들은 여러 단체들에서 ASF의

전문가들과 공동작업을 하게 된다. 학생들은 마케팅, 개발, 업무, 일반경영 및 설비조

작 분야를 두루 거치게 된다. 예술 마케팅, 예술을 위한 기금모금, 창작관리와 연극사

같은 과목들을 인턴쉽 기간동안 수강한다.

위 치

알라바마 Black Warrior 강변의 Tuscaloosa는 1816년에 생겨났으며, 1819년에 주에

편입되었다. 이 도시는 1826년부터 몽고메리로 수도가 옮겨진 1846년까지 주의 수도

역할을 하였다. 1831년에 알라바마 대학이 설립되었다. 그 시기부터 세워진 많은 건축

- 236 -

Page 25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들이 재건축되어 오늘날까지 쓰이고 있다. 이 시기 이래로 Tuscaloosa는 그 위치의 전

략적 이점 외에도 천연자원과 물공급의 용이성, 노동시장, 산업의 기반이 되는 운송수

단 등에서 오늘날까지 이점을 갖고 있다. 대학과 산업 기반으로 인해 이 도시에서는

상업, 산업, 교육, 농업, 의료, 병원 등이 발달하였다. 근대에 발달한 이 도시는 문화와

전통, 그리고 전전(戰前)의 아름다움을 유지하여 찬사를 얻고 있다.

몽고메리는 알라바마가 주로 승격된 1819년에 세워진 도시이며, 그 이래로 제1의

도시이다. 몽고메리는 원래 미연방의 최초의 수도였으며, 시민권 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연방 최초의 백악관이었던 건물이 현재 주 행정청과 마주서 있어, 과거와 현재

의 극적인 대비를 보여 주고 있다. 한 블록 떨어진 위치에는 시민권 운동 기념관이

있다. 마틴 루터 킹 Jr. 이전에 목사로 있던 Dexter Avenue King을 기념하는 침례교회

는 몽고메리가 사회변동의 선두에 서 있음을 입증한다. 역사적으로 몽고메리는 水路

상업과 정치, 문화, 무역의 중심지였다. 몽고메리는 예술분야에서 중요한 최우수작품

들을 산출해 왔으며, 남부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몽고메리는

음악, 무용, 시각예술로 유명한 도시이다.

알 라 바 마 셰 익 스 피 어 페 스 티 발 (Alabama Shakespeare Festival)

알라바마 셰익스피어 페스티발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핵심 레퍼토리로

한 고전과 현대음악 공연에서 탁월한 예술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탁월함은 이 지역에

거주하는 예술가들의 단체와 레퍼토리 스타일에 맞는 극장형태에 기인한다. ASF는 이

러한 극장의 형태가 가장 필요하고 자극적이며, 따라서 그렇게 만들 만한 가치가 있

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우수한 시설과 훌륭한 경영기술 및 마케팅 노력, 그리고 재미있고 다양한 공연 레

퍼토리로 인하여, ASF의 주요작품들의 관객수는 연간 2만명에서 25만명 수준으로 성

장하였다. 이 페스티발은 알라바마에서 최대규모이며, 북미지역 전체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페스티발 중 하나에 꼽히는데, 이는 뛰어난 예술적 지도력을 반영한 것이다.

보수적이고 역사적 내용에 충실한 스타일의 작품을 만드는 것으로 출발한 ASF가 이

제는 열정적이고 사회적인 예술적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다. 예술감독인 Kent

Thompson과 경영감독인 Kevin K. Maifeld의 지도하에 이제 이 극장은 새로운 방향 -

성악곡의 작곡과 디자인과 개념에 있어서 셰익스피어 작품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

도록 하고, 남부 및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간의 관계라는 주제를 다루는 연극들을 만

들고 발전시키는 등 전통적인 방식과 다른 배역결정 - 으로 나아가고 있다. ASF는

Lila Wallace Reder 's Digest Resident Theater Initiative의 지원을 받아 더욱 더 문화적

다양성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ASF는 청중들의 사회적, 지적, 문화적, 정치적 관심

을 촉발하고자 한다.

- 237 -

Page 25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입 학 허 가절 차

극장경영/예술행정 프로그램에 입학하고자 하는 지원자들은 알라바마대학교 대학원

에서 세운 입학허가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후보자들은

·한 예술분야에서 받은 학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고

·3부분 GRE에서 종합점수 1,500점이나, GMAT에서 50점 이상이어야 하며

·3통의 추천서와

·완성된 지원서를 가을학기 입학을 위해 3월 15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프로그램 학과장과의 면접을 통해 입학허가를 받아야 한다.

매년 이 프로그램에서는 학위 후보자들에게 조교수당이 주어진다. 조교수당은 연간

6,300달러의 봉급과 수업료 전액을 제공하며, 다른 대부분의 비용은 면제된다.

- 238 -

Page 25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6. Universitat De Barcelona

주소 : Universitat de Barcelona

CERC, Montelegre, 7

0800 1 Barcelona

Catalonia

Spain

전화 : 34 3 402 2569

팩스 : 34 3 402 2577

학과장 : Lluis Bonet

Department of Political Economy, Public Finance, and Financial and Tax Law

Email : lbonet @riscd2.eco.ub .es

학위명 : M.A. (문화경영 / 문화정책 및 경영훈련과정 / 스페인-중남미 문화협력과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Diputacio de Barcelona(Province of Barcelona)와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함께 몇 년간

수행한 후 1989년에 설립된 바르셀로나 대학 석사학위과정 프로그램은 스페인에서 최

초의 문화경영학 석사과정이다. 199 1년에 Cultural Policies and Management Training

Course는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활동하는 전문 예술행정가들을 위해 5주간(매 6

주마다 한 과정)의 집중적인 과정(20학점시간으로 이루어진 학위과정)을 시작했다.

또한, 1995년 여름에 Cultural Cooperation in the Ibero-american Area에 관한 새 학위과

정(18학점시간으로 구성된 학위과정)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의 목적은 효율적이고 능력 있는 새로운 세대의 예술 행정가들을 배출하는

것이다. 이런 전문가들은 공공행정이 사적 행정을 압도하고, 대다수의 문화사업들이

제한된 규모이며, 대인관계가 아주 중요하고, 스스로를 국제화해야 할 필요를 느끼고

있는 환경에서 지역사회와 소속 예술단체들의 문화적 욕구를 이해하게 된다.

대학원 과정의 국제적 성격은, 외국 강사의 정기적인 초청 강연, 유럽도시(Berlin,

Brussels, Grenoble, London, Madrid, Montpellier, Strasburg를 포함한)로의 연례 연구여행,

Cultural Management 과정의 Erasmus 대학간 교환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속된다. 이 과정

은 매년 6명의 학생들이 다른 유럽도시들에서 European Commission의 협조와 연결된

대학들(City University of London, the Heriot-Watt University of Edinburgh, the University

of Aarhus, Denmark, the University of Paris IX Dauphine, the University of Groningen

Netherlands, the University College of Dublin)의 지도하에서 인턴쉽을 제공하고 있다.

- 239 -

Page 25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과 운 영

3가지 학위과정들은 Lluis Bonet과 전문예술가 공동체에서 선택된 part time 교수진

팀(Inter-Arts Director와 前 Council of Europe의 간부인 Eduard Delgado, 예술경영 상담

인이며 Hospitalet Municipal Cultural Foundation의 前 책임자인 Xavier Marce, University

of Girona의 교수이며 City of Girona Cultural Departments의 前 간부인 Alfons Martinell,

예술교육과 경영상담인이며 Centre Civic Sant Marti의 前 책임자이고 Diputacio de

Barcelona Cultural Department의 간부인 Eduard Miralles)에 의해 기획된다. 다른 교수

들은 Dance Department of the Venezuela Government의 前 책임자인 Jairo Acevedo, 예

술경영 상담인인 Waiver Fina, 예술경영 상담인인 David Rosello가 있다. 학사운영책

임자는 Carme Alba이다.

매년 많은 수의 전문가들이 이 과정에서 가르치는데, 문화행정 분야와 관련된 학문

들을 가르치는 교수들과 함께 공공 및 민간분야 문화단체들의 책임자나 행정가들이

포함된다. 때때로 강의를 하거나 토론에 참여하도록 초청되는 전문가들과 예술가들에

의해서 보완되는 이런 다양한 구성의 교수진들은 이 과정을 다양하게 하고, 학생들에

게 주어진 분야의 앞서가는 전문가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 위 과 정

문화경영(Cultural Management) 과정의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총 4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문화정책 및 경영훈련과정(Cultural Policies and Management Training

Course) 학위과정을 듣는 학생들은 이 과정의 처음 두 부분을 수강하지 않을 수도 있

다. 석사과정은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1단 계 : 기 초 지 식 (학생의 이전 교육과 경험에 따른 최소 5.5 학점 / 10월-12월)

회계학

마케팅 개론

Spain과 Catalonia 문화 개관

유럽 문화정책사와 문화정책 모델

문화의 이론적 기초

프로젝트 발표

조직내부 및 집단 커뮤니케이션

2단 계 : 핵 심 과 정 (의무적인 14.5 학점 / 1월-6월)

문화정책 개론

문화경영의 경제학

- 240 -

Page 25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예술경영의 법적 기초

전략적 기획

문화경영의 맥락

예술기관의 모델 및 분석

기술적 시뮬레이션 연습

3단 계 : 전 문 화 과정 (최소한 14.5 학점 / 10월-5월)

문화유산관리

예술창작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문화와 교육

문화, 여가, 관광

예술과 기술

인사관리

예산관리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관리

평가지표

협상전략

기금모금

전문가 관리 및 인력선발

학점이수는 연구여행과 인턴쉽이나 연구프로젝트로 끝마쳐지게 된다. 교육은 근본

적으로, 참여 학생들이 교수가 제시하는 주제의 주요 개념들과 방법론을 함께 연구하

며, 단체 훈련, 사례연구,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Cultural Policies and Management Training Course 학위과정은 5주간(매 6주마다 한

과정)의 집중적인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교과과정의 주제는 문화의 발달, 유럽의 문화

정책, 문화경영의 경제학, 예술경영의 법적 토대, 전략적 기획, 사례연구, 문화프로젝

트의 방법론이다. 총 20학점 시간이 학위를 위해 필요하다.

스페인-중남미 문화협력 훈련과정(Ibero-american Cultural Cooperation Training Course)

학위과정은 Spain에서의 5주간의 집중적인 대학원 과정의 교육과 각각의 학생들이

GreenNet과 Internet으로 연결된 자신들의 나라들에서 공통의 프로젝트에서 삼개월간

추가로 작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교과과정의 주제는 라틴아메리카와 유럽에서의

문화의 제도적 틀, 문화정책, 문화와 개발, 스페인-중남미 문화생산과 시장 등이 있다.

국제적인 문화협력프로젝트로는 예술경영, 프로그래밍, 기술자원 등이 있다. 총 18 학

점시간이 학위를 위해 필요하다.

- 241 -

Page 25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문화기관에서의 인턴쉽을 할 필요가 없는 1년 이상의 경영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석

사학위 과정의 내용들 중의 부분이 반영된 이론적 성격의 연구 프로젝트를 마쳐야 한

다.

현 장 실 습

문화분야에서 최소한의 경험이 없는 모든 석사과정 학생들에 예술단체에서의 인턴

쉽이 의무적이다. 인턴쉽기간은 최소한 10주이상 이어야 한다.

입 학 허 가절 차

인가 받은 대학에서 취득한 학사학위가 있어야 한다. 지원은 대학의 입학서류를 통

해 이루어지며 학부의 성적증명서와 이력서가 필요하다. 지원자는 매년 6월까지 학과

장에게 지원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 242 -

Page 25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7. UCLA Arts Management Program

주소 : Arts Management Program

John E. Anderson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Box 95 1481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Los Angeles, California 90095-1481

전화 : (310)206-4052

Fax : (310)206-2002

Email : lynn.osborn @anderson.ucla.edu

학과장 : Robert Andrews

전화 : (310)825-1946

학위명 : M.B.A.(예술경영)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UCLA의 예술경영 프로그램은 문화 경영자들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의 최첨단과정

이다. 문화경영을 위한 전문적 학위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한 최초의 교육기관인 이 프

로그램의 훈련과정은 세계적으로 가장 뛰어난 문화기관들의 지도자들을 배출해 왔다

학생들은 다양한 연구과정을 통해, 다양한 문화적 환경 하에서 자금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문화계의 고위직에서 활동할 준비를 하게 된다. 문화계에서

도 이제는 멀티미디어와 같은 새로운 기술적 진보의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

는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예술경영을 연구하는 학생들은 일반적인 경영 필수과목들

외에도 전공선택과목들을 통해 독특한 예술적 안목과 감각을 갖추게 된다. UCLA 예

술경영 프로그램의 졸업생들은 예술조직에 있어서의 재정, 회계, 마케팅, 노동법, 조직

발전, 전략적 기획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변화를 예견하여 이에 혁신적이고 효과적으

로 대응할 수 있는 지도자의 자질을 갖추게 된다.

학 과 운 영

학과장은 Robert Andrews 교수이다. 그는 1963년부터 Anderson School의 교수로 재

직하고 있다. Lynn Osborn이 프로그램의 Administrator를 맡고 있다.

학 위 과 정

누구나 일반 경영학의 필수과목들을 수강하여 경영 실제에 필수적인 문제해결 기법

- 243 -

Page 25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을 익혀야 한다. 또한 예술경영과 비영리경영에 관한 과목들도 교과과정에 들어 있다.

그밖에도 각자의 관심에 따른 선택과목들을 수강하여야 한다. UCLA의 연극, 영화 및

텔레비전, 무용, 음악, 예술사 및 인류학, 그리고 세계예술 및 문화 프로그램(World

Arts and Cultures Program) 학과에서 선택 수강함으로써 예술 문제에 관한 독특한 관

점과 감각을 기르게 된다. 또한 이론 학습을 하는 것에 덧붙여 6개월간 예술단체에서

full-time으로 일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경험을 쌓게 된다.

학 기 별 학 과 목

1학년

가을학기

경영회계학*

데이터분석, 통계 및 문제해결기법*

인적자원관리*

미시경제학*

겨울학기

경영재정학*

마케팅 개론*

기술관리 운영*

예술계의 환경**

봄 학 기

선택과목 1과목

비영리기관 경영**

경쟁전략*

비영리기관 재정학

예술단체에서의 여름 인턴쉽**

2학년

가을학기

예술단체에서의 인턴쉽 계속

경영현장연구***

예술경영 연구***

겨울학기

경영현장연구****

예술기관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경영의 역할**

선택과목 3과목

봄 학 기 선택과목 4과목

* Anderson 경영대학원에 지원하는 모든 학생이 수강해야 하는 M.B.A. 필수과목.

** 예술경영과정 필수과목

*** 예술단체 실습기간 동안 수행하는 두 과목

**** 인턴쉽을 지원해 준 단체에 경영학 연구 최종 보고서를 제출해야 함.

정 규 교과 과 정 외 의 활 동

UCLA 예술경영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학내와 학외의 예술활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회를 갖는다. 앤더슨 경영대학원은 전국에서 예술에 가장 관심이 높은 대학 중의

- 244 -

Page 25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하나이다. 예술경영과정 학생들은 학내 예술활동의 기금을 마련하고 기획을 담당하는

UCLA 예술학생회(Student Committee for the Arts)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 예술학생회

는 예술과 오락행사들을 제작하며 미국내에서 세번째로 큰 공연예술 제공단체인

UCLA 공연예술센터(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의 프로그램들에 접할 기회를 제공

한다. 예술경영 프로그램은 Noon Seminar Series를 후원하는데 이를 위해 저명한 예술

경영자들이 The Anderson School에 오며 이들은 학생들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전한다.

세계적인 예술도시 중의 하나인 로스앤젤리스에서의 학외 활동은 흥미롭고도 유익한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 또한 동창회(The Arts Management Alumni Association)에서는 학

생들이 L.A.의 예술단체와 접할 수 있도록 특별 이벤트를 마련하며, 행사의 안내도 하

고, 경우에 따라서는 직장 알선도 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모든 학생들은 인턴으로 참여한 단체에 전략적 중요성의 문제에 관한 경영연구 보

고서를 만족할 만하게 완성하여 제출해야 한다.

현 장 실 습

이 프로그램에서의 가장 유익한 경험은 문화기관에서 6개월간 머무는 것이다. 프로

그램 지도자들과 함께 일하면서 학생들은 자신의 학문적이고 직업적인 관심에 맞는

조직을 찾게 된다. 현장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생

들은 높은 수준의 예술경영자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다. 이 단

계에서 주된 프로젝트는 조직의 전략적 중요성의 문제에 관한 경영연구이다. 1994년

여름에 인턴쉽이 행해진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 Huntington 도서관, Art Collections and

Botanical Gardens, LA 현대미술관, LA 관현악단, Mark Taper Forum, Studio Museum in

Harlem, 국립예술기금(NEA), Paul Taylor 무용단, 공공예술협력기구(Public Cooperation

for the Arts), 런던의 빅토리아 박물관과 앨버트 박물관 등.

입 학 허 가절 차

지원서는 10월 15일 부터 3월 15일 까지 수시로 접수한다. GMAT 성적을 제출해야

하며, 매년 8 내지 12명의 학생들이 입학허가를 받는다. 입학허가 여부는 학점, GMAT

성적, 학부 졸업 이후의 직업경험, 예술에 대한 강한 의욕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 등을

기준으로 고려된다. 경영에 관한 과목을 이전에 수강했을 것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입

학허가를 받은 지원자들은 M.B.A.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수리에 관한 실질적인 지식

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은 캠퍼스를 직접 방

문하여 예술경영 프로그램 및 M.B.A. 과정 입학허가를 위한 면접을 하여야 한다.

- 245 -

Page 25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8. University of Cincinnati

주소 : Arts Administration Program

College-Conservatory of Music

University of Cincinnati

Cincinnati, Ohio 4522 1

전화 : (5 13)556-4383

Fax : (5 13)556-0202

학과장 : Karen Faaborg, Alan Yaffe

학위 : M.A. (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학생들을 공연 및 시각예술 분야의 경영자의 지위에서 일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기

위한 2년 과정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우수한 시각예술학교인 U.C. 경영학부

의 M.B.A.프로그램과 밀접한 연계를 가지고 미국내 최고의 공연예술학교에서 실시되

고 있다. 신시내티시는 문화적 유산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프로그램 수강 학생들

에게 실제적인 경험과 직업기회를 제공하는 수많은 공연 및 시각예술단체를 후원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한 학기당 8∼10명의 학생만 받아들이는 소규모의 정선된 과정

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개인의 많은 참여를 가능하게 하고, 대학원생 각자의 잠재

력을 개발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1967년 단 한 명의 학제간 연구학생을 특수경영분야를 위해 교육시킴으로써 시험적

인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으며, 1976년에 현재의 프로그램이 소규모의 학과과정과 담당

자를 갖추고 시작되었다. 졸업생들은 모든 예술분야, 대학, 병원 등의 비영리단체, 민

간기업 등에서 일하고 있다. 1995년 현재 이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직업분포는 다음과

같다.

예술경영분야 80.3%

비영리단체 9.4 %

영리단체 5.6%

기타 4.7 %

학 과 운 영

Alan Yaffe 박사는 Ithaca College와 Wright State University에서 예술경영 분야를 가

르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피츠버그 교향악단, Shakespeare & Company of

- 246 -

Page 26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Lenox, Massachusetts and Director of Marketing and Planning at the Coconut Grove

Playhouse in Miami, Florida에서의 실무 경험을 가지고 있다. Karen Faarbog는 법과 정

책 분야를 주로 다루는 변호사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신시내티 대학내의 음악학부, 디자인·건축·미술기획학부, 경영학

부, Mcmicken 예술과학학부, 법학부 등의 교수진이 강의에 참여한다. 위의 각 단과대

학과 지방예술단체의 대표들로 구성된 교수고문단은 프로그램의 활동을 평가하고, 필

요하다면 프로그램의 변경을 권고한다.

학 위 과 정

이 프로그램은 학문적 훈련과 실제적인 경험을 결합시킨다. 2년간 수강해야 할 학

과목은 다음과 같다.

예술행정 개론

예술을 위한 재정 및 전략 경영

예술기관의 구조와 인력

공공정책과 예술

단체교섭 및 협상

노사관계 및 인적자원관리

경제학

재정회계학과 재무분석

경영회계학

예술마케팅

예술경영의 법적 측면

조직행태론

기금모금 및 지원금 신청

정보체계론

무대제작 또는 박물관학

응용통계학

전문적 커뮤니케이션

개별 연구

개인공연 또는 시각예술

연구지도

인턴쉽

선택과목

- 247 -

Page 26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과과정은 학생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선택과목과 독자적인 연구를 제공한다. 각

학생의 진도를 점검하고, 개인적인 배려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인턴

쉽과 직업목표를 위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 정기적인 일대일 면담을 실시한다. 이 프

로그램은 이러한 정기적인 개별지도를 통해 각 학생이 경영자로서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게 한다. 그외 다양한 현직의 전문가들이 초빙되어 그들의 전문지식을

강의한다. 강의를 수강하는 학기 동안 학생들은 지역 예술단체들이나 학내의 예술단

체들의 경영에 활발하게 참여한다. 여기에서 학생들은 광고, 선전, 매표소나 회원관리

뿐만 아니라 공연과 관련된 잡무, 입장권 예매, 미술품 전시 등의 일을 한다. 두 차례

의 인턴쉽이 필수적이다.

M .A. 및 M .B.A. 연 계 프 로 그 램

음악학교(College-Conservatory of Music)는 경영학부(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와 함께 M.A.와 M.B.A. 학위를 동시에 수여하는 공동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공동 프로그램에 입학한 학생은 full-time으로 8학기 과정을 이수하여 두 가

지 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다. 지원자는 양쪽 단과대학의 입학허가 기준을 충족시

켜야 하며, 양쪽에서 각각 입학허가를 받아야 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연구논문의 제출이 필수적이다.

현 장 실 습

2학기 동안 2회의 개별적 인턴쉽이 필수적이다. 지원자가 이미 예술단체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경우 인턴쉽은 추가적인 경영 연구로 대치될 수 있다. 인턴쉽이 행해지

는 곳은 다음과 같다. 뉴욕 시립오페라단, 시카고 서정 오페라단, 세인트루이스 교향

악단, 브룩클린 필하모닉, 밀워키 심포니, 신시내티 극장, 신시내티 예술박물관, 신시

내티 국립 자연사박물관, 제이콥 필로우 페스티발, 신시내티 발레단, 인디애나폴리스

발레단, WGUC-FM(공영 라디오방송), 케네디센타, 링컨센타, New Organization for

Visual Arts, Taft 박물관, 국립 챔버오케스트라, 세인트 폴 챔버 오케스트라, 캘리포니

아 예술위원회, 켄터키 예술위원회 등.

입 학 허 가절 차

지원서 양식은 10월까지는 발송되지 않지만,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는 언제나 가능

하다. 지원자의 학점은 적어도 평균 3.0이어야 하지만 특별한 경우 3.0 이하라도 견습

생 자격으로 입학허가를 받을 수 있다. GMAT 성적이 필요하지만 이미 GRE 성적을

받은 경우 대치 가능하다. 하지만 지원자가 M.B.A, M.A 학위 취득을 위해 공동학위

- 248 -

Page 26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프로그램에 등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GMAT 성적이 꼭 필요하다. 지원자는 이 프로그

램 응시이유와 직업목표를 밝힌 글을 제출해야 한다. 각 지원자는 3통의 추천서를 제

출해야 하며, 프로그램 학과장과 개인면담을 해야 한다(개인면담을 위한 비용이 지나

치게 많이 들거나 거리가 멀 경우 전화면담으로 대치할 수 있다).

지원마감은 2월말까지이다. 우수한 학생은 조교직, 대학원 학비 면제를 통해 학비보

조혜택을 받을 수 있다. Work Study와 Graduate Minority Scholar Program을 통한 학비

지원도 가능하다.

공동학위 프로그램에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은 별도의 지원서와 제반 서류를 경상학

부에 요청해야 한다. 경상학부의 연락처는 (5 13)556-7020

- 249 -

Page 26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29. Univers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주소 : Community Arts Management Program

School of Public Affairs and Administration

(PAC370)

Univers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Springfield, Illinois 62794-9243

전화 : (2 17) 786-7373

Fax : (2 17) 786-7279

학과장 : Joy Thompson

Email : thompson.joy @uis.edu

학위명 : M.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Community Arts Management(CAM) Program은 1973년 가을에 설립되었고, M.A. 학위

를 이수하게 되는 2년간의 교과과정을 제공한다. 교과과정에는 예술에 적합한 지식과

기법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경영과 기획기법을 통한 예술행정에서의 리더십 양성이

있다. 이런 과정에는 각 분야 예술에 대한 이해, 미학적인 쟁점들을 조사하고 미학적

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 예술품과 산업적인 생산품의 생산과 분배간의 유사점

과 차이점에 대한 이해, 비영리기관과 정부조직 경영체계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 기금

과 수입의 출처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들이 있다. 이 과정은 지역사회와 주의 예

술기관, 예술센터, 서비스조직과 같은 다양한 예술조직의 운영에 초점을 두지만, 학업

과정에서 얻은 능력은 졸업생으로 하여금 오케스트라, 극단, 미술관, 무용단 등에도

경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왔다.

학 과 운 영

이 과정은 전임 학과장이 있는데, 그 역할은 과목들을 가르치고, 현장실습을 위해서

교수진 간의 연계 역할을 하며, 공공정책대학원(School of Public Affairs)의 학장과 대

학교 행정처에 행정적인 보고를 하는 것이다. 회계학과에서는 비영리조직을 위한 재

정경영, 철학과에서는 예술의 철학 , 행정학과(Public Administration Program)에서는

공공조직의 역학 을 가르친다. 각 분야에서 온 비전임 교수진이 공공정책, 박물관,

미술관 경영, 예술경영 을 가르친다. 학과장이 교과과정 설계와 교수평가 등을 보고

하게 되는 학과위원회(Program Committee)는 교수진과 선거로 뽑힌 대학원생 대표들로

- 250 -

Page 26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구성된다.

학 위 과 정

대학원들은 일년 반이나 이년간에 학위를 마치도록 계획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두가지 선택과정을 두고 있다.

첫 번째는 첫 3학기동안은 학과수업을 들으면서 Springfield 지역에서 인턴쉽을 하

며, 네번째 학기에 full-time 유급직 또는 그 학생을 위해서 특별히 계획된 현장실습을

하는 것이다. 네 번째 학기에 진행되는 현장실습에 대한 감독, 기말보고서 및 결과 제

출 방법등에 대한 설명은 학과에서 개발한 안내문에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다.

두 번째 선택은, 두 개의 추가 인턴쉽과 프로젝트 보고서를 현장실습 대신에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첫 번째 선택과정으로(3학기동안 수업과 지역사회 실습 및 1학기의 풀타임 실습)

M.A. 학위과정을 이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필수과목들을 수강해야 한다. 이런 필

수과목 이외에 보조과목 및 선택과목을 합하여 총 42학점을 취득하여야 한다.

비영리기관 경영관련 법규(2학점)

예술행정(4학점)

공공정책과 예술(4학점)

비영리긴관의 마케팅과 개발(4학점)

연구/석사 논문(4학점)

인턴쉽 I(2학점)

현장실습(6학점)

두 번째 선택과정으로(4학기 동안 수업과 지역사회 실습)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위의 과목들을 수강하게 되며, 다만 현장실습(6학점) 대신에, 다음의 두 개의

인턴쉽을 추가로 하게 된다(선택과목 포함 총 42학점 이수).

인턴쉽 III(2학점)

인턴쉽 IV(4학점)

모든 학생들은 다음의 보조과목을 듣고 그 과목들에 대한 이해력을 입증해야 한다.

비영리기관의 재무관리(4학점)

예술철학(4학점)

공공조직의 역학(4학점)

Word processing, spread sheet, data base 프로그램 실습

선택과목에는 다음과 같은 과목들이 있다.

- 251 -

Page 26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인턴쉽 II와 III

예술과 교육

공연예술경영

박물관/미술관 경영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학교의 모든 학위 예정자들은 전공 분야에 대한 지식을 보여주는 석사과정 프로젝

트를 마쳐야 한다. 학생의 지도교수, 학생이 선택하는 교수, 학장이 선택하는 교수로

이루어진 교수위원회가 그 프로젝트를 인가하고 평가하게 된다. 그 프로젝트를 위한

준비는 연구/석사 프로젝트 과목에서 이루어진다.

현 장 실 습

교과과정의 부분으로서, 학생들은 Illinois 예술위원회, Missouri 예술위원회,

Sangamon 주립대 공연예술센터(State University Performing Arts Center), the Springfield

Symphony Orchestra, Springfield Area Arts Council, the Illinois State Museum과 같은 기

관들에서 1주 8시간 일하게 되는 인턴쉽을 하게 된다. 현장실습은 정규교과과정을 끝

마친 후 그 다음 한학기동안 이루어진다. 현장실습은 NEA의 Office of Partnership의

Fellow, Congressional Arts Caucus의 예술인턴(Arts Intern), Affiliate Artist, Inc.의 행정관,

Smithsonian Institution의 프로젝트 기획관 등과 같은 직무에서 이루어진다.

입 학 허 가절 차

일리노이 주립대학은 전공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대학졸업자들이 응시할 수 있다.

Community Arts Management 학위과정의 입학여부는 현장경험, 학문적 성취, 리더십,

의사소통능력 등으로 평가하여 결정된다. 이 학위과정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성적증명

서, 학생의 자기소개서(autobiography), 경력에 대한 계획서, 이력서, 3통의 추천서를 제

출해야 한다. 대학졸업시험 결과는 반영될 수 있지만, 의무사항은 아니다. 대학의 학

점은 평가되지만, 입학을 위한 최하한선 학점은 정해있지 않다. 입학지원 마감날짜가

정확히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3월 1일까지 신청하는 것이 유리하다.

- 252 -

Page 26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0. University of Maryland

주소 : Theater Management Program

Department of Theatr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aryland 20742-1215

전화 : (301)405-6692

Fax : (30 1)314-9599

학과장 : William V. Patterson

Email : wpatters @deans.umd.edu

학위 : M.F.A.(극장경영)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1984년에 시작된 극장경영(Theater Management) 석사과정은 학생들에게 학구적, 비영

리적, 상업적 극장의 경영에 관한 공식적 학업과정과 실제적 경험 양자를 요구하는,

능력 위주의 종합적 학위라고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통상 3년에 걸쳐 60학

점을 이수한다. 각 학생의 학과목 선택은 각자의 직업적 목표, 이전의 교육배경과 경

험에 비추어 결정된다. 보통 이 프로그램에서는 연극학과, 경영대학 및 언론대학에서

선택과목들을 수강하게 된다.

학 과 운 영

프로그램 담당교수는 연극학과 부교수인 William V. Patterson이다. 교수진은 프로그

램 담당교수 외에 경영대학과 언론대학의 교수진들을 포함하고 있다. 학생들은 2학기

에 이 프로그램의 담당교수와 함께 연극학과의 필수과목들과 아래에 제시된 과목들에

서 자신이 수강할 과목 전체를 결정한다. 프로그램은 학과목 개설에 따라 변경될 수

도 있다.

학 위 과 정

이 프로그램에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이 프로그램에서 최소한 60학점을 이수해야 하며, 이 중 적어도 29학점은

600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이전의 학위과정에서 취득한 학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연구 프로그램에 제시되어 있는 연극학의 10개의 필수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졸업에 필요한 모든 이수학점의 평균이 B학점 이상이어야 한다. 졸업논문에서 C를

- 253 -

Page 26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받으면 학위를 취득할 수 없다.

·인턴쉽을 포함한 모든 과목의 학점을 5년 안에 이수해야 한다.

·최소한 6학기 또는 4번의 여름학기와 4학기를 메릴랜드 대학 내에 거주해야 한다

·경영학, 언론학, 연극학에서 출제되는 종합시험을 치러야 한다.

·심사에 통과한 논문을 대학원에 제출해야 한다.

연구 프로그램. 프로그램 담당자와 학생이 공동으로 연극학의 필수과목들과 아래에

제시된 과목들로부터 학생이 수강할 과목들을 결정한다. 통상적으로 이 프로그램에서

는 아래에 제시된 것과 유사한 과목들에서 선택적으로 수강을 하게 된다. 연극 분야

의 필수과목들은 representative courses의 목록에 따라 기록되어 있다.

경 영 학 (Business) 분 야

소비자행동론(3)

인력관리 : 분석과 문제점(3)

조직행태론(3)

경영관리 특정과제 연구(회계원리 I)(3)

인적자원관리(3)

경영과 조직행태론(3) (또는) 커뮤니케이션 특수과제: 조직 커뮤니케이션

저 널 리 즘분 야

매스커뮤니케이션 관련 법규(3)

고급 홍보세미나(3)

광고캠페인(3)

홍보관리세미나(3)

광고 커뮤니케이션세미나(3)

연 극 분 야

극문학/연극사/연극이론 중에서 선택(3)

극장경영 I(3)*

극장경영 II(3)*

무대관리와 기술감독(3)

연극사 I(3)**

연극사 II**

연극사 III**

대학원 개설과목 개론(3)***

기초연극 교수법(1)******

세미나 : 연극비평(3)****

- 254 -

Page 26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미국연극(3)****

극장경영 III(3)*

극장건축과 무대미술에 관한 역사적 연구(3)****

근대 이론의 역사(3)****

세미나 : 연극이론(3)****

석사과정 개인지도(교내)(6)*****

석사논문 실습(교외)(6)*****

석사연구논문(1∼6)

* 표시된 3과목 중 2과목 필수

** 표시된 3과목 중 2과목 필수

*** 모두 필수과목

**** 표시된 5과목 중 2과목 필수(단, 세미나 1과목 포함)

***** THET 788과 THET 789 중에서 8학점 이상 12학점 이내 필수

****** 대학원 조교시 1학기 필수과목

수 강 가능 한 다 른 과 목 들

미국에서의 문화주제 : 미국인으로의 성장(3)

미국에서의 문화주제 : 미국의 인종문제 - 이론과 정책(3)

예술사회학(3)

종 합 시 험 : 정해진 목록에서 출제되는 경영학, 저널리즘, 연극 세 분야의 필기시험

을 통과해야 한다.

구 두 시 험 : 시험 위원회가 주재하는, 논문에 대한 최종 구두시험이 있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학생들은 모든 강의 및 실습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과 참고문헌을 포함하는 논문을

작성해야 한다. 석사연구논문 6학점이 이에 해당한다. 1학점은 필수이며 3학점은 선택

이다. 모든 강의 및 실습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서 쓰여진 논문들이 이 프로젝트의

참고문헌이 되며, 또한 논문의 각 장을 구성하게 된다. 논문의 서론과 결론 부분은 작

업에 대한 분석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현 장 실 습

강의 또는 실습 프로젝트 형태의 인턴쉽이 필수이다. Master 's Tutorial(교내)과

- 255 -

Page 26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Master 's Practicum(교외) 중에서 8학점 이상 12학점 이내가 필수이다.

입 학 허 가절 차

지원서는 Graduate Admissions,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aryland 20742-5 12 1'에서 구할 수 있다.

입학허가를 받으려면 5월 1일 이전까지 지원하여야 한다. 대학원 조교를 지원하려

면 3월 1일 이전까지, 장학금 신청을 위한 지원 마감시한은 2월 1일까지이다.

모든 지원자는 대학원과 연극학과에서 입학허가를 받아야 한다. 지원자들은 학부졸

업 또는 그에 해당하는 학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학부 및 대학원 학점에 대한 평

가를 거쳐 입학을 허가받게 된다.

대학원에 정식으로 입학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목들을 수강하였어야

한다. 아주 드문 경우에 한해서 이에 상당하는 직업적 경험이 학과목 수강을 대치하

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입학허가 기준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학생

은 연구생으로 입학하여 메릴랜드 대학에서의 처음 3학기 동안에 이 과목들을 수강하

면 된다. 모든 선수과목들을 평균 B 학점 이상의 성적으로 이수한 경우에 연구생은

정식 대학원생이 될 수 있다. 그러한 과목들은 이 프로그램의 졸업학점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연극 분야의 6학점 : 연극학개론, 연극제작 과목에서 3학점, 미국의 연극 및 연기의

기초, 연극작법 또는 연극지도 등의 과목에서 3학점

·셰익스피어, 미국의 극, 현대극 등 극문학에서 3학점

·지원자의 대학원 과정과 연극 경영 분야에서의 성취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이의 강력한 추천서

·GRE 점수

·자신의 학력 및 연극경영 프로그램과의 관계에 대한 지원자의 진술

·그 밖의 서류들. 여기에는 이력서 및 이전의 작업의 사례가 포함되어야 하며, 지원

자가 현재 지니고 있는 연극경영 작업능력의 수준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작업

의 사례는 홍보, 마케팅과 경영에 관계된 영역에서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다면 연

극이 아닌 다른 분야의 것이어도 무방함.

프로그램 입학허가에 관한 결정은 연극경영 프로그램 담당자가 연극학과 대학원 교

수진 및 연극학과 대학원 주임교수와 협의하여 내린다.

- 256 -

Page 27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1. University of New Orleans

주소 : Art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New Orleans

College of Liberal Arts

Lakefront

New Orleans, Louisiana 70 148

전화 : (504)286-6574

Fax : (504)286-6468

학과장 : Elizabeth Williams

학위 : M.A. (예술행정)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뉴올리언즈 대학의 예술행정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모든 종류의 예술기관들

즉, 화랑, 극장, 공연예술단체, 지역예술센터 등에서 행정가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준

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학과과정에는 학생들이 현장에서의 실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 학기 동안의 인턴쉽뿐 아니라 경영과 예술분야의 과목들

이 포함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의 학문적 기회 외에도 뉴올리언즈가 문화적으로 풍부하고 예술단

체들의 활동이 활발한 도시라는 점에서 학생들은 교실의 울타리를 넘어서는 중요한

경험들을 할 수 있다. 교향악단의 연주회, 이 지역의 극단과 유랑극단들의 공연, 오페

라, 무용, 그리고 사립 및 공립 전시장들에서 열리는 그 밖의 수 많은 전시회뿐만 아

니라, Mardi Gras와 재즈 페스티벌에서부터 French Quarter 페스티벌과 테네시 윌리엄

스 문학제 등의 소규모 행사에 이르기까지, Crescent 시에서의 생활은 1년 내내 축제

의 연속이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은 예술행정학과장에 의해 관리되는데, 그는 교양학부 학과장과 대학원

장에게 경과를 보고한다. 5개 참여학과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예술행정자문위원회는

그 프로그램의 자문위원회 역할을 하며, 입학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예술행정 교수진

은 지역의 예술 및 사업체로부터의 초빙강사들뿐 아니라 관련 분야의 중요한 교수진

들과 이 프로그램과 연관된 관심이나 전문지식을 가진 다른 교수들로 구성되어진다.

- 257 -

Page 27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 위 과 정

예술행정 석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학생은 미술, 드라마와 커뮤니케이션, 음악

등 예술 전공의 한 분야를 선택하여 대학원 과정에서 36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예술 전공 분야에서 승인 받은 대학원 과목으로 6학점. 이 과목들은 현재 학과에

개설된 과목들 중에서 학생들의 전공영역에 대한 관심에 따라 선택(이 필수과목 학

점은 실습으로 3학점까지 대치할 수 있음).

·승인 받은 대학원 수준의 경영학 선택과목 6학점.

·분야에 상관 없이, 승인 받은 선택과목 3학점.

다음의 예술행정 개관 과목 3개 중 2개를 선택

·예술행정과 연극예술(3)

·예술행정과 시각예술(3)

·예술행정을 위한 음악 개관(3)

그 밖에 다음과 같은 예술행정과목들을 수강해야 한다.

·예술단체의 개발전략(3)

·예술행정 : 관련 법규 및 경영적 적용(3)

·예술마케팅(3)

·예술기관 실습(선택)(1,2, 또는 3학점)

·예술행정 인턴쉽(6)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각 학생은 경영개념에 근거한 인턴쉽에 관해서나 혹은 인턴쉽 기간 동안에 제기된

경영문제의 해결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현 장 실 습

학위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단계는 예술행정 인턴쉽이다. 이것은 현지 감독관과

학생의 지도교수가 함께 감독하는, 프로그램의 마지막 학기 중에 있는 직장경험이다.

입 학 허 가절 차

뉴올리언즈 대학원에 지원하여 입학허가를 받아야 한다 . 예술행정 대학원 과정에

입학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

·인가된 단과대학이나 대학교에서 취득한 학사학위.

·GRE에서 종합점수 1,000점이나 GMAT에서 최소한 400점(학생의 학부 전공영역에

따라)

- 258 -

Page 27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4.0 만점 기준으로)학부 평점 2.5, 대학원 평점 3.0.

·최종학교에서의 우수한 성적.

·경영이나 예술분야의 경험이 요구된다(필수는 아님).

입학허가를 얻기 위해서는

·대학원 지원서를 작성하여 대학원 입학허가 사무실에 제출해야 한다.

·예술행정 프로그램 입학허가 지원서를 작성하여 예술행정 프로그램 담당 사무실에

제출해야 한다.

·앞의 두 사무실에 성적증명서와 GRE 또는 GMAT 성적을 제출해야 한다.

·예술행정 프로그램 담당 사무실에 3통의 추천서를 제출해야 한다.

지원서류 마감시한은 등록 1주일 전까지이다. 매년 제한된 수의 우수한 학생들만이

대학원 조교자격을 얻을 수 있다. 조교신청 마감일자는 4월 1일과 11월 1일이다. 다른

형태의 학비지원을 받으려면 학생재정원조(Student Financial Aid)로 연락하면 된다.

- 259 -

Page 27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2. University of Oregon

주소 : Arts & Administration Program

School of Architecture and Allied Arts

5230 University of Oregon

Eugene, Oregon 97403-5230

전화 : (503)346-3639

Fax : (503)346-3626

학과장 : Dr. Linda F. Ettinger

전화 : (503) 346-1452

Email : lindae @oregon.uoregon.edu

학위명 : M.A. 및 M.S. (예술경영)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University of Oregon의 예술경영학 석사과정은 School of Architecture & Allied Arts의

Arts & Administration Program의 부분으로 1994년에 시작되었다. 학위과정의 목표는,

(1) 미술관과 화랑, 지역사회의 비영리조직, 예술단체 같은 사조직들을 포함하는 공공

및 민간 예술기관들에서 전문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 (2) 현

장을 토대로 한 인턴쉽 경험을 제공하는 것, (3) 역동적인 사회문화적 변화의 시대에

서 예술경영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사례연구방법을 개발하는 것, (4) 현재 일하고 있

는 전문가들에게 개발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 등이다.

학 과 운 영

Arts & Administration 학위과정의 교수진들이 예술경영의 석사학위과정의 수업과 연

구지도를 주로 책임진다. 학과장인 Dr. Linda F. Ettinger, 지역사회예술을 맡고 있는

Dr. Douglas E. Blandy, 미술관 교육(museum education)의 Dr. Rogena M. Degge, 정보관

리(information management)의 Dr. Beverly K. Jones, 평가(evaluation and assessment)의

Dr. Jane Maitland-Gholson 등이 있다. 이외에도 UO Bach Festival, 자연사박물관학, 미

술관학, 법학, 공공정책 및 행정학, 미술사학, 인류학과의 교수진이 강의를 한다.

예술관련 비영리기관에서 일하는 전문 경영자들로 구성된 10인의 자문위원회가 학

위과정을 위한 도움(특히 대학원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지도)을 추가로 제공한다.

학 위 과 정

- 260 -

Page 27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예술경영 석사과정은 2년과정인데, 여기에는 6개의 연속적인 학기로 이루어진 정규

수업과 여름 인턴쉽 과정이 포함된다. 학위과정은 전문적인 예술경영자는 예술의 사

회, 문화, 윤리적 맥락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신념에 기반하고 있다. 교과과정에

는 세 부분이 있다. (1)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 예술의 연구와 경영을 다루는 필수핵심

부분, (2) 비교연구방법, 현장인턴쉽, 석사학위논문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연구실습부분,

(3) 전문분야. 미술관 연구, 지역사회 예술, 공연예술 중 한 분야를 전문분야로 선택한

다. 교과과정 전체를 통해서 문화정책, 비영리조직의 관점, 정보관리에 특히 초점이

맞추어진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석사학위 논문을 쓰거나 석사학위 프로젝트를 해야 한다. 연구주제는 인턴쉽과정에

서 발견하는 쟁점들을 중심으로 정해진다.

현 장 실 습

학생들은 교과과정상의 첫 일년 후의 여름동안 예술단체에서 인턴쉽을 하게 된다.

학생들은 인턴쉽을 위해서 학문적인 준비를 하게 되고, 현장에서 지도하는 사람과 함

께 일을 하게 된다. 인턴과정은 주로 마케팅과 관객 분석, 기금지원신청서 작성, 프로

그램 개발과 평가, 자원봉사자 지도, 전시회 설계, 정보체계분석 등에서 이루어진다.

입 학 허 가절 차

입학신청은 3월 1일에 마감되며, 일년에 한 번 가을학기에 입학하게 된다. 장학금에

대한 안내는 오레곤 대학 장학과(Financial Aid Office)에서 얻을 수 있다. 예술경영 석

사학위과정 학생들을 위한 몇 개의 강의조교, 연구조교 장학금이 마련되어 있다. 장학

금 지원관련 서류는 Arts & Administration Program에 요청하면 얻을 수 있다.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지원자들이 환영된다. 입학예정자들은 예술 분야에 대한 준

비과정이나 전문적인 경험이 없는 경우 학위과정의 교과목 이외에 추가로 정해진 과

목들을 수강하도록 과로부터 요구받을 수 있다.

입학지원자는 다음의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인터뷰가 요구될 수도 있

다.

·입학신청서와 신청자가 학사학위를 받은 대학이 발행한 성적표 2통

·추천서 3통

·학위과정에서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2 또는 3 장 정도의 설명

·이력서

·TOEFL(최소한 550점 이상) 성적표(해당자에 한함)

- 261 -

Page 27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3.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주소 : Bolz Center for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975 University Avenu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sconsin 53706

전화 : (608)263-4 161

Fax : (608)265-2739

Internet : http ://www.wisc.edu/bolz

학과장 : E. Arthur Prieve

전화 : (608)263-4 161

Email : aprieve @bus.wisc.edu

학위명 : M.A. in Business (예술행정전공)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Bolz 예술행정센터는 시각, 행위예술, 예술서비스, 자선단체와 공공방송기관들과 같

은 다양한 조직들에서 필요한 예술행정가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Wisconsin-Madison 대학교의 경영대학원에 1969년에 설립되었다. 이 학과에서는 소수

의 선별된 학생들(1년에 10명)을 선발하여 이들에게 예술행정 전공의 경영학 석사학위

를 취득하도록 하는 2년간의 교과과정을 제공하는데, 이 교과과정에는 인턴쉽과 현장

실습 경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학과과정의 특성은 경영대학원에서 비영리부문에 대한 다른 과목들과 교과과정

을 제공함으로써 예술행정 학위과정의 학생들이 영리, 비영리기관 두 분야의 경영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Bolz Center는 예술기관과 프로그램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보급한다. 학생들은 예술행정 분야에서의 쟁점과

문제점을 조사연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는 연구팀들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진다.

예술행정 학위과정에 입학한 대학원 학생들은 수업을 들으면서 대학이나 지역사회

에 있는 지역 예술기관에서 일하게 된다.

학 과 운 영

이 학위과정에는 학위과정의 수업과 연구에 참여하는 전임 학과장과 부학과장이 있

고, 전임 프로그램 조교수, 그리고 전국 각지의 다양한 예술기관 전문가들로 구성된

- 262 -

Page 27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초빙강사들과 교수들이 있다.

학 위 과 정

학생들은 학과과정 전이나 중간에 이수해야하는 핵심 경영학 과목들 이외에 학위를

위해 최소한 24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기초 과목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미시경제학(3학점)

재무 및 관리회계(3학점)

기금회계(2학점)

마케팅(3학점)

조직행위(3학점)

정치, 법, 윤리환경(3학점)

통계학(3학점).

또한 예술경영에 관한 과목들도 요구된다. 첫해에 예술경영에 관한 두 학기에 걸친

세미나(6학점)가 제공된다.

첫 번째 학기 : 예술행정가와 조직구조

정부·기업·교육·노동 및 예술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이사회

두 번째 학기 : 기획과 프로그램 개발

계약과 협상

예술작품의 마케팅

기금조성·개발 및 비디오 발표

이 세미나는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워크샵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각각의

단위주제(modules)들은 하나의 미니과정인데, 각 분야에서 교재와 초빙 전문강사들이

있고, 각각 3주에서 5주간에 걸친 워크샵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업에서의 참여 이외

에, 학생들은 Bolz Center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상주하게 되는 각지에서 온 초빙강사들

과 만나는 기회를 갖는다. 또한, 예술행정연구에 대한 세미나(4학점), 조직과 경영과정

연구(3학점), 마케팅조사연구(3학점), 예술행정 분야에서 9학점의 선택과목을 들어야

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각 학생들은 대개 연구프로젝트에 기반한 실질적인 내용과 기여를 할 수 있는 학위

논문을 쓰게 된다.

현 장 실 습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예술기관에서 인턴쉽을 해야 하는데, 이것은 각 학생과의 상

- 263 -

Page 27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담에 의해서 정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첫 일년째의 여름에 풀타임 실무를 하는 것

으로 인턴쉽을 할 수 있거나, 수업과정을 마친 후 한학기 동안 상근일을 하거나, 수업

과정중에 part time 일을 함으로써 인턴쉽을 마칠 수 있다. 인턴쉽을 하는데 있어서의

융통성은 인턴쉽을 하게 되는 기관과 학생의 실무 경험에 달려있다.

입 학 허 가절 차

Arts Administration Program의 경영학 석사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인가된 학교에

서 학사학위를 받아야 하고, 학점 평균은 3.0 이상(4.0 만점에)이어야 하며, Education

Testing Service가 시행하는 Graduate Management Admission Test (GMAT)에서 만족스런

점수를 받아야 한다.

대학원에서 입학허가를 받은 후에, Arts Administration Program의 선발여부는 입학사

정위원회에 의해 결정된다. 제한된 숫자의 지원자들을 받는 이 학위과정의 입학은, 평

균학점과 시험성적, 그리고 (1) 예술행정 분야에서의 실무경험과 사전지식, (2) 예술

분야에서 궁극적으로 희망하는 직업목표, (3) 과거의 경험이나 교육이 어떤 점에서 자

신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앞으로 학위과정이 이런 배경과 조화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서술한 진술서 등에 의해 결정된다. 입학 신청서와 3통의 추천서(학교나 실무 경

험에 대한)를 2월 15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입학에 대한 정보나 입학신청서는 학과장인 E. Arthur Prieve 교수, Research and

Communications의 부학과장인 Andrew Taylor, Program Assistant인 Dagny Nelson에게 편

지로 요청하면 된다.

장학기금의 사정에 따라, 학생들은 프로젝트 조교나 연구조교(연구프로젝트, 사적인

장학금, 혹은 지역사회나 대학의 예술단체에 의해서 보수를 지급하는)를 할 수 있다.

위스콘신 경영대학원은 미주리주의 법에 의거하여 인가 받은 비영리기관인 경영학

석사과정 연구 컨소시움(Consortium for Graduate Study in Management)의 공동설립자이

다. Consortium은 소수인종의 남녀가 사업에서 간부사원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

한 6개 대학의 공동노력으로서 운영되는 조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Consortium은 경영대학원을 통해서, 능력 있는 남녀를 선발해서 경영학 석사학위로 이

어지는 양질의 교육기회를 추구할 수 있도록, 이들에게 생활비와 장학금을 지급한다.

이 장학금에 지원하거나 관련 정보를 얻으려면, 다음의 주소로 요청하면 된다. the

Consortium for Graduate Study in Management, 10 1 North Skinner Boulevard, P.O. Box

1132, St. Louis, Missouri 63130.

- 264 -

Page 27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4. Utrecht School of the Arts

주소 : Interfaculty/Arts and Media Management

Utrecht School of the Arts

P.O. Box 1520

3500 BM Utrecht

The Netherlands

전화 : (31)30 33 22 56

Fax : (31)30 33 20 96

학과장 : Yutta Schulze

전화 : (31)30 33 22 56 교환)266

학위명 : 네덜란드의 예술분야 고등교육시스템의 최고수준의 학위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예술행정가는는 본래 문화유산의 진흥자로서, 예술가와 같이 자신의 자유로운 노동

의 결과가 불확실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중요한 문화적 산물은 주문에 따라 기획되거

나 공급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예술의 발전과 일반대중에 대한 제공은 복잡한 과정

이며, 종종 투쟁의 과정이기도 하다. 행정가는 조직을 존속시킴으로써 이러한 과정을

지원해야 하며, 자금조성과 마케팅은 예술과 문화의 최적의 창조와 보급을 위한 것이

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예술행정가는 예술과 문화에 대한 전체적인 지식을 가지고

예술에 개입해야 한다. 예술행정가는 문화적 산물의 창조를 위해 어떤 환경이 필요한

가를 알아야 하며, 다양한 예술 분야의 역사적 발전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예술을 이해하고 경영분야에서의 발전을 도모할 능력을 지닌 학생들을 위하여

Utrecht 예술대학의 공동교수진은 예술과 매체 경영에 관한 풀타임 대학원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다. 학부를 졸업한 학생들은 3년간의 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이 교육프로그램은 Utrecht 예술대학의 예술 및 미디어 경영센터에 의해 마련되었

다. 이 센타는 예술경영과 예술정책 분야의 대학원 수준의 학과목들을 개설하고 있다.

학 과 운 영

이 프로그램은 Yutta Schulze가 맡고 있다. 이것은 Utrecht 예술대학의 공동교수진이

개설하는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이다.

이 프로그램의 전임강사와 트레이너와 감독자들은 모두 예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사

람들로서, 이들은 예술분야의 실제적인 활동에서의 구체적인 문제들과 가능성들을 통

- 265 -

Page 27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해 학생들이 조직적이고 예술이론적인 문제들에 접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전임강사들

중 많은 이들은 유명한 예술단체의 경영자의 자격으로 예술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학 위 과 정

이 교육 프로그램은 6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경영학 과목(정책개발·조직·프로젝트 관리) / 후원, 기금모금 및 보조금체계 / 예

술단체의 사회정책 / 리더쉽 / 마케팅과 여론조사 / 홍보매체의 개발기획 / 영리예

술단체 관련 법규 및 사유화 문제 / 예술단체의 설립과 재구성 요구 / 전산화 / 시

청각 활용작업.

(2) 예술이론 및 예술사(연극·무용·시각예술·음악·영화·문학사) / 미학 / 커뮤니

케이션 / 예술사회학의 역사 / 예술과 국가, 예술창작과 이데올로기간의 관계, 예

술공학.

(3) 예술단체에서의 다양한 현장실습 프로그램 : 실습생들은 예술분야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스텝의 긴밀한 감독 하에 충분한 양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

가 주어지는 예술기관에서 실무연수를 받는다.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교육적인 측

면은 소수 학생들로 구성된 소집단을 감독할 책임이 있는 예술단체의 감독자들에

의해 조정된다. 현장실습 교육은 교육 프로그램의 두번째와 세번째 해에 실시된다.

(4) 외국 문화네트워크에 대한 지식 등 국제적인 내용 / 예술가의 지위에 대한 국제적

관점 / 예술경영과 관련된 국제적 관점 / 유럽공동체의 예술정책에 대한 지식 / 외

국 예술단체에서의 현장실습.

(5) Utrecht 예술대학 학생들을 위한 단체 프로그램 참여 : 음악, 연극과 드라마, 시각

예술과 미술, 미디어와 공학 등의 교수진들이 담당.

(6) 음악, 연극, 시각예술, 영화와 미디어 분야의 최근의 발전과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예술분야의 순회와 예술정책을 병행한 토론.

예 술 선택 과 목

학생들은 음악, 연극과 드라마, 시각예술, 미술, 미디어와 공학 등의 학과 교수들이

개설하는 과정을 부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다. 부전공을 원하는 학생들은 해당과목 담

당교수가 정한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논 문 및 전 공 보 고 서

연구 프로젝트와 논문이 요구된다.

입 학 허 가 절 차

이 프로그램에는 예술 프로그램의 학사학위를 가진 학생이나 다른 학과에서 학사학

- 266 -

Page 28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위를 취득하고 예술분야에서 활동하는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다. 학생들은 예술과 문

화에 대한 친밀성, 가시적인 조직 능력과, 자신의 국제적인 감각을 개발하려는 관심도

갖고 있어야 한다.

이른 봄에 시작되는 입학허가 과정은 필답시험과 구술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

원서는 4월 15일 이전에 제출하여야 한다. 학비는 NLG 2,225이다. 수업료는 매년 교

육과학장관이 결정한다.

대학원 프로그램은 매년 24명의 신입생을 풀타임 프로그램에 입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발전에 강조점을 둘 수 있으며, 학생의 숫자를 제한함으로써

소규모 교육이 가능하다. 모든 측면에서의 학생 개개인의 발전에 가장 중점이 두어진

다.

- 267 -

Page 281: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5. Virginia Tech

주소 : Arts Administration or Stage Management

Division of Performing Arts, PAB 2 13

Virginia Tech

Blacksburg, Virginia 24061

전화 : (703)231-5335

Fax : (703)231-732 1

학과장 : George W. Thorn

전화 : (703)231-4670

Email : jrudisil @vt.edu

학위명 : M.F.A.(예술행정 또는 무대경영)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버지니아 공과대학의 예술행정/무대경영 프로그램은 1978년 시작되어 M.F.A.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이 3년 과정의 연구는 각 개인의 배경, 요구, 목표를 파악하여 이에

맞는 개인적인 연구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각 개인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학과과정은 없다. 예술경영

스튜디오에서의 Master Teacher와의 맨투맨식 교육이 핵심이다. 이러한 개인지도의 성

격은 학생 각자의 목표에 따라 학생마다 다양하다. 이러한 실습교육은 학부를 졸업한

학생들 각자의 수준차이에 맞추기 위해 고안된 특별한 일련의 프로젝트들로 구성된

다.

전문적인 교육에 대한 이러한 개인별 접근방식은 학생 각자가 자신의 직업적 목적

을 분명히 파악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성과가 결정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학생

들이 각기 다른 관심과 경험을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결과적으로 누구에게나

똑같은 경험이나 교육은 필요치 않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 교육의 목적이 학생들로 하여금 직업활동의 준비를 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프

로덕션에의 참여와 실제적인 적용에 중점을 둔다. 학생들은 직접적으로 공연예술분야

의 프로덕션 활동의 지원과 경영에 참여한다. 이 과정에는 매년 대략 18개 극장의 공

연물들과 75개의 음악이벤트의 마케팅, 홍보, 흥행, 출연계약, 극장의 객석, 무대경영

등이 포함된다.

전문적인 인턴쉽과 관련된 예술단체의 단기 프로젝트들은 학생들에게 광범위한 경

험을 제공한다. 전문적인 인턴쉽은 학위를 받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 268 -

Page 282: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연극예술학과는 예술경영연구소(Arts Management Institute)에 관리자를 파견하고 운

영을 담당한다. 이 연구소는 자문, 공연기획, 프로덕션 사업에 참여한다. 예술행정/무

대경영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이 연구소의 활동에 비중 있게, 전반적으로 참여한다.

연극학과는 전미연극학교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Theater)의 승인을

받았다.

학 과 운 영

연극예술학과는 음악과와 함께 Virginia Tech의 예술·과학대학의 공연예술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경영대학 및 Virginia Tech 발전처 부처장과 연계되어

있다. George W. Thorn은 예술행정과 무대경영의 지도교수이고, Patricia Lavender는 마

케팅의 지도교수이며, Barbara Carlisle은 개발과 현장실습의 지도교수이다.

학 위 과 정

학생들은 학위를 취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을 해야 한다.

·예술가들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

·조직의 성공을 위한 다양한 개인들에 대한 지도, 감독, 동기 부여.

·조직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게 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반의 조성

·복잡한 예술기관을 경영하는 데 기본적인 기술 습득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학생들은 직업활동으로 연결되는 경험들을 연

속적으로 갖게 된다. 이 과정에는 분과별 활동, 개인지도, 분과 내외에서의 학과목 수

강을 위한 전문적인 인턴쉽, 전문 예술기관에서의 단기연수, 여름에 관련분야에서 실

무 경험 등 실제적인 연수가 포함된다.

학생들은 조직의 임무, 장기계획, 단체의 발전, 이사회, 조직구조, 예술가/위원회/경

영간의 관계, 재무관리, 관객개발, 자금조성 등을 연구하고 이해하고, 그 결정에 참여

하게 될 것이다.

인턴쉽과 논문 또는 최종 프로젝트 등을 포함하여 54학점이 학위 취득을 위해 요구

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예술행정/무대경영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논문이나 최종 프로젝트를 제출하여야 한

다. 대부분의 경우, 논문이나 최종 프로젝트는 예술행정/무대경영의 실제적인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현 장 실 습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M.F.A. 학생에게는 인턴쉽이 요구된다. 인턴쉽의 최소 기

- 269 -

Page 283: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간은 3개월이고, 최대 기간은 한 학년 전체이다. Virginia Tech의 인턴쉽은 3개월 동안

대학원 조교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인턴쉽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단체는 다음과 같다.

Actors Theatre of Louiville(루이스빌 배우극장), Alliance Theatre Company(극장 연합회),

American Repertory Theatre(아메리칸 레퍼토리 극장), Atlanta Ballet(애틀랜타 발레단),

Baltimore Symphony(볼티모어 심포니), Baltimore Center Stage(볼티모어 센타 스테이지),

Chicago Lyric Opera(시카고 서정 오페라단), Congressional Caucus for The Arts(예술을

위한 국회 대표자회의), FEDAPT, Goodman Theatre(굿맨 극장), Great Lakes Theatre

Festival(5대호 극장 페스티발), Indiana Repertory Theatre(인디애나 레퍼토리 극장),

Kennedy Center(케네디 센터), The Kitchen, Los Angels Music Center Opera Company(로

스앤젤레스 음악센타 오페라단), Louisville Fund for the Arts(루이스빌 예술기금),

Louisville Orchestra(루이스빌 오케스트라), Magic Theater, Manhattan Theatre Club(맨하

탄 극장 클럽), Movement Theatre International(국제극장운동), North Carolina Arts

Council(북캐롤라이나 예술위원회), New York City Opera(뉴욕 시립 오페라단), People s̀

Light and Theatre Company, Richmond Ballet(리치몬드 발레단), Theatre de la Jeune Lune,

Virginia Opera Association(버지니아 오페라 연합), Washington Volunteer Lawyers for the

Arts(워싱톤 예술 자원변호사회), Wooley Mammoth Theater .

입 학 허 가절 차

예술행정/무대경영에서의 M.F.A.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원하는 사람은 연극

예술학과로 연락하면, 학과에서는 안내책자, 지원양식, 그리고 학비보조와 관련된 정

보를 보내준다.

지원자는 대학과정에서 4.0만점에 평균 2.75 이상의 학점을 취득했어야 한다. 요구

되는 학점 이하의 성적을 가진 학생들은 잠정적으로 대학원과 학과의 승인 하에 입학

이 허가될 수 있다. 지원자에게 GRE는 요구되지 않는다.

지원자는 Virginia Tech의 M.F.A. 로그램에서 참여하고 싶은 분야와 직접 관련된 3

통의 추천서와 최근의 이력서를 제출해야 한다.

지원자는 프로그램 학과장과 교수진에게 면접심사를 받아야 한다. 다만 연극분야의

대학원 프로그램에 대한 입학허가는 지원자의 자격을 증명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제시된다면 면접심사 없이도 가능하다.

연극예술학과는 우수한 학생들에게 대학원 조교제도를 제공하고 있다. 장학금액은

물가인상율에 따라 증가된다. 1995년 가을학기의 경우 초급조교에게 9개월(한 학년도)

동안 6,500달러와 학비전액 면제혜택이 주어졌다.

- 270 -

Page 284: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6. Yale University

주소 : Theater Management Department

Yale School of Drama

Yale University

222 York Street

New Haven, Connecticut 06520

전화 : (203)432-159 1

Fax : (203)432-8332

학과장 : Benjamin Mordecai

학위 : M.F.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1966년에 설립된 연극경영학과는 M.F.A. 학위를 수여하는 3년 과정을 개설하고 있

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연극 단체에서의 지도자의 지위를 맡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판단력을 갖추도록 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비영리목적의 연극에 초

점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상업적 연극, 영화, 전자매체, 그리고 다른 공연예술단체들

의 경영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도 받아들인다.

전국적으로 인정받는 LORT C 극장인 예일레퍼토리극장은 (1925년 세워진) 예일드

라마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전문적 실험장으로서 1967년 설립되었다. 이 두 기관이 함

께 연기, 지도, 디자인, 연출, 희곡저작, 무대운영, 기술적 디자인과 생산, 그리고 극장

행정에서의 극장전문가를 훈련시키는 독특한 예술학교를 구성하고 있다. 드라마학교

의 학생들은 매년 60작품 이상 생산하는 활발한 활동을 하는 단체에 속하게 된다.

극장경영 프로그램은 교실내에서의 학업과 예일 레퍼토리극장의 관리직으로서의 현

장경험을 결합시킨다. 매년 8-10명의 학생들만을 받는 소규모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각 학생들은 첫 해의 기본적인 필수과정을 마친 후에는 개별적인 작업과 연구 프로그

램을 추진할 수 있다. 예일프로그램의 철학은, 전문작업 경험이 교육과정의 핵심이라

는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작업의 할당이 학생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된다.

1966년에 설립된 극장행정과는 M.F.A를 위해 3년간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프

로그램은 극장 안에서 지도자 위치를 위한 뛰어난 판단력, 기술, 지식을 제공한다. 중

점은 비영리적 극장이지만 경제적인 극장, 영화, 전기매체와 여러 공연예술기관의 운

영에도 관심을 갖는다.

3년 동안, 학생들에게 점차적으로 책임비중이 있는 행정적 지위가 주어진다. 첫해에

- 271 -

Page 285: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는 예일 레퍼토리 극장의 모든 중요 행정영역을 접할 수 있도록 짜여진 - 건물관리,

단체운영, 출판과 마케팅, 무대관리, 매표소 관리를 포함하는 - 4∼6가지 다른 자리를

순환한다. 두 번째 해에는, 반 년 동안은 보다 책임이 큰 한 가지 위치에서 종사하게

된다. 두번째 해의 직업과제는 보통 Assistant Business Manager, Company Manager,

Assistant Press Director, Assistant Marketing Director, Assistant Development Director의 위

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두번째 해의 나머지 반년은 다른 기관에서 인턴과정으로

보낸다. 세 번째 해에는 Yale Cabaret의 Associate Managing Director, Associate General

Manager, Associate Director of Press and Marketing, Associate Director of Company

Affairs, Associate Development Director, Managing Director 등과 같은 중요한 운영책임

을 맡는 자리에 1년 동안 있게 된다. 이용할 수 있는 각 자리는 극장의 필요에 따라

또는 학생들의 관심에 따라서 때때로 바뀔 수 있다.

학 과 운 영

극장경영학과는 예일대학의 대학원과정인 드라마학교의 8가지 학과 중의 하나이다.

대학원장은 Stan Wojewodski, Jr .로, 그는 예일 레퍼토리 극장의 예술감독이기도 하다.

Victoria Nolan은 드라마 학교와 예일 레퍼토리 극장의 경영감독이다. 드라마 학교의

공동 대학원장인 Benjamin Mordecai는 극장경영학과의 학과장이다.

이 학과의 교수진에는 예일레퍼토리 극장 스탭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저명한 전

문가들이 포함된다. Joan Channick(Center Stage의 공동 경영감독), John Conte (Long Wharf

극장의 총지배인), Nancy Coyne (Serino Coyne Inc.의 창작감독), Alan Eisenberg(Actor s̀

Equty Association의 사무국장), Todd Haimes (Roundabout Theatre Company의 제작 지휘

자), Harry H. Weintraub(지역 극장연맹의 고문) 등이다. 최근의 초빙강사로는 Emanuel

Azenberg, John Badham, John Breglio, Martha Coigney, Peter Culman, Machael David, Leon

Denmark, James Freyd-berg, Tom Hall, Karen Brooks Hopkins, Bernard Jacobs, David Le

Vine, Cynthia Mayeda, Nello McDaniel, Harvey Sabinson, Suzanne Sato, Gerald Schoenfeld,

William Stewart, Edward Strong, George Thorn, Sherman Warner, Berenice Werler, Peter

Zeisler, Fred Zollo 등이 있다.

학 위 과 정

1학년 : American 극장 실습 / 협동과정 / 극장 홍보와 마케팅 / 비영리기관 회계 /

법과 예술 / 개발 / 마케팅 / 재무관리 / 경영 커뮤니케이션 / 경영체계론 /

무대운영 / 연극과 드라마 조사연구

2학년과 3학년 : 고급재무관리 / 노사관계론 / 상업적 연극 / 광고 / 행정학세미나 /

마케팅 전략과제연구 / 고급기금조성 과제연구 / 공공극장 운영 / 극장의

예술가

- 272 -

Page 286: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그 밖에도 극장경영학과의 모든 학생은 매주 경영쟁점 포럼에 참석해야 한다. 극장경영

학과의 학생은 드라마학교의 다른 학과나 법학대학원, 경영대학원 같은 대학내의 다

른 대학원 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3학년 학생들은, 학생들의 특수한 필요와 직업적 관심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는 경

우에는, 예일 레퍼토리 극장의 전문적 지위에서 일하는 대신 논문을 쓰거나 자신이

직접 계획한 특별한 작업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현 장 실 습

인턴쉽은 선택이지만 극장경영을 전공하는 모든 학생들은 예일 레퍼토리 극장에서

얻은 경험을 완성시키는 기회로 주어지는, 다른 기관에서의 인턴쉽으로 2학년의 한학

기(반년)를 보낸다. 인턴쉽은 거의 모든 곳에서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곳

에서 인턴쉽이 행해진다. 배우노동조합(Actor 's Equity Association), 루이스빌의 배우극

장, Alliance Theater Company, Arena 극장, 버클리 레퍼토리 극장, 브룩클린 아카데미

의 Music Next Wave Festival, 센터 스테이지, 굿맨극장, 굿스피드 오페라하우스, 인디

애나 레퍼토리 극장, 링컨센타, 맨하탄극장클럽, Mark Taper Forum, 영국 국립극장, 뉴

욕 셰익스피어 페스티발, Old Globe Theater, 오레곤 셰익스피어 페스티발, South Coast

Repertory, 미국 극장과 제작자들의 모임, 그리고 다양한 상업극장 제작자들의 사무실

등이다.

입 학 허 가절 차

극장경영학과는 극장(또는 공연예술)을 경영하는 직업에 사명감을 가지고 있는 학생

들을 모집한다. 이 학과에 입학이 허가된 대부분의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들어가기 전

에 극장이나 다른 현장에서 중요한 전문적인 실무경험을 가지고 있다.

지원서는 2월 15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지원서에는 학업목표의 진술, 성적증명서,

GRE점수, 추천서 3장, 이력서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우수한 지원자는 개인적인 면접

통보를 받게 된다. 재정지원은 재정적인 필요만을 고려하여 결정함으로써 재정상의

한계로 인해 지원할 기회를 박탈당하는 학생이 없도록 하고 있다.

- 273 -

Page 287: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37. York University

주소 : Program in Arts and Media Administration

York University

Faculty of Administrative Studies

4700 Keels Street

Toronto, Ontario M3J1P3

Canada

전화 : (4 16)736-5088

Fax : (4 16)736-5687

학과장 : Brenda Ganier, Joyce Zemans

학위명 : M.B.A. 및 이에 상응한 디플롬(diploma)

-------------------------------------------------------------------------------------------------------

설 립 배 경 , 학업 방 향 및 목 적

York 대학은 캐나다에서 예술계의 요구에 의해 수행되는 많은 연구와 예술경영분야

에서 경력을 쌓고, 캐나다의 미래 문화발전에 공헌하게 되길 원하는 개인들을 지원하

기 위해 1969년 예술행정분야의 M.B.A. 프로그램을 설치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캐나

다에선 최초로 시작된 것이며, 현재까지 캐나다내의 예술행정 분야의 대학원과정 중

영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프로그램이다.

캐나다에서 예술단체의 요구에 의해 많은 연구가 진행된 이후, 1983년 행정학부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매체경영을 포함시켰다.

예술과 매체행정에 대한 York 대학의 프로그램은 다음의 목적을 갖는다.

·미래의 예술과 미디어 분야의 행정가들에게 경영기법을 교육시키기 위해 고안된 학

문적인 프로그램의 제공

·미래의 행정가들에게 예술과 미디어 조직에서의 의미 있는 실제 경험 제공

·캐나다의 예술, 매체경영,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정책과 관련된 주제연구

학 과 운 영

프로그램의 공동 학과장 두 사람은 모두 전임교수진이다. 그 밖의 교수진으로는 행

정학과의 교수진이 필수과목들을 강의하며, 토론토 예술경영협회에서 파견된 강사진

이 전공선택과목들(예술과 연예관련 법규, 커뮤니케이션 정책 등)을 강의한다.

학 위 과 정

- 274 -

Page 288: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예술 및 매체행정 프로그램을 이수한 데는 보통 2년(4학기)의 연구과정이 필요하지

만, 학부에서 특정 경영학 분야 과목들을 이수한 경우에는 보다 짧은 기간에 프로그

램을 마칠 수도 있다. part-time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든 강의가 저녁시

간대에 행해진다.

학생들이 예술 및 매체경영 분야에서 취득하는 M.B.A. 학위는 상업적인 또는 공공

행정에서 일하고자 하는 이들이 취득하는 것과 같은 학위이다. 학위 취득을 위해 이

수해야 할 20과목 중에서 11과목이 필수과목이다. 나머지 9과목 중에서 예술 및 매체

경영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보통 5과목을 자신의 전공 영역에서, 그리고 나머지 4과목

을 M.B.A. 프로그램이나 대학내의 다른 분야에서 선택한다.

전문적인 예술경영의 경험 없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M.B.A. 연구의 두번

째 학년 전에 여름 동안 인턴쉽을 수행해야 한다.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적당한 단체

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예술 및 매체경영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연구에 있어서 대중적인 지지를 받는 비영

리 예술단체에 중점을 두거나, 대중오락, 예술가, 임금과 전통적인 TV방송 운영, 상업

적인 음향 및 영상 레코딩과 출판 등이 포함되는 캐나다의 기업적인 예술과 매체 활

동에 관심을 갖고 선택할 수 있다.

프 로 그 램의 학 과 목

예술 및 매체경영 개론

예술 자원 관리

문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정책

예술과 연예 관련 법규

졸 업 자 격

위의 5과목 중 4과목을 이수하고 예술 또는 미디어 분야에서 인턴쉽을 마치고 그에

근거한 전략적 연구를 완성한 학생은 M.B.A. 학위와 함께 예술 및 매체행정의 디플롬

을 받게 된다.

학 위 논 문 또 는 프 로젝 트

York 대학교의 모든 M.B.A. 학생들은 한 조직의 구조를 전략적으로 분석하는 내용

의 논문과 전공그룹 실습을 실행해야 한다. 예술과 매체행정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실

습과 논문에서 예술단체나 문화산업과 관련된 장소들(Royal Ontario Museum, the

National Ballet of Canada, the National Ballet School, the Stratford Shakespeare Festival,

the Global Television Network, CJRT Radio Station, Maclean 's Magazine, 요크대학 미술

- 275 -

Page 289: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학부 등)과 관계를 갖게 된다.

현 장 실 습

전문적인 예술경영 경험으로 특별히 면제받지 않는 한, 예술과 매체행정의 학생은

두번째 해의 여름 기간동안 예술단체나 미디어 기관에 배치되어 3-4개월간의 인턴쉽

을 거치게 된다. 지원자들은 이 필수과정이 배치가 예정되어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실시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인턴쉽이 제공되는 단체들은 다음과 같다. Startford

Festival, National Gallery of Canada, Canadian Opera Company, Roy Thompson Hall(home

of the Toronto Symphony Orchestra), Canada Council, Royal Ontario Museum, Theatre

Plus, Gryphon Theater, Ontario Crafts Council, Ontario Arts Council 등이다. 학생들은 또

한 그들의 M.B.A. 과정 첫 해 동안에는 예술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도록 권장된

다.

입 학 허 가절 차

M.B.A. 프로그램의 입학자격은 인정된 대학의 학위 취득의 마지막 두 해 동안 학점

이 최소한 평균 B 이상이어야 하고, GMAT 성적이 좋아야 하며, 추천장이 2부 제출되

어야 한다.

그밖에 다음과 같은 사항이 요구된다.

·예술단체나 문화산업에 참여했다는 증명서

·최소한 하나의 예술 분야의 역사나 커뮤니케이션 기초이론에 대한 인지도

·최소한 하나의 예술 분야에서의 창작 경험이나 커뮤니케이션 매체에서의 실질적인

활동경력

매년 대학원 R.A.와 T.A.를 지원할 수 있다. 두번째 학년의 M.B.A. 학생들에게 우선

권이 있지만, 신입생도 가끔 자리를 얻을 수 있다.

- 276 -

Page 290: 문화행정전문인력양성방안연구 - Cultureline · 2011-02-17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방안 기초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 (본원 연구실장) 공동연구자:

정책과제 97-18

문화행정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 ━ ━ ━ ━ ━━ ━ ━ ━ ━ ━━ ━ ━ ━ ━ ━━

발행일 1998년 8월 일

발행인 김 문 환

발행처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700

(예술의 전당 예술자료관 內)

전화 : 597- 9327 FAX : 583- 8393인 쇄

━ ━ ━ ━ ━ ━━ ━ ━ ━ ━ ━━ ━ ━ ━ ━ ━━

ⓒ 1998 한국문화정책개발원

- 2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