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KBCH Korea Biosafety Clearing House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 : 인도 << 목 차 >> 요 약 Ⅰ 주요 특징 Ⅱ 법 제도 Ⅲ 승인현황 Ⅳ 재배현황 Ⅴ 수출입 및 이용현황 Ⅵ 연구개발현황 Ⅶ 인식 Ⅷ 결론 및 시사점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KBCH

KoreaBiosafety

ClearingHouse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 : 인도

발행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KBCH 동향보고서 번호

No. 2012-002

발행일

2012. 07. 19

<< 목 차 >>

요 약

Ⅰ 주요 특징

Ⅱ 법․제도

Ⅲ 승인현황

Ⅳ 재배현황

Ⅴ 수출입 및 이용현황

Ⅵ 연구개발현황

Ⅶ 인식

Ⅷ 결론 및 시사점

Page 2: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

요 약

인도는 2011년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은 면적에서 GM작물을 재배하였으며, 세계

4위의 GM작물 재배국가이다. ISAAA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은 인도가 GM작물(Bt

면화)을 도입한지 10년째가 되는 해로 재배면적이 처음으로 1,000만 ha를 넘어

섰다. 재배되고 있는 면화의 90%가 GM품종인 인도는 Bt면화의 도입으로 면화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탈바꿈 하였고, 이로 인한 많은 경제적 효과를 누렸다.

인도가 GM작물의 도입으로 긍정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정부차원

에서 조기에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관련 규제를 마련하고 정

책적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인도 환경산림부는 환경보호법 하에

1989년 「위험미생물과 GMO 또는 GM세포의 제작, 이용/수입/수출과 저장에 대한

규제」를 제정하였으며, 이 법에 따라 환경산림부와 과학기술부 생명공학국은

관련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GMO의 실질적인 관리를 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인도에서는 유일하게 Bt면화만 재배되고 있으며, 2009년 10월에 유전

공학평가위원회(GEAC)가 Bt가지의 상업적 이용을 승인했지만 2010년 2월 환경

산림부 장관이 금지조치를 내려, 지금까지 승인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도는 공공연구기관 및 민간기관에서 연구비를 투자하여 환경스트레스(가뭄, 염분)

저항성 및 영양성분강화 등에 대한 GM작물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인력양성사업 등도 병행되고 있다.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 Bt면화와 달리 Bt가지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이어서 도입을 반대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가 정보

제공에 있어 많은 역할을 해주길 원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공공인식 증진을

위해서 개발부터 농민 이용 전반에 걸친 정보 공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인도 GMO연구정보시스템(Indian GMO Research Information

System)과 각 부처 사이트를 통해 이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인도가 아시아를 넘어 개발도상국들의 GM작물 도입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Bt가지가 승인된다면 그 주변국가 및 그 이상으로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Page 3: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 주요 특징

□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고, 국토 면적은 세계 7위에 해당되는

국가임.

- 인도 국토 면적의 44%인 약 1억 4,500만 ha가 경작이 가능한 토지이고,

농업에 종사하는 국민의 70%가 2 ha 미만의 영세농임.

- 쌀과 밀의 생산이 세계 10위권 내이지만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어, 식량이

부족한 농업국임.

□ 인도의 농업은 ‘몬순의 도박’이라는 별칭이 있을 만큼 몬순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음.

- 5월∼7월 파종, 9∼11월 수확(여름작물) : 쌀, 사탕수수, 땅콩, 면화, 옥수수

- 10월∼11월 파종, 2∼5월 수확(겨울작물) : 밀, 콩, 유지작물, 감자

□ 인도는 산업화 속도는 느리지만 다른 개도국과는 다른 정교한 행정조직, 관료

제도 확립, 양호한 교통·통신망, 풍부한 인력, 정비된 공업기반 등의 여건을

갖추고 있음.

-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농업혁신을 이루어 자급율을 높였으며, 현재 식량

안보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Bt면화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Bt가지는 허가된 바 있지만 현재 금지

조치가 내려진 상태임.

<인도 정보>

1) 명칭 : India, 인도

2) 인구 : 12억 500만 명

3) 면적 : 약 3억 3,000만 ha(세계 7위)

경작지면적 약 1억 4,500만 ha

3) 1인당 GDP : 1,388$(2011 기준)

4) 노동인구 집약도 : 농업 67%, 제조업 15%, 서비스업 18%

cf)산업비중 : 농업 25%, 제조업 35%, 서비스업 45%

Page 4: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3

Ⅱ 법․제도

1. 바이오안전성의정서

□ 인도는 2003년 1월 17일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 비준하였으며, 2003년 9월 11일

부터 발효됨.

- 환경산림부(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est)가 생물다양성협약과 바이오

안전성의정서의 이행을 담당하고 있음.

2. 규제체계

□ 인도는 ‘환경보호법 1986’을 바탕으로 GMO를 ‘위험물질’로 구분하여

“위험미생물과 GMO 또는 GM세포의 제작, 이용/수입/수출과 저장에 대한

규제(Rules for the Manufacture, Use/Import/Export and Storage of

Hazardous Micro Organisms/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or Cells, Rule

1989)”를 공포하였고, 이에 대한 관리는 환경산림부와 과학기술부 생명공학

국1)에서 하고 있음.

- 이후 생명공학국은 ‘Rule 1989'의 이행을 위해 GMO관련 가이드라인을 발

표함.

□ 인도 정부는 사안에 맞는 다양한 자문기구와 규제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기구로는 유전자조작검토위원회(Review Committee on genetic

Manipulation, RCGM)와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netic Engineering Appraisal

Committee, GEAC)가 있음.

- 유전자조작검토위원회는 GMO/위험물질과 관련된 연구 프로젝트의 안전한

수행에 대해 생명공학국에서 발표한 GMO관련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모

니터링하는 기구임.

1) 행정조직은 48개의 부(Ministry)와 118개의 국(Departments)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처 장관이 국에서 수행한 정책에 대하여 책임을 짐. 환경산림부는 국(Department)을 구성하고 있지 않음.

Page 5: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4

- 유전공학평가위원회는 환경산림부에서 운영하는 기구로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위험미생물과 재조합체의 대규모 이용과 관련된 활동을 승인하는 기구임.

<GMO 규제와 이행체계의 주요 골자>

1) 인도 GMO관련 규제

□ 인도 환경산림부는 1989년 12월 5일, 환경보호법(Environmental Protection

Act of 1986, EPA 1986)하에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위험성을 최소화 하면서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위험미생물과 GMO 또는 GM세포의 제작,

이용/수입/수출과 저장에 대한 규제(Rules for the Manufacture,

Use/Import/Export and Storage of Hazardous Micro Organisms/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or Cells, Rule 1989)”를 공포함.

- Rule 1989는 GMO의 연구개발, 상업적 응용, 시험재배와 종자생산 그리고 수입

까지 규제하고 있으며, 관련 기구를 명시하고 있음.(Box.1)

·2010년 7월, 유전공학승인위원회(Genetic Engineering Approval

Committee)의 명칭이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netic Engineering Appraisal

Committee)로 변경됨.

Page 6: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5

□ ‘Rule 1989'는 환경산림부와 과학기술부 생명공학국(Department of

Biotechnology)에서 이행을 담당하고 있음.

- 생명공학국은 ‘Rule 1989'의 이행을 위해 1990년 “재조합 DNA 안전 가이

드라인(Recombinant DNA Safety Guideline)”과 1994년 “생명공학기술 안전

가이드라인 개정(Revised Guidelines for Safety in Biotechnology)”을 발표하여

GMO의 수입, 취급, 위해 그룹, 승인 절차, 규제 이행, 규제관련 정보를 제공

하였고, 1998년 “GM종자, 식품의 독성 및 알레르기 평가 가이드라인”과

“GM식물 연구 가이드라인”을 발표함. 또한 2008년에는“GM작물의 식품/

사료 안전성 평가 프로토콜(Protocols for Food and Feed Safety Assessment

of GE crops)”을 공지함.

·환경보호법은 환경 보호 및 개선이 목적이며, 상기 생명공학국의 가이드

라인은 GMO의 연구개발, 대량 생산 및 환경방출, 연구개발을 위한 수출입

등 실질적인 GMO 취급 관리가 목적임.

- 환경산림부와 생명공학국은 2008년에 공동으로 “GM식물의 밀폐시험재배에

대한 표준화 절차 및 가이드라인(Guidelines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for Confined Field Trials of Regulated, Genetically

Engineered (GE) Plants)”과 “GM작물 유래 식품의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Guidelines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Foods Derived from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을 발표했음.

□ 인도 경제산업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경제국(Department of

Commerce)은 2006년 대외무역법(Foreign Trade Act)을 개정하여 GMO관련

수입 조항을 명시하였음.

- 연구개발, 식품 사료, 가공, 환경방출을 위해 GMO를 수입할 경우 ‘EPA

1986’과 ‘Rule 1989’의 규정에 따라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의 허가를

받아야하며, 연구개발용 GMO수입을 위해서는 유전공학검토위원회(RCGM)에

제안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음.

- 또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GMO임을 분명히 해야 하는데, 추후에

GMO임이 밝혀지면 수입업자는 대외무역법상의 벌칙조항에 따라 처벌받게 됨.

Page 7: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6

□ 2007년 11월 13일, 과학기술부는 국가생명공학규제기구(National Biotech

Regulatory Authority, NBRA)를 설치하여 바이오안전성에 대한 정보제공 창

구를 단일화하여 인도의 생명공학규제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국가생명공학

전략을 발표하였음.

□ 이후 2008년 5월 생명공학국은 “국가 생명공학 규제 법안(National

Biotechnology Regulatory Bill)”과 “국가생명공학규제기구 설립을 위한 계획”의

초안을 발표함.

- 부처 간 다양한 이해당사자들 간의 토의를 거친 후 생명공학국은 최종적으로

“인도 생명공학규제권한 법(Biotechnology Regulatory Authority of India

Bill, BRAI법)"을 발표하였고, 의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기다리고 있음.(표1)

·BRAI법이 통과되기 전까지는 기존의 법률에 따라 GMO를 관리함.

부처 조율 내용

환경산림부 GEAC, ‘Rule 1989’ 이행에 책임을 지는 핵심 기구

과학기술부 산하

생명공학국

·GEAC에 가이드라인 및 기술적 지원 제공

·인도에서 진행되는 GM제품의 연구개발의 바이오안전성 평가

및 승인

농업부관능평가를 위한 시험재배 이후 GM작물 품종의 상업적 방출에

대한 평가 및 승인

보건가족부 GM작물 및 제품의 인체 위해성 평가 및 승인

그 외 州정부 생명공학연구 시설 모니터링 및 환경 방출시 피해 점검

생명공학국, 농업부,

그 외 州정부다양한 연구기구와 대학의 농업생명공학 연구개발 지원

표1. BRAI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담당부처와 내용

Source : GAIN Report, India Agricultural Biotechnology Annual 2011

Page 8: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7

Box.1‘Rule 1989'에 규정된 6개 기구

재조합 DNA 자문위원회(Recombinant DNA Advisory Committee, RDAC)

·국내외 생명공학기술 동향을 파악하여 인도 실정에 맞고 안전하게 응용할 수 있는

기술 추천 및 가이드라인 마련

·생명공학국 산하 기구

유전자변형검토위원회(Review Committee on Genetic Manipulation, RCGM)

·바이오안전성측면에서 GM제품의 연구 이용부터 산업적 응용까지 관계된 규제절차

개발

·‘Rule 1989'에 명시된 GMO의 이용과 수입판매에 대한 금지 또는 제한

·생명공학국(Department of Biotechnology, DBT) 산하 기구

기관바이오안전성위원회(Institutional Biosafety Committee, IBC)

·환경안전성을 보장하면서 GMO의 연구, 이용, 응용에 대한 규제 절차 매뉴얼 개발

·수행 중인 밀폐 다지역 시험재배 단계의 감시 및 모니터링

·시험연구용 GMO의 수입 승인

·지방정부와 주정부 생명공학기구 간의 조율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netic Engineering Appraisal Committee, GEAC)

·GM제품의 상업적 이용, 환경안전성 측면에서 GMO의 연구와 산업적 생산, 대규모

이용에 대한 승인

·RCGM에 GMO와 관련된 기술적 측면 컨설팅

·GM식품/사료, 가공제품의 수입 승인

·환경산림부 산하 기구

·2010년 7월 22일, 유전공학승인위원회(Genetic Engineering Approval Committee)

에서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netic Engineering Appraisal Committee)로 명칭 변경

州생명공학조율위원회(State Biotechnology Co-ordination Committee, SBCC)

·GM제품 취급에 대한 안전성과 그 통제방법에 대한 정기적인 검토

·위반사항에 대해 州의 오염관리 위원회 또는 보건부를 통한 처벌

·필요한 경우 州에서 설치 운영

지역위원회(District Level Committee, DLC)

·연구 및 생산시설의 안전성 모니터링

·rDNA 규제이행 조사 및 SBCC 또는 GEAC의 위반사항 보고

·생명공학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관할지역에서 설치 운영

Page 9: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8

2) 시험재배

□ 2008년 GEAC는 ‘이벤트기반’ GM작물 승인시스템을 채택하였고, 시험재배는 환

경과 인체 안전성, 이벤트/형질의 효율성 등 바이오안전성 이슈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

- 농업적 평가는 인도농업연구회(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ICAR)와 주 농업대학으로 구성된 국가농업연구시스템에 따라 진행됨.

□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가 모든 시험재배 승인을 결정하는 기구로, 인도 정

부는 GM작물의 시험재배는 신청자 자체 농장과 농업대학 실험농장 두 곳에서

수행해야 한다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음.

□ 상업적 이용을 승인하기 전에 반드시 인도농업연구회(ICAR) 또는 농업대학의

감시 하에 농업적 평가를 위한 시험재배를 수행해야 함.

- 제품 개발자들이 바이오안전성평가와 함께 농업평가를 수행하거나, 유전공

학평가위원회(GEAC)가 환경 승인을 추천한 이후에 따로 시험재배를 수행한

후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가 최종결정을 내림.

□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는 2011년 7월부터 시험재배를 실시하는데 있어 시험

재배가 진행되는 주정부의 승인(No Objection certificate, NOC)을 받도록 함.

- 이미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가 승인한 시험재배 건에 대해서도 주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하였음.

3) GM작물의 상업화 절차

□ GM작물의 상업화를 위해서는 신청자가 기관바이오안전성위원회(IBC)에 신

청서를 접수하고, 기관바이오안전성위원회(IBC)는 신청서를 검토한 후 유전

자변형검토위원회(RCGM)에 전달함.

□ 유전자변형검토위원회(RCGM)는 평가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를 생성하고 다

지역 시험재배(Multi-Location Trial, MLT)를 승인하고, 감시 및 평가 위원

회(MEC)가 시험재배 수행 결과를 유전자변형검토위원회(RCGM)에 보고한 후

대규모 시험재배(Large Scale Trial)를 제안함.

Page 10: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9

□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는 최종승인기구로서, 농업연구위원회(ICAR)가

대규모시험재배를 바탕으로 한 농업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유전공학평가

위원회(GEAC)에 결과를 제출하고,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는 검토를

거쳐 대규모 이용 및 환경방출을 승인하게 됨.

그림 1. GM작물의 상업화 승인 절차 개요

Source : DBT 자료 편집

* 각 기구에 대한 역할은 Box1 참조

□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의 결정 이후 환경산림부는 해당 GM작물이 환

경에 영향이 없음을 인정 또는 불인정 할 수 있음. 또한, GEAC의 결정은

농업부에도 통보되어 관련 규칙에 따라 상업적 농업 방출이 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게 됨.

Page 11: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0

4) 종자 및 식품 정책

(1) 종자 정책

□ 2002년 농업부는 “종자정책(Seed Policy)”으로 GM작물의 종자 이용을 관리함.

- 모든 GM종자는 이용되기 전에 해당기관에서 안전성과 환경 평가를 받아야 함.

·국가식물유전자원국(National Bureau of Plant Genetic Resources, NBPGR)은

연구용 GM종자의 수입 승인 및 검토하는 책임기구임.

·인도농업연구위원회(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ICAR)는 GM

작물의 농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두 시즌 동안의 평가를 담당하고

있음.

□ “1966년 종자법”은 종자의 품질을 관리하는 반면, “1983년 종자통제명령”은

GM작물을 포함한 종자의 판매 허가 및 관리를 규정하고 있음. 새로운 종자

법을 2004년 12월에 입안하였지만 지금까지 의회의 최종통과를 기다리고 있음.

- 새로운 종자법은 ‘EPA 1986’에 따라 증명서가 발급되지 않은 품종에 대

해서는 품종 등록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음.

□ 2001년, GM식물을 포함한 새로운 식물 품종의 지적재산권과 농민을 보호하기

위한 ‘식물품종 및 농민권리 보호법(Protection of Plant Varieties and

Farmers' Right Act)'이 발효됨.

- 법에 따라 식물품종 및 농민권리 보호국(Protection of Plant Varieties and

Farmers' Right Authority, PPVFRA)이 2005년에 설치되었으며, 지금까지

GM면화 교잡종과 품종을 포함하여 30개 작물이 공식적으로 등록되어있음.

- PPVFRA는 점차적으로 등록을 위한 공식 작물 품종을 확대할 계획임.

(2) 식품 정책

□ 2006년 8월 24일, 통합 식품법인 ‘식품안전 및 표준법 2006(Food Safety

and Standards Act of 2006)'이 제정되었으며, 보건가족부가 법 이행을 책임

지고 있음.

Page 12: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1

- 이 법에 따르면 인도 식품안전표준청(Food Safety and Standard Authority of

India, FSSAI)을 단일 창구로 하여 모든 식품법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음.

·FSSAI의 권한은 식품 평가에 대해 과학을 기반으로 한 표준을 개발하는

것과 국제 규정과 인도 식품표준의 조화를 담당하고 있음.

·또한, 가공식품을 포함하여 GM제품을 관리하는 특정 조항을 갖고 있으며

식품안전성평가를 수행하고 있음.(그림2)

식품

안전성

평가

환경

안전성

평가

분자생물학적 특성

단백질 특성

FSSAI GEAC

그림2 FASSAI와 GEAC의 역할 비교

Source : FSSAI

□ 2007년 8월 환경산림부는 최종산물에 LMO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GM제품에서

유래된 가공식품은 인도에서 생산, 판매, 수입, 이용하는데 있어 유전공학평

가위원회(GEAC)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된다고 공고함.

- 이는 가공 식품이 환경에서 자기복제를 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Rule

1989'에 따라 환경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 그러나, LMO 제품을 수

입하는 경우는 ‘EPA 1986’규제에 따라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의 관

할에 들어감.(표2)

Page 13: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2

해당 GMO 책임기구

밀폐연구(실험실, 온실실험) RCGM

이벤트 선발 실험/BRL-1 실험 RCGM과 GEAC(MoEF)

GM식품(살아있거나 가공된 것)의 식품안전성평가 FSSAI

GMO의 환경 위해성 평가 GEAC

GM식품(가공식품)의 상업적 방출 승인 FSSAI

GM식품(ex.LMO)의 상업적 방출 승인 GEAC

GMO의 상업적 방출 승인 GEAC

표2. 해당 GMO별 책임기구

Source : FSSAI

3. 표시제

□ 인도는 2006년 5월, 보건가족부(Ministry of Health and Family Welfare)가

‘불량식품방지법(Prevention of Food Adulteration Rules, 1955)'을 개정하여

GMO의 표시를 의무화하는 조항을 마련하였으나 아직 마무리 되지 않았음.

이에 식품안전표준청(FSSAI)은 ‘식품안전 및 표준법’하에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힘.

- 2006년 대외무역법 개정 시 수입되는 모든 GM제품은 반드시 표시해야한다는

조항이 신설됨에 따라 보건가족부의 표시제 제정 움직임이 시작됨.

- 표시대상은 GMO를 함유하고 있거나 GMO로 생산된 모든 식품에 적용되며,

GM성분의 함량에 관계없이 반드시 표시해야함.

·표시제는 국내생산 및 수입제품 모두에 해당되며, 수입식품 중 평가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입국에서 유통되고 이용되어 왔다는 것을 확인해야 함.

□ 2011년 8월, 식품안전표준청(FSSAI)에서 마련한 기존의 모든 식품안전관련

규제를 아우르는 종합식품안전규제인‘식품안전표준규제(Food Safety and

Standards Regulations)’가 발효되었는데 GM식품 표시제에 대한 내용은 누락

되어 있어 환경단체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임.

- 환경단체들은 식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Bt가지의 승인을 걱정하며 표시제

도입이 더욱 엄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식품의 안전을 통합관리하기 위해

제정된 법에 표시제 내용을 추가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표명함.

Page 14: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3

Ⅲ 승인현황

□ 인도는 지금까지 6개 이벤트와 300개 이상의 교잡종 면화를 승인함. (표3.)

작물 이벤트 개발자 승인연도

1

면화

MON-531 Mahyco/Monsanto 2002

2 MON-15985 Mahyco/Monsanto 2006

3 Event-1 JK Agri-Genetics 2006

4 GFM Event Nath Seeds 2006

5 BNLA-601 CICR(ICAR) & UAS, Dharwad 2008

6 MLS-9124 Metahelix Life Sciences 2009

표3. 인도에서 승인된 이벤트 현황

- Bt면화가 처음으로 상업화되었던 2002년부터 GM면화 및 교잡종에 대한 승

인은 계속 증가해왔으며, 지역마다 기후 및 특성에 맞는 이벤트와 그에 따라

승인된 교잡종이 다름.(표4)

·북부지역 (5개 이벤트, 279개 교잡종), 중앙지역(6개 이벤트, 549개 교잡종),

남부지역(6개 이벤트 488개 교잡종)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북부교잡종 6 14 32 62 64 271 279

이벤트 1 3 4 4 5 5 5

중앙교잡종 3 3 4 12 36 84 148 296 459 549

이벤트 1 4 4 4 6 6 6

남부교잡종 3 3 4 9 31 70 149 294 444 488

이벤트 1 4 4 4 6 6 6

합계교잡종 3 3 4 20 62 131 274 522* 780 884*

이벤트 1 1 1 1 4 4 4 6 6 6

표4. 연도별 지역별 승인현황

Source : ISAAA Brief No.43 편집

Page 15: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4

□ Bt가지는 2000년부터 개발에 착수하고 규제절차를 준수하여 유전공학평가위

원회(GEAC)로부터 최종승인을 받았으며, 농업부 장관은 2009년 10월에 Bt가

지의 상업적 이용을 권고함. 그러나 환경산림부 장관이 유전공학평가위원회

(GEAC)의 승인결정에 반대의사를 표명하며 공공 의견 수렴을 토대로 2010년

2월 Bt가지에 대해 금지조치를 내렸고, 지금까지 이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음. (Box.2)

Box2. Bt 가지

1. Bt가지

o 가지는 해충, 질병에 취약한 작물로 천공충(Fruit and shoot borer, FSB)인

Leucinodes orbaonalis 로부터의 피해가 가장 극심하여 모든 가지 재배지역에서

큰 문제가 되어 왔으며,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면적에서 가지를 재배하고 있지만

생산성은 6위에 그치는 비효율적인 농업형태를 보여옴.

o 이에, 천공충(Fruit and Shoot Borer, FSB)에 저항성을 부여하는 살충단백질인

cry1Ac 유전자가 도입되어 개발된 품종임.

2. Bt가지의 승인

o Bt가지는 2000년부터 개발에 착수하고 규제절차를 준수하여 2009년 10월, GEAC

로부터 최종승인을 받았으며, 농업부장관은 Bt가지의 상업적 이용을 권고한 바

있음.

o 그러나 환경산림부 장관은 승인결정에 반대의사를 표명하여 7차례에 걸친 공청회

결과를 바탕으로 2010년 2월에 Bt가지 승인 금지조치를 내림.

3. Bt가지 금지조치 그 이후

o Bt가지의 상업화를 금지한 이후 6개의 인도 최고 과학기관이 Bt가지의 위해성 평가를

재검토하여 2010년 12월 보고서를 제출하였지만 환경산림부 장관은 이를 신뢰할

수 없다며 Bt가지의 상업화에 대한 결정을 보류함.

o Bt가지 금지조치 이후 일부 州에서는 시험재배 조차 거부하였고, 이후 유전공학평가

위원회(GEAC)는 다른 작물의 시험재배를 수행할 때 연방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하더

라도 수행되는 지역의 州 정부의 승인도 받도록 하여, GM작물에 대한 시험재배도

경직되는 현상을 보임.

o 과학자들은 9년에 걸친 개발 및 평가 작업이 끝나 승인된 Bt가지에 대한 더 이상의

평가는 무의미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Bt가지가 식품이라는 특성 때문에 반대

여론도 그만큼 높음.

o 현재까지 Bt가지 승인에 대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고 있음.

4. Bt가지 승인 전망

o 현재 인도 주변국(필리핀, 방글라데시 등)에서 Bt가지의 시험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임. 이에 인도에서 Bt가지가 인도에서 승인된다면 주변국들로의 빠른

확산이 예상되어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됨.

Page 16: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5

Ⅳ 재배현황

□ 인도는 2002년부터 GM작물인 Bt면화가 상업화되어 재배된 지 10년이 되었고,

2011년은 세계 4위의 GM작물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면적에서 GM작물을 재배하고 있음.

□ 2011년은 GM작물 재배면적이 처음으로 1,000만 ha를 넘어선 해로, 1,060만 ha

에서 재배되었음.

- 전세계 면화 재배면적은 3,360만 ha이며, 그 중 인도가 전체의 1/3을 점유하고

있어 가장 많은 면적에서 면화를 재배하고 있음.

- 전체 면화 재배 면적 1,210만 ha의 88%가 GM품종임.

·GM면화가 처음 도입되던 해인 2002년에는 5만 ha에서 재배되었는데 10년

만에 212배가 증가하였으며, 이를 도입한지 5년 만에 중국의 재배면적을

능가하였음.

·2011년, 세계에서 가장 넓은 면적에서 GM면화가 재배됨.

- 재배면적은 2010년보다 120만 ha가 증가했으며, 700만 명의 농민이 평균

1.5ha에서 GM면화를 재배함.

□ 인도에서는 2006년 복합형질이 도입된 이후 꾸준히 점유율이 높아져 2011년

복합형질 면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82%에 달함.(표5)

- 처음 도입된 복합형질 GM면화 품종은 해충저항성 유전자 2개(Cry1Ac,

Cry2Ab)가 삽입된 BollgardⓇII임.

유전자수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이중(Double)

-0.15(4%)

0.46(8%)

2.04(27%)

4.82(57%)

6.6(70%)

8.7(82%)

단일(Single)

1.3(100%)

3.65(96%)

5.74(92%)

5.56(73%)

3.58(43%)

2.8(30%)

1.9(18%)

합계1.3

(100%)3.8

(100%)6.2

(100%)7.6

(100%)8.4

(100%)9.4

(100%)10.6

(100%)

표5. 연도별 형질별 재배면적 현황 단위 (백만 ha)

Source : ISAAA Brief No.43 편집

Page 17: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6

Ⅴ 수출입 및 이용현황

1. 수출입 규제

1) 수출

□ 인도는 기본법인 'Rule 1989'에 GEAC의 승인 없이는 수출입을 할 수 없다는 조

항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 외에 인도 대외무역 정책(India's Foreign Trade

Policy)하에 이중용도품목(Dual-use items) 및 기술의 수출을 규제하고 있는데,

GM미생물이 규제 항목에 해당되어 라이센스 취득 여부에 따라 수출이 금지 혹은

허가됨.

- 이중용도품목은 특별 화학물/생물체/원료/장비/기술(Special Chemicals,

Organisms, Materials, Equipment and Technology, SCOMET)로 분류되어 있으며,

8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음.(Box.3)

·라이센스는 인도 경제산업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ies) 산하 대

외무역부(Directorate General of Foreign Trade)에서 관리됨.

- GMO는 ‘Category 2’인 ‘미생물, 독소(Micro-organisms, toxin)’에 분류

되어 있음.

· GMO는 박테리아, 진균, 기생충, 바이러스, 리케챠병원균, 독성을 갖는 미생

물을 유전자변형하거나 병원균의 유전자가 포함되거나, 언급한 미생물에서

파생된 것들이 해당됨.

· 상황에 따라 Category 2는 다른 가이드라인의 통제를 받을 수 있음.

Box3. SCOMET 목록

Category 0 핵물질, 핵과 관련된 물질, 장비 및 기술

(이 카테고리의 라이센스 발급은 원자력에너지부에서 함)

Category 1 독성화학물질과 다른 화학물

Category 2 미생물, 독소

Category 3 원료, 원료가공장치, 관련기술

Category 4 핵과 관련된 장비, 원소; 테스트, 생산장비; Category 0의 대상이 아닌 것

Category 5 우주항공시스템, 생산 및 테스트장비, 관련 기술, 특별 제작된 구성요소,

악세사리

Category 6 (Reserved)

Category 7 정보보안을 포함한 전자, 컴퓨터, 정보기술

Page 18: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7

2) 수입

□ 2006년 8월 인도 경제산업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ies)는 GM제품을

수입하기 전에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의 승인을 먼저 받도록 하였음.

□ 인도는 GM제품의 수입 목적에 따라 관련 규제에 따라 담당 기구를 두어 업무를

관장하고 있음.(표6)

- 규제는 크게 연구개발용, 환경방출용, 식용/사료용으로 구분하고 있음.

- GM식품은 FFP(ex, 옥수수, 대두, 감자 등), GM유래 가공식품(ex,옥수수가루,

대두박, 감자칩 등), GM성분이 포함된 식품(ex, non-GM 밀가루와 GMO유래

효소를 이용해서 만든 빵)으로 구분하여 관리함.

·이들의 수입을 위해서는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신청자들은 출항하기 최소 90일 전에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에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함.

구분 관할 기구 관리규제

연 구 개 발 용

GMO/LMOIBSC/RCGM/NBPGR

Rule 1989, 바이오안전성가이드라인1990과

1998, 식물검역법 시행령(2004, NBPGR제정)

환 경 방 출 용

GMO/LMO

IBSC/RCGM/GEAC/

ICAR

Rule 1989

바이오안전성가이드라인 1990과 1998

식품 /사료용

GMO/LMOGEAC

Rule 1989와 바이오안전성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된 바이오안전성과 식품안전성 연구

표6. 수입 목적별 관할 기구

Source : GAIN Report, India Agricultural Biotechnology Annual 2011

□ 2007년 6월 22일,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는 정제된 상태인 RR대두에서

유래한 대두유의 수입승인을 영구적으로 허용하였음.

- 그러나 벌크 상태로 들어오는 곡물, 반가공/가공된 다른 GM식품은 수입하기

전에 먼저 승인을 받아야 함.

Page 19: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8

2. 이용현황

1) 면화

□ 인도에서 GM작물의 이용이 승인된 것은 면화가 유일함. 면화와 이를 활용한

제품들은 인도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대중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 면화는 67%가 식품과 사료용으로, 34%가 섬유용으로 이용됨.

□ 인도는 Bt면화를 도입한 후 면화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변모했음.(그림3)

- 1997년∼2002년까지 면화 수입이 수출보다 많았으나 2002년 Bt면화가 도입된

이후 2004/05년부터는 수출되는 양이 월등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표7)

그림3. 인도의 연도별 면화 수출입 현황

Source : ISAAA Brief No.43 편집

Page 20: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19

연도수입 수출

(십만 bales)경제적가치(천만 Rs)

(십만 bales)경제적가치(천만 Rs)

1997-98 4.13 497.93 3.50 313.62

1998-99 7.87 772.64 1.01 86.72

1999-00 22.01 1967.92 0.65 52.15

2000-01 22.13 2029.18 0.60 51.43

2001-02 25.26 2150.01 0.50 44.40

2002-03 17.67 1789.92 0.84 66.31

2003-04 7.21 880.10 12.11 1089.15

2004-05 12.17 1338.04 9.14 657.34

2005-06 5.00 695.77 47.00 3951.35

2006-07 5.53 752.29 58.00 5267.08

2007-08 6.38 978.54 88.50 8365.98

2008-09 10.00 1377.80 35.00 3837.13

2009-10 7.00 1195.64 83.00 10270.21

2010-11 5.00 NA 68.80 N.A.

2011-12 6.00 NA 84.00 N.A.

데이터는 추정치NA: Not applicable

표7. 연도별 인도의 면화 수출입 양

Source: Cotton Advisory Board

□ 2011년 인도 중앙면화연구소(Central Cotton Research Institute: CICR)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02년에 공식적으로 허용된 GM품종으로 초기에는

수확량이 급격히 증가했었지만, 지금은 생산성이 정체 혹은 다소 감소하는 경

향을 보이고 있어 향후,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함.

-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로 신종 해충의 출현, Bt품종의 연작으로 인한

토양 황폐화, 농민들이 적합한 품종을 선택할 수 있는 혜안의 부족 등을 언

급하며, 생산성 유지를 위한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함.

Page 21: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0

2) 대두

□ 인도는 전세계 대두 생산의 4%를 차지하며 세계 5위의 생산국이지만, 세계 6위의

소비국이기도 함.

- 인도에서는 GM대두가 상업적으로 재배되지 않아 생산되는 대두는 non-GM

품종으로 시장경쟁력이 매우 높음

- 생산되는 대두의 82%가 대두박 생산에 이용되는데 30%가 내수용으로 이용되며

나머지는 수출하고 있음.

·2007/08 기준 총 640만 톤의 대두박 중에서 190만 톤이 내수용으로 이용

되었으며, 나머지는 수출됨.

□ 인도는 식용유 소비량의 40~4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두유(13%)는

팜오일(84%) 다음으로 많이 수입되고 있음.

- 대두유는 GM작물을 대단위로 재배하고 있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미국으로

부터 수입되고 있음.

·GM작물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유전공학평가워원회(GEAC)의 승인을 받아

야만 하지만, 대두로 만들어진 정제된 대두유에 한에서는 수입을 허가하

였음.

Page 22: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1

Ⅵ 연구개발현황

□ 인도는 GM작물로는 유일하게 GM면화(단일 또는 복합 형질)가 주는 혜택을

성공적으로 활용하였고, 염분, 가뭄내성, 질병저항성 및 다른 기타 형질의 도

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현재 10개 작물에 대해 시험 재배가 진행되고 있음.(표8)

□ 연구는 대부분 농업연구위원회(ICAR), 과학산업연구회(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CSIR), 생명공학국 등의 지원을 받는 공공연구기관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민관에서 투자되는 연구비는 연간 총 5억 달러에 이름.

- GM작물에 투자되는 연구비는 최근 5년 동안 꾸준히 증가였으며, 공공기관

에서 연간 3억 달러, 민간기관에서 2억 달러 정도 투입되고 있음.

- 생명공학국에서 2012년 4월까지 진행 중인 생명공학연구 프로젝트는 1,800

여개가 넘으며, 농업생명공학, 기초생물학, 분자생물학, 해양생명공학 등 많은

분야에 걸쳐 진행되고 있음.

Page 23: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2

작물 기업 시험재배단계 형질

1 고무 Rubber Research Institute of India

BRL-1 (Not conducted) 환경스트레스내성

2 수수 Directorate of Sorghum Research BRL-1 해충저항성

3 벼 E.I. Dupont India Pvt. Ltd Eventselection(Conducted) 웅성불임

4 땅콩 ICRISATEvent selection in net (Not conducted)

질병저항성

5Glytol

면화Bayer Bioscience Pvt Ltd. BRL-1 (Not

conducted) 제초제내성

6 면화 Bayer Bioscience Pvt Ltd. Event Selection (Ongoing) 해충저항성/제초제내성

7

Roundup

ReadyFlex

면화

Maharashtra Hybrid Seeds Company Ltd

BRL-1 (Not conducted) 제초제내성

8 옥수수

Syngenta Biosciences Pvt. Ltd.

BRL-I 2nd year trial (Ongoing) 해충저항성/제초제내성

Pioneer Overseas Corporation

BRL-I 2nd year trial (Conducted) 해충저항성/제초제내성

9 겨자 University of Delhi South Campus, New Delhi.

BRL-I 2nd year trial (Ongoing) 웅성불임

10피마자

(Castor)Directorate of Oilseeds Research

Event selection (Ongoing) 해충저항성

표8. 시험재배 중인 작물 현황

BRL-I: Biosafety Research Level-I , BRL-II: Biosafety Research Level-II Source : IGMORIS 일부 발췌

□ 인도의 종자 및 농업생명공학산업과 관련된 민관기관들은 새로운 연구 착수

및 최첨단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24개의 공공기관들은 주로 4개의 형질에 초점을 맞추어 GM작물을 연구하고

있음.

·해충/질병저항성, 가뭄과 염분과 같은 환경스트레스 내성, 보존력증대/무름

지연과 같은 수확 후 특성, 단백질과 미세영양소 함량 증대 등

- 민간기업들은 인도에서 GM기술을 성과로 연결시키고 농민들이 이를 활용하

도록 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Page 24: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3

·민간기업들은 공공부분보다 연구를 위한 GMO 수입도 활발하게 진행해

왔으며, 그중 Monsanto와 Bayer가 이를 주도하고 있음.(표9, 그림4)

작물 민간부분(%) 공공부분(%) 점유율(%)

면화 22(100) 0(0) 28

벼 13(65) 7(35) 25

옥수수 18(95) 1(5) 24

밀 2(100) 0(0) 3

유채/겨자 5(100) 0(0) 6

대두 3(100) 0(0) 4

채소 4(100) 0(0) 5

병아리콩 0(0) 2(100) 3

감자 0(0) 1(100) 1

담배 0(0) 1(100) 1

표9. 작물별 부분별 연구개발용 GM 재식재료 수입 현황

Source : The Seed and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dustries in India, IFPRI

그림4. 1997-2008년까지 민간부문의 GMO 수입건수

Source : The Seed and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dustries in India,

IFPRI

□ 인도의 GM동물 연구는 태동기라고 볼 수 있음. 대부분의 연구는 가금류 및

어류의 유전체 분석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이를 우유나 고기의 생산, 번식과

같은 중요한 형질 개발을 위한 육종 프로그램에 이용하고 있음.

- 현재 상업적으로 승인된 GM동물 및 제품은 없음.

Page 25: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4

Ⅶ 인식

□ 2010년 4월, Gene Campaign과 Hyderabad 대학은 인도의 GMO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이해하고 인도에서 추진 중인 생명공학기술 정책의 투명성과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3년간 실시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함.

- 조사는 5개 주에 걸쳐 농민과 소비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됨

□ 대부분의 농민들은 GM종자를 원하고 있지만, 식품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성향을

띄고 있음.

- 농민 대부분은 식품보다는 환금작물에 GM종자를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농민의 80%는 식용 GM작물의 재배는 원치 않았으며, 이는

부농, 소농, 교육여부에 관계없이 비슷한 의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GM이 일반 작물과는 다르다는 견해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났으나, 이들은

기술의 채택으로 얻은 토양 비옥도와 생산성을 포기하고 싶지 않아함.

□ 어느 정도 교육을 받고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도시 소비자들의 80%가

GM식품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여 GM작물과 식품에 대한 도시

소비자들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소비자들은 GMO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었으며, GM작물로 인한 혜택 또는

위험에 대해서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함.

□ 농민들은 정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은

정부가 새로운 기술과 종자의 모니터링과 통제를 해주길 원하고 있음.

- 많은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도 소비자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상업적 승인에 이르기까지 과정에 대한 정보 공개가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음.

- 인도 정부는 GMO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인 인도 GMO연구정보 시스템

(Indian GMO Research Information System, IGMORIS)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

으며, 관련 정부기관에서도 해당 GMO와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고 있음.

Page 26: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5

Ⅷ 결론 및 시사점

□ 인도는 생명공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규제 및 관리체계를 정비하여 많은 연구

시설, 기술, 인력을 기반으로 하여 빠른 기술적, 경제적 성장을 이룩하였음.

- 인도는 GM작물이 도입되기 이전부터인 1989년부터 생명공학기술의 안전한

이용을 위하여 규제를 마련하고 관리체계를 정비하여 생명공학 육성과 장

려에 힘써왔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지속되고 있음.

·인도 국무총리는 2차 농업혁명의 주요 동력으로 농업생명공학을 장려해야

한다고 했으며, 농업부 장관 역시 기후변화와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 생산

증진 및 경제적 성장을 위해 이를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음.

- 정부차원에서의 R&D 자금 및 정책 지원, 해외 선도 기업과의 협력, 인력양

성사업(ex. UNESCO와의 교육프로그램) 등을 추진하는 등 생명공학의 발전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 인도의 GMO관련 규제 및 관리 체계는 기본법 이행경험을 바탕으로 꾸준히 정

비되어 왔으나, 2010년 Bt가지 금지조치 이후 규제 개정과 관리체계 재정비에

대한 내용이 빠르게 확산되었고, 이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음.

- 의회에 제출되어 통과를 기다리고 있는 '생명공학규제권한법(BRAI)'은 GMO

규제 기구의 단일화를 제안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 법안이 2012년 의회

몬순회기(7~8월)에서 통과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2011년 7월, GEAC는 연방차원에서 시험재배를 승인했다 하더라도 시험재배가

수행되는 州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함.

·연구자 및 산업계는 이러한 조치가 GM작물 도입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그만큼 인도가 누릴 수 있는 혜택의 범위가 좁아질 것이라는 의견

을 표명하고 있음.

- 면화와는 달리 가지가 식용채소라는 특성 때문에 사회적으로 GM식품 표시

제를 더욱 강화해주길 원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표시제 도입으로 인한 사

회경제적 효과도 충분히 고려해봐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음.

Page 27: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6

□ Bt면화의 도입으로 인도는 사회경제적분야에서 긍정적인 혜택을 경험하였고,

이는 주변국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 그러나 최근 Bt면화의 생산성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함.

- Bt면화를 도입한지 5년 만에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변모하였고, 농민들에

게도 살충제 이용 감소 및 생산성 증대에 따른 소득 증대 효과를 창출하여 주

변국 외에도 동남아시아의 국가들에게까지 GM작물 도입과 규제에 있어 선도

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등의 주변국에서는 인도의 성공사례를 모델로

삼아 이러한 긍정적 효과를 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인도 중앙면화연구소는 조사결과 Bt면화의 생산성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새로운 GM품종의 개발, 농민들이 품종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제공 등 생산성을 유지하고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해 줄 것을 제안함.

□ GM작물을 도입하는데 있어 인도는 아시아를 넘어 개발도상국들에게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체계화된 규제시스템과 함께 Bt가지의 승인이 처음

으로 진행 된다면 주변국으로의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

- Bt가지가 승인되면 인도 뿐 아니라 가지의 시험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필리핀, 방글라데시와 같은 국가는 물론, GM연어의 승인이 지연되고 있는

미국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임.

·GM작물을 도입하는데 있어 개발도상국들이 산업국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 일반적이라면, Bt가지의 승인은 역으로 개발도상국이 산업국에게 영

향을 줄 수 있는 첫 사례가 될 수도 있어, 시기적으로나 지역적으로나 중

요한 기점에 놓여있음.

Page 28: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7

참고자료

·바이오안전성백서 2011

·Clive James,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1, 2012

·David J. Spielman etc. The Seed and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dustries in India,

IFPRI, 2011

·Sangeeta Bansal etc. Labeling Genetically Modified Food in India, IFPRI, 2010

·Operationalizing the Regul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India, FSSAI

·India-Agricultural Biotechnology Annual 2011, GAIN Report No. IN1187, USDA

Foreign Agriculture Service, 9/15, 2011

·India-Cotton and Products Annual, GAIN Report No. IN2047, USDA Foreign

Agriculture Service, 3/30, 2012

·India-Grain and Feed Annual, GAIN Report No. IN2026, USDA Foreign Agriculture

Service, 2/23, 2012

·Biotech Facts & Trends-India, ISAAA, 2011

·Gurinder Jit Randhawa, Import and Commercialization of Transgenic Crops: An

Indian Perspective, Asian Biotechnology and Development Review, Vol.11, No.2,

115-130, 2009

·DBT Annual Report 2010/2011

·Indian Biotechnology Sector-Overview, EBTC

·Rabobank, Indian Agri-Biotech sector, 2007

·Gene Dampaign, Peoples/ perceptions about GM crops and Foods, 2010

·Bhagirath Choudhary, Socio-Economic and Farm level Impact of Bt Cotton in India,

2002 to 2010

·Centre for Environment Education, National Consultations on Bt Bringal, 2010

·John Samuel, Genetically engineered Bt brinjal, Novel Solanaceae Crops Project 2012

·Esha shah, 'Science' in the Risk Politics of Bt Brinjal, Economic & Political Weekly,

2011

·Bridging the Knowledge Divide:Experiences in CommunicatingCrop Biotechnology,

ISAAA, 2008

Page 29: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8

참고사이트

·Government of India(http://india.gov.in/)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http://commerce.nic.in/)

·GEAC(http://www.envfor.nic.in/divisions/csurv/geac/biosafety.html)

·Indian GMO Reserch Information System( http://igmoris.nic.in/major_developments1.asp)

·MoEF(http://moef.nic.in/)

·Department of Biotechnology(http://dbtindia.nic.in/index.asp)

·Hindustan Times(http://www.stee.agri.gov.cn/biosafety/spxx/)

·the Financialexpress(http://www.fianacailexpress.com)

·GeneCampaign(http://www.genecampaign.org)

Page 30: KBCH - attfile.konetic.or.krattfile.konetic.or.kr/konetic/xml/THEMA_INFO/T2A3A1320488.pdf ·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 Ⅰ주요 특징 인도는

국가별바이오안전성동향 : 인도

KBCH 동향보고서 29

바이오안전성 동향 : 인도

2012 7월 19일 발행 │ 조정숙 │ 발행인 장호민/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장발행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동 1층

전화 042-879-8399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2012※ 이 보고서 내용은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의 공식적인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