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권미량 ** · 김민정 *** · 이숙희 ****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의 출발과 역사의 변화 가운데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실천과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한 연구와 논의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문헌고찰을 중 심으로 하여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현황을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한국 유아교육의 출발 유아 발달의 이해 유아교육기관 실천 현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세계 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쟁점으로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논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철학적 사유 교사와 부모에 대한 논의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 실천의 한 계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의 역사와 현황 가운데 기 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천의 방향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리가 기대해본다 주제어 기독교세계관 현황 쟁점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이 논문은 고신대학교 자유공모과제 연구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교신저자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 원장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4호 , 43 - 70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권미량** · 김민정*** · 이숙희****

요 약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의 출발과 역사의 변화 가운데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실천과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한 연구와 논의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문헌고찰을 중

심으로 하여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현황을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한국 유아교육의

출발, 영·유아 발달의 이해, 유아교육기관 실천 현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세계

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쟁점으로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논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철학적 사유, 교사와 부모에 대한 논의,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 실천의 한

계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의 역사와 현황 가운데 기

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천의 방향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리가 기대해본다.

주제어 기독교세계관(Christian worldview)

현황(status)

쟁점(issues)

※ 논문접수 : 2016. 10. 31 / 수정본 접수 : 2016. 12. 06 / 게재승인 : 2016. 12. 13* 이 논문은 2016 고신대학교 자유공모과제 연구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 원장

Page 2: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4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Ⅰ. 서 론

국가나 사회의 유아교육의 변화에 대한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변화와 현황의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국의 유아교육의 역사적 변화와 현황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기독

교적 영향과 의미는 중요한 논의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유아교육의 형식

적 기관은 서당으로서 박래봉(1974)은 서당에 다니는 대상에는 한국의 관례상 나이로 7세가

35%, 8세가 23%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이는 현행 만5세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

으며, 이는 전통사회에서 유아교육과 같은 가정과 서당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일본의 한국에 대한 강점( 占)의 역사가 시작되면서 일본식 교육에 대한 항거로 선교

적 목적의 교육사업이 봉사와 계몽의 의미를 가지고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이와 연계하여 근

대적 개념의 유치원의 설립의 역사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교육은 1884년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송된 의료선교사

Allen과 1885년 목사로서 장로교 최초의 선교사로 평가되는 Underwood의 교육사업에 대한

실천(서정민, 2016; 이정미, 2005)으로 시작되었고, 그 실천적 일환으로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

과 실천이 이어졌다. 우리나라 유치원의 역사에서 친일을 표방하지 않은 최초의 유치원으로

는 1914년에 선교사 Brown Lee에 의해 설립된 ‘이화유치원’으로 일반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만(이상금, 1991), 이윤진(2006)은 1903년 평양에서 이루어졌던 유치원 설립의 흔적이나 평양

4개 교회 내의 유치원 운영이 근대적 개념의 유아교육의 실천이라는 면에서 이를 첫 출발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처럼 한국의 근대 유치원의 시작이 기독교 교육의 일환으로

시작되었고 그 실천적 확대의 중심에도 기독교의 영향력이 컸음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우리나라 유치원 설립을 보면 1971년 전체 유치원 512개소 중 기독교 설립 유치원이 225개이

었는데 이는 천주교 118개, 불교 12개와 비교해 볼 때(문교통계연보, 1971), 기독교의 초기 유

치원의 영향력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근대적 유아교육에 영향을 미친 초기 유치원은 사회적 계몽과 봉사를 포함한 기독

교 유아교육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고,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 현행 유아교육의 변천의 역

사를 살펴보고 현행 유아교육의 문제와 과제를 진단하는 것은 유아교육의 변화를 위한 선행

과제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 유아교육 역사에 영향을 미친 기독교적 유아교육은 무

엇이며, 어떠한 논의와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기독교 유아교육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면, 기독교 교육은 복음에로의 교육이 아니라 복음으로부터의 교육으로(오인탁, 1990)

접근되어야 하는데 정희영(2000)은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가진 교사가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

Page 3: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45

하는 교육으로 유아들에게 하나님에 대해 알고 경험하게 해주며, 생활과 자연세계의 주체가

하나님임을 알고, 하나님이 주신 재능과 소질을 발견하여 계발함으로써 하나님과 이웃을 섬

기며 자연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Barber(1983)는 기독교 유

아교육이란 유아기의 발달수준에 맞도록 종교적 태도를 갖도록 전인격적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즉 유아들의 본성 속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고 나아가

기독교적 문화에 기초하여 전인격적 지원이 요구되는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박신경, 2008).

기독교 세계관은 그리스도인이 가진 세계관을 뜻하는 것으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

교육은 기독교 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유아교육과정이 기독교적인 성

경에 기초로 하여, 유아들이 성경적 세계관을 따라 살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유아교육과

정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세계관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기독교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이천

영, 2005; 최윤정, 2006; 황혜란, 2004), 유아교육기관에 관한 연구(김지은, 2015; 도미화, 2014;

양주혜, 2015; 이정미, 2005), 유아교육과정에 관련된 연구(김소희 2014; 문순애, 2010; 신춘화,

2008; 최병기, 2005), 유아교육기관 관련자에 관한 연구(김윤희, 2009; 김지수, 2013; 마현아,

2008; 장옥경, 2013; 한승종, 2016)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

한 실천적 모색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는 기독교 유아교육의

역사적 배경에 기초하여 한국 유아교육의 미래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영유아의 발달,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과제를 함께 논의할 종합적 논의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며,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교회 중심의 기독교교육과정의 연구들이 대부분으로 일반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향을 제시한 부분들은 미흡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은 기

독교 유아교육의 기초이며, 기독교 유아교육이란 일반적인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기독교적 요

소를 단순히 가미하고, 어떤 프로그램이나 내용만을 기독교적인 교육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유아교육의 장에 관계되어지는 모든 요소들과 행위들이 성경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조직되고 추진되어 질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황혜란, 2004). 이러한 면에서 본다면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은 현행 한국 유아교육의 실천이라는 맥락에서 생명에 대한 이해,

영유아에 대한 이해, 실천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야 하나 이에 대한 실천은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 유치원 역사 가운데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초기 유치원의 운영과 실천이 선

교, 봉사 및 계몽, 독립운동의 거점적 역할 등의 의미를 가진다는 평가(이상금, 1991)와 더불

어 초기 유치원이 재정 충원을 위해 이루어졌던 학예회나 음악회의 모금적 차원의 접근(이상

금, 1991; 이윤진, 2006)은 유치원의 행사 위주 접근의 모태가 되었다는 비판 앞에서 자유로울

Page 4: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4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수 없다. 뿐만 아니라 1970년 이후 유아교육 전문 인력이 양성되기 시작하면서 유아교육기관

수의 증가와 더불어 전문적이고 내실 있는 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노력이 나타났지만 일반적

인 교육기관 속에서 기독교유아교육의 정체성을 찾기는 쉽지 않다(조정아, 2003).

2007개정유치원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08)에서부터 현행 누리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3)

에 이르기까지 생명존중을 중시하는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유아의 생활 중심

의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도 단지 단편

적 접근이 아니라 생명과 삶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여 거시적 연구가 필요하다. 창조, 타락, 구

속을 통해 규명된 기독교 세계관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유아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고 생각, 행동하여 자신의 삶 가운데 기독교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김정화,

2016; 양주혜, 2015)는 면에서 구체적 현행 교육과 연구의 문제점과 쟁점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현행 유아교육의 문제와 논의를 살피기 위해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현행

유아교육이 어떠한 현황에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더불어 쟁점을 분석하여 추후의 방

향을 수립하는 실천적 과제가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을 근거로 제시된 문헌을 토대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

아교육의 현황을 한국의 유아교육 역사적 변화에서 위치와 발달적 접근과 더불어 기독교 유

아교육기관 운영의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

육의 쟁점을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논란의 방향과 실천적 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

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기독교 세계관의 기초한 유아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구성하게 될

우리나라 유아교육 변천과정, 발달심리학, 연구현장에 관한 고찰을 통해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해 연구하려고 한다. 이러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기독교 유아

교육에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국내외 관련 저서, 연구논문, 정기간행물 등이며 이들 자료들

을 문헌 고찰하여 그 이론에 기초해서 기독교 정신을 토대로 한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을 분

석 정리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국회 도서관 및 학술지 정보시스템에서 ‘기독교’, ‘기독교 세계

관’,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키워드로 국내연구물 약 50편과 국외 연구물 약 5편 정도의 자

료로 1차 분류작업을 거친 후 최종 국내 연구물 30편과 국외 연구물 4편 자료를 최종 선정하

였다. 분석의 절차는 선행연구 최윤정(2006), 황혜란(2004)의 연구절차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천이 현행 한국 유아교육에 어

떠한 자리에 있으며, 추후 어떠한 실천적 과제로 이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기대한다.

Page 5: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47

Ⅱ.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현황

1.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한국 유아교육의 출발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중심에는 Comenius나 Fröbel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있어왔다(이경영, 2005; 이상욱, 1995). Comenius(1657/1995)는 인간

의 생명을 영원을 위한 준비로 보고, 자기 자신과 세계의 모든 것을 알고 자기 자신을 다스리

며 나아가 하나님을 향하여 자신을 나아가게 하는 준비가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준

비는 지식, 덕성, 신앙의 씨앗이 기도, 교육, 행함으로 습득되는 과정에서의 교육적 의미를 가

진다. 유아교육 사상가로서 유치원(Kindergarten)의 창시자로 불리고 있는 Fröbel의 경우도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신, 인간, 자연의 통합을 목표로 하는 유아교육의 자리를 정립하였

고, 이는 우리나라 초기 유치원의 교육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했음은 분명하다(이상금,

1991).

우리나라 기독교교육은 1884년 미국의 의료선교사인 Allen과 1885년 미국 장로교 선교사

인 Underwood가 들어온 선교의 목적으로 교육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Underwood는 정신

학교를, Appenzeller는 배재학당을 설립하게 되었다(황혜란, 2004). 이러한 선교를 기초로 한

교육사업은 선교와 항일적 성격을 가지고 기독교 계열 학교를 통한 신식 학문의 확대로 이어

지게 되었다.

선교활동의 일환으로 매일학교(Day School)가 한국 유아교육의 모습으로 이루어지게 되었

는데, Underwood(1908/2000)는 한국에서 개신교를 전파하고자 하는 사명으로 1886년에 고아

들을 모아 한문, 성경, 영어 등을 평일에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것이 “예수학교”로 불러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매일학교는 초기에는 신도들에 의해 확대되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배

제학당과 이화학당의 설립으로 교육선교의 기반이 잡히고 각 곳에 예배처인 교회가 형성되

던 1890년부터는 각 개체 교회에 매일학교(Day School)를 세워 배제와 이화학당의 예비학교

로써 초등 교육기관과 선교의 전초기지로 삼게 되었다(최윤정, 2006). 노종해(1986)는 이러한

선교적 목적의 교육운동이 1894년 동학란과 청일전쟁을 통해 민족을 자각시키는 애국계몽운

동의 형태인 교육운동으로 확산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렇듯 매일학교가 활발한 활동을 통해 입지를 굳히게 되었으나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사

립학교 교육령에 의해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기관으로 지목받아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받

게 되었으며(최윤정, 2006),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후에는 선교부에서 지원하고 경영하는

Page 6: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4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매일학교의 유지는 초기 유치원이나

초등교육으로 발전되는 기반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형순(1987)은 어린이 선교원은 회당

교육과 주일학교 운동, 선교활동 초기의 매일학교에서 근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주일 교회학

교를 평일까지 연장하여 매일 실시하는 교육의 형태로서 주간 교회학교의 성격을 가지고 있

다고 하였다. 선교원은 1986년 우리나라 이강무 목사가 성경과 신앙에 입각한 기독교 조기

선교기관으로 시작되었고, 이러한 어린이 선교원 설립의 근원이 우리나라 초기의 매일학교에

서 시작되었으며(신영식, 1983), 선교원이 현 유치원의 형태와 모습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기 유치원의 주요 목적은 복음전도와 교육을 통한 계명이나 봉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

는데 1930년부터 한국 감리교단 전국 유치원 책임자로서 복음전도, 유치원교육, 어머니교육

을 한 Howard에 대한 연구(김윤자, 2016)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선교원의 경

우도 기독교철학과 전통주의 신학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의 영혼구원에 목적을 두고 있었기

에 교육내용은 성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예배, 음악, 작업, 담화, 손유희 등의 교육활동

이 수반되는 것은 모두 성서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매개체로 작용(이강무, 1973)하였다. 어

린이 선교원이 다른 기관들과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것이 바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성서를 중심으로 교육활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교적 목적의 유아교육적 실천은

개신교의 선교와 교육적 의미를 가진 유치원 설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1914년 설

립된 ‘이화유치원을 한국인 최초의 유치원으로 보고 있지만(이상금, 1991), 이윤진(2006)은

1903년 평양의 유치원 등이 교회 내에 유치원을 운영했다는 증거들을 제시하며 이화유치원

이전에 이미 한반도에 친일을 표방하지 않은 한국인 유치원이 있었으며, 이러한 시기부터 유

치원의 시작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렇듯 최초의 유치원과 한국의 초기 유아교육 역사에 대한 논란들은 여전히 있으나 초기

유치원의 설립배경은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선교와 계몽이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2.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영유아 발달의 연구동향

기독교의 유아교육의 영향은 유치원 뿐 아니라 선교원, 보육기관과 더불어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정체성은 최근 줄어가고 있으며, 그 기저에는 유아교육에 대한 도구적 접근이 아니라

근본적 유아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발달과 교육의 이해가 부족했음이 지적되고 있

다(김성수, 1996; 김성원, 2012; Chadwich, 1982). 한편 교육의 중심에는 교육을 받아야 하는

교육의 대상을 이해하는 것이 교육의 방향, 목표, 내용, 방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

Page 7: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49

게 되는데(김지은, 2015), Issler(2004)는 유아는 하나님과 진실된 관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을 가진 존재이지만 하나님께서 독특하게 고안하신 독특한 발달적 특성을 그들만이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Barrett, Richert와 Driesenga(2001)는 영·유아기에 형성된 신앙심의 기초는

한 개인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유아기 신앙교육의 중요

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유아기 신앙발달의 특성에 대해 유아기는 미분화적 사고기이며

탐구심, 호기심이 강하고 양심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

과 심리적 이해를 통한 기독교 교육이 요구되는 중요한 시기라고 언급하고 있다(Folwer,

1981/1987).

그러나 한국의 기독교 유아교육의 이론과 방법에 있어서 발달심리학적 접근은 미비한 것

이 사실이며 영유아의 종교성 발달에 대한 연구도 드물다. 최근 2016년과 2015년 사이 이루

어진 기독교 유아교육의 연구는 기독교 유아교육의 교육과정 개발과 논의 관련 연구(김지은,

2015; 문정주, 2016; 양주혜, 2015; 이영희, 2016)나 성경동화, 소셜미디어, 성화감상활동, 미술

교육, 성경동화나 이야기, 그림책, 수학 등의 특정 교과나 활동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 접

근에 대한 연구(김예리, 2015; 노경순, 2015; 럭치미, 2015; 박새봄, 2015; 송미애, 2015; 이연

림, 2016; 홍윤주, 2015)가 주로 나타나고 있다. 유아교육에 대한 발달에 대한 논의는 유아영

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요했지만 최근에는 이마저도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

영희(2016)는 기독교 유아영성교육이 2002년도에 처음 이루어져 2011년과 2012년에 가장 활

발하다가 급격히 줄어 현행 학술논문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을 분석하였다. 권미량, 계영희

(2015)는 신의 개념의 표상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이 기독교 유아교육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발달관에 대한 선행연구

와 이해는 몇 가지 관점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유아기 신앙교육의 인지적 불가능에 대한 논의에 집중한 연구가 있다. Piaget(1929)

는 유아가 세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공성(artificialisim)’을 제시하면서 자연세

계를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인식함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신인동형론의 측면

에서 유아기는 신의 개념을 인간이라는 표상과 동일하게 형성한다는 인식이며 유아기 신 개

념 형성의 한계는 유아의 인지적 미성숙이라는 관점에서 인식의 한계가 있음을 주장해 왔다.

양금희(2011)는 Goldman이 영유아가 종교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얼마나 불가능한 것인지를

설명하는 근거를 제시했다고 하였고, Goldman의 유아의 종교적 사고의 특성을 변환적, 비조

직적이고 단편적, 자기중심적, 단순하고 비종합적 특성으로 정리한 바 있다. Goldman(1964)

의 연구에서는 유아기에서 청년기에 이르는 종교적 사고의 발달을 제시하면서 유아기는 종

교적 사고의 미성숙의 특성으로 인하여 신앙교육이 놀이와 창조적 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한

Page 8: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5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다고 하였다.

나아가 Folwer(1981/1987)의 경우는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바탕으로 신앙발달

의 이론을 정립하면서, “신앙”의 개념을 모든 인간이 지니고 있는 보편적 관심이자 근본적인

요소라고 보고, 신앙은 각 개인이 그들 주변에 있는 존재와 맺게 되는 신뢰와 충실성의 형태

를 규정하는 ‘내적 구조’로서 관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정희영(2000)에 따르면,

영아기에는 부모에게 신뢰감을 느낄 수 있는 영아는 타인에 대해 신뢰감을 가질 수 있게 되

고 이 기본적인 신뢰감은 종교적인 차원에서의 신뢰로 심화되어질 수 있으며, 유아기는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을 알려주되 사랑과 용납의 자세로 유아를 수용해 줄 때 유아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며 자율적으로 행동 할 수 있게 된다. 즉, 부모에 대

한 긍정적인 성취의 동일시를 경험하게 되면 유아는 적극성을 받게 되나 반대가 될 경우는

죄책감을 얻게 되며, 이 시기의 옳고 그른 것에 대한 도덕적 판단은 구원이라는 내적 경험을

쉽게 이루게 되기도 한다(이천영, 2005).

Goldman(1964)와 Fowler(1981/1987)의 영유아기 종교성에 대한 이해는 영유아기 사고의

특성과 심리사회적 연관성을 제시하면서 영유아기 종교성의 미성숙과 특성으로 인해 아동기

나 청소년기 등과 다른 양상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확실히 하고 있다. 영유아기 종교적 이해

의 한계에 대한 주장은 영유아기 종교성 발달은 제한적이지만 가정이나 놀이를 통한 기초적

영향력들은 제시하고 있다.

둘째, 생애 초기의 영아기 신 개념의 대한 이해를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관계이론’의 접근

이 있으며, 이 이론은 부모와 가정의 맥락에서 신앙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Rizzuto(1979)는 어머니와의 최초 경험이 가지는 ‘어머니 이미지’와 ‘기대하는 이상화된 어머

니 원상’이 신 개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양육자와의 관계성은 신

개념을 형성하는데 주요한 영역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가정과 돌봄의 중요성은 신

앙교육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관계이론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도 한국

유아들에 대한 현상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아동기에 대한 논의나 상담에

서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김은정, 2015; 박세라, 2015).

셋째로, 신앙교육에 대한 직접적 가능성을 제안하는 이론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신인동형론

적 이해에 반대하는 ‘준비가설(preparedness hypothesis)’의 등장은 새로운 영유아기 종교적

이해에 대한 논란을 촉발하고 있다. 준비가설은 하나님을 표상하는데 관련된 근원적 개념구

조를 인간이라는 대상을 이해하는 것과는 독립적 장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Petrovich(1977)

는 평균나이 4.3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물, 동물, 하늘, 땅, 큰 바위 등의 첫 기

원이 하나님이라고 인식함을 보고 한 바 있고, Petrovich(1999)의 연구에서는 평균나이 4.4세

Page 9: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51

의 유아가 자연물과 인공물을 대조하였을 때 사람이 만들 수 있는 물건과 아닌 것을 90% 이

상 맞출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Evan(2001)의 연구에서는 5세-8세의 유아가

자연세계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진화론자나 인공주의자들보다 창조주의자의 설명을

더 선호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Barrett, Richert와 Driesenga(2001)의 크래커 상자 실험은 준비가설에 대한 뒷받침을 하는

의미 있는 연구를 제시하게 된다. 돌이 들어 있는 크래커 박스를 제시하고 안에 무엇이 들었

냐는 질문에 5세와 6세의 유아들이 자신과 엄마는 크래커가 들어있다고 생각하게 되지만 하

나님은 돌이 있다는 것을 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구결과는 인간과 하나님의 능

력을 구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후 Barrett & Richert(2003)의 연구에서는 평균나이 4

년 11개월의 유아가 시각, 청각, 후각의 감각을 느낄 수 없는 거리에 대상을 두고 실험한 결

과 인간은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지만 하나님은 할 수 있다고 구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준비가설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준비가설을 소개하고 유아기의 종교성에 대한 의미

를 탐색하는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나(박신경, 2002; 양금희, 2011; 유명복, 2006), 이러한 발

달이론적 접근이 한국사회 영유아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한 연구와 실천적 방안

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신개념의 발달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발달을 기독교세계관의 측면에서 어떻게 이

해하여야 하는가? 권미량(2015)은 영유아의 발달에 대한 이해는 창조, 타락, 구속이라는 기독

교세계관에 기초한 이해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특히 인지, 정서, 언어,사회,

신체의 발달의 측면에 대하여 발달심리적 측면에서 그 접근 방법을 논의하는 것은 교육적 방

법론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창세기 1장 27절 성경말씀에서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창조된 존재로 보는 성격적

관점을 지지해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은 삼위 안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피조물과도 관계를 만들어 가시기 때문에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을 받은 유아들 역시 상

호작용의 존재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천영, 2005). 성경적 관점에서 유아기 교육은 하나

님의 형상을 닮았으며, 궁극적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는 존재로의 발달을 지향하여

야 하지만(강란혜, 2003; 김성수, 2005; 김학영, 1997; 송원영, 2004), 타락과 구속이라는 측면

에서의 발달적 이해와 교육적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의 영유아 발

달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점인 것이다.

Page 10: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5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3.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현장의 변화

초기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출발이 기독교적 배경에 기초하여 선교와 교육을 통해 항일적

특성으로 확대되었다 할지라도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변천사에서 보면 기독교적 영향력이 축

소되고 있는 현상들을 볼 수 있다. 1971년, 1979년, 1985년의 「문교통계연보」과 2001년과

2004년 「교육통계연보」를 비교해서 보면 다음의 표 1과 같이 종교별 유치원 설립현황에 차

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설립별 유치원 수의 변동 추이

연도 총계종교별 유치원 설립 수

기독교 천주교 불교 유교 학교부속 개인 공립 기타

1971 512 225 118 12 1 21 127 1 7

1979 794 283 185 10 - 40 244 15 17

1985 6242 802 208 70 - 1037 1258 2737 130

2001 8407 317 199 127 - 4261 3274 - 229

2004 8246 299 206 117 - 4362 3048 - 274

※ 참고: 문교부(1971), 문교부(1979), 문교부(1985),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1), 교육인적자

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4)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1).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1971년도에 유치원의 총 수가 512임에 비해 기독교 설립 유치원 수가 225개였다는 것은 기

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적 접근의 영향이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1985년에는

유치원의 총 수가 1971년에 비해 거의 12배 이상 증가한 것이 비해 기독교 설립 유치원 수는

거의 4배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2001년과 2004년에는 유치원 총수의 증가

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유치원의 수는 오히려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후

교육통계연보에서 종교별 설립 수를 제시하지 않고 있지만 현행 기독교 종교단체에 의해 설

립된 기독교유아교육기관은 그 성격이 약화되고 정체성에 있어서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기독교 교육을 실행하고 있으나 기독교유아교육

기관에도 믿지 않는 유아들이 함께 다니기 때문에 기독교적 성격을 전적으로 내세우기 힘들

어 주1회 예배, 절기 예배, 식사기도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실행하고 있으며(도미화, 2014),

기독교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 또한 일반적인 내용에 성경을 가르치거나 아니면 일주일에

Page 11: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53

한번 내지 두 번 예배드리는 협소한 의미로 알고 있다(정희영, 2000).

기독교 교육은 교사가 모두 기독교 교인이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을

알고 경험하게 해주며, 학생들이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갖고 그리스도인다운 생활을 하며, 하

나님이 주신 재능과 소질을 발견하여 발달시킴으로써 하나님과 이웃을 섬길 수 있도록 이끌

어 주는 것이다(Chadwick, 1982; Zuck, 1972). 기독교 유아교육은 기독교인 교사가 유아를 대

상으로 하나님과 그의 창조세계의 관계에 대해 알고 경험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하나님의 계

획과 목적을 이루어 드리는 교육이며(한승종, 2016), 또한 유아들로 하여금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삶의 의미를 경험하게 하고 유아들이 성경적 관점에서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결정

을 내릴 수 있는 동시에 기독교적 원리와 조화를 이루는 가치관을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

기독교 유아교육의 현장을 살펴볼 때, 성경이야기를 들려주거나 간식 시간에 기도를 한다

던지 또는 찬양을 가르치는 등의 영역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생명과 삶의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삶의 곳곳에서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영역들의

내용을 가르쳐야 한다(Knight, 1980/2000).

우리나라의 경우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현황은 프로그램으로 유아교육을 이

해하는 접근 경향과 기관적 특성으로 기독교 유아교육의 대표성을 가지는 경우로 나타나고

있다. 프로그램의 경우는 이영숙(2011)에 의해 개발된 성품학교프로그램이나 성경프로젝트

접근 프로그램(송영란, 오영희, 2004), 기독교그림책을 활용한 프로그램(이상아, 2014) 등과

같은 접근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성품, 그램책, 프로젝트접근의 방법론 등을

활용하여 기독교교육접근의 영역을 만들고 있다. 반면 좀 더 총체적 교육과정의 접근으로

Greene(1990)의 알타비스타 교육과정(Alta Vista Curriculum)은 일반적 주제를 기독교적 주

제로 통합하려는 접근이 시도되기도 한다. 즉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

한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Brummelen(1988/1996)은 또한 열방대학교 학령 전 어린이교육

센터나 샘물교회 부설 샘물유치원(임희옥, 유혜숙, 서광일, 김정준, 2010)과 같이 기관이나 교

회를 중심으로 한 실천을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으로 이해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이러한 실천적 현황 앞에서 논의되어야 할 부분은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거시적 안목과

구체적 실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Chadwick(1982)은 모든 학문은 하나님과 연

관되어 있으므로 교육을 세속적인 것과 종교적인 것으로 구분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대부

분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기독교 유아 교육의 범위는 일반 유아교육의 범주 안에 어떤 일부

분을 차지하거나 겹치는 것이 아닌 일반 유아교육에서 다루는 모든 내용을 다루되 기독교적

인 안목을 가지고 해석해서 가르치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

육 현장이 급감하고 있는 현실 앞에서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천적 안목과 지

Page 12: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5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원을 위한 학문적 실천적 노력이 함께 요구되는 것이 현 상황이다. 가정과 기관에서 부모, 교

사와 유아들이 삶으로 풀어낼 수 있는 모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실천적이 방법이 제시되

고 기독교세계관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공해준다면 점차 점진적

인 변화들이 일어날 것이다. 이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에 대한 개념 및 교육과정

에 대한 모색의 요구(문정주, 2016)와 교회 및 사회적 지원과 실천 과제(도미화, 2014)는 기독

교 유아교육의 정체성을 세워나가는데 필요한 중추적 과제라고 보여진다.

Ⅲ.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 쟁점

1.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정체성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역사적 의미를 가진 기독교 유아교육의 혼동과 부재의 원인에 있어

서 이영옥(2006)은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부재가 주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기독교 유아교

육과정에 대한 개념과 실천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통일되고 일관적으로 이루어지는 맥락이

부족했다는 논의는 지속적으로 기독교 유아교육의 쟁점이 되어왔다.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기독교 교육과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과 차별성을 포함하여야

하며, 일반적 유아교육과 기독교 유아교육의 일관성과 차별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기독교교육과 기독교유아교육의 일관성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기독교교육의 본질은

종교성에 기초하는데 한춘기(2010)는 기독교교육을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이웃하는 인간, 그

리고 인간과 자연세계에 대한 참된 이해와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재창조 및 개발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동역하는 인간을 가르치는 사역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기독교교육

은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타락한 인간, 구원으로 회복되는

인간의 개념을 포함하여 논의되어왔다(강용원, 2008; 한상진, 2010; Dark, 2000). 이러한 측면

에서 기독교교육과 기독교유아교육의 일관성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함을 기본으로 해야 한

다는 것이다. 오미영(2008)은 기독교유아교육은 기독교세계관 안에서 교육과정, 교육환경, 시

설설비, 경영관리,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을 포함하여 연결시키는 과정이어야 함을 제

시하였고, 기독교유아교육은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하여 근본적으로 하나과의 관계를 회복하

고 나아가 신앙과 사고의 기초적 태도와 습관을 돌보는 과정이라는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권미량, 2015; 김정화, 2016; 박신경, 2008; 정희영, 2010).

그러나 기독교교육과 기독교유아교육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논의도 있어왔다. 단순히 예

Page 13: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55

배나 기도의 내용을 첨가하는 형태(김성수, 1996)나 유아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기독교교

육적 접근(권미량, 2015; Chadwich, 1982)은 논의가 필요한 점이다. 기독교유아교육은 영유아

라는 대상적 특성에 기초하여 접근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정체성이 필요하다는 것은 중요한

쟁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한승종(2016)은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은 유아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귀한 존재로서 전인적으로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진리의 근원이 되시는 하나님

의 말씀에 따라 기독교적인 삶을 실천한다고 하여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성경적인 세계관

을 근원으로 시작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하고 있는 의도된 학습경험을 포함한 총체적

계획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즉,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은 기독교 단체나 교회가 설립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을 하거나 기독교인 원장과 교사가 원을 운영하는 의미가 아니며,

일반 유아교육과정에 신앙교육을 포함시켜 적절하게 교육을 하는 차원이 아닌 성경적 세계

관을 중심으로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를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운영하는 것이라

는 관점에서의 이해가 논의되어야 한다.

둘째로는 유아교육과 기독교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일관성과 차별성은 무엇인가? 유아교육

에 대한 정의를 논의할 때는 출생에서 8세에 이르는 대상을 발달적으로 적합한 방향으로서의

성장을 돕는 형식적이고 비형식적 교육으로 정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Morrison, 1984). 이러

한 측면에서 기독교유아교육 또한 단순히 신앙훈련이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태도교육이며

가치관 교육의 기초를 형성하는 과정으로서(이영옥, 2006) 발달적으로 적합하게 유아를 교육

한다는 측면(Berryman, 1991; Goldman, 1964)에서는 일관성을 가진다.

그러나 기독교유아교육은 기독교 세계관으로 생명과 세계를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일반 유

아교육과 다른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김성원, 2012; 정갑순, 2009)에서 차별성을 가져야

한다. 그렇다면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생명과 세계, 인간의 이해에 대한 논의가 분명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의 연구와 논의가 필요한 중요한 쟁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 문제와 연결

되어서 논의될 수 있는데 현행 다양한 기독교적 접근의 유아교육적 실천은 다양성 속에서 일

관성에 대한 재점검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은 유아들이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양육할 수 있는데 가장 큰 의미를 두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육의 실

제를 통해 유아들이 신학적 개념을 증진하고 기독교적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교육과정의 모든 초점이 하나님의 관점을 바라 볼 수 있다고 하였다(최병기,

2005). 이러한 교육과정을 유아교육기관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신앙

적 삶을 실천하여 올바른 기독교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지침이 요구되고 있기도 하다

Page 14: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5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문순애, 2010). 또한 교회학교를 중심으로 한 아기학교의 접근이 최근 대두되고 있는데 공경

혜(2008)는 건강한 아기학교의 교육과정은 유아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전인적 성장에 효과적이

며 긍정적인 관점으로 보아 아기학교뿐만 아니라 모든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이 갖추어야 할

교육과정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본질적인 사명

을 감당할 수 있다고 하였다.

현재까지도 우리나라 현 기독교 유아교육의 기관설립자, 원장, 교사들 중에 기독교적인 안

목으로 접근하고 해석하여 유아교육과정을 전개해 나가는데 있어서 개념의 확립과 확신이

부족하다고 함으로(최병기, 2005) 현장에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이해의 인식을

통한 기독교적 세계관의 확립과 더불어 실천할 수 있는 교사의 운영이 지속될 수 있는 물리

적, 인적 환경과 다양한 프로그램, 교수방법을 구축은 중요한 과제로 논의되고 있다.

2. 기독교 유아교육의 철학적 사유

교육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해 배우는 모든 과정을 의미하기에 사색과 이론 이전에 실

천의 의미에 무게를 둘 수 있다. 즉, 교육은 인간의 성장발달과 행동변화와 정신적 각성을 일

으킬 수 있는 실천적인 것이다(최윤정, 2006).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밑바탕이 되어

주어 실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 철학이다. 철학이 근거되지 않는 교육은 방

향성을 알지 못하기에 교육학은 교육철학의 기초위에 교육실천의 내용과 방법을 정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인탁(1990)은 기독교교육 철학은 기독교교육의 바른 실천을 행할 수 있는

기초학이라고 보았으나, 현 시대 속에 이루어져 있는 다양한 교육철학들은 근거가 확고하지

않은 것들이 많다고 하였다. 이에 반해 기독교교육철학은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적인 세계관

에 근거하고 있기에 교육을 지탱해주는 교육철학이 근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한춘기,

2010).

그렇다면 기독교 세계관이 가지는 철학적 사유에 기초하여 유아교육을 어떻게 바라볼 것

인가에 대한 연구는 기독교 유아교육에 있어서 논의의 중심에 서 있는 쟁점이다. 철학은 일

상적 삶에 대한 사유에서 시작해서 보이지 않는 영역에 대한 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철학적 사유에 있어서 유아교육적 쟁점은 어떻게 살

펴볼 수 있는가?

우선 생명관에 대한 이해의 문제에 직면한다. 기독교 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속의 관점에

서 생명에 대한 이해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기독교적 생명관은 그 근원이 하나님이시며 인

간은 하나님이 만드신 세계 속에서 조화와 평화를 누림을 중시하고 있고, 이는 예수님이 하

Page 15: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57

신 “내가 온 것은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요 10:10)”라는 생명 사역

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마은희, 2002; 장인애, 2005). 즉 하나님의 창조의 세계로서 생명은 그

생명이 가진 하나님의 뜻이 있으며 창조, 타락과 구속의 세계관에 기초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철학적 논의부분에서 인간의 선성은 선한 창조주에서 나왔음을 주

장한 Rousseau 사상(정희영, 2000)을 비롯하여 Comenius나 Fröbel의 사상에 나타난 기독교

유아교육의 의미와 관계(이상욱, 1995; Comenius, 1657/1995)에 대한 연구, 기독교의 범교육

사상이나 기독교 유아교육 및 부모교육과의 관계(이경영, 2005)등에 대한 연구들이 나아가

생명관에 대한 기독교 유아교육적 논의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교육적 접근에서 기독교의 생

명관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논의가 부족하다는 지적(문정주, 2016; 장인애, 2005)은 기독교 유

아교육에서의 생명철학에 대한 필요와 요구에 기초하여 실천적 모색이 추후 연구 과제이며

쟁점임을 드러내고 있다.

다음으로 생명관과 더불어 구체적으로 인간관에 대한 이해는 유아관의 이해와 연계되어

중요한 철학적 논의가 될 수 있다. 유아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접근 방식은 사회학적, 철학적,

생물학적, 심리학적, 종교학적, 문화적, 교육학적으로 다양하게 규정하는데 여기의 관점은 유

아를 중심으로 환경이나 문화기술, 문명 등을 연결시켜 정의하기에 유아가 이 우주의 중심이

라는 사상을 언급하지만 기독교에서는 유아가 아닌 하나님을 우주의 중심으로 보는 관점을

취하고 있고 인간은 하나님의 영광과 자신의 행복을 위해 모든 학문과 예술의 전 영역에서의

과업을 부여받았다고 한다.

기독교의 유아관에서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이혜상(1994)은 전인격적 존재로서의 유

아 인격을 받아들여야 할 뿐 아니라 능동적 존재로 창조되었으므로 유아 스스로 참여하고 계

획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목적을 이루며 가정, 교육기관, 교회, 국가 내에

서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 바람직하게 살아가도록 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기독교

에서 유아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특별하고 전인적이며 개별성을 가지고 창조되었으나 타

락한 상태이고 구속이 필요한 존재라고 볼 수 있다(정희영, 2010). 이러한 유아관에 대한 이

해는 공통된 논의를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유아에 대한 궁극적 변화의 방향과 접근방법에 대

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유아는 일반적 인간관과 달리 발달적 이해를 기초로 한 철학적

논의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단지 한 개인이 아니라 가정과 출생의 맥락과 더불어

논의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교육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로서 인식론과 가치론적 접근에

대한 사유가 필요하다. 최윤정(2006)은 기독교 유아교육의 배경에는 인식론과 가치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함을 지적한 바 있고, 이혜상(1994)는 기독교는 실재론적 관점에서 궁극적 실

Page 16: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재를 하나님으로 보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데 실재의 원천인 하나님과 인간, 자연, 역사, 그

리고 과학과의 관계를 정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앎의 탐구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 인식론적 방

향이 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Buber(1961/1977)의 만남의 철학은 신과 인간, 자연과의 관

계성을 중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관계성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는 주장과 프로그램 개발(권미량, 2015; 문정주, 2016) 등이 나타나고 있다. 현행 교육의 문제

로 지목되고 있는 지성교육의 대안으로 영성을 향한 인식이 궁극적으로 필요하며 현재 외현

적 교육인간학적 의미가 실재에 초점을 맞춘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고요한, 2011)에

기초하여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철학적 사유가 필요하다. 또한 불변하는 진리의 근원으

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이해는 절대적 성격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므로(조정아, 2003), 이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교육적 방향에 대한 논의는 필수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3. 교사와 부모관련 논의 부족

유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정한 자격기준을 가진 자로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기독교 유아교사에 대해서는 정희영(2000)은 기독교인 교사로 유아를 대

상으로 교육하는 사람으로서 유아교육에서 가르치는 모든 내용을 통해 하나님과 그가 만드

신 자연세계의 원리와 이치, 그리고 하나님과 자연과 유아와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증거하려

고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말하였다. 즉, 기독교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일어나는 모든 교육적 변

화와 역할을 주관하시는 분이 교사나 유아가 아닌 바로 온 우주의 중심이 되시는 하나님이시

라는 점을 중점에 두기 때문에 일반유아교사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하여 유아기

때 하나님의 삶을 온전히 인정하고 하나님 중심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유아들을 교육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기독교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는 신앙으로

갖춰야 하는 자질과 유아교육을 하는 교사로서의 자질 및 역할 두 가지 모두를 갖추어야 한

다는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루는 유아교육이 되려면 기본적으로 교사로서의 자

질이 필요하므로 먼저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가르치는 즐거움, 유아를 모든 상태를

알고 관찰하며, 무엇보다 유아를 사랑해야 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이선주, 2005). 또한 유아

교사로서의 역할에서 교사는 계획자로서의 역할, 촉진자로서의 역할, 의사 결정자로서의 역

할, 보호자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교사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유아기의 특성을 고

려하여 유아의 발달과 흥미, 개인차를 고려하여 교육을 해야 한다.

기독교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는 신앙적인 자질이 필요하므로(최윤정, 2006), 소명을

Page 17: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59

가진 사람이어야 하며, 영혼에 대한 열정을 가진 가지고, 영적으로 늘 깨어서 기도하는 사람

이어야 하며, 하나님의 말씀과 성서를 사랑하며, 성령 충만한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지음 받는 아이들을 존재를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러한 기독교유아교사는 예수님을 닮고자 노력하는 사람으로서 예수님의 마음을 가지고 아이

들에게 사랑으로 행함과 진실함이 전해질 수 있는 교사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독교 유아교육을 실현하는 교사가 중요한 만큼 유아들을 양육하는 부모들 또한 기관을

선택할 때 기관의 유형과 교사의 신앙여부에 따라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

성애(2012)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유아기 어머니들을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교사의 자

질과 지도 능력을 중요시 여기고, 교사의 기독교인 여부에 대한 고려도 높게 나타났으며, 기독

교 유아교육의 요구 중 교사의 자질을 살펴볼 때, 유아에 대한 사랑과 애정, 교사로서의 사명

감과 소명의식, 온유한 인격 및 성품을 중요시 여기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어머니들이 기독교유아교사들의 만족도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현아(2008)의 연구에서

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 유아교육이 실현되기를 원한다는 부모가 53.5%으로 유아의 신

앙발달을 위해서 기독교 유아교육이 실현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모의 관심만큼 교사들에게도 기독교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기

독교 유아교사들이 신앙과 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모두 갖추고 직무를 수행하기에는 물리적,

인적 환경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리적 환경 실태에 있어서 교사들이 인식하

고 있는 기독교 유아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 개발과 환경 구성에 있어서는 교사 자료의 개발

과 보급이 시급하며, 기독교 교사교육에 대한 경험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김윤희, 2009).

즉 바람직한 기독교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다양한 프

로그램의 개발과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침서가 제공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독교유아교사의 필요성은 강조하면서 실질적으로 유아교사가 가진 자질과 역

할 뿐만 아닌 기독교 유아교사가 가져야 할 자질만을 강요한 채 환경적, 인적 환경이 제공되

어지지 않는다면 교사들의 수요는 점점 줄어들 게 될 것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

하지 못한다’라는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아는 만큼 실질적으로 유아들을 교육

하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교육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이

와 더불어 최근에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쟁점으로 기

독교 가정의 돌봄과 부모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유아기 부모교육의 기독

교적 접근에 대한 연구들(이신혜, 2016; 장요요, 2016)은 가정과 교회의 연계와 지원을 중시하

는 것이 기독교 유아교육에서 핵심적 요인임에 대한 인식 증가를 드러내고 있으므로 이에 따

른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어 실천적인 방법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Page 18: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4. 교회와 교육기관 간 연계성

우리나라는 만3세부터 취학 전 시기까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치원과 만0세부터 만2세

까지 영아와 취학 전까지의 유아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집으로 두 가지 유형의 유아교

육기관으로 나뉘어져 있고(권미량, 조채영, 좌승화, 최진원, 2015), 유아교육기관이란 ‘유아를

대상으로 의도적, 계획적, 제도적 교육을 실시하기 이하여 설치된 기관’, 또는 ‘유아의 성장발

달을 도모하기 위한 심리적, 물리적 환경체제’라고 하였다(이광자, 1996). 정갑순(1998)은 기

독교 유아교육기관을 ‘기독교 교육을 유아들을 위하여, 유아들에게 실시하는 기관’, 즉 ‘유아

의 영적 성장발달과 전인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육환경, 시설설비, 경영관리,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구조적 또는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연계된 영적, 심리적, 물리적 환경

체제’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김지수(2013)는 현재 실시하는 기관들의 살펴보고 기독교 유아교

육기관이란, ‘기독교적 철학을 기초로 세워진 기독교 기관이나 교회 부설 기관으로, 제도적으

로는 국가에서 허가를 받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으로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을 영원토록 영

화롭게 하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하는 곳’이라고 정의하였다. 에에 따르면, 이러

한 질 높은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기

독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유아들을 보내겠다는 학부모가 기독교인, 비기독교인 모두 높

은 수요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김성애, 2012), 기독교유아교육의 실현되어야 한다

는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독교 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현장에서 기독교 유아교육이 실행하고 있는 곳이 교회

부설 기관의 유아교육기관이 대부분인 실정이다. 이러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기독교 유아교

육의 형태를 갖추어 운영하고 있는데, 교회와 유아교육기관을 연계하다보니 실질적으로 일어

나는 문제점과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고 한다. 유아를 위한 모든 행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부분에 있어서 교회의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불편함과 교육 프로그램 계획과 실행 부분에 있

어서도 교회의 계획이나 형편에 따라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

다(이천영, 2005). 또한 재정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큰 종교기관의 부설 유아기관은 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소규모인 경우에는 유아교육기관의 재정적 부담을 교회가 가

지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반해 학부모들은 종교기관의 부설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비에 대

해서는 저렴하기를 기대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로 교회의 지원이 무한정 될 수 없기에 모든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어려움도 발생하게 된다. 교회부설 기관에 대한 교인들의 기대와

관심이 때로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여 도움을 주는 상황들이 오히려 오해의 소재를 불러

일으킬 때가 종종 있어서 스트레스의 원인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교회와 유아교육기관이

Page 19: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61

분리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는 예배실이나 유아실로 사용하여 교구 및 물품이 분실되기도

하며 주일이 되기 전 책상, 의지 등 비품을 정리해야 하는 어려움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교사의 업무와 스트레스가 생기게 되어 때로는 교회와의 마찰을 유발시키기도 하며 교회도

유아교육기관도 비협조적인 관계로 형성되기도 한다.

이에 교회의 유아교육기관은 설립목적에 맞게 수입목적의 사업이 아닌 복음전도와 선교의

목적이 되어야 함을 언급한다(도미화, 2004). 이윤은 남기려는 것에 초점을 되는 것이 아닌

교회가 더 많은 투자를 하여 지역사회를 섬겨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회의 행사 도우미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에게 제시하시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과 환경에 따라 서로 절충하여

상호 보완하는 역할로 성장하여 신앙과 상반된 모순의 모습에서 벗어나서 하나님의 은혜 안

에 교사의 헌신과 수고함이 자발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회와 유아교육기관의 책임자

들의 모습들이 먼저 바뀌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회가 주관하는 노회와 총회의 기관들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방안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에 대해 노력해야할 것이며,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방향들을 다시금 재정비하여 질 높은 커리

큘럼과 프로그램의 개발들이 자체적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환경적, 물리적인 요건들이 구

비되어야 할 것이다. 교회는 다시금 설립목적을 확립하여 기독교 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이

상적인 기독교 유아교육이 교회와 연계하여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

이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유아교육에 영향을 미친 기독교의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기

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현황과 쟁점을 문헌고찰을 통하여 살펴보고 쟁점에 기초

한 연구와 논의, 추후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현황으로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한국 유아

교육의 출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영유아 발달의 연구동향,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현장변

화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유아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한국

전통사회에서의 유아교육은 서당이라는 형식적 기관을 포함할 수 있으나(박래봉, 1974) 실제

로는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유안진, 1992). 그러나 근대 유아교육의 형성의 중심에

는 기독교의 유치원 설립과 확대라는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다. 초기 유치원의 설립에는 기

본적으로 유아교육의 사상적 기초를 이루었던 Comenius(1657/1995)나 Fröbel과 같은 기독교

Page 20: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적 견해를 가진 사상가들의 배경이 있었으나(김창환, 1997; 이경영, 2005; 이상욱, 1995) 발달

론적 사조의 변화 가운데 영유아에 대한 인지론적 한계에 대한 논의는 영유아의 종교성의 한

계에 기초한 기독교적 접근의 불가능론이 대두된 배경(Goldman, 1964; Piaget, 1929)이 되기

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 ‘준비가설’과 같은 유아기 종교성 발달에 대한 긍정적 논의(Barrett,

Richert & Driesenga, 2001; Petrovich, 1999)는 의미 있는 접근으로 평가되며 영유아의 영성

이나 관계성에 구체적 접근에 접점을 제공하고 있다.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이 초기 유치원 설

립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그 실천이 축소된 현상은 유아교육에서 가지는 기독교 유아교

육의 정체성 문제와도 연계되어 논의되어야 하는데,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

천은 현행 유아교육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종교성에 기초한 영성의 개념(이영희, 2016)과

더불어 지속적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다.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쟁점으로는 기독교 교육과정의 정체성, 유아교육의 철

학적 사유, 교사와 부모 관련 논의의 부족,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교회와 교육기관의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쟁점으로서는 집중적으로 논의되어온 영역이었지만(김정화, 2006; 김지은, 2015;

양주혜, 2015; 이영희, 2016) 기독교교육과 기독교 유아교육과의 혼동, 기독교 유아교육과 유

아교육과의 차별성과 일관성의 측면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부분이기에 기독교유아교육

이 영유아라는 대상의 특성적 측면에 따른 정체성이 가장 필요한 연구가 된다.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이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실천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는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의 종합적 논의를 통해 유아교육을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볼 것인가

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더불어 유아교육의 철학적 사유는 생명관, 유아관, 인식론과 가치

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고요한, 2011; 권미량, 2015; 권미량, 계영희, 2015; 신현호, 2008)

가 있어왔지만 궁극적으로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교육관으로 나아갈 수 있는 철학적 논

의가 필요하며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기독교유아교육의 생명관이나 생태적 접근에 대한 다

각적 모색(강은주, 2011; 권미량, 2012; 김철영, 2004)등의 접근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

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교사와 부모에 대한 정의에서

부터 교회와 교육기관을 연계할 구체적 지원 방안에 이르기까지의 실천적인 논의(권미량,

2015; 김현옥, 2008)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부족한 연구가 중요한 쟁점이자 과제로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가장 현실적인 쟁점은 교회와 사회 속에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천의 한계로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천의 한

계를 극복할 수 있기 위해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생명관, 발달관, 교육관에서 실천 방안에

Page 21: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63

이르는 체계적 연구와 논의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한국 근대 유아교육의 실

천에서 선교사들과 교육을 통한 일제 항거의 개혁을 이루고자 했던 노력이 현장에서 의미 있

는 작용점을 찾았던 것과 같이(이윤진, 2006), 기독교 유아교육이 정체성을 찾고 나아가 현행

한국의 유아교육에 새로운 대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라는 접근방법으로 인해 문헌을 중심으로 한 현황과 쟁점을 논의하였

으나 추후 이러한 논의를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현상적 연구들을 통해 교육과정의 총체적 분

석, 기독교 교육에 대한 발달적 해석과 이론적 배경 구축, 기독교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지원 방안과 실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독

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를 확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하며, 추

후 지속적인 연구로 한국 유아교육의 역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 자리매김이 되길

바란다.

Page 22: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참고문헌

강란혜(2003). 기독교 세계관에서 본 아동관. 한국일본교육학연구, 7(1), 159-174.

강용원(2008). 기독교교육 방법론. 서울: 기독한교.

강은주(2011).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기독교 유아생태문학교육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509-531.

고요한(2011). 가르침과 배움에서 영성 형성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 교육철학

연구, 33(3), 1-23.

공경혜(2008). 기독교 유아교육과정과 아기학교.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유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1).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2004).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권미량(2012).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1-27.

(2015). 기독교가정과 영유아교육. 경기: 공동체.

권미량, 계영희(2015).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핵심 역량과 실천 방안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25-53.

권미량, 조채영, 좌승화, 최진원(2015). 유아교육개론. 경기: 공동체.

김성수(1996). 기독교 유아교육의 원리. 고신대학교 논문집, 23, 55-70.

(2005). 기독교사의 소명과 과업.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한국기독교유아교육학회 2005년 추

계학술대회자료집, pp. 3-23. 9월 10일. 서울: 새세대육영회 대강당.

김성애(2012). 유아기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기준과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총신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원(20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교육 실천에 관한 제언. 신앙과 학문, 17(2), 67-91.

김소희(2014).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누리과정 통합교육과정 개발 실행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예리(2015). 성경이야기 속에 내재된 유아 수학개념 분석 및 활용방안.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윤자(2016). Clara Howard(허길래)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윤희(2009). 교회부설 어린이집의 기독교 유아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총신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23: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65

김은정(2015). 초기 대상관계 애착형성의 역기능적 발달이 자기실현에 미치는 영향 : 기독교상담

학적 관점.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화(2016).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누리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지수(2013).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와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은(2015). A기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미션스쿨에서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유아교육과

정 운영의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창환(1997).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사상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5-26.

김철영(2004). 생명과 생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과학기술과 생명가치의 만남에 있어서 협

의회적 형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1, 503-548.

김학영(1997). 유아교육에서의 기독교교육의 문제. 신앙과 학문, 2(4), 99-112.

김현옥(2008). 기독교 가정에서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교육활동 현황조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노경순(2015).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생교육의 가능성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종해(1986). 한국감리교회의 매일학교 운동-서강의법학교를 중심으로-.한국 기독교사 연구회 소

식지, 7, 11-14.

도미화(2014).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실제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럭치미(2015). 문헌고찰에 근거한 유아성경동화 활동 연구 :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

로.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은희(2002). 생명사상에 대한 신학적 고찰. 장로회 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현아(2008).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기독교 부모의 인식과 요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교부(1971). 문교통계연보. 서울: 문교부.

(1979). 문교통계연보. 서울: 문교부.

(1985). 문교통계연보. 서울: 문교부.

문순애(2010).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정주(2016).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유아관계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박래봉(1974). 本痛治下書堂敎育 具體相(Ⅱ). , 36, 69-85.

박새봄(2015). 성화감상활동이 유아의 하나님개념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24: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박세라(2015).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유아심리발달과 부모의 역할.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신경(2002). 유아기의 종교성. 신학과 목회, 17, 281-305.

(2008). 기독교 유아교육. 서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서정민(2016). 한국과 언더우드. 경기: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송미애(2015).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3-4세유아의 주중 스마트 신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총신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영란·오영희(2004). 기독교 유아교육: 성경 프로젝트 접근을 중심으로. 서울: 동문사.

송원영(2004). 영성과 교육. 서울: 한돌출판사.

신영식(1983). 유아교육개론. 서울: 영문출판사.

신춘화(2008). 열방대학교 프로그램에 기초한 기독교유아교육과정 개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현호(2008). 기독교세계관 관점에서 본 ‘멋진 신세계’-인간복제를 중심으로. 기독교와 인문학,

10, 141-169.

양금희(2011). 기독교 유아·아동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양주혜(2015). 기독교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실제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오미영(2008).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 유아교육 실태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인탁(1990). 기독교교육. 서울: 종로서적.

유안진(1992).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명복(2006). 아동의 종교적 개념형성: 삐아제식 패러다임에 대한 도전. 기독교교육정보, 14,

131-150.

이강무(1973). 어린이선교원. 서울: 한국 어린이선교원 총회.

이광자(1996). 유아교육개론. 서울: 정민사.

이경영(2005). 코메니우스의 범교육사상과 기독교 유아부모교육.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금(1991). 한국 근대 유치원 교육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상아(2014). 기독교 그림책을 연계한 5세 누리과정 사회관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욱(1995). 프뢰벨 유아교육 사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유아교육연구, 15(2), 79-89.

이선주(2005). 기독교인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신혜(2016). 가정과 교리를 연계하는 유아부모교육 연구: 절기교육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

Page 25: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67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림(2016).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활용한 성경동화활동이 유아의 신앙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

치는 효과검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숙(2011). 한국형 12성품교육론. 서울: 좋은나무성품학교.

이영옥(2006).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교회, 3, 47-50.

이영희(2016). 기독교 유아영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윤진(2006). 일제하 유아보육사 연구. 서울: 해안 출판부.

이정미(2005). 기독교 정신에 기초한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지

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천영(2005). 기독교 유아교육의 고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형순(1987). 선교원교육의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상(1994).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희옥, 유혜숙, 서광일, 김정준(2010). 기독교 세계관으로 조명한 유아교육 하기. 서울: 양서원.

장옥경(2013).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어머니의 선택요인 및 만족도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요요(2016). 유아기 부모를 위한 영성교육: 중국교회를 중심으로. 장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인애(2005). 기독교 생명개념에 기초한 자연체험교육의 적용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정갑순(1998). 유아가 자녀교육의 문제점과 대책. 상담과 선교, 6(1), 20-38.

(2009). 유아교육. 서울: 대학예수교장로회총회.

정희영(2010). 기독교 유아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조정아(2003). 한국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도 조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병기(2005).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 연구를 통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

초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2006). 어린이 선교원의 현황과 기독교유아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상진(2010).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인간교육에 관한 고찰. 고신대·총신대 연합학술대회 자료집.

pp. 51-66.

한승종(2016).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원장의 인식 조사 연구: 교회부설 유치원을 중심으

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춘기(2010). 개혁주의 기독교교육학의 정체성 세미나. 고신대·총신대 연합학술대회 자료집.

Page 26: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21-34.

홍윤주(2015). 미술교육을 통한 유아기 기독교 신앙교육.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혜란(2004). 기독교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rber, L. W.(1983). 유아를 위한 기독교 교육[The Religious Education of Preschool Children].

(오태용 역). 서울: 정경사.

Barrett J. L., Richert, R. A., & Driesenga, A.(2001). God's beliefs versus mother's: The

development of nonhuman agent concepts. Child Deveopment, 72(1), 50-65.

Barrett J. L., & Richert, R. A.(2003). Do you see what I see? You children's assumptions about

God's perceptual abilit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

15(4), 283-295.

Berryman, J. W.(1991). Godly play- an imaginative approach to religious education. San

Francisco: Augsburg.

Brummelen, H. V.(1996). 교실에서 하나님과 동행하십니까?; 기독교적 교수-학습방법. (김학연

역). 서울: 한국IVP. (원저 1988 출판).

Buber, M.(1977). 현대철학의 근본조류[Landgerbe philosophic de gegenwart]. (최동희 역). 서울:

법문사. (원저 1961 출판).

Chadwick, R. P.(1982). Teaching and learning an intergrated approach to Christion education.

New Jersey: Fleming Company.

Comenius, J. A.(1995). 대교수학[The great didactic]. (정확실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1657

출판).

Dark, J. V.(2000). The craft of Christian teaching. Iowa: Dordt Press.

Evan, E. M.(2001). Cognitive and contextual factors in the emergence of diverse belief systems:

Creation versus evolution. Cognitive Psychology, 42, 217-266.

Folwer, J. W.(1987). 신앙의 발달단계. (사미자 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원저

1981 출판).

Goldman, R.(1964). Religious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Greene, A. E.(1990). Alta Vista curriculum: Peaple as individuals. Seattle: Alta Vista College.

Issler(2004). Bibical perspectives on developmental grace for nurturing children's spirituality. In

Donald Ratcliff (Ed.). Children's spirituality. (pp. 54-71). Eugene: OR; Cascade.

Knight, G. R.(2000). Philosophy and education. Michigan: Berrien Springs. (박영철 역). 서울: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원저 1980 출판).

Morrison, G. S.(1984).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3rd ed). Columbus, OH: Merrill.

Page 27: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69

Petrovich, O.(1997). Understanding of non-natural causality in children and adults: A case

against artificialism. Psyche en Geloof, 8, 151-165.

(1999). Pre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Psychological Reports, 84, 3-27.

Piaget, J.(1929). The child's conception of the worl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Rizzuto, A. M.(1979). The birth of the living God - A psychoanalytic stud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Underwood, H. G.,(2000). 와서 우릴 도와라. (한동수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저 1908 출판).

Zuck, R.(1972). Spiritual power in you teaching. Chicago: Moody Press.

Page 28: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 2017-01-02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Abstract

The status and issu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Mee Ryang Kweon · Min Jung Kim · Suk Hee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eginning,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tate of related research and to analyze controversial issues on

that.

Relevant literatures were reviewed to shed light on the beginning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ts understanding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the state of thi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offer an

overview of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As for

controversial issues, disputes on curriculums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this education, discussions on teachers and parents,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and its difficulties were analy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some right directions

for provi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y and status of thi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