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1) 김원규 2) 김진웅 3) 요약 소매업이 구매자의 입장에서 구매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구입가격의 인하나 판매 관련 여타 비용 부담의 전가를 통하여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 서 본 논문에서는 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소매업종별로 구매영향력(buyer power)이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거래제조업의 경우 소매업종에 따라 크기는 상이 하지만 전반적으로 소매업의 구매영향력이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유의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 칠 수 있었다. 또한 거래 도매업의 경우 여타 소매업에 비해 백화점이나 기타종합소매업에서 이 러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종합소매업의 경우 거래산업이 제조업이든 도매업 이든 관계없이 거래산업 영업이익률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소매업종 중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JEL Classification: L16, L50, L81, M00 주요용어 : 구매영향력, 영업이익률, 소매업, 거래산업, 패널분석 1. 서론 본 논문에서는 소매업종별로 구매영향력(buyer power)이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사실 소매업이 구매자의 입장에서 구매영향력을 행사할 경 우 구입가격의 인하나 판매 관련 여타 비용부담의 전가를 통하여 거래산업의 영업이 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같은 효과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통상 구매영향력의 효과와 관련된 분석은 2장에서 이어지는 기존 연구에 서와 같이 어느 특정 대형소매기업과 거래기업 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대형소매기업의 구매영향력이 거래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지만 본 연구는 관련 자 료의 제약으로 산업별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 분석을 위해 산업별 자료를 사용할 경우 거래산업에는 관 련 소매업종과 거래하지 않은 기업들도 존재하므로 소매기업 구매영향력의 거래기업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으나 산업차원에서의 구매영향 력 분석은 개별기업 차원의 분석에 비해 보다 총량적 차원에서 관련 정책의 수립을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사실 기존 선 행연구 4) 에서 많이 나타나는 개별기업 차원의 분석도 특정 소매기업의 구매영향력이 1)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2) 주저자, 선임연구위원, 산업연구원 3) 교신저자, 조교수,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Tel: +82-51-200-8739. E-mail: [email protected] 4) 2장에서 언급함.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1)

김원규2) ․ 김진웅3)

요약

소매업이 구매자의 입장에서 구매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구입가격의 인하나 판매 관련 여타 비용

부담의 전가를 통하여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

서 본 논문에서는 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소매업종별로 구매영향력(buyer power)이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거래제조업의 경우 소매업종에 따라 크기는 상이

하지만 전반적으로 소매업의 구매영향력이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유의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

칠 수 있었다. 또한 거래 도매업의 경우 여타 소매업에 비해 백화점이나 기타종합소매업에서 이

러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종합소매업의 경우 거래산업이 제조업이든 도매업

이든 관계없이 거래산업 영업이익률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소매업종 중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JEL Classification: L16, L50, L81, M00

주요용어 : 구매영향력, 영업이익률, 소매업, 거래산업, 패널분석

1. 서론

본 논문에서는 소매업종별로 구매 향력(buyer power)이 거래산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사실 소매업이 구매자의 입장에서 구매 향력을 행사할 경

우 구입가격의 인하나 매 련 여타 비용부담의 가를 통하여 거래산업의 업이

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같은 효과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통상 구매 향력의 효과와 련된 분석은 2장에서 이어지는 기존 연구에

서와 같이 어느 특정 형소매기업과 거래기업 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형소매기업의

구매 향력이 거래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지만 본 연구는 련 자

료의 제약으로 산업별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소매 업종별 구매 향력 분석을 해 산업별 자료를 사용할 경우 거래산업에는

련 소매업종과 거래하지 않은 기업들도 존재하므로 소매기업 구매 향력의 거래기업

성과에 미치는 직 인 효과를 악하는 데 한계가 있으나 산업차원에서의 구매 향

력 분석은 개별기업 차원의 분석에 비해 보다 총량 차원에서 련 정책의 수립을

한 유의미한 시사 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단하 기 때문이다. 사실 기존 선

행연구4)에서 많이 나타나는 개별기업 차원의 분석도 특정 소매기업의 구매 향력이

1) 이 논문은 동아 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2) 주 자, 선임연구 원, 산업연구원

3) 교신 자, 조교수, 동아 학교 국제무역학과, Tel: +82-51-200-8739. E-mail: [email protected]

4) 2장에서 언 함.

Page 2: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90 김원규 ‧ 김진웅

거래기업에 미치는 직 효과를 분석하는 데 유용성이 있으나 분석표본의 표성 확

보 미흡 등으로 인해 련 소매업종 체의 구매 향력 분석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기업별 분석이 소매업종별 반과 련된 정책시사 을 도출하는 데

유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 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본 연구와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연구가 소매업종의 구매 향력을 연구한 반면 다음 2

장에서 소개하는 선행연구에서는 특정 소매업의 구매 향력을 주로 연구하 다는 차

이가 있다.

한편, 산업별 자료의 사용에 따른 문제 을 최소화 한다는 차원에서 소매업과 긴

한 거래 계가 있는 제조업 내 14개 업종5)과 도매업 내 12개 업종6)을 상으로 소

매업종별 구매 향력의 효과를 분석한다. 통계청의 도소매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재 소매업(자동차 제외) 체의 경우 생산업자와 도매업자로부터 매입하는 상품비

이 각각 22.7%와 32.0%를 나타내고 있고 본 연구의 주요 분석 상인 기타 형종합

소매업의 경우에도 생산업자와 도매업자로 부터의 상품매입 비 이 각각 20.3%와

10.1%를 나타내고 있다.

<표 1.1> 소매업의 매출액 상품매입처별 구성비(2011년)

 

 

매출액  상품매입처별구성비(%) 

(조원)

(%)

본지

이동

생산

업자

도매

업자

해외

수입기타

소매업(자동차제외) 292.99 100.0 41.6 22.7 32.0 2.2 1.5

종합소매업 95.30 32.5 43.7 19.5 33.0 1.7 2.0 형종합소매업 52.52 17.9 56.6 25.1 12.3 2.7 3.3

백화 16.58 5.7 39.8 34.8 16.9 1.7 6.9

기타 형종합소매업 35.94 12.3 64.8 20.3 10.1 3.2 1.5 음·식료품 주종합소매업 40.97 14.0 31.7 14.9 52.2 0.4 0.8

슈퍼마켓 22.31 7.6 32.9 15.9 49.7 0.2 1.3

체인화편의 9.24 3.2 48.6 16.4 34.7 0.0 0.3 기타음·식료품 주종합소매업 9.42 3.2 10.4 10.5 77.5 1.4 0.2

기타종합소매업 1.80 0.6 52.6 8.1 25.9 11.2 2.2

음·식료품·담배소매업 13.68 4.7 11.1 29.5 54.5 3.2 1.7 정보통신장비소매업 29.75 10.2 61.1 17.4 19.9 0.8 0.8

섬유·의복·신발·가죽제품소매업 28.89 9.9 47.1 16.8 32.3 3.6 0.2

기타가정용품소매업 8.84 3.0 9.0 35.1 47.2 7.6 1.0 문화·오락·여가용품소매업 7.72 2.6 18.6 26.3 46.8 7.3 1.0

연료소매업 58.15 19.8 57.4 23.7 17.8 0.6 0.4

기타상품 문소매업 25.12 8.6 9.5 24.7 59.2 3.1 3.5 무 포소매업 25.54 8.7 17.5 33.7 40.1 5.3 3.4

자료: 통계청 도소매조사

5) 음식료품, 섬유제품, 의복·액세서리·모피제품, 가죽·가방·신발, 목재·나무제품, 펄 ·종이·종이

제품, 화학제품, 고무· 라스틱제품, 비 속 물제품, 속가공제품, 기장비, 의료·정 · 학

기기·시계, 가구·기타제조업 등임.

6) 상품 개업, 비가공식품도매업, 가공식품도매업, 음료·담배도매업, 가정용섬유제품·의복도매

업, 신발도매업, 비 기식가정용기기·가정용가구도매업, 의약품·화장품·비 도매업, 종이·인쇄·

문구용품도매업, 오락·취미·경기용품도매업, 기타가정용품도매업, 상품종합도매업 등임.

Page 3: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91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이 거래산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해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 변수로 매출총이익률을 사용한다. 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 것이므로 소매업의 구

매 향력이 클수록 구입가격 인하 등으로 매출원가가 낮아져 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

은 증가하기 때문이다.7) 한 본 연구에서 거래산업의 이익률 변수로 업이익률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거래산업의 업이익률이 거래산업의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뿐

만 아니라 매·일반 리비를 차감하여 매출액으로 나 개념이므로 소매업이 구입가

격을 인하할 경우 거래산업의 매출액은 감소할 수밖에 없고 더구나 매 련 여타

비용을 거래산업에 가할 경우 거래산업의 매·일반 리비는 증가하게 되어 거래산

업의 업이익률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한편, 소매업 분석 상 소매업종들은 자료의 제약으로 거래제조업의 경우와 도

매업의 경우에 상이하다. 첫째, 거래산업으로 제조업을 고려하는 경우를 보자. 본 연

구의 분석 이 소매업 기타 형종합소매업이지만 거래산업으로 제조업을 상으

로 할 경우 한국은행 기업경 분석 상의 소매업(자동차 제외), 종합소매업, 종합소매

업(백화 제외), 백화 , 일반소매업을 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분석

상기간이 1990-2011년임에 따라 분석을 한 비교 충분한 시계열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한 종합소매업(백화 제외)에서 기타 형종합소매업의 매출액 비 이 2011년

재 45.7%에 달하고 있고 기타 형종합소매업 외에 슈퍼마켓과 체인화편의 등 음·

식료품 주종합소매업을 고려할 경우에는 동 업종들의 종합소매업(백화 제외) 매출

액 비 이 85.7%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백화 을 제외한 종합소매업의 구매 향력

분석은 구매 향력이 큰 기타 형종합소매업, 슈퍼마켓, 체인화편의 등에 한 분석

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둘째, 거래산업으로 도매업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통계청의 도소

매조사에 기 하여 소매업(자동차 제외), 종합소매업, 형종합소매업, 기타 형종합소

매업, 백화 , 기타종합소매업, 일반소매업을 분석 상으로 한다. 이 경우 자료의 제약

으로 2003-2011년의 자료만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증분석방법이 기본 으로

패 분석이지만, 시계열자료가 충분치 않다는 을 고려하여 분석결과의 해석시 주의

할 필요가 있다.

다음 제 2장에서는 거래산업에 한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 분석을 해 소매업의

구매 향력에 한 실증분석과 련된 기존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다음 제 3

장에서는 실증분석과 련된 주요 변수인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 추이를 살펴보는

한편, 소매업의 거래산업인 제조업과 도매업의 업이익률 추이를 살펴본다. 한 상

기 변수들 외에 실증분석에 사용되는 거래제조업 련 실질 매출액 증가율, 수출비 ,

7) 소매업의 구매 향력 변수로서 매출총이익률 신에 업이익률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음. 이는 소매업이 구입가격 인하 외에 거래산업에 해 매 련 여타비용을 가할

경우 소매업의 업이익률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임. 그러나 소매업의 업이익률은 매출총

이익률보다는 구매 향력 외의 여타 요인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에 따라 구매 향력 변수로

서 왜곡의 소지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매 향력 변수로서 왜곡

의 소지가 업이익률보다 작은 매출총이익률을 사용하고자 함. 그리고 개념 으로도 매출총

이익률은 소매기업의 매가격과 구입가격 간 차이, 즉 소매기업의 거래기업과의 거래에 있

어 총마진(gross margin)을 나타내므로 매출총이익률은 소매기업의 구매 향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음.

Page 4: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92 김원규 ‧ 김진웅

산업집 도 등 기타 변수들의 추이를 이어서 살펴본다. 제 4장에서는 소매업종별 구

매 향력 분석을 한 방법을 소개하는 한편,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이 거래제조업과

도매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에 의해 추정

한다. 특히 두 데이터 용 방법 8) 거래제조업의 경우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이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직 효과뿐만 아니라 거래산업의 매 향력

(seller power) 여부를 분석하기 해 거래산업별 수출비 과 산업집 도를 고려하고

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분석결과들을 정리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정책

시사 을 간략하나마 제시한다.

2. 소매업의 구매영향력에 대한 실증분석 관련 기존연구

소매업의 구매 향력과 련된 실증연구들은 제조업으로부터 소매업으로의 시장지

배력 이동 상에 한 논의가 크게 두된 1990년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

하 는데, 주로 형소매기업과의 거래 여부 는 매출액비 이 거래기업의 이익(률)

에 미치는 효과에 을 맞추고 있다.

Ailawadi, Borin and Farris(1995)는 1990년 이슈로 부각된 제조업과 소매업

간 시장지배력(market power)의 이동 상9)을 규명하기 해 련 제조업과 소매업

의 이윤(률)의 추세를 비교 분석하 다. 분석을 한 이윤(률)로는 실제의 시장지배력

(exercised power)과 잠재 인 시장지배력(potential power)을 모두 고려하기 해

다양한 지표들10)을 사용하 다. 제조업과 소매업 간의 비교분석을 해 미국을 상

으로 14개 소비재 제조업11)과 이에 상응하는 소매업의 1982-1992년 기간 동안의 이익

(률) 추세를 각각 비교하 다.

8) 이상에서 언 하 듯이 거래산업을 제조업으로 고려하는 경우 는 도매업으로 고려하는 경

우의 두 가지임.

9) 제조업에 비해 소매업의 시장지배력이 확 되었다는 주장의 근거로는 소매업의 산업집 도

증가, 스캐 (scanner) 기술의 근성 확 , 가격할인 자사 랜드(private labels)에 기인한

랜드(national brand) 충성도의 약화 등이 제시되고 있음.

10) 매출총이익률, 매출액 업이익률, 총자산 업이익률, 투자 업이익률, EVA(Economic Value

Added), 매출액 비 EVA비율, MVA(Market Value Added), 매출액 비 재고비율, 매출액

비 매 리비 비율, 매출액 비 고선 비 비율 등을 고려함. 특히, EVA는 업이익에

서 자본비용(cost of capital)을 차감한 개념이고 잠재 시장지배력을 나타내는 MVA는 주식

의 시장가치과 장부가치 간의 차이로서 측정됨.

11) 14개 소비재 제조업은 Apparel, Appliances, Audio & video equipment, Computers, Drugs,

Food & beverages, Footwear, Furniture, Jewelry & watches, Office machine, Tobacco

products, Toiletries & cleaning aids, Toys & games, Wood & lumber products 등이고 이

에 상응하는 소매업은 Apparel & accessory stores, Women’s clothing, Family clothing,

Department stores, Variety stores, Misc. General Mdse. stores, Radio/tv/consumer elect.

stores, Record & tape, Computer & computer software, Drug & proprietary, Food stores,

Grocery store, Convenience store, Shoe store, Home furniture & equip., Furniture, Jewelry,

Hobby/toy/game shops, Building material hardware/garden, Lumber & other build material

등임.

Page 5: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93

분석결과, 소비재 제조업와 련 소매업 체의 경우 10개 이익(률) 지표 에서 8

개 지표에서 제조업의 이익(률) 추세가 소매업의 이익(률) 추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

는데, 이는 제조업으로부터 소매업으로 시장지배력이 이동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한 14개 소비재 산업 에서 단지 소수의 산업에서만 시장지배력이 제조업에서 소매

업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소매업으로의 시장지배력 이동도 여러 소매업

하나인 일반잡화소매업(general merchandiser) 에서도 월마트 등 일부 형소매

에 의해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Kelly and Gosman(2000)는 제조업의 구매자(소매업) 집 도(buyer concentra-

tion)가 제조업의 이익률에 어떤 향을 미치는지를 미국의 1997년 19개 제조업12) 218

개 기업을 상으로 분석하 다. 제조업의 구매자 집 도는 해당 기업이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한 구매자13) 에서 가장 비 이 큰 구매자에 한

매출액 비 을 나타낸다. 종속변수로는 제조업 기업의 매출총이익률을 고려하 고, 독

립변수는 상기 구매자 집 도 변수 외에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고객이

없음을 나타내는 더미변수, 매시장 집 도(seller concentration), 시장 유율, 기업의

성장률, 업종더미변수 등을 고려하 다.

우선, 매자인 제조업의 시장집 도를 구분하지 않고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제조

업의 구매자 집 도가 제조업의 매출총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 경우 일부 업종 더미변수를 제외한 여타 독립변수들 모두 제조업의 매출총

이익률에 유의 인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에는 제조업의 해당

기업들을 매시장 집 도에 따라 집 도시장 기업군과 ·고집 도시장 기업군으

로 구분하여 재추정한 결과, 자의 경우에만 구매자 집 도가 매출총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 업종이 경쟁산업일 경우, 특히 소기업의 구매자(소매업)

집 도가 클수록 소기업의 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

한 결과는 기존의 이론 연구결과( 매산업이 과 일 경우 구매자 집 도는 매산

업, 즉 기업의 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침)와는 상반된 실증분석 결과라고 할

수 있다.

Bloom and Perry(2001)는 미국의 형소매 인 Wal-Mart가 공 기업(suppliers)

의 재무성과에 어떤 향을 미치는지를 1988-1994년 기간의 기업자료를 사용하여 분

석하 다. Wal-Mart의 취 소비재산업(SIC 4단 )에 속한 기업을 상으로 공 기

업의 주고객(major customer)14)이 Wal-Mart인지 여부(WM1과 WM2)15)와 Wal-Mart

12) 19개 제조업 에서 Apparel, Footwear, Furniture, Household cleaners & personal care,

Houseware, Sporting goods, Toys 등 7개 업종이 표본의 부분을 차지함.

13) 218개 기업이 보고한 주요 구매자(소매 ) 226개 에서 Wal-Mart(57개), J.C. Penny(16

개), Kmart(14개), Federated Department Stores(10개), Sears(10개), Target(10개) 등의 순으

로 높은 비 을 나타냄.

14) 해당 기업 매출액의 10% 이상 비 을 차지하고 있는 고객을 나타냄.

15) 공 기업의 주고객이 Wal-Mart인 경우와 응되는 경우로서 공 기업의 주고객이 없는 경

우와 Wal-Mart 외 여타 주고객이 존재하는 경우를 각각 분석함. 자의 경우와 후자의 경우

공 기업의 주고객이 Wal-Mart인 경우의 더미변수는 각각 WM1과 WM2임.

Page 6: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94 김원규 ‧ 김진웅

외에 여타 주고객이 존재하는지 여부(OTHER)16)가 공 기업의 순이익에 미치는 효과

를 각각 분석한 것이다. 공 기업의 순이익은 업종별로 표 화한 변수를 사용하 고

여타 독립변수로는 공 기업의 시장 유율과 순매출을 사용하 다. 특히, WM1,

WM2, OTHER 변수들과 공 기업의 시장 유율 간의 교호항(interaction term)을 각

각 해당 모형의 독립변수로서 고려하 다.

분석결과, 공 기업의 주고객이 Wal-Mart인 경우 공 기업의 시장 유율이 낮을

경우에는 공 기업의 주고객이 없는 경우와 공 기업의 주고객이 Wal-Mart 외의 여

타 주고객인 경우에 비해 순이익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 기업의 주

고객이 Wal-Mart인 경우 공 기업의 시장 유율이 일정수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공

기업의 상 인 순이익은 증가하 다. 한편, 공 기업의 주고객이 없는 경우에 비

해 Wal-Mart 외의 주고객이 있는 경우에는 공 기업의 순이익이 감소하 고 더구나

공 기업의 시장 유율이 클수록 공 기업의 순이익 감소폭은 확 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Gosman and Kohlbeck(2006)는 Wal-Mart의 150개 공 기업과 1993-2004년의 기

간을 상으로 공 기업의 Wal-Mart 매출비 이 공 기업의 매출총이익률, 총자산수

익률(return on asset) 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 다. 특히, 매출총이익률과 총자산

수익률에 한 효과분석의 경우 주요 독립변수로서 공 기업의 Wal-Mart 매출비

외에 동 비 과 기업규모를 나타내는 매출액 여타 주고객 수 간의 교호항 등을 고

려하 다.

분석결과, 우선 매출총이익률에 한 효과분석의 경우 공 기업의 Wal-Mart 매출

비 은 매출총이익률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 기업의

규모(매출액)가 클수록 Wal-Mart 매출비 의 매출총이익률에 미치는 정 인 효과

가 감소하 다. 한편, 이들은 Wal-Mart 외 주고객 수가 직 으로 공 기업의 매출

총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치나 Wal-Mart 매출비 의 효과 크기에는 유의 인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하 다.

총자산수익률에 미치는 효과의 경우 공 기업의 Wal-Mart 매출비 이 공 기업의

총자산수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Wal-Mart 매출비 의 총자산수익률에 한 부정 효과가 감소하 으며,

Wal-Mart 외 주고객 수는 공 기업의 총자산수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치고

Wal-Mart 매출비 의 총자산수익률에 한 부정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

다.

Mottner and Smith(2009)는 Wal-Mart와 공 기업 간의 계가 종속 계

(dependency relationship)인지 트 계(partner relationship)인지를 규명하기 해

공 기업의 Wal-Mart 매출액비율과 공 기업의 재무성과 간의 계를 추정하 다.

양 기업 간의 계가 종속 계라면 공 기업의 Wal-Mart 매출액비율이 공 기업의

재무성과에 부정 인 향을 미치고 한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그러한 부정 인 효과

는 더욱 커질 것이다. 반면, 양 기업 간의 계가 트 계라면 공 기업의

16) Wal-Mart 외에 여타 주고객이 존재하는 경우와 응되는 경우는 어떤 주고객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임.

Page 7: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95

Wal-Mart 매출액비율이 공 기업의 재무성과에 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분석을 해 1998-2005년의 기간과 97개 Wal-Mart 공 기업을 상으로 특

히 공 기업의 Wal-Mart 매출액비율뿐만 아니라 동 변수와 매출액규모 간의 교호항

이 공 기업의 매출총이익률과 총자산수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각각 추정하 다. 우선,

공 기업의 고유 특성을 반 하지 않는 모형을 추정하는 한편, 공 기업의 고유 특성

을 반 하기 해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을 추정하 다. 이는 Wal-Mart와

공 기업 간의 계가 종속 계가 아닌 트 계라면 공 기업의 그러한 고유 특성

을 모형에 반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추정결과, 공 기업의 고정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공 기업의 Wal-Mart 매출

액비율은 매출총이익률에는 부정 인 향을 미치지만 총자산수익률에는 유의 인 효

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공 기업 Wal-Mart 매출액비율의 공 기

업 매출총이익률에 미치는 부정 효과는 공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공 기업 Wal-Mart 매출액비율의 공 기업 총자산수익률에 미치는 효과는

공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정효과모형에 의한

추정결과에 따르면, 공 기업의 매출액비율뿐만 아니라 동 변수와 매출액 간의 교호

항이 공 기업의 매출총이익률과 총자산수익률에 유의 인 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러한 결과는 공 기업 Wal-Mart 매출액비율의 공 기업 재고자산회 률에 한 부정

효과가 공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감소한다는 다른 추정결과와 함께

Wal-Mart와 공 기업(소기업) 간 계가 종속 계보다는 트 계일 수 있음을 시

사한다.

Hofer et al.(2012)는 공 기업이 주고객(Key Retail Accounts; 여기서는 Wal-Mart

는 Target)과의 공 체인(supply chain) 계를 가질 경우 공 기업의 성과에 미치

는 효과를 분석하 다. 동 연구는 1999-2009년의 기간과 Wal-Mart 는 Target과 거

래 계가 있는 156개 업종(NAICS 6단 )의 3,410개 기업17)을 상으로 분석하 다.

특히, 주고객 존재여부, 주고객 존재여부와 주고객의 산업집 도18) 간의 교호항

(interaction term), 주고객 존재여부와 공 기업 해당 산업의 시장 유율 간의 교호항

등이 공 기업의 업종 내 표 화된 순이익19)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 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공 기업의 주고객 존재여부는 직 으로 공 기업의 순이익

에 유의 인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 기업의 주고객이 존재

할 경우 공 기업의 시장 유율이 높을수록 공 기업의 순이익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난 반면, 주고객의 산업집 도가 클수록 공 기업의 순이익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시장 유율이 낮은 소규모 공 기업이 Wal-Mart 는

Target과 같은 형소매 과 력 공 체인 계를 구축할 경우 동 공 기업의 성

과를 개선시킨다는 것을 시사하고, 이는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의

력 공생 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17) 이 에서 Wal-Mart 는 Target이 주고객인 공 기업은 242개 기업임.

18) Discount Department Stores 산업 내에서 Wal-Mart와 Target 련 허핀달지수(Herfindahl

index)를 사용함.

19) 업종별 순이익 차이를 반 하기 해 공 기업의 순이익은 업종별로 표 화하여 사용함.

Page 8: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96 김원규 ‧ 김진웅

3. 소매업과 거래산업의 이익률과 기타 변수 추이

3.1 소매업의 구매영향력

여기에서는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을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매출총이익률을 이용

하여 실증분석을 한다. 소매업종별로 매출총이익률의 크기 자체를 통하여 구매 향력

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은 소매업종별로 상이한 특성에 따라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를 들어, 형종합소매업 고가화 략을 추구하는 백화 과 가화 략을 추구하

는 기타 형종합소매업 간에는 매가격의 차이로 인해 백화 의 매출총이익률이 기

타 형종합소매업보다 더욱 클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백화 의 구매 향력이 기타

형종합소매업보다 크다고 얘기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매업종별로 매출총이

익률의 추세를 통하여 구매 향력의 변화방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20)

단 : 기업경 분석 기 , %

주: 1)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액 비 매출원가 비율임.

2) 한국은행 기업경 분석에서는 련 자료를 1990-1997년, 1998-2007년, 2007-2010년,

2009-2011년 기간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복년도들 간에 시계열자료의 차이가

존재함. 련 자료의 시계열 연속성을 확보하기 해 1990-2007년의 기간은 원자료를 그

로 사용하 고 2008-2011년의 기간은 복연도(2007년과 2009년)의 시계열자료 간 차

이를 반 하여 원자료를 조정함.

<그림 3.1>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 추이(1)

20) 이하에서는 변화방향 추이를 효과 으로 살펴보기 해 매출총이익률의 연평균 증가율

개념을 용함.

Page 9: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97

<표 3.1>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의 기간별 (연평균)증가율(1)

 소매업

(자동차제외)종합소매업

종합소매업

(백화 제외)백화 일반소매업

1991-1999 -0.07 -0.95 -1.61 -0.71 0.36

2000-2011 3.82 3.37 2.72 4.26 5.97

1991-2011 2.13 1.45 0.76 2.07 3.54

단 : 기업경 분석 기 , %

우선, 한국은행 기업경 분석21)에 기 하여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을 기간별로

살펴보면, 소매업종에 계없이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이 1990년 (1991-1999년)에

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나 2000년 (2000-2011년) 들어 크게 확 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소매업(자동차 제외) 체의 경우 매출총이익률이 1990년 는 0.1% 감소

하 으나 2000년 에는 3.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소매업의 경우 매출총이

익률이 1990년 에 1.0% 감소한 반면 2000년 에는 3.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소매업의 경우에는 1990년 0.4% 증가하는 데 그치고 2000년 는 6.0%나 증가

하 다. 종합소매업 에서 백화 을 제외한 종합소매업과 백화 은 매출총이익률 증

가율이 1990년 –1.6%와 –0.7%에서 2000년 에는 2.7%와 4.3%로 확 되었다.

단 : 도소매조사 기 , %

주: 통계청의 도소매조사에서는 2003-2006년 기간(2005년은 서비스업총조사 기 )과 2006-

2011년 기간(2010년은 경제총조사 기 )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복연도인 2006년

의 경우 시계열 자료 간 차이가 존재함. 따라서 련 자료의 시계열 연속성을 확보하기

해 2003-2006년의 기간은 원자료를 그 로 사용하고 2007-2011년의 기간은 복연도(2006

년)의 시계열 자료 간 차이를 반 하여 원자료를 조정함.

<그림 3.2> 소매업종별의 매출총이익률 추이(2)

21) 한국은행 기업경 분석 상 소매업종별 조사업체 수를 살펴보면, 2011년 기 으로 소매업(자

동차 제외)은 12,470개, 종합소매업은 1,304개, 종합소매업(백화 제외)은 1,262개, 백화 은

42개, 일반소매업은 11,166개임. 반면에, 통계청 도소매조사의 경우에는 2011년 조사업체수는

소매업(자동차 제외) 631,626개, 종합소매업 110,098개, 종합소매업(백화 제외) 110,005개, 백

화 93개, 일반소매업 521,528개임.

Page 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98 김원규 ‧ 김진웅

단 : 도소매조사 기 , %

주: 2003-2006년과 2006-2011년 간의 시계열 자료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해 <그림 3.2>에서

와 같이 2007-2011년의 원자료를 조정함.

<그림 3.3> 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 추이(3)

통계청의 도소매조사 기 으로 백화 과 일반소매업을 제외한 소매업(자동차 제

외), 종합소매업, 형종합소매업, 기타 형종합소매업, 기타종합소매업 등의 매출총이

익률은 2003-2011년의 기간 동안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기타 형종합소매업의 매

출총이익률 증가세(10.8%)에 힘입어 형종합소매업과 종합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 증

가율이 각각 6.2%와 4.4% 증가한 반면, 백화 과 일반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 증가율

은 각각 –0.56%와 –0.03%를 보임에 따라 소매업(자동차 제외) 체로는 매출총이익

률이 1.4%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3.2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업의 거래산업 에서 우선 제조업 체의 업이익률 추이를 기업경 분석에

기 하여 살펴보면, 제조업 체의 업이익률은 1990년 반만 하더라도 증가추세

를 보 으나 1990년 반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하향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소매업과 한 거래 계를 갖고 있는 거래제조업의 경우에도 1990년 반에는

증가추세를 나타내다가 1990년 반 이후 등락을 거듭하면서 하향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소매업의 거래산업 도매업 체의 이익률 추이를 도소매조사에 기 하여 살펴

보면, 2003-2011년 기간 2005년에 가장 높은 8.1%의 업이익률을 나타냈으나 그

이후 감소추세로 환되어 2011년 재 5.7% 수 을 나타내고 있다. 소매업과 한

거래 계를 가지고 있는 거래도매업의 경우에도 업이익률이 2005년에 가장 높은

8.2%를 보인 후 감소추세를 나타내 2011년 재 5.3% 수 을 나타내고 있다.

Page 11: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99

단 : 기업경 분석 기 , %

주: 1) 소매업과의 거래제조업은 제조업 내 14개 업종(음식료품, 섬유제품, 의복·액세서리·모피

제품, 가죽·가방·신발, 목재·나무제품, 펄 ·종이·종이제품, 화학제품, 고무· 라스틱제품,

비 속 물제품, 속가공제품, 기장비, 의료·정 · 학기기·시계, 가구·기타제조업)을

나타내고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은 해당 제조업 업종의 업이익률을 매출액비 으로

가 평균한 것임.

2) 이 경우도 <그림 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련 자료의 시계열 연속성을 확보하기

해 2008-2010년과 2009-2011년의 원자료를 조정함.

<그림 3.4> 제조업의 업이익률 추이

단 : 도소매조사 기 , %

주: 1) 도매업 체는 도매·상품 개업을 나타내고 거래도매업은 도매업 내 12개 업종(상품 개

업, 비가공식품도매업, 가공식품도매업, 음료·담배도매업, 가정용섬유제품·의복도매업, 신

발도매업, 비 기식가정용기기·가정용가구도매업, 의약품·화장품·비 도매업, 종이·인쇄·문

구용품도매업, 오락·취미·경기용품도매업, 기타가정용품도매업, 상품종합도매업)을 나타냄.

2) 거래도매업의 업이익률은 해당 업종의 업이익률을 해당 업종의 매출액비 으로 가

평균하여 산출함.

3) 이 경우도 <그림 3.2>에서와 같이 2003-2006년과 2006-2011년 간 시계열 자료의 연속

성을 확보하기 해 2007-2011년의 원자료를 조정함.

<그림 3.5> 도매업의 업이익률 추이

Page 12: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100 김원규 ‧ 김진웅

3.3 거래제조업의 실질 매출액 증가율, 수출비중, 산업집중도 추이

먼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과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 간의 분석을 한 통제

변수로서 사용되는 거래제조업의 실질 매출액 증가율을 살펴보자. 1990년 후반들어

외환 기의 여 로 인해 1990년 반에 비해 반 이하로 감소한 4.6%의 실질 매출

액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00년 에 들어서는 실질 매출액 증가율이 연평균 7%

정도로 증가하 으나 1990년 반에 비해서는 2.5%포인트 정도 낮은 수 을 나타내

고 있다.

한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이 거래제조업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거래제조업의

매 향력 여부를 분석하기 해 수출비 과 산업집 도를 각각 사용하는데 이들의 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거래제조업의 총산출 비 수출비 은 1990년 이후 지

속 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1990년 반 24.5%이던 수출비 이 2000년 후

반에는 33.0%로 확 되었다. 한 거래제조업의 산업집 도 변수인 CR3는 1990년

후반의 경우 1990년 반에 비해 다소 높은 수 을 나타냈으나 2000년 반에는

다시 하락하 다가 2000년 후반에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결과 으로

2000년 후반의 산업집 도는 1990년 후반에 비해 다소 높기는 하지만 매우 유사

한 수 을 나타내고 있다.

<표 3.2> 거래제조업의 실질 매출액 증가율, 수출비 , 산업집 도

  1990-1994년 1995-1999년 2000-2004년 2005-2011년

실질 매출액 증가율 9.49 4.58 6.91 7.00

수출비 24.46 30.77 32.00 32.95

산업집 도(CR3) 45.04 46.96 44.49 47.07

단 : %

주: 1) 실질 매출액 증가율은 거래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을 거래업종별 실질 매출액 비

으로 가 평균한 것이고 수출비 은 총산출 비 수출 비 인데, 거래업종별 수출비

을 거래업종별 총산출 비 으로 가 평균한 것임. 그리고 산업집 도인 CR3는 상 3

개 기업의 시장 유율 합계인데, 거래업종별 CR3를 거래업종별 출하액으로 가 평균한

것임.

2) 거래제조업 수출비 의 경우 산업연 표를 사용하여 산출되었는데, 특정연도의 산업연

표 부재로 인하여 1990-1994년은 1990년과 1993년의 평균치, 1995-1999년은 1995년과

1998년의 평균치, 2000-2004년은 2000년과 2003년의 평균치임.

3) 거래제조업 산업집 도는 2001년과 2011년의 경우 자료의 부재로 인해 2000-2004년은

2001년을, 2005-2011년은 2011년을 제외한 평균치임.

4) 매출액 증가율의 경우도 <그림 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련 자료의 시계열 연속성을

확보하기 해 2008-2010년과 2009-2011년의 원자료를 조정함.

4.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에 대한 소매업종별 구매영향력 분석

4.1 분석방법

Page 13: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101

여기에서는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이 거래산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에 의해 추정한다.22)

우선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이 직 으로 거래산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효

과를 살펴보기 해 식 (4.1)을 추정한다.

ROPith = αi+β*RGPt

k+γ*GSALEit+eit, (4.1)

단, 여기에서 ROP는 거래산업(h는 거래제조업(m) 는 거래도매업(w)의 업이익률,

RGP는 소매업종별(k) 매출총이익률, GSALE은 거래제조업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

율임. 그리고 αi는 거래제조업 는 거래도매업의 업종별 고정효과(fixed effect)를 나

타낸다.

식 (4.1)에서 통제변수로서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을 사용한 것

은 거래제조업 업종별로 업종별 경기상황에 따라 업이익률이 변동할 수 있기 때문

에 이를 고려하기 함이다. 상기 식에서 특정 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 추정계수(β)가

유의 인 마이 스 부호를 보인다면 동 소매업이 거래산업에 해 구매 향력을 행사

할 수 있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소매업의 거래산업이 제조업인 경우에는 1990-2011년의 기간과 14개 제조업 업종

을 상으로 분석하는 한편, 거래산업이 도매업인 경우에는 자료의 제약으로

2003-2011년의 기간과 도매업 내 12개 업종을 상으로 추정한다. 다만, 거래산업이

도매업인 경우에는 도매업 내 12개 업종별 매출액 증가율 자료의 부재로 실질 매출액

증가율을 추정에서 고려하지 않고23)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과 도매업 업이익률

간의 계만을 살펴본다.

한 추가 으로 거래산업이 제조업인 경우, 소매업과의 거래 계에 있어 제조업의

매 향력(seller power)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해 식 (4.2)를 추정한다.

ROPitm = αi+β*RGPt

k+γ*GSALEit+δ*RGPt

k*Xit+θ*Xit+eit, (4.2)

단, 여기에서 X는 업종별 수출비 (수출/총산출, %) 는 업종별 산업집 도(CR3)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특정 소매업이 구매 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경우(β<0) 특정 소매업에

한 거래제조업의 매 향력이 존재(δ>0)한다면 특정 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이 거

22) 오완근(2009)과 동일한 이유로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한다. “패 추정모형에는 크게 고정효과

모형과 랜덤효과모형으로 구분되며 이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는 Hausman 검정으로 결정한

다. 그 지만 Greene(2000, p. 567)은 표본이 모집단과 거의 일치하는 경우에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의 모든 산업을 포 하고 있으므로 고정효

과모형만을 용한다.”

23) 통계청의 도소매조사에 도매업종별 연도별 매출액이 제시되어 있으나 연도별 조사 상이

달라 매출액 증가율의 일 된 시계열자료를 산출하기는 어려움.

Page 14: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102 김원규 ‧ 김진웅

래제조업 업이익률에 미치는 부정 효과가 거래제조업의 수출비 는 산업집

도에 따라서 감소함을 나타낸다. 거래제조업의 수출비 이 높거나 증가할 경우 국내

소매업 외 여타 해외수요처가 존재하므로, 그리고 거래제조업의 산업집 도가 크거나

증가할 경우 소매업과의 거래 계에 있어 우 를 나타내거나 교섭력이 증가할 가능

성이 크므로 이들 변수들을 통하여 거래제조업의 매 향력 유무를 단할 수 있다.

4.2 거래제조업의 영업이익률에 대한 효과분석

소매업종별로 매출총이익률과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 간의 계를 추정한 결과,

소매업종에 계없이 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은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에 1% 유의

수 에서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24) 한편, 거래제조업의 실질 매출

액 증가율은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에 1% 유의수 에서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 업종별로 경기상황이 호 (악화)될 경우 업이익률이

증가(감소)함을 시사한다.

소매업종별로 매출총이익률의 거래제조업 업이익률에 한 부정 효과를 살펴

볼 때 종합소매업(백화 제외)의 부정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종

합소매업, 소매업(자동차 제외) 체, 백화 , 일반소매업의 순으로 부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업종에 계없이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이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에 부정 효과를 미치는 것은 소매업종별 반 으로 거래제조업에 해서

실질 인 구매 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 이러한 부정 효과의 크기

에서 종합소매업(백화 제외)이 가장 크게 구매 향력을 행사할 수 있고 그 다

음으로 백화 , 일반소매업의 순으로 거래제조업에 해 구매 향력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24) 기존연구에서 Kelly and Gosman(2000)의 경우 거래제조업 기업의 소매기업에 한 구매자

집 도(seller concentration)가 거래제조업 기업의 매출총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Bloom and Perry(2001)의 경우에도 공 기업의 주고객이 Wal-Mart인 경우

주고객이 없거나 Wal-Mart 외의 주고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비해 순이익이 감소하는 것

으로 나타남. 한 Gosman and Kohlbeck(2006)의 경우에도 공 기업의 Wal-Mart 매출비

은 공 기업의 총자산수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Page 15: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103

<표 4.1>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에 한 효과분석

추정방정식: 식 (4.1) ROPitm = αi+β*RGPt

k+γ*GSALEit+eit,

k= β γ 조정결정계수

소매업

(자동차제외)

-0.0732*** (0.0186) - 0.5480

-0.0747*** (0.0171) 0.0663*** (0.0170) 0.5909

종합소매업-0.0885*** (0.0226) - 0.5478

-0.1340*** (0.0228) 0.0665*** (0.0171) 0.5909

종합소매업

(백화 제외)

-0.1172*** (0.0259) - 0.5561

-0.1340*** (0.0228) 0.0731*** (0.0169) 0.5827

백화-0.0581*** (0.0163) - 0.5422

-0.0562*** (0.0156) 0.0644*** (0.0171) 0.5827

일반소매업-0.0464*** (0.0128) - 0.5448

-0.0448*** (0.0120) 0.0643*** (0.0171) 0.5850

주: 1) ROPit는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업이익률(%), RGPt는 소매업종별(k) 매출총이익률(%),

GSALEit은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 αi는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고

정효과, eit는 오차항임.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은 명목기 매출액 증

가율에서 생산자물가지수 증가율을 차감하여 산출함.

2) 분석 상기간(t)은 1990-2011년, 분석 상산업(i)은 제조업 내 14개 업종(음식료품, 섬유

제품, 의복·액세서리·모피제품, 가죽·가방·신발, 목재·나무제품, 펄 ·종이·종이제품, 화학

제품, 고무· 라스틱제품, 비 속 물제품, 속가공제품, 기장비, 의료·정 · 학기기·

시계, 가구·기타제조업)임. 추정을 한 표본 수는 308개임.

3) <그림 3.1>에서 언 한 바와 같이 련 자료의 시계열 연속성 확보를 해 2008-2011

년 기간의 원자료를 조정함.

4) ***/**/*는 1/5/10% 수 에서 유의 임을 나타냄.

4.3 소매업과의 거래관계에 있어 거래제조업의 판매영향력 분석

우선 식 (4.2)에서 거래제조업의 매 향력 분석을 한 변수로서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수출비 을 고려한 경우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수출비 과 소매업종별 매출총

이익률 간의 교호항의 추정계수(δ)가 소매업종에 계없이 1% 유의수 에서 마이

스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한 거래제조업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의 추정계수(γ)

는 소매업종에 계없이 <표 4.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 유의수 에서 러스 부

호를 보이는 한편,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의 추정계수(β)는 <표 4.1>의 경우와는

달리 10% 수 에서 유의 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제조업 수출비 의 거래제

조업 업이익률에 한 직 인 효과(θ)는 소매업종에 계없이 최소한 5% 유의수

에서 러스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거래제조업의 수출비 이

높다고 해서 소매업에 한 매 향력이 존재한다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보다는 거래제조업의 수출비 이 높을 경우 업이익률이 증가하나 이러한 거래제

조업 수출비 의 업이익률에 한 정 효과가 소매업의 구매 향력에 의해 오히

려 반감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Page 16: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104 김원규 ‧ 김진웅

제조업의 매 향력 분석을 해 산업집 도(CR3)를 사용한 경우에도 추정계수들

의 통계 유의성 정도에 있어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수출비 을 고려한 경우와 체

로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CR3와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 간

의 교호항의 추정계수(δ)는 소매업종에 계없이 5% 유의수 에서 마이 스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한 거래제조업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의 추정계수(γ)는 소매업

종에 계없이 1% 유의수 에서 러스 부호를 보이는 한편,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

률의 추정계수(β)는 수출비 을 고려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10% 수 에서 유의 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제조업 CR3의 업이익률에 한 직 인 효과(θ)는 소

매업종에 따라 상이한데, 종합소매업과 백화 의 경우는 5% 유의수 에서, 소매업(자

동차 제외) 체와 종합소매업(백화 제외)은 10% 유의수 에서 러스 부호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소매업의 경우에는 그 계가 10% 수 에서 유의 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25) 이러한 분석결과는 일반소매업을 제외한 여타 소매업종의

경우 CR3에 기 한 거래제조업의 산업집 도가 높을수록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이

증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정 인 효과가 소매업의 구매 향력에 따라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일반소매업의 경우에는 구매 향력이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

에 미치는 부정 인 효과가 CR3에 기 한 거래제조업의 산업집 도가 클수록 확 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5) 이러한 결과는 Kelly and Gosman(2000)의 실증분석 결과와는 상반되지만 기존의 이론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 매산업이 과 일 경우 매기업의 구매자 집 도가 매기업의

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침)과 상응하는 실증분석 결과라고 할 수 있음. 한 Hofer et

al.(2012)에서도 공 기업의 주고객이 존재할 경우 공 기업의 시장 유율이 높을수록 공 기

업의 순이익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Page 17: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105

<표 4.2> 거래제조업의 수출비 과 산업집 도 효과

추정방정식: ROPitm = αi+β*RGPt

k+γ*GSALEit+δ*RGPtk*Xit+θ*Xit+eit,

k= Xit= β γ δ θ조정

결정계수

소매업

(자동차

제외)

RX0.0139

(0.0369)

0.0678***

(0.0209)

-0.0039***

(0.0015)

0.0922**

(0.0371)0.6036

CR30.0646

(0.0640)

0.0645***

(0.0170)

-0.0039**

(0.0018)

0.0814*

(0.0431)0.6303

종합

소매업

RX0.0345

(0.0481)

0.0686***

(0.0171)

-0.0053***

(0.0018)

0.1391***

(0.0483)0.6022

CR30.0964

(0.0751)

0.0636***

(0.0171)

-0.0051**

(0.0020)

0.1244**

(0.0522)0.6302

종합

소매업

(백화

제외)

RX-0.03432

(0.0503)

0.0772***

(0.0208)

-0.0049***

(0.0018)

0.0960**

(0.0395)0.6212

CR30.0360

(0.0819)

0.0707***

(0.0171)

-0.0046**

(0.0022)

0.0891*

(0.0459)0.6443

백화

RX0.0412

(0.0357)

0.0651***

(0.0209)

-0.0039***

(0.0014)

0.1192***

(0.0420)0.5871

CR30.0798

(0.0544)

0.0613***

(0.0172)

-0.0037**

(0.0015)

0.1010**

(0.0428)0.6203

일반

소매업

RX0.0073

(0.0265)

0.0648***

(0.0211)

-0.0028***

(0.0011)

0.0532**

(0.0264)0.6069

CR30.0462

(0.0463)

0.0630***

(0.0171)

-0.0027**

(0.0013)

0.0403

(0.0304)0.6263

주: 1) RX는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총산출 비 수출비 , 산업집 도 CR3(가 평균 기 )는 거

래제조업의 업종별 상 3개 기업 집 률을 나타냄.

2) 거래제조업의 업종별 수출비 은 1990년 이후 산업연 표를 사용하여 산출되었는데, 산

업연 표(실측표와 연장표)가 발표되지 않는 연도(1991-1992년, 1994년, 1996- 1997년,

1999년, 2001-202년, 2004년)의 경우에는 missing value로 처리함.

3) 1990-2000년 기간과 2003-2004년의 산업집 도는 이재형(2002, 2007)의 세분류별 산업집

도를 출하액으로 가 평균하여 사용하 고 2002년과 2005-2010년의 기간은 이재형

(2007), 한국개발연구원(2011, 2013)의 분류 산업별 자료를 활용하 음. 다만, 2001년과

2011년의 경우에는 련 자료의 부재로 missing value로 처리함.

4) 수출비 을 사용한 경우의 표본 수는 182개, 산업집 도를 사용한 경우는 표본 수가 280

개임.

4.4 거래도매업의 영업이익률에 대한 효과분석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이 거래도매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할 경

우의 분석방법이 기본 으로 거래제조업을 상으로 한 경우와 동일하게 패 분석을

사용한다. 다만 데이터면에서 연도별 시계열 변수인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의 측

치가 8개(1993-2011년)에 불과하다는 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동 분석에서는

거래제조업의 경우와는 달리 거래도매업의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을 자료의 제약

으로 통제변수로서 고려하지 못하 다. 그러나 거래제조업의 경우 <표 4.1>에서 거래

Page 18: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106 김원규 ‧ 김진웅

업종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을 통제변수로서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를 비

교해볼 때 양자 간에 유의 인 차이가 없음을 고려할 때 통제변수로서 거래도매업종

별 실질 매출액 증가율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소매업종별 매출총이익률의 거래도매업

에 한 효과에 있어서도 결과에 유의 인 차이가 있을 것으로 단된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소매업(자동차 제외) 체와 기타종합소매업, 일반소매업의 경

우에는 거래제조업의 경우와는 달리 매출총이익률이 거래도매업의 업이익률에 최소

한 5% 유의수 에서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타종합소매업

과 일반소매업의 경우 도매업에 해서 구매 향력이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려움을 시

사한다. 특히, 기타종합소매업과 일반소매업은 <표 1.1>에 기 할 때 여타 소매업종

에 비해 도매업으로부터의 상품매입 비 이 높음을 알 수 있다.26) 이에 따라 소매업

체의 도매업으로부터의 상품매입 비 (32.0%)도 형종합소매업(12.3%)에 비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매업과의 거래비 이 높은 기타종합소매업과 일반소매

업의 경우 양자 간의 긴 한 계의 유지 필요성에 따라 동 소매업종의 매출총이익률

이 거래도매업의 업이익률에 정 인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단된다. 소매

업 체 매출액에서 기타종합소매업(14.6%)과 일반소매업(67.5%)의 비 이 2011년

재 82.1%를 나타내고 있음에 따라 소매업 체의 매출총이익률도 거래도매업의 업

이익률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3> 거래도매업의 업이익률에 한 효과분석

추정방정식: ROPitw = αi+β*RGPt

k+eit,

k=

소매업

(자동차

제외)

종합

소매업

형종합

소매업

기타 형

종합

소매업

백화기타종합

소매업

일반

소매업

β0.2501**

(0.0496)

-0.0403

(0.0523)

-0.0760***

(0.0261)

-0.0428**

(0.0183)

-0.0826**

(0.0402)

0.1765**

(0.0710)

0.3812***

(0.1002)

조정결정계수 0.5412 0.5158 0.5388 0.5322 0.5402 0.5573 0.5925

주: 1) ROPitw는 도매업 내 12개 업종별 업이익률(%), RGPt

k는 소매업종별(k) 매출총이익률(%)

임. 분석 상기간은 2003-2011년의 기간이고 표본 수는 소매업종에 계없이 108개임.

2) 동 변수들 모두 통계청의 도소매조사(2005년은 서비스업총조사, 2010년은 경제총조사)

자료에 기 하여 산출되었으며 <그림 3.2>에서 언 한 바와 같이 시계열 자료의 연속성

을 확보하기 해 2007년 이후의 시계열 자료들은 신구계열의 복연도인 2006년의 시

계열 자료의 차이를 반 하여 조정됨.

종합소매업 형종합소매업의 경우에는 매출총이익률이 거래도매업의 업이익

률에 1% 유의수 에서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앞에서

26) 본문에서의 기타종합소매업은 <표 1.1>에서 음식료품 주종합소매업과 기타종합소매업을,

일반소매업은 소매업 체에서 종합소매업을 제외한 업종들을 나타내는데, 본문에서 언 하

고 있는 기타종합소매업과 일반소매업의 도매업으로 부터의 상품매입 비 은 각각 51.6%와

40.4%를 나타내고 있음.

Page 19: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107

언 한 바와 같이 기타종합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이 거래도매업의 업이익률에 정

인 향을 미치고 종합소매업에서의 기타종합소매업 매출액 비 도 2011년 재

44.9%를 나타내고 있음에 따라 종합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은 거래도매업의 업이익

률에 10% 수 에서 유의 인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종합소매업

에서 백화 과 기타 형종합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은 거래도매업의 업이익률에

5% 유의수 에서 각각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부

정 효과는 기타 형종합소매업에 비해 백화 과 거래도매업 간의 거래에 있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타종합소매업이나 일반소매업의 경우와는 달리

형종합소매업의 경우에는 도매업과의 거래에 있어 구매 향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5.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소매업종별로 구매 향력이 거래산업의 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

를 분석하 는데,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산업이 제조업인 경우

소매업종에 계없이 거래제조업에 해 구매 향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분석하 다.

다만, 거래제조업에 한 구매 향력의 크기는 소매업종에 따라 상이한데, 종합소매업

(백화 제외), 백화 , 일반소매업 등의 순으로 구매 향력이 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거래산업이 도매업인 경우에는 백화 과 기타 형종합소매업의 경우

도매업에 한 구매 향력이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나 기타종합소매업과 일반

소매업의 경우에는 구매 향력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거래도매업과 공

생의 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단된다.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의 거래제조업 업이익률에 한 직 효과분석 외에 거

래제조업의 수출비 과 산업집 도를 고려하여 거래제조업의 매 향력 유무를 분석

하 는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제조업의 수출비 이 높다고

하더라도 소매업종에 계없이 거래제조업의 매 향력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고 오히려 거래제조업 수출비 의 업이익률에 한 정 효과가 소매업 종별

구매 향력에 의해 반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제조업의 산업집 도를 고려

한 경우에도 산업집 도가 클수록 소매업종에 계없이 거래제조업의 매 향력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소매업을 제외한 백화 과 종합소매업(백화 제

외)의 경우 거래제조업 산업집 도의 업이익률에 한 정 효과가 동 소매업종

들의 구매 향력에 의해 반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소매업의 경우에도 거래제조

업의 산업집 도와 동 소매업의 구매 향력이 클수록 거래제조업의 업이익률이 감

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의 정책 시사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제조업의 경우 모든 소매업종에서, 거래도매업인 경우 백화 과 기타

형종합소매업에서 구매 향력이 거래산업의 업이익률에 부정 인 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 업종들 간의 불공정거래 가능성이 다른 경우에 비해

Page 2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108 김원규 ‧ 김진웅

높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업종들 간의 거래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

거래의 방지를 해 련 정책당국이 보다 각별한 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히 형종합소매업의 경우 거래산업이 제조업이든 도매업이든 계없이

구매 향력의 거래산업 업이익률에 한 부정 인 향이 소매업종 에서 가장 크

다는 에 유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욱이 2003년 이후 백화 을 제외한 기타

형종합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이 소매업 가장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동 소

매업의 구매 향력 행사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형종합소매업은 아니지

만 일반소매업의 매출총이익률도 2003년 이후 기타 형종합소매업 다음으로 증가세가

크다는 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매기업과 거래기업 간 불공정거래의 방지를 한 정책당국의 노력도 요

하지만 무엇보다도 소매기업과 거래기업 모두 win-win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생방

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앞서 소개한 Mottner and Smith(2009)와 Hofer et al.(2012)

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소매기업과 거래기업 간 종속 계보다는 공 체인에 의한

력 공생 계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소매기업과 거래기업 간 력

공생 계의 구축과 이로 인한 경제 성과 등과 련하여 성공사례를 극 발굴·홍보

함으로써 소매기업의 사회 책임에 한 소매기업 자체와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산업별 수 에서 소매업종별 구매 향력이 거래산업의 업이

익률에 미치는 향을 살펴보았다는 에서 볼 때, 보다 총량 차원에서 련 정책의

수립을 한 유의미한 시사 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 본 연구의 정 인 차별성이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표성이 있거나 보다 범 한 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보다 풍부한 시사 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단된다.

(2013년 8월 14일 수, 2013년 9월 10일 수정, 2013년 10월 10일 채택)

Page 21: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관계분석 109

참고문헌

오완근 (2009).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생산성 : Raumol 효과를 심으로, < 융경제

연구>, 369, 1-37, 한국은행 융경제연구원.

이재형 (2002). <한국의 시장집 분석– 공업부문을 심으로>, 연구보고서 2002-10,

한국개발연구원.

이재형 (2007). <우리 산업의 경쟁구조와 산업집 분석: 공업 서비스산업을 상

으로>, 연구보고서 2007-07,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2010). <시장구조조사>, 공정거래 원회 용역보고서, 10월.

한국개발연구원 (2013). <시장구조조사>, 공정거래 원회 용역보고서, 2월.

한국은행 (2011). <기업경 분석>.

통계청. <도소매조사>, 각호.

Ailawadi, Kusum L., Norm Borin and Paul W. Farris (1995). Market Power and

Performance: A Cross-Industry Analysis of Manufacturers and Retailers.

Journal of Retailing, 71(3), 211-248.

Greene, William H. (2000). Econometric Analysis. Prentice-Hall.

Gosman, Martin L. and Mark Kohlbeck (2006). The Effects of Wal-Mart on the

Profitability and Investor Valuation of Its Suppliers. May 30,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906606.

Hofer, Christian, Henry Jin, R. David Swanson, Matthew A. Waller and Brent D.

Williams (2012). The Impact of Key Retail Accounts on Supplier

Performance: A Collaborative Perspective of Resource Dependency

Theory. Journal of Retailing, 88(3), 412-420.

Kelly, Trish and Martin L. Gosman (2000). Increased Buyer Concentration and Its

Effects on Profitability in the Manufacturing Sector.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17, 41-59.

Mottner, Sandra and Steve Smith (2009). Wal-Mart: Supplier Performance and

Market Powe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 535-541.

Bloom and Perry (2001). Retail Power and Supplier Welfare: The Case of

Wal-Mart. Journal of Retailing, 77, 379-396.

Page 22: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간의 ·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2호, 89-110 소매 업종별 구매영향력과 거래산업의 영업이익률

110 김원규 ‧ 김진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Power in

a Retailing and the Profit Ratio in a Trade Industry1)

Wonkyu Kim2) · Jinwoong Kim3)

Abstract

If a retailer exercises a purchasing influence as a buyer, it is possible that this behavior can

adversely affect the profit ratio in a trade industry. This paper hereby analyzes the effect of

buyer power by retailing on the profit ratio in a trade industry.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in case that a trade industry is considered as a

manufacturing, the buyer power in a retailing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profit

ratio in a trade industry even if the amounts of the effect are different by retailing

considered. Secondly, in case that a trade industry is regarded as a wholesale, above

negative effect is clearly distinct in a department and other complex general retailing

compared to those in other retails. In particular, regardless of whether a trade industry is

considered as a manufacturing or as a wholesale, the amount of the negative effect of

buyer power by retailing on the profit ratio in a trade industry is the largest in other

complex general retailing

JEL Classification: L16, L50, L81, M00

Key words : Buyer Power, Trade Industry, Retailing, Panel Analysis

1)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Dong-A University research fund.2) Main Author, Senior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IET)

3) Corresponding Author,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Dong-A

University, Tel: +82-51-200-8739.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