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대한골절학회지 제 20 권, 제 3 호, 2007년 7월 Journal of the Korean Fractrure Society Vol. 20, No. 3, July, 2007 252 통신저자광주시 동구 학동 8번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Tel062-220-6336Fax062-225-7794 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도 대한수부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 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Myung-Sun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8, Hak-dong, Dong-gu, Gwangju 501-757, Korea Tel82-62-220-6336Fax82-62-225-7794 E-mail[email protected]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정도 및 관련 인자 문은선김명선공일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하여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후 술 후 정복 소실의 시기와 정도를 평가하고, 정복 소실의 발생과 관련있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43명 (44예)의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AO 분류법을 이용하였으며, 술 전, 술 후의 전방 경사, 요골 경사 및 요골 길이를 측정하여 각 시기별 정복 소실의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정복 소실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종 추시상 방사선학적 결과의 평가 modified Lidstrom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C형 골절과 K-강선을 3개 사용하였던 군에서 전방 경사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정복 소실을 보였다. 그리고,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는 원위 요골 배측부 피질골에 분쇄 골절이 있는 경우 우수가 50%였던 반면, 분쇄 골절이 없었던 경우는 우수가 90%였고, A형 골절에서는 우수가 70%, C형의 경우는 44%였다. : Kapandji 술식의 경피적 핀 고정술은 요골 원위부 골절의 치료에 효과적인 한 방법으로 생각되며, 골절의 분류, 골절 고정 시 사용된 총 K-강선의 수, 그리고, 원위 요골 배측부 피질골의 분쇄 골절의 존재 여부가 술 후 전방 경사의 정복 소실 및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인 단어: 요골 원위부 골절, Kapandji 술식, 정복 소실 The Amount and Related Factors of Reduction Loss in Distal Radius Fracture after Treatment by Kapandji Technique Eun-Sun Moon, M.D., Myung-Sun Kim, M.D., Il-Kyu Ko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amount and related factors of reduction loss in distal radius fracture after treatment by Kapandji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4 to May 2006, 44 cases (43 patients) of distal radius fractures were treated by Kapandji technique. Fracture were classified with AO classification and volar tilt, radial inclination, and radial length were measured in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s. Also the amount and related risk factors of reduction los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were evaluated using modified Lidstrom scoring system.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in the patients with AO type C comparing with other fracture types, but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using three k-wire fixations including intrafocal K-wires showed significantly mor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also. Overall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showed that excellent was 50% in cases with dorsal comminution, but, the other cases 90%. In addition, excellent was 70% in type A cases, but, in type C 44%. Conclusion: Kapandji technique percutaneous pinning is the one of effective treatment options for distal radius fracture. But, type of fracture, total number of K-wires, and presence of dorsal cortical comminution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with postoperativ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and overall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Key Words: Distal radius fracture, Kapandji technique, Reduction loss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 · 2016. 6. 17. ·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대한골절학회지 제 20 권, 제 3 호, 2007년 7월Jo u r n a l o f th e K o r e a n F r a c t r u r e S o c ie t yV o l . 2 0 , N o . 3 , Ju ly , 2 0 0 7

    252

    통신저자:김 명 선광주시 동구 학동 8번지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Tel:062-220-6336․Fax:062-225-7794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도 대한수부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Myung-Sun Kim, M.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8, Hak-dong, Dong-gu, Gwangju 501-757, KoreaTel:82-62-220-6336․Fax:82-62-225-7794E-mail:[email protected]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정도 및 관련 인자

    문은선․김명선․공일규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목 적: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하여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후 술 후 정복 소실의 시기와 정도를 평가하고, 정복 소실의 발생과

    관련있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43명 (44예)의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AO 분류법을 이용하였으며, 술 전, 술 후의 전방 경사, 요골 경사 및 요골 길이를 측정하여 각 시기별 정복 소실의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정복 소실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종 추시상 방사선학적 결과의 평가 modified

    Lidstrom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C형 골절과 K-강선을 3개 사용하였던 군에서 전방 경사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정복 소실을 보였다. 그리고,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는 원위 요골 배측부 피질골에 분쇄 골절이 있는 경우 우수가 50%였던 반면, 분쇄 골절이 없었던 경우는 우수가

    90%였고, A형 골절에서는 우수가 70%, C형의 경우는 44%였다.

    결 론: Kapandji 술식의 경피적 핀 고정술은 요골 원위부 골절의 치료에 효과적인 한 방법으로 생각되며, 골절의 분류, 골절 고정

    시 사용된 총 K-강선의 수, 그리고, 원위 요골 배측부 피질골의 분쇄 골절의 존재 여부가 술 후 전방 경사의 정복 소실 및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인 단어: 요골 원위부 골절, Kapandji 술식, 정복 소실

    The Amount and Related Factors of Reduction Loss in Distal Radius Fracture after Treatment by Kapandji Technique

    Eun-Sun Moon, M.D., Myung-Sun Kim, M.D., Il-Kyu Kong, M.D.Departm 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amount and related factors of reduction loss in distal radius fracture after treatment by Kapandji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4 to May 2006, 44 cases (43 patients) of distal radius fractures were treated by Kapandji technique. Fracture were classified with AO classification and volar tilt, radial inclination, and radial length were measured in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s. Also the amount and related risk factors of reduction los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were evaluated using modified Lidstrom scoring system.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in the patients with AO type C comparing with other fracture types, but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using three k-wire fixations including intrafocal K-wires showed significantly mor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also. Overall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showed that excellent was 50% in cases with dorsal comminution, but, the other cases 90%. In addition, excellent was 70% in type A cases, but, in type C 44%.Conclusion: Kapandji technique percutaneous pinning is the one of effective treatment options for distal radius fracture. But, type of fracture, total number of K-wires, and presence of dorsal cortical comminution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with postoperativ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and overall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Key Words: Distal radius fracture, Kapandji technique, Reduction loss

  •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정도 및 관련 인자 253

    Fig. 1. Intrafocal pin technique of Kapandji. The two K-wiresare inserted into the fracture site rather than through the distalfracture fragment both radially and dorsally. The K-wires are then levered up to reduce the fracture and advanced through the opposite proximal intact far cortex to prevent redis-placement of the distal fragments. These intrafocal pinnings ofK-wires buttress the distal fragments and allow the main-tenance of radial inclination and palmar tilt, respectively.

    서 론

    요골 원위부 골절은 정형외과 영역에서 만날 수 있는 골

    절 중에서 가장 흔한 골절의 하나로, 과거에는 대부분 도수

    정복과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비교적 좋

    은 치료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간주되어져 왔다4,6,11,26,27)

    .

    그러나 최근 활동적인 젊은 연령에서 교통 사고나 추락 등의

    고에너지 손상으로 인하여 관절면을 침범한 골절과 분쇄나

    전위가 심한 형태의 골절이 증가하여, 보존적 치료만 시행했

    을 경우 관절염, 신경 손상, 부정 유합 등의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는 복잡한 형태의 골절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다5,8,17,18).

    이는 해부학적 정복이 되더라도 고정 기간 동안 이차적 전위

    에 의한 골절 정복의 소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합

    병증을 줄이기 위해 점차 수술적 치료가 선호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고식적 및

    Kapandji 술식 K-강선 고정술, 외고정 기기를 이용한 고정

    술,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내 고정술 등이 있으며, 각기 서

    로 다른 장점 및 단점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술적 치료

    의 합병증 중 술 후 골절의 정복 소실은 중요한 문제이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중 부적절한 치료 방

    법의 선택, 불충분한 술 후 고정, 골다공증, 수상 당시의 손

    상 정도 등이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치료 방법

    중 Kapandji 술식13)은 간단하면서도 최소 침습적인 술식으로

    술 후 조기에 수부 및 수근 관절 운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조

    기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1976년 처음 이

    술식이 소개될 때는 주로 관절외 골절에만 국한된 방법이었

    으나, 이후 관절 내 골절 및 분쇄 골절의 치료에도 적용되었

    고 비교적 좋은 임상적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7). 그러나,

    K-강선을 제거한 후 원위 요골 골절의 주된 합병증인 정복

    소실로 인한 부정 유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보고에서

    는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나 원위 요골 수장측 피질골에 분쇄

    골절이 있을 시에는 정복의 소실이 발생할 수 있어 이 술식

    의 적용에 제한이 있음을 보고하기도 하였다9,16).

    이에 저자들은 Kapandji 술식으로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

    하여 치료한 후 여러 방사선학적 평가 지표들에 따른 정복

    소실의 시기와 정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고, 추가로 정복

    소실의 발생과 관련있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04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 Kapandji 술식 (Fig. 1)을

    이용하여 경피적 핀 삽입술을 시행한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43명, 4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혈적 정복을 요했던 경우, 개방성 골절, 외고정

    기 고정이 필요했던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평균 나이

    는 51.8세 (19~75)였으며, 남자가 16명, 여자가 27명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AO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A형 골절이 23예로

    가장 많았으며, B2형이 3예, C1형이 4예, C2형이 10예, C3형

    이 4예였다. 이 중 배측 피질골에 분쇄 골절이 있었던 경우는

    34예였다. 연령에 따른 분포는 40세 미만이 9예, 40~49세 7

    예, 50~59세 14예, 60~69세 7예, 70세 이상이 7예였다.

    2. 연구 방법

    수술 전과 수술 직후, 술 후 1, 2, 4주 및 최종 추시상의

    수근 관절부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 상에서 전방 경사

    각 (volar tilt angle), 요골 경사각 (radial inclination)과 요골

    길이 (radial length)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각 시기별로

    정복 소실 정도를 비교하였다.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결과의 평가는 modified Lids-

    trom scoring system8,19,28)

    을 이용하여 우수 (excellent), 양호

    (good), 보통 (fair) 그리고 불량 (poor)의 4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성별, 나이, 골절의 분류, 배측부 분쇄 골절 여부, 부

    목 고정 기간, 총 K-강선 고정수 등의 여러 인자들과 정복

  • 254 문은선, 김명선, 공일규

    Table 1. The overall amount of reduction loss according to various radiographic parameters at each postoperative period

    Immed.† The amount of reduction lossRadiological Preoperative postoperative parameters (mean±S.D.*) (mean±S.D.) POD‡ 1 POD 2 POD 4 Total Last F/U§

    Radial length (mm) 12.4±2.39 12.8±1.97 0.8 0.3 0.5 1.6 1.9 (0~7.3)Volar tilt ( o ) -1.1±15.67 9.7±1.62 1.2 0.6 0.8 2.6 2.8 (0~22.1)Radial inclination ( o ) 19.8±5.41 25.6±3.06 1.4 0.6 0.9 2.9 3.2 (0~11.9)S.D.*: Standard deviation, †Immed.: Immediate, ‡POD: Postoperative day, §F/U: Follow up.

    Table 2.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according to assessment by criteria for anatomical result

    Excellent Good Fair PoorAO classification A (n=23) 16 (70%) 7 (30%) 0 0 B (n=3) 2 (67%) 1 (33%) 0 0 C (n=18) 8 (44%) 7 (39%) 1 (6%) 2 (11%)Dorsal comminution Presence (n=34) 17 (50%) 14 (41%) 1 (3%) 2 (6%) Absence (n=10) 9 (90%) 1 (10%) 0 0Total (cases) 26 (59%) 15 (34%) 1 (2%) 2 (5%)

    Table 3. The total amount of reduction loss in three radiological parameters at last follow up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 Radial length(mean ( o )) (mean ( o )) (mean (mm))

    Fracture type A (n=23) 1.7 1.4 1.5 B (n=3) 1.9 2.5 0.6 C (n=18) 1.8 3.9 1.8 p-value 0.982 0.037* 0.419Total number of K-wire 3 (n=5) 2.1 5.9 0.9 4 (n=34) 1.5 2.0 1.6 5 (n=5) 3.0 2.7 2.1 p-value 0.484 0.009* 0.424Age distribution <50 (n=16) 0.6 2.9 1.2 50~69 (n=21) 2.8 1.2 1.7 ≥70 (n=7) 1.9 1.0 2.3 p-value 0.053 0.098 0.085Immobilization period†

    1 week (n=15) 1.5 1.1 0.9 2 weeks (n=14) 1.7 3.1 1.5 ≥3 weeks (n=15) 0.8 1.7 1.3 p-value 0.699 0.307 0.782Sex Female (n=28) 2.5 1.5 1.6 Male (n=16) 1.5 2.2 1.5 p-value 0.082 0.388 0.783Dorsal comminution Presence (n=34) 2.3 1.9 1.7 Absence (n=10) 1.4 1.2 0.9 p-value 0.243 0.516 0.185*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Period of postoperative immobili-zation using short arm splint.

    소실의 정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3. 통계 방법

    통계학적 검증은 SPSS 통계 프로그램 (version 12.0)을 이

    용하여 Mann-Whitney test와 Kruskall-Wallis test를 사용하

    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 이하로 하였다.

    결 과

    K-강선은 평균 4.0개 (3~5)를 삽입하였으며, K-강선은 평

    균 7.3주 (6~10)에 제거하였다. 술 후 부목 고정 기간은 평

    균 2.1주 (1~4)였다. 요골 경사는 수술 직후 평균 25.6±

    3.06 (15.3~30.5)도였으며, 각 시기별 정복 소실 정도는 술

    후 1주 때 1.4도 감소, 술 후 2주 때는 0.6, 술 후 4주 때 0.9

    도, 최종 추시상 총 3.2도 (0~11.9)의 감소를 보였다. 전방

    경사는 수술 직후 9.7±1.62 (6.2~13.0)도였으며, 정복 소실

    정도는 술 후 1주 때 1.2도 감소, 술 후 2주 때는 0.6, 술 후

    4주 때 0.8도, 최종 추시상 총 2.8도 (0~22.1)의 감소를 보

    였다. 요골 길이는 수술 직후 12.8±1.97 mm (4.8~17.8)였

    으며, 정복 소실 정도는 술 후 1주 때 0.8 mm 감소, 술 후

    2주 때는 0.3 mm 감소, 술 후 4주 때 0.5 mm, 최종 추시상

    총 1.9 mm (0~7.3)의 감소를 보였다. 각 방사선학적 평가

    지표들의 최종 추시상의 총 정복 소실 정도는 술 후 4주 때

  •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정도 및 관련 인자 255

    Fig. 2. 22-year-old man of ex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without dorsal comminution was treated by Kapandji technique percutaneous pinning. (A) Preoperative radiographs show AO classification A2 fracture. (B)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s show that radial length, volar tilt and radial inclination are well restored. (C, D, E) Radiographs at postoperative 1, 2, 4 weeks show the maintenance of reduction well. (F) Radiographs at last follow up show excellent radiological result without significant reduction loss.

    까지의 정복 소실의 합과 거의 비슷하였으나, 술 후 1주 때

    가 다른 시기에 비해 정복 소실의 정도가 가장 컸다 (Table

    1). 최종 추시상의 modified Lidstrom scoring system을 이용

    한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는 우수가 26예 (59%), 양호 15예

    (34%), 보통 1예 (2%), 불량 2예 (5%)였다 (Table 2). AO분

    류에 따라 최종 추시상의 정복 소실 정도를 각각 방사선학적

    평가 지표별로 분석한 결과 C형 골절인 경우 최종 추시상 다

    른 골절 형에 비해 전방 경사에서 정복 소실이 유의하게 많

    았으며 (p= 0.037), 골절 고정시 사용된 총 K-강선수와 정복

    소실 정도를 비교해 보았을때는 K-강선을 3개 사용하였던

  • 256 문은선, 김명선, 공일규

    Fig. 3. 55-year-old woman of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with dorsal comminution was treated by Kapandji technique percutaneous pinning. (A) Preoperative radiographs show AO classification C2 fracture. (B)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s show that radial length, volar tilt and radial inclination are relatively well restored. (C, D, E) But, radiographs at postoperative 1, 2, 4 weeks show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reduction loss in all radiologicalparameters. (F) Radiographs at last follow up show fair radiological result with significant reduction loss.

    군에서 마찬가지로 전방 경사에서 유의하게 보다 큰 정복 소

    실을 보였다 (p=0.009). 그러나, 성별, 나이, 배측부 분쇄 골

    절 유무, 부목 고정 기간에 따른 각 방사선학적 평가 지표상

    의 정복 소실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3). 그리고, 최종 추시상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 원위

    요골 배측부 분쇄 골절이 있었던 경우 (34예) 중 우수가 50%

    였던 반면, 분쇄 골절이 없었던 경우에서는 우수가 90%였고,

    A형 골절의 경우에 우수가 70%였던 반면 (Fig. 2), C형의 경

    우는 44%였다 (Fig. 3, Table 2).

    고 찰

    요골 원위부 골절은 1814년 Colles4)가 처음 기술한 이래,

    대부분 비수술적 방법으로 좋은 치료 결과를 보일 수 있다고

  •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정도 및 관련 인자 257

    보고되어 왔다. Owen 등22)은 역학 연구에서 낙상과 같은 저

    에너지 손상에 의해 요골 원위부 골절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최근 젊고 활동적인 연령층에서 교통 사고나 추락 사

    고 등의 강력한 외력에 의한 손상으로 인하여 관절면을 침범

    한 골절과 분쇄나 전위가 심한 형태의 골절이 증가하여 비수

    술적 방법으로 치료하였을 경우 골절의 재전위나 관절면의

    붕괴 등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5,10,20).

    Cooney 등5)은 관절면의 전위가 2 mm 이상이거나 20도

    이상의 배측 각형성, 10 mm 이상의 요골 단축이 있는 경우

    를 불안정 골절로 정의하였으며, Palmer23)는 도수 정복 후 2

    mm 이상의 요골 단축이 있거나, 2 mm 이상의 관절면의 불

    일치가 있는 경우, 15도 이상의 배측 굴곡이 있는 경우라 하

    였다. 이러한 요골 원위부의 불안정 골절에 대해 Knirk과

    Jupiter17)는 요수근 관절의 관절면의 일치를 복원하거나 유지

    하지 못하게 되면 증상을 동반하는 골관절염이 야기될 수 있

    다고 하였으며, 불안정 골절에 석고 고정을 시행한 경우 2

    8~40%에서 골관절염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Clancey3)와

    Lidstrom19)은 요골 길이의 단축이 파악력을 비롯한 향후 예

    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주장하였고, Melone21)은 요골 길

    이가 5 mm 이상 단축되면 수근 관절에 이상을 초래한다고

    하였다. Palmar와 Werner24)는 원위 요골 골절 시 요측 길이

    가 2.5 mm 감소하면 척측 관절면의 부하량이 40% 증가한다

    고 하였으며, 요측 길이 및 전방 경사각이 감소하면 척측 관

    절면의 부하량이나 부하 면적 또한 증가한다고 하였다.

    Taleisnik과 Watson30)은 13예의 원위 요골 골절의 부정 유합

    에 있어서 정상적인 전방 경사각의 역전 (reversal)이 중수

    관절의 동통 및 불안정성을 초래한다고 하였고, Rubinovich

    와 Rennie25)도 전방 경사각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다른 여

    러 저자들 역시 치료에 있어서 해부학적 정복과 기능적인 결

    과가 불가분의 관계임을 밝히고 있고, 치료 후 합병증을 줄

    이기 위하여 가능한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을 시행해야 한다

    고 보고하였다1,2).

    요골 원위부 관절내 불안정 골절의 치료 방법으로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을 경우 정복을 유지

    하기 힘들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관절면의 재건 및 안정성

    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수 정복 후 경피적 핀 고정술, 외고정

    술, 외고정술 및 부분 관혈적 정복 후 내고정술, 그리고 관혈

    적 정복 및 금속판 등을 이용한 내고정술 등이 시행되고 있

    다. 하지만, Rubinovich와 Rennie25)는 경피적 핀 고정술 시

    16%에서 재수술이 요구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외고정만으

    로는 후방 피질골 함몰을 예방하거나 정상적인 전방 각형성

    의 유지가 어렵다는 보고도 있다12). 최근에는 외고정술 단독

    으로 시행하였을 때 관절면의 만족할 만한 정복은 얻을 수

    없으며,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요골 경상 돌기의 전위나 후방

    피질골의 함몰을 예방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K-강선 고정 또

    는 나사못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31). Kapoor 등15)은 전위

    된 원위 요골 관절내 골절에서 외고정과 내고정술의 결과를

    비교할 때, 임상적으로 외고정술이 우수하다고 하였다. 하지

    만, 외고정술의 경우 지나친 장력으로 교감 신경 이영양증의

    빈도가 증가하며, 외고정 기기로 인한 불편함과 피부 감염

    기회의 증가, 골수염, 상흔, 핀 주위 피부 괴사, 요골 신경 표

    층 감각 신경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관혈적 정

    복 후 내고정술은 우수한 고정력을 가지고 있으나, 침습적

    방법이며 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신경 및 연부 조직 손

    상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원위 요골의 골절부에 K-강선을 삽입하는

    Kapandji 술식 K-강선 고정술은 1976년 Kapandji13)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 유럽에서 요골 원위

    부 골절 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골절부에

    삽입한 K-강선은 후방 골편을 지지하며, 이차적인 전위를 예

    방하는 작용을 하며, 결국 우수한 고정력으로 술 후 조기 관

    절 운동이 가능케하며, 석고 고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하

    였다. Shiota29)는 75%의 환자에서 술 후 즉각적인 관절 운동

    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심한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의 환자

    에서는 술 후 고정 소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요골 경사를 45도 내지 60도로 과교정하거나, 추가적인

    K-강선 고정을 시행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14).

    저자들도 Kapandji 술식 K-강선 고정을 시행한 전 예에서

    골절부에 2개 이상의 intrafocal K-강선 고정 후 고식적 방법

    으로 K-강선 고정을 추가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고정 소

    실을 예방하고자 하였는데, K-강선을 총 3개 사용하였던 경

    우가 전방 경사에서 유의하게 큰 정복 소실을 보였다. 이는

    intrafocal로 고정한 K-강선을 제외하면 보강용 K-강선이 한

    개였던 경우이다. 저자들은 intrafocal K-강선 고정 후 고식

    적 방법으로 K-강선을 충분히 추가하여 고정함으로써 골절

    부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보강하는 것이 술 후 정복 소실 예

    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C형 골절이

    최종 추시상 다른 골절 형에 비해 전방 경사에서 정복 소실

    이 유의하게 많았다.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를 보면 우수가 26예

    (59%), 양호 15예 (34%)로, 양호 이상이 93%로서 매우 양호

    한 해부학적 정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Ka-

    pandji 술식의 경피적 핀 고정술이 술 후 정복 소실 정도가

    비교적 적은 우수한 고정력을 가진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나, 원위 요골 배측부 분쇄 골절이 있었던 경우 우수가

    50%였던 반면, 분쇄 골절이 없었던 경우에는 우수가 90%였

    고, A형 골절의 경우 우수가 70%였던 반면, C형의 경우는

    44%였다. 저자들은 이를 통해 배측 피질골의 분쇄 정도 및

    골절의 초기 손상 정도가 kapandji 술식을 이용한 경피적 핀

  • 258 문은선, 김명선, 공일규

    고정술 후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깊은 연관이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방사선학적 평가 지표들의 최종 추시상의 총 정

    복 소실 정도는 술 후 1주 때가 다른 시기에 비해 정복 소실

    의 정도가 가장 컸다. 저자들은 술 후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부목의 적용과 환자 교육 등을 통해 적절히 골절부를 보호하

    는 것이 초기 정복 소실의 예방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Kapandji 술식의 경피적 핀 고정술은 술 후 정복 소실 정

    도가 비교적 적은 우수한 고정력을 가진 방법으로서 요골 원

    위부 골절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되며, 골절의

    형태, 골절 고정 시 사용된 총 K-강선의 수, 그리고, 원위 요

    골 배측부 피질골의 분쇄 골절의 존재 여부가 술 후 전방 경

    사의 정복 소실 및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 고 문 헌

    1) Axelrod T, Paley D, Green J, McMurtry RY: Limited open reduction of the lunate facet in comminuted intra- 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J Hand Surg Am, 13: 372-377, 1988.

    2) Bradway JK, Amadio PC, Cooney WP: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displaced,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J Bone Joint Surg Am, 71: 839-847, 1989.

    3) Clancey GJ: Percutaneous Kirschner-wire fixation of Colles fractures. A prospective study of thirty cases. J Bone Joint Surg Am, 66: 1008-1014, 1984.

    4) Colles A: On the fracture of the carpal extremity of the radius (Reprinted from the original 1814 article). Clin Orthop Relat Res, 445: 5-7, 2006.

    5) Cooney WP 3rd, Dobyns JH, Linscheid RL: Complications of Colles' fractures. J Bone Joint Surg Am, 62: 613-619, 1980.

    6) Dupytren B: One the injuries and disease of bones. London, The Sydenham Society: 1847.

    7) Epinette JA, Lehut JM, Cavenaile M, Bouretz JC, Decoulx J: Pouteau-Colles fracture: double-closed “basket- like” pinning according to Kapandji. Apropos of a homogeneous series of no cases. Ann Chir Main, 1: 71-83, 1982.

    8) Falch JA: Epidemiology of fractures of the distal forearm in Oslo, Norway. Acta Orthop Scand, 54: 291-295, 1983.

    9) Greatting MD, Bishop AT: Intrafocal (Kapandji) pinning of

    unstable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Orthop Clin North Am, 24: 301-307, 1993.

    10) Green DP, O'Brien ET: Open reduction of carpal dis-locations: indications and operative techniques. J Hand Surg Am, 3: 250-265, 1978.

    11) Gurd FB: The Colles-Pouteau fracture of the lower end of the radius. Am J Surg, 38: 526-538, 1937.

    12) Jenkins NH, Jones DG, Johnson SR, Mintowt-Czyz WJ: External fixation of Colles' fractures. An anatomical study. J Bone Joint Surg Br, 69: 207-211, 1987.

    13) Kapandji A: Internal fixation by double intrafocal plate. Func-tional treatment of non articular fractures of the lower end of the radius. Ann Chir, 30: 903-908, 1976.

    14) Kapandji A: Intra-focal pinning of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10 years later. Ann Chir Main, 6: 57-63, 1987.

    15) Kapoor H, Agarwal A, Dhaon BK: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distal radiu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results following closed reduction, external fixation and 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 Injury, 31: 75-79, 2000.

    16) Kim JH, Lee KH, Hwang KT: The factors of reduction loss in Kapandji technique for distal radius fractures. J Korean Soc Surg Hand, 9: 250-256, 2004.

    17) Knirk JL, Jupiter JB: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in young adults. J Bone Joint Surg Am, 68: 647-659, 1986.

    18) Lee LW, Putnam MD: Algorithmic management of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Orthop Trans, 12: 357-542, 1988.

    19) Lidstrom A: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A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y of end results. Acta Orthop Scand Suppl, 41: 1-118, 1959.

    20) Lucas GL, Sachtjen KM: An analysis of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Colles' fracture treated by Rush rod fixation. Clin Orthop Relat Res, 155: 172-179, 1981.

    21) Melone CP Jr: 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Orthop Clin North Am, 15: 217-236, 1984.

    22) Owen RA, Melton LJ 3rd, Johnson KA, Ilstrup DM, Riggs BL: Incidence of Colles' fracture in a North American community. Am J Public Health, 72: 605-607, 1982.

    23) Palmer AK: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In: Green DP ed. Operative hand surgery. 2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991-1026, 1988.

    24) Palmer AK, Werner FW: Biomechanics of the distal ra-dioulnar joint. Clin Orthop Relat Res, 187: 26-35, 1984.

    25) Rubinovich RM, Rennie WR: Colles' fracture: end results in relation to radiologic parameters. Can J Surg, 26: 361-363,

  •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정도 및 관련 인자 259

    1983. 26) Peltier LF: Eponymic fractures: Abraham Colles and Colles'

    fracture. Surgery, 35: 322-328, 1954. 27) Peltier LF: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An

    historical account. Clin Orthop Relat Res, 187: 18-22, 1984. 28) Sarmiento A, Zagorski JB, Sinclair WF: Functional bracing

    of Colles' fractures: a prospective study of immobilization in supination vs. pronation. Clin Orthop Relat Res, 146: 175-183,

    1980. 29) Shiota E: Intra-focal fixation for treating distal radius fracture:

    results of 104 cases. J Orthop Sci, 4: 106-114, 1999. 30) Taleisnik J, Watson HK: Midcarpal instability caused by

    malunited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J Hand Surg Am, 9: 350-357, 1984.

    31) Zagorski JB: Comminuted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Instr Course Lect, 39: 255-258, 1990.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http://www.color.org) /PDFXTrapped /Unknown

    /Description >>> setdistillerparams> setpage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