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
[도서관연구소 2007연구용역 보고서]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표준모델 연구 2007. 12 수행기관 : 한국비블리아학회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 도서관의 접근성(3.48), 쾌적성(3.47), 안전성(3.44)에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한편,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도서관연구소 2007년 연구용역 보고서]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2007. 12

    수행기관 : 한국비블리아학회

    국립중앙도서관

  • 제 출 문

    국립중앙도서관장 귀하

    본 보고서를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사업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7. 12. 20

    수행기관: 한국비블리아학회

    연구진

    연구책임자(연구총괄, 운영) 서혜란(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책임연구원(건축계획) 이상호(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책임연구원(문헌정보) 김선애(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보조연구원 강은영(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김형석(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김은정(신라대학교 도서관교육 석사과정)

  • 요 약 문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도서관이 수행하는 기능의 범위와 수준은 상당 부분 건물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능의 복합화 요구와 함께 새로운 정보환경의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공공도서관에서는 자연스럽게 공간구성의 변화가 필요하게 된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 등을 고려한 도서관의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급증하는 도서관의 건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도서관 신축에서 현안이 되는 건축 및 시설기준에 대한

    정책 제언과 더불어 도서관의 서비스 규모, 특성, 유형을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

    표준모델을 개발하여 국가 및 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의 설립과 운영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공공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전반의 기본환경 및 공간규모 등 공간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추출한 현황분석 자료 제공

    ○ 서지적 문헌조사 및 탐방을 통해 국내 및 해외 도서관의 공간운영 사례를

    발굴함으로써 시사점 제공

    2) 도서관의 서비스 규모에 따른 건립 유형별 공간운영의 표준모델 제시

    ○ 지역사회의 문화·교육의 중심 및 정보의 중심공간이라는 변화된 역할 기대에

    부합되는 지역커뮤니티센터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 정의

    ○ 소재지역의 특성, 봉사대상자의 성격 및 서비스 규모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유형별로

    공간구성 정의 및 공간운영 모델 제시

    ○ 조사된 법적 설정기준의 참고자료와 도서관의 유형별 공간구성 정의를 근거로

    도서관 건축기능다이어그램 제공. 건축기능다이어그램에서는 기능에 따른 실 또는

    공간 배치, 이용자 공간과 관리공간의 배치, 정보화 시스템에 따른 각 실별 연계방안

    등 시설관계 모형안 제시

    3) 공간구성에 유용한 실무적 참고자료로서 운영사례에 대한 도면 및 사진자료집 첨부

    ○ 표준모델 및 우수사례에 대한 다양한 건축도면과 사진자료를 첨부함으로써 노후 및

  • 낙후된 기존 도서관들의 내부공간 재배치 및 증·개축 계획 등 리모델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건립을 계획하는 담당실무자들에게 실용적인

    참고자료 제공

    2. 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국내 공공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의 법적 기준인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시설기준과 권장기준인 한국도서관협회의 2003년 판

    「한국도서관기준」 중 공공도서관의 시설기준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IFLA가 2007년에 발표한 도서관 공간운영 기준인 「Library Building Guidelines:

    Developments & Reflections」, 호주의 Library Council of New South Wales가 2005년에

    제시한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기준인 「People place」 제2판, 미국의

    도서관건축건설턴트인 PROVIDENCE Associates Inc. 가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공간운영 기준, 프랑스의 2000년도 대학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권장기준,

    그리고 스페인 바르셀로나지역에서 적용되고 있는 도서관 건축 및 공간운영을

    위한 표준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고 그 밖의 선행연구들을 종합 검토하여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권장기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건물면적 대비 공간별 비율 권장(안) 산출시 고려요소

    대상 공공도서관 비율(%) 공공도서관

    공간

    구분

    장서공간 +35

    100

    자료유형, 서가유형, 재질, 배가방식 등

    열람공간 30 열람공간의 유형, 열람석 수, 유형 등

    사무공간 +10 직원업무유형, 직원수, 컴퓨터 유형 등

    전시, 회의, 교육 및 문화공간 +10 공간 수 및 유형, 수용인원, 의자유형 등

    지원공간 +15 공간수, 유형 등

    기타 선택적 공간 선택적 사용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 권장기준(안)

    3.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분석

    국내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도서관은 「한국도서관연감 2006년」에 수록된 공공도서관

    중 이메일이 확보된 524개관으로 하였으며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11월 7일부터 12월 16일까지

    40일이었으며, 167개관이 응답하여 회수율은 31.87%에 그쳤다. 전수조사를

    시도했음에도 불구하여 회수율이 저조하여 표본조사와 유사한 결과를 초래한

    것이 본 실태조사의 한계점이다.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다수(63.4%)의 건물 연면적이 2,000㎡ 미만으로 규모가 작다.

    ?접근 용이성 면에서 최적의 조건인 주거지역에 입지한 도서관이 가장

    많다(57.0%). 반면 녹지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등에 소재한

    도서관이 28.5%에 달한다. 용지확보의 용이성 때문일 것으로 보이나 용적률이

  • 낮아 도서관의 공간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도서관의 층별 공간구성을 보면 대부분의 도서관이 지하 1층에서 지상 3층의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접근성이 좋은 지상 1, 2층을 이용자서비스

    공간으로 할애하고 있다.

    ?도서관 공간의 용도별 면적 비율을 보면 이용자서비스공간이 49.8%에 이르는

    반면 수장공간은 9.3%에 불과해서 공간운영의 균형을 잃고 있다. 또한 많은

    도서관들(71.9%)에서 사무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미만이다. 학습공간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이용자서비스공간의 잠식으로 수장공간과 사무공간이

    심각한 공간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립년도에 따른 공간 비율을 보면, 사무공간과 공용공간은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지만 이용자서비스공간과 수장공간은 편차가 심하다. 2001년 이후

    건립된 도서관의 이용자서비스공간 비율이 전체 평균보다 25% 이상 높으며,

    수장공간은 1996-2000년에 건설된 도서관이 전체 평균에 비해 1.5배 많다.

    ?봉사대상 인구규모별 공간 비율을 보면 이용자서비스공간, 수장공간, 기타공간은

    봉사대상규모에 따른 편차가 다소 높게 나타나는 반면 사무공간과 공용공간은

    봉사대상규모에 따른 편차가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사무공간 중 관장실, 총무(관리)실, 열람봉사실, 수서정리실, 창고는 대부분

    운영하고 있는 반면에 직원회의실, 직원휴게실, 제본실은 대부분 갖고 있지

    않으며, 전산실이 없는 도서관도 78.0%에 이른다.

    ?이용자서비스공간 중 로비, 일반열람실, 자료열람실, 디지털자료실과 어린이실은

    많이 운영하고 있는 반면에 주제별자료실, 정보자료실, 고서실, 특수자료실,

    향토자료실, 노인실, 장애인이용자를 위한 시설을 운영하는 도서관은 적었다.

    연속간행물실이 없는 도서관은 60.2%에 달했다. 디지털자료실을 갖지 못한

    도서관은 17.9%였다.

    ?수장공간의 경우 보존서고공간은 54.4%, 일반서고는 60.2%, 그리고

    고문서서고는 98.4%의 도서관이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용공간의 경우 식당과 매점을 운영하지 않는 도서관이 70% 이상이며, 특히

    이용자 편의시설인 복사실과 사물보관실을 구비하지 못한 도서관이 각각 88.6%와

    92.7%에 이르렀다.

    ?최근 3년간 공간을 축소한 도서관들 중 가장 많은 48개관이 일반열람실을

    축소하였고 26개관은 사무공간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열람실이

    축소되었다는 것은 공공도서관이 청소년들의 공부방 역할에서 새로운 역할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반증이며, 사무공간이 축소되었다는 것은 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를 직원들의 공간을 줄이는 희생을 통한 소극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도서관의 설립년도, 봉사규모,

    장서규모와의 교차분석을 통해 도서관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하였으나 전체

    결과와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최근 3년간 정보서비스 공간, 일반 열람공간, 디지털/멀티미디어정보공간이

    확대·개편된 각각 28개관(16.8%), 23개관(13.8%). 21개관(12.6%)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확대ㆍ개편되는 양상을 보였다.

    ?공간변화의 양상을 종합하면 사무공간의 축소가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이는

    사무기능의 축소와 관련되었다기보다는 제한된 도서관 공간 내에서 정보서비스

    공간, 디지털/멀티미디어정보공간, 교육/집회 공간 등의 이용자서비스 공간이

    확대ㆍ개편되는 되는 양상으로 인해 사무공간이 줄어든 것으로 추측된다.

    ?도서관 실무진들이 느끼는 도서관의 공간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 도서관의 접근성(3.48), 쾌적성(3.47), 안전성(3.44)에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한편, 노약자와 장애인에 대한 배려(2.90), 정보서비스 공간의 넓이(2.92),

    사무공간의 넓이(2.90), 방음(2.82), 그리고 건물의 디자인(2.95)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수장공간의 넓이에 관한 만족도 평균은 2.46점으로

    전체 만족도 항목 중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도서관의 추가 희망 시설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전시장, 음악감상실,

    영화감상실과 같은 문화시설에 대한 요구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서관

    실무진들의 이러한 인식은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들의 복합적인 문화공간이

    되기를 바라는 기대의식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대한 계획을 조사한 결과, 계획이 없는 도서관이

    대부분(71.9%)이었다. 향후 3년 이내에 리모델링 계획을 갖고 있는 도서관은

    20.4%로 조사되었다. 도서관의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대한 계획을 도서관의

    설립년도와 교차분석한 결과, 1990년 이전에 지어진 도서관이 다른 시기에 지어진

    도서관보다 리모델링에 대한 계획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건축된지 오래된

    만큼 시설의 낙후로 인해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대한 계획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서관의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이 필요한 이유는 장서 및 시설의 증가로 인한

    공간 부족(53.9%), 건물 시설의 낙후(25.1%) 등이었다. 한편 정보환경의 변화로

    인한 새로운 공간에 대한 수요발생과 공간의 재배치를 통한 공간간 단절성

    극복은 각각 8.4%와 7.8%로 조사되었다. 도서관의 설립년도를 고려한

    교차분석에서도 리모델링이 필요한 이유는 전체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도서관의 공간운영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실무진의 다양한

    의견은 공간부족, 공간설계, 공간활용, 시설 및 건물 낙후, 인력부족, 예산부족

    등으로 요약되었다.

    ?이번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공간부족, 특히

    수장공간과 사무공간 부족, 둘째, 노년층과 신체적 약자 등 지식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의 부족, 셋째,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으로서의 공간 및 시설

    부족, 넷째, 도서관의 입지조건 문제였다.

    4.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사례

    도서관 표준모델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 국내 및 해외의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12개 국내 공공도서관의 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립계획 초기부터 공공도서관 특성, 즉 설립목적 입지특성, 운영체제, 이용계층

    등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변경요인의 예측 및 반영이

    요구된다.

    ?열람부문이 축소된 반면 사회교육프로그램 및 이용자 주체의 시청각활동 증가

    등에 의한 교육/집회부문과 서비스부문의 증가가 조사되었으며, 복합화경향에

    따른 문화시설에 대한 공간도 새롭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신설되는 공공도서관을

    계획 시 이러한 공간변화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도서관정보화 정책에 따라 열람부문 중 도서관련 공간이 축소된 반면

    전자정보열람실, 멀티미디어실과 같은 비도서관련 공간이 증가했으며 자료의

    중앙집중형 디지털화에 따른 전산실과 같은 관리/업무부문의 증가가 나타났다.

    ?설계 후 시공단계, 시공 이후 소요공간의 변화는 장래에 대한 예측과

  • 기획단계에서 사서 등 도서관 종사자, 투자처(정부, 공공기관), 건축가(설계자)의

    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9개 해외 공공도서관의 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 이들은 새롭게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들을 반영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계획의 원리로 적용될 수

    있는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디지털 사회의 특성에 따른 공간 체계

    ‣ 디지털화에 따른 정보매체의 다양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정보는 전자매체를 통해 획득하더라고 사람과 사람의 대화와 접촉

    공간으로서의 도서관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시각적 정보를 통한 인식의

    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 계획, 다양화된

    건축공간끼리의 연계를 위한 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도서관 역할의 확장에 따른 공간 원리

    ‣ 단순한 도서의 보존적 기능에서 벗어나 공중의 이용을 중시하고 모든 계층에

    봉사할 수 있는 공공성을 강조하는 종합적인 정보서비스공간으로 인식되며,

    도시민들에게 도서관 목적 이외의 서비스의 장소로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여, 도서관 건축이 도시 건축적

    요소를 지님으로써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유동하는 사회정보시설을 담는 그릇으로서의 유기체적 도서관 공간 체계

    ‣ 도서관은 정적정보로부터 동적 교환관계를 수용하는 장소가 되었다.

    ‣ 정보양식의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시설로서 도서관 환경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5.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표준모델 제안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변화와 새로운 정보환경 속에서 도서관 건축의

    방향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대지와 배치계획, 각 공간별

    도서관의 규모와 공간구성,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래밍의 구성체계(과정과

    의사결정 구조)에 대하여 지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의 봉사대상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소규모(인구 10만 이하),

    중규모(인구 10만- 20만), 대규모(인구 20만 이상) 도서관으로 구별하고 각각에

    필요한 공간요소와 이들의 연계관계를 건축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함으로써

    표준모델을 제안하였다.

  • 목 차

    요약문 ................................................................................................................................... ⅰ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의 범위와 내용 ...................................................................................................... 4

    4. 연구의 방법 .................................................................................................................. 5

    Ⅱ. 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1. 국내의 공공도서관 운영을 위한 시설기준 ................................................................... 7

    1.1 법적 기준 ................................................................................................................ 7

    1.2 한국도서관협회의 권장기준 .................................................................................... 9

    2. 외국의 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 11

    2.1 IFLA 도서관 공간운영 기준 .................................................................................. 12

    2.2 호주의 NSW Library Council의 공공도서관 공간운영기준 ................................. 15

    2.3 미국의 PROVDENCE Associates Inc의 도서관 공간운영기준 ............................ 18

    2.4 프랑스의 대학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권장기준 ................................................. 23

    2.5 스페인의 도서관 건축 및 공간운영을 위한 표준 ................................................. 27

    3.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권장기준(안) ................................................................ 33

    3.1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정의................................................................................. 33

    3.2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권장기준(안) ........................................................... 35

    Ⅲ.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분석 1. 실태조사의 개요 ......................................................................................................... 40

    2. 실태조사의 분석 ......................................................................................................... 41

    2.1 참여도서관의 일반현황 ......................................................................................... 41

    2.2 참여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 ................................................................................. 43

    2.3 공간운영에 대한 만족도 및 리모델링 수요 .......................................................... 55

    2.4 공간운영에 대한 참여도서관의 요구사항 ............................................................. 58

    3. 실태조사에 대한 종합분석 .......................................................................................... 59

    3.1 공간운영현황 ........................................................................................................... 60

    3.2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상의 문제점 .......................................................................... 62

    Ⅳ.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사례 1. 국내 공공도서관 ......................................................................................................... 65

    1.1 국내사례 공공도서관의 범위 및 대상 ................................................................... 65

    1.2 국내사례 공공도서관의 현황 분석 ........................................................................ 66

    1.3 국내사례 공공도서관의 공간 특성 ........................................................................ 90

    2. 해외 공공도서관 ......................................................................................................... 90

  • 2.1 해외사례 공공도서관의 범위 및 대상 ................................................................... 90

    2.2 해외사례 공공도서관의 현황 분석 ........................................................................ 92

    2.3 해외사례 공공도서관의 공간 특성 ..................................................................... 101

    Ⅴ.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표준모델 제안 1.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기능 및 역할변화 .................................................................. 102

    2. 새로운 정보환경과 도서관 건축의 방향 .................................................................. 104

    2.1 도서관의 변화 ................................................................................................. 104

    2.2 복합화에 따른 도서관의 방향 .......................................................................... 106

    3. 도서관의 대지와 배치계획 ....................................................................................... 107

    3.1 도서관의 대지 ................................................................................................. 107

    3.2 도서관의 배치계획 .......................................................................................... 109

    4. 도서관의 규모와 공간구성 ....................................................................................... 110

    4.1 도서관의 소요시설과 규모 .............................................................................. 110

    4.2 도서관의 자료수장 스페이스에 관한 규모계획 .............................................. 111

    4.3 도서관의 구성요소와 공간구성 ....................................................................... 114

    4.4 주요층의 공간구성 및 동선체계 ..................................................................... 115

    5.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래밍의 구성체계 ................................................................... 117

    5.1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래밍의 진행과정 .......................................................... 117

    5.2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래밍의 의사결정구조 .................................................... 121

    5.3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프로그램의 제안 ....................................................... 123

    6. 도서관의 봉사규모와 공간계획에 따른 표준모델 .................................................... 126

    6.1 공용ㆍ지원부문 ............................................................................................... 126

    6.2 사무ㆍ장서부문 ................................................................................................. 127

    6.3 열람부문 ......................................................................................................... 128

    6.4 교육ㆍ집회부문 .................................................................................................. 128

    Ⅵ. 요약 및 결론 .......................................................................................................... 131

    참고문헌 ....................................................................................................................... 135

    (부록) 설문지 ................................................................................................................ 138

  • 표 차례

    공공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의 기준 ............................................................................ 8

    사립 공공도서관, 문고 및 장애인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 기준 ................................. 9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공공도서관 시설 기준 ......................................... 10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문고 및 장애인도서관 시설 기준 ........................ 11

    미래 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중요 질요소 ................................................................. 12

    TCF 산출방법 ........................................................................................................... 17

    장서공간 대비 기능별 필요공간 산출 ....................................................................... 18

    도서관 공간 정의 .................................................................................................... 19

    자료유형에 따른 단위 면적당 책수 .......................................................................... 20

    서가유형에 따른 자료수용량 및 필요면적 .............................................................. 20

    비도서자료의 유형에 따른 필요면적 ...................................................................... 21

    열람석 유형에 따른 필요면적 ................................................................................. 22

    직원 및 워크스테이션의 유형에 따른 필요공간 ..................................................... 22

    기타 다양한 품목들을 위한 필요공간 ................................................................... 23

    프랑스 대학도서관의 공간운영을 위한 권장기준 ................................................... 25

    스페인의 도시별 도서관면적 권장기준 ................................................................... 29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공공도서관을 위한 표준 ....................................................... 31

    도서관 공간정의에 관한 국가간 비교..................................................................... 33

    건물면적 대비 도서관 공간별 비율비교 ................................................................. 36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 권장기준(안) .................................................... 37

    개별 도서관의 장서공간 산출 예 ........................................................................... 39

    도서관의 업무인원 .................................................................................................. 42

    도서관의 현재 장서 규모 및 목표장서 규모 .......................................................... 43

    도서관의 대지면적과 건축면적 ............................................................................... 44

    도서관이 소재하는 대지의 도시계획상황 ............................................................... 45

    도서관의 층별 공간구성(개방형) ............................................................................ 46

    도서관 건물 연면적 내 용도별 면적 및 면적비율 ................................................. 47

    도서관 건물면적 대비 사무공간 및 이용자서비스공간 비율 ................................ 48

    도서관 건물면적 대비 수장공간 및 공용공간 비율 ................................................ 48

    도서관의 설립년도에 따른 공간별 구성비율 .......................................................... 49

    도서관의 봉사대상규모에 따른 공간별 구성비율 ................................................... 50

    사무공간의 운영현황 ............................................................................................... 50

    이용자서비스공간의 운영현황 ............................................................................... 52

    수장공간의 운영현황 ............................................................................................. 53

    공용공간의 운영현황 ............................................................................................... 54

    최근 3년 동안 축소된 공간(복수응답) ................................................................... 54

    최근 3년 동안 확대ㆍ개편된 공간(복수응답) ......................................................... 55

    도서관의 공간운영 및 기본 시설에 대한 만족도 ................................................... 56

  • 추가 희망 시설(복수응답) ....................................................................................... 58

    설립년도에 따른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대한 계획 ............................................ 58

    국내사례 공공도서관 개요 ...................................................................................... 65

    양천구립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67

    송파구립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69

    성동문화정보센터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71

    은평구립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73

    강북문화정보센터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75

    성북정보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77

    도봉문화정보센터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79

    관악문화관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81

    아리랑정보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83

    과천정보과학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85

    고양시화정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87

    고양시백석도서관 공간용도 변경과 요인 .............................................................. 89

    해외사례 공공도서관 개요 .................................................................................... 91

    도서관의 구조에 따른 공간구성 .......................................................................... 106

    공공도서관의 면적구성 ........................................................................................ 111

    도서관의 부문별 구성요소 ................................................................................... 114

    도서관 구성요소별 공간계획 ............................................................................... 115

    공공도서관의 사업발의요인 ................................................................................. 117

    제안된 설계안의 평가항목과 기준 ....................................................................... 119

    공공도서관 건축 프로그래밍의 세부프로그램별 핵심이슈 .................................. 121

    케이스 스터디 - 분석을 위한 지표의 과정 ........................................................ 123

    케이스 스터디 - 공간구성(스페이스)프로그램의 제안 ........................................ 125

  • 그림 차례

    연구의 흐름도 ........................................................................................................ 6

    도서관 건물 전체 건물면적 산출 공식 ................................................................. 16

    도서관 공간운영상의 문제점 ................................................................................. 59

    양천구립도서관의 현황 .......................................................................................... 66

    양천구립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67

    송파구립도서관의 현황 .......................................................................................... 68

    송파구립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69

    성동문화정보센터 현황 .......................................................................................... 70

    성동문화정보센터의 공간구성체계 ........................................................................ 71

    은평구립도서관의 현황 ........................................................................................ 72

    은평구립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73

    강북문화정보센터의 현황 .................................................................................... 74

    강북문화정보센터의 공간구성체계 ...................................................................... 75

    성북정보도서관의 현황 ........................................................................................ 76

    성북정보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77

    도봉문화정보센터의 현황 .................................................................................... 78

    도봉문화정보센터의 공간구성체계 ...................................................................... 79

    관악문화관도서관의 현황 .................................................................................... 80

    관악문화관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81

    아리랑정보도서관의 현황 .................................................................................... 82

    아리랑정보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83

    과천정보과학도서관의 현황 ................................................................................. 84

    과천정보과학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85

    고양시화정도서관의 현황 .................................................................................... 86

    고양시화정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87

    고양시백석도서관의 현황 .................................................................................... 88

    고양시백석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 89

    님스 미디어테크 .................................................................................................. 92

    센트럴 미디어테크 ............................................................................................... 93

    센다이 미디어테크 ............................................................................................... 94

    템페렌 시립중앙도서관 ........................................................................................ 95

    순스발 시립 공공도서관 ...................................................................................... 96

    피닉스 공공도서관 ............................................................................................... 97

    씨애틀 공공도서관 ............................................................................................... 98

    뉴페캄도서관 ...................................................................................................... 99

    파리국립도서관 ................................................................................................. 100

    시대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역할변화 ................................................................ 103

    시대에 따른 정보전달 매체의 변화.................................................................. 103

  • 건물의 배치형태 ............................................................................................. 110

    자료수장 스페이스에 의한 규모계획 ................................................................ 113

    기본적 조닝 ...................................................................................................... 116

    공공도서관의 주요층 동선도 ............................................................................ 116

    건축프로그래밍의 과정 ..................................................................................... 120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래밍의 의사결정구조 .................................................... 122

    케이스 스터디 - 공간의 층별 상호기능관계(C : 코어) ................................... 125

    공용ㆍ지원부문 표준모델 ................................................................................. 127

    사무ㆍ장서부문 표준모델 ................................................................................. 127

    열람부문 표준모델 ............................................................................................ 128

    교육ㆍ집회부문 표준모델 ................................................................................. 129

    도서관의 봉사규모와 공간계획에 따른 표준모델 ............................................. 130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도서관은 장소이자 기능이다.”(Siva Vaidhyanathan, 2005) Library Journal 2002년 3월호에서

    도서관계의 운동가(Movers & Shakers)라는 호칭을 받은 바 있는 Siva Vaidhyanathan

    버지니아대학교 교수의 이 짤막한 말은 도서관의 본질을 잘 요약해주고 있다. 도서관

    건물은 도서관의 구성요소, 즉 장서, 사람(사서와 이용자), 시설을 담는 틀이자 도서관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보여주는 상징이다. 또 한편으로는 도서관이 사회로부터 부여받은

    책임을 다하기 위해 수행하는 기능들의 범위와 수준은 상당 부분 장소 즉 건물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유네스코 공공도서관선언에 의하면 공공도서관은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축적이라는 도서관의 전통적 역할에 덧붙여서 지역주민들이 요구하는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제공하여야 하며 모든 사회계층에게 차별 없이 그들의 정보접근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정보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또한 평생교육의

    장으로의 역할에 충실하여야 하며 문화 및 예술관련 정보와 행사 등을 제공하는

    데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확대와 변화는 자연스럽게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의 변화를 요구하게

    된다. 그러한 변화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1) 공공도서관의 복합공간화

    현대 건축은 도시환경 속에서 불확정적 요소를 건축 작업에 반영함에 있어 그

    크기와 일차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크기에 비례하여 요구되는

    프로그램의 요소 역시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다양함을 담기위해 그 규모도

    커지게 된다. 결국 프로그램은 복합화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Robert Venturi,

    2004)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새로운 문화의 장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현재 프로그램 복합화가 적용중인 과도기적 시점에 와 있다.

    사회적 기능 변화에 따른 역할 변화,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 지역사회의 요구

    등은 도서관의 복합적인 문화공간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도서관은 전체공간에서 분리되려는 경향이 강한 폐쇄적인 공간구조를 띄고

    있으며, 공간구성에 있어서도 특정영역이나 공간들만이 복합공간의 중심적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직까지 복합공간의 공간구성이 불균형적이고

    동선연결 등이 미흡하다.

    따라서 향후 공공도서관 계획 시에는 도서관의 복합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복합공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려를 통해 전체 구성의 유기적인

    복합화가 이루질 수 있도록, 영역별·공간별 동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2) 정보환경 변화의 수용

    역사적으로 도서관 공간의 구조와 설계에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인 특징이

    반영되어왔다. 과거에 장서의 보관서고로서 제한된 이용자 집단만을 위한

    공간이었던 도서관은 지금에는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정보환경의

    변화를 수용하여 이용자용 컴퓨터를 도서관에 도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과 전자 자원의 편리한 이용을 위하여 관련시설과 설비를 개선하였으며

    도서관 공간을 재정비하였다.

    최근 정보환경의 큰 흐름은 유비쿼터스로의 진행이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서관은 물리적 현실공간과 인터넷 가상공간을 모두 포괄하게 된다. 미래

    도서관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고 준비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공간이

  •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운 정보 환경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실물 자료와 전자 자료를 모두 제공하는 거의 유일한 기관인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도 계속되며 다만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공간의

    설계와 관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환경의 개방성과 상호작용성을

    반영하여 도서관이 정보공유를 확대하고 이용자의 정보교류를 증진할 수 있는

    정보공간으로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문화관광부가 2002년에 발표한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구축을 위한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2003-2011)」에 따르면 2011년까지 750개관의 공공도서관의 건립이

    예상된다. 그 밖에 최근 „기적의 도서관‟을 비롯한 어린이도서관과 분관형

    작은도서관 등의 가세로 신축도서관 건립수요는 매년 100여 개관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06년에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의 지방분권화 취지에 따라

    대규모 지역대표도서관 건립도 예상된다. 이처럼 대규모의 도서관 신축과

    리모델링이 예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는 도서관 유형과 서비스 규모

    등을 고려한 도서관의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급증하는

    도서관의 건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을 위한 표준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2. 연구의 목적

    21세기를 맞이한 공공도서관이 처한 외부환경과 내부조건으로 인해 다른

    문화시설과의 시설복합화 현상, 디지털서비스기능의 강화 등 도서관 공간구성 및

    운영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신축도서관 건립 및

    리모델링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는 그러한 예측이 현실화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도서관 신축에서 현안이 되는 건축 및 시설기준에 대한

    정책 제언과 더불어 도서관의 서비스 규모, 특성, 유형을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

    표준모델을 개발하여 국가 및 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의 설립과 운영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공공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전반의 기본환경 및 공간규모 등 공간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추출한 현황분석 자료 제공

    ○ 서지적 문헌조사 및 탐방을 통해 국내 및 해외 도서관의 공간운영 사례를

    발굴함으로써 시사점 제공

    2) 도서관의 서비스 규모에 따른 건립 유형별 공간운영의 표준모델 제시

    ○ 지역사회의 문화·교육의 중심 및 정보의 중심공간이라는 변화된 역할 기대에

    부합되는 지역커뮤니티센터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 정의

    ○ 소재지역의 특성, 봉사대상자의 성격 및 서비스 규모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유형별로

    공간구성 정의 및 공간운영 모델 제시

    ○ 조사된 법적 설정기준의 참고자료와 도서관의 유형별 공간구성 정의를 근거로

  • 도서관 건축기능다이어그램 제공, 건축기능다이어그램에서는 기능에 따른 실 또는

    공간 배치, 이용자 공간과 관리공간의 배치, 정보화 시스템에 따른 각 실별 연계방안

    등 시설관계 모형안 제시

    3) 공간구성에 유용한 실무적 참고자료로서 운영사례에 대한 도면 및 사진자료집 첨부

    ○ 표준모델 및 우수사례에 대한 다양한 건축도면과 사진자료를 첨부함으로써 노후 및

    낙후된 기존 도서관들의 내부공간 재배치 및 증·개축 계획 등 리모델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건립을 계획하는 담당실무자들에게 실용적인

    참고자료 제공

    3. 연구의 범위와 내용

    합리적인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실태조사

    공간운영 모델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고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모델

    제시를 담보하기 위해 국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공간운영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규모와 지역에 따른 공간운영의 현황을 비교 분석한다. 이 조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도서관통계를 기준으로 한 전수조사를 원칙으로 하며,

    도서관의 규모와 설립시간에 따른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둘째, 국내·외 공공도서관 건축 및 시설관련 권장기준 비교 검토와 제안

    해외 선진국 및 국제기구의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각종 규정과 기준, 지침

    등을 수집하여 우리나라의 「도서관법 시행령」 상의 법적 기준과

    한국도서관협회의 권장기준인 「공공도서관기준」과 비교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해서 향후에 적용할 수 있는 도서관 유형별, 특성별, 서비스 규모별 공간운영

    지침 또는 권장기준을 제시한다.

    셋째, 도서관 건축물 공간운영 사례 수집

    국내 및 해외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간운영 사례를 수집·분석한다. 사례

    선정의 기준은 주민을 위한 평생교육의 장소로서 기존 도서관의 기능을 탈피하여

    단순히 열람실이 아닌 정보공유의 수요자 중심의 열린 도서관으로 구축된 도서관,

    특성화를 통해 도서관 서비스를 전문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서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 그리고 정보공유의 장소로서 미래 지향적이며

    합리적인 공간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 등으로 한다. 공간운영

    사례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국내 도서관들은 직접 방문하여 도면 및 사진자료를

    수집하며, 해외 도서관의 자료는 인터넷과 관련 문헌을 통해 확보한다. 이렇게

    수집된 도면 및 사진 자료들은 실무자들을 위한 도서관 공간운영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넷째, 도서관 규모와 지역 특성을 반영한 합리적인 공간운영 모델 제시

    국내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분석 및 국내외 공공도서관 건축 및 시설관련

    기준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신축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운영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제시한다.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대한

    정의는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지역별 특성, 서비스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지역대표도서관, 대규모 중앙도서관, 중규모

    지역도서관, 소규모 분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 각각의 기능과 특성을 고려한

    공간운영모델을 도출하여 합리적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한다. 도서관의

  • 유형에 따른 도서관 공간운영모델이 제시될 경우 공공도서관 건축가와 행정가,

    그리고 사서들이 도서관 건립계획 수립 시에 유용한 기초 참고자료집으로 활용할

    수 있다.

    4. 연구의 방법

    이 연구가 설정한 연구범위와 내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첫째, 문헌연구

    관련 선행연구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공공도서관 건축의 연구 동향과 이슈를

    파악하였다. 특히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 및 시설 관련 법규와 기준, 지침

    등을 수집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한국도서관협회의 도서관통계에 수록된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전수조사를 통해 전국의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전자우편을

    이용한 온라인 서베이 방식으로 전국의 524개 공공도서관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에 응답한 167개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사례조사

    일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들을 선정하여 공간운영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국내의 도서관은 직접 탐방하여 기초정보와 도면 및

    사진자료 등을 확보하였으며, 해외의 도서관은 출판물과 인터넷을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확보하였다.

    넷째,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 자문

    연구방향의 설정과 연구내용의 타당성 검증 및 조언을 얻기 위해서 공청회와

    전문가자문회의를 각각 1회씩 개최하였다.

    전술한 본 연구의 목적·내용·방법 등의 전체적인 흐름은 과 같다.

  • 연구의 흐름도

    II. 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1. 국내의 공공도서관 운영을 위한 시설기준

    1.1 법적 기준

  • 가. 공공도서관을 위한 시설기준

    도서관을 위한 시설 및 장서에 관한 국내 기준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법적인 효력을 갖는 도서관법에 의해 명문화된 기준으로 도서관

    설립을 위한 기본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전문단체인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기준으로서의 관종별 시설, 장서, 직원수 등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도서관 설립을 위한 기본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시설기준을 살펴보자. 이 국가기준은 2006년 6월에

    제정되어 대통령령으로 공포되었다. 「도서관법」 제5조 제2항에 따라 「도서관법

    시행령」 제3조는 도서관의 종류에 따라 설립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위

    시행령 제3조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살펴보면 공공도서관의 시설은 지역사회의

    봉사대상자의 규모와 장서수 및 직원규모에 의해, 좌석수는 봉사대상과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도서관법 시행령」 제3조 별표 I(도서관의 종류별 시설 및 자료의 기준)에

    제시된 이들의 법적 기준 중 공공도서관을 위한 시설기준을 살펴보면 과 같다.

    공립 공공도서관의 경우, 건물면적, 열람석, 기본장서 및 연간증가책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이용자수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용자 수는 도서관이 설치되는 해당 시(구가

    설치된 시는 제외하며 도농복합형태의 시에 있어서는 동(洞)지역에

    한한다)·구(도농복합형태의 시에 있어서는 동(洞)지역에 한한다)·읍·면지역의 인구를

    말한다. 에서 알 수 있듯이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규모에 따라 건물면적이

    264m2에서 이용자수가 50만 이상인 대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경우는

    4,950m2의 건물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건물 면적 외에 상기 법으로 정하고 있는

    시설로는 열람석 수가 있는데 이 또한 이용자 규모에 따라 60석에서 1,200석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체 열람석의 20% 이상은 어린이를 위한 열람석으로

    해야 한다는 규정을 둠으로써 어린이를 위한 열람석 확보를 가능케 하고 있으며,

    지식정보접근에 있어서 약자인 노인과 장애인을 위해서는 전체 열람석의 10퍼센트

    범위 내에서 열람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 외에 이용자 수가 2만

    명 이상인 공립 공공도서관의 경우 열람실 외에

    참고열람실·연속간행물실·시청각실·회의실·사무실 및 자료비치시설 등의 시설을 갖추게

    함으로써 공간운영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시설 기준은 간단하다. 단지 이용자규모에 따라

    도서관이 확보해야할 전체 건물면적과 열람석 그리고 이용자수 2만명 이상인

    도서관의 경우 공간운영에 대한 제시와 전체 열람석 중 어린이와 노약자, 장애인을

    위한 배려가 어느 선까지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전부이다. 전체 건물면적을 기준으로

    공간운영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의 전체 공간을

    크게 사무공간, 이용자서비스공간, 장서공간, 공용공간, 기타공간 등으로 구분할 때

    각각의 공간들이 전체 면적에서 차지해야 하는 비율이며, 사무공간과

    이용자서비스공간, 장서공간과의 비율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동일한 이용자 규모와 건물면적을 가진 도서관이라 할지라도

    도서관에 따라 공간운영에 있어 많은 차이가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한

    공간의 확보가 보장되지 않고 있다.

  • 이용자 수(명) 시설 자료

    건물면적(m2) 열람석(좌석수) 기본장서(권) 연간증서(권)

    2만 미만 264 이상 60 이상 3,000 이상 300 이상

    2만 이상-5만 미만 660 이상 150 이상 6,000 이상 600 이상

    5만 이상-10만 미만 990 이상 200 이상 15,000 이상 1,500 이상

    10만 이상-30만 미만 1,650 이상 350 이상 30,000 이상 3,000 이상

    30만 이상-50만 미만 3,300 이상 800 이상 90,000 이상 9,000 이상

    50만 이상 4,950 이상 1,200 이상 150,000 이상 15,000 이상

    공공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의 기준

    비고:1.이용자 수는 도서관이 설치되는 해당 시(구가 설치된 시는 제외하며 도농복합형태의 시에 있어서는 동(洞)지역에

    한한다)·구(도농복합형태의 시에 있어서는 동(洞)지역에 한한다)·읍·면지역의 인구를 말한다.

    2.이용자 수가 2만 명 이상인 공립 공공도서관에는 열람실 외에 참고열람실·연속간행물실·시청각실·회의실·사무실 및

    자료비치시설 등의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3.전체 열람석의 20퍼센트 이상은 어린이를 위한 열람석으로 하여야 하고, 전체 열람석의 10퍼센트 범위 안의 열람석에는 노인과

    장애인의 열람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4.공립 공공도서관에는 기본 장서 외에 다음에서 정하는 자료를 갖추어야 한다.

    가. 이용자 수 1천 명당 1종 이상의 연속간행물

    나. 이용자 수 1천 명당 10종 이상의 시청각자료를 갖추되, 해마다 이용자수 1천 명 당 1종 이상의 시청각자료를 증대할 것

    다. 그 밖의 향토자료·전산화자료 및 행정자료

    사립 공공도서관을 위해서는 공립 공공도서관에서 제시한 기준보다 매우 완화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즉, 사립 공공도서관은 공립 공공도서관의 시설 기준 중

    이용자 규모가 가장 작은 이용자 수가 2만 명 미만인 지역의 도서관이 갖추어야 하는

    시설만을 갖추면 설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설립조건의 까다로움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도서관 설립에 장애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최소한의 면적과

    열람석만을 구비한다면 도서관 설립을 허가한다는 취지로 해석될 수 있다.

    나.문고, 장애인 도서관의 시설 기준

    「도서관법 시행령」 제3조는 공·사립 공공도서관뿐만 아니라 문고 및 장애인 도서관을

    위한 시설기준도 제시하고 있다. 문고를 운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서 1,000권 이상,

    면적 33m2 이상과 열람석 6석을 확보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시각 장애인을 주된

    이용자로 하는 장애인 도서관은 66m2 면적을 요구하며 이는 자료열람실 및 서고 면적의

    45%이상이여야 하고, 다른 도서관과 달리 시각 장애인을 봉사대상으로 하는

    장애인도서관이 구비해야할 시설로는 열점자제판기 1대 이상, 점자인쇄기 1대 이상,

    점자타자기 1대 이상 그리고 녹음기 4대 이상을 요구한다.

    사립 공공도서관, 문고 및 장애인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 기준

    구분 시설

    자료 건물면적(m

    2) 열람석/기계 기구

    문 고 33 이상 6석 이상 1,000권 이상

    장애인 도서관

    66 이상

    * 자료열람실 및 서고:

    면적의 45퍼센트 이상

    점자제판기 1대 이상

    점자인쇄기 1대 이상

    점자타자기 1대 이상

    녹음기 4대 이상

    장서: 1,500권 이상

    녹음테이프: 500점 이상

  • 비고 : 건물면적에 현관·휴게실·복도·화장실 및 식당 등의 면적은 포함되지 아니한다.

    1.2 한국도서관협회의 권장기준

    가. 공공도서관 시설기준

    전문단체가 제시하는 기준으로는 한국도서관협회가 제시하고

    있는「한국도서관기준」이 있다. 이 기준은 1979년 제정 작업을 시작하여 1981년

    처음 발간되었으며 법적인 구속력은 없었으나 도서관 현장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후 20년 동안 후속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변모된 도서관 환경을 반영코자

    2000년부터 기준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2003년판 「한국도서관기준」이 발간되었다.

    「한국도서관기준」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시설기준을 과 같이 권장하고

    있다.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제시한 기준과 달리 권장 면적과 열람석을 확보를

    위한 공식에 인구1천명에 적합한 면적과 열람석수를 제시함으로써 필요한 면적을

    구체화했다.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제시환 것과 동일하게 전체 열람석의

    20%를 아동을 위한 시설로, 10%는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시설로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반면 「도서관법 시행령」과 달리 전체 면적대비 장서공간과

    이용자서비스공간에 대한 비율을 각각 40%이상과 30%이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공공도서관 시설 기준

    가. 봉사대상인구는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시·구·군·읍·면의 전체인구를 말한다.

    나. 이동문고를 위한 시설(차고 포함)의 경우는 봉사대상인구에 따른 연면적에 다음 면적을 더해야 한다.

    1) 시(구가 설치된 시 제외)·구단위 도서관 : 인구 20만-50만 미만은 90㎡ 이상, 인구 50만인 이상 140㎡

    이상

    2) 군단위 도서관 : 70㎡ 이상

    다. 아동을 위한 열람석은 전체 열람석의 20% 이상,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열람석은 전체열람석의 10%

    범위 내에서 필요한 시설과 함께 갖추어야 한다.

    라. 전체 면적 중 자료공간은 40%, 이용자공간은 30%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마. 공립 공공도서관에는 자료열람실 이외에 어린이실, 시청각실, 전시 및 집회 시설, 휴게시설 등을

    갖추어야 한다.

    바. 봉사대상인구가 20만인 이상인 경우에는 본관(중앙관 또는 시스템본부) 외에 대상지역 규모, 지형,

    인구분포 및 밀도, 인위적·자연적 경계 등을 고려해서 분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사. 사립 공공도서관은 봉사대상인구 5만인 미만 기준의 50% 이상을 갖추어야 한다.

    봉사대상인구(인) 인구1천인당 면적(㎡) 인구1천인당 열람석 비고

    5만 미만 40 이상 4.0 이상

    5만 - 10만 미만 37 이상 3.8 이상

    10만 - 20만 미만 33 이상 3.4 이상

    20만 - 50만 미만 28 이상 3.0 이상 분관 포함

    50만 - 200만 미만 25 이상 2.8 이상 분관 포함

    200만 이상 24 이상 2.8 이상 분관 포함

    나. 문고, 장애인 도서관의 시설기준

  • 한국도서관협회는 문고와 장애인 도서관을 위해서도 도서관 시설에 관한 권장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제시하는 장서 1,000권 이상, 33m2 이상의

    면적과 열람석 6석과 동일한 기준을 문고의 운영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편 장애인

    도서관을 위해서는 점자제판기 1대 이상, 점자인쇄기 1대 이상, 점자타자기 1대 이상,

    녹음기 4대 이상 으로 법적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도서관법 시행령」과 달리 음성지원

    컴퓨터 5대 이상, 점자출력기 1대 이상, 확대독서기 1대 이상, 페이지넘기기 1대 이상,

    실내용 휠체어 1대 이상으로 요건을 더 강화하였다. 장애인 도서관을 위한 면적은

    「도서관법 시행령」의 5배에 해당하는 330m2 를 권장하고 있으며 「도서관법

    시행령」과 마찬가지로 자료공간과 이용자 공간을 시설면적의 45%이상을 배정할 것을

    요구한다.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문고 및 장애인도서관 시설 기준

    구분 시설

    자료 건물면적(m

    2) 열람석/기계 기구

    문 고 33m2 이상 6석 이상 1,000권 이상

    장애인도서관 330㎡ 이상

    점자제판기, 인쇄기, 프린터기 각 1대 이상

    녹음기 또는 토킹북 플레이어 5대 이상

    음성지원 컴퓨터 5대 이상

    점자타자기 1대 이상

    점자출력기 1대 이상

    확대독서기 1대 이상

    페이지넘기기 1대 이상

    실내용 휠체어 1대 이상

    점자도서, 전자도서,

    디지털 토킹북: 기본

    3,000종; 연간증가

    500종 이상

    점자 또는

    녹음연속간행물: 40종

    이상

    비도서자료: 기본

    100점; 연간증가 100점

    이상

    비고 : 건물면적에 현관·휴게실·복도·화장실 및 식당 등의 면적은 포함되지 아니한다.

    가. 시설의 면적은 자료이용을 위한 면적만을 말한다.

    나. 시장·군수·자치구의 구청장(이하 “시장·군수”라 한다)은 읍·면·동 단위 지역마다 지역 주민이 쉽게 접근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 문고(이하 “공립문고”라 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시장·군수는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사업장·주거단지·건축물·공중시설이용 중 도서관이 설립되어 있지 아니한

    시설에 대하여는 문고(이하 “사립문고”라 한다)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해야 한다.

    1) 종업원이 300인 이상인 사업장

    2) 3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단지

    3) 6층이상 또는 연면적 7,000㎡ 이상(특별시의 경우에는 11층 이상 또는 연면적 10,000㎡ 이상)의 건축물 중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건축물

    4) 박물관·미술관·공연장·지방문화원·복지회관·청소년시설·체육시설 등의 공중이용 시설

    라. 공립문고는 해당 지역에 소재한 공립공공도서관의 분관으로서 공립공공도서관의 지원을 받아 운영한다.

    마. 사립문고는 해당 지역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에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가. 시설의 면적은 자료이용을 위한 면적만을 말한다.

    나. 자료공간 및 이용자 공간은 시설 면적의 45% 이상이 되어야 한다.

    다. 장애인도서관의 모든 시설과 장비는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라. 장애인도서관의 자료는 관외대출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복본을 수집 또는 제작·비치하여야 하며, 전체 소장

    자료의 20% 이상은 유아 및 아동을 위한 자료로 확보해야 한다.

    마. 자료를 이관 또는 폐기할 경우에는 공공도서관의 기준에 준한다.

  • 2. 외국의 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2.1 IFLA 도서관 공간운영 기준

    IFLA에서는 도서관 건물 또는 건립을 위한 국제적 가이드라인 제정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작업을 거쳐 2007년「Library Building Guidelines : Developments &

    Reflections」이란 책자를 발간하였다. 이 책에서 얘기하는 도서관건물은 기본적으로

    대학도서관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도서관을 새롭게 건축하거나 리모델링을 하고자

    하는 도서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은 도서관 건축 시 고려해야할

    사항, 필요공간의 산출을 위한 고려요소, 이용자와 열람공간을 상관관계, 내부

    사무공간의 산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체 도서관 면적을 활용함에 있어

    공간산출 및 운영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McDonald(2007)은 좋은 도서관공간이 갖추어야 할 10가지 중요한 질적 요소로서,

    기능성(functional), Adaptable(적용성, 융통성), Accessible(접근성), Varied(다양성),

    Interactive(상호작용성), Conducive(공헌성), Environmentally suitable(환경쾌적성), Safe and

    secure(안전성), Efficient(효율성), Suitable for information technology(정보기술의 적절성)을

    들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도서관 공간은 이들 10가지 질적 요소 외에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the oomph or wow�요소를 구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미래의 도서관은 복합기능공간으로서 활력성, 활동성 및

    다양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미래 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중요 질요소

    질 요소 내 용

    기능성 작업공간, 외관, 내구성 등의 측면에서 좋은 공간

    적용성·융통성 융통성 있는 공간, 이용을 위해 쉽게 변화가 가능한 공간

    접근성 접근과 이용이 쉬운 사회적 공간

    다양성 교육, 연구, 여가공간 및 다양한 미디어 제공

    상호작용성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이 촉진될 수 있은 잘 배치된 공간

    공헌성 동기와 영감을 줄 수 있는 질 높은 휴먼공간

    환경 쾌적성 이용자, 책, 컴퓨터 등을 위한 좋은 환경

    안전성 사람, 장서, 설비, 데이터 그리고 빌딩을 위한 안전성 확보

    효율성 공간, 직원수 그리고 운영비용의 경제성

    정보기술의 적절성 이용자와 직원을 위한 정보기술 공급의 적절성

    활력성 이용자와 기관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영감을 주는 공간

    도서관의 필요공간 산출을 위해서는 Dahlgren(2007)가 제시하는 도서관에서의 필요 공간

    산출 방법론을 참고할 수 있다. 이 방법론은 저자가 위스콘신주의 도서관국에 근무할 때

    개발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서 「Public Library Space Need : A Planning Outline 1998」에서

  • 이미 자세히 소개된 바 있다. 이 방법론은 모든 도서관의 필요공간은 도서관 이용자들의

    요구 충족과 관련하여 결정된다는 개념에서 시작된다. 이 방법론은 도서관이

    지향해야할 구체적인 서비스나 자원에 대해 권고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목표는

    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도서관의 크기에 따라, 봉사대상 규모에 따라, 이용자의 유형에

    따라, 문화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만 이 방법론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을

    고려할 때 사용가능한 몇몇 도구와 전략적 방법을 제안한다.

    계획자는 도서관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공간을 검토함으로써 도서관 공간을 범주화 할

    수 있고, 설정된 범주는 도서관의 필요공간산출을 위한 공식에 응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서관 공간은 6개로 범주화할 수 있다.

    ?장서 및 도서관 자료를 위한 공간(collection and library materials)

    ?열람자 및 이용자를 공간(readers and users)

    ?도서관 직원을 위한 사무공간(library staff)

    ?회합 및 프로그램 기능을 위한 공간(meeting and program functions)

    ?다른 다양한 기능을 위한 공간(other miscellaneous functions)

    ?기술 및 지원 서비스 공간(mechanical and support services)

    장서 및 도서관 자료를 위한 공간은 일반적으로 수장공간 또는 장서공간을 의미한다.

    장서공간을 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소장 자료의 규모뿐만 아니라 봉사대상 인구

    규모 등 다양한 요소들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장서공간

    산출시 고려할 요소로는 다음을 지적할 수 있다.

    ?도서관 봉사대상 인구의 성장(변화)

    ?지방 또는 국가의 도서관행정당국 또는 전문단체의 표준 또는 기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또는 특수도서관의 인가요청

    ?도서관의 장서증가율(전체 장서증가율 + 구입에 의한 장서증가율 모두)

    ?경쟁 또는 표본 도서관들과의 비교

    ?지역사회의 성향(전통)과 기대

    이들 요소 외에 장서공간 산출을 위한 물리적 요소로서 장서의 유형, 즉 도서,

    연속간행물, 오디오비디오자료, 전자자원 등을 고려해야 한다. 자료의 유형과 더불어

    고려되어야할 요소로서 서가의 유형을 들고 있다. 예를 들면, 넓이가 0.9m인 높은

    서가(높이 2.1 m)를 사용하여 도서를 배가한다면 m2당 수용권수가 140권이다.

    그렇다면 도서를 보관하기 위한 필요공간 산출을 위해서는 위에서 제시한 m2에 전체

    도서를 140으로 나눈 값을 곱하면 된다. 만약 높이가 1.6m이고 폭이 1.2m인 낮은

    서가를 사용하거나 또는 단면서가를 사용하여 도서를 정리할 경우, 당연히 m2당 수용

    도서는 적을 것이다. 이 경우 필요공간 산출은 전체도서를 140이 아닌 100으로 나눈

    값을 곱하면 가능하다. 연속간행물의 수장공간은 신간자료의 배가를 위한 공간과

    제본된 자료를 수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구분하여 생각해야 한다. 신간자료의 배가를

    위한 공간은 주로 단면전시서가를 이용하는데, 이 경우 m2당 10종이 배가될 수 있다.

    제본자료의 경우는 일반서가를 이용하여 보관한다면 1m2에 20종 정도가

    수용가능하다.

    이용자를 위한 열람공간을 산출함에 있어서는 열람석의 유형과 이용자의 유형이

    고려되어야 한다. 당연히 개인 열람석보다는 열람용 테이블의자가 어린이용

    열람석보다는 성인용 열람석이 공간을 덜 필요로 할 것이다. 이용자를 위한 열람공간

    산출을 위해서는 열람석의 평균소요면적을 사용할 수 있다. 열람석 한 개당 대략적

  • 평균 소요면적은 3.00m2가 요구되며, 도서관의 사정에 따라 열람석 수에 이 면적을

    곱하게 되면 필요면적에 대한 대략적 수치를 구할 수 있다.

    사무공간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원들이 도서관 이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공공서비스영역와 직원들의 행정 및 지원업무가 수행되는

    작업공간 및 사무실이다. 이 공간의 필요면적은 작업공간 또는 워크스테이션의 유형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작업공간당 소요면적은 10.00m2 과 12.50m2가 사용된다.

    이중 작은 도서관에서는 작업공간당 12.5m2를 적용하고 보다 큰 도서관에서는 사무실

    및 직원을 위한 공간 배치가 경제적으로 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간당 10.00m2를

    적용할 수 있다.

    많은 도서관은 프로그램 진행이나 회합장소로서의 문화공간이 중요한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으며 실제적으로 많은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와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회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공간은 회합의 유형, 필요한 실,

    각 실의 수용 가능한 청중 수를 고려하되 개별도서관의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된다.

    실의 유형은 강의 또는 발표 공간, 회의 공간, 교육공간, 기타 만남을 위한 공간으로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먼저 강의 또는 발표공간은 수용 가능한 인원이 결정되면

    의자가 차지하는 면적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고정식의자라면 의자하나가 차지하는

    면적를 1.25m2 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고, 그렇지 않다면 1.0m2를 적용한다. 회의

    공간, 교육공간 및 기타 공간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필요공간을 산출하되, 공간의

    용도에 따라 조금씩 가감할 수 있다.

    기타 도서관 기능을 위한 공간은 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잡다한 기능과 운영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다. 이 공간은 소규모그룹의 공부방, 복사실, 도서관 선물가게, 카페,

    또는 식당 등을 포함한다. 기타 도서관 기능을 위한 공간은 종종 전체 건물면적의

    10%~15%사이라고 보고된다. 이 공간의 산출을 위해서는 먼저 도서관에 필요한

    공간들, 즉 장서공간, 열람공간, 사무공간, 문화공간 등을 나열한 후, 이들 공간의 수를

    적용한다. 다시 말해, 전체 공간의 수가 6개라면 건물면적의 대략 10%를 도서관의

    기타 공간으로, 5개라면 기타공간의 면적은 전체건물의 12%를, 그리고 4개라면

    기타공간의 면적을 전체 건물면적의 15%를 배정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서관이 단독건물이라면 기계설비실, 구조적 공간(벽, 기둥 등), 휴게실, 계단,

    엘리베이터와 같은 시설을 지원하기 위해 부가적 공간이 필요하다. 이들 공간은 전체

    빌딩 면적의 20%에서 25% 그리고 30%, 때로는 그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서관에

    지정된 공간과 비지정된 공간간의 균형은 디자인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수치로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지정된 전체면적의 75%를 유지하려면 비지정된 공간이

    전체 건물의 25%를 사용하게 된다. 비지정된 공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기타 기능을 위한 공간 산출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비율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앞서 진술한 도서관에 필요한 공간의 수를 산출한 후 그 요소를 사용한다. 만약

    공간의 수가 4개라면 전체건물의 20%를, 3개라면 전체건물의 25% 그리고 2개라면

    전체건물의 33%을 배정한다.

    2.2 호주의 NSW Library Council의 공공도서관 공간운영기준

    호주의 The Library Council of New South Wales는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을 위해

    2000년에 「People place」를 처음 발간하였다. 이후 도서관 환경의 변화를 감안하여

  • 개정을 필요성을 대두되었으며, 이를 위해 2000년 이후에 건설된 6개 도서관 건물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거쳐 2005년 「People place」제2판을 발간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Metropolitan Public libraries Association, NSW(MPLA), Country Public Library Association of

    NSW(CPLA), Council of representative, The State Library of New South Wales로부터 대표성을

    위임받은 Steering Committee에 의해 수행되었다.

    공공도서관 건물의 공간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에 앞서 미래의

    공공도서관 건물이 갖추어야할 공간적 의미를 정의하였다. 미래 공공도서관의 건물은

    i) 지역사회를 위한 문화적 허브의 역할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활동의 중심공간이

    되어야 하며, ii)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과 이용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중 복합화

    공간이어야 하며, iii) 친숙하고 쉬운 방법으로 최신의 정보기술에의 접근이 가능하여야

    하며, iv) 휴식, 연구, 여가 그리고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서 이용자의 광범위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v) 서비스의 제공이 효율적·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야 하며,

    vi) 지역사회의 변화하는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상호협력적

    접근이 가능하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호주의 NSW도서관의회는 공공도서관 건물의 공간을 산출함에 있어 장서규모를

    기본요소로 사용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전체 공간을 기능에 따라 6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구분된 공간을 살펴보면, Collection Area는 장서공간 또는 수장공간을

    의미하며, Reading and Study Areas은 이용자 열람공간으로 이해되며, Resource Areas은

    비품 및 기구를 보관 비치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Staff Areas은 직원들의 작업공간으로

    사무공간이며, Amenities은 회합 및 문화프로그램 등이 운영되는 문화·여가공간이며,

    Optional Additional Service Areas는 도서관에 특성에 따라 선택 가능한 선택적·부가적

    서비스 필요한 공간으로 예를 들면, 어린이 스토리텔링 공간, 장난감실,

    특수자료보관실, 특수매체보관실, 휴게실, 다목적 공간 등을 말한다.

    호주의 NSW도서관의회에서 제시하는 공간별 산출방법 중, 도서관 전체

    건물면적(GFA: Gloss Floor Area)은 TCF(Target Collection Factor, 목표장서지수, 이하

    TCF)에 RAF(Relative Area Factor, 상대적 공간지수, 이하 RAF)곱함으로써 면적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GFA은 전체 도서관 건물면적을 나타내며, TCF는

    목표장서지수로서 자료의 유형에 따른 필요 공간 산출로 얻을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RAF는 상대적 공간지수로서 장서공간 대 기타 공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즉

    장서공간을 기준으로 장서공간을 제외한 다른 공간들이 차지하는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

    전체 건물면적 산출 공식: GFA= TCF * RAF

    GFA: Gloss Floor Area(전체건물면적)

    TCF: Target Collection Factor(목표 장서지수)

    RAF: Relative Area Factor(상대적 공간 지수)

    도서관 건물 전체 건물면적 산출 공식

    개별도서관에서 TCF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유형에 따른 소장현황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향후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장서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어야 한다.

    개별도서관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고자 하는 목표장서수에 대한 합의가

    도출된다면 공간운영과 관련하여 되풀이 되는 공간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 마련할 수 있다. 호주의 NSW도서관의회에서 제안하는 TCF의 구체적인 산출방법은

    과 같다. 에서 알 수 있듯이 자료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표준면적을

    제시하고 있으며, 개별 도서관은 자료의 유형별 소장현황과 유형별 목표장서수를

    대입하면 TCF산출이 가능하다.

    TCF 산출방법

    TCF 산출 표준면적

    일반 도서(권) 1m2 당 100 권

    연속간행물(종) 1m2 당 10종

    비도서자료(테이프, CD-ROM, DVD 등) 1m2 당 100점

    전자자원(검색대 수) 5m2 당 검색대 1대

    합계 TCF(목표장서지수)

    앞서 진술했듯이, 호주의 NSW도서관의회는 장서공간 대비 기타공간에 대한 면적

    산출을 위해 공공도서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