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위치정보는 군사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및 119와 같은 긴급신고처리 등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정보이다. 특히, 긴급신고의 경우 최근 모바일 환경의 이동전화를 활용한 신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위치측위에 따른 오차의 증가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심 및 인구밀집 지역, 농촌 및 산간 지역, 그리고 해상 및 선박에서의 측위환경이 다르며, 그에 따른 측위기술 도 변하게 된다. 본 고에서는 119 등 긴급구조기관에서 신고자의 위치파악과 관련하여 우리 나라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신규 측위기술 및 긴급 서비스에의 적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 위치기반 서비스의 국가표준규격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I. 서 론 우리 생활에서 위치정보는 매우 다양하 게 쓰여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차량운행에 이용되는 네비게이션의 경우 현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기가 되었다. 현재 완전하게 운용되고 있는 유일한 것 은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다. 이는 과거 군사용으로 쓰여진 위치정보기술이 민간에 개방된 것이 며, 위치정보가 전투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얼마나 중요한 정보인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인 것이다. 위치는 비단 군사용으로서뿐만 아니라 119 등 긴급신고처리시스템에서 신고자의 정보로 반드시 필요한 필수 불가결한 것이 포커스 * 대구가톨릭대학교 IT 공학부/교수 Ⅰ. 서 론 Ⅱ. 도심지역 신고자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Ⅲ. 농촌 및 산간 지역 위치정보 정확 도 개선을 위한 기술 IV. 해양 및 선박 위치정보 정확도 개 선을 위한 기술 V. 국내 LBS 표준규격 현황 VI. 향후 발전방향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위치정보는 군사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및 119와 같은 긴급신고처리 등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정보이다. 특히, 긴급신고의 경우 최근 모바일 환경의 이동전화를 활용한 신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위치측위에 따른 오차의 증가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심 및 인구밀집

지역, 농촌 및 산간 지역, 그리고 해상 및 선박에서의 측위환경이 다르며, 그에 따른 측위기술

도 변하게 된다. 본 고에서는 119 등 긴급구조기관에서 신고자의 위치파악과 관련하여 우리

나라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신규 측위기술 및 긴급 서비스에의 적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 위치기반 서비스의 국가표준규격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I. 서 론

우리 생활에서 위치정보는 매우 다양하

게 쓰여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차량운행에

이용되는 네비게이션의 경우 현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기가 되었다.

현재 완전하게 운용되고 있는 유일한 것

은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다. 이는 과거 군사용으로

쓰여진 위치정보기술이 민간에 개방된 것이

며, 위치정보가 전투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얼마나 중요한 정보인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인 것이다.

위치는 비단 군사용으로서뿐만 아니라

119 등 긴급신고처리시스템에서 신고자의

정보로 반드시 필요한 필수 불가결한 것이

포커스

목 차

* 대구가톨릭대학교 IT공학부/교수

Ⅰ. 서 론

Ⅱ. 도심지역 신고자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Ⅲ. 농촌 및 산간 지역 위치정보 정확

도 개선을 위한 기술

IV. 해양 및 선박 위치정보 정확도 개

선을 위한 기술

V. 국내 LBS 표준규격 현황

VI. 향후 발전방향

Page 2: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주간기술동향 2014. 12. 17.

www.iitp.kr 2

며, 모든 형태의 재난대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정보로 자리잡은지 오래되었다. 과

거에는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기반의 일반 전화

단말 등록주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위치를 파악하였으나, 오늘날에는 70~80%의 신

고전화가 이동전화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1].

과거와는 달리 이동전화를 이용할 경우, 전화단말이 고정된 장소에 설치된 것이 아니

기 때문에 신고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현재 119 신고자의 위치정보는

Cell(이동통신사 기지국) 기반과 GPS 기반의 위치측위 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나, 통신환경

의 급격한 변화와 지역별 특성에 따라 위치의 측위오차는 점차 커지고 있다.

2003 년 소방방재청에서 119 이동전화위치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당시만 하더라도 2G

통신환경에서 기지국이 휴대전화 신고자의 전파 방향과 세기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정밀

한 위치측위가 가능하였으나, 3G, 4G, LTE 통신환경으로 변함에 따라 음성 및 데이터통

신 품질확보를 위한 이동통신3 사 간 기지국 설치경쟁과 데이터 통신방식의 변화로 기지

국을 활용한 위치오차는 약 100m 정도의 반경으로 오히려 증가하였다[2].

특히,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GPS 를 활용한 위치측위방식은 단말기에 장

착된 GPS 모듈의 성능에 따라 5m 에서 최대 50m 까지의 오차범위를 가지며, 날씨, 주변

건축물 환경, 주변 방해전파 등으로 인해 위치측위가 실패하는 사례도 빈번하여 과거보다

통신기술이 발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고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

중 하나이다[2],[3].

본 고에서는 119 등 긴급구조기관의 신고자 위치 파악과 관련한 기존의 신고자 위치

측위방식에 추가하여 우리나라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위치측위기술의 적용과 관

련된 동향을 분석하고, 긴급신고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적용방안을 소개한다.

- 도심 및 인구밀집지역: Wi-Fi 측위 서비스를 활용한 긴급구조 서비스

- 농촌 및 산간지역: 국가지점번호체계 및 무선통신 모듈(비콘) 기반 측위 서비스를 활

용한 긴급구조 서비스

- 해상 및 선박: 유관기관 시스템 연계 및 무선통신 모듈 기반 측위 서비스를 활용한

긴급구조 서비스

Page 3: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포커스

3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II. 도심지역 신고자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1. Wi-Fi AP 를 활용한 위치측위기술

실내ㆍ외에서 비교적 정확한 위치측위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신사와 개인들이 설치

하여 운영 중인 Wi-Fi AP 의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림 1)은 Wi-Fi AP 위

치정보의 수집과 저장 및 활용에 대한 개요를 보여 준 것이다.

Wi-Fi AP 는 공공장소, 사무실, 가정집 등 도심 및 인구밀집지역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폭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현재 Wi-Fi AP 위치측위정보를 활용한 상용 서비스가 이동통신

3 사 중심으로 추진 중에 있다[4]. (그림 2)는 측위방식에 따른 위치의 정확도를 보여 준

것이다.

한편, 이러한 Wi-Fi AP 의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기술적 요구사

항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적으로 흩어져 있는 Wi-Fi AP 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현재 주소를 가리키는 위치데이터 포맷을 건물 내 지역적으로 주요한 공공주소 및 기준점

또는 지역들을 가리키는 형태로 확장한 AP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둘째, 수집한 Wi-Fi AP 정보를 DB 에 규격화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공공

<자료>: http://www.kisa.or.kr/uploadfile/201306/201306211453125421.pdf

(그림 1) Wi-Fi AP 정보 수집ㆍ저장ㆍ활용 개요

수집 단말 위치정보 활용 서비스 인프라 서비스 단말

고속이동용 보행자용 위치측위시스템 위치측위DB위치기반 서비스

위치측위 API제공 DB Data Wi-Fi AP

서버 서버 파싱서버 수집서버 Wi-Fi AP DB

이통사 긴급구조기관

Page 4: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주간기술동향 2014. 12. 17.

www.iitp.kr 4

위치데이터 포맷을 지역의 주요한 공공 주소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확장한 건물 내 Wi-Fi

AP 위치를 AP 내부에 설정하거나, AP MAC Address 와 건물 내 위치를 목록화한 별도

<자료>: http://www.kisa.or.kr/uploadfile/201306/201306211453125421.pdf

(그림 2) 위치측위방식별 정확도

Wireless Home Network RFID

WiBro 기지국 CDMA기지국

GPS 위성

GNSS 위성

GPS 위치측위 50~150m, 실외

기지국 위치측위 300m~수km, 실내외

ZigBee

WiFi 등 위치측위10m,

실내외

WiFi 무선랜

<자료>: http://www.kisa.or.kr/uploadfile/201306/201306211453125421.pdf

(그림 3) Wi-Fi AP 위치DB 모델링 예시

수집 수집 데이터 처리 모듈

활용

고속이동용

보행자용

위치DB 위치DB 위치DB 자동생성 모듈 보정 모듈 갱신 모듈

위치DB 정확도 예측 모듈

질의 관리 모듈

세션 관리 모듈

DB 관리 모듈

데이터 제공 모듈

Raw Data DB 위치 DB FP DB

DBMS

Page 5: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포커스

5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의 Wi-Fi AP 위치 DB 를 서버에 구축하는 것이다. (그림 3)은 Wi-Fi AP 위치 DB 시스

템의 모델링 예시이다.

마지막으로, 단말기에서 위치를 추정하여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것은 실내 위치추정의

경우, 지리적인 위치 대신 실내주소로 표시된 AP 의 공공위치나 실내의 주요 지역들을 표

시하는 확장된 공공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다[5].

현재 이동통신 3 사에서 위치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및 콘텐츠 생산을 위해 Wi-Fi AP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업데이트를 하고 있으며, 각 통신사별로 수집된 정보는 한국

인터넷진흥원(KISA)에 통합데이터베이스로 관리운영 중이다.

경찰 112 신고의 경우, 2013 년 정보화 사업을 통해 한국인터넷진흥원과 Wi-Fi AP 기

반의 위치측위 연동체계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2. 긴급신고서비스 적용방안

이동통신3 사에서 제공하는 Wi-Fi AP 목록정보를 활용하여 KISA Wi-Fi 플랫폼과 연

동한 Cell 과 GPS 위치측위정보 활용방식에 Wi-Fi AP 위치측위방식을 추가하여 신고자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림 4)는 전술한 이동통신 3 사와 KISA

의 정보를 활용한 소방방재청에서의 신고자 위치측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4) Wi-Fi AP기반 긴급신고 위치측위 서비스 구성도

Page 6: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주간기술동향 2014. 12. 17.

www.iitp.kr 6

III. 농촌 및 산간 지역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1. 국가지점번호체계 및 무선통신 모듈(비콘)을 활용한 위치측위 기술

가. 국가지점번호체계

국가지점번호체계는 국토 및 이와 인접한 해양을 일정한 간격(10m×10m)으로 나누어

구획마다 부여한 번호로서, 문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10 자리수의 좌표방식으로 번호를 표

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비거주지역인 농촌 및 산간, 해상의 위치정보로 활용이 가능

하다[6]. (그림 5)는 국가지점번호로 100km 는 문자로, 10km, 1km, 100m, 10m 는 각각

숫자로 표기한 예시이다.

한편, 기존 육상의 비거주지역 위치표시를 위해 소방산악표지판, 국립공원관리공단 다

목적 표지판,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 및 전주 표지판 등이 각 기관별로 부여된 상이한 위

<자료>: 국가지점번호 활용 활성화를 위한 관계기관 회의자료, 2013년10월, p.3.

(그림 5) 국가지점번호 예시

<자료>: 국가지점번호 활용 활성화를 위한 관계기관 회의자료, 2013년10월, p.3.

(그림 6) 기관별 지점표시 사례 및 통합

소방(산악) 소방(하천) 국립공원(산악)해경(방파제) 한전(전주)

Page 7: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포커스

7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치번호체계를 쓰고 있었으나, 현재 국가지점번호체계로 전환 중에 있다[6]. (그림 6)은 각

기관별로 철탑이나 전주, 119 구조표지판, 등산로안내판 등의 시설물에 표기된 지점표시

예이다. 소방ㆍ경찰ㆍ해양ㆍ한전ㆍ국립공원 등 기관별로 서로 다른 위치표시를 위한 지점

번호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를 단일화로 표기하여 위치정보를 공유ㆍ활용함으로써 각종

위치안내표지판 등 시설물 설치예산 절감 및 긴급구조, 시설물 관리 등 협업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된다.

나. 무선통신 모듈(비콘)을 활용한 위치측위

비콘은 블루투스나 인간이 들을 수 없

는 비가청영역의 주파수를 활용하여 스마

트단말과 정보를 주고받는 무선통신 모듈

로 현재 실내 특정공간에 설치하여 광고나

상가정보 등의 제공에 활용되고 있다. (그

림 7)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콘 제품들

을 보여 준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커버리지 내에 진입할 경우,

해당 단말을 감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용자가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더라

도 자동으로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서는 SK 텔레콤이 작은 상점에서부터 병원, 공항 등 큰 규모의 시설을 커버할

<자료>: http://uxable.net/?p=3155

(그림 7) 비콘제품 예시

<자료>: http://www.qvoss.co.kr/?p=3137

(그림 8) SKT 비콘제품 및 서비스 사례

Page 8: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주간기술동향 2014. 12. 17.

www.iitp.kr 8

수 있는 비콘을 개발하였으며, 전시장이나 갤러리처럼 일시적인 공간에서 활용할 수도 있

고, 경기장이나 콘서트홀 등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쓸 수 있는 수준으로까지 발전하

였다. (그림 8)은 SKT 에서 현재 제작한 비콘들로 SK 나이츠 농구단을 위해 서울 잠실체

육관에 블루투스 비콘을 설치하여 팬들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7].

2. 긴급신고 서비스 적용방안

국가지점번호체계로 단일화되고 있는 산악표지판, 경고표지판, 다목적표지판, 전주 등

에 저전력 무선통신 모듈을 설치하여 비거주지역과 산악지역에서의 119 신고시 Wi-Fi 통

신에 의한 국가지점번호(위치정보)의 자동전송으로 신속ㆍ정확한 긴급구조 서비스가 가능

할 것이다.

도심 외 지역에서의 Cell 과 GPS 기반 위치정보 오차범위를 국가지점번호체계와 무선

통신 모듈을 활용하여 비거주지역에서의 위치정보의 정확도도 획기적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IV. 해양 및 선박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1. 해양수산부의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위치측위 기술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은 해상교통량의 폭주 및 위험화물의 증가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에서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이다.

VTS 구역 내에서 주변상황 및 해상교통상황을 적시에 제공하여 선박에서 항해의사

결정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국 14 개 무역항만

과 진도 연안에 설치되어 있다. 해양수산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VTS 센터는 선박과의 고

속 네트워크를 통해 해상의 상황을 좀 더 명확히 인지하여 관제하고 있으며, 100 노트 이

상의 속도에서 변침되는 물표에 대한 추적도 가능하다[8].

해상 GPS 위치정보의 경우, 육상에 비해 주변건축물 등에 의한 전파 간섭이 적어 위치

정확도가 30m 이내이며, 선박에 설치된 DGPS 모듈의 성능이 일반 모바일 단말보다 정밀

한 위치값을 송출한다[8].

Page 9: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포커스

9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 긴급신고서비스 적용방안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선박위치추적시스템 내 입ㆍ출항 선박 및 운항 선박에 대한 위

치 등의 정보를 긴급구조표준시스템과 연계하고, 신고자가 선박에서 119 신고시 선박의

식별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선박정보와 연동함으로써 해상에서의

119 신고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8]. (그림 9)는 이동전화 위치정보 및 선박

위치추적을 위한 시스템을 보여준 것이다.

V. 국내 LBS 표준규격 현황

1. 국내 LBS 표준화 범위

이동전화 위치정보 활용을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 국

가표준규격은 ① LBS 플랫폼 기술표준, ② LBS 응용 서비스 기술표준, ③ LBS 단말 기술

표준, ④ LBS 콘텐츠 기술표준, ⑤ LBS 측위 기술표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림 10)은 현

재 국내 LBS 관련 표준화의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전화위치정보시스템 선박위치추적시스템

<자료>: 소방방재청; http://yesport.go.kr:4433

(그림 9) 이동전화 위치정보시스템 및 선박위치추적시스템 연계

Page 10: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주간기술동향 2014. 12. 17.

www.iitp.kr 10

2. 국가표준화 절차

국가표준화 건의 시 국가표준 대상의 타당성 검토 후 표준 제ㆍ개정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첫째, 긴급통신이나 비상재해 통신과 관련된 사항 및 사회적 약자가 정보통신 편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항

둘째, 미래창조과학부 이외 행정기관에서 활용되는 표준으로 국가전반에 파급 효과가

크다고 인정되는 경우

<자료>: LBS 기술 및 산업현황연구보고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6.1, p.155.

(그림 10) 국내 LBS 표준화 범위 분류

LBS 플랫폼 기술표준 LBS 단말 기술표준

이동통신망/ 측위 네트워크

LBS M/W 서버

위치 서버

위치 응용 서버

LBS 콘텐츠 기술표준

LBS 측위 기술표준 IP 서버

디지털 웹 PC 매장정보 L-커머스

내비게이션

위치기반 Safety

위치기반 Push

위치기반 모바일광고

공통

API

LBS 응용 서비스 기술표준

<자료>: 한국정보표준화위원회, TTA 표준개발절차

(그림 11) 국가표준화 절차

필요 시

표준화 과제접수

표준(안)작성

의견수립표준안

심의/채택

표준공고

국가표준건의

Page 11: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포커스

1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한편, (그림 11)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 표준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3. LBS 국가기술표준 현황

가. 제ㆍ개정 표준: 총 36 건 중 13 건(폐지건 수 제외)

2003 년부터 2013 년까지 개발 완료된 표준으로는 긴급구조, 위치 정확도 향상, 모바

일 콘텐츠 및 응용 등 LBS 관련 분야의 표준을 개발ㆍ완료되었으며, <표 1>은 LBS 관련

표준자료 중에서 제ㆍ개정 총 36 건을 검토한 후, 긴급구조, 정보보호, 그리고 기타 Wi-Fi

공유 및 개정이 필요한 과제 등 13 가지의 표준화 현황만을 나타낸 것이다[9].

<표 1> LBS 관련 표준화 현황

No. 표준번호 표준명 제/개정일 비고

1 TTAK.KO-06.0341 비콘 기반 위치 및 화재 상황정보 전송 형식

2013-12-18 * 긴급구조

2 TTAK.KO-06.0307 위치정보 보호조치 기반 위치정보 저장 테이블 규격

2012-12-21 ** 정보보호

3 TTAK.KO-06.0279 무선랜 접속 점 정보 및 시스템 간 전송규격

2012-06-12 *** 기타

4 TTAK.KO-06.0280 무선랜 단말의 측정정보 및 위치정보 전송 규격

2012-06-12 *** 기타

5 TTAK.KO-06.0278 개인 위치정보 자기 제어 소프트웨어 2012-06-12 ** 정보보호

6 TTAK.KO-06.0059/R1

[개정] 무선긴급 서비스 Stage 1: 요구기능

2011-12-21 * 긴급구조

7 TTAK.KO-06.0265 Mobile-VoIP 기반 긴급서비스 Stage 1: 기능요구조건

2011-12-21 * 긴급구조

8 TTAK.KO-06.0238 Wi-Fi AP DB 데이터 상호공유 인터페이스

2010-12-23 *** 기타

9 TTAK.KO-06.0237 GPS 단말 필드 측위 정확도 성능 평가 방법

2010-12-23 개정필요

10 TTAK.KO-06.0067/R1

[개정]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측위기술 Stage1: 요구기능

2009-12-22 개정필요

11 TTAK.KO-06.0070/R1

[개정] 휴대단말기를 위한 지도서비스 Stage 2: 인터페이스

2008-04-10 개정필요

12 TTAS.KO-06.0088 무선긴급 서비스(Mobile E-119 Services) Stage 2: 아키텍처 및 프로토콜

2005-09-28 * 긴급구조ㆍ개정필요

13 TTAS.KO-06.0087 위치기반 서비스를위한 기능 인터페이스 Stage 2:여행자 안내 서비스

2005-09-28 폐지예정

* 긴급구조, ** 위치정보보호, *** 기타(Wi-Fi 공유)

<자료>: 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자료

Page 12: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주간기술동향 2014. 12. 17.

www.iitp.kr 12

나. 표준화 과제 추진 현황: 총 7 건

표준화 과제 추진 현황은 실내 측위, LBS 응용, 위치정보 보안 등의 표준화가 추진 중

에 있으며, <표 2>는 7 건의 표준화 과제 추진 현황을 보여준 것이다.

<표 2> LBS 관련 표준화 과제 추진현황

No. 과제번호 표준초안명 완료예정일 비고

1 2014-218 실내측위를 위한 의사위성 메시지 포맷 2014 -

2 2014-217 Wi-Fi 기반 실내측위를 위한 Fingerprint Map 교환규격 2015 -

3 2014-216개인 및 차량단말을 위한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Part 4: 서비스 인터페이스

2015 -

4 2014-215개인 및 차량 단말을 위한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Part 3: 위치 참조 데이터 모델

2014 --

5 2014-03887~108MHz 주파수 대역 내 FM 방송시스템과 108~ 117.975MHz 주파수 대역 내 위성항법 지역보강시스템(GBAS) 사이의 공유

2015 -

6 2013-1102 위치 정보 사업자 및 위치 기반 서비스사업자 간 위치 정보 보안 요구사항

2014 ** 정보보호

7 2013-143개인 및 차량단말을 위한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Part 2: 실내 지도 데이터 모델

2014

<자료>: 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자료

다. 신규 추진 예정 과제: 총 6 건

현재 신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계획단계로 세부 추진 계획이 논의 중에 있으며, <표

3>은 향후 진행될 신규 표준화의 내용과 관한 것이다.

<표3> LBS 관련 신규추진 현황

No. 과제번호 표준초안명 완료예정일 비고

1 - 실내ㆍ외 연계 서비스를 위한 측위정보 교환규격 2015 -

2 - GNSS 항법수신기 최소성능 규격 2015 -

3 - 긴급구조용 Wi-Fi 공용 플랫폼에서의 위치정보 상호 연동규격

2015 *** 기타

4 - GBAS에서의 신호보정 및 이를 이용한 활용 2015 -

5 - DGPS에서 VRS ID 할당코드체계 2015 -

6 - 실내 위치정보 수집 2015 *** 기타

<자료>: 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자료

라. 기타 긴급전화 관련 TTA 표준 현황

긴급전화 관련 TTA 표준 현황은 PG904 외 인터넷 전화에서의 긴급통화, 3GPP 기술

Page 13: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포커스

13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규격 중 긴급 전화 데이터 전환 등의 표준 및 기술규격이 있으며, <표 4>는 긴급전화 관

련 TTA 표준화 현황을 보여준 것이다.

<표 4> 긴급전화 관련 TTA 표준화 현황

No. 표준번호 표준명 제/개정일 비고

1 TTAK.KO-06.0367 스마트폰 음성 인식 긴급전화 서비스 2014-10-13 PG415

2 TTAK.KO-01.0133/R2 고정형 및 이동설치형 인터넷전화에서의 긴급통화 서비스

2013-12-18 PG223

3 TTAK.KO-01.0177 인터넷전화를 이용하는 와이브로 가입자를 위한 긴급통화 서비스

2012-12-21 PG223

※ PG415(차세대PC), PG223(스마트워크, 구 VoIP)

<자료>: 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자료

VI. 향후 발전방향

본 고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긴급신고 신고자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해

서 주무부처 및 관계부처 그리고 산업계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

다. 아울러 이러한 노력이 ICT 기술과 결부되어 국가표준화 작업들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

는지도 확인하였다.

2014 년 세월호 참사 이후 온 국민이 국가안전체계의 바로 세움을 열망하고, 최근 ‘국

가안전처’의 신설부처가 설치된 만큼 긴급신고대응에 있어서 더 많은 개선이 있으리라 기

대한다. 이러한 기대에 더해 지금까지 살펴본 기술적인 현황에 따라 다음의 향후 발전방

향을 제시하면서 본 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 현재 LBS 기술표준은 2G 통신망 기반의 예전 피처폰 기준으로 규격화되어 있어 표

준규격개정이 필요한 요소임

- 현재 이동통신 3 사의 위치정보 연동규격은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한국정보통

신기술협회에서 운영 중인 ‘PG904 표준화 전담반’을 통해 각 통신기술방식별 위치

정보 연동규격 명확화와 미래모델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항목 표준화가 요구됨

- 3G, LTE 무선통신환경에서의 이동통신 3 사와 긴급구조기관 간의 위치정보 연동체

계의 표준화 정의 및 시스템 적용이 예상되고, 아울러서 Wi-Fi AP 기반 위치정보 긴

급구조 서비스 관련 위치정보 연동규격 표준화 정의 및 시스템 적용이 예상됨

- 음성 외 다양한 신고매체(영상, 문자 등), 긴급구조기관과의 정보연동규격 표준화 정

Page 14: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 2018-01-10 · 포커스 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위치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기술 동향 조용현*

주간기술동향 2014. 12. 17.

www.iitp.kr 14

의 및 시스템 적용이 필요함

- 스마트 단말을 활용한 119 신고 시 스마트 단말 상의 GPS, Wi-Fi 모듈이 자동 활

성화되어 신고 즉시 위치정보를 발신하도록 이동통신3 사 위치정보 플랫폼 및 긴급

구조기관 위치정보시스템이 개선되어야 함

끝으로 국가안전체계에 더 많은 ICT 기술이 도입되고, 그 기술로 말미암아 향후 대한

민국은 좀 더 안전한 국가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119신고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북 소방본부, 2014.

[2] “긴급구조상 위치정보 수동조회시스템 운영의 개선방안 연구”, 강원대학교, 2010.

[3] “스마트폰 위치기반 서비스(LBS) 기술동향”,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1.

[4] “센서기반 실내 측위 기술 적용사례 및 LBS 서비스 진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3.

[5] “위치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패러다임의 변화”,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6] “국가지점번호 활용 활성화를 위한 관계기관 회의자료”, 안전행정부, 2013.

[7] “비콘, 위치기반 서비스의 핵심 인프라로 급부상”, 방송통신진흥본부, 2014.

[8] “해양안전 실현을 위한 차세대 VTS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3.

[9]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www.tta.or.kr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