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20141210융합형 중개·임상연구 인력양성방안

중개·임상연구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htforum.mlive.kr/20141210/pdf/03.pdf중개 · 임상연구 전문인력 부족 미충족 의료수요 해결을 위한 개방형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14년 12월 10일

안 덕 선

융합형 중개·임상연구

인력양성방안

바람직한 연구자

내가 만약 연구자(과제) 선정 결정의 권한을 갖고 있다면?

어떤 연구를 기대하는가?

어떤 연구자를 원하는가?

검증된 연구능력

인격적으로 출중

투명, 정직

연구윤리 이해와 준수

훌륭한 발견, 그러나 실용성결여?

Nice to know, but it is useless

사회적 이용에 대한 통찰력

바람직한 연구자

연구결과로 사회적 이득

연구결과가 실용과 진보

연구결과의 적용 안전성

건전한 상업화, 산업화 가능

창조경제 이바지

바람직한 연구자

의학 연구의 특성

순수기초연구

특정한 목적이 없음 과학적 탐구 자유연상 사고 Ego-centric relation 단독공방(lab, bench) 독립적 분절적

중개ㆍ임상연구

특정 임상목적 존재 치료제, 방법, 신약 개발 연구의 사회적 규범 존재 Social interaction 연관 체계(system) 융합적 통합적

산출(Output)위주 연구의 폐해

정량적 산출위주

낮은 인용지수

연구를 위한 연구

교실/기관 생존형 연구

중복연구, 기존 실패연구 반복

연구의 공공성 결여

대부분 결과 발표 후 사장

연구문화 비판

2 만여 질환 중 500여 개 치료가능

연구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제기

연구의 사회적 책무성 강조

기존 연구문화의 폐쇄성

대학병원의 미미한 교학기능

임상과 기초 연구의 분절화

성과지향적 연구자 양성

Output(산출) vs Outcome(성과)

연구결과 산출은 되나 성과는 없다?

순수기초연구의 가치도 중요

천문학의 발전이 수소폭탄개발로

산출지향성 연구와 성과지향성 균형발전

진료현장에서 문제점을 연구주제화

임상연구주제의 통합적, 체계적 접근

중개임상연구의 필요성 증대

중개임상(병진) 연구자

폐쇄적 산출위주연구자

성과바탕 연구촉진자

연구문화변화

사회적 연구성과

계몽적 행정•교육

중개·임상연구 전문인력 부족 미충족 의료수요 해결을 위한 개방형 중개∙임상연구 전문가 부족 선진국의 경우 인력양성에 막대한 투자 · 미국 NIH CTSA 인력양성과정 : 총 약 4억 6천만 달러를 62개 컨소시엄 지원(2013년 기준) · 미국 국민 1인당 약 1.5달러씩 지원 추정

바람직한 중개∙임상연구자 중개∙임상연구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 연구 결과가 의료와 사회의 변화 유도 연구 설계, 기법, 윤리, 관리, 리더십 등

다양한 역량보유 기초와 임상의 연결로 연구의 성과지향

(산업화, 상업화)

창조경제와 인재양성 필요성

창조경제와 중개임상연구

융합적, 개방적 시각의 연구자

임상, 기초를 통괄하는 연구자 필요

Bench to Bed, Bed to Bench 개념필요

성과(outcome)바탕 연구로 의료의 변화추구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으로 연구문화 변화 필요

연구자의 사회적 시각과 통찰력 배양

통합적 능력:

Communication skill, Ethics, Management,

Teamwork, Leadership, Professionalism, etc

The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Awards (CTSA)

Program

- NIH’s General Clinical Research Center Program 40년 지속

- CTSA로 2006년 시작 12 sites, 현재 62 sites

미국의 중개임상연구자 양성

- 2006-2011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Resources

- 2012 NCATS

(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 Individual CTSAs: funded

through 5-year cooperative

agreements

계몽적 행정: 미국사례

CTSA는 장학사업(전문의 석,박사학위지원), 교육과정개발, 교수개발, 행정인력개발 지원

CTSA 장학금 수혜자, 기관은 센터를 통하여 모든 자원 공유 장∙단기 훈련과정, 세미나, 워크숍 연구를 위한 장비, 데이터 임상연구 전문가의 협조와 자문 임상연구를 위한 행정적 절차 지원 Pilot 연구를 위한 연구비 지원

KL2 Mentored Clinical

Research Scholar Program

M.D., Ph.D/equivalent Formal research

training experience Funding support 2011: 501 scholars

TL1 Clinical Research

Training Program Pre- & Postdoctoral

candidates Others: medical

students 2011: 469 trainees

NIH’s CTSA

미국 NIH CTSA 프로그램

: 연 4,600억 원 이상 중개∙임상연구 교육사업에 투자

2013 “the CTSA at NIH, IOM(의학한림원)” CTSAs: 대부분 중개∙임상연구 수행

21% Basic biomedical research 52% Clinical research 26% Post-clinical research

높은 교육경험 만족도: 92% 멘토와 긍정적 경험 96% 연구팀의 일원 만족

높은 과제 채택율 R01 Funding: 47% of R01 응모 과제 프로그램 만족도: 97% 멘토

83% 학생(기초적 역량에서 중, 상급으로 상승)

향후 더욱 강력한 중앙관리 리더십의 요구

CTSA 외부평가보고서

NIH

• 국립공공기관 • 자체 학위과정 없음 • 국가지원사업 • 담당부서장; 의사출신 • 중개∙임상연구의 목적 • 연구문화의 변화

• 사립의과대학 • 중개∙임상연구 전담부학장 • 제약회사출신교육학박사 • 국가지원 수혜기관 • 연간 16-18명 • 전원 임상교수요원 • 석, 박사 및 비학위 과정 • 연구문화의 변화

G.W.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의 목적

: 연구문화의 변화 (Culture Change of Research)

미국 NIH와 G.W. 방문

NIH

• 국립공공기관 • 자체 학위과정 없음 • 국가지원사업 • 담당부서장; 의사출신 • 중개∙임상연구의 목적 • 연구문화의 변화

피츠버그대학 CTSI

(Clinical Translational Science Institute)

ICRE (Institute Clinical Research Education) 교육 대상자 ICRE 프로그램 종류

대학원생 임상연구 수료증

임상중개연구 박사 전, 박사 후 연구원

의과대학생

임상과학자 훈련 프로그램(CSTP)

의과학자 훈련 프로그램 (MSTP)

임상중개과학 박사과정 임상중개연구 박사 전 연구원

보건과학대학 박사 과정생을 위한 임상중개과학 수료증

전공의

임상과학자 과정 국제연구자 과정

The Research Education in Advancing Investigative Careers for Housestaff and Fellows Leaders IN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임상전임의

학위 프로그램 임상연구 석사과정 의학교육 석사과정

임상중개과학 박사과정

수료증 프로그램 임상연구 수료증 의학교육 수료증

비교효과연구 수료증

기타 프로그램 Research Acceleration and Moving Productivity Forward to a K Award Career Education and Enhancement for Health Care Research Diversity

박사 후 연구원

학위 프로그램 임상연구 석사과정 의학교육 석사과정

임상중개과학 박사과정

수료증 프로그램 임상연구 수료증 의학교육 수료증

비교효과연구 수료증

기타 프로그램 임상중개연구 박사 후 연구원

Research Acceleration and Moving Productivity Forward to a K Award Career Education and Enhancement for Health Care Research Diversity

교수진 (Junior)

학위 프로그램 임상연구 석사과정 의학교육 석사과정

임상중개과학 박사과정

수료증 프로그램 임상연구 수료증 의학교육 수료증

비교효과연구 수료증

기타 프로그램

임상연구자 프로그램 Training Early Academic Mentors

Research Acceleration and Moving Productivity Forward to a K Award Career Education and Enhancement for Health Care Research Diversity

교수진 (Senior) 멘토링

프로그램 명 CTSI 프로그램 종류

학위 프로그램

임상연구 석사과정

의학교육 석사과정

임상중개과학 박사과정

수료증 프로그램

임상연구 수료증

의학교육 수료증

경력개발훈련 Awards

임상연구자 프로그램-Institutional K Award

임상중개연구 박사 전 연구원 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Research Coordinator Orientation

Advanced Coordinator Orientation

싱가포르 국립의대 방문

최근 정부에서 중개∙임상연구 지원 정책 추진

국내∙외 연구인력 모집: 학비+생활비, 학생 연구지원정책

의학 임상계열 대학원 연구과제 중심교육

미국식 MD+PhD 과정: 단 2명 지원

임상분야 교수의 연구참여와 관심 증대

연구과제 수주: 지원인력 5명 대학 부담

연구과제 조건: 반드시 기초, 임상 공동 지원

영국식 연구학위(MD: 2년간 전일제 연구, 5년 시간제) 활성화

신약개발 보다는 기기, 치료방법에 초점

계몽적 행정: 영국 Transnational Research Partnership (TRPs)

2011년 10월 정부기구로 협의체 구성

세계최고의 중개ㆍ임상연구 국가 목표

8억 파운드 기금(한화 1조5천억)

신약개발 수월성도모

중개ㆍ임상 연구기관 협의체, 메타센터

중개∙임상연구기구, 의과대학, 각종 유명 산업체 등 포함

Office for Clinical Research Infrastructure

260만 파운드(한화 46억5천만원) 산업체와 연구자 협조체제

구축

영국: 의학 연구, 교육 사회적 실천

Medical Education England: NHS 산하기구

영국(England)의 의료인력양성 지원기관

50억 파운드 예산( 8조-9조 원)

35억 파운드 임상실습학생, 인턴, 전공의 기본급여지원

10억 파운드 의과대학 임상교육 지원금

“Recruiting value and behavior”

Practice: Alasdair MacIntyre

Internal Good 내적재화/자산 Excellence Best outcome for Pt. Best care 정부의 공공정책으로 사회적 내적재화 획득을 위한 교육, 연구 지원

External Good 외적재화/자산 Power Money Status Passing exam. Good impression Organization survival

중국

최근 중국 정부의 중개∙임상연구 지원 정책 추진

8년제 의과대학 중점 지원 5(학부)+3(졸업후)=M.D

중개 임상연구자 교육: MD(중국)+PhD(미국)

5년 (중국)학부+박사(미국)+3년 (중국)졸업후교육

북경의대 현재 약 60명 배출

소요경비 전액 국가장학금 지원

국내 정책: 연구중심병원 지정

대학병원의 교학 기능 강조 Academic Medical Center

대학병원의 대학 교정화(campus)

병원 내 대학원, 다학제 간 수업 필요

병원의 대학구조 설치점검

대학 병원의 교육, 연구의 사회적 책무성 강조

대학병원과 일반병원의 차별화

국내 중개·임상연구인력

연구중심병원 관계자 면담: 4개 연구중심병원

현재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과정 미미함

융합연구, 다학제간 연구와 혼돈

소속기관 연구자간 연결망(network) 형성?

연구주제 바탕 비체계적 인력양성?

중개·임상연구 전문인력 교육자 없음(교재 기초임상연계)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의 구조화, 체계화 필요

2개 대학 중개·임상연구 학위개설, 예정

의과대학 학생기준 연간 3,300명선: 초급과정 제공

전공의 기준 연간 3,300명선: 중급과정 제공

의학전공자기준: 연간 6,600명 교육수요

치·의학, 한의학? 별도의 1,000명 계상

간호학전공, 의·생명 전공자 등 잠재적 교육수요 0000명

초·중급과정 수요

중개∙임상연구 전문가 규범적 수요

규범적 수요(Normatic Need)

미국 인구: 우리나라의 6배

미국 GDP: 우리나라의 2배

미국 석·박사 과정을 위한 등록금 지원: 우리나라의 5배

국민 1인당 150원 정도로 추정계상

연간 약 75억 원의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 투입비용 산출

연간 50~60명의 학위과정생에게 지원(등록금, 생활비 보조,

연구비 지급) 가능

단기 인력양성 지원 가능

1.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QUESTIONS 2. LITERATURE CRITIQUE 3. STUDY DESIGN 4. RESEARCH IMPLEMENTATION 5. SOURCES OF ERROR 6. STATISTICAL APPROACHES 7. BIOMEDICAL INFORMATICS 8. CLINICAL RESEARCH INTERACTIONS 9. SCIENTIFIC COMMUNICATION 10. CULTURAL DIVERSITY 11. TRANSLATIONAL TEAMWORK 12. LEADERSHIP 13. CROSS DISCIPLINARY TRAINING 14. COMMUNITY ENGAGEMENT

NIH 중개·임상교육과정

대학 과정유형 교육기간

(일) 총 교육시간

(시간) 교육방법

템플대학 초급과정 1 - 강의 100%

메릴랜드대학 초급과정 5 21.5 강의 100%

플로리다대학 초급과정 10 17.4 강의 100%

하버드대학 초급과정 10 59 강의 90%

패널 및 토의 10%

UCLA 초급과정 10 47 강의 50%

패널 및 토의 50%

위스콘신대학 심화과정 2 11 강의 90%

패널 및 토의 10%

미국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프로그램

미국 대학별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프로그램의 분석

우리나라 중개·임상연구에 대한 미약한 인지도

초, 중급과정 도입의 시급-인식확산

미국: 중개·임상연구인력의 우선대상-전문의 연구자

전문의과정과 연구과정의 분리 교육 수련

우리나라 임상계열의 석,박사 연구 경쟁력 취약

미국의 중개·임상연구의 석,박사와 현격한 질적 차이

Need Assessment: 요구분석

국내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프로그램(안)

국내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프로그램 영역별 기본 교육내용(안)

영역 세부영역

1. 연구방법론

1.1 연구방법론 개요(Introduction) 1.2 가설과 목적, 목표(Hypothesis & Aims) 1.3 임상역학(Clinical Epidemiology) 1.4 연구 설계(Research Design) 1.5 약물 설계(Drug Design) 1.6 연구기술(Research Technology)

2. 생통계와 자료관리

2.1 생통계학(Biostatistics) 2.2 자료관리와 분석(Data Management & Analysis) 2.3 2차 자료(Secondary Data Sources) 2.4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

3. 윤리와 제도

3.1 규제안건(Regulatory Issues) 3.2 연구윤리(Research Ethics) 3.3 보건복지서비스(Health & Human Services) 3.4 약학유전체학(Pharmacogenomics)

4. 과학적 의사소통

4.1 과학적 의사소통(Scientific Communication) 4.2 경력 개발(Career Development) 4.3 설문조사(Survey Research) 4.4 보건서비스연구(Health Service Research)

5. 연구과제 신청 5.1 연구과제 신청 기초(Basic Grant Application) 5.2 연구과제 신청 훈련(Training on Grants Application)

교안초안: 단기 운영형태 일정 프로그램 명 구성

2일 (금요일

~토요일) 10시간

1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Study design 50분 2개 프로그램/ 110분 1개 프로그램

Ethical & Regulatory Issues 50분 2개 프로그램

오후 Biostatistics & Data Management 50분 2개 프로그램/

110분 1개 프로그램

선택 프로그램 기관별 자유 선택

2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Scientific Communication 50분 2개 프로그램/ 110분 1개 프로그램

과정 마무리 & 증서 수여 30분 프로그램

2일 (평일) 12시간

1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Study design 50분 3개 프로그램/ 75분 2개 프로그램

오후 Ethical & Regulatory Issues 50분 2개 프로그램/

110분 1개 프로그램

선택 프로그램 기관별 자유 선택

2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Biostatistics & Data Management 50분 3개 프로그램/ 75분 2개 프로그램

오후 Scientific Communication 50분 2개 프로그램/

110분 1개 프로그램

과정 마무리 & 증서 수여 30분 프로그램

교안초안: 장기 운영형태 일정 프로그램 명 구성

5일 (월요일

~금요일) 30

~34시간

1일 오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Study design 50분 3개 프로그램/ 75분 2개 프로그램

마무리

2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Biostatistics & Data management 50분 3개 프로그램/ 75분 2개 프로그램

오후 선택 프로그램 기관별 자유 선택

사례 토의 120분 1개 프로그램 요약 및 마무리

3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Ethical & Regulatory Issues 50분 3개 프로그램/ 75분 2개 프로그램

오후 선택 프로그램 기관별 자유 선택

사례 토의 120분 1개 프로그램 요약 및 마무리

4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Scientific Communication 50분 3개 프로그램/ 75분 2개 프로그램

오후 선택 프로그램 기관별 자유 선택

사례 토의 120분 1개 프로그램 요약 및 마무리 50분 프로그램

5일 오전

과정 소개 30분 프로그램

Grant Application 50분 2개 프로그램/ 110분 1개 프로그램

과정 마무리 & 증서 수여 30분 프로그램

교안완성: 기술성숙도(TRL)별(안) 구분 단계 정의 세부설명 교육대상자 학수번호

기초 연구 단계

1 기초 가설 혹은 이론 구성

기초 가설 혹은 이론의 구성 단계 의생명과학 연구를 시작하는 의사, 과학자 등 연구자 밀 예비연구자

SD1A, SD2A, SD2B, SD2C, SD3A, SD3B, SD3C, BS1A, ER1A, SC1A, SC1D, GA1A 2

가설 혹은 이론의 실제적용을 위한

개념정립

가설 혹은 이론의 구체적인 적용분야 적용을 위한 개념 정립 후 실험 계획 단계

실험 단계

3 실험실 규모의 기본 성능 검증

dry 혹은 wet 실험을 통한 실험결과물의 기본적 성능을 검증하는 단계 실험실 단위에서 실험을 통해

연구문제나 정립한 개념의 검증 또는 소재/부품/시스템 등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의사, 과학자, 기술자 등의 연구자

SD4A, SD4B, SD4C, SD4D, SD4E, SD4F, SD5A, BS2A, BS2B, BS2C, BS2D, BS2E, BS2F, ER2A, ER2B, SC1B, SC1C, GA2A

4 실험실 규모의 핵심 성능 평가

• 연구결과물로 목표물질 혹은 시험샘플을 제작하여 핵심성능에 대한 시험관 단계(in vitro) 평가가 완료된 단계 • 컴퓨터 모사가 가능한 경우 최적화를 완료하는 단계

시작품 단계

5

동물실험을 통한 확정

소재/부품/시스템 시작품 성능 평가

• 확정된 소재/부품/시스템의 실험실 시작품 제작 후 동물실험을 통한 핵심 성능 평가를 완료하는 단계 • 의약품은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제조품질관리기준) 파일롯 설비를 구축

실험단계(TRL 3~4단계)의 연구를 마치고 시작품의 제작 및 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의사, 과학자, 기술자 등의 연구자

SD6A, SD6B, SD6C, BS3A, BS3B, BS4A, BS4B, ER3A, ER3B, SC1E, SC1F, SC1G, SC2A, SC2B, SC2C, SC2D, SC2E, SC2F,

SC2G, SC2H 6

파일롯 규모 시작품 제작 및 동물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

• 파일롯 규모(복수 개 ~ 양산규모 1/10 정도)의 시작품 제작 및 동물실험을 통한 핵심평가가 완료된 단계 • 파일롯 규모 생산품에 대해 생산량, 생산용량, 수율, 불량률 등 제시 • 의약품/의료기기는 비임상시험기준 GLP (Good Laboratory Practice)에 따라 전임상시험을 완료하는 단계

제품화 단계

7 인간 대상 연구를 통한 신뢰성 및

성능 평가

• 인체 실제 환경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 • 의약품/의료기기는 임상시험기준 GCP (Good Clinical Practice)에 따라 임상시험(1~3상)을 완료하는 단계 • 부품 및 소재개발의 경우 수요업체에서 직접 파일롯 시작품을 현장 평가(성능 및 신뢰성에 대한 평가)

• 실험단계(TRL 5~6단계)의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시제품에 대한 신뢰성 평가 및 수요기업을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자, 또는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를 통하여 연구결과 물인 시제품을 제품화/실용화 시키고자 하는 의사, 과학자, 기술자 등의 연구자 • IRB 위원

ER4A, ER4B, SC3A, SC4A

8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 표준화 및 인허가 취득 단계(예: 식약청 등)

사업화 단계

9 사업화 •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GMP 기준) • 6-시그마 등 품질관리가 중요한 단계

실험실 연구를 통하여 산출한 의료 관련 연구 결과물을 사업화 단계로 이행시키고자 하는 의사, 과학자, 기술자 등의 연구자

SC4B, SC4C, SC4D, SC4E

교안완성: 교육대상자 수준별(안)

“Dreyfus and Dreyfus” level 기준

진입과정(Student), 초보 1단계 과정(Novice), 초보 2단계 과정

(Advanced Beginner), 중급 1단계 과정(Competent), 중급 2단계

과정(Proficient), 상급과정(Expert), 전문가과정(Master)

수준 설명 교육과정 학수번호

진입과정 학부생을 포함하여 중개·임상연구를 처음 접하는 사람

반나절 이하 2시간 교육과정

SD1A

초보 1단계 과정 중개·임상연구의 개념을 이해한 사람

단기 1일 교육과정

SD1A, SD3A, SD4A BS1A, BS2A

ER1A SC1A, SC1D

GA1A

초보 2단계 과정 중개·임상연구의 개념을 다른 연구자에게 설명 가능한 사람

단기 2일 교육과정

SD1A, SD2A, SD2B, SD2C, SD3A, SD3B, SD3C, SD4A, SD4B, SD4D, SD5A, SD6A

중급 1단계 과정 중개·임상연구를 부분적으로 수행 가능한 사람

BS1A, BS2A

ER1A, ER2A, ER2B, ER3A, ER4A

SC1A, SC1B, SC1D, SC2A, SC2C

GA1A

중급 2단계 과정 감독 하에 중개·임상연구 수행이 가능한 사람

장기 5일 교육과정

SD4A, SD4B, SD4C, SD4D, SD4E, SD4F, SD5A, SD6A,

SD6B, SD6C

상급과정 독립적으로 중개·임상연구 수행이 가능한 사람

BS2B, BS2C, BS2D, BS2E, BS2F, BS3A, BS3B, BS4A, BS4B

전문가과정 대학 교수이상 급으로 중개·임상연구 전문가

ER3B, ER4A, ER4B

SC1C, SC1E, SC1F, SC1G, SC2B, SC2D, SC2E, SC2F, SC2G, SC2H, SC3A, SC4A, SC4B, SC4C, SC4D, SC4E

GA2A

교안 예시

영역 연구윤리

세부영역 중개·임상연구와 연구윤리

과목명 중개·임상연구 윤리기준의 이해Ⅰ

강의시간 이론 강의 60분

목적 중개·임상연구에서 연구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피험자의 인권보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국내 중

개·임상연구의 윤리기준을 국제적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교육 자료로 삼음

학습목표

▪ 중개·임상연구 연구윤리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 역사적 사실 학습

▪ 중개·임상연구 연구윤리 관련 국제 가이드라인 확인

▪ 중개·임상연구 연구윤리 관련 국내 법적 규정 파악

내용과 방법

▪ 중개·임상연구 연구윤리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 역사적 사실 학습

- 역사, 국내·외 가이드라인, 국내·외 사례분석

- 뉘른베르크 강령, 헬싱키 선언, 위치타 배심원 연구, 탈리도마이드 사건, 미국 NIH 윤리 위원회,

ICH-GCP 가이드라인

▪ 중개·임상연구 연구윤리 관련 국제 가이드라인 확인

- ICH, CIOMS

▪ 중개·임상연구 연구윤리 관련 국내 법적 규정 파악

- 의약품임상시험관리기준

참고문헌

- http://ohsr.od.nih.gov/guidelines/nuremberg.html - http://ohsr.od.nih.gov/guidelines/helsinki.html - http://ohsr.od.nih.gov/guidelines/belmont.html

연구중심병원 대학 교정화

교육부 대학원교육

교육관련 직무소유권

임상관련 전문성 결여

산업화 전문성 결여

전공의 교육과 무관

복지부 전문의 교육 담당

진료관련 업무

중개ㆍ임상연구 주무부서

미래창조부와 업무 충돌

보건의료계열 교육관련

임상 박사학위와 중개∙임상연구

영연방 일부: 전공의 수료와 석사학위 부여

전공의 교육에 중개∙임상연구 의무화

박사학위 논문은 최소 중개연구 이상

전공의 기간 중/별도의 연구기간 의무화

전공의 수련기간의 탄력적 조절

전공의 수련후 전임의 기간 활용방안

임상계열 의학박사의 중개∙임상 연구교육 도입과 지원

전문의 중개·임상연구자의 예상문제점

전문의와 박사학위 분리 취득 장려

연구전문의사의 사회적 양성

연구매진: 임상수익 급여삭감

교실/의국 내 신분상의 위협

임상역량 감소의 우려

임상과 수입우선주의

신분보장과 교육양성 지원정책 우선

추진전략: 예산과 인력

연간 약 75억 원의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 투입비용 산출

지원 내용 금액(단위: 원)

학위과정 혹은 전문가과정, 학비 및 연구비(생활비보조) 등 40억

연구중심병원이 소속된 대학에 지원하여 중개 ·임상연구에 관련된 포괄적인 피교육생 (일반대학생, 타 보건의료직, 관련 공무원 등)을 위한 각종 교육 수강비지원

20억

연구중심병원에서의 중개·임상연구 인력양성을 위한 각종 교육활동 기관지원 10억

연구중심병원의 중개·임상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질 관리 3억

지원 금액에 대한 중앙관리 및 감독(전문 인력 인건비 포함) 2억

총 75억

사업추진을 위한 인력분석(안)

- 중앙관리 및 감독체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직접적인 중앙관리 or

1개 연구중심병원의 인력양성 담당부서의 대행 or

연구중심병원의 자율적 지원금 관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간접적인 관리

- 공통 필요인력: 총책임자 1인, 교육자 관리원 1인, 행정직 2인

국가연구개발사업과의 연계

국가의 거대예산 투여에 대한 실용적 산출, 납세자에 대한 보답

사회구성원 모두의 참여와 사회 발전에 유익한 결과

국가연구개발 참여 인력의 중개․임상연구의 교육이수 보편화

연구의 사회적 책무성을 향상시킴

창조경제 일조

중개임상연구: 특성과 사회적 책무성

중개임상연구: 포괄적 연구자 능력

연구의 성과지향과 사회적 적용

연구문화의 변화: 다직종 다인력 동시 참여

연구중심병원: 대학병원 교학기능 강화

전문의의 연구경쟁력 강화

임상계열 박사학위 개선과 중개·임상연구 연계

중개·임상연구인력의 사회적 양성

요약

감사합니다.

안덕선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