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農學碩士學位論文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幼苗期 生育 및 移植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Growth of Seedlings and Transplanting in Quercus myrsinaefolia Blume and Q. glauca Thunb 2007년 2월 晋州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園藝學科

가시나무와종가시나무의 幼苗期生育및移植에關한硏 …cjlib.gntech.ac.kr/nonmun_pdf/M20072017.pdfFig 1. Tree(A) and leaf shape(B) of Quercus myrsinaefolia Blume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農學碩士學位論文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幼苗期 生育 및 移植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Growth of Seedlings and Transplanting

    in Quercus myrsinaefolia Blume and Q. glauca

    Thunb

    2007년 2월

    晋州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園藝學科

    朴 在 春

  • 農學碩士學位論文

    指導敎授 安相烈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幼苗期 生育 및 移植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Growth of Seedlings and Transplanting

    in Quercus myrsinaefolia Blume and Q. glauca

    Thunb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7年 2月

    晋州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園 藝 學 科

    朴 在 春

  • 朴在春의 農學碩士學位論文을 認准함

    審 査 委 員

    委 員 長 印

    委 員 印

    委 員 印

    2007年 2月

    晋州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 - i -

    目 次

    표 목 차 ············································································································· ⅰ

    사진목차 ············································································································· ⅳ

    Ⅰ. 緖 言 ······································································································· 1

    Ⅱ. 硏 究 史 ······································································································ 4

    Ⅲ. 材料 및 方法 ······························································································ 7

    Ⅳ. 結果 및 考察 ······························································································ 9

    1.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種子特性과 發芽率 ······························· 9

    2.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幼苗 生育 特性 ·····································10

    3. 이식시기와 적엽이 활착 및 이식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12

    4. 수령 및 전정이 가시나무의 이식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 20

    Ⅴ. 摘 要 ··········································································································23

    參考文獻 ···············································································································24

    Abstract ···············································································································28

  • - ii -

    LIST OF TABLES

    Table 1. Characteristics of seed and germination in Q. glauca Thunb

    and Q. myrsinaefolia Bl ································································ 9

    Table 2. Characteristics of leaves in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10

    Table 3. Characteristics of leaves in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11

    Table 4. Root growth in the seedlings of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12

    Table 5.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ion on the rooting

    of Quercus species ·········································································13

    Table 6. Effect of defoliation and transplanting date on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in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15

    Table 7.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ion on the growth

    of newly developed shoot after transplanting in

    Q. myrsinaefolia Bl ········································································16

    Table 8.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ion on the growth

    of newly developed shoot after transplanting in

    Q. glauca Thunb ·············································································18

    Table 9.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on on the root

    growth of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19

  • - iii -

    Table 10. Effect of seedling's age and pruning on the rooting

    after transplanting in Q. myrsinaefolia Bl ·····························20

    Table 11. Effect of seedling's age and pruning on the growth of

    newly developed shoot after transplanting in

    Q. myrsinaefolia Bl ······································································22

  • - iv -

    LIST OF FIGURES

    Fig. 1. Tree(A) and leaf shape(B) of Quercus myrsinaefolia Blume

    ·············································································································· 3

    Fig. 2. Tree(A) and leaf shape(B) of Quercus glauca Thunb ········· 3

  • - 1 -

    Ⅰ. 緖 言

    가시나무류는 쌍떡잎 식물 참나무속 참나무과의 상록성 교목으로서

    도토리를 맺는다는 점에서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등과 다를 바

    가 없으며 이들을 모두 함께 참나무속이라고 하는데 그 중 상록성이 짙

    은 것이 가시나무아속(Cyclobalanopsis)이다. 그러나 속명은 Quercus를

    쓴다. 가시나무류에는 상록성인 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

    시나무, 돌가시나무, 졸가시나무, 털가시나무 등과 낙엽성인 떡갈나무,

    유럽떡갈나무 등이 있는데 북반구에만 200종이 분포하고 있다.

    참나무(Quercus)는 피자식물문 참나무목의 참나무과(Fagaceae)에 속

    하는 상록 또는 낙엽교목(관목도 있음)으로서 세계적으로 6속 60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안, 2001).

    가시나무의 학명은 Quercus myrsinaefolia Blume이며 참나무속 참나

    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분류되며 원산지는 한국을 포함한 일본과 중국 남

    부지역이다.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이하 지역과 전남, 경남의 해안 및

    도서지방에서 자라며 수고는 15m 줄기 직경은 50㎝ 정도이다(그림 1A).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상반부 또는 가장자

    리에 예리한 잔 톱니가 있다(그림 1B). 길이는 7~12㎝, 폭 2~3㎝로서

    측맥은 11~15쌍(보통12쌍 이상)이며 표면은 털이 없으나 녹색에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엽맥이 튀어 나와 있으며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생육환경

    은 비교적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그늘이나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내한성은 약한 편이나 내조성과 맹아력이 강하고 5℃이상에

    서 월동하고 10~25℃에서도 잘 자란다.

    종가시나무의 학명은 Quercus glauca Thunb이며 원산지는 중국, 일

  • - 2 -

    본, 대만, 히말라야, 우리나라 제주도와 완도지역에 분포한다. 제주도에

    서는 표고 600m이하의 산기슭과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는 상록활엽교목

    이며 수형은 원개형이며 수고는 15m정도로 잎이 조밀하게 나 있다(그림

    2A). 잎의 형태는 가시나무와 마찬가지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표면에

    왁스층이 발달하여 윤기가 난다(그림 2B). 생육환경은 어린나무는 반음

    지에서 잘 자라나 점차 광선요구도가 높아지며 비옥한 사질양토가 적합

    하다. 내조성과 내염성이 강하고 공해에도 잘 견디나 추위에는 약하다.

    이와 같이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는 내염성과 내조성이 강하고 겨울

    에도 길고 반들반들한 상록의 잎이 조밀하게 나 있기 때문에, 해안지방

    의 정원수나 공원의 풍치림으로 식재하거나 녹음가로수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울타리나 방풍림, 차폐림으로도 이용되고 있고

    상록가로수용이나 정원수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동시에 최근들어 약용 및 자원식물의 개발과 이용에 의한 수요 증가

    로 가시나무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가시나무의 종인(種仁), 수피(樹

    皮) 및 잎은 면자피엽(麪子皮葉이)이라 하여 약용으로도 사용된다고 하

    였다(최, 2001)

    그러나 가시나무류는 이식을 싫어하여 이식했을 때, 결주율이 높은 것

    이 가장 큰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내한성이 약하기 때문에 재배지

    역이 제한되고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엽성 참

    나무류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있는 편이나, 상록성인 가시나무류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유묘의 생육을 조사

    하여 비교하였고, 최적 이식시기와 이식 수령을 구명할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 - 3 -

    Fig 1. Tree(A) and leaf shape(B) of Quercus myrsinaefolia

    Blume

    A B

    Fig 2. Tree(A) and leaf shape(B) of Quercus glauca Thunb

    A B

  • - 4 -

    Ⅱ. 硏 究 史

    참나무는 지구의 양반구에 걸쳐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되

    어 있고, 인류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그 동안에 많은 연

    구가 이루어진 산림수종이다.

    그동안 이루어진 가시나무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엽장은

    7.8mm 엽폭은 2.8mm 과중은 1.8g 과경 18.8mm이고 횡경이 11.9mm으

    로 나타났다(안, 1998). 낙엽성 참나무의 수령에 따른 엽 형태의 변화에

    서 졸참나무는 1년생 잎의 길이와 폭이 가장 작고 수령의 증가에 따라

    잎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잎자루의 길이도 1년생이 가장 작고, 잎자

    루 길이의 비율은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이, 1999). 김 등

    (1985)은 신갈나무의 엽병이 5mm내외로 가장 짧고, 졸참나무는 5~

    15mm로 신갈나무보다 긴 편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참나무류의 종자특성과 발아율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참나무속

    3종의 종자무게는 굴참나무가 가장 컸고 졸참나무는 가장 작았으며, 발

    아율은 굴참나무가 가장 높고 졸참나무와 신갈나무가 낮았다(백 등,

    1996). 루브라참나무의 종자 발아율이 평균 80%로 양호하였고(이등,

    1995), 개갑종자인 가시오가피나무는 -1℃에서 7.3%발아한 반면 5℃에

    서는 83.4%로 매우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10℃에서는 35.4%의 저조한

    발아율을 보였다(박, 1997). 종자발아에 미치는 배양토에 관한 연구에서

    는 종가시나무는 거의 모든 배양토에서 종자의 발아율이 5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오 등 2004). Jones(1948)은 함수량 조사에서 함

    수율이 58%일 때 성숙에 도달하고 생존력을 가지며, 함수율이 30~34%

    이하일 때 생존력이 격감한다고 보고하였으며, 種子內 含水量은 주위 환

  • - 5 -

    경에 따라 변하며 종자내 다른 組成物에 대한 水分의 관계는 매우 복잡

    하며, 理論的으로 함수율은 종자내에 있는 自由水(free water)의 量으로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Tomsom, 1979) 한편, 주 등(1995)은 커피나무의

    종자 발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채종 후 일정 간격으로 파종한 결과,

    채종일로부터 가까울수록 발아율이 높았고, 멀어질수록 발아율이 현저하

    게 낮아졌다고 보고하였다.

    주요 참나무 수종의 이식후 활착율은 상수리나무가 73%, 신갈나무는

    56%, 갈참나무는 45%, 굴참나무는 41%로 보고되었다(권 등, 2003).

    한(199)은 독일가문비나무 1~2년생 묘목의 평균 활착율이 77.1~98.7%

    로 양호한 활착율을 보였다고 보고하였고, 조(1999)는 오갈피나무 묘목

    을 묘의 크기별로 이식했을 때, 본엽 2~3매일 때가 활착율이 가장 좋았

    고, 본엽 1매일 때와 4~5매일 때 활착율이 대체로 저조하다고 보고하

    였다. 또한 시기별로 이식했을 때는 4월 19일과 5월 2일에서 활착율이

    가장 높았고 그보다 일찍 이식하거나 늦게 이식하였을 때는 활착율이

    저조하다고 하였다. 감나무에서도 11월과 3월, 4월 이식했을 시, 활착율

    이 97%로 가장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송 등 1997).

    침엽수의 이식시기에 관해서는 春期植栽는 4월 중하순 완료되어야 하

    며, 夏期植栽는 일반적으로 피하는 것이 안전하나 잣나무, 편백, 히말리

    아시다 등은 장마기간에 식재하되 묘목관리와 운반에 주의해야 하며, 秋

    期植栽는 낙엽이 시작되는 시기인 9월 하순에서 11월 중순경까지 끝마

    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하였다(마, 1982).

    종자번식외에 다른 번식방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임

    등(1965)은 참나무류는 삽목 또는 취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성적이

    좋은 편이 못되므로 그다지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문 등

    (1991)은 상수리나무를 삽목 번식하고자 할 때, 삽수의 길이를 15cm로

  • - 6 -

    했을 때, 발근율과 뿌리발생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삽수에서 잎을 제거

    하는 것 보다는 잎을 그대로 두는 것이 발근율과 부정근수 및 뿌리 신

    장을 촉진시킨다고 하였다. 동시에 삽수의 절단위치와 발근율은 밀접한

    관련을 보였는데, 4번째 절간까지는 삽수의 길이가 길수록 발근율이 증

    가했다고 보고하였다.

    상수리나무 1년생 실생묘의 기내 액아 배양에서 신초(shoot)를 삼등분

    (상,중,하)하여 기내에 식재했을 때, 신초유도는 하, 중, 상부의 순으로

    양호했고, 반대로 발근율은 상․중․하부순이었다(문 등, 1987)

    참나무 잎의 사료 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CP)에서 갈참나무 잎이

    14.6%로 가장 높았고, 굴참나무 잎이 12.0%로 가장 낮았으며, 조섬유

    (CF)함량은 떡갈나무 28.6%와 굴참나무 27.5%로 높았던 반면 상수리나

    무는 23.4%, 갈참나무 잎은 23.5%로 낮은 수준이었다. 채식 기호성은 상

    대적으로 다른 수목의 잎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서 기호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되었다(이 등, 1993).

    이와 같이 기존 작물에 관한 특성과 이식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자생

    산림 수종에 관한 연구는 대체적으로 적은 편이였고, 가시나무류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므로 앞으로 산업화에 관한 기초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

    루어 지리라 기대한다.

  • - 7 -

    Ⅲ. 材料 및 方法

    본 實驗은 경남 진주시 칠암동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實習圃場에

    서 2004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수행되었다.

    1.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種子特性과 發芽 및 幼苗生育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종자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진주산업대학교

    포장에 있는 성묘로부터 2005년 10월에 종자를 채종하였다. 조사항목으

    로는 종자 길이와 폭 그리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발아율을 보기 위해 상기와 같이 채종한 종자를 포장에 파종상을 만

    들고 20개씩 3반복으로 직파하였다. 발아율은 파종 6개월 후인 2006년 4

    월에 調査하였다. 發芽는 子葉을 內包하고 地表面上에 충분히 露出된 상

    태를 발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유묘의 생육특성에 관한 실험은 2004년 10월에 파종하여 다음해 4월

    부터 발아하여 1년 동안 생육한 유묘를 이용하였다. 생육조사는 지상부

    와 지하부로 나누어 조사하였는데, 지상부에서는 초장, 생체중, 엽수, 지

    접부경과 잎의 特性(葉長, 葉幅, 葉柄長, 葉重)을 조사하였고, 地下部로는

    根長, 根莖, 根數, 根重을 調査하였다. 調査基準은 農村振興廳 農業科學

    技術硏究調査分析基準에 의하였다.

    2. 이식시기와 적엽이 활착 및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이식시기가 활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5년 3월부터

    발아하여 1년이 경과한 1년생 묘를 2006년 4월2일과 5월2일 그리고 6월

  • - 8 -

    2일 3회로 나누어 이식하였다. 매회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를 120주씩

    굴취하여 경남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농가포장에 이식하였다. 이식 시

    적엽의 유무가 가시나무의 이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120주 중에

    60주(20주씩 3반복 난괴법)는 잎을 전부 따내고(적엽) 식재하였으며, 생

    육조사는 같은 해 10월에 수행하였다

    調査項目은 活着率과 移植苗의 생육정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활착율

    은 고사된 묘를 제외한 묘의 수를 이식 전체 묘수의 100분율로 나타내

    었다. 또한 移植苗의 생육정도는 이식 후에 수고와 줄기직경(지접부), 그

    리고 뿌리길이(근장)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식 후 새로 자란 신초의 길

    이(신초장), 신초직경(신초경), 엽수를 조사하였다.

    3. 수령 및 전정이 이식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수령에 따른 이식활착 및 생육을 알아보기 위해 2006년에 4월에 가시

    나무와 종가시나무의 1년생, 3년생, 5년생 묘목을 60주씩(20주씩 3반복)

    굴취하여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농가 포장에 이식하였다. 동시에 전정의

    유무가 이식 활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령별로 60주씩(20

    주씩 3반복)을 전정을 하고 이식하였다. 전정은 1년생의 경우는 적엽(잎

    을 따냄)으로 대신하였고 3년생과 5년생 묘는 정단부에서 10-20cm 정도

    묘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였다. 이식 후 활착 및 생육조사는 같은 해 10

    월에 수행하였다.

    생육조사는 이식 후 새롭게 자란 부위(신초)의 길이(신초장)와 두께(신

    초경), 그리고 엽수를 조사하였고, 잎의 길이(엽장)와 폭(엽폭)도 조사하

    였다.

  • - 9 -

    Ⅳ. 結 果 및 考 察

    1.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種子特性과 發芽率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종자특성 및 발아율은 표 1과 같다. 종가시

    나무와 가시나무의 종자는 長打圓形을 이루고 있었으며, 종자의 重量은

    가시나무가 1.6g 종가시나무가 1.2g으로 가시나무가 약간 무거운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자의 길이와 직경에서도 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약간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식물에서 발아율은 92%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김(1985)의 단풍

    나무 채취시기별 종자의 발아에서 10월 10일에 채취한 종자가 가장 높

    은 73%의 발아율을 보였고, 이 등(1995)도 루브라참나무의 종자 발아율

    이 평균 80%로 양호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어, 참나무류의 종자발아율은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seed and germination in Q. glauca

    Thunb and Q. myrsinaefolia Bl

    SpeciesLength

    (mm)

    Diameter

    (mm)

    Weight

    (g)Shape

    Germination

    (%)

    Q. glauca

    Thunb18.3±0.06

    z)10.9±0.04 1.2±0.03 ellipse 96.5±1.99

    Q. myrsinaefolia

    Bl19.1±0.14 11.9±0.07 1.6±0.05 ellipse 92.3±7.70

    z)Mean ± SE

  • - 10 -

    2.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유묘생육 특성

    표 2, 3은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를 2004년도 10월에 파종하고 2005년

    봄에 발아시켜 약 1년 정도 성장한 유묘의 생육조사를 수행한 결과이다.

    표 2와 같이,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 유묘생육에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

    았다. 초장에서 가시나무 15.1cm 종가시나무 16.3cm 거의 동일하였으며,

    마디수도 5.3개와 5.4개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地

    上部 생체중은 종가시나무가 3.5g으로 가시나무 2.8g보다 0.7g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고, 줄기직경(地接部莖)에서는 종가시나무가 3.5mm, 가시

    나무가 3.0mm로 가시나무가 0.5mm 적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종

    가시나무가 가시나무보다 생육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Growth of the seedlings in Q. myrsinaefolia Bl and

    Q.glauca Thunb

    SpeciesNo. ofnode

    Plant height(cm)

    Weight ofabove part(g)

    Stemdiameter(mm)

    Q. myrsinaefolia Bl 5.4±0.37z)

    15.1±1.28 2.8±0.36 3.0±0.08

    Q. glauca

    Thunb5.3±0.29 16.3±1.05 3.5±0.32 3.5±0.18

    z) Mean ± SE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잎의 생육특성은 표 3에 나타내었다. 葉數는

    종가시나무가 15.1매 가시나무가 11.2매로 가시나무보다 종가시나무가

  • - 11 -

    3.9매 많아 종가시나무 쪽이 생육이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러나 잎의 크기는 가시나무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엽장에 있

    어 가시나무가 74.8mm로 종가시나무의 56.6mm보다 18.2mm나 길었다.

    그러나 葉幅은 종가시나무가 23.4mm, 가시나무 22.8mm로 두 식물간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葉柄長은 종가시나무가 4.5mm로 가시나무가

    3.6mm 보다 0.9mm긴 것으로 나타났고, 葉重도 가시나무가 0.26g로 종

    가시나무의 0.18g보다 0.08g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

    시수의 유전적 특성의 차이일 것으로 사료되며, 일반적인 경우 가시나무

    의 잎보다 종가시나무의 잎이 광엽이고 거치가 많은 경우도 있다.

    Table 3. Characteristics of leaves in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SpeciesNo. ofLeaf

    Leaflength(mm)

    Leafwidth(mm)

    Petiolelength(mm)

    Leafweight(g)

    Q. myrsinaefolia

    Bl11.2±0.73

    z)74.8±0.21 22.8±0.88 3.6±0.05 0.26±0.01

    Q. glauca Thunb 15.1±0.96 56.6±1.14 23.4±0.63 4.5±0.25 0.18±0.01

    z)Mean ± SE

    표 4는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 유묘의 뿌리 발육에 관한 결과이다. 먼

    저 뿌리수에 있어 가시나무가 10.4개, 종가시나무 10.7개로 거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根長도 가시나무 22.6cm, 종가시나무 22.2cm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根莖은 가시나무 4.2mm 종가시나무 4.5mm로 역시 비

    슷하게 나타났고, 根重은 가시나무가 3.4g 종가시나무가 3.7g로 역시 비

  • - 12 -

    슷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종가나무가 가시나무에 비해

    地下部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보여졌다. 이러한 결과는 지상부 생육에도

    영향을 미쳐 종가시나무가 가시나무보다 지상부 생육이 약간 빠른 것으

    로 판단되었다.

    Table 4. Root growth in the seedlings of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Species No. of rootRootlength(cm)

    Rootdiameter(mm)

    Rootweight(g)

    Q. myrsinaefolia Bl 10.4±0.93z)22.6±0.36 4.2±0.10 3.4±0.31

    Q. glauca Thunb 10.9±1.41 22.2±0.63 4.5±0.16 3.7±0.35

    z)Mean ± SE

    3. 이식시기와 적엽이 활착 및 이식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이식시기를 4월, 5월, 6월로 달리하고 적엽을 했을 때 이식묘의 활착

    율 차이는 표 5와 같다. 전체적으로는 적엽의 유무와 상관없이 이식시기

    가 빠를수록 활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월 2일 이식을 했을 때,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활착율이 80~90% 범위였으나, 이식시기가 늦

    어짐에 따라 활착율이 많이 떨어져 6월 2일 이식하였을 때 활착율은 품

    종과 적엽의 유무와 상관없이 60%대에 머물렀다.

    적엽의 영향은 이식시기의 영향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적

  • - 13 -

    엽을 하고 4월 2일 이식했을 시, 적엽을 하지 않은 구보다 가시나무는

    5% 종가시나무는 8% 정도 활착율이 떨어졌다. 6월 2일 적엽을 하고 이

    식을 했을 때는 활착율이 60~63%정도로 품종과 이식 시기에 상관없이

    거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식시기가 빠를수록 활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는 오갈피 나무의 이식 연구(조, 1999)에서 4월 중순에서 5월 초순까지

    이식했을 때, 활착율이 가장 높았고 그보다 이르거나 늦으면 활착율이

    감소한다고 보고된 내용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ion on the rooting

    of Quercus species

    Species Defoliation

    Rooting (%)

    Transplanting date

    Apr. 2 May 2 Jun. 2

    Q. myrsinaefolia Bl

    Cont. 86.7±1.20z)83.3±0.88 63.3±1.20

    Defoliation 81.7±1.45 80.0±1.73 61.7±0.33

    Q. glauca Thunb

    Cont. 91.7±1.20 81.7±0.08 61.7±1.45

    Defoliation 83.3±0.33 75.0±1.15 60.0±1.73

    z)Mean ± SE

    또한 예비 실험에서도 3월에서 5월까지 이식했을 때 활착율이 85~

    95%로 높게 나타났고, 8월에서 12월까지 이식한 경우에는 73%에서

    20%로 낮은 활착율을 나타냈다. 이식을 늦게 할수록 활착율이 급격히

  • - 14 -

    저하한 이유로는 가시나무가 저온에 약한 특성을 가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식시기와 적엽이 가시나무 이식 후 식물의 초장과 줄기직경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비록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으나, 이식시기가 빠를수록 수치상으로는 초장이 크고 줄기는

    굵은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가시나무에서 4월2일 이식한 경우 초장은

    18.1cm 였고, 줄기직경은 3.8mm였다. 그러나 6월2일 이식했을 때, 초장

    은 16.9cm였고, 줄기직경은 3.5mm로 감소하였다. 종가시나무의 경우에

    는 4월 2일 이식했을 때, 초장이 19cm였고 줄기직경은 4.1mm였다. 반면

    6월2일 이식한 경우에는 초장이 18cm, 줄기직경은 3.7mm로 약간 감소

    하는 경향이 보였다.

    이식 전에 적엽을 하지 않은 경우가 적엽을 했을 때 보다, 전반적으로

    초장과 줄기직경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적엽을 한 가시나무를 4월 2일

    이식했을 경우 17.8cm로 적엽을 하지 않았을 때인 18.1cm와 0.3cm 정도

    의 차이가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 2 품종에서 동

    일하게 나타났다.

    송 등(1997)은 감나무 1년생 묘목을 시기별로 이식한 결과, 11월 하순

    에 이식했을 시 초장이 91.3㎝, 줄기직경은 14mm로 생육이 가장 왕성했

    고, 3월 하순에서 4월 하순에 걸쳐 이식했을 때 초장 71.5~73.6㎝, 줄기

    직경은 12~13mm로 생육이 많이 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우리의 실험결과와 상반되는 경향으로 아직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

    지만, 감나무는 낙엽성인 반면, 가시나무는 상록성이고 저온에 약한 것

    이 그 원인일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 - 15 -

    Table 6. Effect of defoliation and transplanting date on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in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SpeciesDefol-

    iation

    Plant height(cm) Stem diameter(mm)

    Transplanting date Transplanting date

    Apr.2 May.2 Jun.2 Apr.2 May.2 Jun.2

    Q.myrsinae-folia Bl

    Cont. 18.1±0.68z)17.7±0.72 16.9±0.98 3.8±0.15 3.6±0.22 3.5±0.75

    Defol-iation

    17.8±0.60 17.2±0.49 16.7±0.81 3.7±0.42 3.6±0.18 3.4±0.08

    Q. glaucaThunb

    Cont. 19.0±0.78 18.9±1.12 18.0±1.05 4.1±0.20 3.9±0.32 3.7±0.34

    18.3±0.46 17.9±0.88 4..3±1.04 4.0±0.74 3.9±0.02Defol-iation

    18.5±1.54

    z)Mean ± SE

    표 7은 가시나무의 이식시기와 적엽이 이식 후 신초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신초의 생육은 이식시기가 빠를수록 빨랐고, 이

    식시기가 늦을수록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월 2일과 5월2일에 이

    식하는 것이 6월2일에 이식하는 것 보다 훨씬 생육이 좋은 것으로 나타

    났다. 4월2일에 이식했을 시, 신초장 29.5mm 신초경 1.6mm 그리고 엽

    수가 4.9매였으나, 6월2일 이식했을 때는 신초장 17.6mm, 신초경은

    1.3mm 그리고 엽수 3.5매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적엽을 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나, 4월2일 이식구에서 신초장 25.9mm 신초경

    1.4mm로 나타났고, 6월2일 이식구에서는 신초장 15.3mm 신초경 1.2mm

    로 크게 감소하였다.

    가시나무 이식 시 적엽을 했을 때, 적엽을 하지 않은 구 보다 신초장,

    신초경 그리고 엽수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4월2일

  • - 16 -

    이식한 경우, 적엽을 한 구에서 신초장이 25.9mm로 적엽을 하지 않은

    구 29.5mm 보다 3.6mm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신초경과 엽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 적엽구에서 신초경 1.4mm로 적

    엽하지 않은 구 1.6mm보다 0.2mm 정도 낮게 나타났다.

    Table 7.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ion on the growth of

    newly developed shoot after transplanting in Q.myrsinaefolia Bl

    Defoliation ItemTransplanting date

    Apr. 2 May. 2 Jun. 2

    Cont.

    Shoot length(mm) 29.5±1.79z)25.1±4.70 17.6±1.02

    Shootdiameter(mm)

    1.6±0.06 1.5±0.02 1.3±0.01

    No. of Leaf 4.9±0.11 4.4±0.58 3.5±0.40

    Defoliation

    Shoot length(mm) 25.9±3.71 20.5±1.16 15.3±1.75

    Shootdiameter(mm)

    1.4±0.15 1.4±0.01 1.2±0.04

    No. of Leaf 4.3±0.52 4.2±0.26 3.3±0.10

    z)Mean ± SE

    표 8은 종가시나무의 이식시기와 적엽이 이식 후 신초의 생육에 미치

    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신초의 생육은 이식시기가 빠를수록 빨랐고,

    이식시기가 늦을수록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월 2일과 5월2일에

    이식하는 것이 6월2일에 이식하는 것 보다 신초생육이 훨씬 좋은 것으

    로 나타났다.

    4월 2일 이식했을 시, 신초장 26.5mm 신초경 1.5mm 그리고 엽수가

  • - 17 -

    4.3매였으나, 6월2일 이식했을 때는 신초장 16.9mm, 신초경은 1.4mm 엽

    수 3.8매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적엽을 한 경우에도 동일하

    게 나타나, 4월2일 이식 구에서 신초장 21.6mm 신초경 1.4mm 엽수는

    4.1매였으나, 6월2일 이식 구에서는 신초장 15.5mm 신초경 1.3mm 엽수

    가 3.8매로 크게 감소하였다.

    적엽이 종가시나무 유묘의 이식에 미치는 영향은, 적엽을 했을 때 적

    엽을 하지 않은 구 보다 신초장, 신초경 그리고 엽수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4월2일 이식한 경우, 적엽을 한 구에서 신초장

    이 21.6mm로 적엽을 하지 않은 구 26.5mm보다 4.9mm 정도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신초경과 엽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

    적엽 구에서 신초경 1.4mm로 적엽하지 않은 구 1.5mm보다 0.1mm 정

    도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가시나무나 종가시나무 1년생 유묘를 이식하고자 할

    경우, 이식 시기는 4월초가 적당하며 적엽을 하지 않고 이식하는 것이

    이식 후 유묘의 생육에 더 양호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 - 18 -

    Table 8.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ion on the growth of

    newly developed shoot after transplanting in Q. glauca Thunb

    Defoliation Item

    Transplanting date

    Apr. 2 May 2 Jun. 2

    Cont.

    Shoot

    length(mm)26.5±6.20

    z)25.9±3.89 16.9±1.53

    Shoot

    diameter(mm)1.5±0.16 1.5±0.08 1.4±0.10

    No. of leaf 4.3±0.08 4.2±0.65 3.8±0.51

    Defoliation

    Shoot

    length(mm)21.6±7.28 20.1±1.18 15.5±1.44

    Shoot

    diameter(mm)1.4±0.08 1.4±0.03 1.3±0.07

    No. of leaf 4.1±0.81 3.9±0.05 3.8±0.10

    z)Mean ± SE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이식시기를 달리하여 이식했을 때, 뿌리의

    생육정도는 표 9와 같다. 근장, 뿌리수 그리고 근경 모두 이식시기가 빠

    를수록 양호한 경향이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특히 가시나무와 종

    가시나무간의 차이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가시나무의 경우 4월 이식구

    근장(根長)은 25.9mm로 6월 이식구 23.3mm보다 2.6mm 정도 컸다. 뿌

    리직경에서 4월 이식구가 5.5mm로 6월이식구 5.0mm보다 약 0.5mm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뿌리수는 4월 이식구에서 30.2개로 6월 이식구

    21.3개보다 약 9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엽이 가시나무 이식후 뿌리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은 근장, 근경, 뿌

    리수 모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종가

  • - 19 -

    시나무에서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지상부 생육에서는 4,5월 이식구보다 6월 이식구가 현저하게 떨어졌는

    데, 지하부에서는 지상부와 같이 큰 차이가 보이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이식 후 지상부 생육이 시작되기 전에 지하부 활착이 먼저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 등(1995)은 찔레의 이식시기와 묘의 굵기가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근장이 길고 근수가 많으면 뿌리 생육이 왕성하

    고 6월 이식보다는 4, 5월 이식에서 세근의 발육이 월등히 좋은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가시나무도 6월 이식보다는 4, 5

    월에 이식을 하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9.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and defoliaton on the root

    growth of Q. myrsinaefolia Bl and Q. glauca Thunb

    Defol-iation

    Root length (cm) No. of rootRoot diameter

    (mm)

    Apr.2 May2 Jun.2 Apr.2 May2 Jun.2 Apr.2 May2 Jun.2

    Q. myrsinaefolia Bl

    Cont. 25.9±0.6z)23.8±1.1 23.3±0.8 30.2±1.3 23.5±0.9 21.3±1.2 5.5±0.4 5.2±0.1 5.0±0.1

    Defol-iation 24.3±0.4 23.7±1.5 23.2±0.5 36.4±2.5 25.2±3.0 22.4±2.0 5.7±0.3 5.4±0.3 5.1±0.4

    Q. glauca Thunb

    Cont. 25.9±0.7 24.3±1.1 23.6±1.3 35.5±3.0 26.5±4.1 23.1±1.3 5.5±0.2 5.2±0.2 4.9±0.3

    Defol-iation 23.9±0.8 23.5±0.4 23.0±1.2 36.9±4.0 26.5±1.8 21.5±1.3 5.8±0.3 5.3±0.2 5.0±0.3

    z)Mean ± SE

  • - 20 -

    4. 수령 및 전정이 가시나무의 이식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가시나무의 이식 시 수령과 전정이 활착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

    과는 표 10과 같다. 전정을 하지 않고 이식을 했을 때, 수령에 관계없이

    활착율이 85~86.7% 범위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정을 했을 경우에도

    수령에 관계없이 78.3~81.7% 범위로 활착율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같은

    수령에서 비교해 볼 때, 전정을 한 구가 전정을 하지 않은 구보다 활착

    율에서 5~8%정도 떨어졌다.

    마(1982)는 침엽수의 이식시기별 활착 특성과 이식 적기에 관한 연구

    에서 4년생 잣나무가 70% 이상의 활착율을 보였고, 2년생 편백 및 가문

    비나무는 60%이하의 활착율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차이는

    이식 후 활착 정도는 수종에 따라 현저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

    미한다고 보인다.

    Table 10. Effect of seedling's age and pruning on the rooting after

    transplanting in Q. myrsinaefolia Bl

    Age of

    seedlings(year)Pruning and defoliation Rooting(%)

    5Cont. 86.7±1.20

    z)

    Pruning 78.3±0.88

    3Cont. 85.0±2.08

    Pruning 80.0±1.53

    1Cont. 86.7±1.20

    Defoliation 81.7±1.45

    z)Mean ± SE

  • - 21 -

    표 11에는 가시나무의 수령과 전정이 신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령에 따른 신초의 신장에는 큰 차이가 보였

    다. 특히, 1년생 묘에서는 약 2.8cm 밖에 신장하지 않았으나, 3년생과 5

    년생에서는 각각 약 12.5cm, 14.5cm가 새롭게 신장한 것으로 나타나, 1

    년생과 3년생 이상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신초 직경과 엽수에 있어서는 수령이 증가할수록 같은 정도의 비율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초직경에서 1년생 묘는 약 1.5mm, 3년생

    묘에서는 2.1mm, 5년생묘에서는 3.2mm 차츰 증가하였다. 엽수에 있어

    서는 1년생부터 5년생 묘 순서로 약 4.5장, 7장, 그리고 12장이였다.

    수령별로 전정을 하여 이식을 하고 생육을 비교했을 때, 1년생 묘에서

    는 적엽을 한 구에서 적엽을 하지 않은 구보다 신초장, 신초경, 엽수에

    서 약간 감소하였다. 그러나 3년생과 5년생 묘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전

    정을 수행한 구가 전정을 하지 않은 구보다 신초장, 신초경, 엽수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를 이식하

    고자 할 때, 시기는 4월초가 가장 좋으며, 수령은 1년생보다는 3년생과

    5년생이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적엽과 전정은 불필요한 것으

    로 판단되었다.

  • - 22 -

    Table 11. Effect of seedling's age and pruning on the growth of newly

    developed shoot after transplanting in Q. myrsinaefolia Bl

    Age of

    seedling

    (year)

    Pruning and

    defoliation

    Shootlength(cm)

    Shootdiameter(mm)

    No. of leaf

    5Cont. 14.6±1.78

    z3.2±0.07 11.6±0.88

    Pruning 14.9±1.53 3.1±0.30 12.8±1.31

    3Cont. 12.1±0.30 2.1±0.10 6.2±0.23

    Pruning 13.1±0.81 2.2±0.03 8.3±0.68

    1Cont. 3.0±0.17 1.6±0.06 4.9±0.11

    Defoliation 2.6±0.37 1.4±0.15 4.3±0.52

    z)Mean ± SE

  • - 23 -

    Ⅵ. 摘 要

    상록수인 가시나무(Quercus myrsinaefolia Blume)와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자생하는 수종으로,

    최근 가로수와 정원수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수

    종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수종

    들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육 특성 그리고 이식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

    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가시나무와 가시나무의 종자는 장타원형이였으며, 발아율은 두 수

    종 모두  92%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수종의 유묘 생육 속도는

    종가시나무가 가시나무보다 약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년생 묘를 4월에서 6월에 걸쳐 시기별로 이식했을 때, 4월 이식에

    서 활착율이 80%~90%범위로 가장 높았고, 이식시기가 6월로 늦어질

    수록 활착율이 떨어져 60%에 그쳤다. 또한 이식 시 적엽을 한 경우가

    적엽을 하지 않는 구보다 활착율과 생육이 감소하였다.

      수령(1년생, 3년생, 5년생)에 따른 활착율은 85~86.7% 범위로 수령

    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식 시 전정을 한 경우는 전정을 하지

    않은 구보다 활착율이 5~8% 정도 감소하였다. 이식 후 신초의 생육

    정도는 1년생은 3cm, 3년생은 12.1cm, 5년생은 14.6cm로 큰 차이가 보

    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를 이식하고자 할

    때, 수령은 1년생보다는 3년생과 5년생이, 이식 시기는 4월초가 가장

    좋고 적엽이나 전정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 24 -

    Ⅵ. 參考文獻

    권기원, 최정호, 송호경, 강병식(2003). 임분내 광환경의 차이에 따른

    주요 참나무 수종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임

    산에너지학회. 22(3).20~28.

    김남철(1985), 단풍나무(Acer Palmatun Thunb.)종자의 숙기 및 발아생

    리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3~14.

    김지문, 권기원, 문흥규(1985). 참나무 천연집단의 엽형변이. 한국임학회

    지. 71:82~89.

    마상규(1982). 침엽수 식재시기별 활착특성과 식재적기에 관한 연구. 한

    국임학회지. 58:34~40.

    문흥규 김재헌, 박재인(1987). 상수리나무 기내 Axillary Bud의 치상부

    위에 따른 多莖 및 發根誘導 효과. 한국임학회지 76(4):370-375.

    문흥규, 박유헌, 이귀연, 이병실(1991). 상수리나무 유묘의 삽목발근에

    영향하는 삽수길이, 절간위치, 엽의 절단형태 및 Blanching처리 효과.

    임육연보 27:80-84.

    문흥규, 이구연, 박문한, 황석이(1989). 참나무類 秀形木 27家系의 種實

    變異. 임육연보 25:193~197.

  • - 25 -

    박호기(1997).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의 形態 發

    芽 및 生育特性.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49~50.

    백명수, 조도순(1996). 참나무속 3종의 유식물 정착과 생장의 비교에 대

    한 실험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19(2) pp.125~139.

    송인규, 정연선, 류정아, 조두현(1997). 묘목의 식재시기와 굴취 후 관

    리가 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경북농촌진흥원 상주감시험장.

    pp.268~269

    안상열, 박상현, 채윤석(1998). 도토리 과수화 가능 수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연구논문. 11:113~119.

    안상열(2001). 참나무科 식물의 接木活着條件 및 接木親和性에 관한 硏

    究 경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8~11.

    오광인, 김종영, 장석기, 김정오, 이돈구(2004). 참가시나무와 종가시나

    무의 분묘생산에 필요한 적정 배양토 구명. 한국임학회지. pp.115~

    117.

    이인덕, 이중해, 이형식(1993). 참나무 수엽의 사료 가치 연구. 한국초지

    학회 13(3). 221~227.

    이재천 한영창, 류근옥(1995). 루브라참나무 20개 산지간 생장비교. 임

    육연보 31:20-29.

  • - 26 -

    李廷鎬. 橋詰隼人. 權琦遠(1999). 낙엽성 참나무의 葉 및 毛茸 形態의

    수령에 따른 변이. 한국임학회지. 88(1):11~17

    任慶彬(1965). 有用植物繁殖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729~730.

    조선행(1999). 오갈피나무의 育苗移植栽培에 따른 生育特性. 藥作

    誌.7(1):22~26.

    주문갑, 윤성택, 손석용(1995). 커피종실의 수확후 파종기와 상토종류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국제농업개발학회지 7(1):47~52.

    최진규(2001). 약이되는 우리풀 꽃 나무 2. 한문화. pp.109~118.

    한영창(1992). 7개 시험지역에서의 독일 가문비나무 산지간 생육특성변

    이. 韓育誌(Korean J. Breed). 26(1):1~12.

    한윤열, 심용구, 송인규, 윤재탁, 최부술(1995). 찔레의 파종 및 이식시

    기 묘의 굵기가 장미 아접묘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북농

    촌진흥원 농업논문집 37(2):432~437.

    J. R. Thomson (1979). An introduction to seed technology. Halsted

    Press, pp. 212~218.

    The Forest service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48).

    Woody plant seed manual, pp.1~8.

  • - 27 -

    Wang, C.J., S.Q. Chang, F.T. Wang, and P. Jiang. (1983). trials

    on the propagation of Quercus mongolica with cuttings. Forest Sci.

    and Technol. No. 11:2~3.

  • - 28 -

    Studies on the Growth of Seedlings and Transplanting in

    Quercus myrsinaefolia Blume and Q. glauca Thunb

    Jae Choon, Park

    Departmen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Jin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 Sang Yeol, Ahn)

    Abstract

    Quercus myrsinaefolia Blume and Quercus glauca Thunb,

    indeciduous trees, are native in south area of Korea. Recently,

    requirement for these plants are increasing as trees lining a street

    and garden trees. However, studies about these plants are very few.

    In this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the growth of

    seedlings and transplanting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followings.

    Seed shape was long ellipse and germination rate were over 92%

    in the 2 plants. Growth of seedling was faster in Quercus glauca

    Thunb than in Quercus myrsinaefolia Bl. When the seedlings of 1

    year age were transplanted at Apr. 2 - Jun.2, rooting rate were

  • - 29 -

    about 90%, the highest, at Apr.2 and decreased up to 60% as

    transplanting date was late. Defoliation before transplanting decreased

    the rate of rooting and the growth of seedling after transplanting.

    When seedlings of 1 year, 3 year and 5 year ages, rooting rate

    was a range of 85 - 86.7% indica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Pruning before transplanting reduced root rate about

    5-8% compare with non pruning. The growth of new shoot after

    transplanting were 3cm, 12.1cm and 14.6cm respectively in 1 year, 3

    year and 5 year ages.

    As the results, 3 years and 5 years seedling were better than 1

    year seedling and beginning of Apr. was best date for transplanting

    of Quercus myrsinaefolia Blume and Quercus glauca Thunb. At the

    same time, it was suggested that treatments such as pruning and

    defoliation were not helpful to improve transplanting rate in these

    plants.

  • - 30 -

    감사의 글

    작은 꿈들이 꿈으로 남지 않고, 희망으로 남을 수 있도록 끝까지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본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지도와 격려를 해 주신 안상열 지도교수님

    과 논문심사를 맡아 제반 내용을 시종일관 세밀하게 지적해 주시고

    도와주신 윤재길 교수님께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과정동안 중도에서 포기하지 않고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강호종 교수님, 채윤석 교수님, 이상우 교수님, 최경옥 교

    수님, 박상현 교수님, 신만기(2004년 퇴임)․정선희 조교선생님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원만히 실험을 수행하도록 도와주신 산업대학교 원예학과 포장에

    근무하시는 김동식․김영근선생님, 대학원 입학 동료인 김재현 선생

    님, 후배인 최한수님,그리고 현지포장을 임대해 주신 산청군 단성면

    묵곡 참나무농원 안상봉사장님께도 감사 드립니다. 특히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학업을 계속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신 진주시

    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시다가 퇴임하신 임채권 소장님, 김규환 농업

    기술센터 소장님, 정광호 농정기획과장님,정맹화 농산물유통과장님,

    이인도 기술보급과장님, 김영도 녹지과장님, 강계중 집현면장님, 예

    권해 식량작물계장님, 김근규 농정기획계장님, 구본권 녹지관리계장

    님, 김근출 계장님, 이천식․신현상 지도사님, 동료직원인 허현철․임

    채용․진권희․임우진님, 그 외 농업기술센터 동료 직원 여러분의 도움

    으로 이 논문을 마칠 수 있었음을 고맙게 생각합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아낌없는 사랑을 주시고 버팀목이 되어주신 어머

    니, 다섯형제 내외분, 그리고 2006년 7월 불의로 사고로 발목 수술

    후 치료중인 아내와 아이들(박지은, 박수진, 박가은)에게도 고마움

    과 사랑한다는 말을 전하며, 항상 저를 아껴주시고 삶에 도움이 되

    어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드립니다.

    2007년 2월

    朴 在 春 드림

    目次LIST OF TABLESLIST OF FIGURESⅠ. 緖言Ⅱ. 硏究史Ⅲ. 材料 및 方法Ⅳ. 結果 및 考察1.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種子特性과 發芽率 2. 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유묘생육 특성3. 이식시기와 적엽이 활착 및 이식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4. 수령 및 전정이 가시나무의 이식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Ⅴ. 摘要Ⅵ.參考文獻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