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1

Page 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009.1

디자인서울총괄본부

Page 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Page 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Page 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1

1. 개발 개요

Page 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1. 개발개요3

1.1 배경

국제 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고 갈수록 복잡해지며, 다원화되고 있

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에서도 예외는 아니며, 이미 기업들은 이러한 현상에

응하고자 소비자 상 커뮤니케이션에 한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시 적 흐름에 맞추어 최근에는 지방 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보 전달 및 시민 의견의

적극적인 수렴과 행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지방 자치단체는 해

당 기관에 소속된 구성원의 유니폼을 통한 이미지 전달도 그 중 하나이다. 이러

한 시각 기호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중요한 표현 수단이며, 표현 방법이

다. 특히 유니폼은 현 다양한 사회에서 요구되는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과 책임감을 갖게 하여 복잡한 사회로부터 질서를 세우는 시각적 상징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서울시에서도 도시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환경도시를 위한 새로운 ‘환

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을 통하여 경쟁력 있는 세계디자인수도 서울을 지

향하고 서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근무자의 안전도 제고와 근무 능률 향상 및 전문인으로서

의 자긍심 고취, 디자인을 통한 청소 작업의 과학화 등과 같은 환경미화원들의

신변 환경에 직결되는 문제의 해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그러한 것들

의 충족을 통하여 세계디자인수도 서울을 위한 Total- Design 적용도 향상과

맑고 깨끗한 디자인 서울 이미지의 제고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유니폼은 특정 그룹의 구성원에게 입혀지고 일반에게

노출 됨으로써 특정 작업에 한 메시지 전달 매체로 작용함과 동시에 해당 기

관의 문화 및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수단인 것이다. 특히, 서울의

환경미화를 책임지고 있는 서울시 환경미화원의 입장에서 보면, 다른 어느 도시

보다도 많은 시민들에게 노출되고 빈번한 접촉을 하게 되므로 복장에 한 세심

한 주의가 필요하며, 그들의 작업환경에 있어서도 안전성, 심미성, 정체성 등이

포괄적으로 고려된 근무복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Page 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1. 개발개요 4

1.2 목적

현행 근무복은 작업능률을 고려하여 제작 되었다고는 하나, 색상 ․ 기능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인하여 안전성 확보에 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금번 사업을 통하여 직업에 한 전문성을 높이고 환경미화원의 긍지와 자부심

을 고취하고자 하며, 경쟁력 있는 세계디자인수도 서울을 지향하고 서울의 정체

성을 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1.3 개발 대상 및 범위

1.3.1 대 상 :

환경미화원 근무복(부속물 포함)

1.3.2 범위 및 내용

1) 근무복 : 디자인개발 및 실물제작,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시

․ 직 영 : 남자/여자. 하복/동복, 상의/하의

․ 행업체 : 남자/여자. 하복/동복, 상의/하의

2) 부속물 : 디자인개발 및 실물제작,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시

․ 안전보호구(안전모), 안전화, 안전조끼, 작업용 장갑, 방한용 장갑,

방한용 마스크, 방한용 귀마개 등

Page 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1. 개발개요5

1.4 추진경위

2008. 6. 18 개발 착수

2008. 7. 29 1차 중간보고

2008. 9. 9 2차 중간보고

2008. 9. 23 관계부서 회의

2008. 9. 30 1차 디자인 자문회의

2008. 10. 1 서울디자인위원회 심의

2008. 10. 7~13 ‘리서치21’ 온라인 여론조사

2008. 10. 8 공청회

2008. 10. 8~14 서울시 홈페이지 여론조사

2008. 10. 9~16 서울시 환경미화원 상 설문조사

2008. 10. 10~13 서울디자인올림픽(SDO) 선호도 조사

2008. 10. 15 2차 디자인 자문회의

2008. 10. 20~22 착용실험 및 세탁실험

2008. 11. 24 3차 디자인 자문회의

2008. 11. 25 시장님 보고

2008. 12. 11 기자설명회

2008. 12. 12 개발 완료

Page 1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1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현황 및 문제점

Page 1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1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현황 및 문제점9

2.1 서울시 환경미화원 현황

현재 6,220명(직영 3,252명, 행업체 2,968명)

2.1.1 연령별

구 분 26세 미만 26세 ~30세 31세 ~40세 41세 ~50세 51세 이상

인원(명) 3 48 335 925 1,941

% 0.09 1.48 10.30 28.44 59.69

2.1.2 남 ․ 여 구성 비율

구 분 남자 여자

인원(명) 3,.037 215

% 93.38 6.61

2.1.3 근무 장소 유형별

구분 가로 동 공중변소 휴지통 기동반중간집하재활용

기타

남 1,310 310 14 0 332 885 186

여 99 0 82 2 11 18 3

2.1.4 근무 시간대별

구분 1~2시 4~14시 9~18시 5~15시

인원(%)1,300(40%)

1,155(35.54%)

433(13.33%)

364(11.13%)

내용재활용, 폐기물

가로청소,중간집하

청소기동반공중변소 외

기타

※ 종로, 성동, 중구 조사 비율을 표본 적용 산출

Page 1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현황 및 문제점 10

2.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현황

2.2.1 동복(직영, 남성기준)

동복 지급 품목

상의

내피점퍼 포함

하의

디테일

Page 1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현황 및 문제점11

2.2.2 하복(직영, 남성기준)

하복 지급 품목

상의

하의

디테일

Page 1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현황 및 문제점 12

2.2.3 안전조끼

안전 조끼

2.3 기존 근무복의 문제점

2.3.1 동복

1) 방한, 방풍 기능 취약

2) 주 ․ 야간 식별이 어려운 색상

3) 눈과 비바람에 쉽게 젖고 잘 마르지

않는 겉감 소재

4) 안전띠 별도착용에 따른 불편함

5) 다양한 색채 사용으로 시각적 혼란

초래

6) 동절기 저온에서 반사율 격감 및 파손

가능성 증 되는 안전조끼의 반사

테이프

7) 자치구별 디자인의 일관성 부재 및 아이덴티티 정립 난해

Page 1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현황 및 문제점13

2.3.2 하복

1) 어두운 색상 사용으로 식별성 불충분

2) 하절기 안전 조끼 착용시 체감온도가

40도 이상으로, 신체적, 정신적 위험

초래

3) 기능성, 통기성 부족으로 쾌적한 작업

환경 저해

4) 하의에 한 안전 책 전무

5) 자긍심을 느낄 수 없는 복장

6) 자치구별 디자인의 일관성 부재 및

행업체에 한 근무복 미지급 등 아이덴티티 정립 난해

2.4 현황분석 결과

기존 근무복의 문제점 및 근무자의 현장상황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 근무복

제작 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개선하도록 한다.

2.4.1 동복 체크리스트

1) 내피 개선 ⇒ 탈․ 부착형 내피

2) 겉 자켓 안전발광 소재 위치, 폭 고려

3) 보온성, 향균, 방취, 소재 고려

4) 전체칼라 통일성에 UNIQUE성 고려

5) 팔, 다리 부분 안전성과 오염 방지 고려

6) 부속물과의 색상조화, 디자인 통일감 고려

7) 바지 내구성과 보온성 고려 (스트링 부착)

8) 움직임 부분의 여유 패턴 고려

9) 눈, 비바람에 한 보온성 부속물 고려

10) 주목성, 안전성 고려

Page 1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2. 현황 및 문제점 14

2.4.2 하복 체크리스트

1) 가볍고 세탁이 용이 ⇒ 속건성 확보

2) 충분한 포켓 사이즈, 해지는 부분 디자인 고려 (무릎, 허리, 팔)

3) 활동성, 편의성, 소재 (통풍, 땀 흡수) 고려 ⇒ 기능소재

4) 색상 디자인의 독창성 고려

5) 안전 티 발광부분 위치와 무게감 고려

6) 하의 : 바지주머니 ⇒ 단추, 부직포, 밑단 스트링 장치 고려

7) 상의 : 팔, 등 부분 통풍디자인 고려

8) 액세서리(부속물) ⇒ 덥지 않고, 안전한 실용성 고려

9) 주목성 고려

2.4.3 간절기 체크리스트

1) 우비 + 바람막이 고려

2) 안전띠를 하지 않고 직접 부착 방법 고려

3) 상의 : 팔, 등 부분 통풍디자인 고려

4) 충분한 포켓 공간 확보 고려

5) 긴팔 부분 조여짐 고려

6) 헤짐 방지 고려 (팔 토시, 다리 토시)

7) 내구성 소재 고려

Page 1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국내외 사례분석

Page 2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2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국내외 사례분석17

3.1 해외사례 분석

3.1.1 조사 개요

1) 방 법

인터넷조사 및 문헌조사, 방문조사 등

2) 조사대상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 브라질 등 유럽 및 미주권,

일본, 중국, 홍콩 등 아시아권

3) 조사범위

근무복 및 부속물, 청소차량 및 청소도구 등

3.1.2 주요 조사 내용

1) 직업 및 작업환경을 고려한 기능적 ․안전성

2) 각 나라의 정체성 및 도시환경과의 이미지 조화

3) 공공직업으로서의 전문성과 신뢰성 부여

4) 유니폼 개념의 디자인 및 색상

5) 다양한 연령층과 조화되는 디자인

6) 근무복과 부속물(안전조끼, 안전모, 안전화, 장갑 등)의 조화

3.1.3 해외사례 조사 결과

1) 각 나라별 고유 색채에 대한 특성과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도시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면서 정체성을 대변하는 디자인 및 색채

2) 근무복, 청소도구, 청소차량 상호간에 일관된 색채 적용으로 통일감 부여

독일,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

3) 자연 및 도시 환경과 기후 등을 고려한 소재 및 색채 적용

문화, 자연환경, 사상, 종교 등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 등의 특성이 반영

4) 기능과 안전을 위한 발광소재 처리

안전을 위해 부분 상 ․ 하의 및 안전조끼에 일체형으로 부착

발광소재의 색상, 재질, 모양 등 각 지역별로 다양하게 분포

Page 2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국내외 사례분석 18

3.1.4 사례

근무복 및 청소차 발광소재

근무복 및 청소도구 근무복 및 장갑 발광소재

근무복 및 청소도구 근무복 및 청소차 발광소재 및 장갑

근무복, 안전조끼 근무복 및 청소도구 발광소재

Page 2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국내외 사례분석19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발광소재

근무복 및 청소도구 필라델피아 뉴욕

근무복 및 청소도구 근무복 및 청소도구 상파울로

기타

부속물

모자․장갑 ․ 안전조끼 장갑(연결고리 有) 장갑

Page 2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국내외 사례분석 20

안전띠

유형

발광소재 및 장갑 근무복, 안전띠, 장갑 근무복에 안전띠

안전띠

유형

안전조끼(로고) 안전띠 안전띠

근무복(남) 및 청소차, 안전조끼 여성 환경미화원

중국

/

홍콩

중국 상하이 중국 상하이 홍콩

Page 2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국내외 사례분석21

3.2 국내사례 분석

3.2.1 조사 개요

1) 방법

인터넷조사 및 기관연락을 통한 자료조사 등

2) 조사대상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의정부시 등

3) 조사범위

근무복 및 부속물, 타 기관 유니폼

3.2.2 주요 조사 내용

1) 서울특별시 환경미화원의 작업환경 및 근무복 현황, 연령별, 남녀구성비, 근무

장소, 근무 시간 등 전반적 현황

2) 시민 공모전을 통하여 환경미화원 근무복을 개발한 부산광역시와 5개의 디자

인(안)에 한 품평회를 거쳐 디자인을 확정한 울산광역시 자료조사

3) 기타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권의 환경미화원 및 국내외 관광객이 많은 문화유

산의 본고장 경주시 현황조사

3.2.3 국내사례 조사 결과

1) 디자인 및 색채의 조화성, 연계성 부족

2) 안전조끼의 단점

야간작업 시에‘안전표지판’으로 인식되고, 안전띠의 폭이 넓으며, 소재

(유리분말)의 특성상 무겁다.

3) 투박한 디자인 및 어두운 색상

4) 소재 선택에 있어 환경과 기후적인 영향 미반영

현 CVC 소재는 통풍성(여름)과 보온성(겨울) 미흡

Page 2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3. 국내외 사례분석 22

3.2.4 사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하복․동복)

근무복 안전조끼(발광소재)

근무복(상․하) 방한외투 안전화․모자

삼성에버랜드(동복․ 하복)

서울시 녹지사업소 유니폼(‘07년도)

Page 2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Page 2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2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25

4.1 디자인 전략

전략 1 클린도시 서울의 이미지 정립을 위한 상징성

전략 2 능률적 활동, 작업효율 증대를 위한 기능성

전략 3 환경미화원의 기본적 권리 보장을 위한 안전성

전략 4 미적 요소 및 근무자의 자긍심을 고려한 심미성

전략 5 방한 ․ 투습 ․ 속건 ․ 방오 기능의 충실을 고려한 소 재

전략 6 사계절 도심 가로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색 상

4.1.1 소재적용 기본방향

1) 생리위생 기능성

오염방지 및 오염제거 용이한 방오가공 필수

2) 안전성(가시성)

안전성 조끼, 장갑, 안전모, 재귀반사 소재 ⇨ 주․ 야간 주목성 강조

3) 흡한 속건성

땀 흡수, 빠른 건조유지 ⇨ 쾌적성 유지

4) 내구성

특정부위, 손상, 오염으로 잦은 세탁 ⇨ 내구성 소재 필수

5) 내일광성

일광 노출 ⇨ 보호 소재 필수

6) 취급용이성

세탁, 마찰, 보관 용이한 합성섬유 소재 고려

7) 보온성

기온변화 열손실 ⇨ 내피 및 보온성 강한 소재 고려

Page 3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26

4.1.2 심미성 ․ 정체성 확보

1) 서울만의 특성 표현

서울만이 갖는 고유 색채, 특성과 이미지를 표현하고 클린도시 서울의 이미

지를 부각할 수 있는 색상 및 디자인 적용

2) 디자인아이덴티티 확보

서울하면 인지되는 디자인아이덴티티 확보

3) 다양한 여건을 고려

다양한 연령층, 성별, 체격 등의 여건을 고려한 디자인개발

4.1.3 기능 ․ 안전성 확보

1) 기능성 향상을 위한 소재 개발

계절별 적합한 소재 개발로 작업능률 향상

2) 안전장치(안전띠)는 색상, 모양, 위치, 폭, 설치방법 등을 신중하게 검토 적용

► 유형 :

해당 품목(근무복, 안전조끼, 안전모 등)별 일자형, V형, X형

► 위치 :

상의(몸체, 소매 부위), 하의, 안전조끼 등에 적정위치 검토

► 폭 :

3㎝~5㎝등 다양하게 검토

► 설치방법 :

의상에 직접 바느질하는 방법, 테이핑 등

4.1.4 직업인으로서의 긍지와 자긍심 부여

색채 및 디자인 개발, 기능성 제고 등을 통한 환경미화원의 자긍심 고취

Page 3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27

4.2 디자인 개발 초기단계

4.2.1 디자인 컨셉

1

서울시만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기존의 틀을 탈피한 창의적 디자인

방향 창의적 디자인(안)

상의

․ 칼라속 모자 부착하여 실용성 부여․ 소매, 어깨 부분 포인트 배색 처리․ 안전띠의 모양, 형태 변형으로 변화감 부여․ 옆 지퍼 포켓으로 분실방지․ 전면 안전띠 창의성 부각 ․ 뒷면 안전띠는 깔끔한 이미지 유도․ 소매 끝 지퍼처리로 작업시 편리성 확보

하의

․ 허리 고무줄 주름으로 사이즈에 맞는 착용감 확보 / 무릎 주름처리로 활동성 고려

․ 포켓 공간 충분히 확보(하복․동복 6개)․ 하단 안전띠(2줄) 처리로 안전성 확보 / 스트링처리로 신장에 따른 길이 조절용이

2

안전성을 강조하고 기존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무난한 스타일

방향 기존 근무복 개선(안)

상의

․ 칼라속 모자 부착하여 실용성 부여․ 앞면의 V형은 활동성 및 역동성 부여․ 허리선 밴드처리로 사이즈에 맞게 품 조절 가능․ 옆 지퍼 포켓으로 분실방지․ 안전띠를 상․중․하 3단으로 배치․ 소매 끝 지퍼처리로 작업시 편리성 확보

하의 공통

3

맑고 쾌적한 도시이미지를 표현한 세련된 유럽형 스타일

방향 국내․외 사례조사 후 제안

상의

․ 노카라, 라운드형(찍찍이)으로 편리성 부여․ 내피 스탠 카라로 점퍼의 보온성 보완․ 지퍼가 보이지 않게 덮개처리․ 뒷면 고무줄 처리로 사이즈에 맞는 착용감 확보․ 입술형태 포켓으로 편리성 확보․ 중 ․ 하단에 안전띠 부착․ 소매 포켓으로 디자인요소 확보

하의 공통

Page 3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28

4.2.2 원단과 부자재

구분 품명 규격 용도

주재료 원단

하복

겉감용 쿨맥스 100%

속감용 쿨맥스 100%

동복

겉감용 나일론 90%폴리에스테르 10%

속감용 폴리에스테르 100%

부재료

안 감지 폴리에스테르 100% 안감용 (망사)

단추

바지 단추 18mm 앞 채움용

셔츠 단추 13mm 앞 채움용

스냅단추 황동 무광 15mm 앞단 바람막이, 채움

재봉사 아크릴 30수, 미싱실 봉제용

지퍼 5호 플라스틱 지퍼 5호 상의 자켓 채움용

지퍼 3호 황동 지퍼 3호 바지 지퍼

지퍼 3호 플라스틱 지퍼 3호 자켓 주머니용

구멍쇠 황동 6mm 스트링 조임용

부직포 부직포-나일론 바지주머니용, 옆조임

안전 띠 발광 테입

자치구 마크 구청 표시용

Page 3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29

4.3 디자인 선정을 위한 주요 회의 결과

4.3.1 제3차 중간보고회

1) 일시

2008. 9. 9(화) 16:30 ~ 17:30

2) 장소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실

3) 발표내용

총 4개의 디자인(안) 제시

▶기존 제시안(1,2,3안)

1안 2안 3안

▶보완된 4안

이미지 전면 배면

Page 3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30

4) 회의결과

▶ 디자인 컨셉 보완

각각의 시안에 한 서울시만의 아이덴티티 보강

▶ 시민설문조사 실시

현재의 4가지 안을 3가지 안으로 정리하고, 1가지 안은 상하의 동일색 안

을 준비하여 인터넷 설문조사 실시

▶ 관계부서 의견수렴 철저

4.3.2 관계부서회의

1) 일시

2008. 9. 23(화) 14:00 ~ 16:00

2) 장소

서소문청사 13층 소회의실②

3) 발표내용

1 ․ 2 ․ 3안과 보완된 4안 샘플 등 총 4개(안) 제시

▶기존 제시안(1,2,3안)

▶ 4안

Page 3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31

4) 회의결과

▶ 4안을 조정하여 보완된 안을 제시.

차이나칼라(Collar) 삭제, 뒤주름선 및 하의 조임끈 삭제, 하복 반사테이

프 위치 조정, 하복 안전조끼 체안 요청 등

▶ 4안의 조정안을 포함한 최종 두 개의 안으로 시민선호도 조사 실시

4.3.3 자문회의

1) 일시

2008. 9. 30(화) 14:00~16:30

2)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회의실(2층)

3) 주요 자문내용

○ 디자인 방향

- 정체성을 담은 컨셉이 필요, 강력한 의미를 부여해야 함.

- 제안된 주황색과 조화로운 배색이 요구됨

: 4안을 두 가지 칼라로 제작하여 비교하는 것도 방법일 것임

○ 디자인(안)의 현실성

- 실현가능한 디자인인지 검증이 필요함.

- 디자인을 버리고, 과감하고 심플하게 보완해야 함

- 하복 안전조끼는 덧입는 느낌이 없고, 세탁에 강한 소재로 재디자인

- 근무자 현황조사결가 반영되었는지 피드백 필수

Page 3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32

○ 디자인 디테일

- 안전모 착용시에 비하여 안전모에 한 디자인도 제안되어야 함

- 근무자들에게 관리가 손쉬운 단추로 교체

- 뒷부분 셔링은 허리옆쪽으로 똑딱이 단추 등을 이용하도록 수정.

- 옆선에 반사테이프 만나는 부분처리를 미려하게 하고, 어긋나지 않도록

정리 등

4.3.4 서울디자인위원회 자문

1) 회차 : 제48차 서울디자인위원회

2) 건명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안) 자문

3) 일시 : 2008. 10. 1(수)

4) 자문결과 :

▶ 바지의 짙은 녹색은 주황색과 비가 너무 강하고 오염이 쉽게 노출되므로

보다 밝은 색채로 변경 검토 필요

▶ 하복과 동복이 하나의 이미지로 느껴지도록 색채 등의 통일 권장

▶ 오랜 기간 형성된 시민들의 인지도 및 안전을 감안하여 적정색상의 적용을

권하며, 이 경우 동복의 내피도 동일하게 하여 통일감 부여 필요

▶ 하절기 조끼는 착용시 덥지 않도록 디자인 필요

4.3.5 공청회

1) 일시 : 2008. 10. 8 (수) 09:30 ~ 12:00

2) 장소 : 후생동 4층 강당

3) 참석자

․ 토론위원 6명

․ 시민단체, 디자인관련 학 ․ 협회, 디자인 전문가 및 관련분야 관계자

․ 실국 담당공무원, 자치구 담당공무원, 유관기관 관계자 등 약 200명

Page 3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33

4) 공청회 결과 의견

▶ 안전조끼 등을 개선하여 안전도를 확보하면서 유니폼의 색은 정돈 되어야

▶ 시범적용기간 등을 거쳐 문제점을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 있음

▶ 지속적 관리와 재정적 지원이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함

▶ 무엇보다도 기능성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고, 더불어 도시에서 많이 노

출되므로 심미성에 주안을 두어야 함(도시의 이미지를 가미하여 정체성 확

보)

▶ 디자인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인체공학적인 고려와 그에 따른 소재개발

로 내오염성, 내구성 등에 한 개발이 시급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개발시 거리의 풍경 고려

: 도시 환경의 가로구성요소와 함께 어우러져 실용성과 미적 쾌감의 통일성

을 확보해야 함

▶ 환경미화원의 요구사항, 문제점 보완, 개선점 등의 반영 여부 검토 필요

▶ 제공된 근무복에 한 착용 규칙이 필요하며, 공감 형성을 위한 홍보 요

구됨

▶ 환경미화원의 의견이 최 한 반영되어 입는 사람들이 불편해 하지 않도록

색과 디자인보다는 작업자를 고려하는 작업의 편의성, 안전성 확보 등 세

심한 배려가 필요

▶ 특히 하절기에 느끼는 근무자의 체감온도가 40~50도 정도로 안전조끼 착

용은 원치 않으므로 체수단 강구 필요

▶ 통일되고 일관된 부속물 및 액세서리 디자인 필요

▶ 하복의 티셔츠는 현재의 디자인보다는 남방형식이 좋음

▶ 제안된 소재가 실현가능한 것인지 고려 필요

Page 3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34

4.4 디자인 개발 방향설정을 위한 조사 등

4.4.1 조사의 필요성

이번 조사는 용역수행 결과에 한 실현가능성을 개진하기 위하여 ‘시민과

함께하는 디자인 시정(市政)’에 따른 시민참여는 물론, 실제 착용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미화원과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을 종합하여 환경미화원 근무복을

확정하는 광범위한 범위에서의 디자인 시정의 전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디자인측면 뿐 만 아니라 실용성, 안전성, 정체성 등이 충분히 적용된

환경미화원 근무복의 실현을 위하여 착용 및 성능 시험 등과 같은 조사도 병행

실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향후 환경미화원 근무복 개선 관련 정책을 합리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4.4.2 조사 방법

조사 방법은 크게 시민 및 환경미화원을 상으로 한 ‘선호도 조사’, 성능

및 착용감 등을 파악한 ‘착용 및 성능 시험’의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하였으

며, 디자인(안) 및 샘플복 등에 한 전문가 자문회의 등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선호도 조사’에서는 이메일 설문조사, 홈페이지 설문조사,

서울디자인올림픽(SDO) 현장 설문조사, 환경미화원 상 설문조사의 4가지 방

법으로 진행하였고, ‘착용 및 성능 시험’에서는 환경미화원이 실제 작업환경

에서 착용하여 외관 디자인, 기능성, 안전성, 세탁성능, 오염 및 훼손도 등을 시

험하였고,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Page 3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35

4.4.3 선호도 조사

1) 이메일 설문조사

①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안) 의견수렴

■ 조사기간 : 2008년 10월 7일 ~ 10월 12일 (총 6일)

■ 조사대상 :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3세 ~ 만 59세 이하의 남녀

■ 조사방법 : 인터넷 조사기관이 보유한 서울시 거주 소비자 패널에

하여 메일 발송 후 이메일 설문(176,182명)

■ 조사내용 : 환경미화원 근무복에 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등

② 조사결과

■ 응답자 특성

조사결과에 의하면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 60.5%, 여성39.5%로 구성

되었으며, 연령별 구성은 20 가 36.5%, 30 32.4%, 40 이상

22.8% 로 조사되었다.(N=53,659)

32,477 21,27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성별

남 여

4,448 19,569 17,387 7,980 4,26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연령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 환경미화원 근무복에 대한 문제점

◦ 현재 서울 시민이 인식하는 환경미화원 근무복의 문제점은 '복장 통일

Page 4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36

감', '청결 부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인식은 성별

/연령별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음.

(%)

7.1

21.328.4

43.2

0

10

20

30

40

50

신발/모자/청소도구등의 통일감 결여

오염으로 인한 청결도 미흡

유니폼으로 느껴지지않음

기타

구분신발/모자/

청소도구 등의 통일감 결여

오염으로 인한 청결도 미흡

유니폼으로 느껴지지 않음

기타

성별남성(N=32,477) 42.3 28.4 23.1 6.2

여성(N=21,173) 44.7 28.5 18.5 8.4

연령

10대(N=4,448) 45.2 23.6 20.6 10.6

20대(N=19,569) 40.8 29.8 21.8 7.6

30대(N=17,387) 42.6 28.5 21.9 7.0

40대(N=7,980) 47.8 27.0 20.5 4.7

50대(N=4,263) 46.5 29.7 18.3 5.5

■ 환경미화원 근무복 개선 방향

◦ 서울 시민은 환경미화원 근무복 개선을 위해 서울시가 '기능성 및 안

전성', '조화성'의 순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음.

◦ 여성은 '기능성 및 안전성', 남성은 '조화성'에 한 의견이 상 적으로

높아 다소의 시각 차이가 나타남. 이는 여성이 좀 더 실용적인 시각에

서 문제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임.

(%)

1.57

26.9

64.7

010203040506070

기능성 및 안전성 조화성 편의성 기타

Page 4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37

구 분기능성 및

안전성조화성 편의성 기타

성별남성(N=32,477) 61.5 30.8▲ 6.4 1.3

여성(N=21,173) 69.5▲ 21.0 7.9 1.7

연령

10대(N=4,448) 55.9 31.4 10.6 2.0

20대(N=19,569) 63.5 26.8 7.7 1.9

30대(N=17,387) 66.9 26.5 5.3 1.3

40대(N=7,980) 67.2 25.9 6.2 0.8

50대(N=4,263) 65.0 26.3 8.0 0.7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안) 선호도

◦ 서울 시민은 환경미화원 근무복(안) 중 '유럽형 스타일'에 한 선호

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성별에 따른 의견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며, 10 를 제외하고 나머지

연령 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남.

1안 2안 3안

서울시만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기존의 틀을 탈피한 창의적 디자인

안전성을 강조하고 기존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무난한 스타일

맑고 쾌적한 도시이미지를 표현한 세련된 유럽형

스타일

(%)4.7

64.1

19.911.3

0

10

20

30

40

50

60

70

1안 2안 3안 없음

Page 4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38

구 분 1안 2안 3안 없음

성별남성(N=32,477) 11.7 18.7 65.1 4.6

여성(N=21,173) 10.8 21.7 62.6▲ 5.0

연령

10대(N=4,448) 20.7▲ 19.6 49.6 10.2

20대(N=19,569) 11.1 19.5 63.8 5.6

30대(N=17,387) 10.5 18.7 67.2 3.6

40대(N=7,980) 9.7 21.5 65.9 3.0

50대(N=4,263) 9.2 23.3 64.8 2.7

■ 환경미화원 근무복 선호 디자인 이유

◦ 어떤 디자인이든지 '눈에 잘 띄는 디자인'의 이유가 가장 중요한 선호

이유로 나타나고 있음.

◦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인 '유럽형 스타일'은 '깔끔한', '세련된'의 순으로

나타나 안전성과 디자인 측면에서 고른 분포가 나타난 반면,'무난한

스타일'은 '눈에 잘 띄는', '안전성을 고려한'과 같이 안전성만 고려한

디자인으로 인식되고 있음.

Page 4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39

■ 환경미화원 근무복 색상 선호도

(%)

23.226.3

50.5

0102030405060

<상의> Green<하의> Dark Blue

<상의> Orange<하의> Blue

<상의> Orange<하의> Dark Green

구 분<상의> Green

<하의> Dark Blue

<상의> Orange

<하의> Blue

<상의> Orange

<하의> Dark Green

성별남성(N=32,477) 51.0 29.0▲ 20.0

여성(N=21,173) 49.8 22.0 28.2▲

연령

10대(N=4,448) 45.0 23.6 31.4

20대(N=19,569) 53.0 23.2 23.9

30대(N=17,387) 51.8 28.4 19.8

40대(N=7,980) 47.1 29.0 24.0

50대(N=4,263) 46.3 29.4 24.3

2) 홈페이지 설문조사

①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안) 의견수렴

■ 조사기간 : 2008년 10월 8일 ~ 10월 14일 (총 7일)

■ 조사대상 : 서울시 홈페이지 회원 10만 명 및 인터넷 여론조사 방문자

■ 조사방법 : 이메일을 통한 자기기입식 인터넷 여론조사

■ 조사내용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안) 선호도 / 색상 선호도

② 조사결과

■ 응답자 특성(서울시민 2,219명 포함 전체 응답자 3,962명)

◦ 성별 : 남자(56.9%), 여자(43.1%)

◦ 연령 : 20 이하(26.3%), 30 (48.1%), 40 (16.3%), 50 이상

(9.4%)

Page 4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40

◦ 거주 지역 : 서울(56.0%), 경기/인천(21.6%), 그 외(22.4%)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안) 선호도

◦ '유럽형 스타일'에 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12.833.8

53.4

0102030405060

1안 2안 3안

■ 환경미화원 근무복 색상 선호도

(%)

21.535.3

43.3

01020304050

<상의> Green<하의> Dark Blue

<상의> Orange<하의> Blue

<상의> Orange<하의> Dark Green

3) 서울디자인올림픽(SDO) 현장 설문조사

①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안) 의견수렴

■ 조사기간 : 2008년 10월 10일 ~ 10월 13일 (총 4일)

■ 조사대상 : 서울디자인올림픽(SDO) 관람객

■ 조사방법 : 전시를 통한 실물샘플 투표

■ 조사내용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안) 선호도

Page 4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41

② 조사결과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안) 선호도(N=2,597)

◦ 환경미화원 근무복(안) 중 '유럽형 스타일'에 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49.8

17.632.6

0

10

2030

40

50

60

1안 2안 3안

4) 환경미화원 대상 설문조사

①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안) 의견수렴

■ 조사기간 : 2008년 10월 10일 ~ 10월 17일 (총 8일)

■ 조사대상 : 서울시 환경미화원

■ 조사방법 : 설문조사

■ 조사내용 : 환경미화원 근무복의 개선 방향 / 디자인(안) 선호도/

/ 색상 선호도

② 조사 결과

■ 환경미화원 근무복 개선 방향(N=2,840)

(%)0.1

23.6

23.8

52.6

0

10

20

30

40

50

60

기능성 및 안전성 조화성 편의성 기타

Page 4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42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안) 선호도

◦ '유럽형 스타일'에 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34.227.5

38.3

00

10

20

30

40

50

1안 2안 3안 없음

■ 환경미화원 근무복 색상 선호도

(%)

22.730.7

46.6

0

10

20

30

40

50

<상의> Green<하의> Dark Blue

<상의> Orange<하의> Blue

<상의> Orange<하의> Dark Green

5) 선호도조사 결과 종합

■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안) 선호도

구 분 1안 2안 3안 없음 계

이메일 조사 6,062 10,676 34,390 2,522 56,650

홈페이지 조사 507 1,339 2,114 3,962

SDO 현장 조사 846 457 1,294 2,579

환경미화원 조사 970 780 1,086 4 2,840

총계득표수 8,385 13,252 41,884 2,526 66,031

% 12.7 20.0 63.4 3.9 100.0

Page 4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43

■ 환경미화원 근무복 색상 선호도

구 분<상의> Green

<하의> Dark Blue

<상의> Orange

<하의> Blue

<상의> Orange

<하의> Dark

Green

이메일 조사 27,093 14,109 12,448 53,650

홈페이지 조사 1,715 1,398 849 3,962

환경미화원 조사 1,329 869 642 2,840

총계득표수 30,137 16,376 13,939 60,452

% 49.8 27.1 23.1 100.0

4.5 착용 실험 및 세탁 실험

4.5.1 착용 실험 개요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최종안 제작에 앞서 환경미화원이 직접 착용하여 작

업 현장에서의 기능성 및 안전도 등을 검토

1) 주요 내용

▢ 다양한 작업환경에서의 주 ․ 야간 안전도 검토

▢ 작업 시 활동영역 및 행태에 따른 현장 활동 적합성 평가

▢ 작업환경에서 색상별 가시성 검토

▢ 소재(원단 및 부자재 등)의 적정성 등 검토

2) 기간 및 일정 : 2008.10.20~22(3일간)

주요일정 비고

10/20(월)착용 실험 : 주간, 야간 피험자: 6명 / 평가단: 6명

10/21(화)

10/22(수) 세탁 및 건조 실험 및 결과 분석

Page 4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44

3) 추진 방법

▢ 실험복 구성(6벌)

① ② ③ ④ ⑤ ⑥

Orange Light-Green Green

▢ 피험자 선정 : 6명 (환경미화원 근무자, 남자 6명)

▢ 평가단 구성 : 6명 (디자인서울총괄본부, 클린도시담당관, 서울시청노동

조합 위원, 디자인자문위원)

▢ 체크리스트 작성 : 근무복 외관 및 활동적합성 평가, 소재만족도 조사 등

4.5.2 주간 실험 진행

1) 주간 실험 개요 : 환경미화원 6명으로 구성

▢ 장소 : 서울시청노동조합사무실

▢ 참석 : 클린도시담당관(2), 25개 자치구지부장 참석

▢ 날씨 : 한낮 최고온도 26°

Page 4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45

2) 외관 평가

▶ 오렌지 + 블루(동복)

◦ 색상 : 기존의 오렌지색상과 유사하여 친숙한 이미지

◦ 패턴 : 뒷면의 가로선은 시인성이 좋으나, 전면의 패턴에 해서는 창의

적이라 좋다는 의견과 혼잡스럽다는 두 가지 의견이 있음

▶ 오렌지 + 다크블루(하복)

◦ 색상 : 원거리에서 상하의 색상조화가 깔끔하고 세련되어 보임. 그러나

짙은 색 셔츠와 바지는 여름에 덥다는 의견 다수 있음

◦ 패턴 : 창의적 디자인을 표현하기에는 작업자가 계속 몸을 숙여서 작업

하기에 기능적 특성상 전면에서의 표현이 비효과적임.

◦ 안전조끼 : 망사타입이면서 색감도 좋아 근무자가 선호함. 그러나 한여

름 착용은 작업상 불편을 초래함

Page 5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46

▶ 형광그린 + 블루(동복)

◦ 색상 : 눈에 가장 잘 띄는 색상임, 그러나 오염에 약하고, 동절기에 시각

적으로 추워 보이는 단점이 있음

◦ 패턴 : 가로선의 시인성이 가장 탁월함

◦ 하의 반사테이프 위치 : 무릎 바로 아래에 부착하여 안전성 확보 필요

◦ 상의길이 : 허리아래 10~15cm만 원하고 있음.

▶ 형광그린 + 블루(하복)

◦ 색상 및 패턴에 한 의견 : 동복과 같음

▶ 그린 + 블루(동복)

◦ 색상 및 패턴 : 시인성이 떨어지고 그린칼라가 외부에서 너무 희미하게

보여 매우 부정적인 반응

Page 5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47

▶ 그린 + 블루(하복)

◦ 색상 및 패턴 : 시인성이 떨어지고 그린칼라가 외부에서 너무 희미하게

보여 매우 부정적인 반응

3) 기능성 평가

▶ 하복

셔츠

- 여름에 입기에는 더운 소재,

- 겨드랑이 부분에 통풍 장치 필요

- 안전조끼 없이도 안전 확보가 가능하도록

반사테이프 부착 필요

- 색상은 동복과 동일한 색상으로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

바지

- 벨트 고리 위치 조정 필요 (옆선 및 뒤 중앙

일치. 벨트를 두껍게 하여 안정감 확보 필

요)

- 청량감이 확보된 소재 적용 필요

간절기

셔츠

- 더운 소재, 무거운 색상

- 색상은 동복과 일체되는 동일한 색상으로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

Page 5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48

▶ 동복

상의

- 겨드랑이부분 통풍 장치 필요

※ 원단의 문제가 다수 발생

- 원활한 작업을 위해 소매부분 조임 필요

- 근무자 여건에 따라 조임 조절방식 적용(부직포, 스

냅단추 등)

- 방한용 소매내부 안감필요 (기존 동복 참고)

- 오염이 가장 쉬운 목 부분에 안감을 덧대거나 짙은

색(바지색 등)으로 교체 필요.

- 일체화된 후드 필요 재확인.

- 왼쪽 팔 부분 주머니 적용 필요성 검토 필요

바지

- 원단 질감에 위화감(우비 소재 같이 느껴져 매우

부정적)

- 안감에 땀 배출과 통풍이 안 되므로 원단교체 필요

- 기존의 동복 바지처럼 안감을 대어 고무줄 조임 처

리 필요

- 벨트 고리 위치 조정 필요(뒤 중앙일치 및 벨트 고

리 안정감 두껍게 요망)

- 벨트와 허리 부직포의 병행 필요성 재고 필요

Page 5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49

4.5.3 야간 실험 진행

1) 야간 실험 개요 : 환경미화원 근무자 4명으로 구성

◦ 시민여론조사 및 선호도가 높은 두 개안에 하여 평가

2) 외관 평가

▶ 오렌지 + 블루

◦ 오렌지색과 다크블루가 비되면서 오렌지색상이 두드러져 보임

▶ 형광그린 + 블루

◦ 상의 야광그린색이 야간에도 잘 보임

◦ 그러나 반사테이프와의 명도차가 적어 단일색으로

보임

◦ 발광시에는 문제 없음

Page 5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50

▶ 반사 성능 실험

◦사선패턴의 반사테이프가 장거리에서 시각을 혼란스럽게 하고, 전체적으

로 반사테이프의 부착량이 많음, 적절한 사용량의 필요

가로등 아래에서 빛 반사시 어두운 곳에서

4.5.4 세탁 성능 실험

1) 세탁 후 성능 평가

야광그린원단의 오염도 반사테이프

- 때가 잘 지지 않음(소재 및 색상 두 가지 모두 원인으로 보임)

⇨ 원단 및 색상 재검토 및 방오가공 필요성

- 세탁 후 훼손 상태 심각(원단별로 훼손 부위와 형태가 상이)

- 긁힘 현상 있음

- 스크래치 부분이 훼손되면서 벌어지는 현상 발생

2) 오염 및 훼손 평가

단시간의 테스트로는 평가가 불가하여 피험자에게 기존유니폼 착용시의

오염부위와 훼손부위에 하여 설문

▶ 오염이 쉬운 부위

Page 5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51

◦ 상의 : 목부위, 소매끝,

◦ 하의 : 바지끝

▶ 훼손이 쉬운 부위

◦ 상의 : 옆구리(소매와 맞닿는 부분으로 작업 시 반복적 동작에 의

함), 목칼라

◦ 하의 : 바지밑단, 가랑이부분, 엉덩이

4.5.5 실험 결과 종합

실험결과 내용을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검토 ․ 보완하고, 디자인 개발안에

한 최종결과 방향을 설정함

1) 회의 일시

2008.10.24(목)

2) 회의 주요 결과

◦ 3안의 색상 및 패턴을 보완하여 안전도 및 기능성 제고

◦ 기능성 원단으로 교체

◦ 세탁 성능이 뛰어난 고휘도 테잎으로 반사테이프 교체

3) 결과 종합

◦ 색상 평가 결과

▸ 오렌지색보다 형광그린색이 주 ․ 야간 시인성이 상 적으로 양호하며,

오염에 취약한 부분은 원단에 방오가공(테프론)을 필수적으로 적용하

여 보완하여 방오성 확보

▸ 하복셔츠는 좀 더 밝은 색으로 하여 더워 보이거나 답답해 보이지 않

도록 하며, 안전조끼는 착용하지 않도록 함

◦ 패턴 평가 결과

▸ 가로작업시 전면의 사선패턴이 잘 안보이고, 가로선이 시인성이 확보

되어 있으며, 야간반사성능평가 결과 사선의 패턴은 혼란스러운 이미

지를 주고 있어 가로선 지정이 바람직함, 또한 적절한 반사테이프를

부착하여 시각적 혼란을 방지할 것

Page 5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4. 디자인 개발 방향 52

◦ 원단 성능 평가 결과

▸ 동복원단 - 고기능성 원단으로 교체(방풍 및 방투습도 확보)

▸ 하복원단 - 가볍고 시원한 소재 적용

◦ 세탁 후 평가 결과

▸ 열압축하여 원단에 부착한 반사테이프의 훼손이 심각함.

- 원단에 재봉하여 부착할 수 있고, 잦은 세탁 후에도 견고한 고품질

반사테이프를 부착하여 안전도 및 퀄리티를 확보할 것

Page 5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5.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 최종 결과

Page 5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5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5.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 최종 결과55

5.1 근무복 디자인 개발 리뷰

환경미화원 근무복에 한 디자인 전략을 바탕으로 전개된 디자인 개발 과정

에서 수차례의 자문회의 및 선호도 조사 등을 통하여 색상에서는 형광연두색을

적용하고, 환경미화원에 한 착용실험을 통하여 원단의 기능성 및 안전도 확보

를 위한 기능성 개선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최종 단계에서는 디자인, 색상, 패턴, 기능성, 안전도 등이 확보된 두 가지 디

자인 가운데 혼란스러운 가로경관에서도 시인성 확보가 용이하고, 친환경도시로

서의 서울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상 ․ 하의 동일 색상의 디자인

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하복 및 기타 부속물에 한 디자인도 순차적

으로 진행하여 디자인을 확정하였으며, 환경미화원 근무복 보급에 맞추어 그 결

과를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서울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근무복 및 부속물의 세

부 규격, 로고부착 기준, 착용매뉴얼 등의 통합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본 보고

서의 말미에 제시하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 선정 디자인 착용 및 세탁 실험 후 개선안 최종 결정안

Page 6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5.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 최종 결과 56

5.2 근무복 디자인

5.2.1 하복

■ 색상

형광연두색

■ 원단

P65/C35 2/1 Twill TCM30×TCM30/130×68 원단에 방오가공

■ 반사지

초기휘도가 500RA 이상이고, ISO6330시험법(60°C 2A)으로 100회

세탁 후 휘도가 100RA 이상 확보된 100% 폴리에스테르재질의 초고휘도

반사테이프를 3.8cm폭으로 부착

하 복

착용 이미지 디 자 인

Page 6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5.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 최종 결과57

5.2.2 동복

■ 색상

형광연두색

■ 원단

폴리 100%필름의 2ply로 라미네이팅(Laminating)된 투습도 5,000g/㎡/24h

(KS K 0594, 염화칼슘법), 내수도 10㎏/㎠(KS K 0592, 고수압법) 이상의

투습, 방수 기능성 원단에 방오가공

■ 반사지

초기휘도가 500RA 이상이고, ISO6330시험법(60℃ 2A)으로 100회 세탁 후

휘도가 100RA 이상 확보된 100% 폴리에스테르재질의 초고휘도 반사테이

프를 5cm폭으로 부착

동 복

착용 이미지 디 자 인

Page 6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5.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 최종 결과 58

5.2.3 간절기용 티셔츠

쿨맥스 소재로 땀 배출이 탁월하고 쉽게 마르는 원단을 적용하여 간절기 겹쳐

입거나 동절기 내의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 색상

검정색 + 형광연두색

■ 원단

Polyester 54% + Coolmax 46%, 220~240gr/yd

간절기 티셔츠

착용 이미지 디 자 인

Page 6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5.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 최종 결과59

5.3 부속물 디자인

5.3.1 작업화

방수, 방풍 및 투습성이 있는 작

업화를 기본으로 하여 작업시 배출

되는 내부의 땀을 쉽게 흡수하고 외

부로부터의 습기는 완벽하게 차단하

는 기능성 작업화를 적용한다.

5.3.2 안전보호구(안전모)

안전보호구(안전모)는 백색으로

하며, 상부나 측면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갖

춘 제품을 적용한다.

5.3.3 방한용 장갑

동계작업시 충분한 보온성을 유지

하면서 다양한 작업이 원활한 제품

을 적용한다.

5.3.4 방한마스크 및 귀마개

방풍기능이 탁월하고 혹한기에도

무난히 견딜 수 있는 보온성이 뛰어

난 제품을 적용한다.

Page 6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5.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개발 최종 결과 60

5.3.5 작업용 장갑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반코팅

장갑(적색)의 사용은 제한하며, 근

무복과의 통일성 유지를 위해 검

정색(또는 회색)의 제품을 적용한

다.

Page 6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Page 6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6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63

근무복 가이드라인의 적용 및 활용

1. 적용 대상

본 가이드라인은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에 한 디자인기준을 정하여 일관

성 있게 제작하기 위한 일반적 기준으로, 서울시 소속 및 행업체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에 하여 규정한다.

2. 활용 원칙

본 가이드라인은 사용자의 입장과 목적에 따라 제작 가이드라인, 착용 및 유지

관리 매뉴얼, 검수 매뉴얼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가이드라인의

적용시에는 각각의 입장에서 목적에 부합되도록 적용하여야 한다.

1) 제작 가이드라인

○ 사용자 - 근무복 제작자

○ 목 적 -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함

2) 착용 및 유지관리 매뉴얼

○ 사용자 - 환경미화원 근무자

○ 목 적 - 공공유니폼으로서의 품위유지로 클린도시 이미지 강화

3) 검수 매뉴얼

○ 사용자 - 관리자

○ 목 적 - 근무복 납품시 최상의 퀄리티 확보를 위함.

Page 6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6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1 제작 가이드라인

Page 7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7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67

6.1.1 하복 제작 가이드라인

1) 디자인

< 상 의 > < 하 의 >

2) 실물 제작

< 하복 실물 사진> < 반사 효과 테스트 >

Page 7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68

3) 로고부착 기준

① 서울시 소속 환경미화원 로고 부착 기준

○ 앞 왼쪽가슴부에 10cm폭의‘서울특별시’로고를 반사테이프 위쪽

8.5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한다.(예시① 참조)

○ 등판 반사테이프 위쪽으로 20cm 폭의 서울시 슬로건 ‘하이서울’ 로

고를 열전사 프린트한다.(중앙 맞추기)(예시② 참조)

○ 오른쪽 어깨에 폭 7.0cm이하로 작성된‘자치구’로고를 반사테이프

위쪽 4.0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한다.(중앙 맞추기)(예시③ 참조)

예시① 예시② 예시③

< 서울시 소속 환경미화원 로고 부착 기준 >

Page 7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69

② 대행업체 근무자 로고 부착 기준

○ 앞 왼쪽가슴부에 10cm폭의‘서울특별시’로고를 반사테이프 위쪽

8.5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한다.(예시④ 참조)

○ 등판 반사테이프 위쪽으로 20cm 폭의 서울시 슬로건 ‘하이서울’로고를,

행업체 명칭은 반사테이프 하단 4.0cm를 기점으로 하부에 서울남산

체로 열전사 프린트한다.(중앙 맞추기)(예시⑤ 참조)

○ 오른쪽 어깨에 폭 7.0cm이하로 작성된‘자치구’ 로고를 반사테이프

위쪽 4.0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한다.(중앙 맞추기)(예시⑥ 참조)

예시④ 예시⑤ 예시⑥

< 대행업체 근무자 로고 부착 기준 >

Page 7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70

4) 원단 및 부자재 규격서

① 하복 상의

구분 품명 용도 규격 비고

상의

원단겉감용

(58")

색상: 형광연두

규격: P65/C35 2/1 Twill TCM30 x TCM30 / 130 x 68

가공: 방오가공(발수+발유)

색상

견본참조

반사

테이프

테이프용

(3.8cm)

재질: 폴리100%, ISO6330/2A 시험법으로 100회 세탁후

휘도가 100RA 이상 (납품시 시험성적서 필히 제출)실버

심지앞여밈용 안단

면접착 심지 IS-8315D 카라(에리)

마크

등판용

열전사 프린트(로고부착 기준 참조) 견본참조앞면용

소매용

단추 앞여밈용 18mm(폴리재질) 색상 : 형광연두 칼라매칭

Page 7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71

② 하복 바지

구분 품명 용도 규격 비고

하의

원단겉감용

(58")

색상: 형광연두

규격: P65/C35 2/1 Twill TCM30 x TCM30 / 130 x 68

가공: 방오가공(발수+발유)

색상

견본참조

반사

테이프

테이프용

(3.8cm)

재질: 폴리100%, ISO6330/2A 시험법으로 100회 세탁 후

휘도가 100RA 이상 (납품시 시험성적서 필히 제출)실버

심지

앞여밈용 안단

면접착심지 IS-8315D 허리단

외입술 주머니

주머니

감 주머니감(44") 색상: 흰색 T/C 186T

지퍼 앞여밈용 나일론3호(양면) 칼라매칭

단추 앞여밈용 18mm(폴리재질) 색상 : 형광연두 칼라매칭

Page 7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72

5) 제작요령

① 하복 상의

○ 남방 스타일의 반소매 기장으로 한다.

○ 칼라 폭은 9cm(뒷중심), 앞카라끝 6cm 이내로 하되 6mm폭의 스티치

를 넣어준다.

○ 앞채움은 4cm 폭으로 스티치하고, 단추는 18mm 폴리단추 5개를 달아

주되, 속단추처리를 권장한다.

○ 앞 가슴부 왼쪽 반사테이프 아래에 지퍼여밈의 안주머니를 단다.

○ 앞 하단부 양쪽에 필요시 속주머니를 달아주되 늘어짐 방지를 위한 밸

크로 혹은 단추여밈을 권장한다.

○ 3.8cm 폭의 반사테이프를 앞판에 가로 세로, 등판에 가로 세로, 소매

에 한 줄, 밑단에 한 줄 넣어준다.

○ 암홀, 소매 등 시접 연결 부분의 오버록 처리후 1/4 스티치로 촘촘하게

작업한다.

○ 소매 밑단과 상의 밑단은 2.5cm로 말아박는다.

○ 앞여밈용 안단과 칼라 부위에는 심지를 부착한다.

○ 봉사는 60수/3합을 사용하며, 2.5cm당 9-11땀수 이상으로 봉제한다.

○ Main Label은 뒤 등판 안쪽 상단 중심에 부착한다.

② 하복 바지

○ 4cm 넓이의 허리단을 제감으로 봉제한다.

○ 바지 양쪽에 사선형태의 포켓을 넣어준다.

○ 앞판 양쪽에 두 개의 주름을 넣어준다.

○ 지퍼안단의 넓이는 4.5cm정도로 하고 양면지퍼를 단다. 지퍼스티치는

3.5cm에서 두 줄로 스티치한다.

○ 안감은 넣지 않는다.

○ 바지 안쪽 솔기는 오버록해서 가름솔하고, 바지 옆솔기와 뒷중심 솔기는

오버록후 두 줄로 스티치한다.

○ 앞여밈은 18mm 폴리단추를 달아준다.

Page 7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73

○ 뒷판 양쪽에 외입술 포켓을 달아주며 18mm 단추로 고정한다.

○ 벨트고리는 앞뒷판 합쳐서 총 5개를 달아준다.

○ 3.8cm 폭의 반사테이프를 두 줄, 양쪽끝 스티치로 박아준다.

○ 밑단은 2.5cm로 말아 박는다.

○ 앞여밈 안단, 허리단, 뒷주머니 입술 부위에는 심지를 부착한다.

③ 공통 사항

○ 땀수는 5cm에 18땀 이상으로 한다.

○ 재단 시 위,경사의 방향을 잘 맞추어야 한다.

○ 각 부분 착용시 이색이 없도록 같은 색상 원단으로 한다.

○ 봉탈 되지 않게 견고하게 재봉하여야 하며, 제품의 꼬임이 없도록 한다.

○ 제품에는 실밥 및 기타 이물질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본 기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근무복 제작 일반 관례에 의한다.

○ 로고인쇄 위치 및 크기 등은 별도의 로고부착기준에 의한다.

○ 규격서에 의한 원단소재, 혹은 방오가공 등을 증명할 수 있는 지정택

(tag)을 부착 한다.

○ 세탁 및 유지관리를 위한‘세탁요령’라벨을 안쪽에 부착한다.

○ 이름표는 안감 쪽에 라벨 등으로 부착할 수 있다.

④ 참조 이미지

< 실물 세부 사진 >

Page 7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74

6.1.2 동복 제작 가이드라인

1) 디자인

< 상 의 > < 하 의 >

2) 실물 제작

< 동복 실물 사진> < 반사 효과 테스트 >

Page 7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75

3) 로고부착기준

① 서울시 환경미화원 로고 부착 기준 - 동복

○ 앞 왼쪽가슴부에 10cm폭의‘서울특별시’로고를 반사테이프 위쪽

8.5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 부착한다.(예시⑦ 참조)

○ 등판 반사테이프 위쪽으로 20cm 폭의 서울시 슬로건 ‘하이서울’ 로

고를 열전사 프린트 부착한다.(중앙 맞추기)(예시⑧ 참조)

○ 오른쪽 어깨에 폭 7cm이하로 작성된 ‘자치구’로고를 반사테이프 위

쪽 4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 부착한다.(중앙 맞추기)(예시⑨ 참조)

*기준사이즈-남성100임 (사이즈별로 변동사항 있음을 참조바람)

예시⑦ 예시⑧ 예시⑨

< 서울시 소속 환경미화원 로고 부착 기준 >

Page 8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76

② 대행업체 근무자 로고 부착 기준

○ 앞 왼쪽가슴부에 10cm폭의‘서울특별시’로고를 반사테이프 위쪽

8.5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 부착한다.(예시⑩ 참조)

○ 등판 반사테이프 위쪽으로 20cm 폭의 서울시 슬로건 ‘하이서울’ 로고를,

행업체 명칭은 20cm 폭을 상한으로 하여 반사테이프 하단 5cm를

기점으로 하부에 서울남산체로 열전사 프린트 부착한다.(중앙 맞추기)

(예시⑪ 참조)

○ 오른쪽 어깨에 폭 7cm이하로 작성된‘자치구’로고를 반사테이프 위

쪽 4cm상단에 열전사 프린트 부착한다.(중앙 맞추기)(예시⑫ 참조)

예시⑩ 예시⑪ 예시⑫

< 대행업체 근무자 로고 부착 기준 >

Page 8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77

4) 원단 및 부자재 규격서

① 동복 상의(사파리 형식)

Page 8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78

구분 품명 용도 규격 비고

동복

상의

사파리

원단 겉감용(58")

색상 : 형광연두

규격 : P100% 75D x 150D, Twill

구조 : 폴리100%, PTFE 혹은 PEEE film의 2 ply로

laminating된

1. 내수도 : (KS K 0592, 고수압법)

10 kg/cm2 이상

2. 투습도 : (KS K 0594, 염화칼슘법)

5,000 g/m2/24h 이상

3. 방오가공 : 발수도 5급 이상, 발유도 5급 이상

*택부착

1.기능성

원단

2.방오

가공

안감 몸체용(60") 색상 : 검정 / 혼용률 : 폴리100%(폴리트윌)

지퍼앞여밈용 5호 나일론

내피 탈부착용 5호 비슬론

지퍼풀

앞여밈용 금속

내피 탈부착용 착용시 오른쪽 양면풀 / 왼쪽 일반풀

심지

카라 니들펀치 4oz

몸판 외 K-234(종이 비접착심지, Black)

반사

테이프

테이프용

5cm

재질 : 폴리 100%, ISO6330 시험법(60°C 2A)으로

100회 세탁 후 휘도가 100RA 이상 (납품시

시험성적서 필히 제출)

실버

스냅 앞여밈 폴리재질,15mm 칼라매칭

벨크로 손목 조절용 2.5cm 폭 칼라매칭

심실링 봉제선 심실링 (0.5mm + PU 접착제 0.03mm) x 20mm(폭)

로고

부착

서울시 휘장방법 : 열전사 프린트

색상 : 남산초록색

(로고부착기준참조)

남산

초록색자치구 마크

서울시 슬로건

Page 8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79

② 동복 상의 내피점퍼

구분 품명 용도 규격 비고

내피

점퍼

원단 겉감용(60") 색상 : 검정

혼용률 : 폴리100%(폴리트윌)

패딩솜 몸판용 에어롤 5oz,2인치 다이아퀼팅

지퍼앞여밈용 5호 비슬론

가슴주머니용 3호 나일론

지퍼풀 앞여밈용 금속

시보리 카라 및 소매단 아크릴 100% (방적사) 또는 폴리100%, 검정색

Page 8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80

③ 동복 하의

구분 품명 용도 규격 비고

바지

원단겉감용

(58")

색상 : 형광 그린

규격 : P100% 75D x 150D, Twill

구조 : 폴리100%, PEEE(Polyester Ether Elastomer) 또는

PTFE film의 2 ply로 laminating된 twill 조직 (상의

와 동일규격)

견본참조

(원단은

상의와

동일)

안감 몸체용(60") 색상 : 검정

패딩솜 몸판용 에어롤 3oz, 다이아퀼팅

지퍼 앞여밈용 3호 나일론

고무

밴드허리조임용 완성 10cm

벨크로 밑단조임용 루프 18cm + 후크 4cm 칼라매칭

시보리 밑단 아크릴 100% (방적사) 또는 폴리100% 색상 : 검정색 칼라매칭

단추 앞여밈용 18mm(폴리재질) 칼라매칭

Page 8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81

5) 제작요령

① 동복 상의 (사파리 형식)

○ 내피 탈부착 방식의 사파리 스타일로 한다.

○ 전체 트윌조직의 폴리100% 안감을 넣어준다.

○ 지퍼 앞여밈 스타일로 하되 폭 6cm의 플라켓을 달아준다.

○ 카라, 플라켓, 어깨, 암홀 봉제선에 끝스티치 작업한다.

○ 사파리 양옆에 역방향 포켓(폭:18cm)을 달아주되 위 아래 구찌가

2.5~3cm겹치게 해준다.

○ 5cm 폭의 반사테이프를 앞 가슴부에 한 줄, 등에 한 줄, 팔에 한 줄,

밑단에 한 줄 넣어준다. (열전사 금지)

○ 앞가슴과 밑단의 반사테이프가 끊김없이 앞 플라켓까지 연결한다.

○ 손목을 밴드로 처리하며 벨크로로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하고,여밈 부

분을 1인치이상 여유를 주어 재봉한다.

○ 모든 봉제선에 심실링 처리한다.

○ 상의 안주머니는 좌측안쪽에 역방향 지퍼포켓을 달아준다.

② 동복 상의 내피점퍼

○ 칼라폭은 7cm(봉제선 부분 포함), 소매단 폭은 6cm(봉제선 부분 포함)

로 하되 아크릴(방적사)이나 폴리소재의 시보리를 달아준다.

○ 전체 5oz 두께의 에어롤을 이용하여 단면 다이아퀼팅으로 작업하고,

폴리 100%의 트윌(twill)원단을 결합하여 봉제한다.

○ 앞채움은 5호 비슬론 지퍼로 하되 앞, 뒤로 쓸 수 있는 양면 지퍼풀을

달아주어 외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 밑단, 지퍼단, 카라봉제선 등은 시접처리 한다.

○ 왼쪽 가슴에 지퍼포켓을 달아준다.

○ 어깨, 암홀선 등의 봉제선에 0.6cm 스티치 작업한다.

③ 동복 하의

○ 전체 에어롤 3oz 패딩 처리한다.

Page 8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82

○ 앞 여밈은 3호 나일론 지퍼로 처리한다.

○ 허리 양옆에 고무밴드를 넣어준다.

○ 무릎 위 아래로 10cm간격의 반사테이프를 두 줄 부착한다.

○ 밑단 안쪽에 시보리단을 겹치게 주어 바람을 막아줄 수 있게 한다.

○ 밑단 측면에서 뒤쪽으로 벨크로 테이프를 주어 조일 수 있게 한다.

○ 뒤주머니의 크기는 17cm, 입술넓이는 1cm을 양쪽에 해준다.

④ 공통 사항

○ 땀수는 5cm에 17땀 이상으로 한다.

○ 재단 시 위,경사의 방향을 잘 맞추어야한다.

○ 각 부분 착용 시 이색이 없도록 같은 색상 원단으로 한다.

○ 봉탈 되지 않게 견고하게 재봉하여야 하며, 제품의 꼬임이 없도록 한다.

○ 제품에는 실밥 및 기타 이물질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본 기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근무복 제작 일반 관례에 의한다.

○ 로고인쇄 위치 및 크기 등은 별도의 로고부착기준에 의한다.

○ 규격서에 의한 원단소재를 증명할 수 있는 지정택(tag)을 부착 한다

○ 세탁 및 유지관리를 위한 ‘세탁요령’라벨을 안쪽에 부착한다.

○ 이름표는 안감 쪽에 라벨 등으로 부착할 수 있다.

⑤ 참조 이미지

< 실물 세부 사진 >

Page 8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83

6.1.3 간절기 티셔츠 가이드라인

1) 디자인

< 간절기 티셔츠 >

2) 실물 제작

< 앞 면 > < 배 면 > < 측 면 >

Page 8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84

3) 로고부착 기준

① 서울시 소속 환경미화원 로고 부착 기준

○ 앞 왼쪽가슴부에 10cm폭의‘서울특

별시’로고를 열전사 프린트한다.

(예시⑬ 참조)

예시⑬

② 대행업체 근무자 로고 부착 기준

○ 앞 왼쪽가슴부에 10cm폭의‘용역업

체명(예시 : 성동용역)’을 열전사

프린트한다.(예시⑬ 참조)

예시⑬

Page 8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85

4) 원단 및 부자재 규격서

구분 품명 용도 규격 비고

셔츠

원단 겉감용(60")

색상 : 검정색(몸판용)

형광연두색(배색용)

규격 : Polyester 54% + Coolon 또는 Coolmax 46%,

220~240gr/yd

견본참조

지퍼앞여밈용

나일론3호 색상 : 검정색 견본참조

심지 카라 면접참심지 IS-8315D 견본참조

마크 앞면용 로고부착 기준 참조 견본참조

Page 9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86

5) 제작요령

○ 티셔츠 스타일로 작업한다.

○ 카라(에리)는 스탠딩 카라로 작업하며 폭은 5cm 이내로 하되 5mm폭의

스티치를 넣어준다.

* 남, 여 동일함

○ 앞채움은 지퍼 (나일론 3호)를 카라 끝에서 남 :20.5cm / 여: 19cm 길

이로 달아준다.

○ 옆구리의 배색은 패턴 기준으로 한다.

○ 소매는 긴소매 기장으로 한다.

○ 마크는 왼쪽 가슴부에 열전사 프린트한다.

○ 암홀, 소매 등 시접 연결 부분은 2번 오버록 처리하고 촘촘하게 작업한다.

○ 소매단, 밑단은 3봉 처리한다.

○ 메인라벨은 뒷목 중심에 달며, 치수라벨은 메인라벨의 하단에 부착하

고 세탁라벨은 좌측 옆선의 안쪽 면에 부착한다.

Page 9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87

6.1.4 작업화 가이드라인

1) 디자인

방수, 방풍 및 투습성이 있는 작업화로 e-PTFE(테프론)필름을 신발 내피

용으로 하여 작업시 배출되는 내부의 땀을 쉽게 흡수하고 외부로부터의 습기

는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성 작업화로 사계절 착용가능하다.

번호 명칭 번호 명칭

1 신울가죽 8 몸통내피

2 신발끈 9 선심

3 신발끈허리 10 안창

4 구두혀 11 중간창

5 쿠션패드 12 겉창

6 몸통가죽 13옆장식

반사테이프7 보강가죽

2) 실물제작

Page 9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88

3) 제작요령

갑피(upper)를 신골(LAST)에 씌운 다음 사출 성형기의 금형에 신골

(LAST)을 장착하고 금형에 RUBBER겉창을 씌운 후 합성수지(폴리우레탄)를

금형 속으로 사출하여 창 부분을 동시 접착시키는 사출 성형식 등으로 제작하

여야 하며, 특히 몸통가죽과 중간 창 접착부는 이탈되어서는 안 된다.

4) 사용재료

① 겉창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는 형상으로 하여야 하며, 두께는 시료의 양단을

잇는 직선상에 고무 겉창의 주변부분을 제외하고 미끄럼 방지효과가 있

는 형상을 포함한 평면 부분과 직각 단면에 해서 가장 얇은 부분에서

측정하였을 경우 2.0mm이상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 OUT SOLE → NON-SLIP RUBBER창으로 한다.

○ MID SOLE → PU(우레탄)창으로 한다.

② 몸통가죽

크롬무두질 또는 무두질한 소가죽으로 두께가 균일하고 홈 등의 결함

이 없어야 하고, 부드럽고 통기성이 좋은 가죽(F/G)을 사용하여야 하며,

색상은 검정색으로 한다.

③ 내피

투습성이 뛰어나고 건조가 용이하며 땀을 배출시키고 방수기능이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버선 형태의 모양으로 제작하여야 하며 봉제선은 심실

링 테이프로 마감하여야 한다.

○ 투습도 12,000g/㎡/24h(KS K 0594,초산칼륨법)

○ 내수도 10kg/㎠(KS K 0592)

④ 신발끈고리

스틸에 도금 후 검정색을 착색한 D-RING으로 처리한다.

⑤ 봉합사

사용목적에 적합하고 굵기 및 꼬임이 균등해야 하며, 봉제 땀수는 1인

치당 8~10(땀)으로 한다.

⑥ 신발끈

Page 9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89

신발끈은 폴리프로필렌계 합성 섬유나 순면을 소재로 한 것으로 굵기

는 균일하고 둥근형 또는 넓은 모양의 길이 120cm정도로 하며, 끈의 양

쪽 끝은 15mm TIP처리로 마감하여야 한다.

⑦ 중창

변형되지 않도록 스토롭 공법 등을 적용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⑧ 깔창

발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땀 흡수 및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소재로 된

깔창으로 한다.

⑨ 구두혀

접힘으로 인한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부드러운 가죽을 사용하여야

하며, 스폰지를 삽입하여 착용시 발등부분에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⑩ 목부분 처리

목부분(쿠션패드)은 착용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0.7mm PU에 스

폰지를 내장하여 PADDING 마감처리 한다.

⑪ 옆장식

반사테이프를 PIPING모양으로 만들어 처리한다.

6.1.5 안전보호구

안전보호구(안전모)는 백색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다음의 로고부착 기준에

따라 접착시트를 커팅시트하여 부착한다. 단, 안전보호구의 전면과 배면을 제외

한 양측면에는 어떠한 부착물도 부착할 수 없다.

전면에는 서울시 휘장을부착한다.

배면에는 해당 자치구의 명칭을 부착한다. (대행업체의 경우에도 자치구명을 부착)

(글자 색상 : 남산초록색 서체 : 서울서체)

Page 9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90

6.1.6 기타 부속물 가이드라인

근무복과 안전보호구를 제외한 부속물의 색상은 검정색(BLACK)을 기본으로

한다. 단, 동복 부속물은 검정색을 사용하여야 하나, 하복과 함께 착용하는 부속

물은 Gray계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검정색 이외의 색상을 장식이나 부속디자인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근무

복의 형광연두색과 유사한 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근무복의 색상이 통일성 있

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 방한용 장갑

동계작업시 보온성을 유지하면서 작업에 편리하도록 디자인한다.

< 권장사항 >

① 밴버그 안감으로 착용감이 좋으며 보온성이 우수하다.

② 손바닥에 미끄럼방지용 도트처리를 하였고, 손목조임

웨빙을 달아주어 착용감이 우수하다.

③ 방풍력이 우수하여 겨울에 방한을 겸한 작업용 장갑으로

권장한다.

④ 재질 : nylon 88%, PU 12% (폴리우레탄 내장)

2) 방한용 마스크와 귀마개

방풍기능이 탁월한 안면 마스크로 보온성이 뛰어나고, 얼굴의 곡선에 잘 맞

도록 입체적으로 제작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 권장사항 >

재질 :

폴라폴리스

Page 9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91

3) 작업용 장갑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반코팅 장갑(적색) 사용을 제한하며, 근무복의 통일

성을 위하여 검정색(또는 회색)색상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된 장갑을 권

장한다.

< 제한 > < 권장 >

작업용 장갑(동계용) 반코팅 장갑(하계용)

Page 9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9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2 착용 및 관리 매뉴얼

Page 9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9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95

6.2.1 착용 가이드라인

1) 개요 및 기본사항

환경미화원 근무복은 기본적으로 하복 및 동복과 간절기에 활용 가능한 간

절기용 티셔츠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 기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착용가능하

다. 또한 부속물을 지급하여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는 서울시의 환경미화원을 상으로 지급되는 환경미화원 근무복을

상으로 착용시의 기본사항을 규정하고자 한다.

■ 공공 유니폼 착용 기본사항

공공 유니폼으로서의 환경미화원 근무복은 도시의 쾌적하고 청결한 이미지

를 반영함은 물론 통일감 있는 착용으로 서울의 아이덴티티 형성은 물론 환경

미화원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기본 착용 의무사항을 준수

하여야 한다.

첫째, 본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근무복 이외의 색상이나 디자인은 착용할 수 없다.

둘째, 안전보호구(안전모)를 착용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흰색을 유지하고, 정해진

로고 부착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셋째, 상 ․ 하의로 구성된 근무복 이외의 부속물에 대하여는 검정색 색상의 착용

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디자인 통일성을 항상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Page 10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96

2) 근무복 착의 기준

(1) 하복의 착의 기준

하복은 상의 반팔셔츠와 바지 각 두벌을 지급하며, 활용 가능한 상하

구성은 아래 그림과 같다.

< 상 의 > < 하 의 >

<착의사례>

Page 10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97

(2) 동복의 착의 기준

동복은 내피점퍼를 포함한 상의 사파리와 바지 각 두벌을 지급하며, 활

용 가능한 상하 구성은 아래 그림과 같다.

< 상 의 > < 내피점퍼 > < 하 의 >

<착의사례>

(3) 간절기 티셔츠의 착의 기준

동복 및 하복으로 지급된 근무복과 간절기 티셔츠를 기후 조건에 따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활용사례는 아래와 같다.

Page 10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98

① 간절기 1

< 하복 상의 > < 간절기 티셔츠 > < 하복 하의 >

<착의사례>

② 간절기 2

동복 상의(내피점퍼 제거)와 간절기 티셔츠, 하복 또는 동복 하의를

조합하는 방법

(4) 우천시

동복 상의점퍼는 방수기능이 있어 우의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여름

철 및 간절기에 내피를 제거하고 착용하면 우의로 활용할 수 있다.

Page 10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99

(5) 부속물 착용(동절기 기준)의 예

Page 10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100

6.2.2 근무복 유지관리 요령

1) 기본사항

○ 오염이나 훼손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하지 않고 청결히 관리하여 근무복

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각자 관리에 철저를 기한다.

○ 근무자는 지급된 두벌의 근무복을 청결하게 세탁 및 착용하여 항상 쾌적하

고 청결한 이미지를 유지한다.

○ 땀 배출이 많은 여름철엔 근무복 수명 연장 및 청결유지를 위하여 매일 세

탁하는 것을 권장한다.

2) 세탁라벨

동복 및 하복, 간절기 티셔츠 등의 제작시 아래의 세탁라벨을 부착하여 표

시하고, 근무자는 세탁라벨에서 제시한 로 세탁에 철저를 기한다.

○ 40℃의 온수에 중성세제를 잘 푼 다음 물세탁을 해야 한다. 세탁기 사용도

가능하나 다른 옷과 함께 세탁하지 말고,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 단추 등

을 다 채운 상태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다. 지퍼를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의

세탁은 의류에 부착된 지퍼나 단추 등에 의해 원단이 손상되어 기능이 저

하되는 원인이 된다.

○ 또한, 세제찌꺼기가 남아있을 경우 탈색이나 멤브레인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항상 깨끗이 헹궈준다.

○ 표백제나 유연제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세탁 후에는 직사광선을 피하여 옷걸이에 걸어서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 드라이크리닝 용제에 열 전사된 마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드라이크리닝

은 하지 않도록 한다.

○ 다림질은 초고휘도 반사 테이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피하도록 한다.

Page 105: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3 검사(QI : Quality Inspection) 매뉴얼

Page 106: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107: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103

6.3.1 목적

환경미화원 근무복 검사기준 및 절차는 근무복 납품시 제작가이드라인이 정한

로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품질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통일된 색상과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서울시 아이덴티티를

확보하고자 한다.

6.3.2 용어의 정의

이 규정에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관능검사”라 함은 물품을 사람이 지니고 있는 오감(五感)의 작용으로 검

사하는 것을 말한다.

2)“이화학시험”이라 함은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분을 시험 분석하는 것

을 말한다.

3)“모두검사”라 함은 물품을 일일이 조사 측정하여 개개의 물품을 양품 또

는 불량품으로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4)“샘플링 검사”라 함은 로트(LOT)마다 시료를 임의로 뽑아 그 채취된 물

품을 조사하여 로트의 합격 또는 불합격을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5)“중간검사”라 함은 물품의 생산과정에서 재료 또는 가공, 공정 등을 검

사하는 것을 말한다.

6)“납품검사”라 함은 납품단계에서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7)“재검사”라 함은 일단 검사한 물품을 다시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8)“계약상 자”라 함은 서울시와 계약을 체결하여 그 계약의 내용에 따라

납품을 하기 위하여 검사를 받는 업체를 말한다.

9)“검사위원회”라 함은 환경미화원 근무복 계약서 및 규격서에 따라 물품

을 직접 검사하는 위원회를 말한다.

6.3.3 검사위원회 구성 및 운영

검사위원회는 기획관리 및 의류전문가 등 10인 이하로 구성하여 운영한다.

1) 검사위원회 개최는 전 위원의 2/3이상 참석하여 과반수 이상으로 의결

하여야 한다.

Page 108: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104

2) 검사위원회는 검사방법에 따라 외관 평가, 기능성 평가, 안전도 평가 등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화학시험 결과는 규격내용과의 일치여부를 필히 확인

하여야 한다.

3) 검사위원회의 책임

(1) 검사 업무는 신속, 정확하게 공정을 기하여야 하며, 부당한 검사로 서

울시 또는 계약 상 자에게 손실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2) 계약 내용 및 규정과 다른 사항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시정

조치하여야 한다.

4) 검사위원회는 샘플복 검사를 위한 1차 위원회와 성과품 최종 납품을 위한

2차 위원회를 개최하며, 그 외에도 필요시 위원장의 소집에 따라 개최할

수 있다,

6.3.4 검사의 준비

1) 계약 상 자는 1차 위원회 개최 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계약 및 규격서에

따라 샘플복 2벌 이상을 제작하여 검사 의뢰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주요

자재의 시험성적서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원,부자재의 성능이 규

격조건과 상이한 경우에는 반드시 우수한 품질로 체하여 제작하여야 한

다.

2) 계약상 자는 검사위원회에서 지정한 2인 이상의 현장 검사요원으로부터

최종 납품 상품 중 임의로 샘플링 채취하여 시료에 Tag부착 또는 공동

서명을 한 후 2차 심사위원회에 제출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시료는 물품

의 2천매당 1점 또는 2점을 채취하여야 한다.

6.3.5 검사 실시 및 평가

1) 검사위원회는 계약의 내용, 규격서 및 모양 견본 등을 참고하여 검사를 실

시하여야 한다.

2) 현장검사요원은 손쉽게 검사할 수 있거나 롯트(LOT)의 크기가 적을 경우는

“모두검사” 방식과 검사비용과다 및 량물품인 경우에는 “샘플링검사”

방식을 택일하여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원자재 및 부자재는 작업 착수 전에 중간검사를 하고 완제품

Page 109: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105

은 납품검사를 하여야 한다.

3) 검사품의 평가는 납품될 물품이 계약내용과 일치하는지 여부와 공인기관

의 시험결과 등을 종합하여 판정하되, 검사위원회의 의결 결과에 따라 재

검사 또는 검사완료 등으로 구분한다.

4) 환경미화원 근무복의 검사평가 세부사항은 붙임1에 따른다.

6.3.6 재검사

검사위원회에서는 다음사항에 해당될 때에는 재검사를 할 수 있다.

1) 불합격된 물품을 보수, 개조 또는 선별하여 납품할 때

2) 검사완료 후 납품 전, 합격품에 이상이 있음이 발견되었을 때

3) 계약상 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판정에 영향을 준 사실이 발견되

었을 때

4) 기타 특수한 사유로 인하여 재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6.3.7 봉인 또는 검인 등의 표시

현장검사요원은 물품을 검사한 때에는 검사한 물품을 식별, 확인하기 위하여

봉인 또는 검인의 표지를 하여야 한다. 다만,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봉인

또는 검인과 함께 보조표시를 할 수 있다.

Page 110: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106

<자료> 환경미화원 근무복 검사평가 세부사항

1. 외관평가

(1) 색상 및 겉감원단은 가이드라인에 의한 품목별 규격서에 따라 제시 견본

(샘플)을 기준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2)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견본과 비교하여 평가하되, 부득이 규격이 변경

되었을 시에는 동일품질 이상의 제품을 사용할 시에만 인정한다.

(3) 완제품은 봉제 상태 등을 꼼꼼히 점검 하여야 한다,

동복 원단 하복 원단

* 동, 하복 원단의 주, 부자재 철은 별도 첨부하여 육안으로 확인

Page 111: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107

2. 기능성 평가

(1) 환경미화원 근무복지의 이화학 성능은 다음에 따른다.

(2) 원단에 한 이화학 시험은 국가공인기관에서 시험성적서를 제출받아 평

가하되, 원단용 시료는 5천미터당 1편(전폭 2미터) 또는 2편을 채취하여

서명 후 인도하여야 한다.

(3) 국가공인기관은 FITI, KATRI, KOTITI 중에서 택일하여야 한다.

※ FITI : 재단법인 FITI 시험연구원 http://www.fiti.re.kr

KATRI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http://www.katri.re.kr

KOTITI : 한국섬유기술연구소 http://www.kotiti.re.kr

구분 시 험 항 목 단위 규정치 시 험 방 법

동복원단

투 습 도 g/㎡/24h 5,000이상 KS K0594 (염화칼슘법)

내 수 도 kg/㎡ 10 이상 KS K0592 (고수압법)

필름의 재질PTFE 또는 PET(PEEE)

IR법

투습저항도(Ret) m2.Pa/W 8 이하 ISO 11092

동,하복

원단

발 수 도 급 5 이상 KS K0590 (스프레이법)

발 유 도 급 5 이상 KS K0526 (탄화수소법)

세탁견뢰도 급 4 이상 KS K0430

마찰견뢰도 급 4 이상 KS K0650

수 축 률 % ±1 KS K0501

3. 안전도 평가

(1) 근무복에 부착되는 초고휘도 반사테이프(또는 반사지)는 환경미화원의 안

전이 철저하게 보장되어야 하므로 부착위치의 변경을 일체 금하며, 휘도

의 확보에도 철저를 기해야 한다.

(2) 이 제품은 고품질을 사용하여 작업 활동이나 세탁 후에도 훼손율이 적은

Page 112: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6. 환경미화원 근무복 가이드라인 108

상태에서 최 한의 효과가 유지되어야 한다.

(3) 초고휘도 반사테이프의 안전도 시험은 공인기관 시험성적서로 평가하되

그 성능은 다음과 같다

구분 시 험 항 목 단위 규 정 치 시 험 방 법

초고휘도

반사테이프

원 단

초 기 휘 도 RA 500 이상 KS A3507

세 탁 성 능 RA 100 이상ISO6330-2A 시험법으로

100회 세탁

재 질 % 폴리에스테르 100 KS K0210

(4) 반사지 부착방법은 재봉하여 부착하되, 열전사는 금지한다.

4. 라벨 표시

(1) 세탁요령 등을 표시한 세탁라벨을 좌측 옆선의 안쪽에 부착하여야 한다.

(2) Main Label은 원단 혼용율 등을 표시하여 뒤 등판 안쪽 상단에 부착하여

야 한다.

(3) 치수라벨은 좌측 허리벨트 하단에 부착한다.

5. 기타

이 규격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시중 상관례에 따른다.

Page 113: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114: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8072a5b9.36551713.pdf · 서울시 환경미화원 근무복 디자인 가이드라인

발 행 처 서울특별시

발 행 인 오 세 훈

발행부서 디자인서울총괄본부

기 획

권영걸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

류경기 디자인서울총괄부본부장

이경돈 디자인서울기획관

한병용 공공디자인담당관

장영호 시설물디자인팀장

최성은 시설물디자인팀

이병준 시설물디자인팀

채정진 시설물디자인팀

권성은 시설물디자인팀

이윤영 시설물디자인팀

임대성 공간디자인팀

자문위원

정혜정 서경대학교 교수

간호섭 홍익대학교 교수

하지수 서울대학교 교수

김희정 C&H 대표

기술자문

성영용 (주) 방주

인 쇄 대양인쇄

발행일자 2009. 1

본 책자에 수록된 내용은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하며,본 출판물의 소유권 및 판권은 디자인서울총괄본부에 있습니다.문의 - 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 Tel. 02 6361 3459