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제 14장 인지적 문법 접근법이란 무엇인가?contents.kocw.or.kr/document/gs/2010/01/18/10.pdf · 문법 의미단위 상징단위 음운단위 * 상징단위의개념은소리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인지문법(Cognitive Grammar)– Ronald Langacker

    개념적 구조화 체계 모형

    (Conceptual Structuring System Model)구문문법(construction grammar)문법화(grammaticalisation)

  • 상징적 정립 : 문법의 기본단위가 상징단위 라고 주장함

    상징단위 – 의미극(의미), 음운극(소리)스위스 언어학자 Ferdinand de Saussure의이론

    언어 = ‘언어표현(기호)이 개념(기의)과 청각신호(기표)사이의 사상으로 이루어진 상징적체계’

  • 개념 고양이 (의미극)

    Cat[kaet] (음운극)

    문법

    의미단위

    상징단위

    음운단위

    * 상징 단위의 개념은 소리말언어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 기본적인 문법적 단위가 상징단위이면 형태는 의미와 독립적으로 연구할 수 없다.

  • 문장의 문법적 형태는 그 자체의 의미와 쌍을이룬다

    (1)Lily tickled George [능동태](2) George was tickled by Lily [수동태]

    수동태 구문의 일반화된 형태

    (3) 수동자 '수동태 동사 연속체' by 행위자문법적 단위가 내재적으로 의미가 있다

  • 용법 토대적 정립

    화자의 정신적 문법이 언어사용의 상황적실례로부터 상징 단위를 추상함으로써형성된다.

    언어지식 - 언어 사용 사이에 원칙적 구분이없음

    (지식이 사용으로부터 발생)

  • 인지적 문법 모형의 구조

    의미적 공간

    문법 (지식) 용법사건(사용)

    상징단위개념화

    의미극

    음운극음성화

  • 인지적 문법 접근법을 대표하는 이론

    1. 개념적 구조화 체계 모형2. 인지문법3. 구문적 문법 접근법4. 인지적 문법화 이론

  • 상징적 정립을 가정, 문법적 단위가내재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

    * 문법적요소(폐쇄부류)와 어휘적요소(개방부류) 사이의 질적인 구분을 강조두개의 구분되는 개념적 하위체계를나타낸다고 주장.

    어휘적 하위체계

    *문법적 하위체계 ( 개념적 구조화 체계)

  • 가장 상세한 문법 이론으로 오늘날까지 가장영향력이 있음.

    복잡성의 정도가 다양한 상징 단위의 형성과사용에 동기를 부여, 그것을 인가하는 인지적 메커니즘과 원리를모형화

    두 가지 유형의 단위가 단하나의 '관습적 언어단위의 구조화된 목록' 에 속한다고 주장

  • 1. 구문문법 : 문법이 '낱말과 규칙'이아닌 '구문'에 의해서 모형화 될수 있다.

    복잡한 문법 구문 ( kick the bucket )의 의미가 하위부분들에 기초해서 예측할수없음

    저장된 전체

  • 세가지 구문적 접근법

    Goldberg의 구문문법,급진적 구문문법,신체적 구문문법

    인지문법과 구문적 문법 접근법의 유사성과차이점

    ㅁ문법에 대한 목록 토대적 접근법언어를 구성하는 상징 단위의 체계에 대한 연구

    인지문법

    언어 단위를 구조화하고 그것을 발생시키는 인지 원리와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

    구문적 문법 접근법

    단위의 구조화된 목록으로서의언어에 대한 연구

  • 문법화 : 문법적 또는 폐쇄 부류 요소가 개방부류 체계로부터 점진적으로 진화하는 언어변화의 과정

    -역사언어학의 분야-유형학자

  • 인지적 문법접근법

    문법화에 대한개념적구조화 목록 토대적 인지적 접근법체계 접근법 접근법

    구문적 은유적확장 유도적 주관화접근법 인지문법 접근법 추리 접근법 모형

    Fillmore & Goldberg의 급진적 신체적Kay의 구문문법 구문문법 구문문법구문문법

  • (1) 문법

    '문법'이라는 용어- 언어학자들의 참조를 위한 문법- 언어에 대한 학습을 위한 문법- 형태론 / 통사론 에 초점을 두는 학문분야- 인지문법, 생성문법과 같은 언어 이론을 지시- 화자의 언어 지식을 나타내는 심리적 체계를

    지시

  • (2) 문법의 단위*형태소 :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언어단위

    자립 형태소 : 혼자 있을 수 있는 형태소의존 형태소 : 어떤 것에 부착될 필요가 있는형태소

    어근 : 내용 형태소접사 : 내용 의미가 없는 의존 형태소

    - 파생접사 : 다른 낱말 부류에 속하는새로운 낱말을 창조

    접미사, 접두사- 굴절접사 : 낱말의 하위부류를 표시

  • '낱말'의 정의

    -철자법 낱말 : 단 하나의 단위로 쓰여지는 어떤것-음운적 낱말 : 언어의 음운 규칙에 따라서 정의되는 발음의 단위

    a. The rest of the books will have to go there.b. b. [The rest] [of the books'll] [have to] [go] [there] → 음운적

    낱말과 대응

    발음 체계에 의해 정해지는 경계 ≠ 의미나 문법에 의해 정해지는경계

    -어휘 항목 : 우리의 머릿속'사전'

    *각 어휘 항목에는 많은 문법적 낱말 형태 가 있을수 있다. cat cat,cats

    go go , goes, went, going, gonebe be, am, are , is , was, were, being, beenbig big, bigger, biggest

  • 품사 (=낱말 부류)-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전치사,접속사, 감탄사 (영어)

    분포적 접근법

    - 낱말은 주로 형태론적/분포적 행동에기초하여 분류된다.

  • 사람이나 실체(추상적인 것들도 포함)를 지시한다.

    복수 접사 –s를 취한다. (예외 존재)

    소유격 접사 –’s를 취한다.

    한정사/형용사를 뒤따른다.

  • 명사

    고유명사 보통명사

    가산명사 질량명사

  • 행동이나 사건을 지시

    일치, 시제, 상을 나타낼 수 있다.

    명사 형성/형용사 형성 파생 접사를취할 수 있다.

    주로 서술어로 쓰이고 주어 뒤에 나온다.

  • 속성이나 상태를 지시

    -ful, -y, -sh 같은 파생접사를 취한다.

    관형적 기능과 서술적 기능으로 나타난다.

  • (6) a. I love her funny face.b. Her face was funny.

    a : 관형적 기능. I love her face.b : 서술적 기능. *Her face was.

  • 시간, 방식, 장소, 빈도와 같은 정보를 표현

    문장 내에서 다른 낱말 부류를 수식한다.

    부사 형성 파생 접사 –ly

    낱말 부류 중에서 분포가 가장 넓어서

    식별하기가 어렵다.

  • 부사류 기능

    - 다른 낱말 부류의 구성원도부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 George arrived after supper.- after supper 는 전치사 + 명사(구)로이루어진 ‘전치사구’

    - 문법적 기능의 한 가지 유형을 가리킨다.

  • 명사(또는 그에 준하는 말)와 결합하여‘전치사구’를 형성한다.

    단독으로 쓰일 수 없다.

    일부 언어에서는 명사구를 뒤따르기 때문에‘후치사’로 불린다.

  • 명사와 결합하여 명사구를 형성한다.

    명사의 의미를 한정, 제한한다.

    한정사+명사

  • 명사의 하위부류, 즉 ‘개방 부류 낱말’이아니라 ‘폐쇄 부류 낱말’에 속한다.→ 도식적 의미를 제공하기 때문.

    예) my favorite teacup / it

    인칭대명사, 소유대명사, 지시대명사 등

  • 서법 : 문장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동사의 어형 변화.

    예)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등

    서법 조동사는 진행형으로 나타낼 수 없고, 3인칭 단수 –s 형태로도 나타내지 않는다.

    예) *musting, *she musts.

  • ‘동사 연속체’에 속하는 서법 조동사- 서법 조동사 + 본동사(동사구)

    → 이 때 서법 조동사는 작용어(=기능어)로 기능한다. 따라서 주어와 도치되어 의문문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7) a. Lily will sing the blues.b. Will Lily sing the blues?

  • 일차적 조동사 have- 완료상 : 사건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

    일차적 조동사 be- 진행상 : 사건이 진행 중인 것으로 간주.- 수동태 : 서술되는 사건을 겪는 주체가

    주어 위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일차적 조동사 또한 작용어 기능을 한다.

  • ‘더미(dummy)’ 조동사 do- 화자가 진실성을 강조하고 싶을 때, 문장에작용어로 기능하는 조동사가 없을 때 쓰인다.

    - 상이나 태를 나타내지는 못한다.

    (11) a. Has Lily sung the blues all her life?b. Is Lily singing the blues?c. Was that song sung by Elvis?d. Does Lily sing the blues?

  • Have, be, do는 조동사로써만 쓰이는가?

    (12) a. I have two cats and a goldfish.b. Have you a pen I could borrow?c. Lily has had a headache.d. George is being silly.e. Lily does do the washing up

    every morning.

  • 계사

    - 연결 동사. Be가 어휘적 동사일 때.- 문장의 주어-주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구에 연결시킨다.

    - 계사도 작용어 기능을 할 수 있다.(14) a. Is Lily your best friend?

    b. Is Lily fond of fish and chips?c. Is Lily in the cel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