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 중앙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 지원단장 박윤형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

중앙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 지원단장

박윤형

Page 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 추진 배경

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 추진 경위

Ⅲ.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 주요내용

목 차

Ⅳ.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

Ⅴ.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

Ⅶ. 역학조사 등

Ⅵ. 심뇌혈관센터의 지정과 운영

2

Page 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I. 심뇌혈관질환 사업과 예방관리법 추진 배경

3

Page 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2014년 사망원인 중 심뇌혈관질환 24.8%, 암 28.6%

심뇌혈관질환은 암에 이은 주된 사망원인(사망원인 2위)

심뇌혈관질환의 정의

-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증, 협심증)과 심장정지,

- 뇌졸중(뇌출혈,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선행질환을 총칭

뇌혈관질환 - 뇌경색 - 뇌출혈

심혈관질환 - 허혈성심장질환 - 심근경색증 - 심부전증

동맥경화 혈관손상

고혈압

당뇨병

비 만

고지혈증

□ 배경

4

Page 5: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위험요인 관리

* 보건복지부, 제1차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2006

일반국민 고위험군 심뇌혈관질환자

1차 예방 2차 예방 3차 예방

건강증진 위험요인

감소 및 예방 조기 진단 및 치료관리

응급대응 급성기 진료

병원내 치료

재발방지

보건기관 보건기관, 의료기관(1차) 응급의료 전문진료센터

(치료, 재활, 재발방지)

흡연

식이

신체활동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심정지 대응

응급실 대응

전문팀 진료

적정 진료

환자 등록

조기 재활

후유장애 감소

긴급 후송체계

심뇌혈관질환 관리사업 개념도

5

Page 6: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 제1차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5개년 계획 수립 : 2006. 6.09

• 민간협력모형의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사업모형

- 제 2차(2011-2015)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5개년 계획 수립 : 2012. 1

- 제 3차(2016-2020)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5개년 계획(안) 마련 : 2016. 3

○ 심뇌혈관질환 홍보사업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TV 공익광고 방영 시작 : 2007. 9.15

• KBS, MBC, SBS 등 3개 지상파와 유선방송을 통해 2010년 까지 방영

• 라디오 공익광고 연중 방송 실시 : 2010. 1-12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수칙 제정·공포 : 2008. 6.4

6

Page 7: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사업

- 등록관리 시범사업 대구광역시에서 시작 : 2007. 9. 3.

- 광명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시범사업 실시 :

2009. 7. 1.

- 경기도 남양주, 하남, 안산시로 시범사업 확대 : 2010. 11.

- 전국적 지역특화사업으로 사업 확대(19개 시군구, 25개 보건소) : 2012. 9.

○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설립 운영

- 3개소 지정 설립(강원, 대구·경북, 제주) : 2008. 11.

- 3개소 추가 지정(충북, 광주·전남, 경남) : 2009. 3.

- 3개소 추가 지정(대전․충남, 전북, 부산․울산) : 2010. 4.

- 2개소 추가지정(인천, 경기) : 2012. 5.

※ 센터당 시설․ 장비비 약 60억 원, 운영사업비 12억 원(국비기준)지원

(국비 70%, 병원부담 30%)으로 11개소 지정

Page 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권역 설치 년도

강원대

2008년 경북대

제주대

경상대

2009년 전남대

충북대

동아대

2010년 원광대

충남대

분당서울

2012년 인하대

8

Page 9: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 조사감시체계

- 병원기반 심근경색, 뇌졸중 조사감시체계 구축계획 수립 : 2007. 9.

- 2008년 심정지 의무기록 조사결과 발표(심 정지 생존율 2.6%) : 2009. 9.

- 2009년 심근경색․뇌졸중 등록감시사업 결과 발표 : 2010. 4.

- 2009년 심 정지 의무기록 조사 결과 발표(심 정지 생존율 2.5%) : 2010. 6.

9

Page 10: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법적

근거부재

사업 운영

불안정

개인정보

활용불가

사업의 연

계성 미흡

□ 문제점

10

Page 1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의 추진 경위

11

Page 1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제18대 국회에서 안홍준의원이 만성질환관리법안을 발의

- 정하균 의원은 희귀질환관리 및 희귀질환자 지원 등에 관한 법률안

- 강창일 의원이 아토피 질환 예방관리법안

- 보건복지부에서 대안으로 만성희귀질환 관리법안을 제안

◯ 보건복지부에서 4개 법안을 정리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보건복지부 대안을

작성하였으나 제18대 국회 폐회로 폐기

◯ 제19대 국회에서 안홍준 의원이 만성질환관리법을 다시 발의함(12.9.6)

12

Page 1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만성질환포럼’에서 ‘만성질환 관리법’ 제정 안 마련,문정림 의원에게 제출

◯ 보건복지부(질병정책과), 질병관리본부(만성질환관리과), 문정림의원, ‘만성질환포럼’

이 협의하여 만성질환 중 우선 심뇌혈관질환법을 추진하기로 하고 문정림의원과

같이 공청회 개최

- 입법발의

- 보건복지위원회 심의의결(2015.12), 국회 본회의 의결(2016.5.14), 대통령 공포

(2016.5.29.)

13

Page 1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제정 경과

‘14.11.05 ‘15.02.10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

문정림 의원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대표 발의

‘15.05.01

제332회 국회(임시회) 상임위 전체회의 상정

‘16.02.16

제340회 국회(임시회) 상임위 전체회의

수정·의결

3개월 3개월

‘16.02.17

법사위 회부 중

‘16.04.28

제342회 국회(임시회) 제1차 전체회의 상정

‘16.05.17 ‘16.05.19

제342회 국회(임시회) 제2차 전체회의 상정·

의결

제342회 제1차 본회의 통과

테러방지법 필리버스터(2.23~3.2)

기재부와 협의완료 후 합의안 제출

약 15개월 소요 심뇌법 통과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06.6.7~)

14

Page 15: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Ⅲ.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 주요내용

15

Page 16: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정의 (제2조)

‘심뇌혈관질환’ 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질환으로 정의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 심장정지,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그밖에 보건

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환

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의 수립 (제4조)

매 5년마다 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 수립

시·도지사는 그 지자체 실정을 고려하여 종합계획에 따른 세부집행계획 수립

법률 주요 내용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제5조), 심뇌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제6조)

(연구사업) 심뇌관련 예방, 진료 및 재활 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을 시행

(조사통계사업) 심뇌등록통계사업, 코호트 조사 등 발생위험요인 분석과 정책근거 마련 위해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 재발률, 사망률 등을 파악

16

Page 17: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심뇌혈관질환예방사업 (제7조)

심뇌예방을 위하여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심뇌혈관질환관리에 필요한 사업을 시행

각종 정보수집,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교육자료 개발 및 교육·홍보, 상담인력 양성 등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지정 등 (제9조)

의료법 제3조제2항제3호마목에 따른 종합병원을 심뇌혈관질환센터로 지정

환자 진료 및 재활, 심뇌종합계획 관련 업무 지원, 심뇌 관련 예방, 진료 및 재활 등 조사·연구,

심뇌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 관련 자료의 수집·분석 및 제공

지정기준·방법·절차 및 지정취소의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함

역학조사 (제8조)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재발의 원인규명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역학조사를 실시

역학조사의 시기·방법 및 내용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함

17

Page 1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시행령 및 시행규칙 위임사항

주요 내용 시행령 시행규칙 제1조(목적)

제2조(정의) 그밖에 정하는 질환

제3조(국가 등의 의무)

제4조(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의 수립) 종합계획 및 세부집행계획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사항

그밖에 심뇌관리에 필요한 사항

제5조(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

제6조(심뇌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 자료제출·요구 등 시행에 필요한 사항

제7조(심뇌혈관질환예방사업) 시행에 필요한 사항

제8조(역학조사) 시기·방법·내용 등 필요사항

제9조(심뇌혈관질환센터의 지정 등) 지정기준·방법·절차 및 취소절차 등 필요사항

제10조(비용의 지원)

제11조(지도·감독 등)

제12조(청문)

제13조(위임 및 위탁) 법인·단체에 위탁 업무

18

Page 19: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Ⅲ-1. 심뇌혈관질환의 정의규정과 종합계획 수립 시행

19

Page 20: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사망률

- 심뇌혈관질환의 사망률은 2014년 허헐성심장질환(27.9명), 뇌경색증(15.3명), 전도장애

및 심장성 부정맥(10.6명), 심부전(8.1명), 고혈압성 심장병(4.3명) 순으로 높은 사망률

을 보임

사망원인통계(236항목) [자료원]통계청,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재가공(2014)

국가가 관리해야 하는 심뇌혈관질환

20

Page 2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유병률

-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 자료를 볼 때 2014년 기준 고혈압이 25.5%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죽상경화증관련 질환 (고중성지방혈증 17.9%, 고콜레스테롤혈증 14.6%),

뇌졸중(3.7%),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1.7%) 순으로 나타남

(단위: %)

1998 2001 2005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고혈압 29.9 28.6 28 24.6 26.3 26.4 26.9 28.5 29 27.3 25.5

뇌졸중** 2.9 3.4 4.5 4.8 4.3 3.3 2.9 3.9 2.6 4.7 3.7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 0.9 1.1 2.1 2.4 1.8 1.5 2.2 2.1 2 2 1.7

고콜레스테롤혈증 - - 8 10.7 10.9 11.5 13.5 13.8 14.5 14.9 14.6

고중성지방혈증 10.2 19.6 16.7 16.9 17.3 16.5 16.6 16.2 16.8 17.1 17.9

자료: 2014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통계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 표준화하였음 **뇌졸중은 50세 이상 인구 대상

(고혈압,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중성지방혈증은 30세 이상 인구 대상)

21

Page 2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순환기계통 질환별 유병률 [자료원]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통계(2014)

22

Page 2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 진료비 증가양상

※ 심뇌혈관질환의 사회경제적 비용 11조 9,231억원(’12년)

* 자료원: 건강보험정책연구원, 건강보장정책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주요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2014

Page 2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건강보험 진료비 증가 현황

-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2010년 대비 2014년 17% 증가

- 뇌경색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대비 2014년에 27.7% 증가

- 기타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대비 2014년에 14.2%증가

- 전도장애 및 심장성 부정맥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대비 2014년에

70.9%증가

-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대비 2014년에 29.4% 증가

- 심부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대비 2014년에 37.5% 증가

24

Page 25: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미국의 국가적으로 연구되는 심혈관 질환

미국 미국 국립 심장폐혈액 연구소(NHLBI)의 BioLINCC(Biologic Specimen and Data

Repositories Information Coordinating Center)프로그램에서 검색한 연구 데이터 목록

(152개) 중 심뇌혈관질환 관련 연구가 52.6% (역학연구 22개, 임상 연구 57개)를 차지하고

있음. 이중 주요 역학 연구 분야는 아래와 같음

질환 분류 전체 연구 수(비율) 최근 10년 연구 수(비율)

고혈압(Hypertension) 10 (45.5%) 8 (57.1%)

심부전(Heart Failure) 9 (40.9%) 7 (50.0%)

관상동맥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

sis)

7 (31.8%) 6 (42.9%)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6 (27.3%) 5 (35.7%)

자료: BioLINCC 홈페이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재가공

25

Page 26: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질환을 말한다.

가.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

나. 심장정지

다.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라. 고혈압

마. 당뇨병

바. 그 밖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환

○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법 상 관리 질병 규정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심뇌혈관질환 (안)

○ 제 1안 :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병을 ‘심부전증’, ‘부정맥’, ‘뇌동맥 류’로 한다.

(고지질혈증, 심장판막증, 대동맥류?)

○ 제2안 :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심뇌혈관질환 전문위원회에서 심의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 하는 질환’ 으로 정하고 전문위원회 구성 심의절차 등을 명시하는 방안

26

Page 27: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제4조(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의 수립)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

이라 한다)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② 종합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심뇌혈관질환관리사업의 기본목표 및 방향

2. 심뇌혈관질환관리사업의 추진 계획 및 추진 방법

3. 심뇌혈관질환관리에 필요한 전문 의료인력의 양성에 관한 사항

4.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통계 및 정보의 관리 방안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심뇌혈관질환관리에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③-⑤ 생략

⑥ 그 밖에 종합계획 및 세부집행계획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심뇌혈관질환 관리 종합계획

‘심뇌혈관질환 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종합계획을 수립 및 심의

- 위원회는 학계에서 추천하는 전문가, 보건복지부 공무원, 심뇌혈관질환센터장 등 으로 구성

지역별 심뇌혈관질환 종합계획이 지역의료게획에 포함되도록 조치

계획수립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위해 다른 부처, 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 의료기관의

자료협조 방법과 개인정보의 보호

계획 실행방안과 에산 확보 방안 검토

27

Page 2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Ⅳ.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과 조사통계 사업

28

Page 29: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보건산업진흥원 소관 보건의료기술개발연구 중 심뇌혈관질환연구

- 2016년도 심뇌혈관 질환연구는 심혈관 질환 19억8천만 원, 내분비대사질환

연구 11억 5천만 원 ( 만성병 연구비는 83억 원, 전체 연구비는 4,660억 원임)

○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 현황

2016년도 집행계획(안)

29

Page 30: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 코호트 연구

□ 인구집단 대상(Population-based) 코호트 연구

○ 안산, 안성 코호트

2001~2002년 안산ㆍ안성 지역 40~69세 거주자 대표 표본에 대한 코호트 구축 (총 10,030명)

2년마다 추적조사 수행, 1차 추적률 안산 80.3%, 안성 92.3%, 6차 추적률 안산 59.9%, 안성 57.9%

2007년 부터 기 코호트 중 당뇨 및 고혈압 환자를 중심으로 가족코호트 확대, 2013년 부터 노화 연구를 위한

심층조사 실시

○ 농촌 기반 코호트

전국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40-70세 주민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코호트 기반 구축 시작 (총 21,700여 명)

2007년 1차 추적, 2010년 2차 추적조사 : 양평, 남원, 고령, 원주, 평창, 강화의 6개 지역에서 연 5천명 규모 추

적 조사 수행 중

○ 건강검진 기반 코호트

전국의 검진‧의료 기관을 중심으로 40-70세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신규 참여자

모집 (총 173,300여 명), 전국 20여 곳 의료 기관이 참여하여 한 해 약 3만 명 규모로 조사

설문‧검진 등 수집자료 질 제고 및 표준화를 위해 2010년부터 컴퓨터 기반 설문조사

(computer-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CAPI) 시스템 도입

2007년부터 추적조사 개시

30

Page 3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환자군 기반(Patients-based) 코호트

○ 급성심근경색 질환 코호트

1차년도 (2011년) : 환자등록체계 운영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및 시범연구

2~4차년도 (2012년~2015년): 심근경색 환자등록체계 운영 전국 15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환자등록체계에 참여하는 연구네트워크 구성, 심근경색환자 총 13,708명 등록완료. 등록 자료

의 표준화를 위한 질 관리 프로그램 운영

5~8차년도 (2016년~2019년): 심근경색 환자 추적관찰 중기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대

한 타당성 평가 및 신규지표 발굴. 한국형 급성심근경색증 예후예측 모델 개발 및 타당성평가,

장기 예후지표 타당성 평가 및 신규지표 생산. 임상 및 보건분야에 적용 가능성 평가와 관련된

보건정책 수립의 방향 제시

○ 심부전 질환 코호트

1차년도(2010년): 전향적 심부전 코호트(Registry)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프로토콜 개발.

급성 심근경색환자에서의 심부전 발생, 환자 특성, 임상양상, 치료형태 등에 대한 후향적 연구

(1998년도와 2008년도의 비교). 주요 5개 병원 기반의 전향적 심부전 질환 코호트(Registry)

구축

2∼4차년도(2011-2013년) : 전향적 심부전 질환 registry 운영, 심부전 코호트(Registry) 환자

등록 시작. 전국 10개 거점병원으로 확대, 등록된 피험자의 자료수집 및 추적관찰

5∼8차년도(2014-2017년) : 전향적 심부전 코호트(Registry) 환자 추적관찰 전향적 심부전 코

호트(Registy) 환자 총 5,625명 등록 완료. 추적조사 결과를 통해 심부전의 원인질환, 악화인자,

중기 재입원율, 중기 생존율 등 분석 31

Page 3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한국뇌졸중재활코호트 (Korea Stroke Cohort for Function and Rehabilitation; KOSCO)

○ 전국 10개 의과대학병원이 참여하는 한국 뇌졸중 환자등록 및 장기 추적시스템으로 질병관리본부 연구지원

하에 한국뇌졸중재활코호트 연구단에서 운영.

○ 2012년 8월 ~ 2015년 10월까지 9개 병원에 입원한 초발 급성 뇌졸중 환자 전수(10,636명)의 일반적 특성 및

초기 입원 임상 자료 취합 완료.

○ 추적 연구 참여동의자 8,010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지침 하에 2021년까지 지속적인 추적 조사를 시행하여

사망, 재발 여부와 함께 뇌졸중 환자의 다양한 기능, 장애정도 및 삶의 질에 대해 1:1 대면 평가를 통해 전향

적으로 자료 수집 중.

○ 모든 자료는 web기반 E-CRF(http://cohort.epes.kr)에 등록하고 있음.

32

○ 연구참여병원(10개 병원)

1) 수도권

: 삼성서울병원/세브란스병원/건국대병원/이화여대병원

2) 충청권: 충남대병원

3) 경상권: 경북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

4) 전라권: 원광대병원, 전남대병원

5) 제주권: 제주대병원

○ 주요 산출 지표 – 국내 초발 뇌졸중 환자

1) 임상 특성(나이, 성별, 뇌졸중 특성 등)

2) 초기 입원 치료 특성(급성기 치료 및 재활치료)

3) 생존률(생존곡선)

4) 재발률(재발곡선)

5) 장애 발생율 및 변화 양상

6) 운동, 이동, 인지, 언어, 삼킴 기능 변화 양상

7) 우울증 발생 및 변화 양상

8) 삶의 질 변화 양상

9) 급성기 및 만성기 의료기관 이용행태

10)보호자 부양 부담 및 삶의 질 변화 양상

지표의 예측 인자

Page 3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소아청소년 기반 코호트

○ 소아비만 및 대사질환 코호트

소아비만 및 대사질환 코호트 연구는 2005년 과천지역 4개교로 시작

2008년 서울 중구, 경기서남부 7개교로 규모를 늘려 매년 지속적인 추적조사

2011년 일부 대상자들이 중학교에 진학함에 따라 소아‧청소년 코호트 (KoCAS)를 구축

청소년 만성질환의 환경요인 및 유전요인 발굴을 위해 2012년에 고도비만 코호트를 구축 시행

□ 주요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개발

- 의학회 주관으로 각 학회가 참여하여 개발

- 주요 만성질환의 초기단계 환자를 적정진료하기 위하여 지역 일차의료기관에 적용 가능한

임상 가이드라인을 정립하여 제공

- 고혈압, 당뇨병 등 임상진료지침 개발 완료 보급

33

Page 3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제5조(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진료 및 재활 기술의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이하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이라 한다)을 시행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포함한다.

1.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의 국내외 추세 및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의 수요에 대한 분석·예측

2. 연도별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 과제의 공모·심의 및 선정

3.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 결과의 평가 및 활용

4.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심뇌혈관질환연구사업의 시행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에 관한 국제협력의 증진을 위하여 노력하고 선진기술의 도입

을 위하여 전문 인력의 국외 파견 및 국내 유치 등의 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 규정

34

Page 35: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연구사업에서 규정되어야 할 사항(안)

○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 기획단 신설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에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기획단을 설치하고 심뇌 혈관질환

연구의 중 장기기획, 연구사업의 조정, 연구사업의 평가, 연구사업 예산기획과 확보 등

의 업무를 수행

- 연구기획단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담당공무원과 학계전문가 관련전문가 등으로 20명 정

도로 구성

암 관리법의 암정복 추진기획단의 사례 참조

○ 주요연구에 대한 예시

- 심뇌혈관질환의 원인과 관리방법을 규명하기 위한 지역사회기반, 환자 별, 특수집단 별 코호트 연

구, 조사통계사업 자료를 활용한 연구 등

보건의료기술진흥법 제2조의 1항 8호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보건의료기술의 연

구·개발을 위하여 예산 또는 기금으로 지원하는 사업)’에 심 뇌혈관질환 예방관리법이

포함 되도록 추진

- 현재는 암 관리법, 감염병법, 치매관리법 등이 포함

35

Page 36: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전문 인력의 국외파견과 해외 전문 인력의 국내유치

○ 전문 인력 국외파견 해외전문인력 사례

- 한・미 보건의료 인력교류 지원사업(K-VSTA)

박사 후 과정 연구자에게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기관에서 연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국의 보건의료기술 습득, 인력교류 및 공동연구 협력을 통해 보건의료

분야 우수인력을 양성

박사학위 취득 후 5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에게 연간 5천만 원 이내, 2년 이내 지원

2015년에 15개 과제 754백만 원 지원

- 한영 국제협력연구사업

뇌신경과학 분야 선도국인 영국과 인력정보 교류 및 협력연구를 통한 뇌질환 중심

의 문제 해결형

중개연구 역량 강화, 중・장기적 R&D 협력관계 구축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2015년에 12개 과제 20억 원 지원

○ 전문 인력의 국외파견과 해외 전문 인력의 국내유치 활동

- 심뇌혈관질환 연구사업 추진기획단에서 연구사업으로 추진

36

Page 37: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구분 첫 등록시 재방문 시

필수

인적정보 · 주민번호, 성명 -

진료정보

· 최초진단일(고혈압, 당뇨병)

· 진료일자

· 약물처방일

· 진료일자

· 약물처방일

검사정보 · 혈압

· 공복혈당 or 식후혈당, HbA1C(3개월에 1회)

· 혈압

· 공복혈당 or 식후혈당

HbA1C(3개월에 1회)

만성콩팥병

합병증 검사

· 최초진단일(만성콩팥병), 만성콩팥병단계(0~5), 검사비 지원금액

· 공복혈당 or 식후혈당

· Serum Creatinine

· Serum Creatinine측정법(eGFR 자동산출)

· Urine microalbumin to Creatinine ratio

· 요잠혈, 요단백(요일반검사)

□ 심뇌혈관질환 조사통계사업 현황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 사업대상: 19개시 25개 고혈압당뇨병등록관리 사업 참여 1차 의료기관에서 웹기반

등록 및 입력(’16년 현재 26만 명 등록)

37

Page 3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한국인 급성심근경색증 등록연구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KAMIR, 2005~, KAMIR-NIH, 2011~)

○ 자료수집 : 55 주요 PCI 센터(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PCI) 내원하는 응급

환자 중 급성 심근경색증의 진단을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등록, 약 5만명 등록

○ 조사 내용

급성 심근경색증의 위험요인 항목, 증상 발생 후 진료를 받는 행동을 개시하는 데 소요 시간,

전화 후 앰뷸런스 도착 시간, 환자 후송 시간 (앰뷸런스 병원 도착 시간), door to needle time

(혈전용해제 투여 시), door to balloon time (primary or rescue PCI 시), 각 환자의 위험 인자,

그 외에 치료 약제 및 방법, 1개월 후 사망 여부 등을 웹 기반 등록

38

Page 39: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한국뇌졸중환자등록(Korea Stroke Registy; KSR 1999~)

○ 전국 17개 의과대학 29개 대형병원이 참여하는 한국 뇌졸중 환자등록 시스템으로 대한뇌졸

중학회 Korean Stroke Registry Task Force에서 운영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대규모 임상 자료를 전향적으로 인터넷기반 등록

○ 발병 및 입퇴원 상황, 뇌졸중의 아형분류 및 위험요인, 병변의 정보, 시행된 검사 및 결과,

입퇴원시 신경학적 결손상태 및 사인, 그리고 급성기 치료 표준화된 지침서에 따라 전향적으

로 자료 수집

39

Page 40: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등록체계(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Web기반 등록시스템)

- 뇌줄중 레지스트리 http://www.rscr.org 심근경색증 레지스트리

http://www.krami.org 를 운영하며, 전국 11개 권역센터에서 등록 운영

- 뇌졸중 DB구성

Initial DB: 환자 내원 후 24시간 이내 환자의 내원시각 및 증상에 기초한 뇌졸중의 분류, 그리고 Pre-Hospital(병원

전 단계)과 급성기 치료(Thormbolysis) 항목

Extended DB: 입원 후 치료과정과 퇴원 시 조치 및 퇴원 상태 등

Outcome DB: 증상 발생 3주 이내에 신경학적 악화 사항과 3개월, 12개워 monititing 정보

- 심근경색증 DB구성

3개의 대분류(Pre-hospital, Admission, Data, Out patients data), 17개 소분류(인적사항, 병원도착정보, Lab정보

등) 총 304개 입력지표

입원 전 정보: 심근경색증으로 응급실 도착한 환자에 대해서 입원 전 인적사항 및 병원 도착 전 정보, 응급관련 정보,

내원 전 타 병원 방문 정보

입원 정보: 응급실 도착 이후 치료 정보, 임상 정보(도착시 환자의 상태정보, 심혈관 촬영실, 과거력, 입원 중 임상

소견, 혈액 검사 소견, 약물, 환자입원교육정보, 심장재활, 퇴원, Comments)

외래 정보: 심근경색증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에 대해서 외래 Follow Up(외래교육, 전화모니터링, 외래

심장 재활 평가, 추적관찰 사건)

- 심장재활 지표

심근경색 환자 심장재활 의뢰율/심근경색 환자 1기 심장재활 실시율/2기 심장재활 프로그램 참여비율/2기 심장재활

프로그램 완료비율

40

Page 4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급성 심장정지 조사 (전국조사 2008~ )

○ 사업목표

- 3개 영역(지역사회단계, 구급단계, 병원단계) 24개 핵심지표, 24개 부가지표 산출

- 핵심지표: 표준화 발생률, 심장정지 원인, 자발순환 회복률, 최종 진료결과 등

- 부가지표: 심장정지 목격률,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주요시술 분포 등

○ 자료수집

- 17개 시·도 119 구급대가 의료기관 응급실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를 반기 별

1회 방문조사

- 통합관리시스템(http://is.cdc.go.kr)에 조사자료 입력 관리

- 6개 정보(의료기관 정보, 인구사회·지리학적 정보, 시간정보, 심장정지 관련 정보,

심 폐 소생술 관련 정보, 진료결과, 심장정지 발생장소, 심장정지 시 활동, 심장정지 원인,

목 격 여부와 목격자, 일반인 심폐소생술 여부, 초기 심전도, 병원 전․병원단계 처치, 기본

전문 응급처치시간, 자발순환회복 여부, 퇴원 시 생존 여부 및 신경학적 상태 등)

41

Page 4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조사통계사업

제6조(심뇌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요인과 심뇌혈관질환

의 발생, 진료 및 재활에 관한 자료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심뇌혈관질환 발생률·재발

률, 심뇌혈관질환에 따른 사망률 등 심뇌혈관질환 관련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조사·통계사업(이하 “심뇌

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이라 한다)을 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계자료의 수집 및 통계의 작성 등에 관

하여는 「통계법」을 준용하며, 통계의 산출을 위하여 처리되는 개인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58

조제1항에 따라 같은 법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개인정보로 본다.

② 제1항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포함한다.

1. 심뇌혈관질환 등록통계사업

2. 심뇌혈관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코호트 조사

3. 그 밖에 심뇌혈관질환 관련 통계를 산출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심뇌혈관질환을 진단·치료하는 「의료법」에 따른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 밖에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사업을 하는 법인·기관·단체 등에 대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심뇌혈관질

환조사통계사업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이나 의견의 진술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료의 제

출이나 의견의 진술을 요구받은 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42

Page 4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조사 통계사업의 종류(안)

- 심뇌혈관 발생률, 유병률 조사 : 3년 마다 건강보험자료, 의료기관 환자, 국민건

강영양조사. 지역사회 건강조사 등 자료 를 이용하여 조사

- 급성심장정지 및 심근경색 환자 등록조사

- 뇌졸중 환자 등록 조사

- 고혈압 당뇨병 환자 등록 조사 : 매년 전국 보건소, 지정 의원 등록환자, 건강

보험 진료 및 건강검진 자료 등을 활 용,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생활행태

합병증 등을 조사

- 기타 필요한 조사통계사업

43

Page 4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개인정보보호법 제58조(적용의 일부 제외)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개인정보에 관하여는

제3장부터 제7장까지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 공공기관이 처리하는 개인정보 중 「통계법」에 따라 수집되는 개인정보

2. 국가안전보장과 관련된 정보 분석을 목적으로 수집 또는 제공 요청되는 개인정보

3. 공중위생 등 공공의 안전과 안녕을 위하여 긴급히 필요한 경우로서 일시적으로 처리되는 개인정보

4. 언론, 종교단체, 정당이 각각 취재·보도, 선교, 선거 입후보자 추천 등 고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집·이용하는 개인정보

○ 코호트 조사

- 연구 사업으로 추진하는 코호트 조사

○ 자료요청의 절차와 내용을 규정

○ 필요시 개인정보의 활용과 de-identification 등 규정

(개인정보보호법 규정내용 보완)

44

Page 45: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Ⅴ.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

45

Page 46: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고혈압 당뇨병 등록 관리사업 : 질병관리본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현황

46

Page 47: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건강검진 사후관리 사업: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47

Page 4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연도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등록실인원 74,494 112,600 143,597 175,385 191,315 167,947

• 추구관리율(%) : 대사증후군 및 건강주의군, 약물치료군 6개월 추구관리 : 21.8%(’11년) ⇒ 41.5%(‘13년) ⇒ 43.7%(‘15년) 12개월 추구관리 : 12.1%(’11년) ⇒ 24.6%(‘13년) ⇒ 37.8%(‘15년)

□ 대사증후군 관리 사업: 서울시

48

Page 49: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의원 급 만성질환관리제 사업: 건강보험관리공단

– 의원 급 만성질환관리제 모형

※ 현재 교육서비스는 지사에서 대부분 운영하고 있으며, 일부 지사에서 보건소와 협업하여 진행

○ 추진현황(진료일자 2012.4.-2014.12.기준) : 진찰료 경감 건 : 19,407천건, 진찰료 경감 인원 : 1,614천명,

진찰료 경감 금액 : 18,360백만원, 요양기관 인센티브 지급 금액 : 28,834백만원(지급일자 2015.7.기준)

49

Page 50: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대국민 홍보사업

○ 국가 고혈압 사업단

- 인터넷 사이트 운영, 라디오 공익광고 등을 통한 대국민 홍보

- 기업체 근로자와 일반인 등 대상 고혈압 교육 및 참여형 고혈압

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

- 심뇌혈관주간 캠페인 등

○ 국가 당뇨병사업단

- 당뇨병 홍보 컨텐츠 활용 상담 매뉴얼 개발

- 레드서클 캠페인

- 전 국민 대상 당뇨병 인식 개선 교육․홍보

50

Page 5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 규정

제7조(심뇌혈관질환예방사업) ① 보건복지부장관,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심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심뇌혈관

질환관리에 필요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국민에게 제공하는 사업(이하 “심뇌혈관질환예방사업”

이라 한다)을 시행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예방사업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포함한다.

1.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각종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2. 국민에 대한 심뇌혈관질환 정보 제공 및 상담

3.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교육자료 개발 및 교육·홍보

4. 심뇌혈관질환 상담 인력의 교육 및 양성

5. 그 밖에 심뇌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③ 그 밖에 심뇌혈관질환예방사업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51

Page 5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보건복지부 장관, 시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의 역할 구분 (안)

- 보건복지부 : 정보수집,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 교육자료 개발 및 홍보, 사업에

대한 평가, 교육상담인력의 교육 및 양성, 중앙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단

운영

- 시도지사 : 교육지원, 홍보, 시 군 구 사업 평가, 시도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단을

운영

- 시 군 구 : 국민에 대한 정보제공 상담, 교육, 심뇌혈관질환자에 대한 지속치료지

원, 건강증진 활동 지원, 의료기관에 대한 사업지원, 시 군 구 고혈압, 당뇨병 등

록 교육센터를 설치 운영

52

Page 5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정보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사항

- 보건복지부장관(질병관리본부장),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은 심뇌혈관환

자의 진료기록과 검사기록, 건강검진기록, 건강증진 활동을 위한 교육, 전화와 메일

등을 이용한 안내 상담 기록 등 환자의 예방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 6조

에 의한 조사통계사업과 연계하여 심뇌혈관질환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환

자 진료 및 예방에 활용 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장관(질병관리본부장),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은 데이터베이

스 구축에 필요한 경우 건강보험관리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 등에게 개

인진료기록, 건강검진 자료 등을 요청할 수 있다.

※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안) : 방문 투약일, 혈압, 혈당 , 후유증 검사,

교육받은 내용, 생활습관(음주, 흡연 등)

53

Page 5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국민에 대한 심뇌혈관질환 정보 제공 및 상담

- 국민에 대한 정보제공 및 상담내용

· Call 센터 설치 운영으로 상담.

· 환자의 지속치료를 위한 recall/remind 서비스

· 환자에 대한 구조화된 교육 훈련

· 건강증진활동 지원

· 홍보활동

- 시장군수 구청장은 국민에 대한 심뇌혈관질환 정보 제공 및 상담을 위하여

심뇌혈관질환 등록교육센터를 운영할 수 있다.

- 의원급 의료기관은 심뇌혈관질환 등록교육센터와 연계하여 국민에게 심뇌혈관

질환에 관하여 정보제공과 상담을 할 수 있다.

54

Page 55: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교육자료 개발 및 교육·홍보

- 보건복지부장관(질병관리본부장)은 시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 보건소, 의

원에서 시행하는 심뇌혈관질환 정보제공 및 상담에 필요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제

공하여야 한다,

- 보건복지부장관(질병관리본부장)은 신문, TV 등을 통하여 국민에게 심뇌혈관질환

의 예방과 관리에 관한 지식을 교육하고 홍보하여야 한다.

55

Page 56: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상담교육 전문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방안

▶ 교육 상담인력의 필요성

○ 심혈관질환은 심장병, 뇌졸중 등 중증 합병증 예방이 가장 중요하고 합병증

발생시 신속진료와 재활이 필요한 질환임

- 심혈관질환의 초기 질환인 고혈압, 당뇨병은 적정하게 관리하면 중증합병증의

대부분을 예방하거나 발생을 10년 이상 늦출 수 있음

○ 고혈압 당뇨병을 적정하게 관리하는 방안은

- 정기적인 진료(월1회 권장)와 연간 290일 이상 투약하는 지속치료

- 금연, 운동, 영양, 절주 등 건강생활습관 유지

- 정기적인 합병증 검진으로 증상 초기발견 및 치료가 필요

○ 지속치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recall/remind 서비스, 상담이 필요

하고 건강 생활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교육과 교육을 통한 동호회

활동 등 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문상담 교육사가 필수적임

56

Page 57: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국내의 상담 교육인력 양성사례

○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조사 전문가 FMTP (File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 시·도청 및 보건소 실무인력을 해당분야의 전문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해 도입된 지속교

육과정(on-the-job training) 형식의 교육프로그램.

- 교육 대상

• 전국을 14개 권역으로 나누어 해당 지역의 대학에서 위탁운영, 매년 심⦁뇌 혈관질

환 관리 업무 담당자, 지역사회 건강조사 실무 담당자 약 400명씩 교육

○ 고혈압 당뇨병 환자 교육 및 상담 전문가 교육과정

- 교육 대상 :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보건소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 업 교육 담

당자

- 교육 내용 : 16시간(2일) 의 강의와 20시간(2박3일)정도의 개인별 맞춤교육

- 교육기관 :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 광역 교육센터 (경기, 대구)

57

Page 5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인력교육 활용 규정(안)

○ 시도 또는 시군구에서 시행하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과

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환자에 대하여 교육, 상담, 재활을 지원하는

전 문인력은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전문상담 교육 훈련을 받아야 함.

- 간호사, 영양사, 운동지도 전문가, 금연 상담사, 음주 상담 전문가, 물리치료사 등을

대상으로 함

○ 보건복지부 장관, 시도지사는 상담교육인력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교육내용,

교육기 관 등을 지정하고 교육을 수료한 자에게는 수료증을 주어야 한다.

○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기간, 수료증 등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한다. (교육훈련지침 등)

58

Page 59: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Ⅵ. 심뇌혈관센터의 지정과 운영

59

Page 60: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센터운영 및 주요 사업

○ 사업내용

- 24시간 전문진료팀 운영을 통하여 응급 심뇌혈관질환자 발생에 대비하고, 신속하고 집중적인

전문진료 제공

- 권역 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수행

○ 지원금액 : 권역센터 당 평균 9억 원 지원(국비와 자 부담 비율 7:3)

○ 지원기간 : 5년(선정 후 3년 차에 중간평가, 5년 차에 최종평가 수행)

○ 지원내역

- 24시간 진료체계 유지 등 센터 필수기능 확보를 위한 인건비 지원

※ 센터운영비 전체 보전이 아닌 필수 인력에 대한 일부지원

- 지역 거점병원 역할(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수행을 위한 운영비 지원

- 현행 건강보험수가 구조상 병원투자 우선순위가 낮은 분야에 대한 투자

※ Stroke Unit, 심뇌재활, 예방관리사업 관련 인건비

60

Page 6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센터의 지정과 관리

제9조(심뇌혈관질환센터의 지정 등)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의료법」 제3

조제2항제3호마목에 따른 종합병원을 심뇌혈관질환센터로 지정할 수 있다.

1. 심뇌혈관질환 환자의 진료 및 재활

2. 제4조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종합계획 관련업무 지원

3. 심뇌혈관질환 관련 예방, 진료 및 재활 등에 대한 조사 연구

4. 심뇌혈관질환 조사통계 사업관련 자료의 수집·분석 및 제공

5.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관한 홍보 및 교육

6. 그 밖에 심뇌혈관질환관리에 필요한 사업으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업

② 생략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심뇌혈관질환센터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1. 제1항에 따른 지정 기준에 미달한 경우

2. 제1항에 따른 사업을 수행하지 아니하거나 제2항에 따른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3. 제11조에 따른 지도·감독을 따르지 아니한 경우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한 경우

④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지정기준․방법․절차 및 지정 취소의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61

Page 6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심뇌혈관질환센터의 지정기준(안)

○ 응급의료법에 의한 응급의료센터와 연계하여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응급의료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병원 중 심뇌혈관질환 전문센터를 설치한 상급종합병원과 심뇌혈관질환 전문병원을 포함 : 제1안

- 심뇌혈관질환센터는 심뇌혈관질환 중 심한 질병인 심장병, 뇌졸중, 심 정지, 심근경색, 등을 치료하

고 재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이 질환은 발생과 함께 즉시 치료해야 하는 응급 중증질환임.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법 제2조 1호 및 시행규칙 제2조 1호 별표1)에 의한 응급환자 의 정의에도 ‘ 심

폐소생술이 필요한 증상, 급성호흡곤란, 심장질환으로 인한 급성 흉통, 심계항진, 박동이상 및 쇼크 등

응급증상이 있거나, 호흡곤란, 과호흡 등 응급증상에 준하는 증상이 있는 환자’는 응급환자로 분류되고

응급 의료체계에 따라 진료

- 심뇌혈관질환센터는 가장 시급한 응급환자인 심뇌혈관질환을 진료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중요

함. 따라서 응급의료시스템에 따라 설치 방안으로 추진

․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있는 병원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설치(41개 병원).

․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있는 종합병원에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지 않은 상급종합병원 중 심뇌혈관질환센터가 있는 병원은 권역 심뇌혈관센터

심뇌혈관질환 전문병원은 지역심뇌혈관센터로 지정할 수 있다.

62

Page 6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11개 권역심뇌혈관센터를 중심으로 지역별 수요를 파악하여 추가 지정하고 지역 심뇌

혈관질환센터를 지정 운영 : 제 2안

-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는 현재 11개를 기준으로 환자발생 규모,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수요를 파악하여 추가 지정(권역 내 컨트롤 타워 역할 및 등록자료 관리 등)

-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와 연계하여 지역 내 응급환자에 대한 처치, 재활 및 예방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한다. (전국 심뇌혈관 질환자 발생 및 진

료권 분석을 통해 지정)

○ 현재의 11개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유지하면서 필요한 지역으로 확대 추가지정 : 제3안

- 현재 11개의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기준으로 환자발생 규모,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추가 지정

63

Page 6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권역심뇌혈관질환 센터 지정기준 : 시설과 인력(안)

○ 기본사항 : 권역심뇌혈관센터는 심혈관센터, 뇌혈관센터, 심뇌재활센터,

예방관리센터를 각각 운영한다.

○ 시설 및 장비기준

- 시설은 모두 같은 건물 내에 있어야 하며 응급의료센터와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64

Page 65: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심장중환자실

- 병상 중심간 거리는 최소 3.0m 이상 확보

- 병상당 배치공간 3.6m×3.6m= 13㎡ 이상 확보, 적정 면적은 15㎡(3.6m×3.9m 기준)

- 각 병상마다 wall care unit (최소 산소 송출구 1개, 진공흡입구 2개, 압축공기 송출구 1개 이상) 설치 필수

- 출입문 등 개구부는 1.1m 이상, 복도는 2.4m 이상 확보

- 소음 및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개실 위주로 설계, 여의치 않을 경우 2병상마다 (유리창 달린) 측벽설치 권장

심혈관조영실

- 천정고 3.0m 확보

- 수술실에 준하는 청결구역화

- 본실 이외에 전실, 준비실, 회복실, 장비/물품창고 등 설치

- 촬영실과 회복실에는 산소 등 의료가스공급배관을 구비

뇌파검사실 - 전기 교류 등 전위 장애를 차단하는 차폐실(shield room) 적용

- 기사가 전실 또는 작업실에서 검사실을 보면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뇌졸중집중치료실

(Stroke unit)

- Unit 내 간호대기소(Nurse station) 1개 설치

- 전용 화장실 설치, 휠체어 탑승환자가 사용가능하게 설계

- 독립된 데이룸(day room) 확보 권장

- 프라이버시 보호 가능한 시설(침상이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 커튼 등 칸막이 설치 권고)

- 1 Unit 당 최소 1병상 이상의 격리실 설치

심초음파검사실 - 휠체어 및 이동침대가 진출입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출입문 및 내부 검사대 배치에 유의

심뇌혈관질환 재활실 - 재활에 필요한 공간과 장비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

심뇌질환 예방관리실 - 교육을 위한 강의실과 5-10인이 근무할 수 있는 사무실

- 장비는 위의 시설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장비로 한다. 65

Page 66: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인력기준

- 심 혈관센터 :

- 뇌 혈관센터:

- 심뇌혈관질환 재활센터: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센터;

(참고 :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예방관리센터 인력기준)

- 예방관리센터에는 부교수 이상의 직급으로 예방관리사업을 총괄하는 예방관리센터장

을 두고 (겸직), 과장 이상의 직위로 병원장이 임명

- 예방관리 센터장을 보좌하여 예방관리센터를 운영하는 전담자(예방의학 전문의) 1인

반드시 상근

※ 전담자를 병원 인력으로 규정(최소‘임상강사’급으로 규정) 권고

- 예방관리센터의 사업과 업무 수행을 위해 5인 이상의 전담직원(간호학 또는 보건학

석・ 박사 이상, 간호사 또는 영양사 자격 소지자, 통계전공자, 행정직 등) 상근

66

Page 67: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심뇌혈관 조영실

- 장비 설치와 환자 이동을 고려하여 적정 규모로 설치

- 천정고 3.0m 확보

- 수술실에 준하는 청결구역화

- 본실 이외에 전실, 준비실, 회복실, 장비/물품창고 등 설치

- 촬영실과 회복실에는 산소 등 의료가스공급배관을 구비

뇌졸중집중치료실

(Stroke unit)

- Unit 내 간호대기소(Nurse station) 1개 설치

- 전용 화장실 설치, 휠체어 탑승환자가 사용가능하게 설계

- 독립된 데이룸(day room) 확보 권장

- 프라이버시 보호 가능한 시설(침상이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 커튼 등 칸막이 설치 권고)

- 1 Unit 당 최소 1병상 이상의 격리실 설치

심초음파검사실 - 조용한 분위기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위치 선정에 유의

-휠체어 및 이동침대가 진출입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출입문 및 내부 검사대 배치에 유의

□ 지역심뇌혈관질환 센터 지정기준 : 시설과 인력(안)

○ 기본사항 : 심혈관, 뇌혈관 응급치료실을 운영한다.

○ 시설기준 : 시설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장비

67

Page 68: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센터의 업무 중 그 밖에 심뇌혈관질환관리에 필요한 사업으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안)

1. 심뇌혈관질환관리종합계획에 따른 세부집행계획의 수립지원

2. 심뇌혈관질환환자 진료의 질 향상

3. 심뇌혈관질환환자의 등록관리

4. 지역사회 심뇌혈관질환의 진료자원 및 관리자원의 연계

5.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심뇌혈관질환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 센터의 지정취소기준 중 그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안)

1. 환자의 통계 자료를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용도로 활용한 경우(개인정보보호 관련)

2. 지정 받은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기관을 이전하는 경우

3. 지정에 필요한 자료를 거짓으로 제출한 경우

68

Page 69: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Ⅶ. 역학조사와 비용지원

69

Page 70: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제8조(역학조사)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및 재발의 원인 규명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역학조사의 시기·방법 및 내용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역학조사반의 구성과 운영

- 역학조사를 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 심뇌혈관질환 역학조사반을 둔다.

- 역학조사반은 30명 이내의 반원으로 구성한다.

- 역학조사반의 반원은 보건복지부장관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에서 임명하거나 위

촉한다.

1.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또는 역학조사 업무를 담당하는 4급 또는 5급 공무원

2. 예방의학 또는 역학조사 분야의 전문가

3. 심뇌혈관 질환 관련 전문가

4. 보건통계 분야의 전문가

5. 그 밖에 의학 또는 과학 분야의 전문가

70

Page 71: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역학조사반의 임무

- 역학조사 계획의 수립

- 역학조사 실시 기준 및 방법의 개발

- 역학조사의 시행 및 평가

- 역학조사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ㆍ훈련

- 심뇌혈관질환 발병 사례 수집ㆍ분석 및 제공

-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요인의 위험도 평가

○ 역학조사의 시기

- 심뇌혈관질환 조사통계 및 「통계법」에 따른 사망원인 통계, 그 밖의 의학적인 전문자료에

근거하여 관할 지역의 심뇌혈관질환 발생률 및 그에 따른 사망률이 증가할 우려가 있거나 관할

지역의 심뇌혈관질환 발생률 및 그에 따른 사망률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은 경우

- 관할 지역에서 심뇌혈관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 위험 요인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발생률의

증가가 우려되는 경우

- 그 밖에 관할 지역의 심뇌혈관질환 관리에 필요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 역학조사의 방법과 내용

- 심뇌혈관질환환자의 발생 일시ㆍ장소, 성별, 연령 및 증상

- 특정위험요인 등에의 노출 여부 및 노출 경로

- 연령별 심뇌혈관질환 발생 현황

- 그 밖에 조사 대상의 인구학적ㆍ경제학적ㆍ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사항

71

Page 72: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재정지원에 관한 내용, 위임위탁에 관한 내용 등

제10조(비용의 지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

용을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원할 수 있다.

1. 심뇌혈관질환센터가 제9조제1항에 따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설·

인력·장비 등을 확충하는 데 드는 비용

2. 제13조제2항에 따라 업무를 위탁받은 법인·단체가 해당 위탁업무를 수행하는

데 드는 비용

제13조(위임 및 위탁)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이 법에 따른 권한의 일부를 대통령령으

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속기관의 장 또는 시·도지사에게 위임할 수 있다.

② 보건복지부장관은 이 법에 따른 업무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심

뇌혈관질환 관계 법인·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72

Page 73: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 비용지원 대상(안)

○ 심뇌혈관지원센터의 설치비와 운영비

○ 심뇌혈관질환 조사 통계비

○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비

□ 지원비용의 재원

○ 국민건강증진기금

○ 응급의료기금

○ 지방자치단체 예산 (지방세법에 의한 담배세 :20개비당 1,007원) :

시 군 구 사업

○ 국가의 예산 (개별소비세법에 의한 담배세 : 20개비당 594원)

73

Page 74: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1.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 질환으로서 다음 각 목의

감사합니다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