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 제7권 제1호 , 259 - 278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studying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tatu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임 재 택(Jae-Tack Lim)***

요 약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1990년대 초 한국에서 태

동한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현황은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저서, 논문 및 기타 관련 연구물 등 3부류로 나누어 살

펴본 결과 양적․질적 수준에서 극히 미진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유아교육학계에서

유아교육사 연구 분야는 물론 전공 연구자도 거의 없는 실정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다

음으로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과제는 유아교육사 연구에 대한 인식 전환, 민족교육사

적 관점에서의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한국유아교육사 교재 개발, 유아교육사 연구의 활

성화 및 전문 연구인력 양성 등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부분

은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생태유아교육학의 성립과 연구 현황 및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제어 유아교육사(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생태유아교육(eco-early childhood education)

8)9)10)

* 이 논문은 2006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연구기금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이 논문은 2007년 12월 1일 일본유아교육사학회 제3회 대회(일본 도쿄 성덕대학 10호관)에서 발표된 것임.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email protected])

Page 2: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60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Ⅰ. 서 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 유아교육사 분야의 학문적 연구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1990년대

초 한국에서 태동한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 부분인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대책은 유아교육의 본질에

서 벗어난 한국 유아교육의 구조적 실상을 들여다보면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오늘날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는 연구의 양적 측면에서 극히 미진한 수준이다. 한편 한국

교육학계에서는 분과로서 교육사학회가 결성되어 있고, 교육사 전공 연구자들이 배출되고

있지만 유아교육학계에서는 유아교육사 분과도 전공 연구자도 거의 없는 수준이다. 이런

측면에서 일본에서는 유아교육사학회가 창립되어 활동하고 있는 것과는 크게 대조적이다.

그리고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부분은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생태유아교육학의 성립과

연구 현황 및 과제와 전망에 대해 개략적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한국 유아교육학계에서의 유아교육사 연구의 부진과 생태유아교육의 등장은 한국 유아

교육의 구조적 실상 문제인 서양식 유아교육 풍토와 깊은 관련이 있다. 특히, 한국에서

생태유아교육학의 등장은 21세기 생명위기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아교육 모

델의 자연스런 표출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서양식 내지 미국식 유아교육에 대한 반성과

유아교육의 본질 회복을 위한 노력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Ⅱ. 한국 유아교육의 실상과 구조적 문제

유아교육이란 어린 아이를 잉태하고 낳고 키우는 일이라고 한다면, 유아교육사는 곧 인

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유아교육사 역시 한국인의 어린 아이 낳고 키운 역사이

다. 특히, 한국에서는 나이를 계산할 때 어머니 뱃속에 있던 10달을 나이 한 살로 보는 것

도 유아교육에서 잉태와 태교의 중요성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유아교육학계에서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과 같은 시설이나 기관에서 어린 아이

들을 보호하고 가르치는 일을 유아교육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유아교육의 시작을 1840년

독일에서 프뢰벨이 유치원을 창설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는 고대로부터 서당

이라고 하는 사설 아동교육기관이 있었다. 서당은 고려시대(937-1392)부터 이조시대

(1392-1910)를 거쳐 일제시대(1910-1945)까지 널리 보급되어 있던 유일한 초등교육기관이

Page 3: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61

었다.

그러나 유아교육학계에서 말하는 유아교육은 서양에서 시작된 근대 유아교육으로써 어

린 아이들을 부모와 가정으로부터 분리시켜 시설이나 기관에서 집단적으로 보호하고 교육

하는 일로서 산업문명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한국 근대 유아교육의 시작은 구한말 일본인 원산거류민단에서 1888년에 설립한

원산유치원이며1), 1910년까지 10개소의 유치원이 일본인에 의해 설립․운영되었다. 한국

인이 설립한 최초의 유치원은 1913년 관립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의 부속유치원이다. 그리

고 1914년 미국인 선교사 브라운 리(Brownlee, 한국명 부래운)에 의해 이화유치원이 설립

되었고, 1916년 중앙유치원이 한국인 박희도에 의해 설립․운영되었다. 이 두 유치원이

지금까지 한국 유아교육을 주도해온 이화여대와 중앙대 유아교육과의 모태이며, 양 대학

의 기능 역시 유치원과 유치사범과에서의 유치원교사 양성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한국의 근대 유아교육은 조선시대 말 일본인이 설립한 유치원과 그 후 미국인 선

교사들이 설립한 유치원에서 비롯되었으며, 일제 36년을 겪고 1945년 광복 후 미국의 강

력한 영향을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현대 유아교육은 형식적․제도적

틀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유치원과 보육시설로 나누어져 있는 유보이원화 체제이고, 내용

적․방법적 측면에서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미국식 유아교육을 실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요컨대 오늘날 한국 유아교육의 실체를 들여다보면, 제도는 일제이고, 내용은 미제이

고, 아이는 국산인 셈이다.

또한 유아교육학계에서 말하는 한국의 현대 유아교육의 역사는 이화여대와 중앙대의 유

아교육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면서 ① 시설이나 기관 중심 유아교육, ② 유치원

중심 유아교육, ③ 교육 중심 유아교육, ④ 유아교육 전공자 중심 유아교육, ⑤ 서양 중

심 유아교육으로 흘러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유아교육사 연구 현황과 과제는

위의 5가지 측면에서 들여다보면 그 구조적 문제와 현실적 실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

다.

한국의 현대 유아교육사는 부모․가정의 육아기능과 시설․기관의 유아교육간의 부조

화,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갈등, 유아교육과 보육의 갈등, 유아교육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갈등 및 한국식 유아교육과 서양식 유아교육의 갈등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에서 한국 유아교육학계는 유치원 대상 연령인 만 3-5세 유아 교육 위주의 학문적 연구와

풍토를 조성함으로써 어린 아이의 잉태, 태교, 출산 및 육아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

1) 이숙희(1999)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 최초 유치원은 지금까지 알려진 부산유치원(1897년 일본인이 일본인 자

녀를 위해 부산에 설립)이 아니라 1888년에 원산에 설립한 원산유치원이라고 함.

Page 4: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62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으며, 취업모 자녀의 보육, 특히 영아보육의 활성화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했으며, 학계와

현장에서 유아교육과 보육의 끝없는 갈등을 겪고 있으며, 유아교육학계 내부에서도 전공

자와 비전공자의 갈등으로 인해 학회가 파벌에 따라 나뉘어졌으며, 유아교육 전공자의 강

조는 유아교육의 학문적 풍토의 폐쇄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미국식 내지 서양식 유아교

육에 치중한 결과 한국의 역사와 전통과 풍토를 외면한 유아교육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Ⅲ.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1.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

한국 유아교육학계의 유아교육사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한마디로 부끄러울 정도로 미진

한 수준이다. 여기서는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현황을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저서, 논

문 및 기타 관련 연구물 등 3부류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유아교육사에 관한 저서는 유아교육사 연구 논저, 유아교사 양성대학 교재로 개

발된 저서 및 서양 저서의 번역서로 구분되는데, 이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① 이상금(1987). 『한국 근대 유치원교육사』

② 이상금(1995). 『해방전 한국의 유치원』

③ 김영옥 외 공저(1995). 『한국 현대 유아교육사』

④ 김옥련(1983). 『유아교육사』

⑤ 고후순․김동일․조옥희(1996). 『유아교육사상사』

⑥ 이상현(2000). 『유아교육사상사』

⑦ 정금자(2001). 『유아교육사상사』

⑧ 팽영일(2001). 『유아교육의 역사와 사상』

⑨ 김성혜(2005). 『유아교육사』

⑩ 쇼우지 마사코 저, 팽영일 역(1998). 『유아교육 사상의 이해』

⑪ Whitbread 저, 최한수․이희수 역(1993). 『영유아교육사』

⑫ Weber 저, 이영석 편역(1993). 『유아교육사상사』

Page 5: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63

우선, ①-③은 유아교육사 연구 논저인데, 특히 ①과 ②는 이화여대 유아교육과의 원로

교수였던 이상금 선생의 논저로서 한국 유아교육의 초기 성립과정을 역사적 자료에 근거

하여 생생하게 기록한 귀한 자료이다. 특히, ②에서는 해방전 한국의 유치원을 지역별로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③은 이상금 교수의 정년 退任 기념으로 10명의 제자들이

1945년부터 1995년까지 50년간의 한국 현대 유아교육사(유치원과 보육시설) 전반을 다루

고 있는 연구물이다.

다음으로 ④-⑨는 유아교사 양성대학 교재로 개발된 저서들이다. 특히, ④는 한국에서

‘유아교육사’ 교재로는 가장 먼저 출판된 저서인데, 그 내용은 서양의 고대사회, 로마시

대, 중세, 근대, 19세기, 20세기의 유아교육 및 미래의 유아교육을 다루면서 한국의 유아

교육에 관해서는 ‘20세기 유아교육’ 장에서 서양사상가(몬테소리, 맥밀란, 피아제)와 미

국,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등의 유아교육을 언급하고 마지막 부분에서 잠시 다루고 있

는 정도이다. 그리고 ⑤-⑧은 앞의 저서 ④와 마찬가지로 서양의 시대별․사상가별 유아

교육 현실과 사상을 소개하면서 한국의 유아교육 현실이나 사상가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

하지 않고 있다. 한편 저서 ⑨는 서구의 유아교육과 한국의 유아교육의 두 부분으로 나누

고, 한국의 유아교육에서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및 현대의 유아교육으로 나누

어 언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⑩-⑫는 번역서인데, ⑩은 서양 사상가 12인의 유아교육사상을 다룬 일본인

저술의 번역서이고, ⑪은 영국인의 저술로써 서양의 19세기와 20세기 유아교육만을 다루

고 있으며, ⑫는 미국인의 저술로써 서양 유아교육사상의 시대적 흐름을 다루고 있다.

둘째, 유아교육사에 관한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과 일반논문으로 다음과 같다.

① 손영의(1973). 한국 유치원교육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② 최한수(1982). 한국 유치원교육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③ 노수남(1987).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의 역사적 고찰. 중앙대 석사논문.

④ 박현주(1988). 해방후 한국 유치원교육의 자료 분석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⑤ 이상금(1986). 한국 초기 유치원교육의 성립 과정. 유아교육연구, 제6집.

⑥ 최한수(1994). 일제에 대한 민족적 저항기의 유치원 교육. 한국교육사학, 제16권.

⑦ 최한수(1994). 한국의 옛 유아교육 탐색. 한국교육사학, 제16권.

⑧ 최한수(1997). 한국 유아교육사상의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4권, 제1호.

⑨ 이숙희(1999). 1910년대 한국 유치원교육에 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제4권, 제2호.

Page 6: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64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⑩ 남궁지영(2001). 해방후 한국 유아교육학사 연구. 한국교육사학, 제23권.

⑪ 박영미(2001). 한국 유치원교육 변동의 역사적 동인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6권,

제3호

⑫ 이대균(2001). 한국 유아교육 발전에 관한 분석적 고찰 :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열

린유아교육연구, 제6권, 제2호

먼저, 학위논문은 모두 석사논문(①-④)으로써 이화여대와 중앙대 유치원을 중심으로

해방 전후 유치원교육의 성립과 변천을 다루고 있다. 다음으로 8편의 일반논문 중에서 ⑤

⑥ ⑦ ⑨는 1800년대 말과 1910년대 및 해방 전까지의 초기 유치원교육 성립 과정을 다루

고 있으며, ⑧은 소학과 개화기의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의 유아교육사상을 다루고 있으

며, ⑩과 ⑪은 해방 후 한국의 유아교육학과 유치원교육의 변동 요인을 다루고 있다. 특

히, ⑫는 1990-1999년까지 10년 간 한국의 유아교육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총 3,006편

중에서 유아교육사 연구라고 할 만한 논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정도라고 밝히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타 관련 연구물로써 유아교육사 연구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유아교육사와 관련

된 연구 저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유안진(1980).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② 유안진(1986). 『한국의 전통육아 방식』

③ 안경식(2000).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

④ 이문건 저, 이상주 역주(1999). 『양아록』

⑤ 안경식(1994). 『소파 방정환의 아동교육 운동과 사상』

⑥ 임재택, 조채영(2000). 『소파 방정환의 유아교육사상』

⑦ 이상금(2005). 『사랑의 선물 : 소파 방정환의 생애』

⑧ 이화여자대학교(1994). 『이화100년사』

⑨ 이숙희(1999).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83년사』

⑩ 한국유아교육학회(2006). 『유아교육학의 이해』

위의 ①-③은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과 육아법 및 아동교육사상을 다루고 있으며,

④는 조선시대 16세기 한 사대부의 체험적 육아일기를 역주한 저서이고, ⑤-⑦은 1920-

Page 7: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65

1930년대 한국 아동교육의 사상가이면서 실천가인 소파 방정환 선생의 사상과 실천운동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⑧과 ⑨는 한국의 유치원교육을 대표하는 이화여대와 중앙대의 부속

유치원의 역사를 다루는 저서로써 역시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⑩은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 유아교육의

전반적인 분야(유아교육철학, 유아놀이, 유아교육 프로그램 등 28개 분야인데, ‘유아교육

사’ 분야는 없음)의 최근 연구의 동향, 과제, 전망 등을 다룬 방대한 저술로써 향후 유아

교육사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과제

앞서 살펴본 것처럼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현황은 양적․질적으로 미흡하기 짝이 없는

수준이다. 더욱이, 한국의 교육사 연구는 민족주의 사관에 따른 연구가 주류를 이루는데

반해 유아교육사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가 아니라 서양 유아교육사 연구라고 할 정

도로 민족 정체성을 등한시하고 있다는 것이 ‘유아교육사’ 대학 교재에서 확실히 드러나고

있다. 안타까운 사실은 비단 ‘유아교육사’ 교재뿐만 아니라 유아교사 양성대학 거의 모든

교과목의 교재들이 미국식 유아교육 내용이거나 서양 저술의 번역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상금 선생의 연구물들은 한국의 유아교육사 연구에서 독보적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한국의 유아교육사 연구에 대해 “한국의 유치원교육사 연구는 유

치원의 본질적 측면과 민족교육사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조명하고 체계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분야가 안고 있는

과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첫째, 한국 유아교육학계는 물론 정부 정책 당국과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유아교육사 연

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아교육사 연구는 유아교육의 과거 역사적 사실

들을 정리하고 그 사실들을 현재에 비추어 판단해봄으로써 향후 유아교육의 바람직한 방

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반성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유아교육사 연구는 어제의

유아교육을 오늘에 비추어 봄으로써 내일의 나아갈 길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

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유아교육학계에서 유아교육사 연구가 미진하다는 것은

유아교육에 대한 역사적 인식 부족을 드러낸 것으로써 깊은 반성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

이다.

둘째,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올바른 관점과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사 연

구는 관점, 즉 사관이 중요하다.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가 서양의 유아교육사 연구에 치중

Page 8: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66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되어 있는 이유는 유아교육사 연구자들이 사관에 대한 인식이 없거나 민족주의적 사관보

다는 서양 의존적 관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

는 말 그대로 한국 유아교육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반성을 통해 미래 유아교육의 바람직

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아교육사」교재의 개편이 시급하다.

「유아교육사」교재는 한국의 유아교육을 통사적(統史的)으로 바라볼 수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체계적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에서 유아교육 사

상사, 유아교육 제도사, 유아교육과정사, 근․현대 유아교육사, 지역별 유아교육사 등 분

야사 연구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특히, 서양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유아교육은 비교유아

교육사 분야에서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활성화와 전문 연구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석․박사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의 유아교육학과와 유아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유아교육사에 관

한 연구의 활성화와 전문 연구자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부분에서는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생태유아교육학의 성립과 연

구 현황 및 과제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1.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생태유아교육은 21세기 생명위기시대에 직면하여 산업문명의 최대 피해자인 어린 아이

들의 병든 몸과 마음과 영혼을 살리고, 나아가 성장과 개발, 자본과 경쟁의 논리가 지배

하는 지금의 유아교육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아교육이다.

생태유아교육은 한국인의 5천년 삶의 지혜에 바탕을 둔 자생적 한국 유아교육이면서 자

연의 순리에 바탕을 둔 보편적 세계 유아교육이다. 또한 생태유아교육은 자연생태계 파멸

과 인간 생존의 위기 상황에서 생명위기 극복을 위한 유아교육이며, 생명사상 내지 생태

론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생명론적 접근의 유아교육이다.

또한 생태유아교육은 산업화․도시화로 인해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잃어버린 채 실

Page 9: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67

내에 갇혀서 ‘양계닭’처럼 자라고 있는 아이들에게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주어

‘토종닭’처럼 키우고자 하는 새로운 접근의 유아교육이다. 결국 생태유아교육은 아이 키우

는 본래의 모습인 우리의 오래된 미래의 유아교육이며,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이다.

따라서 생태유아교육은 ‘유아교육의 세계화’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교육의 지역

화․민족화’를 지향한다. 한국의 아이는 가장 한국적으로 키우고 일본의 아이는 가장 일본

적으로 키우는 것이 바로 생태유아교육의 이념이고 철학이다.

그리고 생태유아교육은 기존의 아동중심 유아교육, 개인중심 유아교육 및 이성중심 유

아교육을 생명중심 유아교육, 공동체중심 유아교육 및 몸․마음․영혼의 유아교육을 기본

이념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유아교육은 한민족의 고유사상인 삼신사상, 홍익인간사

상, 풍류사상, 민족종교사상은 물론 유교․불교․도교의 동양사상, 서양의 기독교 생명사

상, 생태․생명사상, 신과학 사상 등에 바탕을 두고 있다(임재택, 2007).

요컨대, 생태유아교육은 생명론적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으로서 산업사회의 아이들

에게 잃어버린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 주는 교육, 이성과 감성과 영성의 조화

로운 교육, 몸과 마음과 영혼을 함께 돌보는 교육을 통해 신명나는 아이로 키움으로써 사

람과 자연이 하나 되고, 사람과 사람이 더불어 살며, 아이들이 행복하게 사는 세상을 꾸

리고자 한다.

2. 생태유아교육학의 성립과 연구 현황

이와 같은 생태유아교육은 필자가 1995년 3월 부산대 부설 어린이집 개원부터 2007년 5

월까지 약 12년간 어린이집 원장을 맡아 생태유아교육의 현장 실천과 프로그램 개발․적

용에 주력함으로써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필자와 어린이집 교사

들이 공동으로 지금까지 12종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보급되었는데, 출판 연도

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임재택 외 5인(1999). 『얘들아 산책가자 : 산책프로그램』

② 임재택 외 6인(2000). 『선생님 텃밭가요 : 텃밭가꾸기 프로그램』

③ 임재택 외 4인(2001). 『선생님 세시풍속이 뭐예요 : 세시풍속 프로그램』

④ 임재택 외 4인(2001). 『할아버지․할머니 함께 놀아요 : 노인․아동상호작용 프로

그램』

⑤ 임재택 외 4인(2002). 『손끝으로 만나는 세상 : 손끝놀이 프로그램』

Page 10: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68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⑥ 임재택 외 2인(2002). 『선생님! 바깥놀이 해요 : 바깥놀이 프로그램』

⑦ 임재택 외 2인(2002). 『우리가 아껴쓰고 나눠쓸래요 : 절제․절약 프로그램』

⑧ 임재택 외 5인(2003). 『선생님! 우리도 명상할 수 있어요 : 명상 프로그램』

⑨ 임재택 외 4인(2003). 『초기적응, 이렇게 도와주세요 : 초기적응 프로그램』

⑩ 임재택 외 6인(2004). 『몸짓으로 자라는 아이들 : 몸짓놀이 프로그램』

⑪ 하정연 외 7인(2004). 『아이들이 그리는 세상 : 생태미술 프로그램』

⑫ 하정연 외 6인(2006). 『아이들이 차리는 생명밥상 : 요리활동 프로그램』

이 같은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필자의 주도하에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진행

된 수 차례의「생태유아교육 강좌」에서 수많은 외부 전문가들이 들려준 아이살림․생명

살림의 지혜와 부산대 유아교육학과 대학원과 교육대학원에서 필자가 지도한 생태유아교

육 관련 40여 편의 석사․박사 학위논문을 통한 이론적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고 할 수 있다.

또한 2002년 6월에 창립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에서 연간 2회의 학술대회, 학회지 발

간, 국내․외 생태유아교육연수 등은 생태유아교육의 학문적 체계 정립과 유아교육 현장

에서의 실천적 적용에 올바른 방향과 지침을 제공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유아교육시설의 원장, 유아교사, 연구자 등을 위한 생태유아교육 해외연수는

1998년부터 매년 하계․동계 방학 무렵에 자유보육을 실천하는 일본의 유치원과 보육원을

방문하여 아이들의 생활 모습을 직접 보고 그곳 원장․교사들과의 만남을 통해 많은 정보

와 깊은 감명을 받았다. 또한, 한국에서의 생태유아교육의 실천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갖

게 되는 계기도 되었다. 우리는 유아교사들에게 보다 많은 해외연수 기회의 제공과 연수

경비를 고려하여 부산에서 배편을 이용하여 일본 큐슈 지역과 그 인근 지역의 시설들을

참관하는 기회가 많았다.

또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의 활동은 생태유아교육의 학문체계 정립과 현장 실천의 확

산에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학회에서 다루는 발표 주제의 내용과 발표자들

의 명성은 물론 수백 명 참가자들의 열성에서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학회

의 학술대회 주제는 생태유아교육의 사상과 방향을 말해주고 있으며, 여기서 연도별 학술

대회의 대 주제를 순서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2002년도 창립학술대회 「21세기 문명의 전환과 유아교육의 새로운 방향」

② " 추계학술대회 「아이살림․생명살림의 유아교육을 위하여」

③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생태유아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Page 11: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69

④ " 추계학술대회 「유아교육 근본으로 돌아가기」

⑤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우리 삶에서 찾는 유아교육의 지혜」

⑥ " 추계학술대회 「아이들의 신명 살리고 펼치기」

⑦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생태건축으로 여는 아이들의 삶터」

⑧ " 추계학술대회 「위기의 아이들, 그 실상과 대책」

⑨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자연의 순리․조상의 지혜로 아이 키우기」

⑩ " 추계학술대회 「생태유아교육은 지금 어디에 와 있는가」

⑪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한국 유아교육을 다시 생각한다」

⑫ " 추계학술대회 「생태유아교육, 내 안의 영성을 찾아서」

그리고 생태유아교육학의 이론적 체제 구축을 위해 그 동안 학술대회, 생태강좌, 세미

나 등에서 발표된 수많은 논문들 중에서 20여 편을 선정하여 『생태유아교육선집I(200

5)』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필자는 지금까지 논의된 생태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나름

대로 종합․정리하여 미흡하기는 하지만 일단 『생태유아교육개론(2005)』을 출판하였

다. 특히,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과 실천에 관심을 갖는 원장과 유아교사들

의 요구를 고려하여 생태유아교육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은 4인의 제자들과 함께 『생태유

아교육 프로그램 운영(2006)』을 출판하였으며, 그 후 『생태유아교육개론』을 수정․보

완하여 『생태유아교육개론[전정판]』을 다시 출판하였다.

또한 필자는 교육인적자원부 두뇌한국(Brain Korea)21 사업으로 2006년부터 향후 7년간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생태유아교육 사업』의 팀장을 맡아 학과 차원에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평가 연구와 인재 양성에 主力하고 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우리 대

학에서는 새로 조성하는 양산캠퍼스에 노인-아이-생태-전통의 4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생

태유치원, 생태어린이집, 생명육아지원센터 및 생태유아교육연수원의 4개 기구를 포괄하

는 「생태유아교육센터」를 2010년까지 설립․운영할 계획이다. 이 같은 「생태유아교육

센터」가 설립․운영되면 지난 10여년 간 제1캠퍼스 「보육종합센터」에서의 생태유아교

육 태동기를 넘어 본격적인 정착기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3. 생태유아교육학의 과제

한국은 교육부가 2007년 12월에 고시할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생태론적 세계관을

기본이념으로 표방하고 있다. 향후 생태유아교육의 실현을 위한 추진 과제를 제시하면 다

Page 12: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70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탄탄하게 다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생태유아교육

의 뿌리가 튼튼해야 장차 줄기와 가지와 잎이 무성해져 튼실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 따

라서 생태유아교육의 사회․문화적 뿌리, 사상적․철학적 뿌리, 심리학적 뿌리, 신과학적

뿌리 등을 넓고 깊게 찾아 그 결과들을 그물망으로 엮어 나가야 한다. 한국과 동아시아의

문화와 사상과 철학과 삶의 현실에서 그 지혜를 찾아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인들의 5천년 자녀양육․교육의 지혜는 무궁하게 넓고 깊으며 우리 삶과 직

접 맞닿아 있으므로 그 그윽한 수천 년의 김치 맛을 오늘에 되살려내면 우리 아이들에게

는 물론 전 세계 모든 아이들의 생명살림 지혜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둘째, 생태유아교육의 확산을 위해서는 생태유치원과 생태어린이집의 시범적 모델이 제

시되어야 할 것이다. 생태유아교육을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이상적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델은 생태건축, 생태적 실내․외 환경구성 및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등 겉과

속이 모두 생태적인 모습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범적 모델은 시․도별로 한 곳씩 설

립․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시․군․구별로 한 곳씩 모델을 설립․운영하는 방향

으로 확산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개발된 유

아용 프로그램뿐 아니라 부모교육용 프로그램, 교사교육용 프로그램(대학 교재 포함)의

개발․보급이 필요하다. 특히,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유아교육 관련학과에서 생태

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이 예상되므로 대학 교재의 연구․개발이 시급한 과제이다. 졸

저인 생태유아교육개론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출판은 그 시작이며, 향후

생태유아교사론,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생태유아교육 사상 및 철학 등의 대

학 교재 출판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생태유아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 체제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연수를 실시하는 것

이 필요하다. 생태유아교육이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생태유아교사 민간자격 도입이

필요하다.

몬테소리 프로그램, 발도르프 프로그램, 공동육아 프로그램 등 하나의 유아교육 프로그

램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교사양성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듯이 생태유아교육

이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생태유아교사 양성이 필수적이다. 여건이 허락한다면, 생태

유아교사의 양성과 연수,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생태유아교사의 자격 관리, 생태유아교

육 전문가의 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관장할 수 있는 가칭 생태유아교사양성센터 를 설

립․운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 센터에는 생태유아교육전문대학원 을 비롯한 시범 유치

Page 13: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71

원이나 어린이집, 생태농장, 생태유아교육연구소 등이 어우러지면 이상적인 모습이 될 것

이다.

다섯째, 생태유아교육 실천사례 발표대회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모범사례들을 유아교

육 현장에 널리 보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생태유아교육의 현장 확산과 정착은 실천사례

를 보여주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인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의 생태유아교육 관련 실천사례는 생태유아교육 실천 프로그램별 사례, 생태건축 관련 신

축 사례나 리모델링 사례, 생태적 교실환경 구성 사례, 부모교육 실천 프로그램 사례, 자

체 교사교육 사례 등 수없이 많을 것이다. 이와 같은 좋은 사례들을 전국적으로 널리 알

려 다른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에서 학술대회

나 별도의 실천사례 발표대회를 개최하여 널리 홍보하고 추후 책자로 출판․보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4. 생태유아교육학의 전망

생태유아교육은 현대 산업문명사회의 새로운 유아교육으로써 시대적 요청이고, 이 시

대․사회 유아교육의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다. 이제 미래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는 자

본주의나 사회주의가 아니라 생태주의 내지 생명주의라는 주장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을 위해 물러나듯이 기존의 물질론적․기계론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구조기능주의 유아교육은 이제 물러나야 할 시점이다. 생태유아교육은 그 자리를 대신하

여 자연의 순리와 사람의 도리를 벗어나 버린 우리 사회의 출산, 수유, 육아, 교육 등 아

이들 삶 전반의 반생태적 환경을 본래 모습대로 정상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 생태유아

교육은 기존의 파행적 유아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노력인 동시에 우리 사회 전반의 정상화

를 위한 초석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튼 생태유아교육은 산업문명의 최대 폐해자인 아이들의 몸과 마음과 영혼을 살리고

자연생태계의 모든 생명들을 살리고자 하는 아이살림․생명살림의 유아교육으로 출발하였

다. 생태유아교육은 아이들의 본성과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유아교육으로써 유아교육의

본질이며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태유아교육은 자연의 순리와 사람의 도리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시공을 뛰어넘는 보편적 유아교육으로 제 자리를 잡게 될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생태유아교육을 시작한 지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한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제대로 실천하는 곳은 5% 미만에 불과하다. 이것은 한국 아이들

Page 14: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72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의 95% 이상이 유아교육이라는 미명하에 교실 내에 갇혀서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잃

어버린 채 ‘양계닭’처럼 자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아이들의 불행한 삶은 한

국 부모들의 헛된 이기심과 유아교육 관계자들의 잘못된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전혀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어린 자녀들의 몸과 마음의 질병을 눈

으로 본 부모들이 가장 먼저 자각하기 시작했다. 갈수록 늘어나는 아픈 아이들의 실상에

직면한 유아교사와 원장들의 인식도 바뀌고 있다. 그러나 유아교육 관련 교수, 연구자,

장학사 등의 상당수는 아직도 착각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이론과 관행에 매

몰되어 아이들의 아픔과 부모의 소망이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 모양이다.

지난 2004년 초부터 한국 사회에 들불처럼 번져가고 있는 참살이(wellbeing) 바람이 그

징후이다. 지금 한국의 거의 모든 아이들은 절박하게 생태유아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

아이들은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 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러한 아이들의 절박한

요구에 부모들이 변하기 시작했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와 원장이 반응을 보이고 움

직이기 시작했다. 전국 어느 곳을 가더라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의 산책, 텃밭

가꾸기, 세시풍속행사, 유기농먹이기 등의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이제 교수, 연구

자, 장학사들도 시대적 요청과 대세의 흐름에 따라 변해 갈 것이다. 이처럼 어른들의 의

식과 행동이 변하는 만큼 아이들은 건강하고 행복해질 것이다.

우리는 지난 몇 년간 수 차례 일본의 유치원과 보육원을 방문하고 많은 것을 보고 배우

고 있다. 일본은 한국의 생태유아교육에 해당하는 자유보육 내지 ‘숲식보육’을 실천하는

시설들이 전체의 50% 이상이라고 듣고 있다2). 다시 말해서 일본에서는 한국처럼 일제보

육 내지 ‘정원식 보육’을 실천하는 유치원이나 보육원은 채 반도 안 된다는 것이다. 일본

관계자들에 의하면, 자신들의 자유보육은 비록 인간중심주의니 생태주의니 하고 깊이 파

고들지는 않지만 아이들의 본성을 살려 삶 속에서 자연친화적으로 보육하고 있으며, 100

년 전통을 지금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단한 자부심이 느껴졌다. 또한

그들은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유아교육기관의

대부분이 일본식의 자유보육, 한국식의 생태교육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자유보육

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자신들의 주요 과제라고 들려준 바 있다.

한국의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점진적 개혁이 일어날 것입니다. 이제 생태유아교육을 실

2) 일본유아교육사학회 시시도 회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의 면담 결과에 의하면, 일본 최초의 유아교육기관인

오차노미즈대학 부속 유치원에서 시작된 자유보육 전통의 영향으로 인해 일본의 거의 모든 유치원과 보육원

은 자유보육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식의 교실수업 위주의 보육을 하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

다. 이러한 새로운 사실은 일본유아교육사학회에서 논문을 발표한 후 확인하게 되었다.

Page 15: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73

천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비율이 점차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아마도 한국에서 2009년

신학기부터 시행될 第7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생태론적 세계관을 기본이념으로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부가 연내에 이를 고시하게 되면 학계와 현장에서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V. 결 론

필자는 본 논문을 준비하면서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현실과 문제를 진단하고 향후 나아

갈 방향을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 무엇보다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 동

안 유아교육사 연구에 무관심했던 필자 또한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실상과 문제를 이해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유아교육사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 유아교육의 왜곡된 실상이 유아교육사 연구의 부진함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도 깨

닫게 되었다.

한 나라의 유아교육사 연구는 그 나라 유아교육의 역사적 사실들을 체계적으로 파악․

정리하고 그것을 오늘의 현실에 비추어 판단함으로써 미래 유아교육의 교훈으로 삼는 것

을 근본으로 한다. “역사는 현재와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이다”라고 한 E.H. Carr의 지

적처럼 역사 연구에서 역사적 사실과 그 사실을 바라보는 올바른 관점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미진하기 짝이 없는 한국의 유아교육사 연구 분야에서 연구의 활성화와

연구 인력의 양성이 시급한 과제임에 틀림없지만 어떤 역사적 관점, 즉 사관을 가지고 연

구하고 인재를 양성하느냐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의 유아교육사 연구에서는 소위 민족주의 사관을 지향하는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것은 한국의 아이를 서양의 아이로 키우는 지금의 왜곡된 유아교

육을 개혁하고 한국의 풍토에 알맞은 한국의 아이로 키우면서 자연생태계의 모든 생명을

살리는 생명살림의 유아교육을 지향하는 것이 절실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 민족고유의 생명사상과 전통문화에 기초한 생태유아교육의 태동

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며, 앞으로 보편적 세계 유아교육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믿

는다. 마침 전미유아교육협회(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가 발간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유아교육 학회지인 『Young Children』 2007

년도 11월호에 「생태유아교육 : 한국의 새로운 유아교육 패러다임」(Eco-Early Childhood

Page 16: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74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Education : A New Paradig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Eunju Kim․

Jaetack Lim, Young Children, 2007, November, 42-45) 제하의 논문이 실렸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는 주장처럼 생태유아교육은 자생적 韓國 유아교

육인 동시에 생명위기 극복을 위한 보편적 세계 유아교육임에 틀림없다.

Page 17: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75

참 고 문 헌

고후순․김동일․최옥희(1996). 유아교육사상사. 서울: 양서원.

김성혜(2005). 유아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김영옥 외 공저(1995). 한국 현대 유아교육사. 서울: 양서원.

김옥련(1983). 유아교육사. 서울: 정민사.

남궁지영(2001). 해방후 한국 유아교육학사 연구. 한국교육사학, 23(2), 171-186.

노수남(1987).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의 역사적 고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영(1979). 한국 교육사의 학문적 반성과 과제.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17(2),

39-42.

박영미(2001). 한국 유치원 교육 변동의 역사적 동인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6(3),

181-202.

박현주(1988). 해방후 한국 유치원교육의 자료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손영의(1973). 한국 유치원교육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경식(1994). 소파 방정환의 아동교육 운동과 사상. 서울: 학지사.

안경식(2000).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 서울: 학지사.

유안진(1986). 한국의 전통육아 방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안진(1990). 한국 전통사회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대균(2001). 한국 유아교육 발전에 관한 분석적 고찰: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열린유

아교육연구, 6(2), 173-192.

이문건․이상주(1997). 양아록. 서울: 태학사.

이상금(1986). 한국 초기 유치원교육의 성립 과정. 유아교육연구, 6(1), 5-22.

이상금(1987). 한국 근대 유치원교육사. 서울: 양서원.

이상금(1995). 해방전 한국의 유치원. 서울: 양서원.

이상금(2005). 사랑의 선물: 소파 방정환의 생애.

이상현(2000). 유아교육사상사. 서울: 세종출판사.

이숙희(1999).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83년사. 부속유치원.

이숙희(1999). 1910년대 한국 유치원교육에 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4(2), 281-

301.

Page 18: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76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이영석 편역(2001). 유아교육사상사. 서울: 교육과학사.

이화여자대학교(1994). 이화 100년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임재택(2007). 생태유아교육개론[전정판]. 서울: 양서원.

임재택․김은주․하정연․권미량․조채영(2006).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일산: 공

동체.

임재택․조채영(2000). 소파 방전환의 유아교육사상. 서울: 양서원.

임재택․하정연․김은주․박채숙․박명숙․최윤정(1999). 얘들아 산책가자: 교사들이 직

접 쓴 산책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하정연․조채영․노진형․홍정애․강현진․김미옥(2000). 선생님 텃밭가요: 선

생님들이 직접 쓴 텃밭가꾸기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하정연․노진형․이숙희․김정미(2001). 선생님 세시풍속이 뭐예요: 선생님들이

직접 쓴 세시풍속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하정연․김경호․김은주․최윤정(2001). 할아버지․할머니 함께 놀아요: 선생님

들이 직접 쓴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하정연․김은주․최윤정․강신영(2002). 손끝으로 만나는 세상: 선생님들이 직

접 쓴 손끝놀이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하정연․조채영(2002). 선생님! 바깥놀이 해요: 선생님들이 직접 쓴 바깥놀이 프

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권미량․김은주(2002). 우리가 아껴쓰고 나눠쓸래요: 선생님들이 직접 쓴 절제․

절약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임숙희․최미현․김정신․조희주․최애경(2003). 선생님! 우리도 명상할 수 있

어요: 선생님들이 직접 쓴 명상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김정신․류경․이숙희․김영옥(2003). 초기적응, 이렇게 도와주세요: 선생님들

이 직접 쓴 초기적응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하정연․김정미․김진경․유경․배은진․백현윤(2004). 몸짓으로 자라는 아이

들: 선생님들이 직접 쓴 몸짓놀이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정금자(2001). 유아교육사상사. 서울: 교육과학사.

최한수(1982). 한국 유치원교육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최한수(1993). 영유아교육사. 서울: 동문사.

최한수(1994). 일제에 대한 민족적 저항기의 유치원 교육. 한국교육사학, 16, 37-62.

Page 19: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한국 유아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생태유아교육학의 위상․ 277

최한수(2002). 한국의 옛 유아교육 탐색. 한국교육사학, 24(2), 103-132.

최한수(1997). 한국 유아교육사상의 고찰 :소학과 개화기의 학회지를 중심으로. 미래유아

교육학회지, 4(1), 39-72.

팽영일(2001). 유아교육의 역사와 사상. 서울: 양서원.

하정연․임재택․안영숙․진보경․이미래․남연주․신주연․엄순정(2005). 아이들이 그

리는 세상: 선생님들이 직접 쓴 생태미술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하정연․임재택․안영숙․이숙희․이미래․남연주․이영임(2006). 아이들이 차리는 생명

밥상: 생태유아교사들의 요리활동 실천기록. 서울: 공동체.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2005). 생태유아교육선집1. 서울: 양서원.

한국유아교육학회(2006). 유아교육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쇼우지 마사코 저, 팽영일 역(1995). 유아교육사상의 이해. 서울: 창지사.

Whitbread, Nanette 저, 최한수․이희수 역(1993). 영유아교육사. 서울: 동문사.

Weber 저, 이영석 편역(1993). 유아교육사상사. 서울: 교육과학사.

Page 20: |õL ([ ÌM ÝCæææ · 2014-08-14 · "#D7ESo%p3 m tu"#D7%¤ d .A[y "#D7ESos< [½( !HïC"#D7 %2 Dj¨S! *At%s ?"#D7%r &Å >{êEg@W' ü §ïtt§ç Þ@W! ½([ '? Z,%")2{ê @5(ðz§`µ

278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Abstract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studying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tatu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Jae-Tack Lim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studying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oughly examine the statu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has developed 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First of all,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was examined

to divide into three parts such as books, articles, and other kinds of research materials

from 1970 up to recently, and the result showed extreme insignificance 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which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few researchers as well as

researche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problems in studying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studying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ke research from the aspect of history of national education,

develop the materials for the Korean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ivate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rain the specialized

researchers.

Finally, the statu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investigated on the meaning,

realization, research state, and task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