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
기본연구 2006 - 10 관광산업 중기 발전방향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관광산업 중기 발전방향 연구 - Cultureline · 내여행업 3,844 개소)이며, 사업체기초통계 원시자료 분석 결과 고용측면에서 특정 업체의 비중이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기본연구 2006 - 10

    관광산업 중기 발전방향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Kwang-Hoon Ryu, Hyo-Jae Joun, Seung-Mook Choi

    A study on the middle-period policy direction for tourism industry

    관광산업 중기 발전방향 연구

    2006

  • 서 문

    국내외 많은 전문가들이 관광산업을 국가 및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대

    안산업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관광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려는 국

    가 및 지역의 노력도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관광객들의 가치관 및

    관광행태가 변화하면서 관광객들의 관광요구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관광산업

    내부적으로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으로 새로운 사업 영역이 창출되면서 산

    업구조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국가간 치열한 경쟁 속에서 관광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반 환경변화에 따른 관광객들의 관광요구 변화에 대응하

    며 관광산업 내부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입니다. 바로 관광산

    업의 중기 발전방향 연구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관광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체계적․제도적

    기반은 미흡한 상황입니다. 관광개발 및 외래관광객 유치가 강조되면서 관광산

    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들은 종합적이라기 보다는 현안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추

    진된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실질적인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중장

    기적이고 종합적인 관광산업 발전 비전과 목표, 세부 추진 전략들이 마련되어

    야 할 것입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민이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 연

    구를 토대로 앞으로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이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및 국가 발전을 견인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애쓰신 연구진, 자문에 응해주신 자문위원,

    전문가 의견조사에 참여해 주신 관계자 등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의 뜻을 표하

    는 바입니다.

    2006년 11월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원장 송재호

  • 요 약 ⅰ

    요 약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생산성 향상, 국제경쟁력 강화, 산업 고도화가 정

    책과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주40시간 근무제도의 확산, 관광행태 변화 등으

    로 향후 관광산업의 발전방향이 지난 10여년과 상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

    상됨

    ○ 관광산업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신규 사업 영역이 등장하면서 업종 개편 및

    산업정책에 대한 탄력적 대응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제도 측면에

    서는 규제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인허가 등의 업무가 지방자치단체로 이전

    되고 있음

    ○ 이처럼 관광산업 내․외부적인 환경변화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우리나

    라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 전략의 마련이 요구되며, 이

    에 앞서 관광산업 중기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

    ○ 이에 관광객 및 시장의 요구, 관광산업의 공급능력, 정부의 지원정책을 효율

    적으로 고려하여 관광산업을 종합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관광산업 중기 정

    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함

    2. 연구 범위 및 방법

    ○ 본 연구는 2005년까지 추진된 정부의 관광정책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중기 발전방향을 제시함

    ○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정부의 관광정책 등에 대한 문헌 연구, 관광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관련분야 전문가 의견조사 등의 연구 방법을 적용함

  • Ⅱ. 관광산업 현황 분석

    ○ 우리나라의 관광관련 산업활동으로 인해 창출되는 GDP의 비중은 2006년

    6.8%에서 2016년 7.0% 수준으로 증가하고 관광관련 산업활동에 종사하는 고

    용자 2016년 전체 고용자의 7.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WTTC, 2006)

    ○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사업체 수는 2000년 이후 연평균 8.8% 증가하고 있

    는데 특히 국외여행업(12.1%), 국제회의기획업(30.4%), 관광식당업(14.7%) 등

    의 사업체 수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2005년 말 현재 총 관광사업체 수는 12,338개소이며 이중 여행업이 78.0%인

    9,623개소 수준이며,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체 관광사업체의 41.8%(5,159개소)

    가 서울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여행업체수는 총 9,623 개소(일반여행업 794 개소, 국외여행업 4,985 개소, 국

    내여행업 3,844 개소)이며, 사업체기초통계 원시자료 분석 결과 고용측면에서

    특정 업체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관광숙박업은 총 701개소(79,402실)로 관광호텔업(558개소, 58,950실)과 휴양

    콘도미니엄업(123개소, 17,692실)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됨

    ○ 관광객이용시설업은 전문휴양업 20개소, 종합휴양업 14개소, 관광유람선업

    13개소, 관광공연장업 2개소, 외국인전용관광기념품판매업 123개소 등 총

    172개소가 운영되고 있음

    ○ 총 151개의 국제회의기획업 중 126개소(83.4%)가 서울에 있으며, 국제회의시

    설업은 서울특별시의 코엑스, 부산광역시의 벡스코, 대구광역시의 엑스코, 광

    주광역시의 김대중컨벤션센터, 제주도의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등이 있음

    ○ 2006년 상반기 3개의 신규 카지노가 개장하여 국내엔 총 17개소(내국인 출입

    1개소, 외국인전용 16개소)의 카지노가 운영중에 있음

    ○ 유원시설업은 2006년 5월말 현재 일반유원시설업 126개소, 종합유원시설업

    37개소, 기타유원시설업 71개소가 운영중에 있음

    ○ 관광편의시설업은 2005년 12월말 현재 1,205개소가 운영중인데 관광식당업이

    834개소(69.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요 약 ⅲ

    Ⅲ. 관광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1. 분석 개요

    ○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성장요인 분석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1990-1995-2000 접속불변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으며, 1985년에서 1990년까

    지의 성장요인분석은 ‘1985-1990-1995 접속불변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음

    ○ 관광산업 고용 성장요인 분석은 산업연관표의 부속표인 고용표를 활용하되,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자수의 추계는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사업체총조

    사’ 및 ‘사업체기초통계조사’ 등의 자료를 반영하여 분석을 실시함

    ○ 관광산업의 산업구조변화 분석은 산출액과 고용의 기준을 같이 검토하였으

    며, 국내총생산을 의미하는 부가가치액 또한 포함하여 분석을 실시함

    ○ 관광산업 부문별 성장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 분석 모형은 류광훈(2000,

    2001)에서 채택한 모형을 활용하였음. 동 분석모형은 한국개발연구원(KDI)

    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형을 기본모형으로 하여 발라사(Balassa, 1976)가 제

    시한 ‘절대적 성장의 편차’를 적용하여 일부 변형한 모형임

    2. 분석 결과

    가. 관광산업 구조변화 분석

    ○ 국내 전체산업에서의 관광산업의 위치를 분석하고자 실시한 산업구조 분석

    결과 관광산업의 비중증가 현상이 확인됨에 관광산업의 산업적 중요성이 증

    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국내총생산액을 의미하는 부가가치액을 기준으로 분석할 경우 1990년 이후

    지속적인 비중 확대추세를 보이고 있음

    - 특히, 관광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용자수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985년 전체 고용의 8.27%에서 2000년 12.94%로 비중이 확대되는

    등 관광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 세부 업종별로 살펴보면 여행업, 식음료업, 문화공연, 운동경기, 오락유흥 등

    업종의 산출액, 부가가치액, 고용규모의 성장이 국내 산업 전체의 성장추세

    를 크게 앞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반면 숙박업의 산출액, 부가가치액, 고용규모의 비중은 감소하였음. 특히

    2000년의 고용자수 규모가 1995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관광산업

    의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는 숙박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이 요구됨

    나. 관광산업 성장 기여도 분석

    ○ 업종별 특성에 따라 국내소비와 수출의 상대적인 크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

    으나 국내소비와 수출이 관광산업 전체 및 세부업종의 산출액, 부가가치액,

    그리고 고용규모의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요인으로 분석됨

    ○ 관광산업 전체 및 개별업종별 살펴보면 중간수요 및 최종수요의 수입대체효

    과가 (-)로 나타남에 따라 국내생산이 아닌 수입을 통한 공급도 확대된 것으

    로 해석됨

    - 최근 급격한 국민 해외여행 증가를 고려할 때 수입대체의 효과는 점차로 악

    화될 것으로 전망되는바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책으로 수입품의 중간수요와

    최종수요를 국내산출품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할 수 있음

    ○ 기술변화의 효과는 1995-2000년 기간 관광산업 및 세부업종의 산출액과 부가

    가치액, 그리고 고용규모 성장에 주로 부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됨

    - 이는 국민경제의 서비스화 진전으로 개별산업의 생산활동에 있어 투입구조가

    산업간 연계가 약화되는 형태로 변화됨에 따라 최종수요 변화로 인한 간접효

    과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

    ○ 부가가치액 성장에서 부가가치계수의 변화는 1985-1995년 사이 성장에 부정

    적 영향을 주었으나 1995-2000년 사이에는 여행업을 제외한 관광산업내 업

    종에 긍정적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됨

    ○ 고용계수 즉, 노동생산성의 변화는 특히 1995-2000년 사이 여행업과 오락유

    흥 등은 업종은 국내 고용시장의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역할을 담당함과 동

    시에 노동생산성 또한 높아진 것으로 분석됨

  • 요 약 ⅴ

    Ⅳ. 관광산업정책 분석

    1. 관광산업정책의 성과

    ○ 관광산업 발전 기반 확립: 관광업무를 담당하는 중앙 및 지방 행정조직, 한

    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관광공사 등의 조직이 정비되었으며, 약 130여개

    대학교 및 전문대학, 관광종사원 자격제도 등을 통해 인력이 양성되고 있음

    ○ 차세대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부상: 문화․관광, 비즈니스 서비스, 의료서비스

    를 3대 한국형 핵심 서비스산업으로 선정(삼성경제연구소, 2005), 선진경제가

    되기 위해 레저․문화산업의 발전 필요 언급(대통령 취임 2주년 국정연설)

    ○ 관광산업 범위 확장: 관광산업과 농업, 제조업,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

    과 결합하는 복․융합이 증가하면서 관광산업의 영역이 확산되고 있음

    2. 관광산업정책의 한계

    ○ 불합리한 규제: 토지 보유세, 서비스 사업용 투자개발에 대한 개발부담금, 관

    광호텔업 적용 전력요금 체계, 관광호텔에 대한 부가가치세 등 제조업 등과

    비교해 불합리한 규제가 상존함

    ○ 관광산업 국제경쟁력 저하: 체재비 등 여행가격 상승, 관광인프라 부족, 외국

    어 구사 등 관광서비스 미흡 등으로 외래관광객 답보 상태에 직면하고 있음

    ○ 관광산업 투자 매력 부족: 관광산업에 대한 불합리한 규제, 관광산업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미흡, 사업추진에 장기간 소요 등으로 인해 관광산업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탄력적 업종 대응 미흡: 산업간 복․융합 등으로 인해

    관광산업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지만 기존 법․제도 내에 신규 사업 수용, 기

    존 관광산업과의 협력 등에 한계가 있음

    ○ 범정부적 정책 지원 부족: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범정부적 관심과 협력이 필

    요하다는 인식하에서 ‘관광진흥 확대회의’가 개최되었으나 현재 폐지되었음

  • Ⅴ. 전문가 의견 조사

    ○ 관광산업의 중기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문화관광부 및 한국관광공사 등

    중앙정부 관계자, 관광사업자 단체 관계자, 중앙 및 지역 연구기관 관광부문

    연구자, 대학교 관광학과 교수 등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함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관광정책은 관광자원 개발 정책, 국제관광 진흥 정책을

    중심으로 추진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향후에는 관광산업 육성 정책, 국민

    관광 진흥 정책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응답함

    ○ 관광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에서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수요 창출 및 문

    화․예술 부문을 관광과 연계한 정책 등은 보통(3점)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관광정책 비전, 관광수요 확대 정책 등은 대부분 보통 이하인 것으로 평가됨

    ○ 기존에 추진된 관광산업 정책 역시 보통(3점) 수준 이하인 것으로 평가되었

    음. 특히 관광산업 육성 등을 위한 범정부적 정책체계 구축부문이 가장 미흡

    한 것으로 평가됨

    ○ 관광산업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제반 환경 여건 중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투자유치 의지는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관광산업 투자를 위한 정보 제

    공, 관광산업 투자유치 지원체계, 관광사업 창업 환경, 중앙 및 지방정부의

    투자유치 능력, 정부의 규제수준 등은 모두 보통 수준 이하인 것으로 평가됨

    ○ 관광산업 투자를 위한 공공 및 민간부문 재원 확보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관광진흥개발기금, 국고보조금,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등 공공부문의 투자재원과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민간부문의 재원 확

    보 체계에 대한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현재 관광산업은 산업조직 형태, 업종 분류 등에 다소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향후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산업간 복․융합 등으로 새로운 영역

    이 창출되면서 관광산업의 영역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평가함

    ○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 및 협력체계 구축 역시 보통 이하

    수준으로 평가되었음. 관광산업의 인적자원은 일부 부문을 제외하고 양적․

    질적 측면에서 모두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요 약 ⅶ

    Ⅵ. 중기 관광산업정책 기조 및 과제

    1. 관광산업정책 기조

    ○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관광산업정책 기조를

    수요 확대, 투자 확대, 산업 고도화, 네트워크 강화로 설정하고 세부 관광산

    업정책 과제를 도출함

    〔그림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정책의 개념적 틀

    정책기조 수요 확대 투자 확대 산업 고도화 네트워크 강화

    물적요소관광수요

    (내국인․외국인)

    관광자원

    개발과 투자

    관광사업

    경영환경 개선

    관련산업

    연계강화

    인적요소

    (이해관계협력)

    관광기업가

    관광행정가

    관광전문가

    기업가

    (공공재원 기반)

    기업가

    종사원

    관광전문가

    관광행정가

    기업가

    통합적 관광의사결정의 조직화

    (계층적 관광산업정책 위원회)

    외부요인 관광위기관리시스템 / 관광모니터링시스템

    ↓ ↓ ↓ ↓

    산업

    구조

    정책

    육성

    정책신규관광수요 선도

    신규 투자재원

    개발 및 확대정책

    신규산업 육성정책

    관광산업고도화․

    전문화정책

    관광환경조성정책

    조정

    정책

    기존관광수요

    안정화 및 합리화

    (수요증진)

    투자재원

    규제개선규제개선

    기존환경

    개선지원정책

    산업

    조직

    정책

    독과점

    정책-

    경쟁제한정책

    (공공자원)진입장벽해소 -

    중소

    기업정책- -

    관광중소기업

    보호․육성

    과당경쟁조정

    -

  • 2. 관광산업정책 과제

    가.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정책 기반 구축

    ○ 관광산업 발전 비전의 제시를 통한 시장참여 확대 유도: 정부는 정책비전과

    추진과제 설정에 있어 타당성과 합리성을 확보하는데 우선적인 노력을 기울

    여야 하며, 수립된 정책비전과 목표, 추진과제를 일관성 있게 추진

    ○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계획의 수립 및 추진: 관광산업 전반에 관한 정책

    계획과 개별 업종별 계획을 연결할 수 있는 “관광산업 발전계획” 수립

    ○ 지식정보의 구축 및 확산을 통한 관광산업 발전기반 마련: 지식정보자원 활

    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재원을 투입하며, 관광산업정책

    고도화, 합리적 경영의사결정 등을 위하여 관광통계를 획기적으로 개선

    나. 국내 관광시장의 다양화 및 규모 확대

    ○ 신규 관광시장분야의 개척: 동남아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류 문화콘텐츠의 활

    용, 문화․예술 및 스포츠 부문과 연계한 신관광수요 창출

    - 한류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신관광수요 창출: 문화와 미디어(기술) 요소 강화,

    한류의 독창성 발굴, 한류 활용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문화․예술 부문의 관광수요 창출: 무료입장 및 해설사 통제체계 도입, 정부

    나 지방자치단체가 주최 또는 운영하는 시설에 대하여 관산학연이 공동으로

    관광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지역관광 상품개발조직 운영

    - 스포츠관광의 연계수요 창출: 스포츠 대회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의 국제

    적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이벤트 효과가 크므로 스포츠 대회 개최시

    지역 관광진흥계획 마련

    ○ 관광시장의 수요 안정화 및 시장 확대: 해외여행수요의 국내전환을 통한 국

    민관광의 진흥, 외래관광객 유치 확대, 국민여가시장의 관광상품 육성, 해외

    시장별 프로그램 기반의 관광마케팅 전략 강화

    - 해외여행수요의 국내 전환을 통한 국민관광의 진흥: 휴가분산제 등 계절구조

    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의 적극적 도입

  • 요 약 ⅸ

    - 외래관광객 유치 확대: 한․중․일 역내 관광상품 개발, 패키지 관광상품의

    고품질화, 개별 관광수요 수용태세 정비 등 기존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한

    관광상품의 다양화․고품질화 전략 추진

    - 국민여가시장의 관광상품 육성: 중소규모 여행사 대상 여가관광상품 개발 지

    원 프로그램 체계 수립, 대국민 홍보서비스 적극 추진

    - 해외시장별 프로그램기반의 관광마케팅 전략 강화: 5대 핵심시장(일본, 중국,

    미국, 대만, 필리핀) 대상 다양한 프로그램기반의 관광마케팅 전략 도입, 13

    개 주요시장 대상으로 매스마켓을 겨냥한 패키지형 관광홍보 추진

    다. 관광산업으로 투자확대를 통한 산업발전 여력 구축

    ○ 관광부문 신규 투자 확대: 투자정보 제공, 투자유치 조직 정비 및 인력 육성,

    투자환경 조성, 민간투자유치를 위한 협력 시스템 구축

    - 관광산업 투자정보 제공의 확대: 우리나라의 투자여건, 진행중인 관광부문 투

    자 현황 및 계획, 중장기 관광산업 육성 계획, 각 투자유치 사업들의 투자 규

    모․수요 전망․사업성 분석 등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베이

    스로 구축․ 관리

    - 투자유치 조직 정비 및 인력 육성: 국내외 관광투자 동향 분석, 신규 투자유

    치 사업 발굴, 각종 투자유치 지원업무 수행 등이 가능하도록 관광투자유치센

    터의 조직과 기능 확대, 관광투자부문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 투자환경 조성: 창업환경 개선 및 지원 정책, 인센티브 제공, 규제 완화 등의

    지원정책 발굴, 내국인과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차별적 지원 완화

    - 민간투자유치를 위한 협력 시스템 구축: 중앙정부, 한국관광공사(관광투자유

    치센터, 해외지사), KOTRA(Invest Korea, 해외 무역관), 지방정부 간 협

    력 체계 구축

    ○ 관광산업자금 육성: 민간 투자재원 활성화 지원, 민간주도형 사업방식 활성

    화, 관광진흥개발기금의 효율적 운용

    - 민간 투자재원 활성화 지원: 민간자본 직접투자(FDI),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

    동산투자회사(REITs), 자산유동화증권(ABS), 관광산업펀드 등 활성화 지원

    - 민간주도형 사업방식 활성화: 다양한 관광시설에 있어서 민간참여를 유도할

  • 수 있는 BOT, BTO, BTL 등을 검토하여 민간의 경영시스템 활용, 민간투

    자법 등 규정 완화

    - 관광진흥개발기금의 효율적 운용: 중소규모 관광사업체에 대한 지원 비중 확

    대, 관광진흥개발기금의 금리 및 상환기간 조정, 관광진흥개발기금을 활용한

    관광산업 참여방안 마련, 관광진흥개발기금 성과평가 강화

    라.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 고도화․전문화 유도

    ○ 신관광산업의 육성: 관광산업 진입규제 정비, 복․융합을 통한 관광산업의

    육성, 관광신산업 육성전략 수립, 중소형 관광혁신기업 모델 개발

    - 관광산업 진입규제 정비: 최종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피해를 예방하며 산

    업의 질적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관광산업 진입규제 정비

    - 복․융합을 통한 관광산업의 육성: 관광과 각 요소의 결합에 따라 복합 관광

    과 융합 관광을 구분하여 관광수요 창출을 위한 전략 체계 구축

    - 관광신산업 육성전략 수립: 중장기 신관광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관광산업

    을 세분화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

    - 중소형 관광혁신기업 모델 개발: 관광기업 평가제도 수립, 다양한 정책 개발,

    정책지표 수립, 생산성 중심의 기업구조 개선과 관광부문의 다양한 비즈니스

    창출 유도

    ○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인프라 조성: 지역관광산업 육성 전략 수

    립, 관광산업 인적자원개발 확대,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 개발, 관광산업 지식

    정보 네트워크 구축, 정보기술(IT)을 활용한 관광산업의 변화 유도

    - 지역관광산업 육성 전략수립: 매력있는 자원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여행업과 호텔업이 중심이 되는 산업공급망 육성

    을 위한 유치지원 전략 수립

    - 관광산업 인적자원개발 확대: 산업인력의 수급과 이에 따른 자격제도 정비,

    중․장기적 관광인적자원관리 전략계획 수립, 정보기술을 이용한 관광인적자

    원 교육 및 인증시스템(e-Learning) 도입, (가칭)관광전문가 자격제도 도

    입, 아시아 관광정책대학원 설립

    -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 개발: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 모형 개발, 산학연

  • 요 약 ⅺ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지원 제도 확대

    - 관광산업 지식정보 네트워크 구축: 인적네트워크, 시장정보네트워크, 기업네

    트워크, 산업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에 따른 관광산업 성과 지표 개발 및 모

    니터링을 통해 산업간 이해 증진

    - 정보기술(IT)을 활용한 관광산업의 변화 유도: 중장기적으로 관광산업 정보

    화 추진전략계획 수립, 관광정보기반의 관광수요 창출, 국제관광표준 선도,

    다양한 관광콘텐츠 지적자산 축적

    마.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인프라 개선

    ○ 관광정책을 담당하는 정책주체의 조직체계를 검토하여 통합적 관광정책 추

    진체계를 확립하며, 대통령주재 관광진흥확대회의, 관광정책심의위원회, 청와

    대 관광비서관 제도 등 범정부적 관광정책 추진체계 확보

    ○ 관광산업정책 추진의 전문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광정책 담당자

    대상 전문교육 훈련 확대, 관광공무원 전문직제 등을 도입하고, ‘(가칭)관광

    사업진흥법’ 등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법체계 정비

  • 목 차 ⅰ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제2절 연구 범위 및 수행 체계 ···················································································2

    1. 연구 범위 ········································································································2

    2. 연구 수행 체계 ·······························································································3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 ···························································································4

    제1절 국내외 관광동향 ·······························································································4

    1. 세계 관광동향 ·································································································4

    2. 한국 관광동향 ·································································································9

    제2절 관광산업 현황 ································································································13

    1. 관광산업의 중요성 ························································································13

    2. 업종별 현황 ··································································································15

    제3장 관광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28

    제1절 관광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개요 ····································································28

    1. 관광산업의 분류체계 ····················································································28

    2. 분석자료의 특성 ···························································································31

    제2절 분석방법 및 분석모형 설정 ···········································································31

    1. 관광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31

    2. 관광산업 부문별 성장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 분석 모형 ····························32

    제3절 관광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결과 ·················································35

    1. 산출액 기준 관광산업의 구조변화 및 성장기여도 분석 ······························35

    2. 부가가치액 기준 관광산업의 구조변화 및 성장기여도 분석 ·······················43

    3. 고용자수 기준 관광산업의 구조변화 및 성장기여도 분석 ···························51

    4. 분석결과 종합 및 시사점 ·············································································59

  • 제4장 관광산업정책 분석 ·························································································62

    제1절 관광산업정책 및 경쟁력 분석 ········································································62

    1. 관광산업정책 개념 및 의의 ··········································································62

    2. 관광산업 정책 변화 ······················································································70

    3. 국가간․산업간 경쟁력 평가 ········································································80

    제2절 관광산업정책의 성과와 한계 ·········································································86

    1. 관광산업정책의 성과 ····················································································86

    2. 관광산업정책의 한계 ····················································································91

    제5장 전문가 의견 조사 ····························································································99

    제1절 조사 개요 ·······································································································99

    제2절 조사 결과 ·······································································································99

    1. 관광정책 우선순위 ························································································99

    2. 관광정책 평가 ····························································································100

    3. 관광산업 정책 ····························································································104

    제6장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중기 발전방향 ·························································111

    제1절 관광산업 구조변화 전망 ··············································································111

    1. 관광산업 가치사슬의 변화 ·········································································111

    2. 업종별 변화전망 ·························································································113

    제2절 관광산업 발전의 경쟁력 요소 및 정책과제 설정 ········································118

    1.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경쟁력요소 검토 ·················································118

    2.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중기 정책과제 도출 ············································121

    제3절 관광산업발전을 위한 중기 정책과제 ···························································123

    1.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정책 기반 구축 ···············································123

    2. 국내 관광시장의 다양화 및 규모 확대 ······················································137

    3. 관광산업으로 투자확대를 통한 산업발전 여력 구축 ·································147

    4.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 고도화․전문화 유도 ························161

    5.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인프라 개선 ········································177

    제7장 결론 및 제언 ·······························································································188

    제1절 결론 ··············································································································188

    제2절 제언 ··············································································································190

    부록 ···························································································································200

  • 목 차 ⅲ

    표 차례

    〈표 Ⅱ-1〉국제관광객 현황 ··························································································5

    〈표 Ⅱ-2〉관광수입 현황 ·····························································································6

    〈표 Ⅱ-3〉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제관광객 수 현황 ·················································7

    〈표 Ⅱ-4〉아시아․태평양 지역 관광수입 현황 ··························································8

    〈표 Ⅱ-5〉연도별 외래방문객 입국 현황 ·····································································9

    〈표 Ⅱ-6〉관광수지 동향 ···························································································10

    〈표 Ⅱ-7〉1인당 수입․지출액 동향 ·········································································11

    〈표 Ⅱ-8〉국민국내관광 총량 추이 ···········································································12

    〈표 Ⅱ-9〉전세계 관광산업 성장 전망 ······································································13

    〈표 Ⅱ-10〉우리나라 관광산업 성장 전망 ································································14

    〈표 Ⅱ-11〉관광진흥법상 관광사업체 현황 ······························································15

    〈표 Ⅱ-12〉여행업 등록 현황 ···················································································16

    〈표 Ⅱ-13〉일반여행업체 실적 ··················································································17

    〈표 Ⅱ-14〉여행업체 종사자수 분포 특성 ································································18

    〈표 Ⅱ-15〉관광숙박업 현황 ·····················································································19

    〈표 Ⅱ-16〉지역별 관광호텔업 현황 ·········································································20

    〈표 Ⅱ-17〉2005년 지역별 관광호텔업 객실 이용율 ···············································21

    〈표 Ⅱ-18〉휴양콘도미니엄 등록 현황 ·····································································21

    〈표 Ⅱ-19〉숙박업체 종사자수 분포 특성 ································································22

    〈표 Ⅱ-20〉관광이용시설업 등록 현황 ·····································································23

    〈표 Ⅱ-21〉국제회의업 현황 ·····················································································24

    〈표 Ⅱ-22〉카지노업 현황 ·························································································25

    〈표 Ⅱ-23〉유원시설업 현황 ·····················································································26

    〈표 Ⅱ-24〉관광편의시설업 현황 ··············································································27

    〈표 Ⅲ-1〉관광산업 분류 ···························································································29

    〈표 Ⅲ-2〉산출액을 기준으로 본 산업구조 ·······························································36

    〈표 Ⅲ-3〉산출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1) ··················································39

    〈표 Ⅲ-4〉산출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2) ··················································40

    〈표 Ⅲ-5〉산출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3) ··················································41

  • 〈표 Ⅲ-6〉산출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4) ··················································42

    〈표 Ⅲ-7〉부가가치액을 기준으로 본 산업구조 ························································44

    〈표 Ⅲ-8〉부가가치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1) ···········································47

    〈표 Ⅲ-9〉부가가치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2) ···········································48

    〈표 Ⅲ-10〉부가가치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3) ·········································49

    〈표 Ⅲ-11〉부가가치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4) ·········································50

    〈표 Ⅲ-12〉고용자수를 기준으로 본 산업구조 ·························································52

    〈표 Ⅲ-13〉고용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1) ················································55

    〈표 Ⅲ-14〉고용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2) ················································56

    〈표 Ⅲ-15〉고용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3) ················································57

    〈표 Ⅲ-16〉고용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4) ················································58

    〈표 Ⅳ-1〉관광산업 정책의 유형 구분 ······································································62

    〈표 Ⅳ-2〉정책 수단의 분류에 따른 관광정책 주요 수단 ········································65

    〈표 Ⅳ-3〉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범정부적 대책 ···················································67

    〈표 Ⅳ-4〉연도별 관광정책 주요 내용 ······································································71

    〈표 Ⅳ-5〉관광산업 업종 개편 추이 ·········································································74

    〈표 Ⅳ-6〉관광산업 지원 및 규제 정책 ····································································76

    〈표 Ⅳ-7〉관광교육기관 현황 ····················································································78

    〈표 Ⅳ-8〉관광종사원 자격별 등록 현황 ··································································79

    〈표 Ⅳ-9〉산업별 부가가치 및 고용구성비 ·······························································80

    〈표 Ⅳ-10〉산업별 취업자 1인당 부가가치생산액 ····················································81

    〈표 Ⅳ-11〉서비스 부문별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생산성 비교 ·································82

    〈표 Ⅳ-12〉우리나라와 주요국의 서비스 부문별 생산성 증가율 ·····························83

    〈표 Ⅳ-13〉서비스 고용비중 및 세부 부문별 고용구조 ···········································84

    〈표 Ⅳ-14〉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추이 ··················································84

    〈표 Ⅳ-15〉한국-미국 여행사 상위 50위 생산성 비교 ············································85

    〈표 Ⅳ-16〉공공부문 관광관련 조직 현황 ································································87

    〈표 Ⅳ-17〉관광종사자 교육 실적 ············································································88

    〈표 Ⅳ-18〉관광호텔 종합부동산세 추정액 ······························································91

    〈표 Ⅳ-19〉관광호텔 부가가치세 감면 사례 ·····························································92

    〈표 Ⅳ-20〉무역경쟁력(RCA)지수 ···········································································93

    〈표 Ⅳ-21〉아시아 국가별 호텔요금 비교 ································································94

    〈표 Ⅳ-22〉서비스업 중 외국인력 도입업종 ·····························································94

  • 목 차 ⅴ

    〈표 Ⅳ-23〉호텔 및 외래관광객 추이 ·······································································95

    〈표 Ⅳ-24〉관광단지와 산업단지 혜택 비교 ·····························································96

    〈표 Ⅳ-25〉관광진흥 확대회의 주요 내용 ································································98

    〈표 Ⅴ-1〉관광정책 우선순위 평가 ·········································································100

    〈표 Ⅴ-2〉관광정책 평가 ·························································································103

    〈표 Ⅴ-3〉정보제공 시급성 평가 ············································································103

    〈표 Ⅴ-4〉관광산업 정책 평가 ················································································105

    〈표 Ⅴ-5〉관광산업 투자 여건 평가 ·······································································106

    〈표 Ⅴ-6〉관광산업 투자 재원 평가 ·······································································107

    〈표 Ⅴ-7〉관광산업 구조 평가 ················································································109

    〈표 Ⅴ-8〉인력 양성 평가 ·······················································································110

    〈표 Ⅵ-1〉아시아 국가별 호텔 가격 비교 ······························································113

    〈표 Ⅵ-2〉국가적 차원의 국제경쟁력 요소별 사례 ················································119

    〈표 Ⅵ-3〉관광산업 정책계획의 비전 및 목표 ·······················································125

    〈표 Ⅵ-4〉산업법내에서의 발전계획 관련 내용 ······················································127

    〈표 Ⅵ-5〉산업정보망 수록 산업정보 데이터베이스 ···············································131

    〈표 Ⅵ-6〉타산업법의 통계 및 지식정보시스템 구축관련 주요내용 ······················132

    〈표 Ⅵ-7〉조사 항목 분석 및 활용 방향(안) ·························································135

    〈표 Ⅵ-8〉타 산업법들의 산업통계 조사 관련 주요내용 ········································136

    〈표 Ⅵ-9〉2006년 외래관광객 입국자 국적별 순위 ···············································146

    〈표 Ⅵ-10〉관광산업 지원 및 육성 정책 계획 ·······················································151

    〈표 Ⅵ-11〉유사 개발사업 조세 및 부담금 감면 사항 비교 ··································152

    〈표 Ⅵ-12〉인센티브 제공 방안 예시 ·····································································153

    〈표 Ⅵ-13〉내국인 투자자 및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지원 비교 ···························154

    〈표 Ⅵ-14〉민간재원별 특성 ···················································································156

    〈표 Ⅵ-15〉관광산업 규제개혁 주요 내용 ······························································161

    〈표 Ⅵ-16〉기업별 고용구조 점유율 ·······································································169

    〈표 Ⅵ-17〉고용구조 점유율 ···················································································169

    〈표 Ⅵ-18〉관광 숙박시설 운영업 종사자규모별 현황 ···········································170

    〈표 Ⅵ-19〉각 부처별 관광자원개발사업 현황 ·······················································179

    〈표 Ⅵ-20〉산업법 조문비교 ···················································································186

    〈표 Ⅵ-21〉관광진흥법 분법시 법안 주요내용 ·······················································187

  • 그림 차례

    〔그림 Ⅰ-1〕연구 수행 체계 ······················································································3

    〔그림 Ⅱ-2〕우리나라 국제관광객 추이 ····································································10

    〔그림 Ⅱ-3〕1인당 수입․지출액 추이 ·····································································11

    〔그림 Ⅱ-4〕여행업 종사자 수 분포 특성 ·································································18

    〔그림 Ⅱ-5〕숙박업 종사자 수 분포 특성 ·································································22

    〔그림 Ⅳ-1〕산업정책의 목적 분류 ···········································································64

    〔그림 Ⅵ-1〕전통적 관광산업의 가치사슬 ······························································112

    〔그림 Ⅵ-2〕인터넷 시대 관광산업의 가치사슬 ······················································112

    〔그림 Ⅵ-3〕직접거래 증가에 따른 관광산업 가치사슬 변화 ·································114

    〔그림 Ⅵ-4〕유원시설업 사업체수 등록현황 ···························································117

    〔그림 Ⅵ-5〕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정책의 개념적 틀 ····································120

    〔그림 Ⅵ-6〕관광산업 중기 정책과제 도출 ·····························································122

    〔그림 Ⅵ-7〕한국․미국 도메스틱 시장의 월별 관광수요 ······································141

    〔그림 Ⅵ-8〕한국․미국 관광수요 계절성 비교분석 ···············································141

    〔그림 Ⅵ-9〕관광산업 투자유치 협력 네트워크(안) ···············································155

    〔그림 Ⅵ-10〕일본의 신산업창조 접근방법 ····························································167

  •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국가 및 세계경제의 총생산, 고용 등에서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

    하면서 서비스 경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서비스 산업 육성

    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경쟁력 강

    화,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방안이 제기되고 있고, 서비스 산업의 한 분야인 관광산

    업 역시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 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동시에 높은 고용창출효과를 지니는 산

    업으로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소득의 공간적 재분배와 낙후지역의 지역경제 활성화 및 정주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국가 균형발전의 우선적 수단으로서 간주되고 있다. 또한 남

    북 및 동북아 국가간 관광교류의 확대는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하고, 동북아 공동

    번영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 양극화

    극복을 통한 사회통합에 기여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시켜 국민의 행복을 증진

    시키는 산업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관광산업의 중요성은 세계각국에서 자국의 사정에 따라 내용을 일부 달리하고

    있으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산업으로서 정책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국

    제관광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 주변국들도

    관광산업의 전략적 육성에 대한 정책적 노력을 확대하고 있는 한편, 국제시장에서의

    관광경쟁력 제고를 통한 관광객 유치확대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1).

    한편, 관광수요적 측면에서 관광객들의 가치관 및 관광행태가 변화하면서 관광

    1) 중국의 경우 ‘2008 북경올림픽’과 ‘2010 상해 엑스포’ 개최를 계기로 관광산업의 육성 및 발전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은 ‘관광입국행동전략’, ‘신 Welcome Plan 21', '글로벌 관광전략’ 등의

    정책을 통해 외래관광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싱가포르 또한 대규모의 카지노 복합 리조트의 개발과

    의료 및 교육관광상품의 개발 등을 통해 관광산업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2

    객들의 관광요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관광산업 내부적으로 정보통신(IT)기술의 발달

    에 따라 관광산업 비즈니스 모델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비즈니스 환

    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미래 산업경쟁력을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자유무역협정체결 확대, 우루과이 라운드 등의 국제화․세계화의 진전이 관광산업에

    도 영향을 주어 국내경쟁을 넘어서 관광산업간 국제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관광산업은 외래관광객 유치의 성장률 둔화, 국민해외여행의 급증, 관

    광수지 적자심화, 관광산업의 투자위축, 관광인프라 부족, 관광사업체 혁신역량 부

    족, 가격경쟁력의 약화 등으로 관광산업 전반의 국제경쟁력이 악화되고 있음은 물론

    관광산업 발전의 위기상태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산업의 위기를 개선하고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

    해서 정부와 산업계는 관광객의 관광요구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관광산

    업 내부의 고도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그

    러나 앞서 언급한 관광산업의 중요성, 관광객의 선호변화, 관광산업 경쟁환경의 변

    화, 관광산업 내부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체계적․제도적

    기반은 아직도 많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향후 실질적인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안 및 세부정책부문을 중

    심으로 검토되고 추진되어온 관광정책을 개선하여 중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관광산업

    발전 비전과 목표, 세부 추진 전략들이 마련하고, 이에 기초한 발전정책이 추진되어

    야 함을 지적하며 본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객 및 시장의 요구, 관광산업의 공급능력, 정부의 지원정

    책을 효율적으로 고려하여 관광산업을 종합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관광산업 중기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광산업 정책의 성과와 과제 분석, 관광

    산업 성장에 대한 경제부문별 기여도 및 관광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국내외 관광산

    업 및 서비스 산업 육성정책 사례 분석을 통해 관광산업 정책 추진의 합리성 및 타

    당성 확보, 관광산업의 중장기적 발전전망에 기초한 합리적 산업정책 방향 도출 및

    정책 프로그램 개발을 세부 목표로 설정하였다.

  • 제1장 서론 3

    제2절 연구 범위 및 수행 체계

    1. 연구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1970년 이후부터 2005년까지의 관광산업 정책이다. 이시기 주

    요 관광산업 정책의 내용,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중기 관광산업의 발전 방

    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관광산업 성장요인 분석의 시간적 범위는 1985년부터

    2000년으로 설정하였다.

    2. 연구 수행 체계

    관광산업 중기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우선 기존 관광산업 정책에 대한

    문헌 검토를 실시한 후 2차 자료를 활용하여 관광산업의 성장요인을 분석하였다. 관

    광산업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한 후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관광산업정책의 기조와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그림 Ⅰ-1〕연구 수행 체계

    문헌 검토

    • 관광산업 현황 분석• 관광산업정책 분석

    관광산업 성장요인 분석

    • 관광산업 구조변화 분석• 관광산업 성장요인 분석

    전문가 의견 조사

    • 관광산업정책 평가

    중기 관광산업 발전 방향

    • 관광산업정책 기조• 관광산업정책 과제

  • 4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

    제1절 국내외 관광동향

    1. 세계 관광동향

    가. 전세계 동향

    1) 국제관광객 수

    세계관광기구(UNWTO)에 의하면 2005년 국제관광객 수는 2004년 대비 5.5% 증

    가한 8억 6백만명 규모이다. 2005년 국제관광객은 발리 폭탄 테러, 영국 폭탄 테러,

    동남아시아 지역의 쓰나미 및 조류독감, 유가 급등, 중동지역의 불확실한 국제정세

    변동 등에도 불구하고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05년 전세계 국제관광객의 54.8%가 방문한 유럽 지역이

    세계 최대 시장이다. 그러나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의 연평균 성장률은 2.2%로 상

    대적으로 낮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2005년 국제관광객의

    시장점유율은 19.3% 수준이다. 하지만 이 지역은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연평균 성

    장률(7.1%)을 보이면서 국제관광 시장규모를 확대하였으며, 특히 동북아 지역의 연

    평균 성장률(8.5%)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아메리카 지역은 국제 관광객수 성장세

    가 가장 낮은 지역이다. 2005년 국제 관광객수 점유율은 16.6%이나 2000년 이후 연

    평균 성장률은 0.8%로 정체상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북아메리카 지역은 2000년 이

    후 유일하게 국제관광객이 감소하고 있는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아프리카 지역의 국

    제관광객 수도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05년 시장점유율은 4.6%에 불

    과하지만 2000년 이후 연평균 5.4%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동지역은

    정치적 불안에도 불구하고 2000년 이후 연평균 10.1%의 매우 높은 국제관광객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비록 2005년 국제관광객 점유율은 4.8%에 불과하지만 향후 시

    장 확대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 5

    〈표 Ⅱ-1〉국제관광객 현황

    구분국제관광객(백만명) 2005년

    시장

    점유율

    연평균

    성장률

    (‘00-’05)1990년 1995년 2000년 2003년 2004년 2005년

    계 439 540 687 694 764 806 100.0 3.3

    유럽 265.6 315.0 395.8 407.1 424.4 441.5 54.8 2.2

    북유럽 31.6 40.1 45.8 45.8 49.6 52.9 6.6 2.9

    서유럽 108.6 112.2 139.7 136.1 139.0 142.7 17.7 0.4

    중앙․동유럽 31.5 60.0 69.6 78.5 86.3 87.9 10.9 4.8

    남유럽 93.9 102.7 140.8 146.8 149.5 158.0 19.6 2.3

    아시아․태평양 56.2 82.4 110.5 113.3 144.2 155.4 19.3 7.1

    동북아시아 26.4 41.3 58.3 61.7 79.4 87.6 10.9 8.5

    동남아시아 21.5 28.8 36.9 36.1 47.1 49.3 6.1 6.0

    오세아니아 5.2 8.1 9.2 9.0 10.1 10.5 1.3 2.6

    남아시아 3.2 4.2 6.1 6.4 7.6 8.0 1.0 5.7

    아메리카 92.8 109.0 128.1 113.1 125.7 133.5 16.6 0.8

    북아메리카 71.7 80.7 91.4 77.3 85.7 89.9 11.2 -0.3

    카리브지역 11.4 14.0 17.1 17.1 18.1 18.9 2.3 2.0

    중앙아메리카 1.9 2.6 4.3 4.9 5.7 6.5 0.8 8.5

    남아메리카 7.7 11.7 15.3 13.8 16.2 18.2 2.3 3.6

    아프리카 15.2 20.3 28.2 31.0 33.8 36.7 4.6 5.4

    북아프리카 8.4 7.3 10.2 11.1 12.8 13.7 1.7 6.0

    중남아프리카 6.8 13.0 17.9 19.9 21.1 23.0 2.9 5.1

    중동 9.6 13.7 24.2 29.5 36.3 39.1 4.8 10.1

    주: 2005년 자료는 추정치임

    자료 : UNWTO(2006), Tourism Highlights 2006 Edition

    2) 관광수입

    2005년 국제관광객들이 숙박, 식음, 교통, 오락, 쇼핑 등에 지출한 총 비용은 약

    680억 달러 규모이다. 전세계 국가 중 약 70개 국가가 2005년 국제관광으로 1억 달

    러 이상의 수입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05년 아프리카 지

    역의 관광수입 증가율(8.5%)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 다음으로 아시아․태

    평양 지역(4.3%), 아메리카 지역(3.8%)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지역의 2005년 관광수

  • 6

    입 증가율이 관광객 수 증가율보다 같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전반적으로

    여행경비 및 관광객의 지출액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 국제관광객들의 1인당 지출액을 살펴보면 아메리카 지역 국제관광객의

    1인당 지출액이 1,080달러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제관광객

    (890달러)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2005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아메리카

    지역은 관광객 수 시장점유율보다 관광수입 시장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반

    면 기타 지역들은 관광객 수 시장점유율이 관광수입 시장점유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Ⅱ-2〉관광수입 현황

    구분성장률(%) 2005년

    시장

    점유율

    관광수입(억$) 2005년

    1인당

    지출액($)03/02 04/03 05/04 2004년 2005년

    계 -1.7 9.3 3.3 100.0 633.0 680.0 840

    유럽 -1.5 3.2 2.4 51.2 328.5 348.2 790

    북유럽 -2.2 5.8 8.4 7.9 48.9 53.8 1,020

    서유럽 -3.3 1.8 1.5 17.9 117.6 121.9 850

    중앙․동유럽 -2.6 5.5 0.3 4.7 29.0 32.3 370

    남유럽 0.8 2.9 1.5 20.6 133.0 140.2 890

    아시아․태평양 -9.3 24.4 4.3 20.4 127.8 138.6 890

    동북아시아 -11.1 30.4 7.7 10.4 64.0 70.8 810

    동남아시아 -16.7 26.1 0.0 4.9 32.2 33.4 680

    오세아니아 0.6 8.3 0.5 3.6 22.9 24.5 2,330

    남아시아 17.9 20.6 5.7 1.4 8.7 9.8 1,220

    아메리카 -2.1 11.5 3.8 21.2 132.0 144.6 1,080

    북아메리카 -4.7 12.9 4.2 15.7 98.2 107.1 1,190

    카리브지역 5.8 3.9 1.9 3.0 19.2 20.4 1,080

    중앙아메리카 13.0 13.0 8.9 0.7 4.0 4.6 700

    남아메리카 5.0 13.6 2.3 1.8 10.6 12.5 690

    아프리카 24.2 6.9 8.5 3.2 19.2 21.5 590

    북아프리카 -0.3 13.4 14.5 1.0 6.1 7.0 510

    중남아프리카 38.0 4.0 5.7 2.1 13.1 14.5 630

    중동 20.6 11.3 1.5 4.0 25.5 27.6 710

    주: 2005년 자료는 추정치임

    자료 : UNWTO(2006), Tourism Highlights 2006 Edition

  •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 7

    나. 아시아․태평양 지역 동향

    1) 국제관광객 수

    2005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중 가장 많은 관광객을 유치한 국가는 중국

    (4,681만명)이며, 그 다음으로 말레이시아(1,643만명), 홍콩(1,477만명), 태국(1,157만

    명), 마카오(901만명) 등이 많은 관광객을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성장률

    측면에서는 라오스(65.1%), 캄보디아(34.7%) 등이 높은 성장률을 보인 반면 인도네시

    아(-6.0%), 태국(-1.4%) 등은 국제관광객이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표 Ⅱ-3〉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제관광객 수 현황

    (단위: 천명, %)

    구분관광객수 성장률 2005년

    시장 점유율2004년 2005년 04/03 05/04

    계 144,224 155,432 27.3 7.8 100.0

    호주 4,774 5,020 9.6 5.2 3.2

    캄보디아 1,055 1,422 50.5 34.7 0.9

    중국 41,761 46,809 26.7 12.1 30.1

    괌 1,157 1,228 27.2 6.1 0.8

    홍콩 13,655 14,773 41.1 8.2 9.5

    인도 3,457 3,915 26.8 13.2 2.5

    인도네시아 5,321 5,002 19.1 -6.0 3.2

    이란 1,659 - 7.3 - -

    일본 6,138 6,728 17.8 9.6 4.3

    한국 5,818 6,022 22.4 3.5 3.9

    라오스 407 672 107.7 65.1 0.4

    마카오 8,324 9,014 31.9 8.3 5.8

    말레이시아 15,703 16,431 48.5 4.6 10.6

    뉴질랜드 2,334 2,365 10.9 1.3 1.5

    필리핀 2,291 2,623 20.1 14.5 1.7

    싱가포르 6,553 7,080 39.3 8.0 4.6

    대만 2,950 3,378 31.2 14.5 2.2

    태국 11,737 11,567 16.4 -1.4 7.4

    베트남 2,928 3,468 20.6 18.4 2.2

    주: 2005년 자료는 추정치임

    자료 : UNWTO(2006), Tourism Highlights 2006 Edition

  • 8

    2) 관광수입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관광수입을 살펴보면 관광객 규모 순위와 유사

    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중국(21.1%), 말레이시아(6.2%),

    홍콩(7.4%), 태국(7.3%), 마카오(5.6%) 등의 관광수입 시장 점유율이 상위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이한 점은 관광객 시장 점유율은 낮지만 관광수입 시장 점유율이 높

    은 국가들이 있다. 호주는 관광객 시장점유율은 3.2%에 불과하지만 관광수입 시장점

    유율은 10.8%에 이르며, 일본도 관광객 시장 점유율은 4.3%이나 관광수입 시장 점

    유율은 9.0%에 이르고 있다.

    〈표 Ⅱ-4〉아시아․태평양 지역 관광수입 현황

    (단위: 백만$, %)

    구분관광수입 성장률 2005년

    시장 점유율2004년 2005년 04/03 05/04

    계 127,761 138,588 31.6 8.5 100.0

    호주 13,647 14,952 21.7 9.6 10.8

    캄보디아 603 840 55.0 39.3 0.6

    중국 25,739 29,296 47.9 13.8 21.1

    괌 - - - - -

    홍콩 8,999 10,286 26.1 14.3 7.4

    인도 6,121 7,356 37.1 20.2 5.3

    인도네시아 4,798 4,521 18.8 -5.8 3.3

    이란 1,074 - 4.0 - -

    일본 11,269 12,439 27.8 10.4 9.0

    한국 6,069 5,660 13.3 -6.7 4.1

    라오스 119 147 36.7 23.4 0.1

    마카오 7,479 7,757 45.1 3.7 5.6

    말레이시아 8,198 8,543 39.0 4.2 6.2

    뉴질랜드 4,790 4,865 20.3 1.6 3.5

    필리핀 2,017 2,130 30.6 5.6 1.5

    싱가포르 5,219 5,740 38.1 10.0 4.1

    대만 4,054 4,977 36.2 22.8 3.6

    태국 10,034 10,108 27.7 0.7 7.3

    주: 2005년 자료는 추정치임

    자료 : UNWTO(2006), Tourism Highlights 2006 Edition

  •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 9

    2. 한국 관광동향

    가. 출․입국 관광객 수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수는 1990년 약 300만명 규모에서 2005년

    약 600만명 규모로 배증하였다. 반면 같은 기간 내국인 출국자 수는 156만명에서

    1,008만명으로 약 6.5배 증가하였다. 외래객 입국 측면에서는 한국방문의 해, 2002

    한․일 월드컵 축구대회, 한류 등의 기회요인이 있었지만, 북한 핵실험 위기, 일본․

    중국과의 영유권․역사 분쟁, 원화 강세 등으로 그 효과가 상쇄되어 1990년 이후 연

    평균 4.9%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내국인 출국자 수는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 조

    치 이후 국민소득 및 여가시간 증가, 원화 강세 등에 힘입어 연평균 13.2%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표 Ⅱ-5〉연도별 외래방문객 입국 현황

    (단위: 명, %)

    구분외래객 입국 내국인 출국

    관광객 수 증감율 관광객 수 증감율

    1990년 2,958,839 8.5 1,560,923 28.7

    1991년 3,196,340 8.0 1,856,018 18.9

    1992년 3,231,081 1.1 2,043,299 10.1

    1993년 3,331,226 3.1 2,419,930 18.4

    1994년 3,580,024 7.5 3,154,326 30.3

    1995년 3,753,197 4.8 3,818,740 21.1

    1996년 3,683,779 -1.8 4,649,251 21.7

    1997년 3,908,140 6.1 4,542,159 -2.3

    1998년 4,250,216 8.8 3,066,926 -32.5

    1999년 4,659,785 9.6 4,341,546 41.6

    2000년 5,321,792 14.2 5,508,242 26.9

    2001년 5,147,204 -3.3 6,084,476 10.5

    2002년 5,347,468 3.9 7,123,407 17.1

    2003년 4,752,762 -11.1 7,086,133 -0.5

    2004년 5,818,138 22.4 8,825,585 24.5

    2005년 6,022,752 3.5 10,080,143 14.2

    자료 : 한국관광공사(각년도), 한국관광통계

  • 10

    〔그림 Ⅱ-2〕우리나라 국제관광객 추이

    6,023

    5,322

    3,7532,959

    10,080

    5,508

    3,819

    1,561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990 1995 2000 2005

    (단위: 천명)

    외래객 입국자 수

    내국인 출국자 수

    나. 관광 수지

    2000년 637백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던 관광수지는 2001년 적자로 전환된 이

    후 적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에는 6,232백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기

    에 이르렀다.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에 입국하여 지출하는 관광수입의 총 규모는

    2000년 6,811백만 달러에서 2005년 5,793백만 달러로 감소하였다. 반면 내국인이 해

    외여행시 지출하는 관광지출액은 2000년 6,174백만 달러에서 2005년 12,025백만 달

    러로 배증함으로써 관광수지 적자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표 Ⅱ-6〉관광수지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관광수입 관광지출 관광수지

    수입액 증감율 지출액 증감율 수지 증감율

    2000년 6,811 0.1 6,174 55.3 637 -77.5

    2001년 6,373 -6.4 6,547 6.0 -174 -127.3

    2002년 5,919 -7.1 9,038 38.0 -3,119 -1,694.6

    2003년 5,343 -9.7 8,248 -8.7 -2,905 6.9

    2004년 6,053 13.3 9,856 19.5 -3,803 -30.9

    2005년 5,793 -6.7 12,025 22.0 -6,232 -63.9

    자료: 한국관광공사(2006), 한국관광통계

  •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 11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2005년 외래객 입국자 수는 600만명이나 내국인 출국자

    수는 1,000만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1인당 평균 지출액도 외래객 입국자보다 내국

    인 출국자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2001년까지는 외래객 입국자의 1인당 평균 지출액

    이 컸으나 2002년 역전된 이후 내국인 출국자의 1인당 지출액은 일정수준을 유지하

    고 있으나 외래객 입국자의 1인당 지출액은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음에 따

    라 관광수지 적자 규모를 증대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표 Ⅱ-7〉1인당 수입․지출액 동향

    (단위: 달러, %)

    구분1인당 관광수입 1인당 관광지출

    수입액 증감율 지출액 증감율

    2000년 1,282 -12.3 1,175 22.4

    2001년 1,241 -3.2 1,127 -4.1

    2002년 1,110 -10.6 1,333 18.3

    2003년 1,129 1.7 1,224 -8.2

    2004년 1,045 -7.4 1,169 -4.5

    2005년 968 -7.4 1,247 6.7

    자료: 한국관광공사(2006), 한국관광통계

    〔그림 Ⅱ-3〕1인당 수입․지출액 추이

    968

    1,0451,1291,110

    1,2411,282 1,2471,169

    1,224

    1,333

    1,1271,175

    -

    700

    1,400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1인당

    수입액

    1인당

    지출액

    (단위: $)

  • 12

    다. 국민국내관광

    우리나라 국민들의 국내여행 규모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한국관광공사

    가 실시하고 있는 ‘국민여행실태조사’에 의하면 국민국내관광 이동총량은 1999년

    272,607천인․일에서 2005년 388,837천인․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여행 참가자 수의 경우 숙박여행 참가자의 증가율이 당일여행 참가자 증가

    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2004년 7월부터 단계적인 주40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면

    서 국내여행의 패턴도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여행 참가횟수는 숙박여

    행이 당일여행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국내여행 중 지출하는 여행경비의

    경우 당일여행은 약 4만원 정도인 반면 숙박여행은 약 10만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

    났다. 향후 주40시간 근무제의 확대 실시, 국민소득의 지속적 증가, 여가 중심 가치

    관의 보편화, 다양한 관광개발 사업 추진 등에 힘입어 국민국내관광 총량은 지속적

    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표 Ⅱ-8〉국민국내관광 총량 추이

    항목 단위1999년 2001년 2004년 2005년

    총량 총량 증감율 총량 증감율 총량 증감율

    참가자

    국내여행 천인 33,015 36,324 10.0% 37,135 2.2% 36,889 -0.7%

    숙박여행 천인 22,909 26,670 16.4% 31,708 18.9% 31,256 -1.4%

    당일여행 천인 27,836 32,267 15.9% 29,770 -7.7% 30,004 0.8%

    참가

    횟수

    국내여행 천인․회 183,057 227,259 24.1% 227,537 0.1% 257,790 13.3%

    숙박여행 천인․회 48,551 55,970 15.3% 102,721 83.5% 109,140 6.2%

    당일여행 천인․회 134,505 171,289 27.3% 124,816 -27.1% 148,650 19.1%

    총비용

    국내여행 억원 88,022 124,913 41.9% 142,082 13.7% 145,111 2.1%

    숙박여행 억원 46,469 67,945 46.2% 101,739 49.7% 103,478 1.7%

    당일여행 억원 41,556 56,969 37.1% 40,343 -29.2% 41,633 3.2%

    이동

    총량

    (참가일수)

    국내여행 천인․일 272,607 327,929 20.3% 358,943 9.5% 388,837 8.3%

    숙박여행 천인․일 138,102 156,639 13.4% 234,127 49.5% 240,187 2.6%

    당일여행 천인․일 134,505 171,289 27.3% 124,816 -27.1% 148,650 19.1%

    자료: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www.knto.or.kr)

  •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 13

    제2절 관광산업 현황

    1. 관광산업의 중요성

    전세계적으로 관광산업은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닌 미래 유망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WTTC(World Travel & Tourism Council)는 2006년 관광경제의 규모가 전세

    계 경제의 10.3%, 전세계 고용의 8.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10년 후인 2016

    년까지 관광과 관련된 경제활동으로 창출되는 GDP는 연평균 3.7% 증가하여 전세계

    경제 GDP의 10.9%를 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관광경제 고용자 수는 연평균 1.8%

    증가하여 2016년에는 전세계 고용자의 9.0%가 관광관련 산업에 종사할 것으로 전망

    하였다. 관광산업은 이러한 경제적 기여뿐만 아니라 정치․사회․문화․환경 등 다

    양한 분야에 기여를 하고 있다. 인적교류를 전제로 하는 관광활동은 다른 나라와 문

    화에 대한 이해 및 친밀도를 제고시켜 세계 평화에 기여한다. 또한 생태관광, 지속

    가능한 관광 등의 이념을 구현하면서 자원의 보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표 Ⅱ-9〉전세계 관광산업 성장 전망

    (단위: 10억 $, 천명, %)

    구분2006년 2016년

    추정값 총경제 점유비 성장률 전망값 총경제 점유비 성장률*

    개인 관광소비 2,844.7 9.5 3.7 4,916.3 9.8 3.4

    상용 관광소비 672.5 - 5.9 1,190.3 - 3.6

    정부 지출 300.2 3.8 2.2 480.9 4.0 2.6

    자본 투자 1,010.7 9.3 4.9 2,059.8 9.6 4.6

    관광 수출 895.8 6.4 6.5 1,753.8 5.5 4.9

    기타 수출 750.4 5.4 5.0 1,714.6 5.4 6.5

    관광 수요 6,477.2 - 4.6 12,118.6 - 4.2

    관광산업 GDP 1,754.5 3.6 4.4 2,969.4 3.6 3.2

    관광경제 GDP 4,963.8 10.3 4.8 8,971.6 10.9 3.7

    관광산업 고용 76,728.7 2.8 3.4 89,484.5 2.9 1.6

    관광경제 고용 234,304.5 8.7 4.4 279,346.7 9.0 1.8

    주 : *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을 의미함

    자료: WTTC(2006), The 2006 Travel & Tourism Economic Research

  • 14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경제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관광산업은 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과 외화획득에 대한 기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한국은행, 2002).

    관광지출 최종수요 1단위가 증가했을 때 전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생산

    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를 의미하는 부가가치유발계수2)는 0.855로 전산업 평균(0.787)

    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광산업은 고용 없는 성장시대의 고용창출 대

    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관광산업의 취업유발계수3)는 52.1명으로 전산업 평균(25.4명)

    의 2배 이상으로 고용창출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관광

    산업의 외화가득률4)은 88%로 자동차(71%), 휴대전화(52%), 반도체(43%)보다 높아

    외화획득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WTTC(2006)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관광관련 산업활동으로 인해 창출되는 GDP

    의 비중은 2006년 6.8%에서 2016년 7.0% 수준으로 증가하고, 관광관련 산업활동에

    종사하는 고용자는 2016년 전체 고용자의 7.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표 Ⅱ-10〉우리나라 관광산업 성장 전망

    (단위: 조원, 천명, %)

    구분2006년 2016년

    추정값 총경제 점유비 성장률 전망값 총경제 점유비 성장률*

    개인 관광소비 30.4 6.7 6.2 69.2 7.3 5.8

    상용 관광소비 10.5 - 15.0 22.8 - 5.4

    정부 지출 3.0 2.5 4.3 5.7 2.6 3.9

    자본 투자 21.6 8.4 1.7 46.4 9.7 5.2

    관광 수출 9.6 2.4 8.3 20.2 1.7 5.0

    기타 수출 17.3 4.4 4.0 49.3 4.2 8.2

    관광 수요 92.5 - 5.8 213.7 - 6.0

    관광산업 GDP 12.8 1.5 8.4 24.6 1.4 4.1

    관광경제 GDP 59.7 6.8 4.9 125.3 7.0 5.0

    관광산업 고용 476.8 2.1 5.0 504.6 1.9 0.6

    관광경제 고용 1,731.0 7.4 2.4 1,957.9 7.5 1.2

    주 : *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을 의미함

    자료: WTTC(2006), The 2006 Travel & Tourism Economic Research

    2) 부가가치유발계수 : 최종수요 항목별 부가가치유발액 / 부가가치총액

    3) 취업유발계수 : 관광지출 10억원 당 유발되는 취업자 수

    4) 외화가득률 : 외화가득액(=상품수출가액-수입원자재 가액) / 상품수출가액

  • 제2장 관광산업 현황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