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2006. 8.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 목 차 - 요약 Ⅰ. 연구의의.......................................................................... 1 Ⅱ. 소득양극화의 정의 및 특징............................................. 9 Ⅲ. 소득양극화의 원인......................................................... 28 Ⅳ. 시사점........................................................................... 56 [첨부1] 주요국 사례 - 미국, 일본, 유럽.............................. 65 [첨부2] 소득양극화 및 소득불균등 지수의 측정과 속성..... 89 [첨부3] 소득양극화 및 소득불균등 지수의 추이................. 95 작성 : 민승규 수석연구원(3780-8155) [email protected] 김용기, 이갑수, 김근영, 손민중, 양준호, 최희갑, 최홍, 심창섭 감수 : 정문건 연구위원(3780-8100) [email protected] 연구보고서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 pcsi.pa.go.krpcsi.pa.go.kr/files/20060805.pdf · 2004년 기준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er지수)8)는 신자유주의를 추구하 는 영미식 모델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006. 8.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 목 차 -

    요약

    Ⅰ. 연구의의.......................................................................... 1

    Ⅱ. 소득양극화의 정의 및 특징............................................. 9

    Ⅲ. 소득양극화의 원인......................................................... 28

    Ⅳ. 시사점........................................................................... 56

    [첨부1] 주요국 사례 - 미국, 일본, 유럽.............................. 65

    [첨부2] 소득양극화 및 소득불균등 지수의 측정과 속성..... 89

    [첨부3] 소득양극화 및 소득불균등 지수의 추이................. 95

    작성 : 민승규 수석연구원(3780-8155)[email protected]김용기, 이갑수, 김근영, 손민중,

    양준호, 최희갑, 최홍, 심창섭

    감수 : 정문건 연구위원(3780-8100)[email protected]

    연구보고서

    삼성경제연구소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 Executive Summary 》

    양극화 현상과 관련하여 논의가 분분하다. '양극화'라는 용어가 본질적인 의

    미와는 무관하게 가계, 기업, 산업 등 각 부문의 격차 확대 현상을 설명하는데

    통용되면서 사회적 논의의 초점이 분산된 탓이다. 그러나 각 부문의 성과 격

    차가 결국 소득격차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향후 논의는 소득양극화를 중심으

    로 전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소득불균등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중산층의 감

    소를 의미하는 소득양극화와 소득분포가 고르지 못한 상태를 나타내는 소득

    불균등은 측정과 해법에 있어 다른 접근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양극화 지수로 살펴 볼 때 한국의 소득양극화 현상은 1980년대 중반부터 외

    환위기 이전까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높은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실

    질임금이 상승하면서 중산층의 비중이 확대된 덕분이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중산층이 축소되고 하위 소득계층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소득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었다. 이후 2000년대 들어 일시적으로 개선되었던 소득양극화

    지수는 2003년부터 다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이러한 소득양극화의 심

    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소득불균등은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 아직까지

    는 양호한 수준이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의 소득양극화 심화에는 저성장과 내수침체, 노동시장의

    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와는 달리 수출과

    내수 간의 선순환 고리가 약화되어, 수출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고용은 크게

    늘지 않는 등 수출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 것도 한 원인이었다.

    노동시장의 경우에는 비정규직과 구조조정으로 인한 자영업자의 급증이 양극

    화 심화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한국이 당면한 문제는 소득불균등이 커지고 있는 것보다는 소득양극화

    심화 추세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의 초점을 소득이전을

    통한 분배 개선보다 성장을 통한 중산층 복원에 맞추어야 한다. 중산층 복원

    을 위해서는 성장잠재력 회복을 위한 건실한 유효수요 회복을 중점과제로 추

    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동시장, 금융시장 등 제도 간의 정합성을 강화하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끝으로 저소득 계층이 빈곤의 함정에서 탈출

    할 수 있도록 교육지원을 강화하는 등 동등한 기회 보장을 위한 정책적 배려

    가 수반되어야 한다.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i

    《 요 약 》

    Ⅰ. 연구의의

    □ 국가 및 사회적으로 양극화 현상과 관련된 논의가 다양

    - '양극화'라는 용어가 본질적인 의미와는 무관하게 사회 전반에 광범위하

    게 사용되면서 논의의 초점이 분산되는 경향

    ㆍ가구별 소득, 수출과 내수업종, 대기업과 중소기업,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의 각 부문에서 확대되고 있는 성과격차가 양극화 현상으로 통용

    - 기업, 산업, 노동시장 등에서 발생하는 성과격차가 결국 소득격차로 귀착

    된다는 점에서 향후 논의는 ‘소득양극화’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것이 필요

    □ '소득양극화'의 개념을 '소득불균등'과 동일시하여 혼란이 가중

    - 중산층의 감소를 의미하는 소득양극화와 소득분포가 고르지 못한 상태를

    나타내는 소득불균등의 개념이 혼용

    ㆍ소득양극화의 심화가 반드시 소득분배구조의 악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

    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제의식이 필요

    □ 양극화의 발생 원인과 배경에 대해서도 견해가 대립

    - 1990년대 중반 이후 가속화되기 시작한 세계화 및 산업구조 고도화 흐

    름 속에서 양극화의 발생은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현상이라는 '不可避論'

    - 한국경제가 지닌 구조적·제도적 특수성이 양극화를 필요 이상으로 심화

    시켰다는 '對應戰略失敗論'

    ㆍ불균형 성장전략, 외환위기 이후 영미식 제도개혁 등이 주요 요인

    □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및 정책 대상의 우선순위와 수단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불충분

    - 중산층의 감소를 문제로 보느냐, 아니면 소득불균등 심화를 문제로 보느

    냐에 따라 정책의 방향과 우선순위 등이 상이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ii

    ㆍ소득양극화의 경우에는 중산층 복원을 위한 성장잠재력 확충이 우선

    ㆍ소득불균등의 경우에는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지출의 확대를 강조

    - 취약 부문 대책의 필요성과 시급성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

    어 있으나 '방향과 수단'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

    - 일부에서는 국가전략시스템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고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

    □ 한국의 소득양극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여 소득양극

    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

    - 소득양극화의 정의와 엄밀한 측정을 통해 한국 소득양극화의 특징 파악

    - 한국사회 소득양극화의 구조적 원인을 찾아보고 한국의 소득양극화를 설

    명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계량적으로 분석

    - 이를 통해 소득양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 및 전략방향을 제시

    Ⅱ. 소득양극화의 정의 및 특징

    1. 소득양극화의 정의

    □ 소득양극화(income polarization)란 ‘중간 소득계층이 줄어들면서 소득분

    포가 양 극단으로 쏠리는 현상’을 의미

    - 본 연구에서는 중간값 소득을 기준으로 중산층의 범위를 규정

    ․ 중간값 소득의 50~150%에 해당하는 계층을 중산층으로 정의

    □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은 소득분포의 서로 다른 측면을 파악하는 개념

    으로서 각기 다른 측정방법 및 지표를 사용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iii

    - 소득양극화란 중산층의 감소에 따라 소득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이 분포의

    양 극단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지칭

    - 소득불균등은 소득분위별 분배상황이 균형분포(uniform distribution)1)를

    이루지 못한 현상을 의미

    - 소득양극화를 측정하는 측정지표는 Wolfson지수2)와 ER지수3) 등이 있으

    며, 소득불균등을 측정하는 지표는 지니계수와 5분위‧10분위 분배율 등이 대표적인 측정지표4)

    - 소득불균등 수준은 양호하더라도 소득양극화는 심각할 있으며, 역으로

    소득불균등이 심각하더라도 소득양극화는 양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2. 한국 소득양극화의 특징

    1) 한국 소득양극화의 특징

    □ 1984년부터 외환위기 이전까지 10여 년간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는 개

    선되는 모습

    - 1993년 Wolfson지수와 ER지수는 각각 0.25와 0.018로 최저치를 기록

    ㆍ1984년부터 하락하기 시작하여 외환위기 이전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

    - 이 기간 동안 소득양극화 지수가 하락세를 보인 이유는 높은 경제성장세

    와 임금상승률 때문

    ㆍ같은 기간 한국경제는 부분적인 등락은 있었으나 경제가 순조롭게 성장

    * 평균 GDP 성장률(%)

    : 5.9(1979~1983년)→ 8.1(1984~1997년) → 4.2(1998~2005년)

    1) 사회구성원 모두가 똑같은 소득을 나누어 갖는 균등한 분배 상태를 말함2) Foster, J. E. and Wolfson, M., Polarization and the Decline of the Middle Class: Canada and the U.S,

    Mimeo, Vanderbilt University, 1992 ;

    Wolfson M, 'When Inequalities Diverg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84, 1994.

    3) Esteban. J. and Ray. D, "On the Measurement of Polarization", Econometrica, Vol.62, 1994.

    Duclos. J., Esteban. J., Ray. D, "Polarization:Concept, Measurement, Estimation", Econometrica, Vol.72, 2004.

    4) 개별지표에 대한 상세한 개념과 지수도출 과정은 [첨부2]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지수의 측정 및 속성을 참조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iv

    ㆍ같은 시기에 발생한 실질임금의 상승도 소득양극화 해소에 일조

    * 실질임금 상승률이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상회하는 추세가 1991

    ∼1996년까지 6년간 지속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 Wolfson지수 및 ER지수) 추이

    0.27

    0.29

    0.25

    0.28 0.28

    0.021

    0.021

    0.018

    0.020

    0.20

    0.24

    0.2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0.018

    0.019

    0.020

    0.021

    0.022

    0.023

    0.024

    0.025

    Wolfson지수(좌) ER지수(우)

    주: 소득은 소득 10분위별 도시근로자 소득을 기준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에 소득양극화 지수가 현저히 증가

    - Wolfson지수는 외환위기 이전인 1997년 대비 7.7% 상승하였고, ER지

    수도 10.5% 상승

    □ 외환위기 직후 대폭 상승한 소득양극화 지수는 2000∼2002년 사이에 하

    락을 보이거나 현상을 유지하다 2003년 이후 다시 상승

    - 소득양극화 지수의 하락은 외환위기 직후 나타난 중산층 해체가 다소나마

    완화되었거나 중산층의 복원이 이루어졌음을 의미

    - Wolfson지수는 2003년 이후 최근까지 완만한 상승추세를 보임

    ․ ER지수는 이보다 빠른 2002년부터 상승추세가 가속

    □ 최근 8년간 중산층 비중 축소가 하위소득계층 비중 증가로 연결

    - 2005년 중산층 비중은 1997년에 비해 5.3%p 하락한 반면, 상위층과 하

    위층은 각각 1.7%p와 3.7%p 상승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v

    - 같은 기간 중 중산층에서 하위층으로 이동한 인구는 174.7만 명인데 비

    해 상위층으로 이동한 인구는 94.5만 명으로 추정5)

    소득계층별 비중 추이

    1 3 .4 1 4 .9 1 7 .1

    6 4 .8 6 1 .9 5 9 .5

    2 1 .8 2 3 .2 2 3 .5

    0 %

    2 0 %

    4 0 %

    6 0 %

    8 0 %

    1 0 0 %

    1 9 9 7 2 0 0 0 2 0 0 5

    하 위 층 중 산 층 상 위 층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 소득불균등 수준을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도 외환위기 직

    후인 1998년부터 급격하게 상승

    - 소득 5분위 배율의 경우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과 1999년 각각 5.41

    과 5.49를 기록하면서 급상승

    - 지니계수도 1998년 0.32를 기록하여, 전년(1997년)대비 0.04p 상승

    한국의 소득불균등 지수(소득 5분위 배율 및 지니계수) 추이

    4 .3 5

    5 .1 8

    5 .4 35 .4 1

    5 .0 1

    0 .3 2

    0 .3 10 .3 10 .3 1

    0 .2 8

    4 .0

    4 .5

    5 .0

    5 .5

    6 .0

    '8 2 '8 3 '8 4 '8 5 '8 6 '8 7 '8 8 '8 9 '9 0 '9 1 '9 2 '9 3 '9 4 '9 5 '9 6 '9 7 '9 8 '9 9 '0 0 '0 1 '0 2 '0 3 '0 4 '0 5

    0 .2 5

    0 .2 6

    0 .2 7

    0 .2 8

    0 .2 9

    0 .3 0

    0 .3 1

    0 .3 2

    0 .3 3

    5 분 위 배 율 (좌 ) 지 니 계 수 (우 )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5) 가구원이 일정하고 추계인구 평균을 전체인구로 한다는 가정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vi

    - 외환위기 이후 저소득층 적자규모가 증가하여 저소득계층의 빈곤율6)이

    증가7)

    ㆍ경상소득 기준 빈곤율 추이(%): 3.1(1996년)→8.2(2000년)→10.4(2003년)

    ㆍ가처분소득 기준 빈곤율 추이(%): 3.5(1996년)→9.2(2000년)→11.6(2003년)

    □ 2003년 이후의 소득양극화 지수와 지니계수를 비교해볼 때 양극화 현상

    이 소득불균등 현상보다 정도가 심함

    - 지난 3년간 진행된 소득양극화 정도는 소득불균등 악화보다 심각한 것으로 추정

    - 이는 2003년 이후에 한국사회에서 소득불균등 현상보다도 소득양극화

    현상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의미

    소득양극화 지수(ER지수) 및 소득불균등 지수(지니계수) 추이 비교

    113113 113

    109

    111110

    113112

    110112 110109108

    110

    112113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14

    '97 '98 '99 '00 '01 '02 '03 '04 '05

    ER지수 지니계수

    주: 지니계수와 ER지수 모두 1997년의 수치를 100으로 표준화하여 계산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6) 빈곤율은 소득이 중소도시 기준 최저생계비(2003년 4인 가족 기준: 102만 원)인 빈곤선 이하 사람 수(혹은 가구 수)를 전체 인구 수(혹은 가구 수)로 나눈 수치를 의미

    7) 빈곤율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주요 국가에 비해 빈곤의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크고 빈곤 수준 자체도 매우 높은 국가군에 해당. 비교대상 국가는 한국, 미국, 영국, 멕시코, 대만, 캐나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 이탈리아, 그리고 스페인 등 12개국 (여유진 등,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 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vii

    2) 국제비교를 통해 본 소득양극화의 특징

    【소득양극화】

    □ 2004년 기준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ER지수)8)는 신자유주의를 추구하

    는 영미식 모델의 주요 국가인 미국보다는 훨씬 양호하나 영국과 유사

    - 2004년 소득 5분위별 전 가구 기준의 경상소득을 기초로 한 한국의 소

    득양극화 지수(ER지수)는 0.0665를 기록

    ․ 미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는 0.0833으로 한국의 양극화 수치를 크게 상회 ․ 영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는 0.0653으로 한국과 유사

    -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는 노르딕 모델의 대표적 국가인 스웨덴, 유럽

    대륙 모델인 프랑스․독일 및 아시아 국가인 일본의 수치를 상회

    각국의 소득양극화 지수(ER지수) 비교(2004년)

    한국 미국 영국 스웨덴 독일 프랑스 일본

    소득양극화

    지수

    0.0665

    (100)

    0.0833

    (125.3)

    0.0653

    (98.2)

    0.0563

    (84.7)

    0.0474

    (71.4)

    0.0434

    (65.3)

    0.0507

    (76.2)

    주: ( )안의 숫자는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를 100으로 표준화했을 경우의 수치 자료: 각국의 통계청 DB에 의거 작성

    □ 1인당 소득 1만 5천불9) 도달시기를 기준으로 한국, 미국, 일본의 소득양

    극화 지수를 비교하면 한국은 일본수치를 크게 상회하고 미국수치를 하회

    - 한국은 2000년도에 PPP기준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5천불 수준이었으나

    미국과 일본은 각각 1983년과 1987년에 도달10)

    8) 국가별로 소득양극화 지수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통상 소득양극화 지수 산출 시 이용하는 ‘도시근로자 경상소득’ 기준보다는, 표본이 커서 설명력이 높은‘전 가구 기준의 경상소득’으로 계산하는 것이 합리적임.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소득 5분위별 ‘전가구 기준 경상소득’으로 소득양극화 지수를 계산. 단, 스웨덴의 경우 자

    료의 한계로 소득 5분위별 도시가구 기준 가처분소득으로 계산

    9) 1인당 소득은 PPP(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10) IMF IFS DB에 의거 작성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viii

    -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2000년, 0.0562)는 미국수치(1983년, 0.0733)

    와 비교해 0.0171p 차이로 미국수치를 하회

    ․ 반면 일본수치(1987년, 0.0363)와 비교해서는 0.0199p 상회

    - 이는 한 개인의 구매력과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고려한 한국의 양극화 수

    준이 일본 수준보다는 훨씬 심각하다는 의미

    1인당 소득 1만 5천불 시기의 소득양극화 지수 비교

    한국(2000년) 미국(1983년) 일본(1987년)

    소득양극화 지수 0.0562 0.0733 0.0363

    【소득불균등】

    □ 2004년 기준으로 한국의 소득불균등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양호

    - 한국의 1인당 소득수준은 세계 28위이나 소득균등 정도는 13번째로 상

    대적으로 소득수준에 비해 평등

    - 1인당 국민소득이 세계 1∼30위까지의 5분위 배율로 표현한 소득불균등

    도의 평균은 6.37을 기록, 한국(5.03)수치를 크게 상회

    - 한편, 한국수치(5.03)는 미국(8.5)보다 낮고 일본(3.4) 및 북유럽(스웨덴:

    4.0, 노르웨이: 3.9, 덴마크 4.3)보다는 높은 수치를 기록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ix

    각국의 1인당 소득순위와 소득 불균등도 비교(2004년 기준)

    3.9

    8.57.2 7.0

    9.8

    14.9

    6.8 6.4

    4.1

    7.9

    3.5

    19.1

    6.15.8 5.06.15.46.55.85.65.5

    3.84.8

    3.44.34.54.04.3

    4.6 4.8

    0.0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룩

    셈부

    르크

    노르

    웨이

    스위

    아일

    랜드

    덴마

    아이

    스랜

    미국

    스웨

    일본

    오스

    트리

    네덜

    란드

    영국

    핀란

    벨기

    프랑

    독일

    캐나

    호주

    이탈

    리아

    싱가

    포르

    홍콩

    스페

    뉴질

    랜드

    그리

    이스

    라엘

    슬로

    베니

    포르

    투갈

    한국

    체코

    멕시

    소득 불평등도(5분위배율) 평균: 6.37

    주: X축의 순서는 1인당 국민소득 1위인 룩셈부르크부터 30위인 멕시코까지를 순서대로 나열 자료: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05", 2005

    □ 전 가구를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로 보아도 한국은 소득분배 상황이 미국,

    영국, 호주보다 양호11)

    - 한국의 지니계수는 전가구기준 0.35로 일본을 제외한 미국, 호주, 영국의

    수치를 하회

    전체 가구 기준 각국의 지니계수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호주

    지니계수 0.35 0.46 0.31 0.38 0.44

    주: 기준연도는 한국 2005년, 일본 2000년, 미국 2003년, 호주 2000년, 영국 2001년자료: 통계청 ECOS DB, Worldbank WDI DB, 재경부 발표자료 등에 의거 작성

    - 한국경제는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현상이 동시에 발생

    - 단, 소득양극화가 소득불균등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분배구조

    개선’보다는 ‘중산층 복원’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

    - 국제비교에 있어 소득양극화는 영국에 근접하는 등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소득불균등은 선진국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분석

    11) 이전까지 한국의 지니계수는 도시가구를 기준으로 하였지만 2003년 이후에는 전국가구를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도 동시에 발표. 시계열 분석을 할 경우 시계열 자료가 긴 도시근로자 기준 지니계수를 주로 이용하나 국별 비교의 경우 광범위한 표본으로 설명력이 높은 전국가구 기준 지니계수를 이용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

    Ⅲ. 소득양극화의 원인

    1. 양극화의 구조적 원인

    1) 세계화, 중국의 부상, IT 진보 가속화 등 환경변화

    □ 외환위기 이후 세계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양극화 정도가 심화12)

    - 세계화가 진전됨에 따라 국가 간 격차가 발생하는 동시에 일국 내의 양

    극화가 가속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일부 기업들은 보다 많은 매출증대와 이익을 올리

    는 반면, 대다수의 기업들은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는 양상

    ㆍ개인차원에서 세계화의 흐름에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하여 지식․기술 등 지적 능력을 효율적으로 축적하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간에 큰

    차이가 발생

    □ 중국은 1970년대 개방 이래 연평균 9~10%대의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한중 양국 간 교역증가는 물론 세계시장에서 한국과 경쟁이 격화

    - 완구, 섬유, 신발 등과 같은 경공업 부문의 시장 잠식은 물론, 최근에는

    IT, 철강 부문 등의 성장세도 가속화되는 상황

    - IT․부품소재 부문 제품의 對중국 수출은 증가하고 있으나, 중국의 수출 증대로 전통산업에서 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감소

    - 국내 투자는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반면 對중국 투자는 큰 폭

    으로 증가

    12) 양극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주장 가운데 이른바 노동수요설에 의하면, 세계화, 기술진보는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가져온 주된 요인으로, 1980년대 이후 노동수요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봄(윤진호,“소득 양극화의 원인과 정책대응 방향”, 『한국경제 : 세계화, 구조조정, 양극화를 넘어』, 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5.)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i

    ㆍ중국 현지에서 직접 조달․생산 및 판매하는 사례가 급속히 늘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

    □ IT 등 첨단 부문의 기술진보가 부문 간 노동생산성 격차를 불러와 궁극

    적으로 기업 및 산업 경쟁력에 영향

    - 제조업 부문의 노동생산성을 산업구조별, IT 부문별, 기업규모별로 살펴

    보면, 1990년대 말 이래 부문 간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양상

    ㆍ특히, IT부문과 非IT부문 간의 노동생산성 격차가 확대

    - 이들 부문 간 경제적 성과격차가 커짐에 따라 생산성 및 이익률 등의 괴

    리 확대는 물론 고용에 미치는 영향도 심각

    ㆍIT산업의 취업유발계수(생산액 10억 원당 유발되는 취업자 수)는 1990

    년 36명에서 2000년 9.9명으로 감소

    ㆍ전체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같은 기간 39명에서 14.4명으로 감소

    2) 외환위기 이후의 제도적 변화 : 대기업, 금융, 노동 구조조정

    □ 외환위기 이후 일부 대기업과 여타 기업 간의 생존역량 확보를 위한 노력

    이 양분되면서 소득양극화의 한 요인으로 작용

    -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하여 재생한 대기업은 체질개선을 통해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도약

    ㆍ기업전체의 당기순이익에서 초대형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증가하는 추세

    * 당기순이익에서 상위 3사의 흑자 기업전체에서의 비중은 97년 16%에

    서 2004년 20.4%로 증가(상장사와 코스트 등록사 기준)

    - 대기업은 매출액 영업이익률에서 중소기업을 상회하며 2001년 이후 격

    차가 더욱 확대

    ㆍ기업 간 실적격차는 소속 임직원들의 임금격차 확대로 연결되는 한편,

    우수인력의 중소기업 기피가 심화되고 중소기업의 역량 저하로 연결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ii

    기업규모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0

    2

    4

    6

    8

    10

    12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대기업 중소기업

    %

    주: 1. 중소기업은 상시근로자수 300인 미만 또는 자본금 80억 원 이하기업임 자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 외국인 투자 증가와 주주자본주의 강화, 규제강화 등으로 대기업 투자가

    부진해지는 등 기업 전체의 활력이 저하

    - 적대적 M&A 규제완화 등으로 외부 주주의 경영개입 가능성이 높아짐

    ․ 외부주주의 경영권 간섭이나 잠재적 M&A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보유 현금을 늘리는 추세도 투자활성화의 장애요인

    - 출자총액제한제도나 부채비율 축소 등의 규제도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

    - 수익이 급락하는 중소기업이 증가하는 가운데도 부도법인 수는 오히려

    줄고 M&A는 활성화되지 않아 과당경쟁이 심화되는 양상

    ㆍ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대대적 정책자금 지원으로 과당경쟁이 발생

    □ 외환위기 이후 시장지향형 금융 시스템을 급속히 도입하면서 은행의 기업

    대출 비중이 하락하는 등 관계지향형 금융기능이 약화13)

    13) 권순우 등, 『한국의 금융현실과 금융효율화를 위한 과제』, 삼성경제연구소, 2004.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iii

    - 은행이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기능보다는 은행 자체의 수익성과 건전성

    제고를 강조하면서 관계지향형 금융기능이 약화

    - 신용평가 기능, 투명한 회계 및 공시제도 등이 미흡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금융시장을 개방

    - 은행의 기업대출 축소는 관계지향형 금융 의존도가 큰 중소기업에 영향

    □ 기업․금융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직자들이 대거 자영업에 진입하여 자영업자 간에 경쟁이 심화되고 비임금 근로자 비중이 증가

    -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이 상시화되면서 자영업 창업이 증가

    ㆍ자영업자 수(농업 제외) : 약 420만 명(1998년)→약 500만 명(2004년)14)

    - 내수 위주의 서비스업 활동이 위축되는 가운데 자영업자 간 과당경쟁이 발생

    - 자영업자 및 가족종사자 등 비임금 근로자의 수는 2005년 767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에서 33%의 비중을 차지

    □ 외환위기 이후 경력직 선호, 연봉제 확산, 노동 유연성 확보 등 노동시장

    의 제도적 변화도 소득양극화의 한 요인으로 작용

    - 청년층의 구직난 및 실업이 가중된 것은 물론, 능력 위주 고용 시스템 도

    입으로 동종직종 간 소득격차가 확대

    - 실업자를 위한 사회적 보호장치가 미흡

    ㆍ취약계층의 사회보험적용률이 저조하여 5인 미만 사업체의 고용보험 가

    입률이 26.6%에 불과

    ㆍ고용보험이 1인 이상 전 사업장으로 확대되었으나 실제 가입자는 전체

    임금근로자의 50% 수준(2005년 현재 피보험자 수 776만명)

    ㆍ실업급여의 수급율도 25%로 미국(36%), 일본(38%), 독일(44%) 등 선

    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

    14) 재정경제부, 『경제양극화 현황과 정책과제』, 2005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iv

    - 임금근로자 내에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확대되는 등 고용지위의 격차

    가 확대

    ㆍ2005년 중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47.9%로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43.2%에 비해 상승

    3) 경제 선순환구조의 약화

    □「수출 증대 → 투자․고용 증대 →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경제의 선순환 구조가 외환위기 이후 약화

    - 외환위기 이전에는 1에 가까울 정도로 밀접했던 수출과 내수 간의 상관

    관계가 외환위기 이후 크게 약화

    ㆍ외환위기 이후 수출은 연평균 11.6% 증가한 반면, 내수는 -0.02% 감소

    ㆍ수출과 내수의 상관관계는 0.98(외환위기 이전)에서 -0.36(외환위기 이

    후)으로 약화

    외환위기 전후 경제성장과 내․외수 증가율 추이 (%, 연평균 증가율)

    1970∼1997년 1998∼2005년 전 기간

    실질 경제성장률 7.8 5.8 6.9

    수출증가율(통관기준) 20.8 11.6 18.1

    내수증가율 6.7 -0.02 4.8

    수출과 내수의 상관관계 0.98 -0.36 0.86

    - 수출이 부품․설비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IT산업 위주로 재편되면서, 수출 호조가 국내 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 확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

    ㆍ수출의 국내 부가가치 유발계수 : 0.70(’95) → 0.63(’00) → 0.58(’03)

    ㆍ수출의 고용유발 효과(명/10억원)

    : 46.3(1990) → 25.8(1995) → 15.7(2000)15)

    15) 재정경제부,『경제양극화 현황과 정책과제』, 2005.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v

    양극화의 원인 및 발생양태 간의 관계도

    외 환 위 기

    발발

    소득

    양극화

    대 내 외환 경 변 화

    구 조 적 /대 내 적 원인 발생양태

    대 기 업 구 조 조 정

    금 융 구 조 조 정

    노 동 구 조 조 정

    대 ․중 소기 업 간격 차 가 속화

    고 용 격 차 확 대

    내 수 침 체

    세계화 진전

    중국의 부상

    IT 진보 가속화

    2. 소득양극화 원인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 효과적인 양극화 해소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소득양극화의 원인별로 상대

    적 중요도를 분석하고 결정적인 요인을 판별

    - 소득이 국민경제 활동의 최종적인 결과인 만큼 소득양극화의 결정 요인

    은 광범위

    양극화 결정모형 구축을 위한 요인분석 절차

    주)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Granger Causality Test)16)

    16) 그랜저 인과관계(Granger Causality)는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를 예측하는데 유용한가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인 회귀방정식은 단순한 상관성을 반영하나 노벨상을 수상했던 Clive Granger는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는 검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변수 X가 Y에 대해 그랜저 인과관계가 있다(Granger-cause)고 함은 Y의 과거

    변수를 설명변수로 이미 포함한 상태에서 X의 과거변수를 포함하였을 때 이 변수가 미래의 Y값에 대해 통

    계적으로 유의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를 말함. C. Granger (1969),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s by

    economic models and crossspectral methods”, Econometrica 37, No. 3 (July), 424-438.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vi

    □ ‘원인변수 선정 → 중요변수 선별 → 결정모형 구축’ 순서로 양극화 결정

    모형을 도출

    - 원인변수는 기업, 산업, 노사, 금융 구조를 대표하는 변수에서 선정하되

    국민경제의 성과와 대외적 요인을 감안

    ㆍ국민경제의 성과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성을 포함

    ㆍ대외적 요인은 한국경제의 개방도(수출입 합계/국내총생산)로 대표

    - 통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중요 변수를 선별

    - 선별된 중요변수를 중심으로 양극화 모형을 구축

    ㆍ중요변수를 모두 포함하는 회귀방정식에서 출발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변수를 제거해나 감으로써 양극화 모형을 도출

    【경제성장률, 수출․내수간의 성장률 격차가 주요 결정 요인】

    □ 양극화와 상관성이 높은 변수를 중심으로 양극화 설명 모형을 구성하여

    소득양극화 지수와 설명 요인간의 체계적 관계를 규명

    - 시차상관계수, 그랜저 인과관계에서 양극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선행

    성이 인정되는 변수를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양극화 설명 모형을 구성

    - 선별된 중요 변수를 중심으로 ‘general-to-specific’ 기법에 따라 양극화

    의 기본 모형을 구축

    ․ ‘general-to-specific’ 기법은 상관성과 인과성이 높은 변수를 소득양극화 지수의 설명변수로 모두 포함하는 회귀방정식에서 출발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변수를 순차적으로 제거17)

    17) general-to-specific기법은 무수한 설명변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개별 설명 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지켜지고 모형의 간결성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설명변수를 선별해 내는 통계적 기법으로 Hendry(1995)가 제안하였으며 순차적 검정 절차(sequential-testing procedure)로도 불린다. (Hendry, D. F. (1995), Dynamic Econometr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Krolzig, Hans-Martin(2003) “General-to-Specific Model Selection Procedures for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 Statistics, Vol. 65. s1, p769-801)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vii

    □ 모형 추정 결과, 경제성장률 하락과 수출과 내수 간 성장률 격차 등 경기

    요인이 소득양극화 지수를 악화 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분석

    - 경제성장률의 탄성치는 0.01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유의한 수준

    양극화를 설명하기 위한 기본 방정식(양극화 결정 모형)

    ▶ 추정식: DERSA = -0.295DERSA(-1) + 2.897 XDGAP - 0.012DLGDP

    (-1.952)* (2.388)** (-2.447)**

    □ 적합도: Adjusted = 0.253572, Durbin-Watson 통계량=2.227

    □ 추정기간: 1985년 2/4분기~2005년 4/4분기

    □ 변수명 : DERSA = 양극화 ER지수의 1차 차분치

    XDGAP = 수출과 내수의 성장률 격차

    DLGAP = GDP 로그값의 1차 차분치

    【추가적으로 노동시장 변수들도 양극화 악화에 기여】

    □ 기본 방정식에 소득양극화 결정 요인으로 추정되는 변수를 순차적으로 도

    입하여 기여도를 판정

    - 기여도는 해당 방정식의 ‘조정된 R2’가 얼마나 높아지는 가를 보는 ‘한계

    (marginal) R2’를 중심으로 판정

    □ 임시직 비율과 자영업자 비율이 양극화 추가 기여율 1, 2위를 기록

    - 임시직 비율 변수를 기본 방정식 체계의 설명 변수로 추가시 R2값이 가

    장 크게 증가

    ㆍR2의 증가분이 0.06으로 타 변수보다 3배 이상 개선

    - 개방도는 3위를 기록하였고 가계대출 비중 및 단기유동성 비율은 5, 6위

    로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낮았음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viii

    한계 R2: 새로운 설명 변수 추가시의 조정된 R2의 증가 규모

    추가되는 설명변수 계수값 t값 조정R2 R2 증가규모

    임시직 비율 0.000493 2.261** 0.315895 0.062323

    자영업자 비율 0.000475 2.092** 0.279667 0.026095

    개방도 0.000087 2.047** 0.276187 0.022615

    일용직 비율 0.000787 1.908* 0.274341 0.020769

    가계대출 비중 0.000275 1.993** 0.270838 0.017266

    단기유동성비율 0.000520 1.890* 0.270574 0.017002

    【경제성장률이 1%p 증가할 경우 소득양극화 지수는 0.57% 감소】

    □ 경제성장률이 1% 증가할 경우 소득양극화 지수의 증감분은 -0.00012

    - 소득양극화지수의 증감분(-0.00012) = 경제성장률 증감분×기본 방정식

    의 민감도 계수 = 0.01*(-0.012)

    ㆍ 0.01은 경제성장률이 1% 증가함을 의미

    ㆍ -0.012는 기본 방정식의 민감도 계수

    □ 2005년 기준으로 경제성장률이 1%p 추가 증가할 경우 소득양극화 지수

    가 0.57% 감소

    - 소득양극화 지수가 2005년 0.021에서 0.02088로 변해 0.57% 감소

    - 예를 들어 경제성장률이 4%에서 5%로 1%p 증가할 경우 소득양극화 지

    수가 0.57%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

    □ 분석결과 경제성장세 회복과 더불어 신속한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추가

    성장세 회복과 더불어 보완적인 구조조정 대책의 병행이 필요

    - 결국 성장세 회복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구조조정 대책의 병행이 요구

    - 특히 노동시장의 질적 개선과 금융기관의 중개기능 회복에 초점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ix

    Ⅳ. 시사점

    □ 한국 소득양극화의 심화 현상은 외환위기 이후 나타난 경기침체와 성장률

    저하로 인해 촉발

    - 외환위기 직후 경제성장률의 저하로 실업률이 증가하고 중산층 감소 현

    상이 본격화

    - 특히 외환위기 이후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고 수출과 내수의 연결고리가

    약해지면서 양극화 심화 추세 지속

    - 한국의 1인당 소득수준은 선진국보다 훨씬 하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득양극화의 정도는 미국을 제외한 여타 선진국가보다 높은 수준

    - 또한 외환위기 이후 기업․금융․노사 부문 등 경제 전반에 걸친 개혁정책도 부분적으로 양극화 현상의 심화에 영향

    ‘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중산층 복원

    □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성장잠재력 회복을 위한 건실한 유효수요 확대’

    가 무엇보다 중요

    - 소득불균등 완화보다는 소득양극화가 심화 방지 및 해소가 더 시급히 해

    결해야 할 과제이므로 ‘분배구조 개선’보다는 ‘중산층 복원’에 초점

    ㆍ경제성장을 통한 고용창출이 소득 증대로 이어져야 중산층 복원이 가능

    - '시장'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장중심적 개혁과 각종 사회정

    책 간에 최적의 조합을 추구

    ㆍ제도 개혁 차원에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정합성 강화’도 필요

    ㆍ노동시장의 왜곡 시정 및 금융의 선순환적 기능 회복도 중요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x

    -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여 이들이 ‘빈곤의 함정’에서 벗어

    날 수 있도록 ‘동등한 기회 보장’의 틀을 제도적으로 마련

    ㆍ빈곤의 대물림 현상이 구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 개발

    기회 제공이 유용한 재분배 수단

    ㆍ소득이전 정책은 급격한 재정 악화가 초래되지 않도록 최하위 빈곤층

    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시행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전략 방향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xi

    전략 방향 ① : 성장잠재력 회복을 위한 건실한 유효수요 창출

    ▶ ‘더 좋은, 더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산업군 육성

    ▶ 경제의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

    ▶ 기업의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 및 여건 조성

    □ ‘더 좋은 더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전략산업군을 육성하여 중

    산층 복원과 연결

    - 고용규모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숙련된 노동력에 부합하는 ‘양질’의 일

    자리를 창출하는 데에도 초점

    - 성장잠재력이 크고 고용창출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전략산업을

    육성하여 신규 일자리를 창출

    □ 성장 친화적 정책으로 ‘중산층의 경제심리’를 안정시켜 소비를 진작

    - 경제의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심리불안에 따른 소비억제를 해소

    최근 내수부진의 원인

    ▶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심리 위축

    - 조기퇴직과 고령화로 인한 노후불안 등으로 소비보다는 저축을 선호

    ▶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우려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증대

    ▶ 소비여력 축소로 소비에 쓸 여유자금 부족

    - 가계부채 조정으로 원리금 상환부담 확대

    - 과중한 준조세 부담과 사교육비 부담으로 소비여력 소진

    ▶ 취약한 서비스 부문도 내수 진작의 활로를 차단

    □ 기업이 투자와 창업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와 여건을 조성

    - 공정한 게임 규칙에 의해 ‘승자’가 결정되는 경제시스템을 위한 감시기능

    강화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xii

    전략 방향 ② : 제도적 정합성 강화

    ▶ 금융 및 기업 관련 제도 간의 정합성 확보

    ▶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추진

    □ 특정 부문의 현안 해결을 중시하는 부문 최적화 논리에서 탈피하여 전체

    최적화를 지향하는 넓은 시각을 견지

    - 고용 및 소득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동개혁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노동

    제도와 상호 보완성을 가질 수 있는 금융제도 및 기업관련제도 등의 타

    부문 제도와의 정합성을 고려

    - 국가 활력 제고라는 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상호 보완적 제도 구축

    □ 유효수요 창출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제도적 정합성 확보 노력이 필요

    - 외환위기 이후 수용된 제도들이 부문 간 보완성을 가지는지를 점검

    ㆍ기업-금융제도-노동시장 간에 존재하는 ‘한국적’ 제도의 상호 보완성을

    경시한 IMF 방식의 급진적 개혁으로 경제 시스템의 효율성 저하가 초래

    - 글로벌 스탠더드의 급격한 도입에 따라 왜곡된 경제구조를 복원

    □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active labor market policy: ALMP)18)을 추진

    - 548만 명에 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증가(전체 근로자의 36.6%)가 소

    득양극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

    - 저임금 근로자의 규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의

    동시 확보가 필요

    18)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소극적' 노동시장 정책에 대비되는 개념. 소극적 노동시장 정책은 실업자가 된 후에 실업급여 등을 통하여 소득지원을 해주는 사후지원 위주의 정책,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은 교육훈련과 직업중개 등을 통하여 실업자가 되지 않도록 지원하거나 실업자가 되더라고 곧바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xxiii

    전략 방향 ③ : 동등한 기회의 보장

    ▶ 평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하여 빈곤의 대물림 방지

    ▶ 재정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득이전 규모를 확대

    ▶ 복지예산 증가 추세에 부응할 수 있는 사회복지 행정 인프라 구축

    □ 현실적으로 교육투자에 여유가 없는 저소득층의 자녀교육 기회 확대를 통해

    계층 이동 가능성(social mobility)을 제고

    - 다음 세대의 소득격차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교육 혜택에서 저소득층이

    차별받지 않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

    - 공교육을 정상화해 저소득층 학생이 학교교육을 충실히 이수할 경우 대학

    입시에서 동등한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는 ‘제도적 안전장치’를 마련

    □ 재정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회복지 지출 규모를 확대

    - 재원확보 과정에서의 논란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ㆍ지난 10년간 사회복지 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OECD 기준

    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규모가 낮은 것이 사실

    □ 복지예산 증가 추세에 부응할 수 있는 사회복지 행정 인프라 구축

    - 공정한 수혜 범위 선정과 행정비용 낭비 방지를 위해 저소득층 지원 기

    능에 대한 통합적 관리가 필요

    ㆍ인구 1,000명당 사회복지 공무원 수19) : 한국 0.11명, OECD평균 12.2명

    - 사회복지혜택이 미치지 못하는 부문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준을 보완하고

    수혜범위를 현실화

    - 저소득층의 상대적 박탈감을 완화시키고 소득능력(earning capacity)을

    향상할 수 있도록 주거, 양육, 의료 등 생활환경에 대한 지원을 강화

    19) 기획예산처, 『분야별 공무원 비중의 국제비교』, 2006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

    분배 중시 성장 중시

    현상인식 - 소득불균등과 취약계층 확대 심각 - 변화적응능력에 따른 불가피한 성과격차

    원인- 불균형 성장전략 등 압축성장 과정의 내부

    모순- 장기적 경제침체와 성장 동력의 약화

    대책기조 - 균형 발전 정책 및 성장과 분배의 동반 - 지속적 경제성장과 기업하기 좋은 환경 우선

    재정- 사회복지지출이 OECD 대비 낮은 수준

    - 정부의 재정기능 강화 및 증세

    - 조세감면 축소, 음성탈루소득 과세

    - 준조세 등을 포함한 정부 규모는 작지 않음

    - 정부 예산 구조조정이 우선

    - 감세조치를 통한 인센티브 제공

    일자리대책

    - 경제 활성화만으로는 일자리창출에 한계

    - 사회적 일자리 창출- 지속적 경제성장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

    사회안전망 -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강화 필요에 대해서는 공감

    Ⅰ. 연구의의

    1. 연구 배경

    소득양극화 현상의 본질에 대한 재조명 필요

    □ 국가 및 사회적으로 양극화 현상과 관련된 논의가 다양

    - ‘양극화’라는 용어가 본질적인 의미와는 무관하게 사회 전반에 광범위하

    게 사용되면서 논의의 초점이 분산되는 경향

    ㆍ가구별 소득, 수출과 내수업종, 대기업과 중소기업,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의 각 부문에서 확대되고 있는 성과격차가 양극화 현상으로 통용

    - 양극화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담론과 인식은 현상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과정에도 혼란을 야기

    소득양극화에 대한 상반된 인식

    - 기업, 산업, 노동시장 등에서 발생하는 성과격차가 결국 소득격차로 귀착

    된다는 점에서 향후 논의는 ‘소득양극화’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것이 필요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

    □ 소득양극화의 본질과 사회적 통념에 대한 재점검과 실천적 대안 모색이

    시급

    - 소득양극화의 개념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분산된 논의를 통합하여 현상

    간의 유기적 관계와 문제의 본질을 파악할 필요

    - 정확한 현상 진단에 근거하여 소득양극화 해소에 일조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처방을 내리는 것이 급선무

    2. 기존 논의 검토

    (1) 소득양극화 개념 관련

    □ 1980년대 소득분배 관련 연구는 대개 ‘소득불균등 문제’에 초점

    - 1980년대 중반 ‘소득불균등의 악화’가 세계적 추세로 관측되기 시작하면

    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

    ㆍAtkinson20) 등은 1980년대 중반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지니계수로

    본 소득불균등 정도가 악화되었음을 보고

    - 당시 ‘양극화’는 정치‧사회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던 개념으로 경제학적 측면에서의 접근과 노력은 미흡

    □ 1980년대 후반 중산층 축소 현상이 본격화되면서 소득양극화에 대해서는

    기존의 소득불균등과는 차별화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등장

    - 계속된 호황에도 불구하고 중산층 감소와 동시에 소득분배 악화와 빈곤

    층 증가를 경험한 미국을 중심으로 소득양극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

    - 1990년대 들어서야 비로소 소득양극화의 정의와 측정방법에 대한 경제

    학적 접근이 시도됨

    20) Atkinson, A., Rainwater, L. and Smeeding, T., "Income Distritubion in OECD Countries; Evidence from the Luxembourg Income Study", Social Policy Studies, No. 18, OECD, 1995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3

    □ 최근 연구는 ‘소득양극화’가 반드시 ‘소득불균등의 악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정책과제도 달라야 한다고 주장

    - ‘소득불균등’은 전체 인구의 소득분포가 균형을 이루지 못한 상태를 나타

    내는 개념으로, 특정 계층에 분포가 집중되는 것을 의미하는 ‘소득양극

    화’와는 구별

    - 양극화 개념은 사회갈등, 제도형성,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소득불균등보다 이론적으로 우위

    □ 최근 국내에서도 경제‧사회 각 부문에서 혼용되고 있는 양극화 개념을 보다 엄밀히 정의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가시화

    - 양극화의 본질적인 의미와는 관계없이 산업, 기업, 교육, 고용 등 각 부문

    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사회적 논의의 초점이 분산되는 경향

    - 이에 대한 반성으로 최근 보다 엄밀한 정의와 측정을 통해 양극화 현상

    을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21)

    (2) 소득양극화 원인 관련

    □ 전 세계적으로 양극화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2가지 시각이 존재22)

    - 첫째, 세계화에 따른 교역 확대와 기술진보 가속화라는 세계경제 추세가

    주요 원인이라는 시각

    ㆍ세계화의 진전으로 국가 간 생산요소의 이동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글로

    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부문과 여타 부문 간의 격차가 확대되었다는

    점에 주목

    21) 전병유, 김복순(한국노동연구원, 2005), 신동균(한국노동연구원, 2005) 등이 기존의 소득불균등과는 다른 개념의 문제의식을 갖고 노동시장의 양극화 현상 등을 진단

    22) Lindert, P. and Williamson, J., Does Globalization Make the World More Unequal?, NBER, 2001; Fortin, N. M. and Lemieux, T., "Institutional Changes and Rising Wage Inequality: Is There A Linkag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 Vol. 11, 1997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4

    ㆍIT 중심의 급속한 기술진보가 관련 산업의 성장세를 견인하면서 적응력

    을 갖춘 숙련노동자와 그렇지 못한 비숙련 노동자 간에 수요 및 생산성

    격차가 발생

    - 둘째, 한 나라가 지닌 제도적 특수성이 양극화와 보다 밀접하게 관련되

    어 있다고 보는 시각

    ㆍ세계화와 기술진보라는 보편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양극화의 진행 속

    도와 양상은 국가별로 상이하다는 점에 주목

    □ 국내의 양극화 발생 원인에 대해서도 유사한 맥락의 견해가 대립

    - 1990년대 중반 이후 가속화되기 시작한 세계화 및 산업구조 고도화 흐

    름 속에서 양극화의 발생은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현상이라는 ‘不可避論’

    ㆍ대내외 환경이 급변하고 경제가 성숙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적응성이 높

    은 부문과 여타 부문 간의 성과격차는 불가피한 측면이 존재

    - 한국경제가 지닌 구조적‧제도적 특수성이 소득양극화를 필요 이상으로 심화시켰다는 ‘對應戰略失敗論’

    ㆍ불균형 성장전략, 외환위기 이후 영미식 제도개혁 등이 주요 요인

    □ 최근에는 상기 요인들을 독립‧배타적인 것으로 간주하기보다 복합적인 것으로 보고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23)

    - 대외 환경 변화가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국가 시스템, 경제

    주체들의 대응방식 등이 그 충격을 완화시킬 수도, 반대로 악화시킬 수

    도 있다는 점을 인식

    - 경제․산업 구조, 제도적 대응, 경기 흐름 등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기적인 연관관계 안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

    23) 한국은행, 『경제양극화의 원인과 정책과제』, 2004; 재정경제부, 『경제양극화 현황과 정책과제』, 2005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5

    (3) 소득양극화 대책 관련

    □ 세계 각국이 시행한 양극화 대책은 중산층에 대한 시각, 정부개입의 방식

    과 정도 등에 따라 범주화가 가능

    - 중산층을 바라보는 시각, 효율과 형평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등에 따라

    ‘신자유주의型’, ‘고전적 복지국가型’, ‘제3의 길型’ 등으로 구분이 가능

    ① ‘신자유주의型’은 인위적인 중산층 육성정책이 시장왜곡을 초래한다고

    보고 사회안전망으로서 최소한의 복지만을 추구

    ② ‘고전적 복지국가型’은 중산층을 육성해야 할 대상으로 보고 요람에서

    무덤에 이르는 포괄적 복지를 추구

    ③ ‘제3의 길型’은 사회적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중도노선으로 적극적 복지

    와 성장을 통해 중산층 기반을 강화

    정책 유형별 중산층의 의미와 전략

    신자유주의型

    (효율성 중시)

    고전적 복지국가型

    (형평성 중시)

    제3의 길型

    (효율‧형평 조화 추구)중산층

    위상

    시장원리에 따라 증감할 수 있

    는 결과물육성되어야 할 대상 정치경제적 역할 강조

    육성

    전략

    시장원리와 기술혁신에 따른

    계층 양극화는 무방

    국가에 의한 직접적인 육성정

    책 선호

    시장의 힘을 통한 간접적 기반

    육성전략 선호

    재정의

    역할경제성장 촉진 기능 강조 소득재분배 기능 강조

    소득재분배와 경제성장을 위한

    조세역할 병행 추구

    복지의

    범위

    최소복지(기본적인 사회안전망

    구축 차원)

    최대복지

    (요람에서 무덤까지)생산적 복지(workfare)

    해당시기

    및 국가

    1980년대 신자유주의적 구조조

    정 시기에 유행(미국 등)

    1980년대 이전 고전적 사회민

    주주의국가나 복지국가들이 주

    로 채택

    1990년대 이후 복지노선을 수

    정한 유럽에서 채택(스웨덴, 덴

    마크 등)

    자료: 류상영, 강석훈, 『중산층의 변화실태와 정책방향』, 삼성경제연구소, 1999를 재구성

    - 한편 Kuhn24) 은 정부 대응방식의 적극성에 따라 양극화와 관련한 기존

    의 대책을 다음과 같이 분류

    24)Kuhn, P., Labor Market Polarization: Canada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McMaster University, 1995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6

    Kuhn의 양극화 대책 분류

    ① 무대책案(Do-Nothing Option): 개방경제하에서의 양극화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인위적인 해소

    대책의 무용성 또는 비효율성을 주장

    ② 방어대책(Defensive Measures): 국제자본 이동, 무역, 이민 등을 규제하거나 제한함으로써 대

    외적 요인에 의한 양극화를 억제

    ③ 완화대책(Palliative Measures): 경제구조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

    는 사회적 장치를 마련

    ④ 적응대책(Adaptive Measures): 구조조정, 인적자본 투자 등을 통해 불가피한 대외 환경의 변화

    에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을 모색

    □ 한국은 최근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복지정책과 효율․성장 중심의 신자유주의형 정책을 병행

    - 정부는 빈곤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 차상위계층 지원, 사회적 일자리

    창출 등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정책을 시행

    - 한편으로 기업 및 금융기관의 구조조정 유도, 투자 및 대외개방 확대 등

    경쟁과 효율을 통해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신자유주의형 정책도 병행

    - 중산층의 감소를 문제로 보느냐, 아니면 소득불균등 심화를 문제로 보느

    냐에 따라 정책의 방향과 우선순위 등이 상이

    ㆍ소득양극화의 경우에는 중산층 복원을 위한 성장잠재력 확충이 우선

    ㆍ소득불균등의 경우에는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지출의 확대를 강조

    □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과 시급성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나 ‘방향과 수단’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

    - 양극화가 심화될수록 경제적 충격에 대한 방어능력을 갖추지 못한 취약

    계층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소지가 농후하다는 점에는 대부분 공감

    ㆍ세계은행도 지나친 부와 권력의 불균등이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취약계층에게 공평한 기회의 장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25)

    25) 과거 성장을 통한 빈곤의 해결을 주장해오던 세계은행은‘단기적으로는 형평성과 효율성 사이에 다양한 상충관계가 존재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공평한 경쟁의 장(level playing field)을 마련하는 것이 정책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지적(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2006 - Equity and Development, 2006)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7

    - 그러나 정부에 의한 직접 소득이전 방식이 정책 방향과 수단의 측면에서

    적절한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

    ㆍ증세를 비롯한 중장기적 재원조달 방안이나 전략에 대한 논란이 가중

    □ 일부에서는 사후격차의 완화보다는 국가전략시스템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26)

    - 대외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국가대응 전략이

    미흡했음을 반성하고 이의 개선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지적

    - 취약한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으면 경제의 내성이 약화되어 작은 충격에

    도 과도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다시 성장잠재력이 잠식되

    는 악순환이 발생

    3. 연구 범위 및 내용

    □ 한국의 소득양극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여 소득양극

    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

    - 소득양극화의 정의와 엄밀한 측정을 통해 한국 소득양극화의 특징 파악

    ㆍ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

    ㆍ소득양극화 지수와 소득불균등 지수 비교 및 국제 비교를 통해 추세와

    특징을 분석

    - 한국사회 소득양극화의 구조적 원인을 찾아보고 한국의 소득양극화를 설

    명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계량적으로 분석

    ㆍ대외 환경의 변화 및 구조적‧제도적 요인 간의 관계를 통해 소득양극화의 발생 원인을 진단

    ㆍ소득양극화를 초래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계량적으로 분석

    - 이를 통해 소득양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 및 전략방향을 제시

    26) 윤진호,“소득양극화의 원인과 정책대응 방향” 앞의 책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8

    연구 흐름 및 핵심질문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9

    Ⅱ. 소득양극화의 정의 및 특징

    1. 소득양극화의 정의

    소득양극화는 중간 소득계층이 해체되는 현상

    □ 소득양극화(income polarization)란 ‘중간 소득계층이 줄어들면서 소득분

    포가 양 극단으로 쏠리는 현상’을 의미

    - ‘중간의 해체’에 대한 기본 인식을 바탕으로 접근하는 것이 소득양극화

    현상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

    - 중간 소득계층의 인구비중을 기준으로 추계하거나, 중간계층과 타 계층

    의 소득격차를 추정하여 소득양극화를 진단

    - 중간 소득계층, 즉 중산층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중산층 비중의

    감소 여부와 양극화 심화 여부에 대한 분석이 달라지는 한계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중간값 소득을 기준으로 중산층의 범위를 규정

    - 주관적 변수를 사용할 경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계열적

    이고 객관적인 분석이 곤란

    - 중산층을 규정하는 기준은 소득, 자산, 교육수준, 직업 등으로 다양하나,

    중산층의 변화추이를 분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간값 소득의

    50~150%에 해당하는 계층을 중산층으로 정의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0

    소득양극화의 정의

    ① Wolfson27)

    : ‘중간 부분이 소멸하는 현상’을 양극화로 정의

    - 양 극단으로 분포가 쏠리는 현상은 중간 부문의 소멸과 필연적인 인과관계를 가지므로 ‘중간

    의 소멸 또는 해체’가 곧 양극화라는 인식

    - 이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양극화를 계량적으로 측정하는 효과적인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나 명

    확한 공리체계에 기반하고 있지는 않다는 한계를 내재

    ② Esteban & Ray28)

    : ‘분포의 어느 부분에서든 2개의 이질적인 집단이 형성되는 이질적 집중 현상’을 양극화로 정의

    - 양극단뿐만 아니라 여타 부문에 있어서의 분포 집중현상과 이로 인한 이질적 집단의 형성을

    양극화로 인식

    ㆍ‘동질성-이질성(identification-alienation)’ 접근법에 기초하여 내부 구성원 간에는 동질성을,

    외부 집단에 대해서는 이질적 특성을 지닌 두 집단의 형성을 양극화로 간주

    - 명확한 공리체계에 기반하여 소득을 비롯한 계량적 영역은 물론 인종, 종교 등 광범위한 사회

    경제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접근법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은 구분되는 개념

    □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은 소득분포의 서로 다른 측면을 파악하는 개념

    - 소득양극화란 중산층의 감소에 따라 소득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이 분포의

    양 극단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지칭

    ㆍ소득분포에 상호 이질적인 계층그룹이 형성되는 집락화(clustering) 현

    상에 주목

    27) Foster, J. E. and Wolfson, M. Polarization and the Decline of the Middle Class: Canada and the U.S, Mimeo, Vanderbilt University, 1992; Wolfson, M. “When Inequalities Diverg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84, 1994

    28) Esteban, J. and Ray, D. "On the Measurement of Polarization", Econometrica, Vol. 62, 1994; Duclos, J. Esteban., J., Ray, D. "Polarization:Concept, Measurement, Estimation", Econometrica, Vol.72, 2004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1

    - 소득불균등은 소득분위별 분배상황이 균형분포(uniform distribution)29)

    를 이루지 못한 현상을 의미

    ㆍ소득양극화는 소득분포의 양 극단이 확대되는 추세를 나타내지만 소득

    불균등은 원래 소득분배의 격차 수준 및 상태에 관한 개념

    □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은 측정에 있어서도 각기 다른 접근이 요구

    - 소득양극화는 Wolfson지수와 ER지수, 소득불균등은 지니계수와 5분위‧10분위 분배율 등이 대표적인 측정지표30)

    - 이 중 Wolfson지수와 지니계수는 동일한 로렌츠곡선으로부터 유도되나

    측정 목적과 방법이 상이

    - Wolfson지수는 중위소득을 중심으로 여타 소득계층의 분포가 얼마나 퍼

    져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표31)

    ㆍ[그림1]의 로렌츠곡선을 볼 때, 누적인구 비중이 50%인 지점에서의 접

    선과 로렌츠곡선 사이의 면적이 소득양극화 지수에 해당

    - 지니계수는 소득의 균등분배선으로부터 개별 소득계층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ㆍ[그림1]의 균등분배선과 수평축이 형성하는 삼각형의 면적 대비 로렌츠

    곡선으로 형성되는 면적의 비율

    ㆍ소득불균등 지수는 특정 소득층에 분포가 밀집되거나 소멸되는 소득양

    극화 현상을 반영하지 못함

    29) 사회구성원 모두가 똑같은 소득을 나누어 갖는 균등한 분배 상태를 말함30) 개별지표에 대한 상세한 개념과 지수도출 과정은 [첨부2]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 지수의 측정 및 속성을 참조31) 반면 ER지수는 중위 소득계층의 소멸양상을 반영하는 Wolfson지수와는 달리 여타 계층의 소멸 또는 집락화도 포함하

    여 측정한다는 점에서 보다 포괄적인 개념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2

    [그림1] 로렌츠곡선상의 Wolfson지수와 지니계수의 관계

    ▶ 지니계수 = 균등분배선과 수평축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면적균등분배선과 로렌츠곡선 사이 초승달 부분의 면적

    = DB+C+D+E

    ▶ Wolfson지수 = 누적인구 비중 50%인 지점에서의 접선과 로렌츠곡선 사이의 면적

    = A+B+C = 접선의 기울기 ×지니계수

    ㆍ T: 균등분배선과 접선 사이의 면적 = A+B+C+D

    ㆍ 접선의 기울기: 중위소득(Median Income)/평균소득(Mean Income)

    ※ 두 지수 모두 0에서 1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양극화 및 불균등이 개선되고, 1에 가까울수록 심화되는 현상을 의미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이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이 가능

    □ 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의 정의 및 측정방법이 다르다는 것은 두 현상이

    다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는 의미

    - 소득불균등 수준이 양호하더라도 소득양극화는 심각할 수 있으며, 역으로

    소득불균등이 심각하더라도 소득양극화는 양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3

    - 또한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소득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소득불균등 지수는

    개선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ㆍ이는 소득불균등 지수가 최소한 ‘고소득층에서 저소득층으로의 소득이전

    은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불균등을 감소시킨다는 본질적 원리’32)를 만

    족시켜야 하기 때문임

    ㆍ불균등 지수의 하나인 지니계수 역시 이 원리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결과적

    으로 소득양극화가 악화됨에도 불구하고 불균등도는 개선되는 경우가 발생

    - 따라서 소득불균등을 해소하기 위한 소득이전 정책이 역설적으로 양극화를

    초래하는 경우도 가능33)

    소득이전을 통해 소득불균등은 개선되나 소득양극화는 악화되는 경우(예시)

    ① 100명으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자신의 소득 수준이 자신의 소득순번과 일치된다고 가정: Case A

    (1번은 소득 수준이 1원, 2번은 2원인 순으로 100번은 100원의 소득을 갖는 사회)

    ② 소득이전을 통해 소득 1~50번까지의 소득은 25로, 51~100번까지의 소득은 75로 집중: Case B

    ③ 소득의 히스토그램은 의 B과 같이 양극화되는 형태로 전환

    ④ 두 경우를 와 같이 로렌츠곡선으로 표시해보면 양극화가 발생한 B의 경우 지니계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음

    32) 피구-달톤(Pigou-Dalton)의 이전원리라고도 함33)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2]소득양극화와 소득불균등지수의 측정 및 속성을 참조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4

    □ 한 사회의 소득분배구조를 진단 할 때 소득불균등과 소득양극화를 명확히

    구분하되 함께 점검하는 것이 필요

    - 개념적 차이와 측정방법이 구분되면서도 2가지 변화가 동시에 유기적으

    로 진행될 경우 어느 하나만으로는 소득분배 양상을 설명할 수 없는 경

    우가 발생

    - 따라서 현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소득불균등과 소득양극화의 동반 검토

    가 타당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5

    2. 한국 소득양극화의 특징

    1) 소득양극화의 현황

    1984년부터 외환위기 이전까지 소득양극화 지수는 하락세

    □ 1984년부터 외환위기 이전까지 10여 년간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는 개

    선되는 모습

    - 1993년 Wolfson지수와 ER지수는 각각 0.25와 0.018로 최저치를 기록

    ㆍ1984년부터 하락하기 시작하여 외환위기 이전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 Wolfson지수 및 ER지수) 추이

    0.27

    0.29

    0.25

    0.28 0.28

    0.021

    0.021

    0.018

    0.020

    0.20

    0.24

    0.2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0.018

    0.019

    0.020

    0.021

    0.022

    0.023

    0.024

    0.025

    Wolfson지수(좌) ER지수(우)

    주: 소득은 소득 10분위별 도시근로자 소득을 기준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 소득양극화 지수가 하락세를 보인 이유는 높은 경제성장세와 임금상승률

    때문

    - 소득양극화 지수가 낮은 수준을 보인 1984~1997년간 이 시기 한국경제

    는 부분적인 등락은 있었으나 순조롭게 성장

    ㆍ평균 GDP 성장률(%)

    : 5.9(1979~1983년)→ 8.1(1984~1997년)→ 4.2(1998~2005년)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6

    - 같은 시기에 발생한 실질임금의 상승도 소득양극화 해소에 일조

    ㆍ1987년 이후 실질임금 상승률이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상회하는

    추세가 1991∼1996년까지 6년간 지속

    ㆍ1993년 이후 소득양극화 지수의 하락이 지속되지 않은 데에는 생산성

    을 상회하는 임금상승에 따른 인한 경쟁력 저하가 원인으로 작용

    실질임금과 노동생산성 상승률 비교

    -10.0

    -5.0

    0.0

    5.0

    10.0

    15.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8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

    실질임금 증감률

    주: 실질임금의 경우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기준이며, 노동생산성의 경우 실질 GDP를 전체 취업자 수로 나눈 수치

    자료: 통계청 KOSIS DB 및 한국은행 ECOS DB에 의거 작성

    ‘외환위기’는 소득양극화 지수가 악화되는 직접적인 계기

    □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에 소득양극화 지수가 현저히 증가

    - Wolfson지수는 1998년과 1999년 각각 0.28과 0.29를 기록,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해 크게 상승

    ㆍWolfson지수의 추이(p): 0.26(1995년)→ 0.26(1997년)→ 0.28(1998년)

    → 0.29(1999년)→ 0.28(2005년) : 1997년 대비 2005년 7.7% 상승

    - ER지수도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0.021을 기록하면서 1997년 0.019

    보다 크게 상승

    ㆍER 지수의 추이(p): 0.019(1997년)→ 0.021(1998년)→ 0.021(1999년)

    → 0.021(2005년) : 1997년 대비 2005년 10.5% 상승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7

    □ 외환위기 직후 대폭 상승한 양극화 지수는 2000∼2002년 사이에 하락하

    거나 현상 유지

    - 이 시기 Wolfson지수와 ER지수는 모두 하락세

    ㆍ이는 외환위기 직후 나타난 중산층 해체가 다소나마 완화되었거나 중산층의

    복원이 이루어졌음을 의미

    □ 2003년 이후 소득양극화 지수가 다시 상승하면서 최근 소득양극화 문제

    가 크게 대두

    - Wolfson지수는 2003년부터 최근까지 완만한 상승추세를 보임

    ㆍ경기고점의 하락 등 저성장 기조가 중산층 해체로 연결

    - ER지수는 이보다 빠른 2002년부터 상승추세가 가속

    소득양극화 : 중산층 비중 축소가 하위층 비중 증가로 연결

    □ 최근 8년간 중산층 비중 축소가 하위소득계층 비중 증가로 연결

    - 2005년 중산층 비중은 1997년 대비 5.3%p 하락한 반면, 상위층과 하위

    층은 각각 1.7%p와 3.7%p 상승

    소득계층별 비중 추이

    13.4 14.9 17.1

    64.8 61.9 59.5

    21.8 23.2 23.5

    0%

    20%

    40%

    60%

    80%

    100%

    1997 2000 2005

    하위층 중산층 상위층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8

    ㆍ이는 중산층 감소가 상위층으로의 상향이동보다는 빈곤층으로의 하향이

    동이 중산층 감소에 더 크게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

    - 1997~2005년 중산층에서 하위층으로 이동한 인구는 174.7만 명인 데

    비해 중산층에서 상위층으로 이동한 인구는 94.5만 명으로 추정34)

    □ 외환위기 이후 계층 귀속감을 보아도 중산층이 대폭 감소된 반면 하위층

    은 큰 폭으로 증가

    - 1990년대 중반에는 “나는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국민이 70%에 육박

    했으나, 외환위기 이후 50%대 이하로 급락35)

    ㆍ최근 조사에서는 중산층 귀속감이 50% 이상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

    으나 과거수치를 하회

    - 1999년 조사에서는 자신을 중산층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45.1%를 기

    록하여 하위층으로 생각한다는 응답(54.3%)보다 9.2% 하회

    ㆍ이 수치는 외환위기 직후 하위층 귀속감이 중산층 귀속감을 능가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국민들의 심리적 상태를 반영

    ㆍ또한, 동 시기에 신용불량자, 비정규직 종사자, 청년실업자 등 경제적으

    로 위기의식을 느끼는 계층이 증가한 것도 주요한 이유로 작용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계층 귀속감의 변화

    (단위 : %)

    조사시기 상위층 중산층 하위층

    1994년 11.0 70.7 18.3

    1997년 4.3 61.1 34.6

    1999년 0.6 45.1 54.3

    2005년 1.0 56.0 43.0

    자료:“2006 연중기획 중산층을 되살리자”, 『중앙일보』, 2006. 1. 2.

    34) 가구원이 일정하고 추계인구 평균을 전체 인구로 한다는 가정35)“2006 연중기획 중산층을 되살리자”, 『중앙일보』, 2006. 1. 2.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19

    - 최근 상위층이라고 스스로 인식하는 계층이 축소되면서 ‘소득계층의 심

    리적인 下向移動’이 증가

    ㆍ2005년 조사에서 상위층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불과 1.0%

    소득불균등 현상도 외환위기 이후 악화

    □ 소득불균등 수준을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도 외환위기 직

    후인 1998년부터 급격하게 상승

    - 소득 5분위 배율의 경우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과 1999년 각각 5.41

    과 5.49를 기록하면서 급상승

    ㆍ이는 외환위기가 소득불균등 현상을 악화시킨 주요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는 근거

    - 지니계수도 1998년 0.32를 기록, 전년(1997년)대비 0.04p 상승

    한국의 소득불균등 지수(소득 5분위 배율 및 지니계수) 추이

    4.35

    5.18

    5.435.41

    5.01

    0.32

    0.310.310.31

    0.28

    4.0

    4.5

    5.0

    5.5

    6.0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25

    0.26

    0.27

    0.28

    0.29

    0.30

    0.31

    0.32

    0.33

    5분위 배율(좌) 지니계수(우)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 외환위기 이후 저소득층 적자규모가 증가하여 하위소득계층의 빈곤율36)

    이 증가37)

    36) 빈곤율은 소득이 중소도시 기준 최저생계비(2003년 4인 가족 기준: 102만 원)인 빈곤선 이하인 사람 수(혹은 가구 수)를 전체 인구 수(혹은 가구수)로 나눈 수치를 의미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0

    - 경상소득과 가처분소득으로 계산한 빈곤율은 외환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빈곤층이 증가하는 현상을 반영

    ㆍ경상소득 기준 빈곤율 추이(%): 3.1(1996년)→ 8.2(2000년)→ 10.4(2003년)

    ㆍ가처분소득 기준 빈곤율 추이(%): 3.5(1996년)→ 9.2(2000년)→ 11.6(2003년)

    한국의 절대빈곤율 변화

    10.4

    8.2

    3.1

    11.6

    9.2

    3.5

    2

    4

    6

    8

    10

    12

    1996 2000 2003

    경상소득 기준 가처분소득 기준

    (%)

    주: 절대빈곤율 계산 시 절대빈곤선은 공식적인 정책적 빈곤선으로 활용되고 있는 중소도시 기준 최저생계비를 활용하여 계산. 최저생계비는 5년 단위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측정하지 않은 연도에는 일정한 비율로 증가했다는 방식인 보간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추정치를 이용.

    자료: 통계청, “가계소비실태조사 원자료”, 1996∼200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생활실태조사』, 2003, 여유진 등, 앞의 책

    - 도시근로자 가구 기준 평균과 저소득층(1분위) 간 가계수지 차이 및 저

    소득층(1분위) 도시근로자 가구의 적자규모가 최근 3년간 크게 증가

    ㆍ도시근로자 가구 평균과 1분위 간 가계수지 차이: 66만 9,874원(2000

    년)→ 101만 4,710원(2005년)

    ㆍ1분위 도시근로자 가구의 적자규모: 17만1,087원(2000년)→ 30만7,284

    원(2005년)

    37) 빈곤율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주요 국가에 비해 빈곤의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크고 빈곤수준 자체도 매우 높은 국가군에 해당. 비교대상 국가는 한국, 미국, 영국, 멕시코, 대만, 캐나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 이탈리아, 그리고 스페인 등 12개국(여유진 등, 앞의 책)

    여유진 등, 상게서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1

    도시근로자 가구 간의 가계수지 차이와 1분위 가구 적자규모 추이

    주: 도시근로자 가구 간 가계수지차이는 소득 10분위 기준 평균 도시근로자 가계수지(경상소득과 비경상소득의 합인 전체 가계소득에서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의 합인 전체 가계지출을 차감한 수치)에서 소득 1분위 도시근로자 가계수지를 차감한 값. 또한 1분위 도시근로자 가구의 적자규모는 소득 10분위 기준 소득 1분위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경상소득과 비경상소득)에서 지출(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값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 2003년 이후 최근의 소득불균등 지수도 재상승

    - 지니계수는 1999년 0.32으로 최고치를 보인 이후 하락세를 나타내다가

    2003년 이후 소폭 상승하면서 2005년 0.31을 기록

    - 소득 5분위 배율도 2002년에 5.18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2005년까지

    3년 연속 증가

    ㆍ5.18(2002년)→ 5.22(2003년)→ 5.41(2004년) → 5.43(2005년)

    소득양극화는 소득불균등을 동반38)

    □ 한국경제의 소득양극화 지수(ER지수)와 소득불균등 지수(지니계수)는 유

    사한 추세를 나타내면서 중산층 감소와 소득불균등 악화가 동시에 진행

    되고 있음을 보여줌

    38) 한국과 유사하게 미국은 양극화가 심화되면서(소득양극화 지수가 상승) 소득불균등도 악화되었고 독일, 캐나다, 그리고 스웨덴의 경우에는 양극화가 완화되고(소득양극화 지수가 하락) 소득불균등도 완화되는 추세를 나타냄. 다만 영국에서 1979∼1986년과 1991∼1994년 소득불균등은 악화되었지만 소득양극화 지수는 소폭 하락한 모습을 보임

    Esteban. J., Grad. C. and Ray. R., Extensions of Measure of Polization with an Application to the Income Distribution of Five OECD Countries, Working Paper No. 218. Syracuse University, Nov. 1999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2

    - 지수의 흐름으로 본 한국경제의 상황은 중산층의 감소와 소득불균등 현

    상이 매우 유사한 추세를 나타냄

    소득양극화 지수(ER 지수)와 소득불균등 지수(지니계수)의 추이

    0.28

    0.29

    0.30

    0.31

    0.32

    0.33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018

    0.019

    0.020

    0.021

    0.022

    지니계수(좌) ER지수(우)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소득양극화가 소득불균등보다 심각

    □ 2003년 이후의 소득양극화 지수와 소득불균등 지수를 비교해 볼 때 양극

    화 현상이 소득불균등 현상보다 정도가 심함

    - 지난 3년간 진행된 소득양극화 정도는 소득불균등 악화보다 심각한 것으

    로 추정

    - 2003∼2005년 표준화된 ER지수는 각각 110, 113, 113을 기록하여, 표

    준화된 지니계수를 각각 2p, 4p, 3p 상회

    ㆍ이는 2003년 이후에 한국사회에서 소득불균등 현상보다도 소득양극화

    현상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의미

  •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3

    113113 113

    109

    111110

    113112

    110112 110109108

    110

    112113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14

    '97 '98 '99 '00 '01 '02 '03 '04 '05

    ER지수 지니계수

    소득양극화 지수(ER지수) 및 소득불균등 지수(지니계수) 추이 비교

    주: 지니계수와 ER지수는 서로 다른 지수이므로 1997년 수치를 100으로 표준화하여 계산 자료: 통계청 KOSIS DB에 의거 작성

    2) 국제비교를 통해 본 소득양극화의 특징

    【소득양극화】

    2004년 소득 기준 : 미국보다는 양호하나 영국과는 유사한 수준

    □ 2004년 기준 한국의 소득양극화 지수(ER지수)39)는 신자유주의를 추구하

    는 영미식 모델의 주요 국가인 미국보다는 훨씬 양호하나 영국과 유사

    - 2004년 소득 5분위별 전 가구 기준 경상소득을 기초로 한 한국의 소득

    양극화 지수(ER지수)는 0.066540)를 기록

    - 2004년 영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는 0.0653으로 한국과 유사

    ㆍ반면, 미국의 소득양극화 지수는 0.0833으로 한국 수치를 크게 상회

    39) 국가별로 소득양극화 지수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통상 소득양극화 지수 산출 시 이용하는 ‘도시근로자 경상소득’ 기준보다는, 표본이 커서 설명력이 높은‘전 가구 기준의 경상소득’으로 계산하는 것이 합리적임.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득 5분위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