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 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 1)2) 오현아 ** <次 例> Ⅰ. 들어가며 Ⅱ.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의 개념 변화 Ⅲ.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의 성격 변화 Ⅳ. 나오며 . 들어가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고 2011 개정 교육과정 작업이 한창인 지금 , 우리는 국어과 교재가 어떠한 변화 양상을 거쳐 왔는지 통시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 이를 위해 근대계몽기 국 어교육에서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 미군정기를 지나 현재의 7 차 교육과정에 이르는 현대 국어교육의 시기를 아울러 당시 국어 교육 자 료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과서, 교재 혹은 교육 자료의 개념을 명확 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 기존의 논의 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2011학년도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12/1/1. 개인... · 2020-06-04 · 근현대국어교육자료변화양상연구 5 이를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 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1)2)

    오 현 아**

    < 次 例 >

    Ⅰ. 들어가며

    Ⅱ.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의 개념 변화

    Ⅲ.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의 성격 변화

    Ⅳ. 나오며

    Ⅰ. 들어가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고 2011 개정

    교육과정 작업이 한창인 지금, 우리는 국어과 교재가 어떠한 변화 양상을

    거쳐 왔는지 통시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근대계몽기 국

    어교육에서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 미군정기를 지나 현재의 7

    차 교육과정에 이르는 현대 국어교육의 시기를 아울러 당시 국어 교육 자

    료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과서, 교재 혹은 교육 자료의 개념을 명확

    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기존의 논의

    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2011학년도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 4 국어교육연구 제27집

    박붕배(1962: 5~6)에서는 교과서를 ‘교육과정을 보이는 시범적 서적이

    요 교육의 대로를 제시한 지침서요 학습사항의 배열표’라고 하면서 교재

    는 ‘인간의 생활을 향상․발전시켜 주고 지혜를 더욱 연마하고 계몽하는

    전문적 지식, 이론적 학식, 자연과 사회상의 사물 그 안에서 일어나는 그

    사물들의 여러 현상, 거기에 대처하는 인간의 기술 등등이 다 이에 속하

    는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교과서를 정의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교과서는 교육적 활동 즉 학교교육에 있어서 학습지도나 교수를 할 때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매개하고 자료에 각각의 위치를 주는 데 사용

    되는 사전적 지침서다.

    ② 교과서는 교재를 체계 있게 배열한 것으로 학습목적에 도달하기 위하

    여 학습활동을 통일시키는 임무를 가진 것이며 광의의 교재로 봐서는

    일종의 참고서다.

    그러므로 국어 교과서는

    ① 국어학습의 교재 또는 그 자료의 하나이다.

    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짓기를 위한 언어활동의 자료다.

    ③ 국어를 학습자에게 지도하기 위하여 교육적 의식 아래 마련된 모범적

    자료집이요 또 지침서다.

    ④ 교재와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하여 문장을 난이도순으로 학년에 따라

    배열한 교재다.

    ⑤ 문자, 문장, 삽화, 도표 등으로 된 교재집이다.

    박붕배(1962)의 입장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교과서는 좀더 넓은 범주를

    포괄하는 교재 혹은 자료의 하나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과 학습의 난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5

    이를 고려한 언어활동 자료집이요 지침서인 셈이다. 이러한 그의 논의는

    국어 교육 초기에 이미 국어과 교재의 개념에 대한 모색이 있었으며, 이

    것이 교재의 일반적․추상적 개념(①), 교재의 목표(②), 교재의 성격(③),

    교재의 구성(④), 교재의 물리적 형태(⑤) 등에 대한 차원으로 나누어 정

    의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성영(1992: 73-76)에서는 Gall(1981: 5)이 제시한 “교재란 교수-학습 과

    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질적으로 표상적인 물리적 실체”라

    는 정의를 중심으로 교재의 개념을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① 교재는 물리적 실체이다.

    ② 교재는 교수-학습 과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③ 교재는 본질적으로 표상적이다.

    이러한 교재의 개념은 다음에서 교수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좀더 자세

    하게 설명되고 있다.

    교재는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과정에서 사

    용하는 자료이며, 어떠한 구체적인 물체의 형상을 띠어야 하고, 그 물체는

    자체가 가지는 어떤 특성이 교육의 내용으로 표상되어 있거나 표상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국어 교재는 의도하는 국어 교육의 목표를 특정의 교육 공간과 시간 상황

    에서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료이다. 물리적 공간에서 교육의

    실천에는 주체(교사)와 대상(학습자), 교재가 중심을 이루고, 교재를 통한

    학습의 과정은 교사,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의미화된다. 그러므로 국

    어 교육 실천의 유기적 상황에서 교재는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중

    핵적 매체로 작용한다(서울대국어교육연구소, 1999: 90-91).

  • 6 국어교육연구 제27집

    그러나 한 마디로 간결하게 정의 내리기 어려운 교재의 개념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어지는데, 이러한 교재의 종류는 최현섭 외

    (2005: 99-107)에서 잘 정리되어 있다.

    교재의 종류

    기준 종류

    층위

    자료로서의 교재

    담화로서의 교재

    제재로서의 교재

    교과서

    언어 형식 문자 교재/ 비문자 교재

    교수․학습 기능 주교재, 보조교재

    교재 구성의 성격

    자료집으로서의 교재

    내용해설서로서의 교재

    학습 안내서로서의 교재

    워크북으로서의 교재

    개발 형식

    개발형 교재/ 선택형 교재

    중앙집중형 교재, 지방분권형 교재

    국정제/ 검인정제/ 자유발행제

    교재 존재폐쇄적 교재/ 개방적 교재

    체제지원형 교재/ 단독과제형 과제

    동원 방식

    교사 동원형 교재/ 학습자 동원형 교재

    원리학습형 교재/ 활용연습형 교재

    목표지향형 교재/ 자료지향형 교재

    본고에서는 ‘교과서’ 혹은 ‘교재’라는 용어 대신 ‘교육 자료’라는 용어를

    선택해 사용하고자 하는데, 이는 근대 국어교육의 양상이 단단한 교육과

    정 아래 국어과라는 개별 과목으로 특수한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것이었

    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이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자 한다.

    그렇다면, 근대계몽기부터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이후 미군정기를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7

    거치면서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교육에 사용된 국어 교육

    자료는 과연 어떠한 변모를 거쳐 왔을 것인가?그 변화 양상을 크게 개념

    변화와 성격 변화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해 나가고자 한다.

    Ⅱ. 국어 교육 자료 개념 변화

    우선 국어 교육 자료의 개념 변화는 ‘독본’에서 ‘국어’로의 변화, ‘교재’

    에서 ‘학습재’로의 변화 두 가지로 꼽아볼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양

    상을 살펴보기 위해 근대 계몽기 국어과 교재와 일제강점기, 미군정기 교

    육 자료의 목록과 그 특징을 우선적으로 살핀 후에, 1차 교육과정에서 4

    차 교육과정까지 그리고 5차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를 시기를 나누어 살

    펴보자. 이러한 시기의 구분은 국어 교육 자료의 개념이 크게 변한 시기

    에 주목한 것이다.

    1. ‘독본’에서 ‘국어’로의 변화

    국어 교육 자료 첫 번째 개념 변화는 ‘독본’에서 ‘국어’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독본’의 시기에는 말을 배운다는 것이 텍스트를 여러 번 따라

    읽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제재 선정과 제재 구성의

    문제보다는 학생들이 많은 읽기 자료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중요

    했다. 따라서 국어 교육 자료는 여러 가지 내용의 설명적 텍스트들을 묶

    어 놓은 읽기 자료집의 성격이 강했다. 근대 계몽기부터 현존하는 자료는

    약 28종 정도인데, 그 목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8 국어교육연구 제27집

    서명편저

    발행권

    발행

    일서명

    편저

    발행권

    발행

    1국민소학

    독본

    학부

    편집

    학부 1895.7 17 초등소학 현채 현채1909.

    9~10

    2 소학독본

    학부

    편집

    학부 1895.8 18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

    학부 학부1907.

    2~3

    3 국문정리리봉

    운학부 1897.1 19 녀자독본

    장지

    연김상만

    1908.

    4.5

    4신정심상

    소학

    학부

    편집

    학부 1897.2 20 부유독습강화

    석이준구 1908.7

    5 국문독본조원

    미이미

    교회1902. 21 국문초학

    주시

    박문서

    1908.

    2.15

    6 초등소학

    대한

    국민

    교육

    김상만/

    고유상/

    주한영

    1960.1

    2.2022

    국어철자

    첩경

    한승

    평양

    광명서

    1908.

    12

    7 초등소학 미상옥호서

    림1908 23 대한문전

    최광

    안구면

    학회1908.1

    8 초등소학보성

    옥호서

    림미상 24

    고등소학

    독본

    미문

    의숙

    미문의

    1906.

    11.3

    1907.

    1.20

    9 초등소학보성

    관보성관 미상 25

    유년

    필독석의현채 현채

    1907.

    6~7

    10 유년필독 현채 현채1907.

    5.526

    초등

    작문법

    원영

    이종정/

    임원상

    1908.

    10

    11초등여학

    독본

    이원

    1908.

    3.1027 대한문전

    유길

    준유길준 1909.3

    12 몽학필독최재

    학미상 28

    초등

    국어어전

    김희

    상김희상 1909.3

    근대계몽기 국어 교육 자료(김혜정 2005: 197)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9

    13노동야학

    독본

    유길

    준유길준

    1908.

    7.1329 국어문법

    주시

    박문서

    1910.

    4.15

    14 초목필지정곤

    수안태영

    1908.

    6.2030 언문

    지석

    광학고

    포1907

    15 초목필지

    정곤

    수/

    남궁

    교열

    광덕서

    관1903. 31

    국어문전

    음악

    주시

    박문서

    관1908

    16최신초등

    소학

    정인

    호정인호

    1908.

    7.2032 우순소리

    윤치

    호윤치호 1908

    교육 자료명 목차

    고등소학

    독본

    권1(1906)

    제일과 國家 제이과 人民 제삼과 大韓 제사과 愛國心 제오과 愛國心

    (續) 제육과 愛國의實 제칠과 忠義 제팔과 獨立 제구과 家族의相愛 제

    십과 智鳥 제십일과 早起早眠 제십이과 順師 제십삼과 時間 제십사과

    勤讀 제십오과 鴉欺羊弱 제십육과 世界人種 제십칠과 蒼蠅吐墨 제십

    팔과 成器 제십구과 擇交 제이십과 四民 제이십일과 明理 제이십이과

    暗室 제이십삼과 戒? 제이십사과 小鼠老蛙 제이십오과 及時 제이십육

    과 救蟻施仁 제이십칠과 爭先 제이십팔과 節飮食 제이십구과 熊被蜂

    針 제삼십과 孔子 제삼십일과 孟子 제삼십이과 本國 제삼십삼과 自立

    제삼십사과 學徒의正直 제삼십오과 束木譬喩 제삼십육과 變化氣質

    제삼십칠과 蟻知水路 제삼십팔과 玩弄有悟 제삼십구과 馬의救童 제사

    십과 戒貪 제사십일과 謀逸反勞 제사십이과 勿觀望政府 제사십삼과

    培養士氣 제사십사과 小鼠 제사십오과 禁吸烟

    초등여학

    독본

    (1908)

    第一課 人倫 第二課 上同 第三課 人權 第四課 姆敎 第五課 貞烈 第

    六課 家本 第七課 學禮 第八課 四行 第九課 上同 第十課 女德 第十

    一課 女言 第十二課 女容 第十三課 女功 第十四課 專心 第十五課

    上同 第十六課 內外 第十七課 修心 第十八課 修身 第十九課 孝敬

    第二十課 食飮 第二十一課 養志 第二十二課 獨女 第二十三課 有愼

    第二十四課 有責 第二十五課 不怨 第二十六課 驕? 第二十七課 夫婦

    第二十八課 于歸 第二十九課 敬順 第三十課 不敬 第三十一課 不順

    이 중 몇몇 교육 자료의 목차를 살펴보면,

    몇몇 근대계몽기 국어 교육 자료와 목차

  • 10 국어교육연구 제27집

    第三十二課 侮夫 第三十三課 夫言 第三十四課 夫怒 第三十五課 夫

    病 第三十六課 夫征 第三十七課 懶婦 第三十八課 賢婦 第三十九課

    有行 第四十課 依賴 第四十一課 問安 第四十二課 曲從 第四十三課

    姑愛 第四十四課 女憲 第四十五課 총婦 第四十六課 主饋 第四十七

    課 虐婦 第四十八課 無禮 第四十九課 叔妹 第五十課 體敵 第五十一

    課 謙順

    노동야학

    독본

    (1908)

    第一課 人 第二課 人의 道理 第三課 人의 權利 第四課 人의 義務 第

    五課 人의 資格 第六課 人의 職業 第七課 人의 福祿 第八課 六條歌

    第九課 我身 第十課 我家 第十一課 吾君 第十二課 我國 第十三課

    愛國歌 第十四課 食과 衣과 家 第十五課 我活는노릇 第十六課 力役

    第十七課 勞動의 定業 第十八課 勞動의 雜業 第十九課 勞動의 正直

    第二十課 勞動의 誠實 第二十一課 勞動의 勤勉 第二十二課 勞動의

    巨祿 事 第二十三課 勞動歌 第二十四課 勞動演說 一 第二十五課

    勞動演說 二 第二十六課 勞動 演說 三 第二十七課 勞動 演說 四 第

    二十八課 勞動 演說 五 第二十九課 勞動 演說 六 第三十課 演說에

    對는 答辭 第三十一課 高皇帝의 子孫되는 國民 第三十二課 國民

    되는 義務 第三十三課 道德 第三十四課 사람의 自由 第三十五課 人

    의 相助음 第三十六課 錢 第三十七課 儉約 第三十八課 約束 第三十

    九課 眞言는일 第四十課 慈善 第四十一課 淸潔 第四十二課 勇氣

    第四十三課 團合 第四十四課 奮發 第四十五課 秩序 第四十六課 獨

    立 第四十七課 競爭 第四十八課 競爭 演說 第四十九課 外國사람과

    交際는 事 第五十課 自로 助음

    민족적 정체성을 확립시키고 근대적 인간관의 도입으로 근대 시민의

    권리를 설명하는 과가 초기에 다루어지고 후반부에서는 유교적 교리와

    생활에서의 실천 양상 등을 주된 제재로 다루어짐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즉, 아직은 개별 교과의 특수성이 강조되기보다는 범교과적인 교양서, 윤

    리서의 성격을 지니면서 교훈적인 텍스트들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미

    루어 짐작할 수 있다. 즉, 당시 ‘독본’의 성격은 일반적인 교양과 문식성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계몽적 성격의 교육 자료였음을 확인해 볼 수 있

    다.

    이러한 독본의 성격은 일제 강점기 하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일제 강점기 공교육 하의 교육 자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11

    일제강점기 국어 교육 자료(김혜정 2005: 203)

    서명 편찬자발행

    일서명 편찬자 발행일

    1

    보통학교

    조선어급

    한문독본

    조선총독부1915

    ~19187

    중등교과

    조선어문

    조한문교원회

    (이광종)1929

    2

    고등

    조선어급

    한문독본

    조선총독부 1913 8조선어독

    본조선총독부

    1930

    ~1935

    3보통학교

    조선어독본조선총독부

    1923

    ~19249

    중등교육

    조선어급

    한문독본

    조선총독부1933

    ~1937

    4

    신편고등

    조선어급

    한문독본

    조선총독부1924

    ~192610

    중등학교

    조선어문

    심의린 1936

    5여자고등

    조선어독본조선총독부

    1926

    ~192811

    초등조선

    어독본조선총독부 1939

    6중등

    조선어작문

    조한문

    교원회

    (이광종)

    1928 12

    근대계몽기 교육 자료에서 ‘소학’, ‘국어’와 같은 표현은 사라지고 ‘조선

    어’라는 표현이 등장해 일제 강점기 하에서 우리 국어의 지위가 제1언어

    가 아닌 제2언어로 홀대받기 시작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 중 몇몇 자

    료의 목차를 좀더 살펴보면, 더 이상 민족적 정체성을 확립하거나 자주․

    독립 정신을 고취할 만한 내용들은 배제된 채, 일반적인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암울했던 일제강점기 하를 지나 해방 이후에는 교수요목이 제정되면서

    교과교육의 체계가 수립되었지만, 이러한 교육과정 내용과는 무관한 ‘교

    본’이라는 이름의 교재가 새로이 등장하게 되고, 이는 주로 국정교재에

    붙여진 이름이다. 수많은 민간 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국어과의 자유발

  • 12 국어교육연구 제27집

    몇몇 일제강점기 국어 교육 자료와 목차

    교육 자료명 목차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

    (1911)

    第一課 草木生長 第二課 桃花 第三課 汽車發着 第四課 病者慰問 第

    五課 慰問冂謝 第六課 海底 第七課 衣服 第八課 空氣 第九課 鳥類

    第十課 時計 第十一課 有事探聞 第十二課 鍊習功效 第十三課 順序

    第十四課 蝙蝠 第十五課 蓮花 第十六課 海濱 第十七課 蚌鷸之爭 第

    十八課 職業 第十九課 汽車窓 第二十課 天長節 第二十一課 牝鷄及

    家鴨 第二十二課 鯨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권1

    (1923)

    전체 61단원으로 이루어짐. 낱자와 단어 학습, 단문 학습을 내용으로

    하는 단원은 제목이 없음(1-43단원, 49,50단원).

    四十四 해 四十五 션님 四十六 쟝 四十七 비긔 四十八 집오리

    四十九 五十一 달 五十二 先生님과 生徒 五十三 저녁 인 五十四

    아침 인 五十五 복습 五十六 팽이 五十七 연 五十八 우리 신둥이

    五十九 열두달 六十 슈남이 와 복동이 六十一 닭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권2

    (1923)

    一 寒食 二 슈양버들 三 봄노래 四 친졀한 女生徒 (一) 五 친졀한 女

    生徒 (二) 六 개고리 七 俚諺 八 龍吉이와 鳳吉이 九 모내기 十 잉어

    十一 小野道風 十二 약물 十三 별 十四 숨박곡질 十五 집안 일 의 助

    力 十六 혹 이약이 (一) 十七 혹 이약이 (二) 十八 天長節祝日

    十九 秋收 二十 조개 와 황새 二十一 물방아 二十二 四時 二十三 각

    시놀음 二十四 눈 二十五 설 二十六 얼음지치기 二十七 汽車 二十八

    慾心 만은 개 二十九 壽男이 의 善行

    여자고등

    조선어독본

    권1

    (1926)

    第一課 新入學 第二課 博物館 第三課 河馬 第四課 虛榮心 第五課

    貴婦人과밀가루장사 第六課 留學가신언니에게 第七課 朝鮮의産業

    第八課 北風과松樹 第九課 時計 第十課 時間에누리 第十一課 寓言

    第十二課 橫濱 第十三課 富士山 第十四課 家庭 第十五課 裁縫 第十

    六課 勤儉은齊家의基礎라 第十七課 節婦白 守貞 第十八課 足의分

    別 第十九課 賢明한裁判官 第二十課 防牌의兩面 第二十一課 讀書

    訓 第二十二課 碩學李退溪 第二十三課 近狀을報告키爲하야舊師

    第二十四課 月世界 第二十五課 同情 第二十六課 愛國婦人會 第二

    十七課 우리故鄕 第二十八課 鷄林과月城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권1

    (1930)

    목차, 단원 제목, 제재 제목이 없음. (단원 구별은 있음)

    전체 54단원. 단어, 절, 단문, 짧은 텍스트로 발전되어 가는 단원 구성

    을 보인다. 중간 중간 단어나 글자를 표로 정리한 단원이 삽입되어 있

    다.

    행 및 검인정 교재들은 대부분 ‘독본’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쓰고 있었지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13

    기서명

    편찬

    자발행자 발행일

    기서명

    편찬

    발행

    자발행일

    한글

    첫걸음

    조선

    어학

    군정청

    학무국1945.11

    중등국어

    1

    문교

    문교

    부1946.5

    초등국

    어교본

    조선

    어학

    군정청

    학무국1945.12

    정고등국어

    김근

    박진

    규1948.3

    중등국

    어교본

    조선

    어학

    군정청

    학무국1946.9

    현대문장

    신강

    박태

    교문

    사1948.9

    초등국

    군정

    청편

    수국

    군정청

    학무국1947.2

    부중등문범

    박태

    정음

    사미상

    한글문

    예독본

    정열

    신흥국

    어연구

    1946.2정

    부문학독본

    방종

    김현

    조문

    사1950?

    한글교

    수지침

    1,2집

    조선

    어학

    군정청

    학무국1947.2

    한글문예

    독본

    정렬

    신흥

    국어

    연구

    미상

    중등

    국어독

    정태

    김원

    한글사 1946.10정

    부시조독본

    김종

    교학

    사1947.4

    만, 이전과는 다른 면모를 보였다.1)

    건국기의 국어 교육 자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국기의 국어 교육 자료 (김혜정 2005: 213)

    1) 김혜정(2005: 203~204)에서는 이들 독본교재가 이전 시기의 독본들이 1인 단독 저자

    였던 것과는 달리 단원별로 출전과 작가가 각기 다른 여러 가지 유형의 글들을 모아

    서 엮은 일종의 ‘선편’이었으며, 이는 교과적 정체성은 물론 교육적 가치를 드높인

    교재라 평가하고 있다.

  • 14 국어교육연구 제27집

    국문독

    김호

    조선아

    동문학

    보급학

    1946.5정

    부교수신론

    권혁

    문화

    당1948.2

    현대

    국문학

    정선

    이하

    중앙출

    판문화

    협회

    1946.9정

    조선아문

    경위

    권덕

    광문

    사장

    1923

    역대조

    선문학

    정화

    이희

    박문출

    판사1947.7

    최신국어

    교재의

    연구

    김사

    최영

    합진

    출판

    ?

    가려뽑

    은 옛글

    장지

    영정음사 1947.8

    신정문학

    독본

    방종

    김형

    조문

    사1949.8

    소학문

    예한글

    독본

    정인

    조선어

    학회1947.4

    부고어독본

    정태

    한글

    사1947.3

    고급국

    정학

    손낙

    서울사

    대국문

    학회

    1947.8정

    부한글독본

    정인

    정음

    사미상

    국문신

    신영

    소양학

    술연구

    1948.1정

    초등

    국어

    (바둑이

    와 철수)

    문교

    문교

    1948.10

    -1949.1

    2

    신국문

    독본

    박병

    연학생사 1946.10

    초등글짓

    계몽

    사편

    집부

    계몽

    사1949.9

    작문독

    윤성

    용동지사 1946.9

    부중등국어

    이병

    금동

    도서

    주식

    회사

    1948.9

    새중등

    작문교

    윤태

    영삼중당 1948.1

    신편중등

    국어

    김병

    김병

    제1948.10

    중등조

    선말본

    최현

    배정음사 1946

    부중등국어

    문교

    문교

    1948.1-

    1950.4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15

    신편고

    등국문

    정열

    한글문

    화사1946.10

    부중등국어

    문교

    문교

    부1953

    표해식

    국어문

    유재

    현국학사 1947.7

    고등국어

    (3권)

    문교

    문교

    부1953

    쉬운

    조선말

    박창

    해계몽사 1946.11

    국어

    (12권)

    문교

    문교

    1952-

    1954

    한글통

    조선

    어문법

    신태

    지삼문사 1945.9

    중등국어

    (6권운꾸

    라)

    문교

    문교

    1951-

    1953

    중학국

    문법

    김근

    수문교사 1947.8

    고등국어

    (6권운끄

    라)

    문교

    문교

    1951-

    1953

    중등

    국어1

    이극

    정인

    정음사 1948.3정

    고등국어

    자습서

    문교

    문교

    부1954.4

    ‘초등국어교본(1945.12~1946.5)’에 이어 발간된 ‘초등 국어(1946.10~

    1949.12)’는 교본 발행 후 바로 학기제에 따라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전 12

    권으로 미군정청 문교부에서 출간된다. 그 중 ‘바둑이와 철수’로 불리는

    ‘초등국어1-1’은 12개의 단원(1. 영이와 바둑, 2, 꽃밭, 3.비행기, 4. 참새, 5.

    숨바꼭질, 6. 저녁 때, 7. 동물원에서, 8. 그네, 9. 할아버지와 할머니, 10. 내

    가 무엇인가요? 11. 눈, 12. 괭이)이 하나의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

    는 모습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단원 제목이 작게 처리되어 있는 데서도

    각 단원의 내용이 별개 구성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이

    전의 교육 자료에서는 보기 드문 것으로 아동이 흥미롭고 익숙할 만한 제

    재들을 스토리 형식으로 구안해낸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추고자 한 노력

    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근대계몽기 독본으로부터 건국기의 교육 자료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는

  • 16 국어교육연구 제27집

    읽기자료집의 성격을 지녔던 ‘독본’에서 하나의 별개 교과인 ‘국어’로의,

    국어 교육 자료의 개념 변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2. ‘교재’에서 ‘학습재’로의 변화

    1955년 8월 1일 이후, 현대적 개념의 첫 번째 교육과정이 공표되었고,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반영하여 초등학교의 ‘국어’와 중학교의 ‘중학

    국어’, 그리고 고등학교의 ‘고등 국어’가 1956년 3월부터 각각 12권, 6권, 3

    권자리로 발행되기 시작했다.

    현대적인 1차 교육과정이 시작된 후에 교수요목기의 교재에 비해 그

    내용이 체계적으로 변화되었지만 4차 학문 중심 교육과정기까지는 여전

    히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나, 5차부터는 그에 대한 반발로써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국어과의 기능이 강조되며 교과 및 교재의 성격이

    언어 기능 중심으로 또 한 번 변화된다(김혜정, 2005: 214).

    따라서 5차 교육과정에서는 장르 중심에서 언어기능 중심으로 대단원

    을 구성하고 초등교육에서 1교과1교과서 정책을 버리고 하위영역별로 분

    책, 세 교과서(말하기․듣기/ 읽기/ 쓰기)로 발행해 독해 중심에서 언어

    수행 기능 중심으로의 전환을 꾀했다. 그리고 한 단원에 두세 가지의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 스스로 참여․활동하게 함으로써 지식 위

    주의 주입식 교수 방법이 아닌 학습자가 주체가 된 의미로운 언어 경험을

    중시해 강조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6차 교육과정으로 이어진다.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서가 만들어지기 이전에 수행된 ‘자율학습이 가능한 모형교과서 개발연

    구’를 토대로 날개와 처마를 두어 자율학습이 가능하도록 6차 교과서를

    개발했다. 7차에서는 좀더 심화되어 활동 중심, 자기주도학습과 영역통합

    적 대단원을 구성해 통합적 언어교육을 강조했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17

    이는 교사와 교재 중심이던 국어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

    음을 나타내며, 최현섭 외(2005: 103)에서 논의되고 있는 닫힌 교재관에서

    열린 교재관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닫힌 교재관과 열린 교재관(최현섭 외, 2005: 103)

    닫힌 교재관 열린 교재관

    ○ 교사, 교재 중심

    ○ 교과서는 가장 이상적인 교재

    ○ 표준적인 단일 교과서 지향

    ○ 교육의 효율성, 균질성, 규범성 중시

    ○ 완벽하고 이상적인 언어자료를 교재로

    제공

    ○ 모방학습, 전범학습 강조

    ○ 내용 설명, 분석 중심의 수업

    ○ 학습자, 목표 중심

    ○ 교과서는 다양한 교재 중 하나

    ○ 여러 보조교재 활용

    ○ 교육의 창의성, 자율성, 진이성 중시

    ○불완전한 자료라도 목표달성에 활용할

    수 있으면 수용

    ○ 비판학습, 창의학습 강조

    ○ 아동활동, 상호작용 중심 수업

    즉,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사, 교재 중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교육

    자료를 의미하는 용어로 ‘교재’에서 ‘학습재’로 개념이 변화되는 단적인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Ⅲ. 국어 교육 자료 성격 변화

    앞 장에서는 국어 교육 자료의 개념 변화를 ‘독본’에서 ‘국어’로, ‘교재’

    에서 ‘학습재’로 변화하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장에

    서는 국어 교육 자료의 성격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어 교육 자료를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 구성요소를 몇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 18 국어교육연구 제27집

    교재 연구의

    관점하위 항목

    1. 학습 지도

    원리에

    입각한 교재

    연구의 관점

    ① 자발적 학습 활동을 고려한 것인가?

    ② 국어교육 목적의 사명을 다 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었나?

    ③ 문화 사회에서 생활에 응용 활용할 수 있으며 유용한 것인가?

    ④ 학습 경험을 통합했고 체계를 세운 것인가?

    ⑤ 학력을 향상 증진시킬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었나?

    ㉠ 이해, 음미, 감상, 비평, 제작, 기능, 발휘, 행사 등의 태도와 방법과

    기능과 훈련을 통한 기능까지도 용의(用意)되었나?

    ㉡ 인격 취업 학습 학술 생활 등 전영역을 고려하였는가?

    2. 학습

    방법과 지도

    형태를

    참작한

    교재의 관점

    ① 학습 성격에서의 연구 관점과 지위를 파악했나?

    ㉠교사가 주도성을 가지고 학습활동을 통제하는 타율적 학습 형태를

    취할 것인가?

    ㉡ 교사는 학습에 대한 공동 참가자로 학습자가 가지는 능력 취미 필

    요를 관찰하고 자극하고 안내하는 지도학습 형태를 취할 것인가?

    ㉢ 학습자의 자유로운 의지에 의한 결정에 따라 교사는 상담의 대상

    자나 격려자가 되는 자율적 학습 방법을 도입할 것인가?

    ② 학습 조직에서의 연구 관점을 치밀하고 다채롭게 했나?

    ③ 학습 목적에서의 연구 관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는가?

    ④ 학습활동에서의 연구 관점을 연구적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나?

    ㉠ 학습활동 도중 경우와 학습재와 과정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방법

    으로 임기응변하여 적절히 취급 처리하는 것으로 생활 지식 우에

    생활 태도와 생활 기능을 체득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활동성의 중

    요성을 내세워 지식과 능력을 자기활동의 보배라 하고 활동적 학

    습을 주장한 방법인가?

    ㉡ 독서, 취미, 문답, 보고, 관찰, 실험, 조사, 구성, 창작, 극화, 실습 등

    과 이를 위한 측량, 견학, 여행, 집회, 면접, 연구, 감상 등을 알맞게

    골고루 용의(用意)한 것인가?

    ⑤ 학습의 지위에서의 연구 관점과 성격을 살릴 수 있나?

    일찍이 박붕배(1962: 14~18)에서는 교재 연구의 관점을 제시한 바 있는

    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박붕배(1962:14~18)의 교재 연구 관점2)

    2) 은 박붕배(1962:14~18)의 내용을 필자가 표로 정리한 것이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19

    3. 타당성

    있는 기능별

    기능화의

    교재 연구

    관점

    ⅰ) 목적

    달성을 위한

    효과적

    방법인가

    ⅱ) 학과의

    특색을

    발휘하는 데

    타당한가

    ① 사명적으로 목표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

    ㉠학습의 한계는 확연하고 초점이 뚜렷하여 산만하지 아니하며 뚜렷

    한 학습목표가 서 있어 학습자도 이것을 알고 체계있는 집중적 학

    습 활동이 진행될 수 있는 재료가 조사 계획되었나?

    ㉡ 그 학습 내용의 지위와 가치와 성격 성질을 파악하고 있어 이해와

    기능을 위해 가장 적합한 학습 형식이며 학습효과를 위하여 양호

    한 형태와 방법을 쓸 수 있도록 준비된 자료인가?

    ㉢학력을 쌓아 국민적 지식 수준을 고도화하겠다는 목적에 도달하는

    데 균형된 배려가 되었나? 서로 서로의 관계는 유기적 조합체를

    이루고 있나? 인식수준과 이론수준과 실천력과 그 의욕을 충분히

    북돋아 주고 끌어 올리고 연마하여 만족시킬 수 있도록 준비되었

    나?

    ㉣ 이 학식과 지식은 사적될 것이 아니고 보다 향상을 위한 초석이며

    몽매한 생활에 유입하여 내일의 생활을 보다 나은 데로 나아가게

    해 줄 수 있도록 활용 응용 이해되어 현대생활을 뒷받침하는 데 유

    용한 것이 되도록 마련되었나?

    ② 학과의 영역적 기능을 기를 수 있나?

    ㉠듣기 : 듣는 기능, 태도, 힘을 훈련시키기 위한 여러 경우의 사물에

    유의하고 용의(用意)하고 주의하고 학습에 인용, 활용, 동원되었

    나?

    ㉡말하기 : 말할 시기 입장 경우와 말을 한 효과나 결과를 간파할 수

    있는 힘과 말의 성질, 가치, 기능, 조직적, 형태, 기능 등을 판단하

    고 구두 작문 극화, 방송, 선전, 기구, 시용, 감정 흡입과 어휘 음성

    등의 조절, 능력 등 기타 모든 사항 등이 완벽한 것인가?

    ㉢ 읽기 : 독법, 독술, 분량, 시기, 재료 등의 채집 요령 독서물의 지위

    와 영역에 따른 가치 파악 등등과 이해 소화 흡수 감상 비평 등등

    을 고려한 것인가?

    ㉣짓기 : 사물에 대한 관찰적 감도와 소재의 선택, 착상, 상상, 구상과

    개성과 여러 관을 나타낼 수 있도록 했으며 묘사, 기교, 표현의 성

    격과 형식의 선택력과 배열, 조합, 문의 내용, 성격, 문체의 문장 양

    식 등 효과법을 지도할 수 있도록 고려되었으며 태도와 이상의 각

    각의 훈련 계획이 고려되었나?

    ㉤ 쓰기 : 국어의 표기법과 문법과 문장의 기사법과 부호 달기, 선과

    형의 미관 필구와 집필법과 필순, 개개의 자와 전체의 조화 등의

    지도가 고려되었나?

    ㉥ 고전, 문학사, 한문 등과 기타 : 고전 작품을 읽어 이해, 감상하여

    정당한 입장에서 받아들이도록 하고 문학사적 가치와 배경과 민족

  • 20 국어교육연구 제27집

    문화의 발자취를 더듬어 형태 문학의 여러 분야와 체계를 찾아 밝

    히고 세울 수 있도록 배려되었으며 한문도 우리의 현실 생활에 지

    장이 없을 정도까지는 지도하도록 되었나?

    4. 일반적

    종합 검토

    ① 교재의 취지를 이해한 것인가?

    ② 교재의 구성을 안 것인가?

    ③ 교재 정도를 안 것인가?

    ④ 교재의 형식적 면의 조사

    의 내용을 통해 우리는 교재 연구의 관점이 지도 원리․방법,

    학과 고유의 목표 달성에 관한 차원으로 구분되어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

    인해 볼 수 있다. 이는 최근의 논의와도 그리 동떨어지지 않는 초기의 교

    재 연구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최영환(2003: 538)에서도 교재의 구성 요소를 다음의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는데, 박붕배(1962)에 비해 구성 요소 간의 관계가 좀더 명확

    한 것으로 보인다.

    ① 목표 : 학습자가 학습할,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

    ② 내용 :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 전략

    ③ 언어자료 : 전략을 학습하기 위한 도구, 제재

    ④ 활동 : 자료를 활용하여 성과를 거두기 위한 행동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논의를 참고하여 국어 교육 자료의 성격 변

    화를 1. 목표 차원, 2. 사용자 차원. 3. 제재 선정 차원, 4. 내용 제시 차원으

    로 나누어 다루고자 한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21

    1. 목표 차원 : 계몽적 차원, 민족적 정체성 확립에서

    개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으로

    목표의 차원을 논한다고 할 때 목표의 범주를 과연 어떻게 한정해 그

    개념을 논의할 것인가? 교육과정 상에 명시적으로 진술된 부분만을 문제

    삼는다면, 우리는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이 확립되기 이전인 근대 국어 교

    육 자료의 목표를 진술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목표 차원의

    논의를 명시적 진술에 한정하지 않고, 당시 국어 교육 자료의 내용을 토

    대로 추구하고자 했던 이상을 함께 진술하고자 한다.

    우선 근대 계몽기와 일제강점기 국어 교육 자료의 목표 차원의 특징을

    들자면, 단연 계몽성과 민족적 정체성 확립에 관한 부분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근대’라는 개념의 도입과 함께 근대의 개념을 특징짓는다고 할 수 있

    는 ‘인권’이 초등여학독본(1906, 개화기총서 국어편2)의 3과에서 별도의 과

    로 다루어지면서 남녀 평등에 대한 내용을 주된 것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음양이,셩품이다르고,남녀가,이,다르니,남,양의굿센거스로,덕을

    고,녀,음의부드러운,거스로,쓰임을으,그러,셩을,ㅣ든,초에,

    람의권리,남녀가동등야,본ㅣ,유가,잇고,지틍은,남녀가,동구야,각

    각,소쟝이,잇거,남만,듕히녁이고,녀,듕히,아니녁이니,ㅼㅗ한,편폐치,

    아니냐3)

    3) 원문에서는 한문혼용체로 우선 제시되어 있고, 한글로 표기된 것이 뒤에 제시된 것

    을 한글 표기만을 옮겨 와 적은 것이다. 아직 띄어쓰기 인식이 분화되지 않은 모습

    을 확인해 볼 수 있다.

  • 22 국어교육연구 제27집

    유년필독 권일(1907, 개화기총서 국어편2)에서는 민족적 정체성에 관한 부

    분이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데, 1과에서 ‘나

    라’를, 2과에서 ‘나라2’를 제목으로 삼아 본문을 제시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과 나라

    나라라은,여러사이合하야,된것이니,나의一身이,비록젹으나,곳,나라,

    든 것이,一個人이라

    萬一ㅣ가,업스면,나라에一個人이,업셔셔,나라의 一分힘이減나니

    그러즉,ㅣ가,곳, 나라,맛튼者라,엇지貴重치,아니오릿가

    제2과 나라 二

    우리나라,녯적에十濟라,하나라이,잇스니,이는十人이合하얏다,이니

    그ㅼㅣ에一個人이,나라의십분일을,ㅣ드럿다,이오,그後에百人이合

    고로百濟라,얏이다

    이제,우리나라,사은二千萬이,되니百濟보다二十萬갑졀이라世上에,큰나라

    올시다4)

    즉, 교육 자료의 처음에 나라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고, 우리나라와 개

    인의 관계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민족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애국심을 고양시키려는 묙표를 가진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근대 국어 교육 자료와는 달리, 현대 국어 교육 자료에서는 교

    육과정에서 그 목표가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교과서를 통해 이를 구

    현하려는 양상을 띠고 있다. 박인기(2000: 41)에서는 교육과정에서 ‘목표

    4) 초등여학독본(1906)에서 국한문혼용체와 한글전용표기가 모두 제시되어 있는 반면

    에, 유년필독 권일(1907)에서는 국한문혼용 표기만 제시되어 있으면서 한자 옆에 그

    음을 한글로 표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23

    선정’의 본질 준거가 ①심리적 요구, ② 사회․문화적 요구, ③ 교과지식

    의 요구 등의 구분된다는 Tyler(1949)를 인용하면서 국어과 목표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구가 ‘의사소통행위’의 개념을 확장하고 실천 이념화하는

    것으로 수렴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는 5차 이후 강조되고 있는 의사소

    통 능력의 신장을 염두에 둔 진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실제로 건국기 이

    후 국어 교육 자료는 이전의 ‘독본’의 성격에서 종합적인 국어 능력을 염

    두에 둔 별개 교과 교육으로서의 ‘국어’를 지향해 왔다는 점에서도 이러

    한 지적은 타당하다.

    2. 사용자 차원 : 교사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사용자 차원에서 국어 교육 자료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교사 중심

    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들 수 있다. 이성영(1992: 72)

    에서는 전통적으로 교사의 역할이라고 여겨졌던 것들이 교재의 역할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현재의 교육이 개별화 교육을 지향하는 것과도 궤

    를 같이 한다고 지적하였는데, 이러한 변화를 단적으로 진술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과서 상에서 날개와 처마, 쉼터의 등장을 특징적으로

    꼽아 언급할 수 있는데, 날개와 처마는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

    서적인 성격이 교과서에 도입된 부분이라는 점에서, 쉼터는 학습자의 학

    습 부담량을 고려하면서도 본문의 내용과 전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연관

    된 것으로 제시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는 측면에서 그

    러하다. 즉,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전

    에 일방적으로 교사의 몫이었던 많은 부분들이 교재 상으로 옮겨가고 있

    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24 국어교육연구 제27집

    3. 제재 선정 차원 : 읽기 자료 중심에서 통합적 자료 중심으로

    근대 국어 교육 자료는 읽기 자료 중심의 ‘독본’의 성격이 강했으며, 이

    러한 읽기를 통해 기본적인 문식력을 익히고 국어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

    는 기본적인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 국어

    교육 자료에서는 언어 기능을 통합해 지도5)하려는 노력을 보여 왔으며,

    의미구성행위와 상호작용적 행위로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을 추구하거나

    문학과 읽기, 국어지식과 쓰기의 영역을 통합하려는 등의 시도가 이루어

    져 왔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교과서 제재 선정에 있어서도 통합적 자

    료를 제시하는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문학 텍스트를 도

    입해 문학의 이해를 주된 내용으로 하면서 갑작스레 국어지식과 관련된

    학습 목표와 학습활동을 제시해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 또한 가능

    한 것이 사실이다.

    4. 내용 제시 차원

    1) 기술 중심에서 탐구 중심으로

    주세형(2006: 58-60)에서는 교과서의 변화 중 하나로 교육 내용 표상 방

    법의 변화를 지적하면서 ‘어떤 교육어를 활용하여 활동을 구성할 것인가’

    의 문제가 중요한 교육 내용 차원이라고 언급하면서 그동안 교과서 수준

    에서 나타난 교육어의 특성이 ‘규칙의 기술 및 설명’이었다면 앞으로의

    교육어의 성격은 ‘해석 가능성의 촉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어야 함을

    5) 이재승(2004)에서는 언어 기능 통합 지도의 배경과 층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

    어, 이에 대한 좀더 깊은 논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25

    주장하고 있다.

    본고 역시 이러한 주세형(2006)의 논의에 공감하면서 특히나 기술 중심

    으로 다루어져 오던 국어지식의 교육내용을 탐구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교과서 수준에서 단적으로 조금씩 그 양상을 띠어 왔고, 이러한

    노력의 양상이 앞으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판단된다.

    그 노력의 단적인 양상을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다.

    2. 다음 문장들로 높임표현을 모둠별로 탐구하여 보자.

    (가) 자, 식기 전에 빨리 드셔./자, 안으로 들어가시게./할머니, 아침은 잡수

    셨어?

    (나) 김선생, 인사 좀 하시지./ 들어올 테면, 어디 한번 들어와 보시지./자신

    있으면 어디 덤벼 보시지.

    ․위 예들은 높임표현과 낮춤 표현 중 어디에 속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

    지 이야기하여 보자.

    ․(가)와 (나)는 ‘-{으}시-’는 각각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생각하여 보고,

    일반적인 주체 높임의 ‘-{으}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논의하여 보

    자(7차 문법 교과서 176쪽).

    이전의 ‘기술 중심’ 교과서에서라면, 높임 표현을 나타내는 형태를 찾아

    내 분석하고, 그것이 높임법의 체계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를 묻는 방

    식이었을 것인데, 7차 교과서에서는 일반적인 높임법의 체계만으로 설명

    하기 어려운 실제 언어 자료들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자율적인 탐구와 학

    습을 가능하게 하도록 해주고 있다. 그 수준이 아직은 미미한 것이라 할

    지라도 이러한 노력은 학습자의 국어지식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 준다

    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26 국어교육연구 제27집

    2) 원리 서술형에서 활동형으로

    ‘기술 중심’에서 ‘탐구 중심’으로의 내용 제시의 성격 변화는 ‘원리 서술

    형’에서 ‘활동형’으로의 변화를 이끌기 마련인데,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스

    스로의 학습을 주도하게 하는 ‘탐구 중심’의 내용 제시는 교사가 제시된

    교육 내용을 원리 중심으로 설명하는 일방적 형태의 수업을 가능하지 않

    게 하며, 교사․학생 간뿐만 아니라 학생들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적 소통

    을 요구하는 활동 중심의 양상을 띠게 한다.

    이러한 활동 중심은 최영환(2003: 547)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동 유형 중

    ‘아는 것’에서 ‘하는 것’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데, 그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영환(2003: 547)의 활동 유형

    교육의 구조 학습 활동 유형교수․학습과의

    관련성

    아는 것

    학습 도구로서 언어 자료의 내용 확인교수․학습의

    도구

    (선언적)지식으로서 언어 자료의 내용 확인교수․학습의

    목표

    전략으로서 언어 자료의 내용 확인

    교수․학습의

    과정

    전략의 정리, 수정, 변형

    하는 것

    모범 언어 자료에서 전략 확인

    언어 자료로부터 원리 탐색

    전략의 단계적 연습

    전략의 적용

    박수자(2003: 101)에서는 이처럼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부각되

    는 흐름 속에서 교사의 역할은 상당히 위축되었다(교사 주도형 지식 설명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27

    수업)고 볼 수 있지만, 반면에 수업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인 관리 능력(수

    업 계획, 학습자의 활동과 반응에 대한 안내 및 대처, 평가)은 더 요구되

    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 과정에서는 교과서를 순차적

    으로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학습이 가능하도록 교과서가 구성된 만

    큼 교사의 역할이 수업 관리자의 수동적인 형태에 머무를 수 있다는 비판

    또한 가능하다.

    3) 분리 제시형에서 통합 제시형으로

    국어 교육 내용은 기능 영역 간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단원 구성 그리고 동일 영역 내의 교육 내용 간에도 연계성이

    떨어지고 분절적이어서 학년 간 학습 내용의 위계와 연계가 충분하지 않

    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러한 지적은 실제 언어 현상은 총체적이고 통합

    적인 성격의 것으로, 교육 내용의 영역 구분은 편의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는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타 영역과의 통합뿐만 아니라 동일 영역 내의 교육 내용을 단

    절적으로 분리해 제시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과 노

    력이 제기되어 왔다. ‘의미’를 기본 축으로 부문간 상호작용하는 측면을

    교육 내용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주세형(2006: 191)6)의 논의도 이러

    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부사를 교육 내용으로 다루면서 텍스트언어학적인 접근을

    6) 그 구체적인 예로 ‘조사’에 대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형태론과 문장론 각각에서 다루어지는 조사가 형태론적 차원에서 먼저 학생들에게

    다루어지게 되는데 좀더 긴 담화를 통한 조사의 담화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바를 살

    펴봄으로써 영역 내의 지식 간의 유기성을 공고히 하면서 학습자의 수행력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 28 국어교육연구 제27집

    통해 접속 부사의 의미 기능을 설명하려는 다른 예들에서도 이러한 통합

    적 제시 유형을 확인해 볼 수 있다.

    4) 학습자 흥미를 고려한 쉼터의 활용

    쉼터는 교육 자료 역사상 처음으로 7차 교과서에서 시도된 공간이라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국어 교과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계

    기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

    한 의미를 가진다.

    쉼터는 크게 ‘제목-활동에 대한 안내-활동 자료의 제시-정답’으로 구성

    되어 있는데, 민경미(2003: 3)에서는 활동 형태의 긴밀성에 따라 쉼터를

    말놀이와 관련 있는 것(연결형 말놀이와 문답형 말놀이)와 말놀이와 관련

    없는 것(읽을 거리, 생각 거리)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1) 쉼터 활동 목표에 따라 ①바른 국어 사용 형태

    를 익히게 하는 정확성 중심의 활동, ② 국어 문화에 대한 앎과 가치 인식

    에 중점을 둔 국어 문화 가치 중심의 활동, ③ 국어의 창의적 사용 능력

    신장에 중점을 둔 창의성 중심의 활동으로, (2) 쉽터 활동 제시 방식에 따

    라 ①간단한 설명문 읽기를 통한 정보 제시형 활동, ② 학습자 흥미를 고

    려한 말놀이 제시형 활동, ③ 학습자에게 친근감을 유발하는 만화 제시형

    활동의 6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그 구체적 양상은 다음과 같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29

    쉼터의 목표와 제시 방식에 따른 유형화

    준학습 활동 유형 예시

    목표에

    따라

    ① 정확성 중심바른 국어 사용 형태, 국어 지식 요소, 언어 예절,

    국어에 대한 태도 등

    ② 문화 중심 전통 소재를 통한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 유도

    ③ 창의성 중심 다르게 생각하기, 독창적으로 생각하기 등

    제시방식에

    따라

    ① 정보 제시형 간단한 읽을거리를 통해 학습자에게 정보 제공

    ② 말놀이 제시형 낱말퀴즈, 수수께끼, 숨은 그림 찾기 등

    ③ 만화제시형학습자에게 친근감을 유발하는 만화를 통해 간단

    한 스토리 제시

    (1) 쉼터 활동 목표에 따라

    ① 정확성 중심 : 바른 국어사용 형태, 언어 예절, 국어에 대한 태도 등

    (7차, 국어 5학년 1학기 읽기 교과서 172~173쪽)

  • 30 국어교육연구 제27집

    ② 국어 문화 중심 : 전통 소재를 통한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 유도

    (7차, 국어 6학년 1학기 읽기 교과서 60~61쪽)

    ③ 창의성 중심 : 다르게 생각하기, 독창적으로 생각하기 등

    (7차, 국어 2학년 1학기 쓰기 교과서 38~39쪽)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31

    (2) 쉼터 활동 제시 방식에 따라

    ① 정보 제시형 : 간단한 읽을거리 제공

    (7차, 3학년 2학기 읽기 교과서 154~155쪽)

    ② 말놀이 제시형 : 낱말퀴즈, 수수께끼, 숨은 그림 찾기 등

    (7차, 4학년 2학기 읽기 교과서 62~63쪽)

  • 32 국어교육연구 제27집

    ③ 만화 제시형 : 만화를 통해 간단한 스토리 제공

    (7차, 4학년 1학기 말하기․듣기․쓰기 교과서 56~57쪽)

    이상에서 살펴 본 것처럼, 쉼터는 흥미 유발이라는 기본적 성격 외에도

    언어 예절 자료, 국어 어문 규정 익힘 자료, 국어의 창의적 적용 자료로서

    의 활용 가능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은 무척이나 크다. 그러나

    이러한 쉼터가 궁극적으로는 국어 교육의 목표에 부합할 수 있는 방향으

    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Ⅳ. 나오며

    본고에서는 근대계몽기부터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이후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 교육 자료가 어떠한 변

    모 양상을 거쳐 왔는지 개념 변화와 성격 변화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다루었는데, 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33

    ■ 개념 변화

    ‘독본’에서 ‘국어’로의 변화 : 근대계몽기-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이후로

    넘어오면서

    ‘교재’에서 ‘학습재’로의 변화 : 미군정기-4차 교육과정에서 5차 교육과정

    으로 넘어오면서

    ■ 성격 변화

    목표 차원 : 계몽적 차원, 민족적 정체성 확립에서 개인 의사소통 능력

    의 신장으로

    사용자 차원 : 교사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제재 선정 차원 : 읽기 자료 중심에서 통합적 자료 중심으로

    내용 제시 차원

    ▫ 기술 중심에서 탐구 중심으로

    ▫ 원리 서술형에서 활동형으로

    ▫ 분리 제시형에서 통합 제시형으로

    ▫ 학습자 흥미를 고려한 쉼터의 활용

    이상의 국어 교육 자료의 변화 양상을 통해 우리는 이러한 변화 양상

    의 기저에 다음의 원리들이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 학습자 중심의 원리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의 원리

    학습자 흥미 유도의 원리

    ■ 언어 사용 중심의 원리

    실현태로서의 언어 원리

    통합적 작용으로서의 언어 원리

  • 34 국어교육연구 제27집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한 국어 교육 자료가 지향해야 할 방향과 전

    망에 대해서는 후일에 지면을 달리해 논하고자 한다.*7)

    참고 문헌

    김혜정(2003), 「근대 계몽기 국어교과서 내적 구성 원리 탐색」, 국어교육연구

    11,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283~322.

    김혜정(2004), 「근대 이후 국어과 교재 개발에 대한 사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403~437.

    김혜정(2005a), 「국어 교재의 문종 및 지은이 변천에 대한 통사적 검토-현대

    교육과정기 전후 변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16, 한국어교육학회,

    pp.35~66.

    김혜정(2005b), 「국어 교육 자료 변천사」, 박영목․민현식 외편, 국어교육론1 ,

    한국문화사.

    민경미(2003), 「초등 국어 교과서 ‘쉼터’에 관한 연구」, 초등 국어교육 13, 서울

    교대 초등국어교육연구소, pp.55~92.

    민현식․윤여탁․김종철․신현숙․서혁 외(2007),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Ⅰ ,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붕배(1962), 「교과서와 교재와의 관계에 대한 서설」, 국어교육 3, 한국어교

    육학회, pp.5~18.

    박붕배(1991), 「제2차 교육과정기의 국어과 교재분석 연구(1)」, 청람어문학 5,

    청람어문교육학회, pp.24~59.

    박붕배(1992), 「제2차 교육과정기의 국어과 교재분석 연구(2)」, 청람어문학 7,

    청람어문교육학회, pp.5~92.

    박수자(2003), 「국어과 교육과정과 활동 중심 국어 교과서의 관계 고찰」, 어문

    * 이 논문은 2011. 4. 24. 투고되었으며, 2011. 5. 20. 심사가 시작되어 2011. 6. 3. 심사가

    완료되었고, 2011. 6. 7. 편집위원회 심의를 거쳐 게재가 확정되었음.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35

    학교육 26, 한국어문교육학회, pp.99~125.

    박인기(2000),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검토」, 한국초등국어교

    육 16-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33~55.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 , 대교출판사.

    서정수(1998), 「국정 국어 교재 개발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 새국어교

    육 55, 한국국어교육학회, pp.47~58.

    송현정(2006), 문법 교육의 이해와 실제 , 한국문화사.

    이성영(1992), 「국어과 교재의 특성」, 국어교육학연구 2, 국어교육학회, pp.7

    1~92.

    이재승(2004), 「언어 기능 통합 지도의 배경과 층위」, 한국초등국어교육 25,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139~162.

    정준섭(1990), 「국어 교재의 편찬-행정제도면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연구

    회 논문집 40, 한국어교육학회, pp.145~173.

    주세형(2006),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 역락.

    최영환(2003), 「효율적인 국어과 교재 구성 방안」, 국어교육학연구 16, 국어교

    육학회, pp.533~558.

    최현섭 외(2005), 국어교육학개론 , 삼지원.

    한국학문헌연구소 편(1977), 한국개화기교과서총서 국어편 1~8 , 아세아문화

    사.

    웹사이트

    교과서박물관 : http://www.textbookmuseum.co.kr/

    국어교육연구소 : 학진기초학문지원사업 http://www.korinst.snu.ac.kr/

    대한교과서 : http://www.daehane.com/

    사이버교과서박물관 : http://textlib.net/

  • 36 국어교육연구 제27집

    ■국문초록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오현아

    본 연구에서는 근대계몽기부터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이후 미군정기를 거

    치면서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 교육 자료가 어떠한 변모 양상을

    거쳐 왔는지 개념 변화와 성격 변화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개념

    변화 측면에서는 근대계몽기-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이후로 넘어오면서 ‘독본’에

    서 ‘국어’로의 변화가두드러졌으며, 미군정기-4차 교육과정에서 5차 교육과정으

    로 넘어오면서는 ‘교재’에서 ‘학습재’로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성격 변화 측면에서는 우선 1) 목표 차원에서 계몽적 차원, 민족적 정체성 확

    립에서개인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으로의변화, 2) 사용자 차원에서 교사중심에

    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변화, 3) 제재 선정 차원에서 읽기 자료 중심에서 통합적

    자료 중심으로의 변화, 4) 내용 제시 차원에서 (1) 기술 중심에서 탐구 중심으로,

    (2) 원리 서술형에서 활동형으로, (3) 분리 제시형에서 통합 제시형으로, (4) 학

    습자 흥미를 고려한 쉼터의 활용으로 특징지어졌다.

    [주제어] 국어 교육, 교육 자료, 교재, 학습재, 목표 차원, 사용자 차원. 제재 선정

    차원, 내용 제시 차원

  •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 37

    ■Abstract

    A Study on the Patterns of

    Chan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Materials

    - Based on Elementary Education Materials

    Oh, Hyeon-ah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chan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from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via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until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spect of change

    in concept, the change from ‘reading book’ to ‘national language’ and

    ‘teaching material’ to ‘learning material’ was remarkable.

    In the aspect of change in nature, there were changes: 1) from

    enlighte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to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s’ communication skills in the goal level; 2) from teacher‐

    centered to learner‐centered in the user level; 3) from reading material‐

    centered to integrated material‐centered in the material selection level; and

    4) in the content presentation level (1) from technology‐centered to

    exploration‐centered, (2) from principle description type to activity type, (3)

    from separated presentation to integrated presentation, and (4) to the use of

    reces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interests.

    [Key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education materials, teaching

    material, learning material, goal level, user level, material

    selection level, content presenta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