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전망 목차 요약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Ⅲ. 2008∼2012년 미국경제 전망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2008. 8. 28. 작성 : 곽수종 수석연구원(3780-8247) [email protected] 박현수, 김화년 수석연구원 감수 : 김경원 연구위원(3780-8040) [email protected]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미국경제 전망

목차

요약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2008 8 28

작성 곽수종 수석연구원(3780-8247)soojongkwaksamsungcom박현수 김화년 수석연구원

감수 김경원 연구위원(3780-8040)alexkkimsamsungcom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 Executive Summary 》

최근 미국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발된 융부문 기가 실물경제로 빠르게 이되면서 주택경기 침체 소비 투

자 감소 실업 증가 등 주요 경제지표들이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미국 경제성장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소비가 더욱 축될 경우 미국의 경제 침체는 불가피하다

1970sim2007년 동안 미국은 모두 네 차례에 걸쳐 경제 침체를 경험했다 이러한 경기 침

체는 모두 미국경제의 구조 불균형에서 출발한 것이다 즉 정부와 가계의 과잉지출

과잉소비에 따른 둥이 자의 이에 따른 달러화 약세 오일쇼크 축 부조합

산 IT 주택 버블 붕괴와 같은 경제충격이 뇌 이 되어 침체가 발된 것이다 최근 미

국경제의 상황은 주택시장 버블 붕괴rarr서 라임 모기지 부실의 악화rarr달러화 약세 소비

축rarr실업률 증가 성장 둔화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 등이 고리를 형성하여 lsquomild

stagflationrsquo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재 미국경제가 안고 있는 리스크 요인은 고유가 둥이 자 주택시장 침체 등 크게

세 가지이다 부동산시장에서 더 이상 악재가 발생할 험은 다 하지만 유가는 당분간

상승기조가 지속될 망이다 유가충격은 앞으로 10년 동안의 미국경제에 불확실성을 증폭

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유가의 향방은 미국경제의 회복 시기와 가능성

을 가늠 하는 요한 바로미터이다 유가가 향후 배럴당 평균 110달러 이상 상승할 경우

2008년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

경상수지 자를 해소하기 해서 재정수지 개선이 선결되어야 하나 경기부양정책에 따

른 재정지출 증가와 감세정책으로 인해 이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경상수지 자는 달러화

약세와 소비 둔화를 통해 완만하게 축소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향후 미국의 구조 불

균형은 미세조정(Fine Tunning)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지만 아시아 주요국들과 세계 투자

자들이 미국의 경상수지 자를 보 해주는 lsquo불안한 균형rsquo 상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단된다 경상수지 자폭이 축소된다면 미국의 실물경제에 더 이상의 충격은 없을 것으

로 상된다

미국경제가 잠재성장률(27sim30) 수 으로 성장세를 회복하기까지는 3sim5년이 소요될

망이다 2008sim2012년 미국 연평균 상 경제성장률은 08sim32로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기간 동안 실업률 소비자 근원소비자물가는 각각 51sim

55 24sim47 26sim33로 망된다 다만 서 라임 사태로 증폭된 과잉 유동성 공

과 재정팽창정책의 후폭풍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한 일본식 장기불황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미국경제의 경착륙과 불황 가능성을 완 히 배제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한국경제는 경쟁력과 경제체질 강화를 통해 미국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에 비해야 한다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

《 요 약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미국 경기 부진의 장기화 가능성

미국경제의 성장률 둔화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한 융부문 부실이 실물경제로 이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2분기 연속 06

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 버냉키 미 연 의장은 지난 7월에 2008년 경제성장률을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소폭 높여 10sim16로 수정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 3

- 2- 1

01

23

45

6

2 0 0 6 - I II III IV 2 0 0 7 - I II III IV 2 0 0 8 - 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

자료 BEA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 고조

- 인 이션 압력 가

서부텍사스 질유(WTI) 가격이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선 가운데 앞으

로 6sim24개월 안에 2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

리 인하rarr달러화 약세rarr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지

는 인 이션 고리 형성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미 연 은 2008년 실업률을 당 52sim53에서 55sim57로 상향 조정

5월 실업률은 50이며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는 2008년 1월부터 4

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어들고 소비지출이 축될 망

- 미 연 은 근원소비자물가(Core CPI) 상승률을 22sim24로 2007년 1월

보다 02p 상향 조정한 가운데 소비자물가(CPI)도 52sim55로 상향

조정

- 경상수지는 소폭 개선될 망이나 재정수지는 자 추세가 당분간 지속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기 비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는 등 월 비 02 감소

-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 침체는 당분간 지속

주택경기 침체로 인해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것이 기업

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강 국면이 지속될 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이나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후

에도 속한 회복은 불가능

주택구매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은 계속 상승하고 있는 상황

이며 공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망

2008년 내에 경기 부진 탈출은 어렵다는 것이 경제 문가들의 론

- 부시 정부의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 그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

세 환 이 4월 말에 시작되어 8sim9월 에 완료되면 하반기에 소비증

효과가 본격 으로 나타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i

- 하반기에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가능성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효과 한 단기에 그치거나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상쇄될 가능성

Ⅱ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1)

미국경제는 1970년 이후 모두 네 차례 경기 침체(Recession)를 경험2)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자산시장 버블 붕괴 등이 불황의 단

- 1970sim1980년 12차 오일쇼크 기간 동안 모두 세 번에 걸쳐 고물

가고실업의 경기 침체를 경험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로 정하는 NBER은 고용과 소매 매업 등 주요 경제활동이 수개월 동안

심각하게 후퇴하면 침체로 정의 공식 인 경기 상황 정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되므로 편의상 실질

GDP 성장률(연율 기 )이 기 비 2분기 연속 마이 스를 기록할 때를 침체로 규정 따라서 2000년

IT 버블 붕괴에 따른 미국 경기 하락은 침체가 아닌 둔화

2) 과거 미국의 경기 침체 사례는 각 사례 발생 시 으로부터 최소 4분기(1년) 이상 시차(time lag)를 보일

경우 서로 다른 침체 사례로 정의 즉 경기 침체를 유발한 주요 거시경제 변수의 향력은 시차가 1년

이상 지날 경우 소멸되는 것으로 가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v

- 국제자본이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 흑자가 자로 반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함

경기 침체 극복을 해 통화 재정정책에 의존

- 1970sim1980년 재정팽창과 Cost-Push형 인 이션으로 인해 경기 침체

내 으로 실업 빈곤 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지속

오일쇼크까지 가세함에 따라 공 인 이션이 발생

- 1977년 카터 행정부는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을 통해 실업률을 낮추

었으나 미 연 의장으로 취임한 볼커(Volcker)는 통화량 통제를 통해 물

가 상승 억제를 도모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 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

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 증가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

- 이후 리 인하 감세정책 등을 통해 불황을 타개

197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기의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실업률 변화 추이

(단 )

침체기 연도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차 1974 - - -3811455 -1612266

1975 -4711183 - - -

2차 1980 - -7814573 -0712977 -

3차1981 - - - -499582

1982 -647688 - - -

4차1990 - - - -306261

1991 -205366 - - -

주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년 동기 비) 실업률 순

1990sim1991년 축 부조합 사태가 부른 경기 침체

1980년 반 이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Saving amp Loan Association) 잇따라 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

- 1980년 리 자유화 규제 완화로 시작된 투기거래가 축 부조합

사태를 발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던

축 부조합들은 리 자유화로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이 발생

이를 만회하기 해 상업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투자를 확 하 으나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융부실이 발생

- 이를 해결하기 한 재정 자 심화가 차 경기 침체를 유발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29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두 배 가량 증

1980년 미국 경기를 지탱해 이거노믹스가 1990년 에는 큰 부

작용이 됨

- 이건 정부는 기에 융긴축정책으로 만성 인 이션을 안정화시

키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경제를 활성화

그 결과 기 수익률이 높아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제

자본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가치 상승

- 부시 정부는 기존의 이거노믹스를 그 로 승계하 으나 1991년 걸

에 따른 비 부담 증가와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가

물가 안정을 한 리 인상으로 인해 오히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

이것이 부시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시장개입 확 를 통

해 경기 침체를 극복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 Executive Summary 》

최근 미국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발된 융부문 기가 실물경제로 빠르게 이되면서 주택경기 침체 소비 투

자 감소 실업 증가 등 주요 경제지표들이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미국 경제성장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소비가 더욱 축될 경우 미국의 경제 침체는 불가피하다

1970sim2007년 동안 미국은 모두 네 차례에 걸쳐 경제 침체를 경험했다 이러한 경기 침

체는 모두 미국경제의 구조 불균형에서 출발한 것이다 즉 정부와 가계의 과잉지출

과잉소비에 따른 둥이 자의 이에 따른 달러화 약세 오일쇼크 축 부조합

산 IT 주택 버블 붕괴와 같은 경제충격이 뇌 이 되어 침체가 발된 것이다 최근 미

국경제의 상황은 주택시장 버블 붕괴rarr서 라임 모기지 부실의 악화rarr달러화 약세 소비

축rarr실업률 증가 성장 둔화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 등이 고리를 형성하여 lsquomild

stagflationrsquo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재 미국경제가 안고 있는 리스크 요인은 고유가 둥이 자 주택시장 침체 등 크게

세 가지이다 부동산시장에서 더 이상 악재가 발생할 험은 다 하지만 유가는 당분간

상승기조가 지속될 망이다 유가충격은 앞으로 10년 동안의 미국경제에 불확실성을 증폭

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유가의 향방은 미국경제의 회복 시기와 가능성

을 가늠 하는 요한 바로미터이다 유가가 향후 배럴당 평균 110달러 이상 상승할 경우

2008년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

경상수지 자를 해소하기 해서 재정수지 개선이 선결되어야 하나 경기부양정책에 따

른 재정지출 증가와 감세정책으로 인해 이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경상수지 자는 달러화

약세와 소비 둔화를 통해 완만하게 축소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향후 미국의 구조 불

균형은 미세조정(Fine Tunning)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지만 아시아 주요국들과 세계 투자

자들이 미국의 경상수지 자를 보 해주는 lsquo불안한 균형rsquo 상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단된다 경상수지 자폭이 축소된다면 미국의 실물경제에 더 이상의 충격은 없을 것으

로 상된다

미국경제가 잠재성장률(27sim30) 수 으로 성장세를 회복하기까지는 3sim5년이 소요될

망이다 2008sim2012년 미국 연평균 상 경제성장률은 08sim32로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기간 동안 실업률 소비자 근원소비자물가는 각각 51sim

55 24sim47 26sim33로 망된다 다만 서 라임 사태로 증폭된 과잉 유동성 공

과 재정팽창정책의 후폭풍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한 일본식 장기불황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미국경제의 경착륙과 불황 가능성을 완 히 배제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한국경제는 경쟁력과 경제체질 강화를 통해 미국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에 비해야 한다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

《 요 약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미국 경기 부진의 장기화 가능성

미국경제의 성장률 둔화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한 융부문 부실이 실물경제로 이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2분기 연속 06

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 버냉키 미 연 의장은 지난 7월에 2008년 경제성장률을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소폭 높여 10sim16로 수정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 3

- 2- 1

01

23

45

6

2 0 0 6 - I II III IV 2 0 0 7 - I II III IV 2 0 0 8 - 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

자료 BEA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 고조

- 인 이션 압력 가

서부텍사스 질유(WTI) 가격이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선 가운데 앞으

로 6sim24개월 안에 2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

리 인하rarr달러화 약세rarr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지

는 인 이션 고리 형성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미 연 은 2008년 실업률을 당 52sim53에서 55sim57로 상향 조정

5월 실업률은 50이며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는 2008년 1월부터 4

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어들고 소비지출이 축될 망

- 미 연 은 근원소비자물가(Core CPI) 상승률을 22sim24로 2007년 1월

보다 02p 상향 조정한 가운데 소비자물가(CPI)도 52sim55로 상향

조정

- 경상수지는 소폭 개선될 망이나 재정수지는 자 추세가 당분간 지속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기 비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는 등 월 비 02 감소

-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 침체는 당분간 지속

주택경기 침체로 인해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것이 기업

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강 국면이 지속될 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이나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후

에도 속한 회복은 불가능

주택구매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은 계속 상승하고 있는 상황

이며 공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망

2008년 내에 경기 부진 탈출은 어렵다는 것이 경제 문가들의 론

- 부시 정부의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 그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

세 환 이 4월 말에 시작되어 8sim9월 에 완료되면 하반기에 소비증

효과가 본격 으로 나타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i

- 하반기에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가능성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효과 한 단기에 그치거나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상쇄될 가능성

Ⅱ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1)

미국경제는 1970년 이후 모두 네 차례 경기 침체(Recession)를 경험2)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자산시장 버블 붕괴 등이 불황의 단

- 1970sim1980년 12차 오일쇼크 기간 동안 모두 세 번에 걸쳐 고물

가고실업의 경기 침체를 경험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로 정하는 NBER은 고용과 소매 매업 등 주요 경제활동이 수개월 동안

심각하게 후퇴하면 침체로 정의 공식 인 경기 상황 정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되므로 편의상 실질

GDP 성장률(연율 기 )이 기 비 2분기 연속 마이 스를 기록할 때를 침체로 규정 따라서 2000년

IT 버블 붕괴에 따른 미국 경기 하락은 침체가 아닌 둔화

2) 과거 미국의 경기 침체 사례는 각 사례 발생 시 으로부터 최소 4분기(1년) 이상 시차(time lag)를 보일

경우 서로 다른 침체 사례로 정의 즉 경기 침체를 유발한 주요 거시경제 변수의 향력은 시차가 1년

이상 지날 경우 소멸되는 것으로 가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v

- 국제자본이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 흑자가 자로 반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함

경기 침체 극복을 해 통화 재정정책에 의존

- 1970sim1980년 재정팽창과 Cost-Push형 인 이션으로 인해 경기 침체

내 으로 실업 빈곤 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지속

오일쇼크까지 가세함에 따라 공 인 이션이 발생

- 1977년 카터 행정부는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을 통해 실업률을 낮추

었으나 미 연 의장으로 취임한 볼커(Volcker)는 통화량 통제를 통해 물

가 상승 억제를 도모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 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

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 증가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

- 이후 리 인하 감세정책 등을 통해 불황을 타개

197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기의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실업률 변화 추이

(단 )

침체기 연도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차 1974 - - -3811455 -1612266

1975 -4711183 - - -

2차 1980 - -7814573 -0712977 -

3차1981 - - - -499582

1982 -647688 - - -

4차1990 - - - -306261

1991 -205366 - - -

주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년 동기 비) 실업률 순

1990sim1991년 축 부조합 사태가 부른 경기 침체

1980년 반 이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Saving amp Loan Association) 잇따라 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

- 1980년 리 자유화 규제 완화로 시작된 투기거래가 축 부조합

사태를 발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던

축 부조합들은 리 자유화로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이 발생

이를 만회하기 해 상업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투자를 확 하 으나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융부실이 발생

- 이를 해결하기 한 재정 자 심화가 차 경기 침체를 유발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29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두 배 가량 증

1980년 미국 경기를 지탱해 이거노믹스가 1990년 에는 큰 부

작용이 됨

- 이건 정부는 기에 융긴축정책으로 만성 인 이션을 안정화시

키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경제를 활성화

그 결과 기 수익률이 높아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제

자본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가치 상승

- 부시 정부는 기존의 이거노믹스를 그 로 승계하 으나 1991년 걸

에 따른 비 부담 증가와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가

물가 안정을 한 리 인상으로 인해 오히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

이것이 부시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시장개입 확 를 통

해 경기 침체를 극복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

《 요 약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미국 경기 부진의 장기화 가능성

미국경제의 성장률 둔화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한 융부문 부실이 실물경제로 이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2분기 연속 06

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 버냉키 미 연 의장은 지난 7월에 2008년 경제성장률을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소폭 높여 10sim16로 수정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 3

- 2- 1

01

23

45

6

2 0 0 6 - I II III IV 2 0 0 7 - I II III IV 2 0 0 8 - 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

자료 BEA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 고조

- 인 이션 압력 가

서부텍사스 질유(WTI) 가격이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선 가운데 앞으

로 6sim24개월 안에 2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

리 인하rarr달러화 약세rarr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지

는 인 이션 고리 형성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미 연 은 2008년 실업률을 당 52sim53에서 55sim57로 상향 조정

5월 실업률은 50이며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는 2008년 1월부터 4

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어들고 소비지출이 축될 망

- 미 연 은 근원소비자물가(Core CPI) 상승률을 22sim24로 2007년 1월

보다 02p 상향 조정한 가운데 소비자물가(CPI)도 52sim55로 상향

조정

- 경상수지는 소폭 개선될 망이나 재정수지는 자 추세가 당분간 지속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기 비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는 등 월 비 02 감소

-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 침체는 당분간 지속

주택경기 침체로 인해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것이 기업

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강 국면이 지속될 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이나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후

에도 속한 회복은 불가능

주택구매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은 계속 상승하고 있는 상황

이며 공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망

2008년 내에 경기 부진 탈출은 어렵다는 것이 경제 문가들의 론

- 부시 정부의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 그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

세 환 이 4월 말에 시작되어 8sim9월 에 완료되면 하반기에 소비증

효과가 본격 으로 나타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i

- 하반기에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가능성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효과 한 단기에 그치거나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상쇄될 가능성

Ⅱ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1)

미국경제는 1970년 이후 모두 네 차례 경기 침체(Recession)를 경험2)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자산시장 버블 붕괴 등이 불황의 단

- 1970sim1980년 12차 오일쇼크 기간 동안 모두 세 번에 걸쳐 고물

가고실업의 경기 침체를 경험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로 정하는 NBER은 고용과 소매 매업 등 주요 경제활동이 수개월 동안

심각하게 후퇴하면 침체로 정의 공식 인 경기 상황 정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되므로 편의상 실질

GDP 성장률(연율 기 )이 기 비 2분기 연속 마이 스를 기록할 때를 침체로 규정 따라서 2000년

IT 버블 붕괴에 따른 미국 경기 하락은 침체가 아닌 둔화

2) 과거 미국의 경기 침체 사례는 각 사례 발생 시 으로부터 최소 4분기(1년) 이상 시차(time lag)를 보일

경우 서로 다른 침체 사례로 정의 즉 경기 침체를 유발한 주요 거시경제 변수의 향력은 시차가 1년

이상 지날 경우 소멸되는 것으로 가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v

- 국제자본이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 흑자가 자로 반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함

경기 침체 극복을 해 통화 재정정책에 의존

- 1970sim1980년 재정팽창과 Cost-Push형 인 이션으로 인해 경기 침체

내 으로 실업 빈곤 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지속

오일쇼크까지 가세함에 따라 공 인 이션이 발생

- 1977년 카터 행정부는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을 통해 실업률을 낮추

었으나 미 연 의장으로 취임한 볼커(Volcker)는 통화량 통제를 통해 물

가 상승 억제를 도모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 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

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 증가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

- 이후 리 인하 감세정책 등을 통해 불황을 타개

197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기의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실업률 변화 추이

(단 )

침체기 연도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차 1974 - - -3811455 -1612266

1975 -4711183 - - -

2차 1980 - -7814573 -0712977 -

3차1981 - - - -499582

1982 -647688 - - -

4차1990 - - - -306261

1991 -205366 - - -

주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년 동기 비) 실업률 순

1990sim1991년 축 부조합 사태가 부른 경기 침체

1980년 반 이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Saving amp Loan Association) 잇따라 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

- 1980년 리 자유화 규제 완화로 시작된 투기거래가 축 부조합

사태를 발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던

축 부조합들은 리 자유화로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이 발생

이를 만회하기 해 상업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투자를 확 하 으나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융부실이 발생

- 이를 해결하기 한 재정 자 심화가 차 경기 침체를 유발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29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두 배 가량 증

1980년 미국 경기를 지탱해 이거노믹스가 1990년 에는 큰 부

작용이 됨

- 이건 정부는 기에 융긴축정책으로 만성 인 이션을 안정화시

키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경제를 활성화

그 결과 기 수익률이 높아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제

자본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가치 상승

- 부시 정부는 기존의 이거노믹스를 그 로 승계하 으나 1991년 걸

에 따른 비 부담 증가와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가

물가 안정을 한 리 인상으로 인해 오히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

이것이 부시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시장개입 확 를 통

해 경기 침체를 극복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미 연 은 2008년 실업률을 당 52sim53에서 55sim57로 상향 조정

5월 실업률은 50이며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는 2008년 1월부터 4

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어들고 소비지출이 축될 망

- 미 연 은 근원소비자물가(Core CPI) 상승률을 22sim24로 2007년 1월

보다 02p 상향 조정한 가운데 소비자물가(CPI)도 52sim55로 상향

조정

- 경상수지는 소폭 개선될 망이나 재정수지는 자 추세가 당분간 지속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기 비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는 등 월 비 02 감소

-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 침체는 당분간 지속

주택경기 침체로 인해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것이 기업

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강 국면이 지속될 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이나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후

에도 속한 회복은 불가능

주택구매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은 계속 상승하고 있는 상황

이며 공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망

2008년 내에 경기 부진 탈출은 어렵다는 것이 경제 문가들의 론

- 부시 정부의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 그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

세 환 이 4월 말에 시작되어 8sim9월 에 완료되면 하반기에 소비증

효과가 본격 으로 나타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i

- 하반기에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가능성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효과 한 단기에 그치거나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상쇄될 가능성

Ⅱ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1)

미국경제는 1970년 이후 모두 네 차례 경기 침체(Recession)를 경험2)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자산시장 버블 붕괴 등이 불황의 단

- 1970sim1980년 12차 오일쇼크 기간 동안 모두 세 번에 걸쳐 고물

가고실업의 경기 침체를 경험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로 정하는 NBER은 고용과 소매 매업 등 주요 경제활동이 수개월 동안

심각하게 후퇴하면 침체로 정의 공식 인 경기 상황 정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되므로 편의상 실질

GDP 성장률(연율 기 )이 기 비 2분기 연속 마이 스를 기록할 때를 침체로 규정 따라서 2000년

IT 버블 붕괴에 따른 미국 경기 하락은 침체가 아닌 둔화

2) 과거 미국의 경기 침체 사례는 각 사례 발생 시 으로부터 최소 4분기(1년) 이상 시차(time lag)를 보일

경우 서로 다른 침체 사례로 정의 즉 경기 침체를 유발한 주요 거시경제 변수의 향력은 시차가 1년

이상 지날 경우 소멸되는 것으로 가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v

- 국제자본이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 흑자가 자로 반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함

경기 침체 극복을 해 통화 재정정책에 의존

- 1970sim1980년 재정팽창과 Cost-Push형 인 이션으로 인해 경기 침체

내 으로 실업 빈곤 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지속

오일쇼크까지 가세함에 따라 공 인 이션이 발생

- 1977년 카터 행정부는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을 통해 실업률을 낮추

었으나 미 연 의장으로 취임한 볼커(Volcker)는 통화량 통제를 통해 물

가 상승 억제를 도모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 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

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 증가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

- 이후 리 인하 감세정책 등을 통해 불황을 타개

197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기의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실업률 변화 추이

(단 )

침체기 연도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차 1974 - - -3811455 -1612266

1975 -4711183 - - -

2차 1980 - -7814573 -0712977 -

3차1981 - - - -499582

1982 -647688 - - -

4차1990 - - - -306261

1991 -205366 - - -

주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년 동기 비) 실업률 순

1990sim1991년 축 부조합 사태가 부른 경기 침체

1980년 반 이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Saving amp Loan Association) 잇따라 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

- 1980년 리 자유화 규제 완화로 시작된 투기거래가 축 부조합

사태를 발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던

축 부조합들은 리 자유화로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이 발생

이를 만회하기 해 상업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투자를 확 하 으나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융부실이 발생

- 이를 해결하기 한 재정 자 심화가 차 경기 침체를 유발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29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두 배 가량 증

1980년 미국 경기를 지탱해 이거노믹스가 1990년 에는 큰 부

작용이 됨

- 이건 정부는 기에 융긴축정책으로 만성 인 이션을 안정화시

키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경제를 활성화

그 결과 기 수익률이 높아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제

자본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가치 상승

- 부시 정부는 기존의 이거노믹스를 그 로 승계하 으나 1991년 걸

에 따른 비 부담 증가와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가

물가 안정을 한 리 인상으로 인해 오히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

이것이 부시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시장개입 확 를 통

해 경기 침체를 극복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ii

- 하반기에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가능성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효과 한 단기에 그치거나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상쇄될 가능성

Ⅱ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1)

미국경제는 1970년 이후 모두 네 차례 경기 침체(Recession)를 경험2)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자산시장 버블 붕괴 등이 불황의 단

- 1970sim1980년 12차 오일쇼크 기간 동안 모두 세 번에 걸쳐 고물

가고실업의 경기 침체를 경험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로 정하는 NBER은 고용과 소매 매업 등 주요 경제활동이 수개월 동안

심각하게 후퇴하면 침체로 정의 공식 인 경기 상황 정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되므로 편의상 실질

GDP 성장률(연율 기 )이 기 비 2분기 연속 마이 스를 기록할 때를 침체로 규정 따라서 2000년

IT 버블 붕괴에 따른 미국 경기 하락은 침체가 아닌 둔화

2) 과거 미국의 경기 침체 사례는 각 사례 발생 시 으로부터 최소 4분기(1년) 이상 시차(time lag)를 보일

경우 서로 다른 침체 사례로 정의 즉 경기 침체를 유발한 주요 거시경제 변수의 향력은 시차가 1년

이상 지날 경우 소멸되는 것으로 가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v

- 국제자본이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 흑자가 자로 반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함

경기 침체 극복을 해 통화 재정정책에 의존

- 1970sim1980년 재정팽창과 Cost-Push형 인 이션으로 인해 경기 침체

내 으로 실업 빈곤 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지속

오일쇼크까지 가세함에 따라 공 인 이션이 발생

- 1977년 카터 행정부는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을 통해 실업률을 낮추

었으나 미 연 의장으로 취임한 볼커(Volcker)는 통화량 통제를 통해 물

가 상승 억제를 도모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 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

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 증가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

- 이후 리 인하 감세정책 등을 통해 불황을 타개

197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기의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실업률 변화 추이

(단 )

침체기 연도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차 1974 - - -3811455 -1612266

1975 -4711183 - - -

2차 1980 - -7814573 -0712977 -

3차1981 - - - -499582

1982 -647688 - - -

4차1990 - - - -306261

1991 -205366 - - -

주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년 동기 비) 실업률 순

1990sim1991년 축 부조합 사태가 부른 경기 침체

1980년 반 이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Saving amp Loan Association) 잇따라 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

- 1980년 리 자유화 규제 완화로 시작된 투기거래가 축 부조합

사태를 발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던

축 부조합들은 리 자유화로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이 발생

이를 만회하기 해 상업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투자를 확 하 으나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융부실이 발생

- 이를 해결하기 한 재정 자 심화가 차 경기 침체를 유발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29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두 배 가량 증

1980년 미국 경기를 지탱해 이거노믹스가 1990년 에는 큰 부

작용이 됨

- 이건 정부는 기에 융긴축정책으로 만성 인 이션을 안정화시

키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경제를 활성화

그 결과 기 수익률이 높아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제

자본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가치 상승

- 부시 정부는 기존의 이거노믹스를 그 로 승계하 으나 1991년 걸

에 따른 비 부담 증가와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가

물가 안정을 한 리 인상으로 인해 오히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

이것이 부시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시장개입 확 를 통

해 경기 침체를 극복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v

- 국제자본이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 흑자가 자로 반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함

경기 침체 극복을 해 통화 재정정책에 의존

- 1970sim1980년 재정팽창과 Cost-Push형 인 이션으로 인해 경기 침체

내 으로 실업 빈곤 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지속

오일쇼크까지 가세함에 따라 공 인 이션이 발생

- 1977년 카터 행정부는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을 통해 실업률을 낮추

었으나 미 연 의장으로 취임한 볼커(Volcker)는 통화량 통제를 통해 물

가 상승 억제를 도모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 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

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 증가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

- 이후 리 인하 감세정책 등을 통해 불황을 타개

197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기의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실업률 변화 추이

(단 )

침체기 연도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차 1974 - - -3811455 -1612266

1975 -4711183 - - -

2차 1980 - -7814573 -0712977 -

3차1981 - - - -499582

1982 -647688 - - -

4차1990 - - - -306261

1991 -205366 - - -

주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년 동기 비) 실업률 순

1990sim1991년 축 부조합 사태가 부른 경기 침체

1980년 반 이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Saving amp Loan Association) 잇따라 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

- 1980년 리 자유화 규제 완화로 시작된 투기거래가 축 부조합

사태를 발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던

축 부조합들은 리 자유화로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이 발생

이를 만회하기 해 상업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투자를 확 하 으나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융부실이 발생

- 이를 해결하기 한 재정 자 심화가 차 경기 침체를 유발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29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두 배 가량 증

1980년 미국 경기를 지탱해 이거노믹스가 1990년 에는 큰 부

작용이 됨

- 이건 정부는 기에 융긴축정책으로 만성 인 이션을 안정화시

키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경제를 활성화

그 결과 기 수익률이 높아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제

자본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가치 상승

- 부시 정부는 기존의 이거노믹스를 그 로 승계하 으나 1991년 걸

에 따른 비 부담 증가와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가

물가 안정을 한 리 인상으로 인해 오히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

이것이 부시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시장개입 확 를 통

해 경기 침체를 극복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7: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

- 1980년 리 자유화 규제 완화로 시작된 투기거래가 축 부조합

사태를 발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던

축 부조합들은 리 자유화로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이 발생

이를 만회하기 해 상업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투자를 확 하 으나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융부실이 발생

- 이를 해결하기 한 재정 자 심화가 차 경기 침체를 유발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29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두 배 가량 증

1980년 미국 경기를 지탱해 이거노믹스가 1990년 에는 큰 부

작용이 됨

- 이건 정부는 기에 융긴축정책으로 만성 인 이션을 안정화시

키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를 진작시키면서 경제를 활성화

그 결과 기 수익률이 높아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제

자본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달러화 가치 상승

- 부시 정부는 기존의 이거노믹스를 그 로 승계하 으나 1991년 걸

에 따른 비 부담 증가와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가

물가 안정을 한 리 인상으로 인해 오히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

이것이 부시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시장개입 확 를 통

해 경기 침체를 극복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8: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재정수지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국제정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군비가

삭감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1993년 취임 2550억 달러 재정수지 자가 임기 마지막 연도인 2001

년에는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되고 달러화의 상이 제고

미국 경기 침체에 따른 주요 대응 정책

구분 1차 침체 2차 침체 3차 침체 4차 침체 경기 침체

침체

기간

19743Qsim19751Q

(닉슨rarr포드)

19802Qsim3Q

(카터)

19814Qsim19821Q

(카터rarr 이건)

19904Qsim19911Q

( 이건rarr부시)

2008

(부시rarr)

재정정책 팽창rarr긴축 팽창 팽창 팽창 팽창

통화정책 긴축 긴축 긴축rarr팽창 팽창 팽창

리 리 고 리 고 리 리rarr고 리 리 인상rarr인하

조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감세

주요학 인스 인스+통화론자

통화론자

공 학

합리 기

이거노믹스 이거노믹스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고유가 리스크가 미국경제에 악 향

고유가의 효과가 미국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에 악 향

-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 유가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고용 물가 변동과 달리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9: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

2008년 연평균 유가가 WTI 기 배럴당 95달러로 상되는 가운데 2008년

미국의 경제성장에 한 시나리오를 구성3)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4 50

경기 침체 11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2008년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

- 유가가 약 10달러 상승할 때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락4)

2008sim2012년 미국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은 12sim32로 망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 상황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

그 이션 험이 고조

3) 미국 EIA는 단기 망에서 2008년 유가는 WTI 기 으로 배럴당 110달러로 측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2008년 WTI의 평균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로 가정

4)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

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0: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viii

-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

주택경기 둔화와 신용경색 식품과 에 지가격 상승 등으로 인 이션

험이 높고 실업률도 5 이상 높아질 가능성

따라서 미국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지출이 크게 축될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

하지만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을 하게 될 경우 2012년 경제

성장률은 22로 경기 회복이 다소 완만하게 이루어질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로 상

- 2008sim2010년 미 연 의 실업률 망치는 48sim63

개 미국 경기 후퇴기에는 실업률이 등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1: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ix

- 미 연 의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 망치는 15sim34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

로 증할 망

- 높은 실업률로 인해 임 인상이 억제되고 소비심리가 상당히 축될 경

우 소비자물가는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

실업률

55 54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

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

소비자물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

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최 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소비자물가 추정치에서 제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2: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상

- 미 연 의 2008sim2010년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13sim25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

- 근원소비자물가가 25 이상 상승할 경우 미 연 의 통화정책에 제약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향후 5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망되나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우려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듯

최근 미국의 경기 부진은 향후 3sim5년간 지속될 망

- 고용과 물가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미국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

과는 충격 발생 이후 5sim6년간 지속될 것으로 단

- 만일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물가와 고용부문에 각각 4년과 5년

의 회복기간이 소요될 망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미국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 가능성이 혼재한 가운데 아직까지는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재 미국경제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잠재성장률 수 으

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3sim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임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3: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어 다른 신용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와 투자심리가 랭할 가능성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24 성장할 것으로 상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시사

세계경제 불안에 비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미국경제의 부진으로 세계 경제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유가는 수 에서 약간 조정될 것으로 상되나 여 히 높은 수 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 의존도를 이고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과 경제 력

을 강화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각국의 환율 상 가능성에 비

동시에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도 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4: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요약)

삼성경제연구소 xii

험 리와 경쟁력 강화 등 외 여건 변화에 응한 경제체질 강화가

선무

- 신수종 산업의 개발과 산업의 균형 발 을 도모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경

제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국가의 로벌 장기 략의 일환으로 극 추진할 필요

장기 으로 한 일의 동북아 FTA와 아시아와 태평양 경제권을 연

결하는 FTAAP를 지향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5: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충격이 실물경제에 속히

- 미국 경제성장률은 2분기 연속 06를 기록하여 성장 추세가 크게 둔화

2007년 2사분기와 3사분기에 각각 38와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했던 미국경제의 성장세가 격히 둔화

지난 7월 의회 청문회에서 미 연 의 버냉키 의장은 2008년 경제성장률

을 지난 4월의 망치 던 03sim12보다 높은 10sim16로 상향 조정

- 성장고물가의 스태그 이션에 한 우려가 고조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향후 6sim24개월 내에 서부텍사스(WTI) 유가가

배럴당 150sim200달러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망

리 인하 rarr 달러화 약세 rarr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이

어지는 인 이션 험이 증가

미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

-3

-2-1

01

23

45

6

2006-I II III IV 2007-I II III IV 2008-I 소 비 투 자 순 수 출 정 부 지 출 경 제 성 장 률

( p)

자료 BE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6: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모기지 사태 이후 소비 투자 고용 여건이

빠르게 악화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등 반 인 미국 실물경제의 장기 둔화 가능성

ㆍ주택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거용 주택투자는 2007년 4사분기

252 감소에 이어 2008년 1사분기에도 267 감소하여 감소폭이 확

ㆍ2007년 매분기 증가했던 비주거용 고정투자는 2008년 1사분기에 25

감소

- 제조업 설비가동률도 2007년 3사분기 806에서 4사분기에는 798로

하락

- 5월 실업률은 50로 비농업부문의 일자리 수는 2008년 1월부터 4월

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하여 향후 가계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축될 가능

성 증가

ㆍ일자리 수 감소폭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완만한 편이나 2008년 당

52sim55로 망되던 실업률이 55sim57에 이를 것으로 망

미국의 실업률 및 비농업 고용자 수 추이

43

45

47

49

51

53

061 067 071 077 081-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천 명)

비농업 피고용자 수(우)

실업률(좌)

 자료 BLS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개인 소비지출이 감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7: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

- 주택가격이 10 하락할 때 가계자산은 약 2조 달러 소비는 1000sim1400

억 달러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가처분 소득 비 가계부채 비율은 1990년 반 80 수 에서 2007년

130를 상회

소비와 투자 둔화에 따라 제조업 경기도 속히 축

- 공 리자 회(ISM)의 제조업 종합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제조업 신

규주문지수는 2007년 12월 이후 계속하여 50선을 하회

ㆍ다만 비제조업 지수는 2008년 4월에 50선을 회복

ISM 지수 추이

종합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신규주문지수

40

45

50

55

60

65

071 3 5 7 9 11 081 3

제조업 비제조업

 자료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소비자 생산자물가도 등 추세

- 고유가 원자재가격 등의 향으로 소비자물가는 4 를 유지

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원자재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한편 수

입물가도 자극함으로써 이 압력이 존재

2008년 소비자물가는 당 망치보다 1p 가까이 상향 조정된 52sim

55로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8: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

- 인 이션 지표인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보다 02p 증가한

22sim24로 상향 조정

2008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달보다 02 상승하는 데 그쳤지

만 변동성이 심한 에 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는 연간 3 상승

1991년 이후 최 의 상승률을 기록

리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경상수지 자는 소폭 개선

- 달러화 약세로 인해 수출 경기는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침체

를 방지하는 데 그 효과는 제한

세계 경상수지 자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 은 50sim70

2007년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GDP 비 54로 2006년의 62보다

08p 하락

- 미국의 경상수지 자 감소는 로벌 경제 불균형의 시정보다는 다른 선

진국 특히 유럽으로 경제 불균형이 이동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2008년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이 불투명

2008년 2사분기에는 소비 축과 투자 감소로 성장률의 추가 하락이 상

- 2008년 1사분기 내구재 소비지출은 61 감소했으며 4월 소매 매업

도 자동차 매가 28 감소하면서 월 비 02 감소

ㆍ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 이션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

-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상반기 소비가 추가로 축되고 이는 기업의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하락 압력을 가

ㆍ고용 감소의 향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민간투자도 감소세를 지속

- 하지만 소비 생산 고용 등의 감소폭이 과거 경기 침체기에 비해 크지

않아서 경기후퇴의 강도는 그리 심하지 않을 것으로 상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19: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

경기불안의 진원지인 주택시장의 침체는 상당기간 지속될 망

- 주택공실률이 상승하는 등 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당분간 주택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질 망

ㆍ2008년 1사분기 공실주택수(vacant housing units)는 기 비 45

년 동기 비 57 증가한 1856만 채로 사상 최고

ㆍ주택가격 하락 기 와 주택 유질처분 증가 등으로 매용 주택의 공실

률(homeowner vacancy rate)은 사상 최고 수 인 29를 기록

- 주택경기는 2008년 말 는 2009년 에 을 형성하되 통과 이

후에도 회복은 완만하게 진행될 망

미국 주택시장 전망

연도 주택착공(연 천 채)

주택 매(연 천 채) 주택가격( 앙값 천 달러)

기존주택 신규주택 기존주택 신규주택

2007 1355 5652 776 2190 2473

2008 926 4863 522 2032 2311

2009 951 5018 553 2001 2289

자료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DB에 의거 작성

- 주택구매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주택공실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공

실률이 감소하기 까지는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할 망

ㆍ 국주택건설업자 회5)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잠재 주택구매자 방문

지수는 2007년 7월sim2008년 3월까지 9개월간 20선을 하회6)

2008년 하반기 미국 경기는 경기부양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상

5) National Association of Home Builders

6) Traffic of prospective buyers 동 지수가 50이면 잠재 구매자 방문이 많다는 응답과 다는 응답의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50 미만은 부정 응답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동 지수가 1985년 이

후 20 이하를 기록한 것은 주택가격(Case-Shiller 지수)이 비교 큰 폭으로 하락한 1990년 11월부터

1991년 1월까지의 3개월밖에 없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0: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6

- 경기부양책은 하반기 이후에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2008년에 경제성장률

을 약 05p 정도 상승시켜 경기 락을 억제7)

ㆍ세 환 은 4월 말에 시작되어 8월 말 내지는 9월 에 완료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소비 증 효과는 하반기에 본격 으로 나타날 망

ㆍ 리 인하도 하반기 이후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신용 리미엄 상승과

융기 의 보수 정책 등으로 인해 제한 인 향에 그칠 망

- 경기가 침체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속한 경기 회복은 어려울 망

24분기에는 -03 상반기 평균 04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한 후 하반

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상승

ㆍ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

지원 효과가 단기에 그칠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이 발생할 수도 있음

7) Joint Committee on Taxation의 추산에 따르면 경기부양법에 따라 1517억 달러의 추가 재정지출이 발

생하며 이 약 50가 소비에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2007년 GDP 기 으로 약 055p의 GDP

증가 효과가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1: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7

II 과거의 경기 침체 사례

1 1970sim1980년 경기 침체(Recession)

12차 오일쇼크에 의한 공 사이드 경기 침체

1970sim1980년 반의 미국 경기 침체기는 12차 오일쇼크 둥이

자 달러화 약세 등으로부터 발

- 1960년 부터 되어온 미국의 경쟁력 약화 둥이 자 등의 문제가

실화

- 미국의 재정수지 악화 베트남 참 패배에 따른 로벌 리더십 약화 등과

함께 오일쇼크는 설상가상의 타격8)

미국 주별 고용증가율의 연간 분산으로 본 미국의 경기 사이클()

자료 BLS

- 미국의 경제 침체는 미국 달러화의 기와 lsquo닉슨 쇼크rsquo를 유발해 국제통

화체제의 혼란을 야기9)

8) 미국의 베트남 쟁 참 은 1961sim1973년에 걸쳐 12년간 이루어졌으며 연 병력 300만 명과 1600억 달

러(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경우 2007년 재 6500억 달러 규모)의 쟁비용을 부담

9) 1971년 8월 닉슨 통령은 부족 사태를 맞아 당시 1온스당 35달러의 교환비율로 고정되어 있던

달러화의 태환 정지를 일방 으로 선언하 으며 이를 lsquo닉슨 쇼크rsquo라 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2: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8

당시 미국의 보유고는 110억 달러 수 이었으나 태환 의무를 지

는 외공 채무는 300억 달러를 과해 외채무 감당이 어려웠던 상황

lsquo닉슨 쇼크rsquo 이후 달러화 약세 추세가 가속화

- 태환 지불정지의 충격을 극복하기 해 달러화의 추가 인 평가 하

와 환율변동폭 완화를 골자로 하는 스미소니언 정을 체결10)

- 무역수지 악화

2차 세계 이후 미국의 군사 경제 기술 지원을 받았던 유럽과 일본

은 투자 확 와 수출 증 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

미국은 2차 세계 이후에도 GNP의 8 연방 정부 산의 27 수

의 막 한 군사비를 지출한 반면 독일과 일본은 각각 GNP의 3와 1

정도를 지출

- 독일과 일본 등 국제수지 흑자국 통화에 해 평가 상을 단행

국제자본의 규모 달러화 매도세가 지속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 상을 상하는 약 100억 달러 규모의 투기자본

이 유입되면서 독일 정부는 달러화 매입 마르크화 매도 등의 시장개입

- 격한 통화팽창으로 인해 인 이션이 발생하자 1973년부터 변동환율

제도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달러화 약세는 가속화

고유가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

- 1974년 3사분기 이후 3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38rarr-16rarr-47

1차 오일쇼크 기간(1974sim197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35 실

업률은 71 소비자물가는 925

2차 오일쇼크 기간(1980sim1982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13 실

업률 108 소비자물가는 897

10) 1971년 12월 달러의 평가 하를 단행 1온스당 38달러로 인상하고 환율변동폭도 종 의 1에서

225로 확 하는 데 합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3: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9

1970sim1980년대 초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4 0

-2 0

0 0

2 0

4 0

6 0

8 0

100

120

14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자료 BEA BLS Economagic DB에 의거 작성

- 1974년 취임한 제럴드 포드 통령은 고인 이션을 해결하기 해

WIN(Whip Inflation Now) 운동을 개

긴축정책을 해 연방 비은행은 은행신용 출을 축소하도록 유도하

으나 고물가와 함께 경기만 더욱 침체

- 고실업 등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재정팽창정책을 실시

재정수지 자 규모는 1974sim1975년 연평균 300억 달러에서 1980sim1982

년 연평균 93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닉슨 통령 임기 동안 발생한 190억 달러 재정수지 흑자가 포드 통

령 재임 기간 동안 680억 달러 자로 환

국제자본은 미국을 이탈해 유럽으로 이동

- 달러화 강세의 배경이었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의 흑자가 자로 반

1974sim1975년 75억 달러에 이르던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차 오일쇼크

직 (1977sim1978년)에는 242억 달러 자로 반

- 동의 오일달러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했음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4: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0

오일쇼크 직 인 1973년 1월 유가는 배럴당 26달러에서 1980년 10월 37

달러로 무려 14배나 등

1970년 반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체 수출의 10에 달하는 연

800억 달러를 획득

- 약세기조를 보 던 달러화가 12차 오일쇼크 이후 일시 인 강세로 반

오일쇼크는 당시 산유국의 원유수출 부분을 달러화로 결제하 으

므로 달러화 수요 증가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반 되는 등 세계 기축

통화로 달러화를 부각시키는 계기

한 세계경제가 동반 혼란에 빠진 상태여서 당시 미국경제가 여타 선

진국에 비해 결코 나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달러화가 안 통화로 부각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긴축 거시경제정책을 강화

1970sim1980년 반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

- 내 으로 실업 빈곤문제 해결 외 으로 냉 체제하에서 경제

군사원조 확 를 한 재정팽창정책이 주류

그 결과 1970년 미국경제는 인 이션이 압력이 가 되는 가운데 오

일쇼크와 같은 공 사이드의 인 이션이 크게 증가

- 미국 경제정책은 인스 학 가 1980년 기는 통화론자들의 주장이

기조를 형성

1977년 취임한 카터 행정부는 인 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해 1979년

10월 통화론자인 폴 볼커(Paul Volcker)를 미 연 의장에 임명

통화긴축정책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을 도모

- 감세와 공공사업 정부지출로 실업률을 낮추고 통화량을 통제해 물가 상

승을 억제함으로써 리가 상승

- 통화긴축정책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달러화 약세기조 한 강세기조로 환

1980년 이자율은 미국 역사상 최고수 인 20를 기록하 고 소비자물

가 상승률도 1980년 145에서 1981년에는 -54로 하락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5: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1

통령 재임기간 주요 경제정책 경제학

닉슨(공화) 1969sim1974

-통화팽창 리

-재정팽창(베트남 비 복지국가

건설 등)

인스

포드(공화) 1974sim1977

-1차 오일쇼크 이후 물가 안정을

한 통화긴축정책

-실업난 해소를 한 감세조치로

재정팽창정책

인스

카터(민주) 1977sim1981- 기 재정 통화팽창정책

- 후기 긴축재정 통화정책인스 + 통화론자

이건(공화) 1981sim1989

-긴축통화정책

-감세와 축 투자유인 확

-세출삭감에 의한 재정지출 개선

-민간부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완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하지만 고 리로 인해 소비냉각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재연되고 기업 산으로 융기 마 부실화되는 부작용이 발생

1970sim198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 1990년 반 경기 침체

축 부조합 사태가 경기 침체를 유발

1980년 반 이후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축 부조합이 산

- 1980년 카터 정부의 이자율 규제 완화조치와 비은행 융기 들의 상업

용 부동산 투기거래가 단

당시 축 부조합들은 단기자 을 조달하여 장기 고정 리 주택담보

출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단기 리가 상승하자 역마진을 우려하여 상업

용 부동산 등 험자산에 한 투자를 확

하지만 1980년 후반 부동산 가격이 락하면서 부실이 악화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6: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2

1985sim1995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 D P

실 업 률

소 비 자 물 가

-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1 9 8 5 1 9 8 6 1 9 8 7 1 9 8 8 1 9 8 9 1 9 9 0 1 9 9 1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1990년 4사분기 이후 2분기 연속 마이 스 성장

- 1990년 4사분기 -30 rarr 1991년 1사분기 -20

1991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이라크 쟁 축 부조합 산 사태 수습

등으로 인해 -02로 1990년 19에 비해 21p나 락하 으나 이듬

해 곧바로 33로 회복

- 1989년 이건 정부 임기 말 미국 GDP 성장률이 35에서 1990년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19로 크게 하락

이거노믹스 정책에 따른 감세와 국방비 과잉지출로 재정 자가 심화

- 부실조합 정리비용은 1989년 미국 GDP의 약 25에 이르는 총 1529억

달러로 추정

규모 재정투입으로 인해 미국 재정 자 규모는 1989년 1530억 달러에

서 1992년 2900억 달러로 증

- 감세규모는 1981년 이후 5년간 7500억 달러

이건 집권 기간 동안 국방비로 모두 23조 달러를 지출

1990년 동지역 정정불안과 걸 에 따른 군사비 추가 지출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7: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3

- 제조업 약화로 인해 무역수지 자가 발되었으며 이는 달러화 약세로 연결

1985년 9월 23일 뉴욕의 라자 호텔에서 G-5(미국 독일 일본 랑스

국) 재무장 들이 모여 국제수지 불균형 해소를 해 달러화 평가

하에 합의

엔화의 경우 시장개입 직 달러당 250엔 선에서 1985년 말 200엔 선으

로 하락

부시 정부의 경기 침체 극복을 한 거시경제정책이 실패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해 통화 재정팽창정책에 의존

- 1981년 이건 정부 기에는 경제안정으로 달러화가 강세

융긴축으로 만성 인 이션이 안정되고 이후 감세정책으로 소비가

진작되면서 경제 활성화

리 상승과 미국 고수익 채권투자의 증가로 국제자본이 유입되면서 달

러화 수요가 증가

- 하지만 1980년 반 이후 이거노믹스의 부작용이 발생

감세정책이 과잉소비를 유발함으로써 수입 확 와 무역수지 자가 심화

고 리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기업투자는 축

이건에 이어 부시(GHW Bush) 정부도 이거노믹스 정책을 승계

- 축 부조합 산 사태와 미 증시의 lsquo검은 월요일rsquo 수습기간 동안 그린

스펀 미 연 의장은 리 인하정책을 지향

1989년 9 던 연방기 리가 1993년 3 선으로 하락

국제정치의 변 기를 거치면서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가 강화되어 달러

화 강세를 기록

- 하지만 1991년 걸 으로 인한 유가 등으로 인 이션 압력이 커지

자 미 연 이 다시 리를 올리면서 경기가 축

경기 부진은 부시의 연임에 결정 장애 요인으로 작용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8: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4

라자 합의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

- 보호무역주의정책으로도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자 라자 합의를 이끌

어냄으로써 의도 으로 달러화 평가 하를 단행 둥이 자가 달러화

약세의 근본 원인

- 무역수지 자는 1980년 GDP 비 1 선에서 라자 합의 직 인 1984

년에는 3 선으로 확

재정수지 자 비 도 같은 시기에 14 선에서 32 선으로 증가

- 1980년 반 미국경제의 산업구조조정으로 무역수지 자에 향

제조업이 해외로 이 하고 서비스 산업 심으로 산업구조 개편

미국 제조업 생산성은 당시 서독의 약 50 랑스 일본의 30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과 군비축소로 경기 침체를 극복

클린턴 민주당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 장기 재정 자 감축 정부의 시장

개입 확 로 경기 침체에 응

- 클린턴 정부는 단기 경기부양정책과 장기 재정 자 감축 랜을 시도

경기진작을 해 1994년까지 300억 달러 1996년까지 1600억 달러의

산을 투입

재정수지가 증세와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1993년에 취임 2550억 달

러 자에서 재임기간 마지막 연도인 2001년 1280억 달러 흑자로 반

- 1990년 냉 체제 붕괴에 따른 군비 삭감이 재정수지 개선에 큰 도움

에 지세 신설 고소득층에 한 소득세 인상 기업 외국기업에 증

세 부유층 은퇴자에 한 사회보장세 인상 작은 정부 등의 정책 추진

- 재정수지 개선은 달러화 강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는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강화시켜 경기 회복에 도움

1995년 4월 G-7회담에서 달러화 강세기조를 유도하는 lsquo역 라자합의rsquo가

비공식 으로 체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29: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5

통령 재임기간 주요 정책 경제학

이건(공화) 1981sim1989

- 기에는 긴축통화정책과 감세정책으로 재정지

출을 개선

-후기에는 통화 재정팽창정책

-감세정책에 따라 축 증 를 도모하고 민간부

문에 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유인을 강화

통화론자

공 시학

합리 기

부시(공화) 1989sim1993-자본소득에 한 감세정책 유지

-군사부문을 제외한 정부개입 축소와 규제 완화이거노믹스 계승

클린턴(민주) 1993sim2001

-정부의 극 인 시장개입기조를 유지

- 기에는 SOC 투자와 설비투자 기업에 한

감세정책으로 경기부양정책을 지향

-후기에는 재정 자 축소 노력

략 무역론자

인스 학

당시 루빈 재무장 은 경상수지 자 개선을 포기하고 자본수지 흑자를

통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

- 클린턴 정부의 경제 각료는 월가 출신이 주류

국제자본의 미국 유입 해외 융시장 공략을 해 달러화 강세정책 유지

세계자본의 미국 유입 rarr 주가 상승 rarr 달러화 강세 등의 선순환이 발생함

으로써 lsquo달러화 강세정책rsquo은 lsquoSelf-fulfilling Prophecyrsquo를 훌륭히 수행

1980sim1990년대 초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미국의 주요 경제정책 비교

자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3 2001년 IT 버블 붕괴와 경기 둔화

2000년 3사분기 이후 6개월간 경기 둔화

과잉 설비투자와 911 테러로 인한 경기 둔화

- 이 기간 동안 미국경제의 성장 하락 추세는 미국 경기 상황을 공식 으

로 정하는 NBER의 경기 침체 즉 GDP 성장률이 기 비 2분기 연

속 마이 스 성장이라는 정의에 따라 경기 둔화로 지칭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0: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6

- 1995년 이후 폭발 이었던 IT 부문의 설비투자가 감

2001년 설비투자를 포함한 비주거용투자 증가율은 -95로 극심

IT 산업은 체 산업생산의 8 정도에 불과하나 IT 버블 붕괴와 함께

2001년 경기 둔화를 주도

- 2001년 제조업 설비가동율도 최고 763에서 최 717까지 하락하

으며 월평균 739의 낮은 수 에서 정체

- 2000년 3사분기 -05 2001년 1사분기 -05 2001년 3사분기 -14로

IT 버블 붕괴 이후 마이 스 성장

2000년 경기 둔화는 주택경기 호조로 인해 1970년 이후 불황에 비해

단기에 극복

- 2000년 경기 둔화는 지속기간이 6개월로 역 평균 10개월을 하회하고

있으며 실질 GDP 고용의 축소폭도 평균 이하 수

GDP 성장률 08(2001) rarr 16(2002) rarr 27(2003) rarr 42(2004)

- 911 테러 엔론의 회계부정 스캔들 월드컵 극복

911 사태로 미국경제가 단기간에 호 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상

하 으나 2001년 후반기 이후 빠르게 회복

2001년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경기 둔화를 경험한 후 순조로운 회

복세를 보임

IT 버블 붕괴 이후 비 론과 낙 론이 양립

외부충격에 한 미국경제의 내성이 약화된 상황에서 당시의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한 의문이 제기

- 리감세 등 그동안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요인들이 소멸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유가 카트리나 허리 인 등

외부충격이 발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1: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7

- 기론자들은 미국경제의 격한 조정이 임박했으며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망

- 달러화 가치 락 실질 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단

과도한 경상수지 자로 인해 그동안 미국경제를 지탱해오던 lsquo달러 리사

이클링(Dollar Recycling)rsquo 구조에 회의 시각이 두되는 등 해외자본

공 이 감하기 시작

- 경기안정화 이후 격한 리 인상은 부동산 버블을 붕괴시키는 등 가계

부실이 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경기 침체가 래될 수 있음을 경고

반면에 낙 론자들은 미국경제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은 인정하나 격

한 경기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11)

- 그린스펀과 정부 정책당국 IMF 등 국제기구의 낙 단

기업의 경쟁력 제고로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고 있어 경기 상승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망

- 달러 자산에 한 국제선호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외 불균형도

심각하지 않다는 단

자본유출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다 해도 미 연 의 통화 리능력

향상 등으로 장기 리에는 큰 향이 없을 것으로 망

- 하지만 격한 경기부양의 부작용은 비 론자들의 측 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나타남

미국경제가 복원력(Resilience)을 발휘

극 인 경기부양의 결과 미국경제는 마이 스 성장을 모면

- 부시 행정부의 인 감세조치가 소비 증가에 기여

11) Hausmann amp Sturzenegger (2006)의 Dark Matter 가설을 통해 본 낙 론자들의 견해는 미국의 경

상수지 자 규모가 GDP의 5sim6 에 이르고 있으나 미국의 드러나지 않은 해외자산 가치를 감안할

때 이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 (sustainable sequence)이라는 것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

태가 발생함으로써 미국 실물경제가 반 인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은 이 같은 가설이 어도 단기

인 측면에서 안정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간 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단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2: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8

구분 지속기간 실질 GDP 비농업 고용 실업률 증가

1969 12sim197011 11개월 -061 -147 27p

1990 7sim1991 3 8개월 -149 -163 28p

2001 3sim2001 11 8개월 -062 -134 21p

기타 기간 평균 11개월 -259 -324 349p

2001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1600억 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추진한 결

과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

하지만 2001년 1280억 달러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는 2002년 1580억 달러

자로 반 되었으며 2004년에는 413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

- 리와 감세에 따른 GDP 상승효과는 2sim25p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2001sim2004년 평균 GDP 성장률이 23임을 감안할 때 경기부양책이 없

었다면 마이 스 성장의 경기 침체 상황에 빠졌을 것으로 단12)

하지만 리감세정책이 소비진작을 통한 경기 회복보다 미국 정부

의 세입 감소 재정 자 확 로 귀결

경기 사이클로 본 과거 침체기와 2001년 침체기 비교

주 1) 기타 기간은 장기 호황기 이후 침체기 던 1970 1990 2001년 사이클을 제외한

1945년 이후 사이클 평균

2) 실질 GDP 비농업 고용은 경기 침체기간 감소율

자료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리기조와 감세정책이 주택경기 활성화를 견인

- 이자율에 민감한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가 꾸 히 증가

2001년 경기 침체기에 미 연 은 1월 이후부터 12개월 동안 총 11번에

걸쳐 모두 475p 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연방기 리가 175까

지 하락

- 2001년 기존주택가격의 증가율은 평균 613

주택가격 상승이 주가 하락에 의한 부의 자산효과를 부분 으로 보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본격화되기 이 인 2005년 44분기 이

후부터 주택 매량과 가격의 추세선이 하락하기 시작

12)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1sim87) September 12 2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3: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19

물가 안정으로 리정책의 유연성 제고

- 2001년 경기 하락은 IT 부문에 한 과잉투자의 해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형 인 수요조정 형태

2001년 1사분기 34 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사분기에 19까지 하

향 안정

- 911 테러와 같은 경제외 요인은 융시장에 일시 충격으로 제한

소비자물가 안정은 미 정부와 정책당국이 경기 회복을 해 재정

융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경기부양의 부작용으로 구조 불균형이 심화

리감세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에는 성공했으나 내외 불균형이 심

화되는 등 후유증이 심각

-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은 이루어졌으나 가계

정부부문의 불균형이 심화

그린스펀의 금리정책(Mop-Up Strategy)

①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경제의 공급능력이 확충되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

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②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통화관리를 지양하고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

는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조

③ 금융당국이 자산가격에 좌우되어 금리정책을 펼치는 것은 위험하다고 인

식하여 주식시장 버블 우려가 컸던 1990년대 후반에도 금리 인상을 자제

④ 일반소비자물가지수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인플레이션 압력의 판단

근거로 삼음

차입에 의존하는 과잉소비로 인해 가계의 재무상황이 악화

- 1960sim2000년까지 미국의 가계 축률은 평균 75를 유지해왔으나 2002

년 이후 15 미만으로 추락1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4: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0

특히 리정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과열로 주택가격 상승 이로 인해

주택담보 출이 증가하면서 2007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를 잉태

재정수지 경상수지가 격히 악화되면서 둥이 자 문제가 재

- lsquo달러화 강세rsquo와 모순 인 리 정책기조를 유지

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가치는 변하지 않아 미국의 경상수지

자 증은 지속

2001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2000년에 비해 78 감소하 으나 2002년

에는 195로 117p나 증

1996sim2007년 미국 주요 경기지표 변화 추세

(단 )

GDP

실업률

소비자물가

0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ECOS BEA BLS DB에 의거 작성

- 가계부문의 축률 하와 정부 재정 자로 인해 경상수지 자가 사상

최 수 으로 확

1990년 후반 소비 투자의 증가로 2001년 경상수지 자규모는

GDP의 38인 3846억 달러를 기록

경상수지 자 증에 따른 자연 인 달러화 평가 하와 이에 따른 경

상수지 조정 메커니즘이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13) Stephen Roach(20059) The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5: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1

- 규모 감세와 테러 으로 인해 재정수지가 자로 반

2001년 GDP 비 13 던 재정수지 흑자가 2004년에 GDP 비 27

자로 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6: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2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1 미국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최근 미국경제는 인 이션과 실업률이 양존하는 스태그 이션 험

이 고조14)

- 미국경제의 성장세는 2007년 3사분기 49를 정 으로 4사분기 06로

격히 둔화

주택경기 침체 소비 고용 악화 고유가 등의 향으로 사실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

-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도 불안한 모습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제약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 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고용 감소와 소비 축이 서로 악 향을 끼치면서 앞으로 수개월 동안

소비와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될 망

2008년 1사분기에 비농업고용자수가 년 동기 비 11만 1000명 감소

한 반면 같은 기간 일용직 노동자가 15만 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로 고용시장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

IT 버블 붕괴 이후처럼 단기간에 경기 침체 극복은 어려울 망

- 축 부조합 부실 사태와 같이 10년은 아니더라도 향후 5년간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의 여 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가계부문의 재무상황 악화 둥이

자 심화 등 구조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유가 충격까지

가세

14) 필립스(1861sim1957) 곡선이 제시하는 실업률과 물가의 함수 계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으면 인 이션

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 이션이 높은 상반 계가 존재 따라서 실업률을 낮추기 해서는 인

이션 증가를 물가 안정을 해서는 실업률 상승을 감수해야 한다는 완 고용과 물가 안정의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 사이에 모순이 존재함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7: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3

- 가계부채의 구조조정은 조기에 마무리되기 어렵고 세 환 등의 재정지

원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큼

- 미국 경기 둔화나 불황은 로벌 경제의 동반 하락을 래할 가능성

경기 하방 리스크 증가

둥이 자 과 리정책은 달러화 가치 락을 유발

- 달러화 가치가 락하는 경우 리 상승과 융 불안이 심화될 가능성

융시장에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 공 확 8000억 달러의 이

라크 참 비용 지출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수 을 넘어선 경상수지 자

등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심의 기축통화체제가 험

- 고유가는 향후 미국과 로벌 경제의 안정에 큰 걸림돌 작용할 것으로

12차 오일쇼크 당시처럼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지속해서 2 의 리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단

정부의 168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유가 상승과 주택가격 하락으

로 유명무실

2 고유가 리스크

고유가는 경제 lsquo연착륙rsquo에 최 걸림돌

고유가는 당분간 지속될 망

- 고유가의 근본 원인인 수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될 망

원유의 수 불균형은 세계경제의 성장에 따른 요인과 석유생산의 감소

라는 근본 요인이 동시에 존재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8: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4

연간 세계 석유생산과 Hubbert의 정점이론 곡선

(단위 억 배럴)

주 세계 석유생산 사이클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석유가채량을 가정하고 각각 표시하 음

즉 에 있는 공 곡선은 총 21조 배럴 아래의 곡선은 약 13조 배럴의 가채량을

가정하고 있으며 두 가정 모두 향후 20년 이내에 석유생산량의 80가 소비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자료 Freeman W H et al (1971) Energy and Power A Scientific American Book

San Francisco W H Freeman

- 유가와 달러와의 환율 계를 통해 OPEC 회원국이 수출가격을 임의로 조

15)

즉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되고 석유 세계수요가 증가하면 OPEC은

카르텔을 통해 유가 상승을 유발

하지만 197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 변화 추세와 주요 OPEC 회원국 지

역 정정불안과의 상 계를 분석해볼 때 이 같은 특징은 찾아볼 수 없

었음

OPEC의 두바이유 정유가는 배럴당 85sim90달러

- 향후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망

허버트(Hubbert)의 정 이론에 따르면 2000년을 정 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에는 재의 석유생산량의 반으로 감소할

확률이 80

15) Green과 Porter(1984) Rotemberg와 Saloner(1986) Terzian(1985)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39: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5

가계 가처분 소득 에 지 비용지출 비 이 차 증가하는 추세

- 에 지 비용지출 비 은 45(2003년) rarr 55(2005년)

미국 가계는 차입을 통한 소비를 유지해왔으나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소비를 일 수밖에 없는 상황

- 고유가 추세가 장기화됨으로써 향후 고유가 향이 가시화될 망

2007년 8월 2 던 소비자물가는 고유가로 인한 인 이션 압력으로

4 에 진입 43(1월) rarr 2월 40(2월) rarr 3월 40(3월) rarr 39(4월)

경기부양을 한 미국 정책당국의 리팽창 환율정책을 제한할 필요

-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의 실 악화 투자 감소를 래

이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가계소비에 악 향

실업률은 2005년 55 이후 하향안정세를 보이다 지난 달 4월부터 50

로 5 에 재진입

유가별 미국 경제성장률 망

2008년 유가 수 별 미국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구성

-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때 미국경제의 실질 성장률은 017sim022p 하

락16)

- WTI 기 유가 수 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한 세 가지 시나리오

16) 1971sim2004년 미국 경제성장률과 두바이유가(LOP)와의 상 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 WTI 유가(LWTI)

는 두바이유가와 배럴당 4sim10달러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 2004년을 100으로 한 소비자물가지수

를 사용하여 세계 석유소비의존도를 감안한 실질 유가를 계산하고 기 유가와 성장률 계를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추정 LGDPT = 944 - 017LOP(p value=006) LGDPT = 969 - 022LWTI(p value=00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0: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6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1: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7

유가 수준별 미국 GDP 성장률 시나리오(2008년)

유가 수준별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시나리오

(단 달러 )

시나리오 평균 유가 성장률 망치 확률

연착륙 80sim90 15sim20 15

경착륙 91sim99 08sim12 50

경기침체 100 이상 마이 스 성장 35

고유가가 일반 물가수 을 자극하지 않는 한 미 연 은 단기간에 격히

리를 올리지는 않을 망

- 소비자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Core CPI)은 20

sim25 목표 수 을 유지

- 2008년 리 인하는 더 이상 없을 망

미 연 은 인 이션 억제와 함께 고용안정을 양 정책목표로 설정

고유가와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상

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를 격히 인상하기는 어려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2: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8

3 둥이 자 리스크

정부와 가계의 과잉 지출구조가 험수 에 육박

2000년 이후 격한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더불어 경상수지 자가 증

하는 둥이 자 상이 재

- 미국 정부와 가계의 부채 과 축률 하 등이 둥이 자를 래

IT 버블 붕괴 이후 리정책으로 인한 소비 확 와 부채 으로

가계부실 심화

감세 테러 등과 련된 국방비 지출 증가로 재정 자

- 1997년 외환 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기 방 차원에서 외환보유고를

확 하고 세계 인 과 축으로 유동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

미국 재정수지 적자 변화 추세

자료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미국의 경상수지 자규모도 유지 가능한 정 수 을 과

- 2006년 미국 경상수지 자는 GDP의 72 수

GDP의 28에 달하는 해외채무의 증세를 지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정 수 은 GDP의 3sim35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3: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29

- 경상수지 자를 충당하기 해 매일 80억 달러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

한 상황17)

그러나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해외로 자본이 유출

- lsquo달러화 리사이클링rsquo도 한계에 직면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본손실 리스크가 증 하여 아시아 앙은행은 자

추가 공 에 한계

달러화 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국과 한국은 GDP의 약 3 싱가포

르와 만 등은 GDP의 8 이상의 자본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상

GDP 대비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 비율 추이(단 )

재 정 수 지 G D P

경 상 수 지 G D P

- 8 0 0

- 6 0 0

- 4 0 0

- 2 0 0

0 0 0

2 0 0

4 0 0

1971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자료 한국은행 ECOS DB Economagic DB

경상수지 자는 진 조정 재정 자 축소는 기 난

둥이 자의 격한 조정은 단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망

- 경상수지 자 해소에 한 미국 정책당국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

경상수지 자 감소를 해서는 재정수지 개선을 통한 가계 축률 제

고가 건이나 실 가능성을 불투명

2007년 버냉키 미 연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경제가 경상수지

자의 심각성을 제 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장기 인

정책수립이 필요함을 지 18)

17)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18) Peterson IIE의 버그스텐 소장도 2005년 아시아태평양 원회에서 ldquoThe Transpacific Imbalance A

Disaster in the Making을 발표하면서 경상수지 자 축소의 요성을 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4: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0

- 환율과 통상정책만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기 하기는 어려운 실정

미 의회와 싱크탱크는 국의 안화가 아시아 통화에 해 20 는

미국 달러화에 해 40에 이르는 상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경우 미국의 경상수지 자는 연간 150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

민간부문 소비증가세 둔화로 인해 경상수지 자규모가 완만하게 축소될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경우 진 인 리

인상은 경상수지 자를 다소 해소해 것으로 기 19)

진 조정이 진행되는 경우 달러화 가치 락이나 리 등 등 실물

경제에 충격요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단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상은 유지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미국 통상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상

- 보호무역정책이 강화될 망

2008년 선과 의회선거 이후 민주당이 행정부를 장악하고 의회의 다수

당 지 를 유지할 경우 국과 상당한 통상마찰이 상

국이 안화 상을 하지 않을 경우 국의 모든 수입품에 해

275의 일률 세를 용할 정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상에는 근본 인 변화는 없을 망

-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융시장 신용경색과 유동성 확

를 해 당분간 달러화 약세기조는 불가피

최근 동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을 심으로 유로화에 한 선호 변화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럽경제의 반 인 부진으로 유로화가 달러화

의 안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

유로화와 달러화를 심으로 하는 복수기축통화제도 역시 국제거래

계에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어려울 망

19) 1971sim2005년 자료를 이용한 단순회귀식에서 미국 GDP는 재정수지 자와 양의 계 경상수지 자

와는 음의 유의 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GDP = -65574 + 054BZTDEF - 126CADEF+ [AR(1)=101])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5: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1

- 달러화 약세로 인해 경상수지 조정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경제가

격히 침체되지는 않을 망

부분 외환 기는 통화가치 락과 이에 따른 리의 등이 경제활동

을 축시킴에 따라 발생

미국의 경우 외채가 자국화폐 표시달러 채무이며 기축통화 보유국으로

경상수지 자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도 리의 등 가능성은 음

4 2008sim2012년 미국경제 망

향후 2년 내 본격 인 경기 회복은 기 난

2008sim2009년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증가

- 미 연 이 경기부양을 해 2007년 9월부터 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결

국 lsquo달러 약세 rarr 물가 상승rsquo의 악순환만 야기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미국

경제의 추가 인 하방 리스크가 고조

주요국 투자은행 경제성장률 및 전망(2008년 4월 30일 기준)

구분2008년 분기별

2008 2009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ABN Amro - - - - 16 21

BOA -01 09 15 22 14 20

Credit Suisse -02 15 10 - 13 21

Citigroup -01 09 06 - 13 16

DB -08 26 00 - 12 13

GS - - - - 08 10

JP Morgan 00 15 10 20 14 20

LB -10 15 10 -10 12 06

ML - - - - 19 21

MS - - - - 10 20

평균 -05 16 11 11 12 17

IMF - - - - 05 06

NRA -01 03 22 20 14 24

주 1 ABN Amro(Global Macro Diary) BOA(Bank of America) DB(Deutsche Bank)

GS(Goldman Sachs) LB(Lehman Brothers) ML(Merrill Lynch) MS(Morgan

Stanle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R(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2 평균값은 UBS Warburg와 Barclays Capital의 망치를 더하여 산술평균한 값

자료 국제 융센터 주요국 경제성장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6: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2

주요국 투자은행들의 2008sim2009년 미국경제 망은 평균 12와 17

- 리먼 라더스의 경우 2009년에 미국경제가 더 둔화될 것으로 망

골드만삭스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망치를 각각 08와 10로 제시

가장 낙 인 망은 ABN Amro가 제시하는 2008년 17와 2009년

25

- 부분 투자은행들은 2008년 을 통과하고 2009년부터 안정 성장세

가 이어질 것으로 낙

리먼 라더스와 메릴린치는 2008년 모두 08 성장을 상하는 가운데

2009년은 각각 05와 06로 비 망을 제시

최근 융경색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

융시장과 주요 거시경제 지표가 차 개선

- 융시장의 불안감이 일단 해소

Bear sterns사에 한 JP 모건체이스의 인수합병과 구제 융 지원

10년 만기 회사채와 T-Note 유통수익률 격차 3개월 만기 유로달러

와 재무성 채권 리의 차도 상당폭 축소

- 그러나 미 연 과 주요 은행들은 출조건을 폭 강화하기 시작하여

융경색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

- 2008년 1사분기 GDP 성장률이 06로 양호한 가운데 4월 근원소비

자물가가 23에 머물러 인 이션 우려가 완화

ISM 제조업지수가 3월 496 4월 526으로 반등하고 서비스업지수 한

52로 상승하면서 경기 회복 국면을 시사

4월 비제조업 고용 감소는 2만 명에 그치고 실업률은 3월 51에서 4

월 50로 하락

하지만 앞으로 2sim3년 이내에 본격 인 경기 회복에 한 기 는 시기상조

- 주택경기 축 고유가에 따른 지출부담이 경기 회복에 무거운 장애요인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7: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3

3월 신규주택 매는 연 526만 채에 그쳐 월 비 85 감소

신규주택건설 착공은 연 947만 채로 월 비 119 감소하는 등 주

택경기가 빠르게 침체

- 주택투자 감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효과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효

과 감소는 경기 회복에 상당한 걸림돌

20 도시의 주택가격이 1월과 2월 에 각각 23와 27로 하락하는

등 주택경기 침체로 가격 락세가 지속

- 고유가에 따른 가계지출 부담이 연간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고유가에 따른 향으로 휘발유 소매가격이 연 갤런당 3달러 내외에

서 5월 379달러로 등

이 경우 6월부터 시행되는 1680억 달러 규모의 세 환 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을 망

고용 물가충격은 미국경제에 3sim5년간 향

불황을 완 히 극복하기까지 3sim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

-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6년간 지속20)

고용부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4년 동안 효과가 발생

하고 5년부터 안정

경제성장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물가와 고용에 3년 동안 향을 미

치고 4년부터 안정

- 소비자물가충격은 경제성장과 고용부문에 6년간 효과

유가충격은 거시경제 주요 지표에 상당한 혼란을 유발21)

- 경제성장과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기간 불규칙하게 지속

20)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1을 참조

21)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2를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8: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4

성장 고용 물가 성장 재정 경상수지 성장 고용 물가 유가dgdp due dcpi gdpt bztdef cadef dgdp due dcpi doil

C-0061

(-019)

-0042

(-036)

0033

(014)C

-845

(-007)

-5618

(-074)

443440

(12)C

00

(0002)

-0014

(-108)

-0275

(-185)

-2055

(-04)

α0094

(023)

-0403

(-28)

0831

(287)gdpt(-1)

-018

(-126)

0813

(803)

2308

(047)α1

-1543

(-248)

0184

(078)

1074

(396)

-836

(-088)

dgdp(-1)-0282

(-128)

0016

(021)

-0021

(-013)

bztdef(-1

)

000

(038)

00001

(088)

1039

(1472)α2

01

(035)

-0004

(-004)

0346

(289)

1563

(373)

due(-1)1306

(156)

-0440

(-146)

0735

(122)cadef(-1) dgdp(-1)

0842

(157)

-0453

(-221)

-059

(-252)

306

(037)

dcpi(-1)-0498

(-20)

009

(101)

0507

(283)dgdp(-2)

01

(077)

-006

(-056)

-039

(-344)

-638

(-160)

due(-1)065

(062)

-033

(-083)

008

(017)

-2051

(-127)

due(-2)-136

(-16)

069

(211)

022

(059)

-2516

(-194)

dcpi(-1)01

(026)

-007

(-052)

024

(143)

-147

(-026)

dcpi(-2)-0591

(-178)

027

(252)

-039

(-311)

-20

(-046)

doil(-1)-002

(-078)

001

(094)

004

(305)

045

(109)

doil(-2)-002

(-10)

001

(13)

001

(08)

027

(099)

고용 물가 유가충격이 경제성장과 각각의 거시지표에 미치는 효

과는 10년 동안 매우 불규칙한 형태로 지속될 것으로 상

둥이 자충격은 10년 이상 미국경제 성장에 향22)

-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자는 상호 의 상 계

재정 자보다 경상수지 자가 미국경제에 미치는 부정 인 충격이 큼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책으로 단기 거시경제정책인 반면 경상수지 자는

미국의 소비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

VAR VEC 모형에 의한 추정 계수

주 gdpt=실질 GDP 규모 dgdp=경제성장률 변화율 due=실업률 변화율 dcpi=소비자물가

변화율 bztdef=재정수지 자규모 cadef=경상수지 자규모 doil=유가 변화율 각 변수

의 호 안의 숫자는 lag order를 나타내며 각 추정계수의 호 안 숫자는 t-통계량

자료 한국은행 ECOS DB BLS DB BEA DB

2008sim2012년 미국경제는 연평균 12sim32 성장

2008sim2009년 미국경제는 1 성장을 보이면서 2012년까지 U자형으로 회복23)

22) 부록 2의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3을 참조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49: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5

- 2008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치는 -08sim12

- 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32로 잠재성장률 를 회복할 것으로 망되

나 2008년 미국경제가 마이 스 성장의 불황을 경험하게 될 경우 2012

년 경제성장률은 22로 다소 완만하게 회복될 망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 )

1222

32

2212

GDP 성장률 실측치

-08

21

423231

22

1212

02

-20

-10

00

10

20

30

40

5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GDP 성장률 예측치

주 2008sim2012년 GDP 성장률 측치는 1970sim2007년 미국 경제성장률의 평균 분산값을

이용한 이항분산(bivariate diffusion) 추정 식을 이용하여 합리 기 망치(Zone of the

reasonableness)의 의미로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도출하 음

즉 2008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38년간의 연평균 성장률의 평균 분산을 통해 각각 -08와

12로 추정되었으며 2009년 이후 추정값은 다시 이들 추정값을 포함한 39년의 성장률 평균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 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 범 를 결정하 음 부록 I 참조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008년 추정치 (-08 12 21)

12를 기 으로 망

- 최고 낙 인 향후 경제 망은 12(2008)rarr21(2009)rarr31(2010)rarr

32(2011)rarr42(2012)

- 미국경제 회복이 느리게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장률은 -08(2008)rarr

02(2009)rarr12(2010)rarr12(2011)rarr22(2012)

23) 2008sim2012년 미국 경제성장률 망은 1970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평균과 표 편차 그리고

Black-Scholes의 이항분포식을 이용하여 구하 음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0: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6

2008sim2012년 연평균 실업률은 51sim55

경기 둔화에 따라 고용부문이 불안정한 모습

- 2008년 실업률은 34sim76

- 경기 둔화와 함께 실업 증가의 구조 요인이 차 확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2007년 45만(12월) 명 수 에서 2008년 4월

35만 명 수 으로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성장 속에서 인 이션 험이 고조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스태그

이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

2008sim2012년 실업률 전망치

(단 )

실업률

5554

47 47 47

76 75 74 75 74

34 33 32 33 32

20

30

40

50

60

70

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실업률 추정 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실업률의

합리 기 망치인 34 55 76 등으로부터 2009sim2012년 실업률을 각각 망

2008sim2012년 실업률은 2008년 추정치 (34 55 76) 55를 기

으로 망

- 미국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경우 실업률은 34(2008)rarr33(2009)

rarr32(2010)rarr33(2011)rarr32(2012)로 3 반에서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업률은 76(2008)rarr75(2009)

rarr74(2010)rarr75(2011)rarr74(2012)로 불황 때의 실업률 지표를 보일 듯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1: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7

2008sim2012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24sim47

2008sim2010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32sim62에서 2012년 16sim32로 하

향 안정

-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설 경우 소비자물가는 62로 증

1970년 오일쇼크 때와 같이 물가 상승rarr임 상승rarr물가 재상승의 악

순환이 되풀이될 가능성

-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높은 실업률이 임 인상을 억제하고 소비심리도

상당부분 둔화됨으로써 비교 안정 일 것으로 기

하지만 이머징 마켓은 국 8 러시아 14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등 임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속도가 가 르게 진행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소 비 자 물 가

32

17 17 16 16

6261

33 32 32

0

1

2

3

4

5

6

7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소비자물가 추정방식은 GDP 성장률 추정방식과 같음 2008년 소비자물가의 합

리 기 망치는 32 62로 2009sim2012년 이후 소비자물가를 각각 망 단 소비자물가 추

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62) 32를 기

으로 망

- 유가가 안정되고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물

가는 32(2008)rarr17(2009)rarr17(2010)rarr16(2011)rarr16(2012)로 안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2: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8

- 하지만 미국의 경제 회복이 느려질 경우 소비자물가는 62(2008)rarr61

(2009)rarr33(2010)rarr32(2011)rarr32(2012)로 2sim3년 후 안정될 것으로

2008sim2012년 연평균 근원소비자물가 망치는 24sim33

- 식료품과 에 지가격을 제외한 미국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을 정 으

로 2010년 이후 18sim31 로 안정

미 연 의 목표 근원소비자물가는 2sim25로 2008sim2010년 망치는

13sim25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 전망치

(단 )

근원소비자물가

33

19 19 18 18

33 32 31 31 3

1

15

2

25

3

35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2008sim2012년 미국 근원소비자물가 추정 방식 역시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물가 추정 방식과

같음 2008년 근원소비자물가의 합리 기 망치는 32 33로 2009sim2012년 이후 근원소비

자물가를 각각 망하 으며 근원소비자물가 추정치가 lsquo음rsquo의 값을 가질 경우 극단 측치

(outliers)로 제외

2008sim2012년 근원소비자물가는 2008년 추정치 (32 19) 33를

기 으로 망

- 미국의 경제 회복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

(2008)rarr19(2009)rarr19(2010)rarr18(2011)rarr18(2012)로 안정

- 고유가의 충격이 지속될 경우 근원소비자물가는 33(2008)rarr32(2009)

rarr31(2010)rarr31(2011)rarr30(2012)로 3 를 유지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3: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39

경기 회복을 한 거시경제정책

재정팽창정책과 경상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성장과 lsquo정rsquo의 계24)

-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미국경제의 격한 침체를 지연시키는 역할

1970년 인스 학 이후 미국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때마다 정

부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재정지출을 확

- 경상수지 자 보 을 해 당분간 달러화 가치 약세가 지속될 망

미국의 리 인상과 달러화 강세는 거의 무

과거 네 차례의 리 인상 시기 세 차례는 달러화가 약세 한 차례

는 달러화 강세25)

경기침체 시기별 금리정책 비교

구분1차 시기

(rsquo777simrsquo804)

2차 시기

(rsquo8612simrsquo895)

3차 시기

(rsquo941simrsquo956)

4차 시기

(rsquo995simrsquo0012)

5차 시기

(rsquo046~rsquo078)

리 인상폭775p

(525rarr13)

3875p

(5875rarr975)

3p

(3rarr6)

175p

(475rarr65)

425p

(1rarr525)

리 인상 횟수 13회 11회 7회 6회 17회

달러화 가치

변동약세(-55) 약세(-99) 약세(-122) 강세(68) 약세(-187)

주요 특징

국제 융질서 달러화 불신 라자 합의멕시코

외환 기역 라자합의

IT 버블 붕괴

주택경기 버블

미국 GDP 성장세 둔화 고성장세 성장세 고성장세 성장세

미국 물가물가 등

(오일쇼크)

물가 등

(자산가격

버블)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물가 안정

미 경상수지 자 개선 자 심화 자 지속 자 심화 자 심화

미 재정수지 자 지속 자 심화 자 지속 흑자 지속자 반

지속

기타

79년 10월 폴

보커 FRB

의장 취임

-유가 상승

-선제 리

인상

-유가 안정

-선제 리

인상

-유가 상승

-미국이 세계

경제 견인

-유가 상승

-주택 버블

붕괴 야기

자료 ECOS DB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에 의거해 재정리

24) ARMA(10) 회귀식에서 GDP = 173913865 + 049(002)BZTDEF - 00016(0001)CADEF + [AR(1)=10] 미국 경제성장률은 재정수지 자와 lsquo정rsquo의 계 경상수지 자와 lsquo부rsquo의 계가 나타남 호 안의 숫자는 p-value

25) 달러화 가치는 달러화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 미국의 환율정책 미국의 경상재정수지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강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4: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0

- 2008년 선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고 의회의 다수당이 될 경우 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통해서라도 보호무역정책을 통한 경상수지

자를 보 할 것으로 상됨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5: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1

Ⅳ 종합 평가 시사

종합 평가

재 미국 경기를 종합 으로 단할 때 마일드 스태그 이션 험이 증가

- 재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한 가운데 향후 3sim5년 후 경기 회복세

가 시 될 가능성이 높음

- 2008sim2012년 동안 미국경제는 연평균 08sim32의 성장을 할 것으로

-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같은 기간 실업률

은 51sim55로 망

- 2008sim2012년까지 고유가에 따른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는 24sim47 근원소비자물가는 26sim33로 각각 망

- 경기 침체로 인해 재정확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상됨에 따라

재정수지 자가 속히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실업률 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미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경상수지 자를

일부 개선할 망

- 유가 안정은 미국과 세계경제 안정의 필요조건

향후 미국 리의 향방과 달러화의 가치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가 미국

경제 회복에 요한 건

미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약간 우세

2008년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한 기 속에 조정기에 이미 진입

- GDP 성장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12로 감속 성장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27sim30 임을 감안할 때 2008년은 잠재성장률

을 하회하는 성장에 그칠 망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6: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2

-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최 요인

고유가와 이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하된 가운

데 차입에 의존하는 소비가 한계에 착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이은 다른 신용 경색이 발생할 경우

소비심리 랭 투자심리 축이 우려

- 실물경제의 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달러화의 완만한 하락세를 통해 경

상수지 조정 과정이 진행

소비 둔화에 따라 경상수지 조정이 순조롭게 진행

재정 자 확 는 구축효과 등 장기 으로는 부정 향을 미치나 단

기 으로는 경기부양의 효과가 우세

경착륙의 가능성도 완 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둥이 자 확 가계부채 심화 등 재 내외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

할 경우 회복기반이 잠식되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음

- 소비 투자가 하반기 이후 둔화되면서 더블딥 상이 나타날 가능성

둥이 자 과다에 실질 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둔화를 래

리 효과는 차 소진될 망이며 2008년 하반기 인 이션 압

력 재발과 이에 따른 리 인상 조치가 이루어질 망

- 석유시장은 공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수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고유가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망

재 수 이상으로 유가가 등하는 경우 격한 소비 축 인

이션 압력이 가 되고 리도 당 계획보다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상

- 성 한 리 인상은 경기를 크게 악화시킬 망

주택경기 침제가 지속되고 자산시장의 장기 침체가 래될 경우

가계부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리가 단기에 등할 경우 가계 산 등이

래되어 경제불안이 가

경상수지 자가 지속될 경우 언제든지 격한 조정이 발생할 소지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7: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3

- 경상수지 해소를 해서는 재정수지의 개선이 제되어야 하나 부시 행

정부의 정책기조는 재정수지 자를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

- 격한 조정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락하고 리가 치솟을 경우

경기 침체와 인 이션을 동시에 수반하는 스태그 이션 발생도 우려

리 상승은 기업의 자 조달비용 인상과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를 통해 투자에 부정

세계경제 불안에 비

서 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세계경제에서 미국의 역할이 차 약

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

- 미국경제의 침체로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동반 하락할 가능성

경착륙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여 각국의

미 수출에 타격이 상

-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국 경기의 냉각을 발함으로써 세계경제의

양 성장 동력이 동시에 힘을 잃을 가능성도 있음

미국과 국 양 시장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 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100달러 이상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어 세계경제에

인 이션 압력이 완연

미국은 소비자물가 근원소비자물가의 격한 상승 압력이 보이지 않

고 있으나 이머징 마켓의 경우 아르헨티나 23 베트남 20 러시아

14 인도 13 국 8 등 이미 인 이션 압력이 가시화

인 이션 압력과 함께 임 도 가 르게 상승 러시아의 경우 임 이

년 비 30까지 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에 비하여 로벌 통상 략을 재 검

- 미국경제가 향후 5년간 조정 국면을 거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계경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8: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4

제의 둔화가 불가피하며 동반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외교역 조건부문에서 미 수출 부진 등 통상환경 악화가 우려되므로

안정 인 수출선 확보에 주력

미 수출의존도를 이고 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 력을 강화

아울러 미국과 국경제의 랭 리스크에 비하여 유럽 남미경제에

한 교역 경제 력도 강화

- 달러화 약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경제의 환율 상 가능성에

한 투기성 단기 자본의 유입이 상

1997년 아시아 외환 기와 유사한 상황이 개될 가능성에 비

험 리와 경쟁력 강화로 응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

- 개방을 통해 경쟁을 진함으로써 외부충격에 한 내성을 강화하고

로벌 경제정책의 유연성을 제고

- FTA는 개방을 통해 한국경제가 제2의 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략

수단이므로 국가의 장기 략 차원에서 극 추진

한 일 FTA와 장기 인 FTAAP를 지향

외 여건 변화에 응하여 경제체질을 강화

- 한국경제는 수출 주도형으로 미국의 경기 흐름이 결정 변수로 작용

- 향후 미국과 세계경제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다양한 리스크

요인의 발발에 비

- 서비스 등 내수산업을 략 으로 육성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잡힌 경제구조로 환할 필요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59: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5

- 국제 융시장의 격한 동요에 한 험 리 강화

미국의 리 인하기조가 리 상승기조로 바 면서 국제자본의 흐름이 재편

되고 이 과정에서 리 환율 주가 등의 융지표의 변이 발생 가능

국제자본의 움직임과 국제 융시장의 동향을 더욱 정 하게 악

- 국제 융시장의 기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한 비책을 마련

리 인상에 달러화 약세까지 겹치면 향후 한국의 수출환경은 크게 악

화될 망

국제 리 상승에 따른 리 상승은 부동산가격 하락 가계부실 심화 등

으로 내수 경기를 더욱 축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0: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6

lt참고문헌gt

곽수종 (2005) 985170고유가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향985171『석유』 21(2)

100-127

이 규 김종 고희채 (2008) ldquo미국경제 동향 망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이인구 오승환 (2008) ldquo미국의 경기변화가 한국 경기에 미치는 향rdquo

외경제정책연구원

재 (2004) ldquo최근 미국경제 흐름과 향후 망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_____ (2005) ldquo미국경제 조정 국면 진입하나rdquo (CEO Information 제519호) 삼

성경제연구소

정 식 고경일 (2003) ldquo달러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 진단과 시사 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정 식(2004) ldquo미국의 리인상과 달러화 향방rdquo (SERI Issue Paper) 삼성경

제연구소

한상곤 임희정 (2008) 985170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985171 (한국경제주평

291) 경제연구원

Bergsten F (2007 2 1) The Current Account Deficit and the US

Economy Speeches Testimony Papers Peterson Institute

Blinder Alan amp R Reis (2005) Understanding the Greenspan Standard

Conference paper in FRB of Kansas City Symposium (pp 1sim87)

September 12 2005 Princeton University

EIU (2008 5) Country Risk Service United States of America

Green E J and Porter R H (1984) Noncooperative Collusion under

Imperfect Price Information Econometrica 52(1) 87-100

IMF (April 2008) World Economic Outlook

JCT (2008 2 28) Estimated Budget Effect of the Economic Stimulus Act

of 2008

Justiniano A Primiceri G amp Tambalotti A (2008)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 (Staff Report 322 March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1: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7

Kliesen K (2003) The 2001 Recession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oach S (2005 9) Teh Shoestring Economy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Comment

Rotemberg J J and Saloner G (1986) A Supergame-Theoretic Model of

Price Wars During Booms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390-409

Sbordone A (2008) Globalization and Inflation Dynamics The Impact of

Increased Competition (Staff Reports 324 April 2008)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erizan P (1985) OPEC The Inside Story London Zed books

Wachovia Economics Group (2007 12) 2008 Annual Outlook Wachovia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2: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8

부록 Ⅰ 주요 거시경제 지표의 망치 추정 방식

step 1) 1971sim2007년간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추정

step 2) 2008년 망치는 과거 시계열자료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 lsquoSquare root

of timersquo 방식에 의한 추정식

①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05표 편차

②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표 편차

③ GDP2008 = 평균값1970sim2007 plusmn 2표 편차

step 3) 추세 분산 모델(Stochastic volatility model)을 이용한 이항분산 망

치 추정(bivariate diffusion)

step 4) 합리 기 망치 = 가장 빈도수가 높은 망치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3: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49

-08

-06

-04

-02

00

02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0

01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6

08

10

12

14

16

1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부록 Ⅱ 그림 1

VEC(Vector Error Correction) 모델을 이용한 충격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4: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0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1

00

01

02

03

0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5: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1

00

05

10

15

2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10

-09

-08

-07

-06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2

14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6: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2

100

102

104

106

108

110

11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10

0

1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32000

-28000

-24000

-20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GDPAMNT Innovation

그림 2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7: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3

-80

-60

-40

-20

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BZTDEF Innovation

10

20

30

40

50

60

7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BZT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8: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4

0

2

4

6

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AMNT to One SD CADEF Innovation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BZT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32000

36000

40000

44000

480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ADEF to One SD CADEF Innovation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69: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5

-05

00

05

10

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GDP Innovation

-08

-07

-06

-05

-04

-03

-02

-01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GDP Innovation

-02

00

02

04

06

08

1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GDP Innovation

-12

-8

-4

0

4

8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GD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UE Innovation

02

03

04

05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UE Innovation

-02

-01

00

01

02

03

04

0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UE Innovation

-4

-2

0

2

4

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UE Innovation

그림 3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
Page 70: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미국경제전망cfs12.blog.daum.net/attach/15/blog/2008/08/29/06/42/48b71bb03a2… · 미국경제전망 목차 요약 Ⅰ.최근미국경제의흐름

서 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 망

삼성경제연구소 56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CPI Innovation

-010

-005

000

005

010

01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CPI Innovation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CPI Innovation

-3

-2

-1

0

1

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CPI Innovation

-04

-02

00

02

04

06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GDP to One SD DOILP Innovation

-03

-02

-01

00

01

02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UE to One SD DOILP Innovation

-12

-10

-08

-06

-04

-02

00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CPI to One SD DOILP Innovation

-5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Response of DOILP to One SD DOILP Innovation

  • Ⅰ 최근 미국경제의 흐름
  • Ⅱ 과거의 미국 경기 침체 사례
  • Ⅲ 2008sim2012년 미국경제 전망
  • Ⅳ 종합 평가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