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행사 안내 년 추계학술대회 일정 미정 장소 미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게재원고 모집 본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회지 한국영유아보육학 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년부터 연 회 발간됩니다 많은 투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학회지 호수 논문제출 시기 논문출판일 제108집 2017. 10. 1 ~ 10. 20 2018. 1. 1 제109집 2017. 12. 1 ~ 12. 20 2018. 3. 1 제110집 2018. 2. 1 ~ 2. 20 2018. 5. 1 제111집 2018. 4. 1 ~ 4. 20 2018. 7. 1 제112집 2018. 6. 1 ~ 6. 20 2018. 9. 1 제113집 2018. 8. 1 ~ 8. 20 2018. 11. 1 논문투고요령은 학회 홈페이지 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행사 안내 - kce.or.kr · 서울 롯데백화점어린이집 호점 원장 온규홍 사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법인단체등분과위원장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행사 안내

1. 2018년 추계학술대회

1) 일정 : 미정

2) 장소 : 미정

2. 한국영유아보육학회 게재원고 모집

본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회지 「한국영유아보육학」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2014년부터 연 6회 발간됩니다. 많은 투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학회지 호수 논문제출 시기 논문출판일

제108집 2017. 10. 1 ~ 10. 20 2018. 1. 1

제109집 2017. 12. 1 ~ 12. 20 2018. 3. 1

제110집 2018. 2. 1 ~ 2. 20 2018. 5. 1

제111집 2018. 4. 1 ~ 4. 20 2018. 7. 1

제112집 2018. 6. 1 ~ 6. 20 2018. 9. 1

제113집 2018. 8. 1 ~ 8. 20 2018. 11. 1

* 논문투고요령은 학회 홈페이지(www.kce.or.kr)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임원명단(2018. 1. - 2019. 12.)

◈ 고 문

김영모 (전 중앙대 부총장)

◈ 명예회장

표갑수 (전 청주대 부총장)

◈ 회 장

정효정 (중원대 아동보육상담학과 교수)

◈ 부회장

김익균 (협성대 아동보육학과 교수)김진이 (백석대 사회복지학부 교수)김혜순 (동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박진옥 (동원대 아동보육복지과 교수)

이서영 (한경대 아동가족복지학과 교수)장영인 (한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한유미 (호서대 유아교육학과 교수)

◈ 이 사

곽은순 (가천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구은미 (동의대 보육가정상담학과 교수)권귀염 (전남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권은주 (동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권혜진 (순천향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김동례 (송원대 유아교육과 교수)김세곤 (동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김숙령 (배재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김숙이 (호원대 유아교육학과 명예교수)김은정 (한양여대 아동보육복지과 교수)김일옥 (삼육대 간호학과 교수)김지은 (건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김창기 (한국교통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김태동 (김포대 사회복지과 교수)노성향 (대구대 가정복지학과 교수)문혁준 (가톨릭대 아동학과 교수)박경자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박숙희 (협성대 아동보육학과 교수)박영아 (대진대 아동학과 교수)박형신 (강릉원주대 유아교육학과 교수)배양자 (동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백경숙 (경북대 아동학부 교수)서영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과 명예교수)서혜전 (대구한의대 아동복지학과 교수)양승희 (서일대 유아교육과 교수)

염지숙 (건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오채선 (한국교원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유구종 (강릉원주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윤수정 (상지영서대 사회복지과 교수)윤혜미 (충북대 아동복지학과 교수)이명희 (호산대 유아교육과 교수)이미란 (서울한영대 유아특수재활학과 교수)이석순 (수원여대 유아교육과 교수)이성한 (고신대 아동복지학과 교수)이유미 (가천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임부연 (부산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장경은 (경희대 아동가족학과 교수)장혜자 (대덕대 영유아보육과 교수)정미라 (목포가톨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정민자 (울산대 아동가정복지학과 교수)정병오 (서일대 사회복지과 교수)조성연 (호서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진경희 (군장대 사회복지계열 교수)채영란 (호남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최대훈 (서원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최민수 (광주대 유아교육학과 교수)최혜영 (창원대 가족복지학과 교수)홍금자 (일본 동경복지대 대학원 교수)황미경 (서울기독대 사회복지학과 교수)황성원 (건양대 아동보육학과 교수)

◈ 재무이사

이숙희 (중앙대 명예교수) 윤덕현 (해피아이국제보육봉사단 고문)

◈ 감 사

정금자 (대구대 유아교육학과 명예교수) 김두종 (비봉어린이집 원장)

◈ 연구윤리위원회

표갑수 (전 청주대 부총장)

김동춘 (총신대 유아교육학과 명예교수)

서영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과 명예교수)

오영희 (배재대 유아교육학과 명예교수)

이서영 (한경대 아동가족복지학과 교수)

한유미 (호서대 유아교육과 교수)

◈ 총무위원회

김태동 (김포대 사회복지과 교수)

김현진 (청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문지희 (목련어린이집 원장)

박사빈 (SPL유아심리연구소장)

신나리 (충북대 아동복지학과 교수)

윤정란 (성균관대 아동청소년학과 겸임교수)

◈ 연구기획위원회

김의향 (인하대 아동심리학과 교수)

권희경 (건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

김종필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육길나 (건양대 아동보육학과 교수)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원)

최창한 (경기보육정책포럼 회장)

◈ 편집위원회

이재완 (공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권은주 (동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

김영옥 (전남대 유아교육학과 교수)

김현정 (제주한라대 유아교육과 교수)

장영인 (한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황옥경 (서울신학대 보육학과 교수)

◈ 홍보위원회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사업지원국장)

김은경 (동국대 유아교육학과 교수)김정화 (목포대 아동학과 교수)

마미정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

이창수 (에듀케어아카데미 대표)

이희주 (EK(주)키드키즈 대표이사)

◈ 대외협력위원회

윤재석 (인천광역시청 보육정책팀장)

공병호 (오산대 아동보육과 교수)

류승표 (어린이집안전공제회 경영기획국장)

임부영 (법무법인 길도 변호사)

장문규 (한국부모교육협회 대표)

허 억 (가천대 안전교육연수원장)

◈ 산학협동위원회

임동진 (충북 남이어린이집 원장)

곽문혁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

권수진 (서울 다솜어린이집 대표)

김경숙 (경기도어린이집연합회장)

김미나 (경기 푸른숲어린이집 원장)

김성대 (전국영아전담어린이집연합회장)

김수현 (충북 설성어린이집 원장)

김영숙 (경북 평해어린이집 원장)

김옥심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장)

김옥향 ((사)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경기지부회장)

문순정 (광주 예은몬테소리어린이집 원장)

박명하 (서울시어린이집연합회장)

박 영 (경북 입실어린이집 원장)

박은숙 (제주 뽀뽀뽀어린이집 원장)

손애경 (부산 봉래어린이집 원장)

송부선 (충남 금풍어린이집 원장)

송영화 (부산 새싹어린이집 대표)

양안숙 (광주 참좋은어린이집 원장)

오덕임 (서울 롯데백화점어린이집 1호점 원장)

온규홍 ((사)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법인단체등분과위원장)

이근철 (전남 푸른어린이집 원장)

이기행 (서울 영삼어린이집 원장)

이명숙 (인천 좋은나무어린이집 원장)

이 라 ((사)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가정분과위원장)

이정아 (경기 참뜻어린이집 원장)

이흥재 (서울 서원어린이집 원장)

임진숙 ((사)충북어린이집연합회장)

장진환 (충남 알프스어린이집 원장)

정명자 (서울 네이처힐3단지어린이집 원장)

정춘자 (경북 봉화어린이집 원장)

한재금 (전남 한재어린이집 원장)

홍복자 (대구 선린어린이집 원장)

황연옥 (서울 둔촌어린이집 원장)

※ 밑줄친 부분은 운영위원장임 / 가, 나, 다 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춘계학술대회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논문 발표 자료집

한 국 영 유 아 보 육 학 회

인 사 말 씀

영유아보육법(제11조)에 의거, 보건복지부는 새 정부의 국정 철학과 정책 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18~’22)」을 마련하였습니다.

그간의 보육정책 성과와 한계를 토대로 기본계획에 따라 연도별 세부 시행계획을 수

립․시행하고 매년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수정․보완해나갈 방침임을 시사했습니다.

주지하신 바, 제3차 계획은 보육분야 국정과제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

실현을 위한 보육의 공공성과 서비스 품질향상 관련 4대 분야 14개 과제를 제시하고 있

습니다. 예컨대 “영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함께하는 사회”를 비전으로 보육의 공공

성 강화,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품질향상, 그리고 부모양육 지원 확대에 대한 정책

과제를 설정했습니다.

이를 위한 추진 전략으로 다양한 방식의 국공립어린이집 확충(국공립이용률 40%로 확

대, 매년 450개소)과 공공성을 강화(위탁 운영방식 개선, 취약보육 의무 확대 등)하고, 영

유아의 적정한 발달과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표준보육비용 재계측(‘18)과 표준보육과정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아울러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강화와 보육환경 개선을 통하여 보

육서비스 품질향상을 견지하는 한편 부모의 양육역량강화 지원 방안도 다각도로 모색하

고 있습니다.

이에 본 학회에서는 정규 2018 춘계학술대회를 맞이하여 주요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심도있고 유연성 있는 토론의 장을 준비했습니다. ‘영유아 권익 최우선’을 바탕으로 보육

의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균형적이고 효율적인 보육정책 수행을 위하여 각계각층의 열

성과 더 큰 수고를 기대합니다.

늘 긴박한 보육 현실에서 난해하고 민감한 주제에도 발표와 토론, 그리고 좌장의 직분

으로 기꺼이 응해주신 여러 선생님들의 노고와 헌신에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또한 바

쁘신 일정 속에서도 변함없는 애정의 발걸음을 재촉하실 우리 참가자 여러분...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보고인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반가움과 설렘으로 기다리겠

습니다. 거듭 고맙습니다.

2018. 6.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회 장 정 효 정

학 술 대 회 일 정

※ 학술대회 첫째날 - 2018. 6. 7. (목)

■ 13:00~14:00 - 등 록

■ 14:00~14:20 - 개회식

사 회: 김태동 (김포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개회사: 정효정 (본 학회장, 중원대학교 아동보육상담학과 교수)

제1부<14:20~18:10> 기조강연, 기획주제 발표 및 토론

좌장: 김창기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기조강연 (14:20~14:50)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발표 : 정효정 (본 학회장, 중원대학교 아동보육상담학과 교수)

■ 제1주제 (14:50~15:50)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발표 : 김은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토론 : 김동례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하은경 (경기도국공립어린이집연합회 부회장)

김영숙 (경북 평해어린이집 원장)

■ 휴 식 (15:50~16:10)

■ 제2주제 (16:10~17:10)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발표 :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원)

토론 : 김진이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곽문혁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

박은숙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법무위원)

■ 제3주제 (17:10~18:10)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발표 : 장영인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토론 : 김옥심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장)

장두옥 (전국공공형어린이집연합회장)

이정미 (전국공동주택어린이집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휴식 및 객실배정 (18:10~19:00)

■ 리 셉 션 (19:00~20:30)

■ 이 사 회 (20:30~21:30) 2층 로즈홀 (산학협동위원도 꼭 참석바랍니다.)

학 술 대 회 일 정

※ 학술대회 둘째날 - 2018. 6. 8. (금)

■ 조식 및 다과 (07:00~09:00)

제2부<09:30~11:30> 기획주제 발표 및 토론

좌장: 백경숙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교수)

■ 제4주제 (09:30~10:30)

보육교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발표 :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사업지원국장)

토론 : 최병태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장)

정경진 (충청북도육아종합지원센터장)

김정연 (제주사회복지법인분과위원장)

■ 제5주제 (10:30~11:30)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발표 : 이미화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토론 : 김의향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교수)

이 라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가정분과위원장)

현은주 (은현어린이집 원감)

제3부<11:30~12:00> 종합토론 : 보육정책 집담회

사회자 : 표갑수 (본 학회 명예회장, 전 청주대학교 부총장)

패 널 : 전재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주제발표자

■ 포스터논문 시상식 (12:00~12:10)

■ 중식 (12:10~13:10)

제4부<6월 8일 14:00 ~ 6월 9일 16:00> 보육기관 방문 및 문화시설 탐방

․ 보육기관 방문 및 문화시설 탐방 신청자는 오후 2시까지 호텔 앞 관광버스(한국영유아보육

학회 표시확인) 탑승바람

목 차

기획주제 발표 및 토론

[ 기조강연 ]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1

발표 : 정효정 (본 학회장, 중원대학교 아동보육상담학과 교수)

[ 기획1주제 ]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21

발표: 김은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토론: 김동례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하은경 (경기도국공립어린이집연합회 부회장)

김영숙 (경북 평해어린이집 원장)

[ 기획2주제 ]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51

발표: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원)

토론: 김진이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곽문혁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

박은숙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법무위원)

[ 기획3주제 ]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89

발표: 장영인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토론: 김옥심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장)

장두옥 (전국공공형어린이집연합회장)

이정미 (전국공동주택어린이집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목 차

[ 기획4주제 ]

보육교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33

발표: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사업지원국장)

토론: 최병태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장)

정경진 (충청북도육아종합지원센터장)

김정연 (제주사회복지법인분과위원장)

[ 기획5주제 ]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61

발표: 이미화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토론: 김의향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교수)

이 라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가정분과위원장)

현은주 (은현어린이집 원감)

포스터발표

포스터 발표

보육교직원 재교육지원 개선 및 요구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 차이

··················································································································· 191

발표 : 이옥경 (부산여성가족정책개발원 부연구원)

안영혜 (한국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수업계획안 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193

발표 : 안영혜 (한국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유아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195

발표 : 박정미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전공 박사과정)

홍순옥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전공 교수)

김영미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전공 박사과정)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

····················································································································· 197

발표 : 주은정 (한남대학교 상담학과 박사수료)

조호운 (University of North Alabama, Famili Studies 석사과정)

‘도시숲’ 체험활동이 유아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 199

발표 : 방희영 (인하대학교 교육학전공 박사과정)

포스터발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시간제보육에 대한 부모, 교사, 센터장의 경험과 어려움

··················································································································· 201

발표 : 안혜정 (제주관광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이연승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임수정 (경성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박사과정)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3

발표 : 이연승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최진령 (부산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

한경자 (수영동산어린이집 원장)

곽미금 (경성어린이집 원장)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 205

발표 : 하연수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석사과정)

김혜순 (동국대학교 유아교육전공 교수)

어머니 문지기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통제를 중심으로

··················································································································· 207

발표 : 이영환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교수)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특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211

발표 : 김영미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김형재 (유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홍순옥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포스터발표

유아교사의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통해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

··················································································································· 213

발표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박희경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에 미치는 영향

····················································································································· 217

발표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손환희 (부산대학교 SSK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 전임연구원)

그림책 속에 나타난 영유아의 대화 분석

····················································································································· 219

발표 : 최병순 (호서대학교 인재개발학부 유아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한유미 (호서대학교 인재개발학부 유아교육학 교수)

기조강연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발표 : 정효정 (본 학회장, 중원대학교 아동보육상담학과 교수)

- 3 -

기조강연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정 효 정*1)

Ⅰ. 추진 배경

- 보육정책의 성과와 한계점을 토대로 새 정부의 국정 철학과 정책 환경 변화에 부합하

는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마련함(영유아보육법 제11조, 보건복지부).

- 제3차 기본계획은 보육분야 국정과제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 실현을

위한 보육의 공공성과 서비스 품질향상 관련 4대 분야 14개 과제 제시함.

Ⅱ.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추진방향 및 성과 지표

1. 비전 및 체계도

“영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함께하는 사회”를 비전으로 보육의 공공성 강화, 보육

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품질향상, 부모양육지원 확대의 4개 분야 14개 추진과제 설정

* 본 학회장, 중원대학교 아동보육상담학과 교수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4 -

2. 정책 과제 및 추진 전략

- 정부의 보육서비스 지원에 대한 부모 체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

- 특히, 공공성 제고와 보육서비스 질 강화 방안에 집중 추진

1) 보육의 공공성 강화

◎ 다양한 방식의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및 지역적 균형 확충을 통해 보육의 양

적인 공공성 확충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40%로 확대)

(1) 지방의 국공립 확충 및 균형 배치 여건 개선

- 신축 지원 단가 인상, 지자체 자체설치 시설 인건비 지원 등 지자체의 재정부담

완화(~‘22)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5 -

- 서울-지방 간 재정적 여력에 대한 고려 없는 획일적인 국고보조율(50%)을 개선한

차등보조율 도입 검토(~‘22)

- 각 시․군․구별 연 1개소 이상 확충 및 국공립어린이집이 없는 보육수요 1천명

이상의 읍․면․동 우선 설치(~‘22)

* 농어촌 사회복지법인 등 기존 정부지원 시설의 전환 추진

(2) 국공립어린이집 확충방식 다양화

- 국공립어린이집 설치를 위한 시설 부지 확보(‘18)

* 부모 접근성이 높은 공동주택(500세대 이상) 관리동 어린이집을 국공립어린이

집으로 설치 의무화

* 공공임대주택 단지 내 의무 설치, 국공유 재산의 무상사용, 공공청사․학교 내

유휴 공간 활용 등 국공립 확대 기반 조성

- 기존 우수한 민간어린이집을 장기 임차하여 국공립으로 전환하는 국공립 장기 임

차 방식 신규 도입(‘18)

* 기존 민간어린이집의 국공립으로의 매입․전환 활성화를 위해 매입 지원액(‘17

년 국비 2.1억원) 현실화

(3) ‘22년까지 매년 450개소 이상 확충 추진

- 매년 확충 추이 점검과 함께 출산 동향, 국공립 유치원 확충에 따른 유아 수요

등 종합적 환경 고려를 통해 매년 목표 설정

◎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방식 개선, 취약보육 운영 의무 확대 등 국공립

운영의 공공성 강화

(1) 국공립어린이집의 공적 역할 확대

- 위탁체 자격 기준․선정 절차․사후모니터링 등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운영 전반

에 걸쳐 공공성 및 공정성 확보(~‘22)

- 개인중심의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방식을 공공성․책임성이 강화된 운영방식으

로 전환(~‘22) (위탁현황, ’17.6월, 개인 55.8%, 법인 33.1%, 사회적협동조합 0.6%)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6 -

* 위탁체 선정 시 사회적 경제조직 및 공공기관을 우선 고려하고, 신규 설치시설

의 개인 위탁 최소화 방침(40%이하로 축소)

* 장기간 위탁에 따른 사유화를 제한하고, 공개경쟁을 활성화하여 우수 위탁체

선별 및 공공성 확보

- 국공립의 취약보육 운영 의무 확대(‘18)

* 취약보육 제공과 함께 모든 국공립어린이집이 부모참여가 보장되는 열린어린이

집으로 운영되도록 선도모델 제시 및 부모참여 지원

(2)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등 질 관리체계 운영

- 신설․민간 전환 과정에서 국공립의 공공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사전컨설팅, 평

가․현장실사 등을 수행할 전담 지원체계 운영(‘18)

* 민간어린이집 장기임차대상 선정 시 대상자 기준 엄격 관리 및 장기임차 후 매

입 전환 확대를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실시

- 국공립 확충 등 공공보육을 전담하는 조직(예: 공공보육과) 신설 추진 및 확충 관

련 제도 개선을 위한 부처 간 협의체 구성(‘18)

◎ 직장어린이집 활성화

(1) 직장어린이집 직접 설치 확대 및 의무이행률 90%로 확대

- 사업장 사전 신고 방식으로 전환 등 설치의무 이행 수단 개편(‘19)

- 위탁보육을 예외적 허용(보육수요가 극히 적거나 업종 성격상 직접 설치가 어려

운 경우 등)으로 최소화하여 어린이집 직접적인 설치 확대(~‘22)

- 실제보육수요에 맞는 적정규모의 직장어린이집 설치가 되도록 사업장 내 보육수

요를 고려한 최소 설치 기준 마련(~‘22)

* 파견 근로자 등 비정규직의 보육수요를 고려해 사업장의 설치 의무대상 여부

선정

(2)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 지원 확대

- 중소․영세 사업장 노동자를 위해 지자체 협업형 직장어린이집 설치 확대(고용부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7 -

협조)

* 자치단체가 부지 제공 시 어린이집 기부체납 형식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규정

보완 (‘17.12월 지방자치단체 공유재산 운영 기준 개정)

- 중소기업(산업단지형 포함) 공동직장어린이집 확충을 위해 관계 부처 협조체계

구축

(예: 고용부 협조, 산단형 수요 발굴 및 산단공의 대표사업주 역할(산업부), 산단

내 직장어린이집 부지 확보 의무화(국토부), 인․허가 절차 (복지부) 등)

◎ 어린이집 운영의 건전성 제고

(1) 공공형어린이집 관리 강화

- 우수 민간․가정어린이집이 국공립 수준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회계투명성

확보, 수요자 중심성 강화 등 관리강화(~‘22)

* 어린이집 운영 상태에 따른 맞춤형 재무회계 컨설팅 의무화로 투명성 제고

* 특별활동비 등 기타 경비에 대한 수납통제 강화, 부모가 원하는 경우 취약보육

서비스 제공을 원칙적으로 의무화 (수납한도액 미준수시 선정취소)

* 재선정 기준을 선정 기준 수준으로 강화, 운영기준 점검을 2년차까지 확대하여

사후 품질관리 강화

- 역량 있는 보육교사 확보 등을 위해 인건비 등 지원 기준 인상

(2) 협동조합 등 비영리적 운영주체 참여 보장

- 보육관련 사회적협동조합(‘17.10월, 56개소)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등 협동조합

설치․운영 등 지원 방안 마련(~‘22)

(예: 수탁관련 가이드라인, 담당 공무원 인식개선 워크숍 개최 등 교육 강화)

-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 등의 국공립 전환 등 시설유형간 조정을 위한 정비․

지원 방안과 법 체계 개선 검토 연구 실시(~‘22)

(3) 어린이집 관리 역량 강화

- 어린이집 운영의 전문성과 리더십 강화를 위한 원장 자격 기준 요건 강화(‘19~)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8 -

* 현행보육교사 1급 이상 자격취득 후 보육업무 1년 이상(가정어린이집, 4년 경

력 요), 3년(가정어린이집 외, 6년 경력 요) 기준을 강화하여 경력자의 전문성

운영 담보(유치원 원장은 유치원 2급 정교사 취득 후 9년 교육경력 요함)

- 원장을 보조하여 어린이집 행정 업무 등을 담당할 중간관리직 신설(~‘22)

(4) 어린이집 재정 건전성 강화

- 어린이집의 부채 인정 비율 개선(~‘19)

* 유치원과 동일한 0%수준으로 정비(현, 부채 인정비율 50%)

* 신규시설 우선 적용, 기존시설 유예기간을 두어 단계적 개선

(민간․가정어린이집 중 46.2%가 부채 보유, ‘17.6월 정보공시)

- 어린이집 재무회계규칙 개정으로 기타운영비(건물임대료, 건물융자금, 차량할부

금) 등의 지출한도액을 보육료 수입의 15% 이하로 축소

* 적립금, 차입금 등에 보육료의 과도한 지출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 마련

2) 보육체계 개편

◎ 어린이집 이용 및 지원 체계 개선

(1) 어린이집 보육 지원 체계 개선 추진(‘18~)

- 국가가 기본으로 보장하는 ‘표준보육시간제 도입’

* 어린이집 이용 현황, 보육교사 8시간 근로여건 보장 등을 고려한 보육시간․운

영시간․이용시간 간 개념 구분

* 부모가 필요에 맞춰 어린이집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시간 다양화

(예: 표준보육시간을 기준으로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으로 다양화)

- 어린이집 보육시간에 맞춘 등․하원시간 규정 및 준수 유도

(2) 부모 선택 기제 보장과 적정 보상체계 마련(‘18~)

- 부모 이용의사, 이용시간과 무관한 보육료 지원체계를 개선, 어린이집 이용 시 자

발적․합리적 부모 선택이 가능한 기제 도입

* 영유아돌봄을 위해 기준보다 적은 시간 이용 시 가정양육 지원을 위한 추가 지원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9 -

- 보육료 지원과 연계한 보육시간에 적합한 보육서비스 제공(맞벌이 등 장시간 보

육서비스 실수요층 요구에 대한 시간연장보육, 초과근무수당 제공 등으로 적정보

상지원)

- 보육현장의 수용성 확보를 위한 전문가, 학부모, 어린이집의 의견 수렴 절차 마련

◎ 표준보육비용 산정 및 적정 보육료 지원

(1) 표준보육비용(인건비, 교재교구비, 급간식비, 관리운영비, 시설설치․운영비)의 재

계측

- 영유아의 적정한 발달과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표준보육비용 재계측(‘18)

* 물가변화와 시설규모․유형, 지역 및 이용시간을 고려한 계측

- 표준보육비용 계측 주기와 절차 등을 법령으로 규정 검토(~‘22)

(2) 적정 보육료 지원 및 부모부담 기준 정비

- 표준보육비용을 토대로 적정 보육료 지급 기준 마련(~‘19)

* 보육시간, 보육과정 특성(연령, 장애아 등), 어린이집 특성(규모) 등을 고려

- 경력교직원 채용과 적정 인건비 지급을 담보할 수 있는 보육료지원 방식 개선(‘19)

◎ 보육과정 개선

(1) 영유아 특성에 맞춰 표준보육과정 개선

- 영유아교유 수요 변화, 누리과정 개편 등 환경 변화를 반영해 연령과 발달수준에

맞춘 표준보육과정 개정 추진(‘19)

* 특히, 하루 일과 중 영유아 놀 권리 및 균형적 발달 보장(‘16.5월 아동권리헌장

발표)

- 표준보육과정의 확산․반영을 위해 보육교사 양성과정 및 직무교육 반영, 보육과

정 컨설팅, 평가제 도입 등 관련 제도 연계 강화(‘19)

(직접 관찰, 1:1컨설팅, 모범사례 동영상 제작․배포 등 교육방식 다양화)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10 -

(2) 특별활동 개선 및 운영 합리화

- 평가인증 반영 개선으로 과도한 특별활동 참여 유인 방지(‘18)

- 부모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별활동 운영기준 개선(‘19)

* 특별활동의 투명한 운영을 위해 정보공시 기록 의무준수유도 및 운영규정 준수

를 위한 지도․감독 관리 철저(특활대상, 운영시기, 대체프로그램 제공, 수납한

도 준수)

- 특별활동 공급기관 등록제도 도입 검토(‘19)

* 특별활동 제공기관, 운영과목, 강사 등의 등록으로 특별활동 제공 수준을 파악

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하여 부모의 알 권리 보장

3) 보육서비스 품질향상

◎ 보육교사 전문성 강화

(1) 보육교사 학과제도 도입

- 자격체계를 1․2급 중심으로 재편, 유치원 교사와의 양성체계 및 자격격차 해소

* 대학을 통한 보육교사 신규 자격 취득 활성화

* 대학 외 보육교사교육원, 학점은행제 교사 양성과정의 개선 추진

- 어린이집-유치원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영유아교사 자격 신설 방안(~‘22)

* 공통 자격과 교육과정 신설에 필요한 기초자료수집(교사 실태조사 선행 실시)

(2) 보수교육 과정 내실화

- 신규진입, 경력단절 후 복귀, 보수교육 이수 횟수 등을 고려한 보수교육 커리큘럼

다양화를 통해 교육의 효과성 제고(‘19)

* 온라인교육 인정범위 개선, 실습 및 집합교육이 필요한 과목은 오프라인 이수

* 개별상황에 맞춰 보수교육 이수할 수 있는 필요과목 선택적 이수 등 보수교육

과정 구성 방식 개선(교과목을 필수와 선택으로 나누어 일부분을 자유롭게 선택)

- 보수교육 참여, 보육과정 준비를 위한 ‘어린이집 방학’ 도입 검토(‘20)

(보육수요에 따른 공백이 없도록 시간제보육 연계 등 대체 돌봄서비스 제공)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11 -

(3) 체계적 보수교육 운영을 위한 종합관리

- 각 시․도별로 개별 위임된 보수교육 체계적 관리를 위해 보수교육 총괄관리기관

운영 및 보수교육 기관 평가․관리(~‘19)

* 표준 커리큘럼 관리, 보수교육 강사 관리, 교육기관 선정 및 평가, 온라인 교육

총괄 등의 종합관리로 지역별․기관별 편차 해소

- 분산 관리되고 있는 보육교사 정보시스템 통합으로 보육교사 이력 종합 관리체

계 구축 및 연차별 맞춤형 보수교육 지원(‘19)

◎ 보육교사 적정 처우 보장

(1) 보육교사의 적정 임금 지급 보장

-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의 급여수준을 국공립유치원 수준으로 개선 추진(‘19)

* 최저임금 인상 등을 계기로 한 보육료 인상 지원으로 국공립․민간 간 격차 해

소 및 우수 인력 진입 유도

* 보육교사 업무 난이도, 임금수준 등을 고려하여 적정 교사 근무환경 개선비 지

원 등 급여를 통한 처우개선

- 보육교사 적정 근로시간 보장 및 초과근무수당 지급보장 체계 마련(‘18)

(2) 보육교사 보조인력 지원 확대

- 담임교사의 업무부담 경감을 위해 보조교사 지원 확대(~‘22)

- 보육교사 보수교육 참여, 연가 등의 지원을 위한 대체인력 확대 및 지원 역할 강

화(~‘22)(신학기 적응지원, 현장학습 지원, 장애아 시설 지원 등)

(3) 교사 업무부담 경감

-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심리상담 지원 강화 및

피해구제를 위한 법률서비스 지원(‘19)

(어린이집 방문상담, 고위험 교사에 대한 전문상담 연계)

- 어린이집의 출결관리, 보육료 신청 등 전산을 통해 자동화 가능한 사항 개발(스마

트어린이집)로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19)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12 -

- 보육교사 자긍심 고취 및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실시(‘18)

(보육교사 수기 공모전, 인식개선 홍보영상 등)

◎ 영유아 보육환경 개선

(1) 영유아 반 구성기준 개선

- 교사 대 아동비율 기준 개편 방안 마련(‘20)

* 교사와 아동 및 아동 간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적정 집단 크기와 구성방안

(보육교사의 보육 집중 시간과 질을 고려한 ‘보육교직원 대 아동비율’도 검토)

- 가정어린이집 ‘교사겸직 원장’ 허용범위 축소(‘19~)

* 원장의 반 배정 지양, 겸직 예외적 허용(예; 10인 이하 어린이집)

- 탄력보육 최소화(‘18)(탄력보육 허용사유 최소화, 요건 강화 등으로 최소화)

(2) 어린이집 시설 기준 강화

- 쾌적한 보육환경 조성 및 유치원과의 시설 격차 해소 추진(‘18)

* 교사실 설치 의무화, 화재대비시설 보완, 놀이터 시설 기준 확대 등

- 보육실 면적기준(영유아 1인당 2.64m²)을 영유아 발달상황 고려, 재설정(~‘22)

◎ 상시적 품질관리 강화

(1) 모든 어린이집 대상 평가 및 사후관리 강화

- 평가인증제도를 전체 어린이집 대상 평가제로 전환, 평가 사각지대 해소(‘18)

* 평가등급별(A-B-C-D)로 유효기간 차등 설정 및 최하위 등급에 대한 재평가, 사

후컨설팅으로 보육서비스 제공 수준 상향 유도

* 평가결과와 어린이집 지원 간 연계 강화로 우수한 어린이집으로의 자발적 노력

유인(공공형어린이집 선정기준 반영, 보조교사 지원 등)

* 현장관찰․면담의 비중을 높이고 평가지표도 간소화, 평가에 따른 보육교사 부

담 경감, 어린이집 평가수수료 부담 면제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13 -

- 평가등급, 내용 등 주요 정보의 부모제공으로 안심보육환경 조성(‘18)

(2) 어린이집 지도점검 체계 개선

- 어린이집 지도점검(법령위반)․평가제(품질평가)․컨설팅(개선지원) 간 유사․중복

기능 정비 및 연계 강화(‘19)

- 지도점검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20)

* 어린이집 입력정보(재무회계, 교사채용 등), 공적자료 연계 및 활용 확대로 현

장방문 전 시스템을 통한 정보 활용과 상시관리 강화

(부정수급 의심유형 발굴 및 사전 모니터링 중, ‘17년 39종)

* 지도점검, 컨설팅 이력, 평가정보의 전산시스템 연계 및 DB구축으로 어린이집

에 대한 사후관리 시스템 고도화(전국, 시도별, 시군구별, 위반유형, 행정처분유

형, 점검․처분의 적정성 등의 분석을 위한 자료축적 및 검색기능 포함)

(3) 어린이집 건강 및 안전관리 강화

-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및 영유아 대상 안전사고 예방․대응교육 다양화로 각종 안

전사고 대응체계 강화(‘18)

* 찾아가는 이동안전체험관 등을 통해 안전교육을 실습중심으로 개선하고 영아

분야도 확대, 시설 안전컨설팅 추진(연 100개소 이상)

- 어린이집 식중독 발생 예방, 통학차량․화재 등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복지부․

식약처․지자체 정기 합동점검 지속 실시(매년 하․동절기)(안전점검표에 의한 점

검 실시 후 미비시설에 대해 시정명령 등 행정처분 실시)

- 감염병, 미세먼지, 지진, 석면 등 각종 질병 및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보육환경 조

성을 위해 범부처(행안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협조체제확대(‘18~)

(4) 부모의 어린이집 운영 참여 여건 개선

- ‘열린어린이집’을 전체 어린이집의 15%이상으로 확산(~22)(‘21년 5,750개소)

* 열린어린이집으로 지정 시 자율적 운영보장(지도점검 등 유예)과 인센티브 제

공(공공형 선정, 보조교사 우선지원 등)으로 참여 유도

- 이용불편신고센터 운영과 연계해 중앙부처에 보육시설 지도 점검 전담 인력 배치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14 -

로 부모 불편사항에 대한 대응 강화(‘18~)

- 어린이집 신고포상금제도의 법적근거 마련으로 운영 활성화(‘18)

4) 부모 양육지원 확대

◎ 부모의 양육역량 강화 지원

(1) 부모교육 및 양육정보 제공 확산

-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교육 커리큘럼 체계화(‘18)

* 온라인, 모바일 등을 통한 부모교육(양육정보) 콘텐츠 개발

- 보육료․양육수당 신청 시 자녀 양육관련 정보제공 안내 확대(‘19)

- ‘부모교육 수료증’ 발급 및 인센티브 구조설계(‘19)

(2) 가정양육서비스 확대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전국 확산으로 부모 지원 확대(~‘22)

* 지역별 영유아 수에 따라 거점형․이동형 도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든 시․

군․구 단위의 서비스 제공 추진

- 육아정보 제공․상담, 장난감․교구지원 등 지원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 중앙․시

도․시군구 센터간 기능 재개편(~20)

- 시도 센터는 센터별 평가 및 지원과 부모지원 서비스 개발 중심, 시군구 센터는

직접적인 부모 양육 지원서비스 제공 확대에 중점

◎ 시간제 보육서비스 확대

(1) 서비스 제공기관 확대

- 문화센터․복지센터 등 지역자원을 활용한 시간제 보육반 확대 방안 모색, 지역

별 설명회․컨설팅을 통한 참여확대 추진(‘18)

- 시간제 보육시설 수요와 지역별 이용실적 등을 고려하여 시간제 보육반을 점진적

으로 확대(‘17년 380개반, ~’22)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15 -

(2) 시간제보육 지원기준 개선

- 맞벌이형-기본형으로 이원화된 지원기준을 개선하여 부모의 이용 부담완화 및 편

의제고(‘18)

◎ 취약보육 지원 개선

(1) 취약보육 대상 재검토 및 실태조사

- 보육취약 계층의 수요와 어린이집 지원 현황을 위한 취업보육 실태조사(‘18)

- 영유아 대상별 특성과 부모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취약보육의 대상 재

검토(‘19)(취약보육의 범주 재설정,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8조)

(2) 취약보육 특성별 보육지원 개선

- 다문화아동 통합보육을 위한 여건 개선(‘19)

* 표준보육과정에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반차별, 문화다양성, 반편

견 등 다문화 이해 교육 반영

* 보수교육을 통한 이해교육, 다문화 영유아교육 방법 등 관련 교육 확대

- 장애영유아에 대한 지원 확대(~‘22)

* 장애아보육 제공기관(장애아전문․통합) 확대 추진(‘17년 1,101개소 운영 중)

* 장애영유아의 전문적 돌봄을 위한 전문 인력 수요 확보를 위해 장애아전담 교

사자격 및 양성체계 정비(어린이집 특수교사, 장애아전담교사 기준정비)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16 -

※ 보육의 미래 및 달라지는 지표

출처: 보건복지부, 2018

Ⅲ. 과제 실행 기반

◎ 지원기관 기능 개편

(1) 한국보육진흥원

- ‘한국보육진흥원’의 법정기관 전환 및 기능 강화 추진(‘18)

- 보육서비스 품질관리를 위한 역할 강화(‘18)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17 -

(2) 어린이집 안전공제회

- 어린이집 안전사고 예방․관리기관으로 기능 확대(‘18~)

- 풍수해(지진 등 재난대비) 상품 보상한도 확대 및 공제상품의 보장성 강화(‘18~)

◎ 민․관 협업 확대

Ⅳ. 논점

- 본 학술대회 기획주제로 선정된 바, 심도있는 논의를 기대함.

1. 보육의 공공성 강화

1)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40% 확대 계획

- 민간(가정)어린이집 (이용률 60%) 이용 아동을 위한 대안

-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방식 다양화 (민간(가정)의 국공립 전환 기준)

- 지역균형 배치(지자체의 확충여건, 실수요자 중심)

-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체계 개선 및 공공성 강화

2)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 지원 확대

3) 공공형어린이집 선정(신규․재선정) 기준 및 관리 강화

2. 보육체계 개편

1) 표준보육시간 합리적 개편

- 보육교사 8시간 근로 여건 감안(휴게시간, 초과근무수당)

- 기본보육시간 재정리

- 보육시간, 운영시간, 이용시간 개념 구분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018. 6.)

- 18 -

2)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재계측 및 적정 보육료 지급 기준

-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

- 최저임금 인상, 보조교사배치 등 여러 경우의 수를 고려

- 일정 부분 부모부담 가능

3)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 영유아의 놀이․여가를 고려하고 유연성 있는 하루 일과 보장

- 특별활동 개선 및 운영 합리화

3. 보육서비스 품질 향상

1) 보육교사 학과제도 도입

- 보육교사 양성체계 개편(대학 관련 학과)

- 보육교사 1, 2급 중심으로 유치원 교사와의 격차해소

2) 보수교육 과정 내실화 및 현실화

- 온라인 교육 지양

- 보수교육 획일적 방식 개선(교사 현장컨설팅 등 맞춤형 보수교육)

- 보수교육기관 평가제 정착

3) 보육교사 적정 처우 보장

- 초과근무수당 지급 주체

- 보조교사 지원 확대

- 보육교사 심리상담 지원 강화

- 보육교사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4) 상시적 품질 관리

- 열린어린이집 운영 유도

- 어린이집 이용불편신고센터, 신고포상금제도 운영 시 고려할 사항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개요 및 논점

- 19 -

4. 부모양육지원 확대

1) 부모교육 커리큘럼 체계화 및 참여 유도

- 보육(양육)수당과 연계한 의무화 방안

2) 취약보육 특성별 보육지원 개선

- 다문화․장애영유아를 위한 전문 인력 확보 방안

기획 1 주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발표: 김은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토론: 김동례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하은경 (경기도국공립어린이집연합회 부회장)

김영숙 (경북 평해어린이집 원장)

- 23 -

기획1주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김 은 정*1)

1. 국내 보육서비스 시장

□ 국내 보육서비스 시장의 특성

○ 전 계층 무상보육이 실시됨에 따라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상황

- 2018년 정부의 보육예산(국비기준)은 약 5조 5천억 원에 달함

․ 어린이집 지원예산은 약 1조원에 달하며 이는 전년대비 약 780억 원 증가

한 상황

<표 1> 2018년 보육예산 (국비 기준)(단위: 백만 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구분 2018년 예산 비율

합계 5,505,231 100.0

영유아보육료 지원

- 0-2세 보육료

- 시간연장형 보육료

- 장애아 보육료

3,267,194 59.3

어린이집 기능보강 74,186 1.3

어린이집 관리 25,971 0.5

춘계학술대회 기획1주제 (2018. 6.)

- 24 -

자료: 보건복지부. (2018). 2017년 보육통계.

○ 보육서비스 공급은 주로 민간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2017년 12월 기준으로 민간시설(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은 83.7% (이용 영

유아 비율은 73.1%)

- 국공립어린이집은 3157개소로 전체 어린이집의 7.8% (이용 영유아 비율은 12.8%)

- 민간시설은 대부분 소규모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려움 <표 4>

- 국공립어린이집은 50~80명 현원 규모의 시설이 32.2%이며 민간어린이집(가정어

린이집 미포함)의 경우 38.7%가 현원기준으로 21~39명 규모로 운영되고 있음

<표 4>

<표 2> 유형별 어린이집 수 추이 (2010~2017)(단위: 개소, %)

연도국공립

법인(사회복지,

법인단체, 직장, 협동)민간(민간, 가정) 전체

개소 수 비율 개소 수 비율 개소 수 비율 개소 수 비율

2010 2,034 5.3 2,831 7.4 33,156 87.2 38,021 100.0

2011 2,116 5.3 2,870 7.2 34,856 87.5 39,842 100.0

2012 2,203 5.2 2,949 6.9 37,375 87.9 42,527 100.0

2013 2,332 5.3 3,055 7.0 38,383 87.7 43,770 100.0

2014 2,489 5.7 3,113 7.1 38,140 87.2 43,742 100.0

2015 2,629 6.2 3,188 7.5 36,700 86.3 42,517 100.0

2016 2,859 7.0 3,311 8.1 34,914 85.0 41,084 100.0

2017 3,157 12.8 3,380 8.4 33,701 83.7 40,238 100.0

자료: 보건복지부. 각 연도. 보육통계.

어린이집 지원

- 공공형 어린이집 운영비 지원

- 보육교직원 인건비, 처우개선, 운영 지원

1,048,743 19.0

가정양육수당 지원사업 1,089,137 19.8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25 -

<표 3> 유형별 어린이집 재원아동 수 추이 (2010~2017)(단위: 명, %)

연도국공립

법인(사회복지,

법인단체, 직장, 협동)민간(민간, 가정) 전체

아동 수 비율 아동 수 비율 아동 수 비율 아동 수 비율

2010 137,604 10.8 188,979 14.8 953,327 74.5 1,279,910 100.0

2011 143,035 10.6 190,637 14.1 1,015,057 75.3 1,348,729 100.0

2012 149,677 10.1 197,757 13.3 1,139,927 76.6 1,487,361 100.0

2013 154,465 10.4 198,223 13.3 1,134,292 76.3 1,486,980 100.0

2014 159,241 10.6 196,766 13.1 1,140,664 76.2 1,496,671 100.0

2015 165,743 11.4 195,465 13.5 1,091,605 75.1 1,452,813 100.0

2016 175,929 12.1 201,029 13.9 1,074,257 74.0 1,451,215 100.0

2017 186,916 12.8 203,160 14.0 1,060,167 73.1 1,450,243 100.0

주: 아동 수는 현원(종일, 맞춤, 야간, 24시간, 방과 후) 기준

자료: 보건복지부. 각 연도. 보육통계.

<표 4> 현원 규모별 어린이집 설치 현황 (2017.12)(단위: 개소, %)

구분 계 20명 이하 21~39명 40~49명 50~80명 81~99명 100명 이상

국공립어린이집 3,157 398 619 418 1016 434 272

(비율) 100.0 12.6 19.6 13.2 32.2 13.7 8.6

민간어린이집 14,045 1369 5430 2046 2723 1179 1298

(비율) 100.0 9.7 38.7 14.6 19.4 8.4 9.2

자료: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2017.

주: 민간어린이집은 가정어린이집을 포함하지 않음.

○ 시설유형별 보육교사 자격 분포의 차이 발생

- 국공립어린이집의 경우 1급 교사의 비율 가장 높고, 3급 교사의 비율 가장 낮음.

- 가정어린이집의 경우 1급 교사의 비율 가장 낮고, 3급 교사의 비율 가장 높음.

춘계학술대회 기획1주제 (2018. 6.)

- 26 -

<표 5> 시설유형별 보육교사 자격 현황 (2017.12)단위: 명, (%)

구분 국공립(비율) 민간(비율) 가정(비율) 계

전체 25,608 107,823 72,728 206,159

1급17,261

(67.4)

65,544

(60.8)

41,985

(57.7)124,790

2급8,108

(31.7)

38,995

(36.2)

27,973

(38.5)75,076

3급239

(0.9)

3,284

(3.0)

2,770

(3.8)6,293

자료: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2017.

2. 보육서비스의 공공성과 민간위탁

□ 보육의 공공성

○ 보육의 공공성은 공적인 재원에 의해 공적으로 관리 운영되는 보육 (이영석, 1995)

- 기회 균등성, 보육의 의무성과 무상성

- 운영주체에 따라서 공공성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협의의 의미

- 즉, 운영주체가 민간이라 하더라도 기회 균등성, 보육의 의무성과 무상성 등이

적절히 실현되는 경우 보육의 공공성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음

○ 공공자원(정부지원)을 활용하여 민간부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재정적 투

명성(책임성)을 공공성 확보를 위한 중요 요소로 봄 (양성욱 외, 2012)

○ 일반적으로 다수의 연구에서 공공성 강화는 국가역할의 확대를 의미함

○ 현 정부는 2022년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40% 목표를 통한 공공성 확보 노력

- 보육정책의 방향은 공공성 강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음

○ 향후 국공립어린이집의 지속적 확대에 따라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는 더욱 중요

한 과제

- 국공립어린이집의 민간위탁운영 상황에서 제기되는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개선

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

- 향후에 국공립어린이집이 보육서비스 시장을 선도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27 -

□ 민간위탁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관리와 비용부담에 관한 책임을 보유하면서 서비스를

민간의 법인․단체 또는 개인에게 맡겨 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것

○ 민간위탁을 통해 조직․비용․인력 절감을 통한 서비스 기대

○ 민간부문의 전문성, 자원과 기술 활용하여 서비스의 질 개선 효과 기대

○ 2000년대 이후 민간위탁의 성과에 대한 비판 제기 (서수경 외, 2013)

- 효율성면에서 정부의 성과 향상을 가져왔는가?

- 경쟁을 통한 서비스 질 향상, 다양한 서비스가 공급되었는가?

- 지역간 격차, 정부의 계약능력이나 모니터링의 한계 등

○ 민간위탁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민간위탁의 직영전환 등이 대안

으로 논의됨 (서수경 외, 2013)

□ 직영과 위탁의 장단점 (김영미, 2013; 서수경 외, 2013)

<표 6> 국공립어린이집 직영의 장단점

구분 직영

장점

- 시설운영의 공공성 및 투명성 확보

- 시설운영의 일관성 유지

- 시설장 및 종사자 신분 안정

- 학부모의 신뢰 향상

- 정치적 영향력 배제

- 전반적인 보육의 질 향상

단점

- 관리, 운영, 예산 집행 등에 많은 행정력 소요

- 시설장 및 종사자의 신분보장에 따른 소극적 시설운영

- 환경변화에 비탄력적 (다양한 보육서비스에 대한 대처 어려움)

- 보육서비스의 획일화

<표 7>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의 장단점

구분 위탁

장점

-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

- 운영의 탄력성 (다양한 인력과 정보를 활용하여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 안전사고 대비와 보육교직원 채용 등 책임 경영 가능

춘계학술대회 기획1주제 (2018. 6.)

- 28 -

3.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실태

□ 국공립어린이집

○ 일반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은 인건비지원을 받는 시설로, 보육교사의 급여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양질의 보육교사를 보유하기 수월함

○ 수요자의 만족도와 정책요구도가 높은 시설유형으로 분류됨

-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민간시설에 비해 이용비용이 저렴하다는 점과 국공립시

설에 대한 높은 신뢰도 때문임

- 이와 같은 이유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에 대한 정책요구도가 높음

○ 수요자들은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유형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직영, 위탁) 인지하

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직영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음

□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실태

○ 민간위탁 위주의 국공립어린이집

- 민간위탁 위주의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음

- 관리책임과 비용은 국가가 부담하나 서비스 공급은 민간이 담당하는 구조

- 서울시의 모든 국공립보육시설이 위탁 운영되고 있음 (김연명 외, 2016)

-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조사대상 국공립어린이집 506개소 중

직영은 5.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 2009년(16.6%), 2012년(606%) 조사와 비교할 때, 직영의 비율은 점차 감소함

○ 개인위탁비율이 높은 상황임

- 2015년 전국보육실태 조사 자료에 따르면, 조사대상 국공립어린이집 506개소

중 50.2%가 개인 위탁인 것으로 조사됨

- 기술, 교재교구, 재정 부담능력을 활용한 전문적 운영

- 시설 가치 창출을 위한 적은 비용 투입으로 효율적, 창의적 운영

단점

- 위탁기간 제한으로 시설운영의 연속성 약화

- 수탁자 공개선정에 따른 과열경쟁 우려

- 보육교직원 고용불안

- 어린이집 사유화

- 운영비리 발생 가능성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29 -

- 2009년, 2012년 조사와 비교할 때, 개인위탁 비율은 점차 증가함

- 특히, 2009년 조사당시 7.1%에 불과한 개인위탁비율이 2012년에는 47.6%로 급

증한 것으로 조사됨

<표 8>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유형단위: % (개소)

구분 직영 개인 사회복지법인 종교법인 학교법인 기타 전체

2015년 5.2 50.2 19.0 14.5 5.5 5.6 100 (506)

2012년 6.6 47.6 19.1 14.8 3.9 8.0 100 (457)

2009년 16.6 7.1 71.1 (법인) 4.3 100 (211)

자료: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 조사보고-

주: 단체위탁은 기타에 포함

○ 읍면지역일수록 개인위탁 비율이 높음 (보육실태조사)

- 2015년 보육실태조사에 따르면, 개인위탁비율은 대도시(27.9%)보다 중소도시

(68.0%), 읍면지역(78.1%)일수록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됨

- 2012년 조사결과도 유사한 경향을 보임

<표 9> 소재지별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유형 (2012, 2015)단위: % (개소)

구분 직영 개인 사회복지법인 종교법인 학교법인 기타 전체

2015년 5.2 50.2 19.0 14.5 5.5 5.6 100 (506)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5.0

4.4

6.6

27.9

68.0

78.1

30.0

11.3

3.8

23.2

2.9

9.1

5.1

11.0

-

8.7

2.4

2.4

100 (246)

100 (139)

100 (121)

2012년 6.6 47.6 19.1 14.8 3.9 8.0 100 (457)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2.0

5.6

16.7

23.7

62.7

75.0

35.9

8.5

-

23.7

9.9

4.2

4.0

5.6

-

10.7

7.7

4.1

100 (214)

100 (142)

100 (101)

자료: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 조사보고-

주: 단체위탁은 기타에 포함

□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선정 관리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체 선정관리 권장 표준안)

○ 보육사업안내에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체 선정관리 권장 표준안’이 제시되어 있음

춘계학술대회 기획1주제 (2018. 6.)

- 30 -

- 2010년 신설

- 공통된 기준을 마련, 적용하도록 권장함으로써 전국적인 통일성과 형평성을 확

보하고 위탁체 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 투명성을 도모하고자 함 (보육사업안

내 2018)

-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체(신규․변경) 공통심사 기준표

- 국공립어린이집 재위탁 공통심사 기준표

- 위탁심사(신규․변경) 세부항목별 평가기준안

- 재위탁 심사 세부항목별 평가기준안 등이 제시되어 있음

○ 표준안의 기본 방향 (보육사업안내 2018)

- 합리적인 선정기준 및 선정과정의 객관적 절차 운영으로 최적의 운영체 선정

․ 운영체의 수탁능력과 자격을 엄정히 검증하여 심사의 타당성․신뢰성 극대화

․ 선정기준의 객관화로 심사위원의 자의적 심사 방지 및 공정성 확보

․ 선정기준 및 그 절차의 표준안을 제시함으로 행정업무 효율성 제고

- 위탁기준과 절차 및 심의 결과의 공개로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

- 운영체 및 원장 등의 전문성 및 시설 운영능력은 면접실시로 심층 검증

□ 자치구별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선정 관리 현황

○ 자치구별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은 시군구 보육조례에 의해서 이루어짐

○ 통일된 기준이 없는 가운데 다양한 형태로 위탁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음

- 위탁기간은 주로 3년 또는 5년

- 재위탁 횟수는 제한 없는 경우, 1회, 2회, 3회 등 다양

- 동일 자치시도 내에서도 다양한 기준 적용

- 재위탁 횟수를 제한하는 경우에도 다시 응시가능

- 위탁 개소수에 대한 조항이 없는 경우, 2개, 3개 이상 수탁금지 하는 경우 등

다양

- 일부 지역의 경우 보육교직원의 정년을 명시하거나 예산지원 연령을 제한하고

있음

1) 보육조례의 설치 및 운영 조항에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경우 (조례 효력에 대한 행

정소송 사례 있음)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31 -

제3장 구립어린이집의 설치 및 운영 : 서울 00구

제13조(위탁운영) :

③ 보육교직원의 정년은 원장 65세, 보육교사 60세로 하며, 그 정년이 달한 날이 1

월에서 6월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6월 30일에, 7월에서 12월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12월 31일에 각각 당연 퇴직된다.

제3장 공립어린이집 : 부산 00구

제18조(위탁 기간 등) :

② 위탁 기간 내 원장, 보육교사 및 보육교직원의 정년을 만 60세로 한다.

2) 정년을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대신 보조금의 지급 조항으로 정년을 가름하는 경우

제5장 보조금의 지급 등

제24조(비용의 보조 등)

② 구청장은 보육교직원의 인건비 지원 시 어린이집 원장은 65세, 보육교사와 그

밖의 직원은 60세까지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한다.

4. 복지재단을 통한 공영 운영 사례

□ 서울시 동작구 : 동작복지재단

○ 동작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수탁 운영

○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보육청’ 기능으로 구립 어린이집 수탁 운영

- 54개 구립어린이집 중 42개 어린이집 운영 (약 78%)

- 원장을 포함한 보육교직원 직접체용

- 보육교직원 정년 보장 (60세)

- 구립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전보제도 시행 (5년 주기)

- 원장 근무태도 및 전문성 등을 평가하여 원장 전보 제도를 시행하였으나, 2018

년부터 원장 평가제도 시행하지 않음

춘계학술대회 기획1주제 (2018. 6.)

- 32 -

[그림] 구립시설장 전보 절차 (김은정 외, 2015)

구립어린이집 원장

전보 계획 수립원장평가

전보 대상자

명단 확정

전보

실시> > >

□ 평가내용은 근무태도, 원장전문성, 부모모니터링단 평가, 우수어린이집 평가항목으로 4개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각 영역별 평가지표 및 방법을 가지고 있음

- 평가결과 점수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전보계획에 적용

※ 2018년부터 원장 평가제도 시행하지 않음

○ 수탁 운영의 장점

- 보육교직원 고용안정성 확보

- 어린이집 운영의 투명성 확보 (후임자가 기존 운영현황을 평가하게 되는 구조)

○ 수탁 운영의 단점

- 이직(전보) 의무화에 따른 부담

□ 대구시 달성구 : 달성복지재단 (김연명 외, 2016)

○ 9개의 국공립어린이집 수탁 운영

○ 정규직은 달성복지재단이 채용하고 계약직은 원장이 채용

○ 정규직은 60세 까지 정년 보장되나 별도의 승진체계는 없음

○ 교사들만 순환보직 실시중이나, 원장도 순환보직 실시 예정

○ 복무규정과 인사평가 실시

○ 수탁운영의 장점

- 서비스 질 개선, 부모 만족도 증가

-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 용이

- 보육교사 고용 안정성 증대

- 어린이집 회계투명성 확보

○ 수탁운영의 단점

- 직접고용에 따른 인건비 인상 부담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33 -

5.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운영의 문제

□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선정 관리 체계의 한계

○ 통일된 기준이 없는 가운데 위탁운영과 관련한 투명성, 공정성에 대한 문제

- 위탁자 선정, 위탁기간 및 연장, 평가, 수탁자 의무등과 관련하여 투명성, 선정

기준, 위탁금지 기준 미흡 (서문희 외, 2001)

- 국공립 원장 5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자체의 재위탁 여부 보육정책위

원회의 공정한 심사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 12.7% (최도

자, 2008)

- 국공립 원장 5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단체장에 따른 위탁제도의 정치적

이용 위험 노출로 위탁체 변경된 사례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 30.7% (최도자,

2008)

-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234명을 대상으로 위탁방식에 대해서 조사한 결

과, 매우만족(4.3%), 만족(26.5%), 보통(21.8%), 불만족(38.0%), 매우불만족(7.7%)

으로 응답 (서수경 외, 2013)

○ 선정관리 권장 표준안은 권고안에 불과하여 제도적 강제성이 없음

○ 심사위원의 자의적 심사를 방지하고자 하고 있으나, 상당부분 지방보육정책위원

회 재량으로 자의적 심사 방지 기능이 약함

○ 위탁 심사 기준표(심사지표)의 한계

- 2010 이후 신설된 위탁심사 기준표(평가지표)의 객관성, 전문성 부재

- 하나의 평가지표 항목에 다수의 평가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며, 제시된 평가기준

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 제시되지 않아 정확성 부재 (서수경 외, 2013)

<예시>

- 계획된 프로그램의 참신성, 전문성, 주민호응성, 전문성, 실행가능성, 지역적합성

(우수 20 / 보통 16 / 미흡 12)

- 운영 및 관리, 평가계획의 구체성․타당성․참신성․전문성․이행가능성

(우수 10 / 보통 8 / 미흡 6)

- 각 항목별로 우수/보통/미흡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 기준안 부재로 객관성 미흡

춘계학술대회 기획1주제 (2018. 6.)

- 34 -

- 대표와 원장에 대한 평가 구분 모호하고 정성, 정량 평가 혼재 사용 (서수경

외, 2013)

○ 현재의 위탁관리 체계하에서는 정치적 영향, 잦은 담당자 교체에 따라 위탁관리

에 대한 전문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음

○ 보육교사의 인사권을 포함하여 시설운영 전반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시설장에

집중되어 장기 위탁시 사유화 되는 경향 초래

□ 서비스 표준화의 부재

○ 각기 다른 상황에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시설장들에 의한 운영

○ 시설운영에 대한 표준화 모델의 부재로 서비스 수준의 격차 발생

○ 시설장 및 교사들의 전문성 차이에 의한 서비스 격차

□ 보육교사와 수탁자의 고용불안에 대한 문제

○ 현행의 위탁운영 체계하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은 상당한 고용불안을 경험하

고 있음

- 국공립 원장 5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매우불안정하다(58.5%), 불안정하

다(34.6%) (최도자, 2008)

-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234명을 대상으로 고용불안에 대해서 조사한 결

과, 배우불안정(40.6%), 불안정(40.65%)으로 응답

- 정년규정이 제 각각이며, 인건비 지원기준과 운영 정년기준은 달리 적용될 수

있는 등 논란의 여지가 많음

○ 시설장의 인사권 행사에 따라 민간시설과 같은 보육교사의 고용 불안정성 초래

□ 위탁관리 및 인력운용의 문제

○ 인력운용의 경우, 보육교사의 채용과정의 투명성 필요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력운용을 통한 서비스질과 근로여건 개선 필요

○ 보수기준은 호봉에 따른 인건비 지급기준에 따르지만, 시간외 수당 등에 대한 적

절한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례 발생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35 -

6. 개선방안 (단기 → 중장기)

□ 일원화된 위탁관리 운영 기준의 마련

○ 위탁체선정 관리 표준안 검토 및 체계화

○ 현재의 위탁체 선정 절차 및 평가방법에 대한 개선

- 보육정책위원회의 구성의 적절성 검토

- 보육정책위원회의 과도한 직권 검토

- 평가지표의 객관성 확보

- 권고에 대한 강제성 검토

□ 위탁운영에 대한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모니터링

- 위탁체의 선정, 운영, 재위탁 전반에 대한 중앙정부의 모니터링 필요

- 지자체와 수탁체, 중앙보육위원회 구성 등 지자체의 전반적인 위탁운영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 국공립어린이집의 표준 운영 모델 제시

○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에 대하여 공공성에 기반한 바람직한 운영모델 제시

- 표준 운영 모델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운영

- 보육교직원 인력 관리, 서비스 질 관리 등

□ 장기적으로 일원화된 공적 위탁운영관리 기구 설립

○ 공적기관이 위탁운영관리를 일괄적으로 실시하여 운영의 투명성·효율성 확보

○ 국공립 보육교사에 대한 공적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직접고용을 통한 일자리 안

정성 확보

○ 체계적인 인력관리(교육 훈련) 및 대체인력 지원 체계 구축

○ 체계화된 위탁운영과 수탁자의 정년연령기준 도입을 통한 직업 안정성 확보

○ 통합관리 체계하에서 정기적인 전보시스템을 통한 운영 투명성 확보

○ 직영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 보완 가능

춘계학술대회 기획1주제 (2018. 6.)

- 36 -

참 고 문 헌

김은정․이상림․서문희․박신아. 2015. 동작구 중장기(2016~2020) 보육계획 수립. 동작

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연명․김진석․백선희․송인주․이태수․정창수․홍영준․이성희․윤승희․이선영․

주수정․신성희. 2016. 서울시 사회서비스재단 설립타당성 검토 연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각년도.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5.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 조사보고-.

김영미. 2013. 보육서비스 행위자 분석을 통한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사회연

구』 33(1): 78-121.

서문희․이상헌․임유경. 2003. 국공립보육시설 위탁운영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영유

아보육학』 25: 165-187.

서수경․유정민. 2013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

재단.

양성욱․노연희. 2012.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비스 주체에 따른

공공성 내용을 중심으로 -.

이영석. 1995. 현행 서울시 보육시설운영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영유아보육

학』 3: 143-155.

최도자. 2008. 보육시설장이 인식한 국공립보육시설 민간위탁 운영의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4): 191-217.

- 37 -

기획1주제 토론

기획1주제 토론

김 동 례*1)

○ 제3차 중장기보육계획(2018년~2022년)의 시행년도와 중점 4대 목표 중 하나인 ‘보

육의 공공성 강화’에서 추진 정책과제 중 하나인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방식

개선 등을 통한 국공립 운영의 공공성 강화’에서도 제시했듯이 본 학회에서 제안하

는 논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은 보육의 공

공성 강화에서 가장 대표적인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실태 및 이를 통한 공

공성 강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하다고 여겨지며 제시한 내용 중 중

점사항에 대한 견해를 연구자 원고 순에 따라 의견을 밝히고자 함.

1. 국내 보육서비스 시장

○ 연구자가 제시한 국내 보육서비스가 주로 민간 위주로 구성된 점을 어린이집 유형

별 개소수와 공급비율의 연도별 추이 제시 및 유형별 재원아동수와 재원비율의 연

도별 추이로 본 부분은 적절하였으나 <표 4>에서 제시한 현원 규모별 어린이집 설

치 현황에서 <표 2>, <표 3>에서는 민간, 가정을 포함하여 제시한 반면 <표 4>에

서 20명 이하 개소수를 대비시킴에도 불구하고 가정어린이집을 미포함한 이유가

무엇인지 제시할 필요 있음.

*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기획1주제 토론 (2018. 6.)

- 38 -

○ 특히 2017년 12월 기준 보육통계에 의하면 전체 어린이집 40,238개 중 가정어린이

집이 19,656개소로 약 48.8%, 민간어린이집이 14,045개소로 약 34.9%로 총 83.7%를

차지한다고 볼 때 가정어린이집을 포함시키지 않은 것에 대한 동의는 어려우며

<표 5>에서 제시한 시설유형별 보육교사 자격 현황에서는 국공립, 민간, 가정으로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기준의 제시가 다소 아쉬움이 듬.

2. 보육서비스의 공공성과 민간위탁

○ 보육의 공공성에 대한 개념 제시는 운영주체와 상관없이 기회 균등성, 보육의 의무

성과 무상성의 적절한 실현여부에 따라 포괄적으로 접근한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

부분은 실제 국공립 설치확충이 예산 등의 문제로 공공형, 민간위탁, 민간의 국공

립 전환, 정기임차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추진하는 방향에 비

추어 적절하다고 여겨짐.

○ 다만 연구자가 인용한 직영과 위탁의 장단점(김영미, 2013; 서수경 외, 2013) 내용을

연구자도 동의하는 관점인지에 대한 의견제시가 필요함.

○ 예를 들면 직영의 경우 단점에서 보육서비스의 획일화를 제시했는데 그 이유가 무

엇인지, 위탁의 경우 장점으로 제시한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이 왜 직영에서는

단점으로 제시되는 것에 대한 동의가 어려움이 있음. 국가의 보육정책 방향이 수요

자중심의 보육정책 실현에 중점을 둔다면 오히려 직영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성 보

다는 위탁의 장점인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장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고 봄. 또한 <표 6> 영유아보육법 개정(2013년?)으로 보육시설 → 어린이집, 종사자

→ 보육교직원으로 용어 변경 필요함.

3.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실태 : 의견없음

4. 복지재단을 통한 공영 운영 사례

○ 연구자가 제시한 ‘서울시 동작구 동작복지재단’과 ‘대구시 달성구 달성복지재단’의

사례는 실제 시행년도가 4년 이내로 두 재단의 수탁운영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다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39 -

음과 같은 의문점이 생김.

○ 그들이 제시한 수탁운영의 장점이 반드시 그들만 그런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비

영리법인나 다른 위탁체, 개인 위탁은 그들 수탁기관의 운영 장점이라는 내용을 전

혀 달성하고 있지 못하는 가?(어린이집 회계의 투명성 확보, 서비스질 개선, 부모만

족도 증가, 지역사회자원 활용, 보육교직원의 고용안정성 등) 이 부분에 대한 설득

력 있는 자료 제시 등이 필요하다고 여겨짐.

○ 또한 연구문제 5에서 제시한 국공립 어린이집 위탁 운영의 문제는 그동안 선행연

구에서 다수 제시된 문제로 위에서 실제 국공립 위탁 업무를 수행한 복지재단이

최근 이러한 업무를 수행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결대안을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발생할 수 있음.

5. 국공립 어린이집 위탁 운영의 문제

○ 연구자가 제시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에 대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문제에 대체로

동의하며 국공립 위탁에 대한 현행 제도에서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전

국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위탁관리체계의 전면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

겨짐.

○ 연구자는 민간 위탁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장기 수탁자가 국공립어린이집을 사유

화 한다고 주장했으나 설문조사 결과를 인용(국공립 관련 연구물이 2008년도 오래

된 자료임)하여 국공립원장들이 신분의 불안정성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직영하여

고용의 안정성을 높이고자한다는 의견은 다소 앞 뒤 논리가 안 맞음.

6. 개선방안 (단기 → 중장기)

○ 일원화된 위탁관리 운영 기준의 마련에 대해 연구자가 제시한 위탁체 선정 관리

표준안 검토 및 체계화와 위탁체 선정 절차 및 평가방법에 대한 개선에 동의하며

특히 지방보육정책위원회의 편파적 위탁 관여를 방지하기 위해 중앙위탁정책위원

을 구성하여 지방정책위원회에서 위탁심의를 할 때 파견하고 이들이 지자체의 위

탁운영 투명성에 대한 모니터링 업무를 수행할 것을 제안함. 단 어떻게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는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되어야 함.

기획1주제 토론 (2018. 6.)

- 40 -

○ 국공립어린이집의 표준 운영 모델 제시는 필요하나 지역적 특성, 규모적 특성을 감

안하여 다양한 사례 제시가 필요하며 실제 이 모델을 연구하는 경우 학계나 연구기

관 중심이 아닌 보육 현장과의 공유를 통한 현실성 있는 운영 모델 제시가 필요함.

○ 장기적으로 일원화된 공적 위탁운영관리 기구 설립에 대해서는 그 취지에는 동의

하나 전국의 어린이집이 모두 공공화될 수 없다는 현실에 기초하여 민간보육서비

스와의 형평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짐.

○ 왜냐하면 전체 영유아보육을 국공립이 담당하는 것이 아니며 정부미지원어린이집

이용가정 및 보육교직원 역시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동반자이므로 일원화된 공

적 위탁운영관리 기구 설립을 통하여 보육의 질을 양분하는 우려도 예상할 수 있

으며 보육교직원 간의 자괴감 및 간극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여겨짐.

○ 국공립위탁운영에 대한 제도적 강화와 일관된 정책으로 문제점 해결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며 이것을 현행 문제점 개선으로 전체 보육의 질을 동반성장하는 것이 새로

기구를 설립하여 그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것보다 보다 이용가정 및 전체 보육교

직원의 상생을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짐. 국공립의 공적 위탁 운영관리기구의 설립

은 또 하나의 보육서비스 제공기관의 탄생이며, 기존의 보육서비스 지원 기관(중앙

및 지역육아종합지원센터, 한국보육진흥원)과의 역할중복 및 국가재정 투입이 요망

됨, 지방분권화된 시대에 지자체와 기존 보육관련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현재의 기능을 강화하고, 국공립위탁 시 나타난 문제점 등을 보완할 매뉴얼의

구체화, 지자체 보육업무 담당자의 전문성확보 등을 통해 충분히 가능하다고 봄.

공적 위탁운영관리 기구 설립을 통해 “직영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 보완 가능” 할

수 있으나 반대로 위탁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발제가

제시한 일원화된 위탁관리 운영기준 마련,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모니터링, 국공립

어린이집의 표준 운영모델제시 등의 방안으로 충분히 가능함.

○ 모든 지자체의 국공립을 일원화된 공적 기구가 맡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인지, 지

자체에서 국공립을 직영할 경우 보육교직원의 신분 등 직접 채용으로 인한 재정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워 민간위탁의 문제점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영을 못

하고 있는 점에 대한 검토는 한 것인지? 아울러 국공립의 예산 중 인건비가 차지

하는 비중이 70%를 초과하면 정작 보육아동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비용이나 건물

개보수 등에 사용할 비용이 부족한 점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 대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41 -

안 제시 없음.

국공립어린이집 공공성의 기반은 영유아가 최우선이며 이를 위해 국가, 지역사회, 보

육교직원, 부모가 한 목소리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가운데 조성되어진다. 일방적인 정책

과 공략이 우선시되는 정치적 풍토에서 벗어나 무조건 새로운 기구를 설립하여 체계를

변화시키기 보다는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보육서비스 지원기관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하는 가운데 지자체와의 협력적인 관계 및 기능강화를 통해 국

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공공성 강화 방안을 다각적인 방법에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42 -

기획1주제 토론

기획1주제 토론

하 은 경*1)

1. 보육서비스의 공공성

가. 보육의 공공성

보육의 공공성이란 일차적으로 아동보육 문제를 국가가 개입하여 해결해야 한다는 입

장에서 개인 또는 가족의 경제적 능력 등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비용의 사회화’를 의미한다.

나. 보육서비스의 공공성

보육서비스의 공공성은 우리사회에서 가족기능의 약화, 가족형태의 변화, 고령화 사회

에 대비, 여성을 위한 일자리 창출 등을 발생 원인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육 사업

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회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그리고 영유아의 입장에

서는 잘 자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주는 공공복리 사업이다.

2. 국공립 어린이집 운영현황

가. 국공립보육시설 운영상의 문제점

첫째, 국공립보육시설 설치근거에 관한 법령은 마련되어 있으나 국공립보육시설을 효

* 경기도국공립어린이집연합회 부회장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43 -

과적으로 확충할 수 있는 법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둘째, 육아의 사회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보육문제에 대하여 국가가 책임지려는 의지

가 빈약하다.

셋째, 기여주의 국공립보육시설 설치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기업의 설치부담 등에 기

인하여 기업주의 비협조적 태도와 보육시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넷째, 우리나라 노동조합의 조직역량의 취약하여 근로복지 개선을 위한 적극적 역할이

미흡하다.

나. 국공립보육시설 제도상의 문제점

1) 국공립보육시설의 부족

남녀근로자의 사회경제적 활동지원과 아동의 인권확보라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특

히 여성근로자들의 지속적인 노동권확보와 평등실현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정부와 기업

이 책임져야 할 국공립보육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2) 기업의 육아지원 부족

일하는 사람들의 육아문제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책임져야하는 점 때문에 기업이 책

임져야 할 근로자들의 육아문제 지원과 해결방안으로 국공립보육시설 확대 등 기업의

육아지원이 다양화 방안이 필요하다.

3) 정부의 제반 노동정책과 함께 병행되는 보육정책 미흡

정부에서 국공립보육 관련 정책에서도 민간 기업이 상당부분의 책임을 지도록 하고,

보육시설을 설치하거나 수당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으나, 반면 기업이 보육 사업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유도하는 정책은 대단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공립보육정책은 시설

의 문제뿐만 아니라, 육아휴직제의 정착과 사회보장제도를 통한 의무화, 근로시간단축

등의 제반 정책이 함께 병행될 필요가 있다.

3. 국공립 어린이집 위탁 운영의 문제

가. 민간위탁 현황

국공립보육시설이라 함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위탁운영포함)하는 시설로

서 지역주민 자녀를 보육아동 정원의 50%이상 보육하는 시설을 말한다. 또한 보육시행

기획1주제 토론 (2018. 6.)

- 44 -

령은 법적 근거(영유아보육법 제24조 제2항, 제4항, 동법시행규칙 제24조, 제25조)에 명시

되어 있듯이 보육시설의 민간위탁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와 계약에 의해 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수탁자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보육서비스의 전문성과 신축

성 대응력을 활용하면서 수탁자가 소홀하기 쉬운 도덕적 해이와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

한 방법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보육서비스의 공급과 의사결정 문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

체에서 담당하고, 위탁을 위임받은 수탁자는 실질적인 보육서비스의 공급만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국공립보육시설이 민간위탁의 장점은 보육서비스 공급에 있어 인력과 재원 등

생산측면에서 효율성을 제고하고 민간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육현장에 적용함으

로써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육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긍정적인 측면외의 국공립 보육시설의 민간위탁은 재

위탁조건, 지나친 지도, 감독 등 위탁실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낳고 있다.

나. 영유아보육법상 위탁규정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국공립보육시설을 법인․단체 또는 개인에게 위탁하여 운

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위탁은 공개경쟁의 방법에 의한다.

1) 목적

국공립보육시설의 위탁운영체 선정과 관련하여 공통된 업무처리 기준을 마련․적용함

으로써 위탁운영체 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투명성을 확보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도모

하고자 한다.

2) 신규시설 위탁 심의과정

가)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4조에서 보건복지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

수・구청장이 제 24조 제2항 규정에 의하여 국공립보육시설의 운영을 위탁하고자 하는

경우 미리 지자체 게시판이나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나) 평가방법은 상대평가로 하며 순위제로 하며 위탁계획수립-수탁기관모집공고 - 사

업설명(필요시 현장설명 병행) - 보육정책심의위원회구성심의 - 수탁기간결정 - 위탁계약

체계의 위탁절차를 거친다.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45 -

다. 국공립보육시설 위탁운영실태 및 문제점

1) 위탁체의 공익적 책무성 미흡

가) 위탁체 책무의 불분명한 규정 및 형식적 수탁계약의 문제

나) 위탁체 특성에 따른 운영상의 공익성 및 신뢰성 문제

다) 개인위탁은 인사 및 운영권한이 원장 한 사람에게 집중되어 공공성에서 취약한

구조

2) 위탁심사과정의 불공정성

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위탁체/원장 선정의 문제

나) 선정심사위원회의 공정성 및 신뢰성 문제

다) 위탁체 선정과정의 미공개 문제

3) 위탁심사지표의 객관성 부족

가) 위탁심사 세부항목 기준의 모호성

나) 보육관련 표창 및 공모사업 수상 실적 심사지표의 문제점

4.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개선방안

가. 위탁체 책무성 강화를 위한 위탁체 자격기준 개선

1) 위탁체 허용범위 제한 및 복수위탁 허용기준 등 신청기준 재 규정화

개인위탁은 위탁 신청에서 제외하며, 규모가 작아 법인위탁이 어려운 경우에는 공공성

및 보육전문성 담보가 가능한 자치구 또는 산하 공공기관, 사회복지법인 등의 복수위탁

이 가능하도록 정책개선안 마련이 필요하다.

2) 위탁체의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기본계획 평가

위탁체가 국공립어린이집을 위탁하기 위해 법인체내 담당 부서, 담당자 및 역할, 보육

교직원 인사관리, 회계 관리, 위탁전입금 지원계획, 자체평가 계획 등 위탁운영을 위한

기본계획을 평가하고 이행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3) 위탁체의 운영위원회 활성화 방안 및 지역사회 참여 평가

어린이집운영위원회가 활성화되고 어린이집 운영을 위한 핵심 역할을 이행하기 위해

서 위탁체의 역할과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재위탁 심사 시 운영위원회 활성

화 지표를 포함시킨다거나, 신규위탁 심사 시 지역사회 민주적 참여 유도 방안 계획에

기획1주제 토론 (2018. 6.)

- 46 -

배점을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

나. 위탁심사과정의 공정성 강화

1) 지자체 보육정책위원회 구성 기준안 제시

자치구 보육정책위원회의 대표성, 전문성, 공정성 시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육

정책위원회 구성 기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구성, 심사, 공표의 3단계에 따라 공개

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2) 지자체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관리 모니터링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심사권을 지자체에서 위탁관리 현황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법적

기준에 따른 보육정책위원회 구성의 미이행이나, 위탁 전 과정의 비공개 및 위탁심사지

표의 관리의 문제점을 바로잡을 수 있다.

다. 위탁심사지표 수정 및 공통기준선 마련

1) 위탁체 책무성 및 원장 전문성 중심의 기존 심사지표 수정

2) 재위탁 심의 방법의 다각화 및 공개경쟁 등 기준선 마련

라.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다각화

1) 보육관련 공공기관 위탁운영

보육관련 공공기관이 위탁운영을 하게 되면 지방자치구․시의 정치적 외압에서 자유

로울 수 있으며 전문성 및 전담조직 체계가 마련된 공공기관을 통해 운영의 투명성, 재

정 건전성이 담보되고 이를 토대로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실

험적 운영모델을 개발 보급, 적정 운영 가이드라인을 통해 정책적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2) 사회적 협동조합 위탁운영

사회적 협동조합 위탁운영은 학부모, 보육교직원,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가지고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원장 단독운영체제

를 예방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민주적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

육관련 사회적 협동조합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점 등 시민들의 협동조합 일반 정보

및 홍보가 미흡하며 대부분이 협동조합 경험이 없다는 점이 한계점을 가진다.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47 -

참 고 문 헌

남경희. 2007. 『국공립보육시설의 위탁제도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혜정. 2001. 『한국 보육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서수경.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운영방식 개선방안』. 맘편히 아이 키우는 서울

만들기 Session 05.

이충세. 2008. 『보육시설의 공공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

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 48 -

기획1주제 토론

기획1주제 토론

김 영 숙*1)

오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에 제1주제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에 대하여 토론을 하기 보다는 경상북도에서도 가

장 오지인 울진군 국공립어린이집에 관하여 말씀드리려 합니다. 울진군은 국공립시설이

10곳이며 모든 시설은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장을 비롯하여 보육교직원은 60여

명입니다. 다른 시․군에 비하여 작은 농어촌지역이지만 보육교직원의 신분과 정년을 보

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안심하고 직장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단 울진군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이 되기 위해서는 공개경쟁시험을 보게 됩니다.

보육교사는 필기 40%(4지 선다형 및 단답형) 단 각 과목 중 한과목이라도 과락이 생기

면 탈락되며, 고득점자 순으로 모집인원 3배수 선발 면접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시

험과목은 아동복지론, 보육학개론, 아동발달, 보육과정이며 출제형태는 40문항이고, 면접

은 60%이며 일반면접 30%, 전문면접 30%를 보게 됩니다. 조리사는 한식조리기능사 이

상 자격 보유자이며 자체 서류심사(제출된 서류 확인을 통하여 응시자격여부)를 하고 2

차 전형은 면접을 보게 됩니다.

이렇듯 모든 종사자는 공고에서 선발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보육교직원은 일정기

간이 지나면 순환 보직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어느 한 시설에서 5년 이상 근무한다

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습니다.

* 경북 평해어린이집 원장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및 운영의 문제점과 공공성 강화 방안

- 49 -

1. 정년보장

국공립어린이집이 민간․가정․법인 등의 어린이집과 다른 점이 지자체로부터 위탁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위탁 임기가 예전에 2년으로 시작하여 3년,

5년으로 되어있으며 아직까지 지방 조례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곳도 있지만 울진군은

원장 및 보육종사자의 정년에 관해서 보육조례의 설치 및 운영조항에 만 60세로 규정하

고 있으며, 원장은 대표자가 아니라 원장으로써 정년을 보장받을 수 있고 퇴직 후에도 4

대 보험에 가입하고 있기 때문에 고용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또한 지방직

공무원과 같이 보육교직원의 정년이 달한 날이 1월에서 6월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6월

30일에, 7월에서 12월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12월 31일에 각각 당연 퇴직할 수 있게 되

어있습니다.

보육을 위해 평생을 바쳐서 일해 온 보육교직원들에게 명예롭게 퇴직할 수 있는 기회

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2. 퇴직금

우리군은 보육교직원 급여의 1/12에 해당하는 퇴직금을 군청에서 일괄 관리 감독하고

있습니다.

매월 60명에 이르는 퇴직금을 한 통장에 보관 관리하는 것은 장기근속자와 정년퇴직

자의 퇴직금을 근로기준법으로 지급하기 위함입니다. 정년보장과 장기근속자가 많기 때

문에 퇴직시기가 되면 상당한 차액이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장기근속자가 많은 우리

군으로서는 일년에 한번은 전 종사자의 퇴직금을 퇴직을 가상으로 하여 충당금이 발생

할 수 있기에 모든 어린이집의 예산을 고려하여 어린이집별로 충당금을 차등 부담하여

넣고 있습니다.

3. 보육교직원의 승진

울진군의 국공립 체계는 원장, 주임교사, 교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교사에서 주임교사가 되기까지는 한 어린이집을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 10개 국공립

시설을 두고 봐서 울진군 국공립에서 교사로서 가장먼저 입사한 교사가 주임교사가 될

기획1주제 토론 (2018. 6.)

- 50 -

수 있으며 같은 순위이면 생년월일을 봅니다.

주임교사가 되면 임명장에도 주임교사라는 걸 명시하게 되지요. 또한 어린이집 회계

(재무)를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원감의 위치가 되고 차기 원장이 될 수 있는 자리

입니다. 또한 주임 수당과 회계수당을 받게 됩니다.

원장이 된다는 것은 가장 먼저 주임교사가 된 자로서 군청 인사위원회를 거쳐 원장으

로 결격 사유가 없을 시 원장으로 임명을 받습니다.

이렇듯 보육시설은 체계적이고 무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4. 결론

경상북도의 국공립보육시설은 23개 시․군에서 140여개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10개 시․군에서는 직영을 하고 있고, 개인위탁은 12개 시․군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법

인위탁은 1개 군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은 발표자께서도 지적하셨듯이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운

영의 탄력성과 보육전반에 대하여 책임 경영을 할 수는 있지만 위탁 기간의 제한으로 우

수한 보육인력이 전문적 운영보다는 지속적인 고용 불안을 초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수탁자 공개선정에 과열경쟁이 우려되며 시설의 일관성이 결여될 수 있습니다.

이에 경상북도의 위탁운영은 시설장 및 종사자 신분안정을 위하여 정년을 보장받고

있으며, 시설의 공공성과 투명성, 시설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학부모의 신뢰와 전

반적인 질적 향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국공립어린이집의 장기적인 일원화된 공적 위탁운영관리 기구 설립에는 환영하며 공

적기관이 위탁운영관리를 일괄적으로 실시하여 운영의 투명성, 효율성 확보 및 국공립

보육교사에 대한 공적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직접고용을 통한 직장으로서의 안정성 확보,

체계적인 인력관리(교육 훈련) 및 대체인력 지원 체계구축, 체계화된 위탁운영과 정년연

령 기준 도입을 통한 안정성 확보 등 직영의 장점을 최대한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자는

발표자님의 의견을 환영합니다.

기획 2 주제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발표: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원)

토론: 김진이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곽문혁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

박은숙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법무위원)

- 53 -

기획2주제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 개발

최 윤 경*1)

□ 보육은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특성에 맞는 교

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 및 가정양육 지원에 관한 사회복지서비스로, 정부는 무상

보육의 원칙하에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을 통해 보육에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고 지

원하도록 법으로 보장하고 있음.

-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은 정부가 부담하고 지원하는 보육비용의 기준을 제시함으로

써, 정부의 예산 확보와 개별 가정에의 양육 지원, 그리고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의 제반 운영을 관장하는 재정 기반으로서 중요도가 큼.

□ 이 논의는 맞춤형보육의 도입 등 변화하는 비용지원의 방식과 다양한 보육에의 수

요를 고려하여, 앞으로 지속성을 가지고 효율적인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비용 산출의 기본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구성하는 세부항목과 요건을 검토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함.

1. 표준보육비용의 개념

□ 보건복지부는 3차례의 표준비육비용 연구(‘05년, ‘09년, ‘13년)를 수행하였음.

*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원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54 -

- 박기백 외(2005), 김현숙․서병선(2008), 서문희 외(2013).

<표 1> 표준보육비용 연구결과 및 정부지원단가 (97인 기준)단위: 원

구분2013년

(보건복지부)

2014년

(국공립․법인)

2015년

(1안)

2016년

(1안)

정부지원보육료(종일반)

2017년 2018년

0세반 800,800 1,006,800 964,840 943,400 825,000 878,000

1세반 569,800 700,900 665,270 654,900 569,000 626,000

2세반 453,800 558,900 524,960 518,700 438,000 482,000

3세반 338,000 419,200 384,770 378,100

220,000 220,0004세반300,200 371,200 340,071 336,000

5세반

자료: 보건복지부(2018). 보육사업안내.

1) 서문희․양미선․박진아 외(2013a). 표준보육비용 산정 연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 서문희․양미선․이동하(2014). 어린이집 설립주체에 따른 보육비용 산출 연구.

3) 양미선․박원순․피재은․이동하(2015). 지역특성을 고려한 보육비용 산출연구 2015.

4) 김동훈․최은영․김문정(2016). 이용시간을 고려한 보육비용 산출연구 2016.

□ 표준보육비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국가수준의 과정인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

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 비용으로, 본 연구에서 산출하고자 하는 표준보육비

용은 공급자인 어린이집에서 법적 기준을 준수하고 적정한 양질의 보육을 제공하

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합임.

- 여기에서 ‘적정’ 수준이란 사회적 합의와 공감이 필요한 부분으로, 표준보육비용

은 비용의 대표성(공통성), 현실성, 정책적 실행가능성과 지속성, 합법성과 가치지

향, 양질의 추구를 내포함.

-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은 표준보육비용의 개념과 범위 설정에서부터 출발함.

2. 어린이집 현황

□ (기관규모) 20인 이하 소규모 어린이집이 전체 기관의 절반 이상을 차지. 21~50인

이하와 51인 이상이 약 1/4씩 분포함.

□ (반 구성 및 인력배치) 어린이집 현황과 전국보육실태조사 자료의 평균 수치를 대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55 -

표값으로 하여 어린이집의 평균적인 모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어린이집은 20인 이하 소규모와 50인 이하 규모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기

관당 평균 6.8명의 보육교직원(원장 1명, 보육교사 4.6명, 직원/기타인력 1.2명)이

근무하고, 5.5개의 반을 편성하고 있으며 유아반에 비해 영아반(1, 2세반)의 편성

이 상대적으로 많음. 전체 어린이집의 56.6%가 혼합연령반을 편성하고 있음(기관

당 평균 1.6개반).

- 보육교사 경력은 평균 4.6년, 1일 8시간 42분을 근무하고 있으며, 월 평균 급여

184만 3천원(기본급 평균 147만 8천원, 수당 평균 36만 5천원)으로 4.8호봉에 해

당함.

- 중간경력교사(평균경력 7년 이상)의 1일 근로시간은 9시간 36분으로 보육 7시간

54분, 보육준비 및 기타업무 약 1시간, 점심시간 30분, 휴식시간 18분으로 조사됨.

- 초과근무가 있는 어린이집은 70.8%로, 이 중 64.7%의 어린이집에서 시간외수당을

지급하고 있음. 비담임 보조교사를 고용한 기관이 전체 어린이집의 38.6%로, 보

조교사는 1일 평균 5시간 17분을 근무하고, 월 평균 93만 6천원의 급여를 받고

있음.

-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은 어린이집의 운영 현황에 기초한 기본모형의 탐색을 통해

비용 산출의 항목과 산정방식을 구체화 할 필요가 있음.

□ (세입․세출 현황) 어린이집의 수입 구조는 크게 ‘보육료’와 ‘인건비지원’ 등의 보조

금과 부모부담 비용으로 구분됨. 지출 구조는 크게 보육교직원 ‘인건비’와 어린이집

‘운영비용’으로 이루어짐.

○ 어린이집의 항목별 세입 분포에서 보육료 수입이 세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인건비 보조금, 부모부담비용(특별활동비, 기타필요경비), 기본보

육료의 순으로 나타남.

- 정원규모가 클수록 기관당 세입규모는 늘어나는 가운데 영유아 1인당 세입은 다

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임.

○ 어린이집의 세출분포는 인건비 비중이 가장 크고, 사업운영비, 관리운영비의 순으

로 나타남.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56 -

3. 표준보육비용 모형

□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 어린이집의 적정 운영을 위해 필요한 5개 항목별 산출방

식에 관한 것으로, 항목별로 필요한 구성요소와 산출기준을 바스켓(구성목록과 기

준들)으로 제시함.

- 5개 항목은 인건비, 급간식비, 교재교구비, 관리운영비, 시설설비비임.

- (산출방식) 전물량방식과 세입세출 현황 자료에 근거한 기준들(예: 실태자료 대표

값, 규모의 경제 수치 등)을 반영하는 반물량방식이 함께 적용됨.

- (산출요건) 어린이집의 다양한 운영 특성을 고려할 때,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에 반

영해야 할 요건과 경우의 수는 많음. 이 중 기관규모, 이용시간, 영유아연령을 산

출요건으로 함.

[그림 1] 표준보육비용 산출요건

설립유형 기관규모 이용시간 영유아 연령 지역규모 장애통합여부

국공립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 등

민간

가정

부모협동

직장

×

20인 이하

50인 이하

97인 이하

×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시간연장

×

0세

1세

2세

3세

4세

5세

×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장애통합

일반어린이집

□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의 쟁점 및 특징

- 인건비 모형을 중심으로, 인건비 모형과 인건비 외 기본보육운영비(4개 항목) 모형

으로 구분함. 인건비 모형에서 보조교사 및 중간관리직 교사, 조리원, 행정직원, 원

장겸직 해소 등 교직원 배치와 관련 직무의 수행, 1일 8시간 근로시간의 준수(휴게

시간 및 시간외수당 지급)를 표준보육비용 산출의 주요 쟁점과 기준으로 고려함.

- 시간 수요를 고려하여 맞춤반 6시간, 종일반 12시간, 어린이집 평균 이용시간 및

근무시간을 고려한 8시간, 시간연장 등, 이용 및 운영 시간에 따라 교사를 배치함

으로써 이용시간을 고려한 비용 체계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57 -

- 인건비는 인력배치를 통해, 급간식비와 관리운영비는 가중치를 통해 규모의 경제

특성을 반영함. 또한 지출단위별 산출과정을 통해 기관의 특성을 고려

- 어린이집 회계 세출예산과목에 기반하여 규모별, 연령별 영유아 1인당 비용을 산

출하는 아동 1인당 단가 산출 방식에서 기관당-반당-아동당 산출단위를 적용함으

로써 기관운영에 필요한 기본비용을 반영하고자 함(급간식비는 아동 1인당 단위

로 접근).

- (기본+α). 비용의 산출은 기본모형을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반영을 검토함. 예: 20인 규모 인건비의 경우, 조리원의 배치

- 보조교사의 배치, 최저임금 인상 등 당면한 주요 정책 변화와 과제를 표준보육비

용 산출에 반영함.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내공기 질 관리비, 석면검사비,

CCTV 관리운영비 등 제도 변화나 현실을 반영하도록 함.

□ 어린이집 인건비 산출을 위한 인력배치(안)은 다음과 같음. 어린이집 이용시간과 기

관규모를 고려하여 보육교직원 인력모형을 구성함.

<표 2> 어린이집 규모별 반 구성 및 인력배치(안)단위: 명

구분 20인 50인 77인 97인 124인 142인 169인

기본

원장 (1) 1 1 1 1 1 1

담임교사

0세아반 1 1 1 1 1 2 2

1세아반 2 1 1 2 2 2 2

2세아반 1 1 2 2 3 3 4

3세아반 - 1 1 2 2 3 3

4세아 이상반 - 1 2 2 3 3 4

소계 4개반 5개반 7개반 9개반 11개반 13개반 15개반

간호사 (방문) (방문) (방문) (방문) 1 1 1

영양사 (공유) (공유) (공유) (공유) 1/5 1/5 1/5

조리원 (1) 1 1 2 2 3 3

보조교사 1 1.5 2 3 4 4 5

영아보조 1 1.5 1 2 2 2 3

누리보조 - - 1 1 2 2 2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58 -

자료: 서문희 외(2013). p136. 표 Ⅳ-2-2를 토대로 수정. ( )는 추가 고려사항을 의미.

1) 인건비 모형(안)

□ [3개 모형안]. 이용시간을 중심으로 어린이집 운영의 기본 요건을 담음.

- 1안은 영유아 재원의 변화와 이에 따른 단시간 보조교사 채용의 어려움을 고려하

여 초과근로에 대한 시간외수당 지급을 반영. 2안은 보조교사 배치 기준을 고려

하고 교사의 1일 8시간 근로시간/휴게시간을 준수하는 인력 배치를 반영. 3안은

교직원의 고유한 역할 수행과 전문성을 고려하여 원장-중간관리자-교사-직원의 직

무를 적용함.

○ (급여기준) 비용 산출시 어떠한 급여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인건비 산출에 차이

가 있음.

① 보육교사 인건비 지급기준 1호봉을 반영하고, 경력을 반영한 인건비 차액은 기

관 운영에 따라 차등지원하는 어린이집 지원 체계를 고려

② 보육실태조사의 교사 평균 근무경력을 반영한 임금

③ 보육교직원 배치/급여 기준을 부분적으로 상향 적용. 보조교사와 행정직원, 중

간관리자 등을 배치하거나, 교직원 호봉표에 근거하여 교사의 경력을 온전히 반

영한 급여를 적용. 또는 원장의 기준 호봉과 함께 원장의 직책급과 수당 반영을

고려 등

추가

보조교사 추가배치 - - - - - - -

중간관리자(원감) -1 1 1

1 1 1

행정지원인력 - 1 1 1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59 -

[그림 2] 이용시간별 인력모형_20인규모(4개반)

4시간

(9:00-13:00)

8시간

(9:00-17:00)

12시간

(7:30-19:30)

1안6시간교사(4) 담임교사(4)+시간외수당 담임교사(4)+시간외수당

6시간 보조교사(1) 8시간 보조교사(1)

2안

6시간담임교사(4) 담임교사(4) 담임교사(4)

6시간보조교사(1)8시간보조교사(1)

4시간보조교사(1)

8시간보조교사(1)

6시간보조교사(1)

3안

원장 원장 원장

6시간담임교사(4) 담임교사(4) 담임교사(4)

6시간 보조교사(1) 8시간 보조교사(1)

추가

(+α)4시간조리원 6시간조리원 8시간조리원

[그림 3] 이용시간별 인력모형_50인규모(5개반)

4시간 8시간 12시간

1안

원장 원장 원장

6시간담임교사(5) 담임교사(5)+시간외수당 담임교사(5)+시간외수당

8시간 보조교사(1) 8시간 보조교사(1.5)

2안

원장 원장 원장

6시간담임교사(5) 담임교사(5) 담임교사(5)

6시간보조교사(1) 8시간보조교사(1.5) 8시간보조교사(2)

3안

원장 원장 원장

원감/행정인력 중(1) 원감/행정인력 중(1) 원감/행정인력 중(1)

6시간담임교사(5) 담임교사(5) 담임교사(5)

6시간 보조교사(1) 8시간보조교사(1.5) 8시간 보조교사(2)

주: 조리원 배치는 법적 요건으로, 50인 이상 모형에 별도 제시하지 않음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60 -

[그림 4] 이용시간별 인력모형_97인규모(9개반)

4시간 8시간 12시간

1안

원장 원장 원장

6시간교사(9) 담임교사(9)+시간외수당 담임교사(9)+시간외수당

8시간보조교사(1.5) 8시간 보조교사(2)

2안

원장 원장 원장

6시간담임교사(9) 담임교사(9)+시간외수당 담임교사(9)

4시간보조교사(2) 8시간보조교사(2) 8시간보조교사(3)

3안

원장 원장 원장

원감/행정인력 중(1) 원감/행정인력 중(1) 원감/행정인력 중(2)

6시간담임교사(9) 담임교사(9) 담임교사(9)

4시간보조교사(2) 8시간 보조교사(2) 8시간 보조교사(3)

2) 교재교구 모형

□ 어린이집 교재교구비는 아동 단위, 반 단위, 어린이집 단위로 소요되는 교재교구비

와 소모품(비품비)에 대해 각 연령별, 영역별로 교재교구와 소모품(비품) 목록을 작

성한 후 필요수량과 내구연한 등을 결정한 바스켓을 구성함.

- 아동당, 반당, 기관당 산출단위별로 필요한 목록을 정리하고, 여기에 어린이집 규

모별 교재교구비 부담을 감안하여 산출함.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61 -

[그림 5] 교재교구비 산출 방식

비용 산출 단위 0세 1세 2세 3세 4세 5세

어린이집 단위 어린이집 단위 교재교구비 * 규모별 소요량 조정

+

반 단위

0세반

교재교구비

×

0세반 수

1세반

교재교구비

×

1세반 수

2세반

교재교구비

×

2세반 수

3세반

교재교구비

×

3세반 수

4세반

교재교구비

×

4세반 수

5세반

교재교구비

×

5세반 수

+

아동 단위

0세

교재교구비

×

0세아 수

1세

교재교구비

×

1세아 수

2세

교재교구비

×

2세아 수

3세

교재교구비

×

3세아 수

4세

교재교구비

×

4세아 수

5세

교재교구비

×

5세아 수

3) 급간식비 모형

□ 급간식비는 어린이집 규모 및 연령별 식단을 고려한 아동 1인당 월별 식단가로 산

출함.

-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에 기초하여 연령별 표준식단을 작성하고, 해당 식단에

필요한 식재료 리스트와 필요분량을 구성함. 식재료의 가격 단가를 조사하여 단

위 가격을 산출하고, 이를 아동당 필요 분량에 곱하여 아동당 1일 식재료 단가를

산출함.

- 전체 어린이집의 급간식비는 연령별 반당 아동 배치 기준 및 반 배치 기준을 적

용하여, 아동 수만큼 곱하여 산출. 식재료 구매 수량이 많아질수록 식재료 단가가

낮아지는 규모의 경제를 반영하기 위해, 한달 식단가에서 어린이집 규모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식단가를 조정할 수 있음.

4) 관리운영비 모형

□ 관리운영비는 어린이집 운영을 위해 기본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으로, 어린이집에 필

요한 행정서무, 관리업무, 교직원교육 등을 위한 비용임.

- 운영비(사용료 및 수수료, 공공요금, 일반운영비, 위생관리, 시설관리용역, 시설물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62 -

유지보수, 급식기구, 업무추진비), 복리비(교직원교육연수비/상해보험 등 보육교직

원 복리비, 영유아 의료비 및 건강진단 등 영유아복리비)로 구성됨. 회의비, 여비,

수용비․수수료 및 공공요금, 연료비 등을 포함.

- 관리운영비 지출비목에 대한 상세 목록을 작성하고, 어린이집, 반, 영유아당 지출

단위별로 소요물량, 내구연한, 단위단가를 조사하여 합산함.

- 어린이집 단위 경비는 기관규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므로, 어린이집 규모별로

조정된 최종 소요물량을 산출하거나, 규모의 가중치를 적용함.

5) 시설설비비 모형

□ 시설설비비는 이전 표준보육비 연구에서 적용한 건물건축비, 놀이터 설치비, 시설

장비비, 시설유지비로 구성하며, 선행연구의 산출방식을 준용함.

- 단, 세입세출 실태자료에 반영된 시설설비비가 어린이집에서 실제 필요한 비용에

미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재무회계 자료 상의 비용을 어

떤 비율로 계상하여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건물건축비는 어린이집 시설을 신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현재 국공립어린

이집 신축시 국비와 지방비 지원단가를 건물건축비 근거를 적용함.

- 놀이터 설치비는 어린이집 규모별 놀이터 면적기준 및 놀이기구 설치기준과 각종

부대비용을 포함하여 전문업체 단가 조사와 어린이집의 실제 설치비용 조사를 통

해 산출함.

- 시설장비비와 시설유지비는 재무회계 세출 자산취득비 평균을 고려하되, 현장전

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적용 비율을 조정함(기존 세출평균의 20% 적용).

4.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 논의

1) 이용시간과 기관규모를 고려한 인력배치

- 이용시간은 수요자 영유아와 부모의 서비스 이용시간과 동일한 개념이며, 기관

운영시간은 교사의 근로시간에 수렴함. 실제 현장에서 영유아의 8시간 이용을 위

해서는 교사의 근로시간과 기관 운영시간이 최소 10시간 이상이 되는 현황을 고

려하고, 운영시간 외에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고려함.

- 4-6-8-12-시간연장 시간의 구분은 시간제보육과 맞춤형보육, 1일 12시간 보육, 12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63 -

시간이상 장시간보육 수요와 어린이집 평균 이용시간 및 교사 1일 근무시간 준

수를 고려함.

- 1안의 경우 8시간미만 운영에 대해서는 보조교사 배치가 없고 8시간이상부터 보

조교사를 배치함. 8시간이상 운영의 경우 담임교사와 조리원의 8시간이상의 근로

에 대해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하되(1안), 시간외수당의 지급을 최소화하는 인력배

치를 담고자 하였음. 12시간 운영의 경우, 운영시간 내에 실제 다양한 이용시간이

분포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1일 8시간이상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일부일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해 시간외수당 지급을 통한 교사 순환근무 및 직원의 연장근무가 가

능하도록 함.

- 시간연장보육을 수행하는 기관은 시간연장교사 1인 외에 전일제 보조교사를 배치

하여 12시간이상 보육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 인력 배치를 반영함.

- 2안은 보조교사 배치를 통해 담임교사의 휴게시간과 영유아 비대면근로시간 및

보조교사와 공동보육이 가능한 시간이 가급적 영유아 이용시간의 최소 1/4, 반별

1시간 이상이 되도록 함.

- 3안은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와 교사의 전문성 강화 및 행정업무부담 완화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보조교사 배치(2안) 외에 중간관리자인 원감(주임교사) 또는 행

정지원인력의 배치를 가정함. 20인 규모에서는 교사 겸직을 해소한 원장과 조리

원을 추가로 배치함.

□ 20인 규모의 경우, 다수의 기관이 가정어린이집의 설립유형을 가지며 주로 영아보

육을 수행하는 특성을 고려함.

- 1안은 원장의 교사 겸직을 유지하면서 8시간 이용시간부터 보조교사를 배치

- 2안은 소규모기관의 공간과 인적 구성을 고려할 때 원장을 인력의 기본요건으로

하는 것이 무리가 될 수 있으므로, 원장 배치를 대신하여 담임교사를 지원하는

보조교사의 배치를 반영

- 3안은 모든 시간유형에 원장 겸직 해소 또는 보조교사의 배치를 적용한 것으로

교직원 인건비 비용이 커지는 구조임.

□ 97인 규모의 경우, 50인 규모와 가능한 한 동일 기준을 적용. 0~5세의 연령별 반

구성과 9개반의 편성으로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한 특성을 고려. 보조교사의 경우

규모의 경제를 고려하여 인력을 배치함.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64 -

<표 3> 이용시간별 비용 산출 모형(안)_50인규모(5개반) 기준

이용

시간

4시간

(9:00-13:00)

6시간

(9:00-15:00)

8시간

(9:00-17:00)

12시간

(7:30-19:30)

시간연장(14시간)

(7:30-21:30)

반 구성 4시간 4-6시간 4-6-8시간 4-6-8-10-12시간 10-12시간-시간연장

운영

시간

6시간

(8:00-14:00)

8시간

(8:00-16:00)

10시간

(8:00-18:00)

12시간

(7:30-19:30)12시간이상

1안

- 원장

- 6시간 담임교사(4)

- 4시간 조리원

- 원장

- 8시간 담임교사

- 6시간 조리원

- 원장

-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8시간 보조교사(1)

- 8시간 조리원(1)

- 원장-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8시간 보조교사(1.5)

- 8시간 조리원(+시간외수당)

- 원장- 담임교사- 시간연장교사(1)

- 조리원(+시간외수당)

2안

- 원장

- 6시간 담임교사

- 6시간 보조교사(1)

- 4시간 조리원

- 원장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

- 6시간 조리원

- 원장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5)

- 8시간 조리원(1)

- 원장- 담임교사- 8시간 보조교사(2)

- 8시간 조리원(+시간외수당)

- 원장- 담임교사- 8시간 보조교사(2)

- 시간연장교사(1)

- 조리원(1.5명)

3안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6시간 담임교사

- 6시간 보조교사(1)

- 4시간 조리원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

- 6시간 조리원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5)

- 8시간 조리원(1)

- 원장-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담임교사- 8시간 보조교사(2)

- 8시간 조리원(+시간외수당)

- 원장-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담임교사- 8시간 보조교사(2)

- 시간연장교사(1)

- 조리원(1.5명)

급간식비- 오전간식+점심

- (규모 가중치)

- 오전간식+점심+오후간식

- (규모 가중치)

- 오전간식+점심+오후간식

1번

- (규모 가중치)

- 오전간식+점심+오후간식 2번(또는 저녁식사)

- (규모 가중치)

- 오전간식+점심+오후간식 2번+저녁식사

- (규모 가중치)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65 -

주: 단가에 반영하는 규모의 가중치는 급간식비와 관리운영비 위주로 반영. 교재교구비와 시설설비비는 산출과정에서 규모를 고려할 수 있음.

이용

시간

4시간

(9:00-13:00)

6시간

(9:00-15:00)

8시간

(9:00-17:00)

12시간

(7:30-19:30)

시간연장(14시간)

(7:30-21:30)

반 구성 4시간 4-6시간 4-6-8시간 4-6-8-10-12시간 10-12시간-시간연장

운영

시간

6시간

(8:00-14:00)

8시간

(8:00-16:00)

10시간

(8:00-18:00)

12시간

(7:30-19:30)12시간이상

관리

운영비

- 80%

* 냉난방비, 취사연료비,

전기/수도/사무용품비

등 수용비․공공요금

감액

- (규모 가중치)

- 90%

* 냉난방비, 취사연료비,

전기/수도/사무용품비

등 수용비․공공요금

감액

- (규모 가중치)

- 100% 반영

- (규모 가중치)

- 120% 반영* 냉난방비, 취사연료비,

전기/수도/사무용품비

등 수용비․공공요금

증액

- (규모 가중치)

- 130% 반영* 냉난방비, 취사연료비,

전기/수도/사무용품비

등 수용비․공공요금

증액

- (규모 가중치)

교재

교구비- 소모품 100% 반영 - 소모품 100% 반영 - 소모품 100% 반영 - 소모품 120% 반영 - 소모품 130% 반영

시설비- 내용연수30년 적용

- 정액 감가상각- 좌동 - (좌동) 100% 반영 - (좌동) 100% 반영 - (좌동) 100% 반영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66 -

<표 4> 이용시간별 교직원 배치(안)_20인규모(4개반) 기준

이용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시간연장(14시간)

반 구성 4시간 4-6시간 4-6-8시간 4-6-8-10-12시간 10-12시간-시간연장

운영시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0-12시간-시간연장

1안 - 6시간 담임교사(4) - 8시간 담임교사-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6시간 보조교사(1)

-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8시간 보조교사(1)

-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8시간 보조교사(1.5)

2안- 6시간 담임교사

- 6시간 보조교사(1)

- 8시간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

- 4시간 보조교사(1)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

- 6시간 보조교사(1)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2)

3안

- 원장

- 6시간 담임교사

- 4시간 조리원

- 원장

- 8시간 담임교사

- 4시간 조리원

- 원장

- 담임교사

- 6시간 보조교사(1)

- 6시간 조리원

- 원장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

- 8시간 조리원

- 원장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1.5)

- 8시간 조리원(+시간외수당)

주: 인건비 외 급간식비, 관리운영비, 교재교구비, 시설설비비 산출은 50인 규모와 동일 기준 적용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67 -

<표 5> 이용시간별 교직원 배치(안)_97인규모(9개반) 기준

이용

시간

4시간

(9:00-13:00)

6시간

(9:00-15:00)

8시간

(9:00-17:00)

12시간

(7:30-19:30)

시간연장(14시간)

(7:30-21:30)

반 구성 4시간 4-6시간 4-6-8시간 4-6-8-10-12시간 10-12시간-시간연장

운영

시간

6시간

(8:00-14:00)

8시간

(8:00-16:00)

10시간

(8:00-18:00)

12시간

(7:30-19:30)12시간이상

1안

- 원장

- 6시간 담임교사(9)

- 6시간 조리원

- 원장

- 8시간 담임교사

- 8시간 조리원

- 원장

-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8시간 보조교사(1.5)

- 8시간 조리원(1.5)

- 원장

-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8시간 보조교사(2)

- 조리원(1.5명, 시간외수당)

- 원장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2)

- 시간연장교사(1)

- 조리원(1.5명, 시간외수당)

2안

- 원장

- 6시간 담임교사

- 4시간 보조교사(2)

- 4시간 조리원(2)

- 원장

- 담임교사

- 6시간 보조교사(2)

- 6시간 조리원(2)

- 원장

- 담임교사(+시간외수당)

- 8시간 보조교사(2)

- 조리원(1.5명)

- 원장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3)

- 조리원(2)

- 원장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3)

- 시간연장교사(1)

- 조리원(2)

3안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6시간 담임교사

- 4시간 보조교사(2)

- 4시간 조리원(2)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담임교사

- 6시간 보조교사(2)

- 6시간 조리원(2)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2)

- 조리원(1.5명)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3)

- 조리원(2)

- 원장

- 원감/행정인력 중 1인 배치

- 담임교사

- 8시간 보조교사(3)

- 시간연장교사(1)

- 조리원(2)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68 -

2) 항목별 기본요건 및 추가 고려사항

표준보육비용 산출을 위한 필수적인 기본요건 외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경우의 수들이 존재함.

<표 6> 기본요건 및 추가 고려사항

항목 기본요건 추가고려사항

인건비

<1안: 임금 최저기준 적용>

- 민간/가정어린이집 등에서는 보육교사에게 지불되는

월급여 평균이 5호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을 고려

- 교사 제 수당(처우개선비)이 기관에서 지불하는 월급

여와 별도로 교사에게 직접 지급되는 것을 반영

- 교사 인건비 기본모형을 보육교사 인건비 1호봉(최

저임금 인상 적용)+시간외수당+법정부담금/퇴직금

적립으로 적용

- 원장 인건비 기본모형을 원장 5호봉(최저임금 인상

반영)+법정부담금/퇴직금적립금으로 함

- 추가로 필요한 인건비에 대해서는, 인건비 지원체계

또는 별도의 기관 인센티브 지원 설계를 통해 차등

지원되도록함.

- 교사-원장 호봉

- 민간/가정 등 실

제 지급수준 고

- 이용시간

(또는)

운영시간별

- 기관규모별

- 취약지역

- 장애아통합

- 시간연장

- 새로 요구되

는 항목

- 기타필요경

비/부모부

담비용 항

목 검토

<2안: 임금 상향기준 반영>

- 보육교직원의 배치 및 인건비는 영유아보육법과 보

육사업안내로 규정한 기준 적용

- 보육교직원 구성에 질적 제고를 고려하여, 보조교사

및 조리원, 영양사 등 인력 배치 반영. 교사 1일 8시

간 근무(1시간 휴게시간) 원칙을 적용

- 급여기준: 전국보육실태조사 결과에 근거한 보육교

직원 평균 급여/호봉 및 국공립어린이집 급여 수준

을 반영

- 시간외수당, 교직원 퇴직금과 운영자사회보험 부담

금 포함

- 인상된 최저임금 기준 적용

원장겸직해소

중간관리자1)

보조교사 추가

행정인력

조리원

간호사/영양사

- 처우개선비(별도

수당) 포함

급간식비- 보육아동 연령과 권장 에너지 수준을 반영하여 산정

- 일반 식단 적용

- 유기농식단

- 단가인상

교재

교구비

- 3~5세 누리과정, 영아 표준보육과정을 반영하여 작

성한 연령별․발달영역별 교재교구 목록을 기준으로

- 구매주기 단축

- 소유수량 증가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69 -

5. 제언: 표준보육비용 산출 제도화 및 비용지원체계 연계

- 정부가 지급하는 보육비용이 표준보육비용에 미치지 못한다는 인식이 있는 가운

데, 어린이집 세입에서 보육료와 보조금 등 국가나 지자체가 지원하는 금액을 산

출한 결과 영유아 1인당 월평균 세입․세출이 60만원대로 산출됨. 어린이집 회계

에 포함되지 않는 교사근무환경개선비, 누리과정 담당 보육교사지원비 등이 총량

으로 합해진다면 어린이집에 대한 비용지원 규모는 더욱 커질 것임.

- 보육예산의 양을 증가시키는 노력은 확보된 비용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치, 분

담할 것인가에 대한 질적 배분의 논의를 필요로 함.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은 산술

적인 비용 추산에 머물지 않고 산출된 비용 구조가 담는 세부내역과 함의를 들

여다 볼 필요가 있음.

- 양질의 서비스 제공과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발달, 교사와 부모의 행복한 보육/양

육과정을 위해 필요한 물적 토대에 대해 사회적으로 합의하고 합리적 기준을 설

정하는 것이 필요함. 비용 모형을 통해 이러한 논의가 가능한 기준과 개념을 제

시하도록 함.

- 모형을 통해 인건비 모형(인력배치)의 중요성(인건비+기본보육운영비용으로 구성),

1) 원감/주임교사와 같이 보육과정(curriculum)의 수행을 지원, 멘토링하는 pedagogical leader

항목 기본요건 추가고려사항

대표기관 10곳을 선정하여 조사, 목록화

- 주요 3개 교재교구 판매업체 가격 조사 후 중간값

산정

- 일부품목 중간값

이상 고가 반영

관리

운영비

- 어린이집에 필요한 관리운영상의 제 목록을 기준으

로 대표 기관 10곳을 선정하여 어린이집을 조사, 목

록화

(비목포함 법위)

차량유지비 반영

시설

설치비

- 건축비는 국공립어린이집 건축 단가와 공공건물 건

축 단가를 복수로 적용

- 놀이터는 설치비 단가에 따른 복수안 제시

- 시설유지관리비는 생애주기비용 분석기법을 활용하

여 산출

- 건축비: 기준연

한 40→30년

- 설비비: 세출평

균이 아닌 주요

설비 목록 내구

연한/설비기준

적용

춘계학술대회 기획2주제 (2018. 6.)

- 70 -

비용 산출에 이용시간과 기관규모의 특성 반영, 교사의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보

장 및 보조교사와 직원의 배치, 지출단위별 산출의 과정을 통한 기관운영의 고정

비용과 규모의 특성 반영 등을 논의하였음.

- 영유아연령, 기관규모와 이용시간 외에 반드시 반영해야할 필수 요건이 무엇인지,

선택적으로 반영 여부를 검토해야하는 추가 고려사항이 무엇인지 지속적인 검토

와 논의가 필요함.

- 구체적으로 산출항목의 구성(바스켓)과 산출방식, 주요 항목별 가중치와 비율의

설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표준보육비용 산정 주기, 산정항목 및 방법 등에 대한 제도적 보완을 추진하고

이를 제시하도록 함. 3년 또는 5년 단위의 주기적 산출에 근거하되 공공요금과

인건비의 물가인상률 등 매년 달라지는 부분을 반영하도록 함.

- 비용 산출의 모형은 표준보육비용 산정 이후, 정부-지자체-학부모별 부담 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적정한 비용 분담 체계를 필요로 함.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71 -

참 고 문 헌

김동훈․최은영․김문정. 2016. 이용시간을 고려한 보육비용 산출 연구 2016. 육아정책연

구소.

김은설․유해미․최은영․최효미․배윤진․양미선․김정민. 2015. 2015년 전국보육실태

조사 가구조사보고서.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김현숙․서병선. 2008. 보육료 지원체계 개편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박기백․김현숙․김우철․김형준. 2005. 표준보육․교육단가 및 적정부담수준에 관한 연

구. 여성부․한국조세연구원.

박진아․김근진․윤지연. 2017. 표준보육료와 교육비 산출 연구(Ⅴ). 육아정책연구소.

보건복지부. 2018. 보육사업안내.

서문희․양미선․박진아․유영준․이영미․유옥수․정승구․이세원․이혜민. 2013. 표준

보육비용 산정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양미선․박원순․피재은․이동하. 2015. 지역특성을 고려한 보육비용 산출연구 2015. 육

아정책연구소.

이미화․서문희․임양미․이진경. 2012. 표준보육료 산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이미화․최윤경․이정원․도남희․권미경․박진아․이혜민․김영원. 2015. 2015년 전국

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 72 -

기획2주제 토론

기획2주제 토론

김 진 이*2)

발제자는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비용 산출의 기본모형을 구축하고 이

를 구성하는 세부항목과 요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오늘 학회에서의 ‘최적의 보육서비

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논의가 향후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부 정책 결정과정에서 현실적이고, 의미 있는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토론에 임하고자 한다.

○ 표준보육비용 산출과 관련한 접근 방법의 제고가 필요한 것이 아닌가.

보육의 발전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재정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재원의 확보가 필수

적이다. 보육재정의 부족은 보육활동을 위축시키거나 보육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

이다. 우수한 영유아보육프로그램은 어떠한 가격에도 구매할 수 없겠지만, 높은 질의 영

유아보호는 비싸며 영유아와 부모가 신뢰할 수 있는 발달적으로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

공하기 위하여 보육비용은 적절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표준보육비용을 산정하는 주요한 목적이 정부지원단가의 기초로 활용하기 위하여 최

소 소요비를 산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듯하다. 발제자의 논문에서도 “표준보육비

용의 산출은 보육비용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정부의 예산 확보와 어린이집의 제반 운

영을 관장하는 재정 기반으로서 중요도가 크다”고 하였다. 그러나 표준보육비용의 산출

*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73 -

은 각 보육과정에 소요되는 적정한 양질의 보육을 제공하는 보육비용을 추정하는데 활

용되어야 한다. 그동안의 표준보육비용 산출 연구결과는 양질의 보육을 보장하기에는 적

절하지 못하였으며, 정부지원보육료는 표준보육비용에도 못 미치는 보육료 지원을 하고

있다. “적절한”과 “충분한”이라는 용어들은 매우 규범적이다. 최저생계비 계측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적 이슈는 자립 측정이 절대적, 상대적, 주관적 기준 중 어떤 기준을 따르느

냐는 것이다. 절대적 측정은 전문가 의견에 따라 소비의 최소한의 수준을 주기적으로 물

가상승을 고려하며 화폐로 산정한 것이다. 예로 과거의 최저생계비 계측을 들 수 있다.

대조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상대적 측정은 참고 기준으로 소득분포의 중앙값을 사용한다.

절대적 측정과 달리, 이 가치는 평균, 분산, 소득분포 등이 매년 바뀔 가능성이 높다. 주

관적 측정은 대표성을 가진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를 통해 가족의 욕구와 경제적

복지를 달성하기 위한 최저 기준을 뽑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은 질문하는 방법과 대

상의 소득수준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주관적 측정은 비용

계측이 향후 다수에게 현실적일지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시대적 변화에 맞추

어 이제는 보육비용 산출에 있어서도 최소한의 소요 경상비용을 산출하는 절대적 비용

산출보다는 상대적, 주관적 비용 산출에의 개념과 접근을 도모하여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합리적 경제 구조 하에 적정서비스를 제공함에 필요한 비용으로 표준보육비용을 정의하

여야 할 것이다.

○ 연구자는 표준보육비용의 산출에 반영해야 할 요건과 경우의 수로 기관규모, 이용

시간, 영유아 연령을 산출요건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집 운영 경비 총액과 경비

분배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영유아 수, 연령, 특수 욕구를 가진 아동 수(장애아동수)

2. 교사-아동 비율

3. 교사 훈련

4. 건물의 유형과 위치

5. 이미 갖춘 혹은 필요한 장비의 양

6. 제공될 프로그램과 서비스들

7. 시설이 위치한 지역

8. 일반적인 경제적 조건들

기획2주제 토론 (2018. 6.)

- 74 -

9. 현물, 현금 기부금의 양과 유형

발표자의 원고는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의 세부 항목과 요건을 제시하는 정도에 그

쳐, 구체적인 산출 세부 내역과 비용 규모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아쉽다. 특히 교재교구

비, 급간식비의 경우 자세한 산출 세부 내역과 비용 규모를 알 수 없다. 일반아동 및 장

애아동 표준보육비용 구성 항목을 결정하고, 제 조건을 반영하여 항목별로 시설 규모 및

아동연령별 표준비용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이용시간과 시설유형 특성 차이를 반영한

보육비용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현장에서는 영유아수가 40-50인 시설 급간

식비가 예상보다 많이 든다고 한다. 어린이집 입장에서는 맞춤형반 운영상 점심․간식비

는 모두 종일반과 동일하게 지급되므로 비용 면에서 부족하다고 한다. 그리고 급간식비

의 경우 급간식비는 물가 상승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라는 평가를 많이 받고 있다. 회수

불가능한 비용도 종종 발생한다(사전 예고 혹은 지불 없이 영유아 등록 철회).

○ 지출 구조는 크게 보육교직원 ‘인건비’와 어린이집 ‘운영비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유치원의 사례를 살펴보면, 유치원 표준교육비를 지출영역별로 나누면 표준인

건비와 표준관리운영비(표준교육활동경비, 표준공통운영경비)로 대별된다. 표준교육비는

설비비, 교구비, 재료비로 구분하여 산출된다. 표준공통운영경비 산출을 위하여 관리운영

비(공공요금, 인쇄복사비, 공통운영비, 행사비), 연구장학비, 보건체육비, 입시관리비, 급식

비 등 8개 비목으로 구분된다(강경석, 2005). 다음은 영유아보육 비용의 구성방식을 제공

하는 예산 항목이다(Sciarra and Dorsey, 1990).

1. 인건비

2. 상담비

3. 공급재(교재교구비, 멤버쉽비, 보육교사․직원훈련비, 회의비, 구급약비, 야외활동비 등)

4. 급간식비

5. 차량운영비(자동차 구매, 임대료, 보험료, 검사유지비, 기름가스비)

6. 여러 가지 잡비(카드 수수료, 업무추진비 등)

7. 홍보비, 인쇄비, 사무용품비, 비품유지비

8. 전문 가비(법률, 회계 자문비, 보험, 자격증 비, 기타 신청비 등)

9. 시설개보수비(목공, 전기, 배관 수리비 등)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75 -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세부 항목 등에 있어서는 좀 더 보완되어야 할 내용들이 있을

것이다.

○ 제안하는 모형 1, 2, 3안 중 최종안이 아직 확정이 되지 않았다면, 그 과정 속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등 논의가 필요한 것 같다. 사실 인력 제도 개선 계획이 어떻게

확정되는지가 주요 쟁점인 듯하다. 예산 편성과 정부 부담을 고려하면 그나마 2안 모형

이 현실적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생각한다. 물론 3안이 책정된다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행정 담당자 재원을 어떻게 충당이 될지 실현가능성이 의문이 든다. 3안까지 하려면 재

정이 많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종일반 운영은 최소 8시간~10시간, 길게는 12시간 어린이집을 운영하여야 하는데 보육

교사들에게 1일 휴식시간을 주고, 교사의 8시간 근무 조건을 이행하기 위해서 실제로 탄

력근무 및 시간외 수당을 부득이 적용해야 된다. 아침 7시 30분에 내원해서 저녁 7시 30

분까지 있다 퇴원하는 아동도 있다. 오전 7시 30분부터 당직교사가 근무를 시작하면 9시

에 다른 교사들이 출근을 하고 5시 30분쯤 퇴근을 하면 당직 교사가 나머지 잔류아동들

을 보조교사와 보호해야 한다. 교사들의 1일 1시간 휴식시간을 주기 위해선 보조교사 인

원을 늘리는 방안이 최선일 듯 싶다(2명 수준). 현재 전국 30%의 시설에 보조교사를 채

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추경으로 100억 원 보조교사 6,000명을 확보하여도 1.5명 수준).

아니면 시간외수당의 확보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보조교사의 수급도 염려되는 사안 중 하나이다. 자격 면에서 교사와 동일하지만

보수 면에서는 차이가 나서(80만 원 정도) 보육현장에서는 보조교사 구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전국 단위의 보육시설에 대한 현재 시점의 시설 유형별 투입

비용, 지출 내용 등에 대한 서베이가 실시되어 그러한 자료들을 토대로 표준보육비용을

산출하였는지 궁금하다. 전국 국공립, 법인, 민간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세출결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월 필요경비 및 특별활동비 등을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설령 기본

요건과 항목은 지난 표준보육비용 산출 연구들과 큰 변동이 없을 수도 있을지라도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표준보육료를 재산정해야 한다.

기획2주제 토론 (2018. 6.)

- 76 -

참 고 문 헌

강경석. 2005. “사립유치원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Vol. 23, No.4:

175-198.

김현숙. 2009. “보육시설 유형별 표준보육비용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58: 21-40.

서문희 외. 2013. 『표준보육비용 산정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보건복지부․육

아정책연구소.

이미화․서문희․임양미․이진경. 2012. 『표준보육료 산출연구』. 육아정책연구소.

Bernstein, J., Brocht, C. and Spade-Aguilar, M. 2000. How Much is Enough? Basic

Family Budgets for Working Families. Washington, DC: Economic Policy

Institute.

Sciarra, D. J. and Dorsey, A. G. 1990. Developing and Administering a Child Care

Center. New York: Delmar Publishers Inc.

- 77 -

기획2주제 토론

기획2주제 토론

곽 문 혁*1)

대한민국 어린이집은 양과 질에서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탁아에서 보육으로 보육에서

영유아교육․보육으로 그 기능이 확대되었고 그에 걸맞게 위상 또한 높아졌다. 그동안

어린이집은 어머니와 할머니의 무릎을 대신해 부모 역할을 담당했고 일과 육아 양립, 여

성의 사회진출을 용이하게 해줬다. 어느 누구도 어린이집이 보육의 중심으로서 국민과

국가정책에 이바지해온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공로와 비약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보육료 현실화만큼은 그 진행속도가 더디

다. 과거 표준보육비용 연구가 2005년, 2009년, 2013년 3차례 있었지만 실제 보육료 책정

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특히 산출된 단가대로 보육료를 책정하는 것은 고사하고 이에 대

한 발표조차 없었다는 점은 안타깝다. 비싼 용역비까지 지불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안타

까움은 더하다. 보육현장은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보육료 때문에 아우성이다. 하루가 다

르게 오르는 물가와 인건비로 지출은 느는데 보육료가 이를 따라가지 못해 재정이 안

좋은 것이다. 특히 인건비 등 각종 지원을 받지 못하는 미지원시설의 경우 사정은 더 어

렵다. “낮은 보육료는 보육의 질적 수준을 하락시키는데 결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보이

지 않는 손‘의 역할을 한다.”(김혜금, 2015: 171)) 보육료가 보육의 질과 직결되었다는 점

*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

1) 김혜금(2015), 모두가 행복한 보육정책의 발전방향: 보육교사 처우개선과 표준보육비용 현실화를 중심으로.

17p 재인용. 2015 다함께 정책엑스포-[토론회: 특별세션] 직능3-보육. 새정치민주연합․민주정책연구원

기획2주제 토론 (2018. 6.)

- 78 -

을 고려하면, 지금처럼 낮은 보육료를 유지하며 어린이집을 방치한다는 것은 분명 심각

한 문제다.

그렇다면 그간 어린이집은 어떻게 운영되었을까. 순전히 보육교사들의 노동 기부와 원

장의 헌신적인 투자로만 이루어져왔는지 고민해보아야 할 일이다. 2018년 올해 예산지원

을 전제로 하든 못하든 그것은 차후의 문제다. 상식적인 표준보육비용이 산출되어 현장

에 그대로 잘 반영되기를 희망한다.

육아정책연구소 최윤경 연구원이 발제한 연구내용을 보면 선행연구보다 진화된 면모

를 엿볼 수 있다. 특히 ▲인건비의 물가인상률 연동 ▲시간대별 유형, 교사경력과 시간

외 수당 반영 ▲행정보조원 및 상근 보조인력 인건비 추가 ▲차량비 부분의 세부비용

반영 ▲고정비용 반영 등을 비용산정 시 고려할 사항으로 포함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지난 2013년,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에서도 (재)한국종합경제연구원에 의뢰하여 자체적

으로 표준보육료 산정에 관한 연구를 한 바 있다. 당시 연구에서 제기된 선행연구에 대

한 문제점들이 본 연구에서도 다뤄지고 수정되어 검토되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

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발제내용 가운데 산출요건으로 규모별, 시간별, 연령별 세 가지만 제시한 것은

아쉽다. 가장 민감하고 핵심적인 것은 변수가 많은 ‘설립유형’인데 이 부분을 산출요건에

포함하지 않은 것은 유감스럽다. 필자는 대한민국 영유아보육․유아교육 분야 최고의 연

구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가 명성에 맞게 좀 더 보육에 대한 신념과 철학을 가지고 현실

적인 표준보육비용을 도출해내기를 바란다. 뒤에서도 거듭 밝히겠지만 산출요건에 ‘시설

유형’을 넣는 것은 중요하다. 시설유형별 지원격차 등을 세밀하게 조사․연구하는 것만

이 무상보육 원칙하에서 영유아가 동일하게 양질의 교육․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보육료를 현실화하기 위한 첫걸음이기 때문이다. 육아정책연구소가 표준

보육비용 산정에 앞서 이 부분을 깊이 고민하고 반영해주기를 바라면서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과 관련한 몇 가지 의견을 민간어린이집 입장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79 -

첫째, 유치원 유아교육비와 보육료를 동일하게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유아교육비와 보육료를 동일하게 산정해야 한다는 것은 동일한 액수만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니다.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동등하게 하기 위한 제도적․

재정적 기반을 뜻한다. 대한민국의 모든 영유아는 교육받을 권리와 평등권과 행복추구권

을 보장받아야 한다. 그럼에도 부모가 선택한 기관에 따라 아동이 각기 다른 수준의 보

육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사실은 부당하다. 보육비용 산정 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각종

차이를 고려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 1> 2017년 어린이집 및 유치원 아동수

구분어린이집(시설수: 40,238개소) 유치원

(시설수: 9,029개소)(어린이집)보육아동수 전체 만 3세 이상

아동수 1,450,243 588,006 694,631

※ 자료: 보건복지부, 2017년 보육통계 / 교육통계서비스(cesi.kedi.re.kr), 유치원 학생․시설수

2017년 기준

둘째, 표준보육비용 단가산정기관의 전문성 문제다.

육아정책연구소는 영유아보육․유아교육정책 분야의 최고 연구기관이다. 그 실력은 의

심하지 않는다. 문제는 육아정책연구소가 경제연구 전문기관이 아니라는 점과 표준보육

비용 단가산정에 대한 전문성도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정부 입장이나 예산 반

영 등을 감안한 지엽적인 연구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실적인

표준보육비용 산정을 기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셋째, 설립유형별 단가산정이 필요하다.

지원시설과 미지원시설의 수입구조 차이를 감안하여야 한다. 올 초 연합회는 지원시설

과 미지원시설 간 예산 격차를 확인하고자 자체조사(표 2 참조)*를 실시한 바 있다. 그 결

과, 세입예산상 지원시설이 미지원시설보다 50인 기준 78,534,000원 가량 예산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시설이 받는 인건비 등 보조금이 미지원시설이 받는 기본보육료,

부모부담보육료를 합산한 금액보다 월등히 높은 것이 그 이유였다. 이러한 차이는 시설

간 격차로 이어진다. 더 큰 문제는 시설 간 격차에 따른 피해를 우리 아이들이 받고 있다

는 사실이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평등하게 받아야 할 아이들이 이러한 문제로 각기 다

기획2주제 토론 (2018. 6.)

- 80 -

른 환경에서 다른 수준의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어느 기관에 이용하든

차별 없이 동등한 수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시설 유형별 차이를 고려한 보육료 지원

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첫걸음은 설립유형별로 표준보육비용을 산정하는 것이다.

<표 2> 2018년 어린이집 연간 세입예산서*(단위: 원)

정원 50인 기준 정원 100인 기준 연간

구분지원시설

(A)

미지원시설

(B)

차액

(B-A)구분

지원시설

(A)

미지원시설

(B)

차액

(B-A)

총계 379,550,000 301,016,000 -78,534,000 총계 702,093,920 601,712,000 -100,381,920

... ... .... ...

.. .. .. ..

부모부담

보육료0 27,060,000 27,060,000

부모부담

보육료0 54,120,000 54,120,000

기본

보육료0 43,536,000 43,536,000

기본

보육료0 87,072,000 87,072,000

인건비

보조금149,130,000 0 -149,130,000

인건비

보조금241,573,920 0 -241,573,920

[그림 1] 유형 시설별 시설이용 아동수 / 보육비용 피라미드

※ 자료: 한국종합경제연구원(2014), 민간어린이집 보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민간어린이집

보육료 현실화 토론회 관련 자료)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81 -

넷째, 민간어린이집 재무회계 신설 및 자율성 보장의 필요성이다.

표준보육비 항목 중 필수보육비 항목과 추가보육비 항목을 구분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민간어린이집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는 추가보육의 차별성으로 민간어린이집의

가치를 높이고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학부모에게 다양한 보육시스템을 자율적으로 선택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보육시설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양질의 보육서비스 등을 기

대할 수 있을 것이다(권형남, 20132)).

필수보육비 항목과 추가보육비 항목은 <표 3>과 같다.

<표 3> 표준보육비용 필수/추가 보육비 항목

항목 세부항목

필수

보육비

항목

인건비

원장, 원감, 보육교사, 보조교사, 간호사, 영양사, 위생원, 행정원, 제

수당, 시간외수당, 퇴직적립금, 사회보험부담비용(사업자), 기타후생

경비

업무추진비 기관운영비, 직책급(원장), 운영위원회의비, 학부모간담회, 교사회의비

수용비여비․교통비, 사무용품비, 인쇄비, 집기구입비, 도서구입비, 수리수

선비, 기타 교육훈련비

수수료 공고료, 등기료, 은행/서류발급비용 수수료

공공요금 우편료, 전신전화료, 전기료, 상하수도료, 도시가스료

제세/보험료 제세공과금, 협회비, 보험료

연료비 도시가스료 외 연료비

기타운영비 건물임대료, 감가상각비, 융자금 이자(건물 등), 차량 할부금

추가

보육비

항목

사업비 급간식비, 교재교구비, 행사비, 특별활동비, 입학준비금, 현장학습비

재산조성비시설 개․보수비, 자산 취득비용, 시설․장비 대수선비, 시설물 유지

관리비

※ 자료: 권형남 외(2013), 민간어린이집 표준보육료 산정에 관한 연구. 568p <표 520> 재구성(일

부 수정), 한국종합경제연구원

다섯째, 공공요금 산정기준을 준용해야 한다.

철도, 항공, 전기, 수도, 가스 등 주요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한 공공요금을 산정할

때는 기재부 훈령으로 정한 “공공요금 산정기준”이 사용되고 있다. 보육원가 산정하는

것도 공공요금 못지않게 공공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보육료 결정의 기준이 되는 보육원

2) 권형남 외(2013), 민간어린이집 표준보육료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종합경제연구원.

기획2주제 토론 (2018. 6.)

- 82 -

가 산정기준에도 공공요금 산정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공공요금 산정기준(기획재정부 훈령 제345호, 2017. 8. 7 일부개정)”의 내용 가운데 눈

여겨봐야 할 중요한 부분을 발췌해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 목적

본 기준은 공공서비스 이용자의 공정한 이익과 공익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적정한 공공요금을 산정함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② 공공요금 산정의 기본원칙

가. 공공요금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된 취득원가 기준에 의한 총괄원가를 보

상하는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나. 총괄원가는 성실하고 능률적인 경영하에 공공서비스를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적정

원가에다 공공서비스에 공여하고 있는 진실하고 유효한 자산에 대한 적정 투자보

수를 가산한 금액으로 한다.

③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는 취득원가 기준에 의한 정액법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다만, 경영여건, 산

업의 특성, 재투자 재원마련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달리 적용할 수 있다.

④ 적정투자보수

가. 적정투자보수라 함은 규제서비스를 생산 공급하기 위하여 직접 공여하고 있는 진

실되고 유효한 자산에 대한 적정한 보수를 의미한다.

나. 적정투자보수는 지급이자, 감가상각누계액 이상의 원금상환액, 물가상승 등 경영외

적사유로 인한 불리한 여건에 대비하는 내부유보자금 및 기타 공익사업의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경비에 충당하는 재원이 된다.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83 -

⑤ 적정투자보수율

가. 적정투자보수율은 공익사업에 자본비용 및 위험도, 공금리수준, 물가상승률, 당해

회계년도의 재투자 및 시설확장계획, 원리금상환 계획 등 사업계획과 물가전망 등

을 고려하여 공익사업의 기업성과 공익성을 조화시킬 수 있는 수준에서 결정되어

야 한다.

나. 적정투자보수율은 타인자본에 대한 실제차입금리수준을 고려한 세후타인자본투자

보수율과 자기자본에 대한 적정한 기회비용을 고려한 자기자본투자보수율을 가중

평균한율로 한다.

⑥ 요금 체계

가. 공공요금은 규제 서비스의 수요군별 원가를 기준으로 이용자의 부담능력, 편익정

도, 사회적, 지역적인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이용자 간에 부담의 형평이 유지되

고 자원이 합리적으로 배분되도록 체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나. 수요는 과거의 실적, 지역특성 및 사회경제의 동향, 공익사업의 시설, 대체수단의

발달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예측되어야 하며, 규제서비스의 수요군별로 수

요예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 공공요금은 기본요금과 사용요금의 이부요금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자원의 효율적

인 배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초과요금, 차등요금 및 누진요금을

인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과 관련한 의견 5가지를 제안하였다.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유치원 유아교육비와 보육료를 동일하게 산정하는 것 ▲표준보육비용 단가

산정기관의 전문성 문제에 대한 것 ▲설립유형별로 단가를 산정하는 것 ▲민간어린이집

재무회계 신설 및 자율성 보장 ▲공공요금 산정기준 준용 등이다. 이 5가지는 보육현장

에서 느낀 바와 경험 등을 토대로 정리․제시한 것들이다. 이 의견이 앞으로 표준보육비

용 산정 과정에 반영되어 보다 합리적인 보육비용이 산출되기를 기대해본다.

발제문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표준보육비용은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국가수준과정인 표준교육과정과 누리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비용이다. 이런 의미에

기획2주제 토론 (2018. 6.)

- 84 -

서 표준보육비용 산정은 미래세대를 가르치고 돌보는 과정이자 국가의 인적자본을 길러

내는 막중한 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소요액을 책정하기 위한 첫 단계다.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하듯이 보육료 산정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표비 산정에도 신

중을 기해야하는 것은 당연하다. 표비 산정은 현실성과 정확성을 기반으로 이뤄져야 한

다. 정확한 데이터가 나온 상태에서 누가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를 현장과 함께 고민하고

협의해야 한다. 예산논리와 국가정책 방향에 영향을 받아서도 안 된다. 오로지 어린이집

현실을 고스란히 담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산정 과정을 거쳐 나온 보육비용은 우

리 아이들을 건강하고 밝게 자라도록 돌보고 가르치는 데 부족함이 없는 수준이어야 할

것이다.

- 85 -

기획2주제 토론

기획2주제 토론

박 은 숙*3)

발표자께서 표준보육비용의 정의를 “공급자인 어린이집에서 법적 기준을 준수하고 적

정한 양질의 보육을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합임”이라고 하였듯이 보육의 질적 수

준을 제고하기 위해서 가장 우선적으로 현장의 실태와 요구를 반영한 합리적인 표준보

육비용 산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부모들이 요구하는 양질의 보육이란 ‘단순한 무상보육이나 저가 보육이 아니라 부모들

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질 높은 보육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보육현장의

실태와 부모들의 요구를 반영한 합리적인 표준보육비용이 산출되어 표준보육료가 책정

되어야 한다.

작년 10월 11일 (사)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보육료 현실화특별위원회는 2018년 영아보육

료 1.8%인상안과 누리과정 보육료 동결안을 즉각 폐기하고 우리 아이들에게 정상적인 보

호와 교육이 가능한 수준까지 영아보육료를 현실화를 위해 최소 23%인상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올 2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오제세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를 분석한 결과, 올해 만 0~2세 영아보육료 단가는 9.6% 인상된 반면, 만 3~5세 유아누리

과정 보육료 단가는 22만원으로 동결되었다. 만 3~5세 유아누리과정 도입 시 보육료 지

원단가를 2011년 월 177,000원에서 2016년 300,000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기로 했으나,

2013년 220,000원에서 현재까지 6년째 동결된 상태로 양질의 보육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법무위원

기획2주제 토론 (2018. 6.)

- 86 -

우선 발표자의 표준보육비용 모형은 보육현장과 부모들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보육현

장에서 적용의 어려운 부분과 부모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어 합리적이지 않

다. 기획재정부는 보육예산을 줄이기 위해 2016년 7월부터 맞춤형보육을 실행하고 있다.

산출요건 중 이용시간을 보면 마치 또 다른 형태의 맞춤형 보육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

합리적이지 않은 이유로는

첫째, 4시간, 6시간, 8시간 보육을 한다하더라도 부모들이 월하는 시간대가 다 같을 순

없다. 예를 들어 A라는 부모는 오전시간 9시부터 1시까지이고, B라는 부모는 오후 1시부

터 5시까지, 또 C라는 부모는 오전 8시부터 오후 2시, D라는 부모는 오후 1시부터 7시

까지라고 하면 보육시설의 개방은 오전 8시 이전부터 오후 7시 이후까지 할 수밖에 없

는 상황이 되어 비용산출에 문제가 될 것이다.

둘째는 4시간, 6시간씩 다양한 형태의 담임교사를 채용하는 어려움이 있다. 현재도 보

육교사 이직률이 높고 채용이 어려운데 다양한 형태의 교사를 구하는 것은 더 어려우며

관리 역시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대부분의 어린이집이 규모가 크지 않고, 만 0~5세의 다양한 연령으로 보육하고

있어 시간대별로 단독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없다. 4시간보육반, 6시간보육반, 8시간보육

반 등으로 반운영이 현장에서는 불가능하여, 결국 혼합반이 되고 따라서 교사배치도 8시

간보육반으로 교사 배치를 해야 되는 실정이므로 결국 인건비는 8시간보육반의 인건비

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용 시간대 별 보육료는 현장의 운영을 어렵게 하고 보육의 질을

저하시킨다.

넷째, 현재 어린이집의 입소는 입소대기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입소대기시

스템으로 인하여 종일반은 국공립이나 큰규모 시설로 쏠림현상이 생겨 맞춤형 보육에 해

당 되는 영아들이 소규모 어린이집에 집중되고 있다. 발표자가 어린이집현황에서 언급했

듯이 전체기관의 절반이상인 소규모 어린이집은 맞춤보육으로 인한 보육료 수입이 줄어

운영난이 더욱 가중되었다. 따라서 4-6-8시간으로 보육료를 차등하면 보육료 수입의 감소

로 보육의 질을 보장할 수 없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맞춤형 보육이 잘 증명하고 있다.

정부는 맞벌이 가정의 보육문제 해소를 위해서 궁극적인 해결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

고 정부가 올해 보육료예산의 기준으로 삼은 표준보육비용의 내역은 현실과 거리감이

상당히 있다. 교사의 실제 호봉 수 반영과 시간외수당 현실화, 휴게시간을 위한 보조교

최적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합리적 표준보육비용 산출 모형개발

- 87 -

사 배치, 급식비 현실화 등등. 최근 3년간 표준보육비용연구결과의 평균치, 2017년과

2018년 최저임금인상률(7.3%, 16.4%), 2017년 공무원임금인상률(3.5%), 물가상승률, 교직

원 처우수준 등을 반영하여야 한다. 대전민간어린이집연합회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8

년까지 민간어린이집 인건비 인상률은 116.38%에 이른 반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보

육료 인상률은 3세 23.91%, 4세 이상 27.62%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하였다.

2016년 6월 보건복지부는, 2016년 7월부터 맞춤형보육시행과 함께 변화된 보육제도를

반영하고 보육서비스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표준보육비용 산정이 필요하다고

하여 표준보육 산정 모형개발 연구를 공모하였다. 보건복지부의 2017년 12월 27일 보도

자료에서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 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안에

있는 어린이집 이용 보장과 적정한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표준보육비용 재계측을

2018년에 추진한다고 하였으나 아직 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무상보

육이라는 제도 아래 보건복지부가 지원하고 있는 보육료가 표준보육비용에 미치지 못하

고 있다는 것이다. 누리과정만 살펴보더라도 어린이집의 표준보육비용에는 급간식비가

포함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유치원의 표준교육비용과 어린이집의 표준보육비용이

100,000원 이상 차이난다.

(사)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는 정부와 국회가 부모의 육아부담과 저출산문제 해소를 위

해 나름대로 노력했다고 하지만, 최근 10년간 약 100조가 넘는 저출산 예산을 사용하고

도 2016년도 출산율이 1.17명에 불과할 정도로 좀처럼 출산율도 오르지 않고 부모들이

느끼는 육아부담도 줄어들지 않았다. 그 이유는 저출산 예산을 보육논리가 아닌 정치논

리에 따라 단기적인 효과만을 노리고 잘못 사용해 왔기 때문이다. 라고 하였다.

영유아보육법 제 36조에 보육실태조사를 3년마다 진행하도록 되어있듯이 표준보육비용

역시 법으로 정해서 매년 산출하여 합리적이며 적절하게 지원하여 보육시설에서는 양질

의 보육을 제공하여 부모로부터 신뢰받아 믿고 맡기는 기관이 되어야 한다. 이로써 저출

산의 늪에서 우리는 해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획 3 주제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발표: 장영인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토론: 김옥심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장)

장두옥 (전국공공형어린이집연합회장)

이정미 (전국공동주택어린이집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91 -

기획3주제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공보육 달성에서 국가와 민간의 관계 재정립 -

장 영 인*1)

I. 문제제기

지난 30여 년 동안 가장 많은 변화를 해온 정책분야를 들라면 단연코 보육분야가 될

것이다. 매번 정권이 바뀔 때마다 그리고 한 정권의 집권 중에도 수시로 보육정책이 변

화해왔다. 이는 급속한 발전의 일면일 수도 있지만, 갈팡질팡하는 정책은 불필요한 시간

과 재원의 낭비를 가져오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이러한 불안정한

보육상황이 아동에게도 결코 유익하지 않다는 점이다.

정책의 안정성, 즉 정책 근거가 되는 법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정책에 대한 신뢰

성을 갖게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지금까지 정부

보육정책의 문제점 중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장기적 목표를 향한 원칙이 부재하고 정책

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단기적이거나 임시방편의 정책이 꽤나 있었다는 점이다.

예컨대 보육재정지원의 방향을 보아도, 시설지원에서 아동지원, 그 연장으로서의 보편적

무상보육, 또 다시 맞춤형보육의 시간제한 등 변화되어 왔으며, 당장 실행될 것 같던 유

보통합도 어느새 유아무야로 중단 아닌 중단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정

*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92 -

권이 바뀔 때마다 보육재정의 확대가 수반되어왔지만, 정책이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의

전진처럼 보이기보다 갈팡질팡하는 것처럼 보여, 불안을 가중시키고 수요자와 보육공급

자들의 불만과 불신을 높여왔다.

이러한 비일관성, 불안정성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보육정책이 관련 전문행정가 집

단에 의해 주도되며 전문성과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 하고, 정치인들의 입김과 정치적 영

향에 좌우되면서 요동쳐왔다는 점이다. 정치적 영향에 좌우된다는 의미는 보육정책이 선

거공약의 주 메뉴가 되면서 유권자의 표를 의식한 돌발성의 단기적 홍보수단으로 사용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기도 하다. 사회거시적인 장기적 목표보다는 단기적인 각자의

이익에 관심을 두게 하는 이러한 상황에서는 보육수요자, 공급자, 그리고 아동 모두 정

책의 수혜자가 아니라 희생양이 될 수 있으며, 보육공급자나 보육수요자인 부모들도 ‘우

는 아이 젖 주기’의 효과를 고려하여 ‘우는 아이’ 역할을 하게 만든다.

이같은 정책환경에서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관련 이해당사자나 전문가집단이 충분한

논의나 의견 절충, 합의 등의 과정을 거치기보다 각자의 목소리를 키우는데 몰두하기 때

문에, 거시적 지향점을 잃고 배가 산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사회구성

원들은 사회전체의 이익에 기여하려는 관점보다는 집단이기주의의 관점에서 행동하고

사고하는 경향을 갖게 되기도 한다.

이번 발표 주제도 이러한 맥락에 놓여있다. 그간 역대 정부가 새로운 정책을 하나씩

내놓을 때마다 현장의 다양한 우려와 요구가 높아져왔는데, 그 핵심 논점은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육재정지원에 관한 것이다. ‘공보육 달성을 위해 정부가 예산을 어디다

사용할 것인가’가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는 이유는 국가가 다수의 민간에 의존하여 보육

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즉 시장기재가 아닌 정부의 관리감독 하에 보육을 공급하고자 할

때, 공급에 참여하고 있는 다수의 민간을 어떻게 공보육 제공에 포함시킬 것인지, 또는

배제시킬 것인지는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발표의 주제는 국가가 이러한 맥락에서 시도해온 그리고 시도하고자 하는 국공립

확충 전략으로서의 공공형어린이집 및 민간 전환을 통한 국공립화 방안이다. 관련된 현

장의 목소리는 다양할 뿐만 아니라 절실하다. 그러나 본 발표는 이러한 방안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사항을 논의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현재 진행 중인 전략과

논의들을 전체적인 전망과 원칙에서 재조명하는데 초점이 있다. 즉 우리가 현재 와 있는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93 -

지점은 어디이고,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지를 거시적 맥락에서 다루고자 한다.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열심히 걷는 것도 중요하지만, 걸어온 길을 되돌아가는 시행

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끔씩 지도를 펴놓고 전체적인 조망을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

문이다.

논의는 아동 중심의 관점에서 국공립확충전략을 재조명하고, 다수의 민간시설에 보육

공급을 의존하는 현실을 고려하여 민간과 국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한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Ⅱ. 논의의 전제

공보육 달성에서 국가와 민간의 관계 재정립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논하기에 앞서, 공

통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전제, 즉 공보육의 이념, 우리의 보육역사의 맥락에서 국가와

민간과의 관계정립이 필요한 배경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우리는 왜 공보육을 논의하는가?-- 보육이념

본격적인 보육이 등장한지 30여년이 되어가는 지금, 이 질문은 구태의연한 것일 수 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질문을 다시 하는 것은 그간 수시로 변화해온 보육정책의 역

사를 고려할 때,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시점에서 본래의 목표지점을 다시 확인하는 것

은 길을 잃지 않게 한다는 점에서 항상 유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육의 등장은 가정의 양육기능의 변화(여성의 사회진출)로서 자녀를 직접 돌보지 못

하는 부모의 필요성에 기인한 것이지만, 보육의 직접 대상은 ‘자신의 양육방식으로서의

보육을 선택하지 않은’ 아동이기 때문에, 그 아동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에 대한 국가정책 및 실천의 기본원칙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이하 ‘협약’)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협약은 국가가 아동보육을 위한 대책을 마련할 의무가 있음을 명시하

고 있는데, 국가는 부모로 하여금 양육책임을 잘 이행하도록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여야

하며, 아동보호를 위한 기관․시설 및 편의의 개발을 보장(제13조 2항)”해야 하며, “취업

부모의 아동들이 (이용자격이 있는) 아동보호 서비스 및 시설의 혜택을 누릴 권리를 보

장하기 위해 모든 적절한 조치(제18조 3항)”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94 -

무엇보다도 이러한 조치를 취할 때의 원칙은 협약의 가장 중요한 기본원칙인 ‘무차별

평등’의 원칙(제2조)와 ‘아동 최상의 이익의’ 원칙(제3조)가 될 것이다. 이 원칙에 의하면,

아동은 그 부모의 배경이나 자신의 특성(성별, 언어 등)과 무관하게 차별없이 대우받아야

하며, 정부나 사법기관, 또는 공공․민간 사회복지기관 등의 아동관련 활동에서 아동의

최선의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우리의 영유아보육법(제3조)도 보육은 ‘영

유아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고려’(제1항)해야 하고, ‘영유아는 자신이나 보호자의 성, 연

령, 종교, 사회적 신분, 재산, 장애, 인종 및 출생지역 등에 따른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받지 아니하고 보육되어야 한다’(제3항)고 보육이념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을 우리의 보육정책의 기준으로 삼는다면, 첫째, 보육정책에서 최우선적으

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아동의 최상의 이익’이며, 이러한 최상의 이익은 아동의 배경

이나 속성에 무관하게 평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여기서 ‘무차별 평등의

원칙’은 단지 보육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제공되는 보육서비스의

수준과 내용에서 차별적이지 않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보육에 대하여 국가가 다양한 정책수단을 동원하여 지원과 통제 등의 개입을 하는

근본적 이유는 보육을 필요로 하는 모든 아동에게 ‘아동 최상의 이익’을 도모하는 보육

을 ‘동등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명확히 전제할 필요가 있다.

2. 우리의 현실: 역사적 맥락에서 본 민간의 역할과 국가개입의 변화과정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이 흘러온 과정을 보육이념과 원칙--아동 최상의 이익,

무차별 평등의 원칙--에서 재조망해보고자 한다.

이상의 보육 이념과 원칙은 보육정책을 평가하는 큰 잣대가 될 수 있다. 어언 28년이

되어가는 보육 역사를 돌이켜 볼 때, 우리의 보육정책이 거쳐 온 변화과정에 이 잣대를

대어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그 연장선에서 현재의 과제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보육재정지원의 방향(목표)는 정부보육정책의 목표를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것

이다. 정부예산의 많은 비중을 차지한 보육예산의 책정 목표와 예산투여의 결과는 과연

아동최상의 이익에 부합되었는지, 그리고 아동의 무차별적인 평등한 보육권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였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95 -

정부 지원방식 결과 아동관점의 평가

보육등장기

- 시설지원: 국공립, 법인시

설에 국한

- 지원 vs 비지원시설 간

부모부담의 차이, 서비스

질의 차이

- 지원 vs 비지원시설 아동

간의 보육불평등

- 아동지원: 법정저소득층

에 국한

- 빈곤층아동의 보육접근성

향상(형평성 제고)

- 정부지원 제외 저소득층

아동의 보육불평등

김영삼정부

(1993.2-1998.2)

- 시설관련: 보육사업확충

3개년 계획(1995-1997)으

로 시설의 획기적 확충

계획

- 3년 간(1995~1997년) 매

년 약 2,000~3,000개소씩

총 8,400여 개소 증설

- 시설간 보육불평등

- 지원시설의 편중으로 인

한 지역간 보육불평등

김대중정부

(1998.2-2003)

- 시설관련: 시설 신고제

시행(1998.7)

- 취약보육시설 확대(장애,

영아, 방과후 보육)

- 6년 동안(1998~2003년) 시

설 대폭 증설(8,767개소)

- 정부지원시설 비중의 대

폭 감소: 18.1%(1997년)

→ 12.3%(2003년)- 시설 이용기회 확대

-시설간 지역간 보육불평등- 아동지원: 1998.5. 5세아

무상보육 대상지역 설정

(시행령: 읍면, 도서 및

벽지지역 우선실시).

- 점진적 확대(2002년 5세

아 20%가 지원)

- 아동지원의 비중이 증가

노무현정부

(2003-2008.2)

- 새싹플랜(2006-2010)(여성

가족부 이관)

- 평가인증

- 시설설치 인가제로 전환

(2005)

-인가제로 시설 증가폭 둔화

- 아동별 보육료부담의 형

평성 제고

- 시설간 보육 질의 불평등- 2005년 영아 기본보조금

제도

- 아동별 차등지원 확대

- 아동별지원 예산이 시설

지원 추월 시작(공공성

강화기-공공성을 보육료

부담 경감에 초점)

이명박정부

(2008-2013)

/

박근혜정부

(2013-.

- 아동지원: 5세아 무상보

육을 연령별로 확대, 전

연령대 무상보육 전면

실시

- 보육재정지원의 축이 수

요자중심으로 정착(보육

바우처 도입)

- 무상보육으로 보육료부담

에서의 평등화

- 시설간 보육 질의 불평등- 시설관련: 민간시설에의

조건부 지원(공공형)

현재

(문재인정부)

- 시설관련: 조건부 시설지

원(공공형), 민간매입 국

공립전환

- 지원시설 확대를 통한 민

간시설 서비스 질 향상

- 매입 등의 막대한 예산

- 시설간 보육 질의 불평등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96 -

이상의 흐름을 통해, 보육정책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 표에서 보듯

이, 보육 초기의 정부정책의 주요 초점은 시설확충이고, 정부 재정지원은 국공립 및 법

인시설에 대한 운영비(주로 인건비)지원과 생활보호대상자와 저소득층 아동에 대한 보육

비 지원이었다. 따라서 부모의 보육료에 의존하여 운영해야 하는 비지원 민간시설은 지

원시설에 비하여 부모의 보육료부담도 클 뿐만 아니라 보육의 질도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국공립조차 서울에 집중되고 국공립보육시설이 없는 지방 및 농

어촌도 많은 등 지원시설의 지역적 편중으로 인하여 대도시 특히 서울지역 보육아동의

혜택이 농어촌 등 취약지역 아동에 비해 더 많은 문제점도 나타났다(김영모, 1996 참고).

이 같은 보육재정지원에서 지원시설과 비지원시설의 구분, 이로 인한 시설 간의 보육

료와 서비스 질의 간극, 그 결과 시설간 지역간 아동의 보육 불평등 문제는 현재까지 지

속되고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 같은 초기의 불평등문제를 확대시킨 계기는 무분별한 보육시설확충 정책이었는데,

단기간의 보육시설 확충을 위해 민간을 보육공급에 대거 진입시킴으로써 비지원시설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해 민간시설은 지배적인 보육공급의 주체

가 되었지만, 정부지원 대상에서 배제되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이용아동 간의 불평등은

더욱 커졌다. 이를 배경으로 시설지원금을 줄이는 대신 아동별 보육료를 지원함으로써

아동 간의 형평성을 도모해야 한다는 학계의 주장이 커져갔으며,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

별 차등지원이 도입되어 아동지원이 점차 확대되기에 이르렀다.1)

그러나 아동별 차등지원은 아동간의 불평등문제를 보육료부담의 측면에서만 바라본

것으로서, 이를 통해 비지원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부담이 줄어들기는 했으나 지원시설과

비지원시설 간의 보육의 질의 차이를 줄이는데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아동의

관점에서 보면, 비지원시설을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열악한 보육서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는 보편적인 무상보육이 전면 실시되어도 여전히 남은 문제이며,

공공형어린이집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설지원의 방안으로서 등장하게 된 것

이다.

지금까지 보육재정지원의 흐름을 아동의 관점에서 돌이켜보면, 무상보육으로 정점에

이른 정부의 막대한 보육재정지원은 보육을 필요로 하는 모든 아동이 보육료부담 없이

누구나 보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였지만, 보육서비스를 직접

1) 시설별지원과 아동별지원을 둘러싼 보육재정지원방식의 논쟁에 대해서는 장영인(2006) 참조.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97 -

이용하는 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보육의 질로서, 누가 양질의 보육을 이용하는가는

매우 ‘우연적인 요소’- 즉 아동이 속한 지역에 지원시설이 얼마나 많이 있는가-에 따라

좌우된다.2) 이는 국가의 보육정책이 보육이용 아동을 차별적으로 대우하게 하는 것으로

서, ‘무차별의 원칙’에 반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또한 ‘영유아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고

려’하는 보육권의 보장에 미흡하다 할 것이다.

이 단순한 원칙에서 다시 현재의 정책을 점검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3. 공보육 전략에 대한 평가: 아동관점에서 본 국공립확충안의 조명

앞서 보았듯이, 그간 정부의 공보육 강화는 무상보육을 통한 부모의 보육료부담 경감

을 주축으로 진행되어 왔지만, 서비스 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공급에 의존한 전

달체계를 공공전달체계 중심으로 개선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공립시설의 확충을 중요 보

육공약으로 제시한 현 정부는 임기 내 국공립시설의 비중을 늘이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기존의 민간시설의 공공화(일명 ‘공공형어린이집’)에 덧붙여, 민간시설 장기임대 또는 매

입을 적극 추진하여 민간시설의 국공립시설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기조는 지금까지의 기조와 동일선상에 있으며, 이를 적극 추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금 다를 뿐이다. 즉 공보육 달성을 위

한 주요 수단은 국공립시설을 확충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공보육달성은 국공립확충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국공립’이라는 타이틀은 중요하다. 국가지

원에 의한 민간시설의 ‘공공화’, 민간시설 ‘매입을 통한 국공립화’ 등의 정책에서 나타나

듯이, 민간시설을 공보육제공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라는 고민보다는 공보육에서 민

간시설은 부적합하므로 ‘일단 민간의 틀을 가능하면 벗고 탈바꿈함으로써’ 유사 국공립

화 내지 국공립으로의 전환을 우선 고민하고, 이에 집중하고 있다.

본 발표주제는 정부의 민간어린이집 탈바꿈의 일환인 공공형어린이집과 국공립으로

전환된 어린이집의 운영방안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표자는 이 논의의 ‘전제’에 대한 검

토를 우선 시도함으로써, 이러한 정부보육정책의 방향이 아동의 평등한 보육권을 보장하

2) 유해미(2017)에 의하면, 2016년 기준 전국 시․도별 국공립어린이집 보육아동수는 많게는 38.3%(67,240명)

에서 적게는 1.0%(1,734명)를 차지하여 그 격차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공립시설의 지역

적 편차도 커서, 2016년 기준 전국 시․도별 국공립어린이집 수는 많게는 37.4%(1,071개소)에서 적게는

0.9%(27개소)를 차지한다.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98 -

기 위한 방안으로서 아동 최상의 이익과 무차별평등의 원칙에 부합되는 것인지 우선 살

펴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가 선택한 방향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전제할 때, 구체적인 정

책방안들을 논의하는 것도 유의미하고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근본적인 질문을 다시 던지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미 당연한 것으로 간주

되는 것을 다시 질문하는 것은 어쩌면 그 전제에 대한 의미나 내용에 대하여 우리사회

가 동일한 인식을 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용어에 대한 명확한

공통 인식이 없이 특정 용어를 자의적으로 막연히 사용하다보면, 현실 정책에서의 간격

이 의외로 더 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선, 보육정책의 대전제로 삼는 것, 즉 ‘공보육 달성을 위해서는 국공립시설을 확충해

야 한다’는 논리를 재검토하고 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공보육달성 수단이 국공립확충

이외에는 다른 방안은 없는가, 그것이 유일한 최선의 방법인가라는 질문이기도 하다.

1) 국공립시설은 어떤 시설인가? 공보육은 국공립시설만이 제공하는 것인가?

국공립시설은 어떤 시설인가? 무엇을 국공립시설이라고 하는가에 대하여, 영유아보육

법(제10조 어린이집의 종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는 어린이집’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정부예산으로 설치하여 직접 운영하는 시설을

말한다. 따라서 ‘도시 저소득주민 밀집 주거지역 및 농어촌지역 등 취약지역’에 우선 설

치하도록 하고 있다(제12조).

설치․운영의 주체가 정부인 시설을 국공립으로 규정할 경우, 우리나라에서 이 기준을

충족시키는 국공립시설은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국공립시설의 운영은

“법인․단체 또는 개인에게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제24조 제2항)고 규정하고 있어,

설립주체는 정부이지만 운영을 민간에게 위탁한 시설도 국공립시설로 분류되며, 실제 대

부분의 국공립시설은 민간에게 위탁되어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설치비용을

누구 내었는가’가 국공립시설을 규정하는 핵심 기준이 되면, 결국 시설설치에 필요한 토

지와 건물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따라서 국공립과 비국공립이 구분된다.

그러나 국가가 예산을 투여하여 토지를 구입하고 건물을 짓는 이유는 그 자체가 목적

이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국가가 원하는 바람직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특

히 취약보육처럼 민간영역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부분을 재정여건에 좌우되지 않고 실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국가의 설치 뿐만 아니라 운영도 매우 중요하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99 -

공보육이 발전된 나라로 자주 언급되는 일본의 예를 보면, 우리가 의미하는 국공립과

상이함을 알 수 있다.3) 예컨대 일본은 국공립(public)과 민간(private)시설이 반반씩 되는

데, 국공립은 지자체가 설치와 운영을 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민영은 지자체가 설치하고

운영을 민간에게 위탁하는 경우(인가시설)를 의미한다. 일본의 국공립시설은 종사자가 공

무원이며,4) 민간시설은 정부로부터 운영을 위탁받은 시설로서 정부가 운영비(조치비)를

지원한다. 후자는 우리나라의 국공립시설 운영방식과 유사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기준

에서 보면 일본의 민간시설은 우리의 국공립시설에 해당되며, 일본의 기준에서 보면, 우

리나라 국공립시설은 일본의 민간시설에 해당된다. 일본에도 우리와 유사한 민간보육(무

인가 시설)이 국가보조를 일부 받으며 공적 보육이 대응할 수 없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노외로 하고자 한다(일본에서도 이들은 보육통계에 포함이 안

됨)(김형식․최영신, 2000 참고).

이처럼 일본은 시설설치는 모두 정부가 하고, 운영주체만 정부 또는 민간으로 구분된

다. 즉 시설설치의 주체인 국가가 주도적인 책임을 지고 모든 시설이 안정적인 운영을

하도록 전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인데, 이는 그간 우리가 추구해온 ‘국공립확충을 통한 공

보육’에 걸맞는 형태일 수 있다.

이처럼 국가책임에 의한 공보육 제공이 가능한 이유는 공보육 혜택의 대상을 ‘보육을

불가피하게 필요로 하는 아동’5)(예컨대 맞벌이, 부부학업이나 직업훈련 등)으로 매우 제

한적으로 설정하기 때문이다. 즉 보육이용대상을 제한하는 대신, 그 제한된 영역 내에서

는 아동이 어느 시설을 이용하든 양질의 (비교적)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그 비용은 소득계층별로 차등적으로 지불하도록 한다. 요컨대 일본은 국가의 책임영역을

‘보육욕구(필요성)’를 기준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보육이용대상 범위에 포함되는 아동은

누구나 양질의 보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설유형이나 지역에 따른 차별

이 없이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비용은 부모의 부담능력에 따라 차등적으

3) 이하 일본의 보육현황은 유희정 외(2014)의 해외출장보고서, 김형식․최영신(2000)의 논문을 참고하였다.

4) 일본의 공립시설은 종사자가 모두 공무원이며, 원장과 부원장은 상근 공무원, 나머지는 비상근 공무원이

라고 한다(유희정 외, 2014).

5) 일본은 1951년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해 보육소 입소 대상을 ‘일반 아동’에서 ‘보육에 결함이 있는 아동’으

로 제한하고 ‘조치 제도’를 확립하였는데, 조치제도란 시정촌(市町村) 등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보육에 결

함이 있는 아동’을 보육소에 입소시키도록 조치하는 ‘행정 처분’을 발하는 것을 말한다. 이루 1997년 법개

정으로 부모의 보육소 선택권이 강화되고 보육소 입소가 행정청의 일방적 처분에서 부모 신청에 의한

계약으로 전환됐다(강현구, 2014).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00 -

로 부과함으로써 계층적 형평성을 도모하고 있다.

일본은 국가책임의 영역을 ‘서비스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국한시키고, 그 범위 내에서

는 아동 최상의 이익과 무차별 원칙을 관철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

에서 보육욕구가 보편화되어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보육이용에서 배제된 아동을 국가가

차별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 틈새를 민간영역을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

를 해왔다. 또한 보육시설이 점차 증가되면서 민간에의 위탁비율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데, 이는 서비스의 보편화가 일정범위를 넘어서면 국가가 설치 및 운영의 전적인 책임을

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민간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함을 보여주는 것이

기도 하다.

외국의 사례로부터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외형적인 수치 비교가 아니라 각국의 역

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정책내용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의 보육소 대부분이

국공립성격임을 들어 이를 우리의 표석으로 삼는 것보다, 오히려 일본이 향후에 모든 영

유아를 대상으로 보편적 보육을 확대해나가면서 민간의존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민간영

역과의 관계설정을 어떤 방식으로 해나갈지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본과의 비교에서 주목되는 것은 일본은 국가 재정지원의 우선순위를 공적 전달체계

구축에 두고 점진적으로 그 수를 늘려왔는데6), 이 과정은 기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이 보육수요를 못 따라가면서 대기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부작용이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공적 전달체계를 탄탄하게 구축하지 못한 상태에서, 모든 영유아

에게 무차별적으로 이용기회를 주고, 막대한 보육재정으로 무료이용권까지 제공했기 때

문에, 보육의 질에 대한 불만이 클 수밖에 없다.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 국가가 책임져야 할 과제는 (우리나라에서

통용되는) ‘국공립’이라는 명칭에 집착하여, 기존의 민간시설을 단기에 국공립으로 변형

하는데 치중하기보다, 이미 민간다수에 의해 공급되는 보육의 질을 어떻게 높여나갈 것

인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6) 2010년 기준, 일본의 보육소는 23,068개소인 반면, 한국은 38,021개소이다. 또한 2002년도 기준, 일본

22,288개소, 한국 22,147개소로 유사했지만, 약 8년 이후 증가폭을 보면 양국의 시설증가추세의 차이점을

보다 뚜렷하게 알 수 있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01 -

2) ‘공공형시설’은 어떤 시설인가? 그 속성은 민간인가 (준)공영인가, 공공시설로 가는 중

간단계인가?

그간 정부가 국공립확충을 핵심과제로 설정해왔지만, 시설설치를 단기간 확대하는 것

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서 기존의 다수를 점하는 민간시설의 서비

스 질을 국공립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으로 민간시설 지원을 하였으며, 이들 시설을

기존의 민간시설과 구분하여 ‘공공형어린이집’으로 지칭하였다. 문재인정부는 임기 내에

국공립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이 40%가 되게 하겠다는 선거공약을 하였는데, 여기에는

공공형어린이집도 포함된다. 즉 공공형시설은 민간시설과 구분되며, 국공립에 유사한 시

설로 간주된다.

이러한 방식은 국가가 시설을 설치하여 민간에 운영을 위탁하고 운영비를 지원하는 국

공립시설에 준하여, 유사한 수준의 재정지원을 함으로써 서비스 질을 유사한 수준으로 끌

어올린다는 점에서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정부입장에서는 시설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는 점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조사결과에서도 공공형(서울형 포함) 이용부모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문신용․이정미, 2010; 안현미․김송이, 2011; 서문희․

이혜민, 2013; 문성호․이현진, 2015; 유해미, 2016; 강경아․박영선․정은주, 2017).7)

그러나 정부가 국공립시설처럼 유사한 지원을 한다고 해서 민간시설을 ‘공공형’으로

지칭하는 것은 자칫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현 정부의 공약이나 언론에서조차 공

공형은 ‘광의의 국공립시설’에 포함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향이 있으며, 공공형은 장기

적으로 국공립화 되는 중간단계로 간주되는 경우조차 있다. 더구나 학계나 언론에서도

공공형(또는 서울형)시설을 민간어린이집의 ‘공영화’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안현미․김

송이, 2011; 김정은, 2013; 청와대 청원문; 중앙일보, 2016.8.31.).8) 즉 공공형을 (준)공영화

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인데, 이들은 민간시설에 정부가 국공립시설 수준의 운영비를 지

원하면 ‘국공립’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이므로, 그 성격도 국공립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처럼 보인다.

7) 이 중 문신용․이정미(2010)과 안현미․김송이(2011)는 서울형어린이집의 성과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안현미․김송이(2011)와 김정은(2013)은 공공형 내지 서울형어린이집을 민간시설의 준공영화로 언급하고

있다. 또한 중앙일보(2016.8.31.)는 정부가 2017년 “공영어린이집 300개 건립”이라는 타이틀 하에, “정부는

공립 어린이집과 공공형 어린이집을 내년 각각 150개씩 추가로 짓는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현장실무자

가 올린 청와대 청원문(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105598. 2018.1.)은 민간이나 가정어린이집

에 정부가 운영비와 인건비를 지원하여 선진국처럼 어린이집을 공영화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02 -

공공성이 강한 서비스를 제공하면, 그 주체는 민간의 속성을 많이 상실하고 공공시설

내지 유사 공공시설, 또는 (준)공영화되는 것인가? 이를 위해 관련용어의 의미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공공시설’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생활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두산백과)로서 공립병원이나 학교, 시민회관 등이 해당된다. 또한 ‘공공기

관’은 법적으로 국가와 지자체를 의미하며(⌜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국가

가 설치하거나 출연한 법인이나 단체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영화(公營화)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기

관으로 되는 것’으로서, ‘국영’이나 ‘관영’의 유사어로 소개되는데(표준국어대사전), 공공

단체(주로 공법인 또는 자치단체)가 관리하고 운영하는 기관이다.9)

즉 공공시설이든 공영시설이든 국가 내지 지자체가 출연하여 설치하고 직접 운영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주요 특성이다. 따라서 개인이 설치한 시설(사유재산)에 국가가 그

운영비를 일부 지원한다 하더라도 시설이 공공시설화되거나 공영화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한 민간시설이 공공성이 강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해서 공공시설이나 공영시설이 되는

것도 아니다. 공공성의 유지를 위해 정부의 가격규제와 관리감독 하에 민간주체도 공공

성이 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공급시설의 속성은 ‘민간’으로서 시민

사회영역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 보았듯이, 일본에서는 정부가 설치한 시

설조차 운영을 민간에게 위탁할 경우에는 ‘민간’영역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에서 설립주체만을 기준으로 보아도, 국가가 정부재원으로 설치한 시설이 아

닌 나머지 시설들은 법인시설조차 그 속성은 모두 민간영역에 속한다. 사회복지법인어린

이집은 민간(개인 또는 단체)이 출연한 재산에 법인격을 부여하여, 법률행위의 주체가 되

도록 한 것으로서 비록 개인적 영리추구가 아닌 비영리 목적을 위해 재산을 출연했더라

도 기본 속성은 공공재산이 아닌 사적재산이며, 이 또한 시민사회 영역에 속한다.

공공형어린이집도 개인(또는 사적 단체)이 설치한 민간시설이며, 이를 공공화의 과도기

에 있는 준공영화된 시설 또는 국공립시설의 범주에 포함시켜 분류하는 것은 공공시설

또는 민간시설에 대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더구나 국가가 민간시설과 임대계약을

맺어 이를 민간이 운영하게 하는 방식을 국공립범주로 분류하는 것도 부적합하다.

9) 예컨대 공영기업(公營企業)은 공공단체가 관리하고 경영하는 기업인데, ‘공공단체’란 ‘국가로부터 존립목

적이 부여된 법인, 즉 공법인으로서 직접 법률의 규정 또는 법률의 근거에 의한 행정행위에 의해 존립한

다’(표준국어대사전).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03 -

문제는 왜 민간부문을 굳이 국가의 영역에 포함시켜 언급하고자 하는가이다. 국공립

이용아동을 4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하면서, 거기에 다수의 민간을 포함시키는 인식의

저변에는 ‘민간은 공보육이 안 된다’, ‘믿을 수 없다’는 불신이 깔려있으며, 이를 전제로

내용보다는 ‘국공립’이라는 형태에 과도하게 치중하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보육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국공립어린이집 비중을 늘려 “믿을 수 있는 어린이집”

의 접근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견해(유해미, 2017)는 국공립이라서 믿을 수 있는 것이 아

니라, ‘국가가 지원하기 때문에’ 서비스 질이 믿을 수 있는 수준의 것이 되는 것으로 이

해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모든 영유아가 무상으로 어린이집을 다닐 수 있는 상황에서, 공보

육 달성도를 국공립시설의 비중으로 측정하고, 더구나 국공립의 수를 채우기에 급급하여

부실가능성이 높은 민간까지 매입하려 한다면, 이는 아동의 이익에 부합되는 것이 아니

다. 아동의 관점에서는 ‘국공립’이라는 형태가 아니라 양질의 믿을 수 있는 서비스, 욕구

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 필요할 뿐이기 때문이다.

3) 정부의 국공립화 전략-임대 또는 매입-의 목표와 이를 통해 얻는 실익은 무엇인가?

공보육을 위해 국공립을 확대해 가는 전략에서 이전과 달리 최근 몇 년간 일부 지자

체나 정부가 전격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은 신축 이외에 민간시설의 임대 또는 매입이다.

서울시의 경우, 이러한 유형을 포함하여 국공립시설을 2018년까지 1,000개소 확충한다는

목표를 세웠다(서울시, 2014). 신축이나 기존의 건물매입을 통한 국공립설치도 계획에 포

함되지만 그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10), 기존의 민간시설의 장기임대(이후에는 기부채

납을 고려)를 통한 국공립전환을 추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무상의 장기임대를 조

건으로 리모델링을 하고 운영비를 지원하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그 내용을 보면, 비용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분담하고, 민간시설 중 우수한 시설을

전제로 임대계약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시설장과 직원을 고용승계함으로써 시설장을

국공립원장으로 임명하는 것이다. 또한 우수한 민간시설을 매입한다는 것인데, 실제는

매입이 수월한 소규모단위(40명 미만)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막대한 예산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신축이나 매입 또는

10) 서울시(2014; 2017)의 자료에 의하면 토비매입이나 일반건물 매입을 통한 국공립설치(공사비포함) 비용

은 개소당 25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예상된다.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04 -

임대 등을 통한 국공립화 추진 정책이 누구에게 어떤 실익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

다. 이러한 정책들은 그간 민간시설에 운영비를 지원하여 그 질을 향상시켜온 공공형어

린이집을 고려한다면, 정부재정지출 대비 효과성이나 효율성에서 그리 잇점이 있어 보이

지 않는다.

일본의 예처럼 국가가 처음부터 설립․운영주체가 되어 국공립의 이용대상을 제한하

고, 그 대상의 점진적 확대에 걸맞게 국공립시설을 늘려가는 방식을 선택했다면 그 연장

선에서 국공립 신축을 점차 늘려가는 것이 공보육달성의 중요한 한 축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나 다수의 민간시설을 탈바꿈하는데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이를 ‘국공립 추진

전략’에 포함시키지만, (임대의 경우) 운영자조차 기존의 동일한 민간운영자인 경우, 이전

과 다른 것은 국가의 운영비 지원과 리모델링 지원일 뿐이다. 이러한 시설을 수요자들이

기존의 국공립과 동일하게 인식할지도 염려되는 측면이다.

다른 한편, 민간운영자들의 입장에서는 무상임대를 할 경우, 일정기간 고용보장의 계

약을 맺지만 이후의 지속 고용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우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더구나 상대적으로 시설여건이 열악한 소규모시설 중심의 매입 또는 임대를 통한 지원

은 기존의 국공립과의 형평성의 문제도 야기시킬 수 있고, 국공립의 평균적 질의 수준을

떨어뜨릴 것을 염려하는 현장의 목소리도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경쟁력 있는 우수한 민간시설이 임대나 매입에 응할 가능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조건의 시설들이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있어서, ‘역선택’11)의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만약 그러한 상황이라면, 열악한 시설일수록 매도나 임대대상이 되고

자 앞다투는 상황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야말로 국가가 그리도 우려하는 민간의

영리추구를 촉진하는 것, 즉 그렇지 않아도 적자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국가가 나서서 이

를 매입하거나 임대 및 지속적 운영보장까지 해주는 격이 될 것이다.

초점이 국공립 수치 증가에 있는 것은 아동 최상의 이익의 기준에서 더욱 빗나가게

하는 것이며, 국가가 누구를 위해 이러한 재정지출을 해야 하는지 다시 재검토하지 않으

면 안 될 것이다. 양질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경쟁을 배제할 수 없다. 적절한

경쟁은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유익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우리처럼 민간이 다수인

경우에는 더욱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들이 우수한 양질의 서비스를 생산하도록 하

11) 정보의 불균형으로 인해 불리한 의사결정을 하는 상황을 지칭하는 것으로, 개별적 민간시설의 구체적

장점과 단점을 정부가 잘 모르는 상황에서 가격결정이나 계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05 -

기 위해서는 우수한 경쟁력을 가진 시설을 우선적으로 국가의 지원대상으로 삼을 필요

가 있고, 이는 민간시설에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기재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민간시설을 국공립의 범주에 포함하면서까지 그 수치를 늘이는데 모아

진 보육재정지출의 방향이나 정책관심을 돌려서, 아동의 관점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4. 보육제공에서 국가와 민간의 협력관계의 모색

1) 민간과의 파트너쉽의 필요성

국공립 중심의 보육시설을 구축해온 일본에서도 보육이용을 일반아동에게 개방하게

되면서 공급주체의 다양화를 검토해왔으며, 민간서비스의 육성과 질의 향상을 통하여 보

육공급체제를 다양화하려 하는 추세이다.

즉 부모여건이나 가정보호가 취약한 아동을 대상으로 선별적 보육을 제공하는 경우는

국가가 주도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가능하다. 그러나 그 대상이 보편적으로 확대되는 상

황에서는 국가가 전달체계를 모두 공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우리나라처럼

모든 영유아가 보육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간적으로나 비용부담의 측면에서 공공전달

체계 구축이 더욱 어렵다. 이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경우를 보아도 그러하다. 즉 보편주의

적 노인요양보호서비스의 공급도 대부분 민간시설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가 공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민간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가 중요

한 과제가 된다. 즉 국가가 총괄적 책임을 지더라도 그 제공에서 ‘민간과의 역할 분담을

통한 동반자적 관계(파트너쉽)’(김형식․최영신, 2000)가 요구된다.

김영종(2017)은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국가가 사회서비스를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을 1

세대, 2세대, 3세대로 구분하였는데, 1세대는 1950-60년대의 방식으로 민간이 시설을 설

치하고, 정부는 규제와 함께 보조금의 지원을 통해 운영해나가는 ‘서비스 위탁’ 방식이

며, 2세대는 ‘공공설치, 민간에의 시설위탁’ 형태로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의 운영방식이며,

3세대는 ‘시설중심’의 민간위탁이 아니라 소비자의 선택권에 의한 생산자와의 계약관계

가 중심 기재가 되는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현재는 3세대 방식에 해당되는데, 정부입장

에서 보면 보편적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비하는 공급체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관리비용이 수반되는 전형적인 ‘민간위탁’의 계약 방식을 고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06 -

것이다. 또한 민간 부문 내에서도 법인과 같은 비영리보다 개인․기타의 비영리 부문이

절대 수와 비중 면에서도 빠르게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보육은 이 3가지 유형이 모두 혼합되어 있다. 즉 보육바우처 제공을 통해 비용지

원을 하는 3세대유형을 기본으로 하면서, 국공립의 민간위탁은 2세대, 공공형어린이집은

1세대 유형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 어느 방식이든 민간위탁이 필요한 것은 서비스의 보편화를 배경으로 불가피한 측

면이 있지만, 또 다른 측면은 민간활용의 잇점 때문이기도 하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 정

부의 조치제도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적 지원을 받아 국가 책임하의 보육시설운영을 하

였지만, 이용대상이나 시간의 제한, 안일한 현상유지의 일률적인 서비스에 머물러, 보편

적인 보육, 부모의 소득과 무관하게 보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데 대응할 수 없게 되

자 공급주체의 다양화를 고민하게 되었으며, 이 틈새를 무인가시설(비지원 민간시설)이

민간의 민감성, 효율성, 유연성 등 이점을 살려 다양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하였다(김형식․최영신, 2000)12). 특히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가 요

구되는 돌봄영역의 경우, 관료적 조직의 공공부문이 직접 운영하는 것보다 민간에 위탁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일 수 있다13).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서비스의 보편화, 특히 개개인의 욕구에 따른 맞춤형이 요구되는

돌봄서비스의 보편적 제공을 위해서는 다양성, 유연성, 민감성, 창의성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민간영역의 역할을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국공립확충을 위한 무리한 시설

신축이나 매입보다는 기존의 민간시설의 장점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민간과의 관계를 협력적인 관계로 재정립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새로운 협력관계의 모색

(1) 협력관계의 전제와 원칙

보육제공을 민간시설에 다수 의존하는 상태에서 보편적 서비스를 공보육 차원에서 제

공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주도적 역할을 할 수밖에 없지만, 민간을 적극적인 협력자로 고

12) 다른 한편 무인가시설은 영리사업의 확대에 따른 영리성, 환경상의 열악성으로 사회문제화 되기도 하였

다(김형식․최영신, 2000).

13) 김영종(2017)도 이러한 측면에서 공과 민이 호혜적 관계(reciprocal relations)가 성립될 수 있다고 본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07 -

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보육도 (국공립조차) 민간의 손을 거쳐 제공되는 것이지만, 우리의 상황에서는

국공립이든 공공형이든 민간과 공공의 관계는 동반자로서의 협력관계로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동반자적(파트너쉽) 관계는 참여 당사자들 간의 평등성을 기본 원칙’(김형식․

최영신, 2000)으로 해야 하며, 민영화에서는 공공과 민간부문 간의 ‘협업적 관계가 효과

적’(김영종, 2017)이지만, 현실의 정부와 민간의 관계는 평등한 협업관계에 있지 않기 때

문이다.

우리나라 사회서비스 공급 상황을 보면, ‘대부분의 민간부문 수탁자가 공공부문의 위

탁자에게 자원의 상당 부분(물리적 공간, 운영비)을 의존하는 입장에서 권력이 위탁자에

게 불균형하게 쏠릴 수밖에 없고, 위탁자로서의 관료조직의 행정원리가 불균형한 권력을

행사하는 측면이 있는데’(김영종, 2017), 이러한 점은 보육서비스도 다르지 않다.

이는 현재 민간시설에 대한 정부의 시각이 부정적이고, 협력적 관계가 아니라 관리감

독이나 지도 대상으로 간주해온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 배경에는 민간시설의 열악한

환경, 전문성과 투명성의 결여로 인한 파행적 운영사례의 경험에 의한 부정적 인식이 깔

려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정부가 민간을 협력관계로 고려하지 못하는 근본요인은 공공과 대비되는 ‘시민

사회’의 역량부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민사회의 성장을 가로 막는 중요한 배경을 ‘국

가우위의 역사적 전통’에서 찾는 견해(곽효문, 2004)도 있다. 이에 따르면 ‘국가가 있어야

국민도 살 수 있다는 유교문화적 가부장적 윤리로 인해 개인의 기본권이 도외시 되어왔

으며, 시민사회는 억압적인 국가기구로 인하여 그 활동영역을 확장하기 어려웠다는 것이

다. 국가는 시민사회 위에 군림하면서 국가영역을 계속 확장해왔는데, 중앙집권적 정치

체계의 전통, 국내 정치적 갈등 심화, 시민사회의 미성숙 등이 국가권력의 일반적 강화

의 요인으로 작용해왔다는 견해(한완상, 1992)가 있다. 즉 우리사회는 ‘허약한 시민사회에

비해 엄청나게 방대한 국가조직’(곽효문, 2004)의 전통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강화된 국가권력은 시민사회에 대하여 권위적이면서 동시에

온정주의적 정책으로 대응해왔기 때문에, 시민사회를 평등성에 기반한 협상대상으로 인

식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간 우리의 시민사회도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다양한 이익집단을 구성하여 자

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구나 국가가 온정적 관점에서 취약한 계층을 대상으로 시혜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08 -

적 사회복지를 제공하던 시대는 지나간 과거이며, 국민의 보편적인 복지권을 보장해야

하는 복지국가의 시대에서 시민사회는 단지 복지 수혜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복지국

가를 유지시키고 발전시키는 핵심 주체로서 기능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국가는 든든

한 지원군으로서 시민사회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1970년대 등장한 서구의 조합주의는 국가와 이익집단(특히 노동자단체) 간의 갈등을

피하고 협상을 통한 합의점에 도달하는 것을 주요 원리로 한다. 노사정이라는 거대기구

간의 협상만이 아니라 공공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관련 주요기능을 담당하는 단체들이

국가와 절충을 벌이는 원리로 해석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보육서비스 공급을 민간에 의존하는 우리사회에서 국가가 이들과 협력적인

관계에서 주요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 그리고 이 과정에 수요자인 부모를 포함시키는

것은 공보육 실현을 위한 유용한 방안이자 상생방안이 될 수 있다.

(2) 협력의 목적: 무엇을 위한 파트너쉽인가?

파트너쉽을 가지고 서로 협력하기 위해서는 공동의 목표에 대한 합의가 우선되어야

한다. 구체적 정책 사안에서는 이익상충이 있더라도 공동의 거시적 목표에 합의하는 것

은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목표로 협력가능한 지점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국가와 민간의 파트너쉽에서 합의가능한 거시적 목표는 말할 것도 없이 공보육 실현

이며, 이를 통해 우리사회 아동의 최상의 이익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는 아동권리협약이

나 우리나라 아동관련법들의 주요 이념이기도 하다. 아동의 이익에서 보면, 보육의 성격

이나 공급주체가 어떠하든 ‘아동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보육’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

동최상의 이익과 무차별평등의 원칙을 정책수단의 평가 잣대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기준으로 하면, 아동이 어느 시설을 이용하든 동등한 양질의 보육을 제

공받고 있는가가 협력적으로 수행해야 할 주요 실천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독일의 경우, 민간부문에 의한 보육공급의 비중이 높은데(유치원 및 보육시설 중 민간

비율은 약 67%. 2014.3.1기준), 시설운영 주체가 민간이더라도 서비스제공에 드는 기본비

용을 동등하게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시설의 종류와 상관없이 아동에게 동등한 질의 보

육을 제공하는 것이 아동 최상의 이익을 보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09 -

(3) 어떤 방식으로 협력할 것인가: 계약의 내용

협력이 필요한 이유는 서로 다른 당사자가 각자의 장점으로 상대의 단점을 최소화할

때 최대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공공부문은 시설설치를 위한 안정적 재원

확보에서 장점을 가지는 반면, 민간부문은 자율성에 기반한 유연함과 민감성으로 맞춤형

돌봄서비스에 대응하기가 더 유리하다.

현재 공공과 민간의 협력의 예는 국공립시설의 시설위탁이나 공공형어린이집의 서비

스 위탁인데, 양자의 관계는 쌍방의 협력관계는 아니다. 국공립시설은 국가사업을 대행

하는 것이라 여기서 논외로 하더라도, 공공형어린이집의 경우는 민간시설에 정부가 운영

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공공재원을 지원하는 것에 대하여 지원금이 합목적적으

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필요하겠지만, 운영전반을 정부의 지휘에 수동

적으로 따라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닐 것이다.

국가가 지원을 근거로 과도한 개입을 한다면, 민간의 자율성, 혁신성, 민첩성 등이 제

한되며(김형식․최영신, 2000), 위수탁 계약의 내용이나 관리, 평가 방식 등이 모두 ‘관료

조직’의 획일성, 표준화, 사전절차준수와 같은 원리를 앞세우게 될 때, 휴먼서비스의 탄

력성이나 개별화, 과정적 변화를 통한 효과성 추구는 억압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김영종,

2017)은 불균등한 관계의 폐해를 우려하는 것이다.

동등한 협력적 관계를 위해서는 협력내용에 대한 계약이 중요하며, 이는 계약당사자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금씩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의 예는 그렇지 못함을 알 수

있는데, 당사자 간의 협의에 기초한 계약이 아니라, 운영비 일부지원을 댓가로 정부의

지침을 준수할 것을 서약하는 형태이다.

예컨대 공공형어린이집의 선정과정은 지자체가 지원대상자를 공고하여, 신청한 민간시

설 중 평가를 통해 선정하게 되며14), ‘공공형어린이집 지정서’를 시도지사가 교부하게 된

다(기간은 3년간 유효). 그 선정요건 및 운영기준은 보조금 교부조건에 해당되는데(보건

복지부, 2018), 그 세부 매뉴얼(복지부, 2017)에 의하면, 주요선정기준은 평가인증(90점 이

상), 정원충족률(80% 이상)이며, 우선선정 대상의 기준은 건물 자가소유, 교직원 전문성

이나 맞벌이 자녀 재원율 등이다. 또한 주요 운영기준은 평가인증 점수 유지, 취약계층

우선보육이나 정부지원단가와 동일한 보육료 수납, 국공립 수준의 교사 월급, 운영시간

14) 지자체가 모집공고를 하면, 민간시설운영자는 신청서, 가기평가서, 정보제공동의서를 작성하고, 시군구

평가표를 통해 선정하게 된다(복지부, 2017).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10 -

(평일 19:30까지), 그리고 표준보육과정에 기반한 연령별 보육프로그램의 필수적 운영 등

이다.

공공형어린이집 ‘지정서’는 공공형으로 지정한다는 일종의 증명서인데, 지정서에는 유

의사항이 첨부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운영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정책여건에 따라 지원

금 등이 변경될 수 있다’는 등 문자그대로의 유의사항이다. 이는 상호협의를 통한 계약

서나 합의서가 아니기 때문에 민간어린이집의 특성이나 욕구나 바램은 반영될 여지가

없다. 간혹 개별 시군구차원에서 어린이집과 협약서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기본

내용도 지정서에 첨부된 유의사항(준수사항)과 크게 다르지 않다.15) 즉 무엇에 대해 협

력할 것인지 협의하여 계약을 맺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은 지원을 통해 안정적 운영을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장 큰 결함은

민간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 한다는 점이다. 지원을 조건으로 하는 기본사항의 준

수 요청은 표준적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게는 하지만, 개별 민간시설의 특성이나 다양

성, 자율성, 독창성 등을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예컨대 공공형시설 모두에게 동일한 유의

사항과 표준보육과정의 필수적 운영을 요구하는 상황에서는 민간시설이 개성있고 독창

적 프로그램이나 아이디어를 생산할 동기부여도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공할 시간적 여유도 마련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점은 아동이 다양하

고 독창적 서비스를 경험을 할 가능성을 낮춤으로써 아동의 발달권리를 제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민간시설의 비중이 큰 독일의 경우, 기본비용을 시설에 지원함으로써 서비스 질을 일

정 수준 유지할 수 있고 안정적 운영을 보장해왔지만, 비경쟁적 부문에 속하는 시설의

단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일부 지자체에서 보육바우처 방식의 수요자 지원을 통해 효

율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는데, 이 경우도 시와 시설이 서비스 질을 위한 기본

협정을 체결한다고 한다(김대인, 2017).

따라서 민간시설의 운영비를 정부가 지원하더라도, 민간시설의 장점을 유지하고 활성

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공공형 지정시설’에 기본적 준수사항을 동

일하게 요구할 것이 아니라, 개별 시설의 특화된 장점을 유지․발전시킬 수 있도록 기본

15) 인천시의 사례: ‘어린이집 사업자는 운영기준을 성실히 준수한다. **시는 예산의 범위 내에서 운영비 또

는 깉차 운영보조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사후 품질관리를 위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시행한다’ 는 내

용이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11 -

사항 이외에 자율적이고 특화된 영역을 인정해주는 ‘맞춤형’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민간의

장점을 유지시키는 것이 더욱 유용할 것이다.

민간의 특성이 반영되는 협의에 의한 계약, 즉 새로운 관계형성 방안이 필요한 이유는

민간시설의 수준이 평가인증 등을 통해 꾸준히 발전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보육역사

의 초기에 매우 열악한 환경과 전문성이 결여된 시설이 다수인 상황에서는 정부지원에

기반한 관리감독과 통제방식이 보육의 질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경쟁을 통

해 열악한 시설과 우수한 시설이 구분되고 우수한 경쟁력을 갖춘 민간시설이 일정정도

형성되어 가고 있다면, 단일한 기준의 적용과 통제중심의 관계방식은 보육의 발전을 저

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간은 ‘수준이 낮고 신뢰할 수 없다’는 일관된 불신의 시

각으로 모든 민간을 동일하게 취급하고, 민간시설의 국공립화 전략에 치중하는 것은 변

화된 상황을 인정하지 않는 시대에 뒤쳐진 사고일 수 있다. 따라서 이제 국가는 민간을

협력관계 즉 파트너로 인정하고, 아동최상의 보육을 제공하기 위한 합리적인 협상기준을

마련하고, 논의와 타협을 통해 최선의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3) 민간시설의 국공립화(장기임대 및 매입)의 대안 모색

공공형처럼 민간시설에 운영비를 지원하는 방식은 재정효율성의 측면에서 다수 민간

시설의 서비스 질을 국공립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적합한 방안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더 큰 예산을 필요로 하는 민간시설 장기임대 또는 매입을 추진하고자 하는 이

유는 무엇일까?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운영비 일부지원만으로는 보육의 질을 향상하기

에는 노후된 시설환경 등의 물리적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문제는 민간

시설에 환경개선(소위 리모델링)을 위한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 사적 재산의 가치를 증식

시킬 수 있어, 공적재원의 투자를 꺼릴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이는 시설개보수 충당금이

나 감가상각 충당금 등에 대한 지원여부를 둘러싼 민간시설 재무회계규칙 관련논의에서

도 잘 드러난다)16).

시설개선은 해야 하지만 사유재산의 가치증식 효과가 있는 정부지원을 해야 할 것인

지 딜레마인데, 이 해결방안으로 등장한 것이 무상의 장기임대를 전제로 한 리모델링 또

는 아예 매입하여 시설을 ‘마음껏’ 개선하는 방안이다. 이는 또한 국공립비중을 높이는

16)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장영인(2015)을 참고하기 바람.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12 -

직접적 방식이기도 하다.

시설을 누가 소유하는가의 문제는 아동의 관심 사안은 아니다. 오히려 막대한 보육예

산 대비 서비스 질 개선의 효과성과 효율성이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국가가 직영하는

것도 아니면서 굳이 ‘시설 소유’를 하기 위해 이러한 비용을 들여야 하는가 질문하지 않

을 수 없다. 매입비용을 절감하고, 사유재산의 증식에 사용되지 않으면서 민간시설의 환

경개선을 하는 방안은 없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발표자는 이 점에 대해서도 민간과의 합리적 방안에 대한 논의와 계약의 원리를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예컨대 상당정도의 시설개보수나 리모델링 등 환경개선을 위

해 투여된 정부재원이 민간의 고정자산(시설)의 가치증식 효과를 수반할 경우에는, 정부

의 재정지원에 해당되는 만큼의 지분을 국가가 소유하고, 민간운영자가 시설을 향후 매

매하거나 폐원할 때, 감가상각 등으로 고려하여 비용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

안을 다양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선 매입(장기임대)대상이 되고 있는 관리동 시설의 경우를 보아도, 시설매입 대신 민

간시설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지원하는 방식을 모색해볼 수 있다. 관리동 시설이야말로

개인소유가 아닌 입주민 공동소유이므로 ‘영리추구와 자기자본투자에 대한 이익환수 욕

구의 문제’(서문희, 2013)가 상대적으로 적은 민간시설이다. 따라서 국가로의 시설소유권

이전을 통한 공공성 강화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 국가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시설을 매입(또는 장기무상임대)하여 국공립 수치를 높이고, 운영비 지

원에 대한 통제를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을 것이며, 또한 운영자들의 입

장에서도 그간의 시설개보수나 리모델링의 비용을 보상받고 (점차 낮아지는 취원율을 고

려할 때) 국공립원장으로서 안정적인 인건비를 보장받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민간시설의 국공립화를 통해 양자가 얻는 잇점들은 기존의 관리동 민간시설이

갖는 장점을 희석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동시설은 민간이 설치비 부담없이 시설을

운영하면서, 입주민의 욕구를 반영한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필요한 비용발생 부

분을 지역주민과 협력하여 자율적으로 운영해가면서 민간시설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오히려 국공립화는 시민사회의 독자적인 성장영역을 좁히고, 독창적 운영

을 위한 도전의욕이나 동기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높다. 이는 아동의 관점에서 보면, 다

양한 서비스를 경험할 기회가 줄어드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민간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여지를 남기면서 운영비를 일부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13 -

지원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지원한 부분에 대한 협의와 계약을 맺는 것

이 비용효율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이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일본처럼 ‘공공설치 민간위탁’을 (국공립이 아닌) 민간영역으로 분

류할 경우에도, 우리는 이 같은 매입이나 장기임대를 공보육 전략으로 시도할 것인지 다

시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국가의 시설소유권 여부를 중심으로 ‘국공립’ 타이틀을 걸고, 이러한 시설에만 운영비

를 지원하여, 보육이용 아동간의 불평등이 초래된 현재의 문제상황에 대한 책임에서 국

가가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민간을 지원해보았지만 질 관리도 안 되고, 공공성 확보에 미흡했다’면서 등돌

릴 것이 아니라, 일방적이고 통제적인 지시에 대한 민간의 반발 원인에 귀기울이고, 실

천가능하고 합의할 만한 협력사안을 도출해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4) 협력관계의 한축이 되기 위한 민간시설의 자기변화

동등한 관계에서 합의와 계약의 당사자가 되기 위해서는 민간의 발전과 변화가 요구

된다. 즉 공보육이라는 공동 목표에 대한 합의, 공보육 이념 및 비영리 보육사업에 대한

이해, 아동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헌신성과 소명의식, 창의성과 자발성에 기초한 새로

운 도전, 투명한 경영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에서 민간시설은 여전히 신뢰할만한 협력과 협상 당사자로서 지위를 부여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민간시설 운영과정에서 노출된 다양한 사건사고를 배경

으로 한다. 회계부정, 학대, 원칙과 운영지침의 위반 등 누적된 불신에 대하여, 민간시설

은 그 수가 많기에 사건도 많을 수밖에 없다거나 지원없는 과도한 통제가 더 큰 문제라

는 항변은 불신을 더욱 가중시키는 변명으로 들릴 뿐이다.

앞서 보았듯이(Ⅱ장), 그간 정부의 재정지원이 민간시설지원을 기피하며 아동별 지원으

로 쏠리게 된 배경에는 민간에 대한 이러한 불신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간 전문가

집단들도 보육질 제고를 위해 시설에 대한 운영비 지원이 필요함을 인정하면서도, 민간

의 부실한 조건과 정부지원에 대한 부정행위 가능성을 우려하여, 민간시설에 대한 규제

와 관리감독 강화를 강조하거나(김은정․이혜숙, 2016), 공공형어린이집에 대해서도 강화

된 선정조건과 관리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해왔다(이미정, 2012).

따라서 민간시설 자체의 자정작업을 통한 도덕적 우월성의 확보, 정직한 양질의 보육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14 -

제공, 학대 등의 문제에 대한 개방적 해결자세 등, 불신의 고정관념을 깨기 위한 배가된

치열한 노력이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정부의 국공립확충전략을 아동중심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그 문제점에 대

한 새로운 방안으로서 민간과의 협력관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공립시설 확충을 위한

민간시설의 장기임대나 매입은 막대한 예산에 비해 그 효과성이나 효율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민간시설의 긍정적 측면인 독창성과 자율성의 장점을 제한할 수 있다. 기존의

민간시설의 질을 제고하는 방안으로서 운영비지원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공공형어린이집

의 경우, 국가와 민간과의 등등하고 협력적 관계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지원에 대응하

는 관리감독과 통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민간의 국공립화를 통한 국공립확충 방안들은 국공립의 비중을 높이고 보육의 질을

일정 수준으로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관주도의 보육공급은 민간시설의 장

점인 자율성과 독창성의 가능성을 약화시킴으로써, 다양하고 독창적인 보육을 개발하여

보편주의 보육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고 더 발전된 보육으로 견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의 보육은 첫단추를 민간시설과 함께 끼우며 시작하였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

들을 공보육의 제공주체로 견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대등한 관계에

서 협의와 협상을 하는 계약관계로 발전시겨 나가면서 독자적 영역을 존중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의 세상에서 시민사회를 배제하고 ‘국가만이 제일 잘할 수 있

다’는 관치주의적인 사고야말로 과거로의 회귀일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의 다양한 잠재력

의 개발과 역량발전을 제한함으로써 창의적이고 새로운 도전적인 보육서비스의 가능성

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또한 민간도 공보육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국가와 협력하는 명실상부한 파트너로

서 자리매김 하기 위해, 소명감과 높은 도덕성, 자율적이고 도전적인 자기개발의 노력

등을 통해 사회적 불신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15 -

참 고 문 헌

강경아․박영선․정은주. 2017. “공공형어린이집 제도 개선을 위한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및 운영에 대한 원장 인식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2.

강현구․이순형. 2014. “한국과 일본 영유아 보육 제도 비교연구”. 『아시아리뷰』 제4권

제1호(통권 7호): 139-167.

곽효문. 2004. “조합주의와 복지국가의 접합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 교수논문집』

353-382.

문성호․이현진. 2015. “국공립과 공공형어린이집의 부모의 보육서비스 만족도 비교”.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1.

김대인. 2017. “독일의 영유아보육 지원법제에 대한 연구 –영유아보육청구권을 중심으

로-”. 사회복지법제학회. 『사회복지법제연구』 제8권 제2호(통권 제10호).

김영모. 1996. “지방자치단체 영유아보육정책의 과제와 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

1-12.

김영종. 2017.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와 민간위탁 제도 연구”. 『보건사회연구』 37(4):

406-442.

김은정․이혜숙. 2016. 『영유아 보육(돌봄) 지원 정책 평가와 정책 과제 - 보육료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2016년 12월).

김정은. 2013. “미국 보육서비스의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효과성 연구”. 『한국아동복지

학』 Vol.41.

김형식․최영신. 2000. “보육정책의 동반자적 관계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 22: 1-26.

문신용․이정미. 2010. “SERVQUAL기법을 통한 서울형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성과분석:

국공립과 민간보육시설의 비교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2.

박정선. 2000. 한국 아동보육 서비스에서 관민의 관계유형의 구조와 특성. 『한국영유아

보육학』 21: 281-305.

변용찬(책임연구자). 1998. 『보육시설확충 3개년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보건복지부. 2017. 『2017년 공공형어린이집 업무 매뉴얼』.

__________. 2018. 『2018년 보육사업안내』.

춘계학술대회 기획3주제 (2018. 6.)

- 116 -

안현미․김송이. 2011. “한국의 보육공공성과 ‘제3의 보육체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9: 107-137.

양미선․유해미․최운경. 2016. 『공공형어린이집 운영,관리 기준마련 연구』. 육아정책

연구소.

이혜진․이승희․오유정. 2016. 『공공형어린이집 관리운영 실태분석 및 품질제고 방

안』. 한국보육진흥원.

서문희. 2013. “양질의 보육서비스, 공공성 강화가 우선되어야”. 육아정책연구소. 『육아

정책 brief』 (July).

서문희․이혜민. 2013. 『(2013)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서문희. 2014. “공공형 어린이집의 안정적 운영방안”. 국회의원 류지영, 국회미래여성가

족포럼, 전국공공형어린이집협의회 주최. 『2014년 공공형어린이집 안정적 운영방

안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2014.7.10.

여성가족정책실(서울시). 2014. 『국공립어린이집 1000개소 확충계획』. 2014.11.

_____________________. 2017. 『국공립어린이집+1000, 2017년 추진계획 보완』. 2017.3.

유해미. 2016. “공공형 어린이집 제도의 성과와 개선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이슈페이

퍼』(2016.8).

_____. 2017.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균형 배치와 질 담보 되어야”. 『육아정책 brief』

통권 제61호.

유희정 외. 2014. 『해외출장결과보고서: 취업여성의 직종 및 고용형태에 따른 자녀양육 지

원정책 연구 - 일본의 유아교육, 보육, 학동보육 정책 탐색』(동경. 2014.6.30. - 7.3).

이미정. 2012. “공보육 확충정책과 공공형 어린이집 정책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4.

이상석. 1994. “영유아보육사업 확충 3개년계획”. KDI. 『나라경제』 12월호: 72-75.

장영인. 2006. “보육재정 지원방식의 쟁점분석과 과제 -시설별지원과 아동별지원 간의 쟁

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51-279.

______. 2015. “민간어린이집 보육재정지원에 관한 쟁점 연구: 어린이집 재무회계규칙 논

의의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95: 53-79.

정재훈. 2005. “비영리 복지단체와 독일 복지국가 간 조합주의적 관계에 대한 연구 -복지

국가 유형분류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서”. 『사회복지연구』 26: 177-199.

청와대 청원문(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105598).

- 117 -

기획3주제 토론

기획3주제 토론

김 옥 심*17)

1. 들어가는 말

2013년도부터 시행된 영유아 무상보육의 전면 실시와 전 계층 양육수당의 지급은 ‘보

육의 공공성과 국가책임’이라는 측면에서는 그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발표자께서는 공보육 달성을 위한 현 정부의 국공립확충 전략을 아동 중심의 관점에

서 재조명하고, 공보육의 개념과 우리의 현실, 다수의 민간시설에게 보육공급을 의존하

는 현실에서 민간과 국가의 바람직한 관계설정, 그리고 정부와 민간과의 협력관계의 모

색의 필요성, 민간, 국공립 모두 각자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할 때 ‘공보육 실현의 목표’

는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과거 사립 즉, 민간․가정은 공립에 비해 영리성이 더 강하고 덜 공공적이라는 인식이

있었고, 그 근거로 공립은 인건비를 국가가 보존해주는 대신에 보육비용이 저렴했고, 사

립은 추가비용수납이 가능하고 보육료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그러던 것이 무상

보육이 도입되면서 공립․사립을 불문하고 동일한 보육료를 강제하면서 지원체계에 있

어서는 공립에는 안정적 인건비를 지원하고 사립에는 아동의 등락을 반영한 운영비보조

금을 일부 지원하는 차별적 상황을 낳았다. 그 결과, 가정 및 민간어린이집은 국공립 및

법인어린이집 등 정부 인건비지원 어린이집과 운영구조 면에서 질적으로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지원시설은 상대적으로 급여보장, 고용안정, 높은 전문성을

*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장

기획3주제 토론 (2018. 6.)

- 118 -

기대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런 면에서 보육의 ‘공공성 책임’을 논하기에 앞서 보육의 질을 크게 좌우하는 재정

의 지원, ‘국가책임이 공평’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부터 점검하는 절차는 꼭 필요하다.

2. 본론

현 정부에서 발표한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을 보면, ‘영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

해 함께하는 사회’라는 비젼을 제시하면서 목표 및 전략을 발표했다.

그 4대 목표 중 하나가 ‘보육의 공공성 강화’라는 데서 그 대강을 살펴보는 것은 나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지금의 보육은 설립의 주체․유형에 따라 공공성 강화책임을 차별적으로 적용받는 것

은 아니다. 대한민국 영유아가 머무는 곳이라면 누구라도 공적 책임을 다해야 하는 것으

로 되어있다. 만약, 동의하지 않는다면 시장에서 배척당할 것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우

리의 보육은 민간의 자율성과 혁신성, 민첩성은 점차 사라지게 하고, 획일성, 표준화에

적응해야 생존하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에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는 2013년도부터 보

육료지원방식의 변경을 강력 주장하였다. 그 과정에서 2014년 ‘다양한 형태의 국공립어

린이집’ 제하의 간담회 개최를 비롯하여 전문가 연구용역 의뢰 등으로 보육료지급방식

변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2016년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별표1 개정(입지조건 완

화)을 통해 공동주택 내의 가정어린이집도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전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꿈에도 소원이 ‘반별인건비 지원’이라는 회원들의 열망은 2017년도 ‘소규모

영아중심 어린이집 보육지원 방안 모색’ 정부연구용역을 가능하게 했다. 다시 2018년 ‘다

양한 형태의 공보육’ 제하의 토론회를 통해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반드시 보육료지

원체계의 변경이 필요하며, 이 나라 영유아의 행복권 추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어

린이집에서 양질의 보육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토대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이 모든 노력은 보육의 공적책임에 대한 시대적 요청(정부 보육료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부응하고자 하는 보육인들의 자기희생적 결단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싶다.

이렇듯 현장의 발 빠른 대응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반응은 오히려 더디기만 하다. 고작

해야 설립의 주체가 국가가 아니더라도 국공립전환 혹은 공공형의 형태로 반별인건비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19 -

혹은 반별운영비를 지원하는 등으로 보육료지원체계를 아동별이 아닌 반별지원방식으로

일부 반영하는 정도이다.

현 정부 들어 발표된 제3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에 따르면, 2022년까지 국공립어린이

집을 40%까지 확충하겠다고 한다. 매입, 기부체납, 전환 등의 방법으로 민간의 일부를

포함하고 영아중심의 소규모 가정어린이집은 그 대상에서 배제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과

연 지금의 보육 현장을 제대로 파악한 결과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저출산의 심각화, 신규시설의 중․대형화 및 유치원시설의 급증 등 공급과다로 인해

어린이집 수 지속 감소 및 정원충족률의 급감, 급격한 임금인상, 원가수준에도 못 미치

는 보육료, 불합리한 지원체계 등으로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절대다수

의 민간, 소규모 가정어린이집을 고사시키려는 정책이다 라는 우려감을 지울 수가 없다.

3. 나오는 말

전체 보육아동의 99%가 영아로 구성되어 있는 가정어린이집은 다음과 같은 특장점을

갖고 있다. ① 재정의 건전성, ② 취약보육에 적합, ③ 보육서비스의 헌신성, ④시설의

개방성, ⑤ 그 외 가정친화적 보육환경으로 영아의 접근이 용이하고, 우리나라 0세 보육

의 60% 이상을 담당, 보육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대신 추가부담이 적다.

위의 몇 가지 점에서만 살펴보더라도 가정어린이집은 이미 보육의 공공성 목적에 부

합하는 여러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다.

금번 정부의 단순 국공립 이용률 40% 확대 목표는 이러한 현장상황에 대한 고려 없는

전시행정이라는 비난과 함께 다음과 같은 우려감을 갖게 한다.

첫째, 민간의 의존도가 높은 보육현실에서 국공립기관 이용률 확대해 치중하게 된다

면, 보육의 공공성 확대는 국공립어린이집이라야만 가능하고, ‘민간은 믿고 맡길 만한 시

설이 아니다’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양산시킬 수 있다.

둘째, 국공립확충 대상에서 제외된 나머지 60%에 해당하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부모

와 그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당사자들을 정리의 대상(구조조정의

대상)으로 삼는 것인가 하는 우려감이다.

셋째, 보육을 규모의 경제논리로 해석하고 국공립전환의 대상에 가정어린이집을 비롯

한 소규모 어린이집을 배제한 것은 영아보육을 시장경제에 내맡기겠다는 의도가 아닌지

심히 염려가 된다.

기획3주제 토론 (2018. 6.)

- 120 -

지금의 보육시장은 규모의 경제에 따른 투자대비 효과성이 떨어진 시설들의 운영난을

한층 심화한다는 데서 소규모 어린이집이 대폭 감소하고 중․대형 시설 중심으로 구조

조정되는 양상이다. 영아보육 특히 0세 보육비율이 높고, 보육료 의존도가 높은 가정어

린이집 입장에서 금번 정부의 보육정책방향에 대한 우려가 기우이길 바랄 뿐이다.

이에 본회는 공보육확대 목표를 국공립시설로 한정하지 말고, 다양한 형태의 공보육시

설이 가능하도록 재검토할 것과 절대다수의 미지원 시설의 운영난을 가중시키는 지원구

조의 변경과 보육료 현실화를 거듭 강조한다.

끝으로 조만간(2018.7.1.) 휴게시간 특례업종 축소로 인해 어린이집 교사에 대한 휴게시

간 의무 적용 관련하여 덧붙이고자 한다.

우리 속담에 “남이 장에 간다고 거름지게 지고 따라가지 마라”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취지가 좋다고 할지라도 무턱대고 따라 해서도 안 될 일이고, 현장 상황고려 없이 일률

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 121 -

기획3주제 토론

기획3주제 토론

장 두 옥*1)

들어가며

□ 정부의 국공립확충 40%에 대한 보육정책방향에 대한 검토를 영유아보육학회를 통

해 개최하는 것은 의미가 있으며 바람직한 보육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발제자께서 짚어주신 공보육달성에 대한 국가와 민간의 관계 재정립에

공감하며 국공립확충 전략으로 공공형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 전환을 통한 국

공립화 방안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토론을 하고자 한다.

□ 공보육은 시설중심이 아닌 “아동 이익 최우선의 원칙”이 고려되어야 하며 최상의

이익은 아동의 배경이나 속성에 무관하게 보육기회 평등, 보육서비스의 수준과 내

용에서 차별적이지 않아야 한다는 발제자의 논리에 공감하고 바람직한 공보육서비

스를 위한 제안을 해보고자 한다.

- 국공립어린이집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는 어린이집”이라고 규정을 하고 있지만 국공립

* 전국공공형어린이집연합회장

기획3주제 토론 (2018. 6.)

- 122 -

시설의 운영은 “법인․단체 또는 개인에게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제24조 2항)고 규

정하고 있어, 설립주체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이지만 운영을 민간에게 위탁한 시설도 국

공립시설로 분류되며, 실제로 국공립시설은 민간에게 위탁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설치비용을 누가 내었는가?”가 국공립시설을 규정하는 핵심 기준이 되면, 결

국 시설설치에 필요한 토지와 건물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따라서 국공립과 비

국공립이 구분된다.

- 정부의 공보육 달성을 위한 주요 수단은 국공립 시설 확충이라는 것이며 우리나라의

90%를 차지하는 민간시설을 공보육제공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하여 국공

립확충을 위한 무리한 시설신축이나 매입보다는 기존의 민간시설의 장점을 최대화하

기 위한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민간과 협력적인 관계

로 재정립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발제자의 의견에 동의한다.

□ 기존의 민간시설을 단기에 국공립으로 변형하는데 치중하기 보다는 민간다수에 의

해 공급되는 보육의 질을 어떻게 높여 나갈 것인가에 대한 정책과 민간시설의 운

영비를 정부가 지원하더라도 민간시설의 장점을 유지하고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

하다. 민간보육을 활성화하고 공보육화하는 방법 중 공공형어린이집에 대한 발제자

의 생각과 덧붙여 제안하고자 한다.

공공형어린이집은 2011년 7월부터 공공성 확립을 위한 보육환경이 우수한 민간․가정

어린이집 중에 엄격한 심사를 거쳐 운영비를 지원하고 보다 강화된 운영기준을 적용하

여 양질의 보육을 영유아에게 제공하는 우수보육인프라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시행하

고 있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23 -

<표 1>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기준표

항목 신규선정 재선정 비고

건물소유형태∙20점

- 급간별 배점

∙제외

- 필수항목 20점으로 대체

최근 3년간 대표자 변경 ∙3점 ∙3점

대표자 및 원장동일인 ∙5점 ∙5점

열린어린이집 지정

∙지정주체에 따라 급간

배점

- 우수형 10점

- 지방자치단체형 5점

∙지정주체 구분 없이

10점 배점

∙조건부통과

(19년 말까지)

맞벌이 자녀 재원율 ∙5점 ∙5점

1급 보육교사 비율 ∙20점-급간별 배점 ∙20점-급간별 배점

영유아 관련학과 전문학사

보육교사비율∙4점 ∙4점

원장의 전문성

- 원장의 영유아 관련학과

학사학위 및 보육교사 경

력 3년 이상

- 원장재직경력 7년 이상

∙6점

- 3점

- 3점

∙6점

- 3점

- 3점

담임보육교사 급여지급 수준∙최대 15점

- 1호봉이상일 경우 15점

∙경력에 따른 지급인정

- 차등지급일 경우 15점

- 1호봉 지급할 경우 10점

운영기준이므로

기준이상이

현어린이집 3년 이상 근속

교사 비율∙3점 ∙3점

지역별 자율평가 ∙최대 7점 ∙최대 7점

위의 <표 1>에서 보듯이 공공형의 선정기준과 재선정의 기준은 국공립위탁의 조건보

다 더 질적으로 우수함을 요구하고 있으며 평가인증도 A등급이 아니면 공공형이 취소

및 탈락이 된다. 또한 3년마다 재선정을 다시 함으로써 재정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국공립과 비교해보다면 재선정 기간이나 평가인증에 대한 것도 더 강화된 기준이다. 개

별시설의 특화된 장점을 유지․발전시킬 수 있도록 기본사항이외에도 자율적이고 특화

된 영역을 인정해주는 “맞춤형”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민간의 장점을 유지시키는 것이

더욱 유용한다는 발제자의 의견에 동의한다.

기획3주제 토론 (2018. 6.)

- 124 -

<표 2> 운영비 지원기준

■ 공공형어린이집 운영비 지원기준

구분 단가 기준 세부사항

1보육교사

급여상승분35만원

종일반

담임교사 1인당

*현원 1명 이상

*장애아반(별도로 인건비 지원)

방과후(1호봉 대상 아님)반은 제외

2유아반

운영비60만원

3~5세반

1개소당

<지급대상>

*3세: 현원 8인 이상인 반

*4세이상: 현원 11인 이상인 반

3 교육․환경개선비 1.5만원 재원아동 1인당*현원기준 (방과 후 아동제외)

*기관당 최대 300만원까지 지급

■ 국공립․공공형 어린이집의 월간 정부 지원금 비교(단위: 천원)

구분정원 50인기준

국공립 서울형 공공형 민간

보육료 12,619 12,619 12,619 12,619

누리 지원금 1,575 1,575 1,575 1,575

영아 기본보육료 - - 2,758 2,758

인건비 지원금 10,349 8,622 - -

운영비 지원금 - - 4,450 -

기타운영비(보육료의 10%) - 1,407 - -

소계 24,543 24,223 21,402 16,952

국공립 대비 비율 100.0 98.7 87.2 69.1

공공형의 운영비 지원기준은 국공립어린이집과 서울형어린이집에 비해 훨씬 적은 비

용으로 지원되고 있다. 민간시설이지만 공보육의 형태로 운영되어지는 공공형어린이집은

학부모 만족도가 국공립보다 우수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볼 때 국공립어린이집만이

공보육을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하며 민간이 갖고 있는 다양성, 우수성을 인정하고 영유

아가 어느 시설에 다니던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되어야 한다는 기본개념에 적합한 정책

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25 -

2011년 공공형어린이집 이용 부모 만족도단위: %(명), 점

구분매우

미흡미흡 보통 만족

매우

만족계(수) 평균

위생․건강관리 0.1 0.7 8.4 35.9 54.9 100.0(1,300) 4.45

급․간식 0.2 1.5 9.3 36.3 52.7 100.0(1,300) 4.40

안전한 보호 0.1 1.2 7.6 38.3 52.8 100.0(1,300) 4.42

교육 프로그램 0.2 1.0 10.8 40.2 47.8 100.0(1,300) 4.35

운영시간 0.3 1.8 5.8 39.8 52.2 100.0(1,300) 4.42

자료: 공공형어린이집 시범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육아정책연구소, '11)

※ 공공형어린이집 사업평가에서 공공형어린이집을 이용한 1천300명의 부모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41점으로 나타났음. 이는 지난 2009년 실시된 보육실태조사에서 부모만 족도가 국공립

어린이집 3.73점

2015년 공공형 및 국공립 부모 만족도 조사 결과단위: 점(5점 척도)

구분 건강․영양관리보육환경

/안전관리

보육교사

/상호작용운영관리

전체 4.50 4.31 4.53 4.39

공립 4.50 4.25 4.48 4.39

공형 4.51 4.36 4.58 4.39

구분 -0.268 -2.953** -3.127** -0.077

공공형-민간 4.43 4.36 4.52 4.30

공공형-가정 4.62 4.36 4.67 4.53

공공형-민간 3.989*** -0.117 3.202*** 4.542***

* 유해미․김아름․박기원(2015). 공공형어린이집 성과평가발전방안, 육아정책연구소.

※ 평가인증 총점 분석 결과: 국공립 평가인증 총점 평균보다 높은 시설 공공형어린이집이(23.2%),

공공형을 제외한 민간, 가정, 법인․단체 등 어린이집(6.7%) 보다 2011년 대비 2015년 상향 비

율이 16.5%로 더 높게 나타남.

정부의 보육정책이 시설 확충이 아닌 민간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인

것 같다. 민간보육시설의 장기 임대 방법이 아닌 지원체계를 바꾸어서 모든 민간보육시

설이 공보육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단지 검증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체계

적인 검증을 거쳐서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획3주제 토론 (2018. 6.)

- 126 -

공공형어린이집이 민간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국공립보다 우수한 보육의 서비스를 제공

하는 것은 민간이 갖고 있는 강점을 살리고 자율공부, 학부모 교육, 교사 교육, 운영의

투명성 등 자체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며 또한 재정기반이 약한 부분을 보완해 준다면 많

은 재원과 시간이 필요한 국공립확충보다는 빠른 시간에 더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고 많은 영유아들이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이번 정부가 말하는

격차해소, 평등이라는 방향에 중점을 두면 좋겠다.

국공립확충보다는 공공형어린이집을 통한 공보육을 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위해 몇

가지 제안해 보고자 한다.

1. 공공형어린이집의 법제화 추진

전체보육의 8%를 차지하는 공공형어린이집이 국공립확충, 즉 공보육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안정적인 운영에 대한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공공형어린이집은 우수보육인프라

로서 부족한 국공립어린이집을 보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취약보육, 휴일보육 등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육시설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사업의 법적 근거 마련이 시

급하다.

- 지난 2017년 8월 10일 ~ 8월 31일에 실시한 법적근거마련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25,860명 중 94.6%가 공공형어린이집이 공보육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응답자의 대부분 97.5%(25,222)가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법적지위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답해 불안정한 현실을 하루빨리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였다.

2. 보육교사 국공립수준의 인건비 지원

공공형 운영비는 교사들에게 국공립 1호봉이상 지급하는 비용만 받고 있다.

국공립수준 보다 질 높은 보육을 하고 있지만 인건비는 국공립수준으로 지급되지 않

고 있다. 공공형 보육교사의 국공립수준의 인건비에 대한 운영비 보전, 기타 보육교직원

에 대한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 “보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처럼 교사들에 대한 처우는 반드시 개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27 -

선되어야 한다.

3. 환경개선비 및 시설 개보수

영유아는 인적환경과 물리적환경도 영향을 받는다. 시설을 개․보수할 수 있는 환경개

선비, 기능보강비가 지원되어야 한다. 공보육은 누구나 다 평등하게 혜택을 받아야 한다.

- 정부재정지원은 지원시설과 비지원시설로 구분되어 지원시설에 편중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시설간의 차별성, 영유아의 보육의 형편성에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민간보육의 협력관계가 되기 위해서는 민간시설의 자기변화 즉, 신

뢰할 수 있는 투명한 경영, 창의성과 자발성에 기초한 새로운 도전, 헌신성과 소명의식

등 아동의 이익을 최우선하는 민간보육이 되어한다는 발제자의 의견에 동의하며 정부는

국공립확충으로 국공립의 비중을 높일 수는 있지만 독창적이고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고

더 발전된 보육으로 견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국공립확충에 의한 예

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길 바란다.

공공형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이 국공립으로 전환하지 않아도 공보육을 할 수 있

다는 것을 인식하고 지원체계를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아이들이 어느 곳을 이용하던지

동일한 혜택을 받아야 하듯이 보육교사들 또한 동등한 대우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짧

은 기간에 많은 실적을 내온 공공형어린이집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이 되고 공공형어린

이집을 확충해 간다면 정부의 공보육은 빨리 완성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차별받지 않는

정책으로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되는 보육정책이 되어야 할 것이다.

- 128 -

기획3주제 토론

기획3주제 토론

이 정 미*1)

관리동어린이집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설치된 의무시설이다. 차를 이

용하지 않고 매일 아침 부모님의 손을 잡고 등원할 수 있는 이유하나만으로도 영유아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하는 관점에서 좋은 어린이집이지만 주민공동시설로 필수임

대어린이집이라는 독특한 구조로 인해 주기적으로 임대계약을 갱신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권에 따라 쫓겨나는 문제, 과다한 임대료 등 다양한 문제들을 마주하게 되면서 관리동

원장들은 2006년부터 현재까지 공동주택어린이집 특별위원회(이하 공특위) 이름으로 모

여 마주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법과 제도를 바꾸고 아동의 권리는 물론 누구의 권

리도 침해받지 않도록 안정적인 제도를 만들어 왔다.

그러나 아직도 현장에서는 이를 모르거나 알면서도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경우가 있어

이미 만들어진 법과 규정들만이라도 제대로 지켜질 수 있도록 정부와 공무원의 적극적

인 지원이 필요하다.

* 전국공동주택어린이집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영유아보육법 제24조 (어린이집의 운영기준 등)

②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제12조에 따라 설치된 국공립어린이집을 법인․단체 또는

개인에게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위탁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제 선정관리 기준에 따라 심의하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29 -

● 공동주택관리법 제18조 (관리규약)

①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

사"라 한다)는 공동주택의 입주자등을 보호하고 주거생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동주택의 관리 또는 사용에 관하여 준거가 되는

관리규약의 준칙을 정하여야 한다.

② 입주자등은 제1항에 따른 관리규약의 준칙을 참조하여 관리규약을 정한다. 이 경

우 「주택법」 제21조에 따라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어린이집의 임대료 등에 관한 사

항은 제1항에 따른 관리규약의 준칙, 어린이집의 안정적 운영, 보육서비스 수준의 향

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개정 2016.1.19] [[시행일 2016.8.12]]

최근 전환 사례를 볼 때 관리동어린이집 원장이 투자손실을 감수하고라도 소위 3자

(입주자대표회, 시군구청장, 기존원장) 합의에 의한 국공립전환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이

었는지 아는가? 표준보육비용에 미치지 못하는 수입구조에서 점점 강화되는 규정 (비상

재해대패시설 등)과 시설의 노후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은 늘 부족해서 여기저기 손볼 곳

은 많은데 “우리 어린이집을 멋지게 고치고 교사들과 아이들에게 쾌적하고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결국은 그 이유로 전환을 선택하게 된다.

각 시도공동주택관리규약준칙에 따르면 어린이집 임대료는 보육료 수입의 5%를 초과

할 수 없다. 나아가 서울시는 임대료 수입의 50%를 어린이집 유지보수에 집행하여야한

다. 이로써 시설유지보수비용이 확보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정이 17개 시도에 모두 마련

해당하는 자에게 위탁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개경쟁의 방법에 따른다. [개정

2008.1.17, 2011.6.7, 2011.8.4] [[시행일 2012.2.5]]

1. 민간어린이집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기부 채납하여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전

환하는 경우 기부채납 전에 그 어린이집을 설치․운영한 자

2. 국공립어린이집 설치 시 해당 부지 또는 건물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기부

채납하거나 무상으로 사용하게 한 자

3. 「주택법」에 따라 설치된 민간어린이집을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전환하는 경우 전

환하기 전에 그 어린이집을 설치․운영한 자

기획3주제 토론 (2018. 6.)

- 130 -

되고 실제로 그것이 지켜진다면 국공립이든 민간이든 우리는 쾌적하고 좋은 환경에서

얼마든지 건강하게 자기 역할을 할 수 있다.

● 어린이집 환경개선 비용부담 (서울시 50인 시설의 경우)

민간 국공립전환 시 지원금

임대료 수입

(주민공동수선개선비)60,000,000원 참고② 80,000,000원

어린이집 시설개선비 60,000,000원 참고③ 180,000,000원

참고② : 임대료 1,000,000원 * 12개월 * 10년 - 참고③

참고③ : 어린이집 임대료에서 어린이집 시설개보수비용으로 사용해야하는 금액

(○○아파트 관리규약 제66조 제6항 : 어린이집의 임대차계약기간은 3∼5년으로 하고 임대료(임

대보증금이 있는 경우에는, 은행법에 따른 금융기관으로서 가계자금대출시장의 점유율이 최상위

인 금융기관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이율에 따라 임대보증금을 임대료로 전환한 금액을 포함한다)

는 보육료 수입의 100분의 5 범위 이내로 정한다. 이 경우 보육료 수입은 보육정원으로 산정하

며, 임대료의 50%이상을 어린이집 유지보수에 필요한 사항에 집행하여야 한다.)

● 어린이집 유형별 인건비 매칭비율 (단위: %)

유형 보건복지부 서울시 ○○구기본보육료

신청여부

관리동 신규(국공립) 30 49 21 X

관리동 전환(국공립) 30 49 21 X

가정 전환(국공립) 79 21 O

민간 서울형(민간) 70 30 O

● 국공립어린이집과 기본보육료

국공립어린이집 기본보육료

노유자 시설에 설치 정부지원시설을 제외한 시설에 지급

(2018보육사업안내 5쪽) (2018보육사업안내 385쪽)

공공형어린이집과 민간 전환 국공립어린이집 운영방안

- 131 -

●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공립어린이집 +1000, 2018년 추진계획

’18년 국공립어린이집 263개소 확충

○ 신축 외에 민간전환, 민관연대, 학교 등 공공기관 내 설치 등 적극 추진

<‘18년 유형별 확충계획>

구분 합계민관

연대

공공

기관

공동주택 신규설치기존시설

전환

기존시설

매입

신규 전환 신축리모

델링민간 가정 민간 가정

’18. 추진계획 263 4 5 15 130 3 6 27 24 21 28

’17. 승인실적 272 5 25 37 88 9 5 10 35 22 36

증 감 △9 △1 △20 △22 42 △6 1 17 △11 △1 △8

’18년 소요예산 : 137,500백만원 (확충시설비 등)

관련 법․제도 지속 개선을 통한 전환 여건 조성

❍「공동주택관리규약준칙」의무화로 임대료 규정 준수 (국토교통부 협의 중)

- 현재 서울시 관리규약준칙의 단지별 규약에 반영여부는 자율적임

❍ 공동주택 어린이집 설치 촉진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등 개정)

- 단순한 공간의 제공이 아닌 입주와 동시에 어린이집으로 실제 “운영이 가능한

범위”까지 설치 규정 및 운영 주체 명시 요구

공동주택 관리동 전환, 공공혼합형 등 대안적 모델 지속 발굴

❍ 노후도가 높고 임대료 애로를 겪고 있는 관리동 집중 전환 추진

- ’17년 88개 전환 → ’18년 130개 → ’22년 전체 완료

❍ 「공동주택관리규약준칙」임대료 규정 준수 강화

- 단지별 관리규약 반영․준수 여부 실태조사 및 시정조치 (시․구 공동주택과

협조)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실 보육담당관 2018.2.)

기획 4 주제

보육교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발표: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사업지원국장)

토론: 최병태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장)

정경진 (충청북도육아종합지원센터장)

김정연 (제주사회복지법인분과위원장)

- 135 -

기획4주제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조 용 남*1)

1. 서론

❍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18~’22)에서는 ‘영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함께하는

사회“를 비전으로, ① 보육의 공공성 강화, ② 보육체계 개편, ③ 보육서비스 품질

향상, ④ 부모양육지원확대 등 4개 분야, 14개 추진과제를 설정 발표1)함으로써, 보

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확대하고자 함.

- 그 중 ‘보육서비스 품질향상’ 분야의 첫 번째 추진과제가 ‘보육교사 전문성 강화’

로 주요내용은 보육교사 학과제도 도입, 보수교육 과정 내실화, 체계적 보수교육

운영을 위한 종합관리임.

- 이는 향후 정부의 보육관련 정책이 보육교사의 역량과 자질, 보수교육의 질 관리

등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한 축으로 추진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그동안 우리나라 보육서비스 질 관리 정책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컨설팅, 부모 모

니터링, 지도점검 등 기관(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2015년 인천 어

*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사업지원국장

1) 2017.12.27. 보건복지부는 중앙보육정책심의위원회 의결을 거쳐,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을 발표하였으며, 연도별 시행계획을 마련 추진하고 있음.

춘계학술대회 기획4주제 (2018. 6.)

- 136 -

린이집 아동학대 사건을 계기로 보육서비스 제공의 주체가 ‘교사’라는 점이 강조되

면서 보육서비스 질 관리 정책의 초점이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량, 전문성 강화로

확대되고 있음.

❍ OECD 국가에서도 영유아기 보육의 질 관리를 위한 핵심정책으로 ‘현직 교사에 대

한 재교육’을 제시하며(OECD, 2012), 교육을 통한 현직교사의 지속적인 질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OECD, 2015)하고 있음.

❍ 실제,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영유아가 어린이집에서 ‘행복한 아동기’를 경험할 수 있

도록 하는 중요한 요건으로써 보육교사가 되는 순간부터 보육교사를 그만둘 때까

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재교육과 실천을 통해 발달(ongoing)시켜 나가야 하는 과

제(김명순, 2014; OECD, 2015)라고 볼 수 있음.

❍ 지금까지 보육교직원 전문성 관련 정책은 보육교사 자격체계 개편과 보수교육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문제가 논란이 될 때마다 그 원인

을 현재의 ‘개방형 자격제도’ 즉, 일정요건의 학점(17과목 51학점)과 보육실습(6주

240시간)만 이수하면 보육교사 2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데에서 찾

다보니, 보육교직원 전문성 강화를 위한 대책이 보육교사 자격취득 요건 강화하는

수준에서 논의되어 온 것이 사실임.

❍ 이제는 보육도 급변하는 사회․문화적인 변화의 흐름 속에서 ‘영유아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을 목표로 추진되어야 하는 만큼,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정책도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선도(先導)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방

향으로 영역을 확대 개편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임.

❍ 따라서, 「보육교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의 질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

해, 현재 보육교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과정인 보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속적이고 실천가능한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37 -

2. 보수교육 및 보수교육기관 현황

1) 보수교육 현황

가. 보수교육 관리체계

❍ 현재 보수교육은 보육교직원의 자질향상을 위해 정기적으로 받는 교육으로 교육시

간은 직무교육 40시간, 승급교육 80시간으로 집합교육을 원칙으로 하도록 法(영유

아보육법 제23조(어린이집 원장의 보수교육)2), 제23조의 2(보육교사의 보수교육)3))

과 法 시행규칙(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0조(보수교육의 실시)4)에 따라 진행되고

있음.

❍ 또한, 영유아보육법 제51조 및 시행령 26조에 따라 보수교육의 실시주체, 수요파악

및 계획수립, 보수교육기관 선정 등을 권한위임하고 있음. 따라서, 현직 보육교직원

에 대한 보수교육의 계획 수립, 실시 및 관리는 시․도지사의 역할로, 시․도지사

는 매년 2월말까지 관할 지역의 교육수요를 파악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계

획에 따라 보수교육을 실시할 보수교육기관을 선정, 관리하고 있음.

나. 보수교육 구성체계

❍ 보수교육은 직무교육과 승급교육, 원장사전직무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직무교

육은 일반직무교육과 특별직무교육으로 구분하고 있음. 단, 직무교육의 중 특별직

무교육과정인 영아보육직무교육, 장애아보육직무교육, 장애아보육직무교육은 온라

인 교육과정이 개설․운영되고 있으며, 온라인 교육의 경우 고용노동부 환급과정으

로 포함되어 운영되어 교육비가 집합교육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직무교육과는 차이

2) 영유아보육법 제23조(어린이집 원장의 보수교육)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어린이집 원장의 자질 향상을 위

한 보수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보수교육은 집합교육을 원칙으로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보수

교육은 사전직무교육과 직무교육으로 구분한다.

3) 영유아보육법 제23조의 2(보육교사의 보수교육) ① 보건복지부장관은 보육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한 보수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보수교육은 집합교육을 원칙으로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보수교육은

직무교육과 승급교육으로 구분한다.

4)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20조(보수교육의 실시) ① 벱 제23조 제2항 및 제23조2의제2항에 따른 직무교

육은 보육에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유지․개발하기 위하여 보육교직원이 정기적으로 받는 교육으로서

교육시간은 40시간 이상으로 한다. ② 벱 제23조의2제2항에 따른 승급교육은 보육교사가 3급에서 2급 또

는 2급에서 1급으로 승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교육으로서 교육시간은 80시간으로 한다.

춘계학술대회 기획4주제 (2018. 6.)

- 138 -

가 있음.

❍ 또한, 보육교사 일반직무교육과정은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보육업무경력 등을 감안하여, 교육대상자가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보수교육 구성 체계>

 교육구분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비

일반

직무

교육

보육교사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로서

① 보육업무 경력이 만 2년이 지난 사람

② 보육교사 직무교육(승급교육 포함)을 받은 해부

터 만 2년이 지난 사람

40시간 6만원

원장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원장으로서

①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를 담당한 때부터 만 2년

이 지난 사람

② 어린이집 원장 직무교육을 받은 해부터 만 2년

이 지난 사람

40시간 6만원

특별

직무

교육1)

영아보육

직무교육

① 영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직무교육 대상자

② 영아보육을 담당하려는 보육교사 및 어린이집 원장40시간

고용

노동부

환급과정

으로

운영

장애아

보육

직무교육

① 장애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직무교육 대상자

② 장애아 보육을 담당하려는 보육교사 및 어린이

집 원장

40시간

방과후

보육

직무교육

① 방과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직무교육 대상자

② 방과후보육을 담당하려는 보육교사 및 어린이집

원장

40시간

2급 승급교육3급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보육업무 경력이 만 1

년이 지난 사람

80시간

(평가시험)12만원

1급 승급교육

① 2급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보육업무 경력이 만

2년이 지난 사람

② 보육교사 2급 자격 취득 후 보육 관련 대학원에

서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경우는 보육업무 경

력이 만 6개월이 지난 사람

80시간

(평가시험)12만원

원장사전직무교육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별표1] 제1호의 가목부터 라

목 (일반, 가정, 영아전담,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원

장)까지 어느 하나의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

80시간

(평가시험)시도규정

출처 : 2018 보육사업안내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39 -

다. 보수교육 대상

❍ 보수교육 대상은 현재 어린이집에 근무중인 보육교직원으로, 보수교육은 3년에 한

번씩 의무적으로 받도록 규정하고 있음. 현재 보육교직원은 총 330,217명(2017년 말

기준)으로, 어린이집 원장 40,085명, 보육교사 235,704명으로 나타났으며, 급수별 현

황을 보면, 1급 보육교사가 전체 보육교사의 60.6%(142,953명)를 차지하여, 전체 보

육교사의 2/3이상이 1급 보육교사로 나타남.

<직군별 보육교직원 현황>(2017.12.31. 기준, 단위: 명)

총 원장 보육교사 특수교사 치료사 영양사 간호사 사무원 조리원 기타

330,217 40,085 235,704 2,106 600 944 1,249 1,135 30,180 18,214

자료: 보육통계

<급수별 현직 보육교사 현황>(2017.12.31. 기준, 단위: 명)

구분 현직 보육교사 수 구성비

보육교사 235,704 100.0

1급 142,953 60.6

2급 83,191 36.6

3급 6,560 2.8

자료: 보육통계

2) 보수교육 기관 운영 현황

❍ 보수교육은 원칙적으로 집합교육으로 운영한다고 영유아보육법에서 명시하고 있으

며, 현재 보수교육은 집합보수교육과 온라인보수교육(특별직무교육과정)으로 운영

되고 있음.

- 2017년 집합보수교육 기관으로 선정․운영된 기관은 전국 101개소이며, 경기도가

가장 많은 23개소, 서울이 18개소, 경북, 경남 각 7개소, 부산 6개소 등이며, 3급

양성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는 보육교사교육원이 전체 101개소 중 52.5%를 차지

하는 53개소, 평생교육원, 산학협력단, 사회교육원 등 대학부설기관에서 운영하는

기관이 48개소(47.5%)로 나타남.

춘계학술대회 기획4주제 (2018. 6.)

- 140 -

<2017년 집합보수교육기관의 지역별, 유형별 현황>

(2017.12.31. 기준, 단위: 개소)

구분총

교육원* 53 14 3 2 2 2 - 2 - 10 - 1 1 2 2 7 3 2

대학부설** 48 4 3 2 4 2 1 2 1 13 2 3 3 2 1 - 4 1

총계 101 18 6 4 6 4 1 4 1 23 2 4 4 4 3 7 7 3

* 교육원: 3급 양성교육기관(보육교사교육원)

** 대학부설: 대학(교) 및 대학부설기관 등 포함(평생교육원, 산학협력단, 사회교육원 등)

자료: 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내부자료

<2017년 온라인보수교육기관 운영 현황>

(2017.12.31. 기준, 단위: 개소)

주관사 삼성복지재단 에듀케어아카데미 안산시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사 (주)멀티캠퍼스 ㈜마이에듀 ㈜한화 S&C

자료: 복지부

3. 보수교육기관 평가 현황

1) 평가 개요

❍ 그동안 보수교육이 시․도관리로 이루어지다보니, 지역 및 기관에 따른 질적 편차

발생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구현아․임양미․이기선, 2009; 이

대균․김선구, 2009; 김송이․최주혜, 2014)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보건복지부는 한국보육진흥원을 평가관리기관으로 위탁․선정하여, 2016년부터 매

년 보수교육기관 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 2016년에는 집합보수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고, 2017년부터는 온라

인보수교육기관도 평가대상으로 포함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 평가지표는 매년 전년도 평가에 근거하여 수정․보완되어 적용되고 있음.

- 집합보수교육기관 평가 지표는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교육과정, 기관 운영 등 4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41 -

개 영역 11개 요소 3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수교육과정의 편성 및 관

리, 교수진의 전문성 평가 등에 중점을 두도록 하고 있음.

<2017년 집합보수교육기관 평가지표>

영역 요소 항목

1. 물리적 환경

[15점]

1-1. 시설․설비[12점] 교육 시설 환경, 기타 시설 환경, 다양한 학습지원, 청결

1-2. 접근성[3점] 정보취득 용이성

2. 인적 환경

[25점]

2-1. 전임교수[10점] 교원 확보의 안정성, 전문성, 배치의 적정성

2-2. 외래교수[12점] 교원 확보의 안정성, 전문성, 배치의 적정성

2-3. 직원[3점]  행정지원의 충실성

3. 교육과정

[40점]

3-1.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12점]

교육과정 편성의 체계성, 반 편성의 적절성, 교육서비

스의 충실성, 수업운영 시간의 적절성

3-2. 수업관리[10점] 출결 관리의 적절성, 교육이수 관리의 적절성

3-3. 수업평가[11점] 자체 만족도 조사, 만족도 점수

3-4. 학습자 관리[7점]학습자 지원 및 관리, 학사운영규정 및 개인정보 보호

조치

4. 기관 운영

[20점]

4-1. 재정[5점] 재정 투명성, 비용/지출 합리성

4-2. 기관 운영 관리[15점] 보수교육 운영 실적, 기관 운영의 체계성

4개 영역 11개 요소[100점] 36개 지표

자료: 한국보육진흥원 내부자료

- 온라인 보수교육기관의 경우, 3개 기관 모두 고용노동부 환급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평가 지표는 기본환경과 교육과정 영역 등 3개 영역 10개

요소 27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춘계학술대회 기획4주제 (2018. 6.)

- 142 -

<2017년 온라인보수교육기관 평가지표>

영역 요소 항목

1. 기본 환경

[30점]

1-1. 시설․설비 [12점] 교육 시설 환경, 원격 설비 환경

1-2. 기관 운영 [12점] 재정 건전성, 기관 전문성

1-3. 인적자원 [6점] 인적자원 확보의 적절성

2. 교육과정

[70점]

2-1. 교강사 [12점] 전문성, 배치의 적정성

2-2. 자문위원 [3점] 자문위원 구성

2-3. 온라인 튜터 [5점] 온라인 튜터 관리의 체계성

3-1. 콘텐츠 [18점] 콘텐츠 구현의 적절성, 품질관리

3-2. 학습관리시스템 운영 [13점] 학습관리시스템 운영의 적절성

4-1. 학습자 관리 [9점] 개인정보 관리의 적절성, 학습자 상담 지원 노력

4-2. 수업평가 및 관리 [10점] 자체 만족도 조사, 교육이수 관리의 적절성

2개 영역 10개 요소[100점] 27개 지표

자료: 한국보육진흥원 내부자료

❍ 보수교육기관 평가 운영체계는 자체점검, 현장평가, 최종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지

며, 현장평가의 경우 전문가 1인, 시도담당 공무원 1인, 평가간사 1인 등 3인 1조로

구성되어 진행되고, 최종평가는 현장평가결과 자료를 근거로 하여 4인 1조의 전문

가로 구성되어 있음.

<2017년 보수교육기관 평가 운영 체계>

자체점검 현장평가 최종평가⇨ ⇨

자료: 한국보육진흥원 내부자료

❍ 보수교육기관 평가 결과는 5개 등급으로 구성되며, 2018년부터는 평가결과를 보수

교육 선정 時 반영하고 있음.

<2017년 보수교육기관 평가 결과 구분 현황>

구분 A 등급 B 등급 C 등급 D 등급 E 등급

점수구간 90점 이상 80~90점 미만 70~80점 미만 60~70점 미만 60점 미만

자료: 한국보육진흥원 내부자료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43 -

2) 평가 결과 분석

❍ 2018년 보수교육기관 선정부터 전년도 보수교육기관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선정함

에 따라, 향후 보수교육기관 평가 제도가 보수교육의 질 관리 수단으로써 어느 정

도 역할을 수행할 있을 것으로 기대됨. 물론 실질적으로 보수교육기관 평가가 보수

교육기관의 질 관리 수단으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평가지표가 실질적인 측면

에서 보수교육의 질을 제대로 평가해 낼 수 있는가에 대한 지적에 대해서는 지속

적인 수정,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2017년 보수교육기관 평가 결과를 보면, 평가에 참여한 98개소 기관 중 A등급을

받은 기관이 전체 기관의 43.9%를 차지하는 43개소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B등

급 39개소(39.8%), C등급 11개소(11.2%)의 순으로 나타남. 이러한 분포는 2016년보

다 A등급 기관이 10개소 이상 늘어난 것으로 평가 2년차가 되면서, 어느 정도 평

가에 대한 인식과 준비 정도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음. 특히, 2016년의 경우 D등

급이 전혀 없었으나, 2017년 평가의 경우 D등급 기관도 나타났는데, 이는 지표의

수정․보완 과정에서 어느 정도 변별력 확보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음.

<2016, 2017년 등급별 집합보수교육기관 평가 결과>(단위: 개소, %)

구분 개소수 A 등급 B 등급 C 등급 D 등급 E 등급

2016년 102개34

(33.3)

48

(47.0)

20

(19.7)0 0

2017년 98개43

(43.9)

38

(39.8)

11

(11.2)

5

(5.1)0

자료: 한국보육진흥원 내부자료

❍ 2017년 보수교육기관 평가 결과 영역별 점수 분포를 보면, 물리적 환경, 기관운영,

인적환경, 교육과정 순으로 점수가 나타났으며, 이는 교육과정 운영, 수업관리, 평

가가 역시 보수교육기관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분야이며, 교육과정과 인적환경이 향

후 보수교육 질 관리에서 중점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인 것으로 나타남.

춘계학술대회 기획4주제 (2018. 6.)

- 144 -

<2016, 2017년 영역별 집합보수교육기관 평가 결과>

구분 총점영역 1.

물리적 환경

영역 2.

인적환경

영역 3.

교육과정

영역 4.

기관운영

2016년 86.0점 94.5점 83.5점 82.7점 86.7점

2017년 87.5점 91.9점 86.0점 86.1점 89.0점

자료: 한국보육진흥원 내부자료

4. 보수교육의 문제점 및 보수교육 질관리 방안

❍ 보수교육의 문제점 및 보수교육 질관리 방안에 대해서는

첫째, 보수교육 실시주체, 보수교육기관 선정 및 지도감독의 관점에서 체계적 보수

교육 운영을 위한 총괄관리기관 운영의 필요성 제기

둘째, 보수교육 비용의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질 높은 보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준의 비용 확보 필요

셋째, 보수교육 대상자 관리 및 운영의 관점에서 보수교육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구

축 필요

넷째, 보수교육기관 평가제도 안착을 통한 질 관리 기능 강화

이에 덧붙여서, 현직 보육교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범위 확대 방안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이고자 함.

1) 체계적 보수교육 운영을 위해 보수교육 총괄관리기관 운영 및 역할 정립 필요

❍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현재 보수교육은 영유아보육법 제51조 및 시행령 제26조에

의거, 시도지사에 위임되어 시행, 관리되고 있으므로, 시도지사는 관할 지역 보육교

직원 및 어린이집 원장 사전직무교육 이수 희망자에 대한 보수교육을 실시하고, 이

를 위해 매년 2월말까지 관할지역 보수교육 수요를 파악하고 예산을 배정함으로써

연간 보수교육 계획을 수립, 보수교육을 실시하고 관리하고 있음.

❍ 이처럼 시․도지사가 관할 지역 보육교직원의 보수교육을 관리함으로써, 지역별 경

계로 인한 교육대상자의 교육 접근성 문제와 지역별․교육기관별 교육운영에 대한

질적 편차의 문제가 제기되었음.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45 -

- 지역별․교육기관별 교육운영에 대한 질적 편차에 따른 문제점 제기는 2016년도부

터 매년 실시되는 ‘보수교육기관 평가’로 지역별․기관별 질적 편차에 따른 수준에

대한 실태가 나타남으로써, 향후 보수교육 기관 선정 時, 이러한 질적 편차를 최소

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 추진할 수 있는 근거는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음.

- 그러나, 지역별 경제로 인한 교육대상자의 교육접근성 문제는 보수교육에 대한

권한이 시․도지사에게 위임되어 있고, 예산 또한 중앙정부-시도 매칭으로 이루

어지는 한 현행 체제에서는 해결이 어려운 구조임.

❍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수교육 총괄관리기관을 운영하여, 현

재와 같이 보수교육에 대해 시․도지사 권한위임이 한정된 상황에서 제기되는 문

제점을 총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고 보여짐.

- 즉, 현재와 같이 보수교육이 지역별로 이루어져 선정된 지역내 보수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설 일정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보수교육 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보

수교육 기회를 갖지 못하는 문제는 총괄관리기관에서 他시도관할 지역이지만 지

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의 보수교육기관과 협의하여 교육참여 기회를 조율하여 불

이익을 받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임.

❍ 또한, 보수교육 총괄관리기관에서, 보수교육 교과목별 매뉴얼과 강의자료(PPT 등)

을 개발하여, 전국 집합보수교육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강사진 교육’을 실시함으

로써, 전국 집합보수교육의 질적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임.

- 실제, 지역별로 보수교육을 운영하다보니, 교과목별로 적게는 1~2회 강의를 위해

강의자료를 만들어서 교육을 하게 됨으로써 해당 교수가 강의자료를 심도 있게

작성하여 강의를 하는데 한계가 있음. 따라서, 총괄관리기관에서 교과목별 강의자

료와 강의매뉴얼을 개발하고, 강의교수를 대상으로 강사진 워크숍을 실시하는 것

이 실제 전국의 보수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효율적일 것으로 보임.

춘계학술대회 기획4주제 (2018. 6.)

- 146 -

2) 14년째 동결된 보수교육 비용의 수준 현실화 필요

❍ 현재 보수교육은 직무교육 40시간, 승급교육 80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직 보

육교직원은 3년마다 의무적으로 보수교육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음.

- 보수교육비용은 직무교육 과정(40시간) 6만원, 승급교육 과정(80시간) 12만원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비용은 지역마다 지원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비용을 시도에서

국비 매칭하여 지원하고 있음. 즉, 시도마다 선착순으로 예산의 범위 안에서 지원

하는 경우가 있고, 일부 시도는 직무교육과정을 우선지원하고 승급교육비용은 자

부담을 하는 방식, 또는 직무교육과정은 전액 지원하고, 승급교육 비용은 일부 지

원하는 방식 등 지역별로 천차만별임.

단, 원장사전직무교육과정(80시간)의 비용은 전액 자부담을 원칙으로 하며, 단가

는 지방보육정책위원회 의결을 거쳐 시도지사가 결정하고 있음(서울의 경우, 원

장사전직무교육 비용 단가는 2018년 1인당 16만5천원임).

-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교육비용 단가로는 실제 보수교육을 운영하는 기관 입장

에서는 수준 높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한계가 있음. 즉, 현재 보수교육비용

단가는 2005년 이래 14년째인 현재까지 단가가 동결되어 있음.

❍ 따라서, 보수교육이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수준 높은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기 위해

서는 14년째 동결되어 지원되고 있는 보수교육비용 단가를 최소한의 물가상승율이

라도 반영한 수준으로 인상하여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짐.

- 특히, 보수교육을 3년마다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있는데, 현재는 온라인 보

수교육과정과 집합보수교육과정을 구분하지 않고 있다 보니, 전체 보수교육 대상

자의 약 60%가량이 온라인 보수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이는 온라인 보수교육과정이 영아보육, 장애아보육, 방과후보육 등 특별직무교육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실제 일반직무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은 집

합보수교육으로 이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접근성, 대체교사 지원 등의 한계로

절반 이상의 대상자가 온라인 과정을 이수하는 것은 전문성 향상에 문제가 있다

고 보여짐. 따라서, 최소한의 과정은 집합보수교육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

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47 -

3) 보수교육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

❍ 현재 보육현장에는 40,085명의 원장과 235,704명의 보육교사가 근무하고 있는데, 이

들 275,789명의 보육교직원이 3년마다 제대로 보수교육을 이수하고 있는지, 어떠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는지, 실제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대 이수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하여,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수강할 수 있도록 개별 교육이력시스

템을 구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짐.

- 실제, 매년 온라인 보수교육수강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

은 ‘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해 자격취득요건에서는 대면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것

과는 배치된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

- 따라서, 개별 보수교육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육교직원 개별 교육이력을

관리함으로써, 보수교육이수 시기에 대한 개별 알람 기능 추가로 보육교직원 각

자 자신의 보수교육시기를 사전에 인지하고, 교육과정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관리

하고, 더 나아가서는 교사 개별 교육수요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세분화된 교육

과정(경력별, 직급별 등)도 개설, 운영할 수 있는 등의 시스템 마련, 최소한 중복

하여 온라인 교육과정만 지속적으로 이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등으로

현직 보육교사의 보수교육 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도 필요

한 부분이라고 생각됨.

4) 보수교육기관 평가 제도의 안착을 통한 실질적 질 관리 기능 강화

❍ 2016년부터 매년 보수교육기관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고, 2018년 보수교육기관 선정

時, 2017년 평가결과 미흡기관의 경우에는 선정기준에서 제외(경기도의 경우 C등급

이하 기관)하거나 또는 미흡부분에 대한 개선계획 제출 후 선정하는 등 보수교육기

관 평가 제도가 안정적으로 추진되고 있음.

- 그러나, 향후 보수교육기관 평가 제도가 보수교육기관의 질 관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평가지표 및 체계에 대한 끊임없는 점검과 수정, 보완 작업이

병행되어야 하며, 시도에서도 결과를 활용한 선정 및 지도감독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보수교육기관 평가 참여 및 결과 활용을 의무화하는 제도적인 보완이 필

요함.

춘계학술대회 기획4주제 (2018. 6.)

- 148 -

5) 자격취득 후 장기간 휴직 후 보육교사 진입 時 의무교육과정 신설 필요

❍ 2017년 말 기준, 보육현장에는 40,085명의 원장과 235,704명의 보육교사로 총

275,789명의 보육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데, 이들 현직 보육교직원은 자격증 취득

자 대비 20.6%에 불과한 수준임. 즉,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은 2017년말

기준으로 어린이집 원장 324,455명, 보육교사 1,012,047명에 이르는 것으로 현직 종

사 비율은 어린이집 원장 12.4%(40,085명), 보육교사 23.3%(235,704명)에 불과함.

- 따라서, 향후 보육교사 자격취득 요건이 강화 또는 보육교사 처우가 개선될 경우,

보육현장에는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 후 장기간 보육현장을 떠나 있던 인력들이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할 개연성이 큼. 실제로도 매년 보육현장의 여건으로 인해

이직과 신규 진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오랜 기간 현장을 떠나있던 경우에는 변화된 보육환경에 적응할 수 있

는 재교육 과정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짐.

즉,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 보육현장에 진입하는 경우, 최소한의

교육과정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현직 보육교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여짐. 실제, 원장자격 취득을 위해 80시간의 원장사전직무교육을 이수하는

것처럼, 현장 진입요건을 강화할 필요성은 있다고 보여짐.

6) 기타

❍ 이 외에도 현재 40시간, 80시간의 교육과정을 3년에 1회씩 이수해야 하는 방식을

수강저축제 도입을 통해 매년 일정과목을 이수하게 하는 방안 마련, 온라인 교육과

정과 집합교육과정을 병행하게 하는 방안 등도 함께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

여짐.

마지막으로 보육현장에서도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변화, 발전하는 현대사회 환경에 걸맞

는 ‘전인적 인간 양성’의 지향점을 함께 한다는 관점에서 현직 보육교직원 대상 교육과정

을 직무역량 강화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함께 모색해 볼 것을 제안함.

- 149 -

기획4주제 토론

기획4주제 토론

최 병 태*5)

최근 우리나라 보육정책은 1991년 영유아보육법 제정 이래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관

심과 논의의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보육의 교육적 측면 강조, 보육교

사의 자격 강화, 보육교사의 인성교육 강화 등과 관련된 새로운 정책과 방안들이 쏟아지

고 있으며, 2016년 8월부터는 보육교직원의 인성과 전문성 강화의 방향으로 양성교육과

정 교과목 개편과 6주간 보육실습 강화, 보수교육과정 교과목의 전면적 개정 등이 시행

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맞추어 이번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방안」을 발제해 주신 조용남 국장님의 제안에 공감하며 본 토론자는 2016년 11

월, 2017년 9월에 각각 보육교직원 직무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 세미나를 (사)한국보육교

사교육연합회 주관으로 개최한 내용을 토대로, 그리고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을 다년간 운

영하고 있는 공급자 측면에서 몇 가지 의견을 토론하고자 한다.

1. 보수교육관리체계구축이 필요하다.

「관리」란 조직의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planning) → 실행(doing) →

통제(controlling)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는데, 현행 보수교육의 운영시스템을 보면 「관

리」라는 개념보다는 「개별운영」 측면의 성격이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 (사)한국보육교사교육연합회장

기획4주제 토론 (2018. 6.)

- 150 -

현행 보육교사의 보수교육은 영유아보육법 제51조 및 시행령 제26조에 의거 2017년

말 기준으로 원장 40,085명, 보육교사 235,704명으로 이들의 보수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시․도지사에 위임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기관 3곳을 제외한 전국의 98개소의 보수교육기관이 각 시․도의 지침에

따라 운영되므로 시․도별 교육시기 및 교육비 부담방식의 차이, 교재비 부담방식의 차

이, 시․도별 반편성운영의 차이 등등 시․도 자율에 따른 운영의 효율화 보다는 시․도

간 운영의 편차로 인한 교육의 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교육 수료 후

교육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한 향후 보수교육 개선방안으로까지 연계된 피드백 부재로

인하여 3년마다 행해지는 보수교육이 형식적인 의무교육으로 되풀이 되는 경향성이 강

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수교육 총괄관리기관을 운영하자는 발제자의 의견

에 동의를 하면서 어떠한 형태든 보수교육의 효율적, 효과적 운영을 위한 관리체계구축

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 보수교육기관평가제도가 지속 발전되어야 한다.

2016년부터 매년 보수교육기관평가가 이루어지고 있고 보수교육기관들과 간담회 및

공청회를 통해 지표를 조정․개선해 나감으로써 이러한 민주적 과정을 통하여 불과 2년

만에 정착된 느낌이다.

발제문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7년 집합보수교육기관 평가결과 A등급이 2016년 전체

기관 중 33.3%에서 43.9%로 상향되었음을 평가제도 도입의 긍정적 측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평가를 통해 어느 부분이 부족하고 보충해야 될 것인지에 대한 인식들이 공감대를

얻고 있는바, 이는 평가제도 도입이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질 관리에 매우 바람직한 현상

이라 여겨진다. 향후 보수교육기관 평가제도가 지속적으로 시대흐름과 환경변화에 맞도

록 보완․개선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3. 보수교육 교육과정의 획기적 개정이 필요하다.

그동안 보수교육의 교과과정은 여러 차례 개정을 거듭해 왔다. 보육교직원의 인성이

중요시 된 이후로 「인성․소양」 영역이 확충되긴 했으나 인성․소양 교과목이 보다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51 -

통섭적 접근방식의 교과목으로 과감하게 개정되었으면 한다.

현 사회는 「통섭형 인재」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한 마디로 「우물을 깊게 파려면

우선 넓게 파라」는 개념으로서 전문가의 길을 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의 대통합을

전제로 할 때 진정한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보육교직원도 분명 전문가임에

틀림없다. 아동학대사건이 자주 발생하는 요즘 통섭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의 획기

적 도입이 더욱 절실하다.

현행 보육교직원의 인문적 소양(행복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보육교직원의 문화적 소

양(예술적 소양 증진을 위한 지역문화 인프라 연계교육) 등의 교과목은 통섭형 인재상에

맞는 적절한 과목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통섭형 인재교육에 필요한 교과목들의 확충

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기존의 원장직무교육을 원장경력에 따라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하기 보

다는 오히려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가정어린이집 원장교육과 일반 어린이집 원장교육으

로 구분하고 교육과정도 가정어린이집 원장교육은 관리자로서의 원장직무능력과 교사로

서의 직무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으로 구성하는 것이 교육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보다 높

일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4. On-line 교육방식 개선이 절실하다.

대면교육의 학습은 머리(지식) → 가슴(깨달음) → 발(실천)까지의 전달을 목표로 삼고

있는 바, 대면교육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대면교육방식을 도입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on-line 교육방식은 첫째, 학습대상자가 아닌 제3자가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 둘째, 평면적 공간에서 교수-학습자 간 아무런 상호작용 없이 머리 → 가

슴 → 발까지로의 전달이 불가능하다는 점, 이러한 두 가지 큰 이유 때문에 on-line 교육

방식이 적어도 교사의 역량과 자질을 함양함에 있어서는 맞지 않는다는 한결같은 지적

이다.

따라서 작금 인터넷 시대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움을 갈구하는 학

습자들을 위한 최소한의 방안으로는 과목별 「블랜디드 수업(온-오프라인 병행)」 방식

정도는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기획4주제 토론 (2018. 6.)

- 152 -

5. 보수교육비를 현실화해야 한다.

현재 보육교사 보수교육의 질 논란의 주요인은 무엇보다도 낮은 보수교육비에서 기인

되고 있음은 보육 관계자 모두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본 토론자 역시 오랜 시간 보육교

사교육원을 운영하며 낮은 교육비로 인해 우수한 강사를 초빙하지 못하는 애로사항을

여전히 경험하고 있고 2018년 올해에도 그런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 관계기관, 감독관청 및 입법부에도 수차례 건의하였지만 아직도 시원한 해

결책이 나오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더욱이 보수교육기관 평가항복에 반별 편성 인원수

에 따라 평가점수의 차이를 두고 있는바, 이는 교육비와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정부의

절대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양질의 보수교육 체계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질 관리 문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와

보육의 공공성 확대라는 큰 틀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어떤 정책과 제도를

도입함에 있어 우선 당장 시행할 수 있는 부분과 중장기 계획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교과목의 획기적 도입이라든지, 교육방식의 문제 등의 사안들은 단기적 목

표를 가지고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예산을 수반으로 하는 교육비 문제 등은

중장기 목표를 세워서 체계적으로 접근해 나가면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질 관리 시스

템 구축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53 -

기획4주제 토론

기획4주제 토론

정 경 진*1)

○ 제 3차 중장기보육계획(2018년~2022년)의 시행년도와 중점 4대 목표 중 ‘보육서비

스 품질향상’ 분야의 첫 번째 추진과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로 주요내용인

보수교육과정 내실화와 체계적 보수교육 운영을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임.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은 보육서비스 품질향상에

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대표적인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수교육의 운

영 실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하다고 여겨져 제시한 내용 중 중점사항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자 합니다.

1. 보수교육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안

○ 보육교직원 개인의 질적 수준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중앙정부는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과 대체교사 지원을 통한 ‘휴가가 있는 삶’ 등을 보장하여 교사의

행복을 통해 영유아 또한 어린이집에서 ‘행복한 아동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제도

를 마련하였음. 또한, 보육교직원의 조직관리 질적인 측면에서는 직무교육 40시간,

승급교육 80시간으로 보육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해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도록 영유

아보육법 제23조, 제23조의 2, 시행규칙에 명시하고 있음.

- 2014년 육아정책연구소 최윤경․유해미․임준범의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기관 선

* 충청북도육아종합지원센터장

기획4주제 토론 (2018. 6.)

- 154 -

정기준 및 운영에 관한 연구’에서 보수교육이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에 기여하

고 있다는 긍정응답이 보수교육기관은 68.1%임에 비해 공무원의 경우 33.3%에 그

쳤음.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반복적인 보수교육

과정과 보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부족하며 보수교육 일정

과 시간이 교육에 집중하기 어려운 시간대에 편성되어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음.

○ 발제자가 보수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보수교육 실시주체와 보수교육기관 선정

및 지도감독의 관리소홀 부분에서 그 동안 보수교육이 시․도 관리체제로 이루어

져 지역 및 기관에 따른 질적 편차 발생에 대한 대책마련으로 2016년부터 보수교

육위탁기관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음.

- 평가지표에는 물리적, 인적환경 및 교육과정, 기관 운영을 들고 있으나, 평가지표

문항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보수교육을 운영하는 기관의 질적인 측면만이 부각

된 채 정작, 교육수혜자인 보육교사들의 요구는 전무한 상황임. 현 정권의 근로자

를 위한 ‘노동시간을 줄여 저녁이 있는 삶 보장’이라는 캐치프레이즈가 보육교사

에게도 적용될 수 있도록 보수교육을 다양한 시간대에 운영하여 선택할 수 있도

록 ‘교육시간 선택제’의 도입방식이 필요함.

- 현재, 승급교육 80시간은 보육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주말(금, 토)을 활용한

교육과 야간교육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시도에서는 보육교직원의 직무교육

을 하계휴가 집중기간에 참여할 수밖에 없도록 보수교육 기관운영계획에 반영하도

록 하여 간접적이기는 하나 보육교사의 ‘쉼’을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또한, 보육교사의 승급교육 및 직무교육의 일부과목은 전국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교육교과목과 중복으로 이수되고 있어, 당해

연도 직무, 승급교육 대상자에게 유관기관의 중복교과목 이수인정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표 1-1. 1-2 참고).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55 -

<표 1-1> 보육교사 직무, 승급 교과목

일반직무교육(보육교사) 1급 승급교육(보육교사) 2급 승급교육(보육교사)

보육교사와 인권아동학대, 성폭력, 실종예방 및

사후관리

아동학대, 성폭력, 실종예방 및

사후관리

보육교사의 직무역량강화 안전사고 예방교육 안전사고 예방교육

아동학대, 성폭력, 실종예방 및

사후관리 보육일지 작성의 실제

보육계획 수립 및 보육일지

작성

영유아 관찰 및 기록실제 부모 참여 계획 및 실행 표준보육과정의 이해 및 평가

영유아 교사의 상호작용 전략 영유아 관찰 및 평가 영유아 관찰 사례 및 이해

※ 2018년 보육사업안내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및 양성교육에서 보육교사 직무, 승급 교과목 중

일부 과목만 발췌함.

<표 1-2> 전국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내용

구분 공통사업 교육과목

어린이집

지원

․표준보육과정 교육 및 교재교구 대여

․어린이집 보육컨설팅(설치운영, 평가인증, 보육과정,

재무회계, 맞춤형 보육)

․보육교직원에 대한 영유아 학대예방 교육 및 상담 등

․보육교직원에 대한 건강·영양·안전교육

․장애아보육 등 취약보육에 대한 정보제공 및 지원

․열린어린이집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 영아, 유아 표준보육과정 기

본 및 심화교육

- 평가인증 관련 보육일지 작성

및 상호작용 교수법, 영유아

관찰 평가 등

- 보육교직원 아동학대 및 안전

교육

- 열린어린이집 교육 및 컨설팅

※ 출처: 2018년 보육사업안내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 기능 및 역할.

교육과목은 2017년 전국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보고대회 어린이집 교육사업 공통교과목을 반영함.

- 2014년부터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안전공제회에서 주관하는 아동학대예방교육과안

전사고 예방 이수자가 당해연도 직무교육 시 동일 교과목에서 각 2시간씩 총 4시

간을 이수한 경우 동일연도 내 보수교육 건강․안전영역 중 한과목(3시간)을 이

수한 것으로 인정․면제해주어 보육교사는 주 5일 직무교육 시간 중 1일 반나절

을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음. 올해는 아동학대 및 안전교육 시간을 4시간에

서 각 3시간씩 총 6시간으로 확대하여 승급 1급, 2급 교육과 원장사전직무교육까

지 적용하고 있어, 보육교사의 교육 참여에 대한 호응이 높음.

-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내실 있는 보육과정 운영을 위해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주

기획4주제 토론 (2018. 6.)

- 156 -

관하는 표준보육과정의 보육과정프로그램을 활용. 보육과정을 평가하는 다양한

교과목을 신청하여 교육에 참여함. 이러한 센터의 교육지원을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직무효능감이 향상되어 역량 있는 교사로 성장할 수 있는 원

동력이 됨.

2.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정부는 그동안 보육교사의 질 관리를 위해 보수교육을 실시해 왔으나 보육교직원은

보수교육을 전문성 신장의 과정으로 인식하기보다 보육일과 외에 형식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불필요한 과정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보육

교직원의 휴식을 제공하는 복지와 연결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이에 다음과 같

이 보수교육 질관리 방안을 제안함.

○ 첫째, 보수교육시 교사의 선택권과 참여권 등 다양화를 제안함

- 현재 40시간과 80시간으로 구분되어 보수교육 위탁기관에서 진행하는 체계 중 보

육교사들이 육아종합지원센터 등 유관기관에서 평상시에 수강하는 역량강화교육

을 유사과목으로 확대, 이를 인정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함.

- 앞에서도 제시한바 이미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안전공제회에서 주관하는 보수교육

연계 안전 및 아동학대예방교육은 보수교육에서 과목 인정을 받고 있으며 2017

년 3시간에서 2018년에는 안전과 아동학대예방교육을 각각 3시간 인정 씩 6시간

인정이 확대되어 시행되고 있음.

- 보수교육을 주중, 주중 야간, 주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다수의 지자체에서 여전히 주중 야간이나 주말에 집중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이

러한 시간적 제약이 결국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기유발효과와 상충

되어 결과적으로 보수교육을 전문성 강화 과정으로 인식하기보다 수강해야하는

당위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됨

- 이를 위해 육아종합지원센터 등 유관기관에서 상시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교육을

이수한 경우 보수교육 유사과목으로 인정하는 부분을 함께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

할 것을 제안함

- 발제자도 제안했듯이 현재 보수교육 위탁기관이 2005년 이후 교육비용 단가가 동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57 -

결되어 실제 보수교육 위탁운영이 어려운 실정인데 유사과목 인정범위를 확대하

여 상시교육과 보수교육을 병행한다면 해당 과목의 미진행 등으로 운영의 어려움

이 조금이라도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둘째, 보수교육 강사진의 체계적인 관리기준의 필요성

- 현재 보수교육 강사진은 위탁받은 보수교육기관이 자체적으로 위촉하고 있으나

실제 강사들에 대한 관리 기준 마련이 필요함

- 일부 강사들의 경우 강의 과목에 대한 전문성 부재 및 보육정책에 대한 이해부족

등으로 보육교직원의 질 관리 역할에 미흡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적 관리

지침 제시가 필요함

- 현재 보수교육기관 평가에서 강사 경력증명, 자격서류 등을 체계적으로 보관하도

록 하고 있으나 일관적인 관리방안을 통하여 강사들의 인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함

○ 셋째, 온라인 보수교육과정에 대한 제고가 필요함

- 보육은 특성 상 실천복지이므로 영아, 장애아, 방과후 등 특별직무교육과정으로

전 과목을 온라인 이수하는 것이 아니라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이

수가 가능한 과목과 반드시 현장 전달이 되어야 하는 과목 등의 구분을 통해 보

수교육를 실시할 필요가 있음

‘보육의 질은 보육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을 보육현장에서 수없이 강조하고

있고 그 말의 의미를 인정해왔다.

그러나 보육교사의 질을 위해 그들이 진정으로 자발적인 동기부여를 통해 자신의 전

문성을 강화하고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기를 원한다면 정부 및 보육관

계자들은 끊임없이 고민을 해야만 한다.

토론자는 보수교육의 목적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있다면 현행 제도에서 처럼

교과과정과 교육시간을 고정하지 말고 보육교사에게 유관기관 교육 참여를 통한 유사과

목 이수 시 인정기회를 확대하고 상시적 질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영유아의 안정적 행

복과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보육교직원들에게 시간적 복지를 제공할 것을 강

력히 제안한다.

- 158 -

기획4주제 토론

기획4주제 토론

김 정 연*1)

대한민국의 미래는 보육입니다!

그렇다면 보육을 책임지고 있는 보육교직원의 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하루 중 영유아가 어린이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보육교직원의 역량에 따라 영유아들이 얼마나 행복하게 하루하루를 지낼 수 있는지 누

구나 인정하는 바입니다.

보육교사들이 다양한 자격과정을 통해 보육교사로 취업을 하지만 현장에서는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수교육의 관리체계를 들여다보면 현재 보수교육은 보육교직원의 자질향상을 위해

직무교육과 승급교육으로 분리되어 집합교육과정 또는 온라인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무교육을 통해 보육교직원들의 역량이 얼마나 강화되고 있는지는 현장에 있

는 보육교직원들에게 질문을 해보십시오.

어떤 답변을 하는지................

* 제주사회복지법인분과위원장

보육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

- 159 -

보육교직원들이 보수교육을 이수해야하는 때가 되면 즐거운 것이 아니라 힘들어합니다.

집합교육과정을 이수하려면 누군가 대신해서 영유아들을 책임져 줄 교사가 필요한데 현

장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요즘은 대부분 온라인교육과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육아지원센타에서 평상시에 보육전반에 걸친 전문적인 교육이 많이 이뤄지고 있

는 실정이여서 집합교육과정에 대한 큰 기대감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아교육과정을 이수했고 3년에 1회씩 계속적으로 재교육을 받지만 왜 보육교사는 자

부심을 가지고 하기가 힘든지요.

유아교육을 전공했지만 왜 다른 선택을 하는지요.

아동학대는 왜 계속 생기는지요.

보육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정책으로 평가인증, 컨설팅, 부모모니터링, 지도점검 등

으로 인해 보육교직원들은 점점 더 위축되고 국가가 정한 틀 속에서 타율적으로 방관해

야만 하는 현실적인 상황들이 대한민국 영유아들에게 얼마나 행복한 시기를 경험하게

해줄 수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보수교육의 문제점 및 보수교육 질 관리 방안에 대해서 발제자께서는 여러 가지 말씀하

셨는데 그 중에 저는 보수교육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더 강조하고 싶습니다.

보수교육 때마다 똑같은 과목을 이수하는 것에서 벗어나 개별적으로 본인에게 필요하

다고 생각하는 과목을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것이 필

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온라인 보수교육에 없는 집합보수교육에서만 이수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과목이 필요하

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도 영유아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행복하게 지내려면 보육교직원의

인성이 중요함을 다 인식할 겁니다.

보육교사들이 생각의 패러다임이 바꿔져야 합니다.

교육자적인 입장에서 볼 때 밑바탕이 되는 교육이 무엇일까?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교사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있다고 생

기획4주제 토론 (2018. 6.)

- 160 -

각합니다.

보육교사는 마음이 따뜻해야 하기에, 감성이 풍부해야 하기에......

자격과정을 거치는 동안 자격에 필요한 과목을 이수했다면 현장에서의 보수교육 과목

은 전공과목이 아니더라도 인문학적인 측면에서의 과목도 이수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개설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보수교육을 통해서 자기점검도 하고 보육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스스로의 반성과 회

복, 그리고 자존감을 살릴 수 있는 교사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보육의 전문적인 지식

도 필요하고 그 전에 인간 (특히 영유아)의 소중함을 깨닫고 또한 미래의 지도자를 보육

교사인 내가 교육하고 있다는 보육교직원이 자긍심을 가지고 일 할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적극적이고 핵심적인 보육교직원에 대한 국가 차원에서의 투자를 해나가

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기획 5 주제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발표: 이미화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토론: 김의향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교수)

이 라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가정분과위원장)

현은주 (은현어린이집 원감)

- 163 -

기획5주제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이 미 화*1)

Ⅰ. 들어가며

□ 새정부가 들어선 2017년 말에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는 각각 「제3차 중장기보육 기

본계획」과 「유아교육 혁신 방안」을 발표하여 향후 5년간 지속 발전시킬 유아교

육 및 보육정책과제를 제시함.

□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2018~2022) 발표(보건복지부, 2017.12.27)에서 4개 분야 17개 과제를 제시함.

○ 보육의 공공성 강화,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품질 향상, 부모 양육지원 확대 등.

○ 보육체계 개편에서는 ‘표준보육시간’ 제도 도입과 표준보육비용 재계측과 함께 표

준보육과정 개정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음.

○ 영유아 교육수요 변화 등을 고려하여 누리과정의 개편이 진행될 계획(18년~교육

부․복지부)으로 표준보육과정도 영아의 놀 권리 및 균형적 발달을 고려하여 개

정을 추진할 예정.

□ 교육부(2017.12.27)에서도 ‘출발선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을 발

*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64 -

표함.

○ 출발선 단계부터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유아가 중심이 되는 놀이 위주의 교육과

정 개편과 혁신 유치원 확대 계획을 제시함. 놀이․유아중심의 교육과정 혁신에서

누리과정(교육과정) 혁신 방향 제안.

- 구성방향은 개별 유아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내용을 구성하고, 유아의 자유놀

이 권장과 관찰 및 기록 등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현장자율성

존중을 위해 세부내용 삭제 등.

- 그간 지나치게 세부적인 교사용 지침서 등으로 현장의 교육 자율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우려에 교육부는 유아의 다양한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자유놀이 중심으

로 교육과정을 개정

- 교사지침서는 유치원․교사가 다양한 방식으로 유아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놀

이소개 위주로 개편(18년)하고, 이를 위해 연구학교 운영 및 교육과정 고시(19년)

를 거쳐 20년부터 전면 시행할 계획.

□ 본 주제 발표인 ‘영유아 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 및 논의’를 위해

서 그간 수행되었던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의 연혁을 간단히 살펴본 후 관련 선

행연구들을 분석하여, 향후 개정의 방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해보고자 함.

○ 2018년 5월 현재까지는 아직 누리과정 개정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

지 않은 상태이므로 3-5세 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개정 내용을 반영하는 한편, 0-2

세 표준보육과정 운영에서의 문제를 반영하고 영아중심의 개정이 이루어져야함.

- 이를 위해서 보육계의 많은 논의가 필요해 보이며 이번 학회 발표를 시작으로 보

육전문가와 현장, 보건복지부가 협력하여 구체적인 추진계획이 마련되기를 기대함.

Ⅱ.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연혁

□ 2004년, 영유아보육법 개정, 표준보육과정 개발 및 보급 근거 마련

- 1991년 제정되고 2004년 1월 전문 개정된 영유아보육법 ‘여성부장관은 표준보육

과정을 개발․보급’(제29조 2항)해야 하고 보육시설은 ‘표준보육과정에 따라 영유

아를 보육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제29조 3항)는 조항에 근거함.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65 -

□ 2005년, 표준보육과정 개발 연구 실시

-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에 만 0세에서 5세까지 6개 연령층 영유아를 위한 국가 수

준의 표준보육과정 개발 연구가 이루어졌음. 한국아동학회 및 한국유아교육학회

등 학계 대표와 현장전문가가 참여하였음.

□ 2007년 1월, 여성가족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고시함

- 여성가족부는 2007년에 국가수준의 보육지침을 마련하고자 ‘표준보육과정’을 개발

하고 최초의 입법화된 표준보육과정령과 고시문을 마련하고, 이를 2008년부터 적

용하도록 하였음.

- 또한 국가수준 보육과정의 보편적 적용을 위하여 보육교사 및 원장에게 표준보육

과정 교육용 영상자료를 제공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한 바 있음.

□ 정부는 2011년 5월 2일, 취학전 교육․보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는 만 5

세 공통과정 제도를 도입하여 2011년 7월 고시함

- 만 5세 공통과정 은 보건복지부 소관의 어린이집과 교육과학기술부 소관의 유치

원 관리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원화되어 있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5세 누리과정 으로 통합하여, 모든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에게 동일하게 적용함.

□ 2012년 2월 29일,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제2차 표준보육과정」을 고시함

- 보건복지부는 2010년 6월 표준보육과정의 개정 작업에 착수하였으나, 5세 누리과

정 도입 발표(‘11.5.2)로 인하여 개정작업을 연기하다가, 기존 연구안을 수정하여

만 5세 표준보육과정을 제외하고 0~4세 표준보육과정 내용을 보완하여 2012년 2

월 29일 ’표준보육과정 개정안’(「제2차 표준보육과정」)을 고시함.

□ 2012년 3월부터 시행되는 5세 누리과정에 이어 2013년에는 만 3~4세까지 누리과정

을 조기 도입한다는 계획에 따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을 2012년 7월에 고시함.

- 정부는 5세 누리과정 제도를 도입하면서 5세 누리과정 공통과정을 제정․고

시한 바 있으며, 2013년 3월부터 3․4세까지 누리과정이 확대 시행됨에 따라, 5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66 -

세 누리과정 과 연계한 3․4세 누리과정 개발 연구(2012. 7) 를 통해 3․4세 누

리과정 제정 및 5세 누리과정 개정안을 마련함.

- 2012년 7월 10일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을

고시한 후, 이어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및 교사용 지침서를 개발함

(2013. 2).

□ 기존 누리과정의 3․4세 확대 도입 발표(‘12.1.18)로 인하여 「제2차 표준보육과

정」의 추가 개정안(「제3차 표준보육과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제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2012.11)」를 통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

육과정」을 고시함(2013.1).

-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은 ‘0-1세 보육과정’, ‘2세 보육과정’, ‘3-5세 보육

과정(누리과정)’으로 구성되어 누리과정을 포함함.

- 이후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및 교사용 지침서를 개발하여 보

급함(2013.12).

- 이를 참고하여 연령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진행되어 2013년 2월에 총론

과 연령별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총 8권의 프로그램과 DVD자료로 구성되어 발간

되었음(보건복지부, 2013).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정을 위한 정책연구(교육부,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

소) 실시 예정(2018)

- 연구학교 운영 및 교육과정 고시(2019) 및 전면 시행(2020) 예정

Ⅲ. 선행연구 동향

□ 육아정책연구소는 2011년 누리과정 제정을 위한 기초 연구를 시작으로, 누리과정

시행 이후인 2012년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지속적으로 누리과정 평가를 위한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음.

○ 누리과정의 운영 및 이용실태, 누리과정 운영의 질 제고 연구, 누리과정 연계 연

구, 누리과정 개선 및 개정 방안 연구, 누리과정 관찰척도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67 -

연구 등 다양한 주제로 23종의 누리과정 연구 및 관련 정책연구가 이루어졌음.

- 이 밖에도 석․박사 학위논문을 포함하여 학회지 및 학술대회에서 누리과정을 주

제로 발표된 연구가 다수 있음(주로 학술연구 성격).

- 국회, 학회 및 유관단체에서의 토론회는 대부분 누리과정 예산문제가 주제로 다

루어짐.

○ 공통교육과정으로써의 누리과정 개정에 대한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행된

연구(문무경․배윤진․송신영, 2015; 김은영․강은진․염혜경, 2017)와 운영 개선

에 대한 연구(박창현․이경화․이민희, 2017)가 있음.

- 김은영 외(2017) 연구에서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정(안)을 개발하면서 개정

개발 방향과 총론과 각론을 포함한 개정(안)체계를 제시함. 개정의 방향은 초등학

교 교육과정 및 표준보육과정과의 연계성과 함께 3~5세 연계성 고려, 핵심역량

반영, 세계적인 동향을 반영하여 누리과정 내용에는 지속 가능․세계시민교육․

평화교육 내용 보강, 4차 산업혁명의 미래 변화 대응, 대통령 공약사항을 반영하

여 문화․예술․체육 강화, 유아의 기본적인 욕구(잠, 영양, 신체활동, 놀이 등)

반영, 학습자 맞춤(개별화) 및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측면 반영 등을 제안함. 개

정의 범위는 현 체계를 유지하되 총론에서 누락된 부분 보강, 수업 부담 감소를

위한 누리과정 내용 감소, 연령별 교육과정을 마쳤을 때 도달해야 하는 성취수준

및 평가 내용 보강, 연령별로 시수 및 영역별 비중에 대한 고려, 교사가 잘 이해

하여 적용할 수 있는 용어로 수정 등.

- 문무경 외(2015)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누리과정의 총론, 각론 및

해설서, 지침서, 지도서에 관한 개편 필요성 및 개편 내용을 도출하여 제시함

- 박창현 외(2017) 연구는 자문단을 구성 운영하여 포럼 형식의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한 결과를 중심으로 누리과정의 성격(임부연), 운영(정선아), 평가(이경화)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한 후, 정책 방향과 누리과정 혁신을 위한 정책 로드맵을 중

심으로 정책 제언을 함.

□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정책연구는 수행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우며 개정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임.

○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 발표 논문도 대부분 교사의 인식 및 편성․운영 실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68 -

태, 장애 요인 및 어려운 정도 등에 대한 주제가 주를 이룸.

-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 방안(이영환․서현아․윤정진, 2013), 「제3차 어

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만 0-2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이미

화․정주영․엄지원, 2014),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수준과 장애요인과의

관계(김지영, 2014),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

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김지영․김동례, 2016),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이해도가 보육과정 운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마미정, 2017) 등이 있음.

○ 보육현장에서 표준보육과정에 관련된 주요 수행 사업은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

육과 함께 보육과정 컨설팅 등임. 특히 평가인증과 연관하여 보육과정 및 교사-영

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이 주를 이룸.

□ 표준보육과정 개선에 대한 논의는 「보육정책발전포럼」(육아정책연구소, 2017)에서

‘표준보육과정 운영 개선안과 어린이집 질 관리체계화’를 주제로 한 차례 개최된

바 있음. 이는 보건복지부의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수립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포럼임.

- 김명순(2017)은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운영과 어린이집 질 관리 문제는 모두 교

사의 질과 아동의 적절한 발달 문제에서 출발되어야 하는데 평가인증과 부모의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고 주장함. 주요 쟁점은 현재 교사는 표준보육과정의 내

용을 잘 알고 운영할 수 있는 수준인지,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잘 운영하는 교

사란 어떤 역량을 지님을 의미하는지,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질과 기관의 질을 높

일 수 있는 핵심 내용은 무엇인지,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질과 기관의 질을 높이

기 위한 현 상황을 진단해 보는 것임. 그는 보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질을 높

이는 것이 보육과정 운영과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관점에서 구조적인 질과

과정적인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음.

- 나정(2017)은 보육과정 운영을 개선하거나 내실화하고자 할 때는 준거가 중요하

므로 법이나 정부지침에 포함된 보육과정 운영, 보육의 질 제공과 관련된 사항이

일차적인 준거와 검토 내용이 되어야 한다고 함. 일차적으로는 정부가 지향하는

표준보육과정 운영 현황을 진단하고, 걸림돌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어떻게 개선해

야 하는지 제안해야 하며, 이차적으로 정부의 지향이나 제시 내용들의 타당성이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69 -

나 논리성 등을 검토해야 함. 표준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흐름과 부정적

인 흐름이 있음을 설명하면서 표준보육과정과 운영의 개선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역설함.

□ 누리과정 개정 작업에 앞서 한국유아교육학회에서 유아교육과정의 재설계를 주제

로 춘계정기학술대회(2018.4.28)를 개최하였으며 유아교육의 주체가 되는 유아와 교

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과정의 포괄성과 자율성, 그리고 형평성의 문제를 진단하고

미래방향을 제안하였음.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누리과정에 대한 논의였기에 주제발

표 및 토론 중 일부 내용을 소개하고자 함.

○ OECD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상징되는 미래사회를 살아

갈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함. 우리나라에서도 초중등

교육은 물론 유아교육분야에서도 교육과정의 미래 설계 방향에 대한 검토가 이루

어지고 있음.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은 1969년 제1차 유치원교육과정이 제정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유아의 놀이와 흥미, 개별화를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음.

그러나 최근 이러한 유아교육과정의 본질이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

고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음(정미라, 2018).

- 김진숙(2018)은 UNESCO와 OECD의 교육에 대한 입장을 통해 미래교육의 동향

을 설명함. UNESCO에서는 21세기에 필요한 교육으로 “살아남기 위한 교육(지속

가능발전), 생태중심주의, 알기 위한 교육, 행동하기 위한 교육, 존재하기 위한 교

육, 함께 살아가기 위한 교육”을 명시하고 있으며, OECD 미래사회 대비 교육과

정 2030에는 “웰빙, 포괄적 성장, 역량 중심, 학습프레임워크, 학습 나침반, 평생

학습”등의 개념을 담고 있다고 설명함.

- 오채선(2018)은 이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정책은 ‘통제’에서 ‘자율’로 향하고 있

음. 그간 중앙집권식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졌던 통제의 불편한 만큼이나 ‘자율’로

가는 길은 혼란스럽고 시간이 걸리는 일일 수 있음. 유아교육과정에서 자율성을

되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유치원과 교사를 위해 무엇을 해줄 것인

가?’에 관심을 갖기 이전에, ‘자율성’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유치원과 교사에

게 어떤 자율성을 요구하는 것인지 먼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함.

- 임민정(2018)은 교육은 사회문화적 가치와 지식을 전달하며 불평등을 재생산하기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70 -

도 하지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과정임. 형평성의 관점에서 재설계된 유아

교육과정은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희망과 노력을 토대로 사회적 실천과 참여를

독려함. 교육의 형평성은 지속가능하고 평등한 미래 발전을 위해 유아교육과정에

서 담아내야 할 본연의 지향점이라 피력함.

- 김은영(2018)은 누리과정에 어디까지의 내용을 어떻게 담아야 할 것인가의 문제

에 대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이원화되어 있고 교사의 질적 편차가 심한 우리나

라 실정에서는 의견을 하나로 모으기 쉽지 않다고 함. 교사의 질이 담보된다면

지나치게 자세한 내용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체적인 내용들이 교육의 최소한의 질을 담보하는 수단으로 작

동할 수 있기 때문임. 하나의 대안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방향과 포괄적인

수준만 정해주고, 지자체별로 특색 있고 좀 더 구체적인 실행 가능한 교육과정을

다양한 버전으로 제시하는 것이라는 제안도 함.

- 교육부가 발표한 유아교육 혁신 내용 중 현행 누리과정과 개편방향을 대비해서

기술한 내용을 두고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이 분분한데 곧 이루어질 유아교

육과정 재설계가 정치적인 논리가 아닌 유아를 중심에 두고 미래를 이끌어갈 우

리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좋은 결론에 도달하기 바란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함(김은영, 2018).

Ⅳ.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

□ 여러 가지 사회정책적 상황에서 누리과정 개정 작업이 늦어진 만큼 누리과정 개정

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매우 큼. 그간 시행된 누리과정 내용(고시문과 해설서)과

운영(지침서와 지도서)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최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집단 간

의견을 조율하여 반영해야 함.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제정 시에는 유치원교육과정과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을 통합하고자 하는 일차 목적이 있었으나 현 개정 상황은 유보통합이 무산된 이

후 새 정부의 기조와 유아교육계의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그러나 개정의 기준은 원론으로 돌아가 영유아 중심이란 것임. 누리과정은 유치

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우리나라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공통교육과정이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71 -

며, 누리과정이 개정되면 이에 따라 어린이집에 다니는 0~2세 영아를 위한 표준

보육과정도 개정해야함.

- 이번 누리과정의 개정 시에 분명히 해야 할 것은 문건으로써 누리과정 고시문(해

설서 포함 여부 논의사항)에 대한 논의와 누리과정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운영에

필요한 교사용 지침서(지도서 포함)에 대한 개선책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것임.

- 특히 교육에 대한 혁신 방향, 교육과정에 대한 재설계 등 현 유아교육계의 흐름

을 누리과정에 어떻게 어느 정도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근원적인 논의가 사전에

이루어져야 함. 이때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와 보육교사, 보육의 현주소를 고

려하기 바람.

□ 누리과정 개정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아직 시작되기 전이므로 이와 함께 병행하

거나 또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표준보육과정 개정에 대해 논의가 요구됨. 본 고에

서는 이미화 외(2017)가 수행한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수립 연

구」 중 ‘표준보육과정 개편과 교사지원 방안’에서 제안한 내용으로 대신하고자 함.

○ 기본 방향

- 보육의 근간이 되는 영아가 중심이 되는 영아보육 내용의 내실화가 절실하며 영

아보육정책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분명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영아기는 급격한 발달이 이루어지고 발달의 개인차가 매우 큰 시기로 이 시기에

경험하는 보육의 질이 영유아 발달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됨. 그러므로 영

아보육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의 핵심은 성인 중심과 어린이집 중심의 접근에

서 영아 중심의 접근으로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함.

- 영아반을 위한 보육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영아의 눈높이와 영아의

입장에서 마련되고 실시되어야 함.

- 영아가 중심이 되는 어린이집의 하루일과가 이루어지도록 영아의 발달에 적합한

영아보육과정 및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꾸준한 개발과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1).

1) 누리과정 지도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영아보육의 어려움과 한계를 진단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도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람.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72 -

- 영아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영아교사 교육용 자료의 배포 및 재교육을 통한

영아 보육내용의 내실화에 힘써야 함. 인간발달에 있어서 영아기가 갖는 중요성을

고려할 때 영아보육에 있어서도 0세반, 1세반, 2세반의 특성을 반영한 연령별 반

운영 방안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교사 및 운영 지원을 해야 함.

○ 표준보육과정 개편(안)

- 그간 표준보육과정을 실시하면서 드러난 문제점과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고, 선행

연구 분석과 표준보육과정 개발진 및 관련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0~2세 표

준보육과정」개정 방향 및 개정 범위를 설정함.

- 「0~2세 표준보육과정」의 기본 방향과 목적, 목표, 영역별 내용 등을 토대로 어

린이집이 지향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함.

- 특히 표준보육과정 운영상 각 어린이집의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

을 넓히고, 영아 중심의 놀이를 강조하는 보육내용을 포함해야 함.

- 개정 방향 및 범위에 따라 「0~2세 표준보육과정 개정(안)」을 제시하고, 전문가

의 검토 및 공청회 등을 거쳐「0~2세 표준보육과정 개정(안)」을 제시함.

Ⅴ. 나가며

□ 이번 문재인 정부에서는 보육과 유아교육, 양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특히 교육과 보육의 공공성 강화와 그 격차 완화를 국정과제로 채택함. 국정과제

49번에 해당하는 ‘유아에서 대학까지 교육의 공공성 강화’ 과제의 세부 내용은 ‘유

치원과 어린이집 격차완화’임2).

○ 무엇보다 정부는 국정과제 49번의 기대효과를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고, 출발선

단계부터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것에 두고 있음.

- 즉 유․보의 격차 완화는 국가가 보육과 교육을 책임지고 모든 영유아의 균등한

출발선을 보장한다는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정책과제인 것임.

2) ※ 3-2-49. 유아에서 대학까지 교육의 공공성 강화

∘ (유치원과 어린이집 격차 완화) 교사․교육프로그램․교육시설 질 균등화

- 교사자질 향상과 교사처우 개선(’18년), 전문교육과정 운영, 자격체계 개편 추진(교육부․복지부) * 추

진방법 및 일정은 국가교육회의에서 협의․조정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73 -

□ ‘영유아 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과정은 이제 시작 단계

임.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 실현을 위한 보육의 공공성과 서비스 질

향상과 관련하여 4개 분야 17개 과제를 제안하였고, 17개 과제 중 1개가 ‘보육과정

개편’임.

○ 이번 기본계획의 비전인 ‘영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함께하는 사회’를 실현하

기 위해 영유아가 중심이 되는 보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준비와 적극적인 추진이 매우 중요함.

참 고 문 헌

김명순. 2017. 표준보육과정 운영 개선안과 어린이집 질 관리 체계화. 보육정책발전포럼

자료집, 65-93.

김은영. 2018. ‘포괄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에 대한 토론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년 춘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43-146.

김은영․강은진․염혜경. 2017.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정(안) 개발연구. 육아정책연구소.

김지영. 2014.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수준과 장애요인과의 관계.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4(10): 810-817.

김지영․김동례. 2016.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318-326.

김진숙. 2018. 포괄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년 춘계정기학

술대회 자료집, 53-66.

나정. 2017. 「표준보육과정 운영 개선 및 질 관리 체계화」에 대한 토론문. 보육정책발

전포럼 자료집, 94-97.

마미정. 2017.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이해도가 보육과정 운영 어려움에 미치는 영

향. 『인문사회21』 8(5): 337-355.

문무경․배윤진․송신영. 2015. 「3-5세 누리과정」 개편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박창현․이경화․이민희. 2017.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 성격에 부응하는 누리과정 운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74 -

영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오채선. 2018.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년 춘계정기학

술대회 자료집, 67-116.

이미화․이정원․최윤경․유해미․강은진․권미경․도남희․최효미․김동훈․임준범․

백선희․이완정․김진석․황옥경. 2017. 제3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2018-2022)

수립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이미화․정주영․엄지원. 2014.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저에 대한 만 0-2세 영아반 보

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육아정책연구』 8(2): 111-131.

이미화․서문희․권미경․오유정․김명순․박진옥․서영숙․이미정․이완정․이윤선․

최혜영․황혜정. 2012. 제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육아정책

연구소.

이영환․서현아․윤정진. 2013.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보육지원학

회지』 9(3): 309-342.

임민정. 2018. 형평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년 춘계정기학

술대회 자료집, 117-132.

장명림․이미화․송신영. 2012. 3, 4세 누리과정 개발 연구.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75 -

[참고자료]

<표 1>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총론 구성 비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Ⅰ. 표준보육과정의 기초

1. 추구하는 인간상

2. 표준보유고가정의 기본 전체

3. 구성방향 및 체계

가. 구성방향

나. 구성체계

Ⅰ. 구성방향

Ⅱ. 목적과 목표

1. 목적

2. 목표

가. 0-1세 보육과정

나. 2세 보육과정

다. 3-5세 보육과정

Ⅱ. 목적과 목표

1. 목적

2. 목표

Ⅲ. 편성과 운영

1. 편성

2. 운영

3. 교수학습방법

4. 평가

가. 운영평가

나. 영·유아평가

Ⅲ. 편성과 운영

1. 편성

2. 운영

3. 교수학습방법

4. 평가

가. 누리과정 운영평가

나. 유아평가

주: 굵게 표시한 부분이 차이를 나타냄.

<표 1-1>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편성 내용 비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Ⅲ. 편성과 운영

1. 편성

Ⅲ. 편성과 운영

1. 편성

(1) 어린이집의 운영시간에 맞추어 편성한다. (1) 1일 3-5시간을 기준으로 편성한다.

(2) 표준보육과정에 제시된 각 영역의 내용을 균

형있게 통합적으로 편성한다.

(2) 5개 영역의 내용을 균형있게 통합적으로 편

성한다.

(3) 영․유아의 발달 특성 및 개인차, 경험을 고

려하여 놀이를 중심으로 편성한다.

(3) 유아의 발달 특성 및 경험을 고려하여 놀이

를 중심으로 편성한다.

(4) 영․유아의 일과 중 일상생활을 포함하여 편 (6) 일과운영시간에 따라 심화 확장할 수 있도록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76 -

<표 1-2>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운영 내용 비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Ⅲ. 편성과 운영

2. 운영

Ⅲ. 편성과 운영

2. 운영

(1) 보육계획(연간, 월간, 주간, 일일계획 등)에

의거하여 운영한다.

(2) 실내․외 환경을 다양한 흥미 영역으로 구성

하여 운영한다.

(3) 영․유아의 능력과 장애정도에 따라 조정하

여 운영한다.

(4) 부모와 각 기관의 실정에 따라 부모교육을

실시한다.

(5) 가정과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참여에 기반하

여 운영한다.

(6) 교사 재교육을 통해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운영을 개선해 나간다.

(1) 연간, 월간, 주간, 일일 계획에 의거하여 운영

한다.

(2) 실내․외 환경을 다양한 흥미 영역으로 구성

하여 운영한다.

(3) 유아의 능력과 장애정도에 따라 조정하여 운

영한다.

(4) 부모와 각 기관의 실정에 따라 부모교육을

실시한다.

(5) 가정과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참여에 기반하

여 운영한다.

(6) 교사 재교육을 통해 누리과정 활동이 개선되

도록 운영한다.

<표 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수학습방법 비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성한다. 편성한다.

(5) 어린이집과 보육실의 특성에 따라 융통성 있

게 편성한다.

(4) 반(학급) 특성에 따라 융통성있게 편성한다.

(6) 성별, 종교, 신체적 특성, 가족 및 민족 배경

등으로 인한 편견이 없도록 편성한다.

(5) 성별, 종교, 신체적 특성, 가족 및 민족 배경

등으로 인한 편견이 없도록 편성한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Ⅲ. 편성과 운영

2. 운영

Ⅲ. 편성과 운영

2. 운영

(1) 주도적인 놀이를 중심으로 교수․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2) 흥미를 중심으로 활동을 선택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3) 생활 속 경험을 소재로 하여 지식, 기술, 바

람직한 태도를 기르도록 한다.

(4) 교사와 신뢰감을 형성하고 개별적인 활동이

(1) 놀이를 중심으로 교수․학습활동이 이루어지

도록 한다.

(2) 유아의 흥미를 중심으로 활동을 선택하고 지

속할 수 있도록 한다.

(3) 유아의 생활 속 경험을 소재로 하여 지식, 기

능,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하도록 한다.

(4) 유아와 교사, 유아와 유아, 유아와 환경 간에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77 -

<표 1-4>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평가 비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이루어지도록 한다.

(5) 교사, 환경, 또래와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이

루어지도록 한다.

(6)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

루어지도록 한다.

(7) 만 0-1세아, 만 2세아는 일상생활 및 개별활

동, 휴식 등이 균형있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8) 만 3-5세아는 실내․실외활동, 정적․동적활

동, 대․소집단활동 및 개별활동, 일상생활

및 휴식 등이 균형있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5)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

루어지도록 한다.

(6) 실내․실외활동, 정적․동적활동, 3대․소집

단활동 및 개별활동, 휴식 등이 균형있게 이

루어지도록 한다.

(7) 유아의 관심과 흥미, 발달이나 환경 특성 등

을 고려하여 개별 유아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학습하도록 한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Ⅲ. 편성과 운영

4. 평가

가. 운영평가

Ⅲ. 편성과 운영

4. 평가

가. 누리과정 운영평가

(1)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근

거하여 보육내용이 적절히 편성․운영되는지

평가한다.

(1) 운영내용이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편성․

운영되는지 평가한다.

(2)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내용 및 활동

이 영유아의 발달 수준과 흥미, 요구에 적합

한지 평가한다.

(2) 운영내용 및 활동이 유아의 발달수준과 흥미,

요구에 적합한지를 평가한다.

(3) 영․유아의 발달수준, 흥미, 요구에 적합한

경험 및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과 교수학습방법이 계획되고 통합적으로 운

영되는지 평가한다.

(3)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흥미와 활동특성에

적합한지를 평가한다.

(4) 일과운영 및 보육활동 구성 시 놀이활동과

일상생활 활동의 양과 내용이 영아 및 유아

각 연령의 발달에 적합하게 계획되고 운영되

는지 평가한다.

(4) 운영환경이 유아의 발달특성과 활동의 주제,

내용 및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는지

를 평가한다.

(5) 만 0-1세아, 만 2세아는 집단 활동보다 개별

적인 상호작용과 교수법을 중심으로 상호작

용이 진행되는지를 평가한다.

(5) 계획안의 분석, 수업참관 및 모니터링, 평가

척도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6)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운영 평가 결과를 수

시로 반영하여 보육과정 운영 계획을 수정․

(6) 운영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운영 계획을 수

정․보완하거나 이후 누리과정 편성․운영에

춘계학술대회 기획5주제 (2018. 6.)

- 178 -

<표 1-5>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평가 관련 내용 비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Ⅲ. 편성과 운영

4. 평가

나. 영유아평가

Ⅲ. 편성과 운영

4. 평가

나. 유아평가

(1)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근

거하여 영․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

한다.

(1) 누리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한다.

(2)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평가한다. (2) 유아의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여 평가한다.

(3) 일상생활과 보육과정 활동 전반에 걸쳐 평가

한다.

(3) 유아의 일상생활과 누리과정 활동 전반에 걸

쳐 평가한다.

(4) 관찰, 활동 결과물 분석, 부모면담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다.

(4) 관찰, 활동 결과물 분석, 부모면담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다.

(5) 평가결과는 영․유아에 대한 이해와 어린이

집 표준보육과정 운영 개선 및 부모 면담 자

료로 활용한다.

(5) 유아평가 결과는 유아에 대한 이해와 누리과

정 운영 개선 및 부모 면담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표 2>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연령별, 수준별 세부내용 개수

0-1세 보육과정 2세보육과정3-5세 보육과정

(누리과정)

1수준 2수준 3수준 4수준 1수준 2수준 3세 4세 5세

기본생활 10 12 14 14 15 1531 32 33 신체운동․건강

신체운동 11 12 12 12 12 12

의사소통 11 13 16 16 17 17 17 25 25 의사소통

사회관계 9 9 11 11 13 13 20 28 29 사회관계

예술경험 8 8 10 10 12 12 17 20 20 예술경험

자연탐구 3 8 12 12 16 16 18 24 30 자연탐구

총계 52 62 75 75 85 85 103 129 137 총계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보완하거나 다음 연도의 계획 수립 및 운영

에 반영하는지 평가한다.

활용한다.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79 -

<표 3> 표준보육과정, 유치원교육과정(누리과정), 초등학교교육과정 고시연혁

고시시기 초등학교교육과정 유치원교육과정 표준보육과정

1954년 1차: 4월

1963년 2차: 2월

1969년 1차: 1월

1973년 3차: 2월

1979년 2차: 3월

1981년 4차: 12월 3차: 12월

1987년 5차: 6월 4차: 6월

1992년 6차: 9월 5차: 9월

1997년 7차: 12월

1998년 6차: 6월

2007년 2007개정: 2월 7차: 12월 1차: 1월

2009년 2009개정: 12월

2011년 누리과정 5세: 9월

2012년 누리과정 3-5세: 7월 2차: 2월

2013년 3차: 1월

2015년 2015개정: 9월 누리과정 3-5세: 2월

- 180 -

기획5주제 토론

기획5주제 토론

김 의 향*3)

영유아보육법이 전면 개정된 2005년 1월 30일을 기점으로 보육현장의 질적 수준을 제

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그 중에서 어린이집 기관운영에

대한 질적 수준에 따라 인증을 부여하는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와 어린이집 원장과 교

사에게 국가자격증을 부여하여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는 자격관리제도가 있으며, 이와 함

께 표준보육과정을 제정하여 법적으로 고시(2007.1)하고 이를 운영하도록 한 제도가 대표

적이라 할 수 있다.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논의에 앞서 발제자는 그간

수행되었던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의 연혁과 선행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보

육현장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즉, 표준보

육과정을 제정함으로써 어린이집 현장에서는 교사와 원장이 전문적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으며, 누리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명시함으로써 누리과정이 적절하

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특히,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및 교사의 지침서 개발과 이를 참고하여 연령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관련 자료가 현장에 보급된 것은 국가가 양질의 보육․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원하려

는 노력의 결과다.

한편, 그 당시 누리과정이 제정되고 시행되는 과정이 무리하게 진행되다 보니 표준보

*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교수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81 -

육과정에 대한 핵심적인 내용이나 운영에 대해 강조점을 두기보다 보육료가 무상으로

지원되고 담당교사 처우개선비와 운영비가 지원 되는 부분만 부각된 것도 사실이어서

정작 누리과정을 내실 있게 운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기는 어려웠다.

이후 누리과정과 관련한 정책연구와 학술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의미 있는 논의

가 이루어진 것을 발제자의 본문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정책연구는 그동안 수행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고 개정

에 대한 논의도 전무한 실정인 것은, 2007년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고시이후 3~5세 연

령별 누리과정의 제정과 개정에 관련된 내용 일부를 부분적으로 개정해왔을 뿐, 별도의

개정을 진행하는 것은 누리과정과의 연계성 차원에서 쉬운 일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수립 연구’의 일환으로 표준보육과정 개선에 대한 논의

가 이뤄졌음은 그동안 개정의 필요성을 반영한 것으로 이후 표준보육과정 운영을 개선

하거나 내실화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발제자가 최근 한국유아교육학회에서 소개한 ‘유아교육과정의 재설계’는 누리과

정 개정작업에 앞서 유아교육 학계와 현장에서 심도 있게 논의된 학술 발제로 교육부가

발표한 ‘유아교육 혁신’ 내용 중 현행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편방향을 대비한 학술대

회에서의 제안이라면, 보건복지부에서도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수립 연구에서 제안

된 ‘표준보육과정 개편과 교사 지원 방안’ 내용으로 대신한 발제자의 주장과 더불어 보

육학계와 현장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자리를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한국

영유아보육학회에서의 이와 관련된 발제는 시의적절하다.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에 대한 기본 방향에 대해 제안한 영아중심의

영아보육 내용의 내실화의 필요성과 영아보육정책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분명하게 제시

한다는 발제자의 주장에 뜻을 같이한다. 특히, 영아보육을 지원하기위한 발달에 적합한

영아보육과정 및 영아보육프로그램개발 뿐만 아니라 영아부모교육프로그램, 영아교사 교

육용 자료 제작 및 배부, 영아교사 맞춤형 지원 서비스 등 영아보육을 기존과 다르게 운

영지원 할 필요가 있다고 본 토론자도 그 중요성을 인정한다. 따라서 그간 0~2세 표준보

육과정을 계획, 실행, 평가하면서 드러난 문제점과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개정 방향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표준보육과정이 개정되기 전에 반드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과정

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자격취득에 필요한 이수교과목을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전문

기획5주제 토론 (2018. 6.)

- 182 -

성이 확보되므로, 초임교사가 어린이집 현장에서 표준보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적절하게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훈련받을 필요가 있다. 이

에 표준보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보육관련 교과목을 연계하여 필수이

수교과목으로 명시하고 재학(훈련) 중에 교과목으로 편성되지 않아 선택하지 못한 교과

목의 경우에는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부족한 지식과 기술을 바로 재교육 받을 기회를

갖도록 교육시스템을 마련하여 보육교사와 원장이 보육과정 운영과 지원이 수월하도록

해야 한다.

현재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보육과정 컨설팅이나 그 외 다른 형태의 교사교

육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표준보육과정 교사교육을 담당하는 대학 및 양성과정의 교강

사, 센터장, 원장 등 새롭게 개정된 교육내용을 잘 숙지하여 수강생들에게 올바른 내용

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강사진세미나를 주기적으로 개최하거나 강사용 동영상 교육자료를

배부하여 표준보육과정 개정 내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국가수준의 보육과정은 어린이집 현장에서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즉 표준보육과

정에 제시된 목표와 보육내용은 보육현장에서 벌어지는 모든 보육활동의 중심이 되므로

교사에게는 가장 중요한 지침이다. 따라서 예측 불가능한 미래의 인재를 돌보고 교육해

야하는 우리의 책임은 다른 시대와 또 다르다 하겠다. 영유아가 중심이 되는 미래지향적

인 표준보육과정으로 개정되기를 원한다면 현장, 학계, 정부, 부모가 모두 협력하여 각자

놓인 현실 문제를 초월해서 영유아의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 무엇을 바꾸고 무엇을

준비해야하는지 영유아의 입장에서 진솔한 논의를 앞으로 해나가기 바란다.

- 183 -

기획5주제 토론

기획5주제 토론

이 라*1)

2007년에 1차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이 고시된 이래 11년이 지난 현재 2차례의 개정이

이루어져 2018년 현재 3차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을 보육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다. 누리과

정이 2012년 제정되면서 표준보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위하여 2012년 2차 어린이집표준보

육과정이 고시되고 1년이 지난 2013년에 3차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으로 개정되었다.

발제자는 4차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 개정 방향으로 3~5세 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개

정 내용을 반영하는 한편 0~2세 표준보육과정 운영에서의 문제를 반영하고 영아중심의

개정이 이루어져야한다고 하였다. 선(先) 누리과정 개정, 후(後) 표준보육과정 개정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누리과정의 개정 방향이 표준보육과정의 개정 방향에도 영향을 줄 것으

로 생각된다. 선후가 중요한 문제이냐고 할 수 있으나 영아와 유아의 발달특성이 다르므

로 각 연령대에서 요구되는 보육과정/누리과정을 개정하고 이후 연계성을 위하여 다시

연구진들이 모여서 합의점을 찾아내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누리과정과 표

준보육과정이 개정 작업에서 담아내어야 할 틀이 각각 다를 수 있고 그에 대한 내용 또

한 다를 수 있으므로 개정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진 후 서로 합의점을 찾아가는 노력이

의미 있는 결실을 이루게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발제자는 0~2세 표준보육과정 운영에서의 문제점을 반영한다고 하였는데, 운영

에서의 문제점은 연간, 월간, 주간, 일일보육계획안의 작성과 실행, 평가 과정에서 나타

*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가정분과위원장

기획5주제 토론 (2018. 6.)

- 184 -

나는 것이다. 즉, 표준보육과정을 해석하여 구체적인 활동으로 적용하는 단계에서 나타

나는 운영상의 문제는 표준보육과정 자체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다. 표준보육과정은 우

리나라 영아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포괄적인 지침이므로 영아보육이

지향해야 할 보육에 대한 철학, 가치관, 지향점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반영하는 것이 중

요하다고 본다.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다루는 것이 바로 교육과정/보육과정이라

고 할 때, 대상, 내용, 교수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안내가 표준보육과정 개정 시 제시되어

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준보육과정의 대상인 영아의 발달특성을 파악하고

부모의 요구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표준보육과정 개정 시에는 현재 우리나라 영아

의 발달수준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이 부모의 영

아보육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나아가 국가 수준의 보육과

정은 영아를 집단으로 보육하는 기관에서 지향해야 할 보육철학과 사회적 가치를 포함

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개정된 표준보육과정을 제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영아반 교사들에게 표준

보육과정 연수가 실시되어야 한다. 누리과정 연수는 수당과 연동되어 무료로 실시되고

있다. 반면 표준보육과정 연수는 그렇지 못하여 표준보육과정 교육을 받지 못하는 교사

도 있으며, 연수를 받는다 하더라도 수당과 연동되지 못한다. 교육 받을 시간을 내기 어

려운 교사들에게 의무적으로 연수를 받도록 하지 않는다면 개정된 표준보육과정이 보육

현장에 정착되기 어려울 것이다.

표준보육과정 연수를 받은 교사에게는 누리수당처럼 표준보육수당(가칭)이 제공되어야

한다. 영아보육은 정신적, 신체적으로 긴장도가 높고 개별적으로 영아에게 반응을 해주

어야 하므로 신체적인 피로도 또한 매우 높다. 영아 보육교사들에게 표준보육과정 연수

를 통해 재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사기 진작을 위한 수당을 연동한다면 개정

된 표준보육과정이 빠른 시간 내에 보육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될 것으로 본다.

- 185 -

기획5주제 토론

기획5주제 토론

현 은 주*1)

이번 학회의 대주제는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에 대한 제언이며 그에 따른 토

론 주제는 「영․유아 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방향과 논의」에 대한 내용입

니다. 발제자께서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누리과정) 연혁 및 선행연구동향, 새 정부가

들어선 이후 발표된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과 「유아교육 혁신 방안」에 대한

내용과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의 기준이 영유아 중심이라는 것에 대해 보육현장에

있는 교사로서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으며 이에 따른 보충적 의견을 더하고자 합니다.

첫째, 발제자께서 발제한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연혁을 보면서 토론자는 나

라의 대통령이 바뀔 때마다 바뀌는 보육정책으로 인해 우리 보육교사들은 수동적인 자

세로 표준보육과정 교육을 받고 영․유아들에게 잘하고 있는지 못하고 있는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여러 출판사에서 나오는 자료들을 이것저것 모아서 교육자료로 활용한 것

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2008년도에 표준보육과정을 기초로 어린이집 보육프로그램을 계획하려고 했을 때 자

료들이 충분하지 않아서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자료를 구입해서 참고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이 고시되고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2013년 2월에 총론과

* 은현어린이집 원감

기획5주제 토론 (2018. 6.)

- 186 -

연령별프로그램이 구성되고 발간되어 교사가 현장에 적용하기까지 현장에 있는 교사들

은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내용들을 정확히 정립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만 5세 공통과정,

제2차 표준보육과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을 받으면서 혼란스러운 과도기를 보냈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둘째,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실현하고 ‘영․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

해 함께 하는 사회’라는 비전 아래 보육과정개편의 과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보건복지부

와 출발선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유아교육혁신방안」을 발표한 교육부는 영․유아가

중심이 되는 누리과정의 방향으로 개정을 한다고 하는 지금 현장에 있는 교사들의 표준

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보육현장 적용에 있어 어려움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

니다.

제3차 표준보육과정을 바탕으로 모든 어린이집은 보육과정을 운영하며 매일 반복하여

진행하는 과정들을 통해 보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린이

집에 근무하고 있는 모든 보육교사들이 당연히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표준보육

과정에 대해 정말로 제대로 잘 알고 실행하고 평가를 하고 있을까? 생각해 봅니다.

한 주제가 끝날 때마다 보육교사 스스로 주제선정이나 전개방법, 활동내용 등 보육과

정 전반에 걸쳐 평가하는 태도를 습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준비된 자세와 하고자 하

는 열정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열약한 근무 조건과 과중한 업무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셋째, 발제자께서 발제하신 개정방향에 대한 내용을 보면서 여러 선행연구 동향분석을

통해 표준보육과정 개정에 대한 정책 연구는 수행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우며 개정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지만 그간 실행된 누리과정 내용(고시문과 해설서)과 운영(지

침서와 지도서)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최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집단 간 의견을 검토하

여 반영해야 하는 것에 대해 깊은 공감을 합니다.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들은 넘쳐나는

상업적인 프로그램을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의 해설서와 지침서보다 많이 활용하는 부

분이 있는데 그 이유는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수자료와 영역별자료들이 보육교

사들이 사용하기에 용이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유보통합이 무산된 이후 새 정부의 기조와 유아교육계의 변화 등을 누리과정에

어떻게 어느 정도 반영할건지에 대한 근원적인 논의가 사전에 이루어지고 영아가 중심

영유아중심의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개정 방향과 논의

- 187 -

이 되는 영아보육 내용의 내실화와 영아보육정책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분명하게 제시를

한다면 성인중심과 어린이집중심의 접근에서 영아중심의 접근으로 변화가 되리라 생각

합니다. 이때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와 보육교사, 보육의 현주소를 고려한다면 보

육교사들이 처한 현실적인 어려움도 점차 해소가 되리라 생각을 합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보육과 유아교육 양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특히 교육

과 보육의 공공성강화와 그 격차 완화를 국정과제로 채택을 하였는데 유치원과 어린이

집 격차 완화는 영유아들이 균등한 출발선을 보장한다는 목표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정

책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산제되어 있는 과제 중에서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이 체계적인

준비와 적극적인 추진으로 인해 영아중심으로 개정이 된다면 현장에 있는 보육교사로서,

영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함께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함께 행복하게 성장해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포 스 터 발 표

- 191 -

포스터발표

보육교직원 재교육지원 개선 및 요구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 차이

이 옥 경* ․ 안 영 혜**1)

연구목적: 질 좋은 보육에 대한 높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직원의 질을 높

여야 하며 보육교직원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재교육을 통해 전문

성을 유지시켜야 한다(김애리, 2004). 즉 보육교직원의 전문성은 현직 보육교직원에 대한

재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역량을 키워갈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대체적으

로 보육교직원 재교육은 보수교육 또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교육을 통해 이루

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육교직원들은 어린이집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이 다르므로 재교육

지원 요구 및 개선사항에 대한 인식 또한 차이가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직원 재교육 지원 개선 및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의 차이

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재교육 지원 운영의 정책방향 모색 및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에 참여한 부산광역시 내 532개 어린이집 보육

교직원 916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30일부터 6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기술통계, 리

* 부산여성가족정책개발원 부연구원

** 한국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192 -

커트 5점 척도 평균점수 변환으로 ANOVA를 실시하였고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에

대한 집단검증으로 t-test와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순위별 분석은 문항별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교육지원 운영에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점으로 지원체계는 교육기관

의 다양화, 운영기관에서는 교육내용의 질 보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장과 교사 간

의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직원 재교육 실시 시기는 평일 일

과 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가 원장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보육교직원 재교육을 위한 행정적 지원 개선사항으로는 대체교사 활용사업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저축제 도입, 전문기관 도입, 행정적 제제의 필요 순으로

나타났으며 행정적 제재 필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사가 원장보다 더 높게 인식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직원 재교육을 위한 교육지원 개선사항으로는 힐링, 스

트레스 해소 교육필요, 영아반․유아반 심화과정 개성필요, 주임교사 및 원감대상 교육

과 리더쉽 교육필요, 경력에 따른 차등교육과정 개설필요, 예술 및 인문학 교육필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원장이 리더쉽 교육 필요의 중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교육지원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은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재교육과정 개발’이 1순위로 가장 높고, 2순위 ‘온라인 재교육 확대’, 3순위 ‘정부의 재교

육 비용지원 확대’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보육교직원 재교육 지원에 대한 개선 및 요구 사

항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에 있어 일부 차이가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원장과 교사

모두 재교육 지원에 대해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직원 재교육 지원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여겨

지며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재교육 지원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 word: Childcare personnel, reeducation

- 193 -

포스터발표

수업계획안 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 영 혜*1)

연구목적: 교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자질은 무엇보다도 전문성이라 할 수 있으

며 전문성의 핵심은 ‘가르치는 활동’에 있다. 즉 교사가 획득해야 할 전문성의 핵심은 수

업의 전문성으로(김지영․윤진주, 2009) 수업의 전문성을 배재한 채 교사의 전문성을 논

의할 수 없다(유한구, 2001).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는 시․

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수준에서 수업컨설팅이라는 명칭으로 교사의 수업 개선을 지원

해 주기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김도기․김효정, 2013). 안부금(2015)은 예비유아교

사들을 대상으로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학교

수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수업컨설팅이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인 수업컨설팅을 모든

활동에 적용하여 수업계획안을 작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수업컨설팅 경험이 예비유

아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6학년도 2학기 연구자가 담당한 ‘유아교과교재 및 연구’ 강좌를

수강한 K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김희

* 한국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194 -

진과 이분려(1999)의 유치원 교수효능감 도구를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

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사전검사는 강좌 시작 첫 수업시간과 마지막 수업시간에 교수

효능감 검사지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였으며 수업컨설팅은 수업

컨설턴트 교수인 연구자가 직접 강의하는 교과목(유아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강좌 시

간과 연구대상자들의 공강 시간이나 일과 후에 별도 시간을 마련하여 실시하였으며 수

업컨설턴트 교수는 연구대상자인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자료 및

아이디어를 제공하면서 피드백은 실시하였으나 전반적인 수업의 계획과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안내자, 촉진자로서의 역할

을 주로 수행하였다. 또한 수업컨설팅은 PDRE 수업컨설팅 모형 단계 즉 준비단계, 문제

분석 단계, 반성적 실행단계, 평가단계로 실시하였다. 단계별 수업컨설팅은 각 팀별 요구

및 활동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되었으나 대체적으로 준비단계 1~2회, 문제분석 및 반성적

실행단계 2~3회, 평가 단계 1회 각 팀별로 4~6회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컨설팅 경험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

과, 교수효능감 전체(t=-7.42, p<.001)와 교수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수효능감

(t=-5.14, p<.001)과 개인적 교수효능감(t=-6.5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업계획안 분석에 기초한 수업컨설팅 경험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수효능감 향상

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

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안부금

(201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체계적인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지원은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부터 체계적인 수업컨설팅

을 통한 수업역량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 word: teaching plan, instructional consulting, teaching efficacy

- 195 -

포스터발표

유아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박 정 미* ․ 홍 순 옥** ․ 김 영 미***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별, 학업능력, 부모-자녀 상호작용, 가족 상호작용,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2014) 7차년도 자료를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72~79개월의 유아 1,002명과 부모이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적 검증을 위해 기초분석(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3에서 단계적으로 나타난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1단계에서 유아의 학업능력(언어 및 문해능력, 수리적 사고)이 유아 학습준비도

에 유의하였으며, 2단계에서 가족 상호작용(응집성)이 유아 학습준비도에 유의하였으며,

3단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온정적 양육, 통제적 양육)이 유아 학습준비도에 유의하였

다. 3단계에 걸친 모든 변인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보여주는 영향력은 총 27.6%에 해당

하였다.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전공 박사과정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전공 교수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전공 박사과정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196 -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의 학업능력(언어 및 문해능력, 수리적 사고), 가족 상호작용(응집

성), 어머니의 양육행동(온정적 양육, 통제적 양육)이 유아 학습준비도에 유의한 변인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 학업능력, 부모-자녀 상호작용, 가족 상호작용, 미디어 이용시간, 양육행동,

학습준비도

- 197 -

포스터발표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

주 은 정* ․ 조 호 운**1)

연구목적:

여러 논문을 종합해 보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행동 특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 행동과 아동의 행동특성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

니의 양육 행동과 아동의 행동특성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

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1. 2012년 어머니 패널에서 아동의 행동특성(⇒아동기질)(21문항 1~20)이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13분항 1~11번)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미니의 자기존중감(19-13-21)의

조절효과.

2.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기술 통계치 및 각 측정변인들의 신뢰도를

* 한남대학교 상담학과 박사수료 / 제1저자

** university of North Alabama, Famili Studies 석사과정 / 공동저자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198 -

구하기 위해서 SPSS 12.0과 AMOS 7.0을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1. 아동의 행동특성(아동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

2. 아동의 행동특성(아동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낮음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

3. 아동의 행동특성(아동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난다.

결론:

어머니의 자존감 향상을 위해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자존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돕

는다면, 아동의 기질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양육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key word: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양육 스트레스, 아동기질

- 199 -

포스터발표

‘도시숲’ 체험활동이 유아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방 희 영*1)

연구목적: 현장에 적용이 용이한 다양한 자연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 유

아들이 주변의 다양한 숲과의 만남을 통한 체험활동이 자연과의 일상적 만남을 통해 자

연스럽게 지역사회에 대해 인식하고 이러한 경험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도시숲’ 체험활동 과정에서 유아는 어떠한 경험이 있는가?

둘째, ‘도시숲’ 체험활동 경험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 유아는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의 재원 중인 유아

를 대상으로 질적 자료로 분석하였다. ‘도시숲’에서의 체험활동 프로그램 전 회기를 녹화

하고 관찰 기록한 자료를 바탕으로 반복적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통해 ‘도시

숲’ 체험활동이 유아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주변 ‘도시숲’ 체험활동 과정에서 자연과의 교감을 경험하면서 또래와

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적극적인 탐색활동이 이루어졌다. 유아들은 친구들과 자연

* 인하대학교 교육학전공 박사과정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00 -

속에서 함께 놀이하는 경험을 통해 더욱 친밀한 관계를 맺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경

험하며 자연을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구성하게 되었다. 또한 주변

탐색을 통해 지역사회 생활과 문화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책임 있는 지역사회의 구성원

으로써 주변의 세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둘째, 주변 ‘도시숲’ 체험활동이 유아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성 하

위영역인 기본생활습관 형성, 자아확립, 공동체의식, 신체․정서 발달, 사회성 발달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주변 ‘도시숲’ 체험활동이 유아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또

한, 지역사회의 소통의 경험을 통하여 책임 있는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성장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접근 방법 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key word: 도시숲, 유아인성

- 201 -

포스터발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시간제보육에 대한 부모, 교사, 센터장의

경험과 어려움

안 혜 정* ․ 이 연 승** ․ 임 수 정***1)

연구목적:

육아종합지원센터 시간제보육의 주 이용자인 부모와, 영유아를 직접 보육하고 있는 전

담 교사, 시간제보육 프로그램을 관리․운영하고 있는 센터장을 대상으로 시간제보육 서

비스에 대한 경험과 어려움을 알아보고, 시간제보육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영유아 중심의

발달적 측면에서 살펴보아 시간제보육이 바람직한 보육정책이 되기 위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부산시의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시간제보육 서비스를 이용하는 부모 및 양육자 4인, 보

육 전담교사 4인, 센터장 4인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한 달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1. 부모의 경험과 어려움

부모들은 시간제보육이 매우 만족스럽다고 여기고는 있지만 턱없는 시설의 부족으로

* 제주관광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 경성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박사과정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02 -

인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예약이 어려우므로 지역의 인구수에 비례한 반 구성

을 희망하였다.

2. 교사의 경험과 어려움

교사들은 1년 내내 신입적응 기간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사전에 부모들과 아이에 대한

정보 교류와 심도 깊은 대화를 원하였고, 영유아 개월 수 조절 및 휴게시간의 보장을 원

하였다.

3. 센터장의 경험과 어려움

센터장들은 영유아의 권리나 영아의 발달적 측면을 고려하여 부모들에게 시간제보육 서

비스에 대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안내와 예약시스템의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였다.

결론:

육아종합지원센터는 다양한 육아지원 서비스의 꾸준한 홍보를 통하여 해당 지역에 살

고 있는 부모들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는 사랑방과 같은 장소 제공과 양육의 동반자가

될 수 있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시간제보육 서비스에 대한 맞춤형 예약시스템의 구축과

사전 부모교육을 제공하여 서비스 이용 전, 영유아와 함께하는 센터 방문으로 시간제보

육을 이용해야 하는 갑작스러운 상황을 미리 준비하여 궁극적 이용 대상자인 영유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시간제보육 서비스로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key word: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part-time childcare, parent, teacher, center chief

- 203 -

포스터발표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

이 연 승* ․ 최 진 령** ․ 한 경 자*** ․ 곽 미 금****1)

연구목적: 최근 들어 유아용 교재․교구를 보급하는 기업이나 기타 연구 기관에서는 유

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상업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유아교

육현장에서는 체계적인 과학 활동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을 해소하고, 유아에게 다양한 과

학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업화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활용 빈도가 늘어가는

추세다(이숙희, 2001). 이에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

고 비교해 봄으로써 향후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

자 한다.

연구방법: 2017년에 동일한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어린이집 4곳을 선

정하여, 2018년 4월 9일부터 20일까지 선정된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으며, 기술통계, 빈도, 백분율, x²검증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첫째,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부산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

*** 수영동산어린이집 원장

**** 경성어린이집 원장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04 -

필요성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응답(매우+필요)이 56.1%, 필요하지 않

다는 부정적인 응답(전혀+불필요)이 4.7%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에 따른 필요성에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으며, 부모의 요구에 의해 특성화 프로그램이

요구 및 강화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김명주․서현아․최남정, 2012; 백영경, 2014)와 유사

한 맥락이다. 이에 수요자 중심의 교육 서비스와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하여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막연한 부정적 인식과 배제보다는 좀 더 전문성 있고 유

아발달에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개선하여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차이를 알

아본 결과, 만족하다는 긍정적인 응답(매우+만족)이 53.9%, 만족하지 않다는 부정적인 응

답(전혀+불만족)이 0.8%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이 점차적으로 유아발

달에 적절하고 질적 향상을 이루어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상업

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유아용 교재․교구를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는

기업으로서 유아교육을 전공한 전문 연구원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유치원, 어린이

집을 비롯하여 문화센터, 가정에서도 이용하는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교육의 상업화에

따른 부작용을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생활주제와 연계한 프

로그램 내용이 상당히 적절하였으며, 특히 어린이집에서 쉽게 접근하기 힘든 다양한 실

험도구 및 교구를 이용하여 유아의 호기심 유발과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된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외에도 유아교육현장에는 매우 다양한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각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비교분석해보면서 그 내용이 적절한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

는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본 양적연구로서 부모 외

에도 교사, 원장의 인식을 알아보고, 면담 및 관찰을 통한 질적연구로 접근하여 심층적

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key word: 상업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부모, 유아교육

- 205 -

포스터발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하 연 수* ․ 김 혜 순**1)

연구목적: 유아의 권리 존중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요

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유아

권리존중 실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권리존중 실

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유아교육현

장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을 위한 교수활동 개선 및 교사의 개인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제기한 주된 연구문제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수도권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만 3

세반 ~ 만 5세반 담임교사 324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WLEIS(Wong and Law, 2002),

OSTES(Tschannen-Moran, Woolfolk Hoy, W., 2001), 유아권리존중 실행척도(김진숙,

2009)가 선정되어,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모두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유아교사의 교직경

*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석사과정

** 동국대학교 유아교육전공 교수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06 -

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은

유아권리존중 실행과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은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들 독립변인들 중에서는 교사효능감이 정서지능에 비해 유아권리존중 실

행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 권리 존중을 현장에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사

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효

과적임을 시사한다.

key word: 유아교사, 정서지능, WLEIS, 교사효능감, OSTES, 유아권리존중 실행

- 207 -

포스터발표

어머니 문지기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통제를 중심으로

이 영 환*1)

연구목적: 일가정 양립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최근 아버지 양육참여가 배우

자인 어머니의 특성에 의해 영향 받는다는 ‘어머니의 문지기(maternal gatekeeping)’이

주목받고 있다. 어머니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비난하거나 제한시키기도 하지만 격려하

고 촉진도 한다는 2차원 지표가 제안되면서 국내외에서는 어머니 문지기행동과 아버지

양육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문지기 행동은 가족 내

의 힘의 분배에 기반하기 때문에, 부부관계에서 힘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한 요인으로서

‘통제(control)’요인은 문지기행동 개념을 정의하는데 포함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부관계에서 힘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는 통제 개념을 적용하여 어머

니의 문지기행동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문지기행동의 3차원

중 국내에서 연구되지 못한 ‘통제’ 차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통제

가 문지기행동의 다른 두 차원인 ‘격려’ 및 ‘제지’와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셋째, 아버지

양육참여 및 공동양육, 양육스트레스 변인들과 격려․제지․통제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

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Puhlman & Pasley(2013)이 제안한 문지기행동 3차원적 모델

에 근거하여 어머니의 통제 행동 지표로서 어머니가 가족 경계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즉

*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교수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08 -

부부관계에서 힘의 역할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통제’ 문항을 개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거친 뒤 시안

을 구성하였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질문지조사에서는

구성된 통제 척도 시안과 Van Egeren(2002)의 Parental Regulation Inventory(PRI),

Feinberg 등(2012)의 공동양육(Coparenting) 척도, 김기현, 강희경(1997)의 양육스트레스를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 203부를 요인분석하여 문지기행동의 통제 척도를 개발하였으

며, 통제가 어머니 문지기행동의 다른 두 차원인 격려와 제지 그리고 부모공동양육의 일

치, 지지, 공유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문지기 행동 ‘통제’ 척도 개발: 어머니의 문지기 행동 ‘통제’ 지표 시안(18문

항)을 요인분석하여 공통성, 분산설명률, 요인적재량을 참고, 3문항을 삭제하고 최대우도

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2요인이 추출되었다. 1요인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어머니가 의사결정을 하는 내용의 11개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요인은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참여할 때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내용의 4문항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

는 1요인을 의사결정, 2요인을 관리감독으로 명명하였다.

통제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제와 어머니 문지기행동의 다른

두 하위요인인 격려와 제지는 각각 -.215(p<.005), .48(p<.001)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통

제는 부부공동양육의 하위요인인 일치, 지지, 공유와 -.24(p<.001), -.23(p<.001), -40(p<.001),

양육스트레스와 .22(p<.005), 부모역할부담과 .23(p<.001)의 상관을 보였다.

결론: 어머니의 문지기행동을 3차원 개념으로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통제’는 격려와 부

적 상관, 제지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실 통제는 가족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긍정

적 또는 부정적 방법이 아니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어머니의 선호도 아니고, 단

지 어머니가 가족의 중요한 일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통제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러

나 통제가 높은 어머니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격려는 적게 하며 제지는 많이 한

다는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통제가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어머니의 통제가 높을 때 부부간에 자녀양육에 대한 일치와지

지, 공유는 낮지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고 부모역할 부담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

어머니 문지기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통제를 중심으로

- 209 -

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정에서 통제가 높은 어머니는 양육에 대한 의사결정권을 행사

하며, 아버지에게 자녀양육과 가족의 관리를 지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가정 양립의

문제를 지니고 살아가는 취업모에게는 자녀양육이 스트레스가 되며 부모역할이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key word: 어머니 문지기행동(maternal gatekeeping), 부부공동양육(coparenting)

- 211 -

포스터발표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특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 영 미* ․ 김 형 재** ․ 홍 순 옥***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과 유아의 인성 특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한 후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인성 특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10곳을 무선표집하여 4, 5세 유아들 총 405명

을 대상으로 그들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을 측정하기 위해 장지현, 이완정(2011)의

척도를 문정연(2016)가 번안하여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담임교사에게 교사평정으로 유

아의 인성 특성은 최혜경(2005)을, 그리고 행복감은 유아행복 척도 개발 연구한 이은주

(2009)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과 유아의 인성

특성 및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과 유아의 인성 특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인성

특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 유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12 -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과 유아의 인성 특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인성 특성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과 유아의 행복감에 유

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과 유아의 인성 특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인성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과 유아의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이 유아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 어머니 아동권리존중 실행(mothers' execution of respect for child rights),

유아(young children), 인성 특성(personality characteristics),

행복감(happiness)

- 213 -

포스터발표

유아교사의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통해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정 계 숙* ․ 박 희 경**1)

연구목적: 유아교사의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통

해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공동

체를 구현하기 위한 교사의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 A도와 B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590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는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원장, 학부모, 유아, 동료교사와의 관계

에서 경험하는 만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조성연(2004)의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

척도를 수정한 신동희(2004)의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척도를 수정, 보완한 5점 Likert 척

도, 총 17문항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Spreitzer(1995)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를 토대로 이동진과 김정식(2011)이 개발한 척도를 양희정(2014)의 연구에서 유아교

사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은

정계숙, 윤갑정, 박희경(2017)이 개발한 동반자 역할수행을 위한 심리적 역량과 가치공유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14 -

를 위한 사회적 역량으로 구성된 각각 27문항과 15문항으로 총 42문항의 6점 Likert 척

도로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

관계수를 산출하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회귀분석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 검

증을 하고 유의성 검증은 비표준화 계수 및 비표준화 계수 간의 표준오차를 활용한

Sobel test(Sobel, 1982)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그리고 교육공동체 교사 역

량 간에는 .411 ~ .572(p<.001)의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80이하의

상관을 보여 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

와 교육공동체 교사 역량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매개변수인 심리적

임파원먼트를 25% 정도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193.18, p<.001). 2

단계에서는 종속변수인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의 하위요인인 동반자 역할

수행을 위한 역량과 가치공유를 위한 사회적 역량 그리고 전체 역량에 독립변수인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21%, 17%, 그리고 22%로 유의

미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하여 교

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영향력이 36%, 29%,

37%로 각각 높아졌다. 또한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 하위요인들과 전체 역량

모두에서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의 3단계 표준화 계수 값이 2단계의 표준화 계수

값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와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

사 역량 하위요인들과 전체 역량과의 각각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동반자 역할 수행을 위한 역량에서 Z값은 7.86(p<.001), 가치공유를

위한 사회적 역량에서 Z값은 7.97(p<.001) 그리고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전체 역

량에서 Z값은 9.22(p<.001)로 나타났다. Sobel Test의 Z점수의 절대값이 p<.05 수준에서

1.96 이상일 경우, p<.01수준에서 2.58 이상일 경우, p<.001수준에서 3.30 이상일 경우 매

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봄으로(MacKinnon, Lockwood, Hoffman, West and Sheets,

2002; Preacher and Hayes, 2004)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

유아교사의기관구성원과의관계만족도가심리적임파워먼트의매개효과를통해유아교육공동체구현을위한교사역량에미치는영향

- 215 -

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유아교사의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심리적 임파워먼트

의 매개효과를 통해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

과,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을 위한 교사 역량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key word: 교육공동체, 관계만족도, 교사 역량, 심리적 임파워먼트

- 217 -

포스터발표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정 계 숙* ․ 손 환 희**1)

연구목적: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에 대한 교육과 돌봄이 함께 이루어지는 곳으로, 다른 학

교 교육에 비해 유아에 대한 교사와 부모, 기관과 가정의 긴밀한 관계적 지원이 강조되

며 돌봄과 협력의 교육공동체적 특성이 더욱 필요하다. 교육공동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

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의 각 구성원들이 유아교육공동체를 구현하는 역량이 요구되

고 특히 유아와 부모, 부모와 기관의 가교 역할을 하는 유아교사의 교육공동체 구현 역

량은 다른 구성원의 역량보다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강화를 위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의 협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교

사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문제

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협력, 심리적 임파워먼트, 유아교육공동체 구

현 역량의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협력, 심리적 임파워먼트, 유아교육공동체 구

현 역량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협력,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부산대학교 SSK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18 -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방법: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협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B시와 K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 근무 중인 교사 638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협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협력은

‘정보 추구’가,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의미’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은 ‘동반자 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과 유

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협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전체 및 하위요인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중 ‘동반자

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역량’과 부모-교사 협력에 있어 ‘정보 공유’와 심리적 임파워먼

트의 ‘의미’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전체 및 하위

요인에서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부모-교사 협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육공

동체 구현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확

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사의 역량 강화 방안으로 심리적 임

파워먼트 증진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방안 모색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 word: 유아교사, 부모-교사 협력, 심리적 임파워먼트, 교육공동체 역량

- 219 -

포스터발표

그림책 속에 나타난 영유아의 대화 분석

최 병 순* ․ 한 유 미**1)

연구목적: 영유아의 언어발달은 대체로 영유아의 발화를 통해 얼마나 다양한 어휘를 사

용하는지에 대해 측정하는 어휘다양도(lexicl diverstity)를 통해 이루어져 왔다. 어휘다양

도와 함께 평균발화길이(MLU Mean Lengith of Utterance)는 영유아의 발화를 통해 언

어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된다(최현주․이지현, 2015). 평균 발화길이는

한 문장에 포함된 형태소의 수를 나타내는 수치로 영유아는 성장하면서 평균발화 길이

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의사소통은 자기중심적 언어를 통해 발달 되어 가는데 단어나

문법에 대한 지식 못지않게 언어의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한 문장도 의미에 따

라 매우 다른 뜻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영유아 언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언어의 구조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언어의 기능에 초점을 둔 연구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가 언어를 습득하기 시작하며 세상에서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의사소통 매체인 그림책을 통해 그 속에 나타난 성인과 영유아

언어의 대화를 분석하고 자기중심적 언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들의 추천 그림책 50편 중에서 단어 책이나 정보용 책과

같이 본 연구의 목적에 적절하지 않은 책 15편을 제외한, 35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

* 호서대학교 인재개발학부 유아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 호서대학교 인재개발학부 유아교육학 교수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2018. 6.)

- 220 -

다. 이 그림책들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대화를 성인과 영유아로 분류하고, 이들의 발화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1) 평균발화길이

2) 자기중심적 언어

3) 언어의 기능 Stabb(1992)의 언어의 기능 분류에 따라 성인과 영유아의 대화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에 나타난 성인의 평균발화길이는 평균 4.54(sd=4.27)이며, 영유아의 평

균발화길이는 평균 4.20(sd=2.10)으로 성인의 평균발화 길이가 0.34 컸으나 독립적 t검증

결과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431, n,s). 그림책에

나타난 영유아의 자발적인 발화 중에서 자기중심적인 언어가 차지하는 비율은 54.2%이

었고, 자기중심적 언어의 유형별로는 독백이 7.28회(sd=10.6)로 가장 높았고, 집단적 독백

2.02회(sd=4.16), 반복(0.33회(sd=0.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과 영유아가 사용한 언의의

기능을 Stabb(1992)의 언어의 기능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성인의 경우 정보의 기능이

1.93(sd=2.40)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영유아의 경우, 통제의 기능이 3.10(sd=3.34)으

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속에 나타난 영유아의 언어의 세부 기능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 언어의 기능의 세부적 특성은 통제기능 중에서 자신과 타인의 행동

통제(M=4.31)로 가장 높았고, 투사기능에서 자신을 타인의 감정에 투사(M=3.8), 정보의

기능 중 과거나 현재의 사건 언급(M=3.74)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영유아들의 추천 그림책 목록 중 35권을 대상으로 성인과 영유아의 대화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과 달리 그림책에 나타난 성인과 영유아의 평균발화

길이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영유아 그림책이 이들의 언어 발달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영유아의 자발적인 발화 중 절반 정도가 자

기중심적 언어로 나타났는데, 이는 피아제가 관찰한 사례 연구 결과(43%, 48%)보다 다소

높은 수치이다. 자기중심적 언어의 유형별로는 독백, 집단적 독백, 반복의 순을 보이고

있었다. 그림책 속 성인의 언어 기능은 정보기능, 투사기능, 사회적 욕구의 주장 기능,

통제기능, 예측 및 추론 기능의 순서를 보임에 비해, 그림책 속 영유아의 언어 기능은

통제기능, 사회적 욕구의 주장기능, 정보기능, 투사기능, 예측 및 추론 기능의 순서를 나

그림책 속에 나타난 영유아의 대화 분석

- 221 -

타내고 있다. 그림책 속 영유아의 세부 언어 기능은 자신을 타인의 감정에 투사가 가장

많고, 결론에 따라 사건 추측, 진술이 가장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유미(2016)의 이야기

나누기에서 영유아의 언어기능은 정보요청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림책 속 영유아의 언어기능은 자신과 타인의 행동통제, 자신을 타인의 감정투사로 나타

났다.

key word: 영유아, 평균발화길이, 자기중심적 언어, 언어의 기능

참가이수증

참 가 이 수 증

성명 :

소속 :

위의 사람은 본회가 주최하는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에 참가하였음을 정히 증명합니다.

주제 :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에 대한 제언

일시 : 2018년 6월 7일(목) ~ 2018년 6월 9일(토)

장소 : 제주KAL호텔

2018년 6월 7일

한 국 영 유 아 보 육 학 회 장

광고

우 리기획

칼라인쇄

연수교재

도서출판

광고기획

카다로그

각종인쇄

대표 한 건 태

충북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204번길 22-2

전 화: 043-252-3360

핸드폰: 010-4461-6360

E-mail: [email protected]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에 대한 제언

2018년 5월 28일 인쇄

2018년 6월 7일 발행

발행인 정효정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TEL. 043-234-8101 / FAX. 043-235-9101)

홈페이지 : www.kce.or.kr / E-mail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