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 - 애국 개화 당시의 현실을 민족의 위기로 인식하여, 문학을 통 해 민족정신의 각성과 애국 계몽 운동의 전개를 꾀 하였다. 개화(開化)를 실현하는 것이 긴요한 과제라고 인식 하여 문학을 개화ž계몽의 선전 도구로 여겼다. ☞ 우국 가사, 한시, 역사적 전기 소설 등 ☞ 개화 가사, 창가, 신소설 등 Ⅰ. 개화기 문학 (갑오개혁~1900년대) 1. 시대 개관 (1) 기존의 질서 거부,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찾으려는 시도 + 조선조의 봉건적 성격 잔재 (2) 문어체(文語體)에서 구어체(口語體)에 가까운 문장으로 바뀜. ☞ 유길준 ‘서유견문’ (3) ‘한성순보’,‘독립신문’,‘매일 신문’,‘황성 신문’,‘대한 매일 신보’ 등 신문이 발간ž보급되어 국어 운동에 기여 (4) 우리말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국문 운동이 활발히 전개 (5) ( 애국 )과 ( 개화 )에 중점을 둠. 2. 장르별 전개 (1) 시조 - 계속 이어짐. (2) 가사 - 개화 가사 → 창가로 발전. ① 우국경세가(憂國警世歌) 류 - 신문의 논조로 일본의 침략성과 친일 세력의 비리를 폭로ž규탄 ② 애국가(愛國歌) 류 - 자주독립과 애국ž신문명 찬양이 중심 (3) 한시(漢詩) - 우국 한시(憂國漢詩)를 끝으로 사라짐. (4) 소설 - 고소설 대신 신소설(新小說), 개작ž번안 소설, 역사 전기 문학 등이 나타남. (5) 판소리 - 창극화(唱劇化)가 이루어짐. 3. 주요 장르 (1) 창가(唱歌) ① 최제우의 (‘용담유사 龍潭遺詞’)를 시작으로 가사체에 개화기의 새로운 사상을 담은 시가 ② 찬송가나 서양 음악의 형식에 개화ㆍ계몽의 내용 담음. ③ 가사가 신체시로 넘어가는 데 교량적 역할을 함. ④ 초기 율조 : 3ㆍ4 조, 4ㆍ4 조 / 후기 율조 : 6ㆍ5 조, 7ㆍ5 조, 8ㆍ5 조로 다양 ⑤ (독립 신문)에서 (한글 전용 표기)를 단행하고, 독자의 투고 작문을 게재한 것이 창가 발달의 한 요인이 됨. 2013 서울시 대비 라이브 특강 전선혜 국어 – 현대 문학사

2013 서울시 대비 라이브 특강 전선혜 국어 – 현대 문학사att.eduspa.com/EtcData/board/379/2013 서울시...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 -

    애국 개화

    당시의 현실을 민족의 위기로 인식하여, 문학을 통

    해 민족정신의 각성과 애국 계몽 운동의 전개를 꾀

    하였다.

    개화(開化)를 실현하는 것이 긴요한 과제라고 인식

    하여 문학을 개화ž계몽의 선전 도구로 여겼다.

    ☞ 우국 가사, 한시, 역사적 전기 소설 등 ☞ 개화 가사, 창가, 신소설 등

    Ⅰ. 개화기 문학 (갑오개혁~1900년대)

    1. 시대 개관

    (1) 기존의 질서 거부,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찾으려는 시도 + 조선조의 봉건적 성격 잔재

    (2) 문어체(文語體)에서 구어체(口語體)에 가까운 문장으로 바뀜. ☞ 유길준 ‘서유견문’

    (3) ‘한성순보’,‘독립신문’,‘매일 신문’,‘황성 신문’,‘대한 매일 신보’ 등

    신문이 발간ž보급되어 국어 운동에 기여

    (4) 우리말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국문 운동이 활발히 전개

    (5) ( 애국 )과 ( 개화 )에 중점을 둠.

    2. 장르별 전개

    (1) 시조 - 계속 이어짐.

    (2) 가사 - 개화 가사 → 창가로 발전.

    ① 우국경세가(憂國警世歌) 류 - 신문의 논조로 일본의 침략성과 친일 세력의 비리를 폭로ž규탄

    ② 애국가(愛國歌) 류 - 자주독립과 애국ž신문명 찬양이 중심

    (3) 한시(漢詩) - 우국 한시(憂國漢詩)를 끝으로 사라짐.

    (4) 소설 - 고소설 대신 신소설(新小說), 개작ž번안 소설, 역사 전기 문학 등이 나타남.

    (5) 판소리 - 창극화(唱劇化)가 이루어짐.

    3. 주요 장르

    (1) 창가(唱歌)

    ① 최제우의 (‘용담유사 龍潭遺詞’)를 시작으로 가사체에 개화기의 새로운 사상을 담은 시가

    ② 찬송가나 서양 음악의 형식에 개화ㆍ계몽의 내용 담음.

    ③ 가사가 신체시로 넘어가는 데 교량적 역할을 함.

    ④ 초기 율조 : 3ㆍ4 조, 4ㆍ4 조 / 후기 율조 : 6ㆍ5 조, 7ㆍ5 조, 8ㆍ5 조로 다양

    ⑤ (독립 신문)에서 (한글 전용 표기)를 단행하고, 독자의 투고 작문을 게재한 것이 창가 발달의 한 요인이

    됨.

    2013 서울시 대비 라이브 특강 전선혜 국어 – 현대 문학사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 -

    작품 특징

    ‘혈(血)의 누(淚)’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 후대의 신소설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작품.

    신문명에 대한 무비판적인 수용 태도를 보이고 지나치게 낙관적인 개화주의에

    기울어 있다. 친일적인 경향이 두드러짐. (고전소설 ‘숙향전’과 비슷한 구조)

    만세보(1906)에 발표됨.

    ‘귀(鬼)의 성(聲)’ 양반 계급의 이면 폭로와 피지배층의 항거 및 처첩의 갈등 묘사

    ‘치악산(雉岳山)’ 계모형의 가정 소설을 근간으로 삼아, 처첩 간의 갈등을 보인 작품

    ‘은세계’

    (銀世界, 1908)

    앞부분 - 지체는 낮은데 돈이 많은 인물 ‘최병도’가 강원 감사의 학정 때문에 옥에 갇

    혔다 죽고 부인은 미쳐 버린 사건을 다루어, 당시 광대들이 지어 부른 창곡 ‘최병도 타

    령’을 개작한 것. 부패한 관리를 비판하는 정치 소설

    뒷부분 - ‘최병도’의 자식인 옥남, 옥순 남매가 아버지 친구의 도움으로 미국 유학을

    가고 미국에서 자살하려다가 미국인 자선 사업가에게 구출되어 국가 사상을 버리고 세

    계주의자가 되어 귀국한 후, 의병을 폭도라고 나무라고 고종의 퇴위로 문명개화가 실현

    된다고 주장하는 이야기를 덧붙임. 친일 노선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작품

    구연학의 번안 소설인 ‘설중매(雪中梅)’와 더불어 원각사에서 공연된 최초의 신극 대본

    ‘모란봉’

    (牡丹峯, 1913) ‘혈의 누’ 하편에 해당함. 미완성.

    ⑥ 가사 → ( 창가 ) → ( 신체시 ) → 근대시

    초창기 창가 : ‘애국가’(이용우), ‘동심가’(이중원), ‘독립가’(최병헌), ‘신문가(김교익)

    최남선의 창가 : ‘경부철도가’(최초의 7ž5 창가), ‘한양가’, ‘세계일주가’

    (2) 신소설

    갑오개혁 이전의 고소설에 대하여 새로운 내용, 형식, 문체로 이루어진 소설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

    고소설과 현대 소설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① 특징

    ㉠ 시기 : 1900년대 중반 ~ 1917년 이광수의 ( ‘무정 無情’ ) 발표 전까지

    ㉡ 주제 : 표면적 - 개화ㆍ계몽사상 고취 / 이면적 – 권선징악, 운명론

    ㉢ 구성 : 시간의 역행, 사건 및 장면의 전후가 엇바뀌는 ‘역전적 구성’

    ㉣ 인물 : 시대의 이념을 대변할 만한 선구자적인 인물 등장,

    ‘봉건주의자=악인’, ‘개화주의자=선인’등의 상투적인 인물형 설정,

    정형성과 평면성 탈피하지 못함.

    ㉤ 기타 : 전기체(傳記體)에서 벗어나 장면 묘사로 시작되는 묘사체로 바뀌고, 대체로 실제적 현실을

    배경으로 현실적인 사건이 일어나지만, 사건의 우연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불완전한 언문일치체

    를 사용함.

    ② 주요 작품

    ㉠ 이인직(李人稙, 호는 국초)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3 -

    작품 특징

    ‘자유종(自由鐘, 1910)’

    자주독립, 여성 해방, 신교육 사상 등을 그린 정치 소설

    처음부터 끝까지 ( 대화 )체로써 여성들만의 ( 토론 ) 형식으로 이루어짐.

    등장인물이 모두 여성이며, 여권론을 주장한다는 선구적 의미가 있음.

    ‘빈상설(鬢上雪)’, ‘구마검(驅魔劍)’, ‘화(花)의 혈(血)’, ‘모란병’

    ‘옥중화(獄中花)’ : ‘춘향전’ 개작, ‘강상련(江上蓮)’ : ‘심청전’ 개작

    ‘연(燕)의 각(脚)’ : ‘흥부전’ 개작, ‘토(兎)의 간(肝)’ : ‘토끼전’ 개작

    판소리계 소설을 개작한

    개작 신소설

    작품 특징

    ‘추월색(秋月色, 1912)’

    지식인 남녀 간의 애정 문제를 중심으로 新혼인관, 新교육관이 제시된 작품.

    부패한 관료에 대한 민중의 봉기가 사건 전개 과정에 삽입되어 당대 현실의

    단면을 반영하기도 함.

    ‘안(雁)의 성(聲)’ 삼각관계의 고민과 파란을 다루어 자유 혼인과 인권 옹호 의식을 드러냄.

    작품 특징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

    여덟 가지의 동물들을 등장시켜 사람의 행실, 침략, 매국을 비판하는 데 초점

    을 둔 작품이다. 개화기에 발표된 소설 중 현실 비판 의식이 가장 강한 소설.

    ‘나’라는 1인칭 관찰자가 꿈속에서 동물들이 인간을 성토하는 회의장에 들어

    가 동물들의 연설을 듣는 형태를 취하여 당시 유행했던 (연설 회의 형식)을

    지녔다. 우화 소설이자 몽유록 구조, 풍자 구조를 지녔고, 액자 소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서언: ‘나’가 꿈속에서 금수회의소에 도착함. 금수 회장이 개회 취지를 말하여

    여러 동물들이 인간세상의 문제 논의하게 됨.

    제1석: 까마귀 - 불효비판 (반포지효 反哺之孝)

    제2석: 여우 - 외세 의존적 정치 비판 (호가호위 狐假虎威)

    제3석: 개구리 - 외국 정세에 어두움 비판 (정와어해 井蛙語海)

    제4석: 벌 - 서로 미워하고 속이는 것 비판 (구밀복검 口蜜腹劍)

    제5석: 게 - 지조 없는 인간 비판 (무장공자 無腸公子)

    제6석: 파리 - 간사함 비판 (영영지극 營營之極)

    제7석: 호랑이 - 포악한 정치 비판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제8석: 원앙새 - 음란함 비판 (쌍거쌍래 雙去雙來)

    ㉡ 이해조(李海朝, 호는 열재)

    ㉢ 최찬식(崔瓚植)

    ㉣ 안국선(安國善)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4 -

    작품 특징

    ‘서사 건국지(瑞士建國誌, 박은식)’ 스위스의 건국 영웅 ‘빌헬름 텔’의 이야기

    ‘애국 부인전(장지연)’ 프랑스의 백년 전쟁 당시의 여성 영웅인 ‘잔 다르크’의 이야기

    ‘설중매(雪中梅, 구연학)’ 원각사에서 공연된 최초의 신극 대본으로 쓰임.

    ‘철세계(鐵世界, 이해조)’ 줄 베르너의 ‘철세계’를 번안한 공상 과학 소설

    ‘장한몽(長恨夢, 조중환)’일명 ‘이수일과 심순애’. 일본인 오자끼 고요의 신파 소설인 ‘곤지끼야

    샤’를 번안한 소설

    ‘해왕성(海王星, 이상협)’ 뒤마의 ‘몽테크리스토 백작’을 번안한 소설

    ‘애사(哀史, 민태원)’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번안한 소설

    ㉤ 번안 신소설

    외국 소설을 번역할 때 그 내용이나 줄거리는 원작(原作)대로 하고 인명이나 지명, 인정, 풍습 같은 것은 자

    기 나라 것으로 고쳐서 번역한 소설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5 -

    (2000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 다음 중 신소설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갑오개혁 이전의 소설 문학에 대립된 개념이다.

    ② 서술이 설화적이며 비현실적 소재가 많다.

    ③ 창작 신소설, 번안 신소설, 개작 신소설이 있다

    ④ 근대적인 개화 ž 계몽 사상을 내용으로 한다.

    ⑤ 역전적 구성 형태를 취한다.

    (2004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2. 다음 개화기의 서사문학 중에서 전대 소설의 존재 양상이 남아 있어, 문학사의 전통 단절론을 극복할 수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추월색 ② 은세계 ③ 금수회의록 ④ 애국부인전 ⑤ 을지문덕전

    (2011년 기상청 9급 기출문제)

    3. 다음 중 신소설의 특징에 대한 서술로 틀린 것은?

    ① 주요 작품으로는 이인직의 ‘혈의 누’, 최찬식의 ‘추월색’ 등이 있다.

    ② 개화ž계몽 시대의 대표적 서사 양식으로 넓은 대중적 기반을 확보했다.

    ③ 대사와 지문을 구분하지 못하고 ‘-더라’체로 일관하면서 구소설의 양식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④ 국문체를 통해 일상적인 언어에서 가능한 모든 언술들을 특징적인 담론의 형태로 구현했다.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6 -

    작가 작품

    최남선‘해에게서 소년에게’ - 최초의 신체시. (1908년 ‘소년’지)에 발표

    ‘구작삼편’

    이광수 ‘우리 영웅’

    작가 작품

    이광수

    최초의 현대 단편 소설 - ‘어린 희생(1910)’, ‘소년’지에 발표

    이후 ‘소년의 비애’, ‘방황’, ‘윤광호’ 등 많은 단편 소설이 발표됨.

    최초의 현대 장편 소설 - ‘무정(無情)’, 1917년 ‘매일신보’에 126회 에 걸쳐 연재

    이후 ‘개척자(開拓者)’, 1917년부터 1918년까지 ‘매일신보’에 연재

    Ⅱ. 1910년대 문학(1908~1919년 3ž1운동)

    1. 시대 개관

    (1) (육당 六堂), (춘원 春園) 두 사람이 주도한 2인 문단 시대(二人文壇時代).

    (2) 문학을 계몽 운동의 주요 수단으로 삼음.

    (3) 근대적인 잡지(雜誌) 간행, 서구 문예 사조가 소개됨.

    2. 장르별 전개

    (1) 시 - ‘신체시’가 등장했다가 점차 퇴조하고, 시의 서정성이 확립됨.

    (2) 소설 - 이광수가 (‘무정 無情’)을 발표하면서 근대 소설이 출발함.

    (3) 극 - ‘혁신단’, ‘문수성’ 등의 극단이 잇달아 창단되면서 신파극 운동이 본격화됨.

    3. 주요 장르

    (1) 시

    ① 신체시(新體詩)

    1908년 이후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시. 신시(新詩)라고도 함. 계몽적 성격을 띤다.

    창가의 형식에서 탈피하여 보다 자유시에 접근한 과도기적 형식으로 정형시와 자유시의 중간에 위치하여

    창가와 근대시의 교량 역할을 함.

    ② 프랑스 상징시와 자유시

    김억(金億)이 (‘태서문예신보’)에 프랑스의 상징시들을 소개하고, ‘봄은 간다’ 등의 자유시를 발표하여

    근대시가 출발함.

    (2) 소설

    ① 근대적 소설의 등장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7 -

    (3) 희곡

    ① 신파극(新派劇)

    ‘신파극’이란 1910년대에 성행하기 시작하여 1920년, 1930년대까지 상업적, 대중적으로 지속된 연극이다.

    흥미 본위의 통속극의 성격을 지녀서, 신극보다도 필연적 구성이 뒤떨어진다.

    신파극 단체로 임성구(林聖九)의 ‘혁신단’(1911), 윤백남(尹白南)의 ‘문수성’(1912), 이기세의 ‘유일

    단’(1912) 등이 창립되었고, 최초의 창작 희곡인 조중환의 ‘병자삼인(病者三人, 1912)이 발표되었다.

    (4) 잡지(雜誌)의 간행

    소년(少年, 1908) → 청춘(靑春, 1914) → 유심(惟心, 1918) →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 1918)

    (2000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4. 다음 중 신체시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최초의 작품은 ‘해에게서 소년에게’이다.

    ② 신체시의 모체는 창가가사이다.

    ③ 신체시는 주로 독립신문에 발표되었다.

    ④ 춘원도 ‘우리 영웅’ 등 신체시를 발표하였다.

    ⑤ 전통적인 운율의 정형성을 일부 파괴하였으나 부분적으로 운율의 잔재형태가 남아있다.

    (2001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5. 신파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신파’라는 말은 일본에서 그대로 들어온 것이다.

    ② 1910년대로부터 1930년대까지 유행한 대중적 연극이다.

    ③ 신파극의 본격적 출발은 임성주의 ‘혁신단’이다.

    ④ 1920년대 김우진의 ‘극예술협회’, 박승희의 ‘토월회’로 더욱 발전하였다.

    ⑤ 신파극이란, 남녀 간의 애정 등 통속적인 내용의 연극이다.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8 -

    Ⅲ. 1920년대 문학(1919년 3ž1운동~1930년)

    1. 시대개관

    (1) 일제의 문화 정책으로 인해 여러 신문들과 문예지 간행

    (2) 다수 문인, 다수 동인지 시대

    (3) 반계몽주의적(反啓蒙主義的) 순수 문학을 지향한 시기

    (4) 낭만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등의 서구 문예 사조가 혼입(混入)됨.

    (5) 1920년대 중반 이후에 ‘신경향파’ 문학 대두, 카프(KAPF)의 결성으로 조직적인 계급 문학 운동 전개.

    (6) 민족주의 진영에서는 ‘국민 문학파(國民文學派)’를 형성, ‘시조 부흥 운동’을 전개함.

    2. 장르별 양상

    (1) 시 - 낭만주의 경향 우세, 주요한의 (‘불놀이’) 발표 후 자유시 형태가 정착됨.

    김억의 (‘오뇌(懊惱)의 무도’)를 시작으로 서구의 시가 번역ž소개됨.

    김동환(金東煥)의 (‘국경의 밤’)을 계기로 현대 서사시가 등장함.

    (2) 소설 - (사실주의) 경향 우세, 일제 강점기하의 ( 가난 ), ( 빈궁 )의 문제가 소설의 주된 소재로 등장.

    김동인, 현진건, 나도향 등에 의해 단편 소설이 정립되고, 소설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등 소설의

    근대성이 확립되었다.

    (3) 희곡 - 근대극 양식 도입, (‘극예술 협회’), (‘토월회 土月會’)와 같은 근대극 단체 결성.

    신파극을 탈피한 근대적 연극이 활기를 띰.

    나운규의 ‘아리랑’, 심훈의 ‘먼동이 틀 때’와 같은 창작 시나리오도 발표됨.

    3. 동인지(同人誌) 및 잡지(雜誌)

    (1) 동인지 및 잡지의 발간

    창조(創造, 1919)→개벽(開闢, 1920)→폐허(廢墟, 1920)→장미촌(薔薇村, 1921)→백조(白潮, 1922)→금성

    (金星, 1923)→영대(靈臺, 1924)→조선 문단(朝鮮文壇, 1924)→해외 문학(海外文學, 1927)→문예 공론(文

    藝公論, 1929), 삼천리(三千里, 1929)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9 -

    (2) 동인지 및 잡지의 주요 특색

    ① 3대 문예 동인지

    동인지 이름 동인 및 주간 내용 및 의의

    (창조 創造) 김동인, 주요한, 전영택

    Ÿ최초의 순수 문예 동인지

    Ÿ완전한 언문일치 문장을 확립함.

    Ÿ시에서는 상징주의를, 소설에서는 사실주의를 취함.

    Ÿ창간호에 최초의 자유시인 ‘불놀이’(주요한)와 사실주의

    단편 소설인 ‘약한 자의 슬픔’(김동인)이 실림.

    (폐허 廢墟) 황석우, 염상섭, 김억, 오상순 퇴폐적 낭만주의 경향을 지닌 대표적 동인지

    (백조 白潮) 홍사용, 나도향, 이상화,현진건, 박종화, 노자영

    감상적 낭만주의 경향을 지닌 대표적 동인지

    ② 대립 잡지

    잡지 이름 주재자 내용 및 의의

    (개벽 開闢) 김기진, 박영희 계급주의를 표방한 종합 잡지

    조선 문단

    (朝鮮文壇)이광수, 방인근

    동인지로 출발하였다가 종합 잡지로 전환하여 동인지의 성

    격을 탈피한 최초의 종합 잡지로서 카프에 대항한 민족주

    의 계열의 문예지

    ③ 시 전문지

    동인지 이름 동인 내용 및 의의

    장미촌(薔薇村) 박종화, 노자영 최초의 시 전문 동인지

    금성(金星) 양주동 낭만적 경향을 지닌 시 동인지

    ④ 기타

    동인지 이름 동인 내용 및 의의

    영대(靈臺) 김소월, 김억 ‘창조’의 후신으로 김소월이 관여한 문예지

    해외 문학

    (海外文學)

    김진섭, 정인섭, 손우성,

    이하윤 김광섭외국 문학에 대한 최초의 번역 소개지

    문예 공론

    (文藝公論)양주동

    계급주의의 ‘개벽파’와 민족주의의 ‘조선 문단파’를

    절충하려는 경향을 지님.

    4. 계급주의 문학과 민족주의 문학

    (1) 계급주의 문학

    심대섭(심훈) 중심 - 계급주의 문학을 지향하는 ‘염군사(焰群社, 1923)’ 결성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0 -

    시인 특징

    주요한‘창조(創造)’ 동인. 근대적 자유시의 형태를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함.

    대표작 ‘불놀이’ (최초의 현대 자유시) - ‘창조’(1919) 창간호에 발표됨.

    홍사용 ‘백조(白潮)’의 실질적인 주재자. 대표작 - ‘나는 왕이로소이다’

    김억 (호 : 안서) ‘태서문예신보’를 통해 서구 상징시를 최초로 번역ž소개함.

    박영희와 김기진 중심 - 계급 문학 단체 ‘파스큘라(PASKYULA, 1923)’ 결성

    1925년, ‘프로 문학을 토대로 한다.’라는 공통 기반 아래 ‘염군사(焰群社, 1923)’와

    ‘파스큘라 (PASKYULA, 1923)가 합쳐져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즉 ‘KAPF’가 결성되어

    체계적인 계급 문학 운동이 전개됨.

    (주요인물 - 김기진, 박영희, 이익상, 이상화, 안석주, 송영 등)

    1930년대에 들어 일제의 KAPF 대검거령에 의해 1931년의 1차 검거, 1934년의 2차 검거를 거치면서 1935년에

    KAPF라는 단체는 공식 해체됨.

    ① 특징과 주요 작품

    하층민의 빈곤한 생활상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방화나 살인 등의 본능적 저항으로 결말을 맺으며, 순수

    문학을 부정하고 사회주의 운동을 배경으로 하여 정치성을 띤다.

    작가 작품

    김기진 ‘붉은 쥐’, ‘백수의 탄식’(시)

    주요섭 ‘살인’, ‘인력거꾼’

    박영희 ‘전투’, ‘사냥개’

    최학송(서해) ‘고국’, ‘탈출기’, ‘홍염’, ‘기아와 살육’

    ② 동반자 작가

    프로 문학이 한창 우세하던 1920년대 말~1930년대 초에 프로 문학 운동과 단체에 직접 가담하지는 않았으

    나, 그 취지에 찬동하고 보조를 같이한 일군의 작가를 뜻한다. 유진오, 이효석, 박화성, 채만식 등

    (2) 민족주의 문학 - 국민 문학파 문학(國民文學派文學)

    국민 문학파가 중심이 되어, 계급 문학의 정치성에 반대하고 문학의 순수성을 옹호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

    고자 했던 문학의 경향. 최남선, 이광수, 김동인, 이병기, 이은상, 염상섭 등이 주요 작가.

    최남선이 중심이 되어 시조 부흥 운동을 전개하고, 역사 소설의 제작을 주도함. 국민 문학의 매체가 되는 한

    글의 연구 및 한글날의 제창에 공헌하였음.

    (3) 절충주의 문학

    프로 문학과 민족주의 문학 둘을 절충하여, 민족을 떠난 계급이 있을 수 없고 계급을 떠난 민족이 있을 수

    없다는 논리로써 중간 노선을 주장한 문학의 경향. 양주동, 염상섭 등이 중심 작가이며, ‘문예 공론’(1929)

    을 통해 주로 주장했음.

    5. 주요 시인과 시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1 -

    근대시와 민요를 접맥시키고자 노력함.

    시의 형식과 시의 리듬에 대한 분명한 자각을 보여준 작가. ‘폐허(廢墟)’의 동인.

    ☞ 대표시 - ‘봄은 간다’,

    시집 - ‘오뇌의 무도(1921)’ : 최초의 근대적 번역 시집

    ‘해파리의 노래(1923)’ : 최초의 개인 창작 시집

    황석우‘폐허’ 동인, 이상주의적 색채, 퇴폐적 경향 보이는 난해한 상징시를 씀.

    ☞ 대표작 – ‘벽모의 묘’

    김소월 (본명 : 정식)

    ‘창조’를 통해 문단에 등장, 1924년 ‘영대(靈臺)’의 동인으로 활동함.

    대표적인 전통 시인(傳統詩人), 민요 시인(民謠詩人), 민족 시인(民族詩人).

    사모(思慕)와 정한(情恨)의 세계라는 한국적인 정감과 전통적인 율조를 확실하게 보

    여 준 작가. 김억의 제자.

    ☞ 대표시 - ‘진달래꽃(’1922), ‘금잔디’, ‘먼 후일’, ‘엄마야 누나야’, ‘산유화’,

    ‘초혼(招魂)’, ‘못 잊어’, ‘접동새’,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섭

    대일 땅이 있었더면’

    시집 - ‘진달래꽃’(1925) / 소설 - ‘함박눈’

    오상순 ‘폐허(廢墟)’의 동인, 허무주의적 경향을 지닌 시인

    대표작 - ‘허무혼의 선언’, ‘방랑의 마음’, ‘아시아의 밤’

    김동환 종합 잡지인 ‘삼천리(三千里)’ 및 문예지 ‘삼천리 문학(三千里文學)’을 주재함.

    대표작 ‘국경의 밤’(1925) - 최초의 현대 서사시(일정한 사건을 이야기하듯 서술)

    이상화

    초기에는 ‘백조(白潮)’ 동인으로 가담, 감상적이고 낭만주의적인 정열이 기조를 이

    루다가, 후기에 들어 ‘KAPF’의 창립에 가담한 이후부터 퇴폐적 경향을 청산하고

    민족 현실에 대한 관심을 시화하여 항일적ž민족주의적 성격이 강해짐.

    ☞ 대표시 - ‘나의 침실로’, ‘이중의 사망’, ‘말세의 회탄’,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

    는가’(1926, 개벽)

    유고 시집 - ‘상화와 고월’(1946)

    한용운 (호 : 만해)

    불교 잡지 ‘유심(惟心)’ 간행, 타고르의 영향을 받은 불교 시인이자 독립 운동가.

    3ž1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 선언서’에 서명했고, 옥고를 치

    르면서 항일 독립 운동의 투사로 활약함.

    사상가ž혁명가ž종교인으로서 삶이 시의 깊이를 더해 주었다.

    ☞ 대표 시집 - ‘님의 침묵’(1926)

    대표시 - ‘님의 침묵’, ‘찬송’, ‘나룻배와 행인’, ‘알 수 없어요’, ‘당신을 보았습니

    다’, ‘복종’, ‘이별은 미의 창조’, ‘논개의 애인이 되어서 그의 묘에’

    소설 - ‘흑풍(黑風)’ / 논설 - ‘조선 독립의 서(書)’, ‘불교 유신론(佛敎惟新論)’

    박종화

    ‘백조(白潮)’ 동인, 역사 소설가이면서, 낭만주의적 경향을 끝까지 고수함.

    ☞ 대표시 - ‘창자부’, ‘흑방 비곡’

    소설 - ‘목 매는 여인’, ‘금삼(錦衫)의 피’, ‘다정 불심(多情佛心)’, ‘대춘부(待春

    賦)’, ‘홍경래’, ‘임진왜란’, ‘아랑의 정조’

    변영로섬세한 전통 정서와 높은 민족정신이 배어 있는 작품을 쓴 작가

    ☞ 대표시 - ‘논개’, ‘조선의 얼굴’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2 -

    시집 - ‘조선의 마음’

    이병기

    ‘조선 문단(朝鮮文壇)’을 통해 등단한 시조 작가

    ☞ 대표 시조 - ‘난초’, ‘오동꽃’, ‘수선(水仙)’

    시조집 - ‘가람 시조집’

    6. 주요 소설가와 소설

    (1) 김동인

    ‘창조(創造)’ 동인. 소설은 작가가 창조한 하나의 세계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완결된 형식과 의미를

    지녀야 한다고 주장하여 이광수의 계몽 문학, 설교 문학을 정면으로 거부함.

    ※ 업적

    ㉠ 단편 소설의 기반 확립, 소설의 예술성 주장.

    ㉡ ‘그이’라는 3인칭 대명사 맨 처음 사용, 언문일치 완성.

    ㉢ 다양한 문학 사조와 기법을 구사하고, ‘톨스토이’의 작품으로부터 자기 나름의 독특한 문학관을

    이끌어냄. ‘인형 조종술’과 ‘단일 묘사 방법’ 중시.

    ㉣ 평론집 ‘춘원 연구(1935)’ - 비평 문학의 새 영역 개척.

    ㉠ 낭만주의적 작품 : ‘배따라기’

    ㉡ 사실ž자연주의적 작품 : ‘약한 자의 슬픔’, ‘明文’, ‘감자’

    ㉢ 탐미주의적 작품 : ‘광화사’, ‘광염 소나타’

    ㉣ 민족주의적 작품 : ‘붉은 산’

    ㉤ 인도주의적 작품 : ‘발가락이 닮았다’

    ㉥ 역사 소설 : ‘대수양’, ‘젊은 그들’, ‘운현궁의 봄’

    (2) 전영택

    ‘창조(創造)’ 동인.

    ☞ 대표작 - ‘화수분’, ‘소’, ‘천치? 천재?’

    (3) 나도향 (본명 : 나빈)

    ‘백조(白潮)’ 동인. 감상적ž낭만주의적 풍의 소설가.

    ☞ 대표작 - ‘환희’, ‘물레방아’, ‘뽕’, ‘벙어리 삼룡이’

    (4) 염상섭

    ① ‘폐허(廢墟)’ 동인.

    ② 서울 중산층의 풍속과 의식, 토박이 서울 말씨를 창작의 기초로 삼았음.

    ③ 객관적인 표현, 작품의 비대중성, 만연체의 문장이 특징.

    ④ 작품 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의 심리를 다 그려내는 ‘복합 묘사 방법’을 중시함.

    ⑤ 한국 자연주의 문학의 선구자.

    ⑥ ‘시조 부흥 운동’에 간여하고 ‘내용ž형식 논쟁’에 참여하는 등 평론 활동에도 힘써,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3 -

    민족주의 문학파의 대표적 이론가로 평가됨.

    ⑦ 광복 후에는 좌우익 사이에서 중도(中道)의 입장을 지키며 민족 문학의 수립을 주창함.

    ☞ 대표작 - 단편 : ‘표본실의 청개구리’, ‘두 파산’

    장편 : ‘만세전’, ‘삼대’, ‘취우’

    (5) 최서해 (본명 : 학송)

    자신의 체험을 문학으로 발표, 궁핍한 현실을 형상화하는 데 탁월한 재능을 보인 신경향학파 작가

    ☞ 대표작 - ‘고국’, ‘탈출기’, ‘기아와 살육’, ‘홍염’, ‘박돌의 죽음’

    (6) 현진건

    ‘백조(白潮)’ 동인.

    우리나라 근대 문학 형성기의 선구자.

    김동인과 함께 근대 단편 소설 개척, 염상섭과 함께 사실주의 문학 확립, 소설 문학에 있어 기교의 가치를

    보여 준 최초의 작가.

    ☞ 대표작 - 단편 : ‘희생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 ‘불’, ‘운수 좋은 날’,

    ‘할머니의 죽음’, ‘고향’, ‘B사감과 러브레터’

    장편 : ‘무영탑’, ‘적도’, ‘흑치상지’

    7. 근대극 단체와 희곡

    김우진 중심의 ‘극예술 협회’(1921), 윤백남 중심의 ‘민중 극단’(1922), 김기진, 박승희 중심의 근대적

    연극 단체 ‘토월회(土月會)’(1922)가 결성되어 서구의 근대극 양식이 도입되고, 근대적 창작 희곡이 본격화

    하여 신파극에서 벗어난 근대적 연극이 활기를 띰. 일상적인 대사를 구사하고, 현실적인 인물과 무대를 설정

    하는 사실주의적 경향의 희곡이 창작됨.

    ※ ( 토월회 土月會 )

    1922년에 김기진, 박승희, 김을한, 안석주 등이 신파극에서 벗어나 연극의 예술성을 위주로 한 유럽 근대극

    의 계보를 밟는 진정한 근대극을 이 땅에 세우려는 뜻으로 결성한 동인제(同人制)의 극단

    ‘칼멘’, ‘부활’, ‘곰’, ‘오로라’ 등 번역극을 주로 상연하였으며, 87회 공연 기록을 남겨 근대극 발

    전에 큰 공을 세움.

    (2009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6. 1920년대 우리나라 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사실주의 소설이 주류를 이루었다.

    ② 이광수나 최남선의 주도하에 계몽 문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③ 동인지를 중심으로 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④ 카프의 결성 등 신경향파 문학이 대두되었다.

    ⑤ 시조시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4 -

    (2010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7. 다음에 인용된 시와 관계없는 것은?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① 민요 형식 ② ③

    ④ 김억 ⑤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5 -

    동인지 이름 동인 및 주간 특징

    시문학

    (詩文學, 1930)

    김영랑, 박용철, 이하윤,

    정지용, 신석정

    1920년대의 목적 문학에 반발하여 언어의 아름다움과 음

    악성을 추구하는 순수 서정시를 씀.

    시의 수준을 높였으며, 순수시 운동의 모체가 됨.

    Ⅳ. 1930ž1940년대 문학 (만주사변~1945년 8ž15광복)

    1. 시대개관

    (1) 1935년에 카프가 해체됨에 따라 목적 문학(目的文學)이 퇴조하고, 문학의 순수성과 예술성을 지향하는

    세력이 문단의 주류를 형성함.

    (2) 현실에 대한 지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주지적 경향이 나타나서 인간의 문제, 삶과 죽음의 문제,

    농촌과 도시의 삶의 문제 등을 다룬 작품들이 다수 발표됨.

    (3) 문학이 역사적 가치의 대상에서 예술적 가치의 대상으로 전환됨. 문학에 대한 시각이 다양해지고,

    같은 시기의 서구 문학을 수용함으로써 문학적 기교가 발달함.

    2. 장르별 전개

    (1) 시 - 표현과 주제 다양화됨. 주지주의(主知主義), 초현실주의 나타남.

    한국 시사(詩史)의 2대 산맥인 ‘생명파(生命派)’와 ‘청록파(靑鹿派)’ 등장.

    ‘이육사’와 ‘윤동주’의 저항시, ‘이상’의 ‘오감도(烏瞰圖)’ 같은 초현실주의 시가 쓰임.

    (2) 소설 -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사회성을 배제한 예술성 위주의 소설들이 다양하게 나타남.

    세태 소설, 풍자 소설 등 모더니즘의 경향의 소설과 농촌 소설(農村小說),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등이 등장.

    인간의 운명과 본질을 탐구한 김동리의 ‘무녀도’, ‘황토기’ 같은 작품도 나타남.

    (3) 극 - 1931년에 결성된 ‘극예술 연구회’를 중심으로 현대극(現代劇)운동이 활발히 전개됨.

    (4) 수필 - 수필이 문학 장르의 하나로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여 ‘해외 문학파’였던 김진섭, 이하윤,

    김광섭, 그리고 이양하 등에 의해 본격적인 수필 이론이 도입되고 외국 작품들이 소개되면서,

    깊이 있고 다양한 수필 작품들이 발표됨.

    3. 동인지(同人誌) 및 잡지(雜誌)

    (1) 동인지 및 잡지의 발간

    시문학(詩文學, 1930) → 문예월간(文藝月刊, 1931) → 삼사 문학(三四文學, 1934) → 문학(文學, 1934)

    → 조선 문학(朝鮮文學, 1935) → 시원(詩苑, 1935) → 조광(朝光, 1935) → 시인 부락(詩人部落, 1936)

    → 자오선(子午線, 1937) → 문장(文章, 1939) → 인문 평론(人文評論, 1939)

    (2) 주요 동인지 및 잡지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6 -

    시를 언어의 예술로 자각한 참된 현대시의 출발점이 됨.

    문예 월간

    (文藝月刊, 1931)박용철, 이하윤, 정지용

    순수 문예 종합지

    ‘시문학파’에 ‘해외 문학파적’인 성격을 가미함.

    삼사 문학

    (三四文學, 1934)조풍연, 신백수 주지주의, 의식의 흐름 기법 사용, 초현실주의적 측면

    문학

    (文學, 1934)박용철 순수 문학을 주장한 문예지

    시원

    (詩苑, 1935)모윤숙, 노천명 창작시, 외국시, 시론 등을 소개함.

    시인 부락

    (詩人部落, 1936)서정주, 김동리, 김달진

    인간과 생명에 관심을 보인 시 전문 동인지

    서정주의 ‘화사’, ‘문둥이’ 등이 발표됨.

    자오선

    (子午線, 1937)이육사, 김광균, 신석초 모든 경향과 유파를 초월한 시 전문 동인지

    문장

    (文章, 1939)

    동양적인 문예지

    범국민적인 작품 발표 및 고전 발굴에 주력함.

    ‘조선 문단’에 이어 신인 추천 제도를 실시함

    배출된 작가 :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김상옥, 이호우,

    임옥빈, 최태응

    인문 평론

    (人文評論, 1939)

    서구적인 문예지

    최재서가 중심이 된 평론 중심의 문예지

    후에는 ‘국민 문학’으로 개칭하여 친일 어용지로 전락함.

    4. 주요 시파(詩派)와 시인

    (1) 시문학파(詩文學派, 일명 ‘순수시파’)

    1920년대의 이념적 문학 풍토에 반발하여 발생했으며, ‘시는 언어 예술’이라는 관점에서 언어의 조탁과

    시어의 음악성을 중시하고 우리말의 아름다운 가락을 잘 살렸다. 언어의 감각성을 추구하는 데 남다른 노력을

    기울였으며, 가능한 한 문명어와 도시어, 시의 감상적(感傷的) 요소를 배제하였다. 유미(唯美)주의, 상징주의

    적 경향을 보였다. 김영랑(윤식), 박용철, 이하윤, 정지용, 신석정 등이 중심 작가이다.

    ① 김영랑(金永郞, 본명은 윤식) - 순수 서정시 운동 주도

    ☞ 대표시 : ‘모란이 피기까지는’, ‘내 마음을 아실 이’,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오월’,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북’, ‘독을 차고’ 등

    ② 박용철(朴龍喆)

    ☞ 대표시 : ‘떠나가는 배’

    ③ 신석정(辛夕汀) - 전원적ž자연적ž목가적 서정시를 많이 발표

    ☞ 대표시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슬픈 구도’,

    ‘임께서 부르시면’, ‘꽃덤불’ 등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7 -

    (2) 주지시파(主知詩派, 일명 ‘모더니즘 시파’)

    낭만성과 음악성을 배격, 지성(知性)과 논리를 중시하였다. 이미지(Image)와 시각적 심상을 위주로 한 언어

    의 회화성(繪畫性)이 특징이며, 현대 도시 문명에 대한 상황적 인식과 비판적 감수성을 표출하였다.

    창작 방법적인 측면만 강조하여 시의 내용적 깊이를 찾아보기 힘들고, 시가 언어 예술이라는 점을 깨닫지 못

    했다. 최재서, 김기림, 김광균, 정지용, 장만영, 이상 등이 중심 작가이다.

    ① 김기림(金起林) - 필명 ‘편석촌(片石忖)’, 주지주의 시 이론을 도입

    ☞ 시집 : ‘기상도’(1936), ‘바다와 나비’

    ② 정지용(鄭芝溶) - 세련된 감각적 시어를 구사하고, 향토적 정취를 노래한 감각적 이미지즘의 시인

    ☞ 대표시 : ‘향수’, ‘유리창’, ‘별’, ‘백록담’

    ③ 김광균(金光均) - 도시적 소재, 공감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을 통한 회화적인 시

    ☞ 시집 : ‘와사등’, ‘기항지(寄港地)’, ‘황혼가’

    ☞ 대표시 : ‘와사등’, ‘외인촌’, ‘추일서정’, ‘설야’, ‘데생’

    (3) 전원시파(田園時派)

    일제의 극심한 탄압으로 인한 현실 도피의 태도와 동양적 세계관을 중시하는 경향이 대두한 결과 발생하였

    다. 전원 생활에 대한 동경과 안빈낙도의 세계관, 자연 친화적ž관조적ž자조적 태도와 서경적 묘사를 중시했

    다. 신석정, 김동명, 김상용 등이 중심 작가이다.

    ① 김상용(金尙鎔) - 동양적 관조의 세계, 전원의 세계를 그림.

    ☞ 대표시 : ‘남으로 창을 내겠소’

    (4) 생명파(生命派, 일명 ‘인생파’)

    ‘경향파’의 목적 의식, ‘시문학파’의 지나친 기교주의, ‘주지시파’의 서구적 취향과 작위적인 기교에

    반발하여 ‘생명 의식의 앙양’, ‘원시 생명의 희구’, ‘삶의 고뇌 표출’이라는 인간주의(人間主義) 문학

    을 부르짖었다. 시의 내용을 중시하고, 내면 의식의 자연스러운 표출을 꾀했다. 20년대의 낭만시의 일면을 계

    승한 흐름을 보이며,오늘날의 한국 문학에 영향을 끼쳤다. 서정주, 유치환, 김동리 등이 중심 작가이다.

    ① 서정주(徐廷柱, 호는 未堂)

    ☞ 시집 : ‘화사집(花蛇集)’, ‘귀촉도(歸蜀途)’, ‘신라초(新羅秒)’, ‘동천(冬天)’, ‘질마재 신화’

    ☞ 대표시 : ‘화사’, ‘문둥이’, ‘자화상’, ‘추천사’, ‘국화 옆에서’

    ② 유치환(柳致環, 호는 靑馬) - ‘허무와 의지의 시인’

    ☞ 시집 : ‘청마 시초’, ‘생명의 서’, ‘울릉도’, ‘청령 일기’, ‘춘신(春信)’, ‘보병과 더불어’

    ☞ 대표시 : ‘깃발’, ‘울릉도’, ‘바위’, ‘일월(日月)’, ‘생명의 서’

    (5) 청록파(靑鹿派, 일명 ‘자연파’)

    1939년에 ‘문장(文章)’을 통하여 동시에 등단한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이 중심 작가이며, 자연 친화적인

    태도를 표출하였다. 주지시에 대한 반발에서 비인간화된 세계에 대한 반항을 지향하였다. 향토적 정서와 전통

    회귀 정신을 강조하고, 해방 이후에 ‘청록집(靑鹿集)’(1946)이라는 최초의 시집을 공동으로 간행하였다.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8 -

    ① 조지훈(趙芝薰, 본명은 동탁) - 민족적 정서와 전통에 대한 향수 및 불교적 색채가 강한 시를 씀.

    ☞ 시집 : ‘풀잎 단장’, ‘역사 앞에서’

    ☞ 대표시 : ‘봉황수’, ‘완화삼’, ‘승무’, ‘고풍 의상(古風衣裳)’

    ☞ 수필 : ‘지조론’, ‘돌의 미학’

    ② 박두진(朴斗鎭, 호는 혜산) - 기독교적 생명 사상에 입각한 자연과의 친화를 노래함.

    ☞ 시집 : ‘해’, ‘오도’, ‘거미와 성좌’, ‘하얀 날개’, ‘사도행전’, ‘수석열전’, ‘인간 밀림’

    ☞ 대표시 : ‘향현’, ‘묘지송’, ‘해’, ‘청산도’, ‘낙엽송’, ‘도봉’, ‘어서 너는 오너라’

    ③ 박목월(朴木月, 본명은 영종) - 향토성이 짙은 토속적인 언어, 정형적ž민요적 율격, 간결한 이미지와

    섬세한 서정성을 바탕으로 자연과의 친화를 노래함.

    ☞ 시집 : ‘산도화’, ‘청담’, ‘경상도의 가랑잎’

    ☞ 대표시 : ‘윤사월’, ‘나그네’, ‘청노루’, ‘산도화’

    (6) 저항시

    ① 이육사(李陸史, 본명은 원록, 원삼, 활)

    - 남성적 대결 정신과 강인한 대륙적 풍모를 보이는 대표적인 저항 시인이다. 서정적이고 목가적인

    시풍을 잃지 않은 민족적 저항 시인으로 평가됨.

    ☞ 유고 시집 : ‘육사 시집’(1946)

    ☞ 대표시 : ‘황혼’, ‘절정’, ‘청포도’, ‘교목’, ‘광야’, ‘꽃’

    ② 윤동주(尹東柱)

    - 식민지 지식인의 정신적ž윤리적 고통을 섬세한 서정과 투명한 시심(詩心)으로 노래한 저항 시인

    ‘부끄러움’의 미학을 바탕으로 하여 ‘도덕적 순결성’의 추구와 ‘자기 희생’의 의지를 주로 노래함.

    ☞ 유고 시집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 대표시 : ‘서시(序詩)’, ‘별 헤는 밤’, ‘간(刊)’, ‘자화상’, ‘참회록’, ‘십자가’, ‘쉽게 씌어진 시’,

    ‘또 다른 고향’

    5. 문학 단체와 소설의 유형

    (1) 구인회(九人會)

    1933년에 작가 이종명과 영화 감독 김유영의 발기로 이무영, 김기림, 유치진, 이태준, 이효석, 조용만, 정지

    용 등 9명이 모여 조직한, 시인, 소설가, 극작가, 평론가 등이 총망라된 문학 단체.

    뒤에 김유영, 이종명, 이효석, 조용만, 유치진이 탈퇴하고 박태원, 이상, 박팔양, 김유정, 김환태가 참가함.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순수 문학 옹호의 입장을 취하였고, 예술 지상주의ž유미주의적 경향을 지

    향했으므로 예술파로 일컬어지며 언어의 지적인 조직을 꾀하는 점에서 ‘기교파’라 불림.

    (2) 농촌 소설(農村小說)

    러시아의 브나로드 운동(농촌 계몽 운동) 및 일제의 농촌 진흥 운동, 우리 자체 내의 농촌 계몽 운동의 영향

    을 받음.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19 -

    ㉠ 계몽적 목적성이 두드러진 작품 : 이광수의 ‘흙’(1932), 심훈의 ‘상록수(1935)

    ㉡ 프로 문학의 한 부류의 작품 : 이기영의 ‘고향’, 조명희의 ‘낙동강’

    ㉢ 도시를 비판하고 농촌을 중시하는 전원적 관점의 작품

    ⓐ 이무영의 ‘제1과 제1장’, ‘흙의 노예’, ‘농민’

    ⓑ 박영준의 ‘모범 경작생’, ‘목화씨 뿌릴 때’

    ⓒ 김유정의 ‘만무방’, 김정한의 ‘사하촌(寺下村)’, 박화성의 ‘한귀(旱鬼)’

    (3) 역사 소설(歷史小說)

    일제의 탄압이 극에 달하자 민족주의적 저항 문학이 복고(復古) 사상과 고전에 대한 관심으로 기울어지면서,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재조명하여 민족의식을 간접적으로나마 고취하려는 의도에서 역사적 사건이나 인

    물을 제재로 한 소설

    6. 주요 소설가와 소설

    (1) 유진오(兪鎭午) - 동반자 작가

    ☞ 대표작 - ‘여직공’, ‘5월의 구직자(求職者)’, ‘김 강사와 T 교수’

    (2) 이효석(李孝石) - 동반자 작가이자 구인회(九人會)의 일원

    세련된 언어 감각, 풍부한 어휘, 시적 분위기의 형성 등을 통해 뛰어난 형식적 아름다움을 보여 주어 산문

    세계의 예술성을 승화시키어 ‘소설을 배반한 소설가’로 평해지기도 함.

    ☞ 대표작 - ‘도시와 유령’, ‘노령 근해’, ‘북국 통신’, ‘메밀꽃 필 무렵’, ‘산’, ‘돈(豚)’,

    ‘들’, ‘장미 병들다’, ‘화분’, ‘벽공 무한’, 수필집 : ‘청포도 사랑’

    (3) 이상(李箱, 본명은 김해경)

    1930년대에 지적(知的)인 실험 정신에 입각한 작품을 쓴, 대표적인 심리주의 작가, 초현실주의 작가,

    구인회(九人會)의 일원

    ☞ 대표작 - 시 : ‘거울’, ‘오감도(烏瞰圖)’, ‘이상한 가역 반응’

    소설 : ‘날개’, ‘종생기’

    수필 : ‘권태’, ‘산촌여정’

    (4) 채만식(蔡萬植) - 동반자 작가, 사회 풍자적인 소설을 많이 쓴 풍자 소설가

    주로 부정적 인물을 전면에 내세우고, 긍정적 인물을 후면에 숨겨서, 긍정적 인물이 부정적 인물의 조롱의

    대상이 됨.

    ☞ 대표작 - ‘탁류’, ‘레디메이드 인생’, ‘태평천하’, ‘치숙’, ‘명일(明日)’, ‘소년은 자란다’,

    ‘논 이야기’,‘인테리와 빈대떡’(희곡)

    (5) 김유정(金裕貞)

    판소리와 사설시조에 나타난 해학(골계미)을 현대에 가장 잘 계승한 해학적인 소설가,

    구인회(九人會)의 일원

    우매한 주인공을 주고 내세워서, 산촌 농민의 삶의 풍속도를 희화적(戱畵的)인 해학미가 넘치게 그림.

    토속어, 방언 등을 많이 사용하고 대개 배경이 산골 농촌으로 설정되어 향토성을 드러냄.

    ☞ 대표작 - ‘동백꽃’, ‘봄봄’, ‘소낙비’, ‘산골 나그네’, ‘금 따는 콩밭’, ‘만무방’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0 -

    (6) 김동리(金東里) - ‘시인 부락(詩人部落)’의 동인, 좌익 문학에 반대하여 ‘순수 문학’ 이론을 정립함.

    ☞ 대표작 - ‘화랑의 후예’, ‘산화(山火)’, ‘무녀도’(단편), ‘을화’(장편), ‘등신불’,

    ‘사반의 십자가’, ‘역마(驛馬)’

    (7) 황순원(黃順元) - 극도로 절제된 문장 양식을 구사하는 소설가

    ☞ 대표작 - ‘독 짓는 늙은이’, ‘학(鶴)’, ‘목넘이 마을이 개’, ‘카인의 후예’, ‘소나기’,

    ‘별’, ‘인간 접목’, ‘나무들 비탈에 서다’

    (8) 정비석(鄭飛石)

    ☞ 대표작 - ‘성황당’, ‘졸곡제’, ‘자유 부인’

    (9) 계용묵(桂鎔黙) ☞ 대표작 - ‘백치 아다다’

    (10) 안수길(安壽吉)

    ☞ 대표작 - ‘북간도’, ‘제3인간형’, ‘적십자 병원장’

    (11) 박태원(朴泰遠) - 구인회(九人會)의 회원

    반계몽주의, 반계급주의의 처지에서 세태 풍속을 착실하게 묘사했던 작가

    ☞ 대표작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一日)’, ‘천변 풍경’, ‘권태’

    (2000년 서울시 9급 행정직 기출문제)

    8. 이상(李箱)의 ‘날개’라는 단편소설의 주제는 보통 “식민지 지식인의 나갈 길 없는 지평”이라고 해석

    되는데, 이것은 다음의 문학비평 방법 중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인가?

    ① 심리주의 비평 ② 형식주의 비평 ③ 신화원형 비평

    ④ 역사주의 비평 ⑤ 분석학적 비평

    (2002년 4월 서울시 9급 기출문제)

    9. 다음 중 작가와 작품의 연결이 틀린 것은?

    ① 서정주 - 생명의 서 ② 한용운 - 수의 비밀

    ③ 박두진 – 청산도 ④ 윤동주 – 참회록

    ⑤ 정지용 - 향수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1 -

    (2003년 06월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0. 다음 중 작가와 작품의 연결이 옳지 못한 것은?

    ① 현진건 – 빈처(貧妻) ② 김동인 – 무녀도(巫女圖)

    ③ 이효석 - 메밀꽃 필 무렵 ④ 염상섭 - 표본실의 청개구리

    ⑤ 심훈 – 상록수

    (2003년 12월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1. 연대순으로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진단학회 - 광문회 - 조선어연구회 – 한글학회

    ②「학지광」-「소년」-「창조」-「문장」

    ③「해에게서 소년에게」-「불놀이」-「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기상도」

    ④ 토월회 - 혁신단 - 문수성 - 유일단 – 동양극장

    ⑤ 「무정」-「혈의 누」-「약한 자의 슬픔」-「벙어리 삼룡이」

    (2004년 10월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2. 현대 모더니즘 계열의 시인으로 볼 수 없는 사람은?

    ① 김기림 ② 정지용 ③ 김광균 ④ 이 상 ⑤ 한용운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2 -

    ⅴ. 1945년~1950년대 문학

    1. 시대 개관

    (1) 8ž15 직후에는 국토 분단과 좌ž우익의 이념적 대립으로 인해 사회주의 문학과 민족주의 문학이 대립함.

    (2) 일제하에서의 절박한 삶의 체험, 고향을 잃은 자들의 귀향 의식을 표현한 작품이 많이 등장.

    (3) 6ž25 전쟁으로 인한 물질적 피해와 정신적 피폐, 인간성 상실의 문제, 분단 현실의 아픔, 절망적인 시대

    상황 등을 형상화한 작품이 많이 등장.

    (4) 전쟁의 극한 상황 속에서 실존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서구의 실존주의 문학을 수용하고 인간의 본질

    문제, 실존의 탐구 등을 다룬 작품들이 다수 발표됨.

    (5) 전쟁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현실 참여의 주지주의 문학과 전통 지향적인 순수 문학이라는 두 개의 커다란

    흐름을 형성.

    2. 주요 장르별 양상

    (1) 시

    ① 광복 직후

    좌익 계열의 시인들이 광복의 감격을 노래한 시와 그 당시의 부정적 현실을 노래한 시들이 다수 발표됨.

    임화, 권환, 박세영, 이용악, 오장환과 같은 좌익 계열의 시인들이 활발히 활동함.

    민족 진영의 시인들은 일제 말기의 시적 작업에 대한 정리에 손을 대기 시작함.

    ㉠ 이육사 유고 시집 - ‘육사 시집’(1946) 간행

    ㉡ 윤동주 유고 시집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간행

    ㉢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의 공동 시집 - ‘청록집’(1946) 간행

    ㉣ 유치환 - ‘생명의 서’(1947) 간행

    ㉤ 서정주 - ‘귀촉도’(1948) 간행

    ② 1950년대

    6ž25 전쟁의 체험을 시적으로 형상화하여 전쟁 자체의 비극성과 민족에 대한 연민, 전후의 새로운

    가치관과 인간상을 제시하는 등의 시대상을 반영함.

    ㉠ 신석정 ‘산의 서곡’,

    ㉡ 유치환 ‘보병과 더불어’,

    ㉢ 조지훈 ‘다부원에서’,

    ㉣ 구상 ‘적군 묘지 앞에서’

    생명파와 청록파의 작가들 및 박남수, 박재삼, 고은 등의 신인들은 여전히 전통 지향의 흐름을 이어감.

    전통적 순수시의 시적 흐름에 반발하여, 1930년대의 모더니즘을 계승한 ‘김수영’, ‘박인환’, ‘

    김경린’, ‘김규동’ 등의 ‘후반기’ 동인이 등장하였고, 도시와 문명을 소재로, 시각적 이미지와 관념의

    조화를 시도함.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이라는 공동 시집 간행.

    아울러 냉전 의식이 내면화됨으로써 민족 분단에 대한 문제의식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대두되어 분단 자체를

    기정 사실화 하거나 당연시하는 풍조 등 분단 문학이 본격적으로 전개됨.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3 -

    (2) 소설

    ① 광복 직후

    사회 현실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이 다수 발표됨.

    ㉠ 채만식의 ‘논 이야기’ - 광복이 되었다고는 하나 사실 그리 큰 변화가 없음을 비판

    ㉡ 염상섭의 ‘두 파산(破産)’ - 광복 직후에 두드러진 가치관의 전도(顚倒)와 혼란한 사회상을 비판

    ㉢ 계용묵의 ‘별을 헨다’ - 광복 직후 분단된 조국의 정치적, 역사적 현실에 눈을 돌림.

    ② 1950년대

    1950년대의 한국 전쟁의 비극적 체험과 상처는 삶의 허무감과 한계 상황에 대한 인식을 문학에 반영하였으

    며, 이는 서구적 실존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일군의 전후 소설을 낳았다. 이러한 전후 소설은 다음과 같

    은 여러 양상을 보였다.

    ⓐ 전쟁의 비극을 고발하는 유형의 소설

    장용학의 ‘요한 시집’, 오상원의 ‘유예’, 선우휘의 ‘불꽃’, 전광용의 ‘사수’

    ⓑ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유형의 소설

    황순원의 ‘학’, 하근찬의 ‘수난 이대’

    ⓒ 전후의 비참한 세태를 묘사하는 유형의 소설

    손창섭의 ‘비 오는 날’, 이범선의 ‘오발탄’

    ⓓ 기타 전후 소설

    박영준의 ‘용초도 근해’, 김동리의 ‘귀환 장정’, ‘흥남 철수’,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안수길의 ‘제3 인간형’, 이범선의 ‘학마을 사람들’

    ⓔ 인간의 본질적인 삶을 다룬 순수 소설

    오영수의 ‘갯마을’, 전광용의 ‘흑산도’, 오영수의 ‘머루’

    (2000년 서울시 9급 행정직 기출문제)

    13. 광복 이후 발표된 현대 문학에서 소설에 대한 작품의 해설 중 옳지 못한 것은?

    ① 장용학의 ‘요한시집’ - 광복 당시의 사상적 분열상의 비극적 국면을 묘사함.

    ② 오영수의 ‘갯마을’ - 농 ž 어촌의 애환을 서정적 어조로 묘사함.

    ③ 이범선의 ‘오발탄’ - 6 ž 25 이후 빈곤상과 삶의 관계를 해명함.

    ④ 전광용의 ‘꺼삐딴 리’ - 인간의 변절적 순응주의를 비판함.

    ⑤ 박경리의 ‘암흑시대’ - 세속적 삶의 모순을 소설화함.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4 -

    (2004년 10월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4. 한국 전쟁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 아닌 것은?

    ① 장용학 – 요한시집 ② 하근찬 – 수난이대

    ③ 오상원 – 유예 ④ 오영수 – 갯마을

    ⑤ 황순원 - 나무들 비탈에 서다

    (2009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5. 다음 황순원의 소설작품에 대한 아래의 설명과 관련된 작품은?

    죽음과 전쟁을 체험한 젊은 세대들이 전쟁이 끝난 후에 겪게 되는 정신적 방황과 갈등을 통해 의미

    와 구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전장과 일상의 공간을 대립시켜 전쟁이 인간 스스로

    회복해야 하는 순수한 이상과 진실을 가로막는 엄청난 죄악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① 카인의 후예 ② 일월 ③ 움직이는 성

    ④ 나무들 비탈에 서다 ⑤ 인간접목

    (2010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6. 다음의 작가와 작품의 연결이 바른 것은?

    ① 김동인 - 배따라기, 광화사 ② 김동리 - 화랑의 후예, 벙어리 삼룡이

    ③ 황순원 - 카인의 후예, 백치 아다다 ④ 이효석 - 메밀꽃 필 무렵, 봄봄

    ⑤ 이상 - 날개, B사감과 러브레터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5 -

    Ⅵ. 1960~1970년대 문학

    1. 시대개관

    (1) 전후 문학의 피해 의식과 정신적 위축은 4ž19 혁명을 통해 극복됨.

    (2) 1970년대의 정치적 변화와 산업화 경향에 따라, 민족 문학론이 재론되면서 리얼리즘의 정신을 문제 삼게

    되고, 뒤이어 민중 문학론이 대두되어 분단 논리에 대한 도전이 시작됨. 산업화의 부산물로서 문학의

    대중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계층의 빈부격차와 그 갈등이 문학적 관심사로 등장함.

    2. 주요 장르별 양상

    (1) 시

    4ž19를 겪으면서 분단 극복의 열망과 시민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열망이 분출되고, ‘신동엽’, ‘김수영은

    이러한 흐름을 시에 적극 수용함.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1970년대에는 1960년대의 순수-참여 문학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시의 현실

    참여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1970년대에는 산업화의 흐름 속에서 참여파로 지칭되는 시인들의 민중

    지향적인 시적 작업이 본격화됨.

    ‘신경림’, ‘이성부’, ‘조태일’, ‘최하림’, ‘정희성’ 등의 활동에 의해 민중시가 힘을 얻게

    되었으며, 김광섭, 김현승, 고은, 김지하 등이 이들의 활동을 더욱 촉발하게 됨.

    (2) 소설

    산업화, 근대화로 도시가 과밀화되고 인간 소외 현상이 심해져 인간성 상실이 보편적 현상이 되었다.

    따라서 작가들은 소설을 통해 이러한 현실을 형상화하였다.

    ⓐ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

    최인훈의 ‘광장’,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 윤흥길의 ‘장마’,

    박완서의 ‘나목’, 현기영 ‘순이 삼촌’

    ⓑ 4ž19 혁명의 실패로 인한 지식인의 좌절과 관련된 소설

    김승옥의 ‘무진 기행’, ‘서울, 1964겨울’,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산업화의 흐름 속에서 파괴되어 가는 공동체의 모습과 현실을 고발한 소설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이문구의 '관촌수필',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 현실 비판 인식의 확산이 두드러진 소설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 '수라도', 전광용의 ‘꺼삐탄 리’

    ⓔ 인간의 본질적인 삶을 다룬 순수 소설

    김동리의 ‘등신불’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6 -

    (2001년 서울시 9급 행정직 기출문제)

    17. 다음 중 쓰여진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무정 → 감자 → 봄봄 → 학 → 광장 ② 무정 → 감자 → 광장 → 학 → 봄봄

    ③ 감자 → 무정 → 봄봄 → 광장 → 학 ④ 감자 → 무정 → 광장 → 학 → 봄봄

    ⑤ 무정 → 봄봄 → 감자 → 학 → 광장

    (2001년 서울시 9급 행정직 기출문제)

    18. 다음 단락에 해당하는 소설의 제목은?

    앞에 앉은 장교가 부드럽고 웃으면서 말했다.

    “동무 앉으시오.”

    명준은 들리지 않은 양 그대로 버틴 채 움직이지 않았다.

    “동무는 어느 쪽으로 가겠소?”

    “중립국”

    그들은 서로 쳐다보았다. 앉으라고 하던 장교가 상반신을 테이블 위로 바싹 내밀면서

    말했다.

    “동무는 어느 쪽으로 가겠소?”

    “중립국”

    “동무 중립국도 역시 자본주의 국가요. 굶주림과 범죄가 우글대는 낯선 곳에 가서 어쩌

    자는 거요?‘

    “중립국”

    “중대한 결정이란 말요. 동무의 부모는 어디 살고 있소?”

    “중립국”

    ① 최인훈의 ‘광장’ ② 박경리의 ‘토지’

    ③ 채만식의 ‘태평천하’ ④ 이문열의 ‘영웅시대’

    ⑤ 황순원의 ‘별’

    (2009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19. 다음 현대문학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개화기~1910년 : 신소설 – 이해조

    ② 1920년대 : 경향시 – 임화

    ③ 1930년대~광복직전 : 모더니즘 – 김광균

    ④ 광복직후 : 생명파시 – 서정주

    ⑤ 1960년대 : 현실참여시 – 신동엽

  • 남부고시온라인 2013 서울시 대비 국어 라이브 특강 강의 자료

    - 27 -

    (2009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

    20. 다음 중 작품 창작 연대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① 날개 - 광장 - 상록수 - 꺼뻐딴 리

    ② 만세전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학 - 시장과 전장

    ③ 날개 - 시장과 전장 - 학 – 상록수

    ④ 꺼삐딴 리 - 오발탄 - 소설과 구보씨의 일일 – 만세전

    ⑤ 학 - 날개 - 광장 - 시장과 전장

    (2010년 서울시 7급 기출문제)

    21. 다음 중 1960년대 한국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신세대 작가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② 순수문학과 참여문학 논쟁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③ 실존주의 문학이 문단의 주류를 이루었다.

    ④ 이범선의 , 황순원의 가 출간되었다.

    ⑤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문제에 문학적 관심을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