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SDI 정책리포트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2011. 5. 2 제88호 송인주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요약 Ⅰ. 생활공간 녹화사업 현황 Ⅱ. 생태네트워크 조성 해외사례 Ⅲ.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생활공간 녹화전략 < 목차 >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2011. 5. 2 제88호

송인주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요약

Ⅰ. 생활공간 녹화사업 현황

Ⅱ. 생태네트워크 조성 해외사례

Ⅲ.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생활공간 녹화전략

< 목 차 >

Page 2: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Page 3: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1

서울의 녹지면 을 증가시키기 한 푸른도시 서울 사업은 그동안 다양한 공원녹지사업의

추진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녹지 연결에 한 인식 결여로 사업들간의 연계

성이 부족한 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앞으로 다양한 녹지조성사업들이 시 지효과를

거두기 해서는 그동안 단 되었던 공원녹지 련 녹색사업들을 네트워크화하여 녹지공간

을 체계 으로 확보하는 략이 필요하다.

연계성이 떨어지는 생활공간내 녹지조성사업의 증가

최근 10여 년간 서울에서는 열린학교 조성사업(815건), 옥상공원 조성사업(337건), 아 트

열린녹지조성사업(122건) 등 다양한 생활공간 녹화사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치구별 특성

이 고려되지 않은데다 기존에 확보된 도시림 면 이 큰 노원구와 강남구에서는 100건 이상

사업이 시행된 반면, 녹지면 이 상 으로 은 동 문구와 강북구에서는 40~50건에 그쳐

녹지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아울러 규모 녹지지역인 녹지 오 스페이스는 지속

으로 감소하는 반면, 주택지, 상업업무지, 교통시설지 등 시가화 면 은 증가하고 있어 생활

공간내 녹지확충의 필요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외국은 생태네트워크 중심의 녹지 조성사업 시행

그동안 외국에서는 도시내외에 다양하게 분포하는 규모 자연공원에서 소규모의 민간녹지

까지 녹지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을 시행해 왔다. 국의 그린그리드 략계획은 East

London 지역을 녹지축 심의 6개 그린그리드로 나 어 그리드별로 략 그린코리더와

링크, 녹지와 연계된 보도 자 거 도로 등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의 슈트트가르트 녹지계

획은 도시차원의 녹지네트워크 계획으로 도시외곽의 규모 오 스페이스에서 도심을 연결

하는 녹지 오 스페이스 조성계획을 마련하여 도시내부의 녹지를 조성하고 있다. 핀란드

비키 생태주거단지는 우수통로기능과 연계한 그린핑거를 조성하여 인근 녹지와 주거단지의

녹지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다.

공동체 만들기를 목표로 체계적인 생활공간 녹화사업 추진

서울의 푸른도시 조성 략 역시 장기 에서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공동체만들기를 목

표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생활공간 녹화사업이 지속 으로 성과를 내기 해서는 첫째 생

태네트워크 지속 효과가 확보되는 녹화 우선사업 상지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우선사

업 상지의 특성을 고려한 녹색사업을 추진하고 생태네트워크에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사업

을 시행한다. 둘째 주민, 코디네이터, 문가 등으로 구성된 생활공간 녹화 의체를 구성해

계획과 조성, 사후 유지․ 리의 과정에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도록 한다. 일반화된 가이드

라인의 획일 용을 지양하고 주민과 문가 간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서울시 주거공

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요 약

Page 4: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2

Ⅰ. 생활공간 녹화사업 현황

단기적 관점의 녹지조성사업 증가

□ 장기 으로 녹지간 연결성 확보가 건

- 공원조성, 도심내 소규모 공간녹화 등 다양한 공원녹지 조성사업으로 푸른

도시 서울 조성에 기여하 으나 사업들간의 연계성은 미흡

· 생활공간 녹화사업은 열린학교 조성사업(815건), 옥상공원 조성사업(337

건), 아 트 열린녹지조성사업(122건) 순으로 많이 시행

[그림 1] 생활공간 녹화사업 유형별 사업건수(1998~2010)

- 옥상공원 조성사업의 경우 2006년부터 사업건수 조성면 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상지의 연결성 확보 등 사업의 장기 이 부재

Page 5: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3

[그림 2] 연도별 옥상공원 조성사업

□ 기존 녹지가 많은 자치구에서 더 많은 생활공간 녹화사업 시행

- 자치구별 생활공간 녹화사업 시행건수는 노원구(111건), 강남구(100건) 순

으로 많이 시행

· 가장 게 시행된 천구는 31건으로 편차가 매우 심함

- 생활공간 녹화사업은 도시림 면 증가에 기여하는데 기존 도시림이 부족

한 자치구의 사업건수가 은 경향

· 도시림 면 이 큰 노원구, 강남구에서는 많은 녹색사업이 시행되고 있으

나, 도시림 면 이 은 동 문구, 강북구에서는 상 으로 게 시행

[그림 3] 자치구별 생활공간 녹화사업 건수(1998~2010)

Page 6: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4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오 스페이스는 지속 감소

- 2000년, 2005년, 2010년 서울시 토지이용유형 녹지 오 스페이스는

감소추세

· 반면 주택지, 상업업무지, 교통시설지 등은 증가하고 있어 생활공간녹화

를 통한 녹지확충의 필요성은 계속 증가

[그림 4] 토지이용유형별 면 변화(서울시 도시생태 황도 2000, 2005, 2010)

공원녹지조성 계획의 구체성 부족

□ 녹지조성사업 시 녹지연결에 한 인식 결여

- 서울시의 녹지는 남쪽과 북쪽을 심으로 주로 외곽에 분포하고 있으며

도심내 녹지분포는 아주 제한

· 녹지가 부족한 도심은 생활공간 녹화사업의 확충뿐 아니라 기존의 주요

녹지와의 연결을 한 녹지조성사업이 시

Page 7: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5

[그림 5] 서울시 법정보호지역 황

□ 서울시 자치구 차원의 연결성을 확보하기 한 녹지조성계획 미흡

- 서울시 자치구의 공원녹지계획에서 다루고 있는 생태네트워크계획은 개

략 구상도 수 으로 장 용에 한계

· GIS 데이터에 기반한 계획이 아닌 개념 인 네트워크로는 실제 녹지조성

사업 시 연결성 확보를 해 활용 곤란

- 자치구 공원녹지계획 수립시 서울시의 「서울시 공원녹지기본계획」 등과의

연계 부족

· 자치구 공원녹지계획 수립시 서울시 체 녹지네트워크 인 자치구

와의 연 성에 한 고려가 미흡

Page 8: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6

출처 : 양천구, 2005, 「양천구 공원‧녹지 재정비 기본계획」

[그림 6] 양천구 생태네트워크 구상안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장기적 관점의 녹지조성 필요

□ GIS 기반 생태네트워크에 따라 거 과 거 을 연결하는 생활공간 녹화

추진

- 서울시 녹지분석을 통해 거 , 거 , 소거 을 확인하고 체 인 연결

을 고려한 장기 인 의 녹지조성사업 추진 필요

-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의 공원녹지축 네트워크 구상안을 녹지패치분석

과 연계하여 GIS기반 생태네트워크 구상안 필요

· 서울시 체 녹지패치 거 은 47%, 거 은 24%, 소거 은 29%

로 패치수는 각각 6개, 22개, 2,043개로 분석

Page 9: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7

· 환상산림축, 도심남북녹지축, 하천생태축 등 주요 녹지축상의 지역을

심으로 생활공간 녹화사업을 개하여 단 된 생태네트워크를 복원

[그림 7] 서울시 생태네트워크 구상(안)

Page 10: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8

Ⅱ. 생태네트워크 조성 해외사례

영국 : 지역차원의 녹지네트워크

□ East London의 그린그리드(Green Grid) 략계획

- East London 지역을 6개의 그린그리드 지역으로 나눠 녹지가 부족한 정

도(deficiency) 오 스페이스 황을 악

· 각 그린그리드 지역별로 략 코리더와 링크, 일반인 근 제한지역,

진행 인 략 사업, 녹지와 연계된 보도 자 거 도로 등을 제시

· 큰 규모의 자연공원부터 민간녹지까지의 규모별 녹지 분포 황에 따른

략 녹지조성지 선정

· 그린그리드별 특성을 반 해 홍수 험이 높은 그린그리드는 홍수 수용

량을 고려하여 오 스페이스 확보

출처 : Greater London Authority, 2008, East London Green Grid Framework : London Plan, Supplementary Planning Guidance

[그림 8] 그린 그리드 략 계획

Page 11: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9

독일 : 도시차원의 녹지네트워크

□ 슈트트가르트(Stuttgart)의 녹지축

- 슈트트가르트는 악화된 기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바람통로가 확보될

수 있는 넓은 폭의 녹지축 조성

· 녹지가 도시면 의 54%를 차지하고 있으며 개발제한구역의 설정,

주민의 자발 참여 등으로 개발압력으로부터 녹지면 유지

· 바람통로의 확보를 해 도심 외곽에 규모 녹지 오 스페이스 확보

· 도시외곽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공간에 녹지 오 스페이스 조성

a. 도시전체의 녹지축 b. 도시중심의 녹지계획

[그림 9] 독일 슈트트가르트의 녹지축 황 녹지계획

Page 12: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10

핀란드 : 주거단지차원의 녹지네트워크

□ 비키(Viikki) 생태주거단지의 그린핑거(Green Finger)

- 비키 생태주거단지의 4개 권역 생태실험단지는 수로를 이용하여 단지사

이에 손가락 모양의 녹지축을 구축

· 넓은 면 의 자연보 지역을 비롯하여 면 , 선 녹지공간을 체계 으

로 확보

· 우수를 활용한 수로체계와 통합하여 녹지축 구축

· 그린핑거 지역의 단지 내에 수로와 녹지, 텃밭 조성

· 그린핑거 지역 체와 연계되는 외곽 수로 조성

출처 : 한국토지공사, 2006, 「 교신도시 생태녹지축 구축방안 연구」

[그림 10] 비키의 수로체계와 통합된 그린핑거

Page 13: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11

Ⅲ.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생활공간 녹화전략

공동체 만들기를 목표로 체계적인 생활공간 녹화사업 추진

□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층주거단지 조성을 해서는 효과성이 높은 녹화

사업 상지 선정 련주체들의 심 필요

- 생태네트워크 사업의 지속 인 효과성이 확보되는 녹화사업 상지를 선

정하고 우선사업 상지를 도출

· 주거단지에 일정규모의 신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보다는 벽면이나 베란

다 녹화와 같은 소규모 녹화사업 도입이 바람직

[그림 11] 생활공간 녹화에 도입가능한 녹색사업의 구성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주민, 공무원, 문가, 시민단체, 지역기업 간의 력

체계를 구축하여 시설 만들기가 아닌 공동체 만들기 지향

Page 14: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12

□ 주요 추진 략

주요 과제 추진전략

서울의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저층주거단지 녹화사업

╴주요녹지축에 위치한 지역에 대한 생활공간녹화사업 실시

╴저층주거단지의 유형별 특성 파악을 통한 실효성 있는 사업지 선정

╴녹화가능지의 우선순위선정을 통한 단계적 녹화 실시

주민참여와 연계한 실현성 제고

╴주민들의 생활주변 가꾸기 커뮤니티 프로그램에 대한 법제 정비

╴주민, 코디네이터, 전문가 등과의 생활공간 녹화협의체 구성

서울의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저층주거단지 녹화사업

□ 주요 녹지축에 치한 지역에 한 생활공간 녹화사업 실시

- 주요 녹지축에 치하는 지역 생활공간녹화에 합한 층주거단지를

상으로 우선 으로 녹화사업을 실시

- 녹화사업 우선 상지는 4층 이하의 주거지 에서 생태축으로부터 500m

이내 지역

· 녹화사업의 효과 지속성 확보를 해 도시개발사업 진행지역이나

정지역, 그리고 면 3,000㎡ 이하 주거지는 제외

· 분석결과 생활공간녹화 가능지역은 22개 구의 총 77개 단지

· 이들 주거단지의 기존녹지율은 0~40%로 지역편차가 커 유형별 녹색사

업의 차별화가 필요

· 주거단지별 고령화율 보육시설여건 등 사회 요인도 편차가 비교

심한 편으로 녹화사업 시 상지별로 개별특성을 고려

Page 15: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13

[그림 12] 층주거단지내 생활공간녹화 가능지역

□ 층주거단지의 특성별로 주거공간의 다양성을 제고하기 한 사업지 선정

- 서울의 층주거단지는 녹지율 주거지 유형과 같은 물리 특성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

· 녹지가 풍부한 주거지, 녹지가 무한 주거지, 상업업무지와 혼재된 주거

지, 녹지율이 비교 높은 주거지

- 녹색사업 용 효과가 높은 유형은 녹지가 무한 주거지와 녹지율이 비교

높은 주거지

· 특히 녹지율이 비교 높은 주거지 유형은 녹화에 한 주민들의 심이

높아 사업시행 시 주민들의 극 인 참여가 상

· 녹지가 무한 주거지 유형은 잠재 녹지공간 확보가 어려운 획일 주

택배치가 특징

· 층계 담장 상부 녹화와 같은 입체녹화 심의 녹색사업이 용가능

Page 16: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14

구 분 녹색사업 유형

유형1. 녹지가 풍부한 주거지주로 단독주택지로 각 주택별 정원과 같은 민간녹지율이 매우 높은 편이며. 개별 주택단위로 양호한 주거환경을 위해 자체적으로 녹지를 조성․ 관리하고 있는 현황이므로 신규 녹색사업 효용성이 다소 부족

유형2. 녹지가 전무한 주거지녹지율이 0%에서 5%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지로, 잠재적 녹지공간 확보가 어려운 획일적 주택유형으로 층계 및 담장 상부 녹화와 같은 입체녹화 중심의 녹색사업 적용

유형3. 상업업무지와 혼재된 주거지

주거지역자체의 면적은 작고 주변 상업업무지와 혼재되어 있어 상호연계를 통한 녹화 필요

유형4. 녹지율이 비교적 높은 주거지

녹지율이 10% 이상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이미 자투리공간 녹화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져 있고, 주민들의 녹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 화분과 텃밭상자 등을 이용한 원예활동이 활발하며 마을 곳곳에 잠재녹화공간이 분포하고 있어 향후 녹색사업 적용에 유용

<표 1> 층주거단지의 유형별 특성

구 분 녹색사업 유형

건축물 차원 벽면녹화, 옥상녹화, 베란다녹화, 담장녹화, 대문위 녹화 등

단지 차원주차장녹화, 펜스녹화, 텃밭, 자투리공간 녹화(담그늘화단, 계단녹화, 전봇대 녹화), 마을쉼터 등

<표 2> 도입가능한 녹색사업 유형

□ 녹화가능지의 우선순 선정을 통한 단계 녹화사업 시행

- 생태네트워크에 기여하는 생활공간 녹화가능지 77개 지역 녹지율, 서울

시의 녹색사업 시행여부, 고령화율 보육시설의 수, 역세권을 고려한 우

선순 선정

· 우선녹화가능지 서 문구 홍은3동 265 일 (이하 사례지 1)와 천구

독산1동 1,108 일 (이하 사례지 2)를 시범사례지로 선정

고려항목 내 용

① 녹지율녹지율이 비교적 높은 유형의 주거지역에 대해 우선적으로 녹색사업을 적용함으로서 생태네트워크 향상효과를 증진시킴

② 녹색사업 시행여부이미 다양한 녹색사업이 시행된 지역일수록 향후 녹색사업 적용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음

③ 고령화율 및 보육시설수

지역애착도와 주민협력 가능성 판단을 위해 해당지역의 연령구조를 판단할 수 있는 고령화율과 보육시설수를 고려함

④ 역세권시범사례지 두 곳 선정 시 역세권에 해당하여 유동인구에 대한 가시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지역과 비역세권에 해당하여 거주인구에 대한 체감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을 각각 선정함

<표 3> 생활공간 녹화 시범사례지 선정 시 고려사항

Page 17: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15

- 사례지1

· 경사지에 치하여 펜스녹화 계단녹화와 연계

· 담그늘화단 심의 녹색사업을 용

[그림 13] 사례지1의 생활공간 녹화 구상도

- 사례지2

· 주택형태가 획일 이고 도로변 주차가 이루어지고 있어 녹화에 제한

· 건축물 차원의 녹화가 효용성이 클 것으로 측되며, 문 녹화, 담장녹

화, 주택내부의 계단녹화, 옥상녹화 등을 용

[그림 14] 사례지2의 생활공간 녹화 구상도

Page 18: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16

- 녹색사업 용 후 녹시율은 각 지 별 10% 이상 향상

사례지1

지점1의 현재 녹시율 : 4.5% 지점1의 적용 후 녹시율 : 23%

사례지2

지점1의 현재 녹시율 : 7.5% 지점1의 적용 후 녹시율 : 27%

<표 4> 사례지의 녹시율 변화

주민참여를 통한 실현성 제고

□ 주민들의 생활주변가꾸기 커뮤니티 로그램에 한 법제정비

- 2005년 「도시공원 녹지 등에 한 법률」의 면개정으로 녹지조성 리

에 한 주민참여의 필요성이 더욱 구체화

· 「서울시 도시녹화 등에 한 조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녹지활용계약

녹화계약의 용범 확 간소화

Page 19: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17

□ 주민, 코디네이터, 문가 등과의 생활공간 녹화 의체 구성

- 문제 진단과 비 설정 등 계획과 조성, 사후 유지․ 리의 과정에 주

민참여 활성화

· 층주거단지내 생활공간 녹화는 의 일방 인 조성지원방식에서 탈피

· 주민들은 상당수가 공원녹지 리에 참여할 의사가 있으나 구체 인 참여

방법을 모르므로 주민참여방안을 구체화

· 주민 참여방법에 한 극 정보제공 홍보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

수렴

a. 공원관리에 주민참여 활성화 조건 b. 공원관리 참여 저해요인

출처 : 박율진, 2010, “도시공원녹지 리에 한 주민참여 의식‧익산시 일반이용자와 환경단체의 의식 비교를

심으로”, 한국토‧도시계획학회

[그림 15] 공원 리에 한 주민참여 의식

- 일반화된 가이드라인의 획일 용을 지양하고 주민과 문가 간의 원활

한 의사소통 확

· 해당 마을의 특성을 부각시키고 서울시 주거공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

도록 생활공간 녹화과정을 체계화

· 정주공간에 한 애착심과 마을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도록 사업과정에

지속 으로 참여

Page 20: 도시생태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녹화전략 88_0.pdf · 녹화사업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지속적 감소 - 2000년, 2005년,

SDI 정책리포트

────────────────────────────────────────────────18

[그림 16] 주민참여형 생활공간 녹화 추진과정

송인주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02-2149-1165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