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노동이 남긴 상처 사ㆍ회ㆍ학ㆍ개ㆍ론 1 인간을기계로만들다 3 로봇이어떻게 인간노동을바꾸었나 ? 4 토요타자동차가 바꾼세상 5 시장의파편화가 만든세상 6 노동이너희를 자유롭게하리라 ? 7 자신의 과거이야기가 사라지다 2 노동규율 사회의등장 Cc1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노동이 남긴 상처

사ㆍ회ㆍ학ㆍ개ㆍ론

1 인간을기계로만들다

3로봇이어떻게인간노동을바꾸었나? 4 토요타자동차가

바꾼세상

5 시장의파편화가만든세상 6 노동이너희를

자유롭게하리라?

7 자신의과거이야기가사라지다

2 노동규율사회의등장

Cc1

Page 2: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슬라이드 1

Cc1 Cho chunjae, 2014-08-27

Page 3: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1 인간을기계로만들다

노동에 대한 관심• 경제학자: 노동에 대해 거의 관심 갖지 않음

‘투입’ 또는 ‘인적 자본’으로 존재• 사회학자:  노동의 성격에 대한 분석에 열중

특히 새로운 시대의 등장을 노동과 연결해서 설명하려 시도

→ 헨리 포드가 만든 생산 방식이 현대 사회의 노동, 산업과 인간의 생활방식까지도 바꾸었다고 평가

헨리 포드(Henry Ford)• 자기 회사의 노동자들에게 당시 다른 자동차 회사의 평균 노동자 임금

보다 약 3배에 달하는 고임금 지급• 노동자들이 임금을 더 올려달라고 요구하지 않아도 임금을 올려줌•→ 그러나, 임금을 상승해도 회사는 망하지 않고 번창

Page 4: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1 인간을기계로만들다

칼 맑스• <자본론>에서 자본주의 경제에서 노동자들의 임금은 지속적으로 저하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

→ 이유: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에게 임금을 적게 주고 노동 시간을 길게해야 자본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

• 자본주의 자체의 경쟁에 의해서 필연적으로 작동하는 구조적인 법칙 존재→ 임금을 점점 줄이거나 기계를 도입해서 노동력을 기계로 대체

러다이트 운동 (1811~1916): 노동자가 영국 잉글랜드의 직물 공업지대에기계의 도입으로 실업한 것에 반대하여 기계를 파괴

→ 그러나 , 우려와 달리 산업사회의 대규모 공장은 많은 사람들을 고용하고맑스의 예견과 달리 노동자들의 임금은 지속적으로 상승

Page 5: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1 인간을기계로만들다

포드의 새로운 혁신① 신용할부 방식임금을 올려주면 노동자들이 저축하고 미래에 자동차를 살 거라고 예측→ 자동차 구매방법 마련

② 생산방식의 변화(1)T자형 모델 생산 방식 적용자동차를 가장 싼 값에 많이 만들어내는 방식한 가지 자동차만 생산 → 최대한의 인건비, 기술 디자인 비용 감소(2)단순화와 분화조립라인(assembly‐line)에서 자동차 생산 → 실제로 생산단가나 원가 감소

③ 마케팅(marketing) 도입1920~30년대 본격적으로 등장, 미래에 자동차가 필요한 사람에게도 소비를촉진하는 광고를 시작

→ 포드주의의 중요한 특징: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

Page 6: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1 인간을기계로만들다

헨리 포드(Henry Ford)• 대량으로 생산을 했는데 안 팔리는 사태를 대비하도록 할부로

광고를 통해, 노동자들의 월급을 올려주어서 자동차를 구입할 수 있게 한 것

→ 포드 자동차 회사: 더 많은 이익을 얻어 급성장

• 사회주의 국가: 포드주의를 새로운 생산방식으로 환영

히틀러: 폭스바겐은 포드 자동차를 모델로 삼음블라디미르 레닌: 포드주의 방식 혹은 미국적 생산 방식을 소련도 배워야

한다고 주장안토니오 그람시: ‘포드주의’라는 용어 발명, '포드주의‘야 말로 가장 현대적

인 생산방식이고,  사람들이 소비를 하게 만드는 힘이자자본주의를 유지하는 기본 원동력

→ 자본주의 경제가 많이 생산하는 것만이 문제가 아닌 많이 소비를 해야유지될 수 있다고 간파

Page 7: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2 노동규율사회의등장

윌리엄 프레드릭 테일러(William Frederick Taylor)• <과학적 관리법>에서 노동자들이 효과적으로 정해진 시간 안에 더 많은생산을 할 수 있는 방법 설명

• 작업장에서 정해진 근무시간이 자유로운 휴식과 자유로운 이동으로인해 비효율적으로 운용

→ 시간 연구’와 ‘동작 연구’라는 개념 개발→ 출근 시간부터 퇴근 시간까지 일하는 시간을 철저하게 분 단위로 구분

분 단위로 생산 할당량을 제공

•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시간과 동작을 관리

• 노동자의 입장: 자신의 자율성이나 선택권을 다 박탈기업의 입장: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

〓 이를 '테일러주의'(Taylorism)라 부름

Page 8: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2 노동규율사회의등장

테일러주의에 따라 조직화된 공장: 고도의 감시체제 발달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감시와 처벌>에서 감옥의 파놉티콘(panopticon)이 공장, 학교, 병원, 가정을 통제하고 있다고 주장

• 현대 사회: 자유를 확대한 것이 아니라 사실상 감시사회, 관리사회, 감금사회를 만듬

벤담(Jeremy Bentham)• 파놉티콘: 1791년 영국 철학자 벤담이 제안, 5각형의 감시 장치를 가리킴• 파놉티콘에서 필요한 일: 중앙의 탑에 감독자를 배치하고, 각 방에 광인,

환자, 유죄선고 받은 사람, 노동자 혹은 학생들을 가두어 놓는 일

→ 미셀 푸코: 파놉티콘의 죄수들을 감시하듯이 대중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규율 중심적 사회’의 역사적 형성이 전체주의적 권력의 도구로이용된다고 지적

Page 9: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2 노동규율사회의등장

윌리엄 프레드릭 테일러(William Frederick Taylor) • 파놉티콘과 유사한 듯하지만, 동일한 것은 아님그의 과학적 관리: 차등적 보상과 인센티브를 통한 자율적 규율 고안

• 현대적 경영 기법의 창시자, 성과 관리의 제안자성과 관리: 동일한 시간 내 다른 사람들 보다 더 많은 성과를 낸 사람에게

보너스를 더 지급하는 방식→ 자본주의 경제 내에서 '경쟁'을 강화

• 더 많은 성과를 내는 사람에게 성과에 따른 차등 상여급 제도 도입→ 직장에서 감시하지 않아도 스스로 열심히 일하는 노동체제 탄생

경쟁: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하는 것이 아닌 노동자 스스로 자신을착취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듬

Page 10: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3 로봇이어떻게인간노동을바꾸었나?

자동화와 포드주의• 새로운 기술 발전→ 생산방식 변화: 새로운 단계 도달예) 극소전자기술 발전 → 1960년대 이후 자동화 확산

→ 작업 공정의 성격 근본적으로 변화• 고급 기술이나 고부가가치 숙련노동: 자동화로 대체고도로 복잡한 의료 수술도 기계가 대체

• 로봇(Robot) 등장: 카렐 차페크의 작품 <로숨의 유니버설 로보트>라는희곡 작품에서 등장, 1920~30년대 처음 사용

사람의 일을 대체하는 기계, 체코 말로 '강제노동‘라는 뜻

한나 아렌트<인간의 조건>에서 “자동화는 수십 년 안에 공장을 텅비게 만들 것이고인간을 노동과 필연성으로 구속시키는 가장 자연적이고 오래된 속박에서해방시킬 것”이라 주장

Page 11: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3 로봇이어떻게인간노동을바꾸었나?

자동화와 포드주의존 메이나드 케인스• “기술 발달에 따른 실업이 일시적인 부적응 단계에서 나타나는 징후,

머지않아 기계 노예들의 천재성과 효율서 덕분에 일자리 걱정을 할필요가 없다”고 주장

월트 로스토우(Walt Whitman Rostow)의• <경제성장의 단계>에서 모든 나라의 경제 발전이 5단계를 거친다고 주장그 중에 4단계: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이행하는 이륙(take‐off)의 단계→ 산업화 → 성숙의 단계 → 대량 소비의 단계

• 결국, 대량소비를 할 수 있는 '풍요로운 사회‘가 모든 국가의 궁극적인목적이자 최고로 발전된 사회예) 1950년대 미국: 세계 모든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

Page 12: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3 로봇이어떻게인간노동을바꾸었나?

자동화와 포드주의• 포드주의 생산 방식이 더 많은 노동자들에게 자유성과 창의성을 선사한것이 아니라는 반론 존재

해리 브레이버맨(Harry Braverman)• <노동과 독점자본>에서 많은 노동자들과의 다양한 인터뷰를 통해 예상밖의 모습 전개, 육체노동자들은 기계의 부속품같이 단순한 일을 하게되었다고 고발, 사무직 관리직 노동자조차도 훨씬 더 숙련도가 떨어지는 일을 해야 하는 경우를 발견

• 탈숙련화(de‐skilling): 점점 노동자들의 기술이 후퇴하는 역설적인 현상→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꼭 인간에게 좋은 결과만 가져다만 주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

Page 13: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3 로봇이어떻게인간노동을바꾸었나?

자동화와 포드주의• 물론, 자동화가 진행되어도 새로운 형태의 고숙련 직업이 나타남→ 탈숙련화는 한쪽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님

인간의 노동에도 계층의 분화 발생•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재숙련화'(re‐skilling) 발생• 포드주의: 소비에도 큰 영향예) 포드주의를 도입한 대규모 프랜차이즈 빵집이나 떡볶이점 탄생

• 거대한 식품회사들: 세세한 것까지 표준 규정에 따른 포드주의 생산 수행→ 포드주의: 아직도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생활양식이자 소비양식• 소비 행태: 마케팅의 부산물소비: 개인의 취향 표현, 정체성 형성, 일상생활 지배

Page 14: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4 토요타자동차가바꾼세상

일본 토요타 자동차• 과거에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생산 방식 등장원래 아주 싼 차를 만드는 회사였으나, 1970년대부터 선풍적인 인기

• 인기 요인ⓛ 자동차 크기가 작아서 기름을 적게 사용 또한 엔진 개발에 주력

② 다양한 기종의 다품종 생산 시작독특한 팀 조직의 생산으로 비용 문제 해결팀별로 집단을 이루어 성과를 내면 성과급 지급

③ 계열사와의 관계품질이나 기술력을 검증한 후에 신뢰를 바탕으로한 계열사에게 장기적인계약을 맺어 경기가 어려울 땐 금융적 지원, 이와 같은 상호연결의 조직문화는 다양해지고 있는 소비자의 욕구에 대해 빠르게 반응하는데 긍정적으로작용

Page 15: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4 토요타자동차가바꾼세상

일본 토요타 자동차• 인기 요인④ 수요 차원의 변화1960년대 이후 소비자 욕구가 다양하게 변화탈산업화와 자동화로 인해 육체노동자의 수가 줄어들기 시작한 반면,대학을 졸업한 중산층 혹은 사무직의 화이트칼라 계층이 증가→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욕구→ 유연생산 방식인 다품종 소량 생산이 새로운 대안 모델로 등장이러한 생산방식을 ‘토요타주의’라 부름

찰스 세이블과 마이클 피오르이러한 변화를 유연 전문화(Flexible Specialization)라고 부름

예) 베네통(Benetton): 전 세계의 매장별 디자인이 다르게 전시지역별 디자이너들이 지역적 기호에 맞게 디자인해서 판매

Page 16: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5 시장의파편화가만든세상

틈새 시장• 니치(niche): 특정한 기호를 가진 사람의 관심 끌기 = 틈새 시장• 과거: 사람들이 표준화된 기호나 취향

→ 오늘날: 다양화, 개인화되는 취향, 틈새를 치고 들어가는 기업 등장

예) ①스타벅스• 전통 방식: 드립 커피나 고압의 에스프레소 커피• 포드주의 생산 방식: 전쟁에서 큰 인기• 분말 커피: 시간적 여유가 없는 전쟁 속 군인들에게 인기

→ 표준화된 맛 제공 예) 맥스웰• 스타벅스: 보편적인 상식을 깨고 새롭게 등장• 비싼 원두커피를 갈아 즉석에서 드립 커피나 에스프레소 제공• 커피를 위해 시간을 더 들여 천천히 즐길 수 있는 소비자 욕구 파악

→ 틈새 시장을 노림 → 새로운 유행

Page 17: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5 시장의파편화가만든세상

틈새 시장 제임스 하킨• <니치>에서 틈새 시장에 대한 경제적, 역사적 분석을 통해 역설적으로

‘니치’는 더 이상 틈새시장이 아닌 ‘주류’(mainstream)가 되었다고 주장• 니치: 미래사회를 이끄는 핵심 용어

• 대중은 주류를 좋아하지 않고, 신생 기업이 선풍을 일으킨다고 주장예) 미국 의료업체 ‘갭(Gap)’: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청바지와 캐주얼 룩에

집중 → 무명의 경쟁업체 아버크롬비에게 고객을 빼앗기며 추락

→ 틈새시장 성공 요인: 거대한 소비자의 시장은 더 이상 평균적 소비 기호를 가지고 있지 않음, 대중의 취향은 시간이 지나면서 쉽게 바뀌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즐기고 소화하는 법을 배움

Page 18: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6 노동이너희를자유롭게하리라?

“노동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근면한 노동 윤리를 강조하는 개신교의 윤리 선언• 현대 사회를 바꾼 자본주의 정신, 합리성의 승리= 현대 사회 모습

유연 전문화의 확산 결과에 대한 관점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 <제3의 물결>(The Third Wave)에서 정보혁명이 인간의 자율성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측• 정보혁명에 대한 낙관적 전망 제시• <권력 이동>에서 기계나 컴퓨터가 보급될수록 자본을 가진 자본가의

시대는 끝나가는 반면, 지식을 관리하는 시대가 온다고 주장= 창의성만 있다면 성공할 수 있다고 기대

→ 노동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정보사회에서커질 것이라 주장

Page 19: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6 노동이너희를자유롭게하리라?

탈희소성 사회• 두 가지 견해의 공통점: 현대 사회가 ‘탈희소성 사회’로 변화• 기계화, 자동화가 가속화 → 노동력의 희소성이 사라짐

대졸 청년 중 약 25% 이상: 노동시장에 진입도 못한 채 유휴노동• 현대 사회가 직면한 경제 문제: 과잉 공급, 과시 소비, 증가하는

불평등, 저소득층의 가처분 소득의 상대적 정체• 노동의 유연화: 사회의 구조적 변화라는 근본적인 사회학적 통찰 필요• 사회 전체: 하나의 포드주의 자본주의 → 유연한 자본주의 체제

다양한 개인들로 분화• 사회의 직업 구성이나 계층: 훨씬 다양화되고 파편화

→ 집단적 의식이 나 소속감보다 개인의 정체성과 취향에 대한 관심 증가• 이념적 차원: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가 20~30년간 전 세계를 지배

→ 개인의 이익, 이윤, 합리성, 효율성, 경쟁을 강조

Page 20: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7 자신의과거이야기가사라지다

칼 맑스노동자들이 한 장소에서 모여 살면서 공통의 생활방ㅅ 과 문화를 가지고자신의 객관적 삶의 조건 인식 → 공통적 계급의식 획득

• 그러나, 포드주의 체제가 무너지면서 노동자의 삶의 조건도 개인화→ 생산체제의 유연 전문화: 노동의 질이나 삶의 질 변화

리처드 세넷 (Richard Sennett)<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에서 현대사회의 유연성의 증가는 인간의노동을 질적으로 바꾸고 있다고 주장

• 유연화의 핵심: 조직의 지속적 개혁• 리엔지니어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직무 규모의 축소• 기업 구조조정 → 직장을 떠나는 노동자의 수 점점 증가• 인간 사회: 기업 중심의 사회로 재편

기업: 단기적으로 얼마나 이익을 얻어 낼 수 있는가를 봄유동적으로 변하는 사회적 관계: 서로 존중하고 배려할 필요 없음→ 서로에 대해 무관심, 개인화, 파편화

Page 21: 노동이남긴상처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korea/kimyuntae1/5.pdf한나아렌트 에서“자동화는수십년안에공장을텅비게만들것이고

7 자신의과거이야기가사라지다

노동의 유연화• 최근 한국의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직업: 공무원

→ 고용 불안의 시대에 부모의 기대가 반영• 현재 정년 보장이 가능한 직업:공무원, 교사, 대학교수

이마저 계약제로 변화• 노동의 유연화: 삶을 자유롭게 만드는 한편 불안 야기

리처드 세넷 (Richard Sennett)노동의 유연화 대안: 장인정신이나 장인 문화=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해 줄 수 있는 조직 문화

• 그러나, 유연화가 이끄는 노동 과정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이될 수 있을지 분명하지 않음→ 인간의 욕망과 장인정신 사이에는 커다란 벽 존재

• 분명한 점: 유연화된 노동이 남긴 상처 → 삶의 고통과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